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5

저작자표시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44008-200000344065

석사학위논문

식민지 시기 한국과 베트남 빈궁소설에


드러난 특징과 의미
-여성인물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Porverty Novels in Korean


and Vietnamese colonial-era
-Toward a female characters-

제 출 자 : 팜흐우쭝
지도교수 : 문 한 별

2020년 8월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선문대학교 대학원

- 1 -
석사학위논문

식민지 시기 한국과 베트남 빈궁소설에


드러난 특징과 의미
-여성인물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Porverty Novels in Korean


and Vietnamese colonial-era
-Toward a female characters-

이 논문을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20년 8월

선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팜흐우쭝

- 2 -
차례

한국어 초록

1. 서론 .................................................................................... 1

1.1. 연구목적 ......................................................................................................1

1.2. 선행 연구 검토 ...........................................................................................5

1.3. 연구 방법 ...................................................................................................11

2. 한국과 베트남의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처우 ...............16


2.1. 한국 여성의 지위와 처우 .........................................................................16
2.2. 베트남 여성의 지위와 처우 .....................................................................18

2.3. 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차이와 리얼리즘 빈궁소설 ..........................22

3. 양국 식민지 빈궁소설에 드러난 여성인물의 형상화 비교

..................................................................................................34
3.1. 사랑이 부재한 여성인물의 양상 ..............................................................35
3.2. 매음녀로 전락한 여성인물과 사회적 시선 .............................................48
3.3. 여성인물의 운명과 극복 ...........................................................................59

4. 식민지 시기 작가들의 의식과 문학적 형상화의 한계와

의의 ........................................................................................69

- 3 -
4.1. 사회적 순응과 극복의 가능성...................................................................69

4.2. 여성인물을 통한 식민지 사회의 비판적 고발.........................................75

5. 결론 ....................................................................................80
<참고문헌>...............................................................................84

*ABSTRACT.............................................................................87

- 4 -
한국어 초록

한국과 베트남은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

다. 베트남은 동남아의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국은 동북아


의 한반도에 위치하고 있다. 대륙과 연결되면서 바다로 돌출되어있는 반도
라는 지리적 특성상, 두 나라는 비슷한 문화와 정치적 역사를 가졌다. 한편

두 나라의 역사적 배경 가운데에는 외세의 침략에 여러 번 대항해야 하는


아픔이 있었다. 1992년 공식으로 외교관계가 시작된 후, 한국과 베트남은
정치·외교·경제·사회의 모든 측면에서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져왔다. 최

근 몇 년간 문학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은 분명하나 양국 간 문


헌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대한 가장 큰 이유로는 언어적 장벽이 가로막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때문에 한국에서는 베트남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으며 그 주제들 또한 주로 베트남전쟁과 관련된 작품연구에 집중되어
왔다는 한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식민시기 한국과 베트남의 빈궁소설에 드러난 여성인물을
연구하는 것이다. I장에서는 연구목적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며 연
구방법을 밝힌다.
본고의 2장에서는 식민지 시대 양국의 여성의 지위와 상황을 탐색하고자
한다. 식민지시기 여성들의 삶, 생활, 교육 정도, 사회 운동과의 관련성 등
당대 남성들과의 차이를 탐색하고, 비교 문학 연구의 관점으로, 양국의 문

학적 형성화를 살펴봄으로써 이 시기 사회의 문화적 차이점 및 유사점을

찾아내어 그것들을 비교하도록 한다.


본고 3장에서는 식민지시기의 사회현실과 작품에 드러난 작가의식에 대
해 다루고자 한다.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당시 참담한 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 5 -
양국의 작가들의 태도와 공감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먼저 베트남 작품으로는 남 까오의 『하오 이모(Dì Hảo)』(1941), 탁 럼의


『기아(Đói)』(1940), 김 란의 『주운 아내(Vợ Nhặt)』(1945)을, 한국 작품으
로는 나도향의『벙어리 삼룡이』(1925)와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1935),
현진건의 『불』(1925)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들
은 여성의 삶과 운명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한 리얼리즘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위의 비교를 바탕으로 작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도출할 수


있다. 죽, 비교 방법론을 사용하여 작가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인물 비교를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한다.
4장에서는 비교된 소설들을 통해 식민지 시기 작가들의 여성관과 문학

적 형상화의 한계와 의의를 규명하고자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궁


핍하고 불행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순응과 극복의 가능성을 연구
하고, 둘째, 작가가 이 여성인물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식민지사회를
비판적으로 고발하고자 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 결과를 요약합니다. 위의 연구를 통해 식민지 사
회의 여성 이미지가 분명하게 볼 수 있다.

- 6 -
1. 서론

1.1. 연구목적

한국과 베트남은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


다. 베트남은 동남아의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국은 동북아
의 한반도에 위치하고 있다. 대륙과 연결되면서 바다로 돌출되어있는 반도

라는 지리적 특성상, 두 나라는 비슷한 문화와 정치적 역사를 가졌다. 두


나라는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에 외국 문명을 일찍
수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기 기조의 문화를 튼튼히 함으로써 모든 외압

요소들에 적응해야 했고 내적 조건과 결합해서 민족의 문화를 풍부하게 만


들어야 했다. 특히 유교와 불교가 한국과 베트남에 유입되면서 민간 신앙과
결합하여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두 나라는 유교적 교육기조와 시험제
도를 일찍 세웠다. 또한 중국 한자의 영향을 받은 두 나라의 언어에도 흡사
한 점이 많다.
한편 두 나라의 역사적 배경 가운데에는 외세의 침략에 여러 번 대항해
야 하는 아픔이 있었다. 그러한 아픔의 역사는 두 나라의 민족의 마음속에
애국정신과 민족의식을 심어주었다. 특히 19세기에 한국과 베트남은 외세의
침략을 받아 식민지가 되고 마는 고통을 겪었다. 판 보이 차우 (Phan Bội
Châu)1)가 저술한 『월남망국사』는 베트남이 19세기말부터 스페인에 의해
침략을 당하고 이후에 프랑스에 의해 식민지가 되는 역사를 담고 있는데,
20세기 초 조선의 지식인들은 이 책을 읽으며 베트남이 프랑스로부터 침략

을 당한 것을 통탄했다. 이 책은 중국인 루앙 카이 시우 (Lương Khải Siê

1) 판 보이 차우(Phan Bội Châu, 1867~1940)는 Phan Văn Nam으로 Phan Sào Nam 및 다른
많은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20세기 초에 명망 있는 혁명가였으며, 베트남의 젊은
이들을 일본으로 데려와 베트남 꽝을 설립 할 동두 운동 (1905-1908)을 시작하고 조직했
다(프랑스에 대해 베트남 독립을 위해 무장 투쟁을 옹호하는 애국 단체).

- 1 -
u)2)가 1905년 상하이에서 중국어로 번역해 출판하였는데, 특히 당시 일본군

의 침략으로 고통을 받고 있던 조선에서는 1906년 현재, 1907년 주시경, 이


숙익이 번역 출판하면서 널리 읽혔다. 이 책의 내용을 토대로 홍목3)은

『40년의 인도차이나 무질서의 역사』를 쓰고 1943년 일본에서 출판하기도


했다.
조선은 일본에 의해 침략을 당했고 36년간 일본 식민통치에 의한 착취

와 억압을 받았지만, 베트남도 마찬가지로 1940년경에는 일본의 지배를 받


았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과 조선의 독립 운동가들이 중국에서 서로의 독립
운동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도 했다. 1945년 베트남과 한국은 모두 독립하
였지만 한국은 한국전쟁(1950-1953)을 겪었고 베트남은 9년 동안 프랑스와

전쟁을 벌여야만 했다(1946-1954). 그 결과 한국은 한국전쟁 이전의 1948년


부터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과 북으로 나누어졌고, 베트남은 1955년 이
후 미국이 남부를 침략하면서 결국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이처럼 베트남과
한국은 식민통치에서 벗어나 독립을 맞이하였으나 이후 분단되어 냉전의
소용돌이에 빠져 들었다는 것에서 많은 유사점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
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기간 동안 한국과 베트남의 문학 교류는 단절되
었다. 다만 분단 상황으로 인해 미국 점령시기에 있었던 남베트남은 한국과
의 문학 교류를 크게 발전시켰다. 그 사이 몇 편의 베트남 작품이 한국에서
번역 및 소개되었으며, 남베트남에서도 한국의 작품이 소개되었다.
양국은 1975년 베트남이 통일 되면서 잠시 국교가 단절되는 시기를 지
나게 된다. 그러나 1986년 베트남의 ‘도이 머이 정책’(Chính sách đổi

mới)4) 선언으로 양국 간의 무역 관계가 재개되었고, 1992년부터 한국은 공

2) 루앙 카이 시우 (Lương Khải Siêu) (1873-1929)는 근대 중국의 정치 사상가이자 운동가이


다. 또한, 그는 시, 소설, 연극등과 같은 많은 문학 작품을 출판했다.
3) 홍목(1920~1982) 일본유학 중 베트남인 응오 반 마앙(Ngô Văn Mãnh)을 통해 판 보이 차
우 (Phan Bội Châu)가 쓴 많은 서적을 접했다. 홍목은 베트남의 독립운동에 관심을 가져
지고 연구했다.

- 2 -
식적으로 베트남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후 27년 동안 베트남-한국 문

학 교류는 역동적으로 발전해 왔다. 양국의 많은 문학 작품이 번역되어 각


나라에서 소개되었고, 또한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에 대한 연구와 교육 활동

이 확산되면서 두 나라의 교류관계는 새로운 발전을 이룩하게 된다.

1992년 공식으로 외교관계가 시작된 후, 한국과 베트남은 정치·외교·


경제·사회의 모든 측면에서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베트남과

한국 두 민족에 대한 문화적 이해도는 여전히 매우 낮은 것이 현실이다. 최

근 몇 년간 문학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은 분명하나 양국 간 문


헌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대한 가장 큰 이유로는 언어적 장벽이 가로막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때문에 한국에서는 베트남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으며 그 주제들 또한 주로 베트남전쟁과 관련된 작품연구에 집중되어

왔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자 간의 다양한 문학작품에


대한 번역이 보다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990년대에 이르면 베트남에서
다양한 한국소설이 소개되기 시작한다. 한국에서도 역시 90년대부터 베트남
전쟁을 다루고 있는 소설을 중심으로 여러 작품들이 소개되었다.5)

4) 도이 모이 이전에, 특히 전국에 걸쳐 10년이 넘는 사회주의 건설(1975-1986)과정에서 경


제는 농민과 농업으로 특징 지어 졌으며 전쟁으로 심각하게 황폐화되었다. 그래서 베트
남 공산당 제 6 차 총회 (1986 년 12 월)는 공식적으로 혁신의 원인을 시작하여 국가를
종합적으로 혁신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베트남 사회주의 구축의 중요한 전환점을
열었다.
5) 2018년까지 베트남 문학작품은 21편이 한국에서 번역되고 출판되었다. 1. 구엔 트레
(Nguyễn Trãi)의 『빈응오 다이 카오』와 『윽짜이 티탑』 (Ức Trai thi tập), 2. 호치민
(Hồ Chí Minh)의 『옥중일기』 (Nhật ký trong tù), 3. 바오 닌 (Bảo Ninh)의 『전쟁의 슬
픔』, 4. (Nguyễn Dữ)의 『전기만록』 (Truyền kỳ mạn lục), 5. 『느린 괴물』 (Lĩnh nam
chích quái), 6. 반 르 (Văn Lê)의 『아직 살 수 있다면』 (Nếu anh còn được sống), 7.
(Vũ Sơn Thủy)의 『베트남인들』 (Những người Việt Nam), 8. (Đặng Trần Côn-Đoàn Thị
Điểm)의 『Chinh Phụ ngâm khúc』, 9. (Hữu Thỉnh)의 『겨울 편지』(Thư mùa đông),
10. 응우엔반봉 (Nguyễn Văn Bổng)의 『하얀 아오자이』 (Áo trắng), 11. (Đặng Thuỳ
Trâm)의 『Đặng Thuỳ Trâm의 일기』 (Nhật ký Đặng Thuỳ Trâm), 12. (Võ Nguyên
Giáp)의 『잊을 수없는 해』 (Những năm tháng không thể nào quên), 13. 응우 엔 낫 앤
(Nguyễn Nhật Ánh)의 『어린 시절 표를 사게 해줘』.(Cho tôi xin một vé đi tuổi thơ),
14. 또화이 (Tô Hoài)의 『귀뚜라미 모험』, 15. 응우 엔 응크 투안 (Nguyễn Ngọc Thuần)

- 3 -
1990년대를 기점으로 한 번역 작품의 증가는 한국과 베트남의 문학 교

류 및 이해에 큰 도움을 주었다. 두 나라는 식민지 시기에 근대적 문학사조


를 수용하였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는 다양한 문학적 시도를 가능하게 하

였으며, 대표적으로는 리얼리즘 문학의 성립과 발전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본고에서는 비교문학 연구의 관점에서 한국과 베트남에서의 근대문학의 형


성 및 리얼리즘 문학이 성립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식민지

사회의 각종 문화적 현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추적할 것이다. 또한 양국의

리얼리즘 빈궁소설과 서구 열강의 리얼리즘 빈궁소설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을 찾아 비교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베트남은 프랑스 제국주의의 지배 하에서 서구의 문학사상이 직접적으

로 유입됐지만 한국은 일본의 중개를 거쳐 서구의 문예 사조나 사상이 유


입되었다. 한국과 베트남에서 리얼리즘 문학의 발달과 유사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주된 이유로는 착취와 억압이 일반화된 식민지 사회에서 근대적 문학


사조의 도입을 통한 문학적 의식의 각성이 공통적으로 존재했을 것이기 때
문이다. 이는 당시의 리얼리즘 문학가들이 근대 문명이 이식된 사회의 면면
을 묵시적으로 비판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특히, 빈궁소설에
서 언급된 주요 대상이 농촌과 도시 지역의 여성과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
에 속한다는 점은 비판적으로 사회를 읽어내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보여준
다고 볼 수 있다. 리얼리즘 문학에서도 빈궁소설은 빈곤층과 불합리한 당시

의 사회적 현실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빈궁소설에 나오는


여성인물은 식민지 사회에서도 남성에 의해 피지배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

의 『그냥 눈을 감면서 창문을 열었다』 (Vừa nhắm mắt vừa mở cửa sổ), 16. 『또낮에
도 꿈꾸는 사람들이 있다』 (Giữa ban ngày cũng có kẻ mơ), 17. 바오 닌 (Bảo Ninh)의
『물결의 비밀』 (Bí ẩn của làn nước), 18. 남 까오 (Nam Cao)의 『찌 페오』 (Chí
Phèo), 19. 레 민 퀘 (Lê Minh Khuê)의 『골목에서 삶의 조각에 기록』 (Ký sự những
mảnh đời trong ngõ), 20. 응우 엔 응옥 투 (Nguyễn Ngọc Tư)의 『Miếu 마을 페리 역』
(Bến đò xóm Miếu), 21. 호치민 (Hồ Chí Minh)의 『호치민 시집』 등이 그것이다.

- 4 -
는 여성이 처한 특수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여성이 처한 현실과 사회적 관계에서의 차별은 문학에서 여러 모습으로


다루어졌다. 식민지 한국과 베트남에서 여성은 ‘계급적·민족적·성적’측

면이라는 삼중의 억압적 구도가 내재된 형태의 삶을 살아가고 있었으며 이

구도 관계는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모순구조 속에 중첩되어 나


타났다. 이러한 억압 구조에서 여성은 자신의 신분상승 의지와 자유연애를
비롯한 성적인 욕망 등 ‘욕망할 수 있는 자유’를 전체적으로 행사할 수
없었고 그 사회가 요구하는 틀 안에서만 존재하기를 요구받았다. 물론 시대
적 흐름에 따라 여성을 억압하는 사회적 제도나 성적 차별은 현재에 이르

러 대부분 개선되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서는 식민지 시기의 빈궁 소설을 통해 당대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처우 등
을 보다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식민지 시기 빈궁 소설을 여성인물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에 중점
을 두고자 한다. 양국의 빈궁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의 특징을 도출하
려는 시도를 통해 그 시대의 여성의 삶과 운명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새

롭게 마련하고자 한다.

2. 선행 연구 검토

최근 베트남에서는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베트남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문학 연구는 베트남 연구자가 아니라 주로 러시아나 중국
연구자의 주도에 의한 것이었다. 오늘날 다른 나라의 문헌 연구 방법과 마
찬가지로 베트남에서의 한국 문학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베트남에서 공부하는 한국인 학자, 연구원, 한국문학 교수, 한국인
대학원생이 축적한 연구 자료이다. 이 논문들은 한국어로 한국 문학을 대상

- 5 -
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베트남에서 이루어지는 해외 문학 연구의 측면에

서 살펴보아도 귀중한 연구 논문이다. 문학과 연관된 학회, 문예지 및 베트


남의 출판사를 통해 많은 논문이 베트남어로 제공되었다. 둘째, 베트남 연

구자에 의하여 수행된 한국문학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이 논문들은 한국

문학, 문화 교류 또는 베트남-한국 예술에 관한 많은 학술 세미나에서 발표


되었다.

그러나 문학의 광범위한 범위 내에서 베트남에 한국 문학을 소개하고

연구 대상으로 삼아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일은 여전히 매우 부족한 실정


이라 볼 수 있다. 주로 한국문학에 대한 입문적 성격을 지닌 논문은 여러

저널에서 발견할 수 있지만 교육과정과 관련된 심화적 논문은 대학에서만

강의된다.6) 예를 들어 1997년 구엔 롱 샤우(Nguyễn Long Châu)는 『Nhập

6) 현재 베트남에서 발행 된 한국 문학에 관한 12권의 책은 다음과 같다.


1. 배 양수 (Bae Yang Su)의 『Xuân Hương 이야기, 작품, 주석 및 연구』 (Truyện Xuân
Hương, tác phẩm, chú giải và nghiên cứu), 범우 출판사, 1994.
2. 구엔 롱 샤우 (Nguyễn Long Châu)의 『Nhập môn văn học Hàn Quốc』(한국 문학 입
문), 교육 출판사, 1997.
3. 전혜경 (Jeon Hye Kyung)의 『중국 - 중국 - 베트남 정기 소설 비교 연구』 (Nghiên
cứu so sánh tiểu thuyết truyền kỳ Hàn Quốc – Trung Quốc – Việt Nam), 하노이 대학
교 출판사, 2004.
4. Trần Thúc Việt의 『코리아 문학』 (Văn học Korea), 하노이대학교출판사, 2006.
5. 하단 (Hà Đan)의 『베트남, 중국, 한국, 일본의 창립 국가 전설』 (Huyền thoại lập
quốc ở Việt Nam, Trung Hoa, Hàn Quốc và Nhật Bản), 문화-문학 출판사, 2006.
6. 전혜경 (Jeon Hye Kyung)의 『동물 축적을 통해 한국과 베트남의 동화를 비교 연구』
(Nghiên cứu so sánh truyện cổ tích Hàn Quốc và Việt Nam thông qua sự tích động
vật.), 하노이 대학교 출판사, 2006.
7. 사회 과학 및 인문대학교 (ĐHKHXH&NV)의 『새로운 한국시와 새로운 베트남 시』
(Thể thơ mới Hàn Quốc và thơ mới Việt Nam), 세계 출판사, 2008.
8. 동양학과(Khoa Đông Phương)의 『베트남에서 한국학 홍보』 (Thúc đẩy Hàn Quốc
học ở Việt Nam), 하노이 대학교 출판사, 2010.
9. 도안 르 깡 (Đoàn Lê Giang) 외의 『Văn học cận đại Đông á: Từ góc nhìn so sán
h』(동아시아 근대문학 : 비교 관점에서), 호치민시 종합 출판사, 2011.
10. 판티 투 히엔 (Phan Thị Thu Hiền) 외의 『Huyền thoại lập quốc của các nước
Đông Á (TQ -Korea - Nhật Bản – Việt Nam』 (동아시아 국가 창설의 전설(한 - 중 -
일 - 베트남)), 문학사 출판사, 2014.
11. 판티 투 히엔 (Phan Thị Thu Hiền) 외의 『Những mái lều ẩn cư trong văn chương
Đông Á (TQ- NB-Korea – Việt Nam)』 (동아시아 문학에 숨겨진 텐트 지붕 (한 - 중 -
일 - 베트남)), 문학사 출판사, 2014.

- 6 -
môn văn học Hàn Quốc(한국문학 입문)』7)이라는 책을 썼는데, 이것은

한국문학을 교수하는 데에 있어서 베트남에서 발행된 첫 번째 책이다. 이


책은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대문학 섹션에서는 이광

수, 김유정, 박종화 등 각 시기의 가장 유명한 작가들을 나열하고 있다. 그

러나 이 책은 베트남의 독자들에게 한국문학의 간단한 견해만을 소개하는


데에 그친다는 한계를 지닌다. 대부분의 작품은 주로 베트남과 한국을 비교

하는 것에 활용되거나 다른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비교하는 것에 집중하

고 있다.
반면 1992년부터 공식적으로 외교관계가 수립된 후, 베트남 학자들은 한

국 문학에 많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고 소개하는 데에 집중

하고 있다. 한국문학과 관련된 주제로 전문저널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총


편수는 82편이며 저널의 성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문학 연구 학술지

(25편), 동북 아시아 연구 학술지 (22편), 민속 학술지 (7편), 한자-즈 노옴


(字南 ChữNôm)8) 학술지 (7건), 외국 문학 평론 (5건), 문예지 (4건), 민속지
(4건), 한국 잡지 (4개 기사) 및 기타 여러 잡지가 있다.9)
베트남에서 한국문학 연구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것은 1995년 하노이대
학부속 문학연구소이다. 그러나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한국 문화 등 다른
연구 분야에 학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기에 전문 문학은 학자들의 관심 밖
에 있었다. 2000년 이후 베트남에 한류의 열풍이 퍼지면서 한국문학에 대한
연구가 여러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자연스럽게 한국문학 연구에게도 관심

12. 판티 투 히엔 (Phan Thị Thu Hiền) 외의 『Những kỳ nữ trong thơ ca Đông Á


(Trung Quốc-Nhật Bản-Korea-Việt Nam)』 (동아시아 시의 여성 (한 - 중 - 일 - 베트
남)), 문학사 출판사, 2014.
7) 구엔 롱 샤우 (Nguyễn Long Châu), 『한국 문학 개론』, 호치민시 교육 출판사, 1997.
8) 즈 노옴 (字南)은 중국어 알파벳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9) 리 쉬안 쭝 (Lý Xuân chung), 『Nghiên cứu văn học Hàn Quốc tại Việt Nam: Hơn 20
năm nhìn lại』(베트남에서 한국문학연구: 20년 이상), 한국 연구센터-동북아 연구소,
2015, p. 2.

- 7 -
이 높아졌다. 또한 베트남 학자, 한국인 대학원생, 한국인 연구생 등이 쓴

베트남 문학(소설, 시)과 관련된 학술논문이나 연구 논문 등이 연구되고 있


으며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비교

문학 연구논문은 양국이 문화와 역사의 유사성을 들어 한국과 베트남의 문

학 비교 연구가 점차 진행되고 있다.


또한 양국의 주요대학 인문사회 연구센터(Humanities and Social

Research Centres)에서 많은 학회가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 문학 작

품은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으면 연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는 한국 문학도 마찬가지이다. 베트남에서 각 시기 한국의 대표적인 작품들

과 논문 연구의 일부는 번역이 되기도 한다. 이것은 베트남 연구자들이 한

국 문학에 보다 깊이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연구 논


문은 민족 문학, 고전 문학, 현대 문학 등 한국 문학의 3단계에 초점을 맞

춘 과학 학술회의 또는 전문 저널에 게재되어 소개된다.


2000년대부터 한국과 베트남 식민지 시기 작가들에 대한 연구는 증가되
어 각각의 연구 분야도 확대되었다. 이 시기에 한국과 베트남의 비교문학
연구의 한 주제로 양국 연구자들은 리얼리즘문학을 주로 다루었다. 그 이유
는 식민지 시기의 문학 형성과정과 양국 작가들의 의식이 서로 유사성을
갖기 때문이다. 강하나는 현진건과 베트남 작가 3인(남 까오(Nam Cao), 응
웬 홍(Nguyên Hồng), 응웬 꽁 호안(Nguyễn Công Hoan))의 유사점을 비교

분석하고 있고,10) 르엉 응웬 타잉 짱(Lương Nguyễn Thiên Trang)은 남 까


오(Nam Cao)와 현진건의 사실주의 소설을 비교하며 문학적 맥락과 양국의
리얼리즘문학을 개발하는 과정을 부분적으로 살피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인간의 비극을 위해 두 작가의 작품을 깊이 비교하여 작가의 인식을 명확


히 하였다.11)

10) 강하나, 「20C 초 한국과 베트남의 사실주의 작가 비교 연구」, 『베트남연구』, 한국베


트남학회, 2000.

- 8 -
또한 쩐 티 란 아잉 (Trần Thị Lan Anh)은 식민지 시대 한국과 베트남

의 리얼리즘 농민소설을 비교 분석하였다.12) 양국의 리얼리즘 농민소설에


대한 상당히 명확한 분석 외에도 이 연구에서 두 나라의 많은 작가가 언급
되었지만, 농민 주제에 관한 작가는 구체적으로 소개되지 않았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베트남의 『찌 페어』, 『등잔불 끔』, 『주운 아내』,「막다른


골목」, 한국작가 김유정의『소낙비』에 등장하는 많은 여성인물이 자세하
게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찌 페어』의 여성인물은 그녀가 사랑하는 남자

와 결혼하기 위해 가족과 갈등을 일으키는 여성이다. 『등잔불 끔』의 여주


인공은 제국주의의 비인간적인 식민정책 때문에 딸을 부자들에게 팔아넘겨

야 하고 딸은 심한 학대를 당해야 한다. 김유정의 『소낙비』에 등장하는


아내는 남편에게 구타를 당하고 가난 때문에 남편을 위해 돈을 벌기 위해
자기 자신을 매매해야 했다. 이 여성인물들은 대부분 극도로 빈곤하며 집주
인의 착취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가난한 농민이라는 것을 쩐 티 란
아잉은 지적하고 있다.
당람장(Đặng Lâm Trang)은 응웬꽁호안과 현진건의 단편소설을 통해 베
트남과 한국의 사실주의 문학을 비교 연구하였다.13) 이 논문은 양국의 시실
주의 문학의 발전 과정을 면밀히 살피고 있으면서 그 근거로 두 작가의 소
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레티부럼(Lê Thị Vũ Lâm)의 연구는 식민지하 양국의 농민 소
설을 비교했다.14) 이 연구의 내용은 일본과 프랑스의 제국주의 침략에 의해

11) 르엉 응웬 타잉 짱,『Nam cao(남 까오)와 현진건 사실주의 단편소설 비교연구』 부산대


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12) 쩐 티 란아잉, 『식민지 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농민소설 비교: 리얼리즘 문학 중심으
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13) 당람장, 『베트남과 한국의 사실주의 문학 비교 연구 :응웬꽁호안과 현진건의 단편소설
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09.
14) 레티부럼, 『식민지 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리얼리즘 소설 비교』, 홍익대학교 대학원 국
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2013.

- 9 -
식민지 사회가 형성되는 과정에 관한 것이며 거기서부터 한국과 베트남 대

표 작가의 작품에 반영된 식민지 시대의 궁핍하고 소외된 하층민의 삶의


모습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김동인의 「감자」와 부종 풍의 「폭풍우」

속에 드러난 여성인물들을 통해 하층민 여성의 몸의 훼절과 인간 타락의

과정을 명확하게 분석했다. 다른 연구와 마찬가지로 이 논문은 리얼리즘 소


설가들의 의식뿐만 아니라 식민지 사회와 인간의 문제도 다루고 있다.

또한 식민지하에 리얼리즘 장편소설에 대한 개별 논문들도 나타났지만,

여전히 대표적인 일부 작가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져있으며 특히 여성문제에


대해서는 따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위에 열거된 논문들을 살펴보면 특히 한국과 베트남 현대문학 가운데

리얼리즘 계열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가운데에서


도 식민지시기에 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는 것도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이 주제들이 두 나라의 역사와 문화 사이의 유사점을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많은 연구에도 두 나라의 문학 속 여성인
물에 대한 개별적인 비교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고 각 나라의 여성관련
연구에 머물러있다. 여성은 봉건사회와 식민지 사회에서 박탈당하고 억압받
는 고통을 가장 많이 겪어왔고, 관습과 문화와 종교에 의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고통을 겪었다. 식민지 시대에 일본과 프랑스의 통치하에 한국
과 베트남의 정치, 사회가 바뀌었다. 이 시기에는 농민, 노동자, 특히 여성

의 삶이 일본과 프랑스의 착취 정책의 심각하게 영향을 미쳤다.


본고는 그런 이유로 식민지 여성의 삶과 현실을 보여주는 양국의 빈궁
소설 작품을 통해 아직 비교된 바 없는 한국과 베트남 빈궁소설 속의 여성

인물의 재현 양상을 본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양국의 리얼리즘 빈


궁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을 비교하는 것은 식민지 사회에서 약자가
처한 현실적 문제를 통해 당대의 삶과 사회적 모순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

- 10 -
나리라 기대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양국의 여성이 지닌 사회적

지위와 처우를 비교적으로 검토하고 당시의 리얼리즘 빈궁 소설의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알아볼 것이다. 또한 그 다음 단계로 양국 식민지 리얼리즘

소설에 드러난 여성인물의 형상을 비교하며, 식민지 시기 작가들의 여성관

과 문학적 형상화의 한계와 의의를 새롭게 마련할 것이다.

3. 연구방법

일본과 프랑스의 제국주의 통치하에 대부분의 한국인과 베트남인은 철

저히 2등 국민으로서의 삶을 살아야 했다. 1920~40년대에 양국은 본국과 피


식민지라는 착취구조 속에서 여성들의 삶은 보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빈곤
하였다. 그 이유는 식민지 정부가 농업이 중심인 국가경제체제를 유지하는
대신 각종 산업 개발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또한 식민지 착취 정책은 사회
적 약자인 여성을 극심한 빈궁에 처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따라서 당시 양
국의 사회적 빈곤은 식민지 사회의 대표적인 한 단면으로 표상된다. 베트남
은 특히 1940년대에 이르면 일본, 중국, 프랑스 등의 국가에게 모두 착취를
당하게 되는 국가이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에 있었던 식민지 자본주의의 발
전은 빈민층을 더욱 곤궁하게 변화시켰다. 이 빈궁 문제는 근대적 문학사조
를 흡수한 두 나라의 작가들에 의해 빈궁소설로 형상화된다. 보통 이러한
빈궁의 문제는 1920년대부터 소설에서 광범위하게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러
나 빈궁소설에서 빈곤 문제의 대부분은 사회 시스템의 모순, 부조리 및 계

급 갈등의 형태로 드러난다. 이것은 빈곤이 개인적인 무지의 문제이기에 앞

서 사회와 계급 모순의 문제라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문학적 형상화에 도달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빈궁소설은 사회 및 계급 갈등, 도시 빈민의 문제
및 농민계층의 붕괴에 대해 자세히 묘사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1920~30년대

- 11 -
한국의 빈궁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과 그 작품들을 쓴 작가들을 명확하게

소개한 다음에 1930~40년대 베트남의 빈궁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 및 해당


작가들과 분석ㆍ비교하고자 한다.

‘빈궁’이란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특정 표준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자본


이 부족하거나 식량이 부족한 것 등으로 설명 된다. 사회적 약자가 도둑질,

약탈과 같은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이 가난 즉 빈궁

이다. 또한 여성들은 식량을 얻기 위해 매춘을 하게 되거나 원치 않는 상대


와 강제로 결혼해야 한다. 한국문학에서 빈궁소설이라는 용어가 언급된 것

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을 통해서였다. 3.1운동이 사실상 실

패로 돌아간 후에 한국 문학은 프로문학의 등장과 사실주의의 유입 등 커


다란 변화가 있었다.15) 여기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김기진의 『붉은

쥐』, 최서해의 『박돌의 죽음』, 나도향의『뽕』, 현진건의 『사립정신병


원장』, 이기영의 『고향』 등의 소설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경
향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1925)와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1935), 현진건의 『불』(1925)을 대상 텍스트로 선정하였
다.
한국과는 약간 다른 베트남 빈궁문학은 1930년대에 광범위하게 등장했
다. 빈궁소설은 당시 사회와 서양 문학의 유입에 영향을 받았으며 1930년대
에는 출현한 일련의 작가들과 리얼리즘문학으로서의 빈궁소설들이 등장했
다. 베트남 빈궁소설은 베트남 공산당이 설립된 후 형성되었다. 이 시기에

빈궁소설은 주로 농민과 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는 두 계층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베트남은 역사와 문화가 유사한 점이 많지만 문학 교류의 측면

15) 崔 喜 貞, 『1920년대 소설에 나타난 빈궁 양상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p. 11-12.

- 12 -
에서 보았을 때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이다. 따라서 양국의

문학적 유사성과 같은 미시적인 연구주제는 지금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했


다. 본고에서는 크게 두 가지 문제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첫 번째는 봉건

시대부터 식민지시기에 이르는 동안 여성의 존재가 어떻게 각 국가의 작가

와 독자들에게 받아들여졌으며, 여성의 삶을 소설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하


고자 의도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두 번째는 여성문제를 통해 무엇보다

도 당대 현실을 비판적이고 냉정하게 그려내고 있는 작가의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식민지 여성이 처한 차별적인 현실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또한 한국과 베트남 각 나라의 빈궁소설 작품에서는 어떻게 그 이

미지가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식민지하에 한국과 베트남의 빈궁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유형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준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을 선정하여 심도 있게 비교 연구할 것이다. 사회와 문학적


현상은 고립되거나 독립된 방식으로만 존재하지 않으며 항상 상관관계에
있다.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유형비교 방법16)을 사용하여 문학적 현상을

동일한 유형의 현상과 비교하여 이 작가와 다른 작가 사이의 유사점과 차

이점을 찾고자 한다. 여성인물의 유형을 비교하는데 있어는 작중인물이 처


하고 있는 상황이나 문제가 유사한 것을 선택하여 비교한다. 즉 이러한 문
제에 처했을 때, 양국 여성인물들이 어떤 특징으로 나타나는 것인지 유사점

과 차이점을 자세히 비교함으로써 인물들의 의식과 그것이 소설에서 나타


나는 의미를 볼 것이다. 또한 소설에 등장인물과 시공간적 배경을 통해 식
민지 시대에 한국과 베트남 빈궁소설에 등장한 여성 특징과 의미를 비교ㆍ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의 2장에서는 식민지 시대 양국의 여성의 지위와 상황을 탐색하고

16) Nguyễn Văn Dân(응웬 반 댄), 『Phương pháp luận nghiên cứu văn học』 (문학연구
방법론), 사회-과학 출판사, 2004, p. 172.

- 13 -
자 한다. 식민지시기 여성들의 삶, 생활, 교육 정도, 사회 운동과의 관련성

등 당대 남성들과의 차이를 탐색하고, 비교 문학 연구의 관점으로, 양국의


문학적 형성화를 살펴봄으로써 이 시기 사회의 문화적 차이점 및 유사점을

찾아내어 그것들을 비교하도록 한다. 베트남은 프랑스 문학을 통해서 적극

적으로 서구의 근대적 문예 사상이 유입된 반면에 한국은 일본의 중개를


거쳐 서구의 문예 사상이 유입되었는데,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은 비교 작

업을 수행하기에 앞서 물론 감안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나도향, 김유정,

현진건, 남 까오 (Nam Cao), 탁 럼 (Thạch Lam), 김 란 (Kim Lân)의 소설을


선정하였는데, 이들의 소설이 여성을 소재로 하였다는 공통점에서 출발하여
양국의 소설 사이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찾고자 한다. 상기 작가들의 작품을

선정하는 이유는 리얼리즘 소설과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의 특성과


그 유사성 때문이다. 상기 작가들은 식민지시기의 전형적인 문학 작가이다.
그들의 작품은 당시 인간의 심리와 사회적 맥락을 보여주고 부분적으로 반
영하고 있다.
본고 3장에서는 식민지시기의 사회현실과 작품에 드러난 작가의식에 대
해 다루고자 한다.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당시 참담한 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양국의 작가들의 태도와 공감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먼저 베트남 작품으로는 남 까오의 『하오 이모(Dì Hảo)』(1941), 탁 럼의
『기아(Đói)』(1940), 김 란의 『주운 아내(Vợ Nhặt)』(1945)을, 한국 작품으
로는 나도향의『벙어리 삼룡이』(1925)와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1935),
현진건의 『불』(1925)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들
은 여성의 삶과 운명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한 리얼리즘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위의 비교를 바탕으로 작가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도출하고
자 한다. 죽, 비교 방법론을 사용하여 작가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
고 인물 비교를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한다.

- 14 -
3.1장에서는 한국 작품인 나도향의『벙어리 삼룡이』와 베트남 작품인

남 까오의 「하오 이모」를 비교하여 사랑이 부재한 혼인을 하는 여성인물


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두 작품에서는 여성인물이 사랑 없이 결혼

하고 남편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고 있다. 이것을 살핌으로써 당시 여성의

혼인양상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다음으로 3.2장에서는 매음녀로 전락한 여성인물을 통해 이러한 여성에

대한 당시 사회인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여성들이 성을 팔아야

하는 이유를 심층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 주제를 잘 그려낸 한국작품으


로는 김유정 (1908~1937)의 『산골 나그네』(1935)를, 베트남 작품으로는 탁

럼의 『기아』(1940)를 선택했다. 이 두 작품에서는 생활유지를 위해 몸을

팔아야 하는 아내가 등장한다. 여성들은 남편에 대한 의존을 깊이 드러내고


있으며 자신의 가치와 지위를 선택할 권리가 없다. 특히 여성인물들이 도덕

을 위반하는 행위에 대해 당대의 사회가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집중할 것이다.
3.3장에서는 현진건의 『불』(1925)과 베트남의 김 란의 『주운 아내』
(1945)를 비교하여 식민지하 여성인물의 운명과 그 극복 양상을 살펴볼 것
이다. 이 부분에서는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의 곤경과 그들이 운명을 극복하
는 방법에 중점을 둘 것이다. 이를 통해 빈궁소설에서 중심적으로 등장하는
여성인물이 지닌 특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비교된 소설들을 통해 식민지 시기 작가들의 여성관과 문학


적 형상화의 한계와 의의를 규명하고자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궁
핍하고 불행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순응과 극복의 가능성을 연구

하고, 둘째, 작가가 이 여성인물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식민지사회를


비판적으로 고발하고자 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15 -
2. 식민지 시기 한국과 베트남의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처

한국과 베트남의 여성은 모두 유교적 가부장제의 영향을 받았으나 가정


과 사회에 있어 여성의 역할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20세기 조선은
일본에 의해 침략을 받았고 마찬가지로 베트남은 프랑스에 의해 침략을 받

았다. 일본과 프랑스의 지배정책에 의해 피식민지 여성의 지위는 상당 부분


격하되었다. 이런 시기에 살았던 여성들은 정신적·경제적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보냈다고 볼 수 있지만 국내외에서 확산된 새로운 사상의 영향을 받

아 여성 계층이 각성하는 기회를 만들었고 이를 통해 여성운동을 전개하기


도 했다.

2.1 한국의 여성의 지위와 처우

일본이 침략 후 실질적인 조선 통치를 시작하면서 조선도 근대화되었지


만 조선인 여성들은 여전히 정치적 주체로 등장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일본
제국은 식민지를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한국 여성을 통제하고 동화시

켜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한국 여성에 대한 식민지 정책을 시행했다. 일본


제국주의는 호주 제도의 전개와 여성 교육을 통해 한국 여성을 통제함으로
써 그 여성들의 지배주체와 가족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 국가를 위해 봉사

와 희생을 하도록 강요하였다. 또한 농촌과 도시 지역의 여성 노동자 수를


통제함으로써 식민지 자본주의의 경제적 이익을 만족시켰다.

이것은 가족에서의 여성 지위를 점차 약화시켰으며 여성은 남편에 더


의존하게 되었다. 여성은 가족과 사회의 구성원이었지만, 경제적 권리를 거

- 16 -
의 가지고 있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일제 말기 전시체제에서는 근로 보국

대, 정신대등의 이름으로 여성을 강제 동원하여 일본 군국주의에서 한국여


성을 하나의 착취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일본은 식민지에서 식량을 효과적으로 수탈할 수 있도록 토지 정


책을 적용했다. 이것은 농촌 여성들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1905년

을사보호조약에 체결된 뒤 일본 제국주의는 한국에서 토지 측량 프로젝트

를 수행하고 목화를 심음으로써 농촌 지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


했다. 도시 지역에서는 공장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1920년대 한국의 농촌

여성들은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대량 이주를 시작했지만 1929년 대공황 이

후 도시 공장은 문을 닫기 시작했으며 농민들은 농업이 돌아섰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부터 공장은 노동자를 다시 모집하기 시작하였고 남성 노동

력이 부족해지자 농촌의 여성 노동력에 관심이 많아졌다.17) 다른 식민지 국


가와 마찬가지로 이 여성들은 주로 농촌 출신이었으며 대부분 기술에 숙련
되지 못했으며 일본이 투자한 섬유, 정련 및 고무 산업 혹은 식료품 공장에
서 일해야 했다. 힘든 노동조건으로 인해 식민지 조선 여성의 상황은 개선
되지 않았다. 초과근무 외에도 임금은 남성과 크게 차별 구분되었다. 이러
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여성 노동력은 꾸준히 증가했
다. 다만 저임금으로 인해 여성의 형편이 나아지기는 어려웠다. 여성들은
근무시간과 임금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단체를 만들어 조직적인 움직
임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특히 일본은 통치기간 동안 전쟁으로 나가는 일본군을 위해 성 착취 시


스템을 만들었다. 이것은 군대의 전투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착취의 대

상은 12세에서 40세 사이의 여성이었다.18) 이 시스템을 통해 일부 여성들을

17) 지은이, 『우리 여성의 여사』, 도서출판 청년사, 1999, p. 320-323.


18) 1944년 8월 23일, 일본 후생성은 이른바 <여자정신대근무령>을 공포, 12세에서 40세까지

- 17 -
성 노예로 전락하였다. 또한 이는 식민지 여성에 대한 처우를 단적으로 보

여준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여성의 인권이 형편없었음은 쉽게 알 수


있다.

이처럼 일본의 점령 기간 동안 한국 여성들은 점차 사회에서 지위를 잃


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의 통치에 따라 농촌과 도시를 가릴 것 없이

여성들은 착취대상으로 전락했다. 또한 심각한 성차별로 인해 가족의 지위

가 약화되고 있음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여성들은 가족과 사회 문제에


대한 의사 결정권이 없었으며 남편과 남편의 가족에 의존해야 했으며 제도

적인 보호 역시 받을 수 없었다. 이러한 불합리함을 목격하면서 여성이 스

스로의 권리를 찾으려는 움직임도 점차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렇듯


여성운동과 세계운동의 경험을 토대로 1900년대에는 여러 여성단체가 조직

되었다.19)

2.2 베트남의 여성의 지위와 처우

프랑스가 침공하기 전 베트남에서 농업은 가장 중요한 경제활동으로 여


겨졌으며 여성 대부분은 농민, 수공업자, 소상인이었다. 여성들은 항상 가
정과 사회에 큰 공헌을 하였지만, 오랫동안 이어온 유교의 영향 때문에 그
들이 공헌하는 만큼의 권리를 누리기는 어려웠다. 베트남에서 여성의 낮은
지위는 무엇보다도 여성 비하의 전통에서 연유한다. 베트남 봉건 정권은 프
랑스와 협력하여 여성을 억압하는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처럼 여성
에 대한 여러 족쇄는 이 시기에 확립 강화된 유교적 가부장제도에 연유한

의 조선여성을 강제징집했다. 
19) 오숙희, 『한국 여성운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1987,
p. 62-70.

- 18 -
것이다.

유교적 가부장제의 여성 억압적 전통은 일본의 식민지배 자본주의화 시


기와 해방 이후의 근대화 과정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형태로 이용되어왔다.

또한 자본주의화 시기이면서 식민지 시기였기 때문에 사회 전반에 걸쳐서

많은 명백한 변화가 있었다.


20세기 초 프랑스 식민 정부의 정치, 경제, 그리고 문화적 정책은 베트

남 경제, 사회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식민지 반(半)봉건 하에서

는 국민이 억압당하고 착취당했는데, 그 중에도 착취구조의 첨단에는 여성


이 있었다. 이러한 정책들은 도시와 시골 노동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

치기에 충분하였다. 주요 대상은 가난한 근로자와 농민이었다. 봉건시대보

다 오히려 이 시기에 여성은 거의 모든 권리를 상실했다. 특히 19세기 후반


부터 1930년에 베트남 공산당이 창당되기 이전까지의 시기가 그러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식민지 이전 농업국가였던 베트남에서는 대부분의
국민이 농민이었다. 그런데 식민지하에서 설립된 공장에서 여성노동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프랑스의 식민지 개척 프로그램들은 주로 파산한 농민

출신의 수만 명의 여성을 홍가이 (Hồng Cai) 케 바오 (Kế Bảo)석탄광, 남딘


(Nam Định) 섬유 공장, 벤 투이 (Bến Thuỷ)성냥공장, 남 키 (Nam Kỳ) 고무
농장 등에서 고용하도록 끌어들였다.20) 식민지가 도입한 화폐경제의 발전과
함께, 베트남 노동계급의 여성 노동자들도 급격히 증가했다.21) 그러나 이
여성 근로자들의 근무환경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었다. 그들은 전문성이나

20) 응우 엔 티 탁 (Nguyễn Thị Thập) (CB), 『베트남 여성의 운동 역사』, T1, 여성 출판


사, 1981, p. 170.
21) 1939년-1940년 인도차이나 통계연감 (Indochina Statistical Yearbook)에 따르면, 1908년
여성 근로자는 6,687명으로 전체 근로자 수의 41%를 차지했다. 1912년에는 여성 근로자
수가 7,500명으로 45% 증가했다. 섬유와 같은 일부 부문에서는 여성 근로자의 비율이 상
당히 높다. 예를 들어, 1900년 Nam Định Textile 공장은 여성 노동자 수가 66%를 차지했
으며, 1937년에 여성 노동자의 비율이 71%에 달했다 ( 응우 엔 티 탁 (Nguyễn Thị Thập)
(CB), 베트남 여성의 운동 역사, T1, 여성 출판사, 1981, p. 171).

- 19 -
숙련된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고되고 힘든 노동을 해야 했다. 또한 남자들

보다 많이 근무하는데도 불구하고 낮은 임금을 받았다. 그들은 음식이나 작


업복과 같은 필요한 물품을 지급받지 못했으며, 언제든지 해고될 수 있었

다. 또한 농촌에서는 농민들이 세금체납으로 인해 소작농으로 전락하게 되

었다. 프랑스 식민지 시절, 불합리한 세금 부과 정책은 농민과 여성이 겪어


야 했던 가장 잔인한 착취정책 중 하나였으며, 세금으로 인해 생계가 어려

워진 농촌여성들은 일자리를 구하거나 장사를 하거나 심지어는 매춘까지

해야 했다. 이처럼 프랑스 식민지하에서는 사회적으로 약자였던 여성들이


특히 자본주의의 희생자가 되었다.

프랑스의 식민지 초기에는 ‘문맹 정책’을 실시하여 여성들을 학교에

서 교육을 받지 못하게 했다. 이것은 쉽게 식민지인을 손쉽게 통치하기 위


해 시행된 정책이었다. 그러나 점차 하노이와 호지민 등 도시에 있는 학교

에 다니는 여학생들이 생겨났다.22) 많은 수는 아니었으나 베트남 여성의 계


급투쟁으로 이어진 첫걸음이었다. 1930년대 이후 베트남에는 소상인, 소기
업주, 공무원, 교사, 신문기자, 학생 등이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그들은
독립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물론 이 중에는 여성도 포함되었다.
그런데 이 시기 여성들은 여전히 성 차별의 영향을 받고 있어 가정 내
에서도 지위가 낮았다. 그들은 집안일을 많이 해야 하고, 노동에도 참여하
지만 어떠한 권리도 얻지 못한다.
1940년대에 이르면 베트남에서 처음으로 ‘사랑에 빠진 여성의 권리
(Quyền của phụ nữ trong tình yêu)’를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이는 남녀평

등의 측면으로 언급되었다. 여성들은 결혼생활에서 행복을 누릴 필요가 있

22)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자격을 갖춘 인력에 대한 수요를 훈련시키기 위해 프랑스


교육 정책이 변경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교육의 목적은 문화적, 사회적으로 쉽게 통치
하는 것이다. 남성에 비해 학교에 다니는 여성의 수가 매우 적었다. 대부분의 주에는 여
자 학교가 하나뿐이다.

- 20 -
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해 의식하면서 여성은

자신의 운명을 소유 할 수 있으려면 여성이 선거권과 정치활동 참여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곧 여성의 권리를 구현하기 위해 전국적인

민족해방 투쟁에 참여했다. 그러나 이것은 대도시에서만 발생했기 때문에

농촌 여성들에게 적용되기는 쉽지 않았으며 그들은 오래된 관습의 지배체


계 안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1940년 나치 독일이 프랑스를 공격하자 프랑스 정부는 쉽게 무너지고

말았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였고 공산주의자들 역시 타격을 입었다.


이에 베트남 공산당은 일시적으로 해체되고 이후에는 게릴라활동을 중심으

로 정치적 활동을 전개한다. 프랑스의 침공은 인도차이나의 정치 발전에 강

력하게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당시의 여성 운동의 결과로 베트남 민중 운


동에 여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더불어 게릴라 활동에도 참여하게 되
었다.23) 특히 1945년 베트남 8월 혁명에서는 여성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
다. 많은 여성들이 전국의 지방 정부를 강력히 비판하면서 시위를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1930년 이전 베트남 여성은 사회적 지위가 낮았고
심각한 차별을 받고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래 세계적으로 여성운동이
발전되는 가운데, 프랑스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교육적 정책 하에서 여
성인권에 대한 문제의식은 점차적으로 커졌다. 베트남 여성들은 많은 활동
분야에서 자신의 역할과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가족과 사회에
서 성 평등,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관한 개념과 이론을 공식화하였고 이러

한 움직임은 점차적으로 확대되었다. 이는 매우 기념비적으로, 베트남 여성


들이 사회 정치적인 활동에 진입하려는 첫 시도라 보아야 할 것이다.

23) 당 티 반 치( Đặng Thị Vân Chi), 『1945년 8월 혁명 이전의 베트남 여성 문제: 내용 및


해결책』( Vấn đề phụ nữ việt Nam trước cách mạng tháng 8 năm 1945: Nội dung và
giải pháp), 하노이대학교 학술논문, 2014, p. 16-18.

- 21 -
2.3. 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차이와 문학적 형성화의 과

(1) 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 차이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한국 여성과 베트남 여성의 지위와 상황은 여러

측면에서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사성에는 여러 가지 이유


를 들 수 있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봉건 시대의 유교 영향을 꼽을
수 있다. 유교의 영향은 여성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반대로 부정

적인 영향도 주었다. 여성에게 도덕적 가치를 제시하는 긍정적인 부분이 있


지만 도리어 여성들은 그 도덕에 순응해야 했기 때문에 사회와 가정에서
지위와 권리를 누리지 못했던 것이다. 이처럼 유교의 부정적인 영향은 양국
에 있어 오랫동안 사회발전의 폐해가 되었으며, 특히 구 봉건사회에서는 질
서와 존중이 남녀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통적 관습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양국을 비교할 때, 베트남 쪽이 봉건제적 가치관을 중시하려
는 풍조가 더욱 공고했기 때문에 여성의 지위도 그만큼 낮았다고 할 수 있
다.
가부장제도, 남존여비(男尊女卑), 가정 폭력, 자유 결혼을 방해하는 재산

분할의 불평등은 이 시기 사람들의 인식에 뿌리내리고 있었다. 특히, 농촌

지역의 여성은 사회 활동과 경제적 권리에 쉽게 접근하지 못했다. 가정에서


가장의 역할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여자는 자신이 남편보다 열등한 지위
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편에게 의존해야 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또한 많은

농촌 지역에서 여성은 가정의 주요 노동자로서 활약하지만 가정의 대소사


를 결정할 권리는 주어지지 않았고 폭력의 피해자로 노출되기도 했다.

- 22 -
하지만 식민지시기에 여성의 삶이 반드시 부정적이라 말할 수 없는 부

분도 있었다. 정치적 변화로 인해 한국과 베트남 여성은 근대적 교육의 수


혜자가 되었고 이는 이후 여성의 인권신장과 사회적 지위 제고에 토대가

되었다. 1900년대 초 근대전환기를 거치면서 한국과 베트남에서는 여성운동

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전개되는 여성운동에서 영향을


받은 서구 문화를 수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두 나라의 여성

운동은 당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식민지 시기의 여성의

지위 향상에게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2) 한국 리얼리즘 빈궁소설

19세기, 리얼리즘문학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문학의 한 사조로서 성립되


었다. 이는 낭만주의문학에 대한 반성과 함께 당시 대두된 철학이나 사회적

상황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한국에서 사실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계몽문학에 이어 일본 문학을 거친 사실주의와 자연주의가 유입된 이후부
터이다.24)
20세기 초,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조선을 침략하고 지배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의 착취 정책은 식민지 조선인, 특히 여성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독립운동, 농민 운동 등, 특히 1919년 3.1운동의 실패는 지식 계급에 큰 영
향을 미쳤기 때문에 한국 문학이 변화되는 전환점을 제공했다. 지식들은 구
식 방법을 계속하는 대신에 국가 해방의 길을 향한 새로운 방향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서구 문학의 영향으로 특히 1917년 러시아에서 성공적인
혁명을 목격한 후 사회주의사상은 점차 확산하여 문학을 통해 민중을 해방
시키려는 투쟁 운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조선에서도 사실주

24) 조진기, 『한국근대리얼리즘소설』, 서울 :새문社 출판사, 1989, p. 22.

- 23 -
의라는 문학 용어를 수용하게 되며 1920년대부터 서구의 리얼리즘 문학을

받아들이고 일본 리얼리즘 문학의 영향을 받는 한국 리얼리즘 문학이 본격


적으로 태동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현대 소설은 점차 전통 소설을 대체했

다. 농민과 여성의 암흑의 삶과 빈곤이라는 주제는 이 시기의 거의 모든 작

가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대표적으로 일본에서 유학한 소설가 염상섭은


본국으로 돌아올 때의 경험을 토대로 『만세전』을 발표했다. 그 외에 현진

건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들 수 있으며 당시의 사회적 비판과 특정 억압을

묘사한 나도향의 사례도 살펴보아야 한다. 1923년에 이르면 생산관계와 계


급의 문제를 명확히 드러내는 사회주의 리얼리즘문학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최서해의 작품은 지주와 일꾼 간의 계급 갈등을 보여준 것으로 높이 평가

되었고, 한설야의 작품은 리얼리즘 문학의 중요한 업적으로 거론된다.

1920년대는 한국은 나도향, 현진건, 주요섭과 같은 일련의 리얼리즘 작


가들이 출현한 시기이다. 이 작가들은 여성인물들의 가난과 비극과 같은 당
시 사회의 문제를 묘파하며 능동적으로 접근하려는 특징을 지닌다. 예를 들
어 김동인의 『감자』는 가정과 사회에서의 여성의 불평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여주인공의 비극적인 죽음을 통해 여성의 삶은 보다 구체
적으로 형상화된다.

한국 리얼리즘 소설은 네 가지의 특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것은 자연


주의 리얼리즘, 비판적 리얼리즘, 변증법적 리얼리즘,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다.25) 이는 한국에서 리얼리즘 문학의 형성 및 발전과정이 베트남보다 더
광범위하고 다양했다는 것을 보여준다.26)

또한 이 시기에는 소설에 보다 다양성을 지닌 여성인물들이 등장하기

25) 레티부럼, 『식민지 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리얼리즘 소설 비교』, 홍익대학교 대학원 국


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2013, p. 12.
26) 베트남에서는 리얼리즘 소설은 비판적 리얼리즘,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에서도 주로 비판적 리얼리즘 소설이 발전되었다.

- 24 -
시작하였고, 사회적 현실과 모순에 대한 관심은 더욱 뚜렸해졌다. 그중 대

표적인 것은 현진건, 염상섭, 김유정과 같은 작가를 꼽을 수 있다. 그들은


식민 하에 사회에서 2등 국민일 수밖에 없는 식민지인의 운명과 삶을 구체

적으로 묘사하고자 했다. 그들의 작품은 결국 1920년대 암울한 현실에서 방

황하는 지식인들의 고뇌와 비참한 노동자 농민의 삶을 문학적으로 형상화


하려는 시도의 산물이다.

대표적인 작가로 꼽은 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현진건은


『백조』동인으로 참가하면서 문단 활동을 시작하였고 식민지 시대 지식인

의 좌절과 고뇌를 그린 『빈처』(1921),『술 권하는 사회』(1921), 『타락

자』(1922), 『할머니의 죽음』(1923) 등 궁핍한 노동자의 삶의 단면을 그려


냈다.27)
다음으로 염상섭은 『폐허』의 동인으로 본격적으로 문단 활동하였다.
염상섭은 한국 근대소설사 초기에 사실주의 문학을 건설한 선구적 작가 중
의 하나이며, 최초로 자연주의 문학론을 제기한 중심인물이었다.28) 이어 대
표적인 소설『만세전』(1922), 『조그만 일』(1926), 『전화』(1925) 등에 이

르러서는 식민지하 한국인의 삶의 문제를 극명하게 제시하고 소시민의 생


활을 객관적으로 묘사해내고 있다. 또한 그의 문학은 프랑스의 리얼리즘 문
학에 큰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본 및 러시아의 리얼리즘 문학을 바

탕으로 창작하였다.29)
1930년대에는 리얼리즘 빈궁소설의 꾸준한 발전의 시기였으며 1920년대
에 출현한 작가들과 함께 채만식, 심훈, 이기영, 김남천, 이태준 등과 같은

일련의 리얼리즘작가들이 대거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리얼리즘 문학론이 높


은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하였다. 염상섭은 자신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27) 한지현, 『현진건 단편연구 1』 , 광운대학교 출판사, 1995. p. 1-3.


28) 이용남, 『한국현대작가론』, 민지 출판사, 2001. p. 11-15.
29) 장사선, 『문예사조』 , 새문사, 1986, p. 144.

- 25 -
『삼대』를 1931년에 총 215회에 걸쳐 『조선일보』에 연재하였다.

다음으로 심훈(1901-1936)은 『동방의 애이』(1930), 『불사조(미완성)』


(1930), 『영원한 미소』(1930), 『직녀성』(1934), 『상록수』 등과 단편

『황공의 최후』 등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그 중에『상록수』는 농민문학의

중요한 작품의 한 자리를 차지한다.30)


이기영(1895~1984)은 1920년대부터 작품 활동을 하고 있었으나 1930년대

에 이르러 보다 활발히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30년대 초에 발표한『서


화』(1933), 『고향』(1934) 등의 작품은 이 시기 식민지 조선의 보편적인
농촌을 무대로 삼아 농촌의 현실과 현실 모순을 극복하려하는 시도들을 효

과적으로 묘사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을 발전시켰다.


1930년대 리얼리즘 소설의 중요한 임무 중 하나는 식민지 억압 속에서
고통 받는 농민들의 참상, 가난한 여성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일이
었다. 또한 여성 자신이 당면한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를 역사적
으로 보여주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한 사례로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를 선택하였다.

(3) 베트남 리얼리즘 빈궁소설

베트남 문학의 근원은 리 왕조(1009-1225) 시기에 형성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문학은 베트남이 10세기 말까지 독립과 자율성을 획득하여
매우 발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베트남에서 10세기~14세기의 문학은 영웅

과 그의 애국심을 집중으로 묘사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15세기에서 17세기 말까지의 시기를 살펴보면 중세 베트남 문학은 중요

30) 조선영, 『심훈의 삶과 문학 창작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p. 7.

- 26 -
한 발전과정에 있었다. 이시기의 문학은 새로운 형태로 발전했다. 특히 놈

자로 쓴 문학이 예술적 성과를 가져 왔다.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은 한자로


쓰여진 문학과 놈자로 쓰여진 문학 등 두 가지 양식으로 각기 분화되어 나

타났다. 이 시기의 문학은 애국에 대한 주제에서 점차적으로 봉건적인 사회

현실을 충실히 반영하고 이를 비판하려는 내용으로 발전하였다. 응우옌 빈


키엠(Nguyễn Bỉnh Khiêm)의 작품들, 응우옌 두(Nguyễn Dữ)의 『傳奇漫錄

(Truyền kì mạn lục)』는 국가와 봉건 왕조의 영감을 얻어 사회적 악에 대

한 비판과 도덕적 타락을 고발하는 내용을 통해 주제적인 전환을 시도하였


다.

18세기에서 19세기 전반까지의 기간에 내전과 농민 봉기 운동에 의해


변화하기 시작한 베트남에서 문학은 봉건주의적 사회 질서를 위기로 내몰

았다. 문학은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기 시작했으며, 이것은 고전 문학 시


대라고 불리는 중세 베트남 문학에서 가장 화려한 시기였다. 이 시기에 문
학은 인도주의 운동의 출현을 목격했다. 이 당시의 문학 주제로는 생명권을

주장하거나 사람들, 특히 여성을 해방시키기 위해 투쟁하는 것을 담는 것이


었다. 당시 여성의 운명을 묘사한 대표적인 작품은 당 트랑 콘(Đặng Trần
Côn)의 『征婦吟(Chinh phụ ngâm)』, 응우옌 지아 티우(Nguyễn Gia Thiều,
阮嘉韶)의 『宮怨吟曲(Cung oán ngâm khúc)』, 호 쉬안 흐엉(Hồ Xuân
Hương)의 시이다. 특히 응우옌주 (Nguyễn Du, 阮攸)의 『쭈엔 끼에우
(Truyện Kiều)』는 중세 베트남 문학사에서 독보적 위치를 점한다. 일반적
으로 이 시기에 베트남에서는 특별한 사회적 조건으로 인해 문학에서 인도

주의적 경향이 대두되었다. 이 문학적 추세에서 처음으로 여성담론이 대중


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하였다. 베트남 문학의 흐름에서 중세 문학의 아름다
운 여성은 내부와 외부의 포괄적인 아름다움으로만 존재할 수 있었다. 중국

문화, 유교 사상, 도교, 불교의 영향은 중세 시대의 문학 개념에 특정한 영

- 27 -
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작가의 주관적인 관점에 따라 각 여성인

물의 아름다움은 다르게 표현되었지만 대부분은 여성의 불행한 운명을 다


룬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 시대의 문학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은 보통

난기류로 가득한 삶과 진정한 행복이 없는 삶을 영위한다는 것이다.

19세기 후반 프랑스 식민지 주의자들이 베트남을 침략하면서 베트남 사

회는 봉건 사회에서 준 봉건 식민지로 변화되었다. 서구 문화는 기존 베트

남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20세기 초부터 1945년 8월 혁명까지


의 시기는 베트남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반세기도 채

되지 않아 베트남 사회는 전례 없는 중대한 변화를 겪었다. 식민지라는 제

약을 극복하고 국가의 성장에 발맞추어 베트남 문학은 현대화의 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큰 성과를 달성했다.

이 시기 베트남 문화는 점차 중국 봉건 문화의 영향에서 벗어나 서구


문화, 주로 프랑스 문화에 영향을 받았다. 서구의 지식들을 통해 나타난 새

로운 문화적 흐름은 작가뿐만 아니라 독자의 마음과 영혼에도 흡수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북미와 중미에서 풍자 문학의 성장과 함께 응우옌 쿠엔
(Nguyễn Khuyến, 1835~1909)과 투 쉬옹(Tú Xương, 1870~1907)의 작품에서
는 현대화의 첫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19세기 말에 나타난 응웬 트

롱 관(Nguyễn Trọng Quản)31)은 처음으로 자국어로 된 작품을 선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0세기 초반까지 작가들은 자국어로 된 많은 산문 작
품을 발표하였다. 그중에서도 티엔 트룽 (Thiên Trung)의 리얼리즘 소설
『호앙 투 안의 불의(Hoàng Tố Anh hàm oan』(1910)은 비판적 리얼리즘
문학의 대표적 작품이다. 또한 문학사적으로 보았을 때 리얼리즘 계열은 수
창(Sử Trang)32), 완권(Ánh Quỳnh), 팜 주이 똔(Phạm Duy Tốn), 호 비에우

31) Nguyễn Trọng Quản (1865–1911)은 베트남의 유명한 화가, 문학가이다. 그 작품 중에 단


편 소설 『라라조 편선생의 이야기(Truyện Thầy Lazaro Phiền )』(1887)는 현대 베트남
단편 소설에서 자국어로 처음으로 쓰인 작품으로 가치가 있다.

- 28 -
짜인(Hồ Biểu Chánh)과 같은 앞 시대 작가들의 현실비판문학을 계승하는

자리에 있었다. 하지만 앞 시대 작가들과는 달리 중세적 이념의 굴레를 벗


어버리고 현실 그대로를 그려내고자 했다. 이 작품들은 봉건적인 운명론의

그림자를 걷어내었고, 행복한 결말로 이어지기만 하는 고전적 창작관행에서

도 탈피했다. 그리고 일상어를 문학적 수사로 다듬어 쓰는 데서도 진일보했


다는 평가를 받는다.33)

그러나 이 단계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발표된 대부분의 단편 소설은 여

전히 한계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남부에서도 자국어로 쓰인 여러 산


문이 나왔다. 이 산문들은 박탈당하고 착취당하는 불공정한 도시과 농촌의

양상에 대해 쓴 것이었다. 특히 1929년 세계공황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는

식민지의 세금을 인상하였고, 베트남군인 모집을 하는 것 등으로 자신들의


손실을 메꾸고자 했다. 이로 인해 인도차이나는 프랑스의 경제적 자원이 되
었다. 1930년 2월 9일 부르주아 혁명은 실패하였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식민지의 현실을 비판하고 노동자 농민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려는
일군의 작가가 등장했다. 이들을 통칭해서 현실비판 계열, 혹은 리얼리즘

계열이라고 부른다. 이들이 등장한 데에는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의 영


향,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의 영향34)이 적지 않게 작용했다. 부르주아계급은
봉건제국과 갈등하면서도, 한편으론 그들에게 의존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이

지주였던 부르주아는 봉건제에 대해 태도를 분명히 하지 않았다. 그들은 폭


력을 행사하기도 했지만 위기를 맞이했으며 이로 인해 부르주아 지식인들
은 혼란에 빠졌고 식민주의자들과 타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일부 지
식인들은 공산당이 문학을 통해 국가를 해방시키는 임무를 수행했다. 그 때

32) Thiên Trung (1868-1919)은 문학가, 기자이다. 그의 작품 중에『호앙 투 안의 불의


(Hoàng Tố Anh hàm oan』(1910)은 비판적 리얼리즘 문학의 대표적 작품이다.
33) 판 끄 데(Phan Cự Đệ)외, 『Văn học Việt Nam (1900~1945)』(1900~1945 시기의 베트남
문학), 교육 출판사2009년, p. 346-347.

- 29 -
부터 혁명 이전의 어두운 삶의 현실은 작가들에 의해 가장 현실적인 방식

으로 기록되어, 그 당시 문학에 큰 조류를 만들어 냈다. 그것은 곧 베트남


리얼리즘 문학의 발전과도 맞물린다. 작가들은 식민지 사회에서 많은 여성

들이 고통스러워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음을 목격하고 이를 기반으로 많은

작품으로 창작했다. 그들의 작품을 통해 가난한 여성들의 비극을 보다 명확


하게 볼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식민지의 프랑스인들은 조국의 경제위기를 보완하

기 위해 경제 착취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는 모든 계층의 베트남인들에게


적용되었는데, 농민들은 땅을 잃고 노동력을 착취당했고, 노동자들은 일자

리를 잃었으며 지식인들은 해고를 당했고 자본가들은 파산하였다. 프랑스

식민지주의자들은 우민 정치를 하고 사람들의 봉기를 억누르고자 하는 정


책을 시행하였다. 그것은 인종적 모순을 촉진했고, 계급 갈등은 갈수록 심

화되었다. 또한 이 시기 서양의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를 담은 문화가 베트남


에 유입되었다. 진보적인 부르주아 민주주의의 유입과 더불어 베트남에 유
입된 오노 레드 발자크, 레프 톨스토이, 찰스 디킨스 등의 작품들은 베트남
작가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마르크스주의의 흐름-레닌주의와
과학적 사회주의는 작가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당시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은 1930년대 베트남 문학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렇게 탄생된 베트남 리얼리즘 문학은 문학의 현대화와 계급 국가투쟁이

라는 중요한 두 가지의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켰다. 이전의 작가들이 사회문


제에 관심을 갖지 않았던 것과 달리 1930년대 베트남의 리얼리즘 문학은
사회문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리얼리즘 문학적 사회운동의 움직임과

발전 과정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다.35)


1930년에서 1935년까지의 단계는 경제위기의 시기였으며 혁명 운동은

35) 팜 푸티(Phạm Phú Tỵ), 『1930년-1945년 리얼리즘 소설에 나타난 농민들: 인물학의 관
점에서 접근』, 사회 과학 및 인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p. 12.

- 30 -
일시적으로 가라앉았으며 낭만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그렇지만 응우옌 꽁

호안 (Nguyěn Công Hoan), 부종 풍(Vũ Trọng Phụng)의 작품은 점차 현실


주의적 경향을 작품에 드러냈다. 그중에 응우옌 꽁 호안(Nguyěn Công
Hoan)은 단편 소설 분야에서 현실주의인 방법을 최초로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 『말이 되는 사람 및 사람이 되는 말(Ngựa người người ngựa』
(1934), 『배우 뜨벤(Kép Tư Bền)』(1935), 『금지옥엽』(1935) 및 『보스

(Ông chủ)』(1935)라는 단편소설을 대표로 꼽을 수 있다.36) 베트남 리얼리

즘 문학에서 대표작가인 부종 풍은 『함정 사람(Cạm bẫy người)』(1933),


『서양인과 결혼방법 (Kỹ thuật lấy Tây』(1934)라는 작품을 썼다.37) 이 당
시에 단편소설은 사회의 타락한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였다. 이 작가들의
작품들은 불의와 비인도적인 행위를 고발했고 동시에 사회의 희생자들에게
동정심을 표했다. 하지만 이들은 개인문제만을 다루었으며 사회의 근본적인
모순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1936년에서 1939년까지의 단계는 문학의 현실 반영이 그 어느 때보다


더 훌륭하게 발전한 시기였다. 그 이유는 당의 지도력으로 대중 혁명 운동
의 이끈 결과와 공산당 당원과 정치범들이 사면되는 직접적인 영향 때문이
다. 이 단계에 응우옌 꽁 호안 (Nguyěn Công Hoan)38)과 부종 풍(Vũ Trọng

Phụng)39)의 문학적 능력은 실제로 최고점에 도달하였다. 응우옌 꽁 호안

36) 투이 트랑 (Thùy Trang), 『응우옌 꽁 호안-작품 및 의견』(Nguyễn Công hoan-Tác


phẩm và lời bình), 문학출판사, 2013, p. 8.
37) 응 웬탄(Nguyễn Thành), 『부종 풍의 소설 예술』, 문학 출판사, 2013, p. 41.
38) 응우옌 꽁 호안 (Nguyěn Công Hoan, 1903-1977)는 비판적 리얼리즘 소설의 등장을 알
린 작가이다. 1920년부터 산문작품 창작을 시작했지만 베트남 근대 작가 가운데 손꼽히
는 다작 작가이다. 1929년부터 1935년에 결쳐 창작한 단편 16편을 뮥어 출간한 산문집은
사회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런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39) 부종 풍 (Vũ Trọng Phụng, 1912 ~ 1939)은 르포르타주 소설 (르포르타주 소설의 특별한
점은 작가의 스타일을 통해 사회에 대한 현실 정보를 사용한 것이다)로 이름을 얻었다.
1936년에 「하노이 신문」에 연재 한 두 편의 장편 소설 『폭풍우』 (Giông tố)와 『행
운』 (Số đỏ)이 특히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폭풍우』는 1937년에, 『행운』은 1938
년에 책으로 출간되었다. 살펴보면 『폭풍우』는 악독한 지주하자 식민자본과 결탁한 부

- 31 -
(Nguyěn Công Hoan)은 『두 놈(Hai thằng khốn)』(1930), 『새로운 배우

(Đào Kép mới』(1937), 『내 친구의 첩(Người vợ lẽ bạn tôi)』(1939)및


『막다른 골목(Bước đường cùng)』(1938)이라는 대표적인 리얼리즘 작품

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부종 풍은『폭풍(Giông tố)』(1936),『깨진 제방(Vỡ

Đê)』(1936)는 작품을 통해 사회문제와 인간의 타락을 묘사했다. 그밖에 응


오 떳 또 (Ngô Tất Tố)40), 응우옌 홍 (Nguyên Hồng), 투모 (Tú Mỡ), 부이
딘 랩 (Bùi Đình Lạp), 부이 후이 폰 (Bùi Huy Phồn)과 같은 비판적 리얼리

즘 작가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의 소설은 부르주아 식민주의의 착취


적, 압제적, 기만적 정책을 강력하게 비난하기 위해 중요한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다루었다. 노동자와 농민의 고통을 표현하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

한 투쟁정신을 찬양했다. 이 시기에는 성공적인 산문과 소설을 여러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작품들은 불의에 처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성공적으로 구축하
고 있다.

1940년부터 1945년까지의 단계는 프랑스 제국주의자들과 일본 제국주의

자들에 의해 베트남 사람들이 억압당했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당은 상


대적으로 열세한 세력을 은밀한 작전으로 만회하기 위하여 물러나야만 했
다. 이는 리얼리즘 문학이 엄격히 검열되기 시작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앞

서 언급한 사회정치적 상황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 나타난


작가로 탐랑(Tam Lang)은 『못된 사람(Người ngợm)』(1940), 『베이 후우
(Bảy Hựu) (1940), 『어둠을 건너다(Qua những màn tối)』(1942), 『삶(Cuộc

도덕한 의원의 행태를 묘파한 작품이고, 『행운』은 행실이 나쁜 부랑자가 온갖 거짓과


속임수를 써서 출세가도를 달려 상류 사회의 명사가 되는 과정을 풍자적으로 그려 낸 작
품이다.
40) 응오 떳 또 (Ngô Tất Tố, 1892 ~ 1954)는 가난한 유학자의 집에서 태어나 1920년대 중
반까지는 과거 시험을 준비했다. 1930년대 초중반에는 언론계에 투신해서 두각을 나타냈
다. 1930년대 중반에는 역사소설을 썼는가하면 1930년대 후반부터는 농촌·농민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르포르타주와 소설을 썼다. 농촌 일가의 비참한 삶을 그린 장편소설
『불이 꺼질 때』 (Tắt đèn, 1939), 농촌의 낡은 풍습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묘사한 르포
르타주 『마을의 일』 (Việc làng, 1940)이 있다.

- 32 -
sống)』(소설집, 1942), 『우유 두 줄(Hai dòng sữa)』(소설집, 1943)이라는

책을 출판했고 응웬 홍(Nguyên Hồng)은 『불(Ngọn lửa)』(1944) 작품을 출


판하였다. 또 화이(Tô Hoài)는 『고향(Quê người)』(1942) 소설과 하노이 외
곽 지역의 풍속과 관습을 가진 사람들을 묘사한 많은 단편 소설을 썼고, 김
란(Kim Lân) 작가는『첩의 아기(Đứa con người vợ lẽ)』(1941), 『첫 이모의
아기(Đứa con người cô đầu)』(1941)등과 많은 같은 빈곤을 그린 작품이
있다. 특히 남 까오(Nam Cao)는 마지막 단계에서 리얼리즘 문학 운동의 단
편 소설 장르에 대한 가장 뛰어난 대표자로서『찌 패오Chi Phèo』(1941),
『학 할아버지Lão Hạc』(1943), 『남은 인생(Đời thừa)』(1943), 『결혼식
(Một đám cưới)』(1944)와 『살다(Sống mòn)』(1944)라는 대표적인 소설 작

품을 썼다.41) 이 단계의 문학은 이전의 사회투쟁 정신을 기억하고 찬양하


며, 사회에서 모순되는 계급갈등을 직접 밝히지는 않지만, 여전히 직시하는

태도를 유지했다. 이 시기, 리얼리즘 문학은 전 시대와의 지속성을 지니며


성숙기를 맞이하였다. 이 시기에 발표된 남 까오의 『하오 이모(Dì Hảo)』
(1941), 탁 럼의 『기아(Đói)』(1940), 김 란의 『주운 아내(Vợ Nhặt)』(1945)
는 대표적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이 세 작품에서 언급된 대상은 프랑스와

일본 제국주의자들에 의해 착취당하는 가난한 농민, 노동 계급 여성들이다.

베트남의 리얼리즘 문학은 서양 리얼리즘 문학의 출현보다 약 백여 년

이 지난 후에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의 많은 리얼리즘 작가들은 자본이 제


한적이었고 이론적 토대가 협소하였기 때문에, 서구의 문학 트렌드에 대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베트남의 리얼리
즘 문학은 낭만주의와 연계하여 형성되고 발전하였다. 이 두 가지 유형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었다. 응우옌 꽁 호안, 부종 풍 등과 같은 작가들은

41) 퐁레 (Phong Lê), 『남 까오-업적과 초상화』 (Nam Cao-Sự nghiệp và chân dung), 정보
와 미디어 출판사, 2014, p. 27.

- 33 -
때로 사실주의적인 방법론을 통해 작품을 창작하거나, 또 때로는 낭만주의

적인 방법론으로 창작하기도 하였는데, 하나의 작품 속에 여러 방법론을 사


용하기도 하였다.

베트남에서 당이 혁명적 리더십의 기치를 내걸었던 시기에 리얼리즘 문


학은 발전단계를 맞았다. 당의 영향력 아래 활기찬 혁명 운동과 진보적 문

학과 함께 베트남에서 리얼리즘 문학은 보다 다양하게 창작될 수 있었다.

비판적인 리얼리즘 작가들은 노동자 계급인 시민들의 삶에 특히 관심을 기


울였다. 깊은 동정심으로 사람들의 고통을 구체화하여 표현하는 데에 집중

했다. 주인공은 보통 농민과 여성이었다. 예를 들어『등잔불 끔(Tắt đèn)』

의 다우 씨(Chị Dậu), 『막다른 골목』의 파형(Anh Pha)과 남 까오의 찌 패


오(Chí Phèo), 『학 할아버지(Lão Hạc)』의 주인공과 같은 인물들은 그 대
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1945년 이후 베트남 리얼리즘 문학은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했다. 프랑스


식민지 주의자들과의 투쟁으로 인해 문학인식은 적극적으로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인간의 삶과 사회문제를 폭넓게 반영하면서,
애국심과 국가해방을 위한 혁명을 그렸다.

3. 양국 식민지 빈궁소설에 드러난 여성인물의 형상화 비교

식민지하 베트남인과 조선인은 가혹한 통치를 받아 극도로 열악한 삶을


살았다. 특히 사회적 약자인 여성들은 관습에 의해 제약을 받고, 반봉건 식
민지 정책에 의해 또다시 억압을 받았다. 이번 장에서는 리얼리즘소설에 등
장하는 여성인물의 특징과 의미를 통해 이 시기의 여성의 삶과 운명을 살
펴볼 것이다. 한국과 베트남의 작품들에서 식민지 시기 여성인물을 분석할

- 34 -
때, 공통된 몇 가지 상황을 발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여성인물이 사랑이

부재한 혼인을 하는 경우이다. 두 번째는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매음녀로


전락하고 마는 경우이다. 특히 이에 대한 주변 인물들의 시선, 즉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세 번째는 여성인물이 자신들이

당면한 운명을 극복해나가는 경우이다. 이렇듯 유사한 경우를 발견할 수 있


으면서도 양국의 여성인물들은 각각 그 사회에 투영된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3.1. 사랑이 부재한 여성인물의 혼인 양상

유교적 가부장제의 영향으로 인해 사랑이 부재한 여성인물의 혼인을 소


재로 하고 있는 작품은 한국과 베트남의 문학에서 많이 등장한다. 그 중 대
표적인 소설로 나도향의『벙어리 삼룡이』와 남 까오(Nam Cao)『하오 이
모』를 들을 수 있다. 이 두 작품은 결혼생활에서 여성인물들의 불행한 삶
을 포착하였다.
이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우선 『벙어리 삼룡이』의 작가인 나도향
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나도향은 1902년에 태어났으며 1919년 배재고보
졸업한 후 1920년 경성의전에 입학했다. 나도향은 문학에 대한 지대한 관심
으로 인해 동경제대 유학을 한 후에도 개업을 하지 않았다. 나도향은 할아

버지와 아버지가 모두 양의사였는데 이렇게 보면 나도향이 경성의전을 통


해 양의사가 되고자 했던 것도 가풍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나도향은
불안정한 가정의 분위기에서 빚어지는 갈등 때문에 정신적으로 방황할 수

밖에 없었다. 나도향의 소설에 나타난 낭만성과 정서적 근원은 이러한 데에


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현진건, 김동인, 염상섭 등과 함께
1920년대를 풍미한 문학 작가 중의 한 사람이다. 경상북도에서 1년간 보통

- 35 -
학교 교원으로 근무하다가 중편 『청춘』을 1921년에 『배재학보』 제2호

에 『출학』을 발표했으며 문예 동인지 『백조』를 발간하면서 창간호에


장편 『환희 1922』, 『젊은이의 시절』 등 다른 남성작가들에 비해 비교적

소녀적이고 감상적인 작품을 창작하였다. 나도향은 1926년에 급성 폐렴으로

사망한다.

나도향 또한 의사가 되어 가업을 이어 받기를 거부하고 문학의 길로 들어섰기 때

문에 전통적 가부장제의 질곡이 부담스러웠으리라 생각한다. 나도향 소설의 주인


공들이 강박적으로 사랑을 지향하는 이면에는 현실과의 불화와 부정의식이 깔려있
다. 나도향의 현실인식은 상당한 깊이에 도달했다. 그는 속물화된 개인의 문제를
제도화하여, 우리 안에 내면화되어 있는 전통적 인식체계를 전체로 확대하여 보여
주었다. 나도향은 친권으로 상징되는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질서의식과 가치체계
를 문제 삼고 있는 것이다.42)

나도향의 소설은 종종 식민지 사회를 실아가는 인간의 도덕성 타락과


비극 및 차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나도향의 소설
은 당시의 어두운 사회에서 다소 낭만적이었다.
남 까오(Nam Cao)는 베트남의 리얼리즘 문학 (1930-1945)이 발전하던
시기에 문학활동을 전개하였던 작가 중 한 사람이다. 남 까오는 15년간의
저술로 심오하고 가치 있는 예술적 견해를 남겼다는 평가를 듣는다. 남 까
오는 1917년 북부 하남성에서 중산층의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났다. 1936년
부터 글을 쓰기 시작하여 학교에서 교편을 잡기도 하였으나 1940년 일본이
인도차이나로 진주하자 교편을 놓았다. 그는 60여 편의 단편 소설과 두 편

의 장편 소설을 남겼다. 처음에는 낭만적인 문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점차


노동자, 농민의 비참한 삶을 그리기 시작했고 사실주의에 관심을 갖기 시작

42) 신현숙, 『나도향 소설 연구』, 울산 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눈문,


2011, p. 1.

- 36 -
했다. 그의 작품은 주로 농민의 빈곤에 초점을 맞추고 봉건사회의 부패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나도향과 남 까오의 소설을 비교. 고찰하기에 앞서, 『벙어리 삼룡이』

와 『하오 이모』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벙어리 삼룡이』는 1920년대의 식민지 사회를 그린다. 주인공‘삼룡


이’는 머슴이며 벙어리이다. 삼룡이는 서울 연화봉에 사는 오생원 집의 종

이었다. 오생원에게는 매우 심술궂은 아들이 있었는데, 어느날 이 아들이

결혼하면서 갈등이 시작된다. 삼룡이는 매일 아내(색시)를 때리는 집주인의


아들을 보면서 마음에 정의감이 생기기 시작한다. 어느 날 삼룡이는 길거리

에 쓰러진 그 아들을 업어서 집에 데려 놓았는데 이를 본 아들의 아내(색

시)가 삼룡이에게 고마움의 표시로 쌈지를 준다. 이것을 안 오생원의 아들


은 아내를 구타하였고, 삼룡이는 정의감에 방에 뛰어들어 오생원의 아들을

때렸다. 동네 사람들은 삼룡이와 아내가 정을 통한 줄 알고 수군거리기 시


작한다. 그 아들은 삼룡이를 구타하여 집에 쫓아낸다. 그 날 밤에, 갈 곳 없
어 떠돌던 삼룡이는 오생원 집이 불에 타는 것을 발견하고 집에 뛰어들었
다. 삼룡이는 오생원과 오생원의 아내를 구해 마당에 눕힌다. 다시 방에 들
어갈 때 그 아들이 살려 달라 애원하는 것을 발견하지만 삼룡이는 이를 무
시하고 색시를 구했다. 그러나 집은 온통 불에 타고 있어 나갈 길이 막힌
다. 결국 삼룡이는 지붕 위로 오르고 최후에는 뛰어내려 색시와 함께 죽음

을 맞이한다. 죽은 삼룡이에 얼굴에는 난생 처음으로 미소를 띠고 있었다.


『하오 이모』는 불행한 여성인물인 ‘하오’에 대한 이야기다. 하오는
어렸을 때 아버지는 잃는다. 생활이 어려워지자 하오의 어머니는 하오를 돈

을 받고 입양을 보냈고, 하오는 가난한 남자와 결혼하게 되었다. 결혼 후,


하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졌다. 그녀의 남편은 게으른데다 알코올 중독자
였다. 뿐만 아니라 남편은 돈으로 입양된 아이라는 이유로 하오를 멸시했

- 37 -
다. 남편은 하오에게 돈을 버는 책임을 전가하고 본인은 일을 하지 않았다.

그녀가 유산하여 돈을 벌 수 없게 되자 남편은 무정하게 그녀를 떠난다. 얼


마 후 하오는 병에서 회복되었는데, 남편이 어떤 여자를 데리고 돌아와 있

는 것을 본다. 그 후 남편과 그 여자는 부부처럼 살았는데, 어느 날 남편과

여자가 싸워 여자가 먼저 집을 떠나고, 며칠 후 남편도 떠난다는 내용의 소


설이다.

작가 나도향 탁 럼
제목 벙어리 삼룡이 하오 이모
갈래 단편소설 단편소설
프랑스
배경 일본 식민지(1925년)
식민지(1941년)
1인칭 관찰자시점에서
시점 3인칭 전지적 작가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전환됨.
경향 리얼리즘 리얼리즘
가정 갈등(아내와 가정 갈등 (아내와
갈등구조
남편, 주인과 종) 남편)
사랑이 부재한 아내의 사랑이 부재한
주된 서사
혼인 아내의 혼인

표1. 소설 비교

등장 여성인물 색시 하오(Hảo)
집이 없고 가난한
출생 가난한 어린
여성
가난한 아버지의 딸로 가난한 가정의 딸로
성장 돈 때문에 어쩔 수 돈 때문에 어머니가
없이 오생원의 아들과 자신을 다른 집에

- 38 -
혼인하게 되어 시집을
팔아버린다.
왔다.
결혼한 후

게으르고 알코올
남편으로부터 갖은
위기 중독인
수모와 학대를 당한다.
남편으로부터 갖은

학대를 당한다.
절망으로 자살을
시도하고, 후에 집의 떠난 남편을
결말
종인 삼룡이와 함께 기다린다.
죽는다.

표2. 등장하는 여성인물 비교

표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두 작품은 모두 식민지하의 리얼리즘 작품으


로,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서술된다. 공통적으로 여성인물은 가난한 가정

에서 팔려와 결혼을 하게 되는데, 「하오 이모」가 부부간의 갈등만을 다루


고 있는 것과 달리 『벙어리 삼룡이』에서는 부부간의 갈등뿐만 아니라 주
인과 종의 갈등을 복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표2에서는 등장하는 여성인물을

정리했다.
색시와 하오라는 소설의 주요 여성인물을 분석하는 작업은 식민지 시기
의 여성 결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란 점에서 중요하

다. 두 소설은 가족, 특히 아내와 남편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벙어리 삼룡이」에서 부부의 갈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해 가을이다. 주인의 아들이 장가를 들었다. 색시는 신랑보다 두 살 위인 열아


홉 살이다. 주인이 본시 자기가 언제든지 문벌이 앝은 것을 한탄하여 신부를 고를

- 39 -
때에 첫째 조건이 문벌이 높아야 할 것이었다. 그러나 문벌 있는 집에서는 그리
쉽게 색시를 내놀 리가 없었다. 그러므로 하는 수 없이 그 어떠한 영락한 양반의
딸을 돈을 주고 사 오다시피 하였으니, 무남독녀의 딸을 둔 남촌 어떤 과부를 꿀
을 발라서 약혼을 하고 혹시나 무슨 딴소리가 있을까 하여 부랴부랴 성례를 시켜
버렸다.
혼인할 때에 비용도 그때 돈으로 삼만 냥을 썼다.
.. (중략)...
신부가 오자 신랑의 흠절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신부에게다 대면 두루미와 까마귀지.”
“아직도 철딱서니가 없어.”
“색시에게 쥐여지내겠어.”
“신랑에겐 과하지.”
... (중략)...
"인제는 어른야. 너도 그만하면 지각이 날 때가 되지 않었니. 네 처가 부끄럽지 아
나하냐.”
하고 타이를 적마다 그의 마음은 그 말하는 사람이 부끄럽다는 것보다도 자기를
이렇게 하게 한자기 아내가 더욱 밉살머리스러웠다.
“여편네가 다 무엇이냐> 저 빌어먹을 년이 들어오더니 나를 이렇게 못살게들 굴
지.”43)

위 인용문을 보면 오생원의 집은 문벌을 원했기 때문에 색시의 친정집


에 돈을 주고 혼인을 성사시켰고 또 경제적인 지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색시와 오생원의 아들의 결혼은 양가의 합의하의 이루어진 결혼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계약하의 결혼은 봉건사회에서는 일반적이기도 하다. 그러

나 그러한 결혼은 혼인 당사자의 행복을 가져다주기 어려웠으며, 그 배경에


는 계급과 지위에 대한 차별의식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집주인인 오생원의
아들이 자신의 아내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를 보면 그것을 알 수 있다. 색

시는 결혼 후 시집 온 첫날부터 남편으로부터 대우을 받지 못했다. 반대로

43) 나도향, 『벙어리 삼룡이』, 서울 일신서적출판사, 1992, p. 29-30.

- 40 -
남편은 그녀를 비교하고 아내가 될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다. 누군가 아내를

언급하면 부끄러워하고 혐오감을 느끼기까지 했다. 이 때문에 결혼생활은


더욱 불행하졌으며 이것은 색시에게 있어 비극의 시작이었다. 좀 더 구체적

으로 살펴보면, 영락한 사람의 딸의 결혼 행위는 돈을 받기 위해 자신을 파

는 행위와 거의 같다. 특히 여기에서는 ‘두루미’와 ‘까마귀’의 이미지


가 나타난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민속 개념에서‘두루미’가 우아함과

부를 상징한다면 ‘까마귀’는 오물과 불행의 상징이다. 이것은 결혼 생활

에서 색시의 불행한 미래를 예고하는 신호이기도 하다. 이 사실은 색시를


피하고 아내를 볼 때 불편함을 느끼는 행위를 통해 더욱 분명해진다.

아버지께 꾸중을 듣고 들어와서는 다짜고짜로 신부의 머리채를 쥐어 잡아 마루


`한복판에 태질을 쳤다. 그리고는,
“이년 네 집으로 가거라. 보기 싫다. 내눈앞에는 보이지도 마라.”하였다. 밥상을
가져오면 그 밥상이 마당 한복판에서 재주를 넘고, 옷을 가져오면 그 옷이 쓰레기
통으로 나간다.
이리하여 색시는 시집오던 날부터 판자 한탄을 하고서 날마다 밤마다 우는 사람이
되었었다.
울면 요사스럽다고 때린다. 또 말이 없으면 빙충맞다고 친다. 이리하여 그 집에는
평화스러운 날이 하루도 없었다.44)

위 인용문에 보이는 것처럼, 오생원의 아들은 자신의 아내에게 폭력을


휘둘렀을 뿐 아니라 혐오감까지도 느끼고 있다. 이것은 그의 아버지의 영향
이 클 것이다. 방종한 아들에 의해서 고통을 당한 사람은 젊은 아내였다.
아들은 항상 아내를 학대하고 아내는 매일 밤 ‘운다’는 행위를 통해 그

굴욕을 견딜 수밖에 없었다. 시집으로 온 날부터 색시는 울기만 하고 저항


할 수 없는 사람으로 변했다. 색시는 사랑 없이 결혼한 남편과 살면서 평화

44) 나도향, 앞의 책, p. 31.

- 41 -
로운 날이 없었다. “혼인이란 인간의 무덤이다”라는 말은 색시의 결혼생

활에 단적으로 말해주는 표현이었으며 그녀가 유교적 가부장제 이념의 회


생자임을 보여준다. 여성들은 남편으로부터 거부를 받아도 불만을 표현할

일이 없이 고통을 받아들어야 했다. 여기서 작가는 색시라는 인물을 그려냄

으로 하여 당대 현실에서 여성들이 처하고 있는 문제를 보다 신랄하게 보


여주고 있다. 또한 아버지로부터 꾸중을 들을 때에도 아들은 그 분노를 자

신의 아내에게 향했다. 아내를 볼 때마다 항상 혐오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

은 결국 남편의 마음속 계급 모순이 매우 심오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계급


갈등이 절정에 달했으나 비극이외에 이를 타개할 수 있는 해결책은 없었다.

하루는 어린 주인이 먹지 않던 술이 잔뜩 취하여 무지한 놈에게 맞아서 길에 자


빠진 것을 업어다가 안으로 들여다 누인 일이 있었다. 그 때에 아무도 안에 있지
않고 다만 새색시 혼자 방에서 바느질을 하고 있다가 이 꼴을 보고 벙어리의 충성
된 마음이 고마워서, 그 후에 쓰던 비단 헝겊 조각으로 부시쌈지 하나를 하여 준
일이 있었다.
이것이 새서방님의 눈에 띄었다. 그래서 색시는 어떤 날 밤 자던 몸으로 마당 복
판에 머리를 푼 채 내동댕이가 쳐졌다. 그리고 온몸에 피가 맺히도록 얻어맞았
다.45)

‘부시쌈지’ 하나를 준 행동에 보이는 장면은 이 소설의 절정이자 색


시에 대한 종(삼룡)의 사랑과 비극의 서막일 것이다. 색시는 삼룡이의 충성
스런 마음이 고마워서 부시쌈지를 만들어 주었던 것인데, 이 부시쌈지를 본
남편이 두 사람의 사이를 오해하게 되었고 결말이 비극이 되는 계기가 되
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특별한 점은 나도향 작가가 색시의 이미지를 매우
낭만적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색시는 행복한 날을 보내지 못하고 있
음에도 아랫사람인 종에게 매우 자연스럽게 감사를 표현하고 있는 것을 볼

45) 나도향, 앞의 책, p. 32.

- 42 -
수 있는데, 이것은 그녀에게 내재된 인간적인 본성 때문일 것이다. 혹은 그

녀와 같은 상황에 처하고 있는 사람에 대한 공감에서 발현된 동정심일 수


도 있고, 남편을 도와 준 것에 대한 단순 감사표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사건은 결국 색시와 벙어리가 겪는 비극의 원인이 되었다.

하루는 주인 새서방님이 술이 취하여 들어오더니 집안이 수선수선하여지며 계집

하인이 약을 사러 갔다 들어오는 것을 보고 그 계집 하인을 붙잡았다. 그리고 무


엇이냐고 물었다.

계집 하인은 한 주먹을 뒤통수에 대고 얼굴을 쓰다듬으며 둘째 손가락을 내밀었

다. 그것은 그 집 주인은 엄지손가락이요, 둘째손가락은 새서방이라는 뜻이요, 주


먹을 뒤통수에 대는 것은 여편네라는 뜻이요, 얼굴을 문지르는 것은 예쁘다는 뜻
으로 벙어리에게 쓰는 암호다.
그런 뒤에 다시 혀를 내밀고 눈을 뒤집어쓰는 형상을 하고 두팔을 짝 벌리고 뒤로
자빠지는 꼴을 보이니, 그것은 사람이 죽게 되었거나 앓을 적에 하는 말 대신의
손짓이다.46)

위 인용문에서 계집 하인의 손짓은 색시와 벙어리가 서로 접촉했다는


뜻으로 집주인(새서방)에게 전달된다. 계집 하인의 이야기를 통해 갈등이

점화되었다. 중요한 것은 색시에게는 변명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


이다. 새서방과 하인의 이야기를 통해 서술자는 암묵적으로 비극을 가장 높
은 지점으로 밀어 올린다.

그날 저년 밤은 깊었는데 멀리서 닭이 우는 소리와 함계 개 깆는 소리뿐이 들린


다.
난데없는 화염이 벙어리 있던 오 생원 집을 에워쌌다. 그 불을 미리 놓으려고 준
비하여 놓았는지 집 가장자리로 쪽 돌아가며 흩어놓은 풀에 모조리 돌라붙어 공중
에서 내려다보면은 집의 윤곽이 선명하게 보일 듯이 타오른다.

46) 나도향, 앞의 책, p. 37.

- 43 -
...종락...
그때야 그는 새아씨가 타 죽으려고 이불을 쓰고 누워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색
시를 안았다. 그러고는 불길을 찾았다. 그러나 나갈 곳이 없었다... 새아씨를 자기
의 가슴에 안았을 때 그는 이제 처음으로 살아난 듯하였다... 그의 울분은 그 불과
함께 사라졌을는지! 평화롭고 행복스러운 웃음이 그의 입 가장자리에 엷게 나타났
을 뿐이다.47)

이것이 『벙어리 삼룡이』의 비극적인 결말이다. 오생원의 집에 불이 났

지만 이 화재의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그리고 삼룡이가 구하고자 했던 색


시가 죽었는지 여부도 알 수 없다. 그러나 이 화재가 불행한 삶으로부터 그
녀를 해방시킨 것은 틀림없다. 학대를 당하며 사는 것보다 죽음을 택할 수

도 있는 것이다. 특히 이 부분에서에 나타난‘불’은 여러 가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불’은 어두운 현실을 파괴하려는 성질을 지닌 물질
이며 불행한 삶과 악한 것을 포함하여 모든 것을 전소시킨다. 둘째, ‘불’
은 재생과 같으며 여기서는 행복한 삶에 대한 희망과 믿음으로 재생성된다.
이렇게 생각할 때, 그 화재를 일으킨 사람은 자신의 삶을 ‘불’로써 재현
하기를 원했던 사람, 즉 색시였을 것이다. 색시의 극단적인 선택은 또한 자
신의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는 무기력함을 보여주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
라 축적된 울분이 해소됨을 부분적으로 보여준다.
색시와 마찬가지로 『하오 이모』의 하오 역시 가난한 가족에서 출신하
고 남편으로부터 학대와 멸시로 큰 고통을 받는 처지다. 이를 살펴보기 위

해 베트남 소설『하오 이모』에 대해 살펴보자. 이 소설은 1941년에 발표된


남까오의 작품으로 식민지하 여성의 불행한 혼인을 그리고 있다. 이 소설은
낭만주의와 리얼리즘이 혼합된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소설은 당시 원치않

는 혼인의 비극성을 치밀하게 드러내고 있다. 가혹한 종교의식은 해당 여성

47) 나도향, 앞의 책, p. 39.

- 44 -
의 자유와 사랑에의 의지를 꺾어 버리면서 연약한 여성으로 변모시킨다. 그

러나 그 한편에서도 해당 여성은 결코 자신이 갖지 못할 행복을 간절히 꿈


구고 있다.

그녀의 남편은 그녀에게 딸을 남겨두고 죽었다. 딸은 그 남동생보다 3-4살 더 나


이가 많았다. 그래서 딸은 어머니가 남동생을 돌보는 것을 도울 수 있었다. 그러나
어느 날 그녀는 아들이 혼자서 외출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그는 개와 함께 마당
에서 놀면서 집을 지킬 수도 있었다. 이제 딸은 불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어
느 날 그녀는 죽은 남편에 대해 생각했다. 젠장! 남편이 죽었을 때 그녀에게는 남
은 돈이 없었다. 그녀는 여기저기 뛰어다니며 약 12여 개의 은화를 마련해야 했다.
그 빚은 마을에 세금을 내기에 충분했다.48)

색시는 가난한 아버지의 딸로 돈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오생원의 아들과


결혼해야 하면 하오의 가족은 너무 가난해서 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를 돈이
없었다. 당시 베트남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세금을 내야 했는데, 이는 당시
정권의 착취 정책을 보여 주는 것이다. 남편의 갑작스러운 사망과 그로 인
해 생긴 빚 때문에 그들의 생활은 어려웠다. 그러한 이유로 어머니는 하오
를 돈을 받고 입양 보낸 것이다. 가족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오와
색시는 수동적으로 단점을 수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오 이모야. 결혼한 날을 아직도 기억한다. 그 오후에 이슬이 내렸다. 그들은 해


질녘에 하오 이모를 데리러 왔다. 사람은 별로 많지 않았고 열 명 정도였다.…(중
략)… 그는 하오를 사랑하지 않았다. 정말로. 그는 사랑하지 않았다. 심지어는 하
오를 멸시했다. 그는 하오가 입양된 아이라는 것을 멸시하다. 그리고 그는 가난한
데도 일하지 않았다. 그는 결혼한 후 아내에게 돈을 벌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생
각했다. 하오도 같은 생각을 했다. 하오는 매일 2항을 벌고 5센트를 소비했다. 남
은 돈으로는 술을 샀다.49)

48) 남 까오, 『남 까오 단편소설집』(Tuyển tập truyện ngắn Nam Cao), 문학출판사, 2016,
p. 255.

- 45 -
하오의 불행한 삶은 원치않는 혼인을 하게되면서 본격화된다. 위 인용문

에서는 해질녘에 사람도 없이 결혼식을 한 것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것은


하오의 혼인이 불행한 결혼 생활로 점철될 것을 암시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오생원의 아들처럼 하오의 남편은 그녀를 사랑하지 않았고 하오의 출신배

경이 천하다는 이유로 차별했다. 뿐만 아니라 이 게으른 남편은 아내가 생


활을 유지하기 위해 돈을 버는 사람이어야한다고 생각했다. 아내는 남편에
게 술을 마실 돈까지 마련해야 했다. 그럼에도 하오는 가정을 이끌어 나가
기 위해 모든 것을 감내하고 받아들지만 그녀의 불행한 삶은 거기서 끝나

지 않았다.

아이는 유산되었고 하오 이모는 마비되었다. 매일 일 하지 않으면 두 항을 벌 수


없다. 남편은 그것이 불행한 아내의 잘못이라고 생각했다. 처음에 그는 그것을 개
의치 않았다. 남은 돈이 있어서 쌀과 술은 충분히 먹을 수 있었다. 그러나 술을 없
어진다. 밥도 그랬다. 그때가 되어 그는 참을 수 없게 되었다. 그는 무차별 적으로
저주했다. 그는 부자들을 저주하고 삶을 저주했으며 마침내 아내를 저주했다. …하
오 이모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우왕. 하오 이모는 울었다. 토해내는 것처럼 울
었다50)

돈을 벌지 못하게 되자 아내는 유산을 하고도 남편에게 학대를 받았다.


그것은 여자의 가장 큰 불행과 굴욕이었다. 유산 후, 하오는 일할 수 없었
고, 남편에게 저주당하는 고통을 겪는다. 그런 남편을 위해 하오는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면서 받아들이기만 했다. 그 무자비한 남편이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하오는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불평하지 않았다. 사

악한 병이 치료하였을 때 남편은 여성을 데리고 집에 돌아왔다. 그러나 여


전히 이전과 마찬가지로 하오는 그 모든 것을 참을성 있게 견뎌냈다.

49) 남 까오, 위의 책, p. 256.


50) 남 까오, 위의 책, p. 257.

- 46 -
하오는 자신의 운명을 알고 있다. 눈을 감고 그것을 보지 않았다. 이모는 한마디
도 하지 않고 울었다. …그녀는 배고픈 고양이와 같습니다. 하오가 영원히 그렇게
될 수 있다면!51)

『하오 이모』에서 주인공 하오는 전통적인 도덕관의 영향을 많이 받는

여성이다. 하오는 당시 사회에서 약하고 온화한 대다수의 여성을 표상한다.


남편이 자신을 어떻게 대우하든지 마음을 바꿔먹지 않으며 결혼을 하면 아

내의 책임과 의무를 다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반대로 하오의 남편은 식민

지 사회에서 여성을 차별하려는 대다수의 남성을 표상한다. 이 남성들은


식민지라는 2등 국민의 설움을 도리어 자신보다 약자인 여성을 천시하면서

보상받고 싶어 하는 심리를 드러내면서 가정에서의 모든 것을 결정할 권리


를 행사하고 싶어한다.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와 남 까오의 「하오 이모」는 공통적으로

혼인을 통해 여성인물이 겪게 되는 고난과 당면한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


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 두 작품에 드러난 여성인물들은 식민지 사회에
서 억압적 구도에 놓여 있는 여성을 표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성인물

들은 스스로 혼인을 결정할 수 없으며 가장의 지시를 따라야하므로 배우자


와 사랑에 이르는 과정 없이 결혼하여 자유를 상실한다. 「벙어리 삼룡이」
의 색시와 「하오 이모」의 하오와 같은 여성은 남편의 학대를 일상적으로

겪고 있으며 이 불합리함에 대해 저항할 수 없다. 그들은 남편에게 사랑받


기를 갈망하지만 그로 인해 더 많은 고통을 겪게 되었다. 이들 작품에서 하
오와 색시의 성격은 매우 범약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하오는 자발적으로 삶

의 길을 찾아 나서지 못하였지만, 색시는 자유를 얻기 위해 극단적인 선택

을 감수했다.

51) 남 까오, 앞의 책, p. 258.

- 47 -
이러한 여성인물들은 20세기 초 한국과 베트남의 여성의 일면을 보여준

다. 이 시기 가부장제적 사회 분위기에서 속박된 여성들은 스스로의 자유와


행복 추구에 대한 욕망을 포기하고 모든 상황을 받아들여야 했다. 자신의

삶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가정의 예절을 지키고 여성

의 도덕성을 지켜나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3.2. 매음녀로 전락한 여성인물과 사회적 시선

문학 속에서 매음은 매우 빈번히 등장하는 주제 중 하나이다. 유교의 영

향이 깊은 사회에서 매음은 용납될 수 없었으며 이는 인간도덕에 위배되는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이 문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꾸준히 발생해왔

고, 특히 식민지하에 여성들은 자신과 가족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몸을 팔


아야 했다. 한국과는 달리 베트남에서는 매춘이라는 소재는 작가의 관심을
끌지 못했는데, 그것은 윤리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소설에서 이 문제에 대
해 언급한 작가가 있기는 하였으나 대부분은 다른 작가들로부터 비판적으
로 독해되었다.52) 또한 이 시기에 매춘을 다루는 저작물은 출판이 금지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이 주제에 대한 작품 수가 많지 않는 것은 수순이었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를 살펴보면 부종 풍, 응우옌 홍, 탁 럼 등의 뛰어난 작


품을 찾아볼 수 있다. 이번 장에서는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와 탁 럼의
『기아』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이 매음녀로 전락하는 이유와 사회가 이 문
제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우선 김유정에 대해 살펴보면 김유정은 1908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


났다. 12세 때 고향을 떠나며 1923년 재동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으며 같은

52) 1930년대(1936-1939) 전통 가치와 도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들병이’ 소설은‘자력


문단’의 다른 작가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 48 -
해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 후 훗날 소설가가 된 안회남과 만나 교류했

다. 1929년 휘문고보를 졸업하였고 이 시기부터 소설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1931년에는 강원도 춘천의 실레마을에서 돌아와서 1932년에 야학당‘금병

의숙’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해에 첫 소설 『심청』을 썼고 1933

년 만에 질병을 받은 상태에서 3편의 단편을 썼다. 그중에 『산골 나그네』


와 『총각과 맹꽁이』를 발표하였다. 1934년부터 『솥』,『소낙비』, 『노

다지』등을 썼다. 또한 이후 『금 따는 콩밭』, 『봄봄』, 『따라지』, 『두

껴비』, 『동백꽃』 『땡볕』 등의 작품을 연이어 장작하고 발표하였다. 작


품 활동을 하는 내내 병마에 시달리던 김유정은 1937년 세상을 떠났다. 김

유정의 문학세계에서는 토속적 인간군상을 주로 발견할 수 있는데, 그가 형

상화한 여성인물에 대해서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그의 작품은 주


로 가난한 농촌 지역이나 외딴 지역을 기반으로 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여

성인물들은 대부분 착한 성격과 결백한 외모를 가진 어린 소녀이다. 이것은


『산골 나그네』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산골 나그네』를 보면 궁벽한 산골에서 어머니와 같이 살고 있는 덕
돌의 집에 헐벗고 굶주린 나그네가 찾아오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 나그
네는 여성이며 유랑민이다. 산골의 가난한 집에 들어오다가 여주인의 도움
으로 며칠 동안 기식하게 된다. 그러다가 그 집의 아들 덕돌이 나그네에게
하도 치근대는 통에 함께 살면서 주막집에서 일하기 시작한다. 나그네 덕분

에 집주인은 큰 수입을 올렸다. 이 때문에 주인은 그녀가 아들 덕돌과 결혼


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혼과 다른 일들이 나그네의 관계없이 오직
수동적으로 진행하며, 나그네 자신은 통 아무 말도 없다. 집주인과 아들 덕

돌은 행복하지만 나그네의 생각을 통 알 수 없다. 그리고 어느 날 밤에 갑


자기 나그네는 덕돌의 겨울옷을 가지고 떠난다. 잠을 자다가 덕돌과 어머니
는 모두 나그네의 수상한 행동의 이유를 모르고 허둥댄다. 그런데 나그네에

- 49 -
게는 자신을 기다리는 병든 남편이 있었고 그 남편을 위해 옷을 훔쳐 달아

난 것이다. 나그네의 이러한 행동을 모르고 있는 덕돌은 수런대며 나그네를


찾아나서고, 나그네는 훔쳐온 옷을 병든 남편에게 입한 뒤 그 밤에 산길을

달아난다는 이야기이다.

베트남 작가인 탁 럼(Thạch Lam)은 1930년에서 1945년까지 베트남 문학


의 유명한 작가 중 한 사람이었다.53) 탁 럼은 1910년에 하노이에서 공무원
관할 가정에서 태어나 1942년 타계하였다. 그는‘자력문단’의 회원이었지
만, 창작하는 스타일은‘자력문단’과는 매우 성격이 다르다. 그는 자신만
의 독창적인 스타일로 베트남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탁 럼의 생애

는 짧았기 때문에 남긴 작품은 많지 않은 편이다. 『조기 몬순( Gió đầu

mùa 1937)』, 『정원에서 햇빛(Nắng trong vườn 1938)』, 『모발( Sợi tóc
1941)』이라는 3권의 단편 소설집만이 남겨져있다. 탁 럼의 문학은 항상 현

대사회에서 가난한 노동계급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탁 럼의 단편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은 진흙투성이의 정체된 마을, 이슬비가 내리는 우울
한 하늘 아래 초라한 시장, 또는 가난하고 황폐한 교외 등이다.
탁 럼의 소설 『기아』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여성인물이자 주인공인
‘마이’는 작은 시장 근처에 위치하는 허름한 방에서, 실직한 남편과 함께
살고 있다. 그 어두운 방에 있는 물건들은 오래되고 별다른 가치를 지니지
못하는 것뿐이다. 실직으로 인해 마이 부부의 생활은 어려웠고 굶주림에 시
달리게 된다. 하루는 돈을 빌리고자 했지만 거절을 당하게 된다. 마이는 집
으로 돌아와 조용히 남편의 지친 모습을 본다. 남편이 굶주려 하는 것을 본
마이는 연민을 느끼게 된다. 그날 오후, 마이는 남편에게 맛있는 음식과 돈

을 가져다주었는데, 그것은 마이가 몸을 팔아서 얻은 것이었다. 그 사실을


알게 된 남편은 크게 분노하여 음식들을 버리고 아내를 집 밖으로 쫓아낸

53) 응우엔 티 쑤안 쿠인, 『문화적 관점에서 탁람의 산문.』, 하노이 국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p. 5.

- 50 -
다. 마이가 나간 후, 남편은 다시 배고픔을 느꼈다. 남편은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자신이 버린 음식을 집어 든다. 이 소설은 도덕적 정조관념보다 본능


적 굶주림이 더 우선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와 탁

럼의 『기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작가 김유정 탁 럼
제목 산골 나그네 기아
갈래 단편소설 단편소설
프랑스
배경 일본 식민지 (1935년)
식민지(1940년)
시점 3인칭 관찰자 3인칭 관찰자
경향 리얼리즘 문학적 리얼리즘 문학적
사회, 덕돌, 남편과 아내 사회 갈등, 남편과
갈등구조
사이 갈등 아내 갈등
매음녀로 전락한 매음녀로 전락한
주제
여성인물 여성인물

표3. 소설 비교

인물 산골 나그네 마이
여성인물의 직업 노동자 노동자
남편을 위해 돈과
들병이가 된 동기 남편의 겨울 옷장만을 얻기
음식을 얻기
들병이의 대상 덕돌, 마을청년 청년

표4. 여성인물 비교

표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두 작품은 모두 식민지하의 리얼리즘 작품으


로,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서술된다. 표4에서는 각 여성인물의 행위를 정

리하였다. 공통적으로 여성인물은 남편에게 필요한 물품을 얻고 삶을 영위

- 51 -
하기 위한 최소한의 경제적 이득을 위해 몸을 팔았다. 『산골 나그네』의

나그네가 남편의 옷을 훔쳐 달아났던 것과 달리 『기아』에서는 부녀자가


돈과 음식을 얻고 있다.

『산골 나그네』의 여성주인공은 병든 남편에 필요한 물품을 얻기 위해

다른 남자와 위장결혼을 한다. 이 작품은 여성주인공이 왜 이러한 행동을


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밥숫갈을 놋키가 무섭게 주인은 이야기를 부치기 시작하엿다. 미주알주알 물어


보니 이야기는 지수가 업다. 자긔로도너머 지처물은 듯시플만치 대구추근거렷다.
나그내는 실탄긔색도 좃탄긔색도 별로업시 시납으로 대하엿다. 남편업고 몸부칠
곳 업다는 것을 간단히 말하고 난뒤 “이리저리엇어먹어단게유”하고 턱을 가슴에
뭇는다.54)

밤사이에 한 산골주막에 나그네가 왔다. 홀어머니는 그 여성에게 밥을


주며, 이것저것 물어봤다. 그녀는 열아홉이고 남편은 일찍 죽었기 때문에
갈 곳이 없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 말을 듣고 홀어머니는 아직 결혼을 하지
못한 아들 덕돌과 나그네가 혼인하기를 원한다.

“저도 인젠 떠나겟세유”
그가 조반 후 나드리옷을 박구어 입고 나스니 나그내도 떠라 이러슨다. 그의 손을
잔상히 붓잡으며 주인은
“고달플 테니 몃칠 더 쉬여가게유”하엿으나
“가야지유 너머 오래 신세를……”
“그럼 염려는 말구”라고 누르며 집 지켜주는 심치고 방에 누엇스라, 하고는 집
을 나섯다.55)

54) 전신재 편, 『원본 김유정 전집』 ,강, 2007, p. 18-19.


55) 전신재 편, 위의 책, p. 19-20.

- 52 -
다음날 아침식사 이후 나그네가 떠나가려고 했는데 홀어머니는 “고달

플 테니 몃칠 더 쉬여가게유”라고 대답했다. 홀어머니는 나그네와 아들의


혼인시키고자 그녀를 붙잡은 것이었다. 나그네는 홀어머니의 청을 거절하지

못하고 주막에 들어오는 손님들을 상대로 말도 없이 들병이 노릇을 했다.

나그네가 성실하게 일하는 것을 보고 어머니는 그녀가 마음에 들었다. 이


장면을 볼 때 나그네가 좋은 성격을 가진 사람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녀는

어려운 상황에서 덕돌의 어머니가 도움(쌀과 기타)을 준 것에 보답하고자

열심히 노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나그내 홀로 자는 방에 덕돌이가 들어갈리 만무한데 정녕코 그놈일 게다. 마루


헤 자그마한 나그내의 집석이가 노힌 그엽흐로 질목채벗은 왕달집석이와 왁살
스럽게 노엿다. 그러고 방에서는 수군수군 나즌말 말소리가 흘러 저나온다. 그는
무심코 닷은 방문로 귀를 기우렷다.
“그럼 와 그러는 게유? 우리집이 굶을 봐 그리시유?”
“......”
“어머이도 사람은 조하유.... 올에 잘만하면 내년에는 소 한 바리 사놀 게구 농
사만 해두 한해에 쌀넉섬 조엿섬 그만하면 고만이지유……내가 실은 게유?”
“......”
“사내가 죽엇스니 아무튼 엇을게 지유?”옷 타지는 소리. 부시럭어린다.
“아이!아이!아이 참! 이거 노세유.”
쥐 죽은 듯이 감감하다.56)

위 인용문에서는 나그네와 덕돌이가 첫날밤을 지내는 장면을 그리고 있


다. 그 후, 둘은 결혼을 하게 된다. 여기서 덕돌 어머니는 그녀를 딸처럼 대

하고 은비녀와 은가락지도 선물한다. 어머니는 나그네를 잘 돌보았지만 나


그네는 완전히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았다. 편안한 생활을 하고 있는데도 나
그네는 어느 날 덕돌의 겨울옷을 가지고 떠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훔쳐간

56) 전신재 편, 위의 책, p. 23~24.

- 53 -
것을 그 옷뿐이었고 선물 받았던 은비녀는 두고 갔다. 이것을 볼 때 나그네

의 행동이 완전히 탐욕에서 온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나그네는


단순히 그를 기다리고 있는 병든 남편에게 입힐 따뜻한 옷이 필요했던 것

이다. 덕돌과 그의 어머니에게는 불행한 일이지만 그녀가 남편에게 돌아가

고자 했던 마음은 존중할 가치가 있다.

10분 가량 지났다. 거지는 호사하였다. 달빛에 번쩍거리는 겹옷을 입고서 지팡이를


끌며 물방앗간을 등졌다. 골골하는 그를 부축하여 계집은 뒤에 따른다. 술집 며느
리다.

"옷이 너무 커, 좀 적었으면……."

"잔말말고 어여 갑시다 펄쩍."

계집은 부리나케 그를 재촉한다. 그리고 연해 돌아다보길 잊지 않았다. 그들은 강


길로 향한다. 개울을 건너 불거져내린 산모퉁이를 막 꼽뜨릴려 할 제다. 멀리 뒤에
서 사람 욱이는 소리가 끊일 듯 날 듯 간신히 들려온다. 바람에 먹히어 말저는 모
르겠으나 재없이 덕돌이의 목성임은 넉히 짐작할 수 있다.

"아 얼른 좀 오게유.".57)

나그네는 남편이 있었지만 병든 남편에게 겨울옷을 가져다주기 위해 덕

돌의 집에 들어가서 덕돌과 위장결혼하고, 들병이 생활도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남편은 그것을 알고 있는데 훔쳐온 옷이 크다고 불평하고 있다. 병
든 남편은 자신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아내에게 의

존하여 살고 있다. 남편은 버리지 않고 집에 다시 돌아온 나그네 아내에게


깊은 고마움의 표현을 한다. 이 부분은 어려운 현실 속에서는 도덕적 관념
이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덕돌과 결혼생활을 유지한다면 나그네는 편안한 삶을 살 수 있었지만

나그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병든 남편이었으며, 그와의 가정을 유지하기

57) 전신재 편, 위의 책, p. 27-28.

- 54 -
위해 덕돌과 위장결혼을 한 것이었다. 위장생활 속에서 나그네는 삶을 유지

하기 위해 본능적으로 자연스럽게 행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그네의


자연스러운 매춘행위의 목적은 병든 남편을 위해 필요한 물품을 얻는 것이

다. 병든 남편과의 삶은 그 남편이 죽을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이것을 생

각할 때 병든 남편과 함께 있는 것은 무거운 짐이 될 것이다. 그런데도 나


그네가 남편에게 돌아간 것은 헌신적이고 희생적이라고 할 수 있다. 아내의

행위는 다른 사람에게 비인간적이지만 남편에 대한 사랑만큼은 깊은 의미

를 가지고 있다.

『산골 나그네』의 나그네처럼 베트남 소설『기아』의 여주인공 마이도

가정에서 필요한 물품을 얻기 위해 매출을 한 여성인물이다. 이 작품에서


아내의 매춘에 대한 남편의 견해는 그의 태도와 행동을 통해 명확하게 표
현된다. 특히 베트남은 유교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여성의 도
덕성이 훼손되는 것을 용납 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작품의 배경이 된 극심
한 사회적 빈곤은 사람의 도덕적 관념을 변화시켰고 이는 구체적인 행동으
로 드러났다고 말할 수 있다. 빈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도가 달리 없다고
판단될 때, 사람은 최악의 행위를 선택한다. 마이는 그러한 상황에 빠진 대
표적 여성인물이다.

그의 아내는 침대에 가서 조용히 신을 보고 아무 말도하지 않았다.

그녀의 손을 잡고 사랑스럽게 물었다.

- 어디서 일찍 갔었어?

- 바 부인에게서 돈을 빌러갔다 왔어.

- 빌렸어?

신의 아내는 남편을 보고 한숨을 쉬며 고개를 저었다.

- 지금 우리를 빌려준 사람 없대. 그녀는 우린 도움을 준 것에 여전히 기억하지


않았다.

- 55 -
슬퍼하며 우울하게 말했다.

- 삶이 그래. 지금 어떻게?

신은 쌀 없음을 생각했지만 주머니에 작은 동전도 없다 ... 이틀 동안, 부부는 마지


막 식사를 날려 굶주림이 그를 비참하게 만들었다.

- 어떻게?58)

굶주림으로 인해 마이는 자신이 도움을 주었던 사람들로부터 돈을 빌리


고자 했지만 그럴 수 없었다.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었던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을 겪을 때 외면당했던 것이다. 마이 부부는 해결책을 찾을
수 없어 무기력하고 절망적이다. 아마도 이것이 마이가 돈을 얻기 위해 매
춘을 하게 된 결정적인 원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삶을 유지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이었다. 무능한 남편의 불평하는 말은 마이에게 행동하도
록 동기를 부여했다. 그리고 마이 부부는 현재 상황에서 다른 선택의 여지
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마이와 나그네의 행위는 분명한 동기가 있기 때
문에 자발적이지 않다.

오! 이것은 어디에 있어? 마이는 어디서 어떻게 샀어?

마이는 신의 질문을 들었다.

-그냥 먹어! 나 말 할게. 얼마나 운이 좋았는지, 그 여자는 너무 좋았다.

-누구야? 말해봐.

마이는 사랑스럽게 남편을 보았다.

-아니, 그냥 먹어. 먹는 동안 나는 이야기 할 것이다.

... (중략)...

신은 행복하게 말했다.

-그렇지 않다면 오늘 굶어야 할 것 같다. 근데 왜 이걸 많이 샀니?59)

58) 탁 럼, 앞의 책, p. 29.
59) 탁 럼, 앞의 책, p. 31.

- 56 -
돈을 빌리지 못했는데도 마이는 비싼 음식과 돈을 가져왔다. 마이는 남
편 신에게 돈을 빌려오겠다고 말했고 남편을 그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남편은 비로소 굶주림을 해소시킬 수 있어서 행복해했다. 아내가
돈을 빌려와서 물품을 가져다주는 것에 행복감을 느낀다. 마이와 남편 사이
의 대화는 그들 생각이 모순됨을 보여준다. 마이의 남편이 아내가 어떻게
물건을 구해왔는지 궁금해 했고, 마이는 어색한 거짓말로 진실을 숨기고 있
다. 남편은 이 음식이 지금 부부의 굶주림을 해결해 줄 것이기에 기뻐하지
만, 마이는 과연 이 상황을 어떻게 느낄 것인가? 이것은 남편을 향한 친밀
한 몸짓이나 눈을 통해서 분명해진다.

마이는 갔다. 신은 갑자기 땅에 떨어지는 종이 한 장을 보았으며 집어 들고 읽었다.

“마이, 여기서 약속 한 돈을 주겠어. 더 많이 갖고 싶으면 더 주겠어. 그러니까 어


떻게든 당신은 오늘 밤 약속을 지켜야 해. 난 기다릴게.”60)

신이 읽은 종잇조각의 내용은 마이가 그에게 말한 것과 달랐다. 신은 항


상 아내를 믿었고 아내가 그런 일을 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신은
무엇인가가 심장을 압박하여 호흡을 멈추게 한 것처럼 아픔을 느꼈다. 행복
했던 남편 신은 이제 아내에게 실망했고 그녀를 창피하게 여겼다. 이제야
신은 아무도 아내에게 돈을 빌려주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고 모두 거짓말
이었음을 알았다. 빈곤이 여성을 품성과 도덕성의 관점에서 타락시킨 셈이
다. 그러나 마이가 성매매를 받아들인 것은 남편의 굶주림을 해결하기 위함
이었고 남편을 사랑하기 때문이었다. 그녀가 남편에게는 가장 잘 얻기 위해
거짓말과 희생을 받아들이는 것은 『산골 나그네』의 나그네에서도 볼 수
있다. 이 두 여성인물은 모두 특정 목적으로 유사한 행동을 한다. 그러나
나그네가 구체적인 정황을 알지 못하는 남편에게 감사함의 표시를 받았던
것과는 달리 마이는 훨씬 더 고통스러운 결과를 얻게 된다.

60) 탁 럼, 앞의 책, p. 33.

- 57 -
그는 마음에 분노가 솟아오르는 것을 느꼈다. 그의 입술은 자연스럽게 떨리다. 떨
었던 신이 욕했다.

-이년

...(중략).

오호! 무슨 일이야?

웃음으로 신의 이빨이 삐걱 거렸다. 거대한 웃음소리는 미친 사람의 웃음소리와


같았다.

- 뭐라고? 왜냐고 물었어?. 음, 거짓말하지 말고 거짓말하지 마.

신은 손을 펴서 구겨진 종이를 내밀었다.

-이게 무슨 종이야?61)

매춘한 사실을 알고 있는 신은 아내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동하


는 것을 보고 더욱 화를 냈다. 그는 이 사실을 용납할 수 없고 용서할 수도
없었다. 남편의 관점에서 아내가 한 일은 여성의 도덕성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었다. 유교에 영향을 받은 사회에서 그러한 행위는 옳지 못한 행위이
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내의 행동은 남편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한 것이며
어떤 측면에서는 고귀한 희생이라고도 볼 수 있는 것이다. 같은 희생이지
만, 마이의 희생은 남편의 눈에 부적절해 보인다. 마이의 행동은 그녀의 애
정에서 비롯되었고 『산골 나그네』의 나그네에게서는 아내의 책임감을 살
펴볼 수 있다.

신은 테이블 아래에 떨어진 음식을 찾으려고 몸을 굽히고 둘러보았다. 더 이상 마이


가 거기에 서있지는 않았다.

주저하고 겁에 질린 손으로 신은 굵게 썬 고기 조각을 집어 들었다.

그는 씹지도 않고 삼켰다. 기름기 많은 고기를 손에 쥐고 생각 없이 입에 넣었다.62)

61) 탁 럼, 앞의 책, p. 34.
62) 탁 럼, 앞의 책, 2016, p. 34.

- 58 -
굶주림으로 인해 남편 신은 아내가 가져온 음식이 어디에서 어떻게 왔
는지 더 이상 관심이 없었다. 굶주림으로 인해 사람의 본능이 도덕성보다

우위를 점한다. 그는 몇 분전에 버린 음식을 이제는 부끄러움 없이 집어먹

을 수 있었다. 위의 인용문에서는 신의 행동을 통해 무능하면서도 완고한


남편의 태도를 부분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산골 나그네』와 『기아』는 공통적으로 수단을 가리지 않고 굶주림을


극복하여야 하는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제국주의 통치가 가져온

굶주림은 생존을 목적으로 여성들로 하여금 매춘을 하도록 만들었다. 그리

고 『기아』에 나오는 것처럼 여성은 남편으로부터 존중을 받지 못하고 추


방된다. 두 작품은 가난과 굶주림 때문에 아내를 팔아야 하는 식민지 사회
의 전형적인 남성의 모습을 표상한 것이고, 그 속에서 남편에 대한 아내의

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작품은 식민지에서 살아가는 빈곤한 여성인물


의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비참한 여성들의 운명은 독자로
하여금 공감하게 만든다. 『산골 나그네』와 『기아』는 무력한 인간의 고

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여성인물들이 어려운 상황에도 남편에게 보인


사랑과 희생은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3.3. 식민지 하 여성인물의 운명과 극복

식민지하 베트남인과 한국인은 가혹한 통치를 받아 극도로 열악한 삶을


살았다. 특히 여성들은 관습과 반봉건 식민지 정책에 의해 이중으로 속박을

받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스스로 운명을 변화시키기


위해 관습과 지배계층의 압력을 극복하고자 하는 여성들도 있었다. 이번 장
에서는 현진건의 『불』과 김 란(Kim Lân)의 『주운 아내』에 등장하는 여

- 59 -
성인물들의 불행한 운명에 대해 고찰하고 그 불행을 극복하는 방법을 살펴

볼 것이다.
우선으로 현진건에 대해 살펴보자. 현진건은 1900년에 대구에서 출생하

였다. 1912년에 일본의 세이조중학에 입학하여 1917년에 졸업하였다. 1921

년에 조선일보사에 활동하여 1936년에『동아일보』 기자로 재직하였


다. 1920년대 단편 『희생화』, 『빈처』(1921),  『술 권하는 사회』

(1921), 『타락자』(1922), 『할머니의 죽음』(1923), 『악마와 가치』(1924),

『운수좋은 날』(1924), 『불』(1925), 『첫날 밤』(1925), 『B사감과 러브레


타』(1925), 『사립정신병원장』(1926), 『고향』(1926) 등을 발표하였다.

1943년에 타계하기까지 현진건은 20세기 전반에 걸친 한국의 대표적인 소


설가이다. 염상섭과 함께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적 작가이며 자연주의, 사실
주의 문학을 통해 근대문학의 확립에 기여했다. 『불』(1925)은 그가 『개
벽』제55호에 발표한 작품이다.
『불』의 줄거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작품은 불행한 여성인물인
열다섯의 어린 ‘순이’에 대한 이야기다. 순이는 가난한 상황 때문에 시집
을 간다. 그런데 성적인 미숙함으로 인해 밤에 남편과의 관계를 매우 힘들
어 한다. 순이는 밤에 남편의 학대를 피하기 위해 헛간에 숨어 잠을 잤지만
아침에 일어날 때 ‘원수의 방'이라 명명한 자기 부부의 방에 누워있는 자
신을 발견한다. 뿐만 아니라 순이는 항상 시어머니에게서 학대를 받고 힘겹
고 고된 농사일을 해야 한다. 그러면서도 시어머니는 순이를 학대한다. 어
느 날 아침 순이는 역시나‘원수의 방’에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뛰어나오

다 그릇을 깨 시어머니로부터 매질을 당한다. 순이는 자신이 겪고 있는 모

든 고통이‘원수의 방’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결국 ‘원수의 방’


을 없애기 위해 마침내 집에 불을 지른다. 이 소설은 가부장제의 한계 속에
서 자신의 비극적 운명을 예감하고 이에 대해 결코 순응할 수 없었던 여성

- 60 -
인물의 극복 시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주운 아내』의 작가인 김 란은 1920년에 북부지역 박닌에서 출생하였

다. 가정환경이 가난했기 때문에 김 란은 어렸을 때 학교를 그만두고 생계


를 유지하기 위해 일을 해야만 했다. 1944년에 김 란은 국가구원문화협회에

참가하며 저항과 혁명을 위한 예술활동을 전개했다. 김 란의 작품들은 『마

을』, 『주운 아내』, 『나쁜 강아지 소설집』 등 주로 고향과 인간을 묘사


하고 있다. 『주운 아내』는 1945년에 일어난 끔찍한 기근을 그리고 있으며

애정의 아름다움과 삶의 소망, 가난한 노동자가 가진 미래에 대한 믿음을

찬양하고 있다.
「주운 아내」의 시대적 배경은 기근으로 인해 사람들이 파리처럼 죽어나

가고 기근을 극복할 수 있을 거라 믿는 이가 전무한 사회적 분위기에 놓여


있는 시절이다. 가난으로 아내를 맞이하지 못하는 이주민 짜앙은 어느 날
벼를 도시에 수레를 끌고 가다가 한 여자를 만났다. 그 여자가 집으로 따

라와 그들은 부부가 되기로 하였다. 짜앙은 기근으로 인해 사방에서 사람이

굶어 죽어 가는 마당에 어떻게 장가를 들어 아내의 먹을거리까지 책임질


것이냐는 마을사람들의 만류에도 어머니에게 그 여자를 보여주었다. 부부의
신혼 첫날밤에도 밖에서는 기근으로 사람이 죽어 우는 소리를 들을 수 있

다. 다음 날 아침에도 그들의 끼니는 초라했다. 보통 죽 반 그릇과 목이 메


도록 쓴 감이 전부였다. 그렇지만 이렇게 초라한 끼니를 먹으면서도 짜앙과
주운 아내는 미래에 대한 소망을 잃지 않았다. 운명의 상대를 아내로 데려
옴으로써 자신의 곤궁한 인생을 극복하겠다는 남주인공 짜앙의 강렬한 의
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과 『주운 아내』를 비교하자면

다음과 같다.

- 61 -
작가 현진건 김란
제목 불 주운 아내
갈래 단편소설 단편소설
프랑스
배경 일본 식민지 (1925년)
식민지(1938년)
시점 3인칭 관찰자 3인칭 관찰자
경향 리얼리즘 리얼리즘
남편, 시어머니와 내 사이
갈등구조 사회와 갈등
갈등
식민지 하
식민지 하 여성인물의
주제 여성인물의 운명과
운명과 극복
극복

표5 소설 비교

등장 여성인물 순이 주운 아내
집이 없고 가난한
출생 가난한 어린
여성
가난 때문에 15살 때 고향을 떠나
성장
시집을 옴 시장에서 일 함
일꾼에게는 밥을 줘서
위기 며칠 동안 먹지 못함
시어머니에게 매를 맞음
처음 본 남자의
결말 마침내 집에 불을 지름 아내가 되기로
동의했다.

표6. 등장하는 여성인물 비교

표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두 작품은 모두 식민지하의 리얼리즘 작품으


로,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서술된다. 표6에서는 각 소설의 등장 여성인물

을 정리하였다. 가난한 상태에 놓여 있는 두 인물은 자신만의 고유한 문제


에 맞닥뜨리고 있었으며 극복 양상도 차이를 지닌다. 두 소설은 모두 사회

- 62 -
나 아내와 남편, 시어머니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

눈코를 못 뜨게 아침을 치르자마자 그는 또 보리를 찧어야 한다. 절구질을 하노

라니 허리가 부러지는 것 같다. 무거운 절구에 끌려서 하마터면 대가리를 절구통


속에 찧을 뻔도 하였다. 팔이 떨어지는 것 같다. 그래도 그는 깽깽하며 끝까지 절
구질을 아니할 수 없었다.
또 점심이다. 부랴부랴 밥을 다 지어서는 모심기 일꾼에게 밥을 날라야 한다. 국이
며 밥을 잔뜩 담은 목판이 그의 정수리를 내리누르니 모가지가 자라의 그것같이
움츠려지는 것은 물론이려니와 키까지 졸아든 듯하였다. 이래 가지고 떼어 놓기
어려운 발길을 옮기며 삽짝 밖을 나섰다.
얼굴을 솥뚜껑 모양으로 덮은 남편의 얼굴을 보았다. 함지박만한 큰 상판의 검은
부분은 어두운 밤빛과 어우러졌는데 번쩍이는 눈깔의 흰자위, 힘이 께 흐르는 입
술, 그것이 삐뚤어 지게 열리며 드러난 누른 잇발만 무시무시하도록 뚜렷이 알아
볼 수 가있었다.63)

시집에 온지 한 달 열다섯 살의 ‘순이’는 시어머니의 무서운 호령 속


에서 매일 새벽부터 쇠죽을 끓이고 온종일 물이기, 절구질하기, 물방아 찧
기, 논에 나간 일꾼들 밥 나르기 등의 혹독한 노동에 시달리는 가련한 인물
이다. 이러한 중노동으로 인해 더할 수 없이 피곤하고 지친 그녀였지만, 밤
만 되면 ‘원수의 방’에서 남편에게 성적 시달림을 받아야 하는 제도적
희생물로 고통스러워한다. 뿐만 아니라 순이는 자유를 잃고 인습의 굴레에
서 벗어나지 못하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기도 한

다. 자기가 살고 있는 방 또한 안식처가 아닌 ‘원수의 방’으로 인식한 것


이다.
『불』의 순이처럼 『주운아내』의 ‘티’역시 가난한 인물이다. 기근으

로 인해 인간은 명예를 잊고 생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것을 다하여 혼인도


중요하지 않다. 『주운 아내』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은 그 기근의 불운 한

63) 현진건,『한국문학전집』, 양우당,1994, p. 133-136.

- 63 -
희생자들 사이에서 두드러진 인물이다. 이 작품은 혁명 직후에 『새 마을』

이라는 이름으로 쓰여 졌지만 원고가 사라졌기 때문에 평화가 회복 된 후,


작가는『주운 아내』을 다시 썼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주운

아내』의 티는 독자에게 가장 동정심을 불러일으키는 인물이다. 이 인물은

짜앙의 아내가 되기 전과 후에 외관과 내면이 달라졌다. 처음 등장했을 때,


티의 이미지는 가난하고 무모한 여성이었다. 그녀는 명예를 포기하고 음식

한 조각을 얻어낼 수 있을 만큼 궁핍하다. 이와 같은 티의 행동은 독자에게

1945년 기근 당시의 비참했던 여성의 실상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금 이 지긋지긋한 ‘밤 피할 궁리’에 어린 머리를 짰다. 아니 밤탓이 아니


다. 온전히 그 ‘원수의 방’때문이다. 만일 그 방만 아니면 남편이 또한 그 눈물
을 씻어주고 나갈 따름이다. 그 방만 아니면 그런 고통을 주려야 줄 곳이 없을 것
이다. 고 ‘원수의 방’을 없애버릴 도리가 없을까? 입때 방을 피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한 순이는 인제 그 방을 없애 버릴 궁리를 하게 되었다.64)

이 인용문에서는 순이에게 극복 의지가 점차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순이에게 원수의 방’은 지옥과 같기 때문에 그녀는 그것을 없애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순이는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 깨달았고 이


를 해결할 방법을 찾기 시작한다.

그는 성냥을 쥐었다. 성냥 쥔 그의 손은 가늘게 떨렸다. 그러자 사면을 한번


돌아다볼 겨를도 없이 그 성냥을 품속에 감추었다. 이만하면 될 일을 왜 여태껏
몰랐던가하면서 그는 생그레 웃었다. 그 날 밤에 그 집에는 난데없는 불이 건넌방
뒤꼍 추녀로부터 일어났다. 풍세를 얻은 불길이 삽시간에 온 지붕에 번지며 훨훨
타오를 제 그 뒷집 담 모서리에서 순이는 근래에 없이 환한 얼굴로 기뻐 못 견디
겠다는 듯이 가슴을 두근거리며 모로 뛰고 세로 뛰었다......65)

64) 현진건, 앞의 책, p. 137.


65) 현진건, 앞의 책, p. 139.

- 64 -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이 곧 억압의 공간이고, ‘원수의 방’이라 명명한

공간이 모든 문제의 근원이라는 점을 인식했을 때, 자신의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방화하는 것을 선택한다. 순이는 기쁨의 미소를 짓는다. 이
런 순이의 저항한 행동에서 현실에 대한 자신의지를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순이의 행위가 삶에 큰 변화를 만들 수 없을 것이며 오히려 방


화로 인하여 집을 잃고 빈곤은 배가 될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순이의 방화행위는 금기에 대한 파괴로서 자신을 학대하는 시어머
니와 남편에 대한 분노 그리고 고된 노동이 반복되는 불행한 현실에서 벗

어날 수 있는 순이의 저항의지이며, 그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방화


밖에 없다고 생각한 것에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결국 기존세계의
불합리함에 대해 저항하면서 동시에 그를 둘러싼 온갖 제도에 대한 거부의
의미를 지니면서 새로운 세계에 대한 소망이기도 하다.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현진건의 소설중에 나타난『불』은 극복하는 여성으로 그리고 있
다는 점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순이의 행동에서 본 것은 나쁜 현실에서
자아를 발견하여 성적모순에 저항하는 인물의 변화과정을 볼 수 있다.
‘순이’와 마찬가지로, ‘티’는 또한 끔찍한 기근 때문에 죽음의 그림
자가 드리운 가난한 소녀이다. 그러나 순이가 남편의 가족으로부터 학대를
받으면서 살아갔던 것과 달리 티는 국가 존립을 위협하는 최악의 재난 상
황에 놓여있는 인물이다. 이것은 아래의 세부 사항을 통해 명확하게 볼 수

있다.

기근은 언제부터 마을으로 몰려들기를 시작했는 지 모른다. 명확하게 볼 수 있는


타이 빈, 남딘에서 온 가족들은 유령처럼 서로 위에 누워 시장 천막 주위에 흩어
지었다. 파리처럼 죽는다. 출근하거나 들판에 가는 사람들이 3~4개의 시체를 안 본
마을의 아침이 없다. 공기는 여전히 오물의 악취와 시체의 냄새를 맡는다.
...총략...

- 65 -
오늘 티는 너무 찢어졌고, 티의 옷은 거머리집처럼 찢어졌고, 티의 눈은 얇았고,
티의 회 색 얼굴에는 두 눈만 있었다.66)

이 인용에서 40년대 베트남 북부의 극심한 빈곤 상황을 볼 수 있다. 기

근으로 인해 어느 마을에서도 시체를 목격할 수 있으며 사람들은 모두 세


상을 떠났거나, 남겨진 자들은 절망하고 있다. 이야기의 주요 배경 공간은

강가에 있는 시장의 마을이다. 이 마을도 기근으로 인한 죽음을 피해갈 수

없었다. 오랜 기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마을 주


변의 모든 얼굴에는 기근의 흔적이 있다. 기근은 매우 특수한 상황이나, 이

소설은 그 풍경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 여기 사람들은 모두 기근으로

인한 죽음을 목격하였고, 그들 모두 자신에게 죽임이 천천히 당도하기를 기


원하고 있다. “죽은 사람”, “사체” 및 “시체 냄새”의 이미지는 끔찍

한 기근의 풍경을 직조한다. 이것은 죽음 직전에 놓여있었던 티의 이미지를


통해 더욱 분명해진다. 티는 기근의 가장자리에서 사람들이 죽어가는 것을
목격한다. 이 여성은 사실상 사회에서 배제되어 있다. 자신을 불러줄 이름

도 없고 출생지나 고향도 없다. 티는 남루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누군가


보기에도 오랫동안 고생을 한 모양새이다.

거짓! 이런 사람이 거짓말해!

- 그 날에는 입으로 내려간다고 약속했지만 결국은 안 왔다. 그는 기억을 나았다.


그는 이를 드러내며 웃는다.

- 그 날은 아니면 오늘이죠. 차, 앉아서 구장 나무 먹어

- 있는 것을 먹어

티는 그 앞에서 느슨하게 서 있었다.67)

66) 김 란, 『김 란의 소설집』(Tuyển tập truyện Kim Lân), 문학 출판사, 2014, p. 15-16.

- 66 -
기아는 티의 개성을 망치고 티의 의식, 사회적 규범을 강요하였다. 굶주

림은 사람들에게 체면이라는 말을 잊게 만들었고 사람들은 뻔뻔스럽게 변


해갔다. 식사 전에 티의 태도와 행동은 읽는 이에게 눈물을 흘리게 하기에

충분할 만큼 비참하다. 하지만 폐허가 된 마을과 사회의 쇠퇴, 죽음의 포위

에서도 여전히 삶은 존재한다.

그렇게 티는 땅에서 방종하게 앉아서 진짜 먹었다. 티는 한꺼번에 3- 4그릇의 반

뚝을 먹어버렸지만 이야기하지 않았다. 식사가 끝난 다음에 티는 젓가락을 입과


솔로 가로 닦고 숨을 쉬었다.

- 아, 맛있다! 그녀는 돈이 모자라는 것을 알면 죽겠다.

그는 웃고 있다.

- 아내가 없는데 네가 나에게 오고 싶으면 차에 물건을 싣고 같이 갈래?68)

이것이 ‘티’의 운명을 바꾸는 전환점이었다. 그 사람의 제안은 티의

빈곤 속에서 방황하는 생명을 구하는 일과 같았다. 여성의 명예는 기근 앞


에서 중요하지 않았다. 이 여성에게 필요한 것은 지금 머물 곳, 음식을 줄
수 있는 곳이다.‘반뚝’69)은 싸고 만들기 쉬운 떡으로 대중적이지만 꽤 많

은 의미를 담고 있다. “체에 반뚝을 쏟을 때 그녀에 따라 팔고 그에 따라


구매한다”라는 말이 있다. 이 표현은 자기의식과 합의의 동등한 본성을 가
진 남녀의 평등한 연애에 관한 것이다. 이 소설에서 반뚝은 주운 아내와 달

구지를 끄는 남자의 사랑을 표상하는 것이다. 처음 본 남성의 아내가 되려


는 여성의 행위는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낮추는 행위이기도 하며 전통적인

67) 김 란, 앞의 책, p. 17.


68) 김 란, 앞의 책, p. 18.
69)‘반뚝’(Bánh đúc)은 쌀로 만든 빵이다.

- 67 -
원칙에 따르지도 않는 것이지만, 그 제안에 동의하지 않으면 자신은 이 기

근으로 죽게 될지 모른다.

오늘날의 집과 정원은 쓸쓸하고 깔끔하고 깨끗하게 청소되었다. 여전히 10 년 동


안 구석에 꽉 쥐었던 너덜너널해진 의복을 꺼내서 말려려고 널었다. 구아바 나무
밑에 원래 한 방울도 없는 물독의 2개을 이미 가득 채우었다. 통로에 있는 쓰레기
를 깨끗하게 정리하였다.

모든 사람은 집을 정리하는 것이 깨끗하고 질서 있으면 삶이 다를 수 있으며 장사


이 더 나 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70)

짜앙의 아내가 되기로 하고, 짜앙 어머니의 며느리가 되기로 한 후에 그


집은 마치 기적이 일어난 것처럼 달라졌다. 사랑은 단순하고 평범한 일이지
만 따뜻함과 행복의 원천이다. 행복은 사람들을 변화시킨다. 행복은 사람들
을 서로 따뜻하게 만들어준다. 김 란의 인도적 사상은 독자에게 부드럽고
깊이 전달된다. 기근은 여전했으나, 기근에 대한 비극적 이야기는 어느새
다른 방향으로 바꾸어 있다. 이 이야기의 이르면 짜앙과 그의 가족을 비롯
한 수백만의 비참한 사람들이 먹을 거리를 얻기 위해 생명을 얻는 길을 선
도하는 혁명의 붉은 깃발을 가질 것이라는 강한 믿음을 심어주었다.『불』
에서 순이와 『주운 아내』의 티는 각자 불행한 삶을 살아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각 인물은 어려움을 극복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다. 이것은 여성의 삶에서 행복추구에 대한 욕망이 존재함을 증명한다.

4. 식민지 시기 작가들의 여성관과 문학적 형상화의 한계와

70) 김 란, 앞의 책, p. 20.

- 68 -
 의의

   위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한국과 베트남의 리얼리즘 소설에는 공통적으

로 여성인물이 혼인생활과 사회생활에서 불의를 당하는 양상이 보였다. 여
성인물들을 통해 작가들의 사회 인식은 보다 명쾌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4
장에서는 양국의 작품을 통해 식민지 시기 작가들의 여성관과 문학적 형상

화의 한계와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4.1. 사회적 순응과 극복의 가능성

   나도향은 하층 계급의 힘든 삶을 보여주며 여성의 결혼의 비극을 강조
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강조했다. 나도향의 소설에 나오는 여성인물은 

일반적으로 가난과 불행을 겪는다. ‘색시’는 지주의 아들과 결혼했지만 
계급의 불균형을 돈으로 해결하고자 했던 이 결혼은 그녀의 삶에 비극을 
가져왔다. 그녀의 남편은 항상 그녀를 학대하고 경멸하여 그녀가 육체적으
로나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도록 했다. 결국 그녀는 극단적인 선택만이 자신
을 구원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 행동은 색시에게 비극과 동시에 해
방을 가져다주었다.

 그날 저녁 밤은 깊었는데 멀리서 닭이 우는 소리와 함께 개 짖는 소리만이 들린
다. 난데없는 화염이 벙어리 있던 오생원 집을 에워쌌다. 그 불을 미리 놓으려고 
준비하여 놓았는지 집 가장자리 쪽 돌아가며 흩어 놓은 풀에 모조리 돌라붙어 공
중에서 내려다보면 집의 윤곽이 선명하게 보일 듯이 타오른다. 불은 마치 피 묻은
 살을 맛있게 잘라 먹는 요마(妖魔)의 혓바닥처럼 날름날름 집 한 채를 삽시간에 
먹어 버리었다. 이와 같은 화염 속으로 뛰어 들어가는 사람이 하나 있으니 그는 
다른 사람이 아니라 낮에 이 집을 쫓겨난 삼룡이다. 그는 먼저 사랑에 가서 문

- 69 -
을 깨뜨리고 주인을 업어다가 밭 가운데 놓고 다시 들어가려 할 제 그의 얼굴과 

등과 다리가 불에 데어 쭈그러져 드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71)

   이 인용문에서 묘사된 행동은 그 흉악한 남편과 삶을 지속하기보다는 

결혼으로 인한 비극적 삶을 포기하기 위해 색시가 선택한 방법이다. 이는 

자유와 행복을 갈망하는 색시의 가장 강력한 저항의 표현이기도 하다. 비록
 죽음을 통해 자신이 처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소 부정적으로 읽힐

수 있지만, 이 외에는 동원할 수 있는 방법자체가 전무하다는 판단에서 비

롯된 것이라 여겨진다. 서술자는 그녀의 인식을 순응적인 형태에서 저항적


인 쪽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어느 정도 그녀의 삶을 능동적인 것으로 묘사했
다.

   한편 베트남소설「하오 이모」의 여주인공 하오는 색시와 같은 불행한 
결혼의 희생자이지만, 이를 극복하고 변화시키는 대신, 버림받은 채로도 불
행한 생활에 어떻게든 적응하고자 했다. 이러한 여성인물은 당시의 베트남 

여성을 표상하는 인물이었다. 유교적 관습이 여전히 뿌리내리고 있었던 식


민지시기의 베트남 사회는 결혼문제에 대해 별다른 반발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는 모든 계급에게 골고루 나타났지만, 특히 농민과 가난한 노동자들에
게서 심각하게 나타났다. 하오에게는 침묵이 가족의 행복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었다.
  사회 하층 계급에서 출발한 나도향 작품 속 색시와 남 까오 작품 속의 

하오는 비슷한 혼인제도를 보여주지만 혼인이 가져오는 문제의 해결방법은


 현격한 차이를 지닌다. 소설에 등장하는 두 여성인물은 앞부분에서 내적인
 표현과 약한 저항행동으로 묘사된다. 서술자는 비극적 면면을 강조하기 위
해 추가적인 상황을 만들었으며, 이러한 비극들은 인물의 심리적인 면에 직

71) 나도향, 앞의 책, p. 39.

- 70 -
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남 까오는 일반적인 사회적 시각으로 

인물의 정신적 고통을 표현하는 데 집중한다.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은 대개 
저항하거나 반대를 하곤 하는데 이는 양쪽 다 비극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가족 간의 갈등 속에서도 하오의 성격은 변하지 않았다. 하오의 

비극은 결혼과 가난의 비극이다. 하오의 어머니가 그녀를 돈을 받고 다른 
가정에게 입양 보낸 것은 빈곤 때문이었다. 즉, 최악의 상황에서 인간은 본

성을 바꾸면서 상황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하오는 자신의 행복을 위해 감히

 투쟁하지 못하는 나약한 인물이었다. 반면 색시의 자살 행위는 출구를 찾
지 못하는 절망감을 표현하는데 이는 여성에 있어 부정적인 저항으로도 볼
 수 있다. 이 행위는 궁극적으로 계급과 사회의 갈등을 해소하는 것과는 큰

관련이 없으며, 단순히 개인적으로 남편에게 복수하고 자신의 삶을 포기하


여 해방에 이른다. 색시는 이 어둡고 고통스러운 결혼생활에서 더 이상의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없었기에 그녀의 극단적 선택은 그녀가 모든 갈등들
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그것은 또한 결혼에서 여성이 스스
로의 삶에서 자유를 갈망하며 행복에 대한 추구를 드러내는 지점이기도 한
다. 색시의 상황은 하오의 상황보다 훨씬 더 비관적이라 볼 수 있기 때문에
색시가 최후에는 저항을 하게 되리라는 것도 불가피한 것이었다.
   위의 두 소설에 나오는 두 여인은 결혼생활에서의 여성이 겪을 수 있는
비극을 보여준다. 배경과 영향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그들의 해결방
법은 차이를 드러낸다. 이는 당시 양국 여성의 사회문화적 차이가 상존하기
 때문이라 여길 수도 있지만 어떤 식으로든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결혼생활에서의 갈등으로 인해 여성이 저항의지를 드러낸다는 것은
결국 봉건사상의 영향을 받는 사회와 전면적으로 대결해야 하는 것이기 때
문이다.

- 71 -
  불행한 결혼생활을 한 두 여성과는 달리 현진건의 소설에 등장한 나그

네와 탁 람의 마이는 극빈층 희생자이며 가정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비윤
리적인 행동을 선택해야 한다. 이 두 여인은 더 이상 빈곤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어 이 어두운 현실을 받아들여야만 했다. 이것은 또한 매춘에 빠

진 가난한 노동자 계층의 절망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어머니! 그거 달아났세유. 내 옷도 없구……."
"응?" 하고 반마디 소리를 치며 얼덜김에 그는 캄캄한 방 안을 더듬어 아랫간으로
넘어섰다. 황망히 등장에 불을 대리며,

"그래 어디로 갔단 말이냐?"

...중략...

"도적년!"

모자는 광솔불을 켜들고 나섰다. 부엌과 잿간을 뒤졌다. 그리고 뜰 앞 수풀 속도 
낱낱이 찾아봤으나 흔적도 없다.

"그래도 방 안을 다시 한번 찾아보자."

홀어머니는 구태여 며느리를 도둑년으로까지는 생각하고 싶지 않았다. 거반 울상
이 되어 허벙저벙 방 안으로 들어왔다. 마음을 가라앉혀 둘쳐보니 아니면다르랴, 
며느리 배게 밑에서 은비녀가 나온다. 달아날 계집 같으면 이 비싼 은비녀를 그냥
  두고 갈 리 없다.72)

   이 인용문에서는 나그네가 덕돌과 결혼한 후에 병든 남편을 위해 옷을 

훔쳐 달아난 것을 볼 수 있다. 사회에서는 곤궁한 삶을 극복하기 위해 인간
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 병든 남편은 자신의 생활을 스스로 이끌어갈 수 
없어서 모든 책임을 아내에게 맡기고 있다. 한편 나그네는 가족에게 책임감
을 느끼고 있는 전형적인 강인한 한국여성상이다. 나그네는 윤리의식조차 
개의치 않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 내에서 그러한 행동이 용인되

고 있다는 점이다. 매춘을 하고 위장결혼을 하는 것은 비윤리적이지만 나그

72) 전신재편, 위의 책, p. 28.

- 72 -
네의 속마음은 변하지 않았다. 그녀의 행동은 순수하게 그녀의 남편에 대한

사랑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산골나그네』의 나그네처럼 『기아』의 
마이는 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춘을 택했다. 그러나 김유정과 달리 탁

람은 가난한 시장에서 살고 있는 마이 부부의 가난과 갈등을 집중적으로 

묘사하면서 마이의 사랑을 표현했다. 베트남 문학에서 성매매 문제는 잘 드
러나지 않지만 작가들에 의해 종종 활용하는 주제이다. 마이는 모든 것을 

하려고 했지만 가난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매춘 외에는 없었던 것이다.

마이는 머리를 숙여 얼굴을 감싸 울었다. 그 울음소리는 신의 화를 가라앉게 하지
는 않았고 오히려 불에 기름을 부은 것처럼 분노를 증가시켰다. 마이가 말하면 할
수록 분노는 더 강해졌다. 마이는 벽 가까이에 서서 주저하면서 작은 소리로 그를
 불렀다.

-신 오빠…. 오빠….73)

  이 인용문에서 마이는 남편에 대한 자신의 희생이 수치스러운 것이 된 

사실을 깨닫게 된다. 마이에게는 생각지도 못한 일이었지만, 그걸로 그의 
결혼 생활은 완전히 끝났다. 유교적 영향은 베트남 사회에서 여성이 비윤리
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남편이 분노하는 것은 당연한 
반응이었다. 마이는 삶에 적응해서 성매매를 통해 가난을 극복하는 방편을 
찾았다. 탁 럼의 이야기 속의 여성 인물들은 다른 작품 속 여성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굶주림 속에 살아가고 있다. 가난이 인간윤리를 타락시키기는 
하지만 빈곤에 있어서도 정신적인 사랑의 가치는 여전히 숭배의 대상이다. 
김유정과 탁 럼의 작품에서 식민지 시기의 가난한 지역과 농촌이 주로 등
장하고 빈곤을 겪는 인물이 등장하는 이유다.

  『불』의 ‘순이’와 『주운 아내』의 ‘티’는 빈곤을 긍정적으로 극

73) 탁 람, 앞의 책, p. 34.

- 73 -
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가난한 노동 계급 사람들을 대표하다.

현진건은 고통을 받는 혼인의 삶을 보여주며 여성의 혼인의 비극을 강
조하면서 이를 극복하는 것을 강조했다. 여주인공인 순이는 열다섯 살 때 
가난 때문에 시집에 온다. 현진건은 중심인물 순이의 고통스런 삶 속에 자

리잡고 있는 전통적인 제도의 모순과 그 제거의 의미를 ‘불’로 상징화하
고 있다. 환하게 타오르는 ‘불’은 어둡고 무지한 몽매에서 깨어나는 인식
의 동인으로서의 상징성과 함께 제도의 모순과 갈등에서 벗어나려는 적극

적인 변혁을 향한 실천적 행동으로서의 출발점이기도 한 것이다. 
김 란의 소설 속 여성인물인‘티’는 가족의 분위기를 아늑하고 사랑스

러운 것으로 만들었다. 그녀는 그의 가족의 삶에 불어온 시원한 산들바람처

럼, 노총각이었던 남자의 영혼과, 시어머니의 어두운 얼굴을 밝게 만들었
다. 그녀는 그와 그의 어머니에게 현재 상황에 대한 활력을 가져 왔다. 그
녀는 마을 밖에 새로운 소식도 가지고 왔는데  "타이 응웬 쪽에서는 박창
의 사람들이 더 이상 세금을 내지 않고 그들은 심지어 일본의 곡창을 부수
고 그것을 배고픈 사람들에게 나누어 준다”라는 소식이 그것이다. 이는
1945년 농민들이 해방한 사건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그녀가 이 소
설에서 "새 신부"일 뿐만 아니라 혁명적인 메신저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것
을 의미한다. 그녀 없이 삶을 지속하였다면 남편과 시어머니는 여전히 불행
에 빠져 있었을 것으로 여겨질 만큼 그녀로 인한 변화는 혁신적이다. 김 란
은 그녀의 성격과 사람들의 변화를 그렸으며 가난한 사람들의 좋은 특성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표했다. 작가의 인도주의적 사상이 여기에 표시된다. 
또한 이 소설은 농민의 해방에 대한 열망을 보여준다. 상황이 어려워도 인
간은 윤택한 삶에 대한 의지와 기근의 비극을 극복하려는 욕구가 있다.

- 74 -
4.2. 여성인물을 통한 식민지 사회의 비판적 고발

   식민지시기 한국과 베트남의 문학은 서구의 리얼리즘 문학론에 영향을

받아 큰 변화를 보였다. 양국 리얼리즘 문학의 형성 과정은 불합리한 사회

적 영향과 계급 갈등의 심화가 작가들의 문제의식을 각성시킴으로써 전개
되었다. 이것은 양국 작가의 리얼리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잘 
드러나고 있다. 작가는 작중인물을 통해 식민지 사회에 대해 자신의 객관적

이고 주관적인 의식을 표현했다. 작가의 사회적 비판의식을 더 잘 알기 위
해서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해 알아봐야 한다.
  베트남 작품에서 분석된 여성인물들을 보면 이들의 행동과 생각에 긍정

적인 경향이 엿보인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이유는 그 당
시 여성의 삶에 어두운 부분을 해결하려는 작가의 의도 때문이다. 이는 위
에 분석한 3편의 작품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남 까오는 1940년대 비판적인 리얼리즘 문학적 운동을 대표하는 베트남
작가이자 프랑스와의 저항전쟁을 다룬 산문작가 중 하나다. 남 까오의 인생
예술관이란 작품은 인간을 위해
써야 하며, 특히 인간의 긍정적 부분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예
술적 문학”이라는 관념을 비판했다.74) 남 까오는 20세기 전반의 현대화 과
정에서 베트남 단편소설과 소설을 완성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남 까오는 당시 사람들에게 사상적으로 인간의 내면에 대한 관심을 높
이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인간의 정신적 생활에 관심을 두었으며, 항
상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관심을 보였다. 남 까오의 작품에서는 작
중인물의 심리상태를 직접적으로 반영하였다. 농민, 여성, 빈곤한 지식인들

74) 판 반 투옹(Phan Văn Tường), 『남 까오의 예술적 스타일』(Phong cách nghệ thuật
Nam Cao), 호치민 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p. 21.

- 75 -
의 작가로서 그의 작품은 반(反)식민지·반(反)봉건 사회에서 그들의 불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남 까오의 단편소설은 여성의 운명에 대해 특히 집중
적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그의 소설 속의 여성들은 결혼에서 불행을 겪지만
그것에서 벗어날 수 없다. 

   남 까오는 하오 이모라는 인물을 통해 옛 사회의 한 여성의 비애를 깊
이 그려냈다. 하오 이모는 가난하고 불행한 노동계층을 대표한다. 하오 이
모를 둘러싼 문제를 집중적으로 규명하면 당시 농촌 사회의 역경을 잘 알 

수 있다. 사랑도 없고 남편만 섬기는 아내는 남편에게서 외면당하고 경멸을
 받게 되었다. 그는 남존여비를 비판하는데, 이 사상이 남성들의 잠재의식

을 깊게 파고들었음을 잘 알 수 있다. 남 까오는 당시 사회에 존재했던 "

죽은 자들의 세금" 제도를 비판했으며 가난한 어머니가 자녀들을 팔아넘기
는 행동의 배경에 사회구조적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찌 페오』,『학 할
아버지』소설에 비해 『하오 이모』는 계급차별에 대해 비판하지 않고 빈
곤한 사회에 인물의 내면심리와 가족갈등 등을 집중적으로 묘사했다.
  탁 럼은 1930년대 베트남 문학사의 중요한 작가 중 한 명이다. 그의 리
얼리즘 소설들은 식민지 사회에서 삶을 영위하는 여성의 운명, 즉 불운하고

 억압받는 삶에 대해 깊은 동정심과 자애로운 마음을 표현했다. 또한, 이 
작품들은 일생동안 가족, 자녀, 남편을 위해 온갖 고통을 겪은 여성들의 치
욕과 역경을 진실로 드러냈을 뿐만 아니라 그 불행한 운명을 묘사하였다. 

그들은 가족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마치 노예처럼 무관심 속에 외면


당하거나 거친 학대를 당하는 삶을 살았다. 그들은 언제나 외로웠고, 혼자
서 고된 집안일을 도맡아야 했다.

 『기아』의 마이는 자신이 한 매춘행위가 죄라는 것을 알고 유교적 질서
를 위반한 것이라고 인식하지만 그녀의 성격과 본성은 그녀의 남편이 생각
하는 것만큼 나쁘거나 부패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의 남편은 결국 아내를

- 76 -
 이해하는 데에 도달하지 못했고 가난한 삶을 극복하려한 아내의 매춘행위

를 문제삼아 내쫓았다. 그녀는 다투려 하거나 변명을 하려 하지 않았다. 마


이의 행위는 무의미하고 규탄받아야 하는 것이었을까? 작가는 가난한 여성
들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매춘행위를 하는 것을 어느 정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여성의 해방을 허락하지 않을 만큼 처참했다. 가난은 사람을
 도덕적으로 타락시킬 뿐만 아니라 가정을 파괴하였다.

  김 란은 우수한 단편소설들을 남긴 작가이다. 김 란은 “기근으로 허덕이

는 사람들에 대해 글을 쓸 때, 사람들은 종종 죽음만을 생각한다. 저는 다
른 의미로 짧은 이야기를 쓰고 싶다. 비참한 상황에서 그들이 죽음에 가까
워지더라도 사람들은 죽음을 생각하지 않고 여전히 생을 향해 움직이고, 여

전히 희망과 미래를 믿는다”라고 말하고 있다.75)
  다시 말해 「주운 아내」는 김 란이 창작한 작품이지만 이 인물을 통해 
작가는 아름다운 인간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보여주었다. 비참한 환경에 사
는 작중인물들은 항상 미래를 바라보고 인생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았다. 
그녀의 이미지를 통해 작가는 식민지에서의 부패한 측면을 고발하고 빵 하
나 때문에 범죄에 이를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보여준다. 이것은 많은 사람
들의 미래를 파괴하는 원인이다. 김 란은 특히 베트남 여성과 베트남 사람
들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생명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사람들과 사악한 
범죄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그녀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베트남과는 달리 초기 한국 문학의 역사는 복잡하고 독특한 면을 가지고
 있다. 세계 문학의 유입과 영향, 특히 일본 정책의 영향 외에도 1919년
 3.1운동의 실패는 당시 대다수 한국작가들의 의식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
쳤다. 그들은 계급 차별, 빈곤, 도덕적 타락 등 사회 문제에 대해 보다 포
괄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나도향, 김유정, 현진건의 작품에 등장

75) https://nhavan.vn/nha-van-kim-lan/

- 77 -
하는 여성인물을 통해 부분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여성인물들을 통해 모든 

사람을 표상할 수는 없지만, 그들의 전면에 내세움으로 인해 사회적 모순과


 작가가 지닌 의식세계를 보다 면밀하게 묘사할 수 있었다.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는 애정관계에 있지 않은 사람과의 불행한 

결혼을 통해 여성인물이 비극적인 최후를 선택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가난


한 가정에서 태어난 여인은 돈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결혼을 해야 했다. 그
녀의 남편은 계급에 대한 차별적 사상을 가진 사람이다. 바로 그것 때문

에, 그녀는 남편으로부터 괴롭힘을 당하며,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되자 목
숨을 끊으려는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다. 이처럼 나도향은 이 여성인물을 통
해 결혼에서 여성의 불행을 보여주면서 가난한 근로자와 소유주의 계급차

별을 비판했다. 
  김유정의 문학에서 여성은 특별한 존재로 나타난다. 동시대의 작가들의
소설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여성인물과는 다소간의 차이를 지닌다. 『산골

  『산골 나그네』의 여성 인물은 가족의 삶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자


신을 최대한 희생하는 면모를 보인다. 사회적 관점에서 김유정의 ‘들병
이’ 소설들을 보면 식민지시기 노동자들의 가난을 잘 알 수 있다. 현실적
으로 보면 이들 여성인물들의 행동은 비도덕적이고 일탈적이기까지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행동은 가족의 사랑과 삶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여성들은 식민지시기의 모든 여성을 대변하지 않았지만 부
분적으로는 사회와의 내적 갈등과 어두운 사회정세를 반영하고 있다. 사회
적 관점에서 여성의 행동을 비윤리적이고 위반이라고 생각되지만, 인물의 
관점에서 그것은 단순히 빈곤을 피하고 생존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안해』, 『소낙비』 처럼 김유정의 다른 작품들에서도 표현된다. 『산골 
나그네』를 통해 가난한 노동자들이 사는 외딴 산간지역이 묘사되고 있다. 
가난하고 빈곤한 계층을 대표한 작품 속에 등장한 여성은 자신의 병약한 

- 78 -
남편을 위해 몸을 팔고 물건을 훔쳐야 했다. 비록 이 여성인물의 매춘이 심

각한 윤리 위반이기는 하나 이 여성의 희생과 헌신적 사랑은 강조되어있
다. 
현진건은 가난하고 불행한 사람들의 삶을 히스테리적으로 묘사했다.

『불』의 등장하는 여주인공‘순이’를 통해 어린 소녀가 일찍 결혼을 하


는 민며느리제도, 억압적인 착취를 당하게 하는 식민지 사회를 비판했다.

또한 현진건은 특히 집주인과 노동자 사이의 심한 계급 갈등을 비판했다.

‘순이’가 불행한 결혼생활을 해결하는 방법은 부분적으로 어려움을 극복


하고 그 계급 구분을 어기고 파괴하려는 욕구 표출로 나타난다.

 이처럼 식민지시기 리얼리즘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의 현실 문제

극복 구도는 매우 다양하고 당시 사회적 모순을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작가


들이 묘사한 여성인물들을 통해 극빈층의 문제, 가정 불평등, 봉건적 사상
을 가진 남성들은 비판의 대상으로 떠오른다. 또한 이 작가들은 여성이 삶
에서 겪는 고통과 무기력함을 적극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각 인물은 서로 다른 의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 인물이 처한 특정한 상황은 제각기 다르지만 이러한 인물의 운


명은 항상 식민지의 자본제적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결국 이 여성인물들은
항상 자본과 식민지 억압을 받는 식민지 사회에서 농민, 노동 계급이 처한
구조적 문제를 표상하기도 한다.

- 79 -
5. 결론

   봉건 사회나 식민지 사회에서 여성은 종종 억압과 착취의 대상이 된다.

그들은 사회에서 특정한 지위를 가질 수 없었으며 남편에게 의존적인 경향


을 보인다. 여성의 삶 자체가 그 사회의 수준을 나타내는 척도이기도 하므

로 여성인물의 삶은 많은 문학 작품에 등장한다. 이 논문은 식민지 시대 한

국과 베트남 빈궁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들의 특징과 의미에 대해논급하였
다. 당시 여성의 삶을 이해하기 위하여 양국의 여성의 위치와 저항을 연구
하고 비교하였다. 위에서 분석했던 리얼리즘 빈궁소설에서 양국의 소설은 

공통적으로 당시 궁핍했던 사회에서 여성의 불행한 삶을 반영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식민지시기 양국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문제를 세 가지 양
상으로 분류했다.

   첫째로는 사랑이 부재한 여성인물의 혼인을 통해 불행한 현실을 반영하
고자 하는 것이다.「벙어리 삼룡이」와 「하오 이모」는 식민지하에 불합리
한 혼인제도의 모순점을 고발하고 있다. 여성은 자신의 결혼을 자유롭게 결
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결혼을 통해 오히려 각종 폭력과 가학적 학대에
노출되었다. 작가들은 어떠한 항변도 할 수 없었던 무력한 여성인물들을 형
상화하였다. 또한 그들은 당시 사회의 불합리함과 계급 차별의 부당함을 부
각하고 있다.
   둘째로는 매음녀로 전락한 여성인물과 사회적 시선을 통해 극심한 빈곤
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식민지 사회에 가난한 여성은 삶을 유지하기 

위해 몸을 팔기도 했다. 이 인물들은 다른 선택을 할 수 없었다. 소설에 등
장하는 두 여성인물은 남편을 사랑하기 때문에 오히려 도덕적인 희생을 받
아들이고 있다. 이 두 인물을 통해 작가들은 사회적 현실이 어두울 때 인간

의 도덕적 가치가 무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두 인물은 또한 빈곤의 

- 80 -
희생자였으며 그 당시 그들에 있어서 매음은 불가피한 해결책이었다. 그들

의 행위는 아무리 의도가 좋았어도 사회적 시선, 특히 남편의 시선은 냉혹
했다. 자세한 정황을 모르는 나그네의 남편은 아내에게 고마움을 느꼈지만 
마이의 남편은 아내에게 혐오감을 느끼고 아내의 비윤리적인 행위를 용납

하지 않아 결국 가정이 파괴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로는 식민지 하 여성인물의 운명의 극복을 표현하는 양상이다. 이 

여성인물들은 불행한 삶을 살면서도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했

다. 『불』의 여성은 가족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 결혼한 후


시어머니의 학대와 남편의 성적 착취, 고된 노동 강도를 견디며 살았다. 
『주운 아내』의 여성은 빈곤 상태에 있었지만 새롭게 꾸린 가정을 변화시

키며 문제를 극복하였다. 두 인물 모두 빈곤하다는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어려움과 불행에 직면하지만 극복에 대한 태도는 다르다.『불』의 순이는 
잔인한 남편 가족의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성냥을 사용하지만 『주운 아
내』의 티는 가난한 남성의 제안을 따르기로 하여 그를 따라나서 새로운
가정을 꾸린다.
   본고에서 분석했던 한국의 소설 세 편과 베트남의 소설 세 편을 비교해
보면 나도향과 남 까오의 소설 속에 나타난 혼인의 불행, 김유정과 탁 람의
 소설 속에 나타난 삶을 위해 매음녀로 전락한 여성, 현진건과 김란의 소설
 속에 나타난 어려운 운명을 극복함은 당시 식민지하에 혼인의 비극, 남녀
차별, 기아 등을 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읽힌다. 양국의 작가들은 여성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차이를 비닌다. 때문에 인물의 나타난 환경에 따라 작품
에서 어두운 삶의 현실을 해결하는 양상에도 차이가 있다. 이것은 그들의
작품에서 각 인물의 행위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의해 명확하게 나타난다.
   나도향과 남 까오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은 모두 불행한 혼인을
 하며 남편에게서 구타를 당한다. 그러나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같지 않

- 81 -
았다. ‘색시’는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고 하오는 그 혼인을 유지하기로 

했다. ‘색시’의 자살은 남편의 억압과 경멸이 고착화된 상태를 벗어나고


자 시도한 것이다. 한편, ‘색시’의 죽음은 또한 이 결정에서 자신의 생각
이 삶의 의지를 가질 수 없었던 비관적인 사고방식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여성인물들의 특정 상황을 살펴보면 그들의 운명과 삶의 방향


이 남성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생에서 결혼까지 그들이 남
성의 지배적 억압구조로 편입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절대적으로 빈곤 때문

이다. 작가들은 실제 사회 문제를 직접적으로 비판하고 있지는 않지만 당시


의 사회적 모순을 밝히기 위해 작품 속 여성인물의 비극성을 강화하는 것
을 통해 비판했다. 인물들의 내부를 묘사하고 그들의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

는 것을 목표로 작중 상황은 만들어졌지만,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불행한 결
혼을 하는 여성에 대해 작가들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와 탁 럼의 『기아』에 나타난 여성인물들은 

생존을 위해 매춘을 받아들인다. 이 행위는 비윤리적이지만 식민지시기 여
성이 가질 수 있는 선택권이 많ㅇ지 않았음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이 두 여
성인물은 삶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한 빈곤에 처해 있다. 그 비관적
인 환경으로 인해 여성인물들은 매음이라는 최악의 행동을 선택해야 했지
만 ‘마이’의 예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러한 희생은 좋은 결과로 이어지
지 못했다. 이 두 인물 모두 남편에 대한 책임과 사랑을 가지고 있지만 윤
리적 가치의 영향을 받는 사회에서는 이러한 행동을 받아들일 수 없다. 작
가들은 이 여성인물을 통해 빈곤의 현실을 구체적인 이미지를 제시하면서 
현대사회를 비판하고 있다. 이 빈곤은 베트남과 한국이 20세기 전반에 걸쳐
겪었던 흔한 상황이며 식민지 자본제의 부정적 면을 부각한다.
   현진건과 김란의 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들은 가난과 어려운 삶 때문에
 누군가의 아내가 되어야 했다. 위에서 분석했던 다른 여성인물들과 마찬가

- 82 -
지로 이 두 여성인물도 빈곤에 직면할 때 다른 선택을 할 수 없다. 『주운

아내』의 ‘티’는 남편의 가족으로부터 사랑과 보살핌을 받았다. 그러나


‘티’와 달리 ‘순아’의 혼인 생활은 남편과 시어머니로부터 학대를 당

하고 있다. 『불』을 통해 현진건은 식민지 시대의 궁핍한 농촌 상황보다는

 가부장제의 비극적으로 측면을 형상화하여 사회적 모순을 비판하고 있다. 


『주운 아내』를 통해 김 란은 식민지 사회의 빈곤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할

 뿐만 아니라 프랑스의 식민정책과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행위에 대해 비

판하고 있다.
   빈곤한 사회적 분위기를 묘사한 두 나라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여성 캐

릭터를 분석함으로써 불평등과 억압으로 고통받는 당대의 식민지인 삶을


보다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이 논문을 통해 식민지 시기 한국과 
베트남의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처우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국 여성
의 사회적 지위의 차이와 극단적 선택만이 현실을 극복할 유일한 수단이라
는 비극성을 읽어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문학적 형성화의 과정을 살펴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한국과 베트남의 식민지 시기 문학에는 깊은 공통점
이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고에서 살펴본 문제의식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식민지하에 여


성에 대한 문제는 훨씬 다양하리라 여겨진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지 시기의
양국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이 지닌 가장 중점적인 쟁점들을 선택하
여 살펴보았다. 필수적으로 살펴보아야 하는 것들이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가부장제와 차별이라는 개념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식민지 시대
와 비교하여 여성의 삶의 균형과 유지를 위해 여성 문제는 보다 진보적인

형태의 변화로 나아가고 있다.

- 83 -
<참고문헌>

1. 1 차 문헌 

나도향, 『벙어리 삼룡이』, 서울 일신서적출판사, 1992.
전신재 편, 『원본 김유정 전집』 ,강, 2007.
현진건,『한국문학전집』, 양우당, 1994.
남 까오 ( Nam Cao), 『남 까오 단편소설집』
(Tuyển tập truyện ngắn Nam Cao), 문학 출판사, 2016.

탁 람(Thạch Lam), 『탁 람 소설집』 (Tuyển tập truyện Thạch Lam), 문
학출판사, 2015.
김 란, 『김 란의 소설집』(Tuyển tập truyện Kim Lân), 문학 출판
사, 2014.

2. 연구논저

2.1. 국내서

강하나, 「20C 초 한국과 베트남의 사실주의 작가 비교 연구」, 『베트남
연구』, 한국베트남학회,  2000.
르엉 응웬 타잉 짱,『Nam cao(남 까오)와 현진건 사실주의 단편소설 비
교연구』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쩐 티 란아잉, 『식민지 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농민소설 비교: 리얼리즘 

- 84 -
문학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쩐 티 란아잉, 『식민지 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농민소설 비교: 리얼리즘 
문학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당람장, 『베트남과 한국의 사실주의 문학 비교 연구 :응웬꽁호안과 현진

건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2009.
레티부럼, 『식민지 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리얼리즘 소설 비교』, 홍익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2013.  

조선영, 『심훈의 삶과 문학 창작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8
조진기, 『한국근대리얼리즘소설』, 서울 :새문社 출판사, 1989.

한지현, 『현진건 단편연구 1』 , 광운대학교 출판사, 1995.
이용남, 『한국현대작가론』, 민지 출판사, 2001.
장사선, 『문예사조』 , 새문사, 1986.

2.2. 외국서
 

구엔 롱 샤우 (Nguyễn Long Châu), 『한국 문학 개론』, 호치민시 교육 
출판사, 1997.
Lý Xuân Chung,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연구: 20년 이상』
(Nghiên cứu văn học Hàn Quốc tại Việt Nam: Hơn 20 năm nhìn lại), 한국
 연구센터-동북아 연구소, 2015.
 응웬 반 댄(Nguyễn Văn Dân), 『Phương pháp luận nghiên cứu văn học』

 (문학연구 방법론), 사회-과학 출판사, 2004.
응우 엔 티 탁 (Nguyễn Thị Thập)  (CB), 『베트남 여성의 운동 역
사』, T1, 여성 출판사, 1981.

- 85 -
판 끄 데(Phan Cự Đệ)외, 『Văn học Việt Nam(1900-1945)』(1900~1945 시

기의 베트남문학), 교육 출판사, 2009.
팜 푸티(Phạm Phú Tỵ), 『1930년-1945년에 리얼리즘 소설에 나타난 농민
들: 인물학의 관점에서 접근』(Nông dân xuất hiện trong truyện hiện

thực giai đoạn 1930-1945: Tiếp cận từ cái nhìn của nhân vật), 사회 과
학 및 인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투이 트랑(Thùy Trang), 『응우옌 꽁 호안-작품 및 의견』

(Nguyễn Công hoan-Tác phẩm và lời bình), 문학출판사, 2013.
응 웬탄(Nguyễn Thành), 『부종 풍 의 소설 예술』, 문학 출판사, 2013.
풍레(Phong Lê), 『남 까오-업적과 초상화』

(Nam Cao-Sự nghiệp và chân dung), 정보와 미디어 출판사, 2014.
판 반 투옹(Phan Văn Tường), 『남 까오의 예술적 스타일』(Phong cách
nghệ thuật Nam Cao), 호치민 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https://nhavan.vn/nha-van-kim-lan/

- 86 -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Porverty Novels in Korean


and Vietnamese colonial-era
-Toward a female characters-

Pham Huu Chu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Sun Moon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Moon Han-Byeol

South Korea and Vietnam have many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features in common. Vietnam is located on the Indochina
Peninsula in Southeast Asia, and South Korea is locat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Northeast Asia.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ninsulas connected to the mainland and jutting out to the sea, the two
countries have a similar cultural and political history. Moreover,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two countries, they suffered from numerous
foreign invasions. Since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began in 1992, Korea
and Vietnam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all aspects of politics,
diplomacy, economics and society. It is clear that literary exchang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recent years, but in-depth literature stud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not been conducted extensively for a
variety of reasons, the main reason of which is the language barrier. As
a result, extensive research on Vietnamese literature has not been
conducted in Korea, with the drawbacks being the subjects are primarily
focused on research related to the Vietnam War.

In this article, the female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poverty-themed novels of Korea and Vietnam under the colonial ruling are
studied. Chapter 1 presents the problem, examines relevant studies and

- 87 -
reviews the research methodology.

Chapter 2 delves into the situation of women in both countr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dentifying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similarities in this age by highlighting their differences with men at the
time in a plethora of area, such as the life, education and social
movement of wom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look at the literary
formation of the two countries as a comparative literary research
standpoint.

Chapter 3 of this article explores the social realities of the colonial era
with the artist's consciousness appearing in the literature, observing the
attitude and sympathy of the authors of both countries towards women in
a bad society at the time by comparing the works. In this article, the
works from Vietnam are "Aunt Hao" by Nam Cao, "Hunger" by Thach
Lam and "Picked Wife" by Kim Lan. In Korean works, focus will be
dedicated on Do-hyang Na's "Deaf Samryongi", Yoo-jung Kim's "Mountain
Traveler", and Hyunjin-gun's "Fire", as they are assessed to be realistic
novels about the life and fate of women. In addition, comparison method,
especially between characters, will be utilized to draw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authors.

In Chapter 4, the constraints, meaning and formation of women's


points of view of colonial writers a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of
novels in a two-pronged approach. The first one is to study the ability to
socially adapt and overcome the reality of deprivation and unhappiness,
while the latter draws attention to the authors' criticism of colonial society
through these female characters.

The final chapter seeks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above, and
present a complete demonstration of the image of women in colonial
society throughout this thesis.

- 8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