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96

이 책의 특징과 구성

이 책의 특징

01 ▶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비하여 국어영역 ‘독서’ 과목을 충실히 공부할 수 있도록


한 수능 연계 교재입니다.

02 ▶ ‘교과서 개념 학습 → 적용 학습 → 실전 학습’의 단계를 통해 체계적인 공부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03 ▶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 영역의 제재와 영역 융합 제재를 고루 수록하였으며, 서답형


과 수능형 문항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책의 구성

1부–교과서 개념 학습
1
독서

독서의 본질

과학 08
교과서 성취 기준 [교과서 개념 익히기] ‘독서’ 교과서와 교육 과정의 중요 내용을 정리
사회적 소통 및 지식 창출 행위로서 독서의 특성을 이해한다.

9002-0131
독서는단순히글을읽는행위에그치는것이아니라글을매개로글쓴이와독자사이에이루어지는의
사소통행위이다.독서를통한소통은작게는글쓴이와독자라는개인과개인의만남이지만크게보면집단 하여 ‘독서’ 과목의 기본 개념을 익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02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과집단,지역과지역,나아가시대와시대가만나는사회·문화적사건이다.독서는이러한개인적·사회적

① 분별 증류에서 혼합물의
소통을통해개인의지적·정신적성장을도울뿐만아니라사회구성원들을통합하거나문명과문화를유
지·발전시키는역할을한다.
추출은 끓는점이 높은 물질부터 이루어진다. [지문으로 이해하기] 앞서 설명한 기본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
② 액체 혼합물이 끓어오를 때의 기체 조성은 휘발성이 작은 물질이 더 적다.

관점
③ 혼합물의 용액을 증류하면 증류된 용액은 항상 원 용액보다 끓는점이 높아진다.
독서의 특성에 대한 다른 1 독서의
④ 공비 상태에서 끓고 있는 특성 액체와 기체의 구성 비율은 1:1로 일정하다.
혼합물의
한 영역의 지문을 읽고 서답형과 수능형 문항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
•의미⑤
구성증류 후 모은
행위로서의
(1) 사회적 소통 행위로서의 독서
독서 기체를 액화하면 원 용액보다 휘발성이 작은 물질이 더 많아진다.
독서는글의의미가독자에게
그대로전달되는것이아니다.
독자는배경지식이나경험등
•‌‌글쓴이 :‌글쓴이는‌글에‌자신만의‌생각이나‌경험,‌정서‌등을‌담거나‌집단이나‌지역,‌시대
의‌문화‌및‌생각을‌담기도‌한다.
해 ‘독서’ 과목의 기초를 다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을활용하여글의의미를능동 •글 :‌‘글쓴이,‌집단,‌지역,‌시대’의‌지식이나‌문화‌및‌생각을‌담고‌있다.
적으로구성한다. •‌독자 :‌글을‌통해‌‘글쓴이,‌집단,‌지역,‌시대’의‌지식이나‌문화‌및‌생각을‌알게‌된다.‌독서
•문제 해결 행위로서의 독서
독자는글을읽는과정에서발
가‌여러‌개인의‌개별적‌독서‌행위들을‌통칭하는‌것으로‌본다면‌독자는‌집단이나‌지역,‌
생하는 여러 문제, 가령 단어 시대로‌볼‌수도‌있다.
의 뜻을 모르는 것이나 글의
•‌독자가‌글을‌통해서‌‘글쓴이,‌집단,‌지역,‌시대’의‌지식이나‌문화‌및‌생각을‌알게‌된다는
이해를위한배경지식이부족
한 것과 같은 문제를 해결한 점에서‌독서는‌글쓴이와의‌사회적‌소통‌행위이다.
다. 또한 독자는 독서를 통해
인생에서당면하는여러문제 개인과개인의소통
를해결하기도한다.
•글쓴이의생각,사상 •글쓴이의생각,사상
•글쓴이의주장,경험 •글쓴이의주장,경험

9002-0132
글쓴이 전달

•집단,지역,시대의생각,사상
•집단,지역,시대의주장,경험
글 이해,수용

•집단,지역,시대의생각,사상
•집단,지역,시대의주장,경험
독자

2부–적용 학습
03 <보기>의 그래프는 [A]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집단과집단,지역과지역,
시대와시대의소통
[특성과 출제 경향]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 융합 6개 영역으로 나
온도


(2) 지식(€
창출
) 행위로서의 독서

•‌개인에게독서란?
 :‌새로운‌지식을‌전수받아‌지식을‌획득할‌뿐만‌아니라‌읽은‌내용에‌의문
을‌품고‌새로운‌아이디어를‌냄으로써‌새로운‌지식을‌창출해‌낼‌수‌있게‌하는‌것이다.
누어 분야별 특징과 수능 출제 경향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 :‌인류가‌발견·축적해‌온‌지식·지혜를‌보존‌및‌전달하여‌문명과‌문화
•‌인류에게독서란?

[영역별 학습] 수능에 충실히 대비할 수 있도록 영역별로 최근 수능 경


 ⓑ ⓒ ⓓ
를‌유지·발전시킬‌수‌있게‌하는‌것이다.
 시간

※ ⓐ, ⓑ, ⓒ, ⓓ의 구간은 각 기호가 만나는 지점(세로의 점선)을 포함하지 않음.

00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향을 반영한 9개의 지문과 수능형 문항을 수록하였습니다.
① ⓐ와 ⓑ 구간의 액체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물이다.
② ⓐ와 ⓒ 구간의 물은 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③ ⓑ와 ⓒ에서 온도 상승은 물을 끓는점으로 견인한다.
④ ⓑ에서는 메탄올이 기화하고, ⓓ에서는 물이 기화한다.
⑤ ⓒ에는 액체와 기체가 공존하지만, ⓓ에는 기체만 존재한다.

15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Structure

3부–실전 학습
실전 학습 1 회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다양한 영역의 제재들을 추려 한 회로 구성하였으며, 총 2회 분량을
탕평책에도 불구하고 18세기 후반은 권력 투쟁이 지속되던 정치적 혼란기였고, 양반 계층이 급증한
반면 농민 계층은 급감하여 생산력이 저하되던 사회적 불안기였다. 그러나 조선의 지배층은 현실의 문
제나 문물의 발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홍대용을 비롯한 실학자들은 당시 주류를 이루었던 주자
제시하였습니다. 여러 영역을 종합적으로 접하여 실전 감각을 익히고
학의 학문적 풍토를 ‘시대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옛 경전의 자구 해석에만 매달리는 예학이나 이기
심성론은 현실적 유용성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비판하며, 서양 과학과 그 철학적 기반을 수용해 조선 사 ‘독서’ 과목의 학습을 마무리하도록 하였습니다.
회를 변화시키려 하였다. 홍대용은 이러한 생각을 「의산문답」에서 허자와 실옹의 대화 형식으로 담아내
었다. 「의산문답」에서 가상의 두 인물이 묻고 답하는 형식을 취한 것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려는 정
치적 고려라고 할 수 있다.
「의산문답」에서 가장 먼저 다루고 있는 내용은 인간과 사물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여기에서
홍대용은 종래 성리학의 인간 본위의 차별적 관점을 타파하고, 인간과 사물을 상대적 관점에서 대등
하게 봄으로써 사물에 대한 존중, 인간과 사물의 조화와 공존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정립하였다. 「의
산문답」에서 홍대용은 인간과 사물이 모두 ‘털과 살로 된 체질과 정액의 교감’으로 이루어진 존재라
[A] 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생각은 인간과 사물뿐만 아니라 인간 간의 본연적 동등성의 단초를 발
견할 수 있게 한다. 인간과 사물이 동등하다면 인간 사이의 본연적 동등성도 당연히 전제되기 때문
이다. 인간 사이의 동등성은 당시 조선 사회에 팽배해 있던 신분적 명분론과 무위도식하는 양반 계
층의 비생산적 태도를 제거하여 일반 백성들의 생존권을 확보하고 국가적 생산력을 증진시키려는
진보적 정치 목표의 근거가 될 수 있었다.
「의산문답」에서 홍대용은 생명의 근원이나 천문학 지식, 인간의 삶과 직결된 자연 현상뿐만 아니라 당
시로서는 파격적인 지구 자전설이나 우주 무한설 등을 체계화하였다. 이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자연관

정답과 해설
으로부터 탈피하여 자연을 물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으로 보고자 하는 자연관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관을 바탕으로 홍대용은 인간과 사물이 각각의 생존 방식과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하
정답
정답 과 해설
과 해설
였다. 각각의 개체가 가진 독자적 특성 내지 장점을 인정한다는 것은 사회적 신분을 초월하여 인간 개개
인이 가지고 있는 개별적 장점을 인정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러한 전제하에서 사회 구
1부성원들의
과 같은 용어들이다.’, ‘이때 ‘애초에[初]’ 등과 같은 용어를 사
교과서 개념
장점을 익히기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국가적 생산력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용하면 두 사건을 묶어 전후 사정을 알기 쉽게 정리할 수 있
홍대용의 이러한 생각들은 당시 팽배했던 화이론(華夷論)적 질서관에서
다.’에서 ⓑ에 벗어나
들어갈 적절한 새로운
단어는 세계관을
‘애초에’임을 모색
알수 있다.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자세하고 친절한 해설을 수
1강 하는 토대가
독서의 되었다. 홍대용은 인물(人物)
본질 간의 동등성 논리에 활용되었던 인식의 구조를 국가·민족·지
본문 10~12쪽

지문으로 이해하기 예시 답안
사물이 동등한 것처럼 ‘화(華)’와 ‘이(夷)’의 구별이 따로하여
02 1문단의
역 간 관계에도 적용하여 ‘화이일야(華夷一也)’를 주장하였다.
있을서술하는
‘이것이 한 하늘의
화이일야는
기전체
수 없다는
사건을 세가와
관점에서
서술 방식이다.’를
것이다. 따라서 오랑캐라
열전,보면
서와사람과
통해 ㉡이
표에 중복
기전체 서
하더라도
록하였습니다. 지문에 대한 해제, 주제, 구성을 제시하고 ‘정답이 정답
01 ⓐ 편년체 ⓑ 애초에 술 방식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서』의 서술 방식은 『사기』
02 한족보다 우월한 인간이 있을 수 있으며, 모든 사물과 사상은 개별적인 관찰이 요구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그가 제시한 ㉠국가 발전 방법론의
『자치통감』의 역사 서술 [인문]
처럼 시대를 한정하지 않고 역사적 줄거리를 서술하는 통사가
이론적왕조가
아니라, 하나의 토대가 되어 단대사를
끝나면 실천적 정책 대안으로
기전체로 정리하는
인 이유’와 ‘오답이 오답인 이유’를 모두 수록하여 깊이 있는 학습이
나타났다. 홍대용은 먼저 피지배 계급의 생존권 및 생활권
이 글은 중국 사학사에서 모범적인 역사책으로 평가받
보호의 대안으로
방식이었다.’에서 비생산적
㉢도 한 사건을 무위도식과
세가와 열전, 서와 지배
표에 중
계급의 사치를
는 『자치통감』의
의 서술
곤을방식은
엄격히
서술 방식에
조장한다는
금할 것을
대해 설명하고
편년체의 연대기적 서술이에
점을 들어 방식에서
제안하였다.
있다.
대해출발하여
법적 제재를
복하여
중국 역사책 이와 함께 생산 서술하는
노동을기전체
오답이 오답인 이유
서술 방식을
천시하는 태도가활용함을
*
피지배 알
가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관록 의 세습을 타파할
수 있다.
계급의 빈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사기』의 기전체 서술 방식, 『한서』로 대표되는 단대사를 기전 ① 3문단의 ‘『춘추』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사건의 진행 과
체로 정리하는 방식 등으로 변화하였다. 한나라 때부터 북송 정을 해당 날짜에 기록하면서도’에서 알 수 있다.
시대 이전까지 긴 세월 동안 역사책은 단대사를 기전체의 방식 ③ 1문단의 ‘뒤이어 후한 시대의 반고는 최초로 하나의 왕조에
27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으로 정리하는 것이 관행이었는데, 이는 기록의 양이 너무 많 한정하여 『한서』를 집필하였다.’와 2문단의 ‘그리고 단대사를
고 왕조사 간의 유기적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약점이 있었 기전체의 방식으로 정리하는 『한서』 이래의 서술 방식은 특정
다. 사마광은 이를 극복하고 제대로 읽히는 역사책을 만들기 왕조의 흥망에 따른 단편적인 기록에 불과해’ 등에서 알 수
위해 『자치통감』에서 편년체 서술 방식을 보완해 특정한 시점 있다.
을 기준으로 앞뒤의 이야기를 모아서 설명하였다. 간결한 문장
④ 2문단의 ‘그런데 기록한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후대에 중
으로 사실을 전달하고, 사건의 시작과 결과를 다 볼 수 있는 서
요한 개별 사건을 제대로 읽을 수가 없다면 기록의 존재 가치
술 방식을 택한 『자치통감』은 편찬된 당시부터 높은 평가를 받
는 반감된다. 이렇게 되면 기록물을 읽을 수 있도록 다시 정리
았다.
하는 것이 사학사의 핵심이 되는 시대가 오는데, 북송 시대가
『자치통감』의 역사 서술 방식의 특성과 장점
그러한 때였다.’, ‘이런 상황들을 극복하고 제대로 읽히는 역
사책을 만들기 위해 애쓴 인물이 북송의 사마광이다.’ 등에서
•1문단: 『사기』와 『한서』의 역사 서술 방식
알 수 있다.
•2문단: 단대사를 기전체로 서술하는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⑤ ㉡과 ㉣은 시대를 한정하지 않고 역사적 줄거리를 서술하
위해 애쓴 사마광
는 통사에 해당한다.
•3문단: 편년체 서술 방식을 보완하여 『자치통감』을 집필한
사마광
•4문단: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한 『자치통감』의 서
술 방식

01 ⓐ (가)의 맨 앞에 ‘주 위열왕 23년’이라는 연도를 제시한


것은 역사적 사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는 기술 방법인 편년체
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 3문단의 ‘그는 『자치통감』에서 편년체로 서술하면서도 오

EBS 스마트북 활용안내


늘 일어난 사건의 연원을 찾아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
데, 여기서 활용된 것이 ‘애초에[初], 전에[前], 처음에[始]’ 등

02 EBS 스마트북은 스마트폰으로 바로 찍어 해설영상을 수강할 수 있고, 교재 문제를 파일(한글, 이미지)로 다운로드하여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학생 모르는 문제, 찍어서 해설강의 수강 교사 교재문항을 한글(HWP)문서로 저장


[ 9002-0001 ] [ 9002-0001 ]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스마트폰 문제 촬영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교재문항을 한글(HWP)파일로
# 문항코드 입력도 가능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100 100
80 # 해설강의 수강 80
[ 9002-0001 ]
60 60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40 40
20 100 20
0 80 0
60
40

1 20
0
1
2 찰칵! 2
3
1
2 3 다운로드
3
4 4
4

※ EBS 수능강의 앱 설치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기존과 같이 문항코드 입력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교사지원센터(http://teacher.ebsi.co.kr) 접속 후 ‘교사인증’을 통해 이용 가능
이 책의 차례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1강 독서의 본질 8

2강 글의 구성 원리 13

3강 독서의 방법 21

4강 독서와 국어 생활 38

5강 독서의 가치와 성찰 46

2부 적용 학습

인문 52

사회 88

과학 122

기술 156

예술 194

융합 230
Contents

3부 실전 학습

1
제 회 272

2
제 회 284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1
독서

독서의 본질

교과서 성취 기준

사회적 소통 및 지식 창출 행위로서 독서의 특성을 이해한다.


독서는 단순히 글을 읽는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을 매개로 글쓴이와 독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의
사소통 행위이다. 독서를 통한 소통은 작게는 글쓴이와 독자라는 개인과 개인의 만남이지만 크게 보면 집단
과 집단, 지역과 지역, 나아가 시대와 시대가 만나는 사회·문화적 사건이다. 독서는 이러한 개인적·사회적
소통을 통해 개인의 지적·정신적 성장을 도울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을 통합하거나 문명과 문화를 유
지·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독서의 특성에 대한 다른 1 독서의 특성


관점
•의미 구성 행위로서의 독서
(1) 사회적 소통 행위로서의 독서
독서는 글의 의미가 독자에게 •‌글쓴이 : 글쓴이는 글에 자신만의 생각이나 경험, 정서 등을 담거나 집단이나 지역, 시대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다.
의 문화 및 생각을 담기도 한다.
독자는 배경지식이나 경험 등
을 활용하여 글의 의미를 능동 •글 : ‘글쓴이, 집단, 지역, 시대’의 지식이나 문화 및 생각을 담고 있다.
적으로 구성한다. •독자 : 글을 통해 ‘글쓴이, 집단, 지역, 시대’의 지식이나 문화 및 생각을 알게 된다. 독서
•문제 해결 행위로서의 독서
독자는 글을 읽는 과정에서 발
가 여러 개인의 개별적 독서 행위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본다면 독자는 집단이나 지역,
생하는 여러 문제, 가령 단어 시대로 볼 수도 있다.
의 뜻을 모르는 것이나 글의
•독자가 글을 통해서 ‘글쓴이, 집단, 지역, 시대’의 지식이나 문화 및 생각을 알게 된다는
이해를 위한 배경지식이 부족
한 것과 같은 문제를 해결한 점에서 독서는 글쓴이와의 사회적 소통 행위이다.
다. 또한 독자는 독서를 통해
인생에서 당면하는 여러 문제 개인과 개인의 소통
를 해결하기도 한다.
•글쓴이의 생각, 사상 •글쓴이의 생각, 사상
•글쓴이의 주장, 경험 •글쓴이의 주장, 경험

글쓴이 전달 글 이해, 수용 독자

•집단, 지역, 시대의 생각, 사상 •집단, 지역, 시대의 생각, 사상


•집단, 지역, 시대의 주장, 경험 •집단, 지역, 시대의 주장, 경험

집단과 집단, 지역과 지역,


시대와 시대의 소통

(2) 지식 창출 행위로서의 독서
•개인에게 독서란? : 새로운 지식을 전수받아 지식을 획득할 뿐만 아니라 읽은 내용에 의문
을 품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냄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인류에게 독서란? : 인류가 발견·축적해 온 지식·지혜를 보존 및 전달하여 문명과 문화
를 유지·발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00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교과서 성취 기준

독해의 원리, 과정, 방법을 통합적으로 이해한다.


독해는 독자가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글의 의미를 이해하고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원리를 바탕으로 독서는 읽기 전, 읽는 중, 읽은 후의 활동을 거치게 되는데 독자는 각 과정에서
여러 가지 독서 방법을 활용한다.

2 독해의 원리, 과정, 방법


(1) ‌독해의 원리 : 독서는 글과 독자의 배경지식이 상호 작용하는 역동적인 사고 과정이다. 독 독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사고 과정
자는 ‘단어 → 문장 → 문단’의 과정으로 내용을 파악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배경지식을 이
상향식 과정
과정 속에서 활용하여 글의 의미를 이해하고 독자 나름의 의미로 구성한다. 단어, 구, 문장 등 작은 단위에 대
한 이해를 통합하여 문단이나 글
전체 등 큰 단위에 대해 이해하
(2) 독해의 과정 : 대개 ‘읽기 전 활동’, ‘읽는 중 활동’, ‘읽은 후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는 과정을 거치는 것

독서 목적 확인하기, 배경지식 활성화하기, 훑어보기를 통한 예측하기, 질문 만들


읽기 전 활동 하향식 과정
기등
글에 대한 자신의 경험이나 배경
내 말로 바꾸어 이해하기, 장면·절차·이미지 등을 머릿속에 그리며 읽기, 예측한 지식을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예
측·추론하며 의미를 구성하는
읽는 중 활동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기, 궁금해했던 내용에 대한 답을 찾으며 읽기, 중심 내용 파악 과정을 거치는 것
하며 읽기, 추론하며 읽기, 공감하며 읽기, 비판적으로 읽기, 창의적으로 읽기 
요약하기, 도표·그림 등을 활용하여 내용 정리하기, 중심 내용이나 주제 파악하 상호 작용식 과정
읽은 후 활동 실제 독서는 상향식과 하향식이
기, 읽은 내용의 활용 또는 실천 방안 생각하기, 관점이나 형식이 다른 글과 비교하기
서로 유기적으로 만나는 상호 작
용 과정으로 이루어짐.

(3) ‌독해의 방법 : 글을 읽는 목적, 글의 특성과 독서 상황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독해 방법을


적절히 통합하여 읽어야 한다.

기준 방법 설명

음독 소리를 내어 글 읽기
발성 여부
묵독 소리를 내지 않고 속으로 글 읽기

한 번 읽기 글을 한 번 읽기
읽는 횟수
여러 번 읽기 글을 반복하여 여러 번 읽기

속독 글을 빠른 속도로 읽기
읽는 속도
정독 글의 뜻을 새겨 가며 읽기

통독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기
읽는 범위
발췌독 글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찾아 읽기

표면 읽기 글 내용의 표면적 의미만 파악하며 읽기


의미 획득 위치
행간 읽기 글에 숨겨진 의미를 추론·비판하며 읽기

수용적 읽기 글의 내용을 받아들이는 태도로 읽기


글에 대한 태도
비판적 읽기 글의 타당성·공정성 등을 평가하며 읽기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09


1
독서

독서의 본질

지문으로 이해하기

[01~0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중국은 문자가 이미 상(商)나라 때 탄생되었고, 기록을 보관하려는 노력이 지속되어 많은 역사책이 전


해지고 있다. ㉠ 『춘추(春秋)』에 나타나는 편년체의 연대기적 서술 방식으로 일관하던 중국 사학사에서
새로운 역사 서술을 선보인 것이 전한(前漢) 시대의 사마천(司馬遷)이다. 그는 역사의 복잡한 전개 과정
이나 인과 관계 등을 편년체 서술 방식으로는 충분히 기록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사마천은‌
㉡ 『사기(史記)』에서 제왕의 연대기를 본기에, 인물은 세가(世家)와 열전(列傳)에, 경제, 제도, 지리 등의
분야는 서(書)에, 시간에 따른 사건의 배열은 표(表)에 정리하였다. 이것이 한 사건을 세가와 열전, 서와
표에 중복하여 서술하는 기전체(紀傳體) 서술 방식이다. 뒤이어 후한(後漢) 시대의 반고(班固)는 최초로
하나의 왕조에 한정하여 ㉢ 『한서(漢書)』를 집필하였다. 『한서』의 서술 방식은 『사기』처럼 시대를 한정하
지 않고 역사적 줄거리를 서술하는 통사(通史)가 아니라, 하나의 왕조가 끝나면 단대사(斷代史) *를 기전
체로 정리하는 방식이었다. 이런 서술 방식이 관행이 되어 북송(北宋) 시대에 이르러서는 기전체로 기록
된 정사(正史)는 16종이 되었고, 그 분량을 합치면 무려 1,600권에 달하게 되었다.
역사의 기록이 기억해야 할 사건을 문자로 남긴 것이라고 본다면 이는 나중에 후세 사람들이 읽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런데 기록한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후대에 중요한 개별 사건을 제대로 읽
을 수가 없다면 기록의 존재 가치는 반감(半減)된다. 이렇게 되면 기록물을 읽을 수 있도록 다시 정리하
는 것이 사학사의 핵심이 되는 시대가 오는데, 북송(北宋) 시대가 그러한 때였다. 기전체는 일종의 분류
사(分類史)이기 때문에 기록의 양이 너무 많았다. 그리고 단대사를 기전체의 방식으로 정리하는 『한서』
이래의 서술 방식은 특정 왕조의 흥망에 따른 단편적인 기록에 불과해 왕조사 간의 유기적 결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런 상황들을 극복하고 제대로 읽히는 역사책을 만들기 위해 애쓴 인물이
북송의 사마광(司馬光)이다.
사마광의 역사 서술 방식은 편년체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춘추(春秋)』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사
건의 진행 과정을 해당 날짜에 기록하면서도 다른 방법을 추가하고 있다. 그는 ㉣ 『자치통감(資治通鑑)』
에서 편년체로 서술하면서도 오늘 일어난 사건의 연원을 찾아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여기서
활용된 것이 ‘애초에[初], 전에[前], 처음에[始]’ 등과 같은 용어들이다. 가령 어떤 인물과 관련된 두 개의
사건이 있다고 할 때 이 두 개의 사건을 분리하여 해당 시간에 맞추어 기록한다면 이 사건들을 압축적으
로 이해하기 어렵고, 독자는 지루해할 것이다. 이때 ‘애초에[初]’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면 두 사건을
묶어 전후 사정을 알기 쉽게 정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자치통감』에서는 중요한 인물이 죽은 다음에 그
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정리하여 적음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예를 들어 조조(曹操)의 죽음
에 대한 내용을 보면, 그의 성품과 전장에서의 태도, 인사와 상벌에 대한 모습을 적고 있는데, 이는 모두
조조의 과거 행적을 종합한 것으로, 경직된 편년체 서술에서는 찾기 어려운 것이었다. 즉 사마광은 『자
치통감』에서 특정한 시점에 일어난 사건과 그 이전의 사건을 묶어서 보여 줌으로써 편년체 서술 방식을
보완하였던 것이다.

01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쪽

『자치통감』의 ‘통(通)’은 ‘통사(通史)’라는 의미로, 하나의 왕조에 머물지 않고 고대부터 현재까지를 통


관(通貫)한다는 뜻이다. 반고의 『한서』 이후에 기전체 역사책의 대부분이 왕조사에 머물고 있어서 이를
뛰어넘고자 하는 의도가 제목에 반영된 것이다. 『자치통감』은 중복 서술을 피하고 간결한 문장으로 사실
을 전달하였다. 그리고 사건의 시작과 결과를 모두 볼 수 있는 서술 방식을 택해서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했으므로 독자가 내용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자치통감』은 편찬된
당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중국 사학사에서 모범적인 역사책 중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 단대사: 한 왕조에 한정하여 쓴 역사.

9002-0001

01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할 때,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써 보자.


- 『자치통감』의 요약 자료
(가) ‌주(周) 위열왕(威烈王) 23년
애초에, 진(晉)의 대부 지선자(智宣子)가 장차 지요(智瑤)를 후사로 삼으려고 하였는데, 지과
(智果)가 말하였다.
‌“ 지소(智宵)를 후계자로 삼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 지요는 다른 사람보다 현명한 것이 다섯이
나 있지만 모자라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아름다운 턱수염이 긴 것이 훌륭하고, 활쏘기와 말
달리기를 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진 것이 훌륭하고, 기예가 뛰어난 것이 훌륭하고, 교묘한 문
장과 은혜를 베푸는 말솜씨가 훌륭하고, 과감한 결단력이 훌륭합니다. 그러나 그는 어질지
못합니다. 대저 이 다섯 가지 훌륭한 것으로 다른 사람을 능멸하고 어질지 못하게 행동한다
면, 그 누가 그를 받들겠습니까? 만약에 끝내 지요를 세우면 우리 지씨 일가는 반드시 망할
것입니다.”
하지만 지선자는 지과의 말을 듣지 않고 결국 지요를 후사로 삼았는데, 이가 지백(智伯)이다.

(나) ‌진(晉)의 권신(權臣)인 지백은 한강자(韓康子), 위환자(魏桓子)와 손을 잡고 조양자(趙襄子)


를 공격해 진양성을 포위하였다. 위기에 빠진 조양자가 한강자와 위환자에게 몰래 도움을
청하자 두 사람은 지백이 덕이 없는 ‘소인’이라 생각하여 오히려 조양자와 결탁하고 지백을
공격하였다. 이로 인해 지백은 죽고 지씨 일가는 멸망하였다.

학생 : (가)에서 연도를 앞에 제시하고 서술하는 방식을 통해 『자치통감』이 역사적 사실을 연대


순으로 기록하는 ( ⓐ ) 서술 방식에 기반을 두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어. 그리고 (나)는
지요가 한씨, 위씨, 조씨 일가의 연합군에 의해 패망한 사건을 기록한 것인데, (가)에서
( ⓑ )라는 용어를 사용해 (가)와 (나)를 묶어 두 사건의 전후 사정을 정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어.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11


1
독서

독서의 본질 정답과 해설 2쪽

9002-0002

02 ㉠~㉣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은 사건의 진행 과정을 연대순으로 해당 날짜에 기록했겠군.
② ㉡은 ㉢과 달리 한 사건을 세가와 열전, 서와 표에 중복하여 서술했겠군.
③ ㉢은 특정한 왕조의 흥망성쇠를 다룬 역사책으로 볼 수 있겠군.
④ ㉣은 기록한 양이 너무 많아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역사책으로 볼 수 있겠군.
⑤ ㉡과 ㉣은 모두 시대를 한정하지 않고 역사적 줄거리를 여러 시대에 걸쳐서 서술했겠군.

01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2
독서

글의 구성 원리

교과서 성취 기준

글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글의 담화적 특성을 판단하며 읽는 능력을 기른다.


한 편의 글 속에서 단어와 문장, 문단 등 담화의 구성 요소들의 관계와 작용을 이해한다. 이를 통해 글이
사고를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개념과 진술을 사용하며, 점차 글쓴이의 사고를 확장·전개해 나가
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이해한다. 특히 글에는 응집성, 통일성 등 다양한 담화적 특성이 내재되어 있
음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다.

1 글의 구성 요소
글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는 단어, 문장, 문단을 꼽을 수 있다.

(1) ‌단어 : 의미를 지닌 최소의 자립 형식. 글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그 의미는


사전적 의미와 문맥적 의미로 나눌 수 있다.

(2) ‌문장 : 생각이나 감정을 말과 글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로, 단어


가 모여 이루어진다. 문장을 읽을 때에는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독서의 목적
과 관련하여 중요한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3) ‌문단 : 글에서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짤막한 단위. 한 편의 글은 여러 개의 문단으로 구성


되며, 문단 하나는 여러 문장이 모여서 이루어진다. 문단은 글쓴이가 사고를 전개하는
중요한 단위로, 하나의 중심 생각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
문장이 문단 앞부분에 위치한 문단을 두괄식 문단, 문단 끝부분에 위치한 문단을 미괄식
문단이라고 한다.

2 글의 담화적 특성
글의 담화적 특성으로는 통일성, 완결성, 응집성, 강조성을 꼽을 수 있다.
담화 표지
구분 내용
•예고: 다음과 같다, ~에 대해
한 편의 글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은 주제나 중심 생각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이어야 알아보겠다 등
통일성 한다는 것으로, 글의 모든 내용이 주제와 관련 있는 내용들로 긴밀하게 구성되어 있으 •강조: 무엇보다도, 강조하자면
면 통일성이 있다고 한다. 등
•정리: 종합해 보면, 요컨대, 결
주제 혹은 중심 생각과 관련해서 다루어야 할 내용들을 빠뜨리지 않고 다루어야 한다
완결성 론적으로 등
는 것이다. •인과: 그러므로, ~ 때문이다
한 편의 글에서 언급된 내용들은 지시어, 연결어, 접속어, 명사구 등의 여러 가지 언어 등
응집성 적 장치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다양한 담화 표지를 활용하 •예시: 예컨대, 가령 등
•열거: 첫째, 둘째, 끝으로 등
여 응집성을 높일 수 있다.
•대조: 이에 반해, 반면 등
강조성 중요한 내용은 다른 것에 비해 두드러지게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13


2
독서

글의 구성 원리

교과서 성취 기준

글의 기본 구조와 전개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고 전개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며 읽는다.


글의 형식적 특징인 전개 방식과 구조를 이해하고, 이러한 전개 방식이 글쓴이의 사고 전개의 특징과 표
현 전략을 반영하고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글은 종류와 목적에 따라 구조적인 특징과 관습적인 전개
방식을 갖추고 있다. 또한 설명적인 글은 원인과 결과, 비교·대조, 문제·해결 등의 다양한 구조를 사용한
다. 글의 구조에 대한 지식이 독해에 효과적임을 알고 글을 읽는다.

3 글의 기본 구조와 전개 방식
(1) ‌글의 기본 구조 : 글은 일반적으로 ‘처음-중간-끝’으로 이루어져 있다.

처음 글을 쓰는 동기, 목적, 전개될 내용 소개

중간 글의 주제와 관련된 내용 구체화

끝 글의 주요 내용 요약, 정리, 강조, 제언

•설명문의 구조

머리말 독자들의 관심을 환기하며 설명 대상을 소개

본문 설명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맺음말 설명한 내용 요약, 정리, 전망 제시, 당부

•논설문의 구조

서론 글을 쓰는 동기나 목적 언급, 문제 제기

본론 여러 가지 근거를 바탕으로 주장하거나 논증함.

결론 주장의 요약, 재강조, 확인 및 해결 방향 제안

(2) ‌내용 전개 방식 : 비교, 대조, 예시, 열거, 문제 제기와 해결, 인과 등의 전개 방식을 활용


한다.

대상의 공통점(비교)과 차이점(대조)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둘 이상의 대상


비교와 대조
을 설명할 때 많이 사용된다.

여러 가지 예나 사실을 낱낱이 죽 늘어놓는 방법으로, 대상을 병렬적으로


열거
기술할 때 사용된다.

개인이나 사회가 직면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문제 제기와 해결
모색할 때 사용된다.

원인과 결과 또는 결과와 원인의 순서로 전개하는 방법으로, 주로 과학적


인과
인 글에 많이 사용된다.

01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쪽

지문으로 이해하기 ➊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간은 동물과 달리 언어 능력과 사고 능력을 지니고 있다. 다른 동물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하지만, 인간처럼 정교한 기호 체계를 만들어 문법에 따라 복잡한 문장을 구성하는 언어 능
력은 없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은 동물과는 달리 관념적인 것에 대해 고민하고 추론하는 추상적 사고 능
력을 발전시킴으로써 고도의 문화를 창조할 수 있었다. 인간만이 지닌 이러한 두 가지 능력이 서로 어느
정도의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그간 지속되어 왔다.
언어 능력과 사고 능력의 연관성이 크지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어린아이도 만 3세가 되면 문법적
으로 거의 완전한 문장을 다양한 형태로 생산해 낼 수 있음을 지적한다. 전 세계에 수천 개의 언어가 존
재하고 다양한 문법 체계가 존재하지만, 어른보다 추상적 사고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어린아이들이
어떤 언어든지 별 어려움 없이 습득한다는 것이다. 인간이 나이가 들어서 외국어를 배울 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도 그 언어를 모국어처럼 구사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어른이 어린아이보다 인지를 잘하
고, 뛰어난 사고 능력을 갖췄다는 것이 무색해진다. 그래서 언어는 지적 영역을 담당하지 않는 뇌의 특
정한 부위에서 관장한다는 생각이 널리 받아들여졌다. 이것이 뇌의 ㉠기능적 분화설이다.
기능적 분화설은 1861년 브로카라는 외과 의사가 뇌의 특정한 영역에 이상이 생기면 언어 능력이 상
실된다고 보고한 데서 시작되었다. 브로카에 따르면 실비우스 열구에 인접한 좌반구 하측 전두엽 부분
(오늘날 브로카 영역이라고 알려져 있는 부위) 근처에 이상이 생긴 사람들은 문법에 맞는 말을 구사하지
못한다. 그리고 얼마 후인 1874년에 브로카 영역과는 구분되는 좌반구 측두엽의 베르니케 영역에 이상
이 생긴 사람들은 무의미한 말을 하고 다른 사람들의 말을 이해할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
처럼 인간의 언어 능력이 스스로 옳은 문장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나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능력처
럼 세분되고, 인간의 언어 능력을 뇌의 각기 다른 부위에서 관장한다는 인식은 뇌의 기능적 분화설을 뒷
받침해 주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언어 중추는 뇌의 좌반구에 존재한다는 측위화 * 개념이 성립되었고,
뇌의 우반구는 예술적 이해 능력이나 직관력을 담당한다는 좌우반구의 기능적 분리 이론이 수립되었다.
하지만 기능적 분화설은 새로운 사실들의 발견으로 비판받고 있다. 우선, 모든 인간이 언어 중추를 좌
반구에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른손잡이의 97%는 언어 기능이 좌반구에 측위화되어 있지만, 왼손
잡이는 3분의 2 정도만 좌반구에 측위화되어 있고, 나머지는 우반구에 측위화되어 있거나 양쪽 반구에
나누어져 있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3세 이전에 브로카 영역이나 베르니케 영역에 이상이 생긴 아이
의 경우에는 좌반구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우반구의 부위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형태로 성장하
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장애가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다만 이러한 능력은 나이가 들면서
현저하게 떨어져 11세 이후에는 극복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언어를 담당하는 뇌의 영역이 브로카 영
역과 베르니케 영역 외에 다른 부위에도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언어 능력은 특정한 부위보다는 뇌
의 여러 부위에서 관장한다는 ㉡전체설이 지지를 받게 되었다.
15세가 지난 후 외국어를 배워 능숙하게 구사하는 사람의 뇌를 fMRI *로 찍어 보면 외국어를 구사할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15


2
독서

글의 구성 원리

때 활성화되는 부위가 해당 언어의 모국어 화자가 말을 할 때 활성화되는 부위와 다르다. 반면에 어려서
부터 두 가지 언어에 노출되어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된 경우에는 두 언어에 대하여 활성화되는 부위가 동
일하다. 흔히 어려서 두 가지 언어에 노출되면 언어 습득이 느릴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어려서 모
국어와 지역 언어에 함께 노출되는 환경에서 자란 사람은 두 가지 언어를 모두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
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 중에는 사고 능력이 발달한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언어 능력은 사
고 능력과 관련이 있고, 뇌의 다양한 기능이 각각 특정한 부위에만 국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간의 언어 능력은 떨어져 있는 뇌의 여러 부위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
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측위화: 편재화. 특정 정신 기능이 대뇌의 좌반구와 우반구 중 어느 한쪽에 치우쳐 있는 경향성.


* fMRI :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혈류와 관련된 변화를 감지하여 뇌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

9002-0003

01 다음은 윗글의 내용 전개 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 틀리는 것은 로 표시해 보자.

(1) 두 대상의 차이점을 밝히며 글을 시작하고 있다. (    )

(2) 이론을 소개하고 사례를 제시하여 글의 이해를 돕고 있다. (    )

(3) 대상이 발전해 온 과정을 밝히며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    )

(4) 대립하는 주장들 사이에 발생하는 문제를 검토하여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    )

01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쪽

9002-0004

02 윗글의 논지를 강화하기 위해 <보기>를 이용할 때, 적절한 내용을 빈칸에 써 보자.


현대에 원시 공동체를 유지하는 사람들의 경우를 살펴보면 그들의 사고 능력에 의해 유발되
었다고 판단되는 문물(文物)들이 현대의 문물과 비교할 때 정교함에서 크게 뒤떨어진다. 그런
데 그들의 언어는 어휘나 문법이 미개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현대 문명국가의 언어와 비교하
여 거의 뒤지지 않는 수준을 보인다.

<보기>는 윗글의 (    )문단에서 ( ) 주장을


뒷받침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9002-0005

03 ㉠이나 ㉡을 주장하는 학자들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사고 능력이 언어 능력의 하위 범주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② 측위화가 완료된 후에는 외국어를 습득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③ 언어 구사는 어린아이가, 언어 습득은 어른이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④ 언어 중추와 관련한 연구를 통해 언어 능력은 뇌가 관장한다고 생각한다.
⑤ 어려서 두 가지 언어에 동시 노출되면 언어 습득이 느려진다고 생각한다.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17


2
독서

글의 구성 원리

지문으로 이해하기 ➋

[01~0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돌은 태고의 역사성과 불변성을 지닌 상서로운 존재로 인식되어 옛날부터 자연 숭배 사상의 대상이었


다. 석가산(石假山)은 이러한 돌을 이용해 주로 뜰에 조성한 인공적인 산으로, 전통 조경 공간의 핵심적
구성 요소이다. 한국의 석가산은 삼국 시대부터 발달해 왔는데, 고구려 안학궁과 신라 월지 등에서 인공
산을 쌓고 주변에 경석 *을 배치해 자연스러운 산수 경관을 재현시킨 자취를 확인할 수 있다. 고려 시대
에는 작은 돌로 쌓은 소규모의 석가산을 조성하여 주변의 연못, 정자 등과 조화를 이루는 방식을 추구했
다. 이것은 거대한 돌을 모아 큰 규모로 석가산을 조성하여 주변을 압도하는 느낌을 주는 동시대 중국의
석가산 조성 방식과 다른 점이다. 조선 시대에 석가산은 그 범주가 집체적 틀에서 개체적 대상으로 확대
되어 첩석 *이 아닌 하나의 괴석(怪石)도 석가산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문인들은 석가산을 집 안에서
산수 자연을 음미할 수 있는 바람직한 대상으로 인식했다.
석가산은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지변(池邊) 첩석형(疊石型)이 있는데, 이것은 물이
흐르는 유수(流水) 구조로 석가산에서 흘러내린 물을 받아 석가산의 주변 공간에 연못이나 계류형 * 곡
지를 조성한 것으로, 조선 중기에 윤선도가 보길도에서 은둔하며 꾸민 원림의 석가산이 대표적이다. 그
는 정원에 넓은 대를 축조하고 그 위에 돌을 쌓아 높이가 한 장 *이 되는 석가산을 조성했는데, 시냇물을
끌어들여 산허리 부분의 홈통을 통해 석가산 앞에 위치한 연못으로 쏟아지게 하는 폭포도 만들었다.
첩석형은 지변 첩석형이 그러한 것처럼 여러 개의 돌을 쌓아 수직적 집체 *를 형성하지만, 물은 전혀
흐르지 않는 석가산이다. 조선 중기에 고경명이 지은 『유서석록』을 보면 담양 소쇄원의 첩석형 석가산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소쇄원 내부 광풍각 옆에 석가산이 있는데, 그것의 돌을 쌓아 올린 형태가 정자 옆
에 마치 우산을 펼쳐 놓은 것 같다고 묘사하고 있다.
지중형(池中型)은 연못 안에 돌을 쌓아 석가산을 조성한 것으로, 조선 전기에 채수가 별장의 뜰에 만
든 것이 유명하다. 그가 지은 「석가산 폭포기」를 읽어 보면, 채수는 석가산에 정교한 폭포까지 만들었는
데, 집 밖의 우물을 땅에 묻은 대통을 통해 끌어다가 석가산 가운데로 솟아 나오게 하여 연못으로 흘러
내리게 했다.
치석형은 괴석 개체를 석가산으로 상징화시켜 지표에 세우거나 눕혀 뜰에 늘어놓은 것을 말한다. 괴
석의 개수나 지표상에 늘어놓은 형태에 따라 특치, 군치, 산치로 구분할 수 있다. 특치는 보통 뜰에 괴석
하나를 수직으로 세워 강조하는 점경물 *이고, 산치는 괴석들 간에 간격을 두고 늘어놓은 것이며, 군치
는 여러 가지 형태와 크기의 괴석들을 높낮이를 느낄 수 있도록 한군데에 모아 놓은 것이다. 현존하는
치석형 석가산은 논산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윤증의 고택(古宅)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사랑채 앞
뜰에 작은 군치형과 산치형 괴석이 놓여 있다.
분형은 완상 * 가치가 높은 하나의 괴석을 분(盆)에 담아 뜰이나 실내에 배치한 유형이다. 분형 괴석은
석가산이 우리나라에 정착되기 이전부터 실내에서 수석을 감상하기 위해 존재한 것으로, 특히 조선 시
대에 궁중 정원의 화단 및 전각 뜰에 점경물로 자주 사용되어 요즘도 경복궁이나 창경궁 같은 궁궐에 다

01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쪽

수가 남아 있다.
한국의 석가산은 완상하는 사람들의 심성을 수련하고, 그들에게 심미적 체험을 느끼게 하였다. 그리
고 산수 자연의 심오한 상징성을 지닌 대상으로 발전하면서 전통 조경 문화의 수준을 높였다. 하지만 석
가산은 그 구조적 취약성과 가변성 때문에 보존이 어려워, 석가산의 기본 유형인 지변 첩석형과 첩석형
의 전형적 형태는 대부분 소실되어 찾아볼 수 없다. 또한 현대에 와서 주거 형태의 변화 등으로 인해 석
가산의 필요성이 거의 사라져 일부 유형을 제외하고는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 경석: 자연의 경치를 닮은 수석.


* 첩석: 돌을 첩첩이 쌓아 여러 봉우리의 산 형세를 만드는 것.
* 계류형: 산골짜기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모습.
* 한 장: 장은 10척이므로, 약 3미터임.
* 집체: 물체가 한곳에 모여 이루어진 것.
* 점경물: 조경에서 상대적으로 작고 개별성이 강한 단위 경관 요소.
* 완상: 즐겨 구경함.

9002-0006

01 다음 중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틀리는 것은 를 고르시오.

㉮ ‌1문단에서는 중심 화제의 뜻을 밝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석가산의 규모가 커지는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 )

㉯ 2~4문단에서는 예시를 통해 석가산의 유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 )

㉰ 5~6문단에서는 각각 대상의 종류를 나누어 석가산의 다양성을 부각하고 있다. (◯, )

㉱ ‌7문단에서는 석가산이 소실되거나 현대에 와서 거의 만들어지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 )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19


2
독서

글의 구성 원리 정답과 해설 3쪽

9002-0007

02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후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써 보자.

ⓐ 지변 첩석형 ⓑ 치석형(특치) ⓒ 첩석형 ⓓ 분형

(1) ‌ⓐ는 ⓓ와 달리, 물이 흐르는 ( ) 구조로 볼 수 있다.

(2) ⓐ와 ⓒ는 석가산을 이루는 돌이 ( )을/를 형성하고 있다.

(3) ⓑ와 ⓓ는 ( )을/를 통해 석가산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4) ⓓ는 ⓒ와 달리, 오늘날까지 소실되지 않고 ( )에 많이 남아 있다.

02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3
독서

독서의 방법 ➊ 사실적 독해

교과서 성취 기준

글의 구성단위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며 읽는다.


글에 나타난 정보를 확인하고, 그들 사이의 의미 관계와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사실적 독해 학습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화제와 핵심어 파악, 화제와 관련하여 중심이 되는 진술 내용 파악, 중심 문장과 뒷받침 문
장 파악, 문장의 중요도 파악, 문단 간의 관계 파악 등 사실적 독해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여 글을 읽을 수 있도록 한다.

1 사실적 독해
(1) ‌사실적 독해 : 글에 드러난 정보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는 읽기

정보의 정보 사이의 글의 중심 내용
 
확인 의미 관계 파악 파악

•글은 단어, 문장, 문단 등의 단위들이 모여서 구조화되어 있는데, 이러한 단위들에 나


타난 정보를 확인하고 그들 사이의 의미 관계를 파악한다.
•화제와 핵심어를 파악하고, 화제와 관련된 진술 내용을 확인하면서 문장의 역할과 중
요도를 파악한다.
•중심 내용과 뒷받침 내용을 구분하고, 글의 전개 방식과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여 글의
전체 흐름과 문단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독서 목적에 따라 필요한 부분을 선별하여 정보를 정밀하게 파악한다.

(2) 사실적 독해 방법

구분 내용

단어의 사전적 뜻 파악하기, 단어의 문맥적 뜻 파악하기, 비유적 표현의 뜻


단어 차원의 독해
파악하기 등

문장에서 핵심어 파악하기, 길고 복잡한 문장에서 의미 단위를 중심으로 어


문장 차원의 독해
구를 끊어 읽기, 길고 복잡한 문장에서 주요 정보를 선정하기 등

‘대등, 병렬, 역접, 인과’ 등과 같은 인접 문장 간의 의미 관계 파악하기, 대명


사, 접속 부사, 명사구 반복 등을 통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장치 파악하기,
문단 차원의 독해 문단의 중심 내용 파악하기, 문단의 중심 문장과 뒷받침 문장의 관계 파악하기,
문단에서 중심 문장의 위치 파악하기, 문단과 문단 간의 의미 관계 파악하기,
문단에서 각 문장의 중요도 판단하기 등

글의 중심 내용 파악하기, 글 전체에서 각 문단의 중요도 파악하기, 글의 구


글 차원의 독해
조 파악하기 등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21


3
독서

독서의 방법 ➊ 사실적 독해

지문으로 이해하기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지구에 존재하는 탄소의 최대 저장소는 암석권이다. 암석권의 탄소는 화산 가스로 대기나 해양에 분
출되거나, 육상의 풍화 작용에 의해 해양에 유입된다. 그런데 화산이나 풍화 작용에 의한 탄소 순환은
매우 긴 시간이 걸리고, 순환되는 탄소의 양도 많지 않다. 육상의 암석권보다 탄소 순환이 활발하게 이
루어지는 곳은 해양이다. 즉 대기와 해양 사이, 그리고 해양 속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탄소 순환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해양에서의 탄소 순환에는 유체의 이동을 의미하는 ‘펌프’라는 이름을 붙인다.
대기와 해양 사이에서는 이산화 탄소가 활발하게 이동한다. 이산화 탄소의 이동 방향은 주로 대기와
해양에 있는 이산화 탄소의 농도 차이에 의하여 정해진다. 기체의 농도는 분압 *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대기의 이산화 탄소 분압이 해양 표층수의 이산화 탄소 분압보다 높아지면 대기에서 해양으로 이산화
탄소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대기의 이산화 탄소가 해수로 유입되는 과정을 ‘용해 펌프’라고 한다. 역으
로 표층수의 이산화 탄소 분압이 높아지면 해양에서 대기로 이산화 탄소가 방출된다. 그런데 이산화 탄
소 분압은 저온일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수온이 낮은 곳일수록 용해 펌프가 더 활발히 작동한다.
해양의 표층으로 들어온 탄소는 생물에 의해 심층으로 이동하는데, 이를 ‘생물 펌프’라 한다. 해양의
표층에서는 식물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할 때 해수 중의 무기 탄소를 유기물로 변화시킨다. 유기물 형태
로 변화된 탄소는 해양의 먹이 사슬에 따라 고차원 영양 단계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탄소가 축적된
배설물이나 생물의 유해 등이 중력에 의해 차츰 심해로 떨어지게 된다. 1,000m 정도 하강하는 동안 대
부분의 유기물은 분해되지만, 일부는 3,000~4,000m의 해저까지 도달하여 심층수에서 용해된다.
해수에 녹은 탄소가 표층에서 심층으로, 심층에서 심층으로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기도 하는데,
이를 ‘역학 펌프’라 한다. 해수의 무기 탄소의 총량인 총 무기 탄소의 농도는 북대서양이 가장 낮고, 남
대서양, 인도양, 남태평양, 북태평양 순으로 증가한다. 이런 현상은 전 해양을 잇는 심층수의 흐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심층수의 흐름은 겨울철 추운 극 지역이나 고위도 지역에서 물의 온도가 낮아져 밀도가
높아진 표층수가 심층으로 가라앉는 현상에 기인한다. 북대서양 북부 해역에서 만들어진 심층수는 대서
양을 남하하여 남극에서 만들어진 심층수와 합쳐진다. 이 심층수는 인도양으로 가기도 하고, 남태평양
을 거쳐 북태평양의 심층으로 흘러가기도 한다. 그런데 심층수가 발생한 곳에서 멀어질수록 생물 펌프
의 작용으로 운반된 무기 탄소가 심층수에 더 많이 축적된다. 해역에 따라 총 무기 탄소의 농도에 차이
가 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대기와 해양 사이에 이산화 탄소가 활발하게 순환되는 해역은 어디일까? 발생지에서 점점
멀어진 심층수가 뜨거운 적도를 지나게 되면 해수의 밀도 차에 의해 표층으로 상승하면서 오랫동안 축
적된 무기 탄소를 표층에 내놓는다. 그뿐만 아니라 적도 부근의 저위도 해역에서는 생물 펌프가 가동하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층 수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표층수의 이산화 탄소 분압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
서 이 부근에서는 해양의 이산화 탄소가 대기로 대량 방출된다. 이에 비하여 북대서양과 남반구의 고위
도 해역은 표층수의 이산화 탄소 분압이 대기의 이산화 탄소 분압보다 낮다. 이들 해역에서는 열대 해역

02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쪽

에서 이동해 온 고온의 표층수가 점차 차가워지면서 이산화 탄소 분압이 낮아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


에 이들 지역에서는 대기의 이산화 탄소가 해양으로 활발하게 유입된다.

* ‌분압: 두 종류 이상의 기체가 혼합되어 있을 때 각 성분 기체가 나타내는 압력으로, 각 기체의 분압을 합한 것은 혼합 기체의 전체 압
력과 같음.

9002-0008

01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이 아닌 것은?


① 해양보다 암석권에 더 많은 탄소가 저장되어 있다.
② 암석권의 탄소가 대기나 해수에 유입되는 경우도 있다.
③ 심층수는 발생지에서 멀어질수록 무기 탄소가 감소한다.
④ 해양의 유기물은 중력에 의해 심해로 떨어지는 동안 대부분이 분해된다.
⑤ 수온이 낮을수록 해수의 밀도는 높아지고 이산화 탄소 분압은 낮아진다.

9002-0009

02 윗글에서 설명한 대기와 해양에서의 탄소 순환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써 보자.

용해 펌프 생물 펌프 역학 펌프
표층 → 심층,
탄소의 이동 ㉠ ㉡
심층 → 심층
식물 플랑크톤의
발생 원인 ㉢ 광합성, ㉣
유기물의 분해, 중력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23


3
독서

독서의 방법 ➊ 사실적 독해 정답과 해설 5쪽

9002-0010

03 다음 지도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동해
㉮ 북대서양 ㉰ 북태평양

㉯ 인도양 ° (적도)

남태평양
남대서양

⑴ ‌㉮와 ㉰ 중, 심층수의 총 무기 탄소 농도가 더 높은 곳을 밝히고,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


하는 이유를 쓰시오.

⑵ ‌㉮와 ㉯의 대기와 해양 사이에 이산화 탄소가 이동하는 방향을 밝히고, 이와 같은 현상


이 발생하는 이유를 쓰시오.

02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3
독서

독서의 방법 ➋ 추론적 독해

교과서 성취 기준

글쓴이의 의도나 목적, 숨겨진 주제, 생략된 내용 등을 추론하며 읽는다.


추론적 독해는 단순히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중심 내용뿐만 아니라 글의 목적이나 글쓴이의 의도, 숨겨
진 주제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독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을 통해 문맥을 파
악하고, 글의 표면적 단서인 담화 표지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광고문이나 정치 담화문, 시사 평론
(시평, 칼럼) 등에는 글쓴이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글의 의도나 목적, 주제 등을 숨겨 놓을
수 있다. 같은 사건을 다룬 신문 기사라도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표제, 기사의 위치, 관련 사진이나 도표의
제시 방법 등을 달리함으로써 여론 형성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진다. 추론적 독해 능력을 길러 글에 담긴
의도나 숨겨진 주제, 글쓴이의 가치관이나 관점 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1 추론적 독해
(1) ‌추론적 독해 : 글의 전체 맥락과 독자의 배경지식 등을 활용하여 생략된 내용이나 글쓴이
의 의도, 가치관이나 관점 등을 파악하며 읽기
•‌서사적인 글을 읽을 때는 글에 나타난 정보들을 토대로 인물의 성격이나 특징, 장면의
분위기를 추론한다.
•시대나 사회, 문화와 같은 다양한 상황 맥락을 글의 내용에 적용하여 글쓴이의 의도나
가치관을 파악한다.
•‌독서의 목적이나 독자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글의 의미를 재구성한다.

(2) 추론적 독해 방법

구분 내용

글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내용을 추론하기 위해서는 담화 표지, 문맥


생략된 내용 추론
등의 단서와 독자의 지식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글쓴이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글에 자신의 의도, 목적, 주제


글쓴이의 의도, 등을 숨겨 놓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련한 장치의 예로는 예고, 강조, 정리, 인
목적, 과, 예시, 열거, 비교·대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담화 표지가 대표적이다.
숨겨진 주제, •글쓴이는 진실을 말하기 어려운 사회적 여건에서 자신이 의도한 바나 주장하
글쓴이의 가치관 는 바 등을 감추면서 글을 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독자들은 글을 둘러싼
또는 관점 추론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글을 읽으며 숨겨진 주제나 글쓴이의 가치관
이나 관점을 파악할 수 있어야 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25


3
독서

독서의 방법 ➋ 추론적 독해

지문으로 이해하기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공공재란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건이나 시설, 혹은 서비스를 이른다. 공공재는 비경합
성과 비배제성을 특징으로 한다. 비경합성이란 특정 재화를 여러 사람이 동시에 소비할 수 있어 특정 재
화에 대한 어느 한 사람의 소비 증가가 다른 사람의 소비를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비
배제성이란 특정 재화의 생산과 공급이 일단 이루어지고 나면 생산비를 부담하지 아니한 경제 주체라
할지라도 소비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국방이나 치안, 깨끗한 공기 등은 비배
제성이 강한 공공재인데, 이를 ‘순수 공공재’라고 한다. 순수 공공재는 비배제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사익을 추구하는 민간 부문이 아니라 정부나 지방 자치 단체 등의 공공 부문에서 효율성 *을 고려하여
순수 공공재를 생산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그렇다면 공공 부문은 순수 공공재를 얼마나 많이 생산하는
것이 효율적인가? 해답은 효율성의 조건, 즉 한계 편익 *과 한계 비용 *이 일치해야 한다는 조건에서 찾
을 수 있다.
순수 공공재 생산의 효율성 조건은 경제학자 새뮤얼슨에 의해 수학적으로 정교하게 도출되었다. 개인
이나 기업이 자신들의 이익을 목적으로 시장에서 생산되는 재화인 사적재가 어느 한 소비자의 수중에
들어가면 그 사람만 혜택을 누린다. 따라서 한 단위 사적재를 추가적으로 생산하여 얻게 되는 편익은 소
비하는 사람이 추가적으로 얻게 되는 편익, 즉 개인적 한계 편익(MB)이다. 그러나 공공재는 생산이 되
면서 많은 사람이 동시에 소비하여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그러므로 한 단위의 공공재가 추가적으로 생산
될 때 그것으로 인한 총 한계 편익은 소비하는 사람들의 개인적 한계 편익의 합(MBi)이 된다. 이것을 ‘사
회적 한계 편익(SMB)’이라고 정의한다. 생산 비용 측면에서는 사적재나 공공재가 다르지 않으므로 한
계 비용(MC)은 개인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다. 이를 바탕으로 새뮤얼슨은‌
㉯ ‘SMB=MBA + MBB + MBC + …… =∑MBi=MC’일 때 순수 공공재의 최적 생산량을 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1(가격) %` %¬ %a 순수 공공재의 최적 생산량은 공공재에 대한 수요 곡선과
1ƒ 1m 1f
공급 곡선을 이용해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 A, B, C 세 사람
만 사용하는 공공재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림>에서 DA,
1f
1m 4.$ DB, 그리고 DC는 A, B, C 각자의 공공재에 대한 수요 곡선을

%`%¬ %a 나타내고, S는 공급 곡선을 나타낸다. 각 생산량에 대하여 수
0 2ƒ 2~ 2(공공재)
요 곡선에 따라 결정되는 가격은 그 생산량에 대한 한계 편익
<그림> 을 의미하고, 공급 곡선에 따라 결정되는 가격은 한계 비용을
의미한다. 이 <그림>에서는 한계 비용이 일정하다는 가정 아래 공급 곡선이 수평으로 나타나고 있다.
순수 공공재는 소비자 수가 증가하더라도 기존의 소비자가 얻는 혜택은 감소하지 않는다. 이처럼 공공
재의 비경합적 특성으로 인해 공공재가 생산되면 모든 사람이 동시에 소비하면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Q1의 공공재가 생산되면, A는 P1, B는 P2, 그리고 C는 P3의 한계 편익을 얻고, 따라서 사회적

02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쪽

한계 편익은 P1 + P2 + P3가 된다. 이렇게 각 공공재 수준에 대한 사회적 한계 편익은 수요 곡선을 수직적
으로 합한 DA + DB + DC로부터 구할 수 있다. 만약 어떤 생산량에서 한계 편익이 한계 비용보다 크면, 생
산이 증가할 때 편익이 비용보다 많이 증가하므로 사회 후생이 증가한다. 또 어떤 생산량에서 한계 비용
이 한계 편익보다 크면, 생산이 감소할 때 비용이 편익보다 많이 감소하므로 사회 후생이 증가한다. 이
런 경우는 모두 비효율적이므로, <그림>의 경우에는 DA + DB + DC와 한계 비용이 일치하는 Q0가 최적 생
산량이 된다.

* 효율성: 최소의 투입으로 얻은 산출이 당초에 설정한 목표에 비추어 기대했던 최대 효과를 얻는 특성.
* 한계 편익: 어떤 경제 행위를 하나 더 할 경우에 추가적으로 얻게 되는 이익.
* 한계 비용: 어떤 경제 행위를 하나 더 할 경우에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

9002-0011

01 ㉮가 발생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추론하였다.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써 보자.


순수 공공재는 (   ㉠   )(이)라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민간 부문에서 순수 공공재
를 생산·공급하면 순수 공공재를 소비하면서도 (   ㉡   ) 않는 소비자들이 나타날
것이고, 결국 효율성이 떨어질 것이다.

9002-0012

02 ㉯를 바탕으로, <보기>의 사례에서 최적 생산량(고용 인원)을 구하시오.


다음은 어느 마을의 주민 A, B, C 세 사람이 치안 서비스로부터 받는 한계 편익을 나타낸 것
이다. 방범대원의 수가 증가하면 치안 효과는 더 높아진다. 즉 치안 서비스의 양이 증가하면 주
민들의 편익이 증가하는 것이다. 단, 이 마을에서 방범대원 한 명을 고용하는 데 드는 총 보수
는 450만 원으로, 방범대원 몇 명을 고용하더라도 한 명당 지급하는 보수는 바뀌지 않는다.
 (단위: 만 원)

방범대원의 수
(명) 1 2 3 4
한계 편익
MBA 300 250 200 150
MBB 250 200 150 100
MBC 200 150 100 50
MBA + MBB + MBC 750 600 450 300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27


3
독서

독서의 방법 ➋ 추론적 이해 정답과 해설 6쪽

9002-0013

03 다음은 윗글을 바탕으로 <그림>에 나타난 공공재의 최적 생산량에 대해 추론한 내용이다. 괄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고르시오.

<그림>에서 공공재의 생산량이 Q0보다 적은 수준에서는 사회적 한계 편익이 한계 비용보다


(크고/작고), 따라서 생산량이 (증가/감소)할 때 사회 후생이 증가한다. 또 <그림>에서 생산량
이 Q0보다 큰 수준에서는 한계 비용이 사회적 한계 편익보다 (크고/작고), 따라서 생산량이 (증
가/감소)할 때 사회 후생이 증가한다. 오직 생산량이 Q0일 때에만 사회 후생을 더 이상 증가시
킬 수 없으므로 Q0의 생산량이 효율적인 생산량이다.

02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3
독서

독서의 방법 ➌ 비판적 독해

교과서 성취 기준

글의 내용이나 자료, 관점 등에 나타난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하며 읽는다.


글에는 글쓴이의 주장과 의견, 정보, 사실 등이 여러 형태로 나타나 있다. 타당성이란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장이나 의견, 그 근거가 합리적이고 일관성을 갖추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공정성이란 글쓴이가 글
의 내용과 관련하여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적으로 접근하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자료의 적절성
이란 글쓴이가 사용한 자료가 글의 주장이나 설명한 내용에 적합하며, 필요한 정보 수준으로 구조화하여
제시되어 있는가와 관련된다. 글을 읽으면서 공감하거나 이와는 다른 자신의 주장이나 의견을 논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비판적 독해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1 비판적 독해 비판적 독해의 전제


글의 내용이나 자료, 관점 등에
(1) 비판적 독해의 평가 기준 나타난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적
으로 읽기 위해서는 먼저 글쓴이
구분 내용 의 주장과 근거 등을 명확하게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장이나 의견이 근거를 합리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일관적인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내용의 타당성 사실적 독해와 추론적 독해가 사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전에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글쓴이가 글의 내용과 관련하여 어느 한쪽의 주장이나 의견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적
내용의 공정성
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글쓴이가 사용한 자료가 글의 주장이나 설명한 내용에 적합하며, 필요한 정보 수준으


자료의 적절성
로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평가한다.

글쓴이가 글을 쓰는 데 사용한 자료가 객관적인 사실과 일치하고, 출처가 명확하며,


자료의 정확성
인용 과정에 왜곡이 없는지를 평가한다.

(2) 비판적 독해의 방법 비판적 독해의 확장


글의 내용뿐만 아니라 글의 구성
•‌글의 내용이 바르고 정확한지 판단하며 읽기
이나 표현적 측면도 비판적 독해
글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내용이 타당하며 공정한지, 내용을 뒷받침 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기 위해 글쓴이가 사용한 자료는 정확하며 적절한지 비판적으로 판단하며 읽는다. 아 •구성적 측면: 글의 전개 방식
이나 구조가 글의 내용을 효과
울러 글의 형식이 적절한지 등의 여부를 분석하며 읽는다. 적으로 전달하는 데 기여하는
•‌글쓴이의 생각이나 의견을 판단하며 읽기 지를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표현적 측면: 글의 내용을 전
글을 읽으면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 기준이나 다른 사람이 쓴 글과의 관련성,
달하는 데 단어, 문체, 수사적
자신의 정립된 생각을 바탕으로 하여 글쓴이의 생각이나 의견에 공감하거나 반박하며 장치 등이 적절한지를 비판적
읽는다. 으로 평가한다.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29


3
독서

독서의 방법 ➌ 비판적 독해

지문으로 이해하기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원시 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재현은 예술을 규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다. 이미 고대 그


리스인들은 예술을 자연의 직접적인 모사나 모방이라고 생각하였고, 예술을 규정하는 미학적인 개념으
로 모방을 의미하는 ‘미메시스(mimesis)’라는 말을 사용했다. 이 말이 만들어진 이후부터 모방의 개념은
다양하게 변화되었고, 그 적용 대상도 달라졌다.
모방 개념을 활용하여 예술을 규정한 대표적 철학자는 ㉮ 아리스토텔레스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
르면 진정한 실체는 개별적인 사물들이며, 온갖 사물들은 형상과 질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
데 형상은 개별적인 사물마다 다르며, 그 형상은 우리에게 그 실체의 본질을 인식할 수 있게 해 준다. 어
떤 대상이 우리의 감각을 통해 인식되는 경우, 그 실체의 형상이 우리의 마음속에 관념으로 받아들여지
게 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는 감각적인 현상 세계 자체, 나아가 감각계를 모방하는 예
술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한편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이란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로서, 인간은 모
방을 통해 대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되며 또 그런 행위를 통해 쾌감을 얻게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모방이 여러 예술의 공통된 본질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이처럼 그는 모방적 기술로서의 예술에서
느껴지는 쾌감을 모방 대상에 대한 재인식에서 비롯되는 지적인 성질로 보았다. 예술의 인식적 지위를
인정하는 입장이었던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은 이후 오랫동안 서양 미학의 지배적 이론이 되
었다.
하지만 감각적 현상 세계의 재현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론은 신의 가르침에 대한 재현을 중시
했던 중세 시대 예술에서는 필연적으로 한쪽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다. 신의 가르침은 감각 경험을 초
월한 것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그 대신 중세의 예술에서는 감각적인 것을 통해 초월적인 것을 표현
하는 상징 개념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르네상스의 도래와 더불어 모방은 또다시 예
술론의 기본 개념이 되었다. 당시에는 모방론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었는데, 가장 중요한 견해는 예술
이 눈에 보이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결함을 고치고 선별을 행한 뒤에 모방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이러한 르네상스의 모방론은 예술이 그 모방의 대상인 자연보다 더 완벽할 수도 있
음을 의미한다. 르네상스 예술이 모방하는 대상은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자연이 아니라 이념적이고 보편
적인 자연이며, 모방은 대상의 직접적인 모사가 아니라 선택에 의한 자연의 이상화였다. 따라서 당대 예
술가들은 이상적 자연을 구현하려 했던 고대인들의 예술을 모방해야 한다는 새로운 명제를 도입하기도
했다.
18세기 중엽, ㉠고전주의 예술에서는 미를 추구하는 활동으로서 모든 예술의 근저에 모방의 원리가
놓여 있다고 보았다. 특히 프랑스의 고전주의자 바퇴는 모방을, 인체를 포함한 자연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을 선별한 것, 즉 ‘아름다운 자연의 모방’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 모방 개념은 쇠퇴하거나
혹은 다른 용어로 대체되었다. 우선 18세기 후반 고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발생한 ㉡낭만주의 예술에
서는 예술가의 주관적 감정이나 느낌을 절대시했다. 예술을 예술가의 감정이나 느낌의 자유로운 표현으

03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쪽

로 보는 예술 표현론이 재현 혹은 모방 개념을 대체하게 되었다. 또한 19세기의 ㉢사실주의(realism) 예


술에서는 사실주의라는 명칭을 이전의 미메시스나 모방을 대신하여 예술의 현실 의존성을 나타내는 단
초로 삼았다. 사실주의라는 용어는 이미 19세기 이전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의미로 쓰였
는데, 19세기에 쓰인 사실주의에는 근대 세계관이 내포되어 있었다. 19세기 이전의 형이상학적, 기독교
적 세계관을 대체한 자연 과학적인 근대 세계관에서 실재(reality)는 이념적인 형상이 아니라 바로 구체
적인 현실의 경험적 대상이었다. 따라서 19세기 사실주의 예술가에게 진정한 예술이란 바로 이러한 구
체적 현실로서의 실재를 재현하는 것이었다.

9002-0014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아리스토텔레스는 대상을 모방하는 행위를 통해 그 대상에 대해 인식할 수 있다고 여겼다.
② 중세 시대 예술에서는 감각적 현상 세계가 아니라 신의 가르침을 재현의 대상으로 삼았다.
③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들은 고대인들처럼 눈에 보이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모방하려 하였
다.
④ ‌낭만주의 예술은 아름다운 자연을 모방하려던 고전주의 예술에 대한 반동으로 발생하였
다.
⑤ ‌사실주의 예술가들은 자연 과학적인 근대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예술 작품을 창작하려
하였다.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31


3
독서

독서의 방법 ➌ 비판적 독해

9002-0015

02 ㉮의 예술관에 대해 다음의 ㉯가 비판할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플라톤은 순수하고 영원불변한 초월적 이데아를 궁극적이고 보편적인 실재로 보았다. 그
리고 감각적인 현상 세계는 단지 이데아의 모방으로 이루어진 개별적인 경험의 대상으로서 그
림자의 세계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플라톤의 관점에서 볼 때, 사물의 외관을 본뜨는 예술은 감
각적인 현실을 모방하는 것으로, 현실 세계는 이데아의 모방이며 예술은 다시 이러한 현실 세
계를 모방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라톤에게 예술은 참된 인식의 대상인 이데아에 대한 모방의
모방이며, 우리에게 참된 인식을 줄 수 없는 가상에 불과했다. 즉 그것은 기껏해야 이데아를 모
방하고 있는 현상 세계의 감각적인 대상들을 모사함으로써 진정한 유사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
거나, 아니면 우리의 불완전한 눈을 기만하기 위해서 외형적 유사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① ‌그대는 예술이 감각적 현실을 모방한다고 여기지만, 실제로 예술이 모방한 것은 보편적
실재입니다.
② ‌그대는 인간이 대상을 모방하는 것을 학습의 결과라고 보지만, 실은 인간의 본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③ ‌그대는 실체의 형상을 보는 것으로는 실체의 본질을 파악할 수 없다고 여기지만, 실체의
본질은 형상에 담겨 있습니다.
④ ‌그대는 예술이 참된 인식의 대상을 모방한 결과로 보아 높게 평가하지만, 예술은 그저 모
방을 통해 대상을 재인식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⑤ ‌그대는 개별 사물을 진정한 실체로 여겨 모방할 가치가 있다고 보지만, 개별 사물은 이데
아의 모방일 뿐이므로 모방할 만한 가치가 없습니다.

03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쪽

9002-0016

03 윗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미론의 「원반 던지는 사람」에 대해 ㉠~㉢의 예술가들이 평가할 말을 적어
보자.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 미론이 조각한 「원반 던지는 사람」은 실제 인물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
아니라, 정교한 인체 비례와 균형 대칭을 통해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인간의 신체를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원반 던지는 사람」을 그대로 모방했다고 전해지는 모방작

㉠: 훌륭한 예술 작품이라 볼 수 (있다 / 없다). 왜냐하면 (              )


㉡: 훌륭한 예술 작품이라 볼 수 (있다 / 없다). 왜냐하면 (              )
㉢: 훌륭한 예술 작품이라 볼 수 (있다 / 없다). 왜냐하면 (              )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33


3
독서

독서의 방법 ➍ 창의적 독해

교과서 성취 기준

글의 화제나 주제, 글쓴이의 관점 등에 대한 자기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창의적으로 문제


를 해결하는 방법을 발견한다.
글에는 말하고자 하는 화제와 주제가 있고, 그 내용에는 글쓴이의 관점이 반영되어 나타나게 된다. 글에
서 언급되는 다양한 내용은 단지 글쓴이나 독자 개인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와 직결되는 경
우도 많다. 따라서 독서 행위는 개인적인 문제 해결임과 동시에 사회적인 문제나 갈등의 해결에 기여하게
된다. 글을 읽고 그와 관련된 새로운 견해나 문제 해결 방안을 떠올려 보고 논리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창의적 독해 능력 신장에 초점을 둔다.

창의적 독해를 통한 문제 해 1 창의적 독해


결 능력의 향상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개인이나
(1) 창의적 독해의 필요성
사회 모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 아무리 능력 있는 글쓴이라 하더라도 글쓴이가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경험이 완전무결
에 부닥칠 때가 많다. 이때 우리
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글쓴이가 쓴 글 역시 완벽하지 않다. 따라서 독자는 자기 나름
는 독서를 통해 자신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고, 사회적인 문제에 의 생각을 펼쳐 글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읽음으로써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얻을 수도 을 지닌 독자가 될 수 있다.
있다. 왜냐하면 책 속에는 우리
인류가 그동안 쌓아 온 다양한
삶의 경험과 신념, 가치가 녹아
(2) 창의적 독해 방법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창의적
독해 경험이 축적되면 자신이 경 글의 화제나 주제, 관점 등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재구성하며 읽기
험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도 신장될 수 있다.

글에서 자신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며 읽기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접목하여 글쓴이의 생각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으며 읽기

03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쪽

지문으로 이해하기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우리는 인간이 사물이나 동물에 비해 우월하다고 믿고 있다. 인간은 사물이나 다른 동물과 달리 사유


를 통해 세상의 모든 지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유 능력은 어디서 비롯되는 것일까? 일
반적으로 인간만이 고유하게 지니고 있는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다른 동물들은 여러 가지 본
능적인 지각과 그에 따른 육체적 반응은 할 수 있지만 정신을 지니지 않으므로 생각을 할 수 없다는 것이
다. 이처럼 인간이 육체와 질적으로 구분되는 정신을 갖추고 있다는 생각을 ‘심신 이원론’이라고 한다.
데카르트는 그리스 시대부터 이어져 온 심신 이원론을 명료하고 정교하게 정리하였다. 그는 정신이
육체와 독립되어 있다는 구체적 논거를 제시했다. 돌, 나무, 꽃, 당나귀, 나아가 인간의 육체와 같은 물
리적 실체는 공간상에 일정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는 이러한 특성을 ‘연장성(延長
性)’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인간은 물리적 실체에서 발견되는 ‘연장성’과 전혀 다른 성질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슬픈 느낌을 갖기도 하고, 무엇인가를 결단하기도 하며, 자신과 주위의 것에 관해 많은 생각
을 하기도 한다. 그는 이러한 특성을 ‘사유성(思惟性)’이라고 하였다. 데카르트는 연장성과 사유성은 별
개의 것으로, 하나의 실체가 연장성과 사유성을 동시에 지닐 수 없다고 여겼다. 즉 인간은 연장성과 사
유성을 동시에 드러내 보이지만, 이는 인간에게 두 특성을 별도로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실체, 즉 육체와
정신이 있음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데카르트는 정신과 육체가 독립된 실체이지만, 둘이 서로 인과적인 영향력을 주고받음이 분명
하다고 생각했다. 예컨대 손바닥이 바늘에 찔리는 물리적 사건으로 인해 깜짝 놀라는 정신적 사건이 발
생한다. 반대로 어떤 이유로 슬픔을 느끼는 정신적 사건으로 인해 눈물이 흐르는 물리적 사건이 발생하
기도 한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데카르트는 정신과 육체가 서로 인과적인 작용을 주고받는다는 ‘상호 작
용론’을 내세우게 된 것이다.
하지만 ‘상호 작용론’은 그가 주장한 심신 이원론과 모순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가 심신 이원론을
주장한 것은 인간의 육체를 포함한 물리적 세계에 신이 개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중세에는 물리
적 세계가 신의 의지나 섭리에 의해 작동하고 있다고 믿었는데, 데카르트는 이런 생각에 반발하여 물리
적 세계가 이 세계를 이루는 각 요소들 사이의 인과적 작용에 의해 자율적으로 움직인다고 주장했다. 이
를 ‘물리적 세계의 인과적 폐쇄성 원칙’이라고 한다. 이 원칙에 따르면 물질은 신과는 독립되어 있는 실
체이므로 신은 물리적 세계에 속하는 현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런데 물리적 세계가 자율
적으로 작동한다면 신과 마찬가지로 다른 실체인 정신도 육체를 포함한 물리적 세계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상호 작용론과 심신 이원론 사이에 모순이 발생한 것이다.
정신과 육체가 별개의 실체라는 이원론을 받아들이는 한, 양자 간의 상호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 힘들
다. 또 상호 인과 관계를 인정할 경우, 물리적 세계의 인과적 폐쇄성 원칙과 충돌한다. 후대 철학자 중
어떤 이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신적 사건과 물리적 사건이 그 자체로 정신이나 육체가 아닌 어
떤 단일한 실체가 보이는 두 측면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를 ‘양면 이론’이라 한다. 이들에 의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35


3
독서

독서의 방법 ➍ 창의적 독해

하면 정신적 사건과 물리적 사건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지만 인과 관계는 없다. 하지만 상관관계 이상의
상호적인 인과 관계가 있다는 반론이 곧바로 이어졌다. 이처럼 데카르트의 심신 이원론을 지지하는 입
장과 반대하는 주장이 근대 이후 철학자들 사이에서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이런 논박은 인간의 본질
이 무엇인지에 대해 조금 더 깊게 따져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9002-0017

01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데카르트’의 생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하나의 실체는 ‘연장성’과 ‘사유성’을 동시에 지닐 수 없다.
② 정신적 사건이 물리적 사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③ 물리적 세계는 신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작동한다.
④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이나 사물도 모두 ‘연장성’을 지니고 있다.
⑤ 인간만 사유할 수 있으므로 정신적 세계가 물리적 세계보다 우월하다.

9002-0018

02 ㉠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도식화하여 정리하려고 한다. ⓐ와 ⓑ에 들어갈 적절한 내용을 구체적으


로 써 보자.

심신 이원론 상호 작용론

정신과 육체는 (   ⓐ   ) 정신과 육체는 (   ⓑ   )

03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쪽

9002-0019

0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동일론’을 주장하는 철학자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데카르트의 후대 철학자 중에 두뇌 속의 사고나 느낌과 같은 정신적 현상이 신경 조직의 과
정이나 두뇌 과정과 같은 물리적 현상과 동일한 속성에서 비롯된다고 보는 이들이 있다. 이들
은 모든 정신적 사건이 물리적 사건에 불과하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주장을 ‘동일론’이라고 한
다. 예를 들어 두려움이 얼굴의 찡그림을 유발하는데, 이는 두뇌의 섬유 조직의 작용과 얼굴의
찡그림 사이에 성립하는 인과 관계라는 것이다.

① 인간은 ‘연장성’과 ‘사유성’을 모두 지니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겠군.


② ‘데카르트’와 마찬가지로 육체와 정신이 질적으로 별개라고 생각하겠군.
③ ‌‘양면 이론’을 주장하는 사람과 달리 물리적 사건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작용한다고 여기
겠군.
④ ‌‘양면 이론’을 주장하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육체가 아니라 정신에 의해 지배된다고
보겠군.
⑤ ‌‘동일론’은 ‘상호 작용론’에 배치되지만 ‘물리적 세계의 인과적 폐쇄성의 원칙’에는 배치되
지 않는다고 보겠군.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37


4
독서

독서와 국어 생활

교과서 성취 기준

동일한 화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글을 읽고 비판적으로 재구성한다.


특정한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관점과 분야의 글들을 종합적으로 읽고 재구성할 수 있는 주제 통합적
독서 활동은 전문적인 독서 활동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학습 독자들의 독서 경험이 어느 한 분야로 편
중되지 않고, 균형 잡힌 지식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인문학, 자연 과학, 예술
분야 등 다양한 분야와 관점의 독서 자료들을 종합적이고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독서 능력은 미래 사회
가 요구하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이며 창의적인 독자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 능력이다.

다양한 관점의 글 읽기에서 1 다양한 관점의 글 읽기


유의할 점
(1) 다양한 관점의 글 읽기의 필요성
•책이 아닌 주제를 중심으로 글
을 찾는다. •올바른 관점의 형성 : 독자는 다양한 관점의 글을 읽음으로써 균형 있는 시각과 올바른 관
•훑어 읽기를 통해 관련 내용을 점을 형성할 수 있다.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주체적 독서 능력의 향상 : 독자는 글쓴이의 관점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만의
관점을 형성하여 독서 행위를 함으로써 주체적 독서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 : 주체적 독서 능력이 향상되면 독자 자신이 처한 문제 상황
을 해결할 수 있는 창의성도 기를 수 있다.

(2) 다양한 관점의 글 읽기의 방법


같은 주제에 대하여 두 편 이상의 글을 읽고 비교하는 글 읽기를 ‘주제 통합적 글 읽기’라
고 한다.
•주제 통합적 글 읽기

② ‌구체화된 주제에 대한 각 ③ ‌각 글의 정보나 의견을


① ‌주제를 정하고 알고 싶은
점 구체화하기
 분야의 글을 읽고, 그 글  비교하여 통합적으로 이
의 중심 내용 분석하기 해하기

03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교과서 성취 기준

시대에 따라 글쓰기의 관습이나 독서 문화가 달랐음을 알고 사회·문화적 맥락을 구성하며 글을


읽는다.
글을 읽을 때는 상황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시대에 따라 글쓰기의 관습이나
독서 문화가 다르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글을 읽으면 국어 생활이 보다 풍요로워질 수 있다. 선인들의 지
혜가 담긴 고전을 읽으며 정신적 유산을 계승하고 현재를 살아가는 지혜를 배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과
학 기술 문명의 발전에 따라 글쓰기 관습이나 독서 문화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이해하고, 그것이 글에 어
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지 살피면서 글을 읽는 것은 독서에 대한 안목을 넓히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2 시대 특성을 고려하여 글 읽기 과거의 독서 문화


인쇄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과
(1) ‌시대를 고려한 글 읽기의 방법 거에는 읽을 수 있는 책이 적었고
•당대의 글쓰기 관습 및 독서 문화를 이해하며 읽기 : 시대에 따라 글쓰기의 관습이나 독서의 그것을 읽는 사람들도 소수로 제
한되었다. 따라서 과거에는 소수
문화는 달랐기 때문에 이전 시기의 글을 읽을 때는 당대의 글쓰기 관습이나 독서 문화를
의 사람들이 제한된 수의 책을 반
고려하며 그것이 글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며 읽는다. 복적으로 읽는 것이 강조되었다.
•현재의 필요에 맞추어 의미를 재구성하며 읽기 : 시대에 따라 지향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
에 과거의 가치가 현재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고려하며 읽는다.

교과서 성취 기준

지역별 문화의 특성이 글에 반영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글을 읽는다.


글에는 글쓴이가 살거나 경험한 지역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지역’이란 넓
게는 동서양의 주요 지역 문화권까지 포함되는 개념이다. 지역이 가지는 문화적 특수성이나 지배적인 가
치관이 글의 내용에 드러나는 것은 물론이고 각 지역의 고유한 문학 양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고 글의 의미를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적 특수성과 보
편성을 반영한 다양한 글을 읽음으로써 문화적 다양성, 인간과 삶에 대한 이해와 안목을 높이도록 한다.

지역을 고려한 글 읽기의 유


3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글 읽기 의점
•열린 시각으로 글을 이해하도
(1)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글 읽기의 필요성 록 한다.
•‌문화적 특수성 이해 : 다양한 지역의 글을 읽음으로써 각각의 지역이 가지는 문화적 특수 •자기 지역의 문화와 비교하며
글의 의미를 찾아본다.
성을 알게 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다.
지역의 문화적 특성이 많이
(2)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글 읽기의 방법 나타나는 글
해당 지역의 풍속이나 사고방식
•‌지역별 문화의 특성을 고려하며 읽기 : 글이 쓰인 당시 그 지역의 지배적 가치관이나 문화 등을 제재로 한 글에서 지역별
가 그 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생각하면서 읽는다. 문화의 특성이 많이 나타난다.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39


4
독서

독서와 국어 생활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읽기 : 특정 문화가 우수하고 다른 문화는 그렇지 않다는


생각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문화는 그 나름의 독자적 우수성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면서 읽는다.

교과서 성취 기준

정보화 시대의 다양한 독서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읽는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독서 매체 역시 인쇄된 책을 비롯해 여러 가지 전자 매체로 그 종류가 다
양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책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정보 통신 매체를 통한 글의 생산과 수용이 급격
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인터넷상의 개인 서가(書架)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새로운 독서 문
화의 형성을 의미한다.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롭고 다양한 독서 매체와 자료들의 특성을 직접
경험하고 이해함으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현대의 독서 문화 4 정보화 시대 독서 매체의 특성 이해하기


현대에는 인쇄술과 정보 통신 기
술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의 책이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독서의 매체 및 문화가 다양해지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효과
대량 생산되고 있다. 또 다양한 적으로 글을 읽을 수 있는 능력과 자세를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연결망을 통해 쌍방향 독서 문화
가 자리 잡히고 있다.

04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쪽

지문으로 이해하기 ➊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극의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극 중 현실에 해당하는 극을 ‘틀 극(frame play)’, 그 안에 포함된 극을


‘극중극(play within a play)’이라고 부른다. 즉 연극 안에 또 하나의 연극이 있을 때 이를 ‘극중극’이라
고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연극에서 주인공의 역할이 연극배우이고, 그가 극 중에서 다시 연극 공연을 할
때, 극 중의 연극 공연이 극중극이 된다. 이것을 액자식 구조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극중극이 틀 극에 삽입되는 유형은 각 작품에 따라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완전 삽입 구조, 병렬식
구조, 해체된 삽입 구조로 나눌 수 있다. 완전 삽입 구조는 틀 극의 인물이 극중극의 배우와 관객으로 양
분되고 극중극의 관객이 줄곧 무대 위에 남아 있으면서 극중극이 진행되는 도중에 논평을 하는 유형이
다. 대표적인 예로 셰익스피어의 『햄릿』 3막 2장 「곤자고의 살인」을 들 수 있다. 햄릿은 숙부인 클로디어
스가 자신의 아버지를 죽였다고 의심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유사한 정황을 담은 연극 「곤자고의 살
인」을 공연하게 한다. 틀 극의 인물들이 극중극을 보기 위해 무대에 나와 있는 상태에서 극중극은 무언
극으로 시작되고, 무언극이 끝나면 무대 위 관객인 햄릿과 오필리아의 짧은 대화가 이어진다. 그리고 본
격적인 극중극이 진행되는 도중에 간간이 햄릿을 비롯한 극 중 관객들의 논평이 끼어들기도 한다.
병렬식 구조는 틀 극과 극중극이 교차하며 병렬식으로 전개되는 유형이다. 병렬식 구조는 주로 극중
극이 여러 개의 독립된 상황으로 구성된 복수 삽입의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몰리에르의 『상상병 환자』에
삽입된 세 개의 막간극과 같은 경우가 해당된다. 첫 번째 막간극은 광대의 희극적 대사와 몸짓, 발레 장
면이며, 두 번째는 이집트인들의 노래와 춤, 세 번째는 의사와 약제사들이 벌이는 춤이다. 틀 극 사이에
삽입되는 이들 세 개의 막간극은 서로 독립적이며 따라서 복수 삽입의 형태를 띤다고 할 수 있다.
해체된 삽입 구조는 삽입된 극중극의 극 행동이 중간에 여러 번 중단되는 유형으로, 병렬식 구조와 달
리 해설자나 무대 위 관객의 개입으로 인해 극중극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다. 빈번한 극 행동의 중단은
작가가 무대 위 관객의 감상과 논평을 유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극의 단절을 이용하기 때문에 생기게
된다. 해체된 삽입 구조는 틀 극의 등장인물이 연극배우이며, 배우들의 리허설을 극중극으로 할 때 흔하
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몰리에르의 『베르사유 즉흥극』에서는 등장인물인 배우들의 리허설이 종종 중단
되는데, 이것은 연출자이자 배우의 입장에 있는 몰리에르가 배우들의 연기나 어조가 적절하지 않을 때
즉시 연극을 중단시키고 상황에 맞는 연기와 어조를 주문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극중극이 종종 중단될
때 극적 환영은 깨어지며 관객은 등장인물들이 연극을 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된다.
극중극은 고대 그리스 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해 왔다. 극중극은 틀 극
의 진행 과정에서 흥겨운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고, 틀 극의 상황을 다양하게 전개하는 도구로 쓸 수 있
다. 그리고 극중극이 인위적이고 연극적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수록 관객이 틀 극을 사실처럼 받아들
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현대 연극의 극중극은 연극 자체에 대한 성찰과 성숙한 인식을 시도하는 메
타 연극의 특성을 잘 보여 준다. 일반적으로 메타 연극은 작가나 배우들이 자신들이 하는 작업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극중극에서 연극과 삶에 대해 토론하며 자신들의 역할과 소명에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41


4
독서

독서와 국어 생활

대해 고민하는 등장인물의 모습은 연극 예술의 창작에 대한 반성과 관련이 있으며, ‘연극은 곧 인생이
다.’라는 말을 가슴에 새길 때 궁극적으로 삶 자체에 대한 성찰로 이어질 수 있다.

9002-0020

01 <보기 1>은 극중극의 전개 양상 중 두 가지를 도식화하여 제시한 것이고, <보기 2>는 이에 대한 설


명이다. 윗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써 보자.

(가) 1막 2막 3막
틀극
극중극 |………| |………|

(나) 1막 2막

틀극
|………|
극중극

(1) <보기 1>의 (가)는 극중극의 삽입 유형 중 ( )에 해당한다.


(2) <보기 1>의 (나)에서 ⓐ의 극 중 인물이 ⓑ를 바라본다면 틀 극의 인물이 무대 위의 ( )
이 되는 것이다.

04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쪽

9002-0021

02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A]와 같은 장면이 관객에게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써 보자.
기사 : 백작님! 저는 백작님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백작 : 그렇다면 이제 그녀의 행동에 대한 판단은 고귀한 법정에 맡깁시다.
기사 : 찬성합니다!
(잠시 시간이 흐르고 백작은 무겁게 입을 연다.)
백작 : 재판관은 아직 안 왔나요? 시간이 없으니 무도회 장면으로 곧장 들어갑시다. 그녀가
왕자와 우아하게 춤을 추는 것이 좋은 거요. 모두를 위해.
[A]
하인 : 하지만, 나리. 법정 장면을 건너뛰고 무도회 장면으로 가면 어색한데요.
백작 : 재판관이 오지 않았으니 어쩔 수 없소.
재판관 : (허겁지겁 뛰어 들어와) 지금 어느 장면을 리허설하고 있나요?

9002-0022

03 극중극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관객에게 흥겨운 볼거리를 제공해 준다.
② 틀 극의 상황을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③ 해설자의 개입은 극의 중단을 막기 위한 수단이다.
④ 진행 도중에 무대 위 관객의 논평이 들어갈 수 있다.
⑤ 연극 예술의 창작에 대한 반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43


4
독서

독서와 국어 생활

지문으로 이해하기 ➋

[01~0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중국의 병서(兵書)인 『손자병법(孫子兵法)』에서는 싸우지 않고 적을 굴복시킨다는 ‘부전승(不戰勝)’의


관념을 제시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직접적인 무력행사를 통해 이웃 나라를 복종시키는 것보
다 무력을 쓰지 않고 복종시켜 저절로 통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겼다. 손자의 부전승 관
념은 이런 전통에 영향을 받아 전쟁은 인정하되 가급적 평화적인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전쟁에서 과연 부전승은 가능한 것인가? 손자는 전쟁에서 부전승을 하나의 이상형으로 제시
했지만, 그 실현이 현실적으로는 어렵다고 보았다. 그는 부전승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앞으로 일어
날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었다.
손자는 오왕(吳王) 합려를 도와 본격적으로 초(楚)나라를 원정(遠征)하기 전에 6년 동안 초나라 변경
을 치고 빠지는 작전을 반복하여 초나라 군대의 전력과 사기를 약화시켰다. 또한 초나라의 동맹국들을
설득하여 오나라의 동맹으로 돌려세우는 데 성공했다. 그의 이런 군사적 행동과 외교적 조치는 차후 전
면전에서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오나라가 초나라에 대한 원정을 실
시하여 거둔 승리는 부전승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그렇다면 손자는 부전승을 왜 주장했던 것일까? 이는 손자가 인식하고 있던 당시의 전쟁 양상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먼저 손자는 전쟁이 일어나 지속되면 백성들이 곤궁하게 된다고 생각해 파괴적인
전쟁을 피하려 했다. 또한 ㉠손자가 생각한 전쟁은 주나라 천자가 분봉(分封) *한 제후국들 사이의 전쟁
으로, 그는 전쟁 이후 통치의 대상이 되는 백성들을 고려하여 제후들에게 도덕적 정당성을 통해 백성들
의 원성을 사지 않는 승리를 권유했다.
한편 프로이센의 군인이자 군사 평론가인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에서 저절로 승리에 도달하는 자동 장
치는 없고, 전쟁의 승리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국력을 쏟아부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
고 적에 대한 완전한 제거가 이루어질 때 완벽한 승리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도 『전쟁론』
에서 부전승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클라우제비츠는 “싸워서 적군을 패배시키지 않고서도 승리의 가능
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먼저 외교적 수단으로 적의 동맹을 와해시키고 우리가 새로운 동맹을
형성함으로써 유리한 국면을 조성한다면, 우리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적의 군대를 파괴
시키는 것보다 훨씬 더 수월한 방법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클라우제비츠의 부전승은
손자처럼 전쟁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었다. 바로 전쟁 이전에 취하는 외교적 수단과 관련이 있는
데, 클라우제비츠는 피를 흘리지 않고 다른 수단을 통해 성공을 거두는 것은 전쟁 발발 이전에만 가능하
다고 보았다. 그는 전쟁이 일어난 이후 외교적으로 교섭하여 전쟁을 종결하는 것은 유혈의 전투로 인해
초래된 전황 *의 유리함과 불리함 때문이므로 부전승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클라우제비츠는 적도 비폭력적 전략을 선택할 때만 부전승이 성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적이
비폭력적 전략을 거부한다면 비록 막대한 인명과 자원의 손실이 예상되더라도 이를 감수하고 전투를 치

04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쪽

를 준비가 되어 있는 측이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적이 전투를 각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전승을 바


란다면 이는 오히려 적의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 분봉: 중국에서, 천자가 땅을 나누어서 제후를 봉하던 일.


* 전황: 전쟁의 실제 상황.

9002-0023

01 윗글을 바탕으로, 손자와 클라우제비츠의 ‘부전승’에 대한 관념을 비교하여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써 보자.

손자 클라우제비츠
공통점 부전승을 위한 방법으로 ( ⓐ ) 수단을 중시함.
전쟁 상황을 고려하며, 승전을 위한 유리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적이 ( ⓑ ) 전략
차이점
한 여건을 조성하는 데 관심을 둠. 을 선택할 때만 가능함.

9002-0024

02 윗글의 ㉠과 <보기>의 ⓐ를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클라우제비츠가 활약했던 19세기 유럽에서는 ⓐ강대국들 간의 국제전이 자주 발생했다. 당
시 유럽은 각 나라가 자국의 민족주의와 결합한 국민 개병제를 앞세워 도덕적 정당성에 얽매이
지 않고 영토 획득, 이권 탈취 등 국가적 이익을 위해 전쟁을 수행했다. 당시 유럽의 지배층은
평화적 수단은 효과가 없고, 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전면전을 벌여 적을 궤멸시키고 신속하게
승리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19세기 중반 비스마르크가 제창한 ‘철혈(鐵血) 정책’도 궁
극적으로 강한 군사력을 갖추기 위한 군비 확장과 관련이 있다.

① ⓐ와 달리 ㉠은 전쟁 이후까지 내다보고 도덕적 측면을 고려했다.


② ⓐ와 달리 ㉠은 천자를 받드는 제후국들 사이의 전쟁이었다.
③ ㉠과 달리 ⓐ는 처음부터 적군의 제거를 의도한 전쟁이었다.
④ ⓐ보다 ㉠이 평화적 수단을 통해 해결할 가능성이 더 큰 전쟁이었다.
⑤ ㉠은 전쟁을 수행함에 있어서 장기전을, ⓐ는 단기전을 목표로 삼았다.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45


5
독서

독서의 가치와 성찰

교과서 성취 기준

다매체 사회에서 인터넷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독서에 관한 정보를 얻고 활용한다.


우리는 컴퓨터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독서에 관한 정보를 얻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독서 정보를 얻고 활용하는 방법이나 변화된 독서 환경에서 필요한 독서 능력을 알아
야 한다.

1 다매체 시대의 독서
독서 매체 변화에 따른 독서 (1) 독서 매체의 변화
방식의 변화
•‌독서 매체
•문자 이외에도 그림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와 소리 등이 결합 - 독서 매체란 독서와 관련된 지식이나 정보, 책 등을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파하여 공유
하면서 형성하는 의미를 파악 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말한다.
할 수 있다.
•매체에 잘못된 정보나 편향된
- 책을 비롯해, 텔레비전, 영화, 사진, 인터넷 등이 모두 독서 매체에 포함된다.
정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보 •다매체 시대의 독서 환경
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
- 컴퓨터 기술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독서 매체가 급속도로 다양해지면서 정보의
하며 그 의미를 주체적으로 수
용할 수 있다. 생산과 수용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 독서 매체와 독서 환경의 변화로 독서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쉽게 생산해 낼 수 있게
되었으나, 한편으로는 독서 과정에서 가치 있는 정보를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
게 되었다.
•매체를 활용한 독서 정보의 수집

인터넷 키워드(핵심어)로 책에 대한 정보 검색, 다른 사람의 서평 참고

신문, 잡지 신간과 양서 소개란 활용, 서평 기사 활용

도서관 도서관 프로그램 참여, 도서관 사서의 도움, 도서관 누리집 활용, 도서관 서지 정보 활용

서점 관심 분야의 책을 직접 훑어보기

교과서 성취 기준

사회적 공동체의 독서 활동을 통하여 다른 사람과 교감하며 글을 읽고 삶을 성찰한다.


독자는 가정, 학교, 지역 사회 등 자신이 속한 사회적 공동체의 독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정보
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삶의 가치를 더하고 공동체의 다른 사람들과 인간적 관계를 깊이 있게 할 수 있다.
사회적 공동체의 독서 활동으로는 학교 도서관, 학급 문고, 방송이나 인터넷 매체를 활용한 독서 토론 등이
있다.

04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2 사회적 공동체의 독서 활동
(1) 사회적 공동체의 독서 활동 : 학교나 학급, 방송 매체, 인터넷과 같은 공간에서 소집단을 독서 토론의 절차
1. 책 선정하여 읽기
구성하고, 그 집단에서 공동의 관심사나 상황에 맞는 책을 함께 읽고 정기적으로 토의나
2. 개인의 감상 발표하기
토론 활동을 하는 것 3. 쟁점 토론하기
4. 비평 글 쓰기
(2) 사회적 공동체의 독서 활동이 가지는 의의
•‌독서, 토론, 토의 활동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며 정서적 유대감이 강화되면서 공동체가
결속된다.
•공동체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교과서 성취 기준

자신의 독서 이력을 성찰하고 독서 계획을 세워 실천한다.


자신을 성장시키고, 삶을 풍요롭게 만들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독서의 생활화이다. 따라서 독자는
자신의 독서 생활을 성찰하고 독서 계획을 세워 독서 활동을 생활화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독서 이력을 성찰하면서 독서 계획을 세울 줄 아는 자세와 능력이 필요하다.

3 독서의 성찰과 독서 계획의 수립


(1) ‌독서의 성찰
•자신이 읽은 책의 목록을 분야나 주제를 고려하여 정리해 보기.
•계획대로 독서를 한 후에 독서 자료철 작성하기.
- 독서 자료철에는 책 제목, 작가, 책의 중심 내용,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내용, 자
신의 감상 등을 적는다.

(2) 독서 계획의 수립 및 실천 독서 활동 중 점검 내용
•나의 독서 목적은 무엇인가?
•글의 내용은 나의 독서 목적에
자신의 독서 이력 점검, 자신이 읽은 도서와 읽을 도서 목록 작성, 독서 계획 수립 부합하는가?
•독서 목적에 적합한 방법으로
 글을 읽고 있는가?
•독서 상황과 환경은 적절한가?
독서 계획에 따라 독서 활동

독서 기록장, 독서 자료철 작성하기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47


5
독서

독서의 가치와 성찰

지문으로 이해하기

[01~0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최근 가치관, 종교관, 정치관 등이 자신과 다르다는 이유로 상대를 혐오하거나 심지어 증오로 인해 폭
력을 행사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 타인이 자신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려는 마
음, 즉 관용의 마음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불관용의 모습은 비단 현대 사회에만 있었던 것
이 아니라, 과거 사회에서도 있어 왔다. 17세기 철학자 스피노자 는 관용을 옹호했던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종교를 비판했다는 이유로, 공동체에서 축출되어 죽을 때까지
공동체 바깥에서 살아야만 했다. 이처럼 불관용의 피해자이기도 했던 스피노자는 불관용이 발생하는 원
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첫째, 스피노자는 불관용이 슬픔의 감정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대부분의 인간은
비참한 상태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슬픔에 지배되기 쉽다. 또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기 존재를 보존하고
자 하므로 기쁨의 감정과 기쁨을 주는 대상은 유지시키려는 경향이 있고, 슬픔의 감정과 슬픔을 주는 대
상을 물리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슬픔을 물리치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는 슬픔의 원인을 특정
대상에게 전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인간은 그 대상을 증오하게 된다. 이처럼 그는 타인에 대한 증오가
슬픔에서 파생된다고 여겼다. 또한 그는 한 개인에 대한 증오가 그 개인이 속한 집단에 대한 증오로 확
산되기 쉽다고 판단했다. 스피노자는 슬픔과 증오에 사로잡힌 개인이나 집단이 자기 슬픔의 원인이라
상상되는 대상을 물리칠 생각에만 빠져 있는 것을 경계했다. 바로 그런 상태의 인간은 타인의 다양한 생
각과 활동을 인정하려 들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스피노자는 극렬한 불관용이 역설적으로 사랑과 헌신 같은 감정에서 나올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가령 자신이 믿는 신 혹은 가치관을 사랑하는 이는 그것을 지키기 위해 헌신하려 한다. 바로 이 때문에 그
는 이단적 종교나 사상을 강력하게 금지하고자 한다. 그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신봉하는 종교와 사상에 위
험을 끼칠 수 있는 것이 세상에 퍼지도록 내버려 두는 행위가 오히려 냉혹하고 이기적인 처사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피노자는 불관용의 발생이 감정 모방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타
인의 감정을 모방하려 한다. 즉 인간은 남들의 마음에 드는 행동을 하게 되고, 그렇지 않은 행동은 자제
한다. 또 인간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타인도 좋아하기를 바라고, 자신이 싫어하는 것을 타인도 싫어하
기를 바란다. 왜냐하면 타인이 자신과 다른 의견과 감정을 가질 경우에 마음의 동요를 겪게 되는데, 이
상태만큼 견디기 어려운 것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마음의 동요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의견을 포기
하고 타인의 의견을 수용할 수도 있지만, 오랜 시간 형성되어 온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 패턴을 바꾸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대개는 자신의 감정을 포기하는 대신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감정을 따르도록
하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에 선동가의 야심이 개입할 때이다. 대중은 자기들과 같은 방식으
로 살아가지 않는 자들, 특히 자유로운 기질을 가진 자들을 참지 못한다. 선동가들은 자신과 다른 방식
으로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대중의 못마땅한 감정을 쉽사리 증오로 변화시키고, 그 증오를 자신들이 원
하는 방향으로 추동한다.

04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1쪽

현대 사회는 스피노자가 살았던 시대보다 갈등이나 분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원인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런데 그 갈등과 분쟁이 사회·정치적 목적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스피노자가 살았던 시대
처럼 불관용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에서 불관용의 원인을 감정과 연관 지어 밝히려 했던
스피노자의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분쟁의 근본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
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9002-0025

01 스피노자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스피노자는 인간에게 슬픔을 멀리하고 기쁨을 가까이하려는 본능이 있다고 여겼다.


② 스피노자는 타인이 자신과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는 마음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했다.
③ ‌스피노자는 인간은 본능적으로 타인의 감정을 모방하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했
다.
④ ‌스피노자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종교를 비판하여 그 공동체로부터 불관용의 피해를 입
었다.
⑤ ‌스피노자는 한 개인에 대한 증오가 그 개인이 속한 집단에 대한 증오로는 발전하지 않는
다고 보았다.

9002-0026

02 윗글을 고려할 때, <보기>의 ⓐ~ⓒ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써 보자.


강연자 : 최근 세대 간, 계층 간 갈등이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갈등의 대부
분은 타인, 혹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 아닌 다른 집단에 대한 불관용에서 비롯됩니다. 이
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우리가 직면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여기 화면을 보시죠.
화면의 질문들은 ‘스피노자’가 밝힌 불관용의 발생 원인을 토대로 작성한 것입니다. 이
질문에 답해 보면서 우리 자신이 불관용의 가해자가 아닌지 성찰해 보도록 합시다.

•자신이 지닌 ( ⓐ )의 원인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한 적이 있는가?


•자신이 믿는 ( ⓑ )만이 최고로 가치 있는 것이라고 여긴 적이 있는가?
•자신이 가진 감정과 의견을 다른 사람도 갖기를 바란 적이 있는가?
•자신이 지닌 생각을 대변하는 특정 ( ⓒ )의 말에 휘둘린 적이 있는가?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49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2부
적용
학습
인문 특성과 출제 경향

인문 분야의 제재 종류 1 인문 분야의 글이란?


 상, 철학, 역사학, 윤리학, 심리

학, 논리학, 고고학, 신화학, 종교
•전인적인 인간의 가치 체계를 다룬 글
학등 •존재의 궁극적인 본질 및 보편적 원리의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글
•인간과 세계의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인 철학,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인 심리학, 인간의 활동에 대한 기록을 살피는 학문인 역사학 등이 포함됨.

2 인문 분야의 글 읽기 방법
•인문 분야의 글은 주로 인간의 정신 활동을 다룬 것으로, 이를 읽을 때에는 글쓴이의 주
관이나 통찰력, 그에 따른 해석에 유의하며 읽어야 함.
•글쓴이의 관점을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배경지식을 동원하여 내용을 이해·추론한 후, 글
에 제시된 관점을 다른 상황에 적용하여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함.
•여러 견해·주장이 제시되어 있는 경우, 견해·주장 간의 공통점 또는 차이점을 나타내
는 말들을 핵심 어구를 중심으로 입장들을 정리하면서 내용을 이해해야 함.
•견해·주장과 함께 개념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개념을 설명하는 핵심 어구들을 짚
어 그 어구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이해해야 함.

3 인문 분야의 출제 경향
•인문 분야에서는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목적으로 하면서 존재 또는 인식에 대
한 물음을 던지는 지문이 출제되는 경우가 많음.
•특히 철학가들의 사상을 묻는 지문이나, 귀납·유비 논증 등에 대해 다루는 논리학 관련
지문이 자주 출제되는 경향이 있음.
•지문에 제시된 학자, 사상가들의 견해·주장을 주목해 이해해야 하며, 그와 함께 제시된
개념이 있다면 그 내용도 핵심 출제 요소로 활용되므로 주목해 이해해야 함.
•견해·주장이나 개념에 관한 정보를 구체적 상황에 적용하여 추론할 수 있어야 하며, 여
러 견해·주장이 제시되어 있는 경우, 그것들 간의 공통점이나 차이점도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어야 함.
•최근 인문 제재가 사회나 과학 등의 인접 학문과 융·복합된 지문으로 출제되고 있는 것
도 유의해야 함.

[2019학년도 수능] 가능 세계의 개념과 성질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서양 의학의 영향을 받은 이익과 최한기의 인체관
기출 제재 [2018학년도 수능]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
[2017학년도 수능] 지식의 구분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유비 논증의 개념과 유용성

05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4 이 책에서 다룬 인문 분야의 글

번호 제목

01 단순하지 않은 작은 역사, 미시사

02 돌궐 유목민의 세계관

03 상식적 실재론과 표상적 실재론

04 인과 논변과 인과적 오류

05 정서와 인지

06 튜링 테스트

07 동물의 도덕적 지위

08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

09 도덕 상대주의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53
인문 01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9세기 독일의 역사가 랑케의 ㉠실증주의 역사학은 ‘자료 그 자체가 말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원래의
역사적 자료에 충실하면서 어떠한 편견이나 선입견에 사로잡히지 않고 끝까지 객관적인 입장에서 역사를
서술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사료의 정확성에 집착하여 객관적인 측면만을 지
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역사학의 폭과 깊이를 축소시키는 부정적 측면을 드러내었으며 인문·사회 과학의
세계에서 역사학이 자료 제공자의 위치로 전락하게 만드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후 1970년대 구조 기능주
의적 방법론을 주창한 프랑스의 아날학파가 서양 역사학계를 주도하게 되었는데, 이들은 정치보다는 사회,
개인보다는 집단을 역사 서술의 기본 골격으로 삼아야 한다고 하면서, 집단적 행동 양식과 가치관 같은 문
화적 대상까지도 계량적으로 연구하고 인구 통계학이나 사회학의 계량적 방법을 통해서 삶에 대한 서술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하게 된 ‘미시사(microstoria)’는 1970년대 중반 이탈리아 역사가들 사이에서 처음
으로 주창된 개념으로, 역사학을 ‘실제의 삶에 관한 학문’으로 규정하고, 계량화된 숫자 안에서 희미하게
드러나는 민중이 아니라 실제 살아 숨 쉬는 생생한 인간으로서의 민중을 기록하고자 하였다. 미시사는 이
탈리아어로 작다는 뜻의 ‘micro’와 역사라는 뜻의 ‘storia’가 합성된 단어로, 우리말로 직역하면 ‘작은 역사’
가 되는데 이는 역사적 대상을 작은 규모와 척도에서 관찰한다는 의미로, 예컨대 한 지역의 사건, 또는 어떤
한 인물의 행적을 집중적으로 세세히 추적하는 것을 말한다.
미시사의 특징은 연구 주제, 사료의 종류, 서술 방식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미시
사는 기존에 무시되어 온 연구 주제들, 연구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간주되어 온 주제들을 중점적인 연구 대
상으로 여겨 ‘평범한 농민의 세계관’, ‘산업 혁명의 거대 조류 속 소시민의 행동’ 등과 같이 작고 평범한 인
물들의 삶의 모습들을 주제로 다루었다. 사료의 종류와 관련하여 미시사는 이전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이른
바 ‘내러티브적’ 자료들에도 주목하였는데, 여기에는 재판 기록, 일기, 연대기, 편지, 탄원서, 설화집 등이
있다. ‘자료 그 자체’에 집중했던 랑케식 실증주의가 자신들에 대한 자료를 스스로 생산하는 엘리트 계급의
역사를 기술하는 데는 비교적 유효한 측면이 있지만 자료를 거의 남기지 못한 하층 계급의 역사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려 주지 못했기 때문에, 미시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내러티브적 자료들에 주목하여 그 안
에 담긴 민중들의 이야기를 살핌으로써 이들의 가치관과 문화적 태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서술 방식
에 있어서 미시사는 역사가의 주관적 서술을 드러내는 방식을 활용하였는데, 작은 마을에서 일어난 어떤
사건, 한 개인의 생각과 행적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과정에서 역사가가 갖게 되는 의문점이나 생각도
역사 서술의 일부가 되도록 한 것이다. 미시사의 대표적인 저작물인 긴츠부르그의 『치즈와 구더기』는 한 인
물을 이단으로 판정하는 재판 기록에 의거하여 서술되었는데, 저자는 인물이 이해하기 힘든 말을 할 때 생
기는 의문이나 가설을 스스럼없이 드러내고 있다.
미시사는 그 접근 방식이 충분히 실증적이지 못하다는 점, 예외적인 주제만을 선호함으로써 사회 전체를 제
대로 조망하지 못한다는 점 등을 한계로 지적받기도 한다. 하지만 역사에 대한 기존의 입증 방식과 인식 체계
가 엘리트 계급의 문화 권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미시사는 기존의 역사학에서 잊힌
사람들, 즉 ‘보통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역사의 무대로 올려놓은 의미 있는 접근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05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2쪽

9002-0027

01 윗글에서 다루어진 내용이 아닌 것은?


① 미시사의 출현 배경
② 미시사의 연구 주제
③ 미시사의 서술 방식
④ 미시사의 한계와 의의
⑤ 미시사의 사료 수집 방법

9002-0028

02 윗글을 읽고, <보기>를 이해한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며칠 후에 심문이 재개되었다. 시장이 참석할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재판관들은 시장의 귀환을
기다리지 않았다. “마음속의 생각을 말해 달라.”라는 재판관들의 심문에 메노키오는 “저의 영혼은
숭고한 것을 추구하였으며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삶의 방식을 원하였습니다. 그것은 교회가 올바
르게 나아가지 못하고 그토록 많은 허식으로 넘쳐나고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답하였다. 도대체,
방앗간 주인 메노키오는 정치·경제·사회적인 모순들이 함께 뒤섞여 있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무엇을 알고 있었을까? 그는 자신의 존재를 은밀하게 제약하고 있는 그 거대한 힘의 논리에 대해
어떤 상상을 하고 있었을까?
 - 카를로 긴츠부르그, 『치즈와 구더기』

① 인물이 법정에 서게 된 행적을 집중적으로 세세히 추적하고 있군.


② 사건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인물의 말에 대한 역사가의 의문이 드러나고 있군.
③ 재판 기록이라는 내러티브적 자료를 바탕으로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살피고 있군.
④ 거시적으로 사회 전체를 조망하는 것이 아니라 한 지역에서 일어난 특정 사건에 집중하고
있군.
⑤ 집단적 행동 양식 속의 개인이 아니라 방앗간 주인이라는 평범한 인물의 실제 삶의 모습을
다루고 있군.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55
정답과 해설 12쪽

9002-0029

03 ㉠의 입장에서 ‘미시사’를 평가한다고 할 때, 그 내용을 추론한 결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미시사적 접근은 역사 서술에 있어서 사회와 집단을 중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② 미시사적 접근은 삶에 대한 서술을 함에 있어서 계량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③ 미시사적 접근은 개인의 생각과 행적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주관적 서술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④ 미시사적 접근은 자료를 거의 남기지 못한 하층 계급에 대해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⑤ 미시사적 접근은 역사학이 인문·사회 과학의 세계에서 자료 제공자에 그치도록 하는 원인
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05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인문 02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고대 튀르크 문자로 새겨진 비문(碑文)들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19세기 말이었다. 1889년 러
시아의 야드린체프가 오르콘강 유역에서 미지의 문자로 새겨진 두 개의 비석을 발견하여 서구 학계에 알린
것이 그 시초였는데, 그중 하나의 앞면에는 ‘고궐특근지비(故闕特勤之碑)’라는 비(碑)의 이름이 한문으로 새
겨져 있었다. 이를 통해 이 비석이 732년에 사망한 돌궐 제국의 왕자 ‘퀼 테긴’의 비석임이 밝혀졌다. 또한
이 비석의 뒷면에는 소수의 모음과 30개 이상의 자음을 나타내는 알파벳식 문자로 비문이 쓰여 있었는데
여러 학자들의 연구 끝에 이 문자가 고대 튀르크 문자임이 확인되었고, 그로부터 1년 뒤인 1893년에 빌헬름
톰센에 의해 비문의 전문이 해독되어 그 내용이 세상에 알려졌다.
사실 돌궐 유목민에 대한 기록은 ‘고궐특근지비’가 발견되기 전까지 당시 중국의 입장에서 기술된 사료들
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돌궐 유목민의 모습은 실제와 달리 크게 왜곡되어 표현되기 일쑤였다.
예를 들어 어떤 역사 문헌에서는 돌궐 유목민이 예의와 염치를 모르는 야만인으로 묘사되거나 성곽도 없이
가축을 치며 옮겨 다니는 거칠고 천한 민족으로 표현되었으며, 심지어 시도 때도 없이 약탈이나 자행하는
인면수심(人面獸心)으로 그려지기까지 했다. 하지만 ‘고궐특근지비’의 비문이 발견되고 해독되면서 학계에
서 돌궐 유목민의 세계관을 재조명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마련되었다. 이 비문에 돌궐 유목민이 그들 자신
과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세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였는가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었기 때문이다.
재조명된 돌궐 유목민의 세계관에서 주목할 만한 것 중 하나는 태양 숭배이다. 특히 태양 숭배에 따른 그
들의 방위 관념을 들 수 있다. 고구려 등과 같은 주변의 나라들이 방위를 ‘동 → 서 → 남 → 북’으로 인식했던
것과 달리 돌궐 유목민은 태양이 동쪽에서 떠서 진행하는 방향으로 믿었던 ‘동 → 남 → 서 → 북’으로 인식하
였다. 태양의 운행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방위 관념은 ‘동(東)’을 ‘해가 뜨는 곳’, ‘남(南)’을 ‘해가 한가운데인
곳’, ‘서(西)’를 ‘해가 지는 곳’, ‘북(北)’을 ‘밤이 한가운데인 곳’이라고 표현한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천막을 칠 때도 문을 언제나 동쪽으로 열어 놓았고, 아침에 해가 뜨면 해를 향해 세 차례 큰절을 올
렸다고 하는데, 이 역시 그들이 태양을 숭배하였다는 것을 입증하는 예이다. 그뿐만 아니라 돌궐 유목민은
태양이 생전의 삶은 물론 사후에까지 관여한다고 믿었다. 그들에게 태양은 그들이 최고의 신으로 여기었던
‘텡그리’, 즉 ‘천신(天神)’을 상징하는 대상이었다.
한편 돌궐 유목민은 다원주의적 세계관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고궐특근지비’의 비문에는 고구려의 군주
가 ‘뵈클리 카간’이라는 명칭으로 표현되고 있다. ‘뵈클리’는 ‘고구려’, ‘카간’은 ‘최고의 군주’를 나타내는
튀르크 말인데, 한자로 옮겨 보면 ‘고구려 황제’에 비견되는 칭호이다. 당시 중국의 황제가 천명을 받아 하
늘 아래 온 세상의 질서를 주관하는 존재로 여겨졌듯이, 돌궐 유목민에게 ‘카간’은 그들의 제국인 ‘일’을 지
키기 위해서 ‘텡그리’의 축복과 명령을 받아 위로는 푸른 하늘, 아래로는 땅에 있는 백성들을 다스려야 하는
권위자로 여겨졌다. 돌궐 유목민은 하늘에 두 개의 태양이 있을 수 없듯이 지상에 두 명의 황제가 있을 수
없다는 식의 당시 중국인들의 정치 관념을 수용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그들은 돌궐 제국의 군주뿐만 아니
라 주변의 나라를 지배하는 군주 모두를 황제에 비견하여 ‘카간’이라는 칭호를 붙였다. 이처럼 돌궐 유목민
은 다른 민족들을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정치적 질서와 문화적 특징을 지니는 존재로 인정하고 있었다. 그
런 의미에서 그들은 다원주의적 세계관을 표방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돌궐 제국의 ‘카간’을 비롯한 돌궐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57
인문 02

유목민의 이러한 정치적, 문화적 유연성은 그들이 다른 나라와 교역할 때 개방적인 태도로 임할 수 있게 해
주었고, 그들이 건설한 제국 안에서 여러 이질적인 문화가 공존하며 발전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9002-0030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하늘의 태양은 돌궐 유목민이 최고의 신으로 여겼던 천신을 상징하는 대상이었다.
② 돌궐 유목민은 최고 군주의 칭호인 ‘카간’을 주변 나라의 군주에게도 붙여 주었다.
③ 중국 사료 중에는 돌궐 유목민을 야만적이고 천한 민족으로 묘사한 문헌도 있었다.
④ 돌궐 유목민은 이질적인 문화에 대해 수용적 태도를 보이며 공존을 꾀하기도 했다.
⑤ ‘야드린체프’는 고대 튀르크 문자로 기록된 ‘퀼 테긴’의 비문 전문을 해독해 내었다.

9002-0031

02 윗글과 <자료>를 바탕으로 할 때, ㉠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국가가 부흥하기 위해서는 먼저 텡그리의 축복과 명령을 받고, 지혜와 용맹이라는 두 덕목
을 갖춘 카간이 탄생해야 하고, 그는 국가 경영의 근간을 조법(祖法) *에 두어야 한다. 관리들과 평
민들은 카간의 명령에 복종하여 질서를 유지하며 살아야 하고, 카간은 외튀켄 산지에 본거를 두고
주변국의 위협에 대처하면서, 대상(隊商) *을 보내 재화를 모으고 백성들을 많게 하고 배부르게 해
야 할 의무를 지닌다. ……” - ‘고궐특근지비(故闕特勤之碑)’의 비문 중에서

* 조법: 선조(先祖)가 시작한 법.


* ‌대상: 사막이나 초원과 같이 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지방에서, 낙타나 말에 짐을 싣고 떼를 지어 먼 곳으로 다니면서 특산물
을 교역하는 상인의 집단.

ㄱ. 유연한 태도를 가지고 주변국과 교역하며 이익을 취하려는 자세가 필요하기도 하였겠군.
ㄴ. 그들의 제국인 ‘일’의 유지를 위해 백성들을 먹여 다스려야 하는 직분을 가지고 있었겠군.
ㄷ. 태양의 진행 방향에 대한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주변국의 정세를 살펴 위협에 대비하였겠군.
ㄹ. 중국의 황제와 달리 하늘 아래 온 세상의 질서를 주관하는 권위를 하늘로부터 부여받았겠군.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05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3쪽

9002-0032

03 윗글과 <보기>를 근거로 할 때, ‘돌궐 유목민’과 ‘고구려인’을 비교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고구려 초기에는 지배층의 무덤 방향을 일관되게 서쪽을 향하여 축조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
러한 풍습을 통해 고구려인의 방위 관념에 반영된 세계관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고구려인은 고분의
입구를 서쪽으로 내고 고분 안의 동쪽 천장에는 태양을 그렸다. 이러한 구조는 고분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이 항상 태양이 뜨는 방향인 동쪽을 바라보게 설계된 것이다. 이렇게 고분의 입구를 서쪽에
만든 것은 사후의 세계라고 믿었던 고분에 들어갈 때 동쪽의 태양을 보고 먼저 경배할 수 있게 의
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① ‘고구려인’과 달리 ‘돌궐 유목민’은 방위를 네 가지의 방향으로 구분했다고 볼 수 있다.


② ‌‘돌궐 유목민’과 달리 ‘고구려인’은 다른 민족들이 지닌 문화적 독자성을 인정했다고 볼 수
있다.
③ ‌‘돌궐 유목민’과 달리 ‘고구려인’은 천신인 태양이 사후 세계에 관여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④ ‌‘돌궐 유목민’과 마찬가지로 ‘고구려인’은 태양을 숭배하는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⑤ ‌‘돌궐 유목민’과 마찬가지로 ‘고구려인’은 태양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방위를 인식했다고
볼 수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59
인문 03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어떻게 외부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해 우리는 오감을 통해 직접 세계를


경험하기 때문이라고 답할 수 있다. 이렇게 물리적 대상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어 오감으로 대상 자체가 지
닌 고유한 특성을 알게 된다는 견해를 ㉠‘상식적 실재론’이라 한다. 상식적 실재론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실
재론은 이렇게 직간접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외부 세계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입장을 고수한다. 하지만
철학적 회의주의자들은 감각 기관을 통해 세계를 있는 그대로 지각할 수 있다는 주장을 부정한다. 그들은
우리가 지각할 수 있는 것이 있는 그대로의 세계가 아니라 감각 기관을 통해 지각된 현상임을 들어, 세계가
우리의 감각과 무관한 독립적 실재로 지각될 수 없으며 우리가 접근할 수 있는 것은 감각으로 지각되는 현
상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로크는 세계가 우리 마음에 직접 나타나지는 않지만, 우리는 물리적 대상에 대한 관념들을 통
해 세계와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렇게 세계와 우리 마음 사이에 물리적 대상을 대표하는
관념을 설정함으로써 상식적 실재론의 난점(難點)을 보완하려는 입장을 ㉡‘표상적 실재론’이라 한다. 표상
적 실재론에 의하면 관념은 물리적 대상에 대한 경험에서 야기된 것으로, 대상과 부분적으로 유사성을 갖
는 동시에 그것을 지각하는 관찰자의 감각과도 관련된다. 예컨대 형태, 색, 맛 등 사과에 대한 관념은 사과
라는 대상의 실재와 부분적으로 유사성을 가지는 동시에 관찰자의 고유한 감각의 산물이기도 하다. ⓐ표상
적 실재론은 철학적 회의주의자들의 논리에 의해 쉽게 부정되지 않는다. 표상적 실재론자는 동일한 사과의
색도 다른 불빛 아래에서 관찰자의 감각에 의해 달리 지각될 수 있음을 용인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관념이 외적 대상에 의해 야기되며 어떤 관념이 우리의 감각에 의존할까? 이를 설명하기
위해 로크는 ‘제1성질’과 ‘제2성질’이라는 개념을 동원한다. ‘성질’은 관념들을 생기게 하는 대상의 능력이
다. 제1성질은 지각되는 조건들에 상관없이 대상 자체가 갖고 있는 특성으로 대상의 고유한 성질이다. 반면
제2성질은 지각하는 사람에게 감각을 일으키는 것으로 색, 맛 등을 포함하며 대상을 지각하는 사람들의 마
음에 형성되는 성질이다. 그래서 제1성질은 고정불변적이고 측정 가능한 객관적 성질인 반면, 제2성질은
지각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호 작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측정 불가능한 주관적 성질이다.
외부 세계에 관해 우리가 어떤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대상의 제1성질과 제2성질에 의해 감각으로 지각된
관념들을 통해야 한다. 감각이 우리에게 가장 먼저 제공하는 것은 ‘단순 관념’이다. 단순 관념은 감각적 경
험을 통해 갖게 되는 관념으로, 사과를 지각할 때 우리가 갖게 되는 둥근 형태, 빨간색, 달콤한 맛 등의 관념
들이 이에 해당한다. 단순 관념들은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의 소재가 되는 가장 원초적인 것들이라 할 수 있
다. 우리는 단순 관념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복합 관념’을 만들어 낸다. 사과라는 복합 관념은 형
태, 색, 맛 등의 단순 관념이 결합한 것이다. 이렇게 감각을 통해 얻어진 단순 관념을 결합해 무수한 복합 관
념을 만들어 내는 우리 마음의 능력을 ‘지성(understanding)’이라 한다. 지성은 비록 단순 관념들을 만들어
낼 수는 없더라도 다양한 단순 관념들을 비교, 추상하거나 결합해 새로운 복합 관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로크는 저급한 수준이나마 동물도 단순 관념들을 바탕으로 복합 관념을 만들어 내는 능력의 일부를 지니고
있다고 보았지만, 동물은 추상의 능력을 갖고 있지 않아 인간에 비견할 지성은 지니지 못한다고 보았다. 이
때 추상의 능력이란 개별적 관념을 대상이 놓인 특정 상황으로부터 분리하여 일반화하는 능력을 말한다.

06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4쪽

로크에게 있어 인간의 지식은 우리가 가진 단순 관념들을 바탕으로 지성에 의해 만들어진 복합 관념들로


획득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외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그 확실성의 정도에 있어 언제나 개연성의
수준을 넘어설 수 없는 것이다. 표상적 실재론에 따르면 우리의 지식은 외부 세계와의 직접적 접촉에 의해
획득된 것이 아니라, 마음과 외부 세계 사이에 자리 잡은 관념들을 자료로 삼는 확률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9002-0033

01 ㉠과 ㉡을 비교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은 ㉡과 달리, 지각을 통해 물리적 대상에 대한 관념이 야기된다고 보았다.
② ㉠은 ㉡과 달리, 외부 세계가 측정 가능한 객관적인 ‘성질’을 지닐 수 있다고 보았다.
③ ㉡은 ㉠과 달리, 인간이 물리적 대상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외부 세계를 알게 된다고 보았
다.
④ ㉠과 ㉡은 모두 물리적 대상 자체가 갖고 있는 특성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⑤ ㉠과 ㉡은 모두 외부 세계가 물리적 대상과 유사성을 지닌 관념들에 의해 확률적으로 인식
된다고 보았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61
인문 03

9002-0034

02 <보기>는 ‘상식적 실재론’에 대한 ‘철학적 회의주의자들’의 비판이다. <보기>를 활용하여 ⓐ의 이유를


추론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물리적 대상 X가 주체 A의 감각을 통해서는 P라는 현상으로 지각되고, 주체 B의 감각을 통해서


는 P′라는 현상으로 지각된다. 이처럼 판단 주체들의 상이한 감각으로 인해 주체 A에게 나타난 현
상 P와 주체 B에게 나타난 현상 P′ 중 어떤 것이 X의 실제 모습을 말해 주는 것인지 판단한다는 것
은 불가능하다.

① A와 B가 세계와 우리 마음 사이에 관념이 있다는 것을 자각한다면 P와 P′가 일치되어 X의


실제 모습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겠군.
② A와 B가 X를 지각할 때, X의 ‘성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X의 실제 모습이
각기 P와 P′로 나타나는 것을 용인할 수 있기 때문이겠군.
③ A와 B가 감각 기관을 통해 지각한 P와 P′를 비교, 추상하거나 결합한다면 X의 실재에 대한
A와 B의 지식이 각기 필연적 지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겠군.
④ X가 P와 P′로 지각된 것은 X 자체의 고유한 ‘성질’과 더불어 A와 B의 상이한 감각으로 인한
것이므로 X가 달리 지각되더라도 이 또한 X에 대한 지식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겠군.
⑤ X가 A와 B에게 P와 P′로 지각된 것은 X를 오로지 ‘복합 관념’으로만 지각했기 때문이며, ‘단
순 관념’으로만 X를 지각한다면 P와 P′는 모두 대상의 실재와 일치할 수 있기 때문이겠군.

06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5쪽

9002-0035

03 윗글에 나타난 ‘로크’의 관점에서 <보기>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어느 나라에 거주하는 ◯◯씨는 다른 과일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지금껏 한 번도 귤과 파
인애플을 접해 본 적이 없어, 귤과 파인애플의 형태, 맛뿐만 아니라, 귤과 파인애플이라는 과일이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전혀 알지 못한다. 한편 ◯◯씨는 집에서 개를 한 마리 기르고 있는데, 그
개는 모습이나 체취, 목소리 등을 통해 여러 사람 속에 섞여 있는 ◯◯씨를 알아볼 수 있다.

① ◯◯씨가 귤과 파인애플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면 귤과 파인애플의 ‘제1성질’과 ‘제2성질’에


의해 지각된 관념들을 통해야 할 것이다.
② ◯◯씨가 기르는 개는 모습이나 체취, 목소리 등의 단순 관념을 바탕으로 하여 ◯◯씨와 다
른 사람을 구별하는 능력을 갖추었을 것이다.
③ ◯◯씨가 귤과 파인애플을 직접 접하더라도 지성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귤과 파인애플의 제2
성질에 의해 지각된 관념은 지니지 못할 것이다.
④ ◯◯씨가 귤과 파인애플을 직접 접하고 맛본다면, 귤과 파인애플의 형태, 맛 등의 관념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관념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⑤ ◯◯씨가 기르는 개가 ◯◯씨를 다른 사람과 구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개별적 관념을 대
상이 놓인 상황으로부터 분리하여 일반화하는 능력을 지니지는 못했을 것이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63
인문 04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과적 주장은 일상생활이나 과학적 탐구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 때문에’나 ‘~로 인하여’ 따위가
인과적 주장을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말들이다. 예컨대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갑자기 작동을 하지 않을 때
우리는 그 원인을 알아보고 싶어 하고, 운동을 꾸준히 하면 어떤 변화가 생길지 결과에 대해서 궁금해한다.
이렇게 원인과 결과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다고 생각할 때 우리는 인과적 주장을 사용한다.
인과적 주장이 사용되는 논변을 ‘인과 논변’이라 부른다. 그러나 인과 논변을 이해할 때 핵심적인 원
인 개념은 우리의 관심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단일하게 말하기가 어렵다. 먼저 ‘X가 Y의 원인이다.’
라는 것은 ‘X가 일어나지 않으면 Y도 일어나지 않았다.’라는 필요조건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뇌염모
기에게 물려 뇌염에 걸린 사람은 뇌염모기에게 물리지 않았다면 뇌염에 걸리지 않았을 것이므로 뇌염
모기가 뇌염의 원인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산소가 없었다면 불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지
만 산소가 불의 원인이라고 말하지는 않으므로 일상적인 원인 개념과 사뭇 다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필요조건으로서의 원인 개념에 관심을 갖는 것은 뇌염모기의 예에서처럼 바람직하지 않은 결
[A] 과를 어떻게 하면 제거할 수 있는가 하는 실천적인 고려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X가 Y의 원인이다.’라는 것은 ‘X가 일어나면 항상 Y도 일어난다.’를 의미하는 충분조건
으로 볼 수도 있다. 압력이 높아지면 항상 온도가 높아지므로 압력 증가는 온도 상승의 원인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어떤 결과가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아니라 결과를 생기게 하는 데 관심이 있을 경우에는 필
요조건 대신 ㉡충분조건으로서의 원인 개념에 더 주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하나만의 조건이 있
어 그것이 어떤 사건의 발생에 충분조건이 되는 경우는 드물므로 적절한 원인 개념이 아닐 수 있다. 화
재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산소도 필요하지만 불똥이 튀어야 하고, 주위에 연소되는 재료가 있어야 하고,
그것이 젖어 있지 않아야 하는 필요조건들이 갖추어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원인이 결과에 대하여 필요조건이라고도 충분조건이라고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원인을 확률
개념으로 파악해야 하는 경우가 그러한데, 예컨대 흡연은 폐암의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지만 그렇다
고 해서 흡연이 폐암의 원인이라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다. 원인이라고 생각될 수 있는 것이 없을 때보다는
있을 때 문제의 결과가 생길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인과 논변이 논리적 오류를 범했을 때 발생되는 오류를 ‘인과적 오류’라고 한다. 원인 개념이 무엇인
지에 대해서는 위에서 보았듯이 다양한 해석이 있지만, 적어도 중요한 두 가지 점에서는 일치한다. 그것은
첫째, 원인과 결과의 관계는 보통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양상을 띤다는 점이고, 둘째, 원인의 발생이 결과의
발생에 시간적으로 앞선다는 점이다. 많은 인과적 오류는 인과 관계의 이 두 특징과 관련하여 실은 인과 관
계가 없는데 있다고 잘못 파악해서 생기는 것들이다.
첫 번째 인과적 오류로 ⓐ‘우연과 원인의 혼동’이 있다. 이것은 어떤 것이 다른 것보다 단순히 시간적으로
앞선다는 점에만 근거하여 그것을 원인으로 간주하는 오류이다. 두 사건이 시간적인 선후 관계에 있다고
해도 우연적으로 그렇게 되는 경우가 허다할 것이기 때문에 둘 사이를 인과 관계로 볼 수 없음은 자명하다.
흔히 ‘미신’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들이 대개는 이 오류에 속한다. 예컨대 어떤 필요에 의해 조상의 묘를 이
장하자마자 불운한 일이 일어났을 경우 그 원인을 묘 이장으로 생각하는 것은 이 오류에 속한다.

06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6쪽

두 번째 인과적 오류는 ⓑ‘공통 원인의 무시’이다. 원인이라 생각되는 사건과 결과라 생각되는 사건 사이
에 일정한 규칙성이 있음이 실험과 관찰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어떤 것이 원인이고 어
떤 것이 결과라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공통 원인이 있는데 그것을 무시하는 잘못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
대 홍역 바이러스는 붉은 반점과 고열을 동시에 유발시킨다. 반점이 발생할 때 고열도 ‘규칙적’으로 발생한
다고 할 수 있지만 그 어느 쪽도 다른 쪽의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는데,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의 원인이라고
하면 홍역 바이러스라는 공통 원인을 무시한 것이다.
세 번째 인과적 오류는 ⓒ‘원인과 결과의 혼동’인데, 이것은 인과 관계의 방향을 잘못 판단해서 생긴다.
결과가 원인보다 앞설 수 없음은 자명한데 그렇게 잘못 생각하는 것이다. 19세기에 영국의 한 개혁가는 착
실하고 부지런한 농부는 모두 적어도 한두 마리의 젖소를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이 개혁가는
게으른 농부들을 착실하고 부지런하게 만들기 위해서 젖소를 한 마리씩 주자고 건의하였다. 이것은 바로
원인과 결과를 혼동한 오류의 예가 된다.

9002-0036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어떠한 사건의 필요조건을 막으면 앞으로 일어날 결과를 막을 수 있다.
② 인과적 주장이 사용되어도 인과적 오류를 범하면 인과 논변이 아니다.
③ 어떤 결과를 산출해 내는 원인에 주목한다면 충분조건보다 필요조건을 찾으면 된다.
④ 충분조건에 해당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따르는 결과는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⑤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에 해당하는 원인이 없는데 결과로 생각되는 것이 일어났다면 인과
관계는 전혀 성립하지 않는다.

9002-0037

02 윗글의 ㉠, ㉡과 관련하여 <보기>의 (가), (나)를 이해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수분이 없었다면 인간은 살아 있지 못할 것이다.
(나) 독감에 걸리면 항상 고열에 시달린다.

① (가)는 ㉠이 일상적인 원인 개념과 사뭇 다르다는 것을 보여 줄 수 있다.


② (가)가 거짓이라면 ㉠의 관점은 수분이 사람의 살아 있음의 원인이 아니라고 말할 것이다.
③ (나)는 ㉡이 적절한 원인 개념이 아님을 보여 주는 반대 사례이다.
④ (나)가 참이라고 해도 독감이 고열의 원인이라는 것에 ㉠의 관점은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⑤ ‌(나)가 거짓이더라도 독감이 걸리지 않았을 때보다 걸렸을 때 고열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면
독감을 원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65
인문 04

9002-0038

03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는 원인의 발생이 결과의 발생에 시간적으로 앞선다는 점에만 주목해서 생기는 오류이다.
② ‌ⓐ는 두 사건이 인과 관계가 되려면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양상을 띠어야만 한다는 점을 간과
해서 생기는 오류이다.
③ ⓑ는 두 사건이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양상을 띠어야 인과 관계가 성립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④ ⓑ와 ⓒ는 원인의 발생이 결과의 발생에 시간적으로 앞선다는 점을 간과해서 생기는 오류이다.
⑤ ‌ⓐ, ⓑ, ⓒ에 해당하는 예들은 필요조건, 충분조건, 확률 등 어떤 원인 개념으로 보아도 원인
이 될 수 없다.

9002-0039

04 윗글의 [A]를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할 때,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산소가 화재의 필요조건이어도 불의 원인이라고 말하기 어렵고, 화재가 발생하기 위한 하나만의
조건을 찾기도 어렵다면, 산소, 불똥, 연소되는 재료, 젖어 있지 않음 모두를 화재 발생의 원인으로
간주하면 되겠네. 그러면 이것은 (    ㉮    ) 조건이라고 부를 수 있겠네.

① 하나하나씩이 필요하면서도 충분한


② 하나하나씩은 충분하고 모두 합하면 필요한
③ 하나하나씩은 필요하고 모두 합하면 충분한
④ 하나하나씩 보아도 충분하고 모두 합해도 충분한
⑤ 하나하나씩 보아도 필요하고 모두 합해도 필요한

06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7쪽

9002-0040

05 ⓐ~ⓒ에 해당하는 예를 <보기>의 (가)~(다)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가) ‌지은이는 세차를 할 때마다 비가 왔다는 것을 떠올리고, 오늘 세차를 했으니 비가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 ‌번개가 번쩍이고 난 다음에 천둥소리가 들리는 것을 보고 번개가 천둥소리의 원인이라고 생각
한다.
(다) ‌말기 암에 걸린 환자가 심한 정서적 불안정에 시달리는 것을 보고 정서적 불안정이 암의 원인
이라고 판단한다.

(가) (나) (다)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67
인문 05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정서는 ‘특정한 내적·외적 변인들에 대해서 경험적, 생리적, 행동적으로 반응하려고 하는, 유전적으로
결정되거나 습득된 동기적 경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정서는 인지나 지각과는 대립되고 단절
된 정신 작용으로 간주되었으나 인지 심리학에서는 정서가 인간이 사물을 인지하고 지각하는 과정에 깊이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인지 심리학의 관점에서 정서가 인지에 관여하는 것은 정보 처리의 형태와
과정으로 설명된다.
일상생활에서 인지에 대한 정서의 관여 를 보여 주는 대표적인 것으로, 기분 일치 효과를 들 수 있다. 기
분 일치 효과는 사람이 어떤 특정한 기분 상태에 있을 때 그 기분과 유인가(valence) *가 일치하는 내용들을
쉽게 저장하거나 회상하는 경향을 말한다. 즉 기분이 좋으면 세상의 모든 사물이 긍정적으로 보이고, 즐거
웠던 과거의 기억들이 쉽게 상기되는 효과이다. 그런데 유쾌한 정서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이 효과가 대체
로 잘 나타나지만 불쾌한 정서 상태의 사람들에게는 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처럼 유
쾌 정서와 불쾌 정서가 인지에 미치는 효과가 서로 다른 이유는 각 정서 상태에서 발생하는 인지적 정보 처
리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일 수 있다.
인지적 정보 처리의 형태는 크게 체계적이고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는 정보 처리와, 어림법 *을 사용
하는 정보 처리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유쾌 정서는 어림법으로 정보 처리를 하게 만들고, 세부
사항에 대한 주의를 적게 기울이게 한다. 이는 인지적 능력 감소와 동기적 요인으로 설명되는데, 기분이 좋
으면 유쾌한 의미를 가진 사고들이 많이 활성화되어 과제에 대한 주의를 방해하게 되고 체계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능력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또한 기분이 좋은 상태에서는 현재 기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동
기가 작용하여 기분을 해칠지도 모르는 과제에는 별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반면에 불쾌 정서는 체계적, 분석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게 만들며, 과제의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게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처리의 형태는 주의의 방향과 기분 조절 동기 등으로 설명할 수 있
다. 몇몇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유쾌한 기분은 타인에게로 주의를 돌리게 만드는 데 비해, 불쾌한 기분은 주
의를 자기 내부로 향하게 한다. 기대와 현실의 괴리로 인한 불편한 느낌을 이해하기 위해 자기 내부로 주의
를 기울이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때로는 현재의 기분을 떨치기 위한 방법을 찾으려고 분석적인 처리 방식
을 취하거나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분 이외의 딴 것으로 돌리는 등 자신의 기분을 더 나아지게 만들기 위한
기분 회복 전략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정서는 어떻게 인지적 정보 처리 과정에 영향을 주는가?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형으로 ‘정
서 점화 모형’과 ‘정보로서의 기분 모형’이 있다. ㉠정서 점화 모형은 정서 상태가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정
보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한다고 가정한다. 이 모형에 따르면 인간의 기억 의미망 구조 속에 유쾌나 불쾌의
정서 마디가 자리 잡고 있고, 어떤 기분이 경험되면 그것과 연결된 다른 마디들에 정서의 효과가 확산된다.
따라서 유쾌한 기분은 과거의 기분 좋았던 경험과 연결되거나 또는 유쾌한 의미를 가진 사고나 심상들을 잇
달아 활성화하고, 그것들은 다시 현재의 정보가 처리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유쾌한 기분과 불쾌한 기분
의 처리 효과가 다른 이유는 우리가 유쾌한 정서와 더 친근하고, 유쾌한 정서와 연결된 의미 고리들은 불쾌
한 정서에 비해 더 광범위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06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8쪽

한편 ㉡정보로서의 기분 모형은 기분의 의식적 측면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이 모형에 따르면 기분은 현
재의 상황에 대해 판단을 내릴 때 필요한 의식적인 정보의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현재의 기분이 지금 상황
에 대한 나의 입장을 가늠하게 하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것이다. 우리가 복잡한 과제에 대한 어떤 사람의
수행을 평가할 때, 관련된 정보를 모두 따져서 평가하기보다는 그 사람의 수행을 보고 일어난 느낌을 가지
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판단으로 인해 실제로 기분을 초래한 것은 다른 원인인데 지금 눈앞에
있는 판단 대상이 그 기분을 일으켰다고 생각하는 잘못된 귀인 *에 도달하기도 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정서와 인지의 관계는 개입하는 정서의 종류나 정서의 일부 한정된 기능에 따라 다르
게 설명된다. 최근에는 인지에 대한 정서의 효과를 좀 더 포괄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지속되고
있으나 아직은 하나의 모델이나 구조에 의해 그 관계가 모두 설명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정서
가 인지에 다양한 형태와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지 심리학은 끊임없이 그 관계를 밝히기 위
해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 유인가: 목표의 매력성. 혹은 특정한 결과에 대한 정서적 방향성.


* ‌어림법: 불확실하고 복잡한 상황에서 문제를 가능한 한 빨리 풀기 위해 쓰는 주먹구구식 셈법이나 직관적 판단, 경험과 상식에 바탕을 둔
단순하고 즉흥적인 판단 추론.
* 귀인: ‘원인의 귀착’의 줄임말로, 어떤 일이 무엇 때문에 일어났는지 그 원인을 추론하는 것.

9002-0041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글의 핵심이 되는 용어의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② 심리적 작용과 관련된 서로 다른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③ 인지와 관련된 심리적 작용이 이루어지는 형태와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④ 인지 심리학이 발생한 배경을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와 연관 지어 설명하고 있다.
⑤ 심리적 작용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대조적인 심리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69
인문 05

9002-0042

02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① 전통적으로 인지는 정서에 영향을 주지만 정서는 인지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② ‌불쾌 정서를 가진 사람들은 어림법적 정보 처리에 의존하여 현실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③ ‌유쾌 정서를 가진 사람들과 달리 불쾌 정서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기분 일치 효과가 나타나
지 않는다.
④ ‌유쾌한 기분을 지닌 상태에서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은 기대와 현실의 불일
치를 해소하기 위해서이다.
⑤ ‌유쾌한 기분을 지닌 사람과 불쾌한 기분을 지닌 사람이 정보를 처리할 때 주의를 기울이는
방향은 상반되게 나타난다.

07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8쪽

9002-0043

03 인지에 대한 정서의 관여 와 관련하여, <보기>의 실험을 근거로 판단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포개스(Forgas)와 바우어(Bower)는 피험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나쁜 기분(불쾌한


정서)이나 좋은 기분(유쾌한 정서)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낯선 사람에 대한 긍정적 평가
내용과 부정적인 평가 내용이 섞인 글을 읽도록 하였다. 실험자는 각각의 그룹에 속한 피험자
가 글을 읽을 때 든 시간과 회상한 내용의 개수를 측정했는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단, 글에는 긍정적 내용과 부정적 내용이 동일한 양으로 들어 있으며, 모든 실험자에게 부여한
글 읽기 시간은 동일함.)

 나쁜 기분
나쁜 기분

회상한 내용
 
읽는 시간


 

 
(초) 좋은 기분
 (개수)
 좋은 기분 


긍정적 내용 부정적 내용 긍정적 내용 부정적 내용
기술문의 내용 기술문의 내용

※ 읽는 시간과 회상한 내용의 숫자가 높을수록 해당 정서와 인지의 상관성은 높다고 해석된다.

① 정서의 인지적 반응은 상황에 따라 기분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② 자신이 현재 느끼는 기분과 일치하는 내용에 대해 인지적 반응이 더 잘 나타난다.
③ 불쾌한 정서를 가진 사람이 유쾌한 정서를 가진 사람에 비해 타인에 대한 관심이 적다.
④ 유쾌한 정서를 가진 사람이 불쾌한 정서를 가진 사람보다 인지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뛰어나다.
⑤ 기분 일치 효과는 유쾌한 정서를 가진 사람보다 불쾌한 정서를 가진 사람에게 더 잘 나타난다.

9002-0044

04 ㉠과 ㉡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과 ㉡에서는 모두 상황에 대한 판단과 해석에 있어 정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② ‌㉠과 ㉡에서는 모두 현재의 기분이 상황 판단에 필요한 의식적인 정보의 역할을 하고 있다
고 본다.
③ ‌㉠에서는 과거의 정서가 현재의 기분을 자극하고, ㉡에서는 현재의 기분이 과거의 정서를
활성화한다고 본다.
④ ‌㉠에서는 기억에 저장된 선택적 정보에 의해서, ㉡에서는 상황과 관련된 모든 정보에 의해
서 상황 판단이 일어난다고 본다.
⑤ ‌㉠에서는 정서의 종류에 따라 정보 처리 형태가 다르다고 보지만, ㉡에서는 정서의 종류와
관계없이 정보 처리 형태가 동일하다고 본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71
정답과 해설 19쪽

9002-0045

05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상황을 분석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철수 : 와, 오늘 기분 참 좋다. 날씨도 정말 맑고 상쾌하지 않니? 오늘 같은 날 놀러 가면 정말 재
미있겠다.
영희 : 뭐가 날씨가 맑고 상쾌해? 오늘 날씨 예보 안 들었어? 오늘 미세 먼지가 얼마나 많은데.
ⓑ 철수 : 그래? 근데 난 왜 날씨가 좋다고 느껴지지? 아, 그러고 보니 내가 좋아하는 너를 만나서
그런가 보다.
ⓒ 영희 : 뭐라고? 나 지금 농담할 기분 아니야. 미세 먼지가 내 기분을 다 망쳐 놨단 말이야.
철수 : 에이, 아닌 것 같은데? 너 사실 어제부터 계속 기분이 엉망이었어. 어제 시험 망쳤다고 엄청
우울해하더니 지금도 계속 우울한 표정을 짓고 있잖아?
ⓓ 영희 : 어떻게 알았어? 그래, 네 말이 맞아. 사실 어제 시험을 망치고 나서 계속 우울했어. 이번
만큼은 시험을 잘 보고 싶었는데, 그 욕심 때문에 오히려 나 자신에게 너무 실망을 했나 봐.
ⓔ 철수 : 에이, 나중에 잘 보면 되지 뭐. 우리, 그러지 말고 노래방에나 갈까? 기분이 좋아질 수도
있잖아?

① ‌미세 먼지가 많은 날임에도 불구하고 ⓐ에서 철수가 기분이 좋은 상태에서 날씨가 맑고 상


쾌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기분 일치 효과 때문이겠군.
② ‌ⓑ에서 철수가 날씨가 좋다고 인식한 원인을 자신이 좋아하는 영희와의 만남에서 찾는 것은
유쾌한 기분이 타인에게로 주의를 돌리게 하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겠어.
③ ‌정보로서의 기분 모형에 따르면, 시험 때문에 기분이 나쁜 영희가 ⓒ에서 자신의 기분이 나
쁜 원인을 미세 먼지에서 찾는 것은 잘못된 귀인이라 판단할 수 있겠어.
④ ‌ⓓ에서 영희는 자신이 우울한 기분이 지속된 이유를 자기 내부에서 찾아 분석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어.
⑤ ‌ⓔ에서 철수가 영희에게 노래방에 가자고 하는 것은 현재의 기분을 떨치고 자신의 기분을
더 나아지게 만들기 위한 기분 회복 전략에 해당하겠군.

07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인문 06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공 지능의 발달로 언젠가는 우리와 똑같이 행동하는 로봇이 출현할 것이라고 전망할 수 있다. 사람들은
인간과 똑같이 행동하는 로봇은 과연 인간처럼 ‘생각’한다고 말해도 되는지, 아니면 ‘생각’은 하지 않고 인
간의 행동을 그냥 흉내 내는 것에 불과한지 의문을 갖기도 한다. 이 의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각한
다’는 것의 판단 기준을 정해야 한다. 똑같은 행동을 보고 어떤 사람은 생각한다고 말하고 다른 사람은 생각
하지 않는다고 말하면 논쟁은 제자리걸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20세기 초 영국의 수학자인 튜링은 모방 게임을 변형해서 ‘튜링 테스트’를 고안함으로써 생각한다는 것
의 기준을 제시했다. 모방 게임은 질문자가 남자 한 명, 여자 한 명과 요즘의 채팅처럼 필담으로만 질문을
주고받아 누가 여자인지 맞히는 게임이다. 방에 있는 남자가 최대한 여자인 척해서 질문자가 어느 쪽이 여
자인지 알아맞히지 못한다면 그 남자는 여자를 모방하는 게임을 통과했다고 말한다. 튜링 테스트는 모방
게임에서 여자인 척하는 남자를 사람인 척하는 기계로 바꾼 것이다. 질문자는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질문을
해서 상대방이 사람인지 알아내야 하고, 기계는 최대한 사람에 가깝게 대답을 함으로써 질문자가 맞히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만약 기계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다면, 다시 말해서 질문자가 답변자가 기계라는 것
을 알아맞히지 못한다면, 그 기계는 생각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려도 된다고 튜링은 생각했다.
튜링 테스트는 철학에서 물질과 정신 상태의 관계에 관한 이론인 동일론, 이원론, 기능론 중 기능론을 전
제하고 있다. 동일론은 정신 상태가 물질로 이루어진 뇌의 상태와 동일하다고 주장하는 이론이고, 이원론
은 그 둘이 별개라고 보는 이론이다. 이에 비해, 기능론은 정신 상태가 어떤 물질로 이루어졌느냐는 중요하
지 않고 어떤 기능을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시계는 태엽이나 전자 회로나 심지어 모래
와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지만 시계를 시계이게끔 하는 것은 그 재료가 아니라 지금 몇 시인지 측정
하는 기능인 것처럼, 정신에 대해서도 어떤 기능을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기능론은 이처럼 어
떤 입력이 들어올 때 어떤 출력을 내보낸다는 기능적, 인과적 역할로 정신을 정의한다. 인공 지능을 연구하
는 사람들의 목표는 인간과 물질 구조가 똑같은 로봇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똑같이 행동하는 로봇을
만드는 것인데, 이는 기능론적 사고방식이다.
과연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는 기계가 있을지 없을지 누구나 궁금해할 것이다. 그러나 그런 경험적 질문과
별개로 튜링 테스트가 생각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정확한 판단 기준이 되는지 개념적인 질문도 던져야 한
다. 곧 생각할 수 있는 기계만 이 테스트를 통과하고, 또 생각할 수 있는 기계라면 모두 이 테스트를 통과하
는지 질문해야 한다는 것이다.
튜링 테스트가 적절한 판단 기준이 되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비판 이 제기되었다. ⓐ첫째, 침팬지나 돌고
래도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데 아마 이 동물들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할
것이다. 이들은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질문자가 어떤 물건을 들고
이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이 질문에 대답하는 것처럼 사물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는 능력도 생각의 중
요한 기준이다. 그러나 튜링 테스트는 언어적인 능력에만 주목하기에 그런 감각 능력이 없어도 통과할 수
있다. 기계는 물어보는 대상이 무엇인지 모르면서 대답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기계는 결국 생각을 시
뮬레이션한 것에 불과한데 그것은 생각이 아니라는 비판이다. 이는 사람의 소화 과정을 모의실험한 시뮬레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73
인문 06

이션이 진짜 소화 과정이 아닌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넷째, 우리는 어떤 사람의 대화와 행동을 보고 그


사람이 생각할 수 있다고 판단하지만, 거기에는 그 사람이 우리와 똑같은 몸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그러나 내부 구조를 알 수 없고 오로지 겉으로 드러난 대화와 행동만을 보고 판단하는 튜링 테스트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9002-0046

01 윗글에서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인간과 다른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존재가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② 남자가 모방 게임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여자의 목소리를 완벽하게 흉내 낼 수 있어야 한다.
③ ‌이원론과 기능론은 정신 상태는 뇌의 상태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을 부인한다는 점에서 동일
하다.
④ ‌기능론은 인간과 똑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기계가 인간처럼 행동해도 생각할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⑤ ‌동일론은 뇌를 구성하는 물질과 그 상태가 우리와 같은 외계인은 우리처럼 생각할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9002-0047

02 ‘튜링 테스트’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어떤 기계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더라도 그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지는 별도로 확인해야
한다.
② ‌기계가 외모나 목소리에서 인간과 완벽하게 같다면 직접 대면하여 튜링 테스트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③ ‌기계는 튜링 테스트에 통과하기 위해 인간이 쉽게 풀지 못하는 수학 문제에 대해 척척 대답
할 것이다.
④ ‌튜링 테스트는 인간처럼 답변할 수 있는 로봇은 인간처럼 생각한다고 말할 수 있음을 보여
주려는 테스트이다.
⑤ ‌생각할 수 있음이 분명한데도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는 기계가 있다면 튜링 테스트는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의 적절한 판단 기준이 되지 못한다.

07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9쪽

9002-0048

03 윗글과 <보기>를 참고할 때, 존 설의 견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미국의 철학자 존 설은 다음과 같은 사고 실험으로 튜링 테스트를 비판한다. 어떤 방 안에 중국
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이 있다고 상상해 보자. 이 방에는 영어로 된 설명서가 있고, 그리고 중국어
답변들이 적혀 있는 수많은 종이 카드들이 비치되어 있다. 방 바깥에서 어떤 중국인이 중국어로 된
질문 하나를 방 안으로 들여보내는데, 방 안의 사람은 설명서를 참조하여 중국어 질문이 원하는 답
변이 적힌 종이 카드를 정확하게 찾아 카드를 방 바깥으로 내보낸다고 해 보자. 이 사람은 일종의
튜링 테스트를 통과한 것이다. 그러나 설은 그가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이 우리의 상식이
라고 말한다. 중국어 방 안의 사람은 글자의 모양만 보고 질문에 대한 답변을 처리할 텐데 사람의
이해나 생각은 글자의 의미 또는 내용에 바탕을 두고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① 존 설은 기계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해도 생각할 수 있다고 판단하지는 않겠군.


② 존 설은 물질과 정신 상태의 관계에 관한 이론 중 기능론을 받아들이지 않겠군.
③ ‌존 설은 결국 겉으로 드러난 대화와 행동을 보고 생각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없다고 말하는
셈이군.
④ ‌존 설은 튜링 테스트에서 기계가 질문자의 질문을 아무리 잘 이해해도 질문자는 기계인지
알아맞힐 수 있다고 보고 있군.
⑤ ‌존 설은 튜링 테스트에서 기계는 질문의 의미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정확한
답변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군.

9002-0049

04 여러 가지 비판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는 생각할 수 있는 기계는 모두 이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는 기준을 튜링 테스트가 만족


하지 못한다는 비판이다.
② ‌ⓑ와 ⓒ는 생각할 수 있는 기계만 이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는 기준을 튜링 테스트가 만족
하지 못한다는 비판이다.
③ ‌기계에 감각 기관을 갖추게 하여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게 하면 ⓑ가 제기하는 문제를 피해
갈 수 있다.
④ ‌실험실에서 만든 인공적인 석탄처럼 원래의 것과 구분할 수 없는 시뮬레이션도 있다면 ⓒ에
대한 답변이 된다.
⑤ ‌사람들은 내부 구조가 같을 때 겉으로 드러난 대화와 행동도 같으리라는 전제에서 다른 존
재가 생각하는지 판단하는데 ⓓ는 그 점을 간과하고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75
인문 07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어떤 존재에게 ‘도덕적 지위’가 있다는 것은 우리가 그 존재를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하고 그 존재에 대한


도덕적인 의무를 진다는 뜻이다. 인간은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권리의 주체가 되고 의무의 대상이 된다
는 점에서 인간에게 법적인 지위가 있는 것처럼 인간에게 도덕적 지위도 있다는 것은 상식이다. 반면에 길
가에 있는 돌멩이에 도덕적 지위가 없다는 것 또한 상식이다. 그러나 도덕적 지위가 있는지 논란이 되고 있
는 존재도 있는데, 동물의 경우가 그렇다.
돌멩이에는 도덕적 지위가 없다고 했지만 그 돌멩이가 누군가의 정원에 있는 희귀석이나 고고학적 가치
가 있는 돌멩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길가에 있는 돌멩이와 달리 그런 돌멩이들을 발로 차는 것은 도덕
적으로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경우라고 하더라도 돌멩이가 직접 가지고 있는 도덕적 지위를
침해했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 돌멩이를 발로 참으로써 다른 사람, 예컨대 희귀
석의 소유주나 인류 공동의 소유물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도덕적 의무를 다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덕적으
로 문제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돌멩이와 같은 사물은 도덕적 지위가 있다고 하더라도 ‘직접적인 도덕
적 지위’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도덕적 지위’를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동물은 길가의 돌멩이와는 어떤 식으로든 다르다고 생각하는 것이 우리의 상식이므로 동물에게는 길가의
돌멩이와 달리 어떤 식으로든 도덕적 지위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도덕적 지위가 있
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간접적인 것인가 직접적인 것인가는 논란이 된다. 동물에게는 간접적인 도덕적 지위
만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들을 살펴보자.
서양 근세의 철학자인 데카르트는 동물은 ‘자동인형’ 또는 ‘움직이는 기계’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그가
볼 때 동물은 즐거움이나 아픔을 경험할 수 없는 존재인데, 그는 동물이 고통을 느낄 때 몸부림치는 것이나
고통스러울 때 내는 소리가 태엽을 감은 자동인형이 움직이거나 시계가 째깍거리는 소리와 같다고 주장했
다. 데카르트가 동물을 자동인형과 같다고 간주했다고 하더라도 동물을 함부로 다루어도 된다는 결론이 꼭
나오는 것은 아니다. 누군가가 소유한 물건을 그의 허락 없이 훼손하면 법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
는 것처럼, 누군가가 소유한 동물을 함부로 다룬다면 그것 역시 법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기 때문
이다. 곧 데카르트는 동물이 사물처럼 간접적인 도덕적 지위만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데카르트의 주장은 우리의 상식과 어긋난다. 세상에는 주인 있는 동물보다 주인 없는
동물이 훨씬 많은데, 데카르트에 따르면 주인 없는 동물은 함부로 다루어도 되기 때문이다. 또 데카르트에
의하면 주인이 허락할 때는 개를 마음대로 발로 차도 된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이것도 상식과 맞지 않는다.
서양 근세의 철학자인 칸트도 데카르트처럼 동물은 직접적인 도덕적 지위를 갖지 못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이유는 다르다. 그에 따르면 동물을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되는 까닭은 만약 그렇게 하면 그런 행동이 인
간의 품성에 나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성 능력을 제외하고는 인간과 동물은 유사하므로, 동물에게
친절한 사람은 사람에게도 친절하게 대할 것이고 동물에게 잔인한 사람은 사람에게도 잔인하게 대할 것이
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칸트의 생각은 동물이 누군가의 소유물이 아니더라도 함부로 대하면 안 되는 이유를 제시해 주기 때
문에 데카르트에게 제시되었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주장에는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지

07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1쪽

구에 마지막 한 사람만 남았다고 가정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전혀 교류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에게


는 동물을 함부로 대하면 안 되는 이유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은 가상의 것이므로 현실
적이지 않다고 말할 수 있지만, 칸트가 말한 대로 정말로 동물을 잔인하게 대하면 잔인한 품성이 생기
는지는 경험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문제이다. 동물에게는 잔인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자비롭거나 거
꾸로 동물에게는 한없이 친절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잔인한 사람을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기 때
[A]
문이다.
개를 이유 없이 발로 차는 행동은 도덕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우리의 상식이다. 그와 같은 상
식을 받아들인다고 하면 개를 비롯한 동물에게는 어떤 식으로든 도덕적 지위가 있다고 주장해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보았듯이 동물에게 간접적인 도덕적 지위가 있다는 주장들은 모두 문제가 있었다. 그렇
다면 동물에게는 도덕적 지위가 아예 없다고 해야 하거나 아니면 도덕적 지위가 직접적으로 있다고 결
론을 내려야 한다. 개를 길가의 돌멩이처럼 취급하는 것은 우리의 상식에 어긋나므로 결국 우리는 동물
에게 직접적인 도덕적 지위가 있다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9002-0050

01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① 사물은 도덕적 지위가 없는 것이었다가 있는 것이 될 수도 있다.
② 칸트는 데카르트와 달리 동물을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③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친절하거나 모두에게 잔인한 사람은 있을 수 없다.
④ 데카르트는 동물은 주인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고통을 느끼는 여부가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⑤ ‌도덕적 지위가 있는지 논란이 되는 존재를 함부로 다룬다면 도덕적 비난은 받아도 법적인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77
인문 07

9002-0051

02 윗글의 글쓴이의 관점에서 <보기>의 대상에 ‘도덕적 지위’를 부여한다고 할 때, 적절하게 짝지은
것은?

ㄱ. 희귀하지도 않고 고고학적 가치도 없는 길가의 주인 없는 돌멩이


ㄴ. 누군가의 정원에 있는 희귀석
ㄷ. 주인 있는 동물
ㄹ. 야생의 동물

도덕적 지위 없음 간접적인 도덕적 지위 직접적인 도덕적 지위


① ㄱ ㄴ ㄷ, ㄹ
② ㄱ ㄴ, ㄷ ㄹ
③ ㄱ ㄴ, ㄹ ㄷ
④ ㄱ, ㄹ ㄴ ㄷ
⑤ ㄱ, ㄹ ㄷ ㄴ

9002-0052

03 [A]에서 사용된 논지 전개 방식이 아닌 것은?


① 상식에 부합하는 주장은 받아들여야 한다고 본다.
② 어떤 이론이 가상의 상황에까지 적용되는지 검토한다.
③ 경험적인 검토가 필요한 주장은 판단을 보류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④ 비슷한 주장을 하는 두 이론을 비교하여 한 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⑤ 두 가지 대안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없으면 다른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07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2쪽

9002-0053

04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영준은 심심하여 주인 없는 고양이를 발로 찼다.
B: 영준은 심심하여 자신의 이불을 발로 찼다.
C: ‌영준은 지구에 남은 최후의 한 명의 사람으로 자신의 고양이 한 마리와 함께 있다. 그는 심심하
여 고양이를 발로 찼다.
D: ‌진짜처럼 만든 가짜 고양이가 있는데 그 사실을 모르는 영준은 심심하여 그 고양이를 발로 찼다.

① 데카르트와 달리 칸트는 A의 영준의 행동이 옳지 않음을 설명할 수 있다.


② ‌데카르트와 달리 칸트는 C의 영준의 행동이 D의 영준의 행동보다 더 옳지 않음을 설명할 수
있다.
③ 칸트와 달리 데카르트는 B의 영준의 행동이 옳지 않음을 설명할 수 있다.
④ ‌데카르트나 칸트 모두 A의 영준의 행동이 B의 영준의 행동보다 옳지 않음을 설명할 수 있다.
⑤ ‌데카르트나 칸트 모두 A의 영준의 행동과 그가 다른 사람에게 하는 잔인한 행동 사이에는
인과 관계가 성립함을 입증해야 한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79
인문 08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아들러가 직접 창안하고 이름 붙인 개인 심리학은 심리학의 한 분야로, 개인의 사회적 감정을 중요시한


다. 개인 심리학을 창안하기 전에 아들러는 프로이트 초기 학파의 일원이었다.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에 대한 서평을 쓴 것을 계기로 프로이트와 인연을 맺게 된다. 그의 학설에 흥미를 느낀 아들러는 학회
의 초대 회장을 맡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그런데 프로이트가 성(性) 충동을 인간 행동의 근원으로 파악
하고 이를 모든 인간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아들러가 반박하면서부터 아들러와 프로이트 사이에
거리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프로이트와 아들러는 사회적 관계와 본능적 욕구 중 어떤 것이 인간의 성격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고 보는지에서 차이를 보였다. 프로이트는 사회적 관계보다 본능적인 욕구가, 아들러는 본능적인 욕구보다
사회적 관계가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특히 아들러는 사회적 존재인 인간의 성격이 형성되는 데에
열등감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아들러는 인간이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에 열등감을 갖게 된다고 보았다. 즉 인간은 사회 속에서 다른 사
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는 존재이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면서 열등감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
래서 갓 태어난 아기에게서는 열등감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했는데, 열등감은 인간이 어느 정도 사회성을
갖게 된 이후에야 마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아들러는 인간은 누구나 뛰어난 존재가 되고 싶다는 욕
구, 즉 우월감을 갖고 싶어 한다고 여겼다. 열등감은 우월감을 갖고 싶어 하는 인간의 욕구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병적인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심리라고 생각하였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
싼 이들에게 뒤처져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 그들보다 더 우월해 보이고 싶어 하는데, 이때 열등감은 열등
감을 극복하여 우월감을 갖기 위해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가 구체화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렇
게 의지를 가지고 열등감을 극복하여 남에게 인정받으려는 마음의 움직임이 인간을 행동하게 만드는 추진
력인데, 아들러는 이를 ‘권력에의 의지’라고 하였다. 따라서 아들러는 우월감에 대한 욕구가 인간을 움직이
는 최대의 동기라고 보았다.
프로이트가 신경증 *의 원인으로서 성 충동을 중시한 데 반해서 아들러는 자아의 욕구나 성격 경향이 신
경증을 낳는다고 주장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다시 말하자면, 프로이트는 성 충동이 억제된 과거의 경험이
어떤 사람을 규정한다고 여긴 반면, 아들러는 어떤 사람이 과거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목적을 갖
느냐에 따라 그의 모습과 미래가 변화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프로이트가 과거의 경험이 ‘원인’이 되어 현재
의 모습이 규정된다고 본 데 비해, 아들러는 어떠한 ‘목적’을 갖느냐에 따라 현재의 모습이 규정된다고 본
것이다. 아들러는 최초로 사회·문화적 요인을 신경증의 원인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당시 여성들이 지니고
있던 열등감이 남성들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데에서 생긴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하였다.
아들러는 인간은 누구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열등감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자기 긍정을 위해서는 이에 대
한 보상 *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런데 만일 열등감에 대한 보상이 없거나 과도하면 인격의 왜곡이 생긴다
고 하면서, 열등감에 대한 과다 보상의 결과로 뛰어난 업적, 반사회적 행동 등을 들었다. 열등감에 대한 과
다 보상의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예로는 뛰어난 업적을,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예로는 반사회적 행동
을 든 것이다. 아들러는 열등감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한 사람의 생활 양식이 형성되어 가기 때문

08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3쪽

에 그 방향이 잘못되었을 때는 이를 시정하기 위한 재교육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처럼 아들러는 인간이 과거의 경험에 얽매여 있다는 원인론적, 결정론적 이론과는 다른 관점을 보여 주
었다. 경험이 우리의 인격을 형성하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그 경험을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지니게 되
는 목적이라면서 목적론적, 비결정론적 이론을 주장한 것이다. 이는 인간은 충분히 변화할 수 있다는, 특히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므로 사회적 연대, 공동체 의식, 개인의 용기와 노력이 결합함으로써 미래가 긍정적
으로 바뀔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런 까닭에 아들러는 인간이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고 극
복할 용기를 가지면 변모할 수 있다고 설파한 것이다.

* 신경증: 심리적 원인에 의하여 정신 증상이나 신체 증상이 나타나는 병.


* 보상: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열등함을 의식할 때, 다른 측면의 일을 잘 해냄으로써 그것을 보충하려는 마음의 작용.

9002-0054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차이점을 위주로 다른 이론과 비교하며 중심 화제의 특성을 밝히고 있다.
② 문제를 제기한 후 그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③ 두 개념이 지니고 있는 장단점을 비교한 후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④ 여러 유사한 개념들을 분석하고 해석하면서 하나의 이론 아래 통합하고 있다.
⑤ 구체적인 사례와 관련되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그 방안의 한계를 설명하고 있다.

9002-0055

02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아들러는 열등감에 대한 보상이 적절히 이루어진 예로 뛰어난 업적을 들었다.
②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 형성에 사회적 관계가 미치는 영향을 중요하게 보았다.
③ 아들러는 인간의 성격 형성에 본능적인 욕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④ 프로이트는 신경증의 원인으로 자아의 욕구나 성격 경향보다 성 충동을 중시했다.
⑤ 아들러는 자신의 학설을 모든 인간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하려다 프로이트와 거리가 생겼다.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81
정답과 해설 23쪽

9002-0056

03 ‘열등감’에 대한 아들러의 견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갓 태어난 아기는 아직 사회성이 없기 때문에 열등감이 나타나지 않는다.
② 인간이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과정에서 자신을 타인과 비교하면서 열등감이 생긴다.
③ 인간은 누구나 뛰어난 존재가 되고 싶다는 욕구가 있기 때문에 열등감이 생기는 것이다.
④ 인간을 움직이는 최대의 동기는 병적 상태를 지칭하는 열등감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이다.
⑤ 열등감은 그것을 극복하고 우월감을 갖기 위해서 목표를 설정하여 그 목표가 구체화되는 것
을 돕는다.

9002-0057

04 <보기>에 대해 프로이트와 아들러가 보일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심리학 분야에서 트라우마(trauma)는 ‘정신적 외상’, ‘(영구적인 정신 장애를 남기는) 충격’을 가
리키는 것으로, 과거에 경험했던 위기나 공포와 비슷한 일이 발생했을 때 당시의 감정을 다시 느끼
면서 심리적 불안을 겪는 증상을 말한다.
A는 어렸을 때 물에 빠져 죽을 뻔한 적이 있어서 성인이 된 후에도 물에 들어가기를 두려워한다.
이런 경우, A가 어렸을 때 경험했던 공포감을 극복하지 못하여, 즉 트라우마 때문에 현재도 물에
들어가기를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① 프로이트는 A의 사례가 인간의 삶에 대한 목적론적, 비결정론적인 시각의 타당한 근거라고


주장할 것이다.
② 아들러는 A의 사례를 트라우마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가 원인론적이며 결정론적인 시각에
따른 것이라고 비판할 것이다.
③ 아들러는 A의 현재 모습을 규정하는 것은 트라우마를 준 과거의 경험이 아니라 A가 갖고 있
는 목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④ 아들러는 A가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고 트라우마를 극복할 용기를 가지면 충분히 긍정적으
로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⑤ 프로이트는 A의 사례가 과거에 경험했던 일이 원인이 되어 현재의 모습이 규정된다는 자신
의 견해가 옳다는 증거라고 주장할 것이다.

08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인문 09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상대주의자는 어떤 사람 또는 어떤 문화에 대해 참인 주장이 다른 사람이나 다른 문화에 대해서는 거짓일


수 있다는 주장을 한다. 어떤 주장이 참이라는 것은 언제나 개인 또는 문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참이라는 것
이다. 그들에 따르면 어떤 문제에 대한 절대적인 진리 같은 것은 없다.
상대주의는 상당한 논쟁거리를 제공하는 흥미로운 주장이지만, ㉠따분한 상대주의와 헷갈리지 말아야
한다. 나와 친구가 모두 “나는 떡볶이를 좋아해.”라고 말했다고 할 때, 같은 문장을 말했지만 ‘나’가 누구를
가리키는지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 내가 말한 문장은 참이고 친구가 말한 문장은 거
짓일 수 있기에 상대주의라고 부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서로 다른 주장에 대한 것이므로 관심을 가질 만한
흥미로운 상대주의는 아니다. ㉡흥미로운 상대주의는 같은 주장이 어떤 사람이나 어떤 문화에 대해서는 참
일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이나 다른 문화에 대해서는 거짓일 수 있다는 관점이다. 다시 말해서 흥미로운 의미
에서의 상대적인 진리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다.
상대주의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의 프로타고라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선언했는데, 이는 개개인의 견해가 모두 참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플라톤은 모든 진리가 상대적
이라는 주장에 대해, 모든 진리가 상대적이라는 주장이 절대적으로 참이라면 자기 반박이 된다고 강력한
반론을 제시했다. 프로타고라스 같은 상대주의자들은 모든 진리가 상대적이라는 진리 자체도 단지 상대적
이라고 주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대주의자가 이 반론을 피해 갈 수 있는 방법은 모든 진리가 상대적인 것은 아니고 어떤 진리는 상대적이
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가장 인기 있는 상대주의의 종류는 ‘도덕 상대주의’이다. 이것은 서로 다른 문화에는
서로 다른 도덕률이 존재한다는 전제로부터, 도덕성에는 객관적인 진리가 없다는 결론을 도출하는 이론이
다. 옳고 그름은 관점의 문제일 뿐이며 그러한 관점은 문화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도덕
상대주의자는 열린 마음, 평등, 자유의 수호자로 자처하기도 하고, 이것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자신들만의
고유한 진리를 다른 사람들에게 강요하는 오만한 사람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도덕 상대주의에 반대하는 것
은 문화적 제국주의를 찬성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더 나아가 인종 차별주의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도덕 상대주의자가 내세운 전제는 결론을 지지해 주지 못한다. 이 논증의 전제는 사람들이 무엇을
‘믿느냐’와 관련된 것으로, 어떤 사회에 속한 사람들이 믿는 바는 다른 사회에 속한 사람들이 믿는 바와 다
르다는 것이다. 그런데 결론은 ‘실제로는 어떠한가’와 관련되어 있다. 사람들이 믿는 바와 관련된 전제에서
는 실제와 관련된 결론은 논리적으로 도출될 수 없다.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회에서는 지구
가 평평하다고 믿고 또 다른 사회에서는 지구가 둥글다고 믿는다고 해서 지구에 대한 객관적 사실이 없다는
결론이 도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된다.
전제에서 결론이 도출되지 않는다는 것은 결론을 지지하는 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지 결론이 틀렸
다는 주장은 아니다. 도덕 상대주의 의 결론에 오류가 있음을 보여 주어야 한다. 도덕성에는 객관적인
진리가 없다는 도덕 상대주의의 결론은 옳고 그름의 척도란 없으며 각 사회의 기준만 있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을 전적으로 수용하게 된다면 결국 우리가 동의하기 힘든 결론에 이를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
여 도덕 상대주의의 오류를 드러낼 수 있다. 첫째, 이제 더 이상 다른 사회의 관습이 우리 사회의 관습보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83
인문 09

다 도덕적으로 열등하다고 말할 수 없게 된다. 도덕 상대주의를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노예제나 나치의


집단 학살이 옳지 않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도덕 상대주의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관습이나 역사적
[A]
사실에 대해 비난의 여지가 없다고 받아들여야만 한다. 둘째, 어떤 행위가 옳은지 그른지는 그 사회의
기준만을 참조해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가령 1975년에 남아프리카의 어떤 주민이 인종 분리 정책이
도덕적으로 옳은 것인지 판단할 때 자신이 속한 사회의 도덕률에 부합하는지 질문해서, 만약 부합한다
면 이 정책은 적어도 도덕적 관점에서는 전혀 고민거리가 아니게 된다. 셋째, 도덕적 진보라는 개념이
의문시되고 만다. 우리는 어떤 사회적 변화는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되어 간다고 생각한다. 여성의 사
회적 지위를 예로 들어 생각해 보면 된다. 그러나 도덕 상대주의가 옳다면 다른 시대의 기준으로 이전
시대를 판단하는 것은 잘못이므로 시대 간의 판단은 불가능하다.
도덕 상대주의라고 주장하는 것은 사실 ‘문화 상대주의’를 오해한 것이다. 문화 간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
는 것처럼 보이지만 잘 분석해 보면 그렇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예컨대 소고기를 먹는 것이
나쁘다고 믿는 문화는 윤회를 믿어 그 소가 자신의 할머니일 수도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 보자. 이
문화와 소고기를 먹는 것이 나쁘다고 믿지 않는 문화의 도덕률이 서로 다르다고 말해야 할까? 소고기를 먹
는 것이 나쁘다고 믿지 않는 문화도 할머니를 먹어서는 안 된다는 것에 동의할 것이므로,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그 소가 할머니일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것일 뿐이다. 모든 도덕률이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는 없는 것이고, 같은 도덕률이 서로 다른 문화에서 다른 방식으로 드러나는 것뿐이다. 이 점은 문화 상대주
의에서도 받아들이는 주장이다.

9002-0058

01 윗글의 글쓴이의 생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람들의 믿음이 다르다는 것과 객관적 사실이 없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② 어떤 문화에나 적용되는 객관적 도덕적 진리는 문화 제국주의에서나 성립한다고 주장한다.
③ 도덕성에 대한 도덕 상대주의자의 주장은 믿음이 아니라 실제와 관련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④ ‌도덕 상대주의의 주장이 틀렸음이 입증된다고 하더라도, 서로 다른 문화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한다.
⑤ ‌객관적인 도덕적 진리가 없다는 주장을 받아들였을 때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결론이
따라 나온다고 생각한다.

08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5쪽

9002-0059

02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의 의미에서 상대적인 진리들은 서로 양립할 수 있다.
② ㉠에서 내가 한 주장이 참이라면 그것은 나에 관한 어떤 사실에 근거해 참이 된다.
③ ‌㉠에서는 두 사람 모두 “지금 여기에는 비가 내려.”라고 말할 때 한 사람은 옳지만 다른 사람
은 거짓말을 하고 있을 수 있다.
④ ㉡에서는 같은 주장에 대해 사람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지 않는다.
⑤ ㉡에서는 인종 차별이 어떤 사람에게는 옳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옳지 않을 수 있다.

9002-0060

03 [A]에서 도덕 상대주의 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 들 수 있는 예로만 묶인 것은?


ㄱ. 사람들은 유대인에게 관용적인 사회가 반(反)유대주의 사회보다 더 낫다고 생각한다.
ㄴ. 사람들은 우리 사회가 합의한 이상에 부합하기 위해 개혁적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ㄷ. 사람들은 신분제가 있었던 조선 시대보다 현대의 민주 사회가 훨씬 좋아졌다고 생각한다.
ㄹ. 사람들은 반민주적인 정부에 항의하는 인사를 감옥에 가두는 국가에 항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ㄷ, ㄹ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85
인문 09

9002-0061

04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활동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선생님 : 플라톤은 『테아이테토스』에서 소크라테스의 발언을 빌려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는 프로
타고라스의 주장을 비판합니다. 『테아이테토스』에서 간추린 내용을 한번 볼까요?

“프로타고라스의 생각과 반대되는 판단을 하는 사람들은 그가 거짓된 생각을 한다고 믿고 있는


데, 프로타고라스는 그들의 생각이 참이라는 걸 확실히 동조할 겁니다. 모든 사람들이 각자 자
신의 방식대로 판단한다는 데 프로타고라스는 동의하고 있으니까 말입니다. 자신이 거짓된 생
각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의 생각이 참이라는 데 프로타고라스가 동의한다면 그
는 자신의 생각이 거짓이라는 데 동조한 것 아니겠습니까? ”

① ‌플라톤은 모든 진리가 상대적이라는 주장 자체에 ‘프로타고라스의 생각’도 포함되어서 결국


자기 반박이 된다고 보는군.
② ‌프로타고라스가 ‘자신의 생각이 거짓이라는 데 동조’하지 않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을 제
외한 모든 진리는 상대적이라고 주장하면 되겠군.
③ ‌프로타고라스는 개개인의 견해가 모두 참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했으니 ‘자신의 생각’
과 ‘반대되는 판단을 하는 사람’의 생각도 참일 수 있다는 데 동조하겠군.
④ ‌플라톤이 프로타고라스와 ‘프로타고라스의 생각과 반대되는 판단을 하는 사람들’을 대비하
는 것을 보니 그는 프로타고라스와 같은 상대주의에 모든 사람이 반대해야 한다고 보는군.
⑤ ‌플라톤이 ‘모든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방식대로 판단한다는 데 프로타고라스는 동의하고 있
으니까 말입니다.’라고 말한 것은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는 주장에서 나온
것이겠군.

08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6쪽

9002-0062

05 윗글을 읽고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고대 페르시아의 왕인 다리우스는 여행 중에 경험한 문화의 다양성에 대하여 흥미를 갖게 되었
다. 그는 칼라시아족은 죽은 조상의 시신을 습관적으로 먹어치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그
레시아 사람들은 시신을 화장하였다. 어느 날 그는 궁전에 우연히 들른 몇 명의 그레시아 사람들을
모아 놓고 그들에게 그들의 죽은 조상의 시체를 먹는 조건으로 어떤 대가를 원하는지 물어보았다.
그레시아 사람들은 충격을 받고 아무리 많은 돈을 주더라도 그러한 일을 하도록 설득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이번에는 몇 사람의 칼라시아 사람들을 불러들이고, 그들의 죽은 조
상의 시체를 화장한다는 조건으로 어떤 상금을 받겠는가를 물어보았다. 칼라시아 사람들은 공포에
질린 채 제발 그 같은 무시무시한 말을 하지 말아 달라고 애원하였다.
 - 헤로도토스, 『역사』

① ‌문화 상대주의자는 시신을 처리하는 서로 다른 관습들에 보편적인 도덕률은 없다고 생각하


겠군.
② ‌문화 상대주의자는 시신을 처리하는 서로 다른 관습들 중 어느 쪽이 열등하다고 말할 수 없
다고 생각하겠군.
③ ‌도덕 상대주의자는 칼라시아족과 그레시아 사람들의 관습 중 어느 쪽이 더 옳다고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하겠군.
④ ‌도덕 상대주의자는 칼라시아족이 시신을 먹는 문화는 그 사회의 기준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
다고 생각하겠군.
⑤ ‌다리우스의 제안을 받은 칼라시아 사람이 도덕 상대주의자였다면 도덕에 어긋난다는 이유
로 공포에 질린 채 애원을 하는 행동은 하지 않겠군.

[2부] 적용 학습 _ 인문 087
사회 특성과 출제 경향

사회 분야의 제재 종류 1 사회 분야의 글이란?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지리학, 여성학, 언론학, 법률학,
•사회에서 일어나거나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소개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글
문화학, 국제 관계학, 교육학 등 •사회 현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논리적,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글
•법을 다룬 법학, 사회 제도 및 사회의 다양한 현상을 연구하는 사회학, 기업의 경영을 다
룬 경영학과 경제 구조 및 경제적 활동을 탐구하는 경제학 등이 포함됨.

2 사회 분야의 글 읽기 방법
•사회 현상을 제재로 삼은 글의 경우 사회 현상의 특징에 주목해야 함. 이때 문제가 되는
현상을 제시하는 경우, 글에서 문제 삼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함.
•제도나 정책에 대해 설명하는 글은 제도나 정책의 특징과 함께 제도나 정책의 한계나 의
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에 해당하는 정보에 주목해야 함.
•글쓴이나 학자들의 견해·주장이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에 관한 정보를 바탕
으로 관점(입장)을 정확하게 파악해 구체적 사례나 상황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함.
•동일한 사회 현상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비교·분석하면서 읽어야 함.
•글의 목적을 고려하여 사회 현상에 대한 분석이나 주장이 타당한지 비판하면서 읽어‌
야 함.

3 사회 분야의 출제 경향
•사회 지문은 법, 행정, 경제, 경영, 사회, 통계, 방송, 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출
제됨.
•최근 들어서는 법이나 행정, 정책과 관련된 이슈들이 자주 출제되는 경향을 보임.
•사회 지문으로는 사회 현상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거나 사회 현상에 대한 해결 방안 및 제
도를 여러 관점에서 논리적인 과정에 따라 제시하는 글이 자주 등장함.
•지문에 대한 논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추론 결과를 도출하거나 제시된 논리를
또 다른 현상에 적용하는 문항이 많이 출제되고 있음.
•앞으로도 사회 영역의 다양한 분야들이 융합되어 길고 복잡한 사고 과정을 요구하는 지
문이 출제될 가능성이 높음.

[2019학년도 수능] 계약의 개념과 법률 효과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 채권과 CDS 프리미엄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사법의 계약과 그 효력
기출 제재 [2018학년도 수능] 정부의 정책 수단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 집합 의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 통화 정책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 사단 법인의 법인격과 법인격 부인론

08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4 이 책에서 다룬 사회 분야의 글

번호 제목

01 법의 적용

02 네트워크와 사회관계

03 상표의 탄생

04 양심의 자유

05 르페브르 - 공간의 해체적 읽기

06 근대 국가의 성립

07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말’

08 광고와 조건화

09 양적 완화

[2부] 적용 학습 _ 사회 089
사회 01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법은 인간의 생활 관계에서 바른 질서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 규범이다. 일반적으로 법의 적용은


삼단 논법을 따르는데, 추상적인 법규를 대전제로 하고 구체적인 사실 관계를 소전제로 하여 판결이라는
결론을 이끌어 낸다. 대전제인 법규가 명확하고 소전제인 사실 관계가 ⓐ확정된 것이라면 삼단 논법을 통
해 논리 필연적으로 어떤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하지만 법은 소송을 제기한 측인 원고(原告)와 소송을 당
한 측인 피고(被告)의 분쟁을 다루는 도구이기에 그렇게 간단히 삼단 논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
다. 그런 경우 중 하나는 소전제가 되는 사실 관계가 확정되지 않은 경우이다.
우리나라 법제에서 사실 관계의 확정은 반드시 증거에 기초하여야 하는데, 그 사실 관계는 원고가 제출
한 증거가 ⓒ조사됨으로써 인정될 수 있다. 다만 소송에서 원고가 제출한 증거를 피고가 그대로 인정하면
증거를 조사할 필요 없이 바로 판결로 이어진다. 이른바 청구의 인낙(認諾) *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청구의
인낙이 일어나는 경우는 대개의 소송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대신 원고가 제출한 증거는 그대로 인정하면
서도 법률상 다른 주장을 펴는 예가 가끔 있는데, 이 경우에도 증거 조사를 할 필요가 없다. 증거 조사란 사
실 관계에 대하여 쌍방 간에 다툼이 있을 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바로 판결을 하는데, 그 결론
은 원고가 승소할 가능성이 높다. 예외가 있다면 원고의 주장이 그 자체로서 타당한 근거를 가지지 못한 경
우이다.
그러면 원고가 제출한 증거를 피고가 인정하지 않는 일반적인 사건에 있어서 원고의 증거 제출에 대해 피
고가 변론(辯論)할 때 어떤 태도를 취할 수 있을까? 그러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는 부인(否認), 그러한 사
실 관계의 존재 여부를 잘 모르겠다고 하는 부지(不知), 아무런 말도 하지 않는 침묵(沈默)의 태도를 취할 수
있다. 이때 피고가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가는 그 후의 심리(審理) * 전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침묵의
태도를 취한 경우 여러 가지 사정을 종합하여 원고의 주장을 명백하게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고 인정되면 자
백을 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받아들여진다. 부인을 한 경우와 부지로 답한 경우는 원고가 증거로 인정될 만
한 자료를 제출하여 ⓓ입증을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적법하게 법정에 제출된 자료가 증거로 인정되면, 법관은 이를 바탕으로 사실 관계를
확정하는 심증(心證)을 형성하고 법을 적용하여 판결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제출된 자료를 증거로 인정하
기 위해 증거에 쓰이는 기초 사실을 증명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고, 때로는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입증에 따르는 곤란을 피하기 위해 일정한 사실 관계의 존재나 부존재를 ㉠추정(推定)하거나‌
㉡의제(擬制)하기도 한다. 추정은 어떤 사항과 동일한지의 여부가 불확실한 다른 사항을, 사실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일단 진실로 가정하여 법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두 사람이 동일 사건으로
사망한 경우 동시에 사망한 것으로 추측하여 인정하는 것이 추정의 예인데, 추정은 불이익을 받는 자가 반
대 사실 관계를 입증하면 ⓔ번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의제란 어떤 사항이 다른 사항과 본질은 같지 않지만
법률에서 두 사항을 동일한 것으로 처리하여 동일한 효과를 주는 일을 말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불법 행위
에 대한 손해 배상의 청구권에 있어서 태아(胎兒)를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즉 법이 공
익상의 필요 등 때문에 사실 관계의 존재나 부존재를 법 정책적으로 확정하는 것인데, 실제로는 진실이 아
니라고 하더라도 사회생활의 필요에 의해 사실로 확정해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반증만으로 번복되지 않는

09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7쪽

것이 특징이다.

* 청구의 인낙: 피고가 원고의 청구 내용인 권리나 주장을 전면적으로 긍정함.


* 심리: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 관계 및 법률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법원이 증거나 방법 따위를 심사하는 행위.

9002-0063

01 윗글을 근거로 할 때, 제시된 내용의 진위를 바르게 판단한 것은?


내용 진위의 판단
대개의 소송에서 원고가 제출한 증거를 피고가 반박하지 않고 그대로
① 그렇지 않다.
인정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법은 목적성을 가지고 있는 사회 규범으로, 소송을 제기한 측과 소송을
② 그렇지 않다.
당한 측의 분쟁을 다루는 도구이다.
‘부지’는 원고가 제출한 증거를 피고가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피고가
③ 그렇지 않다.
변론할 때 취할 수 있는 태도 중 하나이다.
사실 관계가 확정되지 않았고 그와 관련된 법규가 명확하지 않은 사건
④ 그렇다.
에서는 삼단 논법에 의해 올바른 결론을 이끌어 내기 어렵다.
불법 행위에 대한 손해 배상의 청구권에 있어서 태아를 이미 출생한 것
⑤ 그렇다.
으로 보는 것은 ‘추정’에 의해 사실 관계를 확정하는 것에 해당한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091
사회 01

9002-0064

02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에 제시된 소송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확정되지 않은 사실 관계: ‘을’이 ‘갑’의 자전거를 고의로 망가뜨렸다.
•소송 전개: ‘갑’이 ‘을’에 대해 손해 배상 소송을 제기하였다.
•사실 관계와 관련한 법규

민법 제750조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 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


할 책임이 있다.

① ‌사실 관계가 확정되어 삼단 논법에 따라 법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면 민법 제750조는 대전제,


“‘을’이 ‘갑’의 자전거를 고의로 망가뜨렸다.”는 소전제가 되겠군.
② ‌‘을’이 ‘갑’의 자전거를 고의로 망가뜨렸다는 물증이 소송 전개 중에 발견되어 증거로 인정되
었다면 법관은 이를 통해 사실 관계를 확정하는 심증을 형성하겠군.
③ ‌‘을’이 ‘갑’의 자전거를 고의로 망가뜨렸다는 증거가 ‘갑’에 의해 제시되고 ‘을’에 의해 청구의
인낙이 이루어졌다면, 증거를 조사할 필요 없이 판결로 이어지겠군.
④ ‌‘을’이 ‘갑’의 자전거를 고의로 망가뜨렸다는 증거를 그대로 인정하면서도 법률상 다른 주장
을 펼쳤다면 증거 조사를 실시하여 사실 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군.
⑤ ‌‘을’이 자전거를 고의로 망가뜨렸다는 증거를 ‘갑’이 제출한 것에 대해 ‘을’이 침묵의 태도를
취했다면, 이후 재판 과정에서 침묵이 ‘을’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겠군.

9002-0065

03 ㉠,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은 확실하지 않은 사실을 진실한 것으로 인정하는 특징이 있다.
② ㉡은 본질이 다른 것을 법률상 동일한 것으로 처리하여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③ ㉠은 ㉡과 달리 반대 사실 관계만 입증된다면 번복될 수 있다.
④ ㉡은 ㉠과 달리 법규에 의해 일정한 사실 관계의 존재나 부존재를 확정하지 않는다.
⑤ ㉠과 ㉡은 모두 입증에 따르는 곤란을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09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7쪽

9002-0066

04 ⓐ~ⓔ의 사전적 의미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일을 확실하게 정함.
② ⓑ: 알맞게 이용하거나 맞추어 씀.
③ ⓒ: 사물의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살펴보거나 찾아봄.
④ ⓓ: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함.
⑤ ⓔ: 이리저리 뒤쳐 고침.

[2부] 적용 학습 _ 사회 093
사회 02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무엇을 아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누구를 아는지가 중요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관계의 중요


성을 말하고 있다. 사회학자들은 한 사람이나 집단을 다른 사람이나 집단과 연결하는 모든 직간접적인 관
계를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사회 집단은 이와 같은 네트워크를 확보하는 중요한 원천이지만,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해서 모두 사회 집단인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많은 관계는 사회 집단의 중요한
특징에 해당하는, 기대 및 정체성의 공유를 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우편 발송 명부에 올라 있는
사람들은 일종의 네트워크를 이루지만 우리가 온라인 우편 발송 명부에 같이 올라 있다고 해서 그들과 정체
성을 공유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는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거나 승진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 주는 등 우리에게 여러 가지 방
식으로 기여한다. 그리고 사회 집단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회 집
단에 가입한 사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득을 얻고 자신의 영향력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사회학자들은 사
회 집단의 구성원이 됨으로써 얻게 되는 이러한 이익을 사회적 자본 이라고 부른다.
사회적 자본은 사람을 효과적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데 유용한 사회적 연결망과 효과적인 행동을 지배하
는 규범에 대한 이해, 상호 의무감과 신뢰 등 다른 여러 사회적 자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학생들이 종
종 학생회나 대학 신문사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데, 그런 활동은 졸업 후에 사회에서 필요한 일을 숙련하
고 그 대가를 받을 수 있는 관계를 만들어 주기도 한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차이는 거시적인 사회적 불평등
을 반영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성별이나 인종, 부의 정도 등은 사회적 자본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는 요소
이다.
㉠로버트 퍼트넘은 사회적 자본을 외향적이고 포괄적인 ‘연결 사회 자본’과 내향적이고 배타적인 ‘구속
사회 자본’으로 구분한다. 연결 사회 자본은 사회적 격차를 넘어 사람들을 통합한다. 반면에 구속 사회 자본
은 배타적 정체성과 집단의 동질성을 더욱 강화해 준다.
사회적 관점에서 보면 사회적 자본, 특히 연결 사회 자본은 더 큰 공동체의 한 부분이라는 느낌을 제공하
여, 다른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도 자신과 함께 그 공동체 속에 포함된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퍼트넘은 사회
집단에 참여함으로써 상호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는 능력, 신뢰감 및 소속감 같은 사회적 자본을
얻을 수 있고, 이런 종류의 사회적 자본은 효과적인 시민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런
의미에서 사회적 자본이 강하면 민주주의가 발전한다. 실제로 국가 간 비교 조사 결과, 상대적으로 민주주
의가 발달했다고 평가되는 미국은 시민 참여의 수준이 세계에서 상당히 높은 축에 속했다. 하지만 최근 30
여 년 동안 미국에서는 서로를 묶어 주었던 다양한 사회 집단에서의 시민적 참여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사회 집단 참여 감소와 더불어 대통령이나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의 투표율도 1960년대 후반을 정점
으로 상당히 떨어졌다. 퍼트넘은 이와 같은 변화를 민주주의의 위기와 공동체 상실의 징후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몇몇 사회학자들은 사회적 참여의 방식이 달라졌을 뿐 사회적 참여 자체가 감소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데보라 챔버스는 ‘친구 관계’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유형의 결합과 사회적 연계가 등장하고 있
고, 이 중에 일부는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친구 연결
망은 면대면 접촉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 공동체와는 분명히 다르지만, 그런 방식이 사회적 자본을 연결해

09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8쪽

서 사회적 연계를 만드는 데 덜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현대의 다른 많은 사회 운동 역시 기


존처럼 주요 채널을 이용한 전통적인 정치적 방식에 의존하기보다는 웹 사이트나 이메일 등을 통해 직접적
으로 조직되고 실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우리가 현재 목격하고 있는 것은 민주주의의 종말이 아니
라 평등과 상호 존중에 바탕을 둔 새로운 사회적 연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인류는 오랜 기간 매우 가까운 사람들과 폐쇄적이고 제한적인 관계 속에서 상호 작용을 해 왔다. 하
지만 산업 혁명을 통해 대규모의 탈인격화된 관료제가 등장하고 그 속에서 사람들이 서로를 잘 알지 못
하게 되면서 사회적 상호 작용의 성격이 바뀌었다. 오늘날 정보 혁명은 다시 한 번 인간의 상호 작용을
[A] 변화시키고 있다. 미래의 사회 집단들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친밀성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 줄지
도 모르지만, 그렇게 되지 않는다면 고독과 단절 같은 사회 문제가 더 심화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새로운 소셜 미디어를 기존의 면대면 상호 작용과 더불어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9002-0067

01 사회적 자본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네트워크를 통해 얻게 되는 사회적 이익과 영향력을 의미한다.


② 시민 사회에 대한 개인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③ 성별이나 인종, 부의 정도에 따라 불평등한 분포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④ 집단 내 동질성을 강화하여 해당 집단과 다른 집단 사이의 통합에 기여한다.
⑤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사회적 연계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9002-0068

02 ㉠과 ㉡을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과 ㉡은 모두 정보 통신 네트워크가 인간의 사회적 참여를 감소시켰다고 보고 있다.
② ㉠과 ㉡은 모두 공적인 관계로 이루어진 사회 집단만을 네트워크에 포함시키고 있다.
③ ㉠과 ㉡ 모두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연계를 만드는 데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함을 인식하고
있다.
④ ㉠은 네트워크가 사회 불평등을 야기한다고 보고 있고, ㉡은 네트워크가 사회 통합에 기여
한다고 보고 있다.
⑤ ㉠은 시민의 참여를 통해 민주주의가 발달할 수 있다고 여기고 있고, ㉡은 시민의 참여 없이
도 민주주의가 존속된다고 여기고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095
사회 02

9002-0069

03 [A]의 내용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산업 혁명 이전의 사회 집단 구성원들은 주로 배타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겠군.
② 산업 혁명 이후의 사회 집단의 사회적 연계는 이전 시대에 비해 더 확장되었겠군.
③ 산업 혁명 이후에 등장한 탈인격화된 관료제는 정보 혁명 이후에 점차 소멸되겠군.
④ 정보 혁명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은 ‘친구 관계’를 바탕으로 한 것이겠군.
⑤ 정보 혁명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고독과 단절은 공동체 상실의 징후와 관련된 것이겠군.

9002-0070

04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A씨는 고등학교 동문회에 가입하였다. 이 동문회의 회장은 유명 기
업인인 B씨가 맡고 있으며, 각계각층의 유명 인사들이 많이 소속되어 있다. 전국적인 조직을 가지
고 있는 고등학교 동문회 출신들은 회원이 운영하는 기업체에 동문 사람들을 추천해 주거나
회원 소유의 각종 사업체 이용에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다. A씨는 고등학교 동문회 가입
후 동문회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으며, 회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좀 더 활발하게 하기 위해 인터
넷 커뮤니티 개설을 주도하였다. 이를 통해 회원들은 일 년에 몇 번 정기적인 모임에서만 이루어지
던 소통을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상시적으로 행하게 되었다. 최근 이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고등학교 동문회는 NGO 단체인 △△와 연계하여 결식아동을 돕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고, 그
취지에 공감한 동문회 회원들은 성금을 모아 △△를 통해 결식아동들에게 도시락을 제공하고 있다.

① B씨는 A씨와 알고 지내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A씨의 인적 네트워크의 범위에 포함될 수
없겠군.
② 고등학교 동문회의 인터넷 커뮤니티의 개설 이후 회원들 사이의 사회적 연계는 이전보
다 훨씬 줄어들게 되겠군.
③ 고등학교 동문회와 △△가 함께 하고 있는 캠페인은 기존의 면대면 상호 작용과는 다른
성격의 새로운 사회적 연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④ 고등학교 동문회가 회원들에게 각종 혜택을 주는 행위는 동문회의 회원들을 연결한다
는 점에서 연결 사회 자본으로서의 성격을 보여 주는 것이겠군.
⑤ 고등학교 동문회 회원들과 A씨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지만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고등학교 동문회는 사회 집단으로 보기는 어렵겠군.

09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29쪽

9002-0071

05 <보기>의 부르디외의 관점에서 윗글의 ‘네트워크’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계급 위치를 특징짓는 것으로 ‘자본’을 들면서, 이를 경제
적 자본, 문화적 자본, 사회적 자본, 사회적 지위 개념과 유사한 상징적 자본의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네 가지 유형의 자본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어떤 자본의 소유가 다른 자본들을
추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시 말해 자본의 소유는 다른 자본의 소유를 가져오며, 이렇게 형성된
자본은 인간의 사회적 계급을 결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계급은 인간들 사이의 ‘구별 짓기’의 도구
가 되며, 이를 통해 사회적 계급 구조는 공고화된다.

①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소통은 인간 사회를 구분 짓고 분열시킬 수 있다.


② 네트워크는 현실 사회에서 사회적 자본을 다른 자본들과 통합시키지 못하고 고립되게 한다.
③ 네트워크가 사회적 자본과 다른 자본들을 적극적으로 연계해야만 ‘구별 짓기’가 희석될 수
있다.
④ 네트워크는 사회적 자본만을 부각하여 자본들 간의 연계와 통합을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
게 한다.
⑤ 네트워크는 배타적인 성격으로 인해 자본들 사이의 연관성을 단절시켜 계급 형성을 억제하
고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097
사회 03

[01~0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사랑에 빠진 줄리엣은, 로미오가 자기 가문과 원수 관계인 몬


테규 가문 사람인 것을 알고 심란해서 혼자 이렇게 중얼거린다. “이름에 뭐가 있담? 장미꽃은 다른 이름으
로 불러도 똑같이 향기로운 게 아닌가? 로미오도 이름과 관계없이 본래의 미덕은 그대로일 텐데.” 사랑에
빠진 이들은 줄리엣처럼 이름보다 본질이 더 중요하다고 수백 년 동안 생각해 왔다. 그러나 변호사들의 생
각은 다르다. 이들은 이름을 보호받아야 할 법적 재산으로 여긴다. 실제로 몇몇 경우에 이름이 가리키는 대
상보다 이름 자체가 더 중요해지기도 했다. 이는 기업과 상표의 등장이라는 중요한 변화 때문으로, 어떤 학
자는 상표와 기업의 등장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옛날에는 상표(brand)라는 개념이 없었다. 맛이나 향기처럼 한 물건을 다른 물건과 구별하는 특징은 그
물건에 ㉠내재해 있다고 믿었다. 포장을 해서 파는 제품과 광고를 하는 제품은 별로 없었다. 제품의 명성은
입소문이나 시장을 개척하는 상인들을 통해 퍼졌을 뿐이다. 구매자를 위한 법적 보호 장치도 없었고 제품
의 품질을 따져 볼 책임은 제품을 사는 사람에게 있었다. 그래서 제품의 품질을 보증해 주는 것은 판매자 개
인에 대한 ㉡평판이나 구매자의 안목뿐이었다. 판매량은 많지 않았고 판매자와 구매자의 관계는 인격적이
었다.
이런 상황은 산업화의 진전으로 같은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업들이 19세기에 등장하면서 변하기
시작했다. 규모가 커진 기업들이 대량 소비 시장을 겨냥해 제품을 만들고 광고망을 ㉢구축하였다. 제품을
실제로 만드는 사람은 노동자들이었지만 이름을 내건 것은 기업들이었다. 운송의 ㉣효율이 개선돼 먼 곳까
지 제품을 가져다 팔아도 수지가 맞게 되면서, 구매자들이 전보다 훨씬 넓은 지역에 퍼져 있는 시대가 되었
다. 같은 기업이 여러 지역에 공장을 세우면서 한 제품이 특정 지역과 연결되는 일도 없어졌다. 생산자와 소
비자 사이의 ⓐ인격적 거래 관계는 없어졌고, 소비자는 생산자가 아니라 기업의 이름을 보고 제품을 선택
하는 시대가 되었다. 대량 소비 시장은 각 거래에서 발생하는 이윤이 전보다 적어졌기 때문에 기업들은 반
복 구매에 승부를 걸게 되었다. 구입한 제품에 한 번 만족한 소비자들은 계속 같은 제품을 구입할 것이기 때
문이다.
한편 19세기 들어 포장된 제품과 통조림이 많이 보급되면서 구매자들은 내용물을 직접 확인하지 못한 채
제품을 사게 되었다. 따라서 제품을 살 때 포장에 적힌 제품의 정보를, 특히 상표나 기업의 이름을 믿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구매자들이 제품의 품질을 믿게 하기 위해 기업은 불순물을 섞어 파는 사람들이나 위
조범들로부터 상표나 기업의 이름을 보호해야 했다. 결국 ⓑ비인격적 거래 관계는 구매자들로 하여금 기업
을 금방 생각나게 해 주는 상표를 믿도록 만들었다. 즉 기업의 등장으로 실제 생산자의 이름은 아무런 의미
가 없어져 드러내지 않았으며, 상표나 기업의 이름이 무엇보다 중요해진 것이다.
㉤통상의 규모가 전 지구적으로 커지자 한 제품이 많이 알려질수록 그에 따르는 잠재 이익도 엄청나게 커
졌다. 이제 기업들은 제품 수요를 자극해야 했다. 여기에는 많은 광고비가 들었다. 광고의 내용은 제품의
사용법이나 성분을 알리는 것에서 다른 제품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바뀌어 갔다. 상표에 대한 구
매자들의 충성도가 높아지면 제품 가격에 프리미엄도 붙었다. ㉮ 상표의 가치는 기업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
되곤 했다. 상표 덕분에 기업들은 총판권을 가질 수 있었고, 거대 복합 기업들에 여러 분야의 사업이 집중되

09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0쪽

었다. 전문성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기업도 유명 상표를 사들이기만 하면 쉽게 한 분야에 진입할 수 있게


되기도 했다.
상표가 유용한 것은 구매자들이 그 상표를 오래된 친구처럼 익숙하게 느끼고, 상품에 대한 믿음을 갖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래된 친구와 달리 상표는 자본의 요구를 따르는 비인격적 자산일 뿐이다. 장미에
다른 이름을 붙여도 그 향기는 감미로울 것이다. 하지만 상표를 다른 이름으로 부르면 전에는 생각하지 못했
던 다른 이미지가 떠오를 것이고, 그러면 기업의 자산으로서는 쓸모가 없어질 것이다. 이름이 도대체 무엇이
냐고? 이름은 손도, 발도, 얼굴도 아니다. 그러나 기업에 이윤을 가져다주는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9002-0072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상표가 탄생하고 변화하는 흐름을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다.
② 비유적인 표현과 자문자답의 형식을 통해 상표가 지닌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③ 유명한 문학 작품을 이용하여 글을 시작함으로써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④ 상표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이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⑤ 인과 관계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며 상표의 중요성이 커지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9002-0073

02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옛날에는 한 물건을 다른 물건과 구별해 주는 특징이 그 물건 안에 내재해 있다고 보았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상표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다.
② 산업화의 진전으로 똑같은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업들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구매
자들은 여전히 기업이 아닌 생산자의 이름에 따라 제품을 선택했다.
③ 19세기 들어 포장과 통조림이 많이 보급되면서 구매자들이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게 되어
제품을 사려면 기업의 이름을 믿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④ 통상 규모가 전 지구적으로 확대되면서 커지는 잠재 이익을 실제 이익으로 실현시키기 위해
기업들은 제품 수요를 자극하는 광고를 만들었다.
⑤ 구매자들이 상표를 믿고 상품을 구입하게 됨에 따라 전문성을 갖고 있지 않던 기업도 유명
상표를 사들이면 새로운 분야에 쉽게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099
사회 03

9002-0074

03 <보기>의 ‘노인’이 ㉮에 대해 언급할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는 잠자코 열심히 깎고 있었다. 처음에는 빨리 깎는 것 같더니, 저물도록 이리 돌려 보고 저리
돌려 보고 굼뜨기 시작하더니, 이내 마냥 늑장이다. 내가 보기에는 그만하면 다 됐는데, 자꾸만 더
깎고 있다. 인제 다 됐으니 그냥 달라고 해도 못 들은 체한다. 차 시간이 바쁘니 빨리 달라고 해도
통 못 들은 체 대꾸가 없다. 점점 차 시간이 빠듯해 왔다. 갑갑하고 지루하고, 인제는 초조할 지경
이다.
더 깎지 아니해도 좋으니 그만 달라고 했더니, 화를 버럭 내며,
“끓을 만큼 끓어야 밥이 되지, 생쌀이 재촉한다고 밥이 되나? ”
하면서 오히려 야단이다. 나도 기가 막혀서,
“ 살 사람이 좋다는데 무얼 더 깎는단 말이오? 노인장, 외고집이시구료. 차 시간이 없다니
까…….”
노인은
“다른 데 가 사우. 난 안 팔겠소.”
하는 퉁명스러운 대답이다.
지금까지 기다리고 있다가 그냥 갈 수도 없고 차 시간은 어차피 늦은 것 같고 해서, 될 대로 되라
고 체념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 마음대로 깎아 보시오.”
“ 글쎄, 재촉을 하면 점점 거칠고 늦어진다니까. 물건이란 제대로 만들어야지, 깎다가 놓으면 되
나? ”
 - 윤오영, 「방망이 깎던 노인」

① 상품의 품질보다 상표의 가치가 가장 중시된다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② 기업이 고객에게 신뢰를 주려면 상표를 가장 중요한 자산으로 여기는 것이 필요하다.
③ 포장된 상품의 경우 내용물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상표에 초점을 둘 수밖에 없다.
④ 품질이 같은 상품의 경우 유명한 상표의 상품이 그렇지 않은 상품보다 비싼 것은 당연하다.
⑤ 정성을 기울여 상표를 만들면 홍보하지 않아도 고객들이 그 기업의 상품을 높게 평가할 것
이다.

10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1쪽

9002-0075

04 윗글을 읽고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기업들이 왜 자기 기업 상표의 이미지를 관리하기 위해 신경 쓰는지 알겠군.
② 명품이라 불리는 상표의 상품은 품질과 상관없이 구매자에게 호감을 주겠군.
③ 유명한 상표가 없는 기업들이 상품을 판매하는 데에 처음에는 어려움이 있겠군.
④ 기업이 상표에 프리미엄을 붙이면 그 상표에 대한 구매자들의 충성도를 높이겠군.
⑤ 기업이 구체적인 상품이 아니라 상표를 중심으로 하는 광고를 만드는 이유를 알겠군.

9002-0076

05 ⓐ,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① ⓐ와 달리 ⓑ는 상품을 거래하여 생긴 이익이 실제로 생산하는 사람에게 모두 돌아간다.
② ⓑ와 달리 ⓐ는 상품을 사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여 이루어지는 거래이다.
③ ⓑ와 달리 ⓐ는 상품을 사는 사람과 실제로 생산하는 사람 사이의 신뢰가 전제된다.
④ ⓐ와 ⓑ 모두 상품을 실제로 생산한 사람에 대한 정보가 드러난다.
⑤ ⓐ와 ⓑ 모두 상품에 그 상품을 만든 사람과 사는 사람의 인격이 담겨 있다.

9002-0077

06 ㉠~㉤의 사전적 뜻풀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어떤 사물이나 범위의 안에 들어 있음. 또는 그런 존재.
② ㉡: 세상 사람들의 비평.
③ ㉢: 체제, 체계 따위의 기초를 닦아 세움.
④ ㉣: 들인 노력과 얻은 결과의 비율.
⑤ ㉤: 여러 가지 상품을 사고파는 일정한 장소.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01
사회 04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헌법 제19조는 ‘모든 국민은 양심의 자유를 가진다.’라고 하여 기본권으로서 양심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
다. 양심의 자유의 헌법적 보장은 다수 가치로서의 법질서와 소수의 양심이 충돌할 경우, 개인의 윤리적 양
심을 보호함으로써 인격의 정체성을 지켜 주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볼 수 있다. 민주 국가의 법질서와 사
회 질서는 국가 구성원 다수의 정치적 의사와 도덕적 기준에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에서 벗어나려는 소
수의 양심에 대한 배려가 요구된다. 이러한 양심의 자유는 인간 내심(內心)의 자유로서 모든 자유의 근원적
성격을 지니는데 여기에서 양심은 일정한 세계관이나 가치관에 기초하여 형성된 선과 악에 관한 진지한 윤
리적 결정을 말하며, 개인의 인격 형성과 관계없는 단순한 사유나 의견은 양심에 속한다고 볼 수 없다. 양심
은 내면 영역과 외부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라 양심의 자유는 내면 영역에서의 ‘양심 형성의 자유’와
외부 영역에서의 ‘양심 표명의 자유’, ‘양심 실현의 자유’로 구분된다.
먼저 ‘양심 형성의 자유’란 외부로부터 부당한 간섭이나 강제를 받지 않고 양심을 형성하고 양심상의 결
정을 내리는 자유를 말한다. 올바른 양심 형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양심의 주체가 자율적인 양심 형성
을 위협하는 각종 영향력의 행사로부터 벗어나 있어야 한다. 국가가 특정한 양심이나 사상을 집중 홍보함
으로써 사실상 이를 강요하거나 양심상 결정에 위해가 되는 상황을 초래하는 것은 양심 형성의 자유에 대한
침해가 된다. 양심상의 결정이 어떠한 종교관이나 세계관 또는 그 외의 가치 체계에 기초하고 있는가와 관
계없이 모든 내용의 양심상의 결정은 양심 형성의 자유에 의하여 보장된다. 양심 형성은 내심 영역의 자유
로서 지극히 주관적 현상이고 이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양심 형성의 자유에 대한 침해는 실
질적 의미가 적다.
‘양심 표명의 자유’는 형성된 양심을 방해받지 않고 표명할 수 있는 자유를 말한다. 양심 표명의 자유가
실효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토론이 보장되어야 하며, 다수의 생각만이 언제나 타당하다는 전제에
서 벗어나야 한다. 양심 표명의 자유에는 침묵의 자유도 포함되는데, 이는 형성된 양심을 타의에 의하여 외
부에 표명하도록 강제당하지 않을 자유를 말한다.
‘양심 실현의 자유’는 작위에 의한 것과 부작위에 의한 것으로 나누어진다. 작위에 의한 양심 실현의 자유
는 양심에 따른 행동을 할 자유를 말하고, 부작위에 의한 양심 실현의 자유는 양심에 반하는 행동을 강요당
하지 않을 자유를 말한다. 그런데 서로 다른 양심을 가진 자들이 각자의 양심을 실현하고자 하면 타인의 기
본권을 침해하거나 헌법적 질서에 혼란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양심 실현의 자유는 국가 안전 보장, 질
서 유지, 공공복리를 위해 법률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양심의 자유를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조정하는 것은 양심의 자유의 본질에 부합하지 않는다. 양심
상의 결정이 조정 과정에서 내용이 왜곡되거나 굴절되는 순간 이 결정은 더 이상 양심에 근거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양심상의 이유로 환경 침해자들의 출판물을 인쇄하기를 거부하는 근로자가 인쇄
업무를 반으로 줄여 준다고 해서 거부 의사를 철회한다면 이는 더 이상 양심상의 결정이라고 볼 수 없게 된
다는 것이다. ㉠이처럼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양심의 자유는 인정되거나 인정되지 않거나 둘 중 하나로 결
정된다는 특수성을 지닌다.

10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2쪽

9002-0078

01 윗글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질문이 아닌 것은?


① 양심의 자유는 어떤 하위 범주로 나누어지는가?
② 양심 실현의 자유는 어떤 이유로 제한될 수 있는가?
③ 국가에 의한 종교의 강제는 양심의 자유를 침해하는가?
④ 양심의 자유는 헌법의 어느 조항에 근거하여 보장되는가?
⑤ 올바른 양심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9002-0079

02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양심의 자유는 모든 자유의 근원적 성격을 지닌다.
② 양심 형성의 자유는 객관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③ 모두가 각자의 양심을 실현하고자 한다면 타인의 기본권을 침해하게 될 수도 있다.
④ 누구나 자신의 양심을 자유롭게 표명하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토론이 보장되어야 한다.
⑤ 양심은 일시적이고 단순한 의견이 아니라 외부의 강제에 의해 형성된 진지한 윤리적 결정이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03
정답과 해설 33쪽

9002-0080

0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민법 제764조는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손해 배상과 함께 명예 회복에 적당한 처분을 과할
수 있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관련된 사건에서 ◯◯법원은 이 조항을 근거로 판결을 내리면서 갑이
을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보고 명예 회복에 적당한 처분으로 갑에게 ‘사죄 광고’를 명하였다. 여기에
서 사죄 광고란 사과 내용이 담긴 글을 신문에 게재하도록 명하고, 이에 불응할 경우 법원이 그 내
용을 만들어 강제로 신문에 게재하는 것을 말한다. ◯◯법원의 판결에 불복한 갑은 민법 제764조의
‘명예 회복에 적당한 처분’에 사죄 광고를 포함시키는 것은 헌법에 위배된다는 취지의 헌법 소원을
제출하였다. 이에 대하여 헌법 재판소는 사죄 표시는 자신의 행위가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판단
될 때 가능한데, 자신의 양심에 비추어 판결에 승복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본심에 없는 사과를 강제하
는 것은 헌법에 보장된 양심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명예 회복에 적당한 처분’에 사
죄 광고를 포함시키는 것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① ◯◯법원의 판결은 특정한 사상을 사실상 강요함으로써 양심상의 결정을 내리는 자유를 침
해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② ◯◯법원의 판결은 형성된 양심을 외부에 표명하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침묵의 자유를 침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③ ◯◯법원의 판결은 다수의 생각이 언제나 타당하지만은 않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소수의 양
심을 배려하고자 한 판결이라고 볼 수 있겠군.
④ 헌법 재판소의 판결은 판결에 승복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죄를 하는 행위를 양심에 반
하는 행동으로 볼 수 있다고 여긴 것이겠군.
⑤ 헌법 재판소의 판결은 양심에 따른 행동을 할 자유라 할지라도 공공복리를 위해 법률에 의
하여 제한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군.

9002-0081

04 ㉠을 나타내는 사례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의사가 양심상의 이유로 환자 정보를 노출하기를 거부할 때, 이를 제출하도록 강요하지 않
는다.
② 양심상의 이유로 전통 미술품의 판매를 거부할 때, 비용을 두 배로 지불하여 거래를 성사시
킨다.
③ 연예인이 양심상의 이유로 특정 기업의 광고에 출연하는 것을 거부할 때, 목소리만 나오는
조건으로 계약을 진행한다.
④ 어떤 대상에게 충성을 맹세할 것을 양심상의 이유로 거부할 때, 서면으로 서약을 받고 구두
로는 맹세하게 하지 않는다.
⑤ 기자가 양심상의 이유로 제보자를 노출하기를 거부할 때, 비밀을 지킬 것을 약속하고 제보
자의 신원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10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사회 05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어떤 현상을 ‘해체하여 읽는다’는 것은 그 현상을 해체하여 소멸시키겠다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고정 관


념을 해체하여 새롭게 조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공간을 해체하여 읽는다는 것은 공간을 창출하는
비가시적인 영역에 주목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앙리 르페브르는 ‘건축학의 공간’, ‘문학의 공간’처럼 공간을
구분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공간을 파편화한다고 비판하면서 공간을 창출하는 비가시적인 영역에 주목하여
일상생활과 사회를 포괄하는 공간 이론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는 공간이 사회의 고유한 성격과 사회적 관
계에 의해 끊임없이 생산되는 것이기에 모든 공간은 ‘사회적 공간’이라고 보았다. 르페브르는 사회적 공간
이 구체적 형태를 지닌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추상적, 정신적 공간을 아우르는 것으로서 공간을 생산하
는 주체들의 의도에 따라 상호 작용을 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며, ‘고안된(conçu)
공간’, ‘체험된(vécu) 공간’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공간을 인식하기 위해 자신의 의식 구조 안에서 일정한 이론적 형태를 지닌 담론을
만들어 낸다. 과학자, 도시 계획자, 예술가 같은 전문가 집단은 한 사회에서 정당하다고 간주하는 이론이나
중시하는 가치에 근거해 ‘고안된 공간’을 만들어 낸다. 이 공간은 추상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물리적
공간이나 도시 계획의 도면, 지도 등에 투영될 수 있다. 냉전 시대에 서방 국가들은 공산권 국가의 위협을
강조하기 위해 공산권 국가의 영토를 크게 확대해 왜곡한 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이념에 의해 고안된
지도의 공간은 대중들에게 공산권 국가의 위협을 각인시키는 데 일조했다. 이는 ‘고안된 공간’이 대중의 일
상생활에 영향을 끼쳐 지배층의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이에 비해 ‘체험된 공간’은 상상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개인의 주관에 따라 정신적으로 다양
하게 재현되는 공간이다. 재현이란 외적 대상을 주관으로 조합하고 상상을 통해 저마다의 방식으로 재생하
는 것을 의미한다. 연극을 감상하는 관객들이 상상력을 바탕으로 무대를 각기 개별화하여 체험하는 것처럼
이 공간은 개인의 사고에 따라 각기 달리 체험되는 공간이며, 유동성을 지니고 있다. 집에 대해 아시아와 유
럽, 현재와 과거의 사람들이 떠올리는 이미지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은 시대별, 장소별로 ‘체험된 공간’이
지닌 유동성을 보여 준다. 이러한 개별성과 유동성을 지닌 ‘체험된 공간’은 주민들의 집단적 정치 행동을 통
해 구체적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적 공간들이 상호 작용하는 일면을 이언 보든은 일상 공간에서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보여
주었다.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사람들은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도심의 기념비적 건축물이나 엄숙한 구조물
처럼 추상적인 담론을 형상화한 상징적 공간에서 자유롭게 자신들의 스케이트보드 기술을 뽐내곤 한다. 도
심의 기념비적 건축물이나 엄숙한 구조물은 사회적으로 중시하는 가치나 지배층의 담론에 의해 규범화된
일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사람들은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행위를 통해 기존의 규범
화된 공간을 상상력이 충만한 공간으로 바꾼다. 몇몇 서구 대도시에서는 이러한 행위가 공간과 사람의 관
계에 혼란을 초래한다며 해당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스케이트보드 통행 방지 장치를 덧붙였다. 이에 대해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사람들은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것은 범죄가 아니다! 우리를 괴롭히지 말라!’는 구호
를 내걸고 집단적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행위와 이들의 캠페인은 지배층의 담론을
규범화하여 강요하는 수직적 질서의 ‘고안된 공간’을 ‘체험된 공간’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05
사회 05

결국 ‘고안된 공간’에서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것은 규범화된 질서에서 벗어난 행위이며, 이들의 캠페인은


기존의 공간을 도시의 모든 주체가 자유롭고 평등하게 개별성을 누릴 수 있는 수평적 질서의 공간으로 변화
시키려는 저항인 셈이다.
이러한 점에서 르페브르는 일상생활에서 ‘체험된 공간’이 지닌 정치적 실천의 가능성을 강조한다. 일상
공간은 정해진 규범에 의해 통제되는 수동적 억압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상상력이 존재하는 능동적이고 자
유로운 공간이기도 하다. 르페브르는 일상 공간이 수동성과 창조성, 지배와 저항이라는 대립적 요소들의
병존이 만드는 모순과 긴장을 내포하고 있다고 보았다. 결국 그의 말처럼 ㉠일상 공간은 억압된 ‘No의 공
간’이기도 하지만, ‘Yes의 공간’이자 삶이 확인되는 공간이기도 한 것이다. 르페브르의 해체적 공간 읽기는
현대 도시의 일상 공간이 지배층의 담론에 의한 공간일 뿐만 아니라, 도시의 모든 주체가 개별성을 누릴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기도 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의 이러한 공간 읽기는 오늘날 대중들에게까지 ‘도
시에서 살 권리’를 확장하려는 다양한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9002-0082

01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르페브르’의 견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사회적 공간은 공간을 생산하는 주체들의 의도에 따라 끊임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② 일상 공간은 지배층의 담론뿐만 아니라 개인의 개별적 체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③ 연극의 관객들이 무대에 대해 떠올리는 이미지가 다르듯이 ‘체험된 공간’은 유동성을 지닌다.
④ 권력을 가진 존재들이 만든 ‘고안된 공간’은 다양한 방식으로 대중의 일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⑤ 일상생활에서 생산되는 모든 사회적 공간은 기존의 고정 관념에 의한 공간으로서 파편화된
공간이다.

10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3쪽

9002-0083

02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에 들어갈 내용을 추론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 중심부의 칭기즈 칸 광장에는 몽골 제국의 정복자 칭기즈 칸과 사회주
의 혁명의 영웅 수흐바타르의 동상이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몽골 정부는 정
권 수립에 공을 세웠던 수흐바타르 동상을 세워 광장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했다. 하지만 냉전의 붕
괴 이후 몽골 정부는 민족성을 강조하여, 웅장한 건물과 칭기즈 칸 동상을 광장에 새로 세우고 광
장의 이름도 수흐바타르 광장에서 칭기즈 칸 광장으로 바꾸었다.
이와 같은 광장의 변화는         ⓐ        을 알려 준다.

① ‘체험된 공간’이 대중을 억압하는 이념적 수단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


② 특정 이념이 개인별로 상이한 ‘체험된 공간’을 물리적 공간에 투영할 수 있다는 사실
③ ‘고안된 공간’이 억압한 대중의 일상적 공간이, 능동적 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
④ 한 사회에서 중요하다고 여기는 담론이 변화하면 ‘고안된 공간’도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
⑤ ‘고안된 공간’과 ‘체험된 공간’의 상호 작용이 주민들의 집단적 정치 행동으로 표출될 수 있
다는 사실

9002-0084

03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일상 공간은 수직적 질서의 공간을 긍정함으로써 수평적 질서의 공간을 확인하려는 자유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② 일상 공간은 규범화된 질서에 의해 억압되는 공간인 동시에 주체들이 개별성을 누릴 수 있
는 자유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③ 일상 공간은 규범화되어 강요된 공간과 연관되지 않은 새로운 공간으로, 지배층의 담론에
맞설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④ 일상 공간은 수동성과 창조성을 지닌 상상력의 공간에서 정해진 질서에 의해 규범화된 공간
으로 변화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⑤ 일상 공간은 규범화된 담론이 부정되는 공간이지만, 창조성과 저항이라는 대립적 요소를 수
용함으로써 지배층의 이념을 강화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07
사회 06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류의 정치 체제는 부족 및 부족 연맹에서 폴리스, 봉건 영주제, 종교 공동체, 도시 및 도시 연맹, 왕조,


국민 국가, 연방과 연합, 제국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해 왔다. 그중 근대 국가는 자본주의와
더불어 성장해 온 근대 특유의 제도로서 인류가 경험했던 다양한 형태의 정치 체제 가운데 하나이다. 근대
국가가 탄생하기 이전까지 정치는 지역적, 공동체적 혹은 도시적인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근대 국가가 성
립되면서 정치는 곧 국가에 관련된 것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또 근대 국가는 국가와 관련한 모든
요소들을 중앙 집권화, 위계화하였으며 스스로를 배타적인 정치체로 만들었다.
17세기 중반에 체결된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인해, 가톨릭교회의 영향력 아래 유럽을 지배하던 신성 로마
제국이 사실상 붕괴되면서 주권 국가의 개념이 생겨났다. 이후 주권 국가는 근대 정치 체제를 대표하는 전
형이 되었다. 주권 국가의 형태로 발전해 온 근대 국가는 대내적으로 특정한 영토와 그에 속한 사람들에 대
한 배타적인 지배권을 가지고 독특한 형태의 기구들을 발전시켰다.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해당 영토 내에서
유일한 주권체로 인정받았으며, 모든 국가는 평등하다고 간주되었다. 한편 이러한 근대 국가는 절대주의
국가에서 점차 국민 국가로 변형되어 갔다. 절대주의 국가와 국민 국가는 특정한 지리적 영토나 공간에 대
한 독점적 태도를 의미하는 영토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주권의 관점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존재
한다. 절대주의 국가의 주권이 군주에게 있었다면 국민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기 때문이다.
베링턴 무어는 주권이 군주에서 국민으로 이양되는 경로를 민주주의, 파시즘, 공산주의로 유형화하여 파
악하였는데, 국민 주권이 형식적인 것이든 실질적인 것이든 18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유럽은
국민 국가화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제국주의 시기를 거쳐 전 세계로 확산되었고,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본격적인 국민 국가의 시대가 꽃피게 되었다. 오늘날의 국가는 그 규모와 형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두 국민 국가로 간주된다. ‘국제 연합(UN)’에서도 국가의 규모와 형태에 관계없이 모
든 국가를 형식적으로나마 동등한 권리를 지닌 국민 국가로 간주한다.
한편 근대 국가의 출현과 성격을 설명하는 유력한 이론으로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자유주의자들은
정치권력의 부재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소유권이나 생명에 대한 분쟁의 해결을 위해, 계약에 의해 성립된
정치적 결사체, 즉 국가가 탄생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논리는 시장과 국가가 별개라고 주장하는 자유주
의의 일반적인 관념과는 달리 사회 혹은 시장에 대한 국가의 개입을 전제하고 있다. 국가가 사유 재산을 절
대적으로 보장하든, 자원의 배분을 계획하고 통제하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복지 정책을 펴든, 국
가는 어떤 형태로든 사회 혹은 시장에 개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마르크스는 국가를 지배 계급의 도구라고 규정했는데, 이때 지배 계급은 정치·경제적으로 노동
자나 농민을 억압하는 계급을 의미한다. 그는 역사의 발전 과정에 따라 계급이 철폐되고 궁극적으로는 국
가가 소멸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자본주의 국가는 자본에 대한 끊임없는 수정을 통해
자본주의를 재생산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국가는 자본에 종속된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
율적이라는 견해가 대두되었다.
마지막으로 ㉢베버는 국가를 역사적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제도로 파악했다. 그는 이념적인 측면보다 역
사적인 측면에서 국가를 분석하고자 했으며, 국가는 그 자체로 다른 여러 수준의 제도를 초월하여 자율적

10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5쪽

으로 존재하는 제도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국가가 존재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들로 인해 개인이나 집단이
상당한 수준으로 억압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개인의 재산과 권리를 중시하는 자유주의자들은 국가를 필요악으로 보았으며, 마르크스는 사회주의 국
가를 이행기적인 필요악으로 간주하고 특히 자본주의 국가를 타도의 대상으로 보았다. 이와 달리 베버는
국가가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고 앞으로도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9002-0085

01 윗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인류 정치 체제의 다양한 종류
② 근대 국가의 대내적, 대외적 특성
③ 국민 국가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
④ 자유주의자들이 생각하는 국가 성립의 이유
⑤ 절대주의 국가가 국민 국가로 이행하는 유형

9002-0086

02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17세기 베스트팔렌 조약은 유럽에서 주권 국가의 개념이 생기게 된 계기이다.
② 근대 국가의 성립으로 정치는 곧 국가에 관련된 것이라는 의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③ 절대주의 국가와 국민 국가는 모두 국가가 영토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④ ‘국제 연합(UN)’에서는 형식적일지라도 모든 국가를 동등한 권리를 가진 것으로 인정한다.
⑤ 제국주의 시기에는 전 세계적으로 국민의 주권이 군주에게로 이양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09
정답과 해설 36쪽

9002-0087

03 윗글을 읽고, <보기>의 이유를 추론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국민 주권을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던 근대 국가는 동시에 많은 폐단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특히
근대가 진행됨에 따라 확장되었던 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지 착취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비롯해
자국의 이익을 위해 강대국들이 벌였던 수많은 전쟁의 전면에는 늘 국가가 함께하였다.

① 국가는 소유권이나 생명에 대한 분쟁을 해결하는 결사체이기 때문에


② 국가의 주권이 국민이 아닌 절대적 군주에게 귀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③ 국가는 자본에 종속되지 않고 자율적으로 존재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④ 국가가 배타적 지배권을 가진 정치체로서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⑤ 국가가 대외적으로 평등하지만 대내적으로 정치·경제적 지배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9002-0088

04 ㉠, ㉡, ㉢의 견해를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과 ㉡은 모두 국가를 필요악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② ㉠은 ㉢과 달리 개인의 삶에 국가의 개입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③ ㉡은 ㉠과 달리 국가를 특정 계급이 다른 계급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④ ㉡과 ㉢은 모두 국가가 개인에 대한 억압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⑤ ㉢은 ㉡과 달리 국가를 이념적 측면이 아닌 역사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11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사회 07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근대의 일부 철학자들은 역사가 일정한 과정을 거쳐 발전하며, 그러한 발전의 끝에는 종말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였다. 칸트는 그의 저서에서 ‘보편적인 역사’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인류사의 과정 중에서 장기간에
걸쳐 완만하고 점진적인 진화의 발자취를 보이는 규칙적 움직임을 찾으려 하였다. 칸트의 이러한 입장은
ⓐ헤겔에게 계승되어 완성되었는데, 헤겔은 ‘보편적인 역사’를 모든 인간에게 자유가 평등하게 부여되어
가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헤겔은 역사의 과정에 종점이 존재하며, 이 종점은 더 이상 인류가 진화하
고 발전할 필요가 없는 상태로서 지상에서 자유가 실현되는 때라고 보았다. 그리고 인간의 자유는 미국의
독립이나 프랑스 혁명 이후 성립된 근대적 입헌 민주주의 국가, 즉 자유 민주주의 체제에 의해 실현되고 있
다고 보았다.
또 ⓑ코제브는 프랑스 혁명의 정신이 물질적 풍요와 정치적 안정을 이룩한 2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의 자
본주의, 민주주의 체제에서 완전하게 실현되었다고 보았다. 코제브도 자유 민주주의 체제 안에서 사회 구
성원 간의 지배와 복종의 관계가 보편적이고 평등한 상호 인정의 상태로 바뀜으로써 불평등한 관계로 인한
문제들이 완전히 해결됐다고 주장하며 역사는 종말에 이르렀다고 선언했다.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이러한 칸트와 헤겔의 인식에 기초하여 세계사의 발전 과정을 자본주의 체제라는
최종 목표를 향해 발전해 온 과정으로 파악하고, 헤겔과 코제브의 보편사적 역사 틀을 냉전 종식 이후의 세
계에 그대로 적용하였다. 후쿠야마는 헤겔이나 코제브와 달리 미국 중심의 세계 자본주의 체제를 역사의
종말로 상정하고, 구소련이 붕괴하고 냉전이 종식되자 역사의 종말을 선언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후쿠야마의 선언은 정치적·경제적으로 자유주의의 승리를 선포한 것이었다. 그는 냉전 종
식 이후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자유 민주주의와 자유 시장을 추구하는 보편적 동질 국가가 될 것이며,
그 결과 더 이상 이념이나 종교, 민족주의 등에 의한 전 세계적인 갈등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리고 세계는 공동 시장화의 시대를 맞이할 것이며, 경제적 손익의 계산,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
술의 진보, 세련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경쟁, 환경 문제 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될 것이라고 전
망했다. 이러한 그의 전망은 냉전 종식 이후의 급변하는 세계 질서를 미국 중심으로 해석한 것으로, 많은 비
판과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특히 냉전 체제 이후 미국의 정책 방향 수립과
국익 추구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자유 무역을 확대하고 세계 유일의 강대국인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를 구
축하는 데 기여했다.
후쿠야마의 선언에 대한 비판과 논란이 계속되었지만 그는 역사의 종말을 선언한 지 10년이 지난 1999년
까지 정치·경제적인 측면에서 자신의 선언이 유효하다고 주장했다. 여전히 자유 민주주의와 자유 시장이
현대 세계 체제의 ‘유일한 현실적 대안’으로 남아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후쿠야마는 역사가
종말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스스로 철회했다. 그는 ㉡현대 자연 과학의 발전과 관련해 ‘역사의 종말’ 선언이
핵심적 결점을 지닌다는 점을 인정했다. 냉전 종식 이후 자연 과학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지역, 국가, 사회
공동체 내에서 이전에 경험했던 문제들이 반복되어 나타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후쿠야마 스스로 역사의 종
말 선언을 철회했음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현실 세계를 새로운 거시사적 틀을 통해 해석하려 했다는 점
에서 그의 선언은 세계 역사와 국제 정치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11
사회 07

9002-0089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말’ 선언의 가치와 의의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② 후쿠야마가 선언한 ‘역사의 종말’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소개하고 있다.
③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말’ 선언과 이후의 입장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④ 후쿠야마가 ‘역사의 종말’을 선언하는 데 영향을 준 학자들을 소개하고 있다.
⑤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말’ 선언이 등장하게 된 국제 정치적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9002-0090

02 ⓐ, ⓑ가 공통적으로 지닌 견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역사의 종말은 자본주의 체제에 의해 실현된다.
② 인류의 자유가 억압되는 순간 역사의 종말이 현실화된다.
③ 역사의 종말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초래한다.
④ 역사의 발전이 끝나도 인간 세계의 불평등은 사라지지 않는다.
⑤ 자유 민주주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역사의 발전과 진화가 이루어진다.

11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7쪽

9002-0091

03 <보기>를 바탕으로, ㉠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후쿠야마는 사회주의의 패배와 자본주의의 승리를 단호하고 신속하게 판결함으로써 자유 무역
의 이데올로기를 옹호했다. 그 결과, 자유 무역을 신봉하는 신자유주의가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하지만 후쿠야마의 역사관과 역사의 종말 선언에는 기본적으로 서양 근대의 진보 사
관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 서양의 진보 사관에는 비서양에 대한 서양의 우월 의식을 바탕으
로 약소국에 대한 착취와 비서양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가 담겨 있다. 그 결과, 냉전 종식
이후의 세계는 후쿠야마가 주장하는 결과와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① 후쿠야마의 선언은 신자유주의를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시킴으로써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가 자리 잡게 되는 데 기여했겠군.
② 후쿠야마의 선언은 사회주의의 패배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자유 민주주의와 자유 시장 경제
가 유일한 세계 체제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겠군.
③ 후쿠야마의 견해에 약소국에 대한 착취를 정당화하는 인식이 내재되어 있어 냉전 종식 이후
에도 강대국과 약소국 간의 경제적 불평등이 나타날 수 있겠군.
④ 후쿠야마가 주장하는 자본주의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손익의 계산과 경쟁을 중시하는
풍토로 인해 전 세계적인 공동 시장화가 이루어지기는 어렵겠군.
⑤ 후쿠야마의 견해에는 서양이 비서양에 비해 우월하다는 의식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그가
주장하는 보편적 동질 국가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기는 어렵겠군.

9002-0092

04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자연 과학의 발전이 경제적 효율성만을 중시하여 윤리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자연 과학의 발전과 진화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③ 자연 과학이 인간이 적응하고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 급격한 속도로 발전할 수 있기 때
문이다.
④ 자연 과학의 발전으로 인한 혜택이 특정 국가나 계층에 집중되어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⑤ 자연 과학의 발전이 사회 구조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지지 못하고 독자적인 세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13
사회 08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광고가 소비자를 설득하고 태도 변화를 일으키며 행동을 만들어 내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광고를 받아들이는 소비자 내면의 심리를 이해해야 한다. 이에 광고는 심리학적 원리들을 적극적으로 활용
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이다.
고전적 조건화는 특정 반응을 이끌어 내지 못하는 중립 자극이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무조건 자극과 연
합되어, 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개에게 고기를 주는 것은 무조건 자극으로, 개가 침을 흘리
는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파블로프는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준 후 고기를 주는 것을 반복하는 실험
을 하였다. 처음에 개는 종소리에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는다. 종소리는 개에게 의미가 없는 중립 자극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준 후 고기를 주는 행위를 반복하게 되면, 개는 종소리만 들어도 침
을 흘리게 된다. 즉 종소리와 고기가 연합이 되어 종소리가 중립 자극이 아니라 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조건
자극이 되는 것이다.
고전적 조건화는 광고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소비자에게 알려지지 않은 제품은 광고 이전에는
의미 있는 자극이 아닌 중립 자극이지만 무조건 자극과 연합되어 나타나면서 조건 자극으로 변한다. 유명인
을 기용하는 광고의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도 고전적 조건화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고전적 조건화에서
는 무조건 자극의 강도가 조건 자극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유명인은 많은 소비자가 좋아하기 때문에 일반
모델에 비해 무조건 자극의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무조건 자극과 중립 자극 사이의 연관성이
떨어지거나 이들 사이의 관계가 일시적으로만 나타난 후 사라진다면 ‘소거’가 일어나기도 한다. 소거란 무
조건 자극과 중립 자극의 연합이 깨지면서 중립 자극이 조건 반응을 일으키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중립 자극과 무조건 자극의 결합이 반복되는 것이 중요하다. 두 자극이 반복되어 나
타날수록 자극과 반응의 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광고의 경우, 같은 광고가 지나
치게 반복적으로 노출된다면 소비자들이 싫증을 느낄 수 있으므로 조절이 필요하다. 반복 외에 자극이 제
시되는 순서 역시 중요한데, 중립 자극이 무조건 자극 이전에 제시될 때 조건 자극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 같은 순서로 제시되지 않는다면 중립 자극이 조건 자극으로 바뀔 가능성은 크게 낮아진다. ㉠영상
광고에 비해 인쇄된 지면 광고에서 고전적 조건화를 활용하기 어려운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조작적 조건화는 사람들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행동은 계속 수행하고, 부정적 결과를 낳는 행
동들은 피하도록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행동에 따라 수반되는 결과를 ‘보상’이라 하고, ‘보상’을
통해 어떤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을 ‘강화’라 한다. 강화에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가 있는데, 정
적 강화는 특정 행동 뒤에 긍정적인 보상이 주어지는 것이고, 부적 강화는 특정 행동 뒤에 부정적인 결
과가 제거되는 것이다.
조작적 조건화를 이용한 광고에서는 강화 유형뿐만 아니라 강화 계획도 구매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강화 계획은 일정한 주기를 갖는 고정 강화와 주기가 변화하는 변동 강화, 시간에 따라 강화가
부여되는 간격 강화와 빈도나 횟수에 따라 강화가 부여되는 비율 강화로 나눌 수 있다. 강화 계획은 이
들의 결합에 의해 다시 4가지로 분류되는데, 고정 간격 강화는 계획된 동일한 시간 간격 후에 발생하는
[A]
바람직한 행동에 강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방식에서는 강화를 받은 이후 반응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11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8쪽

된다. 변동 간격 강화는 선행한 강화로부터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뒤에 나타나는 반응에 강화를 제공


하는 것으로, 강화를 기대해야 할 시기를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반응은 지속적인 비율로 행해진다.
고정 비율 강화는 반응이 정해진 횟수만큼 일어난 뒤에 강화가 주어지는 것으로, 이는 사람들에게 같은
행동을 계속 유지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변동 비율 강화는 선행한 강화로부터 몇 번의 반
응이 있어야 다음 강화가 주어지는지 알 수 없고, 강화가 임의로 정한 어떤 평균 반응 수를 중심으로 변
동하는 것으로, 행동의 빈도에 의해 강화의 가능성이 변화한다. 조작적 조건화를 이용한 광고는 소비자
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특정의 변별 단서에 반응하고 이것이 강화될 때 가장 효과가 높다. 따라서
광고 기획자는 제품의 속성 단서, 소비자의 반응과 강화를 고려한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9002-0093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는 모두 특정 행동의 증가를 목표로 한다.
②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중립 자극이 무조건 자극과 연합되면서 조건 자극이 된다.
③ 강화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지의 여부에 따라 고정 강화와 변동 강화로 나뉜다.
④ 광고하기 전에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한 제품은 소비자에게 중립 자극이다.
⑤ 파블로프의 실험에서 먹이를 주기 전에 들려주는 종소리는 무조건 자극에 해당한다.

9002-0094

02 ㉠의 이유를 <보기>와 같이 설명한다고 할 때, (가)~(다)에 들어갈 말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자극이 순차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 영상 광고와 달리 인쇄 광고의 경우 대개 한 지면에 여러 자
극이 함께 제시되기 때문에 자극이 지각되는 순서를 통제하기 어렵다. 인쇄 광고에서는 ( (가) )
제시되는데, 이렇게 되면 소비자는 ( (나) )보다 익숙한 ( (다) )에 먼저 주목하게 되어 제품의
광고 효과가 높지 않게 되는 것이다.

(가) (나) (다)


① 무조건 자극이 중립 자극보다 먼저 무조건 자극 조건 자극
② 중립 자극이 무조건 자극보다 먼저 조건 자극 무조건 자극
③ 중립 자극이 무조건 자극보다 먼저 무조건 자극 중립 자극
④ 무조건 자극과 중립 자극이 동시에 중립 자극 무조건 자극
⑤ 무조건 자극과 중립 자극이 동시에 무조건 자극 중립 자극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15
사회 08

9002-0095

03 [A]를 참고할 때, <보기>의 광고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K 파이 행운 대잔치 행운 1

동전으로 상자 뒤 금박을 긁어 보세요.


‘한 상자 더’문구가 나오면
K 파이 한 상자를 더 드립니다.

행운 2

상자에는 스티커가 하나 들어 있습니다.


스티커 6장을 모아 보내 주시면
기간은 2019. 6. 30.까지입니다.
푸짐한 선물을 드립니다.

① 광고를 본 소비자들이 보상을 위해 K 파이 상자를 사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정적 강화의


효과가 있는 광고로군.
② 광고를 본 소비자들이 K 파이 상자를 구매함으로써 공짜로 받게 되는 K 파이 한 상자나 선
물은 구매 행위에 따른 보상이로군.
③ K 파이 상자를 얼마나 더 사야 ‘한 상자 더’ 문구가 나오는지 알 수 없지만, 더 많이 살수록
K 파이 한 상자를 공짜로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행운 1은 변동 비율 강화라고 할 수 있
겠군.
④ 행운 2는 정확하게 스티커 6장을 모으면 보상이 주어지므로 고정 간격 강화가 적용된 것으
로 볼 수 있겠군.
⑤ 행운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 기간이 지나면 구매 반응은 급격하게 줄어
들 수 있겠군.

11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39쪽

9002-0096

04 윗글을 바탕으로 하여, <보기>의 ‘광고 기획 회의’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사원 1 : 이번 세탁 세제 광고에서는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젊은 ‘여자 배우 A’를 광고 모델로 세우
는 것이 어떨까요? A는 최근 드라마에서 선한 인물로 등장하여 대중의 호감도가 급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광고 모델로 등장하면 광고 효과가 높을 것입니다.
사원 2 : ‘A’씨는 너무 젊어 오히려 이미지가 이 제품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대신에
부드러운 남편의 이미지를 가진 ‘남자 배우 B’를 섭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원 3 : 괜찮은 생각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TV를 많이 시청하는 시간대에 광고가 집중
적으로 나가도록 하는 것이 어떨까요?
사원 4 : 광고 시간대는 사람들이 TV를 많이 시청하는 저녁 시간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제 어떤 내
용으로 광고를 만들지 생각해 봅시다. 요즈음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니까 우리
제품을 사용한 이후 피부에 알레르기가 없어졌다는 소비자들의 인터뷰를 광고에 담으면 좋
겠습니다.
사원 5 : 제품의 표백력도 강조해야 합니다. 어떤 사람이 세탁 후에도 얼룩 등이 지워지지 않은 옷
을 입고 있어 주위의 눈총을 받는 장면을 먼저 제시한 후 마지막 장면에서 우리 제품을 사용
해서 주변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는 장면으로 마무리를 지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① 사원 1은 젊은 여자 배우의 이미지를 강화 요인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적 조건화


보다 조작적 조건화를 활용한 광고를 구상한 것이다.
② 사원 2는 젊은 여자 배우를 광고 모델로 기용하면 무조건 자극과 중립 자극의 연합에 연관성
이 떨어져 소거가 일어날 수 있음을 염려하고 있다.
③ 사원 3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중립 자극과 무조건 자극의 결합
이 자주 노출되어야 함을 고려하고 있다.
④ 사원 4는 부적 강화를 유발하는 내용으로 광고를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⑤ 사원 5가 제안한 마지막 장면은 부정적 상황이 해소되면서 긍정적인 보상이 주어진 것에 해
당한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17
사회 09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경기가 침체되었을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통적인 통화 정책은 특정한 단기 금리를 정책 금


리 *로 정하고 이를 통해 시중에 통화량을 확대하여 소비 및 투자를 촉진시킬 수 있는 유동성을 공급하는 금
리 중시 통화 정책이었다. 정책 금리를 낮춰 시장 금리 *도 낮아지면 기업은 낮은 이자로 은행에서 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와 생산을 늘리게 된다. 가계 역시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을 통해 소비를 늘릴 여력이 발
생한다. 투자와 소비가 늘면 고용과 생산이 증가하고, 다시 소비와 투자가 촉진되면서 경제 전체가 선순환
을 그리게 된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정책 금리를 낮추었지만, 투자나 소비가 늘어나
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를 유동성의 함정 이라고 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이유를 국채 * 투자의
사례를 통해 이해해 보자. 일반적으로 채권 가격은 그 채권의 이자율과 역의 관계를 가지며 반대 방향으로
변동한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채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져 채권을 사고자 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가격은
올라가지만, 채권을 판매하는 입장에서는 사고자 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굳이 높은 이자를 줄 필요가 없
는 것이다. 따라서 이자율이 낮아졌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비싸진 채권에
서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이 낮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채권 매입과 같은 투자를 기피하고, 위기에 대한 부담감
으로 소비도 위축되면서 시중에 돈이 충분하게 공급되어도 돈을 그냥 쌓아 두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처럼 전통적인 통화 정책이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위기 극복을 위해 비전통적인 통화 정책을
시행하게 되었는데 이를 양적 완화라 한다.
양적 완화는 금리 조정만으로 경기를 부양할 수 없을 때, 신용 완화나 국가의 채권 매입 등을 통해 시중의
통화량을 더욱 확대하는 정책이다. 적극적인 통화 공급을 하기 때문에 헬리콥터에서 돈을 뿌리는 행위로
비유하기도 한다. 이러한 양적 완화 정책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우선 ‘신용 완화 정책’으로, 이는 은행의
대출 등 신용 공급을 확대하고, 부실한 은행이나 기업이 발행한 채권을 중앙은행이 매입을 하여 해결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버냉키식 양적 완화 정책’은 초저금리 상태에서 중앙은행이 국채 등의 안전 자산을 매입
함으로써 경기를 부양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하면 시중에 매입할 수 있는 채권이 줄
어들면서 채권 가격은 상승하고 통화량은 늘어난다. 따라서 금리 하락이 유도되면서 가계, 기업 및 금융 기
관 등이 자본을 조달하는 비용을 낮춰 유효 수요 *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마지막으로 ‘㉠명시적 통
화 재정책’이 있다. 이는 극심한 유효 수요 부족 시 정부가 재정 적자를 감수하고 국채를 발행하는 방식이
아닌 중앙은행이 가진 화폐 발행 권한을 통해 상환 부담 없는 통화를 시장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
은 ㉡채권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재정 지출과 같이 정부의 재정 적자 *는 발생하지만 원리금 상환 부담이 없어
공공 부채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양적 완화 방식과 달리 정부의 재정 적자는 발생하지만 상
환 부담이 없어 시중의 통화량 증대가 영구적이란 특징도 있다. 한편 경기 부양을 위한 ‘질적 완화 정책’도
있는데, 이는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과 달리 중앙은행 자산의 질적인 구성 변화를 통해 금융 안
정을 가져오고자 하는 방식이다. 즉 중앙은행의 자산이나 부채 규모에는 변동이 없지만 위험도가 낮은 국
채와 같은 안전 자산 대신 위험도가 높은 주식과 같은 위험 자산의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다. 또한 ‘신용 완
화 정책’과 달리 ‘질적 완화 정책’은 부실 자산이 아닌 투자 수익률이 불확정적인 위험 자산을 매입하여 경

11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0쪽

기를 부양하고자 하는 것이다.
양적 완화 정책은 경기 부양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잠재적인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정부가 민간
의 위험 요소들을 대신 책임지는 부분을 통해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정책이 목표했던 수준을 넘
어선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여 자산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양적 완화로부터 정상적인
통화 정책으로 회귀하는 출구 전략을 시행할 때에는 그 시기와 방법을 매우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 정책 금리: 중앙은행이 금융 기관과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금리.


* 시장 금리: 실제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리.
* 국채: 국가가 재정상의 필요에 따라 국가의 신용으로 설정하는 금전상의 채무를 표시하는 채권.
* 유효 수요: 시장에서 물품을 구입하거나 생산하려는 수요.
* 재정 적자: 한 해 정부의 지출 규모가 세금 수입보다 많을 때 발생하는 적자로 누적액이 아닌 일정 기간의 적자.

9002-0097

01 윗글의 내용 전개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경기 침체 과정에 따른 시기별 통화 정책을 설명하고, 각 정책의 장단점을 제시하고 있다.
② 경기 침체 발생 과정을 제시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들의 문제점을 제시한 후 절충점
을 모색하고 있다.
③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특정 정책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제시하고 정책의 시행 방법과 그 효
과를 설명하고 있다.
④ 경기 침체와 정책 금리의 관계를 고찰하고, 자산 매입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과 대비되는 정
책의 발전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⑤ 경기 침체의 원인에 대한 두 가지 견해를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경기 침체를 벗어나기
위한 특정 정책의 시행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19
사회 09

9002-0098

02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정책 금리를 낮추면 기업의 투자와 가계의 소비가 줄어들게 된다.
② 채권이 비싸지면 채권 수익률 상승에 대한 기대로 인해 채권 투자가 늘어난다.
③ 금리가 올라가면 기업의 자본 조달 비용이 낮아지면서 유효 수요가 늘어나게 된다.
④ ‘버냉키식 양적 완화 정책’은 중앙은행 외의 금융 기관들이 국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시행
된다.
⑤ 양적 완화 정책은 정책의 목표 수준을 넘어선 물가 상승이나 민간의 도덕적 해이를 가져올
수 있다.

9002-0099

0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사례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A국은 경기가 침체되자 우선 정책 금리를 낮추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금리가 하한에 도달하였지만 시장에 유동성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
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A국의 중앙은행은 대출 기준 완화와 대출 만기일을 연장하는 정책과 더불어
국채를 지속적으로 매입하였다. 더불어 민간 은행의 부실한 채권을 특정하여 매입함으로써 금융
심리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정책의 목표치를 달성하게 되면서, A국의
중앙은행은 저금리 정책에서 정책 금리를 인상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었다.

① A국은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해 전통적인 통화 정책을 먼저 시행하였군.


② A국의 중앙은행은 비전통적 통화 정책인 ‘신용 완화 정책’을 시행하였군.
③ A국의 중앙은행은 가계, 기업 및 금융 기관 등의 자본 조달 비용을 낮추고자 하였군.
④ A국의 중앙은행은 위험 자산의 비중을 높여 자산의 구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선택하였군.
⑤ A국의 정책 금리가 하한에 도달하였을 때, 신규 채권 가격은 정책 금리를 낮추기 전보다 상
승했겠군.

12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0쪽

9002-0100

04 ㉠~㉢을 비교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은 모두 원리금 상환 부담이 발생한다.
② ㉠~㉢은 모두 유효 수요 감소를 위한 것이다.
③ ㉠과 달리 ㉡은 재정 적자가 발생하게 된다.
④ ㉠과 달리 ㉢은 통화량의 증가가 영구적이다.
⑤ ㉡과 달리 ㉠은 공공 부채가 발생하지 않는다.

9002-0101

05 유동성의 함정 에 대해 이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민간에 화폐 공급량이 충분하게 되지 않아 수요가 부족하게 나타난 것이다.


② 낮은 금리하에서 저축 대신 대출이 급증하면서 민간 신용에 위기가 나타난 것이다.
③ 시장에 통화량을 공급하기 위해 정책 금리를 낮추었지만 시장 금리가 이에 역행하여 나타난
것이다.
④ 경기 회복을 위해 시중에 통화량을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와 투자를 기피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⑤ 낮아진 금리 부담으로 인하여 민간의 수요는 증가하였지만, 기업의 투자와 생산이 위축되어
그 수요를 뒷받침하지 못해 발생한 것이다.

[2부] 적용 학습 _ 사회 121
과학 특성과 출제 경향

과학 분야의 제재 종류 1 과학 분야의 글이란?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 과학,
지구 과학, 의학, 과학사 등
•‌자연 과학적 시각으로 물질계와 생태계, 우주를 탐구하는 인간의 정신 활동을 담고 있는 글
•수에 관하여 연구하는 수학, 물질의 무기적 운동 형태를 연구하는 물리학, 물질의 조성과
구조·성질 등을 연구하는 화학, 생물의 구조와 기능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생명 과학, 지
구 및 천체를 연구하는 지구 과학 등이 포함됨.

2 과학 분야의 글 읽기 방법
•‌과학 분야의 글은 낯선 용어와 원리·방법이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용어의 개
념과 원리·방법에 관한 정보를 특히 중요하게 여겨 우선적으로 이해해야 함.
•과학 이론을 설명하는 글의 경우, 개념, 원리·방법, 견해·주장 등에 관한 정보에 특히 주
목해야 하며, 과학 현상을 설명하는 글의 경우 과정, 개념, 원리·방법에 관한 정보에 특히
주목해야 함.
•과학 분야의 글은 주장의 근거가 타당하지 않으면 그 내용을 신뢰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시
된 정보를 바탕으로 근거가 타당한지 판단해 보고, 결론으로 나온 자료들을 보면서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함.

3 과학 분야의 출제 경향
•‌과학 지문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 과학 분야의 과학적 원리와 탐구 과정, 실험 과정 등을
다룬 지문이 출제되고 있음.
•화제에 대한 개념 설명을 제시한 후 중심 화제가 변화하는 과정이나 특정 현상이 나타나는
과정 등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지문에 제시된 과학적 원리나 실험
과정, 변화 과정 등을 도식과 함께 제시한 후 사실적 이해나 추론적 이해를 묻는 문항이 출
제됨.
•과학 분야의 글과 예술 분야, 인문 분야 등이 융합된 지문이 출제된 바 있음.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 LFIA 키트의 원리와 특성


[2017학년도 수능] 반추 동물의 탄수화물 분해
기출 제재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 열역학에 대한 과학자들의 탐구 과정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 인공 신경망의 학습과 판정

12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4 이 책에서 다룬 과학 분야의 글

번호 제목

01 연도를 표기하는 두 가지 방법

02 형상 기억 합금

03 베이즈 정리

04 폐포의 안정 상태가 유지되는 원리

05 다윈의 자연 선택

06 지구 자기장과 다이너모 이론

07 전기 저항

08 분별 증류와 공비 증류

09 알루미늄과 전기 분해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23
과학 01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일반적으로 연도를 표기할 때는 ‘2019년’처럼 서기 연도를 활용한다. 또는 ‘기해년’처럼 표기하기도 하는


데 이를 ‘60갑자’를 이용한 표기 방법이라고 한다. 60갑자는 ‘10간12지’라고도 하는데, 10간은 갑·을·병·
정·무·기·경·신·임·계, 12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이다. 이를 결합하는 방
법은 10간과 12지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갑자’, ‘을축’ 등과 같은 결합이 만들어진다. 이
러한 방식을 반복하면 같은 이름의 연도가 돌아오는 것은 10과 12의 최소 공배수인 60년 후(61년째)가 되는
데, 그래서 61세를 60갑자의 맨 처음으로 되돌아왔다는 의미에서 환갑이라고 한다. 60년 후 제자리로 돌아
오는 순환적 속성을 활용하면 60갑자와 서기 연도를 상호 변환할 수 있는데, 이때 계산상의 편의를 위해 둘
다 양력 1월 1일을 연도 구분의 기준으로 삼는다.
먼저, 가우스의 합동 기호에 대해 이해하면 60갑자를 보고 서기 연도를 알아낼 수 있다. 합동 기호(≡)는
어떤 수를 다른 수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기호이다. 구하는 수를 x라고 했
을 때, 3으로 나눠 나머지가 1인 수를 합동 기호를 사용해 합동식으로 나타내면 ‘x≡1(mod3)’ *이다. 60갑자
를 보고 서기 연도를 알아낼 때는 기준이 되는 해를 정하고, 알고자 하는 해가 이로부터 몇 년 전인지를 확
인하는 방식으로 계산을 하게 된다. ‘기해년’인 2019년을 기준으로 계산을 하기 위해, 아래 <표>와 같이 10
간에는 ‘기’부터 시작해 0~9의 수를, 12지에는 ‘해’부터 시작해 0~11의 수를 붙인다. 여기에서 0~9의 수는
10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0~11의 수는 1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의미한다. 기준이 되는 해인
2019년은 기해년으로 (0,0)으로 표시할 수 있고, 2020년은 경자년으로 (9,11)이 된다. 이때 ‘간’을 나타내는
수는 10년마다 되돌아오므로 mod10, ‘지’를 나타내는 수는 12년마다 되돌아오므로 mod12로 바꿔 생각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두 개의 합동식을 모두 만족하는 x를 구하여 기준이 되는 해에서 빼는 방식으로
서기 연도를 알아낼 수 있다.
10간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0 9 8 7 6 5 4 3 2 1 0 9 8 7 6
12지 해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자 축 …
0 11 10 9 8 7 6 5 4 3 2 1 0 11 10

<표>

그렇다면 기미 독립 선언서가 발표되고 3·1 운동이 일어났던 ‘기미년’의 서기 연도는 언제일까? 이를 x


년 전이라고 하고 <표>에서 기미년을 찾아보면 (0,4)인데, 이는 ‘x≡0(mod10)’, ‘x≡4(mod12)’라는 두 합동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첫 번째 식은 x가 10의 배수, 두 번째 식은 x-4가 12의 배수라는 의미이므로 첫 번
째 식을 만족하는 x는 10, 20, 30, 40……, 두 번째 식을 만족하는 x는 16, 28, 40, 52……가 된다. 이때 두
식을 모두 만족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 x는 40이다. 기준이 되는 해인 2019년에서 40을 빼면 2019년으로
부터 가장 가까운 과거의 기미년은 1979년이다. 그런데 기미 독립 선언은 일제 강점기에 있었으므로 최소
한 1945년 이전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60년을 더 거슬러 올라가 보면 기미 독립 선언서가 발표된 기미년은
서기 연도로 1919년임을 알아낼 수 있다.

12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1쪽

이와 반대로 서기 연도를 보고 그 해의 60갑자를 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독립운동가 김구 선생이


태어난 해인 1876년의 60갑자를 구하고자 한다면, 먼저 1876년이 기준이 되는 해인 2019년으로부터
143년 전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143을 10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얼마인지, 12로 나누었을 때 나머
지가 얼마인지를 구하면 된다. 143은 10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3이고, 12로 나누었을 때에는 나머
[A]
지가 11이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143≡3(mod10)’, ‘143≡11(mod12)’가 되는데 위의 <표>에서 3은
‘병’, 11은 ‘자’이므로 1876년은 ‘병자년’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12지가 각각 어떤 동물을 의미
하는지 생각해 보면 ‘자’는 ‘쥐’를 의미하므로 김구 선생은 ‘쥐띠’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
을 활용하면 사람들이 태어난 해의 서기 연도를 활용하여 그 해의 60갑자와 띠를 확인해 볼 수 있다.

* mod: 계수를 의미하는 modulus를 줄인 말로, 합동식에서는 ‘법’이라고도 한다.

9002-0102

01 윗글의 표제와 부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합동식과 60갑자의 의미 ‌
- 60갑자의 순환적 속성을 중심으로
② 연도를 표기하는 방법의 변천사 ‌
- 60갑자로 표현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③ 60갑자로 연도를 표기하는 방법 ‌
- 10간과 12지의 의미를 중심으로
④ 연도를 표기하는 방법 간의 변환 ‌
- 합동식을 이용한 상호 변환 방식을 중심으로
⑤ 서기 연도로 60갑자를 구하는 방법 ‌
- 나머지를 구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9002-0103

02 ㉠의 이유를 추론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두 개의 합동식을 모두 만족하는 수는 하나뿐이기 때문에
② 서기 연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2의 배수가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③ 60갑자는 10간 중 하나와 12지 중 하나가 결합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④ 기준이 되는 해의 서기 연도에서 10과 12를 순차적으로 빼야 하기 때문에
⑤ 각각의 합동식을 만족하는 수로는 하나의 서기 연도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25
정답과 해설 42쪽

9002-0104

0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 등을 계기로 전국적인 항일 무력전이 일어나게 되었는데 이를 ‘정
미의병’이라고 한다. 이러한 항쟁이 일어난 ‘정미년’의 서기 연도를 알아보자. 2019년을 기준으로
이를 x년 전이라고 하면 ‘정미’는 (2,4)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두 개의 합동식은 ‘x≡
2(mod10), x≡4(mod12)’가 된다. 첫 번째 식은 x-2가 10의 배수, 두 번째 식은 x-4가 12의 배수
라는 의미이므로 두 개의 합동식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 x는 ( ㉮ )이다. 기준이 되는
해인 2019년에서 ( ㉮ )를 빼면 2019년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과거의 정미년은 ( ㉯ )이다. 그
런데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등을 계기로 일어난 사건이므로 60년을 한 번 더 거슬러 올라가
보면 정미의병이 일어난 정미년은 ( ㉰ )임을 알 수 있다.

㉮ ㉯ ㉰
① 42 1977년 1916년
② 42 1977년 1917년
③ 52 1967년 1907년
④ 52 1967년 1917년
⑤ 62 1957년 1897년

9002-0105

04 <보기>를 참고하여, [A]를 이해한 학생의 반응으로 적절한 것은?


12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동물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기준이 되는 해는 2019년으로 함.

① 동생은 2005년생이니까 병유년에 태어났고, 닭띠이겠군.


② 누나는 1998년생이니까 무인년에 태어났고, 호랑이띠이겠군.
③ 아버지는 1970년생이시니까 경술년에 태어나셨고, 말띠이시겠군.
④ 어머니는 1972년생이시니까 계축년에 태어나셨고, 소띠이시겠군.
⑤ 할머니는 1947년생이시니까 정해년에 태어나셨고, 원숭이띠이시겠군.

12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과학 02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형상 기억 효과란 물질이 특정한 온도에서의 형상을 기억하고 있어서, 힘을 가해 전혀 다른 형상으로 변


형시킨 후 이를 다시 특정한 온도로 가열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형상 기억 효
과를 나타내는 물질로는 형상 기억 합금이 있다.
금속은 탄성 한계를 가지고 있다. 탄성 한계보다 작은 힘을 받아 일어난 변형의 경우, 그 가해진 힘을 없
애면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을 탄성 변형이라 한다. 그러나 탄성 한계보다 큰 힘을 가하면 가했
던 힘을 없애도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가지 않는 소성 변형이 일어난다. 그런데 형상 기억 합금은 외견상으
로 소성 변형된 다음에도 다시 가열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형상 기억 합금이 이러한 성질을 갖는 것은 온도에 따라 결정 구조가 변하기 때문이다. 금속은 원자의 가
장 바깥쪽에 있는 자유 전자가 어느 한 원자에 속하지 않고 원자들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원자들을
결합하는 ‘금속 결합’을 한다. 그러나 외부의 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 원래 있던 금속 결합이 풀린 후 내
부의 원자가 이동하면서 새로운 결합이 생성되어 그 변형된 형태가 고정된다. 합금은 하나의 금속에 성질
이 다른 금속이나 원소를 섞어서 만든 것으로, 원래의 금속이 지닐 수 없는 성질을 갖는다. 대부분의 금속
합금은 어느 정도 온도가 변해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열을 가해 주면 단지 그
성분 원자가 더 빠르게 진동해서 힘이 가해질 때 형태가 변화되기는 하지만 결정 구조가 변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형상 기억 합금은 온도에 따라 결정 구조가 바뀐다. 즉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하나의 결정 구조가
다른 결정 구조로 바뀌게 된다. 이런 변화가 일어나는 온도를 임계 온도라고 하며 임계 온도는 합금마다 다
르다. 예를 들어 니티놀 은 니켈과 타이타늄을 동일한 비율로 섞어 만든 합금으로, 고온에서는 오스테나이
트라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저온에서는 일부의 원자가 조금씩 움직여 전체의 구조가 느슨한 마텐자이트라
고 하는 결정 구조로 변한다. 마텐자이트 결정 구조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원자 결합이 파손되지 않고 제
한된 변형이 일어난다. 이 마텐자이트 구조에 열을 가하면 마텐자이트 구조가 변형되었는지에 상관없이 원
래의 오스테나이트 구조가 복구되며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된다.
형상 기억 합금은 단방향성 또는 양방향성의 두 가지 기억 방식을 갖는다. 니티놀과 같은 단방향 형상 기
억 합금은 임의의 형상을 기억하고 있는 합금을 냉각하여 저온에서 형상을 변화시킨 후 일정한 온도 이상으
로 가열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된다. 이것을 다시 저온으로 해도 온도를 올리기 전의 변형된 모양으로
돌아가지는 않는다. 이와 달리 양방향 형상 기억 합금은 고온에서의 형상과 온도를 올리기 전 저온에서의
형상을 동시에 기억한다. 즉 가열과 냉각을 통해 두 형상이 반복되는 가역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양방향 형
상 기억 효과는 편리하고 사용이 용이할 것 같지만 양방향성의 동작 특성을 얻으려면 합금에 특수한 열처리
를 하는 등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어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27
과학 02

9002-0106

01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금속에 다른 원소를 섞은 것은 합금이다.
② 금속 안에는 원자 사이를 이동하는 자유 전자가 있다.
③ 금속에 탄성 변형이 일어나면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④ 금속에 탄성 한계를 넘는 힘을 가해 형태를 변화시키면 소성 변형이 일어난다.
⑤ 금속과 금속을 결합하여 만든 합금도 원래의 금속과 다른 성질을 가질 수 있다.

9002-0107

02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형상 기억 합금인 니티놀 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① 니켈과 타이타늄을 1:   2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다.
② 탄성 한계 이내의 힘이 가해져야만 본래의 형태로 돌아갈 수 있다.
③ 고온 상태에서 냉각되면 원자가 강하게 결합된 결정 구조로 바뀐다.
④ 저온 상태에서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다른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⑤ 결정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는 임계 온도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다르다.

9002-0108

03 윗글을 근거로 다음 중, 형상 기억 합금의 응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온도가 낮을 때도 사람이 착용하면 성에가 끼지 않는 스키 안경
② 세탁 시 구겨져도 피부에 닿으면 처음의 모양으로 돌아오는 속옷
③ 잘못 보관하여 휘거나 구부러져도 적은 열로도 본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안경테
④ 사용하는 사람의 손 모양을 기억하고 있다가 그 사람이 사용할 때 손의 체온에 의해 가장 사
용하기 편한 모양으로 변하는 마우스
⑤ 끝이 모아져 있는 상태에서 흔들리는 치아의 양측에 끼워 넣은 후 열을 가하면 처음처럼 끝
이 둘로 벌어져 치아를 고정해 주는 치아 고정용 스프링

12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2쪽

9002-0109

04 윗글을 근거로, <보기>에 대해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오스테나이트 ⓑ 마텐자이트 ⓒ 마텐자이트

ⓐ~ⓒ는 형상 기억 합금인 니티놀의 결정 구조를 2차원으로 나타낸 것으로, ⓒ는 외부에서 힘을 가해


형태가 변형된 상태이다.
(단, 온도와 힘 이외에 형상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은 없다고 가정한다.)

① ⓐ와 ⓒ는 결정 구조가 동일하지 않군.


② ⓑ와 ⓒ는 모두 저온 상태의 결정 구조를 보여 주는군.
③ ⓑ의 결정 구조를 갖는 물질을 가열하면 ⓐ의 결정 구조로 회복되겠군.
④ ⓒ의 결정 구조를 갖는 물질을 가열하면 ⓐ의 결정 구조로 회복되겠군.
⑤ ⓒ의 결정 구조를 갖는 물질을 가열한 후 다시 냉각하면 ⓒ의 결정 구조로 회복되겠군.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29
과학 03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베이즈 정리는 18세기 영국의 토머스 베이즈가 정립한 조건부 확률에 대한 수학적 정리로, 어떤 사건이
일어났다는 전제 아래 이론이나 가설이 참이거나 거짓일 확률을 따지는 것이다. 과학을 잘하는 학생이 수
학도 잘하는 확률을 P(과학 → 수학)이라고 표기한다면 ‘과학을 잘한다’는 조건 아래에서의 확률이기 때문
에 이를 조건부 확률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수학을 잘할 때 과학도 잘하는 것을 P(수학 → 과학)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 두 개의 확률은 비슷한 것 같지만 다른 것이다. 그렇다고 이 두 가지가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니다. P(수학)과 P(과학)을 각각 수학과 과학을 잘할 확률이라고 할 때, P(수학)×P(수학 → 과학)이나
P(과학)×P(과학 → 수학)은 모두 수학도 과학도 잘할 확률이다. 따라서 P(수학)×P(수학 → 과학) = P(과학)
×P(과학 → 수학)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 식을 베이즈 정리라고 한다. 베이즈 정리는 알려진 3개의 사전 확
률과 알려지지 않은 1개의 사후 확률을 사용하는 간단한 공식이지만 때로는 큰 통찰력을 보여 주기도 한다.
미국 암협회는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해서, 여성이 40세부터 매년 엑스선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해
왔다. 그런데 미국 정부는 2009년부터 정기 검진을 권장하지 않는다는 발표를 해서 화제가 되었다. 유
방암에 걸려 있을 경우, 엑스선 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올 확률은 90퍼센트라고 한다. 이것을 P(유방
암 → 양성) = 0.9라고 표기할 수 있다. 확률이 90퍼센트라면 검사하는 편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왜 미국 정부는 검진을 권장하지 않는 것일까?
엑스선 검사를 통해서 양성이라는 사실을 알았다고 한다면 이때 알고 싶은 것은, 검사 결과 양성인 사
람이 정말 암에 걸려 있을 확률 P(양성 → 유방암)이다. 이전의 확률 90퍼센트라고 한 것은, 거꾸로 봐서
암에 걸려 있을 때 양성 진단이 나올 수 있는 확률이다. 이 두 개의 확률은 다른 것이지만 관련이 있다.
[A] 베이즈의 정리를 여기에 대입하면 P(양성)×P(양성 → 유방암) = P(유방암)×P(유방암 → 양성)이다. 이
공식을 이용해 P(양성 → 유방암)을 계산해 보자. 최근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40대 여성이 유방암에 걸
릴 확률은 0.8퍼센트라고 한다. 즉 P(유방암) = 0.008이다. 한편 40대 여성이 엑스선 검사를 받고 양성
이 나올 확률 P(양성)은 0.08이다. 필요한 데이터가 갖추어졌으므로 베이즈 정리에 대입하면 0.08×
P(양성 → 유방암) = 0.008×0.9이므로, P(양성 → 유방암)=0.09라는 결과가 나온다. 즉 ‘양성 결과가
나왔을 때 유방암에 걸려 있을 확률’은 겨우 9퍼센트다. 따라서 본래 음성이어야 할 검사 결과가 잘못되
어 유방암이 아닌데 양성으로 나올 경우의 확률이 90퍼센트 이상이나 되므로 정기 검진이 필요하지 않다
는 발표가 나온 것이다. 이 예는 사람들의 직관적 짐작 이 현실적 실체와 대비하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베이즈 정리를 통해 알 수 있는 경우이다.
한편 베이즈 정리는 인공 지능, 기계 학습 등의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즉 인간의 생각은 처
음에는 아무 정보가 없던 상태에서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일종의 사전
확률 체계를 업데이트시켜 현상을 해석하거나 판단을 내리고 의사 결정을 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발전된 사후 확률 체계는 새로운 사전 확률이 되어, 새로운 정보가 유입될 때마다 업
데이트를 반복해 간다.

13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4쪽

9002-0110

01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① P(양성 → 유방암)은 사전 확률이다.
② P(유방암 → 양성)에서 유방암에 걸린 것이 조건이 된다.
③ P(수학 → 과학)과 P(과학 → 수학)은 동일한 값을 갖는다.
④ P(수학)×P(수학 → 과학)은 수학과 관계없이 과학을 잘할 확률이다.
⑤ P(과학)×P(과학 → 수학)은 과학과 관계없이 수학을 잘할 확률이다.

9002-0111

02 [A]를 바탕으로 할 때, 직관적 짐작 으로 적절한 것은?


① 40대 여성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낮다.
② 40대 여성이 엑스선 검사를 받고 양성이 나올 확률은 낮다.
③ 엑스선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유방암에 걸려 있을 확률이 높다.
④ 유방암이 아닌데도 엑스선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올 확률이 높다.
⑤ 유방암에 걸려 있을 때 엑스선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올 확률이 높다.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31
정답과 해설 44쪽

9002-0112

03 윗글을 근거로 할 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인 ‘단순 베이즈 알고리즘’의 가장 흔한 예는 스팸 메일 분류기이다. 베이즈 정
리를 활용하여 단어 ‘돈’이 들어 있는 메일을 스팸 메일로 분류할지 결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기본 전제
1. 메일은 스팸 메일이거나 정상 메일이다.
2. ‌단어 ‘돈’이 들어 있는 메일이 스팸 메일일 확률이 정상 메일일 확률보다 크면 스팸 메일로 보
고, 작으면 정상 메일로 본다.

스팸 메일 분류기가 학습으로 이미 아는 것
1. 메일함에 들어오는 전체 메일 중 스팸 메일의 비율 P(스팸) = 0.8
2. 메일함에 들어오는 전체 메일 중 정상 메일의 비율 P(정상) = 0.2
3. 정상 메일에 단어 ‘돈’이 들어 있을 확률 P(정상 → 돈) = 0.1
4. 스팸 메일에 단어 ‘돈’이 들어 있을 확률 P(스팸 → 돈) = 0.6

① 현재의 확률로는 스팸 메일로 분류된다.


② P(스팸 → 돈)이 P(정상 → 돈)보다 크면 스팸 메일이다.
③ P(스팸)×P(스팸 → 돈)이 P(정상)×P(정상 → 돈)보다 크면 스팸 메일이다.
④ ‘돈’이 들어 있는 메일이 스팸 메일일 확률은 P(스팸)×P(스팸 → 돈) / P(돈)이다.
⑤ ‘돈’이 들어 있는 메일이 정상 메일일 확률은 P(정상)×P(정상 → 돈) / P(돈)이다.

13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과학 04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간의 장기 가운데 폐는 탄성력이 있어 부피가 ⓐ늘어났다가 바로 복원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처


럼 폐가 쉽게 늘어날 수 있는 정도를 신전성(compliance)이라고 하는데, 폐의 신전성이 크면 클수록 폐가
잘 늘어나기 때문에 일정량의 공기가 들어오는 데 필요한, 호흡근이 소비하는 에너지양은 감소하게 된다.
폐의 신전성은 폐에서의 표면 장력과도 관련이 있다. 표면 장력은 액체의 표면이 스스로 수축하여 가능한
한 작은 면적을 취하려는 힘으로, 액체의 표면을 이루는 분자층에 의하여 생긴다. 폐포 * 내 표면은 얇은 액
체층으로 싸여 있으며 이 액체층은 표면 장력을 가진다. 우리가 숨을 ⓑ들이마셔 폐가 팽창될 때에는 표면
장력을 가진 액체층도 팽창된다. 표면 장력은 액체 성분에 따라 다르고, 표면 장력이 클수록 액체가 퍼져 나
가게 하기 위해서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만약 액체층의 표면 장력이 커진다면, 동일한 크기의 에너지
로 팽창시킬 수 있는 정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폐의 신전성은 감소하게 된다.
그렇다면 표면 장력이 폐의 신전성을 감소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폐포 자체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여
지는 없을까? 폐포 내 액체층의 물 분자 사이에 있는 수소 결합은 서로를 ⓒ끌어당겨 동그란 물방울을
형성하려고 하는데, 이 작용으로 인해 폐포 벽이 안쪽으로 당겨져 폐포가 오그라드는 일이 일어날 것이
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폐포 자체가 붕괴되는 일은 다행히도 일어나지 않는다. 폐포가
붕괴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눗방울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이해하면 된다. 비눗방울 표
[A]
면은 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 장력이 작용하여 비눗방울 표면을 안쪽으로 끌어당기려고 한다.
그러나 비눗방울이 오그라들려고 하면 비눗방울 내에 들어 있는 공기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비눗방
울이 붕괴되려는 것의 반대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한다. 즉, 팽창하려는 공기압이 존재하는 한, 비눗방
울은 안정 상태의 부피가 유지된다. 마찬가지 이유로 폐가 팽창하거나 수축하지 않을 때, 폐포의 부피
는 안정 상태가 유지된다.
폐포 벽에 위치한 ㉡II형 폐포 세포는 계면 활성제를 분비하는데, 이 역시 신전성과 관련 있다. II형 폐포
세포에서 분비된 계면 활성제는 물 분자 사이에 있는 수소 결합을 방해하는데, 이로 인해 폐포 내를 둘러싼
액체의 표면 장력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 계면 활성제 덕분에 표면 장력에 의해 감소했던 신전성이 증가
하고 호흡에 필요한, 호흡근이 소비하는 에너지양은 감소하게 된다.
폐포를 구형이라고 가정한다면 폐포의 붕괴를 막는 데 필요한 공기압은 표면 장력에 정비례하고 폐포의
직경에 반비례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는 크고, 하나는 조금 작은 두 개의 폐포가 같은 표면 장력의 영향을
받으면, 작은 폐포는 안쪽에서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더 큰 압력이 필요해진다. 숨을 들이마시고‌
ⓓ내쉴 때의 마지막 시점에서 공기압은 모든 폐포 내에서 균일하다. 하지만 폐포들은 항상 같은 크기가 아
니다. 만약 폐포에 계면 활성제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큰 폐포의 붕괴만 막아 줄 수 있는 정도의 공기압일
경우, 작은 폐포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에는 부족할 것이다. 그러므로 두 개의 폐포가 맨 처음에 같은 압력에
놓이게 된다면, 작은 폐포는 오그라들어 내부의 공기압이 증가할 것이며 큰 폐포의 공기압보다 더 높아질
것이다. 그래서 공기압의 차이에 따라 작은 폐포에서 큰 폐포 쪽으로 공기가 흘러가게 된다. 하지만 실제 폐
에는 계면 활성제가 있고, 작은 폐포 내에는 큰 폐포보다 더 높은 농도의 계면 활성제가 있다. 이 결과, 작은
폐포의 표면 장력은 큰 폐포의 표면 장력보다 작아서 작은 폐포의 붕괴를 막기 위해 필요한 공기압을 감소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33
과학 04

시킨다. 그리하여 작은 폐포와 큰 폐포는 모두 안정 상태의 부피가 유지되는 것이다.

* 폐포: 허파 꽈리. 허파로 들어간 기관지의 끝에 포도송이처럼 달려 있는 자루로, 호흡할 때에 가스를 교환하는 작용을 한다.

9002-0113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우리가 숨을 들이마셔 폐에 공기가 들어가게 되면 폐가 팽창되며 표면 장력을 가진 액체층
도 함께 팽창된다.
② 폐포를 구형이라고 가정한다면 폐포의 붕괴를 막는 데 필요한 공기압은 표면 장력과 폐포의
직경에 반비례한다.
③ 표면 장력은 액체의 표면을 이루는 분자층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폐가 쉽게 늘어날 수 있는
정도와도 관련이 있다.
④ 폐포 내 계면 활성제는 물 분자 사이에 있는 수소 결합을 방해하여 폐포 내를 둘러싼 액체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킨다.
⑤ 폐의 신전성이 크면 클수록 폐 속으로 일정량의 공기가 들어오게 하는 데 필요한, 호흡근이
소비하는 에너지양은 감소한다.

9002-0114

02 [A]를 바탕으로 할 때,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폐포 벽에 위치한 II형 폐포 세포가 계면 활성제를 흡수하므로
② 표면 장력에 의해 폐포의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하므로
③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마다 폐의 신전성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므로
④ 폐포 내 계면 활성제가 폐포 내의 공기압을 높이는 기능을 하므로
⑤ 폐포 내 공기압이 폐포를 붕괴시킬 수 있는 힘과 균형을 이루므로

13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5쪽

9002-0115

03 윗글을 근거로 할 때, <보기>의 (가)와 (나)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기도
기도
(나)

폐포
폐포   폐포
폐포   폐포
폐포   폐포
폐포  

안쪽으로
안쪽으로
작용하는
작용하는 힘힘 계면
계면 활성제
활성제

※ ‌(가)와 (나)의 폐포는 모두 구형으로, (가)와 (나) 모두 숨을 들이마시고 내쉴 때의 마지막 시점이


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가)는 폐포 2의 붕괴만을 막아 줄 수 있는 정도의 공기압을 가진 경우로
본다. 또한 (나)는 (가)와 달리 폐포 1, 2의 내에 계면 활성제가 정상적으로 분비되어 존재하는
상태이다.

① (가)의 경우 들숨과 날숨을 반복하면 ‘폐포 1’은 결국 짜부라지며 ‘폐포 1’ 내의 공기가 ‘폐포
2’로 흘러가게 되겠군.
② (가)의 경우 ‘폐포 1’의 붕괴를 막기 위해 필요한 공기압은 ‘폐포 2’의 붕괴를 막기 위해 필요
한 공기압보다 크다고 할 수 있겠군.
③ (나)의 경우 계면 활성제가 ‘폐포 1’의 붕괴를 막기 위해 필요한 공기압을 증가시켰다고 할 수
있겠군.
④ (나)의 경우 ‘폐포 1’에서 작용하는 표면 장력보다 ‘폐포 2’에서 작용하는 표면 장력이 크다고
할 수 있겠군.
⑤ (나)의 경우 ‘폐포 1’이 붕괴되지 않는 것은 ‘폐포 1’ 내에 ‘폐포 2’ 내보다 더 높은 농도의 계면
활성제가 존재하는 것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겠군.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35
정답과 해설 46쪽

9002-0116

04 ㉡에 대한 설명을 근거로 할 때, <보기>의 ㉮,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갑’은 II형 폐포 세포에 문제가 생겨 계면 활성제 분비가 정상 수치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이
처럼 계면 활성제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면 폐의 신전성이 ( ㉮ )되어 호흡근이 일정 용적(容積)
까지 폐를 ( ㉯ )시키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쓰게 된다.

㉮ ㉯
① 증가 팽창
② 증가 수축
③ 감소 팽창
④ 감소 수축
⑤ 유지 수축

9002-0117

05 ⓐ~ⓓ를 <보기>의 기준에 따라 바르게 구분한 것은?


합성어는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어근들의 결합 방식에 따라 어근들의 결합 방식
이 일반적인 문장 구성 방식과 같은 ‘통사적 합성어’와 어근들의 결합 방식이 일반적인 문장 구성
방식과 다른 ‘비통사적 합성어’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언의 연결형과 용언이 결합한 ‘접어
들다’는 통사적 합성어이고, 두 개의 용언 어간끼리 결합한 ‘오르내리다’는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전자의 경우 후자의 경우와 달리 연결 어미가 실현되어 있다.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⑤ ⓑ, ⓒ, ⓓ ⓐ

13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과학 05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다윈은 『종의 기원』을 통해 진화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변이와 자연 선택을 제안하였다. 진화에서
의 변이는 특정 종의 개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형질의 변화로, 변화된 형질은 자손에게 전해진다. 다윈은
유전될 수 있는 최초의 변이가 어떤 과정을 거쳐 발생하는가를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특정한 변이가 생존
에 유리할 경우에 그 변이로 인해 변화된 형질을 가지고 있느냐의 여부에 따라 생존과 번식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세대마다 생존하고 생식할 수 있는 개체의 수보다 더 많은 수의 개
체들이 태어나 그 사이에 필연적인 경쟁이 벌어지게 되는데, 자연 선택은 특정한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한
형질을 갖고 태어나는 개체들이 경쟁에서 승리함으로써 더 많은 자손을 낳고 그들에게 그 형질을 전해 주는
방식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집단 유전학은 유전자 풀(gene pool)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빈도에 근거하여 자연 선택 과정을 설명한
다. 특정한 지역에서 특정한 시기에 타 지역과 ⓐ격리되어 존재하는 특정한 종의 무리를 집단이라 하고, 하
나의 집단이 가지고 있는 모든 유전자의 집합을 유전자 풀이라고 한다. 유전자 풀에는 부모에게서 물려받
은 유전자와 돌연변이에 의해 새롭게 생겨난 유전자가 함께 존재한다. 집단은 세대를 거치면서 변해 가는
데 이 과정에서 유전자 풀 안의 유전자 조성도 바뀐다. 자연 선택이란 특정 유전자형을 가지는 개체가 그렇
지 않은 개체보다 더 높은 확률로 생존과 번식을 하는 경향성을 갖게 되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러한 자연 선
택의 결과로 유전자 풀 내의 유전자 조성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자연 선택에는 크게 지향적 선택, 안정적 선택, 분열적 선택, 균형적 선택 등 네 가지 선택이 있다. 이
네 가지 자연 선택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유전자형의 빈도와 적응도의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
전자형의 빈도란 집단 내의 전체 개체 수에서 특정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 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
고, 적응도는 특정 표현형이나 유전자형이 다음 세대의 유전자 풀에 ⓑ기여할 수 있는 상대적 가능성을
[A]
말한다. 통상적으로 번식률이 가장 높은 표현형이나 유전자형의 적응도를 1로 잡은 후 이를 기준으로
다른 표현형이나 유전자형의 적응도를 상대적으로 계산한다. 이 개념을 집단 전체로 확장하면 특정 집
단의 평균 번식률을 구하여 그 집단의 평균 적응도를 구할 수 있는데, 자연 선택은 집단의 평균 적응도
를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자연 선택 중 첫째, ㉠지향적 선택은 특정한 환경에서 특정한 표현형을 가진 개체들이 상대적으로 적응
도가 높을 경우 그 표현형의 빈도가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방울새 집단이 어떤 섬으로 ⓒ이주하
였는데 그 섬에는 단단한 씨만이 존재하여 단단한 씨를 깰 수 있는 개체들이 생존에 더 유리해지자 그 집단
에서 단단한 부리를 가진 개체들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지향적 선택이 장기간 지속
되면 생존에 유리한 표현형을 나타내는 대립 유전자가 집단 내 우위를 차지할 것이고, 결국 유전자의 단일
형을 가져올 것이다.
둘째, ㉡안정적 선택은 양극단의 중간 정도의 표현형을 갖고 있는 개체가 양극단에 속하는 표현형을 갖
는 개체보다 생존에 유리한 것을 말한다. 새가 한 번에 낳는 알의 개수를 연구한 영국의 생물학자 랙은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알을 낳는 새의 적응도가 적당한 수의 알을 낳는 새의 적응도보다 낮은 것을 발견했다. 알
의 수가 적으면 다음 세대에 기여할 개체 수가 부족하여 불리하다. 또한 알을 너무 많이 낳으면 부모가 새끼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37
과학 05

를 보살피거나 먹이를 충분히 줄 수 없기 때문에 새끼들의 생존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중간 수치의 알


을 낳는 새들이 생존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셋째, ㉢분열적 선택은 서로 다른 표현형을 나타내는 두 가지 이상의 유전자형이 각각의 환경에서 선택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표현형이 P 환경에는 생존에 유리하고 Q 환경에는 불리하지만 다른
표현형은 P 환경에는 생존에 불리하고 Q 환경에는 유리한 것이 이에 해당한다. 분열적 선택은 다양한 환경
에 분포된 집단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넷째, ㉣균형적 선택은 생존에 불리한 대립 유전자가 퇴출되지 않고 생존에 유리한 대립 유전자와 일정
비율을 유지하면서 균형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여러 세대가 지나면서 균형적 선택은 안정된 다형성(多形
性)을 이루어 표현형이 다른 유전자형이 함께 집단 내에 ⓓ존속하게 된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방식 중 하
나는 ‘이형 접합체 우세’의 경우이다. 대립 유전자가 AA나 aa처럼 동형 접합을 이룰 경우보다 Aa처럼 이형
접합을 이룰 경우에 특정 환경에 대한 적응도가 더 높은 것이 한 예이다. 안정된 다형성이 이루어지는 다른
방법은 ‘빈도 - 역의존 선택’이다. 이는 어떤 유전자형의 빈도가 높아지면 그 유전자형의 적응도가 떨어지
는 것으로, 주로 포식자의 먹이가 되는 종들이 다형성을 유지하는 방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포식자는 머릿
속에 피식자의 검색 이미지를 갖고 있어서 그러한 이미지와 ⓔ부합하지 않는 낯선 개체가 섞여 있으면 그
것을 피식자로 인식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피식자는 잡아먹힐 확률이 적어 빈도 - 역의존 선택이 이루어지
고 피식자의 다형성이 유지된다.

9002-0118

01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유전자 풀은 하나의 집단이 가지고 있는 모든 유전자의 집합을 의미한다.
② 집단이 세대를 거치면서 변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풀의 유전자 조성이 바뀔 수 있다.
③ 다윈은 개체들의 형질 변화가 일어나는 최초의 과정을 밝힌 후 자연 선택을 주장하였다.
④ 빈도 - 역의존 선택이 일어나면 빈도가 낮은 유전자형을 가진 피식자는 잡아먹힐 확률이 적
어진다.
⑤ 다윈은 생물 개체 사이에는 생존과 번식을 위한 경쟁이 있기 때문에 자연 선택의 과정을 거
쳐 진화가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13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7쪽

9002-0119

02 [A]와 관련하여, <보기 1>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끼리 <보기 2>에서 골라 묶은 것은?
대립 유전자 A와 a로 구성된 가상의 유전자 풀이 있다. 유전자형 AA는 10명의 자손을, Aa는‌
8명의 자손을, aa는 2명의 자손을 생산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돌연변이는 발생하지 않는다.

ㄱ. Aa의 적응도는 aa의 적응도에 비해 5배 높다.


ㄴ. 유전자형의 적응도는 AA가 가장 높고 aa가 가장 낮다.
ㄷ. Aa 유전자형을 갖고 있는 개체의 번식력이 가장 높다.
ㄹ. 다음 세대의 유전자 풀에 기여할 상대적 가능성은 AA가 Aa보다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9002-0120

03 윗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영국 웨일스 남부 구리 광산 근처의 잡초 군락은 그 지역 일부가 중금속에 오염되자 성장이 억
제되었다. 그러다가 구리 오염에 내성을 보이는 돌연변이 잡초가 나타났는데, 이 잡초는 오염
된 토양에서는 잘 성장했지만 오염되지 않은 일반 토양에서는 제대로 성장하지 못했다.
(나) ‌아프리카에서는 말라리아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 많다. 정상 대립 유전자 HA가 동형 접합한
유전자형 HAHA를 가진 개체는 말라리아에 대한 저항력이 크지 않아 말라리아에 잘 걸리게 된
다. 그런데 악성 빈혈과 뇌출혈을 일으켜 발병하면 사망 확률이 높은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
을 나타내는 유전자형인 HSHS를 가진 개체에서는 말라리아가 잘 살지 못한다. 이에 말라리아
가 자주 발생하는 아프리카 지역의 경우 이형 접합체인 HAHS 유전자형이 동형 접합체인 HAHA
유전자형보다 적응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

① (가): 중금속에 저항력이 있는 잡초가 오염된 토양에서 잘 자라고, 중금속에 저항력이 없는


잡초가 일반 토양에서 잘 자라는 것은 분열적 선택의 예로 볼 수 있겠군.
② (가): 구리 광산 근처 잡초 군락에서 구리 오염에 내성을 보이는 돌연변이 잡초가 더 많이 살
아남았다면 이는 오염된 토양에서 생존에 유리한 형질을 갖고 있는 개체가 그렇지 않은 개
체와의 경쟁에서 승리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③ (나): 말라리아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에서도 자주 발생하는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형 접합체
의 적응도가 동형 접합체보다 우세하게 나타나겠군.
④ (나): 아프리카 지역에서 동형 접합체인 HSHS 유전자형이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는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으로 인해 HSHS의 적응도가 높지 않기 때문이겠군.
⑤ (나): 말라리아가 빈발하는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낫 모양 적혈구 빈혈증을 유발하는 대립 유
전자 HS가 유전자 풀에서 계속 존속하는 균형적 선택이 이루어지는군.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39
정답과 해설 47쪽

9002-0121

04 ㉠~㉣을 비교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과 달리 ㉡은 거주 환경이 변화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② ㉠과 달리 ㉣은 세대가 지나더라도 유전적 다형성이 유지된다.
③ ㉡과 ㉢에서는 모두 극단의 표현형을 가진 개체가 생존에 유리하다.
④ ㉡과 달리 ㉣은 개체의 적응도를 높이기 위한 선택이다.
⑤ ㉣과 달리 ㉢은 개체가 자신이 거주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선택이다.

9002-0122

05 ⓐ~ⓔ의 사전적 의미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다른 것과 통하지 못하게 사이를 막거나 떼어 놓음.
② ⓑ: 도움이 되도록 이바지함.
③ ⓒ: 본래 살던 곳에서 다른 곳으로 거처를 옮김.
④ ⓓ: 어떤 대상이 그대로 있거나 어떤 현상이 계속됨.
⑤ ⓔ: 서로 비슷하다.

14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과학 06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지구 자기장’은 지구와 지구 주위에 나타나는 자석으로서의 성질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말한다. 1600
년경 윌리엄 길버트가 ‘지구가 하나의 커다란 자석과 같다.’는 사실을 발견한 이후 지구 자기장에 대한 연구
는 꾸준히 진행되어, 지구가 자석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단순한 자석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지
구 자기장의 방향은 매우 불규칙하고 시간에 따라 바뀌기도 하며, 세기 역시 적도 지방에서는 30,000nT *
이지만 극지방에서는 60,000nT로 2배에 이르는 큰 폭의 변화를 보인다. 그리고 과거의 자기력선 방향은
현재의 자기력선 방향과 반대였다는 ‘지구 자기장 역전’의 개념도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구 자기장 역전은 암석의 잔류 자기를 연구하여 알 수 있는데, 암석의 잔류 자기는 암석이 ⓐ생성될 당
시의 자기 방향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암석들을 구성하는 물질 중 강자성 물질은 외부 자기장에 노출되
면 자기화 *가 일어나고 외부 자기장이 제거된다고 하더라도 자기화 상태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데 이를 잔
류 자기라고 한다. 만일 암석 생성 당시 지구 자기장의 자북 *과 자남 *이 현재와 같은 위치에 있었다면 암석
속에 있는 자기 요소들은 그에 따라 자기화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지구 자기장이 역전되어
있었다면 암석 속의 자기 요소들 역시 반대 방향으로 자기화되었을 것이다. 지구 자기장 역전을 비롯한 지
구 자기장의 변화 현상이 왜 나타나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지구 내부에 고체로 된 영구 자석
이 들어 있다는 영구 자석설, 지구와 같이 거대한 물체가 회전하면 자기장이 생긴다는 회전체설 등이 ⓑ제
기되었지만 이러한 가설들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이너모 이론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 현상들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현재까지의 가설 중 가장 설
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론이다. 다이너모 이론을 구체적으로
중심축 이해하기 위해 <그림>과 같은 원판 다이너모를 생각해 보자. 다이너모
원판
)
전류 는 발전기와 비슷한 장치로, 금속으로 된 중심축에 금속 원판이 고정되
어 회전하고 원판의 바깥쪽과 중심축을 코일로 감아 연결한다. 이때 중
심축과 나란한 방향의 자기장(H)을 걸어 주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
해 원판에 전류가 생기고 전류는 원판의 바깥쪽으로 흘러 코일을 타고
I
코일 중심축으로 순환하는 전기 회로가 형성된다.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H)
<그림> 과 같은 방향으로 유도 자기장(h)이 ⓒ형성되고, 결국 전체 자기장은
H + h가 되어 초기의 자기장을 강화한다. 이론적으로 원판의 회전 속도가 충분히 빠르고 전기 저항과 운동
하는 부분에 마찰 저항이 없다면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은 영구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이너모 이론은 다이너모와 같은 전자기 유도 현상이 지구 내부에서 일어나 지구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다이너모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지구에 적용해 보면 원판의 회전은 지구 내부의 외핵의 대류 현상
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액체인 외핵의 주성분은 주로 철과 니켈로 이루어지는데, 철과 니켈은 풍부한 자유 전
자를 가지고 있어 대류 현상 *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기장도 형성될 수 있다
는 것이다. 다이너모 이론에 따르면 에너지의 원천인 외핵의 대류는 내핵의 높은 열 또는 핵과 맨틀의 화학
적인 성질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지구에는 다이너모 모형의 코일에 해당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도, 내
핵의 열과 맨틀의 화학적 성질 등에 의해 외핵의 대류 현상이 끊임없이 일어나므로 전류의 흐름 역시 지속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41
과학 06

되어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가] 이때 외핵의 대류는 단순한 하나의 순환이 아니라 지구 회전의 영향으
로 다양한 소용돌이들이 복잡하게 얽히는 형상을 띠게 된다. 다양한 소용돌이들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크기
와 위치가 변하고 서로 간에 영향을 미쳐 불규칙적인 지구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9
* nT: 나노테슬라, 자기력 측정 단위(1nT=10 T).
* 자기화: 자기장 안의 물체가 자기를 띠는 현상.
* 자북: 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
* 자남: 나침반이 남쪽을 가리키는 방향.
* 대류 현상: 열 때문에 기체나 액체가 위아래로 뒤바뀌며 움직이는 현상.

9002-0123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지구 자기장의 세기는 적도에서보다 극지방에서 2배 더 강하다.
② 영구 자석설이나 회전체설은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③ 다이너모의 원판에서 발생한 유도 자기장은 초기의 자기장을 강화한다.
④ 외핵의 대류는 지구 회전의 영향을 받아 복잡하고 다양한 소용돌이들을 이룬다.
⑤ 강자성 물질의 잔류 자기를 측정하면 자기장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14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8쪽

9002-0124

02 <보기>를 바탕으로, [가]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다이너모 이론에 따라 지구 자기장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지구 내핵의 다
양한 소용돌이를 가정하여 서로 영향을 미치는 2개의 다이너모를 중심축이 평행하지 않게 조합하
였다. 그리고 한쪽 다이너모([A])의 회전 속도는 고정시키고, 다른 쪽 다이너모([B])의 회전 속도는
변화시키면서 합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기장 세기


[A] [B] 


㉮ 회전 속도

① [A] 다이너모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자기장이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겠군.
② [B] 다이너모의 회전 속도에 따라 ㉮ 지점에서 자기장이 급격히 세지는 것으로 암석의 잔류
자기가 사라지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겠군.
③ [B] 다이너모의 회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합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불규칙적으로 증가하
는 것으로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겠군.
④ [A] 다이너모와 [B] 다이너모의 중심축을 평행하지 않게 조합하는 것으로 강자성 물질의 자
기화 상태가 영구적임을 설명할 수 있겠군.
⑤ [A] 다이너모와 [B] 다이너모의 회전 속도의 차이를 작게 하는 것으로 외핵의 대류 현상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겠군.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43
정답과 해설 49쪽

9002-0125

03 외핵의 대류 현상 을 이해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맨틀의 화학적인 성질의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 전류의 흐름을 발생시켜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한다.
㉢ 다양한 소용돌이로 나타나 불규칙적인 자기장을 형성한다.
㉣ 외핵 속의 철과 니켈이 외핵과 내핵을 넘나들며 순환한다.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9002-0126

04 ⓐ~ⓔ의 사전적 의미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사물이 생겨남.
② ⓑ: 의견이나 문제를 내어놓음.
③ ⓒ: 목적한 것이 이루어짐.
④ ⓓ: 어떤 상태나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거나 변함없이 계속하여 지탱함.
⑤ ⓔ: 어떤 일이나 사물이 생겨남.

14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과학 07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모든 물질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물질을 이루고 있는 원자핵은 전자보다 무겁기
때문에 금속으로 된 전기 회로나 도선에서 전자에 비해 움직임이 많지 않다. 전기 회로나 도선에 있는 자유
전자들은 전원이 만든 금속의 내부 전기장에 의해 이동하다가 원자핵을 만나면 충돌을 하게 된다. 금속 안
에는 원자가 많기 때문에 1초라는 짧은 시간에도 자유 전자는 원자핵과 무수한 충돌을 하게 되는데, 이런
충돌로 인해 자유 전자가 가진 전기적 위치 에너지의 일부가 원자핵의 운동 에너지로 바뀌게 된다. 또 원자
핵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여 원자핵의 운동이 더 활발해지면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금속의 온도가 올라가
게 된다.
물리학에서는 물질이 전류를 방해하는 성질을 전기 저항으로 표시한다. 전기 저항(R)은 물질이 전하 * 운
반자인 자유 전자를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는지, 원자핵이 얼마나 촘촘히 배열되어 있는지, 자유 전자가 원
자핵과 얼마나 자주 충돌하는지, 원자핵과 자유 전자의 충돌로 인해 전기적 위치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얼
마나 전환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은 사항들 외에도 격자 결함 *, 불순물 등도 전기 저항을 일으키
는 원인이 된다.
물체에 전류가 흐르면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기 에너지의 일부가 물체에 의해 열에너지로 바뀌어 소비
된다. 이 때문에 전하가 전기 저항을 거치면 전기적 위치 에너지가 감소한다. 1827년 독일의 물리학자 게오
르크 옴은 전원에 저항이 있는 도선을 연결하고 전원의 전압을 바꾸어 가며 도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전원의 전압에 비례함을 발견했다. 또 ㉠전원의 전압을 일정
하게 하고 도선의 길이를 줄여 가며 전류를 측정하자 전류가 도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
다. 옴은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수학식 V=IR로 표현했다. 이를 옴의 법칙이라고 한다. 이때 V는 도선에
걸어 준 전압, I는 도선에 흐르는 전류이고, R은 도선의 전기 저항이다. 그런데 여기서 유의할 점은 옴의 법
칙은 물체에 흐르는 전류가, 걸어 준 전압에 항상 비례하는 경우, 즉 물체의 전기 저항이 전압이나 전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물체에 대해서만 성립한다. 그리고 이처럼 전자 소자 가운데 옴의 법칙을 따르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것들을 저항체라고 한다.
한편 전압 V인 전원이 전기 기구나 전기 회로에 전류 I를 흘리면 매초 VI의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는데,
이를 전력이라고 한다. 전력의 단위는 흔히 와트(W)를 사용하며, 1W는 전압이 1V인 전원이 1A의 전류를
흘린다고 할 때 1초 동안 공급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이제 전기 저항이 R인 저항체를 전압 V인 전원에 연
결해 전류 I가 흐른다고 하자. 전원이 공급하는 전력 VI를 받아 저항체는 무슨 일을 할까? 저항체는 공급
받은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한다. 전원으로부터 전기적 위치 에너지를 얻은 자유 전자는 저항체를
빠져나가며 원자핵과 충돌하여 에너지를 잃고, 에너지를 얻어 운동이 활발해진 원자핵들이 서로 마찰을 일
으켜 결국 열에너지로 소비된다. 영국의 물리학자였던 제임스 줄은 저항체가 매초 발생시키는 열에너지로
V2
인해 소비되는 전력을 =I2R로 정리하였다. 이를 줄의 법칙이라고 부르며, 이때 발생하는 열을 줄열
  R
이라고 부른다.
결국 옴의 법칙과 줄의 법칙이 정리되면서, 전기 회로에 사용된 전기 저항의 크기를 계산하거나 전기 저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45
과학 07

항에 소비되는 전력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성과는 전기 기구의 설계는 물론 체계적인 전
력 공급과 소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류가 전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는 데 기여하였다.

* 전하: 물체가 띠고 있는 정전기의 양으로, 모든 전기 현상의 근원이 되는 실체.


* 격자 결함: 결정 안에 있는 원자의 배열이 규칙적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문란한 현상.

9002-0127

01 윗글에서 다룬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전기 저항과 관련된 물리 법칙
② 물질의 전기 저항이 결정되는 요인
③ 전기 회로에 공급되는 전력의 계산 방법
④ 물질에 전기적 위치 에너지가 발생하는 원인
⑤ 전기 저항에 전류가 흐를 때 열이 발생하는 이유

9002-0128

02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 기구에는 정격 전압과 소비 전력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정격 전압은 전‌
기 기구가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 공급해 주어야 하는 기준 전압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가 가능한 이유는 전기 기구에 전기 저항의 크기가 일정한 저항체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
서 전기 기구에 표시된 정격 전압과 소비 전력을 바탕으로 전기 기구에 사용된 저항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가령 정격 전압 220V, 소비 전력 40W로 표시된 [전구 1], 정격
전압 220V, 소비 전력 80W로 표시된 [전구 2], 정격 전압 110V, 소비 전력 40W로 표시된 [전구 3]
이 있을 때, 저항체로만 이루어진 각 전구에 정격 전압에 해당하는 전원이 연결되어 있다면,
“                 ”라는 설명이 가능하다.

① [전구 1]과 [전구 2]는 정격 전압이 같으므로 [전구 1]과 [전구 2]를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같다.
② ‌[전구 1]에 비해 [전구 2]의 소비 전력이 더 크므로 [전구 2]의 저항이 [전구 1]의 저항보다 더
크다.
③ [전구 1]과 [전구 3]은 소비 전력이 같으므로 [전구 1]과 [전구 3]의 저항의 크기는 같다.
④ ‌[전구 1]이 [전구 3]에 비해 정격 전압이 높으므로 [전구 1]의 저항이 [전구 3]의 저항보다 더
크다.
⑤ ‌[전구 2]는 [전구 3]에 비해 정격 전압과 소비 전력이 더 크므로 [전구 2]의 저항이 [전구 3]의
저항보다 더 작다.

14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49쪽

9002-0129

03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도선의 전압이 일정하여 전류의 세기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② 도선의 길이와 관계없이 원자핵의 운동 에너지는 일정하기 때문에
③ 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도선 자체의 전기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④ 도선의 단면적에 비례하여 도선을 흐르는 전류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⑤ 도선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자유 전자의 흐름을 방해하는 원자핵의 개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47
과학 08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녹아 있는 용액을 가열하여, 그중 한 물질의 끓는점에 도달하면 그 물질이 기체 상


태로 급격하게 변화한다. 이를 다시 냉각시켜 액체 상태로 만들고 이를 모으면 순수한 액체를 얻어 낼 수 있
는데, 이러한 과정을 ‘증류’라고 한다.
증류는 각 구성 성분의 휘발성의 차이를 이용한다. 액체 혼합물을 가열할 경우 끓는점이 낮은 성분이 더
쉽게 기화하므로, 액체와 평형을 이루는 기체 성분에는 휘발성이 큰 성분이 더 많이 존재한다. 액체 혼합물
을 가열하여 그것이 끓으면, 끓는점에서 기체의 조성 *은 휘발성이 더 큰 기체의 성분이 액체에서보다 많아
지게 된다. 그러므로 용액으로부터 기화한 기체를 모아서 액화시키면 처음의 성분보다 휘발성이 큰 성분의
비율이 커진다.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가열하면 휘발성이 큰 성분이 먼저 기화되며, 기화된 증기
는 응축기를 거치면서 액체로 응축된다.
증류를 이용하면 혼합물 속의 다양한 성분들을 분리해 낼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분별 증류
가 있다. 분별 증류는 끓는점이 다른 물질들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가열하여 끓는점이 낮은 것부터 높은 것
순으로 혼합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분별 증류의 예로는 정유 공장에서 원유를 탄화수소들의 끓는
점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 성분으로 분리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물과 메탄올의 혼합물을 1기압에서 분별 증류로 분리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순수한 물은 100℃에
서 끓고 메탄올은 64.7℃에서 끓는다. 혼합물을 가열하면 처음에는 온도가 점점 올라가다 64.7℃ 이상
의 온도에서 메탄올이 끓어 기화한다. 이때 나오는 기체를 다시 액화시키고 이를 모으면 메탄올을 얻을
[A] 수 있다. 메탄올이 기화하는 구간에는 온도 변화가 매우 미미하게 나타나지만 메탄올이 모두 기화하게
되면 다시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고, 100℃가 되면 물이 기화하기 시작하는데, 이때는 메탄올은 거의
없는 순수한 물의 기화이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없다. 이때 나오는 기체를 액화시키면 물을 얻을 수 있
다. 이렇게 끓는점 차이가 있는 액체 물질들은 분별 증류를 이용해 분리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혼합물의 경우, 이와 같은 증류 방식으로는 완전하게 액체를 분리해 낼 수 없다. 일반적으로
혼합물의 용액을 증류하면 끓음에 따라 조성이 변하며, 끓는점도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
나 특별한 성분비의 액체는 순수 액체와 같이 일정한 온도에서 성분비가 변하지 않고 끓는데, 이때 용액의
성분비와 증기의 성분비는 같아진다. 이런 혼합물의 상태를 공비 상태에 있다고 하고, 그 성분비를 공비 조
성, 그 용액을 공비 혼합물, 그 공비 혼합물의 끓는점인 평형 온도를 공비점이라고 한다. 공비 상태는 압력
에 의해서 변화하며, 공비점은 성분비와 끓는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끓는점 곡선상에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끓는점이 78.32℃인 에탄올과 100℃인 물의 혼합물은 1기압에서 에탄올 95.6%의 성분비일 때 공비
혼합물이 되고, 공비점은 78.15℃에 형성된다. 공비 혼합물은 일반적인 증류를 통해서는 완전하게 분리해
낼 수 없다.
<그림>의 A와 B 혼합물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자. <그림>은 1기압에서의 혼합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
프이다. 여기서 x축은 조성을 나타내는데 점 A는 순수한 A를 나타내며, 점 B는 순수한 B를 나타낸다. 또한
한 점이 A에 가까우면 A가 많이 포함되고, B에 가까우면 B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즉 a1은 b1
보다 B에 더 가까우므로 B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그래프상의 아래쪽 곡선은 끓는점 곡선이고,
위쪽의 곡선은 기화된 기체의 조성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다시 말해 a1의 조성을 갖는 혼합물이 끓어 기화

14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0쪽

온도 한 기체의 조성은 a1이 끓는점 곡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x축과 수평으로


기체
그어, 위쪽 곡선과 만나는 지점인 a2가 되는 것이다. a1의 조성이 B
Cm
60%, A 40%라고 한다면 끓는점이 낮은 B를 100% 분리해 내는 것은 어
Bm
액체 렵지 않다. 위에서 설명한 분별 증류의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B가 하나도 들어 있지 않은 순수한 A를 얻고 싶다면 어떻게 해

D Cƒ Bƒ
야 할까? 공비점이 존재하지 않는 혼합물이라면 분별 증류를 이용하여
" #
조성 100%의 B를 다 제거해 내면 100%의 A가 남게 된다. 자세하게 설명하
<그림> 자면, a1을 가열하여 a2 조성의 기체를 분리한다. 이 기체는 a1보다 B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기체를 분리해 낸 후의 액체의 조성은 B가 더 많이 줄어들어서 b1의 조성을
가진다. 이것을 다시 가열하여 b2의 조성을 가진 기체를 분리해 내고 남은 액체의 조성에는 B가 더 많이 줄
어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100% A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림>의 혼합물의 경
우에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가운데 공비 조성인 c에 도달하게 된다. c에서는 액체의 조성과 기체의 조
성이 같으므로 아무리 기체를 제거한다고 해도 액체의 조성은 변하지 않는다. 즉 공비 조성 c는 넘을 수 없
는 장벽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이 경우 a1 조성의 혼합물을 분별 증류해서 얻어 낼 수 있는 A의 최대 조
성은 c가 되는 것이다.
공비 혼합물을 만드는 성분의 혼합물은 보통 증류법으로는 순수한 성분으로 분리시킬 수 없으므로, 제3
의 성분을 첨가하여 새로운 공비 혼합물을 만든다. 이때, 새로운 공비 혼합물의 끓는점이 원 용액의 끓는점
보다 충분히 낮아지도록 한 다음 증류함으로써 증류 잔류물이 순수한 성분이 되게 하는 것이 공비 증류다.
예를 들면, ㉠1기압에서 수분을 함유하는 에탄올은 공비 혼합물을 만드는데, 단순한 증류로는 공비 혼합물
에 상당하는 에탄올밖에 얻지 못한다. 그러나 벤젠을 첨가하여 제3의 공비 혼합물을 만들어 수분을 제거하
면 순수한 에탄올을 얻을 수가 있다. 벤젠은 물과 친화력이 매우 작아 거의 용해되지 않는 반면 에탄올과의
친화력이 매우 크므로, 물을 함유하고 있는 벤젠을 첨가하면 에탄올의 증기압이 상당히 감소하여 증기 속
에는 수증기의 함량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이것을 증류하면 수분은 휘발되고 순수한 에탄올만 남게 된다.
공비 증류는 순수 에탄올을 만들기 위해 벤젠을 첨가해서 한 것이 시초라고 전해지고 있는데, 현재는 석유
화학과 그 밖의 방면에 널리 ㉡쓰이고 있다.

* 조성: 혼합물을 구성하는 분자(물질)의 질량 혹은 분자 수의 비.

9002-0130

01 윗글을 통해서 답을 얻을 수 있는 질문이 아닌 것은?


① 증류의 일반적인 원리와 과정은 무엇인가?
② 분별 증류와 공비 증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③ 공비 혼합물에 첨가물을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
④ 분별 증류가 활용되고 있는 사례는 어떤 것이 있는가?
⑤ 압력이 달라짐에 따라 공비 상태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49
과학 08

9002-0131

02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① 분별 증류에서 혼합물의 추출은 끓는점이 높은 물질부터 이루어진다.
② 액체 혼합물이 끓어오를 때의 기체 조성은 휘발성이 작은 물질이 더 적다.
③ 혼합물의 용액을 증류하면 증류된 용액은 항상 원 용액보다 끓는점이 높아진다.
④ 공비 상태에서 끓고 있는 혼합물의 액체와 기체의 구성 비율은 1:1로 일정하다.
⑤ 증류 후 모은 기체를 액화하면 원 용액보다 휘발성이 작은 물질이 더 많아진다.

9002-0132

03 <보기>의 그래프는 [A]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온도


(€)




 ⓐ ⓑ ⓒ ⓓ

 시간

※ ⓐ, ⓑ, ⓒ, ⓓ의 구간은 각 기호가 만나는 지점(세로의 점선)을 포함하지 않음.

① ⓐ와 ⓑ 구간의 액체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물이다.


② ⓐ와 ⓒ 구간의 물은 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③ ⓑ와 ⓒ에서 온도 상승은 물을 끓는점으로 견인한다.
④ ⓑ에서는 메탄올이 기화하고, ⓓ에서는 물이 기화한다.
⑤ ⓒ에는 액체와 기체가 공존하지만, ⓓ에는 기체만 존재한다.

15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1쪽

9002-0133

04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의 공비 혼합물에서 공비점은 순수한 물의 끓는점보다 낮다.
② ㉠에서 에탄올을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물을 먼저 기화시켜야 한다.
③ ㉠의 공비 혼합물에 벤젠을 추가하면 끓는점은 78.15℃보다 낮아진다.
④ 에탄올이 40%인 ㉠은 분별 증류를 통해서 순수한 에탄올을 얻을 수 없다.
⑤ ㉠의 공비 혼합물에서 분별 증류로 얻을 수 있는 에탄올 순도의 최대치는 95.6%이다.

9002-0134

05 밑줄 친 단어 중, ㉡과 가장 가까운 의미로 사용된 것은?


① 요즘 농사에 기계가 많이 쓰이고 있다.
② 얼굴이 창백한 친구 때문에 계속 신경이 쓰이고 있다.
③ 아이들을 학원에 보내느라 너무 많은 돈이 쓰이고 있다.
④ 캐나다에서는 영어와 프랑스어가 공용어로 쓰이고 있다.
⑤ 젊은이들 사이에 어른들이 모르는 은어가 많이 쓰이고 있다.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51
과학 09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지각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금속 원소는 무엇일까? 철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실 알루미늄이다. 알


루미늄은 지각에서 첫째로 많은 금속이고 셋째로 많은 원소이다. 사람들은 19세기 초만 해도 이 흔한 알루
미늄을 금보다 귀하게 여겼다. 알루미늄은 철보다 가벼우며 열전도성과 전기 전도성이 탁월한 금속이다.
말하자면 ‘쉽게 구할 수 있는 유용한 금속’이다. 그런데도 고대 문명은 알루미늄이 아니라 구리에서 시작되
어 철에 의해 계승되었다. ㉠알루미늄은 왜 희귀 금속으로 여겨졌으며 인류의 고대 문명 건설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한 것일까?
구리나 철은 순수한 금속의 비율이 높은 광석째로 묻혀 있어 구리 광산이나 철광산이 존재한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대부분 흙 속에 흩어져 있기 때문에 광산을 찾기 어렵다. 그리고 알루미늄은 다른 물질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원소 형태가 아닌 산화물 형태로 존재한다. 알루미늄이 산소와 결합한 산화 알
루미늄(Al2O3)의 형태로 흙 속에 들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산화 알루미늄은 광택이 없고 부서지기 쉬운 물
질로, 알루미늄이 가지고 있는 탁월한 성질을 갖고 있지 않다.
알루미늄의 함량이 가장 많은 광물은 보크사이트이다. 보크사이트는 여러 종류의 산화물이 섞인 혼합물
인데 보크사이트 안의 알루미늄은 산소와 매우 강하게 결합해 있다. 철은 철광석에 코크스를 섞어 용광로
에서 녹이면 쉽게 분리할 수 있지만, 알루미늄은 같은 방법을 사용해도 보크사이트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전기 분해법이 개발되기 전에 알루미늄은 화학적 환원 반응법을 통해 얻었는데, 비용이 많이 들어서 알루
미늄의 가격이 금보다 훨씬 비쌌다.
전기 분해는 이온들이 전극으로 이동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이온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통상의 방법
은 전기 분해될 물질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만들어 도금 석출 *하는 것이다. 그런데 수용액 속에 있는 알루미
늄 이온(Al3 + )에서 알루미늄을 도금 석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렇게 활성이 큰 금속은 수용액을 전기 분
해해서 얻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물이 이러한 금속보다 더 먼저 환원되기 때문이다. 전기 분해에서 환원
반응은 음극에서 일어나는데 알루미늄 수용액을 전기 분해하려고 하면 음극에서 알루미늄 금속이 아니라
물이 환원된다. 그래서 알루미늄 금속을 석출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이온(Al3 + )을 함유하는 수용액이 아
니라 산화 알루미늄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후에 이를 전기 분해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보
크사이트 원석을 화학 처리하면 농축된 산화 알루미늄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산화 알루미늄은 녹는점이
2,000℃가 넘기 때문에 단순한 전기 분해법으로는 산화 알루미늄에서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데에 비용이
많이 들었다.
이산화 탄소 탄소
산화 전극( )
찰스 홀은 1886년에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알루미늄
을 분리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 방법은 그 공정의 동시
발견자인 폴 에루의 이름도 따서 ⓐ홀-에루 법이라고 한
탄소
환원 전극() 다. 전기 분해에서 다른 금속이 같이 생기지 않도록 먼저

(산화 알루미늄 빙정석) 용융액


보크사이트에서 산화 알루미늄만 분리한다. 산화 알루미
알루미늄 늄은 강산과 강염기 모두에 녹지만 보크사이트에 소량 존
재하고 있는 다른 금속 화합물들은 강염기에 잘 녹지 않는

15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2쪽

다. 따라서 보크사이트를 수산화 나트륨 용액에 녹여서 거른 용액에서 재결정 *의 방법으로 산화 알루미늄
만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다음은 홀-에루 법의 핵심 공정을 적용하는데, 바로 빙정석(Na3AlF6)을 용융 *
시켜 산화 알루미늄의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다. 산화 알루미늄과 빙정석의 혼합물은 산화 알루미늄과 달
리, 1,000℃ 아래의 온도에서 녹아 효과적인 전기 전도체가 된다. 이 용융 혼합물을 전기 분해하면 금속 알
루미늄을 얻을 수 있다. 흑연봉 *이 산화 전극으로 사용되는데 전기 분해를 하는 동안 흑연봉의 탄소가 산소
이온과 반응하여 이산화 탄소가 발생하면서 전자를 내놓는다. 이 전자가 환원 전극에서 알루미늄 이온과
결합하면 알루미늄이 석출되고, 석출된 알루미늄은 용기 아래에 가라앉는다. 이 과정을 반복할 때 흑연봉
은 계속 갈아 줘야 한다.
이 방법이 상용화되자 이전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양의 알루미늄을 생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전기가 많이 소모되어 현재 미국에서는 알루미늄 생산에 전국 전기 소모량의 2%가 투입될 정도이다. 알루
미늄을 재활용하는 데 드는 전력은 알루미늄을 보크사이트에서 추출하는 데 드는 전력에 비해 20분의 1밖
에 안 된다. 이것이 바로 알루미늄 캔을 함부로 버리지 말고 재활용을 해야 하는 이유이다.

* ‌석출: 액체 속에서 고체가 생김. 또는 그런 현상. 높은 온도의 용액을 냉각하여 용질 성분이 결정이 되어 나오는 경우, 전기 분해로 금속이
전극에 부착되는 경우 따위를 이른다.
* ‌재결정: 결정성 물질을 정제하는 방법의 하나. 결정성의 고체를 물이나 그 밖의 용매에 녹여, 냉각하거나 증발시켜서 다시 결정화함으로써
순수한 결정물을 얻음.
* 용융: 고체에 열을 가했을 때 액체로 됨.
* 흑연봉: 탄소 성분으로 되어 있는 전극.

9002-0135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알루미늄을 활용하는 범위가 확대되는 양상을 인류 문명이 발전하는 과정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
② 알루미늄에 대한 가치 평가가 달라지는 과정을 알루미늄의 존재 형태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다.
③ 알루미늄을 희귀 금속으로 여긴 까닭을 알루미늄의 활용도가 높다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
고 있다.
④ 알루미늄이 함유된 광석을 찾지 못했던 까닭을 당시 과학적 지식의 한계를 중심으로 설명하
고 있다.
⑤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방법의 한계와 극복 과정을 알루미늄의 화학적 성질을 바탕으로 설명
하고 있다.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53
과학 09

9002-0136

02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구리나 철은 광석으로 존재하는 데 비해 알루미늄은 산화 알루미늄(Al2O3)의 형태로 존재한다.
② 전기 분해법이 개발된 후에도 비용 문제로 화학적 환원 반응법으로 알루미늄을 얻었다.
③ 알루미늄은 알루미늄 이온(Al3 + )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전기 분해해서 얻을 수 없다.
④ 보크사이트 원석에 화학 처리를 하여 산화 알루미늄(Al2O3)을 얻을 수 있다.
⑤ 보크사이트에서 알루미늄을 추출할 때 드는 전력은 알루미늄을 재활용할 때의 20배이다.

9002-0137

03 ㉠에 대한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흙 속에 흩어져 있는 산화물을 모으는 데 비용이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② 산화물에서 추출하는 데에 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없었기 때문이다.
③ 광물에서 추출하기가 어려웠고 그리 쓸모 있는 금속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④ 철과 비교했을 때 열전도성이나 전기 전도성이 탁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⑤ 산화물에서 추출해도 탁월한 성질을 지닌 금속으로 만들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9002-0138

04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수산화 나트륨 용액은 강산성으로 보크사이트에서 산화 알루미늄만 분리할 때 이용한다.
② 빙정석을 이용하여 녹는점을 낮추었다는 점이 기존의 전기 분해법과의 핵심적인 차이이다.
③ 산화 알루미늄을 전기 분해하여 빙정석과 혼합한 용융 혼합물에서 금속 알루미늄을 얻을 수
있다.
④ 흑연봉은 환원 전극으로 쓰이면서 다시 생성되므로 흑연봉은 갈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⑤ 탄소에서 떨어져 나온 전자들이 산화 전극에 접근한 알루미늄 이온과 결합하면 알루미늄이
석출된다.

15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2쪽

9002-0139

05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철광석에서 철을 분리할 때 사용한 방법으로는 알루미늄을 분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기
분해법이나 화학적 환원 반응법이 시도되었다.
② 홀-에루 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데에 전기가 많이 소모되지만 화학적 환원 반
응법을 통해 얻는 것보다는 비용이 적게 들었다.
③ 기존의 전기 분해법으로는 보크사이트에서 알루미늄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는데
홀-에루 법으로 알루미늄을 분리할 수 있게 되었다.
④ 기존의 전기 분해법으로 알루미늄을 분리하는 데 드는 비용에 비해 홀-에루 법이 경제성을
갖추었기 때문에 알루미늄이 널리 사용될 수 있었다.
⑤ 기존의 전기 분해법으로 수용액에서 금속을 도금 석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알루미늄 이온
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알루미늄을 석출하는 것은 성공하지 못했다.

[2부] 적용 학습 _ 과학 155
기술 특성과 출제 경향

기술 분야의 제재 종류 1 기술 분야의 글이란?


 도체, 컴퓨터, 통신, 전자, 전기,

음향, 건축, 디지털, 전통 기술,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하는 산업 기술, 생활 기술, 기술 일반 등 다양한 분야의 기계 장
의료 공학 등 치가 작동하는 원리와 특징 등을 설명하는 글
•기술의 원리가 특정 과학 이론을 바탕으로 기계나 장치에 적용되는 원리와 과정, 한계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글
•전기와 전자의 원리를 이용한 공학 기술, 컴퓨터를 이용한 공학 기술, 화학이나 생명 과
학과 결합한 공학 기술, 토목이나 건축에 활용되는 토목건축 공학 기술 등이 포함됨.

2 기술 분야의 글 읽기 방법
•‌장치나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과정에 따라 설명하고 있는 글은 각각의 단계에서 이루어
지는 일을 파악해야 함.
•장치나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관한 정보가 제시되어 있는 경우, 그 구성 요소를 파악하
며 기능과 특징에 관한 정보에 주목해 작동 원리를 이해해야 함.
•낯선 용어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며, 원리·방법에 관한 정보를 특히 중요하게
여겨야 함.
•지문이나 문항의 <보기>에 시각 자료가 제시되어 있으면, 그 내용을 참고해 지문의 내용
을 이해해야 함.

3 기술 분야의 출제 경향
•‌실생활에서 익숙하게 접한 장치나 시스템에 관한 글이라 하더라도 그 기술의 원리를 과
학적 이론에 기반을 두어 복잡하고 전문적인 내용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그 기술에 담긴 핵심 원리를 바탕으로 과학적 이론과 그 기술적 실현에 대해 구
체적으로 이해한 후 이를 현실의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 유형이 대표 문항으로
출제되고 있음.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기출 제재 [2018학년도 수능] 디지털 데이터의 부호화 과정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 DNS 스푸핑이 이루어지는 과정

15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4 이 책에서 다룬 기술 분야의 글

번호 제목

01 스택 알고리즘의 이해와 적용

02 항공기 여압 장치

03 침입 감지기

04 로봇의 군집 비행

05 음향 블랙홀

06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

07 마그네토솜을 활용한 발열 치료

08 현가장치

09 AESA 레이더(능동 전자 주사 레이더)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57
기술 01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컴퓨터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터 구조를 활용한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스택


(stack)’을 들 수 있다. 스택은 한쪽 끝에서만 데이터가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데, 스택에
서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올 수 있는 위치를 톱(top)이라 한다. 스택의 구조는 위쪽만 뚫려 있는 통 안에 책
을 차곡차곡 쌓는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만약 n개의 책을 통에 쌓았다면 가장 먼저 꺼낼 수 있
는 책은 아래에서부터 n번째에 있는 것이고, 그 위에 책을 또 올리게 되면 그 책은 아래에서부터 n + 1번째
에 있게 된다. 스택 구조는 이와 같은 통에, 톱은 가장 위에 있는 책의 위치에 비유될 수 있다. 그리고 스택
알고리즘은 데이터가 들어가 보관되고 나오는 규칙으로, 통에 책을 넣어 쌓고 책을 꺼내는 행위에 비유될
수 있다.
컴퓨터 내의 데이터 처리에서 스택 알고리즘은 수식 변환의 과정에 활용된다. 수식은 ‘+’(덧셈), ‘’(곱
셈), ‘-’(뺄셈), ‘/’(나눗셈) 등과 같은 연산자와, ‘x, y, z, A, B, C’ 등과 같은 변수나 ‘1, 2, 3’ 등과 같은 상수가
포함되는 피연산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식은 크게 세 가지 표기 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연산자가 피연
산자 가운데 있는 중위 표기 식,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있는 전위 표기 식, 연산자가 피연산자 뒤에 있는
후위 표기 식이 그것이다. 예를 들어 ‘x 더하기 y 나누기 z’는 중위 표기 식으로는 ‘x+y/z’로, 전위 표기 식으
로는 ‘+x/yz’로, 후위 표기 식으로는 ‘xyz/+’로 표현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은 중위 표기
식이지만, 컴퓨터 내부에서는 괄호를 사용하지 않고도 계산해야 할 순서를 알 수 있는 후위 표기 식을 활용
하기 때문에 중위 표기 식으로 입력한 수식은 스택 알고리즘을 통해 후위 표기 식으로 변환되어 계산된다.
중위 표기 식을 후위 표기 식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기본적인 전제는 피연산자들의 순서는 변하
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중위 표기 식을 연산자 기준으로 괄호로 묶은 다음, 각 연산자를 묶고 있는 괄호의
오른쪽 괄호 밖으로 연산자를 이동한 후 괄호를 모두 제거하면 된다. 예를 들어 중위 표기 식 ‘A + BC’를
후위 표기 식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A + (BC))’로 괄호를 묶은 뒤, ‘(A(BC)) + ’와 같이 괄호의 오른쪽에
연산자를 옮긴 후 ‘ABC + ’와 같이 괄호를 제거하면 된다. 중위 표기 식을 전위 표기 식으로 변환하는 과
정 역시 동일하다. 다만 연산자를 오른쪽에 옮기는 것이 아니라 왼쪽으로 옮기는 것만 차이가 있다.
컴퓨터에서는 중위 표기 식을 후위 표기 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앞에서 언급한 스택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후위 표기 식에서 피연산자들의 순서는 변하지 않으므로, 선후 순서가 바뀌어야 되는 연산자들만 다른 위
치로 이동하면 된다. 스택 알고리즘에서 피연산자는 순서가 되면 후위 표기로 바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연
산자의 경우 피연산자와 달리 뒤에 스택으로 들어갈 연산자의 존재 여부나 우선순위에 따라 스택에 보관되
거나 후위 표기로 나오는 것이 결정된다. 이때 연산자의 우선순위는 괄호 안의 연산을 우선하되, 덧셈과 뺄
셈보다 곱셈과 나눗셈을 우선하는 것이 원칙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스택 알고리즘을 활용해 중위
표기 식 ‘A + BC’를 후위 표기 식으로 바꾸는 경우, 들어가는 데이터는 ‘A’, ‘ + ’, ‘B’, ‘’, ‘C’로 모두 5개이
다. 들어가는 5개의 데이터 중 피연산자들은 스택에 보관되지 않고 후위 표기에 순차적으로 나오고, 연산자
들은 스택에 순차적으로 보관된다. 다만 연산자들이 스택에 보관되거나 후위 표기로 나올 때에는 현재의
스택 톱에 있는 연산자와 우선순위가 비교되는 과정을 먼저 거친다. 만일 스택 톱에 있는 연산자의 우선순
위가 보관되려는 연산자의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같으면 스택 톱에 있는 연산자가 먼저 스택에서 나오게 된

15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4쪽

다. 그런 뒤에는 다시 스택 톱에 오게 되는 다른 연산자와 우선순위가 비교된다. 중위 표기를 다 읽고 나면


연산자가 존재하지 않아 스택에 남아 있는 모든 연산자가 톱에서부터 하나씩 나오게 된다.

9002-0140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스택 알고리즘이 컴퓨터 데이터의 처리에 활용되는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 스택 알고리즘의
의의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② 전위·중위·후위 표기 식의 장단점을 각각 설명하고, 스택 알고리즘을 통해 특정 표기 식이
계산되는 과정을 정리하고 있다.
③ 컴퓨터에서 수식이 변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 주고, 스택 알고리즘을 활용한 수식 변
환이 지닌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④ 스택과 스택 알고리즘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스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컴퓨터에서 수식
변환을 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⑤ 스택이 정보 통신 기술 분야 외에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설명하고, 스택 알고리즘의 활용 전망
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를 덧붙이고 있다.

9002-0141

02 윗글을 근거로 할 때, <보기>의 빈칸에 들어갈 표기 식으로 적절한 것은?


전위 표기 식 ⇦ 중위 표기 식 ⇨ 후위 표기 식
           xy + zw-*

① xyzw + -* ② xy + zw-* ③ + xy-zw*


④ * + xy-zw ⑤ + -*xyzw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59
기술 01

9002-0142

03 <보기>는 ㉠의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윗글을 근거로 하여, ㄱ~ㅁ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중위 표기 " # $

스택 ⇨ ⇨ ⇨ ⇨ ⇨ ⇨

후위 표기 " " "# "# "#$ "#$ "#$



ㄱ ㄴ ㄷ ㄹ ㅁ

① ㄱ에서 ‘A’가 스택에 보관되지 않고 후위 표기로 나오게 된 것은 ‘A’가 연산자가 아닌 피연산


자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군.
② ㄴ에서 ‘B’가 후위 표기로 나온 뒤에 스택에 보관되어 있는 ‘ + ’가 나오지 않고 남겨진 것은
‘ + ’ 뒤에 스택으로 들어갈 연산자가 더 존재하기 때문이겠군.
③ ㄷ에서 연산자 ‘*’가 후위 표기로 나오지 않고 스택에 보관된 것은 기존 스택에 있던 연산자
보다 ‘*’가 우선순위가 낮기 때문이겠군.
④ ㄹ에서 ‘C’가 후위 표기로 나온 후에 더 들어갈 피연산자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후 과정에서
는 스택에 보관된 연산자만 나오겠군.
⑤ ㅁ에서 스택에 보관되어 있던 ‘*’가 ‘ + ’보다 먼저 나온 것은 스택 톱에 있는 연산자가 스택에
서 먼저 나오기 때문이겠군.

16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5쪽

9002-0143

04 윗글의 ‘스택’과 <보기 1>의 ‘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 2>에서 모두 고른 것은?


‘큐(queue)’는 스택과 마찬가지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 중 하나이다. 큐는 양쪽 끝
만 터져 있는 선형 구조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한쪽 끝에서는 데이터가 들어가기만 하고, 다
른 한쪽 끝에서는 들어간 순서대로 보관된 데이터가 나오기만 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데이터가 들
어가는 쪽은 ‘리어(rear)’, 보관된 데이터가 나오는 쪽은 ‘프런트(front)’라고 한다.

ㄱ. ‘스택’에서는 ‘큐’에서와 달리 첫 번째로 들어간 데이터는 항상 첫 번째로 나온다.


ㄴ. ‘스택’에서는 ‘큐’에서와 달리 n 개의 데이터가 들어가면 n + 1 개의 데이터가 나온다.
ㄷ. ‘스택’과 ‘큐’는 모두 들어간 데이터가 나올 수 있는 곳이 하나뿐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ㄹ. ‘스택’과 ‘큐’는 모두 컴퓨터에서 데이터가 들어가 보관되고 나오는 것과 관련된 구조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61
기술 02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대기, 즉 공기는 그 자체의 무게를 가지고 있다. 해수면에서 우주가 시작되는 높이까지 제곱인치당 공기
의 무게는 14.7lb * 정도이며, 이를 활용해 표준 대기 조건에서 해수면의 대기 압력을 14.7psi *라고 표시한
다. 대기의 압력과 온도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낮아지는데, 특히 대기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체내로 산소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인간이 생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항공기의 실내는
반드시 인간이 활동하는 데 필요한 압력으로 유지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항공기의 ‘여압’이라고 하
며 일반적으로 조종실과 객실에 여압을 실시한다.
항공기에서 여압을 실시할 때에는 ‘객실 고도’, ‘객실 차압’, ‘객실 상승률’ 등을 고려한다. 객실 고도란 객
실 내의 압력을 고도로 표시한 것으로, 항공기 객실의 압력이 표준 대기 조건의 대기압과 같은 지점의 고도
로 나타낸다. 즉 객실 내 압력이 10.92psi인 경우, 객실 고도는 표준 대기 조건의 대기압이 10.92psi가 되는
8,000ft*가 된다. 다음으로 객실 차압은 항공기 객실 내부의 압력과 외부 대기압과의 압력 차이를 표현하는
용어이다. ㉠객실 차압은 기체 구조의 강도, ㉡항공기의 최대 비행 고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마지막으로
객실 상승률은 객실 고도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1분당 변화하는 객실 고도의 피트 수로 표현한다.
제트 엔진을 사용하는 항공기는 여압을 위해 엔진의 압축기에서 공급된 ‘블리드 공기’와 항공기 외부
의 공기를 혼합해 사용한다. 고도가 높으면 항공기 외부 공기의 온도와 압력이 낮아 이것만으로 여압을
실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압력과 온도가 높은 블리드 공기를 사용한다. 하지만 엔진의
압축기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필요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므로, 블리드 공기를 많이 사용할
[가] 경우 엔진 추력 *이 줄어들기 때문에 블리드 공기의 사용을 최소화해야 한다. 그래서 넓은 객실에 대량
의 여압용 공기를 공급해야 하는 중대형 제트 항공기의 경우 ‘터보 컴프레서’를 설치한다. 블리드 공기
가 터보 컴프레서에 설치된 터빈을 돌리면, 터빈은 같은 축에 연결된 터보 컴프레서의 압축기를 구동시
킨다. 그러면 이 압축기에 의해 항공기 외부에서 유입되어 압축된 공기와, 터빈을 거친 블리드 공기가
혼합되어 여압용 공기로 공급된다.
항공기에서는 객실 내 기압이 최소한 대기압과 같거나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압력과 온도가
조절된 여압용 공기를 객실에 공급한다. 항공기는 객실 내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다양한 장치를 사용하
지만 기체 내외부가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여압용 공기는 필요 압력보다 약간 높은 압력까
지 공급한 후 일정 비율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여 객실 압력을 조절한다. 또 급격한 압력 변화로 승객들
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여압용 공기는 일정한 압력 상승률로 공급된다. 민간 항공기에서는 객실 고도가
8,000ft 이상이 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데, 이는 고도 8,000ft 이상의 대기압에서는 인간의 정상적인 활동
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항공기의 고도가 8,000ft 이하일 때는 객실에 별도의 여압을 실시하지 않지만, 항
공기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는 적정한 객실 상승률을 유지해 승객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여압에서 중요한 요소는 기체 구조가 외부 대기압과 객실 압력의 차이에서 생기는 압력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객실 차압을 견디기 위해서는 기체를 튼튼한 재료로 만들면 되지만 무게를 고려해
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객실 고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
면서 항공기의 고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 하중을 견디도록 항공기를 설계해야 하며, 이는 기체 구

16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6쪽

조 강도에 따라 항공기의 최대 비행 고도가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객실 압력은 조종실의 객실 압력 제어기에 의해 조절된다. 객실 압력 제어기를 통해 객실 고도, 객실 상승
률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객실에 공급되는 여압용 공기의 양과, 감압 밸브로 빠져나
가는 객실 내 공기의 양이 조절된다. 고고도 *에서는 보통 객실과 외부 대기와의 객실 차압을 가급적 크게
유지하여 여압 장치가 고장 나더라도 8,000ft 이하로 하강하는 동안 여압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항공기가 하강하는 경우 감압 밸브를 서서히 열어 여압용 공기가 서서히 빠져나가도록 조절하며, 항공
기가 지상에 착륙하거나 머무르는 경우 감압 밸브가 완전히 열려 외부 공기가 들어오도록 한다. 통상적으
로 민간 항공기는 2개의 감압 밸브를 설치하거나 1개의 감압 밸브에 복수의 회로를 설치해 여압 조절의 안
정성을 높인다.

* lb: 파운드, 약 454g.


* psi: 압력의 단위. 1제곱인치당 파운드.
* ft: 피트, 30.48cm.
* 추력: 프로펠러의 회전 또는 분사 가스의 반동에 의하여 생기는 추진력.
* 고고도: 지상(地上)으로부터 7∼12km의 높이.

9002-0144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객실의 여압은 대기압과 같거나 대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② 항공기의 여러 장치에도 불구하고 기체 내외부가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는다.
③ 항공기가 지상에 머무르면 감압 밸브가 열려 외부 공기가 항공기로 유입된다.
④ 민간 항공기의 경우 안정적인 여압을 위해 복수의 감압 밸브를 설치하기도 한다.
⑤ 객실 내 압력이 10.92psi 미만으로 유지되어야만 승객의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63
기술 02

9002-0145

02 [가]와 관련하여 <보기>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항공기 외부 공기 터보 컴프레서

압축기
터빈 기체 외벽
여압용 공기탱크

ⓑ 블리드 공기 ⓒ 여압용 공기

배기 밸브
객실
항공기 엔진

① 항공기 고도가 높을수록 ⓐ의 온도와 압력도 낮아진다.


② 엔진 추력 저하를 방지하려면 ⓑ의 사용을 줄여야 한다.
③ ⓑ의 공급량을 줄이려면 ⓐ의 흡입량을 극대화해야 한다.
④ ⓑ가 터보 컴프레서로 이동하지 않으면 ⓒ를 공급할 수 없다.
⑤ 8,000ft 이상의 고도에서는 ⓒ의 온도와 압력이 ⓐ에 비해 높다.

9002-0146

03 ㉠과 ㉡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면 ㉡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② ㉡은 ㉠과 관계없이 항공기 기체 구조의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③ ㉠의 변화율과 비례하여 항공기가 ㉡에 도달하는 시간이 결정된다.
④ 항공기 기체의 구조가 ㉠을 견딜 수 있는 정도에 따라 ㉡이 결정된다.
⑤ ㉡을 향상시키려면 ㉠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체 구조를 설계하여야 한다.

16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6쪽

9002-0147

04 윗글을 읽고, <보기>의 [A]~[E]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최대 비행 고도

 GU

착륙
<"> <#> <$> <%> <&>

<민간 여객기의 비행 고도 변화>

① [A]에서 비행기가 이동할 때에는 감압 밸브가 열려 있어 객실 기압이 대기압 상태로 유지된


다.
② [B]에서는 여압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비행기의 고도 변화에 관계없이 승객들은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
③ [C]에서 비행기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 객실로 유입되는 여압용 공기의 양을 늘려야만
한다.
④ [D]에서 비행기가 최대 비행 고도에서 비행하게 되면 외부 대기압과 객실 압력 간의 차이가
최대가 된다.
⑤ [E]에서 비행기가 지속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감압 밸브가 서서히 열리며 여압용 공기가 일
정한 비율로 기체 외부로 빠져나간다.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65
기술 03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열선 감지기는 동작 감지기라고도 하며 주로 실내의 천장에 설치하여 침입을 감지하는 데 사용한다. 열선


감지기는 적외선을 이용해 감시하고 있는 영역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열 또는 온도의 변화가 생기면 이를 감
지하고 알람 신호를 내보낸다. 물체가 복사하는 적외선은 물체의 온도에 비례하여 그 양이 다르기 때문에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낮과 밤에 관계없이 목표 물체를 관찰할 수 있어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것보
다 침입 감지에 적당하다.
(a) 열선 감지기는 집광 렌즈, 초전 소자, 증폭기, 비교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집광 렌즈는 적외선을 모아
초전 소자에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빛을 모으기 위해서는 볼록 렌즈를 사용하지만, 열선 감지기용으로는
이보다 매우 얇은 프레넬 렌즈를 사용한다. 프레넬 렌즈는 볼록 렌즈의 내부를 제거하여 두께가 매우 얇으
면서도 같은 초점 거리를 갖도록 만든 것이다. 열선 감지기는 감지 영역 내에 침입자가 생기면 특정 구역의
온도가 바뀌게 되어 침입 상황을 인식하는 원리인데, 감지 영역이 넓으면 침입자가 움직여도 전체적인 온
도 변화가 없어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열선 감지기에서는 하나의 집광 렌즈에 여러 개의 프레넬 렌즈를 배
치하여 사용한다. 한 개의 프레넬 렌즈마다 하나씩 구역을 나누어 할당하면 침입자가 움직였을 때 온도 변
화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침입자가 일정 시간 내에 계속 이동하면 감시 구역이 바뀌게 되어 바뀐 구역 수
만큼 감지 신호가 발생한다. 한편 구역 내에 침입자가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다면 더 이상의 온도 변화가
없어서 열선 감지기의 신호는 변화가 없게 된다.
집광 렌즈에 의해 모아진 적외선은 초전 소자의 표면에 입사된다. 초전 소자의 내부는 진공으로 되어 있
으며, 윗부분에는 적외선만 투과하는 투과창이 있어서 감지를 방해하는 요소들인 전등의 불빛 등을 차단한
다. 열선 감지기에 사용하는 초전 소자의 내부에는 양( + )전하들이 한끝에 표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그 반대편 끝에는 같은 양의 음(-)전하들이 배열되어 있다. 이를 자발 분극이라 한다. 이 전하들은 대기 중
에 부유하는 전하들을 포획하여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 + )방향에는 (-)전하들이, (-)
방향에는 ( + )전하들이 포획되어 있다.
초전 소자에 적외선이 입사되면 적외선의 열에 의해 초전 소자의 온도가 상승하고, 분자가 열운동을 하면
서 초전 소자 내부의 전하의 배열이 흐트러진다. 이로 인해 자발 분극은 감소하는데, 초전 소자 표면의 전하
는 이러한 분극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 변하기 어려워서 과잉의 전하가 나타난다. 이를 초전 현상이라 한
다. 초전 소자의 ( + )와 (-) 양극을 외부 전기 회로에 연결하면 온도 변화에 의하여 발생된 과잉 전하의 차
이만큼 이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초전 소자는 입사되는 적외선의 강도가 충분히 크지 않아 소량의 전
류가 흐르게 되므로 증폭기에서 전류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비교기에서는 전압을 측정하여 미리 정
해진 감시 기준 전압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감시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일정 시간 내에 몇 번 감시 기
준 전압을 넘었는지 확인하고 감지 상태로 판단되면 발광 다이오드(LED)를 켜고 신호를 보내 침입 상태를
알려 준다.
열선 감지기가 대부분 실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반면에 창고 등의 외곽을 감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는
(b) 능동형 적외선 감지기를 많이 사용한다. 능동형 적외선 감지기는 투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된다. 투광기
는 적외선 LED를 통해 적외선을 내보내고 투광기와 떨어져 설치되는 수광기에서는 투광기에서 나온 적외

16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7쪽

선을 수신한다. 따라서 침입자가 발생하면 적외선이 차단되어 수광기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적외선이 차
단되는 시간으로 침입 여부를 판단한다. 투광기의 LED에서 방출하는 적외선은 레이저와 같은 직선 빔이
아니고 어느 정도 각도를 가지고 퍼져서 나오게 된다. 경계 감시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투광기에서 적외
선을 멀리까지 보내야 하므로 렌즈로 적외선을 집중시켜 직선에 가까운 빔을 사용한다.

9002-0148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대상의 사용 방법을 알려 주고 있다.
② 대상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③ 대상의 내부 구조를 바탕으로 제작 원리를 알려 주고 있다.
④ 대상의 단점을 나열하고 새로운 방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⑤ 대상의 성능이 발전해 온 방향으로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9002-0149

02 윗글의 ‘열선 감지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람이 복사하는 가시광선으로 침입 여부를 판단한다.
② 초전 소자를 이용하여 열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침입을 감지한다.
③ 밤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는 침입 여부를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④ 적외선을 내보내는 투광기와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기로 구성된다.
⑤ 초전 소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감지 대상인 물체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67
기술 03

9002-0150

03 윗글의 (a)와 (b)에 대해 추론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로 감지할 영역이 넓어지면 프레넬 렌즈의 수를 늘려야겠군.
② (a)에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집광 렌즈의 초점 거리가 길어지겠군.
③ (a)의 감지 영역에 침입한 침입자가 많이 이동할수록 감지 확률은 높아지겠군.
④ (b)의 감시 영역에 침입자가 발생하면 수광기에 적외선이 수신되지 않겠군.
⑤ (b)의 감시 거리를 늘리려면 적외선을 최대한 직선에 가깝게 만들어 주는 렌즈가 필요하겠군.

9002-0151

04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초전 소자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과 ㉡은 동일한 초전 소자이다.
부유 전하

부유 전하
㉠           ㉡

① ㉠은 침입이 없을 때로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고 있다.


② ㉠은 외부에서 적외선이 입사되지 않더라도 자발 분극이 발생한다.
③ ㉡은 자발 분극이 증가하여 과잉의 전하가 표면에 나타나고 있다.
④ ㉡에 외부 전기 회로를 연결하면 이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⑤ ㉠에서 ㉡으로의 변화는 온도 변화에 기인한다.

16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8쪽

9002-0152

05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 ㉡ ㉢ ㉣
집광 렌즈 초전 소자 증폭기 비교기

① 침입이 있다면 ㉠에 입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감소되겠군.


② 침입과 관계없이 ㉠을 빠져나온 적외선의 양은 일정하겠군.
③ 침입이 있다면 ㉡에서 나오는 전류나 전압은 차단되겠군.
④ 침입이 있다면 ㉢에 입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증가하겠군.
⑤ 침입이 있다면 ㉣에 입력되는 전압은 기준 전압 이상이겠군.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69
기술 04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다수의 로봇을 동시에 운용하여 단일 로봇이 하지 못하는 임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목표를 보다 효율적
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 군집 로봇 기술이다. 군집 로봇 사이의 충돌도 막고 군집 로봇을 원하는 방향으
로 정교하게 보내는 것을 ‘군집 알고리즘’이라 하며 이는 세 가지 규칙을 기반으로 한다. 주변 로봇이 이동
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정렬성’, 서로 너무 멀어지는 것을 피하는 ‘응집성’, 주변 로봇과 일정한 거리를 유
지해 서로 너무 가까이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분리성’이다. 군집 알고리즘 중 ‘선도 추종 제어 기법’은 철새
들이 맨 앞의 리더를 중심으로 다른 새들이 V자를 유지하며 편대 비행하는 것을 본떠서 만든 것으로, 한 대
의 선도 로봇을 중심으로 추종 로봇들이 일정한 거리와 각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한다.
선도 추종 제어 기법은 일반적으로 위치 측정, 전역 경로 계획, 지역 경로 계획, 대형 제어 과정으로 구성
된다. 선도 로봇의 위치 측정 방법은 크게 상대 위치 측정과 절대 위치 측정이 있다. 상대 위치 측정은 주로
주행 기록계와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속도 또는 가속도를 이용하여 초
기 위치에서부터 로봇의 변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항공기에서 주로 사용하며 추측 항법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로봇의 가속도를 적분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계산할 수 있지만 시간에 따라 오차가
누적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절대 위치 측정은 다수의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해 로봇의 위치
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과거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의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한다.
따라서 오차가 누적되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 연산량이 많다. 추종 로봇은 선도 로봇의 위치 및 각도를 이
용하여 대형을 유지한다.
전역 경로 계획에서 선도 로봇은 주어진 맵을 이용하여 초기 위치에서 목표 위치까지의 경로를 계획한다.
선도 로봇의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A 스타 알고리즘 등을 이용한다. A 스타 알고리즘은 격자로 나누
어진 지도를 이용하여 시작점에서 목표점까지 이동 가능한 경로들을 가상의 정점 *들로 연결하고 거리 함수
를 계산하여 최적 경로를 생성한다. 각 정점에서 거리 함수는 시작점에서 현재 정점까지의 거리와 현재 정
점에서 목표점까지의 거리 추정치를 합한 것이다. 즉 현재 위치에 이르기까지 이미 지나온 경로의 거리와
현재 위치에서 목표점까지 도달하는 데 더 필요한 이동 거리에 대한 추정치의 합이다. 이 과정들을 반복해
서 경로가 무효가 되거나 이 경로들 중의 하나가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거리 함수가 최소인 경로를 선택하
여 경로상에 있는 정점들을 우선적으로 연결한다.
전역 경로 계획은 주로 정적인 환경에서의 계획이다. 하지만 로봇이 실제 환경을 주행한다면 거의 대부분
장애물이 움직이고 있는 동적인 환경이다. 따라서 지역 경로 계획에서는 동적 환경에서의 장애물 또는 다
른 로봇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선도 로봇의 경로로 설정된 다수의 정점과 장애물에 가상 힘을 적용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가상 힘은 목표 위치에 도착하기 위해 끌어당기는 인력과 장애물 회피를 위해 밀어내는
척력으로 구분된다. 즉 선도 로봇은 이동 경로상에서 다음 정점을 목표로 설정하여 끌어당기는 인력이 있
다고 가상하고, 이동 경로에 있는 장애물 및 주변 로봇과의 사이에는 척력이 존재한다고 가상하여 충돌을
회피하면서 목표 위치로 주행한다.
대형 제어에서 추종 로봇들은 목표와 장애물의 위치를 입력받아 사전에 계획된 대형을 유지하면서 이동
한다. 이때 추종 로봇의 위치 및 방향각은 선도 로봇의 위치와 방향각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추종 로봇은

17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9쪽

이동하는 선도 로봇의 위치를 목표 위치로 설정하여 가상 힘인 인력을 발생하여 이동하게 된다.


선도 추종 제어 기법은 동일 알고리즘으로 로봇 대수를 늘리면서 편대를 유지할 수 있고 알고리즘의 성능
과 안정성을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선도 로봇이 고장 나면 남은 추종 로봇들이
임무를 더 이상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각 로봇이 동등한 지위에서 주변 정보만으로 움직이게 하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 정점: 장소, 위치 따위를 정해 놓은 일정한 점.

9002-0153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선도 추종 제어 기법은 철새들의 계절별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② 선도 추종 제어 기법에서 선도 로봇의 이동 경로는 이동하기 전에 생성되어 고정된다.
③ 선도 추종 제어 기법에서는 동일한 이동 경로와 임무가 추종 로봇마다 저장되어 있다.
④ 선도 추종 제어 기법은 선도 로봇과 추종 로봇이 동일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군집 알고리
즘이다.
⑤ 선도 추종 제어 기법은 추종 로봇의 수가 늘어나면 편대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
이 필요하다.

9002-0154

02 윗글의 선도 추종 제어 기법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① 분리성은 군집 로봇들이 독립적인 이동 경로를 가져야 한다는 규칙이다.
② 전역 경로 계획에서는 정렬성 규칙을 중심으로 선도 로봇의 경로를 생성한다.
③ 대형 제어에서는 응집성 규칙은 강조되지만 정렬성 규칙은 적용되지 않는다.
④ 지역 경로 계획에서는 동적인 환경에서 분리성 규칙에 유의하여 경로를 생성한다.
⑤ 위치 측정은 응집성 규칙에 따라 로봇이 주변 로봇과의 위치 관계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71
기술 04

9002-0155

03 로봇의 ‘위치 측정’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위치 측정은 선도 로봇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② 절대 위치 측정은 여러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으므로 연산량이 많다.
③ 절대 위치 측정은 현재의 데이터만을 사용하므로 오차가 누적되지 않는다.
④ 추종 로봇의 위치는 지나온 거리를 계산하는 상대 위치 측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⑤ 기존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위치 측정은 오차가 있을 경우 시간에 따라 오차가 누적된다.

9002-0156

04 윗글을 고려할 때, <보기>와 같은 조건에서의 A 스타 알고리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다음은 전역 경로 계획의 한 예이다.

  


  
Ⓐ Ⓑ Ⓓ Ⓔ

1. Ⓐ ~ Ⓔ는 이동 가능한 경로상의 정점이다.


2. 정점 Ⓐ가 시작점, 정점 Ⓔ가 목표점이다.
3. 숫자는 두 정점 사이의 거리이다.

① 시작점 Ⓐ에서 다음 선택 경로는 정점 Ⓒ이다.


② 현재 위치가 정점 Ⓑ라면 거리 함수는 5 + 5이다.
③ 최종 이동 경로에는 정점 Ⓒ에서 정점 Ⓓ로의 경로가 포함된다.
④ 최종 이동 경로는 포함된 정점의 수와 거리 함수를 고려하여 선택한다.
⑤ 정점 Ⓑ와 정점 Ⓓ 사이의 거리가 최대이므로 두 정점 사이의 경로는 배제한다.

17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59쪽

9002-0157

05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음은 지역 경로 계획의 한 예이다.
정점(다음 경로)


장애물 ⓑ
선도 로봇


추종 로봇

선도 추종 제어 기법의 한 예로 ⓐ, ⓑ, ⓒ는 모두 가상 힘이다.

① 선도 로봇이 이동할 다음 정점은 이미 결정되어 있다.


② 추종 로봇은 선도 로봇의 이동 경로를 따라 주행한다.
③ ⓐ는 선도 로봇에 적용되는 인력이다.
④ ⓑ는 분리성 규칙을 준수하기 위한 가상 힘이다.
⑤ 선도 로봇과 추종 로봇이 충돌하지 않도록 ⓒ는 척력으로 작용한다.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73
기술 05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건축물, 자동차, 항공기 등 다양한 구조물은 구조적 강성 *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뼈대로 판이나 보
를 활용한다. 그런데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판이나 보는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충분히‌
ⓐ감쇠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진동이나 소음을 충분히 감쇠시키는 것이 구조물을 설
계하는 데에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항이다.
진동이나 소음은, 외부로부터 힘을 받아 발생한 파동이 매질 *의 밀도가 달라지는 구조물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증폭된다. 그동안 산업 현장에서는 점탄성 물질을 판이나 보의 표면에 ⓑ도포하여 진동이나 소음
을 감쇠시키는 ㉠자유층 감쇠 기법 등을 활용해 왔다. 점탄성 물질이란 ‘즉각성’과 ‘시간 지연성’을 모두 가
지고 있는 물질이다. 즉각성이란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가 힘을 받으면 즉각적으로 변형되고 받은 힘을 제
거하면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시간 지연성이란 힘과 변형의 관계가 시간에 따라 서서히 변
하는 것을 말하는데, 꿀이 평평한 판 위에 놓이면 중력에 의해 서서히 흐르게 되는 것으로 이는 꿀이 흐름에
ⓒ저항하는 성질인 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점탄성 물질은 외부로부터 받은
에너지의 일부를 복원 가능한 탄성 에너지로 저장하고 나머지는 열에너지 등으로 발산시키는 성질을 가지
고 있어 감쇠성 *을 지니고 있다.
점탄성 물질로 표면을 처리하는 기법은 경제성과 편리성이 높고 진동이나 소음을 감쇠시키는 데 별도의
에너지가 소모되지 않는다. 하지만 구조물의 부피와 무게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구조물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비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적이 넓고 두께가 얇은 판의 진동을 감쇠시키려고 한다면 원래 구
조물의 무게 대비 많은 양의 점탄성 물질을 표면에 부착해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 산업과 같이 구조물의 부피와 무게가 적게 나갈수록 유리한 산업 분야에서는 자유층 감쇠 기법보다 더
욱 효율적인 진동 감쇠 방법이 요구된다.
‘음향 블랙홀’은 판이나 보의 한쪽 끝단의 두께를 충분히 완만하게 감소시켜 0에 가깝게 만든 구조물
이다. 음향 블랙홀은 멱함수 h(x)=ɛxm(ɛ=상수, m≥2) 형상을 따라 만들어지는데, 이 멱함수는 x값이 0
에 가까워짐에 따라 h(x)가 완만하게 감소하여 0에 무한히 근접하게 된다. 음향 블랙홀이 진동이나 소
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이유는 파동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 파동의 속도는 매질의 밀도뿐만 아니라 형
상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판이나 보와 같은 평판에서 파동의 속도는 매질 두께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따라서 음향 블랙홀에서 끝단의 두께를 무한히 얇게 하면 끝단으로 진행하는 파동의 속도를 무한히 느
[A] 리게 할 수 있다. 무한히 느려진 파동은 끝단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고 끝단까지 도달하는 파동이 없으
면 반사되는 파동도 없게 되므로 마치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생각은 러시아의 미로노프(Mironov)가 최초로 제안한 개념이었지만 두께가 0에 무한히 가까
워지는 구조물을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개념적 구상에만 머물러 있었다. 그러다
가 2004년 크릴로프(Krylov)가 ㉡음향 블랙홀의 끝단에 소량의 점탄성 물질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끝단
까지 전달되는 파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데 성공하면서 음향 블랙홀의 감쇠 성능을 향상
시키려는 연구들이 재개되었다.
㉮음향 블랙홀의 감쇠 성능은 음향 블랙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향상되지만 길이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17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0쪽

음향 블랙홀이 차지하는 공간을 증가시켜 공간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향 블랙홀의 길
이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음향 블랙홀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음향 블
랙홀의 형상을 직선에서 곡선으로 ⓔ변경하면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면서도 차지하는 공간을 어느 정도 줄
일 수 있다.

* 강성: 어떤 물체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아도 모양이나 부피가 변하지 아니하는 단단한 성질.
* 매질: 어떤 파동 또는 물리적 작용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 주는 매개물.
* 감쇠성: 구조물이 갖는 진동을 시간에 따라 작게 해 가는 성질.

9002-0158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음향 블랙홀을 만드는 재료에 따른 미학적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② 음향 블랙홀의 원리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③ 음향 블랙홀의 적용 사례들을 통해 음향 블랙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④ 진동이나 소음이 일으키는 피해를 바탕으로 음향 블랙홀 개발의 필요성을 밝히고 있다.
⑤ 음향 블랙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유층 감쇠 기법의 장점을 설명하고 있다.

9002-0159

02 [A]를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아래 그림은 보의 한쪽 끝에 음향 블랙홀을 구현한 것이다. 두께가 16mm인 보를 따라 파동이
입사된다고 가정해 보자. 단, 두께 이외의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파동  NN
 NN
점탄성 물질

끝단

① 끝단에 부착된 점탄성 물질이 파동 에너지를 열에너지 등으로 발산시키겠군.


② 음향 블랙홀의 두께를 완만하게 감소시켜야 입사된 파동이 반사되지 않겠군.
③ 음향 블랙홀의 끝단의 두께가 얇을수록 끝단을 지나는 파동의 속도는 느려지겠군.
④ 음향 블랙홀에 입사되는 파동의 속도가 느릴수록 끝단에서 반사되는 파동이 많아지겠군.
⑤ 입사된 파동의 속도는 음향 블랙홀의 두께가 4mm인 지점을 지나면서 절반으로 감소하겠군.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75
정답과 해설 60쪽

9002-0160

03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은 운송 산업과 같은 분야에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다.
② ㉡은 판이나 보의 강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③ ㉡에 비해 ㉠은 탄성체의 즉각성을 감쇠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④ ㉠과 ㉡ 모두 전체 구조물의 형상이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⑤ ㉠과 ㉡ 모두 진동이나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해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

9002-0161

04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끝단에 대량의 점탄성 물질을 골고루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② 끝단의 두께를 무한히 얇게 만들어 즉각성과 시간 지연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③ 끝단에 부착하는 점탄성 물질의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④ 끝단의 두께를 0에 가깝게 만들어 파동의 속도를 무한히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⑤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파동을 증가시켜 보나 판에 입사되는 파동이 감소하기 때문에

9002-0162

05 ⓐ~ⓔ를 활용하여 만든 문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시간은 영원할 것 같던 사랑을 감쇠시켰다.
② ⓑ: 의사 선생님께서 상처 부위에 연고를 도포하셨다.
③ ⓒ: 잡혀 들어간 독립운동가들은 대부분 일본 경찰에게 저항하다가 목숨을 잃었다.
④ ⓓ: 시험 시간은 1시간으로 제어하오니 착오가 없기를 바랍니다.
⑤ ⓔ: 시청은 영어로 된 상호를 우리말 상호로 변경하기로 했다.

17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기술 06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주로 업무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정보 분석을 위해 재사용되기도 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
(DW)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조직해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도구이다. ㉮DW 시스템은 축적된 데이터
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여러 관점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재사
용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정보의 분 %매장
(위치)  
$매장
  
석이 중심인 DW 시스템은, 업무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매장
  
"매장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그  
분기    
기능 및 구조가 달라, 각 시스템을 별도로 분리해 구축해야 한  


기(간
다. 이는 은행의 입출금 내역 기록처럼 업무 처리 과정에서 수 분기   
 
시로 생성되는 정보의 저장이 중심인 운영 데이터베이스 시스 분기    

)

템과 달리, DW 시스템이 기존의 데이터를 데이터 큐브의 형태 분기   
로 관리하는 다차원 데이터 모델을 기초로 하기 때문이다. 데 세탁기 냉장고 청소기
(제품) (단위: 대)
이터 큐브는 데이터를 여러 ‘차원’으로 모델링한 것인데, 차원
이란 데이터를 분석하는 일종의 관점으로 데이터 큐브의 축이 <그림 1>

된다. 보통 큐브(cube)라는 단어는 기하학적인 3차원 입방체 구조를 뜻하지만, 데이터 큐브는 차원의 수만
큼 n차원의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다.
다차원 데이터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 어느 기업의 판매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큐브를 살펴보자. <그림 1>
은 기업의 제품 판매 수량을 ‘기간’, ‘위치’, ‘제품’ 차원에서 나타낸 3차원 데이터 큐브이다. 각 차원은 하나
이상의 ‘차원 항목’으로 구성되는데, 차원 항목이란 ‘1, 2, 3, 4분기’와 같이 각 축의 좌표에 해당하는 것이
다. 차원 항목을 고려할 때, <그림 1>에서 B매장의 1분기 세탁기 판매 수량은 214대임을 알 수 있다. 사용자
는 다차원 데이터의 어떤 부분을 분석할지에 따라 데이터 큐브를 원하는 형태로 바꾸어 볼 수 있다. 만일 이
데이터 큐브에 ‘구매자 연령’ 차원이 포함된 데이터를 보려면 해당 차원이 추가된 4차원 데이터 큐브를 활
용할 수 있으며, 이는 <그림 1>과 같은 3차원 데이터 큐브를 나열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어
떤 n차원 데이터 큐브도 n-1차원 데이터 큐브들의 연속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데이터의 실제 물리적 저장
형태는 이와 다를 수 있다.
데이터 큐브에서 특정 차원 내의 차원 항목들은 상세한 하위 개념의 집합들로부터 더 일반적인 상위 개념
으로 계층적으로 조직화될 수 있으며, 이를 ‘개념 계층’이라 한다. 가령 ‘기간’ 차원에서 개념 계층은 ‘일자‌
<월<분기<반기<연도’의 구조를 지닐 수 있는데, ‘분기’에 해당하는 하위 차원 항목들이 묶여 ‘반기’, ‘연도’
등 상위 개념이 될 수 있다. 개념 계층을 구성할 때 필요한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로부터 추출된다. 원본 데
이터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가장 세부적인 데이터로, 데이터 큐브의 바탕이 되는 데이터이다. ㉠원본
데이터에서 추출된, 개념 계층에서 가장 상세한 개념의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큐브에서 개념 계층의
최하위 차원 항목들이 위치한 부분에 적재되어야 한다. 이렇게 적재된 하위 차원 항목의 데이터를 기반으
로 더 일반적인 상위 차원 항목들의 데이터 값이 계산되며, 이 과정을 ‘집계’라 한다.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77
기술 06

다차원 데이터 모델은 차원과 개념 계층에 의해 여러 수준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


한다. 롤 업(roll up)은 데이터를 더 요약된 형태로 접근해 분석하는 연산이다. 이는 특정 차원 항목들을 묶
어 개념 계층의 상위 개념으로 올라가는 방식이나, 차원 수를 줄이는 차원 축소에 의해 요약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드릴 다운(drill down)은 롤 업의 반대 연산으로, 데이터를 더 상세하고 구체적인 형태로
분석하는 연산이다. 드릴 다운은 특정 차원 항목들에 대한 개념 계층이 하위 개념으로 내려가는 방식이나,
차원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큐브는 다양한 차원으로 데이터를 보여줄 수 있다. 특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여 줄 수 있는 데이
터 큐브들의 집합은 격자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격자 내부에 표현될 수 있는 각 차원의 데이터 큐브를
BMM 차원 큐보이드 ㉡큐보이드라 한다. 큐보이드 격자는 데이터 큐브
에서 드릴 다운과 롤 업을 통해 분석할 수 있는 차
제품 기간 위치 차원 큐보이드
원들의 조합을 구조적으로 나타내는 모델이다. <그
제품, 기간 제품, 위치 기간, 위치 차원 큐보이드
림 1>의 3차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다면, 데이터
큐브에서 분석 가능한 차원들의 조합에 따라 <그림
제품, 기간, 위치 차원 큐보이드 2>와 같은 큐보이드 격자를 구축할 수 있다. 큐보이
<그림 2> 드 격자 내 차원들의 집합인 큐보이드들은 각각 분
석 가능한 차원들의 조합을 보여 주는데, 일반적으로 n개의 차원을 지닌 데이터의 전체 큐보이드 수는 2n개
이다. 이때 정보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요약된 n차원 큐보이드를 기본 큐보이드라 하는데, 가장 세부적인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다. 정보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요약된 큐보이드는 정점 큐보이드라 하며, 주로 ‘all’
로 표현된다. <그림 2>의 경우 정점 큐보이드는 전체 제품의 총 판매 수량을 나타낸다.
DW 시스템은 업무에서 수시로 만들어지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지는 않지만, 여러 차원의 집계, 분석
을 통해 기존의 복잡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정보의 형태로 통합, 분리해 추출할 수 있게 해 주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9002-0163

01 윗글에서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2차원 데이터 큐브는 3차원 데이터 큐브들의 연속으로 표현된다.
② 개념 계층을 활용하면 차원을 추가해야만 상위 개념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③ 데이터 큐브에서 분석 가능한 차원들의 조합에 따라 큐보이드 격자를 구축할 수 있다.
④ 다차원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 큐브는 각 축의 좌표 수에 따라 차원의 수가 결정된다.
⑤ 데이터 큐브의 차원이 하나라면 차원 항목 수와 관계없이 데이터의 형태를 바꾸어 보여 줄
수 없다.

17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1쪽

9002-0164

02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가), (나)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와 (나)는 대중교통 이용자 수가 기록되어 있는 동일한 특정 다차원 데이터를 다른 조건의 변
화 없이, 각 차원과 개념 계층에 의한 롤 업이나 드릴 다운을 활용하여 각기 다른 수준의 관점으로
나타낸 데이터 큐브이다.

(가) 교통수단 (나) (지역) ㄷ 도시


지하철 버스 택시  #
ㄴ 도시
기간   
ㄱ 도시

1분기 120 112 109 

기(간
상반기   

2분기 112 102 95
하반기   

)
3분기 132 108 101
지하철 버스 택시
4분기 128 115 (A) (교통수단)

※ 이용자 수 단위: 천 명.
※ 2개의 분기는 1개의 반기임.

① (가)의 (A)와 (나)의 (B)에 들어갈 대중교통 이용자 수는 각각 110과 50이겠군.


② (가)와 (나)에서 활용한 동일한 특정 다차원 데이터에서 기간 차원의 차원 항목은 계층 구조
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겠군.
③ (가)와 (나)에서 활용한 동일한 특정 다차원 데이터에는 기간, 교통수단, 지역별 대중교통 이
용자 수와 관련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겠군.
④ (가)의 기간 차원에 대한 개념 계층을 하위 개념으로 변경한 후, 지역 차원을 추가해 드릴‌
다운한다면, (나)와 같이 표현될 수 있겠군.
⑤ (나)의 기간 차원과 지역 차원을 축소하는 롤 업 연산을 구현한다면, (가)보다 차원의 수가
적은 데이터 큐브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겠군.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79
기술 06

9002-0165

03 ㉠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집계’에 의해서만 더 상세한 차원 항목의 데이터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② 특정 차원과 다른 차원 간의 관계를 계층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해서만 활용된다.
③ 차원 항목들의 개념 계층을 활용할 때, 드릴 다운은 되지 않고 롤 업만 가능하다.
④ 사용자가 요구하더라도 차원 항목들의 개념 계층을 어떤 형태로도 바꾸어 볼 수 없다.
⑤ 더 일반적인 차원 항목들의 데이터 값을 계산하기 위해, 최상위 차원 항목의 데이터로만 이
루어져 있다.

9002-0166

04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64개의 큐보이드를 지닌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차원 항목 수의 총합은 6개 이상이다.
② 지니고 있는 차원의 수가 동일한 데이터들은 차원 항목의 수가 각기 다르더라도 전체 큐보
이드의 수는 동일하다.
③ n개의 차원을 지닌 데이터의 큐보이드인 경우, 정보를 가장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큐보
이드는 n차원 큐보이드이다.
④ 제품 판매 수량을 기록한 데이터의 큐보이드인 경우, 0차원 큐보이드인 정점 큐보이드는 전
체 제품의 총 판매 수량을 나타낸다.
⑤ 동일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큐보이드인 경우, 정점 큐보이드에서 기본 큐보이드에 가까워
질수록 각 큐보이드 내 차원의 수는 점차 줄어든다.

18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2쪽

9002-0167

05 윗글의 ㉮와 <보기>의 ㉯를 비교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운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항공사 발권 등 기업의 업무 과정에서 정보를 최적화해 운영하기
위해 많이 활용된다. 운영 데이터베이스는 수시로 생성되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의 집합으
로, 업무 데이터의 빠른 처리에 적합한 구조를 지닌다. 운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업무 정보를 운
영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데,
이 시스템의 주목적은 데이터의 분석이 아닌, 업무의 효율적 처리이다.

① ㉮와 달리 ㉯는 업무 정보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생성되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이겠군.
② ㉮와 달리 ㉯는 다양한 차원과 개념 계층에 의해 여러 관점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다차원 데이터 모델을 기초로 하겠군.
③ ㉯와 달리 ㉮는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이므로, 업무 운영 과정에서
수시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해 구축해야만 하겠
군.
④ ㉮와 ㉯는 모두 데이터의 효율적 분석만을 위한 시스템으로, 업무 정보의 생성과 저장보다
사용자들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도구로 활용되겠군.
⑤ ㉮와 ㉯는 모두 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재사용하
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겠군.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81
기술 07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생물은 여러 수단을 이용해 생존에 알맞은 환경을 찾아 이동하는데, 박테리아도 예외는 아니다. 1975년
미국의 블레이크모어는 자기장을 따라 움직이는 ‘주자성(走磁性)’이 있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 주자성 박
테리아는 대부분 산소를 싫어하는 혐기성을 띠어 산소 농도가 높은 수면을 피해 호수나 바다 밑 침전물에
서식한다. 이들은 지면의 자기장을 감지해 수면 아래의 지면에 위치한 침전물을 향해 유영할 수 있는데, 이
들이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은 몸속에 ‘마그네토솜(magnetosome)’이라는 특수한 세포 내 소기관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마그네토솜은 35~120㎚ * 정도의 자석 결정을 생성하는 소기관으로, 단백질 복합체가 자석 결정을 둘러
싼 형태이다. 마그네토솜은 박테리아가 섭취한 먹이를 바탕으로 마그네타이트(Fe3O4) 또는 그레자이트
(Fe3S4)로 이루어진 균일한 자석 결정을 생성한다. 자석 결정 한 개가 지닌 자기력은 아주 작지만, 주자성
박테리아 내부에는 자석 결정 여럿이 N극, S극의 인력에 의해 사슬 형태를 이루어 하나의 긴 자석처럼 큰
자기력을 갖게 된다. 주자성 박테리아는 이 자석 결정을 나침반으로 삼아 자신들의 서식지를 감지하고, 운
동 기관인 편모를 회전하는 방법으로 해당 방향으로 움직인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지면에서 감지되는 자기
장은 서로 반대이므로, 수중의 주자성 박테리아들은 북반구에서 지면의 자북극 *을, 남반구에서 지면의 자
남극을 지향한다.
주자성 박테리아에서 얻어 낸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은 인위적으로 합성한 자석 결정에 비해 여러 장점을
지녀 의학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발열 치료 시스템’은 이러한 사례 중 하나이다.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은 매우 작아 세포 내에 침투하기가 용이한데,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에 암세포를 찾아가는 표적 물질
을 코팅하면 자석 결정이 암세포에 침투할 수 있다. 암세포는 정상 세포에 비해 열에 약한 경우가 많아 암세
포에 침투한 자석 결정을 체외에서 자기장을 이용해 발열시키면 암세포를 소멸시킬 수 있다.
체외의 자기장에 의해 체내의 자석 결정이 발열하는 현상은 ‘자기 이 .
(자화 세기)
력 현상’과 관련된다. 자기 이력 현상은 외부에서 가하던 자기장을 제거 D C
해도 자성체가 자화 *된 상태를 유지하는 현상을 말한다. 자성체란 자기
E B H *
장에 의해 자화되는 물질을 가리키는데, 전자석이나 영구 자석은 철, 니
(전류)
켈, 코발트처럼 외부 자기장을 제거해도 자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강자성 F G

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림>은 전류의 세기에 따른 자화 세기의 변화


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자기 이력 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자성 <그림>
체인 코어에 도선 코일을 감고 코일에 일정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코
일 주위에 자기장이 생긴다. 이때 자기장의 세기는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는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를 증가시키면 코일 주변의 자기장이 강해지고, 이에 따라 자성체의 자화 세기가 커진다. 외부 자기장이 어
느 정도 강해지면 자성체의 자화 세기는 포화점 b에 이르러 전류를 더 세게 흘려도 커지지 않는다. 이때 전
류를 0으로 줄여도 자성체는 c만큼의 자화 세기를 지니는데, 이는 자성체가 영구 자석이 되었음을 뜻한다.
자성체에 남아 있는 자화 세기를 ‘잔류 자기’라 하는데, 잔류 자기를 제거하려면 코일에 전류를 이전의 역방
향으로 흘려야 한다. 이 역방향 전류의 세기를 d만큼 증가시키면 자화 세기는 0이 되고, 전류를 더 세게 흘

18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4쪽

리면 자성체의 자화 세기가 반대쪽으로 커져 포화점 e에 이른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전류의 세기에 따
른 자화 세기는 <그림>과 같이 변화하는데, 자화의 과정과 관련된 이러한 경로를 나타낸 폐곡선을 ‘자기 이
력 곡선(hysteresis loop)’이라 한다.
외부 코일에 일정 방향으로 전류를 흘려 자성체의 자화 세기가 포화점 b에 이르렀을 때, <그림>과 같이
코일에 역방향의 전류를 흘리는 과정을 반복하면, 자성체의 자화 세기는 처음의 포화 상태와 동일하게 복
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전기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자성체의 온도를 높이는데, 이때 사
용된 에너지의 양은 <그림>의 b-c-d-e-f-g 점에 이르는 자기 이력 곡선의 내부 면적과 비례한다. 자화의
과정과 관련해 발생하는 열은 에너지 손실의 일종인데, 이러한 손실을 ‘자기 이력 손실(hysteresis loss)’이
라 한다.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을 활용한 발열 치료는 이렇게 자화의 과정과 관련해 발생하는 열을 활용한
것이다.
발열 치료에는 발열량이 풍부한 자성체나, 정밀한 온도 조절이 가능한 자성체를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 한 개에서 발생하는 열은 매우 작지만, 암세포 속에는 이 자석 결정이 다량으로 침투
할 수 있어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 충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정밀한 온도 조절을 위해 발열체의
크기, 형태의 균일성이 필수인데,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은 이를 충족시켜 발열 치료에 활용하기에 매우 적
합하다. 현재 주자성 박테리아의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을 활용한 발열 치료 시스템은 새로운 암 치료 수단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9
* ㎚: 나노미터, 1㎚=1/10 m.
* 자북극: 자침이 가리키는 북쪽 끝.
* 자화: 자기장 안의 물체가 자기를 띠는 현상.

9002-0168

01 윗글에서 언급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을 이루는 성분
② 혐기성 박테리아가 암세포에 침투하는 원리
③ 매우 작은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으로 큰 자기력을 얻는 방법
④ 발열 치료 과정에서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을 활용할 때의 장점
⑤ 북반구와 남반구의 주자성 박테리아가 지향하는 극이 반대인 이유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83
기술 07

9002-0169

02 윗글의 ㉠과 <보기>의 ㉡을 비교하여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일반적으로 질병 치료를 위해 치료 약물은 정제 *나 주사제의 형태로 몸에 투여된다. 약물은 우
리 몸에 흡수된 후, 주로 혈액을 통해 전신을 순환하다가 필요한 부위에 작용하기 때문에 필요한
양보다 많은 양이 투여된다. 그런데 치료 약물로 코팅한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을 인체에 투여한
후, 외부에서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만 자기장을 집중해 만들어 주면, 자기장을 향해 움직이는 마그
네토솜 자석 결정을 통해 적정한 양의 약물을 필요 부위에만 전달할 수 있어 ㉡새로운 약물 전달
시스템이 가능해진다. 약물 과다 섭취를 줄이는 데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 정제: 가루나 결정성 약을 뭉쳐서 둥글게 만든 약제.

① ㉠과 달리 ㉡은 주자성 박테리아에서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을 추출해야 한다.


② ㉡과 달리 ㉠은 주자성 박테리아의 운동 기관을 질병 치료에 활용하고 있다.
③ ㉠과 ㉡은 모두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 외부에서 자기장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④ ㉠과 ㉡은 모두 질병 부위를 치료할 약물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실제로 활용될 수 있다.
⑤ ㉠과 ㉡은 모두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에 표적이 되는 부위를 찾아가는 물질을 코팅해야 한다.

18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4쪽

9002-0170

03 윗글을 참고할 때, <보기>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옆의 그림은 종류가 다른 두 자성체 A와 B의 자기 이력 곡선 .
(자화 세기)
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자성체는 고유의 자기 이력 곡선을 지
니고 있는데, 영구 자석의 재료는 전자석의 재료에 비해 상대
적으로 보자력이 큰 강철을, 전자석의 재료는 영구 자석의 재 #

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자력이 작고 자기 이력 곡선의 내부


면적이 좁은 연철을 활용한다. 보자력이란 자성체 자화 세기가
 *
0이 되도록 하기 위한 자기장의 세기이다. 일반적으로 자기 이 (전류)
력 곡선의 내부 면적이 클수록 보자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원리는 변압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변압기의 경우
자성체인 내부의 코어는 열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
위한 재료로 만들어져야 효율적이다.

① 변압기의 경우 내부 코어의 재료로 자성체 B보다 자성체 A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겠군.


② A가 B보다 잔류 자기를 제거하기 위해 전류를 더 세게 흘려야 하는 자성체라 할 수 있겠군.
③ B가 A보다 보자력이 크기 때문에 영구 자석의 재료로 활용하기에 더 적합한 자성체라 할 수
있겠군.
④ B가 A보다 자화 세기를 포화점에 이르게 하기 위해 전류를 더 세게 흘려야 하는 자성체라
할 수 있겠군.
⑤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마그네토솜 자석 결정의 자기 이력 곡선이 자성체 B와 같다면 자성
체 A와 같은 경우보다 암세포에 대한 발열 치료에 더 효과적이겠군.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85
기술 08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자전거 뒤에 타고 이동하게 되면 울퉁불퉁한 길을 지날 때에 큰 덜컹거림을 경험할 수 있다. 만약 타고 있


는 것이 자전거가 아닌 자동차라면 어떨까? 자동차가 이렇게 덜컹거린다면 타고 다니기 곤란할 것이다. 그
래서 자동차에는 이런 덜컹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데 이를 현가장치라고 한다.
현가장치는 차량의 진동을 완화하는 것 외에 차체를 지지하고, 커브를 돌 때 차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줄
여 주거나, 타이어와 도로 사이의 접촉을 계속 유지해 주는 일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한 현가장치는 스프
링과 쇼크업소버로 구성된다. 현가장치에 쓰이는 스프링은 토션바, 에어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이 있고 쇼
크업소버는 유압식 *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토션바는 축을 기준으로 양 끝을 각각 반대 방향으로 비틀면
원래대로 펴지려는 힘을 이용한 것이고, 에어 스프링은 일정 온도에서 기체를 1/2 부피까지 압축하면 압력
은 2배가 되어 압력을 밀어내는 힘도 2배가 되는 원리를 활용한 것으로, 대형 버스에 주로 쓰인다. 승용차
에는 코일 스프링이 주로 쓰이는데 이 코일 스프링의 특징을 살펴보자.
스프링은 상황에 따라 변형되는 성질을 가진다. 스프링을 일정한 길이만큼 변형시킬 때, 길이 변화에 대
한 힘의 크기의 비율을 스프링 상수라고 한다.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이 받는 힘과 비례 관계에 있다. 또한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이 받는 하중을 스프링의 변형량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으며 기호는 ‘kgf/mm’로 표시
하는데, 1kgf/mm의 경우 1mm를 변형시키는 질량 1kg인 물체의 하중이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모든 조건
이 같은 상황에서 동일한 스프링을 1/2로 잘랐을 경우 스프링의 변형량도 1/2로 감소된다는 특징이 있다.
스프링에 추를 달아 당기면 추는 꽤 오랫동안 아래위로 진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탄성력과 관계
가 있는데, 탄성력은 힘을 가하면 변형되고 힘을 빼면 원래대로 돌아가는 성질인 탄성의 정도이다. 스프링
의 탄성력은 변형된 길이에 비례한다. 또한 진동이 지속되는 것은 추를 움직이는 운동 에너지가 스프링의
탄성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총 에너지가 유지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서 추가 움직인 거
리인 진폭은 줄어들게 된다. 왜냐하면 공기와의 마찰 등으로 에너지가 조금씩 흩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진
동의 주기는 한 번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인데, 이 값의 역수 *를 진동수라고 한다. 스프링의 진동수는 스
프링 상수와 추의 질량에 의해 결정되고, 스프링 상수와 질량이 정해지면 스프링은 일정한 고유 진동수로
진동한다. 고유 진동수는 스프링 상수가 커지면 같이 커지는 특징이 있다.
현가장치에 쓰이는 스프링은 덜컹거림을 최소화해야 하므로 자동차의 몸통과 스프링이 만드는 진동수를
작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의 무게를 무겁게 하거나 스프링 상수를 작게 하면 된다. 하지만 자동
차를 일부러 무겁게 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으며, 스프링 상수가 작은 스프링을 쓰게 되면 차량의 진폭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스프링만을 사용하면 진폭이 크고 진동 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 편안함을 느끼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쇼크업소버가 쓰이게 된다. 쇼크업소버는 크게 단통식과 복통식으로 나뉜다. 단통식은
본체인 통이 홑겹 구조로 되어 있고, 통 내부는 기름이 채워진 오일실과 고압의 가스가 충전된 가스실로 나
뉘어 그 사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프리 피스톤으로 나뉜 구조를 가진다. 복통식은 통이 외통과 내통
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복통식 쇼크업소버인 ㉠트윈 튜브식 쇼크업소버에는 외통과 내통이 있으며, 기름이 흘러가는 두 종류의
통로가 있다. 하나는 별다른 저항 없이 기름의 흐름에 따라 개폐되는 통로인 오리피스(Orifice)이고 다른 것

18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5쪽

은 압력 차에 의해 스프링에 연결된 통로가 개폐되는 감쇠력 발생 밸브이다. 이 통로들은 내통 바닥의 베이


스 밸브와 피스톤에 모두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의 속도가 낮은 범위에서는 오리피스로,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감쇠력 발생 밸브까지 연동하여 감쇠력이 조정된다. 압축 시에는 내통에서 외통으로 기
름이 나가고, 이때는 베이스 밸브의 통로들에서 감쇠력이 발생한다. 신장 시에는 외통에서 내통으로 기름
이 들어오고, 이때는 피스톤에 설치된 통로들에서 감쇠력이 발생한다. 오리피스에서는 기름이 별다른 저항
없이 흐를 수 있지만, 감쇠력 발생 밸브는 압력이 높아지면 막혀 있던 판이 밀려 열리면서 생긴 간극으로 기
름이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감쇠력은 기름이 이동할 때 받는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감
쇠력 발생 밸브에 설치된 판의 수를 증가시키면 저항이 강해지기 때문에 감쇠력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오
리피스의 구멍을 작게 하면 감쇠력이 커지며, 만약 인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오리피스를 설
치한 경우 오리피스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쇼크업소버에서는 피스톤을 움직
이는 운동 에너지가 기름의 온도를 올리는 데에도 사용되어, 탄성 에너지로 변환되는 에너지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열에너지로 흩어짐이 거의 없이 탄성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가 되었다
가 다시 탄성 에너지로 변환되는 ㉡스프링보다 빠르게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차량은 짧은 시간 동안 변화량이 큰 경우에 충격을 받게 된다. 스프링과 쇼크업소버가 차량의 현가장치로
사용되면 그러한 변화량을 적절히 제어하면서 차량의 안락한 승차감을 만들어 우리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 유압식: 압력을 가한 기름에 의하여 작동되는 방식.


* 역수: 어떤 수와 곱해서 1이 되게 하는 수. 어떤 자연수와 그 자연수를 분모로 하는 단위 분수는 서로 역수이다.

9002-0171

01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현가장치는 커브 시에 차량의 타이어가 지속적으로 도로와 접촉하도록 기능한다.
② 토션바는 비틀림의 상태에서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원리를 이용한 스프링이다.
③ 자동차의 무게를 늘리게 되면 자동차의 진동수가 작아지지만 효율성이 떨어진다.
④ 에어 스프링은 일정 온도에서 나타나는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응용한 것이다.
⑤ 단통식 쇼크업소버는 고압의 가스가 충전된 가스실만으로 이뤄진 홑겹 구조의 장치이다.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87
기술 08

9002-0172

02 윗글의 ‘스프링’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스프링이 변형되었을 때 스프링이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힘과 스프링이 변형된 길이는 비례
한다.
② 스프링이 받는 하중이 일정할 때, 스프링 상수가 작은 스프링보다 큰 스프링에서 더 적은 스
프링의 변형이 일어난다.
③ 다른 조건의 변화가 없다고 할 때, 동일한 하중을 받고 있다면 스프링 상수가 클수록 스프링
이 받을 수 있는 힘은 커지나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는 작아진다.
④ 다른 조건의 변화가 없다고 할 때, 동일한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 상수가
2.0kgf/mm인 스프링을 반으로 잘랐다면, 스프링 상수는 4.0kgf/mm가 된다.
⑤ 다른 조건의 변화가 없다고 할 때, 100kgf의 중량물을 적재하여 자동차의 높이가 12.5mm
낮아졌다면 스프링 상수는 8kgf/mm이고, 동일한 차량에 200kgf의 중량물을 적재한다면
자동차의 높이는 25mm 낮아질 것이다.

9002-0173

03 ㉠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압축할 때와 달리 신장할 때에는 피스톤에 달린 통로들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하게 된다.
② 감쇠력 발생 밸브에 사용된 판의 개수를 늘리면 저항이 강해지기 때문에 감쇠력이 커진다.
③ 피스톤의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빨라지면 감쇠력 발생 밸브가 연동하여 감쇠력에 영향
을 주게 된다.
④ 압축할 때 피스톤의 속도가 낮은 범위에 있다면, 내통의 기름이 베이스 밸브의 오리피스를
통해 외통으로 나가게 된다.
⑤ 인위적으로 개폐를 조작할 수 있는 오리피스들이 설치된 경우라면, 오리피스가 하나만 열린
상태보다 모두 열린 상태가 감쇠력이 크다.

18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6쪽

9002-0174

04 ㉡의 이유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쇼크업소버가 스프링의 탄성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② 쇼크업소버가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를 작아지게 만들기 때문에
③ 쇼크업소버에서 운동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흩어지기 때문에
④ 쇼크업소버는 스프링과 달리 에너지 변환 과정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⑤ 쇼크업소버가 스프링에 일어나는 에너지 변환 시간을 짧게 만들기 때문에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89
기술 09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레이더는 접시 모양이나 평판 모양의 안테나로부터 발신된 전자파가 목표물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


를 분석해 목표물의 거리, 각도, 형태 등의 정보를 얻는 장치를 말한다. 현재 비행기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
분의 레이더들은 ㉠기계식 레이더로, 기수 부분에 있는 접시나 평판 모양의 안테나가 기계식 장치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자파를 주사하고 수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좁은 기수 부분에 장착된 기계식 레이더
는 구조적, 기계적 한계로 인해 목표물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시간이 지연되고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
다. 이러한 기계식 레이더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개발, 보급되고 있는 것이 ㉡AESA 레이더, 즉 능동
전자 주사 레이더이다.
AESA 레이더는 기계식 레이더와 같이 기수 부분에 있는 평판을 통해 전자파를 발신하고 수신하지만 회
전하지 않는 평판에 전자 모듈(TRM)을 장착하여, 전자파의 세기와 방향 등을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레이더이다. 이 레이더는 크게 AESA 안테나 장치, RF 처리 장치, 냉각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데, AESA 안
테나 장치에는 전자파 송수신 고밀도 집적 장치인 TRM이 적게는 수백 개에서, 많게는 1,000개 이상 배열
되어 있다. TRM은 탐지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전자파의 방향, 파장, 세기 등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주사
하는 장치로, 기계식 레이더가 전자파를 한 방향으로 주사하는 것과 달리 TRM의 일부 혹은 전체를 서로 다
른 방향과 세기, 파장으로 주사할 수 있다. 또 TRM은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한 후 기계식 레이더에 비해 훨
씬 간단한 경로로 RF 처리 장치에 전달해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RF 처리 장치는 주사하고자 하는 전자파의 파장, 방향, 세기 등의 정보를 신호로 처리해 AESA 안테나
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RF 처리 장치에서는 공중, 지상, 해상 또는 두 개 이상의 영역에 TRM이 전
자파를 어떤 방향과 세기로 주사할 것인지를 신호로 전달한다. 아울러 TRM에서 수신된 전자파를 분석해
필요 없는 정보나 노이즈를 제거하고 유의미한 정보만을 선별한다. 마지막으로 냉각 장치는 TRM에서 발생
하는 열을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기계식 레이더의 경우 TRM이 없어 공랭식 냉각 장치를 사용하지만,
AESA 레이더는 TRM과 전원 공급 장치에서 기계식 레이더에 비해 더 많은 열이 발생하므로 액체 형태의
유체를 순환시켜 냉각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적,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AESA 레이더는 기존의 기계식 레이더보다 다양한 기능과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기계식 레이더의 경우 평판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데 이것이 한쪽 방향을 비추면 반대
편에 사각지대가 발생하며, 특정 방향을 재탐지하는 데 약 1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빠르게 이동하는
물체에 대한 정보를 탐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AESA 레이더는 TRM에서 전자파를 조절해 약
1/1,000초 정도의 시간에 특정 방향을 재탐지할 수 있어 목표물에 대한 지속적인 추적이 가능하다. 또 전자
파를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주사하여 다양한 방향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다. 즉 기계식 레이더로는 공중과
지상 또는 공중과 해상을 동시에 탐색하는 것이 어려웠지만, AESA 레이더는 동시에 여러 영역을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AESA 레이더는 목표물이 먼 거리에 있는 경우, 비록 다른 대상에 대한 탐지 능력이 떨어
지기는 하지만 TRM에서 주사되는 전자파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키면 원거리 탐지도 가능하다. 또 강력한
전자파를 집중시켜 상대의 레이더를 무력화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자신이 발신한 전자파의

19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7쪽

신호를 상대가 분석해 추적하지 못하도록 상대의 레이더 전자파 감지 범위보다 약한 세기의 전자파를 발신
하거나 전자파의 주사 간격을 조절해 은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AESA 레이더의 장점과 기능으로 인해 최근에는 일부 항공기와 해군 함정에 장착된 기계식 레이
더가 AESA 레이더로 교체되고 있다. 그리고 발열이 심하고 고가인 TRM의 소재에 대한 연구와 좁은 기수
부분에 TRM을 효율적으로 배열하고 집적도를 높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9002-0175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AESA 레이더는 기계식 레이더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② 기계식 레이더는 전자파를 주사하는 안테나가 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③ AESA 레이더의 구성 요소인 TRM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④ 최근 일부 항공기와 함정에 장착된 기계식 레이더가 AESA 레이더로 교체되고 있다.
⑤ AESA 레이더의 RF 처리 장치는 수신된 전자파를 분석해 정보를 선별하는 기능을 한다.

9002-0176

02 ㉠, ㉡을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은 ㉡에 비해 공중과 지상에 있는 목표물을 동시에 탐지하는 것이 어렵다.
② ㉡은 ㉠과 달리 목표물에 대한 정보를 재탐지하여 수집할 수 있다.
③ ㉡은 ㉠에 비해 발열이 심하기 때문에 액체 형태의 유체를 냉각 장치에 활용한다.
④ ㉠, ㉡은 모두 비행기 기수 부분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성능에 제약을 받는다.
⑤ ‌㉠, ㉡은 모두 발신된 전자파가 목표물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해 목표물을 탐지
한다.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91
기술 09

9002-0177

03 윗글을 읽고, <보기>의 (가)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섹터
섹터
Ⅱ Ⅲ
[표적 #]


Ⅳ

Ⅰ



[표적 "] 
탐지 거리


(가) AESA 레이더 탑재 항공기

① (가)의 TRM에서 주사되는 전자파의 방향을 조절하면 섹터Ⅰ~Ⅳ에 있는 공중과 지상의 목


표물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다.
② (가)가 [표적 A]의 레이더파 감지 능력 이하의 세기로 전자파를 발신할 경우, [표적 A]가 (가)
로 접근하더라도 (가)의 위치를 탐지하지 못할 수 있다.
③ [표적 A]가 섹터 Ⅰ의 1에서 3으로 접근할 경우, (가)는 TRM에서 주사되는 전자파의 일부를
섹터 Ⅰ에 집중하여 [표적 A]의 이동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④ 섹터 Ⅰ~Ⅳ를 탐색하고 있던 (가)가 섹터 Ⅰ~Ⅳ보다 먼 거리에 있는 [표적 B]를 탐지하기
위해 전자파를 집중시켜도 섹터 Ⅰ~Ⅲ에 대한 탐지 능력은 이전과 차이가 없다.
⑤ [표적 A]에 일부 TRM에서 주사되는 전자파를 할당하고, 나머지 TRM을 통해 다른 방향으
로 전자파를 주사할 경우 섹터 Ⅱ~Ⅳ에 대한 탐지를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19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8쪽

9002-0178

04 윗글을 읽고 <보기>의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최근 전투기에 AESA 레이더가 탑재되기 시작되면서, 그동안 기계식 레이더 조작에 익숙했던 조
종사들에 대한 AESA 레이더 활용 교육과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기계식 레이더를 운용하던 조종
사들이 AESA 레이더의 우수성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AESA 레이더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그동안 기계식 레이더를 운용하며 경험해 보지 못한 레이더 운용 방법을
습득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AESA 레이더를 운용하게 될 조종사들에게는 .
훈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① 전자파를 발신하는 레이더의 평판이 지속적으로 목표물을 향하도록 하는


② 레이더의 TRM과 전원 공급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③ 목표물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레이더에서 주사되는 전자파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④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지 않은 채 여러 영역에 있는 원거리 목표물들을 동시에 탐색하는
⑤ 레이더에서 주사되는 전자파를 목적에 맞게 할당하고 전자파의 방향과 세기를 제어하는

[2부] 적용 학습 _ 기술 193
예술 특성과 출제 경향

예술 분야의 제재 종류 1 예술 분야의 글이란?


음악, 미술, 연극, 영화, 건축, 조각,
사진, 공예, 예술 사조, 예술 철학,
•미(美) 자체에 대한 사유를 바탕으로 한 철학인 미학(美學)에 대해 소개하는 글
미학 등 •예술의 특정 분야에 대해 그 미적 소양을 기르는 것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미적 안목을
높이고 심미적 능력을 고양하는 데 기여하는 글
•음악, 미술, 무용, 건축, 영화, 사진 등 다양한 예술 장르가 포함됨.

2 예술 분야의 글 읽기 방법
•예술 분야의 글은 예술의 하위 갈래, 작품, 작가, 사조 등의 특징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
으므로 중심 서술 대상을 파악한 후, 그 대상의 특징으로 어떤 정보들이 제시되어 있는
지를 파악해 이해해야 함.
•예술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글은 글쓴이의 생각을 정리하고 관점의 타당성을 비판
하며 읽어야 함.
•예술론을 설명하는 글은 이론의 주장 내용이 핵심 정보가 되므로 그에 관한 정보를 주목
해 이해해야 하며, 개념을 함께 제시하고 있는 경우 그 개념 또한 주목해 이해해야 함.
•예술 갈래, 작품, 작가 등의 특징이나 견해·주장에 관한 정보가 대비되고 있는 경우, 서
술 대상 간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함.

3 예술 분야의 출제 경향
•예술은 음악, 미술, 사진, 건축, 조각, 비평 등 그 분야가 다양한 만큼 예술 지문 역시 다
양한 소재로 출제되고 있음.
•예술 지문은 특정한 사조나 작가, 양식 등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관련하
여 구체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 자주 출제됨.
•예술이 단독 지문으로 출제되기도 하지만 예술이 인문, 사회, 과학, 기술 등 다른 영역과
융합되어 그 내용이 심도 있게 다루어지는 경우가 있음.
•따라서 예술 작품이나 경향에 대한 이해와 함께 예술 작품에 담겨 있는 철학, 기술적 원
리, 사회적 효과 등에 대해 두루 파악할 필요가 있음.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 하이퍼리얼리즘


기출 제재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 A·B형] 회화주의 사진

19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4 이 책에서 다룬 예술 분야의 글

번호 제목

01 앵포르멜

02 카시러의 상징 형식으로서의 예술

03 무관심성과 경험 미학

04 네오리얼리즘과 뉴 할리우드 시네마

05 서예 감상의 분석적 방법

06 가변적 패션 디자인

07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양식

08 현대 무용의 태동: 덩컨과 그레이엄

09 모노디 양식

[2부] 적용 학습 _ 예술 195
예술 01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모든 사물을 ‘질료’와 ‘형상’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형상설은 서구의 사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서구의 회화 역시 질료와 형상의 관계를 통해서 사유되었는데, 이때 초점은 늘 형상
에 있었으며 질료는 이차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질료는 형상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바탕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졌고 이러한 사유는 20세기 초반까지 이어졌다.
20세기 초반 추상 미술을 이끌었던 몬드리안은 대상의 특징을 기하학적인 형태인 점, 선, 면으로 단순화
하여 표현하는 기하학적 추상을 선보였다. 이는 ㉠‘차가운 추상’으로 불렸는데, 몬드리안은 가장 기본적인
조형 요소와 정형화된 양식을 통해 형상을 표현해 내는 것이 사물의 본질을 드러내고 조화와 균형을 보여
준다고 생각했으며, 이러한 생각은 당대의 많은 미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러한 정형화된 양식, 계획적으로 의도된 것에 반발하면서 즉흥적이며 자유분방한 표현을 추구하고
질료를 중시하는 양식인 ‘앵포르멜(Informel)’이 대두되었고, 이는 ㉡‘뜨거운 추상’이라 불리게 되었다.
‘앵포르멜’은 ‘형태가 없는’이라는 뜻을 지닌 형용사 ‘앵포름(informe)’에서 유래한 것으로, 형상보다는
질료에 중점을 두면서 질료 그 자체의 촉각적 질감에 주목하고, 비정형(非定型) 속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
미술 양식을 말한다. 앵포르멜로 인해 질료는 형상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바탕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되었다. 앵포르멜 계열의 작품들은 종종 ‘타시슴(Tachisme)’이라 불리기도 하는
데, 이는 얼룩을 의미하는 ‘타슈(tache)’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두꺼운 물감을 덕지덕지 발라 만든 얼룩과 같
은 작품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즉흥적으로 붓질을 하거나, 튜브에서 물감을 짜 그대로 화면에 흘리거나 찍
어 대는 방법은 앵포르멜이 ‘타시슴’이라 불리는 이유를 말해 준다.
앵포르멜의 대표적인 작가인 뒤뷔페는 물감에 시멘트, 석고, 모래, 풀 등을 섞은 반죽을 화면에 두껍게 발
라 올리는 ‘오트 파트’라는 기법으로 작품을 만들었다. 그는 종종 ‘질감학’, ‘재료학’이라는 작품명을 사용함
으로써 ‘날것 그대로’의 질료에 대한 선호를 나타내었으며, “나는 거칠고 덜 된 것에서 만족감을 얻는다.”라
는 말을 통해 거친 질감에 주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뒤뷔페는 어린아이나 정신병자의 작품, 도시의 낙
서 이미지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는 예술적인 문화에 오염되지 않은 사람들이 창조한 미술, 다듬어지지 않
은 미술이야말로 훨씬 더 진실한 모습을 보여 준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설적인 장면이나 단순화
된 형태, 활력 있는 낙서 자국을 특징적으로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사회적 체면과 예의 뒤에 숨겨져 있는
원시적이고 본능적인 모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프랑스의 평론가 타피에는 앵포르멜 작품들에 나타나는 물질과 행위가 정형화된 양식에서 벗어나 비정형
을 향하는 새로운 탐구의 문을 열었다고 보았다. 이렇게 미술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 앵포르
멜 미술은 다른 여러 나라에 전파되면서 기존의 관념들을 뒤집는 미술 운동의 성격을 획득하게 되었다.

19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69쪽

9002-0179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앵포르멜 미술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② 앵포르멜 미술이 현대 사회에 끼친 영향력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밝히고 있다.
③ 앵포르멜 미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소개하고 각각의 입장을 근거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④ 앵포르멜 미술의 등장 배경과 개념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작가의 특징을 통해 이를 부연하여
설명하고 있다.
⑤ 앵포르멜 미술과 이와 대립하는 미술 이론의 특징을 소개하고 두 이론을 절충한 새로운 관
점을 제시하고 있다.

9002-0180

02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은 ㉡과 달리 기존의 관념을 뒤집는 새로운 발상을 보여 주었다.
② ㉠은 ㉡과 달리 기하학적인 형태를 활용하여 조화와 균형을 나타내었다.
③ ㉡은 ㉠과 달리 질료 자체가 지닌 촉각적 질감에 주목하였다.
④ ㉡은 ㉠과 달리 정형화된 양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표현을 추구하였다.
⑤ ㉠과 ㉡은 모두 대상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9002-0181

03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ㄱ. 20세기 이전의 서구의 사유에서는 형상이 질료보다 더 중시되었다.
ㄴ. 앵포르멜은 형상을 받아들이는 바탕으로서의 질료의 성격을 뚜렷하게 드러내었다.
ㄷ. ‌앵포르멜은 계획적인 방식으로 물감을 덕지덕지 발라 만든 얼룩과 같은 작품이라는 의미에서
‘타시슴’이라 불리었다.
ㄹ. ‌뒤뷔페는 물감에 여러 물질을 섞은 반죽을 활용한 ‘오트 파트’ 기법을 통해 ‘날것 그대로’의 질
료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었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2부] 적용 학습 _ 예술 197
정답과 해설 69쪽

9002-0182

04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거친 질감이 살아 있는 판화로 그려진 뒤뷔페의 「벽」 연작 중 8
번 「벽에 소변 누는 사람들」은 어린아이의 그림 속에 등장하는 인
물처럼 비례 감각이 전혀 없는 큰 머리, 가느다란 선만으로 묘사된
지나치게 왜소한 몸을 가진 두 남자가 벽에 소변을 누고 있는 장면
을 그리고 있다. 왼쪽 벽은 낙서로 가득 차 있는데, 이 낙서는 제도
권의 법, 도덕, 문화 등에 저항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욕망의
분출구라고 볼 수 있다.

① 제도권에 저항하는 의미를 지닌 낙서에서 본능보다 예의를 중시했던 뒤뷔페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② 거친 질감을 살려 판화를 제작한 것에서 거칠고 덜 된 것에서 만족감을 얻는 뒤뷔페의 성향
을 엿볼 수 있다.
③ 낙서로 가득 찬 벽의 모습에서 낙서를 진실한 모습을 보여 주는 욕망의 분출구로 보았던 뒤
뷔페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④ 남자들이 벽에 소변을 누고 있는 장면에서 사회적 체면 뒤에 숨겨진 인간의 원시적인 모습
을 드러내고자 했던 뒤뷔페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⑤ 어린아이가 그린 듯이 큰 머리와 왜소한 몸으로 그려진 두 남자의 모습에서 예술적인 문화
에 오염되지 않은 사람들의 미술을 선호하고 이를 활용했던 뒤뷔페의 안목을 엿볼 수 있다.

19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예술 02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독일의 철학자 카시러는 ‘상징 형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예술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상징 형
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징 형식을 만드는 능력인 ‘상징적 기능’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상
징적 기능이란 인간의 의식이 갖고 있는 본래적인 정신적 능력으로, 이는 인간의 의식에 들어온 모든 특수
한 내용을 다른 내용들 및 그것들 전체와의 관계망 속에 위치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징적 기능의 이러한 작
용을 통해 인간 경험 속의 특수한 내용은 시·공간적으로 한정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벗어나 보편적 형식을
획득하게 되며, 이러한 보편적 형식을 토대로 인간은 의미 세계를 형성하고 세계를 바라보는 틀을 갖추게
되는데 이를 상징 형식이라고 한다.
상징 형식에는 신화, 언어, 예술, 종교, 과학 등이 있는데 상징 형식으로서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신화와 언어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상징 형식으로서의 ‘신화’는 세계를 객관적으로 보는 것이 아
니라 ‘느낌’을 통해 이해하여 자연 현상의 기원이나 의미를 초자연적 존재를 빌려 설명하는 이야기이며, 이
를 토대로 인간은 세계를 바라보게 된다. 여기에는 인간의 정신 능력들 중 상상력의 역할이 중요하게 요구
된다. 또한 상징 형식으로서의 ‘언어’는 변화무쌍한 사물들의 세계를 고정불변의 성질이라는 관점에서 이
해하고 기호로 나타냄으로써 의미 세계를 형성하는 상징 형식으로, 여기에는 인간의 인식 능력의 역할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상징 형식으로서의 ‘예술’은 사물들의 내적 의미에 대해 ‘느낀다’는 점에서 신화와 유사하며, 그 느낌들을
물질적 매체, 선의 형태, 색채의 조화와 대비와 같은 예술 작품의 형식을 통해 드러낸다는 점에서 언어와 유
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예술은 신화와 언어의 중간적 성격을 지니는 상징 형식이며, 상상력과
인식 능력의 조화로운 역할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카시러는 예술은 일상적 경험을 재생하고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들의 내적 의미에 대해 느끼고 현실
을 발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사용한 ‘볼 줄 안다’라는 말을 사용해서 예술가의
위상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일상적 사물들을 수천 번 접해도 그 내적 의미를 느끼지 못하고 현실을 발견하
지 못하는 일반인에 비해, 예술가는 예술적 상상력을 통해 이를 느끼고 발견하는, 즉 ‘볼 줄 아는’ 사람이라
는 것이다. 예술가는 사물들을 제대로 바라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진흙, 청동, 대리석과 같은 물질적 매체,
선의 형태, 색채의 조화와 대비와 같은 예술 작품의 형식을 통해 볼 수 있고 만져 볼 수 있는 것으로 작품을
구성하게 되며, 감상자는 이를 통해 예술가의 눈으로 사물들의 내적 의미를 느끼고 현실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즉 예술에서 보이는 미는 사물들에 대한 예술가의 직관과 상상력이 작품의 형식으로 변형되어 나타
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예술 작품이 감상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것은 바로 이 형식의 구조, 균형, 질서라
고 볼 수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199
예술 02

9002-0183

0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상징 형식으로서의 신화와 언어
② 예술 작품의 내용과 형식 간의 관계
③ 인간이 지닌 상징적 기능의 개념과 역할
④ 상징 형식과 예술에 대한 카시러의 견해
⑤ 카시러와 다빈치가 바라본 예술가의 위상

9002-0184

02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정신적 능력인 상징적 기능은 상징 형식을 갖추게 하는 기초가 된다.
② 일반인은 작품 감상을 통해 예술가의 눈으로 사물들을 바라봐도 그 내적 의미를 느끼지 못
한다.
③ 상징 형식으로서의 신화는 느낌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며, 세계를 객관적으로 보지
않는다.
④ 인간의 의식에 들어가는 특수한 내용은 상징적 기능에 의해 시·공간적 한정성을 벗어나 보
편적 형식을 획득하게 된다.
⑤ 상징 형식으로서의 신화에서는 상상력의 역할이, 상징 형식으로서의 언어에서는 인간의 인
식 능력의 역할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20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0쪽

9002-0185

03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의 ㉠에 대한 ‘카시러’의 견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형식주의 예술론을 주장했던 벨과 프라이는 예술 작품의 주제나 내용보다는 선·면·색·양감 등
의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형식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았는데, 예술이란 일상적 경험의 재현이라는
목적을 갖는 것이 아니라 작품 그 자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형식주의 예술론을 비판하
는 입장에서는 벨과 프라이의 인식이 예술과 현실을 구분 짓고, 예술을 공허한 형식에 불과한 것으
로 본다며 비난하였다.

① 예술은 사물들에서 내적 의미를 느끼고 현실을 발견하는 것이므로, 형식은 중요한 것이 아


닙니다.
② 예술은 일상적 경험의 재현을 목적으로 하므로, 누구나 사물들 가운데서 현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③ 예술 작품이 감상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것은 형식의 구조와 균형, 질서이므로, 공허한 것에
불과하더라도 형식에 주목해야 합니다.
④ 물질적 매체와 선의 형태, 색채의 조화와 대비 속에서 예술의 미가 나타나므로, 예술의 형식
에 어떠한 의미도 담으려 해서는 안 됩니다.
⑤ 현실에 대한 예술가의 직관과 상상력이 작품의 형식을 통해 구성되므로, 형식에 주목하는
것이 예술과 현실을 구분 짓는 것은 아닙니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01
예술 03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고대 그리스인들은 사물이 객관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인 비례와 조화를 기준으로 미(美)를 판단하였
다. 객관적인 미의 기준인 비례와 조화는 사물 그 자체가 지닌 외적 속성으로, 보는 사람의 심리 상태에 따
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미는 감상자의 주관적 감상이나 상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수학의 개념을
파악하는 것처럼 이성에 의해 파악되는 것이었다. 객관주의 미 이론은 예술의 객관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특별한 담론을 형성하지 못하고 독립된 학문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미에 대한 본격적인 이론은 18세기 영국의 경험론이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경험론자들은 주관적 경
험을 인식의 원천으로 삼는 주관주의 미 이론을 제안하였다. 객관적 이성만을 중시해 오던 전통적 입장과
달리 주관적인 심리 현상에 주목하고 감정에 관련된 미 개념을 제기한 것이다. 어떤 대상을 아름답다고 하
는 것은 그 대상이 지니고 있는 객관적 성질 때문이 아니라 대상이 우리에게 환기시켜 주는 즐거움과 같은
심리적 반응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배제되어 왔던 감각이나 감정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고
해서 독자적인 미학이 성립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미 개념은 ‘대상에서 환기되는 다양한 즐거움
은 모두 미적인 것인가? ’ 하는 의문을 남겼다.
이에 대해 Ⓒ섀프츠베리는 ‘무관심성’을 제안하여 여타의 즐거움과 미적 즐거움을 구분하였다. ㉠무관심
성이란 욕망이나 목적, 사회적·도덕적 고려 사항들로부터 벗어나 대상의 내적 가치에 주목한 상태를 의미
한다. 우리가 매우 허기진 상태에 있다면 숲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대신 나무에 열린 과일을 따 먹겠다고 욕
망할 것이다. 우리의 주관적 상태가 경제적 관심으로 가득 차 있다면 대지를 관조하는 대신 그 대지를 소유
하겠다고 욕망할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주관적 상태가 어떠한 관심에 놓여 있느냐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섀프츠베리는 아름다운 대상에 대한 관조와 이를 소유하려는 욕망은 대비되며, 이기적인 관
심과 욕망들이 미적 감상을 파괴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상에 대한 관조만을 강조하는 미학은 미적 경험을 일상적 지각과 분리하기 때문에 예술을 일상으
로부터 단절시키고 만다. 감상자는 자신의 욕망을 있는 그대로 드러낼 수 없어 예술에 대한 어떠한 상호 작용
이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일상으로부터 예술을 분리하고 감상자를 수동적 관조자로 국
한시켜 상호 작용이나 적극적 참여의 여지를 허락하지 않는 미학은 제한적이고 편협하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었다. 일상적 지각과는 다른 차원의 미적 경험을 주장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예술을 신비화할 뿐이다.
이러한 지적을 바탕으로 Ⓓ존 듀이는 경험의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였고, 이 개념을 토대로 ‘경험 미학’을
수립하였다. 듀이는 자신의 철학 사상을 ‘자연주의적 경험주의’로 규정하였는데, 여기서 ‘자연주의’는 초월
적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 진화론과 실험 과학을 수용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경험주의’는 환경과 끊임
없이 상호 작용하며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유기체적 경험의 의미를 담고 있다. 유기체적 경험은 ㉡경험 미
학의 토대를 이룬다. 그에 따르면 유기체로서의 인간은 끊임없이 외부와 상호 작용하며 환경에 반응해야
하기 때문에, 유기체적 경험을 전제로 하면 무관심한 지각은 가능할 수 없다. 상호 작용을 인정하는 것은,
예술을 일상과 분리된, 고립적이고 신비화된 것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거부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기체적 경험의 특성으로 예술과 일상의 연속성이 회복되었다고 해서 미적 경험이 일상적 경험과
동일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듀이의 미적 경험은 즐거움을 전제로 감상자가 역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사고하

20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1쪽

며 외부 환경을 자신의 내면으로 끌어들인다는 점에서 일상적 경험과 구별된다. 경험 미학은 기존의 미학이
중요시했던 관조나 무관심성을 거부하고 예술가와 작품, 감상자 간의 상호 작용을 밝힘으로써 예술과 일상
의 단절, 작품과 감상자 간의 단절, 감상자의 수동적 역할 등의 문제들을 극복할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9002-0186

01 윗글의 논지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미 이론에 대한 일반적 통념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② 미학에 관한 상반된 이론들을 분석하여 공통점을 도출하고 있다.
③ 미 개념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개하고 있다.
④ 기존 미학의 한계를 밝히고 구체적인 예를 통해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⑤ 서로 다른 입장의 미 이론을 절충하여 새로운 미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9002-0187

02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객관주의 미 이론에 따르면 이성에 의해 미를 판단할 수 있다.
② 존 듀이는 예술을 일상과 분리하여 바라보는 관점을 거부하였다.
③ 경험 미학은 무관심성이 낳을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할 토대가 되었다.
④ 섀프츠베리는 예술 작품에 적극적 참여 의지가 없는 감상자를 비판하였다.
⑤ 영국의 경험론자들은 대상이 불러일으키는 주관적인 심리 현상에 주목하였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03
예술 03

9002-0188

03 윗글의 Ⓐ~Ⓓ가 <보기>의 (가), (나)에 대해 보일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느껴지는 미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요?

(가) ‌그리스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은 가로와 세로의 비가 황금비로 알려진 1:1.618로 건축되었습
니다.

(나) ‌데이비드 로커비의 「Very Nervous System(1986-90)」 시리즈는 관람객이 움직이면 그 움직


임을 따라 음악이 생성되는 작품입니다. 관람객은 자신의 동작에 반응하여 생성된 음악을 듣
고 다시 움직이게 되므로 그 음악은 관람객의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① Ⓐ: (가)에서 누구나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황금비야말로 아름다움의 원천입니다.


② Ⓑ: (나)에 참여하여 음악을 듣고 움직이는 과정에서 느낀 감정들은 이성에 의해 파악됩니다.
③ Ⓒ: 소유하겠다고 욕망하기보다 관조하는 것이 (가)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방법입니다.
④ Ⓓ: 적극적으로 사고하며 외부 환경을 내면으로 끌어들일 때 (가)의 감상은 일상적인 경험과
구별될 수 있습니다.
⑤ Ⓓ: (나)는 외부와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며 환경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유기체적 경험을 토
대로 한 것으로 미적 대상이 됩니다.

20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2쪽

9002-0189

04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에 비해 ㉡은 아름다운 사물에 대한 관조를 강조한다.
② ㉠과 달리 ㉡은 예술을 신비화된 대상으로 간주한다.
③ ㉡과 달리 ㉠은 감상자와 외부 환경의 상호 작용을 회복하려고 한다.
④ ㉠과 ㉡ 모두 감상자의 주관적인 심리적 반응과 관련이 있다.
⑤ ㉠은 사물이 지닌 내적 가치에, ㉡은 사물이 지닌 외적 속성에 몰입한 상태이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05
예술 04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영화 예술은 사회의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들을 영화에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전후(戰後)


에 등장한 영화들은 공통적으로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윤리적 고민
에 기반을 두고 나타난 대표적인 사조로는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과 미국의 뉴 할리우드 시네마가 있다.
이 두 사조는 전후 현실의 암담함과 거기서 나타난 비윤리성에 대한 고민을 자신들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나
타내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네오리얼리즘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사실주의’를 추구했던 이탈리아 영화의 경향이다. 네오리얼리즘의
대변인을 자임했던 차바티니는 기존의 극영화가 극적 인과 관계에 빠져 있다고 비판하면서, 영화는 사물을
꾸미지 않고 자유롭게 의미가 창조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당시 이탈리아 영화가 상류층 여인
들의 사랑을 주로 다루면서 현실과는 거리가 먼 영화를 제작하는 상황에 대한 비판이기도 했다. 이탈리아
의 파시즘 정권은 영화 제작을 감시하며, 당국이 제작비 지원을 결정하고 시나리오 및 완성된 영화를 엄격
하게 검열했기 때문에 실업과 가난 등 현실의 문제를 다룬 영화가 등장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이러한 정권
의 통제에 대한 저항과 전후의 극단적 현실이 맞물리면서 영화인들은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영상에 담고자
하였다. 고통스러운 현실과 억압 속에서 인간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토로하고, 사회적 연대를 중시하는 현
상이 ⓐ생겨난 것이다.
사실성을 살린 영화를 위해 네오리얼리즘 영화는 스토리의 진행에서 기승전결의 방식을 기피하고, 전후
의 출구 없는 사회 현실을 반영하듯 파편적 진행과 애매한 결론을 보여 주며 사회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
을 보여 주지 않는 방식으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매끄러운 편집이 아닌 부자연스러운 편집
을 지향하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담기 위한 현지 촬영을 선호하였으며, 어려운 처지에 놓인 거리의 사람
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 주기 위해 비전문 배우를 기용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이탈리아가 처한 현실
을 객관적으로 담아내 사회 모순을 드러내고자 했던 네오리얼리즘은 이탈리아의 치부를 드러낸다는 비판
을 받으며 쇠퇴의 길을 걷게 된다.
한편 뉴 할리우드 시네마는 1960년대 베트남 전쟁에서 불거진 미국의 윤리 의식과 도덕적 가치가 흔들리
는 상황에 대한 좌절과 저항 의식이 팽배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등장하였다. 뉴 할리우드 시네마는 미국
적 이상을 지키지 못한 기성세대에 대한 젊은 세대의 저항 의식을 영화의 핵심으로 삼아, 기성세대의 가치
와 젊은 세대의 가치가 대립하던 미국의 현실을 담은 작품들을 선보였다. 전통적인 미국식 선과 악의 개념
이 담긴 기성세대의 영웅적 인물을 부정하기 위해 등장한 반영웅주의는 악과 일탈을 일삼고 있는 주인공들
을 낭만적이고 인간적으로 묘사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살인이나 총격 장면들이 난무하는 노골적
인 폭력 묘사가 두드러졌는데, 젊은 관객들이 이러한 표현 방식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뉴 할리우드
시네마는 반영웅적인 인물들의 폭력적인 장면들로 채워지곤 했다.
㉠뉴 할리우드 시네마는 동시대 미국 사회의 윤리적 가치 붕괴에 대한 비판을 담으면서도 상업적인 할리
우드 영화 산업과 절묘하게 결합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비슷한 시기에 등장하였던 ㉡뉴 아메리칸 시네마가
상업적인 미국 영화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값비싼 세트와 배우들로 치장하여 허위적
신념을 관객들에게 주입하였던 ㉢올드 아메리칸 시네마를 비판하였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뉴 아메리칸 시

20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2쪽

네마가 형식적 파격을 추구하는 작가주의를 중심으로 하면서 상업성을 비판하였다면, 뉴 할리우드 시네마
는 작가주의적 성격을 가졌지만 할리우드 상업주의와 결합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뉴 아메리칸 시네마가 다
양한 실험적, 다큐멘터리적 수법 등의 형식적 시도를 했던 것과 달리 뉴 할리우드 시네마는 파편적인 양식,
모호한 인물 성격, 무거운 상징주의를 배격하고 선명한 서술 구조와 분명한 성격의 인물, 완결된 형식의 편
집, 연기의 강한 개성, 탁월한 카메라 기법이 담긴 영화를 만들었다. 또한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와 연
계하여 작업하였기 때문에 영화 관람객의 다수 층인 젊은 관객, 그리고 흑인 계층에 폭발적인 인기를 누릴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업성과의 결합은 결국 뉴 할리우드 시네마가 자신의 존재 근거가 되었
던 미국의 사회적 문제로부터 멀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비판과 저항으로부터 출발했던 뉴 할리우드 시네
마 정신의 약화를 불러오게 되었다.

9002-0190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전쟁 이후 현실에 드러난 문제들은 영화가 윤리적 문제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② 뉴 할리우드 시네마는 상업적 성격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에 대해 저항하는 동력이 약화되었
다.
③ 차바티니는 기존 영화의 극적 인과 관계를 비판하고 자유롭게 의미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
장하였다.
④ 파시즘 정권의 검열은 이탈리아 영화에서 한때 상류층 여인들의 사랑을 다룬 영화가 주류를
이루는 데 영향을 주었다.
⑤ 네오리얼리즘 영화는 전후 사회 현실에 대한 고발을 통해 사회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07
예술 04

9002-0191

02 다음은 ‘뉴 할리우드 시네마’의 특징을 담은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 작성한 메모이다. 윗글을 참고할 때,
㉮~㉲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번 영화를 제작함에 있어 사회 비판적 요소가 담긴 작가주의를 드러내지만 ㉮상징주의는 멀리


하고, ㉯서술 구조가 분명히 드러나도록 내용을 구성해야겠어. 그뿐만 아니라 인물을 모호하게 드
러내기보다는 ㉰명확한 성격의 인물들을 창조하고, 배우들에게 개성 있는 연기를 요구해야겠어.‌
㉱우수한 카메라 촬영 기법을 활용하면서 관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부자연스러운 편집을
사용하여 파편적인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주제에 대해 다양한 측면으로 고민할 수 있는 영화를 완
성해야겠다.

①㉮ ②㉯ ③㉰ ④㉱ ⑤㉲

9002-0192

03 윗글을 참고할 때, <보기>의 영화에 대한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데시카의 「자전거 도둑」이라는 작품은 주제 의식과 비전문 배우의 기용, 현지 촬영 등을 통해 네
오리얼리즘 영화의 특징들을 잘 담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음은 이 작품의 줄거리이다.

안토니오는 직업소개소 앞 길게 늘어선 줄에 참여하여 간신히 일거리를 얻고, 아내는 다른 이


들이 맡긴 물건들로 가득 찬 전당포에 찾아가 자전거를 살 돈을 마련한다. 어렵게 마련한 안토니
오의 자전거를 어떤 남자가 훔쳐 가고, 경찰에 신고를 하지만 ‘자전거 한 대’라는 말로 무시를 당
한다. 안토니오는 어린 아들 부르노와 함께 자전거를 찾아보지만 결국 찾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훔치다가 걸리게 된다. 경찰서로 잡혀가던 안토니오는 부르노의 눈물을 본 자전거 주
인의 용서를 받고 아들과 함께 빈손으로 돌아온다.

① 구직난을 담은 풍경과 전당포에 맡겨진 물건들을 통해 실업과 가난이라는 현실의 문제를 드


러낸 것이겠구나.
② 자전거 도난에 대한 경찰의 반응을 통해 고통받는 인간과 사회의 연대가 실현된 것을 보여
주려 했겠구나.
③ 작품의 배역을 전문 배우가 아닌 비전문 배우에게 맡겨 사람들이 처한 어려운 상황을 사실
적으로 구현하려 했겠구나.
④ 직업소개소나 전당포 등을 세트가 아닌 현지에서 촬영하여, 객관적 시선을 통해 사회의 모
순을 보여 주고자 했겠구나.
⑤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훔치는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비참한 현실 상황으로 인해 윤리 의식
을 잃어 가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구나.

20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3쪽

9002-0193

04 ㉠~㉢을 비교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은 ㉡과 달리 상업성이 배제된 실험적인 작가주의 영화였다.
② ㉡은 ㉠과 달리 작가주의를 통해 미국 영화의 상업적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겠다는 목표가 있
었다.
③ ㉡은 ㉢과 달리 허위적 신념을 믿게 만들기 위해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④ ㉢은 ㉠과 달리 미국 사회의 윤리적 가치가 붕괴된 현상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었다.
⑤ ㉠~㉢은 모두 값비싼 세트와 유명 배우를 동원하는 메이저 스튜디오와 협업을 하였다.

9002-0194

05 문맥상 ⓐ와 바꾸어 쓰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결정(決定)된
② 발견(發見)된
③ 발생(發生)된
④ 설립(設立)된
⑤ 수립(樹立)된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09
예술 05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서예 감상의 방법 중 분석적 방법은 구도나 짜임 등을 세부적으로 따져 가며 감상하는 것을 이른다. 이때


분석 대상에는 글자의 아름다움을 이루는 표현 기법과 조형적 처리 등과 관련된 여러 요소들이 포함되는
데, 특히 전체적 구도와 관련된 ‘장법’과 낱낱의 글자의 짜임과 관련된 ‘결구’는 분석적 방법의 주요 요소라
할 수 있다.
서예에서 여백은 글자를 효과적으로 부각하는 요소로 활용되는데, 이와 관련된 것이 장법이다. 즉 장법
에 주목하는 감상법은 글자와 글자 사이, 행과 행 사이의 여백을 주의 깊게 살피는 방식이다. ‘정연한 장법’
이 활용된 서예의 경우 각 행과 각 글자가 여백으로 인해 확실하게 구별되는데, 글자와 여백이 정연하게 배
열됨으로써 평형감과 안정감을 갖추게 된다. 또한 전체적인 획일감이 드러나기도 한다. 이와 달리 ‘불균등
한 장법’이 활용된 서예의 경우 글자와 여백이 확실하게 구별되지 않고 서로 어울려 있는 모습이 드러난다.
물론 ‘불균등한 장법’이 활용되었다고 하여 서예의 미적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불균등한 장법’이
활용된 서예에서는 긴장감을 드러내는 등 ‘정연한 장법’이 활용된 서예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미적 특
징을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장법을 바탕으로 서예를 분석적으로 감상할 때에 여백과 함께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서체 *이다. 장법
의 결정은 서체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서나 예서, 그리고 해서에서는 대개 자간과 행간
이 확실하게 구별되는 ‘정연한 장법’이 활용되는 것에 비해, 행서나 초서에서는 글자의 크기와 점획의 운용
에 있어 변화의 폭이 커 자간과 행간이 확실하게 구별되지 않는 ‘불균등한 장법’이 사용된다. 심지어 초서로
쓰인 서예 작품 중에서는 행간과 자간을 전혀 무시한 채 바탕 전체에 점획을 늘어놓은 경우도 있는데, 이러
한 ‘불균등한 장법’으로 인해 글자의 변화감과 율동감이 나타나기도 한다.
결구의 분석을 통해 서예를 감상하는 방법은 낱낱의 글자의 짜임과 관련된 것으로, 크게 ‘균제적 짜임’과
‘균형적 짜임’으로 나누어 감상할 수 있다. ‘균제적 짜임’은 글자의 상하좌우가 상칭 *되어 각 부분의 면적이
등분되는 것을 말하는데, 서예에 ‘균제적 짜임’이 활용되면 글자 자체에 안정감이 드러난다. 반면 글자의
상하좌우가 상칭되지 않아 점획의 굵기나 길이 등을 조절하여 글자의 균형을 잡는 ‘균형적 짜임’이 활용되
면 글자 자체에 변화감이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서예에서는 ‘균형적 짜임’의 글자보다는 ‘균제적 짜임’의 글
자를 훨씬 많이 사용하며, 행서와 초서의 경우 필법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전서, 예서, 해서와 달리 대개 ‘균
형적 짜임’을 사용한다.
결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 글자씩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하좌우에 배치된 글자와 주위의 여백
이 어떻게 배분되었는지를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 그 가운데서 짜임이 매우 변화로운 글자에 주목하여 그
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연유를 알아보는 것도 좋은 감상법이다. ‘균제적 짜임’과 ‘균형적 짜임’을 분석하
기 위해서는 글자가 ‘, , , △, ▽, ◁, ▷’ 등의 형태에 맞추어지는 정형이나, 글자 형태가 정해져 있지
않은 부정형으로 파악하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즉 글자 전체의 형태를 늘어놓고 서예의 전체적인 글자
틀이 어떻게 조합되었는가를 파악하는 것인데, 특히 부정형 글자가 주위 글자와 어떻게 관련되었는지를 살
필 필요가 있다. 이때 동일 글자에서 짜임을 달리한 것은 반복적 표현을 피하기 위함인데, 이를 살펴보기 위
해서는 한 작품에 나오는 같은 글자를 비교해 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21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4쪽

* ‌서체: 붓글씨에서 글씨를 쓰는 일정한 격식이나 양식. 고대 한자의 서체인 ‘전서’, 전서를 간략하게 쓰는 ‘예서’, 바르게 또박또박 쓰는 ‘해
서’, 해서의 획을 약간 흘려 쓰는 ‘행서’, 행서를 더 풀어 점획을 줄이고 흘려 쓴 ‘초서’가 있다.
* 상칭: 중심선의 상하 또는 좌우를 같게 배치한 화면 구성.

9002-0195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필법이 유동적인 초서나 예서에서는 글자를 ‘균제적 짜임’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② 글자의 조형적 처리와 관련된 요소는 서예 감상의 분석적 방법의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③ 장법을 분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글자를 정형과 부정형으로 나누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④ ‘불균등한 장법’을 활용한 서예 작품은 그렇지 않은 서예 작품에 비해 미적 가치가 떨어진다.
⑤ 특정 글자의 상하좌우에 배치된 글자를 함께 살피는 것도 결구를 이해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9002-0196

02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의 ㄱ과 ㄴ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ㄱ은 ‘정연한 장법’을 통해 전체적으로 평형감과
ㄱ. ㄴ. 안정감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군.
② ‌ㄴ은 글자와 여백이 서로 어울려 있어 긴장감을
주는 장법이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군.
③ ‌ㄱ은 ㄴ에 비해 글자의 형태가 비교적 규칙적이
라는 점에서 정형으로 분류되는 글자가 더 많다
고 할 수 있군.
④ ‌ㄴ은 ㄱ과 달리 글자의 크기를 유동적으로 변화
시키며 서예 전체의 글자들의 조합에 변화를 주
었다고 할 수 있군.
⑤ ‌ㄱ과 ㄴ은 모두 상하좌우가 상칭되지 않고 동적
인 변화감이 있다는 점에서 ‘균형적 짜임’을 나
ㄱ은 유공권의 ‘현비탑비(玄秘塔碑)’,
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군.
ㄴ은 소식의 ‘황주한식시권(黃州寒食詩
卷)’의 일부로, ㄱ은 해서, ㄴ은 행서로
쓴 작품이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11
정답과 해설 75쪽

9002-0197

03 윗글을 근거로 할 때, <보기>의 선생님의 질문에 대해 답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선생님 : 다음은 항목이 집필한 『서법아언(書法雅言)』이라는 책의 일부입니다. 항목은 이 책에서 정
형, 부정형의 글자를 ‘바름’, ‘기우뚱함’으로 각각 비유하였는데요, 이 점을 고려하여 다음 내
용이 이야기하려 한 바를 설명해 볼까요?

“서예의 요지는 바름과 기우뚱함에 있다. (중략) 바르면서 기우뚱함이 없으면 비록 장


중하고 착실하며 항상 소박하고 두텁더라도 문채가 적다. 기우뚱하면서 바르지 않으면
비록 웅건하고 상쾌하며 생동감이 있으면서 연미하더라도 거짓됨이 심하고 우아함이 결
핍된다.”

① 글자를 효과적으로 부각하기 위해서 서체의 특징에 맞게 장법과 결구를 정해야 함을 설명하
였습니다.
② 정형의 글자를 표현해야 할 경우 그 글자들의 결구를 각각 달리해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밝
혔습니다.
③ 정형 글자와 부정형 글자가 유기적인 호응을 이루도록 작품에 함께 사용되어야 함을 강조하
였습니다.
④ 상하좌우가 상칭되는 글자들을 ‘정연한 장법’으로 구성하여 체계적으로 조합해야 함을 부각
하였습니다.
⑤ 부정형 글자들이 ‘불균등한 장법’으로 구성되어 쓰일 때 나타나는 예술적 가치에 대해 언급
하였습니다.

21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예술 06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현대 사회에서 의복은 신체를 보호해 줄 뿐만 아니라 개성과 감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1990년대 이후 하나의 패션 제품으로 다양한 패션 조합을 연출할 수 있는
‘가변적 패션 디자인’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에는 유행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겨냥한
‘패스트 패션’ 제품의 부작용이 부각되면서 지속 가능한 패션, 윤리적 패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데, 이로 인해 ㉠가변적 패션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가변적 패션 디자인은 한 가지 이상의 다른 형태로 변화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착용자의 조작
이나 창작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되 원형으로 회복될 수 있는 패션 디자인을 의미하며, ‘다목적’, ‘다변화’,
‘가변형’ 패션 디자인이라는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 가변적 패션 디자인에서 ‘가변성’은 변화된 환경 가운데
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형태나 조직을 변경시키는 능력인 ‘다양성’과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인 ‘적응성’
의 두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가변적 패션 디자인은 크게 내적 가변성을 의미하는 ‘제품 내 변화’와 외적 가변성을 의미하는 ‘제품 전
환’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제품 내 변화는 하나의 패션 제품 내에서 색채, 재질, 형태가 변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색채와 재질의 변화는 주로 의복을 뒤집어 입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에 비해 형태 변화의 유형은 좀 더 다양한데, 가장 많이 시도되는 것은 길이 변화, 실루엣* 변화, 디테일 변
화이다. 먼저 길이 변화는 소매나 스커트, 원피스, 바지 등의 길이를 짧게 또는 길게 변화시키는 유형으로,
의복의 변화를 위해 주로 벨트나 단추 등을 이용한다. 다음으로 실루엣 변화는 하나의 아이템 내에서 부피
감, 부분적인 형태 등을 변화시키는 유형으로, 옷을 여러 겹 껴입는 ‘레이어드 룩’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지퍼나 끈을 이용해 간단한 실루엣의 변화를 표현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디테일 변화는 소매나 밑단, 목
둘레선 등에 변화를 주어 다른 이미지의 패션을 연출하는 유형이다.
다음으로 제품 전환은 하나의 의복이 다른 의복 또는 그 일부가 되거나 아예 다른 종류의 제품으로 변화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의복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제품 전환으로는 스커트가 원피스로
전환되거나, 재킷이 베스트 *로 전환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종류의 제품이나 예술품으로 전환되
는 것으로는 의복이 가방이나 머플러와 같은 패션 소품으로 전환되거나 아예 다른 예술품으로 바뀌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제품 전환은 의복의 다목적성이 의복의 차원을 넘어서 다른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은 예술 영역의 확대와 함께 예술 영역 간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는
현대 사회의 양상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가변적 패션 디자인은 조형의 다양한 연출 가능성과 가변성으로 인해, 의복 착용자의 개성과 감성
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의복의 실용성을 배가시킴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와 감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또 지속 가능한 패션, 윤리적 패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현대 패션에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
되고 있다.

* 실루엣: 옷의 전체적인 외형.


* 베스트: 양복저고리 속에 입는 조끼. 남자의 조끼와 비슷한 소매 없는 여성의 윗옷.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13
예술 06

9002-0198

01 윗글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패스트 패션 제품과 가변적 패션 디자인 제품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② 가변적 패션 디자인이 출현한 배경과 발전 과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제시하고 있다.
③ 현대 사회의 특징을 바탕으로 가변적 패션 디자인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④ 패션 디자인이 갖추어야 할 요소를 설명한 후 가변적 패션 디자인의 가치를 평가하고 있다.
⑤ 가변적 패션 디자인의 범주를 구분한 후 각각의 범주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21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5쪽

9002-0199

02 윗글을 읽고 <보기>의 패션 제품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가)

(나) (나) (나)

※ ‌(가), (나)는 모두 하나의 가변적 패션 디자인 제품을 다양한 제품으로 전환한 사례를 제시한 것임.

① (가)-1에서 (가)-2로 제품을 변형한 경우 제품의 실루엣이 달라지므로 ‘형태 변화’를 시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② (가)-2에서 (가)-1로 제품을 변형해도 여전히 재킷의 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제품 내 변화’
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가)-2에서 (나)-3으로 제품을 변형한 경우 상의가 하의로 바뀌어 다른 종류의 의복이 되었
으므로 ‘제품 전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④ (나)-1에서 (나)-3으로 제품을 변형한 경우 기존의 제품과 다른 색채가 전면에 노출되었으
므로 ‘디테일 변화’를 추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⑤ (나)-2에서 (나)-1로 제품을 변형한 경우 끈을 이용하여 제품의 부분적인 형태가 달라졌으
므로 ‘실루엣 변화’를 추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15
정답과 해설 76쪽

9002-0200

03 <보기>와 관련하여 ㉠의 구체적인 내용을 추론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최근 유행하고 있는 ‘패스트 패션’ 제품은 유행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겨냥한 값싼 의복을 말한다.
패스트 패션은 신제품의 출시 속도가 매우 빠르다. 이로 인해 의류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자원이 낭
비되고, 유행이 지나거나 계절이 바뀔 때마다 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하여 환경 오염이 심화되었
다. 또 짧은 유행 기간에 이용될 제품을 빠른 시간 내에 값싸게 제작하다 보니 제품의 내구성이 약
해 제품 하자에 의한 AS가 빈번하고, 옷을 한두 번 입고 버리는 부작용을 만들어 내고 있다.

① 가변적 패션 디자인을 통해 옷 한 벌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면 의류 생산을 줄여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겠군.
② 가변적 패션 디자인 제품은 여러 가지 형태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따라 새로
운 옷을 구입할 필요를 줄여 줄 수 있겠군.
③ 가변적 패션 디자인 제품은 옷의 형태를 바꾸었다가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유행에 따라 옷
이 쉽게 버려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겠군.
④ 가변적 패션 디자인 제품을 본래의 목적과는 다른 예술 영역으로 확장해 활용하면 제품의
유행이 지속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겠군.
⑤ 가변적 패션 디자인 제품은 형태와 용도의 변화에도 훼손되지 않고 원형으로 회복될 수 있
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겠군.

21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예술 07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로마네스크 양식은 11세기 무렵부터 12세기까지 유럽에서 번성했던 미술 양식을 가리킨다. 이 시기에 서
유럽 사회는 교회를 구심점으로 해 안정적인 상태에 들어섰으며 경제적으로도 번성하였다. 수도원 조직은
새로운 사상과 예술 경향이 전 유럽에 퍼지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는데, 증대된 권위와 역할에 적합한 새
로운 형식의 건축물이 필요했다. 그에 따라 새로운 건축물을 짓기 위한 공학 기술, 조각과 회화의 장식 기술
이 발전했다.
로마네스크라는 명칭은 로마 건축에서 파생한 것이라는 뜻으로, 이 시기의 건축은 고대 로마의 아치 구조
(홍예)와 둥그스름한(궁륭형) 천장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로마네스크 건축의 기본 평면 구조는 중세 초기
부터 사용된 바실리카 양식을 토대로 한다. 이 양식으로 지은 건축물은 일반적으로 두 줄의 기둥들로 칸이
나누어진 직사각형의 복도식 몸체와, 제단이 놓인 반원형의 후진부, 그리고 본체를 가로지르는 교차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목조 지붕과 얇은 벽으로 지어진 초기 바실리카 교회 건축과 달리 로마네스크 건축
에서는 내구성을 높이려고 석조 지붕을 이었다. 그리고 전보다 더 큰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과 벽의 두께
를 보강했으며, 넓은 내부 공간을 궁륭 *으로 덮었다. 로마네스크 건축의 공학 기술적 특성은 건축물의 형태
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외관은 탄탄하고 육중하며, 내부는 장엄하고 무거운 분위기가 감돌게 된 것이다.
이러한 로마네스크 건축의 외관은 한 세기를 거치며 변화를 겪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건축물이
힐데스하임의 성 미카엘 성당과 오툉의 생 라자르 대성당이다. 전자에 비해 후자는 본체 창문이 더 크고 첨
형 * 아치를 비롯해 첨탑 지붕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날렵하고 뾰족한 모양이다. 이러한 변화는 후에 수직
적인 구조와 화려한 고딕 양식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양식이 형태적인 요소만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외형 변화는 12세기 중엽에 새롭게 발흥한 건축 공학 기술과 신학적인 관점,
그리고 대도시의 성장에 따른 교회의 사회적 역할 변화 등과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생 세르냉 대성당과 ㉡영국의 더럼 대성당
내부를 보면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양식의 특징이 어디
에서 비롯된 것인지 알 수 있다. 생 세르냉 대성당의 천장
은 소위 원통형 궁륭이라고 불리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
져 있다. 이것은 반원형 아치를 연장한 형태로, 천장의 무
게를 측벽 전체가 지탱하게 되어 있다. 궁륭을 이루는 기본
재료인 돌덩어리들의 무게가 서로 밀어 대는 힘에 의해 전
체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원리를 활용한 것이므로 천장이
무거울 수밖에 없으며, 이를 지지하는 벽체 역시 두꺼워야
<생 세르냉 대성당 내부> 한다. 따라서 창문들은 가능한 한 작게 만들어진다.
이에 반해 더럼 대성당의 천장은 교차형 궁륭으로 되어 있으며, 아치의 교차부마다 보강재가 대어져 있
다. 마치 갈비뼈와 비슷하다고 해서 늑재(肋材) 궁륭이라고 불리는 이 구조는 후에 고딕 건축 양식의 핵심적
인 요소가 되었다. 늑재 궁륭은 원통형 궁륭과 달리 천장의 무게가 벽체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
라 늑재들이 벽체와 만나는 점들에 천장의 무게가 모이기 때문에 이 부분의 지지력을 집중적으로 보강할 필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17
예술 07

요가 있었다. 그 대신 천장의 무게를 받지 않는 벽체


부분은 부담이 덜했으며, 창문을 내기가 훨씬 용이했
다. 실제로 더럼 대성당은 성 세르냉 대성당과 비교해
창문 크기가 더 크며, 그래서 훨씬 더 밝고 경쾌한 느
낌을 준다. 늑재 궁륭의 또 다른 장점은 무거운 돌들로
궁륭 전체를 쌓을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실제로 천장
구조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은 늑재이기 때문에, 늑재
와 늑재 사이의 빈칸은 얇은 돌판으로 막기만 하면 되
<더럼 대성당 내부> 었다. 또한 늑재의 각도를 세우기만 하면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과 관계없이 천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술적인 발전은 미적 취향의 변화로 이어졌으며, 후에 고딕 양식이라는 새로운 미술 경향의 번성
으로 이어졌다. 더럼 대성당은 로마네스크 양식에서 고딕 양식으로의 이행 과정을 보여 주는 중요한 고리
다. 더럼 대성당 내부에는 늑재 궁륭으로 덮인 회랑의 끝부분에 첨형 아치 형태의 커다란 창문이 있는데 이
는 고딕 건축 양식의 대표적인 요소가 되었다.

* 궁륭: 활이나 무지개같이 한가운데가 높고 길게 굽은 형상. 또는 그렇게 만든 천장이나 지붕.


* 첨형: 끝이 뾰족한 모양.

9002-0201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로마네스크 양식은 바실리카 양식의 평면 구조에 고대 로마의 홍예와 궁륭을 사용하였다.
② 바실리카 양식과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축물 형태의 차이는 내구성을 높이려는 데에서 비롯
되었다.
③ 같은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축물이라도 어느 시기에 지어졌느냐에 따라 형태적 변화를 보인다.
④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축물에 쓰인 궁륭은 고딕 양식의 건축물에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
되었다.
⑤ 건축 기술의 발전은 미적 취향의 변화를 거쳐 고딕 양식이라는 미술 경향의 번성으로 이어
졌다.

21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6쪽

9002-0202

02 윗글을 읽고 ‘건축’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기둥 같은 건축물의 골격과 창문 등 건축물의 요소는 서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관계에 있다.
② 건축물의 외관과 내부 분위기는 기술적 특성과 관계없이 건축을 하는 사람들의 의도에 달려
있다.
③ 새로운 건축 양식은 실용적 필요와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탄생한다.
④ 건축 양식의 변화는 하나의 건축 양식이 특별한 이행기 없이 다른 건축 양식으로 변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⑤ 건축 양식들은 외형적 특징이 뚜렷하기 때문에 어떤 건축물이든 외형적 특징만으로도 그 건
축물이 특정 양식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9002-0203

03 윗글을 읽고 학생들이 <보기>의 [A], [B]에 대해 판단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A] 성 미카엘 성당 [B] 생 라자르 대성당

① 창문 크기, 천장 구조와 첨탑 지붕 등의 차이로 인해 [A]가 [B]에 비해 수직적 구조를 지녔다.


② [B]의 창문이 [A]의 창문보다 더 크다면 [A]가 [B]보다 더 나중에 지어진 건축물이다.
③ 건축물의 내·외관이 [B]와 같은 형태에서 [A]와 같은 형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생긴 변화
가 화려한 고딕 양식으로 이어진다.
④ 전체적인 외관을 볼 때 [A] 내부에 있는 아치는 [B] 내부에 있는 아치와 달리 첨형 아치일 것
이다.
⑤ [B]의 지붕 모양이 [A]보다 날렵하고 뾰족한 모양인 것으로 보아 [B]가 [A]보다 나중에 지어
졌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19
정답과 해설 77쪽

9002-0204

04 ㉠, ㉡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에 비해 ㉡은 천장을 이루는 돌의 두께를 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다.
② ㉠과 ㉡의 천장은 아치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그 배열 방식에 차이가 있다.
③ ㉠은 창문을 가능한 한 작게 만들어야 했으나, ㉡은 ㉠에 비해 창문을 더 크게 만들 수 있었
다.
④ ㉠과 ㉡은 천장의 무게를 지지하는 부분은 같았으나, 그 부분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방법이
달랐다.
⑤ ㉠과 달리 ㉡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과 관계없이 아치의 각도를 세워서 천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다.

22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예술 08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오랜 시간 동안 서양의 예술 무용 형식은 ‘발레’가 유일했다. 하지만 19세기 말 미국의 무용가 ㉠이사도라


덩컨은 발레가 지나치게 인위적이고 형식적이며 피상적인 성격을 가졌다고 비판하고는 현대 무용 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었다. 덩컨은 19세기 말 러시아에서 발레가 여성의 아름다움과 테크닉을 과시하는 데 쓰
이는 하나의 도구로 전락하고 만 사실을 매우 안타까워하면서, 여성 무용수는 단지 구경거리가 아니며, 뜨
거운 가슴을 가진 인간임을 강조했다. 그래서 그녀는 살아 숨 쉬는 인간으로서 자신이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무용을 통해 표현하려고 했다. 그리고 자신이 느낀 강렬한 감정들을, 이성적으로 조화와 질서
를 추구하며 외적인 형태를 고려하는 발레의 방식으로는 만들 수 없음을 느끼고, 외적인 형식 대신에 내적
인 에너지의 흐름을 강조하고 신체 전체를 유기적으로 사용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만들었다.
덩컨은 동작의 근원지를 가슴이라고 생각하여, 에너지가 신체의 중심에서 말단으로 이동하면서 동작들
을 만들게 된다고 보았다. 발레가 척추가 끝나는 부분을 움직임의 중심이라고 생각하여 하체를 주로 사용
한 데 반해서 덩컨은 움직임의 중심을 가슴으로 올림으로써 하체 대신 상체의 움직임을 강조하게 됐다. 그
래서 덩컨 무용의 특징은 지속적인 에너지의 흐름을 가진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의 흐름은 긴장과 이완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이를 현대 무용에서는 움직임의 밀물
과 썰물, 혹은 호흡의 밀물과 썰물이라고 하여 매우 중요시했다.
그녀는 사지를 늘 긴장시키고 판에 박힌 동작들을 하며 숨도 제대로 쉬기 어려운 꽉 끼는 의상을 입는 것
과 같은 발레의 모든 억압적인 요소를 싫어했다. 그래서 그녀는 느슨한 의상인 튜닉 *을 입고 맨발로 춤추었
으며 동작들도 걷기, 뜀뛰기, 달리기 등과 같은 자연스러운 동작들을 주로 사용했다. 그녀는 자연이나 음악
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 아름다운 동작이 나온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덩컨의 무용에
대한 이념은 현대 무용 정신의 기본을 이루게 된다. 현대 무용의 역사를 보면 현대 무용은 발레처럼 공통되
고 체계적인 시스템이 있는 것이 아니라, 안무가 개개인이 새로운 동작 어휘를 만들어서 자신의 개성과 개
인적인 감정을 표현했는데, 이는 현대 무용의 근본 사상이 개인의 자유와 개인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찌 보면 필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사도라 덩컨 이후에 그녀의 무용에 대한 생각과 원칙을 이어받은 무용가들이 계속해서 출현하였는데,
그중에서 현대 무용의 대모 격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마사 그레이엄이 있다. 그레이엄도 덩컨처럼 감정의
표현을 무용의 본질로 생각하였지만, 덩컨이 외적인 형식을 고려하지 않고 영감에 따라 감정을 분출했던
것에 비하여 그레이엄은 작품에서 내용과 형식의 조화를 꾀하였다.
마사 그레이엄은 세계 대전과 경제 공황을 겪으며, 어수선하고 불안한 미국 사회에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게 되는 공포, 고통, 긴박감 등의 감정을 무용으로 표현하였는데, 특히 20세기 초 미국이라는 사회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개인적인 경험을 표현하려고 했다. 그레이엄은 무용 동작은 감정의 상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녀가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이 그 성격상 비극적이고 어둡고 강렬하기 때문에
그것을 표현하는 무용 동작들도 우아한 곡선 대신에 각진 형태를 가지며, 가볍게 공중으로 뛰어오르는 대
신에 바닥을 뒹굴었다. 그리고 그녀는 호흡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수축과 이완에 해당하는 동작을 만들었
는데, 이것은 그레이엄의 동작 어휘들 중 가장 핵심적이며 기본적인 동작으로, 그레이엄의 지속적인 주제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21
예술 08

인 내적 갈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해 주었다.


한편 그녀의 지속적인 관심사였던 내적 갈등이라는 주제는 그 당시 유행했던 프로이트의 사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그녀는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에 심취하여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관찰하고 자신의 내
부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갈등을 고대 그리스 신화의 인물들을 통해 표현하려고 했다. 그녀의 작품 속에 등
장하는 신화 속 인물들은 마사 그레이엄 자신의 내부에 있는 선과 악 또는 여러 다른 모습들의 자기 자신을
상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보여 주는 감정은 인간이라면 누구나가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인 성격
을 지닌다. 이러한 그레이엄의 무용관이나 스타일은 그 당시 유행했던 예술 사조인 표현주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낭만주의를 계승·발전시킨 표현주의는 기계 문명에 반대하고 원시성을 동경하여 극단적인
단순화와 변형, 강렬한 색채로 주관적인 표현을 하려는 특징을 갖는데, 이러한 점들이 그레이엄의 예술 세
계에서도 발견된다.
또한 그녀의 작품들은 대부분 스토리가 있는 댄스-드라마 형식을 가진다. 이러한 댄스-드라마들은 갈수
록 감정의 표현에 치중하여 동작들은 무용이라기보다 마임에 가까워졌다. 감정, 내용, 의미의 지나친 강조
가 그레이엄의 무용을 무용보다는 연극에 가깝게 만들었던 것이다.

* ‌튜닉: 허리 밑까지 내려와 띠를 두르게 된, 여성용의 낙낙한 블라우스 또는 코트.

9002-0205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특정 장르가 지닌 특성을 기존 장르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② 특정 장르가 지닌 장점과 단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③ 특정 장르가 발생하게 된 요인을 사회·경제적 배경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④ 특정 장르가 지닌 특성을 그 장르의 대표적인 예술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⑤ 특정 장르가 쇠락하게 된 이유를 새로운 장르의 출현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다.

22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78쪽

9002-0206

02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19세기 이전까지 서양의 예술 무용 형식은 하나로 통일되어 있었다.
② 이사도라 덩컨의 무용 동작들은 자연적이고 유기적인 흐름에 따라 이루어진다.
③ 마사 그레이엄은 무용 동작을 극단적으로 단순화하거나 변형하여 자신의 주관을 표현하였다.
④ 이사도라 덩컨은 에너지의 흐름에 따라 상체보다는 하체를 주로 활용하여 무용 동작을 만들
었다.
⑤ 현대 무용에서 공통된 시스템을 찾기 어려운 이유는 현대 무용이 자유와 개성을 존중하기
때문이다.

9002-0207

03 현대 무용 의 관점에서 ‘발레’에 대해 판단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인위적이고 피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② 여성을 인간이 아닌 표현 도구로 전락하게 하였다.
③ 체계적 시스템의 부재로 개인의 자유를 표현할 수 없었다.
④ 외적인 형태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감정 표현이 어려웠다.
⑤ 인간의 몸을 긴장시키고 억압하는 요소들이 내재해 있었다.

9002-0208

04 ㉠과 ㉡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연극적 요소를 바탕으로 무용의 내용을 구조화하였다.
② 무용의 본질은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있다고 생각하였다.
③ 작품을 구성할 때 내용과 형식의 조화로움을 강조하였다.
④ 곡선의 우아함을 강조하는 무용 동작들을 주로 활용하였다.
⑤ 일상의 움직임과 구별되는 상징적인 동작을 통해 작품을 구성하였다.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23
정답과 해설 79쪽

9002-0209

05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작품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마음의 동굴」은 마사 그레이엄의 대표작 중 하나로, 그리스 신화를 소재로 한 현대 무용이다. 이
작품은 신화 속 인물인 이아손과 코린트의 공주가 메디아를 배반하자, 증오의 화신 메디아가 이들
에게 복수하는 과정을 춤으로 표현하고 있다. 마사 그레이엄은 직접 메디아 역할을 맡아, 복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음흉하고 어두운 마음, 복수의 실행을 앞둔 복잡한 내면적 갈등을 표현하였다.
이 작품의 제목인 ‘마음의 동굴’은 인간의 마음속 깊은 곳에 존재하는 질투심과 증오, 복수의 감정
과 같은 어두운 내면을 상징한다.

① 마사 그레이엄은 ‘마음의 동굴’이 상징하는 의미를 통해 원시성을 반대하는 표현주의에 대


한 지향을 보여 주려 했겠군.
② 마사 그레이엄은 메디아의 음흉한 마음속에 존재하는 내적 갈등을 표현하기 위해 수축과 이
완에 해당하는 동작을 사용했겠군.
③ 마사 그레이엄은 이 작품의 비극적이고 어두운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각진 형태의 동작이
나 바닥을 구르는 동작을 활용했겠군.
④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질투심과 증오, 복수와 같은 감정을 통해 마사 그레이엄은 인간
이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감정을 나타내려 했겠군.
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이아손과 코린트의 공주, 메디아 사이의 갈등은 마사 그레이엄 자신
의 내부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갈등을 표현한 것이겠군.

22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예술 09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음악에서 ‘성부’는 각각의 음역을 말한다. 합창에서 소리의 범위인 음역을 ‘소프라노-알토-테너-베이
스’로 나눈다면, 다성부인 4성부의 합창이 된다. ‘화성적 음악’에서는 가사를 전달하는 선율 *이 주성부가
되고, 다른 성부가 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여 소리들의 독립성보다는 하나의 선율을 중심으로 한, 소리들
의 조화를 중시한다. 이에 비해 카논, 푸가 등 각 성부가 독립적 선율로 이루어진 ‘대위적 음악’에서는 동등
한 선율의 독립적 울림을 중시한다.
‘카논’은 일종의 돌림 노래이다. 몇 그룹으로 나뉜 사람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같은 노래를 차례로 시작하
는 돌림 노래는 동 시간에 각자 노래하는 음이 달라, 마치 상이한 곡조를 노래하는 듯한 효과를 낸다. 차례
로 시작하는 곡조를 더 높거나 낮은 음에서 시작하거나 서로 다른 곡조를 동시에 연주하는 방법도 있는데,
음역을 달리하는 여러 음이 얽히는 형식을 ‘푸가’라 한다. 8성 푸가에는 여덟 개의 곡조가 동시에 구사되기
도 한다. 카논, 푸가 등 르네상스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던 이러한 대위적 음악들을 감상할 때는 음역이 다른
여러 성부의 선율을 각각 독립적으로 포착하되, 높이가 다른 여러 음들의 전체적 어울림인 화음을 매 순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각 성부가 동등하게 울리는 대위적 음악과 달리, 화성적 음악에서는 주성부와 보조 성부의 역할을 구분하
는 것이 중요하다. 화성적 음악은 바로크 시대에 나타난, 기악 반주가 있는 독창 음악인 ‘모노디 양식’에서
그 성격이 구체화되었다. 16세기 말 이탈리아 피렌체에서는 그리스 연극의 음악을 모범으로 삼은 음악 형식
을 연구하는 음악가들의 모임인 ‘카메라타’가 생겨났다. 긴 대사의 리듬과 강세를 살려 읊조리듯 낭송 조로
노래한 그리스 연극 재현에 관심이 많았던 그들은, 그리스 연극을 재현할 때 대위적 음악은 부적합하다고
생각했다. 이 모임에 참여한 빈첸초 갈릴레이는 ⓐ대위적 음악을 사용한 성악곡을 비판하며, 적당한 음높
이와 리듬을 가진 독창 선율만이 대사를 노래 가사로 명확히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가사가 낭송 조의
노래가 되기 위해서는 독창 선율이 적합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대위적 음악으로 가사를 노래한
다면 가사의 정서가 충분히 전달되기 어려우며, 독창 선율이 중심으로 부각되어야 연기자의 자연스러운 억
양을 고무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가 대위적 음악의 대안으로 제시한 것은 일종의 모노디 양식이었다.
모노디 양식은 대위적 음악을 사용한 성악곡이 지닌 문제를 해결한 실험적 양식으로, 일종의 화성적 음악
이었다. 이 양식의 악보에는 독창 선율인 성악 선율을 담당한 주성부가 하나 있고, 그 아래에 이를 보조하는
기악 반주의 성부가 있다. 기악 반주의 성부에서 기악이 반주할 화음들은 가장 낮은 선율인 저음 선율에 숫
자로 기보한다. 숫자는 저음 선율 위에 쌓아질 음을 나타낸다. 가령 ‘도’에 숫자 3과 5를 병기하는 것은 ‘도’
에 3도, 5도 위의 음들이 쌓인 ‘도-미-솔’의 화음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기보 체계를 ㉠지속 저음 혹은 숫
자 저음이라 한다. 지속 저음의 방식에서 기악 반주는 이렇게 숫자로 지시된 음을 포함하여 나머지 음들을
즉흥적으로 연주했다. 작곡가는 저음 선율은 작곡하지만 그에 맞는 화음을 연주자에게 맡긴 셈이다.
이러한 즉흥적 연주는 작품 종류나 연주자의 기술, 취향에 따라 달라진다. 지시된 저음에 기초해 다른 음
들을 채워 넣을 때, 연주자는 나름대로의 해석을 자유롭게 표현해 연주할 수 있다. 건반 악기의 경우 대개
왼손으로 지시된 저음 선율을 연주하고 오른손으로는 지시된 화음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나머지 음들을 채
우게 되므로 연주자는 단순히 주어진 지시만 따르지 않고, 즉흥 연주로 작곡에도 일부 참여하는 셈이다. 모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25
예술 09

노디 양식의 작곡가들이 단순히 연주자들의 기술적 능력을 믿었기에 지속 저음을 사용한 것은 아니다. 여
기에는 차원 높은 즉흥성을 이끌어 내려는 목적이 있었다. 그들은 잘 훈련된, 정해진 연주 기술보다 흥을 돋
우는 연주가 더 낫다고 믿었다. 모노디 양식은 이러한 즉흥성을 바탕으로 기악의 화음 반주가 성악 선율을
음향적으로 풍성하게 뒷받침하는 것이다.
바로크 시대 이후, 레치타티보, 아리아 등 여러 유형의 모노디 양식은 다양한 세속 음악과 종교 음악에 침
투했다. 모노디 양식을 통해 음악은 내레이션, 대화, 독백을 할 수 있게 되어 극적인 표현에 필요한 즉흥성
과 유연성을 모두 갖추게 되었다. 모노디 양식은 이후 오페라에서도 계속 활용되었다. 많은 작곡가가 음악
을 극적 상황에 맞추는 방법을 계속 추구했던 것이다.

* 선율: 리듬을 바탕으로 한 음의 높낮이의 시간적 진행으로 높낮이가 다른 음의 연속.

9002-0210

01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아리아는 모노디 양식의 한 유형으로, 화성적 음악에 포함될 수 있다.
② 8성 푸가의 경우 여덟 개의 선율을 독립적으로 포착하며 들을 수 있다.
③ 모노디 양식에서는 건반 악기를 활용한 즉흥적 연주가 이루어질 수 있다.
④ 카논은 같은 곡조로 서로 다른 곡조를 노래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
⑤ 모노디 양식은 극적인 상황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즉흥성은 갖추었지만, 내레이션, 대화, 독
백의 형식에는 적합하지 않다.

9002-0211

02 ‘빈첸초 갈릴레이’가 ⓐ를 비판한 이유를 추론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여러 성부의 선율이 각기 독립적으로 울린다면 가사의 정서를 제대로 전하지 못하기 때문이
다.
② 가사가 담긴 독창 선율이 주성부를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가사에 담긴 정서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③ 특정 선율을 중심으로 한 소리들의 조화를 중시한다면 독창 선율을 부각할 수 없게 되어 연
기자의 자연스러운 억양을 고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④ 대위적 음악을 사용한 성악곡은 독창 선율을 중심으로 기악 반주의 성부가 이를 보조하게
되어 성악 성부의 역할과 화음 반주의 역할이 구분되기 때문이다.
⑤ 성악곡에 대위적 음악을 사용한다면 가사에 적당한 음높이와 리듬을 가진 독창 선율을 사용
해야만 하기에 가사 안에 담긴 감정을 충분히 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22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0쪽

9002-0212

0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학생들의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는 유사한 선율을 가진 곡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차례로 시작되고 있다. 이에 비해 (나)는
가사를 전달하는 특정 선율을 중심으로, 그 아래 이를 보조하는 성부의 저음 선율에 기악 반주를
위한 화음들이 숫자로 지시되어 있다.

(가)

(나)

  
 
" #

① (가)는 2개의 성부로 이루어진 대위적 음악이라 할 수 있겠군.


② (가)는 완전한 돌림 노래는 아니지만, 비슷한 선율을 활용해 서로 다른 곡조를 연주하는 듯
한 효과를 낸다고 할 수 있겠군.
③ (나)의 Ⓐ는 해당 음을 포함해 3도, 5도 위, Ⓑ는 해당 음을 포함해 7도 위의 음을 포함하여
연주할 수 있겠군.
④ (나)의 기악 반주 성부는 건반 악기의 경우 왼손으로 지시된 저음 선율을 연주하고, 오른손
으로 즉흥 연주를 하는 형식으로 연주할 수 있겠군.
⑤ (가)와 달리 (나)는 저음 성부의 선율을 낭송 조의 독창 선율로 삼고, 그 아래의 기악 반주 성
부를 통해 극적인 표현에 필요한 유연성을 갖추었겠군.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27
예술 09

9002-0213

04 윗글을 참고할 때, <보기>의 ㉮, ㉯와 동시대 음악의 흥미로운 유사성 에 대해 추론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아르놀피니의 결혼」 「시녀들」

대위적 음악과 모노디 양식의 특징을 각기 동시대 회화에 적용시켜 보면 흥미로운 유사성 을 발
견할 수 있다. 르네상스 시대의 회화 ㉮「아르놀피니의 결혼」은 주인공 부부를 포함해 창밖 나무, 중
앙의 볼록 거울 속 결혼식의 증인까지 거의 모든 대상을 정교하게 표현했다. 이 그림은 각 부분을
세밀히 포착하되, 각 부분들의 전체적 어울림을 파악해 감상할 필요가 있다. 반면 바로크 시대의
회화 ㉯「시녀들」은 특정 대상의 표현이 중심이 된다. 중심 대상은 우측 창에서 들어오는 빛 중앙에
서 있는 공주로, 모습이 매우 세밀하게 표현되어 강조되었다. 이와 달리 주변의 시종, 어릿광대 등
은 빛을 적게 받아 복장, 몸짓, 표정이 공주에 비해 세밀하지 않고, 벽에 걸린 그림들도 흐릿해 내
용을 짐작할 수 없어 공주의 모습을 부각하려 의도적으로 흐릿하게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① 부분을 각각 포착하되, 각 부분들의 전체적 어울림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는 선


율을 각각 포착하되, 화음을 파악할 필요가 있는 대위적 음악과 유사한 면이 있겠군.
② 공주 주변의 여러 대상을 의도적으로 흐릿하게 표현했다는 점에서 ㉯는 작곡가가 의도적으
로 기악 반주의 저음 선율을 작곡하지 않은 동시대의 모노디 양식과 유사한 면이 있겠군.
③ 표현의 세밀도를 달리하는 대상들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점에서 ㉯는 음역을 달리하는 여러
음이 서로 얽혀 상이한 여러 곡조를 동시에 독립적으로 구사하는 모노디 양식과 유사한 면
이 있겠군.
④ 거의 모든 대상의 모습이 정교하게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는 흥을 돋우는 화음 반주보다
연주자가 작곡에 참여하는 능력이 부각되어 동시대에 널리 사용된 모노디 양식과 유사한 면
이 있겠군.
⑤ 세밀한 공주의 모습과 달리 주변 인물과 사물이 세밀하지 않게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는
동시대에 등장한 대위적 음악에서 독립적 선율이 세밀하지 않게 표현되었다는 점과 유사한
면이 있겠군.

22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1쪽

9002-0214

05 ㉠과 관련하여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지속 저음’의 표기 방식에 대해 작곡가들은 서로 다른 요구 사항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작
곡가 ‘조반니 피치오니’와 ‘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의 상이한 견해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피치오니 : 나는 저음 성부에 숫자나 샤프(♯), 플랫(♭) 등의 기호는 어떠한 것도 적지 않는 것을 선


호한다. 왜냐하면 능력 없는 피아니스트는 저음에 숫자나 기호를 적었더라도 어찌했든 혼란
스러워할 것이고, 반면에 지식을 갖춘 전문적 연주자는 예술로 이들을 스스로 고쳐 나가기
때문에 연주자의 능력을 바탕으로 한 음악적 효과를 고려한다면 작곡가가 의도적으로 숫자
나 기호를 지시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바흐 : 많은 이들이 아무 숫자도 지시되지 않은 저음 성부를 연주하는 데 큰 곤란을 겪는다. 자신의
작품이 가능한 한 잘 연주되기를 바라는 작곡가는 의도를 숫자 등으로 드러내야 한다. 아무
지시 없이 만들어진 연주는 부적절하다고 확신한다. 능력 있는 연주자는 작곡가의 의도를 파
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머지 음들의 연주에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누군
가 저음에 지시된 숫자들을 실행하는 것을 귀찮아하거나, 좋은 효과를 위해 처음부터 저음에
적힌 숫자들을 무시한다면, 능력 있는 연주자로 이들을 대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① ‘바흐’와 ‘피치오니’는 모두 저음에 기초하여 다른 음들을 어떻게 채워 넣는가를 능력 있는


연주자는 조절할 수 있다고 보았군.
② ‘피치오니’는 기악 반주의 성부에는 저음 선율 위에 쌓아질 음을 어떤 기호로든 따로 지시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군.
③ ‘피치오니’는 기악의 화음 반주가 음악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지식을 갖춘 전문적 연주자들
의 능력이 중요하다고 보았군.
④ ‘바흐’는 작곡가가 기악 반주의 성부에 자신의 의도를 드러냄으로써 연주자가 작곡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군.
⑤ ‘바흐’는 연주자가 잘 훈련된 기술로 악보의 저음 선율만을 연주해야 악보에 지시된 작곡가
의 의도를 바탕으로 자율성을 발휘하는 연주가 될 수 있다고 보았군.

[2부] 적용 학습 _ 예술 229
융합 특성과 출제 경향

1 융합 분야의 글이란?
•여러 학문 분야의 내용을 연계하여 주제 통합적인 글 읽기가 가능한 글
•다양한 관점에서 제반 현상이나 원리에 대해 사고할 수 있는 글
•인문과 과학, 인문과 사회, 과학과 예술, 기술과 예술 등과 같이 다른 영역 간에 융·복합
된 지문이나 사회의 경제와 법, 인문의 철학과 역사 등과 같이 같은 영역 안의 제재 간에
융·복합된 지문이 포함됨.

2 융합 분야의 글 읽기 방법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 분야의 글 읽기를 통해 익힌 방법론을 적용하여 독해해야
함.
•타 영역 간의 융합이 이루어진 글의 경우 영역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중
심으로 핵심 정보를 파악하여 이해해야 함.
•동일 영역 안에서 제재 간 융합이 이루어진 글의 경우 해당 영역의 글 읽기 방법에 따라
독해할 수 있어야 함.
•개념, 원리·방법, 견해·주장에 관한 정보가 핵심 정보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들 정보를 주목해 이해하는 읽기를 해야 함.

3 융합 분야의 출제 경향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주제들 중에는 특정 분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와 관련
을 맺고 있는 것이 많음.
•동일한 화제의 글이라도 서로 다른 관점과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글을
주제 통합적으로 읽는 능력이 필요함.
•이에 따라 수능 지문에는 인문과 과학, 인문과 사회, 과학과 예술, 기술과 예술 등과 같
이 타 영역의 내용이 융·복합된 글, 사회의 법과 경제, 인문의 역사와 철학 등과 같이 동
일한 영역 안의 내용이 융·복합된 글이 출제되고 있음.
•이와 같이 융·복합된 글의 경우, 융·복합된 내용 간의 논리적 연관 관계를 출제 요소로
삼음.
•특히 개념, 원리·방법, 견해·주장과 관련하여 융·복합 요소 간에 맺고 있는 관계가 중
요하며, 논리적 연관 관계를 바탕으로 핵심 정보를 이해해야 함.

[2019학년도 수능] 서양과 동양의 천문 이론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 근대 도시의 삶의 양식과 영화에 대한 벤야민의 견해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 상호 배타적인 상태의 공존을 인정하는 양자 역학과 비고전
논리
기출 제재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율곡의 법제 개혁론
[2017학년도 수능] 보험의 고지 의무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 콘크리트를 통해 본 건축 재료와 건축 미학의 관계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 다양한 특성의 음들로 이루어진 음악의 아름다움

23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4 이 책에서 다룬 융합 분야의 글

번호 제목

01 은유와 과학

02 고고학 자료의 발굴법과 연대 측정법

03 민국 사상과 배다리

04 백화 현상

05 캔델의 기억 메커니즘 연구

06 고지도의 회화적 특성

07 도시 진화

08 기호와 미술

09 유전 공학의 윤리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31
융합 01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은유는 수사법의 일종으로, 문학 작품에서뿐만 아니라 일상 언어생활에서의 참신한 표현에도 활용된다.


은유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metaphor’는 ‘넘어서’의 의미인 ‘meta’와 ‘옮기다’의 의미인 ‘phor’의 합성어로,
어떤 말이 본래의 의미를 벗어나서 다른 의미로 옮겨져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은유는 서로 다른 두 영역
의 개념들을 유사성의 관점에서 비유하는 인지적 표현 방법이다. 은유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매개’와 ‘취
의’를 의미상의 구성 요소로 가져야 한다. ‘매개’는 어떤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친숙한 단어이
다. ‘취의’는 매개에 담겨서 전달되는 의미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벚꽃잎이 날리는 것을 보고 “눈이 내리
네.”라고 말했다면 ‘눈’은 매개이고 ‘벚꽃잎’은 취의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은유를 설득력을 높이기 위한 말의 장식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20세기의 학자들은 은
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은유가 인상적인 문학적 표현을 위하여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대상을 인
식하고 경험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개념적 틀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개념적 틀의 역할
을 한다는 입장에 따르면 은유는 동일한 실재에 대한 다른 기술(記述)을 ⓑ양산하여 현실을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게 한다. 그런 점에서 ㉠은유는 장식적인 수준을 뛰어넘는 인지적 도구이다.
우리 일상의 개념 체계 대부분이 은유적이다. 인간이 개념 체계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보면 추상적인
개념은 구체적인 대상을 통해 유사성이 확장되어 구조화된다. 예를 들어 “논쟁은 전쟁이다.”라는 표현
을 생각해 보자. 추상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논쟁’은 언어 담화이며 구체적인 대상이라고 할 수 있
는 ‘전쟁’은 무장 분쟁으로, 거기에 수행되는 행위도 다르다. 그러나 ‘논쟁’은 ‘전쟁’의 관점에서 부분적
으로 구조화되고 이해된다. 우리는 논쟁의 상대방을 적수로 보며 전략을 구상하여 상대방의 입장을 공
[A] 격하기도 하고 자신의 입장을 방어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한 개념이 다른 개념의 관점에서 은유적으로
구조화되는 경우를 ‘구조적 은유’라고 한다.
이와 달리 공간적 지향성과 관련 있는 은유적 개념은 ‘지향적 은유’라고 한다. 예를 들어 “남편이 죽
었다는 소식에 그녀는 억장이 무너졌다.”라는 표현에는 슬픔의 추상적 감정이 아래쪽을 지향하는 단어
로 은유되어 있다. 많은 언어에서 기쁨은 위쪽에, 슬픔은 아래쪽에 은유되고, 많음은 위쪽에, 적음은 아
래쪽에 은유되는 지향성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다.
은유는 과학에서도 활용되어 지식을 ⓒ확장한다. 과학의 진보를 위해서 새로운 개념은 친숙하지 않더라
도 수립되어야 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과학자들은 이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면 그
현상을 기존의 틀 속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과학자들은 적극적으로 은유를 활용한다. 이때 어
떤 은유를 활용하느냐에 따라 개념은 전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은유의 형성은 과학의 진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난 300여 년간 계속되어 온, 빛의 본질을 설명하려는 대립적 입장 역시 은유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
다. 빛의 본질이 무엇인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기에 과학자들은 기존에 알고 있는 알갱이나 호수에 돌을
던질 때 나타나는 물결의 파동에 빗대어 빛의 본질을 설명하려 한 것이다. 17세기 뉴턴은 빛이 광원으로부
터 방출되는 입자들의 흐름이며, 눈 속으로 들어온 입자가 시신경을 자극한다고 생각했다. 이와 같은 입자
설은 광전 효과 실험을 설명할 수 있다. 금속판에 특정 진동수 이상의 진동수를 가진 빛을 쬐여 주면 금속판

23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2쪽

안에 있던 전자들이 튀어나오는 현상을 광전 효과라고 하며, 이때 튀어나오는 전자를 광전자라 한다. 실험


의 결과 금속 표면에 쬐여 주는 빛의 진동수가 문턱 진동수라는 특정한 값보다 작으면 아무리 센 빛을 쬐여
주거나 오래 쬐여 주더라도 광전자가 방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를 통해 빛이 입자라는 이론이
ⓓ지지되었다. 입자설은 이 현상을 빛의 입자가 전자와 충돌하여 전자가 방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반면 빛의 회절 *이나 간섭과 같은 새로운 성질이 연구되면서 빛의 본질을 파동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도
있다. 푸코는 빛이 입자라면 물속에서 힘을 받아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고, 파동이라면 파장이 짧아져 속도
가 느려질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리고 광속 측정 실험을 통해 물속에서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 물 위에 형성된 기름 막이나 비눗방울이 만드는 무지갯빛 간섭무늬는 다른 경로를 통한 두 개 이상의 빛
이 합쳐져 생기는 현상으로, 빛을 파동으로 이해할 때 훨씬 잘 들어맞는다. 파동설에 따르면 두 파동의 마루
와 마루, 골과 골이 겹치면 더 크게 진동하지만 마루와 골이 겹치면 진동이 ⓔ상쇄된다. 이는 입자설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다.

* 회절: 파동의 전파가 장애물 때문에 일부가 차단되었을 때 장애물에 가려진 부분에까지도 파동이 전파하는 현상.

9002-0215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과학에서도 지식을 확장하기 위해 은유를 활용한다.
② 아리스토텔레스는 은유를 설득력을 높이기 위한 말의 장식으로 여겼다.
③ 푸코는 물속에서 빛의 속도를 측정하여 빛의 본질을 파동으로 이해하였다.
④ 빛의 본질을 설명하려는 과학자들은 입자설과 파동설로 나뉘어 대립해 왔다.
⑤ 뉴턴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파장이 눈 속으로 들어오면 시신경을 자극한다고 생각하였다.

9002-0216

02 ㉠을 이해한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20세기의 학자들에 의해 발견된 은유의 역할이로군.
② 일상생활 속에서 말의 장식만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로군.
③ 의미상의 구성 요소인 매개와 취의를 생략하더라도 설득력이 있다는 의미로군.
④ 다양한 기술(記述)을 양산하여 현실을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게 할 수 있다는 뜻이로군.
⑤ 문학적 표현을 위해 활용될 뿐만 아니라 경험을 확장하는 데에도 동원된다는 의미로군.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33
융합 01

9002-0217

03 [A]를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시간은 돈이다.

(나) 가진 돈이 바닥을 드러냈다.

① (가): ‘시간’의 추상성은 ‘돈’의 구체성을 통해 구조화되고 이해된다고 할 수 있군.


② (가): 한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은 한정적이라는 측면에서 ‘돈’의 귀중함과 유사하다
고 할 수 있군.
③ (나): ‘바닥’은 ‘돈’과의 유사성을 통해 의미가 확장된다고 할 수 있군.
④ (나): ‘돈’이 적어지는 상황을 아래쪽에 비유한 지향적 은유라고 할 수 있군.
⑤ (나): 부정적 상황이 아래쪽에 은유되는 공간적 지향성이 나타나고 있군.

9002-0218

04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톰슨은 음극선 실험을 통해 원자는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하나의 입자라는 돌턴의 원자설이 틀
렸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원자가 더 쪼개질 수 있으며 음전하를 띠는 입자인 전자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원자 내부에서 양전하와 음전하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하여 양전
하가 고르게 분포된 푸딩 속에 음전하를 띤 전자 건포도들이 박혀 있는 원자 모형을 제안했다. 이
것이 건포도 푸딩 모형이다.

① ‘건포도 푸딩 모형’에서 ‘건포도’와 ‘푸딩’은 매개에 해당하는군.


② 톰슨은 ‘음전하’와 ‘건포도’가, ‘양전하’와 ‘푸딩’이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겠군.
③ 원자를 ‘건포도’와 ‘푸딩’의 분리된 개념으로 제시해 원자가 쪼개질 수 있다는 취의를 전달
하려고 하는군.
④ ‘건포도’나 ‘푸딩’의 은유는 실험을 통해 발견한 사실을 건포도나 푸딩의 새로운 속성에 빗
댄 표현이로군.
⑤ 톰슨은 ‘건포도 푸딩 모형’을 통해 원자의 구조라는 과학적 개념을 친숙한 기존의 사물을 통
해 쉽게 이해시키려 한 것이로군.

23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3쪽

9002-0219

05 ⓐ~ⓔ의 사전적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 남에게 예속되거나 의지하지 아니하고 스스로 섬.
② ⓑ: 많이 만들어 냄.
③ ⓒ: 확실히 보증하거나 가지고 있음.
④ ⓓ: 어떤 상태나 상황이 그대로 보존되거나 변함없이 계속되어 지탱됨.
⑤ ⓔ: 문 따위를 닫아걸거나 막아 버림.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35
융합 02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된 고고학은 사실 그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인류의 물질적
유물을 취급하는 기술 정도로 치부되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며 고고학자들은 유물들이 사용되었
던 당시 사회·문화적 맥락에 주목하였고, 그것을 통해 유물들의 의미를 유추해 낼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하
였다. 그리하여 고고학은 당시 문화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것이 상징하는 바는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하
는 학문으로서 위상이 높아지게 되었다.
고고학의 기초적인 탐구 방법은 유물이나 유적과 같은 고고학 자료를 발굴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굴 작업
의 목적은 단순히 고고학 자료를 찾는 것이 아니라 출토 위치, 상태, 출토 유물 또는 유적 간의 관계 등을 파
악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고고학에서 활용되는 발굴 방법 중 하나는 사분법이다. 사분법은 봉토(封
土) *가 있는 고분을 발굴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고분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십자 모양으로 사 등분
하여 한 부분을 먼저 발굴한 후 면이 접해 있지 않고 서로 ㉰엇갈려 마주 보는 부분을 발굴하는 순서로 진행
된다. 그렇게 되면 고분 내의 공간적 특성이나 유물들의 분포 위치, 유구(遺構) *의 흐름 등을 전체적으로 쉽
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발굴을 할 때에는 각 구역에 폭 0.5~1m의 둑을 남겨 놓는데, 이는 발굴자가 고분
을 덮고 있는 흙의 퇴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고분의 전체적인 공간적 특성과
둑의 층서(層序) *를 파악한 다음에는, 지층의 순서에 맞추어 둑을 차례로 제거하고 실제 시신이 묻혀 있는
매장 주체부를 정밀하게 조사하게 된다.
사분법 외에 고고학에서 활용되는 방법으로 방격법을 들 수 있다. 방격법은 일종의 바둑판식 발굴법으
로, 이 방법은 우선 가로세로의 축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기준점을 설정하는 것에서부터 발굴이 시작된다.
기준점이 설정된 후에는 바둑판 눈금 모양의 구획인 그리드(grid)를 각 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정하여 나
누어진 구역에 대해 발굴을 진행한다. 사분법과 달리 방격법은 야외 유적인 주거지, 사지(寺址) 등과 같이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할 때 효율적이고, 발굴 작업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유구
의 변화나 층위의 단절에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발굴된 유물, 즉 고고학 자료들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료가 사용되었던 연대를 추측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활용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광자극 냉광법(冷光法)이다. ㉠광자극 냉광법을 활용하면 유물에 어떠한 손상이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연대를 측정할 수 있고, 50,000년 이상 오래된 유물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의 기본적인
원리는 유물이 묻힌 지층에 포함된 석영, 장석과 같은 무기질 결정의 냉광 현상을 통해 유물의 연대를 측정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냉광이란 무기질 결정이 외부에서 흡수한 에너지를 빛으로 바꿔 외부에 방출하는
물리적 현상을 말하는데, 무기질 결정이 빛이 차단된 땅속에 묻히면 에너지를 흡수만 하게 된다. 특히 석영
은 땅속에 묻히면 주변의 방사성 원소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해 축적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토양
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광자극 냉광법에 주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고분에서 토기 여러 개가 출토되
었다고 가정할 때, 그 토기들이 출토된 지층에 포함된 석영이 축적한 에너지가 100만 단위이고, 주변의 방
사성 원소가 매년 방출하는 에너지가 4단위라고 한다면 그 토기들은 25만 년 전에 매장된 것이라고 범박(泛
博)하게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광자극 냉광법의 중요한 가정은 유물 주변의 방사성 물질은 매년 일정하게

23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4쪽

붕괴되므로 매년 일정한 에너지가 유물에 공급된다는 것이다. 이때 석영에 방사능 에너지를 주는 자연 방


사성 원소의 양은 지역마다 다르므로, 연대를 측정하기 원하는 장소에서 해마다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각각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수치들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정확한 연대 측정이 가능하다. 그
렇기 때문에 만약 측정하고자 하는 유물 주변에 방사능 시설이 세워져 방사능 수치에 변화가 생긴 적이 있
으면 광자극 냉광법을 통해 연대를 측정하기는 어렵다.

* 봉토: 흙을 쌓아 올림. 또는 그 흙.
* 유구: 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
* 층서: 지층이 쌓인 순서. 아랫부분에서부터 오래된 순서대로 층을 이루어 겹쳐져 있다.

9002-0220

01 윗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방격법은 가로세로의 축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기준점을 먼저 설정한 후 발굴이 시작된다.
② 냉광은 무기질 결정이 외부에서 흡수한 에너지를 빛으로 바꿔 방출하는 물리적 현상을 말한다.
③ 고고학 자료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유구가 변화되거나 층위가 단절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
다.
④ 사분법은 방격법과 달리 발굴 준비 과정에서 특정 구역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작업을 선행
한다.
⑤ 19세기 중반 이전에 고고학은 체계를 가진 학문이 아닌 유물을 취급하는 기술 정도로 치부
되었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37
융합 02

[02~03] 다음은 ‘나주 신촌리 9호분’ 발굴 보고서의 일부이다.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나주 신촌리 9호분> 발굴 보고서


발굴 일시 1999년 4월 26일 ~ 1999년 8월 26일
발굴지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산 41번지 일원
출토 유물 금동관, 원통형 토기, 금동 신발, 철기 등

" #

B
$ %
둑 C

  N

<그림 1> 9호분 평면도 <그림 2> 원통형 토기의 출토 위치

<그림 1>은 나주 신촌리 9호분의 평면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리고 <그림 2>는 9호분 단면의 일부로, 원통
형 토기가 출토된 위치를 a와 b로 나타낸 그림이다.

9002-0221

02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그림 1>에 활용된 발굴법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고분을 발굴할 때 A 구역에서부터 발굴을 시작하였다면 그다음에는 D 구역을 발굴하였을 것‌


이다.
ㄴ. ‌A~D의 각 구역에 둑을 남겨 발굴자가 고분을 덮고 있는 흙의 퇴적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
였다.
ㄷ. ‌고분의 전체적인 공간 특성과 둑의 층서를 파악하기 전에 시신이 매장된 부분을 조사하였을 것
이다.
ㄹ. ‌고분 내의 공간 특성이나 유물의 분포 위치를 전체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발굴법이 활용
되었다.

① ㄱ, ㄹ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ㄴ, ㄹ

23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4쪽

9002-0222

03 <보기>는 <그림 2>와 관련한 보고서의 내용이다. 이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그림 2>에 표시된 a와 b에서 원통형 토기 여러 점이 발굴되었는데, 발굴 팀은 광자극 냉광법을
활용해 이 유물들의 연대를 측정해 보았다. 발굴 팀은 a와 b에서 유물들을 발굴하기 전까지 지층
에서 채취한 석영이 유물들과 매장된 이후 빛과 철저하게 차단되어 있었다고 가정하였다. a, b의
지층에 포함된 석영이 축적한 에너지는 각각 16,000단위였고, 주변의 방사성 원소가 매년 방출하
는 에너지는 각각 10단위였다.

① 발굴 팀은 원통형 토기가 묻혀 있던 a, b의 지층에 포함된 석영 결정의 냉광 현상을 이용하


여 연대 측정을 하였겠군.
② 발굴 팀은 a, b에 매장되어 있는 원통형 토기는 모두 기원후 1,600년에 묻힌 것으로, 17세기
전반에 매장된 것이라고 추측하였겠군.
③ 원통형 토기가 매장된 a나 b의 지층이 도굴 등으로 인해 빛에 노출된 적이 한 번이라도 있었
다면 발굴 팀이 측정한 연대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겠군.
④ a, b의 지층에서 각각 채취한 석영이 축적한 에너지가 서로 큰 차이를 보였다면 a, b가 동일
한 시기에 매장된 유물이 아닐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겠군.
⑤ 방사능 시설의 건설로 인해 a, b 주변의 방사능 수치에 변화가 생겨 a, b 주변의 방사성 원소
가 매년 방출하는 에너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었다면 광자극 냉광법을 이용하기는 어려웠
겠군.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39
정답과 해설 85쪽

9002-0223

04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유물에 광자극을 주어 유물 내부를 영상으로 구현하는 원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② 석영이 땅속에 묻히면 주변의 방사성 원소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해 방출하기 때문에
③ 무기질 결정은 빛에 노출되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거의 잃어버리기 때문에
④ 석영이나 장석에 유입되는 자연 방사성 원소의 양이 어느 지역에서나 동일하기 때문에
⑤ 유물 자체가 아닌 발굴된 유물 주변의 무기질 결정을 활용하여 연대를 측정하기 때문에

9002-0224

05 <보기>는 ㉮~㉰를 분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빈칸에 들어갈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탐구 과제] ㉮~㉰를 단어의 짜임에 따라 분류하시오.
㉮이르러, ㉯들어서며, ㉰엇갈려
예 아니요 하나의 어근만으로 이루어진 단일어인가?
이르러 들어서며, 엇갈려

예 아니요

엇갈려 들어서며

① 어근 없이 접사로만 이루어진 단어인가?


② 분리하여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인가?
③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인가?
④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인가?
⑤ 정상적인 단어 배열법을 따르는 합성어인가?

24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융합 03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애민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정조에게는 민국 사상이 자리 잡고 있었다. 조선 전기의 민인(民人)은


양반과 천민을 제외한 양민을 지칭하는 말로 주로 사용되면서 상하의 계층성이 내포되어 있었다. 그런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발생은 구성원이 일치단결할 필요성과 더불어 민인의 개념이 모든 백성을 지칭하
는 것으로 확장되는 데에도 영향을 주었다. 영조 대에는 이전의 민국, 즉 ‘백성과 나라’라는 의미에서 ‘민
(民)의 나라’라는 의미의 민국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점차 모든 백성의 부담을 고르게 하고, 군
주가 천민까지도 자신의 백성으로 끌어안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정조가 추쇄관(推刷官) *을 혁파하여 노
비들의 생활을 안정시킨 것은 그러한 개념으로 확장되는 것과 연관이 있었다.
민국 사상 은 정조에 의해 ‘군주-백성-국가’의 관계를 군민일체(君民一體)의 유기적 관계로 정립하는 단
계까지 발전하였고, 여기에는 백성에 대한 애정이 담겨 있었다. 정조는 재위 24년간 66회, 연평균 2.7회의
빈도로 성 밖을 나와 백성의 생활을 직접 살피기도 하고, 원통한 일을 당한 백성이 국왕에게 자신의 일을 직
접 호소할 수 있는 격쟁(擊錚)을 적극 허용하는 등 백성들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였다. 또한 국가
행사나 건설에 동원된 백성들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건설 공법의 혁신을 통해 효율을 높이려 한 것은 정조
의 민국 사상에 담긴 애민 정신을 잘 보여 주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배다리 건설을 들 수 있다.
18세기 말 정조는 수원 화성에 행차하기 위해 한강에 배다리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배다리란 배를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놓고 그 위에 판재를 건너질러 만드는 부교(浮橋)를 말한다. 배다리는 16세기 초 연산군도 건
설한 바가 있었는데, 사냥을 가기 위해 백성들의 배 800척을 동원하여 만든 것이었다. 목적도 사치스러운
것이었으나 과도한 물자를 비체계적으로 운용하고, 백성들의 생업을 등한시하여 큰 폐단을 낳았다. 정조는
기존 배다리의 비효율성과 폐단을 지적하며 새로운 배다리 건설 공법을 정리한 『주교지남(舟橋指南)』을 펴
냈다.
배다리의 구조를 살펴보면 배다리의 하부 구조는 부력을 사용하여 상부 구조의 하중을 지탱하고 흔들림
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칭형의 구조물로 설계되었다. 36척의 배 중 몸체가 가장 크고 뱃전이 가장 높은 배를
골라 강 한복판에 정박시켜 기준으로 삼고 양쪽으로 크기에 따라 나열하여 무지개 모양이 되도록 했다. 또
한 상부 구조물을 지탱하는 선박은 큰 하중을 견뎌 내기 위해 부력이 큰 것을 사용했다.
배의 높이를 재는 치수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깊이이고, 또 다른 하나는 흘수이다. 깊이
는 배의 갑판에서부터 바닥까지의 전체 길이이고, 흘수는 물속에 잠긴 부분의 길이이다. 또한 깊이에서
흘수를 뺀 수면 윗부분은 건현이라 불렀다. 건현이 크면, 건현이 작은 배보다 예비 부력 *이 크고 하중을
[A] 지탱하는 데 유리하였다. 1,800여 명이 동시에 한강을 건너야 했던 배다리는 상당한 양의 부력을 가져
야 했으므로 건현과 몸체가 큰 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부력은 배의 무게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
지만 물의 밀도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 특징이 있기에 바다가 아닌 강에 띄운 배다리 건설에 고려할 부분
이기도 하였다.
물에 뜬 배는 물의 흐름에 따라 흔들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의 무게 중심이 낮을수록, 부력의 중심인 부
심이 높을수록 복원력이 좋다. 배다리 상부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사용된 배는 부력이 크다는 장점이 있
었으나, 선체의 높이가 높아 복원력이 좋지 못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배다리의 상부 구조물은 하부 구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41
융합 03

조에 전해지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키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각 선박을 연결하기 위해 ㉡짜 맞춤 공법


이 아닌 ㉢칡 묶음 공법을 사용하였다. 짜 맞춤 공법은 이음매를 맞추는 정교한 작업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결합된 이후에는 분해가 어려울 정도로 튼튼하게 맞물린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칡 묶음
공법은 결합에 걸리는 시간은 짧으나 결합 강도 측면에서는 짜 맞춤 공법에 미치지 못한다. 배다리는 필요
할 때 가설하고 다시 분해하는 임시 교량으로서 결합과 분해의 용이성이 매우 중요하였고, 파손 등으로 일
부 선박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대비해야 했으므로 칡 묶음 공법이 사용된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과
말이 배다리를 건너는 동안 발생하는 불규칙한 하중과 유속의 변화로 인한 흔들림에 배다리의 연결 부위가
적절히 반응하며 진동을 흡수하는 데에도 칡 묶음 공법이 적합하였던 것이다. 이 외에도 닻줄의 활용, 조립
형 난간 설치 등 다양한 공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공법을 통해 지어진 배다리에 사용된 배는 경강선이었다. 새롭게 배를 만들지 않고 기존에 세곡이
나 소금을 운반하던 배들을 이용한 것이다. 배다리 설치 시기를 일상적인 선박 운용에 폐가 되지 않도록 배
려하고 동원된 배에는 공에 따라 이권을 보장해 주었다. 노량진 부근의 장인들은 배다리 건설에 동원하는
대신 잡역을 면제해 주었다. 배다리 건설에 사용된 각종 자재는 조립 위치를 기록해 두고 종류별로 나누어
보관하여 추후 건설에서 자재의 낭비가 없게 하였다. 정조는 기술 혁신, 합리적인 경영, 치밀한 관리를 통
해 배다리의 건설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백성들이 겪는 폐단을 바로잡아 민국 사상에 담긴 애민 정신을 보
여 주었던 것이다.

* 추쇄관: 도망한 노비를 수색하여 잡아서 주인에게 되돌려 주는 일을 하던 벼슬아치.


* 예비 부력: 하중의 증가와 같은 변화가 생겼을 때에도 충분히 부상하여 떠 있을 수 있는 힘.

9002-0225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정조의 추쇄관 혁파는 민(民)의 개념이 확장되는 시기에 일어난 정책이었다.
② 조선 전기의 민인(民人)의 개념은 전쟁의 영향으로 대상의 범주가 변화되었다.
③ 영조 대에 이르러 민인(民人)의 개념에 상하의 계층성을 담은 개념이 추가되었다.
④ 연산군의 배다리 건설은 물자 운용의 문제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생업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
도 안고 있었다.
⑤ 정조는 직접 백성들의 형편을 살피는 것 외에도 격쟁을 적극적으로 운용하여 백성들의 문제
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24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6쪽

9002-0226

02 <보기>는 부력에 대한 설명이다. 이를 토대로 [A]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부력의 크기는 ‘유체의 밀도×잠긴 부분의 부피×중력 가속도’로 구할 수 있다. 물은 유체이기
때문에, 물에 잠긴 물체는 물의 밀도와 중력 가속도가 같은 조건이라면 잠긴 부분의 부피에 해당하
는 유체의 무게에 따라 받는 부력이 달라진다. 따라서 배의 무게에 변화가 생기면 중력과 부력은
새로운 평형을 찾아 유지한다. 만약 물체의 무게가 늘어난다면, 잠긴 부분의 부피가 증가하여 부력
이 커지게 된다. 또한 물체의 밀도가 일정할 때, 부피는 단면적 및 높이와 비례하므로 높이가 높으
면 전체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부력도 영향을 받는다. 한편 부피와 중력 가속도가 같은 배라도 바
다에 있는지 강에 있는지에 따라 부력에 차이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바닷물의 평균 밀도가 강물의
평균 밀도보다 더 커서 부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① 배에 실리는 무게가 감소한다면, 이전보다 건현은 커지고 흘수는 감소하게 되겠군.


② 건현이 큰 배는 건현이 작은 배에 비해 높이가 높기 때문에 예비 부력이 큰 것이겠군.
③ 배에 화물이 더 실릴 경우,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배의 흘수가 늘어나면서 다시 평형 상태
를 찾게 되겠군.
④ 전체 부피와 중력 가속도가 일정한 상태일 때, 동일한 배를 강에 띄웠을 때보다 바다에 띄웠
을 때 흘수가 더 늘어나게 되겠군.
⑤ 같은 무게라도 단면적과 높이에 따라 잠긴 부분의 부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배다리에
는 되도록 바닥이 넓은 배를 사용해야 했겠군.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43
융합 03

9002-0227

03 <보기>를 통해 민국 사상 에 담긴 의미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달은 하나뿐이고 물의 종류는 일만 개나 되지만, 물이 달빛을 받을 경우 앞 시내에도 달이요, 뒤
시내에도 달이어서 달과 시내의 수가 같게 되므로 시냇물이 일만 개면 달 역시 일만 개가 된다.
…… 물이 흐르면 달도 함께 흐르고, 물이 멎으면 달도 함께 멎고, 물이 거슬러 올라가면 달도 함께
거슬러 올라가고, 물이 소용돌이치면 달도 함께 소용돌이친다. 그러나 그 물의 원뿌리는 달의 정기
(精氣)이다. 거기에서 나는, 물이 세상 사람들이라면 달이 비춰 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사람들 각
자의 얼굴이고 달은 태극 *인데, 그 태극은 바로 나(정조)라는 것을 알고 있다.
 - 정조, 「만천명월주인옹자서」의 일부
* 태극: 우주 만물이 생성·전개되는 근원 혹은 근원적 이치.

① 물이 흐르면 달이 함께 흐르는 것처럼, 군주와 백성은 신분의 차이가 없는 유기체라는 것이다.


② 물의 본질은 같고 달의 종류가 많은 것처럼, 군주를 위해 수많은 백성이 봉사해야 한다는 것
이다.
③ 달이 물을 비추며 그 움직임과 함께하듯, 군주는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백성들의 처지
를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④ 모든 물이 달의 정기라는 동일한 뿌리를 갖는 것처럼, 백성들이 군주를 존경하면서도 거리
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⑤ 물의 종류가 일만 개이고 달 역시 그에 비치어 일만 개나 되는 것처럼, 군주는 백성들이 떠
안을 부담을 신분에 맞춰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24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6쪽

9002-0228

04 ㉠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기존 배다리가 가진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공법을 정리하여 『주교지남』을 펴냈다.
② 백성들의 생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 시기를 정해 백성들을 무상으로 징발할 수 있었다.
③ 추후 배다리 건설 시 자재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자재를 분류하여 보관하고 조립 정보를 기
록하였다.
④ 하부 구조의 안정성을 위해 뱃전이 가장 높은 배를 기준으로 크기에 따라 양쪽에 선박을 나
열하였다.
⑤ 경강선의 선체 높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 구조물은 하부에 전해지는 중량을
고르게 분산하도록 설계하였다.

9002-0229

05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은 결합과 분해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배다리의 공법으로 채택되었다.
② ㉢은 이음매를 맞추는 조립 과정 때문에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었다.
③ ㉡은 ㉢에 비하여 조류의 변화에 반응하며 진동을 흡수하는 데에 유리하였다.
④ ㉢은 ㉡에 비하여 문제가 발생한 일부 선박을 교체하는 데에 편리함이 있었다.
⑤ ㉢은 ㉡에 비하여 불규칙한 하중이 실리는 상황을 대처하기에 불리함이 있었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45
융합 04

[01~0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지구의 모든 사물은 본연의 색을 지니고 있으며, 그 색을 잃는 것을 매우 두려워한다. 퇴색이란 색 성분의


분자가 흡수한 빛의 에너지 등에 의해 부서지거나 변형된 것이다. 보통 무엇이 낡거나 몰락하면서 그 존재
가 희미해지거나 볼품없어질 때 비유적으로 퇴색했다는 표현을 쓰듯이, ‘백화 현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치
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다음은 백화 현상이 일상생활이나 생태계 속에서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지
볼 수 있는 사례들이다.
산호는 군체 동물로 그중 몇 부류의 군체가 모여 산호초를 형성한다. 산호초는 해양에서 가장 다양한 생
태계를 형성하며 해양 어종의 약 25%의 서식처와 먹이를 제공한다. 산호는 열대 해역뿐만 아니라 극지방과
온대 해역에서도 발견되지만 산호초는 열대 해역에서만 발견된다. 이것은 두 가지 상이한 유형의 산호가
있기 때문이다. 조초성 산호는 산호초를 형성하는 산호로 열대 해역에서만 발견된다. 비조초성 산호는 산
호초를 형성하지 않는다. 조초성 산호의 조직 속에는 황록공생조류라는 미세한 식물 플랑크톤이 자란다.
황록공생조류는 엽록소를 비롯한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이 모이면 녹색, 갈색, 붉은색을 띠
는데 햇빛을 이용해 산호가 호흡할 때 나오는 이산화 탄소와 물로 광합성을 한다. 산호의 골격은 탄산 칼슘
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황록공생조류가 광합성을 해서 만든 유기물은 산호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산호의 탄
산 칼슘 골격을 키워 산호초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산호는 그들의 조직에 정상적으로 살
고 있는 황록공생조류가 방출되면 색깔이 바래진다. 황록공생조류가 없는 산호의 조직 안은 거의 투명하고
석회석의 골격으로 하얗게 되는 백화 현상이 나타난다. 만약 이것이 상당 기간 지속되면 산호는 죽게 된다.
백화 현상의 원인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학자는 그 원인을 수온이 30℃ 또는 그 이상이 될 때
야기되는 스트레스 탓으로 돌리고 있다. 백화는 점점 더 흔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백화 현상의 패턴
은 지구 온난화가 시작되는 초기 경고일지도 모른다는 ⓐ시각도 있다.
건축물도 예외는 아니어서 백화 현상은 위협적이다. 콘크리트 건물의 백화 현상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산
화 칼슘 등이 물에 용해되어 건물의 외부로 흘러나와 수분이 증발된 후 표면에 탄산 칼슘의 형태로 남는 현
상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 그리고 강도를 위한 골재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굳힌 혼합물이다. 시멘트
에 일정한 물을 가해 섞으면 수산화 칼슘이 생성되어 물에 용해된다. 수산화 칼슘은 계속해서 시멘트 중의
다른 성분들과 반응하여 콘크리트를 견고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콘크리트가 수소 이온 지수인 pH
가 12.5~13인 강한 염기성인 것은 수산화 칼슘 포화 용액 때문이다. 수산화 칼슘의 용해도는 온도가 낮을
수록 높은데, 이 특성이 백화 발생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콘크리트가 ⓒ건조될 때 수산화 칼슘 용액이
콘크리트 내의 미세한 구멍이나 빈틈인 공극을 따라 콘크리트의 표면으로 이동하고 이후 물이 증발하게 되
면 표면에 수산화 칼슘이 잔존한다. 이 수산화 칼슘이 공기 중의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반응하게 되면 탄
산 칼슘으로 변환한다. 이 탄산 칼슘은 물에 녹지 않으며 흔히 백색을 띠고 있어 이 현상을 백화 현상이라
한다. 탄산 칼슘의 pH가 7 정도이기 때문에 백화 현상을 콘크리트의 탄산화 혹은 중성화라고도 하는데 콘
크리트 수명 판단에 있어 하나의 ⓓ지표가 된다. 탄산 칼슘은 내력 *을 부담할 수 없기에 쉽게 부서지거나
균열이 가기 때문이다. 산성비가 콘크리트에 좋지 않은 것도 같은 이유이다.
건물 백화의 발생은 온도와 습도에 영향을 받는다. 콘크리트 내부의 수용액의 이동을 양지와 음지로 나누

24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8쪽

어 살펴보면 양지에서는 콘크리트 표면이 내부보다 온도가 높으므로 표면의 수분이 빠르게 건조되면서 공
극의 수분이 내부에서 증발되어 백화가 발생하기 어렵다. 반면, 그늘에서는 표면의 온도가 낮으므로 수분
의 증발이 억제되어 내부의 수용액이 공극을 따라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며 건조된 후 표면에 수산화 칼슘이
잔존하므로 백화가 발생하기 쉽다. 즉 온도가 낮고 일조량이 적어 습도가 높은 경우, 공극에 존재하는 물이
잘 건조가 되지 않으므로 백화 원인 물질이 쉽게 용해될 수 있는 환경이 된다. 특히 수산화 칼슘의 용해도는
온도가 낮을수록 높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또한 콘크리트가 만들어진 초기일수록 물이 많고 공극 구조가
엉성하므로 수산화 칼슘 용액이 이동하기 쉽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이 흐른 후 표면의 수용액이
건조되면서 백화로 나타난다.

* 내력: 견디어 내는 힘.

9002-0230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① 콘크리트에 물과 골재를 배합한 것이 시멘트이다.
② 황록공생조류는 산호초 주위에 거주하며 먹이를 공급받는다.
③ 극지방에서 발견되는 것은 산호초를 형성하지 않는 산호이다.
④ 색 성분의 분자가 부서지거나 변형된 것을 백화 현상이라 한다.
⑤ 콘크리트 건물의 백화는 콘크리트 속 탄산 칼슘이 표면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한다.

9002-0231

02 윗글에서 산호초의 생태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황록공생조류는 이산화 탄소와 물을 유기물로 전환시키는군.
② 산호초의 백화 현상은 황록공생조류의 색이 바래지면서 일어나는군.
③ 산호초의 백화 현상이 심화되면 서식처를 잃는 해양 생물들이 있겠군.
④ 산호초는 열대 해역에서 서식하지만 해수 온도가 높을수록 성장하는 것은 아니군.
⑤ 산호초는 황록공생조류가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빛이 많은 지역에 주로 서식하겠군.

9002-0232

03 윗글을 근거로 할 때, 콘크리트의 백화 현상이 일어나는 환경으로 적절한 것은?


① 공극의 물 증발이 활발할수록 백화가 발생하기 쉽다.
②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많을수록 백화가 발생하기 어렵다.
③ 콘크리트 구조물이 만들어진 초기일수록 백화가 발생하기 어렵다.
④ 고온 건조한 기후보다는 저온 다습한 기후에서 백화가 발생하기 쉽다.
⑤ 볕이 바로 드는 남쪽 외벽이 그렇지 않은 북쪽 외벽에 비해 백화가 발생하기 쉽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47
정답과 해설 88쪽

9002-0233

04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미생물 콘크리트에 대해 반응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미생물 콘크리트는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콘
크리트가 박테리아와 혼합되면 박테리아는 휴면 상태로 들어간다. 이 콘크리트에 어떤 균열이나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면 공기와 물이 들어오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박테리아 포자가 침전 작용
을 개시한다. 이 박테리아는 콘크리트 내부에 탄산 칼슘 침전을 일으킨다. 이 침전물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채우게 되므로 조직이 치밀한 콘크리트가 만들어진다.

① 박테리아로 인해 물이 많아지므로 백화 현상이 방지되겠군.


② 박테리아로 인해 수산화 칼슘이 증가하면서 백화 현상이 방지되겠군.
③ 탄산 칼슘 침전이 생기므로 백화 현상 발생 가능성은 오히려 높아지겠군.
④ 수산화 칼슘 용액이 표면까지 흘러가기 힘들 테니 백화 현상이 방지되겠군.
⑤ 박테리아로 인해 공극이 만들어지므로 백화 발생 가능성은 오히려 높아지겠군.
9002-0234

05 윗글과 <보기>를 읽고 반응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의 백화 현상과 함께 일어나는 수소 이온 지수의 변화는 산호를 위협하는 또 하나의 중
요한 문제인 ‘해양 산성화’에서도 일어난다. 해양 산성화는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가 해양으로 흡
수되면서 해수의 수소 이온 농도가 증가해 pH가 낮아지는 현상이다. 해수로 흡수된 이산화 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중탄산염과 수소 이온을 만든다. 이때 발생한 수소 이온은 산호 등과 같은 해양 생
물이 탄산 칼슘 골격을 만드는 데 필요한 탄산 이온과 반응하여 중탄산염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탄산 칼슘의 형성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해양 산성화는 산호의 성장 및 번식, 산호초 구조의 강도
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① 탄산 칼슘은 산호에는 필요하지만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해가 되는군.


② 수소 이온 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산호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군.
③ 수소 이온 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콘크리트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군.
④ 이산화 탄소와 물의 화학 반응이 많이 일어날수록 탄산 칼슘의 형성이 어려워지는군.
⑤ 이산화 탄소와 수산화 칼슘의 화학 반응이 많이 일어날수록 탄산 칼슘을 감소시키는군.
9002-0235

06 ⓐ~ⓔ의 문맥적 의미를 사용하여 만든 문장으로 적절한 것은?


① ⓐ: 우리는 약속한 시각에 맞추어 모임 장소에 나갔다.
② ⓑ: 식장에는 삼부 요인이 한자리에 다 모여 앉아 있었다.
③ ⓒ: 신기술을 이용한 대형 유조선이 건조되었다.
④ ⓓ: 더운 열기가 지표를 뜨겁게 달구었다.
⑤ ⓔ: 일정 금액을 내시면 등록이 됩니다.

24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융합 05

[01~0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000년 노벨 생리 의학상은 학습과 기억을 세포적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연구를 선구적으로 수행한
캔델에게 돌아갔다. 그의 연구는 단순한 생명체인 군소 *를 가지고 수행한 것이었지만 생쥐와 같은 척추동
물의 신경 세포에서도 동일한 과정이 일어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주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캔델의 연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학습과 기억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습이란 경험이나 교육 또는 두 가지 모두에 의해 능력이나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동물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보상이나 처벌이 필수적이다. 만약 한 동물이 특별한 자극에 대하여 특정한
반응을 보였을 때 생존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보상을 경험했다면 이후 동일한 자극에 동일한 방식으로 반
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특정한 반응의 결과로 처벌을 경험했다면 이후 동일한 자극에 그런 방식
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를 학습과 관련지으면 쾌감을 주는 행동 반응이 강화되고 불쾌감을 주
는 행동 반응이 회피될 때 학습이 일어났다고 말한다.
기억은 이전에 학습된 지식이나 능력을 나중에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기억의 지속 시간에 따
라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에서 새로 본 전화번호를 버튼을 누르는
동안만 떠올리는 것은 단기 기억 작용이며, 이전의 자기 집 전화번호를 장기간에 걸쳐 기억하고 있는 것은
장기 기억 작용이다. 단기 기억에는 용량의 한계가 있는데, 숫자나 문자, 단어의 경우 7개 정도가 그 한계라
고 본다. 이러한 한계를 기억의 범위라고 한다. 반면 장기 기억은 저장 용량에 제한이 없다. 장기 기억의 경
우 일시적으로 기억을 재생하는 데 실패할지라도 나중에 어떤 계기나 실마리를 통해 기억을 되살릴 수 있
다. 장기 기억을 ⓐ맡는 뇌의 부위는 해마와 편도를 포함하는 측두엽 내부인데, 편도는 감정과 밀접한 관계
를 맺고 있어서 강한 감정과 관련된 기억을 아주 오랫동안 저장한다.
그렇다면 기억은 어떻게 형성되는 것일까? 이에 대해 캔델은 군소에서 아가미의 수축 반사가 관여되어
있는 학습의 한 형태에 주목하였다. 군소는 쉽게 신경 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큰 크기의 신경 세포, 즉 뉴런
을 가지고 있으며 불과 2만 개의 신경 세포만을 가지고 있어 특정 유형의 행동에 관여하는 경로를 쉽게 알
아낼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연구 대상이 된다. 군소 아가미의 수축 반사는 습관화와 민감화라는 학습 유
형과 관련이 있는데, 이 습관화와 민감화는 특정한 감각 뉴런의 말단에 있는 막이온 채널 단백질의 변형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여기서 습관화는 보상이나 처벌과는 관계없는 자극을 주었을 때 반응이
점차 줄어들거나 반응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하고, 민감화는 강하고 해로운 자극을 받은 후에는 그와 관련
된 약한 자극에도 크게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
군소에서 습관화와 민감화가 일어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처음에 군소의 피부에 있는 호흡관
을 자극하면 시냅스 전 뉴런인 감각 뉴런이 글루타메이트라는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해서 시냅스 후 뉴런인
운동 뉴런을 흥분시키고 그 결과 운동 뉴런의 지배를 받는 아가미가 수축된다. 그런데 군소의 호흡관을 약
한 강도로 반복하여 건드리기만 할 뿐이면 군소는 이 반복된 자극을 무의미한 자극으로 받아들인다. 그래
서 감각 뉴런에서 칼슘 채널이 닫히면서, 시냅스 전 말단으로 칼슘의 유입이 줄어든다. 칼슘의 유입이 줄면
글루타메이트의 분비량도 함께 줄어들어 운동 뉴런의 흥분이 약화되고, 이에 운동 뉴런의 지배를 받는 아
가미 수축 역시 줄어드는 습관화가 일어난다. 민감화에서는 꼬리에 가한 강한 전기적 자극이 촉진 뉴런을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49
융합 05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촉진 뉴런은 세로토닌을 감각 뉴런으로 방출한다. 세로토닌을 받으면 감각 뉴런은


칼슘 채널이 오래 열리게 하여 칼슘 유입을 늘리고 이로 인해 글루타메이트의 방출이 촉진된다. 결과적으
로 운동 뉴런의 전위가 강해져서 아가미 수축이 강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강한 전기적 자극 이후에는 호흡
관을 살짝만 건드려도 아가미의 수축이 강하게 일어난다.
습관화나 민감화의 지속 시간은 1시간 정도에 불과한 단기 기억의 작용이다. 그러나 군소의 꼬리에 여러
차례 전기 충격을 가하고 반복적으로 건드리면 민감화는 며칠 또는 몇 주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
상을 장기 강화라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장기 기억이 형성된다. 캔델은 군소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단기 기억
과 달리 장기 기억이 일어날 때는 새로운 단백질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반복적인 자극이 시냅스
전 뉴런에서 이루어지면 세포의 핵에서 전령 RNA를 만드는 유전자들이 활성화되어 유전 암호를 세포질의
리보솜으로 전달하고, 리보솜에서는 운반 RNA가 실어 온 아미노산을 재료로 하여 암호화된 단백질을 만든
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은 추가적인 시냅스 연결을 형성해 준다. 이렇게 새롭게 형성된 연결은 시냅스
전 뉴런과 시냅스 후 뉴런 간에 의사소통을 강화해 준다. 학습의 결과로 생기는 이러한 시냅스의 변화를‌
㉮시냅스 가소성이라고 한다.

* 군소: 바다달팽이.

9002-0236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캔델은 군소를 대상으로 기억이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② 촉진 뉴런이 활성화되면 운동 뉴런 내 세로토닌의 활동이 활발해진다.
③ 강한 감정과 관련된 장기 기억은 측두엽 내부에 있는 편도에 저장된다.
④ 군소 아가미의 수축 반사는 감각 뉴런이 운동 뉴런을 흥분시키기 때문에 일어난다.
⑤ 보상이나 처벌로 인해 행동 반응이 강화되거나 회피될 때 학습이 일어났다고 한다.

25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89쪽

9002-0237

02 ㉠과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은 사라지기도 하지만 ㉡으로 바뀌기도 한다.
② ㉠과 ㉡은 모두 학습을 필요로 한다.
③ ㉠과 달리 ㉡은 저장의 용량에 제한이 없다.
④ ㉠과 달리 ㉡은 새로운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수반된다.
⑤ ㉡과 달리 ㉠은 재생에 실패한 기억을 되살릴 수도 있다.

9002-0238

0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하고자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ㄴ. 꼬리
ㄱ. 호흡관
B. 감각 뉴런

C. 운동 뉴런

ㄷ. 아가미
D. 촉진 뉴런

<군소>

① ㄱ을 처음으로 자극하면 a에서 칼슘 채널이 열려 b로 글루타메이트가 방출된다.


② ㄱ을 반복적으로 약하게 자극하면 b의 흥분이 약화되고, 이로 인해 ㄷ의 수축 역시 줄어든다.
③ ㄱ에 가하는 약한 반복적 자극과 ㄴ에 가하는 강한 전기적 자극은 a의 칼슘 채널에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
④ ㄴ에 반복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가하면 a와 b 사이에 시냅스 연결이 추가된다.
⑤ ㄴ에 강한 전기적 자극을 주면 c는 a에서 b로의 신경 전달 물질의 방출을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51
정답과 해설 90쪽

9002-0239

04 윗글을 참고할 때, <보기>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태어난 지 4시간밖에 안 된 신생아의 청각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고무젖꼭지에 감지기를 달아
소리가 나도록 했다. 처음 소리가 울리면 신생아는 젖꼭지 빨기를 멈춘다. 그러나 소리가 수차례
반복되면 신생아는 젖꼭지 빨기를 계속한다. 그다음에 감지기에서 나는 소리를 변화시키면 신생아
는 다시 빨기를 멈춘다.

① 처음 소리가 울릴 때 신생아가 젖꼭지 빨기를 멈춘 것은 습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


겠군.
② 감지기에서 나는 소리가 달라지자 신생아가 젖꼭지 빨기를 멈춘 것은 민감화로 설명할 수
있겠군.
③ 감지기에서 나는 처음 소리는 무의미한 자극을 의미 있는 자극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
는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④ 감지기에서 나는 소리에 변화를 준 것은 신생아가 해로운 자극을 받은 이후 약한 자극에 어
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로군.
⑤ 소리 나는 횟수가 반복될 때 신생아가 젖꼭지 빨기를 멈추지 않은 것은 그 소리를 보상이나
처벌과는 관계없는 무의미한 자극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군.

9002-0240

05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습관화와 민감화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② 감각 뉴런의 말단에 있는 막이온 채널 단백질의 변형을 가져온다.
③ 호흡관에 가한 약한 자극에 대해서는 아가미의 수축이 잘 일어나지 않게 한다.
④ 감각 뉴런과 운동 뉴런 간의 시냅스의 연결을 추가하여 장기 기억을 형성하게 한다.
⑤ 단순한 생명체에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척추동물의 신경 세포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9002-0241

06 밑줄 친 단어의 문맥적 의미가 ⓐ와 가장 유사한 것은?


① 친구의 부탁으로 잠시 가방을 맡아 두었다.
② 나는 회사에서 경리뿐만 아니라 비서 역할도 맡고 있다.
③ 그는 친구들과 여행을 다녀와도 좋다는 허락을 부모님께 맡았다.
④ 영수는 독서실에 자리만 맡아 놓고 친구들과 밖으로 놀러 나갔다.
⑤ 근속 연수를 채운 그는 회사에 휴가를 맡고 가족과 여행을 떠났다.

25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융합 06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지도는 문자보다 앞서 만들어진 시각 언어로 선, 형, 색 등과 같은 기본 요소를 회화와 공유하고 있다. 중


국의 문자학 서적 『설문해자』에 그림을 뜻하는 ‘畵(화)’가 경계 또는 밭의 네 경계를 표현한 것이라고 기록되
어 있을 정도로 지도는 회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특히 고지도에는 이러한 회화적 성격이 강하게 드
러난다. 우리나라의 고지도는 대략 조선 후기까지 그려진 지도들을 의미하는데, 현전하는 고지도는 대부분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이며, 그 종류는 세계 지도, 조선 전도, 수도 한양을 나타낸 도성도, 지방 행정 구역
을 나타낸 군현도, 산성을 나타낸 산성도 등이 있다. 이 중 세계 지도나 조선 전도 등 규모가 큰 지역을 단순
화해 표현한 소축척 지도는 경물의 형상을 주로 선과 도형 위주로 표현해 지도적 추상화의 수준이 높은 도
면식 지도가 많았던 반면, 도성도, 군현도, 산성도 등의 대축척 지도는 대상 지역의 자연, 인문 지리적 환경
을 회화적 요소를 활용해 형상화한 회화식 지도가 많았다.
회화식 지도는 실경(實景)을 바탕으로 한 산수화풍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데, 특히 18세기 무렵
의 지도들은 지역에 대한 정보 제공이라는 지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회화적 기법을 동원함으로써
예술적 아름다움을 겸비하는 수준에 도달했다. 지도의 회화적 특성으로 먼저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시점이
다. 동양의 산수화는 고정된 위치에서 하나의 시점으로 대상을 묘사하는 단일 시점의 초점 투시보다 한 폭
의 그림 속에도 여러 개의 초점을 가진 사방 시점의 산점 투시를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산점 투시란 화가가
고정된 시야의 제약에서 벗어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이한 시야로 사물을 관찰해 대상의 상하좌우를 그릴
수 있는 표현법을 말한다. 조선 시대 회화식 지도에서는 일부 요소에서 산점 투시가 확인된다. 특히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고을을 나타낸 지도는 한 장의 지도라도 주변 산이 각기 다른 초점으로 표현되었기에 사방
에서 자연스레 지도를 열람할 수 있었는데, 열람자의 시각적 편의를 고려해 관련 지명들이 다양한 방향으
로 표기된 경우도 있었다.
축척과 표현 방식에서도 지도의 회화적 특성이 드러난다. 축척은 지표에서의 실제 거리를 지도에서 줄인
비율을 말한다. 진경 산수화에서는 대상이 동일한 비율로 축소되어 그려지지 않고 작가가 강조하고자 하는
대상을 확대한 차별적 축척이 적용되었는데, 회화식 지도의 경우 주로 군현도나 도성도에 표현된 인문 지
리적 요소들에서 이러한 방식을 찾을 수 있다. 군현도에서는 읍치 *가 주변 지역에 비해 대축척으로 확대되
어 그려지는 일이 많았다. 도성도의 경우는 도성의 외부가 내부에 비해 소축척으로 그려졌는데, 이는 소우
주적 공간으로 표현되는 도성 내부를 부각하기 위한 것이었다. 군현도 등에 나타난 객사나 관청의 경우, 임
금을 상징하는 ‘전패’를 보관하는 객사 건물은 지붕의 모양을 뚜렷하게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문
에 그려진 태극 문양까지 세밀하게 묘사하기도 했다. 지역의 대표적 경관 역시 마찬가지로, 1872년 제작된
「남원 지도」에서는 소설 「춘향전」에 등장하는 광한루와 오작교가 다른 경관에 비해 확대되어 표현되기도 하
였다.
회화식 지도에서 산수화의 표현 기법은 주로 산수로 대표되는 자연 지리적 요소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산수화에서는 다양한 준법(皴法)을 사용해 산의 입체감을 표현하였는데, 준법이란 산악 등의 굴곡이나 음
영을 그리는 표현 기법을 의미한다. 진경 산수화에서는 흙산을 표현하기 위해, 가로로 찍는 작은 점인 미점
(米點)을 활용한 미점법이나 마(麻) 섬유를 풀어 늘어놓은 듯한 선을 반복하여 그린 피마준이 사용되었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53
융합 06

화강암질의 바위산을 그릴 때는 적묵법이나 부벽준이 사용되었는데, 적묵법은 먹이 마른 자리 위에 다시


먹을 칠해 쌓아 올리는 준법이며, 부벽준은 갈필 *을 사용하여 도끼로 장작을 내리친 듯한 느낌을 주는 준법
이다. 이러한 진경 산수화의 준법은 주로 대축척 지도에서 산의 묘사에 활용되었다.
규장각 소장 「도성도」는 조선 시대 도성과 그 주변을 표현한 회화식 지도이다. 도성 주변의 산과 도성의
성곽이 사방을 향해 바깥으로 펼쳐진 구도이며, ㉠지도 전체의 남북 방향을 바꾸어 도성 북쪽의 삼각산을
지도의 아래쪽에, 도성 남쪽의 목멱산을 지도의 위쪽에 배치한 점이 특이하다. 주변의 산은 산수화풍을 반
영해 섬세하게 묘사되어 미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데, 흙산인 목멱산은 미점법과 피마준으로, 삼각산의 암
봉은 부벽준으로 묘사되었다. 이 지도는 사대문 안과 밖의 축척이 각기 달리 적용되어 사대문 내부가 매우
자세히 파악된다. 광화문은 ‘구 광화문’이라 기록되어 있고, 경복궁은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모습이 그대
로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이 지도는 경복궁 재건 이전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반영한 기록화적 특성을 지닌
다. 이렇게 미적 요소를 반영한 지도는 감상화로도 손색없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지도 제작에 전문적 화
원이 참여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도성도」 (규장각 소장)

회화식 지도는 대개 도면식 지도와 비교해 지도로서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반면, 묘사하는 대상 지역의 특
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회화식 지도는 보는 이가 쉽게 지역을 파악할 수 있게 돕고, 제작자
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생생히 부각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고지도의 회화
적 특성 속에는 제작 시점의 생생한 국토 공간의 모습뿐만 아니라, 지도 제작자와 지도 제작을 주관한 당대
인의 사상이나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었던 것이다.

* 읍치: 고을의 중심 공간으로, 관아가 있던 곳.


* 갈필: 서예나 동양화에서, 붓에 먹물을 슬쩍 스친 듯이 묻혀서 쓰거나 그리는 기법.

25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1쪽

9002-0242

01 윗글의 내용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중심 화제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② 화제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소개하고, 절충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③ 일반적인 통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④ 역사적 사실을 활용하여 대상의 변천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⑤ 특정 대상이 지닌 단점을 언급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9002-0243

02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도면식 지도는 일반적으로 회화식 지도보다 지도로서의 정확성이 우수하다.
② 회화식 지도는 선과 도형으로 경물의 형상을 표현해 도면식 지도보다 지도적 추상화의 수준
이 높다.
③ 지도에 인문 지리적 요소들을 표현할 때 차별적 축척을 활용한다면 제작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다.
④ 회화적 기법을 반영한 지도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동시에 미적인 요소를 반영
한 경우도 있었다.
⑤ 규모가 비교적 크지 않은 지역을 표현한 지도에서는 자연, 인문 지리적 환경을 회화적 요소
를 활용해 형상화한 경우가 많았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55
융합 06

9002-0244

03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규장각 소장 ㉮「전주 지도」는 전주부를 나타낸
군현도이다. 산지는 고정된 위치에서 하나의 시
점으로 표현되었으며, 하나의 관찰 지점을 기준
으로 가까운 산은 크게, 먼 산은 작게 그리는 원
근법이 사용되었다. 읍성 바깥의 산세 묘사에는
진경 산수화의 준법이 활용되었는데, 지도 좌측
하단의 토산 묘사에는 피마준, 지도 우측 하단의
산에는 미점법, 지도 우측 상단의 산에는 적묵법
이 사용되었다. 읍성 외부는 내부보다 소축척으
로 그려져 읍성 안과 밖의 축척이 각기 다르다.
성의 안팎에 만개한 봄꽃은 계절적 특징을 보여
주며, 1734년 전라 감사 조현명이 읍성의 사대
문을 개축하며 새로 만든 옹성 *의 모습과 전주
의 수령인 전주 부윤의 행차로 보이는 모습이 사
실적으로 묘사되어 기록화적 요소도 드러난다.
「전주 지도」는 지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산수화풍을 반영한 읍성 주변의 산 묘사로 감상
화로도 손색이 없는 회화식 지도이다.

* ‌옹성: 성문을 보호하고 성을 지키기 위해 큰 성문 밖에 쌓


은 작은 성. 「전주 지도」 (규장각 소장)

① 산의 굴곡이나 음영을 그리는 표현 기법으로 보면, 지도 우측 하단의 산은 흙산으로 볼 수 있


겠군.
② 산수화풍을 반영해 감상화로도 손색이 없었다는 점에서 전문적 화원이 지도 제작 과정에 참
여했을 수 있겠군.
③ 새로 만들어진 옹성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작 시점의 국토 공간의
모습이 지도에 반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겠군.
④ 조선 전체를 나타낸 도면식 지도에 비해 규모가 작은 지역을 나타낸 지도로, 산지의 표현에
산점 투시가 활용되어 산수화의 특징을 지니고 있겠군.
⑤ 읍성 안과 밖의 축척이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제작자가 차별적 축척을 활용해 읍성 외부
에 비해 읍성 내부를 확대하여 표현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겠군.

25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2쪽

9002-0245

04 <보기>를 참고하여, ㉠의 이유를 추론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규장각 소장 「도성도」는 수도 한양을 그린 당대의 다른 지도들과 비교할 때, 지도에서의 방위
배치가 다르다는 점에서 예외적이다. 당시 궁궐은 도성 내에서 목멱산 방향을 정면으로 대하고
있어, 임금은 목멱산을 마주하며 도성과 그 주변을 직접 조망할 수 있었는데, 이 지도는 임금이
정사(政事)를 보는 곳에 어람 *용으로 걸렸던 것으로 파악된다.

* 어람: ‘임금이 봄’을 높여 이르던 말.

① 지도를 열람하는 사람의 실제 시각에서 도성과 그 주변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② 도성 내에서 조망할 수 없는 산지의 모습만을 부각해 주변을 더 자세히 보여 주기 위해
③ 다양한 준법을 활용하여 임금이 산과 성곽의 상하좌우 모습을 모두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해
④ 도성을 표현한 당대 지도들의 보편적 제작 관습에 따라 산지의 위치를 실제와 다르게 그리
기 위해
⑤ 주변 산을 여러 초점으로 표현해 임금이 관련 지명을 다양한 방향에서 쉽게 읽을 수 있게 하
기 위해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57
융합 07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일부 진화론자들은 생물의 진화가 단세포 생물에서 시작되어 지금의 인간처럼 복잡한 척추동물에까지 이
르렀다고 보았다. 진화의 역사 초기에 단세포 생명체는 하나의 세포 안에 생명 유지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
만 있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단순했다. 단세포 생명이 다세포의 생명체로 진화하려면 여러 개의 다른 세
포에 산소를 공급해야 하는데, 단세포의 단순한 구조로는 그것이 원활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생명체
는 진화를 통해 조직의 구석구석까지 퍼져 있는 순환계를 만들었다. 순환계 덕분에 혈액을 통해서 더 많은
세포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고, 덕분에 더 큰 조직의 생명체가 만들어질 수 있었다. 이후 생명체는
신경 세포인 뉴런을 만들어서 뉴런들의 네트워크인 신경계를 갖추었다. 신경계가 만들어진 덕분에 먼 곳에
있는 세포들로부터 감각을 전달받고 반응할 수 있는 생명체로 진화하였고, 지금의 여러 척추동물과 같은
종들이 만들어졌다. 이렇듯 진화론에 의하면 생명체는 순환계, 단순 신경계, 척추 신경계의 순서로 진화해
왔다.
도시의 진화 단계도 생명의 진화 단계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고대의 도시들은 최소한의 구성 요소만
이 있었다. 도시가 갖춘 것이라고는 몇 개의 길과 건물들이 전부였다. 도시를 생명체로 본다면 단세포의 가
장 기본적인 생명 유지 단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원시적 도시에 인구가 모이고 규모가
커지면서 더 많은 물이 필요했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피가 필요하듯이 도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기
본적으로 물이 필요하다. 물을 도시의 구석구석으로 잘 전달하기 위해 물의 순환계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한 도시는 규모를 키워서 도시 간의 생태계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역사를 살펴
보면 이러한 요구에 가장 잘 반응한 도시는 로마였다. 고대 로마는 당시로써는 최첨단 토목 기술을 이용하
여 수로망을 건설하고 엄청난 양의 물을 시내로 공급했다. 이를 통해 더 크고 효율적인 도시를 만들 수 있었
고, 더 많은 사람이 모이게 되었고, 더 강력한 제국을 건설하는 원동력인 강력한 수도(首都)를 만들었다. 로
마 제국을 만들 수 있는 강력한 중앙 집권 시스템은 물 공급이 잘되는 고대 도시 로마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현재의 유적을 통해서 짐작건대 로마 시민 일인당 물의 사용량은 당시 다른 도시들의 수십 배에 달했을 것
이다. 도시에서 상수도 시설은 유기체의 혈관 중에서 동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그런 면에서 고대 로
마는 순환계 부문에서 가장 먼저 진화한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순환계 다음의 진화 단계인 단순 신경계는 생명체 내에서 각기 다른 기관과 세포 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것
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도시에서는 사람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해 주는 교통망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그렇
다면 역사상 교통망이 가장 혁신적으로 발달했던 도시는 어디일까? 도시 내의 교통망을 혁신적으로 개선하
여 진화의 다음 단계로 도약한 도시는 19세기 중반의 파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파리는 당시로써는 혁
신적으로 하수도 설비도 이미 갖추고 있었다. 이는 생명체로 보면 혈관의 정맥까지 완성된 도시 진화의 단계
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파리는, 거미줄처럼 복잡한 교통망을 가지고 있었던 당시의 다른 유럽 중
세 도시와 달리 사통팔달로 뚫린 방사형 교통망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파리는 세계에서 도시 내 소통이
가장 앞선 도시가 되었다. 파리가 19세기를 대표하는 도시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우연이 아니라 이처럼 진화
의 단계에서 가장 앞섰기 때문이다. 이후 지하철 개발까지 이어져서 파리는 오랫동안 전 세계에서 순환계와
단순 신경계가 가장 진화한 도시의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25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3쪽

생명체 진화의 다음 단계는 척추 신경계의 발생이다. 도시에서 이에 비유될 수 있는 것은 전화망의 구축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화 설비는 벨(Bell)에 의해서 미국에 가장 먼저 보급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시스템이 잘 설치된 뉴욕은 20세기에 세계를 이끌어 가는 도시가 되었다. 이로써 뉴욕은 세계 금융의 중심
이자 세계의 수도라고까지 불릴 만한 면모를 갖추게 된 것이다. 전화 통신망이 척추 신경계 진화의 첫 단계
라면 다음 단계인 인터넷 통신망의 구축은 그다음에 세계를 선도하는 도시가 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양방향 소통 기능이 강화된 인터넷은 감각 신경계가 발달한 진화의 단계에 비유될 수 있을 텐데, 서울은 이
런 면에서 아주 진화된 도시 중의 하나이다.
그렇다면 고등 척추동물과 같은 수준으로 진화한 현대의 도시는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와 있다고 볼
수 있을까? 순환계와 신경계의 진화로 바라본 도시의 진화 단계는 지금 유기체 진화의 최종 단계와 유
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관점을 조금만 달리하면 이러한 진화가 꼭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에너
지의 생산과 소비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고등 척추동물이 그러하듯이 도시 또한 아직 하나도 진화하지
[A]
못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등 척추동물도, 도시도 옛날과 마찬가지로 다른 존재에 의존하여 에너
지를 얻어서 이를 소비하면서 생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도시가 바람직한 다음 단계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유기체로서의 실질적인 면모를 더 갖추어야 한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한다면, 동물성이 아닌
식물성의 유기체적 특성을 더 가져야 한다.

9002-0246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도시의 장단점과 다른 대상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다.
② 구성 요소가 지닌 특성과 기능을 중심으로 도시를 설명하고 있다.
③ 도시의 발전 과정을 다른 대상의 발전 과정에 빗대어 설명하고 있다.
④ 유사한 사례를 나열하며 도시가 지닌 문제점의 심각성을 설명하고 있다.
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도시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9002-0247

02 윗글에서 생명체와 도시의 구성 요소 간의 연결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생명체 도시
① 순환계 동맥 하수도
② 순환계 정맥 상수도
③ 단순 신경계 교통망
④ 척추 신경계 인터넷 통신망
⑤ 감각 신경계 전화 통신망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59
융합 07

9002-0248

03 <보기>를 참고하여, ㉠에 대해 판단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나폴레옹 3세에게는 혁명에 대한 공포가 있었다.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미제라블」에도 등장하
는 1832년 봉기에서 파리 시민들은 골목골목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진압군에 맞섰다. 권력층의 입
장에서는 마차 두 대만 엎어 놓으면 군대의 기동이 불가능한 파리의 미로를 없애 버리고 싶었다.
넓고 곧은 방사형 순환 도로와 녹지 공간은 군대의 기동로와 임시 주둔지로 활용할 수 있었다. 파
리의 방사형 도로가 건설된 데에는 이런 이유도 있었다.

① 도시의 기능을 위협하는 요소를 제거하려는 시도의 결과가 도시의 발전으로 나타나는군.
② 도시의 구조를 바꿀 때 고려하지 않았던 점이 도시 발달에 유리한 요소로 바뀌기도 하는군.
③ 도시는 언제나 시민들이 더 편리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발전하는군.
④ 도시는 주변 도시와의 경쟁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도시의 기능을 개선하며 발전하는
군.
⑤ 도시는 구성 요소가 갖추어지면 생존에 유리해지는 것이 아니라 생존해야 구성 요소가 갖추
어지는군.

9002-0249

04 [A]에 담긴 글쓴이의 관점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도시와 달리 고등 척추동물은 에너지의 생산 및 소비의 문제를 해결해야 다음 단계로 진화
할 수 있다고 여긴다.
② 도시가 기능상의 진화와 함께 에너지의 생산 및 소비에서의 자족성을 확보해야 도시가 진정
으로 진화하는 것이라고 여긴다.
③ 도시를 기능 발전의 관점에서 보면 진화한 것이지만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식에서
보면 전혀 진화하지 않은 것으로 여긴다.
④ 도시로서 갖추어야 할 기능의 발전 측면에서는 동물성 유기체가 진화하는 최종 단계와 유사
한 단계에 온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여긴다.
⑤ 고등 척추동물과 도시 모두 다른 존재에 의존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한다는 점에서 동
물성이 아닌 식물성의 유기체적 특성을 더 바람직한 것으로 여긴다.

26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3쪽

9002-0250

05 윗글을 읽은 학생이 심화 학습의 주제로 설정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생명체가 진화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 것이 과학적 사실에 부합하는가?
② 전화 설비가 가장 먼저 보급되어 전화망이 잘 갖추어진 나라와 도시는 어디인가?
③ 생명체가 진화하는 단계와 도시가 진화하는 단계는 각각 정확하게 대응이 되는가?
④ 파리가 교통망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여 진화의 다음 단계로 도약했다는 평가는 타당한가?
⑤ 고대 도시 로마에 물 공급이 잘되었기 때문에 로마 제국이 건설될 수 있었다는 것이 사실인
가?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61
융합 08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기호의 문제는 주로 대표적인 기호 체계인 언어와 관련되어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구조주의 언어학의 연
구 성과가 합쳐지면서 기호는 비언어적 기호 체계들로 이루어진 예술 장르에까지 확장된다. 즉 회화적 재
현에서부터 음악 표기법에 이르기까지 기호적 탐구가 확장되고, 시각 기호의 예술적 기능 문제도 예술 창
작의 기본이 모방에 있다는 기존의 모방론적 관점을 넘어서 기호학적 관점에서 제기된다.
일반적으로 기호학에서 다루는 기호의 유형은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의 세 가지로 구
분한다. ㉠도상은 대상과의 형태적 유사성에 근거한 기호이고, 지표는 인과적 근접성을 토대로 대상과 역
동적인 연관성을 지닌다. 또한 상징은 대상과의 유사성이나 실제적인 연결성과 관계없이 자신의 기능을 수
행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나무를 보고 그것을 그대로 그렸다면, 나무를 그린 그림은 나무에 대한 도상 기호
에 해당한다. 또한 피어오르는 연기를 보고 불을 떠올렸다면 연기는 지표 기호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둘기를 보고 평화를 떠올렸다면 비둘기는 상징 기호로서 역할을 수행한 것이 된다. 이렇게 볼 때, 상징은
창조성이 자유로운 가장 높은 단계에 속하며 기호의 추상도가 가장 높다.
도상과 지표, 상징은 각각의 기호로서 기능과 의미를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함께 기능하면 보다 분명하게
의미를 표상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가장 완전한 기호는 그 속에서 도상적, 지표적, 상징적 성격이 복합
적으로 섞여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기호를 대표하는 것은 예술이다. 예술 작품은 기본적으로
도상 기호로 인식되지만 작품이 구현하고자 하는 의미는 단순히 대상과의 형태적 유사성만을 통해서 규정
되는 것이 아니라 지표적이고 상징적인 의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미술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있어 기호학적 시각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왜냐하면 예술의
한 영역으로서 미술도 ‘기호’ 혹은 ‘기호 현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기호학은 미술 작품을 하나의 기호
로 본다. 미술 작품이라는 기호가 생산되고 수용되는 과정은 기호 매체, 해석자, 지시 대상체로 구성된다.
기호 매체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미술 작품을 의미하는 것이고, 해석자는 미술 작품을 해석하는 존재, 그
리고 지시 대상체는 기호 매체가 표상하는 작품의 의미를 말한다.
이렇게 볼 때, 미술 작품, 즉 기호 매체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일종의 해석 대상, 혹은 ‘읽기의 대상’이 된
다. 여기서 이미지의 해석은 맥락에 따라 형성되는 수용자 중심의 관점이 중시된다. ㉡기호학의 이미지 읽
기는 그런 점에서 반(反)직관적이다. 왜냐하면 이미지는 고립된 지각 영역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회
구성원들 간에 축적된 약호들로 인해 기호로서의 이미지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그 약호 속에 기호의 운용
능력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작품 해석이란 미술가가 혼자서 비밀스럽게 만든 기호를 수용자가 은밀하게 혼
자 힘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미술가를 둘러싸고 있는 지적, 심리적, 사회적 약호들과 수용자의 정신을
이루고 있는 여러 약호가 상호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렇기에 기호학적 시각에서 미술 작품은 창작자의 심리 상태나 그 작품을 지각하는 주체의 어떤 심리 상
태와 동일시되지 않는다. 여기서 미술 작품은 하나의 대상으로 완전하게 결정된 것이 아닌, 수용자의 해석
이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는 일종의 유기체적 존재가 된다. 따라서 작품을 읽는 맥락은 복수적일 수밖에 없
다. 작품이 창작되고 수용되는 환경, 즉 정치적, 종교적, 과학적 실천들이나 법적, 계급적, 성적, 경제적, 이
데올로기적 제반 구조들이 모두 이 맥락에 포함된다.

26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5쪽

우리가 작품의 의사소통적 측면에 주목할 때 고려해야 하는 점이 바로 작품이 하나의 ‘유기적 전체’로서
갖는 의미의 중요성이다. 예술은 장르에 따라 의사소통적 성격이 분명히 드러나는 예술이 있는가 하면 은
폐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거나 완전히 비가시적인 예술도 있다. 그러나 기호학적 관점에서 보면 의사소통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예외는 있을 수 없다. 가장 형식적인 것까지 포함해서 예술 작품의 모든 요소는 나
름의 의사소통적 가치를 보유하는데, 이는 흔히 말하는 주제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요컨대 어떤 회화의 색
과 선은 특정한 주제가 없는 경우조차 무엇인가를 의미한다. ‘주제가 없는’ 예술의 의사소통 능력, 이 능력
은 바로 예술의 형식적 요소들에 잠재해 있는 기호학적 성격에 의존한다.
이렇게 볼 때 미술에 대한 연구는 미술의 기호학적 특성이 밝혀지면서 한 단계 높은 비약을 할 수 있다.
미술 이론가들이 작품을 순수한 형식적 구성물이나 작가의 정신적 성향의 즉각적 반영물, 혹은 그 작품이
표현하는 현실, 즉 이념적,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상황의 즉각적 반영물로 취급한다면 결국 미술
연구는 작품에 대한 수동적인 주석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이에 반해 기호학적 관점은 우리로 하여금 미
술 구조의 자율적이고 본질적 역학을 깨닫도록 하고, 미술의 전개를 문화의 다른 영역들과 지속적으로 관
계를 유지하며 발전해 나가는 내재적 운동으로 파악하게 한다.

9002-0251

0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기호학이 예술 영역의 해석에 도입된 배경을 제시하고 있다.
② 기호의 유형을 바탕으로 기호로서 예술이 갖는 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③ 극단적 상황을 예로 들어 예술이 갖는 기호학적 성격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④ 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기호로서 미술의 성격이 변화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⑤ 가정의 상황을 제시하여 기호적 시각을 배제한 미술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9002-0252

02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미술 작품이 갖는 의미는 작품을 둘러싼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한다.
② 기호학적 관점 이전에 시각 기호의 예술적 기능은 모방에 있다고 보았다.
③ 상징 기호는 도상 기호나 지표 기호보다 자유롭고 창조성이 높은 기호이다.
④ 예술 작품은 주제를 갖지 않더라도 무엇인가를 표상하는 기호로서 기능한다.
⑤ 기호학적 관점을 지닌 연구자들은 미술을 사회 상황의 즉각적 반영물로 인식한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63
융합 08

9002-0253

03 ㉠과 <보기>의 ⓐ를 비교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움베르토 에코는 ⓐ도상 기호가 사물의 특징 중에서 볼 수 있는 시각적 특징과 추측할 수 있는
규약적 특징을 모두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규약성이란 처음에는 실질적인 지각적 경험을 재현했을
지라도 결국에는 사회적으로 축적되어 형성된 규약으로 수용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코의
관점에서 볼 때, 도상 기호가 갖는 유사성이란 외관이 아닌 구조에 있다. 예컨대 재현적 기법의 회
화를 볼 때 우리는 단순히 시각적인 감각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가 특유의 기호 세계에 대
한 이해와, 이미 형성된 기대 체계를 함께 활용한다. 이 때문에 다양한 기술적인 방법을 자연적인
경험의 표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도상 기호로 보는 사물들은 오랫동안 그런 식으
로 표현된 도상들이기 때문이다.

① ㉠은 시각적 특징에 주목하지만, ⓐ는 대상을 지각하는 구조에 주목한다.


② ㉠은 대상과의 유사성에 근거하고 있지만, ⓐ는 대상과의 유사성을 배제한다.
③ ㉠은 여러 사물과 복수적으로 대응하지만, ⓐ는 단일한 사물과 일대일로 대응한다.
④ ㉠은 예술 작품의 의미와 동일시되지만, ⓐ는 예술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는 도구가 된다.
⑤ ㉠은 개인의 감각적 지각에 의해 인식되지만, ⓐ의 인식에는 개인의 감각적 지각은 동원되
지 않는다.

9002-0254

04 ㉡이 내포하고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기호학적 관점에서 미술 작품은 예술적 표상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도구이다.
② 미술 작품의 이미지는 작품이 창작되고 수용되는 전체적 맥락 속에서 해석된다.
③ 기호로서 이미지가 갖는 의미는 인간의 직관적 능력을 바탕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④ 기호로서 이미지의 해석은 수용자와 창작자의 직관이 합쳐져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⑤ 이미지에 담긴 약호들의 의미는 창작자나 수용자의 고유한 심리 작용으로 해석될 수 있다.

26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5쪽

9002-0255

05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위 그림은 파블로 피카소가 1937년에 그린 「게르니카」라는 제목의 작품으로, 스페인 내전 당시


독일 비행단이 스페인의 소도시인 게르니카를 무차별적으로 폭격하여 수많은 사상자를 낸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다. 죽은 아이를 안고 울부짖는 여인, 창에 찔린 말, 부러진 칼 등을 기하학적이고
단순한 형태로 그려 내었는데, 이를 통해 인간을 파괴하는 무모한 폭력을 비판하며, 파시즘 자체를
극복하고자 하는 바람을 표현했다.

① 피카소는 「게르니카」에서 도상적 기호를 통해 스페인 소도시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② 「게르니카」는 스페인의 소도시 게르니카에 가해진 무차별적 폭격에 대한 지시 대상체로 볼
수 있다.
③ 「게르니카」 속 ‘창에 찔린 말’의 형상을 통해 죽음을 떠올렸다면, 그 이미지는 지표 기호로
해석된 것이다.
④ 기호학적 관점을 가진 미술 이론가들의 시각에서 볼 때, 「게르니카」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당시의 사회적 상황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물로 볼 수 있다.
⑤ 기호학적 관점에서 「게르니카」를 해석하는 데 포함되는 맥락은 다양하지만, 어떤 맥락일지
라도 작품의 주제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피카소의 분노로만 해석될 수 있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65
융합 09

[01~0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운동선수의 스테로이드성 약물 복용은 엄격하게 금지된다. 가장 흔한 금지 이유는 안전성과 공정성인데,


첫째, 스테로이드는 인체에 해로운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이고, 둘째, 스테로이드를 복용한 선수는 그렇지
않은 선수들에 비해 경기력이 향상되어 불공평한 경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약물 복용에만 이런 문제가
제기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유전 공학의 도움으로 운동선수의 신체 능력이 향상되어 100미터를 5초에 달리
거나 200미터짜리 홈런을 친다면 더 심한 반론에 직면할 것이다. 운동선수의 신체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기
억력을 강화하여 시험을 잘 보거나 업무 능력을 향상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만약 더 이상 부작용이
없고 공평하게 누구나 혜택을 받는다면 약물이나 유전 공학에 의한 향상에 반대할 명분이 있을까?
유전 공학이 질병 치료나 유전적 이상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때와는 달리 신체나 정신 능력을 유전
적으로 향상하는 데 사용될 때는 많은 반대에 직면한다. 독일의 철학자 하버마스는 자율성을 이유로 유전
적 조작을 통한 인간 능력 향상을 반대한다. 그런 향상은 나치의 권위주의적 우생학 *처럼 국가가 주도하는
강제적인 정책이 아니라 부모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한 자유주의적 우생학이기는 하다. 그러나 당사자의 동
의 없이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이에 개입하는 것은 아이의 자율성을 침해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유전 공학
적 개입을 통해 출생한 아이의 경우에는 이전 세대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세대 간에 평등한 관계
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전 공학에 의한 향상을 통해 부모가 아이를 ‘설계’하지 않는다고 해서 아이가 자신의 신체적인
특성을 자유롭게 고르는 것은 아니므로 이런 반대는 적절하지 않다. 그리고 우리는 사람이 어떤 방식으로
태어났든 간에 그 사람을 자율적인 능력을 지닌 평등한 구성원으로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자신
을 위해 향상을 선택한 사람들에게는 하버마스의 반대가 적용되지 않는다. 가령 더 잘 달리기 위해서 자신
의 근육을 유전적으로 향상한 육상 선수는 그 유전자를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으므로 누구의 자율성이나 평
등성도 침해하지 않는다. 그래도 우리는 그 선수에게서 뭔가 ‘도덕적인 불편함’을 느끼는데 그것의 정체가
무엇일까?
유전 공학에 의한 향상은 그것을 통해 성과를 높인 사람의 행위 주체성을 위축시킨다는 도덕적 문제가 있
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가령 몸속에 내장된 컴퓨터 칩의 도움으로 완벽한 경기 능력을 선보인 운동
선수는 행위 주체성이 있는 행위자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행위자는 그 선수가 아니라 그를 생체 공
학적으로 만들어 낸 발명가이기 때문이다. 그가 행위자가 아니라면 그의 자유를 인정할 수 없고 도덕적 책
임도 물을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미국의 철학자 샌델은 ㉠유전 공학에 의한 인간 향상의 주요 문제는 행위 주체성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행위 주체성이 과도한 데 있다고 주장한다. 그가 보기에 질병 치료나 유전적 이상을 예방하기 위해
서가 아니라 신체나 정신 능력을 유전적으로 향상하기 위해 유전 공학을 사용하는 데에는 우리의 목적과 욕
구를 충족하기 위해 자연과 본성을 정복하려는 열망이 깔려 있다. 그런데 그런 태도는 인간의 능력과 성취
가 우리 각자에게 주어진 ‘선물’이라는 관점을 놓치고 있으며 심지어 그런 관점을 파괴할 수도 있다. 우리가
삶을 주어진 선물이라고 인정하는 것은 첫째, 우리의 재능이나 능력이 전적으로 우리의 소유가 아님을 인
정하는 일이다. 물론 샌델은 우리가 주어진 능력을 개발하거나 그 능력을 행사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26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6쪽

부인하지는 않는다. 둘째,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 우리의 욕구나 처리 여하에 따라 좌지우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정하여 겸손을 배우는 것이다.
샌델에 따르면 인간의 재능이나 성취가 선물로 주어졌다는 인식이 유전적 혁명에 의해 잠식되었을 때 책
임의 증폭과 연대 의식의 약화라는 부정적 결과가 생긴다. 먼저 유전 공학적 향상 기술이 보급되면 선택할
것은 점점 많아지고 운에 맡길 부분은 점점 작아져서 책임이 증폭된다. 지금은 농구 선수가 리바운드를 놓
치면 코치는 적절한 자리에 있지 않았다고 혼낼 뿐이지만, 미래에는 왜 키를 키우는 시술을 받지 않았느냐
고 나무랄지도 모른다. 자연이나 신, 행운이 나를 만들었다는 관점이 주는 축복은 나의 존재 자체에 대해 전
적으로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는 점인데, 향상 기술은 우리에게 그런 축복을 빼앗아 간다.
또 자신과 아이의 운명에 대한 책임이 증폭되면 자신보다 불운한 사람들과의 연대감이 줄어들 수 있다.
우리가 남보다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 것은 우리에게 우연히 주어진 선물이고 우리는 거기에 대해서
감사한 마음을 갖는다. 그것은 단지 운이 좋아서 가진 것이지 우리가 노력해서 얻은 성취가 아니기 때문이
다. 우리는 타고난 재능에 대해 찬사를 받을 수는 있지만 그것을 당연히 가질 자격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
으므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며, 운이 좋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하기에 보험
과 같은 제도를 통해 연대를 한다. 그러나 자신의 재능과 성취를 유전 공학적으로 완벽하게 통제하는 날이
오면 그동안 그것의 우연성에 대해 생각해 온 사람들에게서 연대 의식도 없어질 것이다.

* 우생학: 유전 법칙을 응용해서 인간 종족의 개선을 연구하는 학문.

9002-0256

01 윗글의 내용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① 행위자가 한 행위에 대해 도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
② 자신의 유전적 특징을 스스로 고르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③ 신체 능력을 향상하는 약물이더라도 인체에 해로우면 금지된다.
④ 어떻게 태어났느냐 하는 것은 그 사람을 다르게 대우할 이유가 되지 못한다.
⑤ 기억력을 강화하기 위한 유전 공학 기술에는 안전성과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67
융합 09

9002-0257

02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유전 공학이 발전하면 유전자를 조작하여 보다 튼튼한 신체를 가지거나 배아의 유전자를 편집하
여 보다 우수한 형질을 가진 아이를 출산하는 ‘맞춤 아기’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부모들은 보다
건강하고 똑똑한 아이를 얻게 되는 것이다.

① 하버마스는 국가의 강제적인 정책이 아니라는 점에서 맞춤 아기에 찬성하겠군.


② 하버마스는 맞춤 아기는 부모와 평등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겠군.
③ 하버마스는 모든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간다면 국가에 의한 맞춤 아기의 출산 지원에 찬성하
겠군.
④ 샌델은 맞춤 아기로 태어난 사람은 자신의 뛰어난 재능에 감사한 마음을 갖는다고 판단하겠
군.
⑤ 하버마스와 달리 샌델은 부모의 자율적인 선택에 의한 맞춤 아기에는 찬성하겠군.

9002-0258

03 윗글에 나타난 샌델의 생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노력에 의하지 않은 타고난 재능은 겸손의 대상이지 찬사의 대상은 아니다.
② 안전성이 확보되고 불평등이 해결되더라도 유전 공학에는 도덕적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③ 운이 좌우하던 영역이 선택의 영역으로 대체되면 우리에게는 축복보다는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④ 자신의 노력에 의해서 생긴 것이 아닌 것에 대해서는 마땅히 가질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⑤ 우리가 원하는 대로 재능을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은 우연을 감사한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한
다는 점을 가르쳐 준다.

26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7쪽

9002-0259

04 ㉠에 해당하는 사례로 적절한 내용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ㄱ. 머리가 나쁜 아이의 부모는 주위에서 비난의 시선을 느낀다.
ㄴ. 스포츠 경기에서 타고난 재능을 가진 선수에게 찬사를 보낸다.
ㄷ. ‌유전 공학으로 부작용이 없게 향상된 상대방 선수의 홈런으로 진 경기를 억울하게 생각한다.
ㄹ. ‌병에 걸리지 않은 건강한 사람의 돈으로 건강하지 않은 사람들을 지원해 주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9002-0260

05 샌델의 주장에 대해 반론을 펼친다고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부상 입은 선수가 유전 공학 치료법으로 회복되는 것이 괜찮다면, 근육을 향상하는 것은 왜
잘못인가?
② 역사의 책임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증대되어 왔는데, 왜 선택에 따른 책임이 늘어난다고 해
서 그것이 문제가 되는가?
③ 유전 공학의 도움을 받더라도 여전히 내가 선택하지 않은 환경과 교육의 영향을 받으므로
인생은 우연히 주어진 선물 아닌가?
④ 노화나 열등한 능력이나 모두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왜 어떤 것만 향상을 시도해서는 안 되는가?
⑤ 타고난 재능을 가진 사람에게 찬사를 보내며 연대감을 느끼듯이 유전 공학에 의해 향상이
된 사람에게도 연대감을 느낄 수 있지 않은가?

[2부] 적용 학습 _ 융합 269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3부
실전
학습
실전 학습 1 회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탕평책에도 불구하고 18세기 후반은 권력 투쟁이 지속되던 정치적 혼란기였고, 양반 계층이 급증한
반면 농민 계층은 급감하여 생산력이 저하되던 사회적 불안기였다. 그러나 조선의 지배층은 현실의 문
제나 문물의 발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홍대용을 비롯한 실학자들은 당시 주류를 이루었던 주자
학의 학문적 풍토를 ‘시대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옛 경전의 자구 해석에만 매달리는 예학이나 이기
심성론은 현실적 유용성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비판하며, 서양 과학과 그 철학적 기반을 수용해 조선 사
회를 변화시키려 하였다. 홍대용은 이러한 생각을 「의산문답」에서 허자와 실옹의 대화 형식으로 담아내
었다. 「의산문답」에서 가상의 두 인물이 묻고 답하는 형식을 취한 것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려는 정
치적 고려라고 할 수 있다.
「의산문답」에서 가장 먼저 다루고 있는 내용은 인간과 사물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여기에서
홍대용은 종래 성리학의 인간 본위의 차별적 관점을 타파하고, 인간과 사물을 상대적 관점에서 대등
하게 봄으로써 사물에 대한 존중, 인간과 사물의 조화와 공존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정립하였다. 「의
산문답」에서 홍대용은 인간과 사물이 모두 ‘털과 살로 된 체질과 정액의 교감’으로 이루어진 존재라
[A] 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생각은 인간과 사물뿐만 아니라 인간 간의 본연적 동등성의 단초를 발
견할 수 있게 한다. 인간과 사물이 동등하다면 인간 사이의 본연적 동등성도 당연히 전제되기 때문
이다. 인간 사이의 동등성은 당시 조선 사회에 팽배해 있던 신분적 명분론과 무위도식하는 양반 계
층의 비생산적 태도를 제거하여 일반 백성들의 생존권을 확보하고 국가적 생산력을 증진시키려는
진보적 정치 목표의 근거가 될 수 있었다.
「의산문답」에서 홍대용은 생명의 근원이나 천문학 지식, 인간의 삶과 직결된 자연 현상뿐만 아니라 당
시로는 파격적인 지구 자전설이나 우주 무한설 등을 체계화하였다. 이는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자연관으
로부터 탈피하여 자연을 물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으로 보고자 하는 자연관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
연관을 바탕으로 홍대용은 인간과 사물이 각각의 생존 방식과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하였
다. 각각의 개체가 가진 독자적 특성 내지 장점을 인정한다는 것은 사회적 신분을 초월하여 인간 개개인
이 가지고 있는 개별적 장점을 인정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러한 전제하에서 사회 구성
원들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국가적 생산력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홍대용의 이러한 생각들은 당시 팽배했던 화이론(華夷論)적 질서관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관을 모색
하는 토대가 되었다. 홍대용은 인물(人物) 간의 동등성 논리에 활용되었던 인식의 구조를 국가·민족·지
역 간 관계에도 적용하여 ‘화이일야(華夷一也)’를 주장하였다. 화이일야는 하늘의 관점에서 보면 사람과
사물이 동등한 것처럼 ‘화(華)’와 ‘이(夷)’의 구별이 따로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랑캐라 하더라도
한족보다 우월한 인간이 있을 수 있으며, 모든 사물과 사상은 개별적인 관찰이 요구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그가 제시한 ㉠국가 발전 방법론의 이론적 토대가 되어 실천적 정책 대안으로
나타났다. 홍대용은 먼저 피지배 계급의 생존권 및 생활권 보호의 대안으로 비생산적 무위도식과 지배
계급의 사치를 엄격히 금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생산 노동을 천시하는 태도가 피지배 계급의 빈
곤을 조장한다는 점을 들어 이에 대해 법적 제재를 가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관록 *의 세습을 타파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 개체성 인정을 바탕으로 한 인간 평등의 논리를 국가적 생산력의 발전 방안으로 승

27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9쪽

화시켜 국민 모두가 각자의 역할에 맞는 노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국가 간의 동등성을 바


탕으로 우리나라의 후진성을 지적하였다. 한족과 오랑캐를 구분하지 않고 동등하게 보아야 청나라 문화
의 우수성을 배울 수 있고 낙후된 조선의 현실도 개선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비록 오랑캐라고 불
리는 청이라 하더라도 발전된 문물을 수용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 관록: 관직과 녹봉.

9002-0261

01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18세기 후반 조선은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불안의 시기였다.
② 홍대용은 당시로는 파격적일 수 있는 과학적 지식들을 체계화하였다.
③ 실학파들은 현실 생활에서 구체적 쓸모가 있도록 이기 심성론을 발전시켰다.
④ ‘화’와 ‘이’의 무차별을 주장하는 ‘화이일야’는 ‘화이론적 질서관’과 상반된다.
⑤ ‌홍대용은 관념적인 자연관에서 탈피하여 자연을 물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으로 보고자
하였다.

9002-0262

02 [A]를 바탕으로,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허자가 말하기를, “천지간 생물 중에 오직 사람이 귀합니다. 저 금수나 초목은 지혜도 깨달음
도 없으며, 예법도 의리도 없습니다. 그러니 사람이 금수보다 귀하고 초목이 금수보다 천한 것입
니다.”
실옹이 웃으며 말하기를, “오륜은 사람의 예의이고, 떼를 지어 다니면서 서로 불러 먹이는 것
은 금수의 예의이며, 떨기로 나서 무성한 것은 초목의 예의이다. 사람으로서 사물을 보면 사람이
귀하고 사물이 천하지만, 사물로서 사람을 보면 사물이 귀하고 사람이 천하며, 하늘이 보면 사람
이나 사물이 마찬가지이다.” - 홍대용, 「의산문답」

① 허자의 ‘사람이 금수보다 귀’하다는 말은 당시 팽배했던 신분적 명분론의 바탕이 되겠군.


② 허자의 ‘초목이 금수보다 천한 것’이라는 말은 종래의 인간 본위의 차별적 관점과 관련이
있겠군.
③ 실옹의 ‘사람의 예의’, ‘금수의 예의’라는 말은 당시 팽배했던 신분적 명분론을 옹호하는
근거가 될 수 있겠군.
④ 실옹의 ‘하늘이 보면 사람이나 사물이 마찬가지’라는 말은 인간 사이의 본연적 동등성의
근거로 볼 수 있겠군.
⑤ 실옹의 ‘사물로서 사람을 보면 사물이 귀하고 사람이 천하’다는 말은 인간과 사물을 상대
적 관점에서 대등하게 보는 입장이겠군.

[3부] 실전 학습 제 1 회 273
실전 학습 1 회

9002-0263

03 윗글의 ‘홍대용’과 <보기>의 ‘최한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실학사상을 이어받은 최한기는 “서방 사람이 지은 서적은 동·남·북방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있고, 동방 사람이 지은 서적은 서·남·북방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있으며, 남·북방
사람이 지은 서적은 또한 동·서방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있다.”라고 하였다.

① 홍대용과 최한기 모두 인류적 차원에서의 조화나 협력을 전제로 국가나 민족의 통합을
강조하였다.
② 최한기와 달리 홍대용은 다른 나라나 민족의 발달된 문물의 수용과 활용 방법을 구체적
으로 제시하였다.
③ 홍대용은 실생활에 쓸모가 있는 영역에 주목한 데 비해, 최한기는 실생활을 벗어나 국제
정세에 주목하였다.
④ 홍대용과 달리 최한기는 발전된 과학 지식을 배경으로 평등한 세계 질서를 구축하기 위
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⑤ 홍대용이 주장한 국가나 민족 간의 상대적 동등성을 이어받아 최한기는 각 나라나 각 지
역이 상호 이익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9002-0264

04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청나라에 비해 낙후된 조선의 현실을 인정하자는 입장이로군.
② 비생산적 무위도식과 사치에 대한 법적 제재를 타파하도록 요구하는군.
③ ‘화이일야’의 관점에서 청나라의 발전된 문물을 수용하자고 주장하는군.
④ 피지배 계급의 생존권과 생활권을 보호하는 것을 중시하는 입장이로군.
⑤ 생산력이 저하되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 의도에서 출발하는군.

27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99쪽

[05~0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복어는 독소를 가진 대표적인 동물이다. 복어 독은 신경 독소인 테트로도톡신(TTX)의 일종으로 복어


의 독을 먹으면 신경 계통의 마비 증상이 일어나면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TTX는 어떤 방
식으로 독소로 작용하는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뉴런의 흥분 이동 과정과 이온 채널 *의 기능을 알
아야 한다.
자극을 받지 않은 뉴런의 휴지 전위 *와 관련된 중요한 이온은 Na + , K + 과 세포 안의 음이온이다.
세포 안과 밖의 전위차를 막전위라 하는데 아래 그림과 같은 뉴런의 휴지기 상태의 막전위는
–70mV 정도이고, 세포 밖에 비해 세포 안의 전압이 낮다. 또한 Na + 은 세포 안보다 밖에서의 농도
가 더 높고, Na + 채널을 통하여 세포 안으로 거의 들어오지 못한다. 반면 세포 안에 많은 K + 은 항
상 열려 있는 K + 유출 채널을 통해 세포 밖으로 나갈 수 있다. 그리고 세포 안에는 음전하의 단백질
들이 있어 (-) 전하의 분자가 세포 밖 A: Na+
세포 밖보다 안에 많아 세포 " B: K+
안의 전압이 낮다. 이때 뉴런 %
C: K+ 유출 채널
이 역치 * 이상의 자극을 받 D: 전압 개폐성 Na+ 채널
[A]
으면 전압 개폐성 Na + 채널 E: 전압 개폐성 K+ 채널
$
 
이 열리면서 Na + 이 세포 안     &
     
   
으로 이동하여 세포 안의 전      
단백질

#  
기 음성이 줄어들다가, 세포 세포 안

안팎의 전위차가 일정 수준을 넘으면 활동 전위가 유발된다. 그리고 활동 전위가 극대치에 이르러
세포 내 전압이 정점에 이르면 전압 개폐성 Na + 채널이 닫히면서 Na + 의 이동이 저해된다. 그리고
전압 개폐성 K + 채널을 통해 K + 이 세포 안에서 밖으로 활발히 유출되면서 세포 안의 전위는 낮아진
다. K + 이 과도하게 유출되어 세포 안의 전위가 세포 밖의 전위보다 낮아지는 과분극이 발생하면 전
압 개폐성 K + 채널이 닫히고 이온들이 재배치되면 다시 휴지 전위가 형성된다.
이러한 흥분의 이동은 한 개의 뉴런 내에서의 이동으로, 이를 흥분의 전도라고 한다. TTX는 흥분의
전도 과정에서 세포막에 있는 전압 개폐성 Na + 채널에 달라붙어 채널을 통해 이온이 오가는 것을 차단
하여 활동 전위를 확보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활동 전위가 확보되지 못해, 신경 자극이 전달되지 않
으면서 감각이 상실되거나 신체 근육의 마비가 초래되는 것이다. 한편 뉴런과 뉴런 사이에서 시냅스의
신경 전달 물질을 통해 이뤄지는 이동도 있는데, 이것은 흥분의 전달이라고 한다. 한 개의 뉴런 내에서
의 흥분의 전도는 활동 전위에 의한 전기 화학적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시냅스를 거쳐 일어나는 흥분
의 전달은 전기적 방식으로는 일어나지 않고 화학적 방식으로만 일어난다.
그런데 복어는 TTX라는 독을 스스로 만들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렇다면 복어는 어떻게 TTX
를 갖게 된 것일까? 독이 있는 동물들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독을 얻는데, 자신들의 체내에서 합성하
거나 독을 생산하는 다른 생물을 통해 독을 얻는다. 복어는 후자의 경우로 독성 물질을 내뿜는 미생물과
공생하며 독을 얻는데, 이는 서로 다른 종의 생물들이 관계를 맺어 가며 각자의 진화를 해 가는 공진화

[3부] 실전 학습 제 1 회 275
실전 학습 1 회

가 ⓐ일어난 사례로 볼 수 있다. 복어는 몸집도 작고, 특별한 방어 무기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단한 번
식 능력이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험한 수중 생태계에서 생존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았다. 그런데 복
어는 TTX가 유발하는 Na + 채널 저해를 막는 돌연변이를 우연히 갖게 되면서, TTX를 만들어 내는 박테
리아에게 서식처를 제공하고 생존에 필요한 독을 얻는 방향으로 진화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식
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식물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독을 개발해 왔는데, 대표적인 것이 캡
사이신이다. 그런데 동물이 씨앗을 먹고, 여기저기로 이동하면서 배변을 하면 씨앗이 싹을 틔우는 방식
으로 식물이 생존 영역을 넓히는 것이 일반적인 식물의 방식이기 때문에 캡사이신은 오히려 실패 요인
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조류는 캡사이신이 들어 있는 열매와 씨앗을 먹을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였고,
다른 동물에 비해 조류가 식물을 최소한으로 손상시키면서 씨앗을 먹는 동물이라는 점에서 식물은 몸체
의 피해는 줄이면서 씨앗을 가장 널리 퍼뜨릴 수 있는 조류와 함께 진화해 온 것이다. 이처럼 복어와 박
테리아, 조류와 캡사이신을 가진 식물과 같이 ㉮각 대상이 각각의 생존 조건에 맞게 서로 조합을 이뤄
진화하는 것은 공진화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 이온 채널: 이온이 세포 안팎을 출입하는 통로.


* 휴지 전위: 신경이나 근육이 흥분하지 않은 정지 상태에서 세포에 생기는 전위차.
* 역치: 생물체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자극의 세기를 나타내는 수치.

9002-0265

05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테트로도톡신은 신경 계통의 마비 증상을 가져와 감각을 상실하게 할 수 있다.
② 식물의 진화 과정에서는 동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식물의 선택이 나타나
기도 한다.
③ 독을 가진 동물들은 체내에서 독을 합성하거나, 독이 있는 미생물과의 공생으로 독을 얻
을 수 있다.
④ 캡사이신은 식물이 자신을 방어하려는 목적으로 개발했지만, 번성하는 데에는 불리한 요
소가 되기도 한다.
⑤ 복어는 특정 이온 채널의 저해를 막는 돌연변이를 만들기 위해 독성을 가진 박테리아에
게 서식처를 공급하였다.

27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0쪽

9002-0266

06 [A]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휴지기에는 세포 밖보다 세포 안의 전압이 낮고, 세포 밖의 Na + 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군.
② Na + 이 전압 개폐성 Na + 채널을 통해 세포 안으로 들어오려면 뉴런이 역치 이상의 자극
을 받아야겠군.
③ 휴지기에 K + 은 K + 유출 채널을 통해 Na + 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세포 밖으로 나갈
수 있겠군.
④ 활동 전위가 유발되어 세포 안의 전압이 정점에 이른다면 열렸던 전압 개폐성 Na + 채널
이 닫히겠군.
⑤ 전압 개폐성 K + 채널이 열려서 K + 이 세포 외부로 유출되는 상태가 된다면, 과분극을 막
을 수 있겠군.

9002-0267

07 윗글과 <보기>를 참고하여, ㉠~㉢에 대해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TTX는 이온 채널 저해 활동을 통해 흥분의 전도를 방해하는데, 장수말벌이 갖고 있는‌
㉡만다라톡신도 전압 개폐성 이온 채널을 막아 흥분의 전도를 방해한다. 한편 ㉢보툴리늄 톡신
(BTX)은 흥분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막는다. 이에 따라 흥분했던 뉴런의 흥분이 다
음 뉴런으로 전달되지 않아 다음 뉴런 내의 활동 전위가 발생하지 않고, 근육의 기능이 억제되
게 된다.

① ㉠은 전압 개폐성 Na + 채널의 활동을 방해하여 근육의 반응에 이상이 생길 수 있겠군.


② ㉡은 흥분의 전도를 방해하여, 막전위의 변화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는 현상을 초래하
겠군.
③ ㉢은 흥분의 전달을 방해하여, 흥분을 전달받을 다음 뉴런의 세포 내 전압이 정점에 이르
지 못하겠군.
④ ㉢은 ㉠, ㉡과 달리 뉴런 사이의 흥분 이동이 아닌 뉴런 내부의 흥분 이동을 방해하겠군.
⑤ ㉢에 의해 일어나는 흥분은 화학적 방식으로, ㉠과 ㉡에 의해 일어나는 흥분은 전기 화
학적 방식으로 일어나겠군.

[3부] 실전 학습 제 1 회 277
실전 학습 1 회

9002-0268

08 ㉮의 사례와 가장 유사한 것은?


① 같은 종류의 새이지만 서식지에 있는 먹이의 종류에 따라, 먹이를 먹기 편하도록 부리가
각기 다른 모양으로 변화하였다.
② 특정 지역의 붉은개미가 다른 동물에 의해 개체의 크기가 큰 개미들이 밟혀 죽게 되면서,
그 개미 개체군의 평균 크기가 작게 변화하였다.
③ 땅다람쥐가 천적인 독수리의 출현을 주위 다람쥐들에게 알리기 위해 경고음을 내고 자신
은 독수리에게 잡아먹혀 다른 개체들을 보호하였다.
④ 늦가을에 열매를 맺는 식물이 겉이 딱딱한 고단백 열매를 맺어 겨울을 나야 하는 동물들
의 영양분이 되었고, 그 결과 동물들의 이는 단단해지고 식물은 동물들을 통해 번식을
하였다.
⑤ 새의 눈에 잘 띄는 색을 지닌 벌레가 주로 새에게 잡아먹히는 일이 반복되면서, 세대를
거듭할수록 새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색을 지닌 벌레들의 개체 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
하였다.

9002-0269

09 밑줄 친 단어의 문맥적 의미가 ⓐ와 가장 유사한 것은?


① 꺼져 가던 불꽃이 다시 일어났다.
② 맛있는 음식을 보자 식욕이 일어났다.
③ 감기로 인해 오한과 두통이 일어났다.
④ 학생들의 박수 소리가 갑자기 일어났다.
⑤ 그는 전화가 오자 자리에서 벌떡 일어났다.

27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1쪽

[10   ~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사회적 영향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타인으로부터 실제 또는 가상의 영향을 받아서 자신의 행동을 바


꾸는데, 이를 ‘동조’라고 한다. 동조는 때로는 유용하고 용감한 행동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정신
병적이고 비극적인 행동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동조는 왜 일어나는가? 그 이유는 크게 ‘㉠정
보적 사회 영향’과 ‘㉡규범적 사회 영향’으로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상황을 마주하게 되는데, 각 상황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
지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때 대부분의 사람은 상황을 더 잘 파악하기 위해 타인의 행동을 관
찰하고, 이를 정보의 원천으로 삼아 자신이 할 행동을 결정하는데, 상황에 대한 타인의 해석이 더 정확
해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이를 ‘정보적 사회 영향’이라고 한다. 심리학자
셰리프의 실험에 따르면, 어두운 방에서 촛불 한 점을 바라보도록 하고 불빛이 움직인 거리를 추정하도
록 했을 때, 피험자들은 혼자서 불빛을 보았을 경우에는 각자 다양한 추정치를 제시하였지만, 집단으로
함께 모여서 타인들의 추정치를 들었을 때에는 그 말에 근거해 개인적인 판단을 조정하여 모두 비슷한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타인을 정보의 원천으로 삼아 자신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점을 말해 준다.
정보적 사회 영향에 의한 동조는 불확실한 상황이거나 위기 상황일 때, 또는 주변에 전문가가 있을 때
쉽게 일어난다. 먼저 불확실한 상황으로 인해 적절한 행동이 무엇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을 때, 사람들은
더욱 타인에게 의존하게 된다. 또한 위기 상황일 때 사람들은 어떠한 행동을 ⓐ취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멈추고 생각할 여유가 없이 즉시 행동해야 하기 때문에 타인을 따라 행동하게 된다. 그리고 주변에 전문
가가 있으면 먼저 그를 살피고 행동을 따라 하게 되는데, 비행기 엔진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본 승객이
옆자리의 사람보다 비행 승무원의 반응을 먼저 살피고 그를 따라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사회적 관계에 관한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토대로 사람들은 타인에게 좋게 보이기를 원해서
타인이 하는 대로 따라 하고자 하는데, 이를 ‘규범적 사회 영향’이라고 한다. 규범적 사회 영향이 정
보적 사회 영향과 다른 점은, 불확실한 상황이나 무지를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대한 명확
한 판단과 확신에도 불구하고 웃음거리가 되고 싶지 않고 타인들에게 거부당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타인의 행동에 동조하게 된다는 점이다. 집단의 구성원은 그 집단의 사회적 규범에 동조하게 되는
[A]
데, 여기서 사회적 규범이란 용인되는 행동, 가치에 관한 암묵적인 규칙을 말한다. 심리학자 아시의
실험에 따르면, 정답이 너무나 명백한 경우에도 함께 실험에 참여한 집단의 구성원이 모두 같은 오
답을 말하는 경우, 76%의 피험자들이 명백한 정답이 아니라 타인들이 제시한 오답을 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혼자 바보 같아 보이는 것에 대한 걱정이 크기 때문에 설령 그것
이 잘못된 의견이라 할지라도 집단의 의견에 동조한다는 점을 말해 준다.
규범적 사회 영향은 개인이 속한 집단의 의미가 중요할수록 커진다. 개인은 집단의 다른 구성원과 우
정, 사랑, 존경의 관계를 구축하고 있는데, 이러한 관계를 잃을 경우 치러야 할 대가가 크기 때문이다.
이는 결속력이 강한 집단에서 내리는 결정이 비합리적일 수 있다는 점을 알려 주는데, 왜냐하면 집단 구
성원이 서로를 기쁘게 하는 데 더 신경을 쓰기 때문에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갈등을 피하는 데

[3부] 실전 학습 제 1 회 279
실전 학습 1 회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 또한 집단에서 자신과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이 하나도 없을 때는 규범적 사회


영향이 강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1명이라도 자신과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규범적 압력에 저
항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다.
규범적 사회 영향에 따르면 집단이 비동조자를 침묵하게 하는 데 항상 성공할 수 있어야 하지만 실제
로는 그렇지 않다. 때로는 소수의 사람이 다수의 행동이나 믿음을 바꿀 수 있는데, 이를 ‘소수의 영향’이
라고 부른다. 여기서의 핵심은 일관성으로, 소수의 사람이 가지고 있는 시각이 시간이 지나도 같아야 하
며, 소수의 사람끼리 서로 이견이 없어야 한다. 소수 집단의 한 사람이 두 가지의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
거나 두 사람이 서로 다른 의견을 표현하게 되면, 다수는 그들이 이상하고 근거 없는 견해를 가지고 있
다고 생각하며 무시할 것이다. 다수는 규범적 사회 영향을 통해 사람들을 동조하게 만들 수 있지만, 소
수의 사람은 같은 방법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어렵다. 소수의 사람은 정보적 사회 영향을 통해서 집단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사람들이 전혀 몰랐던 새로운 정보를 집단에 알려 준 후 집단이 그 이슈를 더
자세히 검토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면 다수는 소수의 사람의 견해에도 장점이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고, 소수의 견해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9002-0270

10 윗글의 내용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대상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측면을 분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② 특정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를 구분의 방식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③ 하나의 주제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살펴보고 절충안을 제시하고 있다.
④ 문제 상황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⑤ 특정 개념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종합적인 안목을 제시하고 있다.

28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2쪽

9002-0271

11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결속력이 강한 집단일수록 집단 구성원 간의 관계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
② 집단에서 한 사람을 제외한 모든 사람의 의견이 일치할 때 그 한 사람에게 규범적 압력은
크게 작용할 수 있다.
③ 소수의 사람이 다수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시간의 흐름에 관계없이 일관된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④ 소수의 사람이 다수의 의견을 바꾸기 위해서는 규범적 사회 영향보다는 정보적 사회 영
향을 통한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⑤ 개인이 집단의 다른 구성원과의 관계를 잃었을 때 치러야 할 대가가 크지 않다고 느낀다
면, 규범적 사회 영향도 약하게 느낄 수 있다.

9002-0272

12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과 ㉡은 모두,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상황을 전제로 한다.
② ㉠과 ㉡은 모두, 개인의 행동 방식을 결정하는 원인이 된다.
③ ㉠은 ㉡과 달리, 타인의 상황 해석에 대한 믿음에 기반한다.
④ ㉡은 ㉠과 달리, 상황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서지 않을 때 발생한다.
⑤ ㉡은 ㉠보다, 집단의 결속력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3부] 실전 학습 제 1 회 281
실전 학습 1 회

9002-0273

13 [A]를 바탕으로 생각해 볼 때,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뇌 활동 변화의 차이를 조사한 연구 결과에 따
르면, 피험자들이 규범적 사회 영향에 따라 집단의 판단에 동조할 때는 시각과 지각을 담당하
고 있는 후두엽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그러나 피험자들이 집단이 제시한 답을
따르지 않고 올바른 답을 말할 때는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 행동 조절에 관여하고 있는 우측 미
상핵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는                  규범적
사회 영향에 의한 동조가 일어난다는 점을 알려 준다.

① 사람들이 집단에 소속되는 경우, 정서적 만족감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② 사람들이 집단의 판단에 동조하는 경우, 미상핵 영역이 발달하게 되기 때문에
③ 사람들이 집단의 판단에 반대하는 경우, 불편함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느끼기 때문에
④ 사람들이 집단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 사회적 행동에 장애가 생기기 때문에
⑤ 사람들이 집단의 답과 다른 올바른 대답을 하지 못한 경우, 양심의 가책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28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3쪽

9002-0274

14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가), (나)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도심에 처음 와 본 A는 도심에 거주하는 친구 B와 함께 지하철을 타고 가고 있었다. 이때
갑자기 객실 내의 일부 조명이 꺼지며 실내가 어두워졌다.
(나) ‌C는 친척의 결혼식에 편한 티셔츠와 청바지 차림으로 가고 싶었지만 결국 다른 사람들처
럼 정장을 입고 나섰다. 결혼식의 점심 식사에 대해 C는 별로였다고 판단했지만 다른 사람
들이 모두 맛있었다고 하자 음식이 꽤 괜찮았다고 말하였다.

① (가)에서 처음 겪어 보는 사태에 당황한 A가 B의 행동을 살피고 이를 따라 행동했다면,


불확실한 상황에서 정보적 사회 영향에 의한 동조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② (가)에서 A가 자신은 위기 상황이라고 판단했지만 다른 사람들이 가만히 있는 것을 보고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면, 규범적 사회 영향에 의한 동조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③ (가)에서 A가 지하철 객실 내의 조명이 꺼진 상황에 대해서 B에게 충분히 설명을 듣고 누
구의 행동도 따라 하지 않았다면, 정보적 사회 영향에 의한 동조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
로 볼 수 있겠군.
④ (나)에서 C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웃음거리가 되고 싶지 않아서 편한 티셔츠와 청바지 차
림을 포기했다면, 규범적 사회 영향에 의한 동조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⑤ (나)에서 C가 자신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음식을 좋게 평가하는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의
평가가 신경 쓰여 음식이 괜찮았다고 말했다면, 규범적 사회 영향에 의한 동조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9002-0275

15 밑줄 친 단어의 문맥적 의미가 ⓐ와 가장 유사한 것은?


① 그녀는 친구에게서 모자라는 돈을 취했다.
② 수술 후 아버지는 조금씩 음식을 취하기 시작하셨다.
③ 간부가 직위를 이용해서 부당한 이득을 취해서는 안 된다.
④ 그는 제시된 조건들 가운데서 마음에 드는 것만을 취했다.
⑤ 정부는 이번 문제에 대해 특별 조처를 취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3부] 실전 학습 제 1 회 283
실전 학습 2 회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520년경 조선 유학계에 전래된 ㉠양명 왕수인의 글들은 유학자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읽혔을 것으
로 보인다. 당시 조선 유학계는 마음의 문제를 탐구하는 심학적(心學的) 경향을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550년대에 들어 양명학을 배척하는 중국 서적들이 들어오고, 건국 이념이기도 했던 주자학이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조선에서 양명학은 소수에 의해서만 은밀하게 명맥이 이어지기 시작했다. 당시 학
계를 주도하던 퇴계 이황을 필두로 서애 유성룡, 남당 한원진 등 ㉡조선의 주자학자들이 양명학의 주요
개념들을 적극 비판했기 때문이다.
‘심즉리(心卽理)’, 즉 마음이 곧 이치라는 양명의 주장부터 비판받았다. 양명은 인간의 타고난 선함을
가리키는 명덕(明德)의 본체이자 개별적 이치의 원천인 양지(良知)는 마음 안에 갖추어져 있으며 주체적
으로 자각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우주의 근본 원리인 올바른 이치는 주자학에서처럼 굳이 바깥
에서 구할 것이 아니라, 우리 마음에서 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양명은 주자가 마음과 이치를 분리하여
외형상의 합리만을 추구하면서 충효 같은 도덕 법칙이 임금이나 부모 같은 외적 사물에 있다고 본 점에
반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서애는 『대학』에서 말하는 지(知)란 외물을 수용하는 미묘한 지각 작용일 뿐이
며, 인식은 주체의 인식 능력과 대상의 이치가 합할 때 성립되는데도 양명은 인식 능력만 추구하고 대상
의 이치를 배제하였다고 비판했다. 마음이 곧 천리(天理)라는 주장은 우주 자연의 이치인 천리가 마음에
갖추어진 것을 가리키는 성(性)을 마음 그 자체로 착각한 결과라는 것이다. 또한 퇴계는 외적 사물이 마
음의 누(累)가 되는 폐단을 제거하려 한다는 심즉리가 결국 사물과 인륜의 도리를 없애고 오직 본심을
근본 취지로 삼는 불교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학문의 목적이나 방법에 관한 양명의 생각도 비판받았다. 양명은 각 개인이 행위의 주체로서 스스로
를 반성하고 본래 가진 인애(仁愛)의 마음을 구현함으로써 천지 만물과 한 몸을 이루는 것이 학문의 목
적이며, 그 방법의 핵심은 행위의 동기를 진실하게 하는 내적 수양이라고 했다. 하지만 퇴계와 남당은
유학이 수기치인(修己治人), 즉 자신을 수양하여 타인을 교화(敎化)하기 위한 학문이며, 본성을 함양하
고 의리를 행하기 위한 공부는 사물의 이치를 깊이 연구하는 ‘격물(格物)’을 바탕으로 삼아야 함에도 양
명이 이를 배척함으로써 실질적인 공부를 결여했다고 비판했다.
양명의 지행합일(知行合一) 역시 부정되었다. 양명은 참다운 지(知)가 스스로 행위를 지향하며 행위로
이어지므로 참다운 행위는 이미 지를 따르며 지의 완성 과정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퇴계는 감각적 대상
에 대한 지식은 행위와 분리될 수 없으나 도덕적 대상에 대한 지식은 행위와 분명 별개의 것이기 때문
에, 지식과 행위는 결코 하나로 볼 수 없다고 했다.
이처럼 조선에서 불리한 상황에 있던 양명학은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에 ㉢하곡 정제두에 의해
그 위상이 제고되었다. 이때는 세 차례의 전란을 겪고 당쟁도 심화되어 질서 확립이 요구되던 시기로,
외래 문물의 유입과 함께 실사구시(實事求是) 학풍이 대두하면서 명분과 의리를 중시한 주자학의 사회
적 권위도 점차 약화되고 있었다. 하곡은, 스스로 진리를 구하기보다 주자의 학설에 기대는 당시 선비들
이 도덕성과 실천력 없이 글재주만으로 출세하려고 과거 준비에 몰두한다고 보았다. 또한 그들이 예의
와 의리를 고정화·형식화하여 도덕규범을 절대 불변의 대상으로 여기고 변통(變通)할 줄 모르며, 객관

28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4쪽

적 사물에 대한 탐구와 주관적 심성에 대한 공부를 분리해 본말을 전도함으로써 마음을 소홀히 한다고
보았다.
이에 하곡은 양명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사회 개혁의 방향을 찾으려 했다. 그는 모든 사물이나 행위의
시비와 선악을 외물에 구애됨이 없이 나 자신 안에서 구해야 한다고 봤다. 따라서 부귀공명 같은 외적
가치를 추구하기보다 내면의 수양을 통해 참다운 자기가 되는 것이 학문의 목적이며, 선천적으로 주어
진 도덕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모든 대상에 대해 편견과 집착을 버리는 태도,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무자
기(毋自欺)의 자세 등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로 볼 때, 조선에서 양명학은 외적 변화보다 내면의 혁
신과 충실을 중시하면서 개혁의 우선 과제를 모색하는 과정을 통해 정착의 발판을 마련해 나갔음을 알
수 있다.

9002-0276

01 윗글을 읽고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퇴계는 조선의 주자학 전성기에 학계를 이끄는 위치에 있었다.
② 남당은 유학이 개인적 수양의 차원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③ 하곡은 사회 개혁 방안의 모색 과정에서 양명학적 관점을 견지하였다.
④ 양명의 저술은 주자학의 우월성을 방증하는 수단으로 조선에 수입되었다.
⑤ 서애는 인식의 과정에 주체의 인식 능력과 대상의 이치가 모두 필요하다고 보았다.

[3부] 실전 학습 제 2 회 285
실전 학습 2 회

9002-0277

02 윗글을 읽은 학생이 <보기>에 대해 떠올린 생각으로 적절한 것은?


풀은 바람이 동쪽으로 불면 동쪽으로 향하고 바람이 서쪽으로 불면 서쪽으로 향한다. 다들
바람 부는 대로 쏠리는데 굳이 따르기를 피하려 할 이유가 있겠는가? 내가 걸으면 그림자가 내
몸을 따르고 내가 외치면 메아리가 내 소리를 따른다. 그림자와 메아리는 내가 있기에 생겨난
것이니 따르기를 피할 수 있겠는가? 아무것도 따르지 않은 채 혼자 가만히 앉아서 한평생을 마
칠 수 있을까? 그럴 수는 없는 법이다. <중략>
물론 일반적인 추세를 따르지 않고 자신의 천성과 사명을 견지하는 경우도 있다. 천하가 모
두 주나라를 새로운 천자의 나라로 섬기게 되었음에도 백이와 숙제는 그것을 부끄럽게 여겼고,
모든 풀과 나무가 가을이면 시들어 떨어짐에도 소나무와 잣나무는 여전히 푸른 것이 바로 그런
경우이다. 그렇지만 우임금도 방문하는 나라의 풍속에 따라 일시적으로 자신의 복식을 바꾸셨
고, 공자도 사냥한 짐승을 서로 비교하는 노나라 관례를 따르시지 않았던가! 성인(聖人)도 모두
가 함께하는 부분을 위배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많은 사람이 하는 대로 따르기만 하면 되는 것인가? 아니다! 이치를 따라야 한다.
이치는 어디에 있는가? 마음에 있다. 무슨 일이든지 반드시 자기 마음에 물어보라. 마음에 거
리낌이 없으면 이치가 허락한 것이요, 마음에 거리낌이 있으면 이치가 허락하지 않은 것이다.
이렇게만 한다면 무엇을 따르든 모두 올바르고 하늘의 법칙에 절로 부합할 것이며, 어떤 상황
에서든 마음만 따르다 보면 운명과 귀신도 모두 그 뒤를 따르게 될 것이다.
 - 이용휴, 「수려기(隨廬記)」

① 서애는 <보기>의 글쓴이가 성(性)을 마음 그 자체로 여겼다는 점에서 그를 높이 평가하겠


군.
② 양명처럼 <보기>의 글쓴이도 우리 마음 안에 양지(良知)가 이미 갖추어져 있다고 본 것이
겠군.
③ 일반적인 추세를 따르는 것이 이치라고 본 점에서 <보기>의 글쓴이가 지닌 관점은 퇴계
의 관점과 유사하겠군.
④ <보기>의 글쓴이는 양명처럼 주체적 자각을 중시했기 때문에 인간이 무엇인가를 따를 필
요는 없다고 보았겠군.
⑤ <보기>의 글쓴이가 성인들의 예를 거론한 까닭은 도덕 법칙을 외물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겠군.

28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4쪽

9002-0278

03 ㉠과 ㉡이 함께 동의할 수 있는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인간의 지식과 행위는 절대로 하나라고 볼 수 없다.
② 학문을 추구함에 있어 명분과 의리를 중시해서는 안 된다.
③ 우주 만물의 근본 법칙이라고 할 수 있는 이치가 존재한다.
④ 유학은 자기 갱신을 위해 불교의 장점을 최대한 수용할 필요가 있다.
⑤ 인간의 본성은 외부 세계의 이치에 대한 탐구를 통해 기르고 쌓아야 한다.

9002-0279

04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의 관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진리에 대한 학문적 추구가 성현의 학설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② 선입견과 자기기만을 버려야 인간이 타고난 도덕성을 밝힐 수 있다.
③ 예의와 의리는 상황에 따라 실질적 변통의 대상이 될 수 있어야 한다.
④ 사물에 대한 탐구가 심성에 대한 공부보다 항구적인 우위를 점해야 한다.
⑤ 선비는 글 쓰는 능력만 기를 것이 아니라 윤리적이어야 하고 실행 능력도 갖추어야 한다.

[3부] 실전 학습 제 2 회 287
실전 학습 2 회

[05~0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곡물 가격이 폭등하자 곳곳에서 폭동과 소요가 일어났다는 국제 뉴스의 분석에는 영국의 경제학자 맬
서스의 이름이 자주 거론되어 왔다. 맬서스는 1798년에 쓴 『인구론』 초판에서, 인구는 제어되지 않을 경
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반면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만 늘어나며, 인구는 25년마다 두 배로 늘어
나게 마련이라는 ‘철의 인구 법칙’을 제시했다. 즉 인구는 자연의 힘에 의해 끝없이 늘어나는 경향을 띠
게 되지만, 식량 공급은 그것을 생산할 토지가 유한하다는 문제 때문에 증가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
리라고 예측한 것이다.
이러한 예측과 관련하여 맬서스는 인구 변화와 생활 수준, 그리고 사망률, 출생률 등의 관계를 고려하
였다. 인구가 증가하면 수확 체감의 법칙 *으로 인해 생활 수준이 떨어지고, 이는 다시 사망률의 상승과
출생률의 하락을 가져와 인구 증가를 중단시킨다. 이러한 단순 모델에서는 인구 증가율이 0이 될 때 국
민 경제가 균형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균형 상태가 되면 임금이 변하지 않게 되며 출생률과 사망률도 변
하지 않는다. 이때 균형은 안정적이다. 어떠한 외부적 교란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상쇄할 변화를 발
생시키기 때문이다.
바로 이 균형의 안정성이야말로 맬서스가 견지했던 비관주의의 토대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경작할
토지의 규모가 늘어난다면 생산이 확대되고 당대 인구의 생활 수준은 개선될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은
지속되지 못한다. 곧 출생률이 상승하고 사망률이 하락하면서 인구가 늘어나 1인당 식량, 즉 임금은 다
시 하락하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에는 1인당 식량은 다시 이전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다. 맬서스의 입장
에서 보자면, 이러한 인구학적 현상이야말로 철의 인구 법칙을 벼리는 용광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철의 인구 법칙이 관철되는 상황에서는 사망률이 늘어나거나 출생률이 억제될 때에만 생활 수준의 영속
적 개선이 가능하다.
그래서 맬서스는 처음 『인구론』을 쓸 때, 인구와 그 인구를 먹여 살릴 능력이 상호 조화를 이루려면 재
난, 전쟁 등을 통해 사망률이 높아지는 ‘적극적 억제책’이 불가피하다는 어두운 전망을 도출해 냈다. 그
리고 1803년에 출간된 제2판에서는 한결 누그러진 개념이 추가로 등장하였다. 금욕이나 만혼(晩婚) 같
은 ‘예방적 억제책’을 통해 사망률 대신 출생률에 영향을 미치면 인구 증가는 농업이 감당할 수 있는 수
준으로 억제될 것이므로, 너무 적은 식량을 너무 많은 입으로 나누어야 하는 냉혹한 논리를 중화시킬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맬서스는 빈곤층에게 소형 주택을 제공하려는 정책이 지닌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정책은 빈곤층의 조혼(早婚)을 권장하여 결국 인구 과잉으로 이어지게 할 것이기 때문에
빈곤층을 돕는 정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맬서스의 견해는 모질고 비인간적인 것으로 비쳐, 사회 개
혁을 꿈꾸던 사람들에게 거센 비판을 받았지만, 맬서스는 이런 비판에 대해 ㉠‘사회 시스템의 문제에서
생리학 *과 병리학 *은 구별되어야 한다.’라며 맞섰다.
『인구론』의 내용 때문에 맬서스는 인구 증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는 맬서스가 인구 과잉이라는 문제적 조건 속에서 작동하는 사회의 기능 이상에 대한 설명을 지나치
게 명료하고 강력하게 제시한 까닭에 빚어진 오해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실제로 맬서스도 이
를 의식한 듯 제3판 이후부터는 자신이 ‘인구의 적’이 아니며 식량의 공급과 비례 관계를 유지하는 한도

288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6쪽

내에서 지속적인 인구 증가를 옹호하는 사람이라는 점을 명시적으로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볼 때, 맬서스를 훌륭한 예언자로 평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그의 예측이 현실화되지
는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확 체감에 관한 그의 가정은 영국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에게 널리 수용되
었으며, 1인당 식량이 점차 생존 수준에 수렴하리라는 명제는 임금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최저 생계비
수준으로 결정된다는 고전학파의 임금 이론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무엇보다 그는 인구가 생활 수
준에 미치는 필연적 효과를 역동적으로 설명했으며, 그의 이론은 당대의 경제학이 역사의 무대 뒤로 퇴
장한 오늘날까지도 경제학자들의 사유 훈련에서부터 정책 결정을 둘러싼 여론 형성에 이르기까지 강력
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수확 체감의 법칙: 생산량을 늘리려면 생산 요소들의 투입량을 늘려야 하는데, 다른 생산 요소의 투입량을 일정한 상태로 두고 특정
생산 요소의 투입량만 늘릴 경우, 어느 시점에 도달한 후부터는 추가로 얻는 산출량이 차츰 감소한다는 법칙.
* 생리학(生理學): 생물의 기능과 활동의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 생물학의 한 분야임.
* 병리학(病理學): 병이나 기형의 형태 또는 기능을 조사하여 그 성립 원리와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 의학의 한 분야임.

9002-0280

05 윗글의 논지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특정 학자의 이론을 개관하고 그것이 지닌 의의를 제시하고 있다.
② 이견을 가졌던 학파 간의 논쟁을 소개하고 주요 논점을 해설하고 있다.
③ 사회의 변화 양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고 특정 이론이 지닌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다.
④ 사회 이론의 속성을 언급하고 특정 학자의 연구를 사례로 들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⑤ 특정 이론을 최근의 사회 현상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그것을 보완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9002-0281

06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맬서스의 관점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


① 생활 수준의 하락은 사망률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② 산아 제한 정책은 ‘예방적 억제책’의 역할을 할 수 있다.
③ 장기간 발생한 기근은 ‘적극적 억제책’으로 작용할 수 있다.
④ 결혼 평균 연령대의 변화는 인구의 증가 폭에 영향을 줄 수 있다.
⑤ 인구수의 증가는 필요한 만큼의 식량 공급을 용인하는 전제가 될 수 있다.

[3부] 실전 학습 제 2 회 289
실전 학습 2 회

9002-0282

07 윗글을 참고할 때, 맬서스가 <보기>의 ‘구빈법’에 대해 보였을 반응을 추론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구빈법’은 생활 능력이 없거나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기 위하여 16세기 영국에서 제정된 법
률이다. 노인, 병자, 빈민 아동들에게 원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된 구빈법 시행은 다양한 변
화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계속되었다.

① 경제적 취약 계층을 보호하고 자립을 도울 수 있다는 점을 들어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것


이다.
② 산술급수적인 식량 증가 속도를 다소나마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을
것이다.
③ 철의 인구 법칙을 통한 미래 예측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했을
것이다.
④ 식량을 늘리는 데는 기여하지 못하면서 인구만 늘리는 법률이라며 부정적으로 평가했을
것이다.
⑤ 원조를 받는 사람들의 도덕적 해이를 조장하여 사회의 기강을 어지럽힌다며 부정적으로
평가했을 것이다.

9002-0283

08 ㉠의 의미를 풀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인간의 질병에 대한 연구가 급속도로 추진되어야만 보다 인간적인 사회를 건설할 수 있
다.
② 생물학이나 의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에게 해당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
③ 사회 문제의 성격을 정확히 판단하여 그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한 부서가 이를 해결하도
록 해야 한다.
④ 사회 구조와 그 변동의 원리에 관한 학설을 사회적 문제 해결에 관한 입장으로 단순 해석
해서는 안 된다.
⑤ 사회 이론에서 다루어야 하는 인구 변동 현상과 의학에서 다루어야 하는 병리 현상을 혼
동해서는 안 된다.

290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6쪽

9002-0284

09 <보기>의 ⓐ~ⓓ 중, ㉡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것끼리 짝지은 것은?


ⓐ 경제적으로 발전한 여러 나라에서 인구 증가율이 미미한 수준까지 하락하는 현상이 이어졌다.
ⓑ 14세기에 흑사병으로 유럽 인구가 대폭 감소했지만 20세기에는 그런 대규모 전염병이 없었다.
ⓒ ‌품종 개량과 경작 기술의 비약적 발달 덕에 단위 면적당 작물 생산량이 과거의 예상치보다
훨씬 큰 폭으로 증가했다.
ⓓ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지구촌 시대가 열리고 각 국가의 인구 구성에서 다문화 인구가 차지
하는 비중이 커지는 경향이 가속화되었다.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3부] 실전 학습 제 2 회 291
실전 학습 2 회

[10 ~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우리 전통 예술에는 장르를 초월한 공통적 조형 어휘로 ‘한국적 선(線)’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뒷동산


의 능선, 한복 소매와 치마의 선, 무덤의 선 등 한국인의 삶을 둘러싼 환경에서 완만하면서도 흥겹고 부
드러우면서도 날카로운 선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편적 민족 정서를 대표하는 조형 요소로 작용한다.
부드러운 흐름을 지닌 한국적 선은 휠 때는 휠 줄 아는 탄력적 관대함과 관련되는 것이다.
전통 한옥에서도 기와지붕의 조형미는 절묘한 궤적을 그리며 맵시를 뽐내는 선에서 비롯된다. 기와지
붕의 선은 용마루 * 선과 처마 선으로 대별되는데, 여기에는 음과 양, 수평과 수직의 기운을 교합시킨 미
학이 담겨 있다. 일직선의 용마루는 위쪽에서 단정한 수평성으로 내리누르는 힘의 작용을 만드는 반면,
곡선의 처마는 아래쪽에서 경쾌한 수직성으로 솟아오르는 힘의 작용을 만드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
평과 수직의 기운이 상호 교차함으로써 안정적이면서도 역동적인 양면성이 은근하게 공존하는데, 이로
인해 우리는 각도, 거리, 방향 등에 따라 지붕의 가변적 형상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처마 선은 오묘한
다양성이 있어서 건물마다 고유의 처마 선을 지니며, 심지어 사찰이나 서원처럼 한 공간 안에 건물이 여
럿인 경우에도 각각의 처마 선이 모두 다르다.
그런데 이러한 한옥의 기와지붕에는 흥미로운 과학적 원리도 숨어 있다. 여름에는 햇볕을 막고 겨울
에는 햇살이 집 안으로 깊숙이 들어오게 하며 장마철에는 빗물이 들이치지 않게 하려면 지붕이 양산 또
는 우산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려면 처마 각 *을 크게 하여 처마 깊이 *를 깊게 할수록 좋지만 실내가
너무 어두워진다든지 구조적 위험성이 있어서 무조건 그렇게 만들 수는 없다. 그럼 어느 정도가 적당할
까? 중부 지방에서 한옥의 처마 깊이는 4자가량(약 120센티미터)인데, 이는 태양의 남중 고도 *를 고려
하여 방 안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조절하려는 계산과 관련된다. 지구는 자전축이 지구 공전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라 23.5° 기울어져 있어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여름과 겨울에 약 47° 차이가 난다. 서울은 북
위 37° 선에 있으므로 자전축이 기울어지지 않았다면 1년 내내 남중 고도가 약 53°가 되겠지만, 자전축
의 기울기 때문에 태양의 남중 고도가 하지 때는 약 76.5°가 되고 동지 때는 약 29.5°가 된다. 결국 한옥
의 처마 깊이는 여름날 수직에 가깝고 겨울날 완만하게 낮은 햇빛의 각도를 고려해 결정된 것이다.
한편 비 오는 날 지붕의 주된 역할은 빗물을 서둘러 아래로 흘려보내는 것이다. 우리나라처럼 집중 호
우가 많은 곳에서 지붕이 빗물을 빨리 흘려보내지 못하면 나무와 흙을 주재료로 한 건축물은 치명적 위
험에 직면하므로 한옥 지붕은 경사가 져 있다. 지붕의 기울어진 정도를 물매라고 하며 그 경사가 급할
때는 된물매, 약할 때는 싼물매라고 한다. <그림 1>처럼 a가 지붕이고 밑변을 10치로 했을 때 물매의 크
기는 각B에 대한 탄젠트 값인 4/10이며 4치라고 나타낸다. 보통 6치 이상을 된물매로, 4치 이하를 싼물
매로 ㉮친다. 물매는 <그림 2>에서처럼 세 가지로 나뉘는데, 대체로 (A)의 물매인 처마물매는 4치를,
(B)의 물매인 마루물매는 10치를 넘지 않도록 한다. (C)의 물매인 지름물매 *는 6치 정도로 하는데, 지붕
의 높이와 경사면을 조절하여 집의 외관을 결정하는 지름물매가 클수록 한옥은 위엄을 갖춘 모습이 된
다. 지름물매가 클수록 빗물을 빨리 흘려보내겠지만, 물매가 너무 크면 기와가 떨어질 수도 있고 나무
기둥에 빗물이 들이칠 가능성도 커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조들은 마루물매를 급하게, 처마물
매를 완만하게 만들어 두 가지 경사면을 결합했다. 하지만 경사가 다른 두 지붕면이 만나는 각진 부분은

292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7쪽

물의 흐름을 방해하기에 또 다른 해결책을 찾아야 했다.


" 마룻도리
#
B $
치 중도리
"
주심도리
# $
치(자)

<그림 1> <그림 2>

이에 선조들은 부드러운 곡선 지붕을 만들어 유연한 경사면을 완성하고, 여기에 암키와와 수키와를
번갈아 얹어 놓음으로써 빗물이 기왓골의 곡선을 따라 흐르도록 했는데, 이 곡선은 사이클로이드의 형
태를 띠고 있다. 그리스어로 바퀴라는 뜻의 사이클로이드는 원 위에 점을 하나 찍고 원을 직선 위에 굴
렸을 때 그 점이 그리는 자취를 말한다. 사이클로이드는 한마디로 ‘직선보다 빠른 곡선’이라고 할 수 있
다. 직선, 사이클로이드, 원호(圓弧) *의 경사로로 만든 미끄럼틀 위에서 동시에 공을 굴리는 실험을 해
보면 사이클로이드 경사로의 공이 가장 빨리 내려오는데, 이는
4ƒ 직선
중력과 관련이 있다. 사이클로이드 경사로를 따라 막 출발한 초
기에 공은 급한 경사 때문에 가속도가 커서 빠르게 S1, S2 지점을 :
수직으로 4m
통과하고 아랫부분의 완만한 지점에서는 관성으로 내려오게 된 내려오는
거리
다. 즉 사이클로이드 곡선 위 각 지점에서 공의 속도는 모두 다르 사이클로이드
원호
며 이에 따라 사이클로이드 경로는 직선 경로보다 더 먼 거리를
돌아 내려오면서도 더 빨리 바닥에 도착하게 되는 것이다. 같은 9
이유로, 원호로 된 경로를 구르는 공도 ㉠사이클로이드 경로의 수평으로 이동한 거리

공보다는 늦지만 직선 경로의 공보다는 빨리 바닥에 도착한다. 구르는 공에게 직선은 가장 빠른 길이 아


니라 가장 짧은 길이고, 직선에 가까울수록 짧은 길인 것이다.
사실 사이클로이드는 많은 수학자가 갖가지 논쟁의 소재로 삼았을 뿐만 아니라, “기차가 달릴 때, 이
기차의 모든 부분이 기차가 달리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이른바 ㉡‘기차의 역설’
까지 낳았을 만큼 매력 있는 수학적 탐구 대상이다. 물론 우리 조상들이 사이클로이드의 속성에 관한 수
학적 연구 결과를 접하고 이를 지붕에 적용했을 가능성은 적다. 하지만 단순히 멋을 위한 방편만도 아니
었을 것이다. 선조들은 최적의 지붕 형태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빗물이 가장 빨리 흘러내리는 사이클
로이드 곡선을 자연스레 발견했을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한옥의 기와지붕은 한국적인 미
의식의 전형성을 보이면서도 우리의 자연환경이 지닌 특성을 건축에 반영한 과학성을 보여 준다.

* 용마루: 지붕 가운데 부분에 있는 가장 높은 수평 마루.


* 처마 각: 기둥 아래에 놓인 초석 윗면에서 처마 끝을 이은 선이 기둥 중심선과 이루는 각.
* 처마 깊이: 처마의 끝부터 그 처마가 인접한 기둥의 중심까지를 수평으로 잰 길이.
* 남중 고도: 천체가 남쪽 자오선에 위치할 때의 고도(高度. 지평선에서 천체까지 잰 각)로, 하루 중 가장 큰 고도임.
* 지름물매: 처마 끝과 마룻도리를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의 물매.
* 원호: 원둘레 위의 두 점에 의하여 한정된 부분.

[3부] 실전 학습 제 2 회 293
실전 학습 2 회

9002-0285

10 한옥의 기와지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처마 선에는 획일화된 표준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② 우리 전통 예술의 보편적 조형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③ 부드럽게 흐르며 적당히 휘는 선의 미학이 담겨 있다.
④ 바라보는 지점이 어디냐에 따라 그 모양이 다를 수 있다.
⑤ 용마루는 수직성을 통해 역동적인 느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9002-0286

11 윗글을 읽고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한옥은 서울에 지은 것이다. ⓐ와 ⓑ는 각각 하지와 동지 때 남쪽 자오선에 위치한 태양의


빛이며, ⓒ는 처마 깊이를 가리킨다.

①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면에 대하여 수직이라면 ⓐ와 ⓑ의 태양 고도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② ⓐ의 태양 고도는 ⓓ에 ⓔ를 합한 값의 두 배가 된다.
③ ⓐ를 집 내부로 들이기 위해서는 ⓒ가 더 작은 값이 되어야 한다.
④ 실내 채광의 문제 때문에 ⓒ를 무작정 늘릴 수는 없다.
⑤ 북위 50°인 지방에 이와 동일한 한옥을 짓더라도 ⓓ와 ⓔ의 차이는 <보기>에서와 달라지
지 않는다.

294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정답과 해설 107쪽

9002-0287

12 윗글을 읽은 학생의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한옥에서는 일반적으로 처마 각이 클수록 처마 깊이가 깊어진다고 할 수 있겠군.
② 한옥으로 지은 궁궐은 대체로 지붕의 지름물매가 민가 지붕의 지름물매보다 큰 편이겠군.
③ 건축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전통 도예에서도 상반된 성격을 동시에 지닌 유려한 선을
발견할 수 있겠군.
④ 기둥 밖으로 뻗어 나간 처마의 길이가 동일하다면 된물매인 지붕이 싼물매인 지붕보다
처마 깊이가 더 깊겠군.
⑤ 만약 마루물매보다 처마물매를 더 급하게 만들어서 두 경사면을 결합한다면 지름물매는
마루물매보다 더 크겠군.

9002-0288

13 ㉠의 이유를 추론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사이클로이드 경로와 달리 원호 경로에서는 공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② 원호 경로는 사이클로이드 경로에 비해 공이 더 높은 지점에서 출발하게 되기 때문이다.
③ 초기 가속도의 영향으로 인한 속도 차이로도 이동 거리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
이다.
④ 사이클로이드 경로와 달리 원호 경로에서는 아랫부분을 통과할 때 관성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⑤ 원호 경로와 달리 사이클로이드 경로에서는 공이 중력의 영향으로 가속도가 붙으며 내려
오기 때문이다.

[3부] 실전 학습 제 2 회 295
실전 학습 2 회 정답과 해설 109쪽

9002-0289

14 <보기>는 ㉡과 관련된 심화 학습을 위해 찾은 자료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기차는 바퀴가 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바퀴 안쪽의 지름이 바깥쪽보다 더 크게 되어 있는
데, 아래 그림에서 수평선은 철로의 윗면을 의미하며, P점은 바퀴 바깥쪽에 있는 한 점을, Q점
은 바퀴 안쪽에 있는 한 점을 가리킨다.
2m
2 1
1m
1ƒ 1f

2ƒ 2f

이때 ‘(               )’라는 것이 바로 사이클로이드 곡선의 성질과 관련


하여 수학자들의 흥미를 자극했던 ‘기차의 역설’이다.

① 기차가 달릴 때 P점이 지닌 수직선상의 위치가 위아래로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② 기차의 일부인 Q점이 철로 윗면보다 아랫부분에서는 기차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③ 기차가 달리면서 P점의 아래에 있던 Q점이 오히려 P점의 위쪽으로 올라가는 일이 발생
하게 된다.
④ 기차가 달리는 내내 기차의 일부인 P점과 Q점이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한 번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⑤ 기차의 일부인 Q점이 그리는 사이클로이드가 기차의 또 다른 일부인 P점이 그리는 사이
클로이드보다 더 길어지게 된다.

9002-0290

15 <보기>를 바탕으로 할 때, 밑줄 친 말의 종류가 ㉮와 같은 것은?


서술어의 자릿수는 어떤 문장의 서술어가 자기 자신을 제외하고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장 성
분의 개수를 말하는데, 이에 따라 한 자리 서술어, 두 자리 서술어, 세 자리 서술어로 나눌 수
있다.

① 나는 결국 여행 작가가 되었다.
② 너도 작년에 애인과 헤어졌구나.
③ 그는 그 젊은이를 제자로 삼았다.
④ 이 방 안에서 아기들이 잘도 잔다.
⑤ 중학생들이 큰 소리로 책을 읽는다.

296 EBS 수능특강 국어영역 독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