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2

2023 학년도 1 학기 < 철학적 인간학 >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이종진
전인교육원교수
jjglee@sogang.ac.kr

1
CONTENTS
2023 학년도 1 학기
< 철학적 인간학 >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1 본질에 대한 물음
2 육체–영혼의 문제

3 육체의 양면성

4 영혼 불멸성의 문제

2
학습목표 / 개요
학습목표 : 영혼과 육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하여 이들이 인간의 본질로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제시한다 .

개요

1-1. 본질에 대한 물음의 의미 3-1. 작용매개체와 표현매개체 3-


1-2. 존재론적 구성 2. 매개체의 저항
3-3. 영혼과 자아
육체 - 영혼의 문제
2-1. 문제의 역사
2-2. 희랍의 사상
2-3.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4-1. 적극적 증명
2-4. 근대철학의 심신이원론 4-2. 소극적 증명
2-5. 영혼과 육체 [ 요약 ] 4-3. 이원론에 입각한 영혼불멸성

3 < 철학적 인간학 >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Chapter
1
< 철학적 인간학 >

본질에 대한 물음

개요 1-1. 본질에 대한 물음의 의미


1-1-1. 묘사적인 방법 (definition descrip-
tiva)
1-1-2. 본질 정의 (definition-essentialis)
1-1-3. 본질의 의미에 대한 물음
1-1-4. 새로운 문제
1-2. 존재론적 구성

4
Chapter 1. 본질에 대한 물음

 인간은 정신적인 존재이자 육체적인 존재이다 .

 ‘ 인간이란 무엇인가 ?’ 라는 인간의 본질을 묻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육체와 정신 ( 혹은 영혼 )’ 의 두 차원과 이들 사이의 ‘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이다 .

1-1. 본질에 대한 물음의 의미

 인간에 대한 두 가지 정의의 방법

5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1. 본질에 대한 물음 / 1-1. 본질에 대한 물음의 의미


1-1-1. 묘사적인 방법 (definitio descriptiva)

 ‘ 외부로 드러나는 특징’에만 관심을 기울인다 . 인간의 생물학적 ,


형태학적 특징에 주의함

 혹은 , 인간은 행동하는 존재 , 언어적 존재 , 역사적 존재 , 문화적


인간의 본질에 대한 물음은 단지 ‘정의’를 내리기 위한 물음만은 아니다 .
왜냐하면
존재‘ , 정의
예술’/는학문
처음부터 ‘경계설정
/ 기술의 창조자’ 을 의미하며
등으로 묘사할(definition<-define:
수 있다 .
한정하다 ), 이로부터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 우선 인간에 대한 두 가지
정의의 방법을 먼저 살펴보기로 하자 .
 경험과학의 방법론 - 생물학적 , 심리학적 , 사회학적 환원주의 등 .
- 순기능과 한계

6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1. 본질에 대한 물음 / 1-1. 본질에 대한 물음의 의미


1-1-2. 본질 정의 (definitio-essentialis)

 존재론적인 본질구성 요인을 파악하여 인간을 정의하는 것이다 .

 예 : 인간의 본질정의 , 곧 “인간은 이성적인 동물이다” (Aristoteles)

 種 ( 종 ) 의 정의 = 種差 ( 종차 , specific difference) + 類 ( 류 )

* ‘ 추상‘ (abstraction) 을 통한 정의의 문제점 – 자의성 배제 못함

7
1-1-3. 본질의 의미에 대한 물음

 철학적인 의미 ( 협의의 본질 ) 로 이해된 본질은 인간존재를 규정하는


내적인 근거 또는 원리에 대한 물음이다 .
(cf. 광의의 본질 – 인간의 현상 방식과 활동 방식에 대한 묘사 )

 관건이 되는 것은 ‘종차’에 대한 물음이 아니라 , 그것의 ‘


존재론적인 근거’에 대한 물음이다 .

 곧 , 인간 존재 구성의 근본 원리에 대한 물음 : 영혼과 육체

8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1. 본질에 대한 물음 / 1-1. 본질에 대한 물음의 의미


1-1-4. 새로운 문제

 인간의 본질은 여전히 유동적인 어떤 것이 아닐까 ?


 진화론적 사유의 영향 -> 인식론적 (gnoseological) 본질과
존재론적 (ontological) 본질 간의 괴리 발생
 인간의 본질 해명은 자신의 ‘역사적인 발전과 현상’에
귀속되어 있는 것이다 .

 그럼에도 불구하고 , 인간 존재의 어떤 ‘불변성’이 가려지는


것은 아니다 . 가령 , 변하지 않는 인간성이 있다면 ?

9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1. 본질에 대한 물음 / 1-1. 본질에 대한 물음의 의미


1-2. 존재론적 구성 (Ontologische Konstitution)

 관건 : 인간의 존재론적인 구성요인을 해명하는 것 .


 인간의 현상 방식과 활동 방식은 ‘내적인 근원’에로 환원되어야
하고 , 거기서부터 해명되어야 한다 . → 아르케 , 원리 .
 “agere sequitur esse”. 가령 , 인간만이 오페라를 쓴다 .
 생명의 원리 : 순수한 형이상학적 원리를 의미하며 , 따라서
물질적이고 대상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원리가 아니다 .
 생명과 활동의 특수한 방식을 가능케 하는 ‘내적인 근원’으로서
전제되어 있어야 하는 원리

10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1. 본질에 대한 물음


1-2. 존재론적 구성 (Ontologische Konstitution)

 인간의 본질에 대한 형이상학적 물음은 선험적인 물음이 된다 .


 이 물음은 인간 현존재에게서 발견되는 ( 실재하는 ) 지식과 의지
등의 의식적 현상을 가능케 하는 ‘선행하는 능력’ ( 선천적 능력 )
에 대한 물음이다 .
 인간의 전체 존재 , 삶 그리고 의식 현상을 인간의 단일성과 전체성을
조건 짓는 ‘내적 원리’로 환원시킬 때 이 원리를 ‘영혼’이라고
부른다 . 실제로 주어져 있는 것은 ‘내적인 근거’를 필요로 한다 .
(* 단일성과 전체성 : 타자와 구분되는 통합된 전체로서의 나 )
 영혼은 인간 현존재의 선험적이고 존재론적인 조건이다 .

11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1. 본질에 대한 물음


Chapter
2
< 철학적 인간학 >

육체 - 영혼의 문제 (Das Leib-Seele-Problem)


개요 2-1. 문제의 역사 2-4. 근대철학의 심신이원론
2-4-1. 데카르트의 이원론
2-2. 희랍의 사상
2-4-2. 기회원인론
2-2-1. 플라톤의 사상 2-4-3. 라이프니츠의 “예정조화설”
2-2-2.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2-4-4. 스피노자의 심신이론

2-3.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5. 영혼과 육체 ( 요약 )


2-3-1. 구약성서
2-3-2. 신약성서
2-3-3. 바오로 사도
2-3-4. 아우구스티누스
2-3-5. 토마스 아퀴나스
12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Das Leib-Seele-Problem)

 인간의 본질과 본질구조에


대한 물음은 정신사적으로
육체 - 영혼의 문제 안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

 인간은 육체와 영혼을 ‘


가지고 있다’고 하며 ,
육체와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고도 한다 .

 ‘ 이 둘은 무엇을 뜻하며 ,
어떤 관계를 갖는가 ?’ 하는
문제 대두

13 < 철학적 인간학 >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2-1. 문제의 역사

 인간의 영혼은 육체적인 죽음과 더불어 소멸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어


왔다 . ( 보기 : 그리스의 영육 이원론 , 동양의 혼백 사상 )

 더 나아가서 , ‘ 영적이고 정신적인 삶에 대한 인격적인 체험’에서


영혼의 문제가 제기된다 . ( 가령 , 진 , 선 , 미 , 사랑 등의 체험 )

 ‘ 영혼’ (Seele) 과 ‘정신’ (Geist) 의 개념적 차이

- 영혼 (Psyche. Anima: ‘ 숨 - 영혼‘ ) 은 특별히 인간적인 것만을


의미하 는 것이 아니라 , 일반적으로 모든 생명체의 ‘생명원리’ (
아리스토텔레스 ) 를 뜻한다 .

- 영혼은 ‘신체적 생명의 내적인 원리’이다 .

14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2-1. 문제의 역사

- 정신 (Nous, mens, spiritus) 은 더 높고 , 비물질적이며 , 따라서


신체나 물질을 능가하는 존재원리와 작용원리이다 . (ex. Spiritus purus)

 인간 안에서는 정신은 동시에 영혼이다 .

- 인간 안에 있는 “정신적 영혼” (anima spiritualis oder intellectu-


alis)

- 영혼의 이중적 기능 : 인간의 영혼은 정신적이고 신체적인 생명의


원리이다 .

15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2-2. 희랍의 사상
2-2-1. 플라톤의 사상

 영혼을 비물질적인 것으로 파악했던 피타고라스 , 엠페도클레스


등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 극단적인 이원론적 사유를 전개

 ‘ 영혼’은 비물질적인 ‘천상’으로부터 지상으로 내려왔다 .

 ‘ 상기설’ 주장 : 가령 , 소나무는 나무 자체의 ‘이데아’를


상기시킴

 ‘ 영혼불멸설’ 주장 : “ 육체는 영혼의 감옥”

 영혼의 3 분법 : 영혼을 ‘이성 ( 理性 ), 기개 ( 氣槪 ), 욕망 ( 慾


望 )’ 이라는 세 부분으로 나눔 ( 영혼 > 이성 )

16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2. 희랍의 사상


2-2-2.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 그는 영혼과 육체를 ‘형상’ ( 形相


Form) 과 ‘질료’ ( 質料 Matter) 로
보고자 했다 (‘ 질료 - 형상론’ hyle-
morphism).

 ‘ 육체와 영혼의 단일성’ 강조

 인간의 형상인 영혼은 육체보다


더 우위이며 , 독립적 (<- 플라톤 )

 영혼을 세 종류로 구분
-- 식물적 영혼
-- 동물적 영혼
-- 이성적 영혼

(→ 막스 셸러에 의해 수용됨 )

17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2. 희랍의 사상


2-3.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 성서에서 인간은 살아 있는 단일체로 이해되고 있다 .

 희랍어 ‘ psyche’ 로 번역되는 구약의 단어 ‘ nephesch’( 숨쉬는


정신 ) 는 육체와 육체적 생명으로부터 구별되는 영혼이 아니라 ,
단순히 생명 또는 생명력을 의미한다 .

 이는 생명 원리로서의 영혼이라는 원래의 의미에 가까운 것이다 .

2-3-1. 구약성서

 영혼의 불사불멸 그리고 육체의 부활에 대한 믿음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

18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3.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3-2. 신약성서

 영혼과 육체에 대한 구별이 분명하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

19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3.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3-3. 바오로사도

 육체 (sarx) 와 영 (pneuma) 의
대립에 대해서 말한다 .

 이러한 대립은 인간의 신체와


영혼과는 별다른 관련이 없다 .

 신적인 영 (pneuma) 은 영혼
(nephesch) 인 인간 안에 움직이는
힘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육체와 영혼의 구별이 암시됨


(<- 희랍 사상의 영향 )

20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3.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3-4. 아우구스티누스

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

 영혼과 육체는 두 개의
별도의 실체 (Substanzen)

21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3.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3-5. 토마스 아퀴나스

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과 육체의


실체적 단일성을 수용하였다 .

 ‘ 영혼이 육체에 형상을 부여한다’


(anima forma corporis)

 ‘ 그 자체로 존재하는 본질형상


(Wesensform)’ 과 ‘그 자체로
존재하지 않는 본질형상’을
구분한다 .

 영혼의 정신적 본질은 비록 육체와


실체적인 단일성을 이루기는 하지
만 , 육체적 생명의 기능을 능가한다 .

22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3.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4. 서양 근대철학의 심신이원론

 영혼 (psyche)/ 정신 (nous) 개념은 mens( 정신 ), mind( 마음 ), con-


sciousness( 의식 ) 같은 개념들로 대체된다 .

 이제는 ‘영혼 / 정신에 대한 형이상학적 논의’ 대신 ‘마음 / 의식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가 주요 흐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

 실체 (substance) 로서의 영혼 / 정신이 아니라 , 실제 현실에서


작동하고 있는 인식론적 능력 내지 기능으로서의 마음 / 의식이 논의
대상이 된 것이다 .

23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2-4-1. 데카르트의 이원론

 인간의 육체 ( 연장적 실체 :
기계론적 인과율 ) 와 영혼
( 사유하는 실체 : 자유의
지 ) 은 완전히 상이한
존재의 질서에 속하므로 ,
서로 상호작용할 수 없으
며 , 어떤 관계도 가질 수
없다 .

 “ 송과선”이라는 가설은
마음과 몸의 작용을
연결해주는 기관으로서
전제됨

24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4.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4-2. 기회원인론 (ocassionalism)

 말브랑슈 (Malebranche): ‘ 모든 작용은 오로지 신으로부터 출발한다 .’

 사물은 오로지 신의 직접적인 작용을 위한 ‘기회’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 육체의 작용 , 정신의 작용이 곧 서로에게 ‘기회’가 된다 ).

25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4.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4-3. 라이프니츠의 “예정조화설”

 기회원인론 계승 : 육체에 대한 영혼의 작용 혹은 그 반대도 없다 .

 “ 단자에게는 창이 없다 .” ( 영혼 - 단자와 물질 - 단자 간의 작용 없
음)

 그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은 신으로부터 선천적으로 그렇게


질서 지어져 있기 때문이다 .

26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4.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4-4. 스피노자의 심신이론

 신적인 실체의 단일성과 두 개의


속성들 ( 연장과 사유 ) 에 대한
이론을 전개했다 .

 심신평행론 ( 정신과 신체
사이에는 상호작용이나
인과관계가 없다 )

 정신의 질서와 육체의 질서


사이의 평행 ( 대응 ) 은 동일한
정신과 육체의 동일성 , 곧
하나이고 같은 실체 ( 신 = 자연 )
의 결과로서 일어난다는 해석이다 .

27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 2-4. 성서적 - 그리스도교적 가르침


2-5. 영혼과 육체 ( 요약 )

 영혼과 육체의 문제는 삶과 죽음에 대한 물음의 지평 안에서 제기되어


왔다 .

 물질을 영화시키고 물질을 살아 있는 유기체로 만드는 생명력은 생명의


원리를 전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

 그 생명원리로부터 심리적 - 정신적인 것과 물리적 - 생물학적인 생명이


유래한다 . 그것을 사람들은 영혼 혹은 “형상원리” (Form-prinzip)
라고 지칭한다 .
( 아리스토텔레스의 보기 : ‘ 눈‘과 ‘시력
‘)

28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2-5. 영혼과 육체 ( 요약 )

 최근의 심리학에서의 심신이론에 따르면 , 육체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


사이에는 상호 작용이 있다 .

 육체는 단지 영혼을 통해 생명을 부여받게 되는 ‘생명이 없는


질료적인 토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 물리적인 실재로서
정신적인 생명의 영역과는 구별되는 살아 있는 인간의 기관으로
이해되고 있다 . (<->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론 )

 전통적인 영혼에 대한 가르침이 오히려 육체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지지함 : 곧 , 형상원리 ( 영혼 ) 가 영향을 미치는
범위 내에서 물리적 현상과 정신적 현상의 상호작용이 인간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주어질 것이다 .

29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2. 육체 - 영혼의 문제


Chapter
3
< 철학적 인간학 >

육체의 양면성

개요 3-1. 작용매개체와 표현매개체

3-2. 매개체의 저항

3-3. 영혼과 자아

30
Chapter
3. 3.
Chapter 육체의 양면성

3-1. 작용매개체와 표현매개체

 정신은 오직 육체를 통해서만 세계 안에 존재하고 작용한다 .

 이것이 정신의 작용매개체로서의 육체의 기능이다 .

 인간은 외부로 드러나는 행위와 신체의 몸짓을 통해 자신의 호의 ,


친절 , 도움 , 사랑 등의 감정을 표현한다 .

 따라서 육체는 정신의 표현매개체이기도 하다 .

31 < 철학적 인간학 >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Chapter
3-2.
3. 매개체의 저항

 작용매개체인 육체의 저항이 있다 . ( 분열 , 애매성 , 불확실성 )

 육체는 어디서나 정신에 순종하지 않는다 .


- [ 보기 ] “ 영은 간절히 원하지만 육신은 약합니다 .”( 마태 26, 41).

 우리는 늘 정신에 대한 육체의 반항을 경험한다 . ( 충동 , 흥분 ..)

 이러한 현상들은 인간의 육체가 비록 정신적 영혼에 의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 상대적인 독자성과 고유한 법칙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 준다 .

 신체의 소여성 : 또 다른 현상 영역 . 나의 구체적인 육체의 현존재 , 곧


출생의 조건 , 성적인 차이 등 육체적인 것이 정신적이고 인격적인
생명의 전제 조건이 됨 -> 정신의 공간의 가능성과 제한성

32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3. 육체의 양면성


Chapter
3-3.
3. 영혼과 자아

 정신적 영혼은 직접적으로 우리 안에서 경험하는 정신적인 어떤 것이


아니다 . 영혼은 근본적으로 의식적인 자기 수행에 선행하는 어떤
무엇을 의미하며 , 그 자체 결코 의식 안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

 따라서 그것은 순전히 형이상학적인 크기이며 , ‘ 자기경험의


조건으로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다 . ( 선험적인 조건 ).

 영혼은 인간의 전체성의 구성적 원리이다 . 이것은 육체에 형상을


부여하는 본질구성적인 원리이며 , 물질을 비로소 살아있는 인간적
육체로 만드는 것이다 . 바로 이 동일한 원리로부터 의식적이고
정신적인 삶 ( 인간적 생명 ) 이 출현하는 것이다 .

33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3. 육체의 양면성


Chapter
3-3.
3. 영혼과 자아

 영혼의 최상의 정점은 의식적이고 정신적인 생명 ( 의식과 자유 ) 이다 .

 의식과 자유 : 이것은 형상원리로서의 영혼으로부터 출현하는 최상의


가능성이지만 , 형상원리 자체는 아닌 것이다 .

 형상원리 ( 영혼 ) 는 정신적 의식수행의 " 선천적 조건 "(apriorische


Bedingung) 으로서 그것에 근본적으로 선행하는 것이다 .

 인간의 본질은 정신적 영혼이며 , 그것은 ‘형이상학적인 원리’이며 ,


‘ 자아 - 의식’과도 구분되는 것이다 .

 자아는 의식의 단일성을 조건지우고 , 정신적 자아완성의 토대를


이루면서 인식 , 의지 , 그리고 사랑의 정신적 행위를 ‘나의 행위‘로
만드는 초월적 원리이다 . ( 보기 : 칸트의 ‘선험적 자아‘ 개념 )

34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3. 육체의 양면성


Chapter
4
< 철학적 인간학 >

영혼 불멸성의 문제

개요 4-1. 적극적 증명

4-2. 소극적 증명

4-3. 이원론에 입각한 영혼불멸성

35
Chapter
3. 4.
Chapter 영혼불멸성의 문제

4-1. 적극적 증명

 영혼의 불사불멸에 대한 사상은 희랍의 이원론적인 인간상 , 특히


플라톤의 사상에서 유래

 플라톤의 「파이돈」으로부터 기원

 영혼은 생명을 부여하는 것이다 . 더욱이 현실의 생명은 생명의


이데아가 원인이다 .

 그렇다면 영혼은 생명의 이데아와 본질적인 관계가 있다고 하겠다 .

36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4. 영혼불멸성의 문제


Chapter
3. 4.
Chapter 영혼불멸성의 문제

4-1. 적극적 증명

 이리하여 눈이 냉의 이데아와 반대되는 열의 이데아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처럼 , 영혼은 생명의 이데아와 반대되는 죽음의 이데아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

 따라서 영혼은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는 불사인 것이다 .

 ‘ 철학적 신 인식’의 맥락에서 달리 표현하자면 이렇다 :


영원한 것 , 순수하게 정신적인 것 ( 마지막으로는 , 신 ) 을 인식할 수
있는 존재는 한갓 물질적 세계의 사멸하는 부분일 수는 없다 .

* ‘ 신 인식‘이라는 우회로 -> 인간 안에서 파괴될 수 없는 것의 통찰

37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4. 영혼불멸성의 문제


Chapter
4-2.
3. 소극적 증명

 인간의 초월성이라는 관점을 통해서 영혼의 와해 또는 파괴가


불가능하다는 소극적인 증명을 보완하고 심화시키는 것이다 .

 인간은 본질적으로 무한한 존재의 지평에 개방되어 있으며 , 그 지평을


인간은 무제약적인 진리와 선으로서 경험한다 . ( 물음을 통한 초월 )

 인간이 그러한 지평 안에서 최종적인 충만을 발견할 수 있기 위해서


영혼의 불멸과 미래의 삶에 있어서의 영혼의 완성이 요구된다 .

 칸트의 ‘요청이론‘ : 최상의 선은 행복과 도덕성의 상응에서


이루어짐 .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 신의 존재와 영혼의 불멸이 요청됨 .

38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4. 영혼불멸성의 문제


Chapter
4-3.
3. 이원론에 입각한 영혼의 불멸성

 육체와 분리된 순수한 정신적 영혼의 불멸성은 문제점을 내포하는


사상이다 .

 ‘ 육체에서 해방된 영혼의 불멸성’보다는 오히려 ‘육체의 부활’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가르침 , 즉 자신의 ‘육체적 - 정신적 단일성’을
통해서 ‘전체 인간’이 부활하여 영원한 삶을 영위한다는 가르침이
더 타당한 대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39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Chapter 4. 영혼불멸성의 문제


생각해보기 : 조별 토론 주제

* 토론 관련 질문 :
1 . 죽음 이후의 삶은 없는 것인가 ?

2. 영혼의 불멸성을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3. 영혼의 존재를 지지하는 근거들은 어떤 것인가 ?

1. What is being
2. What am I
3. Of what is composed my body

40 제 4 강 . 이성과 감정 / 생각해보기
참고문헌

 E. Coreth, 『인간이란 무엇인가 - 철학적 인간학의 기본개요』 ,


안명옥 옮김 , 성바오로 1994.
 H. P. Kains, 『철학적 인간학』 , 정연교 옮김 , 철학과 현실사 1996.
 최명관 옮김 , 『플라톤의 대화』 ( 특히 , < 파이돈 > 참조 ), 종로서적
1998.
 G. Haeffner, “Vom Unzerstörbaren im Menschen”[ 인간 안에서
파괴될 수 없는 것에 관하여 ], in: Aufstehung des Leibes-
Unsterblichkeit der Seele[ 육체의 부활 - 영혼의 불멸성 ],
Goderhard Brüntrup, Matthias Rugel, Maria Schwartz
(Hrsg.), Kohlhammer 2010.

41 < 철학적 인간학 >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 참고문헌


감사합니다 .

< 철학적 인간학 >


42
제 3 강 . 인간의 본질 - 영혼과 육체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