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1

문학과 표현

Ÿ 대유법: 부분으로 전체를 표현하는 방법


[학습목표] 예 - 빼앗긴 들(영토)에도 봄은 오는가
Ÿ 비유와 상징의 표현방식을 말할 수 있다. Ÿ 풍유법: 속담이나 격언 등을 활용하여 숨겨진 뜻을
Ÿ 비유와 상징의 표현 방식을 활용한 글을 쓸 수
표현하는 방법
있다.
예 -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더니, 평소에 잘
Ÿ 수필의 개념과 특징을 말할 수 있다.
Ÿ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감동이나 즐거움을 주는 하던 일에 실수를 다 하네!
글을 쓸 수 있다.

상징
비유 1. 상징의 뜻
Ÿ 추상적인 개념 혹은 사물을 구체적인 사물로 표현하
1. 비유의 뜻 는 것
Ÿ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비슷한 현상이나 사물
에 빗대어서 설명하는 것 2. 상징의 효과와 특징
Ÿ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이용하여 표현 Ÿ 대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효과
Ÿ 원관념은 드러나지 않고 보조관념만 나타남
<원관념과 보조관념>
Ÿ 하나의 상징은 여러 개의 원관념을 포함할 수 있음
예 - ‘물(water)’ → ‘생명력’, ‘치유’, ‘죽음’ 등
원관념 보조관념
표현하려는 대상 빗대어 표현한 대상
<일상 속에서 만나는 상징>
예 아기의 눈이 별빛처럼 빛난다.
눈 별빛
추운 날씨에도 푸른 소나무 → ‘강직함, 절개’

지붕 위에 세워진 십자가 → ‘기독교’, ‘희생’


2. 비유의 효과
Ÿ 일반적인 표현보다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음 이글거리는 태양 → ‘열정’
Ÿ 독자는 비유적인 표현에 흥미로움을 느낌
Ÿ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 3. 상징의 종류
Ÿ 원형적 상징: 전 인류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상징
3. 비유의 종류 예 - ‘달(moon)’ → 그리움과 소망
Ÿ 직유법: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대상을 ‘~ Ÿ 관습적 상징: 어느 사회나 문화 속에서 널리 인정되
같이, ~처럼, ~듯이, ~인 양’등의 형식을 활용하여 어 쓰이고 있는 상징
연결하는 방법 예 - ‘까치’ → 반가운 손님
예 -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Ÿ 개인적 상징: 개인이 문학작품 등에서 독창적으로
Ÿ 은유법: ‘A는 B’ 등의 형식을 활용하여 두 대상을 만들어내는 상징
동일 관계로 표현하는 방법 예 -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
예 - 내 마음은 호수요 니다(한용운, 「님의 침묵」)
Ÿ 의인법: 사람이 아닌 대상을 사람인 것처럼 표현하 → 사랑하는 사람, 절대자, 조국 등
는 방법
예 - 꽃이 활짝 웃는다.

* 본 문제지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하여 서비스하는 자료입니다.


1 에듀넷·티-클리어(www.edunet.net)에 접속하면 더 많은 자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문학과 표현

수필 2. 경험을 담은 글쓰기의 효과
Ÿ 나의 경험과 깨달음을 공유하며 독자들에게 감동과
1. 수필의 뜻 즐거움을 줄 수 있음
Ÿ 일정한 형식없이 일상생활 속에서 얻은 느낌이나 생 Ÿ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성찰해볼 수 있음
각을 자유롭게 쓴 글 [隨(따르다)+筆(붓, 글씨)]

2. 수필의 종류
Ÿ 경수필: 생활 주변의 가벼운 주제로 작성한 글
Ÿ 중수필: 주로 무거운 내용을 담고 있으며 논리적인 글
Ÿ 일기, 편지, 에세이, 감상문, 기행문 등

3. 수필의 특징
Ÿ 형식이 자유로움
Ÿ 글의 소재가 매우 다양함
Ÿ 글쓴이의 개성이 살아있음
Ÿ 우리의 삶에 교훈과 깨달음을 줌
Ÿ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쓸 수 있음

경험을 담은 글쓰기
1. 글쓰기의 과정
계획하기 : 글감 선정, 글의 주제 등을 정하기

내용 선정하기 : 자신의 경험 중 의미있는 내용 선정

내용 조직하기 : 선정한 내용이 잘 드러나도록


‘처음-중간-끝’과 같이 개요를 작성

표현하기 : 다양한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하기

고쳐쓰기 : 자신의 글을 다시 읽어보며 표현, 내용 등을


수정하기

* 본 문제지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하여 서비스하는 자료입니다.


2 에듀넷·티-클리어(www.edunet.net)에 접속하면 더 많은 자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