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2024년 수특영어 내용 및 지문 분석 26강

01.

요지 ― 특정한 방식으로 가르쳐지는 특정 유형의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는 데 적성이 개인마다 다르다.

A significant challenge(문제) [arises / arouses](자동사) / when we ask whether ⑤there is any such
thing as general aptitude. (모든 것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 적성은 없는데) 일반 적성 같은 것이 있는지 물을 때

Many people are [terrific / terrible] at calculus / but couldn’t write a good essay or paint a
good picture / if(=even if) their lives depended on it. 가정법 과거
=writing a good essay or painting a good picture

Some people can walk into a room full(후치수식) of strangers and immediately figure out the
relationships and feelings among them(=strangers); others may never learn this skill.
낯선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감정을 파악하는 기술

As Will Rogers put it, “Everybody is ignorant, only on [same / different] topics.”
(자신의 적성에 맞는 주제는 잘 알지만) 다른 주제에 대해서는 모른다

Clearly, (individuals vary in their aptitude) 빈칸주의 for learning any specific type of
knowledge or skill [is / taught / taught](후치수식) in a specific way.

where이 아님
A hundred students(주어) [attending / attended](후치수식) a lecture on a topic (which or that) they
knew nothing about beforehand (about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 / will(동사) all walk away with
[different / equal] amounts and kinds of learning, and (aptitude)(주어) 빈칸주의 / for that
particular content(그 특정 내용) and that particular teaching method(그 특정 교수법) / [to be / is](동
사) one important factor / in explaining these differences. 어법주의
같은 주제에 관한 강의에 대해 서로 다른 배움의 양과 종류를 가지는 것

가정법 과거 동사의 원형
But would the students(주어) / who learned the most in this class / also [learns / learn] the
most / if the lecture were on a different topic or if the same material were presented through
hands-on experiences or in small groups? (그렇지 않을 것이다) 가정법 과거
직접해 보는, 실습의
* calculus: 미적분학

우리가 일반 적성 같은 것이 있는지 물을 때 중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많은 사람이 미적분은 아주 잘하지만, 자기 인생이


달려 있다 해도 훌륭한 에세이를 쓰거나 훌륭한 그림을 그릴 수 없을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낯선 사람들로 가득 찬 방에
들어가서 그들 사이의 관계와 감정을 즉시 파악할 수 있지만, 또 어떤 사람들은 이 기술을 전혀 배우지 못할 수도 있다.
Will Rogers의 말처럼, “모든 사람이 무지한데, 단지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해 그러할 뿐이다.” 분명히 특정한 방식으로 가르
쳐지는 특정 유형의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는 데 대한 적성이 개인마다 다르다. 사전에 전혀 몰랐던 주제에 관한 강의에
참석한 100명의 학생은 모두 서로 다른 배움의 양과 종류를 가지고 돌아갈 것인데, 그 특정 내용과 그 특정 교수법에 대
한 적성이 이러한 차이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한 요소이다. 하지만 이 수업에서 가장 많이 배운 학생이 그 강의가 다른
주제에 관한 것이거나 같은 내용이 실습 경험을 통해 또는 소집단에서 제공될 때도 가장 많이 배울까?

- 1 -
2024년 수특영어 내용 및 지문 분석 26강

02.

요지 ― 학생은 점수만이 아니라 발전 노력에 대해 보상받아야 한다.

One implication(함의) of *expectancy theory is that / even though all students should have a
chance to be rewarded / if they do their best, no student should have an easy time [to achieve
/ achieving] the maximum reward. cf) have a easy(hard) time -ing
*expectancy theory(기대 이론) - 자신의 노력이 성공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성공적인 성과가 원하는 결과나 보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을 때 동기를 부여받는다는 이론, 최대의 보상을 달성하는 것보다 기대에 대한 동
기부여가 더 중요하다는 이론

[문장순서] 전통적인 채점관행


This principle is violated by traditional grading practices, because some students find it(가목)
easy to earn(진목) A’s and B’s, whereas others believe that they have little chance of academic
success no matter [how / what](=whatever) they do.
- (최대 보상을 성취하려는) 전통적인 채점 관행에서는 잘하는 학생은 최대 학점인 A를 받기 쉽다고 여기지만, 그렇지 않
은 학생은 아무리 해도 A를 받을 가능성이 없다고 믿는다.

[문장넣기]
In this circumstance(전통적인 채점 관행), neither high achievers [or / nor] low achievers are likely
to (exert their best efforts). 빈칸주의
- 왜냐하면 잘하는 애는 A 또는 B 학점을 받기 쉽다고 여기고, 못하는 애는 아무리 해도 성공 가능성이 없다고 믿기 때문에

[문장넣기] 가주어 진주어


This is on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reward students ①for effort, ②for doing better than
they have done in the past, or ③for making progress, rather than only for getting a high score.

[문장넣기]
For example, students can build a portfolio of compositions, projects, reports, or other work /
and can then see how their work is improving over time.

Not all students are equally capable of achieving high scores, / but all are equally capable of
①exerting effort, ②exceeding their own past performance, or ③making progress, so these are
often better, more equally available criteria / [which / on which] to base reward.
=on which these should base reward (이것들이 보상의 기반이 되다)
* exert: 다하다, 불하하다 ** criterion: 기준 (pl. criteria)

기대 이론의 한 가지 함의는 모든 학생이 최선을 다하면 보상받을 기회를 가져야 하지만, 어떤 학생도 쉽게 최대 보상을
얻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채점 관행은 이 원칙에 위배되는데, 어떤 학생은 A 학점과 B 학점을 얻기가 쉽다고
여기지만, 어떤 학생은 자신이 무엇을 하든 학문적 성공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학생이나 낮은 성취도를 보이는 학생 모두 최선의 노력을 다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이 높은 점수
를 받는 것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노력에 대해, 과거보다 더 잘한 것에 대해, 또는 진전을 이룬 것에 대해 학생들을 보상하
는 것이 중요한 한 가지 이유이다. 예를 들어, 학생은 작문, 프로젝트, 보고서 또는 기타 작업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만
들 수 있고, 그런 다음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의 작업이 어떻게 향상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모든 학생이 똑같이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학생이 똑같이 노력을 다하거나 자신의 과거 성과를 뛰어넘거나 발전할 수 있
으므로, 이것이 보상의 기반이 되어야 하는, 흔히 더 좋고 더 평등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이다.

- 2 -
2024년 수특영어 내용 및 지문 분석 26강

03.

제목 ― 청소년기에 형성되는 정체성과 그에 반하는 역할 혼란

As students move into adolescence, they are developing capabilities / for abstract thinking and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s of others.

Even greater physical changes are taking place / as the students approach puberty(사춘기).
=happening, occuring

(B) So, with developing minds and bodies, young adolescents must confront the central issue of
constructing an (identity) 빈칸주의 that will provide a firm basis for adulthood.

They have been developing a sense of self / since(-이후로) infancy.

[문장넣기]
(A) But adolescence marks the first time [that / what](접속사) a conscious effort is made / to
answer the now-pressing(지금 당장 시급한) question: "Who am I?"

The conflict(주어) defining this stage is(동사) ①(identity) versus ②(role confusion). 빈칸주의

①Identity refers to the organization of an individual’s drives(욕구), abilities, beliefs, and history
/ into a consistent image of self.

[문장넣기]
(C) It(=identity) involves deliberate choices and decisions, particularly about work, values,
ideology, and commitments to people and ideas.

If adolescents fail to integrate all these aspects and choices, or if they feel unable to choose at
all, ②role confusion threatens.
* adolescence: 청소년기 ** puberty: 사춘기

학생들은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추상적인 사고와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을 발달시킨다. 학생들이 사춘기에 접어들면
서 훨씬 더 큰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B) 따라서 청소년들은 정신과 신체가 발달하면서 성인기를 위한 확고한 기반
을 제공할 정체성을 구축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에 틀림없이 직면하게 된다. 그들은 유아기부터 자아의식을 발달시켜 왔다.
하지만 청소년기는 지금 당장 시급한 질문, 즉 “나는 누구인가?”에 답하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이 이루어지는 첫 시기에 해당
한다. 이 시기를 정의하는 갈등은 정체성 대 역할 혼란이다. 정체성이란 개인의 욕구, 능력, 신념, 이력이 일관성 있는 자아상
으로 조직된 것을 말한다. 그것은 특히 일, 가치, 이념, 사람과 관념에 대한 헌신에 관한 신중한 선택과 결정을 수반한다. 청
소년이 이러한 모든 측면과 선택을 통합하지 못하거나 전혀 선택할 수 없다고 느끼면, 역할 혼란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