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1

1주 1차시_인간관계란 무엇인가?

1주 1차시_인간관계란 무엇인가?

• 오늘의 사례_제발 나를 길들여줘.


--------------------------------------------------------------------------------------------------------------
지구에 막 도착한 어린 왕자에게 여우가 인사를 건넸다.
“안녕.”
“안녕. 넌 누구니? 참 이쁘구나.” 어린 왕자가 말했다.
“나는 여우야.”
“이리 와서 나하고 놀자. 난 아주 쓸쓸하단다.”
“난 너하고 놀 수가 없어. 길이 안 들었으니까.”
“난 친구를 찾고 있어. 그런데 길들인다는 게 무슨 말이니?
“모두들 잊고 있는 건데, … 여우가 대답했다.
<중략>
여우는 말을 그치고 어린 왕자를 한참 바라보더니
“제발, 나를 길들여줘.”
“아주 참을성이 많아야 해. 처음에는 내게서 좀 떨어져서 그렇게 풀 위에 앉아 있어. 내가
곁눈으로 너를 볼 테니 너는 아무 말도 하지마. 말이란 오해의 근원이니까. 그러다가 매일 조금씩
더 가까이 앉는 거야.”
이렇게 해서 어린 왕자는 여우를 길들였다. 어린 왕자가 떠날 시간이 가까워지자 여우가 말했다.
“난 아무래도 눈물이 날 것 같아.”
--------------------------------------------------------------------------------------------------------------
[생각해보기]
여러분 외출하시기 전에 거울로 자신을 비춰 보시죠? 혼자서 거울보기도 사회적인 행동에
속할까요?

[전문가답변]
혼자서 거울을 볼지라도 타인을 의식하고 하는 행동이므로 사회적이고 대인관계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싶을 때 우리는 이러한 행동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더 큰 가치부여를 하게 됩니다.

2/8
1주 1차시_인간관계란 무엇인가?

• 사전퀴즈(O,X)

1. 인간관계는 만족과 행복의 근원이다.


정답: O
해설: 인간관계는 만족과 행복의 근원이다. 부모가 자녀를 낳아 기르면서 만족과 행복을
경험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2. 인간관계는 갈등과 고통의 근원이다.


정답: O
해설: 인간관계는 만족과 행복의 근원인 동시에, ‘노사갈등’, ‘부부갈등’ 등으로 인한 고통을
경험하게 되기도 한다.

1 학습목표

1. 인간관계에 대해 정의 내릴 수 있다.
2. ‘인간이 사회적인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자신의 인간관계’에 대해 스스로 진단, 분석해볼 수 있다.

2 학습내용

1. 인간관계의 의미
2.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3. 나의 인간관계

3 학습하기

1.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
1) 인간관계의 의미 : 내가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1) 사람과 사람 상호 간의 심리적 관계의 의미로 목적, 가치 판단을 배재
(2) 대인관계라는 의미로 사람을 대면할 때 개인의 언행과 태도에 관심을 갖고 형성되는
상호관계로 개인적 수용태도를 포함
(3) 인화라는 의미로 공동의 목표를 지닌 집단 내 융화를 바탕으로 목표지향적인 관계

3/8
1주 1차시_인간관계란 무엇인가?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김춘수의 ‘꽃’에서>

2) 인간관계란
(1) 만족과 행복의 근원인 동시에 갈등과 고통의 근원이기도 하다.
(2) 대인관계란 나의 욕구와 상대방의 욕구간 상호작용 과정에 의해 영향을 주고받는다.

3) 인간관계의 차원
• 발생적 차원에 따른 분류

자연발생적 사회적, 인위적

• 동료관계
• 부모-자녀관계 • 고용관계
• 형제-자매관계 • 서비스관계
• 친구관계 • 부부관계
• 교사-학생관계

2.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1) 인간이 사회적 존재인 이유
(1) 인간(人間)
•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야 하는 사회적 존재
(2) 생물학적 조건
• 태어날 때부터 미숙한 상태
• 나약한 존재 → 반사행동, 군집생활기회비용
(3) 사회적 존재로의 학습
• 어구성원 개개인에게
•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

4/8
1주 1차시_인간관계란 무엇인가?

• 상호 의존적
• 협동적 관계임을 교육시킴
(4) 사회의 구조적 여건
• 분업화, 전문화 → 서로의 가치교환
(5) 행동주의적 관점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의 과정과 결과가 행동의 형성과 지속성에 영향을
미침

2) 인간관계의 중요성
(1) 친절, 자비, 배려, 연민 등 인간다움을 갖게 한다.
(2) 인간관계를 통해 서로를 가치 있는 존재로 만든다.
(3) 인간관계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이 발달한다.
(4) 성공적인 직장생활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5) 신체 및 정신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6) 인간관계 형성의 능력은 자아실현과 인류의 삶의 질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

3. 나의 인간관계
1) 내 주변의 인간관계 떠올려보기
(1) 정말이지 안 만나고 싶은데 어쩔 수 없이 만나야 하는 사람이 있다.
(2) 참 좋은 사이로 지냈는데 지금은 연락이 안 되는 사람이 있다.
(3) 눈에 거슬리는 후배(하급자)가 있다.
(4) 무슨 악연인가 싶은 사람이 있다.
(5) 심리적인 부담을 주는 사람이 있다.
(6) 그냥 좋은 사람이 있다.
(7) 오랫동안 친해온 사람이 있다.
(8) 존경하는 상급자가 있다.
(9) 어떤 경우에도 나를 이해해줄 사람이 있다.
(10) 내 신체의 일부라도 기꺼이 주고 싶은 사람이 있다.

5/8
1주 1차시_인간관계란 무엇인가?

2) 나는 얼마나 고독한가

6/8
1주 1차시_인간관계란 무엇인가?

4 평가하기

1. 사회적, 인위적 차원의 인간관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부부관계
② 부모자녀관계
③ 우정관계
④ 동료관계

정답: ②
해설: 부모자녀관계는 선택권 없이 결정론적으로 주어지는 관계이다.

2. 사람들이 사회적 존재인 이유가 아닌 것은?


① 생물학적으로 나약해서
② 사회적 학습에 의해
③ 사회구조적 문제상
④ 사회에 태어남으로

정답: ④
해설: 사회 속에 태어난다고 하여 사회적 존재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학습을 통해 사회적 존재로 거듭나는 것이다.

3.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며 더욱 가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은 무엇인가?

정답: 인간관계(대인관계)
해설: 인간은 사람들과의 관계 맺음을 통해 더욱 사회적 인간으로 거듭나게 된다.

7/8
1주 1차시_인간관계란 무엇인가?

5 정리하기

1. 인간관계의 의미
• 사람과 사람 상호간의 심리적 관계의 의미로 목적, 가치 판단을 배제
• 대인관계라는 의미로 사람을 대면할 때 개인의 언행과 태도에 관심을 갖고 형성되는
상호관계로 개인적 수용태도를 포함
• 인화라는 의미로 공동의 목표를 지닌 집단 내 융화를 바탕으로 목표지향적인 관계

2.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Ÿ 생물학적으로 나약한 존재
Ÿ 사회적 학습으로 인해 사회화
Ÿ 사회구조적인 여건에 의한 사회화

3. 나의 인간관계
• 자가진단을 통한 인간관계분석
• 나의 고독함에 대한 진단

8/8
1주 2차시_삶의 과제로서의 인간관계

1주 2차시_삶의 과제로서의 인간관계

• 사전퀴즈 (O,X)
1. 고독은 사람들에게 늘 부정적인 결과를 도출한다.
정답: X
해설: 실러의 “강자란 고독을 이겨낸 사람이다.”라는 말처럼 항상 부정적 의미만 지니는
것은 아니다.

2. 고독은 상대적인 개념이다.


정답: X
해설: 고독은 주관적인 정서이다

1 학습목표

1. 현대인들의 외로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고독의 의미와 특징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자신의 경쟁적인 성격특성에 대해 스스로 진단해 볼 수 있다.

2 학습내용

1. 외로운 현대인
2. 현대인의 고독
3. 인간관계라는 삶의 과제

3 학습하기

1. 외로운 현대인
1) 외로움(Loneliness)의 의미
(1) 홀로되어 쓸쓸한 마음이나 느낌
(2) 개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양적이나 질적으로 그 개인이 기대하는 것보다 부족할 때
발생하는 불유쾌한 감정
(3) (de Jong-Gierveld, 1987; Peplau & Perlman, 1982)

2/8
1주 2차시_삶의 과제로서의 인간관계

외로움의 정서적 특징(Heinrich & Gullone, 2006)

절망 절망적, 공황, 무기력, 두려움, 희망이 없음,


(Desperation) 버려짐, 취약함

우울 슬픔, 우울, 공허감, 고립감, 자기연민,


(Depression) 멜랑콜리, 소외

참을 수 없는 지루함 참을 수 없음, 지루함, 거북스러움, 화남,


(Impatient Boredom) 집중할 수 없음

자기비하 매력 없음, 자기평가절하, 멍청한 느낌,


(Self-deprecation) 부끄러움, 불안정

팔이 안으로만 굽는다 하여
어찌 등뒤에 있는 그대를 껴안을 수 없으랴
내 한 몸 돌아서면 충분한 것을
<이외수의 ‘날마다 하늘이 열리나니’에서>

2. 현대인의 고독
1) 고독이란?
• 고독(Solitude)
ü 세상에 홀로 떨어져 있는 듯이 외롭고 쓸쓸함
ü 마음이 허전하고 쓸쓸하며, 외롭고 고통스러움과 불행함을 경험하게 되는
주관적 정서
• 고독의 정도에 따른 구분

경미한 수준 심하고 장기화될 경우

‘나는 혼자이고, 나를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나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버려졌다, 나는


없다’ 정도 수준의 불안감과 유사 쓸모없다’ 정도의 심한 우울감

2) 현대인이 고독한 이유
(1) 현대사회의 거대한 조직화
• 개인은 미약한 존재로 그 존엄성과 가치 상실
(2) 효율성과 신속성 강조하는 경쟁사회
• 시간에 쫓기고 마음을 나눌 여유 상실
• 과도한 스트레스와 상대적 빈곤감 유발

3/8
1주 2차시_삶의 과제로서의 인간관계

• 경쟁적
• 시간에 대한 압박을 느낌
• 심장병 등 혈관계 질환에 취약한 A타입 성격적 특징

4/8
1주 2차시_삶의 과제로서의 인간관계

ü 경쟁적 성격 경향
- 채점-‘예’를 1점, ‘아니오’를 0으로 환산

- Friedman & Rosenman(1974)

B type 성격 A type 성격

• 느긋하고, 여유 있는 성격 • 경쟁적, 성급함


• 긴장, 공격적
• B type에 비해 심장 질환에 노출
가능성 2배
• 유산소, 이완훈련, 유쾌한 정서 경험
훈련 등이 도움

(3) 다원화
• 각기 다른 관심사와 개성으로 공통점 감소
(4) 물질주의
• 정신적 가치 경시
(5) 통신기술발달
• 긍정적인 면이 있으나, 이를 매개로한 관계에만 몰입하게 되거나 진정성을 상실한
피상적 인간 관계의 위험

3. 인간관계라는 삶의 과제
1) 삶의 의미
(1) 삶의 의미
• 삶은 스스로 어떤 의미를 창조하느냐에 달려있다.

5/8
1주 2차시_삶의 과제로서의 인간관계

• 일상에서 의미를 발견하려는 강렬한 내부 동기는, 행동의지를 강하게 하고 이를


실현하게 한다.
(2) Frankle이 제안한 의미의 원천
• 일의 의미 : 고용되지 않음으로 인한 결여
• 사랑의 의미 : 서로에게 필수 불가결한 존재
• 고통의 의미 : 고난, 고통은 무감각해지거나 권태로워짐을 예방
• 과거로부터의 의미 : 지나간 것으로부터 이해를 구할 수 있다
• 최상의 의미 : 최상의 의미를 아는 사람은 앞으로 나아가려 도전

2) 삶 속에서 인간관계가 지니는 의미


(1) 가정, 학교, 직장 등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문제는 사실상 인간관계로부터 비롯
(2) 개인의 인격과 개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장을 제공
(3) 평화롭고, 안정된 사회질서 유지와 안정을 위해 긍정적 인간관계는 중요
(4) 성숙한 인간관계를 위해 타인과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
(5) 인간의 이기적 욕망과 자기중심적 속성을 자기이해와 조절을 통해 다스릴 필요

6/8
1주 2차시_삶의 과제로서의 인간관계

4 평가하기

1. Frankle이 제안한 삶의 의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일
② 사랑
③ 돈
④ 고통

정답: ③
해설: 돈의 의미에 대해서는 얘기하지 않았는데, 경제력은 일을 통해서 함께
얻을 수 있다.

2. 현대인들이 고독한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경쟁사회
② 물질주의
③ 다원화
④ 개성화

정답: ④
해설: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더라도 타인과 관계 속에서 조화를 이루고,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도 있다.

3. 마음이 허전하고 쓸쓸함을 느끼는 주관적 정서는 무엇인가?

정답: 고독
해설: 고독은 외로움에 비해 상당히 주관적 정서이다.

7/8
1주 2차시_삶의 과제로서의 인간관계

5 정리하기

1. 외로운 현대인
• 외로움의 의미
• 외로움의 정서적 특징

2. 현대인의 고독
Ÿ 고독의 의미
Ÿ 현대인이 고독한 이유
Ÿ A타입 성격특징들과 자가진단

3. 인간관계라는 삶의 과제
• 삶의 의미
• 삶 속에서의 인간관계의 의미의 발견

8/8
1주 3차시_대학생의 인간관계와 의미 있는 타인

1주 3차시_대학생의 인간관계와 의미 있는 타인

• 사전퀴즈 (O,X)

1. 의존의 욕구와 독립의 욕구는 공존할 수 있다?


정답: O
해설: 청소년의 경우 생활적인 면에서의 보호를 추구하면서, 사고나 행동의 독립을
추구하기도 한다.

2. 가까운 사람들은 내게 의미 있는 사람들이다?


정답: O
해설: 가깝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여러 가지 의미들을 부여한다.

1 학습목표

1.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유형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의미 있는 타인들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특징
2.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유형
3. 의미 있는 타인

3 학습하기

1.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1) 청년기의 특징
(1) 청년기(Adolescence)의 의미
• 라틴어로 “성장하다”, “성숙에 이른다”는 의미에서 파생
• 변화와 성장을 촉진하는 전환기적 의미

2/7
1주 3차시_대학생의 인간관계와 의미 있는 타인

전환기적 과제 : 변화, 갈등, 혼돈에 대한 적응

• 자아정체감의 형성 – Erikson
: 자아존중감, 자기 신체이미지
• 인생구조의 설계준비 – Levinson
: 인생을 살아갈 삶의 양식, 구조에 대한 준비(직업, 결혼)

(2) 주변인(Marginal Man)으로 불리는 시기


• 아동에서 성숙한 성인으로 옮겨가는 과도기로서,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하는 듯
느껴짐
• 이 시기엔 친구, 부모 교사들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
• 의존과 독립의 욕구 공존
• 경제적으로 심리적으로 의존하고 싶은 욕구와 분리 독립의 욕구 간 갈등

(3) 자기 중심적 사고(Egocentric Thinking)


• 자신의 관점과 타인의 관점을 혼동하여 독특한 행동패턴을 보임
ü 상상의 청중(Imaginary Audience) : 타인의 눈에 띄고 싶어함
ü 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
: 자신의 감정, 생각 등은 타인과 달라서 타인들이 자신을 이해 할 수 없다고
여김

2) 대학생들의 관계적 특징
(1) 인간관계가 가장 활발한 시기
• 동아리, 동문회, 학술모임, 이성교제
(2) 가장 많은 인간관계 갈등을 경험하는 시기
• 교우관계 : 고립감, 갈등, 열등감, 피상적 관계 등
• 선후배관계 : 쉽게 다가서지 못함
• 이성관계 : 이성관계의 부재, 실연, 부모의 반대, 성적인 문제
• 가족관계 : 부모 및 형제자매와의 갈등
(3) 부모 의존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성인으로 성장하는 시기
• 간섭과 통제 : 옷차림, 교우관계, 이성관계
• 세대차이 :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3/7
1주 3차시_대학생의 인간관계와 의미 있는 타인

(4) 미래의 인생을 설계하고, 준비하는 시기


• 직업의 선택뿐 아니라 인간관계에 대한 설계
•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
• “한 인간의 삶은 그가 20대에 무엇을 했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2.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유형
1) 대학생의 5가지 유형
(1) 인생파 : 종교, 철학 등 삶의 궁극적 의미 탐색, 심리적 고민
(2) 학구파 : 전공과목을 중심으로 한 전문적 지식의 습득
(3) 출세파 : 직업적 안정의 확보 추구, 각종 고시/자격시험 등에 몰두
(4) 낭만파 : 이성과 취미, 인생의 낭만 향유, 이성교제, 취미 및 문화활동
(5) 정의파 : 사회적 관심과 책임의식, 사회단체 활동, 시위 등에 적극 참여
→ 학년에 따라 변화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특징을 동시적으로 지닐 수도 있다.

3. 의미 있는 타인
1) 의미 있는 타인이란?

우리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


(나와 가장 가깝다고 여기는 사람은..?)
내가 매우 좋아하는 사람
나를 매우 좋아하는 사람
내가 닮고 싶어하는 사람
내가 조언과 충고를 얻기 위해 찾는 사람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
...?

2) 의미 있는 타인의 역할
(1) 사회적 지지자의 역할
• 정서, 평가, 정보, 물질적 지지
(2) 자기평가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
• 타인의 의견과 평가를 통해 자신을 평가
(3) 서로 유사성이 많은 사람
• 유사성은 여러 가지 강화와 보상을 제공
(4) 영향력의 상호성이 큰 사람 : 상보적, 상호의존적
• 개인의 경험에 따라 평가기준이 다름

4/7
1주 3차시_대학생의 인간관계와 의미 있는 타인

3) 인생의 네 동반자(Schmidt & Sermat, 1983)


(1) 가족적 동반자(혈연관계) : 인생의 베이스 캠프, 공유, 이해, 위로
(2) 낭만적 동반자(이성관계) : 낭만적 사랑과 성적욕구 충족을 통한 애정과 보살핌의
대상
(3) 사교적 동반자(교우관계) : 친근감과 신뢰감, 존중을 바탕으로 정서적 교류
(4) 직업적 동반자(동료관계) : 공동의 목표추구, 동시에 사교적 동반자도 가능

5/7
1주 3차시_대학생의 인간관계와 의미 있는 타인

4 평가하기

1. 자신의 감정, 생각 등은 다른 사람과 다른 독특성을 지닌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슨 현상인가?


① 자기개방
② 상상적 청중
③ 개인적 우화
④ 탈중심화

정답: ③
해설: 개인적 우화 현상으로 인하여 더 외로움을 느끼기도 하고 소외감에 빠지거나 혹은
역으로 나르시시즘적 경향을 보일 수도 있으나 이 시기의 일시적인 현상으로 지나치지
않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도 있다.

2. 사회적 지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물질적 지지
② 권력적 지지
③ 정보적 지지
④ 평가적 지지

정답: ②
해설: 권력에 의한 지지는 청탁 등 오히려 문제가 될 수도 있다.

3.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유형들 가운데 사회적으로 안정된 직업을 추구하기 위해 각종


자격증에 매달리는 유형은 무엇인가?

정답: 출세파
해설: 출세파는 전공공부를 소홀히 하면서 까지도 자격 시험에 매달리는 경우가 흔하다.

6/7
1주 3차시_대학생의 인간관계와 의미 있는 타인

5 정리하기

1.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 청년기적인 특성들
•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특징들

2.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유형
Ÿ 인생파
Ÿ 학구파
Ÿ 출세파
Ÿ 낭만파
Ÿ 정의파

3. 의미 있는 타인
• 의미 있는 타인이란
• 의미 있는 타인의 역할
• 인생의 네 가지 동반자

7/7
2주 1차시_인간관계의 분류

2주 1차시_인간관계의 분류

• 오늘의 사례_ KB, 삼성 등 기업에서도 인문학 인재 찾아


--------------------------------------------------------------------------------------------------------------
“ 인문학적 사고를 현실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 필요”
KB - 융합형 인재 채용을 위해 논어, 손자병법을 비롯한
인문학 도서 28선을 바탕으로 토론하는 심층면접을 추가
삼성그룹 - 인문학 전공자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육성하여
고용하는 삼성 컨버젼스 소프트웨어 아카데미(SCSA)를 개최

[휴넷의 추천 인문도서]
취업 준비생, 사회 초년생이라면… 데미안, 간디 자서전
3040대 직장인은…한비자, 손자병법
임원, CEO라면… 사기
제2의 인생을 시작하는 나이… 사서삼경
[출처] 2013. 6. 6 세계파이낸스 뉴스팀 fn@segyefn.com
--------------------------------------------------------------------------------------------------------------
[생각해보기]
대기업에서도 인문학적 사고를 지닌 융합적 인재를 찾으면서 대인관계 스킬의 필요성을 더
느끼게 되고 있는데요, 여러분들은 어떤 책이 본인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느껴지시나요?

[전문가답변]
사람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면 각각의 다양한 대인관계에서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2/8
2주 1차시_인간관계의 분류

• 사전퀴즈(O,X)

1. 인간관계의 분류는 관계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


정답: O
해설: 수직적-수평적 관계, 우호적-적대적 관계, 애정중심적-업무중심적 관계 등 관계가
지니는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2. 인간관계의 분류는 대상에 따라서는 분류할 수 없다.


정답 : X
해설 : 인간관계의 특성에 따라서도 관계의 종류를 구분할 수도 있지만 관계의 특성 자체가
대인관계의 대상 자체가 지니는 특성이라고도 볼 수 있으므로 부모-자녀관계, 동료관계-
상하관계 등 대상에 따라서 분류할 수도 있다.

1 학습목표

1. 일차적 인간관계와 이차적 인간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 인간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우호적 인간관계와 적대적 인간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애정중심적 인간관계와 업무중심적 인간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공유적 인간관계와 교환적 인간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인간관계의 차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일차적 인간관계와 이차적 인간관계


2.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 인간관계
3. 우호적 인간관계와 적대적 인간관계
4. 애정중심적 인간관계와 업무중심적 인간관계
5. 공유적 인간관계와 교환적 인간관계
6. 인간관계의 차원

3/8
2주 1차시_인간관계의 분류

3 학습하기

1. 일차적 인간관계와 이차적 인간관계


• 인간관계의 분류 : 인간관계는 다양한 대상과 관계특성, 형성요인 및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1) 일차적 인간관계
(1) 부여되는 형성요인이 혈연, 지연, 학연 등 근원적 본인의 선택, 의사와 상관없이
인간관계
(2) 평생 가입과 탈퇴가 자유롭지 못함
(3) 공식적이고, 집단적인 관계
예) 부모, 형제자매, 친척, 동문, 동향인

2) 이차적 인간관계
(1) 개인적 매력, 직업적 이해관계, 가치, 취미의 공유 등에 의해 형성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가능
(2) 가입, 탈퇴 비교적 자유로움
(3) 일차적 인간관계에 비해 그 관계가 일시적
예) 동료, 친구, 애인, 동아리 및 친목, 종교단체 등의 구성원

2.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 인간관계


1) 수직적 인간관계
(1) 나이, 학번, 지위, 권한 등에 따라 구분
(2) 상급자와 하급자 간의 행동규범들이 규정됨
• 上 : 지휘, 통솔, 명령, 책임, 보살핌, 체면, 위신
• 下 : 복종, 순응, 존경, 지지, 인내
예) 사제, 선후배, 상하관계

4/8
2주 1차시_인간관계의 분류

2) 수평적 인간관계
(1) 서로 동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 간의 평등한 관계
예) 친구, 동료, 연인, 부부관계
(2) 한국사회
• 동양문화권 - 사회적 관계가 비교적 수직적 인간 관계로 발달, 위계질서에 따른
위치, 신분에 따라 행동규범이 결정, 상하 간 행동 규범인 ‘예의’가 잘 체계화
되어있다.
• 자유, 평등을 강조하는 개인주의적인 가치관의 확산으로 대상과 상황맥락에 따라
지혜로운 대인행동 요구되고 있다.

3. 우호적 인간관계와 적대적 인간관계


1) 우호적 인간관계
(1) 상호작용의 내용과 질에 따라 구분, 상대에 대한 감정과 태도의 우호성 여부에 의해
결정
(2) 서로에 대한 우호적 호감을 지님
(3) 서로 돕는 협동적 상호작용

2) 적대적 인간관계
(1) 서로를 적, 경쟁자로 인식
(2) 방해, 비협조적 태도를 나타냄

4. 애정중심적 인간관계와 업무중심적 인간관계


1) 애정중심적 인간관계
(1) 관계의 형성과 유지요인에 따라 구분, 사람자체가 중요하게 여겨짐
(2) 사랑, 우정 교환의 만족도가 관계 유지에 중요
• 사랑, 낭만적 관계 : 관계가 깊어질 수록 독점적
• 우정 : 관계가 지속될수록 개방적

2) 업무중심적 인간관계
(1) 상대와 상호작용을 통한 이득과 성과가 주요 목적
(2) 과업수행을 위해 맺어진 관계

5/8
2주 1차시_인간관계의 분류

5. 공유적 인간관계와 교환적 인간관계


1) 공유적 인간관계
(1) 각자가 상대의 행복과 불행에 각별한 관심과 책임감
(2) 호혜(互惠)성의 원칙 초월
→ 상호의존적 존재로 인식 – ‘우리성’

2) 교환적 인간관계
(1) 교환의 공정성, 득실의 균형이 중요하게 작용
(2) 호혜성과 형평성의 원칙 적용
→ 자본주의 사회에서 흔히 형성될 수 있는 관계

6. 인간관계의 차원
• 나와 너의 관계와 나와 그것의 관계 Buber(1954)

나와 너의 관계 나와 그것의 관계

• 내가 주체가 되어되며 상대방은 나의


• 인간 대 인간의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에 불과
만남
• 나에게 주어진 역할만 수행하는
• 실존적 만남, 인간적 교류
역할적 만남
• 진실된 사랑, 성장, 통합의 만남
• 모든 관계에 교환적 원칙 적용

6/8
2주 1차시_인간관계의 분류

4 평가하기

1. 주로 하급자들에게 요구되는 특징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지지
② 인내
③ 존경
④ 체면

정답 : ④
해설 : 체면은 주로 상급자가 지켜야 할 덕목으로 요구되어진다.

2. 다음 중 교환적 인간관계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자본주의 사회에서 흔한 인간관계
② 호혜성과 형평성의 원칙적용
③ 경쟁자로 생각하는 비협조적 태도를 지님
④ 득실의 균형이 중요하게 작용함

정답 : ③
해설 : 경쟁자라 생각하여 비협조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은 적대적 인간관계이다.

3. 다른 인간관계들과 달리 선택의 자유가 없는 관계는 어느 관계인가?

정답 : 일차적 인간관계
해설 : 일차적 관계는 가입과 탈퇴가 자유롭지 못하다.

7/8
2주 1차시_인간관계의 분류

5 정리하기

1. 인간관계의 종류
Ÿ 일차적 이차적 관계
Ÿ 수직적 수평적 관계
Ÿ 우호적 적대적 관계
Ÿ 애정중심적 업무중심적 관계
Ÿ 공유적 교환적 관계

2. 인간관계의 형성기준
Ÿ 형성요인의 근원
Ÿ 지위, 나이, 권한
Ÿ 상호작용의 내용과 질
Ÿ 관계형성과 유지요인
Ÿ 자원의 공유와 교환

3. 나의 인간관계
• 자가진단을 통한 인간관계분석
• 나의 고독함에 대한 진단

8/8
2주 2차시_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2주 2차시_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 사전퀴즈(O, X)

1. 유아기 인간관계는 부모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 X
해설: 주로 양육자와 인간관계가 형성되지만 주된 양육자인 부모뿐 아니라 유아의 기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2. 인생의 단계들 가운데 가장 높은 사회적 지위에 있는 시기는 장년기이다?


정답: O
해설: 보편적으로 사회생활을 하는 가운데 본인의 분야에서 가장 정점에 이르는 시기는
장년기이다.

1 학습목표

1. 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의 유형들을 분류할 수 있다.


2. 발달 단계별 인간관계의 특징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의 종류
2. 발달 단계별 인간관계의 특징들

3 학습하기

1. 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학년전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아동기

1) 유아기의 인간관계
• 신뢰감 vs 불신감
ü 신생아는 독특한 반응경향성 기질(temperament)을 가지고 태어난다. (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ü 태어날 당시 가족적 상황, 부모의 양육방식이 아이의 성격발달에 중요한 영향

2/6
2주 2차시_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ü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성격특질이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준다.


ü 형제자매관계 : 유아의 가장 친밀한 혈연관계 강렬한 정서적 유대와 경쟁관계

2) 학년 전 아동기
• 주도성 vs 죄의식
ü 운동기능과 의사소통능력의 증대 → 자율성발달
ü 또래집단과 교우관계형성 → 같은 연령의 또래에 대한 관심의 증가.
주도성과 협동성의 형성
ü 놀이활동 – 사회성발달, 성 역할 획득

3) 아동기 – 초등학생의 인간관계


• 초등학생의 인간관계의 특징
ü 교우관계의 양적, 질적 변화 - 친구가 지닌 특성에 따라 선별하여 관계를
맺는 복잡한 교우관계
ü 교사로부터의 평가, 인정과 친구들과의 경쟁 경험
- 근면성, 열등감 경험
ü 고학년->이성친구에 대한 관심

4) 청소년기 - 중고등학생의 인간관계


• 중고등학생의 인간관계의 특징
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 정체성형성
ü 교우관계 중시 - 심리적 특성, 위계 고려
ü 이성에 대한 관심 - 초보적 이성관계의 시작

5) 청년기의 인간관계
• 청년전기 - 대학생의 인간관계
ü 인간관계의 확장- 동아리, 동문회, 동향회...
ü 인간관계 장과 질의 변화 - 규제와 틀에서 벗어남,
ü 자율성의 확장 - 선택의 폭과 기준의 다양화
ü 이성관계(낭만적 사랑)의 경험
ü 군복무의 위계 사회
• 청년후기 - 직장의 인간관계
ü 인간관계의 폭은 이전 단계에 비해 좁아지는 경향
ü 조직사회경험 - 직위와 업무에 따른 업무중심적, 위계적 인간관계

3/6
2주 2차시_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ü 직장동료, 상사와 협동적, 효율적 관계


ü 경제적 독립과 배우자선택 각자가 상대의 행복과 불행에 각별한 관심과
책임감을 지니게 됨

6) 장년기의 인간관계
• 생산성 vs 침체감
ü 사회적 리더쉽 발휘 - 상급자로서의 인간관계 경험, 사회경제적 능력의
최고수준
ü 빈둥지증후군 경험 - 자녀들의 독립으로 자녀와의 유대약화

7) 노년기의 인간관계
• 자아통합 vs 절망감
ü 사회경제적 능력감퇴, 인간관계 폭 축소
ü 부부, 자녀 등 가족관계에 대한 의존도 증가
ü 가까운 이들과의 이별 경험-인간관계의 해체기
[평균수명 남자 77 / 여성 83 (2013. WHO) ]
ü 노년을 행복하게 보내기 위한 필수 요소 중 한가지 - 친구

2. 발달의 단계별로 인간관계를 알아보는 이유

학년전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
아동기

•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으며 살게 됨


• 각 단계마다 형성되는 인간관계의 내용과 질이 개인의
행복과 불행을 결정하게 된다.
• 인간의 행복은 언제, 어떤 사람을 만나 어떤 인간관계를 맺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4/6
2주 2차시_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4 평가하기

1. 유아기 강렬한 정서적 유대감을 가지면서 경쟁관계에 있는 대상은 누구인가?


① 부모자녀관계
② 형제자매관계
③ 친구관계
④ 스승제자관계

정답 : ②
해설 : 형제자매는 최초의 친구의 역할과 경쟁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2. 인간관계의 폭이 가장 축소되는 시기는?


① 청소년기
② 청년기
③ 장년기
④ 노년기

정답 : ④
해설 : 직장에서의 은퇴 등으로 인해 인간관계의 영역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3. 청년 전기와 후기 중 상대적으로 대인관계의 영역이 넓은 시기는 언제인가?

정답 : 청년 전기
해설 : 청년후기에는 상대적으로 직장생활 등으로 인해 대인관계가 한정되기 쉽다.

5/6
2주 2차시_발달 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5 정리하기

1. 발달단계에 따른 인간관계의 중요성


Ÿ 각 시기별 대인관계가 행복을 결정한다.
Ÿ 대인관계의 시기, 양과 질 모두 중요한 요소이다.

2. 발달단계에 따른 인간관계 특징 및 과업
Ÿ 유아기 인간관계 – 신뢰감을 형성 해야 하는 시기
Ÿ 학년 전 아동기의 인간관계 – 또래와의 관계에서 주도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시기
Ÿ 아동기 인간관계 – 양적, 질적으로 다양한 교우관계 형성 시기
Ÿ 청소년기 인간관계 –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일어나는 시기
Ÿ 청년기 인간관계 – 일과 사랑에 관한 관계형성기
Ÿ 장년기 인간관계 – 사회적 리더십의 발휘
Ÿ 노년기 인간관계 – 인간관계의 축소

6/6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 사전퀴즈(O, X)

1. ‘마음의 창’은 인간관계 소통의 통로에 대한 상징적 의미이다.


정답: O
해설: 마음의 창이란 나를 개방하고 타인의 피드백을 듣게 되는 통로적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2. 사람마다 ‘마음의 창’모양은 같다.


정답: X
해설: 자기개방과 피드백 수용의 정도에 따라 모두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다.

1 학습목표

1. 조해리의 마음의 창을 통해 자신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개방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주장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신중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고립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부적응적인 인간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조해리의 마음의 창
2. 개방형
3. 주장형
4. 신중형
5. 고립형
6. 인간관계의 부적응

2 / 10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3 학습하기

1. 조해리의 마음의 창
1) 조해리의 마음의 창(Johari’s window of mind)
• 자기 공개(self-disclose)와 피드백(feedback)의 측면에서 인간관계를 진단해볼 수
있는 방법
• Joseph과 Harry에 의해 개발되어 Johari라 명명되었다.
• 사람마다 마음의 창문 모양이 다르다.

2) 자가진단

3 / 10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2. 개방형
• 공개된 영역

4 / 10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3. 주장형
• 맹목적 영역

5 / 10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4. 신중형
• 숨겨진 영역

6 / 10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5. 고립형
• 미지의 영역

6. 인간관계의 부적응
1) 인간관계에서 적응적이라는 것은?
(1) 일반적 적응 : 주어진 환경에 나를 잘 맞추어 가는 것
(2) 대인관계에서의 적응 : 주어진 사회적 환경 속에 인간관계를 잘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는 것

2)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적이라는 것은?

7 / 10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1) 주관적 불편감


• 불쾌감정(불안, 분노, 우울, 고독, 좌절감 등)이 참기 어려울 정도로 과도할 때
ü 강도, 지속시간이 지나침
ü 상황에 맞지 않게 불쾌감정을 느낌
ü 일상생활에서의 지장이 현저함

(2) 사회문화적 규범으로부터의 일탈


• 암묵적 행동규범의 위반
예) 수업시간에 껌 씹기
• 상황에 부적절한 행동양식
예) 장례식에서 유머

(3) 인간관계의 역기능


•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간관계를 형성함
• 인간관계 속에서 목표를 달성하는데 손해와 지장 초래
예) 지나치게 비판적인 상사, 동료

8 / 10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4 평가하기

1. 마음의 창 유형들 가운데 현대인들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유형은 무엇인가?


① 개방형
② 주장형
③ 신중형
④ 고립형

정답: ③
해설: 경쟁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다른 사람의 정보는 취하면서 자신의 약점이나
비밀 등은 공유하지 않는 신중형의 비중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2.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주관적 불편감
② 인간관계의 역기능
③ 통계적으로 정상기준의 이탈
④ 사회적 규범 의식

정답: ④
해설: 사회적 규범을 이탈하는 것이 부적응적이며 규범을 의식하는 것이 대인관계에 부적응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지나치지 않을 정도이면 오히려 도움이 되기도 한다.

3. 처음 본 사람들에게 반말하기, 수업시간에 껌 씹기 등은 인간관계 부적응 중 어디에


해당되는가?
( )규범으로부터의 일탈

정답: 사회문화적(사회 문화적, 사회문화적, 사회 문화, 사회문화)


해설: 암묵적이긴 하지만 보편적으로 사람들이 지키는 예의에 벗어나는 경우이다.

9 / 10
2주 3차시_조해리의 “마음의 창”

5 정리하기

1. 조해리의 마음의 창
Ÿ 자기공개와 피드백에 따른 조해리의 창

2. 개방형, 주장형, 신중형, 고립형


Ÿ 공개적 영역이 주를 이루는 개방형
Ÿ 맹목의 영역이 주를 이루는 주장형
Ÿ 숨겨진 영영이 주를 이루는 신중형
Ÿ 미지의 영역이 주를 이루는 고립형

3. 인간관계의 부적응
Ÿ 주관적인 불편감의 경험
Ÿ 사회문화적인 규범으로부터 일탈한 경우
Ÿ 역기능적인 인간관계 패턴을 보이는 경우

10 / 10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 오늘의 사례_”영화를 통해 본 성격장애 캐릭터들”


--------------------------------------------------------------------------------------------------------------
반사회적 성격장애: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해하며 죄책감을 느끼지 않은 특성들을 보이며
대표적인 영화로는 ‘양들의 침묵’의 하니발역을 맡은 안소니 홉킨스의 캐릭터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경계선 성격장애: 불안정하고 충동적인 대인관계


‘얼굴 없는 미녀’의 김혜수가 연기했던 지수역이 경계선 성격장애를 않고 있는 인물로 등장한다.

강박성 성격장애: 청결, 정돈 등 완벽에 지나치게 집착을 보이는 성향의 캐릭터로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의 잭 니콜슨은 강박성 성격장애를 지닌 인물로 레스토랑에 갈 때도 자신의 포크와
나이프를 가지고 가고 보도블록의 틈 조차 밟기를 꺼려하는 예민한 성격의 소유자로 나타난다.
--------------------------------------------------------------------------------------------------------------
[생각해보기]
복잡 다양한 현대사회에서 그만큼 다양한 성격장애 패턴을 보이는 캐릭터들이 나타나는데요,
여러분들도 현실에서 혹은 이러한 영화를 통해 접해보셨나요?

[전문가답변]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현대인들에게 신경증적이고 정신적인 증상들을 보이는 사람들이
간혹 보여지기도 하고 심각하게 성격장애나 정신장애로 진단받을 정도는 아니지만 본인들도
경우에 따라 일시적으로 이런 충동들을 느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영화들을 통해서도
성격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실 수 있을 것입니다.

2/9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 사전퀴즈(O,X)

1. 쉽게 타인들과 어울리지 못하면 부적응적 인간관계에 속하게 된다?


정답: X
해설: 쉽게 어울리지 못한다고 하여 단언하기는 성급하며(예를 들어 성격특성 일 수도 있다)
부적응적 인간관계 분류기준에 여러 모로 부합될 경우 부적응적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2.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에 속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어떤 사람들과도 친밀한 유대감을


가지기가 힘들다?
정답: X
해설: 보편적으로는 부적응적 인간관계 특징을 지닌 사람들의 경우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지니지만 타인들과 전혀 관계 맺음이 힘든 것 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간관계 지배형과
의존형은 서로 잘 맞는 파트너가 될 수도 있다.

1 학습목표

1.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인간관계 회피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인간관계 피상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인간관계 미숙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인간관계 탐닉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2. 인간관계 회피형
3. 인간관계 피상형
4. 인간관계 미숙형
5. 인간관계 탐닉형

3/9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3 학습하기

1.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 부적응적 인간관계
ü 사회적 환경 속에서 타인들과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함에 있어 주관적
불편감을 느끼거나, 통계적인 정상범주를 넘어서거나, 사회적 규범에
위배되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고 기능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크게 네 가지 인간관계 유형으로 분류하게 됨
1) 인간관계 회피형 : 경시형, 불안형
2) 인간관계 피상형 : 실리형, 유희형
3) 인간관계 미숙형 : 소외형, 반목형
4) 인간관계 탐닉형 : 의존형, 지배형

2. 인간관계 회피형
1) 회피형의 특성과 종류
(1) 인간관계에 대한 동기와 욕구가 적음
(2) 인간관계에 소극적이고 그 폭이 제한적임
(3) 인간관계를 회피하고 고립된 생활
(4) 혼자 있을 때 가장 편함
(5) 혼자서 하는 일에 몰두
→ 종류 : 경시형, 불안형

2) 경시형
(1) 특성
• 인간관계가 삶에 있어 중요치 않고 무의미함
• 평소 외로움을 느끼지 않고 고독을 즐기나 장기화되면 권태, 무력감
• 허무, 비관주의 경향발생-자폐적 경향을 보이기도 함
• 타인과 정서적 교류의 어려움
• 인간관계에 대한 부정적 신념
ü ‘ 인간은 어차피 혼자다.’
ü ‘ 인간관계는 상처만 남긴다.’
(2) 성장배경
• 과거에 긍정적, 의미 있는 인간관계 경험이 결여 불행한 인간관계의 경험(거부,
배신, 좌절)

4/9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3) 불안형
(1) 특성
• 관계 욕구는 있으나 사람을 만나는 것이 불안하고 두려워서 인간관계를 피하는
사람들
• 타인의 반응에 지나치게 과민하거나 상처 받음-> 피해의식
• 평가적 주변인에 의해 자기가치감 저하, 두려움 지닌 경우 多 ->
대인공포(사회공포증), 회피성성격장애
•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사고를 지닌 경우
• 인간관계에 대한 부정적 신념
ü ‘나는 무가치하고 무능하다.’
ü ‘사람들은 비판적이고 공격적이다.’
(2) 성장배경
• 엄격하고 비판적이며 평가적인 부모 (보호자)

3. 인간관계 피상형
1) 피상형의 특성과 종류
(1) 겉으로는 넓고 원만해 보이는 인간관계 형성
(2) 속으로는 실상 진정한 친구가 없이 고독한 사람
(3) 친밀한 관계에 대한 불편함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경우 많음
(4) 상대에게 구속되어 자율성, 자기 정체감이 침해될까 두려움, 위협을 느낌
(5) 타인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려 함
→ 종류 : 실리형, 유희형

2) 실리형
• 특성
ü 인간관계의 의미를 실리적 목적에 두고 현실적 이득, 효율성을 위한
거래관계로 생각
ü 목적을 가지고 접근, 얻을 것이 없으면 더 이상 관심 가지지 않는 교환적 관계
ü 타인의 내면에 관심이 적고 자신의 속내도 잘 내보이지 않음
ü 업무중심적, 성취 지향적인 사람들이 많음
ü 손해 보는 것은 싫은 ‘give and take' -> 교환적 시장원리
ü 인간관계에 대한 부정적 신념
- ‘성공하기 위해서는 폭넓은 인간관계가 필요하다’
- ‘인간관계에서는 현실적 이해관계가 가장 중요하다’

5/9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3) 유희형
• 특성
ü 인간관계에서 최고의 가치를 쾌락과 즐거움에 둠
ü 쾌락 지향적, 구속과 규제 회피
ü 자기조절능력, 절제, 자기통제력, 책임감 부족
ü 친밀한 관계에 대해 불편감과 두려움을 지님
ü 상대를 자꾸 바꾸려는 경향
ü 내적으로는 고독한 경향

4. 인간관계 미숙형
1) 미숙형의 특성과 종류
(1) 대인관계 기술 또는 사교적 기술이 부족하여 관계가 원활하지 못함
(2) 깊은 인간관계를 맺고자 하는 관계의 욕구는 높은 편
(3) 관계 속에서 소외나 갈등을 경험하는 경우 많음
→ 종류 : 소외형, 반목형

2) 소외형
(1) 특성
• 미숙하고 부족한 대인기술로 인해 호감을 얻지 못하고 불편하고 귀찮은 존재로 여겨짐
• 관계에는 적극적이지만 타인에게 비호감인 경우
(2) 이유
• 외모, 옷차림에 무신경하거나 부적절하여 혐오감 줌
• 예의, 규범에 무지하여 무례하고 버릇없이 여겨짐
• 자기중심적, 상대방에 대한 배려부족
• 상황에 부적절한 엉뚱한 행동
• 악의적 의도는 아님

3) 반목(反目)형
• 특성
ü 다툼과 대립의 반복으로 다수의 경쟁자와 적을 지닌 사람들
ü 때로는 친절하거나 호감을 주기도하지만, 상대방의 언행에 쉽게 감정이
상하고 상대방 감정을 자주 상하게 함
ü 갈등상황을 해결하는 기술 미숙 -> 자신의 생각, 감정을 조절하여 표현하는
기술 부족하고 충동적

6/9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5. 인간관계 탐닉형
1) 탐닉형의 특성과 종류
(1)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강박적으로 추구
(2) 친밀해진 사람을 구속하는 경향
(3) 관심과 애정, 배려해주길 원함
(4) 소수의 배타적, 제한적 관계에 집착
(5) 강렬한 인간관계에 대한 신념 지님
→ 종류 : 의존형, 지배형
• 강렬한 인간관계에 대한 신념
ü ‘진정한 친구는 한 명뿐이다. 나 이외의 다른 친구를 사귀는 것을 원치
않는다.’
ü ‘진정한 친구라면 어떠한 요구도 받아 주어야 한다’
ü ‘친구와 늘 같이 지내며 서로의 신뢰와 애정을 확인해야 한다.’

2) 의존형
• 특성
ü 자신이 매우 외롭고 나약한 존재라 생각
ü 유능하고 강한 사람을 의지의 대상으로 택하는 경향
ü 상대를 과대평가, 우상화
ü 자신의 많은 것을 희생적으로 상대에게 제공
ü 의사결정을 스스로 못함
ü 유기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상대에게 매달림
ü 애정결핍 多

3) 지배형
• 특성
ü 추종세력을 거느리는 주도적인 역할에 만족감 및 행복감 상승
→ 타인을 자신의 뜻대로 지휘, 통솔하는 지배자 위치를 즐김
ü 자기주장이 강하고 경쟁적인 경향
ü 협력상황에서 갈등 유발
ü 때로 공격적, 격렬한 감정대립
ü 의존형과 궁합 잘 맞음
→ 서로의 욕구가 보완적이므로 잘 맞을 수도 있음

7/9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4 평가하기

1. 대인관계 불안형의 특징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타인들에게 쉽게 상처받는다.
② 허무주의, 비관주의적 경향을 지닌다.
③ 자신과 타인들에 대해 부정적 신념을 지닌다.
④ 관계에 대한 욕구가 있다.

정답: ②
해설: 허무주의나 비관주의적 성향은 인간관계 경시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 특징이다.

2. 다음 중 의존형 인간관계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유능한 사람을 의지의 대상으로 한다.
② 상대를 과대평가 우상화한다.
③ 상대에게 희생을 강요한다.
④ 상대에게 버려질까 매달린다.

정답: ③
해설: 상대에게 희생을 강요하기 보다 오히려 자신이 상대에게 많은 것을 희생하는 편이다.

3. 타인들과 다툼이나 대립이 자주 있어 대인관계가 힘든 유형은 무엇인가?

정답: 반목형
해설: 반목형은 다툼과 대립으로 경쟁자나 적을 가지기 쉽고 원만한 인간관계가 어렵다.

8/9
3주 1차시_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5 정리하기

1.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종류
Ÿ 인간관계 회피형
Ÿ 인간관계 피상형
Ÿ 인간관계 미숙형
Ÿ 인간관계 탐닉형

2.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하위 유형들


Ÿ 회피형에는 인간관계가 삶에 있어 중요하지 않고 무의미한 경시형, 관계욕구는 있으나
사람을 만나는 것이 불안하고 두려워 인간관계를 피하는 불안형이 있음
Ÿ 피상형은 겉으로는 넓고 원만해 보이나 속으로는 진정한 친구가 없어 고독하고 타인과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려는 실리형과 유희형이 있음
Ÿ 미숙형은 관계에는 적극적이지만 타인에게 비호감인 소외형과 다툼과 대립의 반복으로
다수의 경쟁자와 적을 지닌 반목형이 있음
Ÿ 탐닉형에는 유능하고 강한사람을 의지의 대상으로 택하는 의존형과 추종세력을 거느리는
주도적인 역할에 만족감을 느끼는 지배형이 있음

9/9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 사전퀴즈(O, X)

1. 성격이 이상하여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면 성격장애다.


정답: X
해설: 성격자체는 독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무조건 이상하고 성격장애라고 할 수는 없으며
인지적, 정동적으로도 증상이 드러나며 충동성이 동반되는 경우 진단을 통해 결론지을 수
있다.

2.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경우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높다.


정답: X
해설: 범죄자들의 반사회적 성향이 높게 보고되고는 있으나 반사회적 성향이 있다 하여 모두
잠재적 범죄자로 봐서는 안 된다.

1 학습목표

1. 성격장애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성격장애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군집 A형 성격장애-정신증적 장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군집 B형 성격장애-기분 장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군집 C형 성격장애-불안 장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성격장애란
2. 성격장애의 유형
3. 군집 A형 성격장애-정신증적 장애
4. 군집 B형 성격장애-기분 장애
5. 군집 C형 성격장애-불안 장애

2/9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3 학습하기

1. 성격장애란
1) 성격장애의 의미
(1) 성격(personality)
• 한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내는 독특하고 일관성 있으며 안정된
인지적, 정동적, 행동적 양식
(2)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s)
• 부적응적 성격으로 인한 장애
• 스트레스 상황에서 부적응적 반응을 반복하며, 장기간 지속되는 특질 장애
• 극단적인 부적응적 성격특성으로 사회적 적응에 심각한 문제 발생

2) 성격장애 진단기준
(1) 정신장애의 진단과 통계 편람 DSM-Ⅳ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성격특질이 경직되고 비적응적이며 중요한 기능장애나 주관적 고통을 가져올 때 성격장애


가 된다. (APA,1994) .”

(2) 개인의 지속적인 내적 경험과 행동 양식이 사회 문화적 기대에 심하게 벗어나야 함


(3) 고정된 행동 양식이 융통성 없고, 사회적, 직업적, 다른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초래하며 개인 생활과 사회 생활 전반에 걸쳐
퍼져있음

3/9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4) 양식이 변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되어 왔으며, 발병 시기는 적어도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감

2. 성격장애의 유형
1) 성격장애 하위유형

(1) 군집 A형 성격장애 : 정신증적 장애


•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이상하며 기묘한 증상들
ü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ü 분열성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ü 분열형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 군집 B형 성격장애 : 기분장애
• 정서적이고 극적, 감정적, 변덕스러운 성격특성
ü 반사회적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ü 연극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ü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ü 경계선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3) 군집 C형 성격장애 : 불안장애
• 불안, 두려움, 근심 등이 특징
ü 강박적 성격장애(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ü 의존성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ü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3. 군집 A형 성격장애-정신증적 장애
1) 편집성(망상형)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1) 타인에 대한 강하고 만성적인 불신과 의심(인간에 대한 기본 신뢰의 결여)
(2) 적대적, 냉소적 태도
(3) 분노감, 정의와 공정성, 규칙에 대한 집착
(4) 근거 없는 과도한 의심과 불신, 불평, 극도의 경계, 냉담하고 논쟁적이며 공격적인

4/9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행동
(5) 타인의 선의나 진실을 수용하지 못하고 동기를 악의적으로 해석하고 경계하여
주변인들과 적대적 관계, 갈등, 불화를 유발
(6) 대인관계 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우울, 공포, 강박, 알코올 남용 등의 가능성 높음

2) 분열성(해체형)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1)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형성에 관심이 없고 감정표현이 부족하여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
(2)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개념과 대인관계회피에 대한 사고
(3) 와해된 언어(어눌함) 및 행동(목적지향성상실, 부적응적 일상생활), 둔마되거나
부적절한 정동
(4) 대인관계기술의 결손이라기보다는 고립을 선호하고 타인이나 이성에게도 무관심하며
관계형성에 소극적
(5) 타인의 반응, 감정에 무감각하고 자신도 정서반응을 거의 보이지 않음

3) 분열형 성격장애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1) 기괴한 사고와 언행 및 왜곡된 지각, 괴이한 믿음과 추론, 소외된 대인관계 등의
사회적 부적응
(2) 스트레스나 위협상황에서 망상에 가까운 생각을 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말을
중얼거리는 등 경미한 정신분열증적 증상을 동반하기도 함
(3) 괴이한 사고와 언어사용과 지각경험
부적절한 정동
(4) 정신분열증과 밀접한 유전적 소인이 관여-정신분열증 환자의 직계가족에서 유병률이
10배 높음

4. 군집 B형 성격장애-기분 장애
1) 반사회적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1) 사회규범, 법을 지키지 않으며, 타인의 권리와 규범을 침해하고 무시하는 행동을
반복
(2) 무책임하고 공격적, 폭력적이며, 자신의 범죄행위에 대한 뉘우침이나 후회가 없고
유사한 불법행동을 반복하는 경향
(3) 아동기, 청소년기부터 폭력, 거짓말, 절도, 결석이나 가출 등의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
(4) 18세 이상의 성인에게 진단되며, 이러한 행동양식(품행장애)이 생활전반에 거쳐 15세
이전부터 시작

5/9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 타인의 입장에 대한 공감능력, 배려의식, 불안, 죄책감, 도덕성의 결여

2) 연극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1) 과도하고 과장된 감정표현과 변덕, 희로애락의 감정기복이 심한 정서적 불안정성
(2) 타인의 애정과 관심을 끌기 위한 지나친 노력
(3) 사랑과 인정에 대한 강렬한 욕구
(4) 타인의 관심과 보살핌이 없으면 우울하고 불안
→ 끊임없이 타인의 주의를 추구하고 외모에 집착, 자기 연출적, 성적으로 유혹적
→ 대인관계 초기에는 매력적일 수 있지만 지속되면 지나치게 요구적이고 끊임없는
사랑과 인정을 추구하여 부담을 줌

3)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1)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로 인해 특별한 대우, 존경을 받아야 한다는 특권의식
(2) 거만하고 오만, 타인무시하고 이용하는 등 대인관계가 착취적
(3) 자기도취적, 자기중심적, 일방적
(4) 비판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고 칭찬과 찬양을 바라며 그렇지 않으면 무시와 분노를
표출
(5) 타인과 비교해 부족한 것은 무가치한 것으로 치부
→ 자신의 부정적, 열등, 수치스런 점을 수용할 수 없으므로 무의식에 묻어두고
자신의 긍정적 우월한 점을 과시하려는 경향
→ 남성이 50~75%

4) 경계선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1) 정서적 변화가 심하며, 극단적인 심리적 불안정성과 현저한 충동성을 보임
→ 사고, 감정, 행동, 대인관계 및 자아상 전반에 걸친 불안정성과 지나친 낭비, 과음,
약물복용 등의 충동조절 곤란
(2) 대인관계를 갈망하면서도 거절(버림받음)의 두려움 때문에 관계를 지속시키지 못하고
접근-단절의 대인관계를 반복
(3) 자기정체의식의 혼란 때문에 가치관, 목표에서도 심한 혼란을 보임
(4) 75%정도가 여성, 성인 초기에 흔히 유발

6/9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5. 군집 C형 성격장애-불안 장애
1) 강박적 성격장애(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1) 지나치게 완벽을 추구하고 엄격, 과도한 성취지향성
(2) 세부적인 상황에 집착
(3) 상황을 자기식으로 조절할 수 없거나 확신이 들지 않으면 행동하길 주저하며
망설이고 불안해는 경향
→ 일을 쉽게 시작하지 못함.
(4) 도덕과 윤리강조, 원칙과 질서를 지나치게 강조
(5) 지나치게 완벽을 추구하는 성향 때문에 오히려 잠재력 발휘에 어려움을 겪고
비효율적
• 강박적 사고들 : 오염에 대한 반복적 생각, 반복적 의심, 물건 등의 정리에
대한 욕구

2) 의존성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1) 일상적인 일이나 결정에서도 스스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과도하게 남에게
의존하거나 보호 받으려는 성향
(2) 타인의 보살핌 요구
(3) 순종적, 헌신적
(4) 의존관계 유지를 위해 학대나 무시도 참음
(5) 자기주장적 적극적 행동을 요하는 상황에 부적합
(6) 사회적 활동에 소극적이며 책임을 져야 하는 지위를 피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심한 불안을 느낌
• 원인 : 부모의 과잉보호

3)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1) 다른 사람과의 만남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 때문에 사회적 상황억제
(2) 낮은 자기존중감과 부적절감, 부적 평가에 대한 과민성
(3) 사회적 관계에 대한 욕구는 강하지만 자신에 대한 부정적 자아상을 지니고 타인을
비판적, 위협적 존재로 지각하는 불안 근심 때문에 회피적
• 원인 : 기질적으로 수줍고 억제적인 경향, 자신에 대한 부정적 신념, 수치심

7/9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4 평가하기

1. 다음 중 불안장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강박성 성격장애
② 편집성 성격장애
③ 회피성 성격장애
④ 의존성 성격장애

정답: ②
해설: 편집성 성격장애는 A군 정신증적 장애에 해당된다.

2. 강렬한 애정과 분노가 교차해서 나타나는 성격장애는 무엇인가?


① 히스테리성격장애
② 연극성 성격장애
③ 경계성 성격장애
④ 의존성 성격장애

정답: ③
해설: 경계성 성격장애는 좋아하는 감정이 거부될 때는 증오의 감정으로 돌변할 수 있다.

3.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비율이 높은 성별은 누구인가?

정답: 남성
해설: 높게는 75% 정도가 남성에 해당된다고 한다.

8/9
3주 2차시_부적응적 성격장애

5 정리하기

1. 성격장애
Ÿ 부적응적 성격으로 인한 장애, 스트레스 상황에서 부적응적 반응을 반복하며 장기간
지속되는 특질 장애, 극단적인 부적응적 성격특성으로 사회적 적응에 심각한 문제 발생
Ÿ 성격장애를 진단하는 기준에는 <정신장애의 진단과 통계 편람 DSM-Ⅳ>가 사용됨

2. 성격장애의 하위 유형 및 특징
Ÿ 군집 A형 성격장애 – 정신증적 장애, 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성격장애
Ÿ 군집 B형 성격장애 – 기분장애, 반사회적, 연극성, 자기애성, 경계선 성격장애
Ÿ 군집 C형 성격장애 – 불안장애, 강박성, 의존성, 회피성 성격장애

9/9
3주 3차시_부적응적 심리장애

3주 3차시_부적응적 심리장애

• 사전퀴즈(O, X)

1. 우울증과 조울증은 보편적으로 같은 의미로 사용 되어진다?


정답: X
해설: 조울증은 우울감뿐만 아니라 즐거운 상태가 교차하여 나타나거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양상으로 양극성기분장애로 불리기도 한다.

2. 사람들 앞에 나서기가 두렵거나 불안한 정도가 아주 심한 경우 이를 일종의 공포증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정답: O
해설: 무대공포증, 광장공포증 등 일종의 사회공포증이라 볼 수도 있다.

1 학습목표

1. 심리장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우울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사회공포증 대인공포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알코올 관련 장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신체적 장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섭식장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심리장애의 종류
2. 우울증
3. 사회공포증 대인공포증
4. 알코올관련 장애
5. 신체형장애
6. 섭식장애

2/7
3주 3차시_부적응적 심리장애

3 학습하기

1. 심리장애란
• 심리장애의 의미 및 종류
ü 심리장애
- 부적응 상태로 인해 심한 심리적 고통을 받거나 사회적, 직업적 적응에 현저한
부적응을 초래할 경우 심리적 장애로 간주
- 장기간 지속적인 문제를 지니지 않은 사람도 일시적인 부적응 상태가
지속되면 여러 심리적 문제 야기될 수 있음
ü 심리장애의 종류

2. 우울증(depression)

• 우울하고 슬픈 기분이 주된 증상
→ 좌절감, 죄책감, 고독감, 무가치, 허무, 비관적, 절망감 등을 경험하는 가장 흔한
심리적 장애
• 주요 증상
ü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생각의 증폭 : 자기비하, 열등감
ü 인지기능저하 : 집중력, 기억력, 주의력 결핍, 판단력 저하
ü 어떤 일을 시작하는 데에 어려움 : 우유부단, 의욕상실, 대인기피

3/7
3주 3차시_부적응적 심리장애

ü 신체, 생리적 변화 : 식욕증진, 식욕저하(현저한 체중감소), 불면증, 소화불량,


두통, 면역력 저하

3.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대인공포증


• 사회적 상황이나 과제 수행에 대한 지속적 공포
ü 두려워하는 사회적 상황, 활동에서 늘 불안 경험(얼굴 빨개짐, 근육긴장,
심장박동 수 증가, 손발 떨림, 진땀, 복통, 혼미함)하고 회피하려 함
• 타인의 관찰, 부정적 평가, 모욕, 당황에 대한 두려움
ü 비판적, 부정적 평가, 배척에 대한 과민성, 우유부단함, 자기비하나 열등감이
동반되기도 함
→ 무대공포증(광장공포증), 식사공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4. 알코올 관련 장애(alcohol-related disorder)


• 알코올 사용 장애(Alcohol Use Disorders)
ü 알코올 의존(alcohol dependence)
- 알코올에 대한 내성(점점 더 많은 양 요구)과 금단현상(중단 시 고통,
12시간 경과 후 금단 증상; 발한, 맥박증가, 손떨림, 불면, 오심, 구토, 일시적
환시(청, 촉), 초조, 불안, 발작 등)
→ 한국남성의 평생유병률 12.1%(2001)

• 알코올 남용(alcohol abuse)


ü 알코올 과다 섭취로 학업, 직업, 가정에서의 역할 수행을 하지 못하고 폭력적
행동, 법적(사회적) 문제를 반복적으로 야기하게 되는 경우
→ 한국남성의 평생유병률 13.1% (2001)

5.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 심리적 원인으로 인한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
• 통증 증상과 소화기 증상, 유사신경학적 증상, 성적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음
• 이런 신체적 증상을 호소함에도 신체검사에서는 그에 대응하는 신체적 손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 신체화 장애, 건강염려증 - 신체적 증상이 의도적 이지 않음

4/7
3주 3차시_부적응적 심리장애

6. 섭식장애 (eating disorder)


1) 신경성 식욕부진증 (anorexia nervosa)
• 최소한의 정상 체중 유지를 거부
• 체중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
• 스스로 선택한 굶주림에 의해 체중상실 뿐만이 아니라 영양실조와 사망의
위험성을 초래
(1) 원인
• 생물학적 요인 - 우울장애, 알코올 중독증, 식사장애 등의 가족력이 있는 편
• 사회적 요인 - 날씬함과 운동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 심리적 요인 - 부모와 타인의 관심을 끌고자 하는 시도
(2) 증상
• 정상체중을 유지하기를 거부,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 자주 굶는다. 자신의 키와
나이에 대한 최소정상체중보다 15%이상 적게 나간다.
• 체중 미달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증가와 살찌는 것에 대한 심한 공포
• 왜곡된 자기상 소유. 자신의 체중, 몸매에 대한 왜곡된 생각으로 자신이
뚱뚱하다고 생각하며 현재의 심각한 체중미달을 부인하는 경우
• 월경하는 여성에서 최소 3회 이상 연속적으로 월경이 없는 경우

2) 신경성 폭식증(신경성 식욕항진 bulimia nervosa)


• 짧은 시간 내 다량을 먹는 폭식행동과 이에 따른 부적절한 보상행동 (구토,
설사제나 이뇨제의 사용, 단식이나 지나친 운동)의 반복.
• 죄책감, 자기혐오, 우울증으로 괴로워함.
• 인간관계스트레스, 부모의 과잉통제, 외모와 체형에 대한 과민성
(1) 원인
• 생물학적 요인 - 여러 가지 신경전달물질의 관여
• 사회적 요인 - 높은 성취도와 날씬함에 대한 사회적 압력
• 심리적 요인 - 일반적으로 화를 잘 내고 충동적, 정서불안
(2) 증상
• 설사제, 이뇨제 등의 오남용
(3) 치료
• 심리적 및 내과적 증상이 복합적이므로 정신치료, 가족치료,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약물치료가 포함된 포괄적인 치료를 요함

5/7
3주 3차시_부적응적 심리장애

4 평가하기

1. 다음 중 신체형 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증상의 호소가 의도적이지 않다
② 실제 통증을 느낀다.
③ 실제 의학적 소견이 있다.
④ 심리적 원인으로 귀속되는 경우가 많다

정답: ③
해설: 대부분은 실제 신체적인 손상이 의학적으로는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폭식증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성취도가 높은 경우가 많다
② 인내에 대한 보상으로 음식섭취
③ 평소에 자신을 과잉통제 하는 경향
④ 이뇨제, 설사제의 오남용

정답: ②
해설: 폭식에 대한 보상으로 이뇨제 등을 복용하고 통제에 대한 불능 상태일 때 폭식으로
나타난다.

3. 알코올에 대한 금단현상을 보일 경우 무엇으로 진단될 가능성이 높은가?

정답: 알콜의존(알코올의존, 알코올 의존)


해설: 의존의 경우 내성과 금단현상을 보이게 된다.

6/7
3주 3차시_부적응적 심리장애

5 정리하기

1. 심리장애
Ÿ 부적응 상태로 인해 심한 심리적 고통을 받거나 사회적, 직업적 적응에 현저한 부적응을
초래할 경우 심리적 장애로 간주
Ÿ 종류에는 우울증, 알코올관련 장애, 섭식장애가 있음

2. 우울증의 특징
Ÿ 우울하고 슬픈 기분이 주된 증상 - 좌절감, 죄책감, 고독감, 무가치, 허무, 비관적, 절망감
등을 경험하는 가장 흔한 심리적 장애

3. 사회공포증의 특징
Ÿ 사회적 상황이나 과제 수행에 대한 지속적 공포- 두려워하는 사회적 상황, 활동에서 늘
불안 경험
Ÿ 무대공포증(광장공포증), 식사공포

4. 알코올 관련 장애 (alcohol-related disorder)


Ÿ 알코올 의존: 알코올에 대한 내성과 금단현상
Ÿ 알코올 남용: 알코올 과다 섭취로 학업, 직업, 가정에서의 역할 수행을 하지 못하고 폭력적
행동, 법적(사회적) 문제를 반복적으로 야기하게 되는 경우

5.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Ÿ 심리적 원인으로 인한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
Ÿ 통증 증상과 소화기 증상, 유사신경학적 증상, 성적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음

6. 섭식장애(eating disorder)
Ÿ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 최소한의 정상 체중 유지를 거부함
- 체중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
Ÿ 신경성 폭식증(신경성 식욕항진 bulimia nervosa)
- 짧은 시간 내 다량을 먹는 폭식행동과 이에 따른 부적절한 보상행동
(구토, 설사제나 이뇨제의 사용, 단식이나 지나친 운동)의 반복
- 죄책감, 자기혐오, 우울증으로 괴로워함

7/7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 오늘의 사례_“반응성 애착장애의 대처법”


--------------------------------------------------------------------------------------------------------------
원인: 주로 아동학대나 방치, 또는 잦은 환경의 변화 등을 경험한 것으로 관찰되며 기본적인
안전함이나 가족으로부터의 사랑 등이 결핍된 경우가 많음
진단: 5살 이전부터 사회적 관계형성에 문제가 보이기 시작하고 지나치게 억제적이고, 경계적이며,
심하게 상반된 반응 등의 발달적으로 적절하지 못한 모습을 보임

특징
1. 양육자에 대해 지나치게 안기거나 회피하는 등의 혼합된 태도로 반응, 안락감과 안전함에
저항하는 등 냉정하게 경계하는 모습
2. 애착장애는 발달장애가 아니며 아동 학대나 병적 보살핌 등의 후천적인 원인으로 발병한다고
알려짐
3. 반응성 애착장애는 발달지연, 섭식장애, 이식증이나 배설장애와 연관되기도 하며 5세 이전에
시작되어 가족내의 심리적인 요소, 학대나 방치의 정도와 기간, 그리고 다른 개인적인 요소에
따라 다양한 경과를 보임

치료: 적절하고 지지적인 환경이 주어졌을 때, 상당한 호전과 치료가 있을 수 있지만 때로는
지속적인 경과를 보일수도 있으며, 교육적인 지체, 성장의 지체, 자신감의 결여, 폭력적인 행동,
대인관계 장애, 섭식 장애와 영양실조, 우울증, 불안증, 학업문제, 술이나 마약 등의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
[출처: 저스틴 최 임상심리학 박사 - 2011. 2. 25]
--------------------------------------------------------------------------------------------------------------
[생각해보기]
반응성 애착장애도 대인동기의 결여에 의한 것이라 볼 수 있을까요?

[전문가답변]

자폐증과 유사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 원인이 생득적인 것보다는 후천적인 친애동기,
의존동기, 애착의 결여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대인동기의 결여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 10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 사전퀴즈(O,X)

1. 흔들리는 버스에서 다른 사람의 발을 밟게 되었다. 이는 공격행동이라 할 수 있다.


정답: X
해설: 의도적인 공격동기가 없었으므로 공격행동으로 볼 수 없다.

2. 인간의 욕구에도 위계가 있다.


정답: O
해설: 대표적인 욕구 위계이론으로 Maslow의 욕구 위계이론이 있다.

1 학습목표

1. 대인동기의 의미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2. 동기의 발달과 위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다양한 대인동기의 종류들을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동기의 의미
2. 동기의 위계와 발달
3. 다양한 대인동기

3 학습하기

1. 동기의 의미
• 동기(motive)
ü 특정한 목표를 향해 행동하게 하는 내적 원동력
ü 개인으로 하여금 특정한 목표를 원하게 하고, 이를 이루기 위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하는 심리적 세력
- Keller (1993) : ‘특정한 경험, 목적을 향해 접근하고 회피하는 것에 대한 선택.
얼마만큼의 노력을 쏟아야 할지에 대한 선택. 행동의 방향과 세기에 의해
드러난다’
• 대인동기란(對人動機: interpersonal motives)
ü 인간관계에 임하는 개인의 내면적 욕구

3 / 10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ü 사회적 행동의 원동력 ⇒ 인간관계를 지향하게 하고 사회적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요인

1) 동기의 기능
(1) 목표지향적 행동유발 → 행동의 방향설정
(2) 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추진력과 에너지 제공
(3) 목표지향적 행동을 조절하는 기능 → 행동의 시작, 지속, 종결을 통제함
2) 동기의 구분
(1) 생리적 동기
• 근거가 분명
• 생득적 동기
(2) 심리적 동기
•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된 학습의 영향이 뚜렷한 동기로 사람마다 다른
양식을 지닐 수 있음
(3) 선천적 동기(본능)
• 인간은 오랜 진화의 과정을 통해 생존력을 높이는 많은 행동양식을 유전자 속에
간직하여 후대에 전달해왔음
(4) 후천적 동기
• 후천적인 경험에 의해 학습된 것들
• 선천적 동기도 후천적 경험에 의해서 강화되거나 약화될 수 있음

2. 동기의 위계와 발달
1) Maslow(1954, 1970)의 욕구 위계

4 / 10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1) 전 단계의 욕구가 완전히 충족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음


(2) 하위욕구의 불만족이 유발되면 하위욕구 충족을 위해 퇴행됨

2) Alderfer(1969, 1972)의 3단계 : E.R.G 이론

5 / 10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1) 특정한 욕구가 덜 충족될수록 그 욕구에 대한 갈망은 더 강해짐


(2) 한 욕구가 충족되면 상위 욕구가 일어남
(3) 상위욕구의 충족이 좌절되면 하위욕구가 일어남

3. 다양한 대인동기
• 대인동기의 종류
ü 생물학적 생존동기
ü 의존동기
ü 친애동기
ü 지배동기
ü 성적동기
ü 공격동기
ü 자기존중감과 정체성동기

1) 생물학적 생존동기
• 유기체의 외부, 내부환경의 항상성(생존과 직결)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
동기충족을 위해 타인이 필요
2) 의존동기
(1)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고 보호받으려는 의존적 동기
(2) 태어날 때부터 타인의 보호, 도움이 필요-부모(양육자)의 보호본능을 자극하는 본능적
행동 유발(배냇웃음)
(3) 성인이 되어서도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사랑과 인정을 얻고 보호와 보살핌을 받고자
하는 주요한 대인동기로 발전
(4) 의존동기의 지속적인 좌절은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음

3) 친애동기
• 대등한 위치나 유사상황에 처한 사람들과 가깝게 지내며 친밀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동기
• 친애동기를 지니는 이유(기능)
ü 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 획득(Festinger의 사회비교이론)
ü 불안 완화 역할 불안이 사람들과의 교류를 증진
→ 사회적 교류를 통해 불안을 감소시키고자 함(Schachter의 실험)
ü 공감과 지지 친애동기는 사회적 교류를 통한 긍정적 보상을 얻게 하는
적응적 기능을 지님

6 / 10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4) 지배동기
• 권력 추구욕구, 타인에게 영향력 행사, 자신의 뜻에 복종해주길 원함
5) 성적동기
(1) 이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 이성에 대한 접근행동을 유발
(2) 성 호르몬수준보다 외부적인 성적 단서(외모, 옷차림, 어투, 행동, 분위기 등)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게 됨
(3) 기본적 선천적 동기(Freud)로 보는 견해와 도덕적 규범에 따르는 심리적 동기로 보는
견해
6) 공격동기
• 공격 : 타인에게 해를 가하고자 하는 의도 혹은 방어를 위해 취해진 폭력적 행동
• 공격충동의 원천
ü 본능 : 인간은 공격적 충동을 본능적으로 갖고 태어난다.
- Freud(1920)
ü 욕구좌절-공격이론 :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 달성이 좌절되거나 차단되었을 때
ü 피해(피습) : 타인의 공격적 행동, 도발, 놀림, 괴롭힘 등

(1) 공격행동의 유형
• 친사회적 공격
ü 인가된 공격 즉, 사회규범들이 요구하지는 않지만 그 범위 내에 용인되는
공격 행위들
ex) 자기 방어적 공격, 개체/종족보전 등 적응적 기능
• 반사회적 공격
ü 일상적으로 합의된 사회규범들을 위반한 공격
• 분노적 공격성(angry aggression)
ü 좌절에 대한 반응(미움, 복수심)으로 유발되는 공격성
• 수단적 공격성(instrumental aggression)
ü 재물, 권력 등 현실적 이득을 얻기 위한 방편으로
행해지는 공격
ü 분노나 미움 없이 목표달성을 위한 공격
• 과시적 공격성
ü 자신의 능력을 확인하고 과시하기 위한 공격행동
• 쾌락적 공격성
ü 타인을 괴롭힘으로써 쾌락을 얻기 위한 공격행동

7 / 10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2) 공격행동의 획득경로


• 강화 : 공격적인 아동들이 타인들과의 갈등 상황에서 강압적인 방법을 자주 사용
• 모방(관찰) : 관찰에 의한 공격행동 습득에 관한 연구(Bandura, 1973)
• 가정에서의 아동학대 : 어린시절 학대 받은 아동이 성장 후 공격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

(3) 공격행동의 감소법


• 비폭력교육-비폭력수단의 대처방법 습득
• 정화-운동
• 좌절 경험의 감소
• 처벌의 위협 (사회적 규범)

7) 자기존중감과 정체성동기
(1) 자기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기고자 하는 욕구
• 긍정적 자기평가에 근거 :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긍정적 반응(피드백)을 통해
확인
(2) 자신을 타인과 구분되는 개성 있는 독특한 존재로 인식하려는 욕구
• 일관성 있고 명료한 자기상을 가지려는 욕구(자기확증동기)에 근거
• 다른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독특성을 확인

8 / 10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4 평가하기

1. 친애동기의 기능 혹은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자신에 대한 정보의 획득
② 불안완화
③ 공감과 지지
④ 긍정적 인상형성

정답: ④
해설: 긍정적 인상형성이 대인관계에서 필요하긴 하지만 친애동기의 근원적 기능 혹은
원인이라 보기는 어렵다.

2. 공격충동의 원천이 아닌 것은?


① 본능
② 피해
③ 호기심
④ 욕구좌절

정답: ③
해설: 호기심은 공격충동의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다.

3. 사람들이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기고자 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자기( ) 및 정체성동기

정답: 존중감
해설: 자신을 독특하고 특별하며 가치있는 존재로 여기고 싶은 동기이다.

9 / 10
4주 1차시_대인동기란 무엇인가

5 정리하기

1. 동기의 의미
Ÿ 인간관계에 임하는 개인의 내면적 욕구
Ÿ 동기의 기능
- 목표지향적 행동유발: 행동의 방향설정
- 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추진력과 에너지 제공
- 목표지향적 행동을 조절하는 기능: 행동의 시작, 지속, 종결을 통제함

2. 동기의 위계와 발달
Ÿ Maslow(1954, 1970)의 욕구 위계
- 자아실현의 욕구
- 존중의 욕구
- 애정(사랑/소속)의 욕구
- 생리적 욕구

3. 다양한 대인동기
Ÿ 생물학적 생존동기
Ÿ 의존동기
Ÿ 친애동기
Ÿ 지배동기
Ÿ 성적동기
Ÿ 공격동기
Ÿ 자기존중감과 정체성 동기

10 / 10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 사전퀴즈(O, X)

1. 욕구의 차이도 타고나는 부분이 있다?


정답: O
해설: 일반적으로 부모의 욕구성향이나 강도를 닮는 경우가 많으며 유전적으로 유사할 수록
이러한 성향이 높다.

2. 성적 동기가 성격발달 및 대인관계 등 삶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 O
해설: 프로이드는 성적동기(성 에너지 libido)의 영향력을 주장했다.

1 학습목표

1. 동기의 개인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목표추구 방식에 따른 대인 동기의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애착경험에 따른 대인동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욕구충족경험에 따른 동기의 개인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동기의 개인차
2. 목표추구방식에 따른 대인동기의 차이
3. 애착경험에 따른 대인동기의
4. 욕구충족경험에 따른 동기의 개인차

2/9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3 학습하기

1. 동기의 개인차
1) 동기의 개인차가 발생하게 하는 요인
(1) 선천적 요인
• 유전적 소인의 영향 - 수줍음, 공격성
• 유전적으로 가까운 사람일수록 동기 수준, 강도도 유사
(2) 대인동기의 목표추구방식
(3) 부모와의 애착경험
(4) 욕구의 충족 경험

2) 동기의 수준과 강도에 있어서의 개인차


• 동일한 차원의 동기이더라도 강도가 사람마다 다름

3/9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3) 지속성에 따른 동기의 구분
(1) 만성적 욕구
•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욕구. 일관된 목표추구.
• 개인의 성격, 대인관계 방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경향
(2) 일화적 욕구
• 특정 상황에 나타나는 일시적 욕망상태.
• 상황에 따라 변화.

4) 대인동기와 관련된 인간관계 세 가지 성향


(1) 인간접근적 성향
• 타인에게 접근하여 친밀한 관계형성
(2) 인간회피적 성향
• 인간관계를 회피하고 친밀한 관계 불편해 하고 두려워 함
(3) 인간적대적 성향
• 타인을 경쟁상대나 적으로 느끼게 되어 공격적이거나 지배적 태도. 분노와 적개심
표출

2. 목표 추구 방식에 따른 대인 동기의 차이
1) 능동성 - 수동성의 차원에서의 대인동기차이
• 특정 대인동기 충족을 위해 행동을 스스로 시작하는가 아니면 다른 환경적
요인에 의해 시작하는가
(1) 능동적인 사람
• 대인동기 충족을 위해 스스로 행동의 방향과 계획설정
• 미래에 대해 예상하고 준비하는 경향
(2) 수동적인 사람
• 다른 사람에 의해 시발된 상황에 대해서 반응적으로 행동
• 순응적, 개방적인 태도
2) 접근-회피의 차원
(1) 접근지향적인 사람
• 대인행동 결과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
• 타인들에게 접근적 태도
(2) 회피지향적인 사람
• 대인행동 결과의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
• 타인을 회피하는 행동

4/9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3) 유지지향적인 사람
• 현재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지속시키려는 현상 유지적 태도
• 새로운 행동이나 변화를 통해서 불필요한 혼란과 동요를 경험하려 하지 않음
(4) 변화지향적인 사람
• 현재의 상태에 만족하지 않고, 변화나 개선을 위한 향상 지향적인 태도현재의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도

3. 애착경험에 따른 대인동기
1) 후천적 경험에 따른 동기차이
• 대인 동기는 후천적 경험에 의해 강력한 영향을 받음
(1) Lorenz - 각인(imprinting)
• 동물이 태어나서 처음 접하는 대상에 대해 애착하는 행동 예)부화된 새끼 오리가
어미를 계속 따라다님
(2) Harlow - 새끼 원숭이의 애착행동연구
• 새끼원숭이가 헝겊으로 된 대리모에게 애착행동을 보이고 안정된 탐색활동을
보임 -> 접촉위안

2) 애착형성에 따른 대인행동
• Bowlby -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애착관계가 성장후의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1) 안정된 애착
• 어머니에게 신뢰를 형성하게 되어 자발적이고 독립적으로 바깥세상에 대해
탐색하고 안정된 심리상태를 유지
(2) 불안정한 애착
• 양가적인 애착(일관성 없는 수용과 거부)
• 회피적 애착(일관된 거부)

(3) 대인 동기는 어린 시절의 양육자, 특히 어머니와의 애착경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음
(4) 애착형성은 어머니(주된 양육자)와 자녀의 상호작용의 결과

5/9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4. 욕구충족경험에 따른 동기의 개인차


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에너지 - libido
(1) 욕구충족 경험에 따라서도 대인 동기가 다르게 나타남
(2) Freud는 libido의 몰두 부위에 따라 심리성적인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주장(구강기-
항문기-남근기-잠복기-성기기)
(3) 특정한 발달단계 에서 욕구가 좌절되면,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강한 경향이
지속되어 부적응적인 성격이나 대인관계를 나타낼 수 있음
• 고착, 퇴행

2) 프로이드의 무의식적 동기
• 무의식적 동기(unconscious motivation)
ü 추동(drive)이론 : 인간이 에너지 체계로 구성되어있다는 생각의 기초 정립 →
인간 행동이 libido라는 성적에너지에 의해 활성화 됨
ü 인간의 모든 행동을 유발하는 원천은 무의식적 정신 속에 깊이 잠재되어
있어 의식 수준에서 파악할 수 없지만, 개인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침

3) 프로이드의 성격의 구조모델


(1) 원초아 (Id)
• 쾌락원리(pleasure principle)
ü 현실과 무관하게 만족을 추구. 본능적 충동으로서 쾌락 원칙에 지배를 받고
고통을 회피
(2) 자아 (Ego) - 성격의 집행부
• 현실원리(reality principle)
ü 적당한 대상, 방법이 발견될 때까지 본능적 충동들의 충족을 지연.
ü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규범, 예절을 고려하도록 행동을
통제.
ü 현실 상황과 super-ego의 요구에 맞춰 id의 요구를 만족시키거나 표현하도록
기능하는 id의 봉사자.
(3) 초자아 (Super-ego)
• 도덕원리(moral principle)
ü 사회적 이상이나 도덕적 측면, 양심의 일부분.
ü 사회적 규범이나 관습에 따라 행동하도록 함
→ 양심(conscience) - 잘못된 행동에 대한 처벌을 통해 형성되는 것
→ 자아이상(ego-ideal) - 잘한 행동에 대한 칭찬이나 수용을 통해 형성

6/9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7/9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4 평가하기

1. 부모의 일관성 없는 양육태도에 의해 형성된 애착유형은?


① 안정애착
② 회피애착
③ 양가적인 애착
④ 애정결핍

정답: ③
해설: 양가적 애착은 부모의 비일관된 태도로 인해 부모에 대한 수용과 거부를 함께
나타낸다.

2. 프로이드가 성격의 세 가지 구조로 제시한 것이 아닌 것은?


① ego
② Id
③ Libido
④ Super-ego

정답: ③
해설: Libido는 성격발달의 근원적인 주요 원동력이지만 세가지 성격의 구조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3. 할로우의 원숭이 대리모 실험은 무엇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것 실험인가?

정답: 접촉위안(접촉 위안)


해설: 동물들이 먹이를 중시할 것이라 생각했으나 그보다도 접촉을 통한 안녕감을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9
4주 2차시_대인동기의 개인차

5 정리하기

1. 동기의 개인차
Ÿ 동기의 수준과 강도에서의 개인차이
Ÿ 지속성에 따른 동기의 차이
Ÿ 대인동기와 관련된 성향의 차이

2. 목표추구방식에 따른 대인동기의 차이
Ÿ 능동성: 수동성의 차원에서의 대인동기차이
- 특정 대인동기충족을 위해 행동을 스스로 시작하는가 아니면 다른 환경적 요인에 의해
시작하는가
Ÿ 접근-회피의 차원: 접근지향적인 사람, 회피지향적인 사람
Ÿ 유지-변화의 차원: 유지지향적인 사람, 변화지향적인 사람

3. 애착경험에 따른 대인동기
Ÿ 대인 동기는 후천적 경험에 의해 강력한 영향을 받음
- Lorez: 각인(imprinting)/Harlow: 새끼 원숭이의 애착행동연구
Ÿ 애착형성에 따른 대인행동
- Bowlby: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애착관계가 성장후의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함
안정 애착, 불안정한 애착)

4. 욕구충족경험에 따른 동기의 개인차


Ÿ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에너지: libido
- 욕구충족 경험에 따라서도 대기 동기가 다르게 나타남
Ÿ 프로이드의 무의식적 동기
- 추동(drive)이론(에너지 모형): 인간이 에너지 체계로 구성되어있다는 생각이 기초 정립
Ÿ 프로이드의 성격 구조 모델
- 원초아: 쾌락원리
- 자아: 성격의 집행부
- 초자아: 도덕원리(moral principle) 사회적 이상이나 도덕적 측면
Ÿ

9/9
4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동기

4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동기

• 사전퀴즈(O, X)

1. 대인동기는 대인관계에 필요한 것인데 이것도 지나치면 해가 되는가?


정답: O
해설: 극단적인 대인동기는 오히려 상대에게 부담을 주어 해가 될 수 있다.

2. 주도적인 것처럼 긍정적인 성향도 대인관계에서 해가 될 수 있는가?


정답: O
해설: 상황과 대상에 적합하지 않으면 해가 될 수도 있다.

1 학습목표

1. 부적응적 대인동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극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부적응적 대인동기
2.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유형
3.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극복

2/7
4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동기

3 학습하기

1. 부적응적 대인동기
1)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의미와 종류
(1)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의미
• 대인동기의 내용과 강도, 행동방식의 부적절함으로 인해 부적응을 경험함
(2)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종류

2.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유형
1) 극단적인 대인동기
• 대인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
(1) 주변 사람들에게 과도하게 집착하고 의지,
상대로부터 아무리 사랑과 애정을 받아도 만족하지 못함,
혼자 있는 것을 참지 못하며, 늘 의존대상의 옆에 붙어 있고 싶어함
예) 폭넓은 관계를 가지고자 하는 대인동기가 과한 사람, 의존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
(2)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는 욕구나 의지가 결여되어 친밀한 관계 형성이 어렵다.
→ 고립되고 소외된 대인관계 양상
예) 친애동기가 지나치게 부족한 사람

2) 부적절한 대인동기
• 사회문화적 준거에 적절치 못한 경우
(1) 대인관계상황에서 타인들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어긋나는 동기
→ 사람들을 불편하고 당혹하게 만듦
예) 어른이 되어서도 의존욕구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 리더답지 못한 리더
(2) 대인관계 상대나 상황에 맞는 대인동기가 중요
→ 주도적-지배적인 위치(부모, 선배) : 주도적인 역할
→ 지시와 명령을 받으며 일을 해야 할 상황(어린 동료, 후배) : 순응적이며 추종적인

3/7
4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동기

역할
→ 함께 일하는 상대나 상황에 상관없이 항상 자신이 주도적이고 지배적인 위치에
서고자 하거나 항상 의존적이고 보호받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인간관계에서 갈등 경험
3) 비현실적 대인동기
• 주어진 대인관계 상황에서 실현 불가능한 비현실적인 대인동기를 지니게 되면
대인관계에서 좌절과 불만을 경험
예) 단기간에 새로운 집단의 리더가 되고자 하는 경우, 처음 만난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경우
4) 불균형적 대인동기
• 다양한 대인동기(의존동기, 친애동기, 지배동기, 공격동기, 자기존중감의 동기)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지나친 중요성을 부여할 경우, 원활한 대인관계 지속이
어려움
→ 일반적으로 긍정적 동기로 인식되는 친애동기나 자기존중감의 동기도
지나치게 되면 타인에게 과도하게 애정을 요구하거나 자기중심적이고
자기도취적으로 보일 수 있어 타인들에게 받아들여지기 어려움

3.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극복
• 과도하고 극단적이거나 부적절하고 비현실적인 대인동기들로 인한 문제는
스스로를 불만족스럽고,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들게 됨으로 대인동기의
직접적이거나 의식적인 변화, 혹은 전문가의 도움 등을 통해서 극복하도록 해야

1)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대인동기를 충분히 충족시키기


(1) 특정한 대인동기가 강한 사람은 현실생활 속에서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킬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가 많음
(2) 배가 고플 때 충분한 음식섭취를 통해서 배고픔이 가시듯, 대인동기를 만족시키면
과도하고 부적절하게 나타나지 않음
(3) 개인의 적극적인 노력과 대인관계 스킬의 습득이 요구됨

4/7
4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동기

2) 의식적인 조절을 하는 방법
(1)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지닌 사람의 특징
• 자신의 지나치고 부적절한 대인동기로 인해 불만스런 인간관계가 초래된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하고 타인이나 상대를 탓함

(2) 스스로의 자각이 가장 중요


• 자신의 부적절한 대인동기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져보고 이를 인정하는 것이 필요
→ 자신의 인간관계 방식을 스스로 관찰하여 이러한 동기가 내재하고 있음을
자각
→ 부적절한 대인동기가 왜, 어떻게 불만족스러운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초래하는지를 깊이 이해
→ 자각과 이해의 바탕 위에서 의식적으로 대인동기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시도,
노력하여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움

3)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방법
• 대인동기의 변화를 위한 개인적인 노력이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에는
심리상담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
• 전문가들은 문제를 야기하는 부적절한 대인동기를 자각하도록 도와주고
대인동기의 충족과 변화를 위한 전문적 지식과 방법을 제공
• 전문가와의 신뢰로운 관계를 통해 대인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고 대인동기의
의식적인 조절을 위한 구체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음

5/7
4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동기

4 평가하기

1. 극단적인 대인동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의존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
② 지나치게 폭넓은 대인관계를 추구하는 사람
③ 친애동기가 지나치게 부족한 사람
④ 지나치게 주도적인 후배

정답: ④
해설: 지나칠 정도로 주도적인 후배는 부적절한 대인동기로 보아야 한다.

2.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해결책이 아닌 것은?


① 현실에서 대인동기를 충족시키기
② 의식적인 노력을 하기
③ 시간적인 여유를 가져보기
④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

정답: ③
해설: 시간을 보낸다고 부적응적 대인동기로 인한 대인관계의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3. 단기간에 새로 가입한 집단의 리더가 되고자 하는 부적응 적 대인동기는 무엇인가?


( )대인동기

정답: 비현실적(비현실)
해설: 아직 관계 맺음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히려 거부감을 줄 수 있으며
현실적으로 실현하기가 어렵다.

6/7
4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동기

5 정리하기

1. 부적응적 대인동기
Ÿ 대인동기의 내용과 강도, 행동방식의 부적절함으로 인해 부적응을 경험함
Ÿ 극단적인 대인동기
Ÿ 부적절한 대인동기
Ÿ 비현실적 대인동기
Ÿ 불균형적인 대인동기

2.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유형
Ÿ 극단적인 대인동기: 대인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
- 의존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
- 대인동기가 지나치게 결여되어 있는 사람
Ÿ 부적절한 대인동기: 대인관계상황에서 타인들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어긋나는 동기
à 사람들을 불편하고 당혹하게 만듦
Ÿ 대인관계 상대나 상황에 맞는 대인동기가 중요
Ÿ 비현실적인 대인동기
Ÿ 불균형적인 대인동기

3.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극복
Ÿ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대인동기를 충분히 충족시키기
Ÿ 의식적인 조절을 하는 방법
Ÿ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방법

7/7
5주 1차시_대인신념

5주 1차시_대인신념

• 오늘의 사례_자신을 사랑할 줄 모르는 아이들 책상 위에 살포시 고전을


--------------------------------------------------------------------------------------------------------------
“자신을 알라고 명하는 자는 우리에게 영혼을 알라고 시키는 걸세. 그러니 신체에 속하는 것들을
아는 사람은 자신에게 속하는 것들을 아는 사람이지, 자신을 아는 사람은 아닐세.” 플라톤의
《알키비아데스》에 나오는 소크라테스의 논증이다. 소크라테스는 서양사상 최초로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을 얻어냈다. 이는 요즘 단어로 하면 ‘자존감’에 대한 질문이다. ‘동·서양
고전탐험가’ 김이수 씨가 본 청소년 문제의 근본적 원인은 바로 자존감 부족이다. 자존감의
정의는 ‘자신이 사랑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소중한 존재라 믿는 마음’. 이런 자존감의 결핍 탓에
쉽게 좌절하고 타인에게 폭력을 가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너 자신을 알라’고 했던 소크라테스부터
‘생각하는 인간’을 발견해낸 데카르트, ‘자기 긍정의 철학자’로 불리는 니체까지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 대해 물어온 서양 철학자들을 통해 홀로 서는 힘을 기를 수 있다는 얘기다.

<중략>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먼저 없어져야 할 것’을 묻는 질문에 대한 청소년들의 답은


왕따나 폭력, 사교육이 아닌 ‘학교’였다. 책상 위에 고전이 놓여 있는 학교라면 청소년들의 생각이
조금은 바뀌지 않을까?
한국경제 박한신 기자
--------------------------------------------------------------------------------------------------------------
[생각해보기]
여러분은 자신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전문가답변]

대인관계에서도 자신에 대한 이해는 무척 중요합니다.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나가는 것은 자신과 현대사회에서의 적응을 위해서도 무척
중요합니다. 고전을 바탕으로 자신을 비추어보는 것도 좋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2/8
5주 1차시_대인신념

• 사전퀴즈(O, X)

1. 자기에 대한 신념도 대인신념에 포함될 수 있다.


정답: O
해설: 자신에 대한 신념, 넓게는 인류에 대한 신념도 대인신념에 포함될 수 있다

2. 자기개념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


정답: X
해설: 자신이 생각하는 신념뿐만 아니라 타인들의 피드백에 의해서도 형성됨으로 절대
변화되지 않는 다고 단언할 수는 없으나 쉽게 변하기는 어려운 특성이다.

1 학습목표

1. 대인신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대인신념의 영역 및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자기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대인신념이란
2. 대인신념의 영역 및 내용
3. 자기개념이란

3 학습하기

1. 대인신념이란
1) 대인신념의 의미
(1) 신념(信念) : 개인이 옳다고 믿는 지적 이해나 믿음, 굳게 믿는 마음
(2) 대인신념(interpersonal beliefs) : 대인관계와 대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신념
• 과거의 대인관계 경험을 체계화한 기억내용
• 미래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지적인 바탕이 됨

2) 대인신념의 속성
(1) 과거의 직·간접적 인간관계 체험에 근거하여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안정된 사고내용을 개인이 굳게 믿는 믿음

3/8
5주 1차시_대인신념

(2) 새로운 인간관계 상황에 대한 기대와 예측의 근거


(3) 새로운 경험의 의미를 해석, 평가하는 근거

2. 대인신념의 영역 및 내용
1) 대인신념의 영역

2) 대인신념의 내용
(1) 이상적 인간관계에 대한 신념
• 폭넓은 인간관계 vs 소수의 인간관계
• 지지적 관계 vs 평가적 관계
• 밀접한 관계 vs 비구속적 관계
(2) 인간관계가 얼만큼 중요한가에 대한 신념
• 사람 사이의 벽은 넘을 수 없으므로 필요한 만큼만 투자하는 것이 좋음 vs
사람들과의 대인관계는 인생의 전반에 걸쳐 자신의 삶에 큰 영향력을 주는
중요한 것인 만큼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3) 친밀한 인간관계를 맺는 방법에 대한 신념
• 의도적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는 사람 vs 지속적 관심과
노력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고 믿는 사람
(4) 중시하는 인간관계의 영역
• 가족, 우정, 이성, 동료관계
예) 가족 외에는 결국 남는 사람이 없음

4/8
5주 1차시_대인신념

3. 자기개념이란
1) 자기개념(self-concept)의 의미
(1) 자신에 관해 갖고 있는 모든 추론과 아이디어의 집합
(2) 자신에 관한 신념체계
(3)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저장하고 자신을
평가한 지적 인식과 평가 내용으로 구성

• Markus & Wurf(1987) :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이고 외현적인 특성 그 자체와


그에 대한 자신의 관념을 포함한 것으로 지속성과 순간성을 모두 지닌 역동적인
개념이다’
• Rosenberg(1979) :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여러 가지 신념들의
집합(Rosenberg, 1979).’
• Markus & Wurf(987) :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이고 외현적인 특성 그 자체와
그에 대한 자신의 관념을 포함한 것으로 지속성과 순간성을 모두 지닌 역동적인
개념이다’
• Mead(1934) :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자기지식의 중요한 출처는 사람들이 주고받는
사회적 피드백이다.”
• James : “자기는 의식되는 대상인 동시에 의식의 주체이다.”

2) 자기개념의 특성
(1) 자기개념은 고정되어있지 않지만 쉽게 변화하지 않음 - 안정성과 역동성
(2) 자기개념은 기술적이며, 규정적임(Jourard, 1974)
• 기술적 속성 - 과거의 행동패턴을 서술함
• 규정적 속성 - 자기개념과 일치하게 행동하려 하기 때문에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3) 자기개념은 다면적 구조를 지님
(4) 자기개념은 대인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5/8
5주 1차시_대인신념

3) 자아(Self)의 구성개념

(1) 물질적 자아(material self)


• 나의 육체와 그 특성. 나의 소유물
• 가시적이고 물질적 측면들
• 나의 영역 혹은 어떠한 물체처럼 파악되어 신체가 중심부에 위치하고 집, 소유물
등으로 확장
• 이러한 것들이 경험적 자기를 구성하기 때문에 '자기'의 일부로 간주됨
• "자신의 것으로 부를 수 있는 모든 것의 총합"

(2) 사회적 자아(Social self)


•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나의 위치와 신분
• 동료 혹은 타인들로부터 얻는 인정, 평가들을 지칭
• 연인, 친구, 동료들로부터의 사랑, 명성, 명예들......

(3) 심적 자아(Spiritual self)


• 개인의 내면적, 주관적 특성
• 성격, 정신적 능력, 적성, 취향, 정서 등 심리적 속성들

6/8
5주 1차시_대인신념

4 평가하기

1. 대인신념의 속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과거경험에 근거하게 된다.
② 새로운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는 근거가 된다
③ 새로운 관계에 대한 기대의 근거가 된다.
④ 새로운 관계에 의해 새롭게 구성된다.

정답: ④
해설: 대인신념도 변화될 수는 있지만 기존의 경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2. 자아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사회적 자기
② 심리적 자기
③ 이타적 자기
④ 물질적 자기

정답: ③
해설: 이타적 자기는 자아구성요소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3. 사람들이 자기개념과 일치하게 행동하고자 하는 것은 자기개념의 어떤 속성 때문인가?


( )속성

정답: 규정적
해설: 자기개념과 일치하도록 행동하려는 것은 미래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며,
자기확증경향과도 관련된다.

7/8
5주 1차시_대인신념

5 정리하기

1. 대인신념이란
Ÿ 대인관계와 대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신념임
Ÿ 과거의 대인관계 경험을 체계화한 기억내용임
Ÿ 미래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지적인 바탕이 됨

2. 대인신념의 영역 및 내용
Ÿ 인간관계자체에 대한 신념
Ÿ 자기자신에 대한 신념(자기 개념, self-concept)
Ÿ 타인 및 일반적 인간에 대한 신념(인간관, human-view)
Ÿ 이상적 인간관계에 대한 신념
Ÿ 인간관계가 얼만큼 중요한가에 대한 신념

3. 자기개념
Ÿ 자신에 관해 갖고 있는 모든 추론과 아이디어의 집합
Ÿ 자신에 관한 신념체계
Ÿ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저장하고 자신을 평가한
지적 인식과 평가 내용으로 구성함

8/8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 사전퀴즈(O, X)

1. 자존감은 스스로가 내리는 평가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 X
해설: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뿐 아니라 타인의 피드백도 영향을 미친다.

2.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정답: X
해설: 자존감은 자신에 대한 전반적 평가, 효능감은 능력에 대한 평가로 한정된다.

1 학습목표

1. Self의 구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자기존중감(self-esteem)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타인에 대한 신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의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고정관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Self의 구조
2. 자기존중감(self-esteem)
3. 타인에 대한 신념
4.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의 관계
5. 고정관념

2/9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3 학습하기

1. Self의 구조
1) self의 다면적 구조 - Higgins(1987)

(1) 현실적 자기(real self)


• 현재의 나에 대한 정보
• “나는 똑똑한 사람이다”
(2) 이상적 자기(ideal self)
• 이상적으로 되기를 바라는 자신
• “나는 똑똑한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3) 의무적 자기(ought self)
• 나에게 중요한 사람들로부터 기대되거나 당연히 지녀야 한다고 느끼는 나의 모습
• “나는 성공해야 한다”
(4) 가능한 자기(possible self)
• 노력하면 가능하다고 보는 나의 모습
• “나는 성공할 수 있다”

2) 자기개념 간 괴리의 문제
(1)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괴리
• 좌절감과 무력감, 실패, 폭식
(2) 현실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괴리(당위적 자기)
• 불안과 부담, 거식
(3) 가능한 자기의 중요성
• 현실적 자기가 이상적 자기나 의무적 자기와 괴리가 있더라도 자신감,
자기효능감이 있으면 극복가능

3/9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2. 자기존중감(self-esteem)
1) 자기존중감이란
(1) 자기존중감
• 자기개념의 평가적 차원을 지칭함
(2) 자존감의 출처
• 개인이 타인으로부터 받는 평가적 피드백
• 자신의 효능성과 성공(실패)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
(3) 자존감 수준
• 높은 자존감 : 자신에 관한 일관성 있고 안정적 견해, self-enhancement 동기
• 낮은 자존감 : 불안정, 불확실 통합되지 않은 자기개념을 지님, 외부영향에
취약, self-protective 동기

2) 자존감 척도(Self-esteem scale)

4/9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3. 타인에 대한 신념
1) 타인에 대한 신념이란
(1) 타인에 대한 신념
• 타인에 대한 생각과 타인의 속성에 대한 믿음
(2) 타인의 행동을 예상하는 바탕
• 타인에 대한 신념→대인행동에 영향→인간관계에 영향
• ‘타인에 대한 심리적 표상’
(타인이 어떤 심리적 속성과 의도를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와 믿음)은
대인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됨

2) 타인에 대한 신념의 종류

(1) 특정한 타인에 대한 신념


• 특정한 타인에 대해서 지니는 신념으로 ‘의미 있는 타인’에 대한 신념은 삶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음
(2) 특정한 집단에 대한 신념
• 여러 기준에 의해 나누어진 집단의 속성에 대한 신념으로 지역출신집단,
직업집단, 계층집단, 연령집단 등에 대한 신념 -> 고정관념
(3)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신념
• 인간은 기본적으로 선한 성품과 양심을 지니고 있어서 신뢰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념"과 인간은 기본적으로 이기적이고 약하며 믿기 어려운 존재라는
"부정적인 신념"
• 긍정적인 신념 : 타인에게 호의적이고 접근적인 태도 유발
• 부정적인 신념 : 타인에 대해 회피적이고 적대적인 태도 유발

5/9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4.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의 관계
1) 자기효능성과 타인의 호의성 신념
(1) 자기효능성 신념(self-efficacy belief)
• 특정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강-약)에 대한 지각된 신념
(2) 타인의 호의성 신념 : 호의성 ↔ 적대성
(3) 자기효능성과 타인호의성의 상호작용 →대인행동
• 자신에 대한 효능성 신념(자기 능력의 강*약)+타인에 대한 호의성 신념(호의성과
적대성)

2) 효능성 신념과 호의성 신념 2×2에 따른 네 가지 유형

(1) 확신형(강한 자기 + 호의적 타인)


• 긍정적 자기개념(자신감 있고 능동적), 안정된 대인행동 (접근적인 사회적 행동)을
나타냄
(2) 의존형(약 한자기 + 호의적 타인)
• 소극적, 수동적이며 타인에게 의존적인 행동패턴
• 타인의 공격이나 거부에 쉽게 상처받으며 자기자신을 비하하는 취약성을 가지고
있음
(3) 수용형 / 반항형(강한 자기 + 적대적 타인)
• 수용형 : 어려움과 불만을 조용히 참는 행동패턴 내면적으로는 자신감에 참
• 반항형 : 분노나 적개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행동패턴
(4) 무기력형(약 한자기 + 적대적인)
• 대인관계에 대한 동기가 미약하고 부정적인 결과 예측
• 흔히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양상을 보이며 심리적 장애의 위험

6/9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5. 고정관념
• 고정관념이란(Stereotypes)
ü 특정 집단의 사람들에 관하여 널리 공유되는 과잉 단순화된 신념
ü Lippman(1992) : 사람들은 어떤 대상을 성, 인종, 국적 등에 따라 분류하고
같은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은 비슷한 심리적, 행동적 특성들을 공유하고 있을
것이라고 여기고 이를 개인에게 적용하고자 한다
ü 성 고정관념
ü 민족 고정관념과 인종 고정관념
ü 직업적 고정관념
ü 지역적 고정관념
ü 외모에 따른 고정관념

7/9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4 평가하기

1. Self의 구성개념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이상적 자기
② 현실적 자기
③ 무의식적 자기
④ 가능한 자기

정답: ③
해설: 무의식은 프로이드가 제안한 성격의 지형학적 모델에 속하며 히긴스의 구성개념은
의무적 자기가 추가된다.

2. 다음 중 고정관념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성별(sex)
② 인종
③ 컬러(color)
④ 외모

정답: ③
해설: 컬러는 개인의 선호이지 고정관념에 속하지는 않는다.

3. 자기개념의 전반에 대한 평가적 개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자기 존중감(자기존중감)
해설: 사람됨이나 능력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평가적 개념이다.

8/9
5주 2차시_자기(self)에 대한 이해와 타인에 대한 신념

5 정리하기

1. Self의 구조
Ÿ 현실적 자기(real self)
Ÿ 이상적 자기(ideal self)
Ÿ 의무적 자기(ought self)
Ÿ 가능한 자기(possible self)

2. 자기존중감(self-esteem)
Ÿ 자기개념의 평가적 차원을 지칭

3. 타인에 대한 신념
Ÿ 타인에 대한 생각과 타인의 속성에 대한 믿음
Ÿ 그 종류에는 특정한 타인에 대한 신념, 특정한 집단에 대한 신념,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신념이 있음

4. 자기개념과 타인신념의 관계
Ÿ 긍정적 자기 개념(자신감 있고 능동적), 안정된 대인행동(접근적인 사회적 행동)을
나타내는 확신형
Ÿ 어려움과 불만을 조용히 참는 행동패턴, 내면적으로는 자신감에 찬 수용형
Ÿ 분노나 적개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행동패턴을 보이는 반항형
Ÿ 소극적, 수동적이며 타인에게 의존적인 행동패턴의 의존형
Ÿ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적인 양상을 보이며 심리적 장애의 위험을 보이는 무기력함

5. 고정관념
Ÿ 특정 집단의 사람들에 관하여 널리 공유되는 과잉 단순화된 신념

9/9
5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신념

5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신념

• 사전퀴즈(O, X)

1. 긍정적인 편견도 있을 수 있다.


정답: O
해설: 편견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경우가 익숙하지만 봉사자처럼 긍정적 편견도 있다.

2. 고정관념과 편견은 같은 의미이다.


정답: X
해설: 고정관념은 인지적인 신념이지만 편견은 이에 정서적인 판단이 포함된 개념이다.

1 학습목표

1. 부적응적 대인신념의 유형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부적응적 대인신념을 고치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부적응적 대인신념의 극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부적응적 대인신념과 유형들


2. 부적응적 대인신념을 고치기 어려운 이유
3. 부적응적 대인신념의 극복

2/7
5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신념

3 학습하기

1. 부적응적 대인신념과 유형들


1) 부적응적 대인신념의 의미와 유형
• 부적응적 대인신념
ü 일상에서 부적응적일 정도로 비현실적인 완고하고 경직된 사고들로 인해
원만하고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방해하는 신념들
ü 유형 : 부정적 대인신념, 왜곡된 대인신념, 경직된 대인신념
2) 부정적 대인신념
• 자신과 타인, 인간관계자체에 대한 회의적, 비관적, 적대적 신념
예) 편견
(1) 자신에 대한 부정적 신념
• 나는 무능하다.
• 나는 무가치한 사람이다.
• 나의 외모는 호감을 주지 못한다.
• 나는 사랑 받지 못할 사람이다.
(2) 타인들에 대한 부정적 신념
• 사람은 누구나 이기적이어서 이용만 한다.
• 사람들은 예의가 없고 무례하다.
(3) 인간관계에 대한 부정적 신념
• 인간관계는 무의미하다.
• 사람 사이에는 넘지 못할 벽이 있다.
• 인간관계는 서로 상처만 주게 된다.
• 인간관계는 서로 속고 속이는 과정일 뿐이다.
(4) 편견 (prejudice)
•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
• 일종의 태도, 신념같이 작용하며 대인교류 및 집단간 교류에 깊은 영향을 미침
• 자신의 내집단 중심적이고 고정관념적인 사고의 제한 점을 깨닫지 못한 인간의
무능력함으로 인해 발생
(5) 편견 (prejudice)의 두 가지 요소
• 인지적인 요소 : 고정적인 믿음, 견해, 타인에 대한 태도 등
• 감성적인 요소 : 다른 그룹의 사람들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
(화, 모욕, 분노, 멸시 혹은 동정, 공감, 친밀성 등)

3/7
5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신념

3) 왜곡된 대인신념이란
• 자기체험에 근거한 부족하거나 잘못된 정보와 지식에 근거한 신념
ü 부족한, 잘못된 정보와 지식에 근거 : 책이나 미디어를 통해 얻은 파편적인
간접적 정보에 근거함
ü 자기체험에 대한 왜곡된 해석에 근거 : 협소한 자기 체험을 과잉일반화 하여
단정적으로 해석함.
예) 과일반화의 오류 : 소수의 사례를 다수의 모집단에게 적용하여
일반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4) 경직된 대인신념
• 현실 속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당위적, 절대주의적, 완벽주의적인 융통성 없는
완고함
• “…해야만 한다.”, “…해서는 안 된다.”
• “인간관계는 항상 따뜻하고 믿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인간이라면 절대로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 “사랑은 열정적이어야만 한다.”
• “나는 항상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한다.”
ü 이로 인해 현실상황에서 쉽게 좌절하거나 절망하게 됨

2. 부적응적 대인신념을 고치기 어려운 이유


• 부적응적 대인신념은 과거의 경험과 지식의 결과로 내면화된 것이므로 자각하기
어려움
• 자각한다 하더라도 본인에게는 ‘당연하고 자명한 것’으로 느껴짐
예) “그렇긴 하지…그렇지만 그건 너무나도 당연해.”
1) 부적응적 대인신념의 극복 방법
• 1단계 : 문제가 되는 대인신념에 대한 자각
• 2단계 : 신념의 사실성, 현실성, 유용성에 대한 자문과 논박
• 3단계 : 유연하고 적응적 신념으로의 대체
(1) 1단계 - 대인관계 문제를 야기하는 대인신념을 탐색하여 자각한다.
• “내가 내 자신에게, 또는 타인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 “왜 나는 자신 있게 타인 앞에 나서지 못하는가?”
• “왜 나는 인간관계에서 불편함과 불안을 경험하는가?”
• “왜 나는 타인보다 우월하고 지배적인 위치에 서기를 원하는가?”
• “왜 나는 타인과 친밀해지는 것을 회피하는가?”

4/7
5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신념

(2) 2단계 - 지각된 신념의 사실성, 현실성, 유용성의 측면에서 자문하고 논박한다.
• “과연 나는 못나고 무능한가?”, “그래서 남들이 항상 나를 싫어하고 거부할
것인가?” → 이것이 사실인가?
• “항상 타인에게 완벽하게 보여야 하고 타인보다 우월해야 하는 내 욕구가 과연
실현 가능한가?” → 현실에 맞는 얘기인가?
• “친밀해지면 상대방이 나를 구속할 것이라는 생각이 나의 인간관계에서의
소외감과 고독감을 극복하는데 과연 도움이 되고 있는가?” → 유용한가?

(3) 3단계- 보다 유연하고 적응적인 신념으로 대체한다.


• “나는 사실 특정한 측면에서 부족해서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주지 못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항상 모든 사람이 나를 싫어하고 거부할 것인가? 내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서 상대방의 반응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 “나는 완벽하고 우월해지고 싶다. 그러나 불완전한 인간인 내가 항상 모든
사람들에게 완벽하고 우월한 존재로 보여질 수 있겠는가?
• 설혹 불완전하고 우월하지 못한 모습으로 비쳐진다고 해서 과연 나에게 어떤
치명적인 결과로 돌아올 것인가?”

(4) 그 외에 부정적인 대인신념의 변화가능성


• 새로운 인간관계 속에서 만족스런 체험을 하게 되면 변화가능 함
•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서도 변화가능 함

5/7
5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신념

4 평가하기

1. 부적응적 대인신념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부정적 대인신념
② 희화된 대인신념
③ 왜곡된 대인신념
④ 경직된 대인신념

정답: ②
해설: 희화된 대인신념은 인간관계에서 유희적 역할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한다면 문제시
되지 않는다.

2. 부적응적 대인신념을 극복하는 2단계에 신념의 논박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신념의 확실성
② 신념의 사실성
③ 신념의 유용성
④ 신념의 현실성

정답: ①
해설: 경직된 대인신념이 문제 되는 사람의 경우에는 확실성을 객관화 하기가 어렵다.

3. 공정치 못하게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을 일반적으로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편견
해설: 일종의 부정적 대인신념에 속하게 된다.

6/7
5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신념

5 정리하기

1. 부적응적 대인신념의 유형들


Ÿ 일상에서 부적응적일 정도로 비현실적인 완고하고 경직된 사고들로 인해 원만하고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방해하는 신념들을 말함
Ÿ 부정적 대인신념, 왜곡된 대인신념, 경직된 대인신념이 있음

2. 부적응적 대인신념을 고치기 어려운 이유


Ÿ 부적응적 대인신념과 과거의 경험과 지식의 결과를 내면화된 것이므로 자각하기 어려움
Ÿ 자각한다 하더라도 본인에게는 ‘당연하고 자명한 것’으로 느껴짐

3. 부적응적 대인신념의 극복 방법
Ÿ 1단계: 문제가 되는 대인신념에 대한 자각
Ÿ 2단계: 신념의 사실성, 현실성, 유용성에 대한 자문과 논박
Ÿ 3단계: 유연하고 적응적 신념으로의 대체

7/7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 오늘의 사례_“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
“13년 연속 와튼스쿨 최고 인기 강의로 평가 받은 스튜어트 다이아몬드 교수의 강의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가 출간되자 많은 세상의 이목을 끌었다.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는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알려주고, 이를 실제로 활용한 학생들의 예로 입증하는 형식을 취한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책에서 자신의 컨설팅을 받은 고객이나 학생들의 실명을 사용하여 이보다 더
확실한 검증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이아몬드 교수에 따르면, 진정한 협상이란 ‘상대의
감정이 어떤지 헤아리고 기분을 맞춰가면서 호의적인 분위기를 조성한 뒤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표준이나 프레이밍을 활용하는 것, 가치가 다른 대상을 교환하는 것 등은 이것이 제대로
행해졌을 때 효과를 발휘하는 하위 전략들이라고 역설하고 있다.
--------------------------------------------------------------------------------------------------------------
[생각해보기]

여러분 의사소통이 꼭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함 일까요?

[전문가답변]

책 제목이 원하는 것을 얻는다 하여 실리적인 느낌이 다소 들지만 실상 우리의 인간관계에서는


나를 표현하고 타인을 이해하는 것, 이것을 통해 서로의 협의점을 찾는 것 자체가 광의적으로는
사람과 사람간의 협상의 과정이고 소통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삶에서도 이러한
소통의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2/9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 사전퀴즈(O, X)

1. 의사소통 시에 언어적인 메시지가 주를 이룬다?


정답: X
해설: 비언어적인 메시지가 약 90%에 달할 정도로 주를 이룬다.

2. 상대방과의 거리도 비언어적인 소통인가?


정답: O
해설: 가깝고 친밀할수록 거리가 좁다.

1 학습목표

1. 대인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비언어적 대인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자기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대인기술
2. 비언어적 대인기술
3. 자기개념이란

3 학습하기

1. 대인기술
• 대인기술의 의미
ü 대인기술(interpersonal skill) : 인간관계를 위한 사교적 능력
- Phillips(1978)가 규정하는 대인기술
- Michelson(1983)이 제안하는 대인기술

1) Phillips(1978)가 규정하는 대인기술


(1) 권리, 요구, 만족, 의무 등 자신이 원하는 바를 대인관계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하되
타인의 권리, 요구…등은 손상시키지 않는 행동능력
(2) 자신의 의도(마음)를 잘 전달하면서 상대의 의도를 잘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
(3) 나와 상대가 모두 이득을 얻고 만족하게 되는 언어적 비언어적인 기술

3/9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2) Michelson(1983)이 제안하는 대인기술


(1) 대인기술은 학습을 통해 획득 된다.
(2)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으로 구성된다.
(3) 대인기술의 적절성과 효과는 행위자, 상대방, 상황의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4) 타인으로부터의 사회적 보상을 극대화 한다.
(5) 대인기술의 적절성은 인간관계에서의 긍정적 성과에 의해 평가 될 수 있다.

2. 비언어적 대인기술
•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
ü 신체언어 (얼굴표정, 눈맞춤, 제스처, 포옹)
- 동작학(kinesics) : 신체언어(얼굴표정, 눈맞춤, 제스처, 포옹)
- 근접학(proxemics) : 사회적 거리, 세력권(장소, 상황, 분위기)
- 준언어(paralanguage) : 억양, 어조(말의 강약, 음색)

3. 자기개념이란
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 및 특징
(1) 언어적 표현을 대체- 여러 하위 채널 이용
(2) 언어적 전달의 강조, 보충
(3) 대화의 흐름을 조절하고 규제
(4) 덜 명료한 경향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해석
(5) 비교적 자발적임(통제하기 어렵다)
(6)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음(문화-규정적)
(7) 언어적 메시지와 모순될 수 있음
→ 사람들은 비언어적 신호(메시지)를 더 믿으려는 경향이 있음

4/9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종류

(1) 안면 표정
• Ekman(1971, 1975)-안면 표정연구(행복, 슬픔, 노여움, 두려움, 놀람, 혐오)
→ 다른 문화권에서도 비교적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
• 위장 - 감정을 억압하거나 허위로 나타냄
• 조절 - (노력과 훈련을 통해-배우, 탤런트)실재 경험하는 감정을 의식적으로 통제
• 얼굴 표정은 잘 속일 수도 있음(포커페이스)
• 얼굴표정을 잘 조절하는 것뿐만 아니라 잘 지각하는 것도 필요

(2) 눈 접촉(eye-contact)
• 지속시간(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ü 말할 때보다 들을 때 더 많음
ü 여성>남성
ü 눈 접촉을 회피하는 것은 거짓말(자신감 결여, 무관심) 표시로서 판단하는
경향이 있음
ü 불쾌한 상호작용, 사적 공간의 침해 시 줄어듦
• 대인매력의 감정과 밀접하게 관련
ü 친절한 만남에서 多
ü 연인들 간에 多, 연애감정의 표현(애정의 교환)에 많이 사용되어왔고, 성적
흥미의 신호로도 사용
ü 호감과 관심의 지표

5/9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 눈 접촉 시 주의사항
ü ‘깔보는’ 응시는 불안이나 열등감을 일으키게 할 수 있음
ü 상대의 눈을 지나치게 빤히 쳐다보는 것은 무례한 행동이 될 수 있음 →
어색함과 불편함을 유발
ü 적절한 응시는 타인의 동의를 구하는데 도움이 됨
ü 대화의 흐름을 조절 → 눈 접촉을 줄임으로써 대화가 지겹다거나, 주제를
바꾸고자 한다거나 회피할 수 있음

(3) 자세(몸동작)
• 상황에 대한 이완된 감정이나 긴장수준과 서로 연합됨
ü Goffman - 높은 지위의 사람은 조심성 없고 편안한 자세, 낮은 지위의(더욱
긴장된 사람)사람들은 덜 편안한 자세를 취함
• 자세는 상대에 대한 태도(attitude)를 나타냄
ü 앞으로 기대는 것은 관심과 긍정적 태도
ü 시선을 돌리고 몸을 틀거나 팔짱을 끼면 부정적 태도
ü 자신을 과신하거나 상대에 대해 지배적인 사람은 가슴을 펴고 목에 힘을
주는 자세를 취함

(4) 신체적 접촉
• 여러 가지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
ü 친밀감의 표현 - 손잡기, 어깨동무
ü 애정표현의 중요 수단 - 키스, 포옹
ü 지배와 종속의 관계 표현 - 머리 쓰다듬기, 등 두드림

(5) 공간 활용
• 사적 공간(personal space)
ü 개인을 둘러싼 인접 지역. 자신에게 속해 있다고 생각하는 공간. 이 영역
안으로 타인이 들어오면 불편감과 위협감을 느낌
ü 개인의 문화적 배경, 사회적 지위, 성격, 나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 有
ü 내향성의 사람들이 더 큰 완충지대를 가지고 있음 – 심리적 불편감 경험
• 거리와 관계
ü 유사한 사회적 지위를 가지거나, 서로 좋아하는 경우 더 가까운 거리를
유지함

6/9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ü 심리적으로 가까운 사람들은 물리적으로도 가깝다.

ü Edward Hall(1966) - 네 개의 거리지대


ü 친밀한 거리(0~45cm) - 부모와 자녀, 연인간의 아주 친밀한 관계
ü 개인적 거리(45~120) - 보통의 친구들간의 적정한 거리
ü 사회적 거리(120~210) - 대부분의 사회적 상호작용
ü 공적 거리(210~280) - 무례하지 않고 공식적이고 비개인적인 거리

7/9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4 평가하기

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동작학적 관점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것은?


① 표정
② 눈맞춤
③ 말의 강약
④ 자세

정답: ③
해설: 말의 세기는 준언어적 영역에 속한다.

2. Eye-contact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일반적으로 남성이 많이 한다.
② 관심의 표현이다.
③ 말할 때 더 많이 한다.
④ 대화의 흐름을 조절한다.

정답: ①
해설: 일반적으로는 여성들이 많이 하며 첫 만남일 경우는 남성들이 많이 하기도 한다.

3. 거리는 관계적 특성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공적인 관계들은 어떤 거리를


유지하는가?

정답: 사회적 거리
해설: 대부분의 사회적이고 공식적인 만남에서의 유지거리이다.

8/9
6주 1차시_대인기술과 비언어적 대인기술

5 정리하기

1. 대인기술
Ÿ 권리, 요구, 만족, 의무 등 자신이 원하는 바를 대인관계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하되 타인의
권리, 요구…등은 손상시키지 않는 행동능력
Ÿ 자신의 의도(마음)를 잘 전달하면서 상대의 의도를 잘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
Ÿ 나와 상대가 모두 이득을 얻고 만족하게 되는 언어적 비언어적인 기술

2. 비언어적 대인기술
Ÿ 신체언어(얼굴표정, 눈맞춤, 제스처, 포옹)를 뜻함
Ÿ 동작학: 신체언어(얼굴표정, 눈맞춤, 제스처, 포옹)
Ÿ 근접학: 사회적 거리, 세력권(장소, 상황, 분위기)
Ÿ 준언어: 억양, 어조(말의 강약, 음색)

3. 자기개념이란
Ÿ 언어적 표현을 대체: 여러 하위 채널 이용
Ÿ 언어적 전달의 강조, 보충
Ÿ 대화의 흐름을 조절하고 규제함
Ÿ 덜 명료한 경향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해석함
Ÿ 비교적 자발적임(통제하기 어려움)
Ÿ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음(문화-규정적)
Ÿ 언어적 메시지와 모순될 수 있음

9/9
6주 2차시_언어적 대인기술

6주 2차시_언어적 대인기술

• 사전퀴즈(O, X)

1. 말하기를 잘하기 보다 오히려 듣기를 잘하는 것이 어렵다?


정답: O
해설: 말을 잘 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지만 타인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경청이 더 어렵다고
보고되고 있다.

2. 유머는 항상 사람들에게 기쁨을 전달해준다?


정답: X
해설: 때와 장소,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유머는 오히려 분위기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1 학습목표

1. 경청하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질문하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반영하기와 공감하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설명하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강화주기(reinforcement)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자기공개하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7. 자기주장하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8. 유머: 농담하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경청하기
2. 질문하기
3. 반영하기와 공감하기
4. 설명하기
5. 강화주기
6. 자기공개하기
7. 자기주장하기
8. 유머: 농담하기

2/8
6주 2차시_언어적 대인기술

3 학습하기

1. 경청하기
1) 경청하기의 의미 및 기능
(1) 의미
• 상대방이 보내는 소통내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해를 위해 노력하는 행동
(2) 기능
• 상대에 대한 관심과 흥미의 표현
• 상대로부터 개방적, 솔직한 표현을 촉진

2) 경청하기의 종류

3) 효과적인 경청하기를 위한 방법
(1) 듣기 전에 말하지 말 것
• 사람들은 듣기보다 말하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우리가 말하는 동안은 듣기
어렵다.
(2) 다른 생각을 하지 말 것
• 전달자의 메시지에 관심을 집중시켜야 한다.
(3) 산만해질 요소를 제거할 것
(4) 가능한 동의할 부분을 찾아볼 것
• 선급한 평가와 결론은 중요한 정보를 놓치게 한다.

3/8
6주 2차시_언어적 대인기술

2. 질문하기
1) 질문하기의 의미 및 기능
(1) 의미
• 상대에게 추가적 정보를 요청하고 상대의 태도, 감정, 의견을 확인하는 행동
(2) 기능
• 소극적 기능: 정보의 요청
• 적극적 기능: 상대의 의견변화

2) 적절치 못한 질문
(1) 상대를 당혹 시키거나, 조롱과 비난의 오해.
(2) 초기관계에서의 지나친 사적 질문
(3) 일방적 질문공세

3. 반영하기와 공감하기
1) 반영하기(reflecting)
(1) 의미
• 상대의 표현에 대한 자신의 사실적, 정서적 이해(공감)의 표현
• 감사한 마음의 표현- “감사합니다.”
(2) 기능
• 자신의 이해내용에 대한 명확성의 확인이 가능
ü 피드백(feedback)은 자신이 전한 메시지가 어떻게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이끌어 감
ü 의사소통은 피드백의 반복을 통해 서로 이해의 영역을 넓힐 수 있음
2) 공감하기(empathy)
• 의미
ü 적극적으로 상대의 기분과 입장에 대한 정서적 이해 ‘내 마음을 나 같이
알아준다.’
- 상대에 대한 신뢰 증대(rapport형성)
- 자기공개의 촉진
3) 공감하기의 기술
(1) 자신의 입장보다 상대의 입장과 관점에서 이해하려 노력
(2) 사실적 의미와 정서적 의미 포착을 위한 노력
(3) 자신이 느낀 감정을 상대에게 적절히 전달하는 노력

4/8
6주 2차시_언어적 대인기술

4. 설명하기
• 설명하기의 뜻
ü 의미
- 자신이 지닌 정보를 상대에게 제공하고 공유하기 위한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
→ 설명하는 상황과 대상에 대한 고려 필요
→ 설명할 내용, 순서, 방식 등에 대해 미리 계획하고 준비하는 노력 필요
→ 설명할 내용을 간결, 분명, 정확, 체계적으로 표현
→ 보조적 발표도구 활용

5. 강화주기 (reinforcement)
• 강화주기의 뜻
ü 의미
- 타인에 대한 인정, 긍정, 칭찬, 격려, 지지를 전달하는 언어적 표현
→ 상대의 자신감(자기효능감), 자존감(자기존중감)을 증진시키는 정서적,
평가적 지지, 피드백.
→ 자신이 수용되고 인정 받는다는 느낌을 통해 대인관계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인간관계를 즐거운 것으로 느끼게 함
→ 무조건적인 칭찬보다는 칭찬 받을만한 일에 대한 칭찬을 받을 때
호감이나 감사의 마음을 유발할 수 있음

6. 자기공개하기
• 자기-노출(self-disclosure)
ü 자기개방의 의미
- 타인에게 자기자신에 관해 사적인 정보를 언어적으로 의사 소통하는 자발적
행위. 자신을 개방하는 것
ü 자기노출의 기능
- 상대의 경계심과 두려움을 완화하고 신뢰감을 증진함으로써 관계를
발전시킴
- 상대의 자기공개를 촉진시킴

5/8
6주 2차시_언어적 대인기술

7. 주장하기
1) 자기주장하기
• 의미
ü 자신의 개인적 권리를 옹호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면서
자신의 사고, 감정, 신념을 직접적이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행동

2) 자기주장하기의 주된 내용 - Lazarus(1971)
(1) 들어주기 어려운 타인의 요청을 거절하기
(2) 타인에게 부탁하거나 요청하기
(3)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기
(4) 원할 때 대화를 시작하고 끝내기

8. 유머 : 농담하기
• 유머란
ü 의미
ü - 긴장해소를 통해 편안하고 유쾌한 분위기 조성
ü 유머사용의 주의점
- 상황과 대상에 대한 적절성
- 주제의 적합성 - 성적, 공격적 내용 피하기

6/8
6주 2차시_언어적 대인기술

4 평가하기

1. 경청하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듣기 전에 말하지 말기
② 다른 생각을 하지 말기
③ 가능한 차이점을 찾아보기
④ 가능하면 산만한 요소들 제거하기

정답: ③
해설: 동의할 점을 찾고자 하는 듣기가 더욱 효과적이다.

2. 유머의 사용시 고려할 점이 아닌 것은?


① 상황
② 주제
③ 어법
④ 대상

정답: ③
해설: 어법은 유머의 경우 줄임말, 감탄사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더라도 설명하기 보다는
허용적이다.

3. 상대에게 격려와 칭찬, 지지 등을 전달해 주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정답: 강화
해설: 강화는 상대에게 긍정적 메시지를 줌으로써 그 행동을 더 하도록 만든다.

7/8
6주 2차시_언어적 대인기술

5 정리하기

1. 경청하기 & 질문하기


Ÿ 상대방이 보내는 소통내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해를 위해 노력하는 행동
Ÿ 상대에게 추가적 정보를 요청하고 상대의 태도, 감정, 의견을 확인하는 행동

2. 반영하기 & 공감하기 & 설명하기


Ÿ 상대의 표현에 대한 자신의 사실적, 정서적 이해(공감)의 표현
Ÿ 적극적으로 상대의 기분과 입장에 대한 정서적 이해 ‘내 마음을 나 같이’ 알아줌
Ÿ 자신이 지닌 정보를 상대에게 제공하고 공유하기 위한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

3. 강화주기 & 자기공개하기 & 자기주장하기


Ÿ 타인에 대한 인정, 긍정, 칭찬, 격려, 지지를 전달하는 언어적 표현
Ÿ 타인에게 자기자신에 관해 사적인 정보를 언어적으로 의사 소통하는 자발적 행위, 자신을
개방하는 것
Ÿ 자신의 개인적 권리를 옹호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면서 자신의 사고,
감정, 신념을 직접적이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행동

4. 유머 농담하기
Ÿ 긴장해소를 통해 편안하고 유쾌한 분위기 조성

8/8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 사전퀴즈(O, X)

1. 인간관계를 잘 맺는 사람들은 원래의 성격을 타고 난 것이다.


정답: X
해설: 원만하고 효율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들 중에는 남모르는 혼자만의 노력과 훈련을
하는 사람이 많다.

2. 남성이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표현을 여성보다 더 잘 사용하며 문제 발생시에 직접적인


대화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X
해설: 남성은 직설적이고 단정적인 표현을 사용하며 문제 발생시에 굴로 들어가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1 학습목표

1. 부적응적 대인기술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장해요인들의 종류와 특징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부적응적 대인기술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과 이를 위해 성차에 따른 특성과 대화의
기술들을 습득할 수 있다.
4. 의사소통의 성차에 대한 이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대화의 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부적응적 대인기술
2.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장벽
3. 부적응적 대인기술의 극복
4. 의사소통의 성차에 대한 이해
5. 대화의 기술

2/9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3 학습하기

1. 부적응적 대인기술
1) 부적응적 대인기술이란
(1) 상황, 대상 등에 부적절한 언행을 사용함으로써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유발 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들
(2) 대인기술이 부족한 사람들은 대인동기가 강해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잘 모름
(3) 적응차원에서 대인기술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님

2) 부적응적 대인기술의 종류
(1) 대인기술 미숙형
• 성장과정에서 적절한 대인기술을 습득하지 못한 사람들
• 대인동기가 강해도 원하는 관계를 형성하지 못함
• 타인이 호감을 느끼도록 자신을 프리젠테이션하지 못하고 타인에게 적절히
반응하지 못함
• 상대를 비꼬거나 비판하고, 부적절한 화제, 공격적 언행으로 상대에게 불쾌감을
유발

(2) 대인기술 억제형


• 적절한 대인기술을 갖추고 있으나 (익숙하지 않은)
특정 상황에서 긴장, 불안, 두려움 등의 심리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대인기술이
억제되어 적절한 대인행동을 하지 못함
• 낯선 상황에서는 회피성향을 보임

2.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장벽
1) 방어
(1) 상처를 받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지나친 표현
(2) 자신에 대한 평가, 통제, 조종감을 느낄 때 강하게 나타남
→ 자기방어기제, 자기보호적 동기

2) 동기적 왜곡, 오해
(1) 선택적 주의(듣고자 하는 것을 듣는다)를 이용한 자기 신념 지지적 정보에의 참여와
함께 모순되는 정보를 무시하고자 함

3/9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2) 오해는 상대의 의도를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거나 자신의 의도,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서 생기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두 사람의 사이를 멀어지게 만들기
쉬움

3) 자기 몰두
• 자기 몰두적 사람들의 부정적 반응 유발 특징
→ 자기 기여적인 정보로 인한 상대방의 방어 유발
→ 자신의 대화 시간 몫 이상의 대화 시간 차지

4) 거짓말
(1) ‘남을 속이기 위해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것처럼 꾸미어 하는 말’
(2) 친밀한 사람일 수록 서로에게 솔직하길 기대
→ 속였음에 대한 배신감이 더 불편하게 만듦

5) 게임하기
(1) 자신의 진실한 동기를 감추고 예상되는 결과가 있는 조작적 상호작용
(2) 모호하고, 간접적이거나 혹은 기만적인 진술의 의도적 사용
→ 법정게임, 궁지게임, 궁상떨기 게임…

6) 의사소통의 걸림돌 요인들

4/9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3. 부적응적 대인기술의 극복
• 부적응적 대인기술 극복하기
ü 다양한 기술을 익히고 연습한 후에 자신이 원하는 창조적 작품을 만들어
내는 예술가처럼, 인간관계도 다양한 대인기술을 배워 익혀야 자신이 원하는
인간관계를 창출할 수 있음
ü 원만하고 효율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들 중에는 남모르는 혼자만의
노력과 훈련을 하는 사람이 많음
ü 스스로 할 수 있는 대인관계 훈련
- 자신의 말을 녹음하여 들어보고 말투, 사용단어, 어법 등을 분석-
변화시켜보기
-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자신의 대인행동에 대한 피드백 구하기
- 실제상황이나 TV를 통해 관찰하고 바람직한 점들은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4. 의사소통의 성차에 대한 이해
• 여자의 말 vs 남자의 말

5. 대화의 기술
1) 관심을 갖고 대화를 시작하라.
• 누군가가 먼저 말을 시키기를 바라지 말고 내가 먼저 관심을 보이고 말을
시작해야 한다.
2) 쌓아놓은 불만을 쏟아내지 마라.
• 말의 중요성을 깨달아야 한다. 부주의한 말 한 마디는 가정을 파괴하고, 돈독한
우정을 깨지게 하고, 신용을 잃게 만든다.

5/9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3) 자신감을 갖고 마음의 통로를 열어라.


• 긴장을 풀고 자신의 있는 모습을 거짓 없이 진솔하게 표현한다면 쉽게 공감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인간관계도 좋아질 것이다
4) 실수는 넓은 마음으로 용서하라.
• 원하지 않는 일을 한다든지 근심이나 걱정 등으로 정신이 혼란한 상태에서는
실수를 더 많이 하는데 일상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실수들로 인해 괴로워하거나
자학하기 보다는 자신을 발전시키고 겸허해질 수 있는 하나의 자극제로
받아들여야 한다
5) 행복한 마음을 표현하라.
6) 정직하고 진실하게 말하라.
7) 자신감 넘치는 말을 하라.
8) 칭찬하는 말을 하라.
9) 문제가 생겼을 때 대화로 문제를 풀어가라
10) 대화를 나눌 때는 진지하게 잘 들어주어라.
11) 사사로운 일로 남을 비판하지 말라.
12) 열기가 넘치는 대화를 나눠라.
13) 당당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라.
14)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라.
15) 신중하게 생각해서 말하라.
16) 남을 인정해주는 말을 하라.
17)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라.
18) 희망이 가득 찬 말을 하라.

6/9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4 평가하기

1.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장벽으로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방어
② 동기적 왜곡, 오해
③ 자기 몰두
④ 억제

정답: ④
해설: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장벽으로는 방어, 동기적 왜곡, 오해, 자기 몰두, 거짓말
게임하기가 있다.

2. 의사소통의 성차에 대한 이해에서 여성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情 관계 중점
② 과정중심적
③ 우회적, 간접적 표현
④ 결과 중심적

정답: ④
해설: 결과 중심적인 특성은 남성의 특성이다.

3. 부적응적 대인기술의 종류에서 적절한 대인기술을 갖추고 있으나 특정 상황에서 심리적


요인 등으로 인해 대인기술이 억제되어 적절한 대인행동을 하지 못하는 것은 무엇인가?

정답: 대인기술 억제형


해설: 대인기술 억제형은 대인기술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고 있고, 낯선 상황에서는 회피성향을 보인다

7/9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5 정리하기

1. 부적응적 대인기술
Ÿ 상황, 대상 등에 부적절한 언행을 사용함으로써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유발 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들
Ÿ 대인기술이 부족한 사람들은 대인동기가 강해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잘 모름
Ÿ 적응차원에서 대인기술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님

2.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장벽
Ÿ 방어
Ÿ 동기적 왜곡, 오해
Ÿ 자기 몰두
Ÿ 거짓말
Ÿ 게임하기

3. 부적응적 대인기술의 극복
Ÿ 인간관계도 다양한 대인기술을 배워 익혀야 자신이 원하는 인간관계를 창출할 수 있음
Ÿ 남모르는 혼자만의 노력과 훈련을 하는 사람이 많음
Ÿ 의사소통의 성차이를 이해하고 극복함

4. 의사소통의 성차에 대한 이해
Ÿ 여성은 성 관계 중점, 과정중심적, 우회적, 간접적 표현을 주로 사용함
Ÿ 문제 발생시 직접접인 대화 요구
Ÿ 남성은 업무 중점, 정보의 교환, 결과중심적, 직설적, 단정적 표현
Ÿ 문제 발생시 굴로 들어가고자 함

5. 대화의 기술
Ÿ 관심을 갖고 대화를 시작하라.
Ÿ 칭찬하는 말을 하라.
Ÿ 쌓아놓은 불만을 쏟아내지 마라.
Ÿ 대화를 나눌 때는 진지하게 잘 들어주어라.
Ÿ 자신감을 갖고 마음의 통로를 열어라.
Ÿ 사사로운 일로 남을 비판하지 말라.
Ÿ 실수는 넓은 마음으로 용서하라.

8/9
6주 3차시_부적응적 대인기술

Ÿ 열기가 넘치는 대화를 나눠라.


Ÿ 행복한 마음을 표현하라.
Ÿ 당당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라.
Ÿ 정직하고 진실하게 말하라.
Ÿ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라.
Ÿ 자신감 넘치는 말을 하라.
Ÿ 신중하게 생각해서 말하라.
Ÿ 정직하고 진실하게 말하라.
Ÿ 남을 인정해주는 말을 하라
Ÿ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하라.
Ÿ 희망이 가득 찬 말을 하라.

9/9
7주 1차시_대인지각과 인상형성

7주 1차시_대인지각과 인상형성

• 오늘의 사례_“첫인상은 정확한가”


--------------------------------------------------------------------------------------------------------------
첫인상이 중요한가에 대해 사람들은 중요하다고들 하지요. 한 번 형성된 첫인상은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런 중요한 첫인상을 형성할 때 우리는 생각보다
단순히 결론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흔히들 “딱 보니까… 그런데.”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사람들을 처음 대면하여 첫인상을 형성할 때도,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대해 추론할 때도 자신의
판단을 과신합니다. 과연 우리들의 판단은 정확할까요?
첫인상을 형성할 때 사람들은 아주 단시간에 확인되는 몇 가지 정보들을 통해 인상을
형성하게 되고, 타인의 행동에 대한 원인을 추론할 경우에도 ‘저 사람은 원래 성격이, 사람됨이
그래.’라고 속단해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상황에 대한 해석도 상당히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하게 되거나 상대에게 고정관념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상 우리는 일상에서
이러한 것들을 지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생각해보기]
여러분들은 첫인상을 형성하거나 타인의 행동의 원인을 추론 할 때 자신을 지나치게 과신하지는
않으시나요?

[전문가답변]
첫인상에서 작용하는 초두효과, 현저성 효과 대인지각에서의 인지적인 오류들과 고정관념들에
대해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행동의 원인을 어디에 귀속시키느냐가 바로 귀인인데요,
귀인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지적 오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시고 강의를 통해 학습해보시기
바랍니다.

2/8
7주 1차시_대인지각과 인상형성

• 사전퀴즈(O, X)

1. 좋은 특성과 나쁜 특성을 똑같이 가지고 있을 때, 좋은 정보는 특히 두드러져 보인다.


정답: X
해설: 좋은 특성과 나쁜 특성을 똑같이 가지고 있을 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중립적(평균원리)이기 보다는 나쁜 사람이라는 쪽으로 형성되는 경향, 나쁜 정보는 특히
두드러져 보인다.

2. 몸짓, 신체의 긴장 정도 등에 의해 상대방의 판단이 더 정확해 질 수 있다.


정답: O
해설: 준언어적 단서(목소리의 크기와 높낮이)나 몸짓, 신체의 긴장 정도 등에 의해 판단이
더 정확해질 수 있다.

1 학습목표

1. 대인지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인상형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인상관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대인지각이란
2. 인상형성
3. 인상관리

3 학습하기

1. 대인지각이란
• 대인지각이란
ü 사람들을 대할 때 그 사람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 정보들을 종합하여
상대방에 대해 파악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
ü 타인에 대한 초보적 수준의 인식과정

3/8
7주 1차시_대인지각과 인상형성

1) 대물지각
(1) 물체의 크기나 무게를 측정하는 객관적 기준이 존재함
(2) 판단의 정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2) 대인지각
(1) 그 지각대상이 정확한 것인지를 판단할 분명한 기준이 없다.
(기준이 있어도 애매모호. 인간의 성격, 능력, 의도, 감정과 같은 심리적 속성은 다른
사람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되기 어려움)
(2) 지각대상이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
(대상이 지각단서를 조작해서 지각자의 판단을 오도할 수 있음)

2. 인상형성
1) 인상형성(impression formation)
• 일반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과 한정적인 정보만을 가지고 상대방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을 형성하며, 어떤 사람에 대해 일단 한번 형성되어진 인상은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됨

2) 인상형성의 단서
(1) 직접 대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얼굴 생김새, 표정, 옷차림, 신체크기, 체형, 자세,
행동거지 등
(2) 준 언어적 단서(목소리의 크기와 높낮이)나 몸짓, 신체의 긴장 정도 등에 의해 판단이
더 정확해질 수 있음

3) 인상형성의 차원 - Osgood(1957)
(1) 평가적 차원 (good-bad)
• 지적 평가 (똑똑하다, 영리하다, 현명하다 등) 선호차원 (좋은 - 나쁜)
• 사회적 평가 (성실하다, 친절하다, 다정하다 등) 선친차원 (좋은 -싫은)
(2) 능력 차원 (강하다-약하다)
(3) 활동성 차원 (적극적이다-소극적이다)

4/8
7주 1차시_대인지각과 인상형성

4) 인상형성과정

• 인상형성과정(소개팅, 입사면접 등)은 최소한의 정보들만을 가지고 대단히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2, 3, 4단계에서 오류가 생길 소지를
안고 있음

5) 인상형성과정에 작용하는 인지적 오류


(1) 암묵적 성격이론(내현성격이론 implicit theories of personality)
• 개인의 경험, 속설, 사회적 통념을 근거로 하여 한두 가지 외적인 정보만으로
어떠한 단서와 어떤 성격특질이 공존하는가에 대한 개인적인 신념들로 구성
• 일상적이고 부적절한 관찰에 근거하기 쉬움
예) 곱슬머리는 고집 세다, 눈이 크면 겁이 많다.

(2) 고정관념(stereotype)
• 어떤 집단의 사람들에 관하여 널리 공유되는 과잉 단순화된 신념
예) 유태인은 영리하다, 흑인은 음악적 재능이 뛰어나다.
ü 우리가 사람들의 신체적 외양을 근거로 반응할 때 관여되는 과정과 유사
ü 가장 만연된 고정관념은 성, 인종, 직업 등에 기초한 고정관념
→ 고정관념은 과잉 일반화와 부정확한 사회적 지각을 일으킬 수 있음
ü 집단에 대한 편향된 태도로 인해 왜곡되기 쉬움
ü 집단의 대표성을 개인에게 적용하여 개인의 개성이 무시되는 경향이 있음
ü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이 개인에게 차별을 초래할 수 있음

6) 인상형성의 경향성 (인상형성에 작용하는 효과들)


(1) 핵심(중심)특질(central trait)
• 인상평가에서 다른 특질보다 더 크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특질
• 전체 인상을 형성하는 중요한 정보, ‘따듯하다-차갑다’
(2) 첫인상의 효과(초두효과 Primacy effect) –Asch(1946)
• ‘똑똑하다, 부지런하다, 충동적이다, 비판적이다, 고집스럽다, 샘이 많다’
(3) 긍정성편향(관용효과 positive bias)
(4) 악성정보의 효과 (negativity effect)
• 좋은 특성과 나쁜 특성을 똑같이 가지고 있을 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5/8
7주 1차시_대인지각과 인상형성

중립적(평균원리)이기 보다는 나쁜 사람이라는 쪽으로 형성되는 경향. 나쁜 정보는


특히 두드러져 보임(현저성 효과)
(5) 외모의 후광효과(halo effect)

3. 인상관리
• 인상관리(impression management)
ü 사람들은 긍정적인 자기상을 보이려 하며, 교류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게끔 인상관리를 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이 자신에 대해 가지게 되는
인상을 통제 하고자 함
1) 자기감시(self-monitoring)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의식적인 인상관리 전략의 사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질
2) 자기제시(self-presentation)
(1)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사람들에게 기대되는 자기(공적 자기)을 위해 인상관리를 한다.
(2) Jones(1990) : 자기제시행동의 기저에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세력을 유지 혹은
증강시키려는 동기가 작용하고 있다
3) 자기제시(self-presentation)
(1) 자기제시의 세 가지 동기(Leary, Kowalski, 1990)
ü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최소의 비용을 통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
ü 자아존중감을 직간접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임
ü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정체성을 세우고자 하는 것
(2) 자기제시의 네 가지 유형: 공격, 주장, 방어, 보호적 자기제시

6/8
7주 1차시_대인지각과 인상형성

4 평가하기

1. 다음 중 자기제시의 네 가지 유형이 아닌 것은?


① 공격
② 주장
③ 은폐
④ 보호적 자기제시

정답: ③
해설: 자기제시의 네 가지 유형: 공격, 주장, 방어, 보호적 자기제시이다.

2. 인상형성의 차원에 속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평가적 차원
② 능력차원
③ 활동성 차원
④ 성격 차원

정답: ④
해설: 인상형성의 차원에는 평가적 차원, 능력차원, 활동성 차원이 있다.

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이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의식적인 인상관리 전략의 사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질을 말한다.

정답: 자기감시
해설: 자기감시(self-monitoring) 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의식적인 인상관리 전략의
사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질을 말한다.

7/8
7주 1차시_대인지각과 인상형성

5 정리하기

1. 대인지각
Ÿ 대인지각이란 사람들을 대할 때 상대방에 대한 초보적 수준의 인식과정
Ÿ 판단의 객관적 기준이 존재하여 그 정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물지각과 대조적으로
대인지각은 지각내용이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이며 정확한 것인지를 판단할 분명한
기준이 없음

2. 인상형성
Ÿ 일반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 한정적인 정보만으로 전반적인 인상 형성을 함.
Ÿ 어떤 사람에 대해 일단 한 번 형성된 인상은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됨
Ÿ 인상형성과정에 작용하는 인지적 오류로는 ‘암묵적 성격이론’과 ‘고정관념’이 있음
Ÿ 인상형성은 핵심(중심)특질, 첫인상의 효과(초두효과), 긍정성 편향, 악성정보의 효과,
외모의 후광효과 등의 경향성을 가짐

3. 인상관리
Ÿ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인상을 통제하고자 함
Ÿ 이러한 인상관리를 위해 자기감시, 자기제시 등의 성격특질이 발생함

8/8
7주 2차시_대인행동의 귀인

7주 2차시_대인행동의 귀인

• 사전퀴즈(O, X)

1. 수학성적이 나쁜 경우 ‘나는 머리가 나빠'라고 하는 것을 전반적 귀인이라고 한다.


정답: X
해설: 수학성적이 나쁜 경우 ‘나는 머리가 나빠'라고 하는 것을 후반적 귀인이라고 한다.

2. 행위자들은 자신의 행위를 행위자의 행위 원인으로 내적 탓으로 여긴다.


정답: X
해설: 행위자들은 자신의 행위를 상황의 탓으로 여기고자 한다.

1 학습목표

1. 귀인의 개념과 결과 그리고 세가지 차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여러 귀인오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Kelly의 공변모형 이론에서 세 가지 차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귀인(attribution)
2. 귀인오류
3. 귀인의 공변모형

3 학습하기

1. 귀인(attribution)
1) 귀인(歸因)
• 자신이나 타인들의 행동에 대한 인과관계를 추론함으로써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고자 하는 현상
2) 귀인의 결과
(1) 그 상황과 환경에 대한 예측력, 통제감의 획득
(2) 사람들은 행동의 인과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계속 귀인함

2/8
7주 2차시_대인행동의 귀인

→ But, 귀인은 어림짐작을 나타내는 추론임

3) 귀인의 세가지 차원
• 행동의 원인을 규명하는 차원은 크게 내부-외부, 안정-불안정, 전반적-특수적
귀인차원으로 구분됨

(1) 내외차원
• 내적 귀인(internal attribution): 행위의 원인을 행위자 개인의 내적인
요인(행위자의 능력, 태도, 성격)로 돌리는 것
• 외적 귀인(external attribution): 행위의 원인을 행위가 일어나 사회적 상황 또는
날씨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돌리는 것
(2) 안정성차원
• 안정성(stable): 비교적 지속적인 요인들. 재능, 실력, 법률, 규칙
• 불안정성(unstable): 상황에 따라 가변적인 요소. 노력, 기분, 컨디션,
날씨, 운수
• 내-외차원과 안정성-불안정성차원의 사례

(3) 전반적-특수적 귀인
• 귀인요인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한정되어 있는지의 정도
예) 수학성적이 나쁜 경우
ü 전반적 귀인 : ‘나는 머리가 나빠’
ü 특수적 귀인 : ‘나는 수리능력이 부족해’

3/8
7주 2차시_대인행동의 귀인

2. 귀인오류
1) 기본적 귀인오류
• 일반적으로 타인의 행동에 대해 외부 요인에 귀인을 하기 보다는 상황의 힘을
무시하고 행위자의 내부적 요인, 즉 행위자의 기질이나 성격, 동기 등에 귀인
→ 일반적으로 개인의 행동은 그의 성격이나 기질, 의도의 외적 표현이라 생각

2) 행위자-관찰자 편향 (Jones & Nisbett, 1971)


• 행위자들은 자신의 행위를 상황의 탓으로 여기고자 함
• But, 관찰자들은 행위자의 행위의 원인을 내적 특성 탓으로 여김
(1) 행위자→외적 귀인(상황), 관찰자→내적 귀인(성격)
• but, 이러한 편파들은 상황의 논리적 속성에 크게 영향을 받음
(2) 실패의 경우
• 학생→외적 귀인(너무 어려운 문제)
• 교사→내적 귀인(노력의 부족)
(3) 성공, 잘된 수행일 경우(시험성적)
• 행위자(학생)→내적 귀인(지능과 노력)
• 관찰자(교사)→외적 귀인(너무 쉬운 문제)

3) 방어적 귀인 (defensive attribute)


(1) 사람들은 유사한 운명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자신에게 확신 시키기 위해
부당하게 불행한 사건을 겪은 희생자를 비난함
(2) 사람들은 편견이나 민족우월주의에 의해 희생당한 사람을 마주할 때 방어적 귀인에
관여

4) 자기본위적 편향 (self-serving bias)


• 자기가 한 일에 대하여 잘된 경우는 스스로의 책임, 못된 경우에는 남이나 상황
탓으로 돌리는 자기 중심적 경향성. 자신의 자존심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귀인
• 남이 하면 불륜, 자기가 하면 로맨스??!!
→ 서양에서는 주로 자기본위적 편향, 동양에서는 겸양적 편향(팔자, 내 탓이요)이
나타난다.- 문화차이

4/8
7주 2차시_대인행동의 귀인

5) 우울 유발적 귀인
• 우울증 환자들의 귀인방식
(1) 부정적 결과에 대해
• 내적, 안정적, 전반적 귀인(내가 잘못해서…)
(2) 긍정적 결과에 대해
• 외적, 불안정적, 특수적 귀인(어쩌다 운이 좋아서…)→ 열등감, 우울증 심화

6) 절감원리
• 행위가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작용한 경우, 내부적 동기가 삭감되고 귀인에 대한
확신이 떨어짐
예) 친절한 이웃 - 나에 대한 호감?, 세일즈맨- 혹시 세일즈의 대상?

3. 귀인의 공변모형
1) Kelley의 공변모형(입방체 이론 cube theory, 1967, 1973)
• 공변원리 (covariation principle)
ü 어떤 원인이 있을 때만 어떤 효과가 나타난다면 그 효과를 그 원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론함
예) 어떤 학생이 평소에는 명랑하나 시험 직전엔 늘 짜증을 낸다면 짜증은
성격보다는 시험에 귀인
2) 공변이론의 세 차원과 특성
• 사람들이 귀인의 방향을 판단하기 위해 세 가지 정보(행위자, 자극대상, 상황)을
고려함
• 사람들은 행위자들의 일반성, 자극대상에 대한 독특성, 상황에 따른 일관성
정보를 동시에 고려하고, 이 세가지 정보의 고저수준에 따라 내적 및 외적귀인을
하게 됨
(1) 일반성(합의성 consensus)정보
• 판단의 대상 인물인 행위자 이외의 다른 사람들도 그와 같은 행동을 보였는가?
ü 속한 집단/사회에서 해당 행동이 얼마나 일반적 행동인가
ü 당사자 이외에 같은 상황 하에 있는 다른 사람도 동일한 반응
(2) 독특성(특이성 distinctiveness) 정보
• 행위자가 특정 대상에게만 독특하게 나타내는 행동인가?
ü 행위자가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 같은 반응을 보였는가?
ü 자극 대상과 관련된 행위자의 행위가 특정의 자극에 대한 것인지 보편적인
반응인지를 분석

5/8
7주 2차시_대인행동의 귀인

(3) 일관성(consistency) 정보
• 행위자가 그런 행동을 하게 만든 자극에 대해 다른 경우에도 같은 행동을
보였는가?
ü 행위자가 특정 상황에서(같은 대상에 대하여) 항상 동일한 행동을 하는 것
ü 유사한 상황에서 행위자가 같은 행위를 지속적으로 보일 것인지, 아니면
이번에만 보이는 행위인지를 판단
ü 일반성, 특이성이 낮고 일관성이 높을 경우에는 내부(행위자)귀인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음
ü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일관성 정보를 더 선호하고, 일반성 정보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음

6/8
7주 2차시_대인행동의 귀인

4 평가하기

1. 귀인의 세 가지 차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내부와 외부
② 안정과 불안정
③ 자의와 타의
④ 전반성과 특수성

정답: ③
해설: 행동의 원인을 규명하는 귀인의 세 가지 차원은 크게 ‘내부-외부’, ‘안정-불안정’,
‘전반적-특수적’ 귀인차원으로 구분된다.

2. 일반적으로 타인의 행동에 대해 외부 요인에 귀인을 하기 보다는 상황의 힘을 무시하고


행위자의 내부적 요인, 즉 행위자의 기질이나 성격, 동기 등에 귀인하는 오류는?
① 기본적 귀인오류
② 방어적 귀인(defensive attribute)
③ 자기본위적 편향 (self-serving bias)
④ 절감원리

정답: ①
해설: 기본적 귀인오류에 해당하는 설명이다. 기본적 귀인오류의 결과로 일반적으로 개인의
행동은 그의 성격이나 기질, 의도의 외적 표현이라 생각한다.

3. 공변이론의 세 차원 일반성, 특이성, 일관성 정보 중에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정보는?
( )이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의식적인 인상관리 전략의 사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질을 말한다.

정답: 일관성 정보
해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일관성 정보를 더 선호하고, 일반성 정보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7/8
7주 2차시_대인행동의 귀인

5 정리하기

1. 귀인
Ÿ 귀인이란 자신이나 타인들의 행동에 대한 인과관계를 추론함으로써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고자 하는 현상임. 그 결과로 상황과 환경에 대한 예측력과 통제감을 획득함
Ÿ 행동의 원인을 규명하는 귀인의 세 가지 차원은 내부-외부, 안정-불안정, 전반적-특수적
귀인차원으로 구분됨

2. 귀인오류
Ÿ 일반적으로 개인의 행동은 그의 성격이나 기질, 의도의 외적 표현이라 생각하는 기본적
귀인오류에 빠짐
Ÿ 행위자들은 자신의 행위를 상황의 탓으로 여기고 관찰자들은 그 원인을 내적 특성으로
여김 (행위자-관찰자 편향)
Ÿ 자기본위적 편향은 자신의 자존심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귀인하는 오류

3. 귀인의 공변모형
Ÿ Kelly의 공변모형은 공변원리를 따름
Ÿ 공변이론의 세 차원은 일반성, 특이성, 일관성임

8/8
7주 3차시_대인사고

7주 3차시_대인사고

• 사전퀴즈(O, X)

1. 대인감정은 대인평가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가?


정답: O
해설: 사람들의 호오감정은 좋다 혹은 나쁘다의 평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2. 문제발생시 정서적인 대처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정답: X
해설: 개인에 따라 문제에 따라 정서적인 발산도 효과를 지닐 수 있다.

1 학습목표

1. 대인사고 개념과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인지적 오류의 종류, 의미추론과정, 의미평가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대처결정과정, 대처방식 그리고 대처 양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내용

1. 대인사고
2. 의미추론 과정에서 인지적 오류
3. 대처

3 학습하기

1. 대인사고
1) 대인사고란
•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의미를 추론하는 과정과 내용
ü 대인사고는 대인지각에 비해 좀더 상위수준의 인지기능(대인동기, 대인신념)이
관여하는 심리적 과정
ü 대인사고과정은 매우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잘 자각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2/7
7주 3차시_대인사고

2) 대인사고 과정
(1) 의미추론과정
• 특정 사건의 발생원인, 특정 행위자의 의도 파악
(2) 의미평가과정
• 의미추론과정의 결과에 대한 긍정성과 부정성 평가과정 → 대인감정 발생

(3) 대처결정과정
• 대처자원을 평가하고 가능한 대처방법을 고려하여 선택 → 대인행동결정

2. 의미추론 과정에서의 인지적 오류


1) 인지적 오류의 종류
(1) 흑백논리적 사고 : 이분법적 오류
• 성공/실패, 찬/반, 좌/우
(2) 과잉일반화 : 한두 번의 사건으로 일반적인 결론도출
(3) 정신적 여과 : 일부 특정 정보에 대한 선택적 주의
• 긍정적 효과(부정적 효과)에 주의를 기울여 판단
(4) 의미확대(축소) : 사건의 중요성이나 의미를 지나치게 확대/축소 - 나르시스트?
(5) 개인화 : 자신과 무관한 사건을 관련된 것으로 오인
• 내 얘기하나?
(6) 감정적 추리(임의적 추리) : 근거 없이 막연한 감정에 근거하여 결론내림
• 불안해..뭔가 잘못되어가고 있어!
(7) 예언자적 사고 : 충분한 근거 없이 미래의 일을 단정하고 확신함
• 하면 뭐해, 분명히 안될 건데..

2) 의미추론과정
• 의미추론을 통해 파악된 사건의 의미와 개인의 판단기준(대인신념)과의 비교를
통해 긍정성과 부정성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사건에 대한 감정, 대인감정을 결정함

ü 의미추론 : 다른 사람의 행동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 사실판단

3/7
7주 3차시_대인사고

3) 의미평가과정
• 의미평가 : 그 의미가 나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
• 의미추론을 통해 파악된 의미의 긍정성과 부정성을 평가하는 과정 → 가치판단,
선악판단

3. 대처
1) 대처결정(선택)과정
• 대인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여 대처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사고과정
(1) 대처자원의 평가과정 :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신체적, 물리적, 심리적, 사회적 자원에
대한 평가
(2) 대처방법의 선택과정 : 대처선택 안의 장단점과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가장
효과적이고 부담이 적은 대처방법 선택

2) 대처방식
(1) 문제초점적 대처
• 갈등 발생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변화시켜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현실적,
직면적 대처방식
• 체계적 문제해결, 타인으로부터의 원조 구하기

(2) 정서초점적 대처
• 정서적 불쾌감(고통)의 해소를 통해 갈등을 극복
ü 정서적 발산
ü 주의전환
ü 인지적 재구성(평가중심적 대처)
ü 환상추구 / 소망적 사고(기도, 기원)

(3) 생리중심적 대처

4/7
7주 3차시_대인사고

3) 대처양식
(1) 문제해결방식: 원인해소
(2) 사회적 지지추구: 도움요청 --- 적극적 대처
(3) 정서적 발산: 감정표출, 체계적 이완
(4) 인지적 재구성 : 의미 재해석
(5) 소망적 사고: 기원을 통한 희망
(6) 환상추구: 상상을 통한 대리만족
(7) 회피 : 외면, 도피
(8) 주의전환
(9) 망각 --- 소극적 대처

5/7
7주 3차시_대인사고

4 평가하기

1. 인지적 오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일반화
② 의미확대
③ 차별
④ 개인화

정답: ③
해설: 차별은 인지적 오류라기보다는 편견의 행동화이다

2. 일반적인 대처양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문제중심적 대처
② 인지중심적 대처
③ 정서중심적 대처
④ 생리중심적 대처

정답: ②
해설: 생각을 바꾸는 등의 인지적 재구성의 경우도 정서중심적 대처에 포함된다

3. 대처방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전에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정답: 대처 자원에 대한 평가
해설: 대처자원에 대한 평가를 통해 자신에게 유리한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6/7
7주 3차시_대인사고

5 정리하기

1. 대인사고
Ÿ 대인사고란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의미를 추론하는 과정과 내용임
Ÿ 의미추론과정을 통해 특정 사건의 발생원인 및 특정 행위자의 의도를 파악함
Ÿ 의미평가과정에서는 의미추론과정의 결과에 대한 긍정성과 부정성을 평가함
이 과정에서 대인감정이 발생함

2. 의미추론 과정에서의 인지적 오류


Ÿ 인지적 오류의 종류에는 흑백논리적 사고, 과잉일반화, 정신적 여과, 의미확대(축소) 등이
있음
Ÿ 의미추론을 통해 파악된 사건의 의미와 개인의 판단기준을 비교함
Ÿ 의미평가과정을 통해 긍정적 평가를 얻으면 기쁨 유쾌 만족 해방감 등을 느끼는 반면,
부정적 평가의 결과로 불안 분노 두려움 질투와 같은 감정을 얻음

3. 대처
Ÿ 대처방식은 크게 문제초점적 대처, 정서초점적 대처로 나뉨
Ÿ 문제해결방식, 사회적 지지추구, 정서적 발산, 인지적 재구성, 소망적 사고, 환상추구, 회피,
주의전환, 망각 등의 대처양식이 존재함

7/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