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의미관계에 따른 분류

01. 02 03. 04. 05. 06.


동의 유의 반의 하의 다의 동음
관계 관계 관계 관계 관계 관계

(Định nghĩa và đặ c trưng ( lấ y VD))

01 동의 관계
 동의 관계란?
- 둘 이상의 다른 단어가 음성은 다르나 의미는 같은 관계다.
- 동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동의어라고 한다.

1.1. 동의어의 특성
(1) 동의어는 어떤 문맥이나 상황에서 교체될 수 있다.
예) 책방 - 서점, 허파-폐, 속옷 - 내의...
(2) 어떤 동의어는 방언적 차이, 사회 계층적 차이, 화자의 태도적 차이 때문에
자유롭게 바꾸어 쓰기 어려운 것도 있다.
예) - 고깃간: 푸줏간 (옛날말): 육곳간 (전라도): 육류상점 (북한)= 고기를 파는 가계
=> (방언적 차이)
- 교도소(소년): 감옥소 (형무소): 빵간 (감방: 경멸)
=>(사회 계층적 차이)
- 사람: 놈 (낮은 말, 반말): 새끼 (속되는 말, 욕할 때 씀)
=>(화자의 태도적 차이)

1.2. 동의어의 원인
1. 방언: 백부- 큰아버지(대구)/만아버지(안동)
2. 문체/단어기원
-고유어-한자어 : 머리-두상, 이-치아, 술-약주.. 고유어-서구어: 불고기집-가든,
가게-슈퍼마켓...
3. 전문성: (의학): 캔서-암; (화학) : 지방-기름...
4. 내포: 즐겁다-기쁘다, 불쌍하다 가엾다→ 중립적 주관적 일본인-쪽발이, 미국인-
양키 → 중립적 부정적 내포
5. 완곡어법: 죽다.돌아가다, 천연두-마마, 손님; 변소-화장실

02 유의 관계
- 둘 이상의 다른 단어가 소리는 다르나 의미는 비슷한 관계를 유의 관계라
한다.
-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유의어라 한다.
2.1. 유의어의 특징
1. 유의어는 가리키는 대상의 범위가 다르기도 하고, 미묘한 느낌의 차이를 보인다.
=> 서로 비꾸어 쓸 수 없는 것
예)
소의 꼬리 (0), 소의 꽁지(x);
새의 꽁지 (0), 새의 꼬리(x):

꼬리는 살. 뼈가 있는 것
꽁지는 깃털만 있는 것

2. 유의어의 의미관계는 중심적인 의미면에서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데 감정적,


주변적인 의미에 미묘한 차이가 있다.

예)
- 밥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말이다.
- 진지는 밥의 높임말이다

2.2. 한국어 유의어가 발달한 이유


1) 고유어와 함께 한자와 외래어가 섞여 쓰이고 있다.
2) 높임법이 발달하여 있다.
3) 감각어가 발달하여 있다.
4) 국어 순화를 위하여 정책적으로 말을 만들어 내었다.
5) 금기 때문에 생기기도 하였다.

2.3. 한국어 유의어의 유형


1) 표준어-방언: 옥수수-강냉이......
2) 고유어 - 외래어: 나이 - 연세, 이름 - 성함.....
3) 일반어 - 특수어 : 마마 - 천연두
4) 긍정어-부정어: 흑인-깜동이
5) 직접어법 - 완곡어법: 죽다 – 돌아가다

03 반의 관계
- 한 쌍의 단어가 서로 상대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관계를 반의관계라 한다
- 반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반의어라 한다
예) 높다 - 낮다
작다 - 크다

3.1. 반의어의 특징
1. 두 단어가 한 면을 제외하고는 의미의 동질성 또는 유사성을 가져야 한다.
예)
남편 (남성) - 아내 (여성) ===== (사람)
2. 한 단어가 다의어이면 그 반의어도 여럿일 수 있다
예) 뛰다:
- (중심적 의미) 빠른 속도로 달리다
=> 반의어: 걷다
- (주변적 의미) 물가가 올라가다.
=> 반의어: 내리다, 떨어지다

04 하의 관계 (포함관계)
- 하의 관계는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다.
- 상하의 관계도 라고 한다. ->하의어와 상의어

4.1. 하의 관계의 분류
1.상의어 2.하의어
- 다른 단어의 의미에 포함되는 -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단어이다 단어이다
예: - 과일: 사과/배/귤... 예: - 과일: 사과/배/귤
- 동물: 개/호양이/소.... - 동물: 개/호양이/소

4.2. 상의어와 하의어의 특징


하의 관계는 계층적 구조를 형성한다

1) 상의어:
- 하의어에 비해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지닌다.
2) 하의어:
- 상의어에 비해 의미가 구체적이고 개별적이고 한정적이다
상의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말이다

05 다의관계
- 다의 관계는 한 낱말이나 표현에 여러 가지의 뜻이 있는 관계이다.
- 다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단어 -> 다의어라고 이다.

5.2 다의 특징
1. 다의어는 하나의 어휘 형태가 둘 이상의 여러 의미를 가지는 말이다
2. 새로운 의미를 표현하기 위하여 모든 어휘를 새로 만들 수는 없으므로 다의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5.3 다의어의 예문
- 다의어 '손'의 용법
1. 신체의 일부분: 오른손, 손을 흔들다.
2. 일손이나 노동력 손이 많다/ 부족하다. 손이 달리다...
3. 도움이 되는 힘: 손을 빌리다
4. 교제,관계, 인연: 손을 씻다
5. 수완.꾀: 손에 놀아나다
6. 소유나 권력의 범위: 손에넣다, 손을 빼다. 손에 쥐다
7. 힘. 능력. 역량: 손에 달려 있다.
8. 솜씨: 손이 빠르다
9. 버릇 손이 거칠다

06 동음 관계
- 발음과 형태가 같지만 뜻은 다른 단어 뜻이다.
+ '동음이의어'는 '동음어'로 줄여 쓰기도 한다.

동음이어의 예문
1. 가. 배를 타고 강을 건넜다.
나. 과식을 했더니 너무 배가 불렀다
다. 아이가 배를 내놓고 잠을 자고 있다.
2. 잘한다! 자란다

유형
(1) 절대 동음이의어와 부분 동음이의어:
- 절대 동음성의 조건
+ 의미에서 연관성이 없다
+ 두 단어의 어형이 모든 형태에서 동일하다
+ 위에서 말한 동일 형태끼리는 문법적으로 대등하다
⇒절대 동음이의어: 위의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경우
⇒ 부분 동음이의어: 위의 세 가지 조건 중 한 가지라도 위배될

절대 동음어 부분 동의어

신= 접두사 새(鳥 điểu-chim) =명사 묻다(질문하다) -동사


신(신발) = 접두사 새( tân- mớ i) = 관형사 묻다(매장하다) - 동사
=>(1), (2), (3) => (1), (2), - => (1), -, (3)

(2) 동철자 동음이의어와 이철자 동음이의어


⇒ 동음이의어를 의미는 다르면서 소리가 같다고 규정할 때 철자와 소리가 같은
동음어를 동철자
⇒ 동음이의어라 하고 철자는 다르지만 그 소리가 같은 경우 이철자동음어라고
지칭한다

연습
1. '반듯이'-'반드시' = 동음이의 관계, 동음이어
2. '넘어 '너머'=> 동음이의 관계, 동음이어
3. 결혼- 혼인=>유의 관계, 유의어
4. 삶- 죽음=>반의 관계, 반의어
5. 뜨겁다-차갑나=>반의 관계, 반의어
6. 잔치-파티=> 동의 관계, 동의어
7. 물마루-파도=> 유의 관계, 유의어
8. 식물-연꽃=> 하의 관계, 하의어/상의어

한국어 단어 구조에 따른 분류
1.한국어 단어의 형성 요소
(1) 어근: 단어를 형성할 때,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
(2) 접사: 어근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는 주변 부분
어근 어간
단어형성법에서 접사가 아닌 중심 부분, 활용시의 중심부, 활용시의 불변요소
단어 형성시의 불변 요소

접사 어미
단어형성법에서 어근에 붙는 주변 활용시의 가변 부분, 단어형성시의 가변
활용시의 주변 부분. 요소

어근: 밟-
어간: 짓밟히
접사: 짓-, 히-
어미: -다

2. 단어의 정의
 1. 단어는 Bloomfield(1933)에 따라 최소 자립
형식'으로 정의하는 것이 보통이다.
 2. 단어는 자립할 수 있는 말이나 자립할 수 있는 형태소에
붙어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말
형태소: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최소 의미 단위
① 자립 형태소: 자립하여 홀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관형사, 부사)
② 의존형태소: 홀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다른 말에 기대어 쓰이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어미, 조사, 접사
예)
・'하늘, 우리, 하나, 어느, 얼른'과 같은 자립 형태소
→그대로 하나의 단어가 된다.
+ '맑다'와 같은 의존 형태소
→'맑다'처럼 서로 어울려야만 비로소 자립할 수 있으므로
'맑다'전체가 하나의 단어가 된다

단어의 형성

단일어

합성어 어근+어근
단어
복합어 접두사+어근

파성어
어근+접미사

1) 단일어:
-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 된 단어
예) 산, 하늘, 맑다
2) 복합어:
- 둘 이상의 어근이나, 어근과 파생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파생법과 합성법에 의한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진다.
(a) 합성어-어근과 어근으로 구성된 단어
예) 어깨동무, 앞뒤, 작은아버지, 뛰어나다
(b) 파생어어근과 파생접사로 이루어진 단어
예) 풋사랑, 치솟다, 톱질, 잡히다, 어른스럽다

구분 개념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두 개 이상의 둘 이상의 어근이
어근이 결합되거나 합성어 결합하여 하나의
복합어 어근에 접사가 붙어 단어가 된 말
이루어진 단어 어근에 접사가 붙은
파생어 말

(2) 파생어와 파생법


파생어: 어근의 앞이나 뒤에 파생접사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

- 한국어의 접사는 접두사와 접미사로 구별된다.


접두사 및 접미사
- 접미사와 접두사의 일반화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가장
일반적인 형성 방식이다.
* 접두사는 뒤에 오는 어근의 의미를 제한할 뿐이고 품사를 바꾸는 일이 없다.
예: 첫사랑...
* 접미사는 접두사와 달리 어근의 뜻만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품사 자체를 바꾸기도
한다.
예: 쓰기. 열매...

접사의 종류
위치에 접두사 어근의 앞에 붙는 것 맨손, 헛고생
따라 접미사 어근의 뒤에 붙는 것 덮개 ( 덮+개)
지붕 (집+웅)
기능에 한정적 품사는 바뀌지 않으면서 어근의 지붕 (집의 한 부분)
따라 접사 뜻만 제한하는 것 집, 지붕: 명사
지배적 품사는 바꾸는 접사 덮개 (동사 => 명사)
접사 사람담다 (명사 =>
형용사)
형태에 파생 접사 어근에 달라붙어 새로운 단어를 먹히다:
따라 만드는 파생에 관여하는 접사 히는 파생 접사
굴절 접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파생과 관련 먹히다:
없이 문법적으로 어근애 붙는 접사 다는 굴절 접사

접두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 접두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방식
■ 접두사: 어근의 앞에 붙는 파생접사
■ 접두사의 기능: 일반적으로 뒤에 오는 어근의 의미를 제한, 어근의 품사를
바꾸지는 못한다.
1) 접두사 + 체언= 파생명사: 첫사랑, 개살구...
2) 접두사+동사 파생동사: 깔보다, 빗듣다, 짓씹다...
3) 접두사+형용사 파생형용사: 새빨갛다. 시퍼렇다...
4) 접두사+부사=파생부사: 맨먼저, 외따로

접미사에 의한 단어 형성
- 접미사-어근의 뒤에 붙는 파생접사
- 접미사의 기능: 앞에 오는 어근의 의미를 제한하며, 어근의 품사를 바꾸기도
한다.
1. 명사로 파생
2. 동사로 파생
3. 형용사로 파생
4. 부사로 파생
5. 조사로 파생

형용사로 파생
- ① 형용사(어근)+한정적 접사→파생형용사(어근의 뜻만 제한한다)
예) 높- + -다랗다 높다랗다
- ② 명사(어근)+ 지배적 접사 파생형용사(품사가 바뀐다)
예) 가난+ -하다→ 가난하다, 학생+ -답다 학생답다
- ③ 관형사(어근)+ 지배적 접사→파생형용사(품사가 바뀐다)
예) 새+ -롭다→ 새롭다
- ④ 부사(어근)+ 지배적 접사→파생형용사(품사가 바뀐다)
예) 차근차근 + -하다→ 차근차근하다

부사로 파생
- ① 부사(어근)+ 한정적 접사→파생부사(의미만 변화한다)
예) 더욱 + -이→ 더욱이, 다시+-금→ 다시금
- ② 동사(어근) + 지배적 접사 파생부사(품사가 바뀐다)
예) 맞- + -우→마주, 넘-+-우(너무)
- ③ 형용사(어근)+ 지배적 접사→파생부사(품사가 바뀐다)
예) 많- + -이→많이
- ④ 명사(어근) + 지배적 접사 파생부사(품사가 바뀐다)
예) 진실 + -로→ 진실로

조사로 파생
- ① 명사(어근)+ 지배적 접사 파생조사(품사가 바뀐다)
예) 밖 + -에→밖에
- ② 동사(어근) + 지배적 접사→파생조사(품사가 바뀐다)
예) 붙- + -어부터, 좇- + -아→조차

한자어인 접미사의 경우:


+화(-hoá): 현대화, 산업화
+학(-họ c): 고고학, 국어학...
+자(-giả ): 학자, 과학자

연습
 다음 문장에서 파생어를 찾아보세요.
1. 도둑이 늦가을에 맨손으로 햇곡식을 훔치다 경찰에게
잡혔다.
2. 선생님은 나의 물음에 대해 '지혜롭다'라고 칭찬해 주셨다.

(2) 합성어와 합성법


1) 합성어
- 실질형태소 간의 결합을 통해서 이루어진 단어이다.
- 합성어가 새로운 단어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 합성법
- 실질 형태소끼리 결합하여 합성어를 만드는 단어 형성법이다.
- 어근과 어근이 결합해서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을 말한다.
예) 작은 아버지(키가 작은 아버지) = 명사구
#작은아버지 (아버지의 남동생)= 합성어

합성법의 유형
(1) 통사적의 합성법
- 한국어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과 일치하는 유형의
합성법이다.
- 두 어근이 결합할 때 그 결합 방식이 구를 이룰 때의 방식과
일치하는 합성법이다.
(2) 비통사적의 합성법
- 한국어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에 어긋난 유형의 합성법이다.
- 구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결합 방식으로 두 어근이 결합된
합성법이다.

통사적 합성법의 유형
1) 관형사+명사: 새해, 온종일, 첫사랑....
2) 부사 + 용언: 가로막다 잘되다....
3) 명사+명사: 길바닥, 손발, 고무신...
용언의 관형사형+ 명사: 큰집, 날짐승, 작은아버지....
5)용언어간+보조적
들어가다...
연결어미-아/어+용언
돌아오다,
6) 명사 (조사 생략) + 용언: 앞서다 (앞에 서다)...

비통사적 합성법의 유형
1) 용인 용언 검붉다, 날뛰다, 높푸르다_
2) 용언의 어근+ 명사.늦더위(늦은 더위)
3)의 성부사, 의태부사.펄럭펄럭 phầ n phậ t, 구불구불 ngoằn ngoèo, 울긋불긋 sặc sỡ
4) 부사+명사 :부슬비- mưa lất phất
산들산들: gió nhè nhẹ

합성어의 의미상의 갈래
합성어의 품사 갈래
1)합성 명사 명사로 합성되는 것
2) 합성 동사 동사로 합성되는 것
3) 합성 형용사 형용사로 합성되는 것
4) 합성 부사 부사로 합성되는 것
5) 합성 관형사: 관형사로 합성되는 것

(1) 대등 합성어: 어근이 대등하게 본래의 뜻을 유지하는 합성어


예) 앞뒤, 똥오줌
(2) 종속 합성어: 한 쪽의 어근이 다른 한 쪽의 어근을 수식하는 합성어
예) 돌다리, 도시락밥
(3) 융합 합성어-어근이 완전히 하나로 융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합성어
예) 춘추, 연세, 밤낮

1. 합성 명사
- 합성 명사는 복합 명사인데 명사로 형성된다.
- 복합 명사는 둘 이상의 말이 결합된 명사
1) 명사+명사: 동화책, 소나무...
2) 명사+"ㅅ"+명사:콧물, 바닷가, 촛불...
3) 관형사+명사: 새마을, 새해, 이것....
4) 용언의 관형사형+ 명사: 빈손, 큰집...
5) 용언의 어근+명사: 접칼 (접다+칼) gấp/gập - dao, 늦더위
(늦다+더위) muộn/chậm-đợt nóng....
6) 의태부사+명사: 보슬비 lất phất -mưa, 산들 바람 nhè nhẹ gió
7) 명사+ㅂ+명사: 찹쌀(차+ㅂ+쌀) nếp-gạo,
볍씨 (벼+ㅂ+씨)lúa-hat giống....
8) 명사 + "ㅎ"+명사: 안팎 (안+ㅎ+밖) trong ngoài, 암탉
(암+ㅎ+닭) mái-gà, 암캐 (암+ㅎ+개) cái-chó...

연습
 다음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된 단어를 '합성어'라고 한다.
② 하나의 어근만으로 이루어진 낱말을 단일어'라고 한다.
③ 하나의 어근에 접사가 결합된 낱말을 복합어'라고 한다.
④ 어근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거나 다른 뜻을 덧붙이는 부분을 접사'라고 한다.
 다음 중 단일어만으로 묶인 것은?
① 얼굴, 고양이 고기
② 이불, 맨손, 책가방, 겁쟁이
③ 앞집, 물병, 팔다리, 꽃송이
④ 책값, 날개, 햇과일, 주머니
⑤ 이튿날, 헛기침, 풋사랑, 심부름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