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한국의 역사 III (근대)

Section 1: 조선 후기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요약 내용
• 지배층인 유학자들은 실생활과 상관이 없는 학문에 주로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
• 학자들은 백성의 생활을 개선하고 나라의 힘도 길러 줄 수 있는 학문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
장했음 (실학)
• 대표적인 실학자인 정약용은 농사짓는 땅은 농민이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과학기술과 상
공업 발달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음
• 조선은 서양의 어느 나라와도 교류하지 않는 배외정책을 실시하였음 (쇄국정책)

추가 내용 (정약용이 만든 거중기)
• 거중기: 작은 힘으로도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만든 기계임
• 수원 화성을 쌓을 때 거중기를 이용하여 사람들의 힘이 덜 들었고 쉽게 다룰 수 있어 사고를
많이 줄일 수 있음

중요한 단어
• 실학: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학문
• 쇄국정책: 다른 나라와 통상, 교역을 금지하고 외교 관계를 제한하는 정책
• 학문
• 문물 교류

정리하기
• 조선 후기 실생활에 도움이 되고 백성의 생활을 풍족하게 하는 학문인 실학이 발달함
• 조선은 서양의 어느 나라와도 교류하지 않는 배외정책을 실시함

Section 2: 일제강점기에 한국은 어떤 일을 겪었을까?


요약 내용
• 조선은 나라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하였음
• 1910년에 대한제국은 일본에게 주권을 빼앗겼음
• 일본은 강압적인 통치정책을 실시하고 이익을 위해 쌀과 자원을 빼앗았음
• 한국 여성들은 위안부로 끌려가는 고통을 겪기도 하였음
• 1919년 3 · 1 독립운동은 끊임없이 일어났고 임시정부를 세움
• 1945년 8월 15일 한국은 국권을 되찾게 되었음

추가 내용 (국채보상운동은 어떤 독립 운동이었을까?)
• 일제강점기 중 국민들의 모금으로 일본에 진 나라의 빚을 갚아 국권을 되찾고자 한 것이 국
채보상운동임

https://app.tryeraser.com/workspace/gather:Dn9oxBVDXJwDzfF9table2
• 여성들은 반찬값을 아끼거나 반지, 목걸이, 귀고리를 팔아 모금에 참여했음
• 국재보상운동은 나라의 독립을 바라는 사람들이 스스로 참여한 것으로 일본의 경제적 침략
에 맞서 국권을 회복하려 하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받음

중요한 단어
• 위안부: 일본 군인을 위해 강제로 성노예 생활을 해야만 했던 여성
• 임시정부
• 투쟁을 벌이다

정리하기
• 대한제국은 1910년 일본에 국권을 빼앗김
• 일본의 강압적 통치로 많은 한국인들이 고통을 겪음
• 일제강점기에 나라를 되찾으려는 독립운동이 끊임없이 일어남
• 1945년 8원 15일 한국은 국권을 되찾음

https://app.tryeraser.com/workspace/gather:Dn9oxBVDXJwDzfF9table2
한국의 역사 III (근대)

https://app.tryeraser.com/workspace/gather:Dn9oxBVDXJwDzfF9table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