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1.

말은 민족을 낳고(KBS)
2. 민족의 운명을 좌우하는 말의 힘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우리말의 기원과 탄생, 한국어의 흔적, 앞으로
의 한국어의 경제적 가치 등 역사 속 한국어의 위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3. 최근 들어 외래어 사용을 남발하거나 우리 말 어휘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느껴 한국


어의 기원, 역사를 탐구함으로써 우리 말의 역사적 의의를 되새겨 보고 싶었다.

4. 한글의 탄생과 함께한 역사적 사건, 한글의 특징과 사용분야, 그리고 한글이 지니고 있는 문화적 가치
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중국 문자 체계에 대한 국내 반발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한글이 생겨나게 되었고
그 당시에는 가장 진보적인 문자였다. 조선시대 왕실의 법령 및 문서 작성에 한글이 사용되었으며 일제 강점
기에는 일본어를 강요하는 정책에도 불구하고 한글을 통해 한일운동과 국민운동이 전개되며 다양한 역사적
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만주, 연해주 등지로 이주한 우리민족들의 언어와 다
른 나라 언어들간의 유사한 점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고 있다. 또한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문학의 역사
를 소개하면서 한글이 한국 문학 발전에 미친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한류 문화의 확대로 세계의 한국어 사용
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현황을 제시하면서 국내 언어 교육 및 정보 기술 분야에서의 노력을 강조하였다.

5. 조선 후기인 18세기 말 의정부에서 진행된 ‘세종의 형제와 함께한 한글 날개짓 대회’ 장면이다. 이 대
회는 한글을 이용한 글쓰기, 말하기, 연극 등의 대회였는데, 참가자들은 한글을 이용해 자유롭게 표현하고 발
표하며 서로 경쟁했다. 이 대회를 통해 한글이 국민의 손에 더 잘 전해지고 발전되기를 바랐던 세종대왕의 창
조정신이 잘 느껴졌다. 한글의 발전과 보급에 대한 열정과 노력이 현재 kpop, k드라마와 같은 한류문화가 위
상을 지닐 수 있게 기반이 되었다고 생각하여 인상 깊었다.

6. 이 다큐를 보기 전까지는 중국,일본, 고려인, 조선족 동남아의 여러 국가들 등지에서 우리나라 말과 비


슷한 어족이나 발음을 사용하는 것에 큰 의의를 두지 않았다. 비슷한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이 언어, 문화 교
류를 가능하게 했고 이로 인해 국제적인 교류와 협력이 지속되어 현재의 우리나라가 존재하게 되었음을 느
꼈다. 특히 중국, 일본과 같은 한자 문화권 국가들에서는 의식주문화에서 공통점이 많이 보였다. 예를 들면
젓가락 문화, 쌀밥문화가 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 한글을 잃지 않았기에 여러 일제강점기 문학 등을 통해
우리민족의 정신이 계승, 정체성이 유지될 수 있었다고 생각하며 ‘말은 민족을 낳는다’라는 제목에 공감하고
역사에서의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7.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 처리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언어들의 역사를 분석하여 자연어를 처리한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다. 한글의 역사와 구조, 특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실제로 어떤 알
고리즘에 의해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지는지 찾아보았다. 또한 세계의 한국어 사용자수가 많아짐에 따라
소셜 미디어에서의 한국어 콘텐츠 제작 사례를 조사해보았다. 언어가 국가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서 퀘백사회에서 과거부터의 언어 공동체 양상을 조명하는 ‘삶의 환경과 정체성의 언어’라는 논문
을 읽었다. 프랑스어가 퀘벡에 거주하는 주민 뿐만 아니라 퀘벡으로 이주해오는 모든 이민자의 삶에 중추적
인 역할을 하는 사회통합의 언어가 되어 온 역사적 배경을 알게 되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