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

양태훈

조소 3 차 C2301405
1. 저자 약력 조사
1. 저자 약력 조사

• 아멜리아 존스 (Amelia Jones, 1961 년 7 월 14 일


출생 )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 출신으로 미국의
미술사학자 , 미술이론가 , 미술평론가 , 작가 , 교수 ,
큐레이터
1. 저자 약력 조사

• 아멜리아 존스의 초기 작업은 Judy


Chicago 의 예술에 관한 선구적인 전시회 및
출판물로 그녀를 페미니스트 학자 및
큐레이터로 확립 .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on March 14, 1979
1. 저자 약력 조사

• 이 결정적인 책에서 아멜리아 존스는 1960


년대와 1970 년대의 바디 아트 프로젝트를
탐구하고 오늘날 활동하는 바디 아티스트의
작업에 대한 영향을 연결하여 시각 예술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정의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공 .
Body art performing the subject ,1998
1. 저자 약력 조사 아멜리아 존스의 최근작

Seeing Differently: A History and Theory of


Identification and the Visual Arts  , 2012

Perform Repeat Record: Live Art in History , 2012

The edited volume Sexuality  , 2014


- 아드리안 헤더펠드와 공동 저자
Otherwise: Imagining Queer Feminist Art
Histories  , 2016 - 에린 쉴버와 공동 저자 
1. 저자 약력 조사 아멜리아 존스 기획의 전시

<<Material Traces: Time and the Gesture in


Contemporary Art>>, 2013, 몬트리올
1. 저자 약력 조사 아멜리아 존스 기획의 공연 및 컨퍼런스 프로그램

• <<Live Artists Live>>, 2016,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1. 저자 약력 조사 아멜리아 존스 기획의 전시

• <<Queer Communion: Ron


Athey>>, 2021, Participant Inc 및
ICA LA
1. 저자 약력 조사
• In Between Subjects: A Critical Genealogy
of Queer Performance , 2021
2. 비평적 읽기
2. 비평적 읽기
<1> 이 글에서 저자는 무엇을 어떻게 주장하는가 ? 발제자의 언어로 3-4 문장으로 고쳐 정리하시오

-
바야르의 사진작업을 중심으로 몸의 주체성과 그 역설 ( 살아있으면서 죽어있는 ) 을 다양한 학자의

관점을 비판 ( 플라톤 , 데카르트 , 칸트 , 그린버그 / 동의 ( 니체 , 로젠버그 ) 하면서 개진한다 .

특히 , 데카르트주의와 서구 모더니즘 지배 담론인 그린버그를 서구 가부장제 남성과 연관지어서

그것이 시각문화에서 몸을 지우려는 시도가 어떻게 실패 했는지 , 몸의 이야기로 그 관점을

반박하고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이용해 몸이 얼마나 복잡하고 단순하지 않은 , 양가적인

소재인지 설명함 . 글 초입에 써 있듯이 후기 데카르트 , 또는 탈데카르트적 이해에 기초하여 몸에

관한 몇몇 이론적 모델을 검토하면서 진행 .


2. 비평적 읽기
이 글에서 비판하는 모더니즘과 데카르트 주의 그리고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데카르트 주의 : 세계를 정신과 물질로 구분한 형이상학적 이원론을 강조하고 , 과학적 철학


관을 전개한 데카르트의 사상과 그를 계승한 사람들의 철학 이론 .

예시
2. 비평적 읽기
이 글에서 비판하는 데카르트 주의와 모더니즘 그리고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모더니즘 : 근대 계몽주의에서 비롯된 합리성 , 이성을 강조하는 예술경향 , 그린버그는 칸트를 최초의 모더니
스트라고 생각했음 . ( 비판방법 그자체를 비판한 최초의 사람이라는 이유 )
예시

Composition N. 1 with Red and Blue, Piet Mondrian


2. 비평적 읽기
이 글에서 비판하는 데카르트 주의와 모더니즘 그리고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 작품을 분석 할 때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보다는 ‘형식요소’ ( 색체 , 질감 등 ) 와


‘ 구성’ 등의 측면에서 접근

예시
2. 비평적 읽기
<2> 이 글의 구성 / 구조를 ‘분석’ 하여 설명 하시오 ,.

- ‘ 억압된 몸’ 파트에서는 데카르트 사상과 그 사상을 이어 받은 지배적 모더니즘인 그린버그를 가지고와 서구 가부장적
남성주의가 어떻게 실패 하였는지 그리고 어떻게 미술사에서 몸을 지우려 시도 했는지 보여줌 .
- ‘ 죽은 몸’에서는 바야르의 사진 분석을 통해 자아의 보증자로서 몸의 중요성을 피력하며 다시한번 , 몸을 지우려고 했던
모더니즘 형식주의의 시도가 실패했음을 피력 .

- ‘ 몸 기원 몸 인터페이스’에서는 다시 한번 역설적인 몸 , 양가적인 몸 , 죽어 있지도 살아있지도 않은 몸을 되새기면서


플라톤으로 대표되는 서구 남성주의로 단순화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재차 강조하며 첫 번째 관점이 지닌 문제점을 폭로하고 ,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몸의 중요성에 대해 피력 . 몸은 주체이자 자아 .
- ‘ 몸 물신’에서는 바야르이 사진을 예로 들며 부재하는 몸의 물신적 대체와 양가적 불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함 .

- ‘ 우발적인 몸’에서는 다시 한번 키키 스미스와 신디 셔먼의 작업을 예로 들며 , 모더니즘의 전복에 대해 토로하며 , 역설적인


몸 , 복잡하고 , 죽어 있기도 하고 살아있기도 한 , 보기도 하고 보여 지기도 하는 몸의 복잡함에 대해 이야기함 .
2. 비평적 읽기
<3> 이 주장 / 이론 / 논리에 어떠한 반론이 가능한가 ?
- 이 주장 / 이론 / 논리가 취하고 있는 추정이나 가설은 무엇인가 .

• 여성은 수동적이며 남성은 능동적이라는 가설이 깔려 있지만 여성의 능동적

모습을 배제 한 것 같다 . 즉 , 여성도 능동적 존재 일수 있다 .


2. 비평적 읽기
<4> 이 글에 대한 질문 3 개를 만드시오 .

질문 1:
퍼포먼스 작가적 관점에서 어떻게 하면 이렇게 모더니즘이 억압한 몸을 포스트 모더니즘에서

해방된 이미지로서 제시 할 수 있을까 ?

질문 2: 바야르의 사진은 죽어 있으면서도 살아있는 시각 이미지의 불가능성을 보여주는데 , 현전하는

퍼포먼스 로서의 시간으로 그 불가능성을 가능성으로 바꿀 수는 없을까 ( 또는 극복 할 수는

없을까 )? 또는 그것은 가능한 일일까 ?

질문 3: 저자는 탈데카르트적인 논의를 이어 갔는데 , 현대 한국에서 이러한 맥락을 이어 받을 수 있는

철학자나 미학자는 누가 있을까 ?


3. 시각자료
3. 시각자료

안나 멘디에타 , Imágen de Yágul, 1973


3. 시각자료

성능경 , 아무것도 아닌듯 , 2023


3. 시각자료

키키 스미스 , pee body, 1992


3. 시각자료

이폴리트 바야르 , 익사자의 자화상 , 1840 년경


3. 시각자료 그외 바야르의 사진 작업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