You are on page 1of 5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CQ

1장

사회복지철학의 기본 이해하기

이름 : 정용준

학번 : 11933030

제출일 : 2019.3.14 (목)


우리는 보통의 사람들보다 약간 더 사려 깊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고 ‘철학적이다’ 라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철학은 무엇인가’ 떠올려보면 난해한 용어들과 어지러운 문장
들로 꽉 채워진 두꺼운 책을 연상한다. 사회복지학에 대해서 넘어가보면 사회복지학 이
란 인간의 삶을 행복하고 풍요롭게 해야 한다는 가치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학문이다.
사회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사회복지 지식이 갖춰져 있으면 방정식을 풀 듯 공
식처럼 해결하면 되지만, 사회복지사가 마주치는 상황은 복잡하기 때문에 사회복지실천
활동을 위한 또 다른 실천인 철학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고대 그리스인들이 사용했던 철
학의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해보면 학문에 가깝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철학자를 학자라
고 생각했다. 1장에 소개된 철학자들은 고대 그리스의 소크라테스, 독일의 칼 야스퍼스,
덴마크의 쇠렌 키르케고르가 있다. 다음으로 철학의 분야로는 인식론, 존재론, 가치론이
있다. 첫번째로 인식론은 “우리는 어떻게 아는가?”, “앎에 이르는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
한 질문을 제기하고 답을 얻으려는 시도를 말하고, 존재론(형이상학)은 “무엇이 실재하는
것인가?”, 존재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이며 마지막으로, 가치론은 “무엇을 선하다고 할
수 있는가?”, 어떤 것이 옳은 것인가?”, “아름다운 것은 무엇인가?” 등과 같은 판단에 관한
분야이다. 인간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바를 탐구하고 전파하고자 하는 윤리학은 가치적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세 분야는 확실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철학에
도 유용성이 있다. 첫째로 철학은 맹목적인 도그마티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리
고 두번째로 철학은 인간과 세계와 사물을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안목을
넓혀 전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하며, 세번째로 철학은 우리가 내려야 할 결정을 좀 더 나
은 결정으로 만들고, 마지막 네번째로 철학이 주는 유용성 중 개인적 유용성이 있다. 사
회복지철학은 “사회복지철학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보다 “사회복지를 철학한다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더 적합하다. 사회복지학이 지향하는 가치에는 첫번째로 개인이
어떻게 인간답게 살아야 할지를 고민하며 그 길을 찾는 것이 있고, 두번째로 사회복지학
정신은 인간 개인의 주체적 생존과 생활의 자기결정을 최우선으로 하며, 사회복지학 정
신은 한시적인 안정희망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적으로 삶의 복지를 회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철학의 종류는 ‘윤리학으로서의 사회복지학’과 ‘사회철학과 사회복지
학’이 있다.
생각해보기

1. 철학의 유용성은 무엇입니까?

답변 : 무엇이든 그것에 대해 조금 다르게 생각해보고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등 나에 대
해서 조금 더 진지하게 생각해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2. 사회복지실천활동을 함에 있어서 ‘철학하기’가 필요


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답변 : ‘나’라는 사람을 끊임없이 철학해서 내가 나를


잘 알고 있어야 남도 도울 수 있기 때문에 ‘나’를 철학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몰랐던 용어 정리

1. 유용성 : 소용(쓸 곳)에 닿고 이용할 만한 특성.

2. 도그마티즘(교조주의) : 형이상학적인 사고방법의 일


종으로서, 구체적인 여러 조건에 관계없이 불변의 진
리라고 간주되는 개념과 명제를 고집하는 사고방식
을 말한다.

3. 회구(회고) : 옛 자취를 돌이켜 생각함.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