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0

책1.indb 170 18. 11. 23.

오후 5:41
한국 문학의
역사
1 상고 시대~고려 시대의 문학

2 조선 시대의 문학

3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4 광복 이후의 문학

5 한국 문학의 발전상
단원 소개
이 단원은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평가되어 온 한국 문학을 감상하고 경험함으로써
한국 문학의 역사에 대해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 문학의 발전상을 탐구해 보기 위해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단원에서는 상고 시대부터 광복 이후에 이르는 시기까지 각
시대의 대표적인 작품을 감상해 보며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 문학의 내적 다양성과 외적
전개 양상을 살피며 발전상을 모색해 보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이 단원을 학습하면
서 대표적인 작품이 창작된 시대를 이해하고 그 시대에 풍미했던 문학의 특징을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문학에 대해 입체적·포괄적으로 이해해 보고
미래의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바를 탐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책1.indb 171 18. 11. 23. 오후 5:41



단원
길 한국 문학은 


시대별·갈래별로 
어떤 특징이 있을까?

우리는 문학 작품을 통해 그 작품이 창작된 시대를
간접적으로 이해하고, 그 시대를 풍미했던 문학의 특
징을 발견한다. ⇢ 문학 작품과 역사의 관계
이처럼 한국 문학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한국 문
학이 걸어온 발자취와 그 속에 담긴 문학적 특질을 이
한국 문학사 탐구의 효용 ①
해하는 과정이다. 더불어 문학에 반영된 당대의 시대
한국 문학사 탐구의 효용 ②
상황을 파악하고 문학과 역사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
법이다. ⇢ 한국 문학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의 효용
이 단원에서는 상고 시대부터 광복 이후에 이르는
시기까지 각 시대의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


┛: 한국 문학의 역사와 관련된 학습 내용
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감상해 볼 것
이다. 또한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
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탐구해 볼 것이다. 이

를 통해 한국 문학에 대해 입체적·포괄적으로 이해해
보고, 미래의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바를 탐색해 보자.
⇢ 단원 학습 내용

17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172 18. 11. 23. 오후 5:41


3

교과 역량

비판적· 자료·정보 의사소통 공동체· 문화 향유 자기

이 단원에서는 창의적
사고
활용 대인 관계 성찰·계발

193쪽 5번 활동
182쪽 3번 활동

1 [12문학03-03]
상고 시대~고려 시대의 문학 [12문학03-04]

작품 1 주몽 신화 _작자 미상 250쪽 4번 활동
212쪽 6번 활동
작품 2 제망매가 _월명사
254쪽 3번 활동
206쪽 5번 활동 작품 3 동동 _작자 미상

상고 시대 ~ 고려 시대 문학의 갈래별
2 전개와 구현 양상 3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과 시대
조선 시대의 문학 상황 및 문학과 역사의 관계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작품 1 이생규장전 _김시습 작품 1 산돼지 _김우진
작품 2 시조 네 편 _성삼문 외 작품 2 태평천하 _채만식
작품 3 속미인곡 _정철 작품 3 쉽게 씌어진 시 _윤동주
작품 4 임경업전 _작자 미상
개화기 ~ 일제 강점기 문학의 갈래별
조선 시대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 전개와 구현 양상
조선 시대의 문학과 시대 상황 및 개화기 ~ 일제 강점기의 문학과 시대
문학과 역사의 관계 한국 문학의 상황 및 문학과 역사의 관계

역사
286쪽 5번 활동
[12문학03-03]
[12문학03-04]
4 5
광복 이후의 문학 279쪽 5번 활동 한국 문학의 발전상
269쪽 5번 활동
작품 1 광장 _최인훈 작품 1 구부정 소나무 _리진
작품 2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_황지우 작품 2 소년을 위로해 줘 _은희경
작품 3 새 출발점에 선 당신에게 _신영복
한국 문학의 변화와 발전
광복 이후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광복 이후의 문학과 전통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
시대 상황 및 문학과 역사의 관계
[12문학03-06]

이 단원의 성취 기준 문학 기술•가정
[12문학03-03]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의 갈
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감 창의 융합 활동 한 권 책 읽기
상한다. 「동동」에 나타난 세시 명절 속 한식 만들기 책 소개 영상 만들기
[12문학03-04]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
계를 탐구한다.
[12문학03-06]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전통적 문학 대단원 길잡이 173
과 현대적 문학 등 다양한 양태를 중심
으로 한국 문학의 발전상을 탐구한다.

(170~229).indd 173 20. 11. 2. 오전 11:21


1
[ 학습 목표 ]
•‌상고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
구하고 감상한다.
•‌상고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
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탐구한다.

상고 시대~
고려 시대의
문학
생각해
보기 지도 방안
상고 시대의 암각화를 예로 들어, 한글이라는 표기 문자가 없던 시기에 문학 활동이 이루어진 양상에 대한 생각을 열어 주기
위한 삽화이다. 한국 문학의 기원을 살펴보고, 한국 문학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을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글이 없던
시대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은
거북이와 아닐까?
물고기 모양이
보여.

고기가 많이 잡히기를
바라는 소망을 나타내는
그림이 아닐까?

위의 사진은 상고 시대의 사람들이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이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어떻게 문학 활동을 했을까?

174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174 18. 11. 23. 오후 5:42


상고 시대~고려 시대의 문학의 특징과 양상
시대 주요 갈래 특징
상고 시대 건국 신화, 고대 가요 집단적인 주술 의식과 함께 행해지고,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를 보임.
삼국 시대 한문 문학, 향가 한자, 불교 등의 외래문화와 관련이 큼.
경기체가, 가전, 고려 한문을 자유롭게 사용하던 지배층에 의해 한문 문학이 융성함.
고려 시대
가요 평민들의 생활 속 감정을 우리말로 진솔하게 담은 고려 가요가 융성함.

작품 1 작품 2 작품 3

_작자 미상 _월명사 _작자 미상

서사 문학의 바탕이 되는 신화 10구체 향가에 나타난 서정성 화자의 정서와 고려 가요의 형


의 특징을 파악하며 작품을 감상 과 형식적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 식적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
하기. 을 감상하기. 상하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학습지


상고 시대의 문학은 사냥, 농업 등 공동체 생활과 관련된 일을 노래하는 집단적인 주술 의

┛: 상고 시대 문학의 특징 ① - 집단적인 주술 의식과 함께 행해짐.
식과 함께 행해졌으며, 춤과 음악이 혼합된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를 보였다. 고대 국가가
┛상고 시대 문학의 특징 ② -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를 보임.
형성되면서 건국 시조를 신성화한 건국 신화가 등장하였고, 사회가 발전하고 제의와 주술
주요 작품 : 「단군 신화」, 「주몽 신화」, 「수로 신화」 등
의 영향력이 약해지면서 점차 개인의 정서를 노래하는 고대 가요가 등장하였다.
주요 작품 : 「구지가」, 「황조가」, 「공무도하가」 등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정립되었고, 각 국가는 효율적인 통치 체제
⇢ 상고 시대 문학의 특징과 양상
를 갖추기 위해서 한자, 불교 등의 외래문화를 수용하였다. 이에 따라 한문 문학이 등장하
주요 작품 : 「여수장우중문시」, 「야청도의성」, 「화왕계」 등
고 발달했으며,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한 노래인 향가가 출현하였다.
주요 작품 : 「서동요」, 「찬기파랑가」, 「제망매가」 등
고려 시대에는 과거 제도의 실시로 한문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계층이 나타나면서, 한
⇢ 삼국 시대 문학의 특징과 양상
문 문학은 더욱 융성하게 되었다. 고려 중기에는 귀족들의 풍류와 자기 과시 등을 노래한
경기체가가 창작되었으며, 고려 말에는 설화와 소설을 이어 주는 가전(假傳)이 등장하였
주요 작품 :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등 주요 작품 : 「공방전」, 「국순전」, 「국선생전」 등
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고려 시대에 꽃을 피운 것은 고려 가요이다. 비록 당시에 우리의
주요 작품 : 「동동」, 「가시리」, 「청산별곡」 등
문자가 없어 민간에서 구전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기록되었지만, 고려 가요는 평민 해 보자.
알고 싶은 것을 질문
스스로 질문 이 단원 학습을 통해
들의 생활 속 감정을 우리말로 진솔하게 담아 을까?
의 문학은 어떻게 기록되었
고려 가요의 의의 표기 수단이 없던 상고 시대
수준 높은 문학의 경지를 보여 주었다. 또한, 있을까?
에는 어떤 것들이
평민들의 생활과 감정
고려 가요에 담긴
고려 말기 시조가 발생한 것도 의미 있는 성
과로 볼 수 있다. ⇢ 고려 시대 문학의 특징과 양상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75

책1.indb 175 18. 11. 23. 오후 5:42


고전 문학 갈래별 한눈에 보기

원시 종합 예술
상고 시대에 문학, 음악, 무용 등의 예술 삼국 시대 이전부터 삼국 시대 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까지 향찰
영역이 분화되지 않은 채 연행된 예술의 초기에 걸쳐 불린 노래로, 우리말 로 지어진 서정시이다. 형식에 따
형태이다. 이후 노랫소리는 음악으로, 노랫 로 불리던 것이 후에 한자로 번역 라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분류할
말은 문학으로, 춤과 몸짓은 무용과 연극으 되어 지금까지 전해진다. 이 시기 수 있고, 이 중 10구체 향가는 가장
로 분화되어 발전하였다. 의 고대 가요는 노래가 만들어진 정제된 형식으로 ‘사뇌가 ’라고도
배경 설화와 함께 전해지는 특성이 한다. 향가의 주된 작자층인 승려,
있으며, 집단적 노동요에서 개인적 화랑 등의 정신세계와 정서가 잘
인 서정요로 발전·분화되는 모습 표현되어 있다.
교과서 186쪽
을 보인다. 주요 작품 4구체: 「서동요」, 「풍요」
주요 작품 「구지가」, 「해가」, 「공무도하 8구체: 「모죽지랑가」, 「처용가」
가」, 「황조가」 교과서 134쪽 10구체: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운문
교과서 184쪽 교과서 187쪽

B.C. 2333 원시 종합 예술 B.C. 57 B.C. 37 B.C. 18 676


고조선 건국 신라 건국 고구려 건국 백제 건국 신라의 삼국 통일

산문
고대 국가의 성립과 함께 건국 신 삼국 시대에는 전설, 민담이 융
화가 등장하였다. 이들 신화는 제 성하였다. 불교의 이치를 쉽게 전
천 행사에서 서사시의 형태로 불리 달하기 위한 고승들의 일화와 상층
면서 안으로는 국가 구성원을 결속 과 하층, 남녀의 관계가 다양한 설
시키고, 밖으로는 나라에 대한 자 화로 전승되면서 서사 문학이 활기
긍심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를 띠었다. 고대 설화는 훗날 패관
교과서 182쪽
주요 작품 「단군 신화」(고조선), 「주몽 문학과 가전을 거쳐 소설로 발전된
신화」(고구려), 「박혁거세 신화」(신 다. 이때의 작품들은 고려의 『삼국
라), 「수로 신화」(가야) 사기』(김부식), 『삼국유사』(일연)에
수록되어 전해진다.
교과서 178쪽
주요 작품 「온달 설화」, 「호동 설화」,
「도미 설화」

176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176 18. 11. 23. 오후 5:42


1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고려 시대에 불린 다양한 시가
이다. 원래 민간에서 유포·전승되
다가 궁중 음악으로 수용되는 경 무신의 난 이후 신흥 사대부들이
향을 보이는데, 훈민정음 창제 이 향락적인 여흥을 읊은 노래이다.
후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 ‘경기체가’라는 명칭은 ‘위 ~ 경(景)
향악보』 등에 채록되어 전해지고 긔 엇더니잇고’라는 구절이 되풀
중국의 한시를 받아들여 우리 고 있다.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이별에 이되는 것에서 따온 것이다. 고려
유의 사상과 정서를 담아 표현하였 대한 안타까움, 삶에 대한 고뇌 등 가요와 더불어 고려 시대의 대표적
다. 한자로 지어졌기 때문에 주로 을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인 문학 갈래였으나, 이후 조선 시
지배층의 문학으로 향유되었다. 교과서 188쪽 교과서 193쪽
주요 작품 「정과정」(정서), 「동동」, 「가 대에 들어 쇠퇴하게 되었다.
주요 작품 「추야우중」·「제가야산독서 시리」, 「청산별곡」, 「서경별곡」, 「정석 주요 작품 「한림별곡」(한림 제유), 「죽
당」(최치원) 가」, 「만전춘별사」, 「쌍화점」 교과서 45쪽 계별곡」(안축)
교과서 194쪽

향가의 쇠퇴

918 1170 1392


고려 건국 무신의 난 고려 멸망, 조선 건국

서민들이 참여했던 설화 문학과 사물을 의인화하여 가계(家系), 패관 문학은 항간에 떠도는 이야


달리 한문 문학은 지배층이 주도했 생애, 성품, 업적 등을 기록한 허구 기(설화)를 문인들이 한문으로 기
다. 삼국이 정립되면서 중국과의 적 전기 형식의 문학으로 주로 계 록한 문학을 말한다. 채록되는 과
문물 교류가 활발해지고, 통일 신 세징인(戒世懲人: 세상 사람들을 정에서 채록자의 창의성이 가미되
라 시대에 중국으로 유학생을 파견 경계하고 징벌함.)을 목적으로 지 어 윤색되기도 하였다.
하면서 특히 발전했다. 어진 이야기이다. 풍자성, 창의성 주요 작품 『파한집』(이
주요 작품 「화왕계」(설총), 「격황소서」 이 가미된 허구적 이야기이기 때문 인로), 『보한집』(최자),
(최치원), 『왕오천축국전』(혜초) 에 소설에 한 단계 더 접근한 문학 『역옹패설』(이제현)
양식으로 볼 수 있다.
주요 작품 「국선생전」(이규보), 「국순
전」·「공방전」(임춘), 「죽부인전」(이곡)
교과서 55쪽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77

책1.indb 177 18. 11. 23. 오후 5:42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주몽(동명왕)’의 신이한 탄생과 고구려 건국의 과정을 다룬 건국 신화로, 영웅의 일대기를 보여 주는 전

1
형적인 서사 구조 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다양한 화소에 담긴 고대인의 풍부한 상상력과 신화
작품
적 상징성을 살펴보고, 건국 신화로서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이해할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의 영웅적 일생을 다룬 건국 신화이다. 서사 문학의 바탕이


되는 신화의 특징을 파악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핵심 갈래 건국 신화
정리
성격 서사적, 영웅적
주몽 신화 朱蒙神話 작자 미상

제재 ‘주몽’의 고구려 건국
‘주몽 ’의 탄생과 고
주제
구려 건국의 내력

난생 설화 중에서
인생란(人生卵) 설
화에 해당함.
여러 신화적 화소
(천손 강림, 난생,
특징 기아, 태양 숭배
등)를 복합적으로
지님.
주몽 유화
‘천
 제 – 해 모 수 –
천제의 아들인 물을 맡아 다스리는
주몽’의 삼대기 구
해모수와, 유화 신인 하백의 딸로
조를 보여 줌.
사이에서 태어남. 주몽을 낳음.

‘주몽’의 혈통
고구려는 곧 졸본 부여이다. 지금의 화주(和州), 또는 성주(成州)라고도 하나
‘해모수’ ‘유화’ 이는 모두 잘못이다. 졸본주(卒本州)는 요동 방면에 있다. 05
하늘을 물을 다
다스리 + 스리는 『국사(國史)』 「고려본기(高麗本記)」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는 ‘천제’ ‘하백’의 신라 진흥왕 때 편찬한 역사서
의 아들 딸 시조 동명 성제의 성은 고씨(高氏)이며, 이름은 주몽(朱蒙)이다. 이에 앞서
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 북부여의 왕 해부루가 이미 동부여로 피해 갔으며, 부루가 세상을 떠나자 금와
‘주몽’
‘주몽’은 천신과 수신의 자 가 왕위를 계승했다. 이때 금와는 태백산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한 여자를
손으로, 고귀한 혈통을 지
닌 인물임. 이러한 인물 설 만나 누구인가를 물으니 여자가 말하기를, 10
정은 ‘주몽’이 신성한 존재
임을 강조하기 위한 신화 “나는
 하백(河伯)의 딸로 이름은 유화(柳花)인데, 여러 아우들과 노닐고 있을
물을 맡아 다스리는 신
적 장치임.
때에 한 남자가 나타나 자기는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고 하면서 나를 웅신산

┛: 천신과 수신의 만남 - ‘주몽’의 고귀한 혈통과 신성성 강조
(熊神山) 밑 압록강 가에 있는 집 속으로 꾀어 남몰래 정을 통해 놓고 가서는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우리 부모는 내가 중매도 없이 혼인한 것을


태백산 이 작품에서는 ‘백
┛ ‘유화’가 귀양 온 이유

두산’을 가리킨다. 꾸짖어 마침내 이곳으로 귀양을 보낸 것입니다.” 15


우발수
중매 결혼이 이루어지도
록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라고 하였다. ⇢ 우발수로하늘과
쫓겨난 ‘유화’의 사연
관련이 있음.
‘유화’
또는 그런 사람. 금와는 이를 이상하게 여겨 그 여인을 방 속에 가두어 두었더니, 햇빛이 방
전체 구성
고귀한 혈통 비정상적 출생 버려진 아이 비범한 능력 성장 후 시련 시련 극복 위업 성취
178 4. 한국 문학의 역사 ‘주몽’은 ‘천제’의 ‘유화’가 햇빛을 ‘금와왕’이 ‘유화’ ‘주몽’은 기골이 ‘주몽’은 그의 능 ‘주몽’이 물고기 ‘주몽’은 고구려
아들인 ‘해모수’ 받아 알을 낳고, 가 낳은 알을 기 준수하고, 활을 력을 시기하는 사 와 자라의 도움을 를 건국하고 성을
와 ‘하백’의 딸인 그 알에서 ‘주몽’ 이하게 여겨 내다 매우 잘 쏨. 람들에 의해 위험 받아 위기를 넘 ‘고(高)’로 삼음.
‘유화’의 아들임. 이 태어남. 버림. 에 처함. 김.

책1.indb 178 18. 11. 23. 오후 5:42


1

속을 비췄다. 여인이 몸을 피하자 햇빛이 따라와 또 비췄다. 그로부터 태기가 신화적 상징성
‘주몽’이 하늘의 혈통임을 드러냄.
있더니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닷 되들이만 했다. 왕은 그것을 버려 개와
┏ 태양 숭배 사상
‘주몽’의 신이한 출생(난생 설화) : ‘주몽’의 조력자 과 천신 숭배
‘햇빛’
사상을 상징적
돼지에게 주었으나, 모두 먹지를 않았다. 그래서 길에 내다 버리게 하였더니,
┏ 으로 표현함.
┛: ‘주몽’의 시련 ①–‘주몽’이 신성한 존재임을 암시함.
소와 말이 모두 그 알을 피해서 지나갔다. 또 들에 내다 버리니, 새와 짐승이 현실의 질서를
깨뜨리고 새로
05 오히려 덮어 주었다. 이에 왕이 알을 쪼개 보려고 했으나 깨뜨릴 수가 없어 마 ‘알’ 운 세계의 질서
┛ 를 세우는 것을
침내 그 어머니에게 다시 돌려주었다. 그 어머니는 알을 물건으로 싸서 따뜻한 의미함.

곳에 두었더니, 한 아이가 껍질을 깨고 나왔는데, 골격과 외양이 영특하고 기

이하였다. ⇢ ‘주몽’의 신이한 탄생과 시련


나이 겨우 일곱 살에 기골이 준수하니 범인(凡人)과 달랐다. 스스로 활과 화 ‘ 주몽 ’ 이라는 이름의 의
‘주몽’의 특별한 모습 미는 무엇인가?
10 살을 만들어 쏘는데, 백 번 쏘면 백 번 다 적중하였다. 그 나라의 풍속에 활을 활을 잘 쏘는 사람을 일컫는
‘주몽’의 비범한 능력
다.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 하였는데, 이런 연유로 해서 그는 주몽(朱蒙)이라 이

름하였다. ⇢ ‘주몽’의 비범함과 이름의 유래


금와에게는 아들이 일곱이 있었는데, 언제나 주몽과 함께 놀았으나 그 재능 ‘ 주몽 ’ 에 대한 ‘ 대소 ’ 의
태도는 어떠한가?
이 주몽을 따르지 못하였다. 이에 장자인 대소(帶素)가 왕께 아뢰었다. ‘주몽’의 능력을 시기하여 그
를 없애고 싶어 한다.
15 “주몽은
 사람이 낳은 자식이 아니니 일찍 없애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까 두렵
‘금와’의 아들들이 ‘주몽’을 시기함. → ‘주몽’이 겪을 고난과 시련을 암시함.
습니다.”

그러나 왕은 듣지 않고 주몽을 시켜 말을 기르게 하였다. 주몽은 곧 좋은 말




┛: ‘주몽’의 비상한 예지를 보여 줌.
을 알아보았다. 그래서 좋은 말은 일부러 먹이를 적게 주어 여위게 하고, 나쁜

말은 먹이를 많이 주어 살찌게 하였다. 왕은 살찐 말은 자기가 타고 여윈 말은


20 주몽에게 주었다.

왕의 여러 아들과 여러 신하들이 주몽을 죽이려고 하니, 주몽의 어머니가 이
‘주몽’의 시련 ②
사실을 미리 알아차리고 주몽에게 이르기를,
태기 아이를 밴 기미.

 나라 사람들이 너를 죽이려고 하는데, 너의 재주와 지략으로 어디를 간


“이 범인 평범한 사람.
장자 맏아들.
들 살지 못하겠느냐. 그러니, 빨리 여기를 벗어나라.”
여위게 몸의 살이 빠져 파
25 하였다. 리하게 되게.
지략 어떤 일이나 문제든
그리하여 주몽은 오이(烏伊) 등 세 사람을 벗으로 삼아 함께 도망하였는데,
지 명철하게 포착하고 분
엄수(淹水)에 이르러 물을 향해 고하기를, 석ㆍ평가하며 해결 대책을
‘주몽’의 앞길을 막음. → ‘주몽’이 위기에 처함. 능숙하게 세우는 뛰어난 슬
“나는
 천제의 손자이며 하백의 외손자다. 오늘 도망해 가는데, 뒤쫓는 자들 기와 계략.
자신의 고귀한 혈통을 드러냄.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79

문학 주석교과서(170~229)4단원①.indd 179 18. 11. 29. 오후 3:52


이 거의 닥치게 되었으니 이를 어찌하리오.”

하였다. ⇢ ‘주몽’의 성장과 시련


이에 물고기와 자라가 솟아올라 다리를 만들어 주어 그들을 건너게 한 다음
수신 ‘하백’의 외손자인 ‘주몽’을 도움.
흩어졌다. 이로써 뒤쫓아 오던 기마병은 건너지를 못하고 주몽은 무사히 졸본

주(현도군의 지경)에 이르러 이곳에 도읍을 정하였다. 그러나 미처 궁실을 지 05


‘주몽’이 시련을 극복하고 위업을 달성함.
을 겨를이 없어서 다만 비류수(沸流水) 위에 집을 지어 거처하면서 국호를 고

구려라고 정하였다. 인하여 고(高)로써 성을 삼았다. ― 본성은 해(解)였으나, 천제


의 손자로 햇빛을 받고 낳았다 하여 스스로 고(高)로써 성을 삼았다. ― 이때의 나이가
‘고(高)’를 성으로 삼은 이유
12세였는데, 한나라 효원제(孝元帝) 건소(建昭) 2년 갑신(甲申)에 즉위하여 왕
‘주몽’이 고구려의 시조가 됨.
이라 일컬었다. 고구려가 제일 융성하던 때는 21만 5백 8호나 되었다. 10
궁실 궁전 안에 있는 방.
⇢ ‘주몽’의 시련 극복과 위업 성취
비류수 고구려의 영토에
인물 간의 관계
있던 강. 고구려의 시조 주 가장 인상적인 장면과 그 이유 나의
몽이 이 강의 계곡인 홀본
‘주몽’ 감상
 ‘주몽’이 좋은 말을 알아보고, 이를 여위게
(忽本) 서쪽에 성을 쌓았다 만들어서 자신이 가지는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알(‘주몽’)’을 버리게 한 ‘금와왕’
는 설이 있다. 대립 ‘주몽’의 생각이 무척 기발하기도 했고, 자신이 원하
‘주몽’을 죽이고자 한 ‘대소’와 나
관계 는 바를 이루어 내는 모습도 멋졌기 때문이다.
본성 성(姓)을 고치기 이 머지 왕자들
전에 본디 가졌던 성. ‘알(‘주몽’)’을 보호한 여러 짐승들
함께 부여를 떠나는 ‘오이’ 등 세
조력
사람의 벗
관계
‘주몽’에게 다리를 만들어 준 물 학습 자료 바로 가기
고기와 자라 DVD–학습지, 쪽지 시험

확인 문제

1. 이 작품은 ‘주몽’의
 일생을 영웅의 일대기 구조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 ×)
2. ‘주몽’의
 난생(卵生)은 그가 겪을 시련을 암시하는 역할을 한다. (, ×)
3. 이 작품은 ‘주몽’의 고귀한 혈통을 강조하여 민족적 자부심을 높이고 있다. (, ×)
4. 이 작품에서 ‘주몽’의 무리가 엄수에 이르렀을 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조력자를 쓰시오.
5. 이 작품이 어느 나라의 건국 내력을 다룬 건국 신화인지 쓰시오.
1.  2. × 3.  4. 물고기와 자라 5. 고구려

18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180 18. 11. 23. 오후 5:42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사건의 흐름에 따라 ‘주몽’의 생애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 보자.

동 고귀한 혈통

비정상적 출생
‘주몽’은 ‘천제’의 아들인 ‘해모수’와 ‘하백’의 딸인 ‘유화’의 아들임.

‘유화’가 햇빛을 받아 알을 낳고, 그 알에서 ‘주몽’이 태어남.


지도 방안
「주몽 신화」의 서사 구조
버려진 아이 ‘ 금와왕 ’이 ‘ 유화 ’가 낳은 알을 기이하게 여겨 내다 버림.
가 영웅의 일대기 구조임
을 이해하고, 「주몽 신화」
에서는 그것이 어떻게 형 ‘주몽’은 기골이 준수하고 활을 매우 잘 쏨.
상화되어 있는지 확인하 비범한 능력
며 내용을 정리하도록 지
도한다. ‘ 주몽 ’의 능력을 시기하는 사람들에 의해 위험에 처함.
성장 후 시련

‘주몽’이 물고기와 자라의 도움을 받아 위기를 넘김.


시련 극복

위업 성취 ‘주몽’은 고구려를 건국하고 성을 ‘고(高)’로 삼음.

문학과 역사의 관계

2 다음 글을 참고하여, 이 작품이 고구려 백성들에게 어떤 의미를 지녔을지 말해 보자.

도움말 | 이 작품이 고구
건국 신화란 나라의 기원, 시조(始祖), 건국 등을 신성화한 이야기를 말한다. 신
려 백성들에게 어떤 의미 건국 신화의 개념
를 지녔을지 생각해 보 성화한다는 것은 특정 인물이나 그의 행위가 신적인 위상으로까지 떠받들어진다
며, 건국 신화의 기능을 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국 신화는 특정 인물이 나라를 세웠다는 역사적 사실
파악해 본다. 건국 신화의 내용 ①
에 기반을 둔 이야기이면서도, 그 인물의 건국 행위를 신성화하고 그를 신격화한
건국 신화의 내용 ②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지도 방안
천신과 수신의 결합으로
탄생한 고귀한 존재인 ‘주
몽’이 나라의 시조임을 고 고구려 백성들에게 「주몽 신화」가 지녔을 의미: 신성한 인물이 통치하는 나라의 백성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게
려하여, 당대 고구려 사람
들에게 「주몽 신화」가 지 해 주었을 것이고, 신성한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함으로써 공동체적 일체감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해 주었을 것이다.
녔을 의미를 생각해 보도
록 지도한다.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81

책1.indb 181 18. 11. 23. 오후 5:42


지도 방안
「단군 신화」와 「주몽 신화」를 통해, 신화 속 주인공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살펴보도록
지도한다. 또한, 인물의 특성이 유사한 한국 문학 작품을 찾아 감상하며 작품에 대한 이
감상 다지기 해를 확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한국 문학의 역사적 갈래
문화 향유
3 다음 작품을 읽고, 작품에 나타난 신화 속 주인공의 특성을 「주몽 신화」와 비교해 보자.

참고 자료 | 「단군 신화」
이 작품은 고조선의 건국 앞부분 줄거리 환인의 아들 환웅이 인간 세상에 관심을 두자, 환인은 환웅에게 인간 세상에
신화로, 단군의 탄생과 고조선 내려가서 사람들을 다스리라고 하였다. 환웅은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삼천 명의 무리를 이끌고
의 건국 내력을 밝히고 있다.
내려와, 인간의 일을 주관하며 인간 세계를 다스려 교화하였다.

핵심 갈래 건국 신화
정리 이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에서 살았는데, 늘 환웅(桓雄)에게 사람
성격 서사적, 상징적 곰을 숭배하는 부족 범을 숭배하는 부족 인간 지향
‘단군 ’의 탄생과 고
이 되기를 빌었다. 때마침 환웅이 신령한 쑥 한 심지와 마늘 스무 개를 주면서 말
제재
조선의 건국 했다. ⇢ ‘곰’과 ‘범’이 사람이 되길 소망함.
단일 민족의 역사성
주제
과 홍익인간의 이념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 날 동안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곧 사람이 될 것이다.”
곰과 범은 이것을 받아서 먹었다.┏곰은 기(忌)한 지 이십일 일 만에 여자의 몸이
금기, 통과 의례, 고난과 시련
‘환
 인 – 환 웅 – 단
군’에 이르는 삼대 꺼린, 피한 삼칠일(三七日) → 민속적 금기
되었으나, 범은 능히 기하지 못했으므로, 사람이 되지 못했다. 여자가 된 곰은 그
특징
기(三代記) 구성이 ┏
┛: 곰을 숭배하는 부족이 범을 숭배하는 부족에게 승리함. ┛ ‘웅녀’
나타남. 와 혼인할 상대가 없었으므로 항상 단수(壇樹) 밑에서 아이 배기를 축원했다. 환
천손 하강, 천부 지 신단수
모의 화소를 지님. 웅은 이에 임시로 변하여 그와 결혼해 주었더니, 그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다.
제사장 정치적 군장 천상의 존재와 지상의 존재의 결합 → 천부 지모(天父地母)형 화소
이름을 단군왕검이라 일렀다.
제정일치
⇢ 여자가 된 ‘곰’과 ‘환웅’ 사이에서 ‘단군왕검’이 탄생함.

왕검은 요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오십 년인 경인년 ―요임금의 즉위 원년은 무진이


니, 오십 년은 정사이지 경인은 아니다. 아마 그것은 사실이 아닌 것 같다.― 에 평양성 ―지금의

서경(西京)― 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朝鮮)이라 불렀다.


고조선
⇢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함.
또다시 도읍을 백악산(白岳山) 아사달(阿斯達)에 옮겼다. 그곳을 궁홀산(弓忽
고조선의 도읍지
山) ―혹은 궁이 방(方) 자로도 되어 있다.― 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 한다. 그는 일천오
백 년 동안 여기서 나라를 다스렸다. 주나라 무왕(武王)이 왕위에 오른 기묘년에
무왕이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封)하니, 단군은 이에 장당경(藏唐京)으로 옮아갔
요임금 중국 고대 전설상의 다가 후에 돌아와 아사달에 숨어서 산신이 되었는데, 나이가 일천구백여덟 살이었
신성한 존재가 된 ‘단군왕검’
임금. 성덕을 갖춘 이상적인
군주로 꼽힘.
다고 한다. ⇢ ‘단군왕검’이 산신이 됨.
 - 작자 미상, 「단군 신화 (檀君神話)」
기자 고조선 때에 있었다고
하는 전설상의 기자 조선의
시조(始祖).

1 ‘단군’과 ‘주몽’의 생애를 통해 알 수 있는 신화 속 주인공의 특성을 말해 보자.


건국 신화 속 주인공들은 고귀한 혈통으로 태어나 신이한 능력을 지녔으며, 위업을 이룬다는 특성을 지닌다. ‘단
군’은 ‘천제’의 손자로 천상적인 존재인 ‘환웅’과 지상적 존재인 ‘웅녀’의 결합으로 태어났으며, 고조선을 건국하
여 일천오백 년 동안이나 다스린다. ‘주몽’ 또한 ‘천제’의 아들인 ‘해모수’와 ‘하백’의 딸인 ‘유화’ 사이에서 태어났
는데, 골격과 외양이 영특하고 기이하였으며 활을 잘 쏘았다. 훗날 고구려 건국이라는 위업을 달성한다.

2 ⑴에서 정리한 주인공의 특성이 나타나는 한국 문학 작품을 더 찾아보자.


•작자 미상, 「유충렬전」: 천상계의 신선이던 ‘유충렬’이 죄를 지어 지상으로 하강하게 되며, 고위 관리 ‘유심’의
외아들로 태어난다. ‘유충렬’은 간신 ‘정한담’의 박해로 죽을 고비에 처하지만, 부친의 친구 ‘강희주’를 만나 그
의 사위가 되고 도승에게 도술을 배운다. ‘정한담’의 반란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유충렬’이 ‘천자’를 구하
182 4. 한국 문학의 역사 고 나라를 바로잡는다. 이로써 ‘유충렬’은 높은 벼슬에 오르고 부귀영화를 누린다.

책1.indb 182 18. 11. 23. 오후 5:42


감상을
작품 1 주몽 신화
마치며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주몽 신화」는 고구려의 건국 시조인 ‘주몽’의 출생 및 성장 과정에서부터 부여를 탈출해서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고구려를 건국하기까지의 내용을 다루고 있는 건국 신화이다. 이 작품은 우리나라의 건국 신
품의 신화적 상징성과 서
화 중에서 난생(卵生)이라는 기이한 탄생 화소(話素: 소설과 같은 문학 작품에서, 이야기를 구
사 구조의 특징 및 의의를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하였 성하는 최소 단위)와 더불어 천손 강림(天孫降臨), 기아(棄兒), 태양 숭배 등 고대 서사 문학의
다. 학생들과 함께 읽거나
다양한 화소가 모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대인들의 풍부한 상상력과 신화적 상징성을 엿볼
간단히 질문을 하면서 작
품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에는 주몽의 생애를 통해 영웅의 일대기 구조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대 서사 문학에서 자주 나타나는 이야기의 요소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영웅의 일대기 구조
‘지식 창고’에서는 영웅의 영웅 일대기 구조는 영웅적 인물의 일생을 다룬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서사 구조를
일대기 구조에 대하여 제
시하였다. 영웅적 인물의 말한다. 영웅 일대기의 주요 서사 구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은 고귀한 혈통
일생을 다룬 이야기에서 으로, 비정상적으로 출생한다. 둘째, 주인공은 어려서부터 비범한 능력을 발휘한다. 셋째, 주인
는 공통된 서사 구조가 나
타난다는 점, 영웅의 일대 공은 일찍 가족과 헤어지거나 버려지는 등의 고난에 부딪힌다. 넷째, 고난에 부딪힌 주인공은
기 구조가 한국 문학에서 구출자 또는 양육자를 만난다. 다섯째, 주인공은 다시 위기를 맞는다. 여섯째, 주인공은 위기를
영웅 서사 문학의 기본 구
극복하고 위업을 달성한다.
조가 되었다는 점을 대표
적인 작품을 예로 들어 이 이러한 영웅 일대기 구조는 한국 문학에서 영웅 서사 문학의 기본 구조가 되었고, 신화, 영
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웅 서사시, 영웅 소설, 신소설 등에서 두루 나타나게 되었다. 영웅 일대기 구조가 나타나는 대
표적인 작품으로는 「주몽 신화」 이외에도 「홍길동전」, 「유충렬전」 등이 있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갈래 작자 미상
인물
‘더 읽어 보기’에서는 「주
몽 신화」와 관련하여 갈래
와 인물의 측면에서 함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들을
엮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 「바리데기」 작자 미상 「동명왕편」 이규보
로 작품을 감상해 보고,
주인공의 일대기와 인물 부모를 구하기 위한 바리데기의 영웅 고구려의 건국 시조인 동명왕의 신화
에 대한 서술을 비교하여 적 행위를 노래한 무속 신화. 주인공의 를 재창작한 서사시. 인물에 대한 서술
살펴볼 수 있도록 이끌어
일대기를 비교하며 감상해 보자. 을 비교하며 감상해 보자.
준다.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83

책1.indb 183 18. 11. 23. 오후 5:42


●● 작품 선정 이유
10구체 향가인 이 작품은 정제된 형식미를 잘 갖추었고, 수준 높은 서정성과 비유적 표현을 담고 있어 문학성이 매

2
우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당대인들의 정
작품
서와 세계관을 살펴볼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누이와의 사별을 노래한 향가이다. 10구체 향가에 나타난 서정성과


형식적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제망매가 祭亡妹歌 월명사 지음, 김완진 해독

월명사 생사(生死) 길흔 生死路隱


생 사 로 은
(? ~ ?)
이 이샤매 머믓그리고, 此矣有阿米次 伊遣 05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 이승, 현재 공간, 이별의 공간 차 의 유 아 미 차 힐 이 견
향가를 잘 지었다고 전한다. 나 가다 말ㅅ도 吾隱去內如辭叱都
화자의 누이 오 은 거 내 여 사 질 도
경덕왕 19년(760)에 해가 둘
몯다 니르고 가닛고. 毛如云遣去內尼叱古
나타나자 향가 「도솔가」를 모 여 운 견 거 내 니 질 고
於內秋察早隱風未 ⇢
1~4구 : 누이의 죽음에서
지어 불러 괴변이 사라지게 어느  이른 매 느낀 두려움과 애처로움
했으며, 죽은 누이의 영혼을 누이가 어린 나이에 죽었음을 암시함. 어 내 추 찰 조 은 풍 미
달래기 위하여 「제망매가」를 이 뎌 러딜 닙. 此矣彼矣浮良落尸葉如
죽은 누이 차 의 피 의 부 량 락 시 엽 여
지었다.
 가지라 나고 一等隱枝良出古 10
한 부모, 같은 핏줄 일 등 은 지 량 출 고
핵심 갈래 10구체 향가
정리
가논 곧 모론뎌. 去奴隱處毛冬乎丁
성격
추모적, 애상적, 종 ▲ (누이를) 화자 거 노 은 처 모 동 호 정 ⇢ 5~8구: 누이의 죽음에서
교적 아야 미타찰(彌陁刹)아 맛보올 나 阿也 彌陁刹良逢乎吾 느끼는 인생의 무상함
제재 누이의 죽음 감탄사 누이와 다시 만날 것을 확신함. 아 야 미 타 찰 량 봉 호 오

죽은 누이의 명복을 도(道) 닷가 기드리고다. 道修良待是古如


주제
빌고 재회를 소망함.
의지적 태도
: 저승(극락세계), 미래 공간, 재회의 공간
도 수 량 대 시 고 여 ⇢
9~10구: 인간적 슬픔과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종교적 극복 의지

누이와의 사별을
현대어 풀이 비유적 표현의 의미와 효과
자연 현상에 빗대
어 비유적으로 표 비유적 표현 의미 효과
생사 길은 15
현함. 누이의 요절 → 누이의 때 이른 죽음에
‘이른 매’ 한 가지에서 난 잎들이
하강적 이미지를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대한 놀람과 안타까움(아쉬움) 떨어지는 모습으로 누이
통해 죽음의 분위

나는 간다는 말도 죽은 누이 → 언젠가는 죽을 수밖에 없 의 죽음을 형상화하여,


특징 기를 효과적으로 ‘러딜 닙’
는 인간의 운명을 떠올리게 하는 계기 누이의 요절에 대한 슬
형상화함. 못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같은 부모 → 누이의 죽음에 화자가 무 픔과 안타까움을 절묘하
누이의 죽음이라는
‘ 가지’ 고 감각적으로 표현함.
인간적 슬픔과 고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심할 수 없는 까닭
뇌를 종교적으로
극복하려는 의지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작품을 감상한 후 나의 한 줄 느낌 나의 20

를 드러냄.
감상
한 가지에 나고 이별의 슬픔으로 절망하는 것이 아니라
희망을 갖고 먼 훗날의 재회를 확신하는 화자의 긍
가는 곳 모르온저.
정적인 자세가 감동적이었다.
전체 구성
아아, 미타찰에서 만날 나
누이의 죽음에
1~ 학습 자료 바로 가기
서 느낀 두려움 도 닦아 기다리겠노라.
4구 DVD–학습지, 쪽지 시험
과 애처로움
확인 문제
누이의 죽음에
5~
서 느끼는 인생 1. 이 작품은 ‘2구–4구–4구’의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 ×)
8구
의 무상함 2. 이 작품은 누이의 죽음을 슬퍼하며 절망하고 있는 화자의 심정을 그리고 있다. (, ×)
인간적 슬픔과 3. 이 작품에서 화자의 누이가 어린 나이에 죽었음을 암시하는 시구를 찾아 쓰시오.
9~ 인생의 무상함 4. 이 작품에서 화자와 누이가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났음을 표현한 시구를 찾아 쓰시오.
184 4. 한국 문학의 역사
10구 에 대한 종교적 1. × 2. × 3. 이른 매(이른 바람에) 4.  가지(한 가지)
극복 의지

책1.indb 184 18. 11. 23. 오후 5:42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시구의 의미와 비유적 표현의 효과를 파악해 보자.


1 다음 시구들이 무엇을 비유한 것인지 말해 보자.

어느  이른 매 이른 바람 누이의 요절(夭折)

지도 방안
이 뎌 러딜 닙.
떨어질 잎 죽은 누이
자연 현상에 빗대어 시상  가지라 나고
이 형상화되고 있다는 점
에 주목하여 시구의 비유
가논 곧 모론뎌. 한 가지 같은 부모
적 의미를 탐구한 후, 이를
바탕으로 표현 효과를 파
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이 작품에서 비유적 표현의 시구들을 사용한 효과를 파악해 보자.
한 가지에서 난 잎들이 여기저기 떨어지는 모습으로 누이의 죽음을 형상화하여, 화자가 누이의 요절에 대해 느끼
는 슬픔과 안타까움을 감각적으로 구체화하여 표현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한국 문학의 역사적 갈래

지도 방안 2 화자의 정서에 따라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이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알아보자.


화자의 정서에 따라 작품
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주 1 이 작품을 화자의 정서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보고,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자.
요 내용을 정리해 보고,
낙구 첫머리에 있는 감탄
사의 효과를 생각해 보며 1~4구 누이의 죽음에서 느낀 두려움과 애처로움.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아
름다움을 경험해 보도록
지도한다. 5~8구 누이의 죽음에서 느끼는 인생의 무상함

학습 자료 바로 가기 9~10구 인간적 슬픔과 인생의 무상함에 대한 종교적 극복 의지


DVD–수행 평가

2 제9구의 첫머리에 있는 감탄사 ‘아야’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말해 보자.


‘아야’는 앞서 전개된 시상을 정리하고 작품의 전체적인 마무리를 이끄는 역할을 한다. 즉, 누이의 죽음에 대한
화자의 슬픔과 삶의 고뇌가 종교적 믿음을 통해 극복되는 부분으로, 1~8구까지 이어져 오던 비극적 정서를 슬픔
의 극복 의지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3 ⑴과 ⑵를 바탕으로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을 말해 보자.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은 시상을 3단(4구–4구–2구)으로

전개하며, 결구(낙구)의 첫 부분을 감탄사로 시작함으로써 화자의

정서를 집약하면서 시상을 마무리한다는 것

(이)야.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85

책1.indb 185 18. 11. 23. 오후 5:42


2

지도 방안
향찰은 우리말을 온전히 표기하기 위해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마련한 표기법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떠올려 보고, 향가가 한국 문학인 이유와 향가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다음 글을 바탕으로 향가를 한국 문학으로 볼 수 있는 이유를 찾아보고, 향가의 의의


를 생각해 보자.

도움말 |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떠올려 보고, 향가의 향가는 향찰(鄕札)이라는 특수한 문자로 표기된 시가 갈래다. 향찰이라는 글자
내용적·형식적 특징을 바탕 향가의 개념
는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문자다. 예컨대 ‘님은’을 표기하고자 할
으로 그것의 의의를 생각해 향찰의 개념
본다. 때에 앞의 글자는 한자의 뜻을 빌려 ‘主(임금 주)’로, 뒤의 글자는 한자의 음을 따
‘님은’의 ‘님’
서 ‘隱(숨다 은)’으로 적은 것을 말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향찰은 삼국
‘님은’의 ‘은’
중 신라에만 있었던 우리 식의 글자였다. 신라인들은 한자를 받아들여서 그것대로
쓰는 한편, 이를 곧 변용시켜서 향찰이라는 독창적인 문자를 창안해 내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신라인의 문화적인 주체성과 뛰어난 지혜를 만나게 된다.
 - 박노준, 『옛사람 옛 노래 향가와 속요』

우리는 한글이 창제되기 전까지 우리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우리말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당시에 널리 쓰이
지도 방안 던 한자(漢字)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향찰이 우리말을 적기 위해서 한자를 변용해 쓴 독창적 문자였다는 사실
은 향가가 신라 시대의 우리말 노래, 즉 한국 문학이었음을 말해 준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향가는 신라 시대 우리 민
8구체 향가인 「모죽지랑
족의 삶과 정신세계를 잘 보여 주는 귀중한 문학 유산이자, 외래문화를 수용하는 우리 민족의 주체적 태도를 잘 보여
가」와 10구체 향가인 「제
망매가」를 내용과 형식적
인 측면에서 비교해 보도
감상 다지기 주는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록 함으로써, 향가의 발전

4
양상과 특징적 면모를 이
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내용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제망매가」와 비교해 보자.
이 작품은 ‘죽지랑’이 죽기 전에 지었다는 설과 ‘죽지랑’이 죽은 후 지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언제 쓰였는지에 따
참고 자료 | 「모죽지랑가」 라 작품의 의미가 달리 해석되는데, ‘죽지랑’이 죽은 후 추모의 정을 담은 노래일 경우로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 작품은 화랑이었던 ‘죽 간 봄 그리매 去隱春皆理米
‘죽지랑’이 살아 있던 때, ‘죽지랑’과 함께한 세월 거은춘개리미
지랑’의 죽음을 애도하며, 그
의 인품에 대한 사모와 추모
모 것 우리 시름
‘죽지랑’을 그리워하여 만물이 그의 죽음을 슬퍼함.
毛冬居叱沙哭屋尸以憂音
모동거질사곡옥시이우음
⇢ 1~2구:대한사별에
슬픔
의 정을 노래한 향가이다.
┏아 나토샤온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

┛: ‘죽지랑’의 인품 회상, 늙음에 대한 한탄(인생무상) 아 동 음 내 질 호 지 사 오 은
즈 살쯈 디니져

皃史年數就音墮支行齊
모사년수취음타지행제
⇢ 3~4구: ‘죽지랑’의
모습 회상
핵심 갈래 8구체 향가
정리 눈 돌칠 이예 目煙廻於尸七史伊衣
추모적, 예찬적, 서 목연회어시칠사이의
성격
정적 맛보디 지리 逢烏支惡知作乎下是
봉오지오지작호하시
⇢ 5~6구: 재회에 대한
기대(소망)
제재 ‘죽지랑’의 인품
낭(郞)이여 그릴  녀올 길 郞也慕理尸心未行乎尸道尸
‘죽지랑 ’의 인품에 ‘죽지랑’ 랑야모리시심미행호시도시
주제 대 한 사 모 와 그 에 다봊  잘 밤 이시리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죽어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함. 봉차질항중숙시야음유질하시
대한 추모
화랑의 세계를 보

7~8구: 재회의 확신

현대어 풀이 작가 소개
여 주는 작품임.
주술성이 없는 순 지나간 봄을 그리워하니 / 모든 것이 울게 하는 시름 득오(?~?)
특징
수 서정시로, 대상 신라 때의 향가 작가. 화랑
에 대한 추모의 정 아름다움을 나타내신 / 모습이 주름살 지는구나. 인 죽지랑(竹旨郞)의 무리
이 극진함. 로, 그를 사모하여 효소왕
눈 돌릴 사이라도 / 만나 보기 이루리.
9년(700)에 만가(挽歌)인
낭이여 그리는 마음에 가는 길 / 다북쑥 마을에서 잘 밤이 있으리. 「모죽지랑가」를 지었음.
쑥이 무성하게 자란 마을
 ① 무덤: 그리운 마음은 죽어야만 그칠 것임.- 득오 , 「모죽지랑가(慕竹旨郎歌)」
② 어려움, 근심: 현실이 어렵더라도 그리운 마음은 그치지 않을 것임.
「제망매가」 「모죽지랑가」
내용적 측면 누이의 죽음을 슬퍼하면서도 재회를 기약함. ‘죽지랑’과 함께했던 과거를 추억하면서 다시 만나기를 소망함.
186 4. 한국 문학의 역사 •비유적 표현을 통해 정서를 감각적으로 표현함. •시간적 순서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며 추모의 정을 극대화함.
형식적 측면 •10구체 향가로 ‘4구–4구–2구’로 구성되며, 낙구 •8구체 향가로 ‘2구–2구–2구–2구’로 구성되고, 마지막 2구의
의 첫머리에 감탄사가 놓이고 시상이 마무리됨. 첫머리에 감탄을 나타내는 표현이 놓이고 시상이 마무리됨.

(170~229).indd 186 20. 10. 30. 오후 4:21


감상을
작품 2 제망매가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제망매가」는 신라 경덕왕 때, 승려인 월명사가 죽은 누이동생을 추모하는 성격의 향가이다.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이 작품은 세련되고 정제된 형식으로 10구체 향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른
품의 갈래와 시상 전개 및
’, ‘러딜 닙’, ‘ 가지’ 등의 뛰어난 비유를 통해 젊은 나이에 죽은 누이동생에 대한 안
표현상의 특징을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학생 타까움, 슬픔, 허무감 등을 감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마지막 제10구의 ‘도(道) 닷가 기
들과 함께 읽거나 간단히
드리고다.’에서는 누이동생의 죽음으로 인한 개인적인 고뇌와 슬픔을 종교적으로 극복하고자
질문을 하면서 작품에 대
한 감상을 내면화할 수 있 하는 화자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도록 지도한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성
‘지식 창고’에서는 10구체
향가의 형식에는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다. 4구체 향가는 신라의 민요가 정착된 것이고,
향가의 형식적 특성에 대
하여 제시하였다. 10구체 8구체 향가는 4구체 향가가 확대된 것이다. 10구체 향가는 8구체 향가에 2구를 더 보탠 것인
향가의 시상 전개 방식과 데, 대체로 시상을 ‘4구–4구–2구’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마지막 2구의 첫 부분에
결구의 첫 부분에 감탄사
가 사용된다는 형식적 특 는 ‘아야’, ‘아으’ 등의 감탄사가 사용되는데, 이는 화자의 정서를 집약하고 시적 전환을 하는 수
징, 결구의 감탄사를 통해 법으로 대상을 자신의 내면에 정서화한다는 점에서 서정적 구조의 완결성을 구현했다고 볼 수
화자의 정서 집약과 시적
전환이 이루어지며 서정적 있다. 이러한 감탄사는 조선 전기의 시조 종장 첫머리나 가사의 낙구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구조의 완결성을 구현했다
는 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형식 월명사
주제
‘더 읽어 보기 ’에서는 「제
망매가」와 관련하여 형식
과 주제의 측면에서 함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들을
엮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 「찬기파랑가」 충담사 「산문에 기대어」 송수권
로 감상해 보고, 작품의 형
식 및 작품의 주제를 비교 ‘기파랑’이라는 화랑의 고결한 인격을 죽은 누이에 대한 한을 새로운 만남에
하며 살펴볼 수 있도록 이 노래한 10구체 향가. 작품의 형식을 비 대한 소망으로 노래한 시. 작품의 주제
끌어 준다.
교하며 감상해 보자. 를 비교하며 감상해 보자.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87

책1.indb 187 18. 11. 23. 오후 5:42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임에 대한 축복과 그리움을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총 13연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분연체 형식과 후렴

3
구의 사용 등에서 고려 가요의 형식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월령에 따른 고려 시대의 풍속이 나타나 있어 당
작품
대의 생활상을 살필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월령체 형식의 고려 가요이다. 화자의 정서와 작품의 형식적 특징에 주목하여 작
품을 감상해 보자.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동동 動動 작자 미상, 박병채 풀이

현대어 풀이
핵심 갈래 고려 가요
정리
서사 덕(德)으란 곰예 받고 덕일랑 신령님께 바치옵고 05
민요적, 송축적, 연 뒷잔에 혹은 신령님께
성격
가적(戀歌的) 복일랑 임에게 바칩니다.
복(福)으란 림예 받고
형식 분연체, 월령체 앞잔에 혹은 임금님께 임금님

세시 풍속, 자연물, 덕(德)이여 복(福)이라 호 덕이며 복이며 하는 것을


제재
남녀의 이별 등
나라 오소다 바치러 오십시오.
임에 대한 송축과
주제 북과 그 밖의 악기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
연모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임과 화자의 모습
이나 처지를 다양
후렴구
⇢ 서사: 임(임금)의 덕과 복을 기원함.
한 사물에 빗대어
표현함. 본사 정월(正月)ㅅ 나릿 므른 정월이 되자 얼었다 정월의 냇물은 10

음력으로 한 해의 첫째 달 녹았다 하는 냇물과


1연과 나머지 연의
아으 어져 녹져 논 임이 오지 않아 가슴 아아 얼고 녹고 하는데,
정서가 이질적이 1월령
특징 대조 이 꽁꽁 얼어붙은 화
며, 각 연의 시상이 자가 대조를 이룸.
일관되지 않음. 누릿 가온 나곤 세상 가운데 나서는

후렴구를 사용하여
연을 구분하고 음 몸하 올로 녈셔 이 몸은 홀로 살아가네.
악적 흥취를 고조 화자
시킴.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 1월령: 임 없이 살아가는 외로운 처지를 호소함.
시상 전개의 이질성
2월령 이월(二月)ㅅ 보로매 이월 보름에 15
임금에 대한 찬양과
1연 연등회
송축의 내용
아으 노피 현 아아 높이 켠
2연 임과의 이별 후, 슬픔 : 고매한 인품을 지닌 임에 대한 비유
~ 에 잠긴 여인의 심정 등(燈)ㅅ블 다호라 등불 같구나.
예찬적,
13연 에 대한 내용
만인(萬人) 비취실 즈샷다 영탄적 어조 만 사람 비추실 모습이시네.

민간에서 불리다 궁중 음
악으로 유입될 때, 임금을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송축하는 내용과 여음 및 ⇢ 2월령: 임의 빼어난 인품을 예찬함.
후렴구가 첨가된 것으로
전체 구성
보임.
단일 작자에 의해 일관되 서사 임(임금)의 덕과 복을 기원함.
게 창작된 것이 아님을 추 1월 임 없이 살아가는 외로운 처지를 호소함. 7월 임과 함께 지내기를 기원함.
측할 수 있음.
2월 임의 빼어난 인품을 예찬함. 8월 임을 그리워함.
3월 임의 아름다운 모습을 예찬함. 9월 임이 계시지 않아 쓸쓸해함.
본사
4월 오지 않는 임을 그리워하며 원망함. 10월 임에게 버림받아 슬퍼함.

188 4. 한국 문학의 역사 5월 임의 장수를 기원함. 11월 임과 떨어져 있어 외로워함.


6월 버림받은 처지에도 임을 따름. 12월 임과의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슬퍼함.

책1.indb 188 18. 11. 23. 오후 5:42


3월령 삼월(三月) 나며 개(開) 삼월 지나며 핀

아으 만춘(滿春) 욋고지여 아아 봄 산 가득 진달래꽃.


임의 아름다운 모습을 비유함.
 브롤 즈 남들이 부러워할 모습을

디녀 나샷다 지녀 나셨네.

05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 3월령: 임의 아름다운 모습을 예찬함.
4월령 사월(四月) 아니 니저 사월 아니 잊어

아으 오실셔 곳고리 새여 아아 오시는구나 꾀꼬리 새여.



대조 : 꾀꼬리는 다시 왔지만

므슴다 녹사(錄事)니 임은 화자를 찾아오지 어이타 녹사님은


않음.
녯나 닛고신뎌 옛날을 잊고 계신지요.

10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단오: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청포물에 머리를 ⇢ 4월령: 오지 않는 임을 그리워하며 원망함.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하는 날임.
5월령 오월(五月) 오 일(五日)애 오월 오 일에

아으 수릿날 아 약(藥)은 아아 단옷날 아침 약은


단옷날 먹는 익모초즙 :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
즈믄  장존(長存)샬 천년을 길이 사실

약(藥)이라 받노다 약이라 바치옵니다.

15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유두일 : 신라 때 유래한 것으로, 나쁜 일을 떨어 버리 ⇢ 5월령: 임의 장수를 기원함.
기 위하여 동쪽으로 머리를 감는 풍속이 있었음.
6월령 유월(六月)ㅅ 보로매 유월 보름에

아으 별해 룐 빗 다호라 아아 벼랑에 버린 빗과 같구나.


: 임에게 버려진 화자의 처지 비유
도라보실 니믈 돌아보실 임을

젹곰 좃니노다 잠깐 좇아갑니다.

20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 6월령: 버림받은 처지에도 임을 따름.
후렴구의 역할
‘아으 
연을 구분하고 구조적 통일감을 줌.
동동(動動)다리’ 리듬감을 형성하고 음악적 흥취를 고조시킴.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89

책1.indb 189 18. 11. 23. 오후 5:42


1

백중날 : 승려들이 재(齋)를 설(設)하여 부처를


공양하는 날임.
7월령 칠월(七月)ㅅ 보로매 칠월 보름에

아으 백종(百種) 배(排)야 두고 아아 백종 제물 차려 놓고
‘백중날 ’을 달리 이르는 말. 이 무렵에
과실과 채소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백 니믈  녀가져 임과 함께 가고 싶네.
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 하여 화자의 궁극적 소망 : 임과 함께하고 싶음.
유래된 명칭임. 원(願)을 비노다 원을 비옵니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05

가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 7월령: 임과 함께 지내기를 기원함.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내는 날임.


8월령 팔월(八月)ㅅ 보로 팔월 보름은

아으 가배(嘉俳)니리마 아아 가윗날이지만
한가위
┏니믈 뫼셔 녀곤 임을 모시고 다니거든

┛: 임이 함께해야만 진정한 한가위임.
오낤 가배(嘉俳)샷다 오늘이 가위로구나.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10

중양절: 세시 명절의 하나로 음력 9월 9일을 이르는 말. 이날 남자 ⇢ 8월령: 임을 그리워함.


들은 시를 짓고 각 가정에서는 국화전을 만들어 먹고 놀았음.
9월령 구월(九月) 구 일(九日)에 구월 구 일에

아으 약(藥)이라 먹논 아아 약이라고 먹는

황화(黃花)고지 안해 드니 누런 국화꽃 안에 드니

새셔 가만얘라 갈수록 아득하구나.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15
‘새셔 ’를 ‘초가집 ’으로, ‘가만얘라 ’를
‘조용하구나’로 해석하기도 함.
⇢ 9월령: 임이 계시지 않아 쓸쓸해함.

190 4. 한국 문학의 역사

문학 주석교과서(170~229)4단원①.indd 190 18. 11. 29. 오후 3:53


10월령 시월(十月)애 시월에 작품에 나타난 월별 중심 소재
‘보리수나무’로 해석하기도 함. 및 세시 명절
아으 져미연  다호라 아아 저며 놓은 고로쇠 같구나.
: 임에게 버림받은 화자의 처지 비유 소재 세시 명절
┏것거 리신 후(後)에 꺾어 버리신 후에 1월 나릿 믈 -

┛: 임에게 버림받은 신세를 한탄함. 2월 등(燈)ㅅ블 연등회
디니실  부니 업스샷다 지니실 한 분이 없네.
┛ 3월 욋곶 -

05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4월 곳고리 새 -

⇢ 10월령: 임에게 버림받아 슬퍼함.


5월
아 수릿날
약(藥) (단오)

11월령 십일월(十一月)ㅅ 봉 자리예 십일월 봉당 자리에 6월 빗 유두일


안방과 건넌방 사이의 흙바닥 백종
아아 한삼 덮어 누워 7월 백종(百種)
아으 한삼(汗衫) 두퍼 누워 (백중날)
속적삼
가배
슬 라온뎌 슬픔을 사르고 있네. 8월 가배(嘉俳)
(한가위)

고우닐 스싀옴 녈셔 고운 임 떨어져 살아가네. 황화(黃花)


9월 중양절

10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10월  -
⇢ 11월령: 임과 떨어져 있어 외로워함. 11월 한삼(汗衫) -
12월 져 -
12월령 십이월(十二月)ㅅ 분디남로 갓곤 십이월 분디나무로 깎은

아으 나 반(盤) 져 다호라 아아 소반의 저(젓가락)와 같네.


임과의 사랑을 이루지 못한 화자의 처지 비유
니믜 알 드러 얼이노니 임의 앞에 가지런히 놓으니
학습 자료 바로 가기
소니 가재다 므노다 손이 가져다 무옵니다. DVD–학습지, 쪽지 시험
이루어지지 않는 사랑 손님
15 아으 동동(動動)다리 아으 동동다리
⇢ 12월령: 임과의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슬퍼함.
가장 인상적인 달과 그 이유 나의
감상
오월이 가장 인상적이다. 임을 위해 약을
임과 화자를 비유한 시어
준비한 화자의 모습에서 임에 대한 깊은 애정을 느낄
2월 노피 현 등(燈)ㅅ블 고매한 인품의 소유자임. 수 있었기 때문이다.

3월 욋곶 아름다운 모습을 지님.
6월 별해 룐 빗
임에게 버림받은 가련한 신세임.
화자 10월 져미연 
확인 문제
12월 반(盤) 져 임과의 사랑을 이루지 못함.
1. 이 작품에는 임과 이별한 여인의 애절한 정서가 담겨
있다. (, ×)
2. 이 작품은 월령체 형식의 노래로, 모두 12개의 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 ×)
3. 이 작품에서 화자는 임과의 이별을 자신의 탓으로 여
기고 있다. (, ×)
4. 이 작품에서 연을 나누고 음악적 흥취를 고조하는 의
성어를 쓰시오. 
5. 이 작품에서 화자의 처지를 빗댄 시구는 ‘별해 룐
빗’, ‘( )’, ‘반(盤) 져’이다. 
1.  2. × 3. × 4. 아으 동동다리 5. 져미연 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91

책1.indb 191 18. 11. 23. 오후 5:42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서 화자와 임을 비유한 표현을 찾아보자.


화자 임

동 6월: 버린 빗.
10월 : 저며 놓은 고로쇠
2월 : 높이 켠 등불

3월 : 진달래꽃
지도 방안 12월 : 소반의 저
이 작품에서 화자와 시적
대상을 어떤 사물에 빗대
어 표현하고 있는지를 찾
아보고, 그 비유적 의미를
탐구해 볼 수 있도록 지도
한다.

2 이 작품에 나오는 세시 명절을 정리해 보고, 작품의 전개 방식에 나타나는 특징을 살


펴보자.

도움말 | 세시 명절의 내
1 다음 여섯 개의 달에 나타나는 세시 명절을 정리해 보자.
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2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자료나 정보를 찾아 살펴
본다. 연등회 수릿날(단오) 유두일 백종(백중날) 가배(한가위) 중양절

지도 방안
각각의 달에 나타나는 세
2 ⑴을 바탕으로 하여, 이 작품의 전개 방식에 나타나는 특징을 말해 보자.
시 명절을 찾아 그것이 화 이 작품은 서사를 제외하면 12개의 연이 열두 달의 차례에 맞춰 전개되며, 각 연에서는 그 달의 자연 현상이나 세
자의 정서나 내용과 어떻 시 풍속이 화자의 정서와 함께 나열된다.
게 연관되는지를 정리해
보며, 월령체 형식의 특징

3
과 효과를 이해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고려 가요에 대한 다음 자료를 살펴보고, 이 작품의 전승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지도 방안
제시된 자료를 통해 고려
고려 가요는 조선 시대 때 궁중 연회에서 연행된 음악을 기록한 『악학궤범』, 『시
고려 가요의 출전
가요의 향유층과 향유 환 용향악보』, 『악장가사』 등의 악서(樂書)에 실려 전한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가 접
경이 전승 과정에서 바뀌
었음을 짐작할 수 있고, 하는 고려 가요는 대부분 민간에서 구전되다가 궁중에 유입된 것으로, 훈민정음
이는 노래에 일정한 변화 고려 가요의 전승 과정
창제 이후 기록되어 전승된 결과물이다.
를 미쳤을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작품에서 그러한
변화와 연관되는 요소를
탐구해 봄으로써 고려 가 1 이 작품에서 내용이나 정서가 작품의 전체적인 내용과 이질적인 부분을 찾아보자.
요의 전승 과정을 이해할 이 작품의 2~13연은 남녀 간의 애정을 다루고 있으며, 그 주된 정서는 임의 부재로 인한 고독과 슬픔, 임에 대한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리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서사인 1연은 임에게 복을 바치러 오라는 송축의 내용이어서 전체적인 내용과
이질적이다.

2 ⑴과 같은 부분이 나타나는 이유를 고려 가요의 전승 과정과 관련지어 말해 보자.


이 노래가 궁중에 유입되어 연회에서 불렸다는 사실과 관련지어 볼 때, 이러한 이질성은 연회 의식요로서의 면모
를 갖추기 위해 본래 민요에는 없었던 것이 덧붙여진 것으로 볼 수 있다.

19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192 18. 11. 23. 오후 5:42


핵심 갈래 고려 가요 성격 서정적, 체념적, 희생적
지도 방안 정리
제재 임과의 이별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간결하고 함축적인 시어로 애절한 사랑의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함.
이 작품과 「동동」의 공통 특징
점을 탐구해 봄으로써, 고
한국 문학의 역사적 갈래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聖代)’는 궁중 음악으로 수용되면서 첨가된 것으로 보임.

려 가요의 갈래적 특징과


문학적 가치를 파악할 수 4 다음 작품을 「동동」과 비교하여 감상하고, 고려 가요의 갈래상 특징과 문학적 가치를
있도록 지도한다. 파악해 보자.

참고 자료 | 「가시리」 3 3 2 → 3음보
이 작품은 이별의 정한을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잡와 두어리마
간결한 형식과 직설적인 표현 가시겠습니까 음률을 맞추기 위한 여음 붙잡아 두고 싶지만
리고 가시리잇고 나 선면 아니 올셰라
으로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버리고 가시겠습니까 → 임이 화자를 버리고 떠남. 서운하면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聖代)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聖代)
학습 자료 바로 가기
음률을 맞추기 위한 여음구, 후렴구
⇢ 3연 : 이별에 대한 체념
DVD–수능 기출 문제
⇢ 1연 : 임과의 이별
날러는 엇디 살라 고 셜온 님 보내노니 나
임 없이 나는 어찌 살라 하고(수동적 태도)
리고 가시리잇고 나 가시  도셔 오쇼셔 나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 화자의 소망
아니 올셰라 아니올까 두렵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聖代)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聖代)
습니다. ⇢ 2연 : 떠나는 임에 대한 안타까움과 원망 
⇢ 4연 : 곧 돌아와- 달라는 부탁과 기원
작자 미상, 「가시리」
셜온 님 서러운 임.

1 두 작품에 나타난 고려 가요의 내용적 특징과 형식적 특징을 파악해 보자.


내용적 특징: 임에 대한 연모의 정을 담고 있다.
형식적 특징: 몇 개의 연으로 나뉜 분연체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각 연에 후렴구가 삽입되어 있다.

2 두 작품의 특징을 바탕으로 고려 가요의 문학적 가치를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해 보자.


고려 가요는 남녀 간의 사랑, 이별의 안타까움 등 평민들의 풍부한 감정과 정서를 다루고 있다. 또한 아름다운 우
리말 표현과 경쾌한 리듬을 살리는 기교를 보여 준다.

지도 방안 감상 다지기
월별 학교 행사를 생각나

비판적 .창의적 사고
는 대로 모두 정리한 후,

5
어떤 소재를 활용할 것인
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동동」의 형식을 모방하여 월별 학교 행사와 그에 따른 학교생활을 담은 노래를 만들
지도한다. 그런 다음, 특정
어 보자.
악기를 정하고 그 악기 소
리를 모방하여 후렴구를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안내 1 월별 학교 행사와 그에 따른 자신의 학교생활을 정리해 보자.
한다. •3월 : 입학식–새 학년을 맞이하여 포부 다지기 / •4월 : 중간고사–시험공부 벼락치기
•5월 : 체육 대회–반 티셔츠 맞추기, 응원 준비하기 / •6월 : 학교 축제–합창 경연, 동아리 공연, 작품 전시하기

도움말 | 「동동」은 달에 따라 2 ⑴의 내용과 어울리는 후렴구를 만들어 보고, 가사를 완성해 보자.
연이 구분되고 후렴구를 사용
하였다. 이를 고려하여 가사를 3월 2일에 / 아으 빛나는 눈빛이 별 같구나. 5월 14일에 / 아으 체육 대회 날이라.
지어 본다. 새 학년을 맞는 다짐을 세우니 / 장하기도 하구나. 반 티셔츠와 응원 준비에 / 공부 피로 사라진다.
아으 두구두구 두두구 아으 두구두구 두두구

4월 마지막 주에 / 아으 1학기 중간고사라. 6월 마지막 주에 / 아으 학교 축제 기간이라.


해야 할 공부가 많으니 동아리 공연에 작품 전시에
밤잠을 쫓으며 벼락치기 공부하네. 다들 재주가 뛰어나구나.
아으 두구두구 두두구 아으 두구두구 두두구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93

책1.indb 193 18. 11. 23. 오후 5:42


감상을
작품 3 동동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동동」은 임을 그리는 여인의 심정을 열두 달에 맞추어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모두 13장으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로 되어 있으며, 고려 시대부터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 시대에 문자로 정착되어 『악학궤범』
품의 갈래와 구성 및 표현
에 한글로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임에게 버림받은 화자의 처지를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였고,
상의 특징을 바탕으로 내
용을 정리하였다. 학생들 후렴구를 사용하여 연을 구분하고 음악적 흥취를 고조하였다.
과 함께 읽거나 간단히 질
임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다른 연과는 달리 1연은 서사로서 송축(頌祝)의 내용을 담고 있
문을 하면서 작품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할 수 있도 는데, 이는 민간에서 불리던 노래가 궁중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덧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록 지도한다. 또한 각 연의 시상이 일관되지 않아 작가 한 사람이 표출한 정서로 보기 힘든데, 이 역시 구전
된 분연체(分聯體) 노래라는 점과 관련이 있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월령체(月令體)
‘지식 창고’에서는 월령체 월령체는 한 해 열두 달의 순서에 따라 노래하는 시가의 형식을 말하며, 달거리 형식이라고
형식의 개념과 특성에 대
하여 제시하였다. 월령체 도 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달을 한 절로 노래하기 때문에 12개의 절로 나누어지는데, 작품에
는 열두 달의 순서에 따라 따라서 서두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13개의 절이 되기도 한다. 각 절은 그 달의 자연 현상, 명절,
노래하는 시가 형식이라는
점, 각 절은 그 달의 자연 세시 풍속 등을 반영한다. 이러한 것이 「동동」에는 2월 연등회, 5월 단오, 6월 유두일, 7월 백
현상이나 명절, 세시 풍속 종, 8월 한가위, 9월 중양절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월령체는 민요에서도 잘 드러나며, 이후 조
등을 반영한다는 점, 월령
체 형식은 이후 민요나 조
선 후기 가사인 정학유의 「농가월령가」에서도 나타난다.
선 후기의 가사에서도 살
펴볼 수 있다는 점을 이해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형식 작자 미상
갈래
‘더 읽어 보기 ’에서는 「동
동」과 관련하여 형식과 갈
래의 측면에서 함께 감상
하면 좋을 작품들을 엮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로 감 「농가월령가」 정학유 「청산별곡」 작자 미상
상해 보고, 월령체라는 형
식상 특징과 고려 가요의 농가에서 일 년 동안 할 일을 열두 달 고려 시대 민중들의 삶에 대한 비애와
갈래상 특징에 주목하여 의 순서에 따라 읊은 가사. 월령체라는 고뇌를 노래한 고려 가요. 고려 가요의
살펴볼 수 있도록 이끌어
형식상 특징에 주목하며 감상해 보자. 갈래상 특징에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준다.

194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194 18. 11. 23. 오후 5:42


정리 지도 방안
1 상고 시대~고려 시대의 문학


‘정리하기’에서는 상고 시대의 문학,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의 문학, 고려 시대의 문학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상고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문학의 다양한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바탕으로 문학과 역사의 상호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상고 시대의 문학
집단적인 주술 의식과 함께 행해졌으며, 춤과 음악이 혼합된 원시 종합 예술의 형태였다.

고대 국가 형성과 건국 신화는 제천 행사에서 서사시의 형태로 불리면서 안으로는 국가 구성원을 결속


건국 신화의 등장 시키고, 밖으로는 나라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는 기능을 함.

고대 가요의 발생과 집단 가요로서 신화적 세계의 주술적 양상을 보이다가, 점차 개인의 정서를 노래하
서정 가요의 확대 는 서정시가 나타남.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의 문학
삼국의 각 나라는 효율적인 국가 통치 체제를 갖추기 위해 한자, 불교 등의 외래문화를 수용하였다.

삼국의 가요 한문 문학의 등장과 발달 향가의 출현

국가 지배 체제를 정비하면서 궁 한자가 수용되면서 등장한 것으 향찰로 지어 부른 것으로, 당대


중의 예악으로 사용할 새로운 노래 로, 빼어난 수준의 한문 문학을 발 지식인 계층의 정신세계와 정서가
를 창작함. 전시킴. 잘 표현됨.

고려 시대의 문학
과거제의 실시로 한문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지배층의 한문 문학과 피지배층의 구비 문학으로 나뉘어 발전
하였다.

•민간에서 구전되다가 궁중에 유입되었고, 훈민정음 창제 이후 기록되어 전해짐.


고려 가요 •주요 내용은 남녀 간의 사랑, 이별의 정한, 삶에 대한 고뇌 등으로 평민들의 생활과 감정을 진솔
하게 노래함.

각 장마다 여음이 반복되고 분절된다는 점에서 고려 가요와 공통점이 있지만, 주로 한문 구절을


경기체가
사용해 귀족들의 풍류와 자기 과시 등을 노래함.

가전 문학 전의 형식을 빌려 의인화된 사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그 사물의 이치를 밝혀 교훈을 전달함.

시조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엽에는 정착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후 조선 시대에 융성하게 됨.

스스로 정리 이 단원 학습을 통해 알게 된 것을 바탕으로 175쪽에서 질문했던 내용을 정리해 보자.

기록되지 못하고 민간에서 구전되다가,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기록되어 전해지게 되었다.


주로 사랑, 이별, 삶과 관련하여 평민들의 생활과 감정을 다루었다.

( 1 ) 상고 시대 ~ 고려 시대의 문학 195

책1.indb 195 18. 11. 23. 오후 5:42


2 [ 학습 목표 ]
•‌조선 시대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감상한다.
•‌조선 시대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
호 영향 관계를 탐구한다.

조선 시대의
문학
지도 방안

생각해 한글 창제가 국문학사에 미친 영향을 생각해 보도록 하기 위한 삽화이다.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에 나타난 주제 의식과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의 문체는 한문 문학과 구별되는 것임을 이해하고, 조선 시대 갈래별 전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보기 지도한다.
세종은 1443년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1446년에 『훈민정음』
훈민정음 덕분에 을 반포함.
편리하게 글을 읽고 세종, 훈민정음
쓸 수 있게 되었어.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이래.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가 지은 회고록이래.
궁중 문학을 살펴볼까?

허균, 홍길동전
훈민정음의 창제로 국문 문학이
창작되고 활성화됨.

혜경궁 홍씨, 한중록


1443년에 세종 대왕은 ‘백성을 가르치는 궁녀나 사대부 여성 및
평민 등 향유 계층이 확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대됨.
세종 대왕이 창제한 한글은
우리 문학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196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196 18. 11. 23. 오후 5:42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_김시습 _성삼문 외 _정철 _작자 미상

서사 갈래로서 작품이 지니 서정 갈래로서 작품의 시적 서정 갈래의 전개와 작품의 서사 갈래의 전개와 작품에
는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 형상화 방식과 주제 의식에 표현 기법에 주목하여 작품을 반영된 시대 상황에 주목하여
상하기.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기. 감상하기. 작품을 감상하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학습지

조선 시대에 세종 대왕이 창제한 한글은 국문 문학을 꽃피우게 했고, 이로써 우리 문학 ▲

은 한문 문학과 국문 문학으로 나뉘게 되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서정 문학으로는 시조


조선 시대의 문학 ① 조선 시대의 문학 ②
와 가사를 꼽을 수 있다. 고려 말부터 이어져 온 시조는 간결하고 절제된 형식으로 사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서정 갈래 3장 6구 45자 내외 → 사대부층의 미의식과 부합함.
부 문학의 주요한 갈래로 자리를 잡았고, 이후 서민층까지 널리 즐기는 문학 형식이 되었
┏ 사설시조의 경우, 평민들의 생활 감정이 잘 드러남.
다. 가사는 행수(行數)에 제한이 없어, 복잡한 내용과 주제를 담아내기에는 시조보다 융통

가사의 형식적 특징, 시조와의 차이점 ┛: 가사의 장점
성이 있었다. 조선 초기의 가사는 주로 군신 간의 충의를 읊거나 안빈낙도를 노래한 데 비
┛ 조선 초기 가사의 주제
해, 후기의 가사는 체험과 견문, 유배의 심정, 삶의 궁핍함 등 현실의 이야기를 다루었다.
조선 후기 가사의 주제
서사 문학에서는 소설이라는 새로운 갈래가 등장한 것이 주목할 일이다.┏패관 문학(稗
⇢ 국문 문학의 등장과 서정 문학의 전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서사 갈래 ┛: 전대의 산문 문학의 양상
官文學), 전기 문학(傳記文學), 가전(假傳) 등 다양한 모색을 하던 기존의 산문 문학은 김

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이르러 소설의 발생으로 이어졌다. 이후 허균의 「홍길동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
전」 을 필두로 국문 소설의 창작이 활발해지면서 소설의 주제 영역은 크게 넓어졌다. 영웅
적 인물의 활약을 그려 낸 군담 소설과, 가족 구성원의 갈등과 해결을 다룬 가정 소설 등
▲ ▲
국문 소설의 종류 ① 종류 ②
이 그것이다. 한편 판소리를 소설의 형태로 기록한 판소리계 소설들도 널리 읽혔다. 이와


같은 국문 소설은 사대부가의 여성과 평민들
종류 ③


┛: 이 시기 국문 소설의 의의
까지 향유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소설의 독자 해 보자.
알고 싶은 것을 질문
스스로 질문 이 단원 학습을 통해
층이 다양해지고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까?
┛ 소설에는 어떤 작품들이 있을
⇢ 서사 문학의 전개 국문 소설로 창작된 군담 을까?
작품의 갈래가 있었
히 창작되었던 문학
조선 시대에만 특별

까?
있었다면 어떤 것일

조선 시대 문학의 전개
서정 시조의
 성행: 사대부와 서민층 모두 널리 즐김.
문학 가사의 성행: 초기에는 충의나 안빈낙도, 후기에는 체험, 견문 등 현실의 이야기를 주로 다룸.

서사
소설의
 발생: 김시습의 『금오신화』가 창작됨. ( 2 ) 조선 시대의 문학 197
국문 소설의 성행: 허균의 「홍길동전」을 필두로 국문 소설의 창작이 활발해져서, 군담 소설, 가정 소
문학
설, 판소리계 소설 등이 널리 읽히고 소설의 독자층이 확대됨.

책1.indb 197 18. 11. 23. 오후 5:43


고전 문학 갈래별 한눈에 보기

간결하고 절제된 형식의 시조는 사대


부층의 미의식과 부합하여 문학의 주요
한 갈래로 자리를 잡았다. 왕조 교체기
조선 초기 궁중의 여러 의식과 행 훈민정음이 창제되자, 한문으로 전 에는 주로 우국충절(憂國忠節)의 내용
사에 쓰인 노래이다. 주로 조선 왕조 하던 유학과 불교의 경전, 문학 작품 을 담았고, 점차 자연 예찬, 유교 윤리
개국의 정당성을 밝히고, 번영을 송 등의 문헌을 조정에서 직접 관장하여 의 전파 등으로 내용이 확대되면서 연
축하는 내용이다. 한글로 번역했다. 이는 한글 보급에 시조의 형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주요 작품 「신도가」(정도전), 「용비어천 기여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문자 생활 기녀들도 시조를 창작하였는데, 주로
가」(정인지 외) 교과서 163쪽 을 가능하게 하였고, 한문 서적의 이 임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였다.
해를 도와 문화와 학문의 발달에 기여
주요 작품 「눈 마 휘어진 를」(원천석),
하였다. 「십 년을 경영야」(송순), 「강호사시가」
주요 작품 『삼강행실도 언해본』, 『석보상 (맹사성), 「도산십이곡」(이황), 「동지ㅅ
절』, 『분류두공부시언해』 기나긴 밤을」(황진이)

운문

1392 1443 1592


조선 건국 훈민정음 창제 임진왜란

산문
민간의 이야기를 기록한 패관 문학, 고승전이나 열전 등의 ‘몽유록’은 꿈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전기(傳記) 문학, 사물을 의인화한 가전 등 다양한 모색을 하 내용으로 하는 문학 작품으로, 서술자
던 이전까지의 산문 문학은 조선 전기에 이르러 소설의 발생 가 꿈속에서 일련의 일을 겪은 뒤에 현
으로 이어졌다. 이 시기의 소설은 초현실적이며 신비로운 세 실로 귀환하여 그 체험 내용을 서술한
계를 다룬 전기적(傳奇的)인 내용이 많았다. 또한 이 시기 한 것이다. 이 시기에 창작된 몽유록은 전
문 소설 가운데 고려 시대 가전의 전통을 이으면서도, 사물 대 몽유 설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작
이 아니라 인간의 심성을 의인화하여 서사적 갈등 가의 이상과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을
을 형상화한 작품도 창작되었다. 표현했다.
교과서 200쪽
주요 작품 전기(傳奇) 소설: 『금오신 주요 작품 「원생몽유록」(임제), 「달천몽유
화』(김시습), 「설공찬전」(채수), 록」(윤계선)
『기재기이』(신광한)
의인체 소설: 「천군전」(김우
옹), 「수성지」(임제)

198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198 18. 11. 23. 오후 5:43


2 조선 시대의 문학

행수(行數)에 제한이 없는 4음보의


시가로, 짧은 형식의 시조에 담을 수 없
는 길고 오랜 감흥이나 복잡하고 사실
주로 사대부들이 창작하던 시조는 김
적인 경험을 표현할 수 있어 시조와 상
이전 시기보다 주제와 표현 방식이 천택, 김수장, 안민영 등이 전문 가객으
호 보완적인 관계를 이루며 발전했다.
다양해졌다. 곤궁한 삶을 구체적으로 로 등장하면서 향유 양상이 달라졌다.
주로 사대부들이 창작하고 향유했으며,
형상화하거나, 체험과 견문을 자세히 이들은 가단(歌壇)을 이루어 활동하면
자연 친화의 내용이나 임금에 대한 그
기술하였는데 이는 사대부 가사의 변 서 시조 작품을 수집·정리하여 가집(歌
리움을 표현하는 내용이 많았다.
모를 잘 보여 준다. 또한 여성들 사이 集)을 편찬하였다. 한편, 시조의 작가층
주요 작품 「상춘곡」(정극인), 「면앙정가」(송 이 여성과 평민으로 확대되면서 평시조
에서 규방 가사가 성행하였는데, 여기
순), 「사미인곡」·「속미인곡」(정철) 가 주를 이루었던 이전 시기와는 달리
에는 당시 여성들의 삶의 애환이 잘 반
영되어 있다.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갖춘 사설시조가
교과서 218쪽
등장하였다.
주요 작품 「동기로 세 몸 되어」(박인로), 「청 주요 작품 「누항사」(박인로), 「만언사」(안
산도 절로절로」(송시열), 「만흥」·「오우가」 조환), 「일동장유가」(김인겸), 「연행가」(홍 주요 작품 「님이 오마 거」, 「싀어마님
·「어부사시사」(윤선도) 교과서 209쪽 순학), 「춘유가」 며라기 낫바 」, 「댁들에 동난지이 사오」

1636 1750 1894


병자호란 균역법 시행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

조선 후기의 사회 변동에 따라 개인의 조선 후기에는 박지원, 박제가, 정약용 상업이 발달하고 오락을 위한 공연 예술
체험이나 역사적 사실을 다룬 기록 문학 등 실학파를 중심으로 사대부의 허례허식 이 활성화되면서 민속극과 판소리가 발달
이 발달하였다. 또한 한글을 사용하여 섬 을 비판하고, 모순된 사회 현실을 사실적 하였다. 이 둘은 해학과 풍자를 바탕으로
세하고 우아하게 표현한 궁녀와 사대부 으로 반영하는 실학파 문학이 나타났다. 서민들의 의식 세계를 그려 내었다.
교과서 138쪽
여성의 기록 문학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주요 작품 「허생전」·「양반전」(박지원), 「북학 주요 작품 민속극: 「봉산 탈춤」, 「통영 오광대」
주요 작품 『열하일기』(박지원), 『계축일기』, 의」(박제가) 교과서 146쪽 판소리: 「춘향가」, 「흥부가」, 「심청가」
『한중록』(혜경궁 홍씨) 교과서 164쪽 교과서 251쪽
교과서 196쪽

한글이 널리 보급되고 세책가나 전기수 등을 통해 소설의 유통이 주요 작품 군담 소설: 「임경업전」, 「박씨전」, 「유충렬전」, 「홍계
확대되면서, 사대부가의 여성과 평민들도 소설을 향유하였다. 「홍길동 월전」 교과서 220쪽 교과서 227쪽
전」을 비롯한 한글 소설이 창작되었으며, 군담 소설, 가정·가문 소설, 가정·가문 소설: 「사씨남정기」(김만중), 「창선감의록」(조성기)
판소리계 소설 등이 등장하였다. 한글 소설이 성행하던 중에도 한문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
교과서 150쪽
소설은 꾸준히 창작되었는데 주로 애정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한문 소설: 「운영전」, 「최척전」(조위한)
교과서 207쪽

( 2 ) 조선 시대의 문학 199

책1.indb 199 18. 11. 23. 오후 5:43


2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남녀의 애절한 사랑을 다룬 전기 소설(傳奇小說)로, 내용·기교·작가 의식에 있어서 훌륭한 문학적 가치

1
가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이전의 설화와 구분되는 소설 갈래의 특징과 이 작품이 후대 소설
작품
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이 서생’과 ‘최 여인’의 사랑을 다룬 전기 소설(傳奇小說)이다. 서사 갈래로서 작


품이 지니는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핵심 한문 소설, 전기 소설
갈래 성격 전기적, 낭만적, 비극적
정리 (傳奇小說)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고려 공민왕 때, 개성
제재 ‘이 서생’과 ‘최 여인’의 사랑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이생규장전 李生窺牆傳 엿볼(규) 담(장)

‘이 서생’이 담장 안을 엿보다 → 제목 ‘이생규장전’은


김시습
주제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애절한 사랑

현실의 제도, 전쟁, 운명과 대결하는 인간의 의지가 드
러남.
‘이 서생’과 ‘최 여인’의 사랑의 시작을 뜻함.
특징 죽은 여인과의 사랑을 다룬다는 점에서 전기적 특성이
드러남.
시를 삽입하여 등장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김시습
(1435~1493)

조선 전기의 문인. 호는
매월당(梅月堂). 생육신의 이 서생
열여덟 살의 양반가 자제로,
한 사람으로, 유불(儒佛) 정
글재주가 뛰어나 일찍이
신을 아우른 사상과 탁월한
국학(國學)에서 수학함.
문장으로 유명하다. 주요 저
서로는 『금오신화(金鰲新 최 여인
話)』, 『매월당집(梅月堂集)』 명문가의 규수로서
등이 있다. 자수와 시에 능하여
사람들의 칭찬이 자자함.

공간적 배경 제목 ‘이생규장전’과의 관련성

‘이 서생’과 ‘최 여인’의 만남과 이별 ①


앞부분 줄거리 송도(松都)의 국학에 다니는 이 서생은 공부하러 가던 도중 우연히 담 너머를 엿보

만남 이별 다가 시를 읊는 최 여인을 보게 된다. 최 여인의 아름다움에 매혹된 이 서생은 그녀에게 시를 써서 담 05

담장 너머로 ‘이 서생’의 너머로 보내고, 이후 최 여인으로부터 만나고 싶다는 편지를 받는다. 그리고 두 사람은 시를 주고받으

며 깊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아들의 행동을 수상히 여긴┏
시를 주고받 아버지로 인

은 뒤 사랑하 해 두 사람은


서생의 아버지는 이 서생을 지방으로
째 ┛: ‘이 서생’과 ‘최 여인’의 첫 번째 시련
는 사이가 됨. 이별함. 내려보내고, 최 여인은 상심 끝에 그만 병이 나고 만다. 이를 알게 된 최 여인의 부모는 이 서생과 최
‘최 여인’ 부 홍건적의 난

두 여인을 혼인시키려 하지만, 이 서생의 아버지는 이 서생의 학업과 문벌의 차이를 들어 거절한다. 그러
모의 도움으 으로 ‘최 여

로 두 사람이 인’이 죽음을 나 최 여인 부모의 설득으로 이 서생의 아버지는 생각을 바꾸고, 이 서생과 최 여인은 혼인하여 행복 10

혼인함. 맞이함. ┏
한 시간을 보낸다. 그러나 신축년(辛丑年)에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 양가의 부모는 물론 최 여인도

죽게 되고 간신히 이 서생만 살아남게 된다. ┛: ‘이 서생’과 ‘최 여인’의 두 번째 시련

‘이 서생’과 ‘최 여인’의 환신이 재회함.

국학 고려 시대에 둔 중앙 절정 한편 이 서생은 황폐한 들에 숨어서 목숨을 보전하다가 도적의 무리가 떠났


의 교육 기관. 홍건적–두 사람의 사랑에 시련을 주는 요인
다는 소식을 듣고 부모님이 살던 옛집을 찾아갔다. 그러나 집은 이미 병화에
송도 ‘개성(開城)’의 옛 이
름. 고려의 수도였음. 타 버리고 없었다. 다시 아내의 집에 가 보니 행랑채는 쓸쓸하고 집 안에는 쥐
┏ 15

신축년 고려 공민왕 10년 ┛: 폐허가 된 ‘최 여인’의 집을 묘사–‘이 서생’의 슬프고 참담한 심정을 환기함.

(1361)에 해당함. 이 시기에 들이 우글거리고 새들만 지저귈 뿐이었다. 그는 슬픔을 견디지 못해, 작은 누

홍건적이 압록강을 건너 고
각에 올라가서 눈물을 거두고 길게 한숨을 쉬며 날이 저물도록 앉아서 지난날

려를 자주 침범하였음. ┏
┛: 관련 한자 성어–일장춘몽(一場春夢: 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을 비유한 말임.)
병화 전쟁으로 인한 화재. 의 즐겁던 일들을 생각해 보니, 완연히 한바탕 꿈만 같았다. 밤중이 거의 되자

전체 구성 ※ 교과서 수록 내용은 ‘절정~결말’ 부분임.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200 4. 한국 문학의 역사
‘이 서생’이 ‘최 여인’ 반대를 극복하고 두 홍건적의 침입으로 ‘이 서생’이 ‘최 여인’ ‘이 서생’과 ‘최 여인’
을 만나 사랑을 나눔. 사람은 혼인함. ‘최 여인’이 죽게 됨. 의 환신과 재회함. 이 영원한 이별을 함.

(170~229).indd 200 20. 10. 30. 오후 4:21


‘최 여인’의 환생이 갖는 의미
‘이
 서생’과의 사랑을 다시 성취하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 장치임.
죽음도 갈라놓을 수 없는 사랑을 통해 부당한 현실에 대한 저항 의지를 드러냄.

희미한 달빛이 들보를 비추는데, 낭하에서 발자국 소리가 들려왔다. 그 소리


비현실적인 사건 전개를 위한 배경
는 먼 데서 차차 가까이 다가왔다. 살펴보니 사랑하는 아내가 거기 있었다. 이

‘최 여인’의 환신이 나타남. → 비현실적인 내용(전기적 요소)
서생은 그녀가 이미 이승에 없는 사람임을 알고 있었으나 너무나 사랑하는 마

┛: 아내가 죽은 것을 알고 있으나 이성적인 판단보다는 사랑이라는 감정이 앞섬.–비극적인 결말을 예측할 수 있음.
음에 반가움이 앞서 의심도 하지 않고 말했다.

05 “부인은 어디로 피란하여 목숨을 보전하였소? ” 다시 만나게 된 두 사람
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여인은 이 서생의 손을 잡고 한바탕 통곡하더니 곧 사정을 얘기했다. 영영 만나지 못할 것이라 생
각했던 두 사람이 다시 만나
“저는
 본디 양가의 딸로서 어릴 때부터 가정의 교훈을 받아 자수와 바느질 게 되었으므로 현실적인 여건
을 고려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에 힘썼고, 시서(詩書)와 예법을 배웠으므로 규중의 법도만 알았을 뿐 어찌 내릴 새 없이 만남 그 자체에
시와 글씨 기쁨을 느꼈을 것이다.

집 밖의 일을 알겠습니까? 그러나 낭군께서 붉은 살구꽃이 피어 있는 담 안

┛: ‘이생규장전’이라는 제목의 의미가 담긴 구절
10 을 엿보게 되자, 저는 스스로 몸을 바쳤으며 꽃 앞에서 한 번 웃고 난 후 평

생의 가약을 맺었고, 휘장 속에서 거듭 만났을 때에는 정이 백 년을 넘쳤습
부부가 되자는 약속
니다. 사세가 이렇게 되자 슬픔과 부끄러움을 차마 견딜 수 없었습니다. 장 작품의 특징
홍건적의 침입으로 목숨을 잃음.
차 백 년을 함께하려 했는데 어찌 횡액을 만나 구렁에 넘어질 줄 알았겠습 역사적 홍건적의 난으로 고난
관련 한자 성어–백년해로(百年偕老: 부부가 되어 한평생을 사이좋게 지내고 즐겁게 늙음.) 사건의 을 겪었던 당대인의

니까? 끝내 이리 같은 놈들에게 정조를 잃지는 않았지만, 몸뚱이는 진흙탕 반영 삶이 드러남.

┛: 정조를 지키다 목숨을 잃음. 구조의 주인공들의 ‘만남→이
15 에서 찢김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진실로 천성이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만, 인 반복 별→재회’가 반복됨.
┛ 운명
적극적인 주인공들이 당대의 유
정으로는 차마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저는 낭군과 궁벽한 산골에서 헤 성격의 교적 관습에서 벗어나
인물 사랑을 성취함.
어진 후로 짝 잃은 새가 되고 말았던 것입니다. 집도 없어지고 부모님도 잃
홀로 남은 ‘최 여인’의 처지를 비유한 말
었으니 피곤한 혼백의 의지할 곳 없음이 한스러웠습니다. 의리는 중하고 목


숨은 가벼우므로 쇠잔한 몸뚱이로써 치욕을 면한 것만은 다행이었습니다 낭하 복도. 건물 안에 다니

┛: 정조를 지킨 것은 후회하지 않으나 ‘이 서생’과의 사랑을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해 한스러움. 게 된 통로.
20 만, 누가 산산조각이 난 제 마음을 불쌍히 여겨 주겠습니까? 다만 갈기갈기 양가 지체가 있는 좋은 집안.
관련 한자 성어–각골통한(刻骨痛恨: 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하고 한스러움.)
찢어진 썩은 창자에만 맺혀 있을 뿐입니다. 해골은 들판에 던져졌고 몸뚱이 규중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

는 땅에 버려지고 말았으니, 생각하면┏그 옛날의 즐거움은 오늘의 이 비운을
횡액 뜻밖에 닥쳐오는 불행.

┛: 관련 한자 성어–흥진비래(興盡悲來: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뜻으로 세상일은 순환됨을 이름.) 궁벽한 매우 후미지고 으
위해 마련된 것이 아니었던가 싶습니다. 그러나 이제 봄바람이 깊은 골짜기 슥한.
┛ 평화로운 시절이 돌아왔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함.
쇠잔한 쇠하여 힘이나 세
에 불어와서 제 환신(幻身)이 이승에 되돌아왔습니다. 낭군과 저와는 삼세
전기적 요소
력이 점점 약해진.
25 의 깊은 인연이 맺어져 있는 몸, 오랫동안 뵙지 못한 정을 이제 되살려서 결 환신 허깨비같이 허망하
고 덧없는 몸이라는 뜻으로,
코 옛날의 맹세를 저버리지 않겠습니다. 낭군께서 지금도 삼세의 인연을 알 사람의 몸을 비유적으로 이
배경 사상 : 불교의 윤회 사상
르는 말.
아주신다면 끝내 고이 모실까 합니다. 낭군께서는 허락해 주시겠습니까? ”
삼세 전세(前世), 현세(現
이 서생이 기쁘고 또 고마워서, 世), 내세(來世)의 세 가지.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01

책1.indb 201 18. 11. 23. 오후 5:43


“그것은 본디 나의 소원이오.”

가산 한 집안의 재산. 하고는 서로 즐겁게 심정을 털어놓았다. 이윽고 이야기가 가산(家産)에 미치


합장하고는 부부의 시체
자 여인은 말하였다.
를 한 무덤에 묻고는.
길흉사 경사스러운 일과 “조금도 잃지 않고 어떤 산골짜기에 묻어 두었습니다.”
흉하고 언짢은 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 두 집 부모님의 해골은 어디에 있소? ” 05

“하는 수 없이 어떤 곳에 그냥 버려두었습니다.”

서로 쌓였던 이야기가 끝나고 잠자리를 같이하니 지극한 즐거

움은 옛날과 같았다.
⇢ ‘이 서생’은 ‘최 여인’의 환신과 재회하여 그동안의 일을 이야기함.
 이튿날 여인은 이 서생과 함께 가서 매장한 곳을 찾으니

거기에는 금은 몇 덩어리와 재물이 약간 있었다. 그들은 두 10

집 부모의 해골을 거두고 금은과 재물을 팔아서 각각 오관

산(五冠山) 기슭에 합장하고는 나무를 세우고 제사를 지내

모든 예절을 다 마쳤다.

  그 후 이 서생은 벼슬을 구하지 않고 아내와 함께 살게


부귀공명보다 사랑을 중시함.
되니, 피란 갔던 노복들도 찾아왔다. 이 서생은 이로부터 인간 15

의 모든 일을 완전히 잊고서 친척과 손님의 길흉사(吉凶事)에도

문을 닫고 나가지 않았으며, 늘 아내와 함께 시구를 지어 주고받으


관련 한자 성어–두문불출(杜門不出: 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
며 즐거이 세월을 보냈다.
⇢ 재물을 찾아 부모의 제사를 지낸 ‘이 서생’과 ‘최 여인’은 함께 즐거운 세월을 보냄.
‘이 서생’과 ‘최 여인’이  
결말 어느덧 몇 해가 지난 어느 날 저녁에 여인은 이 서생에
영원한 이별을 함.
게 말했다. 20

전기 소설의 특징

작가의 개성과 사상이 잘 투영되어 있음.
사건 전개에 있어서 그 변화의 폭이 넓음.
소재 자체는 비현실적이나 남녀 간의 애정 문제, 사회적 상황 등 인생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그림.

작품에 나타난 전기 소설의 특징


재자가인 ‘이 서생’은 용모가 준수하며 재주가 뛰어남.
(才子佳人) ‘최 여인’은 자수와 시문에 능하며 매우 아름다움.
비현실적인
죽은 ‘최 여인’이 환생하여 ‘이 서생’과의 인연을 이어 감.
상황과 사건
한문 문체의 미사여구(美辭麗句)를 사용하여 서술함.
한문 문어체  여인’이 ‘이 서생’과 작별하며 이별과 죽음의 슬픔을 한시로
‘최
표현함.

20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02 18. 11. 23. 오후 5:43


2

“ 세 번이나 가약을 맺었습니다마는, 세상일이 뜻대로 되지 않았으므로 즐거 ‘ 최 여인 ’ 이 말한 ‘ 세 번


① 처음 만나 인연을 맺은 것, ② 혼례를 올리고 부부가 된 것, ③ 환생하여 이승에서 다시 만난 것 의 가약 ’은 무엇을 의미하는
움도 다하기 전에 슬픈 이별이 갑자기 닥쳐왔습니다.” 가?
관련 한자 성어–호사다마(好事多魔: 좋은 일에는 흔히 방해되는 일이 많음.)
첫 번째는 ‘이 서생’과 ‘최 여
하고는 마침내 목메어 울었다. 이 서생은 깜짝 놀라면서 물었다.
인’이 담장을 넘어 사랑을 약
속한 것이고, 두 번째는 ‘이
“무슨 까닭으로 그런 말씀을 하시오? ” 서생’의 아버지의 반대를 뛰
어넘어 혼인한 것이며, 세 번
05 여인은 대답하였다. 째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초
월하여 만남을 가진 것을 의
“ 저승길은 피할 수가 없습니다. 하느님께서, 저와 낭군의 연분이 끊어지지
┏ 미한다.

‘이 서생’과 ‘최 여인’의 세 번째 시련 ┛: ‘최 여인’이 환생할 수 있었던 이유, 사건 전개의 개연성 부여
않았고 또 전생에 아무런 죄악도 없었으므로, 이 몸을 환생시켜 잠시 낭군을

뵈어 시름을 풀게 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오랫동안 인간 세상에 머물러 있으


┛: 이승과 저승의 세계는 경계가 뚜렷함. - ‘이 서생’과 ‘최 여인’의 사랑이 이루어질 수 없는 이유
면서 산 사람을 유혹할 수는 없습니다.”

10 하더니 시비에게 명하여 술을 올리게 하고는 옥루춘곡(玉樓春曲)에 맞추어 노 ‘ 최 여인 ’이 부른 노래는
악곡의 이름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래를 지어 부르면서 이 서생에게 술을 권했다.
홍건적의 침입으로 목숨을
잃고 남편과 이별했던 자신
의 신세에 대한 서글픔과 또
도적 떼 밀려와서 처참한 싸움터에 다시 찾아온 이별에 대한 슬
픔이 담겨 있다.
몰죽음당하니 원앙도 짝 잃었네 시비 곁에서 시중을 드는
‘이 서생’과 ‘최 여인’
계집종.
여기저기 흩어진 해골 그 누가 묻어 주리
유혼 죽은 사람의 넋이 육
전국 시대 초나라 회왕이 잠시
15 피투성이 그 유혼은 하소연도 할 곳 없네 체를 벗어나 떠다님. 또는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의
여인을 만나 즐거움을 누리다 회 그런 영혼.
슬프다 이내 몸은 무산 선녀 될 수 없고 왕이 다시 만날 것을 간청하자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깨진 거울 갈라지니 마음만 쓰라리네 비가 되어 머물러 있을 것이니
다시 이별을 해야 하는 슬픔 항상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한 말
이로부터 작별하면 둘이 모두 아득하네 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신은 무산
선녀와는 달리 다시 만나러 올
저승과 이승 사이 소식조차 막히리라 도리가 없다는 의미임.

⇢ 저승으로 돌아가야 하는 ‘최 여인’이 이별을 이야기함.


삽입된 노래의 기능

정서적 기능 서사적 기능
인물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이전에 일어난 사건을 압축적으로 보여 줌.
인물의 심리와 상황에 대한 정서적 여운을 줌. 사건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암시함.
상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작품의 낭만적 분위 서사적 전개 속에서 서정적 감흥을 일으켜 사건
기를 형성함. 전개의 단조로움을 탈피함.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생사관


작가는 이승과 저승의 질서에 따라 ‘이 서생’과 ‘최 여인’이 다시 이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설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죽은 사람의 영혼은 이승에 잠시 머물 수는 있겠으나, 결국은 저승으로 가야만 한다는 작가의 생사관이 드
러난다.

‘이 서생’과 ‘최 여인’의 만남과 이별 ②


만남 이별 만남과 이별이 반복되는 구성으로
등장인물의 감정의 긴밀도를 높이

죽은 ‘최 여인’이 환생하여 ‘이 서생’ 이승과 저승을 가르는 명부의 법칙


세 번째
과 못다 한 사랑을 이룸. 으로, ‘최 여인’이 저승으로 돌아감. 고, 결말의 비극성을 보여 줌.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03

(170~229).indd 203 20. 10. 30. 오후 4:22


『금오신화』에 수록된 작품 노래를 한 곡 부를 때마다 눈물에 목이 메어 거의 곡조를 이루지 못했다. 이
들의 공통점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우 서생도 또한 슬픔을 걷잡지 못했다.
리나라 사람을 등장시킴.
적극적이며, 욕망을 긍정 “나도
 차라리 부인과 함께 황천으로 갔으면 하오. 어찌 무료히 홀로 여생을
흥미 있는 일이 없어 심심하고 지루하게
하는 인물상을 구현함.
애민적(愛民的) 왕도 정 보내겠소. 지난번에 난리를 겪고 난 후에 친척과 노복들이 각각 서로 흩어지
홍건적의 침입 관련 한자 성어–풍비박산(風飛雹散: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치사상이 드러남. ┏
유교·불교·도교의 통합 고, ┏돌아가신 부모님의 해골이 들판에 버려져 있을 때, 부인이 아니었더라면 05

을 지향함. ┛: 자식된 도리를 다하게 해 준 아내에 대한 고마움

누가 능히 장사를 지내 주었겠소. 옛사람의 말씀에 부모님이 살아 계실 때는

예절로써 섬기고 돌아가신 후에도 예절로써 장사 지내야 한다 했는데, 이런

일을 모두 부인이 실천했소. 그것은 부인이, 천성이 순효(純孝)하고 인정이

두터운 때문이니 감격해 마지않았으며, 스스로 부끄러움을 이기지 못하였



홍건적의 침입 시 가족을 돌보지 못한 것에 대한 자책감
저승의 명부에 이름이 실려 소. 부인은 이승에서 오래 살다가 백 년 후에 같이 세상을 떠나는 것이 어떻 10
있는 ‘최 여인 ’이 운명의 법
도를 어기고 인간 세상에 계
겠소? ”
속 머물면 ‘이 서생’에게까지
죄과가 미치게 될 것이기 때
문이다.
여인은 대답했다.
‘ 이 서생 ’ 과 ‘ 최 여인 ’이 ┏“낭군의
 수명은 아직 남아 있으나, 저는 이미 저승의 명부(名簿)에 이름이

다시 이별해야 하는 이유는 ┛: ‘최 여인’이 ‘이 서생’과 이별해야 하는 이유(죽은 자는 저승으로 가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

무엇인가? 실려 있으니 오래 머물러 있을 수가 없습니다. 만약 굳이 인간 세상을 그리

워해서 미련을 가진다면, 저승의 법에 위반됩니다. 그렇게 되면 죄가 저에게 15

비극적 결말에 반영된 작


가 의식 만 미치는 것이 아니라 낭군님에게까지 그 허물이 미칠 것입니다. 다만 저의

「이생규장전」은 대부분 행
복한 결말로 끝맺는 여타 유골이 아직 그곳에 흩어져 있으니, 만약 은혜를 베풀어 주시겠다면 유골을
고전 소설과는 달리 비극적
결말을 보여 준다. 이는 작 거두어 비바람을 맞지 않게 해 주십시오.”
가의 불교적인 세계관과 부
정적인 현실 인식에서 비롯 두 사람은 서로 바라보며 눈물을 흘렸다. 잠시 후에 여인은 말했다.
된다. 세조의 왕위 찬탈과
사육신의 죽음 이후 벼슬을 “낭군님 부디 안녕히 계십시오.” 20

하지 않고 숨어 지냈던 김
시습은 이러한 현실에 대한 말을 마치자 점점 사라져서 마침내 종적을 감추었다. 이 서생은 아내가 말한
저항을 작품을 통해 드러낸
것이다. 대로 그녀의 해골을 거두어 부모의 무덤 곁에 장사를 지내 주었다.
⇢ ‘최 여인’이 저승으로 돌아간 후 ‘이 서생’은 ‘최 여인’의 장사를 지냄.
그 후 이 서생은 아내를 지극히 생각한 나머지 병이 나서 두서너 달 만에 그
황천 저승. 사람이 죽은
도 세상을 떠났다.
뒤에 그 혼이 가서 산다고 비극적 결말
하는 세상. ┏이 사실을 들은 사람들은 모두 작품을 감상한 후 나의 한 줄 느낌 나의 25
감상
순효하고 지극한 효성을 만남과 이별 그리고 재회를 반복하며 사랑을
바치고. 슬퍼하고 탄식하면서, 그들의 성취하려는 ‘이 서생’과 ‘최 여인’의 모습이 감동적이
었지만, 결말이 비극적이어서 몹시 안타까웠다.
명부 어떤 일에 관련된 사 절개를 사모하지 않는 사람이 없
람의 이름, 주소, 직업 따위 ┏
┛: 
이야기 밖의 또 다른 이야기를 전달
를 적어 놓은 장부. 었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 하는 방식으로 주제 의식을 강조함.
DVD–학습지, 쪽지 시험
확인 문제 ⇢ 많은 사람들이 ‘이 서생’과 ‘최 여인’의 사랑에 감동함.
1. 이 작품은 행복한 결말을 통해 고전 소설의 전형을 보여 준다. (, ×)
204 4. 한국 문학의 역사 2. 이 작품에서 ‘이 서생’과 ‘최 여인’의 사랑은 두 번의 시련을 겪는다. (, ×)
3. 이 작품에 삽입된 시는 인물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낭만적 분위기를 형성한다. (, ×)
4. 이 작품의 내용 중 죽은 ‘최 여인’의 ( )이 나타나는 것은 전기적 요소에 해당한다.
1. × 2. × 3.  4. 환신

책1.indb 204 18. 11. 23. 오후 5:43


2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의 주요 사건과 관련하여 등장인물의 특징을 파악해 보자.


시련의 원인 시련의 결과

첫 번째 ‘ 이 서생 ’의 아버지가 '이 서생 ’과 '최 여인 ’ ‘이 서생 ’이 지방으로 가게 되어 ‘최 여인 ’과


시련 의 밀회를 눈치챔. 이별하게 됨.

지도 방안
소설의 갈래는 자아와 세 두 번째
계의 대결로 정의할 수 있
홍건적의 침입으로 온 가족이 흩어지게 됨. ‘ 최 여인 ’이 홍건적에게 죽임을 당함.
시련
다. 이 활동을 통해 작품
의 소설적 특성을 확인하
고, 사건에 대한 인물의 세 번째 이승과 저승을 가르는 명부의 법칙 때문에 ‘최 ‘이 서생’과 ‘최 여인’이 이별하게 되고 ‘이 서
반응을 확인하여 주인공 시련 여인’이 저승으로 돌아감. 생’ 역시 죽음을 맞이함.
인 ‘이 서생 ’과 ‘최 여인 ’
의 성격에 대해 정리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서생’의 특징 ‘최 여인’의 특징

•유교적 질서에 순응하여 ‘최 여인’과의 만남을 반대하는 •‘이 서생’과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서 능동적이고 적
아버지의 뜻에 따라 지방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보임. 극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임.
•‘최 여인’의 혼백과 사랑을 나누고, 이별한 후에는 병 •절개를 지키려고 목숨을 아끼지 않는, 의지적 인물임.
을 얻어 세상을 떠날 정도로 그녀를 사랑함. •‘이 서생’을 위해 저승으로 돌아갈 정도로 그를 사랑함.

지도 방안
제시된 본문의 맥락을 고려하여 ‘최 여인’이 부른 노래에 담긴 내용을 살펴보고, 그 내용을 운문이 아닌 산문으로
제시했다면 어땠을지 생각해 봄으로써 삽입된 노래의 기능과 이 노래를 삽입한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 볼 수 있도
록 지도한다.

2 작가가 이 작품에 ‘최 여인’의 노래를 삽입한 이유는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이 작품에 삽입된 노래는 ‘최 여인’이 경험한 이전의 사건과 그녀의 처지를 압축적으로 제시하고, 떠나야만 하는 슬픔
도움말 | 노래가 등장하
을 더욱 절실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이 작품에서 노래는 함축적인 표현으로 등장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
는 장면의 전후 맥락과,
하고, 작품의 낭만적 분위기를 형성하며, 서사적인 사건 전개의 단조로움을 탈피하는 기능을 한다. 작가는 이와 같은
노래의 내용을 바탕으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최 여인’의 노래를 삽입했을 것이다.
답을 해 본다.

3 이 작품에 나타난 전기적 요소를 찾아보고, 작가가 전기적 요소를 활용한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자.

도움말 | 이 작품은 전반 이 작품에 나타난 전기적 요소 전기적 요소를 활용한 이유


부의 현실적 사건과 후반
•인물이 비현실적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독
부의 비현실적 사건으로
죽은 ‘최 여인’이 환신으로 나타나 ‘이 서생’과 자의 흥미를 높임.
구성된다. 작가가 이처럼
함께 부부의 연을 이어 가는 작품의 후반부에 •작품의 주제를 더 효과적으로 표현함.
사건을 구성한 이유는 무 서 전기적 요소가 나타남. •세계의 횡포에 맞서는 인물들의 대응 양상
엇일지 생각해 본다. 을 더욱 극적으로 드러나게 함.

지도 방안
작품에 나타난 전기적 요소
를 찾고, 이것이 작품에서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05
어떤 역할을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170~229).indd 205 20. 10. 30. 오후 4:25


1

핵심 갈래 설화(사원 연기 설화) 성격 불교적, 전기(傳奇)적


정리
제재 호랑이의 살신성인(殺身成仁) 주제 ‘김현’과 호랑이 여인의 사랑
호랑이를 의인화하여 내용을 전개함.
특징 변신형 설화 모티프를 사용함.
한국 문학의 역사적 갈래 신이하고 환상적인 요소가 드러남.

4 다음 설화와 비교하여, 「이생규장전」이 설화가 아니라 소설로 분류되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경상북도 경주시 봉황대와 오릉(五陵) 사이의 동편에 있던 절. 신라 진흥왕 5년(544)
에 창건한 신라 최초의 큰 절이었음.
참고 자료 | 소설에서의 자
아와 세계 신라 풍속에 매년 중춘(仲春, 음력 2월) 8일에서부터 15일에 이르기까지 도읍의
복을 비는 모임
소설에서의 갈등은 인물, 남녀들이 다투어 흥륜사의 탑을 도는 복회(福會)를 열었다. 원성왕 때 김현이라는
즉 자아의 욕망에서 비롯된다. 불교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전통 풍습, 탑을 돌면서 소원을 비는 의식임. 신라의 제38대 왕(?~798)
낭군(郎君)이 있었는데, 밤늦도록 혼자 쉬지 않고 돌았다. 한 여자도 따라 돌고 있
그리고 이러한 욕망의 충족 신라 시대에는 혼례를 치르기 전에도 남녀가 정을 통하는 일이 종종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음.
과정에서는 그것에 대응하는 었는데, 현이 드디어 정을 통하여 그 여자를 따라갔다. 여자가 말하기를,
장애, 즉 세계의 횡포가 발생 “제가
 내일 성내에 들어가서 해로운 일을 하면, 곧 왕은 반드시 좋은 벼슬을 걸
⇢ ‘김현’과 탑을 돌던 여인의 인연
한다. 소설은 이와 같은 자아
고 사람들을 모아서 나를 잡으려고 할 것입니다. 당신은 겁내지 말고 북쪽의 숲
와 세계의 치열한 갈등을 다 여인의 당부 ①
루며, 그 과정에서 삶의 진실 속으로 나를 쫓아오십시오. 제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다만 저를 위해 절을 지
을 그려 낸다. 어서 좋은 업보(業寶)를 얻게 해 주신다면, 곧 낭군의 은혜로 알겠습니다.”
여인의 당부 ②
하고, 드디어 서로 울면서 헤어졌다. 다음 날 과연 사나운 호랑이가 성에 들어왔
⇢ 여인의 당부
지도 방안
여인의 정체
두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 는데, 당할 사람이 없었다. 왕이 영을 내려,
점을 찾아보며 서사 갈래 “능히 호랑이를 사로잡는 사람에게는 2급의 벼슬을 주겠노라.”
의 연속성을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또한 두 하니, 김현이 대궐에 나아가 아뢰어 말하기를,
작품 중 「이생규장전」만을
“제가 능히 할 수 있습니다.”
소설로 인정하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함으 하고, 단검을 들고 북쪽의 숲으로 들어갔다. 호랑이가 낭자로 변해서 웃으며 말하
로써 소설 갈래에 대한 개 여인이 당부한 대로 북쪽의 숲으로 간 ‘김현’
기를,
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안
내한다. “어제의 곡진했던 사연을 오직 낭군께서는 잊어버리지 않으셨군요.”
매우 자세하고 간곡했던
하더니, 김현이 차고 있던 칼을 뽑아 스스로 목을 찌르고 쓰러지니 곧 호랑이였
다.┏그
‘김현’을 출세시키기 위하여 스스로 죽음을 택함. 관련 한자 성어: 살신성인(殺身成仁)

후 김현이 벼슬길에 오른 뒤 서쪽 냇가에 절을 짓고, 이름을 ‘호원사(虎願
┛: 사원 건립의 내력을 설명함. ‘호랑이의 소원을 간직한 절’이라는 의미

┛⇢
寺)’라고 했다. 호랑이의 희생과 호원사의 건립 - 작자 미상, 「호원(虎願)」

두 작품은 모두 일상적 세계를 초월한 남녀의 지극한 사랑을 다루고 있으며, 전기적 사건 전개 양상이 나타난다. 그러
나 「호원」과 달리 「이생규장전」에서는 인물들의 심리가 보다 구체적으로 그려지고, 인물들이 시련을 극복하기 위해 노
력한다. 이렇듯 자아와 세계의 갈등이라는 소설 갈래의 특징을 「이생규장전」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감상 다지기
비판적 . 창의적 사고
지도 방안 5 ‘이 서생’이 죽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이생규장전」의 결말 부분을 자유롭게 상상하여
소설의 결말 부분은 모든 바꾸어 써 보자.
사건의 대단원으로 작가
의 주제 의식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이를 바꾸어 보
는 활동을 통해 보다 능동 이 서생은 최 여인의 장사를 치른 후, 아내를 지극히 생각한 나머지 병이 나서 거의 죽을 뻔하였으
적이고 적극적으로 작품 나 두서너 달 만에 겨우 몸을 추슬렀다.
을 감상하며, 자신의 생각 몸을 추스른 이 서생은 붓을 들고 자신의 기막힌 사랑 이야기를 적어 내려가기 시작했다. 마침내 마지막
을 표현해 볼 수 있도록 문장을 적은 이 서생은 곱게 엮은 새 책 한 권을 책상 위에 올려 두고, 간단한 짐을 꾸려 집을 나섰다. 이웃집
지도한다. 여인이 이상히 여겨 이 서생에게 어디로 가느냐고 묻자, 그는 “발길이 닿는 곳 어디든 가 볼 생각이오. 책상
위의 책은 가져다 누구나 읽어도 좋소.”라고 대답하고 길을 떠났다.

206 4. 한국 문학의 역사

문학 주석교과서(170~229)4단원①.indd 206 18. 11. 29. 오후 3:39


감상을
작품 1 이생규장전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이생규장전」 은 ‘이 서생이 담장 안을 엿본 이야기’라는 뜻으로, 김시습의 한문 소설집인 『금
‘감상의 정리 ’에서는 이 오신화』에 실려 있는 다섯 개의 이야기 중 하나이다. 이 작품에서 ‘이 서생’과 ‘최 여인’은 자신
작품의 제목에 담긴 의미,
에게 닥친 여러 가지 시련을 이겨 내면서 죽음까지 초월하여 사랑을 이루고자 한다. 이러한 과
작품의 중심 내용과 주제,
작가의 창작 의도 등을 바 정에서 환생이라는 기이하고 비현실적인 사건이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비극적인 현실을 전기
탕으로 내용을 정리하였
적(傳奇的)인 방법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가 나타난다. 즉, 작가 김시습은 죽음까지
다. 학생들과 함께 읽거나
간단히 질문을 하면서 작 도 초월한 주인공을 통해 남녀 간의 지극한 사랑이라는 주제를 드러내면서, 동시에 현실 세계
품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 의 질서에 대한 저항과 비판 의식도 드러낸 것이다.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전기 소설의 개념과 특징
‘지식 창고 ’에서는 전기
소설의 개념과 특징에 대 전기(傳奇)는 ‘기이(奇異)한 것을 전(傳)한다’는 뜻으로, ‘전기 소설’은 실제로 일어나기 어려
해 소개하고, 전기 소설에 운 기괴하고 신기한 일을 다룬 소설을 말한다. 주로 천상이나 용궁 등과 같은 비현실적 세계를
나타나는 전기적 요소는
작가의 의도적인 장치임을 배경으로 하거나, 현실 속 인물이 신비롭고 환상적인 경험을 하는 식의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설명하며 설화와의 차이점 전기 소설의 비현실성은 일상적 세계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 장치라는 점에서
을 이야기하였다. 전기 소
설이 인물의 환상적 경험
설화와 차이를 보인다. 이를 통해 작가는 남녀의 자유분방한 애정 표현,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을 다루지만, 설화와 달리 비판 등 시대적·문화적 제약을 뛰어넘는 내용을 작품 속에 담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이것이 작가의 주제 의식
을 전달하기 위한 기법으
로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구성 김시습
인물
‘더 읽어 보기’에서는 「이
생규장전」과 관련하여 구
성과, 인물의 측면에서 함
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을
엮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 「운영전」 작자 미상 「채봉감별곡」 작자 미상
로 작품을 감상해 보고,
작품의 구성 및 등장인물 ‘유영’의 꿈속에 나타난 궁녀 ‘운영’과 ‘채봉’과 ‘강필성’이 시련을 극복하고
의 성격을 비교하여 살펴 ‘김 진사’의 슬픈 사랑을 이야기한 소설. 사랑을 성취한다는 내용의 소설. ‘채봉’
볼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비극적 사랑을 다룬 두 작품의 구성을 과 ‘최 여인’, ‘강필성’과 ‘이 서생’의 성
비교해 보자. 격을 비교하며 감상해 보자.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07

책1.indb 207 18. 11. 23. 오후 5:43


2

●● 작품 선정 이유
네 작품은 조선 시대에 창작된 시조들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향유층이 확대되고 형식 및 내용이 달라지는 특징을

2
지닌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조선 전기 및 후기 시조의 향유층과 시조 형식의 변화 및 내용상의 특징 등을 비교
작품
하여 살펴볼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들은 조선 시대에 널리 향유되었던 대표적 문학 갈래인 시조이다. 서정 갈래로서 작


품의 시적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 주제 의식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백이’와 ‘숙제’의 고사
주나라 ‘무왕(武王)’이 은나
학습 자료 바로 가기
라 ‘주왕(紂王)’을 멸하자,
DVD–멀티미디어 자료
‘무왕’의 행위가 인의(仁義)
를 배반한 것이라며 주나라
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
고, 수양산(首陽山)에 몸을
숨기고 고사리를 캐어 먹고
시조 네 편 성삼문 외

지내다가 굶어 죽었다. 핵심 갈래 평시조 성격 절의적, 풍자적, 비판적


정리
제재 ‘백이’와 ‘숙제’의 고사 주제 죽음을 각오한 굳은 절의와 지조
중의법, 설의법을 통해 대상에 대한 비판을 은유적으로 드러냄.
특징
‘백이’와 ‘숙제’의 고사를 인용하여 화자의 굳은 절의를 부각함.
가 성삼문 가 성삼문
(1418~1456) : 중의적 표현 ‘이제’의 지조를 탓하면서 자신이 ‘이제’보다 더 큰 지조를 지녔음을 강조함.
수양산(首陽山) 라보며 이제(夷齊) 한(恨)노라 05
조선 전기의 문신. 집현전 ‘백이’와 ‘숙제’가 은둔한 중국의 산, ‘수양 대군(세조)’
학사로 세종의 훈민정음 창 주려 주글진들 채미(採薇)도  것가 ┏
┛: 
‘백이’와‘숙제’는 주나라의 곡식은 먹지 않겠다
제를 도왔으며, 단종의 복위 고사리를 캐어 먹음, ‘수양 대군(세조)’이 주는 녹을 받음. 고 하며 고사리를 캐어 먹었는데 그 고사리는
┏비록애 푸새엣 거신들 긔 뉘 헤 낫니 주나라의 땅에서 난 것이므로, 화자는 고사리마
를 꾀하다가 처형되었다.
주나라 ‘무왕’, ‘수양 대군(세조)’
┛ 저도 먹지 않겠다는 굳은 절의를 보여 줌.
[현대어 풀이] 수양산을 바라보며 ‘백이’와 ‘숙제’를 한탄한다. / (차라리) 굶주려 죽을지언정 고사리를 캐어 먹어
서야 되겠는가? / 비록 산에 자라는 풀이라고 한들 그것이 누구 땅에서 났는가?
나 계랑(1573~1610) 나 계랑

조선 중기의 기생. 호는
이화우(梨花雨) 흣릴 제 울며 잡고 이별(離別) 님
매창(梅窓). 시, 노래, 거문고 계절의
비 오듯 떨어지는 배꽃, 또는 봄비 → 하강적 이미지
에 뛰어나 당대 큰 명성을 변화
추풍낙엽(秋風落葉)에 저도 날 각가 10

얻었다.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 → 시간의 흐름, 하강적 이미지, 이별의 정서 심화


천 리(千里)에 외로온 만 오락가락 노매
① 임과 떨어진 공간적 임을 향한 그리운 마음
이제 중국 은나라 사람인 거리
② 이별로 인한 임과의 심적인 거리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
[현대어 풀이] 배꽃이 비처럼 흩날리던 때에 울며 (손) 잡고 헤어진 임 /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을 보며 임도 나
는 말.
를 생각하고 계실까? / 천 리 길 (머나먼 곳에서)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하는구나.
채미 고사리를 캠.
푸새 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핵심 갈래 평시조 성격 감상적, 애상적
정리
자라는 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제재 이화우, 추풍낙엽, 이별 주제 임을 그리는 마음
하강의 이미지를 가진 시어(‘이화우’, ‘추풍낙엽’)를 통해 이별의 상황을 효과
특징 적으로 제시함.
계절의 흐름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시어를 사용함.

208 4. 한국 문학의 역사

(170~229).indd 208 20. 10. 30. 오후 4:26


가득찰(만) 흥겨울(흥) → 흥겨움이 마음속에
가득차다. (속세를 벗어난 자연에서의 흥취)
다 만흥(漫興) 윤선도 다 윤선도
: ‘자연’을 나타내는 중심 소재 (1587~1671)
[현대어 풀이] 자연 속에서 바위 아래
산수 간(山水間) 바회 아래 뛰집을 짓노라 니 띠집을 짓고자 하니 / 그 뜻을 모르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자연 속, 속세와 떨어진 곳 초가집–소박한 생활을 의미함, 안빈낙도 는 남들은 비웃기도 한다마는 / 어리 고산(孤山). 치열한 당쟁으
그 모론 들은 욷다 다마 석고 세상에 어두운 사람의 뜻에는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사는 가치를 모르는 사람들(세속적 욕망을 추구하는 사람들) 내 분수인가 하노라. 로 오랜 기간을 벽지의 유배
어리고 햐암의 뜻의 내 분(分)인가 노라  <제1수> 지에서 보내면서 자연을 제
소박하게 살고자 하는 화자 자신을 낮춘 겸손함의 표현, 화자의
소박한 뜻을 모르는 남들의 눈에 비친 화자의 모습을 표현
⇢ 분수에 맞는 삶 재로 한 시조를 많이 남겼다.
주요 작품으로는 「견회요」,
05 보리밥 픗을 알마초 머근 후(後)에 [현대어 풀이] 보리밥과 풋나물을 알
소박한 생활을 의미함. 알맞게 맞게 먹은 후에 / 바위 끝 물가에서 「어부사시사」 등이 있다.
실컷 노니노라. / 그 나머지 일이야
바횟 긋 믉의 슬지 노니노라
부러워할 줄이 있으랴.
실컷
┏그 나믄 녀나믄 일이야 부 줄이 이시랴  <제2수> 햐암 향암(鄕闇). 시골에


속세에서의 부귀영화
┛:
부러워할
설의적 표현–속세에 대한 미련이 없음. ⇢ 자연 속에서 즐기며 만족하는 삶 서 지내 온갖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은 사람.
누고셔 삼공(三公)도곤 낫다 더니 만승(萬乘)이 이만랴
누군가 삼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보다 ┏ 만승 만대의 병거(兵車)라
┏이제로 헤어든 소부(巢父) 허유(許由)ㅣ 냑돗더라
┛: 
세상의 권력보다 자연에 묻혀
사는 일이 더 좋아서 ‘소부’와 는 뜻으로, 천자 또는 천자
생각해 보니 ┛ ‘허유’가 현명하다고 말함.
의 자리를 이르는 말.
10 아마도 임천한흥(林泉閑興)을 비길 곳이 업세라  <제4수>
주제어 ⇢ 자연을 즐기는 삶에 대한 자부심 소부 허유 고대 중국의 인
물들로, 속세에 나서지 않고
[현대어 풀이] 누군가 (자연이) 삼정승보다 낫다고 하더니 천자라고 한들 이만큼 좋겠는가? / 이제 생각해 보니
‘소부’와 ‘허유’가 영리하더라. / 아마도 자연 속에서 노니는 즐거움은 비할 곳이 없으리라. 자연을 벗 삼아 즐기며 삶.
라 ┏
작자 미상
냑돗더라 영리하더라. 약
: 반복을 통해 화자의 간절한 소망을 드러냄.
┏창(窓) ┛

내고쟈 창(窓)을 내고쟈 이내 가슴에 창(窓) 내고쟈 → ‘a–a–b–a’의 구조(반복법) 았더라.


내면적 고뇌를 해소할 수 있는 매개체 ┛
┏고모장지 셰살장지 들장지 열장지 암돌져귀 수돌져귀 목걸새 크나큰 임천한흥 자연 속에서 느
┏ 끼는 한가한 흥취.
┛: 구체적 소재를 나열하여 화자의 답답한 심정을 강조함. → 열거법
쟝도리로  바가 이내 가슴에 창(窓) 내고쟈 고모장지~열장지 장지문
┛ 의 다양한 종류들을 나열함.
15 잇다감 하 답답 제면 여다져 볼가 노라 암돌져귀 수돌져귀 문짝
너무
을 문설주에 달아 여닫는 데
[현대어 풀이] 창을 내고 싶구나, 창을 내고
싶구나. 이 내 가슴에 창을 내고 싶구나. / 고 쓰는 두 개의 쇠붙이.
모장지, 세살장지, 들장지, 열장지, 암톨쩌귀, 가 ~ 라 중 가장 인상적인 작품과 그 이유 나의
수톨쩌귀, 배목걸쇠를 크나큰 장도리로 뚝딱
감상 목걸새 문고리에 꿰는 쇠.
라작품이 가장 인상적이다. 그 이유는 마음속
박아 이 내 가슴에 창을 내고 싶구나. / 이따
답답함을 창을 달아 해소한다는 발상이 참신했기 때
금 너무 답답할 때면 여닫아 볼까 하노라.
문이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학습지, 쪽지 시험
다 라

핵심 갈래 연시조 성격 자연 친화적, 탈속적, 자족적 핵심 갈래 사설시조 성격 해학적, 의지적


정리 정리
제재 자연을 벗하는 생활 제재 창
주제 자연 속에 묻혀 사는 즐거움 주제 삶의 답답함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

설의법을 사용하여 자연 속 삶에 대한 만족을 
마음에 창을 낸다는 기발한 발상을 통해 문학성을 획득함.
특징
특징 강조함. 비애와 고통을 웃음을 통해 극복하려는 해학성이 돋보임.
물아일체의 자연 친화 정신이 잘 나타나 있음.
확인 문제
다 전체 구성 ※ 교과서 수록 내용은 ‘1수, 2수, 4수’임. 1. 가 의 화자는 ‘백이’, ‘숙제’와 자신을 동일시하며 절의를 강조하고
1수 분수에 맞는 삶 있다. (, ×)
2. 나 에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화자의 심리가 조응하여 변화하고 있다.
2수 자연 속에서 즐기며 만족하는 삶
속세와 대비되는,  (, ×)
3수 산을 마주하고 있는 즐거움 3. 다 의 화자는 속세와 대비되는 자연을 이상적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
자연 속에서의 즐거움
4수 자연을 즐기는 삶에 대한 자부심 다. (, ×)
5수 자연생활을 운명으로 여김. 4. 라 에는 삶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싶은 화자의 ( 2 ) 조선정서가
시대의나타나
문학 있다.209
 (, ×)
6수 자신의 생활을 임금의 은혜로 여김.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
1. × 2. × 3.  4. 

책1.indb 209 18. 11. 23. 오후 5:43


학습 감상 모으기


문학과 시대 상황, 문학과 역사의 관계

1 작품 가를 감상하고, 내용상의 특징과 작품의 주제를 알아보자.

동 1 다음 내용을 참고하여, 화자가 ‘백이’와 ‘숙제’를 비판한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본래 은나라 고죽국(孤竹國)의 왕자였는데, 아


지도 방안
버지가 죽은 뒤 서로 후계자가 되기를 사양하다가 나라를 떠났다. 그 무렵 은
작품이 인용하고 있는 고
사(故事)를 확인하고, 이 나라의 주왕이 폭정을 일삼자 그 신하였던 무왕이 그를 정벌하려고 하였다. 백
를 인용한 작가의 의도를
이와 숙제는 무왕의 행위가 인의(仁義)에 위배되는 것이라 하며 이를 반대했으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또
한 작품 가 에 사용된 시어 나, 무왕은 끝내 새 왕조를 일으켰다. 그러자 두 사람은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
의 의미, 중의적 표현 등의
표현상의 특징을 파악해 를 거부하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고 지내다가 굶어 죽었다.
보고 이를 주제와 연결하
지조를 지키다 목숨을 잃은 ‘백이’와 ‘숙제’는 굳은 절개를 대표하는 대상으로 일컬어진다. 하지만 이 작품의 화자는
여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충절의 대명사인 ‘백이’와 ‘숙제’의 지조를 비판하고 있다. 이는 화자 자신이 ‘백이’와 ‘숙제’보다 더 굳은 지조를 지
녔음을 강조하고, 어린 조카를 밀어내고 왕이 된 ‘수양 대군(세조)’과는 타협하지 않을 것임을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도움말 | 이 작품을 쓴
2 ‘수양산’에 담긴 중의적 의미를 파악해 보고, ⑴과 관련하여 작품의 주제가 무엇인지
성삼문이 세조에게 왕위 말해 보자.
를 빼앗긴 단종의 복위를
꾀하였음을 고려하여 ‘수 ‘수양산’의 의미 작품의 주제
양산 ’의 의미를 생각해
‘ 백이 ’와 ‘숙제 ’가 몸을 숨기고 고사리를 캐어 먹던 장소. ‘세조 ’의 ‘단종 ’ 폐위에 대한
본다.
비판과, ‘단종’에 대한 충성을
‘세조’가 즉위하기 전의 군호(君號)인 ‘수양 대군’
지키려는 굳은 의지

지도 방안 2 작품 나에 제시된 다음 시어들이 무엇을 형상화하는지 생각해 보고, 화자의 정서와


작품에 사용된 시어를 통 관련하여 어떤 효과가 있는지 말해 보자.
해 표현 방식의 특징을 파
악하는 활동이다. 작품 나
에서 화자는 임과의 거리

봄에서 가을로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어 시 효과
감을 시간과 공간을 통해
이화우, 간적 거리감을 드러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추풍낙엽  낙엽은 모두 하강의 이미지를 갖고
비와
하강적 이미지를 통해 슬
있음.
픔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표현 기법을 통해 화자의
상황과 정서와 관련하여
어떤 효과를 얻고 있는지 이별의 정서를 심화함.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
한다. 천리 임과 화자 사이의 공간적 거리감을 과장하여
드러냄.

21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10 18. 11. 23. 오후 5:43


지도 방안 3 작품 다를 감상하고, 화자가 지향하는 삶의 태도와 시어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작품의 내용을 정리하여
주제를 파악하는 활동이 1 ‘자연 속의 삶’과 ‘속세의 삶’을 드러내는 시구를 찾아보고, 각 수의 중심 내용을 정리
다. 작품 다 는 여러 수의
시조를 엮은 연시조임을
해 보자.
이해하고, 각 수의 내용을
정리하여 화자가 지향하 ‘자연 속의 삶’ ‘속세의 삶’ 중심 내용
는 삶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수 ‘산수’, ‘뛰집’ ‘그 모론 들’ 분수에 맞는 삶.
‘보리밥 픗’,
2수
‘바횟 긋 믉’
그 나믄 녀나믄 일 자연 속에서 즐기며 만족하는 삶

4수 임천한흥 ‘삼공’, ‘만승’ 자연을 즐기는 삶에 대한 자부심

도움말 | 화자가 ‘자연 속의 2 ⑴의 내용을 참고하여, 화자가 지향하는 삶은 어떠한지 말해 보자.


삶’과 ‘속세의 삶’ 중 어떤 것 화자는 속세의 삶이 부럽지 않다고 하며, 자연 속의 삶이 자신의 분수에 맞고 세속적 부귀영화보다 낫다고 말하
을 지향하는지 생각해 본다. 고 있다. 따라서 화자는 세속적인 삶에서 벗어나 자연과 친화하며 사는 삶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도 방안 4 작품 라를 감상하고, 내용과 형식의 특징을 살펴보자.


작품의 내용을 정리하고,
표현상·형식상의 특징을 1 각 장의 중심 내용을 정리하고, 각 장에 나타난 표현상의 특징을 파악해 보자.
파악하는 활동이다. 작품
라 는 기발한 발상을 통해
‘창 내고쟈’라는 시구를 반복하고, 답답
화자의 의도를 드러내고 초장 창을 내고 싶은 소망을 드러냄.
한 마음을 사방이 막힌 방에 비유함.
있음을 이해하고, 이와 같
은 표현을 통해 화자가 말
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
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 중장 창의 종류와 부속품을 열거함. 친근한 일상적 사물을 열거함.
한다.

종장 창을 여닫아 답답함을 해소하고자 함.

2 작품 가~다와 비교할 때,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형식적인 특징은 무엇이며 어떤 효


과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작품 가 ~ 다 는 각 장이 2구씩 총 6구로 이루어진 데 반해, 이 작품은 중장의 길이가 평시조에 비해 길


다. 중장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평시조가 지니는 간결하고 정제된 아름다움 대신 숨 가쁘게 많은 말을 이
어 나가는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어조가 느껴진다.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11

책1.indb 211 18. 11. 23. 오후 5:43


한국 문학의 역사적 갈래

5 작품 가~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고, 조선 시대 시조의 전개 양상을 파악해 보자.


도움말 | 작품 가 ~ 라는 창
작품 가 나 다 라
작 시기의 순서대로 배열된
것이다. 이를 고려하여 시대의
흐름 속에서 변천하는 시조의 작가의 신분 사대부 기녀 사대부 작자 미상(서민)

양상을 형식적, 내용적 측면에


서 살펴본다. 자연을 벗하고 사는 삶의 답답함에서
내용 굳은 절의와 지조 임에 대한 그리움
즐거움 벗어나고 싶은 마음.
지도 방안
작품 가 ~ 라 의 작가, 내 형식 평시조 평시조 연시조 사설시조
용, 형식을 정리해 봄으로
써, 조선 시대 시조의 변
천 양상을 파악하는 활동
이다. 조선 전기에서 후기
로 시간이 흐르면서 시조
의 작가층이 확대되고 내
용이 다양해지며, 형식의
지도 방안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이
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현대 시조가 고시조의 어떠한 점을 계승하였으며, 고시조와 비교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
는지를 확인하는 활동이다. 여전히 향유되고 있는 시조가 다른 나라에는 없는 우리나라
만의 고유한 문학 갈래임을 인식하고 이를 계승해 나가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지도
감상 다지기 한다.

문화 향유
6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조선 시대의 고시조와 어떤 차이점이 있으며 고시조의 어떤 점
을 계승하였는지 말해 보자. 핵심 감각적, 묘사적,
갈래 현대 시조 성격
정리 영탄적, 예찬적
가을 하늘(벽공)을 맑고 투명한 유리에

참고 자료 | 「벽공」 빗댐. → 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제재 가을 하늘


‘벽공’은 ‘푸른 하늘’이라는 손톱으로 툭 튀기면 주제
가을 하늘의 맑고 깨끗함에 대한 예찬
뜻으로, 이 작품은 가을 하늘 과 인간사에 대한 안타까움
쨍하고 금이 갈 듯,
의 맑고 깨끗함을 다양한 감 
맑고 깨끗한 하늘을 인간사와 대조
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예찬 원관념: 파란 가을 하늘 ⇢ 초장: 맑은 가을 하늘 하고 여운을 줌.

하고 있는 현대 시조이다.
새파랗게 고인 물이 초장, 중장, 종장을 연으로 나누어 쓴
특징
구별 배행 시조임.
만지면 출렁일 듯,
청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촉각적 심
도움말 | 시조가 오늘날에도
이어지며 창작되고 있음을 확
촉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 중장: 파란 가을 하늘 상 등 감각적 수법이 엿보임.
저렇게 청정무구(淸淨無垢)를
인하고, 과거와 어떤 점이 달 주제어: 맑고 깨끗하여 더러움이 없음.
드리우고 있건만.
라졌으며 오늘날까지도 향유
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함께
⇢ 종장: 맑고 깨끗한 하늘
- 이희승, 「벽공(碧空)」
생각해 본다. 여운을 남기는 말로, 가을 하늘과 달리 인간사는
깨끗하지 못함에 대한 안타까움이 담겨 있음.
작가 소개 고시조와의 차이점 고시조에서 계승한 점
이희승(1896~1989)
국어학자, 시인. 호는 일석 •고시조는 2구가 하나의 장을 이루어 총 3장으로 구
(一石). 국어학 및 국문학 성되어 있는데, 이 작품은 1구가 하나의 행을 이루고
종장의 첫 음보가 3음절이고, 4·4조 또는 3·4조로 4
발전에 기여하였고, 특히 있다.
음보를 이루는 점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우리말 연구에 많은 업적 •고시조는 연시조를 제외하고는 제목이 없으나, 이
을 남겼음. 저서에 『국어 작품은 제목이 있다.
학 개설』, 『한글 맞춤법 통
일안 강의』, 작품에 시집
『박꽃』 등이 있음.

21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12 18. 11. 23. 오후 5:43


감상을
작품 2 시조 네 편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가  「수양산 라보며」는 수양 대군이 조카인 단종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오른 계유정
‘감상의 정리’에서는 작품 난(癸酉靖難) 때에, 수양 대군에게 협조하지 않겠다는 작가 자신의 의지를 표현하기 위해
가 ~ 라 의 내용 및 표현상

의 특징을 바탕으로 내용
쓴 시조이다. 만고의 절의로 유명한 백이와 숙제를 비판함으로써 자신의 절개가 누구와
을 정리하였다. 학생들과 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굳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수양산’을 중의적 의미로 이용하여
함께 읽거나 간단히 질문
이 작품이 수양 대군에게 뜻을 알리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을 하면서 작품에 대한 감
상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나  「이화우 흣릴 제」는 임과의 이별, 그리움, 재회에 대한 소망을 여성의 섬세한 감각으로
지도한다.
그려 낸 시조이다. 초장과 중장의 ‘이화우’와 ‘추풍낙엽’은 계절의 변화를 통해 임과 헤어
진 시간적 거리감을 나타내는 동시에, 하강의 이미지에서 느껴지는 슬픔의 정서를 떠올
리게 한다. 또한 종장의 ‘천 리’는 임과 떨어진 공간적 거리감과 이별의 깊이를 나타내며
안타까움의 정서를 심화한다.
다 「만흥」은 ‘저절로 일어나는 흥취’라는 뜻으로, 작가가 해남 금쇄동에서 은거하고 있을 때
지은 연시조이다. 현실적 공간과 대비되는 이상적 공간으로 ‘자연’을 설정하고, 번잡한
속세를 벗어나 한가로움을 누리는 즐거움, 자연 속에서 자연과 친화하며 사는 삶의 즐거
움 등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한문 투의 표현이 없이 우리말의 묘미와 아름
다움을 잘 살려 표현하고 있다.
라 「창 내고쟈」는 고달픈 삶이나 근심으로 생기는 답답한 마음을 사방이 막힌 ‘방’으로 나타
내고, 자신의 가슴에 창이라도 내서 답답함을 풀고 싶다는 기발한 생각이 드러나는 사설
시조이다. 이 작품은 구체적이고 친근한 일상적인 사물을 다소 수다스럽게 열거함으로써
문제 상황을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삶의 비애와 고통을 어둡게만 그리
지 않고 웃음으로 이를 풀어 나가려는 민중들의 건강한 삶의 태도가 담겨 있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표현 성삼문 외
화자
‘더 읽어 보기 ’에서는 ‘시
조 네 편 ’과 관련하여 표
현상의 특징과, 화자의 태
도의 측면에서 함께 감상
하면 좋을 작품을 엮어 놓 「두터비 리를 물고」 작자 미상 「산이 날 에워싸고」 박목월
았다. 학생들 스스로 작품
을 감상해 보고, 작품 속 조선 후기 탐관오리의 부패상을 ‘두터 평화롭고 순수한 자연에 대한 동경을
시어의 상징적 의미 및 자 비 ’, ‘파리 ’, ‘백송골 ’에 빗대어 풍자한 관조적이며 담담한 어조로 표현한 시.
연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사설시조. 작품 속 시어가 상징하는 의 자연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만흥」과 비
비교하여 살펴볼 수 있도
미에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교해 보자.
록 이끌어 준다.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13

책1.indb 213 18. 11. 23. 오후 5:43


1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가사로, 두 여인의 대화 형식과 소박한 우리말을 활용하여 화자의 심정을 진솔하

3
게 표현하였다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가사 문학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 작품만이 가진 독특
작품
한 구성 방식과 표현을 살펴볼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임과 이별한 여인의 심정을 통해 연군의 정을 표현한 가사이다. 조선 시대 서정


갈래의 전개와 작품의 표현 기법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핵심 갈래 가사 성격 서정적,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정리
운율 3(4)·4조, 4음보
구성 ‘서사-본사-결사’의 3단 구성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속미인곡 續美人曲

사전적 의미: 아름다운 사람, 재덕(才德)
정철
제재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
연군(戀君)의 정
이 뛰어난 사람 임과 이별한 여인의 마음에 빗대어 연군의 마음을 표현함.
「속미인곡」에서의 의미: 임(연인), 임금 특징 보조 화자(‘갑녀’)를 설정하여 대화체로 시상을 전개함.
(군주) 세련되고 뛰어난 우리말 표현을 구사함.

서사 임과 이별한 사연 현대어 풀이

뎨 가 뎌 각시 본 듯도 뎌이고 저기 가는 저 각시 (어디서) 본 듯도 하구나 05


‘을녀’(중심 화자) 화자의 상황
‘갑녀’ ┏天텬上상 白玉옥京경을 엇디야 離니別별고 임금 계시는 궁궐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질문 ┏ ┛ 비유함.
: 관직에서 물러난 작가의 처지를 천상계에서 버림받아 하계에 내려온 여인에

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고 해 다 저문 날에 누구를 보러 가시는고
화자의 쓸쓸한 상황을 강조하는 배경 누구를
⇢ ‘갑녀’의 질문: 백옥경을 떠난 이유를 물음.
어와 너로구나 이내 이야기를 들어 보오
어와 네여이고 이내 셜 드러 보오
‘갑녀’(보조 화자) 이야기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 즉가마 내 얼굴과 이 거동이 임의 사랑을 받음 직한가마는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 어쩐지 날 보시고 너로구나 여기시기에 10

나도 님을 미더 군디 젼혀 업서 나도 임을 믿어 다른 생각이 전혀 없어
군뜻이, 다른 생각이
‘을녀’ 이야 교야 어러이 돗디 아양과 교태로 어지럽게 하였던지
아양 얼굴빛이 옛날과
답변
반기시 비치 녜와 엇디 다신고 ‘을녀’가 생각하는 반기시는 얼굴빛이 옛날과 어찌 다르신고
‘나’를 대하는 임의 태도가 변함. 이별의 원인 ①:
누어 각고 니러 안자 혜여니 자신의 탓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려 보니

내 몸의 지은 죄 뫼티 혀시니 내 몸의 지은 죄가 산같이 쌓였으니 15

하히라 원망며 사이라 허믈랴 하늘이라 원망하며 사람을 탓할 것인가


이별의 원인 ②: 조물주의 탓
셜워 플텨 혜니 造조物믈의 타시로다 서러워 (여러 가지를) 풀어 생각하니 조물주의 탓이로다
⇢ ‘을녀’의 답변: 자신이 임에게 지은 죄가 쌓였으며 조물주의 탓임.

전체 구성
‘갑녀’의 질문
서사 임과 이별한 사연
‘을녀’의 답변
‘갑녀’의 위로
본사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을녀’의 하소연
‘을녀’의 결심
결사 죽어서라도 임을 따르겠다는 마음
‘갑녀’의 조언

214 4. 한국 문학의 역사

문학 주석교과서(170~229)4단원①.indd 214 18. 11. 29. 오후 3:53


1

‘갑녀’와 ‘을녀’의 역할
작가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설정된 인물

‘갑녀’ ‘을녀’

작가의 생각을 대변하는 중심 화

보조적 위치에 있는 화자임.
자임.
작품의 전개를 돕는 기능적 역할
작품의 주제 구현을 위한 중심적
을 함.
역할을 함.
극적인 결말을 짓게 함.
작품의 정서적 분위기를 주도함.

‘갑녀’ ‘을녀’
위로 하소연

본사 글란 각 마오 친 일이 이셔이다▲
그것일랑 생각 마오 (마음속에) 맺힌 일이 있습니다
그것일랑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임을 모시고 있어 임의 일을 내 알거니
임에 대한
사랑과 그 물같이 연약한 몸이 편하실 적이 몇 날일까
믈  얼굴이 편실 적 몃 날일고
리움 : 화자의 걱정거리들–임금에 대한 충정
春츈寒한 苦고熱열은 엇디야 디내시며 봄 추위와 여름 더위는 어찌 지내시며

05 秋츄日일 冬동天텬은 뉘라셔 뫼셧고 가을과 겨울의 날씨에는 누가 모셨는가


관련 한자 성어
–노심초사(勞 粥쥭早조飯반 朝죠夕셕 뫼 녜와 티 셰시가 아침 전의 죽과 아침저녁 진지는 옛날과 같이 올리시는가
心焦思: 몹시 임금이 먹는 밥 또는 드시는가
마음을 쓰며 애 기나긴 밤에 잠은 어찌 주무시는가
기나긴 밤의 은 엇디 자시고
를 태움.)
⇢ ‘갑녀’의 위로와 ‘을녀’의 하소연 ①: 임에 대한 염려 임 계신 곳의 소식을 어떻게 해서라도 알려고 하니
님 다히 消쇼息식을 아므려나 아쟈 니
임 계신 곳(한양)
오도 거의로다 일이나 사 올가 ▲ 오늘도 거의 지나갔구나 내일이나 사람이 올까
(임의 소식을 전해 줄)
10 내  둘  업다 어드러로 가쟛 말고 내 마음 둘 데 없다 어디로 가자는 말인가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 올라가니 : 화자의 소임을 성취 잡거니 밀거니 높은 산에 올라가니


임에게 좀 더 가까이 가려는 화자의 노력 하기 위한 공간
구롬은 니와 안개 므 일고 : 화자와 임 사이를 가 구름은 물론이거니와 안개는 무슨 일인가
로막는 장애물(간신)
화자의 답답한 심정 비유
山산川쳔이 어둡거니 日일月월을 엇디 보며 산천이 어두운데 해와 달을 어찌 보며

咫지尺쳑을 모거든 千쳔 里리 라보랴 가까운 거리도 모르는데 천 리를 바라보랴

여성 화자 설정의 효과

작가의 상황 여성 화자 설정 효과 정철(1536~1593)
탄핵을 받고 낙향해 있 사랑이라는 인간의 보 조선 중기의 문신. 가사 문학의 대가로 우
임의 사랑을 받지 못한
던 작가는 자신의 지극 편적인 감정에 호소하 리말의 묘미를 잘 살린 작품을 많이 남겼다.

여인이 자신의 애틋한


한 연군(戀君)의 심정 여 독자의 폭넓은 이해
심정을 하소연하는 방 주요 작품으로는 「관동별곡」, 「사미인곡」 등
을 여성 화자에 의탁하 와 공감을 얻을 수 있
식을 취함. 이 있다.
여 표현함. 음.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사미인곡」과 더불어 가사 문학의 극치를 이룸.
고려 가요 「정과정」의 맥을 잇는 연주지사로 후대의 작품에 영향을 끼침.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15

문학 주석교과서(170~229)4단원①.indd 215 21. 8. 27. 오후 4:23


1

‘낙월’과 ‘구비’의 의미
‘낙월’ ‘구비’
공통점 화자가 임에게 자신의 사랑과 그리움을 전달하는 매개체
생각의 주체: ‘을녀’ 의미: 지는 달 생각의 주체: ‘갑녀’ 의미: 오랫동안 내리는 비
차이점 특징: 임이 계신 곳을 멀리서 잠깐만 비춤. 특징: 임의 옷을 적시며 오랫동안 가까이 있을 수 있음.
성격: 수동적, 소극적 성격: 능동적, 적극적

하리 믈의 가 길히나 보랴 니 차라리 물가에 가서 뱃길이나 보려 하니


: 화자의 소임을 성취하기 위한 공간
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바람과 물결로 어수선하게 되었구나
화자의 심란함 비유 : 화자와 임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간신)
샤공은 어 가고 븬 만 걸렷고 사공은 어디 가고 빈 배만 걸렸는가
화자의 외로움을 강조하는 객관적 상관물
江강天텬의 혼자 셔셔 디  구버보니 강가 하늘 아래 혼자 서서 지는 해를 굽어보니

님 다히 消쇼息식이 더옥 아득뎌이고 임 계신 곳의 소식이 더욱 아득하구나 05

⇢ ‘을녀’의 하소연 ②: 임의 소식이라도 알고 싶은 마음


초가집 찬 자리에 밤 깊어 돌아오니
茅모簷쳠 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半반壁벽 靑청燈등은 눌 위야 갓고 벽 가운데 걸린 푸른 등은 누굴 위해 밝았는고


임의 부재에 따른 외로운 심정을 부각하는 객관적 상관물
┏오며 리며 헤며 바자니니 오르며 내리며 헤매며 서성이니

┛: 낮 시간의 행위들을 간략하게 제시함.
져근덧 力녁盡진야 풋을 잠간 드니 어느덧 힘이 다해 풋잠을 잠깐 드니

精졍誠셩이 지극야 의 님을 보니 정성이 지극하여 꿈에 임을 보니 10
임을 보기 위해 기울였던 노력 임을 볼 수 있는 매개체
玉옥  얼구리 半반이나마 늘거셰라 옥 같은 얼굴이 반나마 늙었어라
화자가 임의 곁에 있었을 때 ↔ 화자가 없는 지금(화자의 꿈속)
의 머근 말 슬장 쟈 니 마음에 먹은 말씀을 실컷 올리자 하니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과 그리움이 담긴 말
눈믈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며 눈물이 연달아 나니 말인들 어이하며
말을 할 수 없을 정도의 반가움과 슬픔
죽어서라도
情졍을 못다 야 목이조차 몌여니 정을 못다 하여 목조차 메었는데
임을 따르겠
꿈에서나마 임을 보고자 하는 화자의 노력을 방해하는 존재
다는 마음
오뎐된 鷄계聲셩의 은 엇디 돗던고 방정맞은 닭 울음소리에 잠은 어찌 깨었던고 15

⇢ ‘을녀’의 하소연 ③: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어와 헛된 일이로다 이 임이 어디 갔는고
결사 어와 虛허事로다 이 님이 어 간고

결의 니러 안자 窓창을 열고 라보니 잠결에 일어나 앉아 창을 열고 바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 이로다 가엾은 그림자가 날 좇을 뿐이로다


꿈속에서 임을 만나고 꿈에서 깬 화자가 느끼는 쓸쓸한 심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함.
‘을녀’
하리 싀여디여 落낙月월이나 되야이셔 차라리 죽어져서 지는 달이나 되어
결심
화자가 임에게 자신의 사랑과 그리움을 전달하는 매개체 ①: 소극적
님 겨신 窓창 안 번드시 비최리라 임 계신 창 안에 환히 비치리라 20

‘갑녀’ ⇢ ‘을녀’의 결심: 죽어서라도 임을 따르고자 함.


각시님 달보다는 차라리 궂은비나 되소서
조언
각시님 이야니와 구비나 되쇼셔
매개체 ②: 적극적
⇢ ‘갑녀’의 조언
확인 문제

1. 이 작품의 작가는 여성이다. (, ×) 가장 마음에 드는 시행과 그 이유 나의


2. 이 작품은 두 여성 화자 간의 대화식 구성으로 전개된다. (, ×) 감상
‘각시님 이야니와 구비나 되쇼셔’가
3. ‘낙월’에서 알 수 있는 ‘을녀’의 태도는 수동적, 소극적이다. (, ×)
가장 마음에 든다. 그 이유는 사랑에 대해 수동적이
4. 이 작품은 순수한 우리말을 주로 사용하여 문학성을 드러내고 있다. (, ×)
고 소극적인 ‘을녀’보다 솔직하고 적극적인 ‘갑녀’의
5. 이 작품에서 ‘임’에게 그리움을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제시된 소재 두 가지를
태도가 더 공감이 갔고, 그러한 태도가 이 시행에 가
쓰시오.
장 잘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1. × 2.  3.  4.  5. 낙월, 구비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학습지, 쪽지 시험

216 4. 한국 문학의 역사

문학 주석교과서(170~229)4단원①.indd 216 18. 11. 29. 오후 3:54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화자를 ‘갑녀’와 ‘을녀’로 구분하여 내용을 정리해 보자.


{


‘갑녀’의 질문 백옥경을 떠난 이유를 물음.
서사
‘을녀’의 답변 자신이 임에게 지은 죄가 쌓였으며 조물주의 탓임.

‘갑녀’의 위로 그렇게 생각하지 말기를 바람.


지도 방안
이 작품은 두 여인의 대화 임의 안부가 염려되고 소식이 궁금함.
본사
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을녀’의 하소연 산과 물가로 가서 임의 소식을 애타게 기다림.
여인의 대화는 ‘갑녀 ’의
독수공방의 외로움 속에서 꿈에서나마 겨우 임을 만남.
질문을 시작으로 ‘을녀’의
답변, ‘갑녀’의 위로와 ‘을
녀’의 하소연, ‘을녀’의 결 ‘을녀’의 결심 죽어서 낙월(落月)이나 되어 임의 곁으로 가고 싶음.
심과 ‘갑녀 ’의 조언으로 결사
끝맺는다. 각각의 내용을 ‘갑녀’의 조언 궂은비가 되기를 바람.
정리하면서 ‘갑녀 ’와 ‘을
지도 방안
녀’의 역할에 대해서 생각
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죽어서 ‘낙월’이 되어서라도 임을 따르겠다는 ‘을녀’에게 ‘갑녀’는 달보다는 차라리 ‘구비’가 되라고 조언한다.
‘낙월’과 ‘구비’의 속성을 생각하며 시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갑녀’와 ‘을녀’의 태도 차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다음 시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갑녀’와 ‘을녀’의 태도를 파악해 보자.

도움말 | ‘낙월’과 ‘구 시어 의미 화자의 태도


비 ’의 느낌이나 속성을 [을녀] 달이 되어 멀리서 임을 바라
낙월 멀리서 임을 바라보다가 사라지는 존재 보겠다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임.
떠올리며 두 시어의 의미
를 파악해 본다.
임의 옷을 적시며 임과의 거리를 가깝게 밀착시킬 수 [갑녀] 비가 되어 임의 가까이에서
구비 임과 함께하라는 적극적인 태도를
있는 존재.
보임.

지도 방안
이 작품은 작가가 탄핵을 받아 고향에서 은거하며 지은 것이다. 작가의 상황을 고려하여 ‘을녀’와 ‘임’의 의미를 파
악해 보고, 창작 의도와 관련하여 이 작품의 화자가 여성으로 설정된 이유와 그 효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문학과 시대 상황

3 이 작품을 창작할 당시 작가의 상황을 고려하여, 작품의 창작 의도를 살펴보자.

도움말 | 이 작품은 작가 1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을녀’, ‘임’은 누구를 비유한 것인지 생각해 보고, 작가가 이 작품
가 당쟁에 휘말려 탄핵을
을 창작한 의도가 무엇일지 말해 보자.
받고 조정에서 물러나, 작품만을 고려했을 때, ‘을녀’와 ‘임’은 각각 이별한 여성과 남성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은거하고 있던 작가의 상
전라남도 창평에 내려가 황과 관련지어 본다면 ‘을녀’는 작가 자신을, ‘임’은 임금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추어 보았을 때, 작가가
있을 때 지은 것이다. 이 작품을 창작한 의도는 임금을 향한 자신의 충정을 임금이 알아주기를 바랐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2 작품의 화자를 여성으로 설정한 이유와 그 효과를 말해 보자.


탄핵을 받고 낙향해 있던 작가는 자신의 지극한 연군(戀君)의 심정을 여성 화자에 의탁하여 표현하였다. 즉, 임의
사랑을 받지 못한 여인이 자신의 애틋하고 절절한 심정을 하소연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사랑이라는 인간의 보편
적 감정에 호소하고, 독자의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여 자신의 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을 것이다.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17

책1.indb 217 18. 11. 23. 오후 5:43


2

지도 방안
앞서 시조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떠올려 보고, 제시
된 시조와 「속미인곡」을
운율, 길이, 종결 형태 면 한국 문학의 역사적 갈래

4
에서 비교해 봄으로써 시
조와 구분되는 가사의 갈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형식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속미인곡」과 비교해 보자. 그리
래적 특징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고 이를 바탕으로 가사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자.

도움말 | 두 작품의 운율, 길이, 화자가 임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달하는 매개체
종결 형태 등을 비교해 본다. 내  버혀 내여 별 을 글고져
추상적 → 구체적인 대상으로 형상화함.
구만 리 당텬의 번드시 걸려 이셔
임이 어디 계시든지 볼 수 있도록
당텬 장천(長天). 끝없이 잇 고은 님 계신 고 가 비최여나 보리라 - 정철
닿아 멀고도 넓은 하늘. 사랑하는 임, 임금 소극적 태도: 「속미인곡」의 ‘낙월’의 속성과 유사함.

핵심 갈래 평시조 시조 「내  버혀 내여」 가사 「속미인곡」


정리
성격 연군가(戀君歌)
제재 별, 달 공통점 4음보의 율격을 가짐.

주제 연군의 정
주제 의식을 3장 6구의 짧은 형식 속에 담아내 주제 의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세부

추상적 개념인 ‘마 차이점
기 위해 압축적으로 표현함. 적인 인물과 장면을 설정함으로써 장형화됨.
음’을 구체적인 대
상(‘별 ’, ‘달 ’)으로
형상화함. 가사가 발생한 이유: 시조는 비교적 형식적 제약이 크기 때문에 작가는 자신의 정서를 정제되고 압축
특징
임에게 전하고 싶 된 형식으로 표현해야 한다. 그러나 가사는 4음보의 율격 이외에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보다 자유롭게
은 자신의 마음을 정서를 담아내는 것이 가능했다. 이에 가사 작품에는 화자의 정서와 정서의 변화 과정이 구체적이고 자
자연물(‘별 ’, ‘달 ’) 세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점이 가사가 발생한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에 빗대어 표현함.

핵심 갈래 가사 성격 전원적, 사색적, 사실적


정리
제재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
지도 방안
조선 전기와 후기를 각각
감상 다지기 주제 자연을 벗 삼아 안빈낙도하고자 하는 선비의 궁핍한 생활상

자연에 은일(隱逸)하면서도 현실의 어려움을 사실적으로 표현함.
특징
대표하는 두 작품을 내용 임진왜란 이후 당면한 작가의 현실과 운명론적인 인생관이 드러남.

5
과 주제 측면에서 비교하
여 조선 시대 가사의 변화 다음은 조선 후기의 가사 작품이다. 조선 전기 가사인 「속미인곡」과 비교하여, 내용과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주제 면에서 가사의 변화 양상을 파악해 보자.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참고 자료 | 「누항사」
이 작품은 조선 광해군 3년 와실(蝸室)에 드러간 잠이 와사 누어시랴 작가 소개
(1611)에 박인로가 지은 가사이 자기 집을 겸손히 이르는 말 잠이 와서 누워 있겠는가?
북창(北窓)을 비겨 안자  기다리니 박인로(1561~1642)
다. 작가가 자신이 사는 형편 새벽을
조선 선조 때의 무신 겸
에 대해 지은 가사로, 임진왜 무정(無情) 대승(戴勝)은 이 한(恨)을 도우다
오디새의 울음소리에 화자의 참담한 심정이 더욱 고조됨. 시인. 임진왜란 때에 전공
란 이후 당면한 작가의 현실 종조(終朝) 추창( 愴)며 먼 들흘 바라보니 을 세웠으며, 병사들을 위
이 잘 나타나 있다. 아침이 끝날 때까지 로하기 위하여 「태평사」를
즐기 농가(農歌)도 흥(興) 업서 들리다 지었음. 벼슬에서 물러난
참담한 심정으로 인해 평소 즐기던 농가에도 흥을 느끼지 못함.
세정(世情) 모 한숨은 그칠 줄을 모다 뒤에 오직 시작(詩作)에
세상 물정 모르는 전념하여 「노계가」, 「누항
아온 져 소뷔 볏 보임도 됴셰고 사」, 「영남가」 등의 가사
‘쟁기’의 사투리 쟁기의 날도 좋구나 작품과 시조 60여 수를 남
가시 엉긘 묵은 밧도 용이(容易)케 갈련마
와실 달팽이 집 같은 작고 겼음.
밭 쉽게
초라한 집. 허당(虛堂) 반벽(半壁)에 슬듸업시 걸려고야
빈집 벽 한가운데
대승 봄에 밭 갈기를 독촉 춘경(春耕)도 거의거다 후러쳐 더뎌 두쟈
거의 다 지났다 팽개쳐 던져 두자
⇢ 매정한 세태를 한탄하고 춘경(봄갈이)을 포기함.
한다는 오디새.
 봄갈이(봄철에 논밭을 가는 일) - 박인로, 「누항사(陋巷詞)」
추창며 실망하여 슬퍼하며.

「속미인곡」 「누항사」
내용 임에 대한 그리움과 임에 대한 맹세의 마음 가난한 처지에 대한 고백과 이에서 비롯된 감정
218 4. 한국 문학의 역사
주제 임금에 대한 변함없는 충성심 자연을 벗 삼아 안빈낙도하고자 하는 선비의 궁핍한 생활상
•가사의 변화 양상: 조선 전기에는 강호가도, 연군지정을 주로 다루었으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내용과 주제 측면에서
현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자신의 진솔한 감정과 실생활을 담아내었다.

문학 주석교과서(170~229)4단원①.indd 218 18. 11. 30. 오전 11:52


감상을
작품 3 속미인곡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속미인곡」은 작가가 조정에서 물러나 있는 동안에 지은 것으로,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감상의 정리 ’에서는 이 마음을 두 여인의 대화체로 엮은 가사이다. 주로 ‘을녀’가 자신의 사연을 길게 얘기하고, ‘갑녀’
작품의 주제와 구성 방식,
가 짧게 대답함으로써 내용을 전환하고 매듭짓는데, ‘을녀’가 토로하는 하소연은 작가 자신의
문학사적 가치 등을 바탕
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내면 의식을 문학적으로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은 한자의 사용을 절제하고
학생들과 함께 읽거나 간
임을 그리워하는 화자의 심정을 소박하고 진솔한 우리말로 표현하여, 가사 문학의 백미(白眉)로
단히 질문을 하면서 작품
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할 꼽히기도 한다.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가사에 담긴 주제 의식과 내용의 변화
‘지식 창고’에서는 가사에
조선 전기 가사에는 벼슬길에서 물러나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이나 임금에 대한 은혜와
담긴 주제 의식과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연모의 마음을 노래한 것이 많다. 정극인의 「상춘곡」이 전자의 대표적인 예이며, 송순의 「면앙
대해 제시하였다. 다양한 정가」는 자연에 묻혀 사는 즐거움과 더불어 임금의 은혜를 노래하였다.
작품에 나타난 내용을 비
교하여 봄으로써 조선 후 조선 후기에 와서는 작품의 주제가 현실에 다가가는 경향을 보였다. 박인로의 「누항사」는 안
기 가사의 내용이 다양해 빈낙도를 표방하면서도 생활고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작품의 내용도 다양해져 「일동장유
지고 현실적으로 변화하
였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가」와 같은 기행 가사, 「북천가」와 같은 유배 가사, 「농가월령가」나 「한양가」와 같은 풍속 가사
지도한다. 또한 부녀자들 도 나타났다. 또한 양반가의 부녀자들도 가사 작가로 등장하여 가정의 규범과 교훈을 전하거
의 가사 작품을 통해 작자
나, 여성 생활에 대한 고민과 정서를 호소하는 내용의 규방 가사를 활발하게 창작하였다.
층의 변화에 대해서도 지
도할 수 있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작가 정철
화자
‘더 읽어 보기’에서는 「속
미인곡」과 관련하여 작가
의 다른 작품과, 화자의
특징 측면에서 함께 감상
하면 좋을 작품을 엮어 놓 「사미인곡」 정철 「님의 침묵」 한용운
았다. 학생들 스스로 작품
을 감상해 보고, 작가가 속미인곡과 더불어 전후(前後) 미인곡 불교의 역설적 진리를 바탕으로 하여
연군의 정서를 드러내기 (美人曲)으로 일컬어지는 가사. 연군의 임을 상실한 비애의 극복과 임에 대한
위해 사용한 표현 방법 및
정서를 드러내기 위한 표현 방법에 주목 영원한 사랑을 노래한 시. 여성 화자의
여성 화자의 특징을 살펴
하여 감상해 보자. 특징에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볼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19

책1.indb 219 18. 11. 23. 오후 5:43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군담 소설로, 이 시기에 창작된 대부분의 군담 소설과 달리 비극적으로 끝난다는

4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민중이 바라던 지도층의 모습, 집권층에 대한 백성들의 비판 의식과 더불어
작품
조선 후기에 창작된 소설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역사적 인물인 ‘임경업’의 일생을 그린 군담 소설이다. 서사


갈래의 전개와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임경업전 林慶業傳 작자 미상

인조
핵심 국문 소설, 역사 소 조선의 제16대
갈래
정리 설, 군담 소설
왕으로, 병자호란을
성격 민족적, 비판적 겪음.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김자점
배경 병자호란 때, 조선 역모를 꾀하는
‘임경업 ’의 영웅적 인물로, 자신의
제재
일대기 역모에 방해가 되는
민족적 영웅 ‘임경업’ 임경업을 경계함.
임경업
의 비극적 일생과
주제 무과에 장원 급제한,
호국에 대한 정신적
용맹과 충의를 지닌
승리감
인물임.

실존 인물인 ‘임경
업’의 일생에 허구
적인 요소를 가미 실존 인물임.
특징 하여 표현함. 앞부분 줄거리 임경업은 사신 이시백을 따라 명나라에 갔다가, 가달의 침략을 받고 명나라에 구원을
일반적인 고전 소
설의 결말과 달리,
청한 호국을 도와 승리를 거두고 귀국한다. 이후 강성해진 호국은 조선을 침략하려 하고, 조정에서는 05
청나라 ‘임경업’의 도움을 받았던 호국이 도리어 조선을 침략하려 함.
비극으로 끝남. 임경업을 의주 부윤으로 삼아 이를 막도록 한다. 임경업을 두려워한 호국은 의주를 피해 함경도로
가달과의 전투에서 ‘임경업’의 용맹스러움을 이미 보았기 때문에
돌아들어 와 인조의 항복을 받고 회군한다. 이에 격분한 임경업은 회군하는 적을 모조리 무찌르려고
하였으나, 호국에 인질로 잡혀가던 세자와 대군의 만류로 할 수 없이 길을 열어 준다. 이후 호왕은 명
소현 세자 봉림 대군(이후 17대 왕 효종)
나라를 치겠다며 조선에 청병을 하고, 임경업을 대장으로 보낼 것을 요구한다. 임경업은 이를 이용하
여 호국을 정벌하고자 하였으나, 부하의 배신으로 모든 계획이 들통나 호국으로 끌려가게 된다. 10

‘임경업’의 당당한 태도에 감복한 ‘호왕’이 ‘임경업’을 살려 줌.


절정
① 호왕이 크게 노하여 이르기를,
부윤 조선 시대의 지방 관 “네
 목숨이 내게 달렸거늘 종시 굴하지 아니하느냐? 네가 항복하면 왕을 봉
아인 부(府)의 우두머리. 종 권위를 내세움.
이품 문관의 외관직으로 영 하리라.”
흥부와 평양부, 의주부, 전
경업이 가로되,
주부, 경주부의 다섯 곳에
두었다. ┏“ 병자년에 우리 주상이 종사(宗社)를 위하여 네게 항복하셨거니와 내 어찌 15

병자년 육십갑자의 열세 ┛: ‘임경업’의 절개–조국의 역사적 아픔에 대한 보상 심리
몸을 위하여 네게 항복하리요.”
번째 해. 여기서는 1636년을 ┛
의미함.
하니 호왕이 분통이 터져 군사에게 명하여,
종사 종묘와 사직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이르는 말. “내어 베어라.”
전체 구성 ※ 교과서 수록 내용은 ‘절정’ 부분임.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220 4. 한국 문학의 역사
무과에 급제한 ‘임 호국이 ‘세자’와 ‘대 ‘임경업’은 ‘호왕’의 요 ‘임경업’은 ‘호왕’을 감 ‘인조’가 ‘김자점’을
경업’이 가달을 물 군’을 인질로 잡아 구와 달리 명과 내통하 복시켜 귀국하나, ‘김자 처형하고 ‘임경업’
리쳐 용맹을 떨침. 감. 여 거짓 항복을 받음. 점’에 의해 살해됨. 의 충의를 포상함.

책1.indb 220 18. 11. 23. 오후 5:43


1

작품의 한계점
‘임경업’은 명나라를 대신
해 호국(청나라)에 침입한
가달을 물리치고 또 위기
하니 경업이 대꾸하여, 에 처했을 때 명나라로 도
┏“내 명은 하늘에 있거니와 네 머리는 십보지하에 있느니라.” 피한다. 또 호국의 강압으

: ‘임경업’의 당당한 태도
┛ 열 걸음 아래 ┛ 로 명나라를 칠 때도 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은공을
하고 안색도 변하지 않고 무사를 보며, 바삐 죽이라 하니, 호왕이 경업의 강직함 잊지 않고 명나라와 내통
한다. 반면에 호국에 대하
을 보고 탄복(歎服)하여, 묶은 것을 풀고 손으로 이끌어 올려 앉히고 말하기를, 여는 시종일관 적대적 태
상황의 반전이 이루어짐.
┏“장군이 도를 가진다. 즉 이 작품에
05 

나에게는 역신(逆臣)이나 조선에는 충신(忠臣)이라. 내 어찌 충절 는 명나라에 대한 의리와
┛: ‘호왕’의 됨됨이를 알 수 있음.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이
을 해하리요. 장군의 원대로 하리라.”
┛ 드러나는데, 이는 실리보
다는 명분을 추구했던 당
하며, ‘임경업’이 ‘세자’와 ‘대군’을
시의 보수적인 가치관이
▲ 풀어 줄 것을 청했음을 알 수 있음.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이
“세자와 대군을 놓아 보내라.” 작품의 한계점이라고 할
인질로 잡혀 온 세자와 대군도 풀려남. 수 있다.
하더라. ⇢ ‘임경업’을 풀어 주는 ‘호왕’
10 이때 세자와 대군이 별궁에 계시면서 임 장군을 주야로 기다리는데, 문득 문 ‘ 세자 ’와 ‘ 대군 ’이 풀려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지키는 관원이 들어와 고하되 임 장군이 천자께 청하여 세자와 대군을 놓아 보 ‘호왕’은 죽음을 코앞에 두고
‘호왕’
도 충성심과 절개를 잃지 않
낸다 하거늘, 세자와 대군이 기뻐하여 궁문 밖으로 나와 기다리다 경업이 와서 는 ‘임경업’을 높이 평가하여
그의 원대로 ‘세자 ’와 ‘대군 ’
울며 절하되, 세자와 대군이 경업의 손을 잡고 함께 들어가 호왕을 뵈오니 호 을 고국으로 돌려보낼 것을
명령하였다.
왕이 이르기를,
15 “경
 등을 임경업이 생사 불구하고 구하여 돌아가려 하기로 내 경업의 충절에
목숨을 걸고 ‘세자’와 ‘대군’을 구하려 했던 ‘임경업’의 충절
감동하여 경 등을 보내노니 각각 소원을 말하면 내 정을 표하리라.”

하거늘 세자는 금은(金銀)을 청하고 대군은 조선에서 잡혀 온 사람을 청하며 ‘ 호왕 ’이 ‘ 대군 ’을 기특히


▲ ▲
재물을 청함. 백성을 청함. 여긴 이유는 무엇인가?
쉬이 돌아가기를 원하니 호왕이 각각 원대로 하라 하고 대군을 기특히 여기더
재물을 탐내지 않고, 백성을 먼저 생각했기 때문 소원을 말하면 들어주겠다는
‘호왕 ’의 말에 금은(金銀)과
라. 경업이 세자와 대군을 뫼시고 나와 하직하거늘, 세자와 대군이 울며 말하 같은 재물을 청한 ‘세자 ’와
달리, ‘대군 ’은 조선에서 잡
20 기를, 혀 온 백성들을 청하며 백성
들을 먼저 생각하였기 때문
“장군의
 덕택으로 고국에 돌아가거니와 장군을 두고 가니 마음이 어두운지 에 ‘호왕’이 ‘대군’을 기특히
여긴 것이다.
라 어찌 슬프지 아니하리요, 바라건대 장군도 쉬이 돌아오기를 바라노라.”
‘임경업’과 함께 고국에 돌아가지 못하므로
하니 경업이 대답하기를,

“하늘이
 도와 세자와 대군이 고국에 돌아가시니 불승 만행이오나, 모시고 탄복하여 매우 감탄하여
마음으로 따라.
25 가지 못하오니 가슴 아픔을 어찌 측량하오리까.”
역신 임금을 반역한 신하.
하니 세자가 가로되, 만행 아주 다행함.
결연함 모자라서 서운하
“장군과
 동행하지 못하니 결연함이 비할 데 없는지라, 중로에서 기다릴 것
거나 불만족스러움.
이니 속히 돌아옴을 주선하라.” 중로 오가는 길의 중간.
작품에 반영된 시대상
인조의 삼전도에서 청나라에 항복하고 신하의 예를 행하기로 한 인조의
굴욕적인 항복 모습이 작품 내에 반영되어 있음.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21
병자호란
강화도의 병자호란 때 강화도가 함락된 후 대군과 궁중 비빈이 청나라의 포
함락 로로 잡혀갔던 모습이 작품 내에 반영되어 있음.

문학 주석교과서(170~229)4단원①.indd 221 18. 11. 29. 오후 3:54


하니 경업이 탄식하며,
┏“바라건대
 지체하지 마시고 바삐 가시면 신도 머지않아 갈 것이니 염려하지

┛: ‘세자’를 안심시키는 ‘임경업’
주상하기를 임금에게 아 마소서.”
뢰기를. ┛
반신 임금을 반역하거나 하거늘 세자와 대군이 경업과 이별하고 출발하여 백두산 아래 이르러 조선을
모반을 꾀한 신하.
바라보고 눈물을 흘리며 한탄하기를, 05
대역 국가와 사회의 질서
를 어지럽히는 큰 죄. “임
 장군이 아니었던들 우리를 위하여 만리타국에 죽기를 돌보지 아니하고
조국이나 고향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나라
구하는 자 뉘 있으며 우리를 보내고 장군은 돌아오지 못하니 어찌 슬프지 아

니하리요. 명천(明天)이 도와 쉬이 돌아오게 하소서.”


모든 것을 똑똑히 살피는 하느님
하더라. <중략> ⇢ ‘임경업’의 충절로 고국으로 돌아오게 된 ‘세자’와 ‘대군’
‘김자점’의 흉계로 절정
‘임경업’이 억울하 ② 이때에 김자점의 위세가 조정에 진동한지라. 경업이 돌아온다는 소문이 있 10

게 잡혀감.
거늘 자점이 헤아리되 경업이 돌아오면 내게 이로움이 없으리라 생각하고 상
역모를 일으켜 자신이 왕이 되려는 데에 ‘임경업’이 걸림돌이 되므로 임금
께 주상하기를,
황제의 명령, 즉 ‘호왕’의 명령 명나라의 수도
┏“경업은 반신이라 황명을 거역하고 도망하여 남경에 들어가 우리 조선을 치

┛: ‘김자점’이 죄 없는 ‘임경업’을 대역 죄인이라고 모함함.
고자 하다가 하늘이 무심하지 아니하사 북경에 잡
호국(청나라)의 수도
힌 바 되어 제 계교를 이루지 못하 15
왕이 되려는 욕망
매 할 수 없이 세자와 대군을 청

하여 보내고 이제 쫓아 나오니

어찌 이런 대역(大逆)을 그저 두리

이까.”

22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22 18. 11. 23. 오후 5:43


상이 크게 놀라 말씀하시기를,
┏“무슨
 연고로 만고에 충신을 해하려 하느냐. 경업이 비록 과인을 해롭게 하
‘임경업’

여도 아무도 해하지 못하리라.” ┛: ‘임경업’에 대한 임금의 신의가 드러남.

하시고 자점을 엄히 꾸짖어 나가라 하시니, 자점이 나와 동료와 의논하기를,
05 “경업이 의주에 오거든 역적으로 잡아 오너라.” ⇢ 임금의 명령에해를반하며 ‘임경업’에게
가하려는 ‘김자점’
하더라. 이때에 경업이 데리고 갔던 격군과 호국 사신을 데리고 의주에 이르니 칼을 쓰고 잡혀가는 ‘임경업’
격인. 외국과 왕래하는 사신의 배를 부리는 뱃사공 을 본 의주 백성들은 울며 안
사자가 와서 이르되, 타까워하고 있다.

‘ 임경업 ’이 잡혀가는 모습
“장군이 반(反)한다 하여 역죄로 잡아 오라 하신다.”
을 본 의주 백성들의 반응은

하고 칼을 씌워 재촉하니 의주 백성들이 울며 이르기를, 어떠한가?

┛: ‘임경업’이 평소에 백성들을 위해 애써 왔음을 알 수 있음.
10 “우리 장군이 만리타국에서 이제야 돌아오거늘 무슨 연고로 잡혀가는고.”
┛ 만고 아주 오랜 세월 동안.
하거늘 경업이 말하되,
┏“모든
 백성은 나의 형상을 보고 조금도 놀라지 말라. 나는 무죄히

┛: 백성을 먼저 생각하는 ‘임경업’
잡혀가노라.”

하니 남녀노소 없이 아무 연고를 모르고 슬퍼만 하더라. 경업이 세별영에
따로 설치한 군영
15 다다라 전일을 생각하고 격군들을 불러,
격군과 더불어 고생하며 겪었던 지난 일들

등장인물의 대결 양상

‘임경업’
충성심과 절개를 지키는
조선의 장수임.



‘호왕’ ‘김자점’
조선을 침략하였으나 ‘임 개인의 사리사욕을 채우
경업’의 충성심을 높이 기 위해 ‘임경업’을 모함
평가하여 소원을 들어줌. 하여 죽게 함.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23

책1.indb 223 18. 11. 23. 오후 5:44


‘ 임경업 ’이 ‘ 격군 ’들에게
┏“너희들이
 부모처자를 이별하고 만리타국에 갔다가 무사히 돌아오매 너희

하는 말에서 느껴지는 모습 ┛: 자신의 불행에도 불구하고 남을 배려하는 ‘임경업’의 성품이 드러남.

은 무엇인가? 은혜를 만분의 일이라도 갚을까 하였더니 시운이 불행하여 죽게 되매 다시


‘임경업’은 위기 상황에도 군 보기 어려우니 여등(汝等)은 각각 돌아가 잘 있거라.”
사들에게 은혜를 갚지 못하 ┛
는 것을 안타까워한다. ‘임경 ┏
하니 격군 등이 울며 말하기를,
업’의 인간적인 면모가 드러 ┏
┛: 군사들이 평소에 ‘임경업’을 따랐음을 보여 줌.
나는 부분이다.
“아무런
 연유를 모르거니와 장군의 충성이 하늘에 사무쳤으니 설마 어떠하 05
아무 일도 없을 것이다.
작품 창작 의도 리오. 과히 슬퍼 마소서.”
‘임경업’과 ‘김자점’
사실적 등은 실존 인물임. 하며 차마 떠나지 못하더라. 경업이 삼각산을 우러러보고 슬퍼하며,
요소 실제 사건인 병자호

란을 배경으로 함. “장부가
 세상에 태어나서, 평생 지기를 이루지 못하고 애매하게 죽게 되니
억울하게
‘임경업’이 가달을 친
일, ‘임경업’이 ‘호왕’
뉘라서 신원(伸 )하여 주리요.”
산과 내와 풀과 나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허구적 의 부마 제의를 받은
요소 일과 ‘세자’ 및 ‘대군’
하고 통곡하니, 산천초목도 따라서 슬퍼하더라.
서술자의 개입
⇢ 억울하게 잡혀가는 ‘임경업’ 10

을 구해 낸 일 등은 허 절정 ┏경업이 온다는 소문이 나라에 전하여지니, 상이 기뻐하사 승지로 하여금 위


구의 사건임. ③ ┏
┛: ‘임경업’에 대한 임금의 배려
 로하여 말하기를,
흉계가
병자호란은 우리 민족의 힘이
드러난
부족해서가 아니라, ‘임경업’ “경이
 무사히 돌아오매 기쁘고 다행하여 즉시 보고 싶으나, 먼 길을 왔으니
‘김자점’
과 같은 인재가 뜻을 펼칠 수
이 ‘임경
없었기 때문임을 강조하여 허 잘 쉬고 명일 입시(入侍)하라.”
구적인 방식으로나마 치욕과
업’을 해 ┛
함.
분노를 위로하고자 했던 심리 하시니 승지가 자점이 두려워서 하교를 전하지 못한지라. 경업이 생각하되 나 15
가 창작의 이유가 됨. 임금의 명령마저 이행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김자점’의 위세가 온 조정에 미쳤음을 알 수 있음.
라에 친임하시면 죽어도 한이 없을 것이요, 세자와 대군이 내 일을 알고 계신
억울하게 감옥에 갇혀서도 임금을 원망하지 않음.–‘임경업’의 깊은 충정이 드러남.(유교적 이념 반영)
시운 시대나 그때의 운수. 지 모르고 계신지 하여 주야로 번민하여 목이 말라 물을 구하나 옥졸이 물을
괴로워하여
여등 ‘너희’를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주지 아니하니 이는 자점의 흉계로 옥졸들에게 분부한 때문이리라. 경업이 이
‘김자점’이 ‘임경업’을 죽이기 위해 옥졸들에게까지 모두 손을 써 놓은 상태임.
신원하여 가슴에 맺힌 원 러한 형편을 보고 탄식하여 이르기를,
한을 풀어 버려.
┏“옥졸들까지도
 나를 미워하니, 이는 필시 하늘이 나를 죽게 하심이니 누구를 20
명일 내일. ┏
┛: 자신의 죽음을 운명으로 여기는 ‘임경업’
입시 대궐에 들어가서 임 원망하리오.”
┛ ⇢ 업신여김을 받는 ‘임경업’
금을 뵙던 일.
하더니 다음 날 상이 정좌하시고, 승전 내시 한 사람을 보내어 경업을 부르시
정좌하시고 몸을 바르게
하고 앉으시고. 니 그 사람 또한 자점의 동치라 자칫 죽을 줄 알고 주저하니라. 이때 마침 전
전옥 죄를 지은 사람을 가
두던 옥(獄). 옥(典獄) 관원이 경업의 애매함을 불쌍히 여겨 경업에게 일러 가로되,
모계 계교를 꾸밈. 또는 “장군을
 역적으로 잡아 전옥에 가둔 것은 모두 자점의 모계(謀計)이니, 그대 25
그 계교.
통한하여 몹시 분하거나 는 잘 주선하여 누명을 벗게 하시오.”
억울하여 한스럽게 여겨.
하니 경업이 그제야 자점의 흉계인 줄 알고, 불승 통한(不勝痛恨)하여 바로 몸
청죄하오되 저지른 죄에
대하여 벌을 줄 것을 청하되. 을 날려 입궐하여 주상께 뵈옵고 관을 벗고 청죄(請罪)하오되, 상이 경업을 보
비범한 영웅의 풍모를 엿볼 수 있음.

224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24 18. 11. 23. 오후 5:44


시고 반가와 친히 붙들려고 하시와 문득 청죄함을 보고 깜짝 놀라시어 가로되,

“경이
 만리타국에 갔다가 이제 돌아옴에 반가운 마음 금하지 못하나 원로에 오랜만에 ‘ 임경업 ’ 을 보
게 된 ‘ 상 ’의 심정은 어떠했
고생이 많아서 이제야 보게 되니 안타까웁거늘, 하물며 청죄라니 그게 무슨 을까?
말이냐? 자세히 말하라.” ‘상’은 ‘김자점’의 흉계를 전
혀 눈치채지 못하고, ‘임경
업’이 돌아온다는 소식에 기
05 하시므로 경업이 돈수(頓首) 사죄(謝罪)하여 말씀 여쭙기를, 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
다. 그래서 관을 벗고 청죄하
“소신이
 무인년에 북경에 잡혀가옵다가 중로에서 도망하였는 바 그 죄는 만사 는 ‘임경업’의 태도가 의아했

무석(萬死無惜)이오나, 대명과 합심하여 호국을 쳐서 호왕의 머리를 베어 병자
을 것이다.


‘임경업’이 ┛: ‘임경업’이 중로에서 도망한 이유
자신의 년 원수를 갚고, 세자와 대군을 모셔 오고자 하였더니 간악 무리에게 속아 북경 ‘임경업’의 희생에서 드러
지난날을 ┛ 나는 주제 의식
요약적으로 ┏
에 잡혀갔삽다가, 천행으로 돌아오더니 의주서부터 잡아 올리라 하고 목에 칼 ‘임경업 ’이 ‘김자점 ’의 흉
제시함. 하늘이 준 큰 행운 ┏
┛: ‘김자점’의 흉계 계에 의해 희생을 당하는
10 을 씌어 끌려 올라오니 아무 까닭을 몰라 망극하옴을 이기지 못하고 전옥에 갇 사건에는 민중들의 비판
┛ 적 시각이 내재되어 있다.
혀 있다가 이제 다시 천안(天顔)을 뵈오니, 비록 죽사와도 한이 없습니다.” 전후(戰後)에도 사리사욕
⇢ 입궐하여 임금에게 그간의 사정을 전하는 ‘임경업’ 만 일삼던 간신 등 지배층
하는지라. 상이 들으시고 매우 놀라시어 조신(朝臣)에게 알아 올리도록 명하 의 문제점을 비판함으로
‘임경업’이 전옥에 갇혔던 사실을 전혀 몰랐기 때문에 조정에서 벼슬살이를 하고 있는 신하 써 분노를 표출한 것이다.

니, 자점이 하릴없이 도망치지 못하고 들어와 상께 아뢰기를,

┛: ‘임경업’을 가둔 것이 자신이라는 것을 어쩔 수 없이 밝히는 ‘김자점’
“경업이 역신이옵기로 잡아 가두고 품달(稟達)하고자 하였나이다.” ‘ 김자점 ’이 ‘ 임경업 ’을 잡
┛ 아들인 이유는 무엇일까?
15 하거늘, 경업이 큰 소리로 대척하여 이르기를,
‘김자점 ’은 임금에게 신뢰받
임금 앞에서 ‘김자점’에게 호통을 치는 것으로 보아, ‘임경업’이 불의를 참지 못하는 성품임을 알 수 있음.
┏“이
 몹쓸 역적 놈아, 네 벼슬이 높고 국록(國祿)이 족하거늘 무엇이 더 부족
고, ‘세자’와 ‘대군’을 풀려나
게 한 ‘임경업 ’이 조선으로
나라에서 주는 녹봉 돌아온다면 자신에게 이로울
하여 찬역(簒逆)할 마음을 두어 나를 죽이려 하느뇨? ” ┏
┛: ‘임경업’과
 ‘김자점’의 갈등 것이 없다는 생각에 ‘임경업’
┛ 이 최고조에 이름. 을 잡아들인 것이다.
자점이 묵묵무언이어늘, 상이 진노하여 꾸짖기를,
입을 다문 채 말이 없음. 존엄한 존재가 크게 노함. 돈수 구배(九拜)의 하나. 머
“경업은
 삼국에 유명한 장수요 또한 천고 충신이라 너희 놈이 무슨 뜻으로 리가 땅에 닿도록 하는 절.
‘김자점’과 그 무리들
만사무석 만 번 죽어도 아
20 죽이려 하느냐? 이는 반드시 부동(符同)을 꾀함이라.”
까울 것이 없음.
하시고, 자점과 그의 하수인들을 모조리 금부에 가두도록 하고 경업은 나가라 천안 용안. 임금의 얼굴을
높여 이르는 말.
고 하시어 자점이 경업과 함께 나오다가, 무사에게 분부하여 경업을 치라 하니
품달하고자 웃어른이나 상
무사들이 달려들어 경업을 무수히 난타질하니 거의 죽게 되며 전옥에 가두고 사에게 여쭙고자.
찬역할 임금의 자리를 빼
자점은 금부로 가더라.
앗으려고 반역할.
⇢ 흉계가 드러나자 ‘임경업’을 해하는 ‘김자점’ 가장 인상적인 장면과 그 이유 나의 부동 그른 일에 어울려 한
감상
25 뒷부분 줄거리 임경업은 결국 죽음을 맞게 임금 앞에서 ‘임경업’이 ‘김자점’에게 큰 소리로 통속이 됨.
호통을 치는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임금 앞에서 금부 의금부. 조선 시대
되고, 그 후 꿈속에서 임경업의 현신을 본 왕 ‘임경업’이 ‘김자점’의 못된 흉계를 낱낱이 밝혀내는
에,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은 김자점을 처형한 뒤 임경업의 충의를 포 장면이 통쾌했기 때문이다.
중죄인을 신문하는 일을 맡
상한다. 아 하던 관아.
확인 문제

1. ‘호왕’은
 ‘임경업’의 충성심과 절개를 높이 평가한다. (, ×) 학습 자료 바로 가기
2. ‘임경업’은
 ‘호왕’의 소원을 들어줌으로써 세자와 대군을 구해 낸다. (, ×) DVD–학습지, 쪽지 시험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25
3. ‘김자점’은 개인적 욕망을 위해 충신을 모함하는 부정적 인물이다. (, ×)
4. 이 작품의 역사적 배경이 되는 사건을 쓰시오.
1.  2. × 3.  4. 병자호란

책1.indb 225 18. 11. 23. 오후 5:44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인물들의 갈등 양상과 그 결과를 정리해 보자.


인물들의 갈등 양상 갈등의 결과

‘호왕’ ‘임경업’ ‘호왕’이 ‘임경업’의


충절에 감동하여 ‘세자’와
호국 항복하지 않으면 죽는 한이 있어도 항복
‘대군’을 풀어 달라는
지도 방안 죽이겠다고 협박함. 할 수 없다며 거절함.
‘임경업’의 원을 들어줌.
이 작품은 등장인물들 간
의 외적 갈등이 나타나 있
으며, 이를 토대로 사건이 ‘김자점’ ‘임경업’
‘김자점’에 의해
전개된다. 그러므로 작품 자신의 계교를 이루기
조선 자신이 죄가 없음을 ‘임경업’이 억울하게
속에 나타난 갈등의 원인 위해 ‘임경업’을 역적으로
당당하게 밝힘. 죽음을 맞이함.
과 결과를 확인해 봄으로 몰고 잡아들임.
써 작품의 전체적인 줄거
리를 되새겨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문학과 시대 상황, 문학과 역사의 관계

지도 방안
이 작품은 병자호란이라
2 다음은 이 작품이 창작될 당시의 시대 상황을 설명한 글이다. 이 글을 읽고, 작품에 담
긴 시대 상황에 대해 알아보자.
는 실제의 역사적 사건을
반영하여 창작된 소설이
다. 따라서 이 작품과 같
은 군담 소설이 창작되고 조선 인조 14년(1636년), 후금은 국호를 청으로 고친 뒤, 조선에 군신(君臣)의
읽힌 이유를 유추해 내도
예를 요구하였다. 조선이 이를 거부하자 청나라 태종이 20만 대군을 거느리고 침
록 지도한다. 또한 다른
군담 소설과 달리 비극적 략하였다.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여 청군에 대항했으나, 결국 청에 굴복하
결말을 맞았던 실제의 인
물인 ‘임경업 ’을 작품의 고 말았다. 그동안 오랑캐로 여겨 왔던 여진족이 세운 나라에 신(臣)의 예를 행하
청나라
주인공으로 삼은 이유 역 고, 임금이 굴욕적인 항복을 한 사실은 조선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후 오랑
시 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
려하여 생각해 볼 수 있도 캐에게 당한 수치를 씻고, 임진왜란 때 도와준 명에 대한 의리를 지켜 청에 복수
록 지도한다.
하자는 북벌 운동이 전개되었다.

참고 자료 | 군담 소설
1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시대 상황과 관련하여, 이 작품과 같은 군담 소설이 창작되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널리 읽힌 이유는 무엇일지 토의해 보자.
여진족에 대해 우월감을 가지고 있던 조선이 청나라의 침략에 패배한 것은 큰 충격이었다. 따라서 군담 소설을 통해
이후 발생하여 조선 후기
우리 민족의 우월감을 보여 주고, 우리가 패배한 이유는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는 인식을 드러내어 치욕을 씻고자
에 유행했던 한글 소설이 한 것이다.
다. 전쟁에서 주인공의 2 소설이 당대 사람들의 인식을 반영한다고 할 때, 실제로 비극적 결말을 맞았던 인물인
활약상을 주요 내용으로 ‘임경업’을 작품의 주인공으로 삼은 이유를 생각해 보자.
한다.

민중들의 칭송을 받던 인물의 비극은 결국 당시 민중들의 좌절감을 반영한 것이다. ‘임경업’은 영웅적 능력을 지니

고 있었으나 간신의 모해로 비극적 죽음을 맞는다. 이와 같은 인물의 죽음을 통해 민중들이 집권층에 대해 갖는 분

노와 비판 의식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226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26 18. 11. 23. 오후 5:44


핵심 갈래 군담 소설, 역사 소설, 국문 소설, 영웅 소설 성격 허구적, 전기(傳奇)적, 비현실적
지도 방안
정리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병자호란 때, 조선
제시된 작품은 ‘박 씨 ’가
뛰어난 학식과 재주로 외 제재 ‘박 씨’의 영웅적인 기상과 재주
적을 물리치는 이야기이 주제 전쟁 패배의 굴욕감 극복과 민족적 자존심의 극복
다. 「박씨전」의 ‘박 씨 ’와

남성보다 뛰어난 영웅적 면모를 지닌 여성이 주인공임.
「임경업전」의 ‘임경업 ’을
비교해 봄으로써, 작품의
감상 다지기 특징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역사 소설, 군담 소설임.
병자호란의 패배를 허구적 장치를 통해 정신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의도가 드러남.
창작 의도와 주제 의식의

3
차이를 확인하고 여성 영
웅 소설이 당대 사회에 미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특성과 활약상을 「임경업전」과 비교
친 영향은 무엇일지 생각
해 보도록 지도한다. 해 보자.

참고 자료 | 「박씨전」
이 작품은 조선 후기 국문
┏박 씨가 옥렴을 드리우고, 좌수(左手)에 옥화선을 쥐고 불을 부치니, 화광이

본 여성 영웅 소설이다. 박색 ┛: ‘박 씨’가 신이한 능력으로 ‘용골대’와 호군을 물리침.
호진을 충돌하여, 호진 장졸이 항오(行伍)를 잃고 타 죽고 밟혀 죽으며, 남은 군사
(薄色)인 박씨 부인이 뛰어난 군대를 편성한 대오
학식과 재주로 남편 이시백을 는 살기를 도모하고 다 도망하는지라. 용골대가 할 길 없어,

평안 감사가 되게 한 후, 자신 “이미
 화친을 받았으니 대공을 세웠거늘, 부질없이 조그만 계집을 시험하다가
도 허물을 벗고 미인이 되어 큰 공적 ‘박 씨’
공연히 장졸만 다 죽였으니, 어찌 분한(憤恨)치 않으리오.”
외적을 물리친다는 내용이다.
분하고 한스럽지
하고 회군(回軍)하여 발행할새, 왕대비와 세자, 대군이며 장안 미색(長安美色)을
도성 안의 아름다운 여인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데리고 가는지라. ⇢ ‘박 씨’와의 싸움에서 진 ‘용골대’가 회군함.
박 씨 계화로 시켜 외치기를,
┏“무지한

‘박 씨’의 몸종
오랑캐야, 너희 왕 놈이 무식하여 은혜지국(恩惠之國)을 침범하였거니
학습 자료 바로 가기 ┏
┛: 왕대비를 지키려는 ‘박 씨’
DVD–수행 평가 와, 우리 왕대비는 데려가지 못하리라. 만일 그런 뜻을 두면 너희들은 본국에
호국
돌아가지 못하리라.”
옥렴 옥으로 장식한 발. ┛
하니, 호장들이 가소롭게 여겨
옥화선 신비로운 부채의 일
┏“우리
 이미 화친 언약을 받고, 또한 인물이 나의 장중(掌中)에 매였으니, 그런
종. ┏
┛: ‘박 씨’의 말을 무시하고 가소롭게 여기는 호장들
화광 불빛. 말은 생심(生心)도 말라.”
장중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하며, 혹 질욕(叱辱)하며 듣지 아니하거늘, 박 씨가 또 계화를 시켜 외치기를,
권한이 미치는 테두리의 안. ┛
“너희 일양 그러하려거든 내 재주를 구경하라.”
생심 어떤 일을 하려고 마 한결같이 그대로

하더니, 이윽고 공중으로 두 줄기 무지개 일어나며, 모진 비 천지 뒤덮게 오며, 음
음을 먹음. 또는 그 마음. ┏
┛: ‘박 씨’의 신이한 능력, 비현실적인 사건 전개
질욕하며 꾸짖으며 욕하며. 풍(陰風)이 일어나며, 백설(白雪)이 날리며, 얼음이 얼어 호군 중 말 발이 땅에 붙
음풍 흐린 날씨에 음산하고 어 촌보(寸步)를 옮기지 못하는지라.  - 작자 미상, 「박씨전(朴氏傳)」
싸늘하게 부는 바람. 몇 발짝 안 되는 걸음 ┛⇢ ‘박 씨’가 왕대비를 데려가려는 호장에게 엄포를 놓고,
신이한 능력으로 호군을 꼼짝 못하게 함.

1 두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특성과 활약상을 비교해 보자.

「박씨전」 「임경업전」

주인공의 특성 뛰어난 학식과 재주를 갖춘 여성임. 충성심과 절개를 지키는 조선의 장수임.

•가달로부터 호국을 구원함.


활약상 도술을 사용하여 호적들을 통쾌하게 물리침. •‘호왕’을 감복시켜 ‘세자’와 ‘대군’이 풀
려나게 함.

2 이 작품이 당대의 여성들에게 주었을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생각해 보자.


여성의 뛰어난 활약을 보여 줌으로써, 사회적 성취 욕구에 대한 대리 만족의 효과를 주었을 것이다. 또한, 여성의
능력이 남성에게 결코 뒤지지 않음을 드러내어 남성 중심 사회에 대해 비판 의식을 갖게 하였을 것이다.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27

책1.indb 227 18. 11. 23. 오후 5:44


감상을
작품 4 임경업전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임경업전」은 병자호란 때의 실존 인물인 ‘임경업’ 장군을 주인공으로 한 군담 소설이다. 이
‘감상의 정리 ’에서는 이 작품은 조선 시대에 창작된 군담 소설과 달리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내용이 섞여 있으며, ‘임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
경업’의 업적을 변용·과장하여 민중적 영웅으로서의 면모를 강조하고 있다. ‘임경업’은 민중
인 ‘임경업 ’의 특성과, 작
품에 반영된 당시의 시대 적 영웅임에도 그 뜻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지배층인 ‘김자점’에 의해 원통하게 죽는데, 이
상황 및 비극적 결말에 반
는 당시 민중들의 소망이 좌절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김자점’과 같이 개인
영된 민중들의 인식을 바
탕으로 내용을 정리하였 의 이익만을 챙기려는 간신 때문에 ‘임경업’과 같은 인물이 제대로 활약하지 못하여 병자호란
다. 학생들과 함께 읽거나 과 같은 국치를 당하게 되었다는 비판적 인식이 나타난다.
간단히 질문을 하면서 작
품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군담 소설에 반영된 민중 의식
‘지식 창고 ’에서는 군담
군담 소설이란 주인공이 전쟁을 통하여 영웅적 활약을 펼치는 내용을 담은 소설을 말한다.
소설의 개념과 군담 소설
에 반영된 민중 의식에 대 군담 소설 중에서도 역사 군담 소설은 실재했던 전쟁을 소재로 한 것으로, 임진왜란을 배경으
해 제시하였다. 군담 소설 로 한 「임진록」,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박씨전」과 「임경업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군담 소
이 창작된 배경에는 국난
을 일으키는 외적에 대한 설의 출현에는 외적에 대한 적개심과 분노를 바탕으로 위태로운 나라를 구하고 치욕을 갚아
적개심이 반영되어 있으 줄 영웅의 출현을 바라는 민중의 소망이 담겨 있다. 현실적 패배와 고통을 허구의 이야기 속에
며, 혼란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영웅의 출현에 대한
서나마 통쾌하게 복수하고 자긍심을 회복하려는 민중의 욕구는 실제로 패배한 전쟁임에도 작
민중적 소망이 반영되어 품 속에서는 통쾌하게 승리하는 상황으로 변용되거나, 그 전쟁에서 충분히 이길 수 있는 민족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
적 역량이 있었음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드러난다.
도록 지도한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갈래 작자 미상
주제
‘더 읽어 보기’에서는 「임
경업전」과 관련하여 갈래
와, 주제 측면에서 함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을 엮
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로 「유충렬전」 작자 미상 「임꺽정」 홍명희
작품을 감상해 보고, 영웅
적 주인공의 특성 및 작품 위기를 극복하고 나라의 간신과 역적 역사적 인물 ‘임꺽정’을 통해 민중 의
속에 반영되어 있는 민중 을 처단하는 인물의 영웅적 활약이 드러 식을 드러낸 소설. 사회 변혁에 대한 민
의 열망을 살펴볼 수 있도
난 군담 소설. 주인공인 ‘유충렬’과 ‘임 중의 열망이 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록 이끌어 준다.
경업’을 비교하며 감상해 보자. 있는지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228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28 18. 11. 23. 오후 5:44


정리 지도 방안
2 조선 시대의 문학


‘정리하기’에서는 조선 시대 문학의 전개 양상을 서정 문학과 서사 문학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조선 시대 문학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정리하였다. 조선 전기와 후기의 우리 문학의 양상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조선 시대 문학의 갈래별 전개 양상
훈민정음의 창제로 한문 문학과 더불어 국문 문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조선 왕조의 개국의 정당성을 밝히고 번영을 송축하기 위한 다양한 형식의 악장이 창작됨.
•사대부 문학의 주요한 갈래로 자리를 잡은 시조는 유교적 사상인 충의 내용에서 자연 예
조선 찬 등으로 내용이 확대되면서 연시조의 형태를 보이기도 하였고, 사대부와 가까웠던 기녀
전기 들도 시조를 창작하면서 향유 계층이 확대됨.
서정 •고려 말에 발생한 가사는 시조와 상보적 관계를 이루며 발전하였고, 사대부와 관련된 강
문학 호가도, 연군지정, 자연 친화 등의 내용이 담겼음.

•주로 사대부들에게 창작되던 시조는 중인층이 전문 가객으로 등장하였으며, 작가층이 여


조선 성과 평민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갖춘 사설시조가 등장함.
후기 •가사는 조선 전기와는 달리 일상적·현실적 체험 등 구체적인 삶을 내용으로 다루었으며,
여성 작가층의 등장으로 규방 가사가 성행함.

조선 설화 문학, 패관 문학, 가전 등의 발달 과정에서 전기적(傳奇的) 요소를 지닌 한문 소설이


전기 등장하면서 고전 소설이 시작됨.
서사 •군담 소설, 가정·가문 소설, 판소리계 소설 등의 국문 소설과, 애정 갈등을 다루거나 실학
문학 조선 사상이 반영된 한문 소설 등이 창작됨.
후기 •한글이 널리 보급되면서 국문 소설의 유통이 확대되고, 사대부가의 여성과 평민들도 소설
을 향유함.

조선 시대 문학에 반영된 시대 상황

성리학의 조선 전기에는 성리학을 받아들였던 신진 사대부들이 문학에 ‘도’를 담아야 한다는 입장


수용 에서 세상을 바로잡는 실천적 활동과 문학을 연계시키면서 활발한 창작 활동을 이어 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패배 이후 전쟁을 배경으로 한 비범한 주인공의 활약과 승리를 다


임진왜란과
룬 소설이 많이 창작되었고, 전란을 계기로 성장한 민중 의식은 무능한 지배층에 대한 비판
병자호란
과 유교적·가부장적 가치관에 대한 거부로 드러남.

실학사상의 조선 후기에 대두되기 시작한 실학사상의 영향으로, 일부 문인들은 사회 모순을 비판하고


대두 평민들의 삶을 재조명하고자 함.

스스로 정리 이 단원 학습을 통해 알게 된 것을 바탕으로 197쪽에서 질문했던 내용을 정리해 보자.

국문 소설로 창작된 군담 소설에는 「임경업전」, 「박씨전」, 「유충렬전」, 「홍계월전」 등이 있다.


조선 초기 궁중의 여러 의식과 행사에 쓰인 노래인 ‘악장’과, 한문으로 전하던 문헌을 한글로 번역한 ‘언해’ 등이 조
선 시대에 창작되었던 특수한 갈래들이다.

( 2 ) 조선 시대의 문학 229

책1.indb 229 18. 11. 23. 오후 5:44


3
[ 학습 목표 ]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
구하고 감상한다.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
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탐구한다.

개화기~
일제 강점기의
문학
지도 방안
생각해 개화기에 우리 민족이 새로운 문물을 접하면서 느꼈던 문화 충격에 대해 상상해 보고, 이로 인한 의식의 변화가 문학 작품에
보기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또한 일제 강점기의 시대적 고통 속에서 어떤 문학 작품이 창작되었을지, 작품
을 접하기 전에 먼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이 자동차는
전체적인
형태가 마차와
비슷하게
생겼어.

말이나 가마만
타던 사람들이
자동차를 보고 얼마나
놀랐을까?

당시 사람들은 자동차를
위의 사진은 개화를 하여 쇠가 움직인다고 해서
‘ 쇠귀신 ’이라고 불렀대.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던 때 순종이 탔던 자동차이다.
새로운 문물의 수용이
우리 문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23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30 18. 11. 23. 오후 5:44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이전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의 상황을 반영하여 새로운 형식을 모색함.
개화기 문학 작품에 개화사상과 계몽의 이념을 담음.
개화 가사, 창가, 신체시, 신소설 등이 등장함.
1910년대 갈래별로 근대적인 모습을 갖춘 문학 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함.
 운동의 실패로 암담하고 절망적인 분위기가 반영된 작품들이 등장함.
3·1
1920년대
서구 문예 사조의 유입과 동인지 발간으로 문학적 기반을 닦음.

세련된 표현 방법을 보여 주는 작품들이 등장함.
1930년대
다양한 수법과 주제를 다루는 문학 양식이 선을 보임.
1940년대 국어 사용의 금지로 실질적인 문학 활동에 어려움을 겪음.

작품 1 작품 2 작품 3

_김우진 _채만식 _윤동주

식민지 지식인 청년이 겪는 좌 작품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 작품 창작 당시의 시대 상황을


절과 갈등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 여 등장인물의 현실 인식에 주목 바탕으로 화자의 현실 인식과 태
상하기. 하며 작품을 감상하기. 도를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하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학습지

개항으로 인한 우리 사회의 문호 개방은 우리 민족에게 새로운 의식의 계기가 됨으로


개화기
써 문학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의 문학은 이전 문학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
개화기 문학의 특징 ①
도 시대의 상황을 반영하여 새로운 형식을 모색하였다. 또한 근대 문명을 추구하는 개화
개화기 문학의 특징 ②
사상과 대중의 각성을 촉구하는 계몽의 이념을 담았다. 이에 따라 이 시기에는 개화 가
사, 창가, 신체시 등의 개화기 시가와 서사 문학인 신소설이 등장하였다.
개화기의 서정 문학 개화기의 서사 문학
191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개화기 문학은 막을 내리고, 일제의 무단 통치라는 어려운
⇢ 개화기 문학의 특징
상황 속에서도 갈래별로 근대적인 모습을 갖춘 문학 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하였다. 1920년
1919년 1910년대 중반 이후 문학의 특징
대에는 3·1 운동의 실패로 인한 암담하고 절망적인 분위기가 반영된 문학 작품들이 나오
1920년대 문학의 특징 ①
는 한편, 서구의 문예 사조가 유입되고 문학 동인지가 발간됨으로써 우리 문학은 문학적
1920년대 문학의 특징 ②
기반을 닦게 된다. 이후 1930년대에 이르러서는 한결 더 세련된 표현 방법을 보여 준 작
1930년대 문학의 특징 ①
품들이 등장하였으며, 시와 소설 전반에 걸쳐 다양한 수법과 주제를 다룬 문학 양식이 선
1930년대 문학의 특징 ②

을 보였다. 그러나 1940년을 전후해서 해방

┛: 1940년대 문학의 특징 - 한국 문학의 암흑기
해 보자.
까지의 시기에는 일제의 민족 문화 말살 정책 알고 싶은 것을 질문
스스로 질문 이 단원 학습을 통해
으로 국어 사용이 금지되면서 실질적인 문학 무엇이 있을까?
까지 나타난 시적 경향에는
1930년대부터 광복 직전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의 특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1920년대 서사 문학
⇢ 일제 강점기 문학의 특징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31

책1.indb 231 18. 11. 23. 오후 5:44


현대 문학 시대별 한눈에 보기

개화기는 개항과 함께 서양 문물이 도입되어 근


대화로 이행되는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고전 시가
양식과 근대시 양식이 공존하며 개화 가사, 창가,
신체시 등의 개화기 시가가 등장하였다. 개화 가사
는 가사의 형태를 계승하면서도 새 시대에 대한 인
식을 내용으로 담았으며, 창가는 개화 가사가 짧아
지고 후렴이 붙는 양식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문 1910년대의 시는 신체시와 같은 계몽 문학의 교
명개화의 필요성을 고취하는 내용을 담았다. 신체 술시에서 벗어나 개인의 내면을 그린 서정시가 점
시는 개화기 시가의 대표적 양식으로, 정형시의 율 차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으며, 기존의 정형성에서
격에서 탈피하고자 하였으나 자유시에는 이르지 벗어난 자유시의 형식이 시도되고 정착되었다.
못했다. 1919년에는 최초의 순수 문예 동인지
『창조』가 창간되면서 근대 문학으
주요 작품 개화 가사: 「애국하는 노래」(이필균), 「동심
로 발전하는 데 기여한다.
가」(이중원)

운문 창가: 「경부철도가」(최남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
주요 작품 「봄은 간다」(김억), 「불
놀이」(주요한)

(1876) (1910)

개화기 1910년대

(1894) (1919)

산문 개화기의 대표적인 서사 문학은 신소설이다. 신


소설이라는 용어는 조선 시대의 소설들과 구별하
1917년에 발표된 이광수의 「무정」에 의해 본격적인
근대 소설이 창작되기 시작하였다. 이 작품을 통해
여 개화기에 새롭게 등장한 소설이라는 의미에서 이광수는 자유연애와 점진적 민족주의 사상을 고취
사용되었다. 이들 작품은 대개 봉건 질서의 타파, 하고, 구어체 문장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개화, 계몽, 자주독립 사상의 내용을 담았다. 이 시기의 희곡은 서구와 일제의 영향을 받아 근
개화기의 희곡은 가면극, 판소리, 농악과 같은 민 대극의 형식을 지닌 작품들이 창작되기 시작했지만,
속극이 서구식 연극으로 전환되었다는 데에 그 의 일제의 검열이 다른 갈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했기
미가 있다. 특히 판소리는 여러 창자들이 배역을 때문에 그 성과는 크지 않았다.
맡아 연기하는 창극으로 바뀌었다. 주요 작품 소설: 「추월색」(최찬식), 『공진회』(안국선),
주요 작품 소설: 「혈의 누」·「귀의 성」·「은세계」(이인 「무정」(이광수)
직), 「금수회의록」(안국선), 희곡: 「병자 삼 인」(조중환), 「운명」(윤백남)
「자유종」(이해조)
희곡: 「소춘대유희」
수필: 「서유견문」(유길준)

23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32 18. 11. 23. 오후 5:44


3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본격적인 현대시가 출현한 시기로 다양한 시적 경향이


발생하였다. 김영랑, 정지용 등 시문학파의 시인들은 언어
적 감각과 문학의 순수성을 중심으로 하는 순수시를 강조
1920년대의 시는 감상적 낭만주의 하였다. 한편 이 시기에는 모더니즘 시가 많이 발표되었는
경향의 시와 신경향파의 시로 나누어 볼 데 김광균은 대상을 감각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이미지즘
수 있다. 감상적 낭만주의 경향의 시는 조국을 상실한 암 의 경향을, 이상은 초현실주의 기법을 보여 주었다. 그러
담하고 절망적인 시대적 상황과, 프랑스 상징주의의 퇴폐 다 후반기에는 서정주, 유치환 등 생명파 시인들이 인간과
적 풍조에 영향을 받아 창작되었다. 또 하나의 주류인 신 생명의 탐구에 주력한 시를 발표하였고, 백석, 이용악 등
경향파의 시는 민중이 구심점이 된 시대적 배경에서 발생 과 같은 시인들은 민족의 전통적 의식을 형상화하여 서정
하였다. 민중을 중심으로 일어난 3·1 운동은 민중 계층의 성과 서사성을 아우르는 시를 창작하였다. 이 무렵, 일본
소중함을 인식하게 하였으며, 그에 따라 프롤레타리아 계 의 탄압이 극에 달하여 많은 문인들이 절필했지만, 이육사
층을 위한 문학이 전개된 것이다. 1925년에 결성된 ‘카프’ 나 윤동주는 저항 의식을 담은 시를 창작하여 지식인으로
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산실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한 서의 양심을 담아내었다. 한편 박두진, 조지훈, 박목월과
용운과 김소월은 독자적인 시 세계를 펼치며 활동하였다. 같은 청록파 시인들은 향토적인 소재를 통해 자연적인 이
상 세계를 주로 노래하였다.
주요 작품 낭만주의 경향: 「나는 왕이로소이다」(홍사용), 「나 교과서 12쪽 교과서 62쪽
의 침실로」(이상화) 주요 작품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 「유리창」(정지용), 「바
신경향파: 「우리 오빠와 화로」(임화) 다와 나비」(김기림), 「와사등」(김광균), 「오감도」(이상), 「자화
교과서 286쪽
독자적 시 세계: 「님의 침묵」·「알 수 없어요」(한용운), 「산유 상」(서정주), 「깃발」(유치환), 「여우난골족」(백석), 「오랑캐꽃」
화」·「가는 길」(김소월) 교과서 219쪽 (이용악), 「광야」(이육사), 「쉽게 씌어진 시」(윤동주)
교과서 42쪽 교과서 255쪽 교과서 252쪽

(1926) (1945)

1920년대 1930년대~광복 직전

(1921) (1931~1934)

1920년대 소설은 일제 강점기 현실에서 민족이 나아갈 길 1930년대는 일제의 억압이 더욱 심해지면서 반체제적 성
을 모색하였으며, 어두운 사회 현실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는 격의 작가들이 검거되었다. 이로써 현실 비판적인 소설 창작
사실주의 소설이 주류를 이루었다. 한편 유미주의를 추구하 이 어려워졌고 도시 문명에 대한 모더니즘 소설, 농촌 현실
는 낭만주의 소설도 유행하였다. 그러다 후반기에는 러시아 과 농민의 삶을 다룬 소설, 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등이 창
혁명 후 계급 사상이 도입되면서, 궁핍한 농민과 도시 노동 작되었다. 그러다가 1940년대에는 우리말을 아예 사용하지
자들을 소재로 삼은 경향 소설이 창작되었다. 못하게 되면서, 우리말로 된 소설은 거의 발표되지 못했다.
이 시기의 희곡은 자유연애와 결혼, 여권 신장, 사회적 부 이 시기의 희곡은 유치진, 서항석, 김진섭, 홍해성 등이 중
조리에 대한 묘사와 폭로 등을 다루었지만, 내용과 형식 면 심이 된 ‘극예술 연구회’ 등의 활동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수
에서는 아직 미숙한 모습을 보였다. 한편 김우진을 중심으 필은 이 시기에 이르러서 하나의 갈래로 독자적 영역을 확보
로 한 ‘극예술 협회’와 박승희를 중심으로 한 ‘토월회’는 신 하게 되었다.
파극에서 벗어나 현대극을 정립하고자 노력하였다. 주요 작품 소설: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박태원), 날개(이상),
교과서 116쪽
주요 작품 소설: 「배따라기」·「감자」(김동인), 「운수 「상록수」(심훈), 「사하촌」(김정한),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좋은 날」(현진건), 「만세전」(염상섭), 「화수 「동백꽃」(김유정), 「무영탑」(현진건), 「운현궁의 봄」(김동인),
분」(전영택), 「벙어리 삼룡이」(나도향), 「삼대」(염상섭), 「태평천하」(채만식)
교과서 243쪽
「탈출기」(최서해) 희곡: 「토막」·「소」(유치진), 「동승」(함세덕)
희곡: 「김영일의 사(死)」(조명희), 「산 수필: 「청춘 예찬」(민태원), 「권태」(이상)
교과서 242쪽
돼지」(김우진), 「아리랑 고개」(박승희)
교과서 234쪽 교과서 251쪽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33

책1.indb 233 18. 11. 23. 오후 5:44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현대적 희곡으로 발전하는 극 갈래의 발전상을 잘 보여 주는 희곡으로, 역사적 현실 속에서 식민지 시대

1
의 지식인이 겪는 고뇌와 방황을 사실적으로 그려 내었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일제 강점기의 희곡 구현 양상과,
작품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탐구할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신파극에서 현대극으로 넘어오는 길목에 놓인 작품으로 평가되는 희곡이다. 식민


지 지식인 청년이 겪는 좌절과 갈등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핵심 갈래 장막극, 표현주의 극 성격 실험적, 상징적


정리
배경 1920년대, 서울 근교의 어떤 군 읍내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산돼지 김우진
제재
주제
일제 강점기 지식인의 삶
식민지 지식인의 새로운 삶의 방향 모색과 좌절

우리나라 최초의 표현주의 극임.
특징
상징적 수법을 사용하여 인물의 심리를 드러냄.

원봉이네 최 주사댁(58세) 최영순(20세) 차혁(28세)


김우진
(1897~1926) 최원봉의 친어머니. 최 최영순의 어머니로 남편 최 주사댁의 딸 청년회 일원이며 최
원봉의 꿈속에 등장함. 이 데려온 최원봉을 키움. 로 차혁을 좋아함. 원봉의 친구임.
연극인, 극작가. 최초로
연극에서 표현주의 극이 가
장 알맞은 창작 방법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연극 동우회
를 조직하여 신극 발전을 위
하여 노력하였다. 주요 작품
으로는 「정오」, 「이영녀」 등
이 있다.

전체 구성
‘최원봉 ’은 공금을 사
용하다 해임될 위기에
발단 읍내
처하고, 이를 덮어 주 어떤 군
소 서 울 근교 최원봉(29세)
려는 ‘차혁’과 싸움. 장
청년회 간부. 내적 갈등으로 신경 쇠약증을 보임.
‘차혁’과 ‘최영순’이 교제
전개 하자, ‘최원봉’은 ‘최 주
사댁’과도 갈등을 겪음.
‘최원봉’은 꿈속에서 자 앞부분 줄거리 청년회 간부인 최원봉은 바자회 수익금을 써 버린 일로 청년회 간부들에게 불신임을
절정· 신의 출생의 비밀을 알
당하고, 이를 견디지 못해 청년회 활동을 그만두려고 한다. 차혁은 최원봉에게 잘못한 일을 덮고 계속 05
하강 게 되고, 자신의 사명과
현실 사이에서 고뇌함. 청년회 활동을 하라고 이야기하지만, 최원봉이 그것에 반대하며 두 사람은 감정이 상한다. 한편 최원
병에서 회복된 ‘최원봉’ ‘최원봉’은 자신의 잘못을 덮어 주려는 ‘차혁’의 태도를 현실과 타협하는 것으로 여김.
봉의 애인이었던 정숙은 최원봉을 배신하고 동네 청년 이광은과 일본으로 떠난다. 평소 최원봉과 정
은 돌아온 애인 ‘정숙 ’
대단원
과 각자의 앞날에 대해 숙의 만남을 반대하던 최 주사댁은 최원봉에게 정숙을 잊으라고 당부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로
대화를 나눔.
최원봉은 심한 고통을 겪고 신경 쇠약증에 걸린다.
※ 교과서 수록 내용은
‘전개~절정’ 부분임. ‘차혁’과 ‘최영순’이 교제하자, ‘최원봉’은
‘최 주사댁’과도 갈등을 겪음.
‘ 최원봉 ’은 자신과 ‘ 차혁 ’ 전개 최원봉 흥, 나 같은 산돼지가 그런 소리밖에 더 지를라고요. 아니, 한마디 물 10
을 각각 무엇에 빗대어 표현 ‘최원봉’ - 저돌적인 인물

하였는가? 어봅시다. 나 죽으면 영순이를 어떤 데로 시집보내시려우?


‘최원봉 ’은 자신을 ‘산돼지 ’ 최 주사댁 잠들기 어렵니? 잠 오는 약 먹여 주랴?
에, ‘차혁’을 ‘집돼지’에 빗대
어 표현하였다.
최원봉 천만에, 걱정 마세요. 이것 봐요. 혁이는 산돼지도 못 되고 집돼지예
‘차혁’–현실에 안주하는 인물
요. 들돼지도 못 되고. 그러니까 더욱 탈이지요. (웃으며) 그런데 어머니 대답

234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34 18. 11. 23. 오후 5:44


등장인물의 갈등 양상 ①

‘최원봉’은 공금을 써 버린
일로 불신임을 당하자 청년
‘최원봉’
회를 관두려고 하고, ‘차혁’

은 그것을 덮어 주려고 함.
좀 하세요. 처음에는 그 집돼지를 미워해서 그리 떼어 버리려고 애쓰더니 요 ‘차혁’
‘최원봉’은 ‘차혁’과 ‘최영
‘차혁’
순’의 사랑을 질투함.
새 와서는 왜 또 그리 가까이하시려고 애쓰시오? 내 어머니 속은 참 모르겠
‘최 주사댁’은 ‘최영순’을 ‘최원봉’이 아닌 ‘차혁’과 이어 주려고 함. 
출생의 비밀로 갈등하며,
소. 영순이가 내 병 봐주느라고 항상 내 옆에 붙어 있으니까 집안일 봐줄 사람 ‘최원봉’ ‘최원봉’이 ‘최 주사댁’을 비
↕ 난함.
이 없어서 그러시오? 아, 대답 좀 해 보세요. 혹은 집돼지가 진화를 해서 들돼 ‘최 주사 ‘최원봉’은 ‘차혁’과 ‘최영
‘산돼지’와 ‘집돼지’의 과도기적 상태 댁’ 순’의 교제를 반대하지만,
05 지가 되는 모양이오? 진화란 말을 아시오? 진보한단 말이야. 그러면 더 이상 ‘최 주사댁’은 찬성함.

하지. 산돼지가 들돼지로, 들돼지가 집돼지로 진화하는 법은 있지만, 집돼지 ‘ 최원봉 ’이 말하는 ‘ 집돼
지 ’의 특성은 무엇인가?
가 들돼지로 퇴화하는 수가 있소? 한번 집돼지가 되어서 구정물 얻어먹기 시
‘최원봉’은 현실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집돼지’를 부정적으로 인식함. 구정물을 얻어먹고 사는 존
재로, 현실에 순응하며 사는
작하면 영영 집돼지로밖에 못 있는 거예요. 그런데 어머니는 왜 그렇게 시종 특성이 있다.

이 변해요? 왜 아무 말이 없어요? 대답 좀 해 보세요. 어머니는 “아이고, 내 가


10 슴이야.” 하지만, 내 가슴은 어떤 곡절인 줄을 몰라서 더 아파 못 견디겠소.
⇢ ‘최원봉’은 연적인 ‘차혁’이 마음에 들지 않음.
최 주사댁 너는 요새 와서 왜 그리 혁이를 미워하니? 그래도 처음에는 친하게
‘최원봉’과 ‘차혁’은 둘 다 ‘최영순’을 사랑하기 때문에 갈등하고 있음. ‘보석’과 ‘돼지’ 이야기에
지내더니. 너부터 말 좀 해 봐라. 나타난 비유적 표현

비유적
최원봉 (웃으며) 어머니는 부끄러워서 먼저 말 못 해 주시겠다고. 그러면 내가 표현
대상

말하리까? ‘보석’, ‘진주’ ‘최영순’


‘(집)돼지’ ‘차혁’
15 최 주사댁 해 봐라.
최원봉 환한 일 아니에요? 제가 가지고 있던 보석이 이제야 값이 비싼 귀중한 ‘ 최원봉 ’이 ‘ 진주 ’와 관련
‘최영순’ 하여 속이 상한 이유는 무엇
것인 줄을 아니까 그런 것 아니에요. 돼지에게다가 진주를 내던져 준다는 말 인가?
이 있지 않습니까? 아까운 진주 같은 보석을 돼지 발밑에다 내던지는 것이 아 ‘최원봉 ’은 자신과 ‘최영순 ’
‘최영순’ ‘차혁’ 이 남매가 아님을 짐작하고,
‘최영순’에 대한 애틋한 마음
깝지 않아요? 더구나 그 위선자인 돼지가 내 진주를 뺏어 가려고 하니 내 속
을 가지고 있다. ‘진주 ’처럼
귀한 ‘최영순’을 ‘차혁’과 맺
20 이 어떻게 상하게요. 이왕 돼지 앞에 내던져 주시려 한들 그 더러운 집돼지에 어 주는 것이 안타까워 속상
해하는 것이다.
게다! 더구나 그 진주는 내가 모르기 전부터 내 것으로 맡아 두었던 것을!
‘최 주사’는 ‘최원봉’과 ‘최영순’을 결혼시키라는 유언을 남겼음.
최 주사댁 (원봉이의 말을 못 들은 듯이 이리저리 고개를 돌리다가) 그게 모두 무
‘최원봉’의 말을 못 알아듣는 척함. 시종 처음과 끝을 아울러
슨 말뜻인지 한마디도 못 알아듣겠다.


‘최원봉’은 ‘보석’과 ‘돼지’에 빗대어
자신의 불만을 이야기함.
이르는 말.
곡절 순조롭지 아니하게
최원봉 못 알아들으세요? 어머니가 곡절을 이야기 안 해 주시니까 내가 더 말
순조롭지 아니하게 얽힌 이런저런 복잡한 사정이나 까닭 얽힌 이런저런 복잡한 사정
25 씀해 드릴까요? 이런 이야기가 있더랍니다. 옛날 옛적에 상놈 하나가 있는 이나 까닭.
‘최원봉’의 친아버지 위선자 겉으로만 착한 체
데 죽을 때 친구 되는 양반에게 삽살개 한 마리를 선사로 주었더래요. 이 양 하는 사람.
‘최 주사’와 ‘최 주사댁’ ‘최원봉’
반님은 그걸 받아 가지고 어찌 귀여운지 보물과 음식을 넣어 둔 곳간 옆에다 선사 존경, 친근, 애정의
‘차혁’ ‘최영순’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남에
가 매 두고 도적놈을 지키라고 했더래요. 그런데 그놈의 삽살개는 도적 지킬 게 선물을 줌.

대상의 상징적 의미

‘최원봉’의 별명으로, 저돌적이고 괴팍한 성격을 의미함.
‘산돼지’
산에 살아야 하는 돼지지만 집 안에 갇혀 있는 처지로, 무기력하고 답답한 ‘최원봉’의 처지를 나타냄.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35

구정물을 얻어먹는 존재로, 현실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함.
‘집돼지’
‘최원봉’은 ‘차혁’을 ‘집돼지’라고 평가함.

책1.indb 235 18. 11. 23. 오후 5:44


‘최원봉’의 옛날이야기에 줄을 알아야지요. 도리어 도적놈한테 몽둥이만 얻어맞고 한마디 짖지도 못
‘차혁’
나타난 비유적 표현
하고 있었더랍니다. 그러니 그 양반 놈의 속이 얼마나 상할 것이오? 호령을
비유적 ‘최 주사’ 부부
대상
표현
해 말하기를 “삽살개에도 양반, 상놈이 있구나. 너는 도적 지킬 줄도 모르니
‘최원봉’의 ‘최원봉’
‘상놈’
친아버지 잡아서 개장이나 해 먹겠다.” 하고 나서는 불일내로 그 개 목숨이 떨어지게
‘최 주사’
‘양반’
부부 되었더랍니다. 그 개는 그래도 목숨이 아까워서 다시는 아니 그러겠으니 살 05
‘최원봉’
‘삽살개’ ‘최원봉’
려만 달라고 애걸복걸한 끝에 다시 보화 곳간 문지기 노릇을 하게 되었더랍
‘보물과
음식’, 니다. 그런데 그 개가 그때에야 비로소 정신을 차리고 보니 제가 지키고 있
‘최영순’
‘별별 보화와
산해진미’ 다는 곳간 안에는 별별 보화와 산해진미가 들어 있는 줄 알게 되었소그려.
‘도적놈’ ‘차혁’ ‘최영순’
그래서 하룻밤은 문을 뜯어 열어젖히고 들어가서 한 번에 모두 내 것을 만들

려고 했더니 이번에는 도적놈이 나서서 방해를 치지 않겠소. 그 양반 주인이 10


‘차혁’ ‘최 주사’ 부부
이걸 보고서는 어찌 분이 났던지 곳간 문을 죄 열어젖히고 그 안에 든 것을

도적놈에게 내어 주었답니다.
‘차혁’
최 주사댁 주인도 주인이지만 그런 개가 있더란 말이니?
최원봉 이건 내가 옛 때 옛 때 꿈속에서 들어 둔 이야기예요.
최 주사댁 (얼굴을 가리며) 별 이야기도 다 들어 두었구나. 15
놀람, 당황함. ⇢ ‘최원봉’은 옛날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불만을 이야기함.
최원봉 하하, 내 이야기가 그리 무서워요?
등장인물의 갈등 양상 ②
‘최원봉’의 내적 갈등 최 주사댁 (번쩍 고개를 들고) 누가 무섭다고 그러니? 너 그런데 또 한마디 대답
속내를 감추려 함.
사회 개혁에 대한 숙명
을 인식하면서도 현실
해 봐라. 혁이가 너만 못하니? 영순이에게 장가올 만한 자격이 못 돼서 그러니?
의 무기력함 사이에서
극심한 정신적 갈등을
최원봉 왜 그리 시치미를 뚝 떼려고 드시오? (돌아누우며) 흥, 그렇지요. 그만
겪음.
둡시다. 산돼지와 집돼지가 비교나 됩니까? 20

불일내 며칠 걸리지 아니 최 주사댁 너 왜 그리 돼지 말은 잘 내놓니? 무슨 돼지 무슨 돼지 이름까지 지어


하는 동안.
가면서. 귓속에 못이 박이다시피 듣고 나니까 나도 이제는 진저리가 난다.
애걸복걸한 소원 따위를
들어 달라고 애처롭게 사정 최원봉 그러니까 왜 이런 산돼지를 집 안에다가 두고 기르세요? 그게 벌써 틀
하며 간절히 빈. ‘집 안’에서는 자신의 사명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불만스러움.
린 일 아녀요?
산해진미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최 주사댁 네가 하도 그러니까 나도 요새 와서는 밤이면 돼지꿈에 가위만 눌 25
차린, 맛이 좋은 음식.
진저리 몹시 싫증이 나거 려 못 견디겠다.
나 귀찮아 떨쳐지는 몸짓.
최원봉 그게 더욱 내 말이, 내 꿈이 거짓말이 아닌 증거예요. 그만둡시다. 일
가위 무서운 내용의 꿈. 또
는 꿈에 나타나는 무서운 것. 이란 되어 가는 대로밖에 더 될라고요.

236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36 18. 11. 23. 오후 5:44


최 주사댁 아무리 병이 들어 누웠기로 이 가슴속도 좀 알아 다오.
⇢ ‘최 주사댁’은 ‘돼지’ 이야기에 진저리를 침.
최원봉 (한참 있다가 누운 대로 상반신을 들어 주사댁 얼굴을 쳐다보면서) 어머니, ‘ 최원봉 ’은 ‘ 최 주사댁 ’이
자신에게 숨기는 것이 무엇
거짓말도 그만하고 눈치 따기도 그만하기로 합시다. 모자간에 서로 숨기고 이라고 생각하고 있는가?
있으면 그런 서먹서먹한 일이 어디 있습니까? ‘최원봉’은 ‘최 주사댁’이 자
신과 ‘최영순’이 친남매가 아
니라는 사실을 숨기고 있다
05 최 주사댁 숨기기는 무엇을 숨겨? 고 생각한다.

최원봉 영순이와 내가 정말 친남매간입니까?


자신과 ‘최영순’이 친남매가 아니라고 의심함.
최 주사댁 (떨리는 소리로) 아이고, 너 미쳐 가는구나!
‘최원봉’이 진실을 알게 되어 당황함. ⇢ ‘최원봉’은 자신과 ‘최영순’이 친남매가 아님을 눈치챔.
차혁 (밖에 마당에서) 계십니까? 계십니까? 영순 씨 계세요?

최영순 (안방에서 문 여는 소리 나며) 네, 계십니다.

10 최 주사댁 차 선생님이세요? 이리로 들어오세요. 여기 있습니다.


최원봉 (돌아누우며) 미친놈 누워 있는 방으로 데리고 오지

말아요.
최 주사댁 너 왜 그러니?
최원봉 나 그 자식 얼굴 보기 싫어요. 이리로 들어왔다
15 가는 산돼지 어금니 맛보여 줄 테니까 그리 아슈.
⇢ ‘차혁’이 찾아옴.
중략 부분 줄거리 최 주사댁은 차혁을 맞이하러 나간다. 최원봉은 최영
순의 간호를 받다가 잠이 들고, 과거에 일어난 일을 꿈으로 꾼다.

절정 노래가 이어 가는 동안 원봉이는 잠들고 무대는 어두워진다. 그


몽환 장면으로 전환됨.

리고 몽롱한 달빛 같은 창백색이 나타난다. 그러나 다만 여름철 그믐달
‘최원봉’은 꿈속 ┏
┛: 비현실적인 장면 - ‘최원봉’의 꿈속이기 때문
에서 본 환상을20 밤의 하늘과 같이 아무것도 안 보인다. 노래는 다시 누구의 소린지 바스와 합
통해 자신의 출
생의 비밀을 알
창이 되어 가지고 되풀이해 나가는 동안 무대에는 무한한 공간만 채워 있는 것 같다.
게 됨. ┛

몇 번 노래가 되풀이해 가다가 제1절이 끝나기 전부터 창백색이 좀 밝아 온다. 그


몽환 장면의 공간적 배경
바스 베이스. 남성의 가장
러고 나타나는 것은 병실 대신에 동한 중의 벌판이 나타난다. 완경사의 야산이 나지
몽환 장면의 계절적 배경
낮은 음역.

막해져 온 곳 중복에 무대가 놓인 셈이다. 왼편으로 숲, 잡목. 오른편으로 언덕. 여 동한 겨울철의 추위.
중복 산의 중턱.
25 기저기 석총. 회색 겨울 하늘이 낮게 걸려 있어서 전경을 금시라도 와 누를 것 같다.
석총 돌을 쌓아 올려 만든
지상과 언덕 위에는 약간 흰 눈이 덮여 있고 시시로 회오리바람과 싸라기눈. 높은 무덤.
작품에 나타난 표현주의 기법
표현주의의 개인의 깊은 정신의 상태를 표현하고자 한 희곡의 유파로, 정서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개념 있는 인물의 내면적 체험을 나타내고자 함.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37
작품에 몽환 장면을 설정하고, 그 몽환 장면이 그대로 현실의 ‘최원봉’에게 연결되도록 하는
나타난 기법 수법에서 찾아볼 수 있음.

책1.indb 237 18. 11. 23. 오후 5:44


동학 농민 운동.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接主) 전봉준 등을 지도자로 동학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농민 운동임.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와 착취에 대한 항거에서 발단하여 한때는 관군을 무찌르고 삼남 지방을 휩쓸었
으나, 결국 중국 청나라와 일본의 개입으로 실패로 끝남. 후에 항일 의병 투쟁과 3ㆍ1 운동으로 계승됨.

팬터마임이 보여 주는 장 이하의 인물이 등장하기 전에 갑자년 동학당 전군 행렬의 팬터마임이 지나간다.


면은 무엇인가?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과정을 시각적으로 제시함.
‘오만 년 수운대의(五萬年受運大義)’ 글자를 쓴 오색의 기치를 선두로 도중(道衆)의
‘오만 년 수운대의’의 깃발이
함께하는 의로운 맹세라는 뜻으로, 동학군이 내세웠던 구호
나 어깨나 등에 붙은 ‘궁을’,
‘동심의맹 ’ 등의 단서로 볼
어깨에는 ‘궁을(弓乙)’, 등에는 ‘동심의맹(同心義盟)’이라 박은 삼삼오오의 일대. 환
천도교에서, 교조 최제우가 영감으로 한울님에게 받은, 천신(天神)을 그림으로 나타낸 표상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
때, 동학 농민 운동의 상황을
보여 주는 것이다. 희와 서계(誓戒)와 격려와 혹은 혼란을 표시하는 팬터마임. 천천히 그러나 무거운

수천 리 걸어온 피로된 보조로 지나간다. 무대 한참 동안 공허. 05

⇢ ‘최원봉’은 꿈속에서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과정을 봄.


병정 (산발한 원봉이네의 손목을 끌어 잡고 들어온다.) 썩썩 걸어라! 너하고 같이
‘최원봉’의 생모
팬터마임 무언극. 대사 없 가다가는 얼어 죽겠다.
이 표정과 몸짓만으로 내용
을 전달하는 연극. 원봉이네 (비틀비틀하며) 제발 살려 주시오. 죽으면 죽었지 다시는 더 못 나가겠
몸이 좋지 않음.
기치 예전에, 군대에서 쓰
습니다. (목멘 소리로) 제발 적선 좀 해 주시오. 저는 동학 역적 놈을 남편으로
던 깃발. ‘최원봉’의 생부는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했음.
도중 길을 가는 무리. 둔 죄로 이 자리에서 참형을 당해도 원통할 것은 없습니다마는 이 배 속에 든 10

일대 많은 사람이나 짐승
어린 아기를 위해서 살려 주시오. 이 배 속 아기가 불쌍하지 않아요?
의 한 무리. 아기를 살리기 위해 애절하게 호소함.
서계 나라의 큰 제사를 7일 병정 (따귀를 붙이며) 웬 잔소리야, 잔소리가! 그따위 소리는 관찰사님 앞에 가
매정하고 강압적인 태도
앞두고 제관(祭官)들이 의정
부에 모여서 서약하던 일.
서 네 멋대로 지껄이라니까 못 들었니! 썩 걸어. 걷지 않겠니?
보조 걸음걸이의 속도나 원봉이네 (두 손으로 합장하며) 이 아기를 위해, 이 배 속에 든 어린 아기를 위
모양 따위의 상태. ‘최원봉’
해 제발 살려 주세요. 이 아기가 무슨 죄가 있습니까? 15

238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38 18. 11. 23. 오후 5:44


병정 에잇, 귀찮아! 그러니까 누가 네 애를 죽인다니? 관가로 가기만 가잔 말

이야.
원봉이네 더 걸어가다가는 정말 둘이 다 죽겠습니다. 한 발자국도 떼어 놓지

못하겠어요. 만삭된 이 무거운 몸을 해 가지고 삼십 리나 걸어왔으니 아무리


05 몸이 튼튼한 사람이기로 당할 수가 있습니까?
병정 아이고, 이 경을 칠 것아! 너 왜 말을 안 듣니? 너 그러면 그 배 속에 든

애는 쏙 빼놓고 가자꾸나.
비인간적인 면모
원봉이네 아이고, 그런 말씀 마시고 그저 이 아기 하나만을 위해 살려 주십시

오. 이 아기가 무슨 죄가 있습니까?
10 병정 너 왜 그 아기가 죄가 없다고 하니? 아, 역적 놈 애비를 둔 자식이 죄가 ‘ 최원봉 ’의 친아버지에 대
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없어? 그따위 소리를 누가 하더니? ‘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는 죄명을 모르
‘최원봉’의 친아버지인 ‘박정
식’은 동학 농민 운동을 하였
니? 경을 칠 것 같으니.(발길질한다.) 다.
폭력적인 면모
원봉이네 (비틀거리며 자빠지며) 이 아기가 무슨 죄가 있어요! 땅에 떨어지기

전부터 무슨 죄가 있다고 그러시오! 오오오.


절규, 좌절
⇢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했던 남편 때문에 ‘원봉이네’가 관가로 끌려감.
15 뒷부분 줄거리 최 주사댁이 쓰러져 있는 최원봉을 깨우자, 최원봉은 최 주사댁에게 자신을 왜 낳았
는지 물어본다. 최 주사댁은 최원봉에게 최원봉의 아버지인 박정식이 동학 운동을 하다가 붙잡혀 참
수를 당했고, 최원봉의 어머니(원봉이네)가 그를 낳고 하루 만에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최영순의 아버지와 최원봉의 아버지는 동학당에서 의형제를 맺은 사이라 최영순의 아버지가 최원봉
을 데려와 키웠으나, 최영순의 아버지도 동학 때 얻은 병으로 최영순이 태어나고 백일을 못 지내고
20 세상을 떠났다고 이야기한다. 최 주사댁은 자신도 처음에는 남편의 유언대로 최원봉과 최영순을 부부
로 맺어 주려고 했지만, 가정의 혼란을 막기 위해 최영순을 차혁과 맺어 주려고 했음을 고백한다. 최
원봉은 최 주사댁을 비난하고, 최 주사댁은 모든 것이 동학에서 잘못되었다고 절규한다. 결국 최영순
은 차혁과 약혼을 한다. 이후 일본에 갔던 정숙이 최원봉을 간호하겠다고 찾아오지만, 최원봉은 정숙
의 마음을 거절한다. 병이 나은 최원봉은 최영순의 결혼에도 우호적인 관심을 보이고, 정숙과도 각자
25 나아갈 삶의 방향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확인 문제 경 묵형. 죄인의 이마나 팔


1. 이 작품에서 ‘최원봉’은 ‘집돼지’를 부정적
가장 기억에 남는 인물과 그 이유 나의 뚝 따위에 먹줄로 죄명을 써
으로 인식하고 있다.  (, ×) 감상 넣던 형벌이다.
2. 이 작품은 ‘발단–전개–위기–절정–결 ‘최원봉’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수많은
갈등을 겪으며 괴로워하는 그의 모습이 너무 안타까 사문난적 성리학에서, 교
말’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 ×)
3. 이 작품은 일제에 대한 적극적 저항 의지 웠고, 그러한 시련에도 자신의 사명을 고민하는 모습 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
를 드러낸 작품이다. (, ×) 이 대단해 보였다. 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4. 이 작품에서 ‘최원봉’을 빗대어 표현한 단 이르는 말.
어를 찾아 쓰시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1.  2. × 3. × 4. 산돼지 DVD–학습지, 쪽지 시험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39

책1.indb 239 18. 11. 23. 오후 5:44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최원봉’의 입장에서 인물 간의 관계와 갈등의 이유를 파악해 보자.


1 이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 간의 관계를 ‘최원봉’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자.

동학당
‘원봉이네’ ‘박정식’
지도 방안 친아버지
친어머니
등장인물의 대사와 행동
을 통해 사건이 전개되는 ‘최원봉’
희곡의 특성을 고려하여,
줄거리, 등장인물의 성격, 양어머니 친구
갈등 관계 등을 파악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동생
‘최 주사댁’ ‘차혁’
약혼자
‘최영순’

2 ⑴의 활동을 바탕으로, ‘최원봉’과 갈등하는 인물들을 찾고 그 이유를 말해 보자.


•‘차혁’: ‘최원봉’은 바자회 수익금을 써 버린 일로 불신임을 당하자 청년회를 관두려고 하고, ‘차혁’은 그것을 덮어
주려고 함. 또한, ‘최원봉’은 ‘차혁’과 ‘최영순’의 사랑에 질투심을 느낌.
•‘최 주사댁’: 출생의 비밀로 갈등하며, ‘최원봉’이 ‘최 주사댁’을 비난함. 또한, ‘최원봉’은 ‘차혁’과 ‘최영순’의 교제를
반대하지만, ‘최 주사댁’은 찬성함.

2
•‘최원봉’의 내적 갈등: 사회 개혁에 대한 숙명을 인식하면서도 현실의 무기력함 사이에서 극심한 정신적 갈등을 느낌.
다음 ‘최원봉’의 대사에서 비유하는 인물을 찾고, 등장인물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까닭
을 생각해 보자.

도움말 | 이 작품에서
최원봉 옛날 옛적에 상놈 하나가 있는데 죽을 때 친구 되는 양반에게 삽살개 한
‘최원봉 ’은 동학군의 아 ‘최원봉’의 친아버지 ‘최 주사’ 부부 ‘최원봉’
들로, 친어머니 ‘원봉이 마리를 선사로 주었더래요. 이 양반님은 그걸 받아 가지고 어찌 귀여운지 보물
네’가 죽어 ‘최 주사댁’에 과 음식을 넣어 둔 곳간 옆에다가 매 두고 도적놈을 지키라고 했더래요. 그런데
맡겨진다. ‘최영순’의 아 ‘최영순’ ‘차혁’
그 놈의 삽살개는 도적 지킬 줄을 알아야지요. 도리어 도적놈한테 몽둥이만 얻
버지인 ‘최 주사’는 죽을
때 ‘최원봉’과 ‘최영순’을 어맞고 한마디 짖지도 못하고 있었더랍니다. 그러니 그 양반 놈의 속이 얼마나
혼인시키라고 유언한다.
상할 것이오?
그러나 ‘최 주사댁’은 ‘최
영순’과 ‘차혁’을 이어 주
려고 한다. 상놈 양반 삽살개 보물과 음식 도적놈

지도 방안 ‘ 최원봉’의 친아버지 ‘최 주사’ 부부 ‘최원봉’ ‘최영순’ ‘차혁’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바
탕으로 ‘최원봉’의 대사에 등장인물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까닭: ‘최원봉’은 자신의 출생이나 가족 관계에 대해 스스로 짐작하고 있는 내
서 비유하는 인물들을 찾
용을 옛날이야기에 빗대어 ‘최 주사댁’에게 전하고 있다. 이는 ‘최 주사댁’에게 자신이 짐작하고 있는 내용의 사실 여부
아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를 확인하고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 싶은 마음을 나타내고, 계속해서 ‘최원봉’의 말을 못 알아듣는 척하는 ‘최 주사댁’에
또한, 이러한 비유적 표현
을 사용한 까닭도 생각해 게 반감을 표하기 위한 것이다.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24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40 18. 11. 23. 오후 5:44


문학과 시대 상황

지도 방안 3 다음은 앞의 본문에 제시되지 않은 내용으로, ‘최원봉’의 꿈속 장면이다. 이 내용을 통


‘최원봉’의 친아버지가 산 해 ‘산돼지’의 의미와 당시 사회에 이 작품이 미친 영향을 생각해 보자.
돼지 탈을 ‘최원봉 ’에게
씌우려 하는 장면의 상징
성과 ‘최원봉’이 인식하고
있는 현재 자신의 처지를
최원봉 일전에 내가 어떤 무서운 꿈을 꾼지 아시오? 나는 어머니만큼이나 아버지
비교하며, ‘최원봉’의 친아 도 원망이오, 아버지도!┏자기는 동학인가 무엇에 들어가지고 나라를 위해, 중생을
버지와 ‘최원봉 ’이 지닌 ‘최원봉’의 친아버지
의식의 차이를 생각해 볼 위해, 백성을 위해, 사회를 위해 죽었다지만 결국은 집 안에다 산돼지 한 마리 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산

┛:

‘최원봉’의 친아버지는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했다가 참수당했음. ‘최원봉’
두어 놓고 만 셈이야! 반백이 된 머리털이 핏줄기 선 부릅뜬 눈 위에 흐트러져 가
돼지’의 의미를 당시 사회
상황과 관련하여 탐구해 지고 이를 악물고서는 대드는구려. “이놈, 네가 내 뜻을 받아 양반 놈들 탐관오리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들 썩어 가는 선비 놈들 모두 잡아 죽이고 내 평생소원이던 내 원수를 갚지 않으
‘최원봉’의 사명
부젓가락 화로에 꽂아 두고 면……. 흐흐흐흐, 산돼지 탈을 벗겨 주지 않겠다.”라고! 저승에 들어가서라도 그
불덩이를 집거나 불을 헤치는 산돼지 탈이 벗어지지 않게 얼굴에다가 못 박아 두겠다고 대들면서 부젓가락
데 쓰는 쇠로 만든 젓가락.
만 한 왜못에다가 주먹만 한 철퇴를 갖고 덤벼드는구려! 아버지 뜻을 받아 사
왜못 쇠로 만든 못의 하나.
회를 위해 민족을 위해 원수 갚고 반역하라고 가르쳐 주면서도 산돼지를 못난
철퇴 쇠몽둥이. ‘최원봉’의 사명 현실에 안주하며 살아가는 사람들
반역하라고 통치자에게서
이만 뒤끓는 집 안에다가 몰아넣고 잡아매어 두는구려. 울 안에다가 집어넣고
사명을 이루기에 적절하지 않은 환경
나라를 다스리는 권한을 빼앗 구정물도 변변히 주지 않으면서! 흐흐흐흐흐! 산돼지 산돼지 산돼지! 흐흐흐흐!
으라고.

1 ‘최원봉’의 친아버지와 ‘최원봉’의 의식의 차이점을 파악해 보자.

‘최원봉’의 친아버지 ‘최원봉’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하여 나라, 중생, 백성, 아버지의 역사의식을 계승해야 한다는 운명을
사회를 위해 죽었을 정도로 실천적이고 강한 인식하면서도, 현실적 제약에 대해 불만감과
역사의식을 지님. 무기력감을 느낌.

2 ⑴을 바탕으로 ‘산돼지’의 의미를 파악해 보고, 그 의미와 관련하여 이 작품이 1920년


대 당시 지식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을지 생각해 보자.
•‘산돼지’의 의미: ‘산돼지’는 동학당이었던 아버지의 역사의식을 계승하여 사회 개혁에 대한 숙명을 지녔으나,
일제 강점기라는 시기에 현실의 장벽에 부딪혀 ‘집돼지’처럼 아무런 행동도 하지 못하고 갈등하는 ‘최원봉’을
가리킨다.
•이 작품이 1920년대 당시 지식인들에게 미쳤을 영향: 1920년대는 일제 강점기로, 암담하고 절망적인 시대였다.
이 작품에 나타난 것처럼 당대의 지식인들은 사회 개혁에 대한 숙명을 인식하면서도 수많은 현실의 장벽에 좌
지도 방안 절감과 무기력감을 느끼며 정신적 갈등을 경험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을 감상한 지식인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개 감상 다지기 들은 ‘최원봉’의 삶에 깊이 공감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내적인 갈등에서 멈추는 것이 아
성에 대해 생각해 보고, 니라, ‘최원봉’이 병에서 완치되고 ‘정숙’과 앞으로 나아갈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하며 희곡
그것을 빗대어 표현할 수 의 내용이 마무리되는 것처럼 새로운 세상에 대한 희망을 다시 품었을 것이다.
있는 동물과 그 이유를 써
보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 4 자신의 개성을 빗대어 표현하고 싶은 동물을 골라 보고, 그 이유를 말해 보자.
이 자신의 긍정적인 측면
의 개성을 발견할 수 있도 동물 이유
록 유도한다. 이러한 과정
을 통해 작품에 사용된 표 돌고래가 넓은 바다를 무리 지어 자유롭게 헤엄치는 것처럼, 활발하고 사교적인 나의
현 기법을 효과적으로 이 돌고래
성격을 돌고래에 빗대어 표현하고 싶다.
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41

책1.indb 241 18. 11. 23. 오후 5:44


감상을
작품 1 산돼지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산돼지」는 일제 강점기 한 청년 지식인의 정신적 갈등과 식민지의 억압적 상황 및 봉건적
지도 방안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인습 속에서 몸부림치는 좌절을 형상화한 희곡으로, 제목인 ‘산돼지’는 사회 개혁에 대한 숙명
품의 배경이 된 시대의 특 을 지녔으나 현실의 장벽에 부딪혀 집돼지처럼 아무런 행동도 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주인공
징과 작품의 제목이 지닌
상징적 의미 등을 바탕으
‘최원봉’의 모습을 의미한다. 이러한 ‘최원봉’의 내면적 갈등과 의식 세계는 표현주의 기법을
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학 통해 몽환 장면으로 그려져 있다. 한편 ‘최원봉’은 꿈속에서 동학당이었던 아버지가 자신에게
생들과 함께 읽거나 간단
산돼지 탈을 씌우려는 환상을 보는데, 이는 무력한 현실에서 아버지가 남긴 역사적 사명을 부
히 질문을 하면서 작품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할 수 담스러워하는 ‘최원봉’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사명과 무기력
있도록 지도한다.
한 현실 사이에서 정신적 갈등을 겪던 당시 1920년대 식민지 지식인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극예술 협회
‘지식 창고’에서는 ‘극예술 ‘극예술 협회’는 일본 도쿄에서 공부 중이던 김우진, 조명희, 유춘섭 등의 유학생들이 1920년
협회 ’에 대하여 소개하였
에 조직한 연극 연구 단체이다. 이들은 주로 서양의 고전극과 근대극 작품을 연구하고 토론하
다. 이 작품의 작가인 ‘김
우진’이 활동한 ‘극예술 협 였다. 1921년에는 ‘극예술 협회’의 유학생들이 귀국하여 전국을 순회하면서 다양한 연극을 공
회 ’에 대해 살펴보고, 이 연하였는데, 이들의 공연 활동은 학생극 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또한 이전 시기의 신파극 공
단체가 지닌 연극사적 의
의와 함께 작가의 연극 연 연과는 다른 근대극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이들 중 대부분이 한국 근대극의 중심적 활동을 펼
구 단체의 활동이 작품에 쳤다는 점에서 연극사적 의의를 지닌다.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이해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갈래 김우진
인물
‘더 읽어 보기 ’에서는 「산
돼지」와 관련하여 갈래와
인물의 측면에서 함께 감
상하면 좋을 작품을 엮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로 작 「소」 유치진 「국물 있사옵니다」 이근삼
품을 감상해 보고, 일제 강
점기라는 시대 상황을 고 1930년대 가난한 소작농과 마름의 갈 성실하던 청년이 인생관의 변화를 겪
려한 작품의 주제와 시대 등을 통해 농촌의 궁핍과 모순을 그린 으며 변해 가는 모습을 풍자한 희곡. 시
상황에 대처하는 인물의
희곡. 일제 강점기에 쓰인 희곡이라는 측 대 상황에 대처하는 인물의 태도에 주목
태도를 살펴볼 수 있도록
면에서 두 작품의 주제를 비교해 보자. 하여 감상해 보자.
이끌어 준다.

24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42 18. 11. 23. 오후 5:44


1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의 현실을 태평세월로 믿는 주인공 ‘윤 직원 영감’을 통해 당시의 현실을 풍자적으로 그린

2
소설이다. 인물의 비윤리적이고 반사회적인 모습을 통해 당대 사회의 모순과 중산층의 삶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
작품
으며, 서사 문학의 구현 양상을 파악해 볼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작품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


여 등장인물들의 현실 인식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태평천하 太平天下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채만식

윤 직원 영감
서울의 대지주임. 독선적이고 채만식
인색하며 처세에 능함. (1902~1950)

소설가. 당시 지식인 사회
윤창식(윤 주사)
의 고민과 약점을 풍자하고,
윤 직원 영감의 아들로
노름으로 가산을 탕진함. 사회 부조리와 갈등을 사실
윤종학 적으로 묘사하는 작품을 주
윤종수 윤 직원 영감이 아끼는 손자로 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레
윤 직원 영감의 일본 유학 중임. 디메이드 인생」, 「탁류(濁
손자로 방탕한 流)」 등이 있다.
생활을 함.

핵심 갈래 풍자 소설, 가족사 소설
정리
성격 비판적, 풍자적, 반어적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앞부분 줄거리 서울의 대지주인 윤 직원 영감은 인력거의 삯도 깎으려 하고, 기생을 데리고 다니면
1930년대 일제 강점기,
05 서도 아무것도 주려고 하지 않는 구두쇠이다. 그런 그에게도 구한말 화적들에게 아버지가 죽임을 당 배경
서울
한 아픈 기억이 있다. 그래서 윤 직원 영감은 일본인들이 불한당을 막아 주고 자신의 안전을 보장해 제재 일제 강점기의 타락한 삶

준다고 생각하여, 진심으로 그들에게 고마워하며 경찰서 무도장을 짓는 데 아낌없이 기부한다. 그는 부조리한 사회 현실에 대
주제
한 풍자적 비판
재산을 지키기 위해 양반을 사고 족보에 도금을 하는 한편, 손자 윤종수와 윤종학을 군수와 경찰서장

희화화의 방식으로 풍
으로 만들어 가문을 빛내고자 한다. 그러나 아들 윤창식은 노름을 하며 가산을 탕진하고, 손자 윤종수 자의 효과를 높임.
방언과 구어체 및 판소
10 또한 방탕한 생활을 한다. 며느리나 손자며느리도 고분고분하지가 않고 딸은 남편과 사별한 후 와서 특징
리 사설의 문체를 사용
같이 살고 있다. 윤 직원 영감은 일본에서 유학 중인 손자 윤종학에게 모든 기대를 걸고 있다. 하여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함.
‘윤 직원 영감’은 ‘윤종학’이 사상 관
계로 피검되었다는 전보를 받음. 직원 일제 강점기에, 향교
절정 15. 망진자(亡秦者)는 호야(胡也)니라 나 경학원의 직무. 또는 그
진나라를 망하게 할 자는 ‘호해’라는 자식이라는 뜻 → 사건 전개를 암시함. 직무를 맡아 하던 사람.
일찍이 윤 직원 영감은, 그의 소싯적 윤 두꺼비 시절에, 재갸 부친 말 대가
화적 불한당. 떼를 지어
작중 인물들의 천박한 별명들로 풍자의 효과를 얻음.
리 윤용규가 화적의 손에 무참히 맞아 죽은 시체 옆에 서서, 노적이 불타느라 돌아다니며 재물을 마구 빼
앗는 사람들의 무리.
15 고 화광이 충천한 하늘을 우러러 재갸 자기 또는 자신을 뜻
타는 불의 빛 하늘을 찌를 듯이 공중으로 높이 솟아오른
함.
“이놈의 세상, 언제나 망하려느냐? ”
‘윤 직원 영감’의 비윤리적이고 이기적인 가치관이 드러남. 노적 곡식 따위를 한데에
“우리만 빼놓고 어서 망해라!” 수북이 쌓음. 또는 그런 물건.
전체 구성 ※ 교과서 수록 내용은 ‘절정~결말’ 부분임.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인력거를 탄 ‘윤 직원 영 ‘윤 직원 영감’의 집 ‘윤 직 원 영 감 ’ 은 ‘윤 직원 영감’은 ‘윤종 ‘윤 직원 영감’은 ‘윤종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43
감’이 그 삯 때문에 인력 안 내력과 재산 축 둘째 손자인 ‘윤종 학’이 사상 관계로 피검 학’이 사회주의 운동을
거꾼과 승강이를 함. 적 과정을 제시함. 학’에게 기대를 걺. 되었다는 전보를 받음. 한 것에 분노함.

문학 주석교과서(230~299)4단원②.indd 243 19. 8. 27. 오후 6:37


하고 부르짖은 적이 있겠다요.
판소리적 문체 : 조롱하는 어투를 통해 인물에 대한 서술자의 부정적 태도를 드러냄.
이미 반세기 전,┏그리고 그것은 당시의 나한테 불리한 세상에 대한 격분된

┛: 편집자적 논평
저주요 겸하여 웅장한 투쟁의 선언이었습니다.
반어적, 냉소적, 풍자적 ┛
‘-겠다요 ’라는 어미의 반 해서 윤 직원 영감은 과연 승리를 했겠다요. 그런데…….
복에서 연상되는 전통적 갈 편집자적 논평. 나라는 망했고, ‘윤 직원 영감’은 부자가 됨.
⇢ ‘윤 직원 영감’의 과거
래는 무엇인가?
‘-겠다요’와 같은 경어체는 판 식구들은 시아버지 윤 직원 영감이 보기가 싫은 건넌방 고 씨만 빼놓고, 서 05
소리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윤 직원 영감’이 늘그막에 둔 어린 아들 ‘윤 직원 영감’의 며느리
울 아씨, 태식이, 뒤채의 두 동서, 모두 안방에 모여 종수를 맞이하는 예를 표
‘윤 직원 영감’의 딸 큰손자 며느리 ‘박 씨’, 둘째 손자 며느리 ‘조 씨’ ‘윤 직원 영감’의 큰손자
하고, 그들의 옹위 아래 윤 직원 영감과 종수는 각기 아랫목과 뒷벽 앞으로 갈

라 앉았습니다. 방금 점심 밥상을 받을 참입니다.

“너 경손 애비, 부디 정신 채리라……!”

윤 직원 영감이 종수더러 곰곰이 훈계를 하던 것입니다. 안식구가 있는 데라 10

점잖게 경손 애비지요.

“……정신을 채리야 헐 것이 늬가 암만히여두 네 아우 종학이만 못히여! 종


‘윤 직원 영감’의 둘째 손자–작품에서 유일하게 긍정적인 인물
학이는 그놈이 재주두 있고, 착실히여서, 너치름 허랑허지두 않고 그럴 뿐
처럼
더러 내년 내후년이머넌 대학교를 졸업허잖냐? 내후년이지?”

“네.” 15

‘ 윤 직원 영감 ’이 ‘ 윤종수 ’ “그렇지?
 응, 그래, 내후년이먼 대학교 졸업을 허구 나와서, 삼 년이나 다직
와 ‘ 윤종학 ’에게 거는 기대
는 무엇인가? 사 년만 찌들어 나머넌 그놈은 지가 목적헌, 요새 그 목적이란 소리 잘 쓰더
‘윤 직원 영감 ’은 가문의 발 구나, 응? 목적……. 목적헌 경부가 되야 각구서, 경찰서장이 된담 말이다!
전을 위해 ‘윤종수’는 군수가 ‘윤 직원 영감’이 ‘윤종학’에게 거는 기대
되고, ‘윤종학’은 경찰서장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응? 알겄어.”

옹위 주위를 둘러쌈. “네.” 20

허랑허지두 허랑하지도.
“그러닝개루
 너두 정신을 바싹 채리 각구서, 어서어서 군수가 되야야 않겄
언행이나 상황 따위가 허황 ‘윤 직원 영감’이 ‘윤종수’에게 거는 기대
하고 착실하지 못하지도. 냐? …… 아, 동생 놈은 버젓한 경찰서장인디, 형 놈은 게우 군 서기를 댕기
겨우
구 있담! 남부끄러서 어쩔 티여? 응? ……┏아 글씨, 군수 되구 경찰서장 되구
다직 ‘기껏 ’의 뜻을 나타
내는 말.
경부 대한 제국 때에, 경 허머넌, 느덜 좋구 느덜 호강이지, 머 그 호강 날 주냐? 내가 이렇기 아등아
찰 고등관인 경시의 아래,

┛:

자신의 희망을 손자들의 희망인 것처럼 표현함. - 윽박지르는 모습에서 ‘윤 직원 영감’의 본색이 드러남.
경부보의 위에 있던 판임 경 등 잔소리를 허넌 것두 다 느덜 위히여서 그러지, 나는 파리 족통만치두 상 25

찰관.
관읎서야! 알아듣냐? ”
족통 ‘발 ’을 속되게 이르
서술상의 특징과 효과
는 말. “네―.”
서술상의 특징 효과

서술자의 편집자적 논평이 나타남. 
서술자의 개입을 통해 작가의 의도대로 인물을 비
‘-겠다요’, ‘-ㅂ니다’ 등과 같은 어투 판함.
244 4. 한국 문학의 역사
를 사용함. 경어체 문장을 통해 인물을 조롱하고 희화화함.
방언이나 비속어를 사용하고, 상황 방언, 비속어, 반어적 표현 등을 사용하여 대상을
을 반어적으로 표현함. 희화화하고 격하하여 웃음을 유발함.

책1.indb 244 18. 11. 23. 오후 5:44


“그놈
 종학이는 참말루 쓰겄어! 그놈이 어려서버텀두 워너니 나를 자별허게
워낙
따르구, 재주두 있구 착실허구, 커서두 내 말을 잘 듣구……. 내가 그놈 하나

넌 꼭 믿넌다 꼭 믿어. 작년 올루 들어서 그놈이 돈을 어찌 좀 히피 쓰기는


‘윤종학’에 대한 ‘윤 직원 영감’의 기대와 총애 헤프게
허넝가 부더라마는, 그것두 허기사 네게다 대머는 안 쓰는 심이지. 사내자식
05 이 너처럼 허랑허지만 말구서, 제 줏대만 실헐 양이면 돈을 좀 써두 괜찮언
자기 생각만 제대로 갖추고 있으면
법이여……. 그리서 지난달에두 오백 원 꼭 쓸 디가 있다구 핀지히였길래,
‘윤종학’에 대한 ‘윤 직원 영감’의 신뢰
두말 않고 보내 주었다!” ⇢ ‘윤종수’를 훈계하는 ‘윤 직원 영감’

마침 이때, 마당에서 헴헴, 점잖은 밭은기침 소리가 납니다. 창식이 윤 주사


‘윤 직원 영감’의 아들(‘윤 주사’)
가 조금 아까야 일어나서, 간밤에 동경서 온 전보 때문에 억지로 억지로 큰댁 ‘전보’의 기능
‘윤 주사’가 방문한 이유 ‘윤종학’이
 사회주의 운동
10 행보를 하던 것입니다. 을 하다가 피검되었음을
알림.
윤 주사는 토방으로 내려서는 아들 종수더러 언제 왔느냐고 심상히 알은체 사건 전개에 극적인 반전
을 유도하며, ‘윤 직원 영
를 하면서, 역시 토방으로 내려서는 두 며느리의 삼가로운 무언의 인사와, 마 감’ 집안의 몰락을 예고
근심스럽게 말없이 드리는 인사 함.
루까지만 나선 이복 누이동생 서울 아씨의 입인사를 받으면서, 방으로 들어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 때문에 작품 전면에
서는 부친 윤 직원 영감한테 절을 한자리 꾸부리고서, 아들 종수한테 한자리 등장시키기 어려운 ‘윤종
절을 한 번 하고서(서술자의 냉소적 태도) 학’을 간접적으로 제시함.
15 절과, 이복동생 태식이한테 경례를 받은 후, 비로소 한옆으로 꿇어앉습니다.

“해가 서쪽으서 뜨겄구나? ”


⇢ ‘윤 주사’의 방문 ‘윤 주사 ’를 대하는 ‘윤 직
원 영감 ’의 태도는 어떠한가?
윤 직원 영감은 아들의 이렇듯 부르지도 않은 걸음을, 더욱이나 안방에까지
‘윤 주사’의 방문을 의아해하
며 못마땅해하고 있다.
들어온 것을 이상타고 꼬집는 소립니다.

“……멋허러 오냐? 돈 달라러 오지?”


‘윤 주사’가 돈이 필요할 때만 찾아왔음을 알 수 있음.
자별허게 본디부터 남다
20 “동경서 전보가 왔는데요…….”
‘윤종학’의 피검을 알리는 소재로, 극적 반전을 유도함. 르고 특별하게.
┏지체를 바꾸어 윤 주사를 점잖고 너그러운 아버지로, 윤 직원 영감을 속 사

밭은기침 병이나 버릇으
┛: 편집자적 논평–‘윤 직원 영감’의 경망스러운 모습을 비꼼.
로 소리도 크지 아니하고 힘
납고 경망스런 어린 아들로 둘러놓았으면 꼬옥 맞겠습니다.
┛ 도 그다지 들이지 않으며 자

“동경서? 전보?” 주 하는 기침.


심상히 대수롭지 않고 예
“종학이 놈이 경시청에 붙잽혔다구요!” 사롭게.
‘전보’의 내용
25 “으엉? ” 한옆 한쪽 옆.
지체 어떤 집안이나 개인
외치는 소리도 컸거니와, 엉덩이를 꿍 찧는 바람에, 하마 방구들이 내려앉을 이 사회에서 차지하고 있는
신분이나 지위.
뻔했습니다. 모여 선 온 식구가 제가끔 정도에 따라 제각기 놀란 것은 물론이
둘러놓았으면 방향을 바
구요. 등장인물 간의 관계 및 특징
꾸어 놓았으면.
‘윤 직원 사회주의가 가진 자의 것을 빼앗아 평등한 세상을 만들려는 것이므로 불한당 패보
1대
영감’ 다 더 나쁜 것이라고 생각함.
2대 ‘윤창식’ ‘윤 직원 영감’에게 신임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노름으로 가산을 탕진함.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45
‘윤종수’ ‘윤 직원 영감’은 ‘윤종수’가 군수가 되길 바라고 있으나, ‘윤종수’는 방탕한 생활을 함.
3대
‘윤종학’ ‘윤 직원 영감’이 총애하지만, 사회주의 운동 때문에 피검된 후 크게 실망함.

책1.indb 245 18. 11. 23. 오후 5:44


┏윤 직원 영감은 마치 묵직한 몽치로 뒤통수를 얻어맞은 양, 정신이 멍해서

┛: 충격을 받은 ‘윤 직원 영감’의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함.
입을 벌리고 눈만 휘둥그랬지, 한동안 말을 못 하고 꼼짝도 않습니다.
⇢ ‘윤종학’의 피검 소식을 들은┛‘윤 직원 영감’
그러다가 이윽고 으르렁거리면서 잔뜩 쪼글트리고 앉습니다.

“거, 웬 소리냐? 으응? 으응?…… 거 웬 소리여? 으응? 으응?”

“그놈 동무가 친 전본가 본데, 전보가 돼서 자세는 모르겠습니다.” 05

윤 주사는 조끼 호주머니에서 간밤의 그 전보를 꺼내어 부친한테 올립니다.

윤 직원 영감은 채듯 전보를 받아 쓰윽 들여다보더니 커다랗게 읽습

니다. 물론 원문은 일문이니까 몰라보고, 윤 주사네 서사 민 서

방이 번역한 그대로지요.

“종학,
 사 ― 상 관계 ― 로, 경 ― 시청에 피검!…… 이라 10
‘윤종학’이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경시청에 잡혀감.
니? 이게 무슨 소리다냐?”

“종학이가 사상 관계로 경시청에 붙잽혔다는 뜻일 테

지요!”

“사상 관계라니? ”

“그놈이 사회주의에 참예를…….” 15


참여
“으엉? ”

아까보다 더 크게 외치면서, 벌떡 뒤로 나동그라질 뻔하

┛: ‘윤종학’이
 사회주의에 참여하여 잡혀갔다는 말
다가 겨우 몸을 가눕니다.
┛ 에 놀라는 ‘윤 직원 영감’–망연자실(茫然自失)
┏윤 직원 영감은 먼저에는 몽치로 뒤통수를 얻어맞은 것같이
‘윤종학’이 경시청에 잡혀 들어갔다는 사실
멍했지만, 이번에는 앉아 있는 땅이 지함을 해서 수천 길 밑으로 꺼 20
‘윤종학’이 잡혀간 이유가 사회주의에 참여했기 때문이라는 사실
져 내려가는 듯 정신이 아찔했습니다.

┛:

‘윤종학’이 잡혀갔다는 사실보다 사회주의에 참여했다는 사실에 더 놀라는 ‘윤 직원 영감’
몽치 짤막하고 단단한 몽
그러나 그것은 결단코 자기가 믿고 사랑하고 하는 종학이의 신상을 여겨서
둥이.
서사 대서(代書)나 필사 가 아닙니다.
(筆寫)를 직업으로 하는 사
람. 윤 직원 영감은 시방 종학이가 사회주의를 한다는 그 한 가지 사실이 진실로
피검 수사 기관에 잡혀감. 옛날의 드세던 부랑당 패가 백 길 천 길로 침노하는 그것보다도 더 분하고, 물 25
지함 땅이 움푹 가라앉아
꺼짐. 론 무서웠던 것입니다.
침노하는 성가시게 달라 ┏진(秦)나라를 망할 자 호(胡)라는 예언을 듣고서, 변방을 막으려 만리장성을

붙어 손해를 끼치거나 해치 ┛: 소제목의 의미–‘윤 직원 영감’을 진시황에, ‘윤종학’을 호해에 비유하여 ‘윤 직원 영감’의 심리를 드러냄.
는. 쌓던 진시황, 그는 진나라를 망한 자 호가 아니요, 그의 자식 호해(胡亥)임을

소제목 ‘망진자(亡秦者)는 호야(胡也)니라’의 의미
진시황 때 도사였던 노생이 바다에 갔다가 괴이한 지도를 발견하여 왕에게 바쳤 ‘윤 직원 영감’의 집안
246 4. 한국 문학의 역사 는데, 그것에는 “망진자(亡秦者)는 호야(胡也)니라.”라는 문장이 쓰여 있었다. 진 을 망하게 하는 것은

시황은 이를 두려워하여 북쪽에 만리장성을 쌓아 오랑캐의 침입을 막으려고 했다. 내부의 자손들로, 특히
그런데 진나라를 망하게 한 것은 오랑캐가 아니라 그의 아들인 ‘호해(胡亥)’였다. ‘윤종학’임을 암시함.

책1.indb 246 18. 11. 23. 오후 5:44


눈으로 보지 못하고 죽었으니, 오히려 행복이라 하겠습니다. ‘ 진시황 ’과 ‘ 호해 ’에 해당
⇢ ‘윤종학’이 사회주의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윤 직원 영감’ 하는 인물은 각각 누구인가?
결말 “사회주의라니? 으응? 으응?…….”
‘진시황’에 ‘윤 직원 영감’이
┏윤 직원 영감은 사뭇 사람을 아무나 하나 잡아먹을 듯, 집이 떠나게 큰 소리 해당하고, ‘호해 ’에 ‘윤 직원
영감 ’의 자손인 ‘윤종학 ’이
‘윤 직원 영감’ ┏
┛: ‘윤 직원 영감’의 태도가 공격적으로 변함.
해당한다.
은 ‘윤종학’이 로 포효(咆哮)를 합니다.
사회주의 운 ┛
동을 한 것에05
┏“……으응? 그놈이 사회주의를 허다니! 으응? 그게, 참말이냐? 참말이여?”
분노함. ┏
: 관련 속담–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허긴
 그놈이 작년 여름 방학에 나왔을 때버틈 그런 기미가 좀 뵈긴 했어

요!”

“그러머넌 참말이구나! 그러머넌 참말이여, 으응!…….”

윤 직원 영감은 이마로 얼굴로 땀이 방울방울 배어 오릅니다.


제목 ‘태평천하’의 의미
10 “……그런 쳐 죽일 놈이, 깎어 죽여두 아깝잖을 놈이! 그놈이 경찰서장 허라 작품에 반영된
형벌이나 재앙으로 제 목숨대로 살지 못하고 비명에 죽음.
시대 상황
닝개루, 생판 사회주의 허다가 뎁다 경찰서에 잽혀? 으응?…… 오사육시를
이미 죽은 사람의 시체에 다시 목을 베는 형벌을 가함. 일제 강점기
헐 놈이, 그놈이 그게 어디 당헌 것이라구 지가 사회주의를 히여? 부자 놈의
견디기 힘든
일반
자식이 무엇이 대껴서 부랑당 패에 들어?…….” 고통스러운
민중
시기
아무도 숨도 크게 쉬지 못하고, 고개를 떨어뜨리고 섰기 아니면 앉았을 뿐, ‘윤 직원 태 평 스 럽 고
영감’ 평안한 시기
15 윤 직원 영감이 잠깐 말을 그치자 방 안은 물을 친 듯이 조용합니다. 
‘윤 직원 영감’의
“……오죽이나 좋은 세상이여? 오죽이나…….”
잘못된 역사의식을
‘윤 직원 영감’이 말하는 ‘태평천하’를 의미함.
반어적으로 풍자함.
윤 직원 영감은 팔을 부르걷은 주먹으로 방바닥을 땅 치면서 성난 황소가

영각을 하듯 고함을 지릅니다.


┏“화적패가
 있너냐아? 부랑당 같은 수령(守令)들이 있더냐? ……. 재산이 있

┛: ‘윤 직원 영감’이 살았던 사회의 모습
20 대야 도적놈의 것이요, 목숨은 파리 목숨 같던 말세(末世)넌 다 지내가고


오……. 자 부아라, 거리거리 순사요, 골골마다 공명헌 정사(政事), 오죽이

┛: 당시가 일제 강점기임을 알 수 있음.
나 좋은 세상이여……. 남은 수십만 명 동병(動兵)을 히여서, 우리 조선 놈

보호히여 주니, 오죽이나 고마운 세상이여? 으응?…… 제 것 지니고 앉어서 영각 소가 길게 우는 소리.


┛ ‘윤 직원 영감’이 생각하는 ‘태평천하’ 공명헌 공명한. 사사로움
편안허게 살 태평 세상, 이걸 태평천하라구 허는 것이여, 태평천하!…… 그 이나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
‘윤 직원 영감’의 가치관 ① : 비뚤어진 역사의식을 드러냄.
런디┏이런 태평천하에 태어난 부자 놈의 자식이, 더군다나 왜 지가 떵떵거리
이 공정하고 명백한.
25

┛: 나라가 식민지 상황이건 말건 개인만 잘살면 된다는 ‘윤 직원 영감’의 생각 정사 정치 또는 행정상의
구 편안허게 살 것이지, 어찌서 지가 세상 망쳐 놀 부랑당 패에 참섭을 헌담 일.
┛ ‘윤 직원 영감’의 가치관 ② : 사회주의를 부정적으로 생각함.
동병 군사를 일으킴.
말이여, 으응? ”
참섭 어떤 일에 끼어들어
땅 방바닥을 치면서 벌떡 일어섭니다. 그 몸짓이 어떻게도 요란스럽고 괄괄 간섭함.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47

책1.indb 247 18. 11. 23. 오후 5:44


한지, 방금 발광이 되는가

싶습니다. 아닌 게 아니라

모여 선 가권들은 방바닥 치

는 소리에도 놀랐지만, 이 어

른이 혹시 상성이 되지나 않는가 05

하는 의구의 빛이 눈에 나타남을 가

리지 못합니다.

“…… 착착 깎어 죽일 놈! …… 그놈을 내가 핀
‘윤종학’에 대한 분노 편지
지히여서, 백 년 지녁을 살리라구 헐걸! 백 년 지녁 살리라

구 헐 테여……. 오냐, 그놈을 삼천 석 거리는 직분[分財]히여 줄라구 히였더 10

┛: ‘윤종학’에게 재산을 나눠 주려 했음.
니, 오냐, 그놈 삼천 석 거리를 톡톡 팔어서, 경찰서으다가, 사회주의 허는

등장인물의 대조적 형상화
놈 잡어 가두는 경찰서으다가 주어 버릴걸! 으응, 죽일 놈!”
‘윤 직원 영감’, 마지막의 으응 죽일 놈 소리는 차라리 울음소리에 가깝습니다.
‘윤창식’, ‘윤종수’ 자신의 기대를 저버린 손자에 대한 울분을 보여 줌.

풍자와 비판의 대상 “…… 이 태평천하에! 이 태평천하에…….”
작품 전면에 등장함.


쿵쿵 발을 구르면서 마루로 나가고, 꿇어앉았던 윤 주사와 종수도 따라 일어 15

‘윤종학’
섭니다.
 일 하 게 긍 정 적 인

인물 “……그놈이, 만석꾼의 집 자식이, 세상 망쳐 놀 사회주의 부랑당 패에 참섭
작품 속에 실제로 등
장하지 않음. 을 히여. 으응, 죽일 놈! 죽일 놈!”

연해 부르짖는 죽일 놈 소리가 차차로 사랑께로 멀리 사라집니다. 그러나 몹

시 사나운 그 포효가 뒤에 처져 있는 가권들의 귀에는 어쩐지 암담한 여운이 20


‘윤 직원 영감’ 집안의 붕괴 암시
가권 호주나 가구주에게 스며들어, 가득히 어둔 얼굴들을 면면상고, 말할 바를 잊고, 몸 둘 곳을 둘러
딸린 식구.
보게 합니다. 마치 장수의 죽음을 만난 군졸들처럼…….
상성 본래의 성질을 잃어버
리고 전혀 다른 사람처럼 됨.
‘윤 직원 영감’의 몰락
⇢ 분노하는 ‘윤 직원 영감’과 불안함을 느끼는 가족들
지녁 징역. 죄인을 교도소에 확인 문제
가두어 노동을 시키는 형벌. 1. 이 작품은 가족사 소설이다. (, ×)
만석꾼 곡식 만 섬가량을 2. 이 작품에서 ‘윤 직원 영감’은 역사의식이 가장 인상적인 인물과 그 이유 나의
결여된 인물이다.  (, ×) 감상
거두어들일 만한 논밭을 가 ‘윤종학’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작품에서
3. 이 작품에서 사건 전개에 극적인 반전을
진 큰 부자를 비유적으로 이 실제로 등장하지는 않지만 사회를 위해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소재를 쓰시오.
르는 말. 나서는 모습이 아름다웠다.
4. 이 작품에서 작가의 가치관을 가장 잘 표
면면상고 아무 말도 없이 서 현한 등장인물을 쓰시오.
1.  2.  3. 전보 4. 윤종학 학습 자료 바로 가기
로 얼굴만 물끄러미 바라봄.
DVD–학습지, 쪽지 시험

248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48 18. 11. 23. 오후 5:44


지도 방안

학습
이 작품은 ‘윤 직원 영감’을 중심으로, 한 가족의 이야기가 전개되는 가족사 소설이다.
‘윤종학’에 대해 평가할 때는 전보를 받기 전과 후의 태도에 유의하여 살펴볼 수 있도록
감상 모으기 지도한다.

활 1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윤 직원 영감’이 다른 인물들을 어떻


게 생각하는지 정리해 보자.


‘윤종수’
3대
‘윤 직원 영감 ’ ‘윤창식’
현재 방탕한 생활을 하고 있
지만, 가문을 위해 군수가 되
1대 2대 기를 기대함.
도움말 | ‘윤종학 ’에 대
해 평가할 때는, ‘윤 직원 부자 평소에 방탕한 생활을 하 부자
영감 ’이 전보를 받기 전
관계 고 있으며, 돈이 필요할 관계
때만 ‘윤 직원 영감’을 찾 ‘윤종학’
과 받은 후의 태도를 각
아오는 아들로 여김. 3대
각 생각해 본다.
일본 유학 후에 경찰서장이
되기를 기대하였으나, 사회주
의 운동으로 피검되어 울분
을 터뜨리게 함.

문학과 시대 상황

지도 방안 2 당대의 현실에 대한 ‘윤 직원 영감’의 인식을 찾아보고, 이러한 인물을 표현한 작가의


이 작품이 발표된 1930년 의도를 살펴보자.
대 후반은 일제의 무단 통
치가 절정에 달하던 시점
인데, ‘윤 직원 영감’은 이 1 ‘윤 직원 영감’이 인식하는 현실의 모습과 그렇게 생각하는 근거를 찾아보자.
와 같은 현실을 살기 좋은
‘태평천하’로 인식하고 있 현실의 모습 근거
다. ‘윤 직원 영감’의 이러
한 잘못된 역사의식을 통
화적패와 불한당 같은 수령이 없음.
태평천하
해 작가가 표현하고자 했 •일제의 치안 유지와 공평한 정책 실시로 안정된 생활이 가능함.
(태평스럽고
던 시대 상황은 무엇인지, •일제가 군사 징병 정책으로 우리나라를 외세로부터 보호함.
편안한 세상)
이를 통해 작가가 말하고
자 하는 바와 의도는 무엇
인지 파악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윤 직원 영감’이 인식하는 현실과 작품 창작 당시의 현실 간의 차이를 파악해 보고,
이를 통해 작가가 의도한 것이 무엇인지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해 보자.

‘윤 직원 영감’이 인식하는 현실과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현실 간의 차이


이 작품이 발표된 1930년대 후반은 일제가 우리의 민족 문화를 말살하였고, 우리나라를 병참 기지화하여 인
적·물적 자원을 약탈하던 시기였다. 이로 인해 우리 민족이 겪은 심리적·물리적 고통은 매우 극심했다. 그
런데 ‘윤 직원 영감’이 이런 시대를 ‘태평천하’라고 인식하는 것은 그가 역사의식이 결여된 인물이며 친일파,
대지주로서 자신이 누리고 있는 것들에만 관심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작가는 ‘윤 직원 영감’을 통해 당시 반민족적, 반사회적, 친일적 성향을 지닌 사람들을 풍


작가의 자함과 동시에, 식민 치하의 바람직한 가치관과 현실 대응 방식이 무엇인가를 암시하고자
의도 한 것이다.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49

책1.indb 249 18. 11. 23. 오후 5:44


3 다음 글을 바탕으로 작품에 나타난 서술상 특징을 정리하고, 그 효과를 생각해 보자.
참고 자료 | 편집자적 논평 : 대상을 희화화하여 풍자하는 표현
작가가 서술자의 입을 통해 일찍이 윤 직원 영감은, 그의 소싯적 윤 두꺼비 시절에, 재갸 부친 말 대가리 윤
내용에 간여하여 주관적인 논 ‘윤 직원 영감’의 별명 ‘윤용규’의 별명
용규가 화적의 손에 무참히 맞아 죽은 시체 옆에 서서, 노적이 불타느라고 화광이
평을 하는 것으로, 고전 소설
의 전형적인 문체였으나 현대 충천한 하늘을 우러러
소설에도 다양한 형태로 응용 “이놈의 세상, 언제 망하려느냐? ”
되곤 한다.
“우리만 빼놓고 어서 망해라!”
지도 방안 하고 부르짖은 적이 있겠다요. : 판소리적 문체
이 작품은 서술자가 판소
이미 반세기 전, 그리고┏

그것은 당시의 나한테 불리한 세상에 대한 격분된 저주
리의 창자(唱者)와 같이 ┛: 편집자적 논평
경어체의 말투를 사용하 요 겸하여 웅장한 투쟁의 선언이었습니다. : 경어체
거나 독자에게 말을 건네 반어적 표현 ┛
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독 해서 윤 직원 영감은 과연 승리를 했겠다요. 그런데…….
편집자적 논평
자와의 거리를 좁히고 있
다. 또한, 서술자가 작품
속에 직접 개입하는 것도 서술자의 편집자적 논평이 나타남.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서
술상 특징을 정리하고 그
서술상 특징 ‘-겠다요’, ‘-ㅂ니다’ 등과 같은 어투를 사용함.

효과에 대해 생각해 볼 수 비속어를 사용하고, 상황을 반어적으로 표현함.


있도록 지도한다.

•서술자의 개입을 통해 작가의 의도대로 인물을 비판함.


효과
•경어체 문장을 통해 판소리하는 창자처럼 독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인물을 조롱하고 희화화함.
•비속어, 반어적 표현 등을 사용하여 대상을 희화화하고 격하하여 웃음을 유발함.

감상 다지기
의사소통
지도 방안
이 작품에서는 ‘윤 직원
4 오늘날의 시대상을 드러내는 신문 기사나 뉴스를 찾아 주요 내용을 쓰고, ‘천하’
라는 제목을 새롭게 만들어 발표해 보자.
영감 ’의 왜곡된 가치관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
해 일제 강점기를 ‘태평천 『아시아투데이』
출처: 날짜: 2016. 10. 09.
하 ’라며 반어적으로 표현
하였다. 이 작품에서 시대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사 오늘날 우리 시대의 모습, 국 어 천하
용한 표현 방식을 오늘날
기사 내용: “국어 수난 시대, 줄임말·외래어 합성 신조어 남용”
시대상에 적용해 봄으로
그야말로 국어 수난 시대다. 청소년층부터 정부 부처에 이르기까지 전 사회에 걸쳐 국어가 훼손되고
써 작품의 현재적 가치를
있는 실정이다. 뜻을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정체 모를 줄임말이 넘쳐 나고 우리말과 영어를 합성한
평가해 볼 수 있도록 지도
국적 불명의 신조어가 남용되는 등 국어 파괴 현상이 심각하다. 비문도 적지 않고, 띄어쓰기 문제는
한다.
더욱 심각하다. 국어를 올바르게 쓰도록 가정과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국어의 발전 및 보
전을 위한 제도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해야 한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행 평가

25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50 18. 11. 23. 오후 5:44


1

감상을
작품 2 태평천하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태평천하」는 일제 강점기의 상황을 살기 좋은 시절이라고 믿는 ‘윤 직원 영감’과 당대 사회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의 모순을 비판한 풍자 소설이다. 전체 15장으로 되어 있는 이 작품에는 각 장마다 제목이 붙
품에 나타나는 표현상의
어 있고, 서술자는 ‘-입니다.’ 식의 경어체 문장을 통해 판소리하는 창자(唱者)처럼 독자와 가
특징과 그 효과, 작가의 작
품 창작 의도 등을 바탕으 까운 위치에서 인물을 조롱하고 희화화하고 있다. 또한 서술자가 작품에 개입함으로써 인물에
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학
대한 작가의 생각과 판단이 보다 직접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이 작품에서는 부정적인 인
생들과 함께 읽거나 간단
히 질문을 하면서 작품에 물일수록 희화적 풍자가 강해지는데, 풍자의 대상이 되지 않는 인물은 둘째 손자인 ‘윤종학’뿐
대한 감상을 내면화할 수 이다. 이는 ‘윤종학’에 대한 작가의 긍정적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있도록 지도한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풍자
‘지식 창고’에서는 채만식 채만식의 소설에는 일제 강점기 지식인으로서 지녔던 시대 비판 정신을 풍자로 표현한 것이
소설에 나타나는 풍자 기
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많다. 풍자란 주어진 사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 않고 과장하고 왜곡하여 비꼼으로써 웃음
풍자의 개념과 해학과의 을 유발하는 방식이다. 해학의 웃음이 대상에 대해 동정적인 반면, 풍자의 웃음은 비판적이며
차이점에 대해 이해하고,
채만식의 대표적인 작품 대상을 부정적으로 표현하면서 희화화한다. 채만식은 「태평천하」에서 민족의식이 결여되고 이
인 「태평천하」, 「레디메이 기적인 ‘윤 직원 영감’을 통해 1930년대 조선의 비극적인 상황을 깊이 인식하고 근원적으로
드 인생」, 「치숙」에서 대상
비판하였다. 「레디메이드 인생」에서는 일제 강점기 지식인이 겪는 경제적 고통과 지적 갈등을
을 풍자하기 위해 사용한
다양한 풍자 기법을 살펴 지식인 스스로 풍자하는 형식으로 그려 내었으며, 「치숙」에서는 작가가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인물의 입을 통하여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인물을 부정하는 독특한 풍자 기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갈래 채만식
표현
‘더 읽어 보기’에서는 「태
평천하」와 관련하여 갈래
와 표현의 측면에서 함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을 엮
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로 「삼대」 염상섭 「흥부가」 작자 미상
작품을 감상해 보고, 가족
사 소설의 특징 및 판소리 일제 강점기에 할아버지, 아버지, 아 착한 동생 흥부와 욕심 많고 심술궂은
사설의 문체상 특징을 살 들 삼대가 살아가며 겪는 갈등과 대립을 형 놀부를 통해 권선징악의 주제를 이야
펴볼 수 있도록 이끌어 준
그린 소설. 가족사 소설의 특징을 살펴 기한 판소리. 판소리 사설의 문체상 특
다.
보며 감상해 보자. 징에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51

문학 주석교과서(230~299)4단원②.indd 251 18. 11. 29. 오후 3:55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의 시대 상황을 바탕으로 한 화자의 현실 인식과 자아 성찰의 태도가 잘 나타나 있는 시이다.

3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일제 강점기의 시대 상황이 반영된 부분을 살펴볼 수 있고, 화자의 태도를 바탕으로 당대 지
작품
식인의 고뇌와 갈등을 이해할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시이다.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바탕으로 화자


의 현실 인식과 자아 성찰적 태도를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쉽게 씌어진 시 詩 윤동주

윤동주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1917~1945) 시간적 배경: 암울한 시대, 자기 성찰의 시간

시인. 암울한 시대를 살아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05


공간적 배경: 일본
가는 지식인의 고뇌와 자기
성찰의 의식을 담은 작품을
부정적 현실에 대항할 실질적인 힘이 없는 존재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는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서시」, 「자화상」, 「별 헤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시를 쓰는 것에 대한 괴로움.
밤」 등이 있다. 한 줄 시(詩)를 적어 볼까,


핵심 갈래 자유시, 서정시 ┛: 현실적 고민과 거리가 있는 지식인의 삶
정리 ┏
성격 고백적, 반성적, 저항적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가족의 노고와 사랑
시가 쉽게 쓰이는 것에 대
제재
한 부끄러움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아
자기 성찰을 통한 암울한
주제
현실의 극복 의지
 자아의 대립과 화해를
두 대학(大學) 노 ― 트를 끼고 10
통해 시상을 전개함.
상징적 시어의 대립을 통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
특징
해 시적 의미를 강조함. ┛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하 ⇢ 1~4연: 암담한 현실에 괴로워하며 회의감을 느낌.
여 시적 대상을 구체화함.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육첩방 일본식 다다미 6 상실

장을 깔아 놓은 방. 다다미
는 보통 가로 석 자, 세로 여
나는 무얼 바라
섯 자 정도 크기임. 무기력함, 좌절감(하강적 이미지)
천명 타고난 운명.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15
무기력한 자신을 반성함.

전체 구성

1~4연 5~7연 8~10연


암담한 현실에 괴로워하며 회의감을 일제 강점기 상황에서 시를 쓰는 일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현실 극복의
느낌. 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낌. 의지를 다짐.

25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52 18. 11. 23. 오후 5:44


상징적 시어의 대립

‘밤비’, ‘어둠’ ‘등불’, ‘아침’



어둠의 이미지 밝음의 이미지
 
부정적 시대 현실 희망, 극복 의지, 긍정적 미래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詩)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 시를 쓰는 행위를 현실적·역사적 관점에서 성찰함.
부끄러운 일이다.
자기반성 ┛ ⇢ 5~7연: 일제 강점기 상황에서 시를 쓰는 일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낌.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1연의 변형·반복 - 현실 재인식
05 창(窓)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부정적 현실(일제 강점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희망, 극복 의지

시대(時代)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긍정적 미래(광복) 내면적 자아
: 시간이 흐르면 새로운 시대가 오듯
현실적 자아 ‘아침 ’ 또한 필연적으로 도래할 것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이라는 믿음.
내면적 자아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握手).
두 자아의 화해, 내적 갈등의 해소
⇢ 8~10연: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현실 극복의 의지를 다짐.
화자의 자아 분열과 화합
가장 인상적인 시행과 그 이유 나의
감상 현실의 ‘나’ 이상의 ‘나’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라는 
현실적 자아
시행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긍정적인 미래를 기다리 
내면적 자아
암울한 시대 상황에 무기력한 삶
는 화자의 모습에서 현실을 극복하겠다는 강한 의지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지님.
을 살고 있음.
가 느껴졌기 때문이다.

분열된 두 자아가 화해함.
‘최초의 악수’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다짐.
확인 문제

1. 이 작품에는 화자의 자아 분열이 나타난다. (, ×) 학습 자료 바로 가기


2. 이 작품에서 화자는 무력한 자신을 반성하고 있다. (, ×) DVD–학습지, 쪽지 시험
3. 이 작품에서 ‘밤비’는 고요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 ×)
4. 이 작품에서 내적 갈등의 해소를 뜻하는 시어를 찾아 쓰시오.
5. 이 작품에서 긍정적인 미래를 상징하는 시어를 찾아 쓰시오.
1.  2.  3. × 4. 악수 5. 아침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53

책1.indb 253 18. 11. 23. 오후 5:44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의 배경을 나타내는 시구를 찾아보자. 그리고 이를 통해 화


자가 처한 상황을 파악해 보자.

동 시간적 배경을 나타내는 시구 공간적 배경을 나타내는 시구

지도 방안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은 남의 나라’

작품에 나타난 시구를 근


거로 화자가 어떤 시간과
공간 속에 놓여 있는지 파
악하면서, 화자가 처한 상
황을 유추할 수 있도록 지 화자의 상황: 화자는 대학에서 강의를 듣는 대학생인데, ‘육첩방’으로 짐작할 때 일본에 유학 중이다. 그
도한다. 리고 비가 내리는 밤에 자신의 삶에 대하여 성찰하고 있다.

지도 방안 2 이 작품의 각 연에 나타나는 화자의 정서를 중심으로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자.


이 작품은 주요 내용에 따
라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주요 내용
있다. 제시된 부분의 주요
내용을 화자의 정서를 중 1~4연 암담한 현실에 괴로워하며 회의감을 느낌.
심으로 정리해 볼 수 있도
록 지도한다. 5~7연 일제 강점기 상황에서 시를 쓰는 일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낌.

8~10연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현실 극복의 의지를 다짐.


지도 방안
이 작품이 창작된 1940년대는 일제에 의한 무단 통치와 민족 탄압이
극심해져 지식인들의 삶이 더욱 무기력해진 시기였다. 시대적 상황과
관련한 자료를 활용하여 시대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후, 이를 바
문학과 시대 상황
자료  .정보 활용
3
탕으로 시구에 반영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려하여 시구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1 이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시대 상황에 대해 알아보자.


도움말 | 책이나 인터넷
을 통해 당시의 시대 상
황을 살펴볼 수 있는 다
2 ⑴을 바탕으로 시구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과 ‘부끄러운 일’의 의미에 대해
양한 자료와 정보를 찾아
활용한다. 생각해 보자.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 ‘부끄러운 일’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고 이에 저항하는 독립운동이
시를 쓰는 일을 시대 현실과 괴리된 것으로 생각하
일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의 치열함을 담지 못하는
며, 부정적인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
시를 쓰는 일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고뇌와 역사적
하지 못하는 스스로를 부끄럽게 여기고 있다.
관점에서의 성찰이 담겨 있다.

이 작품은 1942년에 창작되었다. 일제는 1931년에 만주 사변을 일으켜 중국 대륙으로의 침략을 시작하였고, 자신
들의 침략 전쟁 수행을 위해 우리나라를 병참 기지화하고 인적·물적 자원을 약탈하였다. 또한 황국 신민화, 신사
참배 및 일본식 성명 강요 등 민족 문화 말살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때 중국 상하이나 만주 등에서는 항일 독립운
254 4. 한국 문학의 역사 동 단체들의 항일 무장 투쟁이 전개되었다. 윤봉길 의사는 1932년 중국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에서 열린, 일본 천
황의 생일을 기념하는 축하식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인 대장을 죽인 뒤 일본 경찰에게 붙잡혀 오사카에서 순국하
였다. 이봉창 의사는 1932년 일본 도쿄에서 일본 천황에게 수류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검거되어 순국하였다.

책1.indb 254 18. 11. 23. 오후 5:44


지도 방안
이육사의 「광야」는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인 ‘광야’를 제재로 하여 일제 강점기의 절망적
인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광명의 세계를 염원하는 미래 지향적인 신념을 드러
낸 저항시이다. 이 작품을 감상하고 「쉽게 씌어진 시」의 화자와 어조 및 태도 등을 비교
감상 다지기 해 봄으로써, 작품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4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어조와 태도를 「쉽게 씌어진 시」와 비교
해 보자.

참고 자료 | 「광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
이 작품은 광야의 모습을 :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표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현하며, 까마득한 날에 과거(1~3연) 현재(4연) 미래(5연)


과거
일제 강점기의 절망적인 현실 ‘까마득한 날’ ‘지금’ ‘천고의 뒤’
하늘이 처음 열리고
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표현한 천지개벽의 시각적 형상화
시이다.
어디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생명의 기척(대유법) 설의법
⇢ 1연: 광야의 원시성
도움말 | 시어가 주는 분위기 ┏모든 산맥들이
나 서술어의 종결 어미 등을 의인법 ┏
┛: 
대지 위에 산맥이 생성되는 과정을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역동적으로 표현함.
통해 화자의 어조를 파악해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 ┛
본다. 또한 두 작품에서 화자 차마 이곳을 범하진 못하였으리라.
광야의 신성성, 순수성
⇢ 2연: 광야의 신성성과 순수성
의 태도를 엿볼 수 있는 시구
를 찾아보고, 이를 통해 현실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을 대하는 화자의 태도를 짐
작해 본다.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함.

작가 소개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역사와 문명 민족사의 시작
⇢ 3연: 광야의 역사성
현재
이육사(1904~1944)
지금 눈 내리고
시인. 일제 강점기의 민족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현실
적 비운을 소재로 삼아 강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렬한 저항 의지와 민족정 ① 고고한 의지 ② 광복의 기운
신을 노래한 작품을 주로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저항과 투쟁의 씨앗
⇢ 4연: 절망적 현실의 인식과 극복 의지
씀. 주요 작품으로는 「청포
→ 화자의 희생 정신
도」, 「꽃」, 「절정」 등이 있음.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미래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핵심 갈래 자유시, 서정시 화자가 간절히 기다리는 대상 - 조국 광복을 실현할 존재
정리
성격 의지적, 저항적, 상징적 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 ⇢ 5연: 미래에 대한 전망과 확신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이곳’)
제재 광야  - 이육사, 「광야(曠野)」
고통스러운 현실을 극
주제
복하려는 의지와 신념
‘과거
 - 현재 - 미래’
의 시간적 추이에 따
「광야」 「쉽게 씌어진 시」
라 시상이 전개됨.
종결 어미 ‘-(리)라’의
반복적 사용으로 의지
화자의 어조 의지적 어조 자아 성찰적, 반성적 어조
특징 적인 태도를 강조함.
각 연을 균등하게 3행
씩 배열하고 시행이
점점 길어지는 배열 화자가 처한 부정적 현실 속에서 자아 성찰과
방식을 사용하여 음 현실에 대한 화자가 처한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고, 희망찬
자기반성을 통해 부끄러움을 느끼고, 현실 극
악성을 형상화함. 화자의 태도 미래를 맞이하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복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55

책1.indb 255 18. 11. 23. 오후 5:45


감상을
작품 3 쉽게 씌어진 시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쉽게 씌어진 시」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서 유학한 시인의 생활 모습과 고민이 고백적으로
‘감상의 정리’에서는 시인 드러나 있는 시이다.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무기력한 자신의 처지에 대한 반성적 태도가 나타
의 모습이 고백적으로 투
나 있으며, 자아 성찰을 통해 어두운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적인 자세와 마침내 오게 될 광복
영된 시적 화자의 고민과
반성적 태도, 현실 극복에 에 대한 믿음이 드러나 있다. 이 작품에는 ‘늙은 교수의 강의’를 들으며 ‘육첩방’, ‘남의 나라’
대한 자세와 믿음 등을 바
에서 무기력한 삶을 살고 있는 현실적 자아와, 시 쓰기를 통해 자신을 성찰하는 반성적 자아가
탕으로 내용을 정리하였
다. 학생들과 함께 읽거나 제시된다. 또한 ‘등불’, ‘어둠’, ‘아침’ 등 상징적 의미가 부여된 시어가 많이 쓰였으며, ‘시대처
간단히 질문을 하면서 작 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일제 강점기가 끝나고 광복이 올 것이
품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라는 믿음과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윤동주 시에 표현된 ‘부끄러움’의 의미
‘지식 창고’에서는 윤동주 윤동주의 시에는 ‘부끄러움’과 관련한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여기에는 일제 강점기의 암울
시에 사용된 ‘부끄러움’이
라는 표현의 의미에 대하 한 시대를 살아 내야 했던 지식인 청년의 끝없는 참회와 성찰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윤동주
여 제시하였다. 시대 상황 는 이러한 자신의 감정을 ‘부끄러움’으로 나타내었고, 때로는 ‘욕됨, 미움, 괴로움’ 등의 정서로
과 관련하여 윤동주의 작
품에 이러한 정서가 나타 연결하여 표현하였다. 윤동주 시에 나타난 이런 정서는 스스로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과 반성,
나는 이유를 이해하고, 이 연민 의식에서 비롯되어 미래의 삶을 규정하게 된다. 윤동주는 이러한 ‘부끄러움’을 자신의 마
를 고려하여 작품을 감상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음과 행동의 규율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의 삶과 시를 지탱해 주는 근원적인 힘이었다
고 할 수 있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시어 윤동주
배경
‘더 읽어 보기 ’에서는 「쉽
게 씌어진 시」와 관련하여
시어와 작품에 반영된 시
대적 배경의 측면에서 함
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을 「거울」 이상 「봉황수」 조지훈
엮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
로 작품을 감상해 보고, ‘거울’이라는 소재로 자아 분열 양상 퇴락한 고궁의 옥좌 앞에서 비극적인
‘악수’라는 시어의 의미 및 과 불안한 심리를 표현한 시. 두 시에서 역사에 대한 슬픔을 노래한 시. 일제 강
일제 강점기라는 암울한
사용된 ‘악수’라는 시어의 의미를 비교 점기라는 암울한 역사를 어떻게 표현했
역사를 어떻게 표현했는지
하며 감상해 보자. 는지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를 살펴볼 수 있도록 이끌
어 준다.

256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56 18. 11. 23. 오후 5:45


정리 지도 방안
3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정리하기’에서는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한국 문학에 대하여 갈래별로 제시하였다.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


기까지의 한국 문학의 다양한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바탕으로 문학
과 역사의 상호 관계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개화기의 문학
강화도 조약에 따른 개항과 갑오개혁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호가 개방되었고, 이로써 근대 문학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서정 문학 개화 가사, 창가, 신체시 등이 발생함.

 용이나 형식 등에서 이전 소설과 차이를 보이며, 신소설을 중심으로 전개됨.



서사 문학
봉건 질서의 타파, 개화, 계몽, 자주독립 사상의 내용을 담음.

 속극이 서구식 연극으로 전환됨.



극 문학
판소리는 창극으로 바뀌었다가 신파극의 등장으로 쇠퇴함.

일제 강점기 문학
191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는 근대 문학이 형성되고 발전하였으며, 서구 사조의 유입과 다수의 동인지의
발간으로 문학적 기반을 닦게 되었다. 1930년대부터 광복 직전까지는 한결 더 세련된 표현 방법과 정신세계를
보여 주었으며, 다양한 유형의 소설이 등장하였다.

1910년대에는 율격, 내용 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으며 근대 자유시의 면모가 갖추어짐.


1920년대에는 감상적 낭만주의 시와 신경향파 시가 창작되고, 독자적인 시 세계를 펼친 시인들도
서정 문학 있었음.
1930년대부터 광복 직전까지는 시문학파의 순수시, 모더니즘 시, 생명파의 시, 민족의 전통적 의
식을 형상화한 시, 저항 의식을 담은 시 등이 창작됨.

1910년대에는 자유연애와 점진적 민족주의 사상을 고취하였으며, 구어체 문장을 확립하고자 함.


1920년대에는 유미주의 추구, 사회 현실에 대한 관심, 기법상의 발전, 무산 계급을 위한 신경향
서사 문학
등을 보여 줌.
1930년대부터 광복 직전까지는 모더니즘 소설, 농촌 소설, 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등이 창작됨.


1910년대에서 1920년대에는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묘사와 폭로 등의 주제를 다루었지만 내용과
희곡 문학 형식이 미숙하였고, ‘극예술 협회’와 ‘토월회’는 신파극에서 벗어나 현대극을 정립하고자 노력함.
1930년대부터 광복 직전까지는 ‘극예술 연구회’ 등의 활동으로 극 문학이 크게 발전하였음.

교술 문학 1930년대에서 광복 직전에 이르러 하나의 갈래로 독자적 영역을 확보함.

스스로 정리 이 단원 학습을 통해 알게 된 것을 바탕으로 231쪽에서 질문했던 내용을 정리해 보자.

1930년대부터 광복 직전까지는 순수시, 모더니즘 시, 생명시, 민족의 전통적 의식을 형상화한 시, 저항시 등의 시적 경향
을 보였다.
1920년대 서사 문학은 어두운 사회 현실을 비판하는 사실주의 소설이 주류를 이루었고, 유미주의를 추구하는 낭만주
의 소설도 유행하였다. 후반에는 무산 계급을 위한 경향 소설이 창작되었다.

( 3 )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문학 257

책1.indb 257 18. 11. 23. 오후 5:45


4 [ 학습 목표 ]
•‌광복 이후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감상한다.
•‌광복 이후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
호 영향 관계를 탐구한다.

광복 이후의
문학
지도 방안
생각해 광복 이후 급격하게 변화한 우리나라의 시대 상황을 대표적으로 보여 주는 사진들이다.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보기 당대의 역사적 상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시대 상황이 우리 문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신도시 개
주화 운동
5·18 민
시대
산업화
6·25 전쟁

이 시대의 사람들은
짧은 기간에 많은
일을 경험했겠어.

광복 이후 급격한 사회
변화가 발생했어.

위의 사진은 광복 이후 우리나라의 시대 상황을


순차적으로 보여 준다.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우리 문학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었을까?

258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58 18. 11. 23. 오후 5:45


작품 2 작품 3
작품 1

_최인훈

_황지우 _신영복
인물이 처한 상황과 인물이 겪
는 내적 갈등을 살펴보고, 우리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고 작가가 말하려는 바를 바탕으로
민족이 처한 분단 현실을 이해하 려하면서 화자의 현실 인식과 태 작품이 주는 교훈과 감동이 무엇
며 작품을 감상하기. 도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기. 인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하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학습지

광복 이후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나 기쁨과 감격을 누렸지만, 남북 분단과


6·25 전쟁을 비롯하여 혼란한 시대 상황 속에 놓이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우리 문학은
현대사의 다양한 사건을 그려 내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다채롭게 발전하였다.
남과 북의 분단을 고착화한 6·25 전쟁의 비극은 우리 문학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 광복 이후의 시대적 상황과 문학사
1950년대의 시대적 상황
전쟁을 겪은 작가들은 전쟁의 참상과 전후의 비참한 현실을 다루었으며, 인간성을 회복
6·25 전쟁으로 인한 우리 문학의 쟁점
하고 상처를 치유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후 우리 문학은 급격한 도시화·산업화로 인
한 농촌 공동체의 붕괴 및 도시 빈민 문제, 열악한 노동 환경의 문제, 민주주의의 갈망 등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시대적 상황
다양한 사회의 과제들 속에서 그 실상을 그려 내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1970년대와 1980년대 우리 문학의 쟁점
노력해 왔다. 1990년대 이후 이러한 사회적·정치적 관심은 개인의 일상과 내면으로 옮
1990년대 이전 우리 문학의 쟁점 1990년대 이후 우리 문학의 쟁점
겨 가게 되었고, 작품의 주제 또한 환경과 생태, 여성, 소수자 문제, 다문화 문제 등으로
1990년대 이후 문학이 주목한 주제들
영역을 넓히게 되었다. ⇢ 광복 이후 문학의 양상
격동의 시기 속에서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던 이 시기의 문학은 시대의
증명이자, 우리 민족이 걸어온 삶의 발자취이기도 하다. 또한 앞으로의 우리 문학은 더욱
광복 이후 문학의 의의
다양해진 소재와 기법을 통해 새로운 장을
열어 갈 것이다. ⇢ 광복 이후 문학의 의의와
알고 싶은 것을 질문
해 보자.
앞으로의 우리 문학에 대한 기대 스스로 질문 이 단원 학습을 통해
는 무엇일까?
가 다양하게 변화한 이유
광복 이후의 문학
1990년대 이후 작품의 주제
?

6·25 전쟁으로 인해 남북 분단이 고착화됨. 운 기법은 무엇일까
에 나타나는 새로
오늘날 우리 문학
1950년대 전쟁의 참상, 전후의 비참한 현실, 인간성 회
복과 상처 치유 등의 주제를 다룸.

급격한 도시화·산업화로 인한 농촌 공동체
붕괴, 도시 빈민 문제,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1970~
민주주의의 갈망 등의 사회적 과제가 발생함.
1980년대
사회적 문제의 실상을 그려 내고, 그 해결책
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함.
1990년대 개인의 일상과 내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59
이후 작품의 주제가 확대됨.

책1.indb 259 18. 11. 23. 오후 5:45


현대 문학 시대별 한눈에 보기

1960년대는 4·19 혁명에서


1950년에 일어난 5·16 군사 정변으로 이어지는
6·25 전쟁으로 이 시기 격동기를 겪으며, 문학에서도
광복 이후 우리 민족은 극심 의 문학에는 전쟁의 비극 현실 참여라는 경향이 대두되
한 이념적 갈등을 겪는다. 이 적 체험과 전후의 혼란스러운 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러한 이념 대립은 문단에까지 사회, 분단 현실의 문제 등이 문학의 자율성을 옹호하면서
이어졌으며 6·25 전쟁 전까 주로 다루어졌다. 또한 전통 정치적인 문제로부터 자유로
지 대립은 지속되었다. 이 시 적 서정 계열에 속하는 작품 워지고자 하는 경향이 형성되
기에는 청록파의 합동 시집 들과, 문명 비판적인 모더니 었다. 이 시기의 시는 불의와
『청록집』과 윤동주의 유고 시 즘 계열의 작품이 창작되기도 모순의 현실에 적극적인 목소
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하였다. 리를 낸 현실 참여시와 시 문
이육사의 유고 시집 『육사 시 학의 본질적 영역을 탐구한 순
주요 작품 「초토의 시」(구상), 「휴
집』 등이 발표되었다. 수 서정시로 구분되었다.
전선」(박봉우), 「울음이 타는 가
주요 작품 「꽃덤불」(신석정), 「나 을 강」(박재삼), 「목마와 숙녀」(박 주요 작품 「풀」·「폭포」·「눈」(김

운문 그네」·「산이 날 에워싸고」(박목
월), 「낙화」(조지훈), 「해」(박두진)
교과서 213쪽
인환), 「나비와 광장」(김규동),
「꽃」(김춘수), 「눈물」(김현승)
교과서 86쪽 교과서 60쪽
수영), 「껍데기는 가라」(신동엽),
「추억에서」(박재삼)

(1945) (1950) (1960)

광복 직후 1950년대 1960년대

(1953) (1961)

산문 광복 직후 일제 강점기를
반성의 체험으로 승화시키려는
전쟁으로 인해 인간성이 상
실되거나 무기력해진 인물들을
남북 분단의 비극을 정면으
로 다루며 분단된 역사에 대한
자기반성적 작품과 순수 문학을 통해 부조리한 현실을 고발하 인식이 심화되었다. 또한 사회
지향한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거나 인간의 실존을 탐구하는 의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적으
또한 광복 이후의 사회 현실과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전쟁의 비 로 묘사하거나 현대인의 소외
인간의 근원적인 삶의 문제를 극을 다루면서도 인간에 대한 와 방황을 감각적인 문체로 표
다룬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애정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현한 작품이 발표되었다.
교과서 262쪽
주요 작품 소설: 「논 이야기」(채 주요 작품 소설: 「비 오는 날」· 주요 작품 소설: 「광장」(최인
만식), 「해방 전후」(이태준), 「역 「잉여 인간」(손창섭), 「학」·「너 훈), 「꺼삐딴 리」(전광용), 「모 교과서 270쪽
마」(김동리), 「두 파산」(염상섭) 와 나만의 시간」(황순원), 「수 래톱 이야기」(김정한), 「서울,
교과서 118쪽 교과서 118쪽
희곡: 「고목」(함세덕), 「조국」 난이대」(하근찬), 「오발탄」(이 1964년 겨울」(김승옥)
(유치진), 「살아 있는 이중생 각 범선) 교과서 270쪽 희곡: 「원고지」·「국물 있사옵
하」(오영진) 희곡: 「복날」(임희재), 「불모지」 니다」(이근삼) 교과서 242쪽
수필: 『인생 예찬』(김 (차범석) 수필: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진섭), 「신록 예찬」 수필: 「목근통신」(김소운), 「벙어 (이어령), 「산정무한」(정비석)
(이양하) 리 냉가슴」·「딸깍발이」(이희승)

26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60 18. 11. 23. 오후 5:45


4 광복 이후의 문학

1980년대
에도 민주화에 대
한 열망은 이어졌
고, 당시 작가들에게
도 민주화는 중요한 과제였다. 이
1970년대는 급격한 산업화와 도 시기의 시는 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 1990년대 이후 문학은 정치적
시화로 인해 발생한 농촌 공동체의 발하거나 풍자하는 경향이 있었다. 관심보다는 주로 개인의 일상과 내
붕괴, 열악한 노동 환경 등의 문제 또한 기존 시의 형식을 벗어나 새로 면에 관심을 두어 전개되었으며,
와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존재하던 운 형식을 실험하는 시가 많이 창작 환경과 생태에 관심을 두는 경향이
시기였다. 이 시기의 시는 노동자 되면서도, 시적 서정성 확립에 더욱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여성 작가의
나 농민, 도시 하층민 등 민중의 소 관심을 기울인 시인들도 있었다. 문학 활동이 확대되었고, 여성의 현
교과서
외된 현실을 고발하고 그 개선을 실 등을 문제 삼는 경향이 생겼다.
주요 작품 「대설주의보」(최승호), 「새 271쪽
모색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들도 세상을 뜨는구나」(황지우), 「노 주요 작품 「성에꽃」(최두석), 「눈물은
주요 작품 「농무」·「목계 장터」(신경림), 동의 새벽」(박노해), 「프란츠 카프카」 왜 짠가」(함민복), 「산성 눈 내리네」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묘 (오규원),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 (이문재), 「산속에서」(나희덕), 「찬밥」
비명」(김광규) 교과서 273쪽 고 켤 수 있다면」(장정일) (문정희), 「맨발」(문태준) 교과서 26쪽
교과서 87쪽 교과서 89쪽

(1970) (1980) (1997)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이후

(1987) (2000)

1970년대의 모순된 현실의 반영 억압적인 사회 현실을 고발하는 1990년대 소설 역시 시와 마찬


은 소설에서도 이어졌다. 노동자들 작품이 창작되었고, 대하소설이 많 가지로 개인의 일상에 관심을 두었
의 투쟁이나 도시 빈민의 참상을 이 발표되었다. 또한 섬세한 서정성 고, 주제와 내용이 다양하게 변화
사실적으로 반영하였다. 또한 극 과 유려한 문체를 갖춘 여성 작가들 했다. 1980년대 운동권 이야기를
문학에서는 기법 면에서 혁신을 꾀 이 등장하였다. 극 문학에서는 마당 돌아보는 후일담 문학이 형성되었
하며 실험적인 연출이 시도되었고, 극을 계승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 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디지털
전통의 현대적 수용이 이루어졌다. 었으며, 풍자극과 소극장 공연이 활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인터넷 연재
주요 작품 소설: 「객지」·「삼포 가는 성화되고 뮤지컬이 발전하였다. 소설과 같은 새로운 창작 방식의
교과서 306쪽
길」(황석영),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 주요 작품 소설: 「흐르는 북」(최일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교과서 46쪽
은 공」(조세희), 「관촌 수필」(이문구) 남),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문 주요 작품 소설: 「자전거 도둑」(김소
교과서 64쪽 희곡: 「노비 문서」(윤대성), 열), 「일어서는 땅」(문순태), 「붉은 진),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성석
「파수꾼」·「결혼」(이강백), 방」(임철우), 「태백산맥」(조정래), 제), 「소년을 위로해 줘」(은희경)
「둥둥 낙랑둥」(최인훈) 「엄마의 말뚝」(박완서), 「원미동 사 수필: 『나무야 나무 교과서 288쪽
수필: 「무소유」(법정), 「방 람들」(양귀자) 야』(신영복), 「괜찮
교과서 교과서
망이 깎던 노인」·「참 25쪽 희곡: 「방황하는 별들」(윤대성), 「꿈 아」·「미안합니다」
275쪽
새」(윤오영), 「수필」(피 하늘」(차범석), 「칠산리」(이강백) (장영희) 교과서 280쪽
천득) 교과서 76쪽 수필: 「돌층계」(유경환), 「멋없는 세
상 멋있는 사람」(김태길)
교과서 91쪽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61

책1.indb 261 18. 11. 23. 오후 5:45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남북 분단의 이념적 대립 상황 속에서 한 인물이 겪는 갈등을 극명하게 보여 주는 소설로, 한국 문학사

1
상 최초로 남북한의 체제와 이데올로기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전쟁과 분단이라는 시대적 상황이 어떻게 형상화
작품
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1960년대 문학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남과 북의 이념적 대립 상황을 그려 낸 1960년대 소설이다. 인물이 처한 상황과


인물이 겪는 내적 갈등을 살펴보고, 우리 민족이 처한 분단 현실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핵심 갈래 장편 소설, 사회 소설, 분단 소설 성격 관념적, 철학적, 회고적
정리

시간적 배경: 8·15 광복에서 6·25 전쟁 종전까지(회상), 타고르호
배경 위에서의 이틀간(실제)
공간적 배경: 남한과 북한(회상), 인도양(실제)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광장 廣場 최인훈
시점
주제
전지적 작가 시점 제재 분단 상황, 이념 대립
이데올로기 갈등 속의 바람직한 삶과 사회에 대한 추구

전체적으로 회상의 형식을 취함.
특징 남북한의 이념적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룸.
주인공의 관념적, 철학적, 추상적인 사색 등이 많이 나타남.
윤애 은혜
최인훈 남한에서 명준이 사랑한 북한에서 명준이
(1936~2018) 여인. 명준이 월북한 후 사랑한 여인. 유학을
명준의 친구인 떠났다가 북한군 간호
소설가, 극작가. 현대인의
태식과 결혼함. 장교로 참전함.
고뇌와 불안을 꿈, 일기, 회
상, 내적 독백 등의 다채로
명준
운 기교를 통해 표현하였다.
월북한 아버지의
주요 작품으로는 소설 「회색 일로 고초를 겪다가
인」, 희곡 「옛날 옛적에 훠어 남한 사회에 환멸을
이 훠이」, 「둥둥 낙랑둥」 등 느껴 월북한 뒤
이 있다. 6·25 전쟁에 참전함.

앞부분 줄거리 평범한 대학생이던 명준은 월북한 아버지 때문에 치안 당국에 끌려가 고초를 겪은 뒤
풀려난다. 남한 사회에 환멸을 느낀 명준은 애인인 윤애를 남긴 채 월북하여 『노동 신문』의 기자로 일하 05

게 되지만, 현실 속에서 이념이 왜곡되어 개인의 개성과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 획일적인 북한 사회의 현
실에 실망하고 방황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명준은 북에서 만난 은혜와의 사랑을 통해 삶의 돌파구를
찾으려 하지만, 은혜가 유학을 떠나게 되면서 이마저도 좌절된다. 6·25 전쟁이 일어나 인민군 장교로
전쟁에 참여하게 된 명준은 간호 장교가 되어 참전한 은혜를 만나게 된다. 그러나 은혜는 명준의 아
이를 가진 채 죽고, 명준은 포로가 되어 포로 송환을 위한 심사를 받는다. 10
사로잡은 적

절정 방 안 생김새는, 통로보다 조금 높게 설득자들이 앉아 있고, 포로는 왼편에

서 들어와서 바른편으로 빠지게 돼 있다. 네 사람의 공산군 장교와, 국민복을


‘명준’은 포로수용소에서
석방될 때 남한과 북한이
아닌 중립국을 선택함.
입은 중공 대표가 한 사람, 합쳐서 다섯 명. 그들 앞에 가서, 걸음을 멈춘다. 앞
‘중국 공산당’ 또는 ‘중화 인민 공화국’의 준말
에 앉은 장교가, 부드럽게 웃으면서 말한다.
‘명준’을 회유하기 위한 태도
월북한 삼팔선 또는 휴전 “동무, 앉으시오.” 15
선의 북쪽으로 넘어간.
송환 포로나 불법으로 입 명준은 움직이지 않았다.
이데올로기적 대립과 갈등의 상황에서 선택을 강요받음.
국한 사람 등을 본국으로 도
“동무는 어느 쪽으로 가겠소? ”
로 돌려보냄.
바른편 오른쪽. “중립국.” → 중립주의를 외교의 방침으로 하는 나라(이념의 차이로 갈등하지 않아도 되는 곳)
전체 구성 ※ 교과서 수록 내용은 ‘절정~결말’ 부분임.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262 4. 한국 문학의 역사
‘명준 ’은 월북한 아버지 ‘명준’은 북한 사회의 왜 ‘명준’은 6·25 전쟁에 인 ‘명준’은 포로수용소에서 ‘명준 ’은 중립국인 인도
때문에 끌려가 고초를 겪 곡된 이념과 부자유에 대 민군으로 참전하나 애인 석방될 때 남한과 북한이 로 가는 타고르호에서 바
다가 월북함. 해 환멸을 느낌. ‘은혜’를 잃고 포로가 됨. 아닌 중립국을 선택함. 다로 투신자살함.

책1.indb 262 18. 11. 23. 오후 5:45


그들은 서로 쳐다본다. 앉으라고 하던 장교가, 윗몸을 테이블 위로 바싹 내
‘명준’을 설득하기 위한 적극적인 태도
밀면서, 말한다.
┏“동무,
 중립국도, 마찬가지 자본주의 나라요. 굶주림과 범죄가 우글대는 낯

┛: ‘명준’을 설득하는 북측의 논리 ① → 자본주의 국가의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함.
선 곳에 가서 어쩌자는 거요? ”

05 “중립국.”

“다시
 한번 생각하시오. 돌이킬 수 없는 중대한 결정이란 말요. 자랑스러운
북한을 택할 수 있는 권리
권리를 왜 포기하는 거요? ”

“중립국.”

이번에는, 그 옆에 앉은 장교가 나앉는다.


자리를 옮겨 앉는다. 혜택 ①
10 “동무,


지금 인민 공화국에서는, 참전 용사들을 위한 연금 법령을 냈소. 동

┛: ‘명준’을 설득하는 북측의 논리 ② → 북한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을 제시함.
무는 누구보다도 먼저 일터를 가지게 될 것이며, 인민의 영웅으로 존경받을
혜택 ② 혜택 ③
것이오. 전체 인민은 동무가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소. 고향의 초목도 동무

의 개선을 반길 거요.”

“중립국.”
15 그들은 머리를 모으고 소곤소곤 상의를 한다.
‘명준’을 설득하기 위해 추가적인 제안을 하려 함.
처음에 말하던 장교가, 다시 입을 연다.
‘명준’이 머물렀던 포로수
다른 나라나 민족을 정벌하여 대국가를 건설하려는 침략주의적 경향을 지닌 사람으로 남한이나 유엔 측을 이름.
┏“동무의
 심정도 잘 알겠소. 오랜 포로 생활에서, 제국주의자들의 간사한 꾀 용소
┏ 거제도 포로수용소는 1951
┛: ‘명준’을 설득하는 북측의 논리 ③ → 잘못을 탓하지 않고 참전한 것을 높이 사며, 보복은 없을 것이라고 말함.
년 6월부터 인민군과 중공
임수에 유혹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도 용서할 수 있소. 그런 염려는 하
군 포로를 수용하였고,
1952년 6월부터 반공 포로
지 마시오. 공화국은 동무의 하찮은 잘못을 탓하기보다도, 동무가 조국과 인
와 친공 포로를 분리하여
수용하였다. 1953년 7월 27
20 민에게 바친 충성을 더 높이 평가하오. 일체의 보복 행위는 없을 것을 약속
일 휴전 협정과 더불어 포
로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수
하오. 동무는…….”
┛ 용소는 폐쇄되었다.

“중립국.”

중공 대표가, 날카롭게 무어라 외쳤다. 설득하던 장교는, 증오에 찬 눈초리 장교가 ‘ 명준 ’을 노려본
설득에 실패하자 태도가 적대적으로 돌변함. 이유는 무엇인가?
로 명준을 노려보면서, 내뱉었다. ‘명준’이 북한행을 끝내 거부
하자, ‘명준 ’에게 적대적인
25 “좋아.” 마음이 들었기 때문이다.
장교가 ‘명준’을 설득하는 것을 포기함.
인민 공화국 인민이 주권
눈길을, 방금 도어를 열고 들어서는 다음 포로에게 옮겨 버렸다.
⇢ 북한 측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중립국을 선택한 ‘명준’ 을 갖고 직접 또는 대표 기
관을 통하여 주권을 행사하
아까부터 그는 설득자들에게 간단한 한마디만을 되풀이 대꾸하면서, 지금
‘명준’ “중립국.” 는 국가. 사회주의 국가에서
다른 천막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을 광경을 그려 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자 흔히 쓰는 말이다.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63

책1.indb 263 18. 11. 23. 오후 5:45


리에도 자기를 세워 보고 있었다.
‘명준’이 남한 측의 설득자를 만나는 상상을 함.
▲ “자넨 어디 출신인가? ”

“…….”

“음, 서울이군.”
남한 출신임을 근거로 설득하려는 의도
설득자는, 앞에 놓인 서류를 뒤적이면서, 05

“중립국이라지만
 막연한 얘기요. 제 나라보다 나은 데가 어디 있겠어요. 외

국에 가 본 사람들이 한결같이 하는 얘기지만, 밖에 나가 봐야 조국이 소중

하다는 걸 안다구 하잖아요? 당신이 지금 가슴에 품은 울분은 나도 압니다.

‘명준 ’은 남한 사회와 북한
대한민국이 과도기적인 여러 가지 모순을 가지고 있는 걸 누가 부인합니까?
민주 사회로 이행해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순(부의 편중, 정치적 혼란 등)
사회 어느 곳에서도 적응하
지 못하고 환멸을 느낀다. 이
그러나 대한민국엔 자유가 있습니다. 인간은 무엇보다도 자유가 소중한 것 10
‘명준’을 설득하는 남측의 논리 ① → 자유를 강조하여 이념적 우위를 내세움.
에 남과 북 어느 곳도 선택하
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
입니다. 당신은 북한 생활과 포로 생활을 통해서 이중으로 그걸 느꼈을 겁니
보이기 위해서 “중립국.”이라
는 말을 반복한 것이다.
다. 인간은…….”
‘ 명준 ’ 이 “ 중립국.”이라 “중립국.”
는 말만 반복한 이유는 무
엇일까? “허허허,
 강요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내 나라 내 민족의 한 사람이, 타향

만 리 이국땅에 가겠다고 나서니, 동족으로서 어찌 한마디 참고되는 이야길 15


중립국
안 할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이곳에 남한 2천만 동포의 부탁을 받고 온 것

264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64 18. 11. 23. 오후 5:45


1

입니다. 한 사람이라도 더 건져서, 조국의 품으로 데려오라는…….”

“중립국.”
┏“당신은
 고등 교육까지 받은 지식인입니다. 조국은 지금 당신을 요구하고 있

┛: ‘명준’을 설득하는 남측의 논리 ② → 조국애에 호소함, 지식인의 책임감을 상기함.
습니다. 당신은 위기에 처한 조국을 버리고 떠나 버리렵니까? ”

05 “중립국.”
┏“지식인일수록
 불만이 많은 법입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제 몸을 없애 버리 ‘ 제 몸 ’과 ‘ 종기 ’가 의미

┛: ‘명준’을 설득하는 남측의 논리 ③ → 지식인으로서의 사명을 이야기함. 대한민국 하는 것은 무엇일까?
겠습니까? 종기가 났다고 말이지요. 당신 한 사람을 잃는 건, 무식한 사람
대한민국이 지닌 과도기적 모습 ‘제 몸’은 조국인 대한민국을
의미하고, ‘종기’는 대한민국
열을 잃는 것보다 더 큰 민족의 손실입니다. 당신은 아직 젊습니다. 우리 사
이 지닌 과도기적인 모습을

회에는 할 일이 태산 같습니다. 나는 당신보다 나이를 약간 더 먹었다는 의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10 미에서, 친구로서 충고하고 싶습니다. 조국의 품으로 돌아와서, 조국을 재

┛: ‘명준’을 설득하는 남측의 논리 ④ → 개인적인 감정에 호소하며, 개인적인 조력을 제공하겠다고 함.
건하는 일꾼이 돼 주십시오. 낯선 땅에 가서 고생하느니, 그쪽이 당신 개인
북측과 남측의 설득 방식
으로서도 행복이라는 걸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나는 당신을 처음 보았을
자본주의 국가의
부정적인 측면과
때, 대단히 인상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뭐 어떻게 생각지 마십시오. 나는 동
북한에서 받을 대
북측 우를 구체적으로
생처럼 여겨졌다는 말입니다. 만일 남한에 오는 경우에, 개인적인 조력을
말함. → 근거를
바탕으로 논리적
15 제공할 용의가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
┛ 으로 설득함.

명준은 고개를 쳐들고, 반듯하게 된 천막 천장을 올려다본다. 한층 가락을 조국애를 강조하


고 지식인으로서
낮춘 목소리로 혼잣말 외듯 나직이 말할 것이다. 의 책무를 부탁하
남한 측과 ‘명준’의 대화는 상상임을 알 수 있음. 남측 며 개인적인 조력
“중립국.” 을 제공하겠다고
함. → 감정에 호
설득자는, 손에 들었던 연필 꼭지로, 테이블을 툭 치면서, 곁에 앉은 미군을 소하여 설득함.
‘명준’이 남한을 선택하도록 설득하는 것을 포기하자는 의미
20 돌아볼 것이다. 미군은, 어깨를 추스르며, 눈을 찡긋하고 웃겠지.

┏나오는 문 앞에서, 서기의 책상 위에 놓인
남한 측의 설득을 거절하는 장면을 상상하는 ‘명준’
명부에 이름을 적고 천막을 나서 ‘ 명준 ’ 이 천막을 나서며

┛: ‘명준’의 복잡한 심리 웃음을 터뜨린 이유는 무엇
자, 그는 마치 재채기를 참았던 사람처럼 몸을 벌떡 뒤로 젖히면서, 마음껏 웃 일까?
실제 마음(허탈감, 비애, 절망감)과 행동의 괴리를 보여 줌.
음을 터뜨렸다. 눈물이 찔끔찔끔 번지고, 침이 걸려서 캑캑거리면서도 그의 웃 중립국을 선택한 자신의 행
위에 대한 자조적인 웃음을
음은 멎지 않았다. <중략>
┛ ⇢ 중립국을 선택한 ‘명준’ 터뜨린 것이다.

25
결말 …… 펼쳐진 부채가 있다. 부채의 끝 넓은 테두리 쪽을, 철학과 학생 이명준
‘명준’의 삶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소재 남한에서의 ‘명준’ 재건하는 허물어진 건물
이 걸어간다. 가을이다. 겨드랑이에 낀 대학 신문을 꺼내 들여다본다. 약간 자 이나 조직 따위를 다시 일으
‘명준’은 중
지식인으로서의 우월 의식
립국인 인도 켜 세우는.
랑스러운 듯이. 여자를 깔보지는 않아도, 알 수 없는 동물이라고 여기고 있다.
로 가는 타
조력 힘을 써 도와줌. 또
고르호에서
책을 모으고, 미라를 구경하러 다닌다. 는 그 힘.
바다로 투신
자살함.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65

문학 주석교과서(230~299)4단원②.indd 265 18. 11. 29. 오후 3:57


삶에 대한 ‘명준’의 모색 정치는 경멸하고 있다. 그 경멸이 실은 강한 관심과 아버지 일 때문에 그런
아버지의 월북
공공의 삶을 외
남한 모양으로 나타난 것인 줄은 알고 있다. 다음에, 부채의 안쪽 좀 더 좁은 너비
면한 채 사적 이
사회에
익만 추구하는
대한 에, 바다가 보이는 분지가 있다. 거기서 보면 갈매기가 날고 있다. 윤애에게 말
사회적 모순과 해발 고도가 더 높은 지형으로 둘러싸인 평지 남한에서의 ‘명준’의 애인
절망
부조리에 절망함.
하고 있다. 윤애 날 믿어 줘. 알몸으로 날 믿어 줘. 고기 썩는 냄새가 역한 배


왜곡되고 획일 ┛: 북한에서 밀항하던 때를 회상함.
북한 화된 이념의 지 안에서 물결에 흔들리다가 깜빡 잠든 사이에, 유토피아의 꿈을 꾸고 있는 그 05
사회에 배로 인간다운 이상향,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대한 삶이 사라진 사 자신이 있다. 조선인 꼴호즈 숙소의 창에서 불타는 저녁놀의 힘을 부러운 듯
절망 회적 모순에 환 ┛
멸을 느낌. 이 바라보고 있는 그도 있다. 구겨진 바바리코트 속에 시래기처럼 바랜 심장을
남북한 사회 어 자신이 생각했던 것과 다른 북한에 실망한 모습
느 쪽에서도 진 안고 은혜가 기다리는 하숙으로 돌아가고 있는 9월의 어느 저녁이 있다. 도어
중립국행 정한 인간다운 북한에서의 ‘명준’의 애인
을 선택 삶을 충족시키 에 뒤통수를 부딪치면서 악마도 되지 못한 자기를 언제까지나 웃고 있는 그가
기 어렵다고 판 비웃음
단함. 있다. 그의 삶의 터는 부채꼴, 넓은 데서 점점 안으로 오므라들고 있었다. 마지 10
삶의 행복이나 희망이 점점 줄어들고 있음.
진정한 사랑이
가능한, 광장과
막으로 은혜와 둘이 안고 뒹굴던 동굴이 그 부채꼴 위에 있다. 사람이 안고 뒹
바다에 전쟁 중에 ‘은혜’와 재회한 장면 회상
밀실이 조화된
투신
공간으로서의 바
구는 목숨의 꿈이 다르지 않느니. 어디선가 그런 소리도 들렸다. 그는 지금, 부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의 한 구절
다를 선택함.
채의 사북 자리에 서 있다. 삶의 광장은 좁아지다 못해 끝내 그의 두 발바닥이
현재 ‘명준’의 처지를 나타냄. 더 이상 갈 곳이 없어진 막다른 상황
차지하는 넓이가 되고 말았다. 자 이제는? 모르는 나라, 아무도 자기를 알 리

없는 먼 나라로 가서, 전혀 새사람이 되기 위해 이 배를 탔다. 사람은, 모르는 15

사람들 사이에서는, 자기 성격까지도 마음대로 골라잡을 수도 있다고 믿는다.

‘은혜’와 딸을 표상하는 새들 성격을 골라잡다니! 모든 일이 잘될 터이었다. 다만 한 가지만 없었다면. 그는


이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바다
를 가리킨다. 즉 이념이 배제 두 마리 새들을 방금까지 알아보지 못한 것이었다. 무덤 속에서 몸을 푼 한 여
‘은혜’와 그녀가 임신하고 있던 아기의 표상 아이를 임신한 채 죽은 ‘은혜’
되고, 사랑과 자유가 존재하
며,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이 자의 용기를, 방금 태어난 아기를 한 팔로 보듬고 다른 팔로 무덤을 깨뜨리고
공존하는 참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하늘 높이 치솟는 여자를, 그리고 마침내 그를 찾아내고야 만 그들의 사랑을. 20

‘ 푸른 광장 ’ 이 의미하는 돌아서서 마스트를 올려다본다. 그들은 보이지 않는다. 바다를 본다. 큰 새


것은 무엇일까? ‘은혜’
와 꼬마 새는 바다를 향하여 미끄러지듯 내려오고 있다. 바다. 그녀들이 마음
딸 사랑하는 이와 함께할 수 있는, 사랑과 자유가 충만한 공간
껏 날아다니는 광장을 명준은 처음 알아본다. 부채꼴 사북까지 뒷걸음질 친 그
꼴호즈 콜호스. 소련의 집
는 지금 핑그르 뒤로 돌아선다. 제정신이 든 눈에 비친 푸른 광장이 거기 있다.
단 농장. 바다, ‘명준’이 남과 북에서 찾고자 했던 참된 공간
사북 접었다 폈다 하는 부
┏자기가 무엇에 홀려 있음을 깨닫는다. 그 넉넉한 뱃길에 여태껏 알아보지 못 25

채의 아랫머리나 가위다리 ┛: ‘명준’은 바닷새들을 ‘은혜’와 자신의 딸로 인식하게 됨.

의 교차된 곳에 박아 돌쩌귀 하고, 숨바꼭질을 하고, 피하려 하고 총으로 쏘려고까지 한 일을 생각하면, 무


선상에서 바닷새를 처음 보았을 때 감시자로 인식하고 불안감을 느꼈음.
처럼 쓰이는 물건.
엇에 씌었던 게 틀림없다. 큰일 날 뻔했다. 큰 새 작은 새는 좋아서 미칠 듯이,
마스트 배의 중심선 상의
갑판에 수직으로 세운 기둥. 물속에 가라앉을 듯, 탁 스치고 지나가는가 하면, 되돌아오면서, 그렇다고 한
‘광장’과 ‘밀실’의 의미

광장 밀실
266 4. 한국 문학의 역사
사회 구성원들이 공동의 이념을 추구하면서 개인이 자신의 삶의 행복을 추구하고 자유를
바람직한 사회적 이상을 실천하는 공간 누리며 사랑을 나누는 공간

책1.indb 266 18. 11. 23. 오후 5:45


다. 무덤을 이기고 온, 못 잊을 고운 각시들이, 손짓해 부른다. 내 딸아. 비로소

마음이 놓인다. 옛날, 어느 벌판에서 겪은 신내림이, 문득 떠오른다. 그러자,



언젠가 전에, 이렇게 이 배를 타고 가다가, 그 벌판을 지금처럼 떠올린 일이,

그리고 딸을 부르던 일이, 이렇게 마음이 놓이던 일이 떠올랐다. 거울 속에 비 ‘ 거울 속에 비친 남자 ’는


누구이며, 활짝 웃는 이유
05 친 남자는 활짝 웃고 있다.
‘명준’이 ‘은혜’와 딸이 마음껏 날고 있는 공간에 몸을 던질 것을 결심함.
⇢ 자신의 삶에 대한 ‘명준’의 회고와 결심 는 무엇일까?
거울 속 남자는 ‘명준 ’ 자신
밤중. 이다. 그가 활짝 웃는 이유는
‘은혜 ’와 딸이 마음껏 날고
선장은 문을 두드리는 소리에 잠자리에서 몸을 일으켰다. 얼른 손목에 찬 야 있는 공간에 몸을 던질 결심
을 한 후 마음이 편안해졌기
광 시계를 보았다. 마카오에 닿자면 아직 일렀다. 때문이다.

“무슨 일이야? ”
10
┏“석방자가 한 사람 행방불명이 됐습니다.”

‘명준’의 선택이 갖는 의미
┛: ‘명준’이 바다로 투신했음을 제3자의 말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냄.
이념의 갈등이 없
“응? ” 중립국
는 공간

“지금
 같은 방에 있는 사람이 신고해 와서, 인원을 파악해 봤습니다만, 배 안 ‘명준’이 이데올로
기의 대립에서 시
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달리다 벗어난 곳
이자 ‘은혜’와 딸
선장은 계단을 내려가면서 물었다. 을 표상하는 새들
이 자유롭게 날아
바다
15 “누구야, 없다는 게? ” 다니는 공간 → 이
념이 배제되고, 사
“미스터 리 말입니다.”
‘명준’ ┛ ⇢ 행방불명된 ‘명준’ 랑과 자유가 존재
하며,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이 공존
이튿날. 하는 참된 공간

타고르호는, 흰 페인트로 말쑥하게 칠한 3,000톤의 몸을 떨면서, 한 사람의
남한과 북한의
손님을 잃어버린 채 물체처럼 빼곡히 들어찬 남중국 바다의 훈김을 헤치며 미 정치 현실을 비판함.

20 끄러져 간다.

흰 바닷새들의 그림자는 보이지 않는다. 마스트에도, 그 언저리 바다에도.


‘명준’의 의식의 투사물 훈김 연기나 김 따위로 생
아마, 마카오에서, 다른 데로 가 버린 모양이다. 기는 훈훈한 기운.
⇢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는 타고르호
확인 문제

1. 이 작품의 제목인 ‘광장’은 개인적 삶의 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 ×)


2. 이 작품에서 ‘명준’은 남과 북 이외에는 대안이 없는 갈등 상황에 처해 있 작품을 감상한 후 나의 한 줄 느낌 나의
다.  (, ×) 감상
‘명준’이 바다로 몸을 던지는 마지막 내용이
3. 이 작품에서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삶의 극한점이자 새로운 삶을 모색할
가장 기억에 남는다. 현실적 삶의 의미를 발견하지 못
수밖에 없는 인식의 전환점을 상징하는 소재를 쓰시오.
한 지식인의 소극적이며 부정적인 선택이었다고 생
4. 이 작품처럼 남북 분단의 역사적 사실을 다룬 소설을 가리키는 용어를 쓰
각한다.
시오.
1. × 2. × 3. (부채의) 사북 자리 4. 분단 소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학습지, 쪽지 시험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67

책1.indb 267 18. 11. 23. 오후 5:45


지도 방안

학습
본문을 읽고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이다. 북측 설득자가 언급한 부분과 남측 설득자가 언
감상 모으기 급한 부분을 구분하고, 각각의 내용을 정리하며 요약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명준’을 설득하기 위해 북측과 남측이 내놓은 논리는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동 북측의 논리
•중립국도 자본주의 나라라며, 자본주의 국가의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함.
•‘명준’에게 일터를 제공할 것이고 인민의 영웅이 될 것이라며, 북한에서 누릴 권리를 제시함.
•‘명준’에게 일체의 보복 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함.
•남한에 ‘명준’과 같은 지식인이 필요하다며 조국애에 호소함.
남측의 논리 •남한에 ‘명준’이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지식인으로서의 사명을 이야기함.
•설득자가 ‘명준’에게 개인적인 조력을 제공하겠다고 말하며 감정에 호소함.
지도 방안
작품 전체의 내용을 고려
하여, ‘부채’와 ‘사북 자리’,

2
‘두 마리 새들 ’의 의미를
유추해 보도록 지도한다. ‘명준’이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작품 속 소재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도움말 | ‘명준 ’은 자신
1 ‘부채’와 ‘사북 자리’의 상징적 의미를 말해 보자.
의 삶의 터가 부채의 넓
은 테두리 쪽에서 점점 ‘부채’ ‘사북 자리’
안으로 오므라들고 있다
고 말한다. 점점 좁아지 ‘명준’의 현재 처지를 나타냄.
진정한 삶의 터전을 찾아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는 삶의 터가 의미하는
나섰던 ‘명준’의 삶의 모습 삶의 극한점이자 새로운 삶을
것은 무엇일지 ‘명준 ’이
전체를 나타냄. 모색할 수밖에 없는 인식의
현재 처한 상황을 바탕으 전환점을 의미함.
로 생각해 본다.

지도 방안
2 ‘두 마리 새들’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 보자.
‘광장 ’과 ‘밀실 ’이라는 공 ‘두 마리 새들’은 ‘명준’이 북에서 사랑했던 애인인 ‘은혜’와 그녀가 임신하고 있던 아이(‘명준’의 딸)를 의미한다.
간이 주는 느낌을 자유롭
게 생각해 보고, 제시된

3
서문과 작품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의 제목인 ‘광 다음은 이 작품의 서문이다. 이를 참고하여 작품의 제목인 ‘광장’의 의미를 ‘밀실’과
장’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비교하여 생각해 보자.

도움말 | ‘광장’과 ‘밀실’


광장은 대중의 밀실이며 밀실은 개인의 광장이다.
의 의미를 남북한의 상
황, ‘명준’의 이상향과 연 인간을 이 두 가지 공간의 어느 한쪽에 가두어 버릴 때, 그는 살 수 없다. 그럴
‘광장’과 ‘밀실’은 공존해야 함.
관 지어 파악해 본다. 때 광장에 폭동의 피가 흐르고 밀실에서 광란의 부르짖음이 새어 나온다. 우리는
┏분수가 터지고 밝은 햇빛 아래 뭇꽃이 피고 영웅과 신들의 동산으로 치장이 된 광

: ‘광장’의 필요성
장에서 바다처럼 우람한 합창에 한몫 끼기를 원하며 그와 똑같은 진실로┏개인의


일기장과 저녁에 벗어 놓은 채 새벽에 잊고 간 애인의 장갑이 얹힌 침대에 걸터앉

┛: ‘밀실’의 필요성
아서 광장을 잊어버릴 수 있는 시간을 원한다.

‘광장’은 공공의 장소, 사회적 삶의 공간을 말한다. 즉 공동의 이념을 추구하면서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는 공간으로,
모든 의사 결정이 사회적 소통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개인의 자유가 부재한 북한의 현실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68 4. 한국 문학의 역사
반면, ‘밀실’은 내밀한 공간, 개인적 삶의 공간을 말한다. 즉 개인의 삶의 행복을 추구하고 자유를 누리며 사랑을 나누
는 공간으로, 이는 자유롭지만 사회적 소통이 결여된 남한의 현실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책1.indb 268 18. 11. 23. 오후 5:45


1

감상 다지기
문학과 시대 상황

지도 방안
우선 신문 기사를 읽고,
4 다음 신문 기사를 읽고, ‘명준’이 중립국을 선택한 것에 대해 생각해 보자.

당시 중립국을 선택한 포
로들의 입장을 이해해 보
게 한다. 그런 다음 작품 제3국행 포로의 어제와 오늘
과 내용을 비교해 보면서 중립국
‘명준 ’이 ‘중립국 ’을 선택 1954년 2월 21일, 6·25 전쟁 당시 전쟁 포로였던 88명이 인도행 배에 몸을 실었다. 북한군
한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
과 남한군 포로 76명은 남과 북 어디로도 가기를 원하지 않았고, 중국군 포로 12명 또한 마찬
해 보도록 지도한다. 더
나아가 자신이라면 어떤 가지였다. 이들은 갈등과 대립의 한편에 서기를 거부하고 ‘제3의 선택’ 을 했던 것이다.
선택을 했을 것인지 자유
그러나 이들은 뚜렷한 사상적 지향에 따라 ‘중립국’ 을 선택했다기보다는 전쟁이 없는 곳
롭게 이야기해 봄으로써, ‘제3국’을 선택한 이유
‘명준 ’의 선택에 대해 비 으로 가고 싶어 ‘제3국’ 을 선택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렇게 뜻하지 않게 인도, 브라질, 아르
판적으로 판단해 볼 수 있
헨티나 등으로 가 ‘이민 1세대’ 가 된 이들 가운데 일부는 현지에서 나름대로 탄탄한 기반을
도록 지도한다.
잡았다. 그러나 어디에도 뿌리를 내리지 못한 채 전쟁의 상처를 보듬고 살아가는 이들도 적지

않다.  - 『한겨레신문』(2003. 7. 9.)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행 평가

1 ‘명준’이 중립국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남한과 북한 어느 사회도 자신이 바라는 모습이 아님을 알게 된 후 내린 결정으로, 남한과 북한 어느 사회에서도
자신이 살아갈 수 없다는 절망적 인식의 결과이다.

2 ‘명준’의 선택에 대해 자신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해 보자.

‘명준’의 선택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어디를 가더라도 자신이 생각하는 완벽한 이상향은 없을 것이다. 무
지도 방안 조건 피하려고만 하지 말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고 현실의 삶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
‘명준’이 중립국에 도착했 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고 가정하고 결말을 새
롭게 써 보는 모둠 활동이
다. 작품 전체의 줄거리와
주제를 고려하여 결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이
끌어 주고, 발표를 통해 비판적 . 창의적 사고
다른 모둠의 글도 공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5 ‘명준’이 중립국에 도착했다고 가정하고, 모둠별로 이 작품의 결말을 상상하여 써 보자.

도움말 | 작품 전체의 줄거리


와 주제를 고려하여 결말을 드디어 타고르호가 인도의 캘커타 항구에 닻을 내렸다. 말도 안 통하는 이국에서 ‘명준’은 무척 힘들었지만 닥
자유롭게 상상하여 써 보고, 치는 대로 일을 하며 차츰 적응해 나갔고, 여유가 생기자 대학에서 공부를 하고 싶어졌다. 어렵사리 대학에 입
발표를 통해 다른 친구들의 학한 ‘명준’은 어느 날 학교에서 ‘은혜’와 닮은 여자를 보게 된다. ‘명준’은 황급히 그녀를 따라가 말을 걸었다.
생각도 공유해 본다. 그렇게 두 사람은 서로 사랑하게 되고, ‘명준’은 그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그간의 상처를 치유해 갔다. 부부
가 된 두 사람은 오랜 시간이 흘러 함께 남한으로 여행을 오게 되고, 놀랍도록 발전한 고국의 모습을 보며
‘명준’은 당시 중립국을 선택했던 자신의 모습을 떠올렸다. 어떤 선택을 하든 후회가 남기 마련이다. ‘명준’
은 중립국을 선택함으로써 아내를 만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앞으로 더 행복하게 살겠다고
다짐한다.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69

문학 주석교과서(230~299)4단원②.indd 269 18. 11. 29. 오후 3:57


감상을
작품 1 광장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광장」은 남과 북의 이념적 대립 상황에서 고뇌하고 갈등하는 한 지식인의 모습을 통해, 분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단 현실에서 남북한 사회가 지닌 이념적 허상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는 소설이다. 이 작품에
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행
서 주인공인 ‘명준’이 중립국을 선택했다가, ‘은혜’와 태어나지 못한 아이의 표상인 갈매기를
동과 특징, 주제 및 작품의
의의를 바탕으로 내용을 따라 바다에 몸을 던지는 것은 이 작품이 지닌 현실적 한계로 인식된다. 그렇지만 남북 분단
정리하였다. 학생들과 함
상황에 대해 정면으로 다루면서 이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지닌 인물을 그려 냈다는 점에서 의
께 읽거나 간단히 질문을
하면서 작품에 대한 감상 의가 있다.
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분단 소설
‘지식 창고’에서는 분단 소 분단 소설이란 6·25 전쟁 이후 고착된 남북 분단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에 두고 창작된
설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분단 소설의 개념과 대표 소설을 일컫는다. 분단 소설은 주로 이념 갈등에 의한 분단의 모순과 문제, 이산가족의 아픔과
적인 작품들을 살펴볼 수 상처의 치유, 분단 체제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과 노력 등을 주제로 다룬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있도록 지도한다. 이때 분
단 소설이 분단에 대한 인 는 최인훈의 「광장」을 비롯해 윤흥길의 「장마」,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박완서의 「엄마의 말
식과 그에 대한 대응 방식 뚝 2」, 황석영의 「한씨 연대기」, 김원일의 「노을」, 조정래의 「태백산맥」, 이문열의 「영웅 시대」,
을 모색하는 것에까지 나
아가는 것임을 알 수 있도
임철우의 「아버지의 땅」, 전상국의 「아베의 가족」 등을 들 수 있다.
록 지도한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인물 최인훈
갈등
‘더 읽어 보기 ’에서는 「광
장」과 관련하여 인물과 갈
등 양상의 측면에서 함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을 엮
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로 「오발탄」 이범선 「모래톱 이야기」 김정한
작품을 감상해 보고, 작품
의 인물이 현실에 대처하 6·25 전쟁 때 월남한 가족의 비참한 조마이 섬을 배경으로 비참하게 짓밟
는 태도 및 작품에 나타난 처지를 통하여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그 히며 살아가는 농민들의 삶을 통해 부조
갈등 양상을 살펴볼 수 있
린 소설. 인물이 현실에 대처하는 태도 리한 현실을 그려 낸 소설. 작품에 나타
도록 이끌어 준다.
를 중심으로 감상해 보자. 난 갈등의 양상을 비교해 보자.

27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70 18. 11. 23. 오후 5:45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영화를 볼 때에도 애국심을 강요받으며 정치적 억압을 겪어야 했던 1980년대 사회에 대한 화자의 부정적

2
인 인식이 나타난 시이다. 1980년대 당시 군사 독재 정권의 폭압적인 정치에 대한 풍자와 비판이 잘 나타나 있다는 점
에서,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작품

감상 열기 이 작품은 암울하고 억압적인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하는 1980년대의 시이다. 작품에 반영


된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서 화자의 현실 인식과 태도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학습 자료 바로 가기
핵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비판적, 풍자적
DVD–멀티미디어 자료
정리
제재 새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주제 암울한 현실에 대한 좌절감과 비판

황지우 
애국가의 시작과 끝에 맞추어 시상을 전개함.
특징
냉소적인 어조, 반어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을 풍자함.


┛: 일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권위주의적이고 획일적인 당시의 사회 현실을 나타냄.
┏영화(映 )가 시작하기 전에 우리는 황지우
공간적 배경: 영화관 화자, 현실적 구속에서 자유롭지 못한 존재 (1952~)
05 일제히 일어나 애국가를 경청한다
┛ ⇢ 1~2행: 영화관에서 영화가애국가를
상영하기 전에
경청함. 시인. 감성적인 서정시뿐
획일적인 사람들의 모습 강요에 의해 들을 수밖에 없는 현실 → 반어적 표현
삼천리 화려 강산의 만 아니라 현실에 대한 대응
암담한 현실에 대한 반어적 표현 으로 전통적인 시 형식을 깨
을숙도에서 일정한 군(群)을 이루며 뜨리는 풍자시를 많이 썼다.
무리 주요 작품으로는 「겨울–나
갈대숲을 이륙하는 흰 새 떼들이 무로부터 봄–나무에로」,
자유로운 존재, 화자의 처지와 대비되는 시적 대상
「너를 기다리는 동안」 등이
자기들끼리 끼룩거리면서 애국과 엄숙을 강요하는
있다.
현실에 대한 비판과 냉소적 태도
10 자기들끼리 낄낄대면서
가로로 줄을 지어 늘어선 대형
일렬 이열 삼렬 횡대로 자기들의 세상을 을숙도 부산광역시 사하
획일화를 강요하는 군사 문화와 사회적 분위기를 풍자함. 구에 속하는 섬. 낙동강 하
이 세상에서 떼어 메고 류의 철새 도래지로 널리 알
자유를 억압하는 현실, 화자가 벗어나고 싶은 현실
려져 있다.
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간다
자유와 이상의 세계, 화자가 지향하는 세계
⇢ 3~10행: 세상 밖으로 자유롭게 날아가는 새들을 바라봄.
우리도 우리들끼리
15 낄낄대면서 애국과 엄숙을 강요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과 냉소적 태도
깔쭉대면서 확인 문제

1. 이 작품은 군사 독재로 인한 암울한 현실과 이에 대한 무력감을 그리고 있다. (, ×)


우리의 대열을 이루며 2. 이 작품에서는 ‘끼룩’, ‘낄낄’ 등과 같은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현실에 대한 냉소
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 ×)
한세상 떼어 메고 3. 이 작품에서 화자의 처지와 대조되며 화자의 심정을 나타내는 시적 대상을 쓰시오.
4. 이 작품은 (   )이/가 시작하여 끝날 때까지 화자의 심리 변화를 바탕으로 시상을
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갔으면 전개하였다.
어두운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화자의 소망 1.  2.  3. 흰 새 떼들 4. 애국가
20 하는데 대한 사람 대한으로
애국가를 보며 생각에 잠겼다가 다시 애국가 구절로 돌아옴.
길이 보전하세로
애국가의 끝 구절
가장 인상적인 표현과 그 이유 나의
각각 자기 자리에 앉는다 ‘일제히 일어나 애국가를 경청한다’라는
감상
비상하는 새들과 달리 현실에서 벗어나지 못함. 표현이 가장 인상적이다. 영화관에서조차 애국
주저앉는다 ⇢ 11~20행: 현실에서 벗어나기를 소망하지만 좌절함. 가를 경청해야 하는 모습에서 군사 독재 정권의
정치적 억압이 실감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현실을 벗어날 수 없음에 깊은 좌절감을 느낌.

전체 구성 학습 자료 바로 가기

1~2행 3~10행 11~20행 DVD–학습지, 쪽지 시험

영화관에서 영화가 상영하기 세상 밖으로 자유롭게 날아가 현실에서 벗어나기를 소망하


전에 애국가를 경청함. 는 새들을 바라봄. 지만 좌절함.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71

책1.indb 271 18. 11. 23. 오후 5:45


학습 감상 모으기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자.


주요 내용

1~2행 영화관에서 영화가 상영하기 전에 애국가를 경청함.

3~10행 세상 밖으로 자유롭게 날아가는 새들을 바라봄.


지도 방안
시상 전개에 따라 작품 전 11~20행 현실에서 벗어나기를 소망하지만 좌절함.
체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부분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며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지도
문학과 시대 상황

2
한다.

이 작품이 창작된 시대 상황을 고려하여, 시구의 의미와 어조의 효과를 파악해 보자.

도움말 | 이 작품이 창작
1 창작 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려했을 때, 다음 시구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지 말해 보자.
된 1980년대는 광주 민
아름다운 조국 산천의 모습을 표현한 애국가의 가사이지만, 현실은 이와 대조적으
주화 운동 이후 군사 정 삼천리
로 답답하고 암울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시어는 군사 독재하의 억압적이고 암담한
권의 폭압적인 정치 속에 화려 강산
현실을 반어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 갈등과 억압을 겪어야
하는 시기였다. 일렬 이열 줄을 맞추어 날아가는 새의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획일화를 강요하는 군사 문화와
삼렬 횡대 사회적 분위기를 풍자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도 방안
이 세상 밖 화자가 지향하는, 자유롭고 이상적인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영화관에서까지 애국심을
강요받았던 강압적인 시
대 상황이 시구에 어떻게
함축되어 있는지 파악하
도록 지도한다. 또한, ‘끼
2 새들이 날아가면서 내는 소리인 ‘끼룩’과 ‘낄낄’에 나타난 화자의 어조와 그 효과를 생
룩 ’과 ‘낄낄 ’에 담긴 화자
의 어조를 살펴보고, 작가 각해 보자.
가 이와 같은 어조를 활용
한 의도를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끼룩’, ‘낄낄’에서 나는 조롱하고 야유하는 이러한 어조는
느낌을 받았어. 애국심이 강요되는 현실에 대한 비
학습 자료 바로 가기
이를 통해 화자의 어조가 냉소적임을 판과 냉소적 태도를 독자에게 잘 전
DVD–수행 평가
알 수 있지. 달하는

효과가 있어.

27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72 18. 11. 23. 오후 5:45


지도 방안
이 작품은 스크린 속 ‘흰 새 떼들’과 객석 속 화자의 처지를 대비하여 자유에 대한 소망과 그 좌절감을 극명하게 형
상화하고 있다. 스크린 속 상황과 객석 상황을 나타내는 시구를 작품에서 찾아보도록 안내하고, 이를 통해 제시된
상황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파악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스크린 속 상황과 객석 상황의 대비를 통해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를 파악해 보자.

지도 방안 스크린 속 상황 이 세상 밖 어디론가를 향해 흰 새 떼들이 자유롭게 날아가고 있다.


1970년대는 급격한 산업
영화 관람 전, 스크린을 보며 애국가를 경청하고 있다. 스크린 속 흰 새 떼들처럼 이 세상
화로 농촌 공동체가 붕괴 객석 상황
밖 어디론가 날아갔으면 하지만, 애국가가 끝나자 각자 자신의 자리에 주저앉는다.
되어 가던 시기이다. 두 작
품을 감상하며 문학과 역
사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
고, 시대별 문학의 특징을 화자의 태도
파악해 볼 수 있도록 지도 화자는 이 세상 밖 어디론가로 떠나고 싶은 욕망과 주저앉을 수밖에 없는 현실의 괴리에서 좌절감과 절망
한다. 감을 느끼고 있다. 이를 통해 화자는 당대의 억압적 현실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 소개

신경림(1936~)
시인. 주로 농촌의 생활
현실과 토착적 정서를 친 핵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사실적, 비판적, 묘사적
숙한 가락에 실어 노래하 정리
제재 농무 주제 산업화 시대에 소외된 농민들의 한과 울분
였음. 주요 작품으로는 감상 다지기 
공간의 이동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목계 장터」, 「가난한 사랑
특징 직설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드러냄.
노래」 등이 있음.
문학과 시대 상황 역설적인 상황 설정을 통해 농민들의 심리를 부각함.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4 다음은 1970년대에 발표한 작품이다. 당시의 시대 상황이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
지 살펴보고, 화자의 처지를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와 비교해 보자.

참고 자료 | 「농무」
이 작품은 1970년대의 급격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 보름달은 밝아 어떤 녀석은
한 산업화 정책 때문에 파괴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 달린 가설무대 꺽정이처럼 울부짖고 또 어떤 녀석은
되어 가던 농촌의 현실과 농
민들의 한을 노래한 시이다.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 빈 운동장 서림이처럼┏ 해해대지만┏이까짓
공허감, 소외감 ┛: 농촌 현실에 대한 자조적 한탄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산 구석에 처박혀 발버둥 친들 무엇하랴
① 분장이 땀으로 얼룩짐. ② 분한 마음이 얼룩짐. ┛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꺽정이 임꺽정. 조선 명종 답답한 심정이 드러나는 행동 농민들의 울분의 구체적인 이유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 두고
때의 의적. 백정 출신으로, 탐
관오리를 죽이고 그 재물을
⇢ 1~6행: 농무가 끝난 후의 허탈감
꽹과리를 앞장세워 장거리로 나서면
⇢ 11~16행: 피폐해진 농촌 현실에 대한 울분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빼앗아 빈민에게 나누어 주는 ┏따라붙어 악을 쓰는 건 쪼무래기들뿐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일을 함. ┛: 산업화로 젊은이들이 떠난 농촌의 현실 역설적 상황
서림이 임꺽정의 참모로, 임
처녀 애들은 기름집 담벽에 붙어 서서 한 다리를 들고 날나리를 불꺼나
태평소
꺽정을 배신한 인물. 철없이 킬킬대는구나 고갯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꺼나
┛ ⇢ 17~20행: 농무를 통한
쇠전 소를 사고파는 장.
 ⇢ 7~10행: 장거리로 나선 농악 패와
농촌의 초라한 모습
분노와 한의 승화
- 신경림, 「농무(農舞)」
도수장 도살장.

‘농무’의 의미와 시적 기능
1 이 작품이 창작될 당시의 시대 상황을 확인하고, 작품의 내용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농촌에서 마을 사람들
의 단합과 즐거움을 살펴보자.
의미 1970년대 산업화로 농촌 공동체가 붕괴되고 농민들은 절망감과 울분을 느꼈다. 이는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위해 풍물놀이에 맞추
어 흥겹게 추던 춤 것’, ‘산 구석에 처박혀 발버둥 친들’,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와 같은 시구에 반영되어 있다.


농민들의 한과 울분 2 이 작품의 화자의 처지를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와 비교해 보자.
을 풀어냄. 이 작품의 화자는 산업화로부터 소외된 농촌에서 답답하고 고달프게 살아가고 있다.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의
단합과 즐거움의 기 화자는 폭압적인 정치 속에서 갈등과 억압을 겪으며 자유로운 세계를 소망하고 있지만, 현실을 벗어날 수 없어서
기능
능이 소멸된 농무를 절망감을 느끼고 있다.
통해 농촌의 붕괴를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73
보여 줌.

책1.indb 273 18. 11. 23. 오후 5:45


감상을
작품 2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는 1980년대 영화관의 모습을 통해, 군사 독재로 인한 암울한 현실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과 이에 대한 무력감을 그려 낸 시이다. 이 작품에서 화자는 영화가 시작되기 전에 울려 퍼지
품에 반영된 시대적 상황
는 애국가의 화면 속에 나오는 새 떼의 비상을 보며, 자신도 새 떼들처럼 ‘이 세상 밖 어디론가
과 화자의 태도 및 심리,
작품에 담긴 주제를 바탕 날아갔으면’ 하는 소망을 갖는다. 하지만 지상을 이륙하여 장대하게 날아오르는 새 떼와는 대
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조적으로 현실에 주저앉을 수밖에 없는 화자의 좌절감과 절망감을 드러냄으로써 당대의 억압
학생들과 함께 읽거나 간
단히 질문을 하면서 작품 적인 현실을 풍자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할 감옥에
수 있도록 지도한다. 수가
순서를

지식 창고
지도 방안 음성 상징어
‘지식 창고’에서는 음성 상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에서 사용된 ‘끼룩’, ‘낄낄’ 등의 음성 상징어는 현실에 대한 화자
징어의 개념과 효과 및 다
른 작품의 예를 정리하였 의 냉소적 태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음성 상징어란 어떤 특정한 뜻이나 인상을 상징적인
다. 음성 상징어를 효과적 음성으로 표현한 것이다. 대개 사람이나 사물의 소리를 흉내 낸 말인 ‘의성어’나 모양이나 움
으로 사용할 경우 운율을
형성하고, 강한 인상을 주 직임을 흉내 낸 말인 ‘의태어’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음성 상징어를 구사하면 운율을 형성할
며, 대상을 생동감 있게 나 수 있고, 작품의 주제와 연결되어 강한 인상을 주는 효과가 있다.
타낼 수 있다는 점을 이해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박두진의 「청산도」 중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흐르는 골
짜기 스며드는 물소리에. 내사 줄줄줄 가슴이 울어라.’에서 음성 상징어 ‘철철철’, ‘줄줄줄’은
대상을 생동감 있게 나타낸다. 또한 정지용의 「향수」 중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 거
리는 곳’에서 음성 상징어 ‘도란도란’은 단란하고 행복한 시적 상황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차치
를통
학습 자료 바로 가기 요성을
고 진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낭만에
의견
지도 방안
갈래 화자
‘더 읽어 보기 ’에서는 「새 황지우
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와
관련하여 갈래와 화자의
측면에서 함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을 엮어 놓았다.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 원작 / 주인석 각본 「우리가 물이 되어」 강은교
학생들 스스로 작품을 감
상해 보고, 시와 연극의 상 정치·사회 고발적 성격이 짙은 황지 ‘물 ’과 ‘불 ’의 대립적 이미지를 통해
관관계 및 화자의 이상향 우의 시 50여 편을 골라 에피소드로 극 생명력이 충만한 삶을 맞이하자는 소망
을 비교하여 살펴볼 수 있
화한 희곡. 시와 연극의 상관관계를 중 을 노래한 시. 화자가 꿈꾸는 세상의 모
도록 이끌어 준다.
심으로 감상해 보자. 습을 비교하여 감상해 보자.

274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74 18. 11. 23. 오후 5:45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새 출발을 앞둔 사람들이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한 작가의 당부가 담긴 수필이다. 실천하는 삶의 소중함에 대

3
한 작가의 진지한 사색이 담긴 이 작품을 통해 1990년대의 시대 상황과, 이에 대한 작가의 비판 의식을 살펴볼 수 있
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작품

감상 열기 이 작품은 새 출발을 앞둔 사람들이 지녀야 할 자세를 당부한 수필이다. 작가가 말하려는 바


를 바탕으로 이 작품이 주는 교훈과 감동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핵심 갈래 경수필 성격 교훈적, 비유적


학습 자료 바로 가기 정리
제재 진정한 합격과 자유의 의미
DVD–멀티미디어 자료
주제 삶의 본질을 추구하며 실천하는 삶의 소중함

새 출발점에 선 당신에게

독자를 받는 사람으로 설정한 편지글 형식임.
차분하고 설득적인 어조로 독자에게 교훈을
신영복
특징 전달함.
자신의 경험과 옛 고사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감.

처음 나와 같이 징역살이를 한 노인 목수 한 분이 있었습니다. 언젠가 그 노인이 신영복


(1941~2016)
05 내게 무얼 설명하면서 땅바닥에 집을 그렸습니다. 그 그림에서 내가 받은 충격
감옥에서 노인 목 작가, 대학교수. 오랜 수
수가 집을 그리는 은 잊을 수 없습니다. 집을 그리는 순서가 판이하였기 때문입니다. 지붕부터 감 생활을 바탕으로 인생에
순서를 봄. 대한 사색과 성찰을 담은 글
그리는 우리들의 순서와는 거꾸로였습니다. 먼저 주춧돌을 그린 다음 기둥· 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노인 목수가 집을 그리는 순서: 집을 짓는 순서와 같음.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
도리·들보·서까래·지붕의 순서로 그렸습니다. 그가 집을 그리는 순서는 집 무야 나무야』, 『더불어 숲』
등이 있다.
을 짓는 순서였습니다. 일하는 사람의 그림이었습니다. 세상에 지붕부터 지을
실제 생활에 토대를 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그림
10 수 있는 집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붕부터 그려 온 나의 무심함이 부

끄러웠습니다. 나의 서가(書架)가 한꺼번에 무너지는 낭패감이었습니다. 나는 ‘ 나의 서가 ’ 가 한꺼번에


실제에 기초하지 않은 자신의 지식 체계가 부정당하는 듯한 당혹감을 느낌. 무너지는 낭패감이 든 이유
지금도 책을 읽다가 ‘건축’이라는 단어를 만나면 한동안 그 노인의 얼굴을 상기 는 무엇일까?
지난 일을 돌이켜 생각하여 냄.
합니다. ⇢ 감옥에서 노인 목수가 집을 그리는 순서를 봄. 실제에 기초하지 않은 자신
의 지식 체계가 부정당하는
중간 ┏차치리(且置履)라는 사람이 어느 날 장에 신발을 사러 가기 위하여 발의 크 듯한 당혹감을 느꼈기 때문
┏ 이다.
┛: 『한비자』에 나오는 고사의 내용을 인용함.

‘차치리’의 이야기
15 기를 본으로 떴습니다. 이를테면 종이 위에 발을 올려놓고 발의 윤곽을 그렸습
버선이나 옷 따위를 만들 때에 쓰기 위하여 본보기로 만든 실물 크기의 물건
를 통해 본질의 중
요성을 이야기하 니다. 한자(漢字)로 그것을 탁(度)이라 합니다. 그러나 막상 그가 장에 갈 때는
고 진정한 자유와
낭만에 대한 작가 깜박 잊고 탁을 집에 두고 갔습니다. 신발 가게 앞에 와서야 탁을 집에다 두고
의 견해를 밝힘.
온 것을 깨닫고는 탁을 가지러 집으로 되돌아갔습니다. 제법 먼 길을 되돌아가
본질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차치리’의 어리석은 행동
서 탁을 가지고 다시 장에 도착하였을 때는 이미 장이 파하고 난 뒤였습니다.
20 그 사연을 듣고는 사람들이 말했습니다.

“탁을
 가지러 집에까지 갈 필요가 어디 있소. 당신의 발로 신어 보면 될 일이 판이하였기 비교 대상의
본질이 아닌 것 본질인 것 성질이나 모양, 상태 따위가
아니오.” 아주 달랐기.

차치리가 대답했습니다. 도리 서까래를 받치기 위


본질이 무엇인지 알지 못함. 하여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아무려면 발이 탁만큼 정확하겠습니까? ” 나무.

전체 구성
처음 중간 끝
감옥에서 노인 목수가 집 ‘차치리’의 이야기를 통해 본질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진정한 합격자가 되라는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75
을 그리는 순서를 봄. 진정한 자유와 낭만에 대한 작가의 견해를 밝힘. 당부의 말을 전함.

책1.indb 275 18. 11. 23. 오후 5:45


1

‘본질이 아닌 것’과 ‘본질인 것’의 구분

본질이 아닌 것 본질인 것
탁, 교실, 종이, 족, 공장, 망치, 주춧돌부터 집을 그리던 그 노인이 발로 신어 보고 신발을 사는 사람이라면
의상, 화폐, 임 사람, 물건, 노 본질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
금 동력 나는 탁을 가지러 집으로 가는 사람이었습니다.
  본질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
이론 실천 탁(度)과 족(足), 교실과 공장, 종이와 망치, 의상(衣裳)과 사람, 화폐와 물건,
: 본질이 아닌 것, : 본질인 것

부수적인 것과 본질이 뒤바뀌어 있는 우리 임금과 노동력, 이론과 실천……. 이러한 것들이 뒤바뀌어 있는 우리의 사고
본질이 아닌 것과 본질인 것
사고에 대한 비판 진
(思考)를 다시 한번 반성케 하는 교훈이라고 생각합니다. 05


‘ 나 ’ 가 당신을 위로하지 나는 당신을 위로하기 위하여 이 이야기를 전하는 것이 아닙니다. ‘위로’는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능 점수 100점으로 예비 합격한 수험생(표면적)과 본질을 보지 못하고 형식에 집착하는 현대인(이면적)
진정한 애정이 아닙니다. 위로는 그 위로를 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스스로가 위
‘나’는 위로가 진정한 애정이
아니며, 위로를 받는 사람으
로 하여금 스스로가 위로의
로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확인케 함으로써 다시 한번 좌절하게 하는 것이기 때
대상이라는 사실을 확인케
하여 다시 한번 좌절하게 하
문입니다. ⇢ ‘차치리’ 고사를 통해 본질의 중요성을 이야기함.
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 ┏나는 당신이 대학의 강의실에서 이 편지를 읽든 아니면 어느 공장의 작업대 10
이다. ┏
┛: 본질적인 것을 추구하고 있다면 사회든 대학이든 어느 곳에 있든 상관없음.
옆에서 읽든 상관하지 않습니다. 어느 곳에 있건 탁이 아닌 발을 상대하고 있
본질이 아닌 것 본질인 것
다면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당신이 사회의 현장에 있다면 당신은 당신의 살아 있는 발로 서 있는
사회는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살아 있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임.
것입니다. 그리고 만일 당신이 대학의 교정에 있다면 당신은 더 많은 발을 깨

달을 수 있는 곳에 서 있는 것입니다. 대학은 기존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15

┛: 대학은 현실에 기초한 새 이론들을 창조할 수 있는 곳임.
‘종속의 땅’이기도 하지만 그 연쇄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가능성의 땅’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자유와 낭만’의 의미
당신은 그동안 못 했던 일을 하고,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나고, 가고 싶은 곳
일반적인 의미 ‘당신’이 생각하는 ‘자유와 낭만’의 의미
못 했던 일을 하고, 만 을 찾아가겠다고 했습니다. 대학이 안겨 줄 자유와 낭만에 대한 당신의 꿈을
나고 싶은 사람을 만나
고, 가고 싶은 곳을 찾 모르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얽매여 있던 당신의 질곡을 모르지 않습니다. 당 20
아가는 것
신은 지금 그러한 꿈이 사라졌다고 실망하고 있지나 않은지 걱정됩니다.
작가의 생각
관계의 건설 공간 → 인 그러나 ‘자유와 낭만’은 그러한 것이 아닙니다. 자유와 낭만은 ‘관계의 건설
작가가 생각하는 ‘자유와 낭만’의 의미
간관계의 넓이를 넓히
는것 공간’이란 말을 나는 좋아합니다. 우리들이 맺는 인간관계의 넓이가 곧 우리들

이 누릴 수 있는 자유와 낭만의 크기입니다. 그러기에 그것은 우리들의 일상


너무 쉽게 여기는 태도나 경향이 있는
질곡 몹시 속박하여 자유 (日常)에 내장되어 있는 ‘안이한 연루(連累)’를 결별하고 사회와 역사와 미래 25
를 가질 수 없는 고통의 상 대학에 대한 작가의 생각 ①

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를 보듬는 너른 품을 키우는 공간이어야 합니다.


연루 남이 저지른 범죄에 그리하여 당신이 그동안 만들지 않고도 공부할 수 있게 해 준 수많은 사람들의
연관됨. 여기서는 ‘관련 ’, 대학에 대한 작가의 생각 ②
‘관계’를 말한다. 얼굴을 만나는 연대의 장소입니다.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발의 임자를 깨닫
대학에 대한 작가의 생각 ③

276 4. 한국 문학의 역사

문학 주석교과서(230~299)4단원②.indd 276 18. 11. 29. 오후 3:58


게 하는 ‘교실’입니다. 만약 당신이 대학이 아닌 다른 현장에 있다면 더 쉽게 그
이론이 아닌 실천으로 사는 사람
들의 얼굴을 만날 수 있습니다. 당신이 바로 그 사람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진정한 자유와 낭만에 대한 작가의 견해
끝 그래서 나는 당신의 수능 시험 성적 100점은 그야말로 만점인 100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올해 당신과 함께 고등학교를 졸업한 67만 5천 명의 평균


진정한 합격자가
05
되라는 당부의 말 점수입니다. 당신은 친구들의 한복판에 서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을 전함.
중간은 풍요한 자리입니다. 수많은 곳, 수많은 사람을 만나는 자리입니다. 그

보다 더 큰 자유와 낭만은 없습니다.


인간관계의 넓이를 넓히는 것
언젠가 우리는 늦은 밤 어두운 골목길을 더듬다가 넓고 밝은 길로 나오면서 ‘ 나 ’가 말하는 진정한 ‘ 합
격자 ’의 의미는 무엇일까?
기뻐하였습니다. 아무리 작은 실개천도 이윽고 강을 만나고 드디어 바다를 만 삶의 본질을 추구하며 실천
폭이 매우 좁고 작은 개천
하는 사람을 말한다.
10 나는 진리를 감사하였습니다. 주춧돌에서부터 집을 그리는 사람들의 견고한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본질적인 것을 실천하는 사람들
믿음입니다. 당신이 비록 지금은 어둡고 좁은 골목길을 걷고 있다고 하더라도

나는 당신을 걱정하지 않습니다. 당신의 발로 당신의 삶을 지탱하고 있는 한

언젠가는 넓은 길, 넓은 바다를 만나리

라고 믿고 있습니다. 드높은 삶을 ‘예비’ 가장 인상적인 문장과 그 이유 나의


감상
‘드높은 삶을 ‘예비’하는 진정한 ‘합격자’가
15 하는 진정한 ‘합격자 ’가 되리라고 믿고 되리라고 믿고 있습니다.’라는 문장이 인상적이
삶의 본질을 추구하기를 소망함. 다. 작가의 소망과 당부가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길의 어디쯤에서 당

신과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진정한 합격자가 되라는 당부의 말
‘당신’의 의미


대학에 예비 합격한 수험생
표면적
입시를 끝내고 새로운 사회를 접하
‘당신’ 의미
게 되는 젊은이들

독자 
본질을 보지 못하고 겉모습과 형식
이면적
에 얽매인 현대인
의미
새로운 출발을 앞두고 있는 사람들

확인 문제

1. 이 작품은 작가의 당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편지 형식을 취하고 있다. (, ×) 학습 자료 바로 가기
2. 작가는 ‘대학’을 본질이 아닌 것으로, ‘사회의 현장’을 본질인 것으로 보고 있다. (, ×) DVD–학습지, 쪽지 시험
3. 이 작품에서 작가가 말하는 ‘자유와 낭만의 크기’와 관련 있는 것을 2어절로 쓰시오.
4. 이 작품에서 작가가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마련한 글감 두 가지를 쓰시오.
1.  2. × 3. 인간관계의 넓이 4. 감옥에서의 체험(노인 목수의 집 그리는 순서), ‘차치리’의 고사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77

책1.indb 277 18. 11. 23. 오후 5:46


지도 방안

학습
이 작품은 독자를 받는 사람으로 설정한 편지글 형식으로, 자신의 경험과 고사를 바탕으
로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작품의 형식과 내용상의 특징을 학생들이 직
감상 모으기 접 찾아보고, 그 효과도 함께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의 형식과 내용상의 특징을 파악해 보자.

동 형식 독자를 받는 사람으로 설정하고 쓴 편지글 형식

작가의 체험을 일화로 제시하고 있음.


내용상의
•작가가 알고 있던 ‘차치리’ 고사를 인용하여 제시하고 있음.
지도 방안 특징
이 작품은 노인 목수와
‘차치리 ’ 일화를 통해 본
질인 것과 본질이 아닌 것
을 설명하고 있다. 이를

2
바탕으로 작가가 독자에
게 전달하려는 궁극적인
이 작품의 처음 부분에 제시된 일화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작가가 전달하고자
내용을 파악해 보도록 지
도한다. 한 바를 말해 보자.

도움말 | 작가가 자신의 본질인 것 본질이 아닌 것


깨달음을 효과적으로 전
달하기 위해 활용한 비유 ‘ 주춧돌 → 기둥 → 도리 → 들보 → 서
적 표현들을 파악하고, 노인 목수의
까래 → 지붕 ’과 같이 집을 짓는 순서 지붕부터 그림.
그림
작가의 의도에 따라 그 대로 그림.
대상들을 구분해 본다.

‘차치리’
족(足) 탁(度)
이야기

작가가 전달하고자 한 바
본질적인 것과 부수적인 것이 뒤바뀌어 있는 우리의 사고를 비판하고, 삶의 본질을 추구할 것을 이야기하고자
함.

지도 방안
이 작품에서 작가는 주제

3
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편지글 형식을 활용
이 작품에서 언급한 ‘당신’은 누구인지 생각해 보고, 이 작품이 ‘당신’ 이외의 사람들
하고 있다. 작가가 깨달음
과 교훈을 전달하고자 하 에게도 교훈을 줄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지 말해 보자.
는 표면적인 독자뿐만 아
니라 이면적인 독자까지
이 작품에서 ‘당신’은 대학에 예비 합격한 수험생으로, 입시를 끝내고 새로운 사회를 접하게 되는 젊은이들을 가리킨다
파악해 볼 수 있도록 지도
고 볼 수 있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바람직한 삶의 자세에 대해 언급하며, 삶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따라서
한다.
이 작품은 새 출발을 앞두고 있는 사람들이나 본질을 보지 못하고 겉모습과 형식에 얽매인 현대인들에게도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78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78 18. 11. 23. 오후 5:46


핵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비판적, 애상적
지도 방안 정리
제재 ‘구자명 씨’의 고단한 삶
이 작품은 가정과 직장 때 주제 여성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사회에 대한 비판
문에 고단하게 살아가는
‘구자명 씨 ’의 모습을 통 감상 다지기 ‘구자명
 씨’라는 개인의 삶의 모습을 통해 현대 여성의 고달픔
을 구체적으로 드러냄.
해, 여성에게 희생을 강요 특징
‘팬지꽃’,
 ‘안개꽃’ 등의 시어를 활용하여 시적 대상의 모습을
하는 사회를 비판하고 있
문학과 시대 상황 비유적으로 표현함.
는 시이다. 두 작품을 감상
하며 작가가 어떤 세태에
대해 비판하고 있는지 살 4 다음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 반영된 당시 세태에 대한 작가의 비판 의식을 「새 출발
펴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점에 선 당신에게」와 비교해 보자.

참고 자료 | 「우리 동네 구자
명 씨」 맞벌이 부부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그래그래 저 십 분은
이 작품은 출근 버스에 오 ‘구자명 씨’의 상황 ①: 직장에 다님.
르자마자 졸고 있는 구자명 씨
일곱 달 된 아기 엄마 구자명 씨는 새벽녘 만취해서 돌아온 남편을
를 통해 맞벌이 여성의 삶의
┏출근
‘구자명 씨’의 상황 ②: 아이를 키움.
버스에 오르기가 무섭게 위하여 버린 시간일 거야
모습을 그리고 있는 시이다.

┛: 피곤해하는 ‘구자명 씨’의 모습 ┛
아침 햇살 속에서 졸기 시작한다 고단한 하루의 시작과 끝에서
: 여성의 희생 → 비유적 표현
경기도 안산에서 서울 여의도까지 잠 속에 흔들리는 팬지꽃 아픔
‘구자명 씨’의 집 ‘구자명 씨’의 직장
작가 소개
경적 소리에도 아랑곳없이 식탁에 놓인 안개꽃 멍에
고정희(1948~1991)
옆으로 앞으로 꾸벅꾸벅 존다
⇢부엌문이
┏그러나 11~19행: ‘구자명 씨’의 고단한 삶
여닫히는 지붕
시인. 민중의 고난과 저항, ┏
┛: ‘구자명
 씨’ 개인의 문제가
가혹한 현실에도 절망하 차창 밖으론 사계절이 흐르고 마다 여성 전체의 문제로 확대됨.
지 않는 의지와 생명에 대 계절이 바뀌어도 반복되는 고된 삶
한 사랑을 형상화한 작품 진달래 피고 밤꽃 흐드러져도 꼭 여자가 받쳐 든 한 식구의 안식이
을 주로 썼음. 주요 시집
고단한 삶과 대조적인 아름다운 풍경 여성의 희생으로 유지되는 가정의 안식 ┛
부처님처럼 졸고 있는 구자명 씨, 아무도 모르게
으로는 『누가 홀로 술틀을 졸고 있는┛
⇢ 1~10행: 출근 버스에서‘구자명
밟고 있는가』, 『초혼제』, 그래 저 십 분은 씨’ 죽음의 잠을 향하여
『지리산의 봄』 등이 있음. ┏간밤 아기에게 젖 물린 시간이고 ① 깊이 잠듦. ② 피로가 생존을 위협함.
거부의 화살을 당기고 있다

┛: 간밤의 가사 노동 → 졸음의 원인 ① 피곤하지만 잠을 제대로 잘 수 없음.
또 저 십 분은 ②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에 저항함.
멍에 쉽게 벗어날 수 없는
간밤 시어머니 약시중 든 시간이고
⇢
20~24행: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
-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구속이나 억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두 작품 속에 반영된 세태: 「새 출발점에 선 당신에게」에는 겉모습과 형식에 얽매여 본질적인 것과 부수적인 것이


뒤바뀌어 있는 세태가 반영되어 있고, 「우리 동네 구자명 씨」에는 여성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세태가 반영되어 있다.

두 작품 속에 담긴 작가의 비판 의식: 「새 출발점에 선 당신에게」의 작가는 부수적인 것에 집착하여 본질적인


것을 보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해 비판하고, 새 출발을 앞둔 사람들이 삶의 본질을 추구하며 실천하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우리 동네 구자명 씨」의 작가는 여성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사회를 비판하고, 평등한 사회가 되기를 바
라고 있다.

지도 방안 자기 성찰 . 계발
지금까지의 활동을 바탕
으로, 삶의 본질을 추구하 5 ‘새 출발점에서 선 나의 이야기’라는 주제로 자신의 포부를 밝히는 글을 써 보자. 이를
고 실천하며 살아가는 방 누리 소통망(SNS)에 공유해 보고, 친구들의 반응 중 인상 깊은 것을 소개해 보자.
법은 무엇일지 생각해 볼
대학 합격 후 새 출발점에 선 저는 건설 공학자가 되겠다는 꿈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저는 무엇보다도 시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때
들의 삶과 밀접하며, 일상 속에서 편리함을 추구하는 환경 도시를 설계하고 싶습니다. 우선 대학교 1, 2학년 때에는 도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내
시 계획과 관련된 기초 교과목을 공부하여 전공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3, 4학년 때에는 전공에 대한 심화 학습을 하고
용의 계획을 구상해 보도
싶습니다. 다양한 ‘도시 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실제적 지식과 역량도 키우겠습니다. 또한 외국어를 공부해서 세
록 지도한다. 계 건설 공학의 최신 경향을 배우고, 이를 우리나라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연구하겠습니다. 그리고 국내 및 해외
집짓기 봉사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며 제가 가진 재능을 다른 사람의 행복한 삶을 위해 쓰고 싶습니다.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79

책1.indb 279 18. 11. 23. 오후 5:46


감상을
작품 3 새 출발점에 선 당신에게 마치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수능 기출 문제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새 출발점에 선 당신에게」는 인생의 새로운 출발을 시작할 때 갖추어야 할 삶의 자세에 대하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여 편지 형식으로 쓴 수필이다. 작가는 감옥에서의 경험과 고사(故事)에 나오는 인물인 ‘차치
품의 주제와 형식, ‘당신 ’
리’의 이야기를 들어 추상적 관념에 의존하기보다는 구체적인 실천 속에서 살아가기를 당부하
의 의미, 교훈 등을 바탕으
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학 고 있다. 이 작품에서 ‘당신’은 표면적으로는 대학에 합격한 예비 수험생을 의미하지만, 내면적
생들과 함께 읽거나 간단
으로는 본질을 보지 못하고 겉모습과 형식에 집착하는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히 질문을 하면서 작품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할 수 작가는 세상에 나아갔을 때 중요한 것은 성적, 실력 등이 아니라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많
있도록 지도한다. 은 사람들과의 연대이며, 이러한 삶을 실천하며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것임을 깨우쳐 준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가장 먼 여행」
‘지식 창고’에서는 작가의 생각은 가슴이 합니다. 생각은 가슴으로 그것을 포용하는 것이며, 관점을 달리한다면 내가
강의를 책으로 엮은 『담론: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의 거기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생각은 가슴 두근거리는 용기입니다. 공부는 머리에서 가슴으로
내용 중, 이 작품과 관련 가는 애정과 공감입니다.
있는 내용을 일부 수록하
였다. 이를 읽고 작품에서 우리에게는 또 하나의 먼 여행이 남아 있습니다.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입니다. 발은 우리
말하는 ‘실천’의 의미에 대 가 발 딛고 있는 삶의 현장을 뜻합니다. 애정과 공감을 우리의 삶 속에서 실현하는 것입니다.
한 이해를 더욱 넓힐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공부는 세계 인식과 인간에 대한 성찰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삶이 공부이고 공부가 삶이라
고 하는 까닭은 그것이 실천이고 변화이기 때문입니다. 공부는 세계를 변화시키고 자기를 변
화시키는 것입니다. 공부는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하는 것이며, ‘가슴에서 끝나는 여행’이
아니라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입니다.
 - 신영복, 『담론: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주제 구성
‘더 읽어 보기 ’에서는 「새 신영복
출발점에 선 당신에게」와
관련하여 주제와 구성의
측면에서 함께 감상하면
좋을 작품을 엮어 놓았다.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 박완서 「미안합니다」 장영희
학생들 스스로 작품을 감
상해 보고, 작품이 주는 교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작가가 경험한 두 개의 일화를 통해
훈과 감동 및 일화를 활용 꼴찌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라본 수필. 깨닫게 된 ‘미안합니다’라는 말의 가치
한 방식을 살펴볼 수 있도
작품이 주는 교훈과 감동을 생각하며 감 를 이야기한 수필. 일화를 활용한 방식
록 이끌어 준다.
상해 보자. 을 비교하며 감상해 보자.

28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80 18. 11. 23. 오후 5:46


정리 지도 방안
4 광복 이후의 문학


‘정리하기’에서는 광복 이후 문학의 전개 양상을 광복 직후와 1950~1990년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각 시기에 나
타났던 주요 시대 상황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그 시기에 창작되었던 우리 문학의 양상을 이해하며 정리해 볼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광복 직후 문학

극심한 이념적 


자연 지향, 현실에 대한 인식 심화, 전통적 정서에 대한 관심 등의 내용을 다룬
대립과 갈등을 시가 창작됨.
겪게 됨. 광복 이후의 사회 현실과 인간의 근원적인 삶의 문제를 다룬 소설이 발표됨.

1950년대~1990년대 이후의 문학

 ·25 전쟁의 비극적 체험과 전후 사회, 분단 문제 등이 다루어짐.


6
1950년대 전후시(戰後詩)와 전통적 서정 계열 및 모더니즘 계열의 시가 창작됨.
부조리한 현실 고발, 인간 실존 탐구, 인간에 대한 애정을 담은 소설이 창작됨.

 ·19 혁명과 5·16 군사 정변을 겪으며 문학에서는 현실 참여와 자율성이 대두됨.


4
적극적인 참여의 목소리를 낸 현실 참여시와 시 문학의 본질적 영역을 탐구한 순수 서정시가 전
개됨.
1960년대
분단에 대한 인식이 심화되고,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거나 현대인의 소외와
방황을 다룬 소설이 창작됨.
사실주의극이 성행하고, 부조리극과 같은 새로운 양식이 도입됨.

 격한 산업화와 농촌 공동체의 붕괴,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민주화의 요구 등이 다루어졌으며,



노동자나 농민, 도시 하층민 등 민중의 소외된 현실을 고발하고 그 개선을 모색하는 것에 관심을
1970년대 둠.
희곡은 실험적인 연출과 전통의 현대적 수용이 이루어졌으며, 수필은 문학 시장이 확대되며 작자
층과 독자층이 확장됨.


5·18 민주화 운동으로 인한 민주화의 열망이 다루어짐.
시는 시대 상황에 대한 고발 및 풍자, 새로운 형식의 실험, 시적 서정성 확립 등의 양상을 보였으
1980년대
며, 소설은 사회 현실을 고발한 작품과 대하소설이 많이 발표됨.
마당극을 계승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풍자극이 활발히 창작됨.

 전 시기의 문학과 달리 개인의 일상과 내면에 관심을 두게 됨.



1990년대
여성 작가의 문학 활동이 확대되고, 환경과 생태에 대해 관심을 두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1980년
이후
대 운동권 이야기를 돌아보는 후일담 문학 등이 형성됨.

스스로 정리 이 단원 학습을 통해 알게 된 것을 바탕으로 259쪽에서 질문했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사람들의 삶이 다원화되었기 때문에 개인의 일상과 내면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고, 문학 작품의 주제도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자연이나 사물에서 포착한 시적 형상을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영상에 5행 이내의 문자를 추가하여 표현한 ‘디카
시’ 등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기법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 4 ) 광복 이후의 문학 281

책1.indb 281 18. 11. 23. 오후 5:46


5
[ 학습 목표 ]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전통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 등 다양한 양태
를 중심으로 한국 문학의 발전상을 탐구한다.
•‌미래의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바를 탐구하고, 세계화와 더불어 한국 문학
의 개념이나 범위를 모색한다.

한국 문학의
발전상
지도 방안
생각해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자신을 돌아보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을 삽화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보기 것과 잘하는 것을 바탕으로 미래의 진로를 탐색하듯이, 오늘날 한국 문학의 내적·외적 양상에 대한 점검을 통하여 한국 문학
의 미래와 발전상을 탐구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의 진로 탐색하기

내가 좋아하는 것은 뭐지?

내가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은
무엇일까?

위의 상황은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스스로를 살피고 이해하려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한국 문학의 미래를 탐색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살피고 이해해야 할까?

28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82 18. 11. 23. 오후 5:46


작품 1 작품 2

_리진 _은희경

한민족 문학의 개념과 그 의의에 대해 생각하며 작품 디지털화된 새로운 문학의 특징과 전통적인 문학과
을 감상하기. 의 관계를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하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학습지

┏우리는 자신의 다양한 모습에 대해 살피고 이해해 봄으로써 자신이 나아갈 방향과 발

┛: 자신의 발전상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
전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바를 탐색해 보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 문학의 내적 다양성과 외적 전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문학을 입체적이
┏ ▲
┛: 한국 문학의 발전상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
고 포괄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 ⇢ 한국 문학의 발전상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해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이라는 공간적 상황과, 전통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
공간적 상황에 따른 분류 시간적 상황에 따른 분류
이라는 시간적 상황 등의 다양한 양태를 중심으로 한국 문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역

┛: 한국 문학을 입체적·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 ┛
문학은 지역의 특수성과 독창성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한민족 문학은 해외로 이주한 우
지역 문학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리 국민들의 감정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 문학의
한민족 문학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바람직한 정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또한 북한 문학에 대한 파악 역시 통일 시대를 대비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을 살펴야 하는 이유 한민족 문학에 포함됨. 북한 문학을 파악해야 하는 이유
하여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 공간적·시간적 상황에 따른 한국 문학의 분류와,
지역 문학 및 한민족 문학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그뿐만 아니라 현대적 문학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현대에는 컴퓨터와 인터넷이 사
회와 문화의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문학 역시 발 빠르게
현대적 문학이 디지털화되고 있는 이유
디지털화되고 있다. 인터넷 소설과 같이 디지털화된 현대적 문학과 문자로 기록된 전통
디지털화된 현대적 문학의 대표적인 예
적인 문학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미래의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방 해 보자.
알고 싶은 것을 질문
스스로 질문 이 단원 학습을 통해

┛: 현대적 문학과 전통적 문학의 관계 및 변화를 살펴보는 것의 의의
향을 탐색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 까지일까?
⇢ 현대적 문학과 전통적 문학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한민족 문학의 범주는 어디
수 있는 이
독창성을 발견할
한국 문학의 발전상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 역 문학을 통해 지역의 특수성과

한국 문학의 내 미래의 한국 문
한국 문학을 입 유는 무엇일까?
적 다양성과 외 학이 나아갈 바
체적·포괄적

적 전개 양상을 를 탐색해 볼
으로 이해함.
살펴봄. 수 있음.

( 5 ) 한국 문학의 발전상 283

책1.indb 283 18. 11. 23. 오후 5:46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구부정한 소나무를 보고 고향에 대해 느낀 간절한 그리움을 읊은 시이다. 이 작품은 재외 국민인 작가가

1
한국어로 생산한 문학으로서 한민족 문학의 범주에 포함되므로, 공간적 양태의 측면에서 한국 문학을 입체적·포괄
작품
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러시아에서 거주했던 시인이 그곳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를 보며 느낀 감정을


그려 낸 시이다. 한민족 문학의 개념과 그 의의에 대해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핵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서정적, 애상적, 상징적


정리
제재 구부정 소나무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구부정 소나무 리진
주제

특징
이국에서 느끼는, 고향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자연물을 매개로 정서를 표현함.
의문과 명령의 형식을 통해 정서를 강조함.


┛: 화자와 같은 처지의 ‘구부정 소나무’
리진 ┏
숲의 먼 끝에 한 그루 외따로
(1930~2004) 숲의 나무들과 섞이지 못한 채 홀로
구부정 소나무가 서 있다 05
시인. 함경남도 함흥 출신
화자에게 고향을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

으로, 1957년 러시아로 망명
로씨야 땅에서 보기 드문
하였다. 1992년 해외 한국 러시아의 소나무는 곧게 자라기 때문임.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구부정 소나무가 서 있다
작품으로는 「윤선이」, 「싸리
⇢ 1연: 홀로 서 있는 ‘구부정 소나무’
섬은 무인도」, 「해돌이」 등이
있다. 그 곁을 지날 때면 언제나
작품을 통해 본 한국 문학의 범위
가만히 눈물을 머금는다
전체 구성 창작 러시아에 살고 있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
주체 재외 동포
1연
홀로 서 있는 ‘구부 저도 몰래 주먹을 쥔다 10
정 소나무’ +
‘구부정 소나무 ’의 가슴이 소리 없이 외친다 내용 및 조국에 대한
2연 곁을 지나며 느끼 역설법 → 화자의 간절함을 강조함. 정서 그리움과 슬픔
는 격렬한 감정 ⇢
2연: ‘구부정 소나무’의 곁을 지나며 느끼는 격렬한 감정
+
떠나온 조국과 고 멀리서 아끼는 사랑이 표기
3연 향에 대한 애틋한 조국을 떠나온 자가 조국을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마음 한국어
사랑과 그리움 방법
얼마나 애틋한지 아느냐
이 작품은 한국에서 창작되지는 않
길 떠난 아들을 잊지 마라 았지만, 한국인임을 잊지 않은 한국
화자. 망명하여 러시아로 온 시인 자신 인이 조국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로씨야 러시아. 구부정 소나무의 내 나라 모국어로 창작한 작품이므로 한국 15
떠나온 조국 문학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
⇢ 3연: 떠나온 조국과 고향에 대한 애틋한 사랑과 그리움

확인 문제
작품을 감상한 후 나의 한 줄 느낌 나의
감상 1. 이 작품에서는 화자가 고국에 지닌 원망의
여전히 자신의 뿌리를 고국에 두고, 그곳에서 심정이 잘 나타난다. (, ×)
잊히지 않는 존재가 되길 바라는 화자의 염원이 너무 2. 이 작품은 작가가 재외 국민이더라도 한국
나 간절히 느껴져서 안타깝기도 하고 슬프기도 했다. 문학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  (, ×)
3. 이 작품에서 떠나온 고국을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로 쓰인 것을 찾아 쓰시오.
4. 이 작품에서 화자 자신을 표현한 시구를 찾
아 3어절로 쓰시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1. × 2.  3. 구부정 소나무 4. 길 떠난 아들
DVD–학습지, 쪽지 시험

284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84 18. 11. 23. 오후 5:46


지도 방안

학습
화자가 처한 상황과 시적 대상을 파악하며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활동이다. 작품
속의 구체적인 시어를 근거로 들어, 화자가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보고 있는지를 이야기
감상 모으기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화자가 어디에서 무엇을 보고 있는지 말해 보자.

동 화자가 있는 곳: 로씨야 땅(러시아)


화자가 보고 있는 것: 구부정 소나무

지도 방안 2 다음 시구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 이를 통해 화자의 주된 정서를 파악해 보자.


이 작품에는 러시아에 있
는 화자가 돌아갈 수 없는 시구 의미
조국을 떠올리며 느끼는,
조국에 대한 그리움과 외 떠나온 조국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에 가슴이 아프다는 의미로, 역설법을
가슴이 소리 없이 외친다 통해 화자의 간절함을 강조함.
로움이 다양한 시구로 표
현되어 있다. 제시된 시구
멀리서 아끼는 사랑 조국을 떠나온 자가 조국을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마음
들의 의미를 파악하며 화
자가 조국에 대한 애상적
인 정서를 표출하고 있음 길 떠난 아들 화자 자신. 망명하여 러시아로 온 시인 자신
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구부정 소나무의 내 나라 떠나온 조국

지도 방안
해외 각 지역의 동포 문인 화자의 주된 정서 떠나온 조국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슬픔의 정서가 나타남.
들이 모국어에 대한 애착
을 바탕으로, 민족적 동질
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문학 작품을 창작하고 있
음을 고려하여, 한민족 문 한민족 문학

3
학의 가치와 의의를 인식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음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써 보고, 이를 근거로 이 작품이 한국 문학에 포함되는
이유와 한국 문학으로서 지니는 가치가 무엇인지 말해 보자.
도움말 | 해외 각 지역의
창작 주체 내용 및 정서 표기 방법
동포 문인들은 모국어에
대한 애착을 바탕으로, 러시아에 살고 있는 재외 동포 조국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한국어
민족적 동질성을 확보하
기 위해 많은 문학 작품
들을 창작하고 있음을 고
•창작 주체가 한국인임.
려해 본다. 한국 문학에
•한민족의 보편적 정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
포함되는 이유
•한국어로 표기하고 있음.

학습 자료 바로 가기 한국 문학으로서 재외 동포의 독특한 체험을 바탕으로 우리 한민족의 보편적 정서를 우리의 모국어로
DVD–수행 평가 지니는 가치 표현하여, 한국 문학의 다양성을 확대함.

( 5 ) 한국 문학의 발전상 285

책1.indb 285 18. 11. 23. 오후 5:46


지도 방안

지역 문학은 지역색을 담고 있으며, 한국 문학의 보편적 정서를 핵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산문시 성격 토속적, 회고적, 산문적, 묘사적
이루는 근간임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정리
제재 명절날 큰집에 모인 친척들과 집안 풍경

작가 소개 주제 명절날 고향의 풍요로운 정취와 가족 간의 유대감

백석(1912~1995) 감상 다지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이 전개됨.
어린아이의 시선을 취하여 회상의 형식으로 표현함.
시인. 방언을 즐겨 쓰면서 특징
도 모더니즘을 발전적으 반복, 열거, 대구 등의 표현 방법을 통해 운율을 형성함.
로 수용한 시들을 발표하 지역 문학 평안도 방언, 토속적 소재로 향토적이고 정겨운 분위기를 표현함.
였음. 주요 작품으로 「고
향」, 「국수」, 「여승」 등이
있음.
4 다음 작품에 나타나는 지역적 특징을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문학이 지니는 가
치 및 의의를 말해 보자.

참고 자료 | 「여우난골족」
이 작품은 명절을 맞아 큰 아침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
시간적 배경 엄마 아빠 친할머니, 친할아버지
집으로 나서는 시점부터 다음
날 아침까지의 이야기를 시간
는 큰집으로 가면
공간적 배경
⇢ 1연: 명절을 쇠기 위해 큰집에 가는 ‘나’
의 흐름에 따라 서사적으로 하루
드러낸 시이다. 시인은 자신의 점심 얼굴에 별 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로에 베 한 필을 짠다
외양을 직접 묘사함. 말수가 적고 어눌한 착실하고 부지런하게 일하는
고향인 평안북도 정주의 모습 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벌판 마을 이름 고모
을 토속어를 사용하여 생생하
작은 이녀(李女) : 화자가 열거한 친척들
게 묘사하고 있다.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
도움말 | 한국 문학은 각 지 잘 토라지는
역의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
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
발전해 왔다는 점을 고려하여 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지역 문학의 가치를 생각해
육십 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山)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본다. 과부이기 때문에 소복을 입음.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끝에 설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 골 고
학습 자료 바로 가기 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洪)동이 작은 홍(洪)동이
DVD–수행 평가
배나무 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
배나무 접붙이기 괄괄하고 기운이 센 삼춘의 모습
디젓 담그려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 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
포족족하니 빛깔이 고르지 밴댕이 젓
않고 파르스름한 기운이 도는.
숙모
⇢ 2연: 큰집에 모인 친척들의 모습
매감탕 엿을 고아 낸 솥을 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 안에서는 새 옷의 내
씻은 단물. 또는 메주를 쑨 솥 안채
음새가 나고
에 남은 걸쭉한 물. 명절을 맞아 새 옷을 차려 입은 모습을 후각적 이미지로 표현함.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뽂은 잔
오리치 평북 지방에서 오리 후각적 이미지 식사 때
사냥에 쓰이는 사냥 도구. 디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촉각적 이미지
여우난골족 여우난 골 부근
에 사는 일가 친척들.

⇢ 3연: 안방에 풍성하게 장만해 놓은 명절 음식들 - 백석, 「 여우난골족」 중에서
•지역적 특징: 평안북도 정주의 모습을 지역 방언을 사용하여 생생하게 묘사하였다. 또한 이 작품에 제시된 명절 음
지도 방안 식들에서도 지역적 특색이 잘 나타난다.
•지역 문학이 지니는 가치 및 의의: 지역 문학의 다양성과 보편성은 한국 문학의 특성을 이루는 근간이다.
한국 문학의 발전을 위해
한민족 문학과 지역 문학 학습 자료 바로 가기
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이
한국 문학의 변화와 발전 DVD–수행 평가
야기해 보도록 지도한다. 의사소통

도움말 | 분단 이후의 북한
5 한국 문학의 발전을 위한 관점에서, 한민족 문학이나 지역 문학을 대하는 우리의 바람
문학 역시 한민족 문학의 범 직한 자세에 대해 모둠별로 이야기를 나누어 보자.
주에 포함된다는 점을 함께
고려한다. 재외 동포의 문학 작품들과 북한 문학도 한국 문학으로 인식하는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색을 잘 보여
주고 한국 문학을 보다 풍요롭게 하는 지역 문학을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286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86 18. 11. 23. 오후 5:46


감상을
작품 1 구부정 소나무
마치며

감상의 정리
지도 방안 「구부정 소나무」는 시인이 러시아 망명 중, 고국에서 볼 수 있는 ‘구부정 소나무’를 보고 고
‘감상의 정리’에서는 이 작 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시이다. 1연에서는 러시아 땅에서 본, 숲의 끝에 외따로 서 있는 구
품의 창작 배경과 주제, 각
부정 소나무의 모습을 제시하였고, 2연에서는 ‘눈물을 머금는다’, ‘주먹을 쥔다’, ‘소리 없이 외
연의 시상 전개를 바탕으
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학 친다’와 같이 소나무를 지날 때 점차 동요되는 격렬한 감정을 표현하였다. 3연에서는 조국에
생들과 함께 읽거나 간단
대한 사랑을 ‘멀리서 아끼는 사랑’으로, 화자 자신을 ‘길 떠난 아들’로 표현하여 멀리서도 조국
히 질문을 하면서 작품에
대한 감상을 내면화할 수 을 애틋하게 그리워하는 화자의 심경을 잘 드러내고 있다.
있도록 지도한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지식 창고’에서는 지역 문 각 지방의 지역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창작되어, 우리 민족의 정서와 사상적인 측면에서 보
학과 한민족 문학에 대하
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예 편성과 공감대를 형성한 작품들을 ‘지역 문학’이라 한다. 각 지역의 「아리랑」은 대표적인 지역
를 통해 지역 문학과 한민 문학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세계 각국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국인이 현지에 살면서 체험한
족 문학의 개념을 이해하
고, 한민족 문학의 범주와 삶과 경험을 한국어로 창작한 작품을 ‘한민족 문학’이라고 한다. 남북 분단 이후 북한 문학 역
그 의의를 인식할 수 있도 시 한민족 문학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민족 문학은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
록 지도한다.
와 사상을 바탕으로 우리 민족이 추구하는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
으며, 우리 문학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주제 리진
갈래
‘더 읽어 보기 ’에서는 「구
부정 소나무」와 관련하여
한민족 문학 작품과, 북한
문학 작품을 엮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로 작품을 감 「두만강 돌멩이」 윤청남 「황진이」 홍석중
상해 보고, 중심 소재에 담
겨 있는 상징적 의미와 주 두만강 강변에 있던 돌멩이들이 사라 ‘송도삼절’이라 불리었던 황진이의 일
제 및 북한 문학의 의의를 진 것에 대한 아쉬움을 노래한 시. 중심 생을 새로운 시각에서 그린 소설. 한민
살펴볼 수 있도록 이끌어
소재에 담겨 있는 상징적 의미와 작품의 족 문학에 포함되는 북한 문학의 의의에
준다.
주제를 비교하여 감상해 보자.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 5 ) 한국 문학의 발전상 287

책1.indb 287 18. 11. 23. 오후 5:47


●● 작품 선정 이유
이 작품은 17살 소년 ‘연우’의 아픔과 성장을 통해 행복의 의미를 묻는 인터넷 소설이다. 이 작품은 청소년들의 고민

2
과 감정을 다루고 있어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고, 작가가 연재 기간 동안 독자와 직접 소통하여, 기존과는 다른 집필
작품
방식을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현대적 문학의 소통 방식을 이해할 수 있기에 이 단원의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이 작품은 한 출판사의 인터넷 카페에 연재된 인터넷 소설이다. 디지털화된 새로운 문학의
특징과 전통적인 문학과의 관계를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핵심 갈래 성장 소설, 인터넷 소설 성격 현실 비판적


정리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 배경 현대, 일산
제재 힙합에 빠진 한 소년의 성장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멀티미디어 자료 소년을 위로해 줘 은희경
주제 한 소년이 만남과 이별 속에서 겪는 아픔과 성장

힙합 노래의 가사를 삽입하여 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특징
현재 시제를 사용하여 사건을 생동감 있게 전
달함.

은희경 앞부분 줄거리 엄마와 단둘이 살고 있는 연우는 이사를 한 뒤, 학교를 배정받기 위해 전학을 추첨하
(1959~)
는 곳에 가게 된다. 연우가 원서를 쓸 때 앞에 서 있던┏독고태수라는 아이는 처음 본 사이인데도 연우 05

소설가. 풍부한 상상력과 ┏ : ‘독고태수’가 친화력이 좋은 성격임을 알 수 있음.

에게 친밀하게 말을 건다. 연우는 독고태수의 첫인상이 영 마땅찮았지만, 입술 위에 작은 흉터를 보고
감각적 문체를 구사한 작품 ┛ : 첫인상은 별로였지만, ‘독고태수’에게 은근히 마음이 가는 ‘연우’


을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 는 독고태수가 순진한 아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버스를 기다리다가 연우는 독고태수를 또

로는 「새의 선물」, 「마지막 만나게 되고, 두 사람은 함께 버스를 탄다.
춤은 나와 함께」 등이 있다.
‘연우’는 학교에서 처음 만난 ‘독고태수’와 함께 ‘G-그
발단
리핀’의 노래를 듣고 노랫말에 깊이 공감함.

이전 글 다음 글

[은희경 일일 연재] 소년을 위로해 줘( 회) 전체 공개 2010. . . 10

주소 복사
은희경 (hiph*****) 1:1

“난 독고태수야.”
처음 보는 ‘연우’에게 친밀하게 말을 걸 정도로 친화력이 좋음.
내가 강연우라고 이름을 말하자 웃으며 고개를 끄덕인다.
“알아, 아까 접수 때 서류에서 이름 봤어.”
┏하긴 앞뒤로 서 있었으니 나만 독고태수의 이름을 봤으란 법은 없지. 신경이 쓰였든 관심이 갔든. 그거, 비 15


슷한 말인가? ┛: 일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구어적인 문체를 사용함.

몇 정류장 지나자 맨 뒷자리가 빈다. 독고태수와 나는 거기 나란히 앉는다. 안쪽에 서 있던 내가 창가 자리
이다. 별로 할 말은 없고, 그런데 참, 미스터 심드렁이라니, 좀 시큰둥해 보인다는 뜻인가?
앞부분에서 ‘독고태수’가 ‘연우’를 ‘미스터 심드렁’이라고 불렀음.
내가 묻자마자 독고태수가 주머니에서 엠피스리(MP3)를 꺼낸다.
“노래 제목이야. 들어 볼래? ” 전체 구성 20
※ 교과서 수록 내용은 ‘발단~전개’ 부분임.
「미스터 심드렁」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연우’는 자신의 방
‘연우’는 ‘민기훈’이 ‘연우’는 오해를 풀고
‘연우’는 학교에서 처 전 주인인 ‘민기훈’과
‘G-그리핀’이었음을 ‘채영’의 진심을 알게 3년 후 ‘연우’는 ‘G-
음 만난 ‘독고태수’와 좋아하던 사이인 ‘채
알게 되고, ‘채영’이 자 되고, ‘독고태수’는 둘 그리핀’의 공연장에
함께 ‘G-그리핀’의 영’을 알게 되고, 이
신을 좋아한 이유가 을 위해 ‘채영’을 차 서 우연히 ‘채영’과
288 4. 한국 문학의 역사 노래를 듣고 노랫말 후 ‘독고태수’와 함께
자신과 그가 닮았기 에 태워 데려오다가 마주침.
에 깊이 공감함. 어울려 다니며 ‘채영’
때문이라고 오해함. 교통사고로 죽게 됨.
과 사랑을 키워 감.

책1.indb 288 18. 11. 23. 오후 5:47


그거였군.
나는 터치 패드를 밀며 엠피스리(MP3)에 저장된 곡을 찾기 시작하는 독고태수의 기다란 손가락을 본다.
흔들리는 버스에서 책을 읽는다거나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는 건 내 취향이 아니다. 저혈압인 엄마는 귓속의

‘연우’가 즐기지 않는 것
무슨 관이 균형을 잘 잡지 못해 차 안에서 책을 못 읽는다고 핑계를 대곤 하는데, 나도 엄마를 닮아 그럴 거
▲ ‘연우’가 즐기는 것
05 라나. 하지만 나는 단지 창밖으로 스쳐 가는 경치를 보는 게 더 좋을 뿐이다. 특별히 좋아하는 가수도 노래도
없고.
태수가 건네주는 커다란 헤드폰을 받아서 머리에 쓰며 나는 버스 안을 흘끔 살펴본다. 무슨 디제이도 아
다른 사람을 의식하는 ‘연우’
니고 차 안에서 이런 걸 쓰자니 어색하기만 한데. 독고태수는 곡을 못 찾은 모양이다. 혼자 중얼거린다. 어디
헤드폰이 너무 커서 신경 쓰임.
갔지? 지웠나?
10

그때다. 분수대에서 떨어지는 시원한 물방울들처럼 또렷하고 생기에 찬 목소리! 귓속으로 빠르게 쏟아져

┛: ‘독고태수’가 들려준 노래가 기분 좋게 들린 ‘연우’
들어온다.

“잠깐만.” ① 등장인물들의 사이를 매개하며 사건을 전개함.
② 불합리한 통념에 따르는 삶의 모습에 의문을
나는 태수의 손바닥 위에 놓여 있던 엠피스리(MP3)를 집어 든다. 제기하고 작품의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전
음악을 듣는 것에 관심이 없던 ‘연우’가 ‘독고태수’가 들려준 노래에 관심을 갖게 됨. 달함.

15

그 목소리는 천둥처럼 나를 전율시킨다. 가슴이 뛰기 시작한다. 이건, 내 이야


노래의 가사가 자신의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어 전율과 가슴 뜀을 느끼는 ‘연우’
기잖아! 한순간 온몸이 굳는다. 마치 누군가의 손이 나타나서 뻣뻣해진 내 몸을
20 낚아채 잡아끌기라도 한 듯이, 그대로 다른 세계로 빨려 들어간다.
노래에 몰입하게 된 ‘연우’

⇢ ‘독고태수’가 들려준 노래를 듣고 전율을 느낀 ‘연우’

25 중간 부분 줄거리 연우가 이사하던 날 자신의 방을 유심히 쳐다보는 여학생이 있었는데, 그 아이는 같은 학교 동급생 채영이다. 채영
은 연우가 이사한 집에서 살던 민기훈과 좋아하던 사이였다. 그런데 채영은 그 사람이 이사 간 줄 모르고 연우의 집으로 엽서를 보냈
이후 ‘G-그리핀’임이 밝혀짐.
고, 연우는 그 엽서를 돌려주기 위해 채영과 만나기로 한다.

( 5 ) 한국 문학의 발전상 289

책1.indb 289 18. 11. 23. 오후 5:47


‘연우’는 자신의 방의 전 주인이었던 ‘민기훈’과 좋아하던 사이인 ‘채영’을
전개
알게 되고, 이후 ‘독고태수’와 함께 어울려 다니며 ‘채영’과 사랑을 키워 감.

이전 글 다음 글

[은희경 일일 연재] 소년을 위로해 줘( 회) 전체 공개 2010. . .

주소 복사
은희경 (hiph*****) 1:1

심호흡을 한 번 한 뒤 나는 문을 밀친다. 문틀에 달린 종이 경쾌한 소리를 낸다. 일요일 오후 네 시라는


긴장을 한 ‘연우’ 시간적 배경
시간 때문일까. 골목 쪽 테이블 하나에서 젊은 남녀가 이마를 맞대고 조용히 퍼즐을 맞추고 있을 뿐 카페 05
공간적 배경
안에 다른 손님은 없다.
내가 카페 안으로 들어간 뒤에도 채영의 표정은 바뀌지 않는다. 나를 물끄러미 쳐다볼 뿐. 이제 그쪽을
향해 천천히 걸어가야 할 텐데……. 누군가 나를 보고 있는 앞에서 걸음을 옮기는 게 쉬운 일은 아니군.
체코슬로바키아 태생의 독일 소설가(1883~1924). 유대인
마침내 채영이 앉아 있는 테이블 앞. 으로, 인간 존재의 부조리성을 초현실주의 수법으로 파헤
쳐 현대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가 되었음. 주요 작품으로
“나 강연우야.” 10
는 「변신(變身)」, 「아메리카」, 「성(城)」, 「심판」 등이 있음.
그 말과 함께 나는 한 손에 들고 있던 엽서를 가볍게 들어 보인다. 채영이 입을 연다.
‘채영’이 ‘연우’의 집으로 잘못 보낸 엽서
“알아.”
의자에 앉은 다음 테이블 위에 엽서를 내려놓는다. 카프카의 사진이 보이는 쪽으로. 엽서는 거들떠보
뒷면에는 엽서의 내용이 있기 때문
지도 않은 채 말을 잇는 채영.
엽서에 관심이 없는 ‘채영’
“이사 오던 날 봤어.” 15

그날, 벽 쪽으로 몸을 붙여 숨긴 했지만 결국 내 모습을 들키고 만 모양이다.


“이삿짐센터
 트럭에서 커다란 액자 같은 거 내릴 때. 옆에 서 있었지? ”
┏이삿짐 때문에 티셔츠도 지저분하고,
다행이다. 창밖을 엿볼 때가 아니라 트럭에서 거울을 내릴 때군.

┛: 자신의 모습이 신경 쓰이는 ‘연우’ → 다른 사람을 많이 의식함.
또 아저씨들이 물건을 거칠게 다루어 잔뜩 얼굴을 찡그리고 있었던 것 같은데……. 그나저나 그럼 그때부

터 나를 알고 있었다는 건가? 20

채영이 내 얼굴을 빤히 바라본다.


‘채영’의 당찬 성격을 알 수 있음.
“전에 어디선가 나를 본 적 있어? ”
“아니.”
“난 언젠가 너를 본 것 같아. 하지만 기억은 나지 않아. 아마…….”
잠깐 말을 멈추었다가 다시 입을 연 채영의 이마가 찡그려져 있다. 25

“아무것도
 아닐 거야. 나는 늘 많은 걸 생각하지만 대부분을 틀리
니까. 그리고 뭘 잔뜩 써 놓은 다음에는 죄다 잊어버려.”
어쩐지 그래야 할 것 같아 나는 고개를 조금 끄떡이고.
“내 엽서, 읽었지? ”

290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90 18. 11. 23. 오후 5:47


갑작스러운 질문에 나는 또 얼른 대답을 하지 못한다. 잘못 배달된 엽서를 별생각 없이 읽어 본 것뿐이
엽서를 읽어 보았기 때문
지만 그래도 역시 미안한 일이긴 하다. 사과를 해야 하는 걸까?
그러나 당황하는 나와 달리 아무렇지도 않은 듯한 채영의 표정.
엽서에 크게 개의치 않는 ‘채영’
테이블 위의 엽서에 눈길을 한 번 준 다음 다시 나를 바라본다.
05 “내가 뭐라고 썼어? ”
“응? ”
“엽서에 뭘 썼는지 잊어버렸어.”
앞의 “뭘 잔뜩 써 놓은 다음에는 죄다 잊어버려.”와 연관됨.
“그러니까……. 백조가 꽤나 시끄럽고 더럽다고.”
“맞아.
 그랬었어! 발이 어찌나 더럽던지, 장화라도 신은 것 같
10 았다니까!”
다음 순간 나는 깜짝 놀란다. 채영이 깔깔 웃어서가 아니라
┏순간 실내가 환해지면서 내 가슴 한가운데에서도 연달아 전구가

┛: ‘채영’에게 호감을 느끼는 ‘연우’
켜지듯 웃음이 피어나 퍼져 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갑자기 채영이 자리에서 일어나더니 눈을 동그랗게 뜨고 내게 말한다.
15 “내가 알아맞혀 볼게.”
엉뚱한 면이 있는 ‘채영’
나는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그 애를 올려다보고,
“음, 탄산음료 마실 거지? ”
뭘 마시겠냐고 묻는 건가. “뭐, 대충.” 이라고 대꾸한 뒤 나는 엉겁결에 고개까지 끄덕인다. 그리고 채
영이 카운터로 가서 주문을 하고 계산을 하고 코발트색 나무 쟁반을 들고 돌아올 때까지, 뭐라도 해야 할
20 것 같은 불편한 기분이지만 그냥 멍하니 자리에 앉아 있다. 실은 탄산음료는 좋아하지 않는데……. 엄마
랑 왔을 때에도 애늙은이라는 핀잔을 들어 가며 홍차를 마셨다.
자리로 돌아온 채영이 테이블 위에 쟁반을 내려놓는다. 보라색 캔을 집더니 팔을 길게 뻗어 내게 내민
다. 어? 어! 캔은 생각보다 훨씬 차갑다. 캔을 따려다 말고 내 시선이 쟁반으로 간다. 아, 맞다. 잔에 따라
마셔야지. 얼음이 든 유리잔을 캔 옆에 내려놓는다. 채영은 의자 깊숙이 몸을 묻고 빨대로 카페라테를 마
25 시며 눈을 치켜뜬 채 나를 건너다보고 있다. 눈이 마주치자 빨대에서 입을 떼고 묻는다.
‘연우’가 탄산음료를 좋아하는지 안 좋아하는지 살피는 ‘채영’
“역시 틀렸지? ”
“응? ”
“이 탄산음료 안 좋아하지, 그렇지? ”
나도 모르게 어쩐지 웃음이 나와 버린 순간, 유리잔에 반쯤 따른 보라색 탄산음료가 얼음 사이를 빠져
30 나가며 시원하게 거품을 일으킨다. 유리잔을 가볍게 흔들며 내가 대답한다.
“아니, 좋아해. 딱 맞혔어.”
탄산음료를 좋아하지 않는 ‘연우’가 좋아한다고 거짓말을 함.

엽서를 돌려주기 위해 만난 ‘채영’에게 관심이 생긴 ‘연우’

→ ‘연우’가
 ‘채영’에게 관심이 생겼으며, 이후 둘 사이가 가까워질 것임을 예측할 수 있음.
확인 문제

1. 이 작품은 힙합 음악에 빠진 소년의 성장 이야기를 그리고 있는 소설이다. (, ×) 학습 자료 바로 가기


2. 이 작품에서 ‘독고태수’는 ‘나’와 외적 갈등을 겪는다. (, ×) DVD–학습지, 쪽지 시험
3. 이 작품에서 ‘채영’에 대한 ‘나’의 호감을 나타내는 소재는 ‘엽서’이다. (, ×)
4. 이 작품에 삽입되어 내용의 전개 및 의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쓰시오. ( 5 ) 한국 문학의 발전상 291
1.  2. × 3. × 4. (힙합) 노래 (가사)

책1.indb 291 18. 11. 23. 오후 5:47


지도 방안

학습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말이나 행동들을 근거로 삼아 등장인물의
성격을 유추해 보는 활동이다. 해당 장면에 나타난 인물의 말과 행동을 근거로 삼아, 각
감상 모으기 인물이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활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등장인물들의 말이나 행동을 통해 성격을 파악해 보자.


말이나 행동 성격
•‘미스터 심드렁’이라는 별명을 얻음. •다소 시큰둥하고 무심한 성격임.
‘연우’
•커다란 헤드폰을 쓰며 버스 안을 살펴봄. •다른 사람을 의식하는 내성적인 성격임.
•처음 본 ‘연우’에게 친밀하게 먼저 말을 걺. •친화력이 좋은 성격임.
‘독고태수’
•‘연우’가 묻자마자 엠피스리(MP3)를 꺼냄. •친절하고 적극적인 성격임.

•‘연우’의 얼굴을 빤히 쳐다봄. •당찬 성격임.


‘채영’
지도 방안 •‘연우’가 자신의 엽서를 읽은 것에 아랑곳하 •털털한 성격임.
제시된 가사를 읽고, 가사 지 않음. •엉뚱한 면이 있지만, 밝고 명랑한 성격임.
의 의미를 파악해 보도록 •처음 본 ‘연우 ’가 마실 음료를 자기가 알아
한다. 그런 다음 가사의 내 맞혀 보겠다고 함.
용처럼 무엇다워야 한다는
강요를 받은 경험이 있는지
자유롭게 말해 보고, 작가

2
가 이 노래를 작품에 삽입
한 의도가 무엇일지 짐작해 이 작품에 삽입된 노래의 제목은 「소년을 위로해 줘」이다. 가사의 의미를 생각하면서
보도록 지도한다.
작가가 이 노래를 삽입한 이유를 생각해 보자.

1 가사의 내용 중, 자신에게도 비슷한 경험이 있거나 공감되는 부분이 있다면 말해 보자.


나는 순정 만화를 좋아하고, 슬픈 영화를 보면서 눈물을 흘릴 때도 많은데 사람들은 이런 내가 남자답지 못하다
지도 방안
고 이야기한다. 이런 생각은 가사의 내용처럼 무엇다워야 한다는 틀에 우리를 가두어 놓고, ‘남자다움’이라는 알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 없는 기준을 강요하며 인간 본연의 모습을 숨기게 한다.
복선을 살펴보며 등장인물
의 심리를 파악해 보는 활 2 작가가 이 노래를 작품 속에 삽입한 의도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동이다. 좋아했던 사람에게 •실제 존재하는 노래의 가사를 삽입함으로써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이다.
정성껏 썼던 엽서의 내용을 •가사 속에는 세상의 불합리성과 이에 대한 화자의 정서가 표현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지니는 불
잊어버리고, 기껏 찾아 준 합리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작품의 주제 의식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엽서를 거들떠보지도 않는
‘채영’과, 이런 ‘채영’을 바
라보는 ‘연우’의 모습을 통
해 두 사람의 사이가 어떻
게 전개될지 짐작해 보도록
지도한다.
3 다음에 제시된 부분을 바탕으로, ‘연우’와 ‘채영’의 사이가 어떻게 전개될지 짐작해 보
자. 그리고 이를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을 작품에서 더 찾아보자.

도움말 | 좋아하던 사람
의자에 앉은 다음 테이블 위에 엽서를 내려놓는다. 카프카의 사진이 보이는 쪽으로.
에게 정성껏 썼던 엽서를
엽서는 거들떠보지도 않은 채 말을 잇는 채영.
거들떠보지도 않고 ‘연
우’와 대화를 나누는 ‘채
영 ’의 태도를 근거로 생
각해 본다.
앞으로 전개될 ‘연우’와 ‘채영’의 사이 짐작할 수 있는 부분

좋아했던 사람에게 쓴 엽서를 거들떠보지도 않고 •‘채영’의 웃음에 ‘연우’의 가슴속에도 웃음이 피어


‘연우’와의 대화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니, ‘채영’은 나 퍼져 가기 시작했다는 부분
그전에 좋아했던 사람을 잊고 ‘연우’와 서로 호감을 •탄산음료를 좋아하지 않는 ‘연우 ’가 좋아한다고
느끼는 사이가 될 것 같다. ‘채영’에게 거짓말을 하는 부분

292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92 18. 11. 23. 오후 5:47


독자들은 작품을 감상한 후 인터넷 댓글을 통해 자신이 깨달은 점이나 작품에서 좋
았던 점 또는 아쉬웠던 점 등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밝힌다. 또한 다른 독자들과
작품에 대한 해석과 감상을 나눌 수도 있다. 이처럼 댓글은 작품의 수용에 있어서 보
감상 다지기 다 적극적인 수용과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작가는 댓글
을 통해 자신이 쓴 작품에 대한 독자의 반응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작가는 작품 창
작 시에 이러한 독자의 반응을 참고할 수 있고, 여기에서 작품의 구성을 위한 새로운
전통적 문학, 현대적 문학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다. 이처럼 댓글은 작품의 생산 측면에서 작품의 구성을 보

4
다 다채롭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작품을 바탕으로 전통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의 특징과 관계에 대해 살펴보자.

도움말 | 인터넷에 연재되는 1 다음은 이 작품이 연재되었던 인터넷 카페에 달린 댓글들이다. 이와 같은 댓글이 작품
소설은 독자들이 댓글을 통해
의 생산과 수용의 측면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말해 보자.
작품에 대한 생각을 적극적으
로 밝힐 수 있고, 작가는 자신
이 쓴 소설에 대한 반응을 바
로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 룰루랄라 20 . . .
한 특성이 문학 작품의 생산 사춘기도 없이 보내 버린 내 어린 시절. 작품 속 아이들을 통해 다시 지나오는 느낌입니다.
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생
각해 본다. 미운오리 20 . . .
연우와 태수의 인상적인 첫 만남! 전 태수가 참 매력적인 친구라는 생각이 드네요. 연재
지도 방안 초반이지만, 이 둘의 우정이 끈끈하게 쭉~~ 계속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현대적 문학은 인터넷과
열여덟순정 20 . . .
같은 매체에서 실시간으
무엇다워야 한다는 것은 정말 누가 정한 걸까요? 진짜보다 더 강한 척하며 살아야 하는
로 생산·수용·소통되고
있다. 생산과 수용의 측면 세상! 힘들어! 이 글을 읽으며 위로받고 가네요. 앞으로도 소년은 물론, 어른들에게도 위로가
에서 인터넷 댓글이 어떤 되어 주는 글, 기대합니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며
이러한 특징을 파악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를 바탕으로 전통적 문학
과 현대적 문학의 특성을
2 문자로 기록된 전통적 문학과 디지털화된 현대적 문학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 두 문학
비교해 보고, 두 문학의
관계에 대해서도 생각해 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자.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대체로 종이 책의 형식으로 유통됨.
전통적 문학 •주로 전문성을 지닌 특정 작가가 창작함.
•기본적으로 내용이 문자로 표현되므로 독자에게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줌.
•인터넷 매체나 전자책(E-book)의 형식으로 유통됨.
현대적 문학 •대체로 전문 작가가 창작하나,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쉽게 창작할 수 있음.
•음악이나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내용을 보다 생생하게 전달함.

지도 방안
두 문학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며 발전해 가는 상호 보완적
한국 문학은 급변하는 디 두 문학의 관계: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지털 환경 속에서 나름의
변화와 발전을 지속하며
전개되고 있다. 앞서 살펴
본 인터넷 연재소설이나
전자책 이외에도 한국 문 한국 문학의 변화와 발전

5
학의 새로운 양상에는 어
떤 것들이 있는지 더 찾아 디지털 환경 속에서 변화·발전하고 있는 한국 문학의 새로운 양상을 살펴보고, 앞으
보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한국 문학의 발 로 한국 문학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할지 친구들과 자유롭게 이야기해 보자.
전상을 자유롭게 이야기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한 문학 작품이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존에 독자들은 작가가 정한 하나의 방향으로
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만 작품을 읽어 나갈 수 있었다. 그런데 문학에 하이퍼링크를 적용하면 여러 갈래로 뻗어 나간 텍스트를 하나씩 선택
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이 좀 더 발전한다면 텍스트가 영상으로 대체될 수
도 있을 것이다.

( 5 ) 한국 문학의 발전상 293

책1.indb 293 18. 11. 23. 오후 5:47


감상을
작품 2 소년을 위로해 줘 마치며

감상의 정리
「소년을 위로해 줘」는 섬세한 감수성을 지닌 17살 소년의 아픔과 성장을 통해 각자에게 어울
지도 방안
‘감상의 정리 ’에서는 이 리는 행복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묻는 현대 소설이다. 작품의 제목과 같은 실제 힙합 노래의 가
작품의 주제와 작품에 사 사를 작품 속에 삽입하여 기존의 통념에 따르는 삶의 모습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인물과 사
용된 노래 가사의 효과,
그리고 이 작품의 독특한
건의 전개를 매개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 이 작품은 2010년 1월부터 7개월 동안 인
집필 방식 등을 바탕으로 터넷에 연재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작가는 ‘답글’이라는 이름의 편지글을 통해 독자들과 직접
내용을 정리하였다. 학생
소통했다. 인터넷 매체를 이용한 이러한 글쓰기는 기존의 문학 작품 집필과 다른 방식이어서
들과 함께 읽거나 간단히
질문을 하면서 작품에 대 독자들의 많은 주목을 받았다.
한 감상을 내면화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지식 창고
지도 방안 인터넷 소설
‘지식 창고’에서는 인터넷 인터넷 소설은 199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 유행했던 ‘하이퍼 픽션(hyper fiction)’과 ‘팬 픽션
소설의 유래와 개념, 인터
넷 소설이 문학의 한 갈래 (fan fiction)’에서 시작된 것이라 본다. 하이퍼 픽션은 그래픽·사진·애니메이션·음향·음악을
로 정착할 수 있었던 이유 사용하여 영화·소설의 재미와 예술성을 살린 컴퓨터 소설을 말한다. 그리고 팬 픽션은 대중적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
를 바탕으로 현대적 문학 으로 인기를 끄는 만화·소설·영화 등의 작품을 대상으로 팬들이 마음대로 재창작한 작품을
의 한 유형인 인터넷 소설 말한다.
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인터넷 소설이 짧은 시간에 문학의 한 갈래로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인터넷을 활용하여 쌍
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는 젊은 독자층을 많이 확보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오늘날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웹툰 역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디지털 매체를 활
용한 문학 갈래는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더 읽어 보기’ 작품
더 읽어 보기
지도 방안
작가 은희경
갈래
‘더 읽어 보기’에서는 「소
년을 위로해 줘」와 관련하
여 작가의 다른 작품과,
인터넷 연재소설이라는
측면에서 이 작품과 함께 「새의 선물」 은희경 「개밥바라기 별」 황석영
감상하면 좋을 작품을 엮
어 놓았다. 학생들 스스로 12살 소녀의 시선으로 본, 어른들의 작가의 체험을 바탕으로 고교 1학년
작품을 감상해 보고, 작품 삶의 이면을 그린 소설. 작품 속에 그려 때부터 군대 가기 전까지의 성장 과정을
속에 그려진 인물들의 행
진 어른들의 행동과 사회 현상을 비교하 그린 인터넷 연재소설. 디지털화된 문학
동과 사회 현상 및 디지털
며 감상해 보자. 의 양상에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화된 문학의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294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94 18. 11. 23. 오후 5:47


정리 지도 방안
5 한국 문학의 발전상


‘정리하기’에서는 한민족 문학과 지역 문학 및 전통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의 개념과 의의 등을 제시하였다. 한국 문학의 다양
한 양상에 대해 다시 한번 살펴보고, 미래의 한국 문학은 세계화와 더불어 그 개념이나 범위가 고정적이지 않고 보다 역동적
으로 전개될 것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민족 문학

분단 이후의 북한 문학과, 근대 전환기 이래 해외로 이주한 재외 국민 등이 한국어로 생산해 온


개념
문학을 말함.

 민족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은 우리 문학뿐 아니라 세계 문학에도 기여함.



의의
한국 문학의 범위를 확장하고, 민족과 국가는 물론 세계 및 모국어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함.

지역 문학

 역의 정서나 생태 혹은 문화를 표현한 문학을 말함.



개념 지역의 말, 풍속, 역사를 기반으로 하여 창작됨.
그 지역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한국 문학의 발전에 기여함.

국가 단위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각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 문학의 총체로서 한국 문학을 이해해야 함.

전통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

전통적 문학 현대적 문학

문자로 기록하여 인쇄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방 디지털화되어 인터넷과 같은 매체에서 실시간


식을 취함. 으로 수용되고 소통됨.

새로운 문학의 관계 및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


미래의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바를 탐색해야 함.

스스로 정리 이 단원 학습을 통해 알게 된 것을 바탕으로 283쪽에서 질문했던 내용을 정리해 보자.

한민족 문학은 우리 민족이 한민족의 정서를 가지고 한국어로 창작한 문학으로, 분단 이후의 북한 문학과 재외 국민이 한
국어로 생산한 문학을 포함한다.
지역 문학은 해당 지역의 말, 풍속, 역사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 지역만의 정서나 생태 혹은 문화를 표현하기 때문
이다.

( 5 ) 한국 문학의 발전상 295

책1.indb 295 18. 11. 23. 오후 5:47


관련 성취 기준

이 활동은 기술·가정 성취 기준인 ‘[12기가02-01] 한식의 우수성과 다른


나라의 식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현대의 식생활과 접목한 음식을 만들어
창의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한다.’와 관련이 있다. 문학 기술•가정

융합 동동 에 나타난 세시 명절 속 한식 만들기
활동 모둠별로 고려 가요 「동동」에 언급된 세시 명절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명절
에 먹었던 음식을 만들어 보자.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활동지

지도 방안 1 모둠별로 「동동」에 언급된 세시 명절 중 하나를 선택하여 어떤 의미의 명절인지


「동동」에는 1월 연등회, 5 조사해 보자.
월 단오, 6월 유두일, 7월
백중날, 8월 한가위, 9월
중양절 등의 다양한 세시
명절이 제시되어 있다. 각 예 세시 명절: 중양절
모둠별로 조사해 보고 싶 조사 내용: 음력 9월 9일로 중국에서 유래한 명절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 이래로 군
은 명절을 자유롭게 정해
보고, 백과사전이나 인터 신들의 연례 모임이 이날 행해졌으며, 특히 고려 때는 국가적인 향연을 벌였다. 조선
넷 검색 등을 통해 조사해 세종 때는 중요 명절로 여기고, 늙은 대신들을 위한 잔치를 열거나 특별히 과거 시험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세시 명절 단오

음력 5월 5일이다.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午)는 오(五), 곧 다섯과 뜻


조사 내용
이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원래 음양 철학에서는 홀수를 양(陽)으로 치고 짝수를 음(陰)으로

치는데, 홀수가 겹치는 3월 3일이나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중에서도 단
오는 일 년 중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 왔다.

지도 방안 2 우리 모둠이 선택한 세시 명절에는 어떤 풍속이 있었는지 조사해 보자.


우리 조상들이 각 명절에
했던 세시 풍속을 조사하
며 계절에 따른 조상들의
예 ‘등고’라는 풍속이 있어서 산에 올라 시를 지으며 풍류를 즐겼음.
지혜를 이해해 보고, 우리
고유의 세시 풍속에 관심 각 가정에서는 국화를 넣어 국화전을 부쳐 먹었음.
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 국화주나 국화를 띄운 술, 국화차를 마셨음.
다.

세시 풍속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하였음.

•쑥을 비롯하여 익모초 같은 약초를 뜯어 말렸음.

•나뭇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놓아 많은 열매가 열리기를 빌었는데, 특히 단오 무렵에는 대추가 막 열

리기 시작하므로 ‘대추나무 시집보내기’라고도 하였음.


•수리취떡이나 앵두화채를 만들어 먹었음.

296 4. 한국 문학의 역사

책1.indb 296 18. 11. 23. 오후 5:47


1

지도 방안
당시에 먹었던 조리법 그
대로 요리를 해 볼 수도
있고, 모둠원과 상의하여

3
현대의 식생활과 접목하
여 창의적으로 요리해 볼 2에서 조사한 세시 명절 음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조리법을 찾아본 뒤 요리해
수도 있다. 요리를 할 때에
는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보자.
을 다시 한번 안내해 준다.

도움말 | 세시 명절 음식을
현대의 식생활과 접목하여 응
용한 음식을 만들어 볼 수도 준비물 요리 재료: 식용 국화꽃, 찹쌀가루 100g, 소금, 식용유, 꿀
있다. 요리 도구: 반죽 그릇, 비닐봉지, 휴대용 가스레인지, 프라이팬,
뒤집개, 숟가락, 접시

조리법 ① 준비한 식용 국화꽃을 흐르는 물에 씻고 물기를 제거한다.


② 찹쌀가루에 소금을 한 숟가락 섞고 끓는 물을 부어 가며 말랑말랑하게
반죽한다. 반죽된 것을 비닐봉지에 넣어 30분 정도 그대로 둔다.
③ 반죽을 꺼내 지름 3~4cm 정도 크기의 원으로 납작하게 빚는다.
④ ③의 반죽 위에 한쪽 면에만 꽃을 얹고 손으로 살짝 눌러 붙인다.
⑤ 달군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④의 반죽을 약한 불에 굽는다.
⑥ 식용유를 묻힌 수저로 반죽을 눌렀을 때 푹신푹신하면 꺼낸다.
⑦ 접시에 국화전을 담은 후 꿀을 그 위에 뿌린다.

만들 음식 앵두화채

준비물 요리 재료: 앵두 300g, 설탕 2컵, 물 12컵, 꿀 적당량


요리 도구: 휴대용 가스레인지, 냄비, 숟가락, 스테인리스 바구니, 체, 화채 그릇

조리법 ① 앵두는 빛깔이 붉고 잘 익은 것으로 골라서 깨끗이 씻은 후 씨를 빼낸다.


② 씨를 뺀 앵두는 약간의 설탕 가루를 뿌려 재운다.
③ 냄비에 물을 붓고 설탕을 넣은 뒤, 설탕이 녹을 때까지 팔팔 끓여 식힌다. 이때 설탕
에 꿀을 섞어 사용하면 향긋해서 맛이 더 좋다.
④ 큰 화채 그릇에 설탕 시럽과, 설탕에 재운 앵두를 띄워서 차게 내 놓는다.

지도 방안 4 각 모둠이 만든 요리를 서로 나누어 먹고, 세시 명절 속 음식을 직접 먹어 본 소


평소에는 접하기 어려운 감을 말해 보자.
세시 명절 속 음식을 다양
하게 나누어 먹어 보며, 이
생략
를 직접 먹어 본 각자의
소감을 자유롭게 이야기 평가 기준
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모둠에서 선택한 세시 명절의 의미를 모둠원과 협력하여 적극적으로 조사하였는가?
모둠에서 선택한 세시 명절의 풍속을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풍부하게 조사하고 정리하였는가?
세시 명절 음식을 모둠원들과 협력하여 안전하게 요리하였는가?
다른 모둠에서 만든 음식을 열린 마음으로 나누어 먹고, 그 음식을 직접 먹어 본 소감을 구체적인
이유를 들어 이야기하였는가?
창의 융합 활동 297

문학 주석교과서(230~299)4단원②.indd 297 18. 11. 29. 오후 3:58


지도 방안
지금까지 이 단원에서 성취하고자 했던 학습 목표가 무엇이었는지 학생들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

대단원 로 하여금 우리 문학에 반영되어 있는 당대의 삶과 가치, 정서에 대해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언급하고, 우리
문학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고 사랑하는 태도를 지닐 것을 이야기하며 단원을 마무리한다.

스스로 점검하기
마무리
자기 점검 별점 주기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설명할 수 있는가?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가?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이해하였는가?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전통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의 다양한 양태를


설명할 수 있는가?

미래의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바를 탐구하고 모색할 수 있는가?

스스로
보충하기 나는 이 단원에서 지역 문학의 특성과 주요 작품에 대한

 내용을 더 학습하고 싶어.


이 내용을 더 학습하기 위해
각 지역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작품을 조사해 보고 이 작품들을 더 감상

해야겠어.

스스로

한국 근대 문학
지도 방안 확장하기 이 단원의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한국 근대
이 단원의 학습을 확장하 문학관을 방문해 볼 수 있어. 한국 근대 문학관
기 위해 아래에 제시한 누 에서는 당시의 중요한 문학 작품들을 직접 눈
리집을 참고해 볼 수 있도
록 지도한다. 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
로 한국의 근대 문학을 체험할 수 있어. 한국 근
대 문학의 성장을 주제로 한 상설전과 다양한
기획 전시를 관람할 수 있고, 학생과 시민을 대
상으로 한 문학과 인문학 강좌도 들을 수 있다
고 해.

관련 누리집 http://lit.ifac.or.kr

한국
 현대 문학관(http://www.kmlm.or.kr)
한국 근·현대 문학의 흐름과, 시대별 주요 작가 및 작품을 살펴볼 수 있는 누리집이다.
한국 고전 종합 DB(http://db.itkc.or.kr)
298 4. 한국 문학의 역사
고전 번역서, 한국 문집 총간, 조선 왕조 실록, 승정원 일기 등 한국 고전 번역원의 모든 간행물을 살펴볼
수 있는 누리집이다.

책1.indb 298 18. 11. 23. 오후 5:47


한 권 책 읽기 학습 자료 바로 가기
DVD–활동지
책 소개 영상 만들기
지도 방안
다음 활동을 통해 모둠에서
자신이 읽은 분량을 모둠원들과 공유하고, 기존의 ‘한 권 책 읽기’ 계획과 이를 비교
읽은 문학 작품의 예고편 영상을
하며 자기 점검의 시간을 가지도록 한다. 계획을 달성하지 못한 학생에게는 시간을
주고, 필요한 분량을 읽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현재까지의 상황을 고려하여, 앞으로 만들어 보자.
의 ‘한 권 책 읽기’ 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1 ‘한 권 책 읽기’를 계획대로 실행했는지 모둠원들과 함께 점검해 보자.

나는   쪽부터   쪽까지 책을 읽었어. 2


우리 모둠이 활동할 부분은 책의 쪽부터 까지야.
지도 방안
책 소개 영상을 만들기 위해 참고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이 작업한 영상을 감상해 보는 활동이다. 참고 영상을 볼 수 있는 누리
3
집을 모둠별로 직접 검색하여 찾아볼 수 있게 할 수도 있고, 잘 만들어진 참고 영상 두세 개를 교사가 골라 반 전체 학생들이 함

4
께 볼 수도 있다. 교실 여건과 수업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택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2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책 소개 영상을 감상해 보자.

‘책 소개 영상’ 5
또는 ‘북 트레일러’를
검색하면 참고 영상을
찾을 수 있다.

우리 모둠이 감상한 책 소개 영상은 (이)야.


책 소개 영상을 통해 할 수 있어.
지도 방안
영상의 내용에 대해 충분히 토의할 수 있게 한다. 스토리보드를 구성할 때는 촬영할 화면을 간단한 그림과 짧은 설명으로 나타
내고, 음악 및 음향, 자막의 내용 등을 정리하게 한다. 시간이 부족하면 수업 시간 외에 점심시간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해 보자.
책 소개 영상을 만들고, 친구들에게 소개
3 모둠원들과 함께 모둠별로 완성된 영상을 상영하고,
간단한 제작 발표회를 한다.
어떤 유형으로 만들 것인지
논의하고, 스토리보드를
작성한다.
계획에 따라
촬영을 하고,
2분 정도의 분량으로
영상을 편집한다.

가장 인상 깊었던 책 소개 영상은 (이)야.

대단원 마무리 299

책1.indb 299 18. 11. 23. 오후 5:4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