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

변지원 **
1)

目 次
Ⅰ. 연구목적
Ⅱ.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
Ⅲ.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실천
Ⅳ. 과정 운영과 정책수립 제안
Ⅴ. 마무리

Ⅰ. 연구 목적

본고는 어린이 중국어 교사(Childhood Chinese Teachers)를 위한 언어 교육 원리를 제시


하고 이에 대한 실천에 대하여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
적을 갖고 있다. 첫째,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원리로서의 언어 이론과 언어
학습 이론에 관한 최신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가운데 20세기 말 이후로 활발하게 논
의가 되고 있는 내용 중심 접근 방법(content-based instruction)과 몰입교육(immersion),
협력 학습법(CLL: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을 기본 원리로 하고 디딤돌
(scaffolding) 교수법을 적극 실천하고 있는 미국의 어린이 중국어 교사의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 동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둘째, 한국의 상황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이 가운
데 한국적 실정에 맞도록 적용 가능한 것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겠다. 셋째, 앞의
두 가지 점을 고려하여 향후 한국의 어린이 중국어 교사 과정에서 어떤 점에 더욱 노력을
경주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과정 운영과 정책 수립 제안을 중심으로 기술해 보겠다.
언어 교육 이론 분야는 20세기 이후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영어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로 인하여, 그 자체적인 학문적 성과뿐만 아니라 사회학, 심리학, 신경정신의학과 같은
타 분야와의 융합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중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중국어 교사 학회 (Chinese Language Teachers Association, 中文

 * 이 논문은 2012학년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외연수비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조교수

www.dbpia.co.kr
22 第17號

教师学会)’는 애초 본국이 아닌 미국을 기반으로 1962년부터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데,1) 이


점 또한 언어 교육 이론의 전세계적인 발전 과정과 무관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 외
국어 교육의 실천 방면에서 선두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이를 실천에 옮기기에 가장 앞장서
고 있다는 의미에서, 본고에서는 미국이라는 특정 국가를 지목하고자 한다2).
어린이 중국어 교사 과정은 어린이의 발달 과정과 외국어 교육이라는 두 가지 점을 한꺼
번에 고려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중국어를 가르쳐 본 경험이 있다고 하더라도 학습자
로서의 어린이의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요구되며, 어린이 교육의 경험이 있고 또
한 중국어에 능숙하다 하더라도 외국어 교육에 대한 원리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뜻이
다. 결국 좋은 어린이 중국어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어린이들에게 중국어를 가르칠 때 어
떠한 원리에 입각하여 어떤 방식으로 실천할 것인가, 라는 근원적인 문제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언어 교육의 원리와 실천은 모두 방대한 선행 연구가 있으나, 국내에서 어린이 중국어 교
사를 위한 전문 연구는 사실상 전무하다. 원리를 설명함에 있어, 접근 방법(approach) 또는
교수법(method)이 언어 교육 이론에서 주로 거론될 수 있으나, 실은 이 둘에 대한 구체적인
구분은 없다3). 이에 본고에서는, ‘원리(principle)’라는 용어로 언어 이론 및 언어 학습 이론
과 관련된 전반적인 이론적 상황을, ‘실천(practice)’이라는 용어로 교수요목(syllabus), 교수

1) 참고 사이트 주소 http://clta-us.org/
2) CARLA(Center for Advanced Research on Language Acquisition)는 국제학술대회인 ‘Immersion’ 개
최를 비롯하여, 각 외국어별 교사 양성과 교사 연수 등을 담당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국제 학술 대회에서는 학자, 몰입교육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초, 중, 고등학교의 교사, 프
로그램 디자이너, 정책 입안자 등 교육계 종사자들이 함께 모여 현재 외국어 교육의 전체적인 개요와
상황을 점검하고, 지난 정책과 현장 수요의 변화 등을 재점검하여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여, 새로운 필
요성 및 미래의 학습 방법을 공유하고 새로운 정책을 제안한다. 가장 최근에 열린 Immersion 2012:
Bridging Contexts for a Multilingual World의 참고 사이트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www.carla.umn.edu/ conferences/past/immersion2012/index.html
3) 접근 방법(approach), 교수법(method), 교육(instruction, teaching), 학습(learning) 등은 외국어 교육
이론에서 엄격한 구분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한국어 번역의 실정 또한 마찬가지이다. 일례
로, TPR(Total Physical Response)은 널리 알려져 있는 이론인데 여기에는 ‘approach(접근 방법)’,
‘method(교수법)’, ‘instruction/teaching(교육)’, ‘learning(학습)’과 관련된 어떠한 명칭도 원래 없다. 그
런데 한국어로는 이것을 일반적으로 ‘전신 반응 교수법’으로 번역한다.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CLT: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은 원어 그대로라면 오히려 ‘의사소통 중심 학습’이 더욱 적절할
지도 모른다. 이와 같은 예는 적지 않다. 용어화의 실정이 비록 이와 같다 하더라도,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의 분석에 있어서 접근 방법, 교수 설계, 교수 절차를 나누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
업이다. 본고에서는 한 개의 접근 방법 내에 필요하다면 여러 가지 교수법을 가질 수 있다고 보며, 이
론과 교실 상황에서의 실제를 연결하는 고리로서 ‘교수 설계’를 지목하고자 하는데, 본고에서의 이와
같은 분석 방법은 Richards & Rodgers(전병만 외 옮김, 2008)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과 같음을 미리
밝힌다.

www.dbpia.co.kr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변지원 23

학습활동 유형, 학습자/교사/교수 자료의 역할을 아우르는 교수 설계(design)와 교수 절차


(procedure)를 다루도록 하겠다.

Ⅱ.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

2.1. 언어 이론

언어 이론에 있어 구조주의적 견해(structural view)를 가지고 있는지, 기능적인 견해


(functional view)를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상호작용적 견해(interactional view)를 갖고 있
느냐, 라는 문제는 어린이 중국어 교사의 교수 절차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4). 이 중 실
생활과 관련된(authentic) 메시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호작용적 견해는 1980년대 이래
로 영미권의 제2언어 학습이론과 교수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 왔다. 반면, 한국의 중국
어 교육 현장에서는 언어를 의미의 기호화로 보고 음운-어휘-문법을 구조적으로 체계화하
는 구조주의적 견해가 여전히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외국어 습득에 있어 어린이와 성인은 큰 차이를 보인다. 나이가 들어 외국어를 배
우기 시작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모국어를 구사할 때의 뇌와 다른 부분을 사용한다는 것이
다. 그런데, 어린아이들은 분할하지 않고 동일한 부위를 사용한다고 한다(Blakeslee, 2000:
119-121). 한편, 중국어가 표음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여 우리의 뇌가 읽기에 있어 영
어를 사용할 때와 특별히 다른 부위를 사용하지는 않는다고 한다(Dahaene, 2009: 70-71).
상호견해적 견해에 영향을 끼친 사회언어학에서는 위세언어(prestige language)라는 개
념을 이용하여 언어의 층차를 설명한다. 여기에는 정치, 경제, 종교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
용한다. 그런데 어린아이들은 여기에 대한 선입견이 없다. 놀이와 언어, 발화와 내용을 분리
하지도 않는다. 반면 어린이들은 성인들과는 달리 외국어를 듣는 순간 모국어와의 차이점을
알아차린다. 특히 음성적 차이점에는 매우 민감하다5).

4) 세 가지 견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Richards & Rodgers(전병만 외 옮김, 2008: 31-6) 참조.
5) 일례로 Kuhl이 연구한 일본 어린이의 la/ra 구분 능력을 들 수 있다. 영어 발음에서의 la/ra 차이는 물
론, 인간의 어떤 소리라도 아기들은 구분해 낼 수 있는 있는데, 이런 특수한 능력을 감안하여 아기들
을 일반론자(universalist)라고 지칭하였다. 이것은 성인 학습자와는 매우 차이가 나는 것으로, 그런 의
미에서 성인 학습자는 특수론자(specialist)라고 불렀다 (Blakeslee, 1992). 이는 또한 나이가 들수록
외국어 습득 능력이 저하된다는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을 뒷받침해주는 강력한
예로도 거론이 되고 있다. Kuhl의 연구는 언어 연구자 뿐만 아니라 대중으로부터도 큰 관심을 받아,
자신의 오랜 연구를 강연을 통하여 보여 주었는데, 이에 관한 참고자료는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www.dbpia.co.kr
24 第17號

어린이들이 외국어를 습득(acquisition)하는 방법이 이처럼 여러 방면에서 성인과 다르다


는 것은, 성인 학습자와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접근하여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런데 우
리의 중국어 교육 방식은 발음을 강조하고 어휘량을 중시하며 문법을 설명하는 경우가 대
부분이고, 이 방식으로 배운 사람들이 결국 어린이들의 교육 현장에 다시 투입되다 보니,
여기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가 없는 구조이다.
미국의 경우, 교사 중심의 전통적 방식 교육 방식에 의해 배출된 중국인 교사들이 교실
운영에서 큰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기도 한다6). 사회언어학의 영향으로 의사소통 중심 접근
방법(CLT)이 1980년대 이래로 광범위하게 영미권에서 확대되어 학습자 간에 이용 가능한
언어 자료를 통한 문제 해결 과업이 교수 절차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중국어
교육 영역에서 구조주의적 견해를 견지함에 있어 학생의 기대와 교사의 기대가 아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의사소통을 우선으로 하고 학생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교실 운영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박찬욱(2012)은 이러한
추세를, 한국의 중국어 학습에 있어서의 ‘형태의 정확성을 중시하는 기존 교육관에서 기능
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언어 교육관으로의 변화’, ‘상호 작용 속 언어에 대한 관심의 요구’로
표현하고 있다.
요컨대, 언어 교수 모형은 언어 학습 이론에 의하여 보완될 때 원리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어린이 중국어/한자 교사를 위한 언어학습 이론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2.2. 언어 학습 이론

의사소통 언어 학습 이론에서는 Krashen(1981) 이후 ‘습득(acquisition)’과 학습(learning)


을 분리하여 논의하고 있다. 오늘날 어린이들의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는, 의사소통을 위하
여 목표어(target language)가 무의식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어 ‘습득’ 쪽으로
무게 중심이 기울어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언어 학습 이론상의 문제이지, 실천에 있어서도
늘 이것이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언어 유형을 텍스트 상에서
규정하고, 이것을 기계적으로 반복하게 하고, 실생활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는, 다시 말
하자면 의사소통 언어 학습 이론과는 동떨어진 학습 방법이라고 하여, 완전히 효용이 없다

있다. http://www.ted.com/talks/patricia_kuhl_the_linguistic_genius_of_babies.html
6) Fortune(2012: 13)은, 미국의 학교들이 사회적 능력과 의사소통을 목표로 한 언어 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학습자인 어린이들 역시 학생 중심의 활동과 실생활 관련 교구를 기대하는 반면, 중국인 교사들
은 전통적인 학습 방식을 고수하면서 학생들에게 전혀 다른 기대를 하고 있어서, 서로의 기대가 어긋
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www.dbpia.co.kr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변지원 25

고 단정 지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중국어 교사들의 경우 여전히 필순, 암기 등 전통적인 학습 방법에 대하여 미련을 버리지
못 하는 데에는 그 나름의 어려움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어는 미국에서 현
재 가장 빠른 속도로 몰입교육 내에서 성장하고 언어인데7), 경력자 교사일수록 중국어가
특히 문해(literacy) 교육에 어려움이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어린이들이 몰입
교육을 통하여 외국어를 흡수할 것이라는 기대에는 학교와 학부모 모두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 중국어를 몰입교육으로 배운 학생들의 경우, 비록 중국인 모국어 화자만큼은
아니라 하더라도 유창하게 말을 하는 면에 있어서는 만족할 만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중국
어 교육자들은 여전히 모델 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Met(2012: 37)는 중국어 개선 모
델 가운데에서 바로 이 문해 방면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주목하고 있다 8).
그런데 어린이들의 중국어 활동을 학습이 아니라 습득으로 본다는 것은, 어린이들이 모
국어를 습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적으로 중국어를 습득할 것으로 기대함을 의미한다.
자연 순서 가설(natural order hypothesis)에 따르자면, 이와 같은 과정이 개인에 따라 큰 차
이가 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입력 가설(input hypothesis)에 의거하여 충분하게 자료를
입력하기만 하면 학습자가 일정한 언어 능력을 축적한 후에 저절로 습득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9). 다만, 이 과정에서 언어 능력 수준별 교실 운영이 면밀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임
은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발달심리학 방면에서 영향을 받은 협력 학습법(CLL)의 이론을 고려하
여 극복해 볼 수 있을지 모른다10). 이는 사회적 상호 활동을 중심적 역할로 보기 때문에,
경쟁이 아닌 협력을 장려하고, 공동목표를 향하여 서로를 학습 자원(resources)으로 인식하
고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학습 이론이다11). 예를 들어, 수업 중의 대화

7) 2011년 통계로 볼 때 미국 내의 몰입교육 학교 총 600여 개 가운데 중국어가 차지하는 비율은 15%인


데, 이는 2006년 중국어 비율이 4%에 불과하였던 것에 비하여 큰 성장세이다 (Christian, 2012).
Livacarri(2013)는 몰입교육 비율에 관한 정확한 최근 통계를 내는 것의 어려움에 대해서 피력하면서,
그렇다 하더라도 중국어의 급속한 신장과 그 비율에 대해서는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8) 문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첫째, 중국어를 얼마나 읽고 쓸 수
있어야 할 것인지, 둘째, 학교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문해에 얼마나 합리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
인지, 셋째, 영어 화자에게 도움이 되는 중국어 문해 전략, 넷째, 영어 문해 전략을 중국어 문해에 어
떻게 활용할 것인지, 다섯째, 문해 발달 양상 가운데 중국어와 영어 사이에서 호환 가능한 것에 무엇
이 있는지, 이다.
9) 두 가설에 대해서는 Krashen(1981) 참조. 이 때 오류는 자연스러운 발전 과정으로 볼 수 있다.
10) 발달심리학과 협력 학습법의 관계는 Richards & Rodgers(전병만 외 옮김, 2008: 296-300) 참조.
11) Bigelow(2007)는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가족과 공동체라는 자원(resources)과 이를 통한 모국어
문해 능력 향상이 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제2언어 습득에 있어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보여
주었다.

www.dbpia.co.kr
26 第17號

속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에 실패하였다고 이것을 화자 또는 청자의 책임으로 돌리기보다는,


공동의 목표에 대한 미달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 아래에서는 학습자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교사의 역할 또한 새롭게 조명하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한 논의는 아래의
제 Ⅲ장 3절에서 계속하도록 하겠다.
1990년대 이후에는 제2언어 교육 개발에 있어 심리학에 기반을 둔 이론들이 점차 주목
받고 있다 (Lightbown & Spada, 2011: 38). 특히 인지주의와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볼 때,
한국 어린이에게 중국어와 한자 학습을 엄격하게 분리하여 학습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기
보다는, 이미 익숙하게 알고 있는 한자어 능력을 자원으로 여기고 이에 대하여 문해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암기와 분석 대신 놀이와 각종 활동을
통하여 중국어에 대한 문해 능력은 물론, 듣기와 말하기에 우선 자연스럽고 반복적으로 노
출되도록 하여, 습득 과정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어떠한 언어 학습 이론에 입각하더라도 듣기-읽기-말하기-쓰기라는 네 가지 양
상에 대한 반복 연습은 필요하다. 중국어에서는 문해가 특히 중요하게 부각되므로 연습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는데, 이것을 교실 환경에서 할 것인가, 아니면 교실 이외의 환경에
서 개인적인 활동으로 권장할 것인가, 또한 문해에 대한 기대 수준은 어디까지인가, 등에
따라 교수 설계와 교수요목에는 큰 차이가 생길 것이다. 이제 이 문제에 대하여 아래에서
전개해 보도록 하겠다.

Ⅲ.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실천

3.1 교수 설계상의 목표

미국의 경우, 다른 몰입교육과 마찬가지로 ‘내용 중심(content-based)’과 ‘유창성 추구


(proficiency-oriented)’를 어린이 중국어 교육의 원리로서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학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학생들 사이의 계층 및 문화적 다양성 문제 및 이와 같은
다양성에 대하여 가르치는 문제, 교실 운영, 다른 주제와의 연계성, 교사의 전문성 등이 미
국에서는 이슈가 되고 있다. 이것들을 보다 구체화시킨다면, 언어 양상 교육과 평가, 사회적
으로 다양한 학생들의 요구에 대한 반응, 문화, 학교 및 지역 사회라는 넓은 맥락에서의 교
사의 역할, 중국어 교육과 다른 내용 영역 교육 사이의 연계, 교실 환경, 교사들을 위한 이
슈 등이 주요 용어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중 다양성 문제는 한국 내에서 지역에 따라서는 이미 이슈가 되었을 수도 있다. 그렇

www.dbpia.co.kr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변지원 27

다 하더라도, 한국의 대외적 국가 경쟁력과 개방성이 증대되고 외국인 비율 또한 점점 높아


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사회 전체적으로도 충분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몰입교육의 형태가 중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한국의 어린이들을 위한 보편적인 환경으로
아직 정착이 되지 않은 단계이므로, 내용 중심과 유창성 추구가 미국과 같은 형태로 당장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반드시 몰입교육의 형태가 아니라 하더라도 초급과 중급 수준의
어린이들에게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도록 하게 할 것인가, 아니면 중국어의 음운
구조를 파악하고 문법을 이해하는 이해하여 독해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게 할 것인가, 특
별한 목적이 없이 다만 중국인과 똑같이 말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등 그 목표에 따라 교수
학습활동 유형, 교수요목, 학습자의 역할, 교사의 역할, 교수 자료의 역할에는 차이가 나게
될 것이다. 아래에서는 초급과 중급 수준의 어린이들에게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도
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을 경우, 한국의 상황에서 어떤 면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을
지를 교수요목, 교수 학습활동 유형, 학습자와 교사 및 교수 자료의 역할, 교수 절차로 나누
어 논의해 보도록 하겠다.

3.2 교수요목

상호작용, 과업 중심, 학습자 주도, 라는 세 가지 관점은, 내용 중심과 유창성을 추구하는


교수 설계상의 요목에서 가장 관건이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에는 매체와 기술력
의 발달로 교과서(text), 과업 자료(task-based materials), 실물 자료(realia) 간의 구분이 점
차 허물어져 가고 있다. 따라서 교수요목에서도 가능하다면 발전해가는 교수 자료에 대하여
배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업 이전에 조별로 인터넷 관련 자료 찾기, 유튜브 시청, 관련
주제에 대한 영상 자료 정리 등을 과업으로서 부과하여, 학생들이 직접 찾도록 하는 작업들
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때 주어지는 과업의 형태는, 단순하게 상황을 설정해 주는 차원을
넘어서서 주제에 따라 정보를 공유하게 하면서, 동시에 중국어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네 가지 양상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Fortune 외(2013)에서는 중국어 몰입교육에 있어서 ‘학제간 교육 과정 설계
(Interdisciplinary Curriculum)’를 소개하였다. 여기에서는 학생들을 중국어 수준에 따라 3
단계로 구분하여, 이들이 동시에 듣는 사회 과목 수업을 수준별로 차별화하는 교수요목이
설계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www.dbpia.co.kr
28 第17號

3.3 교수 학습활동 유형

어린이에게 외국어를 교육함에 있어 단위를 주제별로 선정한다 하더라도 대개는 하루 또


는 주 단위로 도입-전개-마무리와 같은 일련의 과정 속에서 교사의 재량에 따라 일상적인
틀(routine)을 짜게 된다. 하루의 시작을 날씨, 요일 등으로부터 시작할 수도 있고, 독서 내
용에 대하여 질문 주고받기, 어제 있었던 이야기 나누기, 오늘 배울 주제에 대한 소개 등으
로 열 수도 있다. 매일 반복되는 간단한 인사 등을 태극권으로 변형하여 시도한 한국방송통
신대학교 프라임 칼리지의 예도 참조할 만하다12). 주 단위 활동으로는 일기 쓰기, 부모와
함께 할 수 있는 독서 지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프라임 칼리지는 문해 능력에 따라 유아
와 초등학교 어린이를 구분하여 교실 중국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노래나 챈트 등으로 응
용하면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교사들에게 특히 유용한 교수 학습활동 유형으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4. 학습자, 교사, 교수 자료의 역할

어린이들은 특성상 학습자로서의 자신만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Livacarri(2013)는 이에 대하여 강하게 부정하고 있다. 언어학자, 기술자, 외교관과
같은 구체적인 직업과 관련지어 학습 동기감을 부여하였을 때, 어린이 중국어 몰입교육의
학습 효과 역시 커질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보여주었다 13).
과업 중심의 학습자 주도 활동에 대해서도 어린이들은 결코 수동적이지 않다. 송지현
(2010)은 유아기 어린이를 위한 중국어 교수 학습 방법으로 노래 및 챈트에 신체 활동을 가
미한 활동을 제안하였다. 미국의 몰입교육 현장에서도 노래, 춤, 이야기가 어린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활동이다(Met, 2012: 39). 여기에서 나아가 역할극과 같은 적극적인 활동을 할 수
도 있고, 교재 읽기라든가 녹음된 음성에 대하여 반응하거나 다른 학습자의 반응에 대한 자
신의 의견을 피력하기, 필요할 경우 동료를 자발적으로 도와주기와 같은 다소 소극적인 활
동을 진행할 수도 있다. 중국어 문해와 관련하여 중국어 쓰기가 예술적 활동으로 승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 다양한 읽기 활동을 통하여 중국어 문자의 특징과 원리까지 터득

12) 해당 사이트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prime.knou.ac.kr/


13) 중국어의 형성자 원리를 굳이 설명해 주지 않더라도 이것을 귀납적으로 터득한 어린이, 외교관이 되
고 싶어서 중국어를 열심히 공부한다며 미국 대통령 영부인 앞에서 자신의 미래에 대해 발표한 어린
이, 자신이 과학과 기술을 좋아하기 때문에 중국어를 더욱 열심히 공부한다고 TV에서 인터뷰한 어린
이 등을 예로 들고 있다.

www.dbpia.co.kr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변지원 29

하는 주체로서 어린이들은 손색이 없다.


제2언어 교육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 자신의 탐구와 관련 연구들은 끊임없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교사는 오류를 수정해 주어야 하는가, 아니면 내버려 둘 것인가. 교사는 수업을
이끌어 가야 하는가, 아니면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이끌어 가도록 맡길 것인가. 원어민 교사
가 모국어 사용 교사보다 우수한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1990년대 이후로 특히 이 방면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Hall(2001: 48-50)은 이 중에서도 능률적인 교사들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지식적 측면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거론하였는데, 전문가 교사들이 사용
하는 지식은 해박하지만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교육 영역에서 부딪히게 되는 제한 조건들
속에서 조정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반면 비능률적인 교사들에게서 결핍되어 있는 특징으로
는, 목표를 명시하지 못 하고, 교실 운영에 있어 일상적인 틀(routine)을 사용하지 않으며,
적절한 것과 부적절한 것을 구분하지 못 함을 지적하였다.
디딤돌(scaffolding) 교수법은 교실 운영에 있어 교사가 모든 방면에서 주도하고 학생의
모범이 되는 대신, 학습자 주도의 교실 운영 속에서 필요한 단계마다 개별적으로 또는 조별
/전체적으로 적절한 도움을 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21세기 이후 외국어 학습에서 주목
받고 있는 개념이다. Fagan(2003)은 읽기 수업에서 차트, 스티커, 키워드를 사용한 디딤돌
교수법이 경험적으로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보여주었다.
교수 자료로서의 교재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점차 약해지고 있다고 볼 수도 있겠으나,
어린이용 중국어 교재는 적어도 이런 면에서는 예외이다. 김현철 외(2010)에서 분석한 중국
국가한반 기획 및 추천 중국어 전체 교재 가운데 유아/아동 대상 교재 비율은 14.3%에 달
한다. 청소년용 9.1%까지 고려한다면, 전체 교재 비율 가운데 약 1/4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14). 북경어언대 출판사 서적 가운데 어린이 중국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이보
다 더 높은 28.5%에 달한다 15).

3.5. 교수 절차

언어 교수 절차 속에는 어떠한 내용이 새롭게 제시되는지, 연습과 피드백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질 것인지가 초점이 된다(Richards & Rodgers, 전병만 외 옮김, 2008: 47) 어린이들
에게 두 명씩 짝을 지어 주거나, 조별 활동, 또는 단체 활동을 통하여 여러 가지 과목 내용
학습을 시도할 수 있다. 시계, 달력, 시간표 그리기, 수 개념을 이용하여 이야기하기 등의
수학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듣고 말하기, 시, 작문, 만화 이야기 만들기와 같은

14) 2010년 자료 총 77권을 기준으로 분석.


15) 2005-2010년 자료를 기준으로 분석.

www.dbpia.co.kr
30 第17號

언어 활동, 색채, 서예, 음악 감상, 종이 오리기, 수묵화 그리기, 미술 작품 감상과 같은 예술


활동, 지도, 지리, 상황극을 이용한 사회 활동, 태극권, 무용 등을 활용한 체육 활동, 우주,
물질, 과학 실험 등을 통한 과학 활동이 있다. 이 속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
지 양상이 난이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여러 활동 속에서 가능하다면 어린
이들에게 놀이를 활용하여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읽기는 그 자체로 모든 과목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여러 명이 함께 읽을 수 있는 큰 책
(big book)을 이용하거나, 큰소리 읽기 책(read-aloud book) 활용, 정해진 시간마다 개인별
책읽기, 조별로 동일한 책 읽기 등 여러 가지 활동을 미국의 몰입교육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어의 경우, 아직 읽기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앞으
로 이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16).

Ⅳ. 과정 운영과 정책수립 제안

어린이 언어 교육에 있어 몰입교육이 선도적으로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곳들은 어떤 특


징을 갖고 있는가. 이들 지역은 다름 아니라, 미래에 이 어린이들이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
로 번영을 누리기 위하여 두 가지 이상의 언어가 필요하다는 교사들의 판단 아래, 독립적인
하나의 외국어를 가르치는 대신, 어린이들이 배워야 할 내용을 다만 여러 언어를 매개로 한
지역들이다 17). 미국의 경우, 유치원에서부터 중국어와 영어를 50:50의 비율로 사용하는 이
중 몰입교육(dual language immersion) 프로그램을 공교육에서 실시하는 학교들이 늘어나
고 있는데, 이것은 앞서 지적한 언어 이론 및 언어 학습 이론 원리와도 관련이 있다.
어린이 중국어 교육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해당 교사는 물론, 사회 성원들 사이에
서 지역 사회의 실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어떤 식으로 어린이들의 언어 교육
정책을 수립할 것인가의 문제는 결국은 예산 문제와 마주하게 될 것이다18). 한국 사회가 다

16) 刘月华 등이 집필한 汉语风 시리즈(北京大学出版社)에서는 읽기 교재를 어휘수에 따라 레벨별로 구분


하여 있다. 향후 이와 같은 시도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중국어의 문해 특성에 대하여
연구자들이 계속 지적을 하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읽기 교재가 향후 주목을 끌게 될 것으로 기대된
다.
17) 몰입교육을 선구적으로 주도한 곳으로 Fortune(2012: 10)은 St. Lambert, Canada, Miami, Florida를
들고 있다. 현재 어린이 중국어와 관련된 몰입교육은 북미 전역으로 퍼져 있다.
18) 최근 중국어 몰입교육이 가장 성공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곳으로 주목받고 있는 Utah 주의 경우, 2008
년 주 상원에서 ‘Critical Languages Bill’을 통과시키면서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에 대한 이중 몰
입교육(dual language immersion) 프로그램을 공교육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한 바 있다.
1학년(K1)부터 시작되는 이 프로그램에 따르자면 2014년까지 총 30,000명이 공교육에서 수혜를 받도

www.dbpia.co.kr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변지원 31

문화가정, 위세언어, 지역 간의 방언차 등, 어린이들이 자라나서 마주할 수 있는 각종 언어


문제에 대하여 그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정책을 미리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에서는 현재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표준(standard)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
다. 또한 중국어뿐만 아니라 외국어 교육 교사에 대한 공통 표준 지침이 없이, 각 외국어별
로 자체 기준을 정비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 미국의 경우에는 31개 주가 컴소시엄 형태로
공동 참여하고 있는 ‘WIDA(World-Class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가 마련되
어 있어 외국어 교육에 대한 교육 및 평가 기준이 세부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국도 장기
적으로는 기준을 참조하여, 전체 외국어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기준 설정을 마련할 수 있
어야 할 것이다.
향후 어린이 중국어 교사에 대한 한국 사회의 수요 예측도 중요하지만, 그 어떤 예측도
적중할 수는 없다. 교사 양성은 수년에 걸쳐 절대적인 시간이 필요한 작업이다. 때문에 학
생들의 학습 요구에 발맞추는 동시에, 학생 수의 증감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코티칭 제도를 고려해 볼만 하다. 실지로 이 제도는 많은
사람들의 걱정과는 달리 어느 학년에서든 또한 어떤 내용에서건 성과를 거두었으며(Ernst,
2013), 그 내부에서도 전문 과목-언어, 원어민-내국인, 내국인-내국인, 원어민-원어민, 주
요-보조, 주요-주요, 교사-인턴과 같은 다양한 패턴이 가능하다19).
정책의 지속적 점검과 발전에 있어서는 외국어 및 제2언어 교육 관련 정책 책임자, 이론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 사이의 다각적인 상호 긴밀한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 어린이 중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경제적 능력, 사회적 지위, 인종, 성별, 지역 등을 뛰어넘어 누구에게나 평
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대한 사회적 합의 또한 필요하다. 미국의
여러 공립학교와 유치원에서 이미 중국어 몰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은, 이미 이와 같
은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뜻하는 것이다. 특정 언어로 인한 사회적 병폐는, 우세 언
어에 대한 선점과 이를 바탕으로 한 언어 계층화가 이루어지는 사회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
록 열린 외국어 교육을 통하여 주의와 노력을 기울일 때 더욱 효과를 거둘 것이다. 이를 위
해서는, 정기적인 포럼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20).
한국의 경우, 중국어에 대하여 공립학교 수준에서 몰입교육 형태가 당장 시행되기는 결

록 배정되어 있다. 참고로 2010년 인구 통계에 따르면 이 주의 총 인구는 270 만 명을 약간 상회한다.


19) 제2언어로서의 영어(ESL: English as a Second Language)를 배우는 학습자들을 위한 다양한 코티칭
양상과 내용에 대해서는 Dove & Honigsfeld(2010: 6-8)를 참조할 만하다. 전문 과목-언어 형태는 예
를 들어 수학 과목 전공 교사와 중국어 교사 또는 역사 과목 전공 교사와 중국어 교사의 코티칭 형태
를 가리키는 것이다.
20) CARLA가 주최하는 국제학술대회인 ‘Immersion’과 같은 형태가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의 주석
2) 참조.

www.dbpia.co.kr
32 第17號

코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에도 이미 어린이들을 위한 방과 후 학습 형태로 중국


어 과목을 시행하고 있는 곳들이 있다. 이것의 출발점은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 사용자 분
포를 중심으로 하여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의 학생들에게 이와 같은 기회가
얼마나 필요한지를 측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Ⅴ. 마무리

본고는 한국의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하여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 방법을 제시


하였다. 언어 이론과 언어 교육 이론을 중심축에 두고, 몇 가지 실천 방법 - 목표, 교수요목,
교수활동 유형, 학습자 역할, 교사 역할, 교재 역할을 포함-을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어린이
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은 어른과 다르기 때문에, 구조주의적 견해에 입각한 전통적인
방법은 어린이들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중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데, 의사소통 교육, 내용 중심, 협력 학습법, 디딤돌 교수법 등은 한국의 어린이 중국어 교
육에서 생소한 개념들이다. 미국의 중국어 몰입교육 과정에서의 이미 전개된 상황과 예들을
소개하여 한국의 것과 비교하고, 이에 입각하여 교수 절차상에서 읽기를 비롯하여 앞으로
더욱 연구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면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사회언어학적인 요구를 고려
할 때, 이러한 개념들은 향후 어린이 중국어 교육에서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은 어린이 중국어 교육관 관련된 정책 입안자, 연구자, 교사들 간의 의미 있고 지속
적인 협력을 위하여서도 새로운 길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요컨대,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이라는 두 가지 축은
교수 절차의 표면 속에 드러나지 않겠지만, 교실 운영에 있어 가장 근간이 된다고 할 수 있
다. 이를 통하여 어린이 중국어 교육이 한국 사회의 관련 수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기
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현철 외(2010), 「중국어 교재의 출판 현황 및 교육이론 분석」, 중국어문학논집 , 제 64호, 서울:


중국어문학연구회.
박찬욱(2012), 「사회언어학과 중국어교육: 교재 속 상호작용 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국어교육
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 서울: 한국중국어교육학회.

www.dbpia.co.kr
어린이 중국어 교사를 위한 언어 교육 이론의 원리와 실천▪변지원 33

송지현(2010), 「兒歌를 활용한 유아기 어린이 중국어 교수-학습 방법 제안」, 중국어문학논집 , 제 65


집, 서울: 중국어문학연구회.
Bigelow, M. (2007).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t school: The case of a Somali teenage girl with
limited formal schooling」, Low-educated adult second language and literacy acquisition
proceedings of symposium , Richmond,VA: Literacy Institute at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Blakeslee, Sandra(1997), 「When an Adult Adds a Language, It’s One Brain, Two Systems」, The
Science Times Book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000), New York: The Lyons Press.
Blakeslee, Sandra(1992), 「Babies Learn Sounds of Language by Six Months」 The Science Times
Book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000), New York: The Lyons Press.
Christian, Conna(2012), 「No program Is an Island: Policy Contexts for Immersion Education」,
Immersion 2012: Bridging Contexts for a Multilingual World, International conference at
Saint Paul, Minnesota, Oct, 18-20.
Dehaene, Stanislas(2009), Reading in the Brain , New York: Viking.
Dove, Maria & Honigsfeld, Andrea(2010), 「ESL Coteaching and Collaboration」 TESOL Journal ,
1-1, New York: John Wiley & Sons.
Ernst, Stacy(2013), 「Co-teaching: Myths and Realities」. Sain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CEHD Template.
Fagan, Barbara(2003), 「Scaffolds to help ELL Readers」 Voices from the Middle , 11, Urban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Fortune, T., Mitchell, K., & Wilcox, E.(2013), 「Global Literacy through Mandarin Immersion and
STEM」, CARLA Noontime Presentation, Minneapolis, MN, Feb, 27.
Fortune, Tara Williams(2012), 「What the Research Says About Immersion」, Chinese Language
Learning in the Early Grades: A Handbook of Resources and Best Practices for Mandarin
Immersion , New York: Asia Society.
Hall, Joan Kelly(2001), Methods for Teaching Foreign Languages , New Jersey: Merrill Prentice
Hall.
Krashen, S.D.(1981),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 Oxford:
Pergamon.
Lightbown & Spada(2011), How Languages are Learned (third edition)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ivacarri, Christopher(2013), 「Language learning in the age of Mandarin: Models of Sustainability
and Success」, the 2nd annual administrator’s conference, Confucius 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Mar, 8.
Met, Myriam(2012), 「Curriculum and Literacy」, Chinese Language Learning in the Early Grades:
A Handbook of Resources and Best Practices for Mandarin Immersion , New York: Asia

www.dbpia.co.kr
34 第17號

Society.
Richards, Jack C. & Rodgers, Theodore S. 저, 전병만 외 옮김(2008), 외국어 교육 접근 방법과 교
수법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 서울: Cambridge.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introduce the principles of language education theories and
practices of implementing the theories for childhood Chinese Teachers in Korea.
Language theories and language-teaching theories are the pillars of the theories’
principles: Practices to implement the theories such as objectives, syllabus, activity
types, learner roles, teacher roles and material role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As children’s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is different from that of adults, traditional
method of language teaching based on structuralism is inappropriate for children.
The need to learn the Chinese language is sharply increasing in Korea, however,
different ways of teaching such as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ontent-based
instruction,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or scaffolding are hardly implemented in
Korea. Chinese immersio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ertainly sheds light on
Korea’s future, and the paper compares the two countries’ childhood Chinese
education. Considering the widely spread sociolinguistic demand of the Chinese
language in Korea, these different ways of teaching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childhood Chinese teaching. The paper also attempts to suggest a way
to forge meaningful and sustainable cooperation among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teachers.

Key words : Childhood Chinese Teachers, principles, practices, CLT: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language acquisition, content-based, scaffolding, CLL: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투 고 일: 2013. 5. 10
심 사 일: 2013. 5. 15 ~ 2013. 6. 17
게재확정일: 2013. 6. 17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