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20200046006 류미현나

2장
한국어 문장을 이루는 기본원리는 무엇인가 ?
목차
1. 한국어 문장은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어떤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 ?
2. 문장을 이루는 필수적인 요소들은 무엇인가 ?
3. 문장에서 꾸밈의 기능을 가진 요소들은 무엇인가 ?
4. 문장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가진 요소는 무엇인가 ?
5. 단어 세계에도 불평등이 있다 .
6. 명사류와 동사류가 서로 기능을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7. 명사류와 동사류가 꾸밈의 기능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8. 명사류가 감탄사와 같은 기능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01 한국어 문장은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어떤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

1. 한국어에는 ‘이다'문장이 존재한다 .

2. 한국어에는 이중주어 문장이 존재한다 .

3. 한국어는 주제 중심 언어의 성격이 강하다 .


01 한국어 문장은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어떤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

1.1 한국어에는 ‘이다'문장이 존재한다 .

영어 한국어 문장의 예 한국어

1 형식 : 주어 + 동사 강아지가 잔다 .

2 형식 : 주어 + 동사 + 보어 나는 대학생이 되었다 . 동사문장

3 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강아지가 밥을 먹는다

4 형식 : 주어 + 동사 + 간접목적어 + 직접목적어 나는 강아지에게 밥을 주었다

강아지가 귀엽다 . 형용사 문장


나는 대학생이 아니다 .

(5 형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 이것은 혜림이네 강아지이다 . ‘ 이다’문장


01 한국어 문장은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어떤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

1.1 한국어에는 ‘이다'문장이 존재한다 .

가 . 나는 5 시 도착인데 , 너는 언제 도착하니 ?. ( 동사 )

나 . 그 정도야 보통이지 . ( 부사 )

다 . 그저 죄송할 따름입니다 . ( 의존명사 )

라 . 물은 셀프입니다 . ( 명사 )

 한국어의 ‘이다'는 동사와 형용사를 제외한 다른 말이 서술어로 쓰일 때 사용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

 ‘ 이다’ 문장은 동사 문장 , 형용사 문장과 함께 필수적인 문장 형식의 하나이다 .


01 한국어 문장은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어떤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

1.2 한국어에는 이중주어 문장이 존재한다 .

서술어는 하나 , 주어는 두 개 이상

가 . 코끼리는 코가 길다 . ( 코끼리의 코가 길다 .)

나 . 할아버지께서는 몸이 쇠약해지셨다 . ( 할아버지의 몸이 쇠약해지셨다 .)


통사적 변형
다 . 이 꽃은 향기가 난다 . ( 이 꽃에서 향기가 난다 .)
라 . 그 집은 경사가 났어 . ( 그 집에 경사가 났어 .)
마 . 나는 가을이 좋아 .
바 . 우리나라에서 이 마을이 유서가 가장 깊어 .
01 한국어 문장은 다른 언어와 비교하여 어떤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

1.3 한국어는 주제중심 언어의 성격이 강하다 .


영어 : 주어중심

 일반적
가 . 철수가 그 사과를 먹었다 .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 진술

 일상대화체
나 . 그 사과는 철수가 먹었어 . ( 목적어 + 주어 + 서술어 ) 문장

가 . 동생은 엄마가 선물 사줬대 . (  엄마가 동생에게 선물 사줬대 .)

나 . 범인은 내가 아니라 저 사람입니다 . (  내가 범인이 아니라 저 사람입니다 .)

다. 지저분하기는 영수가 제일이야 . ( 영수가 제일 지저분해 .)


이 외에도
 한국어는 서술어 중심의 언어 ( 영어는 주어 중심 언어 )

서술어 중심 언어 ( 한국어 ) 주어 중심 언어 ( 영어 )

• 주어 생략 가능 , 무주어문도 가능 • 주어 생략 어려움
• 서술어 생략 어려움 • It 과 같은 비인칭주어 또는 가주어 설정
- 서술어로 내세우기 어려운 경우에는
‘ 하다’와 같은 말을 서술어로 설정하
기도 함

 그는 나에게 인사를 했다 .
 열심히 노력을 해 봐 .
기능동사
 아무리 의심이 간다고 그렇게 몰아붙이면 되나요 ?
02 문장을 이루는 필수적인 요소들은 무엇인가

낱말의 분류
의미 기능 형태

명사 각 품사의 문장 안에서의
주기능
대명사 체언

수사 변
조사 관계언 어 주기능 아닌 다른 기능을
하는 경우
관형사
수식언
부사
감탄사 독립언 다른 기능을 할 때 어떤
요소들이 필요한지
동사
용언 가
형용사

‘ 이다’ ( 서술격조사 ) 어
02 문장을 이루는 필수적인 요소들은 무엇인가 주어 , 목적어 , 보어가 되는 것 !

아기가 잔다 .
이 방은 좁다 .
주어 + 서술어
이것은 장미꽃이다 .
인간은 존엄하다 .

영수가 ( ) 읽는다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을/를
호랑이가 ( ) 잡았다 .
영희가 ( ) 좋아하니 ?

영수가 ( ) 되었다 . 이/가


주어 + 보어 + 서술어
네가 ( ) 아니니 ?
02 문장을 이루는 필수적인 요소들은 무엇인가

아기가 잔다 .
주어 + 서술어 이것은 장미꽃이다 .
칠 (7) 은 행운의숫자이다 .

영수가 책을 읽는다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현수가 그것을 너에게 주었니 ?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 .

영수가 검사가 되었다 .


주어 + 보어 + 서술어 내가 찾는 건 그게 아니야 .
하나가 둘이 되었네 !
02 문장을 이루는 필수적인 요소들은 무엇인가

아기가 잔다 .

주어 + 서술어 방이 깨끗하다 .
이것은 나무이다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영수가 책을 읽는다 .

영수가 검사가 되었다 . ( 동사 )


주어 + 보어 + 서술어
철수는 범인이 아니야 . ( 형용사 )
의미 문장에서의 주기능 형태
1. 명사류의 주기능은 문장에서 주어 , 목적어 , 보어가 되는 것이다 .
명사

요약 ( 체언 : 명사 , 대명사 , 수사 ) 체언
대명사

수사
( 주어 , 목적어 , 보어 ) 불

1 2. 동사류
조사
(관형사
의 주기능은 문장에서 서술어
용언 : 동사 , 형용사 )
관계언
가 되는 것이다 .  어

수식언
부사
감탄사 독립언

동사 용언 가

형용사 ( 서술어 )

‘ 이다’
03 문장에서 꾸밈의 기능을 가진 요소들은 무엇인가

그는 집을 샀다 . 그는 새 집을 샀다 .
 관형사
우리는 노력을 다했다 . 우리는 온갖 노력을 다했다 .

이봉주는 달린다 . 이봉주는 잘 달린다 .


 부사
오늘은 날씨가 덥다 . 오늘은 날씨가 무척 덥다 .

다른 말을 꾸미는 것을 주기능으로 하는 것
-- 관형사 , 부사
종합
의미 문장에서의 주기능 형태
1. 관형사의 주기능은 문장에서 관형어가되는 것이다 .

요약 명사

2. 부사
체언 ( 주어 , 목적어 , 보어 )
의 주기능은 문장에서 부사어가 되는 것이다 .
대명사

2 수사
조사 관계언

관형사 수식언
부사 ( 관형어 , 부사어 )
독립언
감탄사

동사 가
용언 ( 서술어 )

형용사

‘ 이다’
04 문장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가진 요소는 무엇인가

 아 , 봄이 왔구나 .

 글쎄 , 저녁은 뭘 먹을까 ?

문장 내의 다른 요소와는 문법적인 관계없이 단독으로 사용됨 독립어


 각 품사의 주기능 종합

품사 명사류 동사류 관형사 부사 감탄사


( 명사 , 대명사 , 수사 ) ( 동사 , 형용사 )

주기능
주어 , 목적어 , 보어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
( 문장성분 )

 각 품사의 주기능의 예
복습
다음 문장에 쓰인 낱말의 품사와 주기능을 알아봅시다 !

아이구 이 사자가 온갖 동물들을 마구 잡아먹네


감탄사 관형사 명사 / 조사 관형가 명사 / 조사 부사 동사
품사

기능 주어 목적어 서술어

그 놈이 아직 새 사람이 안 되었구나

품사

기능
05 단어 세계에서도 불평등이 있다

이것은 사과이다 .
 품사들은 저마다 주기능을 가지고 있다 .
그런데 명사류와 동사류는 주기능 외에 다른 기능도 할 수 있는
특권이 있다 . ( 관형사 , 부사 , 감탄사는 이러한 특권이 없음 )
네가 행복하기를 바라 .
 명사류 , 동사류가 다른 기능 할 때에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표지가
있어야 한다 .
06 명사류와 동사류가 서로 기능을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상호 기능바꿈 (p.57 표 참고 )

6.1 명사류가 서술어로 기능

 명사류가 서술어가 되기 위해서는 동사나 형용사의 성질을 가져야 함 .


 동사 , 형용사의 성질 : 어간 ( 의미 ) 과 어미 ( 활용 ) 를 갖는다 .

 명사류가 서술어가 되기 위해서는 ‘ - 이다'의 형태가 되어야 함 .

( 가 ) 이것은 책이다 .
( 나 ) 하나 더하기 하나는 둘이다 .
06 명사류와 동사류가 서로 기능을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6.2 동사류가 주어 / 목적어 / 보어로 기능

 동사나 형용사가 주어 , 목적어 , 보어가 되기 위해서는 명사류의 성질을 가져야 함 .


 명사류의 성질 : 의미를 가짐 / 조사를 취할 수 있음

( 가 ) 나는 가르치는 것을 ( 가 ) 나는 어려운 것을 싫어한다 .


좋아한다 . ( 나 ) 어려움이 찾아왔다 .
( 나 ) 잘 가르치기는 매우 어렵다 .
 명사류가 서술어가 되기 위해서는 ‘ - 기’ , ‘-( 으 ) ㅁ'과 같은 어미를
사용하거나 ‘ - 것'과 같은 구를 사용함 .
종합

요약
3
 명사류와 동사류의 상호 기능바꿈과 표지

1. 명사류의 서술어 기능 : ‘ 이다’


2. 동사류의 주어 , 목적어 , 보어 기능 : ‘- 기 , -( 으 ) ㅁ’ ,
명사형 전성어미

‘- 것’
07 명사류와 동사류가 꾸밈의 기능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7.1. 관형어로의 기능  관형사는 뒤에 오는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함

 명사류에 관형격 조사를 붙이면 관형어가 되어 관형사가 하는 일을 대신할 수 있다 .

가 . 우리는 여러 도시를 방문했다 .


관형사 / 관형어

나 . 우리는 [ 추억의 , 호반의 ] 도시를


방문했다 . 관형격 조사

07 명사류와 동사류가 꾸밈의 기능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7.1 관형어로의 기능

 동사나 형용사에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붙이면 관형어가 되어 관형사가 하는 일을


대신할 수 있다 .

가 . 나는 여러 사람을 보았다 .
관형사 / 관형어
울다 -는
나 . 나는 [ 우는 , 예쁜 ] 사람을 보았다 . 관형사형 전성어미
-
예쁘다
은/ㄴ
종합

요약
4
 명사류와 동사류의 관형어로의 기능바꿈과 표지

관형격 조사
1. 명사류의 관형어 기능 : ’ 의’

관형사형 전성어미
2. 동사류의 관형어기능 : ‘- 는 , -( 으 ) ㄴ’


07 명사류와 동사류가 꾸밈의 기능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7.2 부사어로의 기능

 명사에 부사격 조사를 붙이면 부사어가 되어 부사가 하는 일을 대신할 수 있다 .

가 . 그는 일찍 잔다 . 나 . 그는 초저녁에 잔다 .
부사 / 부사어

 그는 집으로 갔다 . / 그는 집에서 공부한다 . / 내일부터 공부한다 .

 부사격조사 ( 에 , 에서 , 으로 , 까지 , 부터 , 와 ,
까지 )
07 명사류와 동사류가 꾸밈의 기능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7.2 부사어로의 기능

 동사나 형용사에 부사형전성어미를 붙이면 부사어가 되어 부사가 하는 일을


대신할 수 있다 .

늦다 가 . 그는 늦게 잔다 . 나 . 그는 밤이 늦도록 공부했다 .

- -
게 도록
부사형
전성어미
종합

요약
5
 명사류와 동사류의 부사어로의 기능바꿈과 표지

부사격 조사
1. 명사류의 부사어 기능 : ’ 에 , 에게 , ( 으 )

부사형 전성어미
로’ 등

2. 동사류의 관형어기능 : ‘- 게 , - 도록’ 등


08 명사류가 감탄사와 같은 기능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독립어는 다른 문장성분과의 문법적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말

 명사류에 호격 조사를 붙이면 독립어가 되어 감탄사가 하는 일을 대신할 수 있다 .

가 . 철수야 , 봄이 왔다 .
나 . 그대여 , 당신은 한 송이 꽃과 같습니다 . 야 여 이여
다 . 젊음이여 , 영원하라 .
형용사의 명사형
호격조사
종합

요약
6
 명사류의 독립어로의 기능바꿈과 표지

1. 명사류의 독립어 기능 : ’ 야 , 여’ 등
정리
품사별 주기능과 기능바꿈

명사류 동사류 관형사 부사 감탄사


주어 , 목적어 ,
주기능 보어 서술어 관형어 부사어 독립어
서술격 조사 명사형 어미
-- -- --
상호 기능바꿈 ( 이다 ) (- 기 , -( 으 )
ㅁ)
관형격 조사 관형사형 어미
-- -- --
관형어로 기능 (의) (- 는 , 던 등 )
부사격 조사 부사형 어미
-- -- --
부사어로 기능 ( 에 , 에서 , (- 게 , - 도록
등) 등)
호격 조사
-- -- --
독립어로 기능 (아, 야, 여
등)
5 학기 화이팅
우리모두
조금만 더 힘내서
화이팅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