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생각해볼 문제 1

김현(1984) 젊은 시인을 찾아서. 문학과 지성사

‘나’라는 육체 속에는, ‘나’보다,


‘타인들’이 사실은 더 많이 서식하고 있다.

김현(1984) 교수의 말은 우리 자신의 모습이나 행동이


타인들에게 다양하게 비춰질 수 있음을 물론 자기 스스로도
자신의 또 다른 모습에 직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말이 옳음을 뒷받침하는 여러분 자신의 경험에는
어떤 경우가 있는지 생각해보자.

2
생각해볼 문제 2

철학의 탐구영역 중 인식론, 즉 인간의 지성(지적 능력)에 대한 두 가지


대립적 관점은 각각 선천적 지적 역량(합리론)과 후천적인 학습(경험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AI의 급속한 발달로 인간의 지적 수준에 근접 혹은 초월하는 로봇의 등장,
뇌(칩) 임플란트, 알약 복용의 방법으로 인간의 지적 역량을 100% 발휘할
수 있다는 상상이 현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미래사회에 1) 초등교사의 입지가 어떻게 될지,
2) 어린 아동을 담당해야 하는 초등학교 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떻게 바뀔 가능성이 있는지,
관련 내용에 대한 서적, 인터넷 자료 등을 검색해보고 음미한 다음
여러분 의 생각을 정리하여 간단하게 서술해봅시다.

3
생각해볼 문제 3

고대사회에서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부모(사회)의 자녀에 대한


관점 역시 달라져왔다. 현대의 아동관이 독특한 개성을 지닌 독립된
‘인격체’로서 존중한다고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의 일상생활 장면에서
과연 이러한 주장이 설득력이 있는가?’ 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나 자신의 성장 경험과 자식 교육 과정을 돌이켜보면 ‘나와 두 자녀의
관계에서는 네 가지 시대적 아동관이 모두 혼재해 있었다.’고 말할 수
밖에 없다.

여러분 자신의 경험에서도 시대적 아동관 네 가지 각각에 해당하는


구체적 사례를 확인할 수 있을까?

4
생각해볼 문제 4

인간의 행동은 그 자신의 본성에 따라 달리 나타나며, 심리학자들은


관찰된 행동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추리하여 유형화하기를 좋아한다.
인간의 본성은 고대사회의 철학자들에서부터 구분되어 왔으며,
이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① 성악설, ② 백지설, ③ 성선설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물론 이 세 가지 인간 본성에 대한 각각의 관점을 강조하거나
추종하는 하위집단들도 존재한다.

여러분은 성장 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이나 일상생활을 통해 이 세 가지


인간 본성관 가운데 어느 것이 자신의 입장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면서 스스로 정당화해보자.

5
7
사례 수업시간 중 교사의 질문에 답할 학생의 지명방법

1) 무작위 2) 체계적

scientific & objective evidences에 근거한 과학적 탐구

→ ‘무작위 지명법’ 〈 ‘체계적 지명법‘ (학급의 평균 성적)

원인은?
사례 수업시간 중 교사의 질문에 답할 학생의 지명방법

1) 무작위 2) 체계적

scientific & objective evidences에 근거한 과학적 탐구

→ ‘무작위 지명법’ 〈 ‘체계적 지명법‘ (학급의 평균 성적)

원인은?
교사의 전문성 → 좋은/효율적인 교사 (good/effective teacher)

전통적 연구 Big-data Analysis (연상 단어의 빈도)

행동 특성?
Gadgets & Jackson
A good teacher should
have more than 800
characteristics!!
A good/effective teacher → Schulman의 PCK

⚫ Grossman

CK PCK PK

전문성?
ck: content knowledge
pk: pedagogical knowledge

교육심리학자(과학자) +
교육실천가(교사)
= 협력(cooperation)
교육(education)은? 교사의 역할은?

Push Pull
교육 (education) 은? 교사의 역할은?
14
1. 용어의 개념적 이해

1879
▶ 교육심리학 = 교육 + 심리
▶ 학문의 정립 시기: 심리학 → 교육학

1) 심리(心理) : (인간) 마음의 이치


cf) 참고 : 물리(物理) – 자연의 이치
- 학문적 연구의 대상 – 학(學): 사변적 학문 → 과학적 학문

- 과학적 심리학의 어려움


① 연구대상(심리)의 모호성 (마음의 이치: 가설적 존재)
② 연구대상(심리)의 가변성 (상황적, 대상적…)
③ 쉬운 연구대상(동물)을 활용하여 인간의 행동 이해?
1. 용어의 개념적 이해

▶ 교육심리학 = 교육 + 심리
▶ 학문의 정립 시기: 심리학 → 교육학

1) 심리(心理) : (인간) 마음의 이치


cf) 참고 : 물리(物理) – 자연의 이치
- 학문적 연구의 대상 – 학(學): 사변적 학문 → 과학적 학문

- 과학적 심리학의 어려움


① 연구대상(심리)의 모호성 (마음의 이치: 가설적 존재)
② 연구대상(심리)의 가변성 (상황적, 대상적…)
③ 쉬운 연구대상(동물)을 활용하여 인간의 행동 이해?
1. 용어의 개념적 이해

2) 교육(교육)

교육 → 인간 행동의 계획적 변화

① 인간의 행동 – 동물과 고등사고력에서의 차이

② 행동의 변화
- 마음은 볼 수 없기 때문에 관찰가능한 행동을 통해 추론
- 일시적, 생리적 변화가 아닌 비교적 지속적 변화

③ 계획적 – 교육의 의도성, 가치지향성, 교사의 준비성


1. 용어의 개념적 이해

구분?

훈련

교육
1. 용어의 개념적 이해

심리학 교육(학)

• 보편적인 법칙 확립 목적 • 학습자의 개별적 특성 변화

• 정밀, 경제적인 방법 방법 • 의미 있는 변화 방법

• 가치중립적, 기술적 특징 • 가치지향적, 처방적

• 통제된 실험실 상황 상황 • 자연상태의 교실 상황

교사 → 의도적 활동의 계획적 실천을 위해 과학적 지식의 도움을 받음


교육심리학의 발전 (참고)

1) 20세기초
- 18세기 자연주의 아동관 + 19세기 과학적 아동 연구 운동
- 1913~1914 E. L. Thorndike ‘양 측정 운동’
- 심리학적 지식의 응용

2) 1950~1960년대
- Wittrock: 교육장면에서 인간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Ausubel: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과학적 연구
- 교육심리학이 독자적인 과학적 학문으로 규정

3) 과학으로서의 교육심리학
- 고유한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심리학적 통찰의 제공
교육심리학의 내용 – 학문적 접근

학습자의 이해 교수자
인지발달
성격 및 사회성 발달 교사의 자질
도덕성 발달 학급경영
지능〮 창의성
특수학습자 생활지도자와 상담
학습자의 다양성
교육심리학
교수-학습 평가

학습이론
학생의 성취평가
교수이론
표준화 검사
동기화
교육심리학의 내용 – 학습내용

발달과 교육: 발달이론, 인지발달, 정서발달 등

학습이론: 행동주의, 정보처리이론, 인지이론 등

학습동기: 기대x가치, 귀인, 자기지각이론 등

개인차: 지능, 창의성, 인지양식, 특수아 등

아동발달 수업,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평가 (별도 강좌)


23
음식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섭취량?

양적 연구 질적 연구

• 연역적 접근 접근 • 귀납적 접근

• 이론 검증, 예언, 사실 확증, • 다양한 실재 기술, 심층 이해,


목적 일상적이고 인간적 관점 파악
가설 검증

• 변수의 통제, 대표본, • 전체 맥락 검토, 소수의 연구


연구대상과 접촉하지 않음, 초점 대상, 연구대상과 상호작용,
검사를 이용한 자료수집 면대면 관계에서 자료수집

• 연구 전 계획 수립, 구조화 • 착상과 더불어 시작, 참여자


계획
형식적 와 연구상황을 이해함에 따라
고안, 융통성, 잠정적
• 통계적인 자료분석 분석 • 해석적, 기술적인 자료분석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 기술연구
⚫ 사례연구
⚫ 발달연구
10 12
2002 8세 세 세

종단적 비교

년 횡단적 비교
Cohort 비교
도 2000 10 12 14
세 세 세

2010 2012 2014

검사년도

⚫ 민족(속)지학연구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몸무게
⚫ 상관연구: 둘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 파악
3.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 실험연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 규명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

외재변수 1

외재변수 2

무작위표집, 무작위배치, 독립변수 조작, 외재변수 통제, 집단간 비교


28
제2주차 숙고 과제
숙고
과제

1) Key words: 좋은 교사/ 교사의 전문성

2) 배경자료:
- 좋은 교사의 특성, PCK, 교육관(push/pull) 등
- 미래사회의 변화 + 학교의 변화
- 여러분이 경험한 좋은 교사의 특성

3) ‘좋은 교사/전문성을 갖춘 교사의 조건’은?

4) 초등학교 발령 받기 전까지~~
발령 받고 아이들 가르치면서~~(근무하면서~~)
퇴임하면서~~
3주차: ‘제2장 학습자의 인지발달’주제

발달이란? : 개념, 용어, 원리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지능, 기본용어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발달과정, 발달단계

Vygotaky의 사회문화적 이론: 배경, 전제

Vygotsky: 근접발달영역, 비계설정


아동발달
수고하셨습니다.
함께 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합시다.
힘내세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