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명대소설

소설의 본격적인 발전- 명대에 들어와 소설은 눈으로 읽는 본격적인 문학양식으로 발달하였다.

1. 발달원인

1. 백화문학의 발전//과 문자의 보급:백화문의 사용은 당대의 변문(變文)과 송대의 화본


(話本) 가운데서 이미 사용하기 시작했으나 대부분 반문반백(半文半白)의 상태였는데,
명대에는 문인,학사들이 의식적으로 백화문학을 제창하고 백화로 소설을 지음. // 백화
문은 명대에 들어와 각종의 문화 활동, 사회활동과 경제활동 등의 영역에서 시민계층
의 문자로 장착되었다.

2. 소설의 지위 제고: 중국문학 속에서 소설은 역대 문인,사대부들에 의하여 경시되어 왔


는데, 명대에는 여러 문인들이 소설의 문학성과 사회적 공용성을 고양하여 소설에 대
한 관념이 변함.//명대 소설의 내용 : 이전의 소설과는 달리 상당한 정도로 당시의 시
대적 상황과 사회현실의 문제를 다루고 있어서 이전에 비해서 한층 발달된 모습을 보
여주고 있다.

3. 시대적인 환경(역사적 배경):도시 경제의 발전에 따른 시민계급의 등장으로 소설의 독


자,작자층이 확대되었으며, 당시의 다양한 시대상황과 사회의식을 소설에 반영하여 널
리 유행함.

4. 인쇄술의 발달과 책방의 증가 로 소설이 널리 간행되고 유포되어 민간 문학의 주류를


형성할 정도로 성장함.

5. 민간문학 양식의 다양한 발전: 명대 이전의 다양한 민간문학 양식들이 당대와 송원대
를 거치면서 세련되었다는사실은 명대 소설 발달의 한 중요한 배경이었다.

6.

2. 특징

A. 문장:대부분 백화문을 사용함

B. 내용:주로 사회 상황을 묘사 대상으로 삼아 제재가 광범위함

C. 체재:장편소설의 경우 장회체 형식이 유행함.

3. 주요 장편소설

-중국 문학사에서는 청대까지 성행했던 민간문학의 장편 소설을 장회소설(章回小說)이라


고 하는데, 그 이유는 청중에게 이야기를 알맞게 단락지어 들려주던 설화의 방식을 취하
고 있기 때문이다.
A. 역사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나관중(羅貫中) 재정리 및 각색.

i. 소설적 성격: 원대라는 특정한 시기에 과도하게 팽배했던 한족중심의 민족주의


적 분위기를 반영함.

ii. 특징: 문체상 문언과 백화가 섞여있어 아속(雅俗)이 함께 감상할 수 있음.

iii. 영향: 이후 쏟아져 나온 수많은 백화문으로 된 장편 역사소설의 모태 내지 모범


이 됨.

B. 영웅소설 수호전(水滸傳) -시내암(施耐庵) 혹은 나관중. 하지만 저자 상정하기 힘듦.

i. 특징:

1. 세련된 백화문의 운용으로 백화문학의 최고봉에 오름.

2. 주제와 소재가 건강한 민중적 희망과 진보적이고 세계관에 연결되어 있음.


(당시의 왜곡된 관료체제를 타파해줄 영웅의 출현을 기다리는 시민계층의
심리상태 반영함)

C. 신마소설 서유기(西遊記)- 오승은(吳承恩)

i. 특징 : 기이한 환상과 풍부한 상상력으로 낭만주의의 예술 특색을 발휘함.

선의의 조소, 신랄한 풍자, 엄중한 비평을 예술적으로 결합시


킴. 인물 묘사상 각각의 개성이 뚜렷함. 고사의 구성과 인물의
배치가 치밀함.

D. 금병매 -소소생(笑笑生) – 음탕하고 방탕스런 가정생활을 통하여 당시의 사회상 조명

i. 특징: 인물의 성격묘사와 전형성이 뛰어남. 일상의 언어를 잘 운용하여 생동감이


넘침. 암암리에 현실을 폭로한 비판 정신이 담겨있음. 대담한 색정 묘사를 통하
여 예술적인 성공을 거둠.

ii. 평가 : 이제까지의 역사.영웅고사나 환상의 세계에서 벗어나 실


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중국 통속소설사상 새로운 장을 엶. 중국 소설이 설화
의 단계에서 창작의 단계로 발전해가는 계기가 되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