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국어_현대시, 현대소설 이론 정리

PART 01 문학일반론

CHAPTER 01 문학이론

제1절 문학의 이해
1. 문학의 개념과 특성: 개연성, 보편성, 특수성 (허구를 언어로 형상화)
2. 문학의 기능: 쾌락적 기능, 교훈적 기능, 종합적 기능

제2절 문학의 갈래
서정적: 주관적, 정서적
1. 서정 갈래 (시): 세계의 자아화, 개인의 주관적인 정서
서사적: 인물/갈등, 스토리
2. 서사 갈래 (소설): 자아와 세계의 갈등, 서술자O, 주로 과거시제로 표현
극적: 대화/행동 위주
3. 극 갈래 (희곡): 자아와 세계의 갈등, 서술자 개입X 교술적: 평가, 비판
4. 교술 갈래 (수필): 자아의 세계화, 교훈성/설득성

제3절 미적 범주
1. 숭고미: 종교적, 이상적인 삶 추구 (현실<이상: 우와~)
2. 우아미: 조화로운 질서, 물아일체 (현실≑이상)
3. 비장미: 비극적 운명에 처한 인간의 고통 (현실≠이상)
4. 골계미: 풍자/해학, 평민문학, 웃으면서 받아치는 것 (이상<현실: 치~ 이상 별거없구만)

제4절 문학이해의 방법
1. 외재적 방법
1) 반영론: 사회, 역사, 현실
2) 표현론: 작가의 체험/사상/감정
3) 효용론: 독자의 즐거움/교훈
문학비평의 방법 中 신비평
2. 내재적 방법: 구조론
문학의 고유한 속성을 언어 구조로 파악
3. 종합주의적 방법
하여 언어 분석
언어학의 이론과 밀접한 상관관계
제5절 주요 문예 사조의 이해
1. 낭만주의: 현실도피, 주관적, 개성적, 꿈/낭만/이상 추구
2. 사실주의: 사실 그대로 재현
3. 자연주의: 환경의 절대적 영향, 자본주의 사회의 어둡고 타락한 현실 속 고통받는 인간
4. 모더니즘: 도시적/현대적/상업적 + 고독/불안
1) 초현실주의: 잠재의식의 세계를 그대로 표현
2) 주지주의: 낭민주의와 반대, 지성/이성 중시
3) 이미지즘: 사물의 직접적/구체적 묘사
5. 실존주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휴머니즘, 1950년대
6. 포스트모더니즘: 파격, 혁신, 비판적 느낌

CHAPTER 02 다양한 문학적 기법

제1절 수사법
은유법 vs 상징법
1. 비유법
둘 다 원관념이 드러나지 않을 수 있음
1) 직유법: ~같이, ~처럼, ~듯이 (≠비교)
은유법: 1:1관계, 유사성에 기초O
2) 은유법: (1:1)관계, 개체와의 유사성, 원관념이 생략될 수O 상징법: 1:多관계, 유사성에 기초X
3) 중의법: (1:2)관계, 하나의 보조관념, 수개의 원관념 (수양산 -> 산 이름, 수양대군)
4) 대유법
국어_현대시, 현대소설 이론 정리

a. 제유법: 사물의 한 부분이 전체 대신 (사람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 -> 먹을 것)


b. 환유법: 사물의 속성/특징을 들어 대체, 유사성 불요 (소주 두 병을 마신다)
5) 풍유법: 본뜻을 완전히 숨김, 교훈성, 풍자적 의미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6) 활유법: 무생물을 생물인 것처럼
7) 의인법: 사람이 아닌 것에 인격 부여
의성법, 의태법
8) 의물법: 사람을 동물이나 식물에 빗댐
생동감
9) 의성법: 소리를 흉내 내어 청각적 이미지 부각
10) 의태법: 상태/태도/동작을 흉내 내는 표현

2. 변화법
1) 반어법
a. 언어적 아이러니 (ex. ‘잊었노라’)
b. 상황적 아이러니 (ex. 운수 좋은 날)
2) 역설법: 논리의 모순
3) 대구법: A:B=C:D (ex. 거룩한 분노는 / 종교보다도 깊고 / 불붙는 정열은 / 사랑보다도 강하다)
4) 도치법: 강조, 여운
5) 생략법: 여운, 간결하고 압축적인 효과
6) 문답법: 물음+대답
7) 설의법: 의문형으로 끝냄
여운을 남기는 표현법
a. 설의적 표현 = 수사적 의문
도치법, 생략법, 명사(형) 종결
b. 영탄적 표현과 연결되는 경우 多
+ 장면제시, 대화형식 종결
8) 돈호법: 대상을 불러 독자의 주의 환기 (여러분!)
9) 돈강법: 감정고조->갑지기 진정
10) 인용법: 속담, 격언
11) 비약법: 시공간의 생략, 제재의 급격한 변화

3. 강조법
1) 반복법: 은율, 강조의 효과
2) 열거법: 3가지 이상
3) 연쇄법: 꼬리에 꼬리를 무는
4) 과장법: 실제보다 크게/작게 표현
5) 점층법: 점점 확대
6) 점강법; 점점 축소
7) 비교법: 어느 한쪽을 강조
8) 대조법: 차이점을 찾아 선명한 인상
9) 억양법: 추어올리다 낮추거나, 낮추다가 추어올리거나
10) 영탄법: 벅찬 감정, 주로 감탄형 (ex.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11) 현재법: 과거/미래의 일을 현재시제 사용 -> 현장감/현실감
12) 미화법: 대상을 아름답고 듣기 좋게 표현

제2절 주요 문학 이론 용어
1. 감정이입
1) 자연의 풍경 따위에 자신의 감정/정신을 불어넣거나
2) 대상으로부터 느낌을 직접 받아들여 대상과 자기가 서로 통한다고 느낌
2. 객관적 상관물
1) 감정을 객관화하거나 표현하기 위한 대상물
3. 주객전도: 화자가 하는 말/행위를 사물/관념이 화자에게
4. 언어유희: 말재롱
5. 낯설게하기 (ex.우유를 마신다 -> 소의 젖이 나의 장벽을 타고 들어간다)
6. 패러디: 권위적 원작, 풍자적 비평
국어_현대시, 현대소설 이론 정리

PART 02 문학의 주요 갈래

CHAPTER 01 시의 이해

제1절 시의 개념과 갈래
1. 시의 개념과 시어의 특성
1) 시의 개념: 압축하여 형상화, 운율이 있는 언어
2) 시어의 특성: 합축성, 주관성, 다의성, 진술, 시적허용
2. 시의갈래
1) 내용에 따른 갈래: 서정시, 서사시, 극시
2) 형식에 따른 갈래: 자유시, 정형시, 산문시(주-술관계, ~다)
3) 태도와 경향에 따른 갈래: 주정시(호소), 주지시(지적/차분/절제/비판), 주의시(의도)

제2절 시의 운율 음위율
1. 운율의 개념: 규칙적 반복 두운: 시행 처음에 일정한 음 반복
2. 운율의 종류 요운: 시행 중간에 일정한 음 반복
1) 외형률: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요소 각운: 시행의 zmxdp 일정한 음이 반복

a. 음보율: 주로 3/4음보 -> 민요적/전통적


b. 음위율: 두운, 요운, 각운 운율의 구성요소
c. 음성률: 음의 고저/장단/강약 등이 규칙적으로 반복 ① 동일 음운의 반복
2) 내재율: 작품의 내적 의미와 융화되어 형성된 개성적 운율 ② 일정한 음절 수와 음보의 반복
③ 통사구조의 반복 (aaba)

제3절 시의 심상 ④ 음성상징어의 사용 (주저리주저리)

1. 심상의 개념과 기능
1) 심상의 개념: 이미지
2) 심상의 기능: 감정/정서 전달, 이해/공감 유도, 추상적 관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
2. 심상의 종류
1) 시각적 심상
2) 청각적 심상
3) 후각적 심상
4) 미각적 심상
5) 촉각적 심상
6) 공감각적 심상: A라는 감각이 B로 바뀜(A의 B화) -> 금빛 게으른 울음 (청각의 시각화)
7) 복합 감각적 심상: 종이 울면 달이 뜨고 (청각과 시각)
3. 이미지의 방향성: 상승이미지, 하강이미지

제4절 시의 분석 – 시적 화자와 어조/태도/거리


1. 시적화자(≠작가): 표면적 화자, 이면적 화자, 독백체, 대화체(복수화자 등장)
2. 시의 어조
1) 어조의 개념: tone
3) 어조의 유형
a. 강한 의지를 나타내는 어조 / 부드러운 어조
b. 기원적인 어조 (경건한 자세, 기도하는 듯한 어조)
c. 친근한 어조 /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어조 (-해요체)
3. 시적화자의 태도
1) 긍정적 태도 / 부정적 태도
2) 의지적 태도 / 체념적 태도
3) 반성적/성찰적 태도: 과거를 되돌아봄 + 깨달음/후회 + 극복의지(☆)
4) 회한의 태도, 자조적 태도: 스스로를 비웃는 듯함
국어_현대시, 현대소설 이론 정리

4. 시적화자의 정서적 거리
1) 정서적 거리가 가까운 경우: 감정서술어, 공감, 주관적/직접적인 감정표현
2) 정서적 거리가 절제된 경우: 정서가 드러나기는 하지만, 절제된 어조, 직접적/적극적X
3) 정서적 거리가 먼 경우: 감정적 표현을 제자, 객관적 모습만 묘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개

제5절 시상의 전개 ① 숫자의 흐름


② 시간/계절의 변화
1. 시상의 전개방식
③ 시간부사 (이미, 벌써)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개 (순차적, 역행적 둘 다 가능)
④ 과거회상, 장면전환
2) 공간의 이동과 시선의 이동
a. 공간의 이동: 실제로 화자가 이동
b. 시선의 이동: 화자는 가만히, 시각적 이미지가 변화(크기변화)
3) 기승전결과 수미상관에 따른 전개
a. 기승전결: 4단 구성 전제, 기-승-전-결 구조 기승전결이 아닌 경우

b. 수미상관: 변형된 수미상관식 구성, 안정감 부여 +은율/강조 4단 구성이라 하더라도, 역행, 병렬 등


기승전결 구조가 아니라면 성립X
4) 선경후정에 따른 전개: 시각적 이미지 -> 정서
5) 연상 작용에 따른 전개: 생동감 있는 상상 (ex. 파도의 칼날 하나를 접어들었다)
6) 심상의 대비에 따른 전개
a. (심상 말고도) 속성, 명암, 동적/정적 등 대비의 유형多
7) 점층적 기법에 따른 전개 (점점~)
8) 어조의 전환에 따른 전개
a. (어조 말고도) 슬픔->기쁨, 갈등->극복, 장면전환 등 유형多\
b. ‘그러나’ 자주 등장

CHAPTER 02 소설의 이해

제1절 소설의 개념
1. 소설의 개념: 허구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한 산문 문학, 서사 양식
2. 소설의 특성: 허구성, 서사성, 모방성, 산문성, 예술성
3. 소설의 갈래
1) 분량에 따른 갈래: 장편 < 단편소설 < 중편소설 < 장편소설
2) 내용/경향/기법 등에 따른 중류: 가족사 소설, 대하소설, 딱지본, 번안소설, 빈궁소설, 사소설, 서간체소설, 연작소설

제2절 소설의 3요소 - 주제, 구성, 문체


1. 주제
1) 주제의 제시방법: 직접적 제시(by 서술자), 간접적 제시(by 대화/행동)
2. 구성
1) 소설구성의 단계: (갈등을 기준으로)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
2) 구성의 종류
a. 평면적 구성과 입체적 구성: 평면적 구성(시간흐름), 입체적 구성(복잡한 시간구성≠회상)
b. 약자식 구성
c. 피카레스크식 구성: 독립된 이야기들이 병렬적으로 나열, 삽화적 구성 (ex.아라비안 나이트)
4) 암시와 복선
3. 문체
소설의 서술 속도
1) 서술: 편집자적 논평(서술자가 직접적으로 관여, 의문형 진술多)
서술자의 직접적 서술 -> 빠름 (요약/압축)
2) 묘사: 인물/사건/배경을 이미지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표현
대화/행동을 통한 서술 -> 느림 (현장감/생생함/긴장감)
3) 대화: 등장인물의 말
a. 판소리적 문체: 서술자의 말/개입多, 일상적/열거/과장적 표현, 풍자/희화
-> 서술자가 수다스러움
제3절 소설구성의 3요소 – 인물/사건/배경
1. 인물
1) 인물의 제시방법
a. 직접적 제시: 요약적/해설적/분석적 제시, 편집자적 방법, 말하기 기법
b. 간접적 제시: 인물의 행동/대화/장면묘사를 통한 암시적 제시, 극적제시, 보여주기 기법
2. 사건 / 갈등
1) 사건과 갈등: 내면갈등, 개인-개인 사이의 갈등, 개인-사회 사이의 갈등, 개인-운명 사이의 갈등(결국 수용)
3. 배경 (독해능력에 따라 문제풀이)

제4절 소설의 시점
1. 1인칭 주인공 시점
1) ‘나’ = 주인공이자 서술자
2) 내면심리 제시, 친근감, 신뢰감
2. 1인칭 관찰자 시점 1인칭 vs 3인칭
1) ‘나’ = 서술자O, but 갈등당사자(주인공) 아님 1인칭: 작품 속, 내부서술자=등장인물
2) 나의 정서 << 관찰하고 있는 대상의 대화/행동 3인칭: 작품 밖, 외부서술자
3. 3인칭 관찰자 시점
1) 서술자 = 등장인물X
2) 내면심리 제시X
4. 전지적 작가 시점
1) 서술자 = 등장인물X
2) 내면심리 제시O
3) 제한된 전지적 작가 시점: 특정 등장인물의 시각을 빌림 (특정 등장인물을 기준으로 한 표현, 덕기-아버지)

제5절 소설의 거리
1. 시점과 거리의 관계
1) 전지적 작가시점: 인물-(서술자)-독자
2) 1인칭 관찰자 시점, 3인칭 관찰자 시점: (독자-인물)--서술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