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묘사

@
묘사(描寫, Description)란 무엇인가?

( ,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의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해 얻은
~
오②g
인상(expression)을 생동감 있는 언어로 재현하는 글쓰기 방식

-
 사물을 0
추상적 개념으로 풀이해 주는 것이 아니라,
ee
②=
그 겉모양이나 빛깔 또는 외형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그려 보여줌.

 눈앞에 마주하고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대상을 재현해야 함.


묘사의 종류: 객관적 묘사 vs 주관적 묘사

항목
( 사전신문기사 ]
백과
객관적 묘사
( 소송보사용경
,
] 상광 주관적 묘사

개념
어떤 대상을 0
-
최대한 눈에 보이는 대로 쓰는 방식
@
Q 4
어떤 대상에 대한 개인적 관점을 쓰는 방식

중립 직임 -
-
(사실적 정보)
x
(주관적 견해)

목적 OO
정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객관적으로 전달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

대상이 있는 그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느낌과 태도가 드러나도록 정서적으로 어떤 변화를


특징
0
정확하고
- 사실적인 언어 표현을 사용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치가 포함된 어휘를 사용

예시
O
예1) 5만 여 군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ㅡ @
예1) 사람들이 물밀듯이 쏟아져 들어왔다.

예2)~
10미터 정도의 파도가 해변으로 밀려 왔다.
엄 예2) 집채만 한 파도가 마을을 집어 삼킬 것 같았다.
Q ㅡ

실제 묘사 글에서는 Q 4
객관적 묘사와 주관적 묘사가 함께 활용됨.
um


묘사는 언제, 왜 필요한가?

 다양한 유형(장르)의 글을 쓸 때 활용
소설의 배경과 등장인물의 묘사

디자인에서 특정 제품의 묘사, 길 안내, 제품 사용 설명서 등

여행지에서 본 황홀한 풍경 묘사, 맛있는 음식의 맛 묘사

공공장소에서 금연을 촉구하는 글에서 길거리 흡연 피해의 불편한 경험 묘사


O
필자(글쓴이)가 느꼈던(의도한) 세계로 독자(읽는 사람)를 들어가게 하여
~~ -

마치 동자가

필자가 경험한 것을 독자가 동일하게 느끼게 함.
>

필자의 경은생의 생하게 밀수있 .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단계

단계 전략 구체적인 내용
쓸 대상을 선정하라. 사람, 동물, 장소, 사물 등 구체적인 대상을 선정한다.
정보 전달을 위한 것인지(객관적 묘사), 정서적 반응을 끌어내기 위한
글의 목적을 정하라.
쓰기 전에 것인지(주관적 묘사)를 정한다.
독자층을 분석하라. 성별, 연령, 글감에 대해 호의적인지, 비호의적인지,
예상 독자를 정하라.
내 글에 독자가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한다.

자료를 수집하라. 주요한 인상을 표현할 감각을 선정한다.


조직하기
시간 순서, 공간에 따른 배치, 중요도 등 어떤 방식으로 배치할 것
자료를 조직하라. 인지를 정한다.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단계

단계 전략 구체적인 내용

흐름을 잡아 써라. 말하고자 하는 바 내용의 뼈대, 즉 단락별 주제문을 표현한다.


초고쓰기
공간 또는 감각의 이동 시 독자가 따라갈 수 있도록
언어적 단서를 이용하라.
언어적 신호를 제공한다.

독자의 입장에서 가독성과 흥미 등을 고려하여 편집하고


고쳐쓰기 수정하고 보완하라.
수정 및 보완한다.

제목, 목차, 쪽 번호, 참고문헌, 디자인 등 전체적인 형식을


쓰고 나서 편집하고 최종 점검을 하라.
점검한 후에 퇴고하라.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전략 1] 주의 깊게 관찰하고, 눈에 띄는 특징을 잘 포착하라.

 대상을 잘 관찰하고 대상의 특징을 잘 포착하는 것이 중요.

전체적으로 험상궂은 얼굴이며 광대뼈가 툭 튀어나옴. 웃을 때 눈가에 잔주름이 많이 생김. 매부리코 밑


에 팥알만 한 점이 하나 있으며, 눈은 회색이고 쌍꺼풀이 짐. 다부진 체격에 찢어진 청바지를 잘 입고 긴
장화를 신고 돌아다님. 잡는 사람에게 현상금 500달러 줌. -허병두, <허병두의 즐거운 글쓰기 교실> 중에서


 특히 주관적 묘사의 경우, 자신이 드러내고 싶은 인상이 무엇인지 주목.
-
~~

(예) 차가운 느낌/따뜻한 느낌, 평화로운 느낌/불안감이 도는 느낌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 @
[전략 2] 두드러진 인상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선정하라.

x
 포착한 특징이 잘 드러나는 정보를 선정

버스는 무진 읍내로 들어서고 있었다.(중략) 어디선가 분뇨 냄새가 새어 들어왔고 병원 앞을 지날 때는


0
크레졸 냄새가 났고 어느~ @
상점의 스피이커에서는 느려빠진 유행가가 흘러 나왔다. 거리는 텅 비어 있었
r a ~

고 사람들은 처마 밑의 그늘에 쭈그리고 앉아 있었다. 어린 아이들은 발가벗고 기우뚱거리며 그늘 속을



:

걸어다니고 있었다. 햇볕만이



눈부시게 그 광장 위에서 끓고 있었고 그 눈부신 햇볕 속에서, 정적 속에서
뜩쿤

개 두 마리가 혀를 빼물고 (중략) 있었다. –김승옥, <무진기행> 중에서

공간 ‘무진’의 전체적인 인상 N ㆃ
: 권태, 무기력, 정체
(예) 느려빠진 유행가, 텅 비어 있는 광장, 뜨거운 햇볕, 정적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전략 3] 독자가 내 글에서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라.

@
0
 글의 목적과 의
독자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

(
~

목적이 무엇인지 독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어느 수준까지 묘사할지, 어휘와 문체도 달라짐.


ㅡ -
~~~~

예) 혼자 여행하는 사람을 위한 여행기

→ 혼자서 원하는 장소를 찾아가는 방법, 그곳을 혼자 즐기는 방법,


낯선 곳에서 안전하게 여행하는 방법 등 포함

예) 어린 자녀와 여행할 것을 권하는 글

→ 왜 여행을 가야 하는지, 어떤 점이 좋은지,


그곳에서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체험은 무엇이 있는지 등을 포함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전략 4] 내용이 잘 드러날 수 있게 효과적으로 조직하라.

 자신이 드러내고 싶은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배열

0
 공간 배열(위→아래, 안→밖, 가까운 곳 →먼 곳 등)

@현
예) 풍경도 비행기에서 본 것과 택시에서 본 것, 걸으면서 본 것이 다름.

der
 시간 흐름 속에서 대상에 대한 경험도 상황에 따라 다름.
-

예) 가족 중 한 사람이 위급한 수술을 하는 1시간과 일상의 1시간은 다름.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Qa
[전략 5] 생동감 있고 감각적인 언어 표현을 사용하라.

오늘 점심으로 나온 음식들 밥을 설어서 씹기가 힘들었고, 소고기국으로 나온 국은 소고기 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 맛에


은 맛있는 게 하나도 없었다. 고기가 한두 점 보이는 멀건 국이었다.
사과를 한 입 베어 물자 입 안에 침이 고였고 과즙이 손등을 타고 흘러 내렸다. 달콤한 맛과
신선한 과일이 참 맛있었다.
함께 상큼하고 향긋한 사과 냄새에 나도 모르게 “으흠”하는 소리가 나왔다.
그 차는 오래되고 흠집이 난 여행가방과 색색의 보따리들을 지붕 위에 가득 싣고 있었다.
그 차는 짐과 승객을 가득 비좁은 틈 사이에서 장난치는 아이들, 걱정과 미안함으로 복잡한 표정을 짓고 있는 여인들,
채우고 힘겹게 언덕을 올라 그들을 필사적으로 보호하려는 남자들로 가득 차 있었다. 그 차는 이미 용량을 넘은 짐과
가고 있었다. 사람들의 무게를 견디기 힘들다는 듯 가끔 덜컹덜컹 멈추기를 반복하며 겨우 겨우 언덕을
올라가고 있었다.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직유, 은유, 의인화와 같은O


[전략 6] OOE =
수사법을 활용하라.

@
 수사법을 활용하면 풍부하고 생동감 있게 표현 가능


예) 술에 취해 뒤뚱거리며 걸어가고 있는 남자

→ 꼭두각시처럼 걷고 있었다.

예) 마음이 몹시 힘들 때

→ 마음 속이 온통 악마로 들끓었다.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전략 7] 초고가 마련되면 전략을 점검하고 수정하라.

 전체적인 의미와 구조 점검
• 글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두드러진 느낌(인상)은 무엇인가?
이런 느낌이 잘 암시되어 있는가? 좀 더 분명하거나 구체적이게 해야 한다면 고쳐보라.

• 주요 대상 및 주제는 무엇인가?
좀 더 감성적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그러한 표현을 더 줄여야 하는가?

• 두드러진 느낌(인상)을 잘 드러내지 못하는 표현이 없는가?


삭제하거나 조정되어야 할 부분이 있는가?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전략 7] 초고가 마련되면 전략을 점검하고 수정하라.

 단락 수정 및 보완을 위한 점검
• 글의 묘사 문단은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가?
공간, 시간, 중요성 또는 감각의 장면이 효과적인가? 좀 더 효과적인 패턴이 있는가?

• 어떤 단락의 어떤 점이 불충분한가?

• 어떤 단락이 감각적 인상만 있고 구체적인 표현이 있는가?

• 어떤 단락이 독자를 감각의 세계로 데려가는 데 실패하는가?


어떻게 하면 좀 더 구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가?
묘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전략

[전략 7] 초고가 마련되면 전략을 점검하고 수정하라.

 문장과 어휘의 수정 및 보완을 위한 점검


• 독자를 안내하는 신호 장치는 무엇인가? 그것으로 충분한가?
더 많이 필요하지는 않은가?

• 어떤 문장이 좀 더 감각적인 이미지를 포함해야 하는가?

• 모호한 동사가 있다면 어떤 동사로 대체되어야 하는가?

• 좀 더 많은 혹은 적은 형용사가 있어야 하는가?

• 글에 쓰인 비유적 표현이 효과적인가? 진부하지는 않는가?


그 밖의 묘사를 위한 전략

mp
 정확한 묘사를 위해서는 일정한 관점과 태도를 유지해야 함.

oor
 동일한 풍경이나 사물도 관점 태도, 목적에 따라 다르게 묘사해야 함.
~

@
 세부 사실 중 e
-
무엇을
0v
제시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