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9

철학과 인간

논리와 사고
< 인간 사고에 관하
여 >

인간 사고의 기능과 구조
< 사고의 기능 1: 분석 >

주어진 하나의 대상이나 사태에


포함된 다양하고 서로 다른
개별적인 요소를 구별함
 ( 뭉쳐있는 큰 것을 )
작은 요소로 분해함
< 분석 >

10kg
< 사고의 기능 2: 종합 >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사고
내용들을 연결하고 종합하여
새로운 결과물을 구성함
 여러 요소들을 결합하여
더 큰 것으로 만드는 것
( 철학적 ) 사고의
전개방식

사변 비판
theoria kritike
speculari 참된 것을
비경험적인 거짓된
순수한 사고 것으로부터
구별하는 능력
- 사변 : theoria

비경험적인 순수한 사고
( 종합적 작업 )
개별적이고 경험적인
현상들로부터 정신적이고
통일적인 원리를 생각해 냄
- 비판 : kritike

참된 것을 거짓된 것으로부터
구별하는 능력
( 분석적 작업 )
주어진 내용의 근거를 따져서
그 정당성을 묻는 작업
< 사고의 형성 방식 >

작은 단위의 사고 내용들이
종합되어 더 큰 생각을
형성한다 .
< 사고의 기본 단위와 형성 과정
>

i) 개념 : 사고의 최소 ( 기본 )
단위 .
( 문장의 단어와 같은 역할 )

 “ 사과” , “ 과일” , “ 가구” …


ii) 판 단 ( 명 제 ): 둘 이 상 의
개념이
결합돼 형성된 생각

iii) 추론 ( 논증 ): 둘 이상의 판단을


전제와 결론의 구조로 구성한 주장
< 사고의 형성 >

개념 + 개념  판단

판단 + 판단  추론
개념 ( 단어 ): ‘ 옷’ , ‘ 흼’

판단 ( 명제 ): “ 이 옷은 희다”
추론 ( 논증 ): “ 이 옷은 희다 . 흰
색은 쉽게 더러워진다 . 지금 밖에는
비가 온다 . 그러므로 이 흰 옷을
입고 외출한다면 옷이 곧 더러워 질
것이다 .”
개념  판단  추론
concept. judgement. inference.
( 사고의 형성 과정 )

( 단어  명제  논증 )
word. proposition. argument.
( 언어의 형성 과정 )
추 론 (논
증)

판 단 (명
제)

개 념 (단
어)
- 생각이란 결국 작은 것이
종합돼 더 큰 것으로
형성되는 과정이다 .

 인간은 이 종합의 과정을


자유롭게 ,
무궁무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머리는 낙타 ,
뿔은 사슴 ,
눈은 토끼 ,
귀는 소 ,
몸통은 뱀 ,
배는 큰 조개 ,
비늘은 잉어 ,
발톱은 매 ,
주먹은
호랑이와
비슷하다 .
- 인간은 다양한 상상 , 환상
등을 비롯하여 큰 규모의
사고를 무한하게 형성할 수
있다 .

 복잡한 수학법칙 ,
자연법칙 ,
인생관 , 세계관 등 …
- 복잡한 사고 내용 또한
철저하게 분석하여
비판적으로 그 정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
( 분석적 작업 )
- 우리는 어떻게
우리의 사고내용을
종합하고 분석할
것인가 ?

 분석과 종합의
규칙이 있다 !
분석과 종합의 규칙이 있다 !
생각하고 , 읽고 , 말하고 ,
쓸 때 필요한 규칙이 있다 !
( 사고와 언어의 규칙 )

 논리 ( 論理 )
‘ 논리 ( 論理 )’
 logos
 원리 . 이성 .
말.
logos ( 논리 )  logica ( 논리학 )

1) 세계의 원리에 관한 학문
2) 사고 기술 , 사고 법칙에 관한
학문
사고와 언어를 가능하게
하는 원리
= 논리

언어와 사고의 규칙 =
논리
언어

사고

논리
왜 논리가 중요한가 ?
인간은 의사소통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룸으로써 합리적인
사회활동을 하고자 한다 .
 논리는 이를 위한 보편적
형식이다 .
좋은 사고와 언어를 위한
규 칙 (= 기 초 원 리 ) 인
논리는 무엇인가 ?
< 논리의 3 가지 원
리 >

- 명료성 ( 확실성 )
- 체계성 ( 필연성 )
- 정합성
1) 명료성 : 내용의 분명함

 개념의 정의
 주제의 분명함
 주제 , 주장 , 개념 ,
내용이
명확한가 ?
2) 체계성 ( 필연성 )

 근거율 : “ 무엇이든 충분한


근거
없이는 있을 수 없다”
 인과적 사고
3) 정합성

 동일률 / 모순율 / 배중율


 내용의 일관적 통일성
- 지적인 영역에서의 말과
글은 논리의 이 3 가지 원리에
의해 형성돼야 한다 .
( 예술적 , 종교적 ,
도덕적 영역과의 차이 )
- 특히 2 번째 원리인
체계성은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

- 체계성의 원리에 의해
형성된 문장모음은
논증이라고 불린다 .
- 논증이란 근거를
제시하며 어떤 것이
참임을 주장하는
문장이다 .

- 논증의 구조 = 근거와
주장
‘ 근거 = 이유 = 전제 =
조건’
먼저 존재하고 , 뒤에
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

‘… 가 있다면’
‘ 주장 = 결과 = 결론 =
목적’
뒤에 따르게 되는 것

‘… 할 것이다’
‘… 을 위해서’
- 논증의 예

“ 경기가 안 좋으니
집값이 떨어질 것이다”
 근거 / 전제 : 경기가 안
좋다 .
 주장 / 결론 : 집 값이
떨어질 것이다 .
“ 성공하려면 열심히 일해야
한다 !”
= “ 열심히 일하면 성공한
다”

 열심히 일하는 것 : 조
건 / 전제
 성공하는 것 : 결론 / 목적
- 논증의 종류 :

연역논증
(deductio)
귀납논증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
모든 사람은 죽는다 .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철수는 사람이다 .
영희는 사람이다 .
.............
.............
----------------------------------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
그러므로 철수는 죽는다 .
...................
< 연역논증 >

- 전제가 결론을 필연적으로


뒷받침하는 논증
- 이미 ( 대 ) 전제에 결론이
포함되어 있다 .
- 전제의 진위에 결론의 진위가
의존한다 .
소크라테스는 죽었다 .
나폴레옹은 죽었다 .
신사임당은 죽었다 .
.............
.............
----------------------------------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죽는다 .
< 귀납논증 >

- 전제가 결론을 개연적으로


뒷받침하는 논증
- 전제에 결론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
- 전제의 진위가 결론의 진위를
완전히 결정하지 않는다 .
< 논증과 비판적 사고 >

- 말과 글을 분석하여
정당성을 판단하는 것 =
비판적 사고
-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사고 역량은 자료와 문서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이다 .
- 지적 영역에서의 말과 글은
논증으로 구성돼 있다 .

- 그러므로 비판적 사고란


말과 글에 숨겨진 논증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의미한다 .
- 비판적 사고의 주요 대상
= 논증

- 글 (Text) = ‘ 논 증
모음’
- 비판적 독서 !

 글에 숨어 있는 논증을
분석하고 이것이 정당한지
평가하는 작업
- Text 에 대한 ‘비판적’
이해
① 논증 찾기
+ ② 논증 분석
( 전제와 결론 찾기 )
< 전제 지시어 > < 결론 지시
어>

왜냐하면… 따라서…
… 이므로 그래서…
… 이니까 그러므로

내일은 비가 올 것이다 .
내 무릎이 시리다 .
내일은 비가 올 것이다 . 왜냐하면
내 무릎이 시리기 때문이다 .
사람은 모름지기 성실해야 한다 .
아무리 재미 없는 강의도 열심히
들어야 한다 .
사람은 모름지기 성실해야 한다 .
따라서 아무리 재미 없는 강의도
열심히 들어야 한다 .
사람은 아무 것도 배울 수 없다 .
왜냐하면 사람은 그가 아는 것도
그가 모르는 것도 배울 수 없기
때문이다 . 그는 그가 아는 것을
배울 수 없다 . 왜냐하면 그는
그것을 알기 때문에 배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그가 모르는 것도
배울 수 없다 . 왜냐하면 그는
무엇을 배워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
① 사람은 아무 것도 배울 수
없다 . 왜냐하면 ②사람은
그가 아는 것도 그가 모르는 4 6
것도 배울 수 없기 때문이다 . 3+ 5
③ 그는 그가 아는 것을 배울 2
수 없다 . 왜냐하면 ④그는 1
그것을 알기 때문에 배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⑤
그가 모르는 것도 배울 수
없다 . 왜냐하면 ⑥그는
무엇을 배워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