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0

내신 잡는 필수 개념서

바른답•알찬풀이
생활과 윤리

Ⅰ 현대의 삶과 실천 윤리 2

Ⅱ 생명과 윤리 13

Ⅲ 사회와 윤리 27

Ⅳ 과학과 윤리 41

Ⅴ 문화와 윤리 55

Ⅵ 평화와 공존의 윤리 68
Ⅰ   현대의 삶과 실천 윤리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의 주요 물음

주요 물음을 통해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을 구분해 보자.


만점 공략 노트

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구분 규범 윤리학 메타 윤리학


•인생에서 옳고 그름, 선 •‘옳다’, ‘그르다’, ‘선하다’,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14 쪽
과 악은 무엇인가? ‘악하다’라는 말의 의미는
주요 •인생에서 무엇을 추구해 무엇인가?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기술  ⑵ 메타 
물음 야 하는가? •‘해야 한다’는 것과 ‘해서
⑶ 학제적  ⑷ 윤리적 공백    03 ⑴ ㉢  ⑵ ㉠  ⑶ ㉡  ⑷ ㉣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해 는 안 된다’는 말의 의미
야 하는가? 는 무엇인가?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15~17 쪽

01 ③ 02 ② 03 ③ 04 ⑤ 05 ③ 06 ⑤ 04 ㈎는 이론 윤리학, ㈏는 메타 윤리학이다. 이론 윤리학은 도


07 ③ 08 ④ 09 ② 10 ⑤ 덕 원리의 일반적 체계를 탐구하는 학문인 반면, 메타 윤리학
11 예시답안  정보는 창작자 개인의 소유물인가, 모든 사람의 공유
은 도덕적 용어의 의미와 도덕적 추론의 논리적 타당성을 탐
물인가? 정보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가 지니는 한계는 어디까지
구하는 학문이다.
인가?
바로잡기 ⑤ 규범 윤리학으로 분류되는 학문은 이론 윤리학과 실천
12 ⑴ 윤리적 공백  ⑵ 예시답안  과학 기술의 발달이 우리 삶에
윤리학이다. 즉, (가)는 규범 윤리학에 속하지만 (나)는 속하지 않으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과학 기술의 영향에 대해 충
실천적인 성격과 거리가 멀다.
분히 숙고하는 동시에 과학 기술의 장기적 효과와 부작용 등에 대
해 책임 있는 태도를 지닌다.
메타 윤리학 만점 공략 노트
13 ⑴ A:이론 윤리학 B:실천 윤리학  ⑵ ㉠ 의무론, 공리주의,
메타 윤리학의 의미, 탐구 대상 등을 묻는 문제는 자주 출제되
덕 윤리 등 ㉡ 환경 윤리, 정보 윤리, 생명 윤리 등 
므로 잘 알아 두어야 한다.
⑶ 예시답안  실천 윤리학은 이론 윤리학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
로 활용하며, 이론 윤리학과 마찬가지로 실천 윤리학도 어떤 윤리 •메타는 ‘~의 위에’, ‘~를 넘어서서’라는 뜻을 지닌 접두
이론이 더욱 타당한지 밝혀내는 데 관심을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 어이다.
의미
으므로 유기적 관계이다. •메타 윤리학이란, 기존 윤리학의 위에서, 규범 윤리학을
넘어서, 윤리학 그 자체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다.
•도덕적 지식의 성격과 근거는 무엇인가?
01 윤리학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도덕적인 행동의 기 탐구 •‘도덕적’이라는 속성은 과연 존재하는가?
준이나 규범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이때 규범은 당위의 형식 대상 •윤리학 자체가 학문으로서 성립 가능한가?
•개별 도덕 언어는 각각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으로 제시된다. 윤리학은 도덕의 본질, 인간에게 필요한 가치
등을 탐구하며, 구체적인 도덕 현상에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
의 해결책을 모색한다. 05 A 윤리학은 이론 윤리학, B 윤리학은 실천 윤리학, C 윤리학
바로잡기 ③ 윤리학은 가치 있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은 메타 윤리학이다. 이론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
적 분석과 정당화를 핵심 과제로 삼는 데 비해, 실천 윤리학
02 ㉠은 실천 윤리학이다. 실천 윤리학은 실천적 규범을 통한 구 은 이론 윤리를 적용하여 현실 도덕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
체적인 도덕 문제 해결을 일차적 과제로 보며, 도덕규범의 현 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는다. 즉, 실천 윤리학은 현실 도덕 문
실적인 적용과 구체적인 대안의 실천을 강조한다. 제에 대한 윤리적 해법을 모색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와 달리
바로잡기 •두 번째 특징:실천 윤리학은 윤리 문제에 대한 해결책 메타 윤리학은 도덕 언어의 개념 분석과 도덕 추론의 타당성
을 도출하는 새로운 학문 분야이며, 도덕적 탐구가 학문적으로 성립
입증을 핵심 과제로 삼는다.
가능한 분야임을 긍정한다.
바로잡기 ① 윤리학의 본질을 도덕 언어의 논리적 분석이라고 보는
•네 번째 특징:도덕적 관행은 단지 문화적 사건의 인과 관계일 뿐임
윤리학은 메타 윤리학이다.
을 강조하는 윤리학은 기술 윤리학이다.
② 윤리학 자체가 학문으로 성립 가능한지 탐구하는 윤리학은 메타
윤리학이다.
03 A 윤리학은 규범 윤리학이고, B 윤리학은 메타 윤리학이다.
④ 행위의 선악을 판단하는 일반적 도덕적 원리를 정립하고자 하는
메타 윤리학에서 제기할 주요 물음은 ‘도덕적 진술은 주관적
윤리학은 이론 윤리학이다.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기준을 구성하는 언
감정의 표현에 불과한가?’와 ‘도덕 판단을 논리적으로 정당화
어를 분석하고, 논리적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할 수 있는가?’이다. ⑤ 윤리학의 주요 과제를 도덕적 관습에 관한 가치 중립적 서술이라
바로잡기 ㄱ, ㄴ. 규범 윤리학에서 제기할 주요 물음이다. 고 보는 입장은 기술 윤리학이다.

2 바른답·알찬풀이
06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새로운 문제는 실천 윤리학이 등장하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 비교 만점 공략 노트
게 된 배경 중 하나이다. 성에 관한 인식 변화로 생긴 문제,
개인 윤리적 접근과 사회 윤리적 접근의 주안점을 비교해 두자.
안락사를 어디까지 허용해야 하는지의 문제, 기후 변화를 둘
구분 개인 윤리 사회 윤리
러싼 국가 간 책임 소재의 문제, 산업화 과정에서 무분별한
개인의 도덕적 의사 결정 개인보다는 사회 구조나
개발로 발생한 환경 문제 등이 이러한 문제에 해당한다. 문제
능력, 실천 의지, 습관의 결 제도에서 문제의 원인을
원인
바로잡기 ⑤ 윤리학이 하나의 객관적 학문으로 성립 가능한지는 메 여 등에서 원인을 파악함 찾음
타 윤리학이 제기한 문제의식이다. 개인의 양심을 함양하고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더
문제 덕목을 실천하여 현대 사 불어 사회 구조와 제도를
07 ㉠은 실천 윤리학이다. 실천 윤리학이 등장한 이유는 기존의 해결 회에서 발생하는 윤리 문 개선하여 사회 윤리 문제
전통 윤리학만으로는 현실에서 발생하는 구체적인 윤리 문제 제들을 해결하려 함 들을 해결하려 함

를 해결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 과학 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새로운 윤리적 쟁점이 발생했기 때문에 10 ㈎는 문화 윤리 영역, ㈏는 사회 윤리 영역이다. 문화 윤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천 윤리학이 요청되었다. 영역에서는 예술과 도덕의 관계, 의식주 윤리, 윤리적 소비,
바로잡기 ㄱ. 도덕적 용어의 의미에 관한 분석이 필요했기 때문에 등 다문화 윤리 등에 관한 쟁점을 다룬다. 사회 윤리 영역에서는
장한 윤리학은 메타 윤리학이다. 공정한 분배 기준, 우대 정책과 역차별, 사형 제도의 존폐 등
ㄷ. 과거로부터 내려온 절대적 신념과 제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었기
의 쟁점을 다룬다.
때문에 실천 윤리학이 등장하였다.
11 이렇게 쓰면 만점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윤리 문제는
08 제시문은 실천 윤리학이 학제적 접근을 요청한다는 내용이 지적 재산권 문제, 표현의 자유 문제뿐만 아니라 사생활 침
다.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려면 해, 불건전한 정보 유통, 각종 인터넷 범죄 등이 있다. 이에
의학, 법학, 과학, 종교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 지식과 관한 쟁점을 제시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실천 윤리학은 다양한 학문 영역의
지식을 활용하는 학제적 접근을 통해 개별 윤리 문제에 관한 12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요나스가 윤리적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강조한 태도, 즉 ‘과학 기술의 영향에 관한 도덕적 숙고’, ‘장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기적 관점에서 책임 있는 태도’ 등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바로잡기 ① 실천 윤리학은 인접 학문의 영역과 서로 교류하는 학제
적 정체성을 가진다. 13 이렇게 쓰면 감점 ⑶ ‘유기적 관계’의 의미를 이해하여 실천 윤
② 실천 윤리학의 일차적 목표는 윤리 문제 해결이다. 즉, 실천 윤리학 리학과 이론 윤리학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서술해야 한
은 이론적 지식보다 실천적 지식에 관한 탐구를 지향한다.
다. 한쪽의 특징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③ 법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국가 기관의
역할이다. 실천 윤리학은 다만 법적 관점을 참조하여 윤리적 기준을
마련한다.
⑤ 실천 윤리학은 전통 윤리학의 지침에 따라 바람직한 삶의 방향을 18~19 쪽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안내하고자 하지만, 제시문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과 거리가 멀다.
01 ① 02 ④ 03 ① 04 ③ 05 ④
09 갑은 사회 윤리적 입장인 반면, 을은 개인 윤리적 입장이다.
개인 윤리적 입장에서는 윤리 문제의 근본 원인이 개인의 도
01 이론 윤리학과 실천 윤리학의 공통점 자료 분석 노트
덕성 결함에 있다고 보는 반면, 사회 윤리적 입장에서는 윤리
이론
문제의 근본 원인이 사회 구조에 있다고 본다. 사회 윤리는 (  A  ) 윤리학은 윤리적 판단과 행위 원리를 탐구하고 이에
사회 제도나 구조가 개인의 도덕성 및 행위에 미치는 영향력 대한 정당화에 초점을 두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행위가
이론 윤리의 주요 탐구 과제를 확인한다.
이 크다는 데 주목한다.
옳은 행위인가?’라는 물음에 공리주의에서는 ‘최대 다수의 최
바로잡기 ① 학교 폭력의 원인이 개인의 도덕적 타락 때문에 발생한
대 행복에 기여하는 행위’가 옳은 행위라고 주장한다.
다고 보는 것은 을의 입장이다.
반면 (  B  ) 윤리학은 이론 윤리를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③ 사회 문제의 원인이 사회 구조의 부조리함에 있다고 보는 것은 갑 실천
적용하여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두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롤스
의 입장이다. 실천 윤리학의 주요 탐구 과제를 확인한다.
④ 사회 구조나 제도의 개선을 통해 윤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보 는 빈부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경제적 불평
는 것은 갑의 입장이다. 등은 사회의 최소 수혜자를 포함하여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경
⑤ 갑은 개인의 인격과 사회 제도의 도덕성 간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에만 허용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한다.
고 본다.

바른답·알찬풀이 3
A
 윤리학은 이론 윤리학, B 윤리학은 실천 윤리학이다. 이론 04 윤리학의 구분 문제 자료 분석 노트
윤리학과 실천 윤리학은 모두 규범 윤리학으로서 도덕 판단
을 위한 도덕규범의 필요성을 중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갑:윤리학은 당위에 관한 학문이므로 객관적인 도덕 원
리를 정립함으로써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는 기
바로잡기 ②, ⑤ 메타 윤리학에 관한 설명이다.
준을 제시해야 한다. - 이론 윤리학
③ 기술 윤리학에 관한 설명이다.
을:윤리학은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를 다루는 당위가
④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여 도덕성의 기초를 정립하고자 하는 것은 (가) 아니라, ‘그러한 당위가 학문적으로 성립할 수 있는
이론 윤리학이다. 이와 달리 실천 윤리학은 이론을 토대로 구체적인 가?’ 하는 문제를 규명해야 한다. - 메타 윤리학
윤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병:윤리학은 ‘하늘의 별’을 고찰하는 것이 아니라 ‘발밑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어야 한다. 즉, 윤리학은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 실천 윤리학
02 실천 윤리학의 주요 쟁점 자료 분석 노트
갑, 을, 병의 입장을 탐구한다.
실천 을이 긍정으로 대댑할 질문이
반면 (  B  ) 윤리학은 이론 윤리를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A
아니요 들어가야 한다.

적용하여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두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롤스 갑이 긍정으로 대답할 아니요


B
실천 윤리학의 주요 탐구 과제이므로 B 윤리학은 실천 윤리학이다. 질문이 들어가야 한다.
(나) 예

는 빈부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경제적 불평
C D
사회 윤리의 주요 쟁점에 해당한다. 이처럼 실천 윤리는 구체적인 도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탐구한다. 예 예
갑의 입장 을의 입장 병의 입장
등은 사회의 최소 수혜자를 포함하여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경
우에만 허용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한다. 이론 윤리학자 메타 윤리학자 실천 윤리학자

B
 윤리학은 실천 윤리학이다. 실천 윤리학은 현대 사회의 다 갑은 이론 윤리학, 을은 메타 윤리학, 병은 실천 윤리학을 강
양한 삶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쟁점을 다룬다. ‘사회적 조하는 입장이다. 이론 윤리학은 객관적인 도덕 원리의 정립
약자를 위한 우대 정책은 역차별인가?’는 사회 윤리 영역의 을 중시하는 데 비해, 메타 윤리학은 도덕적 용어를 분석하고
주요 쟁점이고, ‘생명에 관한 자기 결정권이 인간에게 주어져 도덕적 논증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실천 윤리학은 현
있는가?’는 생명 윤리 영역의 주요 쟁점이며, ‘표현의 자유를 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한하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가?’는 정보 윤리 바로잡기 ㄱ. 갑이 부정으로 대답할 질문이다.
영역의 주요 쟁점이다. ㄷ. 기술 윤리학의 입장에서 긍정으로 대답할 질문이므로, (가)의 제시
바로잡기 ㄹ. ‘바람직하다’, ‘유덕하다’와 같은 도덕적 술어가 어떤 의 문과 관련이 없다.
미가 있는지를 주요 쟁점으로 다루는 것은 메타 윤리학이다.

03 도덕규범의 절대성과 상대성 자료 분석 노트


05 윤리학의 구분 이해 자료 분석 노트

윤리학의 문제는 올바른 대답으로 윤리학의 문제는 언어 분석으로 해소될


갑:인간으로서 따라야 할 도덕규범은 변하지 않는다. 도덕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언어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올바른 대답으로
범은 모든 사람에게 구속력을 지니므로 보편적이고 절대 분석으로 해소해야 할 문제입니다.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따라서 윤리학은
따라서 윤리학은 도덕 언어의 의미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논리적 타당성 분석에 집중해야 정당화를 다룸으로써 도덕 판단의 근거가
갑은 사회 문화의 환경이 변하더라도 인간으로서 따라야 할 도덕규범은 합니다. 되는 도덕 원리를 체계화해야 합니다.
변하지 않는다고 본다.
을:사회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덕규범도 지속적으로 메타 윤리학이 제시 이론 윤리학이 제시
하는 윤리학의 주요 하는 윤리학의 주요
변하기 때문에 어떤 사람에게도 예외 없이 무조건 구속력 과제이다. 과제이다.
을은 사회 문화의 변화에 따라 도덕규범도 지속적으로 변화한다고 본다. 갑 을
을 지니는 도덕규범은 존재하지 않는다.
갑은 메타 윤리학을 지지하는 반면, 을은 이론 윤리학을 지지
갑은 도덕규범의 절대성을 강조하는 반면, 을은 도덕규범의 한다. 메타 윤리학에서 제시하는 주요 탐구 과제는 ‘선하다’,
상대성을 강조한다. 을은 도덕규범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 ‘옳다’ 등과 같은 도덕적 언어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반
화한다고 보면서, 모든 사람에게 구속력을 지니는 도덕규범 면 이론 윤리학에서 제시하는 주요 탐구 과제는 우리가 따라
은 존재하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규범을 모든 야 할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도덕규범을 정립하는 것이다.
상황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도덕규범은 사회 문화적 바로잡기 ㄱ. 각 시대의 다양한 도덕률을 실증적으로 기술하고자 하
환경의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고 본다. 는 것은 기술 윤리학이다.
바로잡기 ① ‘도덕규범은 상대적인 것이 아닌 절대적인 것임을 모르 ㄹ. 구체적인 도덕 문제에 도덕규범을 적용하여 해결 방안을 찾고자
고 있다.’라는 주장은 갑이 을에게 제기할 반론이다. 하는 것은 실천 윤리학이다.

4 바른답·알찬풀이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 바로잡기 ㄱ. 불교는 자기 안에 내재한 불성에 대한 깨달음을 강조한다.
ㄴ. 불교는 자연에 영원불변하는 고정된 실체가 없으며, 만물은 인과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24 쪽 연에 의해 끊임없이 변한다고 본다.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소국 과민  ⑵ 아퀴
04 ㉠에 들어갈 유교의 이상적 인간상은 군자, ㉡에 들어갈 불교
나스  ⑶ 덕 윤리  ⑷ 진화 윤리학   03 ⑴ ㉡  ⑵ ㉠  ⑶ ㉢
의 이상적 인간상은 보살이다. 군자는 효제와 충서를 실천하
고 선악에 관한 분별적 지혜를 지니며 자신의 욕망이나 감정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25~27 쪽
을 잘 다스리는 사람이다. 한편 보살은 대승 불교가 제시한
01 ④ 02 ② 03 ③ 04 ② 05 ③ 06 ① 이상적 인간으로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
07 ③ 08 ④ 09 ④ 10 ⑤ 제하는 사람으로 육바라밀을 실천한다.
11 예시답안  유교에서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성을 중시하며, 도덕
적 공동체의 실현을 중시한다. 유교에서 강조하는 서(恕), 즉 타인 유교, 불교, 도가의 비교 만점 공략 노트

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실천하여 모두가 더불어 잘 사는 대동 사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해 유·불·도 사상의 시사점을 묻는 문제가
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자주 출제되므로 잘 비교해 두자.
12 예시답안  (가) 모든 존재는 인연으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의존
구분 유교 불교 도가
하므로 차별 없이 대해야 해요. (나) 친구를 외모로 차별 대우하는
것은 잘못이에요. 편견에서 벗어나 친구를 대해야 해요. 도덕성이 상실 탐욕과 집착으 인위적 제도로
현실 이해
되어 혼란함 로 고통에 빠짐 인하여 혼란함
13 예시답안  갑:이웃을 돕는 것은 인간이 마땅히 해야 할 의무이
참선을 통해 모 무위자연과 모든
므로 어려움에 처한 지역 주민을 도와주세요. 사욕을 극복하
든 잡념을 없애 차별이 소멸된
을:유덕한 행위자가 할 법한 행위를 생각하면서, 어려운 이웃을 수행 방법 고 인의예지의
는 삼매의 경지 정신적 자유의
본성을 실현함
꾸준히 돕는 습관을 기르세요. 에 도달함 경지를 지향함
이상적
군자, 성인 등 보살 지인, 진인 등
인간상
01 제시문은 유교 윤리의 규범인 오륜(五倫)이다. 오륜은 인간관
계에서 지켜야 하는 의무로, 현실 문제를 중시하는 유교 윤리
의 특징을 보여 준다. 유교는 충서(忠恕)와 같은 덕목을 통해 05 제시문과 같이 주장한 사상가는 칸트이다. 칸트는 도덕성을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강조한다. 판단할 때 행위의 결과보다 동기를 중시하면서 오로지 의무
바로잡기 ① 연기(緣起)에 대한 깨달음을 강조하는 것은 불교이다. 의식과 선의지에서 나온 행위만이 도덕적 가치를 지닌다고
② 인(仁)은 타고난 도덕성이므로 형성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회복해 보았다. 칸트는 도덕 명령을 어떠한 조건도 붙지 않는 정언
야 할 본성이다. 명령의 형식으로 제시한다.
③ 유교에서는 도덕과 예의로 다스리는 정치[德治]를 강조한다.
바로잡기 ㄱ. 칸트에게 도덕적 기준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는 것
⑤ 모든 차별이 소멸된 정신적 자유의 경지는 소요(逍遙)이다. 이를 강
이 아니다. 즉, 도덕적 기준은 보편타당해야 한다.
조한 입장은 도가이다.
ㄴ. 유용성의 원리를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한 이론은 공리주의

02 ㈎는 노자의 『도덕경』의 일부이다. ㈏의 순서도 A에는 도가 이다.

에서 부정으로 대답할 질문이, B에는 긍정으로 대답할 질문 06 제시문을 주장한 사상가는 쾌락의 양만이 아니라 질적인 차
이 들어가야 한다. 도가에서는 옳고 그름, 선과 악을 인위적 이도 고려해야 한다고 본 밀이다. 밀은 유용성을 중시하는 공
으로 구별하는 태도를 비판하면서, 인위적인 삶에서 벗어나 리주의의 전제를 따르면서도 벤담과 달리 쾌락의 질적인 차
소박한 삶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타고난 본성 이에 주목하였다.
을 해치거나 자연스러움을 거스르면 불행으로 이어진다고 보 바로잡기 ①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같으며 양적인 차이만 있다고 본
았다. 또 다른 도가의 사상가인 장자는 만물을 평등하게 바라 사상가는 양적 공리주의자 벤담이다.
보는 제물을 실천해야 한다고 하였다.
07 ㉠은 행위 공리주의, ㉡은 규칙 공리주의이다. 행위 공리주의
바로잡기 ② 도가에서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간주하였으므로, 이
는 개별 행위의 결과가 유용하도록 행위할 것을 주장하는 입
질문에 예라고 대답할 것이다.
장이다. 행위 공리주의는 윤리적 의사 결정을 할 때마다 어떤
03 제시된 윤리 사상은 불교이다. 불교는 모든 존재가 인연으로 행위가 더 큰 공리를 산출하는지 계산하기 어려우며, 각 대안
연결되어 있다는 연기의 깨달음을 강조하였으며, 팔정도와 을 검토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한계가 있다. 또
삼학의 수행을 통해 깨달음에 달하여 자비를 실천해야 함을 한 매번 선택한 결과가 우리의 도덕적 직관과 어긋날 수 있다
강조한다. 는 한계도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규칙 공리

바른답·알찬풀이 5
주의는 윤리적 의사 결정을 할 때 더 큰 유용성을 산출하는 ③ 자연법 윤리 사상이 주는 시사점이다.
규칙에 따라 행위할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여러 규칙 간에 ④ 공리주의 윤리 사상이 주는 시사점이다.
충돌할 때 어떤 규칙을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세우기
11 이렇게 쓰면 만점 유교 사상은 개인의 도덕적 완성과 도덕 공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동체의 실현에 관심을 둔다는 점을 상기하며, 다문화 사회에
바로잡기 ③ 행위의 동기를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의무론 발생하는 갈등에 대한 시사점을 서술한다. 유교에서 그리는
의 입장이다. 규칙 공리주의는 행위 결과의 유용성을 도덕 판단의 기
이상 사회인 대동 사회의 모습, 지향하는 가치 등을 담아 서
준으로 삼는다.
술하면 만점이다.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 비교 만점 공략 노트
12 이렇게 쓰면 만점 불교의 핵심 사상인 연기설의 관점과, 도가
공리주의 분파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한계를 정리해 두자. 의 핵심 사상인 제물의 관점에서 <문제 상황>의 갑에게 제시

구분 행위 공리주의 규칙 공리주의
할 조언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의미
어떤 행위가 최대의 유용 어떤 규칙이 최대의 유용 13 이렇게 쓰면 만점 갑은 칸트, 을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칸트
성을 낳는가를 중시함 성을 낳는가를 중시함
의 의무론의 관점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적 관점에서
•매 경우마다 어떤 대안이 •규칙 공리주의도 결국
<문제 상황>의 A 군에게 제시할 조언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더 큰 공리를 가져올 것 행위의 유용성을 옳은
인지 계산하기 어려움 행위라고 판단하므로 행
•각 대안의 유용성을 계산 위 공리주의의 한계를
한계
하여 선택한 행위가 우리 답습함
의 직관에 비도덕적일 수 •개별 규칙이 충돌할 때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28~29 쪽
있음 어떤 것을 규칙으로 삼
 거짓말이 유용할 때 을지 선택하기 어려움 01 ① 02 ⑤ 03 ④ 04 ④ 05 ④

08 갑은 덕 윤리학자인 매킨타이어, 을은 공리주의자인 벤담이 01 칸트의 의무론 적용 자료 분석 노트

칸트는 도덕 법칙을 정언 명령의 형식으로 제시한다.


다. 매킨타이어를 비롯한 덕 윤리학자들은 도덕 판단이 구체
의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은 객관적으로 보면 법칙뿐이며 주관
적이고 맥락적인 사고를 반영해야 한다고 보면서, 공동체의 적으로 보면 실천 법칙에 대한 순수한 존경, 즉 나의 모든 경
역사와 전통의 맥락 안에서 정의된 덕을 함양할 것을 주장한 향성을 포기하고서라도 그 법칙에 따르겠다는 준칙뿐이다.
칸트는 자연적 경향성을 극복하고 도덕 법칙에 따르는 행위를 선하다고 본다.
다. 한편 공리주의자들은 쾌락과 고통에 대한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을 존중하면서, 고통을 피하고 쾌락을 추구하는 개개

 의 사상가는 칸트이다. 그의 입장에서는 ㈏의 갑의 행동이
인의 행위가 공동선의 증진으로 이어진다고 본다.
‘사람의 도리’라는 의무 의식에서 비롯된 행위이기 때문에 도
바로잡기 ㄱ. 덕 윤리 사상가들은 공동체의 역사와 전통이라는 구체
덕적이라고 평가할 것이다.
적 맥락 안에서 덕성을 함양해야 한다고 본다.
바로잡기 ② 잠시 망설였지만 도리, 즉 의무 의식에 따라 행동하였으
ㄷ. 공리주의 사상가들은 최대 다수에게 최대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위
므로 칸트의 입장에서는 도덕적인 행위라고 평가할 것이다.
를 옳은 행위라고 판단한다. 이때 자기 자신의 행복을 배제하는 것은
③ 칸트는 결과보다 행위의 동기를 중시하므로 칸트가 제시할 평가로
아니다.
적절하지 않다.

09 ㉠은 덕 윤리이다. 덕 윤리는 옳고 선한 결정을 하려면 유덕 ④ 칸트는 감정이 아닌 실천 이성의 명령에 따르는 행동을 도덕적으
로 옳다고 판단하므로 칸트가 제시할 평가로 적절하지 않다.
한 성품을 길러야 하며, 이러한 성품을 갖추기 위해서는 옳고
⑤ 사회의 행복 증진, 즉 결과를 도덕적 평가의 기준으로 제시하는 것
선한 행위를 습관화하여 덕을 내면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은 공리주의적 입장이므로 칸트가 제시할 평가로 적절하지 않다.
바로잡기 ① 자연법 윤리 사상가들이 제시한 명령이다.
② 칸트의 의무론에서 제시한 명령이다. 02 유·불·도 사상의 수양론 비교 자료 분석 노트
③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에서 제시한 명령이다. 유교의 천인합일 사상을 추론할 수 있다.
⑤ 규칙 공리주의에서 제시한 명령이다. 갑:하늘이 사람을 내시니, …… 아름다운 덕(德)을 좋아한다.
을: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上善若水]. …… 그러므로 도(道)에
10 제시문은 신경 윤리적 접근을 보여 준다. 이러한 접근은 인간 가깝다.
상선약수를 강조한 사상은 도가이다.

이 어떻게 도덕적 판단을 내리며, 어떻게 도덕성을 형성하는 병:고집멸도를 바른 통찰지로 보는 사람은 모든 괴로움에서
불교의 사성제를 파악할 수 있다.
지 등에 관하여 과학적으로 해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벗어날 것이다.
따라서 갑은 유교의 맹자, 을은 도가의 노자, 병은 불교의 석가모니임을
바로잡기 ① 보편 윤리를 확립하고자 하는 것은 의무론적 접근이다. 알고 문제를 해결한다.
② 도덕적 실천력을 높이는 데 관심을 두는 것은 덕 윤리적 접근이다.

6 바른답·알찬풀이
유교는 인격 완성과 도덕적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다스리는 제시문과 같이 주장한 사상가는 아리스토텔레스이다. 그는
자는 먼저 자기 수양을 통해 타인을 다스리려야 함[治人]을 강 행위자의 덕성에 주목하면서 지성적 덕은 교육을 통해, 품성
조한다. 한편 도가는 조용히 앉아서 시비 분별을 잊는 좌망(坐 적 덕은 습관을 통해 길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비록
忘)의 수양법을 제시한다. 덕이 무엇인지 알더라도 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
바로잡기 ㄱ. 유교는 인간의 타고난 도덕적 본성을, 도가는 자연적 본 한 의지의 나약함을 극복하고 옳은 행위를 반복적으로 실천
성을, 불교는 깨달을 가능성으로서의 불성을 인정한다. 따라서 세 입 하여 좋은 습관을 기르고, 덕을 자기 자신의 성품으로 내면화
장 모두 이 질문에 부정으로 답할 것이다.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ㄴ. 번뇌에서 벗어나기 위해 삼독을 제거해야 한다고 보는 것은 불교
바로잡기 ④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성적 덕은 교육을 통해 형성되는
이므로 B에 들어갈 질문으로 부적절하다.
것이고, 품성적 덕은 습관을 통해 길러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에
따르면, 도덕적 덕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길러지는 것이다.
03 유·불·도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갑은 맹자, 을은 노자, 병은 석가모니이다. 맹자는 유교의 대
표 사상가로, 타고난 선한 본성을 보존하고 확충할 것을 강조
한다. 노자는 도가의 대표 사상가로, 사회 규범에 얽매이지
않는 무위자연의 경지를 지향한다. 석가모니는 불교의 창시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와 성찰
자로, 세상 만물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며, 인연 생기를 깨
달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유교, 도가, 불교 모두 인간과 자연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36 쪽

을 유기적 관계로 본다는 공통점이 있다.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역할 교환, 보편화
바로잡기 ④ 사회 구성원의 이름에 맞는 책임을 강조하는 것은 맹자 가능성  ⑵ 토론  ⑶ 윤리적 성찰  ⑷ 소크라테스  03 ⑴ ㉠ 
만의 입장이다. ⑵ ㉢  ⑶ ㉡

04 도가와 유교가 강조하는 삶의 태도 자료 분석 노트


37~39 쪽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 상선약수(上善若水)
㈎ 가장 훌륭한 것은 물처럼 되는 것이다. 물은 …… 도(道)에 01 ④ 02 ③ 03 ③ 04 ③ 05 ② 06 ④
가장 가까운 것이다. 도가에서는 물이 갖고 있는 겸허(謙虛)와 부쟁(不 07 ⑤ 08 ① 09 ⑤ 10 ⑤
爭)의 덕이 무위자연을 잘 보여 준다고 설명한다.
㈏ …… 그러므로 홀로 있을 때에도 항상 조심하고 삼가는 것 11 예시답안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은 바람직하지 않다.
[愼獨]이다. 12 ⑴ ㉠ 역할 교환 검사법 ㉡ 보편화 가능성 검사법
신독은 유교에서 강조하는 태도이다.
⑵ 예시답안   ㉠ 다른 친구가 약속이 있다고 교실 청소를 안 하고
가면 너가 받아들일 수 있니? ㉡ 모든 친구가 너처럼 청소를 안

 는 도가 사상, ㈏는 유교 사상이다. 도가에서는 인의(仁義) 하고 가면 교실이 어떻게 되겠니?
를 버리고 자연의 소박한 덕에 따르는 삶을 강조한다. 이와 13 예시답안  바람직한 도덕적 탐구를 위해서는 이성적 사고뿐만
달리 유교에서는 도덕적 본성을 확충하기 위해 거경(居敬)을 아니라 공감, 배려 등과 같은 정서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탐구
실천할 것을 강조한다. 의 정당성을 높이고 탐구 내용을 좀 더 풍성하게 하려면 이성적으
바로잡기 ㄱ. 도가 사상은 자연적 본성을 회복하기 위해 인위적인 규 로 사고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등
범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본다. 예에 따라야 함을 강조하는 것은
(나)의 유교 사상이다.
01 도덕적 탐구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관해 바르게 제시
ㄷ. 집착에서 벗어나 무위(無爲) 삶을 추구해야 한다고 보는 것은 (가)
한 학생은 갑, 을, 병, 무이다. 도덕적 탐구를 할 때에는 행위
의 도가 사상이다.
의 단기적 결과뿐만 아니라 장기적 결과까지 고려해야 하며,

05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 자료 분석 노트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적용하여 쟁점을 명확히 제시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좀 더 현실적이고 보편적인
덕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지성적 덕이며, 다른 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덕적 추론의 근거가 되
나는 품성적 덕이다. 지성적 덕은 교육에 의해 생기며 성장한 는 도덕 원리와 사실 판단이 타당한지 면밀히 검토해 볼 필요
‘도덕적 덕’이라고도 한다.
다. 그러한 까닭에 그것은 경험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반면
가 있다.

품성적 덕은 습관의 결과로 생겨난다 …… 품성적 덕은 실천함 바로잡기 ④ 도덕적 책임과 배려의 범위를 인간에게만 한정하는 태
즉, 타고나는 것이 아니다. 좋은 성품을 지니기 위해서는 옳은 도는 도덕적 탐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보기 어렵다. 특히 현
행위를 반복적으로 실천하여 좋은 습
으로써 획득하게 된다. 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환경 윤리 문제를 탐구할 때에는 동식물을 포함
관을 길러야 함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한 자연 생태계까지 고려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바른답·알찬풀이 7
02 ㉠은 도덕적 탐구이다. 도덕적 탐구는 대체로 윤리적 딜레마 바로잡기 ㄴ. 배려적 사고에 관한 설명이다.
를 활용한 도덕적 추론으로 이루어진다. 도덕적 추론 과정은 ㄹ. 이성적 사고 가운데 논리적 사고에 관한 설명한다.

주로 이성적 사고이지만, 공감, 배려, 도덕적 분노 등과 같은


06 제시문은 유교 사상에 관한 내용이다. 유교에서 제시한 성찰
정서적 측면까지 고려할 때 좀 더 효과적인 도덕적 추론이 이 방법으로는 매일 세 가지를 자문자답하며 자신을 돌아보는
루어진다. 일일삼성(一日三省), 마음을 한 곳에 모아 흐트러짐이 없도록
바로잡기 ㄱ. 도덕적 규범은 도덕적 실천과 관련이 있다. 하는 거경(居敬), 홀로 있을 때에도 도리에 어긋나지 않을 것
ㄹ. 도덕적 탐구는 일반적 탐구와 달리 도덕적 가치와 규범에 주목한
을 강조하는 신독(愼獨), 일상생활에서 마음과 함께 몸가짐을
다. 자연 현상을 객관적으로 탐구하여 진위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는
단정히 하고 잡념이 들지 않도록 마음을 한군데 집중하는 것
것은 일반적 탐구이다.
등이 있다.
03 제시된 도표는 가치 분석 탐구 모형이다. 이러한 탐구는 먼저 바로잡기 ④ 유교 사상에서는 인간의 본성을 선하다고 본다.
윤리적 쟁점이나 문제 상황을 명료하게 인식하고 갈등하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07 ㉠은 윤리적 성찰이다. 윤리적 성찰은 도덕적으로 자각하는
계기가 되며, 성숙한 인격와 도덕적 주체의 자아상을 형성하
덕적으로 평가하려는 대상에 관한 사실의 진위를 파악하고,
는 데 필요하다. 또한 윤리적 성찰을 통해 자신의 잘못을 고
타당성을 검토하여 윤리적 쟁점에 대해 잠정적으로 도덕 판
쳐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다.
단을 내린다. 이후 자신이 내린 잠정적 도덕 판단이 전제하고
바로잡기 ⑤ 사회의 각종 윤리 문제에 대한 이해와 분석 능력을 함양
있는 도덕 원리를 검사하여 도덕 판단을 최종 확정한다.
하게 해 주는 것은 도덕적 탐구의 효용이다.
바로잡기 ③ 유보란 어떤 일을 당장 처리하지 아니하고 나중으로 미
루어 둔다는 뜻이다. ㉢은 쟁점에 관한 자신의 도덕 판단을 잠정적으 08 제시문은 토론과 열린 자세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로 내리는 단계이다. 토론을 할 때에는 타인의 주장에 대해 열린 자세를 지녀야 한
다. 이를 통해 인류는 진리의 가치를 재확인할 수 있다.
04 제시된 도표는 가치 갈등 해결 탐구 모형이다. 윤리적 쟁점에 바로잡기 ㄷ. 토론을 통해 도출된 결론이라도 오류 가능성이 있으므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선택하고 대안을 설정하며, 자신이 채택
로 수정될 여지가 있다.
한 도덕 원리에 대한 정당화 근거를 마련할 때에는 역할 교환 ㄹ. 토론을 통해 도출된 판단은 그렇지 않은 판단보다 좀 더 객관적이
검사와 보편화 가능성 검사를 활용할 수 있다. 고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볼 수 있다.
바로잡기 ③ 윤리적 쟁점에 관한 자신의 입장을 채택하고 정당화 근
거를 제시할 때에는 주로 이성적 사고를 활용하지만 동시에 공감과 배
09 제시문은 윤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체 전체의 토론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공동체적 토론을 통해 문제를 객관적으
려와 같은 정서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로 인식하고 판단의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해결의 실마리를
도덕 원리 검사 방법 만점 공략 노트 마련할 수 있다.
도덕 원리를 검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므로, 숙지하여 두 바로잡기 ㄱ. 공동체적 성찰을 지향하는 토론은 승자와 패자를 구분
어야 한다.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양쪽의 주장과 논거를 충분히 고려하여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는 성숙한 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역할 교환
딜레마 속에서 다른 사람의 입장을 취해 보는 방법
검사법 10 제시문은 도덕적 앎이 도덕적 실천으로 이어져야 함을 강조
자신이 채택한 입장을 유사한 상황에 있는 모든 행 하는 내용이다.
보편화 가능성
위자에게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심사숙고
검사법 바로잡기 ① 보편적 윤리 사상을 확립해야 한다는 주장은 제시문의
해 보는 방법
내용과 거리가 멀다.
반증 사례 도덕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반증 사례는 없는지 확
② 이론의 유용성 검증을 위한 토론을 강조하는 주장은 제시문의 내
검사법 인하는 방법
용과 거리가 멀다.
선택한 도덕 원리를 좀 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도
포섭 검사법 ③ 제시문은 도덕적 앎보다 도덕적 실천이 중요하며, ④ 도덕적 탐구
덕 원리에 따라 검사해 보는 방법
와 도덕적 실천이 서로 관련이 있다는 내용이다.

05 ㉠은 비판적 사고이고, ㉡은 배려적 사고이다. 비판적 사고는 11 이렇게 쓰면 만점 전제  과 결론으로부터 숨어 있는 전제  를
추론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
이성적 사고 중 하나로 주장의 근거와 적절성을 검토하는 것
험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써야 만점이다.
을 말한다. 한편 배려적 사고는 윤리 문제를 탐구하는 과정에
서 타인의 욕구와 감정에 관심을 기울이며 역지사지와 공감 12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은 역할 교환 검사법을, ㉡은 보편화
을 발휘하는 사고를 의미한다. 가능성 검사법을 적용하여 서술해야 한다. 두 검사법을 바꾸

8 바른답·알찬풀이
어 쓰거나 역할 교환 또는 보편화 가능성을 잘못 적용하여 서 는 것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준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술하면 감점이다. 을은 ‘뇌사를 인정하는 것은 누군가의 생명을 고의로 해치는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13 이렇게 쓰면 감점 제시문은 도덕적 탐구에서 정서적 측면을 고
려해야 함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공감’, ‘배려’, ‘정서적 측면’ 03 밀의 자유론 이해 자료 분석 노트
을 포함하지 않고 서술하면 감점이다. 소수의 의견을 억압하는 것은 사회적 유용성이 없다는 내용이다.
의견 발표를 억압하는 것은 …… 모든 사람에게 손해를 끼친
다. 한 사람 이외의 모든 인류가 동일한 의견이고, 한 사람만
이 반대 의견을 갖는다 해도 인류에게는 그 한 사람에게 침묵
소수 의견을 존중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40~41 쪽 을 강요할 권리는 없다.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01 ④ 02 ② 03 ④ 04 ④ 제시문은 밀의 『자유론』의 일부이다. 밀은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유로운 토론 과정에서 진리의 가치를 재확인
01 삼단 논법 적용 자료 분석 노트 할 수 있고, 진리에 대한 참된 이해가 가능하다고 본다.
바로잡기 ㄴ. 밀은 소수 의견을 제한하는 것은 사회적 유용성이 없다
고 주장하였다.
삼단 논법은 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른다.
A는 B이다.
전제 :A는 B이다.
전제 :B는 C이다. 또는 C는 A이다.
04 윤리적 성찰을 강조한 소크라테스 자료 분석 노트

결  론:A는 C이다. C는 B이다.


여러분은 지혜와 힘이 가장 뛰어나고 유명한 아테네의 시민입
따라서 (가)의 주장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전제 :인간의 자유를 부당하게 침해하는 것은(A) 옳지 않다(B). 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재물과 명성과 명예에 대해서는 최대
세속적 가치
전제 :인간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것은(C)
한 마음을 쓰지만, 사리분별과 진리 그리고 정신의 훌륭함에
인간의 자유를 부당하게 침해하는 것(A)이다.
정신적 가치
결  론:인간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것은(C) 옳지 않다(B).
대해서는 생각도 않고 염려하지도 않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인들이 세속적 가치보다
정신적 가치를 좀 더 염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의 주장을 ㈏와 같이 분석해 보면, ㉠에 들어갈 내용은 ‘인 …… 저는 온종일 어디서나 여러분에게 달라붙어서 여러분을
일깨우고 설득하며 나무라기를 절대 그만두지 않는 그런 사람
간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것은 인간의 자유를 부당하게 침해 아테네인들을 진정한 자기 인식의 길로
으로서 말씀입니다. 이끌겠다는 결의를 보여 준다.
하는 것이다.’이다. 이에 대한 적절한 반론은 ‘유전자를 조작
하는 것은 인간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 ‘오히려 유전자를
제시문은 법정에 선 소크라테스의 변론 중 일부이다. 그는 세
조작할지 조작하지 않을지에 관한 더 많은 선택의 기회(자유)
속적 가치만 중시하고 정신적 가치를 보살피지 않는 삶을 비
를 제공한다.’ 등이 된다.
판하면서, 자기 자신을 도덕적 관점에서 반성적으로 검토해
바로잡기 ①은 자연법적 관점에서, ③은 칸트의 의무론적 관점에서
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지속적으로 성찰하는 삶만이 가치
(가)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②, ⑤ ㉠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있는 삶이라고 본 것이다.
바로잡기 ④ 제시문에서 소크라테스는 재물이나 명예보다 사리분별
02 도덕적 추론 과정 적용 자료 분석 노트 과 진리 그리고 정신의 훌륭함에 마음을 써야 한다고 하였다.
B
갑의 전제 사람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은 옳다.
도덕적
전제 ㉠ - A는 B이다.
추론
과정 결론 A -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은 옳다. 42~43 쪽
수능  특강
C
전제 누군가의 생명을 고의로 해치는 것은 옳지 않다. 유형 1   ③ 유형 2   ② 유형 3   ① 유형 4   ⑤
을의
도덕적
전제 ㉡ - A는 C이다.
추론
과정 결론 A -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유형 1  윤리학의 종류와 특징 파악하기
제시문의 ‘나’는 도덕규범과 원칙을 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적용하여
갑은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을은 뇌 해결하는 것이 윤리학의 근본 과제라고 보는 실천 윤리학자이다.
사를 죽음으로 인정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각각의 도 이와 달리 ‘어떤 사람들’은 도덕 현상을 경험적 연구 대상이라고
덕적 추론 과정을 분석해 보면 갑은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 보며, 이 현상을 가치 판단 없이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윤리

바른답·알찬풀이 9
학의 근본 과제라고 보는 기술 윤리학자이다. 따라서 실천 윤리학 유형 4  도덕적 추론 분석하고 반론 제시하기
의 입장에서 기술 윤리학에 대해 평가할 내용을 찾는 문제이다. 자료 분석
선택지 분석 자발적 안락사는 인간을 죽이는 것이다.

① 도덕 추론에 대한 논리적 구조 분석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대전제:인간을 죽이는 것은 옳지 않다. 

나타 화된 형 에서는

는서 태형 된 납타나
- 메타 윤리학의 주장으로,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납니 태로

로 .다니
•소전제:

에회 화원

일원 사회

사의 일차
•결  론:자발적 안락사는 옳지 않다.

다.
② 도덕 현상의 인과 관계에 대한 탐구 가능성을 부정한다

점차 원주의

주원 점

다대
→ 기술 윤리학은 도덕 현상의 인과 관계를 탐구 가능성을 긍정하는 입장이다.

현대
자발적 안락사라고 너의 주장을 삼단 논법으로


할지라도 결국 인간을 정리하면 칠판의 내용과
③ 실천적 규범을 통한 도덕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경시한다 죽이는 것이므로 옳지 않아. 같겠군.

- 실천 윤리학의 관점에서 기술 윤리학에 대해 평가한 내용으로 적절하다.


④ 현실적 도덕에 대한 가치 중립적 설명의 필요성을 무시한다
→ 기술 윤리학은 현실적 도덕에 대한 가치 중립적 설명이 필요함을 중시하는 그림의 왼쪽 학생은 자발적 안락사가 옳지 않다고 주장한다. 칠판
입장이다.
은 이 주장을 삼단 논법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소전제 ㉠에 들어
⑤ 보편적 도덕규범의 이론적 체계 구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갈 내용은 ‘자발적 안락사는 인간을 죽이는 것이다.’이며, 이 주장
- 이론 윤리학의 입장이므로 제시문의 내용과 무관하다.
에 대한 적절한 반론을 고르는 문제이다.
유형 2  칸트의 입장에서 조언하기
선택지 분석
제시문은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 이론에서 ‘인간성의 정식’에 관한
① 인간에게는 자신의 생명을 끊을 권리가 없다.
내용이므로, 칸트의 입장에서 <문제 상황>의 A 공학자에게 제시
- ㉠을 뒷받침하는 근거에 해당한다.
할 조언을 찾는 문제이다. ‘도덕적 행위를 할 수 있는 로봇’, 즉 도덕 ② 환자의 요구에 반하여 안락사를 시켜서는 안 된다.
적 행위의 조건을 칸트의 입장에서 어떻게 제시하는지 찾는다. - 반자발적 안락사에 반대하는 주장으로, 문제와 무관하다.

선택지 분석 ③ 환자가 뇌사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치료를 중단해도 된다.


- 비자발적 안락사를 옹호하는 주장으로, 문제와 무관하다.
① 로봇이 유덕한 품성을 지니도록 개발하세요.
④ 시한부 환자의 고통을 덜기 위해 안락사를 시키는 것도 사람을 죽이는
→ 덕 윤리학자가 제시하는 도덕적 행위의 조건이다.
것이다.  - ㉠을 뒷받침하는 근거에 해당한다.
② 로봇이 인간 존엄성을 존중하도록 개발하세요.
→ 칸트의 입장에서 제시하는 도덕적 행위의 조건이다.
⑤ 자발적 안락사는 환자가 스스로 요구한다는 점에서 사람을 죽이는 것과
③ 로봇이 자기 보존 성향을 지니도록 개발하세요. 다르다. → 자발적 안락사와 인간을 죽이는 것의 차이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자발적
안락사는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라는 ㉠에 대한 반론으로 적절하다.
→ 자기 보존 성향을 지닌 로봇은 인간을 위협할 수 있다.
④ 로봇이 쾌락의 총량을 최대화하도록 개발하세요..
→ 공리주의의 입장에서 제시하는 도덕적 행위의 조건이다.
⑤ 로봇이 인간을 수단으로만 대하도록 개발하세요.
46~49 쪽
→ 인간을 수단으로만 대하도록 개발하는 것은 칸트의 입장과 상반된 조언이다.
특히 ②, ④와 같은 조언은 로봇이 인간 존엄성과 보존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실전 대비 Ⅰ단원 문제 마무리
적절하지 않다. 01 ④ 02 ⑤ 03 ② 04 ④ 05 ③ 06 ④

유형 3  07 ⑤ 08 ④ 09 ② 10 ④ 11 ⑤ 12 ⑤
도가 윤리의 이상적 인간상 이해하기
13 ⑤ 14 ⑤
㈎는 도가 사상가인 장자의 주장이다. ㈏의 가로 낱말 (A)는 ‘성
15 예시답안  (가)는 도가의 입장이다. 도가에 따르면, 미추를 구별
현(聖現)’이고, 가로 낱말 (B)는 ‘수기안인(修己安人)’이므로 세로
하는 것은 인간의 편견에 불과하다. 인위적인 잣대를 버리고 본래
낱말 (A)는 ‘성인(聖人)’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도가에서 제시하는
의 자신의 자연스러운 모습대로 살아야 한다.
성인의 의미를 고르는 문제이다. 16 ⑴ 보살  ⑵ 예시답안  보시를 실천하는 보살의 모습은 받은
선택지 분석 만큼만 돌려주거나 자기 이익에만 지나치게 집착하는 등 이기주
① 좌망(坐忘)을 통하여 일체의 분별 의식에서 벗어난 존재이다. 의적인 태도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타인을 배려하고 보살펴야
- 도가에서 제시한 이상적 인간상이다. 함을 가르쳐 준다.
② 지혜를 갖추고 자비를 베풀어 중생(衆生)을 제도하는 존재이다. 17 예시답안   ㉠은 성찰하지 않는 삶은 가치가 없다는 말이다. 도
- 대승 불교에서 제시한 이상적 인간상인 보살에 관한 설명이다. 덕적 탐구와 성찰을 바탕으로 도덕적 행위를 실천하는 ‘윤리함’ 속
③ 사욕을 이기고 예로 돌아가 도덕적 인격을 완성한 존재이다. 에서 우리는 좀 더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
→ 극기복례를 말한다. 이는 유교의 이상적 인간상인 군자에 관한 설명이다.
④ 덕과 형벌을 병행하여 왕도(王道)의 이상을 구현하는 존재이다.
→ ‘왕도’란 덕을 통한 통치를 의미하며, 형벌과의 병행을 강조하지 않는다. 왕도는 유 01 제시문의 ‘나’는 윤리학의 근본 과제가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
교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통치에 관한 설명이다. 위를 판단하는 데 필요한 도덕 원리를 일반화하는 것’이라고
⑤ 허심에서 깨어나 모든 망상과 번뇌로부터 벗어난 존재이다.
보는 이론 윤리학자이다. ‘어떤 사람들’은 윤리학의 근본 과제
→ ‘허심’은 마음을 비운다는 의미로, 도가에서 지향하는 경지이다. ‘허심에서 깨어난
다’는 표현은 도가의 지향점과 반대되는 설명이므로 명백한 오답이다. 가 도덕 언어의 쓰임새를 설명하고, 도덕적 추론 과정의 타당

10 바른답·알찬풀이
성을 검토하는 것이라고 보는 메타 윤리학자이다. 따라서 ㉠ ⑤ 불성의 자각을 강조하는 것은 불교의 입장이다.
에는 이론 윤리학의 관점에서 메타 윤리학에 관해 평가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즉, ‘나’는 메타 윤리학이 도덕 법칙을
06 제시문은 『장자』의 「지락편」에 나오는 이야기로, 노나라 임금
이 바다 새를 아끼는 마음으로 대접했으나 이 방식이 바다 새
정립해야 하고, 의무, 덕성, 공리와 같은 도덕적 행위의 근거
의 자연스러운 본성과 맞지 않아 죽었다는 내용이다. 이 우화
를 마련해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를 통해 장자는 사회 혼란과 사회 문제의 원인이 시비, 선악,
바로잡기 ① 메타 윤리학은 도덕 명제에 대한 검증 가능성을 강조하
미추 등에 관한 인위적인 판단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선악
므로, ‘간과하고 있다’는 평가는 적절하지 않다.
을 명확히 구분하는 태도를 지양하고 만물을 평등하게 바라
② 메타 윤리학은 행위를 정당화하는 규범적 체계의 확립을 강조하지
않는다. 이를 강조하는 것은 이론 윤리학의 입장이다.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③ 도덕적 관행을 문화적 사실로 보아야 함을 강조하는 것은 기술 윤 바로잡기 ④ 선악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은 장자가 비판하는 태도이
리학의 입장이다. 다. 선악을 명확히 구분하여 선한 본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유
⑤ 메타 윤리학은 의무, 덕성, 공리와 같은 도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함 교의 입장이다.
을 간과하고 있다. 이를 강조하는 것은 이론 윤리학의 입장이다.
07 제시문은 서양 사상가 칸트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행위의
02 ㉠은 이론 윤리학, ㉡은 실천 윤리학이다. 이론 윤리학과 실 도덕성은 도덕 법칙에 근거한 의무의 실천에 두어야 하며, 도
천 윤리학은 모두 규범 윤리학으로, 인간의 도덕적 삶을 안내 덕은 다른 무엇의 수단이 아닌 그 자체가 목적인 것으로 인식
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이 윤리학의 근본 과제라 해야 한다.
고 본다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잡기 첫 번째 내용:‘행복 총량의 극대화를 도덕의 원리로 삼아
바로잡기 ⑤ 윤리학의 근본 과제를 윤리학 자체의 성립 가능성 탐구 야 한다.’는 것은 공리주의의 입장이다.
로 제시하는 것은 메타 윤리학이다. 두 번째 내용:‘자연적 경향성에서 나온 행위를 도덕적 행위로 규정한
다.’는 것은 공리주의 또는 자연법 사상의 입장이다. 칸트는 자연적 경
03 제시문은 실천 윤리학과 이론 윤리학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향성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설명하는 내용이다. 실천 윤리학은 도덕 이론을 현실의 도덕
문제에 실제로 적용하므로 특정 상황의 윤리를 보편화하여
08 제시문은 불교의 연기(緣起) 사상에 관한 내용이다. 연기 사
상은 모든 존재는 무수한 원인과 조건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
도덕 원칙을 세우는 이론적 작업과 그 이론을 응용하여 실천
는 세계관이다. 불교는 참선과 같은 수행을 통해 인간 내면을
하는 일은 별개가 아니라는 것이다.
성찰하고 정신을 수양할 것을 가르친다. 한편, 불교에서는 인
바로잡기 ㄴ. 실천 윤리학은 이론 윤리학을 응용하여 개별 윤리 문제
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에 불성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만
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ㄷ. 이론 윤리학은 그 이론을 적용할 특정한 상황을 전제하여 보편성
물에 자비를 베풀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불교 사상은 생명
과 타당성을 정립하고자 한다. 경시 풍토, 생태계 파괴 등이 만연한 현대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04 현대 사회의 다양한 윤리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윤리 영 바로잡기 ㄱ. 현대 윤리 문제에 공리주의가 주는 시사점에 해당한다.
역에는 생명 윤리, 사회 윤리, 평화 윤리, 정보 윤리, 문화 윤 ㄷ. 현대 윤리 문제에 도덕 과학적 접근이 주는 시사점에 해당한다.
리, 환경 윤리 등이 있다.
바로잡기 ④ ‘미래 세대를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해야 하 09 제시문의 사상가는 벤담이다. 벤담은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는가?’라는 쟁점은 환경 윤리 영역에서 다룬다. 같다고 가정하면서 양적 공리주의를 제시하였다. 그는 쾌락과
고통의 양을 구체적인 기준(강력성, 지속성, 확실성, 원근성,
05 ㈎의 사상가는 유교의 공자이다. 공자는 임금은 임금답고, 신 다산성, 순수성)에 따라 계산한 후에,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 이라는 공리의 원리를 도덕과 입법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다는 정명(正名)과 임금이 덕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덕치(德 바로잡기 ㄴ. 벤담은 개개인의 행복의 총합을 공동선으로 환원하여,
治)를 강조하였다. 따라서 ㈏의 ㉠에는 덕으로 인도하고 예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원리를 제시하였다.
써 가지런히 하라는 내용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ㄹ. 벤담은 행위의 동기보다 결과가 낳는 쾌고, 즉 행위의 유용성을 중
바로잡기 ① 공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전제한다. 인간의 본성 시하였다.
을 악하게 보며 예치를 강조한 것은 순자이다.
② 공자는 인의(仁義)를 강조한다. 인의를 버리고 무위(無爲)로 다스려 10 제시문의 사상가는 아리스토텔레스이다. 그는 덕을 지성적인
야 함을 강조하는 것은 도가 사상의 입장이다. 덕과 품성적인 덕(도덕적인 덕)으로 나누어 설명하면서, 지성
④ 공자는 덕치를 강조한다. 백성을 법과 형벌로 다스림을 강조하는 적인 덕이 교육을 통해 형성된다면, 품성적인 덕은 습관을 통
것은 법가 사상의 입장이다. 해 길러진다고 보았다. 그는 행복한 삶을 살아가려면 두 가지

바른답·알찬풀이 11
덕이 모두 필요한데, 이러한 사실을 알더라도 그 덕을 실천하 ② 두 사상가 모두 다수의 의견이라는 이유로 무작정 따르는 것에 반
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덕성을 부단히 함양해 대하며, 소수에게도 발언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보았다. 개방적인

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좋은 성품을 지니려면 옳은 행 토론을 통해 오류를 수정하고 진리를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③ 두 사상가 모두 하나의 가치만이 옳다는 신념으로 여러 가치의 다
위를 반복하여 습관을 기르고, 덕성을 자기 안에 지녀야 한다
양성을 배제하는 일은 옳지 않다고 보았다.
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현대 덕 윤
④ 두 사상가 모두 자기 자신과 다른 견해에 열린 태도를 지닐 것을
리로 계승되고 있다. 강조하면서, 나와 다른 견해라고 해서 배제하는 태도를 경계하였다.
바로잡기 ④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 덕을 타고난 것, 즉 선천적으
로 주어진 것이라고 보지 않았다. 그에 따르면 도덕적 덕은 교육과 습 14 제시문에서 ‘법의 부당함을 알리고, 후손이 살아갈 더 나은
관을 통해 길러지는 후천적인 것이다. 세상을 만들기 위해 버스 타기를 거부하며 걸어서 학교나 일
터로 향했다.’라는 대목을 통해 나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가
11 제시문의 ‘이 법’은 자연법이다. 자연법은 자연의 질서에 내재 살아갈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도덕적 성찰과 실천이
한 보편적이고 항구적인 법으로, 자연법 사상가들은 자연법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삶을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고
이 실정법보다 상위에 있는 도덕 법칙이라고 본다. 이러한 관
인간답게 살아가려면, 올바른 준거에 따라 우리의 삶을 반성적
점에 따르면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연법을 파악할 이성을 가
으로 성찰하고 도덕적 행위를 의식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지고 있으며, 도덕적 직관을 통해 일상적인 도덕 판단을 내릴
바로잡기 ① 편익을 위해 과학 문명의 이기를 활용해야 한다는 내용
수 있다. 또한 어떤 행위가 자연적 질서에 부합하면 옳고, 부
은 제시문이 주는 시사점과 거리가 멀다.
합하지 않으면 옳지 않다. 예를 들어 인간이 본성적으로 지니 ② 제시문은 오히려 기존 사회의 관습과 규범이 옳지 않을 때에는 적
는 자연적 성향에 거스르는 행위 자살, 살인, 안락사 등은 도 극적으로 교정해야 함을 보여 준다.
덕적으로 옳지 않다. ③ 제시문은 지배 집단의 논리에 순응하기보다는 정의를 실현하기 위
바로잡기 ⑤ 유용성에 따라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공리 해 항거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주의의 입장이다. ④ 제시문은 현세대뿐만 아니라 후손이 살아갈 더 나은 미래를 고려


하여 의식적으로 행동해야 함을 보여 준다.

12 제시된 도표는 ‘인공 임신 중절은 무고한 태아를 죽이는 행위


이므로 도덕적으로 그르다.’라는 주장을 삼단 논법으로 정리
15 이렇게 쓰면 만점 ㈎의 ‘가장 올바른 길을 가는 사람은 타고난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잃지 않는다.’라는 내용에서 도
한 것이다. 첫 번째 전제 ‘무고한 인간을 죽이는 행위는 도덕
가 사상임을 파악하고, 인위적 잣대에 따라 미추를 판단하는
적으로 그르다.’와 결론 ‘태아를 죽이는 인공 임신 중절은 도
태도를 버리고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모습대로 살아가는
덕적으로 그르다.’를 통해 두 번째 전제 (A)에 들어갈 내용은
것이 바람직하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인공 임신 중절은 무고한 인간을 죽이는 행위이다.’임을 알
이렇게 쓰면 감점 ㈎의 입장을 밝히지 않았거나 도가의 관점이
수 있다. 좀 더 타당한 추론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태아의
아닌 다른 사상의 입장에서 서술하면 감점이다.
도덕적 지위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때 의학, 법
학 등의 학제적 접근이 요청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덕 16 이렇게 쓰면 감점 ⑵ 불교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인 보
적 탐구라고 한다. 살의 태도가 현대 윤리 문제에 주는 시사점을 서술해야 한다.
바로잡기 ⑤ 도덕적 탐구는 경험적 탐구와 달리 가치와 규범을 토대 즉 ‘조건 없이 기꺼이 베푸는 보시를 실천하라’는 불교의 가르
로 도덕 판단의 시비를 가리고, 행위를 정당화하는 데 초점을 둔다. 침이 현대인에게 시사하는 내용을 서술한다. 따라서 보시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거나 ‘연기’, ‘해탈’ 등 불교의 다른 개념의
13 갑은 밀, 을은 포퍼이다. 공리주의자이자 자유주의자였던 밀 의미를 서술하면 감점이다.
은 한 사람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일은 인류 전체에게 해악을
끼치는 일이라고 말하며, 누구에게나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 17 이렇게 쓰면 만점 제시문의 ‘나’는 소크라테스이다. ‘캐묻지 않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인간의 합리성을 긍정했던 포퍼 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라는 말은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는
는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오류를 수정하고 진리 삶, 무엇이 좀 더 가치 있는 것인지 성찰하지 않는 삶은 가치
에 더욱 근접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두 사상가 모두 다양한 의 가 없다는 뜻이다. 이 말의 뜻을 바르게 파악하고, 좀 더 가치
견을 자유롭게 개진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야 하며,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윤리적 성찰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이를 통해 오류를 시정하고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하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였다.  렇게 쓰면 감점
이 윤리함은 윤리적 탐구와 성찰이 실천으로 이
바로잡기 ① 두 사상가 모두 진리에 접근하려면 인간의 오류 가능성 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탐구’, ‘성찰’, ‘실천’이라는
을 인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세 가지 핵심어 중 한 가지라도 누락하면 감점이다.

12 바른답·알찬풀이
ㄱ. 플라톤은 죽음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따라서 플라톤이

바로잡기
  생명과 윤리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ㄹ. 죽음은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 사
삶과 죽음의 윤리 상가는 에피쿠로스이다.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56 쪽 05 갑은 공자, 을은 장자이다. 공자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


서는 관심을 갖지 않고, 현세에서의 삶을 위해 자신의 인격적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생명권  ⑵ 칸트
수양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장자는 삶과 죽음
⑶ 공리주의  ⑷ 존엄성   03 ⑴ ㉡  ⑵ ㉠  ⑶ ㉢
을 기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으로 보며, 자연적이고 필연적인

57~61 쪽
과정으로 여겼다.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바로잡기 ① 공자는 죽음의 문제보다 삶의 문제에 더 관심을 두어야
01 ⑤ 02 ⑤ 03 ③ 04 ③ 05 ⑤ 06 ⑤
한다고 주장하였다.
07 ③ 08 ② 09 ③ 10 ③ 11 ③ 12 ⑤
② 삶과 죽음을 기(氣)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으로 보는 사상가는 장자
13 ④ 14 ③ 15 ① 16 ③ 17 ① 18 ② 이다.
19 ① ③ 불교 사상의 입장이다.
20 ⑴ 하이데거  ⑵ 예시답안  죽음에 대한 자각을 통해 삶의 의 ④ 현세에서의 도덕적 실천을 강조한 사상가는 공자이다.
미와 가치를 깊이 성찰해야 한다.
21 ⑴ 잠재성 논증  ⑵ 예시답안  태아는 온전한 인간이 될 가능 죽음에 대한 동서양의 관점 만점 공략 노트

성과 잠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공 임신 중절을 해서는 안


죽음에 대한 여러 입장을 비교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므로 정
된다.
리해 두자.
22 ⑴ 자발적 안락사  ⑵ 예시답안  주변 사람이 환자의 죽음을
결정할 권리가 있는가의 문제가 있다. •유교:죽음을 자연의 과정으로 여기며, 공자는 죽음보다
도덕적으로 실천하는 삶에 더 관심을 가짐
•불교:죽음은 또 다른 세계로 윤회하는 것이며, 윤회 과
01 출생은 인간의 자연적 성향을 실현하는 과정이고, 도덕적 주 동양 정에서 인간의 선행과 악행은 죽음 이후의 삶을 결정한
다고 봄
체로 사는 삶의 출발점이며, 가족과 사회 구성원으로 사는 삶
•도가:삶과 죽음을 기(氣)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으로 보
의 시작이다. 또한 인간은 출생으로 새로운 세대를 구성하고 면서 자연적이고 필연적인 과정으로 이해함
이전 세대의 문화적 유산을 계승·발전시키기 때문에 출생은 •플라톤:육체를 순수한 인식을 불가능하게 하는 감옥처
새로운 사회를 유지하고 지속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럼 여기고, 죽음을 육체로부터 해방되는 것으로 봄
•에피쿠로스:죽음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죽음을 두려
따라서 ㄱ, ㄴ, ㄷ, ㄹ 모두 출생의 윤리적 의미에 해당한다. 서양
워할 필요가 없다고 봄
02 죽음은 삶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고, 죽음에 대한 •하이데거:죽음에 대한 자각을 통해 삶을 더욱 의미 있
고 가치 있게 살 수 있다고 봄
자각은 삶의 의미와 가치를 깊이 성찰하게 하여 더욱 의미 있
고 가치 있는 삶을 살게 한다. 또한 죽음은 인간관계의 소중
함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며, 상례와 제례를 통해 우리는 06 제시문은 죽음에 관한 에피쿠로스의 입장을 보여 준다. 에피
죽음을 애도하고 죽은 사람을 기억한다. 쿠로스는 인간이 살아 있는 상태에서는 죽음을 경험할 수 없
바로잡기 ㉤ 인간을 한 가족의 구성원으로 되게 하는 것은 죽음이 아 고, 죽은 뒤에는 감각이 사라져서 어떤 쾌락과 고통도 느낄
니라 출생이다. 수 없기 때문에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03 죽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죽음을 맞게 된다는 점에서 보편 바로잡기 ① 에피쿠로스는 삶과 죽음이 계속 반복된다고 보지 않는다.
성과 평등성을, 죽은 사람을 다시 되살릴 수 없다는 점에서 ②, ④ 에피쿠로스는 죽음 이후의 세계, 즉 내세(來世)를 주장하지 않
았다.
비가역성을 지니며, 죽음을 피하고자 하는 그 어떤 노력도 결
③ 플라톤의 입장이다.
국 실패하고 만다는 점에서 불가피성을 지닌다.

04 제시문은 플라톤의 죽음에 대한 입장이다. 플라톤은 육체를 07 ㈎ 사상은 불교이고, ㈏의 ㉠에 들어갈 말은 죽음이다. 불교
순수한 인식을 불가능하게 하는 감옥처럼 생각했으며, 죽음 에서는 죽음을 또 다른 세계로 윤회하는 것이며, 윤회 과정에
을 육체로부터 해방되는 것으로 보았다. 즉 육체에 갇혀 있는 서 인간의 선행과 악행은 죽음 이후의 삶을 결정한다고 보았
영혼이 죽음을 통해 영원불변하는 이데아의 세계로 들어간다 다. 즉 불교에서는 죽음을 자신의 업(業)에 따라 또 다른 삶을
고 본 것이다. 따라서 ㄴ, ㄷ의 질문에 대해서 긍정의 대답을 결정짓는 윤회의 과정으로 본다.
할 것이다. 바로잡기 ① 불교에서는 신과 하나가 되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바른답·알찬풀이 13
② 죽음을 인간의 쾌락과 고통의 감각이 소멸되는 과정으로 본 사상 을 안겨 주며, 사회 공동체의 결속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
가는 에피쿠로스이다. 서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는 자살의 윤리적 문제점은 사회에
④ 죽음을 사계절의 운행과 같이 기(氣)가 자연스럽게 순환하는 과정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으로 본 사상가는 장자이다.
바로잡기 ①, ②, ④, ⑤ 자살의 윤리적 문제점에 해당하지만 그림을
⑤ 죽음을 영혼이 육체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를 누리는 과정으로
통해 알 수 있는 문제점과는 거리가 멀다.
본 사상가는 플라톤이다.

12 ㈎의 갑은 유교 사상가이고, 을은 칸트이다. 칸트는 “너 자신


08 자료 분석 노트
과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을 결코 단순히 수단으로만 대하지
생명 의료 윤리 카페 게시판 말고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도록 행위하라.”는 정언 명
령을 제시하며, 자살이 인격을 한낱 수단으로 여기며 인간 존
갑:인공 임신 중절은 다양한 윤리적 쟁점 중의 하나이다.
엄성의 이념과 양립 불가능한 행위라고 비판하였다.
인공 임신 중절이 인간의 생명을 죽이는 행위라고 하
여 이를 반대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이 의견에 찬
바로잡기 ① 불살생(不殺生)의 계율을 강조하는 사상은 유교가 아니
라 불교이다.
성하지 않는다. → 인공 임신 중절 찬성 입장
② 자살이 신으로부터 받은 생명을 해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은 그리
↳ 여성은 자신의 삶을 자율적으로 영위할 권리를 가진다. ........... ㉠ 스도교이다.
→ 인공 임신 중절을 찬성하는 입장이다. (자율권 논거)
③ 무위자연의 원리를 강조한 것은 도가이다.
↳ 태아는 사람이기 때문에 인공 임신 중절은 살인 행위이다. ...... ㉡
④ 칸트는 인간이 생명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
→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 태아는 무고한 인간이기 때문에 무고한 인간을 죽이는 행위는 잘 지 않는다.
못이다. ..................................................................................... ㉢
→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무고한 인간의 신성불가침 논거) 13 ㉠은 자살이다. 자살은 자기 삶의 일회성과 비가역성을 인식
↳ 태아는 여성의 신체 일부로서 여성은 자신의 신체에서 일어날 일 하지 못하는 행위로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자연법
을 선택할 권리를 가진다. ......................................................... ㉣
윤리에 따르면 인간은 자기 보존의 의무가 있으며, 자살은 이
→ 인공 임신 중절을 찬성하는 입장이다. (소유권 논거)
를 위반하는 행위이다. 쇼펜하우어는 자살이 문제를 해결하

갑은 인공 임신 중절을 찬성하는 입장이다. 인공 임신 중절의 는 것이 아니라 회피하는 것으로 한 번뿐인 삶을 인위적으로

찬성 입장 논거에는 소유권 논거, 생산 논거, 자율권 논거, 평 종결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며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가능

등권 논거, 정당방위 논거가 있다. 인공 임신 중절의 반대 입 성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장 논거에는 존엄성 논거, 무고한 인간의 신성불가침 논거, 바로잡기 ㄷ. 자살은 가족, 친구 등 주변 사람에게 깊은 슬픔과 고통
을 안겨 주며, 특히 유명인의 자살은 모방 자살로 이어지기 때문에 다
잠재성 논거가 있다. ㉠은 자율권 논거, ㉣은 소유권 논거로
른 사람과 사회 전체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인공 임신 중절을 찬성하는 입장이다.
바로잡기 ㉡, ㉢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14 ㈎는 칸트의 사상이다. ㈏의 A는 난치성 척수 질환을 앓고
있고, 사지가 마비된 상태로 매우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안락
09 ㈎의 주장은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인공 임신
사를 고려하고 있다. 칸트는 인간을 수단으로 대우하지 말고
중절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태아는 어떠한 경우에도 침해될
언제나 목적으로 대우할 것을 주장하며, 인간의 존엄성과 의
수 없는 존엄성을 지닌 존재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질문 1에
무를 강조한다. 따라서 칸트는 A에게 인간의 생명은 존엄성
대해서는 ‘예’라고 대답할 것이다. 반면에 질문 2에 대해서는
을 지님을 알아야 한다고 조언할 것이다.
‘아니요’라고 대답할 것이다. 왜냐하면 태아는 여성 몸의 일부
바로잡기 ①, ④ 환자의 고통을 줄여 주는 선택을 하라거나 가족의
이고, 태아의 소유권이 여성에게 있다는 주장은 인공 임신 중
심리적·경제적 부담의 경감을 주장하는 입장은 공리주의 사상이다.
절을 찬성하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② 칸트는 환자에 대한 동정심이 아니라 환자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10 인공 임신 중절을 찬성하는 논거 중 여성의 몸의 일부인 태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에 대한 소유권은 여성에게 있다는 논거를 ‘소유권 논거’라고 ⑤ 칸트는 의료 자원의 효율성을 근거로 안락사 여부를 결정하는 것
하고, 여성은 태아를 생산하므로 태아를 마음대로 할 수 있다 에 대하여 반대할 것이다.

는 논거를 ‘생산 논거’라고 한다.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15 제시문의 ㉠은 안락사에 대해 찬성하고 있다. 안락사에 찬성
논거 중 생명이 있는 인간인 태아를 보호해야 한다는 논거는
하는 입장에서는 불치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의 자율성과
‘존엄성 논거’라고 한다.
삶의 질을 중시한다. 이러한 입장에 따르면 환자는 자율적 주
11 그림은 자살로 인해 가족이 큰 고통에 빠진다는 내용이다. 이 체로서 자신이 어떤 방법으로 죽을 것인지를 스스로 선택할
렇듯 자살은 가족, 친구 등 주변 사람에게 깊은 슬픔과 고통 수 있으며, 인간답게 죽을 권리를 가진다.

14 바른답·알찬풀이
바로잡기 ㄷ. 안락사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인간이 자신의 죽음을 선 장하고 있다. 따라서 토론의 핵심 쟁점은 ‘죽음의 판정 기준
택할 권리가 있다고 본다. 은 무엇인가?’이다.
ㄹ. 안락사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이다. 특히 자연법 윤리의 관점
바로잡기 ② 장기 이식의 허용 문제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다.
에서 볼 때, 죽음을 인위적으로 앞당기는 행위는 자연의 질서에 부합
③ 갑, 을 모두 뇌사를 인정할 경우 다수의 생명을 살릴 수 있다는 점
하지 않는다.
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④ 뇌의 명령이 없어도 심장 박동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옳은 사실
안락사 찬반 논거 만점 공략 노트
에 관한 질문이 아니다.
안락사 찬반 입장에 따른 논거를 찾거나 반론을 찾는 문제는 자 ⑤ 환자의 고통 문제는 토론 내용과 거리가 멀다.
주 출제되므로 정리해 두자.

•인간은 자율적 주체로서 자신의 삶과 죽음에 대한 결정 18 ㈎의 갑은 자연법 윤리 사상가이고, 을은 공리주의 사상가이
권이 있음 다. 자연의 질서에 부합하는 행위를 강조하는 자연법 윤리의
찬성
•인간은 인간답게 죽을 권리를 가짐
논거 관점에서는 심폐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고
•환자와 환자 가족의 경제적·정신적·심리적 고통을 줄
여 주어야 함 → 공리주의 관점 주장할 것이다. 반면에 유용성과 실용성을 강조하는 공리주

•모든 인간의 생명은 존엄함 의 입장에서는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인정해야 한다


•인간은 자신의 죽음을 인위적으로 선택할 권리를 갖지 고 주장할 것이다. 왜냐하면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면 인공
않음
반대 호흡기 등 의료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도움이 되고, 뇌사자의
•인간의 죽음을 인위적으로 앞당기는 행위는 자연의 질
논거 장기를 장기 이식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에 어긋남
•의료인의 기본 의무는 생명을 살리는 것이기 때문에 의료 바로잡기 ㄴ. 생명의 존엄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뇌사보다는 심폐
인은 환자의 죽음을 앞당기는 의료 행위를 해서는 안 됨
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따라서 자
연법 윤리에서는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에
반대할 것이다.
16 ㉠에는 안락사 찬성 근거가 들어가야 한다. 안락사를 찬성하 ㄹ. 판정의 오류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는 입장에서는 인간이 최소한의 품위를 유지하면서 죽을 권 삼는 데 반대한다. 반면, 공리주의 입장에서는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
리가 있고, 불치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연명 치료를 하는 준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것은 공리주의 관점에서 환자 본인과 가족에게 심리적·경제
적 부담을 준다고 주장한다. 19 제시문은 유명인의 자살이 일반인의 모방 자살로 이어지는
바로잡기 ㄱ, ㄴ. 안락사를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인간의 생명은 존엄 ‘베르테르 효과’에 관한 내용이다. 이를 통해 자살은 개인의
하며, 안락사는 자연의 질서를 거스르는 행위라고 주장한다.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사회
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7 자료 분석 노트 바로잡기 ②, ③, ④, ⑤ 자살의 윤리적 문제점에 해당하지만 제시된
현상을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으로 적절하지 않다.
갑:최근 의료 기술의 발달로 장기 이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
고 있습니다. 뇌사를 죽음의 기준으로 인정하면 많은 생명
뇌사를 죽음의 기준으로 인정하고 있다.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죽음에 대한 자각을 통해 ‘삶의 의미와 가
을 살릴 수 있습니다.
이유:많은 생명을 살리기 위해 치를 깊이 있게 성찰해야 한다’는 내용을 정확하게 서술하면
을:맞습니다. 그러나 심장 박동이 멈추고 호흡이 정지해야 죽
뇌사를 죽음의 기준으로 인정하면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다고 본다. 만점이다.
은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렇게 쓰면 감점
이 ⑵ 제시문은 죽음에 대한 성찰을 강조한 하
심폐사를 죽음의 기준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데거의 주장이다. 따라서 ‘성찰’, ‘삶의 의미(또는 가치)’ 등
갑:아닙니다. 뇌는 인간의 생명 활동을 관장하는 핵심 기관이
의 핵심어를 포함하지 않고 서술하면 감점이다.
기 때문에 뇌 기능이 정지하면 이미 죽음의 단계에 들어선
뇌사를 죽음의 기준으로 인정해야 하는 이유
것입니다. 21 이렇게 쓰면 만점 ⑵ 태아는 온전한 인간이 될 ‘가능성’ 혹은
을:뇌 기능이 멈추더라도 호흡과 심장 박동은 유지될 수 있기 ‘잠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공 임신 중절을 해서는 안
때문에 아직 죽음에 이른 것은 아닙니다. 또한 장기 이식 된다는 내용을 정확하게 서술하면 만점이다.
뇌사를 죽음의 기준으로 인정하면 안 되는 이유
때문에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할 수는 없습니다.
뇌사를 죽음의 기준으로 인정하면 안 되는 이유 22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비자발적 안락사는 환자의 직접적인 동
의 없이 가족 혹은 국가의 요구에 의한 경우에 이루어진다.
갑은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 따라서 ‘주변 사람이 환자의 죽음을 결정할 권리를 지니고 있
고, 을은 심폐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 는가’의 문제에 관해 서술하면 만점이다.

바른답·알찬풀이 15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62~63 쪽 03 자발적 안락사의 윤리적 쟁점 자료 분석 노트

01 ④ 02 ③ 03 ④ 04 ③
…… 자발적 안락사라고 할지라도 결국 인간을 죽이는 것
(가)
이므로 옳지 않다. - 자발적 안락사 반대 입장
01 동서양의 다양한 죽음관 자료 분석 노트 대전제 인간을 죽이는 것은 옳지 않다.

갑:진인(眞人)은 분별심으로 도를 버리지 않고, 인위로 자연 (나) 소전제 ㉠ - 자발적 안락사는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이므로 갑은 장자임을 추론할 수 있다. 인간을 죽이는 것이다.
을 돕지 않습니다. 자연은 삶을 주어 수고하게 하고, 죽음 결론 자발적 안락사는 옳지 않다.

을 주어 쉬게 합니다.
죽음을 자연적이고 필연적인 과정으로 본다.
을:현자(賢者)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삶이 해를 주는  ㈎
 는 자발적 안락사가 인간을 죽이는 행위이므로 옳지 않다
것도 아니고, 죽음도 악으로 생각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는 주장이며, ㈏는 이를 삼단 논법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
죽음은 감각을 소멸하기 때문에 고통의 감각도 없어지므로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보므로 에피쿠로스임을 알 수 있다. 을 뒷받침하는 논거는 ‘인간을 죽이는 행위는 어떠한 예외도
그는 긴 삶이 아니라 즐거운 시간을 향유하려고 노력합니다.
없이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이다.
바로잡기 ① 안락사를 찬성하는 논거이므로 ㉠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갑은 도가 사상가인 장자이고, 을은 에피쿠로스이다. 장자는
아니다.
죽음을 자연적이고 필연적인 것으로 보기 때문에 두려워할
② 안락사를 반대하는 논거이지만 ㉠의 내용과 거리가 멀다.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삶과 죽음을 서로 연결된 순환 ③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안락사를 찬성하는 논거이다. 따라서 ㉠을 뒷
과정으로 보았기 때문에 분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받침하는 근거가 아니다.
한편 에피쿠로스는 쾌락이 유일한 선이고, 고통을 악으로 보 ⑤ 자발적 안락사를 인간을 죽이는 행위와 구분하는 논거는 ㉠에 대
면서, 인간은 죽음을 감각할 수 없기 때문에 두려워할 필요가 한 반론의 근거이다.

없다고 주장한다. 장자와 에피쿠로스 모두 죽음을 두려움의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04 뇌사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 자료 분석 노트
바로잡기 ㄷ. 에피쿠로스는 죽으면 감각이 소멸하고 아무것도 경험할
죽음의 판정 기준을 뇌사로 보는 입장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그는 내세의 행복을 주장하지 않는다. 갑:……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면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습
니다.
을:그렇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생명은 실용적 가치로 평가할
02 생명 옹호주의와 선택 옹호주의 자료 분석 노트 뇌사를 죽음의 기준으로 인정하면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태아의 생명권을 강조한다. 수 없는 존엄성을 지니기 때문에 심폐사를 죽음으로 보는


갑:무고한 생명을 죽이는 행위는 죄악입니다. 우리가 아이를 것이 옳습니다. - 죽음의 판정 기준을 심폐사로 보는 입장
낳고 길러야 하는 여성의 불가피한 상황을 헤아린다고 할 갑:저는 인간의 존엄성은 심장이 아니라 뇌의 활동에서 비롯된
지라도 태아는 무고한 생명입니다. 따라서 태아의 생명권 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뇌사를 죽음으로 보아야 합니다.
은 마땅히 존중받아야 합니다. 결론:인공 임신 중절은 무고한 을:앞의 말씀에는 동의합니다. 하지만 뇌의 명령 없이도 유지
생명을 죽이는 행위이다.
여성의 선택권을 강조한다. 인간의 존엄성은 뇌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에는 동의한다.
을:태아는 임신부의 신체 중 일부입니다. 따라서 인공 임신 될 수 있는 사람의 생명 그 자체가 존엄한 것입니다. 또한
중절의 허용 여부는 임신부의 자유로운 결정에 맡겨야 합 장기 이식을 위해 뇌사 판정이 악용될 가능성에도 유의할
인공 임신 중절 찬성:소유권 논거, 자율권 논거
필요가 있습니다.
니다. 또한 태아는 인격체가 아니기 때문에 인격체와 같은
생명의 권리를 갖지 못합니다.
갑과 을의 대화는 죽음의 기준을 뇌사로 보야야 할지, 심폐사
로 보야아 할지에 대한 논쟁이다. 갑은 뇌사를 죽음의 기준으
갑은 인공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반면, 을은 찬성하고 있다.
로 인정하면 장기 이식이 가능하게 되어 많은 생명을 살릴 수
따라서 ‘여성은 태아를 생산하기 때문에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있다고 보는 실용주의적 관점이다. 반면 을은 생명은 그 자체
가?’라는 질문에 갑은 부정,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로 존엄성이 있으므로 심폐사를 죽음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바로잡기 ① 갑은 생명이 있는 태아는 보호해야 할 대상이라고 본다.
주장한다. 따라서 갑은 부정,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은
② 을은 여성이 자기 몸에 대한 소유권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④ ‘잘못이 없는 인간을 해치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일인가?’ ㄴ, ㄹ이다.
라는 질문에 대해 을도 ‘예’라고 답할 것이다. 바로잡기 ㄱ.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⑤ 갑은 태아가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할 잠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ㄷ. ‘뇌사를 인정할 경우 다수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해서는 갑, 을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16 바른답·알찬풀이
생명 윤리 수 있는 유용한 결과에 관심을 갖는다.
바로잡기 ① 동물 복제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동물 복제로 인한 종의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68 쪽
다양성 침해 문제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건강권, 인권  ⑵ 유 ② 동물 복제가 자연의 질서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동
전자 치료  ⑶ 생물학  ⑷ 레건, 내재적  03 ⑴ ㉡  ⑵ ㉢  ⑶ ㉠ 물 복제를 반대하는 사람들이다.
④ 동물 복제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동물 복제를 통해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 문제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69~73 쪽
⑤ 동물 복제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동물이 인간의 유용성을 위한 도
01 ④ 02 ② 03 ② 04 ③ 05 ③ 06 ④ 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07 ② 08 ③ 09 ④ 10 ① 11 ⑤ 12 ②
13 ④ 14 ④ 15 ③ 16 ④ 17 ③ 18 ③ 05 배아의 도덕적 지위 논거 중 배아는 이미 인간 종에 속하므로
19 ⑴ 예시답안  생명의 존엄성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도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종의 구성원’ 논거라고 하고,
⑵ 예시답안  인간의 존엄성 훼손, 생태계 파괴 등 인간의 발달 과정은 선명한 경계선이 없으므로 배아는 도덕
20 ⑴ 미끄러운 경사길 논증  ⑵ 예시답안  배아 복제를 허용하면 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연속성’ 논거라고 한다. 배아가 성
개체 복제까지 허용할 수 있다. 장해서 존재할 생명체와 배아는 동일하므로 도덕적 지위를
21 ⑴ 벤담  ⑵ 예시답안  고통을 느낄 수 있는가 가진다는 것을 ‘동일성’ 논거라고 한다.

01 불교에서는 연기의 가르침을 통해 생명의 상호 의존 관계를 06 갑은 도토리와 나무가 동일한 지위를 지니듯이, 배아와 인간도
같은 관계라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갑의 입장에서는 <문제
강조하였고, 불살생의 가르침을 통해 생명의 보존을 주장하
상황>의 배아 세포 실험을 반대할 것이다. 즉 갑은 배아를 인
였다. 슈바이처는 생명을 보존하고 촉진하는 것은 좋은 일이
간이 될 존재로 보고 있으므로 배아 실험을 정당하지 않다고
고, 그것을 파괴하고 억제하는 것은 나쁜 일이라고 주장하였
평가할 것이다.
다. 서양의 그리스도교는 신의 피조물인 생명은 존엄하면서
바로잡기 ㄱ. 과학 발전을 위한 배아 실험을 정당하다고 보는 것은 갑
도 일정한 위계를 가진다고 보았다.
의 입장과 거리가 멀다.
바로잡기 ㄹ. 도가에서는 자연스럽게 태어나고 자라는 것을 인위적으
ㄷ. 유전적 결함을 치료하기 위한 배아 실험을 정당하다고 보는 것은
로 조장하는 일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연기에 의한 불살생의
갑의 입장과 거리가 멀다.
가르침은 불교에서 강조하는 내용이다.

02 제시문은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인간의 생명을 만들어 내는 모 07 자료 분석 노트

습이다. 이를 통해 생명 과학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할 수


갑:모든 참나무가 한때는 도토리였지만, 도토리가 참나무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같지는 않다. 도토리와 참나무가 같은 가치를 지닐 수 없
바로잡기 ① 생태계 파괴는 제시문과 무관하다. 듯이, 배아와 인간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단지 배아는
③, ④ 인간이 각자 등급에 맞는 일을 하고, 자신에 대해 만족하고 행 배아 ≠ 인간

복을 느끼도록 세뇌를 당하는 일은 행복한 삶 또는 삶의 질 향상과는 인간이 될 수 있는 가능태(可能態)일 뿐이다.


거리가 멀다. 배아는 인간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⑤ 인위적으로 인간의 등급을 구분하는 것은 수직적인 세계이기 때문 을:어떤 차별도 정당화되지 않듯이 발달 과정에서의 차별 역
에 평등한 세계와 거리가 멀다. 시 정당화되지 않는다. 모든 인간은 배아로부터 시작되고
연속성 논거
03 갑은 동물 복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결과에 주목하며 인간의 생명은 오로지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하므로, 우리
동물 복제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이다. 반면 을은 동물 복제가 는 배아를 인간과 동일한 존재로 보아야 한다.
배아 = 인간
인위적으로 동물 개체수를 늘리는 일에 불과하다고 주장하 배아는 인간이라는 입장이다.
며, 동물 복제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이다.
바로잡기 ㄴ. 동물 복제를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동물이 인간을 위한 갑은 도토리와 참나무가 같지 않다고 보면서, 이와 마찬가지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로 배아는 인간과 동일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배아는 단지 인
ㄷ. 동물 복제를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동물 복제가 동물의 행복 증진
간이 될 가능성만 가진 것이라고 본다. 반면 을은 연속성의
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본다.
논거에 따라 배아는 인간과 같은 존재이며, 이에 상응하는 존
04 ㉠은 반려견을 잃고 난 후 막대한 비용을 들여 복제를 하였 엄성을 가진다고 본다.
다. 따라서 ㉠은 동물 복제에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볼 수 있 바로잡기 ① 갑은 배아가 인간과 동일한 지위를 가지지 않으며 인간
다. 동물 복제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동물 복제를 통해 얻을 이 될 가능성만을 지닌다고 본다.

바른답·알찬풀이 17
③ 을은 배아가 인간과 동일한 권리를 가진 존재라고 본다. 유전자 치료에 대한 찬성과 반대 근거 만점 공략 노트
④ 갑은 배아의 생명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고, 을은 인정한다.
유전자 치료에 관한 쟁점은 빈출 주제이므로 찬반 논거를 정리
⑤ 갑은 배아를 인간과 동일시하지 않으므로, 배아와 인간의 도덕적
해 두자.
지위를 서로 같다고 보지 않는다.
•병의 유전을 막아 다음 세대의 병을 예방함
08 인간 개체 복제를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개체 복제를 통해 불 찬성 •유전병을 퇴치하는 등 의학적으로 유용함
임 부부의 고통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에 반 논거 •부모의 자율적 선택을 존중함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통해 경제적 효용 가치를 산출함
대하는 입장에서는 개체 복제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고,
•미래 세대의 동의 여부가 불확실함
자연스러운 출산 과정에 어긋나며, 인간의 고유성을 위협할
반대 •의학적으로 불확실하고 임상적으로 위험함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개체 복제는 가족 관계에 혼 논거 •인간의 유전자를 조작하려는 우생학을 부추김
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분배 정의에 어긋날 수 있음

바로잡기 ③ 개체 복제는 사람들 간의 상호 의존성을 파괴할 수 있다.

13 제시문은 근대 서양 사상가인 베이컨의 입장이다. 베이컨에


09 ㈎는 자연법 윤리 사상의 관점이고, ㈏의 문제 상황은 유전 따르면 인간의 이익과 행복 증진을 위해 인간은 동물을 이용
자를 조작하여 원하는 아이를 태어나게 해 주겠다는 내용이
할 수 있고, 동물 실험의 결과를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다. 자연법 윤리 사상에 따르면 이러한 유전자 조작은 자연스
러한 주장의 이면에는 인간이 동물과 근본적으로 다른 존재
러운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당하지 않다.
지위를 갖고 있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
바로잡기 ①, ③ 자연법 윤리 사상에서는 유용성과 경제적 효용성을
바로잡기 ㄴ. 인간과 동물이 존재 지위에 별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유용성을 강조하는 사상은 공리주의이다.
동물 실험을 반대해야 한다.
② 유전자 조직을 옹호하는 주장으로 자연법 윤리 사상과 거리가 멀다.
⑤ 유전자 조작을 반대하는 주장이지만 자연법 윤리 사상과 거리가
14 자료 분석 노트
멀다.
데카르트이다.
갑:동물은 자동인형 또는 움직이는 기계에 불과하다. 동물이
10 제시된 탈리도마이드 부작용 사례는 인간과 동물이 생물학적 동물 = 기계:단순한 기계인 동물은 고통과 쾌락을 경험할 수 없다.
으로 긴밀한 유사성을 가지지 않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사례는 고통을 느낄 때 몸부림치거나 고통스러운 소리를 내는 것은
동물 실험 결과를 인간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으 자동인형이 움직이거나 시계가 째깍거리는 소리와 같다.
아퀴나스이다.
므로 동물 실험을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의 논거로 인용된다.
을:사물의 질서는 불완전한 것이 완전한 것을 위해 존재하는
바로잡기 ② 제시문과 거리가 멀다.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식물은 모두 동물을 위해 존재하
③, ⑤ 동물 실험에 찬성하는 입장의 논거이다. 고, 동물은 모두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 만약 인간이 동물
④ 탈리도마이드 부작용 사례는 동물 실험 결과를 인간에게 그대로 인간은 동물과 다른 존재이며, 인간을 위해 동물을 이용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준다. 에게 동정 어린 감정을 나타낸다면, 그는 그만큼 더 동료
인간들에게 관심을 가질 것이다.
11 생명 의료 윤리 원칙에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해악 금지의 다만 인간의 품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동물을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원칙, 선행의 원칙, 정의의 원칙이 있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
은 인간의 자율적 의사를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고, 해 갑은 데카르트, 을은 아퀴나스이다. 데카르트는 동물을 자동
악 금지의 원칙은 신체적 해악이나 정신적 상처를 주어서는 인형 또는 움직이는 기계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고, 이러한
안 된다는 것이다. 선행의 원칙은 환자나 피험자의 유익을 도 그의 주장은 당시 유럽에서 마취제 없이 이루어진 동물 실험
모하고 선행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이고, 정의의 원칙은 연구 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 한편 아퀴나스는 동물이 도덕
성과나 자원을 공정하게 분배해야 한다는 것이다. 적으로 고려받을 권리를 갖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동물
을 함부로 다루어서도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그것
12 ㉠에 들어갈 내용은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에 대한 반대 근거
이다.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미래 세대 이 인간의 품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의 동의 여부가 불확실하고, 의학적으로 불확실하며 임상적 바로잡기 ㄱ. 아퀴나스의 주장이다.


ㄷ. 당시 유럽에서 마취제 없이 이루어진 동물 실험을 정당화하는 데
으로 위험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고가의 치료비로 그 혜택이
이용된 것은 데카르트의 주장이다.
일부 사람에게 치중되며, 인간의 유전자를 조작하려는 우생
학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15 제시문은 칸트의 입장이다. 칸트는 동물이 도덕적으로 고려
바로잡기 ② 인간의 생식적 범위를 넓혀 준다는 주장은 생식 세포 유 받을 권리를 갖지는 않지만, 인간의 품성을 고려하여 동물을
전자 치료에 찬성하는 입장의 근거이다.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동물에게 친

18 바른답·알찬풀이
절한 사람은 사람에게도 친절할 것이고, 동물에게 잔인한 사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생명 과학이 지닌 윤리적 문제를 한 가지
람은 사람에게도 잔인할 것이라고 보았다. 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③ 칸트가 자연 안의 어떠한 존재도 수단으로 대해서는 안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배아 복제를 허용하면 개체 복제까지 이
바로잡기

된다고 주장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어질 수 있다는 점을 정확하게 서술하면 만점이다.

16 자료 분석 노트 21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동물의 쾌고 감수 능력에 관해 서술하면


칸트 만점이다.
갑:자연의 피조물이 이성을 갖지 않는다고 해서 잔인하게 다
루면 안 된다. 그렇게 다룰 경우, 고통에 대한 공감을 일으
키는 인간의 자연적 소질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인간의 품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동물을 함부로 대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74~75 쪽
을:자연의 다른 존재를 위한 유용성과는 독립적으로, 쾌고(快
01 ④ 02 ④ 03 ③ 04 ③
레건 苦)를 느끼며 목표를 위해 행위하는 삶의 주체는 비록 의
무를 가질 수 없다고 해도 삶을 영위할 권리를 갖는다.
자신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는 내재적 가치를 지니며,
한 살 정도의 포유류는 이러한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 01 배아의 도덕적 지위 논쟁 자료 분석 노트

인간 배아는 단순한 세포 덩어리에 인간 배아는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갑은 칸트, 을은 레건이다. 칸트는 동물이 도덕적으로 고려받 코끼리실험의 코 실험의 대상으로
불과해서 얼마든지 의학 의 모양대상이 지니기 때문에리끼의학
무와 같구
이 이양모 의
을 권리를 가지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동물을 함부로 대해서 될 수 있어. 나. 구같 무 안 돼.
삼아서는

.나
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레건은 한 살 정도의 포유류 배아는 인간과 동일 배아는 인간과 동일
한 지위를 지닐 수 한 지위를 지닌다고
는 자신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 즉 믿음, 욕구, 지각, 기 없다고 본다. 본다.

억, 감정 등을 가진 삶의 주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내재적 가 배아 세포 배아 세포


실험 찬성 갑 을 실험 반대
치를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바로잡기 ① 칸트와 레건 모두 동물을 함부로 대해서는 안 된다고 주
갑은 배아 세포 실험을 찬성하는 입장이고, 을은 배아 세포
장하였다.
② 칸트는 동물이 도덕적으로 고려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보지 않았다. 실험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갑은 인간 배아의 가치를
③ 칸트는 동물이 쾌락과 고통을 경험할 수 없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효용성에서 찾을 수 있고, 인간 배아의 손실과 유아의 죽음을
⑤ 레건은 인간뿐만 아니라 한 살 정도의 포유류도 자신의 삶을 영위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반면 을은 배아와 인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간이 동일하며, 인간의 발달 과정은 연속적이기 때문에 선명
한 경계선이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17 제시문은 싱어의 입장이다. 공리주의자인 벤담의 사상을 이
어받은 싱어는 동물이 쾌고 감수 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동물 02 유전자 치료의 윤리적 쟁점 자료 분석 노트
의 이익도 평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갑의 핵심 주장

바로잡기 ㄱ. 싱어는 동물 실험을 기본적으로 반대하지만, 만약 동물 갑:유전자 치료만이 유전적 질병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입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쾌락의 양이 동물이 느낄 고통의 총량을 뛰 니다. 따라서 체세포 유전자 치료뿐만 아니라 생식 세포
어넘을 경우에는 동물 실험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 유전자 치료까지 허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유전자 치료
ㄷ. 싱어에 따르면 동물 학대 금지는 인간이 지닌 직접적인 의무이다. 의 효과가 후세대로 이어져 인류 전체의 행복에 기여할 수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를 허용해야 하는 이유
있습니다.
18 갑은 싱어, 을은 레건이다. 싱어와 레건은 모두 동물이 도덕 체세포 유전자 치료와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 모두를 허용해야 한다는 입
장이다.
적으로 고려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두 사상가는 을:체세포 유전자 치료는 환자 개인의 신체 세포에 영향을 주
경제적 효용성의 관점에서 동물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을 비 기 때문에 허용되지만,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는 개인은 물
판한다. 론 후세대에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금지되어야 합니다.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를 허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바로잡기 ㄱ. 싱어와 레건 모두 동물이 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다고
체세포 유전자 치료만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본다. 따라서 B에 들어갈 진술이다.
ㄹ. 레건은 한 살 정도의 포유류가 삶의 주체로서 능력을 갖고 있으며,
갑은 체세포 유전자 치료와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를 모두 허
이러한 동물은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용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을은 체세포 유전자 치료만 허용해

19 이렇게 쓰면 만점 ⑴ ‘생명의 존엄성 실현’이라는 의미를 정확 야 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갑과 을은 모두 체세포 유전자
하게 서술하면 만점이다. 치료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갑, 을 모두 생식 세

바른답·알찬풀이 19
포 치료는 유전자 치료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고, 후세대에 사랑과 성 윤리
영향을 주지 않는 유전자 치료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82 쪽
바로잡기 ㄹ. 후세대에 영향을 주는 것은 생식 세포 유전자 치료이므
로 갑, 을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생식적, 인격적  ⑵ 헤
겔  ⑶ 신의, 효도  ⑷ 형우제공  03 ⑴ ㉡  ⑵ ㉠  ⑶ ㉢

03 동물 복제에 대한 찬반 논거 자료 분석 노트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83~87 쪽

인위적으로 동일한 유전 형질을 가진 동물을 만들어 내는 01 ② 02 ① 03 ④ 04 ⑤ 05 ⑤ 06 ①


(가) 동물 복제는 종의 다양성을 훼손한다. 따라서 동물 복제는
07 ① 08 ① 09 ④ 10 ⑤ 11 ② 12 ④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 동물 복제 반대 입장
13 ④ 14 ⑤ 15 ④ 16 ① 17 ① 18 ①
19 ⑤
종의 다양성을 훼손하는
전제 전제 ㉠
행위는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나) 동물 복제는 종의 다양성을 훼손한다. 20 ⑴ (가) 보수주의 입장 (나) 중도주의 입장 (다) 자유주의 입장
결론 동물 복제는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⑵ 예시답안  사랑과 성은 인간의 인격과 관련이 있다.

↔ 반론:동물 복제는 종 다양성 유지에 도움이 된다. 21 ⑴ 자기 결정권  ⑵ 예시답안  타인이 갖는 성에 대한 자기 결


정권을 침해할 수 있다. 생명을 훼손하는 부도덕한 결과를 초래할

 의 내용을 삼단 논법으로 정리해 보면, ㈏의 ㉠에 들어갈 수 있다.

말은 ‘동물 복제는 종의 다양성을 훼손한다.’이므로 ㉠에 대한 22 ⑴ 고정된 성 역할에 따른 가사 분담의 문제  ⑵ 예시답안  서

로 동등한 존재임을 인식해야 한다. 서로 존중하고 협력해야 한다.


반론으로 적절한 것은 동물 복제가 종의 다양성을 훼손하는
서로 간에 신의를 지켜야 한다.
행위는 아니라는 내용이다. 따라서 동물 복제가 희귀 동물을
보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은 ㉠에 대한 반론으로 적절
하다. 01 제시문은 사랑에 대한 프롬의 입장이다. 그는 『사랑의 기술』
에서 참다운 사랑은 보호, 책임, 존경, 이해(지식)의 요소를
바로잡기 ①, ④ 동물 복제를 반대하는 입장의 근거이다.
② 동물 복제 찬성 근거이나 ㉠에 대한 반론으로 부적절하다. 포함한다고 보았다. 그는 사랑하는 사람을 보호하는 것, 사랑
⑤ ㉠을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하는 사람의 요구를 배려하면서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는
것, 사랑하는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존경하는 것,
사랑하는 사람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진정한 사랑의 모습
04 동물 권리 논쟁 자료 분석 노트
이라고 주장하였다.
데카르트
갑:인간은 말과 기호를 사용할 줄 알고 모든 상황에 적절히 바로잡기 ② 프롬에 따르면 진정한 사랑은 상대의 모든 것을 소유할
대처할 수 있는 데 반해, 동물은 움직이는 자동 기계에 불 때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존중할 때 실현되는
과하다. 데카르트임을 알 수 있는 키워드이다. 동물은 기계에 불과하므 것이다.
로 도덕적으로 고려받을 권리가 없다고 주장한다.
을:욕구, 지각, 기억, 감정 등 일련의 특징을 지니고 자신의 고
레건 유한 삶을 살아가는 삶의 주체만이 도덕적 권리를 지닌다.
02 인간의 성(性)은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는 원천으로 생식적
레건임을 알 수 있는 키워드이다. 그는 한 살 이상의 포유류는 삶의 주체로 가치를 지닌다. 또한 성은 인간의 감각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서 내재적 가치를 지니며 도덕적으로 고려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주는 쾌락적 가치를 지니며, 남녀 상호 간의 존중과 배려를 실
현하게 해 주는 인격적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에는 ‘생식
갑은 데카르트, 을은 레건이다. 인간 중심주의자인 데카르트
적’, ㉡에는 ‘쾌락적’, ㉢에는 ‘인격적’이 들어가야 한다.
와 달리 동물 중심 주의자인 레건은 단지 인간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동물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였다. 두 사상가 03 제시문은 성과 사랑에 관한 아퀴나스의 입장이다. 아퀴나스
는 모두 자연의 모든 생명체가 도덕적 지위를 갖는 것은 아니 는 성과 사랑의 관계에 대해 보수주의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
라고 주장하였다. 레건도 한 살 이상의 포유류라는 단서를 달 에서는 결혼과 출산 중심의 성 윤리를 제시하며, 부부간의 신
았기 때문에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동물들까지 도덕적 지위 뢰와 사랑을 전제로 할 때만 성적 관계가 도덕적이라고 주장
를 갖는다고 보지 않았다. 한다.
바로잡기 ㄱ. 데카르트는 동물을 영혼이 없는 기계로 보았다. 바로잡기 ① 보수주의 입장은 성과 결혼을 결부시킨다.
ㄷ. 데카르트는 동물이 도덕적으로 고려받을 권리가 없고, 인간의 이 ② 보수주의 입장에서는 혼전 성적 관계를 허용하지 않는다.
익을 위해서 동물을 이용해도 된다고 보았다. 반면에 레건은 동물이 ③ 성에 대한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중시하는 입장은 자유주의이다.
도덕적으로 고려받을 권리가 있고, 인간의 목적을 위하여 동물을 수단 ⑤ 자발적 동의에 따라 이루어지는 성적 관계를 정당하다고 보는 입
으로 단순히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하였다. 장은 자유주의이다.

20 바른답·알찬풀이
04 갑은 성과 사랑의 관계를 자유주의 입장에서, 을은 중도주의 08 ㈎는 음양론에 관한 내용이다. 음양론은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다. 자유주의 입장은 자발적인 동의 중 작용을 통해 생성된다는 이론이다. <사례>는 남녀 간의 성차
심의 성 윤리를 제시한다. 즉 성에 관하여 개인의 자유로운 별에 관한 신문 기사 내용이다. 음양론에 따르면, 음양은 우
선택을 중시한다. 중도주의 입장은 사랑 중심의 성 윤리를 제 열이 있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 의존적이고 보완적인 관계이
시한다. 이 입장에서는 사랑 혹은 인격적 교감을 동반한 성적 다. 따라서 음양론의 관점에서 성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는 허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갑과 을은 모두 성의 본 서는 생물학적 차이에 따라 차별하지 않도록 하고, 동일 직종
능적인 측면을 인정하고 있다. 에서 성별 차이에 따른 임금 차등 지급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
바로잡기 ㄱ. 갑은 성의 생식적 가치보다는 쾌락적 가치를 강조한다. 장할 것이다.
ㄴ. 갑은 자발적인 동의, 즉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강조하는 입장 바로잡기 ㄷ. 남성 주도로 임금 격차를 해소하는 것은 음양론의 관점
이다. 과 거리가 멀다.
ㄹ. 남녀의 임금 격차가 능력 차이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은 성급한 일
05 제시문은 여성학자 보부아르의 주장이다. 그는 『제2의 성』에 반화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며, 음양론의 관점과도 거리가 멀다.
서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성으로서 만들어진다.”라
고 주장하며,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은 사회 문화적으로 규정
09 성(性)과 관련된 창작물 검열에 대한 질문에 왼쪽 학생은 표
현의 자유를 근거로 검열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반
된다고 하였다. 특히 여성의 성 정체성은 자연적인 것이 아니
면 오른쪽 학생은 검열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므로 ㉠
라 역사적으로 학습되고 사회적으로 할당된 지위로서 내면화
에는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들어가야 한다.
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바로잡기 ① 과도한 성적 표현이 외모 지상주의를 억제할 수 있게 해
바로잡기 ①, ③, ④ 보부아르는 성이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
주는 것은 아니다.
으로 규정된다고 주장하였다.
②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의 보호는 검열을 반대하는 근거이다.
② 성의 포괄적 의미에 관한 설명으로, 제시문과 거리가 멀다.
③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은 검열을 반대하는 근거이다.
⑤ 이윤 획득의 옹호는 검열을 반대하는 근거이다.
06 사랑과 성의 관계에 대한 입장 중 갑은 보수주의, 을은 중도
주의, 병은 자유주의 입장이다. 보수주의 입장에서는 부부간 10 제시문은 성 상품화를 반대하면서 성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의 사랑이 전제될 때 성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며, 중도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이다. 성 상품화란 성 자체

의 입장에서는 성을 결혼과 결부시키지는 않으나, 사랑을 동 를 상품처럼 사고팔거나 다른 상품을 팔기 위한 수단으로 성

반한 성적 관계를 허용한다. 반면 자유주의 입장에서는 개인 을 이용하는 행위를 말한다. 인간을 수단으로만 보지 말고 항

의 자유로운 선택을 중시하며, 자발적 동의에 따라 이루어지 상 목적으로 대우하라는 칸트 윤리의 관점에서 볼 때, 성 상

는 성적 관계를 옹호한다. 따라서 갑과 을은 긍정, 병은 부정 품화는 인격적 가치를 지니는 성을 상품으로 대상화하여 성

의 대답을 할 질문은 ㄱ뿐이다. 의 가치와 의미를 훼손하는 행위이다.

바로잡기 ㄴ. 보수주의, 중도주의, 자유주의 모두 사랑과 성이 인간의 바로잡기 ①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강조하는 주장은 성 상품화를
인격과 관련된다고 보고 있으므로 갑, 을, 병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찬성하는 입장이다.
질문이다. ② 성 상품화는 외모 지상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ㄷ. 성과 사랑을 결혼과 결부시키는 입장은 보수주의뿐이다. 따라서 ③ 성적인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윤을 추구하자는 주장은 성 상품화를
갑만 긍정, 을과 병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찬성하는 입장이다.
ㄹ. 사랑이 동반된 혼전 성적 관계에 대해서는 갑만 부도덕하다고 주 ④ 성에 대한 표현의 자유를 강조하는 주장은 성 상품화를 찬성하는
장하는 반면, 을과 병은 부도덕하지 않다고 본다. 입장이다.

성 상품화에 대한 찬반 입장 만점 공략 노트
07 성차별은 남자다움과 여자다움을 사회적·문화적으로 규정한
성 상품화에 관한 논쟁은 이 단원의 주요 쟁점이다. 쟁점에 관
후 이를 따르게 할 때 발생한다. 성차별은 인간으로서 평등성
한 찬반 논거를 정리해 두자.
과 존엄성을 훼손하고, 인권을 침해한다. 또한 남녀 각 개인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도록 하여 국가 차원에서 인적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과 표현의 자유를 강조함
찬성
•자본주의 경제 논리에 부합함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입장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허용할 수 있음
바로잡기 ㄷ. 성차별은 남녀 간의 차이를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차
•성이 지닌 인격적 가치를 훼손함
별이다. 반대
•인간을 수단화하고 도구화하는 것임
입장
ㄹ. 성차별은 사회적으로 규정된 남자다움과 여자다움을 강요할 때 발 •외모 지상주의를 조장함
생한다.

바른답·알찬풀이 21
11 제시문에서는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바로잡기 ㉤ 아침저녁으로 부모에게 문안을 드리는 것은 혼정신성
남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 (昏定晨省)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효의 마침이 아니다. 유교에서 효
의 마침은 입신양명(立身揚名), 즉 후세에 이름을 떨쳐 부모를 영광되
이란 인간이 외부의 부당한 압력, 타인의 강요 없이 자기 의
게 해 드리는 것이다.
지와 판단에 따라 자신의 성적 행동을 결정할 권리이다. 상대
방의 동의 없이 강제로 성적 행위를 하는 것은 상대방의 자기 전통적인 효의 실천 방법 만점 공략 노트
결정권을 침해하는 일이며, 이에 대해서는 개인이 책임을 져
전통적인 효의 실천 방법의 의미를 묻거나 현대적으로 적용할
야 한다. 따라서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행사한 개인에게 방법을 물을 수 있으므로 정리해 두자.
책임을 물어서는 안 되는가?’라는 질문에 부정의 대답을 할
효의 시작으로,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몸을 깨끗하고 온
것이다. 불감훼상
전하게 하는 것
바로잡기 ①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남용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봉양 부모를 실질적으로 잘 모시는 것
③ 자신의 행위가 타인의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침해해서는 안 된
부모의 뜻을 헤아려 실천함으로써 부모를 기쁘게 해 드
다는 입장이다. 양지
리는 것
④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성적 행위나 활동을 강제해서는 안 된다는
표정을 항상 부드럽게 하여 부모가 편안한 마음을 지닐
입장이다. 공대
수 있도록 해 드리는 것
⑤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남용하면 생명을 훼손하는 부도덕한 결
불욕 부모를 욕되지 않게 해 드리는 것
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혼정신성 아침저녁으로 부모에게 문안을 드리는 것

12 자료 분석 노트 입신양명
효의 마침으로, 후세에 이름을 떨쳐 부모를 영광되게 해
드리는 것

남자는 사모관대(紗帽冠帶)를 하고 상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원래는 벼슬아치의 복장이었으나 지금은 전통 혼례에서 착용하는 복장을 뜻한다.
나무 기러기[木雁]를 상 위에 놓고 공손히 절을 한다. …… 그 15 제시문은 근대 서양 사상가인 헤겔의 가족에 대한 입장이다.
전통 혼례에서 기러기는 신랑과 신부를 뜻한다. 헤겔은 개인이 결혼을 통해 윤리적 삶으로 들어가며 가족 안
후 서로 절을 한 다음 술을 나누어 마심으로써 새로운 사회관 에서 공동체의 구성원임을 알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근
계를 이루게 된다. - 전통 혼례의 모습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대적인 시민의 평등한 사랑에 기초한 ‘시민적 가족’을 염두에
두는데, 시민적 가족은 부부간의 평등한 사랑을 기반으로 성
결혼은 사랑의 결실이며, 인류 존속을 위한 첫걸음이다. 그리
립한다.
고 남녀가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조
바로잡기 ㄹ. 헤겔은 가족을 생산과 소비의 경제적인 개념보다 사랑
상을 모시고 집안을 이어가겠다고 서약하는 의례이기도 하다.
과 자유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할 대상으로 본다.
바로잡기 ㄹ. 스승의 노고에 감사를 표현하는 것은 결혼에 관한 내용
이 아니다. 16 ㈎는 길리건의 입장이다. 그는 남성은 정의의 관점에서, 여성
은 배려의 관점에서 도덕성이 발달한다고 보면서 여성의 도
13 ㈎는 형제자매 관계, ㈏는 부부 관계, ㈐는 장유, 즉 어른과 덕성 발달을 남성적 기준으로 측정하여 남성보다 열등하거나
아이 간의 관계이다. 형제자매 관계는 같은 뿌리에서 나왔지
덜 성숙하다고 판단하고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
만, 장유유서의 수직적인 질서를 근본으로 한다. 형제자매 간
의 ㉠에 들어갈 말은 ‘부부’이다. 길리건의 관점에 따르면, 부
의 관계는 자연적 혈연관계이지만, 부부 관계는 결혼이라는
부는 서로 동등한 존재임을 인식해야 하고, 서로를 차별하지
공식 제도로 맺는 사회적 관계이다. 음양론에 따르면 남성과
말아야 한다.
여성은 상호 의존적이고 보완적인 관계이며, 부부 관계는 형
바로잡기 ㄷ. 부부는 동등한 존재이기 때문에 위계질서가 아닌 수평
제자매 관계가 성립하는 토대가 된다.
적 관계를 수립해야 한다.
바로잡기 ㄷ. 전통 윤리에서 (다)는 (가)가 확대된 것으로 파악한다. 즉 ㄹ. 부부의 역할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
사회의 어른과 아이의 관계는 가정의 형제자매 관계가 확장된 것이다. 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

14 제시된 내용은 유교 사상이다. 유교에서 효는 백행지본(百行 17 제시문의 ㉠에는 형제자매, ㉡에는 부부가 들어가야 한다. 형
之本)이라 하여, 모든 행실의 근본이라고 보았다. 유교에서 제자매 관계는 형과 아우의 순서가 있는 상하 관계이면서 한
강조하는 효의 실천 방법으로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몸을 부모 아래 동기(同氣)라는 점에서 횡적 관계를 가진다는 특징
깨끗하고 온전하게 하는 것(불감훼상), 부모의 뜻을 헤아려 이 있다.
실천함으로써 부모를 기쁘게 해 드리는 것(양지), 부모를 욕 바로잡기 ② 자애와 효도는 부모와 자식 간에 필요한 덕목이다. 부부
되지 않게 해 드리는 것(불욕) 등이 있다. 간에는 존중, 신의, 협력 등이 필요하다.

22 바른답·알찬풀이
③ 같은 기(氣)를 가진 혈연관계는 부부가 아니라 형제자매 관계이다. 책임, 존경, 이해 등을 제시하였다. 그는 사랑이 능동적인 활
부부는 결혼이라는 공식 제도로 맺어진 사회적 관계이다. 동이고, 진정한 사랑은 상대를 소유 대상으로 보지 않으며,
④ 형제자매 간은 혈연관계, 부부간은 사회적 관계이다. 상대의 고유한 개성을 존중하고 성장에 관심을 갖는 것이라
⑤ 부부 관계가 성립되지 않으면 형제자매 관계도 존재할 수 없다.
고 보았다. 또한 사랑하는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존
18 ㈎는 인(仁)과 예(禮)를 강조하는 유교 사상이다. ㈏의 가로 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낱말 (A)는 ‘우정’이고, (B)는 ‘박애’이다. 따라서 세로 낱말 바로잡기 ㄷ. 사랑은 상대방을 상대방의 입장에서 파악하고 보호하는
(A)는 ‘우애’이다. 우애는 형제자매 간에 지켜야 할 덕목이다. 것이다.
형제자매는 같은 뿌리를 가졌다고 해서 동기간(同氣間)이라 ㄹ. 프롬이 말하는 사랑은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다.

고 부르며, 형제자매 간에 우애를 지키는 것은 사회적 관계의


규범을 익히는 밑거름이 된다. 02 칸트의 관점에서 바라본 성 상품화 문제 자료 분석 노트

바로잡기 ㄷ. 부부간에 지켜야 할 덕에 관한 설명이다.


ㄹ. 생명을 주고받은 수직 관계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이다. 이때 부모 인간을 목적으로 대하는 것은 그를 절대적 또는 무조건적
가치를 가진 존재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우리
가 자식에게 베푸는 덕을 자애(慈愛)라고 한다.
(가) 칸트의 인격주의 정식

19 제시된 편지의 ㉠에 들어갈 말은 ‘형제자매’이다. 형제자매는 가 그 존재에 대해 그의 자율을 존중하도록 한다.


→ 칸트의 관점에서 성 상품화에 대해 제시할 입장을 추론하는
서로 아끼고 우애 있게 지내야 하며, 이러한 모습이 결국은 문제이다.

부모에 대한 사랑, 즉 효(孝)를 실천하는 일이 된다.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은 다른 사람이나 사회의 강요 없


이 자신의 의지와 판단에 따라 자율적으로 성적 행위를
바로잡기 ① 형제자매 관계는 형과 아우의 순서가 있는 상하 관계이다. (나)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이다. 그렇다면, ㉠ 성에 대한 자기 결
② 음양의 원리는 부부간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부부간 역할에 우 정권을 행사하여 성을 상품화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열을 두어서는 안 된다.
③ 친구 관계에 관한 설명이다.

 는 칸트의 입장이다. 그는 “너 자신에게나 다른 사람에게
④ 개인의 존재를 가능하게 해 주는 생명의 근원은 부모이다.
있어서 인격을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하고 수단으로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사랑과 성이 인간의 인격과 관련되어 있 대우하지 말라.”는 인격주의 정식을 제시하였다. 칸트의 입장
다는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만점이다. 에서 성 상품화는 자신의 인격을 수단시하는 행위이기 때문

21 이렇게 쓰면 감점 ⑵ 타인이 갖는 성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침 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성을 대상화시켜 사물처럼 간주하


해할 수 있다는 점과 생명을 훼손하는 부도덕한 결과를 초래 여 인간의 가치를 비하하는 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한다는 점을 모두 서술하지 않으면 감점이다. 바로잡기 ㄱ. 칸트는 신체를 도구적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에 반대하
므로 성 상품화를 바람직하지 않다고 볼 것이다.
22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부부는 서로 동등한 존재임을 인식해야 ㄴ. 칸트는 결과와 무관하게 도덕 법칙을 기준으로 행동의 옳고 그름
하고, 서로 존중하고 협력해야 하며, 서로 간에 신의를 지켜 을 판단하는 의무론의 입장에 있기 때문에 건전한 성 문화의 저해와
야 한다는 내용 중에 두 가지를 정확하게 서술하면 만점이다. 같은 결과를 기준으로 성 상품화를 평가하지 않는다.

03 유교의 관점에서 바라본 부부 관계 자료 분석 노트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88~89 쪽


만물의 도리가 모두 나에게 갖추어져 있다. 자신을 반성하
01 ① 02 ③ 03 ② 04 ⑤ 며 정성을 다하여 도리를 지키면 즐거움은 이보다 더 클
(가) 수가 없을 것이다. 힘써 남을 먼저 생각하며 행동하면 인
(仁)을 추구하는 가장 가까운 길이 될 것이다.
01 프롬의 사랑의 구성 요소 자료 분석 노트
유교의 핵심 개념이다.

•(  ㉠  )의 도(道)는 음양(陰陽)이 짝을 이루어 하늘과 땅


음과 양은 각각 아내와 남편을 의미한다.
사랑은 상대방의 생명과 성장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것이다.
 의 신령에 통달하는 것이니 진실로 인륜(人倫)상의 크나
사랑의 기본적 요소들인 보호, 책임, 존경, 지식은 서로 의존 결혼은 다양한 인간관계의 시작이다.
큰 일이다.
프롬이 제시한 사랑의 구성 요소
(나) •천지(天地)가 생긴 다음에 만물이 있고, 만물이 생긴 다
하고 있다. 그러한 요소들은 성숙한 인간, 즉 내적 힘에 바탕
음에 남녀가 있으며, 남녀가 생긴 다음에 (  ㉠  )이/가
을 둔 겸손한 사람들에게서만 찾아볼 수 있다. 있고, 그 이후에 부자(父子)가 있다.
→ 프롬은 사랑의 요소로 보호, 책임, 존경, 이해(지식) 등을 제시하였다. 『예기』에서는 “천지가 화합하지 않으면 만물이 나오지 않는다. 혼인
은 만세의 이어짐이다.”라고 하였다.

제시문의 사상가는 프롬이다. 그는 사랑의 구성 요소로 보호,

바른답·알찬풀이 23

 는 유교 사상이고, ㈏의 ㉠에 들어갈 말은 ‘부부’이다. 부부 선택지 분석

는 서로 동등한 존재이기 때문에 각자의 덕목을 실천함으로 ① A: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보는가?
써 서로를 보완해 주어야 하고, 이성(異性)이 결합하였기 때 → A에는 에피쿠로스와 장자 모두 ‘예’라고 대답할 질문이 들어가야 한다.
에피쿠로스와 장자 모두 죽음에 대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문에 서로 공경해야 하는 관계이다.
② B:죽음을 끊임없는 윤회의 한 과정으로 보는가?
바로잡기 ㄱ. 부부는 결혼이라는 공식 제도를 통해 맺어진 사회적 관 → 죽음을 윤회의 과정으로 보는 것은 불교의 입장이다.
따라서 에피쿠로스와 장자 모두 ‘아니요’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계이다. 즉 혈연관계가 아니다.
ㄷ. 효와 자애를 주고받으며 사랑을 실천하는 관계는 부모와 자식 간 ③ B:죽음을 기(氣)의 자연스러운 순환 과정으로 보는가?
→ 장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므로 C에 들어갈 질문이다.
이다.
④ C:죽으면 신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보는가?
04 유교에서 강조하는 효의 실천 방법 자료 분석 노트
→ 죽으면 신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은 그리스도교이다.
따라서 장자의 입장에서는 ‘아니요’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⑤ C:죽음을 육체의 굴레에서 영혼이 해방되는 것으로 보는가?
요즘의 효라는 것은 부모를 물질적으로 봉양하는 것을 말 → 죽음을 육체의 굴레에서 영혼이 해방되는 것으로 보는 사상가는 플라톤이다.
한다. 그러나 개나 말조차도 모두 먹여 살리기는 하는 것 따라서 장자의 입장에서는 ‘아니요’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가)
이니 공경하지 않는다면 짐승과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 유교 사상가인 공자의 주장 유형 2  생명 복제에 대한 찬반 논거 비교하기
㉠에 들어갈 내용은 ‘인간 배아 복제 실험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
(A) 공 동 체 험이다.’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반론은 배아 복제 실험이 인간을 대
(B) 대 화
상으로 하지 않는다는, 즉 배아가 인간이 아니라는 내용이 적절하다.
선택지 분석
(나) [가로 열쇠]
(A):생활과 운명을 같이하는 조직체 ① 인간 배아는 성인과 동등한 도덕적 지위를 지닌다.
(B):마주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받음. 갈등 해결을 위한 → 인간 배아 복제 실험을 반대하는 근거에 해당한다.
방법의 한 가지 따라서 소전제 ㉠을 지지하는 내용이다.
[세로 열쇠] ② 출생하기 이전의 어떤 존재도 인간으로 볼 수 없다.
(A):…… 개념 → 소전제 ㉠은 인간 배아 복제 실험이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으로 보고 있으므
로 이에 대한 반론은 배아가 인간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 주어야 한다. 따라서 출생
하기 이전의 어떤 존재도 인간으로 볼 수 없다는 내용이 소전제 ㉠에 대한 반론으
로 적절하다.

 는 유교의 대표 사상가인 공자의 주장이다. ㈏의 가로 낱
③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은 인간 존엄성을 침해한다.
말 (A)는 ‘공동체’이고, (B)는 ‘대화’이다. 따라서 세로 낱말
→ 인간 배아 복제 실험을 반대하는 근거에 해당한다.
(A)는 ‘공대’이다. 유교 사상의 입장에서 공대(恭待)란 효를 실 따라서 소전제 ㉠을 지지하는 내용이다.

천하는 구체적인 방법 중 하나로 표정을 항상 부드럽게 하여 ④ 인간 배아는 잠재적인 인간이므로 인간의 범주에 포함된다.
→ 인간 배아 복제 실험을 반대하는 근거에 해당한다.
부모가 편안한 마음을 지닐 수 있도록 해 드리는 것이다. 따라서 소전제 ㉠을 지지하는 내용이다.
바로잡기 ① 불욕(不辱)에 관한 설명이다. ⑤ 인간 배아 복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 연구에 속한다.
② 봉양(奉養)에 관한 설명이다. → 배아를 인간과 동일한 지위를 갖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소전제 ㉠을 지지하는 내용이다.
③ 혼정신성(昏定晨省)에 관한 설명이다.
④ 양지(養志)에 관한 설명이다. 유형 3  유전자 치료에 대한 윤리적 쟁점 파악하기
갑은 해악 금지의 원칙에 따라 자기 유전 정보를 ‘모를 권리’가 보
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을은 자율성 존중의 원칙에 따라
자기 유전자 정보를 ‘알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택지 분석

ㄱ. 갑:자기 유전 정보를 알아야 불필요한 해악을 막을 수 있다.


→ 갑은 자기 유전 정보를 아는 것이 인간에게 해악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수능  특강 90~91 쪽 ㄴ. 갑:자기 유전 정보에 대한 무지를 개인의 권리로 인정해야 한다.


→ 갑은 자기 유전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겪을 수 있는 해악 때문에
유형 1   ① 유형 2   ② 유형 3   ③ 유형 4   ④ 자기 유전 정보에 대한 ‘모를 권리’를 주장한다.
ㄷ. 을:자기 유전 정보를 알아야 자율적 삶을 누리는 데 도움이 된다.
유형 1  → 을은 자기 유전 정보를 아는 것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계획하는 데
죽음에 대한 동서양의 관점 비교하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갑은 죽음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에피 ㄹ. 갑, 을:미래의 불가피한 유전 질환에 대해 고려할 필요는 없다.
쿠로스의 입장이다. 을은 삶과 죽음을 자연스럽고 필연적인 과정 → 유전 정보에 대한 모를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갑만의 입장이다.
을은 자기 유전 정보를 미리 알고 미래의 유전 질환을 고려하여 스스로 삶의 계획
으로 보는 장자의 입장이다. 을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4 바른답·알찬풀이
유형 4  성 상품화 문제 파악하기 02 그림의 강연자는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이다. 하이데거는
성 상품화를 반대하는 근거를 묻는 문제이다. 성 상품화를 반대하 죽음이 인간과 함께 있기 때문에 죽음을 외면하지 말고 항상
는 학생은 갑, 병, 정이다. 자각하며 살라고 하였다. 죽음에 대한 자각은 삶의 의미를 깊
선택지 분석 이 성찰하게 하여 더욱 가치 있는 삶을 살게 한다.
갑:성에 대한 왜곡된 의식을 심어 주기 때문입니다. 바로잡기 ① 하이데거는 인간이 죽음 이후가 아닌, 삶을 살면서 자신
→ 성 상품화를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성의 인격적 가치와 의미의 변질로 인한 이 죽는다는 사실을 인식함으로써 타인과 구별되는 참된 실존을 회복
성 의식 왜곡을 우려한다.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을:인간 행동의 동기는 경제적 이익 추구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③ 죽음을 윤회의 과정으로 보는 관점은 불교 사상이다.
→ 성 상품화를 찬성하는 근거이다. 왜냐하면 성 상품화를 찬성하는 근거 중에 성 상
품화가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자본주의 원리에 부합된다는 점이 있기 때문이다. ④ 하이데거는 죽음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병:성을 대상화시켜 사물처럼 간주하여 인간의 가치를 비하하기 때문입 ⑤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없도록 지혜의 활동을 방해하는 육
니다. 체로부터 영혼이 벗어나는 것으로 죽음을 본 사상가는 플라톤이다.

03 갑은 플라톤, 을은 장자이다. 플라톤은 죽음 이후에 이데아의


→ 성 상품화를 반대하는 근거이다.
이와 관련하여 인간을 수단으로만 보지 말고 항상 목적으로 대우하라는 칸트 윤
리의 관점에서 볼 때 성 상품화는 인간을 도구화하는 것이다. 세계에서 자기 영혼의 참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
정:인간의 성이 지닌 본래적 의미를 변질시키기 때문입니다.
다. 장자는 삶과 죽음을 기(氣)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으로 보
→ 성 상품화를 반대하는 근거 중에 성 상품화가 성이 지닌 본래적 의미를 변질시킨
다는 입장이 있다. 면서 자연적이고 필연적인 과정으로 이해한다.
무:인간의 성이 지닌 교환 가치를 무시하기 때문입니다. 바로잡기 ① 을만 ‘예’라고 답할 질문이다.
→ 인간의 성이 지닌 교환 가치를 강조하는 것은 성 상품화를 찬성하는 근거이다. ② 플라톤은 죽음을 통해 순수한 인식을 불가능하게 하는 육체에서 벗
어나 참된 지혜를 얻을 수 있다고 보므로 ‘아니요’라고 답할 질문이다.
③ 장자는 삶과 죽음을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보므로 ‘아니요’라고 답
할 질문이다.
⑤ 플라톤은 죽음을 통해 영혼이 아닌 육체에서 벗어나 참된 지혜를
94~97 쪽 얻을 수 있다고 본다.
실전 대비 Ⅱ단원 문제 마무리
01 ② 02 ② 03 ④ 04 ④ 05 ④ 06 ⑤ 04 갑은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심폐사를, 을은 뇌사를 주장하고
07 ② 08 ① 09 ① 10 ③ 11 ④ 12 ⑤ 있다.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에서
13 ④ 14 ⑤ 는 이를 통해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장기 이
15 ⑴ 에피쿠로스  ⑵ 예시답안  감각을 잃어버린 상태이기 때문 식으로 다른 생명을 살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에 결코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바로잡기 ① 갑은 심폐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본다.
16 ⑴ 예시답안  인공 임신 중절은 인간 존재를 죽이는 것이다. 
② 갑은 죽음에 대한 인간의 자기 결정권을 강조하지 않는다.
⑵ 예시답안  태아는 완전한 인격체가 아니기 때문에 인간 존재로
③ 을은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본다.
볼 수 없다. ⑤ 실용적 가치를 중시하는 것은 을만의 입장이다.
17 ⑴ (가)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 (나) 형제자매 간의 관계 
⑵ (가) 부자자효(혹은 부자유친) (나) 형우제공 05 제시문은 적극적 안락사는 반대하지만, 소극적 안락사는 찬
성하는 입장이다. 소극적 안락사가 오히려 인간의 존엄성을

01 갑은 불교의 석가모니, 을은 유교의 공자이다. 불교에서는 연 지키는 일이라고 보는 것이다.

기에 대한 깨달음을 추구하는 삶을 강조한다. 연기란 만물은 바로잡기 ①, ② 적극적 안락사를 반대하므로 부정의 답을 할 질문이

다양한 원인과 조건에 의해 생성된다는 불교의 핵심 사상이 다.


③ 적극적 안락사를 반대하는 것으로 볼 때, 인간의 자율성을 가장 최
다. 불교에서는 우주와 만물, 인생의 진리를 제대로 파악하지
우선의 가치로 두지는 않는다.
못하기 때문에 괴로움이 생긴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⑤ 연명 치료 중단을 자연의 과정을 거스르지 않는 안락사 방법으로
깨달음을 통해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의 경지에 이를 제시하므로 부정의 답을 할 질문이다.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교의 공자는 죽음보다는 도덕
적으로 실천하는 삶에 더 관심을 가진다. 또한 죽음을 자연의 06 갑은 태아의 생명권을 중시하는 생명 옹호주의인 반면, 을은
여성의 선택권을 중시하는 선택 옹호주의 입장이다. 갑은 을
과정으로 여기면서 애도하는 것을 마땅한 일로 여긴다.
의 입장에 대해 인공 인심 중절을 허용하는 것은 무고한 인간
바로잡기 ㄴ. 삶과 죽음을 기의 변화로 설명한 사상가는 도가의 장자
이다. 을 죽이는 행위이고, 태아의 생명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
ㄹ. 불교와 유교에서는 모두 삶과 죽음의 분별을 통해 고통에서 벗어 우해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할 것이다. 또한 임신부의
날 것을 주장하지 않는다. 결정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고 볼 것이다.

바른답·알찬풀이 25
바로잡기 ㄱ. 갑의 입장에서 볼 때 임신부와 태아가 지닌 생명의 가치 바로잡기 세 번째 진술:제시문에서는 전배아 단계의 복제를 허용해
는 동등하다. 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07 제시문은 서양 중세 사상가인 아퀴나스의 주장이다. 아퀴나 12 제시문은 공리주의자인 밀의 주장이다. 밀은 여성의 예속이
스는 자살이 자연법의 측면에서 ‘자기 보전의 의무’를 거스르 사회 발전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양성평등
고, 공동체를 훼손하며, 신을 거스르는 행위이므로 금지해야 은 전 인류에게 유용하므로 보장해야 하고, 남성이 독점해 온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아무리 불행하거나 수치스러운 모든 직업을 여성에게도 전면 개방해야 한다고 보았다.
죄를 지었다고 해도 자살은 올바르지 않다고 보았다. 바로잡기 ㄱ. 밀은 남녀의 본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따른 사회
바로잡기 ② 아퀴나스는 생명을 주관하는 것은 인간이 아니라 신의 적 역할 부여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보았다.
권능이라고 보았다.
13 사랑과 성의 관계에 대해 갑은 보수주의, 을은 중도주의, 병
08 갑은 칸트, 을은 싱어, 병은 레건이다. 칸트는 동물이 도덕적 은 자유주의 입장을 보여 준다. 보수주의 입장은 결혼과 출산
으로 고려받을 권리를 갖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동물을 중심의 성 윤리를 제시하는 데 비해, 중도주의는 사랑 중심의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싱어는 동물이 쾌고 성 윤리를 제시하며, 이와 달리 자유주의는 자발적인 동의 중
감수 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동물의 이익도 평등하게 고려해 심의 성 윤리를 제시한다. 따라서 자유주의 입장에서는 개인
야 한다고 주장한다. 레건은 한 살 정도의 포유류는 자신의 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자발적 동의에 따라 성적 관계가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허용될 수 있다고 본다.
본다. 싱어와 레건은 동물이 도덕적으로 고려받을 권리를 가 바로잡기 ① 중도주의에서도 성에는 사랑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본다.
진다고 본다. 따라서 갑, 을 모두 긍정으로 대답할 질문이다.

바로잡기 ㄴ, ㄷ. 싱어와 레건의 공통 입장이다. ② 중도주의, 자유주의 모두 성을 결혼과 결부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ㄹ. 칸트, 싱어, 레건의 공통 입장이다. 을, 병 모두 부정으로 대답할 질문이다.
③ 당사자들 간의 합의를 강조하는 입장은 자유주의이다. 따라서 D에
09 ㉠에는 동물 복제를 반대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동물 복 들어가기 적절한 질문이다.
제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동물 복제가 자연의 질서에 어긋나 ⑤ 자유주의 입장에서는 행위의 결과가 타인에게 피해를 주면 안 된
고, 종의 다양성을 해치며, 나아가 동물의 생명을 인간의 유 다고 보기 때문에 단순히 개인 간 합의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따라서
D에 들어가기 부적절한 질문이다.
용성을 위한 도구로 삼는다고 주장한다.
바로잡기 ②, ③, ⑤ 동물 복제를 찬성하는 입장이다. 14 갑은 성의 인격적 가치를 강조하면서 성 상품화를 반대하는
④ 동물 복제는 희귀 동물 보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동물 복 입장이다. 반면 을은 성을 이윤 추구의 수단으로 여겨 성 상
제를 찬성하는 근거가 된다.
품화를 찬성하는 입장이다. 갑의 입장에서 볼 때 을의 주장은

10 갑은 베이컨, 을은 싱어이다. 베이컨은 동물 실험에 찬성하는 성 상품화가 인간을 도구화한다는 점을 경시하고 있다.
반면, 싱어는 동물 실험에 반대한다. 베이컨은 인간이 동물과 바로잡기 ① 을은 성의 실용적 가치를 강조한다.

근본적으로 다른 존재 지위를 갖고 있다고 보고, 인간과 동물 ② 을은 성적 표현의 자유를 강조한다.


③ 갑은 성이 지닌 인격적 가치를, 을은 쾌락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를
은 생물학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동물 실험의 결과를 인간
강조하고 있다.
에게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 싱어는 고통을 느낄 수 있
④ 성적 취향의 다양성 존중 여부는 성 상품화 논쟁과 거리가 멀다.
는 존재를 도덕적 고려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
고, 인간의 이익을 위해 동물 종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은 윤 15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죽음이 감각의 상실을 가져오고, 이 때문
리적으로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본다. 에 고통을 느낄 수 없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내용을 정확
하게 쓰지 않고, 단순하게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서술하면
바로잡기 ㉢ 동물 실험에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동물과 인간이 생물
학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동물 실험의 결과를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 감점이다.
다고 본다.
16 이렇게 쓰면 만점 ⑴ 인공 임신 중절은 인간 존재를 죽이는 것
11 제시문은 인간 개체의 형성이 어디서부터 시작되는지 확실히 이라는 내용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경계를 구분할 수 없다고 본다. 이러한 이유로 전배아 단계의 이렇게 쓰면 만점 ⑵ 태아는 완전한 인격체가 아니기 때문에 인
복제를 허용할 경우, 그 이후 단계의 복제까지 연쇄적으로 확 간 존재로 볼 수 없다는 내용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산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배아는 인간이 될 잠재성이 17 이렇게 쓰면 만점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 형제자매 간의 관계


있다고 보기 때문에 전배아 단계의 복제를 허용하지 말아야 를 각각 쓰고, 이러한 인간관계에서 필요한 덕목인 부자자효
한다고 본다. (혹은 부자유친), 형우제공을 쓰면 만점이다.

26 바른답·알찬풀이
① 공자는 공동체의 안정을 위해 각자 자신의 직분에 충실

바로잡기
  사회와 윤리 할 것을 강조하였다.
② 칼뱅의 입장이다. 그는 직업을 소명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직업 생
직업과 청렴의 윤리 활을 통한 부의 축적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③ 중세 그리스도교의 입장이다.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104 쪽 ⑤ 마르크스의 입장이다. 그는 분업에 바탕을 둔 자본주의 사회의 노
동이 인간 소외를 심화시킨다고 보았다.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플라톤  ⑵ 속죄
⑶ 소명  ⑷ 인간 소외   03 ⑴ ㉢  ⑵ ㉠  ⑶ ㉡
03 직업의 기능으로 생계유지, 자아실현, 사회 참여 등을 들 수
있다. 맹자는 일정한 생업이 도덕적인 마음을 유지하는 바탕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105~109 쪽
임을 주장하고, 군주는 백성이 생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
01 ⑤ 02 ④ 03 ③ 04 ③ 05 ④ 06 ⑤ 할 것을 강조하였다.
07 ① 08 ③ 09 ⑤ 10 ③ 11 ② 12 ⑤ 바로잡기 ①, ②, ④ 직업의 기능에 해당하지만, 제시문의 내용과 거
13 ④ 14 ④ 15 ② 16 ④ 17 ④ 18 ⑤ 리가 멀다.
19 ② ⑤ 칼뱅의 입장이다.
20 ⑴ 맹자  ⑵ 예시답안  맹자는 모든 직업을 사회적 역할을 분
담하는 활동으로 보았으며,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의 우열을 가리지 04 직업 윤리에는 성실, 책임 의식과 같이 모든 직업에서 요구되
않았다. 는 보편적인 윤리 규범이 있으며, 의사 윤리나 변호사 윤리와
21 ⑴ 직업  ⑵ 예시답안  직업은 개인적 측면에서는 생계유지, 같이 각각의 특수한 직업에서 요구되는 윤리 규범도 존재한
자아실현, 사회 참여의 기능을 하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사회의 발 다. 전자를 직업 윤리의 일반성, 후자를 직업 윤리의 특수성
전에 기여한다.
이라고 한다.
22 ⑴ 정명 정신  ⑵ 예시답안  각자 맡은 바 임무와 역할을 충실
히 수행할 것을 강조한다. 05 갑은 맹자, 을은 순자이다. 맹자는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을 구
23 ⑴ 부패  ⑵ 예시답안  개인의 권리를 부당하게 침해한다. 시 분하고 사회적 역할 분담의 관점에서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의
민 의식의 발달을 저해한다. 사회 발전을 저해한다. 국가 신인도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강조하였다. 순자는 인간의 욕망을 인정
하락을 초래한다.
하면서도 예(禮)를 통해 욕망을 절제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순자는 예라는 인위적 규범을 바탕으로 사회적 역할을 나누
01 자료 분석 노트 어야 한다고 보았다.
바로잡기 ①, ② 맹자는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을 구분하고 직업의 우
갑: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며, 아버지는 아버
열보다는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강조하였다.
지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
③ 순자는 적성과 능력에 따라 직업이 주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공자의 정명 정신으로, 맡은 바 책임을 다할 것을 강조한다.
을:국가의 세 계급, 즉 통치자 계급, 수호자 계급, 생산자 계 ⑤ 순자는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였다. 따라서 이윤 추구 행위와 부의
축적에 대해 부정하지 않았다.
급이 각자의 사회적 직분에 맞는 덕을 발휘할 때 정의로운
사회가 될 수 있다. 플라톤은 통치자는 지혜의 덕을, 수호자는 용기의
덕을, 생산자는 절제의 덕을 발휘할 때 정의의 덕
에 바탕을 둔 이상 국가가 된다고 보았다.
동양의 직업관 만점 공략 노트

동양 사상가들의 직업관은 빈출 주제이다. 각 사상가의 입장을


갑은 공자, 을은 플라톤이다. 공자는 정명 정신을 통해 사회 정확하게 이해하고 꼼꼼하게 정리해 두자.
구성원들이 각자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을 •정명 정신:사회 구성원 모두가 맡은 바 책임과 역할을
공자
강조하였으며, 플라톤은 모든 계급이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 다할 것을 강조함
을 다할 때 이상 국가가 실현된다고 보았다.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을 구분함:사회적 역할 분담의 관
점(직업에 귀천이 없음)
바로잡기 ①은 칼뱅, ③은 마르크스, ④는 중세 그리스도교의 입장 맹자
•성선설:도덕성(항심)의 유지를 위한 생계 수단(항산)의
이다.
중요성을 강조함
② 공자는 이익보다는 도덕을 중시하는 삶을 강조하였다.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고 적성과 능력에 따른 사회적 역
할 분담을 강조함:누구나 높고 귀한 직업을 갖고자 하
02 제시문은 공자의 주장이다. 공자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맡은 순자
는 욕망이 있기 때문에 선왕이 제정한 인위적 규범인
바 책임과 역할을 다하는 정명 정신을 강조하고, 이러한 자세 예(禮)에 따라 사회적 역할을 분담해야 함
를 사회 구성원 모두가 실천할 때 공동체의 안정이 이룩될 수 공통점 각자의 직분에 충실할 때 사회적 안정이 실현됨
있다고 보았다.

바른답·알찬풀이 27
06 제시문은 의사가 준수해야 할 윤리적 행동 지침인 의사 윤리 10 제시문은 순자의 주장이다. 그는 적성과 능력에 따른 사회적
강령이다. 모든 전문직 종사자는 책임, 성실과 같은 일반적인 역할 분담을 강조하였다. 또한 성악설을 바탕으로 인간의 욕
직업 윤리를 준수함과 동시에 각자의 직업에서 요구되는 특 망을 긍정하였지만, 예(禮)를 통해 욕망의 적절한 절제가 필
수한 직업 윤리를 준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바로잡기 ⑤ 직업 윤리의 특수성은 성실, 책임과 같은 일반적인 직업 바로잡기 ㄱ, ㄹ. 순자의 입장에서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그는
윤리를 보충한다. 신분이 아닌 각자의 소질과 적성에 따라 직업이 부여되어야 한다고
본다.
07 직업은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게 해 주고, 사회적 역할을 분담
하게 하며, 자아실현에 기여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행복 11 자료 분석 노트

한 삶의 실현에 이바지한다.
노동자는 그가 부(富)를 더 많이 생산할수록, 또 그의 생산의
바로잡기 ②, ③, ④, ⑤ 제시문의 맥락에 맞지 않는 내용이다.
힘과 범위가 증대될수록 그만큼 더 가난해진다. 노동자는 그
가 더 많은 생산물을 만들수록 그만큼 더 저렴한 상품이 되어
08 갑은 칼뱅, 을은 마르크스이다. 칼뱅은 모든 직업이 신의 부 자본주의 체제에서 노동자는 상품을 생산하는 도구로 전락한다.
름, 즉 소명에 따라 주어지는 것으로 금욕적 태도를 바탕으로 버린다. 사물화된 상품 세계의 가치 증식이 곧바로 인간 세계
직업을 성실하게 수행해야 하며, 직업적 성공을 구원의 증표 의 가치 절하를 가져온다. 자본가의 착취로 노동자는 고통받게 되며,
노동의 본래적 가치는 사라진다.
라고 보았다. 마르크스는 노동을 인간의 본질을 실현하는 것
으로 보았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자가 상품 생 제시문 마르크스의 주장이다. 그는 인간이 노동을 통해 자아
산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는 인간 소외 현상이 생겨나며, 분 실현을 하는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회에
업은 인간 소외 현상을 심화시킨다고 보았다. 서는 노동이 상품화되면서 강제적이고 타율적인 노동으로 전

바로잡기 ③ 마르크스는 분업에 대해 부정적 입장이다. 락하는 인간 소외가 가속화된다고 보았다. 또한 분업은 노동
자를 부분 노동자로 전락시켜 노동의 본래적 가치를 상실하
칼뱅과 마르크스의 직업관 비교 만점 공략 노트
게 하며 자본가의 이윤만 극대화시켜 줄 뿐이라고 보았다.
서양 사상가들의 직업관은 빈출 주제이다. 각 사상가의 입장을 바로잡기 ① 마르크스는 분업에 대해 부정적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세밀한 부분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두자. ③ 마르크스는 직업의 우열을 인정하지 않았다.
④ 칼뱅의 입장이다.
•직업 소명설 → 직업은 신의 소명, 모든 직업은 거룩한
일(직업의 귀천 부정), 직업을 통한 부의 축적에 긍정적
⑤ 마르크스는 사유 재산이 사라진 공산 사회를 지향하였다.
칼뱅
•구원 예정설 → 구원 예정자는 신에 의해 정해져 있으
며, 직업적 성공은 구원의 증표 12 제시문은 실학자 홍대용의 주장이다. 그는 노동을 하지 않는
•노동은 인간의 본질을 실현하는 활동 → 인간은 노동을
양반을 비판하고 개인의 재능과 학식에 따라 직업이 주어져
통해 자아를 실현하는 존재 야 한다고 보았다.
•자본주의에서는 노동자가 상품 생산의 수단으로 전락 바로잡기 ① 홍대용은 세습적인 신분에 따라 직업이 정해지는 것을
마르크스 → 자본주의의 노동은 인간의 본질 실현이 아님
반대하였다.
•분업에 대해 부정적 → 분업 노동은 자본 축적을 위한
수단으로, 노동자는 분업으로 자신의 본질을 실현하지 ② 홍대용은 일을 하지 않는 양반을 비판하였다.
못하고 강제 노동에 시달리게 됨 ③ 홍대용은 직업을 통한 사회적 분업을 부정하지 않았다.
칼뱅은 소명 정신을, 마르크스는 노동 착취를 자본 축적 ④ 홍대용은 재능과 학식에 따라 직업이 정해져야 한다고 보았다.
차이점
의 원인으로 봄
13 제시문은 정약용의 『목민심서』의 일부이다. 그는 목민관의 기
본 자세로 청렴을 강조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애민(愛民)과
09 첫 번째 자료는 중세 사상가인 아퀴나스의 주장이고, 두 번째 공적인 일에 헌신하는 봉공(奉公)의 덕목을 바탕으로 공직을
자료는 구약 성서의 일부이다. 중세 시대까지 그리스도교에 수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서는 노동을 원죄에 대한 속죄의 의미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바로잡기 ①, ②, ③, ⑤ 정약용은 청렴을 바탕으로 애민과 봉공의 덕
종교 개혁가인 칼뱅은 노동을 신의 부르심으로 이해하고 직 을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으며, 어떠한 이유로도 목민관의 부패를 정당
업을 통한 이윤 추구와 부의 축적을 긍정적으로 파악하였다. 화하지 않았다.
바로잡기 ① 칼뱅의 입장이다.
② 마르크스의 입장이다.
14 갑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이윤 극대화에 있다고 본다. 이와
달리 을은 이윤 추구 이외에도 공동선과 공익에 기여하는 것
③ 노동을 원죄에 대한 벌로 이해하는 관점에 따르면 노동은 죽는 그
순간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주장한다.
④ 생계 수단의 의미뿐 아니라 종교적 차원의 의미도 있다. 바로잡기 ④ 을도 이윤 추구를 기업의 기본적 목적으로 본다.

28 바른답·알찬풀이
15 갑은 부패와 같은 문제가 자체적으로 해결되지 않을 때 내부 바로잡기 ① 갑은 부정으로 답할 질문이다. 이윤 극대화를 기업의 유
고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을은 내부 고발이 조직의 구성 일한 책임으로 보는 입장은 을이다.

원이 주어진 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②, ④ 기업이 이윤 추구 과정에서 법을 준수하고 시장 질서를 지켜야
한다는 점에 대해 갑, 을 모두 긍정한다.
내부 고발의 쟁점 만점 공략 노트 ③ 갑, 을 모두 시장 질서 준수와 준법을 강조하므로 부정으로 답할 질
문이다.
내부 고발에 관한 찬반 입장을 알아 두자.

조직 내부 혹은 외부의 부패나 불법 행위 등에 대한 정보 19 공직자는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공적 영역의 일을 담당하기


의미 때문에 높은 도덕성과 책임 의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직무를
를 조직 내 구성원이 외부에 알리는 것
장기적으로 건전하고 투명한 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어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부당하게 사익을 추구하는 행위
찬성
조직의 발전에 기여함 를 해서는 안 된다.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조차 내부 고발로 해결 바로잡기 ㄴ, 제시문과 거리가 먼 내용이다.
반대
하면 조직의 결속력이 와해될 수 있음
ㄹ. 공직자에게는 높은 수준의 도덕성이 요구되므로 사적인 영역에서
공직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행위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겸직
바로잡기 ① 갑은 내부 고발이 장기적으로 조직에 이익이 된다고 본다. 금지). 그러나 근본적으로 개인적 차원의 이익 추구 행위를 모두 금지
③, ④, ⑤ 을은 조직 내부의 문제는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며, 이를 하지는 않는다.
외부에 알리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이다.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맹자가 모든 직업을 사회적 역할을 분담
16 갑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윤 추구 행위로 한정하는 입장 하는 활동으로 보았다는 점과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의 우열을
인데 비해, 을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윤 추구 행위 이외
가리지 않았다는 점을 모두 서술하면 만점이다.
에도 공익 실현의 책임까지 확장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렇게 쓰면 감점 ⑵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쓰지 못했거나 정
강조한다. 갑과 을은 기업의 목적이 이윤 추구에 있다는 점에
신노동을 더 우월한 것이라고 서술하면 감점이다.
는 동의한다.
바로잡기 ㄱ. 갑은 이윤 추구 행위를 긍정적으로 본다. 21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직업의 기능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
ㄷ. 을은 갑에 비하여 기업의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 면으로 나누어 모두 서술하면 만점이다.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직업의 기능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
17 제시문은 기업의 주된 목적이 이윤 추구에 있다는 점을 인정 면 중 한쪽 측면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하면서도 동시에 공익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을
이행해야 함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22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정명 정신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맡은 바
바로잡기 ㄹ. 제시문은 기업의 이윤 추구를 긍정하는 내용이다. 임무와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고 서술하면 만점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입장 만점 공략 노트 23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부패의 문제점을 세 가지 모두 서술하면


만점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묻는 문제는 빈출
이렇게 쓰면 감점 ⑵ 부패의 문제점을 세 가지 모두 서술하지
주제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학자별 입장과 더불어 쟁
못하거나 관련 없는 내용을 서술하면 감점이다.
점에 대해 명확하게 정리해 두자.

‘보이지 않는 손’에 따라 각자 자신의 이익을


스미스
이윤 추구할 때 사회 전체에도 이익이 됨
추구 기업은 시장 질서를 준수하면서 이윤 극대화 110~111 쪽
프리드먼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를 위해 노력해야 함
01 ④ 02 ① 03 ⑤ 04 ②
기업이 사회적 책임(공익, 복지)을 실천할 때
이윤 애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 장기적으로는 기업에
+ 이익이 됨
공익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이 기업의 체질을 강
01 맹자와 마르크스의 직업관 자료 분석 노트
보겔
화하고 기업의 이윤 창출에 기여함
모든 것을 손수 만들어 사용해야 한다면, 그것은 천하의
사람들을 바쁘게 만드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마음을 수고롭게
코끼사람은
하고[勞心], 어떤 리의 모몸을
양이 수고롭게 한다[勞力].
18 갑은 애로, 을은 프리드먼이다. 두 사상가는 모두 기업의 목 백성은 항산(恒産무)이
와 없다면,
같구나. 항심(恒心)도 없게 된다.

적이 이윤 추구에 있음을 인정한다. 애로는 기업이 이윤 추구 맹자는 생계(항산)의 유지 맹자는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을 구분
가 도덕성(항심) 실현의 바 하지만 역할 분담의 관점으로 본다.
활동 이외에도 사회 복지 증진, 환경 보전 활동과 같은 적극 탕이라고 본다.

적인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것을 강조한다. 갑

바른답·알찬풀이 29
노동이 분업에 의한 방식으로 바뀌면서 고용주는 자본가가
되어 지휘와 감독, 조절 기능을 담당한다. 분업은 특수한 기능에
0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쟁 자료 분석 노트

적합한 부분 노동자를 양산하며, 모 의리끼작업장의 부속물로서
이양노동자는
자본의 소유물이 같 와무
된다. “기업은 자유 시장에서 이윤 극대화 이외의 사회적 책임을 지
.나구
마르크스는 분업이 자본가가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노동은 지 않아도 된다.”라는 주장은 시장 실패를 통해 그 부당성이
노동자를 착취하여 자본 축적 노동자의 자아실현과 행복
입증될 수 있다. 시장 실패의 대표적 사례는 기업 활동으로 인
을 이루는 수단이라고 본다. 실현을 방해하고, 노동자는
상품 생산의 수단으로 전락 한 환경 오염과 같은 부정적 외부 효과이다. 이에 따른 문제의
을 한다.
대가를 치르지 않고 제3자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로
환경 오염, 길거리 흡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갑은 맹자, 을은 마르크스이다. 맹자는 직업을 통한 생계유지 핵심은 환경 오염의 처리 비용을 당사자인 기업이 아니라 일반

가 도덕성 실현의 전제라고 보고, 생계가 유지되어야 도덕성 시민이나 미래 세대 같은 제삼자가 부담해야 한다는 사실이
다. 그러나 이는 분명히 잘못이다. 윤리적 관점에서 볼 때, 부
도 유지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직업을 사회적 역할 분담
정적 외부 효과 발생의 책임은 해당 기업이 져야 한다. 설령
의 관점에서 보아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의 상호 보완적 관계
이윤이 감소하더라도 기업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적극적 책임
를 강조하였다. 한편, 마르크스는 사유 재산으로 계급이 발생
을 지는 것이 마땅하다. 필자의 핵심 주장으로, 공익을 위해 기업의 이
윤 추구 행위가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했으며,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생산 수단을 소유한 자본가가
그렇지 않은 노동자를 착취하여 부를 축적한다고 보았다. 또
제시문은 부정적 외부 효과 즉, 환경 오염에 대한 책임을 해
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분업은 노동자를 상품 생
당 기업이 져야 한다는 내용이다. 부정적 외부 효과의 방지를
산의 수단으로 전락시킨다고 비판하였다. 즉, 마르크스는 분
위해 기업의 이윤 추구 활동은 제약될 수 있으며, 기업은 비
업이 노동자를 부분적인 노동만을 하는 존재로 전락시킨다고
용 부담이 발생하더라도 환경 오염 예방을 위해 노력할 책임
보았다.
이 있다고 본다.
바로잡기 ④ 마르크스는 사유 재산을 계급 갈등과 착취의 원인으로
바로잡기 네 번째 입장:제시문에 따르면, 기업에게 이윤 극대화만을
파악하고, 사유 재산과 계급이 사라진 공산 사회가 실현될 때 착취도
강조하면 환경 오염과 같은 부정적 외부 효과를 예방하기 어렵다.
사라진다고 보았다.

02 칼뱅과 순자의 직업관 자료 분석 노트


04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쟁 자료 분석 노트

직업은 신의 소명임을 의미한다. 갑:사회에 대한 적극적 책임 이행은 기업에 이익이 되지 않으

직업은 신으로부터 부름을 받은 자기 농부는 밭일에 정통하고, 상인은


며, 시장 경제 질서를 어지럽힐 뿐이다. 기업은 이익 추구
몫의 일이다. 따라서 자신의 직업에 장사하는 일에 정통하며, 에 전념해야 하므로 기업의 어떤 행위도 법의 테두리를 벗
충실히 종사하는 것이 바로 신의 명령에 공인(工人)은 그릇을 만드는 일에 갑의 핵심 주장으로, 기업의 책임은 이윤 추구로 국한됨을 강조하고 있다.
따르는 것이다. 나아가 직업에는 귀천이 정통하지만, 그 일을 지도하는 관리가
없으며, 각자 맡은 바 소명을 실천하기 될 수는 없다. 관리는 이 일들을 하나도 어나지만 않는다면 허용되어야 한다.
코끼금욕적인
위해 검소하고 리의 모양 못하지만, 코禮)에 정통하기에
리끼예(
이 이양모 의 을:기업은 이윤을 추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덕적 의무를 다
무와 한다.
태도를 지녀야 같 와무 다스릴 수 있다.
같구나. .나이구일들을 갑, 을 모두 동의하는 부분이다.
해야 한다. 기업은 공익을 위한 활동에도 최선을 다해야
근면, 성실, 검소 각자의 능력과 적
의 덕을 바탕으 성에 따라 직업을 을의 핵심 주장이다. 기업의 책임은 이윤 추구 이외에도
로 직업을 수행 맡아야 한다. 공익, 공공선의 실현에 기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야 한다. 한다. 책임 있게 경영하는 기업은 그렇지 못한 경쟁자들에
갑 을 비해 비즈니스 위험에 덜 노출될 것이다.

갑은 칼뱅, 을은 순자이다. 칼뱅은 직업을 신의 부르심이라고 갑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윤 추구로 한정하는 입장이다.
보며, 금욕적 직업 생활을 통해 직업적 성공을 이루고 부를 이러한 입장은 기업이 법과 시장 질서를 준수하면서 자유롭
축적하는 것을 구원의 증표라고 본다. 한편 순자는 직업을 통 게 이윤 추구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기업에 그 이상의 공익적
해 사회적 역할 분담이 이루어진다고 보며, 인위적 규범인 예 활동을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본다. 반면 을은 기업의 사
(禮)를 바탕으로 지위를 정하고 능력을 헤아려 직분을 맡게 할 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강조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에
때 사회가 안정된다고 본다. 서는 기업이 이윤 추구 이외에도 좀 더 적극적으로 공익을 위
바로잡기 ② 칼뱅은 금욕적 태도를 바탕으로 직업 생활을 통한 이윤 한 활동을 전개할 책임이 있다고 본다.
추구와 부의 축적이 양립할 수 있다고 본다. 바로잡기 ㄴ. 을도 기업의 이윤 추구를 인정한다. 따라서 을은 기업이
③ 순자는 직업이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는 수단이라고 본다.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정당하다고 본다.
④ 순자는 직분을 나눌 때 도덕성과 능력을 강조하여 후천적인 노력 ㄷ. 을이 주장하는 도덕적 의무에는 준법의 의무까지 포함되는 것이
을 중시한다. 다. 따라서 을은 기업에게 준법의 책임을 요구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⑤ 칼뱅은 성실한 직업 생활의 이유가 신의 소명 때문이라고 본다. 본다.

30 바른답·알찬풀이
사회 정의와 윤리 04 제시문은 니부어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개인은 어느 정도
동정심과 배려심이 있으나 집단의 도덕성은 개인의 도덕성보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116 쪽
다 떨어진다. 따라서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원초적 입장  ⑵ 반 도덕성 함양과 더불어 잘못된 사회적 관행이나 제도의 개선
대  ⑶ 응보주의  ⑷ 예방   03 ⑴ ㉢  ⑵ ㉡  ⑶ ㉠ 이 필요하다.
바로잡기 ①, ③, ⑤ 니부어는 도덕성, 자발적 타협, 선의지 등 개인의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117~121 쪽 도덕성만으로는 사회 정의를 실현할 수 없다고 보았다.
② 니부어는 개인의 도덕성보다 집단의 도덕성이 떨어진다고 보았다.
01 ④ 02 ③ 03 ① 04 ④ 05 ⑤ 06 ①
07 ② 08 ④ 09 ② 10 ④ 11 ④ 12 ①
니부어의 사회 윤리 만점 공략 노트
13 ① 14 ③ 15 ② 16 ④ 17 ② 18 ④
19 ② 20 ⑴ 니부어  ⑵ 예시답안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더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은 빈출 주제이며, 특히

불어 사회 제도와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니부어의 주장은 사회 윤리적 관점을 잘 보여 주기 때문에 매우

21 ⑴ 갑:롤스 을:노직  ⑵ 예시답안  갑은 사회적 약자를 위 중요하다. 니부어가 제시하는 개인과 집단의 특성을 비교하여

한 재분배(복지 제도)를 찬성하지만, 을은 반대한다. 이해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강

22 ⑴ 칸트  ⑵ 예시답안  형벌은 동등성의 원리에 따라야 하므로 제력(사회 구조와 제도)이 동시에 필요함을 강조했다는 점을 기

살인에 대한 정당한 처벌은 사형 이외에는 없으며, 인간의 존엄성 억해 두어야 한다.

을 존중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기적 충동과 이타적 충동(배려심, 동정심)을 동시에


가진 존재임
개인
01 ㉠은 개인 윤리, ㉡은 사회 윤리이다. 사회 윤리적 관점에 따 •개인은 집단에 비해 어느 정도 도덕적임
•개인의 도덕적 이상은 이타심임 → 도덕성 함양 필요
르면 사회 구조와 제도의 부조리가 윤리 문제의 원인이며, 이
•개인의 이기심은 집단의 구성원이 되면 극대화됨
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 구조와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집단 간 관계는 윤리적이기보다는 정치적임
바로잡기 ④ 사회 윤리적 관점은 개인의 양심과 더불어 사회 구조와 집단 •집단 간 힘의 차이로 사회 갈등이 발생함
제도의 개선을 통해 정의를 실현하고자 한다. •집단 간 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정치적 강제력이 필요함
•집단의 도덕적 이상은 정의임 → 정치적 강제력 필요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 비교 만점 공략 노트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계층 간의 갈등, 빈부 격차, 인종 차별, 05 제시문은 니부어의 주장이다. 그는 개인의 이기심이 집단에
부정부패 문제와 같은 사회 문제는 개인 윤리만으로는 해결하 소속될 경우 더욱 강화되며,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해서는 강제
기 어렵기 때문에 사회 윤리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배 력의 사용이 필요하지만, 합리적인 범위를 벗어나면 안 된다
경을 이해하고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를
고 보았다. 나아가 니부어는 사회 구조와 제도의 개선이 사회
명확히 정리해 두어야 한다.
정의 실현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개인의 도덕성 함양도 함께
개인 •윤리 문제 원인:개인의 양심과 도덕성의 타락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윤리 •윤리 문제 해결:양심, 이타심, 도덕성의 함양
바로잡기 첫 번째 관점:니부어에 따르면 사회의 불의는 도덕적 권
•윤리 문제 원인:사회 구조와 제도의 부조리
사회 고와 더불어 강제력의 사용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윤리 문제 해결:법·정책 마련, 사회 구조와 제도 개선,
윤리
정치적 강제력
06 절대적 평등에 따른 분배는 생산 의욕과 책임 의식을 저하시
킨다는 단점이 있다. 업적, 능력, 필요에 따른 분배도 모두 장
02 ㈎는 사회 윤리적 관점이다. 개인 윤리적 관점은 개인의 도덕 단점이 존재한다. 이처럼 모든 입장에는 장단점이 존재하므
성 함양을 강조하지만, 사회 윤리적 관점은 윤리 문제에 대해 로 어느 한 가지의 기준만으로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어
법과 제도적인 측면의 해결을 강조한다. 려울 수 있다.
바로잡기 ①, ②, ④, ⑤ 개인 윤리적 관점의 해결 방안이다. 바로잡기 ㉠ 절대적으로 평등하게 분배할 경우 분배의 기준을 마련

03 제시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다. 그는 분배적 정의가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또한 구성원에게 기회와 혜택을 동등
하게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절대적으로 평등한 분배
각자의 가치에 비례해야 함을 강조했는데, 각자의 가치는 공
가 이루어질 경우 노력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구성
동체에 기여한 바에 따라 정해진다고 보았다. 따라서 분배적
원의 생산 의욕과 책임 의식을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정의는 기하학적 비례에 따른다.
바로잡기 ㄷ. 절대적 평등에 따른 분배에 관한 설명이다. 07 제시문을 주장한 사상가는 롤스이다. 롤스는 분배의 결과보
ㄹ. 필요에 따른 분배에 관한 설명이다. 다 분배의 절차를 중시하는 절차적 정의를 강조하였다.

바른답·알찬풀이 31
바로잡기 ① 롤스는 차등의 원칙을 통해 최소 수혜자 즉, 사회적 약 바로잡기 ①, ② 왈처는 안전과 복지는 필요에 따라, 돈과 상품은 자
자에 대한 재분배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유 교환에 따라 분배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③ 롤스는 기본적 자유는 결코 침해하면 안 된다고 보았다. ③ 왈처는 공동체의 역사적·문화적인 맥락에 따른 다양한 정의 기준
④ 롤스에 따르면 개인의 소유 권리는 기본적으로 보장받아야 하지만, 이 존재하며, 사회적 가치의 의미도 공동체마다 다를 수 있다고 본다.
천부적 재능의 분포는 사회의 공동 자산이므로 사회적 약자에게 도움 ⑤ 복합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사회적 가치가 다른 영역
이 되는 경우에만 그에 따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을 침범하지 않아야 한다.
⑤ 롤스의 사상은 자유주의에 바탕을 둔 것으로 정의가 실현되어도
불평등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11 제시문은 필요에 따른 분배를 강조한 마르크스의 주장이다.
필요에 따른 분배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08 갑은 노직, 을은 롤스이다. 노직은 개인의 소유 권리의 절대성 있지만, 모든 구성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을 강조하여 근로 소득에 대한 과세와 재분배 정책을 반대한 어려우며, 근로 의욕을 감소시켜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 반면 롤스는 경제적 불평등이 사회적 약자의 처지를 개선 는 단점이 있다.
해 주는 경우에만 허용될 수 있다고 보면서 국가의 재분배 정 바로잡기 ㄷ. 업적에 따른 분배의 장점이다.
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노직은 자유 지상주의, 롤스는 자유주
의를 바탕으로 정의가 실현되어도 불평등이 존재할 수 있음을 12 제시문은 소수 집단에 대한 적극적 우대 조치의 사례이다. 적
극적 우대 정책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적극적 우대 정책이 과
인정한다.
거의 차별에 대한 보상을 실시하여 사회적 긴장 완화와 행복
바로잡기 ㄴ. 노직과 롤스는 정의 실현을 위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한다.
증진에 기여하며, 사회적 약자에게 유리한 기회를 보장함으
롤스와 노직의 사상 비교 만점 공략 노트 로써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분배 정의에 대해 롤스와 노직은 서로 다른 견해를 제시한다. 바로잡기 ㄷ, ㄹ. 적극적 우대 정책을 반대하는 논거이다.

두 사상가의 견해를 비교하는 문제는 빈출 주제이므로 각 사상


적극적 우대 정책, 부유세에 대한 찬반 입장의 논거 만점 공략 노트
가의 입장을 정확히 파악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정리
해 두어야 한다. 분배 정의와 관련하여 적극적 우대 정책과 부유세에 대한 찬반
논쟁은 빈출 주제이며, 학교 시험에서는 서술형 문제로 출제될
구분 롤스 노직
수 있다. 이러한 제도를 지지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를 명확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차이점 하게 정리해 두자.
제도 찬성 제도 반대
•정의가 실현되어도 불평등이 존재할 수 있음 구분 찬성 논거 반대 논거
공통점 •정의 실현을 위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함 •또 다른 차별 초래
•기본적 자유는 결코 침해될 수 없음 적극적 •보상의 논리 •잘못이 없는 현세대가
우대 •재분배의 논리 보상 책임을 지는 것은
정책 •공리주의 논리 부당함
•업적주의 위배
09 갑은 노직, 을은 롤스이다. 노직과 롤스는 모두 절차적 정의를
•부의 재분배를 통한 불
강조한 사상가이다. 두 사상가 모두 분배의 절차가 공정하면
평등 해소 •개인의 재산권 침해
그 분배는 결과와 관계없이 공정하다고 본다. 부유세
•빈부 격차 완화와 사회 •업적주의 위배
바로잡기 ① 롤스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통합 실현
③ 노직은 부정, 롤스는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④ 노직은 긍정, 롤스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노직은 소유 권리
의 절대성을 강조하는 반면, 롤스는 부유한 사람의 소유 권리는 사회
13 분배 정의 실현과 관련하여 부유세의 도입 여부에 대한 윤리
적 쟁점이 있다. 이러한 조세 정책을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부
적 약자를 위해 제한될 수 있다고 본다.
⑤ 노직은 부정, 롤스는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무지의 베일이란 의 재분배를 통해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거두
사회적 기본 가치들을 분배하는 가상의 상황에서 이해관계에 영향을 어들인 세금을 사회적 약자의 복지를 위해 사용하면 빈부 격
끼칠 수 있는 개인적 정보를 마치 베일을 씌우는 것처럼 없애는 것을 차를 완화하여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유한 말이다. 바로잡기 ㄷ, ㄹ. 부유세 도입을 반대하는 논거이다.

10 제시문은 복합 평등을 주장한 왈처의 주장이다. 복합 평등이 14 ㉠은 응보주의이다. 응보주의에 따르면 처벌은 범죄 행위에
란 특정 영역의 사회적 가치가 지배적 역할을 하여 다른 영역 대한 인과 응보적 응징이다. 따라서 범죄 행위에 상응하는 동
을 획득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자신의 고유한 영역 등한 해악을 가하는 것이 처벌의 본질이다.
안에 머무르는 것을 말한다. 바로잡기 ①, ②, ④, ⑤ 공리주의의 입장이다.

32 바른답·알찬풀이
15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다. 칸트는 대표적인 응보주의 사상 사형 제도에 대한 입장 만점 공략 노트
가로 형벌의 정도는 범죄의 해악과 일치해야 하며, 아무리 범
사형에 대한 칸트, 루소, 베카리아의 입장을 비교하는 문제는
죄자라도 범죄 예방을 위한 수단으로 취급받지 않아야 한다 빈출 주제이며, 난이도도 높게 출제된다. 각 사상가의 입장을
고 본다. 명확히 이해하고, 다른 사상가의 입장과 비교하여 꼼꼼하게 정
바로잡기 ㄴ, ㄷ. 공리주의의 입장이다. 리해 두어야 한다.

16 제시문은 벤담의 주장이다. 공리주의자인 벤담에 따르면, 모 구분 칸트 루소 베카리아

든 형벌은 고통을 초래하므로 악이지만, 범죄자가 형벌을 받 주장 사형 제도 찬성 사형 제도 찬성 사형 제도 반대

으면서 느낄 고통보다 사회의 이익이 크면 형벌은 정당화될 •응보주의 •사회 계약(살인 •형벌의 강도보다
•동등성의 원리 자 처형에 동의) 지속성이 중요
수 있다. 또한 형벌을 일종의 본보기라고 하면서 형벌이 지닌 근거 •사 형은 살인자 •살 인자는 정당 •종 신 노역형이
예방적 효과에 주목하였다. 의 존엄성을 존 한 사회 구성원 사형보다 예방
중하는 것 이 아님 에 효과적임
바로잡기 ㄹ. 칸트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7 자료 분석 노트
19 자료 분석 노트
루소
갑:사회 계약의 목적은 계약자의 생명 보존에 있다. 이를 위
루소임을 알 수 있다. 칸트임을 알 수 있다.
해 모든 것을 공동체에 양도함으로써 일반 의지의 감독하
타인의 희생으로 자기의 생명을 형벌의 법칙은 하나의 정언 명령이다.
루소가 주장하는 국가의 생명 박탈권의 근거이다.
보존하려고 하는 사람은 그래서 형벌은 범죄자가 범죄를
에 둔다. 살인을 저질러 계약을 위반한 자는 공공의 적으 타인을 위해 자신도 희생해야 저질렀다는 이유 때문에 가해져야 한다.
한다는 데 동의해야 한다. 형벌의 종류와 정도는 어느 한쪽으로
로 간주되어야 한다. 루소는 살인자는 정당한 사회 구성원이 아니므로 코끼리의
그는 일반 의지로부터 기울어지지 끼코 원리에 따라
의리평등의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보았다. 모양이 이양모않는
무와 같한다.
규정된 법을 따라야 구같 와무 한다.
을:법의 일반적 목적은 해악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구나. .나결정되어야
벤담 범죄 예방과 사회 질서 유지 등을 말한다.
형벌은 악이다. 공리의 원칙에 의하면, 형벌이 허용될 수
벤담은 형벌이 고통을 초래하지만
사회적 유용성이 있으므로 필요악이라고 본다.
루소 - 갑 을 - 칸트
있는 경우는 그것을 통해 더 큰 악을 제거하는 것이 보장
될 때뿐이다.
갑은 루소, 을은 칸트이다. 루소와 칸트는 모두 사형 제도를
찬성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살인자에 대한 국가의 생명 박탈
갑은 루소, 을은 벤담이다. 루소는 사회 계약의 관점에서 사
권을 인정한다.
형 제도를 찬성한다. 그에 따르면 사회 계약 과정에서 사람들
바로잡기 ① 베카리아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은 살인자로부터 자신의 생명을 보호받기 위해 국가에 살인
③ 칸트만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루소는 사형 제도를 계약론에
자에 대한 생명 박탈권을 부여한다. 한편 공리주의 사상가인
근거하여 사회 방위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보았다.
벤담에 따르면, 모든 형벌은 사회적 유용성을 증진하기 위한 ④ 칸트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그는 사형이 범죄자가 스스로
수단이다. 그러나 형벌을 통해 얻으려는 유용성보다 처벌로 인 한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게 함으로써 존엄성을 존중하는 것이
한 고통이 지나치게 클 경우 형벌은 정당화되기 어렵다. 라고 보았다.
바로잡기 ㄴ, ㄹ. 응보주의의 입장이다. ⑤ 공리주의 입장에서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8 갑은 베카리아, 을은 칸트이다. 베카리아는 국가의 생명 박탈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사회 구조와 제도
권을 부정하기 때문에 사형을 반대한다. 또한 형벌의 범죄 예 의 개선을 모두 서술하면 만점이다.

방 효과는 강도보다 지속성에 있기 때문에 사형보다는 종신 이렇게 쓰면 감점 ⑵ 개인의 도덕성 또는 사회 구조와 제도의

노역형이 더욱 효과적인 형벌이라고 보았다. 반면 칸트는 살 개선 중 한 가지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인에 대한 정당한 처벌은 사형 이외에는 없음을 강조하고, 사 21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분배에 대해 롤스


형은 동등성의 원리에 부합하며, 사형이 범죄자의 존엄성을 는 찬성, 노직은 반대임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존중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바로잡기 ① 갑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22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칸트는 응보주의 사상가라는 사실을 바
탕으로 동등성의 원리에 따라 살인에 대한 정당한 처벌은 오
②, ⑤ 을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직 사형임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③ 갑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베카리아는 국가의 형벌권은 사
회 계약에서 비롯되지만, 국가가 국민의 생명을 박탈할 권한은 없으며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칸트가 주장하는 사형 찬성 논거가 아닌
사형은 국민에 대한 선전 포고라고 주장하였다. 일반적인 사형 찬성 논거를 서술하면 감점이다.

바른답·알찬풀이 33
122~123 쪽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03 분배 정의에 대한 다양한 관점 자료 분석 노트
01 ② 02 ③ 03 ③ 04 ③ 아리스토텔레스
갑:분배적 정의는 가령 사람 a와 b가 각각 물건 c와 d를 얻기
전과 후의 비율이 동등할 때 성립한다는 점에서 기하학적
01 적극적 우대 정책 찬반 논쟁 자료 분석 노트
비례를 추구하는 것이다. 분배적 정의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각자의
가치에 비례하여 각자에게 각자의 몫이
노직 주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적극적 우대 정책은 오랫동안 부당한 차별로 고통받았던 을:개인의 타고난 자산이 도덕적 관점에서 볼 때 임의적이건
또 다른 차별을 가져옵니다. 사람들에게 응분의 보상을 하는 것은
사회적 약자라는 이유만으로 기회의 정당한 처사입니다. 우리는 좀 더 아니건 간에, 개인은 그 자산에 대한 소유 권리를 지닌다.
평등에서 예외를 인정하거나, 적극적으로 사회 전체의 노직은 개인의 소유 권리를 최우선으로 보장하는 것이 사회 정의라고 본다.
과거의 불평등을 잘못이코없는
끼리의
후대에게 코
리끼행복을
평화와 증진하는 등
무와 같구
모양이 이양모 의 또한 이로부터 나오는 것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책임지우는 것은 부당합니다. 나. 여러 같 와무가치를 실현해야 합니다.
사회적
.나구
병:개인의 타고난 재능의 분포는 응분의 것이 아닌 사회 공동
역차별이 나타날 수 실질적 평등의 실현이
있음을 의미한다. 중요함을 의미한다. 롤스 의 자산으로 간주해야 한다. 더 불운한 자들의 선에 도움
갑 을 이 되는 한에서만 그 행운으로부터 이익을 취할 수 있다.
롤스는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복지 정책 등을 통해
사회 정의를 구현해야 한다고 보았다.
갑은 적극적 우대 정책을 반대하는 입장이고, 을은 찬성하는
입장이다. 적극적 우대 정책을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적극적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를 일반적 정의와 특수적 정의로 나누
우대 정책이 업적주의에 위배되고, 과거의 차별에 대한 책임 고, 특수적 정의를 분배적 정의와 교정적 정의로 구분하였다.
을 현세대가 부담하는 것은 부당하며, 역차별이 생겨날 수 있 노직의 경우 취득과 이전의 과정이 공정하면 그 소유물에 대
다고 주장한다. 반면 적극적 우대 정책을 찬성하는 입장에서 해 개인은 배타적인 소유 권리를 가지며, 이러한 권리를 보장
는 과거의 부당한 차별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며, 차별을 줄이 하는 최소 국가를 정의롭다고 보았다. 롤스는 천부적 재능(지
기 위해 인종, 종교, 성별 등의 다양성이 확대되어야 하며, 사 능, 체력 등)의 분포를 공공의 자산으로 보아, 이를 통해 유리
회적 격차 해소와 갈등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한 지위를 차지한 사람들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책임을 강조
바로잡기 ㄴ, ㄹ. 을은 적극적 우대 정책을 통해 실질적 평등이 실현 하였다. 노직과 롤스는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의 기본적 자유
되어야 하며, 업적주의가 사회적 약자의 불리한 여건 개선에 도움이 를 침해할 수 없다고 본다는 공통점이 있다.
되지 않는다고 본다. 바로잡기 ③ 롤스에 따르면 천부적 재능 분포의 우연성은 정의와 부

02 니부어의 사회 윤리 자료 분석 노트
정의를 이야기할 수 없는 자연적 사실에 불과하다.

집단과 집단 사이의 관계는 항상 윤리적이기보다는 지극히 정 04 사형 제도에 대한 다양한 견해 자료 분석 노트


니부어에 따르면 집단 간 힘의 차이로 인해 집단 간의 관계는 정치적이다.
치적이다. 모든 도덕주의자들은 인간의 집단 행동이 지닌 야 갑:모든 형벌은 강도, 지속성, 보편성을 근거로 과도하지 않
양심이나 이타심 등의 개인 윤리를 강조하는 사람들로, 집단 간의 문제는 정치 게 집행되어야 한다. 형벌의 가장 중요 목적은 처벌을 본
적 강제력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이다.
벤담은 처벌이 고통을 주는 악이라고 보고,
수적 성격과 모든 집단적 관계들에 있는 집단적 이기주의의 힘 범죄자라 할지라도 지나치게 가혹한 처벌에는 반대한다.
에 대한 이해를 결여하고 있다. 그들은 사회적 갈등이 인류 역 보기로 삼아 전체의 효용을 증진하는 것이다.
벤담은 처벌이 범죄 예방에 기여할 때 가치가 있다고 본다.
사에서 불가피한 것임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니부어에 따르면 집단은 이기심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개인보다 떨어지기
을:…… 사형은 살인범의 인간성을 훼손할 수 있는 모든 가혹
때문에 사회 갈등은 불가피하다. 행위로부터 살인범의 인격을 존중하는 것이다.
칸트는 사형이 살인자로 하여금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라고 본다.
병:…… 형벌의 강도보다 지속성이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을
제시문은 니부어의 주장이다. 니부어에 따르면 개인의 도덕
베카리아는 지속적으로 살인범에게 고통을 주는
준다.
적 이상은 이타심이며, 사회의 도덕적 이상은 정의이다. 또한 종신 노역형이 사형보다 범죄 예방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본다.

개인 간 갈등은 양심이나 도덕성을 발휘하여 도덕적이고 합


리적인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지만, 집단 간 갈등은 개인적 갑은 벤담, 을은 칸트, 병은 베카리아이다. 벤담은 공리주의

합리성이나 이타적 양심보다는 사회 구조와 제도의 개선, 정 적 관점에서 지나치게 과도한 처벌에는 반대하였다. 칸트는

치적 강제력 등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니부 처벌의 정도는 범죄의 해악에 비례해야 한다는 동등성의 원

어는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해서는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더불 리를 강조하였다. 베카리아는 처벌의 효과가 강도보다는 지

어 사회 구조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보았다. 속성에 있으며, 처벌의 목적은 범죄 예방에 있으므로 종신 노
역형이 그러한 목적에 잘 부합한다고 보았다.
바로잡기 ③ 니부어는 개인의 도덕적 선의지만으로는 사회 정의가
실현되기 어려우며, 사회 제도와 정책의 개선과 정치적 강제력 등이 바로잡기 ㄱ. 벤담은 사회 전체의 이익을 중시하였다.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본다. ㄹ. 칸트는 처벌이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되면 안 된다고 보았다.

34 바른답·알찬풀이
바로잡기 ㄱ. 국가의 권위에 대한 유교의 입장이다.
국가와 시민의 윤리
ㄴ. 국가의 권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이다.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130 쪽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한비자  ⑵ 최소 수
04 ㈎ 사상가는 로크이다. 로크는 사회 계약설을 바탕으로 국가
권위의 근거를 시민 간 동의라고 본다. 이에 따라 국가는 권
혜자  ⑶ 역성혁명  ⑷ 로크  ⑸ 법에 대한 충실성   03 ⑴ ㉢
위를 가지게 되며, 시민에게 다양한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⑵ ㉡  ⑶ ㉠
바로잡기 ② 중세 그리스도교의 입장이다.
③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이다.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131~135 쪽
④ 로크는 노동을 통해 생겨난 이익이나 사유 재산에 대한 권리를 중
01 ① 02 ③ 03 ③ 04 ① 05 ③ 06 ③ 요하게 생각한다.
07 ③ 08 ② 09 ④ 10 ⑤ 11 ④ 12 ① ⑤ 자연 상태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로 본 사상가는 홉스이다.
13 ⑤ 14 ④ 15 ① 16 ① 17 ④ 18 ⑤
19 ⑴ 아리스토텔레스  ⑵ 예시답안  국가는 인간 본성에 따라 성 사회 계약설과 국가 만점 공략 노트

립된 것이므로 자연스럽게 권위를 가진다. 사회 계약설은 국가의 형성, 국가의 권위, 시민의 의무 등 인간
20 ⑴ 갑:로크 을:맹자  ⑵ 예시답안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 의 국가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제공하는 중요한 사상이
지 않는 권력은 국민에 의해 교체되어야 한다. 다. 홉스, 로크, 루소의 사상을 비교하여 꼼꼼하게 정리해 두자.
21 ⑴ 갑:소로 을:롤스  ⑵ 예시답안  갑은 개인의 양심, 을은
•홉스: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
공유된 정의관을 시민 불복종의 근거라고 본다.
•로크:자연권(생명, 자유, 재산)이 어느 정도 보장되지
자연
만 분쟁 가능성이 있음
상태
01 ㈎ 사상은 공리주의이다. 공리주의에 따르면 국가의 법을 지 •루소:평화롭고 목가적인 상태 → 사유 재산으로 인해
불평등 발생
켜야 하는 이유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서
•홉스:자연권 양도
이다. 동의
•로크:자연권 위임(저항권의 근거)
(계약)
바로잡기 ② 자연법의 입장이다. •루소:일반 의지(공동선)를 따르기로 함
③ 인간 본성에 의해 국가의 권위와 법을 정당화하는 관점이다. •홉스:절대 군주제(절대적 권위)
④ 사회 계약설의 관점이다. 국가 •로크:입헌 군주제(시민의 저항권 인정)
⑤ 그리스도교의 관점이다. •루소:직접 민주주의

02 ㈎ 사상가는 아리스토텔레스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본성


적으로 국가 공동체를 구성하며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살아갈 05 제시문은 맹자의 주장이다. 그는 민본주의를 바탕에 둔 정치
때만 자아를 실현할 수 있다. ①은 사회 계약설, ②는 천명의 를 강조하였으며, 군주는 백성의 생업을 보장해야 할 책임이

관점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니요’라고 답할 것이므로 A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하다. 바로잡기 ㄱ. 묵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ㄹ. 한비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바로잡기 ③ 묵자의 입장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니요’라고 대답
할 것이므로 B에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하지 않다.
06 제시문의 스승은 소크라테스이다. 그는 시민의 준법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와 국가의 권위 만점 공략 노트 약속과 국가로부터 받은 혜택으로부터 국가 권위의 정당성을
찾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 이론은 빈출 주제이다. 국가 공동체에
대한 그의 입장을 충분하게 이해하고 다른 사상가들의 관점과 바로잡기 ① 사회 계약설의 입장이다.
비교하여 명확히 알아 두어야 한다. ② 로크의 입장이다.
④ 마르크스의 입장이다.
•인간은 정치적 동물:인간은 본성적으로 국가를 구 ⑤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이다.
인간 본성과
성하는 존재
공동체
•가족 공동체 → 촌락 공동체 → 국가 공동체(완성)
07 제시문은 국가가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에 대해 설명하는 내
인간은 국가 공동체 안에서만 자아를 실현하고 최선의
국가 권위 용이다. 혜택론에 따르면 국가가 제공하는 공공재와 관행의
삶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는 권위를 가짐
혜택이 국가 권위를 정당화하는 근거이다.
바로잡기 ① 국가 권위의 근거를 천명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
03 제시된 사상은 사회 계약설이다. 사회 계약설에 따르면 국가 ② 그리스도교적 관점이다.
는 시민의 자발적 동의에 의해 생겨난 것이므로, 국가의 권위 ④ 자연법적 관점이다.
는 시민을 위해 발휘될 때 도덕적 정당성을 갖는다. ⑤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이다.

바른답·알찬풀이 35
08 제시문은 공자의 사상이다. 그는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먼 13 제시문은 홉스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자연 상태에서 인간
저 군자다운 덕을 갖추고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보았다. 나 은 자기 보존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계약을 통해
아가 재화의 고른 분배가 실현되고, 사회적 약자들이 돌봄을 국가를 형성한다. 따라서 국가의 의무는 시민의 자기 보존 욕
받는 대동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고 보았다. 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다.
바로잡기 ㄴ. 법과 벌을 강조한 한비자의 입장이다. 바로잡기 ① 홉스, 로크, 루소 등의 사회 계약설을 주장한 사상가들은
ㄹ. 겸애를 강조한 묵자의 입장이다. 국가를 목적이 아니라 시민을 위한 수단이라고 본다.
② 홉스에 따르면 자연 상태는 인간이 서로에게 적이 되는 혼란한 상
09 갑은 맹자, 을은 묵자이다. 맹자는 군주가 민본주의를 바탕으 태이다.
로 왕도 정치를 실천해야 함을 강조하였고, 묵자는 겸애를 통 ③ 홉스는 인간이 사회를 형성한 까닭은 자기 보존의 필요성을 느꼈
해 사회 혼란을 극복해야 한다고 보았다. 기 때문이라고 본다.
바로잡기 ④ 묵자는 자신과 타인, 자가(自家)와 타가(他家), 자국과 타 ④ 저항권을 인정한 사상가는 로크이다.
국을 똑같이 사랑할 때 천하의 혼란이 해결된다고 본다.
14 제시문은 롤스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국가는 개인의 기본
10 갑은 한비자, 을은 공자이다. 한비자는 강력한 법과 통치술을 적 자유를 보장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재분배와 복지 정책
통해 이기적 본성을 지닌 백성을 다스릴 때 사회 질서가 유지
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국가는 다수의 정의관에 부합하는 법
된다고 보는 반면, 공자는 군주의 덕으로 백성을 교화하고 예
을 시행할 의무가 있으며, 이와 같은 질서 정연한 사회를 실
로써 다스리면 사회 질서가 유지된다고 보았다.
현해야 한다.
바로잡기 ① 묵자의 입장이다.
바로잡기 ㄹ. 롤스는 질서 정연한 사회에도 불평등이 있을 수 있다는
② 맹자의 입장이다.
것을 인정하기 때문에 경제적 불평등의 제거는 국가의 의무에 포함되
③, ④ 한비자의 입장이다.
지 않는다.

11 제시문은 로크의 주장이다. 로크에 따르면 자연 상태에서 인


간은 생명, 자유, 재산에 대한 권리를 누리지만, 이러한 권리 15 갑은 소로, 을은 롤스이다. 소로는 개인의 양심을 시민 불복
종의 정당화 근거로 보아 양심에 어긋나는 법이나 정책이 존
가 완전하게 보장되지는 못하기 때문에 계약을 통해 국가를
재할 경우 즉각 불복종해야 한다고 보았다. 롤스는 법에 대한
형성한다. 따라서 사회 계약으로 형성된 국가는 시민의 자연
충실성의 한계 내에서 일부 부정의한 법이나 정책이 불복종
법적 기본권인 생명, 자유, 재산을 보호할 권리가 있다. 만일
의 대상이 된다고 보았다.
국가가 이러한 임무를 망각하고 시민의 자연권을 함부로 침
해한다면 시민은 이에 대해 저항할 권리를 갖는다. 바로잡기 ㄴ. 롤스는 시민 불복종이 법에 대한 충실성의 한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라고 보았다.
바로잡기 ㄱ, ㄷ. 홉스의 입장이다.
ㄹ. 롤스는 시민 불복종이 비폭력적일 때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았으

12 갑은 로크, 을은 맹자이다. 로크와 맹자는 모두 시민을 위하 므로 갑, 을의 공통 입장이 아니다.

지 않는 국가 권력의 교체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소로와 롤스의 시민 불복종 만점 공략 노트
바로잡기 ㄷ. 성선설을 주장한 맹자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ㄹ. 로크와 맹자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소로와 롤스의 시민 불복종 이론은 빈출 주제이며 매우 까다로
운 주제이기 때문에 정확히 이해해 둘 필요가 있다. 각 사상가
로크와 맹자의 사상 비교 만점 공략 노트 의 주장을 전체적으로 이해한 뒤 세세한 내용들을 꼼꼼하게 정
로크와 맹자의 사상은 매우 중요한 빈출 주제이다. 각각의 사상 리해 두어야 한다.
가의 입장에서 국가의 성립과 권위의 정당성에 관해 어떻게 주 사상가 시민 불복종에 대한 입장
장하는지 살펴보고 공통점을 숙지해 두어야 한다.
•개인의 양심이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근거
소로
구분 로크 맹자 •법에 대한 존경심보다는 정의에 대한 존경심 강조

국가의 자연권을 보장받고자 하 백성을 위한 정치를 실천 •공공의 정의관이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근거


성립 는 시민의 동의 하라는 하늘의 뜻 •청원 등의 방법을 동원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할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
국가 권위는 민본주의에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기회균등의 원칙에 대한 심각한
국가의 국가 권위는 시민을 위한 롤스
바탕을 둔 정치를 할 때 위반이 있을 때
권위 정치를 할 때 정당함
정당함   (단, 차등의 원칙에 따른 시민 불복종은 인정하지 않음)
시민과 백성을 위하지 않는 국가 권력은 교체의 대상이 •체제 붕괴(정치 체제의 변혁)를 도모하는 행위는 시민
공통점
됨 (로크–저항권, 맹자–역성혁명) 불복종이 아님

36 바른답·알찬풀이
16 ㉠은 참여이다. 시민의 참여는 간접적으로만 시민의 의사가 제시문은 롤스의 주장이다. 롤스에 따르면 시민 불복종은 법
반영되는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이나 정부의 정책에 변혁을 가져올 목적으로 행해지는 공공
있다. 적이고 비폭력적이며 양심적이기는 하지만 법에 반하는 정치
바로잡기 ① 참여를 통해 시민의 의사가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 직 적 행위이다. 따라서 정부 정책이 공유된 정의관에 현저히 위
접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배될 때 시민 불복종을 통해 바로잡아야 한다고 본다.
④ 롤스에 따르면 시민 불복종은 정부의 법이나 정책에 대
17 제시문은 영국이 시행한 소금법의 부당성을 알리고자 한 간
바로잡기

한 변화를 도모하는 정치적 행위이다.


디의 불복종 운동이다. 이 사례에서 알 수 있는 시민 불복종
의 정당화 조건은 행위 목적의 정당성(영국의 부당한 법을 거 02 로크와 루소의 사회 계약설 자료 분석 노트
부하고 인도 국민의 공익 증진), 비폭력성, 최후의 수단, 처벌
감수 등이다. 갑:국가의 단일한 최고 권력인 입법부는 사회에서 인민의 생
명, 자유, 재산을 보존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행정권이 이
바로잡기 ④ 시민 불복종의 궁극적인 목적은 정치 체제의 변혁이 아
러한 입법부의 업무를 무력에 의해서 방해할 때 인민은 그
니라 부당한 법이나 정책의 개선이다.
것을 무력에 의해서 제거할 권리뿐만 아니라 예방할 권리
18 제시문은 롤스의 주장이다. 그는 시민 불복종이 사회적 다수 도 가진다. 로크의 저항권 사상이다.
에 의해 공유된 정의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 을:우리 각자는 신체와 모든 힘을 공동의 것으로 삼아 일반

한 법에 대한 충실성의 한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은밀히 의지의 최고 지도 아래에 둔다. 다수의 사람이 결합하여
공동선을 말한다.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공개적으로 이루어지는 행동이어야
스스로 일체를 형성한다고 생각하는 한, 그들은 ‘공동의
한다고 보았다. 보전’과 ‘일반적 복지’에 대한 관심이라는 단 하나의 의지
바로잡기 ⑤ 롤스에 따르면 사민 불복종은 사회적 다수의 정의관(= 일반 의지의 구체적인 내용이다.
만을 갖는다.
공공의 정의관, 공유된 정의관)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종교
적 가르침이나 개인적 신념에 따른 시민 불복종은 인정하지 않는다. 갑은 로크, 을은 루소이다. 루소와 로크는 국가의 권위와 시

19 이렇게 쓰면 만점 아리스토텔레스는 국가 권위의 근거를 인간 민의 의무의 근거를 사회 계약에서 찾으며, 자연권이 인간에

본성에서 찾는다는 점을 명시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게 천부적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본다.


바로잡기 ①, ④ 홉스의 입장이다.
20 이렇게 쓰면 만점 로크와 맹자는 공통적으로 부당한 권력에 대 ③ 로크와 루소 모두 자연권을 천부적인 권리라고 보았다.
한 저항권을 인정했음을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⑤ 로크는 사회 계약 이후에 국가가 시민의 생명, 재산, 자유의 보장과

21 이렇게 쓰면 만점 소로는 ‘개인의 양심’, 롤스는 ‘공유된 정의 같은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저항할 권리가 있다고 보았다.

관’을 명시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03 민본주의와 민주주의 비교 자료 분석 노트
백성을 위하고 백성을 사랑한다는 뜻이다.
㈎ 위민(爲民)과 애민(愛民)을 기본 정신으로 하는 정치사상으
  로,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며, 근본이 견고해야 나라가 평안
민본주의 사상의 핵심이다.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136~137 쪽
  하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01 ④ 02 ② 03 ① 04 ③ ㈏ 국민의 자유와 평등의 가치 실현을 중시하는 정치사상으로
민중을 뜻하는 ‘데모스(demos)’와 지배를 뜻하는 ‘크라토스
민주주의(democracy)의 어원이다.
(kratos)’가 합쳐져 구성되었다.
01 롤스의 시민 불복종 자료 분석 노트

거의 정의롭지만 정의에 대한 심각한 위반이 발생하기도 하는



 는 민본주의 사상, ㈏는 민주주의 사상이다. 민본주의는

사회에서 시민 불복종이 성립합니다. 시민 불복종은 신중하고 백성을 나라의 근본으로 여기는 사상으로 국가의 권위는 하
시민 불복종은 법이나 정책이 심각하고 현저하게 정의에 어긋날때만 정당화된다. 늘로부터 부여받은 것으로 본다. 민주주의는 주권이 국민에
양심적인 정치적 신념의 표현인 청원의 한 형태이므로 공개 석
게 있음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국가의 권위는 국민으로부터
시민 불복종은 공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에서 이루어지며, 어떤 개인적 도덕 원칙이나 종교적 교설 유래된다고 본다. 민본주의 사상과 민주주의 사상은 국민을
이 아닌 공유된 정의관에 의거해야 합니다. 정당한 시민 불복 위한 정치를 지향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한다는 공통점
롤스는 공유된 정의관에 의한 시민 불복종만을 인정한다.
이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 사상이 국민을 정치 참여의 주체로
종이 시민 화합을 해치는 것으로 보이면, 그 책임은 불복종하는
본다면, 민본주의 사상은 백성을 군주가 부여한 의무에 따르
자들이 아니라 권위와 권력을 남용한 자들에게 있는 것입니다.
는 수동적인 존재로 파악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바른답·알찬풀이 37
바로잡기 ㄷ. 민본주의 사상만의 특징이다. 민주주의 사상은 국가의 유형 2  분배 정의에 대한 세 가지 입장 비교하기
통치권은 국민으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본다. 갑은 아리스토텔레스, 을은 롤스, 병은 노직이다. 아리스토텔레스
ㄹ. 민주주의 사상만의 특징이다. 민본주의 사상은 백성을 통치의 대
에 따르면 명예, 재화, 지위 등은 각자의 가치에 따라 분배되어야
상으로 인식한다.
하며, 이는 기하학적 비례를 추구하는 것이다. 롤스는 공정한 절

04 아리스토텔레스와 국가의 권위 자료 분석 노트 차에 따른 분배를 강조하였다. 그는 사회적 가치가 분배되는 가상


적 상황인 원초적 입장에서 사람들이 합의한 원칙에 따를 때 정의
국가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공동체들의 완성이다. 자신의 본 로운 분배가 실현된다고 보았다. 노직은 취득과 이전의 과정이 정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구성하는 공동체는
가족, 촌락의 단계를 거쳐 국가에서 완성된다고 본다. 당하면 그 과정을 통해 얻은 개인의 소유물에 대해서는 절대적 권
성상 국가의 구성원이 될 수 없거나 이미 자족해서 그럴 필요 리가 발생하며, 이러한 권리를 보장하는 최소 국가만이 정당하다
국가는 인간의 본성에서 자연스럽게 비롯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가 없는 존재는 보잘것없는 존재이거나 인간 이상의 존재이 고 보았다.
다. 인간만이 서로 도와줄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국가를 이루 선택지 분석

길 원한다. 국가가 존재하는 목적은 단지 물질적 필요의 충족 ㄱ. A:분배적 정의만이 비례를 추구하는 특수적 정의인가?
만은 아니다. 그것만이 국가의 목적이라면 노예나 짐승의 국 →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특수적 정의에는 분배적 정의와 교정적 정의가 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국가는 개인의 자아실현과 행복에 기여한다. 분배적 정의는 기하학적 비례를, 교정적 정의는 산술적 비례를 추구한다.
가도 존재할 수 있다. ㄴ. B:경제적 불평등은 모두에게 이익이 되어야 정당한가?
→ 롤스에 따르면 경제적 불평등은 모두에게 이익이 되어야 정당하다. 노직은 경제적
불평등은 그 자체로 당연한 것이고 이를 시정하려는 노력은 부당한 것이라고 본다.
제시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다. 그는 국가 권위의 근
ㄷ. C:원초적 입장에서 개인은 모두의 이익에 관심을 갖는가?
거를 인간 본성에서 찾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인간 → 롤스에 따르면 원초적 입장에서 개인은 타인의 이익에는 무관심하다.
은 본성적으로 공동체를 구성하는 정치적 동물이며, 그 속에 ㄹ. D:개인의 자연적 재능을 공동의 소유물로 여기는 것은 부당한가?
서 자아를 실현하고 행복을 이룰 수 있다. → 노직은 뛰어난 자연적 재능으로 생겨난 이익도
모두 개인의 정당한 소유물이라고 본다.
바로잡기 ㄱ. 국가 권위의 근거를 동의에서 찾는 입장이다.
유형 3  사형 제도에 대한 두 가지 입장 비교하기
ㄹ. 국가 권위의 근거를 공공재와 관행의 혜택에서 찾는 입장이다.
갑은 베카리아, 을은 칸트이다. 베카리아는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형벌의 목적은 범죄 예방에 있음을 강조하고, 범죄 예방은 형벌의

138~139 쪽
강도보다 지속성이 더 좋은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살인자에 대
수능  특강
해서는 사형보다 종신 노역형이 더 적절한 처벌이라고 주장하였
유형 1   ⑤ 유형 2   ② 유형 3   ⑤ 유형 4   ③
다. 또한 그는 시민이 국가와 계약을 맺을 때 국가에 생명권을 양
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국가는 사형 집행의 권리가 없다고 보았다.
유형 1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 비교하기
반면 칸트는 이성적이고 자율적인 인간이 스스로 살인을 의욕했
갑은 칸트, 을은 니부어이다. 칸트는 그 자체로 선한 것은 선의지
다면 그에 대한 정당한 처벌은 오직 사형뿐이라고 주장하였다. 나
뿐이며, 선의지에 따른 행위만이 도덕적 행위임을 강조한다. 한편
아가 그는 사형이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해 주
니부어는 정의의 실현을 위해서는 개인의 도덕성 함양과 더불어
어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처벌임을 강조하였다.
비합리적인 수단을 동원할 수 있음을 인정하지만, 이는 반드시 선
선택지 분석
의지의 통제를 받아야 함을 강조한다.
① 형벌의 목적은 응분의 보복이 아니라 범죄의 예방에 있는가?
선택지 분석 → [갑:긍정, 을:부정] 베카리아는 형벌의 목적이 범죄 예방에 있다고 보는 반면,
칸트는 응분의 보복이라고 본다.
① 갑은 오직 결과를 고려한 행위만이 도덕적 행위라고 본다.
→ 칸트는 결과를 고려한 행위는 도덕적 행위가 될 수 없다고 본다. ② 사형은 유용성의 원리가 아니라 인간 존중의 이념에 위배되는가?
→ [갑:부정, 을:부정] 베카리아는 사형이 유용성의 원리에 위배된다고 보는 반면,
② 을은 진정한 정의는 선의지만으로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고 본다. 칸트는 사형이 인간 존중의 이념에 부합한다고 본다.
→ 나부어에 따르면 정의는 선의지와 같은 개인의 도덕성과 더불어
사회 구조와 제도의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③ 사형제는 다른 효과적인 형벌 제도가 있으므로 폐지되어야 하는가?
→ [갑:긍정, 을:부정] 베카리아는 사형보다는 종신 노역형이 더욱 효과적인 형벌
③ 갑은 을과 달리 사회 구조가 개인 행위의 도덕성을 좌우할 수 있다고 본다. 임을 강조하는 반면, 칸트는 응보주의의 관점에서 사형 제도의 존속을 주장한다.
→ 사회 구조와 제도의 도덕성이 개인의 도덕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는 것은
니부어이다. ④ 범죄자는 응분의 보복을 의욕했기 때문에 반드시 처벌받아야 하는가?
→ [갑:부정, 을:부정] 베카리아는 형벌의 목적을 범죄 예방이라고 보는 반면, 칸트
④ 을은 갑과 달리 선한 천부적 자질은 선의지의 통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는 응분의 보복, 즉 처벌을 의욕했기 때문이 아니라 살인을 의욕했기 때문에 처벌
→ 천부적 자질( 지성, 용기, 결단성)이 선의지의 통제가 있어야 도덕적 행위로 이 해야 한다고 보았다. ‘응분의 보복을 의욕했기 때문에’라는 표현은 매력적인 오답
어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은 칸트이다. 이므로 문장을 꼼꼼히 분석해야 한다.
⑤ 갑, 을은 개인의 선의지가 사회생활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⑤ 사형제는 동등성의 원리에 따라 공적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인가?
→ 칸트는 선의지에 따른 행위만을 도덕적 행위로 보았으며, 니부어 역시 선의지와 → [갑:부정, 을:긍정] 동등성의 원리에 따른 처벌은 응보주의 사상가인 칸트만 긍
같은 개인 윤리가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본다. 정할 내용이다.

38 바른답·알찬풀이
유형 4  시민 불복종에 대한 두 가지 관점 비교하기 01 갑은 칼뱅, 을은 공자이다. 칼뱅은 직업이 신의 소명이므로
자료 분석 모두 평등하고 존귀한 것이라고 보았다. 공자는 이익보다는

갑:법이나 정책은 원초적 입장에서 합의한 정의의 원칙을 위반해서 정의와 도덕을 추구하는 직업 생활을 강조하였다. 칼뱅과 공
시민 불복종의 정당화 근거이다. 자는 모두 자신에게 주어진 직분을 성실히 수행해야 함을 강
는 안 된다. 시민 불복종은 제1원칙인 평등한 자유의 원칙이나 제
조하였다.
2원칙 중 공정한 기회균등의 원칙에 대한 현저한 위반에 국한되
롤스는 차등의 원칙은 시민 불복종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본다. 바로잡기 ㄱ. 칼뱅은 직업의 궁극적 목적은 신의 부르심에 응하는 것
어야 한다.
이라고 본다.
을:법에 대한 존경심보다는 먼저 정의에 대한 존경심을 길러야 한다.
실정법 자체에 대한 존중보다는 정의에 대한 존경심이 더 중요함을 강조한다. ㄷ. 공자는 직업 생활을 통해 이익보다는 정의와 도덕을 추구해야 한
법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선량한 사람조차도 불의의 하수인이 될 다고 보았다.
상황이라면 그 법을 어겨라. 양심에 따라 그 법에 저항하라.
개인의 양심에 어긋나는 모든 법은 시민 불복종의 대상이 된다. 02 제시문은 실학 사상가 정약용의 주장이다. 그는 목민관이 검
소한 자세로 백성을 위해 봉사하는 태도를 실천할 것을 강조
갑은 롤스, 을은 소로이다. 롤스는 사회적 다수에게 공유된 정의 하였다.
관에 어긋난 법이나 정책이 시민 불복종의 대상이라고 보았다. 이 바로잡기 ㄷ, ㄹ. 정약용에 따르면 공직자는 사익보다는 의로움을 중
와 달리 소로는 개인의 양심에 어긋나는 법과 정책이 존재할 때 시해야 하며, 업무의 효율성보다 시민의 권리를 중시해야 한다.
시민 불복종이 정당화된다고 보았다.
03 갑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오직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
선택지 분석
이라고 본다. 반면 을은 기업이 사회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
① 갑은 불복종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고 본다. 기 때문에 공공선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고 본
→ 롤스는 시민 불복종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다. 갑과 을은 모두 기업이 이윤 추구를 위해 존재한다는 점
② 갑은 불복종에 따른 처벌을 감수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본다.
→ 롤스는 시민 불복종은 위법 행위이므로 그에 따른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고 본다.
을 인정한다.
③ 을은 양심에 어긋나는 모든 법에 불복종해야 한다고 본다. 바로잡기 ①, ② 기업의 공익 추구 활동을 강조하는 것은 을의 입장
→ 소로는 법에 대한 존경심보다는 정의에 대한 존경심을 바탕으로 이다.
자신의 양심에 어긋나는 모든 법에 불복종해야 한다고 본다.
③, ④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을 부정하는 것은 갑의 입장이다.
④ 을은 공동체의 정의감을 불복종 정당화의 최종 근거로 본다.
→ 소로는 개인의 양심을 시민 불복종의 근거로 본다. 04 제시문은 히포크라테스 선서이다. 히포크라테스 선서에는 의
⑤ 갑, 을은 불복종을 정의의 실현을 위한 합법적 행위로 본다. 료인이 전문직으로서 준수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이 담겨 있
→ 롤스와 소로 모두 시민 불복종을 의도적인 위법 행위라고 본다. 다. 전문직은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에 많은 영
향을 주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도덕성과 공공을 위한 봉사 정
신이 필요하다.
바로잡기 ②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의사가 준수해야 할 특수한 직업
142~145 쪽
실전 대비 Ⅲ 단원 문제 마무리 윤리에 해당한다.

01 ④ 02 ① 03 ⑤ 04 ① 05 ⑤ 06 ③ ③, ④, ⑤ 히포크라테스 선서에서 강조한 전문직 윤리의 내용과 거리

07 ⑤ 08 ⑤ 09 ② 10 ⑤ 11 ④ 12 ④ 가 멀다.

13 ① 14 ①
05 가상 설문에 응답한 사상가는 니부어이다. 그는 집단 간 힘의
15 ⑴ 칼뱅  ⑵ 예시답안  직업 생활을 통한 이윤 추구 행위를 긍
불균형이 사회 갈등의 원인이며, 개인의 양심과 더불어 정치
정적으로 보아 자본주의 발전의 정신적 토대가 되었다.
적 강제력을 통해 사회 정의가 실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16 ⑴ 적극적 우대 정책  ⑵ 예시답안  사회적 약자에게 유리한
바로잡기 ㄱ. 니부어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개인의 도덕성 함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과거의 부당한 차별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
양과 사회 제도의 개선을 통해 사회 정의가 실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다. 사회적 긴장을 완화하고 행복을 증진할 수 있다. 사회적 격차
를 줄일 수 있다. 06 갑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차별을 받았던 소수 집단에게 과
17 ⑴ 예시답안  사형이 범죄를 억제한다는 확실한 증거가 없다. 거부터 받았던 고통을 보상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보는 입장
사형은 인간의 생명권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것이다. 
이다. 을은 소수 집단에 대한 우대 정책을 통해 차별에 대한
⑵ 예시답안  베카리아는 생명권을 국가에 양도하는 것은 사회 계
책임이 없는 현세대에게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약의 내용이 아니며, 종신 노역형이 범죄 예방에 더 효과적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보아 사형 제도를 반대한다.
바로잡기 ①, ② 갑은 개인의 업적이 아닌 과거의 차별에 대한 보상
18 ⑴ 시민 불복종  ⑵ 예시답안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해야 한
을 강조한다.
다.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처벌을 감수해야 한다.
④, ⑤ 갑의 입장에서 평가할 내용이다.

바른답·알찬풀이 39
07 갑은 롤스, 을은 노직이다. 롤스는 공정한 분배가 이루어지려 12 갑은 롤스, 을은 소로이다. 롤스는 시민 불복종이 공유된 정
면 원초적 입장에서 합리적 개인 간에 합의되는 정의의 원칙 의관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부정의한 법에 대한 공개적인 위
을 따라야 한다고 본다. 반면, 노직은 공정한 분배가 이루어 법 행위이며, 합법적인 개혁이 모두 실패할 경우 최후의 수단
지려면 취득·양도·교정에서의 정의의 원칙을 따라야 한다고 으로 동원될 수 있다고 보았다. 소로는 시민 불복종이란 개인
본다. 롤스와 노직은 모두 분배의 절차가 공정하면 그 결과도 의 양심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부정의한 법에 대한 저항이며,
공정하다고 본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를 통해 정의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바로잡기 ⑤ 롤스와 노직은 모두 결과의 평등을 정의의 목표로 삼지 바로잡기 ① 소로의 입장이다. 이와 달리 롤스는 개인의 양심이나 종
않으며, 공정한 절차를 통해 분배한 결과가 불평등할 가능성이 있음을 교적 신념 등에 따르는 불복종은 인정하지 않았다.
인정한다. ② 롤스는 시민 불복종이 정당화되려면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고 보았다.
08 갑은 롤스, 을은 노직이다. 롤스는 최소 수혜자를 위한 국가 ③ 드워킨의 입장이다.
의 재분배 정책을 찬성한다. 그러나 노직은 자유 지상주의를 ⑤ 시민 불복종은 엄연한 위법 행위이므로 처벌을 감수함으로써 준법
바탕으로 소유 권리의 절대성을 강조하여 국가에 의한 재분 정신을 수호한다.

배 정책을 반대한다. 롤스와 노직은 정의가 실현되어도 경제


적 불평등이 있을 수 있다는 점과, 절차가 공정하면 분배의
13 갑은 흄, 을은 로크이다. 흄은 국가 권위의 근거를 국가가 제
공하는 공공재와 관행의 혜택에서 찾는다. 로크는 국가 권위
결과는 정의로운 것이라는 점,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
의 근거가 시민이 자발적으로 맺은 계약에 있다고 본다.
의 기본적 자유를 제한할 수 없음에 동의한다.
바로잡기 ① 흄은 국가 권위의 근거는 국가가 시민에게 공공재와 관
바로잡기 ① 롤스는 부정, 노직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행의 혜택을 제공하여 사회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만들기 때문이라고
②, ④ 롤스와 노직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본다. 따라서 국가에 대한 복종은 무조건적인 의무가 아니다.
③ 롤스는 긍정, 노직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4 제시문을 주장한 사상가는 롤스이다. 그에 따르면 시민 불복


09 갑은 베카리아, 을은 칸트이다. 베카리아는 공리주의를 바탕 종은 법이나 정책이 평등한 자유의 원칙과 기회균등의 원칙
으로 처벌의 목적은 범죄의 예방에 있다고 본다. 칸트는 처벌
에 위배될 때 정당화된다.
이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되는 것에 반대하며 오로
바로잡기 ㄷ. 롤스는 부정의한 법이나 정책이 존재할 경우 합법적인
지 죄를 지었다는 이유만으로 가해져야 한다고 본다.
개혁의 방법을 시도해 보고, 그것이 소용 없을 때 최후의 수단으로 시
바로잡기 ㄴ. 을의 입장이다. 베카리아는 국가의 형벌권은 인정하지 민 불복종을 시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만 국민의 생명을 빼앗을 권한은 없다고 보아 사형을 반대한다. ㄹ. 롤스는 차등의 원칙을 시민 불복종의 근거로 인정하지 않았다.
ㄹ. 공리주의의 입장이다. 칸트는 형벌이 유용성의 원리가 아니라 동
등성의 원리에 따라야 한다고 본다.
15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이윤 추구 행위를 긍정적으로 보았다는
언급이 없이 자본주의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고만 서술하면
10 갑은 맹자, 을은 로크이다. 맹자는 민본주의를 바탕으로 군주 감점이다.
보다는 백성을 위한 정치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맹
자는 군주가 덕으로 백성을 교화하고, 백성의 생계를 책임지 16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적극적 우대 정책을 찬성하는 적절한 논
는 정치를 실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로크는 국가가 시민의 생 리를 세 가지 모두 서술하면 만점이다.
명, 자유, 재산 등 자연권적 권리를 지키기 위해 시민 간의 계
약을 통해 형성된다고 본다. 17 이렇게 쓰면 만점 ⑴ 예시 답안에 제시된 논거 이외에도 ‘범죄
바로잡기 ⑤ 로크는 국가를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본다. 자의 교화라는 형벌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 ‘오판 가능
성과 정치적 악용 가능성이 있다.’라는 논거도 있으므로 적절
11 갑은 아리스토텔레스, 을은 롤스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 하게 두 가지를 서술하면 만점이다.
간이 본성적으로 국가 공동체를 구성하며, 국가 구성원으로  렇게 쓰면 감점
이 ⑵ 베카리아가 사형 제도를 반대하는 사상
살아갈 때 비로소 자아실현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롤스는 원 적 근거를 쓰지 않고 단순히 베카리아는 사형 제도를 반대한
초적 입장에서 합의한 정의의 원칙들이 준수될 때 정의로운 다고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국가가 실현된다고 보았다. ④는 마르크스의 입장이므로 아
리스토텔레스와 롤스가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8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예시 답안에 제시된 세 가지 논거 이외에
바로잡기 ①, ② 아리스토텔레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도 ‘법에 대한 충실성’, ‘최후의 수단’ 등의 논거도 있으므로 적
③, ⑤ 롤스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절하게 세 가지를 서술하면 만점이다.

40 바른답·알찬풀이
유로울 수 없다고 보는 것은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부정하는 입
Ⅳ   과학과 윤리 장이다.

과학 기술과 윤리 03 ㉠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 정보가 유출되고 사람


들이 감시되고 통제되는 ‘전자·정보 팝옵티콘’ 사회가 도래할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152 쪽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과학 기술이 대중에
01 ⑴ ×  ⑵   ⑶ ×  ⑷    02 ⑴ 정당화  ⑵ 존엄성  ⑶ 예 대한 거대한 감시 체제로 작동할 수 있으며, 개인 정보 유출
방적   03 ⑴ ㉠  ⑵ ㉡  ⑶ ㉢ 과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바로잡기 ㄱ. 전자·정보 판옵티콘 사회가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153~157 쪽 결과를 낳는 것은 아니다.
ㄴ. 전자·정보 판옵티콘 사회는 민주주의의 발전을 가로막고, 전체주
01 ⑤ 02 ② 03 ⑤ 04 ③ 05 ② 06 ③
의적 사회로 만들 위험성이 있다.
07 ④ 08 ⑤ 09 ③ 10 ③ 11 ④ 12 ①
13 ③ 14 ⑤ 15 ⑤ 16 ④ 17 ④ 18 ①
19 ⑴ 책임  ⑵ 예시답안  과학 기술 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
04 제시된 사례는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긍정적 결과도 가져다
주지만 부정적 결과도 낳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책임의 범위를 자연은 물론 미래 세
바로잡기 ① 과학 기술이 사회를 진보시킨다는 것은 과학 기술의 긍
대까지 확장해야 한다.
정적 측면만을 의미한다.
20 예시답안  갑은 과학 기술의 긍정적인 면만 강조하는 과학 기술
②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편리함만을 가져다준다는 것은 과학 기술의
지상주의이고, 을은 과학 기술의 부정적인 면에만 주목하는 과학
긍정적 측면만을 의미한다.
기술 혐오주의이다.
④ 과학 기술이 인류가 직면한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고 보는
21 예시답안  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사회적 위기를 가
것은 과학 기술의 긍정적 측면만을 강조하는 과학 기술 지상주의이다.
져올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자신의 연구와 그 활용에 관하여 사회적
⑤ 과학 기술자들이 내적 책임을 준수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제시된
책임을 다해야 한다.
사례를 통해 추론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다.

01 신문 기사는 법률 회사에 인공 지능 변호사가 채용되었다는 05 제시문은 과학 기술이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고
내용이다. 즉 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공 지능이 법률 서비 려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과학 기술의 긍정적 측면을 극대화
스 분야에도 편의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과 하고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과학 기술에 대해
학 기술은 우리 삶의 다양한 분야에 편의를 제공하고 혜택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주고 있다. 바로잡기 ① 과학 기술의 부정적 측면을 과학 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
바로잡기 ① 제시문은 과학 기술이 권력자를 위해 활용된 사례가 아 는 것은 과학 기술 지상주의의 입장이다.

니다. ③ 과학 기술 관련 정책을 결정할 때에는 전문가의 의견뿐만 아니라


② 제시문은 과학 기술이 개인의 목적을 위해 활용된 사례가 아니다. 시민의 다양한 의견도 들어야 한다.

③ 과학 기술이 사회적 약자를 위해 활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제 ④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주장하는 내용이 아니다.
시문은 사회적 약자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사례가 아니다. ⑤ 제시문의 내용과 관련성이 없으며, 과학 기술은 인간의 삶의 질 향
④ 제시문은 과학 기술이 과학자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기 위해 활용 상에 기여해야 한다.

된 사례가 아니다.
06 제시문은 과학 기술 혐오주의를 대표하는 러다이트 운동에
02 노트 필기는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인정하는 입장과 부 관한 내용이다. 과학 기술 혐오주의는 과학 기술의 발전을 비
정하는 입장을 정리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인 판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과학 기술
정하는 입장에서는 과학 기술이 주관적인 가치가 개입될 수 의 비인간적이며 비윤리적인 측면을 부각하거나 과학의 합리
없는 객관적인 사실의 영역이므로 가치 중립적이라고 본다. 성 자체를 문제 삼는다. 과학 기술 혐오주의에서는 과학 기술
또한 과학 기술의 가치는 사용하는 사람에게 달려 있다고 본 이 인류에게 아무런 가치를 주지 않는다고 보고, 과학 기술의
다. 반면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부정하는 입장에서는 과 발전으로 앞으로의 사회는 비관적인 사회가 될 것이라고 본
학 기술이 인간의 필요에 의해 발견되고 활용되므로 가치와 다. 또한 과학 기술이 비인간적·비윤리적 문제를 일으키며,
깊은 관련이 있고, 과학 기술은 인간의 존엄성 구현과 삶의 질 과학 기술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행동해
향상이라는 윤리적 목적을 지향해야 한다고 본다. 야 한다고 본다.
바로잡기 ② 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가 사회에 미칠 영향에 바로잡기 ③ 과학 기술이 가져다주는 유용한 측면을 발전시켜야 한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따라서 과학 기술이 사회적 책임으로부터 자 다는 입장은 과학 기술 혐오주의가 간과하는 측면이다.

바른답·알찬풀이 41
07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부정하는 입장이다. 이 10 자료 분석 노트
입장에 따르면 현대 과학 기술은 막대한 인적·물적 자원이
투입되는 거대과학이다. 한정된 연구비와 우수한 인적 자원 갑:‘공포의 발견술’이란 악의 인식이 선의 인식보다 쉽기 때문
을 어느 분야에 투입할지 선택하는 과정에서 가치가 개입된 에 윤리학은 희망보다 공포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
다. 따라서 과학 기술은 연구와 활용 과정에서 가치로부터 자 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핵무기가 개발되었을 때 주
과학 기술의 부작용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해야 함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유로울 수 없으며,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 어지는 혜택보다는 그것이 가져다줄 수 있는 절망과 공포
바로잡기 ㄱ. 과학 기술이 가치 판단과 무관하다고 보는 것은 과학 기 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원자 폭탄, 화학 무기에
술의 가치 중립성을 인정하는 입장이다. 의한 끔찍한 살상의 역사 속에서 과학은 파괴의 도구가 되
ㄷ. 과학 기술을 사회적 제약 없이 연구해야 한다고 보는 것은 과학 기 기도 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공포의 발견술은 유효한
술의 가치 중립성을 인정하는 입장이다. 책임 윤리의 기준이 될 수 있다.
갑은 책임 윤리를 주장한 요나스임을 알 수 있다.
08 ㉠은 과학 기술 지상주의이다. 과학 기술 지상주의는 과학 기
술의 발전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이다. 이 입 요나스는 자연을 파괴하고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현대 과
장은 인류가 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사회의 모든 문제를 해결 학 기술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학이 필요하다
하고 무한한 부와 행복을 누릴 것이라고 본다. 또한 과학 기 고 주장한다. 요나스가 주장한 새로운 윤리학은 기존의 전통
술의 발전에 따른 부작용도 과학 기술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 적 윤리학보다는 넓은 윤리적 책임의 범위를 제시하고 있다.
다고 믿는다. 또한 요나스는 인류가 존속해야 한다는 것은 절대적 명령이
바로잡기 ① 과학 기술이 인간 소외 현상을 일으킨다는 것은 과학 기 기 때문에 인류의 존속을 파괴하는 행위에 대해 반대한다.
술이 가져온 문제점으로 과학 기술 혐오주의에서 주장할 수 있는 내용
바로잡기 ① 요나스는 우리가 책임을 져야 하는 대상은 현세대뿐만
이다.
아니라 자연과 미래 세대까지라고 보았다.
② 과학 기술 지상주의는 과학 기술의 혜택을 적극적으로 누려야 한
② 요나스는 과학 기술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과학 기술에 대한
다고 본다.
끊임없는 비판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③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부작용만을 초래한다고 보는 것은 과학 기
④ 요나스에 따르면 과학 기술의 주된 목적은 경제적 이익 추구가 아
술 혐오주의이다.
니라 인간의 존엄성 구현과 삶의 질 향상이다.
④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주는 가치를 부정하는 것은 과학 기술 혐오
⑤ 요나스는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주의이다.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다.

베이컨의 과학 기술 지상주의 만점 공략 노트
11 제시문은 과학자가 연구 과정에서는 규범을 준수해야 하지
베이컨이 제시한 이상 사회는 과학 기술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바탕 만, 과학 기술의 정당화 과정에서는 가치 중립성을 확보해야
으로 하고 있다. 베이컨은 자연에 대한 지식이 힘이며, 이 지식을 통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해 자연을 통제하고 지배할 수 있다고 본다. 그는 경험을 통해 얻은
바로잡기 ㄷ.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제시문의 입장은 연구 과정
지식을 객관적이고 참다운 지식으로 보고, 관찰과 실험에 기초한 과
에서 규범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과학 이론을 검증하는 과정에서는
학 지식을 통해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무엇인가를 얻어 낼 수 있다고 과학자가 책임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주장한다. 또한 그는 인간이 자연에 대한 지식을 통해 풍요롭고 안락
한 삶을 누릴 수 있다고 전망한다. 12 A는 적정 기술이다. 적정 기술은 그 기술이 사용되는 사회 공
동체의 정치적·문화적·환경적 조건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에
09 그림의 강연자는 하이젠베르크이다. 하이젠베르크는 과학 기 서 지속적인 생산과 소비를 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인간 삶
술의 가치 중립성을 인정하는 입장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그 의 질을 궁극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한다.
는 원자 폭탄을 만든 과학자는 원자 폭탄으로 인한 결과에 대 바로잡기 ㄴ. 적정 기술은 해당 국가의 경제적 이익만을 위한 기술이
하여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니다.
ㄹ. 적정 기술의 주목적은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바로잡기 ① 하이젠베르크는 과학자가 과학 기술의 연구 개발과 활용
것이다.
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정치 문제에 관여할 수 있다고 본다.
② 하이젠베르크는 과학자는 윤리적 평가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본다.
13 제시문의 입장은 과학 기술자들이 연구 과정에서는 연구 윤
리를 지키면서 자신의 주관적 가치를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④ 하이젠베르크는 과학자가 자신의 연구 과정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
의 활용에 대해서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 본다. 또한 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가 가져올 결과를 미리
⑤ 하이젠베르크는 과학자가 자신의 연구 업적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도덕적 평가를 성급히
것이 아니라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을 중시해야 한다고 본다. 내리지 말아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반론은

42 바른답·알찬풀이
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해 19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윤리적 책임의 범위를 자연과 미래 세대
야 하고, 사회적 책임 의식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까지 확장해야 한다는 내용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바로잡기 ㄱ, ㄴ. 제시문의 입장을 옹호하는 주장이다.
20 이렇게 쓰면 감점 과학 기술 지상주의와 과학 기술 혐오주의라
14 갑은 야스퍼스의 입장, 을은 하이데거의 입장과 상통한다. 야 는 용어를 서술하지 않으면 감점이다.
스퍼스는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긍정하는 반면, 하이데
21 이렇게 쓰면 만점 과학 기술자가 자신의 연구 결과가 가져올
거는 과학 기술을 가치 중립적인 것으로 간주할 경우 과학 기 사회적 위기를 인식하고, 자신의 연구와 그 활용에 관하여 사
술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불가능하다고 우려한다. 따라서 하 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내용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이데거와 같은 입장에서는 과학 기술에 대해 지속적인 비판
적 성찰이 필요하며, 과학 기술은 가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
다고 본다.
바로잡기 ㄱ, ㄴ.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158~159 쪽
15 제시된 헌장은 과학 기술인 헌장 중 일부이다. 과학 기술인은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해야 하고, 인류의 존속과 복지 증진을 01 ⑤ 02 ③ 03 ④ 04 ⑤


위한 사회적 책임을 가져야 한다. 또한 과학 기술인은 사회적
책임과 함께 과학적 탐구에 대한 자율성도 보장받아야 한다.
01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 논쟁 자료 분석 노트
바로잡기 ⑤ 과학 기술인 헌장은 인류의 행복과 평화를 궁극적인 목
적으로 삼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 과학 기술은 객관적인 사실의 영역이므로 가치 판단과 무
관하다. 과학 기술은 그 자체로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니
16 제시문은 표절한 과학자의 사례이다. 표절 강사는 자신의 연 과학 기술을 가치 중립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구 업적을 만드는 과정에서 표절을 해서는 안 된다는 연구 윤 며,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평가에서 자유로워야 한다.
리를 지키지 않았다. ㈏ 과학 기술은 연구의 목적을 설정하거나 결과를 현실에 적
바로잡기 ① 표절 강사는 연구 업적을 교재를 통해 공표하였다. 용할 때 가치 판단이 개입하므로 과학 기술에 대한 윤리적
② 표절 강사는 연구 업적에 대한 검증 과정을 중시하지 않았다. 성찰이 필요하다. 또한 과학 기술이 인간과 자연에 미치는
과학 기술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③ 표절 강사는 연구의 내적 책임을 고려하지 않았다.
영향력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윤리적 관점에서 그 발전 방향
⑤ 표절 강사는 연구 과정에서 진실성을 중시하지 않았다.
을 숙고해야 한다.
17 갑은 도가 사상가이다. 도가 사상가의 입장에서는 조력 발전
소 건설이 자연에 대한 인위적인 개입이라고 볼 것이다. 따라 ㈎
 는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긍정하는 입장이고, ㈏는
서 도가 사상가는 A 시장에게 조력 발전소 설치를 반대하는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부정하는 입장이다. 그러므로 ㈎
입장에서 조언을 할 것이다. 의 입장은 ㈏의 입장에 비해 X축과 Y축은 상대적으로 높고,

바로잡기 ① 도가 사상에서는 인간과 자연이 상호 의존적인 관계라 Z축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그림에서 이를 나타내는 지
고 본다. 점을 찾으면 ㉤이다.
② 도가 사상에서는 자연에 대한 인위적인 개입을 주장하지 않는다.
③ 도가 사상에서는 자연 친화적인 에너지 개발이라고 할지라도 그것 02 과학자의 책임에 대한 이해 자료 분석 노트

이 자연에 대한 인위적인 개입이라면 반대할 것이다.


갑: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나 개발 활동이 사회에 미칠 영
⑤ 도가 사상에서는 경제적 풍요를 가져온다고 할지라도 자연에 대한
향력을 인식하여 연구 과정과 개발, 그 활용에 관하여 사
인간의 개입을 반대할 것이다.
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과학 기술자의 내적 책임과 외적 책임
을 모두 강조하고 있다.
18 제시문은 과학 기술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과학 을:과학 기술자는 연구 과정에서 비윤리적인 행위를 하지 말
기술 개발에 시민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아야 한다. 또한 실험 대상을 윤리적으로 대우해야 하며,
바로잡기 ② 과학 기술의 위험에 대한 예방적 조치가 필요하지만, 제 연구 결과를 완전하게 공표해야 한다. 하지만 연구 결과의
시문에서 강조하는 내용과 거리가 멀다. 활용에 대해서는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
과학 기술자의 내적 책임만을 강조하고 있다.
③ 제시문은 과학자들의 연구 실적에 대한 공정한 평가를 다루는 내
용이 아니다.
④ 제시문은 과학 기술과 관련된 법과 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갑은 과학 기술자가 자신의 연구 과정과 개발, 그 활용에 관
하는 내용이 아니다. 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내용을 통해 과학 기술자
⑤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지속적 개발을 강조하는 내용이 아니다. 의 내적 책임과 외적 책임을 모두 강조하는 입장임을 알 수

바른답·알찬풀이 43
있다. 을은 과학 기술자가 연구 과정에서 비윤리적 행위를 해 정보 사회와 윤리
서는 안 되지만, 연구 결과의 활용에 대해서는 책임을 질 필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164 쪽
요가 없다는 내용을 통해 과학 기술자의 내적 책임만을 인정
하는 입장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과학 지식의 활용에서 과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정보 사유론  ⑵ 정보
학 기술과 가치는 분리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갑은 공유론  ⑶ 인간 존중  ⑷ 매체 이해력  03 ⑴ ㉡  ⑵ ㉠  ⑶ ㉢

부정의 대답을,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165~169 쪽
바로잡기 ①, ②, ④ 갑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⑤ 갑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갑은 내적 책임과 외적 책임을 모 01 ⑤ 02 ③ 03 ② 04 ⑤ 05 ① 06 ⑤
두 중시한다. 07 ② 08 ⑤ 09 ⑤ 10 ③ 11 ① 12 ⑤
13 ④ 14 ② 15 ⑤ 16 ④ 17 ⑤ 18 ⑤
03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 논쟁 자료 분석 노트
19 ⑴ 정보 사회  ⑵ 예시답안  정보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부정하고 있다.
리적 문제는 사이버 폭력과 사생활 침해 등이 있다.
과학 기술은 인류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과학 기술에 대
20 ⑴ 익명성  ⑵ 예시답안  익명성과 비대면성을 무기 삼아 타인
해 윤리적 관점에서 심사숙고하지 않으면 고삐 풀린 과학
(가) 에게 사이버 폭력을 가하는 등 비도덕적 행위가 일어나기 쉽다.
기술은 현세대는 물론 미래 세대의 삶을 위협할 수 있다.
…… 즉, 과학 기술에는 윤리적 가치가 개입되어야 한다. 21 예시답안  개인 정보를 비롯하여 자신이 쓴 게시물 등이 포털
사이트 등을 통하여 많은 사람에게 더 이상 공개되지 않도록 삭제
과학 기술은 인류의
전제 전제 ㉠
삶에 영향을 미친다. 를 요구할 권리이다.
(나) 인류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윤리적 가치가 개입되어야 한다.
결론 과학 기술에는 윤리적 가치가 개입되어야 한다.
01 제시문은 정보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내용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일상적인 업무를 쉽고 빠르게 처
리할 수 있게 되는 등 개인의 삶의 질과 생활의 편리성이 향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정당화 과
상되었다. 또한 사이버 공간의 등장으로 신분의 노출 없이 자
정’과 ‘발전 및 활용의 과정’을 엄격하게 분리하면서, 과학 그
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 참여의 기
자체는 사실의 영역이며 이를 가치의 영역과 분리할 때 진리
회가 확대되었다. 그리고 정보 사회에서는 수평적이고 쌍방
를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과학적 사실을 어떻게 활용
향의 의사소통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성을 존중하는 다원적
하는지에 따라 영향이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인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바로잡기 ㄹ. 주관적 가치 판단이 개입한다는 것은 ㉠의 주장을 뒷받
침하는 내용이다.
바로잡기 ⑤ 정보 사회는 다양한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사이버 폭력
문제, 사생활 침해 문제 등 다양한 윤리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04 요나스의 책임 윤리 자료 분석 노트 02 자료 분석 노트

인간적 의무의 대상은 인간 자신, 지구상의 다른 어떤 것도 아 …… ‘보이지 않는 힘’을 갖게 된 기게스는 전령으로 궁전에 들
닌 인류 자신이었다. 물론 전통 윤리학의 규범들 가운데 그 어 사이버 공간의 특성 중 익명성과 같은 의미이다.
요나스는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어갔다. 그는 반지를 이용하여 투명하게 변한 후, 왕을 암살하
인간만을 고려하는 전통 윤리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여 왕위를 빼앗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떤 것도 구속력을 상실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오늘날 지구상
기게스가 보이지 않는 힘을 이용해 비도덕적 행위를 하듯이,
의 전 생태계와 그 안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인간의 부당 익명성이 보장된 사이버 공간에서도 비도덕적 행위가 발생할 수 있다.
전일론적 관점
한 침해와 그로 말미암아 빚어진 훼손 가능성에 직면하여 자연
제시문은 플라톤의 『국가론』에 나오는 ‘기게스의 반지’ 사례이
이 그들에게 허용한 것, 즉 그들의 고유한 목적 자체에 대한
다. 이 사례를 통해 익명성의 윤리적 문제를 추론할 수 있다.
존중을 요구하고 있다.
요나스는 미래 세대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였다.
03 제시문은 인터넷 중독으로 발생하게 된 범죄 사례이다. 인터
넷 중독을 예방하고 올바르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
요나스는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존재는 인간뿐이며 현
기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인터넷 이용자들
세대가 미래에 일어날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면
에게 정보 통신 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서 과학 기술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묻는 새로운 윤리가 필요
바로잡기 ㄴ.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시간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인터넷
하다고 주장하였다. 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면 인터넷 중독이 오히려 심해질 수 있다.
바로잡기 ㄱ. 요나스는 과학 기술을 전적으로 신뢰하기보다 과학 기 ㄹ. 가상 공간도 현실의 공간과 마찬가지로 법과 규범이 적용되는 공
술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할 것을 강조하였다. 간임을 강조해야 한다.

44 바른답·알찬풀이
04 ㉠의 구체적인 내용은 사생활 침해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07 ㉠에 들어갈 내용은 정보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다. 정보
정보에 대한 접근이 쉬워지면서 사적인 정보가 쉽게 유출되 격차란 새로운 정보 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과 그렇지
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생활 침해는 한 개인에 못한 사람들 사이에 사회적·경제적 격차가 심화되는 현상을
관한 평가를 왜곡하고, 개인의 자유로운 활동과 행복 추구를 말한다. 정보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보에 소외된 사람들
방해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등 윤리적 문제를 발생시 에 대한 사회적·경제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킨다. 바로잡기 ① 인터넷 윤리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지만, 정보 격차를 줄
바로잡기 ㄴ. 사생활 침해는 개인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 이는 방안과는 거리가 멀다.
인격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③ 정보 처리 속도를 높이는 투자 확대를 정보 격차를 줄이는 방안이
라고 볼 수는 없다.

05 제시문은 사이버 따돌림에 관한 내용이다. 사이버 따돌림을 ④ 사이버 공간에서 익명성을 보장하는 것이 정보 격차를 줄이는 방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따돌림 피해자들이 겪는 고통에 안은 아니다.
⑤ 정보 창작자의 배타적 권리를 강조하면 정보 격차가 더 심화될 수
공감하는 자세를 가져야 하고, 사이버 따돌림의 심각성에 대
있다.
해 학교나 가정에서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사
이버 따돌림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나 법률을 마련해 08 제시된 기사는 정보 윤리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정보 기술
야 하고, 대중 매체를 통해 사이버 따돌림의 문제점을 지속적 은 우리에게 수많은 혜택을 가져다주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으로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윤리적 성찰이 따르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

바로잡기 ① 사이버 따돌림 행위는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심각한 폭 다. 따라서 정보의 생산, 소비, 유통 과정에서 정보 윤리를 지
력이므로 불관용해야 한다. 켜야 한다.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과 건전하게 교류하는 가운
데 공동체의 조화로운 삶과 복지를 증진할 수 있어야 한다.
06 ㉠에 들어갈 내용은 정보 공유론에 대한 근거이다. 정보 공유 또한 타인과 사회에 해를 끼치거나 무책임한 행동을 하지 않
론은 정보는 나누면 나눌수록 그 가치가 커지므로, 창작자에 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정보가 인간다움을 유지하고 인간의
게 감사의 마음을 갖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모든 정보는 무료 삶에 이바지하도록 해야 한다.
로 사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보 공유론의 입장에서는 더 바로잡기 ㄴ. 국민의 알 권리도 중요하지만 타인의 기본권을 침해해
많은 사람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면 정보의 서는 안 된다.
가치가 증대된다고 본다. 또한 정보에 대한 배타적 소유권을
강조하게 되면 정보 격차가 더 심해진다고 본다. 세버슨의 정보 통신 윤리의 기본 원칙 만점 공략 노트

바로잡기 ㄱ. 정보 사유론의 근거이다. 정보 사유론에서는 저작권 보 세버슨은 정보 통신 윤리의 기본 원칙으로 지적 재산권 존중, 사생활
호가 사회의 이익을 증진시킨다고 본다. 존중, 공정한 표현, 해악 금지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먼저 지적 재
ㄴ. 정보 사유론의 근거이다. 정보 사유론에서는 저작권을 보호하여 산권 존중의 원칙은 정보 관련 제품의 개발자나 아이디어 창안자를
저작권자에게 노력의 대가를 충분히 지급함으로써 정보의 질적 향상 보상하고 정보의 공정한 이용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다. 둘째, 사
을 도모하고 저작권자의 창작 동기를 자극한다고 본다. 생활 존중의 원칙은 자기 결정과 자아 정체성을 보호하기 위해서 개
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것을 요구한다. 셋째, 공정한 표현의 원칙은
정보 사유론과 정보 공유론 만점 공략 노트
정보 산업 분야에서 판매자들이 도덕적 존중과 책임을 가지고 고객
정보가 지닌 가치가 증대되면서 지적 산물에 대한 창작자의 권 을 대할 것을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해악 금지의 원칙은 해킹, 컴퓨
리를 보호해야 한다는 정보 사유론의 입장과 사회적 산물인 정 터 범죄, 불공정 경쟁 등을 규제하는 윤리학적 원칙으로서 타인에게
보에 대한 권리를 공유해야 한다는 정보 공유론의 입장이 대립 피해를 주지 말 것을 요구한다.
하고 있다. 각 입장의 특징을 비교하여 정리해 둔다.

정보 사유론 정보 공유론 09 ㈎는 정보 사유론의 입장이다. 정보 사유론에서는 정보 창작자


에게 지적 재산권의 배타적 소유가 인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창작자의 권리에 대한 절대적 •지적 재산에 대한 지나친 권리
인 인정과 보호 주장 행사 비판 바로잡기 ①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정보 사유론에서는 지적 재
•문학, 영화 등의 예술 작품을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모든 사 산권 보호가 정보 창작자의 창작 의욕을 고취한다고 본다.
비롯한 저작물에 대해 독점적 람이 공유할 수 있게 하자는 ②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정보 사유론에서는 지적 재산권의 보
이고 배타적인 이용을 보장하 주장
호가 양질의 정보 생산에 도움이 된다고 본다.
는 권리 •창작 의욕 저하와 품질 하락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비
③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모든 정보가 자유롭게 공유되어야 한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면 창작
의욕이 고취되고, 사회의 지적 판을 받음 다고 보는 것은 정보 공유론의 입장이다.
자산도 풍부해진다고 봄 ④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지식과 정보의 사용이 무제한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정보 공유론의 입장이다.

바른답·알찬풀이 45
10 ㉠은 뉴 미디어이다. 뉴 미디어는 다양한 인쇄 매체와 방송 의 표현의 자유는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고, 사회 질서와
매체, SNS, 블로그, UCC 등의 사회적 매체와 스마트폰이 공공복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되어야 한다.
정보 전달의 중심 매체가 되고 있다. 이러한 뉴 미디어는 다 바로잡기 ⑤ 표현의 자유에는 한계가 없는 것이 아니라 한계가 있다
양한 매체가 하나의 정보망으로 통합되는 종합화, 송수신자 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간 쌍방향 정보 교환이 가능한 상호 작용화, 수신자가 원하는


시간에 정보를 볼 수 있는 비동시화, 특정 대상과 특정 정보 13 ㉠은 인격권이다. 인격권은 권리의 주체와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인격적 이익을 내용으로 하는 권리로, 개인의 존엄성
를 상호 교환할 수 있는 탈대중화, 이용자가 더욱 능동적으로
과 사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인격권 중 자신의 초
활동할 수 있게 된 능동화 등의 특징을 지닌다.
상에 관한 독점적인 권리는 초상권이고, 자신의 성명을 사용
바로잡기 ③ 뉴 미디어는 송수신자 간 쌍방향 정보 교환이 가능한 특
징을 갖고 있다.
하는 것에 관한 권리는 성명권이다. 또한 저작자가 자신의 저
작에 관해 갖는 권리는 저작 인격권이고, 자신의 사적 생활이
11 제시문은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위헌 판결의 내용이다. 인터 공개되거나 침해당하지 않을 권리는 사생활권이다.
넷 실명제란 인터넷 이용자의 실명과 주민 등록 번호가 확인
바로잡기 ④ 자신과 타인의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는 권리는 인격권
되어야만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올릴 수 있는 제도이다. 하지 에 해당하지 않는다.
만 이 제도는 헌법에 보장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주민
등록 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헌 14 자료 분석 노트
법 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이 내려졌다.
바로잡기 ㄴ. 인터넷 실명제는 오히려 악플을 감소시킴으로써 사회적 매체는 공익에 심각한 피해를 주지 아니야. 국민의 알 권리도
않는 한 국민의 알 권리 보장을 존중되어야 하지만 개인의 존엄성과
약자에 대한 배려를 강조한다.
가장 우선으로 생각해야 해. 사생활을 보호하는 것이 더 중요해.
ㄹ. 인터넷 실명제는 명예 훼손, 유언비어 유포 등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알 권리에 제한 알 권리보다 인격권
이 있다는 점을 을 더 중시한다는 점
말하고 있다. 갑 을 을 알 수 있다.
인터넷 실명제 더 알기 만점 공략 노트

인터넷 게시판의 익명성을 악용한 다양한 사이버 범죄가 발생하여


갑은 국민의 알 권리를 중시하는 입장이고, 을은 인격권을 중
개인적·사회적 피해가 커지자 2002년 이후 공공 기관이나 인터넷 포
시하는 입장이다. 알 권리란 사람들이 정보를 자유롭게 알 수
털 사이트 등의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는 본인 확인을 거치도록 하는
있는 권리를 말한다. 따라서 매체는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
인터넷 실명제를 의무화하였다. 시행 이후, 인터넷 언론사의 범위에
대한 불명확성, 익명 표현의 자유에 대한 침해, 주민 등록 정보의 노 기 위해 국민에게 진실을 알릴 의무가 있다고 본다. 인격권은
출에 따른 개인 인권의 침해, 국민의 정치 참여 제한 등 여러 가지 문 인간의 존엄성에 바탕을 둔 사적 권리로, 인격적 이익을 기본
제점이 제기되었으며, 2012년 8월 23일 헌법 재판소 재판관의 만장일 내용으로 하며 그 주체만이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치로 위헌 결정이 내려졌다. 헌법 재판소는 인터넷 실명제가 헌법이 바로잡기 ㄱ. 갑은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해야 하지만 공익에 심각한
보장하는 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뿐 아니라 공익의 효과도 미 피해를 주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미하다고 보았다. 또한 주민 등록 번호가 없는 외국인은 국내 사이트 ㄹ. 을은 국민의 알 권리와 인격권이 충돌할 때 인격권을 중시해야 한
게시판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 문제가 많아, 국내의 수많은 다고 본다.
인터넷 이용자들이 익명성이 보장되는 해외 사이트로 도피하기도 하
였다. 이에 인터넷 실명제를 시행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이 제도 15 제시문은 사이버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를 남용함으로써 타인
시행 시 창출되는 공익적 효과보다 적지 않다고 판단하여 결국 폐지 에게 피해를 준 사례이다. 사이버 공간은 익명성이 보장된 공
되었다. 간이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소통
의 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타인이나 사회에 악영향을 줄 수
12 제시된 그림은 뉴 미디어 시대의 매체 윤리에 대한 내용이다. 도 있기 때문에 표현의 자유는 타인과 사회에 대한 책임 의식
뉴 미디어의 발달로 정보의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경계가 허 을 바탕으로 행사해야 하고,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자세
물어졌다. 즉 정보를 소비할 뿐만 아니라 직접 생산하고 유통 를 바탕으로 행사해야 한다. 또한 표현의 자유는 사회의 보편
하는 생산적 소비자의 시대, 또는 1인 미디어 시대가 가능해 적 규범과 질서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타인의 인권을
지게 되었다. 이러한 뉴 미디어 시대에는 다양한 매체 윤리가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해야 한다.
필요하다. 개인 정보를 신중하게 다루어야 하고, 표절을 하지 바로잡기 ⑤ 사이버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는 무제한적으로 허용되는
말아야 하며, 매체 이해력을 습득해야 한다. 또한 표현의 자 것이 아니라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고, 사회 질서와 공공복리를
유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뉴 미디어상에서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해야 한다.

46 바른답·알찬풀이
밀이 강조한 표현의 자유 만점 공략 노트 21 이렇게 쓰면 감점 개인 정보나 자신이 쓴 게시물의 삭제를 요
구한다는 내용이 없으면 감점이다.
가령 한 사람만을 제외한 모든 인류가 같은 의견인데, 단 한 사람만
이 그것에 반대 의견을 가지고 있다 하여 인류가 그 한 사람을 침묵
하게 하는 것은 부당하다. 그것은 한 사람이 힘을 가지고 있어서 인
류를 침묵하게 하는 것이 부당한 것과 같은 것이다. …… 표현의 자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170~171 쪽

유를 억압함으로써 생기는 해악은 그것이 전 인류에게서 행복을 빼


01 ① 02 ② 03 ③ 04 ②
앗는다는 점에 있다.

16 ㉠은 데이터 스모그이다. 현대인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 01 정보 공유론과 정보 사유론 비교 자료 분석 노트

가고 있다. 이러한 정보 과잉의 시대에 데이터 스모그에 대응


갑:경제력을 가진 사람이나 권력을 가진 사람이 정보를 독점
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습득하는 능력, 즉
하고 이것을 상업적으로 악용해서는 안 된다. 정보는 인류
매체 이해력이 필요하다. 정보 독점과 상업적 악용을 반대하고 있다.

바로잡기 ① 데이터 스모그를 없애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없다. 가 오랜 기간 동안 함께 만들어 온 결과물이기 때문에 공동

② 최대한 많은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면, 데이터 스모그 체 전체의 이익 신장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 - 정보 공유론
정보를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라
를 더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공공의 자산으로 본다.
③ 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습득하는 능력이 필요 을:정보를 생산한 창작자의 동의 없이 지적 산물을 복제하거
하다. 나 사용해서는 안 된다. 창작자의 노력에 대한 경제적 보
⑤ 개인 정보를 많이 공개하게 되면 심각한 사생활 침해가 발생할 수 상을 보장함으로써 정보의 수준을 높이고 더 많은 지적 산
있다. 물이 만들어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정보 사유론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창작 의욕을 고취시켜야 한다고 본다.
17 A는 매체 이해력이다. 매체 이해력은 정보 사회에서 매체를
사용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읽기, 쓰기 능력을 말
갑은 정보 공유론, 을은 정보 사유론의 입장이다. 정보 공유
한다. 포괄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에 접근하여
론은 정보와 같은 지적 재산은 인류가 누려야 할 소중한 자산
분석하고 평가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이기 때문에 모두가 공유해야 한다고 본다. 정보 사유론은 정
러한 매체 이해력은 거짓 정보를 선별해 내고, 자신이 찾아낸
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정보를 사용해야 정보의 질이 높아질
정보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모든 사용자에게 필요
수 있다고 본다. 정보 공유론의 입장은 정보 사유론의 입장보
한 비판적 사고 능력이기도 하다.
다 상대적으로 정보 창작자의 권리 보호를 강조하는 정도인
바로잡기 ㄱ. 매체 이해력은 매체를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능력
X축은 낮고, 정보의 공공재적 성격을 강조하는 정도인 Y축과
과는 거리가 멀다.
정보 독점의 완화 가능성 정도인 Z축은 모두 높다.

18 매체는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매체는 다양한 정보를 02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찬반 입장 자료 분석 노트
제공하고, 사람들은 이러한 정보를 통해 위기에 대응하고 안
인터넷 실명제를 인터넷 실명제를
전한 생활을 누리게 된다. 또한 매체는 한 사회의 전통과 가 찬성하고 있다. •토론 주제 : 인터넷 실명제 반대하고 있다.
치, 규범 등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고, 특정 인물 국가가 보장해야 할 기본권 중에
하나인 표현의 자유를 국가가
이나 사회의 쟁점을 파고들어 사회적으로 부각시키는 기능을 익명을 무기로 타인을 비방하는
침해하는 것은 모순입니다.
악성 댓글이 넘치고 있습니다.
저는 인터넷 실명제가 개인의
악성 댓글의 부작용을 줄이려면
한다. 인터넷 실명제를 도입해야 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제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잡기 갑:매체는 정보를 전달할 때 경제적 이익보다 진실성을
갑 을
우선해야 한다.
무:매체는 정보를 제공할 때 인격권과 국민의 알 권리를 모두 고려해
갑은 인터넷 실명제를 찬성하는 입장이고, 을은 인터넷 실명제
야 한다. 따라서 국민의 알 권리를 인격권보다 항상 우선해야 하는 것
은 아니다.
를 반대하는 입장이다. 갑은 인터넷 실명제가 건전한 사이버
문화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보지만, 을은 인터넷 실명제가 표
19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사이버 폭력, 사생활 침해, 저작권 침해 현의 자유를 침해하며 일종의 국가에 의한 검열이라고 본다.
가운데 두 가지를 골라 서술하면 만점이다. 바로잡기 ㄱ. 갑은 인터넷 실명제를 통해 사이버 공간의 특성인 익명
성으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익명성과 비대면성을 원인으로 발생하는 ㄹ. 을은 인터넷 실명제가 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제도라고
문제점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본다.

바른답·알찬풀이 47
03 자연법 윤리 적용 자료 분석 노트 자연과 윤리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176 쪽


인간은 본성적으로 자기 보존, 종족 보존, 신과 사회에 대한
진리 파악이라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 즉, 생물학적 존재로서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무위자연  ⑵ 아퀴
아퀴나스는 이러한 것을 자연적 경향성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나스  ⑶ 생명 중심주의   03 ⑴ ㉠  ⑵ ㉢  ⑶ ㉡
자신과 자기 종족을 보존하려는 성향과 이성적 존재로서 진리
를 파악하려는 성향은 인간이 본성적으로 가지는 것이다.
아퀴나스는 자연적 경향성을 따르는 행위는 옳지만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177~181 쪽
그렇지 않은 행위는 그르다고 보았다.
01 ② 02 ⑤ 03 ② 04 ① 05 ④ 06 ④

갑은 자연법 윤리 사상가인 아퀴나스이다. <문제 상황>은 사 07 ⑤ 08 ⑤ 09 ⑤ 10 ② 11 ④ 12 ②


13 ④ 14 ⑤ 15 ⑤ 16 ⑤ 17 ② 18 ④
이버 폭력 중에서 사이버 따돌림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아퀴
19 ⑴ 레건  ⑵ 예시답안  레건은 동물이 도덕적으로 무능할지라
나스는 인간이 본성적으로 지니는 자연적 성향으로 자기 보
도 자기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삶의 주체’로서 내재적 가치를 지
존, 종족 보존, 신과 사회에 대한 진리 파악을 제시하였다. 생
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고 본다.
물학적 존재로서 자신과 자기 종족을 보존하려는 성향과 이 20 ⑴ 네스  ⑵ 예시답안  네스는 환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성적 존재로서 진리를 파악하려는 성향은 인간이 본성적으로 인간의 세계관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이
가지는 자연적 성향이라고 본다. 자연법 윤리 사상가의 입장 에 따라 ‘큰 자아실현’과 ‘생명 중심적 평등’이라는 두 규범을 제시
에서는 사이버 따돌림이 자연적 경향성에 부합하는지를 고려 하였다.
하라고 조언할 것이다. 21 예시답안   ㉠ 생명 중심주의, 생명 중심주의는 개별 생명체의
존중에 초점을 두는 개체론의 입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한계
바로잡기 ① 덕 윤리 입장에서 조언할 내용이다.
를 갖는다.
② 배려 윤리 입장에서 조언할 내용이다.
④ 공리주의 입장에서 조언할 내용이다.
⑤ 칸트의 의무론 입장에서 조언할 내용이다.
01 갑은 도가 사상가인 노자이고, 을은 서양 사상가인 베이컨이
04 잊힐 권리에 대한 입장 자료 분석 노트
다. 노자는 만물의 생성과 존재의 원리인 도(道)가 궁극적으
로 지향하는 것을 자연으로 보았으며, 자연을 본받고 따르는
갑:사이버상의 개인 정보와 사진 등은 개인의 것이기 때문에 것을 이상적인 삶으로 여겼다. 반면 베이컨은 인간의 힘은 자
개인이 원하는 것을 지울 수 있는 잊힐 권리가 보장되어야
연을 관찰하고 분석해 얻는 지식을 통해 생겨난다고 보았다.
합니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지우고 싶은 과거
잊힐 권리를 강조하는 입장이다.
그는 자연을 단지 인간의 필요를 위해 존재하는 물질적 대상
의 흔적 때문에 피해를 입고 있기 때문입니다. 으로 여기며, 자연을 탐구함으로써 인간의 물질적 생활을 향
을:물론 잊힐 권리도 보장되어야 하지만, 그러한 권리를 무제 상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노자는 베이컨에게 자연과 인
잊힐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
간이 상호 공존 관계임을 알아야 한다고 조언할 것이다.
한적으로 허용할 경우, 공익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알
수 없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국민의 알 권리를 심각하게
바로잡기 ①, ③ 베이컨이 노자에게 할 조언이다.
잊힐 권리가 공익을 위해 제할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④ 노자는 자연을 기계로 보지 않는다. 그는 자연을 유기적인 생명체
침해할 수도 있습니다. 로 바라본다.
 ⑤ 노자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개입을 강조하지 않는다. 자연 보존을
갑은 잊힐 권리를 강조하는 입장이고, 을은 잊힐 권리를 인정 위해 인간의 개입을 강조하는 것은 온건한 인간 중심주의의 입장이다.
하지만 잊힐 권리도 공익을 위해서는 제한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따라서 갑은 잊힐 권리를 강조하기 때문에 자기 정 02 갑은 인간 중심주의 사상가인 데카르트이다. 데카르트는 이
보에 대한 삭제권이 있어야 한다고 보고, 을은 사생활 보호를 분법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인식 주체

중요하게 보지만 공익을 위해서는 제한될 수 있다고 본다. 와 인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그는 자연을 단순한 기계
로 파악함으로써 도덕적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데카
바로잡기 ㄴ. 갑은 알 권리의 보장이 잊힐 권리의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르트가 “깨끗한 식수를 얻기 위해 강을 보호해야 한다.”라는
ㄹ. 을은 잊힐 권리가 공익을 위해 제한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배타 주장을 지지한다면 그 이유는 인간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이다.
적·절대적 권리라고 보지 않는다. 바로잡기 ㄱ. 데카르트는 인간 이외의 자연의 대상들이 도구적 가치
를 지닌다고 본다.
ㄴ. 데카르트는 인간 이외의 대상들을 생명을 지닌 대상으로 보지 않
고 물질적 대상으로 본다.

48 바른답·알찬풀이
03 갑은 자연을 내재적 가치를 지닌 대상으로 보고, 을은 자연을 ③ 싱어는 이익의 평등한 고려의 원칙에 입각하여 인간과 동물의 이
인간의 이익을 위해 이용되어야 할 것으로 도구적 가치를 지 익을 차별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닌 대상으로 본다. 따라서 갑은 을에게 자연이 내재적 가치를 ⑤ 싱어는 동물도 고통을 느끼는 존재이기 때문에 동물에게 고통을
주는 실험을 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지닌 존재임을 모른다고 지적할 것이다.
바로잡기 ① 갑은 자연이 물질로만 이루어진 존재라고 주장하지 않
는다. 07 갑은 동물 중심주의 사상가인 레건이고, 을은 생명 중심주의
③ 을은 자연과 인간이 상호 의존적 관계임을 간과하고 있다. 사상가인 테일러이다. 레건은 의무론에 근거하여 ‘삶의 주체’
④ 을은 자연이 유기체임을 간과하고 있다. 로서 동물의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고 본다. 한편 테일러는 모
⑤ 을은 자연이 인간에게 이로움을 주는 대상임을 강조하고 있다. 든 생명체는 자기 생존·성장·발전·번식이라는 목적을 추구

04 ㈎ 사상가는 온건한 인간 중심주의의 입장인 칸트이다. 칸트 하는 ‘목적론적 삶의 중심’으로 도덕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는 자연을 무자비하게 파괴하고자 하는 성향은 다른 사람을 고 본다. 또한 테일러는 인간이 본질적인 측면에서 다른 생명

대하는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인간에 대한 의무를 거스 체보다 우월하다고 보지 않는다.

르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자연이 인간의 도덕적 감수성을 바로잡기 ㄱ. 레건은 모든 생명체가 아니라 삶의 주체인 동물까지만
도덕적 고려의 대상으로 간주한다. 모든 생명이 그 자체로 가치가 있
증진하는 데 이바지하기 때문에 인간이 자연을 폭력적으로
다고 보는 것은 테일러와 같은 생명 중심주의의 입장이다.
대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그는 자연에 대한 의무는 인간의
도덕적 완성을 위해 요청되는 간접적 의무이며, 이성적 존재 테일러의 생명 중심주의 만점 공략 노트
인 인간 상호 간의 의무만이 직접적 의무라고 보았다. 칸트는
생명체가 목적론적 삶의 중심이라는 것은 그것의 외적 활동뿐만 아
자연을 도덕적 지위를 지닌 대상으로 보지 않으며, 인간만이 니라 내적 작용이 목적 지향적이라는 것, 그리고 그것이 자신의 생존
도덕적 지위를 지닌 대상이라고 본다. 을 유지하고, 자신의 종을 재생산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게 하
바로잡기 ② 칸트는 온건한 인간 중심주의의 입장이기 때문에 긍정 는 생명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해 주는 항상적인 경향성을 갖
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고 있다는 것이다. 생명체가 목적론적 활동의 중심이 되게끔 하는 것
③ 칸트는 인간만이 도덕적 행위의 주체라고 보기 때문에 부정의 대 은 자신의 선을 실현하도록 방향 지워진 유기체의 작용이 갖는 일관
답을 할 질문이다. 성과 통일성이다.
④ 쾌고 감수 능력을 도덕적 고려의 기준으로 보는 것은 싱어이다. 따
라서 칸트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⑤ 칸트는 인간이 동물에 대해 간접적 의무를 가진다고 보기 때문에
08 자료 분석 노트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갑:인류는 공동체 전체에 대한 존경심을 가져야 한다. 대지
05 제시문은 동학 사상가인 최시형의 주장으로, 자연과 인간이
윤리는 공동체의 범위를 넓혀 흙, 물, 식물, 동물, 곧 집합
상호 유기적 관계에 있는 존재라고 인식하는 동양의 전통적
적으로 대지를 포함한다.
자연관을 보여 준다. 근대 이후 서구에서는 인간의 이성에 대 도덕적 고려의 범위가 생태계 전체임을 알 수 있는 내용이다.
한 과도한 믿음을 바탕으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당연 을:모든 생명체는 자기의 생존, 성장, 발전, 번식이라는 목적을

시하고, 자연을 인간을 위한 도구로 보는 정복 지향적 자연관 추구하고, 이를 위해 환경에 적응하려고 애쓰는 존재이다.
모든 생명체가 목적론적 삶의 중심임을 알 수 있는 내용이다.
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비하여 동양에서는 인간을 자연의 일
부로 보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자연관을 바탕
갑은 생태 중심주의 사상가인 레오폴드이고, 을은 생명 중심
으로 자연의 가치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 준다.
주의 사상가인 테일러이다. 레오폴드는 인간과 자연을 포괄
바로잡기 네 번째 관점:동양의 자연관은 자연을 인간을 위한 수단
한 전체 공동체를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테일러
으로 보지 않으며 자연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한다.
는 모든 생명체가 의식의 유무와 상관없이 생존, 성장, 발전,
06 제시문은 동물 중심주의 사상가인 싱어의 주장이다. 싱어는 번식 등의 목적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모든 생명체를 목적론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을 근거로 인간을 특별하게 우대하고, 적 삶의 중심이라고 본다. 레오폴드는 테일러가 개체론적 입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동물을 차별하는 태도에 대해 비판한 장에 있으므로 생태계 전체를 도덕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고
다. 따라서 싱어는 ‘인간의 고통이 동물의 고통보다 중요한 비판할 것이다.
가?’라는 질문에 부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바로잡기 ① 불특정 다수에게 과도한 책임을 요구하는 것은 생태 중
바로잡기 ① 싱어는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생명체인 동물에게 도덕적 심주의의 한계에 해당한다.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고 본다. ② 인간이 다른 존재보다 더 가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인간 중심주
② 싱어는 동물도 쾌고 감수 능력을 가진 존재라고 본다. 의이다.

바른답·알찬풀이 49
③ 생태계의 선을 위해 개별 구성원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생태 중 ④ 인간의 욕구 충족을 위해 자연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것
심주의의 한계에 해당한다. 은 인간 중심주의의 입장이다.
④ 생명 중심주의에서는 개별 생명체를 보호해야 할 근거를 제시한다. ⑤ 자연에 대한 도덕적 고려의 기준을 인간의 이익 극대화로 보는 것
은 인간 중심주의의 입장이다.
09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다. 칸트는 이성적 존재만이 자율적
으로 행동하는 도덕적 주체라고 보며, 인간의 도덕적 지위를 13 제시된 그림의 강연은 요나스의 책임 윤리에 관한 내용이다.
인정한 반면 자연의 도덕적 지위를 부정하였다. 또한 칸트는 요나스는 현세대가 지녀야 할 덕목으로 두려움, 겸손, 검소,

인간은 인간에 대해서만 직접적 의무를 지니며, 자연에 대해 절제 등을 제시하였다. 즉, 인류 존속을 위해 현세대의 잘못

서는 간접적인 의무를 지닌다고 보았다. 으로 미래 세대가 생존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에 대한

바로잡기 ① 동물을 자기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삶의 주체로 보는 것


두려움을 갖고 겸손한 태도를 지니며, 검소한 생활과 절제하
은 레건의 입장이다. 는 소비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보았다.
② 칸트는 자연이 인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대상이라고 본다. 바로잡기 ㄴ. 요나스는 건강한 자연환경에서 살아갈 권리는 현세대
③ 모든 생명이 그 자체로 존엄한 존재라고 보는 것은 생명 중심주의 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도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의 입장이다.
④ 칸트는 인간이 생태계 전체에 대해 직접적 의무를 지닌다고 보지 요나스의 책임 윤리 만점 공략 노트

않는다. 후세의 인간은 어쨌든 실존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우리의 잘못된 행


위로 인해서 미래 세대를 위한 세계를 타락시켰다면, 불행의 창시자
10 갑은 생명 중심주의 사상가인 슈바이처이고, 을은 동물 중심 로서 우리를 비난할 수 있는 권리가 미래 세대에게 있는 것이다. 미
주의 사상가인 싱어이다. 슈바이처는 도덕적 지위를 갖는 기
래 세대가 존재하는 것에 대해서는 단지 그들의 부모에게 책임을 물
준을 ‘생명’으로 보고, 모든 생명체에 대한 도덕적 고려를 강 을 수 있는 데 반하여, 그들이 생존할 수 있는 조건에 관해서는 현재
조하였다.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을 기준으로 동물을 도덕적 의 우리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아직 존재하고
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고, 종 차별주의에 반대하여 이익 있지는 않지만 존재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 세대의 권리에 대하여
평등 고려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두 사상가 모두 동물을 도덕 우리는 응답할 의무가 있다. 이런 의무 때문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적 고려의 대상으로 본다. 수 있는 행위를 할 때 우리는 그들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바로잡기 ② 슈바이처와 싱어 모두 생태계 전체가 도덕적 지위를 갖


는다고 보지 않는다. 14 제시문은 생태 중심주의 사상가인 레오폴드의 주장이다. 레
오폴드는 토양과 물, 식물과 동물이 모여 있는 대지는 존중받
11 갑은 동물 중심주의 사상가인 싱어이고, 을은 동물 중심주의 아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인간을 대지의 정복자가 아니
사상가인 레건이다. 싱어는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며
라 대지의 구성원으로 바라보며, 토양과 물, 식물과 동물로
동물을 고통으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는 동물 해방론의 입장
이루어진 공동체 자체를 존중할 것을 강조하였다. 레오폴드
을 강조하였다. 레건은 의무론에 근거하여 동물의 권리를 인
는 생태계 전체를 도덕적 고려의 대상으로 보고, 모든 생명은
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질문에는 긍
바로잡기 ㄱ. 생태계 전체에 대해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는 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도덕적 고려 대상의 기준은 전일론
것은 생태 중심주의이다.
적 관점에 근거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자연을 개체론적 관점
ㄷ. 레건은 인간뿐만 아니라 삶의 주체인 동물도 고유한 삶을 영위할
이 아니라 전일론적 관점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긍정의 대답
수 있는 존재라고 본다.
을 할 것이다. ‘도덕 공동체의 범위를 동물, 식물, 흙, 물까지
12 제시문은 불교의 입장이다. 불교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 식 확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도덕 공동체의 범위를 대지
물, 흙, 물, 공기 등 우주의 모든 것이 상호 의존 관계로 존재 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한다는 연기적 세계관을 보여 준다. 연기적 세계관에 따르면 바로잡기 ⑤ 레오폴드는 인간이 생명 공동체 내에서 우월한 위치를
그물의 구슬들이 서로를 비추어 주기에 빛이 나는 인드라망 차지한다고 보지 않는다.
처럼 우주와 인간이 한 몸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불교에
서는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를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 15 제시된 그림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
해 필요한 노력에 관한 수업 내용이다.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한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개인적으로는 친환경적 소비를
바로잡기 ① 의식이 있는 존재만이 도덕적 지위를 가진다고 보는 것
생활화하고, 국가적으로는 관련 제도와 법을 마련하며, 국제
은 인간 중심주의의 입장이다.
③ 이성적 존재만이 생태계에서 우월한 지위를 가진다고 보는 것은 적으로는 국가 간 협력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인간 중심주의의 입장이다. 바로잡기 갑:쓰레기를 줄이는 것은 맞지만, 소비를 하지 말아야 한

50 바른답·알찬풀이
다는 것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취지에 맞지 않다.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182~183 쪽

병:환경 문제는 전 지구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개인적 노력뿐만 아니


01 ③ 02 ④ 03 ③ 04 ①
라 국가적·국제적 노력도 필요함을 알아야 한다.

16 탄소 배출권 거래 제도는 국가마다 할당된 온실가스 감축량 01 동물·생명·생태 중심주의 비교 자료 분석 노트


의무 달성을 위해 자국의 기업별, 부문별로 배출량을 할당하
쾌고 감수 능력
고, 기업은 할당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갑:고통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은 어떤 존재가 이익
다른 나라 기업으로부터 할당량을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 관심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만 아니
도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각 국가에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 라 충분조건이기도 하다.
쾌고 감수 능력을 도덕적 고려의 필요충분조건으로 보는 것은
감축량 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함으로써 기후 변화의 근본 원 싱어의 입장이다.

인인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탄소 배출권 을:윤리적인 인간은 이 생명 혹은 저 생명이 얼마나 값진가를

거래 제도는 경제적 대가를 치르면 환경 파괴도 정당화될 수 묻지 않으며, 그것이 나에게 얼마나 이익이 되는가를 묻지
않는다. 그에게는 생명 그 자체가 거룩하다.
있다는 인식을 심어 준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생명 외경을 주장하는 슈바이처의 입장이다.
바로잡기 ① 지구 온난화의 주원인을 온실가스로 규정한 이론적 근 병:새로운 윤리는 인류의 역할을 대지 공동체의 정복자에서
거를 인정하고, 이를 줄이기 위해 마련한 제도이다. 대지 윤리

② 탄소 배출권 거래 제도는 기후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 그것의 평범한 구성원이자 시민으로 변화시킨다. 이 윤리

이다. 는 인류의 동료 구성원에 대한 존중, 그리고 공동체 자체


③ 탄소 배출권 거래 제도는 대체로 선진국에 더 많은 의무를 부과하 에 대한 존중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
대지 윤리를 주장하는 레오폴드의 입장이다.
고 있다.
④ 탄소 배출권 거래 제도는 기후 변화 문제에 인류가 공동으로 대응
갑은 싱어, 을은 슈바이처, 병은 레오폴드이다. 레오폴드는
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이다.
싱어, 슈바이처와 달리 개별 생명체의 복지가 아니라 생명 공
17 A는 파리 협정이다. 파리 협정은 기후 변화의 근본 원인인 온 동체 전체를 중시하는 생태 중심주의의 입장을 취한다. 개체
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이며, 개발 도상국이 기후 변화에 적절 주의적 관점을 지양하고 전일론적 관점을 주장하는 것은 레
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선진국이 돕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협 오폴드만의 입장이다. 동물을 도덕적 고려 대상으로 보는 것
약이다. 은 싱어, 슈바이처, 레오폴드의 공통 입장이다.
바로잡기 ㄱ. 파리 협정은 다양한 형태의 국제 탄소 시장 메커니즘 설 바로잡기 ㄱ. 싱어는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에 따라 인간과 동물의
립에 합의한 협정이다. 이익을 동등하게 고려할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인간과 모든 생명을
ㄹ. 파리 협정은 기후 변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선진국에 대해 재원 동일하게 대우하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공급의 의무를 규정한 협정이다. ㄴ. 슈바이처는 모든 생명을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삶의
주체인 존재만이 도덕적 권리를 갖는다는 것은 레건의 주장이다.
18 갑은 자연에 대한 개발을 강조하는 입장이고, 을은 자연에 대
한 보존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개발론자들은 자연이 도구적
02 아퀴나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 비교 자료 분석 노트
가치를 지니며, 개발에 따른 환경 문제는 경제 성장과 기술
발달로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자연 개발을 강조한다. 갑:…… 신의 섭리를 발견한다. 신의 섭리에 따라 동물은 자

반면 보존론자들은 자연이 내재적 가치를 지니며, 자연을 보 연의 과정에서 인간이 사용하도록 운명 지어졌다.
- 인간 중심주의 입장인 아퀴나스의 주장이다.
존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도 큰 이익이라는 점에서 자연 보존 을:식물은 동물을 위해, 동물은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 자연
을 강조한다. 은 목적이 없거나 헛된 일을 하지 않는다. 자연은 이성적
바로잡기 ④ 보존론자들은 자연을 보존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큰 이 존재인 인간을 위해 모든 동물을 만들었다.
- 인간 중심주의 입장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다.
익을 가져다준다고 본다.

19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삶의 주체로서 동물이 도덕적으로 존중 갑은 아퀴나스, 을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아퀴나스는 자연


받을 권리가 있다는 점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이 신에 의해 창조된 것으로, 인간이 신의 명령에 따라 관리
해야 할 대상이자 신의 섭리를 발견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보았
20 이렇게 쓰면 감점 ⑵ ‘큰 자아실현’과 ‘생명 중심적 평등’의 개 다. 따라서 아퀴나스는 자연을 이용하는 것은 부정의한 것이
념을 포함하지 않으면 감점이다.
아니라고 보았다. 한편, 아리스토텔레스는 식물은 동물을 위
21 이렇게 쓰면 만점 생명 중심주의는 개체론적 관점에서 벗어나 해서, 동물은 인간을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
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음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성을 지닌 인간이 이성이 없는 자연을 지배할 수 있다고 보았

바른답·알찬풀이 51
다. 두 사상가 모두 인간 중심주의의 입장에 있기 때문에 자 고 본다. 유교 사상에서는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을 도구적 대상으로 보고, 인간만이 이성을 지닌 존재이며, 자연과 인간의 상호 의존성을 강조하며, 인간이 자연을 본받
인간이 자연보다 우월한 가치를 지닌 존재라고 본다. 아 다른 존재와 타인에게 인(仁)을 실천해야 한다고 본다.
바로잡기 세 번째 관점:인간 중심주의 사상가들은 인간만이 도덕적 바로잡기 ② 유교에서는 자연과 인간을 상호 유기적인 관계로 본다.
지위를 지닌다고 본다. ③ 유교에서는 인간을 자연보다 우월한 존재로 보지 않는다.
④ 유교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관계라고 보지만, 인간의 이익
03 싱어, 테일러, 칸트의 환경 윤리 입장 비교 자료 분석 노트
을 위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⑤ 유교에서는 인간이 자연을 이용할 권리를 가진다고 보지 않는다.
싱어는 공리주의에 기초하여 도덕적 고려의 기준
을 쾌락과 고통을 느끼는 능력이라고 본다.
갑:만약 한 존재가 고통을 느낀다면 그와 같은 고통을 고려의
대상으로 삼길 거부하는 자세를 옹호할 수 있는 도덕적인
동물 중심주의자인 싱어이다.
논증은 없다.
을:생명체가 목적론적 활동의 중심이 되게끔 하는 것은 자신 186~187 쪽
수능  특강
의 선(善)을 실현하도록 방향 지어진 유기체의 작용이 갖
유형 1   ④ 유형 2   ③ 유형 3   ⑤ 유형 4   ④
는 일관성과 통일성이다.
생명 중심주의자인 테일러임을 알 수 있다. 그는 모든 생명체가 의식 유
무와 상관없이 생존, 성장, 발전, 번식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
한 목적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목적론적 삶의 중심이라고 본다. 유형 1  과학자의 윤리적 책임 파악하기
병:동물은 비록 이성은 없을지라도 살아 있는 피조물임을 고 갑, 을, 병, 정의 내적 책임과 외적 책임에 대한 입장을 나눠서
려할 때, 동물을 폭력적으로 잔인하게 다루는 것은 인간
<보기>를 해석하고 문제에 접근하여 적어도 세 명이 부정의 대답
자신에 대한 의무를 훨씬 더 심각하게 거스르는 것이다.
칸트에 따르면, 동물을 학대하는 행위는 인간이 자신의 인간성을
을 할 질문만을 골라야 한다. ㄹ은 내적 책임을 강조하므로 갑, 을
지키고 고양해야 할 의무를 저버리는 행위이다. 은 긍정의 대답을 하고, 병, 정은 부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선택지 분석
갑은 싱어, 을은 테일러, 병은 칸트이다. 싱어는 동물도 쾌락
ㄱ. 과학자는 자료를 위조해서라도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하는가?
과 고통을 느끼므로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라고 본다. 테일러
→ 과학자의 내적 책임보다 외적 책임이 중요한지 묻는다. 따라서 병만 긍정의 대답
는 모든 생명체가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자신의 선(善)을 을 하고, 갑, 을, 정은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ㄴ. 과학자는 모든 책임에서 면제되어 자유롭게 연구해야 하는가?
추구한다는 점에서 인격체와 다름없는 내재적 존엄성을 지니
→ 과학자가 내적·외적 책임이 모두 없는지 묻는다. 따라서 정만 긍정의 대답을 하
므로 도덕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칸트는 이성적 존 고, 갑, 을, 병은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재인 인간만이 도덕적 지위를 가진다고 보면서, 동물에 대한 ㄷ. 과학자는 연구 자체만이 아니라 사회적 부작용도 책임져야 하는가?
인간의 의무는 인간성 실현을 위한 간접적인 도덕적 의무에 → 과학자의 내적·외적 책임이 모두 중요한지 묻는다. 따라서 갑만 긍정의 대답을 하
고, 을, 병, 정은 모두 부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불과하다고 본다. ㄹ. 과학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연구 과정에서 표절을 해서는 안 되는가?
바로잡기 ㄱ.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이 있는 동물을 인간의 즐거움을 → 과학자의 내적 책임만을 묻는다. 따라서 갑,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하고, 병, 정은 부
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ㄴ. 테일러는 생명 공동체가 아니라 모든 생명체가 고유의 선을 지니 유형 2  잊힐 권리와 알 권리 이해하기
고 있다고 보는 생명 중심주의자이다. 갑은 당사자가 원하지 않는 정보를 삭제할 수 있는 잊힐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을은 시장 선거에 필요한
04 유교 사상의 자연관 자료 분석 노트
정보와 같이 공공성을 지닌 정보일 경우에는 잊힐 권리보다 알 권
천인합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늘은 나의 아버지이며 땅은 나의 어머니이다. 그리고 나와 리가 우선한다고 주장한다.
같은 작은 존재도 이들 가운데서 친밀한 위치를 발견한다. 그 선택지 분석

러므로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을 나는 나의 몸으로 여기 ㄱ. 갑:잊힐 권리의 보장이 알 권리의 침해로 이어짐을 강조한다.
며, 우주를 이끌고 가는 것을 나의 본성으로 여긴다. 모든 사 → 갑이 아니라 을의 입장이다. 을은 잊힐 권리의 보장이 알 권리의 침해로 이어져
『성리대전』의 공익에 어긋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람은 나의 형제자매이며, 만물은 나의 식구이다.
일부 내용이다. ㄴ. 갑:개인에게 자기 정보에 대한 삭제권이 있어야 함을 주장한다.
→ 갑은 자신이 원하지 않는 자기 정보를 삭제할 수 있는 잊힐 권리를 보장해야

 는 유교 사상이고, ㈏의 ㉠은 지구 온난화 현상이다. 유교 한다고 주장한다.
에서는 만물이 본래의 가치를 지닌다고 보며, 인간과 자연이 ㄷ. 을:사생활 보호가 공익을 위해 제한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조화를 이루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를 지향한다. 또한 → 을은 사생활일지라도 공익을 위해서는 제한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ㄹ. 갑, 을:자기 정보에 대한 배타적 관리권이 절대적임을 강조한다.
하늘과 땅은 서로 느끼고 상응하며 맞물리면서 끊임없이 만
→ 갑만의 입장이다. 을은 자기 정보에 대한 배타적 관리권이 공익을 위해서는
물을 낳고 기르는 존재라고 하여 자연을 살아 있는 유기체라 제한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52 바른답·알찬풀이
유형 3  190~193 쪽
동물 중심주의와 생명 중심주의 비교하기 실전 대비 Ⅳ 단원 문제 마무리
자료 분석
01 ② 02 ① 03 ② 04 ⑤ 05 ⑤ 06 ④
갑 싱어 07 ② 08 ⑤ 09 ① 10 ② 11 ③ 12 ⑤
범례
A A : 갑만의 입장 13 ② 14 ⑤
B : 을만의 입장
(나) D 15 ⑴ 과학 기술 지상주의  ⑵ 예시답안  과학적 성과를 높게 평
C : 병만의 입장
B C D : 갑, 을의 공통 입장 가하여 과학 기술의 한계와 위험을 간과하게 만들 수 있다.

레건 - 을 병 - 테일러 16 ⑴ 테일러  ⑵ 예시답안  불침해의 의무, 불간섭의 의무, 성실


<보기>의 ㄱ은 갑, 을, 병의 공통 입장이다. 의 의무, 보상적 정의의 의무가 있다.
17 예시답안  인터넷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보 통
싱어는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동물을 인간과 차별해서는 안 된다
신 윤리의 확립이 필요하다. 또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통해 인터
고 주장하며 종 차별주의를 비판하면서 인간과 동물의 이익 관심
넷 중독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을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레건은 의무론의 입장에
서 포유동물도 감정적인 생활을 할 뿐만 아니라 희망과 목적을 추
구할 수 있는 삶의 주체이기 때문에 도덕적 지위를 갖는다고 주장 01 제시문은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인정하는 내용이다. 과
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인정하는 입장에서는 과학이 가치
한다. 테일러는 모든 생명체가 의식 유무와 상관없이 생존, 성장,
의 문제와 분리되어야 한다고 보고, 과학 연구의 독립성을 강
발전, 번식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지향한다
조하며, 외부적 요인이나 다양한 가치들이 개입해서는 안 된
는 점에서 목적론적 삶의 중심이라고 본다. 따라서 테일러는 모든
다고 본다.
생명체를 도덕적으로 고려하고 존중해야 한다고 본다.
바로잡기 ㄴ. 과학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것은 과학 기술의 가치
선택지 분석
중립성을 부정하는 관점이다.
ㄱ. A:종의 차이만으로 도덕적 지위에 차별을 두어서는 안 된다.
ㄹ. 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강조하는 것은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
→ 싱어, 레건, 테일러 모두 종의 차이만으로 도덕적 지위에 차별을 두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성을 부정하는 관점이다.

ㄴ. B:삶의 주체인 동물의 권리를 의무론의 관점에서 존중해야 한다.


→ 레건은 의무론의 관점에서 일부 동물도 삶의 주체로서 도덕적 권리를 02 제시된 기사는 과학 기술이 갖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갖는다고 본다. 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기사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ㄷ. C:인간에게는 생명 공동체에 대한 불간섭의 의무가 있다. 과학 기술의 양면성이다.
→ 테일러는 개별 유기체의 자유를 간섭하거나 유기체의 삶의 터전인 생태계를
조작, 통제, 개조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무를 강조한다. 바로잡기 ②, ③, ④ 과학 기술의 긍정적 효과 또는 부정적 효과만 제
ㄹ. D:개체는 쾌고 감수 능력을 지녀야만 도덕적 지위를 갖는다. 시하는 것은 제목으로 부적절하다.
→ 개체가 쾌고 감수 능력을 지녀야만 도덕적 지위를 갖는다는 진술은 ⑤ 과학 기술이 갖는 한계에 대한 해결책은 제목으로 부적절하다.
싱어와 레건의 공통 입장에 해당한다.

유형 4  동양의 자연관 파악하기


03 제시문은 과학 기술에 대한 책임 윤리를 강조한 요나스의 주
장이다. 요나스는 예견적 책임을 강조하며, 인류의 존속에 기
㈎는 불교 사상으로 연기 사상에 따라 만물이 고정된 실체가 없다
여하기 위해 과학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이 필요하다고
고 본다. 연기 사상에 따르면 자연 만물은 서로 의지한 채 살아간
보았다.
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저것이 없으면 이것도 없기 때문
바로잡기 ② 요나스는 윤리적 책임의 범위를 현세대뿐만 아니라 미
이다. ㈏는 유교 사상으로 하늘을 인간이 따라야 하는 도덕 원리
래 세대와 자연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의 원천으로 보기 때문에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고 부르고
그것에 따르는 삶을 강조한다. 04 갑은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인정하는 입장이고, 을은 과
자료 분석 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을 부정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과학
(가), (나)의 관점을 비교하면, (가)는 ㉠ 자연 만물에 고정된 실체가 없다고 연구 활동이 규범적 평가와 관련 있는가?’라는 질문에 갑은
→ 불교에서는 자연 만물에 고정된 실체가 없다고 본다. 부정,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그리고 ‘과학 연구 결과
보며, ㉡ 살아 있는 모든 생명에 대한 존중을 강조한다. 이에 비해 (나)는
의 활용이 도덕적 가치와 연관되는가?’라는 질문에 갑은 부
→ 불교에서는 모든 생명체가 불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존중할 것을 강조한다.
정,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 하늘[天]을 인간이 따라야 하는 도덕 원리의 원천으로 보며, ㉣ 하늘 아
→유
 교에서는 하늘을 인간이 따라야 하는 도덕 원리의 원천으로 본다.
래 만물이 무위(無爲)의 자연스러움을 따라야 함을 강조한다. 한편 ㉤ (가),
05 정보 기술의 발달은 사이버 폭력, 사생활 침해, 저작권 침해
등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정보 기
→ 무위의 자연스러움을 따라야 함을 강조하는 것은 도가의 입장이다.
(나) 모두 자연 만물을 상의(相依)와 화해(和諧)의 관계에 놓인 것으로 본다. 술의 발달로 개인 정보가 쉽게 노출되어 사생활 침해 문제가
→ 불교와 유교는 모든 자연 만물이 상의와 화해를 이룬다고 본다. 발생하고 있다.

바른답·알찬풀이 53
바로잡기 ① 정보 기술의 발달로 과거보다 활동 영역이 오히려 넓어 다고 보기 때문에 ‘도덕적 행위의 주체는 동물을 배려해야 하
졌다. 는가?’라는 질문에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② 정보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서 자신의 의견을 자유 바로잡기 ② 싱어는 동물도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동물이 인간의 오락을 위한 도구가 될 수 없다고 본다.
③ 정보 기술의 발달로 과거보다 시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11 갑은 온건한 인간 중심주의자이고, 을은 온건한 생태 중심주
④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일반인들이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의자이다. 온건한 인간 중심주의는 환경 보전이 인간의 이익
되었다.
관심과 부합하므로 자연을 보호해야 한다고 보는 한편, 온건
06 갑은 정보 사유론의 입장이고, 을은 정보 공유론의 입장이다. 한 생태 중심주의는 자연의 순리에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개
정보 사유론에서는 정보 창작자의 배타적 권리를 인정해야 발을 인정하기 때문에 ‘자연의 자정 능력을 넘어서는 개발을
한다고 본다. 정보 공유론에서는 정보 소유권에 대한 강조가 자제해야 한다.’는 진술은 갑, 을의 공통 입장이다. 또한 온건
정보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다고 본다. 한 생태 중심주의는 기본적으로 자연이 그 자체로 내재적 가
바로잡기 ㄱ. 정보를 인류의 공동 자산으로 보는 것은 정보 공유론의 치를 지닌 존재라는 점을 인정하는 입장이다.
입장이므로 이 질문에 갑은 부정으로 대답할 것이다. 바로잡기 ㄱ. 온건한 인간 중심주의에서는 인류의 존속과 안녕을 위
ㄷ. 타인이 만든 정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는 것은 해 자연을 보존해야 한다고 본다.
정보 공유론의 입장이므로 이 질문에 갑은 부정으로 대답할 것이다. ㄴ. 인간은 자연에 대해 직접적 의무가 없다고 보는 것은 온건한 인간
중심주의만의 입장이다.
07 제시문은 정보 사회의 특징 중 하나인 유비쿼터스에 관한 설
명이다.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12 제시문은 생명 중심주의 사상가인 슈바이처의 주장이다. 생
편리한 환경이지만, 이러한 환경에서는 개인 정보가 쉽게 유 명 중심주의는 인간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모든 생명체의 고
출되고 사생활이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개 유한 가치를 일깨워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여
인의 자유로운 활동과 행복 추구를 방해할 수 있다. 전히 개별 생명체만 도덕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생태계 전
바로잡기 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정보에 대한 접근이 과거보다 체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쉬워진다.
바로잡기 ① 심층 생태주의의 한계이다.
ㄹ. 제시된 유비쿼터스 환경의 내용과 거리가 먼 진술이다.
②, ④ 인간 중심주의의 한계이다.

08 A는 잊힐 권리이다. 잊힐 권리란 개인 정보를 비롯하여 자신 ③ 동물 중심주의의 한계이다.

이 원하지 않는 민감한 정보들이 포털 사이트 등을 통하여 많


13 제시된 노트 필기는 인간 중심주의에 관한 내용이다. 인간 중
은 사람에게 공개되지 않도록 정보를 통제할 수 있는 권리이 심주의는 인간만이 직접적인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며, 동물
다. 잊힐 권리를 강조하는 사람들은 개인의 인격권을 보장하 이나 식물 등 인간이 아닌 존재는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 아니
고, 정보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강화하기 위해 이러한 권리가 라고 본다.
필요하다고 본다.
바로잡기 ㄱ. 잊힐 권리는 국민의 알 권리보다 개인의 인격권을 보장 14 교토 의정서와 람사르 협약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
하기 위해 필요하다.
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노력에 해당한다. 환경 문제는 개인
이나 개별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지구적 문제이기 때문
09 ㈎는 도가 사상이고, ㈏는 불교 사상이다. 도가에서는 자연 에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의 한 부분인 인간이 자연에 대한 인위적인 조작과 통제를 해 바로잡기 ① 환경 문제의 주요 원인은 주로 선진국에 있다.
서는 안 된다고 본다. 불교에서는 연기설을 바탕으로 만물의 ② 제시된 국제적 노력과 거리가 먼 내용이다.
상호 의존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도가와 불교 모두 인간과 자 ③, ④ 개인적인 노력이나 특정 국가만의 노력만으로는 환경 문제를
연의 관계를 조화와 공존의 관계로 본다.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시문과 같은 협약을 마련한 것이다.

ㄷ. 그리스도교적 자연관이다.
15 이렇게 쓰면 만점 ⑵ 과학 기술의 한계와 위험을 간과하게 만
바로잡기

ㄹ. 서구의 인간 중심주의적 자연관이다.


든다는 내용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10 제시문은 동물 중심주의 사상가인 싱어의 입장이다. 싱어는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는가?’, ‘동물을 고통으로부터
16 이렇게 쓰면 감점 ⑵ ‘불침해’, ‘불간섭’, ‘성실’, ‘보상적 정의’라
는 용어 중 한 가지라도 들어가지 않으면 감점이다.
해방시켜야 하는가?’, ‘쾌고 감수 능력이 도덕적 고려의 기준
인가?’라는 질문에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이다. 또한 싱어는 도 17 이렇게 쓰면 만점 인터넷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
덕적 행위의 주체인 인간이 동물을 도덕적으로 배려해야 한 노력과 사회적 노력의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54 바른답·알찬풀이
고 예술 활동도 하나의 사회 활동이므로 예술은 사회의 모순을
Ⅴ   문화와 윤리 지적하고 사회의 도덕적 성숙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바로잡기 ⑤ 예술의 사회성을 강조하는 것은 참여 예술론만의 입장
예술과 대중문화 윤리 이다. 순수 예술론은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200 쪽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04 갑은 도덕주의 입장인 톨스토이, 을은 예술 지상주의 입장인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도덕주의  ⑵ 참여  스핑건이다. 예술 지상주의는 도덕주의에 비해 예술 작품의
⑶ 상업화  ⑷ 자본 종속   03 ⑴ ㉢  ⑵ ㉡  ⑶ ㉠ 미적 가치와 예술가의 독창성, 예술 활동의 가치 중립성을 강
조한다. 도덕주의는 예술 작품의 가치가 도덕적 가치에 의해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201~205 쪽 결정되므로 예술은 선을 지향해야 한다고 본다. 반면 예술 지

01 ⑤ 02 ① 03 ⑤ 04 ② 05 ④ 06 ⑤ 상주의는 삼각형을 도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무의미하듯 예


07 ⑤ 08 ④ 09 ② 10 ③ 11 ① 12 ⑤ 술 작품을 도덕적 가치로 평가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예술의
13 ④ 14 ⑤ 15 ④ 16 ② 17 ⑤ 18 ① 영역과 도덕의 영역은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 ⑴ ㉠ 예술 지상주의 ㉢ 순수 예술론  ⑵ 예시답안   ㉡ 올바른
품성을 기르고 도덕적 교훈이나 모범을 제공하는 것 ㉣ 미적 요소 05 제시문은 정약용의 주장이다. 정약용은 도덕주의 입장에서
가 경시되고, 자유로운 창작을 제한할 수 있음 예술의 윤리적 가치를 중시하였으며, 예술이 개인의 정서를
20 ⑴ ㉠ 예술의 상업화 ㉡ 문화 산업  ⑵ 예시답안  문화 산업은 순화하고 도덕감을 고양시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예술 작품을 획일화된 하나의 상품으로 전락시키고 이는 감상자 바로잡기 두 번째 견해:예술가가 사회적 영향이나 책임으로부터 자
에게 고유한 체험이 아니라 표준화된 소비 양식이 될 뿐이며 사고 유로워야 한다고 보는 것은 예술 지상주의 입장이다.
의 획일성을 가져온다.
21 예시답안  대중문화의 자율성과 표현의 자유, 다양한 대중문화 동양의 예악 사상 만점 공략 노트

를 즐길 대중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다. 특정한 정치적 의도를 관 동양 사상에서 예술과 윤리의 관계는 『예기(禮記)』의 예악(禮樂)
철하거나 억압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 사상에 잘 나타나 있다.
예와 악은 음양의 이기(理氣)에 상응하며, 각각 차별과 조화의 원리
01 A는 예술이다. 예술은 삶을 풍요롭게 하는 체험의 기회를 제 를 내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예는 구별의 원리를 따르는 것으로서,
공하고, 카타르시스를 통해 인간의 정서를 순화시키는 역할 사람의 신분이 다름을 나타낸다. 한편, 악은 조화의 원리를 따르는
을 한다. 또한 예술은 평소와 다른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볼 것으로서, 사람의 마음을 화합하는 기능을 한다. 이처럼 예와 악은

수 있게 돕고, 자유로운 표현 기법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 상호 대립하는 측면도 있지만 동시에 상호 보완적이며, 두 가지 모두
마음이라는 동일한 근원에서 연유한다. 그러므로 예와 악을 잠시도
조하기도 한다.
우리 몸에서 떠나게 할 수 없다. 악의 이치에 밝은 사람은 예의 이치
바로잡기 ⑤ 윤리에 관한 설명이다. 예술은 현실의 제약을 넘어 자유
에도 밝고, 이 두 가지를 함께 익힌 자가 유덕한 사람, 즉 군자(君子)
를 추구하는 반면, 윤리는 현실의 제약 속에서 도덕적 당위를 추구한
이다.
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예술과 도덕은 모두 인간다운 삶에 이바
지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06 제시문은 상업화된 예술을 비판하는 아도르노의 주장이다.
02 갑은 예술 지상주의 입장인 오스카 와일드이고, 을은 도덕주 그에 따르면, 문화 산업은 예술을 규격화된 상품으로 전락시
의 입장인 플라톤이다. 와일드는 예술가의 자율성과 독창성
킴으로써 감상자들의 사고를 획일적으로 만든다. 또한 문화
이 보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예술의 목적을 미적 가치의
산업으로 획일화된 예술품은 감상자에게 고유한 체험을 주는
실현으로 본다. 반면 플라톤은 예술이 도덕적 교훈과 모범을
것이 아니라 표준화되고 획일화된 체험을 제공한다.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검열이 필
바로잡기 ㄱ. 아도르노는 문화 산업과 예술의 상업화를 비판하였다.
요하다고 본다.
바로잡기 ㄷ. 예술 지상주의 입장인 갑만의 주장이다. 07 제시된 명화를 활용한 광고나 생활용품 등은 예술의 상업화
ㄹ. 예술의 목적을 미적 가치의 실현으로 보는 것은 예술 지상주의자 현상을 보여 준다. 예술의 상업화란 예술품이 하나의 상품처
인 갑의 입장이다. 럼 이윤을 위해 시장에서 거래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술의 상

03 ㈎는 순수 예술론의 입장, ㈏는 참여 예술론의 입장이다. 순 업화는 예술가에게 경제적 이익을 보장하여 왕성한 창작 활
수 예술론은 예술가가 윤리적 기준과 관습에 상관없이 순수 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대중의 요구를 반영함에 따라 예술
하게 예술을 표현할 수 있도록 자율성과 독창성을 지녀야 한 의 다양성을 확대시킬 수 있지만, 예술품을 재산 축적 수단으
다고 주장하는 반면, 참여 예술론은 예술가도 사회 구성원이 로 전락시키기도 한다.

바른답·알찬풀이 55
바로잡기 ⑤ 예술의 상업화는 예술의 순수성을 보장하기 어려우며 다르지만, 미와 선이 모두 이기적인 욕구에서 벗어나 있다는
예술과 예술이 아닌 것의 경계가 불분명해진다. 공통점이 있다. 또한 미적 체험은 선의 실현에 기여한다고 보
았다.
08 갑은 예술의 상업화를 긍정적으로 보는 반면, 을은 이를 우려
바로잡기 ㄷ. 칸트는 미추의 판단 형식과 선악의 판단 형식은 차이가
하고 있다. 을은 예술가가 상품성을 우선 고려하다 보면 자율
있다고 보았다.
성을 잃을 수 있고 그 결과 예술의 본질과 목적이 왜곡되며,
ㄹ. 칸트는 미적 즐거움은 동물과 신적 존재 사이의 중간자인 인간에
예술 작품의 인문 교양적 가치가 배제됨을 주장할 수 있다. 게 고유한 것이라고 보았다.
바로잡기 ㄷ. 갑은 예술의 상업화로 대중이 예술에 좀 더 쉽게 접근하
고 예술을 향유하게 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12 노트 필기는 대중문화에 관한 내용이다. 대중문화는 대중 사
회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사람이 소비하고 향유하는
09 갑은 예술의 상업화에 대해 부정적 입장인 페기 구겐하임, 을 문화이다. 대중문화는 시장을 통해 유통되며 이윤을 창출한
은 긍정적인 입장인 앤디 워홀이다. 구겐하임은 미술품 수집
다. 이는 대중매체에 의해 전파되며, 제작과 유통 과정이 분
의 대가로서 예술 작품이 단지 경제적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업화되어 산업 형태를 띤다. 또한 대중의 감수성과 행동 양식
전락하는 것을 비판하였으며, 워홀은 팝아트를 창시한 예술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가로 대중 예술의 선구자이다. 두 사람 모두 예술 작품이 경
바로잡기 ⑤ 대중문화는 소수가 즐기는 순수 예술과 고급 예술이 아
제적 가치를 가진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워홀과 달리 구겐하 니라 다수가 즐기는 대중 예술을 발전시킨다.
임은 이윤 추구를 위해 예술이 수단화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
다고 강조하였다. 13 제시문은 ‘대중문화의 자본 종속’에 관한 내용이다. 대중문화
가 자본에 종속되어 이윤을 창출하는 수단으로 전락하면 문
바로잡기 ㄴ. 구겐하임은 미술품 수집가였으며, 예술 작품의 거래 자
화 상품은 콘텐츠의 질보다는 판매량과 판매 부수, 시청률 등
체를 반대한 것은 아니다.
ㄹ. 워홀은 대중 예술을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 에 의해 평가된다.
바로잡기 ㄷ. 대중문화가 자본에 종속되면 작품의 선정은 창작자의
10 제시문은 뒤샹의 작품 「샘」이 알려지게 된 과정에 관한 이야 예술가 정신보다는 제작자와 중간 상인의 손익, 즉 자본에 의존한다.
기이다. 이 사례에서 협회 측은 미에 대한 객관주의 입장을
보여 준다. 객관주의에 따르면 아름다움은 대상에 내재해 있 14 ㉠에 대한 반론은 ‘대중문화를 통한 폭력 체험이 현실의 폭력
는 객관적인 성질로, 대상 자체가 가진 아름다움으로 인해 우 을 감소시키지는 않는다.’이다. 이에 대한 근거로 가상적 폭

리는 미적 쾌락을 느끼게 되며, 우리가 느끼지 않더라도 아름 력 체험 속에는 피해자의 고통이 잘 드러나지 않으며, 폭력을

다움은 그 대상에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악에 대한 응징 수단으로 정당화하게 되면 실제 폭력을 감소

바로잡기 ③ 미를 관찰자의 감정의 산물로 보는 것은 주관주의의 입 시키는 데 기여하지 않음을 들 수 있다.


장이다. 바로잡기 ㄱ. ㉠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이다.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만점 공략 노트 15 강연자는 독립 영화의 활성화를 지지하고 있다. 독립 영화란


자본과 배급망으로부터 자유로운 영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현대 사회로 접어들어 예술의 대중화와 상업화가 급속도로 전
개되었으며, 키치와 패러디, 기성품 등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강연자는 문화에 대한 자본 종속과 상업화를 경계하는 입장
예술품이 미적 가치를 지니는지에 관한 논쟁으로, 주관주의와 이다.
객관주의에 대해 정리해 두어야 한다. 바로잡기 ①, ②, ③, ⑤ 대중문화가 자본에 종속되었음을 보여 주는
주장이다.
주관주의 객관주의
•아름다움은 개인의 주관에 달
려 있다.
•아름다움은 대상에 내재해 있
는 객관적인 성질이다.
16 갑은 대중문화에 대한 제도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아름다움은 주관 속에서 생겨 •대상 자체가 가진 아름다움으
반면, 을은 이러한 규제가 표현의 자유와 문화 향유 권리를
나는 감정의 산물이다. 로 인해 우리는 미적 쾌감을 침해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아름다움은 대상이 가지고 있 느끼게 된다. 바로잡기 ① 갑, 을 모두 대중문화가 성 상품화와 일탈 행위를 심화
는 고유한 속성이 아니며, 대 •우리가 느끼지 않더라도 아름
한다는 데 동의한다. 다만 갑은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는 반
상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마음 다움은 그 대상에 독립적으로
속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존재한다. 면, 을은 개인의 자율적 규제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③ 갑은 대중문화가 대중의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
조하지만, 을은 이에 관한 특정한 입장을 내놓지 않는다.
11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다. 칸트에 따르면 미적 체험은 인간 ④ 갑, 을 모두 대중문화가 상품으로써 유통되는 것 자체에 반대하지
만의 고유한 체험이며, 미의 판단 형식과 선의 판단 형식은 않는다.

56 바른답·알찬풀이
⑤ 을은 제도적 규제에 대한 반대 논거로 대중문화를 향유할 권리의
침해와 표현의 자유 침해를 모두 제시하고 있다.
01 플라톤의 도덕주의 이해 자료 분석 노트

플라톤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데아를 향해 나아가기보다는 이데아의 모방에 불


17 사설은 대중문화의 선정성과 폭력성이 청소년에게 악영향을 과한 물질세계에 사로잡혀 있다. 예술 작품은 이러한 현실 세계를 다시 한 번
더 모방한 것이기에 백해무익하다. 그러므로 예술은 현실이 아닌 이데아를 모
주고 있으며, 모방 범죄로 이어지고 있음을 지적하는 내용이 방하여 도덕적 모범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 이는 대중문화의 선정성과 폭력성의 허용 범위에 대한 윤 •시인이나 설화 작가들이 모방을 할 경우에는, 용감하고 절제


있고 경건하며 자유인다운 사람들을 모방해야만 하네. ……
리적 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의 논거이다.
플라톤이 제시한 네 가지 덕, 즉 지혜·용기·절제·정의를 상기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바로잡기 ① 사설은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대중문화의 공급자가 대중 •나는 음악적 수련이야말로 다른 어떤 수련보다도 가장 가치
의 주목을 끌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자연스러운 일로 본다. 가 높은 분야라고 보네. 음악 교육이 지극히 중요한 까닭은
② 사설은 대중문화가 욕구와 분노를 해소하는 통로로서 자극적인 내 예술이 사회적인 책임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용을 포함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이유일 테지. 말하자면 리듬과 하모니는 영혼의
③ 사설의 주장이나 근거와 거리가 멀다. 내부로 아주 깊이 파고 들어가서 우아함을 심어 주고 영혼을
④ 대중문화에 대한 자본 투자가 더욱 확대되면 투자한 만큼의 이윤 힘차고 확고하게 만들어 준다네. …… 그리고 음악을 영혼 속
을 얻기 위해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내용이 더 많이 포함될 수 있다. 에 포함시키면 기품이 높아지고 선량해진다네.

18 제시문은 대중문화가 자본의 논리에 지배당하는 것을 비판한 제시문은 플라톤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예술은 실재에 대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상업화된
한 ‘모방’이어야 하며, 예술은 도덕성을 고양시켜 국가와 사회
문화는 대중의 욕구에 맞춘 획일적인 상품만을 생산함으로써
에 이로움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예술에서 미(美)와 선의 내
대중에게 표준화된 소비 양식을 제공하며, 그 결과 대중은 획
용은 유사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예술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
일적인 사고와 삶을 갖게 된다.
해 국가 차원이 검열이 필요하다.
바로잡기 ㄷ. 대중문화의 자본 종속은 대중문화가 시장의 논리에 의 바로잡기 ㄴ. 예술이 도덕이나 다른 목적이 아닌 예술 안에서만 완벽
해 지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함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예술 지상주의 입장이다.
ㄹ. 아도르노에 따르면 자본에 종속된 대중문화는 대중의 사고를 통제
ㄹ. 플라톤에 따르면 예술은 현상이 아니라 실재(Idea)를 모방함으로써
하여 기존의 이데올로기에 순응하도록 만든다.
참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19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도덕주의는 미적 가치보다 도덕적 가치


를 우위에 둔다. 따라서 예술의 목적과 본질은 도덕적 가치의 02 오스카 와일드와 톨스토이의 입장 비교 자료 분석 노트

구현이라고 보며, 이러한 이유로 작가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갑:최고의 예술은 질서와 사랑을 통해 구현되며, 반항적이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음을 모두 서술하면 만점이다.
저급한 피조물을 거룩하게 만든다. 예술의 목적은 인간의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은 도덕주의 입장에서 제시하는 예술 종교를 강화하고, 인간의 윤리적 상태를 완전하게 만드는
의 목적, ㉣은 도덕주의의 문제점에 관한 내용이므로 기호를 데 있다. 예술은 이런 일들을 물질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명기하지 않고 서술하면 감점이다. 도덕주의의 대표적인 입장이다.
을:예술 세계에서는 어떤 거짓말도 허용된다. 중요한 것은 오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문화 산업의 가장 특징은 ‘문화의 획일성’ 예술의 영역과 도덕의 영역을 분리하고 있다.

과 그에 따른 ‘사고의 획일성’이다. 이 두 가지 요소를 연결하 차 없는 진실이 아니라 아름다운 거짓이다. 아름다운 것에


서 추악한 의미를 발견하는 사람은 타락한 사람이다. 아름
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다운 것에서 아름다운 의미를 발견하는 사람은 교양 있는
이렇게 쓰면 감점 ⑵ ‘문화의 획일성’ 또는 ‘사고의 획일성’ 중 예술이 미 자체만을 위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사람이다.
한 가지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21 이렇게 쓰면 만점 대중문화에 대한 제도적 규제가 개인의 권 갑은 도덕주의 입장인 톨스토이, 을은 예술 지상주의 입장인
리, 즉 표현의 자유와 문화 향유 권리 등을 침해한다는 내용 오스카 와일드이다. 예술 지상주의는 예술을 위한 예술, 미
과 정치적 억압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을 모두 서술하면 그 자체를 위한 예술을 주장한다. 도덕주의 입장에서는 이러
만점이다. 한 주장에 대해 예술이 지향해야 할 목적은 개인의 도덕성을
함양시키거나 공동체의 질서 유지에 기여하는 것 등임을 간
과하고 있다고 반론할 수 있다.
바로잡기 ① 예술 지상주의는 예술의 영역과 도덕의 영역을 서로 무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206~207 쪽 관한 영역으로 본다.
② 예술 지상주의는 오직 예술을 위한 예술, 미 자체를 위한 예술을 추
01 ② 02 ⑤ 03 ③ 04 ④
구한다.

바른답·알찬풀이 57
③ 이상과 현실의 분리는 예술 지상주의 입장에서 강조하는 내용이다. 의식주 윤리와 윤리적 소비
④ 예술 지상주의는 예술의 가치가 도덕이나 정치적 목적 등 외재적
요소에 의해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214 쪽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패스트패션  ⑵ 슬
03 기술적 복제에 대한 벤야민의 입장 이해 자료 분석 노트
로푸드  ⑶ 윤리적 소비  ⑷ 사회적 기업   03 ⑴ ㉡  ⑵ ㉢
…… 아우라는 기술 복제 시대에 이르러 처참히 무너져 버리고 ⑶㉠
만다. 구글은 모나리자라는 검색어로 0.32초 만에 152만 개의
복제된 이미지를 검색해 주고 집 앞 이발소의 달력에는 모나리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215~219 쪽
이로 인해 감상자들은 어디에서나 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예술 작품은 시공간적으로 해방된다. 01 ② 02 ④ 03 ④ 04 ③ 05 ② 06 ①
자가 오묘한 미소를 띠며 낡아 빠진 면도날을 쳐다보고 있다. 07 ② 08 ④ 09 ① 10 ⑤ 11 ⑤ 12 ④
모나리자는 도처에 존재한다. 이러한 예술 작품의 기술적 복 13 ⑤ 14 ② 15 ① 16 ④ 17 ① 18 ⑤
제는 아우라의 붕괴를 가져오지만 이로 인해 예술의 신비적· 19 예시답안   ㉠ 개인은 자유롭게 상품을 선택하고 구입할 권리가
복제된 이미지들에 일상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원본이 가진 신비감이 사라진다.
있다. ㉡ 과소비와 사치 풍조를 조장해 사회 계층 간 위화감을 야
종교적 요소가 제거되면서 감상자의 비판적 수용이 가능해진
아우라의 붕괴로 사람들은 스스로 예술 작품의 의미를 새롭 기한다.
다.
게 찾고,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20 예시답안  공동 주택의 획일화와 규격화는 정체성과 개성의 상
실을 야기하며, 공동 주택의 폐쇄성은 이웃과의 소통을 단절시킨
제시문은 벤야민의 주장이다. 벤야민은 복제 기술의 발달이
다. 또한 효율성과 편리성을 추구하는 동안 자신이 살아온 주거 공
예술에 미친 영향에 주목한 사상가이다. 그에 따르면 복제 기
간의 역사와 전통을 상실하는 문제를 낳는다.
술은 예술 작품을 시공간적으로 해방시켜 예술의 대중화와
21 예시답안   ㉠ 개발 도상국 노동자의 인권 보호 ㉡ 동물의 권리
민주주의를 이끌었으며, 예술의 제의적 기능을 전시적 기능
와 복지 보호 ㉢ 취약 계층의 고용과 복지 문제 해결
으로 변환시켰다. 그러나 복제된 작품은 원작이 가진 유일성
으로부터 주어지는 신비감, 즉 아우라를 위축시킨다.
01 제시문은 의복이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뿐 아니라 윤리적 의
바로잡기 ㄱ. 벤야민은 복제 기술이 예술의 종교적 가치를 전시적 가
미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의복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
치로 변환시켰다고 보았다.
을 드러내며 반대로 의복이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ㄹ. 벤야민은 대중 예술의 복제 기술의 발달이 원작이 가진 신비감과
고유성의 가치를 떨어뜨린다고 보았다.
한다. 또한 관혼상제 등의 행사에는 의복을 갖춰 입어 상대에
대한 예의를 표현하는데 이는 의복이 예의에 관한 사회적 기
04 대중문화의 상업화에 대한 찬반 입장 비교 자료 분석 노트 준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나아가 의복은 그 시대의
문화와 전통을 담는다.
사회에 저항하는 힘을 가지지 못한 예술은 삶의 일부입니다. 경험으로서
예술은 단순한 상품일 뿐입니다. 예술 작품은 우리 삶 속에 존재하지요. 바로잡기 ② 의복은 신체를 보호해 주는 실용적 가치를 넘어 윤리적
고급 예술은 상품화되었다 하더라도 오늘날 미적인 것은 모든 삶의 영역 의미를 갖지만, 의복이 사회적 지위와 행동 양식을 결정하는 것은 아
자율성을 주장하지만, 대중문화는 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습니다.
코끼기만하고
산업을 자처하며 대중을 리의 모양 리끼코
삶 속에서도 대중 예술에서도 미적인 니다.
무와 같구
이 이양모 의
그들의 의식을 속박합니다. 것을 구현할
무 수 있습니다.
나. .나구 와

대중 예술에 대해 비판
02 제시문은 베블런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유행은 사회에 대
자본주의 사회의 대중
예술을 ‘문화 산업’이 적인 갑과 달리, 을은 한 의존 욕구를 충족시키는 일종의 모방이다. 유행을 따름으
라고 비판한 아도르노 대중 예술도 예술로서
의 문화 산업론의 핵 의 본연의 기능을 할 수 로써 동등한 위치의 사람들과는 같아지고, 자신보다 낮은 신
심 주장이다. 아도르노 슈스터만 있다고 주장한다.
분의 사람들과는 차별성을 유지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유행은
양면성을 가진다.
갑은 아도르노이고, 을은 슈스터만이다. 아도르노는 상업화
바로잡기 입장 4:베블런에 따르면 유행은 사회적 균등화와 개인적
된 대중 예술이 대중의 주체적 사유를 방해하여 기존의 지배
차별화 간에 타협을 이루려는 시도이므로 가 정답이다.
이념을 옹호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으며, 획일화된
대중 예술은 사회를 몰개성화로 이끈다고 보았다. 한편 슈스 03 제시된 노트 필기는 패스트패션에 관한 내용이다. 패스트패
터만은 대중 예술로도 미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션은 주로 노동비가 저렴한 개발 도상국에서 생산되어 가격

통해 대중의 미적 경험에 대한 욕구가 해소된다는 점을 강조 이 저렴하다. 제조사는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과정에서 개발

하였다. 도상국 노동자의 인권을 경시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또

바로잡기 ㄹ. 갑의 입장이다. 아도르노에 따르면, 자본에 종속된 대중 한 업체 간 가격 경쟁으로 소비자는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옷
예술은 획일적인 문화 상품을 양산하고 표준화된 체험만을 제공함으 을 구매할 수 있게 되어 과소비로 이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
로써 현대인의 주체적이고 다양한 사유를 방해한다. 로 유행이 빠르게 변할 때마다 버려진 옷이 폐기될 때 각종

58 바른답·알찬풀이
유해 물질이 배출되어 패스트패션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용이 들어가야 한다. 유전자 변형 농산물은 새로운 물질이 독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성을 일으켜 인체의 면역 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
바로잡기 ㄷ. 빠르게 소비되므로 업체의 재고 부담은 감소한다. 다. 또한 내성이 생긴 해충에 의해 생태계 순환과 생물의 상
호 의존성이 파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친환경 농법을 사
04 ㉠에 대한 반론은 ‘유행은 맹목적인 모방과 무비판적 동조가 용하는 농가에 피해를 주며, 유전자 변형 기술을 독점한 기업
아니다.’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유행을 선택하는 것도
이 농산물 유통을 왜곡할 수 있다.
개인의 주체적인 선택으로 볼 수 있으며, 유행을 통해 자신의
바로잡기 ① 유전자 변형 농산물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농산물 품종
미적 감각과 개성을 드러낼 수 있음을 들 수 있다.
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특정한 목적에 맞게 유전자를 변형·조
바로잡기 ㄱ, ㄴ. ㉠을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작하여 새로운 종을 개발하게 된다.

05 갑은 일부 학교에서 학생들의 명품 소지를 규제하고 있음을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대한 찬반 입장 만점 공략 노트


비판하는 반면, 을은 이러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
유전자 변형 농산물에 관한 찬반 논쟁의 근거를 비교해 두자.
다. 따라서 토론의 쟁점은 ‘청소년이 명품을 소지하는 것을
규제해야 하는가?’이다. 찬성 반대
•과일과 채소의 숙성을 늦추어 •새로운 물질이 알레르기나 독
바로잡기 ① 갑, 을은 모두 명품의 조건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다.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음 성을 일으켜 인체에 해를 줄
③ 갑, 을 모두 명품이 청소년의 정체성이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
•식품이 지닌 영양소를 인위적 수 있음
는 점을 인정한다. 으로 높일 수 있음 •유전자 변형 식물에 내성을 가
④ 갑만의 주장이며, 을은 이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다. •병충해와 환경에 강한 유전자 진 해충이 생기는 등 생태계에
⑤ 갑, 을은 모두 명품에 대한 학칙 수립 절차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다. 로 변형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 교란을 일으킬 수 있음
하며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변형 기술을 독점한 기업이 전
06 A~C에는 음식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 들어가야 수 있음 세계 농수산물의 생산, 판매,
•경제적 이윤 창출하고, 사회 복 소비를 지배하면 정의 문제가
한다. 먹거리의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농어민과 노동자의 권
지를 증진할 수 있음 발생할 수 있음
리를 침해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공정 무역 인증 상품을 소
비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육류의 대량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동물의 고통을 감소하려면 공장식 10 사설에서 제시한 하우스 푸어나 젠트리피케이션은 집의 경제
사육 제품의 구매를 줄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식자재 적 가치를 중시한 결과 발생한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
의 원거리 이동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감소하려면 푸드 마일 하기 위해서는 집의 본질적 가치를 회복해야 한다.
리지가 낮은 식품을 구매해야 한다. 바로잡기 ①, ② 주택을 경제적 가치의 관점에서만 보는 태도에서 벗
바로잡기 ① 정크 푸드는 열량은 높지만 영양가는 낮은 즉석식품의 어나지 않는 한 공동 주택 건설이나 도시 확장을 규제해도 제시문의
총칭이다. 건강을 위해서는 정크 푸드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 현상이 계속 발생하게 된다.
③ 현상들은 시장 질서에 따라 주택의 가격을 결정한 결과이다.
07 제시문은 우리가 먹고 마시는 행위는 함께 먹는 사람과 유대 ④ 이웃 간 소통만으로 집의 본질적 가치가 회복되는 것은 아니다.
감을 형성해 줄 뿐 아니라, 우리의 생명권과 사회 정의, 자연
환경 보전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윤리적 의미를 가진다 11 그림의 강연자는 볼노브이다. 그에 따르면 집은 외부 세계의
는 내용이다. 위험으로부터 안식을 주고, 평화와 아늑함을 유지하는 공간
이다. 또한 외부 세계와 구분되어 있지만 외부 세계로 출입하
바로잡기 ② 음식의 가공 기술의 발달은 윤리적 의미와 거리가 멀다.
는 곳이기도 하다.
08 1인당 푸드 마일리지가 높다는 것은 식자재의 생산지가 그만 바로잡기 ⑤ 볼노브에 따르면 집으로부터 세상의 모든 길이 뻗어나
큼 멀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푸드 마일리지가 점차 높아지는 가고 또한 반대로 모든 길이 되돌아온다. 즉, 집은 열린 공간이다.
추세를 보이는 A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더 먼 생산지에서 식
자재를 공급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B국은 C국에 비해 볼노브의 주거 윤리에 대한 입장 만점 공략 노트

푸드 마일리지가 꾸준히 높은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C 주거에 대한 독일 철학자 볼노브의 주장은 제시문으로 자주 등
국이 B국에 비해 환경 문제를 더 많이 고려하며 윤리적 소비 장한다. 따라서 볼노브의 다양한 주장을 정리해 두어야 한다.

를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인간은 안정과 안전을 얻기 위해서 경계를 그어야 하고 반갑지 않
은 침입자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바로잡기 ㄹ. A국은 B국과 C국에 비해 푸드 마일리지가 높기 때문에
•인간은 자기의 주거지에서 살기 위해서 자기의 생활을 발전시킬
식자재의 신선도를 고려한다고 보기 어렵다.
수 있는 공간적인 확장을 필요로 한다. 사람들은 이러한 거주 공간
09 ㉠에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의 부정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내 을 주택이라고 부른다. 주택은 인간이 생활하는 기본 공간이 된다.

바른답·알찬풀이 59
•집이라는 사적인 공간을 소유한다는 것은 인간의 정신 건강을 위 공정 무역의 구체적 원칙 만점 공략 노트
해서 불가결한 조건이다.
공정 무역은 윤리적 소비의 대표 유형으로 자주 출제된다. 따라
•집은 내적으로 자기 자신에게로 돌아갈 수 있는 곳이다.
서 공정 무역이 지향하는 목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집은 인간 삶의 역사가 쌓여 있는 곳이어야 한다.
원칙을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공정 무역은 제3세계의 소외된 생산자에게 좀 더 나은 무역 조건을
12 제시문은 볼노브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집은 체험을 통해 제공하고, 그들의 권리를 보장해 줌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
구성된 자기 삶의 중심이자 자기 존재의 뿌리가 되는 공간이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원칙을 규정하고 준수
며, 외부 세계와 구별되는 고유한 질서를 지니는 주관적 영역
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한다.
이다. •공정한 가격 지불
바로잡기 두 번째 내용:볼노브에 따르면 집은 외부 세계와 구분되 •생산자들의 역량 강화
는 사적 공간이고, 주관적인 영역이다.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 환경 제공
•남녀 구분 없이 정당한 대가 보장
13 갑은 윤리적 소비를, 을은 합리적 소비를 바람직한 소비로 보
•국제 연합 아동 권리에 관한 협약 준수
고 있다. 윤리적 소비에 비해 합리적 소비는 경제적 합리성과
•친환경적인 행동과 책임 있는 생산 방식의 권고
경제적 만족감을 강조하는 정도는 높은 반면, 인류의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강조하는 정도는 낮다.
17 ㉠은 사회적 기업이다. 사회적 기업이란 취약 계층의 고용과
14 ㉠은 공정 여행에 관한 설명이다. 공정 여행자들은 현지 환경 복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기업으로, 기업 활동
을 존중하고 현지인에게 직접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며, 여행 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창출된 수익을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자 자신뿐만 아니라 여행지의 주민까지 함께 행복해질 수 있 환원하는 기업을 말한다. 주로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운영되
는 여행을 즐긴다. 이를 위해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비행기보 며, 공공성을 기반으로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다 도보나 자전거, 기차로 이동하며, 현지인이 운영하는 숙박 다. 또한 기업에서 발생한 이익은 공익을 위한 일이나 지역
업소를 이용하고, 지역 전통 음식을 맛본다. 사회에 재투자한다.
바로잡기 ① 공정 여행자는 현지의 자연환경을 존중한다. 따라서 동 바로잡기 ① 사회적 기업도 기업이기 때문에 이익 창출을 위한 활동
물에게 고통을 주는 동물 공연은 피한다. 을 고려한다.
③ 공정 여행자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프랜차이즈 숙소보다는 현지인
이 운영하는 숙소를 이용한다. 18 제시문은 소비 동기의 중요성을 강조한 리프킨의 주장이다.
④ 공정 여행자는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비행기보다 걷거나 자전거, 그에 따르면 기업은 소비자의 의식과 태도에 민감할 수밖에
기차를 이용한다. 없으므로, 소비자 대다수가 윤리적 의식과 태도를 갖는다면
⑤ 공정 여행은 여행자 자신뿐만 아니라 여행지 주민의 행복까지 고 그에 따른 시장이 창출되어 문화와 미래 삶에 영향을 미치게
려하는 여행이다. 된다.

15 윤리적 소비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오 바로잡기 ㄱ. 리프킨은 새로운 생명 공학 연구와 같은 특정 사업이나

염, 노동자의 인권 침해 등과 같은 윤리적 문제를 일으킨 기 연구 투자에 대한 책임 여부가 아니라, 생산된 제품에 대한 소비 동기


를 성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업의 제품에 대해 불매 운동을 전개할 수 있다. 또한 공정 무
역 상품, 유기농 제품, 환경이나 동물 복지 인증 마크가 부착 19 이렇게 쓰면 만점 긍정 측 근거에는 개인의 권리를 강조하는
된 상품 등 윤리적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내용을, 부정 측 근거에는 과소비나 사치, 위화감 조성 등 사
바로잡기 병:생활 협동조합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 거래를 회에 미친 악영향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위해 만든 조직이다. 이를 통해 생산자는 정당한 이익을 얻고, 소비자
는 질 좋은 물건을 싸게 구매할 수 있다. 20 이렇게 쓰면 만점 공동 주택은 폐쇄성, 획일화와 규격화, 효율
정:지속 가능한 소비는 현세대는 물론 미래 세대의 복지도 고려하는 성과 편리성의 추구 등 특징을 갖는다. 각각의 특징이 가져올
소비이다. 수 있는 문제점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이렇게 쓰면 감점 위의 세 가지 특징 중 어느 한두 가지만 골라
16 제시문의 B사 커피는 공정 무역 기업의 커피이다. 공정 무역 서술하면 감점이다.
은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 사이의 불공정한 무역 구조 개선,
생산자의 합당한 이윤 보장, 건강한 노동 환경 추구, 아동 노 21 이렇게 쓰면 만점 공정 무역은 생산자의 인권과 권리 보호, 바
동 착취 근절, 자연 환경 보전 등을 목표로 한다. 른 사육과 도축은 동물의 권리 보호, 사회적 기업은 취약 계
바로잡기 ㄷ. 공정 무역은 윤리적 소비의 한 유형이다. 가격 대비 최 층의 고용과 복지를 실현하고자 함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고의 실용적 만족을 주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합리적 소비이다.  이렇게 쓰면 감점 ㉠~㉢을 명기하지 않으면 감점이다.

60 바른답·알찬풀이
220~221 쪽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03 베블런의 유한계급론 자료 분석 노트
01 ④ 02 ③ 03 ⑤ 04 ① 생산적 노동에 적극적인 의욕을 가지지 않으며
비생산적 소비 생활을 하는 계층
재화의 과시적 소비는 유한계급의 세속적 명성을 유지하는 수
01 음식 윤리 자료 분석 노트 단이다. 고도로 산업화된 사회에서 명성을 획득할 수 있는 근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사회이다.
제시문은 음식 섭취에서 자연에 따르는 것을 넘어서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 거는 다름 아닌 재력이다. 재력을 과시하는 방편인 동시에 명
다. 여기에서 ‘자연’은 생태계나 자연환경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주
어진 소화 능력을 의미한다. 성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방편 중 하나가 과시적 소비인 것이
음식물에 대한 욕망은 자연적이다. 먹고 마시는 욕망을 추구 과시와 명성은 타인의 시선과 평가가 전제된 개념이다.
다. 과시적 소비의 발달 과정을 탐색해 보면 낭비라는 요소가
할 때 흔히 저지르는 잘못은 주로 지나치는 것이다. 더 이상
과시적 소비는 경제적 합리성만을 고려하는
먹고 마시는 행위도 윤리적 행위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소비 형태가 아님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먹고 마실 수 없을 때까지 먹고 마시는 것은 양에 있어 자연에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시간과 노력의 낭
따르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사람들은 마땅한 비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재화의 낭비이다.
먹고 마시는 행위도 윤리적 행위이며 자연스러움과
마땅함을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것을 넘어 자신의 배를 채우는 사람을 ‘폭식가’라고 부른다. 이 제시문은 과시적 소비를 비판한 베블런의 주장이다. 그에 따
런 사람이 바로 지나칠 정도로 노예적인 사람이다. 르면 과시적 소비는 부유층이나 이를 모방하려는 계층에 의
욕망에 종속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해 주도되며, 소비를 자신의 명성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보기
때문에 상품의 가격이 오르고 있어도 수요가 높아지는 특징
제시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으로, 먹고 마시는 행위도
이 있다. 과시적 소비에서는 개인의 필요보다는 타인의 시선
욕망에 따르는 대신 이성에 따라 적절하게 중용의 상태를 유
에 의해 재화의 가격이 결정된다.
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그에 따르면 음식에
바로잡기 ㄱ. 과시적 소비는 자신의 재력을 과시하기 위해 값비싼 상
대한 욕망은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지나친 과식은 마땅한 것
품을 구매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경제적으로는 낭비이므로 합리성만
을 넘어서는 것으로, 윤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이다.
을 고려하는 소비 형태와는 거리가 멀다.
과도한 음식 섭취는 인간을 노예적으로 만드는, 즉 욕망에 종
속된 존재로 전락시키는 것이므로 이성적 능력을 발휘하여
음식 섭취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04 합리적 소비와 윤리적 소비 자료 분석 노트

바로잡기 ㄴ. 음식 윤리에 관한 진술이기는 하지만 제시문의 내용과 갑:소비는 자신을 넘어 사회와 환경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
거리가 멀다. 제시문의 ‘자연’은 생태계가 아니라 자연적 본성을 의미 친다. 따라서 자신에게 돌아오는 직접적인 혜택만 생각하
한다. 지 말고, 장기적 관점에서 사회와 자연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여 소비해야 한다. 윤리적 소비를 주장하고 있다.
02 볼노브의 주거 윤리 자료 분석 노트 을:소비의 목적은 소비자 자신에 대한 직접적인 욕구 충족이
다. 소비자는 자신의 욕구와 상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집은 인간의 삶을 한곳에 뿌리내리게 하는 공간이자 세계와 우
집은 임시적이고 임의적 체류 공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소득 범위 내에서 상품을 선택하여 최소 비용으로 최대 만
합리적 소비를 주장하고 있다.
주로 열리는 통로이다. 인간에게 주는 편안함과 한 장소에 뿌 족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집은 더 넓은 장소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중심이다.
리내리게 해 주는 힘을 바탕으로 집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갑은 자신에게 돌아오는 직접적 혜택뿐 아니라 사회와 자연
있는 삶의 터전이다.
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소비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윤리적
소비를 지지하는 입장이다. 반면 을은 최소 비용으로 최대 만

 는 볼노브의 주장이며, ㈏의 퍼즐에서 가로 낱말 (A)는 ‘의
족을 얻는 소비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합리적 소비를 지지하
식주’, (B)는 ‘독거’이므로 세로 낱말 (C)는 ‘주거’이다. 볼노브
는 입장이다. 두 입장 모두 소비자가 자신의 욕구 충족과 이
에 따르면 주거는 세계와 우주로 열리는 통로, 즉 더 넓은 장
익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갑은 소비자에게 경
소로 진입하게 하는 중심이다.
제적 합리성 이외에 공공의 이익과 지속 가능한 환경 보전에
바로잡기 ① 볼노브에 따르면 집은 인간적인 공간이다.
대한 의무가 있다고 보는 반면, 을은 경제적 합리성만을 고려
② 볼노브에 따르면 집은 부를 축적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삶의 터
전, 즉 본질적인 공간이다.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④ 볼노브에 따르면 집은 잠시 체류하는 공간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 바로잡기 ㄷ. 갑은 부정, 을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므로 B에 들어
친 삶의 터전이다. 갈 질문으로 적절하지 않다.
⑤ 볼노브에 따르면 집은 외부 세계로 나아가는 통로이자 외부 세계 ㄹ. 을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므로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하지
와 구분되는 사적인 공간이다. 않다.

바른답·알찬풀이 61
다문화 사회 윤리 04 갑은 샐러드 그릇 모델, 을은 용광로 모델, 병은 국수 대접 모
델을 지지한다. 용광로 모델은 비주류 문화를 주류 문화에 통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226 쪽
합시키고자 하며, 국수 대접 모델은 비주류 문화의 보조적 역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문화 상대주의 할을 강조하므로 두 입장 모두 주류 문화와 비주류 문화를 구
⑵ 윤리적 상대주의  ⑶ 관용의 역설  ⑷ 화이부동    03 ⑴ ㉢ 분한다.
⑵ ㉠  ⑶ ㉡ 바로잡기 ① 을만 ‘예’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② 갑만 ‘예’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227~231 쪽 ③ 갑, 병이 ‘예’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⑤ 병이 ‘아니요’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01 ④ 02 ② 03 ③ 04 ④ 05 ① 06 ④
07 ② 08 ② 09 ⑤ 10 ② 11 ③ 12 ④
05 갑은 다문화주의 입장에서, 을은 동화주의 입장에서 상대방
13 ④ 14 ④ 15 ① 16 ③ 17 ② 18 ④
의 주장을 비판하고 있다. 다문화주의는 다양한 문화를 관용
19 ⑴ ㉠ 문화 ㉡ 윤리적  ⑵ 예시답안  첫째, 보편 윤리를 위배하
하고 존중해야 함을, 동화주의는 소수 문화를 주류 문화로 통
는 문화도 무조건 인정해야 한다. 둘째, 자문화와 타 문화를 비판
합시켜 단일한 문화를 형성해야 함을 주장한다.
적으로 성찰할 수 없다.
바로잡기 ㄷ, ㄹ. 갑만의 입장이다. 갑은 비주류 문화의 고유성과 정
20 ⑴ ㉠ 종교 ㉡ 윤리 ㉢ 황금률  ⑵ 예시답안  종교와 윤리는
체성 보존을 강조하는 반면, 을은 문화 간의 우열을 구분한다.
모두 도덕성을 중시한다.
21 예시답안  먼저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고 타 종교에 대해 관용의
06 갑은 모든 사회에 적용되는 보편 윤리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
태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타 종교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정신을
다. 반면 을은 극단적 문화 상대주의 입장으로 관습적인 것이
일깨우도록 종교 간에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협력해야 한다.
무엇이든 간에 옳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갑은 을의 주장에 대
해 관습이 보편 윤리를 위배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
01 ㉠은 다문화 사회이다. 다문화 사회는 세계화에 따른 국가 간 판할 것이다.
교류 증대와 이주민 증가로 등장하였으며, 한 국가 안에서 다
바로잡기 ① 을은 윤리 규범을 문화의 산물로 본다.
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여러 인종이 공존하는 사회를 말한 ② 을은 관습은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다.
다. 그 결과 새로운 문화 요소의 도입으로 문화 선택의 폭이 ③ 을은 문화의 상대적 가치를 강조한다.
넓어지고 문화 발전의 기회도 확대되지만, 여러 문화 요소 간 ⑤ 을은 모든 도덕률이 사회마다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충돌로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다문
화 사회에서는 통일성보다 다양성, 단일성보다 다원성, 동일
07 제시문은 한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도덕규범이 필요하며
그중 살인 금지, 거짓말 금지와 같이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규
성보다 차이가 강조된다.
범이 있음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바로잡기 ④ 외래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가 요구된다.
바로잡기 두 번째 견해:윤리적 상대주의는 보편타당한 윤리를 부정
하므로 제시문의 입장과 거리가 멀다.
02 제시문은 다문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이에 대한 해결
네 번째 견해:제시문의 입장에서 볼 때 살인은 그 어떤 이유나 형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이든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
문화 상대주의를 지향하며, 이에 따른 정책을 마련하되 보편
윤리를 지켜야 한다. 또한 여러 개인 간의 차이를 인정하는 문화에 대한 다양한 입장 만점 공략 노트

리좀의 사유 방식과 서로 화합하면서도 상대방에게 무조건 다문화 사회와 관련하여 문화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쟁점으로
따르지 않는 화이부동의 태도가 필요하다. 자주 출제되므로 각 입장을 정확하게 정리해 두어야 한다.
바로잡기 ②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려면 관용의 자세가 필요하지만 문화의 다양성과 상대성을 인정하고, 어떤 문화를 그
문화
불관용의 문화까지도 관용하게 되면 관용의 역설에 빠지게 된다. 사회의 특수한 자연환경과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상대주의
이해하고 판단하려는 태도
03 이민자를 주류 사회에 동화시키고자 하는 ㉠ 정책은 동화주 자문화 자기 문화는 당연하고, 정당하며 다른 문화
의 입장으로 용광로 모델에 해당한다. 반면 이민자들의 고유 중심주의 에 비해 우월하다고 믿는 태도
문화
문화를 인정하면서 공존을 지향하는 ㉡ 정책은 다문화주의 절대주의 다른 사회의 문화를 동경하거나 숭상한 나
문화
머지, 자기의 문화를 무시하거나 낮게 평가
입장으로 샐러드 그릇 모델에 해당한다. 이와 달리 문화의 다 사대주의
하는 태도
양성을 인정하지만, 주류 문화를 바탕으로 다른 문화를 수용
문화 다른 나라의 고유문화를 부정하고 문화적 지배와 종속
하는 ㉢ 정책은 문화 다원주의 입장으로 국수 대접 모델에 해 제국주의 의 질서를 강요하는 입장  근대 유럽의 제국주의
당한다.

62 바른답·알찬풀이
08 문화 제국주의는 다른 나라의 고유문화를 부정하고 문화적 ② 병이 강조하는 진술이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종교는 계급 간 갈등
지배와 종속의 질서를 강요하는 입장이고, 문화 사대주의는 에서 비롯된 고통을 잊게 해 주는 일종의 아편이다.

다른 나라의 문화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입장이다. 이와 달 ③ 병이 부정하는 진술이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종교는 아직 자신을
발견하지 못하거나 자신을 상실한 사람들의 자의식이다.
리 자문화 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를 최고로 여기고 다른 나
⑤ 갑이 강조하는 진술이다. 오토에 따르면 종교는 성스러운 실재에
라의 문화를 무시하는 입장이다.
대한 강렬한 체험이다.
바로잡기 ① 문화 상대주의에 관한 설명이다.
③은 ㉡, ④는 ㉢, ⑤는 ㉠에 관한 설명이다. 13 제시문은 엘리아데의 주장이다. 엘리아데는 일상에서 접촉하
는 모든 사물에서 성스러움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성
09 관용이란 소극적으로는 타 문화에 대해 반대하거나 간섭하지 과 속을 단절되거나 분리된 것으로 보지 않았다.
않는 태도를 의미하고, 적극적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든 상대
바로잡기 입장 3:엘리아데에 따르면 자연 세계와 초월적 실재는 분
방의 주장이나 가치관을 이해하고 타자의 인권을 존중하고 리되지 않으므로 정답은 ×이다.
평화를 실현하려는 태도를 의미한다. 관용은 이질적인 문화
를 가진 사람들의 평화로운 공존을 가능하게 하며, 문화적 혜 14 ㉠은 종교이다. 종교는 초월적인 문제를 다루며, 세계의 기원
과 운행에 관한 교리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죽음과 내세
택을 더 많은 사람이 누릴 수 있게 한다. 또한 인간의 자율성
에 대한 답을 구하며 믿음을 구체화하는 종교 의례를 규정하
을 보장하고 인간 존중을 실현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그렇
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종교에서는 사랑, 정의, 생명 존중
다고 해서 관용이 타인의 인권과 자유를 침해하거나 사회 정
등 도덕규범을 포함하고 있으며, 절대자로서의 신을 상정하
의와 사회 질서를 훼손하는 것까지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
여 신에 대한 믿음을 강조한다.
바로잡기 ㉢ 관용은 단일 문화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
한 문화의 공존을 지향하는 태도이다. 바로잡기 ④ 종교는 성스러운 것에 대한 과학적 분석보다는 주관적
㉤ 관용은 다양한 문화의 평화로운 공존을 추구하지만 타인의 인권과 인 체험과 믿음을 강조한다.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까지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
15 자료는 다양한 종교에 포함되어 있는 황금률이다. 황금률은
10 제시문은 무제한의 관용은 관용의 상실을 낳는다는 내용이 종교 윤리와 세속 윤리가 서로 조화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다. 관용을 기반으로 성립한 바이마르 공화국이 히틀러의 발 종교 간에 공유할 수 있는 윤리 규범이 존재함을 보여 준다.
호를 허용한 결과 나치스의 파시즘이 정권을 잡도록 허용한 바로잡기 ㄷ. 보편 윤리로서 황금률은 민족 종교나 세계 종교 등 건전

사례를 꼽으며, 기본적 인권과 사회 정의를 훼손하는 세력에 한 종교라면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ㄹ. 민족 종교로 분류되는 유교에서도 황금률을 발견할 수 있다.
대해 관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바로잡기 ② 관용은 보편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된 16 ㈎는 자유주의 관점에서 종교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
다. 따라서 관용의 정신은 보편적 가치를 부정하는 윤리적 상대주의를 한다. 종교의 자유에는 누구나 양심에 따라 종교를 자유롭게
지향하는 것이 아니다.
선택할 수 있는 권리는 물론, 종교를 강요받지 않거나 종교를

11 A는 종교이다. 종교는 유한하고 불완전한 인간이 실존적인 가지지 않을 권리가 포함된다.

문제에 직면하여 초월적인 존재와 초자연적인 힘을 의존하는 바로잡기 ㄱ. 제시문의 입장에서 볼 때, 국가 권력 등에 의해 타 종교


의 유입을 제도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다양한 종교의 공통된 본질을 규정하
ㄷ. 제시문은 다른 종교에 대한 배타적이고 폭력적인 태도를 지양해야
기는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종교는 사랑, 평화, 고통으로부터
한다고 강조한다.
의 해방, 이타성, 행복 등 인간 삶의 궁극적 지향을 담고 있으
며, 대체로 세계의 기원과 운행에 관한 교리 체계를 갖추고 17 종교 간의 갈등은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요인이 얽혀 있는 경
있다. 한편 종교는 세속 윤리와 마찬가지로 인류의 보편적 가 우가 많다. 자신의 종교의 절대성을 강조하고 다른 종교의 존
치를 추구하며 선악의 기준을 제시한다. 재를 인정하지 않는 태도, 즉 타 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는
바로잡기 ③ 종교는 한계 상황을 초월적인 존재와 초자연적인 힘에 종교 갈등을 심화시킨다. 종교 갈등이 지속적으로 심화될 경
의존하여 극복할 것을 강조한다. 우 폭력을 수반하기도 한다.
바로잡기 ② 시아파와 수니파의 갈등은 같은 이슬람교 내의 갈등이다.
12 갑은 오토, 을은 뒤르켐, 병은 마르크스이다. 오토는 종교를
궁극적 실재와의 만남이라고 보는 반면, 뒤르켐과 마르크스 18 제시문은 한스 큉의 주장이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종교 간의
는 종교를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 낸 것이라고 본다. 대화는 이단자에게도 관용의 자세를 취할 때 가능하며, 이러
바로잡기 ① 을이 강조하는 진술이다. 뒤르켐에 따르면 신은 사회적 한 대화 역량을 갖추려면 자기 종교와 타 종교에 대한 신학적
필요에 의해서 사회가 만들어 낸 산물이다. 인 기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바른답·알찬풀이 63
바로잡기 ㄷ. 세계 평화는 대화 역량에 기초한 종교 간 평화가 보장될 동화주의와 문화 다원주의는 주류 문화와 비주류 문화를 구
때 가능하다. 분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문화 다원주의와 다문화주의는
이주민의 문화의 고유성을 인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19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보편 윤리를 위배한다는 점과 문화에 대
한 비판적 성찰이 어렵다는 점을 모두 서술하면 만점이다. 바로잡기 ㄹ. 병은 다문화주의 입장이므로 문화적 동질성보다는 이질
성을 강조한다.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종교와 윤리는 모두 도덕성이나 인간의
보편적 가치,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한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03 엘리아데의 종교관 자료 분석 노트
서술하면 만점이다.
엘리아데는 종교적 지향성을 인간의 근본적인 성향으로 보고
인간을 종교적 존재(Homo religiosus)로 규정한다.
21 이렇게 쓰면 만점 종교의 자유 인정, 타 종교에 대한 관용의 태 종교적 인간의 입장에서 관찰한다면 세계는 실존하고, 실제
도, 종교 간의 대화 노력 등을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로 거기에 있으며,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세계는 카오스가
우주가 발생하기 이전의 원시적인 상태. 혼돈이나 무질서 상태를 이른다.
가 아니라 코스모스이다. 따라서 세계는 신들의 작품인 피조
질서와 조화를 지니고 있는 우주 또는 세계이다.
물로 자신을 드러낸다. 즉 스스로 성스러운 것의 여러 양상을
자연 세계와 초월적 실재가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봄을 알 수 있다.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232~233 쪽
계시한다. …… 우리가 그것을 숭배하는 것은 그것이 ‘성현(聖
01 ① 02 ④ 03 ② 04 ④ 顯)’이기 때문이다.

제시문은 엘리아데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이 세계는 혼돈의


01 다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자료 분석 노트
세계가 아니라 질서 잡힌 세계이며, 이 세계 안에 있는 모든
갑:기본적 권리는 문화라는 특정한 맥락 안에서 실질적으로 존재는 초월적 실재의 성스러움을 드러낸다. 종교적 인간은
행사될 수 있다. 집단별로 차별화된 권리를 인정하는 다문 일상적 사물과 접촉하면서 이러한 성스러움을 경험한다.
각 집단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대등하게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바로잡기 ㄱ. 엘리아데에 따르면 성과 속이 모순된 개념이기는 하지
화주의는 집단 간 관계의 형평성을 제고시킬 뿐 아니라,
만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성은 속을 통해 드러난다.
소수 집단의 성원으로 하여금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갖게
다문화주의가 사회 결속력을 높인다고 본다. ㄹ. 엘리아데에 따르면 성스러움은 그 자체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한다.
세계 안에 존재하는 것을 통해 드러난다.
을:다문화주의는 문화 간 경계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잘못된
전제에 근거하여 집단 간 문화의 장벽을 영속화시킬 뿐 아
니라, 소수 집단에 별도의 권리를 부여하여 개인의 법 앞
04 종교의 특징 자료 분석 노트

의 평등이라는 기본 원칙을 심각하게 손상시킨다.


갑:과학은 사실에 토대하며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 원
다문화주의에 근거한 정책이 보편적 인권을 침해할 수 있다고 본다.
인을 찾고 반증 가능성에 대해 열린 자세를 취해야 한다.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갑은 다문화주의를 지지하는 입장으로 소수 집단에 차별화된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함을 말한다.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갖게 한다고 본 물리적인 것 외에는 실재성이 이성적으로 증명될 수 없으
므로 객관적으로 입증 가능한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추
다. 반면 을은 문화적 고유성 인정에 따른 문화 간 경계 자체
구해야 한다. 이성적 인식 능력의 범위 안에서만
를 부정하면서 소수 집단에 대한 차별화된 권리 부여가 법 앞 진리를 발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을:종교는 신앙을 통해 진리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매혹적
에서의 평등이라는 기본 원칙을 손상시킨다고 강조한다.
이고 신비한 감정의 체험이다. 세계는 신비로 가득하므로
바로잡기 ㄴ, ㄹ. 을은 문화적 고유성 인정에 따른 문화 간 경계를 부 인간 이성이 과학적으로 인식하는 틀 속에 가둘 수 없다.
정한다. 이성으로는 과학적 진리를 발견할 수 있으나 이성적 인식 능력만으로는
부족하며 신앙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02 다문화를 바라보는 태도 자료 분석 노트
방향을 잡기 어려운 현실에서 종교를 통해 삶의 의미와 목
이성적 인식 능력만으로는 진리를 발견
적을 추구해야 한다.
다른 곳으로 옮겨 가서 사는 사람. 또는 다른 지역에서 옮겨 와서 사는 사람 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갑:이주민들이 출신국의 문화를 포기하고 우리 문화에 흡수
동화주의의 입장이다. 갑은 과학을 강조하는 입장으로 이성을 통해 객관적으로 입
되어야 사회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
을:이주민들은 주류 문화를 중심으로 공존하면서 자신들의 증할 수 있는 진리만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하는 반면, 을은
문화 다원주의의 입장이다.
종교를 강조하는 입장으로 삶의 목적과 의미는 신앙으로써
가치를 살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협력해야 한다.
발견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병:이주민들이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대등한 입장에서
사회 발전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다문화주의의 입장이다. 바로잡기 ㄷ. 갑, 을 모두 부정으로 대답할 질문이므로 순서도 B에 들
어갈 질문으로 적절하지 않다.

64 바른답·알찬풀이
수능  특강 234~235 쪽 유형 3  바람직한 주거 윤리 제시하기
유형 1   ② 유형 2   ② 유형 3   ② 유형 4   ② 제시문은 볼노브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현대인은 어떤 곳에도
매여 있지 않은 영원한 망명자이다. 하지만 집에 뿌리를 내리면

유형 1 
서, 즉 진정한 거주를 실현함으로써 인간의 본질을 실현하게 된
예술 지상주의와 도덕주의 비교하기
다. 따라서 인간에게 집은 외부의 위험과 희생으로부터 안정과 평
자료 분석
화를 누리는 공간이다.
갑:예술 세계에서는 어떤 거짓말도 허용된다. 중요한 것은 오차 없
선택지 분석
는 진실이 아니라 아름다운 거짓이다. 아름다운 것에서 추악한
예술의 세계에는 윤리적 가치가 적용되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① 진정한 거주는 단순히 공간을 점유하는 행위로 국한된다.
의미를 발견하는 사람은 타락한 사람이다. 아름다운 것에서 아 → 진정한 거주는 단순히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아니라 집에 뿌리를 내리는 것이다.

름다운 의미를 발견하는 사람은 교양 있는 사람이다. ② 인간은 진정한 거주를 실현하지 못하면 영원한 망명자이다.
예술의 본질과 목적이 미적 가치의 구현에 있음을 보여 준다. → 볼노브에 따르면 진정한 거주를 실현하지 못하면 영원한 망명자가 된다.
을:최고의 예술은 질서와 사랑을 통해 구현되며, 반항적이고 저급한 ③ 인간은 거주자가 됨으로써 자신의 본질을 실현할 수 없다.
피조물을 거룩하게 만든다. 예술의 목적은 인간의 종교를 강화 → 볼노브에 따르면 인간은 거주자가 됨으로써 자신의 본질을 실현할 수 있다.
하고, 인간의 윤리적 상태를 완전하게 만드는 데 있다. 예술은 이 ④ 외부 공간은 위험과 희생이 아닌 안정과 평화의 공간이다.
도덕주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 볼노브에 따르면 거주 공간, 즉 집은 안정과 평화의 공간인 반면,
러한 일들을 물질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외부 공간은 위험과 희생의 공간이다.
⑤ 진정한 삶의 실현을 위해 거주 공간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갑은 예술 지상주의 입장의 와일드, 을은 도덕주의 입장의 톨스토
→ 볼노브에 따르면 자신의 본질을 실현하기 위해 거주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이다. 예술 지상주의는 예술의 목적과 본질을 미적 가치의 구현
유형 4  관용의 한계 제시하기
으로 보며 예술과 윤리의 분리를 강조한다. 반면 도덕주의는 예술
자료 분석
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예술이 공동체의 질서 유지에 기여해 제시문의 입장에서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리포터:그렇다면 이런 문화도 관용의 대상이 되나요? 외국에서 이민
야 한다고 본다.
을 온 어떤 가족은 여자는 교육받을 필요가 없다고 해서 어린
선택지 분석
딸을 학교에 보내지 않았어요. 더군다나 딸이 성인이 되어 외
ㄱ. 갑은 예술의 본질을 오직 예술 안에서 찾아야 한다고 본다.
출을 하고 싶어 하는데도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해요.
→ 예술 지상주의만의 주장이다.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는 문제 상황이다.
도덕주의는 예술의 본질을 윤리적 가치와 연결하여 설명한다.
제시문은 관용의 한계에 관한 내용이다. 제시문에서는 다문화 사
ㄴ. 을은 예술이 이상과 현실의 분리를 강조해야 한다고 본다.
→ 도덕주의는 예술의 사회적 책임과 영향을 강조한다. 회에서 문화 간 편견과 차별을 극복하고 공존하기 위해서는 관용
ㄷ. 을은 도덕적 목적이 예술 작품으로 구현되어야 한다고 본다. 의 태도가 필요하다고 전제한다. 그러나 개인의 자유권, 생명권과
→ 도덕주의만의 주장이다. 같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반하는 것에 대해서는 불관용해야 한
도덕주의는 예술 작품이 도덕적 교훈이나 모범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고 강조한다. 모든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자유롭게 선택할
ㄹ. 갑, 을은 예술이 공동체의 질서 유지에 기여해야 한다고 본다.
→ 도덕주의 입장인 을만의 주장이다.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누구도 이러한 자유와 권리를 박탈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입장에서는 <가상 대담>에서 리포
유형 2  대중문화의 특성 비판하기
터가 제시한 사례에 대해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침해하므로 관용
제시문은 아도르노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하나의 상품으로 전
을 베풀어서는 안 된다고 대답할 것이다.
락한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은 감상자만의 고유한 체험이 아니
선택지 분석
라 표준화된 소비 양식이 될 뿐이며, 그 결과 사람들의 개성과 독
① 부모의 고유한 권리를 존중한 것이므로 용인해야 합니다.
립성, 사고력이 사라져 버린다. → 제시문에 따르면 인간은 스스로 자기 삶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따라서 리포터가 제시한 사례는 딸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며, 용인해서는 안
선택지 분석
된다고 볼 것이다.
ㄱ. 대중 예술품의 주된 가치는 교환 가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② 자녀의 기본적 권리를 침해하므로 용인해서는 안 됩니다.
→ 아도르노에 따르면 대중 예술품의 주된 가치는 시장의 원리에 따라 정해진다. → 제시문의 입장과 일치하는 내용이다.
ㄴ. 대중 예술의 영역과 권력의 영역은 상호 무관하게 작동한다. ③ 심각한 인권 침해가 아니므로 고유한 문화로 용인해야 합니다.
→ 아도르노에 따르면 문화 산업은 지배 계급이 대중을 통제하는 수단이므로 → 신체의 자유나 교육받을 권리는 모두 인간의 기본적 권리이다.
예술의 영역과 권력의 영역이 상호 밀접하게 작동한다. 따라서 리포터가 제시한 사례는 심각한 인권 침해 사례이다.
ㄷ. 대중 예술은 현실적 모순을 은폐하고 대중 의식을 조작한다. ④ 종교의 계율과 전통을 충실하게 따른 것이므로 용인해야 합니다.
→ 아도르노에 따르면 문화 산업은 대중을 무비판적이고 수동적으로 만들어 → 제시문에 따르면 문화적 차이를 인정할 수 있는 한계는 인간의 기본적 자유와 권
그 결과 현실 사회의 모순이 은폐된다고 주장한다. 리를 침해하지 않을 때이다. 그러나 리포터가 제시한 사례는 이를 침해하고 있으
므로 관용의 대상이 아니다.
ㄹ. 대중 예술의 감상은 획일화되지 않은 개인의 고유한 체험이다.
→ 아도르노에 따르면 대중 예술품은 감상자에게 고유한 체험이 아니라 표준화된 소 ⑤ 다문화 사회 구성원들의 연대감을 저해하므로 용인해서는 안 됩니다.
비 양식을 제공할 뿐이다. 개인이 고유한 체험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으로서 → 리포터가 제시한 사례가 관용의 대상이 아닌 이유는 구성원들의 연대감을 저해하
문화 산업이 지니는 획일화와 사이비 개성화의 결과물일 뿐이다. 기 때문이 아니라 개인의 기본적 권리와 자유를 침해하기 때문이다.

바른답·알찬풀이 65
238 ~ 241 쪽 ④ 도덕주의는 예술적 가치가 윤리적 가치에 의해 평가되어야 한다고
실전 대비 Ⅴ단원 문제 마무리 주장한다.
01 ④ 02 ⑤ 03 ② 04 ④ 05 ④ 06 ④ ⑤ 예술을 미적 가치의 구현, 즉 심미적 활동으로 보는 것은 예술 지상
07 ⑤ 08 ④ 09 ⑤ 10 ⑤ 11 ① 12 ④ 주의 입장이다.
13 ⑤ 14 ②
15 ⑴ 자본 종속  ⑵ 예시답안  소수의 거대 자본이 대중문화의 04 갑과 병은 예술의 상업화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을, 을과 정은
흐름을 좌우하면서 문화가 획일화되고 소비자 또한 획일화된 사 부정적인 측면을 질술하고 있다. 예술의 상업화란 상품을 사
고를 갖게 된다, 대중의 취향과 기호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예술가 고파는 행위를 통해 이윤을 얻는 일이 예술 작품에도 적용되
의 순수한 상상력과 자율성이 발휘되기 어려울 수 있다, 대중의 관 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토론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예
심을 유도하기 위한 폭력성과 선정성으로 문화의 질적 저하를 가 술 작품이 시장의 원리에 따라 생산되는 것은 바람직한가?’
져올 수 있다 등
이다.
16 ⑴ 합리적 소비  ⑵ 예시답안  윤리적 소비란 도덕적 가치에
바로잡기 ① ‘예술의 자본 종속’은 예술의 상업화에 관한 개념이지만,
따라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사용하며 처리하는 소비를 의미
‘법적 규제’는 토론의 내용과 거리가 멀다.
한다.  ⑶ ㉢ 공정 무역 상품 구매 ㉣ 로컬푸드 구매 ㉤ 애니멀 프
② 예술의 상업화는 ‘예술의 순수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지만 ‘예
리 패션 상품 구매 ㉥ 유기농 농산물 구매
술가 지원 여부’에 관한 내용은 토론의 내용과 거리가 멀다.
17 ⑴ ㉠ 동화주의 ㉡ 국수 대접  ⑵ 예시답안  문화적 구심점이
③의 ‘정부 차원의 사전 검열’이나 ⑤의 ‘대중의 의식을 개선하는 수단’
없어 사회적 연대감이나 결속력이 부족하여 사회 통합이 어렵
에 관한 내용은 토론의 내용과 거리가 멀다.
다.  ⑶ 예시답안  두 입장 모두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한다. 그러
나 다문화주의와 달리 문화 다원주의는 문화 간 위계를 구분한다. 05 학생들은 대중문화의 상업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으므
로, 이에 대한 반론은 대중문화의 상업화에 따른 긍정적 측면

01 제시문은 예술 지상주의의 대표 사상가인 와일드의 주장이 이다. 즉, 작품의 제작과 유통이 전문화되어 대중문화가 질적

다. 그는 예술의 본질이 미적 가치만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보 으로 향상했으며, 더 많은 사람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게 되

면서, 예술은 아름다움 자체를 드러내기 위해 윤리적 규범이 었고, 현실 사회를 반영하는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을 소비함

나 사회적 목적 등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고 하였다. 즉, 으로써 사회 문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대될 수 있다는 등

예술의 영역과 도덕의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면서 덕과 미 의 내용이 적합한 반론이다.

덕도 예술을 위한 소재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바로잡기 ㄷ. 대중이 대중문화를 생산한 기업이나 생산자의 의도된
반응에 동참하는 소비자로 전락하게 된다는 것은 학생들의 문제의식
바로잡기 ④ 예술 작품이 정서적 순화와 미덕을 유발해야 한다고 보
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다.
는 것은 도덕주의의 입장이다. 와일드는 예술 작품이 도덕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에 반대한다.
06 갑은 대중문화의 선정성과 폭력성에 대한 주체적 규율뿐만
02 갑은 예술을 미(美) 자체만을 위한 것으로 보는 예술 지상주 아니라 제도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을은 제도
의 입장이다. 반면 을은 예술 작품이 선(善)의 실현을 위한 도 적 규제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시민을 정치적으로 억압
구라고 보는 도덕주의 입장이다. 예술 지상주의는 예술과 도 할 수 있음을 우려한다. 따라서 갑은 대중문화의 유해 요소에
덕의 영역을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도덕주의는 예 대해 제도적으로 규제하는 데 찬성하는 입장이다. 한편 을은
술에 대한 도덕의 우위를 주장한다. 또한 예술 지상주의는 예 기본권을 침해하는 규제는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순수 예술론을 주장하는 반면, 도덕 제도적 규제가 특정 이데올로기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수단
주의는 예술의 사회성을 강조하는 참여 예술론을 주장한다. 이 될 위험성이 있다고 본다.
바로잡기 ㄱ. 갑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공익성을 기준으로 예 바로잡기 ㄷ. 갑, 을 모두 주체적 규율은 필요하다고 본다.
술을 평가하는 것은 도덕주의 입장에만 해당한다.
07 갑은 저소득 계층이 값싼 패스트푸드를 소비하여 질병에 시
03 ㈎는 도덕주의의 대표 사상가인 톨스토이의 주장이다. 톨스 달리는 식량 불평등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을은 정당한 대가
토이에 따르면, 예술은 인류의 행복을 위한 감정 교류의 수단 를 받지 못하는 의류 생산 노동자의 인권 문제에 관해 말하고
으로서 ‘사랑의 세계 건설’이라는 사명을 완수해야 한다. 즉, 있다. 병은 집을 여러 채 보유한 사람과 집을 보유하지 못한
예술은 감상자의 도덕성을 자극하고 함양시키는 데 이바지해 사람 간의 주거 불균형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의식주
야 한다. 와 관련된 불공정의 문제는 모두 정의 문제에 해당한다.
바로잡기 ① 도덕주의는 예술에 대한 윤리적 규제나 국가적 검열을 바로잡기 ①~④ 의식주는 인간의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
인정한다. 든 제2의 자연으로 자아 정체성과 가치관 형성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
③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것은 예술 지상주의 입장이다. 향을 준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은 제시문의 내용과 거리가 멀다.

66 바른답·알찬풀이
08 제시문은 윤리적 소비의 필요성에 관한 내용이다. 로컬푸드 12 갑은 문화 상대주의를 근거로 윤리적 상대주의를 주장하고
는 주로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믿을 수 있는 친환경 농 있다. 이와 달리 을은 다양한 문화 속에 절대적이고 공통된
산물을 해당 지역에서 소비하는 것을 뜻한다. 로컬푸드를 소 가치, 즉 보편적 가치가 있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을의 입장
비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식품의 운송 에서 볼 때 갑은 자문화와 타 문화에 대한 윤리적 성찰의 중
거리를 줄여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이고 자연환경을 보전할 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수 있다. 바로잡기 ① 을은 윤리적 상대주의 입장이므로 보편타당한 도덕적
바로잡기 ① 사회적 기업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윤리적 소비의 사례 기준이 존재함을 부정한다.
이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 계층의 고용과 복지를 위해 기업 이윤의 일 ② 을의 입장에서 볼 때 갑은 윤리적 상대주의가 보편 윤리를 위배할
부를 재투자하는 기업을 말한다.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② 윤리적 소비자는 패키지여행보다 공정 여행을 선호한다. 공정 여행 ③ 갑은 문화 상대주의를 인정하므로 여러 문화가 지닌 상대적 가치
이란 그 여행지가 생활 터전인 사람들의 삶과 문화, 자연까지 존중하 를 존중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는 것을 말한다. ⑤ 을의 입장에서 볼 때 갑은 문화 상대주의를 전제로 도출한 윤리적
③ 윤리적 소비자는 개발 도상국 노동자의 인권 문제와 환경 문제를 야 상대주의가 논리적 오류임을 간과하고 있다.
기하는 패스트패션을 선호하지 않는다. 또한 동물 가죽 등을 재료로 사
용하지 않은 애니멀 프리 패션 상품인지를 따져보고 의류를 구매한다. 13 ㈎는 모든 종교가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보편 윤리를 함축하
⑤ 공정 무역은 윤리적 소비의 사례로, 판매자보다는 생산자의 권익을 고 있음을 강조하며, 참된 종교는 보편 윤리에 기반을 둔다는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내용이다. 따라서 ㈎의 입장에서 볼 때 ㈏의 문제 상황을 해
결하기 위해 제시할 방안은 종교인들이 세속의 보편 윤리를
09 제시된 내용은 순서대로 슬로푸드 운동, 로컬푸드 운동, 유기
농 농산물 소비에 관한 설명이다. 이것은 모두 먹거리에 관한 실천하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윤리적 소비의 실천 방안으로, 이러한 소비를 통해 안전한 음 바로잡기 ①, ③ (가)의 입장과 거리가 멀다.
②, ④ ‘신적인 것’의 바탕에 ‘인간적인 것’을 두어야 한다는 말은 종교
식을 섭취하여 건강을 지키는 동시에 지역의 농업을 활성화
적 계율과 일반적 도덕을 조화시켜야 한다는 말이다. 즉, 계율을 버리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문화적 다양성도 보존할 수 있다.
라거나 모두 부정하라는 표현은 (가)의 입장과 거리가 멀다.
바로잡기 ⑤ 합리적 소비는 소득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욕
구를 최대한 충족하는 소비를 말한다. 이러한 소비는 의도하지 않게
14 ㈎는 종교 간의 관용과 대화를 강조한 마틴 부버의 주장이다.
인권 침해, 사회 부정의, 동물 학대, 환경 문제 등을 조장할 수 있다.
부버는 모든 종교 속에서 동일한 교리를 발견하지 못하더라
10 강연자는 현대의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가 똑같은 모양의 도 도 열린 대화를 통해 종교 간의 공존은 가능하다고 본다. 이
미노 패나 강제 수용소와 같은 느낌을 준다고 말하면서 이러 러한 입장에서는 ㈏의 종교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타 종교에
한 건축물의 특징을 차가움과 공간 분할로 보았다. 이러한 관 대해 관용의 자세를 지니며, 신뢰를 바탕으로 한 종교 간의
점에 따르면,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주거 형태는 인간을 고립 대화와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시키고 이웃 간의 소통을 단절시키며 자아 정체성과 개성의 바로잡기 ㄴ, ㄹ. 부버는 종교 간의 대화와 공동생활을 위해 통일된
상실로 이어진다. 교리나 보편적 계율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바로잡기 ㄱ, ㄴ. 폐쇄적인 형태의 현대 건축물는 사생활을 보장하고


그에 따른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신체 15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자본 종속에 따른 문화와 소비자의 획일
를 보호하고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화, 예술가의 순수성 침해, 선정성과 폭력성 심화, 문화의 질
적 저하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11 갑은 동화주의, 을은 다문화주의 입장이다. 갑은 이주민이 출
신국의 문화를 포기하고 기존 사회에 동화되어야 한다고 주 16 이렇게 쓰면 감점 ⑵ 도덕적 가치나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려
장하는 반면, 을은 이주민을 동등하게 대우해야 하며 이들의 를 포함하지 않고 서술하거나 제시문의 기준을 단순히 나열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화주의는 집단 간의 위 하여 서술하면 감점이다.
계를 강조하는 정도는 높고, 이질적 문화에 대한 수용을 강조
하는 정도는 낮다. 이와 달리 다문화주의는 이질적 문화에 대 17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사회적 연대감’, ‘결속력’, ‘사회 통합’ 등
한 수용을 강조하는 정도는 높고, 집단 간 위계를 강조하는 의 단어를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정도는 낮다.  렇게 쓰면 감점
이 ⑶ 두 입장 모두 이주민 문화를 인정하지만,
문화 다원주의는 문화 간 위계나 우열을 구분함을 서술해야
바로잡기 ②, ④, ⑤ 갑, 을의 주장을 통해 주류 문화를 중심으로 한
문화의 공존에 관한 입장을 추론하기는 어렵다. 주류 문화를 중심으로 한다. ‘문화의 다양성 인정’ 또는 ‘문화 간의 위계’에 관한 내용
한 문화의 공존을 주장하는 입장은 문화 다원주의이다. 중 한 가지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바른답·알찬풀이 67
03 A는 이념이다. 이념은 한 사회나 집단이 지닌 특정한 가치관
Ⅵ   평화와 공존의 윤리 이자 이상적인 것으로 여기는 생각이나 견해를 말한다.
바로잡기 ② 지역 이기주의에 관한 설명이다. 대표적인 지역 이기주
갈등 해결과 소통의 윤리 의에 님비 현상과 핌피 현상이 있다.
③ 사회 계층에 관한 설명이다. 사회 계층의 양극화가 심화되면 계층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248 쪽
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이념 갈등  ⑵ 원효  ④ 세대에 관한 설명이다. 일자리나 노인 부양 문제 등 사회적 쟁점을
⑶ 토론  ⑷ 합리성  ⑸ 연대성   03 ⑴ ㉢  ⑵ ㉠  ⑶ ㉣  ⑷ ㉡ 둘러싸고 세대 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⑤ 소통에 관한 설명이다. 소통은 ‘막히지 않고 잘 통한다.’는 의미로,
249~253 쪽 주로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01 ② 02 ③ 03 ① 04 ④ 05 ④ 06 ⑤ 04 보수적 입장은 혼란보다 안정을 중시해 사회 혼란을 줄이려면


07 ③ 08 ⑤ 09 ① 10 ③ 11 ② 12 ④ 문제를 점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반면 진보적 입장
13 ② 14 ③ 15 ③ 16 ⑤ 17 ① 18 ② 은 정체보다 변화를 중시해 사회 혼란을 감수하더라도 문제를
19 ④ 20 ⑤ 21 ⑴ 『관용론』  ⑵ 예시답안  인간은 보 가능한 한 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한편 보수적 입장과 진
편적 이성을 통해 자신의 무지와 연약함을 깨닫고 상대를 용인하
보적 입장은 상황과 배경에 따라 상대적인 의미를 지닌다.
고 용서하는 관용의 미덕을 갖추어야 한다.
바로잡기 ㄴ. 사회 안정과 질서 유지를 중시하는 것은 보수적 입장이다.
22 ⑴ 원효  ⑵ 예시답안  모든 종파와 사상을 분리시켜 고집하지
말고, 더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통합해야 한다.
05 세대 갈등은 어느 사회에나 존재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갈
23 ⑴ 예시답안  대화의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를 지녀야 하며 진 등은 칡[葛]이나 등나무[藤]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모습에서
실한 대화에 힘써야 한다, 자신의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는 겸허한
유래한 용어이다.
태도를 지녀야 한다, 공적 의사 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바로잡기 ㉡ 사회 갈등의 원인으로는 이해관계의 대립 이외에도 생
한다 등  ⑵ 예시답안  서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이해 가능
각이나 가치관의 차이, 원활한 소통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성’, 사회적으로 정당한 규범에 근거해야 한다는 ‘정당성’, 진리에 바
㉣ 전체주의 사회는 통제와 지시로 일사불란하게 운영되지만, 사회 구
탕을 두어야 한다는 ‘진리성’, 자신의 의도를 진실하게 표현해야 한
성원 간의 소통과 담론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진정한 사회 통합이
다는 ‘진실성’이 있다.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01 A는 사회 갈등이다. 사회 갈등은 생각이나 가치관의 차이, 이 민주주의와 전체주의 만점 공략 노트

해관계의 대립, 원활한 소통의 부재 때문에 발생한다. 사회 갈 민주주의와 전체주의의 특징을 비교하고, 우리 사회에서 소통
등은 서로의 가치관을 고집하며 상대방의 문제점만을 지적하 과 담론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자.
고 양보하지 않을 경우 더욱 심해질 수 있다.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스스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제
바로잡기 을:사회 갈등을 예방·조정·관리하는 과정을 통해 사회에 도 → 자유, 평등, 인간 존엄성 실현 지향
민주주의
내재된 문제를 명확히 인식함으로써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 •오늘날 대의 민주주의, 참여 민주주의, 심의 민주주의,
전자 민주주의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함
정:현대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사회 갈등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강제와 억압을 통해 개인 생활의 모든 측면을 통제하고

02 빈부 갈등은 경제적 자원 축적과 분배의 불균등과 관련되며, 지시하는 강력한 중앙 집권 통치 → 사회사상으로서 위
전체주의 력과 힘을 상실하고 퇴조함
불균등의 정도가 심할수록 갈등의 정도도 심해진다. 이념 갈 •사례:이탈리아의 파시즘 국가, 히틀러의 나치 독일, 스
등은 이상적인 것으로 여기는 생각이나 견해의 차이에 따른 탈린 통치하의 구소련 등
갈등으로, 보수적 이념과 진보적 이념 간의 갈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세대 갈등은 연령별·시대별 경험의 차이로 나타난 06 제시된 사례는 국가와 지역 주민 간에 갈등이 발생했을 때 이
다. 지역 갈등은 수도권과 지방, 영남과 호남, 지역 개발의 이 해 당사자가 소통과 합의를 통해 합리적으로 이익을 조정할
해관계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지역 갈등은 지역주의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가 정치적으로 악용되면 심화될 수 있다. 바로잡기 ①, ② 제시된 사례는 공익 또는 국가의 정책과 지역의 이
바로잡기 ③ 노사 갈등은 경영자가 노동자를 동반자가 아닌 통제 대 익이 대화를 통해 합리적으로 조정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상으로 인식하고, 노동자가 정부와 경영자의 권위주의 정책을 불신할 ③ 국가는 다수결의 원리에 따라 정책을 결정할 수 있으나, 소수 의견
경우 발생한다. 오늘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동 시장을 유 도 존중하며 소통해야 한다는 제시문의 내용과 거리가 멀다.
연화함으로써 구조 조정과 비정규직이 확대되어 노사 갈등이 더욱 심 ④ 제시된 사례는 혐오 시설에 관한 국가의 정책에 지역 주민의 의견
화되고 있다. 이 반영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68 바른답·알찬풀이
07 자료 분석 노트 11 ㉡에는 기본 소득 제도의 도입을 반대하는 근거가 들어가야
한다. 기본 소득 제도의 도입을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이 제도
사회 통합은 한 사회가 공동의 목표를 향해 조화롭게 결속된 가 전체 계층의 근로 의욕을 떨어뜨리며, 세금 부담 증가와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사회 갈등을 해소하여 평등하고 서로
막대한 정부 지출을 초래한다고 본다.
신뢰하는 사회를 실현하며, 국민 개개인의 행복을 지향한다.
사회 통합은 사회적 자본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신뢰하고 상생하는 사회를 바로잡기 ㄴ, ㄹ. 기본 소득 제도를 찬성하는 입장에서는 이 제도가
실현하는 데 이바지한다. 복지 사각지대 해소로 저소득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빈부 격차를
…… 사회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 ㉠ )과/와 같은 제도적 완화해 준다고 본다.
차원의 노력과 ( ㉡ )과/와 같은 의식적 차원의 노력이 함께
사회 윤리적 관점으로, 사회 구조와
제도 및 정책의 개선에 중점을 둔다.
개인 윤리적 관점으로, 개인의
양심 함양과 덕목의 실천에 중 12 제시된 시는 벼가 서로 어우러져 기대고 사는 것을 통해 서로
점을 둔다. 신뢰하고 돕는 삶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사회 통합을 실
필요하다.
현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에 상호 존중하고 신뢰하는 태도
㉠에는 사회 통합을 이루기 위한 제도적 차원의 노력이, ㉡에 가 필요하다.
는 의식적 차원의 노력이 들어가야 한다. 제도적 차원의 노력 바로잡기 ① 사익을 포기하고 공익만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개인의
으로는 공정한 여론 수렴 절차 마련, 법치주의 확립, 적절한 자유와 권리가 위축될 수 있다.
보상 대책 수립 등을 들 수 있고, 의식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② 인간은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생활해야 하지만, 제시된 시를 통해
양보와 관용의 정신 발휘, 다양성을 인정하는 자세, 갈등을 얻을 수 있는 교훈으로 적절하지 않다.
③ 인간의 특성 중 유희적 존재에 관한 설명으로, 답변과 무관하다.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자세 등을 들 수 있다.
⑤ 인간의 종교적 삶에 관한 설명으로, 답변과 무관하다.
바로잡기 ①, ② 양보와 관용의 정신 발휘는 의식적 차원의 노력에
해당한다.
13 제시문은 원효의 주장이다. 원효는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낸
④, ⑤ 법치주의 확립은 제도적 차원의 노력에 해당한다.
다.’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를 주장하였으며, ‘말다툼, 즉
논쟁을 조화시킨다.’는 의미의 화쟁(和諍)을 강조하였다.
08 A에 들어갈 말은 구동존이(求同存異)이고, B에 들어갈 말은 바로잡기 ㄴ. 원효는 본래 하나인 마음이 진리를 다른 관점에서 보기
해불양수(海不讓水)이다. 구동존이와 해불양수는 사회 통합
때문에 다양한 이론이 생긴다고 보았으며, 자기 종파와 사상만을 옳다
을 강조하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이다. 고 고집하지 말고 좀 더 높은 차원에서 종합할 것을 강조하였다.
바로잡기 ②, ③ 화이부동(和而不同)은 남과 화목하게 지내지만 자기 ㄹ. 원효는 모든 이론 및 종파의 특수성과 상대적 가치를 인정하면서
의 중심과 원칙을 잃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전체로서 조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④ 상선약수(上善若水)는 노자의 주장으로, 최상의 선이란 물과 같다
는 의미이다. 노자에 따르면 물은 다투지 않는 부쟁의 덕과 여러 사람 원효의 사상 만점 공략 노트

이 싫어하는 낮은 곳에 처하는 겸허의 덕을 지니고 있다. 여러 종파 간의 이해를 위해 소통하는 자세를 중시한 원효의 사
상은 자주 출제되므로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
09 ㉠은 지역 갈등이다. 지역 갈등은 자기가 사는 지역의 이익이
•독창적인 불교 이론 전개:어떤 경전을 중시하는가를 따지는 중국
나 행복만을 추구하는 지역 이기주의로 나타나기도 한다. 지
과 달리 종합적으로 불교 사상을 이해하고자 함
역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 이기주의에서 벗어나기 •화쟁 사상:대립·갈등하는 여러 불교 종파의 주장들을 높은 차원
위해 노력해야 한다. 에서 하나로 아우르려는 사상임
•일심 사상:일심은 깨끗함과 더러움, 참과 거짓, 나와 너 등 일체
바로잡기 ② 자신이 속한 지역에 대한 차별 의식이나 특권 의식은 지 의 이원적 대립을 초월하는 절대불이(絶對不二)한 것이며 인간답
역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게 사는 길은 존재의 원천인 일심으로 돌아가는 것임
③ 세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해당한다.
④ 지역 갈등은 지역감정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지역감정은 특정한 지
역에 살고 있거나 그 지역 출신인 사람에게 다른 지역 사람이 갖는 좋 14 A는 하버마스이다. 하버마스는 의사소통을 할 때 대화 참여
지 않은 생각이나 편견을 말한다. 자가 참되고 옳고 진실하며 상대방이 이해 가능한 말을 해야
⑤ 종교 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해당한다. 하며, 시민은 공론의 장에서 이성적 토론을 거쳐 사회적 쟁점
에 대해 합의를 해야 한다고 보았다.
10 보편적 복지는 경제적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국민에게 복지 바로잡기 ㉠ 하버마스는 전문가 집단만이 아니라 관련된 모든 당사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면 선별적 복지는 저소득층, 장애
자들이 공론의 장에서 이성적 대화와 합리적 논의를 통해 의사 결정을
인 등 도움이 필요한 국민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할 수 있다고 보았다.
ㄱ, ㄹ. 보편적 복지에 따르면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 하버마스는 의사 결정 과정에서 효율성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합리
ㄴ, ㄷ. 보편적 복지에 따르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이다. 성을 최고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았다.

바른답·알찬풀이 69
15 제시문은 밀의 주장이다. 밀은 인간이란 끊임없이 잘못 판단 19 A 윤리는 담론 윤리이다. 담론 윤리는 윤리적 의사 결정과 관
하고 잘못 행동할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 즉 인간의 오류 가 련하여 의사소통의 합리성 실현을 강조한다. 이때 합의를 이
능성을 전제한 후 열린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밀에 따 루어 나가는 과정과 절차를 중시하며, 의사소통 과정에서 모
르면 토론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오류 가능성을 인정 든 당사자들이 지켜야 할 규범을 중시한다. 또한 담론 윤리는
하고 열린 자세로 토론에 임해야 한다. 모두의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규범만이 타당하다는 실천적 담
바로잡기 첫 번째 관점:밀은 인류 가운데 단 한 사람이 다른 생각을 론 원칙을 중시한다.
하는 경우에도 이를 존중해야 한다고 보았다. 바로잡기 ④ 담론 윤리에 따르면 어느 누구도 사회적·경제적 지위
세 번째 관점:밀에 따르면 많은 사람이 자신의 주장에는 오류가 없다 등을 이유로 담론에서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는 잘못된 믿음을 지니고 있는데, 토론은 이러한 잘못된 믿음을 깨뜨
리는 데 도움을 준다.
담론 윤리 만점 공략 노트

16 피사는 한쪽으로 치우쳐 공정하지 못하고 편파적인 말을, 둔 담론 윤리의 대표적 사상가인 하버마스의 입장을 묻는 문항은
자주 출제되므로 정리해 두어야 한다.
사는 스스로 이론이 궁색함을 알고 회피하려고 꾸며서 하는
말을 의미한다. 행정·경제 체제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강화되면서 시
등장 배경 민의 의사를 공적 결정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
바로잡기 ①, ②, ③, ④ 음사는 음란하고 방탕한 말을, 사사는 간교하
제가 발생함
게 속이는 말을 의미한다.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의 정당성을 공적 담론에서 확
보함
소통을 방해하는 그릇된 언사 만점 공략 노트 특징
•이성적으로 논의하는 능력을 가진 시민이 사회 문제
맹자는 소통을 방해하는 그릇된 언사를 다음의 네 가지로 제시 해결에 적극 참여하는 주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함
한다. 갈등 해결과 소통의 윤리에 관한 동양의 관점이 출제될 •이해 가능성:서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함
수 있으므로 정리해 두어야 한다. •정당성:사회적으로 정당한 규범에 따르며 논쟁 절
차를 준수해야 함
이상적
피사(詖辭) 한쪽으로 치우쳐 공정하지 못하고 편파적인 말 •진리성:담화 내용이 참이어야 하며, 진리에 바탕을
담화 조건
음사(淫辭) 음란하고 방탕한 말 두어야 함
•진실성:상대방을 속이려는 의도 없이 말하려는 바
사사(邪辭) 간교하게 속이는 말
를 진실하게 표현해야 함
둔사(遁辭) 스스로 이론이 궁색함을 알고 회피하려고 꾸며서 하는 말

20 가상 대담의 사상가는 마르크스이다.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


17 그림의 강연자는 도가 사상가인 장자이다. 장자는 서로 다른 아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붕괴하고, 사유 재산
것을 그 자체로 인정하고 만물의 상호 의존 관계를 이해해야
과 계급이 소멸한 평등한 이상 사회인 공산 사회가 도래할 것
한다고 보았다.
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경제적 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생산
바로잡기 ② 인의(仁義)를 실현하기 위한 수양을 강조하는 것은 유교
수단의 공유화를 주장하였다.
의 입장이다.
바로잡기 ㄱ. 마르크스는 분업이 인간 소외를 심화시킨다고 보았다.
③ 부처의 마음인 일심(一心)으로 돌아가 조화를 추구할 것을 강조한
사상가는 원효이다.
④ 장자는 모든 분별과 차별에서 벗어나 만물을 평등하게 볼 것을 주 21 이렇게 쓰면 만점 ⑵ 볼테르가 이성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합
장하였다. 리주의적 계몽사상을 펼쳤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관용론』에
⑤ 해탈을 통해 생사의 윤회에서 벗어날 것을 강조하는 것은 불교의 서 강조한 관용의 미덕을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입장이다.
22 이렇게 쓰면 만점 ⑵ 화쟁 사상이 모든 종파와 사상의 특수성
18 ㉠은 스토아학파이다. 스토아학파는 헬레니즘 시대에 제논이 과 상대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전체로서 조화하고자 했음을
창시한 학파로, 스토아(stoa)는 ‘주랑(긴 복도)’을 의미하는데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아테네 광장에 있던 공회당의 주랑에서 제자를 가르쳤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스토아학파는 모든 사람을 동등한 시 23 이렇게 쓰면 감점 ⑴ 소통과 담론 과정에서 필요한 윤리적 자
민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세계 시민주의를 제시하였다. 세를 한 가지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바로잡기 ①, ③, ④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철학자이다. 이렇게 쓰면 만점 ⑵ 하버마스가 제시한 이상적 담화 조건인


⑤ 에피쿠로스가 창시한 학파로, 스토아학파와 함께 헬레니즘 시대의 이해 가능성, 정당성, 진리성, 진실성을 모두 포함하여 서술
대표적인 사상이다. 하면 만점이다.

70 바른답·알찬풀이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254~255 쪽 03 사회 통합과 공유지의 비극 자료 분석 노트

01 ② 02 ⑤ 03 ⑤ 04 ②
마을 주민 누구도 이 초원을 소유하고 있지 않았지만, 마을 주
민이라면 누구든지 이곳에서 자신의 양을 먹일 수 있었다. 초
01 세대 갈등의 특징 미래의 주인공이자 자료 분석 노트 원의 풀이 무성할 때 이 공동 소유 제도는 별 문제가 없었다.
독창적인 시각으로 우리 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이다. 공유지의 비극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어이다.

기성세대와 청년 세대 사이에는 시대 차이로 인한 가치관과 행 그러나 마을 사람들이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양의 수를 늘


오늘날 우리 사회를 일구어 낸 장본인으로, 려 나가면서 초원은 풀을 스스로 보충하는 능력을 상실하였고,
이들이 가진 삶의 지혜를 존중해야 한다.
결국 초원은 더 이상 양을 기를 수 없는 황무지가 되고 말았다.
동 양식의 차이가 존재한다. 기성세대가 살아 온 생활 환경이
개인이 지나치게 사익을 추구하면 결과적으로 자신을 포함한
나 역사적 경험이 청년 세대와 많이 다를수록 두 세대 사이의 공동체 전부가 피해를 입게 됨을 보여 준다.

시대 차이는 더욱 크게 벌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시대 차이를


세대 간의 갈등이 심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는 ‘공유지의 비극’의 사례이다. 공유지의 비극은 사익을
기성세대는 작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청년 세대는 크게 평
지나치게 추구하면 사회 전체의 효용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
세대 갈등이 발생하는 원인에 해당한다.
가하는 경향이 있다. ……
여 준다. 즉 지나치게 사익을 추구하면 공동선을 훼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개인의 이익이 공동선과 조화를 이
제시문에 나타난 사회 갈등은 세대 갈등이다. 세대 갈등은 기
룰 수 있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성세대와 청년 세대가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여 발생
한다. 세대 갈등은 서로 다른 세대에 대한 대화와 소통의 부 바로잡기 ㄱ. 공유지의 비극은 효율성을 중시한 경제적 선택이 공동
선을 훼손하여 사회 통합을 어렵게 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청년 세대의 실업 증가와 같은 경제
ㄴ. 공유지의 비극은 공동선을 추구할 때 개인도 자유를 누리면서 혜
적 요인은 세대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 일자리, 노인 부양
택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문제 등 사회적 쟁점을 둘러싸고 세대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급격한 사회 변동을 경험한 사회에서는 세대 간 경험의 차이 04 밀과 원효의 사상 자료 분석 노트

도 커지기 때문에 세대 갈등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갑:의견 발표를 억압하는 것은 그 의견을 지지하거나 반대하
바로잡기 ② 세대 갈등은 어느 사회에나 존재하는 현상이다.
는 사람 모두에게 손해를 끼친다. 한 사람 이외에 모든 인

02 하버마스의 담론 윤리 자료 분석 노트
류가 동일한 의견이고 한 사람만이 반대 의견을 갖는다 해
도 인류에게는 그 한 사람에게 침묵을 강요할 권리가 없
밀은 소수의 의견이 진리이고 다수의 의견이 오류일 수 있고, 또
오늘날 시민은 공적 장소에서 토론할 기회를 제대로 가질 수 다.
한 소수의 의견이 오류라고 해도 부분적으로는 진리일 수 있다고
없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공적 토론이 시민에게 권장되지도 주장하였다.
을:바람 때문에 고요한 바다에 파도가 일어나지만 파도와 고
않는다. 시민 간의 합리적 의사소통이 없으면 건강한 민주 사
담론 윤리의 담론 참여자들이 합의 결과를 수용하고 요한 바다는 둘이 아니다. 우리의 일심(一心)에도 깨달음
등장 배경에 해당한다. 그것을 의무로 받아들이기 위해 필요하다. 원효의 화쟁 사상은 상반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사실은 동일한 것임
회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을 깨닫는 데서 출발한다.
의 경지인 진여(眞如)와 무명(無明)이 동시에 있을 수 있으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들에 의해 공적 문제에 대한 문제 제기와
나 이 역시 둘이 아닌 하나이다.
토론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민주적 공론장에서 이성적 시민이
시민 사회 내부에서 작동하는 의사소통의 망을 의미한다.
모두 합의할 수 있는 논증의 형태로 대화에 참가하고, 그 토론 갑은 밀, 을은 원효이다. 밀은 인간이란 끊임없이 잘못 판단하
담론 윤리는 합의를 지향해 나가는 과정을 중시한다.
고 잘못 행동할 수 있는 존재, 즉 과오를 범할 수 있는 존재이
의 결과가 법체계에 반영된다면 현대 사회의 다양한 정치적·
기 때문에 인간의 과오 가능성을 예방하고 검증하기 위한 토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원효는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모든
제시문은 하버마스의 주장이다. 하버마스는 담론 과정에서 논쟁에 대해 화해를 추구하는 화쟁 사상을 제시하였다.
이해관계자들이 자신들의 문제를 자유롭고 평등하게 의사소 바로잡기 ① 밀은 진리에 대한 모두의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자유

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주장들이 경쟁 로운 토론을 주장하지는 않았다.


③ 원효는 서로 다른 종파 간의 논쟁을 조화하는 화쟁 사상을 주장했
적으로 논증을 펼치는 담론 과정을 통해 주장의 타당성이 입
다는 점에서 자기를 중심으로 만물을 분별하는 삶을 강조했다고 보기
증되고, 결과적으로 합의를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어렵다.
바로잡기 ①, ②, ③ 하버마스는 지역 주민들이 공론의 장에서 이성 ④ 원효는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대립적인 사고를 지양하고 조화를
적 대화와 합리적 논의를 통해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보았다. 강조하였다.
④ 하버마스는 담론 과정에서 담론 참여자들이 개인적인 입장이나 바 ⑤ 밀은 소수가 주장하는 내용이 부분적으로 진리를 포함하거나 참된
람, 욕구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진리일 수 있으므로 소수의 의견을 억압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보았다.

바른답·알찬풀이 71
민족 통합의 윤리 04 수집한 자료를 통해 자유, 정의 등이 보장되지 않는 북한의
인권 침해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260 쪽
바로잡기 ①, ③, ④, ⑤ 수집한 자료와 거리가 먼 주제이다.
01 ⑴ ×  ⑵ ×  ⑶   ⑷    02 ⑴ 분단 비용  ⑵ 통일 편익 
⑶ 열린 민족주의  ⑷ 남남 갈등   03 ⑴ ㉡  ⑵ ㉠ 05 갑은 북한이 자국민의 인권을 보장할 역량이 부족하다고 보
기 때문에 보편적 가치인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도적 개입
이 국제 사회의 의무라고 주장할 것이다. 반면 을은 국제 관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261~263 쪽
계에서 내정 불간섭이 지켜져야 한다고 본다. 즉 북한의 인권
01 ③ 02 ④ 03 ④ 04 ② 05 ⑤ 06 ③
문제를 북한 당국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07 ① 08 ④ 09 ① 10 ⑤ 11 ③
바로잡기 ①, ④ 을의 입장과 일치하는 내용이다.
12 ⑴ 통일 편익  ⑵ 예시답안  이산가족 문제 해결, 국제 사회에
②, ③ 제시문과 거리가 먼 내용이다.
서의 위상 제고, 전쟁 위험의 해소 등
13 ⑴ 예시답안  남북의 다른 체제와 제도 등을 통합하는 데 드는 인권 문제 개입에 대한 찬반 근거 만점 공략 노트
비용이다. ⑵ 예시답안  역사적으로 정체성을 회복하고 민족 공동
인권 문제 개입에 대한 찬반 입장을 비교하는 문제를 해결하려
체를 건설하기 위해 필요하다. 평화와 인권 같은 보편적 가치를 실
면 각 입장의 근거를 파악해 두어야 한다.
현하기 위해 필요하다.
14 ⑴ 예시답안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면서도 동질성을 모색하는 •국가의 정당성은 구성원의 권리를 보호하고 존중할 경우
공존의 노력이 필요하다. 북한은 경계의 대상이자 동반자라는 양 찬성 에만 인정됨
근거 •주권 원칙은 인권 원칙에 종속적이어야 함
면성을 인식해야 한다.  ⑵ 예시답안  사회 문화적 교류와 협력을
•인권 유린을 막기 위한 인도적 개입은 국제 사회의 의무임
도모하여 상호 신뢰를 형성해야 한다. 국제 사회와 협력하여 평화
•근대 국가는 배타적 주권을 갖고 있고, 내정 불간섭은 국제
적이고 민주적인 통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관계의 중요한 원칙임
반대
•약소국에 대한 강대국의 주권 침해일 수 있음
근거
01 ㉠에는 통일을 반대하는 입장의 근거가 들어가야 한다. 통일 •국제 사회가 인정할 만한 심각한 인권 침해의 기준을 세우
기 어려움
을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남북 간 이질화와 경제적 격차의 심
화, 상호 간 적대감과 불신감, 통합 과정에서의 사회적·정치
적·군사적 혼란, 천문학적 통일 비용 등을 근거로 제시한다. 06 스포츠 대회 단일팀 구성, 남북 정상 회담, 이산가족 상봉 등
은 남북한 화해와 교류·협력의 사례이다.
바로잡기 ㄱ, ㄹ. 통일을 찬성하는 입장의 근거에 해당한다.
바로잡기 ① 국제 정의는 크게 형사적 정의와 분배적 정의를 추구함
02 ㉠은 분단 비용이다. 분단 비용은 분단이 계속되는 한 지속적 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으로 발생하는 비용으로, 군사비, 외교 비용과 같은 유형의 ② 한민족 네트워크는 국내외에 거주하는 한민족의 구성원들이 지속
비용과 전쟁 가능성에 대한 공포, 이산가족의 고통과 같은 무 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유대감과 정체성을 유지·발전시키고 공동의
형의 비용이 모두 포함된다. 생존과 번영을 도모하는 연결망을 의미한다.
④ 북한 이탈 주민은 북한을 탈출하여 북한 이외의 지역에 체류하고
바로잡기 ①, ② 분단 비용에는 유형의 비용과 무형의 비용이 있으며,
있는 북한 주민으로, 북한에 주소와 가족 등을 두고 있다.
민족 구성원 모두의 손해로 이어지는 소모적인 성격의 비용이다.
⑤ 동아시아의 역사 갈등에는 중국의 동북공정, 일본의 역사 교과서
③ 통일 편익으로 이어지는 투자적인 성격의 비용은 평화 비용과 통
왜곡,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이 있다.
일 비용이다.
⑤ 통일 이후 제도 통합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은 통일 비용이다.
07 A에는 분단 비용에 해당하는 유형적 비용의 사례가, B에는
03 평화 비용은 평화를 지키고 창출하기 위한 비용으로, 한반도 무형적 비용의 사례가 들어가야 한다. 유형적 비용에는 군사

전쟁 위기를 억제하거나 안보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지출된 비, 안보비, 외교 비용 등이 있고, 무형적 비용에는 이산가족

다. 평화 비용은 남북 간 신뢰를 높이고 상호 이해를 확장시 의 고통, 전쟁 가능성에 대한 공포, 이념적 갈등과 대립, 국토

켜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에 기여한다. 또한 평화 비용은 의 불균형 발전 등이 있다.

장기적으로 분단 비용과 통일 비용을 감소시키고 통일 편익 바로잡기 ②, ③ 군사비, 안보비는 유형적 비용이므로 B에 들어갈 적
절한 사례가 아니다.
을 증진시킨다. 한편, 통일 비용은 통일 이후 남북한 체제가
④, ⑤ 이념적 대립, 전쟁 가능성에 대한 공포는 무형적 비용이므로
통합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남북 간 격차 해소와 동질성 회
A에 들어갈 적절한 사례가 아니다.
복을 위해 지출된다.
바로잡기 ④ 분단의 종식과 함께 소멸하는 소모적인 비용은 분단 비용 08 제시된 글의 ‘나’는 동질성 회복을 우선하고 이후에 외형적 통
이다. 통일 비용은 통일 편익으로 이어지는 투자적인 성격의 비용이다. 일을 하는 점진적인 통일 방식을 주장하는 반면, ‘어떤 사람

72 바른답·알찬풀이
들’은 분단 비용을 고려하여 외형적 통일을 먼저 이루자고 주 이렇게 쓰면 감점 ⑵ 국가적 차원의 노력을 서술하지 않고 개
장하고 있다. 따라서 ‘나’는 ‘어떤 사람들’에게 진정한 통일을 인적 차원의 노력을 서술하면 감점이다.
위해서는 사회 통합과 같은 남북 간의 동질성 회복이 선행되
어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바로잡기 ① ‘어떤 사람들’은 분단 비용을 고려하여 외형적 통일을 앞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264~265 쪽
당기자고 주장하고 있다.
② 주변국의 이해관계에 대한 ‘나’와 ‘어떤 사람들’의 입장은 알 수 없다. 01 ④ 02 ④ 03 ⑤ 04 ⑤
③ ‘어떤 사람들’은 제도적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⑤ ‘어떤 사람들’은 사회적·문화적 통합보다 정치적·지리적 통합, 즉
외형적 통합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01 분단 비용, 통일 비용, 통일 편익 자료 분석 노트

㈎ 분단 상태가 지속됨으로써 발생하는 경제적·경제 외적 비


09 가상 편지는 우리 사회에 통일에 대한 무관심과 회의론이 증가 민족 구성원 모두의 손해로 이어지는 비용임을 알 수 있다.
용의 총체
하고, 통일의 당위성에 대한 논란으로 남남 갈등이 발생하고
㈏ 통일에 수반되는 경제적·경제 외적 비용의 총체
있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기 위해 통일 이후 남북한 체제를 통합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통일 과정과 통일 이후에 한시적으로 발생한다.
서는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합의가 중요하다.
㈐ 통일로 인해 얻게 되는 경제적·비경제적 보상과 혜택
바로잡기 ②, ⑤ 가상 편지와 거리가 먼 내용이다. 통일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통일 비용보다 크다.
③ 가상 편지는 남북 간 언어 이질화가 아니라 남남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
 는 분단 비용, ㈏는 통일 비용, ㈐는 통일 편익이다. 분단
④ 가상 편지는 평화로운 통일을 위해 남남 갈등을 극복해야 한다고
비용은 남북 분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모적 지출 비용이다.
주장하고 있다.
통일 비용은 통일 편익으로 이어지는 투자적 성격의 비용으

10 통일 한국은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풍요로운 복 로, 제도 통합 비용, 위기 관리 비용, 경제적 투자 비용 등이


지 국가, 정치적으로 자유로운 민주 국가, 우수한 전통문화를 있다. 통일 편익은 통일로 얻게 되는 경제적·경제 외적 보상
계승하고 다양한 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수준 높은 문 과 혜택으로, 규모의 경제 실현, 이산가족 문제 해결, 국제 사
화 국가, 개방적이며 인간의 존엄성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회에서의 위상 제고 등이 있다.
국가를 지향해야 한다. 바로잡기 정:통일 편익은 통일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바로잡기 ⑤ 집단주의 체제에 기초해 경제적 평등을 실현한 국가는
사회주의 국가의 이상향이다.
02 독일 통일의 교훈 자료 분석 노트

갑작스럽게 통일이 이루어진 이후, 동서독 주민들은 통일 이


11 A는 열린 민족주의이다. 열린 민족주의는 민족의 주체성을 유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지하면서 다른 민족의 문화와 삶의 양식을 포용하는 것이다. 전의 상이한 체제에서 비롯된 사고방식과 정서의 차이로 심각
바로잡기 ① 연대 의식은 사회 구성원 상호 간 또는 구성원과 사회 한 갈등을 겪었다. 서독인은 동독인을 가난하고 게으르다는
독일은 통일 이후 사회적·문화적 이질감으로 내면적 통합을 이루지 못하였다.
간의 상호 의존을 지탱하는 의식이다.
의미인 ‘오씨(Ossi)’로, 동독인은 서독인을 거만하고 잘났다는
② 세계 시민주의는 민족이나 국가 같은 지역 공동체에 속한다는 전
동서독 주민 간 편견과 갈등을 보여 주는 용어이다.
통적 관점에서 벗어나 인류를 세계 시민적 관점에서 보는 것이다.
의미인 ‘베씨(Wessi)’로 부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④ 배타적 민족주의는 자민족의 이익과 발전을 위해 다른 민족의 희
생을 당연시하는 폐쇄적이고 닫힌 민족주의이다.

 는 독일이 통일 이후 동서독 주민 간 내면적·정신적 통합
⑤ 소명 의식은 어떤 특별한 목적을 위해 부름을 받았다는 의식이다.
을 이루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음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남

12 이렇게 쓰면 감점 ⑵ 경제 외적 편익의 구체적 사례를 한 가지 북 간에도 사회적·문화적 교류와 협력을 통해 이질감을 극복


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바로잡기 ① 분단 상황 극복을 위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가)와는 관련
13 이렇게 쓰면 만점 ⑴ 통일 비용의 의미를 명확하게 서술하면 이 없다.
만점이다. ② (가)를 통해 외형적 통합 못지않게 내면적 통합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렇게 쓰면 만점 ⑵ 통일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입장을 지지 알 수 있다.
하는 근거를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③ 군사적 방법을 통해 통일을 이루는 것은 평화를 위협하므로 바람
직하지 않다.
14 이렇게 쓰면 감점 ⑴ 개인적 차원의 노력을 서술하지 않고 국 ⑤ 통일 이후 통일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가)와는 관
가적 차원의 노력을 서술하면 감점이다. 련이 없다.

바른답·알찬풀이 73
03 통일에 대한 입장 자료 분석 노트 지구촌 평화의 윤리
통일에 대해 적극적 접근을 하고 있다.
기초를  다지는  확인 문제 270 쪽
갑:통일은 민족의 문제이므로 가능한 한 빠르게 이루어야 한
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분단 비용을 해소하고 새로운 01 ⑴   ⑵ ×  ⑶   ⑷ ×  ⑸ ×   02 ⑴ 겸애  ⑵ 세계화 
분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무형의 비용이다.
⑶ 형사적 정의  ⑷ 공적 개발 원조  ⑸ 노직   03 ⑴ ㉡  ⑵ ㉠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또한 남북 간 교류·협력과 북한에
통일로 얻게 되는 보상과 혜택인 통일 편익을 의미한다.
⑶㉢
대한 인도적 지원은 남북 간 신뢰 구축과 대화를 위한 통
로이므로 북핵 문제와 분리하여 추진해야 한다. 실력을  키우는  실전 문제 271~275 쪽
북한의 상황과 무관하게 대북 지원을 해야 한다는 인도주의 입장이다.
을:통일은 국제 공조를 바탕으로 여건이 성숙할 때까지 철저 01 ⑤ 02 ① 03 ① 04 ④ 05 ② 06 ②
히 준비하여 이루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통일 07 ④ 08 ④ 09 ③ 10 ④ 11 ⑤ 12 ②
통일에 대해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다. 13 ③ 14 ③ 15 ① 16 ③ 17 ② 18 ④
비용을 더 적게 투입해야 한다. 또한 북한에 경제적 지원 19 ②
통일 이후 남북의 서로 다른 체제와 제도 등을 통합하는 데 지출되는 비용이다.
20 ⑴ 구성주의  ⑵ 예시답안  분쟁 해결을 위해 자국과 상대국이
을 하는 것은 핵 개발을 돕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북핵 문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해야 한다.
제를 해결하기 전까지는 남북 간 교류와 협력을 중단해야
북한에 일정한 변화를 요구하면서 대북 지원을 해야 한다는 21 ⑴ A:소극적 평화 B:적극적 평화  ⑵ 예시답안   ㉠은 폭행,
한다.
상호주의 입장이다. 구타, 테러, 전쟁 등 물리적이고 의도적인 폭력을 의미한다. ㉡은
종교, 언어, 예술 등을 통해 직접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을 용인하
갑은 통일에 대한 적극적 입장으로, 신속한 통일 방식을 강조
고 정당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징적인 폭력을 의미한다.
하면서 인도주의에 따른 대북 지원 방식을 지지하고 있다. 또
22 ⑴ 갑:싱어 을:롤스  ⑵ 예시답안  인권이 보장되고 민주적
한 분단 비용을 해소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외형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사회이다, 구성원들의 선(善)을 증진해 주
적·제도적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을은 통일에 대한 소
면서도 구성원들이 동의한 정의관에 의해 효율적으로 규제되는
극적(신중한) 입장으로, 점진적 통일 방식을 강조하면서 상호 사회이다, 사회의 기본 제도가 공정으로서의 정의의 원칙에 따라
주의 원칙에 따른 대북 지원 방식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통 편성·운영되는 사회이다 등
일 비용 절감을 위한 국제 공조와 철저한 통일 준비를 강조하
고 있다. 따라서 갑의 입장에 비해 을의 입장은 X는 높음, Y
01 현실주의에 따르면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이며, 국가는 자국
는 높음, Z는 낮음에 해당한다. 의 이익만을 추구하고, 평화는 힘의 균형을 통해 전쟁을 예방
또는 억지하는 것이다.
04 공리주의 관점에서 제시하는 통일의 필요성 자료 분석 노트
바로잡기 갑:이상주의 입장에 해당한다.

•도덕적 행위의 기준은 공리의 원리이다. 행위는 다수의 행복 을:구성주의 입장에 해당한다.
‘유용성의 원리’라고도 한다.
을 증대하는 정도에 비례하여 옳고, 고통을 파생시키는 정도 02 ㈎는 현실주의, ㈏는 정의 전쟁론의 입장이다. 현실주의 입
에 비례하여 그르다. 벤담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중시하였다. 장에서는 모든 국가가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며, 이러한 국가
•인간은 쾌락을 최대화하고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행동한 들로 구성된 국제 사회는 권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투쟁하고
다. 행위의 옳고 그름을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은 행위에 의해 있다고 본다. 한편, 정의 전쟁론의 입장에서는 무고한 사람의
벤담은 인간이 쾌락과 고통이라는 두 군주의 지배를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인권 보호, 부당하게 침해된 권리의 회복, 적국의 침입에 대
생겨날 쾌락과 고통의 양이다.
벤담은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동일하며 양적인 차이만 있다고 주장한 양적 공 한 방어 등을 위한 전쟁은 정당하며, 전쟁에 대한 도덕적 제
리주의자이다.
한 조치를 수용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의 입장에 비해
㈏의 입장은 X는 낮음, Y는 높음, Z는 높음에 해당한다.
갑은 공리주의 사상가인 벤담이다.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가능한 한 많은 사람에게 최 03 ㈎는 이상주의, ㈏는 현실주의 입장이다. 이상주의는 인간의
대의 이익이나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위를 옳은 행위라고 본 본성에 대해 낙관하면서 국제법이나 국제기구, 국제 규범을
다. 따라서 벤담의 입장에서 볼 때, 통일은 분단 상태일 때보 통해 평화가 가능하다고 본다. 이와 달리 현실주의는 국가 간
다 우리에게 더 큰 통일 편익을 가져오기 때문에 통일을 해야 세력 균형을 통해 평화가 가능하다고 본다. 현실주의는 군비
한다. 경쟁을 유도할 수 있고, 다양한 행위 주체의 존재와 협력 관
바로잡기 ①, ②, ③ 역사적·민족적 당위성에 근거한 통일의 필요성 계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다. 바로잡기 ① 이상주의의 낙관적 기대는 현실에서 나타나는 국가 간
④ 민족의 동질성 회복을 강조한 통일의 필요성이다. 경쟁이나 갈등과 괴리가 있다는 한계가 있다.

74 바른답·알찬풀이
현실주의와 이상주의 만점 공략 노트 09 제시문은 국제 형사 재판소와 같은 국제기구를 통해 반인도
적 범죄에 대해 정당한 제재를 가함으로써 형사적 정의를 실
현실주의와 이상주의를 비교하는 문항은 자주 출제되므로 잘
정리해 두어야 한다. 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콩고 반군 지도자 루방가의 사례를
통해 국제 범죄에 대한 정당한 처벌이 중요함을 추론할 수 있
구분 현실주의 이상주의
다. 반인도적 범죄는 국제법상 처벌이 정당화되는 국제 범죄
핵심 개념 힘, 권력 이성
에 해당한다. 반인도적 범죄 행위에 대해 합당한 처벌을 내려
갈등 원인 자국 이익 추구 잘못된 제도
야 한다는 내용에서 형사적 정의의 실현을 강조함을 알 수 있
국제 기구, 국제법, 국제
갈등 해결 국가 간 세력 균형 다. 형사적 정의는 국제 사회의 평화와 질서를 해치는 사람이
규범을 통한 제도 개선
군비 경쟁 유도, 다양한 나 집단을 처벌하여 행동에 제한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실과 낙관적 전망 사
한계 주체의 존재와 협력 관 국제 형사 재판소는 반인도적 범죄를 저지른 가해자의 처벌
이의 괴리
계를 설명하지 못함
을 주로 담당하는 상설 국제 재판소로, 국제 사회가 반인도적
범죄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에 해당한다.
04 제시문은 헌팅턴의 주장이다. 헌팅턴은 종교를 기준으로 문명 바로잡기 ③ 지구촌 분배 정의 문제의 해결을 우선하는 것은 분배적
을 구분하였으며, 문명 간 차이로 인해 국제 분쟁이 발생한다 정의의 실현과 관련 있다.
고 주장하였다. 또한 단층선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 자제의 원
칙, 중재의 원칙, 동질성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10 제시문은 왈처의 주장이다. 왈처는 무력이 정의 실현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지만, 전쟁의 시작, 수행 과정, 종식
바로잡기 ㄹ. 뮐러의 입장이다. 뮐러는 국제 분쟁의 원인을 소통과 단
이후에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개전 명분과
절로 인한 불안이라고 보아 문명 간 관용, 개방과 소통을 중시하였다.
상관없이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
05 A는 칸트이다. 그는 국제 관계를 이상주의 입장에서 파악하 하는 등 정의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여 국가는 분쟁 관계에서 도덕성을 고려해야 하며, 평화 유지 바로잡기 ㄷ. 왈처는 정의 전쟁론의 관점에서 전쟁의 도덕적 정당성 여
를 위해 자유로운 국가들 간의 연맹에 참여해야 한다고 본다. 부를 판단하므로 모든 형태의 전쟁을 도덕적 판단의 대상이라고 본다.
바로잡기 첫 번째 입장:칸트는 국제 평화를 위해서는 국제법이 필
요하다고 보았다. 11 세계화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세계화로 인해 일부 선
네 번째 입장:현실주의 입장에 해당한다. 칸트는 국가의 이익보다 인간 진국이나 다국적 기업이 자본을 독점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의 존엄성, 자유, 평등 등 보편적 가치를 우선 달성해야 한다고 보았다. 지역의 전통이나 특성을 살려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경쟁력
을 갖추려는 현상이나 전략으로 지역화를 제시한다. 그러나
06 묵자의 겸애 사상은 자기를 사랑하듯이 남을 사랑하고, 자기
지역화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배타성과 폐쇄성으로 인해 갈등
집·자기 나라를 사랑하듯이 남의 집·다른 나라를 사랑하면
이 발생할 수 있다. 세계화와 지역화의 절충안으로 등장한 글
천하가 태평하고 백성이 번영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로컬리즘은 지역의 전통이나 특색을 소중히 여기면서도 세계
바로잡기 ① 묵자의 주장에 해당하지만 ㉠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③은 장자의 제물(齊物), ④는 유교의 인(仁), ⑤는 장자의 소요(逍遙) 화하는 것이다.
에 관한 설명이다. 바로잡기 ⑤ 글로컬리즘은 지역의 전통과 특색을 유지하면서도 세계
화하려는 것으로, 자기 지역의 이익만을 도모하려는 것이 아니다.
07 적극적 평화란 물리적 폭력은 물론 문화적 폭력과 구조적 폭
력과 같은 간접적 폭력까지 모두 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12 국제 사회는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국제 사법 재판소
바로잡기 ①, ②, ③ 평화의 소극적 의미에 관한 설명이다. (ICJ)와 같은 기구를 활용하여 화해와 중재를 실천하고, 분쟁
⑤ 적극적 평화는 평화의 개념을 국가 안보 차원에서 인간 안보 차원 당사국은 판정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으로 넓게 규정한 것이다. 바로잡기 ② 국제 형사 재판소(ICC)는 국제 사회의 형사적 정의를 실
현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반인도주의적 범죄를 자행한 가해자 개인
08 제시문은 갈퉁의 주장이다. 갈퉁은 직접적 폭력뿐만 아니라
의 처벌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간접적 폭력까지 사라진 상태인 적극적 평화를 강조하였다.
① 갈퉁은 구조적 폭력을 간접적 폭력으로 설명하였다.
13 형사적 정의는 범죄의 가해자를 정당하게 처벌함으로써 실현
바로잡기

②, ③ 갈퉁은 소극적 평화만으로는 진정한 평화를 이루기 어려우며,


되는 정의이고, 분배적 정의는 재화의 공정한 분배를 통해 실
소극적 평화뿐만 아니라 적극적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현되는 정의이다. 국제 정의는 지구촌 구성원 모두의 인간다
고 주장하였다.
⑤ 갈퉁은 적극적 평화를 실현하려면 직접적·구조적 폭력을 정당화하 운 삶을 위해 필요하다.
는 문화적 폭력까지 제거해야 한다고 보았다. 바로잡기 ㉠은 분배적 정의, ㉢은 형사적 정의에 관한 설명이다.

바른답·알찬풀이 75
㉣ 국제 정의는 반인도주의적 범죄와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③, ⑤ 제시문은 국가 정체성과 세계 시민성이 양립할 수 있으며 상호
으로, 선진국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니다.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④ 제시문은 배타적 국가주의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내용이다.
14 A에는 의무의 관점에서 ‘예’, 자선의 관점에서 ‘아니요’라고 대
답할 질문이, B에는 자선의 관점에서 ‘예’라고 대답할 질문이 18 자료 분석 노트
싱어임을 알 수 있는 핵심어이므로 기억해 두자.
들어가야 한다. 자선의 관점에서는 가난한 나라나 사람들을
갑: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에서 보면, 고통을 덜어 주어야 할
돕는 원조 행위는 선택의 영역이라고 본다.
궁극적이고 도덕적인 이유는 고통은 그 자체로 바람직하
바로잡기 ①, ② 의무의 관점에서 ‘아니요’, 자선의 관점에서 ‘예’라고 지 않기 때문이다. 인종은 이익을 고려하는 데 아무런 상
대답할 질문이다. 관이 없다. …… 그것이 특정한 인종이 겪는 고통이라는
④, ⑤ 자선의 관점에서 ‘아니요’라고 대답할 질문이다.
이유로 고려를 덜 한다면 이는 자의적인 차별이 될 것이
다. 종 차별주의에 대해 비판하는 내용이다.
해외 원조에 대한 입장 만점 공략 노트
을:자유 세계에서 새로운 소유물은 자발적 교환과 행위에서
해외 원조에 대한 입장은 대표적 사상가를 중심으로 명확하게 발생한다. 부유한 나라가 약소국에 원조를 하지 않는다고
이해해 두어야 한다. 해서 그것을 옳지 않다고 비난할 수 없다.
노직임을 알 수 있는 핵심어 원조는 의무가 아닌 선택임을 주장한다.
질문 의무의 관점 자선의 관점
이므로 기억해 두자.
예. 해외 원조는 인류 아니요. 해외 원조는
원조는 윤리적
에게 주어진 의무이기 개인이나 국가가 선택
의무인가? 갑은 싱어, 을은 노직이다. 노직은 개인이 사적 차원에서 자
때문이다.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발적으로 원조를 할 수는 있지만, 이를 의무로 요구하는 것은
원조를 하지 않
는 것은 비윤리 예 아니요 개인의 소유권에 대한 권리 침해라고 본다.
적 행위인가? 바로잡기 ① 싱어의 입장이 아니다.
•칸트 (의무론) ② 싱어는 원조를 통해 얻는 이익이 비용보다 클 경우 어떤 공동체의
대표적인 사상
•싱어 (공리주의) 노직 (자유주의) 구성원인지에 관계없이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가는 누구인가?
•롤스 (정의 실현)
③ 노직은 원조를 자선의 관점으로 접근한다.
⑤ 싱어는 해외 원조를 도덕적 의무로 보지만, 노직은 자선의 관점으
로 본다.
15 ㈎는 해외 원조에 대한 아퀴나스의 입장, ㈏는 싱어의 입장,
㈐는 롤스의 입장이다. 아퀴나스, 싱어, 롤스는 원조의 필요 19 제시문은 롤스의 주장이다. 롤스는 원조가 질서 정연한 사회
성에 대한 근거는 각기 다르지만, 원조를 해야 한다고 보는 를 만드는 것, 즉 자유 민주주의적인 제도가 정착된 사회를
의무의 관점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형성하는 것에 대한 의무라고 본다. 싱어는 원조가 전 인류의
바로잡기 ② 해외 원조에 대해 자선의 관점을 지닌 사상가는 노직이다. 행복 증진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롤스에게 원
③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해외 원조를 의무라고 보는 것은 싱어만이므 조의 목적은 형식이 아니라 인류의 실질적 행복 증진에 있다
로 공통 주제로 부적절하다.
고 비판할 수 있다. 한편, 노직은 원조가 의무가 아닌 선의를
④ 형사적 정의는 범죄의 가해자를 정당하게 처벌함으로써 실현된다.
베푸는 자선 행위라고 본다. 따라서 롤스에게 원조는 의무가
⑤ 수집 자료는 해외 원조를 의무로 여기므로 해외 원조에 대한 책임
아닌 선택 사항이라고 비판할 수 있다.
을 긍정하는 입장이다.
바로잡기 ㄴ. 롤스는 원조 여부를 결정할 때 그 사회의 정치·문화의
16 A 사상가는 롤스이다. 롤스는 원조의 목적을 불리한 여건으 성숙도를 고려한다.
로 고통받는 사회를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되도록 돕는 것이라 ㄹ. 롤스는 원조가 정의 실현을 위한 의무임을 강조한다.

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가난한 나라일지라도 질서 정연하다


20 이렇게 쓰면 만점 ⑵ 구성주의 입장에서 분쟁을 해결하는 방
면 원조를 할 필요가 없다.
안을 서술할 때 ‘긍정적 상호 작용’이라는 핵심어를 포함하여
바로잡기 ㄱ, ㄴ. 롤스는 차등의 원칙을 국제 사회에 적용하는 것을
서술하면 만점이다.
반대하고, 해외 원조를 경제적 분배의 과정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21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직접적 폭력의 의미와 문화적 폭력의 의
미 중 한 가지만 서술하면 감점이다.
17 제시문은 지구촌 시대의 구성원으로서 국가 정체성과 세계
시민 의식을 조화시켜야 한다는 내용이다. 22 이렇게 쓰면 만점 ⑵ 질서 정연한 사회는 인권과 민주적 질서
바로잡기 ① 국가 정체성은 국민적 단합과 국가에 대한 소속 의식을 가 보장되고 사회의 기본 제도가 정의의 원칙에 따라 운영된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다는 점을 포함하여 서술하면 만점이다.

76 바른답·알찬풀이
등급을  올리는  고난도 문제 276~277 쪽 칸트는 국제 연맹 하에서도 개별 국가는 주권을 가져야 하며,
전쟁을 방지하고 국가 간의 영원한 평화를 이루기 위해 모든
01 ⑤ 02 ⑤ 03 ① 04 ②
국가는 민주적 법치 국가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⑤ 국가 간의 세력 균형을 강조하는 것은 현실주의이다.
01 문명의 충돌과 문명의 공존
바로잡기
자료 분석 노트

갑:문명의 충돌은 세계 평화의 가장 큰 위협이다. 냉전 이후 03 세계화에 대한 부정적 입장 자료 분석 노트


문명 간의 갈등은 미시적 차원의 ‘단층선 분쟁’과
거시적 차원의 ‘핵심국 분쟁’으로 발생한다.
과거에 선진국들은 보호 무역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습니
서로 다른 문명에 속한 집단, 인접 국가, 핵심 국가들 사이 국내 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가질 때까지 국가가 그 산업을 보호·육성하면서 대
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문명의 충돌은 종교와 같은 문 외 무역(수입)을 통제하는 것으로서, 주로 관세, 수출 보조금, 수입 할당제 등의
수단으로 규제한다.
화적 신념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다. 하지만 자국이 막강한 경쟁력을 갖추게 되자 다른 나라들
헌팅턴은 세계를 서구권, 중화권, 힌두교권, 아프리카권 등의 문명 권역으
로 나누고 이들 문명을 지지하는 기반이 거대 종교라고 분석하였다. 에게는 세계적 기준이나 자유 무역을 따르라고 강요합니다.
을:문명의 차이는 갈등을 심화시키는 하나의 계기에 불과하 국가가 외국 무역에 아무런 제한을 가하지 않고, 보호나 장려도 하지 않는 무역이다.

며 국제 갈등은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한다. 문명 간에는 …… 이러한 일은 세계화 시대에 빈번하게 일어나며 점차 심화
세계화에 대해 부정적 입장임을 알 수 있다.
공통점이 많으며 공존을 위해 타 문명을 더 많이 배워야 하고 있습니다.
서로의 공통점을 확인하면서 상대에 대한 경계를 풀고
분쟁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강연자는 세계화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다. 세계화의 기준이
한다. 따라서 문명의 공존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뮐러는 문명의 공존을 위해 동맹을 맺고 경제적으로 협력 이미 우위를 선점한 선진국에는 유리하지만, 후진국에는 불리
하는 것, 상대에 대한 관용 등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하기 때문에 세계화가 자본과 시장의 독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고 본다.
갑은 헌팅턴, 을은 뮐러이다. 헌팅턴은 분쟁의 원인이 문명의
바로잡기 ② 강연자는 세계화가 선진국에만 유리하다고 본다.
이질성에 있다고 보며, 동일한 문명 혹은 공통의 문화를 가진
③, ④ 자유 무역 확대와 자유 경쟁 강화는 경제적 효율성을 증진시킬
국가들은 핵심국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데 비해 서로 다른 문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선진국과 후진국 간 격차는 더욱 커질 것이다.
명권에 속한 나라와는 분열을 반복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강연자가 지지할 주장과 거리가 멀다.
반면, 뮐러는 분쟁의 원인은 소통의 단절로 인한 불안이며, ⑤ 세계화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의 주장이므로 강연자가 지지할 주장
따라서 서로 이해하려는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았 과 거리가 멀다.

다. 또한 복잡한 국제 관계를 종교를 중심으로 한 문명 간의


충돌로만 단순화시켜 이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04 원조에 관한 싱어와 롤스의 입장 자료 분석 노트

바로잡기 ⑤ 탈냉전 시대에 이념이나 경제 대신 종교를 중심으로 한


갑:자원은 한정되어 있기에 최대의 이익이 산출될 수 있는 곳
문명권 간의 충돌을 국제 분쟁의 주요 요인으로 본 것은 헌팅턴이다.
싱어는 공리주의에 입각하여 행복의 최대화를 추구한다.
에 사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 인류 전체의 이익 증진
02 왈처의 정의 전쟁론과 칸트의 이상주의 자료 분석 노트 을 위해 절대 빈곤으로 고통받는 사회의 사람들을 원조해
싱어는 빈곤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도와야
왈처는 전쟁이 도덕적 제약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야 한다.
한다고 주장한다.
갑:전쟁이 정의롭기 위해서는 전쟁 개시, 전쟁 수행 과정, 전 을:자원이 부족하다고 해서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될 수 없는
쟁 종식과 평화 정착에서 정당성을 갖추어야 한다. 비록 롤스에 따르면 자원이 부족하더라도 질서 정연한 사회일 수 있고,
질서 정연하다면 원조의 대상이 아니다.
개전(開戰)의 측면에서 정당화될 수 없는 전쟁일지라도 그
경우는 거의 없다. 어떤 사회가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되는
수행 과정과 전후 처리는 정의로워야 한다.
결정적 요인은 자원의 수준보다는 정치 문화이다. ……
을:항구적인 평화를 위해 모든 국가의 시민적 정치 체제는 공 롤스는 빈곤의 문제가 물질적 자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정치·사회적 결함 때문이라고 본다.
화정체(共和政體)이어야 한다. 그리고 국제법은 자유로운
여러 국가의 연맹 체제를 기초로 해야 하며, 세계 시민법
칸트는 각국이 국제법의 적용을 받는 평화 연맹을 구성할 것을 요구한다. 갑은 싱어, 을은 롤스이다. 싱어는 원조의 목적을 인류 전체
은 보편적인 우호의 조건들에 국한되어야 한다. 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라고 보는 반면, 롤스는 고통받는
이방인이 다른 나라에 갔을 때, 그곳에서 이방인이 평화적으로
행동하는 한 적대적으로 대우받지 않을 권리이다. 사회가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되도록 돕는 것이라고 보았다. 싱
어와 롤스 모두 원조를 해야 하는 이유를 자선이 아닌 의무의
갑은 정의 전쟁론을 주장한 왈처, 을은 이상주의 입장인 칸트 관점에서 이해하였다.
이다. 왈처는 정당한 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전쟁은 허용될 수 바로잡기 ㄴ. 싱어와 롤스는 국가 간 경제적 평등을 추구하지 않았다.
있으며, 개전에서 정당화될 수 없는 전쟁을 수행하는 경우라 ㄹ. 롤스는 빈곤하지만 질서 정연한 사회라면 원조를 하지 않아도 된
도 그 과정은 정의롭게 이끌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다고 보았다.

바른답·알찬풀이 77
수능  특강 280~281 쪽 서 눈에 보이는 직접적 폭력보다 더 심각한 것은 간접적 폭력, 즉

유형 1   ① 유형 2   ② 유형 3   ③ 유형 4   ④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이므로 이를 인식하고 해소해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유형 1  선택지 분석
하버마스의 담론 윤리 이해하기
가상 대담의 사상가는 하버마스이다. 하버마스는 사회적 행위를 ① 적극적 평화를 위한 직접적인 폭력 사용은 인정되어야 한다.
→ 갈퉁은 직접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지향하였다.
조정하는 행정 및 경제 체계의 영향력이 과도해지면서 시민의 의 즉, 폭력 사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인정되지 않는다.
사가 공적 결정에 올바르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② 직접적인 폭력의 제거가 간접적인 폭력의 제거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합리성을 실현해야 → 갈퉁은 적극적 평화의 실현을 위해 직접적 폭력뿐만 아니라
간접적 폭력도 제거해야 한다고 보았다.
하며, 공정한 담론 절차를 공적 의사 결정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③ 빈곤, 인권 침해 등으로 인간 삶의 질이 저하되는 상태도 폭력이다.
시민의 의사를 반영한 합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보았다. → 갈퉁이 주장하는 간접적 폭력에는 빈곤과 인권 침해가 포함되며,
이러한 폭력까지 제거해야 적극적 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선택지 분석
④ 국제 평화 개념은 국가 간에 전쟁이 없는 상태로 국한되어야 한다.
① 공론장에서 행정 및 경제 체계의 효율성을 강조해야 합니다. → 갈퉁이 주장하는 국제 평화 개념은 국가 간 전쟁이 없는 소극적 평화뿐만 아니라
→ 효율성을 강조하면 행정 및 경제 체계의 영향력이 더 강화될 수 있다. 적극적 평화의 상태를 의미한다.

② 공론장에서 기업과 정부가 시민의 의견을 경청해야 합니다. ⑤ 폭력의 개념은 공인되지 않은 비합법적인 무력의 사용으로 한정된다.
→ 하버마스는 시민의 의사를 공적 결정에 올바르게 반영할 것을 주장하였다. → 갈퉁이 주장하는 폭력의 개념은 공인되지 않은 비합법적인 무력뿐만 아니라
공인된 무력의 사용까지 포함한다.
③ 공정한 담론 절차를 준수한 합의의 결과를 수용해야 합니다.
→ 하버마스는 공정한 담론 절차에 의한 합의와 합의 결과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였다.
유형 4  해외 원조에 대한 롤스와 싱어의 입장 비교하기
④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공론장의 개방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자료 분석
→ 하버마스는 시민은 누구나 평등하게 담론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어떤 주장이든 자유롭게 개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갑:공정으로서의 정의와 달리 만민법은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최소
⑤ 공론장에서 정확하고 이해 가능하며 진실한 말로 주장해야 합니다. 수혜자에게 이익이 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모든 사회가 ‘질서
→ 하버마스는 의소사통의 합리성을 실현하려면 담론에 참여한 사람들이 롤스는 차등의 원칙을 국제 사회에 적용하지는 않는다.
참되고, 옳고 진실하며,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말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정연한 사회’가 될 때까지 만민법에 따라 원조의 의무를 이행해야
빈곤 문제가 정치·사회적 제도의 결함 때문이라고 보아, 빈곤하더라도
한다.
질서 정연하다면 원조의 의무를 이행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유형 2  칸트의 영구 평화론 이해하기
을:세계를 지금 이대로 내버려 둔다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자신의
제시문은 칸트의 주장이다. 그는 개별 국가들이 정체성을 유지하 세계 시민주의 관점을 보여 준다.
면서 상호 우호적 관계에 근거한 국제 평화를 추구하는 것이 가장 나라가 ‘질서 정연한 사회’가 되기 전에 영양실조와 가난으로 죽
바람직하며, 국가 간 영구적인 평화를 달성하는 것은 어렵기는 하 어 갈 것이다. 원조의 의무는 인류 전체의 공리 증진을 위해 지속
싱어는 롤스의 입장을 비판하며,
지만 인간의 노력에 의해 실현 가능한 이상이라고 주장하였다. 되어야 한다.
공리주의 입장에서 해외 원조가 인류의 의무임을 강조한다.

선택지 분석
갑은 롤스, 을은 싱어이다. 롤스는 해외 원조를 국가 간의 경계를
① 자유 국가들 간의 연방 단계에서 세계 정부를 수립해야 한다. 중시하는 국제주의적 관점에서 보고, ‘고통받는 사회’를 ‘질서 정
→ 칸트는 자유로운 국가들 간의 연맹 체제 구축을 주장하였다.
연한 사회’로 만드는 데 원조의 목적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② 세계 시민법은 보편적 우호 조건을 규정하는 데 국한되어야 한다.
싱어는 해외 원조를 공리주의 관점과 세계 시민주의 관점에서 보
→ 칸트가 제시한 영구 평화를 위한 확정 조항에 해당한다. 칸트가 주장하는 세계 시
민법은 개별 국가들의 보편적 우호의 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고, 인류 전체의 고통 감소와 행복 증진에 도움을 주는 데 원조의
③ 도덕적 입법의 한계를 세계 정부의 강제력으로 보완해야 한다. 목적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롤스와 싱어는 모두 해외 원조를 의무
→ 칸트는 자유로운 국가들 간의 연맹 체제에 기초한 국제법을 강조하였다.
로 이해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④ 세계 평화의 정착을 위해 개별 국가의 주권은 폐지되어야 한다.
→ 칸트는 영구 평화를 위해서는 국가 간 주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보았다. 선택지 분석

⑤ 세계 평화는 실제로는 불가능하나 정치적 의무로 설정해야 한다. ① 갑:모든 빈곤국을 원조의 대상으로 간주해야 한다.
→ 칸트는 국제 관계에 대한 이상주의 입장으로, 영구 평화의 달성이 → 롤스는 질서 정연한 빈곤국은 원조의 대상이 아니라고 보았다.
어렵기는 하지만 실현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② 갑:원조 정책은 지구적 차등 원칙에 근거해야 한다.
→ 롤스는 자신의 차등의 원칙을 지구적 차원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보지 않았다.

유형 3  갈퉁의 평화론 이해하기 ③ 을:질서 정연한 사회의 빈민은 원조의 대상일 수 없다.
→ 롤스의 입장에 해당한다.
제시문은 갈퉁의 주장이다. 그는 평화를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
④ 을:원조의 의무는 국경을 초월한 세계 시민적 의무이다.
화로 구분하고, 소극적 평화는 테러, 전쟁과 같은 직접적 폭력이
→ 싱어는 국가에 상관없이 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동등한 원조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는 직접적 폭력뿐만 아니라 간접적 폭력 ⑤ 갑, 을:원조를 통해 모든 사회의 복지 수준을 일치시켜야 한다.
까지 모두 사라진 상태를 말한다. 갈퉁은 적극적 평화를 강조하면 → 평등주의적 입장으로, 롤스와 싱어의 입장에 해당하지 않는다.

78 바른답·알찬풀이
284~287 쪽
실전 대비 Ⅵ 단원 문제 마무리 고 동시에 전체로서 조화를 추구하며, 특정한 교설이나 학설을 고집하
지 않고 좀 더 높은 가치를 이끌어 내는 사상으로, 고정된 사고방식에
01 ⑤ 02 ③ 03 ① 04 ⑤ 05 ④ 06 ④ 서 나오는 차별 의식을 지양할 것을 주장한다.
07 ⑤ 08 ③ 09 ② 10 ② 11 ⑤ 12 ④ ④ 원효의 일심 사상은 참과 거짓, 깨끗함과 더러움 등 일체의 인위적
13 ④ 14 ① 15 ③ 16 ① 인 대립을 초월할 것을 지향한다.
17 ⑴ 예시답안  사회 내 개인이나 집단이 상호 작용을 통해 하나
로 통합되는 과정이다.  ⑵ 예시답안  개인의 행복한 삶을 실현하 05 제시문은 하버마스의 주장이다. 하버마스는 합리적 의사소통
기 위해 필요하다. 사회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 을 위해서는 돈이나 권력에 의한 왜곡과 억압이 없어야 하며,
18 ⑴ 예시답안  분단으로 인한 대립과 갈등으로 남북한이 부담하 이상적 담화 조건으로 이해 가능성, 정당성, 진리성, 진실성을
는 유·무형의 모든 비용을 말한다.  ⑵ 예시답안  군사비, 안보비
제시하였다.
와 같은 유형의 비용과 전쟁 가능성에 대한 공포, 이산가족의 고통
바로잡기 두 번째 관점:하버마스는 담론 윤리를 통해 서로를 이해
과 같은 무형의 비용이 있다.
하여 합의를 이루어 나가는 과정을 중시하였다.
19 예시답안  인도적 차원에서 이산가족의 슬픔을 해소하고, 남북
한의 이질성을 극복하기 위해서이다.
06 ㉠에 들어갈 내용은 통일을 희망하는 적극적 입장의 근거
20 예시답안  이방인이 낯선 땅에 갔을 때 그가 평화적으로 행동하
이다.
는 한 적으로 간주되지 않을 권리이자 존중받을 권리이다.
바로잡기 ④ 남북의 경제적 격차와 막대한 통일 비용은 통일을 반대
하는 입장의 근거에 해당한다.
01 A는 세대 갈등, B는 지역 갈등이다.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사
회 갈등으로 세대 갈등, 지역 갈등, 이념 갈등 등이 있다. 세 07 ㉠은 ‘코리아 디스카운트’이다. 통일로 인한 안보 위협의 해소는
대 갈등은 어느 사회에나 존재하는 현상으로, 이를 완화하기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전환시킬 것이다.
위해서는 세대 간 차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소통하며 바로잡기 ① 통일 비용은 남북 통일에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한다.
공감대를 형성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한편, 지역 갈등은 정부 ② 통일 편익은 통일로 얻을 수 있는 편리함과 이익을 뜻한다.
③ 규모의 경제는 생산 규모의 증가에 따라 평균 생산비가 감소하는
주도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집중적으로 개발하면서
현상을 뜻한다.
나타나게 되었다.
④ 코리아 프리미엄은 한국 증시에 외국인의 투자가 늘어나고, 한국의
바로잡기 ⑤ 연고주의는 혈연, 지연, 학연을 중심으로 파벌주의를 조 대외적 국가 브랜드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경제 분야에서 나타나는 한
장함으로써 공정성과 합리성을 저해할 수 있다. 국에 대한 선호 현상을 말한다.

02 갑은 보편적 복지를, 을은 선별적 복지를 주장한다. 보편적


복지는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복지를 고루 제
08 신문 칼럼에 따르면 남북한은 가족이 닮은 것처럼 닮음의 끈
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잘 연결해 나가야 한다. 이때 닮음
공하는 것이고, 선별적 복지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만 한
이란 이질성이 완전히 제거된 동일성이 아니라, 차이를 인정
정하여 복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갑의 입장은 C, 을
하면서 동질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의 입장은 B에 해당한다.
바로잡기 ① 신문 칼럼은 남북 간 이질성의 온전한 제거가 아니라 차
03 사회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 윤리의 기본 원리인 연대 이가 있는 닮음을 강조한다.
성, 공익성, 보조성을 고려해야 한다. 연대성이란 개인과 개 ② 신문 칼럼의 제목으로 적절하지 않다. 남남 갈등은 남북 관계를 둘
인, 개인과 사회, 국가와 국가 간 상호 의존을 기반으로 한다 러싼 남한 내에서의 이념적 갈등을 의미한다.
④ 정치적 통합이 비정치적 분야의 교류와 협력보다 선행할 경우 남
는 것이다. 공익성이란 사회 구성원이 공동선을 존중해야 할
북 주민 간 내면적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책임과 의무를 지닌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조성이란 개
⑤ 통일을 위해 우호적인 통일 환경을 조성해야 하지만, 신문 칼럼의
인이나 하위 단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상위 단체가 개입 제목으로 적절하지 않다.
해 도움을 주는 보충적·응급적 조치이다. 따라서 ㈎는 보조
성, ㈏는 공익성, ㈐는 연대성에 관한 설명이다. 09 분단 비용은 분단으로 인해 남북한이 부담하는 유·무형의 모
든 비용으로, 통일이 되면 소멸하는 비용이자 민족 구성원 모
04 제시문은 원효의 주장이다. 원효는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화 두의 손해로 이어지는 소모적 성격의 비용이다.
쟁 사상을 주장하였다. 화쟁 사상은 모든 이론과 종파의 특수
바로잡기 ① 할슈타인 원칙은 동독 정부를 승인한 나라와는 외교 관
성과 상대적 가치를 충분히 인정하면서 전체로서 조화를 꾀
계를 맺지 않겠다는 서독의 외교 정책으로, 이로 인해 서독과 동독 간
하는 것이다. 에 대결 국면이 조성되었다.
바로잡기 ① 사회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③ 통일 편익은 통일로 얻게 되는 보상과 혜택을 의미한다.
②, ③ 화쟁 사상은 모든 이론과 종파의 특수한 상대적 가치를 인정하 ④는 비경제적 편익의 사례, ⑤는 경제적 편익의 사례에 해당한다.

바른답·알찬풀이 79
10 갑은 현실주의 입장인 모겐소, 을은 구성주의 입장인 웬트, 15 제시문은 빈곤 문제가 열악한 제도, 미숙한 정부, 부패 정치
병은 이상주의 입장인 칸트이다. 웬트에 따르면 자국과 상대 등 구조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물질적 원
국이 적, 친구, 경쟁자 중 어떤 관계인지에 따라 국익이 좌우 조만을 통해 해결되기 어렵다고 본다.
된다. 바로잡기 ㄱ. 제시문은 빈곤 문제가 단순히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바로잡기 ①, ⑤는 이상주의 입장, ③은 현실주의 입장에 해당한다.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④ 칸트에 따르면 분쟁 관계에서 국가는 도덕성을 고려해야 하며, 국 ㄹ. 제시문은 물질적 원조가 오히려 원조 수혜국의 빈곤 상황을 악화
가의 이익보다 보편적인 가치를 우선하여 달성해야 한다. 시킬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물질적 원조와 원조 수혜국의 경제 성장
률이 비례 관계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11 갑은 적극적 평화를, 을은 소극적 평화를 강조하는 입장이다.
을은 문화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과 같은 간접적 폭력을 고려
16 ㈎는 국가 정체성의 확립과 자국의 이익 추구를 강조하는 입
장이고, ㈏는 인류 공동체의 가치를 바탕으로 세계 시민 의식
하지 않고 있으므로, 갑은 을에게 간접적 폭력을 간과하고 있
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의 입장에 비해 ㈏의 입장
다고 비판할 수 있다.
은 X는 낮음, Y는 높음, Z는 높음에 해당한다.
바로잡기 ㄱ. 을은 간접적 폭력을 간과하고 있지만, 물리적 폭력의 제
거가 중요함은 강조하고 있다. 17 이렇게 쓰면 만점 ⑴ 사회 통합이 사회가 하나로 통합되고 결
ㄴ. 을은 문화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을 간과하고 있지만, 전쟁이나 테 속되는 상태임을 포함해 서술하면 만점이다.
러와 같이 직접적 폭력의 종류가 다양함은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쓰면 감점 ⑵ 사회 통합의 필요성을 한 가지만 서술하
면 감점이다.
12 제시문은 싱어의 주장이다. 그는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에 따
라 모든 인간의 고통을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8 이렇게 쓰면 만점 ⑴ 분단 비용이 남북 분단에 따른 대립과 갈
바로잡기 ① 싱어는 국가와 개인 모두 원조의 의무가 있다고 보았다. 등으로 발생하는 비용임을 포함해 서술하면 만점이다.
② 싱어는 원조가 개인의 선택 문제가 아니라 의무라고 보았다.  렇게 쓰면 감점
이 ⑵ 분단 비용이 아닌 통일 비용이나 통일 편
③ 싱어는 자국민이나 다른 나라 사람들을 구분하지 말고 동등하게 익의 예를 서술하면 감점이다.
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⑤ 싱어는 인간 개개인의 복지 증진을 위해 해외 원조를 강조하였다. 19 이렇게 쓰면 만점 남북한이 교류하는 이유를 이산가족의 고통
해소, 이질성 극복, 동질성 회복 등의 내용을 포함해 서술하
13 제시문은 세계화로 해외 자본의 유치가 중요해지면서 개별 면 만점이다.
국가들이 노동자의 이익보다 기업의 이익을 우선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계층 간 소득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다.
20 이렇게 쓰면 만점 환대의 권리란 이방인이 다른 나라에 갔을
때 적대적으로 대우받지 않을 권리라는 내용을 포함해 서술
바로잡기 ① 세계화로 인해 국가 간 경계 개념이 약화될 것이다.
하면 만점이다.
② 세계화로 인해 국가 간 정부 정책은 임금, 환경 기준 등을 낮은 수
준으로 유지하려는 유사성을 보일 것이다.
③, ⑤ 해외 자본 유치에 우호적인 기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의
규제가 약화되고, 노동자의 이익을 억제함으로써 노동자의 삶의 질은
악화될 것이다.

14 갑은 싱어, 을은 노직, 병은 롤스이다. 싱어는 원조가 전 인류


의 행복 증진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 보았다. 노직은 정당하
게 취득한 재산에 대한 배타적 소유권을 강조하며, 원조는 개
인의 자율적 선택이라고 보았다. 롤스는 원조를 개인에 대한
의무가 아니라 ‘고통받는 사회’에 대한 의무로 보았다. 따라서
원조의 의무를 실행하기 위한 과세는 강제 노동과 같다는 입
장은 노직에게만 해당된다.
짝짝짝!
바로잡기 ㄷ. 롤스는 빈곤의 문제가 물질적 자원의 부족 때문이 아니
수고하셨습니다.
라 정치·사회적 제도의 결함 때문에 생겨난다고 보았으며, 국제적 차
원의 부의 재분배를 반대하였다.
ㄹ. 싱어는 원조의 목표를 국가의 경계를 뛰어 넘는 인류 전체의 행복
증진으로 보았고, 롤스는 원조의 목표를 ‘고통받는 사회’를 ‘질서 정연
한 사회’로 만드는 것이라고 보았다.

80 바른답·알찬풀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