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문자로서의 한글, 소리로서의 한국어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11

INSIDabcdef_:MS_0001MS_0001

한글과 한국어
#2
한국어문학과
정한데로(word4@gachon.ac.kr)
INSIDabcdef_:MS_0001MS_0001

차례

u 문자로서의 한글, 소리로서의 한국어

1. 한국어와 한글

2. 언어와 문자

3. 말과 문자와 문화의 관계
INSIDabcdef_:MS_0001MS_0001

오늘의 수업 목표

ü 문자와 소리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ü 한글과 한국어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ü 주변 언어 자료를 관찰하면서 문자와 소리를 직접 수집하고, 이들 언어 자료의 세부적


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INSIDabcdef_:MS_0001MS_0001

1. 한국어와 한글

[학습 활동 1]

§ 한국어와 한글은 누가, 언제 만들었을까? 인터넷 검색을 활용하여 조사해 보자.

§ 한국어와 한글의 차이점을 생각해 보자.


1. 한국어: 고대한국어는 정확한 창제시기, 창제자를 알 수 없다. 현대한국어는 주시경 선생이 연구하여 정립함.
한글: 한글이 창제된 것은 1443년 세종 25년 음력 12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한글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것은 음력 9월 상순의 마지막날인 9월 10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 9일 ‘훈민정음 해례본’ 이 반포되었다.
2. 한국어는 전통적으로 한민족이 쓰는 언어를 이르는 말이며,
한글은 한민족이 쓰는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서 쓰는 문자의 이름이다.
ü [동영상 자료 1]

위대한 여정 한국어 1부 - 말의 탄생, 산과 바다를 넘어 (~3:40)

ü [동영상 자료 2]

역사 스페셜 - 소리문자 훈민정음, 어떻게 만들어졌나 (3:00~9:20)


INSIDabcdef_:MS_0001MS_0001

2. 언어와 문자

ü [읽기 자료 1]

• 2005년 기준 지구상에는 약 65억의 인구가 대략 3,000-6,000개 정도의 언어를 사용하


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문자 역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 현재 가장 넓은 지역에서 많은 인구가 사용하고 있는 문자는 로마 문자이다. 이 문자는
서부와 북부 유럽 지역, 남북 아메리카 지역 그리고 서구 유럽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지역 그리고 호주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고, 근래에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
아, 터키 등지에서도 옛 문자를 버리고 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자를 키릴 문자라고 하는데 이 문자는 러시아를 비롯한 옛 소련지역에서 사용
하고 있다. 로마 문자와 키릴 문자의 기원이 되는 문자는 그리스 문자인데 이 문자는
현재 그리스에서 사용되고 있다.
• 인도와 동남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인도 문자 내지는 이 문자와 유사한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종족에 따라 다양한 문자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 문자의 기원은 인도의
브라흐미 문자에 기원한다.
•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지역에서도 국가와 민족에 따라 다양한 서체를 사용하
고, 또 부분적으로 모양이 다르기는 하지만 동일한 아라비아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INSIDabcdef_:MS_0001MS_0001

2. 언어와 문자
• 중국에서는 고대 문명 발생 당시에 사용했던 문자를 수정, 보완, 확장하여 지금까지 사
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한자와 한자에서 변개한 문자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 한국에서는 중국에서 빌어 온 한자와 스스로 창제한 한글을 같이 사용하고 있다. 한자
의 세력이 쇠퇴해 가고 있는 반면, 한글의 사용은 확대되는 중이다.
• 이외에 몽골 문자, 그루지아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에티오피아 문자 등이 사용되고 있
다. 대체적인 현황은 다음과 같다.
INSIDabcdef_:MS_0001MS_0001

2. 언어와 문자

ü 언어는 선천적
• 인간이 다른 생물체와 구분되는 가장 특징적인 것은 언어의 사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인
간이 언어를 배워 사용하는 것은 인간의 천부적인 능력으로서, 뇌세포 등이 선천적으
로 특별한 장애를 받지 않은 정상적인 인간이라면 그리고 인간 사회에서 격리되어 따
로 성장하지 않고 인간사회에서 성장하기만 하면, 누구나 배워서 사용할 수 있는 타고
난 능력인 것이다.
• 인간의 모습이나 관습이 종족이나 민족에 따라 다르듯이 인간의 언어 역시 종족이나
민족에 따라 제각기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언어는 인간
의 지능과 신체(특히 조음기관)의 유사성으로 인해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간
의 모든 언어는 주어와 서술어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 수식하는 요소들을 가지
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단어로 구성되고 단어는 다시 음소로 분석된다. 그리고 음
소는 언어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공통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약간
의 차이만 있을 따름이다.
INSIDabcdef_:MS_0001MS_0001

2. 언어와 문자

ü 문자는 후천적
• 언어 능력 내지는 언어습득 능력이 천부적이거나 생득적인 성격을 상대적으로 많이 가
지고 있는 반면에, 문자의 습득이나 사용은 후천적이거나 인위적인 성격을 많이 가지
고 있다. 인간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은 언어와 달리 천부적인 능력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인간의 노력의 산물이기 때문에 종족에 따라 천차만별의 양상을 띠는 것이다. 문자를
가지고 있는 종족이 있는가 하면 가지지 못한 종족이 있고, 스스로 만든 문자를 사용하
는 종족이 있는가 하면 남의 것을 빌어 쓰는 종족이 있다. 남의 것을 빌어 쓸 경우에도
그대로 베끼듯이 빌어 쓰는 종족이 있는가 하면, 자기의 실정이 맞게 변형하여 사용하
는 종족이 있다. 이것은 종족의 노력과 창조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문자란 그냥 주어진
것이 아니고 그 종족의 노력과 능력에 따라 천차만별의 문자 생활을 하고 있는 것이다.

(박창원, 디지털 한글박물관)

[학습 활동 2]
§ 위에서 언급된 문자들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자.
§ 각 문자들의 형태를 찾아 공유하고, 이를 각각 비교해 보자.
INSIDabcdef_:MS_0001MS_0001

3. 말과 문자와 문화의 관계

ü [읽기 자료 2]

• 인간은 말과 문자를 통해 사상이나 감정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고 전달받는다.


이 말과 문자를 활용하는 언어활동을 통해 인간은 협동을 할 수 있다. 말을 통해서는
주로 동시적 협동을, 문자를 통해서는 주로 계기적 협동을 하여 왔다.
• 협동을 통해 인간은 문화를 창조하고 축적해 간다. 따라서 말과 문자는 인간의 문화를
창조하고 전달하는 유일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류 문화의 발달은 말
과 문자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표현하는가 하는 노력에 따라 이루어져 왔다. 즉 말과 문
자를 제대로 이용할 줄 아는 민족이나 국가만이 문화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고 할 수 있
다.
• 인간은 말이 지니고 있는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서 문자를 만들어 냈다. 그러나 말과 문
자의 제약이 여전하여 이 제약에서 벗어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말을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듣게 하기 위하여 확성기를 발명하였고, 멀리 있는 사람에게 전
달하기 위하여 전화기를 창안해 냈다. 말을 한꺼번에, 여러 지역에 있는 여러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라디오를 발명해 냈다. 오늘 말한 것을 내일 다시 듣기 위해 녹음기도
만들어 냈다. 문자를 멀리 있는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팩스를 생각해 냈고, 한꺼번에
여러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책, 신문, 잡지 등을 만들어 냈다.
INSIDabcdef_:MS_0001MS_0001

3. 말과 문자와 문화의 관계

• 그러나 청각적인 말과 시각적인 문자만으로는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확하고 신속


하게 전달하기 쉽지 않아서 청각적인 요소와 시각적인 요소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방식, 즉 멀티미디어 방식을 발명해 내었는데, 그것이 곧 텔레비전이다. 말과 문자와 화
상을 동시에 사용하여 전달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방식의 문제점은 전달
방향이 일방적이라는 점이다. 말과 문자와 화상을 동시에 양방으로 주고받는 방식이
만들어졌는데, 그것이 곧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이다. 이러한 발달 과정을 표로 보인
다면 다음과 같다.
홍윤표(2016: 20-22)

[학습 활동 3]
§ 다음에 제시된 두 개의 표를 관찰하고, 그 내용을 분석해 보자.
§ 친구들과 함께 토론하면서 내가 이해한 결과를 옆 사람에게 설명해 보자.
§ 더 추가할 만한 내용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INSIDabcdef_:MS_0001MS_0001

3. 말과 문자와 문화의 관계
[표 1] 화자 방식 매개체 청자 시대

본래적 방식
문자
개인전달 시대
개인 전화기(말) 개인
(~19세기)
기계적 방식 녹음기(말)
팩스(문자)

본래적 방식 확성기, 라디오(말)


매스컴 시대
개인 대중 + 신문(문자) 개인 대중
(20세기)
기계적 방식 TV(말․문자․동영상)

정보화 시대
개인 대중 디지털 방식 컴퓨터(말․문자․동영상) 개인 대중
(21세기)

[표 2] 전달자 1인 : 수신인 1인
전달자 1인 : 수신자 다중
공간적 제약 극복 시간적 제약 극복

말 확성기, 전화기 녹음기 라디오


문자 팩스 제약 없음 신문, 잡지
말․문자․동영상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 텔레비전
(멀티미디어 방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