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1 주차 축제란 무엇인가?

1교시 : 축제와 인간사회


1교시 축제와 인간사회

학습목표

1. 과목 소개, 강의계획 안내를 통해 과목구성을 이해한다.


2. 축제의 어원, 성격, 기능,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축제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한다.

학습내용

1. 과목 소개 2. 들어가기 전에 3. 축제의 어원
4. 축제의 성격 5. 축제의 기능 6. 축제의 유형
7. 생각해볼 문제

참고문헌

• 김영순, 최민성(2006), 축제와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 문화체육부(1996), 『한국의 지역축제』, 문화체육부
• 박진규, 정철상(2005), 지역문화와 축제, 글누림
• 류정아(2003), 축제인류학, 살림
• 최천규 외, 학문명백과: 인문학, 형설출판사
1. 과목소개

1 강의소개

<축제와 인간사회> 는 축제를 통해 인간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


과목입니다.
이 과목에서는 고대사회부터 끊임없이 생산되는 인류의
표현활동이자 문화 현상의 일부인 축제를 인문학과 사회과학 영역
속에서 고찰하고 있습니다.
시대적 가치 흐름과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축제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인간사회를 쉽고 즐겁게 이해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입니다.
박지선 교수

사학

문학
사회학
철학
인문학 축제와 경제학
인간사회
사회 예술학

과학
1. 과목소개

2 강의계획

1주차 : 축제란 무엇인가? 8주차 : 문화경영학으로 축제 이해하기


2주차 : 철학으로 축제 이해하기 9주차 : 종교축제 이해하기
3주차 : 사회학으로 축제 이해하기 10주차 : 문학축제 이해하기
4주차 : 심리학으로 축제 이해하기 11주차 : 예술축제 이해하기
5주차 : 인류학으로 축제 이해하기 12주차 : 영화축제 이해하기
6주차 : 민속학으로 축제 이해하기 13주차 : 스포츠축제 이해하기
7주차 : 관광학으로 축제 이해하기 14주차 : 이벤트 이해하기

사학

문학

철학
인문학 축제와
인간사회

출처: 리우카니발 https://www.rio-


carnival.net/Content/img/comissaofrente.jpg
2. 들어가기 전에

‘인문학’ 이란 무엇일까요
?
인간과 관련된 근원적인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자연현상, 특히 자연의
문제나 사상, 문화 등을 일어나는 사회 현상과 인간의 합법칙성에 관한 일정한
중심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사회적 행동을 탐구하는 과학 이론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3. 축제의 어원

어원

우리말 유사어휘 한자

- 제전 -祝:빌축 9.02 cm
- 축전 - 祭 : 제사 제
- 잔치

출처: http://www.llf.or.kr/data/file/mainslide/공연마당.jpg 출처: http://cfile295.uf.daum.net/image/246469505724E693180A56

영어 유사어휘 라틴어 어원
- feria / feriae
- rite : 의례
: 신에 대한 사랑의 증명
- ritual : 제의 (종교적)
- Festivalis : 성일(聖日)
- ceremony : 의식 (비종교적)
- Festym : 대중적 기쁨, 환락, 떠들기
4. 축제의 성격

1 축제 성격의 변화

원시
• 수호신에 대한 제의적 성격
공동체

• 제의성 + 유희성 + 역사성


농경사회
• 공동체 의식 강화 목적

근대사회 • 유희적 측면 강화

• 지역성을 근간으로 함
현대사회 • 지역성은 지역의 전통문화로 상징될 수 있음
• 축제는 지역개발 및 발전으로 이어지는 외부성을 가짐
4. 축제의 성격

2 전통적 축제와 현대의 축제 비교

전통적 축제 현대적 축제

의례목적 신과의 교섭 축제참여자의 즐거움

의례효과 종교교육적, 공동체 교육효과 오락적, 산업적 효과

참여형태 집단적, 의무적 개별적, 선택적

참여동기 초월적 동기 기분전환, 흥미 본위적

참여주체태도 몰아적 태도 비판적 거리 두기

구성요소 공동창작적 성격 관람적 성격


5. 축제의 기능

1 축제의 9가지 기능
축(祝)의 기능

1
• 전통문화의 보존과 전승, 현대예술의 확산과 장려
• 지역 문화의 정통성 확립과 회복

제(祭)의 기능

• 추모행사 및 각종 시상식 등 감사, 추모, 격려의 의식 2 축(祝)


제(祭)

협(協)

협(協)의 기능

• 귀속감 및 정체성 확립을 통한 친선과 화합 도모 3 전(傳) 축제의 락(樂)

9가지
락(樂)의 기능 기능
• 유희적 가치. 참여의 즐거움 4 재(財) 탈(脫)

탈(脫)의 기능 교(敎) 치(治)

• 사회의 문법을 해체, 일탈적 가치 5


5. 축제의 기능

1 축제의 9가지 기능
치(治)의 기능

• 문화의 민주화를 통해 정치적인 가치 구현 6


교(敎)의 기능

• 문화예술적 체험과 관람은 교육적 가치를 창출 7 축(祝)


제(祭)

협(協)

재(財)의 기능

• 축제는 “문화자원”이므로 지역경제의 재화로 작용 8 전(傳) 축제의 락(樂)

9가지
전(傳)의 기능 기능
• 지역 이미지, 지역의 관광자원과 특산물을 홍보 9 재(財) 탈(脫)

교(敎) 치(治)
5. 축제의 기능

2 축제의 기능변화

- 종교적 기능 - 예술적 기능
전통사회의 - 윤리적 기능 - 오락적 기능
축제의 기능 - 사회적 기능 - 생산적 기능
- 정치적 기능

- 원초 제의성 보존의 기능
- 지역민 일체감 조성의 기능
현대사회의
- 생산적 기능
축제의 기능 - 전통문화 보존의 기능
- 경제적 기능
6. 축제의 유형

1 축제의 개최목적에 따른 분류

교육형 문화복지형

특수목적형 관광유도형

산업축제 전통계승형

주민화합형 경연경기형
출처: 리우카니발 https://www.rio-carnival.net/Content/img/bateria.jpg
생각해볼 문제

1. 인류의 생활양식 변화와 문명의 발달 등의 이유로 축제의 성격과 기능은 시대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각 시대별로 축제가 필요한 이유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축제의 역할을 생각해봅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