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2022-2학기] 글로벌자유전공학과 문화의 이해_1주차

1. 문화와 문화연구

※ 학습 목표
- 문화 개념의 다양한 정의를 알 수 있다.
- 문화 연구에서 제기된 핵심적인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1. 문화란 무엇인가?
1) 예술과 예술적 활동: 지적이고 예술적인 활동이나 작품 (음악, 문학, 회화, 연극, 영화 등)
2) 삶의 방식: 인류학적 문화 (우리 주위의 모든 것)
3) 발전의 과정: 개인의 능력 계발 (넓은 개념으로 확대)

2. 문화연구의 쟁점과 문제
앞의 세 가지 의미의 문화는 보통 각자 다른 연구 영역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그 이유는 서로 다른
문화 연구로 접근해야 핵심적인 쟁점과 문제를 더 쉽게 밝혀낼 수 있기 때문!

① 예술 활동 → 인문학자 ② 삶의 방식 → 인류학자/사회학자 ③ 문화 발전 → 역사학자

쟁점 1) 사람들은 어떻게 문화의 일부가 되는가?

❙ 문화는 흡수가 아니라 학습되는 것이다. → 문화접변/문화화/조건화/사회화

-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


사회화란 무력한 유아가 다른 인간들과의 접촉을 통해 주어진 문화 및 환경에 익숙해지고 자아 인식을
갖고 세계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 사회화의 두 단계

1차적 사회화 2차적 사회화

가족ㆍ집단에서 발생
(출생과 동시에 진행되며 학교에 입학할 때까지) 개인이 일생 동안 받게 되는 모든 영향
언어/성 정체성(성별의 사회적 역할) 획득

- 1 -
[2022-2학기] 글로벌자유전공학과 문화의 이해_1주차

쟁점 2) 문화연구에서는 사물이 의미하는 바를 어떻게 해석하는가?

인류학과 사회학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을 이해하는 방식을 문화적인 것으로 다룬다. → (② 삶의 방식)
이들은 개인은 자신의 사회적 상황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계를 이해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우리의
세계관이 불완전함을 가리키며, 즉 우리의 세계 인식은 조망적일 수밖에 없다.1) 이것은 문화적 상대주의를 보완한다.2)
위와 같이 우리가 학습하는 모든 것이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라면 ‘진정한 지식’이 있을까? 늘 사회적 상황에
따라 사람들의 가치관이 달라진다면 우리는 왜 특정 관점을 믿어야 하나? 이 말을 하고 있는 선생님은 믿을 수
있나? 선생님들의 가치관이 모두 다를 텐데 우리는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
우리는 어떤 일을 해석하고 판단하고 평가할 때, 그것에 대한 증거ㆍ배경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즉, 문화연구
에서는 의미의 해석이 핵심 쟁점이며 그것은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쟁점 3) 문화는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며 보편적일까? (문화의 과거)

죽은 후 가치를 인정 받은 작품이나 위인들, 중국에서 넘어온 짜장면이 한국의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게


된 현상, 유명 가수의 노래가 어떤 계기를 통해 다시 순위권으로 올라오는 일 등과 같은 문화적 현상을 주목해
보자. 대체 문화는 어떠한 방식으로 대중들에게 나타나며 받아들여지는가?

이러한 입장은 전통이 문화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한국의


전통 의상인 ‘한복’은 현재 한국의 특징이며 전통으로 여기지만 처음부터 그 옷이
한국의 대표적인 복장은 아니었다. 여러 역사적ㆍ사회적 상황을 거치면서 그런 의
미를 지니게 되었을 뿐이다. 한복은 처음부터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과는 다르다.
고조선 시대에는 칡과 삼으로 짠 옷감을 이용하였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삼국시대
로 이어졌다. 이는 조선시대로 이어져 현재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의 형태
로 완성되었고 지금은 특별한 날에만 입는 전통 복장이 되었다. 이처럼 대표적인
문화 형식은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 시기의 특정 집단과 연관된 것이다.

쟁점 4) 다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가?

역사적으로 다른 시대, 다른 지역의 문화를 이해할 때 나타나는 어려움 → 우리가 그들의 문화를 그들의 방식
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개인의 세계관은 모두 다르므로 각기 다른 문화를 마주할 때 항상 나타나는 문제점!

- 파푸아뉴기니의 트로브리안드 섬 사람들의 시간 개념


이 사람들의 달력은 음력이다. 음력에서는 일 년이 12~13개월이지만 트로브리안드의 달력에는 10개월만 있
다. 나머지 달은 달력에 없는 ‘여가 시간’이다. 이 섬의 주민들은 시간을 농업의 일정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
로 인식한다. 따라서 그들에게 시간은 순환적이다. 농업과 연관이 없는 시간은 인정되지 않고 심지어 달력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이 섬의 언어에는 시제가 없다. 이곳에서 시간은 한번 지나가면 돌아오지 않는 것이 아니라
순환적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이다. 그들은 ‘존재’가 시간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패턴 속에 있다고 생각한다.

1) 조망적: 자세하지 않고 먼 곳에서 바라보는 것


2) 문화적 상대주의: 한 사회의 문화는 다른 언어로 번역될 수 없으며, 이해될 수 없다. 즉, 각각의 문화는 다름이 당연하다.
그래서 한 사회의 문화가 우월하거나 열등할 수 없다.

- 2 -
[2022-2학기] 글로벌자유전공학과 문화의 이해_1주차

쟁점 5) 우리는 어떻게 문화 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가?

전통적으로 문화와 문화의 충돌은 배타적인 영역으로 경계하거나, ‘접경지대’에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화 간의 관계란 한 문화가 다른 문화를 ‘대체’ 또는 ‘부패’시키고, 그 다른 문화는 ‘파괴’되거나
‘소멸’된다. 이를 보여주는 예로 세계화를 통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로 퍼진 맥도날드, 코카콜라, 리바이스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문제가 있다.


① 세계는 배타적인 문화로 나눌 수 없다. 문화는 연령ㆍ젠더ㆍ계급ㆍ지위의 문제다. 이처럼 여러 문화로 구성
되어 있으므로 이분법으로 나눌 수 없다.
② 문화는 강자의 문화가 약자의 문화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문화는 서로 다른 문화와 접
촉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형태의 문화를 만든다.(‘김치’와 ‘피자’가 만나서 ‘김치피자’가 되는 ‘fusion’의 형태)
③ 문화 사이의 관계는 각 문화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겹쳐지거나 네트워크(network)와 같이 형성된다. 예
를 들어 여러 나라에 퍼진 ‘코카콜라’는 세계적인 콜라 회사로 우뚝 섰지만 그 의미는 나라마다 다르다. 인도에
서는 코카콜라가 신식민주의적 억압3)을 의미해서 금지된 반면, 런던에 사는 아시아계 젊은이들에게 코카콜라는
자유와 개인의 자율성을 의미한다.

쟁점 6) 왜 어떤 문화나 문화 형태는 다른 것보다 높이 평가되는가?

전통적인 ‘문학’은 예술이나 예술적 활동과 같은 고급문화의 일부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만화’와 ‘오페라’ 중
에 가치가 있는 것을 선택하라고 하면 ‘오페라’를 고급문화로 생각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인식은 대중문화를 저
급한 것처럼 평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시대나 지역, 역사에 따라 다르게 해석된다.
이탈리아에서 오페라는 널리 인정된 대중문화이다. 반대로 영국에서는 오페라가 소수 집단의 취향으로 여겨지
며 다른 오락과 비교하면 상류층 관객이 관람한다. 그러나 1990년 파바로티가 오페라의 한 소절을 부르는 것을
BBC에서 방송한 후 영국에서는 오페라의 인기가 치솟았다.

쟁점 7) 문화와 권력의 관계는 무엇인가?

문화는 상호작용의 결과이므로 문화 자체가 사회의 일부이며, 사회란 주요 세력(권력)에 의해 계층화되기 때문


에 문화와 권력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권력자들은 종속 집단을 중독시키고 세뇌시키기 위해 (대중)문화를 이용
하기도 한다. 문화산업은 대중에게 수동성과 순응성을 주입한다.

쟁점 8) 문화는 어떻게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가?

영국의 영문학 교육은 학생들에게 민족문화를 알리기 위해 생겼다. 다시 말하면 순수한 영문학이 교육의 목적
이 아니라 민족문화를 가르치기 위해 문학 텍스트가 사용된 것이다. 이는 특정한 민족적 정체성, 즉 영국인이 된
다는 것의 의미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대영제국에 대한 자부심을 주입시킨다. 예를 들어 영국
의 우월성을 보여줄 수 있는 소재(전쟁; 삶과 죽음, 승리와 패배)는 이면적으로 나와 다른 문화를 열등하게 만드
는 것이다. 정체성이나 소속감은 개인의 존재를 지방ㆍ도시ㆍ지역ㆍ국가와 동일시한다. 문화 연구에서 중요한 것
은 이런 정체성이 어떻게 구성되며, 어떻게 특정한 권력을 반영하느냐는 것이다.

3) 식민주의(colonialism): 어떤 민족이나 국가가 다른 민족이나 국가를 지배하는 정책.


억압: 자유롭게 행동하지 못하도록 힘을 이용해 강제로 누름.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