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

한국의 문학

문학이란

보편성 특수성

인간의 삶에 관한 이야기 한국문화와 역사의 특수성


한국문학의 흐름
선사 이후 문자가 생겨난 이래 오늘날까지 창작된 한국문학 전체

한문문학
기록문학 고전문학
국문문학
현대문학
한국문학의 흐름
역대 왕조 변천사

상고시대 문학 삼국시대 문학 통일신라 시대 문학

조선후기 문학 조선전기 문학 고려시대 문학


한국문학의 흐름
초창기=토속신앙+불교신앙  신라의 <향가>
토속신앙과 불교 사상이
배경을 이룸

국가마다 온 나라 사람들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여러 날 동안 노래와 춤을
즐기는 국중 대회
한국문학의 흐름
고려가요

신라의 불교 문화를 계승

한문학이 융성

향가 쇠퇴

고려가요가 평민층에서 널리
애송
한국문학의 흐름
조선전기
충의와 자연친화 의식이 강함.

1446년 훈민정음의 반포

본격적인 국문학 전개의 기초

진정한 의미에서 국문학이


융성.
한국문학의 흐름
조선후기

실학 사상을 근간으로
하여 풍자와 해학, 비판
정신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 <판소리>
한국문학의 흐름
개화기 이후 • 역사적 격동기

• 문학, 사상, 문화, 제도의


근대화

• 문호개방

• 근대식 교육기관의 설립

• 신문, 잡지 발행
한국 현대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투쟁의
해방
문학
유신
갑오 과 독재 광주 1987년
일제강 에대
동학 4.19혁
점기3.1 분단, 5월 항 6월
농민 명 한저
운동
혁명 한국 항운 쟁 항쟁
전쟁 동

반외세 반봉건
1930년대 경성(1)
1930년대 경성(2)
1930년대 식민도시 경성의 이중성

• 1) 경성에 대한 세밀한 관찰- 식민자본주의에 의해 무차별 파괴되는 식민지


수도의 경제, 정치, 사회상에 대한 상세한 보고
• 2) 조선인 거주지의 중심인 북촌의 중심지 종로 네거리로 상징되는 조선인의
동질성 확보와 일치
• 3) 구보가 찾는 진정한 행복으로서의 조선 아나키즘에 대한 열망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핵심 논제

•1) 주체와 타자, 시선의 문제

•2) 1930년대 식민도시 경성의 이중적 성격에 근거하여 구


보의 행위와 의식/무의식을 재의미화하는 문제
이상은 누구인가?(1)
• ▶ 출생과 성장
• -1910년 8월 20일(음력이라고 치면 양력으로는 9월 23일) 경성부 북부 순화방 반정동 4통 6호
에서 출생. 부친 김영창(인쇄소 사고-이발소 개업), 모친 박세창. 동생 김운경(한국전쟁 당시
납북), 김옥희
• -이상은 백부 김연필(경성부 통동 154번지)의 집에서 3-24세까지 거주. (알려진 것과는 달리
호적상 양자는 아님)
이상은 누구인가?(2)
• 1926년 보성고보 졸업하고 경성고등공업학교(경성고공, 현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과
에 입학. 미술과 문학에 열중.
•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이상’이라는 필명은 이때부터 이미 사용. 한국인 졸업생 16명이 제
작한<경성고등공업학교 1929년도 졸업기념 사진첩> 말미에 “보고도 모르는 것을 폭로시켜
라! 그것은 발명보다도 발견! 거기에도 노력은 필요하다. 이상(李箱).”이라는 비망록 발견.
(<문학사상> 2010년 4월호 참조.)
<날개>(1)- 서술자의 메타적 자의식
•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
• 나는 유쾌하오. 이런 때 연애까지가 유쾌하오”
; 천재 + 박제

“나는 위트와 패러독스를 바둑 포석처럼 늘어놓소. 가공할 상식의 병이오.”


<날개>(2)- 화폐경제로의 외출
• 첫번째 외출- “머리맡에 저절로 모인 오원 돈을 아무에게라도 주어 보고 싶었던 것”
• 두번째 외출- “하늘에서 얼마라도 좋으니 왜 지폐가 소낙비처럼 퍼붓지 않나, 그것이 그저 한
없이 야속하고 슬펐다. 나는 이렇게밖에 돈을 구하는 아무런 방법도 알지는 못했다.”
• 세번째 외출- 티룸의 발견 “그것은 내게는 큰 발견이었다. 거기는 우선 아무도 아는 사람이
안 온다, 설사 왔다가도 곧 가니까 좋다.”

• ‘전형적 도시적 공간’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1960년대 서울과 김수영
김수영 주요 작품집
• 1959 <달나라의 장난>(개인시집/춘조사)
• 1974 <거대한 뿌리>(시선집/민음사)
• 1975 <시여, 침을 뱉어라>(산문선집/민음사)
• 1976 <달의 행로를 밟을지라도>(시선집/민음사)
• <퓨리턴의 초상>(산문선집/민음사)
• 1981 <김수영 전집>(시, 산문/민음사)
• 1982 민음사에서 ‘김수영 문학상’ 제정
김수영 문학의 특징
• 1) 현실 참여와 모더니티 지향의 이중성
• 2) 신화 VS 反 신화
• 3) 김수영 문학의 기초= ‘번역’ + ‘철학’
• “내 시의 비밀은 내 번역을 보면 안다.”(시작 노우트 6)
• “부디 공부 좀 해라. 공부를 지독하게 하고 나서 지금의 그 발랄한 생리와 반짝거리는 이미지
와 축복받은 독기가 죽지 않을 때, 고은은 한국의 쟝 주네가 될 수 있다. 철학을 통해서 현대
공부를 철저히 하고 대성하라, 부탁한다.”(고은에게 보내는 편지)
1970년대 서울과 오규원
오규원의 주요 작품집- 시집
• <분명한 사건>(1971), <순례>(1973)

•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1978)

• <이 땅에 씌어지는 서정시>(1981)

• <가끔은 주목받는 生이고 싶다>(1987)

• <사랑의 감옥>(1991)

•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1995)

• <토마토는 붉다 아니 달콤하다>(1999)

•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맹이>(2005)

• 동시집 <나무 속의 자동차>(1995)

• 유고시집 <두두>(2008)
오규원 문학의 특징들
• 한국 현대시의 현대성의 문제들
• 1. 언어의 문제
• 2. 사회문화적인 문제

• ‘언어의 마술’(문학동네)
• ‘사소한 경험의 구체적 묘사’(김현)
• ‘관념화된 언어 뒤집기’(정끝별)
• ‘언어에 달라붙는 가상들’(김진석)
1980년대와 기형도
기형도의 시 세계
• 1. 가난으로 인한 결핍의식의 형성
• 2. 부재로 인한 불안의식의 형성
• 3. 결핍과 분열의식의 이중 구조
• 가. 근원의 상실과 반복강박증
• 나. 부유(浮遊)하는 존재성(存在性)과 콤플렉스
• 4. 자책과 자기 방어의 모순 구조
• 5. 지적 상상력의 이미지 ;부정성(否定性) 이미지
• 6. 폐쇄적인 공간 인식과 시간의 가속(加速)
1980-90년대; 유하와 장정일
장정일
• 소설가, 시인
• 출생: 1962년 1월 6일 (대구광역시)
• 소속: 동덕여자대학교 (초빙교수)
• 데뷔: 1984년 시 '강정간다‘
• 수상: 1987년 제7회 김수영문학상
• 경력
• 2006.03~ 동덕여자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초빙교수
1997.12 웹진 산티 기획위원
장정일의 문학 세계
• 1. 불온한 자의식에 이르는 도정
• 1) 세계의 허구와 방랑의식
• 2) 환멸적 대상의 변주
• 2. 성의 소비와 유희
• 1) 허상의 대상과 일상에 대한 탐닉
• 2) 일상으로부터의 탈주
• 3. 극단적 위반으로서의 해체
• 1) 위악적 자아와 자기 모멸의 언어
• 2) 부정의 부정으로서의 전위
유하
• 영화감독, 시인
• 출생: 1963년 2월 9일 (전라북도 고창)
• 학력: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
• 데뷔: 1990년 영화 '시인 구보씨의 하루' 감독
• 수상
• 2006년 제2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감독상
2004년 제4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시나리오상
1996년 제15회 김수영문학상
유하의 문학 작품
• 시집

• ⓵『무림일기』, 세계사, 1989,

• ⓶『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문학과 지성사, 1991,

• ⓷『세상의 모든 저녁』 민음사, 1993,

• ⓸『세운상가 키드의 사랑』, 문학과 지성사, 1995,

• ⓹『나의 사랑은 나비처럼 가벼웠다』, 열림원, 1999,

• ⓺『천일馬화』, 문학과 지성사, 2000 3)

• 『이소룡 세대에 바친다-유하 산문집』, 문학동네, 1995 4)

• 『유하 문학선』, 예문, 1995 5)

• 2006년 10월, 유하는 마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영화감독의 몸과 시인의 몸은 다른 것 같다. 절필한지도 6년째다”
2000년대 김애란과 ‘도시의 방’
김애란(1980- )
• 2003년 단편 「노크하지 않는 집」으로 대산대학문학상(소설부문)을 수상하며 문단에 데뷔.
• 2005년 첫 소설집 「달려라 아비」로 제38회 한국일보문학상 역대 최연소자(25세) 수상.
• 2008년 단편 「칼자국」으로 제9회 이효석문학상 수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
• 2009년 두번째 소설집 「침이 고인다」(2007)로 제27회 신동엽창작상, 만해문학상 수상.
• 2010년 「너의 여름은 어떠니」로 제4회 김유정문학상 수상.
• 첫 장편소설 <두근두근 내인생>(2011)
• 세 번째 소설집 <비행운>(2012)
• 제37회 이상문학상 수상작 「침묵의 미래」 (2013)
김애란 소설의 특징과 주제들
• 1.삶을 재구성하는 이야기 공간
• 2.가족 결핍을 극복하는 상상(특히 父-不在 공간)
• 3.기호화된 사물을 소비하는 계급 주체- 아파트, 사우나, 피부, 치아, 손톱 등
• 4.포스트잇의 쓰기 방식(「종이 물고기」, <달려라,아비> )
• 5.존재를 묘사하는 이미지 수사법
• 1) 네모난 ‘빛’과 존재의 ‘동그라미’
• 2) 도심 속의 ‘소중한 가짜’ – ‘우주’ 이미지
• 3) 삶의 근원이 되는 ‘원시’의 ‘나무’- 막연한 구원의 가능성
• ; 푸코 후기 저작 ‘자기의 배려’(‘자기의 테크놀로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