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2301405)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24

양태훈

조소 3차 C2301405
1. 저자 약력 조사
1. 저자 약력 조사

• 아멜리아 존스(Amelia Jones, 1961년 7월 14일 출생)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 출신으로 미국의 미술사학
자, 미술이론가, 미술평론가, 작가, 교수, 큐레이터
1. 저자 약력 조사

• 아멜리아 존스의 초기 작업은 Judy


Chicago의 예술에 관한 선구적인 전시회
및 출판물로 그녀를 페미니스트 학자 및
큐레이터로 확립.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on March 14, 1979
1. 저자 약력 조사
• 이 결정적인 책에서 아멜리아 존스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바디 아트 프로
젝트를 탐구하고 오늘날 활동하는 바디
아티스트의 작업에 대한 영향을 연결하여
시각 예술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정의하
기 위한 새로운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
Body art performing the subject ,1998 공.
1. 저자 약력 조사 아멜리아 존스의 최근작

Seeing Differently: A History and Theory of


Identification and the Visual Arts , 2012

Perform Repeat Record: Live Art in History , 2012

The edited volume Sexuality , 2014


- 아드리안 헤더펠드와 공동 저자
Otherwise: Imagining Queer Feminist Art
Histories , 2016 - 에린 쉴버와 공동 저자
1. 저자 약력 조사 아멜리아 존스 기획의 전시

<<Material Traces: Time and the Gesture in


Contemporary Art>>, 2013, 몬트리올
1. 저자 약력 조사 아멜리아 존스 기획의 공연 및 컨퍼런스 프로그램

• <<Live Artists Live>>, 2016, 서


던캘리포니아대학교
1. 저자 약력 조사 아멜리아 존스 기획의 전시

• <<Queer Communion: Ron


Athey>>, 2021, Participant Inc 및
ICA LA
1. 저자 약력 조사
• In Between Subjects: A Critical Genealogy
of Queer Performance , 2021
2. 비평적 읽기
2. 비평적 읽기
<1> 이 글에서 저자는 무엇을 어떻게 주장하는가? 발제자의 언어로 3-4 문장으로 고쳐 정리하시오

- 바야르의 사진작업을 중심으로 몸의 주체성과 그 역설(살아있으면서 죽어있는)을 다양한

학자의 관점을 비판(플라톤, 데카르트, 칸트, 그린버그 /동의(니체, 로젠버그) 하면서 개진한

다. 특히, 데카르트주의와 서구 모더니즘 지배 담론인 그린버그를 서구 가부장제 남성과 연

관지어서 그것이 시각문화에서 몸을 지우려는 시도가 어떻게 실패 했는지, 몸의 이야기로

그 관점을 반박하고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이용해 몸이 얼마나 복잡하고 단순하지 않은,

양가적인 소재인지 설명함. 글 초입에 써 있듯이 후기 데카르트, 또는 탈데카르트적 이해에

기초하여 몸에 관한 몇몇 이론적 모델을 검토하면서 진행.


2. 비평적 읽기
이 글에서 비판하는 모더니즘과 데카르트 주의 그리고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데카르트 주의 : 세계를 정신과 물질로 구분한 형이상학적 이원론을 강조하고, 과학적 철학


관을 전개한 데카르트의 사상과 그를 계승한 사람들의 철학 이론.

예시
2. 비평적 읽기
이 글에서 비판하는 데카르트 주의와 모더니즘 그리고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모더니즘 : 근대 계몽주의에서 비롯된 합리성, 이성을 강조하는 예술경향, 그린버그는 칸트를 최초의 모더니
스트라고 생각했음. (비판방법 그자체를 비판한 최초의 사람이라는 이유)
예시

Composition N. 1 with Red and Blue, Piet Mondrian


2. 비평적 읽기
이 글에서 비판하는 데카르트 주의와 모더니즘 그리고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그린버그의 형식주의 : 작품을 분석 할 때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보다는 ‘형식요소’(색체, 질감 등)와


‘구성’ 등의 측면에서 접근

예시
2. 비평적 읽기
<2> 이 글의 구성/구조를 ‘분석’ 하여 설명 하시오,.

- ‘억압된 몸’ 파트에서는 데카르트 사상과 그 사상을 이어 받은 지배적 모더니즘인 그린버그를 가지고와 서구 가부장적 남
성주의가 어떻게 실패 하였는지 그리고 어떻게 미술사에서 몸을 지우려 시도 했는지 보여줌.

- ‘죽은 몸’에서는 바야르의 사진 분석을 통해 자아의 보증자로서 몸의 중요성을 피력하며 다시한번 , 몸을 지우려고 했던
모더니즘 형식주의의 시도가 실패했음을 피력.

- ‘몸 기원 몸 인터페이스’에서는 다시 한번 역설적인 몸, 양가적인 몸, 죽어 있지도 살아있지도 않은 몸을 되새기면서 플라


톤으로 대표되는 서구 남성주의로 단순화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재차 강조하며 첫 번째 관점이 지닌 문제점을 폭로하고, 메
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몸의 중요성에 대해 피력. 몸은 주체이자 자아.

- ‘몸 물신’에서는 바야르이 사진을 예로 들며 부재하는 몸의 물신적 대체와 양가적 불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함.

- ‘우발적인 몸’에서는 다시 한번 키키 스미스와 신디 셔먼의 작업을 예로 들며, 모더니즘의 전복에 대해 토로하며, 역설적인
몸, 복잡하고, 죽어 있기도 하고 살아있기도 한, 보기도 하고 보여 지기도 하는 몸의 복잡함에 대해 이야기함.
2. 비평적 읽기
<3> 이 주장/이론/논리에 어떠한 반론이 가능한가?
- 이 주장/이론/논리가 취하고 있는 추정이나 가설은 무엇인가.

• 여성은 수동적이며 남성은 능동적이라는 가설이 깔려 있지만 여성의 능

동적 모습을 배제 한 것 같다. 즉, 여성도 능동적 존재 일수 있다.


2. 비평적 읽기
<4> 이 글에 대한 질문 3개를 만드시오.

질문1: 퍼포먼스 작가적 관점에서 어떻게 하면 이렇게 모더니즘이 억압한 몸을 포스트 모더니즘에

서 해방된 이미지로서 제시 할 수 있을까?

질문2: 바야르의 사진은 죽어 있으면서도 살아있는 시각 이미지의 불가능성을 보여주는데, 현전하

는 퍼포먼스 로서의 시간으로 그 불가능성을 가능성으로 바꿀 수는 없을까(또는 극복 할 수

는 없을까)? 또는 그것은 가능한 일일까?

질문3: 저자는 탈데카르트적인 논의를 이어 갔는데, 현대 한국에서 이러한 맥락을 이어 받을 수 있


는 철학자나 미학자는 누가 있을까?
3. 시각자료
3. 시각자료

안나 멘디에타, Imágen de Yágul, 1973


3. 시각자료

성능경, 아무것도 아닌듯, 2023


3. 시각자료

키키 스미스, pee body, 1992


3. 시각자료

이폴리트 바야르, 익사자의 자화상, 1840년경


3. 시각자료 그외 바야르의 사진 작업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