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제3장 비유와 상징 속의 한국문화

- 토끼 같은 자식과 여우 같은 마누라-

마누라: 자기 부인 (다른 사람의 부인과 사용하면 안 됨)


수염

1. 비유와 상징의 개념?

호랑이 선생님: 무섭지만 학생들을 걱정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


돼지식당
* 비유란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 (모양, 상태…)
보름달 (아기 얼굴같은 보름달; 쟁달 같은 보름달)
- 원관념: 원래 표현하려고 하는 대상
- 보조관념
- 모양, 색깔, 성질 등의 서로 비슷한 공통점
* 상징
- 말로 설명하기 힘든 추상적인 사물, 관념, 사상 등을
-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어
- 머릿속에 떠오르게 하는 표현 방법
예) 비둘기=평화
* 직접 비유하는 “직유법” (같이/처럼)
예) 활짝 핀 벚꽃이 솜사탕처럼 부풀어 뭉글뭉글
비누 거품이 구름처럼 뭉글뭉글
* 바로 연결하는 “은유법”
예) 내 마음은 호수이다.
번데기 씨앗 연꽃 솜
* 살아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활요법”
예) 나무들이 살아난다
* 사람처럼 표현하는 “의인법”
예) 활짝 웃는 꽃망울
* 부분으로 전체를 나타내는 “대유법”
예) 우리에게 빵과 자유를 달라!
* 속담이나 격언을 이용하는 “풍유법”
예) 빈 수레가 요란하다더니 너를 두고 하는 말이네!
(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 thùng rỗng kêu to-người không có gì lại hay ba hoa;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khỉ cũng bị rơi từ trên cây xuống – dù làm tốt nhưng thỉnh thoảng cũng
có lúc phạm sai lầm)

1.2. 비유와 상징의 기능


- 사회적 관습이나 통념을 공유하고 있을 때 이해 가능

- 타 언어권, 타 문화권의 사람들은 언어문화를 공유하지 않음


- 국가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비유와 상징
(이유: 표현하는 방식, 생각하는 방식이 다름)
* (비교) “영어 비유 표현”
- As alike as two peas (벽돌처럼 똑같다)
- As cool as a cucumber (얼음처럼 차갑다)
- As fresh as daisy (새잎처럼, 풋사과처럼 생생하다)
* 작문 오류: “개처럼”과 “강아지처럼”의 의미차이
- 개:
+ 개처럼 놀아요 (중국인) x
+ 개처럼 애교가 많다 (일본인) x
- 강아지:
+ 강아지처럼 놀아요 (한국인)
+ 강아지처럼 애교가 많다 (한국인)
-> 모문화 갑섭, 영향 -> 같은 대상, 다른 생각
* 비유와 상징 표현을 공부하는 이유:
언어 문화적 차이를 인지 -> 목표어의 문화를 알기 -> 학습자 모국의 언어 문화와 비교, 대조
-> 목표어의 문화를 수용함
가시 해질녘 노을 햇발/햇살 속삭이다/도란도란(?) 갈잎
눈동자/눈망울 미소 눈부시다
저승사자 얼음이 녹다 이발사
비범 탁월하다 우월성
괴물
2. 문화에 따른 비유와 상징
2.1 문화별 공통점
* 용:
- 동양: 긍정
+ 매우 고귀, 비범, 생동적인 존재
+ 인간의 탁월함, 민족의 우월성
- 서양:
+ 괴물, 파괴자, 악마
* 박쥐: dơi

- 동양: 긍정
+ 복, 자손의 번창
- 서양: 부정
+ 양면성, 이중성, 기회주의자
2.2. 문화별 차이잠
* 아내:
- 한국:
+ 여우같은 아내 (눈치가 있고 센스가 있는 여자)
+ 곰같은 아내 (미련하고 둔한 여자) (항상 가족을 위해 열심히 사는 여자)
- 중국:
+ 호랑이처럼 무서운 아내 (심술궂은 여자, 성질이 사나운 여자)
한국에서는 아내는 호랑이과 비유하지 않음

3.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비유와 상징 표현


3.1. 동물 관련 표현
- 비유의 대표적 대상: 동물의 습성이나 특성, 외형적 모습
- 긍정적 상징
+ 까치 (좋은 소식을 갖다준다; 기다리던 사람/소식이 올 것이다), 제비:
“오늘 까치가 우는 것을 보니 반가운 손님이 오려나 보다”
- 부정적인 상징:
+ 까무귀, 쥐, 여우, 늑대
* 일본: 까마귀 (길조) >< 흉조
- 긍정과 부정 의미를 다 가진 동물:
+ 돼지 (재물, 행운/ 게으름, 더러움)
+ 소 (부지런함, 우직함/미련스러움, 고집스러움)
* 호랑이 선생님: 무섭지만 엄격함+애정
* 호박 같은 얼굴 = 못생기다
* 더 풀어보기:
- 병아리
+ 성장하기 전, 경험 전의 상태, 어린이, 처음
+ 회사에 처음 입사한 신입 사원, 학교에 처음 입학한 신입생
- 소처럼 일만 하는 사람
- 개미, 꿀벌처럼 바쁜 사람
- 망아지처럼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사람
- 너구리처럼 능청스럽고 음흉한 사람
- 뱀처럼 사악한 서람
- 고래처럼 술 많이 마시는 사람
3.2. 식물 관련 표현
- 식물이 자라는 환경이나 상황
예) 화초 - 잡초
* 잡초같은 생명력 (고통과 시련을 이김)

- 긍정적, 부정적 상징
+ 해바라기: 열정, 짝사랑
+ 대나무: 강인함, 생각이 곧음
+ 흰 국화: 죽음
3. 3. 사물 관련 표현

- 사물이 지니는 특징이나 성질


- 똥: 아이고! 귀여운 우리 똥강아지

+ 긍정: 재물, 운, 복
+ 부정: 더럽고 가치 없는 것, 길거리에 흔한 강아지
-돌: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
+ 긍정: 강한 마음, 정신
+ 부정: 머리 나쁜 사람 “돌머리”
염소
* 원형적 상징
- 인류 보편적 상징

- 역사, 문학, 종교 등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남


+강물: 역사
+길: 인생
+깨진 거울: 약속 (ngày nay ám chỉ cảnh vợ chồng chia ly, gia đình đổ vỡ)

+물, 호수: 탄생, 죽음 (자살), 정화


+불: 밝음, 정열, 파괴와 분노
+해: 광명, 희망, 창조
+달: 그리움, 소망
+땅: 생산, 생명의 근원, 어머니
+바다: 죽음과 재생, 신비, 무한함
* …에 벚꽃이 피다
- 강물: 역사

- 길: 인생
- 깨진 거울: 약속
- 물, 호수: 탄생, 죽음, 정화
- 바다: 죽음과 재생, 신비, 무한함
- 불: 정열, 밝음, 파괴와 분노
- 해: 광명, 희망, 창조
- 달: 그리움, 소망
- 땅: 생명의 근원, 생산, 어머니
- 언어란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 쓰이는 음성, 문자 등의 수단이다
언어란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 쓰이는 음성, 글자 등의 수단이다.
언어의 기능: 정보 전달 기능; 관계 형성 기능
- 언어문화란 한 사회에서 그 사회 구성원의 문화를 보여주는 언어를 말한다.
언어문화란 한 사회에서 그 사회 구성원의 문화를 보여주는 언어를 말한다.
언어란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 쓰이는 음성, 글자 등의 수단이다
언어문화란 한 사회에서 그 사회 구성원의 문화를 보여주는 언어를 말한다.
- 호칭어란 부르는 말이다
- 지칭어란 가리키는 말이다
- 비유란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비유란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 원관념이란 원래 표현하려고 하는 대상을 말한다.
- 보조관념
- 상징이란 말로는 설명하기 힘든 추상적인 사물, 관념, 사상 등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어
머릿속에 떠오르게 하는 표현 방법이다
- 상징이란 말로는 설명하기 힘든 추상적인 사물, 관념, 사상 등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어
머릿속에 떠오르게 하는 표현 방법이다.
언어란 생각이나 느을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 쓰이는 음성이나 글자 등의 수단이다
언어 기능: 정보 전달 기능; 관계 형성 기능
언어문화란 한 사회에서 그 사회 구성원의 문화를 보여주는 언어를 말한다
호칭어란 부르는 말이다
지칭어란 가리키는 말이다
비유란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직유법, 은유법, 활유법, 의인법. 풍유법,
대유법)
잡초 화초
원관념이란 원래 표현하려고 하는 대상을 말한다
보조관념
상징이란 말로는 설명하기 힘든 추상적인 사물, 관념, 사상 등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어
머릿속에 떠오르게 하는 표현 방법이다.
- 속담이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온 일상생활에서 얻은 경험과 지혜, 교훈 풍자 등을 담은
짧은 말이다.
속담이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온 일상생활에서 얻은 경험과 지혜, 교훈 풍자 등을 담은 짧은
말이다
속담이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온 일상생활에서 얻은 경험과 지혜, 교훈 풍자 들을 담은 짧은
말이다
속담이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온 일상생활에서 얻은 경험, 지혜, 교훈 풍자 등을 담은 짧은
말이다.
고정관념이란 한 집단에서 모든 구성원들이 공통적이고, 그 집단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고정관념이란 한 집단에서 모든 구성원들이 공통적이고, 그 집단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고정관념이란 한 집단에서 모든 구성원들이 공통적이고, 그 집단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