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교과서 227 쪽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① 초혼
작가 소개 감상 열기

• ‘ 초혼’은 무슨 뜻일까 ?
• 초혼을 하는 사람의 심정은 어떠할까 ?
사 랑 하 는 사 람 이
• 나의 질문 죽는다면
가장 후회되는 일이
무엇일까 ?

1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교과서 228 쪽
① 초혼

작품 보기 작품 연구
작품 해제

이 작품은 사별의 슬픔을 절절하게 노래한 김소월의 시이


다 . 전통적인 상례의 한 과정인 초혼 의식을 소재로 한 이
작품은 ‘초혼’이라는 제목에서부터 전통 의식이 강하게
환기된다 . ‘ 초혼’은 사람이 죽었을 때에 , 그 혼을 소리쳐
부르는 일을 말하는데 , 죽은 사람이 생시에 입던 윗옷을 갖고
지붕에 올라서거나 마당에 서서 왼손으로는 옷깃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옷의 허리 부분을 잡은 뒤 북쪽을 향하여 ‘아무
동네 아무개 복 ( 復 )’ 이라고 세 번 부르는 의식이다 . 또한
망부석 설화의 활용이나 시적 화자의 한의 정서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전통성을 살펴볼 수 있다 .
작품 구성 작품 정리

2
교과서 227 쪽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① 초혼
작가 소개 감상 열기

김소월
(1902~1934 )

시인 . 본명은 김정식 . 1920 년에 등단하여 한국의


전통적인 리듬과 정서를 탁월하게 표현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 주요 작품으로 〈진달래꽃〉 , 〈산유화〉 , 〈먼
후일〉 등이 있다 .

3
1 연 : 죽은 임의 이름을
초 부르는 절망적

슬픔
(


2 연 : 사랑을
)─ 고백하지
김 못한 회한

월 3 연 : 임의 상실로
인한
~ 이여 반복 ( 반복 , 영탄 허무감
법) 4 연 : 삶과 죽음
화자의 심정을 강조 사이의
운율을 형성함 .
절망적 거리감

5 연 : 포기할 수
없는
사랑의 의지4
교과서 228 쪽

작품 보기 작품 연구

초혼 ( 招魂 ) 김소월

1 연 : 죽은 임의 이름을
부르는 절망적
슬픔

임을 부르다 화자가 죽을 만큼
간절한 마음을 드러냄 5
교과서 228 쪽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① 초혼
작품 보기 작품 연구

초혼 ( 招魂 김소월
) 말
랑한다는
임을 사
심중 ( 心中 ) 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
반복을 통해 그리움 ,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안타까움 , 슬픔을 강조함 .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2 연 : 사랑을 고백하지 못한
회한 6
교과서 228 쪽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① 초혼
작품 보기 작품 연구

초혼 ( 招魂 )김소월 작품의 배경과 의미


시간적 배경을 통해 죽음의 이미지와
1 애상적 분위기를 느끼게 함시간적
1.저녁이라는 . 배경
의미 - 낮과 밤의 경계
- 삶과 죽음의 경계
화자의 슬픔이 이입
2. 공간적 배경 ( 화자의 현재
2 위치 ) 배경을 통해 임과의
공간적
의미
거리감을 - 고립과 단절의
느끼게 함 . 공간
- 임과 먼 거리에 있는
공간
3 연 : 임의 상실로 인한
허무감 7
교과서 228 쪽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① 초혼
작품 보기 작품 연구

자의 정 서 를
화 ( 招魂 )김소월 러냄
초혼
적으 로 드
직접
반복을 통해 그리움 ,
안타까움 , 슬픔을 강조
함.

삶과 죽음사이의 거리감 4 연 : 삶과 죽음
사이의
절망적 거리감 8
교과서 228 쪽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① 초혼
작품 보기 작품 연구

초혼 ( 招魂 )김소월
망부석 설화 차용함 .
이름을 부르다가 ‘ 돌'이
되겠다는 말을 통해
그리움과 슬픔을 강조함 .

반복을 통해 그리움 ,
안타까움 , 슬픔을 강조
함.

5 연 : 포기할 수 없는 사랑의
9


(


)─


1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교과서 227 쪽

갈래 자유시 , 서정시

성격 전통적 , 민요적 , 격정적 , 애상적 , 감상적

제재 임과의 사별

주제 사별한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① 전통 상례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불러들이는 고복


( 皐復 ) 의식과 망부석 설화를 소재로 함 .
특징
② 3 음보의 민요적 율격을 형성함 .
③ 반복 , 영탄 , 과장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함 .

11
4. 한국
소단원 정리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교과서 227 쪽

작품의 구성

1연 죽은 임의 이름을 부르는 절망적 슬픔

2연 사랑을 고백하지 못한 회한

3연 임의 상실로 인한 허무감

4연 삶과 죽음 사이의 절망적 거리감

5연 포기할 수 없는 사랑의 의지

12
4. 한국
소단원 정리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교과서 227 쪽

시적 화자의 처지 및 정서
시적 화자의 처지

사랑하는 임이 죽음 .

시적 화자의 정서

임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 죽은 임에 대한 그리움

사슴 돌
임에 대한 화자의 간절한
화자의 슬픈 감정이
그리움과 기다림이 응집된
이입된 객관적 상관물 상징물
13
4. 한국
소단원 정리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교과서 227 쪽

작품에 나타난 전통적 요소

• 전통 상례 과정 중 ‘초혼’ 의식을 소재로 함 .


• 망부석 설화를 차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내용
심화시킴 .
• 전통적 정서인 ‘한 ( 恨 )’ 의 정서를 드러냄 .

+
전체적으로 3 음보의 전통적 민요조 율격이
형식
나타남 .

14
4. 한국
소단원 정리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교과서 227 쪽

표현상의 특징

영탄법 ‘~ 이름이여 !’, ‘~ 그 사람이여 !’ 등

‘ 이름이여 !’, ‘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 설움에


반복법
겹도록 부르노라 .’ 등

화자의 슬픔과 그리움의 정서를 강렬하게 표현함 .

15
4. 한국
소단원 정리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교과서 227 쪽

작품 창작의 배경 및 당대 독자들에게 준 영향

국권을 상실한 일제 강점기의 시대 상황 속에서


창작 배경
창작됨 .

독자들에게 나라를 잃은 강렬한 슬픔을 느끼게 하여 당대


준 영향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공감을 얻음 .

1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교과서 229 쪽
① 초혼
1- 1- 1-
활동하기
(1) (2) (3)

1 < 초혼 > 을 감상하고 ,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⑴ 시적 화자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말해 보자 .

사랑하는 사람과 사별하여 깊은 슬픔에 빠져


있다하늘
. [天]

17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교과서 229 쪽
① 초혼
1- 1- 1-
활동하기
(1) (2) (3)

⑶ 밑줄 친 시구를 통해 알 수 있는 시적 화자의 정서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

교과서 228 쪽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

극한의 슬픔 ( 한 )

1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교과서 229 쪽
① 초혼
2- 2-
활동하기
(1) (2)
2 〈초혼〉의 문학사적 의의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⑴ 이 작품에서 전통적인 요소가 두드러진 부분을
내용과 형식의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자 .
• 내용 : 1 연에서 ‘초혼’의 행위가 나타나 있고 , 5 연에서 ‘
망부석 설화’가 반영되어 있으며 , 전체적으로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한 ( 恨 ) 을 노래하였다 .

• 형식 : 전체적으로 3 음보의 전통적 민요조 율격이


사 용 되
었다 .

19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교과서 229 쪽
① 초혼
2- 2-
활동하기
(1) (2)
⑵ 다음은 이 작품의 창작 배경에 대한 설명이다 . 이
글을 참고하여 이 작품이 당대 독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지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
김소월의 〈초혼〉은 〈옛 님을 따라가다가 꿈 깨어 탄식함이
라〉라는 시를 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개작 전의 작품은
‘옛 님’이라는 한 여자에 대한 시로서 , 시인의 개인적이고도
특수한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 그런데 개작을 통하여
지극히 개인적인 사건이 모두 삭제되자 , 구체적인 ‘옛 님’은
보편적인 ‘그대’로 한 단계 승화되었고 , 더욱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정서를 담게 되었다 .

2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교과서 229 쪽
① 초혼
2- 2-
활동하기
(1) (2)

이 작품은 처음에는 한 여자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을


읊은 시였지만 , 개작을 거치면서 개인적인 사건이
모두 삭제되자 보편적인 ‘ 임’ 에 대한 정서를 담은
작품으로 승화되었다 . 특히 이 작품이 국권을 상실한
일제 강점기에 창작되었음을 감안한다면 ‘죽은 임’은 ‘
잃어버린 조국’으로도 해석되어 , 나라를 잃은 애절한
슬픔과 강렬한 의지를 느끼게 하고 이를 통해 당시의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공감을 얻게 되었다고 할 수 있
다.

21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 (4) 근현대 문학 / 작품 교과서 230 쪽
① 초혼
3- 3-
활동하기
(1) (2)
3 다음은 〈초혼〉과 같은 시대에 발표된 작품이다 . 이
시를 읽고 ,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작품 보기 작품 정리

⑴ 이 작품에서 ‘님’은 어떤 존재일지 자유롭게 말해


보자 .

사랑하는 사람 , 진리 , 절대자 등을 의미한다 .

22
작품 정리

한용운 , < 님의 침묵
>
갈래 자유시 , 서정시 성격 의지적

제재 임에 대한 사랑

주제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① 경어체를 사용하여 여성적 어조를 드러냄 .


특징 ②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와 상징적 표현을 사용함 .
③ 역설적 상황을 통해 주제를 표출함 .

닫기23
1 / 14
작품 정리

김소월 , < 먼 후일
>

갈래 자유시 , 서정시 성격 애상적 , 민요적

제재 그리움

주제 떠난 임을 잊을 수 없는 마음

① ‘- 면’ , ‘ 잊었노라’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있음 .


특징 ② ‘ 잊었노라’라는 반어적 표현을 통해 떠난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함 .

닫기24
1 / 14
작품 정리

김현승 , < 눈물
>

갈래 자유시 , 서정시 성격 종교적 , 명상적 , 상징적

제재 눈물 , 자식의 죽음

주제 인간적 슬픔의 종교적 승화

① 경어체를 사용하여 경건한 분위기를 조성함 .


특징 ② 기독교적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대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 .
닫기25
1 / 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