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17. 미술작품 다시 보기 (p.

94)
작품 분석

작품 분석은 새로운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작품분석은 주제와 발상은


무엇이며, 그것을 구체화하는 표현 형식이 적절하게 선택 되었는지를 가늠해 보는 것이다. 이러
한 분석 과정은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것은 물론, 창작자가 자신의 작품을 성찰하
고 반성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벨라스케스 <시녀들>
김홍도 <씨름도>
캔버스에 유채, 1656
종이에 담채, 18세기 후반
미술 비평은 왜 필요할까?

1. 감상 방법을 제시하여 관람자가 작품을 탐색하도록 길잡이 역할


을 해준다.
관람자는 비평가의 관점에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을 수 있지만, 어
떤 경우든 비평문을 한번 읽고 나면 작품에 다가가기가 수월해진다.
나아가 관람자는 자신만의 비평활동을 해 볼수도 있다.

2. 작가는 비평가의 활동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고 이해받곤 한다. 때


로 비평가는 작가 스스로도 의식하지 못했던 작품의 의미를 발견해
소개하기도 한다.

3. 미술 시장에서는 작품의 가치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과정이 필


요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작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가. 비평가는
작품의 특징과 작가의 예술관을 소개하면서 미술 시장에서 그 가치
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미술 비평의 관점 (교과서 96쪽)
모방론: 예술이 외부 세계를 얼마나 닮 형식론: 예술은 그 어떤 도구적 기
게 그렸는가(재현)로 가치를 판 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예술 그
단하는 관점이다. 특히 아리스토텔레 자체를 위해서’ 존재한다는 입
스는 미의 기준을 자연에 두고, 있는 장이다. 예술의 미적 가치는 내용이
그대로의 자연이야말로 미의 원천이자 아니라 ‘의미 있는 형식’ 다시 말해
모방해야 할 예술의 모범이라고 생각 선, 색, 공간 등 조형 요소의 통일,
했다. 반면 플라톤은 예술이 원천(이데 변화, 비례, 율동 등의 상호 관계에
아)의 모방에 불과하므로 가치가 없다 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작품의 외
고 단언하며 재현적인 모방론을 부정 적 요소는 생각하지 않고 오직 조형
적으로 보았다. 모방론은 고전주의와 형식 그 자체에만 집중한다.
마든(Marden,
연결되는 이론이다. Brice/1938~/미국) 형식적
밀레(Millet, Jean- 대리석(대리석에 흑연과
François/1814~1875/프랑스) 이삭 유채 물감/72×
줍는 여인들(캔버스에 유채 물감 64cm/2011년)
/83.5×110cm/1857년)

표현론: 작품은 예술적 감정, 개성, 정


맥락론: 예술이 사회, 문화라는 맥락
서의 표현이므로 감상을 통해
안에서 인정받고, 제약받고, 만들어지
그것을 공유할 수 있다고 보는
고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또 당대 사회
관점이다. 모방론(재현주의)이 그리
의 예술계에서 인정받아야 비로소 작
스 로마시대의 예술 그리고 고전주의
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때 예
미술 경향에 맞닿는다면, 표현론은
술계란 예술에 관한 사회적 관습을 둘
작가의 개성과 영감을 강조하는 낭만
러싼 문화 제도들이나 이념들을 포함
주의와 연결된다.
하는 개념이다.

키르히너(Kirchner, Ernst Ludwig/1880~1938/독일) 이 워홀(Warhol, Andy/1928~1987/미국) 브릴로


중 자화상(캔버스에 유채 물감/60×49cm/1914년) 상자(합판에 실크 스크린, 페인트/각 43.3×
43.3×36.5cm/1964년)
미술 비평의 관점

모방론:

예술이 외부 세계를 얼마나 닮게


그렸는가(재현)로 가치를 판단하는
관점이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미의 기준
을 자연에 두고, 있는그대로의 자
연이야말로 미의 원천이자 모방해
야 할 예술의 모범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플라톤은 예술이 원천(이데아)


의 모방에 불과하므로 가치가 없다
고 단언하며 재현적인 모방론을 부
정적으로 보았다. 모방론은 고전주
밀레(Millet, Jean-François/1814~1875/프랑스) 이삭 줍는 의와 연결되는 이론이다.
여인들(캔버스에 유채 물감/83.5×110cm/1857년)
밀레(Millet, Jean-François/1814~1875/프랑스)
이삭 줍는 여인들(캔버스에 유채 물감/83.5×110cm/1857년)
미술 비평의 관점

표현론:

작품은 예술적 감정, 개성, 정서의 표


현이므로 감상을 통해 그것을 공유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이다.
모방론(재현주의)이 그리스 로마시대
의 예술 그리고 고전주의 미술 경향에
맞닿는다면, 표현론은 작가의 개성과
영감을 강조하는 낭만주의와 연결된다.

키르히너(Kirchner, Ernst Ludwig/1880~1938/독일)


이중 자화상(캔버스에 유채 물감/60×49cm/1914년)
키르히너(Kirchner, Ernst Ludwig/1880~1938/독일)
이중 자화상(캔버스에 유채 물감/60×49cm/1914년)
미술 비평의 관점

형식론:

예술은 그 어떤 도구적 기능을 가지


는 것이 아니라 ‘예술 그자체를 위
해서’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예술의 미적 가치는 내용이 아니라
‘의미 있는 형식’ 다시 말해 선, 색,
공간 등 조형 요소의 통일, 변화, 비
례, 율동 등의 상호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작품의 외적 요소는 생각하지 않고
오직 조형 형식 그 자체에만 집중한
다.

마든(Marden, Brice/1938~/미국)
형식적 대리석(대리석에 흑연과 유채 물감
/72×64cm/2011년)
마든(Marden, Brice/1938~/미국)
형식적 대리석(대리석에 흑연과 유채 물감/72×64cm/2011년)
미술 비평의 관점

맥락론:

예술이 사회, 문화라는 맥락 안


에서 인정받고, 제약받고, 만들
어지고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또 당대 사회의 예술계에서 인
정받아야 비로소 작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때 예술계란 예술에 관한 사
회적 관습을 둘러싼 문화 제도
들이나 이념들을 포함하는 개념
이다.
워홀(Warhol, Andy/1928~1987/미국)
브릴로 상자(합판에 실크 스크린, 페인트/각
43.3×43.3×36.5cm/1964년)
워홀(Warhol, Andy/1928~1987/미국)
브릴로 상자(합판에 실크 스크린, 페인트/각 43.3×43.3×36.5cm/1964년)
미술 비평의 단계

첫 느낌 말하기

형식 말하기

뜻 말하기

가치 말하기
임영숙(1964~/한국) 밥(장지에 수간분채, 도자기 흙,
아크릴 물감/130×170cm/2014년)
미술 비평의 단계 (교과서96쪽)

2단계: 형식 말하기 3단계: 뜻 말하기 4단계: 가치 말하기


1단계: 첫 느낌 말하기 제목, 재료, 선, 색 등 작품의 숨겨진 의미나 사회적, 역사적, 미술사
작품에서 느끼는 감정을 정보와 조형적 특성을 내용을 말하는 단계 적인 연구를 통해 가치
이야기하는 단계 분석하는 단계 를 평가 또는 판단하는
단계

임영숙(1964~/한국) 밥(장지에 수간분채, 도자기 흙,


아크릴 물감/130×170cm/2014년)
도전 미술비평 (교과서 98쪽)
마음에 드는 작품을 골라, 자신만의 관점과 판단이 담긴 미술비평문을 작성해 보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