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Is Christian School

Alternative Option
for Education?
기독교학교는
대안교육인가 ?

ED5210_5th Week_ Video Lecture


대안학교란 ? What is an alternative
school?
  ‘ 대안교육’이 시행되는 물리적 공간 The physical space where
the alternative education is implemented
“ 표준화를 지향한 획일적인 공교육 체제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다양한 형태의 학교 Various types of schools stemming
from protests against the uniform public education system
that aims for standardization ” 스미스 (V.H. Smith, 1976)
대안학교란 ? What is an alternative
school?
특성 Characteristics

- 학생과 부모 , 교사의 자유로운 선택 가능성 ,  Freedom of choice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 공동체적인 참여와 헌신에 의한 학교유지 , Maintaining school by community participation and

 dedication

 학교 운영의 유연성 , Flexibility of school operation

 비교적 소규모 Relatively small size – 학생 수 200 명 이하의 작은 규모 Within 200 students

 탈 관료적 de-bureaucratic, or overcoming bureaucracy



Definitions

 “ 어느 시대 , 어느 사회에서나 기존의 교육을 불만족스러워하면서 새로운 교육을


추구하려는 교육적 노력” “ Educational efforts to pursue new education while dissatis-
fied with the existing education in any age and society

 “ 특정 시대나 사회에 고유한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교육으로 20 세기 말의 상황에서 근대


공교육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들에 주목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대두된 일련의 교육적

노력 ” A series of educational efforts to overcome the fundamental prob-


lems of modern public education in the situation of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at reflects a unique sense of educational problem. "
대안 교육 태동의 배경 the Birth of Alternative Education

1. 근대적 교육의 한계 Limitations of modern education

 공교육은 국가가 모든 국민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간주하는 교육내용을 차별 없이 균형 있게 제공하기


위해 만든 대중교육 Public education is created to provide a balanced and non-discriminatory
educational content that the nation considers desirable for all citizens.

 사회적 인력 공급 -> 좋은 학교 출신들이 좋은 직장을 가고 , 사회의 지도층 형성 Supplying social


manpower: good school graduates get good jobs, and social leadership is formed

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고려하기 보다 획일적인 지식을 기준으로 학교간 학생들 간의 서열화 ->
공교육에 대한 불만 확산 Ranking among students between schools based on uniform knowl-
edge rather than considering the diverse abilities of students-> Spreading dissatisfaction with
public education
대안 교육 태동의 배경 the Birth of Alternative Education

2. 인간의 자유 , 자율성 , 다양성 및 자연 친화적인 생태환경을 강조하는 낭만주의적 , 진보주의적

교육 추세로의 변화 A shift towards a romantic and progressive educational trend that emphasizes human
freedom, autonomy, and diversity, and emphasizes a nature-friendly ecological environment.

3. 개인주의적 근대 교육의 한계로 인해 경쟁에서 소외되는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됨 Due to the limitations of individualistic modern education, he became interested in new education for

students who were marginalized from competition.

4. 학교를 더 이상 필연적인 제도로 생각하지 않는 인식이 자라남 - 1990 년대 이후 공교육이 아닌 교육적 대안을

교육 수요자들이 ( 학생 , 학부모 , 교사 등 ) 스스로 만들자는 대안교육 운동이 확산됨 Awareness that school is no

longer considered an inevitable system has grown. Since the 1990s, the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has spread to encourage consumers (students, parents, teachers, etc.) to make their own educational alter-

natives rather than public education.


선두주자 forerunners

 1919 년에 설립된 독일의 ‘발도르프 (Waldorf)  학교’와 1921 년에 설립된 영국의 ‘서머힐
학교’가 시발점 , 'Waldorf School' established in 1919 in German and 'Summerhill’, in
England in 1921 can be the starting points,

 대부분의 학자들은 미국에서 1980 년 중반에서 1990 년대 사이 기존의 학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학생들에게 맞는 다양한 교육을 시도한 ‘실험학교
(Laboratory School)’ 들의 등장을 대안교육 및 대안학교의 기원으로 봄 . 'Laboratory
Schools' appeared to provide a variety of education suitable for various needs of stu-
dents would be the origin of alternative education begun in the mid-1980s and 1990s.

 1960 년대 중반 , 미국에서부터 시작된 자유주의 물결과 맥을 같이 함 , Along with the wave


of liberalism that began in the United States in the mid-1960s
국가별 사례 - 일본 Japan
 일본의 경우 공교육의 구조가 우리와 비슷 . the structure of public education is similar to Korean.

 한국과 유사한 획일적이고 관료적인 공교육 학교구조와 문화에 대한 반발로 대안교육이 확산됨 . Alternative

education is spreading in response to the uniform and bureaucratic public education school structure

and culture similar to us.

 도쿄슐레 같은 자유형 대안학교 , 일본 형 섬머힐이라고 불려지는 키노쿠니 학교등 다양한 유형의 대안

교육이 한국보다 일찍 시작됨 Free-form alternative schools such as Tokyo Shule, and Kinokuni School,

which is called Japanese-style Summer Hill.

 대안학교를 학교생활에 부적응하는 청소년들이 가는 학교로 간주하는 경향 . Regarding alternative schools

as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dolescents who are not able to adapt to school life.
국가별 사례 - 미국 USA
 사립교육 제도들이 다양하고 광범위함 Private education systems are diverse and extensive.

 대안과 일반학교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음 Criteria for categorizing alternatives and general schools are not

clear

 홈스쿨링을 비롯하여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짐 .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cluding homeschooling.

 홈스쿨링은 경건을 강조하는 미국 개신교가정에서 학교의 세속화 교육과정에 반대하면서 중산층부모주도로

가정교육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형교회나 중산층 기독교 가정들이 이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기도 함 Homeschooling is conducted opposing the secularization of school curriculum in American

Protestant families. In Korea, large churches and middle-class Christian families have introduced and

operated this system.


국가별 사례 - 유럽 Europe
 학교 교육권뿐 아니라 대안 교육을 포함하는 일반 교육권을 국가가 보장하는 것을 기본
인권이라는 인식 Each country in Europe guarantee not only the right to school education
but also the right to general education including alternative schooling as a basic human
right

 유럽형 홈스쿨링인 Education otherwise 나 다른 작은 학교들도 교육청으로부터 교육적 활동을


인정받으면 국가로부터 교육재정을 지원받음 . Education otherwise, which is a European-
style home schooling, or other small schools receive educational financial support from
the state if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are recog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기독교대안학교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1) 기독교 교육적 접근 Approach from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


① 신앙과 삶의 이원화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기독교세계관 통합 시도 Attempts to
integrate the Christian worldview in order to overcome the dualization of faith and life
② 기독 교사의 사명과 역할 인식 Recognizing the mission and role of a Christian
teacher
③ 기독교 인재에 대한 인식 변화 Changes in perception of future generations of
Christians – 단순한 사회적 리더를 넘어 책임있게 세상에 반응하는 그리스도의 제자
Aiming disciples of Christ who respond to the world responsibly.
기독교대안학교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2) 대안교육적 접근 Approach from alternative educational perspective

① 기독교 교리’나 ‘신앙교육’ 자체의 관심보다는 왜곡된 교육현실에 대한 ‘


기독교적 대안’을 모색 . Seeking ‘Christian alternatives’ to the distorted educational
reality, rather than focusing on ‘Christian doctrine’ or ‘faith education’ itself,
② 넓고 다양한 스펙트럼 Spacious and diverse spectrum - 일반 대안학교와
다를 바 없이 ‘대안성’이 강조된 학교부터 ‘기독교성’을 매우 강조하는 유형까지 그
스펙트럼이 다양함 . The spectrum varies from schools that emphasize “alternative”
to types that emphasize “Christianity”.
Criticism

1. 종교교육의 정체성 논의 및 그 한계 Limitations of identity of religious edu-

cation

2. 상당수의 기독교대안학교들이 가진 ‘미국 지향적 성격’ “ American –biased


characters

3. 입시 위주의 학교 –귀족 학교라는 비난 Focusing on entrance examination,


accusation of aristocratic/nobility school
  
Reflection

 기독교 학교는 대안인가 ? 필연적인 선택이어야 하는가 ?


Is Christian school an alternative? Should it be non-negotiable
essential choice for Christian families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