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1 주차 축제란 무엇인가?

2교시 : 한국축제
2교시 한국축제

학습목표

1. 고대 한국축제의 기원, 형태, 의미 변화를 통해 그 변천과정을 파악한다.


2. 고대 한국축제를 계승하여 현재 연희되고 있는 축제 사례 중 인천 부평두레놀이와 부평풍물대축제를
알아본다.

학습내용

1. 들어가기 전에 2. 고대 한국축제의 역사 3. 한국축제의 변천


4. 생각해볼 문제

참고문헌

• 김영순, 최민성 외, <축제와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6


• 문화체육관광부(2007), 한국 문화관광축제의 현황과 발전,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 http://www.mcst.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인천관광공사, 인천관광100선, http://www.travelicn.or.kr/
1. 들어가기 전에

‘연등회’ 를 아십니까?
고려시대는 불교가 국교였던
시대였습니다.

태조가 남긴 <훈요십조>에는
팔관회와 함께 연등회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남아 있고,
연등도감을 설치하고
연등위장을 제정할 정도로
국가적인 행사로 치렀습니다.

http://www.ibulgyo.com/news/photo/201805/166549_123387_5840.jpg
2. 고대 한국축제의 역사

1 고대 한국축제의 기원

고대국가 부여에서 행하던 제천의식. 수확제 · 추수제


부여의 영고
은력(殷曆) 정월(음력 12월)에 거행

고구려의 10월 제천의식. 동명(東明)이라고도 한다.


고구려의 동맹 농경의례로서 부족사회 공동체의 추수 감사제
고려의 팔관회로 계승

상고시대 예(濊)에서 행했던 제천의식.


예의 무천
음력 10월에 거행
2. 고대 한국축제의 역사

1 고대 한국축제의 기원

신라와 고려시대 국가 최고 의식.


신라, 고려의
특히 고려시대 개경과 서경에서 토속신에게 제사 지내던 의식.
팔관회
토착신앙에 불교의식이 결부.
의식 내용에서는 연등회(전국적으로 거행)와 비슷.

고려시대 불교적인 제전인 연등회와 토속신에 관한 제전인 팔관회에서


산대잡극 산대잡극이 공연. 이는 모두 신라의 전통을 계승한 것

두레 한국 농촌사회에 있어서의 전통적인 공동노동 가운데 하나.


2. 고대 한국축제의 역사

2 부여의 영고

농경
공동체 질서
생활

종교적 제의 추수
풍작기원 감사제

수렵 국중대회
사회 국왕의 친제

동양일보 (2018.09.16. 부여의 풍속 영고迎鼓 재연…


왕이 직접 제사를 주관하는 친제(親祭) 의식
"옹졸·편협한 시대 접고 우애·화합하는 세상으로"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676
고대국가 부여에서 행하던 제천의식. 수확제 · 추수제
은력(殷曆) 정월(음력 12월)에 거행
2. 고대 한국축제의 역사

3 고구려 동맹

원시
종교
농업

http://www.seoul.co.kr/img/upload/2008/10/11/SSI_20081011061320_O.jpg

제정일치의 본보기 예술

제천의식, 동맹

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1013028029

고구려의 10월 제천의식. 동명(東明)이라고도 한다.


전 부족이 모여 국정 의논.
시조 주몽신(동명신)과 생모 하백녀에게 제천의식.
농경의례로서 부족사회 공동체의 추수 감사제
고려의 팔관회로 계승

http://www.nyjtoday.com/news/photo/200711/3671_2883_4015.jpg
2. 고대 한국축제의 역사

4 팔관회

우리 민족의 고유 민속신앙과
정의 불교의 팔관재계(八關齋戒)가
습합된 신라와 고려시대의 불교행사.

https://t1.daumcdn.net/news/2
00910/23/yonhap/2009102313
2625118.jpg(서울=연합뉴스)

팔관재계 재가(在家)의 신도가 하룻밤, 하루 낮 동안 받아 지니는 계율

팔 관 재 계

• 8가지 • 금(禁)한다는 뜻 • 하루 오전 중에 • 몸으로 짓는 허


으로 살생(殺 한끼 먹고 오후 물과 그릇됨을
生)·도둑질·음행 에는 먹고 마시 금하여 방지하
(婬行) 등의 여 지 않으며 마음 는 것이다.
덟 가지 죄를 금 의 부정(不淨)을
하고 막아서 범 맑히는 의식이
하지 않음이다. 다.
2. 고대 한국축제의 역사

4 팔관회

신라와 고려의 팔관회

신라의 팔관회 고려의 팔관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4회 기록 -고려의 팔관회는 고려 건국의 해인 918년(태조
1) 11월부터 시작되었다. 궁예가 매년 겨울
-10월, 11월에 개최 팔관회를 설치하여 복을 빈 것을 전승한 것이다.

-신라의 팔관회에 지리도참사상(地理圖懺思想)을


첨가하고 조상제(祖上祭)의 성격을 표면화시켜
호국적
종교 -중앙집권체제
천하태평·군신화합을 기원하는 민족적·호국적
의식의 강화
성격 연중행사로 발전되었다.
단일화 -민족적 통합

개경, 서경 전국
토착신앙 불교의식
(연등회)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팔관회(八關會))]
2. 고대 한국축제의 역사

5 고대 한국축제의 형태 및 의미
고대 한국축제의 형태

제천의례
국가적 공의
전승
/ 마을 굿
출처: https://search2.kakaocdn.net/argon/
0x200_85_hr/JPG4AbBIBL1

고대 한국축제 의미

고대인들에게 액운을 쫓고 복을 부르는 행위


민족의 신앙적 사상을 담아냄
문화적 공감대 형성 출처: https://postfiles.pstatic.net/20091023_217
/egeosigi_1256276812928oFK3X_jpg/전라도영광,
전라도드라이브,전라도관광,우평마을,굿축제,전라도축제,
영광축제,우평마을굿축제8_egeosigi.jpg?type=w2
3. 한국축제의 변천

1 부평두레놀이(부평삼산두레농악)

한국 농촌사회에 있어서의 전통적인 공동노동 가운데 하나가 두레이다.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에 전승되는 두레농악이다.
과거에 농사일을 할 때 두레를 짜서 농사일의 신명을 돋우던 두레패 농악을
내용 계승한 것이다.
부평삼산두레농악은 농사일 시작 전 의식 및 두레기 받기를 기원하는
당산제, 모찌기, 모심기, 김매기 등의 농사 재현, 농사일이 끝나고 호미를
씻어 걸어두는 호미걸이, 일년 농사를 모두 끝내고 당산에 가서 제사하는
당산제의 네 마당으로 구성된다.

부평삼산두레농악은 2008년 문화관광체육부의 지원을 받아 추진되었다.


현황 이후 부평풍물축제 등 각종 지역 축제 등에 참가하고 있다.
2015년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부평두레놀이 [富平─]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축제의 변천

2 인천부평풍물대축제

한국의 흥과 놀이, 농경문화의 전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풍물. 그것이 축제


모티브가 되었다.
인천 부평은 고대부터 농경문화가 발달된 곳으로 자연스레 풍물이 생활 속에
뿌리 내린 고장이다.
이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가을의 문턱인 매년 10월, 부평 도심거리가 거대한
무대가 된다. 인천부평풍물대축제는 1997년 시작되었다.

출처: 인천관광공사 인천관광100선 http://www.travelicn.or.kr/


2. 한국축제의 변천

2 인천부평풍물대축제

인천부평풍물대축제 포스터 (2021, 2017, 2016)


생각해볼 문제

1. 고대의 제천의식은 종교, 정치, 민속, 예술이 포함된 제정일치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고대 축제들이 각 국가(혹은 지역)의 사회적 배경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었는지 그 특징을 이해해보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