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제 2 장: 내용 생성하기

² 주요 내용
구분 내용

. 글쓰기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각 단계별 유의점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목표 . 자신이 쓰고자 하는 글의 주제를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 글을 써 나가기 위해 필요한 자류를 수집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수집된 자류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글쓰기의 전체 과정 이해
1 차시
. 주제 설정의 방법
학습내용
. 자류 수집의 방식
2 차시
. 자류의 체계적 분류 방법
강의 . 주제의 개념, 자류 분류의 원칙

교수 - 학습 토론 . 자유로운 주제 도출
방법
. 주제 설정의 실제
실습
. 자류 분류의 실습

. 전체 글쓰기 과정에 대한 이해
평가 . 주제 설정 과정에서 사고의 확장성, 독창성
. 자류 수집, 분석, 분류 과정의 체계성

1. 글쓰기의 과정
1.1. 도입
인간의 모든 활동에는 하나의 과정 (process)이 존재한다. 가령,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이 그림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정하고, 그 대상의 특징들을 세밀하게 관찰한 뒤, 전체적인 구도를 생각해 보고, 스케치를 한 후,
채색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 된다.
글을 쓰는 행위 역시 마찬가지이다. 한 편의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정립해 나가는 정신적 활동임과 동시에
실제로 그 생각을 문장과 단락의 연결로 완성해 나가는 물리적 활당이기도 하다. 내가 관찰한 객관적 사실이나 자신의
주관적 해석을 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한 문장 한 문장 써 내려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 편의 완성된 글을 쓰기 위해서도 우리는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 .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를 찾아서 그 주제와 관련된 여러 자류들을 읽고 접한 후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판단 을 정리하고, 이를 하나하나
실제 문장으로 표현해 나간다. 이것은 마치 소설가 김승옥이 이야기한 실타래를 풀어내는 일과 비슷하다.
훌륭한 글, 독자를 감동시키는 글은 쓴 사람의 세밀한 계산에 의해 쓰인 글이 대부분이다 . 치밀한 구도, 정확한 언어의
선택은 감동만으로는 안 된다. 가장 감동받았을 때는 외마디 소리로밖에 달리 표현한 길이 없을 것이다. 이 감동을
실타래에서 실을 풀 듯,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