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제1장

교육 , 교육학 , 교사

1
교육의 이해

교육의 요소와 형태

교육학의 이해

4 교사의 적성
교육의 이해
교육의 이해

1) 교육의 개념

‘5 천만이 모두 교육 전문가’

우리나라의 교육열은 과열분위기


교사는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가이기 때문에 교육의
개념과 역할 뿐만 아니라 이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소질과 적성을 냉철하게 파악해야 한다 .
교육의 이해

1) 교육의 개념

(1) 교육

맹자는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천하의 영특한
인재를 얻어 이를 가르치고 ( 敎 ) 기르는
일 ( 育 ), 곧 교육 ( 敎育 ) 하는 일이라고
대답

< 그림 1-1> ‘ 사랑의 매’를 잘 보여주는 전형적인 이미지인 김홍도의 서당도


교육의 이해

1) 교육의 개념

‘ 교 ( 敎 )’ 란
손윗사람인 교사가 교육의 대상인 학습자에게 필요한 것을 따르게 하고
학습자는 이를 본받음을 의미하여 교육이 가진 지도적∙교도적 성격
‘ 육 ( 育 )’ 은
학습자의 잠재적인 소질과 자질이 바르게 자라날 수 있도록 보호∙육성해
주는 과정
교육 ( 敎育 ) 을 흔히 ‘백년의 큰 계획 ( 百年大計 )’ 라고 부른다 .
교육의 이해

1) 교육의 개념

(2) 에듀케이션 (Education) 과 페다고지 (Pedagogy)

‘education’ 이란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선천적인 소질


또는 잠재능력을 ‘안에서 밖으로 끌어낸다’ 또는 ‘끌어
올린다’라는 의미
페다고지 (pedagogy) 는 교육학 , 특히 ‘아동을 인도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기른다’는 의미의 교육학
교육의 이해

1) 교육의 개념

(2) 페다고지 (Pedagogy) 와 안드라고지 (Andragogy)

안드라고지 (andragogy) 란 성인들의 학습을 돕기 위하여


성인교육의 이론 , 과정 ,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
- 교육학이 어린 학습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성인에게도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기 시작하면서 별도로 ‘성인을 위한
교육학’을 지칭하는 용어로 페다고지와 구별하여 사용
교육의 이해

2) 교육에 대한 과학적 정의

교육은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

첫째 , 교육은 ‘인간 행동’을 다룬다 .

둘째 , 교육은 계획적이다 .

셋째 , 교육은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 .


교육의 요소와 형태
교육의 요소와 형태

1) 교육의 3 요소:교수자 , 학습자 , 교육내용


교육의 3 요소를 보다 일반적인 용어
(1) 교수자
 교육은 교수자의 주도적이고 계획적인 활동에 따라 성립

(2) 학습자
 학습자를 교육활동의 객체 또는 피 ( 被 ) 교육자로 보기보다는
교수자와 동일한 중요성을 가지는 , 교육의 한 주체로 보는 것이
최근의 동향

(3) 교육내용
 교육이란 교육내용 (educational contents) 을 매개체 (medium)
로 중간에 놓고 교수자와 학습자가 실천적으로 교섭하는
상호작용
교육의 요소와 형태

2) 교육의 형태

(1) 가정교육이란 ?

부모 , 형제 등 가족과의 상호작용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교육
가정교육이 중요한 까닭은 변화가능성이 가장 큰 시기
- 어린 시절 인도에서 발견된 ‘늑대 소녀’의 이야기
오늘날 ,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가정의 교육적 기능이 점점
약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은 맞벌이 부모가 늘어나고 ,
한부모 가정이나 대안적 형태의 가정도 점차 증가
부모와 자녀 간의 문화적 격차
교육의 요소와 형태

2) 교육의 형태

(2) 학교교육

유 · 초 · 중등 교육과 대학교육으로 불리는 고등교육


대부분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유∙초∙중등 교육을 기본적으로
받고 사회로 진출하며 고등교육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
교육의 요소와 형태

2) 교육의 형태

(3) 평생교육 (lifelong education)

넓은 의미로는 ‘평생에 걸친 교육’을 의미하지만 종종


‘ 성인 대상의 학교 외 교육’을 의미하기도 한다 .
성인을 위한 평생교육제도로는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직업능력인증제 , 민간자격인증제 등이 있다 .
교육의 요소와 형태

2) 교육의 형태

(3) 평생교육 (lifelong education)

성인기의 교육에 그치지 않고 인간 전 생애를 관통하는


교육조직의 원리로써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 생애시기 , 모든 학습의 장소를 통합하여 사고하는 개념
오늘날 세계적으로 교육개혁의 기본 원리로 받아들여져
학교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도 큰 변화를 요구
교육의 요소와 형태

2) 교육의 형태

(2) 형식교육 , 비형식 교육 , 무형식 학습

현대사회의 교육은 그 형태를 중심 구분

비형식 교육
형식교육 (non-formal education), 무형식 학습
(formal education) (informal learning)
교육의 요소와 형태

2) 교육의 형태

(2) 형식교육 , 비형식 교육 , 무형식 학습


① 형식교육
형식교육 (formal education) 이란 ?
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교육이며 교육기관에 의한 교육
 형식교육은 다른 교육 및 학습에 대해 절대적인 권력을
가짐
 비형식 교육이나 무형식 학습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때
학교교육의 성과는 높아질 수 있을 것
교육의 요소와 형태

2) 교육의 형태

(2) 형식교육 , 비형식 교육 , 무형식 학습


② 비형식교육
학교제도 밖에서 비교적 느슨한 형태로 특정 집단의
학습요구에 부응해 제공되는 조직적∙체계적 교육활동
현대사회에서 비형식적 교육의 영향은 계속 증가
교사는 비형식 교육과 정규교육과정이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학생의 성취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
관심
교육의 요소와 형태

2) 교육의 형태

(2) 형식교육 , 비형식 교육 , 무형식 학습

③ 무형식교육
무형식 학습 (informal learning) 은 교수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것
최근 세계 각국에서 사전학습경험 (prior learning) 에 대한
인정 (recognition), 확인 (validation) 및 승인
(accreditation) 에 대한 관심
교육학의 이해
교육학의 이해

1) 교육학의 성격과 구조

교육학이란 다양한 교육현상을 탐구하고 이를 어떻게 실제


교육에 적용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학문

다른 학문에서 지식을 빌려서 구성된 학문이 아닌가 하는


부정적인 시선이 있기도 하다 .

인간을 성장∙발달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교육학의 독자적인


관점은 다른 어떤 학문분야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

21
교육학의 이해

2) 교육학의 학문적 구조와 이 책의 구조

교재 p.28-30

22
4 교사의 적성
4 교사의 적성

1) 교사직의 이해

에라스무스

에라스무스가 교사에 대한 남긴 말
“ 바보의 눈으로 보면 그저 별것 아닌 일이겠지만 이
직업은 모든 직업 중 가장 고귀한 직업이다 .”
(In the opinion of fools, it is a humble task. But, in
fact, it is the noblest of occupations)”

24
4 교사의 적성

2) 교사의 적성

훌륭한 교사의 특성

첫째 , 학문 영역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있고 이를


타인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계획을 스스로 준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 창조적인 지적 작업을 함 .

둘째 , 학생에 대한 인간적인 관심을 보이고 상호작용하는


것 , 특히 학생의 생활 면면을 일일이 신경 쓰고 돌보는 데
관심을 보여야 함 .

2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