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2

대단원 설정 이유 대단원 지도 방안

이 단원은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하고, 외국 문학과의 관련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한국 문학의 개념 설정 시 가장 많은 논의가 되
양상을 통해 한국 문학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설정하였다. 한문학, 구비 는 언어적, 작가적 관점에 대해 언급한 후,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대
문학, 국문 문학의 세 영역 아래 한국 문학이 어떤 흐름으로 변화했는지 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을 단순하게 파
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한국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 내적 다 악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바를 탐색
양성과 외적 전개 양상을 살펴보는 과정도 포함하였다. 공간적으로는 지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지도할 때는
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에 대해서, 시간적으로는 전통적인 문학과 디지털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한국과 외국의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화된 새로운 문학을 살펴보며 한국 문학에 대한 입체적이고 포괄적인 이
해를 돕게 하였다. 또한 외국 문학과 비교를 통해서 한국 문학만의 고유
한 특성과 문학으로서의 보편적 특성을 파악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한
국 문학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교과서 그림 활용하기
문학 작품을 서로 비교하며 감
상하는 남학생의 모습과 디지털
기기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여
학생의 모습을 통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변화와 발전 등에 관
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
다.

타 학년과의 연계성
소단원명 문학 성취기준 타 학년 관련 성취기준
[문학03-0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
⑴ 한다.
[고등 국어]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대표
한국 문학의 [문학03-06]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전통
적인 한국 문학 작품을 강상한다.
개념과 범위 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 등 다양한 양태를 중
심으로 한국 문학의 발전상을 탐구한다.

[문학03-05]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
한국 문학의 [중1~3학년군]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해서 읽고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
보편성과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악한다.
특수성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4 2019. 1. 8. 오후 10:35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대단원별 수업 지도안

단원별 평가 계획서

작품 ① 제가야산독서당
1~4차시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작품 ② 황진이
작품 ③ 나도 그들처럼
차시별 수업 지도안

5~9차시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작품 ①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작품 ② 변신
차시별 수업 지도안

10차시 대단원 마무리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대단원 핵심 역량
관련 핵심 역량 문화
 향 유
문화 향유 역량은 국어로 형성·계승되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그 아름다운 가
문화 향유 치를 내면화하여 문화를 향유·생산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을 구
역량 성하는 다양한 층위의 작품을 살펴보면서 한국 문학을 구성하는 각 영역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자료·정보 활용 역량은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 분석, 평가하고 이를 효과적 •정보 활
자료·정보 으로 활용하여 의사를 결정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한
활용 역량 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분석하면서 문학으로서의 보편적 특성과 한국 문학
의 특수한 성질을 이해할 수 있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5 2019. 1. 8. 오후 10:35


‘경주’라는 지역의 종합적인 모습을 알아보려면 이 공간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한국
‘경주’라는 지역의 종합적 이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 파악해야 한다. 한국 문학도 이와 비

슷하다. 한국 문학을 공간과 시간을 축으로 하여 파악할 때, 종합적인 전망이 가능한 것


문학의 이다. 한국 문학은 공간적으로 국내에서 창작된 문학과 우리 민족이 외국에서 한국어로
공간적 측면의 한국 문학

개념과 창작한 문학을 아우른다. 시간적으로는 전통적 의미의 문학과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부
시간적 측면의 한국 문학
응하는 새로운 문학을 포괄한다.

범위 이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의 과거와 현재를 인식하고 나아가 그 미래에 대해서도 함께

스마트 수업 PPT
생각해 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한국 문학의 개념이나 범위가 고정
적이지 않고 역동적으로 전개될 것임
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앞으로 한국 문학은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생각해 보자. 어떻게 발전하고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변화하게 될까?
한국 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보며 미래와 발전상을
탐구한다.
한국 문학으로서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한국 문학의 범위는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이
이 단원은 한국 문학의 개념
과 범위, 한국 문학의 다양한 양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지닌 가치는 무엇일까?
태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문학에
대한 입체적이고 포괄적인 이해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두 번째 질문 이끌기
를 돕고 한국 문학이 앞으로 나
어떤 작품이 한국 문학에 포함될 수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의 개념, 특징, 의의
아갈 바를 탐색하는 태도를 지
있을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질문이다. 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질문이다. 지역 단
니는 데 목표를 둔다. 따라서 이
표현 문자, 작가, 향유 계층, 작품 내용 위의 문학, 재외 국민이 쓴 문학, 북한 문학의
단원에서는 구비 문학, 한문학,
등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의 범위를 파 등 그간 한국 문학의 범주에서 상대적으로 등
지역 문학, 한민족 문학을 대표
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시했던 영역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문학의 다
하는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면서
양한 면모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
해하고, 한국 문학이 가지는 다 이 단원에서는 
양한 면모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지도한다. 또한 매체의 1 〈 제가야산독서당〉을 감상하며 한국 문학을 구성하는 영역을 이해해 보자.
발달로 인한 문학 수용 및 생산 ▶ 교과서 117쪽, 지도서 178쪽
방식의 변화를 구체적인 작품으 2 〈 황진이〉를 감상하며 한민족 문학과 지역 문학의 가치를 탐구해 보자.
로 경험해 봄으로써 앞으로 한 ▶ 교과서 121쪽, 지도서 186쪽
국 문학의 변화와 발전상을 모
3 〈 나도 그들처럼〉을 감상하며 전통적인 문학과 디지털화한 문학을 이해하고, 한국 문학의 미
색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래를 탐색해 보자. ▶ 교과서 129쪽, 지도서 196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134쪽, 지도서 177쪽

116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6 2019. 1. 8. 오후 10:35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자연물을 통해 세상과 단절된 자신의 모습을 포착하여 형상
화한 통일 신라 시대의 한시이다. ‘가야산의 독서당에서 지었다’라는 작품
1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속세를 떠나 있는 작가 최치원은 이 작품을 통해
통일 신라 말기의 혼란한 현실에서 벗어나 세속과 단절하려는 태도와 심
리를 노래하고 있다. 한글이 창제되기 전 한국 문학은 구비 문학과 한자
를 사용한 한문 문학이 공존하며 발전을 이루어 나갔는데, 〈제가야산독서
당〉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으로서 한문학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문학의 범위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경험 관련 한시를 읽어 본 경험이 있나요? 감상한 느낌은 어떠


질문의 예 했나요?

삽화 관련 교과서 117쪽 삽화 속의 인물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


질문의 예 을까요?

작가 관련
‘최치원’에 대해서 무엇을 알고 있나요?
질문의 예

최치원 (857~? ) 작가 동영상

통일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 중국에서 문장가


로서 이름을 떨쳤고, 오늘날 통일 신라 시기 한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된다. 말년에는 신분제의 벽에 가
로막혀 자기 뜻을 현실 정치에 펼치지 못하고 은거하였
다. 대표 문집으로 《계원필경(桂苑筆耕)》이 있다.

독서를 하기에 좋은 공간은 어떤 곳일




까?

물이 흐르는 깊은 산 속에 홀로 있다면


어떤 느낌이 들까?


 예시 답 홀로 있고 싶은 마음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17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7 2019. 1. 8. 오후 10:36


〈제가야산독서당〉은 통일 신라 말기에 최치원이 가야산에 은거하며 지은 한시이다.
한국 문학에서 한문학의 가치를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수업의 포인트 갈래 한시(7언 절구)
•자연물의 주관적 변용과 대조적 시어의 사용을 바탕으로 작품의 표현상 특징 이해하기 성격 상징적, 현실 비판적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심리 파악하기 주제 세속과 거리를 두고 산중에 은둔하고 싶은 마음
•<제가야산독서당>을 한국 문학으로 볼 수 있는 이유 이해하기 ① ‌자연물의 속성(물의 이미지)을 활용하여 시상
을 전개함.
특징
② ‘기-승-전-결’의 4단 구성을 취함.
③ 대조적 시어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함.

제가야산독서당 (題伽倻山讀書堂) | 최치원

狂奔疊石吼重巒 자연물의 주관적 변용(해석)


광분첩석후중만 속세의 소리를 막기 위해
人語難分咫尺間 ‘흐르는 물’에게 온 산을 둘
인어난분지척간 러싸도록 했다고 표현함.
常恐是非聲到耳 
상공시비성도이
•시적 화자가 자연을 자신
故敎流水盡籠山 의 소망대로 변화시킴.
고교류수진룡산
•시적 화자의 주체적인 의
지를 드러냄.

첩첩한 돌 사이로 미친 듯 내뿜어 겹겹 봉우리에 울리니 ▶ 격렬히 흐르는 계곡물


외적 부정적 소재, 인간의 소리
상황
사람 말소리야 지척에서도 분간하기 어렵네. ▶ 사람의 말소리를 막아 버리는 물소리
물소리가 사람의 말소리를 차단했기 때문에
내면 항상 시비하는 소리 귀에 들릴까 두려워하기에 ▶ 속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세계 분쟁과 갈등을 일삼는 속세의 소리
일부러 흐르는 물로 하여금 온 산을 둘러싸게 했네. ▶ 속세와 단절하고 싶은 마음
•시적 화자와 속세를 단절시키는 존재
•자연의 소리

제재 정리
표현상의 특징과 효과
흐르는 물  말소리, 시비하는 소리
자연의 소리 대조 인간(속세)의 소리

자연에 묻혀 살고 싶은 시적 화자의 심리를 드러냄.

시적 화자의 심리
1행 2행 3행 4행 작품 구성
계곡물의 모습과 물소리를 통해 사 물소리를 이용하여 1행(기) 격렬히 흐르는 계곡물
  속세를 멀리하려는  2행(승) 사람의 말소리를 막아 버리는 물소리
소리를 묘사하며 람 사이의 시비와 속세와 단절하고자
솔직한 내면을 드
속세와 단절하고자 어지러움을 벗어나 하는 의지를 표현 3행(전) 속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러냄.
함. 고자 함. 함. 4행(결) 속세와 단절하고 싶은 마음

118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8 2019. 1. 8. 오후 10:3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제가야산독서당〉에 사용된 시어의 역  이광수의 비평문을 읽고, 한국 문학의 범위를  전설 〈장자못 이야기〉를 감상하
할을 파악하고, 작가의 생애와 제시문 생각하며 한문 문학이 한국 문학에서 지니는 며 구비 문학이 한국 문학에서
을 읽으며 시적 화자의 심정 추측하기 가치 파악하기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이해하기

1 〈제가야산독서당〉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흐르는 물[流水]’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작품의 내적 요소와 외적 요 예시 답 •시적 화자가 속세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소를 모두 살펴봄으로써 작품에 •세속과 단절하려는 시적 화자의 의지를 드러내는 역할
관한 이해도를 높이는 활동이
다. 핵심적인 시어가 작품에서 ⑵ 다음의 글을 참고하여 시적 화자는 어떤 심정일지 추측해 보자.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
활동을 하면서 작품에 사용된
주된 표현법까지 이해할 수 있 최치원은 중국에 유학하여 얻은 바가 많았다고 생각하였으며, 고국에 돌아와 장차
도록 한다. 다음으로, 작가의 생
애와 관련된 제시문을 통해 작 자신의 포부를 펴려 하였다. 그러나 의심과 시기가 많은 말세(末世)여서 용납되지 못
품 세계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시적 화자의 심정을 파악할 수 하였다. 그리고 외직(外職)에 나가 대산군(大山郡)의 태수가 되었다. <중략>
있도록 이끌어 준다.
최치원은 당나라의 관리로 있을 때부터 고국에 돌아와서까지 항상 난세를 만나 처
신하기가 어려웠고 곧잘 비난을 받기도 했기 때문에, 스스로 불우함을 한탄하고 다시
외직 (外職)  =외관직. 지방에 두
는 벼슬길에 오르지 않기로 하였다. 그는 산림과 강해(江海)를 소요하며 누대와 정자
었던 문관과 무관을 통틀어 이
르는 말. 를 지어 소나무와 대나무를 심어 놓고 책 속에 묻혀서 풍월(風月)을 읊었다.
소요 (逍遙)하다  자유롭게 이리 - 김부식,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니다.

예시 답 사람들의 시비에 대해 불만과 불안감이 있으면서도 이를 해결하고자 적극적으로 세상에 나서기보다는 자


연에 은거하고 싶었을 것이다.

활동 2 지도 방안
2 다음은 한국 문학의 개념을 이야기한 비평문의 일부이다. 글을 읽고, 한국 문학의 범위에 대
해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조선 숙종 때 김만중이 지은 장편 소설로 한문본과 한글본이 모두 전함. 육관 대사(六觀大師)의
한문 문학과 한국 문학이 맺 제자인 성진(性眞)이 양소유(楊少游)로 환생하여 여덟 선녀의 환신인 여덟 여인과 인연을 맺고
는 관계를 생각하며 한국 문학 입신양명하여 부귀영화를 누리나 깨어 보니 꿈이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생각을 <구운몽〉은 어느 나라 문학인가? 그것은 물론 중국 문학이다. 그 취재(取材)가 중국
정리해 보는 활동이다. 한자로
쓴 문학은 중국 문학이라는 이
에서라 하여 중국 문학이 아니라, 그 문(文)이 중국문이기 때문에 중국 문학이다. 다만
광수의 비평문을 살펴보고, 비 작자가 조선인일 따름이다. 허난설헌의 시도 중국 문학이다. 한문으로 쓰인 모든 문
평문의 핵심적 논리가 타당한
것인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 학 — 최치원, 정몽주 이하로 신위, 황현에 이르기까지 모두 중국 문학 제작자였다.
다.
그와 반대로 조선문(朝鮮文)으로 번역된 <삼국지〉, <수호지〉며 <해왕성〉, <부활〉 같
한국어로 된 글
은 것이 도리어 조선 문학이다. 조선문으로 쓰인 까닭으로. 그러면 우리 선인들의 한
우충동(汗牛充棟)할 시문은 전혀 중국 문학일까? 물론! 도저히 조선 문학은 될 수 없
취재 (取材)  작품이나 기사에 필
을까? 있다. 조선문으로 번역함으로! 그러하기 전에는 그것은 다만 조선의 국토에서
요한 재료나 제재(題材)를 조사
하여 얻음. 생(生)한 중국 문학이 될 뿐이다.
한우충동 (汗牛充棟)  가지고 있 - 이광수, 〈조선 문학의 개념〉에서
는 책이 매우 많음을 이르는 말.

〈제가야산독서당〉이 한국 문학
⑴ 이 글에서 한국 문학의 범위를 정하는 기준으로 내세운 것은 무엇인지 찾아보자.
인 이유 예시 답 작품을 표기한 문자

•글을 쓴 주체가 한국인임.


•우리 민족의 생활 현실과 사
상, 감정을 표현함. ⑵ ‘최치원은 중국 문학 제작자였다.’라는 주장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자.
•한글이 창제되기 전 한자는 예시 답 한글이 없던 시대, 그리고 한자가 한글과 함께 사용되던 시대에는 한문 또한 한국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
우리글처럼 쓰였음. 해해야 한다. 따라서 최치원이 쓴 한시는 한국 문학이라고 생각한다.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19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19 2019. 8. 21. 오후 1:43


활동 3 지도 방안
문자로 정착되지 않은 구비

3
문학이 문학에 포함될 수 있는
다음은 여러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전설인 〈장자못 이야기〉이다. 이 작품의 내용을 듣고, 한
가에 관해 생각해 보며 한국 문
학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자신 국 문학의 범위를 탐구해 보자.
의 관점을 세우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통해 구비 문학의 가치
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듣기 대본 332쪽 용소는 장연읍에서 한 이십 리 되는 거리에 있는데, 에 장연


선생님과 함께 이야 읍에서 그 서도 민요로 유명한 몽금포 타령이 있는 데거든.
기를 듣고 활동해
그 몽금포 가는 길 옆에 그 인지 바로 길 옆에 그 용소라는 것
보자.
이 있는데 그 전설이 어떻게 됐냐 할 거 같으면, 그렇게 옛날
인터넷 링크 - 장자못 이야기 옛적 얘기지. ……

구비 문학은 사람들의 입을 ⑴ 이 작품에서 구비 문학으로서의 특징이 나타난 부분을 찾아보자.


통해 전승된 문학을 뜻한다. 구
비 문학은 문자가 만들어지기 •‘에’, ‘또’ 등의 군말이 많다.
이전부터 존재하여 사람들의 사
예시 답 방언을 사용하여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역할을 •
하였는데, 문자가 일반화된 오 예시 답 구비 문학은 현장성을 띠기 때문에 ‘한 이십 리 가면 불타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 불타산이라는 그

늘날까지도 여전히 생명력을 지 • 런 절이 있는데’, ‘그 또 자기네 집에서 개를, ~ 귀엽게 기르던 개를 불러 가지구서 나와섬낭,’과 같이 구연자
가 자신의 표현 의지에 따라 내용을 덧붙여서 말할 수 있다.
니고 있다.
작품 개관
갈래 설화(전설)
전기적, 교훈적, 향토
성격

① ‌인과응보(권선징
질문으로 끌어 주기
악)
② ‌초월적 질서와 본 •<장자못 설화>를 감상한 소감은 어떠한가요? 문자로 기록된 문학과 비교하여 생각해 볼까요?
주제
능적 욕망 사이에 •1단원에서 학습한 문학의 기능에 비추어 볼 때 〈장자못 설화〉와 같은 구비 문학은 문학이라고 볼 수 있을지 생각
서 갈등하는 인간 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3-(2)를 정리해 봅시다.
의 한계
① ‌지역 방언으로 구
⑵ 구비 문학이 문학에 포함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전 전승되어 현장 예시 답 구비 문학은 문자로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를 통해 감동이나 즐거움을 얻고, 우리가 속한 세계에 더 잘
감이 느껴짐. 이해하게 되며 삶의 가치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 즉 구비 문학도 문자로 기록된 문학처럼 정서적·미적 기능, 인
특징 ② ‌군말이나 불필요 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학에 포함된다.
한 반복 등의 구
비 문학적 요소가
나타남.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제가야산독서당〉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당나라에서 문장가로 이름을 떨쳤던
예시 답 오늘날에도 세상에 인정받지 못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최치원이 자신을 알아 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다룬 작품들이 많아서인지 공감이 잘 되었어. 그리고 이 작품은 한자로 최치원의 고독과 외로움, 그리고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기록한 한시이지만 우리 선조가 당시의 정서를 그리고 있기 때문에 우리 〈추야우중〉 노래한 5언 절구의 한시이다. 〈제가야산독서당
문학에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이해할 수 있었어. 〉의 시적 상황과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최치원
나의 책방 키우기 의 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 작품은 작가가 인목 대비 폐위 사건으로 유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최치원의 〈추야우중〉 배된 상황에서 쓴 평시조이다. 〈제가야산독서
신흠의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신흠의 〈산촌에 눈이 오니〉 당〉에 담긴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와 비교하
〈산촌에
면서 한문 문학과 국문 문학이 표기 문자는 다
눈이 오니〉
르지만 유사한 정서와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120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0 2019. 1. 8. 오후 10:36


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북한의 소설가 홍석중이 창작한 장편 소설로, 조선 시대부터 전승되어 오던 황
진이 서사에 ‘놈이’라는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켜 황진이의 비극적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황
진이의 시조를 글 사이사이에 삽입하여 사실성을 주고 있으며, 당대 민중의 언어와 양반의
언어가 혼용되어 현실감을 주고 있다. 또한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풍습과 문화가 잘 드러난
다. 〈황진이〉는 2004년에 만해문학상을 받아 남한에서도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은 작품으로,
분단 이후 북한에서 창작된 작품도 한국 문학에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홍석중 (1941~ ) 작가 동영상

북한의 소설가. 〈임꺽정〉을 쓴 벽초 홍명희의 손자로


서 북한에서 성장하였고, 그곳에서 역사 속의 인물 등
을 소재로 삼아 장편 소설을 다수 발표하였다. 주요 작
품으로 대하소설 〈높새바람〉이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황진이’의 이름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제목 관련 제목을 통해 이 작품에서 다루어질 이야기가 무엇일 남한과 북한의 상황을 소재로 한 영화를

질문의 예 지 예측하고 자유롭게 말해 볼까요?
본 적이 있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121쪽의 삽화로 보아 황진이는 어떤 사람이라
질문의 예 고 생각하나요?


예시 답 역사적 인물을 다룬 소설을 읽어 본 경험

이 있는가?
배경지식 관련
북한 문학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1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1 2019. 1. 8. 오후 10:36


〈황진이〉는 북한에서 활동하는 작가가 조선 시대부터 전승되어 오던 황진이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쓴 소설이다.
한국 문학의 공간적 다양성과 전개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수업의 포인트 작품 개관
갈래 장편 소설, 역사 소설
•황진이의 행동을 통해 성격 파악하기
성격 묘사적, 일대기적, 비극적, 비판적
•서술상의 특징 이해하기
•한민족 문학으로서 작품의 가치 이해하기 제재 황진이의 생애
① ‘황진이’의 격정적인 삶과 비극적 사랑
주제 ② ‌조선 시대 지배 계층의 위선적 허위의식
비판
① ‌역사적 사실에 문학적 상상력을 더하여

황진이 | 홍석중 특징
개성적인 인물을 만들어 냄.
② ‌속담을 비롯하여 민중의 언어를 풍부하
게 살림.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③ 우리 민족의 고유한 풍습이 드러남.

작품 줄거리 음성

앞부분 줄거리

송도에 사는 황 진사의 딸 황진이는 시와 음악에 재능이 뛰어나고 용모가 아름답기로 유명했다. 황


어머니가 황 진사 댁 종의 신분임.
진이는 서울의 윤 승지댁과 혼약을 맺지만, 집안의 하인인 놈이가 황진이의 출생 배경을 누설하여 파

혼을 당한다. 어린 시절 유일한 말동무였던 놈이가 황진이를 사랑한 나머지 그녀가 서출임을 신랑 댁에 5

폭로했기 때문이다. 황진이는 자신의 출생을 둘러싼 사대부가의 거짓과 위선을 알고 괴로워한다. 이 무
남자나 여자가 마음에 둔 사람을 몹시 그리워하는 데서 생기는 마음의 병
렵 한 총각이 황진이를 연모하다가 상사병으로 죽어서 그의 장례식이 열린다.
또복이
「」 : 안방마님이
‌ 황진이가 태어나게 된 내력과 
친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해 줌.
담장 너머는 구경군들로 붐비는데 집 안은 괴괴했다. 「안방마님은 진이한테 자초
황진이의 처신을 보기 위해 몰려온 사람들 황 진사의 정실 부인으로 황진이를 키운 양어머니
지종을 털어놓은 이후」 안방 문턱을 넘어 본 일이 없고 사랑채 서방님은 이금이를
황진이의 이복 오빠
그 꼴로 만들어 놓고 자취를 감춘 후 아직 그림자도 보이지 않았다. 이른 아침이어 10
여종인 이금이를 겁탈함.
서 집 안의 바깥채가 떠들썩하겠건만 안채, 행랑채 할 것 없이 모두 호기심에 들떠
서 벌써부터 담장 너머 구경군들 속에 섞여 버린 모양인지 쥐 죽은 듯 조용했다.
‘참으로 박정한 세상이다.’라고 참으로 박정한 세상이다. 남의 경사나 기쁜 일을 구경하고 즐긴다면 모르겠지
한 까닭은 무엇일까?
예시 답 남의 고통이나 슬픔을 만 남의 고통이나 슬픔을 구경해서 자기의 호기심을 만족시킨다면 그것은 벌써
한낱 구경거리로 여기는 사람들 신분의 비밀이 밝혀진 황진이의 슬픔, 자신을 사모하다 총각이 죽게 된 일에 대한 황진이의 심정
때문이다. 선한 마음이 아니다. 하기는 오정문 밖 장터에서 죄인의 목을 벤다면 먼 촌에서 15

도시락까지 싸 들고 구경을 온다니 그 무지몰각한 마음의 선악을 구태여 따져서


서출 (庶出)  첩이 낳은 자식. 선악을 따질 필요가 없을 정도이다.
구경군  ‘구경꾼’의 북한식 표기. 무엇하랴.
괴괴하다  쓸쓸한 느낌이 들 정
진이는 담장 밖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서로 부르고 찾
도로 아주 고요하다.
박정 (薄情)하다  인정이 박하다. 는 소리, 자리를 다투는 걸직한 욕설들, 느닷없이 터져 오르는 너털웃음들…….
오정문 (午正門)  한때 고려의 수
도였던 개성의 대문 가운데 하
저 사람들은 지금 그의 고통을, 그의 슬픔을, 그의 창피를, 그의 굴욕을 구경하 20
황진이
나.
고 싶어 저리도 뒤설레고 있는 것이었다.
무지몰각 (無知沒覺)하다  지각
이나 상식이 도무지 없다. ‘그래, 그렇다면 응당 그들이 보고 싶어 하는 것을 보여 주어야지.’
마땅히 황진이의 모습
교과서 수록 부분의 사건 전개
122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한 총각이 황진이를 황진이의 집 담장
황진이의 집 앞에 황진이가 치마로 상
연모하다가 상사병 너머로 상여를 구경
  죽은 총각의 상여가  여를 덮어 총각의
으로 죽어 장례식이 하기 위해 사람들이
멈춤. 혼을 위로함.
열림. 몰려듦.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2 2019. 1. 8. 오후 10:36


윤 승지 댁과 혼인하기 위해 준비했던 혼수
진이는 자개함 통을 열고 그 안에 깊숙이 간수해 두었던 자기의 혼수를 꺼냈다.
▶ 상여를 보기 위해 몰려든 구경군들의 박정함을 생각하며 혼수를 꺼내는 황진이
사시쯤 되었을 때 상행이 뒤골 어구에 들어섰다. 「맨 앞에는 붉은 저고리에 검 「」 : 상례 절차가 자세하게 묘사
되고 한국 전통문화를 사실적
은 치마를 입고 방울 달린 탈바가지를 뒤집어쓴 방상시가 창과 방패를 갈라 든 으로 재현함.

두 손을 휘저으며 길을 잡고 그 뒤를 이어 명정, 혼백, 만장, 공포를 차례차례 앞


5 세운 상여가 골목 안으로 꺾어 들어오는데 상여 우에 올라선 상두수번이 요령을
놋쇠로 만든 종 모양의 큰 방울
뗑그렁뗑그렁 울리며 구슬픈 상여 노래의 선소리를 먹이면 생베수건을 눈섭까
메기는소리. 한 사람이 앞서 부르는 소리
지 눌러 쓰고 구정닻줄을 걸머멘 상두군들이 음울한 목소리로 후렴을 받았다.」
▶ 골목 안으로 꺾어 들어오는 상여
드디어 사람들이 기다리는 그 구경스러운 대목에 이르렀다. 앞으로 움직이던
상행이 황 진사 댁 후원 뒤문 앞에 이르자 제자리걸음을 시작했으니 이것이 이른
‘메기는소리’의 북한어
10 바 ‘지살받기’가 시작되기 전의 ‘그네뛰기’였다. 상두수번의 먹임소리와 상두군
상두군들이 메고 가는 상여가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하면서 흔들리는 모습을 그네에 비유하여 일컫는 말 사시 (巳時)  십이시(十二時)의
들의 받는 소리는 원귀의 울음소리처럼 처량하게 들렸다. 여섯째 시. 오전 아홉 시부터 열
죽은 총각의 혼
한 시까지를 뜻함.
상행 (喪行)  상여의 뒤를 따르는
…… 산천초목 다 리별하고 황천 먼 길을 떠나가네 행렬.
‘그네뛰기’에 관심이 쏠리는 까닭 방상시 (方相氏)  ‘나자(儺者)’의
◻ : 상두수번의 선소리(먹임소리)
워 너머차 너호 상여가 집 앞에 멈추고 ‘그네뛰기’가 하나. ‘나자(儺者)’는 음력 섣달
○ : 상두군의 받는 소리
시작되면 그 순간부터 상두수번의 선소
그믐날에 묵은해의 마귀와 사신
리는 무당이 ‘기밀굿’에서 쏟아내는 말처
럼 험담과 숨은 비밀들이 담기는 경우가 을 쫓아내려고 베풀던 의식을
황 진사 댁 고명따님 어 잘났다 한 번 보고 많다. 이때 상목필을 내어 상두수번의 입 거행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
을 틀어막아야 중단시킬 수 있다. 그렇지 는 말.
15 워 너머차 너호 않으면 ‘그네뛰기’를 당하는 집의 체면이
사람들 앞에서 깎이게 되는 것이다. 상여 명정 (銘旌)  죽은 사람의 관직과
가 황진이의 집 후원 뒤문 앞에 멈추고 성씨 따위를 적은 깃발.
‘그네뛰기’를 시작하자 사람들의 관심이 혼백 (魂帛)  죽은 사람의 위패인
쏠린 것도 이 때문이다.
외기러기 짝사랑에 외로운 혼이 되었구나 신주(神主)를 만들기 전에 임시
로 명주나 모시를 접어서 만든
워 너머차 너호……
자리.
만장 (輓章/挽章)  죽은 이를 슬
퍼하여 글을 비단이나 종이에
상여는 앞으로 나갈 듯 뒤로 물러서고 물러설 듯 다시 앞으로 나가며 요령 소 적어 기(旗)처럼 만든 것.
공포 (功布)  장례식에서 관을 묻
리와 상여 노래에 맞추어 그네처럼 한자리에서 흔들렸다.
▶ 황 진사 댁 후원에 도착한 상여 을 때에, 관을 닦는 데 쓰는 삼베
20 진이는 담장 안쪽에서 문고리를 쥐고 마음을 굳게 다잡았다. 담장 밖 구경군 헝겊.
상두수번  상여꾼의 우두머리.
들의 눈길이 모두 이 문에 쏠려 있을 것이다. 늦지도 않게, 또 너무 이르지도 않 구정 (九井)닻줄  상여를 운반하
출생의 비밀로 파혼당한 황진이가 자신을 그리워하다 죽은 총각의 상여 앞에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호기심 때문에
는 데에 쓰는 넓은 줄.
게 제때에 문을 열고 사람들 앞에 나서야 한다.
상두군    ‘상두꾼’의 북한식 표
상직할멈과 이금이가 등 뒤에서 간을 졸이며 공포에 질린 눈길로 주인아씨를 기. 상여를 메는 사람.
집 안에서 부녀(婦女)의 시중을 드는 늙은 여자 황진이 지살받기 (地煞--)  터가 나빠서
지켜보고 있었다. 지금 별당 안마당에서는 주인아씨한테 발목을 묶이운 놈이가 땅에 붙었다는 살(煞)을 받드는
일. ‘살(煞)’은 사람을 해치거나
25 우리 안에 갇히운 범마냥 왔다 갔다 하며 몸살을 앓고 있었다.
상여를 구경하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을 건드리지 말라는 황진이의 명령을 받고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함. 물건을 깨뜨리는, 모질고 독한
상두수번의 먹임 소리는 차차 과녁을 조여 갔다. 귀신의 기운을 뜻함.
긴장감을 조성함.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3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3 2019. 1. 8. 오후 10:36


…… 애슬프다 이내 몸은 한번 가면 못 오리라
◻ : 상두수번의 선소리(먹임소리)
워 너머차 너호
○ : 상두군의 받는 소리

황 진사 댁 여기로다 그대로는 못 가겠네

워 너머차 너호……

진이는 문을 열었다. 골목을 나서는 순간, 만 사람의 날카로운 눈길이 창끝처 5


사람들의 모든 시선이 주목함.
럼 날아와 박혔다. 사람들의 웅성거리는 소리가 점점 더 커지더니 마침내 상여
노래를 눌러 버렸다.
사람들이 황진이를 보고 놀란 구경군들은 깜짝 놀랐다. 그들은 감히 황 진사 댁 주인아씨가, 죽은 혼백의 상
까닭을 말해 보자.
예시 답 죽은 혼백이 무서워 멀 문살이 무서워 천리만리로 달아났거나 집 안 구석방에 들어박혀 이불을 뒤집어
리 달아났거나 집 안에서 꼼짝하 사람들이 추측했던 황진이의 모습
지 않고 숨어 있을 것이라는 사 쓰고 숨어 있을 진이가 직접 상행 앞에 나타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던 10
람들의 예상과 달리, 황진이가
상여 앞에 당당하게 나와 죽은 것이다. ▶ 문을 열고 직접 상행 앞에 나서는 황진이
총각의 혼을 진심으로 위로했기
때문이다. 진이는 상두군들의 구정닻줄 우에 흔들거리고 있는 상여 앞으로 다가갔다. ‘그
네뛰기’가 멎었다. 상두군들이 상여를 내려놓았다. 요령 소리가 멎고 상두수번
상문살 (喪門煞)  사람이 죽은 일
로 일어난 살(煞). 의 선소리도 멎었다.
한민족 문학으로서 〈황진이〉의 가치

공통된 소재 역사적 인물인 ‘황진이’를 소재로 함.

보편적 주제 ‘놈이’와 ‘황진이’의 사랑을 낭만적으로 그려 냄.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가 공존하고, 당시
언어적 표현
민중의 언어와 양반가의 언어를 확인할 수 있음.
문화적 전통 당대의 장례 풍속을 사실적으로 재현함.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문학을 통해 민족의 동질성을 확인하게 해 줌.

124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4 2019. 1. 8. 오후 10:36


「」 : 혼례에 입을 옷을 죽은 총각의 혼과 약속의 징표로 사용하겠다는 것은, 앞으로는 다른 사람과 혼례를 올리
고 평범하게 사는 여인의 삶을 선택하지 않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음.
「 황진이의 인물됨
진이는 죽은 총각의 관곽 앞에 마주 섰다. 그러고는 손에 들고나온 꽃무늬의
사람들의 호기심 어린 시선에
붉은 슬란치마를 활짝 펴서 관곽을 덮었다.」 도 불구하고, 자신을 연모하
혼수로 준비해 둔 치마 다 죽은 총각의 상여로 다가
골목 안이, 골목 안에 꽉 들어찬 사람들이 물 뿌린 듯 조용해졌다. 가 그의 혼백을 진심으로 위
로함.
진이는 마치 눈에 보이는 그 누구와 속삭이듯 입을 열었다. 그러자 신기하게 
•‌제 뜻대로 당당하게 행동하
5 도 류두날 밤 달빛 속에서 자기를 넋 잃고 쳐다보던 그 총각의 얼굴이 우렷하게 는 당찬 인물
눈앞에 보이거나 떠오르는 모양 따위가 좀 희미한 가운데 은근하면서도 뚜렷하게 •‌따뜻한 심성을 지닌 인물
떠오르는 것이었다.

“……. 여보세요, 나는 당신을 잘 모릅니다. 한번 얼핏 뵈온 일밖에 없으니까
「」 : 총각의 혼백을 진심으로 위로함.
요. 그러나 당신이 죽음으로 보여 준 나에 대한 뜨거운 사랑은 압니다. 유명의
길이 달라 지금은 당신의 그 진실한 사랑에 보답할 길이 전혀 없군요. 혹시 이
슬란치마  스란치마. 스란을 단
10 후 저승에서 다시 만나 뵙게 될는지……. 이승에서 보답할 수 없었던 사랑을
꽃무늬의 붉은 슬란치마 긴 치마. ‘스란’은 치맛단에 금박
저승에서는 꼭 갚아드리렵니다. 그 약속에 대한 표적으로 제가 마련해 가지고 을 박아 선을 두른 것을 말함.
류두날 (流頭-)  ‘유둣날’의 북한
있던 혼례 옷을 당신의 령전에 바치오니 알음이 있으면 받아 주세요. 인명이 식 표기.

하늘에 매였다고는 하나 인정에 어찌 애달프지 않겠나요. 생사가 영 리별이라 유명 (幽明)  저승과 이승을 아울
인명재천(人命在天) 러 이르는 말.
고 하지만 후생의 기약이 있으니 바라옵건대 어서 떠나세요…….”」 알음  사람끼리 서로 아는 일.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5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5 2019. 1. 8. 오후 10:36


진이의 눈에서는 눈물이 흐르고 있었다. 목소리가 갈려서 마지막 말을 채 맺
①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된 후 그동안 마음고생이 심했음. ② 죽은 총각에 대한 미안함과 고마움
지 못했다.
주위의 모든 것이 그대로 얼어붙었다. 바늘이 떨어져도 그 소리를 들을 수 있
을 것만 같았다. ▶ 치마로 상여를 덮고 총각의 혼을 위로하는 황진이

황진이의 주체적인 삶 진이는 상여 앞에서 물러났다. 문을 열고 후원 안으로 사라질 때까지도 그 무 5

존경했던 아버지 ‘황 진사’의


거짓과 위선을 알고 절망감에 거운 침묵이 골목 안에 그대로 가라앉아 있었다.
빠져 있다가 목석 같은 여인
의 되기로 결심함. 진이는 별당에 돌아와 방 안에 앉았다. 그는 방금 전에 수많은 사람들이 지켜

양반의 허울을 벗어던지고 기
보는 앞에서 죽은 혼백과 저승의 사랑을 약속했다.
생의 삶을 살며 부조리한 세
상에 맞섬. ‘이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진이는 사람들의 구구한 시비와 말밥에 오르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었 10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여 좋지 못한 이야기의 대상이 되는 것
주체적으로 살고자 함. 다. 한 가지 자신에게 명백히 할 것은 이 행동이 일시적인 충동이나 변덕이 아니
라는 것이며 보다 중요하게는 자신이 지니고 있던 사랑의 감정을 송두리째 죽은
혼백한테 바쳐 버렸으니 이제부터 자기는 이승의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랑이라
황진이가 ‘목석과 같은 녀인’이 는 감정은 전혀 있을 수 없는 목석과 같은 녀인이라는 것이었다.
되기를 바라는 까닭을 짐작해 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자.
바로 이것이 지금 진이가 간절히 바라는 바요 진심으로 원하는 바였다. 15
▶ 목석 같은 여인이 될 것을 원하는 황진이
예시 답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된
황진이는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
을 느끼며 겉으로는 품위 있는
척하는 양반 사대부의 거짓과 위
뒷부분 줄거리
선을 깨닫게 된다. 이후 황진이
결국 황진이는 기생이 되기로 결심한다. 황진이는 뛰어난 미색과 총명함으로 거짓과 위선에 차 있는
는 어떤 감정도 느끼지 않는 목
석 같은 삶을 살 것임을 다짐하 양반과 승려를 조롱하며 부조리한 세상에 맞서 살아간다. 한편 황진이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화적패의
게 된다.
우두머리가 되어 떠났던 놈이는 부하를 살리기 위해 자수한다. 황진이는 놈이에 대한 사랑을 확인하고
‘놈이’의 특징과 역할 그를 살리려 노력하지만 결국 놈이는 처형을 당한다. 황진이는 죽은 놈이를 묻어 준 후, 소리꾼으로 전 20
•특징
–‌작가에 의해 새롭게 창조된 국을 떠돌다 생을 마감한다.
허구적 인물
–황진이를 짝사랑하여 그녀
를 파혼당하게 하는 문제적 제재 정리
인물
–‌헌신적이고 순수한 사랑을
보여 주는 비극적 사랑의 주
인공 작품 구성
–‌낡은 사상과 봉건 제도, 관 황진이는 송도에 사는 황 진사의 딸로, 비범한 재주와 아름다운 용모
발단
습을 뛰어넘으려 했던, 자주 를 갖추었으며 황 진사 댁 하인 놈이는 황진이를 짝사랑함.
성이 강한 인물 놈이는 황진이의 혼인을 막고자 그녀의 출생의 비밀을 신랑 댁에 폭
•역할: 황진이와 함께 서사를 이 전개 로하고, 이 때문에 황진이는 파혼당함.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스러워하
끌어 가면서 작가의 주제 의식 던 황진이는 기생이 되고, 죄의식으로 괴로워하던 놈이는 화적이 됨.
을 드러냄. 놈이가 송도의 사또인 김희열의 계략으로 목이 잘리는 효수형을 받
위기
을 처지에 놓임.
황진이가 놈이를 구하려고 애쓰는 과정에서 그에 대한 사랑을 확인
절정
하지만, 놈이는 결국 목이 베여 죽게 됨.
결말 황진이는 놈이를 묻어 주고 전국 각지를 떠돌아다니다 죽게 됨.
  ※ 교과서 수록 부분은 ‘전개’에 해당함.

126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6 2019. 1. 8. 오후 10:3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황진이〉의 주요 사건을 통해 주인공의  황진이를 소재로 한 남북한의 소설을  김수열의 시 〈지삿개에서〉를 감상하며
성격을 파악하고, 작품의 의의를 발견 살펴보며 한민족 문학의 가치와 통일 지역 문학의 가치와 발전 방법에 관해
할 수 있는 부분 찾아보기 이후 우리 문학의 모습 생각해 보기 생각해 보기

1 〈황진이〉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사건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때,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황진이의 성격을 말해 보자.

사람들은 황진이가 겁에 사건
질려 집 밖을 나오지 못할 거라
예상했지만, 이를 깬 황진이의
황진이의 집 담장 너머 황진이의 집 앞에 죽은 황진이가 치마로 상여를
모습이 인상적이었어.
로 사람들이 모임. 총각의 상여가 멈춤. 덮어 총각의 혼을 위로함.
활동 1 지도 방안
북한 문학인 〈황진이〉를 읽고 주인공인
황진이의 성격과 이 작품의 의의가 무엇인
지 파악하는 활동이다. 황진이가 자신이 처 •황진이의
성격: 예시 답 마을 사람들은 죽은 사람의 혼백이 두려워 황진이가 집 밖을 나서지 못할 것이라
예상한다. 그러나 황진이는 골목으로 나와 자신을 연모하다 죽은 총각의 혼을 진심으로 위로하였다. 이를 통해
한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황진이는 사람들의 편견과 호기심 어린 시선에 맞서 당당하게 행동하는, 당차면서도 따뜻한 심성을 지닌 인물임
인물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을 알 수 있다.
⑵ 다음은 이 작품의 의의를 설명하고 있는 글이다.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품에
역사를 소재로 한 소설에서는
서 찾아 보자.
작가가 자기 생각을 표현하기 위
해 역사상 실존하지 않는 인물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 소설은 황진이의 실제 사적과 설화적인 이야기를 적절히 뒤섞어 흥미진진한 서
사적 구성을 보여 주며, ㉠ 문제적 인물까지 새롭게 창조하여 ‘황진이 서사’의 전통에
새로움을 더하고 있다. 나아가 이 소설은 당대의 ㉡ 풍속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전통
적인 표현과 생생한 비유를 함께 구사하며, 민중의 살아 있는 언어와 양반가의 품위
있는 표현을 아울러 담고 있어 역사에서 소재를 찾은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예시 답 •㉠: 황 진사 댁 하인인 놈이가 황진이의 출생 배경을 신랑 될 집안에 누설하여 황진이가 파혼당하는 부
분, 놈이가 황진이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떠나는 부분, 놈이가 처형당할 상황에 놓이자 황진이가 그를 구하려고 노
력하는 부분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소설 <황진이〉에는 황진이의 행적과 관련된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인
물 ‘놈이’가 작가에 의해 등장하고 있다.
•㉡: 황진이를 연모하다가 상사병으로 죽은 총각이 황진이 집 앞에 도착하는 부분에서는 ‘방상시, 명정, 만장, 공포, 상
두군, 지살받기’ 등 장례 풍속과 관련된 구체적인 소재를 언급하며 당대의 장례 풍속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활동 2 지도 방안
2 한민족 문학의 가치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은 황진이를 소재로 쓴 소설 작품들이다. 남북한에서 동일한 소재를 활용하여 문학 작


한민족 문학으로서 북한 문학
의 가치와 통일 이후 한민족 문 품을 창작하고 향유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말해 보자.
학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보도 자료나 실물 책
등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 설 설 설 설
하여 남북한이 동일 인물을 소 홍석중 소 이태준 소 최인호 소 전경린 소
재로 문학 작품을 활발히 생산
하며 향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지
도 한다.

예시 답 분단 현실이 지속됨에 따라 남북의 이질화가 점점 심화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때 동일한 소재를 활


용하여 문학 작품을 창작하고 향유하는 것은 남북이 공동의 기억을 환기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의 이질성을
극복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는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문학을 통해 민족의 동질성 확인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한민족 문학에는 북한 문학뿐
⑵ 한민족 문학의 관점에서 통일 이후 우리 문학이 어떤 모습으로 발전하게 될지 생각해
만 아니라 재외 국민이 한국어
로 창작한 문학도 포함된다. 보자.
예시 답 남한은 매체의 발달로 인해 문학에 대한 다양한 수용 및 생산 방식이 생겨나고 있으며, 외국의 문화나 새로운
문화를 자유롭게 항유할 수 있기 때문에 문학에서 취할 수 있는 소재나 형식이 다양하다. 한편, 북한은 우리의 전통적 문
화 양식이 많이 보존되어 있고, 북한만의 독특한 문학 향유 및 생산 방식이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7
존재한다. 따라서 통일 이후 우리 문학은 형식적,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한 전개 양상을 보일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재외
국민이 한국어로 생산한 문학 역시 한민족 문학으로서 다양하게 수용되고 창작될 것이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7 2019. 1. 8. 오후 10:36


활동 3 지도 방안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시를 통해
지역 문학의 가치를 확인하는 활동

3
이다. 지역 문학은 지리적·문화적 지역 문학 작품인 〈지삿개에서〉를 감상하고, 한국 문학이 지역 문학의 총체라는 점에 주목하
특성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으며 한국 문학을 풍부하고 다양 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하게 만든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 : 공간적 배경이 제주도임을
그립다,는 말도 「 가냘픈 털뿌리로
알려 주는 시어
때로는 사치일 때가 있다 검은 주검처럼 숭숭 구멍 뚫린
현무암
노을 구름이 산방산 머리 위에 머물고 바윗돌 거머쥐고
가파른 바다 휜 허리로 납작 버티고 선
「」 : ‌갯쑥부쟁이의
어화(漁火) 점점이 피어나고 갯쑥부쟁이 한 무더기!」
생명력
영탄적 표현
바람 머금은 소나무 - 김수열, 〈지삿개에서〉

긴 한숨 토해 내는 순간
바다 끝이 하늘이고
하늘 끝이 바다가 되는 지삿개에 서면 어화 (漁火)  고기잡이하는 배에 켜는 등불이나 횃불.
주검  죽은 사람의 몸을 이르는 말.
그립다,라는 말도 동일 시행의 갯쑥부쟁이  ‘개쑥부쟁이’와 비슷하지만 바닷가에서
반복
그야말로 사치일 때가 있다 자라는 두해살이풀.

〈지삿개에서〉는 지삿개의
절경을 배경으로 갯쑥부쟁이의 ⑴ 이 작품의 배경이 제주도임을 알려 주는 시어를 찾아보자.
생명력에 대한 경외심을 그린 예시 답 ‘산방산’과 ‘지삿개’는 제주도에 있는 산과 지역이며, ‘구멍 숭숭 뚫린 / 바윗돌’은 현무암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품이다. ‘지삿개’는 제주특별 ‘산방산’, ‘지삿개’, ‘(구멍 숭숭 뚫린) 바윗돌’은 모두 제주도의 지역적 특성을 드러내는 시어이다.
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의 옛
이름으로, 주상 절리대로 유명
하다.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예찬적, 향토적 ⑵ ⑴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 문학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고, 지역 문학의 발전을 위해 어
제재 지삿개의 풍경
떤 노력이 필요할지 생각해 보자.
지삿개의 아름다운
주제
풍경에 대한 예찬 예시 답 지역적 특성을 기반으로 지역의 정체성, 역사, 그 지역 사람들의 사고를 담고 있는 지역 문학은 한국 문학
핵심 시구의 반복과 을 다채롭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역 문학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역 문학의 가치를 이해하고자 노
영탄적 표현으로 지 력한다면 한국 문학의 뿌리가 더욱 굳건해질 것이다.
특징 삿개의 풍경에 대한
예찬적 태도를 드러
냄.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2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황진이〉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1506년의 ‘중종반정’과 1510년의 ‘삼포왜
예시 답 이 작품에서 황진이가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이끌어 가려 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다루고 있는 홍석중의 또
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 그리고 북한 문학을 읽고 나니 우리 문학 홍석중의 다른 소설이다. 봉건 지배층의 허위와 위선에 맞서
도 북한에서 향유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 언어적 동질성 〈높새바람〉 며 순수하고 낭만적인 사랑의 가치를 강조하는 작품
이 있으니 문학적 교류가 가능하지 않을까? 으로, 작가뿐 아니라 주제의 측면에서도 〈황진이〉와
나의 책방 키우기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이 작품은 황진이를 소재로 다룬 또 다른 소설이다.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홍석중의 〈높새바람〉 대부분의 황진이류 소설들이 야담을 통해 내려오는
일반적인 캐릭터 ‘황진이’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탁환의 〈나, 황진이〉 김탁환의

그 삶의 굴곡진 양상과 남녀 간의 사랑을 중심으로
〈나, 황진이〉
한 서사 구조를 가진 데 반해, 이 작품은 과거 회상
과 현재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서술한다는 점에서
128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특징적임을 안내한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8 2019. 1. 8. 오후 10:36


3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분석적이고 이성적으로 변해 버린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생
명력이 있는 삶에 대한 염원을 진솔하게 담은 시이다. 상징적이고 대조적
인 의미를 지닌 시어와 반성적인 어조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특히, 이 작
품은 음성과 음악, 이미지 등이 결합된 영상 시로 제작되어 인터넷 사이
트에서 널리 향유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나도 그들
처럼〉은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고전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
털화한 문학 작품이 일상에서 향유되는 방식을 보여 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의 미래와 발전상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백무산 (1955 ~ ) 작가 동영상

시인. 본명은 백봉석. 1984년에 등단하여 노동에서


삶의 가치를 발견한 시를 썼다. 최근에는 인간의 삶의
보편적 가치를 찾는 시를 쓰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길 밖의 길〉, 〈초심〉, 〈거대한 일상〉 등이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누군가를 닮고 싶었던 적이 있는가?


제목 관련 이 작품의 제목에서 ‘나’와 ‘그들’은 어떤 존재일까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문학 작품을 감상
질문의 예 요?
해 본 적이 있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129쪽의 삽화에 있는 인물은 어떤 상황에 있
질문의 예 는 것일까요?
 예시 답 자신의 삶에 대해 반성해 본 경험이 있는

가?
배경지식 관련
자신이 알고 있는 인터넷 문학 사이트가 있나요?
질문의 예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9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9 2019. 1. 8. 오후 10:36


작품 개관
〈나도 그들처럼〉은 생명력 있는 삶으로부터 멀어진 자신을 성찰하는 시로, 영상 시로도 널리 향유되고 있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자기 성찰적, 반성적, 상징적
한국 문학의 시간적 다양성과 전개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제재 이성적이고 난해하게 변한 ‘나’의 삶
수업의 포인트 주제 생명력 충만한 삶에 대한 지향
•시어의 상징적 의미 이해하기 ① ‌일상적인 대상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함.
•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삶 파악하기 ② ‌대조적인 이미지의 시어를 유사한 문장 구
특징
나도 그들처럼
•한국 문학의 미래에 관해 예측하기 조에 일정하게 배치함으로써 주제 의식을
선명하게 부각함.

〈나도 그들처럼〉을 영상 시로 감상해 보자. 인터넷 링크 - 문학 집배원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작품 감상 음성
○: 자연적 생명력이 충만한 삶 → 시적 화자가 긍정적으로 보는 대상
△: 이성적, 합리적, 분석적인 삶 → 시적 화자가 부정적으로 보는 대상

나는 바람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습니다


도치법 동일한 통사 구조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함.
내가 계산이 되기 전에는
▶ 계산이 되기 전 바람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던 ‘나’

나는 비의 말을 새길 줄 알았습니다
|
백무산

내가 측량이 되기 전에는
▶ 측량이 되기 전 비의 말을 새길 수 있었던 ‘나’

나는 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해석이 되기 전에는
▶ 해석이 되기 전 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던 ‘나’

나는 대지의 말을 받아 적을 수 있었습니다
내가 부동산이 되기 전에는
사이버 문학 광장 문장 2008 나희덕의 문학 집배원 〈나도
▶ 부동산이 되기 전 대지의 말을 받아 적을 수 있었던 ‘나’
그들처럼〉(백무산)
조회수 451회

시어의 상징적 의미
계산, 측량, 해석,
바람, 비, 별, 대지, 숲
부동산, 시계
 
•자연의 생명력이 있는 •계산되고 분석되는 근
시적 화자의 상황 삶 대적 삶
측량되기 전(과거) •시적 화자가 긍정적으 대조 •시적 화자가 부정적으
로 바라보는 대상 로 바라보는 대상
•바람·비·별·대지·숲의 말을 알아
들을 수 있었음.
•바람의 이웃이었고, 물과 별의 동무 과거의 삶 현재의 삶
였으며 그들과 말을 놓고 살았음.

측량된 후(현재)
•바람·비·별·대지·숲의
  말이 심오
해지고 난해해져서 알아들 수 없음.
•자신의 삶이 터무니없이 난해해짐.

130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0 2019. 1. 8. 오후 10:36


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삶

‘나도 그들처럼 소용돌이였습니다’

•계산, 해석되지 않은 존재
소용돌이
•생명력이 충만한 자연 본래의 모습


시적 화자는 합리적인 분석 행위로 난해해져 버린
삶에서 벗어난, 생명력 충만한 삶을 지향함.

나는 숲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습니다
내가 시계가 되기 전에는
▶ 시계가 되기 전 숲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던 ‘나’

이제 이들은 까닭 없이 심오해졌습니다
바람·비·별·대지·숲의 말
그들의 말은 난해하여 알아들을 수 없습니다
합리적이고 분석적인 삶을 살게 되면서 자연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게 됨.
▶ 심오하고 난해해져 그들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게 된 ‘나’

내가 측량된 다음 삶은 터무니없이
난해해졌습니다 ▶ 난해해진 ‘나’의 삶

내가 계산되기 전엔 바람의 이웃이었습니다


내가 해석되기 전엔 물과 별의 동무였습니다
그들과 말 놓고 살았습니다
생명력이 충만한 자연 속에서 편안하고 즐겁게 지냄.
나도 그들처럼 소용돌이였습니다
계산이나 해석되지 않는 자연의 본래 모습
▶ 계산되고 해석되기 전 자연과 함께했던 ‘나’

제재 정리

덕의 문학
으 문장 2008 나희
사이버 문학 광장 산산’ )
그들 처
들처럼럼- 백
〉(백무

〈나도
집배원 ‘나 도그
조회수 451회

즐겨찾기 추가
작품 구성 0 저장
329
1연 계산이 되기 전 바람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던 ‘나’
2연 측량이 되기 전 비의 말을 새길 수 있었던 ‘나’
3연 해석이 되기 전 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던 ‘나’  
4연 부동산이 되기 전 대지의 말을 받아 적을 수 있었던 ‘나’
5연 시계가 되기 전 숲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던 ‘나’
6연 심오하고 난해해져 그들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게 된 ‘나’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31
7연 난해해진 ‘나’의 삶
8연 계산되고 해석되기 전 자연과 함께했던 ‘나’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1 2019. 1. 8. 오후 10:3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나도 그들처럼〉에 사용된 시어의 의미  디지털 시대의 문학 향유 방식이 지닌  한국 문학의 내용과 범위, 생산과 수용
를 파악해 보고, 마지막 행을 통해 시적 특징과 문학의 생산 및 수용 방식의 변 매체를 중심으로 미래 한국 문학에 관
화자가 추구하는 삶에 관해 정리하기 화 이해하기 해 토론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나도 그들처럼〉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 쓰인 시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고 할 때,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찾아


영상으로 감상한 작품의 내용
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우선 유 쓰고 그 속에 담긴 공통된 의미를 파악해 보자.
사한 이미지의 시어들을 찾아보
고 그 함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바람, 비, 별, ( 대지 ), ( 숲 ) 계산, 측량, 해석, ( 부동산 ), ( 시계 )

예시 답 자연적 생명력이 있는 삶 예시 답 이성적, 합리적, 분석적인 삶

⑵ 마지막 행의 의미를 바탕으로 하여 시적 화자가 추구하는 삶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교과서 나도 그들처럼 소용돌이였습니다


131쪽

예시 답 마지막 행에서 시적 화자는 자신도 ‘바람, 물, 별’처럼 ‘계산’이나 ‘해석’되지 않은 자연 본래의 모습이었다고
활동 2 지도 방안 성찰하고 있다. 따라서 시적 화자는 합리적인 분석 행위로 난해해진 삶에서 벗어나 생명력 충만한 삶을 지향하고 있
디지털 시대를 맞아 문학 활 음을 알 수 있다.
동의 환경도 급변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활동이다. 문자로 기
록된 전통적인 문학과 디지털화
된 문학은 우열의 관계가 아닌
공존의 관계임을 이해할 수 있

2
도록 안내한다.
디지털화한 새로운 문학의 성장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은 영상 시를 제공한 인터넷 문학 사이트의 창간사이다. 이를 참고하여 디지털 시대


디지털화한 문학은 다양한 콘
의 문학 향유 방식이 지닌 특성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텐츠로 제공되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비교적 덜하다. 또한, 누
구나 손쉽게 창작하고 발표할
기회를 제공하고 문학 향유자들 문학의 주인은 독자다!
이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다는
인터넷을 매개로 대중의 자유로운 소통 구조가 만들어지고 표현 욕구가 극대화되는 시대가 되었
점도 특징적이다.
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맞게 문학에 대해 고민하고 이전의 독자와는 현저하게 달라진, 새로운 독자
디지털 시대의 한국 문학
문학 활동(창작, 수용, 소통)이 들의 감수성을 아는 일은 창작자나 기존의 유통자가 해야 할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런 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남.
민을 담아 새로운 독자들을 찾아 나서는 인터넷 사이트를 지향합니다. 항상 독자들의 ‘입맛’은 다양
•창작: 누구나 자신이 창작한 작품
을 발표할 수 있음. 하게 마련이고, 문학이 단지 종이 위에 찍힌 활자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 문학 콘텐츠를 생
•수용: 다양한 기기와 콘텐츠의 활용
•소통: 독자들의 활발한 문학적 소 산할 계획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문학 웹진을 통해서 이런저런 까닭으로 문학에서 멀어졌던 독자나
통이 가능함.
접근할 방법을 찾지 못했던 독자에 이르기까지 그들에 대한 배려를 잊지 않는

한국 문학의 미래 사이트를 만들어 나갈 생각입니다.
•더욱 자유롭고 적극적인 문학 활
동이 가능함. 예시 답 디지털 시대에서 문학을 향유하는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기
•한국 문학의 개념이나 범위가 확 기의 사용으로 전통적 문학에 비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덜하다는 점이다.
장될 가능성이 있음. 또한 작품 수용에 머무르던 독자들이 매체를 기반으로 하여 작가나 다른 독
자들과 대면하지 않고도 활발하게 문학적 소통을 할 수 있으며 누구나 자신
이 창작한 작품을 발표할 기회가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러한 특징은 누
132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구에게나 자신의 상황과 필요에 맞게 문학을 향유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2 2019. 1. 8. 오후 10:36


지금의 문학 환경은 문 ⑵ 다음은 오늘날 문학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다양한 방식이다. 자신이 경험한 방식은 어떤
자로 기록된 문학과 디지털화 것이며 느낀 점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한 문학이 공존하고 있어. 이 둘
은 우열을 가릴 수 있는 것이 아
니야.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활용한다 문학
면 우리는 문학과 더욱 가까워
휴대용 기기를
질 수 있어. 책
예시 답 •책: 전달 매체가 다양하게 발달 활용한
해도 종이책은 여전히 유효함을 느낄 수 문학 활동
있었다.
•전자책과 오디오 북: 전자책은 전자책 단 전자책과 문학 작품
말기에 내려받은 책을 읽는 것으로 수많은 오디오 북 창작 사이트
책을 넣어 다닐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메모와 북마크 등의 기능이 있어 능동적
인 독서 활동이 가능하다. 오디오 북은 책
의 활자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것으로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쉽게 책을 접할 수
있으며, 다른 일을 하면서 동시에 책을 읽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학 작품 창작 사이트: 누구나 쉽게 자신
이 창작한 글을 올리고 다른 사람과 교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작품을 올리
는 순간부터 독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휴대용 기기를 활용한 문학 활동: 애플리케이션 등의 모바일 콘텐츠를 활용한 문학 활동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앤
있다. 따라서 문학 작품 창작 사이트에서 다는 점에서 문학 활동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시와 소설을 소개하거나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애플리케이
는 작가와 독자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 션이 많아지면서 문학을 접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고 매체 특성상 양방향 소통이 가능해지면서 이전보다 능동적인
루어져 문학의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으로 자신의 기호에 맞는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활동 3 지도 방안
3 모둠별로 미래의 한국 문학의 모습에 대해 토의하고, 그 결과를 발표해 보자.

미래의 한국 문학이 어떤 모 •한국 문학의 내용과 범위:


습일지 예측해 보는 활동이다. 예시 답 한국 문학에서 다루는 내용은 한국을 기반으로 한 문제뿐 아니라 인류 공동의 문제도 중요하게 다루
변화하는 한국 문학의 환경에 게 될 것이다. 이는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변화이지만 미래에는 그 정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한 한국 문학의 범위는 문학의 세계화와 더불어 그 범위가 고정적이지 않고 더욱 역동적으로 전개될 것임을 예측
국 문학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해 볼 수 있다.
있도록 한다. •생산과 수용의 매체:
예시 답 현재 한국 문학은 디지털 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문학 활동(창작, 수용, 소통)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고 있다. 미래의 한국 문학은 매체의 발달에 따라 더욱 자유롭고 적극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문학 플랫폼이나 번역 기술의 발달로 외국인이 한국 문학을 접하는 방법도 쉬워져 한국 문학이 더 많은 사회
와 국가에서 향유될 수 있을 것이다.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이 작품은 사회의 중심부에서 배제된 ‘가장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자리’의 가치와 잠재성을 이야기한 시로, 끊
임없이 변화하고 생성하는 삶에 대해 긍정
03 백무산의
하는 작가의 인식이 잘 드러난다. 시적 화
〈그 모든
자는 중심부에서 벗어난 사회의 ‘가장자리’
가장자리를〉
〈나도 그들처럼〉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나 ‘바깥’에는 저항의 힘이 잠재해 있기에 ‘
그 모든 가장자리를 그리워한다’고 말하고
예시 답 작품을 영상 시로 감상하니 낭송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나도 자연과 동떨어진 삶을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내
삶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되었어. 이 작품은 ‘물푸레나무’를 생명력 있는 존
이상국의
재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물푸레
편지 형식으로 담은 시이다. 작품 전반에는
나의 책방 키우기 나무에게
시적 대상에 대한 작가의 섬세한 관찰과 이
쓰는 편지〉
해가 바탕을 이루고 있음을 안내한다.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백무산의 〈그 모든 가장자리를〉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상국의 〈물푸레나무에게 쓰는 편지〉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33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3 2019. 1. 8. 오후 10:36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1 )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한국 문학이란 무엇인가.
3-⑴단원 개념 정리 ① 한국 문학은 흔히 ‘한국인이 한국어로 한국인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언어 예술’로 정의되어 왔다.
한국 문학의 개념 이 정의는 얼핏 분명한 듯이 보이지만, 구체적인 작품을 예로 들어 따져 보면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
한국 문학의 시기적
개념 변화를 고려한 ‘한국 다. 특히 ‘한국어’라는 기준을 어떻게 풀이하는가에 따라 많은 문학 작품이 문젯거리가 될 수 있다. 한
어’로 된 문학
문으로 창작된 문학 작품들이 과연 한국 문학에 포함될 수 있는지, 문자가 아닌 말로 전승되는 민요
나 설화를 문학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사람도 있었다.
‘한국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시대에 따라 변해 왔다고 본다면,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
한국 문학은 이러한 시기적 변화를 고려한 ‘한국어’로 된 문학이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문학의 개념

한국 문학은 구비 문학, 국문 문학, 한문 문학으로 구성되며,


그 관계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한국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면, ‘한국 문학’의 영역 또한 이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아직 문자가 없던 시대에는 말로만 전승되는 ‘구비 문학’이 향유되었으며,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에는 한자로 표기되는 ‘한문 문학’이 나타났고, 한글 창제 이후에는 한글로 표기되는
‘국문 문학’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 한국 문학의 세 영역

한국 문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면, 세 영역의 관계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자가 없던 시대에는 신화나 전설
과 같은 구비 문학이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
였다. 한자가 사용된 이후에는 한문 문학과 구비 문학이 공존하면
조선 후기 한글 소설인 서 한국 문학의 발전을 이끌었는데, 〈제가야산독서당〉 118쪽 처
〈소대성전〉
럼 한문 문학 가운데 높이 평가할 만한 성취를 이룬 작품도 나타
났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는 국문 문학과 구비 문학, 한문 문
학이 공존했다. 한문 문학은 동아시아에서 공유하는 문학 전통
을 갖고 있었던 까닭에 한글 창제 이후에도 상당한 기간 동안 한
국 문학으로서의 역할을 하였지만, 근대 문학의 등장과 함께 점차
쇠퇴하였다. ▶ 구비 문학, 국문 문학, 한문 문학 간의 관계

3-⑴단원 개념 정리 ②
한국 문학의 영역(범위)
《연암집》 
구비 문학 문자가 없던 시대에 말로 전승된 한국 문학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 박지원이 쓴 한문으로 된 시문집이다. 세 영역의
관계는 시
한문 문학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 한자로 표기한 한국 문학
대에 따라
변함.
국문 문학 한글 창제 이후, 한글로 표기한 한국 문학
134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4 2019. 1. 8. 오후 10:36


3-⑴단원 개념 정리 ③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 역사, 문화를


반영한 문학 한국 문학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지역 문학 
•해당 지역 사람들의 정서와 사고를 만듦.
담고 있는 문학

한국 문학의 다채로운 면모를 확인하


•분단 이후 북한 문학
한민족 문학  고, 통일 이후 한국 문학의 발전 방향
•재외 국민이 한국어로 창작한 작품
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함.

한국 문학은 지역 문학의 총체이며, 


한민족 문학은 한국 문학을 다채롭게 한다.
한국 문학의 내부를 살펴보면 여러 지역에서 이루어진 문학 작품들을 발견할 수 있다. 지역 문학은
그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그 지역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정서와 사고를 담고
있어서 한국 문학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들어 준다. ▶ 지역 문학의 가치

한국 문학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민족 문학’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한
민족 문학에는 분단 이후의 북한 문학과 재외 국민이 한국어로 창작한 작품이 포함되는데, 우리는 한
민족 문학을 통해 한국 문학의 다채로운 면모를 확인하고 통일 이후 한국 문학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도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황진이〉 122쪽 와 같은 북한 문학은 앞으로 다가올 통
일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북한 문학에 대한 이해는 남북 분단으로
초래된 이질감을 극복하는 바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한민족 문학의 가치

한국 문학의 변화를 통해 미래의 발전상을 상상해 보자.


미래의 한국 문학이 어떤 모습일지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수
도 있지만, 새로운 매체의 등장에 따른 문학의 변화는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
다. 문자로 기록되는 전통적 문학의 틀에서 벗어나서 디지털화한 새로운 문학
이 등장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통해 우리 문학이 나아가야 할 길을 짐작할 수
있다. 매체의 발달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문학의 생산과 수용 방식
을 만들어 내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독자가 문학 활동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적지 않다. 앞에서
〈나도 그들처럼〉 130쪽을 감상하면서 디지털화한 문학 작품의 향유
방식을 살펴보았는데,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더욱 능동적으로 문학 활동에 참여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 한국 문학의 발전상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 교과서 119쪽 2번, 120쪽 3-⑵번, 127쪽 2번, 128쪽 3-⑵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점검해 보자. 한국 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보며 미래와 발전상을 탐구할 수 있다.
▶ 교과서 132쪽 2번, 133쪽 3번 문제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35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5 2019. 1. 8. 오후 10:36


외국인들 가운데 한국 영화를 즐겨 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 어떤 사람은 영화에

한국 나타난 한국의 역사나 문화가 흥미로워서, 어떤 사람은 영화 속에서 인류 보편의 정서

를 느끼기 때문에 즐겨 본다. 한국 문학도 이와 비슷하다. 한국 문학은 언어 예술


문학의 로서 문학이 지닌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동시에 한국 문학은 고유한 역사적 전개 과정

보편성과 에서 형성된 특수성도 가지고 있다.

이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이를 통해

특수성 한국 문학을 넓고 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능력을 키우자.


스마트 수업 PPT
세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
여 얻을 수 있는 가치, 효용 등을 생각
해 볼 수 있는 질문이다. 외국 문학과
의 관계 속에서 한국 문학을 살펴볼 때
그 전통과 성격이 분명하게 드러나며
한국 문학에 대한 심화된 이해가 가능
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세계 문학으로서 한국 문학
생각해 보자. 이해하는 것은 문학 작품
이 지닌 보편성을 파악한다.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감상에 어떤 도움을 줄까?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
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한다.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한국 문학과 외
국 문학을 감상한다. 문학의 보편성과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특수성이란 무엇일까?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이 단원은 한국 문학과 외국 문
학의 관련 양상에 대해 이해하고,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하는 것 보편성과 특수성의 의미를 생각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이 목표이다. 한국 문학은 물론 세 해 볼 수 있다. 사전적 의미를 먼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계 여러 나라의 문학은 각각 그 나 저 제시한 다음, 문학에서 보편성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볼
름의 발전 과정을 거쳐 왔으며, 각 과 특수성이 어떤 개념으로 사용 수 있다. 이때, 다른 나라의 문학과
국의 문학은 세계 문학에 두루 나 되는지 파악하도록 이끌어 줄 수 비교할 때 한국 문학의 특성이 잘
타나는 보편성과 자국의 문학에만 도 있다. 드러남을 안내한다.
나타나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소재나 유사한 주
제 의식이 나타난 한국 문학과 외
국 문학 작품을 비교하여 감상하 이 단원에서는 
면서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
성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을 감상 1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특수성을 이해해 보자.
하는 데 균형 잡힌 시각을 형성할 ▶ 교과서 137쪽, 지도서 206쪽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 변신〉을 감상하며 문학의 보편성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43쪽, 지도서 214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150쪽, 지도서 205쪽

136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6 2019. 1. 8. 오후 10:36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의 국권 상실에 대한 울분과 그 회복에 대한 염
원이 잘 드러나 있는 시이다. 작가는 당대 현실을 상징하는‘빼앗긴 들’과
1
‘봄’ 등의 시어를 통해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을 드러내고 있으며,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국권 상실의 암담한 현실 인식을 보여 준
다. 특히, 자연의 섭리에 따라 봄은 왔지만 이와 달리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없었던 우리 민족의 현실을 답답해하는 화자의 울분이 잘 느껴진다.
따라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식민 지배의 역사적 상황을 바탕
으로 한국 문학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작품이다. 나
아가 식민지 상황을 바탕으로 한 다른 나라의 작품과 엮어 읽으며 문학의
보편성 측면을 이해할 수도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경험 관련 슬픈 상황에서 아름다운 풍경을 본 경험이 있나요?


질문의 예 그때 기분은 어떠했나요?

삽화 관련 교과서 137쪽의 삽화에 있는 사람은 어떤 상황에 있


질문의 예 나요? 그리고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까요?

배경지식 관련 1920년대에 우리 민족은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나


질문의 예 요?

이상화 (1901~1943 ) 작가 동영상

시인. 초기에는 낭만적 경향의 작품을 주로 썼으나,


이후에는 현실에 대한 슬픔과 일제에 대한 저항 의식을
노래한 작품을 다수 창작했다. 주요 작품으로 〈나의 침
실로〉가 있다.

언제 봄이 왔다고 느끼는가?


봄을 맞은 들판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들


까?



예시 답 ‘빼앗긴 들’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37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7 2019. 1. 8. 오후 10:36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봄을 맞은 국토를 소재로 국권 상실의 비극적 현실을 그려 낸 시이다.
한국 문학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수업의 포인트 갈래 서정시 자유시
성격 상징적, 낭만적, 저항적
•시어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이해하기 주제 국권(국토) 상실의 비극적 현실
•작품을 통해 1920년대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징과 시대적 상황 파악하기 ① ‌대칭 구조를 통해 시적 화자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 과정을 드러냄.
특징
② ‌향토적 소재를 사용하여 국권 회복의
염원을 서정적으로 그리고 있음.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참고 동영상 - 잡지 《개벽》

작품 감상 음성

질문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들을 빼앗긴 현실 인식


국권을 빼앗긴 상황 국토 ① ‘봄’이라는 계절을 가리킴.
‘질문 - 대답’ 형식의 수미상관 구성
② ‘조국의 광복’을 의미함.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1연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
11연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희망의 세계, 자유로운 공간, 광복을 이룬 조국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 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끌림.
•시적 의미를 강조함. 좁고 길게 난 논길을 가르마에 황홀한 심정
•시적 안정감을 형성함. 비유함.(향토적 시어)
효과
•리듬감을 형성함.
•여운을 남겨 감동을 줌.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국권을 빼앗긴 현실에 대한 답답한 심정을 표출함.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다워라 말을 해 다오. ▶ 침묵하는 조국에 대한 답답함.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시어의 상징적 의미 싱그러운 봄바람이 불어옴.(의인법)
한 자국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빼앗긴 들 봄
일제에 빼앗긴 국
광복, 국권을 회복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에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토, 일제에 국권을 대조 종다리를 순박하고 친밀한 이미지인 ‘아씨’에 빗대고 의인화하여 표현함.
한 조국
상실한 조국

일제 강점기 민족의 현실에 대한 절망감과 서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변함 없는 대지의 생명력에 대한 고마움.(의인법)
러움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땅에 생기를 주기 때문에 ‘곱다’고 표현함.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국토에 대한 애정을 여성적 이미지로 나타냄. 자연에 동화된 시적 화자

구조상의 특징

1연 질문과 대답 11연

답다워라  ‘답답하다’의 방언. 2연 같은 형태, 대칭 구조 10연

삼단  삼을 묶은 단.
3연 같은 형태, 대칭 구조 9연

138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8 2019. 1. 8. 오후 10:36


표현상의 특징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국토의 일부분인 ‘들’로 국토 전체


  대유법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를 비유함.

서로 모순되는 표현으로 시적 화자
‘푸른 웃음 푸른 설움’   역설법
의 복합적인 심리를 드러냄.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민족이 다 함께 가지 못하지만 혼자라도 기꺼이 광복을 위해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표출함.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마른 논에 물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착하다’고 표현함.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도랑이 흐르는 소리와 모습을 표현함. ▶ 봄을 맞이한 국토의 활기찬 모습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매던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전통적인 한국 여인의 이미지 국토에 대한 애정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국토의 풍요로움을 모성적 이미지로 나타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 국토에 대한 애정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앞에 시련이 있는지 없는지 알지 못하는 아이에 시적 화자를 비유함.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현재의 상황이나 형편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스웁다 답을 하려무나. ▶ 현실에 대한 재인식
식민지 현실에 대한 허탈감으로 인한 자조적인 웃음

┌ 하루 종일 봄의 들판을 다녀서 국토의 자연과 동화됨.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국권 상실의 비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 「」 : 모순된 감정이 복합적으로 제시됨.(역설법)
봄이 온 들판에서 느끼는 즐거움(청각의 시각화)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 감정의 혼란
정서적 불균형으로 인한 내면의 갈등을 봄 신령에게 홀렸나 보다.
동작으로 형상화함.

대답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 절망적 현실 인식


□: 시상의 전환

작품 구성 제재 정리
1연 들을 빼앗긴 현실 인식
2연 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끌림.
깝치다  ‘재촉하다’의 방언.
3연 침묵하는 조국에 대한 답답함.
지심매다  ‘김매다’의 방언. 논밭
4~6연 봄을 맞이한 국토의 활기찬 모습
7~8연 국토에 대한 애정 의 잡풀을 뽑아내다.
9연 현실에 대한 재인식
10연 감정의 혼란
11연 절망적 현실 인식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39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9 2019. 1. 8. 오후 10:3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  세네갈의 시 〈아프리카〉와 〈빼앗긴
한국 문학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빼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시적 화자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공통적인 문
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감상하기
의 정서 및 어조 파악하기 제의식 생각해 보기

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지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작품에 나타난 시적 상황과 예시 답 시적 화자는 봄을 맞이했으나 지금은 남의 땅이 된 빼앗긴 들을 걷고 있다.
그에 대한 시적 화자의 정서나
태도 등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⑵ 다음 부분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감정을 정리해 보자.
시구를 중심으로 해당 내용을
짐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제시된 5연 시적 화자의 심리 상태
글을 통해 이 작품의 1연과 11연
은 각각 질문과 대답에 해당하
며 그 사이의 아홉 개 연은 질문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에서 대답에 이르는 과정에 해
당함을 인식하도록 이끌어 준다.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예시 답 봄에 잘 자란 보리밭을 애정 어린 눈으로
바라보며 자연(국토)에 감사의 마음을 느끼고 동화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되고 있다.

머리조차 가뿐하다.

10연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
예시 답 봄이 찾아온 조국의 들판에서 느끼는 즐거
로 움, 기쁨, 애정과 남의 땅이 된 조국의 상황에서 느
끼는 슬픔과 안타까움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⑶ 다음 설명을 참고하여 이 작품의 1연과 11연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어조와 정서를 비교


이 시의 1연과 11연은 각각
해 보자.
질문과 대답의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있는 아홉 개
의 연은 이러한 대답에 도달하 이 시는 시적 화자가 식민지의 고통스럽고 답답한 현실에서 출발하여 평화로운 자
기까지의 각성의 과정을 노래하
고 있다.
연으로 깊이 들어갔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순환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화자에게 현실을 잊기 위해 들어간 자연 역시 부정적인 현실의 일부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 자연에서 현실로 돌아올 때 더욱 뚜렷하게 현실을 인식하
게 하는 효과를 준다.

1연 11연
예시 답 깊고 처절해진 재인식 차원의 단정적
예시 답 단순히 인식하는 차원의 담담한 어조 어조
어조

예시 답 조국의 봄 들판에서 느낀 아름다움과


예시 답 봄 들판에서 빼앗긴 조국의 현실을 인
정서 즐거움, 애정 등이 깊으므로 국권 상실의 슬픔을
식하는 차원에서 안타까워하고 있다.
더욱 깊고 처절하게 느끼고 있다.

140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0 2019. 1. 8. 오후 10:36


각 나라의 문학은 저마
2 한국 문학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시구에서 파악할 수 있는 1920년대 한국 문화의 특징을 정리해 보자.


다 고유한 색깔을 가지고 있지?
그 나라 문학의 특수성은 고유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한 문화에서 나오는 거야. 예시 답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논농사를 짓고 있음.
활동 2 지도 방안 •자연(국토)에 대한 애정이 있음.
문학의 특수성에 관한 개념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매던 그 •전통적 여인들이 농사에 참여함.
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들이라 •직접 노동을 하며 살고자 함.
가 창작된 1920년대 한국의 사
회·문화적 상황을 이해한 다음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구체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⑵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의 현실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담고 있다. 이에 유의하여 다음 시


어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자.

빼앗긴 들 예시 답 일제에 빼앗긴 국토, 일제에 주권을 상실한 조국

봄 예시 답 조국의 광복

⑶ 다음은 이 작품이 발표된 잡지의 편집 후기이다. 이를 참고하여 이 잡지가 압수당한 까닭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은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가 수록된 《개벽》 제70호는 순
종의 장례 날짜(6월 10일)와 시
기적으로 겹쳤다. 그래서 제70 빼앗긴 농토에 곡물 잘된 것을 자랑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마는, 전월분 ‘조선 500
호는 민족주의적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기사를 대거 실었다.
년 대관(大觀)호’는 참으로 만천하 독자의 대환영을 받았었다. 그러나 발행한 지 수일
만에 당국의 압수를 당하고, 연속하여 호외를 발행하다가 또 압수를 당하고, 이후 호
외의 호외까지 연달아 세 차례나 압수를 당하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시기도 늦어지고
7월호 편집도 바쁘게 되어 제3차 호외 발행은 유감이나마 부득이 중지하게 되었다.
- 《개벽》 제71호에서

호외 (號外)  특별한 일이 있을 때에 임시로 발행하는 신문이나 잡지.

예시 답 《개벽》에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이 일제의 국권 강탈을 비판하고 조선


인의 독립사상을 높이는 작품, 또는 각종 기사가 실렸기 때문에 압수당했을 것이다.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1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1 2019. 1. 8. 오후 10:36


활동 3 지도 방안
외국 문학과의 비교를 통해
문학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활동

3
이다. 식민지 현실이라는 공통 다음은 세네갈 시인 다비드 디오프의 작품인 〈아프리카〉이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된 배경을 가진 두 작품의 문제
의식 및 가치를 생각해 보도록 와 비교하면서 감상하고, 공통적인 문제의식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지도한다. 예시 답 〈아프리카〉는 식민지 아프리카의 참상을 고발하며 아프리카의 미래에 대한 확신을,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국권 상실에 대한 비애와 광복에 대한 열망을 노래하고 있다. 따라서 두 작품은 식민지 조국의 현실 속에
〈아프리카〉는 흑인 문화의 서 밝은 미래(광복)의 염원이라는 문제의식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부심을 알리고자 했던 ‘네그리 아프리카, 나의 아프리카여
튀드 운동’의 일환으로 창작된 시적 대상
대대로 살아온 대초원에서 늠름하게 싸우던 전사들의 아프리카여
1950년대 작품이다. ‘네그리튀 과거의 아프리카
드 운동’은 프랑스의 식민 정치 내 할머니가 머나먼 강가 둑에 앉아
와 동화 정책에 반발하면서 아
노래 부르던 아프리카
프리카의 전통과 아프리카인의
존엄성을 중요시하는 정치적 문 나는 그대를 알지 못하지만
학 운동이다. 내 핏줄 속에 그대의 피가 흐른다
밭을 적시는 그대의 아름다운 검은 피
작품 개관
갈래 현대시, 서정시
그 피는 땀의 피
저항적, 사회 고발적, 그 땀은 노역의 땀
성격
의지적
제재 식민지 아프리카 그 노역은 노예의 삶
식민지 아프리카의 아프리카의 현실
주제 참상 고발과 미래에 아프리카여, 말해 다오, 아프리카여
대한 염원
저것이 굽힐 줄 모르는 그대의 등인가
① ‌반복과 대구를 통
해 운율을 형성함. 굴욕의 무게에도 꺾일 줄 모르는
② ‌감각적 심상으로
특징 「붉은 흉터들로 몸을 떨면서도 「」 : 시각, 촉각 등의 이미지로 식민지 노예의 삶을 그림.
식민지 아프리카
현실을 구체적으
로 형상화함. 한낮에 내리치는 채찍에도 굴복하지 않는 저 등이?」
엄숙한 목소리가 대답한다
성급한 아이야, 저 나무, 저기 서 있는
젊고 강한 저 나무가
문학은 특수성과 함께
보편성도 가지고 있어. 〈아프리 창백하게 시든 꽃들 사이에 홀로 눈부시게 서 있는
카〉에는 이 지역의 특수한 역사 저 나무가 새롭게 태어나는 너의 아프리카란다
적 상황을 바탕으로 인간이라 아프리카의 긍정적 미래 확신
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보편적 끈기 있게, 고집스럽게 자라는
인 가치가 드러나 있어. 열매에 조금씩
자유의 쓰라린 맛이 배어드는 저 나무가
- 다비드 디오프, 〈아프리카〉

01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비극적인 시대적 상황과 아름다운 봄날이 대비된 이 시를 통해 당시에 우리 선조들이 느꼈을 서러움과 울분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어.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이 작품은 이상화의 초기 시로, 각 연의
첫 행마다 ‘마돈나’를 반복하여 대상에 대
나의 책방 키우기 이상화의
한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하고 문장 부호
〈나의 침실로〉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 나 단어의 배열을 활용하여 시를 읽는 속
도를 다채롭게 구성하였음을 안내한다.
시대적 배경이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심훈의 〈그날이 오면〉 이 작품은 광복을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
과 그 광복을 맞이했을 때의 기쁨과 환희
심훈의
를 담아 낸 시이다. 격정적 어조와 과장된
142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그날이 오면>
표현으로 조국 광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음을 안내한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2 2019. 1. 8. 오후 10:36


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주인공이 갑자기 흉측한 한 마리 벌레로 변하는 사건을 통
해 현대 사회 속 인간이 겪고 있는 소외 의식을 극단적으로 형상화한 소
설이다. 이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변신 모티프는 현대 문명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인식을 고조하는 역할을 한다. 작품 속 인물이 다른 존재
로 변하는 변신 모티프는 일종의 문학적 장치로, 한국 문학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변신〉의 감상을 통해 문학의 보편적인 특성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하룻밤 사이에 다른 존재로 ‘변신’한다면 어떤 기분


질문의 예 이 들까요?

삽화 관련
교과서 143쪽 삽화 속 남자는 무엇으로 변했을까요?
질문의 예

경험 관련
현대 사회를 비판하는 작품을 읽은 경험이 있나요?
질문의 예

프란츠 카프카 (Franz Kafka, 1883~1924) 작가 동영상

독일의 작가. 인간 운명의 부조리, 인간 존재의 불안을


통찰하여 현대 인간의 실존적 체험을 극한에 이르도록
표현하였다. 이 때문에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로 높이
평가받는다. 주요 작품으로 〈성〉, 〈심판〉 등이 있다.

변신이 가능하다면 무엇이 되고 싶은가?




만약 벌레로 변신한 나의 모습을 사람들




이 본다면 어떻게 생각할까?



예시 답 현대인이 겪고 있는 문제에는 어떤 것들

이 있을까?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3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3 2019. 1. 8. 오후 10:36


〈변신〉은 주인공이 벌레로 변하는 기이한 사건을 통해 인간의 불안과 소외를 그린 소설이다. 작품 개관
문학의 보편성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현대 소설, 실존주의 소설
성격 비판적, 우의적, 상징적
수업의 포인트
현대인의 소외 의식, 소통이 단절된 부조리
주제
•변신 전과 후 주인공의 삶에 나타난 변화 파악하기 한삶
•변신으로 시작하여 죽음으로 끝나는 구성상의 특징 이해하기 ① ‌비현실적 상황 설정을 통해 현실적인
•주인공의 변신이 의미하는 것과 변신 모티프의 사용 효과 이해하기 특징 문제를 비판함.
② 냉정하고 사실적인 문체를 사용함.

변신 | 프란츠 카프카 지음, 홍성광 옮김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작품 줄거리 음성

변신한 그레고르의 모습을 상 어느 날 아침 뒤숭숭한 꿈에서 깨어난 그레고르 잠자는 자신이 침대에서 흉측
상해 보자. 주인공의 변신으로 시작되는 이야기
예시 답 등은 딱딱하고 배는 활 한 모습의 한 마리 갑충으로 변한 것을 알아차렸다. 「그는 철갑처럼 딱딱한 등을
모양의 단단한 각질로 나누어져
있어 불룩하다. 몸에 비하면 턱 대고 침대에 누워 있었다. 머리를 약간 들어 보니 아치형의 각질 부분들로 나누
없이 가느다란 다리가 여러 개 활과 같은 곡선으로 된 형태나 형식
붙어 있다. 어진, 불룩하게 솟은 갈색의 배가 보였다. 금방이라도 주르르 흘러내릴 것 같은 5

이불은 배의 높은 부위에 가까스로 걸쳐 있었다. 몸뚱이에 비해 애처로울 정도


시점상 특징
이 작품은 3인칭 전지적 시점 로 가느다란 수많은 다리들은 그의 눈앞에서 어른거리며 하릴없이 버둥거리고
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주인공 「」 : ‌갑충(벌레)으로 변한 그레고르의
인 그레고르의 내면이 독백 형 있었다.」 모습 → 현실 속에서 소외되고 ▶ 갑충(벌레)으로 변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는 그레고르
식으로 자주 나타나며, 그레고 고립된 현대인을 상징함.
르가 죽은 이야기를 제외하고 “나에게 대체 무슨 일이 생긴 걸까?”
다른 인물의 행동은 주인공인
그레고르가 보고 들은 대로 제 그는 생각했다. 이게 꿈은 아니었다. 좀 작기는 해도 사람이 살기에 손색이 없 10
시하고 있다. 즉, 그레고르에 초
점을 맞추어 서술되고 있다. 는 그의 방은 낯익은 사면의 벽에 조용히 둘러싸여 있었다. 풀어 헤쳐 놓은 옷감
견본 모음집이 펼쳐져 있는 탁자 위에는 — 잠자는 출장 영업 사원이었다 — 그
그레고르의 직업
가 얼마 전에 그림이 많이 들어 있는 잡지에서 오려 내 아기자기한 금박 액자에
끼워 넣은 그림이 놓여 있었다. 그림에는 모피 모자를 쓰고 모피 목도리를 두른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를 축적한 계층의 모습
숙녀가 반듯한 자세로 앉아 있었다. 그녀는 그림을 보는 사람을 향해 팔뚝을 온 15

통 가리는 묵직한 모피 토시를 들어 보이고 있었다.


추위를 막기 위하여 팔뚝에 끼는 것
그러고 나서 그레고르는 창문 쪽으로 눈길을 돌렸다. 그런데 우중충한 날씨에
그의 기분은 더할 나위 없이 울적해졌다. 창문의 함석판을 후드득 두들기는 빗
우울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그레고르가 처한 상황을 암울하게 느끼게 함.
갑충 (甲蟲)  딱정벌레 종류의 곤 방울 소리가 들려왔다. ‘잠을 약간 더 자서 이런 말도 안 되는 상황을 죄다 잊어
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온몸이 자신이 벌레로 변한 상황
단단한 껍데기로 싸여 있고 앞 버리는 게 어떨까?’ 하고 그는 생각했으나 이는 도저히 실행할 수 없는 일이었 20

날개가 단단함.
다. 그는 오른쪽으로 누워 자는 버릇이 있었지만 지금의 상태로는 그런 자세로
하릴없다  달리 어떻게 할 도리
가 없다. 누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몸을 오른쪽으로 돌리려고 아무리 뒤척여 보아도 번
변신으로 시작되는 이야기

144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주인공이 벌레로 변신한 원인이나 과 독자의 관심을 끌며 호기심을 유발하
정 등에 대한 별다른 설명 없이 변신  고, 비인간적인 상황이 만연하여 일상
이 일어난 순간 사건이 시작됨. 적으로 일어나는 현대 사회를 암시함.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4 2019. 1. 8. 오후 10:36


번이 흔들거리며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자세로 되돌아올 뿐이었다. 그는 한 백
번쯤 그런 일을 시도해 보았고, 멋대로 버둥거리는 다리들을 보지 않으려고 두
눈을 꼭 감았다. 그러다가 지금껏 느껴 보지 못한 가볍고 뻐근한 통증을 옆구리
제목 ‘변신’의 상징성
에서 느끼기 시작했을 때야 비로소 그러기를 그만두었다.
인간(변신 전) 벌레(변신 후)
5 ‘아아, 원 세상에.’ 그레고르는 가족 그레고르는 쓸모
의 생계를 책임지 없는 존재가 되어

그는 생각했다. 며 정상적인 가족 가족으로부터 소
관계를 유지함. 외되고 구박받음.
‘어쩌다가 이런 고달픈 직업을 택했단 말인가! 날이면 날마다 여행이나 다녀야 

하다니.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것보다 업무상 스트레스가 훨씬 더 심하다. 게 제목 ‘변신’의 상징성


그레고르의 직업 특성 ① 인간 소외, 인간성 상실, 외부
다가 여행하다 보면 골치 아픈 일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야. 기차를 제대로 갈 세계로부터의 도피, 인간의 부
조리한 현실 세계 등을 나타냄.
10 아타려고 신경 써야 하는 일, 불규칙하고 형편없는 식사, 상대가 늘 바뀌는 탓
그레고르의 직업 특성 ②
에 결코 지속될 수도 없고 진실해질 수도 없는 만남 따위들. 이 모든 것을 왜
악마가 잡아가지 않는지 모르겠다!’
그는 배 위쪽이 약간 가려운 것을 느꼈다. 머리를 더 잘 쳐들 수 있도록 그는 등으
로 몸을 밀면서 느릿느릿 침대 기둥 쪽으로 더 가까이 다가갔다. 그는 근질거리는 부
15 위를 발견했다. 그곳에는 뭔지 알 수 없는 깨알같이 작은 흰 반점들이 나 있었다. 그
래서 그는 다리 하나를 내밀어 그 부위를 건드려 보려고 했지만, 이내 다리를 움츠
리고 말았다. 다리가 그곳에 닿자마자 온몸에 오싹하는 소름이 돋았기 때문이다.
▶ 벌레가 된 자신의 몸을 움직여 보는 그레고르
그는 미끄러지며 다시 이전 자세로 되돌아갔다.
‘이렇게 일찍 일어나니.’
20 그는 생각에 잠겼다.
‘사람이 아주 멍청해진단 말이야. 잘 만큼 푹 자야 하는데. 다른 출장 영업 사원들 예시 답 그레고르는 다른 출장
영업 사원들처럼 게으르게 행동
은 하렘의 여자들처럼 살고 있지 않은가. 가령 주문 받은 물건을 장부에 기입하 하고 싶지만 그러지 못했다. 그
그레고르는 다른 영업 사원들처럼 여유 있게 일하지 못함. 의 부모님에게는 빚이 있어서 이
려고 오전 중에 여관에 돌아와 보면 그 작자들은 그제야 일어나 앉아 아침을 들 를 갚기 위해서는 경제 활동을
계속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 있지 않은가. 만일 내가 사장 앞에서 그러다간 당장 쫓겨나고 말 거야. 하기야 그레고르가 일을 그만두지 못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25 그러는 편이 나에게는 훨씬 더 나을지도 모르지. 그동안 부모를 생각해서 꾹 참
아 왔지만 그렇지 않았더라면 진작 사표를 던지고, 사장 앞으로 걸어 나가 가슴
에 묻어 두었던 생각을 그에게 다 털어놓았을지도 몰라. 그랬다면 사장은 틀림없
이 책상에서 굴러떨어졌을 거야! 책상 위에 걸터앉아 아래를 내려다보며 직원에 하렘 (harem)  이슬람 국가에서
부인들이 거처하는 방. 가까운
게 말하는 꼬락서니는 참 별나기도 하지. 게다가 사장은 귀가 어두워 직원들은
친척 이외의 일반 남자들의 출
30 그에게 바짝 다가가서 말해야 해. 그렇다고 아직 희망을 완전히 접은 것은 아니 입이 금지된 장소.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5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5 2019. 1. 8. 오후 10:36


그레고르 가족의 모습에 반영 야. 언젠가 내가 돈을 제법 모아 부모님이 진 빚을 다 갚게 되면 — 아직 한 5,
된 시대상 그레고르가 영업 사원 일을 그만두지 못하는 이유 →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음.
그레고르 가족의 모습 6년 걸리겠지 — 꼭 그렇게 하고 말 거야. 그러면 일생일대의 전기가 마련되겠
•가족을 부양하던 그레고르가
벌레로 변하여 경제력을 상 지. 다섯 시면 기차가 떠나니까 지금 당장은 물론 일어나는 일이 급선무야.’
실하게 되자, 가족들이 그레 직장으로 가는 기차가 떠나는 시각 무엇보다도 먼저 서둘러 해야 할 일
고르를 냉담하게 대함. ▶ 직장에 가기 위해 침대에서 일어나려고 하지만 실패하는 그레고르
•그레고르로 인해 하숙 운영
이 어렵게 되자 가족들은 그 중략 부분 줄거리
를 없애야 할 골칫거리로 생
각함. 그레고르가 기차를 놓치자 가족과 직장 상사가 그레고르의 방에 찾아오지만, 벌레로 변한 그레고르 5


는 쉽게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이후 그레고르의 모습을 본 가족들은 크게 놀라고 그레고르는 방에서만
시대상
가족과 사회는 더 이상 따뜻 생활한다. 어머니는 그레고르를 동정하면서도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지만, 누이동생은 연민을 느끼며
한 공동체의 공간이 아니며,
음식을 가져다준다. 그레고르는 가족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노력하나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어려움을
필요에 따라 인간도 도구로
여길 수 있는 계약적인 관계 느낀다. 그레고르를 혐오하던 아버지는 그에게 사과를 던져 큰 상처를 입히기까지 한다.
로 바뀌었음을 나타냄.
가족을 부양하던 그레고르가 경제력을 상실하자 가족들은 생계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래서 가족들 10

은 직업을 구하고 하숙을 하며 살아갈 길을 모색한다. 하숙을 운영하던 중, 하숙인들이 그레고르의 존

재를 알게 되고 그들은 화를 내며 나가 버린다. 이 때문에 가족들은 그레고르를 원망한다.


가족으로부터 점점 소외당함.

그레고르를 ‘저것’이라고 부른 “우린 이제 저것에서 벗어나야 해요.”


여동생의 심리를 말해 보자. 그레고르를 가리킴. → 가족의 일원으로 대하지 않음.
예시 답 여동생은 그레고르를 오 여동생은 이제 아버지에게만 말했다. 어머니는 기침을 하느라 아무 소리도 듣
빠라 하지 않고 ‘저 사람’을 낮잡
아 이르는 대명사 ‘저것’을 사용 지 못했기 때문이다. 15
하여 부르고 있다. 이로 보아 여
동생은 벌레로 변한 그레고르를 “저것 때문에 두 분이 돌아가시고 말 거예요. 그럴 게 뻔해요. 우리 모두가 이
더 이상 자신의 가족으로 생각하
지 않고 심리적 부담만 주는 골 처럼 힘들게 일해야 하는 처지에 집에서마저 이처럼 끝없이 괴롭힘을 당한다
칫거리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그레고르를 냉대하는 이유 - 생계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있다.
는 건 도저히 참을 수 없어요. 저도 더는 참을 수 없단 말이에요.”
그러고선 어찌나 격렬하게 울음을 터뜨렸는지 여동생의 눈물이 어머니의 얼
굴 위로 주르르 흘러내렸다. 그러자 어머니는 기계적으로 손을 움직이며 자신의 20
전기 (轉機)  전환점이 되는 기회
나 시기. 얼굴에서 눈물을 닦아 내렸다. ▶ 그레고르를 ‘저것’이라고 부르며 내쫓으려는 여동생

“얘야!”
아버지의 목소리에는 동정심과 눈에 띌 정도로 확연한
그레고르와 여동생을 다르게 대하는 아버지의 모습
이해심이 담겨 있었다.

146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46 2019. 8. 21. 오후 1:44


“그럼 우리 어떡하면 좋겠니?” 변신 모티프의 사용 효과
벌레로 변한 주인공을 냉대하
그러나 여동생은 자신도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는 표시로 그저 어깨만 으쓱할 는 가족들의 모습을 사실적으
로 그림.
뿐이었다. 이제 눈물을 흘리는 동안 그녀는 이전의 자신만만하던 태도는 온데간 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 단
데없이 그처럼 난감한 심정이 되었던 것이다. 절과 소외’라는 작품의 주제 의
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함.
5 “만일 저 애가 우리 말을 알아듣는다면…….”
아버지가 반쯤은 묻는 듯한 어조로 말하자, 여동생은 울다가 말고 그런 일은
아예 생각조차 할 수도 없다는 듯 손을 격렬하게 내저었다.
“만일 저 애가 우리 말을 알아듣는다면 말이다.”
아버지는 또 한 번 같은 말을 되풀이하고는, 그런 일은 말도 안 된다는 여동생
10 의 확신을 자신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두 눈을 지그시 감았다.
그레고르에게 나가 달라고 말하고 싶은 아버지
“그렇다면 저 애와 합의를 볼 수도 있을 텐데 말이다. 그런데 저렇게…….”
▶ 여동생을 이해하며 그레고르를 쫓아내고 싶어 하는 아버지
“내쫓아야 해요!”
여동생이 소리쳤다.
“그렇게 하는 수밖에 없어요, 아버지. 저게 오빠라는 생각을 버려야 해요. 우 여동생의 비난을 듣는 그레고
르의 심정을 짐작해 보자.
15 리가 오랫동안 그렇게 생각해 왔다는 게 바로 우리의 진짜 불행이에요. 하지 예시 답 그레고르는 그동안 가족
을 위해 희생했고 벌레로 변했을
만 저게 어떻게 오빠일 수 있겠어요? 저게 오빠라면 인간이 자기 같은 짐승과 때도 가족을 생각하며 삶을 포기
하지 않고 견뎠다. 그런데 그레
같이 살 수 없다는 걸 알아차리고 진작 제 발로 나갔을 거예요. 그랬다면 우리 고르가 가족 중에서도 가장 아꼈
던 여동생에게서 자신을 내쫓아
곁에 오빠는 없지만 우리는 살아가면서 계속 오빠에 대한 추억을 소중히 간직 야 한다는 말을 듣는다면 큰 충
격을 받았을 것이며 비참한 심정
할 수 있을 텐데요. 그런데 저 짐승은 우리를 쫓아다니며 못살게 굴고 하숙인 이 들었을 것이다.

20 들을 쫓아내면서, 이 집을 온통 독차지하고 들어앉아 우리를 길거리에 나앉게


하려는 게 분명해요. 저것 좀 보세요, 아버지!”
여동생이 갑자기 비명을 질렀다.
“또 시작이에요!” 작품 구성
가족을 위해 출장 영업 사원으로
그러고서 여동생은 그레고르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공포에 사로잡혀 발단 일하던 그레고르는 어느 날 아침,
자신이 벌레로 변한 것을 발견함.
25 어머니마저 내버리고, 단호히 안락의자를 밀치고 일어나서는 아버지 뒤쪽으로 그레고르는 가족들에 대한 애정을
전개 유지하려 하나, 가족들은 벌레로
황급히 달려갔다. ▶ 갑충(벌레)으로 변한 그레고르에게 공포심을 느끼는 여동생 변한 그의 말을 이해하지 못함.
그레고르는 가족을 위한 자신의 희
위기
생이 헛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됨.
열등감, 불면 등으로 고통당하던
뒷부분 줄거리 절정 그레고르는 아버지가 던진 사과에
상처를 입은 채 방에 갇혀 죽게 됨.
날이 갈수록 상처가 깊어지던 그레고르는 음식을 거부하며 쓸쓸히 죽음을 맞이한다. 가족들은 골칫 가족들은 평온을 되찾고 교외로 산
결말
거리가 사라졌다며 평온함을 느끼고 앞으로의 삶을 계획한다. 책을 나감.
인간성을 상실한 가족의 모습 제재 정리
※ 교과서 수록 부분은 ‘발단’과 ‘전개’에 해당함.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7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47 2019. 8. 21. 오후 1:44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변신〉에서 주인공의 직업적 특징,  〈변신〉에서 모티프가 사용된 이유를  보편성을 갖춘 한국 문학 작품을 선
변화와 그 결과, 가족이 주인공에게 파악하고 또 다른 작품을 통해 변신 정하여 외국인에게 소개하는 글 쓰
냉담한 이유 알아보기 모티프의 기능 파악하기 기

1 〈변신〉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그레고르의 직업이 지닌 특징을 말해 보자.


예시 답 그레고르의 직업은 출장 영업 사원으로, 그에 따르면 매일 출장(여행)을 다녀야 해서 신경 써야 할 일이 많
다. 또한 불규칙하고 형편없는 식사를 하며 지속될 수 없고 진실해질 수도 없는 만남을 하기 때문에 업무상 스트레
그레고르의 직업은 출장 영업
스가 심하다.
사원이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
의 단면을 드러내는 요소로 해
석되기도 한다. ⑵ 그레고르에게 일어난 변화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주인공의 직업과 그 특징, 주 그레고르의 변신 그 결과
인공이 처한 상황, 그에 대한 가
족들의 태도 등을 알아보면서 예시 답 어느 날 아침, 흉측한 한 마리의 갑충으 예시 답 •밖으로 쉽게 나오지 못하고 방에서만
소설의 주요 내용을 알아보는 로 변함. 생활함.
활동이다. 그레고르가 자기 직 •가족들과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어려움을 느낌.
업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중심 •가족들은 생계의 어려움을 느껴 하숙을 운영함.
으로 ‘출장 영업 사원’이 어떻게 •그레고르를 동정하고 연민하던 가족들은 차츰
그려지고 있는지 살펴보게 한 그를 원망하고 비난하게 됨.
다. •아버지가 입힌 상처가 깊어지고, 음식을 거부하
며 쓸쓸한 죽음을 맞이함.

⑶ 이 작품에서 가족들이 그레고르를 냉담하게 대하는 까닭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가족을 부양하던 그레고르가 벌레로 변하여 경제력을 상실하게 되자 가족들은 생계의 어려움을 느낀다. 더
구나 생계를 위한 하숙 운영이 그레고르로 인해 어렵게 되자 가족들은 그를 없애야 할 골칫거리로 생각한다. 이처
럼 그레고르는 벌레로 변하여 쓸모없는 존재가 되었기 때문에 가족들은 그를 냉담하게 대한다.

2 다음은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변신 모티프’에 관한 설명이다. 글을 읽고, 문학의 보편성에 주


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모티프(motif)는 예술 작품을 문학 작품에서 변신 모티프는 세계의 여러 나라 작가들이 즐겨 사용하는 보편적 장


표현하는 동기가 된 작가의 중
치이다. 이러한 문학적 장치가 널리 사용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작가들은 내용
심 사상을 의미한다.
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변신 모티프를 즐겨 구사한다. 다음으로, 작가들은 현
활동 2 지도 방안
〈변신〉과 한국 문학 작품에 실을 성찰하여 얻은 사유를 전달하고 상징적 장치로써 변신 모티프를 활용하기도 한
사용된 ‘변신 모티프’를 통해 문
다. 마지막으로, 이야기의 극적인 재미나 독자에게 흥미를 주어 재미있게 읽게 하려고
학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활동이
다. 성실했던 출장 영업 사원이 변신 모티프를 사용한다.
흉측한 벌레로 변하고 가족과
단절되는 이야기를 통해 작가가
전달하려는 것은 무엇인지 현대
자본주의의 특성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보게 한다. ⑴ 작가가 이 작품의 중요한 문학적 장치로 ‘변신 모티프’를 사용한 까닭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벌레가 된 그레고르가 의사소통을 할 수 없고 가족을 부양하지 못하게 되자 가족들은 그를 구박하고 소외
시킨다. 그레고르가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였을 때는 평온함을 느끼기까지 한다. 이로 보아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인
간관계 단절과 소외라는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변신 모티프’라는 문학적 장치를 사용하였다.

148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48 2019. 8. 21. 오후 1:45


⑵ 모둠별로 변신 모티프가 사용된 한국 문학 작품을 찾아보고, 그 글에서 변신 모티프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이야기해 보자.
변신 모티프의 보편성과 역할
변신 모티프는 세계의 여러
나라 작가들이 즐겨 사용하는
보편적 장치임.
작품 작품
예시 답 작자 미상, 〈박씨전〉
작품
예시 답 작자 미상, 〈옹고집전〉
 예시 답 작자 미상, 〈금방울전〉
•변신이라는 상징적 장치를
변신 모티프의 기능 변신 모티프의 기능
통해 현실에 대한 성찰을 드 변신 모티프의 기능
러냄.
예시 답 추녀인 박씨는 외로이 지 예시 답 금방울로 태어난 금령은 예시 답 허수아비가 가짜 옹고집
•이야기의 극적인 재미를 통
내다가 허물을 벗고 미녀로 변하 요괴를 물리치고 액운을 다한 뒤, 으로 변신하여 인색한 진짜 옹고
해 독자의 흥미를 유발함.
면서 병자호란의 영웅으로 활약하 허물을 벗고 절세미인이 되어 해 집과 다투는 과정을 보여 주는데,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효과
게 된다. 여기서 ‘변신 모티프’는 룡과 사랑을 이룬다. 여기서 ‘방울’ 이를 통해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
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
통과 의례로 역경을 극복하는 장 은 단단한 껍질 속에 갇혀 있다가 과 유교의 효 사상을 드러낸다. 따
치이다. 한편 변신을 기준으로 작 재탄생을 위한 시련을 형상화한 라서 이 작품에서 ‘변신 모티프’는
품의 흐름이 나뉘므로 사건 전환 것으로, 이 작품에서 ‘변신 모티프’ ‘권선징악과 효’라는 작품의 주제
의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는 행복한 결말을 강조하기 위한 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장치이다.
시련의 장치이다.

활동 3 지도 방안
3 자신이 읽어 본 한국 문학 중에서 보편성을 갖춘 작품을 선정하고, 그 작품을 외국인에게 소개
하는 글을 써 보자.

문학의 보편성에 관한 이해 소개하고 싶은 작품 작품의 내용


를 바탕으로 하여 적절한 작품
을 골라 소개하는 활동이다. 인 예시 답 〈춘향전〉은 한국을 대표하는 고전 소설로, 전 세계에서 많은 사
간의 희로애락, 자유에 대한 갈 랑을 받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한국판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시대 양
망, 불의를 극복하는 의지 등 인 반인 이몽룡과 기생의 딸 춘향의 신분을 초월한 사랑이 한국 고유의 명
간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절인 단옷날을 배경으로 아름답게 그려지고 있
예시 답 작자 미상, 〈춘향전〉
보편적인 가치를 담고 있는 작 다. 특히 백성을 괴롭히는 변 사또에 저항하며
품을 찾아 소개하는 글을 써 보 자신의 사랑을 지키는 춘향이의 모습은 모든
게 한다. 사람에게 사랑의 위대함을 느끼게 할 것이다.
다른 나라의 독자가 공 또한 신분적 제약을 극복하며 행복한 결말을
맞는 〈춘향전〉은 자유로운 연애 사상이나 신
감할 수 있는 내용이면서도 한 분 제도에 대한 비판 등 자유를 갈망하는 인
국 문학만의 매력을 느낄 수 있 류의 보편적 정서도 담고 있다.
는 작품은 무엇이 있을까?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이 작품은 프란츠 카프카의 유고작이
02 자 미완성된 소설이다. 미완의 작품이
프란츠 기 때문에 작품의 배경이 되는 ‘성’과 마
〈변신〉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카프카의 을 사람들, 주인공 K가 각각 어떤 존재
〈성〉 를 의미하는가에 관해서는 다양한 해석
예시 답 단순히 사람이 벌레로 변하는 괴기스러운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변
이 존재함을 안내하고 학생들이 자유롭
신을 통해 현대 사회나 가족의 부조리한 모습을 말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
게 감상을 나눌 수 있도록 지도한다.
웠어.
이 작품은 현대인이 도시 속 삶에서 겪
게 되는 인간 소외, 고독 의식을 상징적
나의 책방 키우기 으로 묘사한 소설이다. 소설의 끝부분
최인호의
에 등장하는 ‘새로운 물건’은 ‘그’가 사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프란츠 카프카의 〈성〉 〈타인의
물로 변화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
방〉
모티프가 유사한 한국의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최인호의 〈타인의 방〉 적인 감상이다. 이 작품과 ‘변신 모티프’
를 사용한 다른 작품을 연계하여 감상
하도록 지도한다.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9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9 2019. 1. 8. 오후 10:36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한국 문학은 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지닌다.


우리는 외국의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감동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사회ㆍ문화적 배경이나 언어가
다른 지역의 문학 작품을 읽고 감동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것은 어느 나라의 문학이든, 문학은 인
간의 문제를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이라는 점에서 보편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문학은 인간의 희로애
락(喜怒哀樂), 자유에 대한 갈망, 불의를 극복하려는 의지 등 인간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보편적
인 가치를 담고 있다. 고전(古典)이라 일컫는 세계 각국의 문학 작품이 시공간을 초월하여 사람들에
게 깊은 감동을 주는 것은 바로 문학이 지닌 보편성 때문이다. ▶ 문학의 보편성

한국 문학 또한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소재나 주제뿐만 아니라 때로는 서사 구조나 표현 방법 면


에서도 이러한 보편성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 문학인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138쪽 와 세네갈
문학인 〈아프리카〉 142쪽 에서는 비슷한 유형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소재와 주제 의식의 유사성
을 발견할 수 있고, 독일 문학인 카프카의 〈변신〉 144쪽 에서 나타나는 변신 모티프가 한국 문학 작
품에서도 쉽게 발견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는 한국 문학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한
국 문학이 세계 문학의 일원으로서 역동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한국 문학의 보편성

한국 문학은 한국 문학만의 특수성을 지닌다.


한국 문학은 문학이 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동시에 한국 문학만의 특수성
도 가지고 있다. 세계 각 나라의 문학은 고유한 역사적 전개 과정 속에서 형성된 그 나
프란츠
카프카 라만의 특성을 담고 있다. 한국 문학도 한민족 고유의 역사적ㆍ문화적 상황 속에서 형성
된 한민족의 사고와 사상을 담고 있으며, 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고유한 형식과 주제 의
식을 담은 문학 갈래들을 발전시켜 왔다. 특히 일제 강점, 한국 전쟁, 남
북 분단을 비롯한 특별한 역사적 경험을 그려 내고 그 경험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 점은 한국 문학이 지닌 특수
《변신》 초판본 표지  성이 세계 문학 속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근거
가 될 수도 있다. ▶ 한국 문학의 특수성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 표지 


해외 문학상을 수상한 《채식주의자》에서는 나무로 변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변신》과 《채식주의자》 모두 변신 모티
프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드러내고 있다.

150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0 2019. 1. 8. 오후 10:36


3-⑵단원 개념 정리 ① 한국 문학의 보편성 3-⑵단원 개념 정리 ② 한국 문학의 특수성

문학 우리 고유의
문화
•인간에 관한 이야기에서 출발함.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임. 
역사적 우리의 말,
 문학의 특수성 감정 문학의
 
보편성 특수성
문학에는 희로애락(喜怒哀樂), 자 

유에 대한 갈망, 불의를 극복하려는
한국
의지 등 인간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문학
만한 보편적인 가치를 담고 있음.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고려하면서 작품을 감상하자.


한국 문학은 세계 문학의 일부로서 보편성을 지니며, 동시에 한국의 특수한 경험과 문화적 배경의
결과로서 특수성을 갖는다. 이처럼 보편성과 특수성을 나눠서 설명할 수는 있지만, 실제 문학 작품
안에서는 이 두 가지가 분리될 수 없다. 특히 문학 작품의 수용에서는 둘을 함께 고려하는 태도가 필
수적이다. 이런 태도를 갖추고 있는 독자는 문학 작품을 보다 입체적으로 감상하고 더 많은 것을 생
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작품 감상의 의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고려하는 독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정답이 없는 질문이지


만,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해 가면서 읽는 습관을 갖추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은 될 수 있다. 예
컨대 중국의 소설 〈삼국지연의〉와 한국의 판소리 〈적벽가〉 154쪽를 함께 감상하면 두 작품이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독자 스스로가 편견 없이 작품 속의 등장인물이나 사건을 자기
경험에 비추어 보는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외국 문학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접할 수 있게 된
오늘날의 환경을 생각하면, 이러한 태도를 갖추는 일은 우리의 문학 활동을 보다 생산적으로 만들어
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3-⑵단원 개념 정리 ③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문학 작품 감상

보편성과 •입체적으로 문학 작품
특수성을 을 읽을 수 있음.

고려한 •생산적인 문학 활동이
작품 감상 가능함.

〈적벽가〉 
〈적벽가〉는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이다. 중심 내용이나 등장인물의 성격 등
을 중심으로 두 작품을 함께 읽으면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할 수 있다.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 교과서 149쪽
세계 문학으로서의 한국 문학이 지닌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다.
2-⑵번, 3번 문제
이 단원에서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할 수 있다. ▶ 교과서 141쪽 2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점검해 보자.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감상할 수 있다.
▶ 교과서 142쪽 3번, 148쪽 2-⑴번 문제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51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1 2019. 1. 8. 오후 10:36


‘대단원 마무리’ 지도 방안
•대단원에서 학습한 요소를 확인한 다음, 더 알고 싶은 점이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 보며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한 기록에서 그
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과제나 평가를 진행하거나, 심화
자료를 활용하여 궁금한 부분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창의적 감상’에 제시된 감상의 방향과 그에 따른 작품을 살펴보며
문학의 경험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작
품을 읽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끌어 준다. 또한,
추가로 엮어 읽을 수 있는 또 다른 작품을 안내하여 수업 외의 시
창의적 감상 활동지
간에도 문학 감상이 생활화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평가 자료
•대단원 평가 1 다음은 인터넷 블로그에 연재되어 책으로 출간된 소설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에서는 이다. 디지털화한 문학이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 어떤
〈제가야산독서당〉과 〈황진이〉, 〈나도 그들처럼〉을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보자.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전개와 개념, 그리고 시·공간
적 구현 양상을 이해하였다.
개밥바라기 별 _ 황석영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에서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변신〉을 감상하 전체 줄거리  ‘나’(유준)는 1967년 겨울 베트남 파병이 결정되자 ‘죽거나 살

며 문학으로서의 일반적인 특성과 한국 문학의 고유 아남거나 둘 중의 하나’의 인생이 자신의 앞에 놓여 있음을 감지하고, 입대

한 성격을 이해하였다. 전 자신의 고등학교 시절을 회고한다. 학교에서 모범생으로 살던 ‘나’는 어느

날부턴가 학교가 제시하는 가치와 부모의 요구가 시시해지기 시작하면서

마침내는 견딜 수 없게 된다. 결국 자신의 삶을 더욱 충족해 주는 것이 무엇

인지를 깨닫고 학교를 떠난다. 이후 산속 동굴에 틀어박히고, 무전여행을 하

고, 유치장에서 만난 떠돌이와 막노동을 전전하고, 절에 들어가 행자 노릇을


따라서 우리는 이 단원에서 한국 문학의 개념
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황의 시간을 거치다가 삶이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
과 성격을 이해하고 문학 활동을 해 보면서 능
고 느꼈을 때, ‘나’는 여기서 벗어날 방법은 삶을 바꾸는 것밖에 없다는 것을
동적으로 문학을 향유해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깨닫는다.
앞에서 활동한 내용을 떠올리며 더 알아보고 싶
은 점을 간단하게 써 보자.

예시 답 생략

내 블로그 | 이웃 블로그 | 블로그 홈

개밥바라기 별 <4회> | 개밥바라기 별


연재 소설임을 알 수 있음.

황석영 연재소설

개밥바라기 별 <4회>

가게의 덧문은 베니어판 위에 양철판을 씌운 것이었


얇게 켠 나무 널빤지를 서로 엇갈리게 여러 겹 붙여 만든 널빤지
는데 내가 검은 페인트로 쓴 번호 표시가 그대로 남아
있다.
3이라고 쓴 덧문 앞에서 나는 작은 쪽문을 두드렸다.

152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2 2019. 1. 8. 오후 10:37


작품 개관
갈래 장편 소설, 성장 소설 제재 사춘기 소년들의 삶
주제 사춘기 소년들의 방황과 성숙
① 작가가 블로그에 직접 연재하여 작품을 완성함.
특징
② 댓글을 통해 작가와 독자가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작품의 전개를 이끌어 감.

“누구세요…….” 시장 안의 점포는 아버지를 먼저 보내고 혼자 남은


잠에서 막 깬 듯한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린다. 어머니가 이리저리 까먹다가 남은 마지막 밑천이었다.
“저예요. 준이요.” 살림집을 팔고 누나들이 시집가기 전까지는 점포를 사
쪽문이 열린다. 내가 들어가기도 전에 어머니는 손 고 남은 돈으로 전셋집을 얻었다. 누나들이 집을 떠난
을 내밀어 내 소매를 붙잡았다. 뒤 우리 세 사람은 점포 안에서 살아왔다.
“아니, 네가 웬일이야? 어린 아우와 어머니가 가게에 붙은 방에서 잤고 나는
나는 어둠에 익숙지 않아서 눈을 가늘게 뜨고 가게 그 천장 위의 잠수함을 썼다. 이를테면 거꾸로 기어 들
안을 둘러보았다. 덧문의 틈새로 햇빛이 새어 들어왔 어가는 셈이라 다락방의 지붕 바깥은 깊이를 알 수 없
다. 판매대는 텅 비었고 그 위에 상자들이 쌓여 있다. 는 바닷속이라고 생각했다.
“전쟁터엔 안 가게 된 거야?” 그 어두운 가게의 천장 위에 내 잠수함은 뚜껑을 닫
“장사 안 해요?” 고 선장을 기다리고 있었다. 뚜껑을 젖히고 머리를 내
어머니와 나의 서로 다른 질문이 부딪친다. 내가 먼 밀자 나는 다시 심해에 잠기는 것 같았다.
저 대답하기로 한다. 내 다락방의 벽에는 떠나오던 날의 낙서가 여전히 남
“교육 끝나서 대기 중이에요. 월요일에 떠난대요.” 아 있었다. 베이지색 벽지 위에서 글자들이 꼬불꼬불
어머니도 내 질문에 뒤늦게 대답한다. 중얼거리고 있다.
“점포를 정리하기로 했다. 내놓았더니 며칠 전에 나 — 미친 새는 밤새껏 울부짖는다.
갔어.”
▶ 다음 회 보기(5회)
가게 안쪽의 방에서 중학생인 아우가 콩자반 같은 머
▶ 이전 회 보기(3회)
리를 내밀었다. 형 왔느냐고 졸린 목소리로 아우가 인
사했고 나도 잘 있었느냐고 대꾸한다. 태그 #황석영 #개밥바라기 별

나는 어머니가 아우를 먼저 학교에 보낸 뒤에 나와


댓글 221개 | 엮인 글 | 공감 407
뭔가 얘기하고 싶어 한다는 걸 알기 때문에 부엌간 구
석에 출입구가 있는 다락방에 올라가 있기로 했다. 좋은 향기
“피곤할 테니 좀 쉬어라. 마침 어제 치워 놓기는 했 ‘콩자반 같은 아우의 머리’라는 말에서 아우를 사랑하는 형의
작가와
마음이 느껴집니다. 독자의
는데…….” 대화
사닥다리나 다름없는 가파른 계단 위에 서너 칸쯤 발 황석영

을 딛고 올라서자마자 널판자 문에 머리가 닿아 버린 좋은 향기님의 말씀처럼 주인공은 아우를 사랑하지요.

다. 나는 널판자의 손잡이를 쥐고 위로 쳐들었다.


파랑새
나 스스로 이름을 지었는데 나는 이 천장 위 다락방 아직 완결이 나지 않아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지만 기
대가 큽니다. 작가님의 작품은 언제나 진리인 것 같습니다.
을 ‘잠수함’이라고 불렀다. 물론 내 방의 별명은 동생에
게만 가르쳐 주었다. 나는 다 올라서지 않고 잠깐 멈춰 황석영 작가와
서서 머리만 내밀고 방 안을 둘러보았다. 사물에는 언제나 빛과 그늘이 있다는 걸 명심하세요. 여 독자의
대화
기 나오는 이야기들은 다 옳은 게 아닙니다. 다만 성장기
내가 떠나기 전에 확인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이었을
에는 누구나 자기 스스로 능력을 키우고 자립적인 사고를
까. 그건 파충류의 허물과도 같은 것이고 나는 그 허물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요.

을 다시 뒤집어쓰고 싶어서 돌아온 건 아닌가.


예시 답 인터넷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화된 문학은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 많은 변
화를 가져온다. 작가는 더 많은 상상력을 얻을 수 있고, 문학 작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독자의 조
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독자는 작가와 소통할 뿐만 아니라 다른 독자들과도 의견을 나누는 등 대단원 마무리 153
활발하게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즉,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이 일방적이지 않고 상호 소통하며
누구나 문학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3 2019. 1. 8. 오후 10:37


예시 답 〈적벽가〉의 군사 설움 타령은 원작인 〈삼국지연
의〉에 없는 것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독창적으로 재해석하 아니리
여 만들어 넣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웅 중심으로 내용
이 전개되는 〈삼국지연의〉와는 다르게 영웅의 무용담 속 이렇듯이 설리 우니, 또 한 군사 나오난디, 그중에 키 작
에 묻히기 쉬운 이름 없는 군사들의 애환과 아픔,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설움 등을 진지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 현 고 머리 크고 작도만 한 칼을 내두르며 만군 중이 송신하게
실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서민 예술로서 판소리
의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다. 말을 허겄다.

2 다음은 중국 소설인 〈삼국지연의〉를 수용하여 개작한

판소리 사설로, 원작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을 새로운 시 중중모리

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능동적 수용과 독창적 재해석 ‌“이놈 저놈, 말 듣거라. 너희 울 제 좀놈일따. 위국자(爲

의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國者)는 불고가(不顧家)라 옛글에도 일러 있고, 남아하필
연처자(男兒何必戀妻子)오. 막향향촌노각년(莫向鄕村老
却年)하소. 우리 몸이 군사 되야 전장 나와 공명도 못 이
적벽가(赤壁歌) _ 작자 미상
루고 속절없이 돌아가면 부끄럽지 아니허냐. 이내 심사
평생 한이 요하(腰下) 삼척 드는 칼로 오한(吳漢) 양진(兩
중모리
陣) 장수 머리를 번뜻 뎅기렁 베어 들고 창끝에 높이 달아
‌“이내 설움 들어 봐라. 나는 부모 일찍 조실(早失)하고 일
개가성(凱歌聲) 부르면서 승전고(勝戰鼓) 쿵쿵 울리면서
가친척 바이 없어 혈혈단신(孑孑單身) 이내 몸이, 이성지
본국으로 돌아갈 제, 부모 처자 친구 벗님 펄쩍 뛰어 나오
합(二姓之合) 우리 아내 얼굴도 어여쁘고 행실도 조촐하
며 ‘다녀온다, 다녀와, 전장 갔던 벗님이 살어를 오니 반
야 종가대사(宗家大事) 탁신안정(托身安定) 떠날 뜻이 바
갑네. 이리 오소. 이리 오라면 이리 와.’ 울며 반겨헐 제,
이 없어 철 가는 줄 모를 적에, 불화병 외는 소리 ‘위국 땅
원근당(遠近黨) 기쁨을 보이면 그 아니 좋더란 말이냐.
백성들아, 적벽으로 싸움 가자.’ 외는 소리 나를 끌어내니
전쟁에 참전할 것을 독려하는 소리 우지 말라면 우지 마라.” ▶ ‌설움을 한탄하는 군사들에 대한
아니 올 수 있든가. 군복 입고 전립(戰笠) 쓰고 창을 끌고 질책과 위로

나올 적에, 우리 아내 내 거동을 보더니 「버선발로 우루루


「」 : 남편이 전쟁에 나가는 것을 말리는 아내
루 달려들어 나를 안고 엎더지며, ‘날 죽이고 가오, 살려
두고는 못 가리다. 이팔 홍안 젊은 년을 나 혼자만 떼어
놓고 전장을 가랴시오.’」 내 마음이 어찌 되것느냐. 우리 바이  전혀.

마누라를 달래랼 제, 「‘허허 마누라 우지 마오. 장부가 세


혈혈단신 (孑孑單身)  의지할 곳이 없는 외로운 홀몸.
「」 : 우는 아내를 말리는 남편 이성지합 (二姓之合)  다른 두 성이 합하였다는 말로, 남녀의 혼인을 이르는
상을 태어나서 전장출세(戰場出世)를 못하고 죽으면 장 말.

부 절개가 아니라고 하니 우지 말라면 우지 마오.’」 달래어 탁신안정 (托身安定)  몸을 붙여 편안히 머무름.


일부지전장 불식이라  ‘일부일(日復日) 전장(戰場)은 불식(不息)이라.’의 구
도 아니 듣고 화를 내도 아니 듣더구나. 잡았던 손길을 에 술적 표현. 날이 지나고 지나도 싸움이 그치지 않는구나.
후리쳐 떨치고 전장을 나왔으나, 일부지전장 불식이라. 수직 (守直)  지킴.
만단정회 (萬端情懷)  온갖 정과 회포.
살아가기 꾀를 낸들 동서남북으로 수직(守直)을 허니, 함
위국자 (爲國者)는 불고가 (不顧家)라  나라를 위하는 사람은 집안을 돌아보
정에 든 범이 되고 그물에 걸린 내가 고기로구나. 어느 때 지 않는다.
나 고국을 갈지, 무주공산 해골이 될지, 생사가 조석이 남아하필연처자 (男兒何必戀妻子)오  남자가 하필 처자를 그리워하리오.
임자 없는 빈산. 인가도 인기척도 전혀 없는 쓸쓸한 곳 막향향촌노각년 (莫向鄕村老却年)하소  시골에서 늙어 가는 사람은 되지 마
라. 어서 수이 고향을 가서 그립던 마누라 손길을 부여잡
오.
고 만단정회 풀어 볼거나. 아이고, 아이고, 내 일이야.” 원근당 (遠近黨)  멀고 가까운 친척들.
▶ 고향의 아내를 그리워하는 군사의 설움
작품 개관
갈래 판소리 사설
성격 해학적, 풍자적, 회화적
제재 〈삼국지연의〉의 적벽 대전
주제 적벽 대전의 영웅들의 활약상과 전쟁으로 인한 하층민의 고통
154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① ‌영웅보다는 평민을 내세워 전쟁을 부정적으로 평가함.
특징
② 외래 문화를 창조적으로 수용한 작품임.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4 2019. 1. 8. 오후 10:37


3 다음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자연물에 예시 답 이 시의 화자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자연물들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이 질문들은 모두 우리가 익숙하고 당연하다고 생
대한 사소한 질문을 던지면서 인간 존재의 모습을 성찰하 각하는 사물과 현상에 대한 참신한 시각이 돋보이는 것들로, 존재의 의미
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작품이 다양한 문화권의 사
게 하는 시이다. 이 시가 독자에게 보편적인 감동을 준다 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이유는 역사와 문화가 달라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존재에 대해 성찰하는 경험을 하기 때문이다.
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우리는 질문하다가 사라진다 _ 파블로 네루다

어디에서 도마뱀은 별들은 어떻게 물을 구할까.


꼬리에 덧칠할 물감을 사는 것일까. 전갈은 어떻게 독을 품게 되었고
꼬리가 재생 능력이 있어 다시 자라나는 것을 표현함.
거북이는 무엇을 생각하고 있을까.
어디에서 소금은 그늘이 사라지는 곳은 어디일까.
그 투명한 모습을 얻는 것일까. 빗방울이 부르는 노래는 무슨 곡일까.
빗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를 노래에 비유함.
새들은 어디에서 마지막 눈을 감을까.
어디에서 석탄은 잠들었다가 왜 나뭇잎은 푸른색일까.
▶ 존재의 근원과 현상에 대한 질문들
검은 얼굴로 깨어나는가.

우리가 아는 것은 한 줌 먼지만도 못하고


아는 것이 적음. - 자연 속의 작은 존재인 인간
젖먹이 꿀벌은 언제 짐작하는 것만이 산더미 같다.
꿀의 향기를 맨 처음 맡을까. 그토록 열심히 배우건만
존재의 근원과 현상에 대한 궁금증
우리는 단지 질문하다 사라질 뿐.
▶ 자연 속에서 인간이 작은 존재임을 깨달음.
소나무는 언제
자신의 향을 퍼뜨리기로 결심했을까.

오렌지는 언제
태양과 같은 믿음을 배웠을까.

연기들은 언제
공중을 나는 법을 배웠을까.
연기가 공중에 날아가는 것을 표현함.
뿌리들은 언제 서로 이야기를 나눌까.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성찰적, 반성적
제재 자연의 모습
자연(우주)에서 인간의 인식 능력의 한계를 깨
주제 달음, 인간은 자연 앞에서 한없이 작은 존재임
을 깨달음.
① 사물을 바라보는 참신한 시각이 드러남.
② 자연에
‌ 대한 궁금증을 다양하게 나열하여
특징
우리는 짐작하는 것만 많고 알고 있는 것이
적다는 것을 보여 줌.

대단원 마무리 155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5 2019. 1. 8. 오후 10:3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