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반갑습니다.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입니다.

Me You We

윤리 덕
덕후 윤리 덕
덕에 합격 윤리 성덕

교재 구성과 활용법

1 Level 개념

❙방법
방법 1.
1. 강의 판서 따라 필기하고 복습할 때 읽어보기
❙방법
방법 2.
2. 예습ㆍ복습할 때 정리된 내용 읽으며 보완하기
❙방법
방법 3.
3. 강의를 들으며ㆍ복습하며 메모 첨부하기

2 Level 지문

❙방법.
방법. 정리한 개념을 지문에 연결시켜 복습. 키워드 뿐 아니라 맥락을 잘 이해하기

3 Level 선지

❙방법
방법 1.
1. 기초적인 것을 잘 이해해두고 고난도로 진화하기
❙방법
방법 2.
2. 수능개념 이후로도 계속 활용하고 복습하기
❙방법
방법 3.
3. 수특, 수완, 학평ㆍ모평 선지 더해서 오답노트 만들기

❙방법
방법 1.
1. 강의 필기하기. 복습 시 백지 노트 활용해보기, 중요한 내용 메모하기
❙방법
방법 2.
2. 수능개념-수능특강-수능완성-학평ㆍ모평 오답 노트로 만들기
❙방법
방법 3.
3. 수능장까지 가져가는 단권화 노트로 만들어가기

강의기반 교재입니다! 강의에 꼭 들어와서 함께 소통해 주세요.


01 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학습내용 현대 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① 현대인의 삶과 다양한 윤리적 쟁점들
② 실천윤리학의 성격과 특징 열공쳌
⇰ 이론윤리와 실천윤리 ■개 념: 월 일
■지 문: 월 일
■선 지: 월 일
■기 출: 월 일

1 Level 개념 동지님들~

윤리학의 의미와 특징 기본으로 꼭.


윤리와 윤리학의 의미와 특징 네 윤리학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되
연결되는 부분도 알아두기
윤리(倫理)의 의미 윤리학(倫理學)의 의미, 특징

당위(當爲)
❙인간이 살아가면서 지켜야할 도덕적 행동 ❙도덕적으로 당연히 해야 하는 당위나 의무 마땅히 해야 하거나 하지 말아야 할
의 기준이나 규범 를 탐구하는 학문 것. 도덕은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
야 할 도리이기 때문에 당위적인 성
❙동양 : 인간관계의 이치(理致)와 도리(道理) ❙사회의 승인을 통하여 구속력을 지니고, 당 격을 지님
❙서양 : 사회의 풍습과 개인의 성품을 의미 위★의 형식으로 제시되는 규범과 가치의
하는 단어에서 유래 총체인 도덕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학문
❙인간의 행위가 도덕적 차원에서 인정받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이나 기준을 탐구함
❙인간의 도덕적 행위를 실천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윤리학의 구분

메타(meta)
★ ★
메타 윤리학 규범 윤리학 ‘더 높은’, ‘초월한’의 뜻
(예 : metaphysics - 형이상학)

❙선하다, 옳다 등과 같은 도덕적 언어의 의 ❙인간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에 관한 규범
-사물을 평가(진위, 선악, 미추 등)할
미 분석 보편적인 원리에 대한 연구
때 기준이 되는 것. 무엇이 가치 있는
❙도덕 언어의 분석을 윤리학적 탐구의 본질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도덕 규범의 체계 것인지의 기준.
로 간주 를 정당화★하기 위한 합리적 근거 및 합리 -인간이 행동하거나 판단할 때에 마
적 구성 방안 탐구 땅히
❙도덕적 언어의 의미와 논리적 타당성을 엄
따르고 지켜야 할 가치 판단의 기준.
밀히 분석 ❙이론 (규범)윤리학, 실천(규범)윤리 ★
정당화
❙윤리학의 학문적 성립 가능성을 엄밀히 (=응용윤리학) 정당성(正當性 : 사리에 맞아 옳고 정
검토 의로운 성질)이 있는 것으로 만듦

❙윤리학이 하나의 객관적 학문으로 성립 가


능한지를 탐구
❙도덕 추론의 논증 가능성과 논리적 타당성
을 규명

11
01 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이론(규범) 윤리학 실천(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도덕성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 ❙현실적 도덕 문제의 구체적인 해결책 모색



학제적(學際的) 의무론, 공리주의, 덕윤리 등 중시
둘 이상의 전문 분야에 걸친 학문상
의 영역 및 그와 같은 영역의 연구에
❙보편적인 도덕 법칙의 규명을 핵심 과제로 생태윤리, 생명윤리, 정보윤리 등
관련된 것 도덕적 규범의 근거로서 객관적인 도덕 법 ❙현대 사회의 실천적 문제에 대한 윤리적 해
칙을 정립 결 방안 모색
❙행위의 옳고 그름을 구분하는 도덕 법칙을 ❙도덕 원리를 응용하여 구체적 삶의 도덕 문
제시 제를 해결
❙도덕의 규범적 근거로서 객관적인 도덕 원 ❙도덕 원리를 응용하여 실천적 도덕 문제를
리를 정립 해결
❙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 ❙윤리학과 인접 학문들의 학제적★인 연계
문제 해결 중시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인 객관적 도덕규범
을 정립
❙도덕 판단의 준거와 행위의 정당성 확보 강

기술 윤리학

가치중립
(價値中立, value-neutral) : 어떠한 ❙윤리적 관습에 대한 객관적 조사 및 서술 중시
특정 가치관이나 태도에 치우치지 않
❙다양한 문화권에 존재한 관습들의 특징을 조사하고 기술★
는것
❙사회 규범을 조사하여 객관적으로 기술

기술 (記述) ❙특정 문화권의 도덕 현상을 가치 평가 없이 설명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을 있는
❙도덕 현상에 대한 가치중립★적 설명
그대로 열거하거나 기록하여 서술함.
또는 그런 기록. ❙도덕 원리의 정립보다 타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
❙각 사회의 도덕 현상에 대한 객관적 기술 강조

12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참고. 도덕적 탐구의 방법

A 윤리 문제와 윤리적 탐구

(a) 탐구의 의미

: 진리와 학문 등을 깊이 연구하는 것으로, 그 과정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나 지식 획득


을 위한 방법 등을 중요하게 고려함

(b) 탐구를 위한 사고 유형
분별 있는 관찰자는 가능한 한 자신
전체로부터 결론 혹은 주장을 타당하게 도출하거나 어떤 주장에 논리적 모순 혹은 을 상대방의 입장에 놓고, 상대방에
논리적 사고
오류가 있는지 따지는 것 게 고통을 주고 있는 모든 사소한 사
정까지도 진지하게 느껴 보려고 노력
합리적 사고 자신의 사고와 행위가 참된 근거와 원칙을 따르고 있는지를 사고하는 것 해야 한다. 그는 자신의 친구가 처해
있는 모든 사정을 아주 사소한 일까
어떤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주장의 근거와 그 적절성을 따져 보
비판적 사고 지 모두 받아들여야 한다. 그리고 그
는것
는 공감의 기초가 되는 역지사지를
최대한 완전히 하려고 노력해야 한
다른 사람의 필요 욕구나 감정이 무엇인지에 관심을 갖고, 그의 입장에서 생각해
배려적 사고 다.
보고, 그의 욕구나 감정을 존중해 주는 것 (도덕적 감수성과 공감 능력이 필요)
-애덤 스미스,『도덕 감정론』

(c) 윤리적 탐구의 의미와 특징


❙윤리적 탐구의 의미
: 윤리적 사고를 통해 도덕적 의미를 새롭게 구성하는 지적 활동을 의미함
❙윤리적 탐구의 특징
- 윤리적 탐구는 대체로 도덕적 딜레마를 활용한 도덕적 추론으로 이루어짐
- 윤리적 탐구는 탐구 과정에서 이성적‧정서적 측면 모두를 고려해야 함
- 윤리적 탐구 과정에서 형식 논리(연역적‧귀납적 사고)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도
록 해야 함

B 윤리적 탐구의 과정

(a) 윤리적 탐구의 과정

과정 내용

역할 교환 검사
윤리적 쟁점 또는 윤리적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해서 관련된 사람들의 관계, 문제가 딜레마 속에 있는 다른 사람의 입장
딜레마 확인 발생하는 이유 등을 검토 을 취해 보는 것

윤리적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수집・ ★


보편화 결과 검사
자료 수집 및 분석
분석 자신이 채택한 입장을 유사한 상황에
있는 모든 행위자에게 보편적으로 적
입장 채택 및 정당화 근거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덕원리 검사 방법으로 역할 용할 수 있는지 심사숙고하는 것
정당화 근거 제시 교환 검사★와 보편화 결과 검사★ 등을 적용

제시된 해결책의 장단점을 비교하는 상호 토론 과정을 거쳐 최선의 대


최선의 대안 도출
안을 마련

탐구 과정에서 달라진 생각은 무엇인지, 왜 그렇게 바뀌었는지 등에 대


반성 및 정리
해 반성하고 정리

13
01 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b) 윤리적 탐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고려 사항

❙인간 존중, 공정성 등과 같은 보편적 도덕원리에 비추어 일관성 있게 도덕 판단을 해야 함


❙다양한 이론적 관점이 지닌 장단점을 알고 이를 바탕으로 상황을 해석하면서 최선의 결
론을 도출해야 함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모든 생명에 대한 관심과 배려로 확대해야 함
❙장기적인 결과까지 고려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함

C 토론 및 윤리적 성찰

일체의 토론을 차단하는 것은 인간의 (a) 토론의 중요성과 윤리적 실천


절대 무오류성을 가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끊임없이 잘못 판단하 ❙토론의 의미
고 행동하면서 살아간다. 우리 인류 :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각기 논리적 근거를
는 스스로의 과오로부터 벗어나지 못
들어 자신의 주장이 옳음을 내세우고, 상대방의 주장이 부당하다는 것을 밝히는
한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는 항상 명
심하고 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실 대화 형태
제로 자신이 판단을 내릴 때에는 이
를 거의 문제 삼지 않는다. 왜냐하면
❙토론의 중요성
자신이 과오를 범할 수 있는 가능성 - 자기주장을 관철하거나 상대방의 주장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상대방을
에 대해 어떤 예방책이 필요하다고
설득하거나 이해하여 이를 바탕으로 당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생각하거나 또는 자기가 지극히 확실
하다고 느끼는 의견이 자신도 범할 필요함
수 있는 과오의 사례일지도 모른다는
- 토론은 비판적 사고력과 윤리적 판단력, 윤리적 의사소통 능력, 상호 존중 및 협
가정을 스스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거
의 없기 때문이다.-밀,『자유론』- 력적 태도, 윤리적 실천 동기와 의지 등 윤리적 실천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함

(b) 성찰의 중요성과 윤리적 실천

❙성찰의 의미
: 자신의 경험, 자아 정체성, 세계관, 삶의 목적, 이상 등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고
반성하는 것
❙성찰의 중요성
- 소크라테스 : “성찰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라고 하며, 아무 생각없이 지
내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보았음
- 이황 : 학식을 넓혀 품성을 닦는 함양(涵養)과 몸으로 살피고 실천하는 체찰(體
察)을 강조함
- 성찰은 도덕적인 앎과 실천 간의 간격을 좁히고, 인격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줌
- 먼지 낀 거울을 매일 닦지 않으면 자기의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없듯이, 지속적인
성찰 없이 참다운 인격완성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14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2 Level 지문

[이론규범윤리학, 실천규범윤리학] 16/수능

‘거짓말은 나쁜가?’와 같은 도덕 문제에 답하려면 관련된 문제들에 답해야 한다.


어떤 학자들은 ‘선악을 구분하는 도덕 원리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유용성, 정언명령 등의 답을 제시
하였다. 다른 학자들은 ‘나쁘다’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금지, 혐오 등의 대답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대답들은 현실에서 제기되는 도덕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행위 지침을 제시하지 못한다.

[이론규범윤리학, 실천규범윤리학] 17/9

❙윤리학의 본질은 어떤 원리가 도덕적 실천을 위한 근본 원리로 성립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윤리학은 도덕 원리를 실천적 문제에 적용하여 현대 사회의 다양한 도덕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이론규범윤리학, 실천규범윤리학] 17/수능

❙윤리학의 근본 과제는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판단하기 위한 기본 원리와 토대를 제공하고 일반화하
는 데 있다.
❙그런데 오늘날 과학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기존의 이론 중심 윤리학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도덕적 문
제 상황들을 초래하였고, 그 결과 실제 생활과 관련하여 논쟁이 되는 윤리적 과제들이 대두되었다.

[메타윤리학, 실천규범윤리학] 18/6

■ 나는 윤리학의 문제가 올바른 대답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언어 분석으로 ‘해소’되어야 할


문제라고 본다. 따라서 윤리학의 주된 과제는 도덕 이론을 전개하거나 도덕적 신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
는 용어와 진술들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런데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정치, 경제, 의료, 환경 등 현대인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윤리학이 등장하였다.

[규범윤리학] 18/9

❙나는 윤리학의 근본 과제가 좋은 삶이란 무엇이고 그것을 구체적인 삶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를 규
명하는 것이라고 본다.

[규범윤리학, 기술윤리학] 18/수능

❙나는 윤리학의 근본 과제가 현실에서 적용 가능한 도덕적 규범이나 원칙을 탐구하여 이를 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본다.
▲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현실적 도덕이 삶에 대한 경험의 일부이기 때문에 경험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는 관
점에서 윤리학의 근본 과제가 어떤 문화나 사회의 도덕적 현상을 가치 판단 없이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것
이라고 본다.

[기술윤리학, 이론규범윤리학] 19/6

▶윤리학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문제보다 개인의 생활, 사회의 구조와 기능 속에 존재해 온 도덕적 관
행들을 역사적, 문화적, 인류학적으로 접근하여 서술해야 한다.
❙윤리학은 도덕적 관행 조사와 도덕적 개념 분석에 집중하기보다 윤리적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도덕 규칙의 근거인 도덕 원리를 정립해야 한다.

[메타윤리학, 규범윤리학] 19/9

■ 나는 윤리학이란 규범 윤리적 물음에 답하기에 앞서 “그것을 학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가?”라는 문제부터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근본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도덕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관심을 갖고 해답을 제시하려고
노력한다.

15
01 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이론규범윤리학, 실천규범윤리학] 19/수능

❙윤리학은 “인간이 지향해야 할 삶의 가치는 무엇인가?”를 탐구 주제로 삼아 바람직한 삶의 이상을 제안하


고 올바른 판단과 행위의 근거인 보편적 도덕 원리를 정립해야 한다.
❙윤리학은 “실생활의 도덕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탐구 주제로 삼아 환경오염, 연명 치료 중
단, 사형 제도 등과 같은 현안에 대한 규범적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이론규범윤리학, 실천규범윤리학] 20/6

❙윤리학은 의무론, 공리주의, 덕 윤리와 같이 인간이 준수해야 할 근본적인 도덕 원리에 대한 이론적 탐구


를 주요한 과제로 삼아야 한다.
❙윤리학은 생명 윤리, 환경 윤리, 정보 윤리와 같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윤리 문
제 해결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두고 연구해야 한다.

[실천규범윤리학, 기술윤리학] 20/9

❙윤리학은 실천의 학으로 도덕 이론을 응용하여 실제 삶에서 제기되는 구체적인 도덕 문제의 해결을 궁극
적 목표로 삼아야 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윤리학이 실제로 사람들이 따르고 있는 도덕적 관행을 객관
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윤리학이 ㉠ 고 생각한다.

[실천규범윤리학, 기술윤리학] 20/수능

❙윤리학은 윤리 이론의 탐구보다는 실제 삶에서 만나는 도덕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 도덕
이론의 도움을 받을 뿐 아니라 생명공학, 법학 등의 자연 과학 및 사회과학 지식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윤리학은 개인의 생활 그리고 사회의 구조와 기능 속에 존재하는 도덕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즉 사람들이 따랐거나 따르고 있는 윤리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설명해야 한다.

[규범윤리학, 메타윤리학] 21/6

❙윤리학은 일상생활 속에서 제기되는 생명, 환경 등과 관련된 다양한 도덕적 문제에 도덕 원리를 적용하여
실천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아야 한다.
❙윤리학은 도덕적 언어, 즉 ‘좋다’, ‘옳다’와 같은 단어들의 쓰임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도덕적 언어들로 구
성된 문장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주된 목표로 삼아야 한다.

[규범윤리학, 기술윤리학] 21/9

❙윤리학은 사회 변화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새로운 도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
❙윤리학은 역사적, 문화적, 인류학적 관점에서 각 문화권의 다양한 도덕적 현상을 조사하고 객관적으로 기
술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

[규범윤리학, 기술윤리학] 22/6

❙나는 윤리학이 행위에 대한 규범적 판단을 체계화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는 학문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윤리학이 도덕적 현상들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학문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내가
보기에 이러한 주장은 윤리학이 ㉠ 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실천규범윤리학, 메타윤리학, 이론규범윤리학] 22/9

(가) 윤리학은 도덕 원리를 바탕으로 실생활의 윤리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나) 윤리학은 도덕적 언어의 의미를 분석하고 도덕적 추론의 정당성을 검증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다) 윤리학은 도덕 판단의 기준을 탐구하고 도덕적 행위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

[실천규범윤리학, 메타윤리학] 22/수능

나는 윤리학이 “도덕문제를어떻게해결할것인가?”를탐구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윤리학은 과학 기술


의 발달과 사회․문화적 변화로 발생하는 실질적인 도덕 문제의 해결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그런
데 일부 윤리학자들은 윤리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덕적 언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해명하는 일을 윤리학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주장이 ㉠ 고 생각한다.

16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3 Level 선지


1. 이론규범윤리학의 입장으로 적절한 것은?

도덕 o ㄹ, 도덕 규범의 o ㄹ, o ㄹ 적 체계 도덕 이론
도덕 규범의 이론
1. 도덕적 삶의 지침이 될 도덕 원리를 제시해야 한다. 이론적 체계
2.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규범적 원리를 정립해야 한다.
3. 보편적 도덕규범의 이론적 체계 구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4. 이론윤리학은 윤리 이론을 정립할 때 메타윤리학의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22/9]


2. 실천규범윤리학의 입장으로 적절한 것은?

구체적 상황에 ㅈ ㅇ 도덕적 ㅅ ㅊ 도덕 문제 ㅎ ㄱ


5. 윤리학은 삶의 구체적인 상황에서 새롭게 대두되는 실천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체적 상황에 적용
제시해야 한다. 도덕적 실천
도덕 문제 해결
6. 도덕적 실천을 위해 맥락적 사고의 배제가 중요하다.
7. 도덕규범의 현실적인 적용과 구체적인 대안의 실천을 강조한다.
8. 보편적 도덕 원리를 현실의 개별 상황에 적용해야 한다. [21/9]

규범윤리 이론 응용, o ㄱ 적, ㅎ ㅈ 적
유기적
9. 실천윤리학은 현실의 윤리 문제 해결을 위해 이론윤리학을 필요로 한다.[22/9]
학제적
10. 도덕 문제 해결을 위한 규범 윤리 이론의 응용 가능성을 부정한다.
11. 규범 윤리학 이론과 도덕적 실천의 유기적 연관성을 간과한다.
12. 인접 학문과의 학제적 탐구의 필요성을 간과한다.
13. 당위의 학문이라는 윤리학의 본질적 성격을 간과한다.


3. 메타윤리학의 입장으로 적절한 것은?

도덕 ㅇ ㅇ 의미, ㄴ ㄹ, ㅊ ㄹ 분석 도덕 언어의 의미,


논리
14. 도덕 언어의 논리적 타당성과 의미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추론 분석
15. 도덕적 명제의 논리 구조와 의미 분석이 탐구 목적이어야 한다.
16. 도덕 이론의 적용보다 도덕 언어의 분석이 중요하다.
17. 언어 분석을 통해 윤리적 딜레마를 해소해야 한다고 본다.
18. ‘옳다’, ‘유덕하다’ 같은 도덕적 술어의 의미를 검증해야 한다.
19. 사실 명제로부터 당위 명제가 연역 가능한지 탐구해야 한다.
20. 도덕적 추론에 대한 가치중립적 분석의 필요성을 간과한다.

학문적 성립 가능성 윤리학의 학문적 성립 가능성


검증
21. 도덕적 지식의 성립 가능성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을 간과한다.
22. 메타윤리학은 윤리학이 학문적으로 성립 가능한지 검증하고자 한다.[22/ 9/1]

17
01 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
4. 기술윤리학의 입장으로 적절한 것은?

도덕 현상 도덕 현상, 풍습, 관습 조사 기술
도덕적 풍습, 관습
객관적 과학적 조사 및 기술, 23. 다양한 문화권을 탐방하여 각국의 실천적 관습을 조사해야 한다.
인과 관계 설명
24. 도덕 현상을 기술할 때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지 말아야 한다.
25. 도덕적 풍습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26. 현실적 도덕에 대한 가치중립적 설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27. 각 시대의 다양한 도덕률을 과학적으로 서술해야 한다.
28. 도덕적 관행을 가치와 무관한 문화적 사실로 볼 것을 강조한다.

18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Next Level

1. [23/ 9/1]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나는 윤리학이 ‘옳음’, ‘좋음’의 의미를 분석하기 보다 현실의 윤리 문제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


체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윤
리학이 도덕 관행에 관한 사실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설명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
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주장이 ㉠ 고 생각한다.

① 도덕 현상을 가치중립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필요함을 간과한다


② 도덕 언어에 함축된 의미 분석이 윤리학의 주된 목적임을 간과한다
③ 도덕 관행의 발생 과정을 객관적으로 설명해야 함을 간과한다
④ 도덕 추론을 위해 어떠한 사실적 지식도 필요하지 않음을 간과한다
⑤ 도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천적 지침을 제공해야 함을 간과한다

2. [21/ 9/2] 다음 사상(불교)이 강조하는 윤리적 성찰의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내 마음의 참된 진리를 깨닫기 위해 참선(參禪)해야 한다.


② 모든 분별적 생각에서 벗어나기 위해 좌망(坐忘)해야 한다.
③ 하늘이 부여한 선한 본성을 보존하기 위해 거경(居敬)해야 한다.
④ 언제 어디서나 인간의 도리에 어긋나지 않게 신독(愼獨)해야 한다.
⑤ 도(道)에 따라 만물을 평등하게 바라보기 위해 심재(心齋)해야 한다.

3. [21/수능/20]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사례> 속 A에게 제시할 충고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재물이나 명성과 명예는 최대한 많아지도록 마음을 쓰면서도 지혜와 진리, 자신의 영혼이 최대
한 훌륭해지도록 하는 일에 대해서는 마음을 쓰지 않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숙고하지 않
동지님들~
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21학년도 9모 2번문항,
21학년도 수능 20번 문항은
❙ 사례 ❙ 주제 1 의 근거 단원, “ 토론 및 윤리적 성
찰” 주제에 해당되서 실었어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대인 학살의 실무 책임자였던 피고 A는 재판 과정에서 자신이 명령받
21학년도 9모 2번 문항은 주제 2, 3, 4
은 일을 하지 않았다면 양심의 가책을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많은 사람들은 그를 악마 내용이 연계되니, 동양사상을 공부한 뒤 복
같다고 비난했으나, 그는 맡은 일을 성실히 수행했을 뿐인데 자신이 비난 받는 이유를 모르겠 습하듯 풀어보세요.
다고 항변했다. 21학년도 수능 20번은 빈출 내용은 아니지
만 확인해둡시다~
① 영혼의 훌륭함보다는 명성과 명예를 추구해야 한다.
② 자신의 행동에서 지혜롭지 못한 것은 없는지 성찰해야 한다.
③ 옳음보다는 유용성을 기준으로 자신의 삶의 목적을 정해야 한다.
④ 직위와 결부된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⑤ 자신이 속한 국가가 정한 규범을 의심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

19
01 현대 생활과 실천 윤리

20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02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과 탐구 1 ▶▶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학습내용 동서양의 윤리를 통해 현대의 윤리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수 있는가?


⇨ 동양 윤리의 접근
열공쳌
⇰ 유교, 불교, 도교 윤리
■개 념: 월 일
■지 문: 월 일
■선 지: 월 일
■기 출: 월 일

1 Level 개념
동지님들~
유교 유교 사상 베이스 닦기
유교가 여기에만 나오는 게 아니라서
유교 잘 해두면 그 때 마다 꿀
글구, 한자어들에 겁먹지 말기
❙ 천인합일(天人合一) 강조하거나 비판하는 맥락이 있음
세계관
⇨ 자연과 인간의 조화 추구

인(仁)
사랑의 정신이자 사회적 존재로 완성된
❙ 도덕적 인간
인격체의 인간다움
- 공자: 인(仁)★ 효제(孝悌), 충서(忠恕) 등을 통해 표현
인간관 - 맹자: 성선설[사덕(四德), 사단(四端)★] 되는 도덕적인 마음
진리수행 ★
❙ 효제(孝悌), 충서(忠恕) , 선악에 대한 분별적 지혜, 욕망을 절제 ★
예(禮)
⇨ 성인(聖人), 군자(君子) 인의 정신을 담고 있는 외면적인 사회
❙ 수기이안인(修己以安人) 규범
인을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규범
❙ 정명(正名)사상 → 사욕을 극복하고 예로 돌아가야 인이
인간관계, 이루어짐
❙ 맹자: 항산(恒産)★, 항심(恒心)★
사회

❙ 대동(大同) 사회 사단(四端)
▮측은지심(惻隱之心) : 불쌍하고 가엾

❙ 수양을 통한 개인의 도덕적 완성 게 여기는 마음 ← 인(仁)의 단


강조점 ▮수오지심(羞惡之心) : 불의를 부끄러
❙ 도덕적 공동체 실현
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 의(義)의 단

▮사양지심(辭讓之心): 양보하고 공경
하는 마음 ← 예(禮)의 단

▮시비지심(是非之心) : 옳고 그름을 분
별하는 마음 ← 지(智)의 단


충과 서
▮충(忠): 조금의 속임이나 허식 없이
자신의 온 정성을 다하는 것
▮서(恕): 자신을 미루어 다른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


항산(恒産), 항심(恒心)
백성들은 일정한 생업[恒産(항산)]이
있어야 변치 않는 도덕심[恒心(항심)]
이 있을 수 있음을 강조함

21
02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과 탐구 1

2 Level 지문

[유교]

❙하늘이 사람을 내시니, 사물이 있으면 법칙이 있도다. 사람이 떳떳한 성품을 간직하고 있으므로 이 아름
다운 덕(德)을 좋아한다. - 『시경』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성에 따르는 것을 도(道)라 하고,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 『중용』
❙자신의 마음을 다 발휘한 사람은 자신의 본성을 알게 되고, 본성을 알면 하늘을 알게 된다. 자신의 마음을
보존하고 본성을 배양하는 것이 곧 하늘을 섬기는 방법이다. - 『맹자』

[유교] 21/6/2

❙자신의 수양을 경(敬)으로써 하며, 자신을 수양하여 다른 이를 편안하게 한다. 요순(堯舜)도 자신을 수양
하여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일은 항상 부족하다 여기고 노력하였다.

[유교] 22/6/6

❙대도(大道)가 행해진 세상에서는 어진[賢] 사람과 능력 있는 사람을 선발하며, 자기 부모만을 부모로


자기 자식만을 자식으로 여기지는 않는다. 재물이 버려지는 것을 싫어하지만 반드시 그것을 자기만의 소유
물로 삼으려 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도둑질이 일어나지 않아 바깥문을 닫는 일이 없다.

[유교] 22/수능/2

이름을 바로잡는 것[正名]이 정치의 시작이다. 이름이 제대로 서지 않으니 예악이 흥성하지 않고, 예악
이 흥성하지 않으니 형벌이 제멋대로 된다.

[유교] 23/9/2

군자는 의로움[義]으로써 근본을 삼고, 예(禮)로써 실천하며, 공손한 몸가짐으로써 표현하고, 신의로써 일을 이룬다.
… (중략) … 군자는 죽은 뒤에 세상에 자신의 이름[名]이 일컬어지지 않는 것을 싫어한다.

22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3 Level 선지


1. 유교의 입장으로 적절한 것은?

인(仁) 인(仁) :
내면적 도덕성
1. 친소(親疏)를 구분하지 않는 것을 참된 사랑의 시작으로 본다. 존비친소 ㅂ ㅂ
2. 어진 사람은 선한 사람과 악한 사람을 분별없이 사랑한다. 점진적 ㅎ ㄷ
3. 인(仁)의 출발점인 무차별적 사랑[兼愛]을 행해야 한다. [22/6/6] 효제충ㅅ

4. 인(仁)의 시작은 모든 사람에 대한 차별 없는 사랑이다.[22/수능/2]


5. 가족에 대한 사랑을 타인에게로 확장하여 실천해야 한다.
6. 내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는 서(恕)를 행해야 한다.[22/수능/2]
7. 자신의 수양에 힘쓰고 다른 사람에게 서(恕)를 실천해야 한다.

예(禮) 예(禮) :
외면적 사회 ㄱ ㅂ
8. 예(禮)는 인간의 도덕적 삶에 필수적인 사회 규범이다.
9. 사회적 지위에 따른 예의와 규범을 중시해야 하는가? [21/6]
10. 욕구를 절제하고 예의를 밝혀 사회적 도리를 실천해야 한다.

통치 ㄷ (德)치,
ㄷ ㄷ (大同)사회 :
11. 군자는 자신의 이익보다는 형벌의 공정성을 우선시한다.
도덕ㆍ예의로 교화
12. 법령과 형벌을 정치의 근본으로 삼고 덕치를 도모해야 한다. 분배의 형평성 고려
13. 통치자는 도덕적 모범을 보임으로써 백성들을 교화해야 한다. 인재 등용

14. 통치자는 재화의 고른 분배를 통해 사회적 화합을 꾀해야 한다.


15. 유능한 인재가 선발되는 도덕 공동체를 지향해야 한다. [22/6/6]

Next Level

[23/9/2] 갑 사상가는 긍정, 을 사상가는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 참된 사람[眞人]은 모자란다고 억지 부리지 않고, 성공을 뽐내지 않으며, 일을 도모하지도


않는다. … (중략) … 이로움[利]과 해로움[害]을 구별하는 자는 군자(君子)가 아니다. 명예
를 위해 참된 자기를 잃어버리는 자는 선비[士]가 아니다.
을 : 군자는 의로움[義]으로써 근본을 삼고, 예(禮)로써 실천하며, 공손한 몸가짐으로써 표현하
고, 신의로써 일을 이룬다.
… (중략) … 군자는 죽은 뒤에 세상에 자신의 이름[名]이 일컬어지지 않는 것을 싫어한다.

① 이상적 인간은 자신의 명예를 소중히 여기는 삶을 살아야 하는가?


② 이상적 인간은 시비(是非)를 판별하여 도(道)를 따라야 하는가?
③ 이상적 인간은 하늘의 명[天命]을 도덕적 실천의 근거로 삼는가?
④ 이상적 인간은 수양을 통해 백성의 편안함을 도모해야 하는가?
⑤ 이상적 인간은 모든 분별에서 벗어나 자연을 따르는 사람인가?

23
02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과 탐구 1

24 [2024 수능개념] 강승희의 생활과 윤리 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