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생활과 윤리♡

13. 의식주 윤리와 다문화 사회 윤리


생활과 윤리♡

INDEX

01. 의식주 윤리

02. 종교의 공존과 관용


1. 의식주 윤리 의복 문화와 윤리적
문제
< 의복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 >

< 유행 추구 현 < 명품 선호 현
상> 상>

< 동물 학대 문 < 개성 억압 문
1. 의식주 윤리 의복 문화와 윤리적
문제

< 지멜의 유행의


본질 >
유행은 개인을 누구나 다 가는 길로 안내한다 . 다른 한편 유행은 차별화
욕구를 만족시킨다 . 다시 말해 구분하고 변화하고 부각하려는 경향을
만족시킨다 . 상류층의 유행은 그보다 신분이 낮은 계층의 유행과 구분되고
낮은 신분의 계층에 동화되는 순간 소멸한다는 사실은 이를 입증해준다 .
- 지멜

“ 유행은 누구나 가는 길로 가려는 욕구와 개성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동시에 충족시켜주는 독특한 현상이다 !”
1. 의식주 윤리 음식과 윤리적 문제

< 음식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 >

< 유전자 조작 문 < 무분별한 식량 생산과 음식 소비로 인한 환경


제> 문제 >

< 비만 & < 공장식 축산 & 동물 학대 >


1. 의식주 윤리 음식과 윤리적 문제

Q.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1 . 공동체와 생태적 지속 가능성 고려


2 . 음식 생산자 , 유통업자 , 소비자 모두 건강한 사회에 대한 책임
의식 확립
3 . 슬로푸드 운동 , 로컬 푸드 운동
4 . 제도적 장치 마련 ( 안전한 먹거리 인증제 , 식품 첨가물 성분 표시
의무화 )
1. 의식주 윤리 주거 문화와 윤리적
문제
< 주거 공간의
의미 >

1 . 삶의 기본 터전으로 노동과 노력을


기울이는 외적 공간에서 돌아와 휴식과
평화를 누릴 수 있는 내적 공간

2 . 가족은 물론 이웃 & 지역 사회에 대한


소속감 형성을 통해 인간다움 형성에
영향을 줌
1. 의식주 윤리 주거 문화와 윤리적
문제
< 주거 문화의 윤리적
문제 >

현대인들은 편안하고 안정된 고향으로서의 주거 공간을


상실하고 , 경제적 이익 추구의 관점에서만 집을 바라봄 !
1. 의식주 윤리 주거 문화와 윤리적
문제

< 볼노브의 주거 >

인간이 공간에서 누리는 참다운 삶인 거주는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쏟아부어


온전히 노력해야만 얻을 수 있고 실현할 수 있다 . 이를 위한 세 가지 요구가
있다 . 첫째 , 공간 내의 일정 장소에 정착하여 안식을 주는 개인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 둘째 , 내부 공간에 자신을 가두는 위험에 대항하는 것이다 .
셋째 , 위협적인 외부 공간이 지속되더라도 큰 공간에 몸을 맡기는 것이다 .
- 볼노브

집은 닫힌 공간이자 동시에 외부로 열린 공간 . 거주함을 통해 부단한


노력이 필요 !
1. 의식주 윤리 주거 문화와 윤리적
문제

< 하이데거의 주
거>

우리의 위험스러운 시대에 거주함은 어떤 상태로 있는가 ? 사람들은 언제나


주택 부족에 대해 이야기한다 . 그리고 주택 건설과 공급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려 한다 . 우리는 거주의 본래적인 문제를 아직도 전혀 숙고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고향을 상실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
- 하이데거

“ 보살핌”의 본질적 가치를 상실한 고향 상실의 문제를 겪고 있음 !


2. 종교의 공존과 관용 엘리아

< 엘리아
데>
종교적 인간 : 삶 속에서 성스러움과 세속적인 것의 공존을
경험하는 인간

비종교적 인간 : 거룩한 실재의 의미를 의심하는 인간 . 그렇지만 종교적


인간의 후예

성과 속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삶 자체가 언제든


성스러움의 드러남 !
THANK YOU

0000.00.0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