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위악 표현의 개념과 비속어와의 관계 논문

발표를 여기서 시작하겠습니다!


서론 비어 및 속어 차이점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위악 표현 소개
- 청소년 비속어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비속어 사용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사용하는 비속어에 대한 설문 조사

이론적 배경 결론
비어 내용 참고문헌 과 요약
속어 내용
비어 및 속어 차이점
01
서론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위악 표현과 비속어와의 관계를 통해
위악?
두 표현의 구성 방식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한국어 위악 표현과 비속어와에 대해 잘 파악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목적을 두고 있음.

• 언어는 인간은 사회생활과 일상생활에 소통하여 많이


비속어?
도움이 되는 중요한 수단.

• 외국인 학습자는 잘못된 언어 표현이 자주 발생하면 오해나


갈등이 생길 수 있음.
위악?

위악은 영어로dysphemism
한국어의 최초의 의미는 ‘듣기 나쁜 말’.

비속어는 아름답지 못한 말로 언어생활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요소.
비속어?
전 세계 수천 개의 언어 중에 비속어가 없는 언어는 없음.
위악

이직 중인 무직
장애인 병신
위악 표현 노숙자 거지 완곡 표현
집 아주머니 청소부
미화 담당자 쓰레기청소부

당황하게 한다/
유머 남용
분노하게 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