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정신분석학적 비평

1. 정신분석학과 예술비평

1) 프로이트 - 정신분석학과 예술과의 관계 제시(고전을 통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Complexe d'Oedipe” 용어 확립)

(1) 예술과 무의식

- 예술은 충족될 수 없는 욕망의 승화


- 예술 작품은 “무의식 inconscient”에 대한 명백한 진술을 표명 : 문학은 순수한 상상적
활동의 공간. 은밀한 욕망, 억압된 진실을 제시.
- 예술의 보편성은 인간의 무의식적 상징화에서 유래.

(2) 꿈과 문학

- 꿈과 문학의 유사성 : 억압된 욕망의 배출구 역할을 하며 상징적 텍스트로 제시.


- 징후적 독서법 lecture symptomale : 문학 텍스트는 욕망의 힘과 의식의 억압 사이의
타협적 생성물. 텍스트의 이면에서 감지되는 단어, 이미지, 서술적 상황의 모호성에 주의를
기울이는 해석 방법.
「도스토예프스키와 아버지 살해」(1928) -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을 작가의 아버지
살해에 대한 억압적인 욕망이 표현된 결과로 해석. 폭력적인 아버지에 대한 애증을 오이디
푸스 콤플렉스로 표현. 아버지는 가학적인 초자아를 형성. 작가는 수동적이며 여성적으로
성장. 가혹한 처벌에서 만족을 얻음.

<욕망의 수수께끼 – 내 어머니, 내 어머니 L'Enigma del Desiderio: Mia Madre>

특징 : 달리가 정신분석학에 크게 영향을 받은 시기에 발표한 작품.


프로이트 이론을 적용하여 자주 분석됨.

분석 : 달리의 무의식적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그림으로 표현.


달리의 자화상 - 작품의 소재는 화가의 정신적 산물.
쓰러져있는 달리의 얼굴 – 거대한 몸이 압박.
꼭대기의 사자 – 주인공을 압박하는 아버지
뒷편의 늙은이를 포옹하는 젊은이. 물고기와 칼. 메뚜기. 절망에 빠진 어머니의 얼굴. -
물고기와 칼은 프로이트 이론에서 성적인 암시. 메뚜기는 달리의 두려움과 성적 충동을

- 1 -
암시. 아버지의 양면성.(사자와 늙은이. 아들을 포옹하며 동시에 칼로 찌르려함.)
성욕을 어머니와 연관시켜 표현 -“나의 어머니 ma mère”라고 적혀진 수 많은 글자들.

2. 영화와 정신분석학

1) 영화 매체와 정신분석학

영화는 다른 매체보다 수용하는 관객의 무의식의 비중이 큼


보드리 Jean-Louis Baudry - 어두운 영화관 속의 관객 : 꿈을 꾸는 상태와 같음. 어린이의
심리상태로 퇴행하여 쾌락원칙에 따름.
메츠 Christian Metz - 영화의 내용이 논리적이므로 꿈 보다는 백일몽의 상태와 같음.
영화적 장치가 주는 관객과 주인공의 동일화는 영상을 현실로 받아들이면서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줌.

2) 영화 작품과 정신분석학
영화를 수용하는 과정보다 영화 작품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사디즘. 마조히즘 등 심리장애적 증상과 연결시켜 영화를 분석

3. 샤를르 모롱 Charles Mauron의


심리비평 Psychocritique

1) 문학작품을 병리학적 무의식의 표현으로 단순화시키는 진료적 비평(작품을 작가의 비정


상적 심리를 밝히기 위한 자료로 사용), 비과학적인 방식으로 심층 자아를 규정하는 주제
비평의 비판에서 탄생.

2) 진료적 정신분석학과 구별되는 새로운 정신분석학적 비평, 무의식 개념에 토대를 두지만
본질적으로 텍스트에 관심, 문학 자체에 비중을 두는 비평 추구.

3) 작품 전체를 읽고 문체나 주제에 있어서의 규칙성과 체계를 찾아내고자 함 - 한 두 작


품의 분석 후에 이 일원적인 체계를 다른 작품들에 인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위험이 내재
함.

3) 개인적 신화 mythe personnel라고 부르는 작가의 무의식적 구조 찾기 -


1단계 : 한 작가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무의식적 이미지의 결합망이 등
장. 작품들의 포개기 작업을 통해 작가가 의도하지 않았던 강박적 이미지들의 그룹 발견.
2단계 : 전 작품을 통해 이 결합망이 어떻게 반복, 변형되고 있는지 발견. 전체 작품의 구조

- 2 -
로 상정, 이를 통해 극적 형상 발견. 꿈의 분석과 연결시켜 작가의 개인적 신화 발견 - 포
개기를 통해 드러난 이미지들의 망, 집합체, 즉 구조(환상체계 fantasmatique)가 동일한 작
가들의 작품들을 통해 어떻게 반복되고 변모하는지 조사하는 단계. 이를 통해 개인적 신화
에 도달.
3단계 :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작품의 생애와 비교하여 검토 - 개인적 신화를 확인하
기 위해 작가의 삶과 대조, 검증.

4) 문학 비평에 작가의 전기적 자료 최대한 배제 - 비평가의 직관을 확인하기 위한 경우에


만 사용.

5) 작가가 아닌 작품의 무의식에 주목, 무의식을 구조화하고 갈등에 형식을 부여하는 것은


작품임을 입증하려고 시도.

3. 장 벨멩 노엘 Jean Antoine Bellemin-Noël의 텍스트의 정신분석 la psychanalyse du


texte , 텍스트 분석 textanalyse.

1) 텍스트의 무의식 - 작가나 등장인물이 아니라 텍스트 내부에서 작동하는 무의식의 존재


주장.

2) 세부적 상황들에 집중 - 쓸모없는 장식적 표현, 우발적 사건들을 통해 무의식의 일차 과


정의 흔적 추적.

3) 독자지향 비평 - 작가와 텍스트의 관계 사라짐.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일어나는 무의식


적인 움직임에 초점을 두는 비평 : 독서의 행위를 텍스트와 독자 간의 정신분석으로 간주.

4) 주관성의 개입을 비평의 중심에 둠 - 과학적, 이론적 목표를 두지 않고 미학적 차원에


더 가치를 두는 미학적 비평.

3. 일례

모롱의 L'inconscient dans la vie et l'oeuvre de Racine

1) 라신의 작품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해석 : 양극의 사랑, 양극을 이루는 인물들로 인


해 일어나는 비극.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근친애)으로 드러나는 리비도의 압력. 거세의식의 발현으로 표현되
는 살해. 자살로 표현되는 초자아의 승리.

- 3 -
2) 라신의 일생과 작품의 구조

- 초기 작품(Andromaque(1667), Britannicus(1669)이 사디스틱한 오이디푸스적 애착이라


면 “Mithridate (1673)” 이후로Iphigénie(1674), Phèdre(1677)는 마조히스트적인 초자아의
승리가 드러남. Mithridate는 유일하게 오이디푸스의 승리를 보여주는 작품(아버지의 축복
속에 어머니와 결혼. 초자아의 소멸)

- 작품을 지배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구조는 라신의 내밀한 삶을 지배했던 무의식.


사교적인 성격의 고아였던 라신이 엄격한 기관인 Port Royal에 기탁해서 양육됨.
엄격한 장세니스트적 도덕과 연극에 대한 세속적 사랑 사이의 갈등 - 평생을 “장세니스트
적 신경증”에서 해방되려고 노력.
그의 비극 작품들은 이 위협에 대한 일종의 박해 망상.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과정 - “Mithridate” 이후의 작품에서 쾌락의 원리의 지배가
사라지고 초월적인 자아, 효과적인 검열이 나타남. 주인공의 내면에서 나타난 초월성.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