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스켐프 ■브루너

★핵심 : 도구적 이해 vs. 관계적 이해 (사례) ★핵심 : 수학 학습 원리 4가지 + EIS(표상)

⦁도구적 이해 = 공식(알고리즘)은 알지만, 이유는 모름(절차적 지식) ⦁수학 학습 원리


⦁관계적 이해 = 공식(알고리즘)도 알고, 이유도 앎(개념적 지식) 1) 구성의 원리 : 학생의 언어로 표현, 공식 유도 과정에 참여
2) 표현의 원리 :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에 맞는 표현 사용
⦁도구적 이해의 장점(신속성) 3) 대조와 다양화의 원리 : 대조를 통한 직관적 이해, 다양한 예를 통한 학습
-쉽고 빠르게 학습목표 달성 4) 연결성의 원리 : 다양한 개념들 사이의 관계(연결성)를 통해 학습
-즉각적이고 가시적인 보상(자신감과 성취감)
-신속하게 결과 도출 ⦁EIS
⦁관계적 이해의 장점(응용성) 1) 활동적 표상 : 행동, 동작 등으로 표현
-새로운 과제에 쉽게 적용 2) 영상적 표상 : 그림, 벤다이어그램, 수직선 등으로 표현
-기억이 쉽고 지속적 3) 상징적 표상 : 숫자, 식, 정의 등으로 표현
-학습 자체에 흥미와 자신감(지속적인 동기유발)
-문제해결력 향상
-학습태도와 믿음을 향상(긍정적인 자아개념)
■피아제
★핵심 : 인지 발달(과정, 요인, 단계) + 추상화 3가지

■딘즈
⦁인지 발달 과정
★핵심 : 개념 학습 원리 4가지 + 개념 학습 단계 6단계 (구체적 조작 활동 → 추상적 수학 개념) 1) 조직과 구조상의 변화 : 기존 쉐마에 새로운 쉐마가 결합하여 좀 더 복잡한 구조로 발달
2) 적응을 위한 변화 : 동화(기존 쉐마 그대로 이해), 조절(쉐마를 변형하거나 새롭게 만들어서 이해)
⦁개념 학습 원리
1) 역동성의 원리 : 활동(게임, 놀이)을 통해 학습 ⦁평형화(요인) : 새로운 쉐마가 기존의 쉐마와 맞지 않아 인지적 비평형상태가 되면, 다시 평형화상태로
2) 구성의 원리 : 구성(만들기, 전체 파악) → 분석(분해하기, 부분 검토) 돌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동화와 조절을 하므로 인지 발달이 일어남(인지발달의 촉매제)
3) 지각적 다양성의 원리 : 지각적으로는 다르지만 구조는 같은 다양한 구체물 활용(학생이 공통점 발견)
4) 수학적 다양성의 원리 : 비결정적속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제시(개념의 일반화) ⦁인지 발달 단계
1) 감각운동기 : 신체 감각을 통해 인지 발달
⦁개념 학습 단계 2) 전조작기 : 충분한 논리적 사고 불가
1) 자유 놀이 단계 : 관련된 구체물을 자유롭게 가지고 노는 것 3) 구체적 조작기 : 논리-수학적 사고에 구체물 필요(가역성의 원리→보존개념, 넓이: 등적변형)
2) 게임 단계 : 특정 규칙을 가지고 게임 활동을 하는 것(직관적) → 지도방안 = 구체적인 다양한 예 + 직관적인 조작 활동
3) 공통점 탐색 단계 : 게임을 통해 공통점을 파악하는 것(추상화, 다양한 구체물 제시) 4) 형식적 조작기 : 구체물 불필요
4) 표현 단계 : 찾아낸 공통점을 학생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
5) 상징화 단계 : 수학 용어를 통해 표현하는 것(보다 높은 추상화) ⦁추상화
6) 형식화 단계 : 학습한 개념의 여러 성질을 체계화 하는 것(공리, 증명, 정리) 1) 경험적 추상화 : 대상의 속성에 대한 지식
2) 반영적 추상화 : 대상에 대한 조작 활동을 통해 논리-수학적 지식 형성(구체물 불필요)
3) 의사-경험적 추상화 : 대상에 대한 조작 활동을 통해 논리-수학적 지식 형성(구체물 필요)

서울교대 20160612 노혜주 _ 수학교육론(요점정리) 서울교대 20160612 노혜주 _ 수학교육론(요점정리)


■반 힐레 ■프로이덴탈
★핵심 : 기하 사고 수준 5단계 + 기하 학습 단계 5가지 (학생의 사고 수준에 맞는 기하 학습) ★핵심 : 수학화 2가지 + 수학화 교수⦁학습 원리

⦁기하 사고 수준 ⦁현실적 수학 교육
1) 시각적 인식 수준 : 주변 사물(구체적 사물) → 도형(모양) -현실로부터 수학 내용을 추출하는 것(아동의 마음속에서 현실적인 것)
2) 분석적 수준 : 도형(모양) ─조작활동(관찰&실험)→ 성질(구성요소, 성질) (귀납적: 부분→전체) -수학은 현실적, 실제적(출발점)→추상적, 형식적(결과) (수준의 비약)
3) 비형식적 연역 수준 : 성질(구성요소, 성질) → 명제(정의, 포함관계, 비형식적 추론) (성질→성질) -기성 수학(결과적 지식 체계)보다 실행 수학(활동으로서의 수학)을 강조
→ 정의(논리적 조직)/포함 관계(위계적 분류)/비형식적 추론(성질만 증명)
4) 형식적 연역 수준 : 명제(여러 성질) → 논리 (공리, 공준, 정리, 정의 등을 통한 증명 가능) ⦁수학화
5) 엄밀한 수준 : 새로운 기하 체계 창조 1) 수평적 수학화 : 실생활의 세계에서 기호의 세계로 옮겨가는 과정(관찰, 실험, 귀납, 유추 등)
2) 수직적 수학화 : 수학적 표현을 좀 더 기호화, 형식화(반성적 태도 필요)
⦁특징
현상 → 본질
(수평적)
-각 수준은 불연속적(도약 필요)
↑(수직적)
-학생마다 속도가 다름
현상 → 본질
(수평적)
-수단의 대상화(전 단계의 수단이 다음 단계의 대상)
-서로 다른 수준의 사람들은 서로 이해 불가능 -수학화 : 현상을 본질로 조직하는 것(지식이 만들어지는 과정)
-반성적 사고에 의한 끊임없는 재조직화
⦁지도 방법
1) 질의 안내 : 새로운 학습 단계 소개 ⦁수학화 교수-학습의 원리
2) 안내된 탐구 : 활동을 계열화하여 제시(교사의 주도) 1) 안내된 재발명 : 교사의 안내 하에 현실에서부터 수학화 활동을 통해 수학적 내용을 재발명
3) 발전/명료화 : 자신의 언어로 표현(학생), 수학적 용어로 명료화(교사) (학생들이 발명자의 입장에서 다시 발명함, 학생들의 수학화 과정을 상상하는 사고실험 필요)
4) 자유탐구 :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는 과제(심화된 과제) 2) 반성적 사고 :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의식화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사고(수준 상승의 원동력)
5) 통합 : 전체적인 정리 3) 현실과 결부된 수학 : 현실적 소재→개념 추출/반성→보다 높은 추상화→현실에 응용→현실적 소재
(수평적 수학화, 수직적 수학화, 응용적 수학화, 피드백의 순환을 통해 수학화가 발생)

■베르트하이머
★핵심 : 유의미한 학습, 생산적 사고, 통찰

⦁유의미한 학습
-문제의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것(↔기계적 학습)
-수학적 구조를 이해하여 생산적 사고가 가능

⦁생산적 사고
-문제의 전체적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통한 사고
-문제를 단순화시켜 수학적 발견 가능(아하 경험, 통찰)

서울교대 20160612 노혜주 _ 수학교육론(요점정리) 서울교대 20160612 노혜주 _ 수학교육론(요점정리)


■폴리아 ■오슈벨
★핵심 : 문제 해결 4단계 + 문제 해결 전략 10가지 ★핵심 : 유의미 수용 학습 지도 원리

⦁문제 해결 4단계 ⦁유의미 수용 학습


1) 문제의 이해 : 무엇을 알아야 하고, 해결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이해 -수용 학습 : 교사의 설명으로 학습하는 것
-구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자료는 무엇인가?, 조건은 무엇인가? -발견 학습 : 학습자가 스스로 발견하는 것
-문제 상황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림을 그려라. -유의미 학습 : 기존 지식에 관련지어 학습하는 것
-조건은 불충분한가?, 또는 과다한가, 또는 모순되는가? -기계적 학습 : 기계적으로 반복하여 암기하는 것
-조건을 여러 부분으로 분해하여라. -유의미 수용 학습 : 기존 지식에 관련지어 교사가 설명하는 것
2) 해결 계획의 수립 : 문제해결 계획을 구상(전략)
-전에 이와 유사한 문제를 풀어본 경험이 있는가?(유추적 사고) ⦁유의미 수용 학습의 지도 원리
-유사한 문제를 풀었을 때 사용한 전략이나 해결방법은 무엇이었는가? 1) 점진적 분화의 원리 : 일반화된 구조를 통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으로 접근(상위→하위)
-어떤 전략을 선택했으며 왜 그 전략을 사용하려고 하는가? 2) 통합적 조정의 원리 : 새로 학습한 개념을 이미 학습한 개념에 관련지음(비교, 대조)
3) 해결 계획의 실행 : 해에 접근하는 과정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명히 하여 새로운 내용이 통합, 수학은 계통성이 두드러지는 학문)
-수립한 전략을 적용하여 차례대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3) 선행조직자의 원리 : 학습 전에, 이미 학습한 내용과 새로 학습할 내용의 간격을 메움
-풀이 과정을 수시로 확인⦁수정하도록 한다. -설명조직자 : 학습 전에 포괄적이며 기본적인 중요 개념을 제시(점진적 분화)
4) 반성 :해결 과정을 검토, 다른 풀이방법에 대해 생각, 문제 확장 가능성을 고려 -비교조직자 : 새로운 개념과 이미 학습한 내용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변별력 증대(통합적 조정)
(답을 점검하기, 풀이 대안 발견하기, 조건을 변경하여 유사한 문제 만들기(수용/도전))
-구한 답이 문제의 조건에 맞는가?
-다른 풀이 방법이 더 있는가?
-더 쉬운 방법으로 해결할 수 없는가?
■교수학적 변환론
-문제의 조건을 바꾸어 문제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 보시오. ★핵심 : 학문적 지식, 가르칠 지식, 학습된 지식, (탈)개인화/(탈)배경화

⦁문제해결 전략 ⦁지식
-실제로 해보기 : 문제 상황을 구체물로 나타내고 조작하여 해결 1) 학문적 지식 : 교육 내용으로 재구성되기 이전의 지식
-식 만들기 : 식을 세워 문제를 해결 2) 가르칠 지식 : 교육 내용으로 선정되어 재조직된 지식
-예상과 확인 : 답을 예상해보고 조건에 적절한지 확인 3) 학습된 지식 : 교육이 이루어진 후에 학습자에게 구성되어 있는 지식

-그림 그리기 : 그림으로 나타내어 해결


⦁교수학적 변환 : 학문적 지식을 더 쉽게 가르치기 위해 교수학적 입장에서 변형하는 것
-표 만들기 : 표를 이용해 문제를 쉽게 이해하거나 해결
-규칙 찾기 : 어떤 규칙을 찾아내거나 확대 적용
⦁지식의 변형 과정
-단순화하기 : 더 간단한 문제를 만들어 해결한 뒤 원래의 문제에 적용
-개인화/배경화 : 지식을 이해하는 과정(형식적 수학 지식+맥락)
-거꾸로 풀기 : 결과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문제의 최초 조건을 구함(역연산, 가역적 사고) -탈개인화/탈배경화 : 지식을 표현하는 과정(오로지 형식적 수학 지식)
-목록 만들기 : 모든 경우를 빠짐없고 중복되지 않게 헤아림
-논리적 추론 : 단계적으로 점검해보고 불가능한 사실을 제거하며 답을 이끌어냄 ⦁극단적 교수학적 현상
1) 메타-인지 이동 : 개인화/배경화가 강조되어, 교수학적 보조수단에 학생의 사고가 집중

⦁문제 만들기를 위한 전략 2) 형식적 고착 : 개인화/배경화가 간과되어, 지식의 형식만을 연습시킴


3) 토파즈식 외면치레 : 탈개인화/탈배경화가 강조되어, 학생이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교사가 제거함
-수용 : 원래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이나 결과를 그대로 받아 들여 문제를 만듦
4) 조르단식 외면치레 : 탈개인화/탈배경화가 간과되어, 학생을 과대평가하는 것
-도전 : 원래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이나 속성을 바꾸어 결과가 어떻게 변하는지 탐구

서울교대 20160612 노혜주 _ 수학교육론(요점정리) 서울교대 20160612 노혜주 _ 수학교육론(요점정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