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6

중국 고대 死者의 書* 와

漢代人의 來世觀
- 鎭墓文을 중심으로 -

尹 在 碩 (慶北大)

Ⅰ. 머리말
Ⅲ. 關洛 이외 지역 출토 鎭墓文의
Ⅱ. 鎭墓文의 출토 현황과 關洛地域
유형과 來世觀
출토 鎭墓文에 반영된 來世觀
Ⅳ. 맺음말

Ⅰ. 머리말
生과 死의 善循環을 바라는 인간의 열망이 靈魂不滅에 대한 염원과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사후세계에 대한 종교적 설계를 가능케 하였을
것인데, 고대 중국인들이 구축한 喪葬儀禮는 사후세계에 대한 선험적
혹은 종교적 사유의 결과라기보다는 “事死如事生”1)으로 표현되듯이
현세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來世觀에서 비롯되었다. 시신과 함께 매장
하는 각종 부장품이 내세에서 사용할 생활도구로 구성되었을 뿐 아니
라 그것의 종류와 양적 질적 차이가 피장자의 생전 정치적 신분과 경
제적 지위를 철저히 반영한 것임은 물론이다.
漢代의 墓葬에서 발굴되는 告地策·鎭墓文·買地券 등의 喪葬文書는
지역적 시간적 편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것이나 한대인들의 내

*이 논문은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KRF-2009-327-A00059).
1) 左傳 哀公15年條.
26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세가 현세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는 공통된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되었


다. 특히 고지책은 현세의 거주지 이전 과정에서 처리해야 할 문서행
정이 사후세계로의 移行 과정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을 뿐 아니라 冥
界는 망자가 현세의 신분과 재산을 그대로 유지하는 양상으로 묘사되
어 있다. 이는 현세의 정치·사회적 네트워크가 생사를 초월하여 지속
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인식한 전한대인들의 사유를 잘 보여준다. 나
아가 이는 내세의 종교적 영역을 인정하지 않을 정도로 강고한 한제국
권 배 조
의 중앙집 적 지 구 가 來世觀 에 지 念 까 침투
한 결과로 이해할 도 수
있을 것이다. 2)

런 면 甁
그 데 후한대가 되 鎭墓 과 買地券을 중심으로 고지책에서 찾
아볼수없 변 감 목
는 화가 지되어 주 된다. 告地策이 주로 전한대의 현
호북 호남
· 견
등 장강 유역에서 발 되는 반 진묘 과 매지 은 중과 면 병 권 관
낙양 지역을 중심으로 하되 부는 일 감숙
과 산서·강 ·산동 등지에서도 소
견 많 변
발 되고, 내용상에서도 은 화를 보여준다. 이처 상장문서에서 럼
타 요
시대적·지역적 편차가 나 나는 인에 대하여 종 학계에서는 주로 래
후한대에 형성된 초기 도교가 상장의 에 영 을 례 향 미친
결과로 보는 것
일 러
이 반적이다. 그 나 후한대 도교의 내용과 성 시기에 대한 인식 립

의 공유가 이 어지지 않은 상 에서 진묘 과 매지 이 태 병 출토 권 새롭게
될 때마 근
다 이를 거로 도교의 성 시기를 립 소급
적용하는 것은 재고
할 필요 가 있다.

그동 진묘문에 대한 연구는 로 진묘문 자 가 발굴 새 운 료
다 될 때마
순 복 방법
단 반 적인 론이 동원되어 다. , 왔 즉 개별
진묘문에 대한 문자
考釋 체
과 서 의 연구, 진묘문에 반영된 영
3) 혼관
과 상장 속,4) 진묘문과 습
者 人
2) 尹在碩,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告地策을 중심으로 (
8 pp 8 8 참조
中國史硏究 第 6輯, 2013), .6 - 1 .
석 체 측 찰
3) 문자 고 과 서 에 대한 연구는 중국 연구자의 가장 주된 고 대상으로
陳直 初平四 王氏朱 陶甁考釋 考古與 物 8
서, 대표적으로 , 漢 年 書 ( 文  19 1年 第
期 p ; 劉衛鵬 永平三 朱 陶甁考釋 物考古論集 咸陽市 物考古
4 ), .115 , 年 書 (文 - 文
所成立十周 紀念 三晋出版社
年 , pp ; 王育成 洛陽延光元 朱
, 2000), .164-169 , 年 書
陶罐考釋 原 物 期 pp 8 ; 賈麥明 韓城市 出土閭氏
(中 文  1993年 第1 ), .71- 1 , 漢墓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27


도교의 연 성5)에 대한 탐색
등이 가장 중심적 였다. 다 테마 만 최근
병 병 입
질 을 비롯한 후한대의 사회 리적 장에서 진묘문의 성행 인을 요
지적하거나 五石
에 대해 의학적으로 접근
하는 연구가 나 는가 하 ,6) 오 면
體 風 찰
진묘문 특유의 書 와 書 에 대한 고 7) 등이 시도되기도 한다. 그 러
러 향
나 이 한 연구경 도 기 연구의 존리에서 크 테두
어나지 않은 것 게벗

이 사 이다. 특히 전한대의 고지책에 비해 강한 주술적 내세 훨씬 관
립 찰
이 성 되는 과정에 대한 고 이 부 하고, 이와 족
하여 후한 후기 관련
朱書陶甁考釋 (東南文化 1993年 第3期), pp.59-62; 呂志峰, 東漢熹平二年張
叔敬朱書瓦缶考釋 (中文自學指導 2007年 第2期), pp.19-23; 黃景春, 早期買
地券·鎭墓文整理與硏究 (華東師範大學2004年度博士學位論文), pp.81-153 등을
들 수 있다.
4) 劉衛鵬, 陝西高陵出土的東漢建和三年朱書陶甁 (文物 2009年 第12期),
pp.82-86; 王承斌, 由鎭墓文看東漢民間厚葬之心態 (蘭臺世界 2010年 第20
期), pp.24-25; 王亞軍, 從鎭墓文化透視漢代民間信仰 (長江大學學報(社會科
學版) 2012年 第35卷 第5期), pp.24-25; 王亞軍, 試論漢代鎭墓習俗中靈魂信
仰 (管子學刊 2012年 第3期), pp.106-109.
5) 鎭墓文과 道敎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중국측 진묘문 연구자의 공동 관심사
로서, 대표적으로 吳榮曾, 鎭墓文中所見到的東漢道巫關系 (文物 1981年 第
3期), pp.56-63; 張勛燎, 東漢墓葬出土的解注器材料和天師道的起源 (道家文
化硏究 第9輯, 1996), pp.253-266; 王育成, 略論考古發現的早期道符 (考古
1998年 第1期), pp.75-81; 蔡運章, 東漢永壽二年鎭墓陶甁文考略 (考古 1989
年 第7期), pp.649-652; 連劭名, 洛陽延光元年神甁朱書解除文述略 (中原文物
 1996年 第4期), pp.74-75; 連劭名, 漢晋解除文與道敎方術 (華夏考古 1998
年 第4期), pp.75-86; 劉昭瑞, 考古發現與早期道敎硏究 (文物出版社, 2007),
pp.12-38; 郝本性·魏興濤, 三門峽南交口東漢墓鎭墓甁朱書文考略 (文物 2009
年 第3期), pp.57-61; 楊愛國, 東漢時期道敎參與喪葬活動的考古學證據 (文史
哲 2011年 第4期), pp.86-91 등을 들 수 있다. 국내에서는 五石과 道敎의 관계
를 究明한 趙晟佑, 後漢魏晋 鎭墓文의 특징과 道敎 (東陽史學硏究 第117
輯, 2011), pp.51-80을 주목할 수 있다.
6) 劉衛鵬·程義, 漢晋墓葬中隨葬陶甁內盛物的初步硏究 (江漢考考 2008年 第3
期), pp.78-85; 劉衛鵬, 五石鎭墓說 (文博 2001年 第3期), pp.24-29; 易守菊,
槪述解注文中的傳染病思想 (南京中醫藥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01年9月 第
2卷 第3期), pp.139-142; 易守菊, 解注文之“注”與“注病” -從解注文看古代傳染
病 (四川文物 2001年 第3期), pp.34-36.
7) 郗文倩, 東漢鎭墓文的文體功能及其文體借鑒 (廣西師範大學學報(哲學社會科
學版) 2010年 第16卷5期), pp.65-69.
28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의 정형화된 關中· 洛陽
지역(이하 關洛지역으로 표기) 출토 진묘문의
석 만 관
분 에 치중할 뿐 내세 을 반영하고 있는 전한말과 후한 전기의 비
전형적 상장문서와 진묘문의 관련
성에 대한 분 은 거의 이 어지지 석 루

않 다. 아 울러
지역적으로 내용과 형식의 상이성이 지 나 두드러 게 타

나는 鎭墓文 의 상장문서로서 현 · 감숙 안휘 소
·강 ·산서·산동 등지에서
료 목 루
발굴되는 자 에 대한 주 은 거의 이 어지지 하고 있다. 이외에도 못
고지책과 리 달 훨씬
다양한 冥界의 구 와 生死 의 조 異路 관념 및 辟邪祈
福의 주술적 세계를 보여주는 진묘문의 형성 인에 대한 사회적 요 접근

도 부 한 편이다.

이에 고에서는 선 지금까 우지 발굴된 진묘문의 현황을 정리하는
합 석
한편, 진묘문에 대한 종 적 분 을 통하여 그것의 지역적 차이와 더
태 및 요
불어 내용과 형 상의 차이 그 인에 대하여 주 하고자 한다. 그 목
리고 진묘문에 나타난 관내세 이 전한대의 고지책의 그것에 비해 훨씬
脫政治化 요 살펴
된 인에 대하여도 보고자 한다.

Ⅱ. 鎭墓文의 출토 현황과 關洛地域 출토


鎭墓文에 반영된 來世觀

鎭墓文은 死 의 영 을 혼 邪鬼
혹은 로부 邪氣 터 保護 安
·鎭 하고 후 손
의 장 와 수 복락을 기원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상장문서로서, 주로 漢 後
과 魏晋南 朝
北 시기의 묘장에서 陶甁 또 陶罐 朱
는 墨
에 書 혹은 書된 형
태 러 일 긴 만鉛
로 발굴되고 있다. 그 나 부이 하지 券 혹은 木牘에 기재
되거나 과畵像石 石羊
을 비롯한 石物 刻字 태
에 한 형 로 제작되기도 하

였다.8) 告地策이 주로 漢代 장강 유역(현 호북 호남
· 등)의 묘장에서
면 병 남섬
발굴되는 반 진묘 은 주로 현 하 · 서 등지에 산재한 후한대 분
< >
묘에서 발굴되고, 표1 에서 보듯이 현재 지 5까 8건 확
정도가 인된다.

8)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참조.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29

이들 중에는 정식으로 보고된 것도 있으나 상 는 傳世文 에 그 형당수 獻


태 만 러
와 내용 전해지고 있다. 이 한 진묘문을 망라하여 출토 지역
9) 총
별 순
그리고 시기 으로 정리하 다음 표1 과 다. 면 < > 같
<표1: 鎭墓文 출토 현황>
出土時期/
鎭墓文名 年代 形態 出典
地域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咸陽敎育學院漢
①永平三 年鎭 明帝 永平
三 年 ( 6 0 陶甁 咸陽 墓文淸理簡報 ,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編, 
墓文 1999年, 物考古論集 - 咸陽市文物考古所成立十
年) 周年紀念, 三晋出版社, 2000
②永元四 年鎭 和帝 永元 陶罐 1973, 寶鷄 王光永 , 寶鷄漢墓發現光和與永元年間朱
墓文 4年(92) 書陶器 , 文物1981年 第3期
③永元十六 年 永元 1 6 年 陶甁 陝西省文物管理委員會, 長安縣三里村東
1957, 長安縣 漢墓發掘簡報 , 文物參考資料1958年
鎭墓文 (104) 第7期
④陽嘉二 年 曹 順帝 陽嘉 陶罐 禚振西, 陝西戶縣的兩座漢墓 , 考古與
伯魯鎭墓文 2年(133) (2건) 1972, 西安 文物1980年創刊號; 禚振西, 曹氏朱書陶
罐考釋 , 考古與文物1982年 第2期
書道全集卷3; [日]中村不折著, 李德范
⑤永和六 年鎭 順帝 永和 陶甕 1914, 西安 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中華書
墓文 6年(141) 局, 2003
⑥建和元 年 加 桓帝 建和 陶甁 陝西省文物管理委員會, 長安縣三里村東
氏鎭墓文 元年(147) (6건) 1957, 長安縣 漢墓葬發掘簡報 , 文物參考資料1958年
第7期
⑦ 北 斗君 鎭墓 不明 陶甁 1957, 長安縣 王育成 , 南李王村陶甁朱書與相關宗敎文
文 化問題硏究 , 考古與文物1996年 第2期
⑧建和三 年鎭 建 和 3 年 陶甁 2005, 陝西省 劉衛鵬, 陝西高陵出土的東漢建和三年朱
墓文 (149) 高陵縣 書陶甁 , 文物2009年 第12期
⑨永壽二 年 成 桓帝 永壽 陶甁 西安府之外 譯書, 道全集 卷3; [日]中村不折著, 李德范
桃椎鎭墓文 2年(156)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⑩永壽二 年 劉 永 壽 2 年 陶甁 1914, 西安 譯書, 道全集 卷3; [日]中村不折著, 李德范
孟陵鎭墓文 (156)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⑪延熹九 年鎭 桓帝 延熹 陶甁 1987, 西安 王育龍 , 西安昆侖廠東漢墓淸理記 , 考
墓文 9 年(166) (2건) 古與文物1989年 第2期
⑫建寧元 年 楊 靈帝 建寧 陶甁 1959, 潼關 陝西省文物管理委員會, 潼關吊橋漢代楊

9) 대표적으로 羅振玉 古明器圖錄 貞松堂集古遺文, 居貞草堂漢晋石影, 


의  , 
居貞草堂 晋石影 ; 鄒安 藝術叢編 ; 郭沫若, 奴隸制時代 (郭沫若全集(歷
漢  의  
編 三卷 人民出版社 8 ; 道博物館, 書道全集第三卷(平凡社,
史 , 第 ), , 19 4) 書
; [日] 村 折著 李德范譯 禹 出土墨書書法源流考 (中華書局, 2003)
1931) 中 不 , ,  域
등이 있다.
30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氏鎭墓文 元年(168) 氏墓群發掘簡記 , 文物1961年 第1期


⑬建寧四 年鎭 靈帝 建寧 陶甁 西安 書道全集卷3; [日]中村不折著, 李德范
墓文 4年(171) 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⑭熹平元 年 陳 靈帝 熹平 陶甁 西安 書道全集卷3; [日]中村不折著, 李德
叔敬鎭墓文 元年(172) 范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⑮熹平四 年 胥 熹 平 4 年 陶甁 西安 [日]中村不折著, 李德范譯, 禹域出土墨
氏鎭墓 (175) 書書法源流考;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⑯光和二 年 段 獻帝 光和 陶甁 西安 書道全集卷3; [日]中村不折著, 李德范
氏鎭墓文 2年(179) 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⑰光和□ 年 王 光和 年 間 陶甁 1970, 寶鷄 王光永 , 寶雞市漢墓發現光和與永元年間
氏鎭墓文 (178-84) 朱書陶器 , 文物1981年 第3期
⑱初平元 年 劉 獻帝 初平 陶器 1987, 陝西 林泊·李德仁 , 臨潼發現漢初平元年墓 ,
氏鎭墓文 元年(190) 臨潼縣 文博1989年 第1期
⑲初平元 年 孫 初平元 年 陶甁 西安 高大倫·賈麥明 , 漢初平元年硃書鎮墓陶
氏鎭墓文 (190) 罐 , 文物1987年 第6期
⑳初平四 年 王 初 平 4 年 陶甁 1957, 西安 唐金裕 , 漢初平四年王氏朱書陶甁 , 文
氏之妻鎭墓文 (193) 物1980年 第1期
 韓城閭氏 鎭 初平 年 間 1981, 陝西 賈麥明, 韓城市漢墓出土閭氏朱書陶甁考
墓文 (190-193) 陶甁 韓城市 釋 , 東南文化1993年 第3期
貪安志·馬志軍, 長安縣南李王村漢墓發掘
南李王村張 1987, 長安縣 簡報 , 考古與文物1990年 第4期; 王育
氏鎭墓文 後漢末期 陶甁

成, 南李王村陶甁朱書與相關宗敎文化問
題硏究 , 考古與文物1996年 第2期
 寶鷄鏟車廠
寶鷄博物館, 寶鷄鏟車廠漢墓―兼談M1
後漢末期 (2陶甁건) 1987, 寶鷄 出土的行楷作硃書陶甁 , 文物1981年
鎭墓文 第3期
 劉崎鎭墓文 不明 陶甁 1982, 陝西省 杜葆仁等, 東漢司徒劉崎及其家族墓的淸
華陰縣 理 , 考古與文物1986年 第5期
 西安財政幹
西安市文物保護考古所, 西安財政幹校培
校鎭墓文 不明 陶甁 1997, 西安 訓中心漢·後趙墓發掘簡報 , 文博1997年
第6期
 延光元 年鎭 安帝 延光 1980년대 중 中國 社科院考古硏究所洛陽唐城隊, 1984
墓文 元年(122) 陶甁 기, 洛陽 年 至 1986年洛陽漢晉墓發掘簡報 , 考古
學集刊1991年 第7輯
 陽嘉四 年 唐 順帝 陽嘉 陶罐 1955, 河南省 黃河水庫考古工作隊, 河南陝縣劉家渠漢
氏鎭墓文 4年(135) (2건) 陝縣 墓 , 考古學報1965年 第1期
 元嘉二 年 緱 桓帝 元嘉
氏鎭墓文 2年(152) 陶甁 1974, 洛陽 洛陽 文物工作隊, 洛陽李屯東漢元嘉二年
墓發掘簡報 , 考古與文物1997年 第2期
 永壽二 年鎭 桓帝 永壽
墓文 2年(156) 陶甁 1980, 洛陽 蔡運章 , 東漢永壽二年鎭墓陶甁文考略 ,
考古1989年 第7期
羅振玉, 貞松堂集古遺文一五; 仁井田
延熹四 年 鍾 桓帝 延熹 陞, 中國法制史硏究-土地法取引法, 東
仲游妻鎭墓文 4年(161) 鉛券 河南省 孟津 大出版社, 1980(補訂版); 池田溫, 中國歷

代墓券略考 , 東洋文化硏究所紀要第68
冊, 1981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31

 洛陽唐寺門 桓帝 永康 陶罐 洛陽 洛陽 文物工作隊, 洛陽唐寺門兩座漢墓發


成氏鎭墓文 元年(167) 건
(3 ) 1970, 掘簡報 , 中原文物1984年 第3期
 建寧三 年 趙 建 寧 3 年
氏鎭墓文 (170) 陶罐 1953, 洛陽 洛陽區考古發掘隊
出版社1959
, 洛陽燒溝漢墓, 科學

 初平元 年 郭 初平元 年
氏鎭墓文 (190) 陶罐 1953, 洛陽 洛陽區考古發掘隊
出版社, 1959
, 洛陽燒溝漢墓, 科學

 三門峽 鎭墓
後漢後期 陶甁 1998, 三門峽 河南省 文物考古硏究所, 河南三門峽南交
口漢墓(M17)發掘簡報 , 文物2009年 第
文 (5건) 市 3期
 洛陽玉衣 墓
鎭墓文 後漢末期 陶罐 1972, 洛陽 洛陽 文物工作隊, 洛陽發掘的四座東漢玉
衣墓 , 考古與文物1999年 第1期
 弘農楊氏 鎭 後 漢 ( 2 세 1972, 河南省 河南省博物院, 靈寶張灣漢墓 , 文物
墓文 기 후반) 陶甁 靈寶縣 1975年 第11期
 密縣后土郭 陶罐 1963, 河南省 河南省文物硏究所, 密縣后土郭漢畫像石
鎭墓文 後漢末期 (8건) 密縣 墓發掘報告 , 華夏考古1987年 第2期
 洛陽解注甁
鎭墓文 不明 陶甁 1954, 洛陽 郭寶鈞等 , 一九五四年洛陽西郊發掘報告
, 考古學報1956年 第2期
 永建三 年鎭 順帝 永建
墓文 3年(128) 陶器 不明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 元嘉元 年 袁 桓帝 元嘉
孝劉鎭墓文 元年(151) 不明 不明 羅振玉, 貞松堂集古遺文
 熹平六 年鎭 靈帝 熹平 池田溫, 中國歷代墓券略考 , 東洋文化硏究
墓文 6年(177) 不明 不明 所紀要第68冊, 1981
 殘鎭墓文 不明 鉛券 不明 羅振玉, 貞松堂集古遺文
 劉伯平 鎭墓 羅振玉, 貞松堂集古遺文; 古器物識小
文 不明 鉛券 不明 錄
 程氏鎭墓文 後漢
鉛券 不明 書道全集卷3; 王育成, 考古所見道敎簡
(4건) 牘考述 , 考古學報2003年 第4期
 張氏鎭墓文 不明 陶甁 不明 書道全集卷3, 平凡社, 1931
 大 吉日陶 鎭
墓文 不明 陶器 不明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 宜蟲桑 鎭墓
文 不明 陶器 不明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 序寧簡
章帝 建初 木牘 不明 陳松長編著, 香巷中文大學文物館藏簡牘
4年(79) , 香巷中文大學文物館, 2001
 盱眙木牘 鎭 前漢末-新 1974, 江蘇省 南京博物院, 江蘇盱眙東陽漢墓 , 考古
墓文 莽 木牘 盱眙縣 1979年 第5期
 高郵木牘 鎭 後漢末 추 1957, 江蘇省 江蘇省文物管理委員會, 江蘇高郵邵家溝
墓文 정 木牘 高郵縣 漢代遺址淸理 , 考古1960年 第10期
 壽州西嶽神 20世紀初, 安 周季木, 居貞草堂漢晉石影第三十四; 羅
符鎮墓文 不明 石刻 徽省 壽州 振玉, 石交錄
 壽州劉君 鎭 20世紀初, 安 周季木, 居貞草堂漢晉石影; 羅振玉, 
墓文 不明 石刻 徽省 壽州 石交錄
 壽州石羊 鎭 不明 石刻 20世紀初, 安 周季木, 居貞草堂漢晉石影; 羅振玉, 
32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墓文 徽省 壽州 石交錄
永和五 年 遼 順帝 永和 1972, 遼寧省 許玉林, 遼寧蓋縣東漢墓 , 文物1993年
寧蓋縣磚文 5年(140) 磚

蓋縣 第4期
 延熹九 年 韓 桓帝 延熹 1993, 山西省 王澤慶, 東漢延熹九年朱書魂甁 , 中國
袱興鎭墓文 9年(166) 陶甁 臨猗縣 文物報1993年11月7日第3版
 熹平二 年 張 靈帝 熹平 1935, 山西省 郭沫若, 奴隸制時代 (郭沫若全集(歷史
叔敬鎭墓文 2年(173) 瓦盆 忻州 編, 第三卷), 人民出版社, 1984
 熹平二 年 禳 熹 平 2 年 刻石 山東省 莒縣 羅振玉, 石交錄
禍刻石鎭墓 (173)
 武威磨咀子
甘肅省博物館, 甘肅武威磨咀子漢墓發掘
1959, 甘肅 , 考古1960年 第9期; 甘肅省博物館·中
女子□寧 鎭墓 後漢 織物 省, 武威 國科學院考古硏究所編, 武威漢簡, 中華
文 書局, 2005

이에 따르면 현재 지 까 알려진 진묘문은 西安 寶鷄


과 등 關中지역에
서 25 , 건 洛陽 남 건
을 중심으로 한 하 지역에서 13 , 그리고 발굴지역이
밝혀 건 미
지지 않은 것이 11 정도 되는데, 발굴지 상인 것들도 대부분
위의 두 온 추
지역에서 나 것으로 정된다. 그 데 이들 지역 외에런 안휘
건 소 건 건
(3 )·강 (2 )·산서(2 )·산동(1 )· 건 요녕 건 감숙 건
(1 )· (1 ) 등지에서도 진
묘문으로볼수 건 러
있는 10 의 상장문서가 발굴되었다. 그 나 이들 진
묘문에 대해서는 熹平二 張叔敬 年 일 면
鎭墓文 등 부를 제외하 연구가
루 태
거의 이 어지지 않은 상 이다. 10)

< > 료 陶甁 陶罐 절 수 점
표1 에서 보듯이 진묘문의 재 는 과 이 대 다 를
하지만 鉛 木牘 및 畵像石 石羊 石刻
券과 · 없 등에 된 것도 지 않다. 그
별 면紀 확
리고 시대 로 보 른 明帝
年이 인되는 것 중 가장 이 것은 후한
永平 ① 章帝 건 和帝 건 安帝
3年(60)의 이고, 이후 시대 1 , 시대 3 , 시대 1
건 順帝 건 桓帝
, 시대 4 , 건 帝 건 獻帝 건 순
시대 12 , 靈 시대 7 , 시대 7 등의
으로 나타난 럼 和帝 터 獻帝
다. 진묘문이 가장 성행한 시기는 통설처 부

代 지이고, 특히桓帝 帝 獻帝 ·靈 · 알수
등 후한 말기에 성행하였음을
있다.

라서 지 금까 소
지의 연구는 위 關洛지역에서 출토된 후한 후기의


10) 이하 인용하거나 고하는 鎭墓文의 번호는 모두 <표1>에 제시된 진묘문의
번호
임을 밝혀둔
다.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33

진묘문 위주로 진행되었고, 이들 진묘문의 書 寫構造 와 형식이 진묘문



의 가장 전형적인 형 로 이해되어 왔던 바, 이를 바탕으로 진묘문으
로써 갖추 조건
어야 할 같
은 다음과 이 정리할수 조있다. 서사구 를 중
심으로 한 형식적 측면 우 두
에서, 선 關洛지역 출토 진묘문의 서 에는
年號+年數+月數+朔日天干 支+日數+某日天干 支
地 地 로 구성된 진묘문 작
점 뒤
성시 이 등장하고, 이어 鎭墓의 명령 달 天帝
을 전 하는 과정으로서
使者 를 비롯하여天帝神師 天帝神師黃神越章 天帝神師 者 黃神
11) · 12)· 死 13)·

北 14) 등이天帝 명령의 神 게 달
을 墓域과 冥界의 에 전 하는 내용이
오 두 우
나 는데, 이 과정은 진한대 공문서의 서 부분과 매 유사하다. 둘
째명, 계의 위계질서는 天帝 最高神 를 명 官系列
으로 하여 계의 地 과 墓
域의 地 神系列 삼로 분되어 있다. 이들諸神 명칭 의 官
중에는 현세의
名 일 또 면 본
과 치 는 유사한 것이 있는가 하 , 기 적으로 제신의 위는 층
현세의 官階 모방 측면
를 한 최 명령
이 강하다. 그리고 고신의 (진묘의
내용) 전달방 식 역시 현세 문서행정의 처리과정과 유사하다. 즉최 15) ,
고신의 명령 使者
은 그의 神 게 달 神
에 의해 묘역의 地 에 전 되고, 地 은
명 官 게 달 목 달 록
이것을 다시 계의 地 에 전 하여 진묘의 적이 성되도 하
였다. 그리고 이 과정은 현세 공문서의 처리과정과 유사하 “移”·게
令 셋째
“ ”·“傳”의 용어로 기술되었다. , 진묘문의 종결어는 공문서의 그
것과 마찬 律令
가지로 “如 急急 律令
” 혹은 “ 如 ”으로 표현되었다.16)
이렇게 볼 때 , 진묘문의 문서양식과 그것의 전달방 본 식은 기 적으로

11) 黃河水庫考古工作隊 河南陝縣劉家渠漢墓 (考古學報 1965年 第1期), p.123.


,
12) [日] 村 折著 李德范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p.9의 光和二年段氏鎭
中 不 , ,
墓文.
13) [日] 村 折著 李德范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p.3의 永和六年陶鎭墓
中 不 , ,
文.
14) 王光永 寶雞市 發現光和與永元年間朱書陶器 (文物 1981年 第3期),
, 漢墓
p .53.
15) 吳竣錫 秦 체계 연구 (2013년 8월 경북대학교박사학위청구논
,  漢代 문서행정
pp 참조
문), .103-127 .
16) 吳榮曾 所見到的東漢道巫關系 , p.56; 呂志峰, 東漢鎭墓文考述 (
, 鎭墓文中
東南 化 期 pp.75-76 참조.
文  2006年 第6 ),
34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전한대 고지책의 그것과 마찬


가지로 전한대 이 고 화되어 래 착 온 중앙
권 배 조
집 적 지 구 가 후한대인들의 사후세계 에도 영 을 관 향 미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나 내용적인 러 측면
에서 진묘문의 사후세계
관은 전한대 고지책의 그것과 리 달 巫術 方術 향 우 많
혹은 의 영 을 매
았실
이 받 다는 사 을 다음과 은 같 요소 찾 수
에서 을 있다.
우 ‘ 異路’
선, 生死 조 병 달
를 강 하는 진묘 과 리 고지책은 사후세계 역시
현세와마찬 陽 陰
가지라는 전제하에 界에서 界로 이사하는 사자의 통과
절 소요
차에 되는 문서로서, 사자는 생전의 정치적 신분과 경제적 지위
를 그대로 유지한 음계로 채
수평 며 때 필요
이동하는 것이 , 이 한 것이
승 鄕 縣 승 鄕 縣
이 의 과 에서 저 의 과 으로 이사 갈 때 필요 호 노 한 적( 비
포 송 명
함)과 이 물자의 세서였다. 이는 고지책에 반영된 사후세계 에 관
승 승 일
서 저 은 이 의 연장 뿐 진묘문의 그것처 럼 巫術的 세계는 아니었
미 면
음을 의 한다. 반 진묘문에 반영된 사자의 세계는 고지책과 리
17) 달
향 훨씬 巫術的 呪術的
도교적 성 이 강한 혹은 차원에서 설정된 세계로
승 절 명 일 일
서, 사자는 이 과 철저히 단 된 계의 원 뿐 아니라 심지어 생
존 족 게 코 입힐 수 존
중인 가 원에 해 지를 까
있는 재로 인식되기 지 하였
러 죄 따른 징벌 면
다. 진묘문은 이 한 사후세계에서 사자의 과에 을 제해
주고, 생자를 위한 除殃 福樂
과 을 기원하는 내용과 그방법 을 제시하
루 져
는 내용으로 이 어 있다.
우 조 터 살펴
선, 진묘문에 반영된 지하세계의 구 부 보기로 하자. 關洛

지역에서 출토된 대다 의 진묘문에서 진묘의 명령 최
을 내리는 고신은
天帝 오 휘
로 나 고, 그의 하에 있는 天帝神師 또 天帝使者 천
는 가 제의
명령 수
을 대리 행하는 神名 온 런 일
으로 나 다. 그 데 부 진묘문의 경우
천 일
제와 동 한 역할을 하는 신 으로격 黃神 또 黃帝 오
는 가 나 기도 한
우 黃神 우 ①永平三
다. 선 의 경 黃神使者 ⑰光和□ 王
年鎭墓文의 “ ”, 8)
1 年

者 人
17) 尹在碩,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告地策을 중심으로 ,
pp 8 참조
.46- 3 .
8 咸陽市 物考古 所 咸陽敎育學院 淸理簡報 咸陽市 物考古 所
1 ) 文 硏究 , 漢墓 ( 文 硏究
編 物考古論集 咸陽市 物考古所成立十周 紀念 三晋出版社
, 文 - 文 年 , , 2000),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35

氏鎭墓文19)과 寶鷄鏟車廠鎭墓文의 “黃神北斗”20) 등이 그것이다. 그


런데 이들 黃神은 張氏鎭墓文의 “天帝使者黃神越章”21)과 ⑯光和二年
段氏鎭墓文의 “天帝神師黃神越章”22)에 의하면, 천제의 사자로 등장하
는가 하면, ④陽嘉二年曹伯魯鎭墓文에는 天帝使者가 진묘를 보증하기
위하여 ‘黃神越章之印’을 封한다는 사실이 기술되어 있기도 하다. 이는
곧 黃神이 천제의 명령을 받아 생사를 결정하고 사자의 鬼籍을 관장하
는 존재로 인식된 결과로 보인다. 즉,  熹平二年張叔敬鎭墓文의 “天帝
使者告張氏之家……黃神生五嶽, 主生人祿(錄), 召魂召魄, 主死人籍.”23)
에 의하면 黃神은 천제의 명령을 받고 五嶽을 내세워 생사를 결정하는
生人錄을 주관함과 동시에 사자의 혼백을 불러 이를 鬼籍에 등재하는
신격으로 묘사되어 있다. 따라서 황신의 인장인 黃神越章 혹은 黃神越
章之印은 진묘문에서는 물론이고 묘장에 실물로 부장되기도 하였던 것
이다.
黃神 이외에도 마치 천제와 동일한 신격으로 보이는 존재로서 密
縣后土郭鎭墓文과 元嘉二年緱氏鎭墓文 및 韓城閭氏鎭墓文에 등장
하는 黃帝가 있다.24) 황제는 황신과 동일한 신격일 것이라는 추정은
이미 제기된 적이 있지만,25) 황제가 천제의 명령을 수행하는 신격임을
입증하지는 못하였다. 그런데 매지권과 진묘문이 함께 기재되어 있는
 延熹四年鍾仲游妻鎭墓文인 “黃帝告丘丞墓伯……有天帝敎, 如律令”에

p.233; 劉衛鵬, 永平三年朱書陶甁考釋 (文物考古論集 -咸陽市文物考古所成


立十周年紀念), p.164.
19) 王光永, 寶雞市漢墓發現光和與永元年間朱書陶器 , p.53.
20) 寶鷄市博物館, 寶鷄市鏟車廠漢墓 -兼談M1出土的行楷作硃書陶甁 (文物
1981年 第3期), p.48.
21) 書道博物館, 書道全集, p.15.
22) [日]中村不折 著, 李德范 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p.9.
23) 郭沫若, 奴隸制時代 (郭沫若全集), p.665.
24) 河南省文物硏究所, 密縣后土郭漢畫像石墓發掘報告 (華夏考古 1987年 第2
期), p.117; 洛陽市文物工作隊, 洛陽李屯東漢元嘉二年墓發掘簡報 (考古與文
物 1997年 第2期), pp.3-4; 賈麥明, 韓城市漢墓出土閭氏朱書陶甁考釋 , p.59.
25) 吳榮曾, 鎭墓文中所見到的東漢道巫關系 , p.61; 小南一郞, 漢代の祖靈觀念
(東方學報 66卷, 1994), p.42 참조.
36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서26) 황제가 제의 천
敎令 수 존 면
을 행하는 재임을 보여주는가 하 , 특히
 壽州劉君 天帝 除居巢劉君冢惡氣: …… 央黃帝主
鎭墓文 중에는 “ 告 告中
除 方黑帝之凶
北 천 명령
”이라 하여, 황제가 제의
27) 북방 黑帝 을 받아 의
凶 존 천
을 제거하는 재로 등장한다. 이는 황제가 제보다 하위의 신 임 격
우 명 례 수
을 보여주는 매 분 한 사 라 할 있다.
天帝 黃神
와 黃帝 관
혹은 또
의 계와 더불어 목 격하나 주 되는 신 은
泰山 태 治鬼
이다. 산은 수 최 府 神格
의 기능을 행하는 고의 冥 이자 으로
서, 현세의 관료조직 일 조 루 官組織
과 동 한 구 로 이 어진 地 을 구축하여
治鬼 의 기능을담당 治鬼
하였다. 28) 名簿 악
의 출발은 사자의 를 장 하는
일 熹平二 張叔敬
로서,  年 黃神 五嶽 主 人祿 錄 召 召
鎭墓文의 “ 生 , 生 ( ), 魂
魄 主 人籍
, 死 .” 에서 보듯이, 한대인들은
29) 黃神 모체 五嶽 을 로 한 의 대
격 泰山神
표 인 수명
이 인간의 鬼籍 관
을 결정하는 을 장한 것으로 생각
하였다. 여기서 生 人錄 일 태
은 사망 시가 기재된 장부로서, 산신은 여기
록 일 맞추
에 기 된 사망 대상자의 사망 시에 혼백 러어 이들의 을 불 들여
실 름 人籍 곧 鬼籍
( 제로는 사망) 그들의 이 을 死 에 등재한 것이다. 그리

고 적에 등재된 신 입 귀 鬼里 蒿里
신은 인 로 이동하여 거주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蒿里 泰山 래
는 聚居
아 위치한 사자들의 태 마 명 地인데, 산이 치 계의
곳 수 같 면 蒿里
지도부가 거주하는 으로서 현세의 도와 다 , 일 는 현세의

반 이 거주하는鄕里 같 ‘ 人 里’ 무 廣陵
와도 은 死 의 이다. 한 제의 아들
王 劉胥 蒿里召兮郭門閱 不得取 庸身自逝 노래
가 임종시에 “ , 死 代 ”30)라
한 것은 蒿里 관념 미
에 대한 터존
이 이 전한대부 재하였음을 보여준다.
미 운
흥 로 것은 후한대 鎭墓文에 “死人歸蒿里 蒿里君 ”와 더불어 “ ”31)·

羅振玉 貞松堂集古遺 卷一五; 仁井田陞


26) ,  文 法制史硏究 -土地法取引法
, 中國
東 出版社 8 p ; 池田溫
( 大 歷 略考 (東洋文化硏究所紀要
, 19 0), .449 , 中國 代墓券
8冊 8 pp 8
第6 , 19 1), .217-21 .
羅振玉 石交錄 卷二十一
27) ,   .
8 吳榮曾
2 ) 所見到的東 道巫 系 pp 8 참조.
, 鎭墓文中 漢 關 , .5 -60
郭沫若 奴隸制時 郭沫若全集 p
29) ,  代 ( ), .665.
卷  武五子
30) 漢書 63, 傳.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37

耗 蒿 里父老 耗里伍長
“ ( ) ”32)·“ 점
”33) 등이 기술되어 있다는 이다. 이는 호
리 역시 父老 子弟 및 里民
와 里 일 조
으로 구성된 현세의 와 동 한 구 로
운 영되었고, 현세의 什伍制度 일 게 伍長
와 동 하 을 중심으로 한五家一
伍 의 인보조직 운 이 영된 것으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준다.
蒿里 귀
에 거주하는 신은 현세에서 戶籍 배
에 등재되어 피지 대상으
로 파악 民 마찬
된 과 下 籍
가지로 사후에는 地 死 에 등재되었다. 의 앞
熹平二 張叔敬
年 았 泰山
鎭墓文에서 보 듯이 五嶽 人錄
으로 대표되는 이生
일 맞추
의 사망 시에 魄 소환
어 그 대상자의 魂 을 官
하고, 地 은 이 장부
름 조 호
와 사자의 이 을 대 한 후 이를 사자의 적에 등재하였 것이다. 던
관 목
이는 한대인들의 사후세계 을 잘 보여주는 대 으로서, 인간은 생시
호 만
에 현세의 적에 등재되지 사후에는 지하세계의 적에 등재된다는 호
인식을 반영한 것이 , 며 ⑨永壽二 成桃椎 年 異簿
鎭墓文의 “死生 ”34)도 바

로 이 한 인식을 그대로 드러낸 겠 호
것이라 하 다. 이는 현세의 적이

그대로 내세로 이 된다는 인식을 보여준 전한대 고지책과 간의 차 약
만 호 민 배 루
이가 나는 것이지 ,35) 지하세계 역시 적에 의한 대 지 가 이 어
건 건
진다는 인식은 고지책이 진묘문이 차이가 음을 보여준다.없
호 목
사자를 지하 적에 등재하는 적 역시 현세의 그것과 크 다 지 게 르

않다. 현세의 적 작성의 주 요목 금 요 징수
적이 세 과 역 에 있다는 것
은 잘 알려 실 러
진 사 인데, 진묘문에서도 이 한 현상을 발 할 견 수 있다.
 熹平二 張叔敬
年 黃豆 瓜子 人持給 下賦
鎭墓文에서 “ · , 死 地 .” 라 하여,
36)

사자가 “地 下賦 곧 명 관 게 賦稅 납 수 록 黃豆
” 계의 리에 를 부할 있도 와
瓜子 를 부장하였다는 내용을 기재하고 있다. 그리고  弘農楊氏 鎭墓文

唐金裕 初平四 王氏朱 陶甁 物 8


31) , 漢 年 書 期 p
(文  19 0年 第1 ), .95.
[日] 村 折 著 李德范 譯 禹 出土墨 法源流考 p 8 熹平四 胥氏
32) 中 不 , ,  域 書書 , . 의 年
; 道全集 p 無 號 簡; 王育成 考古所見道敎簡牘考述 考
鎭墓文 書 , .17의 年 墓 , (
古學報 期 pp 蛇程氏 父母鉛
 2003年 第4 ), .495-496의 葬 券.
郭沫若 奴隸制時 郭沫若全集 p
33) ,  代 ( 熹平二 張叔敬
), .665의 年 鎭墓文.
[日] 村 折 著 李德范 譯 禹 出土墨 法源流考 p
34) 中 不 , ,  域 書書 , .4.
者 人
35) 尹在碩,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告地策을 중심으로 ,
pp 8 참조
.73-7 .
郭沫若 奴隸制時 郭沫若全集 p
36) ,  代 ( ), .665.
38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에서 “ 宗君自食 下租歲二千萬
地 弘農楊氏 宗長
”37)이라 하여, 의 이 지하
세계에서 2 천만석 租稅 수입
의 록
으로 생활하도 한 것 등에서 볼때 ,
지하세계에서도 공적 사적 영역에서 賦稅 租 수수 루
혹은 地 의 가 이 어
진다는 인식을 인할확 수 러
있다. 이 한 인식 역시 지하세계에서 徭賦
가 징수 된다는 고지책의 인식과 일맥 즉 荊州 謝家橋 號
상통하다. , 1 漢墓
출토 고지책의 “ 昌家復無有所與 有詔令 江陵 高臺 8號
, ”,38) 1 漢墓 출토
고지책의 “ 家優 復 算 颢 徭 江陵 毛家園 號
( )不 不 ( )” , 39) 1 漢墓 출토 고지책
의 “此家復 不事” 등은 어느 것이나 지하세계에서도 사자는
40) 徭賦 의
징수 대상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진묘문 중에서 사자가 계의 명 賦稅
같 격
부과 대상으로 묘사된 것과 은 성 으로서, 지하세계에서의 인 역 개
시 현세와 마찬 탱 일개
가지로 음계를 지 하는 의 구성분자에 지나지 않
는다는 인식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 하 다. 겠

이처 고지책과 진묘문에 반영된 한대인들의 사후세계에 대한 인
본 조
식은 기 적으로 현세와 내세의 동질성을 강 하는 “事死如事生”41)의
관 루 져
생사 으로 이 어 있다고 할 수 러
있다. 그 나 진묘문은 고지책과
달리 현세와 내세의 맹목 적 동질성에 사로 잡혀 았 있지는 않 다. 고지책

에 비하여 진묘문의 내세 은 현세에 대해 훨씬 독립 체 적이고 계적이

기 지 한데, 이는 生死 異路 관념 모든
의 이 관 진묘문을 통하고 있다는
실 확 수
사 에서 인할 異路 관념 체
있다. 生死 명
을 구 적으로 시한 진묘문

37) 河南省博物院, 靈寶張灣漢墓 (文物 1975年 第11期), pp.79-80.


8 荊州博物館, 湖北荊州謝家橋一號墓發掘簡報 (文物 2009年 第4期),
3 )
pp.36-41; 楊開勇, 謝家橋1號漢墓 (荊州博物館編著, 荊州重要考古發現, 文
物出版社, 2009), p.191: “五年十一月癸卯朔庚午, 西鄕辰敢言之: 郎中[五]大夫昌
自言: 母大女子恚死, 以衣器·葬具及從者, 子婦·偏下妻·奴婢·馬牛, 物·人一牒, 牒
九百九十七枚. 昌家復無有所與, 有詔令, 謁告地下丞以從事. 敢言之.” / “郎中五
大夫昌母家屬當復毋有所與.” 참조.
39) 湖北省荊州地區博物館, 江陵高臺18號墓發掘簡報 (文物 1993年 第8期),
pp.16-19; 湖北省博物館, 荊州高臺秦漢墓 (科學出版社, 2000), pp.222-229.
40) 楊定愛, 江陵縣毛家園1號西漢墓 (中國考古學會編, 中國考古學年鑒1987,
文物出版社, 1988), p.204; 湖北省博物館編, 書寫歷史 -戰國秦漢簡牘 (文物出
版社, 2007), p.77.
41) 左傳 哀公15年條.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人 39

<표2>
출토
진묘문명 生死異路 관념의 표현 내용
지역
④陽嘉二年(133)曹伯魯鎭 西安 生人得九, 死人得五, 生死異路, 相去萬里
墓文
⑧建和三年(149)鎭墓文 陝西 生人有里, 死人有鄕……生人當前, 死人當却; 生人
古陵縣 入□, 死人出鄕
⑭熹平元年(172)陳叔敬鎭 西安 生人上就陽, 死人下歸陰, 生人上高臺, 死人深自藏.
墓甁 生死各自異路
⑮熹平四年(175)胥氏鎭墓 西安 死人歸陰, 生人歸陽, 生人有里, 死人有鄕, 生人屬
甕 西長安, 死人屬東大山.
 延光元年(122)鎭墓文 洛陽 生自屬長安, 死人自屬丘丞墓.
 初平元 年(190) 郭氏 鎭 生人入成(城), 死人生郭, 生人在宅舍, 死人在□□,
墓文 洛陽 各□千秋萬歲, 長□□□
 密縣后土郭鎭墓文 河南 密縣 死人行陰, 生人行陽, 各自有分畫, 不得復交通.
 延熹九 年(166) 韓袱興 山西 生人自有宅舍, 死人自有棺椁, 生死異處, 無與生人
鎭墓文 臨猗縣 相索.
 熹平二 年(173) 張叔敬
鎭墓文 山西 忻州 生人築高臺, 死人歸深自貍(埋)
 熹平六年(177) 鎭墓文 不明 生人西屬長安, 死人東屬大山. 生人屬陽, 死屬陰
 殘鎭墓文 不明 死生異處, 莫相干□. 生人屬西長安, 死人屬太山

을 정리하면< > 같
표2 와 다.
< > 포
위의 표2 에 함된 진묘문은 작성의 시기와 지역이 서로 다 지 르
만 어느 것이나 生死異路 관념 체
의 명
을 구 적으로 시하고 있다. 이 한 러
관념 人 人 귀 격
은 生 과 死 의 속처 혹은 성 의 상이성에 좀 더 구 적으로 체
즉 人 陽 長安 里 城 高臺 宅舍 人
표현되어 있다. , 生 은 · · · · · 에 死 은 · · 陰 泰山
鄕 深自藏 棺槨
· · ④ 럼
에 속하거나 위치하고, 이들 양자는 처 서로 나 萬里
떨 존 점
어진 재로서, 생사를 기 으로 더 이상 통교하거나( ), 서로 아 찾
절 안 존
서도( ), 간여해서도( ) 대 던
되는 재로 인식되었 것이다. 따
라서 사자는 현세에서 철저히 제된배 채 棺槨
지하의 에 매장된 상 에 태
명 핵
서 계의 심이라 할 泰山 소 명 官
에 속되어 계의 地 들로부 지 를 터 배

받는 재였다. 이 한러 관념 者
은 한편으로는 死 에 대한 철저한 부정
터 taboo 관념 터 겨난 일 터
혹은 부( )의 으로부 생 것 인데,42) 生死 異路 관
池澤優, 中國の死生觀 -中国古代·中世における“死者性”の転倒- (死および
42)
者崇拝·死者儀礼の宗教的意義に関する比較文化的·統合的研究 (2000~2002年

40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념의 생성 배경을 ‘解注’와 ‘重復’의 구명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解注라는 단어가 가장 분명히 나타나는 것은 1954년 낙양에서
출토된 것으로 알려진  洛陽解注甁鎭墓文의 “解注甁, 百解去, 如律
令.”43)이다. 이는 ‘注’를 제거하는 甁을 묘장에 넣어둠으로써 “百解去”
곧 “모든 注를 제거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注’의 字意에 대하여
“住”44) 혹은 “附着”45)으로 해석하고, 그 실체를 사자의 邪氣 혹은 邪
病이 주변 生者의 몸속에 들어가 定住 혹은 附着하여 또 다른 죽음을
초래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注病은 “疰” 곧 전
염병 또는 이와 유사한 만성질환으로서, 전염성이 강한 사자의 邪氣
곧 전염병 인자가 생자의 체내에 주입되거나 달라붙어 질병을 유발하
고, 급기야 또 다른 사자의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데,46) 이러한 인식은
전염병이 창궐한 후한대의 사회 병리적 현상이 생사관에 반영된 결과
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47) 이러한 관념이 구체적으로 반영된 진묘문
으로서  劉伯平鎭墓文중의 “尸注”를 들 수 있는데,48) 이는 시신에 내
재되어 있는 다섯 가지 邪氣가 사자 주변 生者의 몸속으로 흘러들어가
각종의 질병을 일으켜 마침내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尸注(疰)病으로
이해할 수 있다.49) 이에 대한 대책은 전염성 질병이 사자로부터 생자
로 전이하는 것을 막기 위한 解注의 행위로서, 이를 위하여 진묘문이
기재된 陶甁 등을 묘장에 부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度日本科学研究費補助金基盤研究C1研究成果報告書, 2003年3月31日), pp.159


-168 참조.
43) 郭寶鈞 等, 一九五四年洛陽西郊發掘報告 (考古學報 1956年 第2期), p.24.
44) 劉昭瑞, 考古發現與早期道敎硏究, pp.21-23.
45) 連劭名, 漢晋解除文與道家方術 , pp.77-78.
46) 이에 대한 대표적인 해석으로 後漢 劉熙, 釋名 釋疾病: “注病, 一人死, 一人
復得, 氣相灌注.” 疏證補: “注, 御覽引作疰”와 顔氏家訓卷2, 風操: “偏傍之書,
死有歸殺. 子孫逃竄, 莫肯在家, 畵瓦書符, 作諸厭勝. 喪出之日, 門前然火, 戶外列
灰, 祓送家鬼, 章斷注連, 凡如此, 不近有情.”를 들 수 있다.
47) 易守菊·和中浚, 解注文之“注”與注病 (四川文物 2001年 第3期), pp.34-36
참조.
48) 羅振玉, 貞松堂集古遺文 卷十五;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49) 劉昭瑞, 考古發現與早期道敎硏究, pp.21-28 참조.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41

이 렇게 볼 때 解注
의 행위는 사자를 위한 것이기 보다는 생자를 전
염성이 강한 사자의 邪氣 터 호
로부 보 하기 위한 치라 할 조 수
있는데,
력 또 터 taboo
이는 사자에 대한 강 한 부정 는 부( )의식이 작동한 결과로
서, 그 원인은 사자가 생자에 게 ‘祟’ 곧 ‘ 코 ’ 존
해 지 를 부리는 재로서 인
때 일
식되었기 문 것이다. 이는 夭折者 戰 者 受刑 亡者 自殺者 및
· 死 · 死 · 기
타무 게죽
고하 어 원한에 사 무친 厲鬼
가 원한을 생자에 게풀기 위해

해 지를 부리는 것으로 인식된 결과인데, 여기에는 생자와 연 계 혈 관
가 는없 厲鬼 조 귀 포
뿐 아니라 상의 신도 함된 것으로 인식되었다.
조 까 포 厲鬼
상신 지 함된 에 대한 인식은 수많 寃
은 魂을 양산한 전국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 측면
도 적지 않을 것인데,50) 후한대에도 이 러

한 양상이 그대로 전 되었음을 北 ⑦ 斗君
鎭墓文에서 아 찾 볼수 있다.
즉, “北斗君 / 主乳死 (咎)鬼, 主句死 (咎)鬼, 主帀死 (咎)鬼, 主星
死 (咎)鬼”51)에 의하면, 北斗君이 주관하는 鬼名으로 乳死咎鬼·句死
咎鬼·帀死咎鬼·星死咎鬼가 있다. 이중 乳死咎鬼는 출생과 더불어 사망
한 영아의 凶鬼, 句死咎鬼는 자살한 凶鬼 , 帀死咎鬼는 戰死한 凶鬼,
星死咎鬼는 刑死한 凶鬼로서, 이들은 모두 비명에 사망한 寃鬼인 까닭
에 살아있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咎殃의 위력을 가진 존재로 인식되었
고, 이러한 咎殃을 피하기 위하여 진묘문을 작성하여 부장한 것이다.52)
이처럼 비명횡사한 자들의 寃鬼가 생자에게 해코지를 할 수 있다는 인
식은 질병 등의 요인으로 젊어서 사망한 자들의 혼령에 대해 경계한
진묘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즉,

 但以死人張叔敬, 薄命蚤死.53)
50) 池澤優, 中國の死生觀 -中国古代·中世における“死者性”の転倒-, pp.210-211
참조.
51) 이 朱書 陶甁은 1957년 長安縣 三里村에서 발굴된 것으로서 王育成, 南李王
村陶甁朱書與相關宗敎文化問題硏究 (考古與文物 1996年 第2期), pp.62-64에
소개되었으나 아직 공식 발굴보고서는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52) 王育成, 南李王村陶甁朱書與相關宗敎文化問題硏究 , pp.62-64 참조.
53) 郭沫若, 奴隸制時代 (郭沫若全集), p.665.
42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今平陰偃人鄕萇富里鍾仲游妻, 薄命蚤死.54)
天帝下□移別……弓主涼自薄命蚤□.55)
死者河南□□□郭□□□, 汝□薄蚤死.56)
天帝下令移前雒東鄕東郡里劉伯平, 薄命蚤……醫藥不能治.57)
⑥後死婦加亡, 方年二十四.58)

이들 6 의 진묘문은 전 진묘문에 비해체 건수 많
가 은 편은 아니지
만 름 명
, 사자의 이 이 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망의 정황과 그 인을 요
점 목
제시하고 있다는 에서 주 된다. 사망 연 이 24세로 령 밝혀져 있는
⑥加氏 鎭墓文을 제외하 면 모두
사망 인을 요 ‘薄命蚤 ’ 밝
死 로 히고 있는
러 실
데, 이 한 표현은 현 적으로는  에서 보듯이 의 으로 치 할 약 료 수
없 병 요 러
는 질 이 주된 인이었을 것이다. 이 한 사자의 질 은 상술 듯 병 했
이 생자에 게 注入 또 른 죽
되어 다 래
음을 초 할 것으로 인식되었을 것인
데, 위의 진묘문에서 사자가 薄命蚤 者
死 임을 분 히 명 밝힌것은 이들이
夭折者 寃鬼 로서 게
가 되어 생자에 질 등의 해 지를 부병 코 릴수 있는
존 일 따
재로 인식한 결과 것이다. 라서 이를 지하기 위하여 사자에 방
대한 解謫 解注과 필요
의 행위가 하였을 것인데, 후술하는  熹平二年
張叔敬 鎭墓文에서 특히 이를 잘 표현하고 있다.
럼 게 코
이처 사자가 생자에 해 지를 할 수 순있다는 인식은 단 히 진
묘문이 유행하는 후한대에 나만 타난 睡虎 秦簡日
것은 아니다. 地 書에
甲乙有疾 父母爲祟 ; 丙丁有疾 王父爲祟 ; 戊己有疾 巫堪 王母
“ , ” “ , ” “ , 行,
爲祟 ; 庚辛有疾 外鬼傷 殤 爲祟 ; 壬癸有疾 毋 戊 逢人 外鬼爲
” “ , ( )死 ” “ , ( ) ,
祟 면 戰 및 秦帝
”59) 등에 의하 , 國 일금 살
國 시기의 시 기 중에 아있는
병 걸 요
자가 질 에 리는 인으로서 생자의 사망한 父母 祖父母 및 혈 관 · 연

54) 仁井田陞, 中國法制史硏究 -土地法取引法, p.449; 池田溫, 中國歷代墓券略


考 , pp.217-218.
55)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56) 洛陽區考古發掘隊, 洛陽燒溝漢墓 (科學出版社 1959), p.154.
57) 羅振玉, 貞松堂集古遺文 卷十五; 古器物識小錄.
58) 陝西省文物管理委員會, 長安縣三里村東漢墓發掘簡報 (文物參考資料 1958
年 第7期), p.62.
59) 睡虎地秦墓竹簡整理小組 編, 睡虎地秦墓竹簡 (文物出版社, 2001), p.193.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43

계에 있지 않은 외부의 신인 귀 外鬼 ‘祟’ 곧 코
가 렸 때
해 지를 부 기 문이
포 게 병 걸 록
라는 내용이 함되어 있다. 여기서 생자에 질 이 리도 한 주
체 外鬼
는 뿐 아니라 사망한 父母 祖父母까 포
와 점
지 함되어 있다는 이

특히 주 되는데, 이는 사자에 대한 부정 는 부( 또 터 taboo )적 인식이
일 귀 만
반 신뿐 아니라 부 와 부 에조 모 모 게까 미쳤 지 명 음을 분 히 보여주
는 것이다.
러 졌 前 景帝
이 한 인식이 漢代에도 이어 음을 漢 추 代의 것으로 정되
는 孔家坡 簡日漢 확 수
書에서도 인할즉 ……辛汗 閒 父
있다. , “ ( ). 大 䄅
祟 ; 辰有疾 四日小汗 閒 七日 汗 閒 祟 父 ; 巳有疾 三
( )” “ , ( ), 大 ( ). 䄅( )大 .” “ ,
日小汗 閒 九日 汗 閒 祟 高姑姊□ 따르면 辰日 巳日
( ), 大 ( ). 䄅( ) ” 에
60) , 과 에
발생하는 小汗 汗 병 父 高姑姊 코 터
과 大 의 질 은 사망한 大 와 의 해 지로

비롯되었음을 시하고 있는데, 이 역시 사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명 럼
비롯되었음이 분 해 보인다. 이처 진한대에 사자에 대한 부정적 인
조 게까 확
식이 상신에 병 개 조 손 징벌
지 대되어 질 을 매 로 상신이 후 을 할
수 본 터 taboo 관념
있다는 인식은 기 적으로 사자에 대한 부정과 부( )의
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注’ 마찬
사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극단적 표현은 상술한 와 가지로
者 떠 요 소 안 家屬 게 또
死 가 어 한 인에 의하여 그가 생전에 속된 집 의 에

다 사망을 유발할수 찾 볼수 즉일
있다는 인식에서도 아 있다. , 부
一家 重
진묘문 중에는 줄
에서 喪(한국어로는 초상)의 발생을 경계하는
포 < > ⑥建和元 加氏
내용을 함하기도 하는데, 표1 중 ⑨永壽二 年 鎭墓文,
年成桃椎 ⑱初平元 劉氏
鎭墓文, 南李王村張氏
年 鎭墓,  洛陽唐 鎭墓文, 
寺門成氏 오 ‘重復’
鎭墓文 등에 나 는 미 이 이와 유사한 의 로 보인다. 다
만 重復 미
학계에서는 異說
의 의 에 대해서는 즉 干支 이 분분하다. , “ 가
겹 凶日 承負 來源
서로 치는 ”, “
61)重 의 미 籍
으로서 喪의 의 ”, “死 에 등
62)

湖 省 物考古 所 隨州市考古隊 編 隨州孔家坡漢墓簡牘 (文物出版社,


60) 北 文 硏究 · , 
pp 患 釋讀했으나 字形이나 文意로
2006), .171-172. 이 책에서는 “䄅”를 “ ”으로
祟 읽 타당
보아 “䄅”는 “ ”로 는 것이 더 할 것이다.
61)饒宗頤 記建興二十八 松人 解除簡: 五龍相拘絞”說 (饒宗頣二十世紀
, 年“ ” 漢“
44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일 른 령 똑같 忌日
재된 망자의 사망 시가 다 망 과 이 에 등재되어 있다는

의 ,” “사자와 그의
63) 家屬 름 壽命 年 月 日 時
의 이 혹은 뭔
· · · · 등에서
일 者 게 咎殃 래
가의 치로 인하여 生 에 미
을 초 한다는 의 ”64) 등의 주장이
러 본 석 뒤 미루
제기되었다. 그 나 고에서는 이에 대한 분 은 로 기로 하고
여기서는 重復 관점 만
을 사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표출이라는 에서
살펴 秦 日 조
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漢代 書의 다음 문을 보자.

Ⓐ葬日, 子卯巳酉戌, 是胃(謂)男日. •午未申丑亥辰, 是胃(謂)女日. 女日


死, 女日葬. 必復之. 男子亦然. •凡丁丑不可以葬, 葬必參.
Ⓑ子寅卯巳酉戌爲牡日. •丑辰申午未亥爲牝. 牝日以葬, 必復之.
Ⓒ凡子卯寅酉男子日, •午未申丑亥女子日. 以女子日病, 病瘳, 必復之.
以女子日死, 死以葬, 必復之. 男子日如是. 男子日, 寅卯子巳戌酉, 女子日,
辰午未申亥丑.
Ⓓ毋【以】辰葬, 必有重喪.65)
Ⓔ•男日, 卯寅巳酉戌. •女日, 午未申丑亥辰. •以女日病, 以女日廖, 必
可日復之, 以女日死, 以女日葬, 必復之. 男日亦如是. •謂甿隸之日.
Ⓕ牡日死, 必以牝日葬, 牝日死, 必以牡日葬, 不然必復之.……⍁必女日復
之, 以女日死, 以女日葬, 必復之. 男日亦如是, 謂⎕66)
Ⓖ……爲牡日, 牡日以死及葬, 必復之.……牝日, 牝日以死及葬, 必復之
.………□吉. ……可以葬, 不出三歲, 必有五喪.……67)

Ⓐ-Ⓒ는 睡虎地秦簡日書 중 男日(혹은 牡日)과 女日(牝日)에 대한


시일금기 규정으로서, 女日에 사망한 자를 女日에 매장하거나 男日에
사망한 자를 男日에 매장하면 그 집안에서 또 다른 사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의 말미 부분에서는 매장을 해서는 안

學術文集(卷三), 簡帛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9), pp.138-140.


62) 劉昭瑞, 考古發現與早期道敎硏究, pp.80-98.
63) 連劭名, 漢晋解除文與道家方術 , p.80.
64) 王育成, 南李王陶甁朱書與相關宗敎文化問題硏究 , p.66.
65) 睡虎地秦墓竹簡整理小組編, 睡虎地秦墓竹簡 日書甲種 중 Ⓐ는 p.187, Ⓑ는
p.209, Ⓒ는 日書乙種중의 p.240, Ⓓ는 日書甲種 중의 p.197.
66) 甘肅省文物考古硏究所 編, 天水放馬灘秦簡 (中華書局, 2009) 중에서 Ⓔ는
p.83 Ⓕ는 p.91.
67) 湖北省文物考古硏究所·隨州市考古隊 編, 隨州孔家坡漢墓簡牘, p.152.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45

되는 丁丑日 에 사자를 매장할 경 우參 곧 례喪 래


세 차 의 상을 초 하고,
Ⓑ 에서는 매장을 해서는 안 되는辰日 우重 당 게
에 매장할 경 喪을 하

된다고 정하고 있다. 放馬灘秦簡日 Ⓔ 男日 女日
書의 는 과 의 사망자
에 대한 葬 日禁忌 록 干支日 약
로서, 비 만
에 간의 차이가 있지 그 내용
은 ⒶⒷⒸ 일 Ⓕ
와 동 하고, 에서는 男日 牡日 女日 牝日
( )과 ( )의 사망자 葬
日 을 서로 교차해 각기 女日 男日
과 로 하여야 더 이상의 사망자가 발

생하지 않는다고 정하고 있다. 는 Ⓖ 孔家坡 簡日 男日 女日
漢 書의 과
에 대한 葬 日禁忌 규 금 干支日 약
정으로서, 이 역시 기의 상에 간의 차
만 ⒶⒻ 일 Ⓖ 미 떤
이가 보이지 그 내용은 - 와 동 하다. 그리고 의 말 에 어
요 인으로 말 미암 명 만 五 까
은 것인지는 분 치 않지 3년 이내에 喪 지 발생
할 수 있음을 언급 Ⓐ 參 및Ⓓ 重 같
하고 있는데, 이는 의 (喪) 의 喪과 은
차원의 葬 日禁忌 볼 수
로 있을 것이다.
럼 日 亡日 겹
이처 葬 을 死 게
과 치지 않 한 것은 전술하였듯이 사자의
코 소 ‘줄 ’
해 지로 인한 위 초상 을 피하고자 하는 의식의 발로 것인데, 일
명 重 參
특히 한 의 사망자로 인하여 喪은 물론 喪 심지어 喪 지 五 까 닥
칠수 무 모
있다는 인식은 아 리 부 형제라 하더라도 사후세계의 사자는
승 혈 게 르 코
이 의 육인 생자에 심지어 사망에 이 는 해 지를 부 릴수 있는
厲鬼 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한 인식은 生死 異路 관념의 을 형성하는 기초일터 인데, 한편으
로 이는 사자의 생자에 대한 통제의 한 표현으로서 상 조 숭배 또 의 다
른 일수
표현 봉 태 개
도 있다. 사후 양의 한 형 인 제사를 매 로 이어지는
생자와 사자의 유대와는 모순 게 포
되 사자에 대한 공 와 이에 따른 生死
異路 관념
의 을 표출하는 것은 사자에 대한 또 른봉 다 태
양의 한 형 로
도 볼수 있는 것이다.왜냐 면 하 생자에 게죽 르 코
음에 이 는 해 지를 부
릴수 노 삭 죄 씻 줄
있는 사자의 분 를 이기 위하여 사자의 과를 어 뿐 아
니라 지하세계의 생활을 보 할 좌 수 록 朱 墨 陶甁
있도 진묘문을 · 書한

( ) 혹은 木牘 鉛
· 券과 더불어 鉛人 五石까
· 陰宅
지 사자의 줌
에 부장해
써 安
으로 사자에 대한 鎭 은 물론 생자의 福樂까 챙
지 동시에 기고자 하

였기 문이다.
46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명 조
다음으로 진묘문에 묘사된 계의 구 에 대하여살펴 보기로 한다.
명 관 조직 운
상술하였듯이 계의 부 官 천 관 최
을 영한 地 은 지를 장하는 고
신인 제의천 律令 따 움직 존
에 라 천 총
이는 재였다. 사자는 제의 은 에
힘입 겪
어 지하세계에서 어야 할 온갖 면
고초를 제받고, 나아가 사자의

후 에 대한 복락 증 게 료 석
도 보 받 되는 것이다. 다음 자 의 분 을 통해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⑭熹平元年十二月四日甲申, 爲陳叔敬等, 立冢墓之根, 爲生人除殃, 爲死


人解適. 告北冢公伯·地下二千石·倉林君·武夷王, 生人上就陽, 死人下歸陰,
生人上高臺, 死人深自藏, 生死各自異路, 急如律令. 善哉陳氏吉昌, 惡者五精
自受其殃. 急急.68)(熹平元年 12月4日, 陳叔敬 등을 위하여 冢墓의 根을 세
움에, 生人을 위하여 除殃하고, 死人을 위하여 解謫함에, (이 사실을) 北
冢公伯·地下二千石·倉林君·武夷王에게 고한다. 生人은 陽으로, 死人은 陰
으로 돌아가며, 生人은 高臺로 오르고, 死人은 (땅속) 깊이 스스로를 藏하
니, 生死는 각기 가는 길이 서로 다른 것이다. 급히 律令에 따라 집행하
도록 하라. 善한 陳씨는 吉昌하고, 惡者의 五精은 스스로 殃을 받도록 하
라. 急急히 (율령과 같이 집행하라.) )
 天帝使者, 謹爲楊氏之家, 鎭安隱冢墓, 謹以鉛人金玉, 爲死者解適, 生
人除罪 (過). 甁到之後, 令母人爲安. 宗君自食地下租歲二千萬, 令後世子
子孫孫土(士)宦, 位至公矦, 富貴將相不絶. 移丘丞·墓伯, 下當用者, 如律
令.69)(天帝使者가 삼가 楊氏之家를 위하여, 冢墓를 鎭安하고, 삼가 鉛人과
金玉으로써, 死者를 위하여 解謫하고, 生人을 위하여 罪過를 除한다. (이
러한 내용을 담은 이) 甁이 (冥府에) 도착한 후에, 母人으로 하여금 鎭安
하게 하고, 宗君으로 하여금 지하에서 租稅를 해마다 2千萬石을 自食하게
하며, 자자손손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仕宦하여, 그 지위가 公侯에 이르고,
富貴將相이 끊이지 않도록 하라. (이러한 내용의 문서를) 丘丞·墓伯에게
移하고, 실제 사무를 맡은 자에게 명령하여, 律令에 따라 집행케 하라.)
 熹平二年十二月乙巳朔十六日庚申, 天帝使者告張氏之家三丘五墓·墓左·
墓右·中央墓主·塚丞·塚令·主塚司命·魂門亭長·冢中遊擊(游徼)等, 敢告移丘
丞·墓伯·地下二千石·東塚侯·西塚侯·地下擊犆卿·耗里伍長等. 今日吉良, 非用
他故, 但以死人張叔敬, 薄命蚤死, 當來下歸丘墓. 黃神生五嶽, 主生(死)人祿
(錄), 召魂召魄, 主死人籍. 生人築高臺, 死人歸深自貍(埋), 眉須(鬚)以落, 下
爲土灰. 今故上復除之藥, 欲令後世無有死者. 上黨人參九枚欲持代生人, 鉛
人持代死人. 黃豆·瓜子, 死人持給地下賦. 立制牡厲·辟除土咎, 欲令禍殃不
68) [日]中村不折 著, 李德范 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p.6.
69) 河南省博物院, 靈寶張灣漢墓 , pp.79-80.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人 47

到 約勅 吏 勿復煩擾張氏之家 急急 律令 熹平
行. 傳 , 地 , . 如 일 .70)( 2年 12월16 ,
天帝使者 張氏之家 三丘五
가 의 右 央 主 塚丞 塚令 主塚司命
墓·墓左·墓 ·中 墓 · · · ·
魂門亭長 塚 游徼 게
· 中 丘丞 伯 下二千石 東塚侯 西塚
등에 告하기를, ·墓 71)·地 · ·
侯 下擊犆卿 耗 蒿 里伍長 게
·地 · ( ) 같 감 게 했 오늘
등에 다음과 이 히 고하 다.
은 吉良 른 人 張叔敬 薄命蚤
한데, 다 이유가 아니다. 死 인 丘 이, 死하여, 墓

로 아가고자 한다. 黃神 五嶽 이 人 錄 관 며
을 生하고, 死 의 을 주 하 , 魂을
르 魄 르며 人 籍 관
부 고 을 부 人 高臺 築
, 死 의 을 주 한다. 生 은 人 를 하고, 死
깊 돌
은 은 地中으로 아가 스스로를 히 묻 게 됨 眉 鬚 모두 떨 져 에, 도 도 어
버 모두 土灰
리고, 러 까닭 復除 藥
가 된다. 이제 그 한 에 의 을 진상하니, 이
터 안 者 오 록
후로부 는 (이 집 에서) 더 이상 死 가 나 지 않도 해주기를 원한
다.上黨 人參 九枚 人
의 게 鉛人
로 生 을 대신하 하고, 人 으로 死 을 대신하
게 며 黃豆 瓜子
하 , (사자가) · 下 賦 록 制
를 가지고 地 의 로 내도 한다. 를 세
워 牡厲 막 土咎 辟除 며 禍殃
를 고 를 하 ,록 이 不行하도 해주기를 바란다.
러 착 면 吏
(이 한 내용의) 傳이 도 하 , 地 를 단속하여, 다시는 張氏 안 煩 집 을
擾 게
하 하지 말라. 신속히 律令 같 과 이 집행하라.)
⑥建和元 十一月丁未朔十四日解 天帝使者謹爲加氏之家別解 下 後
年 , 地 , 死
婦加亡 方 二十四 等汝名借 或同歲月重復鉤挍 校 日 或同日鳴重復鉤
, 年 . , ( ) 死,
挍 校 日 上司命 下司祿 子孫所屬 皇使者 轉相 語 故以自 鉛
( ) 死. 告 · , , 告墓 , 告 . 代
人 鉛人池池 能舂能炊 上車能御 把筆能 於 高長 伯(陌)上游徼
, , , , 書. 告 中 , .
千秋萬歲永無相墜物與 人 食□九人□□□□ 建和元
生 , 일解
72) ( 年 11월14 의
날 天帝使者 삼 加氏之家
에, 가 가 神 게 別解 :
를 위하여, 지하(의 들)에 함에
後 婦 加 름 했 방
死의 인 (사자의 이 )가 사망 는데, 년 24세이다. 너희 지하의
신들은 지하의 관소 名籍에 있는 달
을 함께 비교하여, 혹 이 해의 이 에
加氏 름
( 듭확
의) 이 이 있는지 거 같 일 加氏 름
인하고, 혹 은 시에도 ( 의 이
이) 있는지 거듭확 司命 게 래 司錄 게 加氏
인하라. 위로는 에 아 로는 에 ( 의)
손 소 곳 加氏
자 이 속된 에 ( 실 게 皇使者 게
의 사망 사 을) 고하 하고, 墓 에 고
加 실 널
하여 ( 가 사망한 사 을) 리 고하여 알게 鉛人 加氏 하라. 으로 를 대

신하 함에, 鉛人 근면 은 舂 炊 수 며車 올
하고, 능히 하고 할 있으 , 에 라
말을 몰수 筆 잡 能
있고, 을 고 書한다. 中 高長 伯 陌 上游徼 게 과 ( ) 에 고하
여,千秋萬歲까 언 잊 록 게 ……
지 제나 이것을 지 않도 하 하라 )
⑳初平四 十二月己卯朔十八日丙申直危 天帝使者謹爲王氏之家 後 黃
年 , , 死

70) 郭沫若, 奴隸制時代 (郭沫若全集), p.665.


71) 모든 중국학자들은 丘丞墓伯을 단일한 신명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程
氏鎭墓文의 神名에 “告立之印, 下墓皇·墓伯·墓長·墓令·丘丞·地下二千石·地下
都尉·延門佰史·蒿里父老·冢中守老蛇”라 하여, 墓伯과 丘丞은 서로 다른 神名임
을 분명히 보여준다. 따라서 현재까지 발표된 모든 진묘문 중의 “丘丞墓伯”은
“丘丞”과 “墓伯”으로 분리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72) 陝西省文物管理委員會, 長安縣三里村東漢墓發掘簡報 , p.62.
48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母當歸舊閱, 慈告丘丞·莫(墓)伯·地下二千石·蒿里君·莫(墓)黃·莫(墓)主·莫
(墓)故夫人·決曹尙書令: 王氏冢中先人, 無驚無恐, 安隱如故, 令後曾財益口,
千秋萬歲, 無有央(殃)咎. 謹奉黃金千斤兩, 用填冢門, 地下死藉削除文, 他央
咎, 轉要道中人. 和以五石之精, 安冢莫(墓), 利子孫, 故以神甁震(鎭)郭門,
如律令.73)(初平4년 12월 18일 直危에 해당하는 날, 天帝使者가 삼가 王氏
之家를 위하여, 後死한 黃母가 이미 조성된 (이 집안의) 墓穴로 돌아감에,
丘丞·莫(墓)伯·地下二千石·蒿里君·莫(墓)黃·莫(墓)主·莫(墓)故夫人·決曹尙書
令에게 고하기를: “王氏 묘역에 안장된 조상들은, 놀라거나 두려워하지
말고, 이전처럼 安隱하며, 후손들로 하여금 재산을 증식하고 食口가 늘어
나게 하며, 千秋萬歲에 이르기까지, 재앙이 없도록 하라. 삼가 黃金 2千斤
兩을 바치니, 이것으로 冢門을 填(鎭)하고, 地下의 死藉에서 文(死者와 生
者의 이름이 중복되어 있는 文)을 削除하고 여타의 재앙도 없도록 하고,
이를 要道中人에게 전하라. 五石의 精(곧 神藥)으로써, 冢墓를 鎭安하고,
子孫을 이롭게 하라. 神甁으로써 郭門을 鎭하라. 이러한 것들을 律令대로
집행하라.”고 하였다.)

⑭는 서안에서 발굴된 후한 靈帝 熹平元年(172) 陳叔敬의 진묘문,


 은 하남성 靈寶縣의 弘農楊氏墓에서 발굴된 진묘문,  은 산서성에
서 발굴된 靈帝 熹平2년(173) 張叔敬의 진묘문, ⑥은 長安縣에서 발굴
된 建和元年(147)加氏의 진묘문, ⑳은 西安에서 출토된 獻帝 初平4年
(193) 王氏之妻의 진묘문으로서, 지금까지 보고된 진묘문 중 오탈자가
거의 없고 文意가 순조로운 동시에 진묘의 내용이 가장 풍부한 것들이
다. 아울러 이들 자료는 진묘문이 가장 집중적으로 발굴되는 關洛지역
의 것들로서 가장 전형적인 진묘문이라 할 만하다.
우선 冥界의 地官 조직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⑭에서 神名인 北冢公
伯·地下二千石·倉林君·武夷王은 生人除殃과 死人解謫을 실행하는 존재
임이 분명한데, 여기에서는   ⑥⑳과 달리 진묘의 명령을 하달한 최
고위 신명과 그의 대리자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⑭의 신명 중
地下二千石이  에서 冥界의 신명으로 묘사되어 있고,  의 진묘를 명
령한 주체가 天帝와 그 대리자인 天帝使者인 점에서 미루어보아 ⑭에
서 地下二千石을 포함한 諸神들도 천제의 진묘 명령을 직접 수행한 자

73) 唐金裕, 漢初平四年王氏朱書陶甁 , p.95.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49

명 최 명 天帝
들임이 분 해 보인다. 그리고  에서는 고 신 으로 와 그의
대리인인 天帝使者 오 만 명 실
가 나 지 신 은 진묘의 행자인 丘丞 伯 둘 ·墓

에 불과하다. 그 데 이들 두 명또신 天帝
한  에서 명령 의 진묘 을
직접 수 존 점
행하는 재로 묘사되어 있는 에서 보아 이들 역시 계의 명
官 명
地 임이 분 하다.
금까 견
한편,  은 지 지 발 된 진묘문 중 墓域을 다스리는 地 神名 과
명계의 地 官및 관
이들 제신의 위계 계가 가장 잘드러 목 나 있어 주 된
우 ⑥⑳
다. 선  과 더불어 여기에서도天帝使者 가 등장하는데, 이것은
면 천
표 적으로 제의 사자로서 제의 천 명령 달 미 만
을 전 하는 자를 의 하지
실 체 관 巫
제 현세에서는 진묘문의 작성은 물론 상장의식 전 를 주 하는
師 볼수
로 있다.명령 달순
의 전 면천
서는  에 의하 우 제사자가 선 사

자의 묘역을 장하는 하 신에 급 게 천 명령 달 면 제의 을 전 하 서 이들로
금 명령 명 上級神 官 게
하여 그 을 계의 수
인 地 에 고하여 진묘의 역할을

행하도 하였다. , 즉 天帝使者 張氏之家
가 관 神
의 墓域을 장하는 地 인
三丘五 右 央 主 塚丞 塚令 主塚司命 門亭長 冢 遊擊 游
墓·墓左·墓 ·中 墓 · · · ·魂 · 中 (
徼 게 새 안 실
) 등에 사자가 로이 장된다는 사 과 이에 대한 제의 천 명령

을 전 하고, 이들 묘역의 지신은 제의천 명령 上級神 명
을 다시 인 계
의 丘丞 伯 下二千石 東塚侯 西塚侯 下擊犆卿 耗 蒿 里伍長
·墓 ·地 · · ·地 · ( ) 등에
게 달 명 급
전 하여 계의 상 신들이 生 人除殃 人解謫 명령 실 과 死 등의 을

행하 하였다. 이는 곧 수순 天帝→天帝使者→
진묘의 이 관 墓域을 장
하는 下級神→ 冥界의 上級神 官 (地 )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러 같 천
그 나 이상과 은 제의 진묘 명령 달 실 수순 모든
의 전 과 행 이
일 게 타
진묘문에 동 하 나 나는 것은 아니다. 에서 ⑥ 天帝使者 달 가 전 하
천 명령 下 司命 司祿 皇使者 高長 伯 陌 上游徼
는 제의 은 地 와 · , 墓 와 中 , ( )

에 각각 전 달됨 알 수
을 천 명령 달 諸
있다. 이는 제사자의 을 전 받는
神 른 때 일
이 서로 다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기 문 것이다. 그리
⑳ 천
고 에서는 제사자의 명령 게 달
이 묘역의 지신들에 전 되지 않고 곧

바로 계의 地 인 官 丘丞 莫 伯 下二千石 蒿里君 莫 黃 莫
· (墓) ·地 · · (墓) · (墓)
主 莫 故夫人 決曹尙 令 게 달
· (墓) · 만
書 에 전 되기도 하였다. 뿐 아니라 에 ⑳
50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는決曹尙 令 타
書 을 비롯하여 여 의 진묘문에서 등장하지 않는 神名 도
다수포 럼 마 천 명령 달
함되어 있다. 이처 진묘문 다 제의 이 전 되고 집행
되는 과정이 상이하고, 아 울러 명 요
신 이 상이한 인에 대하여 현재로서
명 길 없 만
는 구 할 이 다. 다 사후세계에 대한 巫師 道士 개
혹은 의 인적
견 일
해가 반영된 결과 정도로 추측 볼을 해 뿐이다.
천 린
한편, 제가 내 것으로 표현된 진묘 명령 본
의 내용은 기 적으로
生死異路 관점 입
의 에 각하여 死 人解謫 人除殃 곧 者 陰
과 生 死 가 界의
邪鬼 혹은邪氣 터 벌
로부 처 을 받지 않고, 사자
존 게 려
의 생 중인 가속에 는 재앙이 내 지지 않도
록 만
하는 것이지 , 그 세부적 내용과 방법 은 진
마 약 씩 르 우 ⑭
묘문 다 간 다 다. 선 에서는 생자와
사자의 엄격 한 분리와 死 人解謫 人除殃
·生 이 나
타날 뿐 그방법 에 대해서는 언급 되어 있지 않
면 ⑥
다. 반   에서는 진묘의 방법 체 이 구 적으

<그림1: 弘農楊氏墓 출토 로 나 나 있다. 즉 , 사자를 대신하여 징벌 을 받
써 人解謫 목 달
鉛人>
음으로 궁극적으로 死 의 적을 성하
< 림 > 럼 鉛人 만
기 위하여 그 1 처 명
을 들어 부장하였음을 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生人除殃 을 위하여  에는 金玉 을  에는上黨人蔘 을

부장하기 지 하였다. 특히 에서⑥ 鉛人 근면 만은 舂炊
할 뿐 아니라 · ·
御 존
·書에 능한 재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연인이 死 人解謫 의 대리
일 조 존
자 뿐 아니라 사자의 지하생활을 보 하는 재로서, 전한대 고지책
수 승 노 같 격
에서 사자를 행하여 저 으로 이동하는 비와 은 성 으로 인식
되었음을 보여준다.
진묘의방법 으로또 목 ⑳
하나 주 되는 것은 에 제시된 것들이다. 여
기에는 첫째 冢門 의邪氣 압 명 관 호
를 진 하고 계에 보 중인 사자의 적에
못 복
서 잘 중 기재되어 다시 을또 죽 수 름 삭
있는 생자의 이 을 제함으
써 안 重
로 한 집 에서 喪이 발생하지 않도 록 ‘黃金 千斤兩’ 친2 을 바 다고
점 둘째 冢
한 , 安 손 롭게
墓를 鎭 하고 자 을 이 五石
하는 용도로 을 정제
하여 만든 神藥 친 점 셋째 郭門 邪氣 압
을 바 다는 , 의 를 진 하는 용도로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51

神甁을 바친다는 점 등을 명시하고 있다. 이중


특히 주목되는 것은 五石의 봉헌이다. 오석은
丹沙·雄黃·曾靑·磁石·礜石의 다섯 광물로서 각
종 질병의 치료 뿐 아니라 道士 및 方術之士
의 練丹에 중요한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였
다.74) 이같이 신비한 효험을 갖춘 五石은 神藥
의 기능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각종 사악한
귀신이나 기운을 물리치는 神物로도 사용되었
음을 위의 ⑳을 비롯하여 <표1>의 ①⑫ 등
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림2: 咸陽敎育學院漢墓

이중 ①永平三年鎭墓文은 현재까지 확인된


출토 鉛人>

가장 이른 시기의 진묘문에 언급된 五石 및 鉛人(<그림2 참조>) 관련


자료로서 주목된다. 우선, 오석과 관련하여 진묘문 중에 “慈·礜·雄黃·
曾靑·丹沙, 五石會精, 扆藥輔神, 冢墓安寧”라 하여, 오석을 모아 정제하
여 만든 神藥으로 冢墓의 안녕을 기원하였다.75) 또한 실제 진묘문이
기재된 陶甁에 4㎝ 길이의 白色 砂質 돌조각과 2㎝ 길이의 황색 광물
및 세 개의 남색과 회색 돌멩이가 발견되었는데,76) 이것들은 각기 礜
石과 雄黃 및 曾靑으로 추정되며, 그 용도는 사자에 대한 鎭安임이 분
명하다.77) 한편 오석이 오행설과 결합하여 五方의 邪氣 혹은 惡鬼를
물리쳐 사자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된 사례로서, 1998년 河南省 三門
峽市 南交口의 후한 후기묘(M17)에서 발굴된 三門峽鎭墓文과 여기
에 넣어둔 오석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발굴보고서에 따르면 이 묘장

74)劉衛鵬, “五石”鎭墓說 (文博2001年 第3期), p.24 참조.


75)劉衛鵬, “五石”鎭墓說 , p.26 참조.
76)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咸陽敎育學院漢墓淸理簡報 , p.232.
77)五石이 실물 형태로 묘장에 부장된 사례는 위의 것 이외에 <표1>중 ⑫建寧
元年楊氏鎭墓文, ⑳初平四年王氏之妻鎭墓文, 三門峽鎭墓文 등에서도 확인된
다. 특히 三門峽鎭墓文의 발굴보고서인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河南三門峽
南交口漢墓(M17)發掘簡報 (文物 2009年 第3期), p.12에 실린 五石 사진은
五石의 실물 형태를 이해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된다.
52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병 前室 後室 및 甬道 섯 방
에서 발굴된 진묘 은 과 벽 등다 위에 위치한
또 둥 래 土坑 묻혀
는 기 아 의 에섯 개 陶甁 면 朱
있었고, 다 의 표 에는 書
된 진묘문과북두칠 五石 실 채 병 안
성을 서사하였음은 물론 을 물 로 도
넣 두
에 어 었다. 이는五石 天干 五神 조 켜 五方 배
78) 을 · 과 화시 에 치함으
써 相剋 당
로 각기 섯방
에 해 하는 다 위의 재앙을 물리치고자 하였음을
보여준다. 79)


한편, 이 발굴된 咸陽敎育學院 號 漢墓 중 2 漢墓에서는 진묘문에는
언급 되지 않은 鉛人 쌍 점 목 < 림>
한 이 출토되었다는 도 주 된다. 그 2 에
서 보듯이 鉛人 쌍 추
은 한 으로서 이중 하나는 여성으로 정되는데, 이
< 림 > 弘農楊氏
는 그 1 의 남녀
墓 출토 연인이 형상으로 구성된 것과도
일 < 림> < 림> 마찬
치하는 현상이다. 그 2 의 연인 역시 그 1 의 연인과 가
지로 死人解謫 당
을 위한 용도로 부장되었을 것인데, 해 진묘문 중의
爲人立 先除央去咎 利後子孫 令 人無適 人無患
“ , , , 死 爲人立
, 生 ”에서 “ ”이
< 림 > 鉛人
바로 그 2 의 미 목
의 부장을 의 하는 것으로 보이고, 그 적은
바로 이들 鉛人 써 人解謫
이 사자를 대신하여 재앙을 받음으로 死 과 生
人無患 달 록
을 성하도 한 것이다.

Ⅲ. 關洛 이외 지역 출토 鎭墓文의 유형과
來世觀
<표1>에서 보듯이 비록 출토 건수는 많지 않으나 關洛 이외 지역에
서도 약 10건의 진묘문이 발굴되었다. 이중  熹平二年張叔敬鎭墓文과
 序寧簡에 대한 연구를 제외하면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관락지역에서 출토된 전형적인 진묘문과 서사구조와 내용

8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河南三門峽南交口漢墓(M17)發掘簡報 , pp.11-15 참


7 )
조.
79) 趙晟佑, 後漢魏晋 鎭墓文의 특징과 道敎 , pp.53-60 참조.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53

및 그 재료 등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 진묘문으로 인정하지


않기도 하였다. 특히 진묘문이 서사된 재료의 측면에서, <표1>에서 보
듯이 關洛지역 진묘문 재료의 절대다수가 甁과 罐 등의 陶器類인데
(<그림3>참조), 그 요인을 신석기시대 이래 이들 도기가 祖靈과 穀靈
을 수납하는 壺型의 우주로 상징된 것에서 찾기도 한다.80) 그런데 이
러한 인식의 일각에는 사자의 영혼이 우주를 상징하는 壺型의 도기 곧
陶甁 또는 陶罐을 통해서만 진안된다는 사고가 잠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고, 그 결과 關洛 이외 지역에서 발견되는 비도기류의 喪葬文은
진묘문으로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그 나 이 한 해 러 러 견
<그림3: 陶甁과 陶罐의 형태>
가 성을 기 위 타당 갖
해서는 진묘문과 마찬
가지로 사자의 지하로
의 이 과정을 묘사 송
한 전한대의 고지책과
은 상장문서 역시 같
도 혹은 도 에 작 병 관
성되어야 하지 지 만 금
⑭熹平元年陳叔敬鎭墓陶甁 ②永元四年鎭墓陶罐
지 발 된 고지책은 까 견
에 기재되어모두 木牘
8 만 < >
있다. 뿐 아니라 표1 에서 보듯이 진묘문이 도
1) 는 도 이 병또 관

외에 券과 ·木牘 및 石刻 織物 태
형 로 제작된 사 도 적지 않다. 이 례
관 병
는 도 과 도 은 진묘를 위한 도구의 한 형 태일
뿐임을 의 하는 것 미
으로서, 진묘문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차원에서 이처 비전형적인 진 럼
묘문에 대한 적극적 가도 평 필요
할 것이다. 이에 고는 關洛지역에서 본
발굴된 書의 朱 陶器
뿐 아니라, 生死의 분리를 전제로 사자의 과 解謫
80) 小南一郞, 壺型の宇宙 (東方學報 第61冊, 1989), pp.181-182.
81) 尹在碩, 중국 고대 死者의 書와 漢代人의 來世觀 -告地策을 중심으로 ,
pp.49-53 참조.
54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생자를 위한 除殃
의 내용을 갖춘 鉛 木牘 石刻 織物
券· · · 등도 진묘문의
일종으로 파악
하여 여기에 반영된 생사 을 관 살펴
보고자 한다.

선지 금까
지 발굴된 진묘문 중 시기적으로 가장 이 것은 표1 른 < >

의 로서, 1999년 함양에서 발굴된 漢 後 明帝 永平
3年(60)의 기년을
甁 래
가진 鎭墓 이다. 특히 이 진묘문은 종 학계에 초의 진묘문으로최
알려져 던 ② 永元四
있었 의 年鎭墓文보다 약 앞
30년 선 것으로서, 이를
계기로 진묘문의 제작시기가 후한 중기 지 까 소급 점
된다는 이 주 된 목
다. 그 내용은 다음과 다. 같
①永平初三年十月九日丙申, 黃神使者□地置根, 爲人立先除央去咎, 利後
子孫, 令死人無適, 生人無患, 建立大鎭·慈礜·雄黃·曾靑·丹沙, 五石會精扆藥
輔神, 冢墓安寧解狼□草□□爲盟, 如律令.82)(永平3年 10월 9일, 黃神使者
가 地에 根을 置함에, 人(鉛人?)을 立하여 먼저 殃咎를 제거하고, 후손을
이롭게 하며, 死人으로 하여금 適(謫)이 없게 하고, 生人으로 하여금 患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大鎭·慈礜·雄黃·曾靑·丹沙를 建立하고, 五石으로 精
을 會하고 扆藥으로 神을 補하며, 冢墓의 安寧과 ……을 盟함에, 律令과
같이 하라.)
라 하여, 사자에 대한 解謫 無患 및 福利
과 생자에 대한 五石
, 그리고
에 의한 補神 冢 안녕
과 墓의 병안
을 기원하고 있다. 그리고 진묘 에는
실제 大鎭· 慈礜 雄黃 曾靑 丹沙
· · · 五石 담 놓았
등의 을 아 다. 이것은 이
병 ②
진묘 이 이하의 關洛지역 출토 진묘문에 선행하는 전형적 진묘문
일 뿐 아니라 특히 진묘 행위에 五石 실이 제 사용된 시기가明帝 까 代
지 소급 점 미
된다는 에서도 의 가 있다.
① 향 따
한편, 은 후 발굴 상황에 라 진묘문의 작성 시기가 이보다 훨
씬올 갈 충 陶
라 가능성도 분히 보여준다. 특히 鎭墓 書 중심의 진묘문

작성 속이 매 우 완만 게 착 쳤 추
하 정 되는 과정을 거 을 것이라는 정에
서 볼 때 ① 럼 당 완벽 태
, 처 상 히 병 明帝
한 형 의 진묘 이 미
代에 이 제작
① 태 닐 짐
되었다는 것은 이 진묘문의 초기 형 가 아 것이라는 작을 하 게
82)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咸陽敎育學院漢墓淸理簡報 , p.233; 劉衛鵬, 永平三
年朱書陶甁考釋 , p.164.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55

즉① 명
한다. , 의 제작시기인 제시대 이전에 이 다양한 형 의 진묘미 태

문이 작성되었을 것이고, 이는 후 고고발굴에서도 가능성이입증될
매우높 미 러
다는 것을 의 한다. 이 한 차원에서 성 감숙 武威 磨咀子
15
號漢墓에서 발굴된  武威磨咀子女子□寧
鎭墓文 주 해 보자. 목
 姑臧北鄕西夜里女子□寧死下世, 當歸冢次, □□□□□水社毋□河(苛)
留, □□[有天]帝敎如律令83)(姑臧縣 北鄕 西夜里의 女子인 □寧이 死하여
세상을 하직하여, 冢次로 돌아감에 이르러, ……[天帝가 告(令)하기를
]……水社(神名)가 이를 막아 저지하지 말고……天帝의 敎가 있으니 律令
에 따라 처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길 Cm 너 Cm 織物
이것은 이 59 비 45 의隸 朱 에 4行의 書로 書된 것으
棺 덮 따
로서 을 고 있었다. 라서 발굴보고서에는 柩銘 일 소개 의 종으로

하 서도 “[有天]帝敎 律令 如延熹四 鍾仲游妻
”이  年오 鎭墓文에 나 는
有天帝敎 律令
“ 如 일 점 근
”과 동 하다는 을 거로 鎭墓券으로 분류하였
有天帝敎 律令
다.84) “ 如 劉伯平
”은  이외에  오 天帝鎭墓文에도 나 고,
최 神名
가 진묘문에 등장하는 고위 점 律令
이라는 , 그리고 “如 ” 역시
미 오 투 점 水社 水神 일
진묘문 말 에 나 는 상 적 표현이라는 , “ ”가 의 종으
천 명
로서 제의 을 받아 진묘의 역할을 한水神 일 볼수 의 종으로 있다
점 무 없
는 85) 등등에서  을 진묘문으로 분류하여도 아 문제가 을 것
이다.
런 또
그 데 여기서 목 점
하나 주 해야 할 은 “ □□□□□水社毋□河
苛 留 冢次
( ) ”과 “ 우 잔
”이다. 전자의 경 , 결된 부분이 “ 天帝下令 또
” 는
天帝 □□
“ 告 天帝使者令
” 혹은 “ 높
(告)” 등의 내용이었을 가능성이 다.

83) 甘肅省博物館, 甘肅武威磨咀子漢墓發掘 (考古 1960年 第9期), p.25; 甘肅


省博物館·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 編, 武威漢簡 (中華書局, 2005), p.149.
84) 甘肅省博物館, 甘肅武威磨咀子漢墓發掘 , p.25
85) “水社”가 水神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 근거로서, 序寧簡 중 232簡의 “皇男
皇婦共爲禱水上”과 233簡의 “爲序寧禱水上”에 나오는 “水上”, 그리고 揚州博物
館·邗江縣圖書館, 江蘇邗江胡場五號漢墓 (文物 1981年 第11期), pp.17-20의
王奉世 告地策에 나오는 “水上” “□杜(社)” 등이 神名이라는 점에서 볼 때, 위
의 “水社” 역시 水神의 일종으로 보아 대과 없을 것이다.
56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왜냐하면 말미의 “有天帝敎如律令”은 이와 동일한 구절이 나오는 延


熹四年鍾仲游妻鎭墓文과 劉伯平鎭墓文에 의하면 이 구절이 진묘문
전반부에 나오는 “天帝下令” 또는 “黃帝告丘丞·墓伯·地下二千石”과 같
이 최고신인 天帝 혹은 黃帝가 下級神에게 사자의 鎭安을 명령하는 내
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반적 진묘문의 구성에서 볼
때, 의 구성 역시 天帝가 下級神의 일종인 水社에게 명하여 묘주인
□寧을 진안케 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冢次”는 家族墓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86) 
의 □寧은 사망과 더불어 가족묘역에 안장되었음을 보여주는데, 여기
서는 冢次와 진묘문의 관계가 주목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가족묘는
전한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특히 후한대 대가족제의 유행에 따라
묘역이 대규모화되고 내부 시설이 화려해지는 것으로 알려졌는데,87)
이러한 후한대 가족묘역에 속하는 묘장에서 진묘문이 다수 발견되는
반면, 전한대의 가족묘역에 속하는 묘장에서는 진묘문이 전혀 발견되
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위의  이 진묘문의 일종이라는
점은 더욱 분명해진다.
그러나 이 진묘문에서는 상술하였듯이 關洛지역에서 출토된 진묘문
에 비해 그 내용이 지나칠 정도로 소략하고 진안의 내용 역시 매우 소
략하다. 뿐만 아니라 그 재료 역시 도병 혹은 도관이 아니라 織物로서
매우 특이하다. 이처럼 특이한 재료에 關洛지역의 진묘문과 매우 상이
한 구조와 내용의 진묘문이 작성된 요인에 대하여 현재로서는 무위의
지역성을 반영한 상장습속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을 것이
다. 즉, 지역별로 진묘의 방법은 다양하였고,  역시 關洛지역과 다른
무위 지역만의 진묘습속이 반영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 과 동일한 묘역에서 발굴된 武威 磨咀子48號墓

86) 蔣曉春, 三峽地區秦漢墓硏究 (巴蜀書社, 2010), p.149 참조.


87) 李如森, 漢代家族墓地如茔域上施設的興起 (史學集刊 1996年 第1期),
pp.18-24; 徐苹芳, 中國秦漢魏晋南北朝時期的陵園和茔域 (考古 1981年 第6
期), pp.522-524 참조.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57

의 木劍人俑 이 흥미롭 즉 다. ,
이 묘에서는 10-1 8Cm 木劍 의
人俑 개 5 가 발굴되었는데,
< 림> 얇 목
그 4 에서 보듯이 은
판 깎 칼날 人形 모
을 아서 과
루 게
양의 자 가 연결되 한 형
태로서, 발굴보고서에 따르면
묘주인의 좌측 손 놓 부위에
여 있었다고 한다. ) 이것은 88
묘주가 이들 목검 을 가지고 <그림4: 武威 磨咀子48號漢墓 출토 木劍人俑>
지하의 邪氣 또 邪鬼 는 를 진
압 태 록 만 목
하는 형 로서, 비 진묘문은 아니지 그 적은 진묘문과 결 코
르 았 8號 主 남
다 지 않 을 것이다. 그리고 4 墓 의 편의 묘장인 磨咀子 號 62
墓에서는 “□甲子時 / 甲子時 人 □已…… 死 告 木几
”이 기재된 가 발굴되
8
기도 하였다. 이것은9) 마멸 명 뜻 파악 수 없
이 심하여 분 한 은 할 으나

대 로 사자의 사망 시기와 음계로의 진 과 입 관련 된 내용으로 보이는
만큼 8호 木劍人俑
, 4 묘의 목 곧
과 유사한 적 진묘의 용도로 서사되었을
가능성도 전 혀배 수 없 제할 는 다.
이처럼무 른 태
위 지역에서 關洛지역의 진묘문과 다 형 로 진묘의 목
관 습 < 림>
적을 철하는 상장 속은 그 5 에서 보듯이 武威 磨咀子 號 의 21 漢
墓에서 출토된 木人俑 木羊 과 확 수에서도 인할 따르
있다. 발굴보고에
면 호21 묘에는8개 木人俑 실 우측벽 횡 놓
의 이 묘 내 에 열로 여 있었고,
棺 앞 개 木羊
에는 4 의 며 室門 목 獨角獸
이 진열되었으 , 墓 에는 제의 가
배치되어 있었다. 이중 木人俑 8개 앞 8호
90) 木劍俑
는 의 4 묘 출토 과 유
게 배 명 만
사하 진묘의 용도로 치되었음이 분 해 보인다. 뿐 아니라 특히

88) 甘肅省博物館, 武威磨咀子三座漢墓發掘簡報 (文物 1972年 第12期), pp.14


-22.
89) 甘肅省博物館, 武威磨咀子三座漢墓發掘簡報 , p.14.
90) 甘肅省博物館, 甘肅武威磨咀子漢墓發掘 , p.18.
58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주 되는 것은 木羊 棺

면 배
의 전 에 치되었다는

사 이다. 후술하듯이
‘羊’ ‘陽’ 방 吉
은 을 표 하는
祥의 동물이자 陰氣 를 진
압하는 기능을 가진 동물
로서, 木羊 木人
은 바로
俑과 더불어 지하의 邪氣
혹은 邪鬼 터로부 사자를 <그림5: 武威 磨咀子21號漢墓 出土 木人俑과 木羊>

보 하기 위한 용도로 부장되었음이 분 하다. 명
이 렇게 볼 때 무 위 지역에서 진묘의 용도로 매장된 부장품은  처
럼직 물에 기재된 진묘문 뿐 아니라木劍人俑 木俑 木羊
· · 등 다양한 형
태였음을 알수 런 목 점 8호 前
있다. 그 데 여기서 주 해야 할 은 4 묘가 漢
末期 호 王莽時期
, 62 묘가 추 점 木劍人
의 묘장으로 정된다는 이다. 이는
俑 木人俑 및 木羊
· 료
등을 진묘의 재 로 사용하는 상장의식은 전한대
래 색 면 왔 며따
이 지역적 특 을 반영하 서 진행되어 으 , 라서 후한대의 진
묘문은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필요 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 호 木羊 마찬
한편, 저자 21 묘의 과 石
가지로 진묘의 용도로 제작된
羊 石刻
의 목 필요
文도 주 할 료 < > 壽州
가 있다. 이 자 는 위의 표1 중 
石羊 鎭墓文으로서, 20세기초안휘 壽州 劉君
성 의 건
墓에서 출토된 세
의 진묘문 중의 하나로 알려져 며 같
있으 , 내용은 다음과 다.

㉮……田土主·地主……移葬易居, 子孫不譽, 留者已留, 去者已去. 東嶽


之……, 以靑石黃裏, 書以水精, 與相絶. 祀鰝漁之肉·黃米二升, 與祖決卷, 轉
世無有死者. 即欲有死者, 須石羊能顧告而吒, 足可以莎, 乃應召呼. 以爲不
信, 石羊爲真, 如律令.91)(…田土主·地主……(死者를) 葬地로 옮겨 거주지를
달리하게 하니, 그 子孫이 불안해함에, 남아 있어야 할 자는 남아 있고,
떠날 자는 이미 떠났으니, 東嶽이……, (石羊의 재료인) 靑石에 黃裏(?)하
91)羅振玉, 石交錄卷二十一. 이에 대한 해석은 黃景春, 早期買地券·鎭墓文整
理與硏究, pp.135-136 참조.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59

고, 水精 청흑색
( 安 글 쓴 절
)으로 (鎭 의) 을 다. (사자는 생자와) 서로 단 되어
있음에, (생자가) 鰝漁 肉 黃米 升
의 과 2 으로 제사를 올릴것이니, (이 사
실 祖 누 약 轉 者 없 록
을) 와 券을 나 어 속함에, 世에는 더 이상 死 가 도 해주
기 바란다. 만일 者 면 드 石羊 개 돌려 큰
死 가 생기고자 한다 , 반 시 이 고 를
소 춤 수 때까
리로 이야기하고 다리로는 을 출 있을 려
지 기다 서야 비로 소
(망자의) 소환 응 실 믿 못
에 할 것이니, 이 사 을 지 한다고 생각하여, 이 石
羊 증 삼 律令 따
으로 그 거를 으니, 에 라 처리하기 바란다.)
㉯余……移葬……居, 子孫不譽, 留者……去者已去. 東嶽圖, 靑石黃裏, 書
以水精, 與相絶. 以肉·黃米二升, 與祖□卷, 轉世無有……. 即欲有, 須右羊能
顧告而吒, 足可以莎, 乃應召呼. 以爲不信, 石羊爲真, 如律令.
㉮와 ㉯는 두 마리의 石羊에 새겨진 각각의 진묘문으로서 내용은
거의 동일하다. 주요 내용은 死者와 生者의 엄격한 분리와 더불어 사
자에 대한 제사를 약속함으로써 사자의 살아있는 가족에 더 이상의 죽
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원하고, 이를 보증하는 차원에서 이러한 진묘
의 내용을 石羊에 각석했음을 밝히고 있다. 이 진묘문은 진묘의 재료
측면에서도 그렇거니와 내용 면에서도 關洛의 그것과 매우 상이하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關洛지역의 그것과 동일하게 生死異路의 생사관이
분명히 표현되어 있는가 하면, 사자 또는 조상신의 해코지로 남겨진
가족성원이 사망할 수 있는 상황을 모면하려는 내용 또한 關洛지역의
그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石羊에 진묘문을 석각한 것도 사악한 陰氣로부터 사자를 보
호하기 위한 배려로 볼 수 있는데, 禮記月令: “羊, 火畜也”와 釋名
釋姿容: “羊, 陽也”에 의하면, 羊은 곧 陽을 상징하는 동물로서 陰에
속하는 지하의 邪氣 혹은 邪鬼로부터 사자를 보호하는 데 가장 적합한
동물이었다. 이렇게 볼 때 위의 石羊鎭墓文은 關洛지역의 진묘문과 형
식 및 내용 그리고 이를 기재한 재료의 측면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이
지만 진묘의 기본 목적은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데, 이는 전술한 무위
마저자 출토 진묘문 및 진묘 기물과 마찬가지로 지역성을 띤 喪葬習俗
의 한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적 상장습속을 반영한 또 하나의 사례로서 陶罐 또는 陶甁이
60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아닌 木牘에 기재된 진묘문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위의 <표1> 중 序寧簡과 盱眙木牘鎭墓文 및 高
郵木牘鎭墓文이 이에 해당한다. 이중 는 후한대의 것
이 아니라 전한 중후기에서 新莽 시기 사이의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은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王父母范. 王父母當以此錢自塞嚋園山高陵里吳王, 會稽·
鹽官諸鬼神亦使. 至嚋.92)(王父母(사망한 조부모)의 형상. 王
父母께서 스스로 이 돈으로 園山 高陵里의 吳王(劉濞)에게
기도하여 도움을 청하고, 會稽와 鹽官의 諸 귀신들 또한 이
돈을 사용하게 하시어, (死者를 保佑해주시기를) 기원합니
다.)93)

이것의 주된 내용은 사망한 묘주를 하기 위해 保佑 조


조 모 게돈
상신인 묘주의 부 에 돈
을 보내어 이 으로 이
지역의 最高神 으로 보이는 園山 高陵里 吳王
에 매장된
劉濞 會稽 및 鹽官 배
와 이 치된 지역의 여 러귀 게 신들에
기도하여 묘주의 안녕을 기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 盱眙鎭墓木
<그림6:

목독 첫 조 모 미 王父
머리에 사망한 부 의 형상을 의 하는 “
牘(4.2×23.6C
m)
母范 < 림> 조 모 목
”을 기재한 것은 그 6 에서 보듯이 부 를
독 했
으로 형상화 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陶甁 또
있다. 이는
는 陶罐 陶 우 른 태
에 진묘문을 기재한 關洛지역의 鎭墓 書와는 매 다 형

이지 이 묘장과 인 한 접 高郵縣 < 림>
의 漢墓에서도 그 7 에서 보듯이
목독 형 진묘문이 발굴된 것으로 보아,  는 이 지역의 목독 형 진묘문

작성 속을 반영하여 제작된 것으로 볼수 있다.
 에서 또 미 운 점 神名 吳王 會稽 및 鹽官 배
하나 흥 로 은 으로 과 치

지역의 신들이 나 오며 게
, 이들에 사자를 保佑 달 해 라는 기원을 표현
했 점 吳王
다는 이다. 은  외에江蘇省 邗江 胡場 號 5 漢墓에서 발굴된

92) 南京博物院 江蘇盱眙東陽漢墓 (考古 1979年 第5期), p.415.


,
석 呂志峰 江蘇盱眙東陽漢墓祝禱辭令考釋 (中國文字硏究 2013
93) 위 해 문은 ,
期 pp 8 참조.
年 第1 ), .10 -109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61

神位木牘에서도 여러 神名과 함께 나오는데,94) 이 목독


이 前漢 宣帝 本始3년(B.C.71)에 작성되었고,  가 발굴
된 盱眙縣과 신위목독이 발굴된 邗江 胡場 지역을 포함
한 현 강소성 일대가 한때는 吳王 劉濞의 封國이었던
만큼, 吳王은 사망 후에도 민간의 신으로 추숭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곧  가 天帝 등의 최고신과 그 휘하 地
官으로 구성된 명계가 설정되어 있는 關洛지역의 진묘
문과 달리 이 지역에서만 追崇하는 地域神들로 명계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역시 지역적 특색
을 반영한 鎭墓文化의 일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외에도  에서 關洛지역의 진묘문과 사뭇 다른 내
용으로서 주목되는 것은 사자를 鎭安하기 위한 방법으
로 돈이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발굴보고에 따르면  진
묘목독은 이를 부장한 7호묘의 西棺內 死者의 頭部에
놓여 있었고, 목독 부근에는 82개의 五銖錢이 散亂된 형 <그림7:
태로 출토되었다고 한다.95) 흥미롭게도 <그림6>에서 목 (3.8×28Cm)>
高郵鎭墓木牘

독 중간 부위의 양측에 삼각형 홈이 파여 있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이 오수전 꾸러미를 묶어 놓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곧 사자의 진안을 기원하는 대상이 吳王을 비롯한 이 지
역의 귀신들이고, 이들을 매수하기 위하여 82개의 五銖錢이 제공되었
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는 關洛지역의 鎭墓陶器에 곡식이나 五石
을 넣어놓은 것에 비해 훨씬 현실적인 방법이 동원된 것이라 할 수 있
을 것이다.
한편,  高郵
鎭墓文 역시 비 록 모본 형태로 전해지기는 하지만 <그
림>
7 에서 보듯이  와 동 하일 게 목독에 기재되어 있고, 공교롭게 이것
94) 揚州博物館·邗江縣圖書館, 江蘇邗江胡場五號漢墓 , pp.17-18의 神位木牘 第3
欄에 石里里主, 宮春姬所□君□, 大王, 吳王, ?王, 氾?神王□, 大后垂 등이 나
온다.
95) 南京博物院, 江蘇盱眙東陽漢墓 , p.417.
62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이 발굴된 지역 역시  의 출토지와 인 한 강 성 접이다. 반 소 高郵縣 면


에 다음에서 보듯이 목독 격
의 식과 내용은  와 연히 다 다. , 확 르 즉
 符君 / 乙巳日, 死者鬼名爲天光, 天帝神師已知汝名, 疾去三千里. 汝不
即去, 南山給(豸今)[立奇]令來食汝. 急如律令.96)(符君 / 乙巳의 날, 死者의 鬼名
은 天光임에, 天帝神師가 이미 너의 이름을 알고 있으니, 신속히 3천리
밖으로 떠나도록 하라. 네가 즉시 떠나지 않으면, 南山의 豸今立奇 가 너를 잡
아먹을 것이다. 급히 율령대로 처리하라.)

이 목독 소 高郵縣 邵家溝
은 1957년 강 성 下層 號
漢代 유적지 중 의2
灰溝 鄭□私印 天帝使者
에서 “ ”과 “ 건 篆 封泥
”가 각각 양각된 2 의 書 와
함께 발굴되었다. 이와 관련 실 때 언
된 발굴보고가 부 하기 문에 단 하기
렵 만 鄭□私印
는 어 지 , “ 鄭□
”은 이 유적지가 “ ”라는 묘주의 분묘임을
암시하고, “天帝使者 篆 封泥
”의 書 天帝神師 격 神
는 바로  의 “ ”와 동 의
名으로서 天帝 使者 미
의 를 의 하는 것으로 보인다.天帝神師 안 는 서 에
서 발굴된 ⑯光和二 段氏
年 남 陝縣
鎭墓文과 하 성 陽嘉四
에서 발굴된 
年唐氏 오
鎭墓文에서도 나 는 것으로 볼때 오 神格
, 여기에 나 는 은 이

지역 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 전국적 망을명 갖춘 격 알 신 임을
수 러 또 른 神名
있다. 그 나 다 豸今立奇 금까 알려
으로 보이는 는 지 지 진 진
디 오 명 목
묘문 어 에도 나 지 않는 신 으로서 주 된다.
필 豸今立奇 석독
위에서 자가 로 래 給? □
한 부분은 원 보고서에는 “*( ) ”로
석독 러 < 림>
되어 있다. 그 나 그 7 에서 이 부분을 자세히 보 “면 □ ”로
되어 있는데, 앞글 좌변 豸 우변 今
자의 자형은 의 “ ”와 의 “ ”으로 구성되
어 있는 까닭 豸今 읽 무방
에 이를 “ ”으로 어도 □
할 것이다. 그리고 “ ”

바로 부분이 “ 令來食汝 □
”라 하여, “ 금 汝 곧 者
”로 하여 “ ” 死 의
鬼名 天光 잡 먹 록 겠
인 을 아 도 하 다고 하는데, 이처 럼귀 잡 먹 신을 아 는
鬼名 으로서 睡虎 秦簡日 豸今立奇强飮强食
地 書에 “ 豸今立奇
”이라 하여 “ ”가 있고,
豸今 석독
이중 “ ”자로 < 림> 우흡
된 “ ”은 그 7 의 “ ”와 매 따
사하다.97)

96) 江蘇省文物管理委員會, 江蘇高郵邵家溝漢代遺址淸理 (考古 1960年 第10


期), pp.20-21.
97) 睡虎地秦墓竹簡整理小組 編, 睡虎地秦墓竹簡, p.210의 석문은 다음과 같다.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63

라서  의豸今立奇 鬼名 일
는 의 종으로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체 모 모 乙巳日
,  의 전 적 내용은 년 월 에 사망한 墓主
의 鬼名 天光 天光
은 이고, 떠 못 배
이 현세를 나지 하고 회할 경 생 우 존
족 게 코
중인 가 원에 해 지를 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天帝神師 력 의 위 을
빌려 冥界로 신속히 떠날 면 렇게
것을 종용하 서, 그 하지 않을 경우귀
잡 먹 귀 豸今立奇
신을 아 는 신인 금 귀 먹 우 록
로 하여 사자의 신을 어치 도 하
겠 협박
다는 루 졌 알수
성의 내용으로 이 어 음을 있다.일견 당황 한 내
만 게
용인 듯 보이지 이는 生死를 철저하 분리하는 후한대 진묘문의 공
통적인 生死 異路 관념의 이 여기에도 반영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렇 면
그 다 의 경 비 우 록 木牘 점
에 작성되었다는 공통 외에  와
게 견 실
내용의 상이성이 적지 않 발 되는 것도 사 이다. 그 다고 하여 렇

 의 내용이 상술한 關洛지역의 진묘문과 치하는 것도 아니다. 그 런
미 운 실
데 여기서 흥 로 사 은  鎭墓文 木牘 층 窖
과 함께 2 유적지의 地 에
隸 體 朱 灰陶壺
서 55자의 書 로 書된 점
가 발굴되었다는 이다.98) 마멸 이
朱 복 수 없 렇 만 高宜至
심하여 현재로서 書의 내용을 원할 는 다. 그 지 “
池坤神 日月
” “年 확
” 등이 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 역시 진묘문의 종 일
렇 면 일 층
으로 보인다. 그 다 동 한 유적 에서  鎭墓文 木牘 과 더불어 陶
罐과 유사한 형 인태 陶壺 에 기재된 진묘문이 함께 발굴되었고, 한 또
 에서 關洛지역 진묘문의 生死 異路 관념 타
이 그대로 나 나고 있다는
점 등에서 미루 건 조 던 後 末 무렵
어 보 대, 이 유적지가 성되 漢 이 지역
에서 작성한 진묘문은 舊來 습 면
의 지역적 속을 유지하 서도 인 한 접 낙
일 化 향 았 높
양 대 鎭墓文 의 영 을 받 을 가능성이 다는 것을 작할 짐 수
있다.
한편,   과 더불어 또하나의 木牘
鎭墓文으로 주 을 는 것은목 끄
“ 人有惡夢, 覺, 乃釋髮西北面坐, 禱之曰: ‘皐! 敢告爾豸今立奇 . 某, 有惡夢, 走歸豸今立奇
之所. 豸今立奇强飮强食, 賜某之幅(富), 非錢乃布, 非繭乃絮.’ 則之矣.” 그리고 이 부
분에 대한 圖板은 p.104의 13背簡 및 14背簡壹 참조.
98) 江蘇省文物管理委員會, 江蘇高郵邵家溝漢代遺址淸理, p.21에 게재된 석문은
다음과 같다. “圭(?)□郡不(?)□□□□ / □□高宜至池坤神 / □□□同砐無□□
□ / 彊 □□亨 / 闓通曰同闓□□ / □□於道時□□□ / □□□年日月□□.”
64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홍콩 중문대학에서 소장 중인 序寧簡이다. 이 목간은 章帝 建初4년


(79)에 사망한 序寧의 사망 사실과 망자를 위한 祭禱의 내용으로 구성
되어 있는데, 무엇보다 14매의 木簡에 기재되어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지폭의 제한으로 인하여 14매 목간 중 날자 별로 진행된 祭禱의 내용
을 가장 잘 전하고 있는 다음 4個簡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99)

226簡: 建初四年七月甲寅朔, 皇母序寧病. 皇男皇婦皇子共爲皇母序寧禱


炊, 休. 七月十二日乙丑, 序【寧】【下】入黃泉, 上入倉(蒼)天. 皇男皇婦爲
序寧所禱造君, 皆序寧持去, 天公所對, 生人不負責(債), 死人毋適(謫), 卷
(券)書【明白】.(建初4년 7월1일, 皇母인 序寧이 病에 들었다. 皇男·皇婦·
皇子가 모두 皇母인 序寧을 위하여 炊에 祭禱함에, (그 결과) 休(吉兆)를
얻었다.100) (그러나) 7월12일, 序寧이 아래로는 黃泉으로 들어가고, 위로
는 蒼天으로 들어갔다. 皇男·皇婦가 (사망한) 序寧을 위하여 造君에게 祭
禱한 바, 序寧이 (脯酒·鹽湯 등 神에게 바친 祭品 등을) 모두 가져가고,
天公에게 (그가 주관하는 死籍에 序寧이 등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
받고, 生人은 (序寧의 죽음에 아무런) 책임이 없고, 死人(序寧)은 재앙의
벌을 받을 것이 없음을, 이 券書로써 명백히 밝힌다.)
229簡: 皇男皇婦爲序寧所禱郭貴人. 七月十二日乙丑, 序寧頭 目顚, 兩手
以抱, 下入黃泉, 上入倉(蒼)天. 皇男皇婦所禱郭貴人, 皆序寧【持】去, 天公
【所】對, 生人不負責(債), 死人毋適(謫), 卷(券)書明白.(皇男·皇婦가 序寧
을 위하여 郭貴人에게 祭禱함. 7월12일, 序寧이 목이 경직되고 눈이 돌출
됨에(死亡한 모습의 묘사),101) 두 손을 모아 쥐고, 아래로는 黃泉에 들어
99) 4簡의 簡文은 陳松長 編著, 香巷中文大學文物館藏簡牘 (香巷中文大學文物
館, 2001), pp.97-108을 저본으로 하였다.
100) “休”에 대해 連劭名, 東漢建初四年巫禱券書與古代的冊祝 (傳統文化與現代
化1996年 第6期), pp.28-33은 神靈의 이름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楊華, 《序
寧禱券》集釋 (古禮新研, 商務印書館, 2012), pp.487-486은 “休”를 “咎”의 상
대어로 보고, “無咎”한 吉兆의 뜻으로 쓰였다고 해석하였다. 본고는 楊華의 견
해에 따랐다.
101) 序寧簡 중에서 해석상 논란이 많은 “頭 目窅” 또는 "頭 目顚"에 대하여,
陳松長 編著, 香巷中文大學文物館藏簡牘, p.100은 이것을 목을 들고 멀리 응
시하는 모양으로서 신령에 대한 제도의 의식 또는 표정을 묘사한 것으로 이해
아였다. 劉樂賢, 簡帛劄記二則 (簡帛研究二OO四,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6), pp.99-103은 “頭 ”을 목이 뻣뻣하게 경직된 사망한 상태이고, “目窅”는
눈이 돌출된 형태를 묘사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반면, 劉邵瑞, 東漢建初四年
“序寧”簡的若干硏究 , pp.399-407는 頭 또는 頭 을 “頭忘” 곧 의식이 없는
상태로, “目窅” 또는 "目顚"을 눈빛이 흐릿하여 잘 보지 못하는 상태의 病症을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65

가고, 위로는 蒼天 감 皇男 皇婦 郭貴人 게 祭禱


으로 들어 에, · 가 에 하는 바,
序寧 祭禱 면 脯酒 鹽湯 神 게 친 祭品
이 ( 하 서 · 모두 져
등 에 바 등을) 가 가
天 게 관
고, 公에 (그가 주 하는 死 에籍 序寧 이 등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 人 序寧 죽
사받음에, 生 은 ( 무런
의 음에 아 없 人 ) 책임이 고, 死 은 재앙의
벌 없
을 받을 것이 음을, 이 券書로써 명백 밝힌 히 다.)
簡: 七月廿日癸酉 令巫夏 下 脯酒 爲皇母序寧下禱 皇男皇婦共爲禱
232 , ( ) , ,
水上 皇母序寧今以頭 目窅 兩手以捲 脯酒下 者毋責 債 者毋適
. , . , 生 ( ), 死
謫 刺明白 일 巫
( ), 券 금 脯 酒 올 皇母 序寧
.(7월20 , 로 하여 와 를 리고, 인 을
위하여 祭禱 게 皇男 皇婦
하 하고, 水上 게 祭禱
· 皇母
가 함께 에 하였다. 인
序寧 목 직 눈 돌 됨 두손 모 쥐 脯
이 이제 이 경 되고 이 출 에, 을 아 었다. 와
酒 올 者 序寧 죽
를 리고, 生 는 ( 무런의 음에 아없 者 ) 책임이 고, 死 는 재앙의
벌 없 刺 써 명백 밝힌
을 받을 것이 음을, 이 券 로 히 다. )
簡: 八月八日庚子 令趙明下脯酒 爲皇母序寧下趙君禱 皇母序寧
239 , , ,102)
【今】以頭 目窅 兩手以捲 脯酒下 人 負責 債 者毋適 謫 刺
, , , 生 不 ( ), 死 ( ), 券
明白 8 8일 趙明
.( 월 , 금 脯 酒 올 皇母 序寧
으로 하여 趙君
· 를 리고, 인 을 위해
에게 祭禱 게 : 皇母 序寧
하 함에 인목 직 눈 돌 은 이제 이 경 되고 이 출되었으
며 두 손 모 쥐 脯 酒 올림 者 序寧 죽
, 을 아 었다. 와 를 무 에, 生 는 ( 의 음에 아
런 없 者 벌 없 刺 써명
) 책임이 고, 死 는 재앙의 을 받을 것이 음을, 이 券 로
백 밝힌
히 다.)

이에 따르면 序寧簡은 田氏 집안에 시집온 부인인 序寧이 重病에


든 建初4년(79) 7월1일부터 사망 일자인 7월12일 그리고 7월20일과 8
월 8일에 이르는 모두 4차례에 걸쳐 여러 신들에게 祭禱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위의 226簡에 의하면 7월1일 序寧이 병에 들자
皇男·皇婦·皇子 곧 그녀의 큰아들·큰며느리·손자가 쾌유를 기원하면서
竈神의 일종인 炊에게 祭禱하여 休 곧 쾌유할 것이라는 吉兆를 얻었으
했 楊華 《序寧禱 》集釋 pp 8
묘사한 것으로 이해 다. , 병 죽券 , .4 9-490은 으로 어
했 본 劉樂賢 楊華 견 따
가는 과정을 묘사한 것으로 이해 다. 고에서는 과 의 해에

라 해 하였다.
趙君 趙 陳松長編著 香巷 學 物館藏簡牘 p 8 楊華
102) “ ”의 “ ”를 ,  中文大 文 , .10 과 ,
《序寧禱 》集釋 p
券 及 석독 러 劉樂賢 讀<香
, .500에서는 “ ”으로 하였다. 그 나 ,
港 學 物館藏簡牘> 江 考古
中文大 文 期 pp
( 漢 走
 2001年 第4 ), .60-64는 “ 告”로,
李均明 讀<香港 學 物館藏簡牘>偶識 古 字研
, 中文大 文 華 ( 文 究 第24輯, 中 書
局 pp 趙 석독 글 簡 앞
, 2002), .449-453은 “ ”로 오
하였다. 이 자는 의 부분에 나 는
趙明 趙 우 흡
“ ”의 “ ”와 매본 李均明 석독 따랐 만 及
사하여 고에서는 의 에 다. 다
君 走 君 趙君
· 告 · 석독 神名
중 어느 것으로 변 없
하더라도 의 하나임에는 함이 다.
66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일 녕 끝
나 7월12 서 은 내 사망하였다. 이에 그 의 아들과 녀 큰
느리 큰며

가 서 을 위하여 造君 게 祭禱
에 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229·232·239
簡 면 일 8 8일 두
에 의하 7월20 과 월 례
차 더 제도 의식을 거행하였음을
여러天 게公에 고하고, 이와 더불어 生死 의 異路 관념
을 기초로 하여,
죽 만 오 없
사자의 음에 생자가 책임질 한 과 가 음을 강 하 서 사자의 조 면
혼령 게
이 생자에 재앙을 내리지 않도 하고, 아 록
사자 역시 사후 울러
세계에서 재앙을 받아서는 안 점 조 면
된다는 을 강 하 서, 이것은 公이 天
증 실 점
보 한 사 이라는 을 券書 혹은 券 에 기 하여 刺 입 입증
하고자 다. 했
같 조
이상과 은 내용 구 는 위에서 나열한 4 의 이외에도 거의개 簡
일 게 오 면
동 하 나 는데, 이를 정리하 다음 표3 과 다. < > 같
<표3: 序寧簡의 구성>
祭禱 대상 입증
일자 簡號 祭禱 주체 祭禱의 내용
神名 형태
序寧의 큰아들·큰
炊 序寧의 쾌유
226 며느리·손자 券書
7월1 일 序寧의 큰아들·큰
( 外家西南 ) 請 序寧의 쾌유
227 며느리·작은아들·
子社 券刺
君吳(?)
生死異路와 死者의 죽
序寧의 큰아들·큰 음에 대한 生者의 책임
226 며느리 造君 없음과 死鬼가 生者에 券書
게 내리는 재앙의 면
제, 死者에 대한 解謫
7월12일 227 上同 券刺
228 張氏請子社 上同 券書
229 序寧
며느리
의 큰아들·큰 郭貴人 上同 券書
230 上同 殤君 上同 券書
231 上同 田社 券書
232· 巫(序寧의 큰아들· 水上 上同 : 刺
232 券 ,
233 큰며느리를 대신) :
233 券書
234 上同 獦君 上同 券刺
235 上同 東 北官保社 上同 券刺
7월20일 序寧 큰 큰
236 며느리 의 아들· 官社 上同 券書
237· 巫(序寧의 큰아들· 大 父母 · 田社 · 上同 :
237 券
238 큰며느리를 대신) 男殤 · 女殤 · 司 刺 8:
,23 券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67

命君 書
8월8일 239 趙明 趙君 上同 券 刺
이에 따르면 祭禱 체 게 두
, 의 주 는 크 누 첫째
부류로 나 어진다. 는 서
녕 손
의 자 으로서 皇男 큰 皇婦 큰며 皇子 손 皇弟 둘째
( 아들)· ( 느리)· ( 자)· ( 아
들)인데, 이중皇男 皇婦 祭禱
과 가 둘째 皇男
의 가장 중심 인물이다. 는
과 皇婦 巫 簡 令巫夏 下 脯酒 8
를 대신한 로서, 232·234·235·237 의 “ ( ) ”와 23
簡 令趙明下脯酒
의 “ 면巫 금 祭禱 式 관 게 했
”에 의하 , 로 하여 儀 을 주 하
< > 디
음을 보여준다. 이는 표1 에서 제시한 鎭墓文 어 에도 나 지 않는오
鎭墓儀式 담당 자로서의巫人 첫 례
이 등장하는 미 우 사 로서 의 가 매 크
다. 상장의식의 진행과 상장문서의 작성 등을 巫人 담당했 이 을 것이라
점 래많
는 은종 은 논자들이 지적하였지만실 녕 실증제 서 간은 이를 하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序寧簡 목 격 簡
의 제작 적과 그 성 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14 전
체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을 한 神 향 祈願 살펴볼 필요의 내용을 가
있다. 이와 관련 하여 그간病簡 巫禱 禱
103) · 券書 · 券 으로 이해하는
104) 105)

등의 異說 왔 런 녕 요 목
이 제기되어 다. 그 데 서 간의 가장 중 한 적을 보

여주는 부분은 에 대한 祭禱 녕 져
와 그 결과를 서 이 冥界로 가 가서
天 터 름 籍
公으로부 사망한 자신의 이 이 死 에 등재되어 있는지를 인하 확
天 터 입
고, 그 후 公으로부 사자와 생자가 재앙을 지 않도 보 을 받 록 증
簡 皇男皇婦爲序寧所禱造君 皆序寧持
는 것이었다. 이 과정을 226 의 “ ,
去 天 所對 人 負責 債 人毋適 謫 卷 【明白】 살
, 公 , 生 不 ( ), 死 ( ), (券)書 ”에서
펴 면 造君
보 , 녕 손 직접 祭禱 올
은 사망한 서 의 자 이 를 리는 대상이고,
녕 祭禱 式
서 은 이 儀 에서 사용된禱辭 脯酒 祭物 와 최
등의 을 가지고 고
天 터 름 籍
신인 公으로부 사망한 자신의 이 이 死 에 등재되어 있는지의

103) 饒宗頣, 序寧病簡與包山簡 -論戰國·秦漢解疾禱祠之諸神與古史人物 (饒宗


頣二十世紀學術文集(卷三), 簡帛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9), p.123.
104) 連劭名, 東漢建初四年巫禱券書與古代的冊祝 , pp.28-33.
105) 楊華, 《序寧禱券》集釋 , p.505.
68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여부를 대 조확 人 녕
인하고,106) 生 은 서 의
<그림8: 徐寧簡의 형태>
죽 음에 아 무런 없 며 人곧
책임이 으 , 死
녕 벌
서 자신은 재앙의 을 받을 것이 다 없

는 것을 公으로부 터약 았 속받 음을 券書
刺 명
(券 )에 분 히 기재하였음을 천명 하였
다. 이는 生死 異路 관념
의 에 기초하여 生
死의 철저한 분리와 死 의 者 解謫 및 者 生
의 免殃 을 기원하는 진묘문의 전형적 형

식과 내용을 그대로 함하고 있는 것으
녕 격
로서, 서 간이 진묘문의 성 으로 작성
목 실
된 간이라는 사 을 잘 보여준다.

서 간에서 또 목
하나 주 되는 것은 위
< >
의 표3 에서 보듯이 다양한 神格 이 등
점 격
장한다는 이다. 이들 신 은 상술한 關
洛지역의 神名 天帝 필두 명
이 를 로 계를
관 급 관
장하는 상 신과 묘지를 장하는 하 급
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는 매 다 우 르
게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神名 에서도
큰 차이가 난다. 107) 關洛지역 진묘문에

簡 簡 227簡
오 명 달 < > 神名 社
나 는 신 과 리 표3 의 은
236 232
神 外家西南請子社 張氏請子社 田社 官社
( · · · ·

天 陳松長 編著 香巷 學 物館藏簡牘 p
106) “ 公”에 대하여 ,  中文大 文 , .99는 이것이
籍 관 天翁 별칭 당 神靈名
生死의 을 주 하는 의 했 連邵名
에 해 하는 으로 이해 고, 과
劉邵瑞 일 最高神格 天帝 같 존
는 반적인 진묘문에서 인 았 며 楊華
와 은 재로 보 으 ,
天 녕 오 타 격 높 존 았 필
는 公이 서 간에 나 는 여 의 신들보다 신 이 은 재로 보 다. 자
天 天帝 같
역시 公은 籍 관 존 점
와 은 반열에서 死 을 주 하는 재라는 에 동의한다.
따 天 所對 천
라서 “ 公 름 籍 조확
”는 공이 망자의 이 이 死 에 등재되었지 대 인하는
죽 夭 또 戰 刑 같 태
과정으로 이해하고, 그 음이 死 는 死· 死와 은 비정상적인 형 가
님 써 人 負責 債 人毋適 謫 곧 者 免殃 者
아 을 인정받음으로 “生 不 ( ), 死 ( )” 生 의 과 死
의解謫 증 미
을 보 받는 것을 의 한다고 이해하였다.
小南一郞
107) の祖靈 念 p 참조
, 漢代 觀 , .49 .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69

東北官保社), 조상신(大父母), 君稱의 神(造君·殤君(女殤·男殤)·獦君·趙


君·司命君) 및 기타(炊·郭貴人·水上)로 분류되는데, 이는 강소성 邗江
胡場 5號漢墓에서 출토된 宣帝 本始3年(B.C.71) 神位木牘에 나오는 神
格의 구조 및 神名과 거의 일치한다. 즉, 胡場神位木牘의 神格은 ‘王’稱
과 ‘君’稱 그리고 ‘社’稱의 神名 및 조상신과 기타의 신들로 구성되어
있는데,108) 이것은 서녕간에 나오는 신격의 구조와 유사하고, 특히 일
부 神名은 서로 일치한다. 즉, 서녕간 237·238簡의 “大父母(丈人)”는 胡
場神位木牘의 “中外王父母”와 같은 조상신명이고, “天公”과 “水上”은
이들 두 목독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신명이다. 따라서 신격과 그 구성
에서 볼 때, 서녕간의 신격은 關洛지역 계통이 아니라 胡場이 위치한
강소성 어느 지역의 신격을 표현한 것일 가능성이 높고, 이러한 추론
이 허용된다면 서녕간은 강소성 일대에서 발굴된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럼 녕 소 일
이처 서 간이 강 성 대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진묘문 것 일
추 타당
이라는 정의 성은 이 문서의 작성 식에서도 받 된다. , 방 뒷 침 즉

서 간이 사자의 解謫 과 생자의免殃 을 주된 적으로 작성된 상장문 목
서임에도 불구하고 진묘문을 陶罐 또는 에 작성하는 關洛지역의 陶甁
혀 르게 < 림8>
진묘도서와는 전 다 그 에서 보듯이 으로 작성되었는 木牘
< 림 > 旴眙縣
데, 이는 전술한 그 6·7 의 과 등 현 강 성 대에 高郵縣 소 일
木牘 료 태면
서 출토된 鎭墓 과 재 와 형 에서 전히 치하는 것이다. 더 완 일
욱 녕 약 일
이 서 간은 계 문서의 종인 券書와 券 로 작성되었음을 간문에 刺
밝 녕
서 스스로 히고 있는데, 이는 서 간이 신과 인간 사이에 死 의 者 解
謫 者 免殃 약
과 生 의 약
을 속한 계 문서인 까닭
에 이를 현세의 계 문서 약
8 揚州博物館 邗江縣圖 館 江蘇邗江胡場五號
10 ) · 書 , pp 8 神位木牘에
漢墓 , .17-1 의
등장하는 神名 ‘王’稱
으로서 高郵君 王 宮[春][姬]所□君□·大王·吳
한 것으로 “ 大 ·
王 □王 氾□神王 □君王 ‘君’稱
· · · ”, 江君 上蒲神君 滿君 盧相氾君·堬
한 것으로서 “ · · ·
君 城陽□君 當路君 奚丘君 ‘社’稱
· · · ”, 石里神杜 □□神杜 塞□杜(社)·
한 것으로서 “ · ·
杜社 祖上神名
( )” 등이 있고, 이외에 外王父母 타 倉天·天公·水
으로 “中 ”과 기 “
上 神 翁 趙長夫所□ 淮河 石里里主 后垂 宮 □池 荊主 □邑 宮司空” 등
· 魂·大 · · · ·大 · 中 · · ·
의神名 이 등장한다.
70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인 券書와 券 의 형식을 빌려 목 陶甁
간에 작성한 것으로서,109) 鎭墓
罐 격 확 른
( )과 그 성 이 연히 다 것이라 할 수 렇게 볼 때 녕
있다. 이 , 서
소 일 습
간은 현 강 성 대의 상장 속을 반영한 진묘문으로서, 이 역시 상
술한 감숙 무 안휘 수
성 위와 성 주 등지의 진묘문과마찬 가지로 關洛지
달 색 습
역의 전형적 진묘문과 리 지역적 특 을 반영한 상장 속이 반영된
진묘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마 막 격
지 으로 關洛지역 내에서도 상이한 성 의 진묘문이 작성되었음
례 五方
을 보여주는 사 로서 목 필요
鎭墓文을 주 할 가 있다. 이것의 가장
례 8 河南省 三門峽市 南交口
대표적인 사 로서 199 년 의 후한 후기묘
M 三門峽
( 17)에서 발굴된  넣 둔 오석 수
鎭墓文과 여기에 어 을 들 있
면 < > 같
는데, 이를 정리하 다음 표4 와 다. 발굴보고서에 따르면 이 묘
병 前室 後室 및 甬道 섯 곳 벽 또
장에서 발굴된 진묘 은 과 등 다 의 는
둥 래 土坑 묻혀
기 아 의 에 < > 섯 陶甁
있었고, 표4 에서 보듯이 다 의 표
면 朱
에는 書된 진묘문과 북두칠 五石 실
성이 서사되어 있음은 물론 의
물을 도병안 넣 놓 목
에 어 고 있었다. 그 적은 상술하였듯이 五石 天 과
干 五神 조
· 의 화를 통하여 각기 相剋 당 섯방
에 해 하는 다 위의 재앙을
물리치고자 한 것인데, 關洛지역의 전형적 진묘문과는 내용과 형식에
서 뚜렷 한 차이를 보여준다.
우 神格 측면
선 의 에서, 關洛지역의 진묘문에 반적으로 나 는 일 오 天
帝 및 黃帝 黃神혹은 그리고 冥界의 地 官또
는 墓域의 地 神名 혀
이전
타 五方 배
나 나있지 않고, 에 속된 · 靑龍 朱雀 勾陳 白虎 玄武 올
· · · 가 나 뿐
이다. 아울러 五神이들 과 더불어 解謫
을 위하여 五石 병 넣
을 진묘 에

109) 序寧簡 簡 미
에는 매 의 말 에 “券書 明白 刺明白
” 혹은 “券 엄격
”이라는 표현을

히 분리하여 고 있는데, 陳松長 編著 香巷 學 物館藏簡牘 p
,  中文大 文 , .100에
刺卽
서 “券 , 券書”라 간단히 말하듯이 양자간에 큰 견 수 없
차이를 발 할 가 다.
러 체목
그 나 전 또 簡 만
간중 2행 는 3행이 기재된 227·232·234·235·237·239 에
“券 刺明白 오 만 簡 모두 明白
”이 나 고, 나머지 1행 기재된 에는 “券書 ”으로 표현
되어 있다. 이는 1행의 木簡 木牘 刺 칭했
은 券書로, 2·3행의 은 券 로 음을 보여
만 일 약
준다. 다 진한대의 券書가 반적으로 계 문서를 의 하는 미 만큼 序寧簡 역
건 刺 건 모두 일
시 그것이 券書이 券 이 약 격
종의 계 문서이되 그 성 은 인간과 신

이 맺은 계 문서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71

<표4:  三門峽 南交口 7號漢墓 출토 鎭墓甁 鎭墓文 및 五石>

鎭墓 甁
M17:6 M17:7 M17:8 M17:9 M17:10
五石
墓 내室 後室 東北쪽 前室 東南쪽 後室門 중간 甬道 東南쪽 前室 東北쪽
위치 모퉁이 아래 모퉁이 아래 甬道 아래 모퉁이 아래 모퉁이 아래
東方·甲乙·神 南方 · 丙丁 · 神 中央·戊己·神 西方· 庚辛· 神 北方·壬癸·(神
靑龍, 曾靑九 朱爵(雀), 丹沙 如(勾)陳, 女 白虎, 礜(礖) 玄武), 慈(磁)
兩, 制中央, (砂)七兩, 制西 (七)兩, 制北 石八兩, (制東 石六兩, 制南
鎭墓文 令母守子, 礻 方, 令母守子, 方, 令母制 方), 礻局 (祸) 方, 令母守子,
局 (祸)不起, 礻局 (祸)不起, 子, 礻局(祸) 不起, 令母制 礻局 (祸)不
從今日是, 如 從今日是, 如 不起, 從今日 子, 從今日是, 起, 從今日是,
律令 律令 是, 如律令 如律令 如律令
五方 東方 南方 中央 西方 北方
天干 甲乙 丙丁 戊己 庚申 壬癸
五神 靑龍 朱雀 勾陳 白虎 玄武
五石 曾靑 丹砂 雄黃 礜石 磁石
制壓方位 中央 西方 北方 東方 南方
五行 木 火 土 金 水
五色 靑 赤 黃 白 黑
어 五方의 邪氣 또는 惡鬼를 진압하고자 하였는데, 그 기본 원리는 五
行 相剋說로서,110) 이는 신격의 힘을 빌려 死者解謫과 生者除殃을 달성
하고자 한 關洛지역의 진묘문과 내용상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러
이 한 부류의 진묘문은 鎭墓文으로 성 지어도 五方 할것 격 무방
이다.
五方鎭墓文은 위의 三門峽에서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이 西安과 安
徽의 壽州, 山東의 莒縣 등에서도 발굴되었다. 즉,
110) 郝本性·魏興濤, 三門峽南交口東漢墓鎭墓甁朱書文考略 物
(文  2009年 第3
期), p.59 참조.
72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⑬建寧四年鎭墓文: 南方 建寧四年十月己卯朔……帝……母□□神□□□
起 律令.111)
不 , 如
 劉君鎭墓文: 曰天帝告除居巢劉君冢惡氣: 告東方靑帝主除黃氣之凶, 告
南方赤帝主除西方白氣之凶, 告西方白帝主除靑氣之凶, 告北方黑帝, 北方黑
帝主除赤帝之凶, 告中央黃帝主除北方黑帝之凶. 告六丁天門, □□名曰侯社.
/ 五氣之英, 一主除刻去凶, □孫孫壽老, 如律令.112)
 熹平二年鎭墓文: 熹平二年四月已卯朔十九日丁酉時加午□, 東方靑帝禹
靑龍患禍欲來, 南方赤帝禹朱爵(雀)患禍欲來, 西方白帝禹白虎患禍欲來, 北
方黑帝禹玄武患禍欲來.113)
 宜蟲桑鎭墓文: 南方赤, □□屬徵. □臧在心, □□齒, 其□朱爵(雀), 身
有□□處大陽, 有火, □□爲熒星, 丙丁下入地中. 丹沙石政重□兩以塡, □主
憂, 五□[石]辟金兵, 立塡以後宜蟲桑, 如律令. / □母萬世無旡咎.114)
우선 ⑬은 서안에서 발굴된 것으로서, 잔결이 심하여 내용을 온전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南方……□不起, 如律令”은 위의 <표4>중
M17:7의 “南方……礻局(祸)不起, 從今日是, 如律令”과 같은 구조의 내용
으로 볼 수 있는 까닭에 이 역시 五方鎭墓文으로 이해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 는 天帝가 劉君이 매장된 묘장의 惡氣를 제거하도록 東方의
靑帝에게 中央의 黃氣의 凶을 제거하게 하고, 南方의 赤帝에게 西方의
白氣의 凶을 제거하게 하며, 西方의 白帝에게 東方의 靑氣의 凶을 제
거하고, 北方의 黑帝에게 南方의 赤帝의 凶을 제거하며, 中央의 黃帝에
게 北方의 黑帝의 凶을 제거하도록 각기 告하여, 궁극적으로 死者의
解謫과 後孫의 萬壽를 달성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들 五方과 五色에
호응한 五神 및 이들이 제거하는 각 방위마다의 五凶은 기본적으로
<표4>의 그것과 일치한다. 이는 후한대 당시 五方鎭墓文의 기본 구조
가 각 지역마다 거의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
겠다.
 은 山東 莒縣에서 발굴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재료가 陶甁·陶

111) [日]中村不折 著, 李德范 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p.6.


112) 羅振玉, 石交錄 卷二十一.
113) 羅振玉, 石交錄 卷二十.
114)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73

罐 또는 木牘이 아닌 刻石인 까닭에 진묘문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한


지 의심스럽기까지 하다. 그러나 그 내용과 구조는 五方鎭墓文과 일치
한다고 하여 과언이 아니다. 특히 四方과 四神의 대응관계는 기본적으
로 위의 <표4> 및  와 일치하고, 진묘의 내용 역시 각 방위마다 찾
아올 수 있는 患禍를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 은 잔결로 인
하여 내용이 불분명하지만 여기서도 南方과 이에 속하는 天干인 丙丁,
五神의 하나인 朱雀, 五石의 하나인 丹砂, 五行의 하나인 火가 등장하
고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표4>의 구조와 일치하고, 특히 후반부의
“五□[石]辟金兵, 立塡以後宜蟲桑, 如律令. / □母萬世無咎”는 이 진묘
문의 목적이 오행에 따라 사자인 宜蟲桑의 解謫과 후손의 영원한 除殃
을 기원한 것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역시 五方鎭墓文으로서의 기본
구조와 내용을 갖춘 것으로 보아 무방할 것이다.
이들 五方鎭墓文에서 발견되는 특이점은 그것의 구조와 내용이 상
술한 關洛지방의 전형적인 진묘문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인데,
특히  은  張叔敬鎭墓文과 함께 熹平二年(173)에 제작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내용과 구조는 매우 이질적이다. 이는 각 지역마다
성격이 서로 다른 진묘문이 공존하였고, 특히 진묘문을 작성하고 喪葬
禮俗을 주도하는 巫師 혹은 道士의 개인적 취향이 작용했기 때문일 것
이다. 이와 더불어 五方鎭墓文의 출토지역은 西安과 三門峽 등의 關洛
지역은 물론이고 안휘와 산동에까지 걸쳐 있고, 지역적 격절성에도 불
구하고 그 내용과 구조가 상당히 동질적이라는 점도 인상적이다. 이는
후한대에 오행설이 지역을 불문하고 광범하게 유포되었고, 이것이 진
묘문의 작성에까지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Ⅳ. 맺음말
고지책과 진묘문에 나 타난 한대인의 내세관은 이들 자료의 시대적·
74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지역적 차이 만큼
이나 다양성이 발 된다. 전자가 주로 견 과 을 호북 호남
중심으로 한 장강유역의 전한대 묘장에서 발굴되는 반 , 후자는 중 면 관

과 양을 중심으로 한 후한대 묘장에서 집중적으로 발굴되고 있다.
관 ‘
고지책에 반영된 내세 은 事死如事生 의’ 관념 입 에 각하여 來世 역시
現 면 개
世의 연장성산에 설정되어 있고, 그 이 에는 문서행정을 매 로 한
권 배 조 명 까 향 미칠
중앙집 적 지 구 가 계의 설정에 지 영 을 명정도로 계의
조 닮 者
구 는 현세의 그것을 아 있다. 死 는 문서행정을 통해 현세로부터
가지고온 戶籍 縣官
을 冥界의 前 일 게명 호
에 신고하여 生 과 동 하 계의
요 담 존 며
적에 등재되어 역과 부세를 부 하는 재로 인식되었으 , 현세의
신분과 경제적 조건 까 려 담
을 내세에 지 연장하 는 열망을 고지책에 고
있다.115)

진묘문에 반영된 지하세계 역시 현세의 지 구 와 유사하 배 조 여 게짜



있어서, 사자는 계의 死 에 등 籍
뿐 아니라, 록될
와 父老 伍長
의 통제
를 받으 며 蒿里
에서 생활하는 한편, 賦稅 납
를 부해야 하는 재였고, 존
러 일
이 한 과정에서 현세와 동 한 문서행정이 작동되고 있었다. 이는 진
묘문에 반영된 내세 이 전후한대에 관걸쳐 별 없
반 차이 이 유지되었음
러 관
을 시사한다. 그 나 진묘문에 반영된 내세 은 고지책의 그것에 비해
훨씬 巫術的 道敎的 색채 채 져
혹은 로 워 있다. 天帝 점 명
를 정 으로 계
官 神
의 地 과 墓域의 地 으로 구성된 지하세계는 고지책에 비해훨씬 다
양하고 복잡 층 神 조직
한 위의 들로 異路 관
화되어 있음은 물론 生死 의
념 者
에 기초하여 死 를 위한 解謫 解注 및 손 福樂
과 후 의 을 기원하는

형 는 후대 도교의 그것과 매 우흡 사하다.
런 금까 알려
그 데 지 지 같 관
진 이상과 은 내세 은 주로 후한대 關洛지
‘ ’
역의 묘장에서 발굴된 전형적 인 진묘문에 반영된 것에 불과하다. 다
태 관
양한 형 와 내용의 진묘문에 반영된 내세 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들 지역 이외의 현 감숙 안휘 소
· ·강 ·산서·산동 등지에서 발굴된 진묘문
찰 필요
에 대한 고 도 울러
하다. 아 異路
진묘문의 주된 내용인 生死 의

者 人
115) 尹在碩,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告地策을 중심으로 ,
pp 8 8 참조
. 2- 3 .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75

관념과 解謫과 解注에 대한 인식의 來源을 후대 도교의 내세관에서 찾


을 것이 아니라 오히려 후한 이전 시대로 소급하여 찾아볼 필요도 있
는 바, 이것이 본고의 주된 문제의식이다.
진묘문에 일관되게 나타나는 生死異路의 관념은 기본적으로 사자에
대한 부정 혹은 터부(taboo)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睡虎地秦簡日書와 放馬灘秦簡日書는 물론 전한대의 孔家坡漢簡日書에
의하면, 전국시대 이래 고대 중국인들은 조상신을 비롯한 제반 귀신이
후손에게 질병 또는 죽음을 유발하는 해코지를 부리는 존재로 인식하
였는 바, 이것이 생자와 사자의 철저한 분리를 강조하는 生死異路의
관념을 낳았을 것이다. 그리고 이에 입각하여 사자의 해코지를 피하는
방법으로서 邪氣 혹은 邪鬼로부터 사자의 영혼을 鎭安하고 사자의 죄
과를 면해주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 후한대에 유행한 진묘문의 작성과
묘장에 五石과 鉛人 및 金錢을 부장하는 방법으로 귀결되었을 것이다.
한편, 현 감숙·안휘·강소·산서·산동 등지에서 발굴된 진묘문은 그것
의 書寫構造와 내용 및 이것을 기록한 재료 등의 측면에서 關洛지역에
서 발굴된 전형적 진묘문과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감숙성 武威
에서 발굴된 □寧의 진묘문과 강소성의 盱眙와 高郵에서 발굴된 鎭墓
文木牘 및 출처 불명의 徐寧簡은 生死異路의 관념을 포함하면서도 關
洛지역의 그것과 매우 이질적인 서사구조와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특
히 이들 진묘문에 등장하는 神格은 關洛지역의 그것과 달리 각 지역
고유의 鬼名으로 구성되어 있고, 진묘문의 재료 역시 陶甁 또는 陶罐
위주의 關洛지역과 달리 木牘과 石物·織物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외에 關洛지역의 전형적 진묘문과 이질적인 유형으로서 五方鎭墓
文을 들 수 있다. 이것은 五行相剋說에 기초하여 五神과 五石의 힘을
빌려 五方의 邪氣 또는 惡鬼를 진압하고자 한 것으로서, 西安과 三門
峽은 물론이고 안휘의 壽州와 산동의 莒縣 등에서도 발굴되었다. 이는
후한대 오행설이 전형적 진묘문과 또 다른 유형의 진묘문의 작성에 영
향을 미친 결과일 것이다.
지금까지 발굴된 진묘문 중 가장 이른 것은 후한 明帝 永平3년(60)
76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의 것이고, 진묘문이 가장 유행한 시기는 후한 후기로서 초기 도교의


영향 알려져
을 받은 결과로 러 있다. 그 나 진묘문과 동 하 사자의 일 게
영혼 安 爲 미 터
을 鎭 하는 喪葬行 는 이 전한대부 유행해 것이라는 도 온 점
주목 필요
할 武威
가 있다. 의 전한 말기 묘장에서 발굴된 · 木劍人俑 木
人俑 木羊 邪氣 터
· 등은 호
로부 사자를 보 하기 위한 喪葬 로서, 이는 器物
미 같 취
전한 말기에 이 후한대 진묘문과 은 지의 喪葬行 가 유행 음 爲 했
욱 소 盱眙
을 보여준다. 더 이 강 성 에서 발굴된 鎭墓文 은 전한 중후木牘
기에서 新莽 시기 사이의 묘장에 부장된 것인데, 이는 후 묘장의 발 향
굴에서 진묘문을 부장하는 상장의식의 유행 시 이 전한대로 점 소급될
가능성이 매 우높 점
다는 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左傳
漢書
羅振玉, 古器物識小錄; 貞松堂集古遺文, 居貞草堂漢晋石影, 居貞草堂漢晋
石影
書道博物館, 書道全集第三卷(平凡社, 1931)
[日]中村不折 著, 李德范 譯, 禹域出土墨書書法源流考 (中華書局, 2003)
郭沫若, 奴隸制時代 (郭沫若全集(歷史編, 第三卷), 人民出版社, 1984)
陳松長 編著, 香巷中文大學文物館藏簡牘 (香巷中文大學文物館, 2001)
睡虎地秦墓竹簡整理小組 編, 睡虎地秦墓竹簡 (文物出版社, 2001)
甘肅省文物考古硏究所 編, 天水放馬灘秦簡 (中華書局, 2009)
洛陽區考古發掘隊, 洛陽燒溝漢墓 (科學出版社, 1959)
湖北省文物考古硏究所·隨州市考古隊 編, 隨州孔家坡漢墓簡牘(文物出版社, 2006)
甘肅省博物館·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編, 武威漢簡 (中華書局, 2005)
湖北省博物館, 荊州高臺秦漢墓 (科學出版社, 2000)
饒宗頣, 饒宗頣二十世紀學術文集(卷三), 簡帛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9)
劉昭瑞, 考古發現與早期道敎硏究 (文物出版社, 2007)
楊華, 古禮新研 (商務印書館, 2012)
湖北省博物館 編, 書寫歷史 - 戰國秦漢簡牘 (文物出版社, 2007)
蔣曉春, 三峽地區秦漢墓硏究 (巴蜀書社, 2010)
仁井田陞, 中國法制史硏究-土地法取引法 (東大出版社, 1980)
黃景春, 早期買地券·鎭墓文整理與硏究 (華東師範大學2004年度博士學位論文)
吳竣錫, 秦漢代 문서행정체계 연구 (2013년 8월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77

賈麥明, 韓城市漢墓出土閭氏朱書陶甁考釋 (東南文化 1993年 第3期)


甘肅省博物館, 甘肅武威磨咀子漢墓發掘 (考古 1960年 第9期)
甘肅省博物館, 武威磨咀子三座漢墓發掘簡報 (文物 1972年 第12期)
江蘇省文物管理委員會, 江蘇高郵邵家溝漢代遺址淸理 (考古 1960年 第10期)
郭寶鈞 等, 一九五四年洛陽西郊發掘報告 (考古學報 1956年 第2期)
洛陽市文物工作隊, 洛陽李屯東漢元嘉二年墓發掘簡報 (考古與文物 1997年 第2
期)
南京博物院, 江蘇盱眙東陽漢墓 (考古 1979年 第5期)
唐金裕, 漢初平四年王氏朱書陶甁 (文物 1980年 第1期)
呂志峰, 東漢鎭墓文考述 (東南文化 2006年 第6期)
連劭名, 東漢建初四年巫禱劵書與古代的冊祝 (傳統文化與現代化 1996年 第6期)
劉樂賢, 簡帛劄記二則 (簡帛研究二OO四,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6)
劉樂賢, 讀<香港中文大學文物館藏簡牘> (江漢考古 2001年 第4期)
李均明, 讀<香港中文大學文物館藏簡牘>偶識 (古文字研究 第24輯, 中華書局,
2002)
寶鷄市博物館, 寶鷄市鏟車廠漢墓 -兼談M1出土的行楷作硃書陶甁 (文物 1981
年 第3期)
徐苹芳, 中國秦漢魏晋南北朝時期的陵園和茔域 (考古 1981年 第6期)
陝西省文物管理委員會, 長安縣三里村東漢墓發掘簡報 (文物參考資料 1958年
第7期)
小南一郞, 壺型の宇宙 (東方學報第61冊, 1989)
楊開勇, 謝家橋1號漢墓 (荊州博物館編著, 荊州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2009)
楊愛國, 東漢時期道敎參與喪葬活動的考古學證據 (文史哲 2011年 第4期)
楊定愛, 江陵縣毛家園1號西漢墓 (中國考古學會編, 中國考古學年鑒1987, 文物
出版社, 1988)
揚州博物館·邗江縣圖書館, 江蘇邗江胡場五號漢墓 (文物 1981年 第11期)
楊華, 《序寧禱券》集釋 (古禮新研, 商務印書館, 2012)
呂志峰, 江蘇盱眙東陽漢墓祝禱辭令考釋 (中國文字硏究 2013年 第1期)
呂志峰, 東漢熹平二年張叔敬朱書瓦缶考釋 (中文自學指導 2007年 第2期)
易守菊, 槪述解注文中的傳染病思想 (南京中醫藥大學學報 2001年9月 第2卷 第
3期)
易守菊, 解注文之“注”與“注病” -從解注文看古代傳染病 (四川文物 2001年 第3
期)
易守菊·和中浚, 解注文之“注”與注病 (四川文物 2001年 第3期)
連劭名, 洛陽延光元年神甁朱書解除文述略 (中原文物 1996年 第4期)
連劭名, 漢晋解除文與道家方術 (華夏考古 1998年 第4期)
吳榮曾, 鎭墓文中所見到的東漢道巫關系 (文物 1981年 第3期)
王光永, 寶雞市漢墓發現光和與永元年間朱書陶器 (文物 1981年 第3期)
王承斌, 由鎭墓文看東漢民間厚葬之心態 (蘭臺世界 2010年 第20期)
王亞軍, 試論漢代鎭墓習俗中靈魂信仰 (管子學刊 2012年 第3期)
78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王亞軍, 從鎭墓文化透視漢代民間信仰 (長江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12年 第35


卷 第5期)
王育成, 考古所見道敎簡牘考述 (考古學報 2003年 第4期)
王育成, 洛陽延光元年朱書陶罐考釋 (中原文物 1993年 第1期)
王育成, 南李王村陶甁朱書與相關宗敎文化問題硏究 (考古與文物 1996年 第2期)
王育成, 略論考古發現的早期道符 (考古 1998年 第1期)
饒宗頤, 記建興二十八年“松人”解除簡: 漢“五龍相拘絞”說 (饒宗頣二十世紀學術
文集(卷三), 簡帛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9)
饒宗頣, 序寧病簡與包山簡 -論戰國·秦漢解疾禱祠之諸神與古史人物 (饒宗頣二
十世紀學術文集(卷三), 簡帛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9)
劉衛鵬, “五石”鎭墓說 (文博 2001年 第3期)
劉衛鵬, 永平三年朱書陶甁考釋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編, 文物考古論集 -咸陽
市文物考古所成立十周年紀念, 三晋出版社, 2000)
劉衛鵬, 陝西高陵出土的東漢建和三年朱書陶甁 (文物 2009年 第12期)
劉衛鵬, 五石鎭墓說 (文博 2001年 第3期)
劉衛鵬·程義, 漢晋墓葬中隨葬陶甁內盛物的初步硏究 (江漢考考 2008年 第3期)
尹在碩, 중국 고대 死者의 書와 漢代人의 來世觀 -告地策을 중심으로 (中國
史硏究 第86輯, 2013)
李如森, 漢代家族墓地如茔域上施設的興起 (史學集刊 1996年 第1期)
張勛燎, 東漢墓葬出土的解注器材料和天師道的起源 (道家文化硏究 第9輯, 1996)
趙晟佑, 後漢魏晋 鎭墓文의 특징과 道敎 (東陽史學硏究 第117輯, 2011)
池田溫, 中國歷代墓券略考 (東洋文化硏究所紀要第68冊, 1981)
池澤優, 中國の死生觀 -中国古代·中世における“死者性”の転倒- (死および死者
崇拝․死者儀礼の宗教的意義に関する比較文化的․統合的研究, 2000~2002年度
日本科学研究費補助金基盤研究C1研究成果報告書, 2003年3月31日)
陳直, 漢初平四年王氏朱書陶甁考釋 (考古與文物 1981年 第4期)
蔡運章, 東漢永壽二年鎭墓陶甁文考略 (考古 1989年 第7期)
郗文倩, 東漢鎭墓文的文體功能及其文體借鑒 (廣西師範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
版) 2010年 第16卷5期)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河南三門峽南交口漢墓(M17)發掘簡報 (文物 2009年 第
3期)
河南省文物硏究所, 密縣后土郭漢畫像石墓發掘報告 (華夏考古 1987年 第2期)
河南省博物院, 靈寶張灣漢墓 (文物 1975年 第11期)
郝本性·魏興濤, 三門峽南交口東漢墓鎭墓甁朱書文考略 (文物 2009年 第3期)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咸陽敎育學院漢墓淸理簡報 (咸陽市文物考古硏究所 編, 
文物考古論集 -咸陽市文物考古所成立十周年紀念, 三晋出版社, 2000)
荊州博物館, 湖北荊州謝家橋一號墓發掘簡報 (文物 2009年 第4期)
湖北省荊州地區博物館, 江陵高臺18號墓發掘簡報 (文物 1993年 第8期)
黃河水庫考古工作隊, 河南陝縣劉家渠漢墓 (考古學報 1965年 第1期)
者 人
중국 고대 死 의 書와 漢代 의 來世觀 (尹在碩) 79

(中文提要)
中 国古代“死者之书”与汉代人的来世观念
—以镇墓文为中心—

尹在 硕
目前, 有關東漢時期來世觀念的研究, 主要參考資料是出土於關洛地區墓
葬的“典型的”鎮墓文. 筆者認爲:爲更好地理解形制、內容多元化的鎮墓
文所反映的來世觀念, 有必要同時考察甘肅、安徽、江蘇、山西、山東等
地區出土的鎮墓文. 並且, 有關鎮墓文的主要內容 -“生死異路”的觀念, 以
及對解謫、解注的認識, 不能僅從後代道教來世觀的角度進行考察, 而是有
必要追溯到東漢之前的時代, 這也是本稿的主旨所在.
鎮墓文中一貫出現的“生死異路”觀念可能源於對死者的否定意識. 根據
睡虎地秦簡日書等資料可知, 戰國時代以來的中國人認爲, 包括祖先神在內
的鬼神會招來導致後孫身患疾病或是死亡的“祟”. 也許, 這就是“生死異路”
觀念出現的原因. 因此, 爲躲避死者的“祟”, 便出現鎮住死者靈魂使其遠離
邪鬼, 以及免除死者罪過的做法, 具體表現爲盛行於後漢時期制作鎮墓文,
以及隨葬五石、鉛人、金錢等行爲.
另外, 目前出土於甘肅、安徽、江蘇、山西、山東等地的鎮墓文的書寫
構造、內容, 以及書寫材料等情況, 與關洛地區出土的鎮墓文差異甚多. 如,
甘肅武威、江蘇盱貽和高郵, 以及出處不明的徐寧簡鎮墓文中的神格都是
由各地固有的鬼名構成, 書寫材料也比較多元化, 爲木牘、石物、織物等.
除此以外, 五方鎮墓文以五行相剋說爲基礎, 借五神、五石之力, 以求鎮壓
五方的邪氣和惡鬼. 西安、三門峽、安徽壽州、山東莒縣等地也出土過此
類鎮墓文. 由此可知, 東漢時期五行對鎮墓文的制作產生一定影響.
80 中國史硏究 第90輯 (2014. 6)

目前出土的鎮墓文中, 最早的是東漢明帝永平三年的鎮墓文. 鎮墓文最爲


盛行的時期是東漢後期, 也受到此時初期道教的影響. 值得注意的是, 西漢
末期已經出現類似的喪葬行爲. 武威西漢末期墓葬中出土的木劍人俑、木
人俑、木羊等, 是保護死者遠離邪氣的喪葬器物, 其性質與目的與東漢鎮墓
文相同. 加之, 江蘇盱貽出土的鎮墓文木牘, 是西漢中、後期到新莽時期間
的墓葬隨葬品. 由此可見, 通過今後墓葬的不斷發掘, 便會提高隨葬鎮墓文
這種喪葬儀式能追溯到西漢時期的可能性.

주제어: 사자의 서, 상장문서, 명계, 내세관, 도교, 진묘병, 진묘문, 오석, 연인


關鍵詞: 死者之書, 喪葬文書, 冥界, 來世觀, 道敎, 鎭墓甁, 鎭墓文, 五石, 鉛人
Keywords: the books of the Dead, funeral document, after-life world, after-life
concepts, Daoism, tomb-securing jars, tomb-securing writs, five stones,
lead-man
(원고접수: 2014년 5월 15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2014년 6월 16일, 수정
원고 접수: 6월 18일, 게재 확정: 6월 25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