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8

대단원 표지 그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것들이 과거에서 이어져


온 것임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의 소중한 가치인 전통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298 17. 12. 11. 오후 8:27


쓰기
읽기
문법

듣기
말하기
문학

통합 문법 영역 + 문학 영역

대단원 설정 이유

8
총 18차시 이 단원에서는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대표적인 한국 문학 작품
을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이해하고 우리말의 아름다
움을 느껴 볼 것이다.
시조와 가사, 현대 시, 고전 소설 등 한국 문학의 시대별 작품을 다양
하게 감상하면서 국어로 계승된 문화를 향유해 보고, 한국 문학의 전통
적 특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이 단원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국어를 사랑하며 국어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니게 하는 데 중점을 두어 지도한다.

한국 문학의
빛깔
시조 두 수
속미인곡 / 진달래꽃
허생전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299 17. 12. 11. 오후 8:27


대단원 성취기준
[문학 03]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대표적인 한국 문학 작품

의 길잡이 을 감상한다.
[문법 05] 국어를 사랑하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닌
다.

학습 목표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 국어를 사랑하는 마음을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 질을 이해한다. 지니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
을 감상한다. 는 태도를 기른다.

문학 문학 문법

우리가 매일 먹고 보고 듣고 즐기는 대부분의 것들은 과거에


서부터 이어져 온 우리의 전통 안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전통이란
한 집단 내에서 형성되어 역사적인 생명력을 지니고 전해 내려오
는 정신적인 가치 체계로, 한국 문학에도 면면히 이어져 온 전통
이 있다.
8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의 형식과 내용, 문학의 기능, 문학사의
흐름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보여 주
는 작품을 감상할 것이다.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을 읽으며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이해하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껴 보자.

30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0 17. 12. 11. 오후 8:27


학습 과정

(1)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 이해하기.


시조 두 수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이해하며 작품 감상하기.

(2)
•한국 문학에서 여성 화자의 전통이 계승되는 양상 이해하기.
속미인곡 /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의 가치에 주목하며 작품 감상하기.
진달래꽃

(3) •한국 서사 문학의 전통 이해하기.


허생전 •소설에 사회 현실이 반영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 감상하기.

국어 속 경제
국어와 통
•조선 시대와 오늘날의 화폐 가치 비교하기.
하다
•오늘날의 경제 현실에서 ‘허생’의 행위 평가하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문화 향유 역량: 국어로 형성·계승된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작
품에 반영된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이해하고, 우리의
전통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자료·정보 활용 역량: 한국 문학의 시대별 대표작을 감상하면
서,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여 문학 작품을 깊이 있게 이
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 단원을 배우면,
한국 문학의 시대별 작품을 감상하면서
국어로 계승된 문화를 향유하고, 작가 혹은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여
작품을 주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30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1 17. 12. 11. 오후 8:27


총 4차시

(1 )
학습 목표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을 이해
한다.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
한다.

역량 목표 •국어로 형성 ·계승된 문학 작품
을 읽으며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한다.

시조 두 수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과 사진을 보고, 과거와 오늘날의 수업 모습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말해 보자.
활동 안내 교실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봄으로써,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는지 이해해 보는 활동이다. 과거와 오늘날의 수
업 모습을 비교해 보고, 시대에 따라 이어지는 것과 변하는 것이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 김홍도, 서당 ▲ 오늘날의 교실 풍경

예시 답안 •과거에는 학생들이 바닥에 앉아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의자에 앉아 있다.


•과거에는 선생님에게만 책상이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생들에게도 책상이 놓여 있다.
•과거에는 인쇄 매체인 책만 활용했는데, 오늘날에는 영상 매체도 함께 활용하고 있다.

302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2 17. 12. 11. 오후 8:27


알아
두기 1 한국 서정 문학의 흐름
노래와 춤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한국 서정 문학은 노래와 무용이 어우러진 집단 가무 형태의 원시 종합 예술에서 비롯된 것
한국 서정 문학의 원형
으로 추측된다. 집단적 성격의 원시 종합 예술은 고대 국가가 형성되면서 개인적 서정요로 분
개인의 감정을 노래
화・발전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향가와 한시가 나타났는데, 한시는 조선 말기까지, 향가는 통
일 신라를 거쳐 고려 초기까지 향유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민간에서 불리던 노래인 고려 가요
가 궁중으로 전해지기도 하였다. 고려 말기에는 시조가 창작되었는데, 시조는 가사와 더불어
조선 시대에 성행하였다. 근대에 들어와 자유시가 등장하였고, 이후 다양한 주제를 담은 작품
들이 창작되었다.

2 서정 문학의 형식적 · 내용적 전통 계승


한국 서정 문학은 형식 면에서 시대에 따라 특정한 형식이 도드라지게 나타나기도 하였고,
기존의 형식이 변형되면서 후대에 계승되기도 하였다. 10구체 향가의 3단 구성 방식은 이후
시조와 가사에 영향을 주었고, 평시조의 형식을 변형하여 사설시조가 창작되었다. 내용 면에
한국 서정 문학의 형식적 계승
서는 이별의 슬픔과 임에 대한 그리움, 삶의 애환을 웃음으로 받아넘기는 태도, 자연과의 조
한국 서정 문학의 내용
화를 추구하는 태도 등을 주로 노래하였다. 이러한 한국 서정 문학의 형식적・ 내용적 전통은
오늘날에 창작되고 있는 많은 시 작품의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 서정 문학만의 고
유한 특질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 자료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전승
10구체 향가 시조 가사
3단 구성 초장 - 중장 - 종장 서사 - 본사 - 결사

시조에서 찾을 수
?! 있는 한국 문학의
전통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평시조와 사설시조 작품을 함께 감상하며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전통
을 이해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시조에 나타난 한국 문학의 전통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
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시조는 주로 어떤 주제를 담고 있을까?
•시조는 기본적으로 어떤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시대에 따라 시조의 형식이나 내용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1) 시조 두 수 30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3 17. 12. 11. 오후 8:27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화자의 정서와 태도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형식적 특징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

동짓달 긴 밤의 한 가 다음 두 작품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서정 문학 갈래인 시조이다.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초장
운데를 베어 냄. 이해하고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따뜻한 이불 아래 베 제재 개관
중장
어 낸 밤을 넣어 둠. 갈래 시조, 평시조 성격 서정적, 감각적

임이 오시면 밤을 펼 제재 연모(戀慕)의 정. 주제 임에 대한 절실한 그리움.


종장 특징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표현함.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우리말의 묘미를 잘 드러냄.
쳐 길게 만들고 싶음.
가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황진이 초장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 동짓달 긴 밤의 한가운데를 베어 냄


(?~?) 임이 부재하는 부정적 시간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형상화함
중장 춘풍(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 봄바람처럼 따뜻한 이불 아래 베어 낸 밤을 넣어 둠
조선 시대의 기생. 기명(妓 봄바람처럼 따뜻하고 포근한 이불         ↕대조
名)은 ‘명월(明月)’이다. 시가 종장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임이 오시면 밤을 펼쳐 길게 만들고 싶음
에 능하였으며, 작품으로 한 정을 맺은 임 임이 오신 날 밤 오래오래 같이 있고 싶은 마음

시와 시조 여러 편이 전한다. : 음성 상징어 - 황진이 / 정병욱 편저, 『시조 문학 사전』


콕콕 정리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한 허리를 버혀 내여’ 가운데를 자를 수 있음.
‘밤’을 구체적 사물
‘서리서리 너헛다가’ 이불 아래 넣어 둘 수 있음.
로 형상화함.
‘구뷔구뷔 펴리라’ 여러 굽이로 펴 놓을 수 있음.

깜짝 퀴즈
1. ‌이 시조에서는 추상적 개념인 ☐ 을 구체적 사물로 형 [현대어 풀이]
상화하고 있다. ➡밤 동짓날 기나긴 밤의 한가운데를 베어 내어
2. 이 시조는 임에 대한 연모의 정을 다루고 있다.  ➡ ◯ 봄바람 같은 이불 아래에 서리서리 넣었다가
3. 이 시조의 화자는 남성이다. ➡× 정든 임 오시는 날 밤이면 굽이굽이 펴리라.

■동지(冬至)ㅅ 동짓달. ‘동
지’는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로, 양력으로 12월 22일이
나 23일경이다.
■버혀 내여 베어 내어.
■서리서리 국수, 새끼, 실 따위
를 헝클어지지 아니하도록 둥
그렇게 포개어 감아 놓은 모
양.
■어론 님 정든 임.

30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4 17. 12. 11. 오후 8:27


제재 구조도

임이 온다고 하여 저녁
제재 개관 초장
밥을 일찍 먹고 기다림.
갈래 시조, 사설시조 성격 해학적, 과장적
제재 임이 온다는 소식. 주제 임을 애타게 기다리는 마음. 임을 만나러 허겁지
중장 겁 달려갔으나 자신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여 행동을 과장하여 묘사함.
특징 착각임을 알게 됨.
•해학적 표현과 희극적 요소가 나타남.
자신의 행동을 겸연
종장
나 님이 오마 거 소단원 정리 PPT 쩍어함.

평시조보다 긴 초장과 중장 - 평시조의 형식적 특징 변형


초장 님이 오마 거 저녁밥을 일 지어 먹고 중문(中門) 나서 대문(大門) 나가 ■일 일찍.
화자가 기다리는 대상 『 』: 화자의 들뜬 마음이 반영된 행동
■이수(以手)로 가액(加額)고
지방(地方) 우희 치 라 안자 이수(以手)로 가액(加額) 고 오 가 가 가 건 손으로 이마를 가리고.
임이 오는 곳을 계속 바라봄
넌 산(山) 라보니 거머흿들 셔 잇거 져야 님이로다 ■거머흿들 검은빛과 흰빛이
화자가 임을 본 것으로 착각함 ▶ 임이 온다고 하여 저녁을 먹고 임을 기다림 뒤섞인 모양.
중장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님븨곰븨 쳔방지방 지방 ■곰븨님븨 엎치락뒤치락 급히
의태어
구는 모양.
쳔방 즌 듸 른듸 희지 말고 워렁충창 건너가셔 정(情)엣말 려 고겻
의성어 임과의 회포를 푸는 말 ■쳔방지방 너무 급하여 허둥
눈을 흘긧 보니 상년(上年) 칠월(七月) 사흔날 가 벅긴 주추리 삼대 드리 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지난해 갉아 ‘나’가 임으로 착각한 대상
■워렁충창 급히 달리는 발소
도 날 소겨라 ▶임을 만나러 허겁지겁 달려갔으나 자신의 착각임을 알게 됨
: 종장 첫 음보는 3음절 - 평시조의 형식적 특징 유지 리.
종장 모쳐라 밤일싀만졍 혀 낫이런들 우일 번 괘라 ▶ 자신의 행동을 겸연쩍어함
■주추리 삼대 삼의 줄기.
실망감보다는 멋쩍음을 드러냄 - 사설시조 특유의 낙천성과 해학성
- 작자 미상 / 정병욱 편저, 『시조 문학 사전』 ■모쳐라 아서라. 그만두어라.

콕콕 정리 ■우일 번 웃길 뻔. 웃음거리가

웃음을 유발하는 화자의 행동 될 뻔.

•버선과 신발을 벗어 들고 엎치락뒤치락 허둥지둥 뛰어감.


‘주추리 삼대’를 임으로 •진 곳 마른 곳 가리지 않고 마구 건너감.
착각함. •주추리 삼대가 자신을 속인 것이라고 말함.
•남들이 자신의 행동을 못 봐서 다행이라고 여김.

깜짝 퀴즈
1. ‌이 시조는 평시조의 형식을 변형한 사설시조이다. ➡ ◯
2. ‌이 시조는 화자의 행동을 ☐ ☐ 하여 묘사하고 있다.
 ➡ 과장
3. ‌이 시조의 화자는 임이 오지 않은 것을 알고 큰 절망감
을 드러내고 있다. ➡×

[현대어 풀이]
임이 온다고 하여 저녁밥을 일찍 지어 먹고 중문을 나와 대문으로 나가 문지방 위에 올라가 앉아
손으로 이마를 가리고 오는가 가는가 건너편 산을 바라보니 검은 듯 흰 듯한 것이 서 있기에 저것
이 임이로구나.
버선 벗어 품에 품고 신 벗어 손에 쥐고 엎치락뒤치락 허둥지둥 진 데 마른 데 가리지 않고 우당
탕퉁탕 건너가서 정이 있는 말 하려고 곁눈으로 흘깃 보니 작년 7월 3일에 갉아 벗긴 주추리 삼대
가 알뜰히도 나를 속였구나.
아서라 밤이기에 망정이지 행여 낮이었다면 남을 웃길 뻔했구나.

(1) 시조 두 수 30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5 17. 12. 11. 오후 8:27


활동

이해 1 두 시조의 화자가 처한 상황과 그에 따른 화자의 정서 및 태도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활동 안내 두 시조의 시적 상
가 동지ㅅ 기나긴 밤을 나 님이 오마 거
황과 화자의 정서 및 태도를 파
악하고 이를 비교해 보는 활동
이다. 시어의 의미에 집중하면
서 두 시조의 화자가 어떤 정서
와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 파악 임이 없는 상황에서 임이 오기를 화자의 임이 없는 상황에서 임이 오기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상황 기다리고 있음.
기다리고 있음.

•임을 그리워함.
•임을 그리워함. •임이 오기를 간절히 기다리는 마음
화자의
•임과 다시 만날 날을 상상하며 이별 에 비슷한 물건을 보고 임이 온 것으
정서 및 태도
의 상황을 견딤. 로 착각하고 달려가는 모습을 보임.

활동 안내 제시된 시구에 드러난 표현상의 특징과 그 특징이 시조의 주제를 드러내는 데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
하는 활동이다. 다양한 시적 표현 방법을 알고 이를 작품의 의미와 연관 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두 시조의 시구에 나타나는 표현상의 특징과 그 효과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도움말
가 동지ㅅ 기나긴 밤을
표현의 효과를 파악할 때에
는 제시된 시구가 화자의 행
시구 표현상의 특징과 그 효과
동과 정서를 부각하는 데 어
떻게 기여하는지에 주목한다.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밤’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접었다 펼 수 있
는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화하여 이미지를 생
생하게 느끼게 한다. 이를 통해 화자의 외로움
이 잘 느껴진다.
•‘서리서리 너헛다가~구뷔구뷔 펴 •‘서리서리’, ‘구뷔구뷔’라는 음성 상징어를 사
용하여 임을 기다리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리라’
생생하고 우아하게 표현하였다.

나 님이 오마 거

시구 표현상의 특징과 그 효과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임에게 허겁지겁 달려가는 장면을 순차적으로
쥐고 곰뾂님뾂 님뾂곰뾂 쳔방지방 나열하여 임을 만난다는 기대감을 극대화하고
지방쳔방 즌 듸 른듸 희지 말고 있으며, 다양한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장면을
생생하게 표현하였다.
워렁충창 건너가셔’

306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6 17. 12. 11. 오후 8:27


활동 안내 시조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글을 통해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형태를 파악하
고, 이를 두 시조에 적용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작자층에 따라 시조의 제재가 다양해질 수 있음을 알도록 지도한다.

목표 1 다음 글을 참고하여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알아보자.

자료실 시조는 고려 말기에 나타나 조선 시대에 전성기를 이룬 서정 문학이다. 시조의


시조의 개념
음보(音步) 기본적인 형태는 평시조로, 평시조는 3장(초장, 중장, 종장), 6구, 4음보를 기본
음보는 ‘쉼’의 주기라고 할 평시조의 기본형
형으로 한다. 조선 후기로 가면 평시조의 정형적 형식에서 벗어난 사설시조가 나
수 있는데, 주로 3음절이나 4 조선 후기에 나타난 시조의 형태
음절이 한 음보를 이룬다. 세 타난다.
마디로 쉬어 가면서 낭송하면 시조는 주로 사대부의 정서와 이념을 풀어낸 것으로, 자연 친화적 태도를 노래
3음보, 네 마디로 쉬어 가면서
낭송하면 4음보이다.
하거나 충효(忠孝) 등의 유교적 가치관을 노래하였다. 그리고 사대부의 풍류에 참
사대부 시조의 주요 내용
여하는 기녀도 시조를 창작하였는데, 남녀의 정을 섬세하고 우아하게 표현하였
기녀 시조의 내용
다. 사설시조는 작자를 알 수 없는 작품이 많으며, 주로 세태를 풍자하거나 삶의
사설시조의 특징 사설시조의 내용
애환을 해학적으로 노래하였다.

(1) 형식적 측면에서 두 시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가 동지ㅅ 기나긴 밤을 나 님이 오마 거

공통점 3장(초장 - 중장 - 종장)으로 구성되고, 종장의 첫 음보가 3음절임.

•평시조. 시조의 정형적 형식을 지킴. •사설시조. 시조의 정형적 형식에서 벗어남.
- 어느 한 장이 두 구 이상, 특히 중장이 길어짐.
차이점
• •

자료실 (2) 다음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송순이 지은 평시조이다. 작자를 고려할 때, 앞의 두 시조와
송순(1493~1583) 내용적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말해 보자.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면
앙정(俛仰亭)’이다. 벼슬에서
물러나 강호 생활을 하면서 십 년(十年)을 경영(經營) 여 초려삼간(草廬三間) 지여 내니
욕심 없는 청빈한 생활
많은 작품을 지었다. 주요 작 나 간 간에 청풍(淸風) 간 맛져 두고
품으로 「오륜가」, 「면앙정가」 ‘나’와 자연이 한데 어우러짐 - 물아일체(物我一體)
등이 있다.
강산(江山)은 들일 듸 업스니 둘러 두고 보리라
강산을 병풍처럼 인식함 → 자연에 동화됨
제재 개관 - 송순 / 정병욱 편저, 『시조 문학 사전』
갈래 시조, 평시조
성격 풍류적, 전원적
예시 답안 임을 향한 간절한 그리움을 노래한 앞의 두 시조와 달리, 이 시조는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고자 하는 마
제재 전원생활
음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조를 지은 송순은 사대부로, 이 시조에는 사대부의 풍류와 자연 친화적인 태도가 드러나 있
자연과 더불어 살고 다.
주제
싶은 마음.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자연 친화적 태도를 보
특징 임.
•안빈낙도(安貧樂道)의
태도가 나타남.
(1) 시조 두 수 30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7 17. 12. 11. 오후 8:27


활동 안내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을 형식적 측면에서 이해하기 위한 활동이다. 제시된 향가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해
보면서 구성과 시상 종결 방식에서 시조와 향가의 형식적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다음은 향가 제망매가(祭亡妹歌)이다. 이를 감상하고 형식적 측면에 나타나는 한


국 문학의 전통을 알아보자.

자료실
향가의 형식 생사(生死) 길은
향가는 통일 신라 시대에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성행한 문학 갈래이다. 향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이승
나는 간다는 말도
에는 4구체, 8구체, 10구체의 죽은 누이
세 가지 형식이 있다. 이 중 몯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 』: 누이의 갑작스러운 죽음

10구체는 ‘기 - 서 - 결’의 3단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구성을 취하며, ‘결’에 해당하 누이의 이른 죽음
는 마지막 두 구는 대개 그 첫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직유법 - 누이를 비유
머리에 감탄사를 써서 시상 한 가지에 나고
(詩想)을 고양한다. 한 부모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彌陀刹)에서 만날 나
누이와 재회할 수 있는 공간 화자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종교적으로 극복하려는 의지
■미타찰(彌陀刹) 아미타불이 다스리는 서방 정토.

- 월명사 / 김완진 옮김, 『향가 해독법 연구』

제재 개관 (1) 제망매가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해 보자.


갈래 10구체 향가 예시 답안
성격 애상적, 추모적
제재 누이의 죽음. 기 (1구 ~ 4구) … 누이의 죽음을 안타까워함.
죽은 누이의 명복을
주제
빎.
•‌자연물에 비유하여 삶
과 죽음의 섭리를 표 서 (5구 ~ 8구) … 누이의 죽음에서 삶의 무상함을 느낌.
특징 현함.
•슬픔을 종교적으로 승
화함.

작가 소개 결 (9구 ~ 10구) … 누이와 재회하기를 기대하며 불도(佛道)에 정진함.

월명사(?~?)•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학덕이 높은 이름
난 승려였다. 「제망매가」 외
에도, 경덕왕의 요청으로 지
은 4구체 향가인 「도솔가(兜 (2) 제망매가와 님이 오마 거의 형식적 특징을 비교해 보자.
率歌)」가 전한다. 예시 답안

제망매가 님이 오마 거

구성 ‘기 - 서 - 결’
의 3단 구성을 취함. ‘초장 - 중장 - 종장’의 3단 구성을 취함.

시상의
결사를 감탄사 ‘아아’로 시작하여 화자의 고조 종장을 감탄형 ‘모쳐라’로 시작하여 화자의 고
종결
된 정서를 표현하고 시상을 전환함. 조된 정서를 표현하고 시상을 전환함.
방식

308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8 17. 12. 11. 오후 8:27


문학 쓰기
활동 안내 시조의 형식에 따라 시조를 창작해 보는 활동이다. 하나의 제목 아래 몇 수의
✚ 평시조를 이어서 연시조를 구성하도록 안내한다. 시조를 창작해 보는 과정을 통해 문학 작
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하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 안내에 따라 모둠별로 학교생활을 소재로 한 연시조를 지어 보자. 모둠

자료실 1. 3~4명이 한 모둠을 구성한다.


연시조 2. 학교생활의 여러 모습 중에서 시조로 창작하고 싶은 장면을 떠올린다.
연시조는 두 개 이상의 평
등교 시간, 수업 시간, 점심시간, 체육 대회 등
시조가 하나의 제목으로 엮인
시조이다. 3. 인원수에 맞게 각 장면을 선정하고 순서를 정한다.
4. 한 사람이 한 장면을 맡아 그 장면을 표현한 시조 한 수를 짓는다.
5. 각자 지은 시조를 잇고 제목을 붙인다.

| 예시 |

•제목: 우리의 하루

학교에 가려고 아침밥을 일찍 먹고


정류장에 달려가서 오는 버스 타려는데
아뿔싸, 국어 숙제를 집에 두고 나왔네.
- 제1수 등교 시간

예시 답안
오늘도 아침 일찍 수업을 들으려니
눈앞의 스승 얼굴 흐릿하게 지워지네.
오늘도 나란 사람 쉴 시간만 기다리네.
- 제2수 수업 시간
그토록 기다리던 쉬는 시간 되었지만
과자 한 봉 까먹으니 수업 시작 종이 치네.
아이고, 무더운 날을 다시 한 번 참아 보세.
- 제3수 쉬는 시간
드디어 하교 시간 오늘도 해내었네.
멀찍이 스승 얼굴 잠시 잠깐 피해 보네.
그래도 내일부터는 열심히 공부하리.
- 제4수 하교 시간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동지ㅅ 기나긴 밤을과 님이 오마 거을 감상하며 시조의 형식

정리하기 적·내용적 특성과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주제의 시조를 더 찾아


읽으며 한국 서정 문학의 아름다움을 느껴 보자.

(1) 시조 두 수 30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9 17. 12. 11. 오후 8:27


총 5차시

(2)
학습 목표 •한국 문학에서 여성 화자의 전
통이 계승되는 양상을 이해한다.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의 가치에 주목하며 작품
을 감상한다.

역량 목표 •작가와 창작 배경, 작품 세계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여 작품을 주체적으로 해석한다.

속미인곡/진달래꽃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시를 읽으며 운율감이 느껴지는 이유를 자유롭게 말해 보자.
활동 안내 운율감이 드러나는 시를 낭독하며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작품은 일상에서 겪었을 법한 상황을 재치
있게 표현한 시이다. ‘음보’의 개념을 떠올리며 읽어 봄으로써 서정 문학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용돈
이환천

아버지의 친구분이
오만 원권 한 장 꺼내
나에게로 다가오면

아버지는 내게 주는
용돈임을 직감하고
친구 손을 밀치신다.

그때부터 둘 사이엔
격렬하고 날카로운
몸싸움이 시작되고

괜찮다고 말한 나는
아버지의 친구분을
눈빛으로 응원한다.

- 이환천, 『이환천의 문학 살롱』

예시 답안 2음보가 되풀이된다. / 하나의 연에서 2음보가 3번 되풀이된다.


같은 글자 수가 반복된다. / 한 음보가 네 글자로 이루어졌다. / 4·4조가 반복된다.

31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0 17. 12. 11. 오후 8:27


알아
두기 1 이별의 정한과 여성 화자
한국 문학에서 ‘이별의 정한(情恨)’이라는 주제는 고대 가요에서부터 시작되어 시조와 가사,
현대 시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별을 노래한 작품 중에서도 남성인 작가가 여
성 화자의 목소리로 임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표현한 작품이 있다.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을
‘충신연주지사’의 의미
연모하는 노래라는 뜻인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가 대표적이다. ‘충신연주지사’는 ‘임
금-신하’의 사회적 관계인 ‘충(忠)’을 ‘남성-여성’의 개인적 관계인 ‘그리움’으로 바꾸어 표현
‘충신연주지사’의 내용
한 것이다. 여성 화자는 이별의 안타까움을 한층 애절하고 절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서 현대
여성 화자의 효과
시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학에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끊어지지 않고 죽 잇따라

2 가사 문학의 특징
가사(歌辭)는 시조와 함께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 갈래의 하나이다. 조선 전기에는 주
로 사대부가 시조와 가사를 창작하였는데, 시조가 짧은 형식의 노래라면 가사는 긴 형식의 노
조선 전기 시조와 가사의 작자층 시조와 가사의 차이
래이다. 가사는 4음보가 연속되며, 일부 가사는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가사의 형식적 특징
마무리되기도 한다. 또한 가사는 길이에 제한이 없어서 강호(江湖)에서 누리는 삶의 모습과
가사의 내용적 특징
감흥, 유배지에서의 삶과 정서, 여행의 경험과 느낌 등 다양한 내용을 담을 수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양반 부녀자와 평민 계층으로 작자층이 확대되어 현실적인 삶을 그린 가사도 나타
조선 후기 시조와 가사의 작자층 확대
났다. 조선 말기에는 개화(開化)와 현실 비판을 주제로 한 가사가 많이 창작되었다.
참고 자료
주제별 가사 작품
•강호에서 누리는 삶의 모습과 감흥 - 예 면앙정가, 낙빈가 등
•유배지에서의 삶과 정서 - 예 만분가, 북천가 등
•여행의 경험과 느낌 - 예 관동별곡, 일동장유가 등
•현실적인 삶 - 예 농부가, 노처녀가 등
•개화와 현실 비판 - 예 합강정가, 애국하는 노래 등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온 문학적
?! 전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가사와 현대 시 작품을 함께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전통을 살펴보는 활
동을 할 것이다. 한국 문학에서 오늘날까지 계승되고 있는 전통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떠
올리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과거의 문학 작품과 오늘날의 문학 작품 간에 공통되는 주제는 무엇일까?
•여성을 화자로 내세운 문학 작품이나 대중가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문학 작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1 17. 12. 11. 오후 8:27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속미인곡의 구성상 특징   •작품의 주제   •이별의 정한과 여성 화자의 전통

임과 헤어진 이유에 이 작품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가사로, 작가는 두 여인을 등장시켜 자신의 심정을 표현하고 있
서사 대한 ‘여인 1’의 질문과 다. 여성 화자를 통해 표현되는 한국 문학의 전통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여인 2’의 답변.
‘여인 1’의 위로와 ‘여 제목 풀이 ‘속미인곡’의 ‘속(續)’은 ‘잇다’라는 뜻으로 작가의 전작 「사미인곡(思美人曲)」의 속편이라는 의미이다.
본사 인 2’의 임에 대한 걱정
여기서 ‘미인’은 임금을 가리키며, ‘속미인곡’은 ‘사미인곡’과 마찬가지로 ‘아름다운 사람을 생각하며 부
과 그리움.
르는 노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속미인곡(續美人曲)
임을 따르고 싶은 소
망을 밝히는 ‘여인 2’와 가
결사
그에 대한 ‘여인 1’의 조
언. _ 정철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시 낭송 영상

제재 개관
갈래 가사, 서정 가사, 양반 가사 성격 서정적, 애상적
제재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특징 •두 여인이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전개됨. / •우리말 표현의 아름다움을 잘 살림.

서사 뎨가 뎌 각시 본 듯도 뎌이고
임금이 있는 한양의 궁궐
텬샹(天上) 옥경(白玉京)을 엇디 야 니별(離別) 고 5
‘여인 2’가 임과 이별함 → 관직에서 물러남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 고 ▶ ‘여인 1’의 질문 - ‘여인 2’가 백옥경을 떠난 이유
쓸쓸한 상황 강조 - 애상적 분위기
정철 어와 네여이고 이내 셜 드러 보오
(1536~1593)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가마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송
강(松江)’이다. 한시, 시조, 가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
사 등 여러 갈래의 문학 작품
을 지었으며, 그중 가사 관동 나도 님을 미더 군 디 젼혀 업서 참고 자료 10
임에 대한 ‘여인 2’의 순수한 사랑과 믿음 ‘친 일이 이셔이다’에 대한 다양한 해석
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이 야 교 야 어 러이 돗 디 우선, ‘여인 2’ 자신이 맺힌 일이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은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여인 2’가 생각하는 이별의 이유 있다. 이 경우 ‘친 일’은 임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해석
작품으로 평가된다. 문집으 반기시 비치 녜와 엇디 다 신고 할 수 있다. 또는 임이 맺힌 일이 있다는 것으로 볼 수
도 있다.
로 『송강집』과 『송강가사』가
임이 맺힌 일이 있다는 것으로 볼 경우에도 두 가지
있다. 누어 각 고 니러 안자 혜여 니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는 ‘여인 2’의 행동 때문에 임의
가슴에 맺힌 일이 있게 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임과 ‘여
구절 풀이 화자는 임과 이별 내 몸의 지은 죄 뫼 티 혀시니 인 2’가 멀어지도록 제3자가 임의 가슴에 맺힌 일을 만
한 이유를 자신의 죄와 조물주 이별에 대해 자책 든 것이다. 후자의 해석이 화자가 임을 그리워하게 하는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를
하 히라 원망 며 사 이라 허믈 랴 명분이 되므로 더 설득력이 있다. 15
통해 화자의 운명론적 인생관이 조물주의 탓 - 운명론적 태도
드러난다. 또한 신하로서 임금
셜워 플텨혜니 조믈(造物)의 타시로다 ▶ ‘여인 2’의 답변
을 원망하지 않는 작가의 유학 서사 임과 헤어진 이유에 대한 ‘여인 1’의 질문과 ‘여인 2’의 답변. - 자신 때문에 임과 이별하였다고 자탄함
자적 태도도 엿볼 수 있다. 본사 글란 각 마오 친 일이 이셔이다 ▶ 자책하는 ‘여인 2’를 위로하는 ‘여인 1’
‘여인 1’이 ‘여인 2’를 위로함 ‘여인 2’의 말 - 다양한 해석이 가능함.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구절 풀이 ‘여인 2’는 자신이
믈 얼굴이 편 실 적 몃 날일고
임을 모시던 때를 생각하며 여
러 걱정거리들을 털어놓고 있
츈한고열(春寒苦熱)은 엇디 야 디내시며 20
다. ‘여인 2’의 이러한 임에 대한
염려는 작가인 ‘정철’의 임금에
츄일동텬(秋日冬天)은 뉘라셔 뫼셧 고
대한 충정을 뜻한다고 볼 수 있
다.
쫎조반(粥早飯) 죠셕(朝夕) 뫼 녜와 티 셰시 가

기나긴 밤의 은 엇디 자시 고

312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2 17. 12. 11. 오후 8:27


저기 가는 저 각시 본 듯도 하구나

천상 백옥경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해 다 져 저문 날에 누굴 보러 가시는가

어와 너로구나 이내 사설 들어 보오

5 내 얼굴 이 거동이 임이 사랑함직 한가마는

어쩐지 날 보시고 너로다 여기심에

나도 임을 믿어 딴생각 전혀 없어

아양이며 교태며 어지럽게 하였던지

반기시는 낯빛이 예와 어찌 다르신가

10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리니

내 몸의 지은 죄 산같이 쌓였으니

하늘을 원망하며 사람을 탓하겠는가

서러워 생각하니 조물주의 탓이로다 ■백옥경(白玉京) 도가(道家)에


서 이르는 옥황상제가 산다는
그것일랑 생각 마오 맺힌 일이 있습니다
곳. 여기에서는 임금이 있는
15 임을 모셔 봐서 임의 일을 내 알거니 한양의 궁궐을 가리킨다.
■사설(辭設) 1. 늘어놓는 말이
물 같은 얼굴이 편하실 때 몇 날일까
나 이야기. 2. 잔소리나 푸념

봄추위 여름 더위 어떻게 지내시며 을 길게 늘어놓음. 또는 그 잔


소리와 푸념.
가을철 겨울철은 누가 모셨는가 ■교태(嬌態) 귀염을 받으려고
알랑거리는 태도.
죽조반 조석 진지 예전과 같이 올리시나
■죽조반(粥早飯) 아침 먹기 전
20 기나긴 밤에 잠은 어찌 주무시나 에 일찍 먹는 죽.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3 17. 12. 11. 오후 8:27


님 다히 쇼식(消息)을 아므려나 아쟈 니
임 계신 곳 = 임금 계신 곳 = 한양
오 도 거의로다 일이나 사 올가
임의 소식을 전하는 사람
내 둘 업다 어드러로 가쥅 말고
: ‘여인 2’의 소망을 이루기 위한 공간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 올라가니

콕콕 정리 구롬은 니와 안개 므 일고 5

소재의 상징적 의미 : ‘여인 2’와 임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 → 당시 조정을 어지럽히던 간신을 상징함
산쳔(山川)이 어둡거니 일월(日月)을 엇디 보며
구롬, 안개, 람, 믈결, 당시의 부정적인 시대 상황 임금을 상징함
오뎐된 계셩
지츥(咫尺)을 모 거든 쳔 리(千里) 라보랴
임과 ‘여인 2’ 사이의 방
해물 하리 믈 의 가 길히나 보랴 니

낙월 구비 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임에 대 임에 대
한 소극적 한 적극적 샤공은 어 가고 뾆 만 걸렷 고 10

사랑. 사랑. 객관적 상관물 - ‘여인 2’의 외로움 부각


강텬(江天)의 혼자 셔셔 디 구버보니

님 다히 쇼식(消息)이 더옥 아득 뎌이고

모츸(茅 )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반벽츼등(半壁靑燈)은 눌 위 야 갓 고
객관적 상관물 - ‘여인 2’의 외로움 부각
오 며 리며 헤 며 바자니니 15
임의 소식을 알기 위해 낮 동안 ‘여인 2’가 했던 행동
져근덧 녁진(力盡) 야 풋 을 잠간 드니

졍셩(精誠)이 지극 야 의 님을 보니
임과 ‘여인 2’의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
옥(玉) 얼구리 반(半)이 나마 늘거셰라
임과 ‘여인 2’가 함께 있었을 때 임과 ‘여인 2’가 헤어져 있을 때
의 머근 말 슬 장 쟈 니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의 말
눈믈이 바라나니 말 인들 어이 며 20

졍(情)을 못다 야 목이조차 몌여 니

오뎐된 계셩(鷄聲)의 은 엇디 돗던고 ▶ ‘여인 2’의 하소연


본사 ‘여인 1’의 위로와 ‘여인 2’의 임에 대한 걱정과 그리움.
결사 어와 허 (虛事)로다 이 님이 어 간고

결의 니러 안자 창(窓)을 열고 라보니
‘여인 2’의 곁에는 그림자뿐 - 임의 부재
어엿븐 그림재 날 조 이로다 25

‘여인 2’의 외롭고 쓸쓸한 심정을 드러냄


하리 쐘여디여 낙월(落月)이나 되야이셔
‘여인 2’의 분신 ① - 소극적 애정관(멀리서 임을 바라봄)
님 겨신 창(窓) 안 번드시 비최리라 ▶ ‘여인 2’의 소망
‘여인 2’의 분신 ② - 적극적 애정관(오랫동안 내리며 임의 곁에 있을 수 있음)
각시님 이야 니와 구 비나 되쇼셔 ▶ ‘여인 1’의 조언
결사 임을 따르고 싶은 소망을 밝히는 ‘여인 2’와 그에 대한 ‘여인 1’의 조언.

31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4 17. 12. 11. 오후 8:27


임 계신 곳 소식을 어떻게든 알자 하니

오늘도 저물었네 내일이나 사람 올까

내 마음 둘 데 없다 어디로 가잔 말인가

잡거니 밀거니 높은 산에 올라가니

5 구름은 물론이고 안개는 무슨 일인가

산천이 어두운데 해와 달을 어찌 보며

지척을 모르는데 천 리를 바라볼까

차라리 물가에 가 뱃길이나 보려 하니

바람이야 물결이야 어수선히 되었구나

10 사공은 어디 가고 빈 배만 매여 있는가

강가에 혼자 서서 지는 해를 굽어보니

임 계신 곳 소식이 더욱 아득하구나

초가집 찬 자리에 밤중쯤 돌아오니

벽 가운데 청등은 누굴 위해 밝았는가

15 오르며 내리며 헤매며 서성대니

잠깐 동안 힘이 다해 풋잠을 잠깐 드니

정성이 지극하여 꿈에 임을 보니 콕콕 정리
‘속미인곡’의 전체 구성
옥 같은 얼굴이 반 넘어 늙었구나
‘여인 1’의 질문 임과 이별한 사
마음에 먹은 말씀 실컷 사뢰려니 서사 연에 대한 질문과
‘여인 2’의 대답 답변.
20 눈물이 쏟아지니 말씀인들 어찌 하며 ‘여인 1’의 위로 임에 대한 걱정
본사
‘여인 2’의 하소연 과 그리움.
정회를 못다 풀어 목조차 메여 오니
‘여인 2’의 소망 임을 따르고 싶
결사 은 ‘여인 2’의 소
새벽닭 소리에 잠은 어찌 깨었던가 ‘여인 1’의 조언 망과 깊은 사랑.

어와 허사로다 이 임이 어디 갔나
깜짝 퀴즈
잠결에 일어나 앉아 창을 열고 바라보니 1. 이
‌ 가사는 두 여성 화자가 대화하는 방식으 ■지척(咫尺) 아주 가까운 거리.
로 전개된다. ➡◯
25 가엾은 그림자가 날 좇을 뿐이로다 2. ‘구롬’과
‌ ‘안개’는 ‘여인 2’와 임 사이를 가로 ■새벽닭 소리 날이 샐 무렵에
막는 장애물이다. ➡◯ 우는 닭의 소리. ‘오뎐된 계셩
차라리 죽어서 지는 달이나 되어서 3. ☐‌ ☐ ☐ 는 임에 대한 적극적인 사랑을 의미
(鷄聲)’은 ‘방정맞은 닭 울음소
한다. ➡ 구비
리’로 해석하기도 한다.
임 계신 창 안에 환하게 비추리라
■궂은비 날이 흐리어 어두침
각시님 달은 물론이고 궂은비나 되소서 - 정철 / 정재호, 장정수 옮김, 『송강가사』 침하게 오랫동안 내리는 비.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5 17. 12. 11. 오후 8:27


학습 포인트 •‘진달래꽃’의 상징적 의미   •작품의 주제   •이별의 정한과 여성 화자의 전통
이 작품은 임을 떠나보내는 여인의 마음을 노래한 현대 시이다. 화자의 상황과 정서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전통이 현대에까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제목 풀이 ‘진달래꽃’은 화자의 분신이자 임에 대한 헌신적 사랑, 한(恨)을 표상한다. 자신을 떠나려고 하는 임을


제재 구조도 보내고 싶지 않은 여인의 심정을 붉고 선명한 이미지의 진달래꽃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진달래꽃
임과 이별하는 상황 나
1연 을 가정하고 이를 묵묵
히 받아들임. _ 김소월
떠나는 임을 축복할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시 낭송 영상
2연 정도로 임에 대한 깊은
사랑을 보임.
화자의 분신인 진달
제재 개관
3연 래꽃을 밟고 가라는 자
갈래 현대 시, 자유시, 서정시 성격 민요적, 애상적
기희생적 사랑을 보임.
제재 임과의 이별.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인고의 자세를 통해
4연 •이별의 상황을 가정하여 애절한 심정을 노래함.
슬픔을 극복함. 특징
•민요조 율격과 수미 상관식 구성을 취함.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이별의 상황 가정 : 유사한 어미의 반복으로 운율 형성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 이별의 상황 가정과 체념
체념적
김소월
(1902~1934)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시인. 전통적 율격과 정서에 향토적 분위기 형성
바탕을 둔 서정시를 주로 썼 진달래꽃
다. 주요 작품으로 「산유화」,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 / 화자의 분신
「접동새」, 「초혼」 등이 있다.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 임에 대한 사랑과 축복
꽃을 뿌려 공덕을 기리는 산화공덕(散花功德)의 전통이 드러남
수미
상관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화자의 희생적 사랑
콕콕 정리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 원망을 뛰어넘는 자기희생적 사랑
‘진달래꽃’의 상징적 의미 이별의 정한을 자기희생을 통한 숭고한 사랑으로 승화함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화자의 분신. 『 』: 슬픔을 드러내지 않고 견디겠다는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정서
•자기희생적 자세.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 슬픔의 극복과 승화


정한의 극복 의지 강조(반어법, 도치법)
•표면적 의미: 임이 나를 떠나신다면 슬퍼도 꾹 참고 보내드리겠다는 의미
•이면적 의미: 임을 붙들고 싶으며, 제발 나를 떠나지 말라는 의미

■즈려밟고 위에서 내리눌러


밟고. ‘지르밟다’의 방언이다. 깜짝 퀴즈 - 김소월, 『정본 김소월 전집』
1. ‌☐ ☐ ☐ ☐ 은 붉고 선명한 이미지로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을 시각화한다. ➡ 진달래꽃
2. ‌이 시는 이별의 상황을 가정하여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고 있다. ➡◯
3. ‌화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라는 구절을 통해 임에 대한 원망을 드러내고 있다. ➡ ×

316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6 17. 12. 11. 오후 8:27


활동

이해 1 가 속미인곡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활동 안내 「속미인곡」의 내용 (1) 속미인곡이 두 여인의 대화로 전개되는 점을 고려하여 가사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을 파악하고 주요 시어의 의미 예시 답안
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대화로
‘여인 1’의 질문
전개되는 이 가사에서 어떤 부
분이 각 화자의 말에 해당하는
지를 파악하고, 가사의 전체적
‘여인 2’
에게 백옥경을 떠난 이유를 물음.
인 내용 흐름을 이해하면서 주
요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 여인 1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여인 2’의 대답

자신의 죄와 조물주 때문이라고 말함.

여인 2

참고 자료
「속미인곡」의 두 화자 ‘여인 1’의 위로

•보조적 위치의 화자.


•‘여인 2’에게 질문이 ‘여인 2’
가 그런 생각을 하지 말기를 바람.
나 위로를 하며 하
여인 1
소연을 이끌어 냄. 여인 1
(갑녀)
•작품의 전개와 종결
을 돕는 기능적인
역할을 함.
‘여인 2’의 하소연
•중심적 위치의 화자.
•작품의 주제를 구현 •임이 잘 지내시는지 안부가 걱정되고, 임의 소식이 궁금함.
하는 역할을 함.
여인 2
•작품의 정서와 분위
(을녀)
기를 주도함. •임을 간절히 그리워하며 차라리 죽어서 낙월이 되고자 함.
•작품에 반영된 작가 여인 2
의 생각을 대변함.

‘여인 1’의 조언

궂은비가 되라고 함.

여인 1

도움말 (2) ‘낙월’과 ‘구비’가 함축하는 의미를 말해 보자.


자연물인 ‘낙월’과 ‘구비’ 예시 답안
가 어떤 특성을 띠는지를 먼 ‘낙월’은 지는 달로, 임이 계신 곳을 멀리서 잠깐만 비출 수 있다. ‘낙월’은 죽어서라도 임을 따르겠다
낙월
저 살펴본 뒤, 이것이 임을 대 는 ‘여인 2’의 간절한 사랑을 나타내지만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표현이다.
하는 태도와 어떻게 관련되는 ‘궂은비’는 어두침침하게 오랫동안 내리는 비로, 임을 적실 만큼 오랜 시간 동안 임 가까이에 있을 수
있다. ‘낙월’보다 더 오래 임과 함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에 대한 간절한 사랑을 보다 적극적으로 드
지 생각해 본다. 구비
러낸 소재이며, ‘여인 2’의 슬픈 눈물이라는 의미를 함축할 수 있어 그리운 마음을 전하기에 더 효과적
이다.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7 17. 12. 11. 오후 8:27


활동 안내 「진달래꽃」의 시상
전개 과정과 중심 소재의 의미
2 나 「진달래꽃」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이별의 (1)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각 연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상황에 처한 화자의 태도를 중 예시 답안
심으로 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어의 함축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 1연 임과 이별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이를 순순히 받아들임.
한다.

2연 떠나는 임을 위해 진달래꽃을 뿌리겠음.

3연 뿌려 놓은 그 꽃을 임이 밟고 가시기를 바람.

4연 임과 이별하는 상황에서도 눈물을 흘리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함.

도움말 (2) 이 시에서 ‘진달래꽃’이 상징하는 의미를 파악해 보자.


시에서 화자는 자신의 정서 예시 답안
와 태도를 구체적인 소재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 시에서 임을 향한
화자가 ‘진달래꽃’에 담고자 사랑과 정성.
했던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헌신과 희생, 순종.

318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8 17. 12. 11. 오후 8:27


활동 안내 제시된 자료를 활용하여 작품을 해석하는 역량 목표와 관련된 활동이다. 작품의 창작 배경, 작가와 그 작
품 세계에 관한 자료 등 작품 외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두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목표 1 다음에 제시된 자료를 참고하여 두 작품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1) 다음은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속미인곡의 창작 배경을 정리한 글이다. 이를 참고


자료실
하여 주요 시어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동인과 서인
조선 시대에 ‘이조 전랑’이
라는 관직을 두고 대립한 당 정철은 술을 좋아하고 감정을 억누르지 못하며, 붕당을 만들어 선비들을 분열
조선 시대에 이념과 이해에 따라 이루어진 사람의 집단
파. 이조 전랑은 임금에게 직 시킨다는 이유로 여러 차례 사헌부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 당시 조정은 동인
언하던 세 관아인 삼사(三司)
의 인사권을 갖고 있었으므
과 서인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정철은 서인의 주요 인물로서 동인의 비판 대상이
로, 동인과 서인은 서로 자기 었다. 하지만 선조는 정철을 충성스러운 신하로 여기고, 그가 말을 너무 곧고 바
편의 인물을 이조 전랑에 임
르게 하기 때문에 남에게 미움을 받는다며 정철을 두둔하였다. 그럼에도 결국 정
명하려 하면서 대립하였다.
철은 선조 18년인 1585년, 벼슬에서 물러나 전라남도 창평에 머물러 살게 되었
다. 이때 임금을 향한 그리움을 담아 「사미인곡」 과 「속미인곡」 을 지었다.

■사헌부(司憲府) 고려·조선 시대에, 정사(政事)를 논의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관리의 비행을 조사하
여 그 책임을 규탄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사간원(司諫院) 조선 시대에, 임금에게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예시 답안

‘구롬’, ‘안개’,
‘미인’, ‘님’ ‘텬샹 옥경’
‘ 람’, ‘믈결’

정치적으로 정철과 반대 입장
임금(선조) 한양의 대궐, 조정.
에 있던 세력.

(2) 다음 글을 참고하여 「진달래꽃」의 시구에 담긴 화자의 심정을 추측해 보자.

한(恨)이란 서로 모순되는 두 충동의 갈등에서 빚어지는 감정이다. 그러한 의미


에서 그것은 반어적인 혹은 역설적인 감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중략)
상대방을 미워하면서도 사랑하고, 긍정하면서도 부정하고, 이별하면서도 그것
을 만남의 예비라고 생각하는 감정, 즉 모순의 복합적인 감정이라 할 수 있다.
- 오세영, 『김소월, 그 삶과 문학』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예시 답안 화자는 깊은 슬픔을 느끼고 있으므로, 제시된 시구는 “임이 떠난다면 나는 슬퍼서 눈물을 펑펑 흘릴 것이
다.”라는 심정을 반대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화자는 표면적으로는 눈물을 꾹 참고 떠나는 임을 보내 주겠
다고 하고 있으나, 이면적으로는 임을 붙잡고 싶으며 임이 제발 자신을 떠나지 않았으면 하고 있다. 따라서 화자는 이
러한 반어적 표현을 통해 이별의 한과 슬픔을 더 강렬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9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9 17. 12. 11. 오후 8:49


활동 안내 한국 문학에 이어져 온 이별의 정한(情恨)과 여성 화자의 전통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여성 화자의 전통이
「속미인곡」과 「진달래꽃」에서 계승되고 있음을 알고, 여성 화자를 내세움으로써 어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파악하
도록 지도한다.

2 다음은 고려 가요 가시리이다. 속미인곡, 진달래꽃과 비교하며 감상해 보자.

자료실
고려 가요의 내용과 형식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여음 3음보 율격, 유사 문장 구조의 반복으로 운율 형성, 강조
고려 가요는 고려 시대에 리고 가시리잇고 나
민간에서 유행하다가 궁중 음 여음
위 증즐가 대평셩 (大平盛代) ▶ 임이 화자를 떠남
악의 가사로 수용된 노래이
: 여음구. 후렴구. 음률을 맞추기 위함
다. 내용 면에서는 남녀 간의
사랑, 삶의 애환 등 평민들의 날러는 엇디 살라 고
삶과 정서를 담은 작품이 많
다. 형식 면에서는 한 연으로
리고 가시리잇고 나
구성된 작품과 여러 연으로 위 증즐가 대평셩 (大平盛代) ▶ 떠나는 임에 대한 안타까움과 원망
구성된 작품이 있으며, 후렴
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잡 와 두어리마
『 』: 임이 영원히 떠날까 두려워 감정을 절제함
제재 개관
선 면 아니 올셰라
갈래 고려 가요
성격 민요적, 애상적 위 증즐가 대평셩 (大平盛代) ▶ 임을 붙잡기를 체념함
제재 임과의 이별.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4개의 연으로 구성됨. 셜온 님 보내 노니 나
특징 •여 음과 후렴구가 있 ① 이별을 서려워하는 임 ② ‘나’를 서럽게 하는 임
음. 가시 도셔 오쇼셔 나
위 증즐가 대평셩 (大平盛代) ▶ 재회에 대한 부탁과 기원
참고 자료
「가시리」 현대어 풀이
■선면 서운하면, 귀찮게 하면.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저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셜온 서러운.
위 증즐가 대평성대
- 작자 미상 / 박병채 옮김, 『고려 가요의 어석 연구』
나는 어찌 살아가라고
(저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1) 「가시리」의 중심 내용을 파악해 보자.
붙잡아 두고 싶지만 예시 답안
서운하면 다시는 오지 않을까 두려워
위 증즐가 대평성대
1~2연 … ‘나’
를 버리고 가는 임을 원망하며 가지 말라고 간절히 호소함.
서러운 님을 보내 드리오니
가시자마자 곧 돌아오소서.
위 증즐가 대평성대

3~4연 … 임을 잡고 싶은 마음을 억누르고 이별을 받아들이며, 임이 어서 돌아오기를 소망함.

(2) 화자의 측면에서 「가시리」, 「속미인곡」, 「진달래꽃」의 공통점을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세 작품 모두 여성을 화자로 내세우고 있다. 여성 화자를 통해 이별의 상황에서 느끼는 화자의 애절하고
복합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32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0 17. 12. 11. 오후 8:28


문학 읽기
활동 안내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의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국어를 사랑하는 마음을
✚ 지니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한 활동이다.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속미
인곡」이 어떤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은 김만중이 정철의 가사를 평가한 글의 일부이다. 이를 참고하여 「속미인곡」


의 가치를 이해해 보자.
자료실
김만중(1637~1692) 지금 우리나라의 시문은 자기 말을 버려두고 다른 나라의 말을 배워서 표현하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소설
므로, 설령 아주 비슷하다 하더라도 이는 단지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하는 것에
가. 호는 ‘서포(西浦)’이다. 한
글로 쓴 우리 문학의 가치를 불과하다. 민간의 나무하는 아이나 물 긷는 아낙네들이 소리 내어 서로 주고받는
『 』: 민간 백성들의 노래가 학사 대부의 시부보다 더 참됨
높이 평가하였다. 주요 작품 노래가 비록 비루하다 할지라도, 그 참과 거짓을 논한다면 정녕 학사 대부들의 이
으로 「구운몽」, 「사씨남정기」
른바 시부(詩賦)와는 같은 자격에 두고 논할 수 없다.
등의 국문 소설이 있다.
하물며 이 세 편의 별곡(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은 천기(天機)가
참고 자료 스스로 일어난 것을 담고 있되 속됨은 없으니,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참문장은 이
김만중, 「서포만필(西浦漫筆)」
세 편뿐이다. 그런데 세 편을 가지고 다시 따져 본다면, 「속미인곡」의 수준이 가장
갈래 중수필, 비평문 대부분의 표현에 우리말을 사용했기 때문
성격 주관적, 비평적 높다. 「관동별곡」 과 「사미인곡」 은 여전히 한자어를 빌려서 수식한 것이므로 자연
제재 송강 정철의 가사. 스럽지 못하다.
송강 가사에 대한
주제
찬사. ■시부(詩賦) 시와 부(한문체에서, 글귀 끝에 운을 달고 흔히 대(對)를 맞추어 짓는 글)를 아울러 이르
•비유를 통해 우리말 는 말.
사용을 강조함.
특징 - 김만중 / 심경호 옮김, 『서포만필(西浦漫筆)(하)』
•자주적인 문화 의식
을 강조함.

예시 답안 「속미인곡」 은 타고난 그대로의 기질과 진실한 감정을 한자어로 꾸미지 않고 우리말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활동 안내 문학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쳐 문학적 전통이 계승되고 있음을 이해하기 위한 활동이다. 학생들에게
익숙한 대중가요 중에서 이별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노래한 작품을 찾아보게 한다. 그리고 그 노랫말을 아름답다고 생
각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말해 보도록 지도한다.

2 속미인곡과 진달래꽃처럼 이별을 아름답게 노래한 대중가요를 찾아 친구들에


게 소개해 보자.
예시 답안
바람이 분다. 서러운 마음에 텅 빈 풍경이 불어온다.
머리를 자르고 돌아오는 길에 내내 글썽이던 눈물을 쏟는다.
하늘이 젖는다. 어두운 거리에 찬 빗방울이 떨어진다.
무리를 지으며 따라오는 비는 내게서 먼 것 같아 이미 그친 것 같아.
세상은 어제와 같고 시간은 흐르고 있고 나만 혼자 이렇게 달라져 있다.
바람에 흩어져 버린 허무한 내 소원들은 애타게 사라져 간다.
- 이소라, 바람이 분다 중에서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속미인곡」과 「진달래꽃」을 감상하며 한국 문학에 나타나는 여성 화자의

정리하기 전통과 아름다운 우리말 표현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전통을 잇고 있는 문학 작품에는 어


떤 것이 있는지 더 찾아보고, 한국 문학의 고유한 전통과 아름다움을 느껴 보자.

(2) 속미인곡/진달래꽃 32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1 17. 12. 11. 오후 8:28


총 6차시

(3)
학습 목표 •한국 서사 문학의 전통을 이해
한다.
•소설에 사회 현실이 반영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
을 감상한다.

역량 목표 •한국 문학의 가치와 미를 느끼


고 자신의 삶과 관련지어 감상한다.

허생전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은 우리 사회의 어떤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활동 안내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문학 작품이 다루는 사회 현실은 어떠한지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입시 위주
의 교육 현실의 문제를 학생들에게 생각해 보게 하고, 과거와 현재의 문학 작품이 반영하는 현실에 관심을 갖도록 지도한다.

글쎄…….
동생아, 조금만 더 공부하고
우리 지금 계곡으로 물에 발이라도
휴가 온 거 맞지? 담그고 가자.

예시 답안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휴가마저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학생들의 모습은 성적만을 강조하는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보여 주고 있다.

322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2 17. 12. 11. 오후 8:28


알아
두기 1 한국 서사 문학의 흐름
한국 서사 문학은 고대의 제천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짐작되며, 삼국 시대까지는 주로 구
서사 문학의 원형
비 문학으로 향유되었다. 구비 전승되던 이야기들은 고려 시대에 문자로 정착하여 『삼국사기』
삼국 시대 서사 문학의 특징 고려 시대 서사 문학의 특징 ①
나 『삼국유사』에 수록되어 전해진다. 고려 시대에는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 형식으로 서술한
고려 시대 서사 문학의 특징 ②
가전체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한문 소설집인 김시습의 『금오신화』와 한글 소설
인 허균의 홍길동전 을 비롯하여 많은 소설이 창작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 문학이 발달하였
조선 시대 서사 문학의 특징
다. 근대부터 현대까지 꾸준히 많은 소설이 창작되고 있으며, 그 주제의 폭이 매우 넓어져 다
양한 작품이 향유되고 있다.

2 서사 문학의 현실 반영적 기능
문학은 인간의 언어로 창조되는 예술이다. 언어에는 현실에 대한 인간의 사고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문학 작품에는 사회의 현실과 그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의식이 담겨 있다. 특
문학의 현실 반영적 기능
히 서사 문학의 경우 작품이 창작된 당대의 현실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현실에 대응하는 여
러 인물의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서사 문학
작품을 통해 작품이 창작된 시대의 모순과 마주하게 되고,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당대 사
서사 문학의 가치 ①
람들이 어떠한 행동을 했는지를 살펴보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현재 우리의 삶과 연결된
서사 문학의 가치 ②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소설에는
?! 창작 당대의 현실이
어떻게 반영될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조선 시대의 현실을 반영한 고전 소설 작품을 감상하며 서사 문학의 전
통을 살펴보는 활동을 할 것이다. 소설이 창작 당대의 사회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을
지 생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소설에서 알 수 있는 한국 서사 문학의 전통은 무엇일까?
•현대 사회의 모습은 소설 안에서 어떻게 그려질 수 있을까?
•내가 읽고 있는 소설에 담긴 사회의 모습은 어떠할까?

(3) 허생전 32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3 17. 12. 11. 오후 8:28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조선 후기의 현실   •각 인물들의 행동 양식   •현실을 반영하는 서사 문학의 전통

‘허생’이 글 읽기를 이 작품은 조선 후기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담긴 고전 소설이다. 당대 사회의 문
발단
중단하고 집을 나감. 제가 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허생’이 매점매석으
전개 1
로 큰 돈을 벎. 제목 풀이 「옥갑야화」의 7화인 이 부분이 ‘허생전’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춘원 이광수가 이 부분만 떼어서
‘허생’이 빈 섬에 이 ‘허생전’이라는 이름을 붙인 데서 비롯되었다. 이 소설에는 관념적인 기존 유교 사회를 비판하고, 이를
전개 2
상 사회 건설을 시도함. 극복할 수 있는 여러 대응책을 제시한 주인공 ‘허생’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허생전(許生傳)
돌아온 ‘허생’은 ‘변
전개 3 씨’와 친분을 맺고, 조
선의 모순을 비판함. _ 박지원 지음 / 이우성 옮김
‘이완’은 ‘허생’을 만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전체 줄거리 영상 등장인물 소개 영상
위기 나 세 가지 계책을 듣
지만 거절함. 제재 개관
갈래 고전 소설, 한문 소설 성격 풍자적, 비판적
‘허생’은 사대부 계층
절정 의 행태에 격분하여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제재 조선의 현실을 꿰뚫고 있는 지식인 ‘허생’.
‘이완’을 꾸짖음. 배경 •시간적: 17세기 조선 효종 때.   •공간적: 한반도 전역.
주제 무능한 양반 계층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삶의 각성 및 실천 촉구.
이튿날, ‘이완’이 ‘허
결말 생’의 집을 찾아가지만 •실학사상, 북학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당대의 현실을 비판함.
특징
‘허생’은 사라짐. •미완의 결말 구조로, 일반적인 고전 소설의 결말과 차이가 있음.

조선 후기 몰락한 양반들이 살던 곳
발단 허생은 묵적골[墨積洞]에 살았다. 곧장 남산(南山) 밑에 닿으면, 우물 위에
‘허생’은 부와 명예 등과 거리가 먼 삶을 살고 있음
오래된 은행나무가 서 있고, 은행나무를 향하여 사립문이 열렸는데, 두어 칸 5

초가는 비바람을 막지 못할 정도였다. 그러나 허생은 글 읽기만 좋아하고, 그

박지원 의 처가 남의 바느질품을 팔아서 입에 풀칠을 했다.


(1737~1805)
하루는 그 처가 몹시 배가 고파서 울음 섞인 소리로 말했다.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실학
자. 호는 ‘연암(燕巖)’이다. 북 “당신은 평생 과거(科擧)를 보지 않으니, 글을 읽어 무엇합니까?”
‘허생의 처’의 가치관 - 독서는 실생활의 수단임
학론을 주장하였으며, 현실의
허생은 웃으며 대답했다. 10
모순을 비판하는 작품을 많이
썼다. 작품으로 호질, 양반 “나는 아직 독서를 익숙히 하지 못하였소.”
전 등이 있고, 저서로는 『열하 ‘허생’의 가치관 - 독서 자체를 즐김
일기』, 『연암집』 등이 있다. “그럼 장인바치 일이라도 못 하시나요?”
예시 답안 ‘허생’은 독서를 즐
“장인바치 일은 본래 배우지 않은 걸 어떻게 하겠소?”
기며 실생활을 등한시하고, ‘허
생의 처’는 독서를 실생활의 수
“그럼 장사는 못 하시나요?”
단이라고 생각하며 경제 활동을
권유하기 때문에 서로 갈등하고
“장사는 밑천이 없는 걸 어떻게 하겠소?” 15
있다.
‘허생’과 ‘허생의 처’가 갈등 처는 왈칵 성을 내며 소리쳤다.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밤낮으로 글을 읽더니 기껏 ‘어떻게 하겠소?’ 소리만 배웠단 말씀이오? 장

인바치 일도 못 한다, 장사도 못 한다면, 도둑질이라도 못 하시나요?”

■장인바치 ‘장인(匠人)’을 낮잡
허생은 읽던 책을 덮어 놓고 일어나면서,
아 이르는 말. 손으로 물건을 “아깝다. 내가 당초 글 읽기로 십 년을 기약했는데, 인제 칠 년인걸…….” 20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하고 휙 문밖으로 나가 버렸다. ▶ ‘허생’이 일을 하라는 아내의 잔소리에 집을 나감
발단 ‘허생’이 글 읽기를 중단하고 집을 나감.

32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4 17. 12. 11. 오후 8:28


전개 1 허생은 거리에 서로 알 만한 사람이 없었다. 바로 운종가(雲從街)로 나가서

시중의 사람을 붙들고 물었다.

“누가 서울 성중(城中)에서 제일 부자요?”

변 씨(卞氏)를 말해 주는 이가 있어서, 허생이 곧 변 씨의 집을 찾아갔다.


5 허생은 변 씨를 대하여 길게 읍(揖)하고 말했다.
‘허생’의 대범함·과감함
“내가 집이 가난해서 무얼 좀 해 보려고 하니, 만 냥(兩)을 뀌어 주시기 바 ‘변 씨’를 찾아와 돈을 빌리
‘허생’의 당당한 태도 는 ‘허생’의 태도는 어떠한가?
랍니다.” 콕콕 정리
예시 답안 ‘변 씨’가 ‘허생’을
‘허생’과 ‘변 씨’의 비교 ‘말이 간단하고, 눈을 오만하게
변 씨는 허생 변씨 뜨며, 얼굴에 부끄러운 기색이
공통점 대범함, 과감함 없’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아,
“그러시오.” 차이점 이인(異人)다운 당당함. 대상(大商)다운 호탕함. 돈을 빌려 달라는 ‘허생’의 태도
는 매우 당당했음을 알 수 있다.
10 하고 당장 만 냥을 내주었다. 허생은 감사하다는 인사도 없이 가 버렸다. 변
‘변 씨’의 대담한 성격 ‘허생’의 이인다운 태도
씨 집의 자제와 손들이 허생을 보니 거지였다. 실띠의 술이 빠져 너덜너덜하

고, 갖신의 뒷굽이 자빠졌으며, 쭈그러진 갓에 허름한 도포를 걸치고, 코에서


‘허생’의 초라한 행색
맑은 콧물이 흘렀다. 허생이 나가자, 모두들 어리둥절해서 물었다.
구절 풀이 ‘변 씨’ 집안의 자
“저이를 아시나요?” 제와 손들은 ‘허생’의 추레한 행
색만 봤다면, ‘변 씨’는 외양은
15 “모르지.” 초라하지만 당당한 언행의 ‘허
생’이 예사롭지 않은 사람임을
“아니, 이제 하루아침에, 평생 누군지도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만 냥을 그 알아차리고 있다. 이를 통해 ‘허
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는 물
냥 내던져 버리고 성명도 묻지 않으시다니, 대체 무슨 영문인가요?” 론, ‘허생’의 인물됨을 알아본
‘변 씨’ 또한 도량이 넓고 대범
변 씨가 말하는 것이었다. 한 면모를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건 너희들이 알 바 아니다. 대체로 남에게 무엇을 빌리러 오는 사람은
■운종가(雲從街) 조선 시대에,
20 으레 자기 뜻을 대단히 선전하고, 신용을 자랑하면서도 비굴한 빛이 얼굴 서울의 거리 가운데 지금의
종로 네거리를 중심으로 한
에 나타나고, 말을 중언부언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저 객은 형색은 허술하 곳.
형상과 빛깔
■읍(揖)하고 두 손을 맞잡아
지만, 말이 간단하고, 눈을 오만하게 뜨며, 얼굴에 부끄러운 기색이 없는
얼굴 앞으로 들어 올리고 허
것으로 보아, 재물이 없어도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 사람이 해 리를 앞으로 공손히 구부렸다
가 몸을 펴면서 손을 내리고.
보겠다는 일이 작은 일이 아닐 것이매, 나 또한 그를 시험해 보려는 것이다.
■갖신 가죽으로 만든 우리 고
25 안 주면 모르되, 이왕 만 냥을 주는 바에 성명은 물어 무엇을 하겠느냐?” 유의 신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변 씨’에게 만 냥을 빌린 ‘허생’ ■중언부언(重言復言)하게 이
허생은 만 냥을 입수하자, 다시 자기 집에 들르지도 않고 바로 안성(安城) 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하게.
과일을 매점매석하기 위해서
으로 내려갔다. 안성은 경기도, 충청도 사람들이 마주치는 곳이요, 삼남(三 ■삼남(三南) 충청도,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경상도의 세 지방을 통틀어
南)의 길목이기 때문이다. 거기서 대추, 밤, 감, 배며 석류, 귤, 유자 등속의 이르는 말.

(3) 허생전 32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5 17. 12. 11. 오후 8:28


콕콕 정리
‘허생’의 상행위를 통해 본 조선의 경제 구조
경제 규모 만 냥으로 한 가지 물종을 매점매석할 수 있음. 경제 구조가
유통 구조 물건을 다시 조달하여 집결할 수 있는 교통 여건이 갖추어지지 못함. 취약함.

과일을 모조리 두 배의 값으로 사들였다. 허생이 과일을 몽땅 쓸었기 때문에

온 나라가 잔치나 제사를 못 지낼 형편에 이르렀다. 얼마 안 가서, 허생에게


우리나라 경제 기반의 취약성과 양반들의 허례허식을 비판함
두 배의 값으로 과일을 팔았던 상인들이 도리어 열 배의 값을 주고 사 가게

되었다. 허생은 길게 한숨을 내쉬었다.


예시 답안 ‘허생’이 과일과 말
“만 냥으로 온갖 과일의 값을 좌우했으니, 우리나라의 형편을 알 만하구 5
총을 모두 사들인 결과, 과일과 당시 조선 경제가 매우 취약했음을 알 수 있음
말총의 가격이 폭등하였고, ‘허
나.”
생’은 큰돈을 벌게 되었다.
‘허생’이 과일과 말총을 모 그는 다시 칼, 호미, 포목 따위를 가지고 제주도(濟州島)에 건너가서 말총
두 사들인 결과 어떠한 일이 베와 무명
발생하였는가? 을 죄다 사들이면서 말했다.

“몇 해 지나면 나라 안의 사람들이 머리를 싸매지 못할 것이다.”


■망건(網巾) 상투를 튼 사람이 허생이 이렇게 말하고 얼마 안 가서 과연 망건값이 열 배로 뛰어올랐다. 10

머리카락을 걷어 올려 흘러내 전개 1 매점매석으로 큰돈을 번 ‘허생’. ▶ ‘허생’은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를 파악하여 매점매석으로 큰돈을 벎
리지 않도록 머리에 두르는 전개 2 허생은 늙은 사공을 만나 말을 물었다.
그물처럼 생긴 물건. 보통 말
총(말의 갈기나 꼬리의 털), 곱
“바다 밖에 혹시 사람이 살 만한 빈 섬이 없던가?”
이상국을 건설하기 위한 시험적 공간
소리(코끼리의 꼬리털) 또는 “있습지요. 언젠가 풍파를 만나 서쪽으로 줄곧 사흘 동안을 흘러가서 어떤
머리카락으로 만든다.
■사문(沙門) 동남아시아의 어 빈 섬에 닿았습지요. 아마 사문(沙門)과 장기(長崎)의 중간쯤 될 겁니다. 꽃
느 곳을 가리키는 듯하나 정
과 나무는 제멋대로 무성하여 과일 열매가 절로 익어 있고, 짐승들이 떼 지 15
확히는 알 수 없음. 빈 섬의 이상적인 환경
■장기(長崎) 일본 나가사키. 어 놀며, 물고기들이 사람을 보고도 놀라지 않습디다.”

326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6 17. 12. 11. 오후 8:28


그는 대단히 기뻐하며,

“자네가 만약 나를 그곳에 데려다준다면 함께 부귀를 누릴 걸세.”

라고 말하니, 사공이 그러기로 승낙을 했다.


청하는 바를 들어줌
드디어 바람을 타고 동남쪽으로 가서 그 섬에 이르렀다. 허생은 높은 곳에
5 올라가서 사방을 둘러보고 실망하여 말했다.

“땅이 천 리도 못 되니 무엇을 해 보겠는가? 토지가 비옥하고 물이 좋으니


땅이 걸고 기름짐
단지 부가옹(富家翁)은 될 수 있겠구나.”

“텅 빈 섬에 사람이라곤 하나도 없는데, 대체 누구와 더불어 사신단 말씀이

오?”
10 사공의 말이었다. 구절 풀이 도둑이 많은 당대
의 어지러운 현실을 보여 주며,
“덕(德)이 있으면 사람이 절로 모인다네. 덕이 없을까 두렵지, 사람이 없는 이를 해결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임을 지적하고 있
것이야 근심할 것이 있겠나?” ▶ 이상 국가 건설을 위해 빈 섬을 찾은 ‘허생’ 다. 선량한 백성이 도둑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을 지배층의
이때, 변산(邊山)에 수천의 군도(群盜)들이 우글거리고 있었다. 각 지방에 무능과 연결하여 당시의 사회
구조를 비판하고 있으며, 군도
서 군사를 징발하여 수색을 벌였으나 좀처럼 잡히지 않았고, 군도들도 감히 들을 토벌하지 못하는 모습에서
당시의 집권층이 무능했음을 짐
15 나가 활동을 못 해서 배고프고 곤란한 판이었다. 허생이 군도의 산채를 찾아 작할 수 있다.
산적들의 소굴
가서 우두머리를 달래었다.
예시 답안 최소한의 생계마
저 꾸려 나갈 수 없는 현실 때문
“천 명이 천 냥을 빼앗아 와서 나누면 하나 앞에 얼마씩 돌아가지요?”
이다. 이를 통해 피폐한 현실 속
에서 힘들어하는 조선 백성의
“일 인당 한 냥이지요.”
처지를 짐작할 수 있다.

“모두 아내가 있소?” 백성들이 도둑이 된 이유


는 무엇일까?
20 “없소.”

“논밭은 있소?”
■부가옹(富家翁) 부잣집의 늙
군도들이 어이없어 웃었다.
은 주인.
“땅이 있고 처자식이 있는 놈이 무엇 때문에 괴롭게 도둑이 된단 말이오?” ■군도(群盜) 떼를 지어 도둑질
어려운 현실 때문에 백성들이 도둑이 됨
을 하는 무리.
“정말 그렇다면, 왜 아내를 얻고, 집을 짓고, 소를 사서 논밭을 갈고 지내려
■징발(徵發)하여 국가에서 특
25 하지 않는가? 그럼 도둑놈 소리도 안 듣고 살면서, 집에는 부부의 낙(樂)이 별한 일에 필요한 사람이나 물
자를 강제로 모으거나 거두어.
있을 것이요, 돌아다녀도 잡힐까 걱정을 않고 길이 의식의 요족(饒足)을 누 군에서 주택을 징발하여
임시 본부로 삼았다.
릴 텐데…….”
■요족(饒足) ‘요족하다’의 어
“아니, 왜 바라지 않겠소? 다만 돈이 없어 못 할 뿐이지요.” 근. 살림이 넉넉함.

(3) 허생전 32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7 17. 12. 11. 오후 8:28


허생은 웃으며 말했다.

“도둑질을 하면서 어찌 돈을 걱정할까? 내가 능히 당신들을 위해서 마련할


『 』: 대범하고 과감한 성격 - ‘허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
수 있소. 내일 바다에 나와 보오. 붉은 깃발을 단 것이 모두 돈을 실은 배이

니, 마음대로 가져가구려.”

허생이 군도와 언약하고 내려가자, 군도들은 모두 그를 미친놈이라고 비웃 5

었다. ▶ 군도들을 찾아가 돈을 마련해 주겠다고 하는 ‘허생’

이튿날, 군도들이 바닷가에 나가 보았더니, 과연 허생이 삼십만 냥의 돈을

싣고 온 것이었다. 모두들 대경(大驚)해서 허생 앞에 줄지어 절했다.


‘허생’의 비범함에 놀란 군도들의 모습
“오직 장군의 명령을 따르겠소이다.”

“너희들, 힘껏 짊어지고 가거라.” 10

이에, 군도들이 다투어 돈을 짊어졌으나, 한 사람이 백 냥 이상을 지지 못

했다.

“너희들, 힘이 한껏 백 냥도 못 지면서 무슨 도둑질을 하겠느냐? 인제 너희

들이 양민(良民)이 되려고 해도, 이름이 도둑의 장부에 올랐으니, 갈 곳이

없다. 내가 여기서 너희들을 기다릴 것이니, 한 사람이 백 냥씩 가지고 가 15

예시 답안 가난 때문에 양민
으로서의 평범한 생활을 영위할
서 여자 하나, 소 한 필을 거느리고 오너라.”
가정을 이루고 농사를 짓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수 없는 백성을 구제하기 위해
빈 섬으로 간 것이다.
허생의 말에 군도들은 모두 좋다고 흩어져 갔다.
‘허생’이 군도를 이끌고 ‘빈 허생은 몸소 이천 명이 일 년 먹을 양식을 준비하고 기다렸다. 군도들이 빠
섬’으로 간 이유는 무엇일까?
짐없이 모두 돌아왔다. 드디어 다들 배에 싣고 그 빈 섬으로 들어갔다. 허생
죄인의 몸이라 갈 곳이 없기 때문에
이 도둑을 몽땅 쓸어 가서 나라 안에 시끄러운 일이 없었다. 20

■대경(大驚)해서 크게 놀라서. 나라의 치안 문제를 해결한 ‘허생’ - ‘허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

■양민(良民) 1. 선량한 백성.


그들은 나무를 베어 집을 짓고, 대[竹]를 엮어 울을 만들었다. 땅기운이 온
2. 조선 시대에, 양반과 천민
전하기 때문에 백곡이 잘 자라서, 한 해나 세 해만큼 걸러 짓지 않아도 한 줄
의 중간 신분인 백성. 온갖 곡식
■비축(備蓄)해 만약의 경우를 기에 아홉 이삭이 달렸다. 삼 년 동안의 양식을 비축해 두고, 나머지를 모두
곡식에서 열매가 열리는 부분
대비하여 미리 갖추어 모아
배에 싣고 장기도(長崎島)로 가져가서 팔았다. 장기라는 곳은 삼십만여 호나
두거나 저축해. 해외 무역을 시도함 - 해외 무역의 중요성을 제시함
■속주(屬州) 어느 나라에 속하 되는 일본(日本)의 속주(屬州)이다. 그 지방이 한참 흉년이 들어서 구휼하고 25

여 있는 주(州).
은 백만 냥을 얻게 되었다. ▶ 군도들을 데리고 빈 섬으로 들어가 섬을 훌륭하게 경영한 ‘허생’
■구휼(救恤)하고 사회적 또는
콕콕 정리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을 당한 허생이 탄식하면서, ‘허생’의 조그만 시험
사람이나 빈민에게 금품을 주
어 구제하고. “이제 나의 조그만 시험이 끝났구나.” •농업을 통한 자급자족. ‘빈 섬’에서 이
이상 사회 건설 •해외 무역을 통한 부의 축적. 상 사회의 건설을
•군도들의 교화. 시도함.

328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8 17. 12. 11. 오후 8:28


(3) 허생전 32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9 17. 12. 11. 오후 8:28


하고, 이에 남녀 이천 명을 모아 놓고 말했다.

“내가 처음에 너희들과 이 섬에 들어올 때엔 먼저 부(富)하게 한 연후에 따


경제적 기반
로 문자를 만들고 의관(衣冠)을 새로 제정하려 하였더니라. 그런데 땅이 좁
문물 정비
고 덕이 엷으니, 나는 이제 여기를 떠나련다. 다만, 아이들을 낳거들랑 오
‘허생’이 섬을 떠나는 이유
른손에 숟가락을 쥐고, 하루라도 먼저 난 사람이 먼저 먹도록 양보케 하여 5
장유유서(長幼有序)
라.”

다른 배들을 모조리 불사르면서,

“가지 않으면 오는 이도 없으렷다.”


예시 답안 ‘허생’은 글을 아는 현실 세계의 모습과 부조리가 섬에 미치지 못하게 하려 함
자들이 현실과 유리된 채 이론
하고 돈 오십만 냥을 바다 가운데 던지며,
과 관념으로만 세상을 논하여
양민과 사회에 해를 끼친다고
“바다가 마르면 주워 갈 사람이 있겠지. 백만 냥은 우리나라에도 용납할 곳 10
생각하여 그들을 ‘화근’으로 표 백만 냥에 휘청거릴 정도로 당시 조선의 경제 구조가 취약함
현하며 모두 섬에서 내보내려고
이 없거늘, 하물며 이런 작은 섬에서랴!”
한 것이다.
‘허생’이 ‘글을 아는 자’를 했다. 그리고 글을 아는 자들을 골라 모조리 함께 배에 태우면서,
‘화근’이라고 한 이유는 무엇
일까? “이 섬에 화근을 없애야 되지.”
당대 지식인(위정자)에 대한 비판적 태도
했다. ▶ 시험을 마치고 섬을 떠나는 ‘허생’
전개 2 ‘허생’이 빈 섬에 이상 사회를 건설함.
■화근(禍根) 재앙의 근원. 깜짝 퀴즈
1. ‌‘허생’은 벼슬을 하고 싶었지만 과거에 합격할
능력이 없어서 글만 읽는 선비였다. ➡×
2. ‌‘허생’은 안성에서는 ☐ ☐ 을, 제주도에서는
☐ ☐ 을 독점하고 팔아서 큰돈을 벌었다.
 ➡ 과일, 말총
3. ‌‘허생’이 군도들을 섬으로 데려간 이후, 나라의
치안이 안정되었다. ➡◯

33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0 17. 12. 11. 오후 8:28


전개 3 허생은 나라 안을 두루 돌아다니며 가난하고 의지 없는 사람들을 구제했
‘허생’의 빈민 구제 - ‘허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
다. 그러고도 은이 십만 냥이 남았다.

“이건 변 씨에게 갚을 것이다.”

허생이 가서 변 씨를 보고
5 “나를 알아보시겠소?”
세월이 오래 지남
하고 묻자, 변 씨는 놀라 말했다.

“그대의 안색이 조금도 나아지지 않았으니, 혹시 만 냥을 실패 보지 않았


세속적인 기준으로 ‘허생’의 성공 여부를 짐작하는 ‘변 씨’
소?”

허생이 웃으며,
10 “재물에 의해서 얼굴에 기름이 도는 것은 당신들 일이오. 만 냥이 어찌 도
‘허생’의 사대부 의식 ① - 재물보다 정신적 가치를 중시함
(道)를 살찌게 하겠소?”

하고, 십만 냥을 변 씨에게 내놓았다.

“내가 하루아침의 주림을 견디지 못하고 글 읽기를 중도에 폐하고 말았으

니, 당신에게 만 냥을 빌렸던 것이 부끄럽소.”


크게 놀라서
15 변 씨는 대경해서 일어나 절하여 사양하고, 십분의 일로 이자를 쳐서 받겠 ‘허생’이 ‘변 씨’에게 화를
‘허생’이 보통 사람이 아님을 깨달음 낸 이유는 무엇일까?
노라 했다. 허생이 잔뜩 역정을 내어, 예시 답안 ‘허생’은 비록 자신
장사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이 만 냥으로 매점매석하여 큰
“당신은 나를 장사치로 보는가?” 돈을 벌었지만 자신은 장사치가
‘허생’의 사대부 의식 ② - 상인 계층을 무시함 아니며 사농공상에 따른 사대부
하고는 소매를 뿌리치고 가 버렸다. ▶ ‘변 씨’에게 빌린 돈을 열 배로 갚는 ‘허생’ 로서의 자존심을 갖고 있다. ‘허
생’이 지닌 삶의 목표는 글 읽기
변 씨는 가만히 그의 뒤를 따라갔다. 허생이 남산 밑으로 가서 조그만 초가 에 있으며, 돈에 있지 않기 때문
에 이자를 쳐서 받겠다는 ‘변
20 로 들어가는 것이 멀리서 보였다. 한 늙은 할미가 우물터에서 빨래하는 것을 씨’의 말에 화가 난 것이다.

보고 변 씨가 말을 걸었다.

“저 조그만 초가가 누구의 집이오?” 콕콕 정리


‘허생’의 이중적 재물관
“허 생원 댁입지요. 가난한 형편에 글공부만 좋아하더니, 하루아침에 집을
개인적 측면
나가서 오 년이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으시고, 시방 부인이 혼자 사는데, 집 정신적 도를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음.
25 을 나간 날로 제사를 지냅지요.” → 부정적 입장
대조
변 씨는 비로소 그의 성이 허씨라는 것을 알고, 탄식하며 돌아갔다. 사회적 측면
▶ ‘허생’에 대해 알게 된 ‘변 씨’
빈민 구제와 나라의 부
이튿날, 변 씨는 받은 돈을 모두 가지고 그 집을 찾아가서 돌려주려 했으
강을 위해 필요함.
→ 긍정적 입장
나, 허생은 받지 않고 거절하였다.
사적인 재물 소유에 대한 ‘허생’의 부정직인 태도 ①

(3) 허생전 33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1 17. 12. 11. 오후 8:28


“내가 부자가 되고 싶었다면 백만 냥을 버리고 십만 냥을 받겠소? 이제부
재물에 뜻을 두지 않음
터는 당신의 도움으로 살아가겠소. 당신은 가끔 나를 와서 보고 양식이나
재물에 대한 ‘허생’의 생각이 드러남 → 안분지족, 안빈낙도
‘변 씨’와 ‘허생’의 대화로 떨어지지 않고 옷이나 입도록 하여 주오. 일생을 그러면 족하지요. 왜 재물
미루어 보아, 재물을 대하는
‘허생’의 태도는 어떠한가? 때문에 정신을 괴롭힐 것이오?”
사적인 재물 소유에 대한 ‘허생’의 부정적인 태도 ②
예시 답안 ‘허생’은 재물이 많
으면 그것 때문에 정신이 괴롭
변 씨가 허생을 여러 가지로 권유하였으나, 끝끝내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5

게 된다고 여기고, ‘변 씨’가 양


식과 옷을 많이 가져오기만 해
변 씨는 그때부터 허생의 집에 양식이나 옷이 떨어질 때쯤 되면 몸소 찾아가
도 그것을 재앙으로 치부한다.
이처럼 ‘허생’은 기본적인 생활
도와주었다. 허생은 그것을 흔연히 받아들였으나, 혹 많이 가지고 가면 좋지
기쁘거나 반가워 기분 좋게
을 하는 데 결핍이 없는 정도의
재물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한
않은 기색으로,
재물
다.
“나에게 재앙을 갖다 맡기면 어찌하오?”
사적인 재물 소유에 대한 ‘허생’의 부정적인 태도 ③
하였고, 혹 술병을 들고 찾아가면 아주 반가워하며 서로 술잔을 기울여 취하 10

도록 마셨다. ▶ ‘변 씨’가 돈을 돌려주려 하자 거절하는 ‘허생’

이렇게 몇 해를 지나는 동안에 두 사람 사이의 정의가 날로 두터워 갔다.

어느 날, 변 씨가 오 년 동안에 어떻게 백만 냥이나 되는 돈을 벌었던가를 조


콕콕 정리
용히 물어보았다. 허생이 대답하기를,
‘허생’의 현실 비판 ①
-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
“그야 가장 알기 쉬운 일이지요. 조선이란 나라는 배가 외국에 통하질 않 15

당시 조선 경제의 현실 해외 무역이 어려움


•배가 외국에 통하지 않 고, 수레가 나라 안에 다니질 못해서, 온갖 물화가 제자리에 나서 제자리에
음. → 무역이 어려움. 교통이 취약해 국내 유통이 어려움 자급자족의 경제 구조 - 낙후된 경제 구조 비판
•수레가 나라 안에 다니 서 사라지지요. 무릇, 천 냥은 적은 돈이라 한 가지 물종(物種)을 독점할 수
지 못함. → 국내 유통이
어려움. 없지만, 그것을 열로 쪼개면 백 냥이 열이라, 또한 열 가지 물건을 살 수 있
•물 화가 제자리에 나서
제자리에서 사라짐. → 겠지요. 단위가 작으면 굴리기가 쉬운 까닭에, 한 물건에서 실패를 보더라
낙후된 자급자족식 경제
구조.
도 다른 아홉 가지의 물건에서 재미를 볼 수 있으니, 이것은 보통 이(利)를 20

한 사람의 매점매석에도 취하는 방법으로 조그만 장사치들이 하는 짓 아니오? 대개 만 냥을 가지면


흔들릴 정도로 규모가 작
고 기반이 취약한 조선의
경제적 현실을 비판함.
족히 한 가지 물종을 독점할 수 있기 때문에, 수레면 수레 전부, 배면 배를

전부, 한 고을이면 한 고을을 전부, 마치 총총한 그물로 훑어 내듯 할 수 있


■정의(情誼) 서로 사귀어 친하
여진 정. 지요. 뭍에서 나는 만 가지 중에 한 가지를 슬그머니 독점하고, 물에서 나
■물화(物貨) 물품과 재화(財 는 만 가지 중에 슬그머니 하나를 독점하고, 의원의 만 가지 약재 중에 슬 25
貨)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물종(物種) 물건의 종류. 그머니 하나를 독점하면, 한 가지 물종이 한곳에 묶여 있는 동안 모든 장사
■당국자(當局者) 그 일을 직접 치들이 고갈될 것이매, 이는 백성을 해치는 길이 될 것입니다. 후세에 당국
맡아 처리하는 자리에 있는 자신의 매점매석 행위에 대해 스스로 비판함
사람. 자들이 만약 나의 이 방법을 쓴다면 반드시 나라를 병들게 만들 것이오.”
▶ ‘변 씨’에게 자신이 돈을 번 내력을 설명하는 ‘허생’
콕콕 정리

조그만 장사치들 ‘허생’

332 8. 한국 문학의 빛깔 적은 돈을 가지고, 작은 단위로 다양한 물건을


구입하여 이윤을 남김.
대조
큰돈을 가지고, 한 가지 물종을 독점하여 비싸
게 팔아 이윤을 남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2 17. 12. 11. 오후 8:28


“처음에 내가 선뜻 만 냥을 뀌어 줄 줄 알고 찾아와 청하였습니까?”

허생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당신만이 내게 꼭 빌려줄 수 있었던 것은 아니고, 능히 만 냥을 지닌 사람

치고는 누구나 다 주었을 것이오. 내 스스로 나의 재주가 족히 백만 냥을


거상이라면 자신의 능력을 알아보았을 것이기 때문
5 모을 수 있다고 생각했으나, 운명은 하늘에 매인 것이니, 낸들 그것을 어찌
운명론적 세계관
알겠소? 그러므로 능히 나의 말을 들어주는 사람은 복 있는 사람이라, 반

드시 더욱더 큰 부자가 되게 하는 것은 하늘이 시키는 일일 텐데 어찌 주지

않았겠소? 이미 만 냥을 빌린 다음에는 그의 복력에 의지해서 일을 한 까


누리는 복의 힘 콕콕 정리
닭으로, 하는 일마다 곧 성공했던 것이고, 만약 내가 사사로이 했었다면 성 ‘허생’의 현실 비판 ②
- 조선의 인재 등용
10 패는 알 수 없었겠지요.” ▶ ‘허생’의 운명론적 사고
‘허생’이 사례로 든 인재
변 씨가 이번에는 딴 이야기를 꺼냈다. •조성기: 적국에 사신으로
보낼 만한 인재였으나,
“방금 사대부들이 남한산성(南漢山城)에서 오랑캐에게 당했던 치욕을 씻어 벼슬하지 않고 늙어 죽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항전하다 결국 항복함 음.
•유형원: 군량을 조달할
보고자 하니, 지금이야말로 지혜로운 선비가 팔뚝을 뽐내고 일어설 때가
만한 재능이 있으나, 바
능력을 발휘할 때
닷가에서 소요하고 있음.
아니겠소? 선생의 그 재주로 어찌 괴롭게 파묻혀 지내려 하십니까?”
15 “어허, 자고로 묻혀 지낸 사람이 한둘이었겠소? 우선, 졸수재(拙修齋) 조성 유능한 인재들이 많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집정자
들이 그들을 등용하지 않
기(趙聖期) 같은 분은 적국(敵國)에 사신으로 보낼 만한 인물이었건만 베잠 는 현실을 비판함.

방이로 늙어 죽었고, 반계 거사(磻溪居士) 유형원(柳馨遠) 같은 분은 군량


■조성기(趙聖期) 조선 숙종 때
(軍糧)을 조달할 만한 재능이 있었건만 저 바닷가에서 소요하고 있지 않습 의 학자. 성리학을 집대성하
자유롭게 슬슬 거닐며 돌아다니고 였으며, 평생을 독서와 학문
니까? 지금의 집정자들은 가히 알 만한 것들이지요. 나는 장사를 잘하는 에 전념하였다.
인재 등용의 불합리성 비판
20 사람이라, 내가 번 돈이 족히 구왕(九王)의 머리를 살 만하였으되 바닷속에 ■유형원(柳馨遠) 조선 효종 때
모든 나라 왕의 목숨을 의미함 의 실학자. 벼슬에 뜻이 없어
던져 버리고 돌아온 것은, 도대체 쓸 곳이 없기 때문이었지요.” 학문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조선의 경제 규모가 작고, 기반이 취약함
■구왕(九王) 고대 중국에서 전
변 씨는 한숨만 내쉬고 돌아갔다. ▶ 위정자의 인재 등용에 대한 ‘허생’의 비판
전개 3 집으로 돌아온 ‘허생’은 ‘변 씨’와 친분을 맺고,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와 인재 등용의 불합리성을 비판함. 국을 다스리기 위해 나누었던
위기 변 씨는 본래 이완(李浣) 이 정승과 잘 아는 사이였다. 이완이 당시 어영대 아홉 개 주의 왕.
■이완(李浣) 조선 중기의 무
장이 되어서 변 씨에게 위항(委巷)이나 여염(閭閻)에 혹시 쓸 만한 인재가 없
관. 효종 재위 시절 왕을 호위
25 는가를 물었다. 변 씨가 허생의 이야기를 하였더니, 이 대장은 깜짝 놀라면 하던 군영인 어영청의 대장으
로 일하였다.
서, ■위항(委巷) 좁고 지저분한 거
리.
“기이하다. 그게 정말인가? 그의 이름이 무엇이라 하던가?”
■여염(閭閻) 백성의 살림집이
하고 묻는 것이었다. 많이 모여 있는 곳.

(3) 허생전 33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3 17. 12. 11. 오후 8:28


“소인이 그분과 상종해서 삼 년이 지나도록 여태껏 이름도 모르옵니다.”
서로 따르며 친하게 지내면서
“그인 이인(異人)이야. 자네와 같이 가 보세.”

밤에 이 대장은 구종들도 다 물리치고 변 씨만 데리고 걸어서 허생을 찾아

갔다. 변 씨는 이 대장을 문밖에 서서 기다리게 하고 혼자 먼저 들어가서, 허

생을 보고 이 대장이 몸소 찾아온 연유를 이야기했다. 허생은 못 들은 체하 5


『 』: ‌‘이완’을 공손히 대접하지 않고
고, 오히려 무시하는 ‘허생’

‘허생’은 자신을 찾아온 ‘이 “당신 차고 온 술병이나 어서 이리 내놓으시오.”


완’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예시 답안 ‘허생’은 오랫동안 했다. 그리하여 즐겁게 술을 들이켜는 것이었다. 변 씨는 이 대장을 밖에 오
‘이완’을 밖에 세워 두고 ‘이완’
이 방에 들어왔을 때 일어서지 래 서 있게 하는 것이 민망해서 자주 말하였으나, 허생은 대꾸도 않다가 야심
도 않으며 그에게 반말을 한다.
이를 통해 무능한 위정자에 대 해서 비로소 손을 부르게 하는 것이었다. 이 대장이 방에 들어와도 허생은 자 10
손님 - ‘이완’
한 ‘허생’의 반감과 불신의 태도
를 드러내고 있다. 리에서 일어서지도 않았다. 이 대장은 몸 둘 곳을 몰라 하며 나라에서 어진
구절 풀이 임금에게 신임 받 인재를 구하는 뜻을 설명하자, 허생은 손을 저으며 막았다.
는 신하인 ‘이완’은 ‘허생’의 계
책을 듣고 어렵다고 말한다. 이 “밤은 짧은데 말이 길어서 듣기에 지루하다. 너는 지금 무슨 벼슬에 있느
는 임금을 비롯한 조선의 조정 집권층의 탁상공론에 대한 비판
이 권위와 체면을 중시하며, 훌 냐?”
륭한 인재를 구하기 위해 최선
을 다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 “대장이오.” 15
한다.
“그렇다면 너는 나라의 신임받는 신하로군. 내가 와룡 선생(臥龍先生) 같은
■이인(異人) 재주가 신통하고
어영대장 앞에서도 기죽지 않는 ‘허생’의 대담한 성격
비범한 사람. 이를 천거하겠으니, 네가 임금께 아뢰어서 삼고초려(三顧草廬)를 하게 할
■구종(驅從) 벼슬아치를 모시
고 따라다니던 하인. 수 있겠느냐?” ▶ ‘허생’의 현실 대응책 ① - 올바른 인재 등용

■와룡 선생(臥龍先生) 중국 삼 이 대장은 고개를 숙이고 한참 생각하더니,


국 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
로, 유비를 도와 군사를 맡았 “어렵습니다. 제이(第二)의 계책을 듣고자 하옵니다.” 20

던 ‘제갈량’을 말함.
했다.
■삼고초려(三顧草廬)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 “나는 원래 ‘제이’라는 것은 모른다.”
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하고 허생은 외면하다가, 이 대장의 간청에 못 이겨 말을 이었다.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
“명(明)나라 장졸들이 조선은 옛 은혜가 있다고 하여, 그 자손들이 많이 우
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임금의 친척
데서 유래한다. 리나라로 망명해 와서 정처 없이 떠돌고 있으니, 너는 조정에 청하여 종실 25

■훈척(勳戚) 나라를 위하여 드


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임 (宗室)의 딸들을 내어 모두 그들에게 시집보내고, 훈척(勳戚) 권귀(權貴)의
명나라의 망명객을 우대하여 훈척 권귀의 기득권 폐지
금의 친척.
집을 빼앗아서 그들에게 나누어 주게 할 수 있겠느냐?”
■권귀(權貴) 지위가 높고 권세
가 있음. 또는 그런 사람. 이 대장은 또 머리를 숙이고 한참을 생각하더니,

33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4 17. 12. 11. 오후 8:28


콕콕 정리
‘허생’과 ’이완‘의 갈등 양상
‘허생’의 제안 (실리 중시) ‘이완’의 거절 (명분 중시)
•올바른 인재를 적극적으로 등용해야 함. •권위와 체면이 중요함.
•종실과 훈척 권귀의 기득권을 폐지해야 함. •종실과 훈척 권귀의 기득권을 버리게 하기는 어려움.
•청나라와 문물을 교류해야 함. •예법을 지켜야 하므로 변발을 하고 호복을 입는 것은 어려움.

“어렵습니다.”
집정자들은 자신의 기득권을 포기하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
했다. ▶ ‘허생’의 현실 대응책 ② - 종실과 훈척 권귀의 기득권 폐지

“이것도 어렵다, 저것도 어렵다 하면 도대체 무슨 일을 하겠느냐? 가장 쉬


집권층의 무능함 비판
운 일이 있는데, 네가 능히 할 수 있겠느냐?”
5 “말씀을 듣고자 하옵니다.”

“무릇, 천하에 대의(大義)를 외치려면 먼저 천하의 호걸들과 접촉하여 결탁 ‘허생’이 ‘이완’에게 제시한
세 가지 계책은 무엇인가?
하지 않고는 안 되고, 남의 나라를 치려면 먼저 첩자를 보내지 않고는 성공 예시 답안 첫 번째 계책은 적
적을 알아야 승리할 수 있음 = 지피지기(知彼知己) 극적이고 과감하게 올바른 인재
할 수 없는 법이다. 지금 만주 정부가 갑자기 천하의 주인이 되어서 중국 를 등용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 청나라
종실과 훈척 권귀의 기득권을
민족과는 친근해지지 못하는 판에, 조선이 다른 나라보다 먼저 섬기게 되 폐지하는 것이며, 세 번째는 청
병자호란 당시 군신의 예를 맺음
나라와 문물을 교류하는 것이
10 어 저들이 우리를 가장 믿는 터이다. 진실로 당(唐)나라, 원(元)나라 때처럼 다.

우리 자제들이 유학 가서 벼슬까지 하도록 허용해 줄 것과, 상인의 출입을

금하지 말도록 할 것을 간청하면, 저들도 반드시 자기네에게 친근해지려

함을 보고 기뻐 승낙할 것이다. 국중의 자제들을 가려 뽑아 머리를 깎고 되 ■빈공과(賓貢科) 중국 당(唐)


변발과 호복 나라 때에, 외국인에게 보게
놈의 옷을 입혀서, 그중 선비는 가서 빈공과(賓貢科)에 응시하고, 또 서민 하던 과거(科擧).

(3) 허생전 33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5 17. 12. 11. 오후 8:28


콕콕 정리 은 멀리 강남(江南)에 건너가서 장사를 하면서, 저 나라의 실정을 정탐하는
‘허생’의 현실 비판 ③
- 명분만 중시하는 사대부 한편, 저 땅의 호걸들과 결탁한다면 한번 천하를 뒤집고 국치(國恥)를 씻을
청나라를 정벌하고 병자호란에 대해 복수하는 것
‘허생’의 현실 타개책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명나라 황족에서 구해도 사람을 얻지 못할 경
•인재 등용을 위해 왕이
삼고초려를 해야 한다. 우, 천하의 제후(諸侯)를 거느리고 적당한 사람을 하늘에 천거한다면, 잘되
•명의 망명객을 우대하고
훈척 권귀의 기득권을
폐지해야 한다.
면 대국(大國)의 스승이 될 것이고, 못 되어도 백구지국(伯舅之國)의 지위 5

•양반 자제들이 청의 복
장을 하고 청의 문물을 를 잃지 않을 것이다.”
배워 그들과 교류해야
한다. 이 대장은 힘없이 말했다.

양반 사대부들이 허위의 “사대부들이 모두 조심스럽게 예법(禮法)을 지키는데, 누가 변발(辨髮)을


식을 가지고 명분만 중시
하는 현실을 비판함. 하고 호복(胡服)을 입으려 하겠습니까?” ▶ ‘허생’의 현실 대응책 ③ - 청나라와의 문물 교류
위기 ‘허생’의 세 가지 계책과 ‘이완’의 거절.
‘허생’이 ‘이완’을 크게 꾸짖 절정 허생은 크게 꾸짖어 말했다. 10

은 이유는 무엇일까?
예시 답안 ‘이완’이 ‘허생’이 “소위 사대부란 것들이 무엇이란 말이냐? 오랑캐 땅에서 태어나 자칭 사대
제시한 세 가지 계책을 모두 받 청에 대한 사대부들의 우월감을 비판함
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허 부라 뽐내다니 이런 어리석을 데가 있느냐? 의복은 흰옷을 입으니 그것이
생’은 ‘이완’ 역시 당대의 지배층
이 가진 문제점을 고스란히 가 야말로 상인(喪人)이나 입는 것이고, 머리털을 한데 묶어 송곳같이 만드는
상을 당한 사람
지고 있는 인물이라고 판단하여
그를 꾸짖고 있다. 것은 남쪽 오랑캐의 습속에 지나지 못한데, 대체 무엇을 가지고 예법이라

한단 말인가? 번오기(樊於期)는 원수를 갚기 위해서 자신의 머리를 아끼지 15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실용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작가의 의식이 드러남
구절 풀이 집권층에서 허구적
인 북벌론을 내세우며 친명배청 않았고, 무령왕(武靈王)은 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기 위해서 되놈의 옷을 부
정책을 펼치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이제 대명(大明)을 위해 원수를 갚겠다 하면서, 그

까짓 머리털 하나를 아끼고, 또 장차 말을 달리고 칼을 쓰고 창을 던지며


허례허식을 나타내는 소재
■백구지국(伯舅之國) 중국 봉 활을 당기고 돌을 던져야 할 판국에 넓은 소매의 옷을 고쳐 입지 않고 딴에
건 시대 제후국 중에서 규모 전투에 부적합한 옷. 허례허식을 나타내는 소재
가 큰 나라. 예법이라고 한단 말이냐? 내가 세 가지를 들어 말하였는데, 너는 한 가지 20

■호복(胡服) 1. 만주인의 옷. 2.
도 행하지 못한다면서 그래도 신임받는 신하라 하겠는가? 신임받는 신하라
오랑캐의 옷차림.
■번오기(樊於期) 중국 진(秦) 는 게 참으로 이렇단 말이냐? 너 같은 자는 칼로 목을 잘라야 할 것이다.”
명분만 앞세우고 실천이 부족한 자
나라의 장수. 연(燕)나라로 망
명한 뒤 진나라가 이를 빌미
하고 좌우를 돌아보며 칼을 찾아서 찌르려 했다. 이 대장은 놀라서 일어나 급
로 쳐들어오자, 번오기는 자
히 뒷문으로 뛰쳐나가 도망쳐서 돌아갔다.
신을 희생함으로써 진나라에 절정 집권층에 대한 ‘허생’의 분노와 꾸짖음. ▶ 명분만 중시하는 사대부 집권층을 비판하고 ‘이완’을 꾸짖는 ‘허생’
대한 원수를 갚으려 하였다. 결말 이튿날, 다시 찾아가 보았더니, 집이 텅 비어 있고, 허생은 간 곳이 없었다. 25

미완의 결말
■무령왕(武靈王) 중국 전국 시 결말 ‘허생’이 종적을 감춤. - 박지원 / 이우성 옮김, 『고등학교 국어(하)』
대 조(趙)나라의 왕. 생활이
콕콕 정리 깜짝 퀴즈
간편하고 군사 훈련에 적합한
결말 처리 방식의 특징과 효과 1. ‌‘허생’은 재물이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호복으로 복장을 개혁하여 부
•설화적 결말을 통해 ‘허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를 부각함. 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
국강병을 이루고자 하였다. •미완의 결말 구조로 여운을 남기며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함. 2. ‘이완’은 ☐ ☐ 을 중시하고 있다. ➡ 명분
•‘허생’의 주장이 당시에 수용되기 어려운 것이었음을 암시함. 3. ‌이 작품은 창작 당시의 조선의 현실을 반
영하고 있다. ➡◯

336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6 17. 12. 11. 오후 8:28


활동
활동 안내 작품의 주요 공간을 중심으로 사건을 정리하며 「허생전」의 전체 줄거리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공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의 행동을 중심으로 사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해 1 이 소설의 주요 사건을 공간의 이동에 따라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1 ‘허생’의 집

‘허생의 처’
가 가난한 집안 형편에
도 글 읽기에만 전념하는‘허생’
을 나무
라자,‘ 허생’
이 탄식하며 집을 떠남.

5 ‘허생’의 집

집으로 돌아온 ‘허생’은 ‘변 씨’와 교유(交


遊)하면서 ‘이완’을 만나 세 가지 계책을 제
안하지만, ‘이완’이 이를 거절하자 명분만 중 2 ‘변 씨’의 집
시하는 집권층을 크게 꾸짖고, 이튿날 종적 ‘허생’은 서울 성중에서 제일 부자인 ‘변
을 감춤. 씨’를 찾아가 만 냥을 빌림.

4 빈 섬 3 안성, 제주도
‘허생’은 나라에 들끓던 군도들을 빈 섬으 ‘허생’은 안성에서는 과일을, 제주도에서는
로 데려가 이상 사회 건설을 시도함. 말총을 매점매석하여 큰돈을 벎.

(3) 허생전 33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7 17. 12. 11. 오후 8:28


활동 안내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인물의 성격과 가치관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인물의 성격이 잘 나
타나는 말과 행동을 찾아 이유를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등장인물의 성격과 가치관을 파악하고,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도움말 인물의 성격과 가치관 그렇게 생각한 이유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
•가족의 생계를 돌보는 것보다는 글 읽기 •아내의 불평불만에도 글 읽기에만 열중함.
해 인물의 성격과 각 인물이
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추론 를 통한 학문적 성취를 중시함.
해 본다. •재물에 대한 욕심이 적으며, 돈은 수단적 •돈 오십만 냥을 바다에 버리고, 재물을 재
가치로만 여김. 앙이라고 말함.

•비범한 능력과 이인(異人)의 풍모를 지님.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를 파악하여 매점


허생 매석을 통해 큰돈을 벌고, 경제적 이유로
도둑이 된 이들을 데리고 빈 섬에 들어가
이상 사회 건설을 시도함
•초라한 ‘허생’의 겉모습에도 ‘허생’의 인물
•호탕하고 도량이 넓으며, 배포가 크고 대범 됨을 꿰뚫어 보고 돈을 선뜻 빌려줌.
함. •‘허생’의 인물됨이 조선의 상황에 도움이
되겠다고 판단하여 ‘이완’에게 ‘허생’을 소
•현실적 감각을 지녔으며, 사람 보는 눈을
개함.
갖춤. •‘재물이 어찌 도(道)를 살찌게 하겠냐’고 말
•사농공상의 계급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함. 하며 재물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상인’을
변씨 ‘장사치’라고 표현함.

인재가 있다는 말을 듣고 ‘허생’을 찾아가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나, 실리보다는 명분
나, ‘허생’의 세 가지 계책을 받아들이지는 않
을 중시하고 보수적임.
음.

이완

목표 1 허생전에 반영된 당대 조선의 현실을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활동 안내 조선 후기에 지어 소설의 내용 당대 조선의 현실
진 「허생전」이 반영하고 있는
시대 현실을 알아보는 활동이 ‘허생’이 만 냥으로 과일과
다. 등장인물의 행동과 사건을
말총을 독점하였다가 되팔아 조선의 경제 구조가 매우 취약함.(자급자족의 경제 구조
바탕으로 조선의 현실을 파악하
로, 교통 여건이 갖추어지지 못해 물건의 국내•해외 유통이
고, 나아가 당대 사회를 비판적 큰돈을 벌고, 조선 전체의 물
어려워 매점매석과 같은 행위가 가능함.)
으로 이해해 볼 수 있도록 지도
가를 좌우함.
한다.

양민이 군도가 되어 나라에 나라에 군도가 들끓고, 백성들의 삶이 피폐하였으며, 지배


층들은 민생을 안정시키지 못하고 치안을 유지하지 못할 정
군도가 들끓음. 도로 문제 해결 능력이 없었음.

‘허생’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 불합리한 인재 등용, 무능력한 지배층, 허구적인 북벌론


할 세 가지 계책을 ‘이완’에게 추구 등 정치적 측면에서 문제가 많았고, 지배층에게는 이러
한 현실을 개혁할 의지가 없었음.
제안하였으나 거절당함.

338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8 17. 12. 11. 오후 8:28


활동 안내 현대 소설이 당대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양상을 이해해 보는 활동이다. 작품 속 인물 간의 대화를 통해 일
제 강점기의 시대 상황을 파악하고, 오늘날의 현실을 반영한 소설의 내용까지 떠올려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다음은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 고향이다. 이 소설을 읽고, 소설이 시대


현실을 반영하는 양상을 이해해 보자.

자료실
참고 자료
동양 척식 주식회사 “어디서 오시는 길입니까?” 고향의 등장인물
동양 척식 주식회사(동척) •‘나’: 서울행 기차 안에서 ‘그’와 동승하게 된 서술자. 지식인.
“흠, 고향에서 오누마.”
•‘그’: 일제 치하에 한 - 중 - 일을 떠돌며 핍진한 삶을 산 인물.
는 일본이 조선의 토지와 자
하고 그는 휘 한숨을 쉬었다. 그러자 그의 신세타령의 실마리는 풀려나왔다. 그의
원을 독점하여 수탈하기 위해
1908년 설치한 식민지 착취 고향은 대구에서 멀지 않은 K 군 H란 외따른 동리였다. 한 백 호 남짓한 그곳 주
기관이다. 일제는 이 기관을 민은 전부가 역둔토를 파먹고 살았는데 역둔토로 말하면 사삿집 땅을 부치는 것
이용하여 막대한 면적의 토지
를 가로채고, 이를 소작인에
보다 떨어지는 것이 후하였다. 그러므로 넉넉지는 못할망정 평화로운 농촌으로
소작료를 낸 후에도 남는 것이 많음
게 빌려주어 높은 소작료를 남부럽지 않게 지낼 수 있었다. 그러나 세상이 뒤바뀌자 그 땅은 전부가 동양 척
징수함으로써 조선 민중을 가 일제의 지배가 시작되자
식 주식회사의 소유에 들어가고 말았다. 직접으로 회사에 소작료를 바치게나 되
혹하게 착취하였다. 일제가 식민지의 토지와 자원을 수출할 목적으로 만든 회사
었으면 그래도 나으련만 소위 중간 소작인이란 것이 생겨나서 저는 손에 흙 한번
제재 개관
만져 보지도 않고 동척엔 소작인 노릇을 하며 실작인에게는 주지 행세를 하게 되
갈래 현대 소설, 단편 소설 실제 경작하는 사람
성격 사실적, 현실 고발적 었다. 동척에 소작료를 물고 나서 또 중간 소작인에게 긁히고 보니, 실작인의 손
1인칭 관찰자 시점(부 동양 척식 주식회사
시점 분적으로 서술자의 개 에는 소출의 3할도 떨어지지 않았다. 그 후로 ‘죽겠다.’, ‘못 살겠다.’ 하는 소리는
소작인들의 빈곤한 삶 일정한 집과 직장이 없이 떠돌아다님
입이 드러남.).
중이 염불하듯 그들의 입길에서 오르내리게 되었다. 남부여대하고 타처로 유리하
제재 농촌의 참상.
•시간적: 일제 강점기. 는 사람만 늘고, 동리는 점점 쇠진해 갔다. ▶ 일제에게 땅을 빼앗기고 쇠락해져 간 고향 마을
배경 •공간적: 서울행 기차 삶이 어려워 고향을 떠나게 됨
안. 지금으로부터 구 년 전, 그가 열입곱 살 되던 해 봄에(그의 나이는 실상 스물여섯
일제 강점기 민중의
주제 이었다. 가난과 고생이 얼마나 사람을 늙히는가.) 그의 집안은 살기 좋다는 바람에
참담한 생활상 폭로.
•‌액자식 구성 방식을 서간도로 이사를 갔었다. 쫓겨 가는 운명이거든 어디를 간들 신신하랴. 그곳의 비
취함. 마음에 들게 시원스러우랴
특징 •객관적, 사실적 문체 옥한 전야도 그들을 위하여 열릴 리 없었다. 조금 좋은 땅은 먼저 간 이가 모조리
로 당시 사회상을 현 『 』: 서간도에서의 비참한 삶
실감 있게 드러냄.
차지하였고, 황무지는 비록 많다 하나 그곳 당도하던 날부터 아침거리 저녁거리
걱정이라 무슨 행세로 적어도 일 년이란 장구한 세월을 먹고 입어 가며 거친 땅을
작가 소개
풀 수가 있으랴. 남의 밑천을 얻어서 농사를 짓고 보니 가을이 되어 얻는 것은 빈
현진건(1900~1943) •소설 소득이 없음
가. 근대 단편 소설을 개척한 주먹뿐이었다. 이태 동안을 사는 것이 아니라 억지로 버티어 갈 제, 그의 아버지
선구자이자, 사실주의 문학의 두해
틀을 마련한 작가로 평가받 는 우연히 병을 얻어 타국의 외로운 혼이 되고 말았다. 열아홉 살밖에 안 된 그가
는다. 주요 작품으로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홀어머니를 모시고 악으로 악으로 모진 목숨을 이어 가는 중 사 년이 못 되어 영
날」 등이 있다. 양 부족한 몸이 심한 노동에 지친 탓으로 그의 어머니 또한 죽고 말았다. (중략)
▶ 서간도에서의 비참한 삶과 부모의 죽음
그 후 그는 부모 잃은 땅에 오래 머물기 싫었다. 신의주로, 안동현으로 품을 팔
고향을 잃고 떠돌게 됨
다가 일본으로 또 벌이를 찾아가게 되었다. 규슈 탄광에 있어도 보고, 오사카 철
공장에도 몸을 담아 보았다. 벌이는 조금 나았으나 외롭고 젊은 몸은 자연히 방탕
해졌다. 돈을 모으려야 모을 수 없고, 이따금 울화만 치받치기 때문에 한곳에 주
접을 하고 있을 수 없었다. 화도 나고 고국산천이 그립기도 하여서 훌쩍 뛰어나왔
한곳에 머물러 삶
다가 오래간만에 고향을 둘러보고 벌이를 구할 겸 서울로 올라가는 길이라 한다.

(3) 허생전 33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9 17. 12. 11. 오후 8:28


“고향에 가시니 반가워하는 사람이 있습디까?”
나는 탄식하였다.
“반가워하는 사람이 다 뭔기오, 고향이 통 없어졌더마.”
고향 상실
“그렇겠지요. 구 년 동안이나 퍽 변했겠지요.”
“변하고 뭐고 간에 아무것도 없더마. 집도 없고 사람도 없고 개 한 마리도 얼씬
을 않더마.”
“그러면, 아주 폐농이 되었단 말씀이오?”
“흥, 그렇구마. 무너지다 만 담만 즐비하게 남았더마. 우리 살던 집도 터야 안
『 』: 폐허가 되어 버린 고향에 대한 상실감
남았는기오만 찾아도 못 찾겠더마. 사람 살던 동리가 그렇게 된 것을 혹 구경했
는기오?”
하고 그의 짜는 듯한 목은 높아졌다.
분노와 한탄
“썩어 넘어진 서까래, 뚤뚤 구르는 주추는! 꼭 무덤을 파서 해골을 헐어 젖혀 놓
은 것 같더마. 세상에 이런 일도 있는기오? 백여 호 살던 동리가 십 년이 못 되
집, 가구
어 통 없어지는 수도 있는기오, 후!”
하고 그는 한숨을 쉬며 그때의 광경을 눈앞에 그리는 듯이 멀거니 먼 산을 보다가
내가 따라 준 술을 꿀꺽 들이켜고,
울분을 달래는 행위
“참! 가슴이 터지더마, 가슴이 터져.”
하자마자 굵직한 눈물 두어 방울이 뚝뚝 떨어진다.
분노와 회한의 눈물
나는 그 눈물 가운데 음산하고 비참한 조선의 얼굴을 똑똑히 본 듯싶었다.
식민지로 일제에 수탈당하는 조선의 상황
▶ 일제의 식민 지배를 받는 조선의 비참한 상황
■역둔토(驛屯土) 역이나 군대의 운영을 위해 설치한 토지. 이 토지를 경작하는 사람들은 역이나 군대
의 유지를 위해 필요한 만큼을 조세로 내고 나머지로 생계를 이어 갔다.
■사삿집(私私-) 개인이 살림하는 집.
■남부여대(男負女戴)하고 (비유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니고. 남자
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현진건, 『고향』

도움말 (1) ‘그’의 삶을 통해 당시의 현실이 어떠했을지 추측해 보자.


이 소설에서 ‘그’가 자신의 예시 답안 ‘그’는 고향에서 농사짓던 땅을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빼앗기고, 더 이상 살 길이 없어 고향을 떠나 이곳저
고향을 어떻게 묘사하는지 살 곳을 떠돌아다녔다. 그 와중에 식구들이 죽고 그는 홀로 모진 고생을 하며 살아야 했다. 그러다 오래간만에 돌아가 본
고향은 폐허나 다름없이 변해 있었다. 이러한 ‘그’의 힘든 삶은 이 작품이 창작된 당시인 일제 강점기에 일제로부터 혹
펴보며 창작 당대의 사회상을
독한 지배를 받아야 했던 조선 민중의 처참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추측해 본다.
(2) 소설이 시대 현실을 반영하여 창작됨을 고려할 때, 오늘날의 현실을 반영하여 소설을 쓴
다면 어떤 내용을 담을 수 있을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안 •청년 실업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취업을 위해 아등바등하는 젊은이들의 삶.
•노인 자살률이 높은 우리 사회에서 고독과 병고에 시달리며 살아가야 하는 노인들의 현실.

34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0 17. 12. 11. 오후 8:28


문학 매체

적용 1 다음과 같은 예술 창작이 오늘날까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고전 소설 작품들
이 오늘날 다양한 장르의 예술
로 변용되어 여전히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이유를 알아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예술 작품을
함께 보며 서사 문학 작품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예
술 작품을 감상했던 경험을 친
구들과 이야기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작된 「허생전」 ▲ 뮤지컬
▲ 마당극으로 창 로 공연된
「춘향전」

▲ 「심청전」을 새롭게 해석한


연극 「아빠 철들이기」

▲ 「전우치전」을 각색
한 드라마 「전우치」

예시 답안 고전 소설이 다양한 예술 양식으로 재창작·재탄생되는 이유는 과거의 서사 문학 작품에 담겨 있는 사회


현실의 문제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녀 간의 사랑을 가로막는 여러 문제들, 가난한 사람들이
살아가기에 어려운 사회 현실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과거의 서사 문학 작품들이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게 주제나 인물
표현 방식 등을 달리 하며 끊임없이 재창조된 결과이기도 하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허생전」을 감상하며 창작 당시의 현실을 반영하는 소설 문학의 전통을

정리하기 알아보았다. 오늘날 창작되고 있는 소설들을 감상하고, 그 안에서 현대 사회의 모습이 어


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3) 허생전 34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1 17. 12. 11. 오후 8:28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떠올리며 어휘의 뜻풀이를 보고, 알맞은 단어를 골라 보는 활동이다.

● 번호를 따라가며 뜻풀이에 알맞은 단어를 보기 에서 골라 써 보자.

1 중언부언 2 흔연히 3 독점

개인이나 하나의 단체가


이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 기쁘거나 반가워 기분이
다른 경쟁자를 배제하고 생
함. 또는 그런 말. 좋게.
산과 시장을 지배하여 이익
을 독차지함.

6 사설 5 서리서리 4 결탁

1. 늘어놓는 말이나 이야기. 국수, 새끼, 실 따위를 헝


마음을 결합하여 서로 의
2. 잔소리나 푸념을 길게 늘 클어지지 아니하도록 둥그
탁함.
어놓음. 또는 그 잔소리와 렇게 포개어 감아 놓은 모
푸념. 양.

7 구제 8 징발 9 사사로이

자연적인 재해나 사회적인 국가에서 특별한 일에 필 공적(公的)이 아닌 개인적


피해를 당하여 어려운 처지 요한 사람이나 물자를 강제 인 범위나 관계의 성질이 있
에 있는 사람을 도와줌. 로 모으거나 거둠. 게.

보기

결탁, 구제, 독점, 사사로이, 사설, 서리서리, 중언부언, 징발, 흔연히

342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2 17. 12. 11. 오후 8:28


정리하기

시조 두 수

가 동지ㅅ 기나긴 밤을 나 님이 오마 거

•평시조 • 사 설 시 조
형식
•3장, 6구, 4음보의 정형적 형식을 취함. •평시조의 정형적 형식에서 벗어남.

내용 임을 애타게 기다리며 그리워함.

속미인곡 / 진달래꽃

가 속미인곡 나 진달래꽃

•두 여인이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화자의 심 •임을 향한 화자의 사랑을 ‘진달래꽃’이라는 소


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함. 재로 표현함.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작품으로 평가받 •이별의 상황에서 느끼는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
음. 함.

‘이별의 정 한 ’이라는 주제를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전달함.

허생전

•만 냥으로 과일과 말총을 독점하여 조선 전체의 물가를 좌우함.


‘허생’의 행위 • 군 도 를 데리고 빈 섬으로 들어가 농사와 무역으로 이상 사회 건설을 시도함.
•이완 대장에게 세 가지 계책을 제시함.

행위의 의미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 및 집권층의 무능력을 비판함.

이 단원을 마치며
3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3 한국 문학에서 여성 화자의 전통이 계승되는 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3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의 가치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3 소설에 사회 현실이 반영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34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3 17. 12. 11. 오후 8:28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허생전」을 경제적인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해 보는 활동이다. 「허생전」이 창작
되던 당시 조선의 경제 현실을 오늘날의 경제 현실과 비교하며 작품 속 사건과 상황을 이해해 보도록 한다. 또한 오늘날의
경제 현실에서 ‘허생’의 행동을 평가해 봄으로써, 공정하고 합리적인 경제 행위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허생전」속 숨은 경제 이야기

‘허생’이 ‘변 씨’에게 꾼 만 냥은 오늘날의 화폐 ‘허생’이 오십만 냥을 바다에 던진 이유는 무엇


가치로 얼마나 될까? 일까?

“내가 집이 가난해서 무얼 좀 해 보려고 하니, “바다가 마르면 주워 갈 사람이 있겠지. 백만


만 냥(兩)을 뀌어 주시기 바랍니다.” 냥은 우리나라에도 용납할 곳이 없거늘, 하물

며 이런 작은 섬에서랴!”
조선 시대 쌀의 가격은 한 섬(약 144㎏)에 다
섯 냥으로 정해져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 쌀의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풀리면 상품의 가격이
소매가격을 20㎏에 약 5만 원으로 잡는다면, 상승한다. 이렇게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
조선 시대의 쌀 한 섬은 오늘날의 화폐 가치로 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을 ‘물가 오
약 36만 원이다. 따라서 조선 시대의 한 냥은 름세’라고 한다. 한때 짐바브웨에서는 극심한
약 7만 원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물가 오름세 때문에
그러므로 ‘허생’이 ‘변 씨’에게 꾼 만 냥은 오 액면가가 100조 달
화폐나 유가 증권 따위의 표면에 적힌 가격
늘날의 화폐 가치로 약 7억 원가량이다. 그러 러인 지폐가 발행되
나 조선 시대의 경제 규모와 오늘날의 경제 규 기도 했다. 하지만
모는 다르기 때문에 돈의 가치 2008년 당시 이 돈
가 같다고 보기는 어려 으로 살 수 있는 물
울 것이다. 건은 달걀 세 개뿐
이었다.
‘허생’이 오십만 냥을 조선으로 가지고 들어
오지 않은 것은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계속 올라 백성들이 살기 어려워질 것을 우려
했기 때문이 아닐까?

34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4 17. 12. 11. 오후 8:29


‘허생’의 매점매석은 현행법으로 처벌될까? 조선 시대에 최저 임금제가 존재했다면?

“뭍에서 나는 만 가지 중에 한 가지를 슬그머 “모두 아내가 있소?”

니 독점하고, 물에서 나는 만 가지 중에 슬그 “없소.”

머니 하나를 독점하고, 의원의 만 가지 약재 “논밭은 있소?”

중에 슬그머니 하나를 독점하면, 한 가지 물종 군도들이 어이없어 웃었다.

이 한곳에 묶여 있는 동안 모든 장사치들이 고 “땅이 있고 처자식이 있는 놈이 무엇 때문에

갈될 것이매, 이는 백성을 해치는 길이 될 것 괴롭게 도둑이 된단 말이오?”

입니다.”
농민에게 땅이 생계 수단이듯, 노동자에게는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형 임금이 생계 수단이다. 임금만으로 노동자가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보수
성된다. 그런데 시장에서 누군가가 한 제품을 생계를 유지할 수 없다면 사회가 건전하게 발
독점하면 어떻게 될까? 공급자가 자신의 이익 전하기 어렵다. 그래서 ‘최저 임금’이라는 것이
을 위해 품질이 나쁜 제품을 판매하거나 마음 존재한다. ‘최저 임금’은 사업주가 노동자에게
대로 가격을 올려도, 소비자는 다른 대안이 없 의무적으로 주어야 하는 최소한의 임금을 말한
기 때문에 그 제품을 사야 한다. 결국 소비자가 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최저 임금 위원회
피해를 입는 것이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에서 최저 임금을 심의하고 의결한다.
심사하고 토의함 의논하여 결정함
우리나라에서는 ‘독점 규제 및 공정 거래에 관 현대의 최저 임금제처럼 조선 시대에도 백성
한 법률’에 ‘시장 지배적 지위의 남용 금지’ 조항 들을 보호하는 다양한 법적 제도가 존재했다
을 두어 독점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과일과 면, 백성들은 도둑이 되지 않고 평범하게 살 수
말총을 독점한 ‘허생’의 상행위는 현행법으로 있지 않았을까?
현재 시행되고 있고,
처벌 대상이 된다. 현실적으로 정립되어
효력을 가지는 법률

소설을 읽으면 그 작품이 창작되던 당시의 사회 현실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오늘날의 관점에서 그 당시의 모
습을 바라보면 작품을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다. 「허생전」이 창작된 조선 시대의 경제 현실은 어떠했는지, 오늘날의 경제
현실에서 ‘허생’의 행위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국어와 통하다 34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5 17. 12. 11. 오후 8:2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