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미래항공교통(UAM) 버티포트(Vertiport) 설계 아이디어

홍길동(000000) (성명, 학번)


○○학과
━━━━━━━━━━━━━━━━━━━━━━━━━━━━━━━
Key Words : Style Key Words(스타일 핵심어), Less than 2 lines (2 줄 이내로 작성), Thermal Stress(열응 력),
Domain/Boundary Decomposition(영역/경계 분할)
* 제출기한 및 제출(메일) : 2023.04.13., 17 시限, moon3393@gmail.com
* 분량 : 5 페이지 이내
* 개인 또는 5 인 이내 공동 가능
ㅇ 국내 UAM 운영을 위한 효율적 안전적 운영 컨셉의 Vertiport 설계안 제시
ㅇ Vertiport 의 기체 진출입경로예상 비행로, 지상 이동동선, 주기장 및 주요 시설배치 고려
ㅇ FAA EB-105 Vertiport Design Draft 적극 참조

서론 [아래아 한글의 굴림체]로 작성한다. 템플릿 파일의


스타일 (본문내용)을 사용한다.
서론, 본론 (결론 포함), 후기, 참고문헌 제목은 스타일 장을 바꿀 때는 아래 줄과 같이 한 줄을 공란으로
(소제목)에 따라 작성하며, 본문작성 시 다음을 참고한다. 비워둔다.
본문에서 참고문헌을 인용할 때에는 “상첨자 ( )”를
사용하여 해당 참고문헌 번호를 표기한다. 인용 예는
다음을 참고한다. [홍길동 등(1)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론 또는 제 목
새로운 설계방안(2,3)과 이론이 제안되었다(2~4).] Table 과 Figure 의 캡션은 모두 영문으로 작성 한다.
본문내용을 작성할 때에는 한글과 영문 서체는 모두
Table 의 캡션은 Table 위에 위치하고 Figure 의 결론
캡션은 Figure 의 아래에 위치한다.
여기에 결론을 간략히 기술한다. (마지막 줄은 공란)
Table 1. Caption of the table 후기
(Table caption 은 Table 위에 위치함)
여기에 후기를 작성한다. (마지막 줄은 공란)

참고문헌
(참고논문은 5 개 이내로 작성한다)
1) Ahn, S. W., Cho, J. Y., and Kim, S. J., “An
Alternative Computing Algorithm of the
Penalized Weighted Residual Method for the
Structural Dynam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25, No. 6, 1997, pp. 83~92.
2) Walker, R. E., Stone, A. R., and Shandor,
M., “Secondary Gas Injection in a Conical
Rocket Nozzle,” AIAA Journal, Vol. 1, No. 2,
1963, pp. 334~338.
3) Turner, M. J. Matrix methods of Structural
Analysis, 1st Ed., Vol. 1, Macmillan, New York,
Fig. 1. Caption of the figure 1974, pp. 203~206.
(figure caption 은 그림 아래 위치함) 4) Park, D., Kim, S., Lee, Y., and Kim, C.,
표와 그림은 스타일 (그림표캡션)에 따라 작성한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peller for
Electrically Powered HALE UAV – Part II.
〖 〖 F 〗 〗=m 〖〖 a 〗〗 (1) Computational Analysis,“ Proceeding of the
수식은 위와 같이 스타일 (수식)에 맞추어 작성하며, 2014 KSAS Fall Conference, 2014, pp. 181-
수식번호는 위와 같이 소괄호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184.
부여한다.
*참고문헌은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며, 참고문헌의 표기는
세부 절 제목 – 스타일 (세부절 제목) 아래 참고문헌 인용방식을 준용한다.
필요 시 세부 절은 위와 같이 한 줄을 공란으로 만든
후 작성하며, 세부제목은 스타일 (세부절 제목), 정기간행지 :
본문내용은 (스타일 초록 및 본문내용)을 따라 작성한다. 1. 저자명(성, 이름순으로, 모든 저자 기재)
2. 논문제목
3. 학술지명(Italic 체)
4. 권.호
5. 발행년도
6. 페이지번호

단행본 :
1. 저자명(성, 이름순으로, 모든 저자 기재)
2. 서명(Italic 체)
3. 필요시 Edition/Volume
4. 출판사명
5. 출판사 소재지명
6. 발행년도
7. 필요시 페이지번호 혹은 장(Chapter) 번호

학술대회 논문 :
1. 저자명(성, 이름순으로, 모든 저자 기재)
2. 논문제목
3. 학술대회명(Italic 체)
4. 발표년도
5. 페이지번호

이용객 증가로 인한 버티포트 확장이 필요한


경우, 도심내 토지확보가 어려운 환경을
고려한 적층형 확장 시공기술 개발
기체 충전, 정비소, 레이더

포트 운용시스템의 무인・자동화, 소규모 포트


원격
제어 네트워크를 통한 경제적인 포트 확장
등의 기술개발 필요
본론

Table 과 Figure 의 캡션은 모두 영문으로 작성 한다.

3 가지 진출로 3 개의 구역 각방향에서의

보관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이 다릅니다. 이 EB 의


설계 표준 및 253 개 권장 사항은 모든 버티포트 및
버티스톱에 적용됩니다.
작성
새 로운 VTOL 항공기는 기존의 헬리콥터나 초

대형 틸트로터 항공기처럼 성능이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버티포트란 도심항공모빌리티에서 전기추진
수직이착륙 항공기와 승객들이 함께 이용하는
수직이착륙장을 의미

eVTOL 과 헬리콥터의 비행특성이 차이가


있으므로 헬리포트의 설계와 버티포트의 설계를
다르게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음

1991 년 5 월 31 일에 발표된 Vertiport 설계에


대한 FAA 의 이전 Advisory Circular(AC)는 조종사가 탑승한 상태에서 시각적 기상 조건
Vertiport 설계 에 대한 지침을 제공했으며 군용 (VMC)에서 비행
틸트로터 기술을 모델로 한 민간 틸트로터를 기반
참조 항공기의 성능 기준 및 설계 특성을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VTOL(수직 이착륙)용으로 충족하는 VTOL 항공 기를 위한 것
Uber 는 이착륙 영역(TLOF) 약 50 인치, 이착륙장
헬기장은 수직이착륙장에 대한 가장 유사한 현재 (FATO) 약 75 인치 그리고 그 주변의 안전구역
모델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두 유형의 항공기 (Safety) 약 108 인치 등으로 설계하였으며,
사이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헬리콥터와 이상적인 형태로 이착륙장 1 개에 계류장 4 개 또는
VTOL 항공기 사이에는 디자인 차이가 있습니다. 5 개임으로 전망
VTOL 항공기는 날개가 있거나 없는 다 양한
구성과 추진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다 Engineering Brief No. 105,
결과적으로 설계 헬리콥터의 메인 로터 직경을 잠재적인 수요 규모가 큰 대도시 권역 내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0.83 의 AC 150/5390-2
변환 비율은 개발 중인 다양한 VTOL 항공기와
교통수요를 입지 조건으로 검토
관련 된 다양한 특성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 (장거리 통행수요) 구성되는 네트워크에서
최대한 많은 배후 수요 확보
∙ 도시부의 지상 교통 혼잡 해결을 위한
특히 고장 조건에서 OEM 성능을 검증하는 데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는 만큼, 혼잡한 교통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유형 데이터는 현재 AC 상황에 있는 주요 간선축에 입지
150/5390 에서 일반 항공 헬기장에 필요한 것보다
더 넓은 착륙 및 이륙 영역(TLOF) 및 하중 지지
∙ 수도권의 생활권, 통근권의 지속적인 확장에
최종 접근 및 이륙 영역 (FATO)을 권장 따른 압축적 교통네트워크 제공
‒ (전략적 버티포트/기단 운용) UAM 기체
도달 가능 거리, 최대 탑승가능 인원 등
는 AAM(Advanced Air Mobility) 밀도, 빈도 및 제약을
운영 복잡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 고려하여, 더 많은 인원에 효과적인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버티포트를 UAM 실현을
현재 개발 중인 9 개의 신흥 항공기의 특정 성능
및 설계 특성을 통합합니다. 이 참조 항공기는 이
위한 전진기지로 활용
EB 의 버티포트 설계 지침을 알리는 특정 성능 및 ● 도시교통네트워크와의 연계한 설치
설계 특성을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 수월성을 입지 조건으로 검토
\ ‒ (지역 간 교통결절점 연계) 도시 내
교통네트워크와 지역간 교통네트워크 간의
연결고리
역할 수행
∙ 지역 간 교통결절점*과의 연계를 통한
D 는 수평면 에서 VTOL 항공기 투영을 둘러싸는
가장 작은 원의 지름 중장거리 교통네트워크와의 자연스러운 연계
교통 제공
* 예시) 고속철도 역사, 버스터미널 등
∙ 넓은 범주의 허브-스포그 방식의
15!!! 교통네트워크의 일환으로서 제공 가능
‒ (도시 내 주요 결절점 연계) 도시 내 주요
결절점에 기 설치되어 있는 기존 도시교통
네트워크와 연결
관광형 버티포트 ∙ UAM 이 단독으로 모든 통행을
지원하기보다 이미 구축된 도시 내 다른
네트워크
FAA 의 헬리포트 설계 기준(AC 150/5390-2C)
와의 연계 도모
등을 기반으로 계획된 Uber Skyport 디자인을 ∙ 도시 내 주요 결절점은 이미 교통시설을
참고하여 단계별 버티포트 형태를 설정 중심으로 한 개발을 통한 업무, 상업, 주거
지구를 형성하고 있어 향후 좋은 배후시장
역할 수행 가능
● UAM 접근・출발 및 항로설정에 용이한
134 공간구조를 입지 조건으로 검토
‒ (다수의 고층, 수직 건축물) 항공기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우며, 건물 간의 도시풍 등의
영향을 고려한 항로 설정 필요
∙ eVTOL 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FATO(Final Approach and Take-Off) 구역
에서는 장애물에 대한 제약조건이 필요
∙ 다수의 고층빌딩이 주변지역에 위치할
개연성이 높다는 점에서 접근 및 출발 항로
설정에 용이한 공간구조를 지닌 입지의 선정
중요
‒ (개방형 수직공간) 기존 교통네트워크로
활용하기 위한 개방형 수직공간

버티포트 구축 및 운용 시스템
‒ 도심 내 안정된 UAM 서비스를 위해 운영
중심의 버티허브(기체충전, 정비 등)와 입지,
수요별 버티포트・버티스탑건설(모듈형)을
위한 건설기준 최적화
‒ 버티포트 무인 자동화 운용 장비・시스템 및
안전・비상상황 관리 시스템 개발
∙ 버티포트 구조설계 모듈화・표준화,
버티포트 정밀이착륙 유도・자동화 통합 운용
시스템,
원격 감시 및 통합 관리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보안검색 최적화

2.1 기체 진출입 예상 경로
2.1 예상 비행로

2.1 지상 이동 동선
2.1 주기장
2.1 주요 시설

Vertiport 의 기체 진출입경로예상 비행로, 지상


이동동선, 주기장 및 주요 시설배치 고려

2.1 버티포트 – 스타일 (세부절 제목)


필요 시 세부 절은 위와 같이 한 줄을 공란으로 만든
후 작성하며, 세부제목은 스타일 (세부절 제목),
본문내용은 (스타일 초록 및 본문내용)을 따라 작성한다.

결론
여기에 결론을 간략히 기술한다. (마지막 줄은 공란)

후기
여기에 후기를 작성한다. (마지막 줄은 공란)

참고문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