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테철강자3 인간성품과 덕 2022

5. 인간(人間)의 성품(性禀), 인성 개념

1) 인성(人性)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본성(本性)을 의미하고, 본성은 □□(本能)을 포함한다.


또 □□을 어떻게 받아들이거나 표출할 것인가를 결정짓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
(理性)을 동시에 포함한다.

2) 유학(儒學)에서의 인간 본성(本性) 이해

*유학에서는 천인합일론(天人合一論), 천인일리론(天人一理論)을 제시하여,

인간이 하늘(天道, 天理, 天命)의 순선한 성품을 그대로 □□(稟受) 받은 존재라고 이해한다.
<진래 지음, 안재호 옮김,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하늘의 성품을 □□ 받음; 순선(純善)한 성품(性稟).


인간의 도덕 본성 : “인의예지(仁義禮智)” = 4덕(四德)

*현행 한국 인성(도덕윤리)교육 목표:


자율적, 통합적 □□(有德)한 인격의 덕성 함양을 목표로 한다.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중용장구>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이르고,
성을 따름(본받음)을 도(道)라 이르고,
도를 닦아나감을 교(敎)라고 이른다.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에 의거, 하늘과 인간이 하나의 이치로 합해진다는 의미,


하늘인 우주는 천도(天道)이고 그 존재원리는 천리(天理).

천도의 존재원리가 인간에게 천부적으로 품수되었기에,


그 천리를 본받고 따르는 것이 인간 도리인 인도(人道), 윤리(倫理)가 된다.
이를 우주자연 또는 천지 자연의 순리(順理)에 따르는 인간다운 도리가 된다.
⇒“정직(正直)함”, “솔직(率直)함”. 직성(直性)

3) 도덕(道德)의 개념
1) 도(道):
*도(道)= 首(정신, 마음) + 行(육체, 실천)
인간답게 살기 위해, 마땅히 지켜야 하는 이치.
지행일치(知行一致)의 실천 도리
예문>
도(道): “人倫日用之間所當行者 是也”(논어, 술이6 역주)

- 1 -
인륜과 일상생활 사이에 마땅히 행해야 할 것.

윤리(倫理), 또는 도리.
○ 도덕은 인간이 영위하는 삶의 규범적 양식. ⇒보편규범(規範)

○도덕은 사회생활에서 인간의 정신적 물질적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규범기준.


⇒보편적 실천규범

○도덕은 법이나 관습을 넘어선 의무로서, 옳은 행동의 근본원리. ⇒ 당위(當爲) 규범


도덕은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해, 마땅히 당연히 지켜야 할 도리 및 그에 준한 행위.

당위규범= 당위(當爲)법칙 = 윤리(倫理)

4)윤리(倫理)의 개념
윤(倫): 人 + 侖
= 책을 들고 차례로 서있는 형상
= 차례, 질서(秩序)

○윤리(倫理):
인간이 (禽獸와는 다른)인간이기 위해
마땅히 실천해야 할(당위, 當爲) 차례, 질서, 도리, 법칙, 원칙.

5)존재원리, 당위원리
천리(天理)- 하늘(우주 대자연)이 하늘이기 위한 도리, 이치, 원리, 법칙
우주 대자연의 순환의 질서, 원리 = 보편(普遍) 법칙, 존재(存在)의 원리

*인륜(人倫); 사람의 질서 = 당위(當爲)의 원리 or 윤리(倫理)

*하늘이 모든 인간에게 선(善)한 덕성(公明正大한 성품)을 품수함.(존재원리, 보편법칙)


그러므로 인간은 하늘이 준 선함을, 당연히 실천해야 인간다움의 삶이 된다.(당위법칙, 윤리)

6. 인간의 덕(德)
*1)천의 원리가 인간 내면에 선천적 덕(德)으로 부여됨.
인간은 자신의 내면에 부여된 덕을 밝힘(具現)으로써 천의 뜻, 즉 천명(天命)을 알
수 있다고 보았다.

“공자왈, 하늘이 나에게 덕(德)을 부여해 주셨다.”


“자왈천생덕어여(子曰 天生德於予)” <論語, 「述而」>

덕은 천과 인간이 만나는 천인합일의 내재적 매개, 인간은 덕을 밝혀감으로써 인간의


참모습과 천명을 깨닫게 됨.

- 2 -
덕이란 다른 존재와 구별되는 인간의 독특한 존재다움(인간의 도리), 또는 그 존재다움의
□□(發現) 능력.

2)인간의 덕(悳)은 공명정대(公明正大)한 직(直)!!!


*“큰 배움의 도는 밝은 덕(德)을 밝히는데 있다”
“대학지도재명명덕(大學之道在明明德)”<大學>

“명덕(明德)”을 밝히라고 함은, 하늘로부터 부여 받은


인간의 덕(德)이 본래 밝은 것이라는 의미.

= “명덕은 하늘에서 얻은 바, 허령(虛靈)하고 어둡지 않아서 중리(衆理)를 갖추고, 만사(萬事)


에 응하는 것<大學, 주희 주석>

*직(直)은 한 결 같이 지극히 공정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것.


“一以至公而無私 所謂直也”(<論語>, 헌문)

* 주역에서 “직(直)은 바르고(正), 큼(大)” “直其正也 …….直方大”(<周易, (坤卦)>)

3) 인간다움의 구현 – 사욕(私慾) 없는 유덕(有德)함

**덕(德, virtue) = 천덕(天德), 인덕(人德), 기술(skill).

###덕(德) = 덕(悳) = 직(直)+심(心)= 정직(正直)한 마음

*직도(直道)는 사사로움과 굽어짐이 없는 것


“直道無私曲也”(<論語>, 위령공)

*인(仁)이란 마음의 덕이니,


심(心)이 인(仁)을 떠나지 않는 것은,
사사로운 욕심이 없는 유덕(有德)함이기 때문이다.
“仁者心之德 心不違仁者 無私欲而其有德也”(<論語>, 옹야)
==> 지극히 공정하고 사사로움 없는 □□함은 곧 정직(正直).

6. 정직(正直)이란?

###1)천명(天命)으로 품수(稟受) 받은 인간의 덕성(悳性)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중용>
*덕(悳) = 直 + 心 / 정(正) = 下+ 上
= 밝은(明) 마음,
지극히 공정(公正)하고,
사사롭고 굽어진 욕심 없는(無私曲) 마음,

- 3 -
바르고(正) 큰(大) 마음 è 공명정대(公明正大) = “정직(正直)함”

= 정직함은 인간 본연의 품수된 심성(心性)= 품성(稟性)


* 존재의 현실에서 자신의 본성을 온전히 구현(具現)해야 함. 밝게 공정하게 드러내 펼쳐 실
천해야 함 è 인간존재의 존재다움을 실현, 인간존엄성, 주체적 자유의지, 인도(人道), 윤리이
다.

2)인간 품성인 덕과 직에 대한 철학적 논증


*요⸱ 순(堯舜)임금의 삼대(三代)시대 백성들은 직도(直道)를 행하였다.(斯民也 三代之所以直道
而行也)<論語, (위령공)>

*공자는 “인간의 삶은 정직함이니, 정직하지 않으면서 사는 것은 죽음을 요행히 면한 것일 뿐


이다.” (“子曰 人之生也直, 罔之生也幸而免”) <논어, (옹야)>

*맹자는 “호연지기를 직(直)으로 길러서 해침이 없으면 천지(天地)의 사이에 꽉 차게 된다”(浩


然之氣.......以直養而無害 則塞于天地之間)<孟子, (公孫丑)

*주자는 “학문하는 요체는…..사사로움과 굽어짐이 없게 하는 것으로서, 성인이 만사에


응하는 것과, 천지가 만물을 낳는 이치는 모두 직(直) 하나일 따름이다.” 그러면서 임
종할 때에 문인들에게 유언으로 직(直) 한 글자를 전했다. (“爲學之要 惟事事審求其是 決去
其非 積集 久之 心與理一 自然所發 皆無私曲 聖人應萬事 天地生萬物 直而已矣”)<朱子大全>

3)직도(直道)는 4500년 동안 전승 되고 있는 한국인문정신문화의 정수(精髓)!


조선유학에서는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이 제자인 김장생에게 자설(字說)을 지어주면
서부터 계승하여,
‘자(字)’, ‘호(號)’, ‘서재명(書齋名)’ 등에, “직(直)”을 넣어 현대까지 근 4,500년 동안 전승
되어 오고 있다.

예문> “直하지 아니하면 道가 드러나지 않는다.······· 부모를 모심에 直으로써 하고, 임금을
섬김에 直으로써 하고, 붕우를 접함에 直으로써 하고, 처자를 대함에 直으로써 하여서, 直으
로 살고 直으로 죽는다.”<구봉문집>

4)조선유학에서 직도(直道) 전승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 1534~1599)<김은자직백설>
-김장생(金長生, 1548~1631) <직자 심법 서통론> -송시열(宋時烈, 1607~1689)<유언>/-양득
중(梁得中,1665~1742) <직양헌기>/ -직재(直齋) 이기홍(李箕洪, 1641~1708) -권상하(權尙夏,
1641~1721)<이직암기> - 윤봉구(尹鳳九, 1683~1767)<직암명병서> -직암(直菴) 신경(申暻,
1696~1766)/박윤원(朴胤源, 1734~1799)<홍백임개명설> -홍직필(洪直弼, 1776~1852) - 간재
(艮齋) 전우(田愚) (1841~1922)<이직경자설>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1846년~1916) <임
사직자설> /직당(直堂) 신현국(申鉉國, 1869~1949) - 직암(直菴) 이철승(李喆承,1879~1951)
등등.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