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가이드북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09 한국현대문화의 지향 (2) 자유와 사랑

교수자: 장문석

1차시 학습목표
2차시 한국의 민주주의와 혁명의 시간
3차시 민주주의 가치를 지향했던 문학
4차시 민주화 운동과 민주주의
5차시 정리하기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강의 개요

주차명 한국현대문화의 지향 (2) 자유와 사랑

§ 한국현대문화의 가치로서 민주주의는 어떠한 주체가 어떻게 실천하였는지 이해할


학습목표
수 있다.
☑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비디오 ☑ PPT슬라이드와 오디오
강의방식
□ 인터뷰 촬영 □ 대화 촬영 □ 현장 촬영

강의언어 ☑ 한국어 □ 영어 □ 기타( )

자막언어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수어 □ 기타( )

차시 차시명 학습내용

핵심 질문 알아보기
1 학습목표
핵심 단어 알아보기

4·1 혁명과 민주주의


2 한국의 민주주의와 혁명의 시간
소설 『광장』

독재정권과 시인 김지하
3 민주주의 가치를 지향했던 문학 민주주의를 향한 김지하의 외침
김지하 구명운동

4 민주화 운동과 민주주의 5·18 광주민주화운동

5 정리하기 강의 내용 예고

□ 동영상 강의 □ 읽기 자료(pdf 등) □ 퀴즈 등 연습문제 □ 토론/토의


학습
□ 시연 및 현장 방문 □ 실습(실험, 시뮬레이션) □ 개인 과제 □ 협력 과제
활동
□ 기타( )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한국어 스크립트 | Korean Script

1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문화의 토대와 가치 9주차입니다. 우리는 지난주부터 2주간 한국문화의


가치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는 한국현대문화의 가치 중 첫 번째 가치인 문화횡단적 근대성
을 시인 이육사를 통해 공부해보았습니다. 한국문화는 다양한 문화가 교차하면서 형성되었습니다.
공간으로는 동양과 서양, 시간으로는 전통과 근대, 언어로는 서양어, 동아시아 언어, 한국어, 양식으
로는 문학, 영화 등이 교차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문화가 교차하면서 한국문화의 근대성은 문화
횡단적으로 형성됩니다. 이육사는 문화의 경계를 횡단하면서 새로운 한국문화를 새롭게 기획하였고,
식민지 상황 아래에서 인간다운 삶을 찾아서 반식민주의적 실천에 나섰습니다.
오늘은 한국현대문화의 가치 중 두 번째 가치인 민주주의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1차시에
는 오늘 강의에서 우리가 공부할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영국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
봄은 프랑스 혁명이 일어난 1789년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4년까지를 ‘장기 19세기’라고 부
릅니다. ‘장기 19세기’에 유럽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홉스봄은 ‘장기 19세기’를 혁명의 시
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로 나누었습니다. 자본의 시대는 1848년에서 1875년까지입니다. 이 시
기는 유럽의 자본주의가 확장되는 시기입니다. 제국의 시대는 1875년에서 1914년까지입니다. 이 시
기는 유럽이 아시아와 아프리카 여러 나라를 정치적, 제도적 식민지로 만든 시기입니다. 유럽의 ‘장
기 19세기’는 왕정을 무너뜨리고 시민들이 국가를 운영하는 공화정과 함께 시작하였지만, 결국 유럽
의 국가들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여러 나라를 식민지로 만들었습니다. 유럽은 진보이며, 비유럽은 미
개와 야만이라는 대립적 인식 또한 이 시기에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인식은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
였습니다. 그런데 식민화는 비식민화의 가능성 또한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여러 제국은 효율적인 지
배와 수탈을 위해 식민지의 개발을 실시하였고, 식민지에서 산업의 발달과 교육의 보급은 민족의식
의 자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차 세계대전은 비식민화의 결정적 계기였습니다. 제
1차 세계대전은 노동자, 농민은 물론 식민지의 인민을 동원한 총력전이었습니다. 전쟁으로 각성한
민족의식은 민족운동의 분출로 이어졌습니다. 제국주의 열강도 이러한 비식민화의 흐름에 눈감을 수
없었습니다. 1917년 러시아혁명 직후 레닌은 민족자결과 무배상 무병합 원칙에 입각한 즉시 강화를
주장하는 ‘평화에 관한 포고’를 발표하였습니다. 1918년 영국 총리 로이드 조지와 미국 대통령 우드
로 윌슨은 잇달아 민족 자결의 원칙을 밝혔습니다. 파리강화회의는 제1차 세계대전을 정리하고 새로
운 세계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회의였습니다. 파리강화회의가 열린 1919년에는 세계 각지에서 민족
운동이 분출하였습니다. 3월에는 한국과 이집트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4월에는 인도에서
간디가 주도하는 비폭력 저항운동이 일어났습니다. 중국에서는 5·4운동이 일어났습니다. 1922년 아
일랜드는 독립전쟁 끝에 아일랜드자유국으로 거듭났고, 1919년 인도에서는 인도인의 정치 참여를
확대한 인도통치법이 시행되었습니다. 한국의 식민화 역시 이러한 세계사의 맥락에서 살펴보아야 합
니다. 1910년 한국은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세계적인 식민화의 흐름 끝자락에서 한국은 식민지가 된
것입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파리강화회의에 대한 소식이 전해지고 고종의 죽음이라는 사건이 겹쳐
지면서 3·1운동이 일어납니다. 한국의 민중들은 3·1운동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였습니다. 선언이란 와야 할 미래를 현재에 당겨쓰는 언어적 표현입니다. 1776년 미국의 독립
선언이 대표적인 선언입니다. 미국은 독립선언 7년 후인 1783년 독립을 공식화하였습니다. 제1차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세계대전 직후 식민지였던 여러 민족 국가의 독립선언이 이어졌습니다. 벨라루스, 라트비아, 아르메


니아, 아제르바이잔, 에스토니아, 우크라이나, 조지아, 체코슬로바키아, 핀란드, 아일랜드, 폴란드 등
유럽의 여러 민족이 독립을 선언하였습니다. 3·1운동 당시에 발표된 독립선언서에서는 한국의 독립
과 자주를 선언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선언은 폭력적이지 않으며 보편주의와 평화주의를 지향하였습
니다. 3·1운동을 통해 한국의 민중들은 정치적으로 각성하고 자아를 형성하였습니다. 그런데 3·1운
동 이후 한국의 민중이 꿈꾸었던 나라는 식민지 이전 대한제국이 아니었습니다. 3·1운동 이후 한국
의 민중은 공화정을 지향하였습니다. 그리고 1919년 4월 중국 상하이에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3·1운동 당시 작성된 한 선언문에서는 ‘우리 조선민족은 정의와 자유를 기초로 한
민주주의의 신국가를 건설하려고 한다’라고 분명히 쓰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인이 3·1운동의 결과 민
주주의 국가를 지향할 수 있었던 이유는 19세기 말부터 한국에서 조금씩 공화정에 대한 논의와 모
색이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민주주의에 대한 모색은 3·1운동을 계기로 보다 적극적으로 논의되었
습니다. 3·1운동 직후 한국이 독립하지는 못하였지만, 1945년 해방 이후 한국인들은 민주주의 국가
를 건설하였습니다.
민주주의는 현대 한국에서 한국인들이 지향한 문화의 가치였습니다. 하지만 민주주의가 한국에서
바로 실현되었던 것은 아닙니다. 20세기 초반 한국은 식민지 지배를 받았고, 20세기 중반 해방이 됩
니다. 해방 이후 한국은 냉전으로 인해 분단되었고 전쟁을 경험합니다. 그리고 긴 독재의 시간 역시
경험합니다. 식민지, 냉전, 전쟁, 독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한국에서 민주주의는 온전히 현실이 되
지는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민주주의를 한국 문화가 지향해야 할 가치로 생각하였습니
다. 한국인은 민주주의를 지향하면서 문화를 창조하였습니다. 9주차에서는 한국문화의 가치로서 민
주주의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질문은 ‘한국현대문화의 가치로서 민주주의는 어떠한 주체가
어떻게 실천하였는가?’입니다. 핵심단어는 ‘민주주의’, ‘저항’, ‘혁명’, ‘연대’입니다. 이것으로 1차시
강의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2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2차시입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4·19혁명과 문학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


니다. 우리는 한국현대문화의 주체 세 번째 시간, 대중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에서도 4·19혁명에
대해 공부한 적이 있습니다. 4·19혁명은 1960년 4월 18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 한국의 시민혁명입
니다. 권위주의 독재정권은 1950년대 한국을 통치하였고, 1960년 3월에는 정권 연장을 위해 부정선
거를 저질렀습니다. 독재정권이 부정선거를 통해 민주주의의 가치를 훼손하자, 한국의 시민들은 독
재정권에 저항하여 거리로 나섰습니다. 독재정권은 시민들의 움직임을 폭력으로 진압하였고, 일부
시민은 목숨을 잃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시민들의 저항은 더욱 거세어져 갔습니다. 시민들이 저항
한 결과, 독재정권의 대통령은 물러났고 혁명은 끝이 납니다. 4·19혁명은 한국의 시민들이 독재정권
에 저항하여 민주주의를 지향하면서 일으킨 정치적 행위입니다. 이후 한국 역사에서 1960년은 4·19
혁명의 해로 기억이 됩니다. 그리고 1960년 11월 소설가 최인훈은 소설 〈광장〉을 발표합니다. 비평
가 김현은 “정치사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1960년은 학생들의 해였지만, 소설사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그것은 <광장>의 해였다.”고 하였습니다. 당시 비평가와 독자들은 〈광장〉을 4·19혁명으로 가능했던
정치적 상상력을 잘 표현한 소설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작가 최인훈 역시 〈광장〉을 발표하면서 창
작의 소감을 기록해두었습니다.

“아시아적 전제의 의자에 앉아서 민중에겐 서구적 자유의 풍문만 들려줄 뿐, 그 자유를 사는 것을
허락지 않았던 구 정권 하에서라면 이런 소재가 아무리 구미에 당기더라도 감히 다루지 못하리라는
걸 생각하면 저 빛나는 사월이 가져온 새 공화국에 사는 작가의 보람을 느낍니다.”

최인훈은 구 정권, 그러니까 1950년대 권위주의 독재정권 아래에서라면 작품의 소재가 아무리 흥
미롭다고 하더라도 감히 소설로 쓰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빛나는 4월, 즉 4·19혁명
이 가져온 새로운 민주주의 정권 아래에서였기 때문에 〈광장〉을 쓸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이제 〈광
장〉이 어떤 소설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에 대한 대답의 실마리 역시 작가의 소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최인훈은 1950년대 권위주의 정권이 독재정치를 행하였고, 민중에겐 서구적 자유의 풍
문만 들려줄 뿐, 그 자유를 사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1950년대 한국의 시민들은 민주
주의에 대한 소문은 듣고 있었지만, 실제 한국에서는 민주주의를 경험하지 못하였다는 이야기입니
다. 작가의 소감의 앞부분에도 비슷한 언급이 등장합니다. 작가소감에는 “’메시아‘가 왔다는 이천년
래의 풍문이 있습니다. 신이 부활했다는 풍문도 있습니다. 커뮤니즘이 세계를 구하리라는 풍문도 있
었습니다. 우리는 참 많은 풍문 속에 삽니다. 풍문의 지층은 두텁고 무겁습니다.”라는 언급이 있습니
다. 작가의 소감에 등장하는 한국은 소문을 듣는 나라입니다. 메시아가 왔고 신이 부활했다는 소문,
이것은 그리스도교를 말합니다. 또한 커뮤니즘이 세계를 구하리라는 소문, 이것은 사회주의를 말합
니다. 그리스도교와 사회주의는 모두 서양의 역사에 근거한 서양의 사상입니다. 서양의 사상과 정치
질서는 한국에 소문처럼 들려오지만 아직 한국의 현실과 충분히 결합하지 못하였다는 것이 최인훈의
생각입니다. 이런 시각에서 살펴보면 서양은 역사의 현장이며, 한국은 역사의 현장에서 벗어나 그
역사를 소문으로만 듣는 소문의 나라입니다. 소설 〈광장〉의 중심인물 이명준 역시 이러한 상황에 대
해 고민하였습니다. 최인훈은 이명준을 두고 풍문에 만족하지 않고 현장에 있으려 한 인물이라고 설
명하였습니다. 소설 〈광장〉은 서양에서 소문처럼 온 민주주의가 한국의 현실과 어떻게 만날 수 있는
가를 살펴본 소설입니다. 소설 광장에는 다음과 같은 언급이 등장합니다. “바스티유의 감격도 없고,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동궁(冬宮) 습격의 흥분도 없다. 기로틴(단두대)에서 흐르던 피를 목격한 조선 인민은 없으며, 동상


과 조각을 함마로 부수며 대리석 계단을 몰려 올라가서 황제의 침실에 불을 지르던 횃불을 들어본
조선 인민은 없다. 그들은 혁명의 풍문만 들었을 뿐이다.” 한국은 역사의 현장인 서구로부터 떨어져
그곳에서 있었던 혁명과 민주주의를 소문으로만 들었다는 진단입니다. 〈광장〉은 해방 전후로부터 한
국전쟁 직후까지를 시간적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 한국은 식민지로부터 해방되었지만
냉전체제의 도래와 함께 분단되었고 한국전쟁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명준은 이러한 한국의 역사적
상황 한가운데에 있었습니다. 그는 한국과 북한을 이동합니다. 처음에 이명준은 한국에서 대학을 다
닙니다. 그가 보기에 한국은 소문으로 들어온 서양의 사상과 문화를 모방하는 데에만 힘을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이후 이명준은 북한으로 이동합니다. 하지만 북한에서도 그는 소문으로 들어온 사회주
의의 이념을 형식적으로 적용하는 상황을 발견합니다. 한국과 북한 모두 서양의 사상을 소문으로만
받아들이고 그것을 모방할 뿐, 한국과 북한의 현실과 그것을 결합하지는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
명준은 이러한 상황 안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지만, 그의 노력은 결국 실패합니다. 이
후 이명준은 북한군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하고 포로로 잡힙니다. 그리고 휴전을 전후하여 포로송환
심사가 이루어집니다. 포로송환 심사는 전쟁이 끝날 무렵 포로가 한국과 북한, 자유진영과 공산진영
어디로 갈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소설 〈광장〉의 포로송환 심사 장면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서는 공산측이 먼저였다. 그는 그들 앞에 가서 걸음을 멈췄다. 앞에 앉은 장교가 부드럽게 웃으


면서 말했다. 「동무. 앉으시오」 명준은 들리지 않는 양 그대로 버틴채 움직이지 않았다. 「동무는 어
느 쪽으로 가겠소?」 「중립국」 그들은 서로 쳐다보았다. 앉으라고 하던 장교가 상반신을 테이블 위로
바싹 내 밀면서 말했다. 「동무. 중립국도 역시 자본주의 국가요. 굶주림과 범죄가 우굴대는 낮선 곳
에 가서 어쩌자는 거요」 「중립국!」

처음에는 공산진영에서 이명준을 설득하지만, 이명준은 중립국이라고만 대답합니다. 다음으로는


자유진영에서 이명준을 설득하지만 이명준은 역시 중립국이라고만 대답합니다. 포로송환심사에서 이
명준은 다른 말은 하지 않고 중립국이라고만 5번 외칩니다. 이명준은 냉전 체제 아래에 있던 자본주
의 질서와 공산주의 질서 모두를 거부하였습니다. 이때 냉전체제는 한국에 소문처럼 외국에서 도래
해서 한국을 분단과 전쟁으로 강제한 정치질서입니다. 이명준은 소문처럼 온 서양의 정치질서를 거
부하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열어가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명준은 선박 타고르호를 타고 분단된
한반도를 떠나 중립국 인도로 출발합니다. 이명준이 생각한 중립국은 냉전체제 아래에서 실제로 존
재했던 중립국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그가 생각했던 냉전 너머의 평화로운 세계를 의미하기도 합니
다. 이명준이 상상한 중립국의 모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립국. 아무도 나를 아는 사람이 없는 땅. 하루 종일 시가를 싸다닌대도 어깨 한 번 치는 사람이


없는 도시,내가 어떤 사람이었던지도 모를뿐더러 알려고 하는 사람도 없다. 병원 문지기라든가 소방
서 감시원이라든가 극장의 매표원, 그런 될 수 있는 대로 정신을 쓰는 일이 적고, 그 대신 똑같은
동작을 하루 종일 계속만 하면 되는 직업에 종사할 테다. 수위실 속에서 나는 육체의 병을 고치러온
사람들을 바라본다. 나는 문간을 깨끗이 소제하고 아침저녁으로 꽃밭에 물을 준다.”

이명준이 상상하는 중립국은 무엇보다 평화로운 나라입니다. 그 안에서 이명준은 병원 경비원, 소


방관, 극장 직원 등 일상적인 직업을 가지고 성실히 살아가고자 합니다. 이명준의 바람은 독립운동
가 백범 김구가 쓴 〈나의 소원〉을 떠올리게 합니다. 백범 김구는 그 글에서 자신의 소원은 한국의
독립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독립한 한국은 다른 나라를 침략하는 나라가 아니라, 높은 문화의 힘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을 가진 나라가 되었으면 하고 바랍니다. 그리고 김구는 자신은 독립한 정부의 문지기로 살겠다는
작은 바람을 함께 적어 둡니다. 이명준 역시 냉전 너머의 평화를 꿈꾸었습니다. 이명준의 꿈을 염두
에 둘 때 한국의 민주주의는 권위주의 독재에 대한 저항일 뿐만 아니라, 냉전 너머의 평화에 대한
바람으로 이어집니다.
2차시를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최인훈의 소설 〈광장〉은 한국을 서양의 사상인 민주주의를 소문
으로 받아들인 나라였다고 설명합니다. 역사의 현장은 서양이었고, 한국은 서양의 사상을 소문으로
만 받아들입니다. 민주주의 또한 한국이 서양의 사상과 제도를 받아들인 것입니다. 민주주의라는 이
념은 한국의 현실과 결합하지 못하였습니다. 한국의 역사를 볼 때에도 1950년대 한국에서 민주주의
는 현실에 올바로 뿌리내리지 못하였고, 권위주의 독재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1960년 4·19혁명으
로 한국의 시민들은 권위주의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한국의 현실에서 민주주의를 쟁취하였습니다.
한국의 현실에 민주주의가 실현된 것입니다. 그리고 민주주의가 현실화된 상황에서 최인훈은 소설
〈광장〉을 창작하였습니다. 소설 〈광장〉에서 인물 이명준은 남과 북 모두를 거부하고 중립국을 선택
합니다. 한국의 시민이 4·19 혁명을 통해 민주주의를 현실로 만든 시기에 최인훈은 이명준이라는 인
물의 선택을 통해 냉전 너머의 평화를 제시합니다. 이 점에서 한국의 민주주의는 독재에 저항하여
시민의 권리를 되찾는 것일 뿐만 아니라, 20세기 세계를 양분하였던 정치 질서인 냉전 너머의 평화
를 꿈꾼 것이었습니다. 이것으로 2차시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3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3차시입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독재정권에 저항하며 민주주의를 가치를 지향


했던 문학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960년 4.19혁명으로 한국의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성
취하였지만 1961년 5.16쿠테타가 일어났습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군인출신 대통령 박정희
가 독재를 이어갔고 1980년대에는 역시 군인출신 대통령 전두환이 독재를 이어갔습니다. 한국에서
는 짧지 않은 시간동안 군인출신 정치인이 독재를 이어갔습니다. 독재정권은 경제개발과 근대화를
내세우면서 한국의 민주주의를 억압하였습니다. 독재정권은 한국의 민주주의를 억압하였지만 한국는
시민들은 독재정권에 저항하고 민주주의를 외쳤습니다. 한국문학 역시 이 시기에 독재의 저항하고
민주주의를 표현하였습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독재정권에 저항하였던 시인 김지하와 그와 연대하였
던 일본의 시민에 대해 공부해 봅니다. 김지하는 1941년 전라남도 목포에서 출생하였습니다. 김지하
는 대학 재학중에 4.19혁명과 5.16쿠테타를 경험합니다. 또한 김지하는 1960년대 중반 한국과 일본
이 다시 국교를 수립하는 한.일 회담이 졸속으로 진행되자 이것에 반대하는 운동에도 참여하였습니
다. 결국 김지하는 한일 회담에 반대하는 시위의 참여했단 이유로 4개월 정도 감옥에 갇힙니다. 이
후 김지하는 한국의 군사독재정권에 저항하는 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였고 또 시를 썼습니다.
1970년 김지하는 다시 한 번 감옥에 갇힙니다. 바로 그가 쓴 시 '오적' 때문이었습니다. '오적'은
1970년 당시 한국의 부정부패와 비리를 비판한 시였습니다. 시 제목 '오적'은 '5명의 적'이라는 뜻입
니다. 구체적으로 기업인, 국회의원, 고위공무원, 장군, 고위행정관료입니다. 5적은 그들을 부정부패
의 주범으로 보고 비판한 시입니다. 하지만 이 시를 발표하고 김지하는 독재정권에 억압을 당하게
됩니다. 시를 발표한 직후 김지하는 감옥에 갇혔으며 시를 발표한 잡지는 폐간이 됩니다. 글의 발표
로 인해 정치적으로 억압을 당하게 된 사건을 필화사건이라고 합니다. 당시 독재정권은 필화사건을
일으켜 김지하를 억압하였습니다. 1970년대 김지하는 한국의 독재정권이 저항하고 그때문에 감옥에
갇히는 일을 반복합니다. 1972년, 1974년, 1975년 김지하는 거듭 감옥에 갇힙니다. 때로 그는 사형
을 선고 받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김지하는 독재정권에 저항하는 일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는
감옥에서 나오면 독재정권을 비판하였고 그로 인해 피신하다가 다시 감옥에 갇혔습니다. 그리고 그
는 감옥에 수감되는 중간중간에 시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시기 김지하가 발표한 대표적인 시는 '타
는 목마름으로'입니다. 이 시가 발표된 신문지면에 적혀있는 것처럼 이 시는 그가 구속되기 전 피신
하던 시기에 쓴 시입니다. 시를 읽어보겠습니다.

신새벽 뒷골목에
네 이름을 쓴다 민주주의여
내 머리는 너를 잊은 지 오래
내 발길은 너를 잊은 지 너무도 너무도 오래
오직 한가닥 있어
타는 가슴 속 목마름의 기억이
네 이름을 남 몰래 쓴다 민주주의여
아직 동 트지 않은 뒷골목의 어딘가
발자욱소리 호르락소리 문 두드리는 소리
외마디 길고 긴 누군가의 비명소리
신음소리 통곡소리 탄식소리 그 속에 내 가슴팍 속에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깊이깊이 새겨지는 네 이름 위에
네 이름의 외로운 눈부심 위에
살아오는 삶의 아픔
살아오는 저 푸르른 자유의 추억
되살아오는 끌려가던 벗들의 피묻은 얼굴
떨리는 손 떨리는 가슴
떨리는 치떨리는 노여움으로 나무판자에
백묵으로 서툰 솜씨로
쓴다.
숨죽여 흐느끼며
네 이름을 남 몰래 쓴다.
타는 목마름으로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여 만세

시 '타는 목마름'으로는 민주주의를 마치 사람처럼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시는 민주주의를 너라고


부르고 민주주의에게 말을 건네는 형식의 시입니다. 1연에서 시적 주체는 낮이 아니라 동트기 전새벽
에 광장이 아니라 뒷골목에서 몰래 민주주의를 이름을 쓰고 있습니다. 민주주의가 억압받고 있었던 독
재정권 아래 한국의 상황을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2연을 살펴보겠습니다. 억압에도 불구하고 시적
주체는 진심으로 민주주의를 향한 목마름과 갈망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억에 의지하며 민주주의라는
이름을 씁니다. 3연에서는 당시 민주주의를 억압하였던 한국의 상황이 나타납니다. 한밤중에 뒷골목에
서 경찰에 호루라기 소리가 들리고 검문으로 문을 두드리는 소리도 들립니다. 4연 입니다. 억압에 상황
에서 시적 주체는 신음하고 통곡하고 탄식하지만 억압이 심해질수록 민주주의라는 빛나는 이름을 더욱
마음에 새깁니다. 5연은 억압 아래서 살아가는 삶의 아픔을 표현하였습니다. 자유가 없는 억압 아래에
서 살아가는 것은 아픔이 됩니다. 자유는 과거에 기억으로만 떠오르며 권력으로부터 폭력을 당하였던
친구들의 피흘리는 얼굴이 계속 떠오릅니다. 6연에서 시적 주체는 떨리는 손으로 떨리는 마음으로 그
리고 떨리는 분노로 민주주의의 이름을 씁니다. 하지만 지금 시적 주체는 민주주의의 이름을 깨끗한 종
이의 깨끗한 펜으로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는 거리의 버려진 나무판자를 주워서 역시 거리에 버려진
분필로 비뚤비뚤 민주주의의 이름을 적어갑니다. 7연입니다. 시적 주체는 숨죽이며 남몰래 민주주의의
이름을 씁니다. 8연입니다. 민주주의의 이름을 쓰는 시적 주체의 마음은 민주주의에 대한 갈망으로 뜨
겁게 타오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마음 상태를 타는 목마름이라고 표현합니다. 마지막 9연
에서는 '민주주의여 만세'라고 외칩니다. 순서대로 시의 내용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 시적 주체는 지금
민주주의가 억압받는 독재정권 아래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그는 민주주의가 억압받는 상황을 아직 해가
뜨지 않은 새벽에 뒷골목에 비유합니다. 지금 이곳에서는 권력이 시민의 삶을 억압하고 나아가 시민에
게 폭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암울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시적 주체는 민주주의에 대한 갈망을 놓지 않습
니다. 그는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의 이름을 씁니다. 지치고 서툰 솜씨이지만 그는 남몰래 흐느끼면
서 민주주의의 이름을 씁니다. 그리고 '민주주의 만세'라고 외칩니다. 이 시에서는 차갑고 암울한 현실
과,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시적 주체의 뜨거운 목마름이 대비되고 있습니다. 독자는 시를 읽으면서 억압
적인 권력에 분노하게 되며 민주주의를 갈망하게 됩니다. 그리고 분노와 갈망은 시가 진행되면서 점점
커집니다. 시의 마지막에서 독자는 시적 주체와 함께 '민주주의여 만세'라고 외칩니다. 시인 김지하는
시 '타는 목마름으로'를 통해서 절규하는 목소리로 민주주의를 외칩니다.
하지만 이 시를 발표한 후에 김지하는 또 다시 감옥에 갇힙니다. 1970년대 김지하의 삶은 독재의 저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항하고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시를 발표하고 도피하다고 체포되고 다시 감옥에 갇히는 삶이 반복되었습


니다. 독재정권이 그에게 붙인 혐의는 긴급조치 위반, 반공법 위반 등이었습니다. 김지하는 민주주의를
노래하였지만 독재정권은 그가 냉전체제 아래에서 민주주의를 위협한다는 혐의를 붙인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독재정권이 김지하에게 억지로 붙인 죄명입니다. 김지하는 독재정권에 억압을 받았고 한국에서
는 그의 시집이 출판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기인 1970년대 일본에서는 김지하를 돕는 시민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1970년대 일본에서는 김지하의 작품을 실은 출판물이 공식적으로 20여
종 출판되었습니다. 김지하의 모든 작품을 모은 전집 역시 일본에서 일본어와 한국어로 간행되었습니
다. 또한 일본의 시민단체는 팜플렛, 뉴스레터를 지속적으로 발행하였고 때로는 김지하 작품집에 해적
판을 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들 비공식 출판물까지 합친다면 일본에서 간행된 김지하에 대한 출판물
의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아집니다. 일본의 김지하 출판물 간행은 일본시민이 주도한 한국과 일본의
연대의 일환이었습니다. 일본의 시민, 작가, 종교인 그리고 자이니치 작가들이 김지하의 출판물을 적극
적으로 간행하였습니다. 때로 일본은 한국에서 간행될 수 없는 김지하의 글이 발표되는 경로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독재권력은 김지하를 수감하면서 그가 공산주의자라는 혐의를 제시하였고 김지하에게 조작
된 진술서의 작성을 강요하였습니다. 김지하는 감옥에서 이러한 상황을 고발하고 민주주의를 주장하는
양심선언을 준비합니다. 그리고 김지하가 양심선언을 준비하는 과정에는 조영래 변호사 등 민주주의를
위해 독재의 저항하였던 한국의 시민들이 힘을 모았습니다. 김지하의 양심선언이 완성되었지만 그것을
한국에서는 발표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김지하의 양심선언은 미국을 거쳐서 일본의 카톨릭단체 '일본
카톨릭 정의와평화협의회'의 도움으로 발표되었습니다. 그리고 김지하의 양심선언은 한국은 물론이고
국제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게 됩니다. 이처럼 한국에서 발표될 수 없는 김지하의 글은 일본이라는 경로
를 통해 세상에 알려질 수 있었습니다. 또한 김지하에게 사형이 선고되자 일본인 작가와 자이니치 작가
들은 한국 정부의 항의하면서 도쿄에서 단식농성을 진행하였습니다. 재일한국대사관 앞에서는 일본 시
민 천여 명이 모여서 '김지하를 죽이지 마라'라는 구호를 영어, 한국어, 일본어로 외치면서 시위를 하였
습니다. 그리고 오다 마코토, 쓰루미 슌스케 등 일본의 지식인들이 주도하여 김지하 구명을 위한 국제
적인 위원회가 설립됩니다. 여기에 프랑스 지식인 장 폴 사르트드, 시몬 드 보부아르, 미국의 하워드
진, 노암 촘스키 등이 참여하면서 김지하를 구명하는 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됩니다. 이런 흐름 속
에서 김지하는 1975년 '아시아·아프리카작가회의'의 로터스상 특별상 수상자로 선정됩니다. '아시아·아
프리카작가회의'는 처음에는 냉전시기 자유진영과 공산진영 모두의 거리를 둔 탈식민 신생국가의 작가
단체로 만들어 졌습니다. 이후에는 공산진영 쪽에 조금 더 가까워진 단체입니다. 냉전의 상황에서 한국
의 작가는 아시아 아프리카 작가회의에 가입할 수 없었습니다. 대신 일본의 작가들이 모스크바에서 열
린 작가회의에 참여하여서 김지하를 추천하였고 그 추천에 힘입어 김지하는 로터스상 특별상 수상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김지하의 석방을 위해 미국과 프랑스 등 자유진영의 지식인을 힘을 모았고 '아시아·
아프리카작가회의' 등 탈식민 신생국가와 공산진영의 작가도 힘을 모았습니다. 김지하에 대한 국제적인
구명운동은 이처럼 냉전의 경계를 넘어서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국제적인 구명운동은 일본의 지식인
과 작가시민의 주도를 통해 가능했습니다. 김지하는 한국에서 독재정권의 억압에 저항하면서 민주주의
에 대한 갈망을 문학으로 표현하였습니다. 한국에서 김지하가 억압을 당하고 그의 작품이 출판되기 어
려울 때 일본의 시민들은 김지하에게 연대하였습니다. 그들은 김지하의 석방을 위한 구명운동을 펼쳤고
그의 작품집을 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냉전의 경계를 넘어서 세계 각국의 지식인과 작가들이 김지하의
석방을 선언하도록 주도하였습니다. 한국의 민주주의를 향한 김지하의 노력과 외침에 대하여 동아시아
뿐 아니라 전 지구의 작가 지식인 그리고 시민이 연대한 것입니다. 한국현대문화가 지향하는 민주주의
의 가치는 보편적인 가치였으며 전 세계 시민이 공유하고 연대할 수 있는 가치입니다. 이것으로 3차시
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4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4차시입니다. 이번 차시에서는 민주화 운동과 지식과 문화의 민주주의에 대해


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979년 10월 20여년간 독재정권을 이끌었던 박정희가 부하의 총에 세상
을 떠납니다. 한국의 시민들은 이제 독재정권이 종식되고 민주주의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였습니
다. 하지만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등 군인은 다시 한 번 쿠테타를 일으켰고 정권을 장악해 갑니
다. 1980년 봄, 서울에서는 학생을 중심으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일어납니다. 이 시위를 '서
울의 봄'이라고 부릅니다.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있었던 '프라하의 봄'이라는 표현을 빌려온
것입니다. 학생의 시위에 대해서 전두환 등 군사정권은 비상계엄이라는 조치를 확대하면서 민주화
운동을 억압하였습니다. 군사정권은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정치활동을 금
지하고 학교를 휴교하고 언론보도의 검열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독재정권에 저항하였던 정치인들
을 감금하였고 국회를 봉쇄하였습니다. 1980년 5월 18일 한국의 광주에서는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
위가 있었습니다. 군사정권은 계엄군을 광주에 파견하여 광주의 민주화 요구를 폭력적으로 진압하였
습니다. 계엄군은 시위의 참여하지 않는 시민에게도 살상과 폭력을 가하였습니다. 그 결과 광주의
학생 시민 청소년까지 거리에 나서서 민주화를 요구하였습니다. 5월 21일 잠시 철수하였던 계엄군
은 광주를 봉쇄하였고 광주는 고립됩니다. 독재정권은 언론을 통재하여 광주에 대한 유언비어를 퍼
트리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 광주에 시민들은 높은 시민정신을 바탕으로 도시의 질서를 유
지하였고 시민의한 자치를 이루어 갔습니다. 또한 민주화를 요구하는 평화집회를 이어갔습니다. 5월
27일 0시 계엄군은 전남도청을 무력으로 점령합니다. 많은 시민들이 계엄군에 저항하였고 희생되었
습니다. 5월 18일에서 27일에 이르는 시기 광주의 시민과 학생들의 민주화를 위한 항쟁은 '5.18 광
주민주화운동'이라고 불립니다. 하지만 군사정권이 5.18 민주화운동을 강경하게 진압하면서 광주의
시민들은 큰 피해를 당하였습니다. 5월 18일에서 27일에 이르는 시기에 200여명의 광주시민이 사망
혹은 행방불명되었고 4천여명이 넘는 시민들이 부상을 당하였습니다. 부상을 당하였다가 사망한 시
민도 많았으며 3천여명의 시민이 군부대에 끌려가서 고문을 당하였습니다. 하지만 5.18 광주민주화
운동은 독재의 저항하고 민주주의를 지향하였던 한국시민의 의지를 굳건히 보여준 역사적 사건입니
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1980년대 한국에서는 학생과 시민들이 민주화 운동을 이어갔으며
1987년 민주화를 이룩합니다. 5.18 광주민주화 운동에 과정에서 광주의 시민들은 자치를 통해 한국
의 시민들이 민주주의와 평화로운 삶을 운용할 의지와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후
아시아에 여러나라 시민들도 독재의 저항하는 민주화운동을 일으킬 때 한국의 5.18 광주민주화운동
을 참조하였습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듬해에 광주에서 희생된시민들의 영혼결혼식을 위해 노
래 임을 위한 행진곡이 만들어 집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곡이 되
었고 이후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현장에서 널리불렸습니다. 지금 2020년대에도 한국의 시민들은
시민운동가 각종행사 시위에서 이 노래를 부르면서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기억하고 민주주의라는 가
치를 되새깁니다. 또한 아시아에 여러나라 시민들도 임을 위한 행진곡을 번역하여 민주화 시위현장
에서 부르고 있습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5.18광주민주화운동이 1980년대에 바로 한국의 시민들에게 알려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당
시 군사정권은 한국 언론을 통제하고 광주에 대한 거짓 소문을 퍼뜨렸습니다. 일부 외국 언론만이
광주에서 진실을 취재하고 보도 할 수 있었습니다. 군사정권의 왜곡에 맞서서 5.18광주민주화운동에
진실을 기록한 것은 광주의 시민들이 었습니다. 광주의 시민들은 1980년 11월부터 민주화운동과 관
련된 다양한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시민들은 5.18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목격담을 기록하고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수기와 일기를 모았습니다. 또한 구술을 청취하기도 하였습니다. 광주의 시민들은 군사정권의 폭력


으로 큰 피해를 입었기에 그들 스스로 자신의 기록을 정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또한
독재정권 역시 건재했기 때문에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알리는 노력은 정권의 감시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따라서 증언해 준 사람의 이름을 바꾸어 기록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광주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알리려던 시민들은 정권의 탄압으로 구속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광주의 시민들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였고 1982년 팜플렛 광주백서를 만들어서 비공식적으
로 유통하였습니다. 광주백서는 광주민주화운동의 과정을 전국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85년 광주의 시민들은 증언과 기록을 중심으로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관한 단행본 1권 분량의
원고를 집필합니다. 하지만 독재정권 아래에서 출판은 쉽지 않았습니다. 결국 광주의 시민들은 소설
가 황석영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황석영은 원고를 편집하였고 서문을 썼습니다. 광주의 시민들은
집필하고 황석영이 최종적으로 편집한 책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라는 제목으로 풀빛
출판사에서 간행되었습니다. 풀빛 출판사는 광주출신의 출판인 나병식이 운영하였던 출판사였습니
다. 표지에는 전남사회운동협의회가 편집하고 황석영이 기록하였다고 썼습니다. 황석영이 기록했다
고 표기한 것은 당시 독재정권의 탄압 아래에서 집필에 참여한 광주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서였습니
다. 1985년 5월 2일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초판이 간행됩니다. 하지만 책이 간행되자
마자 독재정권은 이만권의 책을 압수하고 출판사 대표를 구속하였습니다. 출판사는 책을 다시 인쇄
하였습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실을 담은 이 책에 대한 한국 시민들의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이 책은 시민들의 입소문을 타고 지하 베스트셀러가 되었습니다. 많은 한국의 시민들이 이 책을 몰
래 읽고 밤새워 울었다고 합니다.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를 통해 1980년대 한국의 시민
들은 역사를 진실을 마주하고 큰충격으로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의미를 되새길 수 있었습니다. 미
국의 한국사 연구자 브루스 커밍스는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가 광주항쟁에 관한 여러
기록 가운데 가장 세밀하고 고전적인 저술이며 이 책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고라고
평가하였습니다. 그리고 1985년 10월 이 책은 일본에서 <광주 5월 민주화항쟁의 기록-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어 넘어>라는 제목으로 번역 간행됩니다. 일본의 번역본은 일본 가톨릭 정의와평화협의
회가 담당하였습니다. 이후 1999년에는 영어로 변역되어서 미국에서 출판되었습니다. 미국의 언어학
자이자 사회운동가인 노암 촘스키는 광주항생은 혹독한 독재정권에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키고 평화
로운 민주사회를 만들고자 했던 한국인들의 용감하게 투쟁의 발걸음을 내딛은 사건이라고 평가하였
습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광주의 시민들은 그들 스스로 주체가 되어서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를 출판하고 독재정권의 거짓소문에 저항하면서 역사의 진실을 알렸습니다. 특
히 이 책은 한 사람의 저작이 아니라 독재정권의 억압 아래에서 광주시민 여러 사람이 함께 힘을
모아 집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습니다.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어 넘어>는 1980년대 민주화운
동에 참여했던 시민과 학생에게 널리 읽혔습니다. 이 책은 독재정권에 폭력과 억압을 고발하고 민주
주의를 지향한 광주시민의 뜻과 실천을 잘 보여주는 책입니다.
이후 1980년대 한국에서는 독재정권에 저항하는 민주화운동이 일어났습니다. 당시 한국의 시민들
은 독재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를 지향하면서 책을 읽고 글을 썼습니다. 1980년대 한국에서는 민주
화를 지향한 문학작품이 많이 읽혔습니다. 김지하, 신동엽, 김남주, 박노해 등의 시와 황석영과 조세
희의 소설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앞서 살펴본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 외의 1970년 근로
기준법 준수를 요구하면서 스스로 목숨을 거두었던 열사 전태일의 생애를 다룬 <전태일 평전> 한국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해방전후사의 인식>은 1980년대에 계속 베스트셀러였습니
다. 각종 사회과학 이론서 역시 널리 읽혔습니다. 이들 도서 중 일부는 정권이 금서로 지정한 것이
었지만 한국의 대학생과 시민은 몰래 이 책들을 읽었습니다. 이때 한국의 시민과 대학생은 혼자서
책을 읽은 것이 아니라 여럿이 함께 읽었습니다. 대학, 공장, 야학, 교회, 사찰 등에서 한국의 시민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책을 읽고 민주주의와 무엇인지 토론하였고 민주화운동에 나섰습니다. 특


히 이전까지 근대지식과 문학에서 소외되어 있었던 노동자들은 1980년대에 독서회를 조직하여 함께
책을 읽고 스스로 글을 썼습니다. 당시 한국의 노동자들은 초등학교나 중학교를 졸업한 학력을 가지
고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들 노동자들은 지식에 대한 열정을 바탕으로 독서회를 조직하
였고 책을 읽었습니다. 노동자들은 직접 글을 썼습니다. 그들은 서로의 글을 읽고 합평하고 토론하
였습니다. 노동자들은 초기에는 생활을 다룬 글을 주로 썼지만 이후에는 문학 작품을 창작하기도 하
였습니다. 노동자 출신의 시인 박노해는 이러한 1980년대의 사회적 상황을 배경으로 활동을 시작하
였습니다. 그의 시집 <노동의 새벽>은 1980년대의 널리 읽혔습니다. 노동자가 스스로 글을 썼던 이
과정은, 문학의 사회적 위치를 재편한다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20세기 초반부터 한국에서 문학은 지
식인이 읽고 쓰는 것이 었습니다. 노동자는 학교에서 문학을 교육받는 역할에 머물 뿐 문학을 쓰지
는 않았습니다. 노동자들은 문학으로부터 소외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1980년대 노동자들은 스스로
문학과 문화의 주체가 되어서 함께 책을 읽고 문학을 창착하였습니다. 민주화운동이 활발했던 1980
년대 이루어진 노동자의 글쓰기는 지식과 문화의 민주주의를 지향한 것입니다. 1987년 한국의 시민
들은 6월 민주화항쟁을 통해 독재정권을 종식하고 대통령을 직접선거로 선출하게 됩니다. 한국에서
민주주의가 제도적으로 정착되고 민주화와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리고 1990년대는 대중문화의 시대
였고 1990년대 후반 한국사회는 신자유주의적인 질서 아래 재편됩니다. 그 과정에서 1980년대 지식
의 민주주의를 수행하였던 노동자의 독서회나 노동자의 글쓰기는 쇠퇴하였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글
을 쓰고 문화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1980년대 노동자의 생각은 이제 모든 한국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이기도 합니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 그리고 지식과 문화의 민주주의는 지금의 한국문화
에도 이어져 있습니다. 이점에서 한국문화의 가치로서 민주주의는 현재까지도 의미가 있습니다.
4차시를 정리하겠습니다. 1980년대 초반 광주의 시민들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스스로 기록한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를 통해 역사의 진실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널리 알렸습니다. 그리
고 1980년대 민주화를 위해 투쟁하였던 한국의 시민들은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를 널리
읽었습니다. 또한 같은 시기 기존의 지식과 문학으로부터 소외되었던 노동자들은 스스로 주체가 되
어 문학을 읽고 글을 썼습니다. 이들은 지식과 문화의 민주주의를 지향하였습니다. 1980년대는 민주
화운동의 시기이자 한국의 시민누구나가 지식과 문화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한 시기였습
니다. 이것으로 4차시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5차시 |

여러분 안녕하세요. 5차시입니다. 이번차시에서는 이번 9주차 강의를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9주차에서는 한국문화의 가치로서 민주주의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민주주의는 3.1 운동
이후 한국인들이 지향했던 문화의 가치였습니다. 하지만 민주주의가 한국에서 바로 실현되었던 것은
아닙니다. 식민지, 냉전, 전쟁, 독재가 이어졌던 한국의 상황에서 민주주의는 온전한 현실이 되지는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민주주의를 가치로 지향하면서 한국 현대문화를 창조하였습니다.
우리는 우선 1960년대 4.19 혁명 이후에 발표된 최인훈의 소설 <광장>을 살펴보았습니다. 4.19혁명
은 권위주의 정권에 저항하여 한국의 시민들이 한국의 현실에서 민주주의를 이룩한 사건입니다. 한
국의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현실화했던 시기에 소설가 최인훈은 이명준이라는 인물의 선택을 통해서
냉전 너머의 평화를 제시하였습니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독재에 저항하여 시민의 권리를 되찾는 것
이었고 동시에 20에기 세계를 양분하였던 냉전 질서 너머의 평화를 꿈꾼 것이었습니다. 다음으로는
독재정권에 저항하였던 시인 김지하의 시를 살펴보았습니다. 김지하는 저항과 투옥이 이어지는 삶
가운데에서 시를 통해 민주주의를 노래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가 투옥되었을 때 일본의 시민들은 김
지하에게 연대하였습니다. 일본은 한국에서 출판할 수 없었던 김지하의 글을 출판할 수 있는 경로였
으며 일본의 시민들은 그의 자유와 석방을 위해 시위를 하였습니다. 일본의 시민들은 냉전의 경계를
넘어 세계의 지식인과 작가들이 김지하를 지지하고 그에게 연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한국 현대문화가 지향한 가치인 민주주의는 보편적인 성격을 가졌으며 세계에 시민들과 연대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5.18광주민주화 운동을 살펴보았습니다. 군사독재의 억압과 폭력에 맞서
서 광주의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실천하였습니다. 그들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스스로 기
록하여서 역사를 진실과 민주주의를 가치를 널리 알렸습니다. 1980년대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하였
던 한국의 시민들은 광주시민의 기록을 널리 읽었습니다. 또한 같은 시기 기존의 지식과 문학으로부
터 소외 되었던 노동자들은 스스로 주체가 되어 문학을 읽고 글을 섰습니다. 노동자들은 지식과 문
화의 민주주의를 지향하였습니다. 1980년대는 민주화운동의 시기이자 한국의 시민 누구나가 지식과
문화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경험을 한 시기였습니다. 이처럼 한국의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그것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 실천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시민 스스로가 민주주의의 주체가 되
었고 지식과 문화의 민주주의를 열어갔습니다. 또한 한국의 시민들이 지향한 민주주의는 보편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이었고 전세계의 시민들이 연대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지금 한국의 시민들은 누
구나 문화의 주체가 되어서 자신만의 문화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2016년에서 2017년에 이어진 촛
불항쟁에서 한국의 시민들은 다시 한 번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서서 민주주의를 실현하였습니다. 기
존의 민주화 운동이 조직에 기반하였다면 촛불항쟁은 개인의 느슨한 연대에 기반하였고, 기존의 민
주화운동이 저항과 투쟁을 중시하였다면 촛불항쟁은 비폭력평화를 중시하였습니다. 한국 현대문화의
가치로서 민주주의는 지금도 진화하며 이어져서 한국문화를 창조하는 기반이 됩니다. 또한 민주주의
는 한국 시민이 만들어가는 정치질서의 근거가 되며 세계의 시민들과 연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됩니
다. 이것으로 9주차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4
학습활동 자료 | Learning Activity Sources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영어 스크립트 | English Script

The First Session | Introduction

Greetings everyone. It's been 9 weeks since the foundation and value of Korean
culture. We've been studying value of Korean culture for past two weeks. last week, we
looked into first value of Korean modern culture, studied the transcultural modernity
through poet Lee Yuksa. Korean culture was formed as various culture cross. Asia and
Western, tradition and mordern, English, East-asian language and Korean, literature and
movie etc has crossed the boarder. As various cultures intersect, the modernity of
Korean culture has formed across cultures. Lee yuk-sa acrossed the culture and
performed with new Korean culture while he forced in a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Today, we'll be looking at the second value of Korean culture, democracy. I will
breifly explain what we'll be learning over the first week today. English historian Eric
Hobsbawm, calls the period from 1789 when the French revolution took place to 1914
when World War I ended the "The long 19th century." The long 19th centry has changed
a lot from before. Hobsbawm divided The long 19th centry into two, age of capitalism
and age of imperialism. Age of capitalism is from 1848 to 1875. This is a period of time
when capitalism expands in Europe. age of imperialism is from 1875 to 1914 This is a
period when Europe has politicaly and institutionally coloniesed Asian and African
countries. The long 19th centry has started as citizens run the country by demolish
mornarchy. But then, they colonized many country in Africa and Asia. The
confrontational perception of Europe as progressive and non-European as savage and
barbaric also emerged at this time of period and this justified colonial rule. However,
colonization also had the potencial of noncolonize. Many empires developed colonies for
efficient control and exploit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spread of
education in colonies led to national consciousness. World War 1 was the decisive
trigger for decolonization. World War 1 was an all-out war involving workers, peasants,
and the people of the colonies. The national consciousness awakened by the war and
led to the national movement. The imperialist powers couldn't turn a blind eye to this
trend of decolonization. Shortly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in 1917, Vladimir Lenin
issued a "Declaration on peace" that advocated immediate reinforcem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no indemnification In 1918, David Lloyd
George priminister of England and Thomas Woodrow Wilson president of United State,
has announced national self-determination consecutively. Paris Peace Conference was to
clean out the remainings of World war 1 and establish new world order. In 1919, when
Paris Peace Conference was held, national movements erupted around the world. Big
protest held in Korea and Egypt in March. In April, there was a non-violent resistance
movement led by Gandhi, Mohandas Karamchand in India. The May 4th Movement of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1919 took place in China. In 1922, Ireland was reborn as a free country after the War
of Independence, and the Indian Government Act had prosecute which expanded Indian's
participations in politics in 1919, India. Korea's colonization should also be looked at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In 1910, Korea became a colony. At the end of the global
trend of colonization, Korea became a colony. However, in Korea, news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was reported a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ook place as the death of King Gojong overlapped. Many Korean people declared
Korea's independence by shouting "Hurray for Korean independence" i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 declaration is a linguistic expression that pulls the future
into the present.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United States in 1776 is a
representative declaration. The United States made their independance official in 1783,
seven years after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ight after World War 1, various
nations that were colonies followed to delcare their independence. Several European
peoples, including Belarus, Latvia, Armenia, Azerbaijan, Estonia, Ukraine, Georgia,
Czechoslovakia, Finland, Ireland, and Poland, declared their independence. The
Decl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issued during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declared Korea's independence and freedom. Moreover, this declaration was
not violent and it was aimed at universalism and pacifism. Through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 Korean people were politically awakened and formed an
ego. However, the country that the Korean people dreamed of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as not the pre-colonial Korean Empire.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most of the Korean people aimed for a republic. And in April
1919,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Shanghai,
China. In a declaration written during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t was
clearly written that "Our Korean people are to build a new democratic country based on
justice and freedom." The reason why Koreans were able to aim for a democratic
country as a result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as that there were
discussions and seek for republic in Korea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search for democracy was more actively discussed as of the March Frist Movement.
Although Korea did not become independent right after the March Frist Independence
Movement, Koreans built a democratic country after liberation in 1945.
Democracy was the value of the culture that Koreans aimed for modern Korea.
However, democracy was not realized immediately in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was colonized and liberated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Korea faced war
right after liberation due to cold war and had been divided into two country. Also face
a long period of dictatorship. Democracy has not been fully fulfilled in Korea in the
reality of colonialism, Cold War, war, and dictatorship. However, Koreans thought
democracy was a value that Korean culture should pursue. Koreans created a culture
while aiming for democracy. In week 9, we will look at democracy as the value of
Korean culture. What subject practiced democracy as the value of Korean modern
culture?' is the key question. Democracy, resistance, revolution, solidarity is the key
words. This is it for 1st lecture. Thank you.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 Second Session |

Good morning everyone. Let's look into 4.19 Revolution and literature today. We
actually have studied 4.19 Revolution in the third class of Korean modern culture and
the public. 4.19 Revolution was was a civil revolution in Korea from April 18th to 26th,
1960 The authoritarian dictatorship ruled Korea in the 1950s and rigged elections in
March 1960 to extend their administration. When Dictatorship through vandalizing the
democratic value, Korean citizens protest against the dictatorship. A dictatorial
government put down citizens with violence, and some citizens lost their lives. However,
the resistance of the citizens increased. The president of the dictatorship stepped down
and the revolution ended as a result of citizens' resistance. 4.19 Revolution is a political
movement by people against dictatorship and seek democracy. 1960 has been
remembered as the year of the April 19 Revolution in Korean history, since then. Poet
Choi In-hun released his novel 'The Square' in November 1960. Critic Kim Hyun said,
"In terms of political history, 1960 was the year of students, but in terms of fiction
history, it was the year of the Square." Critics and readers thought The square has
described the political imagination that was possible as of the 4.19 revolution. Poet Choi
In-hun also wrote down his feelings of writing his work.

"Sitting on a chair of an asian premise, It only tells the people the rumors of Western
freedom, If you think that under the old regime that didn't allow you to buy that
freedom, no matter how tempting you are, you couldn't dare to deal with it, I feel
rewarded as an artist who lives in the new republic and with that shining April has
brought."

Choi In-hun said under the old regime, the authoritarian dictatorship of the 1950s, no
matter how interesting the subject matter was,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write a
novel. And he said that he was able to write "The Square" because it was under the new
democratic regime which 4.19 Revolution had brought . Now let's take a look into novel
"The Square". The clue to the answer can also be found in the author's speech. Choi
In-hun mentioned that in 1950, authoritarianism carried out dictatorship and they only
let citizens know freedom by hearsay but never allow people to have one. In the 1950s,
Korean citizens heard of democracy, but they didn't actually experienced it. A similar
comment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writer's speech. "There's a 2,000-year-old
rumor that the Messiah came," the writer said. There's also a rumor that God has been
resurrected. There was also a rumor that communism will save the world. We all live in
a world of rumors. The layers of the rumor are thick and heavy." Korea, which appears
in the writer's speech, is a country that hears rumors around the world. Rumors about
messiah and god being reserected, this is Christianity. Also rumor that communism will
save the world, this is socialism. Christianity and socialism is all based on western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historical movement and ideology. The author thinks that Koreans could hear the
ideology and political order of western society like a rumor, and yet it couldn't fully
bind to the reality of Korea. From this point of view, the West is the actual site of
history, and Korea is a that only hears the history as if it’s a rumor from outside Lee
Myung-joon,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The square"also pondered this situation.
Choi In-hun discribed Lee Myung-joon as a person that wasn't saticified of rumors but
wanted to be in actual historical site. The story of "The suqre" shows how democracy
from the West can combind to the reality of Korea. The following comments appear in
The square. "There is no excitement of Bastille and also the attack on Winter Palace.
There were no Korean people who witnessed the blood flowing from the guillotine, and
no one from Korea went up the marble stairs and set fire to the emperor's bedroom,
breaking statues and sculptures with a hammer. They only heard rumors of a
revolution.
This is how he described that Korea only heard rumors about the revolution and
democracy that took place in the West from far away. The time employed in "The
square" is from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o right after Korean War. During this
period,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but was divided with the Cold War system and
experienced the Korean War. Lee Myung-joon, was in middle of these historical
stituation. He travel Korea and North Korea. First, he attended university in Korea. In
his view, Korea was only focusing on imitating Western ideas and cultures that was
spread through rumors. Later, he transferred to North Korea. However, even in North
Korea also used communism only for paerfunctory use.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ccepted Western ideas superficially and copied them, but could not combine
them with the reality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Lee Myung-joon tries to find
other ways to help out within his situation but fails. Later on, Lee Myung-jun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as a North Korean soldier and was taken as prisoner. As
of ceasefire negotiation, repatriation of prisoners of war was taken place. The screening
process of repatriation of prisoners was the process of deciding where prisoners will go
at the end of the war, South Korea, North Korea, the liberal camp and the communist
camp. Let's take a look at the screening process scene of The square.

The communist side came first in order. He walked over to them and stopped. The
officer talked as he smiled. [Take a sit my friend] Myung-joon didn't move as he can't
hear. [Which party would you pick?] [Neutral country.] They glanced each other. The
officer who asked for a sit bent forward his upper body and said [Neutral country is
also a capitalist country. What will you do in the low-lying place where hunger and
crime are rampant?] [Neutral country!]

The communist party first persuade him but Lee Myung-joon only calls for a neutral
country. The liberal party tried to persuade him next, but he also calls out for neurtal
country. Lee Myung-joon said neutral country 5 times while he's in screening process.
Lee Myung-joon rejected both the capitalist order and the communist order under the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1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Cold War. At this time, the Cold War system was a political order that came from
abroad and forced Korea into division and war. As rumors say, Lee Myung-joon wants
to reject the whole Western political order and open his own life independently. Then,
Lee Myung-joon leaves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on the ship Tagore and departs for
neutral country, India. The neutral state that Lee Myung-joon thought of was actually a
neutral state that existed under the Cold War, but also means a peaceful world beyond
the Cold War that he thought it would be. Let's have a look at the neutral country he
have imagined.

Neutral country. Where no one knows myself. Where no one cared even I walk on the
street whole day, no one recognize me and tries to know me. Hospital gatekeepers, fire
department monitors, ticket sellers at theater, I'll get a job where I don't have to use
too much of my mental energy but only need to do the same things repeatedly. I look
at people who have come to cure physical illness in the janitor's room. I'll clean the
building and water flowers every morning and night.

The neutral county Lee Myung-joon imgaine is the most peaceful country. He would
like to sincerely live his normal life as a hospital gatekeeper, firefighter or ticket seller,
etc. His wish also reminds of "My Wish" wrote by Baekbeom Kim Goo. Baekbeom Kim
Goo mentioned his wish is Korea's independence. And he wishes independent Korea
doesn't invade other country, but has strong cultural power. He also left a little note
that he'd live as a gatekeeper of independent Korea. Lee Myung-joon also dreamed of
peace over cold war. Keeping Lee Myung-joon's dream in mind, democracy is not only a
way of resisting dictatorship but also seeking peace beyond the cold war.
Let's summerize 2nd week lecture. Novel The square describes Korea as a country
adapted Western ideology democracy with some words. Western was the place where
history has developed, Korea adapted it with some talk. Democracy also was adapted
from Western system and ideology. Idea of democracy couldn't merge with reality of
Korea. Looking back at the history of Korea, democracy didn't root properly into Korea
and dictatorship long lasted in 1950s. However, Korean citizens demolish dictatorship
through the 4.19 Revolution in the1960s and won idea of democracy. Democracy finally
rooted into Korea's reality. Choi In-hun wrote his work while democracy settled down in
Korea. Lee Myung-joon chose neutral country in his novel. Choi In-hun gives suggestion
of peace by let Lee Myung-joon chose neutral country while Korea just won their
democratic ideal into reality by 4.19 Revolution. Korea's democracy wasn't only fighting
back against dictatorship but ragain people's rights and wish for peace beyond cold war.
This is it for 2nd week. Thank you.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 Third Session |

Hello everyone. 3rd class. We'll be looking into literature that resisted dictatorship and
aimed democracy at value. Korean citizens have gained democracy in 1960 through the
4.19 revolution, but soon after, May 16 Coup in 1961 took place. President Park
Chung-hee who was from the military continued dictatorship from 1960 to the 70s,
followed by Chun Doo-hwan in the 1980s. Military turned politicians have been ruling
Korea for long period of time. They suppress democracy by prioritizing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e dictatorship suppressed democracy in Korea, but
the citizens of Korea resisted the dictatorship and shouted for democracy. Korean
literature also expressed democracy and resistance to dictatorship during this period. In
this lesson, we will learn about Kim Ji-ha, a poet who resisted the dictatorship, and a
Japanese citizen who was in solidarity with him. Kim Ji-ha was born in Mokpo,
Jeollanam-do Province in 1941. He faced 4.19 revolution and 5.16 coup while he was
attending university. He also attended a protest against talks on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 mid-1960s. He sentenced to 4 month
jail time for participating in protest against Korea-Japan talks. Later, he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dictatorship and wrote poetry againt them. In 1970, Kim Ji-ha locked up
in prison again. Because of the poetry, he wrote 'Five Thieves'. Five Thieves' was a
poem that criticized corruption in Korea in 1970. The title Five Theives means five
enemies. Specifically, businessmen, lawmakers, high-ranking officials, generals, and
high-ranking administration officials. Five Thieves is a poem that criticized them for
being the main culprits of corruption. However, Kim Ji-ha is oppressed by the
dictatorship after announcing the poem. Kim Ji-ha was imprisoned right after he
published the poem, and the magazine that published the poem was closed. This is a
called Article Scandal which is a case of political oppression due to a satire on society.
Dictatorship oppressed Kim Ji-ha casuing Article Scandal Kim Ji-ha repeatedly resisted to
dictatorship of Korea and got imprisoned in 1970s. 1972, 1974, 1975 Kim Ji-ha
imprisoned continously. He also sentenced to death penalty. But Kim Ji-ha never stopped
resisting. He concealed from dictatorship and criticized every time he is out from jail
but again went to jail. However, He published his poetry while he is serving time. The
title of the main poem the announced in jail is With a Burning Thirst. This poem was
the one that he wrote while he was escaping from the government. Let's read out loud.

In the back alley at dawn


I write your name, democracy
My mind, has long forgotten you
It's been so, so long since I've forgotten you
There's only one memory
The memory of the burning thirst in my heart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So I secretly write thy name, the Democracy!


Somewhere in the back alley, it's still not dawn
Urgent footsteps, whistle sounds, knocking voices,
Someone's long-piercing shriek,
Moaning, wailing, sighing; in it's sound, in my heart
Your name that deeply engraved in my heart,
The lonely glare of your name,
Life's living pain,
Azure memory of freedom's trace and living
Recollected the friends' bloody faces when they were dragged,
Shivering hands, shivering heart,
Shivering with anger, on a wooden plank,
With a chalk, with unskilled hand
I write.
Sobbing soundlessly,
Secretly write your name,
With the burning thirst,
With the burning thirst,
“Vivat Democracy!”

Poem 'Wih a burning Thirst' discribes democracy as a human. This is a form of poem
that calls democracy as you and talkes In the first line, the poetic subject is secretly
writing the name of democracy in the back alley, not in the square, at dawn, not in the
daytime. Wanted to express the time in Korea that was being ruled by dictators and
suppressing democracy. Let's look into the 2nd line. Despite oppression, the poetic
subject has a genuine thirst and longing for democracy, relies on memory, and uses the
name democracy. 3rd line shows suppression of democracy in Korea is shown at that
time of era. You can hear the police whistle in the back alley and you can also hear a
knock on the door through the checkpoint in the middle of the night. 4th line. In the
situation of oppression, the poetic subject moans, wails, and sighs, but as the
oppression intensifies, keep the shining name of democracy in mind. 5th line expressed
how hurt is to live. It hurts to live under oppression without freedom. Freedom only
comes to mind as a memory in the past, and the bleeding faces of friends who have
been subjected to violence from power keep coming to mind. Poetic subject writes the
name of democracy with shaking heart and hand in 6th line. But now, poetic subjects
couldn't write democracy with new pen or paper. He collected a wooden plank and
chalk from the street, and writes democracy with crooked handwriting. 7th line. Poetic
subjects hold their breath and secretly write the name of democracy. 8th line. The mind
of the poetic subject who writes the name of democracy is burning with longing for
democracy. And he express his state of mind as burning thirst. Last in 9th line, he calls
out “Vivat Democracy!” As you can see from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poem in
order, the poetic subject is living under a dictatorship where democracy is suppressed.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He compares the oppressing situation to a back of ally before dawn. Right now, power
is suppressing the lives of citizens and even violence against them. Despite the gloomy
reality, the poetic subject does not let go of his longing for democracy. He writes the
name of democracy with his burning thirst. He writes the name of democracy even
though he is tired and clumsy, while he is sobbing secretly. And He calls out "vivat
democracy!" This poem contrast cold and gloomy reality with the poetic subject's
burning thirst. The reader feels angry and longs for democracy while reading the poem.
The anger and longings gets bigger as poem goes. The reader calls out vivat democracy
with the poetic subject at the end of poem. Poet Kim Ji-ha cries out for democracy with
his poem "The burning thirst".
But he put into jail right after he release this poem. He repeatedly lived a life of being
chased and locked up while he release his poem against dictatorship. The charges the
dictatorship put on him were violations of emergency measures and violations of
anti-communist laws. Kim Ji-ha sang democracy, but the dictatorship accused him of
threatening democracy under the Cold War regime. This is a crime that the dictatorship
forced Kim Ji-ha to have. Kim Ji-ha was oppressed by the dictatorship and his poems
could not be published in Korea. However, at the same time, in Japan in the 1970s, a
civic movement took place to help Kim Ji-ha. About 20 kinds of publications containing
Kim Ji-ha's works were officially published in Japan in the 1970s. A complete collection
of all of Kim Ji-ha's works was also published in Japanese and Korean in Japan. In
addition, Japanese civic groups continued to publish pamphlets and newsletters and
sometimes published bootleg copies of Kim Ji-ha's collection. If these unofficial
publications are added together, the number of publications about Kim Ji-ha published
in Japan will be immeasurable. The publication of Kim Ji-ha publication in Japan was
part of the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Japan led by Japanese citizens. Japanese
citizens, writers, religious people, and Zainichi writers actively published Kim Ji-ha's
publications. Sometimes, Japan became the channel for the publication of Kim Ji-ha's
writings, which could not be published in Korea. The dictatorship imprisoned Kim Ji-ha
and accused him of being a communist and forced him to write a fabricated statement.
Kim Ji-ha prepares a declaration of conscience in prison that accuses this situation and
claims democracy. An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declaration of conscience,
Korean citizens who resisted dictatorship for democracy, including lawyer Cho
Young-rae, joined forces. Kim Ji-ha's declaration of conscience was completed, but it
could not be announced in Korea. In the end, Kim Ji-ha's declaration of conscience was
announced through the United States with the help of the Japanese Catholic
Organization, the Japanese Catholic Council for Justice and Peace. Kim Ji-ha's
declaration of conscience received great attenti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ternationally. As such, Kim Ji-ha's writing, which could not be published in Korea,
could be known to the world through the route of Japan. In addition, when Kim Ji-ha
was sentenced to death, Japanese writers and Zainichi writers staged a hunger strike in
Tokyo in fro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front of the Korean Embassy in Japan,
more than 1,000 Japanese citizens gathered to protest, shouting the slogan "Don't kill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Kim Ji-ha" in English, Korean, and Japanese. In addition, an international committee was
established to save Kim Ji-ha, led by Japanese intellectuals such as Oda Makoto and
Tsurumi Shunsukei. With French intellectuals Jean-Paul Sartre, Simon de Beauvoir,
Howard Jean of the United States, and Noam Chomsky participating, the movement of
saving Kim Ji-ha spreads around the world. In this trend, Kim Ji-ha was selected as the
winner of the Lotus Prize for Literature of the 1975 The Afro-Asian Writers` Association.
The Afro-Asian Writers` Association was initially created as a group of writers from a
newly decolonized country that distanced itself from both the free and communist camps
during the Cold War The group turned a little closer to the communist side later 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Korean writers could not join the The Afro-Asian Writers`
Conference. Instead, Japanese writers participated in a writers' meeting in Moscow and
recommended Kim Ji-ha, and thanks to their recommendation, Kim Ji-ha was able to
become a special winner of the Lotus Prize for Literature. Intellectuals from the free
camp, including the U.S. and France, have joined forces, and writers from decolonizing
new countries such as the "Asia and African Writers' Association" have also joined
forces For Kim Ji-ha's release, The international campaign to save Kim Ji-ha was carried
out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Cold War. This international life-saving movement was
possible through the initiative of Japanese intellectuals and writers and citizens. Kim
Ji-ha expressed his longing for democracy in literature while resisting the oppression of
the dictatorship in Korea. When Kim Ji-ha was oppressed in Korea and his work was
difficult to publish, Japanese citizens helped Kim Ji-ha. They launched a life-saving
campaign for Kim Ji-ha's release and published a collection of his works. An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Cold War, intellectuals and writers from all over the world led
Kim Ji-ha to declare his release. Kim Ji-ha's efforts of crying out for democracy in
Korea were solidarity with writers, intellectuals, and citizens not only in East Asia but
also around the world. The value of democracy that Korean modern culture aimed for
was a universal value and a value that can be shared and united by citizens around the
world. This is it for 3rd week.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 Fourth Session | Introduction

Hello everyone. This is the 4th class In this session, we will look at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democracy of knowledge and culture. n October
1979, Park Jung-hee, who led the dictatorship for more than 20 years, died at the gun
of his subordinates. The citizens of Korea now expected to put the dictatorship to end
and democracy to take place. However, on December 12, 1979, Chun Doo-hwan and
other soldiers once again raised the coup and took control of the regime. In the spring
of 1980, there was a demonstration in Seoul calling for democratization centered on
students. The protest is called 'Seoul Spring.' Borrowed the term "Prague Spring" from
Czechoslovakia in 1968. In response to student protests, the military regime, including
Chun Doo-hwan, suppressed the democratic movement by expanding the measure of
emergency martial law. On May 17, 1980, the military government expanded the
emergency martial law nationwide, banned political activities, closed schools, and
strengthened censorship of media reports. They also imprisoned politicians who resisted
dictatorship and blocked the National Assembly. On May 18, 1980, there was a
demonstration calling for democratization in Gwangju, Korea. The military government
sent martial law forces to Gwangju to violently suppress the demand for democratization
in Gwangju. The martial law forces also killed and assaulted citizen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test. As a result, even students and teenagers in Gwangju stepped
up to the streets and demanded democratization. Martial law forces that withdrew
shortly on May 21 blocked Gwangju and Gwangju got isolated. The dictatorship ruled the
media and spread false rumors about Gwangju. However, the citizens of Gwangju
maintained the order of the city based on the high civic spirit and achieved civic
autonomy during this period. They also held a peace rally demanding democratization.
On May 27, at midnight, martial law forces tookk over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by
force. Many citizens resisted martial law forces and were sacrificed. The protest for the
democratization of citizens and students in Gwangju from May 18 to 27 is called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However, the citizens of Gwangju were
severely damaged when the military regime strongly suppressed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More than 200 Gwangju citizens were killed or missing from
May 18 to 27, and more than 4,000 citizens were injured. Many citizens were injured
and killed, and more than 3,000 citizens were taken to military units and tortured.
However,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a historical event that
strongly demonstrated the will of Korean citizens to resist dictatorship and pursue
democracy. After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students and citizens
continu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in the 1980s and achieved it in 1987.
In the process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citizens of Gwangju
showed their will and ability to manage democracy and peaceful life through
self-government. Since then, citizens of various countries in Asia have also referred to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Korea's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hen they launched a


pro-democracy movement against dictatorship. Marching for our Beloved song were
made for the send-off ceremony of the dead of the citizens who died in Gwangju the
following year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Marching for our Beloved
became a symbol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was later
widely sung at the scene of the 1980s democratization movement. Even now, in the
2020s, Korean citizens remember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reflect on the value of democracy by singing this song at various civic activists' protest.
Also, citizens of various countries in Asia are translated and sing the Marching for our
Beloved at the pro-democracy protest site. Let's listen to the song for while.
However,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not immediately known
to Korean citizens in the 1980s. At that time, the military regime controlled the Korean
media and spread false rumors about Gwangju. Only some foreign media were able to
cover and report the truth about Gwangju. It was the citizens of Gwangju who wrote the
truth about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gainst the distortions of
the military regime. Citizens of Gwangju began collecting various infotmations related to
the pro-democracy movement in November 1980. Citizens recorded sightings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collected essays and diaries. Also listen and
record people's statements. The citizens of Gwangju were severely injured and offended
by the violence of the military regime, so it was not easy to put together what happened
to them. Also, because the dictatorship was strong, efforts to tell the truth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ere monitored by the regime. Therefore, they
had to change the name of the person who testified and made a record of it. And
citizens who tried to tell the truth of the Gwangju Democratic Movement were arrested
due to the oppression of the regime. Nevertheless, the citizens of Gwangju tried to tell
the truth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made a pamphlet
Gwangju White Paper in 1982 and distributed it informally. The Gwangju White Paper
served as an opportunity to publicize the process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nationwide. In 1985, citizens of Gwangju wrote a one-volume manuscript
about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focusing on testimony and
records. But publishing was not easy under a dictatorship. Eventually, citizens of
Gwangju ask novelist Hwang Sok-yong for help. Hwang Sok-yong edited the manuscript
and wrote a preface. The book written by citizens of Gwangju and finally edited by
Hwang Sok-yong was published by Pulbit publisher under the title of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Pulbit publisher was ran by Nah Byung-Sik from
Gwangju On the cover, they wrote it was edited by Association for Social Movement of
Jeonnam and recorded by Hwang Sok-yong. They changed the recorder to Hwang
Sok-yong due to protect Gwangju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writing under the
oppression of the dictatorship at the time. The first edition of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has published on May 2, 1985. However, as soon as the book was
published, the dictatorship seized 20,000 books and arrested the publisher's
representative. The publisher reprinted the book. Korean citizens' response to the book,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which contains the truth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enthusiastic. The book became an underground bestseller through word of mouth by
citizens. Many Korean citizens secretly read the book and cried all night. Through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Korean citizens in the 1980s were able
to face the truth and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with great shock. American Korean history researcher Bruce Cumings said,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is the most detailed and classical work
of the Gwangju uprising, and this book had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modern
Korean history. In October 1985, this book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Japan under
the title "Record of Gwangju May Democratic Uprising - Beyond Death and Beyond the
Dark Words of the Age." Translated version was handled by the Japanese Catholic
Council for Justice and Peace. Later in 1999, it translated into English and published in
USA as well. Noam Chomsky, an American linguist and social activist, called Gwangju
Hangsaeng an event that bravely took a step in the struggle of Koreans who wanted to
liberate themselves from a harsh dictatorship and create a peaceful democratic society.
Citizens of Gwangju, who participated in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became subjects themselves, published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and informed the truth of history by resisting false rumors of the dictatorship. In
particular, this book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not written by one person, but by a
number of Gwangju citizens worked together under the oppression of the dictatorship.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was widely read by citizen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This book shows the
will and practice of Gwangju citizens who accused the dictatorship of violence and
oppression and aimed for democracy very well.
Later in the 1980s, there was a pro-democracy movement in Korea that resisted
dictatorship. Korean citizens read and wrote books while resisting dictatorship and
aiming for democratization at that time. In the 1980s, many literary works aimed at
democratization were read in Korea Poems such as Kim Ji-ha, Shin Dong-yup, Kim
Nam-joo, and Park No-hae, and novels by Hwang Sok-yong and Cho Se-hui are
representative. Also, other than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A
Single Spark > about the life of Jeon Tae-il, a martyr who killed himself while
demanding compliance with the Labor Standards Act in 1970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understanding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fter
Liberation" continued to be a bestseller in the 1980s. Various social science theories
have also been widely read. Some of the books were banned by the government, but
Korean college students and citizens secretly read them. At this time, Korean citizens
and college students did not read books alone, but read them together. In universities,
factories, night schools, churches, and temples, Korean citizens read books with others,
discussed what is democracy, and went on a pro-democracy movement. In particular,
workers who had previously been alienated from modern knowledge and literature
organized a reading club in the 1980s and read books together and wrote themselves.
Korean workers often had educational background graduating from elementary or middle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school back then. However, these workers organized a book club based on their passion
for knowledge and read books. The workers wrote themselves. They read each others
work and discussed about it. Workers wrote mainly about life in the early days, but
later created literary works. Park No-hae, a worker-turned-poet, started his career
against the backdrop of this social situation in the 1980s. His collection of poems, The
Dawn of Labor, was widely read in the 1980s. The process of workers writing themselves
meant reorganizing the social position of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literature
was to be read and written by intellectuals in Korea. The worker stayed in the role of
being educated about literature at school and did not write literature. Workers were
alienated from literature. However, in the 1980s, workers became subjects of literature
and culture, reading books together and creating literature. Workers writing in the
1980s, whe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active, was aimed at democracy of
knowledge and culture. In 1987, the citizens of Korea ended the dictatorship through the
June Democracy and elected the president directly. Democracy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democratized in Korea. The 1990s was the era of pop culture, and in the late 1990s,
Korean society was reorganized under neoliberalism. In the process, workers' reading
sessions and workers' writing, which carried out the democracy of knowledge in the
1980s, declined. However, the worker's idea in the 1980s that anyone can write and
become the subject of culture is now the idea that all Korean citizens have.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and the democracy of knowledge and culture
are connected to the current Korean culture. In this regard, as the value of Korean
culture, democracy is still meaningful to this day.
Let's summerize. In the early 1980s, citizens of Gwangju widely promoted the truth of
history and the value of democracy through "Beyond Death, Beyond the Darkness of the
Age," which recorded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citizens
of Korea who fought for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widely read "Between Death and
the Darkness of the Age." Also, workers who were alienated from existing knowledge and
literature became subjects and read and wrote literature at the same time. They aimed
for a democracy of knowledge and culture. The 1980s was a period of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a period of experience that any citizen of Korea could become a subject
of knowledge and culture. This is all for 4th week. Thank you.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The Fifth Session |

Greetings everyone. This is the 5th class. Today we'll summerize 9th week lecture.
Today, in the 9th week, we learned about democracy as the value of Korean culture.
Democracy had been the value of culture that Koreans have pursued since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democracy did not come to pass immediately in Korea.
Democracy did not become a complete reality in Korea, where colonialism, Cold War,
war, and dictatorship continued. However, Koreans created modern Korean culture while
aiming for democracy as a value. We first looked at Choi In-hoon's novel "The Square,"
which was released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in the 1960s. The April 19 Revolution
was an event in which Korean citizens achieved democracy in the reality of Korea by
resisting the authoritarian regime. At a time when Korean citizens realized democracy,
novelist Choi In-hoon suggested peace beyond the Cold War through the character Lee
Myung-joon's choice. Korea's democracy was to regain citizens' rights by resisting
dictatorship and at the same time to dream of peace beyond the Cold War order that
divided the world in the 20th. Next, we looked at the poem by Kim Ji-ha, a poet who
resisted the dictatorship. Kim Ji-ha sang democracy through poetry in a life of
resistance and imprisonment. And when he was imprisoned, Japanese citizens joined
together with Kim Ji-ha. Japan was the way to publish Kim Ji-ha's writings, which could
not be published in Korea, and its citizens protested for his freedom and release.
Japanese citizens crossed the boundaries of the Cold War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intellectuals and writers around the world to support and unite with Kim Ji-ha.
Democracy, the value of modern Korean culture, has a universal character and can be
united with citizens in the world. And we looked at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gainst the oppression and violence of military dictatorship, the citizens of
Gwangju aimed and practiced democracy. They recorded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on their own and spread the history of truth and the value
of democracy. Korean citizens who fought for democracy in the 1980s read the records
of Gwangju citizens widely. Also, at the same time, workers who were alienated from
existing knowledge and literature became the subjects themselves and started to read
and write literature. The workers aimed for democracy of knowledge and culture. The
1980s were the period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experience that any
Korean citizen could be the subject of knowledge and culture. The citizens of Korea
practiced it to achieve democracy and made it as a reality. Citizens became the subject
of democracy and opened up the democracy of knowledge and culture. Also, the
democracy that the citizens of Korea were aiming for was to have a universal character
and for citizens from all over the world to unite. Any Korean citizen can become a
subject of culture and create his own culture nowdays. In the candlelight protests that
continued from 2016 to 2017, Korean citizens once again took to the streets with
candles and realized democracy. When the existing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based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2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on the organization, the candlelight protest was based on the loose solidarity of
individuals, and when the existing democratization movement focused on resistance and
struggle, the candlelight protest focused on non-violent peace. As the value of modern
Korean culture, Democracy continues to evolve and becomes the basis for creating
Korean culture. Democracy is also the basis for the political order created by Korean
citizens and an opportunity to unite with citizens of the world. This is it for 9th week
lecture. Thank you.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0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중국어 스크립트 | Chinese Script

第1課時 |

大家好,现在开始韩国文化的根基与价值第九周的课程 从上周开始,我们用两周的时间来学习韩国
文化的价值 上一周我们通过韩国诗人李陆史,学习了韩国文化的第一个价值文化横断面的近代特性 韩
国文化是在多种文化的融合之下形成的 空间上横跨东方和西方,时间上贯穿远古与近代,语言上结合
西方语言、东亚语言和韩语,形式上包含文学、电影等 在这样一个多文化交织的过程中,近代韩国文
化展现出了文化横断特性 李陆史跨越文化的界限,打造了新的韩国文化,在殖民主义的历史背景下,
坚持自己的反殖民主义抗争
今天我们来学习韩国现代文化的第二个价值,民主主义 在第一课时,我们来简单介绍一下这节课要
学习的内容 英国历史学家埃里克·霍布斯鲍姆将法国革命爆发的1789年到第一次世界大战结束的1914年
称为"漫长的十九世纪" 在"漫长的十九世纪",欧洲经历了诸多变化 霍布斯鲍姆将"漫长的十九世纪"划分
为革命时代、资本时代和帝国时代 资本时代指的是1848年到1875年这段时期 这个时期是欧洲资本主
义扩张时期 帝国时代是指1875年到1914年这段时期 这个时期欧洲列强在亚洲、非洲等地大肆推行殖
民主义和帝国主义 欧洲"漫长的十九世纪"虽始于推翻封建皇权,掀开了人民掌管国家的共和政治序幕
同时期欧洲各国也在亚非地区大肆推行殖民主义 欧洲是先进的象征,欧洲以外都是野蛮的代表,这种
对立认识在这个时期登场,正是这种思想使殖民统治正当化 但是殖民地化也蕴含着非殖民地化的可能
性 多个帝国为了有效的支配和掠夺,实施了殖民地的开发,而随着殖民地产业的发展和教育的普及,
民主意识逐渐高涨 反殖民地化成了第一次世界大战的决定性契机 第一次世界大战是工人、农民和殖民
地人民的全民抗战 通过战争觉醒的民族意识延续到了民族运动的爆发 帝国主义列强也无法对这种非殖
民化的趋势熟视无睹 1917年十月革命后,列宁从民族自决和无赔偿无合并原则出发,发表了《和平法令》
1918年英国首相劳埃德·乔治和美国总统伍德罗·威尔逊接连表明了民族自决的原则 巴黎和会是为了整理
第一次世界大战和构建新的世界秩序而召开的会议 巴黎和会召开的1919年,世界各地的民族运动爆发
3月韩国和埃及发生了大规模示威 4月印度爆发了甘地主导的非暴力抵抗运动 中国爆发了五四运动
1922年爱尔兰独立,1919年印度实行了扩大印度人政治参与度的印度统治法 韩国的殖民地化也应从这
样的世界史脉络中来观察 1910年韩国成为日本殖民地 在世界殖民地化进程末期,韩国沦为了殖民地
但在韩国,随着巴黎和会的消息传开,加上高宗的死亡,三一运动爆发了 韩国民众在三一运动中高呼
大韩独立万岁,宣布韩国独立 所谓宣言,就是将即将到来的未来提前表达的语言表达方式 1776年美国
的独立宣言就是代表性的宣言 美国发布独立宣言的7年后于1783年正式独立 第一次世界大战后,全球
有很多沦为殖民地的国家相继宣布独立 白俄罗斯、拉脱维亚、亚美尼亚、阿塞拜疆、爱沙尼亚、乌克
兰、格鲁吉亚、捷克斯洛伐克、芬兰、爱尔兰、波兰等纷纷宣布独立 三一运动中发表的独立宣言也宣
布了韩国的独立和自主 但是该宣言并不是主张暴力,而是提倡普遍主义和和平主义 通过三一运动,韩
国的民众的政治意识和自主意识觉醒 三一运动以后,韩国民众梦想的国家并不是殖民地以前的大韩帝
国 三一运动以后,韩国的民众向往共和政治 1919年4月大韩民国临时政府在中国上海成立 三一运动当
时写下的宣言中明确写道:"我们朝鲜民族要建设以正义和自由为基础的民主主义新国家" 韩国人在三一
运动后之所以向往民主主义,是因为从19世纪末开始,韩国逐渐对共和政治进行了讨论和摸索 以三一
运动为契机,更加积极地探索民主主义 三一运动之后,韩国虽然未能独立,但1945年解放后,韩国人
建设了民主主义国家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1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民主主义是现代韩国人所向往的文化价值 但是民主主义并没有在韩国立即实现 20世纪初期,韩国沦


为殖民地,20世纪中期解放 解放后,韩国因冷战而分裂,经历了战乱 而后也经历了漫长的独裁统治时
期 在殖民地、冷战、战争、独裁的历史背景下,民主主义在韩国未能完全成为现实 但是韩国人认为民
主主义是韩国文化应该追求的价值 韩国人在追求民主主义的道路上不断创造着新的文化 在第九周的课
上,我们将民主主义作为韩国文化的价值来学习 核心问题是“作为韩国现代文化的价值,民主主义是由
什么样的主体如何进行实践的?” 关键词是民主主义、抗争、革命和团结 第一课时到此结束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2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第2課時 |

大家好,现在开始第二课时的内容 在本课时,我们将来学习四一九革命和文学 我们之前学习韩国现


代文化的主体的第三节课上,也了解了四一九革命 四一九革命是1960年4月18日至26日展开的韩国市
民运动 权威主义独裁政权在1950年代统治韩国,1960年3月为了延长政权而进行了不正当选举 独裁政
权通过不正当选举与民主主义背道而驰,因此韩国市民为抵抗独裁政权走上街头 独裁政权用暴力镇压
了市民运动,部分市民甚至失去了生命 而市民们的反抗愈演愈烈 在民众的反抗之下,独裁政权被推
翻,革命落下了帷幕 四一九革命是韩国市民抵抗独裁政权,追求民主主义而进行的政治行为 在韩国的
历史上,1960年被成为四一九革命之年 1960年11月崔仁勋发表小说《广场》 批评家金炫说:"从政治史角
度来看,1960年是属于学生的一年,但从小说史的角度来看,那是属于《广场》的一年。" 当时批评家和读者
认为《广场》是一部很好地表现了通过四一九革命可能实现的政治想象力的小说 作家崔仁勋也在发表《广
场》时记录了创作的感想

坐在亚洲前提的椅子上 向民众讲述西方自由的故事 如果是以前在限制自由的旧政权统治之下的话,


不管这种题材多么吸引人,也无法去写 作为一个活在阳春四月新共和国的作家,我觉得非常有成就感

崔仁勋是说如果是在旧政权,即1950年代的权威主义独裁政权下,即使作品的素材再有趣,也很难写成小
说 只有在这样一个阳春四月,也就是四一九革命带来的新的民主主义社会里,才能创作《广场》 下面我
们来看一下《广场》是一部怎样的小说 对此也可以从作家的感想中找到 崔仁勋表示,1950年代在权威主
义政权的独裁政治之下, 民众只能听着讲述西方自由的故事,却不能拥有自由 1950年代,韩国市民虽然
听到了有关民主主义的传闻,但实际上在韩国没有经历过民主主义 作家感想的前半部分也出现了类似的
表述 作家在感想中写道:"有传闻说《弥赛亚》来了 也有人说神复活了 还有传闻说,沟通会拯救世界 我
们生活在很多传闻中 传闻的地层十分厚重“ 作者的口中的韩国是个听信传闻的国家 弥赛亚来了,神复活
的传闻,这些指的是基督教 另外,沟通将拯救世界的传闻,这指的是社会主义 基督教和社会主义都是基于
西方历史的西方思想 崔仁勋认为,西方的思想和政治秩序在韩国像传闻一样传开,但还没有与韩国的现实
充分结合 从这个角度来看,西方是历史的呈现,而韩国则是一个脱离历史,通过传闻了解历史的国家 小
说《广场》的主人公李明俊也对这种情况感到苦恼 崔仁勋介绍说李明俊是一个不满足于传闻,专注于现
实的人物 小说《广场》是观察了从西方传来的民主主义如何与韩国的现实结合的小说 小说广场上出现了
以下内容 “既没有巴士底狱的激动,也没有对袭击东宫的兴奋 没有朝鲜人目睹过从断头台流下的血,
也没人用铁锤砸碎铜像和雕塑,涌上大理石台阶,举起点燃皇帝寝室的火把 他们只是听说过革命。“韩
国与西方相隔遥远,在西方发生的革命运动和民主主义实践对于韩国人来说只是听闻 《广场》以解放前
后到韩国战争之后的时间为背景 在这个时期,韩国虽然从殖民地解放出来,但随着冷战体制的到来,
韩国被分裂,经历了韩国战争 李明俊正处于这样的韩国历史状况之中 他往返于韩国和北韩 刚开始李
明俊在韩国上大学 在他看来,韩国只致力于模仿传闻中的西方思想和文化 后来李明俊前往北韩 但他发
现,北韩也只是从形式上接受社会主义理念 韩国和北韩都只是把西方的思想当作传闻来模仿,没能将
其与现实结合 在这种情况下李明俊一直在寻找力所能及之事,但还是以失败告终 之后李明俊作为北韩
军参加了韩国战争,后来成为战俘 停战前后经受了俘虏遣返审查 遣返俘虏审查是在战争结束时决定俘
虏去韩国、北韩、自由阵营和共产阵营去向的过程 我们来看一下小说《广场》中的遣返审查场面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3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共产主义者先开始 他走到了他们的面前 坐在前面的长官笑着说 "同志,请坐",明俊像没听见一样一


动不动 “同志你要去哪边?” “中立国” 他们面面相觑 让他坐下的长官突然半起身说 “同志,中立国也
是资本主义国家 到饥饿和犯罪猖獗之地你想怎么生活?“ “中立国”

起初共产阵营企图说服李明俊,但李明俊只回答说中立国三个字 后来资本主义阵营试图说服李明
俊,但李明俊依然只回答说中立国 在遣返俘虏审查上,李明俊出了中立国三个字之外,什么也没说 李
明俊拒绝了冷战体制下的资本主义和共产主义 当时冷战体制就像传闻中的韩国一样,是从国外来到韩
国,用分裂和战争控制韩国的政治体制 李明俊拒绝了西方的政治体制,希望以自主的方式开启自己的
人生 李明俊乘坐"泰戈尔号"船舶离开韩半岛,前往中立国印度 虽然李明俊认为的中立国是指在冷战体
制下实际存在的中立国 但那也是冷战年代的和平世界 让我们来看一下李明俊想象的中立国家的样子

”中立国 一个没人认识我的地方 一个整日游走在街头,也无人问候的城市,没有人在乎我是谁 当一


名医院门卫,或者消防队监察员,或者电影院售票员 我想做整日单一重复的体力劳动工作,而不是费
尽心力的事 在门房里,我看着前来治病的人 我把门厅打扫干净,早晚给花园浇水“

李明俊想象的中立国是一个和平的国家 在那里,他想做医院门卫、消防员、电影院售票员这样的平
凡的职业,简单的生活 李明俊的期望让人想起独立运动家白凡金九的作品《我的愿望》 白凡仅就在文章
中说自己的愿望是实现韩国独立 希望独立的韩国不是侵略其他国家的国家,而是拥有强大文化力量的
国家 而且金九还写下了自己要给独立政府当门卫的小愿望 李明俊也梦想着冷战下的和平 通过李明俊
的梦想,可以看出韩国的民主主义不仅是对权威主义独裁的抵抗,更是对和平的渴望
总结一下第二课时的内容 崔仁勋的小说《广场》中说韩国是一个把西方思想民主主义当作传闻的国家
西方是历史的呈现,而韩国则是通过传闻了解西方思想 民主主义也是韩国接受西方的思想和制度的结
果 民主主义的理念没能与韩国的现实相结合 韩国历史上,20世纪50年代在韩国民主主义未能正确扎根
现实,权威主义独裁横行 但是1960年的四一九革命推翻了权威主义独裁政权,韩国人争取到了民主主
义 民主主义在韩国得以实现 在这样的历史背景下,崔仁勋创作了小说《广场》 小说《广场》中的人物李
明俊拒绝了韩国和北韩,选择了中立国 在韩国人民通过四一九革命实现民主主义的时候,崔仁勋通过
李明俊这一人物向世人展现了一个和平的世界 由此可以看出,韩国的民主主义并不住止步于反抗独裁
和获得人权,更是对20世纪全球和平的期望 第二课时内容到此结束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4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第3課時 |

大家好 现在开始第三课时的内容 在本课时,我们将了解一下抵抗独裁政权、追求民主主义价值的文


学 1960年四一九革命让实现了民主主义,但1961年发生了五一六政变 1960年代和1970年代军人出身
的总统朴正熙和全斗焕相继实行独裁 军人出身领导人在韩国实行独裁统治维持了相当长一段时期 独裁
政权打着经济开发和近代化的旗号,压制了韩国的民主主义 独裁政权压制了韩国的民主主义,但韩国
市民却抵抗独裁政权,高呼民主主义 韩国文学也在此时期出现了反独裁和宣扬民主主义精神色彩 在本
课时,我们了解一下诗人金芝河和与他合作的日本市民 金芝河1941年出生于全罗南道木浦 金芝河在大
学就读期间经历了四一九革命和五一六政变 1960年代中期当韩国与日本重新建交举办韩日会谈时,金
芝河曾参与反抗运动 最终金芝河因参加反对韩日会谈的示威而被囚禁4个月左右 此后,金芝河持续参加
了抵抗韩国军事独裁政权的运动,同时也开始了文学创作 1970年金芝河再次入狱 这次是因为他的作品
《五贼》 《五贼》批判了1970年韩国腐败和不正之风 诗名"五贼"是"五个敌人"的意思 五贼指的是企业家、
国会议员、高层公务员、将军和高层行政官员 这首诗把他们视为腐败的主犯 但这首诗一发表,金芝河
便遭受独裁政权的打压 金芝河因此入狱,而登载这首诗的杂志也遭到了停刊 因文章的发表而在政治上
受到压迫的事件叫做笔祸 当时独裁政权制造了笔祸事件,压制了金芝河 20世纪70年代,金芝河曾多次
被韩国独裁政权关进监狱 1972年、1974年、1975年金芝河都曾入狱 甚至曾被判死刑 但即便如此,金
芝河也没有停止抵抗独裁政权 出狱后,他继续批判独裁政权,也因此在逃亡时再次被捕 入狱期间,他
曾创作多部作品 其中最具代表的诗是《燃烧的渴望》 正如报道上写的一样,这首诗是他在被囚禁的之
前,逃亡的时候写的 我们来读一下这首诗

在黎明前的后巷
写下你的名字民主主义啊
我的脑海早把你遗忘
我的脚步把你遗忘得太久太久了
只留有一丝
焦渴的记忆在胸膛里燃烧
偷偷写下你的名字民主主义咧
东方还未破晓的后巷
脚步声哨子声砸门声
间或传来一声长长的悲鸣
呻吟声拗哭声叹息声里
在深深刻入我胸腔里的名字之上
在你名字孤傲的耀眼夺目之上
复苏了生的悲哀
复苏了蔚蓝色自由的记忆
复苏了被掳去的朋友们沾满血污的脸
用颤抖的手颤抖的胸膛
用颤抖的切齿的愤怒 在木板上
用粉笔 用笨拙的手
写着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5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屏住呼吸抽泣着
偷偷写下你的名字
用燃烧的渴望
用燃烧的渴望
民主主义啊万岁!

《燃烧的渴望》中将民主主义拟人化 将民主主义称为你,与民主主义交谈 在第一联中,诗的主体不是白


天,而是在黎明前的凌晨,不是在广场,而是在后巷偷偷地写民主主义的名字 这是对遭受独裁政权压迫下
的韩国民主主义现实的描写 我们来看第二联 即便遭受压迫,诗中人物依然表现出对民主主义的渴望,
并凭借记忆写下了民主主义之名 第三联描写了遭受压迫的韩国民主主义现况 深夜里巷子里传来了警察
的哨声和敲门巡查的声音 第四联 诗中人物在遭受压迫之下呻吟、痛苦并叹息,压迫越烈,民主主义之
名在他的心中就越是闪耀 第五联描写了保守压迫下的生活之苦 在没有自由的压迫下生活会变成苦难
自由只出现在过去的记忆中,被权力施暴的朋友们流血的脸庞在脑海中不断浮现 在第六联中,诗中人
物用颤抖的手、颤抖的心和颤抖的愤怒来写民主主义之名 不过他无法将民主主义用干净的笔写在干净
的纸上 他捡起街上废弃的木板,同样用扔在街上的粉笔歪歪扭扭地写上民主主义 第七联 他屏住呼吸,
偷偷地写民主主义 第八联 他心中对民主主义的渴望在猛烈地燃烧着 他将这种情感称为燃烧的渴望 第
九联他高喊民主主义万岁 按顺序来看就可以知道,诗的主人公生活在民主主义受到压迫的独裁政权下
他把民主主义受到压迫的情况比喻成太阳还没有升起的凌晨的深巷 在那里,权势压制人民,甚至对人
民施加暴力 虽然现实很黑暗,但他依然不放弃对民主主义的追求 他用燃烧的渴望来写下民主主义之名
虽然笨拙,但他还是抽泣着偷偷地写下了民主主义 他高喊民主主义万岁 在这首诗中,冰冷黑暗的现实
和渴望民主主义的人物内心那炽热的渴望形成了对比 读者在读诗的过程中,对压迫性的政权感到愤怒,并
渴望民主主义 这种愤怒和渴望随着诗的内容而逐渐高涨 在诗的最后,读者与主人公一起高喊"民主主义
万岁" 诗人金芝河通过诗《燃烧的渴望》高喊民主主义
这首作品发表以后,金芝河再次入狱 20世纪70年代,金芝河的人生就是不断在创作、逃亡、入狱中
反复 独裁政权给他的罪名是违反紧急措施、违反反共法等 金芝河虽然歌颂了民主主义,但独裁政权却给
他扣上冷战体制下威胁民主主义的罪名 这样的罪名显然是子虚乌有的 金芝河受到独裁政权的压迫,因此
在韩国无法出版他的诗集 但是同一时期,日本掀起了帮助金芝河的运动 此外,1970年代在日本出版了
20多部登载有金芝河作品的出版物 收集了金芝河所有作品的全集也是在日本用日语和韩语发行 另外,
日本市民团体持续发行传单、新闻稿,有时还会在金芝河的作品集上发行海盗版 如果加上这些非正式
出版物,那么在日本发行的金芝河出版物数量将无法估量 日本的金芝河出版物发行是日本市民主导的
韩国和日本联合运动 日本的市民、作家、宗教人士和旅日作家们积极发行了金芝河的出版物 很多时候
日本成为在韩国无法发行的金芝河文章发表途径 独裁政权关押金芝河时,称其是共产主义者,强迫金
芝河伪造陈词 金芝河在狱中告发此事,并准备发布支持民主主义的宣言 在金芝河准备宣言的过程中,赵
英来律师等为了民主主义而抵抗独裁的韩国市民也齐心协力 虽然他的宣言已经写成,但是却无法在韩
国发表 最终,金芝河的宣言经过美国,在日本天主教组织"日本天主教正义与和平协议会"的帮助下发表 他
的宣言不仅在韩国,在国际上也受到了很大的关注 在韩国无法发表的金芝河的文章通过日本这一途径被
公诸于世 另外,金芝河被判死刑后,日本作家和旅日作家们抗议韩国政府,在东京进行了绝食示威 驻日本
韩国大使馆前,一千多名日本市民聚集在一起,用英语、韩语、日语喊着"不要杀死金芝河"的口号进行了示
威 此外,在小田实、鹤见俊辅等日本知识分子主导下,拯救金芝河国际委员会成立 再加上法国知识分子
让-保罗·萨特、西蒙娜·德·波伏娃、美国的霍华德.津恩、诺姆·乔姆斯基等参与,拯救金芝河的运动在全
世界范围内扩散 金芝河在1975年被"亚非作家会议"授予莲花奖特别奖 "亚非作家会议"最初是由与冷战
时期自由阵营和共产阵营都保持距离的脱殖民新生国家的作家团体组成的 后期更接近共产主义阵营 冷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6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战时期,韩国作家无法加入亚非作家会议 日本的作家们参加了在莫斯科举行的作家会议并推荐了金芝
河,因此金芝河获得了莲花奖特别奖 为了释放金芝河,美国和法国等自由阵营的知识分子齐心协力,
亚洲、非洲作家会议等脱殖民新国家和共产阵营的作家也做出了努力 拯救金芝河运动就这样超越了冷
战和国界 这种国际性的救援运动是在日本的知识分子、作家和市民的主导下才得以实现的 金芝河在韩
国抵抗独裁政权的压迫,用文学表达了对民主主义的渴望 在韩国,金芝河受到压迫,他的作品难以出版时,
日本的市民们援助了金芝河 他们为释放金芝河展开了救援运动,并发行了他的作品集 超越国界,世界各
国的知识分子和作家们主导了释放金芝河的运动 金芝河对于民主主义的追求和呐喊,让东亚乃至全世
界的作家和知识分子和民众都团结了起来 韩国现代文化追求的民主主义价值是普遍的价值,是全世界市
民可以共享和团结的价值 第三课时到此结束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7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第4課時 |

大家好 现在开始第四课时 在本课时,我们将了解一下民主化运动和知识和文化的民主主义 1979年


10月,领导独裁政权二十多年的朴正熙被部下的枪杀 韩国人民期待已久独裁政权宣告结束,民主主义得
以实现 但是1979年12月12日,全斗焕等军人再次发动政变,掌握了政权 1980年春天,首尔以学生为中心
发生了要求民主化的示威 这场示威被称为"首尔的春天" 借用了1968年在捷克斯洛伐克出现的"布拉格之
春"一词 对于学生的示威,全斗焕等军事政权加强戒严,压制了民主化运动 军事政权于1980年5月17日将
紧急戒严扩大到全国,禁止政治活动,学校停课,加强了对媒体的报道的审查力度 另外,还监禁了抵抗独
裁政权的政治家,封锁了国会 1980年5月18日,韩国光州举行了要求民主化的示威 军事政权派遣戒严军
到光州,暴力镇压了光州的民主化运动 戒严军对没有参加示威的市民也进行了杀伤和施暴 最终光州的
学生、市民、青少年也走上街头要求民主化 5月21日暂时撤退的戒严军封锁了光州,光州被孤立 独裁
政权还通过媒体散布了对光州的流言 但是这个时期,光州市民以高度的市民精神为基础,维持了城市秩
序,实现了市民自治 另外,还举行了要求民主化的和平集会 5月27日0点戒严军武力占领全南道厅 很多市
民因反抗戒严军而牺牲 从5月18日到27日,光州市民和学生的民主化抗争被称为"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
但是,随着军事政权强硬镇压五一八民主化运动,光州的市民遭受了巨大损失 5月18日至27日,200多名光
州市民死亡或失踪,4千多名市民受伤 受伤后死亡的市民也由很多,三千多名市民被军队带走接受拷问
但是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是一场表现抵抗独裁、向往民主主义的韩国市民意志的历史事件 五一八光
州民主化运动以后,1980年代韩国学生和市民持续进行民主化运动,终于在1987年实现了民主化 五一八
光州民主化运动过程中,光州的市民通过自治表现出了韩国市民具有通过民主主义实现和平生活的意志和
能力 此后,在亚洲各国掀起的抵抗独裁的民主化运动都参照了韩国的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 五一八光州
民主化运动第二年,为了给牺牲的市民举办冥婚,还创作了进行曲《为君进行曲》 《为君进行曲》成为象
征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的歌曲,之后在1980年代民主化运动上广为流传 直到现在,韩国市民在各种活
动示威中还会演唱这首歌,以此铭记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重温民主主义的价值 此外,亚洲各国也翻
译了《为君的进行曲》并在民主化运动中演唱 我们来听一听这首进行曲吧
但是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并不是在1980年代就被韩国市民所熟知的 当时军事政权控制了韩国媒体,
散布了关于光州的虚假传闻 只有部分外国媒体才能在光州采访和报道真相 军事政权歪曲事实, 五一八
光州民主化运动的真相却记在光州人民的心中 光州的市民们从1980年11月开始收集有关民主化运动的
各种资料 市民们将看到的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的真相记录在手记和日记上 还有市民们的口述 光州
的市民因军事政权的暴力而遭受巨大损失,因此他们自己整理自己的记录并不是一件容易的事情 另外,由
于独裁政权仍然存在,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真相也受到了政权的监视 因此,必须更改作证人的名字
进行记录 想要告发光州民主化运动真相的市民们也因政权的镇压而被拘留 但尽管如此,光州的市民们还
是努力地公布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的真相,1982年还制作了《光州白皮书》 《光州白皮书》成为了向全
国曝光光州民主化运动过程的契机 根据1985年广州市民的证词和记录,五一八广州民主化运动的过程
被整理成稿 但在当时无法出版 结果光州的市民们向小说家黄皙暎求助 黄晳暎整理了原稿,并写了序
言 由光州市民执笔,黄晳暎编辑的书,以《超越死亡,超越时代的黑暗》为题由草光出版社正式出版 草光
出版社是光州人罗炳湜开的出版社 封面上写着由全南社会运动协议会编辑,黄晳暎记录 之所以携程黄
晳暎记录,是为了保护当时在独裁政权的镇压下参与执笔的光州市民 1985年5月2日《超越死亡,超越时
代的黑暗》初版发行 但是书一发行,独裁政权就没收了两万本,还拘留了出版社负责人 但出版社又重新
印刷 韩国市民对讲述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真相的这本书反应非常热烈 这本书通过市民的口传成为了
地下畅销书 据说很多韩国市民偷偷读完这本书后彻夜大哭 通过《超越死亡,超越时代的黑暗》,1980年代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8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韩国市民面对历史真相深受冲击,并重新思考了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的意义 美国韩国史研究者布鲁
斯·卡明斯评价说,《超越死亡,超越时代的黑暗》是有关光州抗争的各种记录中最详细、最经典的著作,这本
书为韩国现代史做出了重要贡献 1985年10月,这本书在日本以《光州五月民主化抗争的记录-超越死
亡,超越时代的黑暗》为题发行 日本的译本由日本天主教正义与和平协议会负责翻译的 之后在1999年
翻译成英语,在美国出版 美国语言学家兼社会运动家诺姆乔姆斯基评价说:"光州抗争是从严酷的独裁政
权中解放自己,建立和平的民主社会的韩国人勇敢地迈出了斗争步伐的壮举" 参与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
的光州市民们出版了《超越死亡,超越时代的黑暗》, 抵抗独裁政权的虚假传闻, 公布了历史的真相 特别
是这本书不是一个人的著作,而是在独裁政权的压迫下,由多名光州市民齐心协力执笔,因此意义深远 特
别是这本书不是一个人的著作,而是在独裁政权的压迫下,由多名光州市民齐心协力执笔,因此意义深远
这本书很好地体现了向独裁政权告发暴力和压迫、向往民主主义的光州市民的意愿和实践
此后,1980年代韩国发生了抵抗独裁政权的民主化运动 当时韩国的市民们一边反抗独裁政权,一边向
往民主化,一边读书,一边创作 1980年代,追求民主化的文学作品在韩国非常盛行 金芝河、申东晔、
金南柱、朴劳解等诗文和黄晳暎和赵世熙的小说就是代表作品 除了《超越死亡,超越时代的黑暗》 1970
年要求遵守劳动标准法而自杀的烈士全泰壹生平的《全泰壹评传》 和提出看待韩国历史的新视角的《解放
前后史的认识》在1980年代一直都是畅销书 各种社会科学理论书也广为流传 这些图书中的一部分被政
府指定为禁书,但在韩国的大学生和市民中广为流传 当时的韩国市民和大学生不是个人阅读,而是集
体阅读 在大学、工厂、夜校、教会、寺庙等地方,人们一起阅读,讨论民主主义的真谛并展开民主化运
动 特别是之前被排除在近代知识和文学之外的工人们在1980年代组织读书会,一起读书,一起写文章 当
时,韩国的工人大多只有小学或中学学历 但他们以自己的知识和热情,自发组成读书会,进行创作 工人
们自己进行文学创作 他们互相阅读、合评并讨论 劳动者们在初期主要写有关生活的文字,但之后还创
作了具有文学价值的作品 工人出身的诗人朴劳解以1980年代的社会状况为背景开始了创作 他的诗集
《劳动的黎明》被广泛传阅 劳动者进行文学创作的过程,具有重组文学社会位置的意义 在20世纪韩国的
文学创作只属于知识分子 劳动者只是在学校接受文学教育,并没有进行文学创作 工人们被文学拒之门
外 但是1980年代,工人们自己成为文学和文化的主体,一起读书,一起进行文学创作 在1980年代那个
民主化运动的活跃期,工人们的文学创作都是对知识和文化民主化的追求 1987年,韩国市民通过六月
民主化抗争结束了独裁政权,通过直接选举选出总统 在韩国,民主主义在制度上得到落实,实现了民主化
20世纪90年代是大众文化时代,90年代后期韩国社会秩序在新自由主义下重组 虽然在此过程中,1980年
代执行知识民主主义的劳动者读书会和劳动者写作有所衰退 但1980年韩国工人们让人们意识到人人都
可以称为文化的主体 1980年代的民主化运动、知识和文化的民主主义也延续到了现在的韩国文化 从这
一点来看,作为韩国文化的价值,民主主义至今仍有意义
总结一下第四课时的内容 1980年代初期,由光州的市民们通过自己对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记录编
撰的《超越死亡,超越时代的黑暗》,让历史的真相和民主主义的价值得以流传 此外,1980年代为民主化而
斗争的韩国市民们广泛阅读了《超越死亡,超越时代的黑暗》 而同一时期被现有知识和文学排斥的工人阶
级以自己为主体进行文学阅读与写作 他们向往知识和文化的民主主义 1980年代是民主化运动的时期,
也是韩国人民意识到任何人都可以成为知识和文化主体的觉醒时期 第四课时到此结束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39
한국 문화의 토대와 가치
The Foundations and Values of Korean Culture Guidebook

第5課時 |

大家好 现在开始第五课时 在本课时,我们对本节课学习的内容进行总结


在第九周的课上,我们学习了韩国现代文化的民主主义价值 民主主义是三一运动以后韩国人所追求
的文化价值 可是民主主义并没有立即在韩国实现 历经殖民主义、冷战、独裁的韩国,实现民主主义的
道路十分艰难 但即便如此,韩国人始终没有放弃对民主住的追求,创造着新的文化 我们首先了解了
1960年代四一九革命以后发表的崔仁勋的小说《广场》 四一九革命是韩国人民抵抗权威主义政权,争取
民主主义的运动 在韩国市民实现民主主义的时期,小说家崔仁勋通过李明俊这个人物的选择,提出了新
的和平理念 韩国的民主主义是对独裁的反抗和对人权的争取,同时也是对二十世纪冷战局势下和平的
向往 之后我们学习了抵抗独裁政权的诗人金芝河的诗 金芝河在抵抗和饱受牢狱之灾的人生中,通过诗
歌颂了民主主义 当他入狱时,日本的市民们纷纷组织起来应援金芝河 在韩国无法出版的金芝河的作品
在日本得以发表,日本市民为了他的自由和释放进行了示威 日本人民穿越国界,与全世界的知识分子
和作家们一起支持金芝河 韩国现代文化所向往的价值民主主义具有普遍的性质,可以将全世界人民团
结在一起 我们还了解了五一八运动 面对军事独裁的压迫和暴力,光州的市民们追求民主主义并付诸了
行动 他们自行记录了五一八光州民主化运动,宣传了历史的真相和民主主义的价值 1980年代为民主主
义而斗争的韩国人民阅读了光州市民的纪录 另外,同一时期被现有知识和文学排斥的工人阶级也开始
了阅读和文学创作 工人们向往知识和文化的民主主义 1980年代是民主化运动的时期,也是韩国人民人
人都渴望成为知识和文化主体的时期 韩国人民们向往民主主义,为了将其变成现实而不断抗争 正因如
此,韩国人成为了民主主义的主体,开启了知识和文化的民主主义 韩国追求的民主主义具有普遍性,可
将全世界人民团结起来 如今的韩国人都可以成为文化的主体,创造属于自己的文化 在2016年至2017
年的烛光抗争中,韩国市民再次手持烛光走上街头,实现了民主主义 如果说以前的民主化运动是以组
织为基础的,那么烛光抗争则是以个人行为,如果说以前的民主化运动是为了抵抗和斗争,那么烛光抗
争则是追求非暴力和平 作为韩国现代文化的价值,民主主义至今仍在发展,成为创造韩国文化的基础 民
主主义是韩国人民创造政治体系的基础,也是与世界人民团结在一起的纽带 第九周的课程到此结束 谢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The Origin and Dynamics of K-Contents: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Cultural Gene of Korean Wave
4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