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미래교육학연구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The Educational Research for Tomorrow


2016, Vol. 29, No. 2, 23-50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박 명 희 백 일 우†
연세대학교

본 연구는 사교육문제를 완화시키고 미래사회에서 사교육이 국가교육 및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사교육시장이 전개된 역사를 고찰하였다. 사교육시장의 전개를
종합한 결과, 첫째, 우리나라에서 사교육시장은 개화기이후∼일제강점기 즈음 형성되었으며, 도
약기, 성장기, 침체기, 재도약기를 거치고 현재는 유지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시장은 시간
이 지나면서 유형, 주요설립자, 규모 형태가 다양해지고, 교육대상이 확대되었으며, 교육 계열과
내용이 세분화되었고, 그에 따라 교육적 경제적 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었다. 둘째, 성인
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은 모두 교육적 경제적 사회적 배경으로 인하여 세 차례의 붐
을 형성하였다. 셋째, 사교육에 대한 우려와 비평,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은
사교육시장의 규모와 영향력이 단기간에 크게 줄지 않을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사교육이 양산
하는 다양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어 : 사교육, 사교육시장, 사교육역사, 사교육발달, 사교육시장 전개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 백일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03722)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Tel : 02-2123-3179, E-mail : paikiw@yonsei.ac.kr

- 23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Ⅰ . 서론

우리나라에서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 할 만큼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그 중


상당한 부분을 사교육이 차지하고 있다. 사교육은 공교육이 제도화되기 이전부터 학자들에 의해
훈육이나 후학양성을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공교육이 제도화된 초기에
는 그 대상이 한정적이어서 공교육의 혜택을 받기 어려운 청소년이나 성인들에게 교육기회를 제
공하였다. 특히 사교육은 해방이후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생활양식이 서구화되고 직업환경이
근대화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였고, 기술 및 직업교육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학교가 매우 적었
기 때문에 다양한 학원들이 기술 직업교육의 수요를 흡수하여 시대가 필요로 하는 노동인력을 양
성하였다(황종건, 1990).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성공과 중동건설 현장에 파견해야 할
기술자 등 산업 기술인력에 대한 수요가 더욱 급증하였으며, 기술계학원은 대학에 기술계학과가
생기기 이전까지 국가가 필요로 하는 산업인력을 양성하는 직업기술교육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
였다(하광호, 2004). 이에 1995년 OECD조사단은 한국경제의 경이적인 발전과 선진화가 세계 다른
나라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사회교육기관인 학원이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한 바 있다(한국학원총연
합회, 2008).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사교육은 역사적으로 볼 때 공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경제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Seth, 2002) 등 교육본연의 기능과 함께 경제적인 목적으로
성행한 특징이 있다.
더불어 사교육은 1948년 대학입학자격검정시험이 도입되고, 1954년 초등학교 의무교육이 시행
되면서 그 대상이 학생으로 확대되었다. 많은 학생들이 1960년대에는 중학교 진학을 위하여, 1970
년대에는 고등학교 진학을 위하여, 1980년대 이후에는 대학진학을 위하여 사교육을 필수적인 교
육형태로 인식하고 대거 참여하였다(이희선, 2014). 이때부터 오늘날 국가적인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다양하고 총체적인 사교육 문제가 양산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문제로는 학
생들의 과도한 사교육참여가 전인적 발달을 저해하고, 과중한 사교육비용이 가계와 국가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에 따라 자녀 사교육의 양과 질의 격차가 사
회계층화를 고착시키는 것들이 언급되고 있다(박명희, 백일우, 2014).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조차도 사교육을 통해서 최상위권으로의 진입을 꾀하고, 그 외의 학생
들 또한 경쟁우위의 대학에 진학하여 궁극적으로 보다 높은 생애소득과 사회적 출세를 기대하면
서 사교육에 투자를 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면 사교육은 단순한 교육활동이 아니라 현재 또는
미래의 경제적 효용을 추구하는 경제활동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초 중등학생들이 참여하는 사교
육의 기능은 앞서 살펴본 기술계사교육의 기능과 매우 상이하지만 수요자들이 본질적으로 경제적
효용을 추구하는 목적은 매우 유사하다. 이상과 같이 사교육은 교육 경제 사회변화에 적응하면서
하나의 독립적인 산업으로 성장하였다(이희선, 2014).
오늘날 사교육산업의 규모는 사교육과 관련된 교육서비스업의 수가 153,461개(통계청 홈페이
지, 2014), 종사자의 수가 73만명 이상(박명희, 백일우, 2014), 초 중등학생의 사교육참여율이

- 24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68.8%(통계청, 2016)이고, 사교육시장 규모는 초 중등시장이 17조 8천억 원(통계청, 2016), 유아시
장이 5조 9천억 원(서문희, 양미선, 손창균, 2012), 대학생시장이 4조 5,950억 원(이정미, 최정윤, 김
기수, 한유경, 김병주, 2008), 직장인시장이 2조 원(파이낸셜 뉴스, 2015.09.08) 등으로 매우 크다.
또한 사교육이 87.5%을 차지하는 교육서비스업의 수가 전산업체에서 6위이고, 종사자 수가 4위라
는 것은 사교육산업의 규모가 크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보여준다(통계청, 2014).
현실적으로 학벌사회의 영향력, 명문학교에 대한 선호열풍, 노동시장의 불안정성과 가변성, 다
원주의적 경향성의 확대 등이 사교육 수요를 발생시키고, 사교육의 대상이 유아부터 성인까지 확
대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사교육이 미래사회에 미칠 영향력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미
래시대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부모들은 자녀의 안정된 미래를 위해 교육투자를 늘릴 가
능성이 높고, 궁극적으로 명문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수단으로 사교육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사
교육과 관련된 문제는 쉽게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즉, 사교육산업이 사업적인 성공이면에
교육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있으며, 사교육의 유해성과 유용성
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는(백일우, 박명희, 2013) 측면에서 사교육의 역기능을 감소하고 미
래교육에 보탬이 되는 발전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사교육(비)경감이 국가의 오랜 과제로 이
어져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사교육시장의 전개라는 측면으로 문헌을 고찰하고 이에 기초하여 의
미를 부여하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사교육이 시장을 통한 거래에 기반하여 전개되었
고, 단순한 교육활동이 아니라 경제 사회활동과 접목되어 발달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면, 사교육
시장 전개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사교육현상을 이해하고, 미래를 예견해 볼 수 있는 중요한 통
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를 알고 싶으면 과거를 돌아보라는’ 말에서 시작하였다. 즉,
사교육의 문제를 완화시키고 미래사회에서 사교육이 국가교육 및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
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교육이 걸어온 길을 탐색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교육사(敎育史) 안에서 사교육과 관련된 역사적인 자료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 그
배경은 사교육이 초기에는 일상생활이나 직업세계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였기 때문에
학문적으로 자료를 집적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고, 이후 사교육이 하나의 시장으로 형성된 다음에
는 사교육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경감의 대상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역사를 문헌으로 정리하고
자 한 시도가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기존에 사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이 대부분의
학문분야에서 매우 다양한 주제로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교육시장의 전개를 탐색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사교육시장의 전개와 관련된 정보는 학원교육 개혁방안과 관련된 연구
(조상욱, 1994; 최지희, 홍선이, 김영철, 2003; 황종건, 1990) 학원의 기능과 역할(박장화, 1990), 학
원의 발전추이 분석(하광호, 2004), 사교육현황 분석(박종화, 2014), 미술이나 음악교육의 역사(유
덕희, 1985; 이창주, 1983), 교육기업의 성장 및 사교육진화의 양상과 원인(강대중, 최선주, 2014;
여영기, 엄문영, 2015) 등을 통해서 일부 파악할 수 있었고, 언론보도(신문, 방송 등), 교육통계서
비스, 사교육기업의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학원총연합회에서 발간
한 한국학원총연합회(1997)와 한국학원총연합회(2008)는 학원의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
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지만 자료가 방대하여 일반인들이 사교육의 기능과 역할을 이

- 25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해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즉, 사교육시장이 점차적으로 거대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시장적 측


면으로 바라보고 그 기능과 역할을 탐색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사교육시장의 전개과정, 사교육시장 붐(boom)의 형성과 그 배경, 그리
고 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사교육시장의 발달 추이를 예견해보고, 사교
육이 미래 국가교육 및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위에 언급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사교육시장이 시기별로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사회 경제 교육 정책의 변화에 따라 교육적 경제적 사회적 기능과 역할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사교육시장은 언제 붐(Boom)이 형성되었으며, 그 배경은 무엇인가? 셋째, 사
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
로 구성하였다. 먼저 II장의 연구절차에서는 연구방법 및 연구자료, 연구범위, 사교육시장 전개의
단계를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하였고, III장에서는 시기별로 사교육시장의 전개과정을 정리하였다.
IV장에서는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사교육시장 전개를 종합하여 제시하였고, V장에서는 맺음말로
사교육시장의 역사를 기초로 하여 미래 사교육시장의 추이를 예견해보았다.

Ⅱ . 연구절차

1. 연구방법 및 연구자료
본 연구는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헌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사교육과 관련된 학위논문(11편), 학술지(8편), 연구보고서(5편), 서적(7권), 교육통계
서비스 및 통계청 자료(12건)를 중심으로 하였고, 정부기관, 사교육기업, 단체의 홈페이지(14곳),
신문기사 및 뉴스(34개) 등을 참고하였다.
2. 연구범위
본 연구는 사교육시장 전개의 출발점을 통계청에서 일반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사교육의 정의
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즉, “사교육을 공교육이외에 사적인 수요와 사적인 공급에 의해서 이루
어지는 일체의 교육활동이며, 그 비용을 개인이 부담하는 교육서비스”로 정의하고, 사교육시장 전
개의 출발점을 공교육과 사교육이 공존했던 시점으로 정하였다. 오늘날 사교육의 유형은 학원, 개
인과외, 학습지, 온라인 사교육 등 다양하지만 개인과외의 경우 관련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탐색범위에서 제외하였으며, 학습지나 온라인 사교육은 1980년 이후 두드러졌다는 측면에서 사교
육시장 전개 초기의 내용은 학원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더불어 사교육시장이라고 하면 공
급자 및 수요자와 관련된 시장의 규모 및 현황 등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수요자에 대한 관련 자료
가 부족하여 사교육공급자(기관)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26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3. 사교육시장 전개의 단계 구분
사교육시장 전개의 단계1)는 희망의 기록(2008)을 참고하였으며, 사교육과 관련된 법과 정책, 그
리고 사교육시장의 변화에 따라 개화기 이후∼일제 강점기(사교육시장 형성기), 해방 이후∼1959
년(사교육시장 도약기), 1960년∼1979년(사교육시장 성장기), 1980년∼1987년(사교육시장 침체기),
1988년〜2008년(사교육시장 재도약기), 2009년 이후∼현재(사교육시장 유지기) 등 6단계로 구분하
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개화기 이후∼일제 강점기는 1913년 ‘사설학술강습회에 관한 건’ 이 제정될
만큼 사교육이 종교단체 및 개인에 의해 시장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는 측면에서 ‘사교육시장
형성기’로, 해방 이후∼1959년은 1955년 ‘사설강습소에 관한 규칙’이 제정되어 사교육공급자를 관
리할 만큼 사교육시장이 다양한 대상과 유형으로 그 규모가 커졌다는 측면에서 ‘사교육시장 도약
기’로 구분하였다. 1960년∼1979년은 1961년 ‘사설강습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경제발전에 힘
입어 사교육시장이 매우 활성화되었다는 측면에서 ‘사교육시장 성장기’로, 1980년∼1987년은 1980
년 ‘7.30 교육개혁’으로 과외가 전면 금지됨으로써 사교육시장이 가라앉았다는 측면에서 ‘사교육시
장 침체기’로 구분하였다. 1988년〜2008년은 1989년 ‘학원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과외
금지가 완화되었으며, 2000년 ‘과외금지 위헌 결정’과 2001년 ‘학원 설립 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이 새롭게 정비되면서 사교육시장이 다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는 측면에서 ‘사교육시장 재도
약기’로, 2009년 이후∼현재는 지속적으로 ‘학원설립 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시장규모를 줄이고자 하고, 2008년 세계금융위기로 인한 국내 경기침체와 저출산 등으로 인하여
사교육시장이 그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사교육시장 유지기’로 구분하였다. 더불어 교
육통계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사설학원 개황의 계열구분2)이 변화하는 시점을 참조하였다.

Ⅲ . 시기별 사교육시장의 전개

1. ∼
개화기 이후 일제 강점기(사교육시장 형성기)
현재의 학원과 유사한 형태의 사교육기관이 등장한 것은 갑오경장(1884년)이후인 개화기이고(최지
희 외, 2003), 1903년 황성기독교청년회(YMCA)가 종로1가에 설립한 ‘청년회학교(준학교 형태)’와
‘청년회학관(시간제 학원)’이 사교육기관의 효시라고 볼 수 있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청년회학교
와 청년회학관에서는 덕성(德性)교육과 더불어 영어와 수학을 가르치는 단과반 강습이 있었고, 중학부
과정에서는 찬송가, 현대음악, 미술 등을 가르쳤다(유덕희, 1985). 기독청년회학관은 사회지도자들에게
1) 한국학원총연합회(2008)가 발간한 희망의 기록에서는 사교육의 발달 단계가 계열에 따라 상이하다. 대표
적으로 가장 오래되었고 사회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문리계학원은 ‘개화기〜일제강점기’, ‘해방
후〜1970’, ‘1971〜현재’ 등 3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2) 사설학원의 계열은 2000년(문리, 기술, 예능, 경영, 독서실), 2004년(입시검정 및 보충학습, 직업기술, 예능,
경영실무, 인문사회, 국제실무), 2009년(학교교과교습학원, 평생직업교육학원) 조정되었다.

- 27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영어교육을 제공하여 국제적인 감각을 높이고, 예능 및 사회부문의 서구화와 국제화를 위해 기여하도록


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1914년 즈음 중앙기독교청년회, 제일본동경청년회, 중앙청년회학관,
배재학당, YMCA 등 10개의 기독교청년회가 있었으며, 이들은 기독청년회학관, 사설학술강습회,
사설학술강습소, 야학, 민중학회와 함께 사교육형성의 구심점이 되었다(하광호, 2004).
그러나 구한말 사교육을 제공하였던 각종 사회교육단체들은 한국 국민에 대한 일본제국신민화
교육정책과 일본의 탄압에 의해 어려움이 많았다. 민족 지도자들이 민권과 독립정신을 기초로 하
여 국민적인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민족 주체성 고취와 항일운동의 구심체로서 역할을 수행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총독부는 민중교육 또는 민족교육기관으로서의 강습회 및 야학이
증가하는 것에 위협을 느꼈으며 이를 규제하고자 1913년 1월 15일에 ‘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 부
령 제3호’로 ‘사설학술강습회에 관한 건’을 제정하였다(박장화, 1990). 이후 민족자들이 제공하는
사교육은 음성적으로 이루어졌다(하광호, 2004).
그러나 기술계 사교육3)은 실습소, 학원, 기독청년회학관 등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직업기술교
육을 제공하여 상당부분 발전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기술계학원은 당시의 생활 및 사회
변화와 산업발달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실제적으로 사교육시장이 형
성되는 토대가 되었다. 또한 1911년 우리나라 최초로 ‘경성서화미술학원’이 설립되었고(이창주,
1983), 1907년 황성기독교청년회에 의해 상동청년학원이라는 사설음악학원이 최초로 설립되면서
(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예능계 사교육이 출현하였다.
이상과 같이 개화기 이후∼일제강점기(사교육시장 형성기) 동안 사교육은 종교단체나 개인(사
업가, 지도자)에 의해 기독청년회, 강습소, 민중학회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측면에서 사교육
시장이 형성된 시기라고 볼 수 있으며, 민중교육의 토대가 되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2. 해방 이후 ∼ 1959 년(사교육시장 도약기)
일제로부터의 해방과 미군정, 대한민국 정부수립, 그리고 6.25전쟁 등의 격변기를 거치면서 사
교육은 도약하였다. 세습적인 신분의 틀이 완전히 해체되면서 교육은 현재의 고통스런 삶을 개선
하고 사회적 지위를 상위계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보편적 수단이라는 인식이 확대되었고(황규성,
2013), ‘배워야만 살 수 있다’는 뼈저린 교훈을 체험한 부모들이 자식교육에 매달렸기 때문이다(권
진수, 2016). 1949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교육법이 제정되었고, 1952년 교육시행령이 제정되었
다. 의무교육 시행으로 인하여 초등학교 취학률이 1945년 64%에서 1954년 90%로 증가하였고(이
희선, 2014), 교육열이 높은 우리나라의 많은 부모들은 자식교육을 위해 소를 팔고 땅을 팔았으며,
공교육의 확대에 힘입어 사교육도 발전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는 공교육이 과거에 비해 크게 발전
하였지만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대상은 여전히 제한적이었고, 공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자 민간 교육기관(사설학원)들이 생겨났다(하광호, 2004). 아울러 해방이후 생활양식이 서구화되
3) 기술계 사교육은 반도복장실습소(1921), 평안양복실습소(1921), 공인동양자동차학원(1927), 명치자동차 학원(1927),
흥아타이피스트학원(1928), 반도자동차학원(1929), 함흥양재학원(1938) 등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하광호, 2004).

- 28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고 직업환경이 근대화되었으며, 대학입학자격 검정시험 등이 시행되면서 사교육은 기독교청년회,


학원, 학관, 연구소, 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종교단체 및 개인(사업가, 지도자 등)에 의해 본격적으
로 활성화되었다. 사교육시장은 1955년 ‘사설강습소에 관한 규칙’이 제정되면서 그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이 발달하였다.
첫째, 생활양식의 서구화는 미용학원, 양재학원, 요리학원, 자동차학원 등 기술계학원4)들이 증
가하는 요인이 되었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황종건, 1990). 둘째, 직업환경과 생활환경의 근대
화는 타자, 경리, 속기와 같은 사무계학원과 간호 약학계학원5)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타자학원은 미군 주둔과 미군정으로 타자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거나 일
반종합학원 기술학원에서 타자반이 운영되었다(황종건, 1990). 여성들의 교육수준을 향상시켜서
사회활동을 촉진시켰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셋째, 대학입학자격 검정시험의 시행으로 인하여 영
어, 수학 등 문리계 및 외국어계 학원6)들이 증가하였다. 대한미술협회와 한국미술협회 등이 생기
면서 서예 예능계 학원7)들이 증가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이상과 같이 해방이후∼1959년(사교육시장 도약기) 동안 사교육은 급속한 사회변화와 직업의
분화로 인해 발생된 시민들의 교육요구를 충족시켰고, 취업과 관련된 기술 사무 문리 외국어계
학원이 발달하여 산업발달 및 국제화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1997). 또한
문리계 사교육은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로 인하여 시장형태로 급속하게 도약하였다.
3. 1960∼ 년(사교육시장 성장기)
1979

1960년대는 급격한 사회변화로 인하여 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였고, 경제성장으로 인


하여 가계의 가용자원이 많아지면서 사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진 시기이다. 이 시기 사교육은 사
설강습소, 사회교습소, 학원 등을 중심으로 개인과 법인이 고등학교와 대학입시에 필요한 수업을
제공하면서 문리계 사교육(오늘날의 보습 입시)이 성장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전쟁과
가난으로 고통스럽게 살아온 부모들이 자녀만큼은 좀 더 나은 삶을 살게 하겠다는 의지로 허리띠
를 졸라맸고 전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던 교육열은 청소년 사교육에 대한 수요로 표출되었다. 많은
학부모들은 자녀가 사교육을 통해 좀 더 나은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면 신분상승과 경제적 안정
4) 미용학원은 현대미용학원, 연신미용학원, 소정미용학원 등이 있었고, 양재학원으로는 서울양재학원, 동서양재학
원, 수도양재, 서울복장전문학원, 양재여숙, 국제전문학원 등이 있었다(황종건, 1990; 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요리학원으로는 국제요리학원, 김제옥가정요리연구소가 있었고, 자동차학원으로는 계성자동차학원이 있었다.
이외 한국TV기술학원, 미원편물학원, 삼호기계자수학원 등이 있었다(한국학원총연합회, 1997).
5) 사무계학원은 서울경리학원, 중앙경리전문학원, 한국속기고등기술학원, 서울신문학원 등이 있었고, 간호
약학계학원으로는 서울여자약학원, 중앙의과전문학원, 대학의학원 등이 있었다(황종건, 1990).
6) 문리계학원은 초량학원, 청산학원, 상록학원, 글샘학원, 제일고등학원, 종로영수고등학원, 성심고등학관, 서울효
성학원 등이 있었고, 외국어계는 성림영어학원, 대구의 EAC학원 등이 있었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7) 서예학원은 서울의 동방연서회, 대한서예학원, 성균서예학원, 대구서예원 등이 있었고, 예능학원은 한국민
속예술학원, 김순성무용연구소, 고전무용학원, 동방국악연구원, 서울가요학원, 국보오페라학원, 한일배우
전문학원 등이 있었다(한국학원총연합회, 1997, 2008).

- 29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사교육을 이용하였다. 오늘날 사회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보습 입시사교육이 이때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은 산업 정보사회 도래, 직업의 분화, 그리고 중동에 기술자
를 파견하기 위해서 기술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더욱 세분화 전문화 되었다. 이 시기 사
교육은 사회구성원들의 교육적 사회적 경제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교육기업으로 성장하였다(강대
중, 최선주, 2014). 당시 사교육의 규모가 커지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자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9월 18일 ‘사설강습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사교육을 제도적으로 지도 감독 관리하였
다(정지웅, 김지자, 1986; 최지희 외, 2003). 1960년대 후반부터 사교육은 문리계, 기술 사무 외국
어계, 예능계 학원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1) 문리계 사교육
문리계 사교육은 주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1960년대 초반에
는 단과학원이 주를 이루었고, 1960년대 후반부터 종합학원이 설립되기 시작하였다(백일우, 이병
식, 2015). 문리계 사교육은 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입시의 병목현상이 가시화되고, 일류고교나 대
학에 진학하려는 재수생이 증가하면서 국민학교 4, 5학년의 60%가, 6학년의 90%가 참여하면서
발달하였다. 그러나 사교육의 부작용은 ‘입시지옥’이라는 신조어가 생길만큼 사회문제로 부각되었
고(백일우, 이병식, 2015), 정부는 1968년 ‘중학교무시험제도’를 도입하고, 1973년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을 도입하여 사교육의 성행을 막고자 하였다(백일우, 이병식, 2015). 이것은 이미 1960년대에
일류중학교→일류고등학교→일류대학이라는 트랙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입시경
쟁이 치열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1960년대의 입시경쟁은 서울을 중심으로 대도시에서 극
심하였기 때문에 오늘날 전국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쟁과는 다르다. 당시 대도시의 학부모들은 자
녀의 입시를 지원하는 수단으로 과외를 선택하였으며, 상당수의 학교교사는 교내(校內) 또는 교외
(校外)에서 과외 교사로 활동을 하면서 입시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였다(이현진, 2015). 한편 문
리계학원은 고액과외를 근절하고, 중산층․서민층 자녀들이 학습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면서 확대되었다. 당시 개인과외는 고액이었기 때문에 중산층 서민층 자녀들이 상대적으로 저
렴한 학원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다(이종선, 2001).
1970년대 학원가에 영향을 미친 정책 중 하나는 1978년부터 시행된 정부의 ‘인구분산정책’이다.
이 정책은 도심지역의 인구를 외곽으로 분산하는 것으로 강북의 명문 고등학교였던 경기고, 휘문
고, 서울고 등 9개 학교가 1976년부터 강남으로 이전하였으며, 이때부터 강남일대가 학원가로 형
성되기 시작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1974년부터 서울지역에서 고교평준화정책이 시행됨
에 따라 자녀들에게 보다 좋은 교육을 제공하려는 부모들이 강남으로 이주를 하였고, 이로 인하여
이른바 8학군이라는 교육계의 신흥명문지역이 탄생하였다(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홈페이지). 이후
문리계 사교육은 금지될 만큼 큰 사회문제가 되었다.

- 30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2) 기술 사무 외국어계 사교육
기술 사무 외국어계 사교육은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제1
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하면서 더욱 주목을 받았다(하광호, 2004). 당시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시장경제를 표방한 개발도
상국들이 자국의 경제발전을 위해 개발계획을 실시하는 것이 하나의 유행처럼 번졌었고(다음백과
사전 홈페이지), 우리나라도 사회변화와 산업화에 필요한 전문기술인력이 매우 필요했으나 사교
육 말고는 이러한 인력을 양성할 마땅한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1960년대 기술계학원은 양재, 양
복, 미용, 요리, 자동차, 시계기술, 전기, 중장비기술, 냉동기술, 전산 학원 등이 있었고, 사무계학원
은 타자, 경리, 속기 학원 등이 성행하였다. 외국어계학원은 각종 영어시험 준비, 해외유학, 이민준
비, 그리고 1970년대 경제성장과 100억 달러 수출달성 등으로 기업의 해외수출이 증가하면서 영
어학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전국적으로 영어학원이 설립되었다. 또한 이 즈음 간호보조학원,
성인문해, 검정고시, 공무원시험, 승진시험을 대비하는 새로운 학원이 등장하여 직업능력개발에
일조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기술 사무 외국어계 사교육8)은 다양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
면서 대학에 기술계학과가 생기기 이전까지 국가가 필요로 하는 산업인력을 양성하는 직업기술교
육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하였다(하광호, 2004).
3) 예능계 사교육
예능계 사교육은 1960년대부터 음악학원과 미술학원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음악학원은 1970
년대 피아노학원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미술학원은 유아미술과 입시미술로 구분되어 발
전하였고, 중앙미술학원(1967), 모라니미술학원(1967), 돈암미술학원(1968) 등을 중심으로 대중미
술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유아미술은 경제성장으로 생활
이 윤택해지면서 유아교육의 한 형태로 자리를 잡았고, 유아교육 및 탁아기능을 병행함으로써 인
기가 높았다(이희선, 2014). 또한 입시미술학원은 대학입시준비생들이 학교교육으로부터 받기 어
려운 실기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입시준비교육기관의 역할을 하였다.
이상과 같이 1960∼1979년(사교육시장 성장기) 동안 문리계 사교육은 전통적으로 내재되어 있
던 교육열 충족, 입시정책과 입시제도의 변화, 학벌사회 구조 출현, 경제발전으로 자녀교육에 대
한 가용자원이 증가함에 따라 시장적 특성을 보이며 더욱 활성화되었다. 기술 사무 외국어계 사
교육 역시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산업화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여 한국의 미래를 여
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였고(Seth, 2002), 예능계 사교육도 음악, 미술학원을 중심으로 취미 특기
입시교육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교육시장 성장에 일조를 하였다.

8) 기술계학원은 한양목공예학원(1970), 제일열관리학원(1971), 중앙사진비디오학원(1971), 서울관광학원(1972),


국제칵테일학원(1973), 서울제과기술학원(1985), 한국피아노조율학원(1985), 국제항공제작-정비학원(1986)
등이 새롭게 설립되었다(하광호, 2004).

- 31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4. 1980 ∼ 년(사교육시장 침체기)


1987

지속적으로 성장곡선을 그려오던 문리계 사교육은 1980년 정부의 7 30 교육개혁조치와 이에


따른 교육정상화 및 과열과외 해소방안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학원출입이 금지되고, 개인 집단과
외가 전면 금지되는 등 침체기를 맞이하였다. 문리계 사교육이 아동의 정상적인 발전을 저해하고
사고 및 판단력을 가로막는 독(毒)이라는 비판을 받을 만큼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기 때문이
다(동아일보, 1980.08.01.). 기술 사무 외국계 사교육 또한 과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침체되었다.
1980년대 중학교졸업자의 고등학교 진학률이 84.5%(이희선, 2014)에 달할 만큼 청소년들이 대거
상급학교에 진학함에 따라 기술계 사교육의 수요가 대폭 경감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사교육시장은 외국계 학원의 국내 진입9)등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
이하였다. 외국계 학원의 국내시장 진입이 사교육시장에 커다란 변화적인 요소로 작용하지는 못
했지만 국내 사교육시장이 외국기업들의 투자처로 관심을 받았다는 것과 당시 문리계 학원이 과
외금지조치로 인하여 위축되었지만 국제화 영역은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시기에 성행하였던 문리계, 기술 사무 외국어계, 예능계 사교육시장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1) 문리계 사교육
문리계 사교육은 주로 학생을 대상으로 단과 종합학원 및 개인과외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리계 사교육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질적인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사교육 금지정책의 주요대상
이 되었다. 당시 문리계 사교육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제제는 교육기회의 평등이라는 공교육의 이념과
가치를 확고히 하겠다는 군사정권의 강력한 의지가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백일우, 이병식, 2015).
정부는 재학생의 학원수강을 금지하였으며, 입시학원의 인가를 억제하였고, 물가상승 억제정책에
기반하여 학습비(수강료)를 동결하는 등 사교육에 대한 통제수준을 높였다(하광호, 2004). 또한 과외금
지 캠페인이 전개되었고, 현직교사나 학원강사의 개인교습 금지, 사회지도급 인사가 자녀에게 사교육을
시키는 경우 공직에서 추방하는 등 강력한 조치가 발표되었다(동아일보, 1985.11.13.).
그러나 사교육 금지정책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고액의 불법과외시장이 성행하는 기현
상이 발생하면서 정부의 사교육금지정책이 사교육시장을 음지화 고액화 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경향신문, 1984.07.19.; 경향신문, 1985.01.18.). 또한 획일적인 금지정책이 국민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많은 장애를 유발시킨다는 지적이 증가하였다. 이에 엄격한 사교육금지조치
는 점차 완화되었다10)(백일우, 이병식, 2015).
한편 사교육에 대한 금지정책은 새로운 형태의 (사)교육을 등장시켰다. 먼저 1980년 ‘TV가정교
사(EBS 수능방송 전신)’가 개시되었으며, 이는 온라인 사교육시장을 성장시키는 역사적인 계기가
9) ELS학원(미국)이 1983년 대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토익 토플학원 설립, 피어슨에듀케이션(영국)이 1988년
영아〜성인을 대상으로 영어 교재 판매 및 영어학원 설립(박명희, 2015).
10) 1981년 재학생 예체능, 기술 취미학원 수강 허용, 1982년 재학생 어학 고시계학원 수강 허용, 1983년 학
습부진학생 보충수업 허용, 1984년 고3 겨울방학 중 사설외국어학원 수강 허용(백일우, 이병식, 2015).

- 32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되었다(여영기, 엄문영, 2015). 이어서 학습지나 교육용 녹음테이프를 제공하는 학습지시장이 성장


하였다(강대중, 최선주, 2014). 학습지기업은 대졸여성들이 학습지교사로 대거 유입되면서 교육기
업으로 성장하였고(강대중, 최선주, 2014), 학생 학부모가 학습지를 학원이나 과외의 대체재로 인
식하면서 수요가 높아져 발달하였다(동아일보, 1981.03.27.). 이때부터 사교육의 유형은 학원, 학습
지, 온라인 사교육, 개인과외 등으로 구분되었고, 개인과 법인에 의해 사교육시장이 발달하였다.
2) 기술 사무 외국어계 사교육
기술 사무 외국어계 사교육은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앞
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청소년들의 상급학교 진학률이 높아져 그 수요가 감소하여 침체되었다. 그러
나 기존에 있었던 기술계 학원에 더하여 중장비, 자동차, 건축 토목, 컴퓨터 학원 등이 주목을 받
으면서 경제발전과 사회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다양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컴퓨터학원은 개인컴퓨터의 보급과 컴퓨터 활용능력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초등학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수강생의 수가 증가하였고, 이에 학원의 수도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기술
계학원은 저소득층을 위한 무료교육과 정부의 위탁교육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예를 들어 1980년
대에 중장비 자동차학원들은 저소득 가정 청소년에게 무료교육을 실시하였고, 1980년대 후반에는
당시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의 위탁으로 생활보호대상자들에게 직업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리
고 1990년에는 농어촌진흥공사로부터 농민직업교육을 위탁받아 교육을 실시하였다(하광호, 2004).
기술 사무계 학원이 많은 사람들에게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이후 이들이 산업역군으로 국가발전
에 기여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역할이 돋보인다. 외국어계 학원은 1980년대에 중국과의 교류가 확
대되면서 중국어학원이 생겼고, 1991년 소련(현 러시아)과의 국교수립 이후 러시아어반에 대한 인
기가 올라갔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외국어계 사교육은 외국과 교류확대, 시대적 상황에 적응
하면서 탄력적으로 발전하였다.
3) 예능계 사교육
예능계 사교육은 경제발전과 가용자원의 증가로 인하여 학생뿐만 아니라 성인을 대상으로 좀
더 확대되었으며, 서양음악과 서양미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서양음악 학원과 서양화 조
각 조소 학원 등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1997). 학생을 대상으로 취미생활, 특기개
발, 교양뿐만 아니라 예능계열의 입시를 준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성인을 대상으로 취미 여가 교
양 취업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전문적인 수준의 실기지도는 학교에
서 개인적으로 받기 어렵기 때문에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사교육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많은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교육을 받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면
예능사교육도 일찍부터 공교육과 동반자적인 관계를 가졌음을 보여준다(김문희, 2013).
이상과 같이 1980∼1987년(사교육시장 침체기) 동안 사교육시장은 사교육금지정책과 학생들의
상급학교 진학률이 증가하면서 침체하였다. 그러나 입시제도 및 사회변화에 적응하면서 지속적으

- 33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로 발전을 꾀하였다.
5. 1988 ∼ 2008 년(사교육시장 재도약기)
사교육의 재도약은 국내적으로 경제발전으로 인한 수요자들의 구매력 향상(강대중, 최선주,
2014), 1985년 민주화 바람이 가져온 자유화에 대한 요구(김재웅, 1998), 2000년 사교육 금지정책
에 대한 위헌판결 등으로 인하여 가능해졌으며, 국제적으로는 지식 정보사회 및 국제화 시대의
도래로 인하여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무한경쟁이 요구되면서 촉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 해외여행 자유화, 국가의 세계화 국제화 정책, 2006년 외국인 학원시장
투자허용(서울신문, 2006.03.07.) 등은 외국어학원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발맞
추어 학원의 수도 증가하였다.
한편 정부는 1989년 ‘사설강습소에 관한 법률’을 ‘학원의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로 개정하였으
며, 2001년 ‘학원 설립 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로 다시 개정하여 사교육에 대한 관리를 체
계화하였다. 이때부터 ‘강습소’라는 용어대신 ‘학원’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박장화, 1990). 사
교육시장의 재도약기간 중 가장 획기적인 조치는 헌법재판소의 과외금지정책에 대한 위헌결정이
다. 헌법재판소는 과외금지가 헌법으로 보장하는 부모의 자녀교육권과 국민의 직업선택권을 침해
한다고 판결하였다. 이러한 위헌결정은 사교육의 정당성과 자율성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더 이상 사교육에 대한 강경한 법적통제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음성화되어 있던 문리
계 사교육이 가시화 활성화되면서 재도약을 하게 되었다.
국내 사교육기업들은 주식시장에 상장11)을 하였고, 다수의 기업들이 해외진출12)을 시작하는
등 사교육산업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특히 사교육기업의 해외진출은 축적된 노하우를 기
반으로 한정된 국내시장을 넘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움직이라는 측면에서 새로운 도약
이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는 토대를 만들어 나간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해외진출
기업이 성취한 성과들이 국내 교육 및 경제발전에 기여한다는 것은 미래 사교육시장이 나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기도 한다(박명희, 2015). 이러한 사교육시장의 발달은 사교육이 공교육을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서 교육서비스업의 중심이 될 만큼 성장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2000년부터 교육통계서비스에서는 학원의 계열을 문리, 기술, 예능, 경영 등으로 구분하였고,
2004년부터 입시검정 및 보충학습, 직업기술, 예능, 경영실무, 인문사회, 국제실무로 세분화하였다.
11) 대표적인 상장기업(상장연도)은 에듀컴퍼니(1997년), 예림당(1999년), 에듀박스(1999년), 정상제이엘에스
(2000년), 삼성출판사(2002년), 능률교육(2002년), 아이넷스쿨(2002년), 디지털대성(2003년), 대교(2004년),
YBM시사닷컴(2004년), 메가스터디(2004년), 크레듀(2006년), 웅진씽크빅(2007년), 청담러닝(2008년), 비
상교육(2008년), 이퓨처(2011년) 등이다(박명희, 2015). 사교육기업의 상장은 메가스터디 교육(2015), 메
가엠디(2015년) 등 이어지고 있으나, 2016년 현재는 주춤한 상태이다.
12) 대표적인 해외진출기업(해외진출 연도)은 삼성출판사(1987년), 대교(1991년), YBM시사닷컴(1993년), 예
림당(1997년), 에듀박스(2001년), 크레듀(2002년), 웅진씽크빅(2003년), 이퓨처(2003년), 능률교육(2004년),
청담러닝(2006년) 등이다(박명희, 2015). 사교육기업의 해외진출은 2008년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대
표적으로 아이넷스쿨(2010년), 정상제이엘에스(2012년) 등이 있다.

- 34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2004년에 구분된 계열을 중심으로 사교육시장의 발달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입시검정 및 보충학습 사교육
입시검정 및 보충학습 사교육은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이 대표적이며, 1992년
중 고등학생의 학원수강에 대한 제한조치 해제(동아일보, 1993.06.06.), 1994년 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 도입 및 대학별 본고사 부활(한겨레, 1993.04.06.), 특수목적고등학교 확대, 명문대학들의 논
술고사 시행(동아일보, 1996.11.21.) 등 입시제도의 변화로 인하여 운영형태와 방법이 세분화되면
서 발전하였다. 특히 1990년대 말 논술, 선행학습, 특목고라는 테마가 떠오르면서 기업형 학원들
은 학원간 연계를 통하여 더욱 확장하였다(여영기, 엄문영, 2015).
이 시기 사교육시장은 1995년 서울시교육위원회가 ‘학원의 설립 운영에 관한 조례’를 개정하여
입시학원의 설립기준을 완화하고, 수강료 책정에 대해 일부 자율성을 허가하였으며(한겨레,
1993.03.03.), 1997년 정부가 ‘행정규제기본법’을 통해 학원법령 및 제도에 대한 규제를 완화함으로
써 좀 더 자율성을 가지게 되었다. 동일 학원이라도 사회통념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모든 이의 평생교육을 지원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재도약의 발판을 굳건히
하였다(하광호, 2004). 또한 1995년 정부가 학원시장을 외국인 투자대상으로 개방함에 따라 유명
학원들이 글로벌머니를 투자받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는 등 기업화를 추구
하면서 동반성장 하였다. 글로벌자본이 국내 사교육시장으로 유입된 것은 우리나라 사교육시장이
가진 생산성과 미래가치가 높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박명희, 2011). 이들 기업들은 거대자본을
바탕으로 개별 연구소를 운영하면서 차별화된 프로그램개발과 선제적인 홍보 마케팅을 통해 그
들만의 시장을 넓혀나갔다. 이에 글로벌자본의 국내유입은 학원들 간의 전략적 인수합병을 유도
하고, 사교육시장이 양극화가 되는 기폭제가 되었다. 또한 외국계학원의 진입13)에 대비해서 시설
투자 및 논리력 사고력 중심의 사교육이 주목을 받았다(한겨레, 1994.01.12.).
영어 사교육시장은 1997년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가 정규교과목으로 채택되었고, 2000년 초
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 영어수업이 영어로 진행됨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여 급속하게 성
장하였다(조선일보, 1997.06.13.). 또한 지방자치단체들이 영어마을을 설립하여 사교육기관에 경영
을 위탁하면서 사교육기업들이 대형화되는 계기가 되었다(강대중, 최선주, 2014). 그러나 사교육시
장은 1997년 IMF의 한파로 수강생 수가 30∼50% 급감하는 위기에 봉착하였다(한겨레,
1998.01.05b).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교육시장은 외환위기 이후 많은 부모들이 ‘자녀교육이 미래’라
는 희망으로 자신에 대한 투자나 노후 준비를 뒤로한 채 자녀교육에 올인(다 걸기)하면서 발전을
계속하였다(동아일보, 2007.11.21.). 사교육시장 규모가 1990년대 10조원에서 2007년 20조원을 상
회할 만큼 두 배로 증가하였다는 것은 사교육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했음을 보여준다(박명희,
13) 외국기업(연도)의 국내진입은 일본의 구몬(1990), 미국의 벌리츠어학원(1995), 미국의 프린스턴 리뷰 어
학원(1997), 영국의 다일렉트잉글리쉬(1998), 미국의 카플란어학원(2001), 영국의 월스트리트 인스티튜트
(2002) 순으로 이루어졌고, 이들 기업들은 서울을 중심으로 주로 영어교육사업을 개시하였으며, 교재판
매, 학습지사업도 병행하고 있다(박명희, 2015).

- 35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2015). 이로 인해 교육서비스업은 창업이후 가장 장수하는 기업 중 하나로 주목을 받았다(한국일


보, 2007.12.10.). 이 시기 사교육시장은 취업난으로 힘들어하는 명문대 출신의 고학력자들을 대거
흡수하였고, 과외기업까지 형성되면서 발달하였다(한겨레, 1998.01.05a).
1998년 이후 정부는 대학 입시제도의 변화, 고등학교의 다양화, 학교교육의 내실화, 교원 전문
성 제고, 교육환경 개선 등으로 사교육수요를 낮추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공교
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였지만 사교육수요를 경감하는 효과는 미미하였다(이
희선, 2014). 왜냐하면 입시제도가 복잡해졌음에도 불구하고 공교육이 여전히 획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였고(동아일보, 2002.03.07.), 수능의 영역별 반영과 심화학습을 요구하는 7차 교육과정의 도
입이 학생들로 하여금 과목별 전문학원을 찾도록 하였으며, 개인과외 교습이 자율화됨에 따라서
개인과외시장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동아일보, 2002.03.07.). 실제로 다년간 입시지도를 한 고등
학교 교사들조차도 입시전형을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대학입시전형이 거듭 변형되었다. 다양한
입시전형은 그 수만큼 다양한 사교육을 만들었으며, 각기 다른 사교육은 서로 시너지를 교환하면
서 전체 사교육시장 규모를 팽창시켰다(여영기, 엄문영, 2015).
한편 정부는 초 중학교 내에 영어회화, 컴퓨터, 예체능 수업 등 방과후활동과 과외방송을 확대
함으로써 사교육수요를 공교육으로 흡수하고자 하였다(경향신문, 1996.06.23.: 이희선, 2014). 그리
고 2002년 교육인적자원부가 방과후학교에 외부강사 초빙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사교육종사자
들이 공교육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공교육보충교육’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탄생시켰
으며 사교육시장의 지각 변동을 예고하였다(강대중, 최선주, 2014). 다시 말해서 기존에 사교육시
장은 공교육시장과 확실히 구분되는 시장이었다면, 이제는 ‘사교육시장-공교육보충교육시장-공교
육시장’이라는 관계성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학습지 시장이 영 유아부터 성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날로 팽창하였다(한겨레, 2002.12.18.). 온라인 사교육시장은 1999년 사회교육법으로 원격교육이 제도화
되면서 좀 더 가시화되었고, 인터넷 보급률 및 개인용 컴퓨터의 보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하였다(김경
회, 곽창신, 황태희, 김대욱, 이선미, 2012). 또한 정부가 각종 학력 경시대회에 대한 인증제를 도입함으로
써 이를 준비하는 학원들이 증가하였다. 이에 2001년 14,043개였던 문리계 학원이 2008년 33,062개의
입시검정 및 보충학습학원으로 7년 사이 두 배 이상 증가하였고, 매출액도 급증하였다(경향신문,
2007.12.25.;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b). 이상과 같이 입시검정 및 보충학습 사교육은 개인과 법인이
학원, 학습지, 온라인방식으로 공교육을 보충하고, 학생들의 개별화된 학습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성장하
였다. 2000년 중반이후 대안학교, 홈스쿨 등이 가시화되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사교육이 새로운
시장으로 떠올랐다(박종화, 2014). 그러나 입시검정 및 보충학습 사교육은 학생들의 전인적인 발달을
저해하고 과중한 사교육비를 유발한다는 비판의 대상으로 연일 뉴스의 화제가 되었다.
2) 직업기술 경영실무 인문사회 국제실무계 사교육
직업기술 경영실무 인문사회 국제실무계 사교육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이 대표적이다.
직업기술 사교육시장은 고등학교졸업생의 대학진학률이 2005년 82.1%(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

- 36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a)로 나타날 만큼 상승하면서 축소되었다. 그러나 다른 분야의 성인 사교육은 지식 정보사회의 도


래로 인하여 노동시장과 직무환경이 변화하고, 고용시장의 불안정 등으로 인하여 공무원 시험14)
이나 고시를 준비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새롭게 주목을 받았다. 다시 말해서 이 시기
성인사교육은 단순한 기술이나 직업교육이 아니라 직장인은 물론 구직자 및 재취업자가 각종 자
격증취득 및 취업(진급)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이용하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으로 전환되었고,
취업 및 유학을 준비하기 위한 토플, 토익 학원이 성행하였다(동아일보, 1996.08.14.). 안정된 미래
를 준비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성인사교육시장은 1998년 ‘고용보험환급제도’15)가 시행되면서 기업교육이라는 새로운 블루오
션으로 떠올랐으며, 크레듀, 메가텍스트, 웅진패스원 등과 같은 기업에 의해 성장하였다(강대준,
최선주, 2014). 1998년에는 정보화 사회적응력 함양이라는 명목하에 컴퓨터 교육이 주목을 받았고,
컴퓨터학원들은 노동부의 지원을 받아 미취업 또는 재취업자에게 컴퓨터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실
업극복에 기여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2004년 의 치의학전문대학원(medical/dental school)이 도입되고,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law
school)과 약학전문대학(pharmacy school) 등이 신설되면서 이를 준비하기 위한 학원이 생겨났다.
이러한 시험이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배운 것만으로 합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발 더 나아가 성
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은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제도’(1990)와 ‘학점은행제도’(1998)가 실시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수요를 흡수하면서 활성화 되었으며, 2015년 기준 기술계학원(21곳), 사회계학
원(11곳), 예능계학원(10곳)이 참여하고 있다(국가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
3) 예능계 사교육
예능계 사교육은 입시미술 입시음악 시장이 생겨나고, 경제성장과 사회문화의 발달, 국민들의
교육수준이 향상되면서 증가하였다. 입시미술과 입시음악은 일선 고등학교에서 가르치기 어려운
실기교육을 지도함으로써 입시준비생들에게 필수적인 추가교육으로 이용되었다(한국학원총연합
회, 2008). 예능사교육은 잠재된 소질을 계발하고, 인간지능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며, 한 발
더 나아가 자아완성 및 전인적 성장에 필수라는 인식이 확대되면서 학생 학부모로부터 자발적인
선택을 받았다(김문희, 2013). 이것은 예능계 사교육이 삶의 질을 중시하는 사회현상과 맥을 같이
하면서 단순히 취미 여가 또는 점수만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아니라 개인의 독자적인 요구를 충
족시키는 방향으로 확대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체육 사교육은 태권도, 무용, 축구, 수영 등에 대
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그 수요가 증가하였다.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능사교육은 성인들이 취
미 여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교육을 이용하면서 발전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예능계 사교육은
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음악, 미술, 무용, 태권도, 연기학원, 댄스 등 다양해졌으며, 영재발굴을
통해 영재육성에 기여하였다(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14) 1997년 IMF이후 대학생 직장인 주부까지 공무원시험 준비학원으로 몰렸다(서울신문, 1997.10.14.).
15) 고용보험제도는 교육비용을 사업주가 재직근로자를 위해 또는 근로자가 개인적으로 지출하는 경우 고용
보험기금으로 수강료의 100% 또는 일부를 환급해주는 정책이다(강대준, 최선주, 2014).

- 37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이상과 같이 1988〜2008년(사교육시장 재도약기) 동안 입시검정 및 보충학습 사교육시장은 과


외금지조치에 대한 위헌결정, 공교육 및 입시제도의 변화, 지식 정보사회의 도래, 상장기업의 증
가, 사교육기업의 해외진출, 해외자본의 영입, 해외기업의 국내진입 등으로 성장하였다. 성인을 대
상으로 하는 직업기술 경영실무 인문사회 국제실무계 사교육은 노동시장과 직업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발전을 꾀하였고, 독학위제도 및 학점은행제에 참여하면서 그 기능이 확대되었다. 이
시기에 사교육시장 규모가 거대하다는 것은 가계입장에서 사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컸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가계경제의 파탄을 막았다고도 볼 수
있다. 1997년 IMF로 인하여 고학력 인력의 취업난과 기존 직장인들의 조기명퇴로 인한 실업난이
사회문제로 대두 되었을 때 사교육시장이 이들을 상당부분 흡수하여 일자리를 제공하였기 때문이
다. 이 시기 사교육시장은 교육적 차원뿐만 아니라 경제적 차원으로 그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면서
독립적인 산업으로 재도약하였다.

년 현재(사교육시장 유지기)
6. 2009

2009년 이후 사교육시장은 학원, 학습지, 온라인 사교육 등을 중심으로 개인과 법인이 입시정
책과 사회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더욱 세분화 특성화 전문화 되고 있다. 그러나
입시 사교육시장은 EBS교육방송의 영향력 증대, 다양한 입시제도의 변화, 방과후학교를 통한 공
교육 내실화정책,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침체, 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성장세가 둔
화되어 그간의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하여 공급자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
으며, 중간 규모의 학원들이 도산하거나 소규모학원 또는 공부방으로 외형을 수정하면서 기업간
양극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박명희, 백일우, 2014). 반면, 상장한 교육기업들의 다수는 사업영역을
오프라인 학원, 온라인학원, 스마트러닝, 출판, 교육콘텐츠, 학습지, 컨설팅 등으로 확대함으로써
종합교육기업으로 면모를 다지고 있다(박명희, 2015). 또한 일부 대기업은 공교육16)으로 사업을
확장(조선에듀, 2016.05.27.) 함으로써 사교육시장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도약을 시도
하고 있다. 사교육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의 장(場)
을 열고 있는 양상이다.
한편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은 지식 정보사회의 확대로 인하여 노동시장과 직업환경이
변화되었고, 취업과 이직을 위한 스펙이 중시되면서 대학생을 중심으로 성행하고 있다. 대학생 사
교육시장 규모는 4조 5천억 원에 달하고, 참여율은 60%이다(이정미, 2010; 이정미 외, 2008). 직장
인 사교육시장 규모는 2조원에 달한다(파이낸셜뉴스, 2015.09.08.). 또한 평생학습사회의 도래, 주5
일 근무제 등으로 새로운 수요가 발생되어 시장규모는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2009년부터 학원
의 계열은 학교교과교습학원과 평생직업교육학원으로 구분되었으며(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c),
그에 준하여 사교육시장의 발달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6) 종로학원하늘교육과 SM엔터테인먼트는 2016년 강남에 K-POP 국제학교를 건립하기로 MOU를 체결하
였다(조선에듀, 2016.05.27.).

- 38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1) 학교교과교습 사교육
학교교과교습 사교육은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입시검정 및 보습, 국제화, 예능, 특수, 기
타, 종합학원, 학습지, 온라인 사교육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의미한다. 학교교과교습 사교육시
장 규모는 초 중 고등학생의 사교육비가 2009년 21조 6천억 원(통계청, 2010)을 상회할 만큼 최고
조를 보였으나 2015년 17조 8천억 원(통계청, 2016)정도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학원의
증가, 온라인 사교육의 발달, 새로운 학원의 등장, 교육대상의 확대와 프로그램의 다양화, 공교육
과 사교육간의 연계, 예능계 사교육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진화를 계속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내
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시장은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소비자의 수준이 높아지자 브랜드를 앞세운
프랜차이즈 학원들이 증가하면서 발전하였다. 프랜차이즈 학원은 가입비가 수억 원에서 수백만
원까지 그 과목과 범위가 매우 다양하지만 브랜드인지도를 기반으로 성공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창업자들에 의해 확산되었다. 교재 및 교구, 수업과 경영의 표준화를 통하여 교육서비스의 질을
관리하고, 연합된 홍보와 마케팅으로 차별화를 추구하면서 사교육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둘째, 사교육시장은 정보통신기술, 인터넷 보급률 향상, 스마트기기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온라
인 사교육이 발달하면서 진일보하고 있다(여영기, 엄문영, 2015). 오프라인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
고 저렴한 비용으로 지방의 학생들도 서울의 유명강사 강의를 들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사교육의
평등성을 실현하는데 기여하였다(박명희, 2015). 온라인 사교육은 자체의 독특한 특성을 살려서
모바일 과외앱을 출시하거나, 각종 놀이 및 게임방식으로 영 유아시장부터 성인시장까지 그 영역
을 확대하는 등 오프라인 사교육과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조선일보, 2016.05.06.). 온라인 사교육
은 각종 스마트기기의 발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사교육시장은 입시제도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학원이 등장하면서 발달하고 있다.
2008년 ‘대학입학관사정제도’가 도입되고, 이것이 2014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변경되면서 많은
학원들은 구술, 면접, 자기소개서 작성, 포트폴리오 제작, 외국어 등 새로운 입시제도에 맞춘 서비
스를 제공하였다(한겨레, 2009.04.22.). 2009년 서울대학교가 통합논술을 도입하였고, 명문대학들이
논술시험을 통해 학생을 선발함으로써 논술 사교육시장이 급속히 성장하였다. 2011학년부터 특수
목적고등학교의 입시가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변경되면서 학생선발 방식이 선행학습 위주의 점
수가 아닌 내신성적 비교과활동 면접에 기반하여 학습능력과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변화되
자 기존의 교과입시 사교육시장은 위축된 반면, 내신과 각종활동(독서, 동아리, 봉사활동 등)을 컨
설팅하고 지도하는 사교육이 활성화되었다(MBC뉴스, 2015.07.14.). 최근에는 재수독학학원이 생
겨서 스스로 재수를 하는 학생들에게 자습공간 대여, 노트북대여, 인터넷 강의 제공, 개인사물함
대여 등 기존 학원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오르비홈페이지).
넷째, 사교육시장은 대상이 영 유아까지 확대되었고, 어린이집(영어, 뮤지컬, 창작동화 등 특별
활동)과 가정(한글, 산수, 한자 학습지 및 인터넷 전화 등)에서 다양한 사교육이 이루어지면서 유
아사교육시장 규모가 5조 9천억 원(서문희 외, 2012)으로 추정되었다. 영 유아 사교육은 아동의

- 39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잠재적인 재능과 특기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육성함으로써 개인의 인적자본을 축적하고 이것이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초석이 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이희선, 2014). 그러나 조기교
육에 대한 지나친 관심이 영 유아 사교육의 과열을 조장함에 따라 영 유아사교육비와 관련된 논
란이 이어지고 있다(MBN뉴스, 2016.09.16.).
다섯째, 사교육시장은 공교육과 사교육간의 연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면서 발달하고 있다. 사
교육수요를 공교육으로 흡수하고자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방과후학교가 확대되면서 대거 사
교육 종사자들이 공교육 안으로 들어가고, 대기업에서는 방과후학교 강사 및 프로그램을 전담하
는 부서가 생겨났다. 사교육과 공교육간 경계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강태중, 2008). 한편 공
사교육간 협력프로그램은 지방의 몇몇 지자체들이 선거 공약으로 내세울 만큼 주목을 받고 있으
며, 지자체의 지원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역에 있는 우수한 학생들이 입시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서울의 명문학원이나 사교육전문기관과 협약을 하고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기 때문이
다. 이러한 활동은 우수한 인재의 지방 유출을 방지하고, 학부모들의 교육비부담을 완화시킨다는
측면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박명희, 백일우, 2014).
여섯째, 예능계 사교육은 한류 등의 영향으로 문화 예술 연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한국연
예 및 스포츠스타들의 명성이 세계적으로 상승하면서 더욱 관심을 받고 있다. 많은 학부모들이 자
녀의 예체능 특기를 찾는 동시에 전공 및 예능인으로서의 성장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사교육을 찾
고 있기 때문이다(연합뉴스, 2015.02.26.). 예능계 사교육은 중 고등학교 내신 성적에 예체능 교과
의 성적이 반영되고, 이것이 입시에서 중시됨에 따라 실기평가가 있는 주간에 학원에서 체육사교
육까지 성행하고 있다(중앙매거진, 2015.07.17.).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입시전문체육학원, 미
술학원, 음악학원 등에서는 대학입학 시 응시하는 종목이나 과목위주로 수업을 하고, 진학을 희망
하는 학교 등을 기준으로 분반을 하여 입시를 준비시키고 있다. 즉, 예능계 사교육이 단순한 취
미 특기계발을 넘어 진학과 진로와 연계되어 이루어지면서 그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하
지만 고액의 입시사교육과 초등학생들이 뜀틀이나 줄넘기 사교육을 받는 사례 등은 끝 모를 사교
육 팽창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MBC 뉴스데스크, 2015.04.25.).
2) 평생교육직업 사교육
평생교육직업 사교육은 성인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 국제화, 인문사회, 기예,
종합학원이 대표적이며, 학습지와 온라인 방식으로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학교진학률이 높아지면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의 주 고객은 대학생과 직장
인이 되고 있다. 성인사교육은 취업, 진학, 취미 여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성인사교육시장은 취업을 위한 외국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및 각종 자격증(공무원,
애완동물관리사, 바리스타 등)학원들이 증가하면서 발달하였다. 취업준비생들은 취업을 위해 1인
당 평균 5.2개의 스펙을 준비하고, 1순위가 토익(72.6%), 2순위는 자격증(65.8%), 3순위는 토익 외
공인어학성적 준비(52.0%)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슈와 뉴스, 2015.10.12.). 취업컨설팅 사교육에서

- 40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는 삼성반, LG반 등으로 반이 구성되고 담임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Jtbc 뉴스, 2016.01.21.), 전화


영화 및 화상채팅 등 다양한 사교육이 성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 사교육도 부모의 학력과 소
득이 높을수록 참여율과 비용이 높기 때문에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이정미, 2010)
둘째, 성인사교육시장은 대학원진학 및 의 치의학교육입문검사, 법학적성시험, 약학대학입학자
격시험 등을 준비하는 학원이 증가하면서 발달하였다. 이들의 전체 시장규모는 755억 원 정도로
추정되었다(메가스터디 홈페이지). 이외 적령기에 학교공부를 마치지 못한 학습자들을 위해 온라
인 검정고시학원 등이 생겨났다(온라인검정고시 홈페이지).
셋째, 성인사교육시장은 취미 여가를 목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 사람들이 대거
은퇴하면서 취미 여가를 위해 예능계 학원을 찾고 있기 때문이다. 고령화사회로 접어들면서 건강
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노인들의 재교육,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각종 레크레이션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학습지(영어, 일어 등)가 인기이다.
저렴한 가격과 자투리시간의 활용이 용이하고, 방문교사가 진도관리까지 해주기 때문에 환영을
받고 있다(EBS뉴스, 2016.08.11.).
이상과 같이 2009년∼현재(사교육시장 유지기) 동안 학교교과교습 사교육시장은 세계적인 금
융위기와 경기침체, 사교육경감 정책, 저 출산, EBS교육방송과 방과후학교의 영향력 증대, 입시체
제 개편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둔화되어 그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평생교육직업 사교
육시장은 실업률증가, 노동시장의 가변성, 사회경제적 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된 새로운 수요
에 부응하면서 발전을 꾀하고 있다.

Ⅳ .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 종합

본 장에서는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시기별로 사교육시장이 어떻게 전개되었고 그 기능과 역할


이 무엇이었는지 주요특성을 종합하였고, 사교육시장 붐(Boom)의 형성과 그 배경을 요약하였으
며, 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1. 시기별 사교육시장 특성
사교육시장은 개화기이후∼일제강점기 즈음 형성되었으며, 도약기, 성장기, 침체기, 재도약기를
거치고 현재는 유지기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교육시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형, 주요설립자,
규모 및 형태가 다양해지고, 교육대상이 확대되었으며, 교육계열과 내용이 세분화되는 등 진화 발
달하였다. 사회 경제 교육 정치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교육적 경제적 사회적기능과 역할을
수행하였다. 개화기이후∼일제강점기(사교육시장 형성기)부터 2009년 이후〜현재(사교육 시장 유
지기)까지 시기별로 사교육시장 전개의 주요특성을 종합하면 <표 1>과 같다.

- 41 -
<표 1> 시기별 사교육시장의 주요특성
시기 사교육유형 주요 설립자 규모 및 형태 주요 교육대상 교육계열/내용 교육적 경제적 사회적 기능과 역할
개화기 이후∼ 기독교청년회 종교단체 소규모 기술 직업교육으로 생활 및 사회변화와 산업발달
일제강점기 사설학술강습회 개인 비영리기관 청소년(미취학) 에 필요한 인력양성
(사교육시장 사설학술강습소 (지도자, 및 성인 문리 공교육을 받기 어려운 계층에게 교육, 사회지
형성기) 야학, 민중학회 사업가 등) 개인사업 도자 양성, 민족주체성고취, 항일운동
해방후∼1959년 기독교청년회 종교단체 소규모 기술 사무 외국어 사회변화, 직업분화로 필요한 인력양성
(사교육시장 학원, 학관 개인 비영리기관 (취학청소년미취학) 공교육 보충, 전통적인 교육열 충족, 입시준
도약기) 연구소, 연구원 (지도자, 및 성인 문리 비(특수층)
사업가 등) 개인사업
초 중 고등 문리 공교육보충, 전통적인 교육열 충족, 입시준비
1960∼1979년 사설강습소 개인 소규모 학생 (대중화)
(사교육시장 사회교습소 (사업가 등) 개인사업 청소년(미취학) 기술 사무 외국어, 고시 산업발달 및 국제화에 필요한 산업역군 양성,
성장기) 학원 성인 문해교육, 고시준비
예능 취미 특기개발, 입시준비
1980∼1987년 학원, 학습지 개인, 소규모 문리 공교육보충, 입시준비(대중화)
(사교육시장 온라인사교육 국내법인 개인사업, 초 중학생고등 기술 사무 외국어 산업발달 및 국제화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
침체기) 중간규모 성인
기업형태 예능 취미 특기 적성개발, 입시준비
소규모 초 유아 입시검정 및 보습 공교육보충, 개별화된 학습욕구 충족, 입시준
1988∼2008년 학원, 학습지 개인 개인사업, 중 고등 직업기술, 경영실무, 기업 및 노동시장 변화와 일자리창출
비(대중화), 대안교육지원,
세계화에 필요한
(사교육시장 온라인사교육 국내법인 대 중간규모 대학생 학생 인문사회, 국제실무 인력양성, 자격증, 스펙, 진학시험, 학위수여
재도약기) 외국법인 기업형태 취미 특기 적성개발, 입시준비,
성인 예능 영재양성, 삶의 질 향상 조력
유아 학교교과교습학원 공교육보충, 개별화된 학습욕구 충족, 입시준
2009년∼현재 학원, 학습지 개인 소규모 초 중 고등 (입시검정 및 보습, 국제화, 비(대중화), 영재양성, 대안교육지원
(사교육시장 온라인사교육 국내법인 개인사업, 학생 예능, 특수, 기타, 종합) 취미 특기 적성개발, 일자리창출
유지기) 외국법인 대 중간규모 대학생 평생직업교육학원 기업 및 노동시장 변화와 세계화에 필요한 인력
기업형태 성인 (직업기술, 국제화, 양성, 자격증, 스펙, 진학시험, 학위수여, 삶의
노인 인문사회, 기예, 종합) 질 향상, 평생교육 저변확대, 일자리창출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2. 사교육시장 붐(Boom)의 형성
사교육시장은 학원을 중심으로 크게 세 번의 붐(Boom)을 통해 전개되었으며, 시기별로 그 배경
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성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 모두는 사회적 교육적
경제적 배경으로 인하여 각각 붐을 형성하였지만 첫번째 붐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계 사교
육이 주도하였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문리계 사교육은 가시화되기 시작하였다. 성인들은 기술교
육을 제공해주는 공교육이 부족하여 사교육을 이용하였고, 학생들은 공교육을 보충하고 시험을 준
비하고자 사교육을 이용하였다. 두번째 붐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 사무 외국어계 사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문리계 사교육이 모두 활성화되어 이루어졌다. 성인들은 직업환경의 다변화
와 산업발달 및 국제화시대에 부응하여 일자리를 찾고자, 학생들은 명문대학 진학과 출세를 위해
사교육을 이용하였다. 세번째 붐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입시검정 및 보습학원이 80년대 후반에
불어온 민주화 국제화바람, 행정규제기본법 완화, 사교육금지정책에 대한 위헌 판결, 특목고를 통
한 명문대진학 열풍, 입시제도의 다변화 등에 힘입어 사교육시장 전개를 선도하였다. 성인을 대상
으로 하는 직업기술, 경영실무, 인문사회, 국제실무학원은 산업 정보 지식사회의 도래, 고용보험환
급제도, 고용불안정, 자격증 및 스펙열풍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여 사교육시장 전개를 이끌었다.
<표 2> 사교육시장 붐(Boom)의 형성과 배경
시기 대상 배경
첫번째 붐 성인 공교육부족, 생활양식의 서구화, 직업환경의 근대화, 급격한 사회변화
(해방후〜1959년) 학생 공교육의 발전(초등학교 의무교육 시행 등)으로 학생인구 증가
대학입학자격검정시험시행
공교육의 부족, 직업환경의 다변화, 산업발달 및 국제화시대
성인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성공(중동기술자 파견)
두번째 붐 산업 정보사회 도래로 직업기술교육 수요자 증가
(1960〜1979년) 교육이 신분상승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 경제발달로 가용자원 증가
학생 공교육 확대로 보충교육 수요자 증가, 명문 중 고등 및 대학교 입시
경쟁, 학벌사회 구조 출현(일류중학교→일류고등학교→일류대학),
교육계의 신흥명문지역(8학군) 탄생
공교육의 부족, 산업 정보 지식사회 도래, 해외여행자유화, 컴퓨터 대중
성인 화, 국가의 국제화 세계화정책(국제교류 증대), 기업 및 노동시장 변화,
고용보험환급제도, 고용환경의 불안정, 자격증 및 스펙열풍, 독학에 의한
세번째 붐 학위취득제도 및 학점은행제도, 평생학습 사회도래, 삶의 질 향상추구
(1988〜2008년) 80년 후반 민주화 국제화 바람, 행정규제기본법 완화, ‘학원의 설립
운영에 관한 조례’개정(학원 설립기준 완화, 수강료 자율화), 사교육
학생 금지정책 위헌 판결, 특목고를 통한 명문대진학 열풍, 입시제도의 다
변화, 온라인 교육환경 발전, 학습지 수요 증가, 학원의 브랜드시대
도래, 학원시장의 외국인 투자 허용, 상장기업 증가

- 43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3. 사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다소 변화하였고, 그 대상에 따라 상이한 면이 있으며
이를 정리하면 <표 3>과 같다. 공교육 특성, 사교육의 주요기능, 주요대상, 우세한 형태를 기반으
로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해방후〜1959년간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성인의 경우, 구직자들이 기술
능력을 가지게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면, 학생의 경우는 특수층의 학생을 대상으로 일부지역
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크게 논쟁의 대상은 아니었다. 1960〜1999년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성인
의 경우, 구직자 및 직장인들이 기술 및 전문능력을 가지게 했다는 점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반면,
학생의 경우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입학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사교육을 받으면서 교육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가 부각되었고, 이에 비평과 논쟁이 이어져 경감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2000년〜현
재까지 사교육에 대한 인식은 모든 연령층이 다양한 목적으로 사교육을 받으면서 일부(직장인 사
교육)를 제외하고는 교육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비평과 논쟁의 중심에 서 있고,
이에 경감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만 일부 인적자본을 축적하거나 일자리를 창출하는 순기
능에 대해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표 3> 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구분 해방 후〜1959년 1960〜1999년 2000년〜현재
보편적인 초등교육 보편적인 초 중 고등학교 보편적인 초 중 고등학교
공교육 특성 매우 차등적인 중등교육 교육 교육
안정된 엘리트 고등교육 대학교육의 대중화
사교육의 성인 기술인력 양성 기술 전문인력 양성 다양한 기능
주요기능 학생 특권층엘리트 재생산 대중적 엘리트 재생산
사교육의 성인 고등학교
구직자 구직자, 직장인
대학교육을 추 입학시험을 준비하는 유아〜성인
주요대상 학생 구 하는 특권을 가진 학생들 초 중 고등학생
사교육의 성인 소규모 학원 중 소규모 학원 대형학원, 소형학원, 교습
우세한 학생 지역기반의 개인(그룹)과외 중 소규모 학원 소, 개인과외, 학습지, 온라
형태 소규모 학원 개인과외, 학습지 인사교육
직장인: 긍정적 인식
성인 긍정적 인식 대체로 긍정적 인식 대학생: 우려와 부정적 인
사교육에 식
대한 인식 비평과 부정적 인식으로
비평과
학생 낮은 인식으로 비 논쟁적임 경감대상 부정적 인식으로 경감대상, 일부(인적자본
축적 및 일자리창출) 순기
능 인정

- 44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Ⅴ . 맺음말 : 사교육시장의 역사로 본 미래 전망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를 살펴본 결과에 기초하여 미래 사교육시장의 전개 추이를 예견해보


고, 사교육이 미래 국가교육 및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의 사교육시장 전개를 예견해보면, 첫째, 사교육시장은 교육활동이면서 경제활동적인 특성
을 보이며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수요자들이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궁극적으로 경제적인 안
정을 얻고자 사교육을 찾고, 공급자들 역시 영리를 목적으로 참여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사교
육시장을 보다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교육이 단순한 교육활동을 넘어 경제 사회활동과 접목된
영역이며, 공교육과 다른 고유한 특성이 있음을 분명히 인식해야 함을 시사한다. 정부는 사교육이
고유한 특성에 기반하여 학습자의 배움력을 향상시키고, 인적자본을 축적하는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적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사교육공급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지도 감
독이 요구된다. 더불어 수많은 사람들이 사교육을 통해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현실을 고려하
여 공급자에 대한 정책은 사교육유형과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교과교습 사교육은 저출산과 경기침체 등으로 인하여 양적인
성장은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수요자들이 공교육을 보완하고 입시경쟁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고자
사교육을 찾고, 학벌사회의 파워가 여전하며, 다원주의적 경향성의 확대가 공교육으로 충족하기
어려운 개별화된 교육 수요를 발생시키고 있다. 때문에 학교교과교습 사교육은 학생중심 맞춤교
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더욱 고객친화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실태는 학교교과
교습 사교육에 대한 경감정책이 비평과 부정적인 인식에 기반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해도
사교육시장 규모나 사회불균형의 문제를 줄이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정부 지자체 기
업들은 사교육이 유발하는 교육기회의 격차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17).
셋째,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직업교육 사교육은 고용불안정과 청년실업이 증가하고, 취업
및 이직(경력개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등이 공교육을 통해서 충족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와
유사한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성인사교육의 외적 효율성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하며, 특히 대학생들이 취업을 위해 사교육을 받고 있다는 측면에서 대학 내 취업지원센터의 기능
과 역할이 좀 더 강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예체능 사교육은 학생들이 재능계발, 수행평가, 입시준비를 위해 찾고, 성인들이 여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찾고 있기 때문에 현재와 유사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다. 그러나 사교육비용이 가계에 부담이 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줄넘기나 뜀틀사교육까지 등
장하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 사교육 종사자 부모 학교는 성찰해 보아야 하고, 예체능 사교육의 본
래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내용은 사교육시장의 규모와 영
17) 취약계층 청소년을 지원하는 사교육은 정부(드림스타트), 지자체(서울시동행프로젝트), 기업(삼성 드림클
래스, KB 국민은행 희망공부방 등), 비영리단체(배움을 나누는 사람들, 드림터치포올 등) 등이 있고, 성
인을 지원하는 사교육은 SK뉴스쿨, CJ푸드빌 상생아카데미 등이 있다. 사교육기업(메가스터디, 에듀웰
등)도 취약계층의 학생들을 위해 장학 및 지원활동을 하고 있다(각 기관 및 기업 홈페이지).

- 45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향력이 단기간에 크게 줄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사교육이 양산하는 다양한 문제


를 완화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강대중, 최선주 (2014). 한국 상장교육기업의 출현 및 성장과정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한국교육,


41(1), 197-230.
강태중 (2008). ‘사교육’ 팽창과 교육적 함의(含意)탐색. 교육원리연구, 13(1), 47-72.
경향신문 (1984.07.19.). 불법과외 집중단속.
경향신문 (1985.01.18.). 다시 고개든 비밀과외.
경향신문 (1996.06.23.). 학교과외 2학기 전면실시.
경향신문 (2007.12.25.). 입시학원 시장 규모 5년 동안 2배로 팽창.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a. 간추린 교육통계, 각급학교 개황, 진학률. 2016.07.10. 검색
http://kess.kedi.re.kr/frontPop/publView?publItemId=66624&survSeq=2015&publSeq=3.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b. 교육통계연보 2008, 사설학원 개황. 2016.04.30. 검색
http://kess.kedi.re.kr/index.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c. 교육통계연보 2015, 사설학원 개황. 2016.04.30. 검색
http://kess.kedi.re.kr/index.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 학점은행제 개요, 독학학위제 소개, 통계. 2015.04.28. 검색
http://www.cb.or.kr/creditbank/eduIntro/eduIntro1_1.do.
권진수 (2016). 우리나라 사교육정책의 경로진화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경회, 곽창신, 황태희, 김대욱, 이선미 (2012). 사교육시장에서 약관 이용실태분석 및 소비자보호방
안 수립을 위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김문희 (2013). 초등학생 음악 사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재웅 (1998). 1980년대 교육개혁의 정치적 의미와 교육적 의미: 졸업정원제와 과외금지정책을 중
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3(1), 42-69.
다음백과사전 홈페이지. 경제개발 5개년계획. 2016.04.28. 검색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b01g3121b.
동아일보 (1980.08.01.). 오늘부터 이렇게 달라진다-모든 과외활동 금지.
동아일보 (1981.03.27.). 文敎部 私設학원 大學生課外 단속.
동아일보 (1985.11.13.). 課外금지 痛症 5년만에 手術臺에 功過 재검토의 배경과 전망.
동아일보 (1993.06.06.). 학원과외 내년 전면허용.
동아일보 (1996.08.14.). 토플-토익 ‘실력보다 요령’ 족집게 과외 성행.

- 46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동아일보 (1996.11.21.). 논술 고액과외 열풍…학원특강-족집게강의 성행.


동아일보 (2002.03.07.). 사교육비 크게 늘어.
동아일보 (2007.11.21.). 외환위기 10년 〈4〉교육-문화 변화.
드림스타트 홈페이지. 사업소개, 사업현황 및 추진체계. 2016.07.20. 검색
http://www.dreamstart.go.kr/contents/sub01_05_01.asp.
드림터치포올 홈페이지. 드림터치포올은, 드림스토리, 2016.09.01. 검색
http://www.dreamtouchforall.org/dta.
메가스터디 홈페이지. 회사소개, 투자정보, 2016.06.07. 검색 http://corp.megastudy.net/.
박명희 (2011). 학원강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명희 (2015). 한국 사교육기업의 해외진출 성공요인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명희, 백일우 (2014). 국내 외 사교육공급자 특성 비교 및 해외진출 동향 분석. 비교교육연구,
24(6), 55-92.
박장화 (1990). 학원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종화 (2014). 우리나라 사교육시장의 현황 분석과 경영관점에서의 시사점에 대한 연구. 한국교통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 홈페이지. 단체소개. 2015.10.03. 검색 http://www.edushare.kr.
백일우, 박명희 (2013). 세계 사교육시장 및 정책동향분석. 비교교육연구, 23(6), 1-34.
백일우, 이병식 (2015). 세계의 사교육 동향과 국제비교. 서울: 학지사.
삼성 드림클래스 홈페이지. 드림클래스, 프로그램, 활동안내. 2016.09.20. 검색
https://www.dreamclass.org/index.do.
서문희, 양미선, 손창균 (2012). 영유아 보육 교육비용 추정 및 대응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서울동행프로젝트 홈페이지. 프로그램 소개, 참여현황. 2016.07.20. 검색
https://www.donghaeng.seoul.kr/.
서울신문 (1997.10.14.). 영어­자격증­공무원시험 등 수강생 초만원/학원가 불황특수 톡톡.
서울신문 (2006.03.07.). 모든 사설학원에 외국인 투자 허용.
CJ푸드빌 상생아카데미 홈페이지. 상생아케데미 소개, 교육안내. 2016.09.12. 검색
https://www.cjwinwin.co.kr:7027/contents/main.asp.
에듀윌 홈페이지. 회사소개, 사회공헌활동. 2016.09.12. 검색 http://www.eduwill.net/.
SK 뉴스쿨 훼이스북. 2016.09.02. 검색 https://www.facebook.com/SKNEWSCHOOL.
MBC뉴스 (2015.07.14.). 뉴스플러스 교육현장은 지금 ‘인성열풍’…인성급수평가 어떻게?.
MBC뉴스데스크 (2015.04.25.). 뜀틀에 줄넘기까지... 사교육의 끝 모를 팽창.
MBN뉴스 (2016.09.16.). 유아 외국어학원 2천400여곳…87%가 대도시 수도권에 쏠려.
여영기, 엄문영 (2015). 사교육 진화의 양상과 원인을 통해 본 공교육 정상화의 방향. 교육종합연구,

- 47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13(4), 157-183.
연합뉴스 (2015.02.26.). 작년 1인당 사교육비 1.1% 증가... 양극화 더 심해져.
오르비 홈페이지. 오르비학원 2015.09.30. 검색 http://orbi.kr/orbis optimus.
온라인검정고시 홈페이지. 검정고시. 2016.09.01. 검색 http://www.onlinegosi.com/.
유덕희 (1985). 서양미술교육사. 서울: 학문사.
EBS뉴스 (2016.08.11.). 자투리 시간활용 ‘성인학습지 열풍’.
이슈와뉴스 (2015.10.12.). 대학내일 20대연구소, 2015년 취업준비생 취업 준비 실태조사.
이정미 (2010). 대학생의 과외사교육 참여와 사교육비 지출 규모의 계열별 차이분석. 교육재정연구,
19(2), 76-81.
이정미, 최정윤, 김기수, 한유경, 김병주 (2008). 대학의 교육비와 수익률 분석연구. RR 2008-15연구
보고. 한국교육개발원.
이종선 (2001). 학원강사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입시학원 강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창주 (1983). 한국근대미술사조(동양화). 광주: 금호문화.
이현진 (2015). 1960년대 중학교 입시경쟁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희선 (2014). 사교육에 대한 교육경제학적 탐색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지웅, 김지자 (1986). 사회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Jtbc뉴스 (2016.01.21.). 삼성반, LG반 맞춤형수업... 취업 사교육시장 실태.
조상욱 (1994). 학원 설립 운영 법령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선에듀 (2016.05.27.). SM과 종로학원하늘교육, ‘K-POP 예술 국제학교’ 세운다.
조선일보 (1997.06.13.). 초등교 영어과외 금지취소소송.
조선일보 (2016.05.06.). 지방 학생도 저렴한 강의 듣게 하고파.
중앙매거진 (2015.07.17.). 대한민국 사교육의 무한도전.
최지희, 홍선이, 김영철 (2003). 학원법 정비에 관한 정책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03-7.
KB 희망공부방 홈페이지. 꿈틔움학습멘토링, 사업소개. 2016.09.01. 검색 http://kbhope.or.kr/.
통계청 (2010). 2009년 사교육비 조사결과 보고서.
통계청 홈페이지 (2014). 2014 전국사업체 조사. 시도 산업 사업체구분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2016.09.12. 검색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통계청 (2016). 2015년 사교육비 조사결과 보고서.
파이낸셜뉴스 (2015.09.08.). 교육업계에 부는 ‘무료’ 콘텐츠 바람.
하광호 (2004). 한국 학원교육의 발전추이.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겨레 (1993.03.03.). 입시학원 설립기준 완화.
한겨레 (1993.04.06.). 고액 불법과외 되살아난다.

- 48 -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한겨레 (1994.01.12.). 학원가 대입변화로 변신.


한겨레 (1998.01.05a.). 구제금융한파 움츠러드는 과외시장 부유층 고액과외 여전히 활개.
한겨레 (1998.01.05b.). 대입학원 ‘방학특수’ 사라져.
한겨레 (2002.12.18.). 중/날로 팽창하는 사교육현장.
한겨레 (2009.04.22.). 사교육 덫에 빠진 입학사정관제.
한국일보 (2007.12.10.). 수 없이 많은 학원... 일단 차리면 장수.
한국학원총연합회 (1997). 한국학원총연합회 40년사.
한국학원총연합회 (2008). 희망의 기록, 한국학원총연합회 50년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홈페이지. 8학군, 강북명문고등학교의 강남이전. 2015.10.30. 검색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573392&cid=51878&categoryId=51957.
황규성 (2013). 한국 사교육정책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정치적 분석. 한국사회정책 20(2), 233-260.
황종건 (1990). 우리나라 학원교육의 개혁방향-학원정책운영 개선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
육연구소.
Seth, M. J. (2002). Education fever: society, politics, and the pursuit of schooling in South Kore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원 고 접 수 일 : 2016. 10. 26
수정원고 접수일 : 2016. 12. 05
게 재 확 정 일 : 2016. 12. 16

- 49 -
미래교육학연구 제29권 제2호

The history of Korean private tutoring market development and


its implication

Park, Myung-Hee and Paik, Il-Woo


Yonsei University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of private tutoring needs to be
examined first to mitigate private tutoring problems and draw up measures to contribute to
national education system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rivate tutoring market was formed around the Enlightened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and now arrives at maintenance stage, going through the take-off,
growth, recession, and recovery stage. The private tutoring market has seen a rise in its
types, principal founders, sizes, and forms, leading to the expansion of students as well as
subdivision of curriculum and contents. As a result, the role and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has increased in education, economy and the society. Secondly, private tutoring market
targeting adults and young students made three time booms affected by educational,
economic, social circumstances. Thirdly, there still remains negative perceptions, criticism,
and concern toward private tutoring. The above demonstrates that the size and influence
of private tutoring market would not be reduced significantly and it also signifies that
persistent effort is required to reduce various problems caused by private tutoring.
Keywords : private tutoring, private tutoring market, private tutoring history, private tutoring
development, private tutoring market development

- 5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