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어휘론

1. 어휘
- 단어가 모여서 이루어진 집합
- 단어들이 모임 총체
- 일정한 기준에 의해서 묶이는 단어들의 집합
2. 어휘론
- 어휘론은 어휘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3. 한국어 특징 (9)
- 현자어, 기타 외래어의 유입 때문에 유의어가 많아졌다. 특히, 한자어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
- 한자어의 영향으로 동음이의어가 많아졌다.
- 한국어에서는 경어법이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다. 한자어는 경어법의 발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의성어 의태어 등 음성상징의 발달이 눈에 띈다.
- 고유어와 한자어가 유의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경어법, 품위 있는 언어사용과
관련하여 그것의 적절한 선택사용으로 여러 가지 의미와 표현효과를
나타내는데, 대체로 한자어가 품위 있고 경의를 표하는 말로 인식되고 있다.
- 한자는 조어력이 강하여 학술용어나 기타 전문용어, 그리고 일반용어에도
한자어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 기초 어휘에서는 고유어의 체계가 발달되어 있다.'숨쉬다: 호흡하다. '쉬다:
휴식하다', '해: 태양' 등은 고유어에 대응하는 하나어가 있는 예들이고,
'말하다‘. '달’, '별' 등은 같은 의미 기능을 가진 한자어가 없는 예들이다.
- 친족 명칭에서 위로 할아버지대와 아애로 아들의 대까지는 고유어가 있으나
그 밖에는 한자어에 의존하고 있다. 먼 세대, 복잡한 관계일수록
한자어뿐이다
- 체언이 격에 따라 형식이 달라지지 않는다. 그래서 외국어로부터 외래요소를
차용하기가 용이하다.
4. 어휘의 체계
어휘를 분류하는 기준으로는 크게 어원, 품사, 의미 범주 등이 있다.
- 어원에 따라 고유어, 한 자어, 외래어로 나눔 -3-
- 품사별 분류: 명사/ 대명사 (đại từ)/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문법기능에 따라)-9-
- 어휘의 의미 범주를 통해 원하는 어휘를 쉽게 찾을 수있다
5. 문법적 기능
5.1. 명사
• 구체적 또는 추상적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예: 옷, 가방, 사랑, 평화
5.2. 대명사
• 사람, 사물, 장소의 이름을 대신하여 나타내는 단어
예:
- 사람: 그, 그녀, 너, 나, 우리
- 사물: 이것, 그것, 저것
- 장소: 여기, 저기, 거기
5.3. 수사
•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단어
예: 둘, 여섯, 셋째, 넷째
5.4. 동사
• 동사는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다
예: 가다, 읽다, 먹다
5.5. 형용사
•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
예: 생생하다, 예쁘다, 튼튼하다
5.6. 조사
• 주로 체언에 붙어 뒤에 오는 다른 단어에 대하여 가지는 문법적 관계 를 표시하
거나 그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이다
예: 을, 이, 에서, 까지, 와, 과, 하고, (이)랑,….
5.7. 감탄사
• 말하는 이의 본능적인 놀람, 느낌, 부름, 응담 따위를 나타내는 품사이다.
예: 아, 아하, 세상에, 아이구, 어머,…
5.8. 관형사: quán hình từ
• 체언 앞에 놓여서 그 내용을 자세하게 꾸며 주는 단어다
예: 새 신발, 헌 옷
5.9. 부사
• 주로 용언을 꾸며 주는 품사
예: 오늘, 어제, 내일, 안 (의도 부정 부사)
6. 의미관계에 따른 분류 (6)
6.1. 동의 관계란?
• 둘 이상의 다른 단어가 음성은 다르나 의미는 같은 관계다
• 동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동의어라고 한다
예: 책방 - 서점, 허파-폐, 속옷-내의
예: 캔서-암; (화학) : 지방-기름....
6.2. 유의 관계
• 둘 이상의 다른 단어가 소리는 다르나 의미는 비슷한 관계를 유의 관계라 한다.
•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유의어라 한다.
예:
- 소의 꼬리 (0), 소의 꽁지(x);
- 새의 꽁지 (0), 새의 꼬리(x)
- 꼬리는 살, 떼가 있는 것
- 꽁지는 깃털만 있는 것
6.3. 반의 관계
한쌍의 단어가 서로 상대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관계를 반의 관계라 한다 반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반의어라 한다
예: 높다. 낮다, 작다. 크다
6.4. 하의 관계 (포함관계)
• 하의 관계는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다.
• 상하의 관계도 라고 한다. 하의어와 상의어
a. 상의어
• 다른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는 단어이다
예:
- 과일: 사과, 배, 귤...
- 동물: 개, 호랑이, 소...
b. 하의어
• 다른 단어의 의미에 포함되는 단어이다
예: 과일: 사과, 자몽, ...
6.5. 다의관계
• 다의 관계는 한 낱말이나 표현에 여러 가지의 뜻이 있는 관계이다.
예:
- 신체의 일부분: 오른손, 손을 흔들다..
- 일손이나 노동력:손이 많다! 부족하다. 손이 달리다...
- 도움이 되는 힘: 손을 빌려다
6.6. 동음이의 관계
• 발음과 형태가 같지만 뜻은 다른 단어 뜻이다.
• '동음이의어'는 '동음어'로 줄여 쓰기도 한다.
예: 학문-학문, 은행 (ngân hàng)- 은행 (cây ngân hạnh)
7. 구조:
단일어 – 복합어: từ phức (합성어: từ ghép & 파생어:từ phái sinh)
• 단일은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예: 산, 하늘, 맑다
• 복합어는 2 개 이상의어근이 결합되거나 어근에 접사가 붙어 이루어진
단어
- 합성어는 2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가 된 말
예: 어깨동무, 앞뒤, 작은아버지, 뛰어나다
- 파생어는 어근에 접사가 붙은 말
예: 풋사랑, 치솟다, 톱질, 잡히다, 어른스럽다
8. 어휘의 양상:
8.1. 방언은 자리적 공동체로서의 사용자 집단에서 사용되는 어휘를
말한다. (아주머니 – 강원, 아주비 – 강원, 고모 – 함북, 이모 – 함북,
작은 어머니 - 함북)
8.2. 전문어는 특정한 전문 분야의 사용자 (전문가) 집단에서 사용되는
어휘를 말한다. (납자 – 불교, 교제 – 기독교, …)
8.3. 은어는 특정한 사용자 집단에서 비밀스럽게 사용되는 어휘을
말한다. (내피 – 이 년생 산삼, 동자심 – 동자삼, 세닢부치 – 잎이 셋
난 산삼..)
8.4. 속어는 통속적으로 쓰이는조속한 말을 말 한다. (갈구다 – 괴롭히다,
개기다 – 반항하다, 가오 – 체면, …)
8.5. 금기언란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말들 가운데에는 그것이
표현하는 대상이나 현상이 부정적인 느낌을 가셔서 입에 담기를
꺼리는 말이다. (두려움, 부끄러움, 천연두, 쥐, 변소)
8.6. 완곡어란 금기어가 주는 부정적인 느낌을 완화하여 그 대신 쓰는
말이다. ( 죽다 - 눈이 꺼지다, 돌아가다, 넘어지다, 목숨을 잃다,
불가하다, 마마/손님 ←천연두, 서생원/아기네 ←쥐,
뒷간/화장실/해우소 ←변소, 뒤보다 ←똥누다)
8.7. 관용어란 “습관-관" "쓸-용" "말씀-어" 자로 습관처럼 사용하는
말이다.
8.8. 속담란 글자 그대로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익숙해진 토속적인 표현
의 말이다.
9. 음성상징어 (의성어 & 의태어)
• 음성상징어는 '감각표현을 음성(혹은 음운)의 인상에 의존하는
어휘군'을 뜻한다.
• 김민화(1995)는 음성상징어를 의미에 해당하는 감각을 음(혹은
음운)으로 묘사·상징하는 어휘로서 음운교체, 첩용, 접사에 의한
파생 등의 형태적 특성을 갖는다라고 규정하였다.
- 의성어는 ‘사람이나 동물이 내는 소리나 자연계의 소리를 흉내내서
그것과 비슷하게 만든 낱말 새우리말 [큰사전 1986]
예: 야옹야옹, 쿵쿵, …
- 의태어는 사물의 모양이나 태도 행동등의 양태를 묘사한 말이다
예: 꼬불꼬불, 아장아장, 허위적허위적…
한국어 음성상징어어형 구성은 대부분 중첩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태상의 반복 여부에 따라서 단독형과 반복형으로 나누었다.
(1) 단독형: 하나의 어기형태소가 음성상징어를 형성한 것이다.
o 1 음절, 2 음절,…
예: 단독형 1 음절: 꼭, 꾹, 와, 킥,…/ 2 음절: 덜렁, 달캉,
꿍쿵, …/ 3 음절: 갸우뚱, 드르렁, 덩더꿍,..

(2) 반복형: 의미상으로복수성, 계속성, 반복성등을 나타내고 두


개나 이상의 어기형태소가 형성한 것이다.
o 전체반복형
▪ 동음반복 (1 음절, 2 음절…)
+ 1 음절: AA, AAA
예: 쿵쿵, 송송, 똑똑똑, …
+ 2 음절: AABB,ABAB
예: 개굴개굴, 뚜벅뚜벅,바삭바삭,…
+ 3 음절: ABCABC
예: 간드랑간드랑, 사부랑사부랑, 구시렁구시렁,…
+ 4 음절: ABCDABCD
예: 할래발딱할래발딱, 쌔근방딱쌔근방…
▪ 유음반복
+ 모음교체
예: 되숭대숭, 비들배들, 삐뚤빼뚤, 싱숭생숭,.
+ 자음교체
예: 어석버석, 아기자기, 허둥지둥…
+ 음절교체 (cả 모음 + 자음)
예: 갈팡질팡, 다짜고짜, 시난고난, …
o 부분반복형
동사 파생
예: 철썩거리다, 강쌀거리다, 끄덕대다, 덜덜대다,
훌쩍이다. 깜박이다, 흥청망청하다
형용사 파생
예: 꼬불꼬불하다. 동글동글하다, 주렁주렁하다
명사 파생
예: 뚱뚱이, 팽팽이, 덜렁이, 멍멍이, 깜빡이
음운론
비분절 음운
음운은 자음, 모음과 같은 분절 음운과 장단, 억양과 같은 비분절 음운이 있다. 비분절
음운은 정확히 그 경계 마디를 나타낼 수는 없지만, 의미를 변별시키는 역 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 의미에서 국어의 비분절 음운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하나는 음절
소리의 장단이고, 둘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실현될 수 있는 연접이고, 그리고 셋은 문장의
어조 곡선을 나타내는 억양이다.

• 국어의 비분절 음운 양상
ㄱ.
말: [ ]- 말 [ ]
눈: [ ]– 눈 [ ]
밤: [ ]– 밤 [ ]
ㄱ.
난 + 운다 — 나눈다
잘 + 안다 — 자란다
ㄴ.
밥 +먹어
밥 +먹어
밥 + 먹어
ㄷ.
옷 + 솔: = 옷솔
한국 + 말: = 한국말
함박 + 눈: = 함박눈
구두 + 솔: = 구두솔

장단은 국어의 대표적인 비분절 음운이다. (4 ㄱ)은 장단 비분절 음운을 나타내


는 단어들이다. '말'이라는 단어를 길게 발음할 경우와 짧게 할 경우, 의미가
각각 <言> 과 <馬>로 구분이 된다. 문자 언어의 경우에 한하여, 장단 표지로는
긴소리 [長音]일 경우에만 장음소(:)로 표기할 수는 있을 것이다. 장단의
문제는 모음에서만 해당되는 것이기 때문에 음절 단위에서 실현된다.
(4 ㄴ)은 단어와 단어를 연결시킬 때 휴지(休止, pause)를 두느냐 두지 않느냐
에 따라서 구(句, phrase)가 되기도 하고 단어가 되기도 하면서 의미가
달라지는 예 를 보인 것이다발음상 연접소'+'가 실현되느냐 되지 않느냐에 따라
의미가 변별되 기 때문에 이 연접소도 비분절 음운으로 인정될 수 있다.
(4 ㄷ)에서는 문장의 끝을 높이느냐 낮추느냐 아니면 평탄하게 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밥+ 먹어 '처럼 끝을 낮추면
평서문 이 되고, '밥 + 먹어 '처럼 끝을 높이면 의문문이 되고, '밥+
먹어→'처럼 평탄 조로 발음하면 명령문이 되거나 뒤에 다른 어휘가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문장의 억양, 구체적으로는 말미어조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바뀜을 볼 때 말미소도 비분절 음운으로 인정될 수 있다.
한편, 비분절 음운 가운데 긴소리는 음절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 다.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째 음절에 나타나며, 본래 길게 나타나던 단어도
둘째 음절 이하에 오면 짧게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4 ㄹ)에서 '솔'은 본래
장음 이었으나 둘째 음절에 오니까 짧은 소리로 발음되어 '옷 + 솔: =
옷솔'처럼 바뀌고 있 고, '눈(雪):'은 본래 긴소리였으나 셋째 음절에 오니까
'함박 + 눈: = 함박눈'처럼 바뀌 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컨대, 국어의 비분절 음운으로는 장음소 1 개, 연접소 1 개, 말 미소 3 개를
설정할 수 있다. 비분절 음운이 아무리 의미변별 기능을 한다. 하더라도 자음,
모음보다는 정확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자음과 모음은 정확히 그
실체가 나타나 있으나 비분절 음운은 모음이나 단어나 문장에 덧붙여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그 실체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Âm vị học bao gồm các âm vị phân đoạn như phụ âm và nguyên âm và các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như nhịp điệu và ngữ điệu. Mặc dù các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không thể thể hiện chính xác các nút ranh giới nhưng
rõ ràng chúng có vai trò trong việc phân biệt ý nghĩa. Theo nghĩa
đó, có ba loại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chính trong tiếng Hàn. Một là
nhịp điệu của các âm tiết, hai là các liên từ có thể nhận ra giữa
các từ và ba là ngữ điệu thể hiện đường cong thanh điệu của câu.
• Khía cạnh âm vị học không phân đoạn của tiếng Hàn
Jangdan là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tiêu biểu của tiếng Hàn. (4a) là
những từ biểu thị âm vị dài và ngắn không phân đoạn. Khi từ 'ngựa'
được phát âm dài hoặc ngắn, ý nghĩa lần lượt được chia thành <言> và
<馬>. Trong ngôn ngữ viết, âm dài chỉ có thể được đánh dấu bằng âm
vị dài (:) nếu đó là âm dài [長音]. Vì vấn đề nhịp điệu chỉ áp dụng
cho nguyên âm nên nó được thực hiện ở cấp độ âm tiết.
(4b) là có hay không để lại dấu ngắt khi nối các từ.
Đây là một ví dụ trong đó ý nghĩa thay đổi khi nó trở thành một cụm
từ hoặc một từ tùy thuộc vào cách phát âm. Vì ý nghĩa được phân biệt
tùy thuộc vào việc liên từ phát âm '+' có được nhận ra hay không,
nên liên từ này cũng được công nhận là không phân đoạn âm vị. Nó có
thể như vậy.
Trong (4c), bạn có thể thấy rằng ý nghĩa hoàn toàn khác nhau tùy
thuộc vào việc phần cuối của câu được nâng lên, hạ xuống hay bằng
phẳng. Nếu hạ thấp đuôi như 'rice + eat' thì thành câu trần thuật,
nếu nâng cao đuôi như 'rice + eat' thì thành câu nghi vấn, còn nếu
phát âm bằng giọng đều đều như 'rice + eat' eat →', nó trở thành
một câu mệnh lệnh, hoặc bạn có thể thấy rằng nó được theo sau bởi
một từ khác. Bằng cách này, vì ý nghĩa của câu thay đổi tùy thuộc
vào ngữ điệu của câu, cụ thể là âm kết thúc, nụ cười cuối cùng cũng
có thể được công nhận là một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Trong khi đó, trong số các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âm thanh dài có
thể khác nhau tùy theo vị trí âm tiết. Các âm dài thường xuất hiện
ở âm tiết đầu tiên của một từ và ngay cả những từ ban đầu dài cũng
có xu hướng được phát âm ngắn hơn khi chúng xuất hiện ở âm tiết thứ
hai hoặc thấp hơn. Trong (4 ㄹ), 'sol' ban đầu là một âm thanh dài,
nhưng khi đến âm tiết thứ hai, nó được phát âm thành âm ngắn và đổi
thành 'vải + bàn chải: = bàn chải quần áo' và 'tuyết(雪) :' ban đầu
là một âm thanh dài, nhưng khi đến âm tiết thứ ba, nó trở thành '
Bạn có thể thấy nó thay đổi thành 'hambag + eye: = hambagnun'.
Tóm lại, các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của tiếng Hàn có thể bao gồm một
âm vị dài, một âm vị nối và ba âm vị cuối. Cho dù các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như thế nào, chúng đều có chức năng phân biệt ngữ nghĩa.
Dù vậy, nó cũng không đóng vai trò chính xác hơn phụ âm và nguyên
âm. Bản chất thực sự của phụ âm và nguyên âm được bộc lộ rõ ràng,
nhưng vì các âm vị không phân đoạn xuất hiện bên cạnh các nguyên âm,
từ hoặc câu nên không dễ để xác định bản chất thực sự của chúng. Sẽ
cần nghiên cứu sâu hơn về vấn đề này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