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채준호 - KFL학과 - 201904065

다문화 배경 한국어 학습자의 다문화 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연구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윤정 (한국외국어대학교)

1. 서론

다문화 배경 한국어 학습자들도 국내 다문화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한국 어 학습을


통해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넓혀야 할 필요가 있다.

즉, 한국어 교육이 한국어에 대한 지식과 문화전달의 방식에서 벗어나서 한국어 를


배우면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일어날 수 있도록 언어 교육이 이 루어져야
한다.

한국어 교육은 다문화 교육이 자연스럽게 실현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한국어 라는 언어


도구를 이용하여 다문화 배경을 지닌 한국어 학습자들이 인종과 문화가 다른 다양한
화자들과 자기의 문화와 생각을 공유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습자들은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타문화를 이해하고 서로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다문화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다문 화 이해능력을 향상 할
수 있는 것이다.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 과정 에서 다문화 이해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 기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다.

● 한국어 교육과정 차례
➔ 성격과 목표
➔ 내용
➔ 가. 내용 체계
➔ 나. 등급 및 기능별 학습 내용 성취기준
➔ 다. 언어재료
➔ 라. 문화
➔ 4. 교수·학습 방법
➔ 5. 평가

한국어 교육과정의 차례는 위의 표와 같다.


이중 본 논문은 1. 성격과 목표, 2. 내용 부분을 분석한다.

3. 한국어 교육과정 분석

● 목표
❖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
➔ 가. 일상생활 및 학교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의사소통 한국어 능력을 함양한다.
➔ 나. 모든 교과에 학습에 기초가 되는 학습 도구로서의 한국어 능력을 함양한다.
➔ 다. 학교의 교과 수업 상황에 능동적인 학습자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교과
적응에 필요한 한국어 능력을 기른다.
➔ 라. 한국 사회와 문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호문화 이해 및 소통 능력을
기른다.
➔ 마. 한국어에 대한 흥미와 한국어 사용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긍정적인 태도와 정체성을 함양한다.

목표 ‘라’는 현재 다문화 국가로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새로운 사회 변화를 긍정 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나와 다른 것들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상호문화 이해 및 소 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어서 ‘마’는 정체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데 여기서 정체성은 개인적 정체성과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갖춰야 하는 집단 정체성도 포함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목표설정은 해당 시점에서 국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육의 목표 가


반영되어있는 것이다. 따라서 2017 개정 교육과정 ‘라’와 ‘마’는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이 한 교실에서 생활하는 서로 다른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또래 친구들과
한국어로 교류하면서 다양한 문화를 서로 존중하고 인정하는 마음 을 갖도록 다문화
교육을 위한 적절한 목표설정이라고 볼 수 있다.

● 내용

❖ 내용 체계

한국어 교육과정은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를 구분하고 있는데 문화의식과


태도에서는 따로 구분이 없다.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교육 내용 안에 들어가 있는
문화 영역을 통해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이 습득해야 하는 문화의식과 태도 를
통합목표로 설정하였다.

❖ 등급 및 기능별 학습 내용 성취기준

한국어 교육과정은 숙달도를 중심으로 구성원리를 밝히는데 다문화적 내용 요 소로


분석해 볼 수 있는 부분은 구성원리의 구성범주 중에서 ‘문화적응능력’ 부분 이다.

이 부분은 3가지 부분으로 나눠서 다문화적 내용 요소를 분석해 볼 수 있다.


1. 구성요소
2. 숙달도 중심의 구성원리
3. 단계별 성취기준

● 구성요소
문화적응능력의 구성요소는 문화 내용 및 문화적응 발달이라고 밝히고 있 으며
구성요소의 세부 내용으로 구체적 문화적 산물 경험, 문화 간 차이 최소화, 다문화적
정체성 확립을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의 문화적응능력이
다문화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숙달도 중심의 구성원리

숙달도 중심의 구성 원리의 경우 다른 구성범주는 초·중·고급으로 등급별 구성 원리가


나타나 있는데 문화 적응능력은 등급별로 구성원리가 나타나 있지 않다. 문화적응능력은
두 가지로 구성 원리를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은 한국문화 및 학교 생활문화로
명시하고 있다.

두 번째에 제시된 문화적응 능 력 단계를 보면 다문화 교육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시된 과정은 프 랑스의 상호문화 교육 학습 단계와 비슷하다. 프랑스는 다문화
교육이 아니라 상 호문화교육을 하고 있는데 문화개념이해→자기 문화 인식→타문화
발견→문화 간 비교→상대화→문화수용의 6단계로 나타난다.

앞의 1, 2단계만 한국어 교육과정과 다를 뿐 비슷한 단계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문화적응 능력 단계에서는 다문화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으면서도 앞서 ‘내용 체계’
부분에서 설정한 ‘학령 적합형 한국문화 및 학교생활 문화’의 구체적인 문화 항목을
제시하면서 한국문화 및 학교생활 문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 단계별 성취기준

성취기준은 큰 틀에서 단계별 총괄수 준을 제시하고 세부적인 단계별 성취기준을


제시한다. 문화 영역은 단계별 총괄수 준만 제시되어 있고 성취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4. 분석결과

분석 결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과정 목표를 통해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이 시대의 현상을 반영하여 다문화 교육을 목표로 설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교재에 실려 있는 문화 항목을 볼 때 대부분의 문화 주제가 한국문화나 학교


생활문화이다.따라서 이런 이질적인 교육목표들이 교육 내용으로 올바르게 실현되기
위해서 는 상당한 보완이 필요하다.

한국어 교육과정은 목표를 통해서 교육과정의 큰 방향을 설정한다. 이후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는 내용 체계 및 등급 및 기능별 학습 내용 성취기준을 통해서 등급별,
학급별로 목표가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나 타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후 언어재료 및 교수·학습방법, 평가에서도 구체적인 내용이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문화 부분은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와 비교했을 때 추상적으로 진술되어
있다.
언어재료 부분에서 1페이지 분량의 문화란을 추가하였는데 ‘타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한 상호문화 이해 태도를 함양하는 것을 지향 한다’라고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을 뿐
이후 내용은 한국문화 항목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문화 영역의 교육과정의 목표가 교육으로 올바르게 실현되기 위해서는 현재


교육과정 안에 나타나 있는 이질적인 목표를 통일시키거나 생활한국어나 학습한국어와
같이 구체적인 세부 성취기준이 제시된다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육을 진행하거나
교재를 편찬할 때 문화 교수-학습이 교육목표에 부합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한국어 학습자의 다문화 이해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는 언어 교육으로서의 역할도 필 요하지만 시대적
변화에 맞게 다문화 이해능력도 기를 수 있도록 다문화 교육이 목표로 설정되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과정 총론에 나타나 있는 일부 내용을 보면 '우리 사회는 오랜 기간 단일한


문화적 공동체를 이루어 온 사회였지만 이제 서로 다른 문화가 다양하게 공존하는 가운데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회로 발전해 가야 한다'. 이어서 '언어적, 문화적, 민족적
배경과 상관없이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가 충분히 보장되고, 문화적 차이로 차별을 받거나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으며,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이 사회의
곳곳에서 창의적이고 생산 적인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해야 할 때이다.

한국어 과목은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수행하는 데에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라 고 밝히고 있다. 총론의 내용을 통해서 교육이 한국과 세계의 변화를
알고 있으며 따라서 교육도 시대에 맞게 변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이 한국어 교육을 통해서 언어습득과 함께 다문화


이해능력도 함께 키울 수 있도록 앞으로 교육과정 개정 시에 다문화 이해능력을 고려하여
개발할 것을 기대한다.

나의 생각

이 논문은 다문화 배경 한국어 학습자의 다문화 이해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했다. 이 것은 여러가지 소.중.고등학교 교사와 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사와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한국 문화는 슬슬 세계에 향하고 다른 나라의
사람들도 한국 문화를 좋아해서 한국어 배우게 하는 사람도 많이 늘고 있다.
소.중.고등학교 교사와 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사와 학생들에게는 그 들이 슬슬 다문화
배경인 한국어 학습자를 만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서 한국어 교육과정 개정 시에
다문화 이해능력을 고려하여 개발하면 한국어 학습자들이 인종과 문화가 다른 사람들과
자기의 문화와 생각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소.중.고등학교도 이렇게 하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내가 말씀하다시피 한국은 슬슬 다문화 사회가 될
거라고 한국에서 태어난 학생들인데도 다문화 교육이 필요한다.
다문화 배경인 학생은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조기습득을 통해 학교교육 및
사회생활에서의 소외감과 이질감을 극복하도록 하고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게 한다.
일반인 학생은 다문화 교육을 통해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일어날 수 있고
서로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고 문화적 편견을 극복하게 된다.
그외에는 한국어 교사도 시대에 맞게 교육 방식도 변화해야 한다. 예전에 교사들이 배우는
방식으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면 한국어 학습자들이 배우는 한국어
지식과 내용은 지금 시대와 맞지 않을 수 있다. 결국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다른 사람과
정상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장애를 주는 것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