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8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저자 이수경
들어가기

해외에서 약 30년을 생활한 저자에게 ‘한국 문화’는 자긍심과 정체성의 근원이


면서 한편으로는 한국에 대한 그리움이기도 했다. 1993년부터 2000년까지 일본의
초등학생들에게 한국어, 한복, 윷놀이, 음식 등을 소개하면서 한국이 멀리 있는 나
라가 아닌 가까운 나라임을 알려 주었고, 이후 2000년부터 홍콩의 한국어 학습자,
홍콩인들에게는 한국 문화를 소개하면서 다양한 한국 문화를 알려 줄 수 있는 책
이 부족하다는데 아쉬움을 느꼈다.
현재는 국내 대학에 유학 온 교환학생 혹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영어로
한국 문화를 강의하고 있지만, 언어 능력의 차이로 인하여 교재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한국 문화에 관심 있는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영어와 한국
어로 설명을 하고 적절한 사진이 곁들어진 책을 출간하고자 했다.
이 책은 한국 문화에 관한 책의 첫 권으로 그 내용은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것부
터 시작하여 삼국의 건국 신화와 세시풍속, 한국인의 의, 식, 주등 생활 속에서 접
하는 문화를 폭넓게 다루었다. 또한, 문화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를 알아가
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자국의 문화를 소개하고 한국 문화와 비교 하는 활동을 통
하여 타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했다.
이 책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들이 한국의 생활문화를 이해하
고 해외에서 성장하는 재외 교포 자녀들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데 도움
이 되기를 바란다.
한국 문화에 관하여 이 책에서 다루지 못한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근현
대 미술, 아름다운 공예품, 음악과 무용에 관하여는 두 번째 책에서 소개하고자 한
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완성하는데 출판을 맡아 주신 동주 출판사 대표님과 편집
진께 감사드린다. 또한, 한국의 전통과 현대 문화 속에서 늘 지지해 주시는 부모님
과 가족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20년 뜨거운 여름의 한 가운데서
이수경
PREFACE

For Korean authors who have been living abroad for about 30 years, “Korean
culture” is a source of self-esteem and identity, while also a longing. From 1993 to
20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apan were introduced to Korean, Hanbok, Yutnori,
and food to inform that Korea is not a distant country, but a close country. I felt sorry
for the lack of books to introduce Korean culture.
Currently, Korean language classes are taught in Korean and English for exchange
students 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been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but
they are having difficulty in selecting textbooks due to differences in language skills.
Accordingly, each topic was explained in Korean and English so that anyon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at home and abroad could read it, and try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by showing appropriate pictures of Korean culture.
This book is the first volume of a series of book on Korean culture, and its contents
began with a symbol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covers a wide range of cultures
encountered in the founding myths of the Three Kingdoms, Koreans' consciousness,
food, and traditional life. In addition, since culture is not a one-sided process, but a
process of getting to know each other, I trie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by introducing their own culture and comparing them with Korean culture.
Through this book, I hope that foreigners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will
understand Korean life and culture, and help Koreans overseas find their identity as
Koreans.
I will introduce Korean World Heritage, Korean art, beautiful crafts, music, and dance
that are not covered in this book in the second volume. Lastly, I would like to thank
the CEO and editors of Dongju Publishing Co., Ltd. for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And last but not least,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to my parents and
family who always support me in Korean culture.
In the midst of hot summer, 2020
Soo-Kyeong Lee
목 차 Contents

들어가기 Preface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 1


Symbolic Icons of Korea and Names of Korean People

1. 대한민국의 상징물 Symbolic Icons of Korea ··············································· 3


2. 대한민국의 지역 특징 Regional Features of South Korea ······················· 15
3. 한국인의 이름 Names of Korean People ·················································· 30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35
Founding Myth and Seasonal Customs of Korea

1. 건국신화(설화) Founding Myth(Sulhwa) ····················································· 37


2. 한국의 4대 명절 Four Major Holidays in Korea ····································· 46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 61


Elegant Traditional Korean Dress and Accessories

1. 한복 Traditional Korean Dress ·································································· 63


2. 장신구 Traditional Korean Accessories ······················································ 68
Ⅳ. 맛을 찾아서 / 75
Discovering the Tastes of Korea

1. 한식과 음식 문화 Korean Food and Food Culture ······································ 77


2. 각 지역의 음식 Regional Cuisines ························································· 115
3. 세계 속의 한국 차 Korean Tea in the World ········································· 122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 131


Residential Life of Koreans

1. 풍수지리사상 Feng Shui Geomancy ························································· 133


2. 한국 전통집의 형태 Features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 136
3. 현대적 주거 형태 Modern Residential Styles ·········································· 151

참고문헌 Reference / 157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1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Symbolic Icons of Korea and Names of Korean People

1. 대한민국의 상징물
Symbolic Icons of Korea

2. 대한민국의 지역 특징
Regional Features of South Korea

3. 한국인의 이름
Names of Korean People
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3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Symbolic Icons of Korea


and Names of Korean people

1. 대한민국의 상징물
Symbolic Icons of Korea

1) 대한민국’의 유래

고대 한반도 남부에 있었던 ‘진한’, ‘마한’, ‘변한’을 합쳐 ‘삼한’이라고 하며 ‘ 고

구려’, ‘백제’, ‘신라’를 ‘삼한’이라고도 한다. ‘한(韓)’은 ‘하나’, ‘크다’라는 뜻이 있


으며 ‘대한(大韓)’은 1897년 고종이 국호로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사용하였다.
1919년 3.1운동 후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대한민국(大韓民國)’을 국호로 정하

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1948년 제헌 국회에서 ‘대한민국’을 헌법에 명시


하여 확정했다.
‘대한민국’을 간단히 줄여서 ‘한국’이라고 하는데 한반도 북부의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북한’이라고 부르고 ‘대한민국’을 ‘남한’이라고 부른다. 한국인들이


자국을 부를 때는 ‘대한민국’보다 ‘우리나라’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Republic of Korea’이다. 이 명칭은 해외와 무역이 활발했던 ‘고려 시
대’에 아라비아 상인들이 ‘고려’를 ‘Corea(꼬레아) 라고 부르면서 ‘코리아( Korea)’
가 되었다.
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Origins of ‘Korea’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outhern region of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Jinhan’,
‘Manhan’, and ‘Byunhan’ were collectively called ‘Samhan’ as well as ‘Goguryeo’,

‘Baekje’ and ‘Silla’ were also referred to as ‘Samhan’. ‘Han’ translated to ‘one’, ‘big’,
while ‘Daehan’ was used in 1897 to proclaim Gojong with the national name of
‘Daehan Empire’. After the 3.1 movement of 1919,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decided on the national name of ‘Republic of Korea’. After the
liberation in August 15, 1945, and later during the Congress Assembly in 1948,
‘Republic of Korea’ was confirmed in the Constitution The ‘Republic of Korea’ is

typically shortened to ‘Korea’ or otherwise known as ‘South Korea’ (Namhan) while the
Northern peninsula of ‘Chosu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is known as ‘North
Korea’ (Bukhan). When referring to their own country, Koreans would use the reference

‘Our Country’ oftentimes rather than ‘Republic of Korea’.


Known as ‘Republic of Korea’ nowadays, the name was popularized amongst Arabic
trading merchants during the ‘Goryeo’ era when it was interpreted and pronounced as
‘Corea’.

2) 태극기

우리나라의 국기를 ‘태극기(太極旗)’라고 하며 태극기는 1882년에 조선 시대 내


부대신 박영효가 고종의 명을 받아 일본에 가면서 ‘태극·4괘 도안’의 기를 만들어
서 사용하였다고 한다. 이후, 고종이 1883년 3월 6일 왕명으로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 공포하였으나 당시에는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었다. 1948년 8월 15
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정부는 통일된 형태의 태극기를 확정하였다.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5

Taegeukgi (Korean National Flag)

The Korean national flag, referred to as ‘Taegeukgi’ was founded when Park
Young-ho received a command from King Goju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go to

Japan with a flag: ‘Taeguk–4 ruled patterns’. Taegeukgi as a national flag on March 6,
1883, but various types of flags were used. On August 15, 1948,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nd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unified form

of Taegeukgi.

태극기에 담긴 뜻

태극기는 흰색 바탕의 가운데에 태극(太極)문양이 있고 네 모서리에 ‘건곤감리


(乾坤坎離)’로 구성되어 있다. 흰색 바탕은 순수하고 평화를 사랑하는 한국인의 민

족성을 나타낸다. 가운데의 태극문양은 ‘음’을 나타내는 파란색과 ‘양’을 나타내는


빨간색을 상징하여 우주에 있는 모든 것이 음양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또한, ‘건’은 하늘, ‘곤’은 땅, ‘감’은 물, ‘이’는 불을 상징하는데 이것도 음양의 조화
를 나타낸다.

The Meaning behind the Flag

The Taegeuki has a white background with the ‘Taegeuk’ pattern in the middle with
‘Geon-gon-gam-ri’ at the four corners. The white background represents Korea people’s
characteristic love for peace, meanwhile the ‘Taegeuk’ is divided by the blue

symbolizing ‘Yin’ and the red symbolizing ‘Yang’ representing the providence in which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harmonized in Yin and Yang. The trigrams in the corners
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follow ‘Geon’ as the heavens, ‘Gon’ as the earth, ‘Gam’ as water and ‘Ri’ as fire as
another expression of harmony of Yin and Yang.

행정안전부

태극기를 달아야 하는 날
국경일이나 주요 기념일에 집 밖에서 볼 때 대문(베란다) 왼쪽에 단다.

When the ‘Taegeukgi’ Should be Raised


During national holidays or major anniversaries outside the left side of main entrances
or the verandas of households.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7

주요 국경일과 기념일

국경일 및 기념일
날짜 국경일 의미
National Day and
Date Meaning of the National Day
Anniversaries

일본의 식민지통치에 항거하여 독립의사를 밝힌 날


3·1절 3월 1일
The day of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한국전쟁의 희생자와 순국선열을 추모하는 날


현충일
6월 6일 The day of commemoration of the victims and
Memorial Day
national heroes of the Korean War

자유 민주주의 이념인 대한민국 헌법을 공포한 날


제헌절
7월 17일 The day of declar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Constitution Day
as a liberal democratic nation

일본으로부터 광복되어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한 날


광복절
8월 15일 The day of liberation from Japan and
Liberation Day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국군의 노고를 감사하고 국가의 방위를 생각하는 날


국군의 날
10월 1일 The day of appreciation for the efforts and
Army’s Day
defense of the military

개천절 BC2333년 단군이 최초로 민족국가를 건국한 날


National 10월 3일 The day Dangun first established a nation state in
Foundation Day 2333 BC

한글 창제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는 날


한글날
10월 9일 The day to commemorate the creation of Hangul
Hangul Day
and to promote the excellence of Hangul
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태극기 게양 방법 및 그리는 방법

태극기 게양 방법

경축일 및 평일 조의를 표하는 날(현충일·국가장 기간)


Holidays and weekdays Days of Condolence

태극기 그리는 방법 How to draw a Taegeukgi

행정안전부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9

3) 무궁화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꽃은 ‘무궁화’이다. ‘무궁’이라는 뜻은 무궁무진하게 영원


하여 끝이 없다는 의미이며 일편단심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무궁화는 7월 초

순부터 10월 중순까지 농촌의 길가나 정원에서 볼 수 있다. 추위에도 강하며 환경


이 좋지 않아도 잘 자라는 강인한 무궁화의 특성은 한국인들의 끈기와 강한 성격
하고 비슷하다고 생각된다.

무궁화는 고조선 이전부터 하늘이 내린 꽃이라고 여겨졌으며 애국가에는 ‘무궁


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라는 노랫말이 포함되어 있다. 무궁화는 화려하거나 장미와
같이 감미로운 향기가 나지는 않지만, 한국 사람들은 수수하고 강인하게 생존하는

무궁화를 사랑하여 광복 후에 나라의 꽃으로 정하였다.

The Rose of Sharon

The national flower of Korea is the ‘Mugunghwa’ or Rose of Sharon in English. In


the Korean name of the flower, ‘Mugung’ translates to eternity and infinity, without no
end and the flower symbolizes a single devotion. The ‘Mugunghwa’ can be seen in
rural roadsides or gardens from July to mid-October. It is a strong plant that is resistant
to cold weather and grows well even if the environment is not good.
Mugunghwa was considered to have been a flower from the heaven before
Gojoseon, and the national anthem includes the song ‘Mugunghwa Samcheonri
Hwaryeogangsan’. Unlike it’s close relative of the rose, the ‘Mugunghwa’ does not have
a strong sweet scent, nevertheless the people of Korea feel a kinship to the flower that
is able to survive strongly and was announced as the national flower after the country’s

independence.
1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대한민국의 국화 <무궁화>
사진 제공–이수경

4) 애국가

대한민국의 국가를 ‘애국가(愛國歌)’라고 하는데 이는 ‘나라를 사랑하는 노래’라


는 뜻이다. 애국가의 가사는 1907년대 전후에 외세의 침략을 받아 국가가 위기 상
황에 있었을 때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과 자주 의식을 담아 만들어진 것으로 처음
에는 외국민요 ‘올드 랭 사인(old long since)’에 가사를 붙여 불렀으나 1935년에
작곡가 안익태 선생이 애국가 가사에 맞는 곡을 작곡했다.

National Anthem

The National Anthem of Korea is called ‘Aegukga’ which translates to ‘A song for
the love of the country’. The lyrics of the national anthem were written during the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11

crisis of foreign invasion in 1907 to signify the patriotism to a country. In the beginning
the anthem was sung along to the lyrics of an old folk song ‘Old Long Since’, however

in 1935, composer Ahn Ik-Tae composed the lyrics to match the anthem.

애국가

National Anthem
Until that day when the East Sea’s waters run dry and Baekdu Mountain is worn away.
God protect and preserve the nation; Hurray to Korea.

Three thousand ri of splendid revers and mountains covered with mugungwha


blossoms.
Great Koran people, stay true to the Great Korean way forever!
1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 여러분 나라의 국기를 소개하고 국기에 관하여 설명해 봅시다.

Introduce and explain the flag from your country of origin.

2. 여러분 나라의 꽃 이름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나요?


What is the national flower from your country and what is the
symbolism of the flower?

3. 여러분 나라의 국가에는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나요?

What do the lyrics of your National Anthem talk about and


describe?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13

확인하기 Let’s Check

1. ‘한국’은 무엇을 줄인 말입니까?


What is ‘Korea’ originally shortened from?

2. 한국의 영어 명칭은 Republic of Korea입니다. ‘Korea’라는 명칭은 어디에서


왔습니까?
The English name of Korea is Republic of Korea. Where did the name
“Korea” come from?

3. 대한민국의 국기를 한국어로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is the flag of South Korea called in Korean language?

4. 대한민국 국기의 흰색 바탕이 뜻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What does the white background of the Korean flag mean?

5. 태극문양이 뜻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What does ‘Taegeuk Glyph’ mean?

6. 태극기에서 네 모서리에 있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What are the symbols in the four corners of the flag mean?
1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7.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꽃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name of the flower that symbolizes Korea?

8. ‘무궁’이 뜻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What does ‘Mugung’ mean?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15

2. 대한민국의 지역 특징
Regional Features of South Korea

1) 수도 서울

서울특별시는 조선 시대 이래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수도이다. 서울의 중앙으로

한강이 흐르고 북한산, 도봉산, 관악산, 청계산 등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서울시
의 중앙에 있는 남산에는 서울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N 서울 타워가 있다.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 국립중앙박물관 등

60여개의 박물관이 있고 5개의 고궁이 있다.


또한 서울에는 한강공원, 서울올림픽 공원, 월드컵공원 등 야외에서 운동이나 산
책을 할 수 있는 곳이 많이 있으며 뚝섬에 있는 서울숲은 사계절 자연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나무와 꽃이 많은 곳으로 바쁜 서울 생활에서 여유를 찾을 수 있는


곳이다.

Seoul Metropolitan City

Seoul has been the capital of Korea since the Joseon Dynasty. The Han river flows
through the middle of Seoul and is surrounded by Mt. Bukhan, Mt. Dobong, Mt.
Gwanak, and Mt. Cheonggye. At the center of the city lies Namsan mountain with N
Seoul Tower which is a representative tourist stop in Seoul where the view of the city
can be seen from the top. Seoul is the epicenter of culture of Korea and hosts 60
National Museums and 5 palaces.
In Seoul, there are many places to exercise and walk outdoors such as Hangang Park,
Seoul Olympic Park, and the World Cup Park. The Seoul Forest in Ttukseom is especially
picturesque, with lots of trees and flowers to witness the change of the four seasons.
1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서울에서 특색 있는 지역 및 장소
The distinctive areas and places in Seoul

영역 Area 지역 Region 특색 Feature

서울의 대표적인 전통 재래시장으로 모든 물건을 저렴


하게 구매할 수 있다. 대도시장이 대표적이다.
남대문시장
Seoul’s most iconic traditional market where you can
Namdaemun
purchase anything at an affordable price. Daedo
Market
Market is the most famous segment within the
market.

의류 시장이 중심으로 지방상인 대상으로 새벽에 문을


동대문시장
연다. 근처에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가 있다.
쇼핑 Dongdaemun
Shopping The market is centered around clothing and is open
Market
at dawn. Dongdaemun Design Plaza (DDP) is nearby.

서울 중심에 있는 쇼핑 거리로 젊은 여성을 위한 화장


품, 의류, 신발 가게가 많다. 가장 번화한 거리. 근처에
명동 성당이 있다.
명동
The busiest shopping street in the middle of Seoul
Myeongdong
where typically young women and tourists come for
clothing, footwear and cosmetics. Myeongdong
Cathedral is nearby

서울의 전통문화 거리로 화랑이 많으며 전통 기념품 가


게, 전통 찻집, 음식점 등이 많다.
문화 인사동
Area for traditional culture with many art galleries
Culture Insadong
along the streets. Traditional souvenir shops, tea
houses and restaurants are also found here.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17

경복궁 근처에 있으며 이곳에 모여 있는 전통 한옥은


분위기 있는 찻집, 식당, 가게 등 전통과 현대가 어울리
북촌 서촌 게 리모델링한 가게가 많다.
Bukchon Located near the Kyungbokgoong Palace, the area is
Seochon lined with traditional houses called ‘Hanok’,
atmospheric tea houses, restaurants and shops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meet.

1970년대에 서울대학교가 있었던 곳으로 문화 예술의


거리로 연극, 음악 공연, 길거리 공연 등이 활발하다.
대학로
Location where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in the
Daehak-ro
1970’s. A street full of culture, arts and is known for
theater, music and street performances.

인디 문화의 상징적인 곳으로 주변에 클럽, 카페, 공연


홍대 근처
장 등이 많아서 젊은 층이 많이 찾는다.
Hongdae
Epicenter of Indie, hipster culture with where the
Area
youth gather to go to clubs, cafes and concerts.

신촌 로터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가 위치하여 대학 문화를 공유할 수 있다.
신촌
Area centered around the Sinchon Rotary surrounded
Sinchon
by Yonsei University, Ewha Women’s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enriched with college life.

외국의 다양한 요리를 만드는 식당이 많으며 현대적 인


이태원 테리어를 한 카페, 식당이 새로 생기고 있다.
한남동 A multinational and cultural area in Seoul where
Itaewon there are many options of cuisine from around the
Hannamdong world as well as many new modern and fashionable
cafes and restaurants.
1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소규모 철물 가게 들이 문을 닫으면서 상업 미술을 하


는 작가들이 입주하여 특색 있는 마을을 만들었다.
문래동
A unique village which used to house small hardware
Munrae-
dong stores, turned into a commercial art area for local
artists.

문래창작촌은 중소 철공소들이 모여있는 문래3가를 중


심으로 2003년부터 만들어진 예술작업실 마을이다.
2000년대 이 지역이 재개발로 인하여 공장들이 다른
곳으로 이전하자 젊은 예술가들이 비어있는 철공소 공
간에 작업실을 만들면서 형성되었다. 회화, 설치, 조각
등 다양한 시각 예술 장르를 볼 수 있으며 거리 공연이
이루어져서 특색 있는 지역이 되었다.
Munrae Creative Village is an art studio village that
문래창작촌 has been built since 2003 around Munrae 3-ga,
기타
Others where small and medium-sized iron works are
gathered. In the 2000s, when the area was
redeveloped and factories moved elsewhere, young
artists created workshops in empty iron
works spaces. Various visual arts genres such as
painting, installation, and sculpture can be seen, and
street performances have been held, making it a
unique area.

붉은 벽돌로 지은 신발, 가죽 가게들이 빵 가게, 식당,

성수동 소품 집 등으로 바뀌면서 분위기 있는 동네로 바뀌었다.


Seongsu- A quaint area where red-bricked shoes and leather
dong
shops turned into bakeries, restaurants and
accessories shops.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19

<문래동>
사진 제공–이수경
2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2) 각 지역의 특산물

특산물은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생산물로 기후나 토양의 영향으로 다른 지역


에서 생산되는 것보다 우수하고 그 지역에서 유명하기 때문에 지역 특산품이라고

한다. 외국에서는 보르도 와인, 스카치위스키, 비엔나소시지 등이 지역 특산물로


그 지역의 이름을 넣어서 상품화되었다. 대표적인 지역 특산품은 다음과 같다.

Local Specialties

Local produce is grown with superior quality in specific regions due to the climate
and geography of the region. Some global examples include Bordeaux wine, Scotch
whiskey and Vienna sausages which have been commercialized with local names. Some

of examples from Korea are as follows:

지역 특산품

지역 지역 특산품

경기도 포천 막걸리, 이천 도자기, 안성 유기


Gyeonggi-do Pocheon Makgeolli, Icheon Pottery, Anseong brass bowl

강원도 원주 옻칠, 횡성 숯
Gangwon-do Wonju lacquer, Hoengseong charcoal

천안 호두과자, 한산 모시, 서천 소곡주, 홍성 새우젓


충청도
Cheonan walnut cake, Hansan ramie, Seocheon sogokju,
Chungcheong-do
Hongseong salted shrimp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21

전주 한지, 남원 목기, 임실 치즈, 영광 굴비, 담양 대나무


전라도
Jeonju Hanji, Namwon Wooden item, Imsil Cheese,
Jeolla-do
Yeonggwang Gulbi, Damyang Bamboo

경주 황남빵, 안동 간고등어, 울릉도 호박엿, 통영 나전칠기


경상도
Gyeongju Hwangnam Bread, Andong Gannmackerel, Ulleungdo
Gyeongsang-do
Pumpkin Starch, Tongyeong Najeon Chilgi

제주도 제주 밀감, 제주 한라봉, 제주 돌하르방


Jeju Island Jeju orange, Jeju Hallabong, Jeju Stone Harubang

하동 녹차 Handong Green Tea


광양 매실 Gwangyang Plum
여주 이천 쌀 Yeoju Icheon Rice
기타 지역 특산물
순창 고추장 Sunchang Chilli Paste
밀양 얼음 사과 Miryang Ice Apple
제주 흑돼지 Jeju Black Pig

<재래시장>
사진 제공 – 이수경
2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재래시장 장터의 모습>


사진 제공–이수경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23

3) 표준어와 지역어

표준어는 한 나라가 언어의 통일을 위하여 정한 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양


있는 사람」 들이 두루 쓰는 「현대」의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하고 있다. 표

준어는 한 나라를 통일된 사회로 만드는 통일의 기능과 다른 나라와 분리하고 독


립시키는 독립의 기능, 교양인이 사용하므로 사회적 우위를 입증해 주는 우월의
기능, 언어 규범을 지키는 준거의 기능을 하고 있다.

지역어는 방언이라고도 하는데 일부 지역이나 지방에서만 쓰는 것으로 표준어


가 아닌 말을 뜻한다. 방언을 사용하면 다른 지역 사람들과는 의사소통이 잘 안 될
때도 있지만 같은 지역 사람들 간에는 동질감과 친근함을 느껴서 평소에는 표준어

를 사용하다가도 같은 고향 사람들을 만나면 지역어를 사용하여 쉽게 친근해지고


고향의 따스한 정감을 느끼기도 한다. 각 지역 방언의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Standard Korean Language vs Dialects

Standard language is a language set nationally as the unification of its language.


The Seoul language of modern times, which is widely used by "cultured people," is
designated as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of the language was aimed
to create unification of the society, independence of the nation and functioned in older

times to identify social class and level of education.


Local languages, or dialects, are still used in some regions. Although dialects are
perceived as difficult to learn and communicate if you are not from the area, once
familiarized, it gives a sense of community and familiarity between the people from the
same region.
2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충청도 지역 Chungcheong Province

Ÿ 말을 조금 끌면서 느리고 천천히 말한다.


Ÿ 문장의 마지막에 ‘야, 여, 유’ 등을 붙여서 말한다.
Ÿ ‘ㅐ, ㅔ’를 ‘ㅑ, ㅕ’로 바꿔서 말한다.

Ÿ Speak slowly and slowly while dragging the horse a little.


Ÿ At the end of the sentence, say ‘야, 여, 유’ etc.
Ÿ Change ‘ㅐ, ㅔ’ to ‘ㅑ, ㅕ’

예) “아부지, 뭐 하세유.... ?” , “그랬어유?” , “뭐여?”, “뭐 하는겨?”,


”뭐햐(혀)?“, ”축하햐(혀)”, “그랬댜”, “피곤햐(혀)” 등.

전라도 지역 Jeolla Province

Ÿ 문장 끝에 ‘ -디, -잉, -재, -브렀다, - 응게’ 등을 사용한다.


Ÿ 물어 볼 때, ‘ -냐’를 붙여서 말한다.
Ÿ ‘아따, 거시기, 겁나게, 오매, 근디’ 등의 부사어를 사용한다.

Ÿ Use ‘ -디, -잉, -재, -브렀다, - 응게’ at the end of the sentence.
Ÿ When you ask, say ' -냐'
Ÿ Use adverbs such as ‘아따, 거시기, 겁나게, 오매, 근디’

예) “내가 했는디”, “ 그것이 아닌디.”, “힘들다잉.”, “맛있다잉.”,


“그것이 아니재.”, “끝나 브렀다.”, “맛있응게 마이 묵어 잉.”,
“ 학교 가냐?”, “ 그게 뭔디?‘ 등.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25

경상도 지역 Gyeongsang Province


Ÿ 억양과 느낌이 강하다.
Ÿ ’요‘를 ’에, 소‘로 바꿔서 말한다.
Ÿ 문장 끝에 ’ - 데이‘를 붙여서 말한다.
Ÿ ’-나?, -노?‘를 붙여서 물어본다.
Ÿ 높임말에서는 ’-는교?‘를 사용한다.
Ÿ 평서문, 의문문, 모두 말 끝의 억양을 내려서 말한다.

Ÿ Strong intonation and feeling.


Ÿ Change ’요‘ to ’에, 소‘
Ÿ Say ’ - 데이‘ at the end of a sentence.
Ÿ Ask with ’-나?, -노?‘
Ÿ In the honorifics,’-는교?‘ use.
Ÿ Written letters, interrogations, and all of them speak with an accent at
the end of a sentence.

예) ” 지금 학교 가예.“. ”어서 오이소~ “, ”고맙데이.“,


” 어디 가노?“, ”식사 하셨는교?”, “어디 사시는교?“ 등.

* “갸가 갸가?” = “ 그 아이가 그 아이입니까?”


* “단디하이소.” = “확실하게 잘 하세요.”

제주도 지역 Jeju Province

Ÿ 육지와 떨어져 있는 지리적 요건으로 다른 어휘를 사용하기도 한다.


Ÿ 표준어와 다른 말이 많이 있다.
Ÿ 질문을 할 때는 ’~꽈?‘를 사용하고 대답을 할 때는 ’~ 수다‘를 사용한다.
2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 Other words may be used as geographical requirements away from land.


Ÿ There are many different words from standard language.
Ÿ When you ask a question, '~꽈?' use. Use ’~ 수다‘ when you answer.

예) “이거 얼마우꽈?”, “이쑤꽈?”, “안녕하시우꽈?” “알았수다.“,


”잘 갑써.“, ”사랑하구다양.“ ”무시거마씨(뭐라고요)?“,
”폭싹 속았쑤다(매우 수고하셨습니다).“ 등.

각 지역에서 사용하는 방언과 표준어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 Region 방언 Dialect 표준어 Standard language

평안도 이 노래 들어봤니?
이 노래 드더 봔?
Pyeongan-do Have you heard this song?

함경도 나무에 무엇이 달렸습니까?


낭게 무시기 달렸음메?
Hamgyeong-do What's on the tree?

황해도 누가 갖다 놨어?
누구라 갖다 놔서?
Huang Hai-do Who brought it?

강원도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가시래요.
Gangwon-do Goodbye.
근데 여긴 어쩐 일이야?
충청도
근데 여긴 우쩐 일이여? By the way, what are you doing
Chungcheong-do
here?
전라도 정말 오래간만이다.
겁나게 오래간만이다.
Jeolla-do It's been a long time.

경상도 아프다고 하지 않았니?


우리하다 안 카나.
Gyeongsang-do Didn't you say you were sick?

제주도 아주머니! 안녕하셨어요?


아주망! 안녕하셔쑤과?
Jeju Island Ma'am! How have you been?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27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 한국에서 어느 지역을 방문해 봤습니까? 그곳은 어땠습니까? 거기에서 무엇을 했


습니까?
What region have you visited in Korea? How was it there? What did you do there?

2. 여러분은 지역어 혹은 방언을 들어 본 적이 있습니까? 어느 지역의 방언이었습니


까? 그 지역의 방언을 말 할 수 있습니까?
Have you ever heard of a local language or dialect in Korea? Which local dialect was
it? Can you speak the local dialect?

3. 여러분 나라의 특산물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소개해 보십시오.


What are some of your country's specialties or what is it famous for? Please introduce
below.
2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확인하기 Let’s Check

1. 대한민국의 수도는 어디입니까?


Where is the capital of Korea?

2. 서울시의 중앙에 있는 산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name of the mountain in the center of Seoul City?

3. 한국의 전통 기념품을 사려고 합니다, 어디로 가야 합니까?


I want to buy traditional Korean souvenirs, where should I go?

4. 전통 한옥을 구경하려고 합니다. 어디에 가야 합니까?


I want to see a traditional Hanok. Where should I go?

5. 문래동과 성수동은 어떤 동네입니까?


What neighborhoods are Munrae-dong and Seongsu-dong?

6. 한국에서 고추장은 어디가 유명합니까?


Where is ‘Gochujang (red pepper sauce)’ famous in Korea?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29

7. 제주도에 가면 어떤 특산품을 살 수 있습니까?


What special products can I buy if I go to Jeju Island?

8. 녹차는 어디가 유명합니까?


Where is green tea famous?

9. 표준어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 3가지 조건을 쓰십시오)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 standard language? (Please write 3 terms)

10. 각 지역 방언의 특징을 이야기 해 보십시오.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dialect.
3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3. 한국인의 이름

한국인의 이름은 가족의 혈통을 나타내는 성(姓)과 이름으로 구분된다. 같은 성

이라도 동일한 지역의 혈통을 뜻하는 씨(본관)가 다르면 친족으로 보지 않는다.


즉, ‘전주 이씨’하고 ‘광주 이씨’는 성이 같지만, 본관이 달라서 동족이라고 할 수
없다.

한국인이 성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씨족 사회에서


지배자가 생기면서 성을 사용했으며 성을 사용하는 것이 중국에서 유입되었다고
추정된다. 높은 벼슬을 하거나 큰 공을 세운 사람에게 임금이 성을 내려주는 풍습

이 있었으며 조선 후기에는 평민이나 천인이 스스로 본인이 성을 만들어 사용하기


도 했다.
현재 약 5,500개의 성이 있는데 가장 많은 성은 김해 김(金)씨이다. 이외에도

이, 박, 최, 정 씨가 많다. 박씨, 석씨는 신라 시대부터 내려왔으며 제주도에서는 고


씨, 부씨, 양씨가 대표적인 토착 성씨이다.
한국은 부계사회로 아버지의 성을 따르며 결혼을 해도 유럽이나 미국처럼 성이
바뀌지 않는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국에서는 남녀의 본관이 같으면 결혼을 할
수 없었다. 한국인의 이름에는 혈통의 계보를 나타내는 항렬에 따라 같은 세대의
친족은 이름의 가운데 나 마지막 글자에 항렬에 따라 같은 글자를 사용한다.

일제 강점기인 1940년에 일본은 한국인들이 조선의 성과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


게 한자를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어 민족의식을 말살시키고자 했다. 해방 이후에는
한자 이름뿐 아니라 순수한 한글로 만든 이름인 가람, 이슬, 하늘, 보라, 한빛 등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이름은 부드러우며 아름다움이나 미덕을 나타내는 한자가 많
이 사용되었다. 각 시대별로 많이 사용된 이름은 다음과 같다.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31

인기 있는 남자 이름 인기 있는 여자 이름
시대 Era
Popular Man Name Popular Female Name

1940-50년대 영수, 영후, 영식 정자, 영자, 순자, 정숙, 정희

1070년대 정훈, 성호, 성훈 미영, 은주, 은경, 미경

1090년대 지훈, 동현, 성민, 현우 유진, 민지, 수빈, 지은

2000년대 민준, 지훈, 현우 서연, 민서, 지우

Names of Korean People

Korean names are divided into surname and first name. Even the same surname is
not regarded as a relative if the family clan, which represents the blood of the same
region, is different. In other words, ‘Jeonju Lee’ and ‘Kwangju Lee’ have the same

surname, but they can not be said to be kin because they have different family clans.
The exact timing of when Koreans started using surname is unknown, but it is
presumed that the use of surnames came from China as a ruler was formed in the clan

society. It was customary for the king to give surname to people who accomplished
high result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commoners and other people made their
own surname. Currently, there are about 5,500 surnames, most of which are Kim.
Besides, Lee, Park, Choi, and Jung are many. Mr. Park and Mr. Seok have been
descended since the Silla period, and Mr. Go, Mr. Bu and Mr. Yang are representative
indigenous surnames on Jeju Island.
As a patriarchal society, Korean follows the father's last name and marriage does not
3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change the surname like Europe or the United States. Not long ago, in Korea, marriage
was not possible if both men and women had the same family clans. In the Korean

name, relatives of the same generation use the same letter according to the middle letter
or the line of the name, according to the line that represents the lineage of the lineage.
In 1940,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 attempted to annihilate national

consciousness by changing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to Japanese


pronunciation to prevent Koreans using Korean pronunciation in their names. After
liberation, not only the names of the Chinese characters, but the names made of pure
Hangul, such as 가람(Garam), 이슬(Iseol), 하늘(Haneol), 보라(Bora) and 한빛(Hanbit)
were used. In general, women's names are soft and many Chinese characters are used
to indicate beauty or virtue. The names used frequently in each period are as follows.
Ⅰ. 대한민국의 상징물과 한국인의 이름 33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여러분이 아는 한국 이름을 이야기하고 그 이름이 뜻하는 것을 이야기해 봅시다.


Please indicate an example of a Korean name you are familiar with
and describe the meaning behind the name.

2. 여러분이 가지고 싶은 한국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is a Korean name you would like to have?

3. 여러분의 나라에서는 이름을 어떻게 짓습니까? 친구들에게 여러분 나라의 이름을


지어 주고 그 이름이 의미하는 것을 이야기해 보세요.
In your country of origin, how does on choose their name? Give a
friend a name that originates from your country and explain its
meaning.
3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확인하기 Let’s Check

1. 한국 사람들의 이름은 ‘성(姓)’과 이름으로 구분되는데 ‘성’이 같으면 모두 같은


친족으로 봅니까?
Korean people's names are divided into ‘Last Name(姓)’ ‘ and ’First Name’.
If ‘Last Name’ is the same, are they all considered the same relative?

2. 한국에서는 아버지, 어머니 중에서 누구의 성을 따릅니까?


In Korea, which last name is followed typically? The mother’s or the
father’s?

3. 한국에서는 결혼하면 ‘성’이 남편의 성으로 바뀝니까?


In Korea, when you get married, does the 'last name' change to the
husband's last name?

4. 한국인의 이름에서 ‘항렬’은 무엇을 말합니까?


What does 'Hangyeol' in the Korean name mean?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35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Founding Myth and Seasonal Customs of Korea

1. 건국 신화(설화)
Founding Myth (Sulhwa)

2. 한국의 4대 명절
Four Major Holidays in Korea
3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37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Founding Myth and Seasonal Customs of Korea

1. 건국 신화(설화)
Founding Myth (Sulhwa)

1) 단군신화

한국에는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다고 한다. 그리고 신석기 시대부터 씨


족. 부족의 형태로 마을에 정착하여 농업과 목축을 시작했다. 농경 시대에는 하늘
에 제사를 지냈으며 청동기를 사용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신화는 나라를 건국한

왕에 대한 신비로운 이야기로 한반도의 시조인 단군에 대한 신화는 다음과 같다.


먼 옛날에 하늘을 다스리는 환인이라는 임금이 있었는데 환인은 환웅이라는 아
들이 있었다. 환웅이 인간 세상으로 내려가서 행복한 나라를 만들고 싶어 하자 환
인은 환웅에게 비, 구름, 바람을 다스릴 수 있게 하고 3,000명의 무리와 함께 인간
세상으로 내려가게 했다.
환웅은 지금의 백두산 근처에 내려와 백성을 다스렸다. 그런데, 곰 한 마리와 호
랑이 한 마리가 환웅을 찾아와 사람이 되게 해 달라고 요청을 했다. 환웅은 곰과
호랑이에게 쑥과 마늘을 주면서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말고 굴속에서 소원을
빌면 사람이 될 것이다”라고 했다. 그런데 호랑이는 힘든 것을 참지 못하고 굴에서
뛰쳐나왔다. 그러나 곰은 100일을 잘 참고 소원을 빌어서 웅녀라고 하는 어여쁜
여자가 되었다. 웅녀는 환웅과 결혼해서 아들을 낳고 이름을 단군이라고 지었다.
단군은 B.C. 2333년에 평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고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웠다.
3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Dangun Myth

It has been said that people have lived in the Paleolithic era in Korea. Settled in the
village in the form of a tribe, began farming and herding. During the agricultural era,
they served rituals in the sky and extended their power using bronze ware. The myth

is a mysterious story about the king who founded the country, and the myth of Dangun,
the founder of the Korean Peninsula, is as follows.
A long time ago, there was a king named Hwan-in, who ruled the sky. Hwan-in had

a son named Hwan-woong. When Hwan-woong wanted to go down to the human world
and create a happy country, Hwan-in allowed Hwan-woong to control the rain, clouds,
and wind, and made him descend into the human world with 3,000 people.
Hwan-woong came down near the present Mt. Baekdu to rule the people. However, a
bear and a tiger came to Hwanwoong and asked him to make them human.
Hwan-woong gave mugwort and garlic to bears and tigers and said, "If you don't look

at the sunlight for 100 days and make a wish in the cave, you will be a person."
However, the tiger could not stand and jumped out of the cave, but the bear became
a pretty woman called a Woong-nyeo, wishing well for 100 days. Woong-nyeo married

Hwan-woong and had a son, and named him Dangun. In 2333B. C. Dangun designated
Pyongyang as the capital city and established Gojoseon as a country.

2) 고구려의 건국 설화

고조선이 중국의 한나라에 의해 무너진 후 B.C. 37년에 주몽이 고구려를 세웠는


데 주몽에 대한 건국 설화는 다음과 같다.
하늘에 사는 황제의 아들 해모수는 압록강에서 목욕하던 하백의 딸, 유화를 보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39

고 그 아름다움에 빠졌다. 해모수가 유화를 데리고 궁중에 왔는데 눈이 부신 햇살


이 유화의 몸을 비추더니 아기를 갖게 되었다. 유하가 아기를 낳고 보니 큰 알이었

고 그 안에서 사내아이가 태어났다. 아기가 크게 자라면서 훌륭한 활 솜씨를 보여


주어 주몽(활을 잘 쏘는 사람)이라고 불렀다. 주몽은 주몽을 시기하는 형제 왕자
들과의 싸움에서 물고기와 자라가 놓은 다리를 건너 졸본성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

고 ‘고구려’라고 이름을 짓고 자신의 성을 ‘고’라고 하여 고주몽은 22세에 고구려의


시조가 되었다.

Goguryeo's Founding Story

After Gojoseon was overthrown by China's Han Dynasty, Jumong founded Goguryeo
in 37 B.C.
Haemosu, the son of the emperor who lived in the sky, fell in love with a Yuhwa
of Habaek's daughter, who was bathing in the Yalu River. Haemosu came to the court
with Yuhwa. When the bright sun shined on her body which gave her a baby. When

Yuhwa gave birth, it was to a big egg and a baby boy was born from the egg.
It was called Jumong (the person who shoots a bow well) because the baby grew up
and showed great bow skill. In a battle with envious brothers prince, Jumong crossed

a bridge between a fish and soft–shelled turtle to reach Zolbon Castle, established a
country, named it 'Goguryeo', and named his family name as a 'Go'. Go Ju-mong
became the founder of Goguryeo at the age of 22.
4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3) 백제의 건국 설화

백제는 한강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충청도, 전라도 지역은 물론 강원도와 황해도


일부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백제는 중국과 문물을 직접 교류하고 중국에서 들어온

불교를 일본에 전달하였으며 문화 수준이 높았다.


백제의 건국이 야기와 신화에는 여러 이야기가 있지만, 백제인의 조상은 고구려
계통이라고 생각된다. 백제 신화를 살펴보면 백제를 세운 사람은 주몽의 아들인

온조와 비류이다. 주몽에게는 유리라고 하는 다른 아들이 있었는데 유리가 태자가


되자 온조와 비류는 고구려를 떠나 남쪽으로 향했다. 비류가 서쪽 지방에 있는 바
닷가에 자리를 잡으려 하자 신하들이 말렸다. 그러나 비류는 이를 듣지 않고 그 지

역에 도읍을 정했는데 번성하지 못하였다. 온조는 신하들이 추천한 지역에 도읍을


정하고 농사를 지어 백성들을 풍요롭게 살게 했다. 나중에 비류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죽었고 온조는 주위에 있는 작은 나라들을 정복하여 백제를 건국하였다.

Baekje's Founding Story

Baekje developed around the Han River and expanded its territory not only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but also in Gangwon-do and Hwanghae-do. Baekje


exchanged cultures directly with China, brought Buddhism from China to Japan, and
had a high level of culture.
There are many stories in the founding and myth of Baekje, but it is thought to be
from the Goguryeo family. Looking at the myth of Baekje, the people who founded
Baekje are Onjo and Biryu, the sons of Jumong.

Jumong had another son named Yuri, but when Yuri became a prince, Onjo and
Biryu left Goguryeo and headed south. When Biryu tried to settle on the seashore in
the western part, the officials stopped them. However, the Biryu did not hear this, but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41

decided to set up a city in the area, but did not flourish. Onjo decided to set up a city
in the area recommended by his servants and farmed it, and the people lived in

abundance. Later, Biryu died regretting his fault, and Onjo conquered the small
countries around him and founded a country called Baekje.

4) 신라의 건국 설화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보다 20~40년을 앞선 B.C. 57년에 경주 근처에 나라를


세웠다. 신라는 불교를 장려했으며 중국 당나라와 연합하여 660년에 백제를 무너
뜨리고 668년에는 고구려를 이겨 삼국을 통일하였다.

신라의 건국 신화를 보면 B.C. 69년에 진한 땅에 있던 여섯 마을의 우두머리가


모여 나라를 세울 임금을 의논하고 높은 산에 올라가서 주위를 보니 근처 우물가
에서 이상한 빛이 보였다. 가까이 가 보니 큰 알이 있었는데 그것을 깨보니 광채가

나는 남자아이가 나왔다. 이에 여섯 부족의 우두머리는 하늘이 내려준 임금이라


하여 혁거세(세상을 밝게 다스리는 말)라고 부르고 알이 바가지처럼 생겼다고 하
여 성을 ‘박’이라고 하였다. 박혁거세는 서라벌이라는 나라를 세웠는데 이는 나중
에 신라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Silla's founding story

Silla was founded 20 to 40 years ahead of Goguryeo and Baekje in B.C. 57,in a
place of Gyeongju. Silla promoted Buddhism and united with the Chinese Tang dynasty
to defeat Baekje in 660 and defeat Goguryeo in 668 to unify the Three Kingdoms.

According to the founding myth of Silla, in B.C.69, the heads of six villages in the
dark land gathered to discuss the king who would set up the country, climb the high
mountains, and look around to see a strange light at a nearby well. When they got
4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close, there was a big egg, but when it broke a boy radiating light emerged.
Accordingly, the head of the six tribes called him Hyeok-geo-se (meaning “one that

governs the world brightly”) because he was a king from heaven, and called the
surname “Park” because the egg looked like a gourd. Park Hyeok-geo-se established a
country called Seorabeol, which was later renamed Silla.

5) 가야의 건국 설화

낙동강 유역은 기름진 평야로 농업과 함께 철기 문명이 크게 발달되어 중국이나


일본에 철을 수출했다. 9개 지역의 추장이 각 지역의 백성을 다스리고 있었는데 하

루는 구지봉에서 소리가 들려 구지가를 불렀더니 하늘에서 보랏빛 줄이 내려오고


붉은 보자기 안에 6개의 황금알이 들어 있었다. 9개 추장 중 한 명이 이를 집에 가
져가서 12시간 후에 열었더니 여섯 게의 알이 어린아이로 변했다. 그 중의 가장 먼

저 태어난 아기가 수로였다. 수로는 금관가야의 왕이 되었고 다른 다섯 사람도 각


각 다섯 가야국의 왕이 되었다고 한다.

Gaya's Founding Story

The Nakdong River basin is a fertile plain, and along with agriculture, iron
civilization developed greatly, and iron was exported to China and Japan. The chiefs of
nine regions ruled the people of each region. One day, a voice was heard from
Gujibong, and the Gujiga was called, and a purple line descended from the sky and six
golden eggs were contained in red cloth. One of the nine chiefs took it home and
opened it 12 hours later, turning six eggs into children. The first baby born was ㅊ
called ‘Suro’. It is said that the ‘Suro’ became the king of Geumgwan Gaya and the
other five also became kings of five Gaya countries.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43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 한국의 건국 신화(설화)를 듣고 느낀 점을 이야기해 봅시다.


Please describe what your thoughts were upon listening to the

mythical origin story of the founding of Korea.

2. 여러분의 나라는 어떻게 건국되었습니까?


How was your country founded?

3. 여러분의 나라에 있는 신화나 설화를 소개해 보십시오.


Introduce myths and stories from your country.
4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확인하기 Let’s Check

1. 하늘을 다스리는 환인의 아들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name of Hwan-in's son who rules the sky?

2. 사람이 되고 싶은 곰과 호랑이 중에서 누가 여자로 되었습니까? 이름은 무엇입니


까?

Which one became a woman when requested to become human between


the bear and the tiger? What was their name?

3. 웅녀와 환웅이 낳은 아이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was the name of the child that ‘Woong-nye’ and ‘Hwan-woong’ gave
birth to?

4. 한국에 처음 생긴 나라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was the name of the first country in Korea?

5. 고구려를 처음 만든 사람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was the name of the person who first created Goguryeo?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45

6. ‘주몽’은 무슨 뜻입니까?
What does ‘Jumong’ mean?

7. 백제는 지금의 어느 지역에 나라를 세웠습니까?


Where did Baekje set up the country now?

8. 백제를 세운 사람은 누구입니까?


Who founded Baekje?

9. 신라를 세운 사람은 누구입니까?


Who built Silla?

10. 신라라는 이름을 정하기 전에 이 지역을 어떻게 불렀습니까?


What was Silla called before it was named?

11. 6개의 황금알 중에서 가장 먼저 태어난 아이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name of the first child born out of six golden eggs?

12. 가야는 무엇을 중국과 일본에 수출했습니까?


What did Gaya export to China and Japan?
4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2. 한국의 4대 명절
Four Major Holidays in Korea

1) 설 (설날)

설날은 전통 명절 중 최대의 명절로 음력 정월 초하룻날(음력 1월 1일)을 설(혹


은 설날)이라고 한다. ‘설’이라는 말은 새해를 맞이하여 ‘낯설다’, ‘설다(익숙하지
않다)’라는 말에서 유래 되었다고도 한다. 그리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첫날인 설
을 지내면 한 살을 먹고 해가 바뀜에 따라 설을 지내면서 나이를 먹기 때문에 나이
를 뜻하는 ‘살’은 ‘설’이 변화하여 된 것이라고 한다. 설은 전날부터 시작된다. 섣달

그믐날(음력 12월 31일)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설날 아침에는 한복을 차려입고 돌아가신 조상님께 새해 인사를 드리는 ‘차례’로
시작된다. 차례는 큰 집에서 지내며 차례에 올릴 음식을 준비하기 위하여 전날부

터 떡국, 갈비찜, 전, 나물, 잡채 등을 준비한다. 차례가 끝난 다음에는 집안 어른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말을 하면서 세배한다. 설날 하는 큰 절을 ‘세배’라
고 하며 어른은 세배를 받으면 아이들에 ‘세뱃돈’을 주고 덕담을 한다.
설날에 먹는 음식을 ‘세찬’이라고 하는데 떡국이 대표적인 명절 음식이다. 떡국
이외 빈대떡, 식혜, 수정과 등을 먹는다. 한국에서는 설날에 떡국을 먹어야 ‘한 살
을 더 먹는다.’고 한다.
‘설빔’은 설날에 입는 새 옷을 뜻한다. 보통 어린아이들은 색동저고리를 입거나
노랑이나 녹색 저고리에 붉은 치마를 입는다.
차례를 지내고 가족들에게 세배한 다음에 온 가족이 모여 화기애애한 이야기를
나누거나 민속놀이를 한다. 가장 대표적인 놀이는 윷놀이와 연날리기, 널뛰기, 제
기차기 등으로 윷놀이는 다섯 개의 막대기를 던지며 하는 놀이로 남녀노소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다. 다섯 개의 막대기는 다섯 마리의 동물을 나타내는데, 도(돼지),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47

개(개), 걸(양), 윷(소), 모(말)를 뜻한다.


설날에는 고향에 있는 부모님을 찾아뵙고 형제들과도 오랜만에 만나므로 전국적

으로 대이동이 일어난다. 이로 인하여 서울에서 지방으로 가는 길은 매우 혼잡하


고 길이 많이 막힌다. 고향에서 설날을 보내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은 고향에서 받
은 선물과 함께 훈훈한 부모님의 마음을 가슴에 한껏 담고 시작하는 한 해의 출발

점이 된다.

Lunar New Year

New Year's Day is the largest of the traditional holidays, and the first day of the

Lunar New Year (January 1 of the lunar calendar) is called ‘Seol (or Lunar New Year)’.
It is said that the word 'Seol' is derived from the word ‘unfamiliar', 'standing
(unfamiliar') to celebrate the new year, and the first day of the new year, 'Seol', gains

one year and changes the year. Therefore, it is said that 'sal', which means age, is a
change of 'Seol'. The New Year begins a day before. There is also a story that when
you sleep on New Year's Eve (December 31, Lunar New Year), your eyebrows become
white.
On the morning of the New Year, it begins in a time to have memorialate the
ancestors who passed away and it is called ‘Charyeo’. In order to prepare food for

‘Charyeo’, rice cake soup, galbi jjim, jeon, and japchae are prepared from the day
before.
After the ‘Charyeo’, Koreans need to do a “Big Bow on New Year” to grandparents,
parents and elder relatives. It is called ‘Sebae’ and while doing ‘Sebae’ they say ‘
“saehae bog manh-i bad-euseyo (Happy New Year – wishing you a great fortune in new
year)” Then, adults give ’sebatdon(money)’ to children.
4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The food eaten on New Year's Day is called ‘Sechan’. While rice cake is the most
representative food, other foods eaten are bindaetteok, sikhye, sujeongwa. In Korea,

eating rice cake soup on New Year's Day is said to “eat one more year(additional year
is added to your age which is Korean age).”
'Seolbim' means new clothes to wear on New Year's Day. Usually, young children

wear a colored jacket or a red skirt with a yellow or green jacket.


After ‘Sebae’, the whole family gathers to share a friendly story or play a folk game.
The most typical games are ‘Yutnoli, Kite Flying, Jumping, and Jeogi Kick. ’Yutnoli’
is a game that throws five sticks and can be enjoyed by both men and women. Five
sticks represent five animals, meaning do (pig), gae (dog), geol (sheep), yut (cow), and
mo (horse).

On New Year's Day, Koreans visit parents in hometown and meet with families for
a long time, so people makes a big move across the country, which makes the road
from Seoul to the countryside very crowded and blocked. The way back home from
New Year's Day and returning home is the starting point to start the year with a heart
of the parents who have warmed up with the gifts they received from their hometown.

<떡국>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49

<차례상>
사진제공(브이엔드)-한국관광공사

<설날 고궁 산책>
국림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
5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설날 연날리기>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윷놀이>
국림민속박물관 , https://www.nfm.go.kr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51

2) 한식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한식은 동지(1년 중에 밤이 제일 긴 날)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다. 설날, 단


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 중의 하루로 보통 양력 4월 5일이나 6일쯤 된다. 이 시

기는 농사를 짓기 위한 씨를 뿌리거나 나무를 심기에 알맞은 시기이다. 조상의 산


소를 찾아가서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하며 보낸다.
성묘는 봄, 가을에 조상의 묘에 가서 길게 자란 풀을 자르고 손질하는 의례를 말

한다. 성묘하는 풍습은 중국 당나라부터 시작되었는데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은 신


라 시대로 알려져 있다. 고려 시대에는 한식이 대표적인 명절로 중요시되었다.
한식에 불을 피우지 않고 찬밥을 먹는 것은 중국의 풍습에서 유래 되었다. 농촌

에서는 한식날부터 씨를 뿌리면서 농사철이 시작되는데 이날 비가 오면 그 해는


풍년이 든다는 이야기가 있다.

Hanshik (105th day from the winter solstice)

‘Hanshik’ is the 105th day from the winter solstice (the longest day of the year).
Along with Lunar New Year, Dano and Chuseok, this is one of the four major
holidays, usually about April 5th or 6th. This is the right time to plant seeds or plant
trees for farming.
‘Seongmyo’ is a ritual that goes to the ancestral graves in spring and autumn to cut
and trim long-grown grass. The sacred custom began from the Tang Dynasty in China,
and it is known as the Silla period that was brought to Korea. In the Goryeo period,
Hanshik was valued as a representative holiday.
Eating cold rice without burning Korean food originated from the custom of China.

There is a story that in the farming season, the seeding starts from the Hanshik day,
and when the rain rains on that day, the year takes a plunge.
5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3) 단오 (음력 5월 5일)

단오는 1년 중에 양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음력 5월 5일에 지낸다.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자는 ‘오(五)’를 뜻하여 단오는 오월

의 ‘초닷샛(初 五日)날’이라는 뜻이다. 단오를 다른 말로 ‘수릿날’이라고도 한다.


단오는 모내기가 끝나고 여름이 시작되는 기간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
기도 한다.

단오의 유래는 중국 초나라 때 굴원(屈原)이라고 하는 신하가 모함을 당하자 자


신의 결백을 주장하기 위하여 강에 빠져 죽었는데 그날이 5월 5일이었다. 굴원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제사를 지낸 것이 단오의 시작이 되었다.

단옷날 여자들은 창포라고 하는 식물을 삶아 그 물로 머리를 감았고 쑥을 넣은


떡을 먹기도 한다. 창포물로 머리를 감으면 윤기가 나고 귀신을 쫓는다고 믿었다.
단오에 하는 민속놀이로는 그네뛰기와 씨름이 있다. 옛날에는 부녀자들이 집 밖

외출을 잘 못 했지만 이날에는 밖에서 그네 뛰는 것이 허용되었고 남자들은 씨름


을 했다.
지역에 따라 산신령과 남녀 수호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민속놀이를 하는 단오제
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강릉단오제’로 2005년에 유네스코 인류 구
전 및 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Dano (May 5th of the lunar calendar)

Dano is said to be the most energetic day of the year, and it is on May 5th of the
lunar calendar. Dano's ‘dan(端)’ means the first one, and ‘oh(午)’ means ‘five(五)’, also
pronounced as ‘oh’ which means ‘chodatsat(初 五日) day’ in May. Dano is also called

‘Suritnal’ in other words. Dano is a period where planting ends and summer begins.
The origin of Dano came from the Chinese dynasty, when a subordinate named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53

Gulwon was confronted and died in the river to claim his innocence, but it was May
5th. It was the beginning of Dano that he served as a sacrifice to comfort the souls of

Gulwon.
On the day, women boil a plant called iris and wash their hair with the water and
eat rice cake with mugwort. It was believed that if you wash your hair with irises, it

will shine and chase the ghosts. Dano folk games include swinging and Korean
wrestling. In the old days, women were not accustomed to going out of the house. On
this day, swinging outside was allowed, and men wrestled.
Depending on the region, there are Dano festivals that perform rituals and play
folklore to the mountain gods. The most famous of these are Gangneung Danoje, which
was listed in UNESCO World Intangible Heritage in 2005.

<강릉 단오제>
사진제공(강릉단오문화관)-한국관광공사
5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씨름>
사진제공(울산군청)-한국관광공사

4) 추석 (음력 8월 15일)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중추절·가배라고도 부르며 일 년에서 두 번째로

큰 명절이다. 봄에 씨를 뿌린 농작물과 과일들이 더운 여름을 지내면서 무르익어


가을에는 수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일 년 중 가장 큰 보름달을 볼 수 있는 날로
즐겁고 모든 것이 풍성한 날이다. 덥지도 춥지도 않은 계절에 추수기를 맞이하여

풍년을 축하하는 날이기 때문에 ‘1년 열두 달 365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


만 같아라.’ 라는 말이 있다.
추석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측된다. 추석의 순수우리말인 한가위
는 ‘한’은 크다는 말이고‘ 가위’는 가운데를 말한다. 신라 시대에 여인들이 실을 짜
던 것을 ‘가배’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변해서 ‘가위’가 되었다고 한다.
추석날 아침에는 설날과 같이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그러나 설날과 달리 추
석날에는 떡국 대신 햅쌀로 지은 밥과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들고, 햇과일을 놓고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55

차례를 지낸다. 추석 전이나 추석날에는 가족들과 조상의 산소에 성묘 가서 조상


의 은혜에 감사하고 벌초를 한다.

추석의 대표적인 음식은 송편이다. 송편은 쌀가루를 반죽하여 동그랗게 모양을


만든 다음에 그 안에 깨, 콩, 밤, 대추 등을 넣어서 소나무 가지 위에 놓고 쪄서 먹
는 것으로 온 가족이 모여 만든다. 예로부터 송편을 예쁘게 만들면 멋있는 배우자

를 만나거나 예쁜 딸을 낳는다고 하여 예쁜 송편을 만들려고 한다.


한 해의 수확에 감사하고 축하하는 날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농악과 춤을 추면서
노래를 한다. 특히 보름달이 뜬 밤에 여인들은 둥근 원을 만들면서 노래와 함께 춤
을 추는데 이것을 ‘강강술래’라고 한다. 강강술래는 2009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유
산’에 등재되었다.

Chuseok (August 15th of the lunar calendar)

Chuseok is also called Hangawi, Mid-Autumn Festival, and Gabae on August 15 of


the lunar calendar, and is the second largest holiday in the year. The crops and fruits
sown in spring pass through the hot summer, ripening and harvesting in the fall. In
addition, it is a day where you can see the largest full moon of the year, and it is a
day full of joy. There is a saying, 'It is a day when twelve months, 365 days a year,

no more, no less, no more than one day,' because it is a day when the harvest season
is celebrated in the hot and cold season.
It is presumed that Chuseok began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Chuseok's
Korean language, Hangawi, 'Han' means large, and ‘Gawi' refers to the middle. In the
Silla period, women were weaving yarns called 'Gabae', which changed to become
'Gawi'.
5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On the morning of Chuseok, they pay tribute to their ancestors like Seollal. Unlike
Seollal, however, on Chuseok, instead of rice cake soup, cook rice with new rice crops.

On the day before Chuseok or on the day of Chuseok, the family members visited
ancestors grave to thank for grace.
The typical food of Chuseok is ‘Songpyeon’. Songpyeon is made by kneading rice

flour to form a round shape, and then putting sesame seeds, beans, chestnuts, and jujube
in the pine branches and have steamed for eating it. Since ancient times, ladies have
tried to make pretty Songpyeon because we thought that making it pretty would meet
a wonderful spouse or give birth to a pretty daughter.
People are singing while dancing with the traditional music because it is a day of
thanksgiving and celebration of the year's harvest. In particular, on the night when the

full moon rises, women make a round circle and dance with songs. This is called
‘Ganggangsullae’. Ganggangsullae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Intangible
Heritage in 2009.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57

<추석 모시 송편>

〈강강술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ENCYKOREA.AKS.ac.kr)
5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여러분은 한국에서 명절을 경험했습니까? 명절에 무엇을 했습니까? 한국에서 경


험한 명절에 관하여 이야기해 보세요.
Have you experienced a national holiday in Korea? What did you do for the
holidays? Talk about the holiday you experienced in Korea.

2. 여러분 나라에서는 ‘설날(New Year’s Day)’ 에 무엇을 합니까? 여러분 나라에


서 설날에 먹는 특별한 음식은 무엇입니까?
What do you do for 'New Year's Day' in your country? What special food
do you eat on New Year's Day in your country?

3. 여러분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명절에 관하여 이야기 해 봅시다.


Please discuss what are som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holidays in
your country.
Ⅱ. 건국신화와 세시풍속 59

확인하기 Let’s Check

1. 한국의 설은 몇 월 며칠입니까?
When is the Korean New Year?

2. 한국 사람들은 설날 아침에 제일 먼저 무엇을 합니까?


What do Koreans do as the first thing in the day on New Year's Day?

3. 설날에 하는 축하 인사말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congratulatory greeting on New Year's Day?

4. 설날에 먹는 음식은 무엇이 있습니까?


What food do you eat on New Year's Day?

5. 설날에는 어떤 놀이를 합니까?


What games do you play on New Year's Day?

6. 한식은 언제입니까?
When is Hanshik?

7. 한식에는 무엇을 합니까?


What do you do on Hanshik day?
6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8. 단오는 언제입니까?
When is Dano?

9. 단옷날 하는 것으로 유네스코 무형문화재에 등록된 민속놀이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name of the folk game register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is played on the day of Dano?

10. 추석은 몇 월 며칠입니까?


When is Chuseok?

11. 추석을 다른 말로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is another name for‘ Chusok’?

12. 추석에는 무엇을 합니까?


What do you do on Chuseok?

13. 추석에 먹는 음식 이름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name of the food you eat on Chuseok?

14. 추석날 밤에 보름달 아래서 추는 춤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is the dance called on Chuseok when people make a dance in a circle

under the full moon?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Elegant Traditional Korean Dress and Accessories

1. 한복
Traditional Korean Dress

2. 장신구
Traditional Korean Accessories
6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63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Elegant Traditional Korean Dress


and Accessories

1. 한복

한복은 한국의 고유한 전통 의복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를 보면 4~6세기에 한복


을 입었음을 알 수 있다. 여자 한복은 저고리, 치마, 두루마기, 조끼, 마고자로 구성
되며 남자 한복은 치마 대신 바지를 입는다. 한복과 같이 신는 양말을 ‘버선’이라고
하고, 신발을 ‘고무신’이라고 한다. 여자는 한복 치마 안에 속바지를 입었으며 계절
에 따라 한복 속에 여러 겹의 옷을 입을 수 있다. ‘마고자’는 남자 한복 저고리 위
에 입는 것이며 ‘두루마기’는 외출할 때 입는 코트와 같은 옷이다.
한복 디자인은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루고 짧은 상의와 풍성한 치마
는 한복의 우아함을 돋보이게 한다.

한복의 색상은 오방색을 기본으로 하며 음양오행설에 따라 저고리와 치마의 색


을 맞춰서 입고 한복을 입고 가는 장소나 사회적 신분에 따라 한복의 색상이 정해
지기도 했다. 저고리의 소매에 빨강, 파랑, 노랑, 연두 등 여러 줄무늬 색을 넣은
것을 ‘색동’이라고 하며 이런 저고리를 ‘색동저고리’라고 한다. ‘색동저고리’는 어린
아이들이 입는데 여자들은 결혼한 후에는 ‘색동저고리’를 입을 수 없다.
한복 저고리의 길이가 각 시대에 따라 변화했기 때문에 그 당시에 유행한 패션

흐름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날, 추석, 결혼식 등 특별한 날에 한복을 입는다.


6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Hanbok (Traditional Korean Dress)

Hanbok is a traditional Korean dress. If you look at the murals of the ancient tombs
of Goguryeo, you can see that they wore Hanbok in the 4th-6th centuries. Women's

Hanbok consists of a Jeogori, a skirt, a scroll, a vest, and an outer jacket called
‘Magoja’. Men's Hanbok wears pants instead of a skirt. Socks that you wear with
Hanbok are called ‘Beoseon’, and shoes are called ‘Gomushin’. The women wear

underpants in the Hanbok skirt, and depending on the season, she can wear several
layers of clothes in the Hanbok. 'Magoja' is worn over a man's Hanbok upper garment
called Jeogori, and 'Durumagi' is the same coat worn when going out.

The Hanbok design combines straight lines and soft curves, and the short tops and
full skirts highlight the elegance of Hanbok.
The color of Hanbok is based on five colors, and according to the yin and yang five

lines, the color of the Jeogori and the skirt are matched, and the color of the Hanbok
is also determined depending on the event or the location where you are going to. The
color of red, blue, yellow, and yellow streaks on the sleeves of the jacket is called
‘Saekdong’, and such a jacket is called ‘Saekdong Jeogori’. ‘Saekdong Jeogori’ is worn
by young children, but women cannot wear ‘Saekdong Jeogori’ after getting married.
The length of Hanbok jeogori changed according to each era, and you can see the

fashion trend over the years.


Generally, Hanbok is worn on special days such as New Year's Day, Chuseok, and
weddings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65

<전통 남자 두루마기>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전통 여자 혼례 예복>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6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색동 치마저고리> <복주머니>

<복주머니> <복주머니>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67

<한복에 신는 버선>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한복에 신는 신발>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6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2. 장신구
Traditional Korean Accessories

1) 족두리

족두리는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 여자들이 머리에 쓰는 것이다. 조선 시대에 상


류층의 부녀자만 쓸 수 있었으나 점차 서민들도 결혼식을 할 때는 족두리 착용을

허가 했다. 요즘도 결혼식을 하고 폐백(남편 가족, 친척들에게 인사하는 행사)을


할 때 족두리를 쓴다.
결혼하지 않은 젊은 여자는 머리끝에 ‘댕기’를 달았다.

Jokduri
‘Jokduri’ is what women wear on their <족두리〉
heads when there is a special occasions
.In the Joseon Dynasty, only the upper
class women could wear it, but gradually
the commoners also allowed them to
wear the ornaments when they were .
getting married.
These days, people still wear Jokduri
when they have a wedding ceremony and
do a Peybaek (a ceremony to greet their
husband's family and relatives). A young
woman who is not married typically
wears 'Danggi' on the ends of their hair.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69

〈족두리 - 한복숍〉
사진 제공–이수경

2) 노리개

노리개는 한복 저고리의 안쪽에 다는 장신구로 노리개의 뜻은 ‘소중한 물건’, ‘아


끼는 물건’이라는 의미가 있다. 노리개의 종류는 다양하여 자수로 만든 것도 있지
만 금이나 보석으로 만든 화려한 노리개도 있다. 노리개를 달면 단순한 한복에 화

려함과 아름다움을 더 해 주는 효과가 있다.


7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Norigae

Norigae are ornaments hung on the Jeogori(upper garment) and its


meaning comes from “precious / specula objec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Norigae, and some are made of embroidery, but some are
made of gold or jewelry. Wearing a Norigae adds glamour and beauty to a simple
Hanbok.

<노리개>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노리개〉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71

<규방 공예 물건들 – 강릉 선교장 >

사진제공(이범수)-한국관광공사
7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 한복을 입어본 적이 있습니까? 한복을 입었을 때 느낌이 어땠습니까?


Have you ever worn the Hanbok? How did you feel when you wore

Hanbok?

2. 여러분은 어떤 스타일의 한복을 입고 싶습니까?


What style of Hanbok do you want to wear?

3. 여러분 나라의 전통 옷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전통 옷의 특징을 이야기해 봅시다.


What do you call traditional clothes of your country? Please discus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lothes.

4. 여러분 나라의 전통 옷을 입을 때 하는 장신구는 어떠한 것이 있습니까?


What kind of ornaments do you wear when you wear traditional clothes in

your country?
Ⅲ. 우아한 한복과 장신구 73

확인하기 Let’s Check

1. 한복과 같이 신는 양말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are the socks worn with Hanbok called?

2. 한복과 같이 신는 신발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shoes do you wear with Hanbok?

3. ‘두루마기’는 무엇입니까?
What is ‘Durumagi’?

4. 저고리의 소매에 빨강, 파랑, 노랑 등 오방색의 줄무늬를 넣은 것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do you call the 5 colors such as red, blue, yellow etc., that are on
the sleeves of the ‘Jeogori’?

5. 족두리는 어디에 씁니까?


Where do you wear ‘Jokduri’?
7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6. 결혼하지 않은 여자는 족두리 대신에 머리에 기다란 끈을 다는데 이것을 무엇이


라고 합니까?
Typically, single women wear a long string on her hair. What is this called?

7. 한복 치마에 다는 장신구로 자수로 만들거나 보석으로 만들어서 단순한 한복에


화려함을 더해주는 장신구를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are the ornaments worn on the skirt of the Hanbok calmed which are
embroidered?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Ⅳ. 맛을 찾아서
Discovering the Tastes of Korea

1. 한식과 음식 문화
Korean Food and Food Culture

2. 각 지역의 음식
Regional Cuisines

3. 세계 속의 한국 차
Korean Tea in the World
7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Ⅳ. 맛을 찾아서 77

Ⅳ. 맛을 찾아서

Discovering the Tastes of Korea

1. 한식과 음식 문화
Korean Food and Food Culture

1) ‘한식’은 무엇인가?

한국 고유의 음식을 ‘한식’이라고 하는데 좁은 의미에서는 우리 고유의 맛, 향,

색을 내는 식품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전통 음식 재료와 함께 현대적 가공식품


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 사람들이 먹는 음식이다. 한식의 범주와 특징에는 주식, 부
식을 비롯하여 술, 차와 같은 음료수와 가공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식사 예절, 음식
을 담는 그릇, 공간 등 한국 음식에 관한 모든 것을 말한다. 한식의 기본은 밥과
국, 그리고 반찬을 곁들인 식사이다. 다양한 김치와 콩을 발효시켜 만든 된장, 고추
장, 간장을 사용하는 한국 음식은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What is Korean Food?

Korean food is called ‘Hanshik’'. In a narrow sense, it refers to food that gives
Korean’s own taste, aroma, and color. In a broad sense, it is a food eaten by Korean
people using traditional processed foods and modern processed foods. The categories
7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and features of Korean food include main dish, side dish, beverages such as liquor and
tea, and processed foods. It means everything about Korean food, such as dining

etiquette, food containers, and space. The basis of Korean food is a meal with rice,
soup, and side dishes, and Korean food using miso, red pepper paste, and soy sauce
made by fermenting various kimchi and soybeans can help you to have a healthy diet.

2) 대표적인 한국 음식

한국의 대표적 음식은 밥, 국, 탕, 찌개, 찜. 전 등으로 구분된다.

명칭 음식의 특징 대표적 음식

밥 한국인의 주식
비빕밥, 곤드레밥,
Bab Main food (Rice).

국 국물이 많이 있다. 미역국, 떡국


Guk There is a lot of soup.

탕 국물이 많이 있다. 삼계탕, 갈비탕, 곰탕


Tang There is a lot of soup.

찌개 국물이 국이나 탕보다 적다. 김치찌개, 된장찌개


Tsigae The soup is less than Guk or Tang.

찜 찌개보다 국물이 적다. 갈비찜, 안동 닭찜


Tsim There is less soup than stew.

전 기름에 지진 음식 파전, 생선전


Jeon Pan fried food
Ⅳ. 맛을 찾아서 79

<한정식>
사진제공(IR 스튜디오)-한국관광공사

<한정식>
사진제공(IR 스튜디오)-한국관광공사
8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구절판>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돌솥 비빔밥과 전주 비빔밥>


사진제공(이범수)-한국관광공사
Ⅳ. 맛을 찾아서 81

<전 (완자전, 고추전, 동그랑땡, 호박전) >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삼색전>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8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냉면>
사진제공(이범수)-한국관광공사

<삼겹살 구이>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Ⅳ. 맛을 찾아서 83

<보쌈>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3) 한식의 10가지 특징

한식에는 다음과 같이 10가지 특징이 있다.

① 한국인의 식사는 밥, 국, 김치를 기본으로 야채, 생선, 고기로 만든 요리와 함


께 저장식품, 젓갈 등 밑반찬을 곁들인다. 반찬 수에 따라서 3첩, 5첩, 7첩,
9첩 반상으로 구분한다. 음식을 조리하는 방법이 음식 이름에 사용되어 음식
명을 보면 어떻게 조리된 것인지 조리 방법을 알 수 있다.
8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② 김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발표 식품으로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김치를 만드는 채소에 따라 김치 이름이 정해지는데 약 140개의 김치 종류가

있다. 대표적인 김치로 배추김치, 보쌈김치, 총각김치, 열무김치, 부추김치,


나박김치, 깍두기, 파김치, 동치미, 백김치 등이 있다. 김치로 만든 음식으로
는 김치찌개, 김치전, 김치볶음밥 등이 있다.

③ 한국 음식 재료에는 발표 식품이 많이 있다. 한국 음식에서 기본양념인 간장,


된장, 고추장은 콩을 발표시켜 만든 것으로 영양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
다.
④ 한국 사람들은 예로부터 채소와 생선을 많이 먹었으며 육류를 적게 섭취했다.
⑤ 한국 음식의 맛을 내는 소스를 ‘양념’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에는 마늘, 파, 고
춧가루, 생강 등이 포함된다.

⑥ 한국 음식에는 ‘참기름(sesame oil)’이 많이 사용되어 고소한 맛을 내게 한


다.
⑦ 한국 음식은 서양 음식보다 튀기는 음식이 적다.
⑧ 한국 음식은 사계절에 생산되는 신선한 재료를 사용하여 영양가를 높인다.
⑨ 한국 음식은 지역에 따라 그 지역의 특색을 담은 특별한 음식이 있어 음식을
통하여 지역 문화를 알 수 있다.
⑩ 한국인은 엄마가 만들어 준 음식을 그리워하며 ‘집밥’, ‘엄마 손맛’이라고 하
며 집에서 엄마가 만들어 주는 밥을 그리워한다.

10 Features of Korean food

① Korean meals are cooked with vegetables, fish, and meat based on rice, soup, and
kimchi, along with side dishes such as stored food and salted fish. Depending on
the number of side dishes, they are divided into three, five, seven, and nine
Ⅳ. 맛을 찾아서 85

albums. The method of cooking food is used in the food name, so you can see
how it was cooked by looking at the food name.

② Kimchi is a world famous food and it contains rich nutrients. Kimchi is named
according to the vegetables that make it, and there are about 140 types of kimchi.
Typical Kimchi include Cabbage kimchi, Bossam kimchi, Chonggak kimchi, Hot

radish kimchi, Leek kimchi, Nabak kimchi, Kkakdugi, Green onion kimchi,
Dongchimi, and White kimchi. Foods made with Kimchi include Kimchi jjigae,
Kimchi pancakes, and Kimchi fried rice.
③ There are many foods presented in Korean food ingredients. Soy sauce, miso, and
red pepper paste, the basic condiments in Korean food, are made by releasing
soybeans and are rich in nutrients.

④ Koreans have eaten a lot of vegetables and fish since ancient times and consumed
less meat.
⑤ The sauce that tastes Korean food is called ‘seasoning’, which includes garlic,
green onion, red pepper powder, and ginger.
⑥ ‘Sesame oil’ is often used in Korean food to give a savory taste.
⑦ Korean food has less fried food than western food.
⑧ Korean food uses fresh ingredients produced in all four seasons to increase
nutritional value.
⑨ Korean food has special foods that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so you
can know the local culture through food.
⑩ Koreans miss the food made by their mothers, and they call it 'Jipbab -Home
Cooked Rice' and 'Mother's hand taste' and miss the rice cooked by their mothers
at home.
8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4) 김치와 ‘김장’ 문화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오래전부터 소금을 사용한 절임 음식이 발달하여 오


징어나 굴, 조개 등의 해산물에 소금을 뿌려서 저장해 두고 먹는 젓갈이 다양하다.

이러한 방법을 채소에 사용하여 만든 것이 김치의 시작이다. 삼국시대에 절인 김


치를 먹기 시작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당시에는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고 소금
만 사용했으며 이를 ‘침채’라고 했다. 이후 조선 시대에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고추

를 김치에 사용하게 되면서 오늘날과 같은 김치를 만들게 되었다. ‘침채’는 채소를


푹 가라앉혔다는 뜻으로 채소를 소금에 가라앉혔다는 의미이다. 이후 한국어의 발
음 규칙으로 ‘딤채 – 김채 - 김치’로 바뀌었다.

김치는 계절과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재료, 양념, 숙성 방법이 달라서 약 300종


이 넘는 김치가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사계절 기온이 뚜렷하여 예로부터 각 계
절에 맞는 김치를 만들어 먹었다. 봄에는 햇배추나 미나리 등을 사용하여 나박김

치, 겉절이 등 상큼한 김치를 만들고 여름에는 덥고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수분


을 보충하기 위하여 열무김치와 오이소박이, 오이지를 먹는다, 가을에는 깻잎, 배
추김치, 총각김치 등을 만들어 먹고 겨울에는 양념을 많이 쓰는 김장김치와 한겨
울에 동치미를 먹는다.
또한 김치는 지역에 따라 특색 있는 맛을 가지고 있는데 기후가 따뜻한 경상도
나 전라도 같은 남쪽 지역에서는 젓갈이나 생선 등 양념을 많이 넣어 저장성을 높

일 수 있게 짜고 매운 김치를 만든다. 비교적 추운 북부 지역은 김치가 쉽게 익지


않으므로 소금과 젓갈 양념을 적게 넣어 싱거우면서도 시원하고 담백한 맛의 김치
를 먹는다.
김치 재료로 사용하는 마늘에는 항암 성분이 있고 채소에 있는 비타민, 무기질,
젓갈에 함유된 단백질과 칼슘, 발효되면서 생기는 유산균이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강화하고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로 김치가 세계적으로 건강식품이 되었다.
Ⅳ. 맛을 찾아서 87

한국 사람들은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김치를 1년 365일 매일 먹어야 하는데 겨


울이 되면 날씨가 춥기 때문에 김치를 담는데 좋은 재료를 구하는 것이 어려워진

다. 그래서 겨울이 시작되기 전, 11월이 되면 그다음 해 봄까지 먹을 수 있는 김치


를 많이 만든다. 이것을 ‘김장’이라고 한다. 많은 김치를 혼자서 만드는 것이 힘들
어서 동네 아주머니들이 모여서 각 집의 김치를 만들면서 훈훈한 정을 나누기도

한다. 이와 같은 ‘김장 문화(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가 2013년 12월 5일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가 확정됨으로
써, 한국의 대표적 식문화인 ‘김장 문화’가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이바지한 것
으로 평가된다.

배추 김치 담그는 법

1. 배추를 반으로 갈라서 소금물에 6~8시간 정도 담가 둔다.


2. 소금물에 잘 절인 배추를 헹구어 건져 둔다.
3. 무는 채를 썰고, 파를 적당한 크기로 썬 다음에 다진 마늘과 새우젓, 멸치 젓국,
고추장을 섞어서 양념을 만든다.
4. 물기가 빠진 배추 사이에 양념을 골고루 넣고 큰 배춧잎으로 전체를 잘 감싼다.
5. 김치를 김치 통에 넣고 하루 정도 밖에 둔 다음에 냉장고에 보관한다.

Kimchi and ‘Kimjang’ Culture

In Korea, three of borders are sea, and pickled foods using salt have been developed
over a long time, so salted seafood such as squid, oysters, and shellfish is salted and
stored to eat. It is the beginning of kimchi that is made using these methods for
vegetables. There is a record that in the Three Kingdoms era, they started eating pickled
8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kimchi. At the time, they used only salt, not red pepper powder. Later, when pepper
was introduced from Japan in the Joseon Dynasty, kimchi was used as it is today.

'Chimchae' means that the vegetables have been completely immersed, and this
particular process is where the vegetable has been dunked in salt only. Since then,
following th Korean pronunciation, it has changed from 'dimchae-kimchae-kimchi'

It is said that there are more than 300 kinds of kimchi because the ingredients,
seasoning, and aging metho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ason and region. In
Korea, the temperature of the four seasons is distinct, making kimchi suitable for each
season. In spring, fresh kimchi such as nabak kimchi and kkakjeol(fresh kimchi) is used
using cabbage or parsley. In the summer, to combat the hot temperatures, vegetables
with lots of moisture such as redish and cucumber with sesame seeds are used. IN the

winter kimjang kimchi shich uses a lot of seasoning is eaten as well as dognchimi in
the middle of the winter is a well known delicacy.
In addition, kimchi has a characteristic taste depending on the region. In the
southern regions such as Gyeongsang-do and Jeolla-do, where the climate is warm, salty
fish and fish are added to make salty and spicy kimchi. In the relatively cold northern
regions, kimchi is not easily cooked, so you can eat kimchi with a refreshing taste with
a little salt and salt.
Garlic, which is used as a kimchi ingredient, has anti-cancer properties, and
vitamins, minerals, and protein in calcium, calcium and fermented lactobacillus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strengthen and prevent immunity against diseases, which adds to the
reputation of kimchi being a health food around the world.
Kimchi, which is indispensable in a Korean household, must be eaten every day, 365
days a year, but in winter, it is difficult to obtain good ingredients for kimchi because
of the cold weather. So, before winter begins, in November, a lot of kimchi can be
Ⅳ. 맛을 찾아서 89

eaten until spring of the following year. This is called 'Kimjang'. It is difficult to make
a lot of kimchi by yourself, so aunts from the neighborhood gather to make kimchi in

each house and share warm heart. As such,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confirmed on December 5, 2013, and the list of <UNESCO's
Representative List of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confirmed. It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raising the image of Korea.

How to Make Kimchi

1. Split the cabbage in half and soak it in salted water for 6-8 hours.
2. Rinse and pickle the cabbage well in salted water and let it dry.
3. Slice the radish, cut the green onions into suitable sizes, and mix the chopped
garlic with shrimp sauce, anchovy sauce, and red pepper paste to make
seasoning.
4. Put seasoning evenly between the drained Chinese cabbage and wrap the
whole well with large cabbage leaves.
5. Put kimchi in a kimchi container and leave it outside for about a day before
storing it in the refrigerator.

<김치 만들기 재료>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9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한국의 대표적인 김치

<포기김치>

<백김치>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Ⅳ. 맛을 찾아서 91

<총각김치>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깍두기>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9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보쌈 김치>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동치미>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Ⅳ. 맛을 찾아서 93

5) 기다림의 미학 발효 음식 - 간장, 된장, 고추장

“한국 음식의 맛은 장맛”이라고 할 정도로 한국 음식을 특징짓는 맛은 ‘장맛’이


다. ‘장’은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등을 모두 말 하는 것으로 오랜 세월과 정성

을 거쳐서 만들어지는 발효 식품이며 한국 음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766년 유중림이 엮은『증보산림경제』에는 “장은 장수(將帥)라는 뜻이니 온갖
맛 중의 장수가 된다. 그 집의 장맛이 좋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채소와 양질의 고

기가 있다 하더라도 조리할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촌야(村野)에 사는 사람은 고기


를 구하기가 쉽지 않지만, 각종 잘 담근 장과 반찬이 있으면 근심할 게 없으니 집
안의 어른은 우선 반드시 장 담그는 법에 유의하여 두고두고 쓸 수 있는 방도를

생각해야 한다.”라고 하여 장의 중요성을 기록하고 있다(한국민속대백과사전).

간장, 된장, 고추장을 만드는 방법

1. 콩을 삶아서 절구에 찐다.

2. 절구에 찧은 콩을 뭉쳐서 네모나게 만든 다음에 발효시킨다, 이것을 ‘메주’라고 한

다.
3. ‘메주’는 볏짚으로 묶어서 처마 밑에 매달아야 하고 한 달 정도 바람을 쐬면 곰팡이

가 피기 시작한다. 이때 생기는 곰팡이는 몸에 좋은 곰팡이로 장맛을 나게 한다.

4. 항아리에 메주를 넣고 소금물, 숯, 고추, 대추를 넣은 후 40일 정도 빛을 쐬어 준다.


5. 메주 덩어리를 걸러서 된장을 만들고 남은 액체로 간장을 만든다.
9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The Art of Fermentation - Soy Sauce, Miso, Red Pepper Paste

The taste that characterizes Korean food is so called “Jangmat”. 'Jang' refers to soy
sauce, miso, red pepper paste, and cheonggukjang. It is a fermented food that has been

made through many years and devotion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Korean food.
In 1766, Yoo Jung-lim had written “Jang means longevity, so it becomes a longevity
among all kinds of tastes. If the household does not have a good set of seasoning, no

matter how good the quality of vegetable and meat are, the results would not be ideal
for cooking. On the other hand, it is not easy for people living in countryside to get
meat, but if there are various well-dipped sauces and side dishes, through the

mermentation process, the people were less concerned. The process of fermentation
were recommended to be recorded and passed down through the elderly of the house
hold” (according to the Korean Folk Encyclopedia).

How to Make Soy Sauce, Miso, and Red Pepper Paste

1. Boil beans and steam in a mortar.

2. Combine the soybeans in a mortar, make them square, and ferment them. This is called

‘Meju’.

3. 'Meju' should be tied with rice straw and hung under the eaves, and after about a month,

the mold will start to bloom. The mold produced at this time is a mold that is good for the

body and makes it taste better.


4. Put meju in a jar, add salt water, charcoal, red pepper, and jujube, and shine for about

40 days.

5. Filter the clots to make miso and make soy sauce with the remaining liquid.
Ⅳ. 맛을 찾아서 95

<메주콩>

<메주콩 찧기> <메주 만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ENCYKOREA.AKS.ac.kr)
9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아산 건재고택 메주말리는 모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ENCYKOREA.AKS.ac.kr)

<메주 말리기>
사진 제공–이수경
Ⅳ. 맛을 찾아서 97

<고추장>

<고추장, 간장, 된장을 저장하는 독>


9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한국의 장독대>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6) 밥과 반찬 이야기

(1) 밥심1)으로 살아온 한국인

한국인의 주식은 밥으로 고구려 고분벽화(4세기)에서도 밥을 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청나라의 장영(張英)은 “조선 사람들은 밥 짓기를 잘한다. 밥알에 윤기가


있고 부드러우며 향긋하다. 그리고 솥 속의 밥이 고루 익어 기름지다. 밥 짓는 불
은 약한 것이 좋고 물은 적어야 한다는 것이 이치에 맞는다. 아무렇게나 밥을 짓는

다는 것은 하늘이 내려주신 물건을 낭비하는 결과가 된다.”라고 하였다(한국민속

1) ‘밥을 먹고 나서 생긴 힘’을 뜻하는 말은 ‘밥심’이다. 본래 ‘밥+힘’으로 이루어진 말이나,


‘힘’이 ‘심’으로 변화한 형태가 널리 쓰이면서 ‘밥심’이 표준어가 되었다(국립국어원).
Ⅳ. 맛을 찾아서 99

대백과사전).
한국인에게 밥은 주식으로서 의미 이외 타인을 배려하는 의미를 포함하기도 한

다. 사람들을 만나면 “식사했어요?”, “밥 먹었어요?” 라고 묻거나 “나중에 식사 한


번 해요.” 혹은 “나중에 밥 한 번 같이 먹어요.”라는 말을 제안한다. 상대방과 가까
워지고 싶은 마음을 ‘밥’을 통하여 ‘정’을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인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밥’에 관한 속담

• 첫술에 배부르랴? : 마음을 너무 급하게 먹지 말라는 뜻.


• 급히 먹는 밥이 목맨다. : 모든 일이 순서와 시간이 필요하다.
•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때린다. : 음식을 먹을 때 꾸짖으면 안 된다.
• 밥 안 먹어도 배부르다. : 기쁜 일이 생겨서 행복하다.

Story of Rice and Side Dishes

‘Bapsim’ originate from two words being combined - “Bap” meaning rice and “Sim”

meaning strength, “Put together”, it means “the poser that comes from eating
rice”(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Rice being the staple food of Korean, has been around since the 4th Century as it
was portrayed as being cooked on the walls of the Goguryo tomb and during the Qing
dynasty, Jan Young(張英) is quoted to say “ Joseon people are good at cooking rice.
Rice grains are glossy, soft, and fragrant. And the rice in the pot is evenly cooked and
greasy. It makes sense that a rice-making fire is good to be weak and water should be
low. Making rice at random results in wasting the things that heaven has given
us."(from the Korean Folk Encyclopedia)
10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For Koreans, rice is not a staple food, but it also includes greeting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When people meet, typical greetings are: “Have you eaten?” “Have you had

your meal?”, or even suggesting “Let’s go have a meal together sometime” to signify
that one would like to become friendlier or create a closer bond(jeong) through having
a meal(bap) together.

The following are a proverbs about 'Bob' that has special meaning
to Koreans.

• Are you full on the first spoon of meal? : It will not be a satisfaction
in the first step.
• Hurrying to eat will make you thirsty: Everything needs the correct
order and time.
• You don't even beat a dog when dog eats. : Do not scold when eating
food.
• I am full even if I don't eat. : Expressing satisfaction because a happy
thing has happened.

(2) 오방색의 조화 ‘비빔밥’

한국 음식 중에서 대표적인 K-Food로 알려진 비빔밥은 하얀 쌀 밥 위에 콩나


물, 도라지, 버섯, 호박 등 계절 나물, 볶은 고기와 달걀을 얹은 다음에 고추장으로
비벼 먹는 음식으로 모든 영양가가 들어 있는 건강 음식이다. 야채와 고기, 달걀,
고추장의 조화에서 오방색을 볼 수 있다.
비빔밥의 유래에 관하여 두 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하나는 조선 시대 궁중에서
임금님 수라상에 올려졌던 밥이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농사를 지으면서 각자의 그
Ⅳ. 맛을 찾아서 101

릇에 밥과 온갖 나물을 넣고 비벼서 먹었다는 이야기, 혹은 제사를 지낸 후에 제사


상에 차려뒀던 밥과 나물들을 모두 큰 그릇에 담고 비벼서 가족들이 나누어 먹었

다는 이야기가 있다. 새해를 맞이하는 전날인 섣달 그믐날에 남은 반찬과 밥을 모


두 넣고 비벼 먹는 습관도 있다.
비빔밥의 특징은 한 그릇에 밥과 반찬을 모두 다 넣고 함께 비벼서 새로운 맛을

내는 데 있으며 한국인의 특징인 ‘함께, 같이’ 먹으면서 ‘정’을 나누는 식사 문화라


고 볼 수 있겠다.

Bibimbap, a Harmony of Five Colors

Bibimbap, known as the representative K-Food among Korean foods, is a healthy


food that contains all the nutritious foods, such as bean sprouts, balloon flower,
mushrooms, pumpkins, seasoned herbs, roasted meat and eggs, and then grated with red

pepper paste. Five colors can be seen in the combination of vegetables, meat, eggs, and
red pepper paste.
There are two stories about the origin of Bibimbap, one of which was the rice that
was placed on the King's meal in the royal cour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other
was that rice was eaten with rice and all kinds of herbs in each bowl while farming,
or after the sacrifice rituals for ancestors. There is a story that all the rice and herbs

that were prepared in the memorial service were put together in a large bowl and mixed
together. On the day before New Year's Eve, which is the day before the New Year,
there is tradition of putting all the side dishes and rice left over to make this meal.
Bibimbap's characteristic is that it puts both rice and side dishes together in one
bowl and mixes it together to create a new taste. It can be seen as a dining culture
where Koreans share a bond - ‘Jeong’ while eating ‘together’.
10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3) 양념에 재는 ‘불고기’

비빔밥과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은 불고기이다. 불고기의 기원은 고구려로


올라간다. 고구려를 세운 주몽은 부족국가 중 하나인 부여 출신으로 고구려의 문
화는 부여 문화와 비슷했으며 부여에서 유명한 음식이 고구려로 전해졌다. 불고기

의 원래 이름은 ‘맥적’인데 ‘맥’은 고구려 사람을 뜻한다. 고기를 구워 먹을 때 대부


분의 나라에서는 후추나 소금을 뿌려서 바비큐를 한다. 그러나 한국의 불고기는
간장에 마늘, 파, 참기름, 설탕, 후추 등을 섞은 양념2)에 고기를 재워 두었다가 굽

는다. 양념이 고기를 부드럽게 하고 고기 냄새를 없애기 때문에 한국 불고기가 세


계적으로 유명하게 되었다.

Bulgogi

Along with Bibimbap, the representative food of Korea is Bulgogi. The origin of
Bulgogi goes to Goguryeo. Jumong, who founded Goguryeo, was from Buyeo, one of
the tribal countries, and the culture of Goguryeo was similar to that of Buyeo, and

famous food from Buyeo was brought to Goguryeo. The original name of Bulgogi is
‘Maeckjeok’, but ‘Maek’ signified Goguryeo people. When grilling and eating meat,
most countries have barbecue with pepper or salt. However, Korean Bulgogi is a
combination of soy sauce, garlic, green onion, sesame oil, sugar, and pepper that adds
to the taste of Korean food, referring to soy sauce, garlic, green onion, sesame oil,
sugar, pepper powder and alcohol. Korean food is marinated for 3 to 40 minutes before
cooking. Korean Bulgogi became famous worldwide because the seasoning softens the
meat and removes the smell of meat.

2) 양념은 한국 음식의 맛을 더해주는 것으로 간장, 마늘, 파, 참기름, 설탕, 후춧가루, 술을


적당하게 섞은 것을 말한다. 한국 음식은 고기를 양념에 3~40분 재었다가 요리한다.
Ⅳ. 맛을 찾아서 103

(4) 복날 먹는 ‘삼계탕’

신라의 옛 이름은 ‘계림’으로 닭이 우는 숲을 뜻하며 신라 사람들은 닭이 하늘과


사람들 사이를 이어주는 신성한 존재라고 생각했다. 꼬리가 긴 닭의 모습은 고구
려 고분벽화 ‘무용총’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닭은 몸에 좋아서 ‘사위가 오면 닭

을 잡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사위를 위하여 장모님은 건강에 좋은 삼계탕을 만들


어 대접한다. 한국의 여름은 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아서 매우 무덥고 쉽게 지친다.
그래서 한여름 복날(초복, 중복, 말복)에 한국 사람들은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하

기 위하여 ‘삼계탕’을 먹는다. 삼계탕은 동서양의 외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대표적


인 한국 음식 w중의 하나로 닭의 내장을 빼고 인삼, 마늘, 대추, 찹쌀 등을 넣고
오랫동안 끓여서 먹는 매우 영양가가 높은 음식이다.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매운 닭갈비가 유행이다. 닭의 갈비에는 먹을 만 한
살이 적기 때문에 다른 부위의 살을 매콤하게 양념해서 구워 먹는 것을 닭갈비라
고도 한다. 닭갈비는 춘천 지방이 유명하다.

또한, ‘닭의 갈비’를 한자로 ‘계륵(鷄肋)’이라고 하는데 먹을 것이 별로 없는 닭


의 갈비처럼 ‘버리기는 아까우나 일을 하는 데 있어서 가치나 이익이 없는 것’을
표현할 때 쓰인다.

'Samgyetang', eaten on hot days of summer

Silla's historic name is ‘Gyerim’, meaning the forest where the chickens cry, and the
Silla people thought that the chickens were a sacred being that connects the sky and the
people. The long-tailed chicken can also be seen in a picture from the Goguryeo tomb.
These chickens are good for the body, and as the saying goes, “When the son-in-law
comes, mother-in-law catch the chicken.” Summer in Korea is very hot and humi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So, on the midsummer's day (Chobok, Jungbok
10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and Malbok), Koreans eat 'Samgyetang' to recover their body from the heat.
Samgyeta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foods that foreigners in the East and

West love. It is a highly nutritious food that is eaten by boiling chicken for a long time
with ginseng, garlic, jujube, and glutinous rice.
Dakgalbi(Spicy chicken ribs) are popular among young people these days. Chicken

ribs have little meat to eat therefore spicy seasoning of other parts of the meat is called
chicken ribs, and Chuncheon is famous. ‘Gyereok(Chicken's ribs) in Chinese character
is called 'gye' (鷄肋), which is used to express something that has no value or profit
in doing business.

(5) 바다에서 나는 영양가 만점 ‘미역과 김’

바다에는 건강에 좋은 영양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건강식품들이 있다. 특히


‘미역’과 ‘김’은 우리나라와 일본 사람들이 주로 먹는 영양가 만점의 음식 재료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아기를 낳은 후 산모는 미역국을 먹으면서 건강을 회복하고 한


국 사람들은 생일에 미역국을 먹는다.

‘Seaweed and Laver’ with perfect nutritional value from the sea

There are healthy foods in the sea that contain a lot of healthy nutrients. In
particular, ‘Miyeok(seaweed)’ and ‘Gim(laver)’are food ingredients with perfect
nutritional value, which are mainly eaten by Koreans and the Japanese.
So in Korea, after giving birth to a baby, the mother regains her health by eating
seaweed soup, and Koreans eat seaweed soup on their birthdays.
Ⅳ. 맛을 찾아서 105

7) 특별한 날에 먹는 한국 음식

Korean food eaten on special days

특별한 날 음식 이름 음식을 먹는 의미

설날 떡국 설날 떡국을 먹어야 한 살 많아진다.


(음력 1월 1일) Rice Cake One must eat rice cake soup to gain 1 more
New Year’s Day Soup year in the New Year.

송편은 반달과 같은 모양으로 송편을 예쁘게 만들


추석
면 예쁜 딸을 낳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음력 8월15일) 송편
There is a story that Songpyeon gives birth to
Mid Autumn Rice Cake
a beautiful daughter if it is made like a pretty
Festival
half moon.

동지 붉은 팥죽은 마귀를 쫓아내서 나쁜 일이 생기지


팥죽
(12월 22일 쯤) 않고 건강한 생활을 한다.
Red bean
Winter Solstice The red bean porridge drives out the devil and
porridge
Day leads a healthy life without causing bad things.

미역국은 산모가 아기를 낳은 후에 영양을 보충하


기 위하여 매일 먹는 음식으로 생일을 맞은 사람
미역국
생일 은 미역국을 먹는다.
Seaweed
Birthday Seaweed soup is a daily food used to replenish
soup
nutrition after the mother gives birth to a baby.
Seaweed soup is eaten on birthday.
10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8) 한국의 사찰음식

4세기 후반인 삼국시대에 불교가 전해졌으며 불교는 한국인의 정신세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다른 종교와 달리 경전을 읽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개인의 수행

을 통하여 깨달음에 도달하는 것이다. 사찰에 따라 다양한 음식 조리법이 발달하


였는데 이를 ‘사찰음식’이라고 한다. 사찰 음식은 불교의 정신을 담아 육류와 마늘,
파, 부추 등 향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조미료를 사용한다. 자연의 좋

은 재료를 사용하여 건강한 에너지를 주는 사찰음식은 기름기가 적어서 담백하고


자연의 향을 담은 채식 음식이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서 건강 음식으로 인기가 있
다.

사찰음식은 ‘발우’라고 하는 그릇에 먹을 만큼 덜어서 먹고 음식을 남기지 않는


데 이는 감사와 나눔, 비움을 실천하는 수행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emple Food

Buddhism was introduc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late 4th century,
and Buddhism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rean culture and the spiritual world of
Koreans.
Unlike other religions, the goal is to reach enlightenment through the practice of

individuals who read the scriptures and practice them in their lives. Various food recipe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emples, which are categorized as temple foods. The temple
food contains the spirit of Buddhism and uses natural seasonings instead of meat, garlic,
green onions, and leek. The temple food, which uses natural ingredients to give healthy
energy, is popular as a healthy food in the modern society because it is a vegetarian
food with a small amount of greasy and fragrance of nature.
Ⅳ. 맛을 찾아서 107

The temple food is eaten in a bowl called ‘Balwoo’, so that the food is not wasted
by taking just what is needed. By doing so it practices the process of gratitude, sharing

and emptying that is given.

<한국의 사찰 음식>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9) 한국의 디저트 ‘병과’

한국 사람들이 식사하고 후식으로 먹는 과자나 떡을 ‘병과’라고 하는데 이는 한


국의 떡을 말하는 ‘병’자와 한과를 가리키는 ‘과’를 합친 말이다. 차와 같이 먹는 한
국의 전통 디저트로 연회, 제례 등의 의식에 빠지지 않고 놓는다. 떡을 만들 때 모
양을 내서 찍어 내는 나무틀을 ‘떡살’이라고 한다. 떡살 무늬는 오래 살게 장수를

의미하거나 복을 기원하거나 건강을 기원하는 문양이다.


10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대표적인 한국 전통 과자로는 ‘약과’가 있는데 이는 몸에 좋은 꿀, 잣가루, 참기


름 등이 들어가서 약이 된다고 생각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이러한 병과는 전통 차와 함께 먹기도 했지만, 한국의 전통 음료수인 수정과,


식혜, 오미자, 화채 등과 잘 어울린다.

Korean Dessert 'Byeonggwa'

At the end of a meal, Korean people sweets or rice cakes as desserts which is called
‘Byeonggwa’ which is a combination of ‘Byeong’, which refers to Korean rice cakes,
and ‘Gwa’ which refers to traditional cookie. It is a traditional Korean dessert eaten

with tea, and is always included in rituals such as banquets and festivals.
A wooden frame that forms and prints rice cakes when making rice cakes is called
'tteoksal'. The pattern of tteok-sal is a symbol of longevity, good fortune as well as

good health.

One of the most popular Korean


traditional snacks is Yakgwa, which was
named because it contains healthy honey,

pine nuts, and sesame oil.


These Byeonggwa confectionaries are
typically served with traditional tea, but

they go well with Sujeong, a traditional


Korean drink, and Sikhye, Omija, and
Hwachae.

<한국의 전통 병과>
사진제공 한국관광공사
Ⅳ. 맛을 찾아서 109

<한국의 전통 병과와 대추차>


사진 제공-이수경

10) 한국의 상차림과 식사 예절

• 한국 음식을 상에 차릴 때는 밥을 왼쪽에, 국을 오른쪽에 놓고 숟가락을 앞에,


젓가락을 뒤에 놓는다.
• 간장을 중앙에 두고 간장 주위에 반찬을 놓는다. 고기반찬이나 뜨거운 음식,
국물이 있는 음식은 먹는 사람의 오른쪽에 놓도록 한다.
• 찌개는 식탁 가운데 놓고 가족들이 함께 나누어 먹는다.
• 집안의 어른이 먼저 식사를 시작한 후에 밥을 먹어야 한다.
• 밥을 먹을 때 밥공기를 손으로 들고 먹지 않고 식탁에 놓고 먹어야 한다.
11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Korean Table Setting and Dining Etiquette

• When preparing Korean food, put rice on the left, soup on the right, spoon in front
and chopsticks on the back.

• Place the soy sauce in the center and place the side dishes around the soy sauce.
Meat-based dishes and hot foods should be placed on the right side in the table.
• Place the stew in the middle of the table and share it with the family.

• Adults in the household should start eating before eating.


• When eating rice, you should eat rice on your table instead of holding it with your
hands.
Ⅳ. 맛을 찾아서 111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 여러분이 아는 한국 음식의 이름을 적어 봅시다.


Please list the name of the Korean food you know.

2. 여러분은 한국 음식이 어떻다고 생각합니까?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은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때문입니까?
What do you think about Korean food? What are your favorite and disliked
foods, and why?

3. 한국과 여러분 나라의 식사, 음식 문화는 어떻습니까?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이


야기해 봅시다.
What are the meal and food cultures of Korea and your country? Let's talk
about the differences.
11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확인하기 Let’s Check

1. 한국의 고유한 음식을 무엇이라고 하나?

What is Korea's unique food called?

2. 한식의 기본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세 가지를 쓰십시오.


What is included in the basics of Korean food? Write three things.

3. 대표적인 한국 음식을 5개만 쓰십시오.


List 5 dishes representative of Korean food.

4. 한식의 특징을 5가지 쓰십시오.


Write f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5. 김치는 약 140개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김치를 4개만 쓰십시오.


There are about 140 kinds of kimchi. Among them, list 4 of the most
representative kimchi types.

6. 남쪽 지역에서 만드는 김치와 북쪽 지역에서 만드는 김치는 어떻게 다릅니까?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imchi made in the south and kimchi made
in the north?
Ⅳ. 맛을 찾아서 113

7. 김치를 담글 때 필요한 재료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What ingredients do you need for making kimchi?

8. ‘’김장‘은 무엇입니까?

What is''Kimjang'?

9. 콩을 발표시켜 만든 대표적인 것(양념) 3가지는 무엇입니까?

What are the three representative things (seasoning) made by introducing


beans?

10. 콩을 삶은 다음에 절구에 찧어서 네모나게 만든 것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do you call a bean that is boiled in a mortar and made into a
square?

11. 된장을 만들고 남은 액체로 무엇을 만듭니까?


What do you make with the miso and the remaining liquid?

12. 설날, 추석, 동지, 생일에 먹는 특별한 음식은 무엇입니까?


What special foods do you eat on New Year's Day, Chuseok, winter
solstice, or birthday?
11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13. 사찰 음식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mple food?

14. 사찰에서 밥을 먹을 때 먹을 만큼 덜어 먹을 수 있게 사용하는 그릇을 무엇이라

고 합니까?
What is the bowl called which is used in the temple to take as much food
as you eat?

15. 몸에 좋은 꿀, 잣가루 등을 섞어서 만든 한국 과자를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is the Korean dessert called that is made by mixing honey and pine
nut powder?

16. 한국의 전통 음료수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What are some traditional Korean drinks?

17. 한국 음식을 상에 차릴 때 밥과 국의 위치는 어떻게 됩니까?


What are the positions of rice and soup when serving Korean food?

18. 한국에서는 밥그릇을 손에 들고 먹습니까? 아니면 식탁 위에 놓고 먹습니까?


In Korea, is the rice bowl picked up while eating or is it set on the table?
Ⅳ. 맛을 찾아서 115

2. 각 지역의 음식
Regional Cuisines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넓은 평야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음식 재료와 특산물

이 생산되고 있으며 지역 특산물로 만든 각 지역 특색음식은 지역의 대표적인 음


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역을 방문하여 그 지방의 특색음식을 먹어 보는 것은 여
행의 즐거움을 더해 줄 것이다.

In Korea, as it is a peninsula with three sides facing the sea with a wide plain, there
are various food ingredients and special produce, and each local ingredients has become

a typical delicacy. Visiting the area and eating local specialties will add to the pleasure
of your trip.

각 지역 특색 음식

지역 음식명 특색

수원 왕갈비는 1795년 정조대왕이 수원화성을


행차했을 때 아침상에 올려졌던 음식이다. 수원
왕갈비는 양이 푸짐하고 맛도 뛰어나다.
경기도 수원 왕갈비
The Suwon Ribs were presented to King
Gyeonggi Suwon
Jeongio in the morning for breakfast when he
-do Wanggalbi
visited Suwon Hwaseong Fortress in 1795.
Suwon Wang Ribs are rich in quantity and
excellent in taste.
11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이천 쌀은 윤기가 있고 밥맛이 좋기로 유명하


여 예로부터 임금님 상에 올렸다. 쌀밥과 푸짐
이천 쌀밥 한 반찬이 같이 나오는 정식이 유명하다.
정식 Icheon Rice is famous for being shiny and
Icheon Rice having a good taste, so it has been on the
Cuisine King's Award since ancient times. The meal
is served with rice and a generous side dish
is famous in the region.

춘천 닭갈비
철판에 닭고기, 야채, 떡을 매운 양념과 함께 볶
Chuncheon
아 먹는 음식.
Spicy
Stir-fried chicken, vegetables, and rice
Stir-fried
cakes on a griddle with spicy sauce.
Chicken

강원도 속초시로 피난 온 함경도 사람들이 순대 재료


Gangwon 인 돼지고기 대신 오징어를 사용해서 순대를
-do 만들었다. 오징어 안에 찹쌀, 오징어, 채소 등을
속초
넣어서 만든다.
오징어순대
People from Hamgyeong-do who had fled to
Sokcho Squid
Sokcho City made the dish using squid
Sundae
instead of pork. It is made by adding
glutinous rice, squid, and vegetables into the
squid.
Ⅳ. 맛을 찾아서 117

팥을 넣어서 호두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과자


천안 호두과자 더 부드러워서 빵에 가깝다. 호두 모양을 하고
Cheonan 있다.
Walnut It is made of walnuts with red beans and has
Cookies a soft texture, making it more like bread. It
is made in to a shape of a walnut.
충청도
Chungche
ong-do 당진 포구 근처에서는 6월 산란기를 앞두고 알
이 가득 찬 꽃게에 전통 간장을 담가 오래 두고
당진 꽃게장 먹을 수 있는 게장을 만든다.
Dangjin Raw In the vicinity of Dangjin Pogu, Before
Crab spawning season in June, soybeans are
soaked in egg-filled blue crab to make crabs
that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담양지역에서는 대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다. 담


양 대통 밥은 3년 이상 된 대나무 통에 쌀, 검은
콩, 은행, 대추, 밤, 잣, 등을 넣고 만든 영양밥
으로 건강에 좋은 향토 음식이다.
대통 밥
전라도 Bamboo is growing in Damyang area.
Rice in
Jeolla-do Damyang Daetong Rice is a nutritious rice
Bamboo
made with rice, black beans, ginkgo, jujube,
chestnut, pine nuts, etc. in a bamboo bucket
that is more than 3 years old, and is a
healthy local food
11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전주비빔밥은 오방색이 조화를 이루게 색색의


전주비빔밥 야채를 사용하고 육회와 달걀을 올려서 먹는다.
Jeonju Jeonju Bibimbap uses colorful vegetables in
Bibimbap harmony with the five colors, and it is eaten
with raw beef and eggs.

조선 시대에는 사대부나 양반이 도성 안쪽에


살았는데 안쪽 동네(안동) 사람들이 특별한 날
에 닭을 쪄서 먹는다고 하여 안동 찜닭이 되었
다는 유례가 있다. 닭에 여러 가지 채소를 넣고
안동 찜닭 간장으로 조려서 먹는다.
Andong In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Chicken Stew precedent that the Sadaebu and Yangban
lived inside Doseong, but people in the inner
town (Andong) steamed and ate chicken on
경상도 special days. Various vegetables are added
Gyeongsa to the chicken and cooked with soy sauce
ng-do
원래 북한 서북 지역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때 남한으로 온 서북 지역 사람들에 의해 먹기
시작했다. 돼지 뼈와 살을 푹 삶아서 밥을 말아
밀양 돼지
먹는 음식이다
국밥
Originally from North Korean food in the
Milyang Pork
Northwest, but began to be eaten by people
Soup
in the Northwest who came to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It is a dish that boils
pork bones and flesh and rolls rice.
Ⅳ. 맛을 찾아서 119

제주도 특유의 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여 체


제주도 제주흑돼지
질이 건강하고 맛이 좋다.
Jeju Black Pork in
Adapted to Jeju Island's unique climate,
Island Jeju Island
making pork healthy and tasty.

이천 쌀밥정식 춘천막국수 오징어순대

전주비빔밥 밀양돼지국밥 안동닭찜


12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 서울과 다른 지역의 음식 맛이 다르다고 생각합니까? 다른 점이 있다면 어떻게


다릅니까?
Do you think the taste of food in Seoul and other regions is different? How
is it different if so?

2. 여러분 나라의 음식과 한국 음식이 어떻게 다르다고 생각합니까?


How do you think food in your country is different from Korean food?

3. 여러분 나라에서 유명한 음식을 소개해 보십시오.


Please introduce some famous food in your country.
Ⅳ. 맛을 찾아서 121

확인하기 Let’s Check

1. 춘천에서 유명한 음식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famous food in Chuncheon?

2. 비빔밥은 어느 지역에서 유명합니까?


Where is Bibimbap famous?

3. 경상도에서는 무슨 음식이 유명합니까?


What food is famous in Gyeongsang-do?

4. 좋아하는 한국음식 이름을 적어 보십시오.


Please write down the name of your favorite Korean food.
12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3. 세계 속의 한국 차
Korean Tea in the World

1) 한국 차의 역사

동양에서는 B.C. 3000년 전부터 차를 마시면서 차 문화가 피어났다. 유럽에서


마시는 홍차와 동양의 차는 모두 같은 차나무의 잎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럽에서

마시는 홍차는 찻잎을 발효시킨 것이고 동양에서 주로 마시는 녹차는 발효를 시키


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발효 방법에 따라 다양한 차를 마신다. 발효
과정에 따라 차는 크게 6가지 종류가 있으며 흑차(Black Tea), 백차(White Tea),

홍차(Red Tea), 녹차(Green Tea) 그리고 황차(Yellow Tea)로 나누어진다. 이중


한국에서는 주로 녹차와 전통차를 마신다.
차를 처음 마신 것은 기원전 2700년경으로 중국 전설에서 나오는 신농씨(농사
를 지배하는 신)가 차를 발견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7세기 초에 신라 선덕
여왕 때 중국에서 차를 가져와 그때부터 차를 마시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또한,
인도의 공주가 가야국의 수로왕과 결혼할 때 인도로부터 차 씨를 가지고 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신라 시대에는 귀족과 화랑을 중심으로 차를 즐겨 마셨고 고려 시


대에는 불교가 번성함에 따라 불교문화와 함께 차 문화가 발달했다. 조선 시대에
는 불교가 쇠퇴하여 차 문화도 약해졌지만, 제례에서는 엄격한 격식을 차린 차를

대접하는 의식이 이루어졌다. 조선 시대 초의선사는 ‘동다송’이라는 책을 통하여


우리나라 차 문화를 설명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녹차를 마셨으나 이외 건강에 좋은 인삼차, 대추차, 쌍화

차 등 다양한 차를 마시며 특히 인삼차는 세계적으로 우수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인 상품으로 인기가 많다.
Ⅳ. 맛을 찾아서 123

History of Korean Tea

Tea culture began to bloom in the east from B.C. 3000. The tea leaves of which
European tea and Oriental tea derive from is the same. However the difference is that

in Europe the tea leaves are fermented while green tea is not. However in China,
various teas are consumed depending on the fer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process, there are six types of tea, which are divided into black tea, white

tea, red tea, green tea, and yellow tea. In Korea, green tea and traditional Korean tea
are mainly consumed.
According to Chinese legends, it is said that tea was first discovered by Shinnong,

god of farming and harvest in B. C. 2700.


In Korea, it was said that there was a custom of drinking tea from China during the
Queen Seondeok in the early 7th century. There is also a story that an Indian princess
brought tea from India when she married King Suro of the Gaya Kingdom. During the
Silla period, tea was enjoyed around nobles and young scholars. During the Goryeo
period, tea culture developed along with Buddhist culture as Buddhism flourished,

however as Buddhism declined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tea culture weakened, but
ceremonies were held at rituals to serve tea in strict formality. The early Chosun
missionary in the Joseon Dynasty explained and documented the tea culture of Korea

through the book 'Dongdasong'.


In Korea, we drink green tea in a tea ceremony, but we also drink various teas such
as healthy ginseng tea, jujube tea, and ssanghwa tea. In particular, ginseng tea is
excellent worldwide and is popular as a representative product of Korea.
12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야생 녹차 밭
사진 제공-이수경

보령 녹차밭
사진 제공(이범수)-한국관광공사
Ⅳ. 맛을 찾아서 125

2) 한국 다례

한국의 차 문화는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역사가 오래됐다. 차를 따라서 대접

하는 행동을 말할 때 한국, 일본, 중국이 각기 다른 한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문화


의 특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한국에서는 차를 마시는 것이 마음을 수양하며 타인을 공경하는 의식이라고 하

여‘ 다례(茶禮)’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차를 마시는 규범과 도를 중요시하여 ‘다도


(茶道)’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차를 따를 때 예술에 가까운 기교를 보여주기 때문
에 ‘다예(茶藝)’라고 한다.

차를 마시는 것은 건강에 좋은 음료수를 마시는 것뿐만 아니라 차를 마시는 공


간인 다실에 음악이 흐르고 그림과 꽃이 놓여 있으며 차와 함께 간단한 다과를 먹
기 때문에 예술을 감상하고 즐기는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차를 마시는 차사

발, 다완은 도자기를 발달 시켰다. 차를 마실 때는 두 손으로 찻잔을 들고 먼저 차


의 색을 본 다음에 차 향기를 음미하고 맛을 본다.

Korean Tea Ceremony

The tea culture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Buddhism and has maintained a long
history. During tea ceremony, Korea, Japan, and China perform different methods and

it clearly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e.


In Korea, ‘Daryeo - Korean Tea Ceremony’ is a ritual that cultivates the mind and
honors others. In Japan, it is called ‘Dado - Japanese Tea Ceremony’ as it signifies the

importance of the norm of drinking tea, and in China, it is called ‘Daye - Chinese Tea
Ceremony’ because it shows a technique close to art when pouring tea.
12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The act of drinking tea is not only to replenish health for the body, but to listen and
enjoy the art of music, painting, flowers, and simple refreshments in the tea room, a

space where you can drink tea. In other words, the tea drinking vessel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of crafts and ceramics, and the tea room has tea-themed paintings, and
flower preparation and tea ceremony according to the season to listen to music and talk

while drinking tea. When drinking tea, one holds the tea cup with both hands to see
the color of the tea first, then taste the aroma of the tea and finally, to taste.
In Korea, green tea is typically consumed in the tea ceremony, as well as other

various teas such as healthy ginseng tea, jujube tea, and ssanghwa tea. In particular,
ginseng tea is well renowned worldwide and is popular as a representative product of
Korea.

한국 다례의 순서 Korean Tea Ceremony

1. 두 손으로 상보를 모아 접는다.


Gather and fold the tablecloth with
both hands.

2. 탕수 주전자를 잡는다.
Hold the kettle of hot water.
Ⅳ. 맛을 찾아서 127

3. 탕수 주전자의 탕수를 숙우에 따른다.


Pour the hot water from the kettle
into the bowl.

4. 숙우의 탕수를 다관에 따른다.


Pour the hot water of a bowl into the
tea pot.

5. 다관의 탕수를 찻잔에 따른다.


Pour the hot water of the tea pot into
the tea cup.

6. 탕수 주전자의 탕수를 숙우에 따른다.


Pour the hot water from the kettle
into the bowl.

7. 다호에 있는 차를 다관에 넣는다.


Put the tea in Daho(tea container) in
the tea pot.
12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8. 숙우의 탕수를 다관에 붓는다.


Pour the hot water into the tea pot.

9. 찻잔의 예온 탕수를 퇴수기에 붓는다.


Pour the tea cup's warm water into a
water-disposal vessel.

10.다관에 있는 차를 찻잔에 조금씩 따른


다. 차의 색을 본다.
Pour tea from the tea pot into the
teacup little by little. Look at the color
of the tea.

11. 차의 색, 향, 맛을 감상하며 차를 마신
다.
Drink tea while appreciating the color,
aroma, and taste of tea.

12. 상보를 덮는다.


Cover the tablecloth.

<국제차박람회(홍콩) - 한국생활다례 시연>


사진 제공-이수경
Ⅳ. 맛을 찾아서 129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 한국에서 어떤 차를 마셔 봤습니까?
What types of tea have you had in Korea?

2. 여러분의 나라에서는 어떤 음료수를 가장 많이 마십니까?


What kind of beverages do you drink the most in your country?

3. 여러분 나라에서 마시는 음료수와 한국 사람들이 마시는 음료수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beverages in your country and drinking in
Korea?
13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확인하기 Let’s Check

1. 한국에서 많이 마시는 차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What kinds of tea are consumed a lot in Korea?

2. 건강에 좋고 세계적으로 우수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차는 무엇입니까?


What is Korea's leading tea because it is good for health and globally
excellent?

3. 차를 마실 때 감상해야 할 세 가지는 무엇입니까?


What are three things you should appreciate when drinking tea?

4. 차를 마시는 공간(다실)에 있어야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What should be in the tea room (Dashil)?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Ⅴ. 한국인의 주거 생활
Residential Life of Korean

1. 풍수지리 사상
Feng Shui Geomancy

2. 한국 전통 집의 형태
Features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3. 현대적 주거 형태
Modern Residential Styles
13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33

Ⅴ. 한국인의 주거 생활
Residential Life of Koreans

1. 풍수지리 사상

한국 사람들은 주거지를 정할 때 자연 속의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풍부한


햇빛을 받을 수 있고 바람이 잘 통하며 물이 충분하여 자연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선호했다. 그리고 집의 장소와 방향을 정할 때도 복이 많이 들어올 수 있도록
전통사상을 따랐다. 이를 ‘풍수지리설’이라고 한다.

‘풍수지리설’은 산과 물이 흐르는 모양을 생활의 길흉화복과 연관하여 생각하는


데 특히 집 뒤에 산이 있고 앞에는 강물이 흐르는 곳을 가장 선호하여 이를 ‘배산
임수’라고 하고 집을 지을 때 이를 따랐다. 예를 들면 조선 시대에 한양(서울)을

수도로 정할 때도 ‘배산임수’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뒤에는 산이 있고 앞에는 멀리


한강이 흐르는 곳에 궁궐(경복궁)을 지었다.
자연의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한 풍수 사상은 집의 위치를 정할 때뿐만 아니라

건물의 창문, 가구 위치 등 주거문화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이러한 풍수설의 영향으로 한국인들은 아파트나 집을 고를 때 남쪽으로 지은 집
(남향집)을 가장 좋아하고 북쪽이나 서쪽을 바라보는 집은 안 좋아한다.
한국인들은 집 인테리어를 할 때도 다음과 같은 풍수설을 고려하기도 한다.
13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 현관문과 방문이 마주 보게 하지 않는다.


• 현관에 들어왔을 때 앞에 거울이 마주 보이게 하지 않는다.

• 침대 머리를 북쪽으로 두지 않는다.


• 침대는 문과 대각선 방향으로 둔다.
• 소파는 현관이 보이는 대각선 방향으로 둔다.

• 변기 뚜껑은 돈을 상징하므로 항상 닫아 둔다.

Feng Shui Geomancy

Koreans considered the environment in nature important when deciding where to live.
Usually a location with abundant sunlight, a good directional wind and surrounding
water is preferred as it is surrounded by nature.
Also, when deciding the place and direction of the house, traditional guidelines and
thought process through ‘Feng Shui’ is closely followed. And it is believed if done so,
many blessings would enter the household.

This is called Feng Shui Geography. 'Feng Shui Geography' is thought that the shape
of mountain and water flows in connection with the way of life. In particular, Koreans
prefer places where there is a mountain behind the house and the river flows in front

of it, so this is called 'Bae San Im Su' and Koreans follow these environments when
they built the house. For example, in the Joseon Dynasty, Hanyang (Seoul) was selected
as the capital, followed by the mountain behind Gyeongbokg Place and the Han River
in front.
The Feng Shui idea based on the natural ‘Yin’ and ‘Yang’ five elements act as an
important factor not only in locating the house, but also in the interior design of the
building's windows and furniture.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35

Under the influence of Feng Shui, Koreans prefer the house built facing the south
when choosing an apartment or house, and they do not like the house facing the north

or west. Koreans also consider the following Feng Shui when decorating their homes.

• Don't let the front door and room door face to face.

• When entering the front door, do not make the mirror look in front.
• Do not leave your head on the north side.
• The bed is placed diagonally to the door.

• The sofa should be placed diagonally with the front door visible.
• Always close the toilet lid as it symbolizes money.

〈남산 한옥 마을〉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13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2. 한국 전통 집의 형태
Features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1) 한국의 고택 기와집(한옥)

한국인은 자연환경을 최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집을 지을 때는 집 뒤에 대나무

를 심어 바람을 막았고 집 앞에는 우물을 만들었다, 그리고 집 주변에는 과일나무


나 다양한 나무를 심었다. 집의 평면 구조는 일자, 기역(ㄱ)자, 디귿(ㄷ)자, 미음
(ㅁ)자 등으로 형태가 다양하며 북쪽 지역과 남쪽 지역의 구조가 달랐다. 궁궐이

나 절의 대웅전, 향교 등은 둥근 기둥(집을 지탱하는 것)을 사용했으나 개인 집에


는 네모기둥을 사용했다. 이는 둥근 것은 하늘을 뜻하여 임금을 상징하고 네모는
땅을 상징하여 신하를 뜻하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의 집 구조를 보면 앞대문에서 마당을 지나 안으로 들어오면
하인들이 거처하는 문간방이 있다. 그 안에 사랑채와 바깥채가 있는데 사랑채는
집주인(남편)이 지내며 손님을 맞이하고 잠을 자는 곳이다. 더 안으로 들어가면

안주인(집안의 부인)이 거처하는 안채가 있다. 안채는 디귿(ㄷ)자 구조로 안채 문


에서 사랑채를 볼 수 없다, 이것은 조선 시대에 남편과 부인을 엄격히 구분했던 내
외법 때문이다. 안채의 뒤에는 사당과 별당이 있다. 사당은 조상의 위패를 모시는
곳이고 별당은 딸과 며느리들이 바느질하는 곳이다. 별당 뒤쪽에는 대문을 사용하
지 않고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작은 쪽문이 있다. 사대부 집에는 가족은 물론, 집
안일을 하는 노비들이 살아야 해서 방이 많이 필요했지만, 양반들의 생활을 절제
하게 하려고 99칸(방)을 넘지 못하게 했다.
한국 집의 지붕에는 ‘기와’를 깔았는데 기와가 비싸서 양반 사대부와 부자가 사
용했고 이러한 집을 ‘기와집’이라고 부른다. 고려 시대에는 값이 비싸고 더 아름다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37

운 파란색의 청기와를 사용했지만 조선 시대에는 사치를 못 하게 하여 청기와를


사용하지 않았다. 현재 한국의 대통령이 근무하는 곳을 ‘청와대’라고 하는데 이것

은 고려 시대 사용했던 청기와에서 유래되었다.


한국의 전통기와집(한옥)이 많이 모여 있는 대표적인 곳으로는 서울 북촌, 전
주 한옥마을,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 지역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양반 사대부 주

택을 볼 수 있다.

Traditional Korean Tiled Roof Houses(Hanok)

In order to make the most of the natural environment, Koreans planted bamboo at the

back of the house to block the wind, made wells in front of the house, and planted fruit
trees or various trees around the house. The flat structure of the house has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일자, 기역(ㄱ)자, 디귿(ㄷ)자, 미음(ㅁ)자 following the shapes of
the alphabet of Korean language and the structures in the north and south are different.
In the palaces, temples, Daeungjeon Hall, Hyanggyo, etc. round pillars (which support
the house) were used, but square pillars were used for ordinary houses. This is because

the round means heaven and the king, and the square symbolizes the earth and the
servant.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house of the Joseon Dynasty, there is a door room

where servants dwell when they enter the courtyard from the front gate. There are
Sarangchae and Bakatchae. Sarangchae is the place where the husband lives and greets
guests and sleeps. If you go further inside, there is Anchae where the wife of the house
lives. Anchae is a dip-shaped structure, so you cannot see Sarangchae from the Anchae
gate, because of the laws that strictly separated husband and wife in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Sadang(사당) and Byeoldang(별당) behind Anchae. The Sadang is the
13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place where the Jesa(ancestral ceremony) is held and the Byeoldang is the place where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sew. There is a small gate at the back of the Byeoldang

so that you can go outside without using the main gate. The wealthy and highly ranked
family needed a lot of rooms because they had to live with their servant’s families, as
well as their own family members, but they did not allow to build more than 99 spaces

(rooms) in their own house.


The ‘Kiwa’ titles on the roof of a Korean house is expensive, so it was used by the
deputies of the Yangban, and these houses are called 'Kiwajip'. In the Goryeo period,

expensive and more beautiful blue tiles were used. But in the Joseon period, blue tiles
were not used because luxurious life was not allowed. The place where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urrently serves is called the “Chong Wha Dae(Blue House)”,
which originated from the Chong Kiwa (Blue Kiwa) of Goryeo Dynasty.
Representative places where many traditional Korean houses are gathered include
Bukchon, Jeonju, Hanok Village, Andong Hahoe Village, and Yangdong, Gyeongju.

<한옥 사랑채>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39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14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남산 한옥 마을〉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한옥 대문>
사진 제공 – 이수경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41

<추사고택 대문>
사진 제공 – 이수경

<추사고택 – 추사체>
사진 제공 – 이수경
14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한국관광공사』, https://kto.visitkorea.or.kr

<사랑채 온돌방>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43

<부엌에서 사용된 가구, 그릇>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장독대>
사진 제공–이수경
14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한옥 담>
사진 제공–이수경

<전주 한옥마을>
사진 제공–이수경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45

2) 초가집

한국의 전통 가옥에서 90% 이상이 초가집이었다. 초가집은 기와집처럼 기와를


사용하지 않고 볏짚, 밀짚, 갈대 등으로 지붕을 만든 집을 말한다. 건물의 벽은 황
토 흙에 수숫대를 섞어서 만들었다. 일반 평민들의 집으로 기역(ㄱ)자나 디귿(ㄷ)

자로 배치되어 있다. 초가집 지붕의 형태는 둥근 산을 표현한 곡선으로 부드럽고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우리나라 말에 ‘초가삼간’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가난
한 사람들이 사는 집을 뜻하는 것이다. 청명한 가을하늘과 함께 초가집 지붕 위로

올라간 박넝쿨과 마당에 널려있는 빨간 고추는 한국의 시골 농촌을 보여주는 푸근


한 정경이다. 초가집은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지만 매해 지붕을 바꿔
야 해서 불편했다. 그래서 1960년대 새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초가를 현대식 지붕
으로 바꾸어 요새는 농촌에서 초가집을 보기가 어렵다. 현재, 초가집이 많이 남아
있는 곳을 민속 마을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는데 충청남도 외암 민속마을, 전라
남도 순천 낙안읍성, 경주 양동마을, 안동 민속마을, 제주 성읍마을이 있다.

Traditional Korean Thatched - Roof House

More than 90%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were thatched houses. Thatched house
is a house made of roof made of rice straw, straw, reed, etc. without using a Kiwa like
a Kiwajip. The walls of the building were made by mixing water fountain with yellow
soil. It was a common people's home and was built as 기역(ㄱ)자나 디귿(ㄷ)characters
following the shape of the Korean alphabet.
The shape of thatched roof is a curve representing a round mountain, making it feel

soft and comfortable. In Korean, there is the word ‘chogasamgan’, which means the
house where the poor live, and is an expression against the Kiwajip.
146.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The thatched houses are part of the scenery, with the clear autumn sky, the red
peppers in the yard and the park vines that rise above the roof of the thatched house

are a warm view of rural Korea.


The thatched house is made to be cool in summer and warm in winter, but it was
inconvenient because the roof had to be changed every year. So, as the ‘Saemaul

Undong’ movement started in the 1960s, the thatched roof was replaced with a modern
roof, making it difficult to see thatched houses in the countryside these days. In Korea,
the place where many thatched houses remain is designated as a folk village and well

preserved. There are lots of thatched houses, including Oeam Folk Village in
Chungcheongnam-do, Nakan-eupseong in Suncheon, Yangdong village in Gyungju,
Andong folk village, and Seongeup village in Jeju.

사진 제공–이수경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47

사진 제공–이수경

사진 제공–이수경
148.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사진 제공: 이수경

<제주도 성읍 민속마을>
사진제공(이범수)-한국관광공사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49

3) 온돌

한국 사람들이 사는 집의 가장 큰 특징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온돌(따뜻한


돌이라는 뜻)’이다. 온돌은 방바닥에 돌을 깔고 그 위에 종이를 여러 겹 두껍게 붙

인 다음에 밖에서 불을 지펴서 따뜻하게 하는 것이다. 방 옆에 부엌을 만들어 부엌


에는 불을 피울 수 있는 아궁이를 만들고 여기에 나무를 넣어서 불을 지피면 방이
따뜻해진다. 아궁이를 통하여 방을 따뜻하게 하고 동시에 그 불로 밥과 음식도 만

든다. 온돌은 고대 고구려 시대부터 사용되어 조선 시대에는 널리 보급되었다. 전


국적으로 보급된 한국 난방의 온돌 시스템으로 한국 사람들은 좌식 생활문화를 하
게 되었다. 온돌방에 앉아서 식사하기 때문에 낮은 밥상을 사용했고 온돌방의 따

뜻한 곳에는 연장자가 앉았다. 오늘날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사는 아파트에는


개량식 온돌 보일러를 설치하여 바닥을 따뜻하게 한 온돌방이 여전히 있다. 이처
럼 한국 사람들은 바닥이 따뜻한 것을 좋아하여 전기장판, 전기 매트와 같은 상품
을 개발하였고 찜질방도 온돌 문화에서 생긴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On-dol

The most special feature of Korean houses is 'Ondol (meaning warm stone floor)',

which is not found in any country in the world. Ondol is a method of laying a stone
on the floor of a room, covered several layers of paper on top of it, and then lighting
a fire outside to warm it. The kitchen was built next to the room, to make a Agungi(fire

place) in the kitchen to make fireplace fueled by wood.


It warms the room through the fire place and at the same time cooks rice and food
with the fire. Ondol was used from the ancient Goguryeo period and was widely used
in the Joseon Dynasty.
With the Ondol heating system popularized throughout the country, Koreans were
150.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able to have a sedentary lifestyle. They sat down in the Ondol room and ate a meal,
and used a low table, and in the warmest place in the Ondol room, the elder sat down.

Today, most Koreans live in apartments, but in Korean apartments there is still an ondol
room with an improved and modernized ondol boiler to warm the floor. As such,
Koreans love the warm floor, so they developed products such as electric floor mats and

electric mattresses, and it can be said that the jjimjilbang also originated from ondol
culture.

<온돌방>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51

<부엌 아궁이>
사진제공(김지호)-한국관광공사

3. 현대 주거 형태

한국의 전통주택을 한옥이라는데 한옥은 현대인이 생활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어


서 현대 한국인의 대부분은 아파트 생활을 더 좋아한다. 한국에서는 1960년대 이
후 한국경제가 성장하면서 아파트가 많이 건축되었다. 이후 강남 지역을 개발하면

서 ‘아파트 공화국’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가 건축되었다.


이렇게 대규모의 신축 아파트 단지와 함께 좋은 중고등학교가 생기면서 강남 지역
의 교육열이 높아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였고 한국인들에게

아파트가 투기 목적으로 변하게 되었다.


아파트가 한국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였으나 요즘은 아파트 건물의 1~2층에 식
당이나 가게들이 있고 그 위에 생활공간을 짓는 ‘주상복합’이 생겼다. 또한, 오피스
와 호텔을 합친 것과 같은 주거 공간으로 지어진 ‘ 오피스텔’이 있고 ‘오피스텔’보
152.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다 저렴한 ‘원룸’도 있다.


전국적으로 아파트가 한국인의 주거 형태가 되면서 많은 사람이 편리하고 안전

한 아파트에 살았다. 그러나 아파트 생활에 답답함을 느낀 사람들이 은퇴 후에 조


용한 시골에 내려가서 자연과 함께 생활하는 ‘전원주택’도 요즘 인기를 끌고 있다.

Modern residential styles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is called Hanok, but Hanok is inconvenient for modern
people to live, so most modern Koreans prefer an apartment life. In Korea, as the

Korean economy has grown since the 1960s, many apartments have been built. Later,
as the Gangnam area was developed, a large-scaled apartment complexes were
constructed so that the word ‘Apartment Republic’ was created. With such a
large-scaled new apartment complexes, a good middle and high school systems were
created in neighborhoods, and the enthusiasm for education in Gangnam increased. In
the process, the price of apartments rose and apartments were turned into speculation

for Koreans.
The apartment was a typical residential form in Korea, but nowadays there are
restaurants and shops on the 1st and 2nd floors of the apartment building. In addition,

there are ‘Officetel’ built with residential spaces like offices and hotels, and ‘one room’
studios are cheaper than ‘Officetel’.
Nationwide, apartments have become Koreans' residences, and many have lived in

convenient and safe apartments. However, 'country houses' where people who feel
frustrated with apartment life retire to quiet countryside after retirement and live with
nature are also popular these days.
Ⅴ. 한국인의 주거생활 153

이야기하기 Further Discussion

1. 지금 여러분은 어디에서 살고 있습니까? 지금 사는 곳의 장단점을 이야기해 봅시


다.
Where do you live now? Let's talk about the pros and cons of where you
live now.

2. 한국 사람들의 주거 형태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합니까? 온돌방에서 잔 경험이 있


습니까?
What do you think about the way people live in Korea? Have you ever slept
in an Ondol room?

3. 여러분 나라의 주거 형태를 이야기하고 한국과 다른 점을 살펴봅시다.


Let's talk about the way you live in your country and look at the
differences from Korea.
154.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확인하기 Let’s Check

1. 한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집의 방향은 어느 쪽입니까?


What is the direction of the house that Koreans like?

2. 한국 사람들이 집의 인테리어를 할 때는 가구나 창문의 위치를 정할 때 ‘풍수지

리’를 따릅니다. 풍수지리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When Koreans decorate their homes, they follow “Feng Shui Geography”
when locating furniture or windows. What other Feng Shui Geography do
you know?

3. 조선 시대 양반들이 살았던 집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do you say is the house where the Joseon Dynasty and the four
generations lived?

4. 조선 시대 집에는 안채, 사랑채와 별당이 있습니다. 각각 누가 살았습니까?


In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Anchae, Sarangchae and Byeoldang. Who
lived each location?

5. 고려 시대에는 기와집에 청기와를 사용했습니다. 현재, 한국의 대통령이 근무하


는 곳은 이 이름을 따서 부릅니다. 대통령이 지내는 곳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During the Goryeo Dynasty, blue tiles were used for tile houses. Currently,
the place where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erves is named
after this tradition. What do you call the president's place in Korean?
6. 초가집은 볏짚이나 갈대로 지붕을 만든 집을 말합니다. 초가집 지붕은 자연에 있
는 무엇과 비슷합니까?

Thatched houses are houses made of straw or reed roofs. What is


thatched roof similar to in nature?

7. 한국에만 있는 전통적인 난방 시스템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is the traditional heating system called in Korea?

8. 한국 사람들은 바닥이 따뜻한 것을 좋아합니다. 이러한 문화에서 생긴 곳 이름은


무엇입니까?
Koreans love the warm floor. What is the name of the place that originated
in this culture?

9. 시골에서 자연과 함께 생활하기 위해 지은 집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do you call a house built to live with nature in the countryside?

10. 오피스와 호텔을 합친 것과 같은 주거 공간으로 지은 집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What do you call a house built from a residential space like a combination

of an office and a hotel?


156 한국인의 문화 이야기 World Heritage Sites in Korea
157

참고문헌

강승혜 외(2010). 한국문화교육론. 형설출판사, 서울


권영민 외(2009).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읽기. 아름다운 한국어학교, 서울
김아리(2002). 밥 힘으로 살아온 우리 민족. 아이세움, 서울
박석준 외(2017). 세종한국문화 1. 다락원, 서울
박석준 외(2020). 세종한국문화 2. 다락원, 서울
이성희(2015). 한국 문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박이정, 서울
이이화(2012). 처음 만나는 우리 문화. 김영사, 서울
임경순(201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역락, 서울
조재윤 외(20009).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 길라잡이. 박이정, 서울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https://unesco.or.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사진 출처
이수경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
국립고궁박물관 https://www.gogung.go.kr
문화체육관광부 이뮤지엄 http://www.emuseum.go.kr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https://unesco.or.kr
한국관광공사 http://kto.visitkorea.or.kr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www.aks.ac.kr

표지사진 : <종이나무> 한국관광공사 제공


한국인의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Korean Lifestyle

발 행 2020년 8월 15일 초판

저 자 이 수 경
발 행 인 도서출판 동주

서울시 송파구 방이동 62-3. 평원빌딩 303호


출판등록 2012년 2월 13일 제 2012-000038호

전 화 (02) 468 – 6080~1


팩 스 (0505) 498 – 6082
전자우편 spa@spa-korea.com

홈페이지 http://www.spa-korea.com/

정 가 15,000 원

Copyright ⓒ 2017, Dong Joo Publications.


ㆍ본서는 저자와의 계약에 의해「도서출판 동주」에서 발행합니다. 이 책의 일부 혹은 전체 내용을 출판사
발행인의 서면 동의 없이 무단으로 복사, 복제, 전재, DTP, 인터넷상 에 게재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
촉 됩니다.
ㆍ낙장이나 파본 된 책은 구입처나 본사에서 교환하여 드립니다.

ISBN 979-11-86219-20-2 (03710)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
(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종합목록 구축시스템(http://kolis-net.nl.go.kr)에서 이
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 CIP202003421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