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9

국어 / 비상 (박안수)

교사용 교과서
대단원 표지 그림
•학생들 스스로 일상생활에서 책을 접했던 경험을 떠올려 볼 수
있다.
•책 읽기는 일상생활에 늘 함께하는 것이며, 우리의 생활 전반
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8 17. 12. 11. 오후 7:09


쓰기
문법
읽기

듣기 문학
말하기

통합 읽기 영역 + 문학 영역

총 10차시 대단원 설정 이유
이 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글을 읽어 볼 것
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감동을 느끼거나 깨달음을 얻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궁금한 점을 해결하며 읽기의 즐거움을 알
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단원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글을 찾아 읽고 향유하는 것
은 물론, 글을 해석하고 평가한 내용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자신과 다
른 의견도 존중하면서 소통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자화상
책 속에 길이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9 17. 12. 11. 오후 7:09


대단원 성취기준
[문학 05]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해석하고 평가하며 문학을

의 길잡이 생활화하는 태도를 지닌다.


[읽기 05]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글을 자발적으로 찾
아 읽는 태도를 지닌다.

학습 목표

주체적인 관점에서 문학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진로와 관심사를 고려하여


작품을 해석하고 평가한다.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문학 자신에게 맞는 글을 자발적
을 생활화한다. 으로 찾아 읽는다.

문학 문학 읽기

우리는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감동을 느끼거나 깨달음을 얻


는다. 또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진로 및 관심사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거나 궁금한 점을 해결하기도 한다.
1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읽고 해석하면서 문학을 주체적으로
감상하는 태도를 기르고,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책을 자발적
으로 찾아 읽으면서 읽기가 우리 삶에서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이러한 읽기 활동을 통해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지식을 확장하
는 것은 물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사회와 세계로 나아가
는 즐거움을 느껴 보자.

10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0 17. 12. 11. 오후 7:09


학습 과정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고 평가하며 능동적으로 문학을 향유하기.


(1)
•문학 작품을 해석·평가한 내용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자신과 다른 의견
자화상
도 존중하면서 소통하기.

(2)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글을 자발적으로 찾아 읽기.


책 속에 •진로나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과 책을 읽고, 책에서 알게 된 정보를 공유
길이 있다 하기.

국어 속 진로
국어와 통
•다양한 직업을 나타내는 말에 담긴 뜻 알아보기.
하다
•직업의 이름에 담긴 사회적 인식이 과거와 현대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자기 성찰·계발 역량: 문학을 생활화하여 스스로 작품을 향유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주체적인 관점으로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능력을 기른다.
•자료·정보 활용 역량: 책을 통해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
된 자료를 수집하고, 독서 과정을 통해 정보를 선별하며 가치
있는 지식으로 재창조하는 활용 능력을 기른다.

이 단원을 배우면,
주체적인 관점에서 문학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하며
그 속에 담긴 가치를 통해 자기 자신을 성찰할 수 있고,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책을 찾아 읽으면서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1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1 17. 12. 11. 오후 7:09


총 3차시

(1 )
학습 목표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
하고 평가하며 능동적으로 문학을 향유한다.
•문학 작품을 해석 ·평가한 내용을 창의적으로 표
현하고, 자신과 다른 의견도 존중하면서 소통한다.

역량 목표 •문학 작품을 읽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는 태도를 생활화한다.

자화상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글을 읽고, 각자의 관점에 따라 어울리는 제목을 붙여 보자.
활동 안내 시에 자유롭게 제목을 붙여 보면서 사람들마다 시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식욕, 모기, 양
파’가 왜 답이 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보게 한 후, 또 어떤 제목을 붙일 수 있을지 발표하게 한다. 여러 학생들이 생각을 나누면서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끝이
어딜까

너의
잠재력

•식욕: 이미 충분한 양을 먹었는데도 - 하상욱, 『서울 시』


계속 더 먹고 싶어지는 마음을 표현
하였다.
•모기: 날이 추워졌는데도 죽지 않고
계속 나타나는 모기에 대한 지긋지
긋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양파: 몇 번이나 껍질을 까도 끝없이 모기
새로운 껍질이 나오는 양파의 모습 식욕 양파
을 표현하였다.

예시 답안 •볼펜: 잉크가 다 떨어진 줄 알았는데 글씨가 써지고, 한참을 쓰다가 이번에는 정말 다 쓴 줄 알았는
데 다시 글씨가 써지는 볼펜의 특징을 표현하였다.
•그 외에 가능한 제목: 다 쓴 치약(시의 원제), 인터넷, 더위, 우주, 졸음 등

12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2 17. 12. 11. 오후 7:09


알아
두기 1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문학 작품을 읽을 때에는 작품의 내용이나 작
현실
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올바르게 이해해야
절대론적 관점
한다. 또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요소를 이해하
는 것을 넘어서 작품을 쓴 작가, 작품의 배경이 작가 작품 독자
되는 시대 현실, 작품을 읽는 독자도 이해해야 한
다. 즉, ‘작가는 누구이며, 왜 그렇게 표현하였는지’ 생각해 보는 관점, ‘작품 속에 어떠한 역사
표현론적 관점
와 현실이 반영되었는지’ 생각해 보는 관점, ‘독자가 그 작품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 생각해
반영론적 관점 효용론적 관점
보는 관점 등을 통해 하나의 작품을 다각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2 문학의 생활화
독자는 문학 작품을 읽고 나서 감동을 받기도 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며 자아와 세계의
관계 속에서 세상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경험을 나눔으로써 다른 사
람과 교류하며 상호 존중감과 유대감을 높이기도 한다. 문학의 생활화란 이처럼 문학 작품을
읽은 후 어떠한 가치를 발견해 내고, 그것을 공동체 안에서 표현하는 것을 이른다. 일상생활
문학의 생활화의 의미
속에서 지속적이고 자발적으로 문학 활동을 실천한다면 스스로 인간다운 삶을 가꿀 수 있을
문학을 생활화할 때의 효용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관점
•절대론적 관점: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표현론적 관점: 작가의 창작 의도와 창작 동기, 작가의 삶 등을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반영론적 관점: 작품 속 배경이 되는 당시의 시대 현실을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효용론적 관점: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깨달음을 주었는지, 독자의 가치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초점을 두고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문학 작품을
?! 주체적으로 읽을 때의
즐거움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시를 읽으며 주체적으로 작품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문학 작품에 반영된 가치를 자신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평가하는 즐거움을 떠올리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작품을 주체적으로 해석하려면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
•문학 작품에 반영된 가치란 무엇일까? 그것을 나의 관점대로 평가할 수 있을까?

(1) 자화상 1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3 17. 12. 11. 오후 7:09


학습 포인트 •시적 상황   •화자의 행동과 심리 변화   •주체적인 감상
이 작품은 화자가 우물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는 내용의 현대 시이다. 화자의 심리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작품을 주체적으로 감상해 보자.

제목 풀이 ‘자화상’은 ‘스스로 그린 자기의 초상화’라는 의미이다. 이 시의 화자는 우물 속 자신의 모습을 들여다보


면서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성찰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제재 구조도

우물 속의 평화로
자화상(自畵像)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시 낭송 영상
_ 윤동주

1~2연
운 풍경.
자신에 대한 부끄
3연 제재 개관
러움과 미움.
갈래 현대 시,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성찰적, 고백적
자신에 대한 연민
4~5연 어조 자신을 성찰하는 차분한 어조. 제재 우물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
과 그리움.
주제 자아 성찰과 자신에 대한 연민과 미움, 화해하는 마음.
추억 속 자신에 대
6연 •평서문을 사용하여 산문적으로 진술함.
한 그리움. 특징
•구체적 행동을 통해 화자의 심리 변화를 형상화함.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자아 성찰의 매개체 ▶ 우물을 찾아 자아를 성찰함

: 시적 허용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 』: 평화롭고 아름다운 우물 속 자연 풍경 공감각적 표현(촉각의 시각화)
윤동주 가을이 있습니다. ▶ 우물 속의 평화로운 풍경

(1917~1945)

시인. 자아를 고요히 응시


하고 사색하는 내용의 시를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통해 일제 강점기라는 암울한 우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현실의 초라한 자아)
조국의 현실을 표현하였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 초라한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과 미움

주요 작품으로 「서시」, 「또 다
른 고향」, 「별 헤는 밤」 등이
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 』: 애증의 반복으로 인한 내적 갈등
: ‌‘사나이’에 대한 화자의 태도 변화
도로 가 들여다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미움 → 연민 → 미움 → 그리움)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 자아에 대한 미움과 그리움


화자(사나이) 자체에 대한 그리움(×)
화자의 순수했던 내면에 대한 그리움(◯)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2연의 반복 → 구성상 안정감과 균형감 부여
가을이 있고 추억(追憶)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 추억 속 자아에 대한 그리움
순수했던 과거 자신의 모습 발견 → 현실의 자아와의 화해, 내적 갈등 해소
-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4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4 17. 12. 11. 오후 7:09


콕콕 정리
화자의 심리 및 태도 변화
돌아가다 생각 도로 가 들여다 돌아가다 생각
‘한 사나이’가
하니 그 사나이가 보니 다시 그 사 하니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감.
가엾어짐. 나이가 미워짐. 그리워짐.

콕콕 정리
우물 속 풍경과 현실의 대조
우물 속 풍경 현실
과거 추억 속 순수했던
평화롭고 아름다운 ‘한 사나이’의
대조 자아의 모습을 발견함.
자연의 모습. 부끄러운 모습.

내적 갈등의 해소

깜짝 퀴즈
1. ‌화자는 외딴 우물에 비친 평화로운 자연 풍경을 보고 있다.
 ➡◯
2. ‌이 시의 ‘우물’은 현실 속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 ☐ 하게
하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 성찰
3. ‌화자의 심리는 계속 변화하여 시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끝까지
내적 갈등을 겪고 있다. ➡×

(1) 자화상 1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5 17. 12. 11. 오후 7:09


활동

이해 1 이 시의 화자가 보고 있는 우물 속 풍경은 어떠한지 써 보자.


예시 답안
활동 안내 이 시에서 화자가
들여다보고 있는 우물 속 풍경
이 어떠한지 파악하는 활동이
구름이 흐름.
다. 시에 제시되어 있는 시어를
찾아 쓰게 하며 시적 상황을 구
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하늘이 펼쳐짐.
달이 밝음.
참고 자료
자화상에서 우물의 기능
•화자가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
으로 성찰할 수 있게 하는 매
개체.
•화자를 자아 성찰에 이르게 하
고 이를 통해 내적 갈등을 해
소하게 함.
한 사나이가 있음. 파아란 바람이 붊.

가을이 있음.

활동 안내 이 시에서 화자가
하고 있는 행동을 파악하고, 그
2 이 시 속 화자의 행동과 그에 따른 심리 및 태도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에 따른 화자의 심리 및 태도가
화자의 행동 화자의 심리 및 태도
어떠한지 추론해 보는 활동이
다. 답을 채워 가면서 화자의 심
리와 태도가 변화하는 이유가 우물 속에서 한 사나이를 봄. …… 그 사나이가 미워짐. (미움)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
다.

돌아가다 생각함. …… 그 사나이가 가엾어짐.(연민)

다시 가서 들여다봄. ……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짐.(미움)

돌아가다 생각함. …… 그 사나이가 그리워짐.(그리움)


갈등 해소

16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6 17. 12. 11. 오후 7:09


목표 1 이 시를 주체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 그 내용을 친구들과 공유해 보자. 모둠

(1) 다음은 이 시를 읽은 학생들이 나눈 대화이다. 타당한 근거를 들어 대화의 빈 곳을 채워


도움말
보자.
문학 작품을 해석할 때에는
타당한 근거를 들어야 하고,
해석의 결과를 창의적으로 표 화자는‘외딴’우물을‘홀로’찾아가서 거울을 보듯이 그 안을 들여다보고 있
현할 수 있어야 한다. 또 다른 어. 이건 자기 성찰을 하려는 모습이라고 생각해. 나도 혼자 있을 때에 거울로 내
사람의 생각을 들을 때에는
얼굴을 가만히 보면서 사색에 잠기는데, 화자도 그렇지 않았을까?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자
신의 생각과 같거나 다른 점
을 비교해 본다.
활동 안내 문학 작품을 감상
하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네 생각이 맞는 것 같아. 윤동주 시인의 시에는 자신을 부끄러워하는 모습이
자신의 관점으로 해석해 본 후,
자주 나타나잖아. 이 시에서도 역시 자기반성의 태도를 엿볼 수 있어.
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활동이다. 어떤 방식으로 해석
해도 무방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지만, 타당한 근거는 있어야
하며, 시의 내용을 크게 벗어나 예시 답안
는 해석은 올바른 해석이 아님 나는‘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 ’
이라는 시구가 기억에 남아.
을 주지시켜야 한다. 그리고 다
른 학생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왜냐하면 이 시구는 아름다운 자연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나타내 주기 때문이야.
듣는 태도를 갖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2연과 6연에서 반복되면서 시 전체에 안정감과 균형감을 부여하고 있어.

나는 이 시의 창작 시기가 일제 강점기라는 것을 고려하여 시를 해석해 봤어.


예시 답안 일제 강점기라는 힘겨운 시대를 살아가야 했던 시인은 고통스러웠을
거야. 우물에 있는 사나이가 미워 보였던 까닭은 일제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못하
는 자기 자신이 부끄러웠기 때문이 아닐까?

(2) 이 시를 자신의 관점에 따라 해석해 보고, 친구들이 해석한 내용과 비교해 보자.

자신이 해석한 내용 친구들의 해석과 같거나 다른 점

예시 답안 이 시의 ‘사나이’는 윤동주 시인 자신을 의


예시 답안 친구는 ‘사나이’를 윤동주 시인이 아니라
미한다. 화자는 자신의 모습을 우물에 비추어 보며 미움
시를 읽는 자기 자신의 모습이라고 해석하였다. 자신의
과 연민을 동시에 느끼고 있는데, 이는 일제 강점기라는
삶을 돌아보며 자아에 대해 애증을 반복하는 부분에서
시대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던 시인 자신에
크게 공감하였다고 한다. 친구도 이와 유사한 경험이 있
대한 부끄러움과 연결된다. 고통스러운 시대를 살아야
었기 때문이다.
만 했던 윤동주 시인이 안쓰러웠다.

(1) 자화상 1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7 17. 12. 11. 오후 7:09


활동 안내 학생들이 지금까
지 읽었던 문학 작품을 떠올려
2 | 예시 | 를 참고하여 자신이 읽었던 문학 작품 중에서 하나를 골라 친구들에게 추천

보고, 이를 친구들에게 추천하


하는 글을 써 보자.
는 글을 쓰면서 문학을 생활화 | 예시 |
하는 활동이다. 작품을 추천하
는 과정에서 작품이 지닌 가치 •제목: 길 위의 책
를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지
도한다. •저자: 강미
•내용: ‘필남’이라는 소극적인 성격의 주인공이 학교
도서반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책을 읽고 여러 친구
들과 관계를 맺는 이야기이다. 이 과정에서 ‘필남’은
자신의 고민을 해결하고 방황을 끝내며 점점 성장
한다.
•기억에 남는 구절: ‘어서 꽃 피는 시절이 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필
남이는 알고 있었다. 그 일은 무수한 시간과 땅 밑의 부산함이 있어야만 이루어진
다는 걸.’
•추천하는 이유: 주인공인 ‘필남’이 읽는 책을 나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독
서에 흥미가 생겼다. 또 내가 꿈꾸는 멋진 삶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끊임
없는 노력을 해야만 이룰 수 있는 것임을 깨달았다.

예시 답안
책의 표지나 작품의
주요 장면을 그려 보자. •제목: 눈먼 자들의 도시

•저자: 주제 사라마구

•내용: 갑자기 눈앞이 뿌옇게 흐려지면서 앞이 보이지 않게 되는 전


염병이 한 도시에 퍼지기 시작한다. 정부는 병에 걸린 사람들을 강제

로 모아 수용소에 가둔다. 극한 상황 속에서 눈먼 자들은 인간성마저

시험당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기억에 남는 구절: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란 거죠.”

•추천하는 이유: 이 소설은 많은 사람들이 원인 모를 전염병에 걸려 갑작스레 실명하게 된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눈이 안 보인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 간접 경험을 하게 해 준다. 또한 수용소에 갇힌 사람

들이 극한 상황에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고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모습을 통해 감동을 느낄 수 있다. 인간이

살아가는 본질적인 이유는 어떤 것인지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18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8 17. 12. 11. 오후 7:09


듣기·
문학 말하기
활동 안내 소설의 일부분을 읽고 각자의 관점에 따라 구절의 의미를 파악해 보는 활동이
✚ 다. 정해진 답은 없고 다양한 의견을 모두 답으로 인정할 수 있다. 다만 제시문의 내용 안에
서 근거를 찾아 해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 글을 읽고 밑줄 친 부분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지 자신의 의견을 말해 보자.

자료실 “사막은 아름다워…….” 어린 왕자가 말을 이었다.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정말 그랬다. 나는 언제나 사막을 좋아했다. 모래 언덕에 앉아 있으면 아무것도
1943년에 프랑스에서 발표
보이지 않고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무엇인가 침묵 속에서 빛을 발한다.
된 동화이다. 사막에 불시착
한 비행사인 ‘나’가 다른 별에 “사막이 아름다운 건 어딘가에 샘을 감추고 있기 때문이야…….” 어린 왕자가
서 온 ‘어린 왕자’를 만나 겪는
말했다.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어린이
의 눈으로 세상을 성찰하며 나는 모래가 신비롭게 빛을 발하는 이유를 깨닫고 깜짝 놀랐다. 어렸을 적에 나
어른들에게 깨달음을 주는 작 는 아주 오래된 집에 살고 있었다. 그런데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 집에는
품이다.
보물이 감춰져 있다고 했다. 물론 아무도 그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아니 어쩌면
아무도 찾으려 들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보물로 인해서 그 집 전체가
제재 개관
갈래 동화 신비한 마법에 걸려 있는 것만 같았다. 우리 집은 그 깊숙한 곳에 어떤 비밀을 간
성격 우화적, 상징적
사막에서 만난 어린 직하고 있었으니까 말이다.
제재
왕자.
“그래, 집이건 별이건 사막이건 그것을 아름답게 하는 건 눈에 보이지 않는 법
주제 어린 왕자의 순수함.
•‌‘다른 별에서 온 어린 이지!”
왕자’가 어른들의 모
순된 세계를 바라보 내가 어린 왕자에게 말했다.
는 내용의 우화적인
이야기임.
“아저씨가 내 여우와 생각이 같은 걸 보니 기뻐.”
특징
•꾸밈없는 진솔한 문체
어린 왕자가 잠이 들었으므로 나는 그를 안고 다시 길을 떠났다. 나는 가슴이
와 단순해 보이는 이
야기 속에 삶을 돌아 뭉클해졌다. 부서지기 쉬운 무슨 보물을 안고 가는 느낌이었다. 이 세상에 이보다
보는 깊은 성찰이 담
겨 있음. 더 부서지기 쉬운 것은 없을 거란 생각까지 들었다. 나는 달빛에 비친 그 창백한
이마, 감겨 있는 눈, 바람결에 나부끼는 금빛 머리카락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생
각했다. ‘지금 내 눈앞에 보이는 건 오직 껍질일 뿐이야.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
-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예시 답안 •눈에 보이는 외면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내면의 순수함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서술자인


‘나’는 어린 왕자를 안고 가면서 보물과 같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어린 왕자의 외면적인 특성 때문이 아니
라 어린 왕자가 가지고 있는 내면의 순수함 때문이다.
•소중한 것은 대상 자체가 아니라, 그 대상에 담긴 정서나 감정이라는 의미이다. ‘나’가 자신이 어렸을 적에
살던 오래된 집을 신비한 마법에 걸린 것처럼 느낀 이유는, 그 집 자체가 아름다웠기 때문이 아니라, 그 집
이 비밀을 간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자화상을 읽고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해석·평가하고, 다른 사람의

정리하기 의견을 존중하면서 생각을 나누어 보았다. 다른 문학 작품을 더 읽어 보고 타당한 근거를


들어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한 내용을 친구들과 공유해 보자.

(1) 자화상 1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19 17. 12. 11. 오후 7:09


총 4차시

(2)
학습 목표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글을 자발적으로 찾아 읽는다.
•진로나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과 책을 읽고, 책에서
알게 된 정보를 공유한다.

역량 목표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독서


자료나 정보를 목적에 맞게 수집·분석·평가한다.

책 속에 길이 있다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은 책을 소재로 한 그림이다. 이 그림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책과 관련한 그림을 보고 그 의미를 추론하며 책의 가치를 깨닫는 활동이다. 먼저 책과 불빛, 바다가 어떤 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지 살펴보게 하고, 이를 책의 가치와 연결 지어 의미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크빈트 부흐홀츠, 북 라이트하우스(Book Lighthouse)

예시 답안 •책은 캄캄한 바다를 비추는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한다.


•책이 등대라면, 바다 위를 지나는 모든 배가 한 사람 한 사람의 인생이라고 볼 수 있다.
•책이 많이 쌓이면 불빛이 더 먼 곳까지 비출 수 있는 것처럼, 책을 많이 읽으면 더 넓은 세상을 볼 수 있게 된다.

20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0 17. 12. 11. 오후 7:09


알아
두기 1 독서의 가치
독서는 우리가 직접 경험해 보지 못한 세계를 알게 해 주는 통로이자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수단이 된다. 독자는 독서를 함으로써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세상
독서의 효용 ①
을 살아가는 지혜를 깨달을 수 있으며, 책 속 등장인물의 이야기에서 감동과 즐거움을 느낄
독서의 효용 ② 독서의 효용 ③
수도 있다. 청소년기는 자신의 가치관을 정립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의 독서 활동은 특
히 중요하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는 활동은 청소년의 가치관을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
청소년기 독서의 중요성 ①
그중 진로 및 관심사와 관련된 독서는 청소년에게 장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청소년기 독서의 중요성 ②

2 바람직한 독서 태도
독서를 할 때에는 능동적으로 자신의 상황을 점검하여 책을 스스로 찾아 읽어야 한다. 즉
자신의 흥미와 가치관 등을 파악하고, 언제, 어디서, 어떤 목적으로 책을 읽을 것인지를 염두
책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 ① 책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 ②
에 두어 실제로 도움이 될 만한 책을 선택해야 한다. 학교 도서관이나 신문, 잡지 등의 매체에
책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 ③
서 제공하는 정보를 참고하는 것도 책을 선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책을 읽은 뒤에는 친구들
능동적인 독서 태도
과 생각을 나누고 알게 된 내용을 공유하는 것도 바람직한 독서 태도이다.

참고 자료
문학 작품의 예술적 가치
•인식적 가치: 문학이 현실 세계의 삶을 재현하기 때문에 창출되는 가치로, 작품을 통해 개인, 타자,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
•미적 가치: 삶과 세계를 개념이나 논리가 아닌 형상으로 포착한다는 점과 관련되며 작품에서 다양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향유함으로써
상상력을 확장할 수 있다.
•윤리적 가치: 문학이 추상적이거나 규범적 법칙이 아닌 구체적 세계에서 발생하는 인간 현실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과 관련되며, 작품에
재현된 가치 갈등을 탐구하고 어떤 선택이 옳은가를 성찰함으로써 실천적 지혜를 함양할 수 있다.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글을 어떻게
?! 찾아야 할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글이나 책을 찾아 읽으며 친구들과 정보를 공
유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실제로 도움이 될 만한 글을 자발적으로 찾아 읽는 태도의 중
요성을 생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나에게 도움이 되는 책은 구체적으로 어떤 책을 말하는 것일까?
•도움이 되는 책이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알 수 있을까?
•좋은 독서 습관을 기르기 위해서는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할까?

(2) 책 속에 길이 있다 2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1 17. 12. 11. 오후 7:09


학습 포인트 •글쓴이의 어린 시절 독서 경험   •책 읽기의 가치
이 글은 글쓴이가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독서의 가치와 필요성을 말하고 있는 수필이다. 독서를
대하는 자신의 태도는 어떠한지 생각하며 글을 읽어 보자.

제목 풀이 「책 속에 길이 있다」의 ‘길’은 바람직한 삶의 방향을 의미한다. 책 속에는 먼저 살아온 사람들의 지혜가
들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책을 읽으면 좀 더 바람직한 삶의 방향을 찾을 수 있음을 뜻하는 제목이다.

제재 구조도

처음
글쓴이의 어린 시절
책 속에 길이 있다
소단원 정리 PPT
_ 이권우

독서 경험.
•책 읽기의 가치. 제재 개관
•책 읽기의 과정은 갈래 현대 수필, 경수필
가운데
고통스러워도 그 결
성격 회고적, 교훈적
과는 값짐.
제재 독서
책 속에 길이 있으 주제 독서는 평생 해야 할 가치 있는 일이다.
끝 므로 평생 책과 벗하
•자신의 경험에 바탕을 두고 생각을 풀어나감.
는 삶을 살아야 함. 특징
•다양한 근거를 바탕으로 독서가 가치 있는 일이라고 이야기함.

처음 ‘책’ 하면 가장 먼저 어린 시절이 떠오릅니다. 우리 가족이 세 들어 살던 집


책과 관련한 글쓴이의 어린 시절의 경험으로 글을 시작함 → 독자의 흥미 유발
은 앵두나무로 울타리가 쳐져 있고, 집 뒤 언덕을 조금만 올라가면 남춘천역 5

이 바라보였습니다. 외로울 때에는 그곳에 올라가 서울 가는 기차를 바라보


이권우 던 기억도 납니다. 그 시절 소양강은 얼마나 아름다웠던지……. 푸른 강줄기
(1963~)
를 따라 함빡 피었던 개나리 무리가 지금도 눈에 선합니다.
도서 평론가. 책을 소개하
는 글을 주로 쓰고, 대학과 도 이런 이유만으로 그 시절을 낭만적으로 떠올리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진
서관 등에서 독서 및 글쓰기
관련 강연을 한다. 주요 저서 짜 이유는, 좀 엉뚱한 데 있습니다. 그때는 나라에서 학생들에게 책을 읽히자 10

로는 『책과 더불어 배우며 살


는 운동을 힘껏 벌이고 있었습니다. ‘자유 교양 문고’라 해서, 문고로 펴낸 책
아가다』, 『영화관에서 글쓰기』
등이 있다. 을 나라에서 각 학교에 공짜로 보내 주었습니다. 그냥 주기만 하면 읽지 않을

테니까 특별한 반을 꾸려 선생님이 지도해 주셨습니다. 학생들은 수업이 끝

나면 따로 모여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내고는 집으로 돌아갔지요. 다른 친구

들은 귀찮아했을 수도 있었겠지만, 저는 그 시간이 얼마나 행복했는지 모릅 15


책 읽는 시간에 행복을 느꼈던 어린 시절의 글쓴이
니다.
■함빡 분량이 차고도 남도록
그 경험을 통해 책 읽기는 저의 유년 시절에 기쁨과 격려, 흥분과 위안, 황
넉넉하게. 책 읽기에 대해 가졌던 긍정적인 느낌
■문고(文庫) 출판물의 한 형 홀과 행복이라는 느낌으로 뿌리내렸습니다. 그때 책을 읽지 않았더라면 저는
식. 대중에게 널리 보급될 수
무엇으로 위안을 얻었을까요? 전학을 간 곳이라 친구도 별로 없었고 경제적
있도록 값이 싸고 가지고 다
니기 편하게 부문별, 내용별 으로 넉넉지 않아 위축되어 있던 그때, 책 읽기야말로 저의 결핍을 충족해 주 20
등 일정한 체계를 따라 자그
마하게 만든다. 는 그 무엇이었습니다. ▶ 책 읽기를 통해 정서적·경제적 결핍을 충족했던 글쓴이의 어린 시절 독서 경험
처음 글쓴이의 어린 시절 독서 경험.

22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2 17. 12. 11. 오후 7:09


콕콕 정리
가운데 지금은 어렵게 어린 시절을 보내는 사람들이 과거보다는 적어 보입니다. 글쓴이의 어린 시절 독서 경험

유년 시절 ‘자유 교양 문고’를
그런 측면에서, 제가 책 읽기에서 느꼈던 감정을 요즘 젊은이들이 경험할 일 읽고 독후감을 쓰면서 행복을
기쁨, 격려, 위안 등의 긍정적인 감정 느낌.
은 드물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변하지 않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어떤 시대

나 예민한 청소년기에는 늘 모자람을 느낀다는 사실입니다. 아무리 세상이 책 읽기로 결핍을 충족함.
과거와 지금의 청소년의 공통점 →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지 않고 부족함을 느낌
5 청소년들을 향해 새로운 것을 쏟아 내어도 비어 있고 부족한 것이 있게 마련 책 읽기의 중요성을 깨달음.

입니다. 그래서 외로운 것이지요. 그러나 그 모자람을 채워 간다면 스스로가 글쓴이가 청소년기를 외로
운 시기라고 한 이유는 무엇
충만해집니다. 자신감도 생기고 미래에 대한 전망도 얻게 됩니다. 그렇게 되 일까?
청소년기의 모자람을 채우려면
예시 답안 청소년기는 예민
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는 책 읽기가 해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청소년들 한 시기여서 자신의 처지에 만
청소년들의 결핍을 충족하는 독서
족하지 않고, 세상이 아무리 새
은 책을 읽으며 그 안에 담긴 다양한 사람들의 삶과 가치관을 간접적으로 경 로운 것을 쏟아 내어도 비어 있
고 부족한 것이 있기에 외로운
10 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삶에서 모자라고 부족한 부분 것이다.
청소년기에 하는 독서의 가치
을 채워 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 책 읽기의 가치 ① - 청소년기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 줌

인터넷이면 다 해결된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야말로 정보의 바다에 들

어가면 원하는 모든 것을 낚아 올릴 수 있다고 말하지요. 저는 이런 주장에


인터넷으로 다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
동의하지 않습니다. 정보는 이제 그 자체로는 가치를 지니지 못합니다. 정보 정보가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니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
15 혁명 이전에는 정보를 장악한 사람이 권력을 쥐었지만, 지금은 정보가 엄청 가?
예시 답안 예전에는 정보를
나게 쏟아져 나오는 데다가 특정인이 그것을 독점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알고 있다는 것이 곧 권력이었
지만, 인터넷이 상용화된 지금
그렇다면 흩어져 있고, 넘쳐 나고, 흘러 다니는 정보를 가치 있게 만드는 은 정보가 엄청나게 많아졌으며
인터넷 시대에 정보의 범람으로 가치를 잃은 정보
누군가가 그것을 독점할 수도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수많은 정보 가운데 의미 있는 것을 골라내는 없기 때문이다.
정보를 가치 있게 만드는 것 ①
눈입니다. 그리고 무관해 보이는 정보를 엮어서 유관한 그 무엇으로 다시 만
정보를 가치 있게 만드는 것 ②
20 들어 내는 능력입니다. 더 나아가서 그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가치 있는 지식
정보를 가치 있게 만드는 것 ③
을 창조하는 능력입니다. 이런 안목과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히
책 읽기의 가치
책을 읽어 나가야 합니다. 가장 작고 낮은 단위의 정보에서 시작해, 가장 크

고 높은 단위의 지식을 다루는 것은 오직 책뿐이기 때문입니다. ▶ 책 읽기의 가치 ② ■충만(充滿)해집니다 한껏 차


‘문학 작품’의 비유적 표현 - 정보를 가치 있게 만들 안목과 능력을 길러 줌
서 가득해집니다. ‘충만’은 ‘가
문학 작품은 언어로 이루어진 상상의 집입니다. 이곳은 우리가 경험하지
문학은 인간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언어 예술 득 참’으로 순화할 수 있다.
25 못했거나 앞으로도 경험하지 못할 이야기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 간접 경험 ■장악(掌握)한 무엇을 마음대
로 할 수 있게 휘어잡은. 손안
의 세계를 통해 우리는 자신과 다른 사람을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 그리
문학 읽기의 효용 ① 에 잡아 쥔다는 뜻에서 나온
고 이러한 이해는 고통받는 이들의 아픔을 헤아릴 줄 아는 마음을 갖게 합니 말이다.
이순신 장군은 해상에서의
다. 문학 작품을 읽는 이유는 결국 다른 이들의 고통을 어루만질 줄 아는 성 권력을 장악하였다.
문학 읽기의 효용 ②

(2) 책 속에 길이 있다 2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3 17. 12. 11. 오후 7:09


문학 작품을 읽는 이유는 숙한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함이지요. 수없이 많은 문학 작품이 담긴 그릇, 그
무엇일까? ‘책’의 비유적 표현
예시 답안 문학 작품을 읽으 것이 곧 책입니다. ▶ 책 읽기의 가치 ③ - 문학 작품을 통해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함
면 간접 경험을 통해 자신과 다
른 사람을 이해하게 되고, 고통 하지만 책 읽기의 가치에는 동의하더라도 책을 많이 읽지 못하는 것이 현
받는 이들의 아픔을 헤아릴 줄
알게 되며, 결국 성숙한 시민으 실입니다. 물론 할 말은 있을 것입니다. 공부하기도 바쁜데 책 읽을 시간이
로 성장할 수 있다. 『 』: 사람들이 책을 읽지 않는 이유
어디 있는가? 텔레비전, 게임, 영화 등 볼 것 천지인 시대에 살면서 굳이 책 5

을 읽을 필요가 있는가? 책이라는 게 재미라도 있어야지 재미없고 따분한 내

용투성이인데 꼭 읽어야 하는가? 다 일리 있는 말입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한번 바꾸어 생각해 봅시다. 우리는 게임하는 방법을 학


글쓴이와 상충되는 의견을 인정하면서도 생각의 전환을 제안함
교나 학원에서 따로 배우지 않아도 스스로 알아내고 즐깁니다. 그런데 세상

구절 풀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은 책 읽기를 비롯해 따분하고 하기 싫은 것을 억지로 하라고 강요합니다. 왜 10

이유를 대조의 방식으로 말하고


있다. 텔레비전, 게임, 영화 등 그럴까요? 그것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대체로 하기 쉬운 일은 즐겁
을 ‘하기 쉬운 일’로, 책 읽기를
‘어렵고 부담스럽지만 가치 있 기는 하지만, 우리의 정신적 능력을 키워 주지는 못합니다. 반면 어렵고 부담
는 일’로 표현하였다.
스럽더라도 가치 있는 일을 해내면 우리 정신의 키는 훌쩍 자라납니다. 하기
‘정신적 능력’의 비유적 표현
■일리(一理) 어떤 면에서 그런
쉽고 즐겁기만 한 일은 시간을 흘려보내게 하지만, 어렵고 부담스럽지만 가
대로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이
치. 치 있는 일은 시간을 생산적으로 보내게 해 줍니다. 15
가운데 책 읽기의 가치.
▶ 책 읽기의 과정은 고통스러워도 결과는 가치 있음

콕콕 정리
글쓴이가 말하는 책 읽기의 가치
① 삶에서 부족하고 모자란 부분을 채워 줌.
② 넘쳐 나는 정보를 가치 있게 만들어 줌.
③ 문학 작품을 읽음으로써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음.

24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4 17. 12. 11. 오후 7:09


끝 우리의 눈에는 비늘이 덮여 있습니다. 경험이라는, 편견이라는, 이미 알고 구절 풀이 글쓴이는 우리가
편견으로 인해 세상을 있는 그
있다는 생각의 비늘 말이지요. 좋은 책은 바로 그 비늘을 벗겨 줍니다. 그야 대로 바라보지 못하고 왜곡되게
편견으로 인해 세상을 왜곡되게 바라보게 되는 것 바라보는 것을 눈에 비늘이 덮
말로 우리 시야에 새로운 지평을 활짝 열어 주지요. 그 놀라움을 무엇에 비할 여 있다고 비유적으로 표현하였
책을 읽으면 세상을 보는 시야가 넓어짐 다. 좋은 책을 읽으며 새로운 지
수가 있을까요. 정말 심 봉사가 눈을 번쩍 뜨는 것과 같을 겁니다. 과정은 비 식과 정서를 접한다면, 지식이
늘고 세상을 보는 시야가 넒어
5 록 고통스러울지라도 결과는 무척이나 값지니, 그토록 책 읽기의 중요함을 진다. 그로 인해 경험과 편견,
이미 알고 있다는 자만에서 벗
강조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 책을 읽으면 편견에서 벗어나고 세상을 보는 시야가 넓어짐 어나 새로운 지혜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책 속에 길이 있다.’라는 말을 늘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그 길은 평생 가야 글쓴이가 책 읽기의 중요
‘바람직한 삶의 방향’의 비유적 표현 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일
할 길입니다. 비록 어려울지라도 절대 후회하지 않을 길이며, 가치 있는 길입 까?
예시 답안 책을 읽으면 편견
니다. 그 길을 걷고 있을 때, 우리의 삶은 광휘로 둘러싸이게 됩니다. 그러니 에서 벗어나 새로운 지혜를 얻
을 수 있기 때문이다.
10 책과 벗하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가장 큰 복이라고 말씀드릴 수

밖에요. ▶ 평생 책과 벗하는 삶을 살아야 함


끝 책 속에 길이 있으므로 평생 책과 벗하는 삶을 살아야 함.
- 이권우, 『책 읽기부터 시작하는 글쓰기 수업』
■지평(地平) 사물의 전망이나
가능성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
깜짝 퀴즈
르는 말.
1. ‌글쓴이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책 읽기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 ■광휘(光輝) 눈부시게 훌륭함
2. ‌글쓴이는 책 읽기가 어렵고 부담스럽지만 ☐ ☐ 있는 일이며, 우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리의 정신적 능력을 키워 주는 일이라고 하였다. ➡ 가치
3. ‌글쓴이는 책을 읽어야 하는 시기를 쉽게 외로움을 느끼는 청소
년기로 한정하였다. ➡×

콕콕 정리
「책 속에 길이 있다」에서 사용된 비유적 표현
원관념 보조 관념
문학 작품 언어로 이루어진 상상의 집
수없이 많은 문학 작품이

담긴 그릇
정신적 능력 정신의 키
편견으로 인해 세상을
우리 눈의 비늘
왜곡되게 바라보는 것
바람직한 삶의 방향 길

(2) 책 속에 길이 있다 2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5 17. 12. 11. 오후 7:09


활동

이해 1 다음은 이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작성한 질문이다. 알맞은 답을 채워 가며 책


읽기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질문에 대한 답을 예시 답안
적으며 이 글의 내용을 파악해
보는 활동이다. 글에 제시되어
있는 책 읽기의 필요성을 찾아 질문 정보를 가치 있게 만들기 위해 질문 문학 작품을 읽으면 어떤 점이
쓸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좋을까요?

•의미 있는 정보를 골라내는 눈이 필요함. •간접 경험을 할 수 있음.

•무관해 보이는 정보를 엮어서 유관한 것으로 만 •자신과 다른 사람을 깊이 이해할 수 있음.
드는 능력이 필요함.

•가치 있는 지식을 창조하는 능력이 필요함. •다른 이들의 고통을 어루만질 줄 아는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음.

이런 안목과 능력을 갖추기 위해 이런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

책 읽기가 필요하다.

활동 안내 생각그물을 채우면서 자신의 진로 및 관심사를 찾아가는 활동이다. 주어진 예시를 바탕으로 자신의 진로
나 관심사를 떠올리면서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오르는 내용을 가운데에 쓰고, 그것과 관련한 대상을 하나씩 채워 가며
생각그물을 완성하게 한다. 이를 통해서 현재 자신이 꿈꾸는 진로나 관심사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목표 1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나 직업을 떠올리며 다음 생각그물을 채워 보자.

자료실 경영・금융, 보건・복지・의료, 법률・경찰・소방, 문화・예술・디자인・방송,


생각그물 미용・여행・음식 조리, 건설, 기계, 재료, 정보・통신, 농림・수산 해양 등.
중심 생각에서부터 시작하
여 이와 관련된 생각을 연상
예시 답안
하고, 연상한 내용끼리 서로
연결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 노인
는 방법이다. 생각그물을 짜 어린이
기 위해서는 주제와 관련해서
보육원
다양한 단어와 심상을 떠올려 일자리

본 다음, 이를 엮어 나가야 한 복지
다.

예 예술 음악 피아노

편의시설 사회 복지사

26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6 17. 12. 11. 오후 7:10


활동 안내 진로나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이 모둠을 이루어
2 진로나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끼리 모둠을 구성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모둠
함께 관심 있는 분야의 책을 읽
고 정보를 공유하는 활동이다.
각자가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1)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책에서 자신이 얻고 싶은 정보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책을 선정하는 과정, 책을 읽고 예시 답안
토론하는 과정을 거치며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키고 독서의 즐거 나는 사회 복지사의 도움으로 인생 나는 사회 복지학이라는 학문에 관
움을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달라진 사람의 사례가 있는지 궁 심이 있어. 사회 복지학은 무엇을 연
금해. 구하며, 왜 필요한지를 알고 싶어.

[그 외에 가능한 답]
•나는 사회 복지사가 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궁금해. 대학에선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 하는지, 어떤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지 궁금해.
•나는 사회 복지사의 사회적 위상이 궁금해. 사회적으로 받는 평가가 어떤
지,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대우를 받으며 일하는지 알고 싶어.

도움말 (2) 다음 과정에 따라 모둠에서 함께 읽을 책을 정해 보자.


함께 읽을 책을 결정할 때
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고
려해야 한다. 모둠 구성원이 모둠에서 찾은 책을 소개하고,
•모둠 구성원 모두의 관심사 함께 학교나 지역의 함께 읽고 싶은 책을 그중 어떤 책을 함께
를 다룬 책인가?
도서관에 간다. 각자 한 권씩 찾는다. 읽을지 의논한다.
•주어진 시간 내에 읽기에 적
절한 분량인가?
예시 답안 •심윤무, 『사회 복지사의 글쓰기 365일』(공동체, 2016)
•고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내
- 사회 복지사가 몸담고 있는 현장에서의 이야기를 쓴 책으로, 자기 일과 자신을 돌아보는 내용의 책이다.
용을 담고 있는가?
•박미은, 『사회 복지사를 위한 사례 관리』(양서원, 2015)
- 사회 복지사가 경험했던 다양한 사례를 담고 있는 책이다.
(3) 정한 책을 읽기 전에 다음 사항을 정리하면서 독서 계획을 세워 보자.
예시 답안

•제목: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저자: 오연호

•출판사, 발행 연도: 오마이북, 2014

•이 책을 고른 이유: 친구들마다 사회 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이 조금씩 달랐다. 우리는

토론 끝에 ‘복지’가 과연 무엇인지부터 따져 생각하는 것이 먼저라는 데 동의했다. 인터넷을 통해 ‘복지’와 관

련된 책을 조사한 결과, 북유럽 국가 덴마크의 복지 정책을 다룬

이 책을 선정하여 함께 읽기로 하였다.

(2) 책 속에 길이 있다 2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7 17. 12. 11. 오후 7:10


도움말 (4) 책을 읽은 후 각자 다음 표를 채우고, 모둠별로 이야기를 나누어 보자.
읽은 책의 내용을 돌아보며 예시 답안

빈칸을 채우고, 왜 그런 내용
을 적었는지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이야기한다. 이처럼 모 책을 읽으면서 덴마크는 유엔(UN)의 행복 지수 조사에서 당당히 1위를 차지한 나라이다. 어떤
둠 구성원과 이야기하며 생각 복지 정책 덕분에 1위를 할 수 있었는지 궁금했다.
궁금했던 점
을 나누면 혼자 책을 읽을 때
보다 책의 내용을 더 깊이 이
해할 수 있다.

행복한 사회의 비밀은 복지 제도 하나 때문만은 아니었다. 자유, 평등, 신뢰, 이웃


책을 읽고 등……. 이 모든 것을 대하는 사람들의 긍정적인 생각이 행복을 만들어 낸다는 사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실을 알게 되었다.

책을 읽은 후 복지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 읽게 된 책인데 그것보다는 오히려 삶을 대하는 나의


마음가짐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생각이 달라진 점

활동 안내 모둠 활동 이후에
각자 자신의 독서 활동에 대해
3 다음 표의 평가 내용에 따라 자신의 독서 활동을 점검해 보자.
예시 답안
평가하고 점검해 보는 활동이
다. 스스로의 독서 태도와 함께 평가 내용 평가 결과와 이유
친구들과 나누었던 이야기를 돌
아보고, 각자가 표 안에 직접 표 책의 내용이 책을 고른 이유에 적합한 것이 ☐ 그렇다. 3 아니다.

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었는가? 복지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없었다.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하여 실제로 3 그렇다.


☐ ☐ 아니다.
우리나라에 없는 다양한 복지 제도를 알게 되
도움이 되었는가? 었다.

모둠 토의를 하며 자신의 생각이 깊어지거 3 그렇다.


☐ ☐ 아니다.
삶을 대하는 나의 마음가짐이 어떠한지 돌아
나 달라진 점이 있었는가? 보게 되었다.

독서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읽기의 즐거움 3 그렇다.


☐ ☐ 아니다.

과 유익함을 느꼈는가? 재미있게 읽으며 읽기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28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8 17. 12. 11. 오후 7:10


읽기 매체 활동 안내 앞에서 했던 활동을 종합하여 모둠별로 독서 신문을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 신문이라는 매체의 특성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말고 다양한 형식을 통해 내용을 꾸밀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은 ‘기자’라는 직업에 관심이 있는 친구들이 만든 독서 신문의 일부이다. 이를


참고하여 모둠별로 진로와 관련된 독서 신문을 만들어 보자. 모둠

1학년 3반 ‘샛별’ 모둠의 진로 독서 신문

샛별 신문 ‘샛별’은 장래에 큰 발전을 이룩할 만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순우리말입니다.

우리가 읽은 책 우리의 짧은 독후감


임영주 외, 『기자가 말하는 기자』: 24명의 •기자들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쓴 책을 읽으며, ‘그냥 기자’가 아니라 ‘어
전·현직 기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회고하면서 떤 기자’가 되어야 할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기자로서의 직업의식을 말하고 있는 책이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겉으로 보이는 현상뿐 아니라 내면의 의미를 파
다. 언론 분야에 관심이 많은 우리에게 도움 악할 수 있는 통찰력을 키워야 함을 깨달았다.
이 될 것 같아서 선정하였다.

책 밖에서 찾은 지식 - 기자가 되는 방법
책 속의 한 구절
기자가 되기 위한 특별한 자격 요건이나 전공은 없다. 다만 기자는 독자
•‘기자는 분명히 사회의 어려움과 힘든 사
가 이해하기 쉽게 기사를 써야 하므로 글쓰기 능력이 필요하고, 사회 현상
람의 처지를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있어
을 정확히 이해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하므로 판단 능력이 필
야 한다.’
요하다. 이러한 능력을 갖추고 각 언론사에서 주관하는 시험을 통과하면
•‘기자는 상식이 풍부해야 한다. 다양한 분
된다.
야에 걸쳐 넓고 깊은 상식을 갖춰야 한다.
사고는 냉철하면서도 합리적이어야 한다.’
다음에 읽을 책
•‘외국어 능력뿐 아니라, 뉴스를 포착하는
박종인, 『 기자의 글쓰기 』
감각, 사건을 해석하는 균형 감각, 무엇보
짧고 쉽고 그럴듯하게 글을 쓰는 방법을 설명한 책이다. 현직 기자인 글
다도 국제적 시각에서 사물과 사건을 바라
쓴이가 실제로 쓴 기사를 예로 들고 있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보는 판단력이 필요하다.’

예시 답안 <교사용 지도서 81쪽 참고>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책 속에 길이 있다를 읽고,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책

정리하기 을 찾아 읽고 그 내용을 공유해 보았다. 앞으로도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내용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책을 찾아 읽으며, 읽기의 즐거움을 느껴 보자.

(2) 책 속에 길이 있다 2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29 17. 12. 11. 오후 7:10


1쪽 학습지

의 마무리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대단원에서 배운 어휘와 뜻풀이를 사다리 타기 게임을 하며 연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다음 어휘 사다리를 타고 내려가서 각 어휘에 맞는 풀이를 보기 에서 골라 그 기호를 써 보자.

헤아리다 추억 안목 주체적 장악 지평

㉥ ㉠ ㉣ ㉢ ㉤ ㉡

보기

ㄱ 사물을 보고 분별하는 견문과 학식. - 안목


보거나 듣거나 하여 깨달아 얻은 지식
ㄴ 짐작하여 가늠하거나 미루어 생각하다. - 헤아리다
ㄷ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이나 일. - 추억
ㄹ 사물의 전망이나 가능성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지평
ㅁ 어떤 일을 실천하는 데 자유롭고 자주적인 성질이 있는. 또는 그런 것. - 주체적
남의 보호나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자기 일을 스스로 처리하는
ㅂ 손안에 잡아 쥔다는 뜻으로, 무엇을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됨을 이르는 말. - 장악

30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30 17. 12. 11. 오후 7:10


정리하기

자화상
•「자화상」을 감상하는 다양한 관점

독자 작가 작품 현실

화자가 우 물 시인 윤동주의 침착하고 담담한 우물 속 세상을


을 보는 것은 우리 작품에서 흔히 보 어조를 사용하여 반 긍정적으로 그리며
가 혼자 거울을 보 이는 자기반성의 성과 고백의 태도를 이와 대비되는 우물
며 사색하는 것처럼 태도가 나타남. 드러냄. 밖의 암울한 시대
자기 성찰을 하는 상황을 드러냄.
모습임.

책 속에 길이 있다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한 책 읽기

능동적인 읽기 다양한 독서 활동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나 직업을 정리함. •진로나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끼리 모둠을


•자신에게 도움이 될 만한 책을 자발적으로 찾 구성하여 독서 계획을 세우고 정보를 공유함.
아 읽음. •자신의 독 서 활동을 점검함.

이 단원을 마치며
3 주체적인 관점에서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3 문학 작품을 해석한 내용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자신과 다른 의견도 존중하면서 소통할 수 있다.
3 자신의 진로와 관심사를 고려하여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자발적으로 찾아 읽을 수 있다.
3 진로나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과 책을 읽고, 책에서 알게 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3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31 17. 12. 11. 오후 7:10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직업을 나타내는 단어와, 단어에 반영된 그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는 활동이다. 가능한 한 다양
한 직업의 이름을 찾아보되, 부정적인 느낌의 단어보다 긍정적인 느낌의 단어를 주로 찾도록 하여, 특정 직업에 대해서 편
견이 생기지 않도록 지도한다.

직업의 이름, 사회적 인식


직업의 이름에는 직업의 특성과 그 직업을 대하는 사회적 인식이 녹아 있다. 다양한 직업을 나타내는
단어를 살펴보며 어떤 사회적 인식이 담겨 있는지 알아보자.

전통 사회에서 공업과 상업 등 육체노동에 종사했던 사람들의 직업에는


꾼,
‘꾼’, ‘장이’, ‘바치’와 같은 말이 붙었다. ‘나무꾼’, ‘지게꾼’, ‘장사꾼’, ‘미장이’,
장이, 채소, 과일, 화초 따위를 집에서 가꾸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원예사
‘옹기장이’, ‘갖바치’, ‘동산바치’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직업들은 근대
바치 가죽신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던 사람
화 이후 급격한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축소되거나 사라졌다.

이 말은 몸을 이용해서 일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에 붙는다. ‘석공(石


공(工),
工)’, ‘인쇄공(印刷工)’, ‘목수(木手)’, ‘가수(歌手)’, ‘무용수(舞踊手)’ 등이 이
수(手)
에 해당한다.

이 말은 각각 남성 일꾼과 여성 일꾼을 가리킨다. 따라서 ‘부(夫)’나 ‘부


부(夫), (婦)’가 붙는 직업의 이름에는 특정한 성별이 그 직업에 종사한다는 인식
지아비, 사나이 아내, 여자

부(婦) 어떤 일을 일삼아서 함
이 담겨 있다. ‘광부(鑛夫)’, ‘잠수부(潛水夫)’ 등이 이에 해당한다.

유교적 관료 체제 아래에 있던 조선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 말이다. ‘변


사 (士), 호사(辯護士)’, ‘세무사(稅務士)’, ‘변리사(辨理士)’ 등에 붙은 ‘사(士)’는 그
사 (師), 직업이 유교적 사회에서 체제 관리에 중요한 일을 수행한다는 의식을 반
사회를 하나의 유기체로 볼 때 그 조직이나 양식, 또는 그 상태를 이르는 말
감 (監) 영한 것이다. ‘의사(醫師)’, ‘교사(敎師)’, ‘약사(藥師)’처럼 유교의 가치관에
서 사회적 존경의 대상이었던 직업에는 ‘스승 사(師)’ 자를 붙이기도 한다.
그리고 조선 시대 관직에 붙던 ‘감(監)’은 ‘교육감(敎育監)’, ‘교감(校監)’, ‘치
경찰 공무원 계급의 하나
안감(治安監)’ 등의 명칭에 쓰이고 있다.

32 1. 읽기의 가치와 즐거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32 17. 12. 11. 오후 7:10


간호부(看護婦)에
간호사(看護師)까지

일제 강점기에 ‘간호부(看護婦)’라고 부르던 직업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


아내, 여자
‘간호사(看護師)’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처럼 직업은 같은데 직업의 이름
선생님
이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간호가 단순히 의사를 보조하는 일이라는 인
식이, 전문적인 지식과 사명감이 필요한 일이라는 인식으로 바뀌었기 때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하려는 마음가짐
문이다. 또한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간호하는 직업에 종사할 수 있다
는 변화된 인식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모든 직업에는 그 나름의 전문성이 있다는 사회적 공
감이 확산되면서 다른 직업의 이름도 변화하였다. ‘운전수(運
轉手)’가 ‘운전사(運轉士)’ 또는 ‘운전기사(運轉技士)’로, ‘가정
부(家政婦)’가 ‘가사도우미’로 바뀌어 쓰이는 것이 좋은 예이다.

자신의 진로나 관심사와 관련된 직업의 이름에 어떤 말이 들어가 있는지 살펴보고 왜 그러한 이름이 붙었는지 생각해
보자. 그리고 그 직업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은 어떠하며 과거와 비교했을 때 현대에 와서 달라진 점은 없는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국어와 통하다 3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33 17. 12. 11. 오후 7:10


독서 공책 1
독서 일지 쓰기 독서 공책 활동지 독서 공책 ❶ 독서 일지 쓰기
독서 공책 ❷ 모둠 대화하기
활동 안내 다양한 독서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라 책을 선정하여 한 권의 책을 읽어보는 독서 공책 ❸ 독서 토론하기
독서 활동이다. 스스로 읽기 과정을 계획·점검·조정할 수 있게 하여 자발적인 읽기의 즐거
독서 공책 ❹ 서평 쓰기
움을 느끼고 독서의 가치를 깨달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독서 공책 ❺ 나만의 책 만들기

독서 계획 세우고 책 선정하기

책 읽는 시간 정하기 책 고르기

•수업 시간 중에 10분씩을 책 읽는 시간으로 •교과서 부록의 추천 도서 목록, 학교나 다양


정하면, 차분한 마음으로 수업에 집중할 수 한 독서 전문 기관에서 선정한 도서 목록을
있다. 또한 책 읽기가 친근해지고 매일 조금 이용한다.
씩 책을 읽는 습관을 기를 수 있다.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 교시의 수업 시간을 온전히 책 읽는 시간 읽을 만한 도서를 선정하여 우리 반의 도서
으로 정하면, 몰입하여 책을 읽을 수 있고, 깊 목록을 만든다.
이 있는 독서 수업을 할 수 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부터 어려운 책까지
•수업 시간 외의 자투리 시간, 쉬는 시간, 자습 책마다 난이도를 매기면 각자 수준에 맞는 책
시간 등에서 일부분을 책을 읽는 시간으로 정 을 고르기가 쉽다.
할 수도 있다.

책 준비하기 내가 읽을 책 정하기
예시 답안
•자신이 읽을 책 직접 사기: 동네 서점, 중고
•제목 : 세상은 어떻게 뉴스가 될까
서점, 인터넷 서점 등에서 자신이 읽을 책을
•저자 : 홍성일
직접 산다. 자신이 읽을 책을 직접 고르는 경
험은 책을 보는 안목을 길러 줄 뿐만 아니라, •출판사 : 돌베개

책 읽기 활동에 큰 애착을 느끼게 한다. •발행 연도 : 2014


•지역 및 학교 도서관 이용하기: 자신이 사는
•이 책을 고른 이유 :
지역에 있는 공공 도서관을 방문하거나, 학교
나는 오래 전부터 기자를 꿈꿔 왔다. 이 책에 대한 정보를
에 있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을 수 있다.
찾아보니 기자가 일하는 현장의 생생함을 담고 있다고 하여

선택하였다.

34 독서 공책 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34 17. 12. 11. 오후 7:11


독서 일지 기록하기
예시 답안

독서 일지 제목 나의 꿈에 한 걸음 다가가게 해 준 책 읽기

책 제목 저자 읽은 날짜 읽은 쪽수
세상은 어떻게 뉴스가 될까 홍성일 3. 20.~4. 20. 1~216쪽

•인상적인 문장: 뉴스가 기대는 익숙함의 방식을 의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익숙함의 틀에서 벗어나 뉴
스를 낯설게 보아야 합니다.
인상적인 문장이나 대사, •그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문이나 방송에서 보여 주는 뉴스들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
그 이유 지만 익숙하다는 것, 무비판적이라는 것은 우리를 수동적인 인간으로 만들고 다른 가능성을 생각하지
않게끔 한다. 앞으로 뉴스를 볼 땐, 익숙한 내용일지라도 낯설게 보는 태도를 갖춰야겠다고 생각했다.

이 책에서 ‘나쁜 기자’는 개인의 기자 윤리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언론사에 속한 기자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언론사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기에 나쁜 기자가 발생하는지 궁금했
읽으면서 궁금했던 점 다. 또 언론사의 구성원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좋은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알고
싶었다.

요즘은 뉴스라는 이름으로 수도 없는 정보가 쏟아진다. 이 책은 좋은 뉴스, 나쁜 뉴스가 무차별적으로


쏟아지는 이러한 시기에 꼭 읽어볼 만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뉴스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우리에
읽고 나서 깨달은 점 게 전달되는지를 고등학생인 나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 준다. 나는 막연히 기자가 되고 싶다고만
혹은 느낀 점 생각했는데, 이 책을 통해서 기자가 지녀야 할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를 알게 됐고,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끝없는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오늘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내 꿈을 이루기 위해 더 노력
해야겠다.

읽기가 끝난 후 독서 활동 돌아보기

내가 읽은 책 정리하기 독서 일지를 기록하며 느낀 점 읽기 방법의 점검 및 조정


책의 핵심 내용, 저자의 책의 의미를 자신의 관 책을 읽는 속도는 적절
의도, 자신에게 미친 영향, 점에서 재구성하였는지, 다 했는지, 책의 내용을 제대
읽은 후 더 알아보고 싶은 른 친구들과 공유하고 싶 로 이해하며 읽었는지, 책
내용 등. 은 내용은 없었는지 등. 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읽
기 방법을 활용하며 읽었
는지 등.

독서 일지 쓰기 3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1(008~035)ok.indd 35 17. 12. 11. 오후 7:12


대단원 표지 그림
•말, 컴퓨터, 휴대 전화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서로 활발하게
소통하는 모습을 보며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화기애애한 장면을 통해 다른 사람을 존중하며 원활한 대화를
나눠야 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36 17. 12. 11. 오후 7:15


쓰기 문법

읽기
문학

듣기
통합 듣기•말하기 영역 + 읽기 영역 + 쓰기 영역
말하기

대단원 설정 이유
이 단원에서는 다양한 매체 자료를 비판적으로 읽는 방법과, 자신의

2
생각을 글이나 말로 표현할 때 지녀야 할 올바른 태도를 학습할 것이
총 14차시
다. 이 단원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와 관련된 통합적인 활동을 하
며 학생들의 올바른 의사소통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단원을 지도할 때에는 학생들이 실제 생활에서 접했던 매
체 자료와 실제로 자신들이 썼던 글, 다른 사람과 대화한 경험 등을 자
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이 단원에서 학습한 내용을 학생들이
자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매체를 읽는 눈
책임감 있게 글 쓰기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37 17. 12. 11. 오후 7:15


대단원 성취기준
[읽기 02] 매체에 드러난 필자의 관점이나 표현 방법의 적절성

의 길잡이 을 평가하며 읽는다.


[쓰기 05] 글이 독자와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책임감
있게 글을 쓰는 태도를 지닌다.
[듣기·말하기 01]  개인이나 집단에 따라 듣기와 말하기의 방법
이 다양함을 이해하고 듣기·말하기 활동을 한다.
[듣기·말하기 02]  상황과 대상에 맞게 언어 예절을 갖추어 대화
한다.
학습 목표

매체 자료를 읽으며 필자 글이 독자와 사회에 미치는 언어 예절을 갖추고, 의사


의 관점을 파악하고 표현 방 영향을 고려하여 책임감 있 소통 방법의 다양성을 존중
법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게 글을 쓴다. 하며 대화한다.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우리는 가정이나 학교, 동아리 모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사람들과 만나고 서로의 생각을 나누며 살아간다. 책, 텔레비전,
인터넷 게시판 등의 매체를 통해 의견을 주고받기도 하고, 직접
만나 얼굴을 맞대고 대화하기도 한다.
2단원에서는 다양한 매체 자료에 담긴 내용을 비판적으로 읽
는 방법과, 자신의 생각을 글이나 말로 표현할 때 지녀야 할 올
바른 태도를 알아볼 것이다.
이와 같은 활동을 하면서 우리가 말을 하고 글을 쓸 때 지녀야
할 바람직한 태도를 익히고, 의사소통을 할 때 갖추어야 할 언어
예절을 파악해 보자.

38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38 17. 12. 11. 오후 7:15


학습 과정

(1)
•매체 자료에 담긴 필자의 관점과 의도를 파악하며 비판적으로 읽기.
매체를
•매체의 특성에 따른 표현 방법을 파악하고 그 적절성 평가하기.
읽는 눈

(2)
•글이 독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자신의 글쓰기 태도 성찰하기.
책임감 있게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키며 책임감 있게 글을 쓰기.
글 쓰기

(3)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언어 예절을 갖추어 대화하기.
서로를 •개인·사회·문화적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의 방법이 다양함을 이해하고 다
존중하는
양성을 존중하며 대화하기.
대화

국어 속 심리
국어와 통
•대화할 때 상대의 눈짓이나 손짓에 나타나는 속마음 들여다보기.
하다
•상대의 몸짓을 보고 상대를 배려하며 의사소통하는 태도 지니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매체 자료를 수용할 때 그 적절성을
평가하며 비판적으로 읽는 능력을 기른다.
•자기 성찰·계발 역량: 자신의 언어생활을 성찰하고, 쓰기 윤리
를 지키며 글을 쓰는 능력을 기른다.
•의사소통 역량: 다양한 소통의 방법을 이해하고 언어 예절을 이 단원을 배우면,
갖춤으로써 사람들과 원활하게 대화하며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기른다.
매체 읽기, 글쓰기, 듣기, 말하기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언어생활과 사고 과정을 성찰하고,
언어생활을 할 때 지녀야 할
올바른 의사소통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3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39 17. 12. 11. 오후 7:15


총 5차시

(1 )
학습 목표 •매체 자료에 담긴 필자의 관점
과 의도를 파악하며 비판적으로 읽는다.
•매체의 특성에 따른 표현 방법을 파악하고 그 적절성
을 평가한다.

역량 목표 •매체가 개인적 ·사회적 의사소


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매체를 읽는 눈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작품을 통해 작가가 전하고자 한 의도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사진 작품에 담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 보면서 작품에 숨겨진 의미를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단순히 우산 사진을 찍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여러 색의 우산 사진을 모아 다시 편집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든 작가의 의도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제목: 무지개로 핀 우산

•설명: 서울역 인근에서 우산을 쓰고 지나가는 시민 754명의 모습을 사진으로 찍고,


그 사진을 모아 무지개 빛깔로 편집하였다.

예시 답안 작가는 다양한 색의 우산 사진을 편집하여 다채로운 색상을 가진 하나의 무지개로 보이게 만들었다. 평범한 우산이라
도 하나하나 모이면 무지개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 준 것이다. 이처럼 작가는 ‘아름다움’이란 단순히 한두 사람의 독특함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의 조화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말하려고 한 것 같다.

40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0 17. 12. 11. 오후 7:15


알아
두기 1 매체의 개념과 유형
매체는 정보를 담는 그릇이자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이다. 요즘은 인쇄 매체, 방송 매체, 디
매체의 정의 매체의 다양한 종류
지털 통신 매체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폭넓은 의사소통이 가능해졌다. 인쇄 매체는
인쇄물을 만들어 독자와 의사소통하는 매체이며, 이에는 신문, 잡지 등이 있다. 방송 매체는
전파를 이용하여 음성과 영상을 전달하는 매체로, 이에는 라디오와 텔레비전이 있다. 디지털
통신 매체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누리집, 블로그, 누리소통망(SNS, 소셜 네트워크 서비
스) 등이 있다. 디지털 통신 매체는 실시간으로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매
디지털 통신 매체의 특징 ①
체에서 대중은 정보의 소비자일 뿐만 아니라 생산자이기도 하다.
디지털 통신 매체의 특징 ②

2 매체 자료의 비판적 수용
요즈음 각종 매체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매체 자료에 제시된 정보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매체 자료의 문제점 ①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와, 지나치게 상업적이거나 저속한 정보가 쉽게 퍼진다는 문제가 발
매체 자료의 문제점 ②
생하고 있다. 매체 자료가 전달하는 정보를 올바르게 수용하기 위해서는 매체의 특성을 이해
하고 매체 자료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읽는 자세를 지녀야 한다. 매체 자료에 드러난
필자의 관점이나 의도가 무엇이며 어떤 점에 중점을 두어 표현하였는지 파악한 뒤, 그 적절성
매체 자료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방법
과 타당성을 평가해야 한다.

참고 자료
대중 매체의 비판적 수용의 필요성
•최근 일상생활에서 대중 매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짐.
•성인에 비해 판단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의 대중 매체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음.
•대중 매체가 생활 방식뿐 아니라 사람들의 가치관과 내면, 감정까지 통제하는 경우가 많음.
•대중 매체에서 전달하는 정보는 제작자의 손을 거치므로 중립적인 사실만 전달하는 것이 아님.

매체 자료를
?! 읽을 때 유의할 점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다양한 매체 자료를 읽으며 자료에 담긴 필자의 관점과 표현 방법의 적
절성을 평가해 보는 활동을 할 것이다. 매체 자료를 비판적으로 읽을 때 유의할 점을 생
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매체 자료에 담긴 필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매체 자료에 드러난 표현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매체 자료의 적절성은 어떤 기준으로 평가해야 할까?

(1) 매체를 읽는 눈 4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1 17. 12. 11. 오후 7:15


학습 포인트 •광고와 신문 기사의 특성   •매체 자료에 담긴 관점   •매체 자료의 표현 방법

활 1 매체 읽기의 이해
소단원 정리 PPT

‘활동 ’은 방송 매체 자료인 ‘광고’와 인쇄 매체 자료인 ‘신문 기사’의 특징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매체 자료에 담긴 관점과 매체 자료의 표현 방법을 파악하며 읽어 본다.
영상

자료실 1 영상 광고 읽기
광고의 개념과 목적
•개념: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정보를 여러 가지 매체를 통
해 널리 알리고 그것을 읽는
사람들을 설득하기 위한 활
동.
•목적: 정보 전달과 설득을
목적으로 함.
(자막) 잃어버린 [ ]에 대한 묵념 (자막) 잃어버린 [대화]에 대한 묵념

(자막) 잃어버린 [ ]에 대한 묵념 (자막) 잃어버린 [가족]에 대한 묵념

콕콕 정리
방송 매체를 읽을 때 유의할
(자막) 잃어버린 [ ]에 대한 묵념 (자막) 잃어버린 [열정]에 대한 묵념

•방송 매체 속의 모습과 현
실과의 관련성을 생각하면
서 방송 내용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야 함.
•정보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점검하고 정보의 가치를 스
스로 판단하는 힘을 길러야
함.
•지나치게 상업적이거나 편
견을 가진 내용은 없는지
점검해야 함. (자막) 잃어버린 [ ]에 대한 묵념 (자막) 잃어버린 [관심]에 대한 묵념

42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2 17. 12. 11. 오후 7:15


(자막, 내레이션) 스마트폰으로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묵념

(내레이션) 고개를 들면 소중한 사람,


소중한 순간들이 당신 곁에 있습니다.

활동 안내 영상 광고의 제작 의도와 표현 방법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영상 광고 「묵념」은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을 묵념하고 있는 모습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의 발상을 파악하게 한 후, 이 광고
를 제작한 의도와 그 의도를 구현하기 위해 어떤 표현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1
예시 답안
이 광고의 제작 의도와 표현 방법을 파악해 보자.

도움말 제작 의도 표현 방법
이 광고의 제목은 ‘묵념’이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모습을 ‘묵념’하
다. 이 광고의 제목을 참고하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고 주변 사람들과 소 고 있는 모습에 비유하여 표현함.
통하며 살아갈 것을 권하기 위함. •자막에 빈칸을 제시하여 독자의 궁금증을 유발하고
여 광고의 주된 발상을 파악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반복하여 보여 주어
하고, 그 발상을 드러내기 위 스마트폰 중독이 미치는 악영향을 깨닫게 함.
해 어떤 화면 구성과 광고 문 •광고 문구를 내레이션으로 마지막에 제시하여 제작
의도를 강조함.
구를 사용하였는지 살펴본다.

활동 안내 광고의 내용 및 표
현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하며
2
예시 답안
이 광고의 내용 및 표현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해 보자.

비판적으로 매체 자료를 읽어
보는 활동이다. 이 광고의 제작 평가 기준 평가 점수
의도를 염두에 두고, 이를 구현
하기에 적절한 표현 방법을 사 편견에 치우치지 않은 공정한 관점에서 내용을 제시하였는가?
용했는지 등을 점검하도록 지도 - 스마트폰 사용의 부정적인 면을 과장되게 표현했다는 점에서 공정하지 못한 면이 있음.
한다. 보편타당하고 믿을 만한 정보를 제시하였는가?
- 스마트폰 중독을 경계해야 한다는 보편타당한 내용을 담고 있음.

광고가 실린 매체에 맞는 적절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 ‌영상 광고의 특성에 따라 장면과 광고 ‌문구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였으나, 청각적 이미
지는 잘 활용되지 못하였음.
광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표현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 ‌묵념하는 모습과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모습의 유사점을 활용하여 주제를 효과적으
로 표현하고 있음.

(1) 매체를 읽는 눈 4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3 17. 12. 11. 오후 7:15


활 1
2 신문 기사 읽기

가 서울경제신문 2016년 9월 7일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

(단위: 퍼센트) 1인 가구의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


10.0 8.0 6.4 다른 것과 비교할 때 차지하는 중요도
13.4
28.7
18.4 했다. 1인 가구는 가구 유형 중에서도 가장
18.8
22.0
31.1
27.0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통계청이 7일 발표
31.7 『 』: 객관적인 수치 자료를 근거로 제시
21.5
29.5 21.5 한 ‘2015 인구 주택 총조사’ 결과를 보면
20.9
20.9 지난해 기준 1인 가구의 비율은 27.2퍼센
20.3 26.1
24.6
19.1 22.2 트로 집계됐다. 5년 전 조사에서 1인 가구
19.1
16.9
13.8
27.2
의 비율은 23.9퍼센트였다. 5년 동안 1인
23.9
15.5 20.0
12.7
9.0 가구는 99만 가구가 늘어나면서 처음으로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인 가구의 비율보다 높아졌다.
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연령별로는, 30대의 1인 가구 비중이
▲ 2015 인구 주택 총조사(통계청, 2016)
- 시각 자료인 도표(막대그래프) 제시 18.3퍼센트로 가장 높았다. 70세 이상의 1
인 가구 비중은 17.5퍼센트로 30대의 뒤를 이었고, 20대 17퍼센트, 50대 16.9퍼센트, 40대 16.3퍼센트 순
이었다. 1인 가구의 비중이 청년층에서뿐만 아니라 고령층에서도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의 하봉채 과장은 “경제 활동 인구가 늘어나면 1인 가구는 자연적으로 늘어난다.”라며 1인 가구의
『 』: 해당 분야의 전문가인 통계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여 1인 가구의 비중이 높아진 이유를 제시함
비중이 높아진 요인으로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증가, 대학생의 다른 지역 유학 등을 꼽았다. (후략)

활동 안내 제시된 신문 기사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활동이다. 신문 기사가 전달하고자 한 내용이 무엇인지 사실적
정보를 바탕으로 표에 정리해 보도록 지도한다.

3예시 답안
가 와 나 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자료실 가 나
신문 기사의 구성
“혼자서도 잘해요”…… 1인 가구 비중 역대 “혼자 살아요.” 10가구 중 2~3곳…… 2인
표제
기사의 제목으로, 최고 가구 추월
표제 내용을 압축하여 표
현함. ‘2015 인구 주택 총조사’의 도표(막대그래
시각 자료 없음.
프) 자료를 제시함.
기사의 핵심 내용
전문 을 쓴 짧은 문장으
•통계청이 발표한‘2015 인구 주택 총조 •통계청이 발표한‘2015 인구 주택 총조
로, 생략되기도 함.
사’결과. 사’결과.
전문의 내용을 자 인용 자료
본문 •통계청 관계자의 의견을 인용함. •사회학과 교수의 의견을 인용함.
세히 서술함.

44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4 17. 12. 11. 오후 7:15


나 국민일보 2016년 9월 8일

뒤에서 따라잡아서 앞의 것보다 먼저 나아감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 인구 주택 총조사’에 차원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1인 가구


『 』: 객관적인 수치 자료를 근거로 제시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가구 유형 중에 의 증가 원인을 혼자 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구가
『 』: 관련 기관인 통계청의 분석 결과 제시
서 1인 가구 형태가 가장 많았다. 1인 가구는 520만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여성의 경제
가구로 전체 가구의 27.2퍼센트를 차지했다. 1990 활동 참가율이 높아지면서 1인 가구를 형성할 수 있
년만 해도 9.0퍼센트에 불과했던 1인 가구가 빠르 게 됐다는 설명이다.
게 증가했다. 그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 다른 한편에서는 혼자 살아야만 하는 사람이 많아
통계청과 다른 견해도 제시
구 형태는 2인 가구로 26.1퍼센트였다. 가구의 절반 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평균 수명은 늘어나는데 자
이상이 혼자 혹은 둘이 사는 형태다. 식이 부모를 부양하는 문화가 사라지다 보니 혼자
2005년만 해도 4인 가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사는 노인이 늘었다는 것이다. (중략)
2010년 조사 때는 2인 가구가 24.6퍼센트로 가장 아주 대학교 사회학과의 노명우 교수는 “현재 한
많았는데, 이번에는 1인 가구가 가장 보편적인 가구 국의 1인 가구 확산은 미혼 요인보다는 고령화 요인
유형이 된 셈이다. 이 더 크다.”라면서 “젊은 연령층만 봤을 때 1인 가
1인 가구의 확산은 혼자 밥 먹고, 혼자 영화 보는 구는 선호도에 따른 선택일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나 홀로 문화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삶 자체를 홀 봤을 때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노인 1인 가구와 여성
로 영위해야 하는 독거는 유행처럼 선택할 수 있는 1인 가구 증가가 분명해진다.”라고 말했다. (후략)
혼자 삶. 또는 홀로 지냄 『 』: ‌해당 분야의 전문가인 교수의 말을 인용하여
1인 가구의 확산 요인을 설명함

활동 안내 동일한 정보를 다루고 있는 신문 기사라도 관점에 따라 내용과 표현 방법이 다를 수 있음을 파악하는 활


동이다. 신문 기사의 표제, 기사의 논평, 인용한 전문가의 의견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도록 지도한다.

4
예시 답안
3을 바탕으로 가 와 나 에 드러난 필자의 관점을 파악하고, 차이점을 말해 보자.

도움말 필자의 관점 차이점


가와 나의 기사에서 공통
‘혼자서도 잘해요’라는 표제를 통해 1인 가구의 증가
적으로 다루고 있는 정보를
에 긍정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파악하고, 이 정보를 분석한 가 또한 통계청 관계자의 말을 통해 1인 가구의 증가가
두 기사의 내용과 표현 방법 사회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하는
이 어떻게 다른지 탐구해 본 것을 알 수 있다. 가 는 1인 가구 증가를 자연스러운 현상으

다. 로 바라보고 있지만, 나 는 1인 가구 증가의


4~5문단에서 통계청에서 분석한 1인 가구의 증가
원인을 반박하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1인 부정적인 측면에 주목하고 있다.
가구 확산은 통계청이 분석하는 것처럼 혼자 살 수 있
는 인구가 늘어나서가 아니라 혼자 살아야만 하는 사
나 람이 많아져서라는 것이다. 1인 가구의 증가는 미혼
요인보다는 고령화 요인이 더 크고 부모 부양 문화가
사라진 점을 말하고 있으므로, 1인 가구 증가의 부정
적인 측면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콕콕 정리
인쇄 매체를 읽을 때 유의할 점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하여 이면의 내용까지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함.
•자신의 생각과 글의 내용을 비교하며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함.
(1) 매체를 읽는 눈 4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5 17. 12. 11. 오후 7:15


학습 포인트 •광고, 인터넷 기사,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관점과 매체별 표현 방법의 적절성

활 2 매체 읽기의 실제
‘활동 ’는 우리 생활 주변의 매체 자료를 선택하여 관점과 표현 방법의 적절성을 평
가해 보는 활동이다.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매체 자료를 비판적으로 평가해 본다.

1 광고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활동을 해 보자.

도움말 (1) 다음 인쇄 광고의 제작 의도와 표현 방법을 파악하고, 그 적절성을 평가해 보자.


광고를 읽을 때에는 광고의
발상, 이미지의 구성 방식, 광
고 문구 등을 분석하여 제작
자의 관점이나 의도를 파악해
야 한다.
활동 안내 제시된 인쇄 광고
의 제작 의도와 표현 방법의 적
절성을 평가하고, 주변에서 보
았던 광고 중 하나를 골라 비판
적으로 평가해 보는 활동이다.
광고의 종류에 따라 표현 방법
이 달라짐을 고려하여 광고의
내용과 표현 방법을 평가해 보
도록 지도한다.

아름다운 선율도 아래층 이웃에게는 때론 큰 고통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층을 이해하고 배려하면 층간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분쟁과 갈
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예시 답안
매체에 따른 광고의 종류 제작 의도 표현 방법
문자와 그림, 사
인쇄 진 등을 사용하여 잘 알려진 명화를 위아래층의 주민을 연상시키듯 배
광고 수용자의 시각에 이웃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지니면 층간 소음
치하여 나에게는 음악처럼 들리는 소리일지라도 남에게
호소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주제를 표현하려 함.
는 듣기에 고통스러운 소음이라는 점을 잘 표현함.
음성과 음향을
라디오
사용하여 수용자의
광고
청각에 호소함.
영상을 중심으로
텔레비전 적절성 평가
문자와 음성을 동           인쇄 매체는 그 특성상 시각적 정보가 제일 중요하다. 이 광고는 널리 알려진 명화를 아파트
광고,
시에 사용하여 수 의 위층과 아래층처럼 보이도록 배치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였고, 이로 인해 독자들이 직관
인터넷
용자의 시청각 모
광고 적으로 광고의 의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인쇄 매체의 특성을 잘 살린 광고이다.
두에 호소함.

46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6 17. 12. 11. 오후 7:16


자료실 (2) 자신이 인상 깊게 본 광고 중에서 하나를 골라 광고의 의도와 표현 방법을 비판적으로
광고의 종류에 따른 표현 방 평가해 보자.
법의 차이 예시 답안 <광고는 교사용 지도서 102쪽 참고>
광고는 매체에 따라 크게 3 인쇄 광고 라디오 광고 텔레비전 광고
인쇄 광고와 방송 광고로 나 광고의 종류
인터넷 광고
뉜다. 인쇄 광고는 문자를 중
심으로 주로 시각적인 정보를
독자들이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하도록
전달하지만, 방송 광고는 그 광고의 의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림, 문자, 소리 등 복합적인
정보를 전달하며 시각뿐 아니
광고에 사용된 •표현 방법의 측면: 부정법의 사용, 가정법의 사용.
라 청각적 요소도 활용한다. •매체 특성(인쇄 광고)의 측면: 이미지의 절제, ‘보는’ 광고가 아닌 ‘읽는’ 광고로 발상을 전
참고 자료 표현 방법 환.
비도덕적인 설득 전략을 사용한
광고
사실이 아닌 것 일반적인 인쇄 광고의 특성을 뒤집어 독자들에게 ‘역발상’의 충격을 주었다는 점에서 매
허위
을 사실인 것처럼 우 인상적인 광고이다. 광고를 끝까지 제대로 읽은 독자에게는 한 편의 글을 읽은 것처럼
광고 광고 내용 및
표현하는 광고. 묵직한 충격을 주는, 호소력 높은 광고라고 할 수 있다.
사실을 지나치게
표현 방법의 다만 광고 문구가 지나치게 길어서 읽기조차 시도하지 않는 독자들에게는 아무런 의미
과장
부풀려 표현하는 적절성 평가 가 없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부정법을 사용하여 독자들이 죄책감이나 반발심 같
광고
광고. 은 부정적 감정을 느낄 가능성도 있다는 점은 아쉽다.
경쟁 업체의 상
비방
품을 폄하하는 광
광고
고.
선정적 지나치게 선정적
·폭력적 이거나 폭력적인
광고 광고.
언어
비속어나 은어를 활동 안내 인터넷 매체 자료를 읽을 때 유의해야 할 점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실제로 인터넷에서 접했던 매체 자료를
파괴
사용하는 광고. 떠올리며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도록 지도한다.
광고

2 다음 인터넷 기사의 문제점을 지적해 보고, 이와 비슷한 기사를 접했던 경험을 친


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도움말
인터넷에는 수많은 기사가
공존하기 때문에, 인터넷 기사
를 작성할 때에는 조회 수를 외식업의 기본은 ‘청결’, 손님이 안 보더라도 원칙 지켜야
늘리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
용한다. 인터넷의 특성이 기사
의 내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
성공한 외식 사업가인 ◯ ◯ ◯ 씨의 이야기가 소개돼 주목받고
지 생각해 본다. 있다. 그가 최근 문을 연 음식점 세 곳이 모두 맛집으로 유명세를
콕콕 정리 타면서 전국에서 손님들이 몰려들고 있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디지털 통신 매체를 읽을 때
유의할 점
◯ ◯ ◯ 씨에게 성공 비결을 물었다. 그는 특별한 성공 비결이 있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분 는 것이 아니라 음식을 만들 때의 기본 원칙인 ‘청결’을 365일 철
별하고, 정보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어야 저하게 실행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후략)
함.
•정보를 자극적으로 왜곡하 예시 답안 •문제점: 기사의 제목만 본 사람들은 음식점 주방의 문제점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겠지만, 실제
거나 과장하지 않았는지 점 기사의 내용은 청결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외식 사업가의 인터뷰이다. 이와 같이 인터넷 기사는 조회 수를
검해야 함. 늘리기 위해 자극적인 표현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는 데만 집중하는 경우도 있다.
•비슷한 기사를 접했던 경험: 남자 연예인 A와 여자 연예인 B가 결혼한다는 제목의 인터넷 기사를 읽어 보니,
실제로 결혼하는 것이 아니라 그 두 사람이 출연하는 영화의 내용을 기사화한 것이었다. 제목만 본 사람이라
(1) 매체를 읽는 눈 47
면 이 두 연예인이 실제로 결혼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7 17. 12. 11. 오후 7:16


활 2
활동 안내 텔레비전 프로그
램에 대한 비평문을 읽고, 자신
3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활동을 해 보자.

이 시청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1) 다음은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고 작성한 비평문이다. 이 글의 글쓴이가 비판하고 있
중 한 편을 선정하여 비평문을
써 보는 활동이다. 비평문이라 는 문제를 파악하고, 그 문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자.
는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
로운 형식으로 텔레비전 프로그
램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쓰도 누군가의 희생으로 얻은 웃음
록 지도한다.
초등학교 시절 나에게는 부끄러운 기억이 하나 있다. 같은 반 친구 중에 목소리
가 특이한 아이가 있었는데 그 아이의 흉내를 내며 놀렸던 것이다. 그때는 단순히
참고 자료 타인의 특징을 희화화해서 놀림
매체를 분석하고 평가할 때 고 내가 그 친구를 흉내 낼 때 다른 친구들이 재미있어 하는 것이 좋았는데 지금 생
려해야 할 점
각해 보니 그 아이에게는 큰 상처가 되었을 것 같다.
정보나 자료의 출
신뢰성 처가 분명하고 믿을 그런데 며칠 전 텔레비전을 보다가 다시 그 시절의 부끄러운 기억이 떠올랐다.
만한 것인지 판단함.
희극 프로그램 중 옆집에 사는 두 남녀의 상황을 그린 이야기를 보고 있었는데,
주장과 근거가 이 실없이 익살을 부려 관객을 웃기는 장면이 많은 연극
타당성 치에 맞고 합리적인 그 이야기에 등장하는 남자 희극인이 바로 초등학생 시절의 나와 비슷한 행동을
지 판단함.
주장이 공평하고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에서 여자 희극인의 뚱뚱한 외모는 희화화된다.
어떤 인물의 외모나 성격, 또는 사건이 우스꽝스럽게 묘사되거나 풍자됨. 또는 그렇게 만듦
공정성 정의로운지를 판단 옆집 여자가 자동계단을 밟는 순간 계단이 평평해져 자동길이 되거나, 남자가 옆
함.
집 여자의 겉옷을 보며 천막인 줄 알았다고 말하는 식이다. 여자 희극인의 외모를
비하하여 웃음을 유발하고 있는 것이다.
업신여겨 낮추어
이처럼 다른 사람의 희생으로 얻은 웃음이 진정한 웃음일까? 누군가의 비극으
문제 의식 제기
로 만들어진 희극은 진정한 희극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특히 여러 계층이 시청하
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사람의 외모를 희화화하는 것은 웃고 넘길 수 없는 일
이다. 방송에서 이와 같은 부적절한 내용을 다루지 않도록, 프로그램의 제작자뿐
사람의 외모를 희화화하는 내용
아니라 시청자도 문제의식을 지니고 방송 내용을 살펴야 한다. 온 가족이 함께 보
는 희극 프로그램이 건강한 웃음을 만들 수 있게 우리 모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자동계단(自動階段) 사람이나 화물이 자동적으로 위아래 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계단 모


양의 장치. ‘에스컬레이터’의 순화어이다.
■자동(自動)길 사람이나 화물이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만든 경사진 길 모양의 장치. ‘무빙워크’의 순
화어이다.

글쓴이가 비판하고 있는 문제 자신의 생각

예시 답안 온 가족이 함께 보는 희극 프로그램에서 예시 답안 여러 연령대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희


외모를 희화화하여 웃음을 유발한다는 점을 문제로 지 극 프로그램에서 외모에 대한 편견을 불러일으키는 내
적하고 있음. 용을 담고 있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48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8 17. 12. 11. 오후 7:16


(2) 자신이 시청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서 한 편을 선정하여 비평문을 작성해 보자.
예시 답안

프로그램의 드라마 다큐멘터리


종류 3 오락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KBS, 309회)


이름 - 낚시 금지령을 당해 괴로워하는 초등학교 6학년 낚시 장인

방송 일시 2017년 1월 23일

◯◯◯ 군은 여섯 살 때 아버지를 따라 낚시를 시작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50센티미터 크


프로그램의 기의 메기를 잡은 이후 혼자 낚시에 나설 정도로 낚시의 매력에 빠졌다. 하지만 어머니는 공
주요 내용 부는 나 몰라라 하고 매일 낚시에만 빠져 있는 아들이 걱정스럽고, 낚시를 그만두기를 바라는
상태이다.

제목: 고민을 해결해 드립니다

이 프로그램은 고민이 있는 시청자가 방송에 나와 직접 자신의 고민을 털어 놓고, 진행자,


출연자, 방청객 모두가 함께 그 고민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이야기를 나누는 내용이다.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가 아니라 방청객과 출연자 등이 고민을 가진 시청자와 같은 눈높이에서
조언을 해 준다는 점에서 고민의 내용에 더 깊이 공감할 수 있다. 또한 고민을 가진 시청자가
다른 사람의 조언을 참고하여 자신의 문제를 다시 바라보고 해결책을 찾아보게 한다는 점에
비평문 서 의미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이번에 시청한 ‘낚시 장인’ 편은 공부를 하지 않고 낚시만 하는 아들과, 공부하기를 바
라는 어머니 사이의 갈등이 주된 내용이었다. 공부를 해야 한다는 어머니의 고민을 충분히
전달하면서도 낚시를 삶의 목표로 삼은 아들의 진지한 모습도 함께 다루어서, 자칫 흥밋거리
로 전락하기 쉬운 소재였음에도 깊은 감동을 선사하였다.
이처럼 이 프로그램은 다른 사람의 고민을 통해 가족 간, 친구 간, 직장 동료 간에 갈등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고민을 되돌아보고 해결책을 생각해 보도록 하는 의미 있는 역
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재미와 삶의 지혜를 모두 얻을 수 있는 유익한 프로그램이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매체 자료에 담긴 필자의 관점 및 매체 자료의 표현 방법을 파악하고, 그

정리하기 적절성을 평가해 보았다. 다양한 매체 자료를 읽을 때에는 각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고, 겉
으로 드러나는 표현뿐만 아니라 그 속에 담긴 필자의 관점과 의도까지 파악해 보자.

(1) 매체를 읽는 눈 4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49 17. 12. 11. 오후 7:16


총 3차시

(2)
학습 목표 •글이 독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
향을 고려하여 자신의 글쓰기 태도를 성찰한다.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키며 책임감
있게 글을 쓴다.

역량 목표 •자신의 언어생활과 사고 과정을


반성하고 개선하는 활동에 참여한다.

책임감 있게 글 쓰기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뉴스를 보고,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대학 입학시험에 제출된 자기소개서의 표절 문제를 살펴보며 올바른 글쓰기 태도를 지녀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이므로 이렇게 자기소개서를 표절해서 제출한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게 한 후, 이에 따라 어떤 문
제가 발생할지 이야기해 보도록 지도한다.

올해 대학 입시 과정에서 학생들이 제출한


자기소개서 중 1,400건 이상이 표절로 의심됩니다.
다음은 올해 대학 입시에 제출된 서로 다른 학생의
자기소개서입니다. 두 자기소개서에 동일하게 쓰인
‘문화재 지킴이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은 것 중 값진 것은
나눔의 정신’이라는 문구는 1년 전 같은 학교 다른
학생이 제출했던 자기소개서의 문구와 똑같습니다.

예시 답안 대학 입시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고 이미 좋은 평가를 받은 자기소개서의 내용을 표절한다.


이 경우 대학에서는 자기소개서를 제출한 학생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한 채 학생을 선발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자기 소개서를 표
절하지 않은 다른 학생이 입학을 못할 수도 있으므로 문제가 된다.

50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0 17. 12. 11. 오후 7:16


알아
두기 1 글쓰기가 독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개인이나 집단은 사회 안에서 서로 생각이나 의견을 주고받고, 이러한 상호 작용을 통해 사
개인이나 집단이 서로 생각이나 의견을 주고받는 것
회는 발전한다. 글쓰기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이 생각과 의견을 주고받는 중요한 통로이
다. 하나의 글에 담긴 내용은 그 글을 읽는 독자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써야 하는 이유
므로 글을 쓸 때에는 자신이 쓴 글이 사회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써야 한다.

2 매체와 글쓰기
기존의 신문, 잡지, 라디오, 텔레비전 등의 매체는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성격이 강
기존의 매체 기존의 매체가 가진 특징 ①
했기에 이러한 매체를 이용한 글쓰기는 특정 전문가만 하는 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기존의 매체가 가진 특징 ②
사용이 확산되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매체가 발달하면서 정보의 전달 및 교환이 쌍
새로운 매체 새로운 매체가 가진 특징 ①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제 누구나 쉽게 매체를 통한 글쓰기를 하며 다른 사람들과 소통
새로운 매체가 가진 특징 ②
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인터넷 매체를 통한 글쓰기에는 누리소통망(SNS)에 글쓰기, 인
인터넷 매체를 통한 글쓰기의 종류
터넷 뉴스 기사에 댓글 쓰기, 인터넷 블로그 게시판에 글 올리기 등이 있다.

참고 자료
매체의 발달 과정
활자 매체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 예 책, 잡지, 신문 등

음성 매체 청각을 이용한 매체. 예 라디오, 음반 등

영상 매체 시각과 청각을 모두 이용하는 매체. 예 텔레비전, 영화, 컴퓨터 등

책임감 있게
글을 써야 하는
?! 이유는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자신의 글쓰기
태도를 되돌아보는 활동을 할 것이다. 책임감 있게 글을 써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
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내가 쓴 글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쓸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다른 사람의 글이나 연구 자료를 인용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2) 책임감 있게 글 쓰기 5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1 17. 12. 11. 오후 7:16


학습 포인트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   •글이 독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이 글은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다루고 있는 설명문이다. 글이 독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고, 글을 쓸 때 지녀야 할 올바른 태도는 무엇일지 생각하며 글을 읽어 보자.

제목 풀이 ‘책임감 있게 글 쓰기’라는 제목에는 글을 쓸 때 지녀야 할 올바른 태도가 압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 글은 우리가 쓴 글이 사회 전체와 그 구성원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알려 주고, 나
아가 책임감 있게 글을 쓰기 위해서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재 구조도

글쓰기 윤리의 개념
책임감 있게 글 쓰기
소단원 정리 PPT
처음
과 분류.
개인적·사회적 차원 제재 개관
의 쓰기 윤리의 개념 갈래 설명문
가운데
과 이를 지키지 않았
성격 설명적, 설득적, 예시적
을 때의 문제점.
제재 쓰기 윤리
쓰기 윤리를 지키며 주제 쓰기 윤리를 지키며 책임감 있게 글을 써야 함.
끝 책임감 있는 태도로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는 내용의 이해를 도움.
글을 써야 하는 이유. 특징
•잘못된 글쓰기 태도로 발생한 문제점을 제시하며 올바른 글쓰기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함.

윤서는 고등학교에 입학하고 나서 중학교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이 할 일이


많다는 것을 느꼈다. 그러다 보니 수행 평가 과제인 진로 탐구 보고서를 기한 5

내에 제출할 수 없었다. 윤서는 고민하다가 정보를 찾기 위해 인터넷 검색창


에 ‘진로 탐구 보고서’를 입력해 보았다. 윤서가 자판을 누르자마자 컴퓨터
화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윤서는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이렇게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사실에 놀라며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
는 말을 실감하였다. 윤서는 이렇게 자료가 많으니 어느 하나를 베껴서 내도 10

‘윤서’는 수행 평가 과제를 알아볼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검색한 자료 중 하나를 그대로 복사


어떻게 해결하였는가? 글쓰기 윤리를 위반함
해서 제출하였다.
예시 답안 인터넷에서 검색
한 자료 중 하나를 그대로 복사
하여 제출하였다.

처음 윤서가 이와 같은 행동을 한 이유는 글쓰기 윤리 의식이 부족했기 때문일


인터넷에서 검색한 자료를 그대로 복사해서 제출한 행동
것이다. 글쓰기 윤리란 글을 쓸 때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하는 도리로, 글
글쓰기 윤리의 개념
을 쓰는 개인이나 공동체가 글을 쓰는 과정에서 지켜야 하는 규범을 의미한 15

다. 글쓰기 윤리는 크게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와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


글쓰기 윤리의 분류
로 나뉜다. ▶ 글쓰기 윤리의 개념과 분류
처음 글쓰기 윤리의 개념과 분류.
가운데 먼저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란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거짓으로 꾸며 쓰거나 과장하지 않고 진실하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의 개념
게 글을 써야 하는 도리를 말한다. 사람들이 글을 쓸 때, 자신의 경험이나 생 20

52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2 17. 12. 11. 오후 7:16


각을 꾸미거나 과장하여 더 큰 감동을 이끌어 내고 싶은 유혹을 받는 경우가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게 되는 이유
있다. 그래서 자신이 경험한 적이 없는 일을 거짓으로 꾸며 쓰기도 하는데,

이처럼 다른 사람에게서 듣거나 자신이 상상한 이야기를 마치 직접 겪은 일

처럼 표현하는 것은 비윤리적인 행위이다. ▶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의 개념

5 진실하지 못한 글은 단순히 글쓴이의 신뢰 문제를 넘어서서, 허위 사실을 진실하지 못한 글이 사회


진실하지 못한 글의 문제점 ① 진실하지 못한 글의 문제점 ② 적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
유포하여 다른 사람에게 큰 고통을 준다는 점에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인가?
예시 답안 허위 사실을 유포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퍼진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나 추측성 기사, 이에 달 하여 다른 사람에게 큰 고통을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위반한 예 ①
주기 때문이다.
리는 악성 댓글 등으로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터넷

상의 잘못된 글 때문에 정신적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어 콕콕 정리


『 』: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켜야 하는 이유
쓰기 윤리를 지켜야 하는 이
10 쩌면 그 피해자가 우리 자신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인터넷에서 글을 쓸 때 유
진실하지 못한 글
에는 더욱더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키려는 책임감 있는 태도가 필요
•글쓴이는 독자에게 신뢰
하다. 이 외에도 연구 성과를 인정받기 위해서 실험 결과를 조작하거나 왜곡 를 잃게 됨.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위반한 예 ② •타인에게 큰 고통을 줌.

하여 논문이나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


저작권을 침해하는 글
리를 위반한 행위이다. ▶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았을 때의 문제점 •개인의 창작 의욕을 떨
어뜨림.
15 다음으로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회적 차원의 •저작자가 창작이나 연구
활동에 전념하는 것을
쓰기 윤리란 다른 사람이 창작한 글이나 연구 자료를 허락 없이 베껴 쓰지 않 방해함.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의 개념
으며, 저자의 허락을 받아 자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출처를 밝히는 도리를 말

한다. 사회적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는 행위는 개인의 창작 의욕을 떨어뜨리 사회적 쓰기 윤리를 위반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위반하는 행위의 문제점 하는 행위의 문제점은 무엇인
고, 저작자가 창작이나 연구 활동에 전념하는 것을 방해한다. 가?
▶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의 개념
예시 답안 개인의 창작 의욕
20 글쓰기는 매우 고통스러운 작업이다. 미국의 유명한 소설가인 어니스트 헤 을 떨어뜨리고, 저작자가 창작
『 』: 창작의 고통을 보여 주는 사례
이나 연구 활동에 전념하는 것
밍웨이는 명작인 무기여 잘 있거라 의 결말을 마흔일곱 가지나 써 보고 나서 을 방해한다.

야 결말을 결정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영국의 작가인 버지니아 울프는

첫 소설 「출항」을 완성하는 데 7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이러한 창작 ■유포(流布)하여 세상에 널리


퍼뜨려.
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 바로 표절이다. 표절은 작가의
『 』: 표절을 하면 안 되는 이유 ■왜곡(歪曲)하여 사실과 다르
25 고통스러운 작업으로 탄생한 영혼이 깃든 작품을 순식간에 나의 창작물로 둔 게 해석하거나 그릇되게 하여.
역사를 왜곡하지 말고 사
갑시키는 행위이다. 이 얼마나 달콤한 일인가. 하지만 이렇게 저작권을 침해 실대로 기록해야 한다.

하는 표절 행위는 마치 훔친 물건을 처음부터 자기 것인 양 사용하는 것과 무 ■표절(剽竊) 시나 글, 노래 따


위를 지을 때에 남의 작품의
엇이 다른가? 일부를 몰래 따다 씀.

(2) 책임감 있게 글 쓰기 5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3 17. 12. 11. 오후 7:16


실제로 사회적으로 꽤 알려진 사람이 다른 사람의 논문을 표절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학위를 취득했다가 망신을 당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는

표절에 대한 우리 사회의 사회적 윤리 의식이 그만큼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았을 때의 문제점


가운데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의 개념과 이를 지키지 않았을 때의 문제점.
끝 글쓰기는 사회 구성원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상호 작 5
글쓰기를 사회적 상호 작용이라고 하는 이유
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가 지켜지지 않

는다면 우리 사회의 건강한 의사소통은 기대할 수 없다. 나아가 사회에서 유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을 때의 문제점 ①
통되는 글과 자료가 진실성, 정직성, 합리성 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우리 사

회의 신뢰는 무너질 수밖에 없다. 그뿐 아니라 공동체의 의사 결정이나 정책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을 때의 문제점 ②
판단 또한 제대로 실행되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심각한 사회적 손실이다. 10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을 때의 문제점 ③
우리는 이제 글쓰기 윤리가 무엇인지, 그것을 지키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지 알게 되었다. 쓰기 윤리라는 말이 어렵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쓰기 윤리를


글쓴이가 강조하는 올바른 지키며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쓴다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자신
글쓰기 태도는 무엇인가?
예시 답안 쓰기 윤리를 지키 의 생각을 진실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하는 태도로 글을 쓰
쓰기 윤리를 지키는 방법
며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쓰
는 것이다. 즉 글을 쓸 때 자신 면 되는 것이다. 특히 인터넷처럼 강한 파급력을 지닌 매체에 글을 쓸 때에는 15
어떤 일의 여파나 영향이 차차 다른 데로 미치는 힘
의 생각을 진실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권리를 존중하는 글이 독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항상 생각하며 신중한 태도로 글을 써야
태도를 말한다.
한다. 나와 남을 모두 배려하는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쓴다면, 올바른 글
쓰기 윤리를 지켰을 때의 결과 ①
쓰기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건강한 의사소통 문
콕콕 정리 쓰기 윤리를 지켰을 때의 결과 ②

올바른 글쓰기 태도를 지키 화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 쓰기 윤리를 지키며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써야 함


며 글을 쓸 때의 결과 끝 쓰기 윤리를 지키며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써야 하는 이유.

올바른 글쓰기 태도
깜짝 퀴즈
•자신의 생각을 진실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1. 글쓰기
‌ 윤리란 글을 쓰는 과정에서 지켜야 하는 규범
권리를 존중함. 을 의미한다. ➡◯
•독 자와 사회에 미치는 2.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퍼지
영향을 생각하며 신중히 는 것은 ☐ ☐ ☐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키지 않은 것
글을 씀. 이다. ➡ 개인적
3. ‌글이 독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며, ☐ ☐ ☐
결과
있는 태도로 글을 써야 한다. ➡ 책임감
•올 바른 글쓰기 문화를
정착시킴.
•건강한 의사소통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음.

■정책(政策) 정치적 목적을 실


현하기 위한 방법과 꾀.

54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4 17. 12. 11. 오후 7:16


활동

이해 1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개념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활동 안내 이 글의 주요 개념 글쓰기 윤리
을 정리하며 중심 내용을 파악
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주요 개 •글을 쓸 때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하는 도리.
념을 정리하며 이 글에서 말하
려는 내용이 무엇인지 확인하도 •글을 쓰는 개인이나 공동체가 글을 쓰는 과정에서 지켜야 하는 규범.
록 지도한다.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


다른 사람이 창작한 글이나 연구 자료를 허락 없이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거짓으로 꾸며 쓰거나 과장
베껴 쓰지 않으며, 자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저자의 허락
하지 않고 진실하게 글을 써야 하는 도리.
을 받고 출처를 밝히는 도리.

목표 1 쓰기 윤리를 기준으로 다음 사례를 평가해 보고, 각 사례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


을 알아보자.
활동 안내 글쓰기가 이 글을
읽는 독자뿐만 아니라 사회 전
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상
호 작용임을 깨닫게 하는 활동 가 대학교수인 ◯◯◯은 어떤 기업의 상품에 포함된 물질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이다. 쓰기 윤리에 대해 이해한
사실을 알고도, 기업의 이윤을 위해 실험 결과를 조작하여 보고서를 썼다.
내용을 참고하여 각 사례가 쓰
기 윤리를 잘 지키고 있는지 평 나 유명 작가인 은 외국의 유명 작가가 쓴 소설의 일부 문장을 그대로 베
가하도록 지도한다.
껴 써 소설을 완성한 뒤, 그 소설을 자신의 창작물로 발표하였다.
다 고등학생인 은 학교 누리집의 상담 게시판에 올라 온 친구들의 글에 자
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조언을 담아 댓글을 썼다.

예시 답안

평가 영향

실험 결과를 조작하여 보고서를 작성했기 때 유해 물질이 포함된 상품을 사용한 사람들의



문에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위반함.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출처를 밝히지 않고 외국 작가의 소설 일부를


개인의 창작 의욕을 떨어뜨리고, 독자들에게
나 그대로 표절했기 때문에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
큰 실망감을 느끼게 함.
리에 어긋남.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진실하게 댓글을 썼기


고민하고 있는 친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
다 때문에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잘 지키고 있
움이 됨.
음.

(2) 책임감 있게 글 쓰기 5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5 17. 12. 11. 오후 7:16


활동 안내 자신의 글쓰기 태도를 성찰해 보는 활동이다. 학생들에게 자신이 썼던 글 중 하나를 가져오게 한 후, 점검
표를 참고하여 글을 점검해 보도록 지도한다.

2 다음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글쓰기 태도를 점검해 보자.

도움말 (1) 자신이 썼던 글 중 하나를 가져와 다음 점검표에 따라 점검해 보자.


그동안 자신이 쓴, 각종 보
고서, 일기나 기행문과 같은 글의 유형 점검 내용
수필, 소설, 인터넷 게시판에
쓴 글 등에서 하나를 선택하 •거짓이나 허위 사실을 포함하지 않았는가?
여 점검해 본다. 모든 글 •다른 사람의 글을 짜깁기하지 않았는가?
•참고하거나 인용한 자료의 출처를 명확히 제시하였는가?

•자료를 올바르게 해석하여 활용하였는가?


보고서
•실험, 관찰, 조사의 과정과 결과를 사실대로 기록하였는가?

참고 자료 수필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였는가?


언어 표현 윤리
자신의 생각이나 인터넷 •다른 사람을 비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상처가 되는 표현을 사
진솔한
감정을 솔직하게 게시 글 용하지 않았는가?
표현
그려내야 함.
사실을 왜곡 ·과 예시 답안 <교사용 지도서 113쪽 참고>
정확한 장하지 않고 사실
표현 그대로 정확하게
표현해야 함. (2) (1)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글쓰기 태도를 되돌아보자.
주어진 문제에 예시 답안 평소에 글을 쓸 때 글에 담을 정보의 사실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던 것 같다. 또 내가 의식하지 못
신중한
대해 깊이 통찰하 한 사이에 다른 사람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앞으로는 정확한 정보인지 확인하고, 다른
표현
는 자세가 필요함. 사람의 저작권을 존중하며 글을 쓰도록 노력할 것이다.

3 우리 학급의 ‘글쓰기 윤리 서약서’를 만들어 보자.


예시 답안
모둠

도움말
쓰기 윤리를 지킨 경험과 서 약 서
어긴 경험을 모둠 구성원과
이야기하며 함께 지켜야 할 우리는 앞으로 과제물을 제출하거나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쓸 때 다음
쓰기 윤리 항목을 만들어 본
과 같이 쓰기 윤리를 지킬 것을 약속합니다.
다.
활동 안내 쓰기 윤리와 관련
된 규정이나 규칙을 제정하고 1. 거짓이나 허위 사실을 쓰지 않는다.
활용하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자신의 글쓰기 경험을 바탕으
2.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과 비속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로, 글을 쓸 때 어떤 규칙을 지
켜야 할지 모둠별로 이야기하며
3. 다른 사람의 글을 짜깁기하지 않는다.
서약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4. 다른 사람의 글이나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힌다.

5. 차별이나 편견이 드러나는 표현은 쓰지 않는다.

56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6 17. 12. 11. 오후 7:16


듣기·
쓰기 말하기 활동 안내 우리나라 저작권법을 읽으며 저작권의 개념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
✚ 로 학급의 저작권 등록부를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저작권이 우리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
어 있음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은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일부이다. 이를 참고하여 각자 저작권을 가진 저작물


에는 무엇이 있을지 이야기한 뒤, 우리 학급의 저작권 등록부를 만들어 보자. 모둠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 5. 건축물・건축을 위한 모형 및 설계 도서,


은 다음과 같다. 그 밖의 건축 저작물.
1.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6. 사진 저작물(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작
창작물을 말한다. 된 것을 포함한다.).
2. ‘저작자’는 저작물을 창작한 자를 말한다. 7. 영상 저작물.
⋮ 8. 지도・도표・설계도・약도・모형, 그 밖의 도
제4조(저작물의 예시 등) ① 이 법에서 말하 형 저작물.
는 저작물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9. 컴퓨터 프로그램 저작물.
1. 소설・시・논문・강연・연설・각본, 그 밖의 어
문 저작물.
2. 음악 저작물. 제5조(2차적 저작물) ① 원저작물을 번역・편
3. 연극 및 무용・무언극, 그 밖의 연극 저작물. 곡・변형・각색・영상 제작, 그 밖의 방법으로
4. 회화 ・서예・조각 ・판화 ・ 공예・ 응용 미술 저 작성한 창작물(이하 ‘2차적 저작물’이라 한
작물, 그 밖의 미술 저작물. 다.)은 독자적인 저작물로서 보호된다.

예시 답안

저작자 저작물의 이름 저작물의 종류 창작 시기

김정민 소설의 결말을 각색한 창작물. 2차적 저작물 > 어문 저작물 > 각색 2018. 4. 8.

강윤서 ‘나의 학교생활’이라는 제목으로 제작한 동영상. 1차적 저작물 > 영상 저작물 > 창작 2018. 3. 15.

정동민 동물원의 풍경을 그린 그림. 1차적 저작물 > 미술 저작물 > 창작 2018. 4. 5.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와 사회적 차원의 쓰기 윤리를 지키며 책임감

정리하기 있게 글을 쓰는 태도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일상생활에서 글을 쓸 때, 쓰기 윤리를 지키


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해 보는 태도를 지니자.

(2) 책임감 있게 글 쓰기 5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7 17. 12. 11. 오후 7:16


총 4차시

(3)
학습 목표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
음으로 언어 예절을 갖추어 대화한다.
•개인 ·사회 ·문화적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의 방법이
다양함을 이해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대화한다.

역량 목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며 의사소통한다.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을 보고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여우와 두루미의 이야기를 통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그림 속 여우는 두루미의 입장
을 잘 몰라서 어떤 식기를 사용할지 고민하고 있다. 만약 여우가 접시에 음식을 담아 준다면, 부리가 긴 두루미는 식사를 하지 못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학생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여우가 두루미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해서 접시에 음식을 담아 준다면, 부리가 긴 두루미는 식사를 하지 못할 것이다.
우리도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면 상대방이 원하지 않는 행동을 할 수도 있고, 상대방을 난처하게 하거나 혹은 불쾌하게 만
들 수도 있다. 따라서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58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8 17. 12. 11. 오후 7:16


알아
두기 1 공감하며 듣기
공감하며 듣기란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상대방의 생각이나 감정을 깊이 있
공감하며 듣기의 의미
게 공감하면서 듣는 것을 말한다. 잘 듣고 있는 태도를 보여 주는 것만으로도 상대방으로부터
『 』: 공감하며 듣기의 중요성
신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공감하며 듣기는 서로 우호적인 관계를 맺거나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공감하며 듣기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소극적 듣기 상대방의 눈 마주 보기, 고개 끄덕이기, 적절한 표정 짓기, 맞장구치기.

적극적 듣기 상대방의 말을 요약하고 반복하기, 감정 이입하여 상대방의 정서 추측하기.

2 언어 예절
언어 예절이란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담아 표현하는 말하기 예절을 가리키는
언어 예절의 의미
것으로, 일종의 사회적 관습이자 약속이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부탁, 거절, 사과, 건의 등
다양한 대화 상황과 마주치고, 친구, 부모님, 선생님 등 다양한 대화 상대와 이야기한다. 따라
서 대화 상황을 고려하여 완곡하고 차분하게 말하는 태도를 지니고, 대화 대상에 맞는 적절한
언어 예절을 지키는 자세 ① 언어 예절을 지키는 자세 ②
언어 예절을 지켜 공손하고 정중하게 표현해야 한다. 우리나라 언어 예절의 표준을 담은 지침
인 ‘표준 언어 예절’의 자세한 내용은 국립 국어원 누리집(http://www.korean.go.kr)에서 확
인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언어 예절
언어 예절의 기본 조건 상대의 상황이나 처지를 이해하고 배려하며 말하는 것에서 시작됨.
•말하는 목적과 주제를 고려하여 말하기.
언어 예절을 지키면서 •상대의 신분, 연령 등을 고려하여 말하기.
대화하기 위해 고려할 사항 •상대와의 친밀한 정도나 관계 등을 고려하여 말하기.
•시간이나 장소, 분위기 등의 대화 상황을 고려하여 말하기.

듣거나 말할 때
?!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대화의 원리를 배우고 이를 참고하여 언어 예절을 지키며 대화하는 활
동을 할 것이다. 듣거나 말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일지 생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표현 중에서 언어 예절에 어긋난 표현은 무엇이 있을까?
•상대방을 배려하며 말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불쾌하지 않게 부탁을 거절할 수 있을까?

(3)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5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59 17. 12. 11. 오후 7:16


학습 포인트 •대화의 원리 이해   •대화의 원리에 따라 말하기

활 1 대화의 원리
소단원 정리 PPT

‘활동 ’은 대화의 원리인 공손성의 원리, 순서 교대의 원리, 협력의 원리를 살펴보는
활동이다. 대화의 원리에 유의하며 듣기와 말하기 활동을 해 본다.

대화는 두 사람 이상의 참여자가 자유롭게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대화의 정의
이해하는 상호 교섭 활동이다. 대화를 원활하게 이어 가기 위해 대화 참여자 5

가 지켜야 할 대화의 원리를 알아보자.

콕콕 정리 1 공손성의 원리
공손성의 개념
대화할 때 상대방을 배려 공손성의 원리란 대화할 때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예절 바르게 말해
하고 존중하며 예절 바르게
말해야 한다는 것. 야 한다는 것이다. 공손성의 원리에는 일반적으로 다섯 가지의 원칙이 있다.
요령의 격률, 관용의 격률, 찬동의 격률, 겸양의 격률, 동의의 격률

콕콕 정리 •요령의 격률과 관용의 격률 10

공손성의 원리 - 원칙 ① 점심시간에는
찬우야, 이따가
상대에게 부담 수업 준비를 할 게 있어서
이 가는 표현은 점심 먹고 나서 배드민턴
요령의 저녁에 따로 시간을 낼게. 지호야,
최소화하고 이익 기본 동작을 설명해 줄 수 있니? 대신
격률
이 되는 표현은
강당 정리는 같이 하자.
끝나고 강당 정리는 내가 할게.
최대화함. 관용의 격률
말하는 사람 입 : 자신이 부담을 짐
요령의 격률
장에서 자신에게 : ‌‘찬우’에게 선택권을 부여하고
관용의 이익이 되는 표현 ‘찬우’의 부담을 최소화함
격률 은 최소화하고,
부담이 되는 표현
은 최대화함.

도움말 요령의 격률은 상대에게 부담이 되는 표현은 최소화하고, 이익이 되는 표


대화할 때에 상대방에게는
현은 최대화하는 방법이다. 위의 대화에서 ‘지호’는 ‘찬우’의 의견을 물어보며
요령의 격률을, 자신에게는
관용의 격률을 사용하는 것이 선택권을 부여하고, 강당 정리를 자청하며 ‘찬우’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있다.
바람직하다.
관용의 격률은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표현은 최소화

하고, 부담이 되는 표현은 최대화하는 방법이다. 위에서 ‘찬우’는 저녁에 따로 15


■격률(格率) 행위의 규범이나
윤리의 원칙. 시간을 내기로 하고, 강당 정리도 같이 하자며 자신이 부담을 지고 있다.

60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0 17. 12. 11. 오후 7:16


콕콕 정리 •찬동의 격률과 겸양의 격률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
공손성의 원리 - 원칙 ② 난 운동 신경이 없는 편이라 다른
자세가 굉장히 좋은데? 친구들보다 더 많이 연습해야 해.
상대를 비난하
찬동의 는 표현은 최소화 어깨의 힘만 조금 더 빼고 꾸준히
겸양의 격률
격률 하고 칭찬하는 표 연습하면 더 잘하게 될 거야.
: ‌자신을 겸손하게
현은 최대화함. 힘내, 지호야! 표현함
말하는 사람 입
장에서 자신을 칭 찬동의 격률
겸양의 찬하는 표현은 최 : ‌‘지호’의 자세를
격률 소화하고 자신을 칭찬하며 격려함
낮추는 표현은 최
대화함.

도움말 찬동의 격률은 상대를 비난하는 표현은 최소화하고, 칭찬하는 표현은 최대


대화할 때에 상대방에게는
화하는 방법이다. 위의 대화에서 ‘찬우’는 ‘지호’의 자세를 칭찬하면서 꾸준히
찬동의 격률을, 자신에게는
겸양의 격률을 사용하는 것이 연습하면 잘 될 것이라고 격려하고 있다.
바람직하다.
5 겸양의 격률은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 자신을 칭찬하는 표현은 최소화하고,

자신을 낮추는 표현은 최대화하는 방법이다. 위의 대화에서 ‘지호’는 자신이

부족한 점이 많다며 겸손하게 표현하고 있다.

콕콕 정리 •동의의 격률
공손성의 원리 - 원칙 ③
자신의 의견과
상대방의 의견 차
이의 차이점은 최
동의의
격률
소화하고 자신의 지호야,
의견과 상대방의 운동이 끝났으니 뭐라도 같이 저녁 먹으면 좋지.
의견 사이의 일치
먹자. 저녁 먹으러 갈까? 그런데 오늘은 가족과 함께 식사를
점은 최대화함.
하기로 했어. 미안해, 찬우야.
오늘은 시원한 음료수 마시며 같이
걸어가고, 저녁은 다음에 먹자.
동의의 격률
: ‌‘찬우’의 의견을 존중하고
서로의 의견 차이를 최소화함

동의의 격률은 자신의 의견과 상대방의 의견 사이의 차이점은 최소화하고,


10 자신의 의견과 상대방의 의견 사이의 일치점은 최대화하는 방법이다. ‘지호’
■찬동(贊同) 어떤 행동이나 견
해 따위가 옳거나 좋다고 판 는 같이 저녁을 먹기를 바라는 ‘찬우’와 의견 차이가 있지만, 먼저 상대방의
단하여 그에 뜻을 같이함.
의견을 존중해 준 후 음료수를 마시자는 자신의 의견을 말하여 서로의 의견
■겸양(謙讓) 겸손한 태도로 남
에게 양보하거나 사양함. 차이를 최소화하였다.

(3)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6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1 17. 12. 11. 오후 7:16


활 1 합동 공연이야말로
2 순서 교대의 원리 우리 축제에서 최고지. 아직 끝나지 않은 상대
방의 말을 가로챔
자료실 국어 선생님의 동작이 : ‌순서 교대의 원리를
최고로 멋졌어. 지키지 않음
순서 교대의 원리를 지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말해야 하는 시점과 들어야
하는 시점을 잘 선택해야
한다. 오늘 축제 참 재밌지 않니?
•대화가 끊겨 침묵이 흐르면 특히 선생님과 학생 동아리의
누구라도 대화를 시작하는 합동 공연은 내가…….
것이 좋다.
•대화에 정해진 순서는 없지
만, 대화의 주제나 참여자
의 역할에 따라 순서에 우 순서 교대의 원리란 대화 참여자가 서로 적절하게 순서를 교대해 가면서
선권이 있을 수 있다.
말을 주고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화 참여자는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바꿔
콕콕 정리 『 』: 순서 교대의 원리를 지키며 대화할 때 고려할 점
순서 교대의 원리 가면서 차례로 말을 하여 대화를 진행시킨다. 따라서 대화를 할 때에는 대화
대화 참여자가
순서 서로 적절하게 순 의 흐름을 잘 살피고 자신의 대화 순서에 유의하여 말하는 것이 좋다. 위의 5

교대의 서를 교대해 가면
원리 서 말을 주고받아 상황처럼 상대방의 말을 가로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야 한다는 것.

3 협력의 원리
아침에 이모가 오셔서 같이
자료실 이야기를 나누다가 시간이 훌쩍 흘러 버렸어.
그래서 아침에는 간단하게 빵을 먹고,
협력의 원리를 지키기 위해
산책을 하러 잠깐 밖에 나갔었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
어떤 강아지가 꼬리를 흔들며…….
•양의 격률: 필요한 만큼만 은채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정보를 불필요하게 많이 제공하고
점심 뭐 먹었어? 대화의 주제에 맞지 않는 내용을 말함
•질의 격률: 타당한 근거를 : ‌협력의 원리를
들어 진실한 정보를 제공해 지키지 않음

야 한다.
•관련성의 격률: 대화의 목
적이나 주제와 관련된 것을
말해야 한다.
•태도의 격률: 모호하거나
협력의 원리란 대화 참여자가 대화의 목적에 최대한 기여할 수 있도록 서
중의적인 표현을 피하고,
로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의 상황처럼 듣는 사람이 요구하지 않은 정보
간결하고 조리 있게 말해야 『 』: 협력의 원리를 지키며 대화할 때 고려할 점
한다. 를 불필요하게 많이 제공하거나 대화의 목적이나 주제에 맞지 않는 내용을 10

콕콕 정리
협력의 원리
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화 참여자가
대화의 목적에 최
협력의
대한 기여할 수
원리
있도록 서로 협력
앞에서 배운 대화의 원리를 지키며 대화하면 우리는 다른 사람과 원활하게
대화의 원리를 지키는 것의 중요성
해야 한다는 것.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62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2 17. 12. 11. 오후 7:16


활동 안내 실제 담화에서 대
화의 원리에 어긋난 부분을 찾
1 가 와 나 에서 대화의 원리에 어긋난 부분을 찾아 바르게 고쳐 보자.

아 바르게 고쳐 보면서 대화의


원리를 이해해 보는 활동이다.
나아가 대화의 원리를 지키며
가 선생님: 경수야, 네 덕분에 체육 대회를 수월하게 준비할 수 있었어. 고맙다.
대화해야 하는 이유도 생각해 경수: 그럼요. 저는 원래 맡은 일을 완벽하게 해내거든요.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 어머니: 이번 휴가에는 바다로 여행을 갔으면 하는데. 다들 어떻게 생각하니?
콕콕 정리
아들: 좋아요. 저는 동해안에 가 보고 싶어요.
대화의 원리
딸: 저는 다음 주 토요일에 예매해 둔 음악회가 너무 기대돼요.
•공손성의 원리
•순서 교대의 원리
•협력의 원리
•가 예시 답안 ‘경수’의 대답 → 처음 해 보는 일이라 부족한 점이 많았는데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나 예시 답안 ‘딸’의 대답 → 바다도 재밌을 것 같아요. 그런데 올해는 시원한 산으로 놀러 가 보는 건 어떨까요?

활동 안내 실생활에서 일어
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 대
2 다양한 상황에서 대화의 원리에 따라 말하는 연습을 해 보자.

화의 원리에 따라 듣고 말해 보 (1)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짝과 역할을 나누어 대화를 해 보자.
는 활동이다. 일상생활에서 일
어날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역할에 맞게 대화의 원리를 지
키며 말할 수 있도록 한다. 대화
를 마친 후 점검표를 참고하여
대화 내용을 평가하며 자신의 시험 준비
화를 가족 예시 답안 친구와 과제
언어 습관을 성찰해 보도록 지 이야기하
방법을 친
구와 좋아하는 영
를 분담하는 상황
는 상황 는 상황
도한다.
과 이야기하

예시 답안 <교사용 지도서 121쪽 참고>

(2) 대화의 원리를 기준으로 (1)에서 대화한 내용을 서로 평가해 보자.


예시 답안

평가 내용 자기 평가 상대 평가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예절 바르게 말
하였다.

대화 참여자가 서로 적절하게 순서를 교대해


가면서 말을 주고받았다.

대화 참여자가 대화의 목적에 최대한 기여할


수 있도록 서로 협력하였다.

(3)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6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3 17. 12. 11. 오후 7:16


학습 포인트 •대화의 상황과 대상에 맞는 언어 예절   •의사소통 방법의 다양성 존중

활 2 상황과 대상에 따른 대화
‘활동 ’는 상황 및 대상에 따른 듣기와 말하기 방법을 살펴보는 활동이다. 의사소통
방법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대화를 할 때에 지켜야 할 언어 예절을 파악해 본다.
활동 안내 만화를 보고, 언어 예절을 지키며 상황에 맞게 대화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다양한 대화 상황에 맞는
대화 방식의 필요성을 알도록 한다. 또한 만화 속 인물의 입장이 되어 직접 상황을 고려해 말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1 다음 만화 속의 상황과 등장인물의 대화 내용을 파악해 보자.

도움말 어? 색연필이 없네. 야. 왜?


그래. 내가 말할게.
누군가에게 부탁하거나 건 현표야, 규비한테 빌리면 어떨까? 색연필 있으면 좀 줘 봐. 지금 우리도 써야 하는데.
의할 때에는 상대방이 부담을
느낄 수 있는 상황임을 고려
하여 완곡하고 차분하게 말해
야 한다. 누군가의 부탁을 거
절할 때에도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며 정중하고 공손하게
말해야 한다.

잠깐만 쓰고 바로 줄 건데 뭘 그러냐?
색연필 빌려주는 게 아깝냐?
뭐라고? 막무가내로 달라고 하면
우리 모둠은 어떻게 하니?

규비야. 혹시 색연필 빌려줄 수 있어?


너희가 다 쓸 때까지 기다릴게. 그럼 우리도 고맙지.
우리 모둠에는 가지고 있는 사람이 없어서.
너희 모둠도 필요한 게 있으면 말해. 얼른 쓰고 빌려줄 테니까
나도 빌려주고 싶은데, 우리가 빌려줄게. 잠깐만 기다려 줘.
우리도 지금 써야 해.

64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4 17. 12. 11. 오후 7:16


10분 후. 유범아, 어떻게 빌린 거야? 너도 입장을 바꿔서
나한테는 안 빌려주던데? 생각해 봐.

(1) 두 친구가 ‘규비’에게 색연필을 빌리기 위해 어떻게 말했는지 써 보자.

•자신의 입장만 생각하며 지금 바로 색연필을 달라고 하였다.


• 예시 답안 상대방이 부담을 느낄 수 있는 부탁 상황에서 직설적이고 거칠게 말했다.

• 예시 답안 색연필을 못 빌려주는 사정을 말하는 ‘규비’에게 비난조로 말했다.

현표

•색연필을 빌려줄 수 있는 상황인지‘규비’


에게 먼저 물어보았다.
• 예시 답안 의문문을 사용하여 ‘규비’에게 선택권을 주면서 완곡하게 부탁했다.
유범
• 예시 답안 상대의 부담은 줄이고, 이익은 최대화하는 표현을 사용하여 공손하게 말했다.

콕콕 정리
대화 상황에 적절한 말하기

부탁하거나 건의하는 상황, 누군가의 부탁을 거 상대방이 부담을 느낄 수 있으므로 공손하고 차


절하는 상황, 자신의 잘못을 사과하는 상황. 분하게 말해야 함.

자료실 (2) 자신이 ‘현표’라고 생각하고, ‘규비’에게 사과하는 말을 해 보자.


사과할 때에 주의할 점
•자신이 잘못한 부분을 인정
하고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 규비야, 예시 답안 잠깐 이야기할 수 있을까? 아까는 내
지 않겠다는 약속을 해야
가 다짜고짜 색연필을 달라고 하고, 색연필을 빌려주지 않는다
한다.
•상대방에게 불편을 주어 미 고 너를 비난해서 미안해. 너도 곤란한 상황이었는데 나 때문에
안하다는 표현을 해야 하
고, 상대방의 기분을 살피 기분이 상했지? 앞으로는 네 입장을 먼저 생각하고, 함부로 이
며 말해야 한다. 야기하지 않을게.

(3)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6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5 17. 12. 11. 오후 7:16


활 2
활동 안내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대화 상황을 통해 개인이
2 다음 활동을 하면서 개인이나 집단에 따라 듣기와 말하기의 방법이 다양함을 이해

나 집단에 따라 의사소통 방식
해 보자.
이 다양하게 나타남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세대, 지역, 직업 등 (1) ‘민주’가 하루 동안 사람들과 대화한 내용을 살펴보며 물음에 답해 보자.
의 다양한 요소에 따라 듣기와
말하기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 오전 8시
을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옛날에는 아이를 예뻐하면
할머니, 왜 그렇게
귀신들이 시샘해서 해코지할까 봐
우리 똥강아지 더러운 이름으로
일부러 하찮은 이름으로 불렀단다. 아,
학교 가니? 저를 부르시는 거예요?
할머니는 민주가 귀한 손녀라서 그렇군요.
그렇게 부른 거야.

•‘민주’가 처음에 ‘할머니’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 이유를 적어 보자.

예시 답안 ‘민주’는 ‘할머니’와 세대가 달라 ‘할머니’ 세대의 말하기 방식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후 2시 오후 5시
박목월의 사투리 를 읽어 볼까?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 했다. 뭐라고?
오라베
누가 왔다고?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오라베 왔어?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

•‘오빠’가 ‘민주’의 인사말을 이해하지 못한 이유를 적어 보자.

예시 답안 ‘민주’가 학교에서 배운 경상도 방언을 사용하였고, ‘오빠’는 그 지역의 방언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66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6 17. 12. 11. 오후 7:16


오후 8시
지방이 적은 고기일 경우
라딩을 하여 지방을 넣어서
무슨 말을 하고
브레이징하면 됩니다.
있는 거지?

■라딩(larding) 고기 속에 인
위적으로 지방을 삽입하는 조
리 방법.
■브레이징(braising) 채소, 고
기를 볶은 다음 물을 조금 넣
고 천천히 익히는 것.

•‘민주’가 ‘요리사’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 이유를 적어 보자.

예시 답안 ‘요리사’가 자신이 속한 분야의 전문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학생인 ‘민주’는 요리 분야의 전문 지


식이 적기 때문이다.

자료실 (2) 세대, 지역, 직업의 특성이 반영된 말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모둠별로 조사해 보고, 이러
의사소통의 다양성 한 말을 사용할 때 어떤 효과가 있는지 파악해 보자. 모둠
의사소통의 방법은 개인적 예시 답안
성향뿐 아니라 세대, 성별, 지 모둠에서 찾은 말 말의 효과
역, 직업 같은 사회· 문화적 특
•[장년층이나 노인층]
성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나타
벗(친구를 나타내는 말.)
난다. 세대의 특성이 •세대 내에서 동질성과 친밀감을 느끼게
아우(손아랫사람을 이르는 말.)
반영된 말 •[청소년층] 버정(버스 정류장)
한다.

열공(열심히 공부하다.)

•비리(‘상추’의 경북 방언.)
•같은 방언의 사용자끼리 소속감과 친근
•가지(‘강아지’의 강원 방언.)
지역의 특성이 함을 느끼게 한다.
•물꾸럭(‘문어’의 제주 방언.)
반영된 말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정서를 간직하고
•삽짝(‘사립문’의 경상·충북 방언.)
참고 자료 계승하게 한다.
•자마리(‘잠자리’의 전라·충남 방언)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지역 지역의 요인에 의해
방언 분화된 방언. •직군 내에서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인
•[의료] 어레스트(심실이 수축을 정지하
지역 이외의 요인인
직업의 특성이 다.
고, 보충 수축이 없는 상태.)
사회 사회 계층, 연령, 성별, 반영된 말 •의미가 정밀해서 전문적인 작업을 효과
•[패션] 플랩 포켓(뚜껑이 달린 주머니.)
방언 종교 등의 요인들에 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의해 생긴 방언.

(3)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6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7 17. 12. 11. 오후 7:16


활 2
3 가 ~ 다 의 대화 상황을 고려하여 각 대화에서 언어 예절에 어긋난 표현을 찾아 바
르게 고쳐 써 보자.

도움말 가 친구네 집에 방문하여 인사하는 상황


말하는 내용이 정당하다고
하더라도 말하는 상황이나 대 어린 동생이 있어서 지저분하면
상에 적절하지 않으면 대화 집이 지저분한데, 좀 치워 놓지
상대는 이 말을 수용하는 데 들어와. 그랬어.
어려움을 겪게 된다.
활동 안내 언어 예절에 어긋
난 표현이 사용된 대화를 보고
바르게 고쳐 보면서 언어 예절 예시 답안 어린 아이들은 어지르면서 놀기 마
의 필요성을 이해하는 활동이 련인 걸. 초대해 줘서 정말 고마워.
다. 담고 있는 내용이 틀린 것이
아니더라도 상황이나 대상에 적
절하지 않은 말은 대화 상대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점을 지도
한다.

나 병원에 입원한 친구를 위로하는 상황

네가 너무
급하게 뛰어간
계단에서
것 아니야?
넘어져서 다쳤어.

예시 답안 많이 놀랐겠다. 몸은 좀 괜찮니?
빨리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랄게.

다 학교에 우산을 비치할 것을 건의하는 상황

곧 시험인데 그것보다 갑자기


공부는 잘되어 비가 올 때 사용할 수
가니? 있도록 학교에 우산을
비치해 주시면 좋겠어요.
예시 답안 네,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교장 선
생님께 건의할 것이 있는데, 지금 말씀드려도 괜
찮을까요?

68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8 17. 12. 11. 오후 7:16


활동 안내 주변에서 사용하
는 말 중에 차별과 편견이 들어
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있는 표현을 찾아보고 올바르게


고쳐 보면서 의사소통을 할 때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우리의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상대방을 존중해야 함을 이해하 대화의 중요성
는 활동이다. 무심코 사용했던 역할을 한다. 잘못된 대화로 말미암은 오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화의 상황과
말들이 누군가에게 상처를 줄 어떤 현상이나 사물 따위가 원인이나 이유가 되는
수 있음을 알도록 하고, 다른 사 대상 등을 미리 점검하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소통해야 한다.
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말하기 듣기와 말하기의 방법은 개인뿐 아니라 집단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한 공동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생
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체 안에서도 지역, 나이, 성별, 계층 등에 따라 다양한 언어의 모습이 나타날 수
의사소통 방법이 달라지는 요인
있다. 이는 다양한 삶의 방식이 언어에 반영된 것으로,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는
『 』: 유사한 언어 사용의 효과
사람들끼리는 구성원 간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고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일
콕콕 정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언어 현상이 다양성으로 존중받지 못하고 차별과 편견의 대
의사소통의 다양성 존중
상이 되기도 한다. 지역 방언을 희화화하거나, 특정 성(性)을 비하하는 표현 등이
개인의 특성 및 세대, 의사소통의 다양성이 차별과 편견의 대상이 되는 예
지역, 직업과 같은 사회 그 예이다.
문화적 특성에 따라 듣기
와 말하기 방법은 다양하 이러한 차별과 편견이 들어 있는 표현을 고치는 것에서부터 언어의 다양성을
게 나타남.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다양한 사람이 존재하는 만큼 언어도 다양하다는
『 』: 다른 사람을 존중하며 의사소통하는 태도
개인이나 집단에 따른
것을 이해하고, 누군가를 차별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말을 쓰지
의사소통 방법의 다양성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을 존중해야 함.

(1) 우리 주변에서 사용하고 있는 말 중에 차별과 편견이 들어 있는 표현을 찾아보고, 이를


올바른 표현으로 고쳐 보자.
예시 답안

•장님, 벙어리 (장애인 차별) •시각 장애인, 언어 장애인


•여의사, 여류 작가 (성차별) •의사, 작가
•서울로 올라가다. (지역 차별) •서울로 가다.
•살색 (인종 차별) •살구색

(2) 누군가를 차별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말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말해 보자.
예시 답안 •말을 하기 전에 상대방의 입장에서 한 번 더 생각해 보아야 한다.
•국립 국어원에서 배포하는 다양한 언어 자료를 찾아보며 차별과 편견이 들어 있는 표현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대화의 원리와 언어 예절을 지키며 말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개인이나

정리하기 집단에 따라 듣기와 말하기의 방법이 다양함을 알아보았다.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할


때에는 무엇보다 상대방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지니자.

(3)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6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69 17. 12. 11. 오후 7:16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초성과 뜻풀이를 보고 알맞은 단어를 써 보면서 대단원에서 배운 어휘를 떠올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제시된 초성과 뜻풀이를 보고, 알맞은 단어를 써 보자.

영화나 텔레비전 따위에서, 관객이나 시청자가 읽을 수 있도록 화


ㅈㅁ
면에 비추는 글자. - 자막

일정한 지역 주민들의 수명을 평균한 것. 1년 사이에 죽은 사람의


ㅍㄱ ㅅㅁ
총나이를 죽은 사람의 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 평균 수명

ㄷㄹ 사람이 어떤 입장에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길. - 도리

ㅇㄱ 사실과 다르게 해석하거나 그릇되게 함. - 왜곡

ㄱㅇ 겸손한 태도로 남에게 양보하거나 사양함. - 겸양

ㄱㄹㅊㄷ 남이 말하는 중간에 끼어들어 말을 못 하게 하다. - 가로채다

70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70 17. 12. 11. 오후 7:16


정리하기

매체를 읽는 눈
•매체 자료를 읽을 때에는 제공하는 정보가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추고 있는지, 저속하거나 지나치게 상업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은지 등을 평가하며 비판적으로 읽어야 한다.
•다양한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매체 자료에 나타난 필자의 관점이 타당하고 적절한지, 내용을 전달하는 표
현 방 법 이 효과적이고 타당한지 등을 평가한다.

책임감 있게 글 쓰기
•글쓰기 윤리: 글을 쓸 때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하는 도리로, 글을 쓰는 개인이나 공동체가 글을 쓰는 과정
에서 지켜야 할 행동의 규범을 의미한다.

개인적 차원의 쓰기 윤리 사 회 적 차원의 쓰기 윤리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을 거짓으로 꾸며 쓰거 다른 사람이 창작한 글이나 연구 자료를 사용


나 과장하지 않고 진실하게 글을 써야 하는 도 하여 글을 쓸 경우에 저자의 허락을 받고 출처를
리. 밝히는 도리.

서로를 존중하는 대화
•대화를 할 때에는 공 손 성 의 원리, 순서 교대의 원리, 협력의 원리를 지켜야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부탁, 건의, 거절’처럼 상대방이 부담을 가질 수 있는 상황이나 ‘사과’처럼 상대방의 기분을 살펴야 하는 대화
상황에서는 완곡하고 차분하게 말해야 한다.
•개인이나 집단에 따라 의사소통 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대화를 할 때에는 상대방의 개인적 성향뿐 아니라
세대, 성별, 지역 등의 사회· 문화적 특성을 존중하고 고려해야 한다.

이 단원을 마치며
3 매체 자료에 드러난 필자의 관점과 표현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다.
3 쓰기 윤리를 준수하며 책임감 있는 태도로 글을 쓸 수 있다.
3 상황과 대상에 맞게 언어 예절을 갖추어 대화할 수 있다.
3 개인이나 집단에 따라 듣기와 말하기의 방법이 다양함을 이해하고 듣기・말하기 활동을 할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7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71 17. 12. 11. 오후 7:16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말 외에도 몸짓과 표정을 통해 상대방의 의중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대화 상대를 이해할 수 있
음을 알게 하기 위한 활동이다. 눈이나 손 등으로 표현되는 비언어적 요소에도 의미가 담겨 있으며, 비언어적 요소의 의미를 파악
할 때 더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몸짓으로 전하는 마음
누군가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싶을 때, 긴 글의 편지 대신 복숭아꽃이 찍힌 사진 한 장
을 건네는 것만으로도 그 마음을 전할 수 있다. ‘사랑의 노예’라는 꽃말을 지닌 복숭아
꽃이 나의 마음을 대신 표현해 주기 때문이다.
긴 글이 아닌 꽃으로 마음을 전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 아닌 몸짓으로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몸은 일부러 움직이려 하는 것이 아닌데도 무의식중에 저절로 반응할 때가
자기도 모르는 사이
많다. 그래서 어떤 경우에는 백 마디 말보다 한 번의 몸짓이 더 진실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다음 글을 읽으며 우리의 몸짓이 전하는 마음의 비밀을 파헤쳐 보자.

72 2. 마음을 잇는 소통의 창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72 17. 12. 11. 오후 7:16


상대방의 눈을 바라보면?

어두운 곳에 있다가 강한 빛이 있는 곳으로 이동했을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실눈을 뜨


실처럼 가늘게 뜬 눈
게 된다. 빛을 차단하기 위해 눈을 작게 뜨는 것처럼, 못마땅하거나 부정적인 상황에 처
했을 때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실눈을 뜬다고 한다. 실눈 뜨기는 아주 잠깐일 수 있지
만 부정적인 생각이나 정서를 반영하는 비언어적 표현인 것이다. 반대로 사랑하는 사람
을 보거나 만족을 느낄 때에는 눈이 이완되어 커진다고 한다.
굳어서 뻣뻣하게 된 근육 따위가 원래의 상태로 풀어짐
눈의 크기뿐 아니라 방향에 따라서도 상대방의 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대체로 누군가를 좋아하거나 누군가에게 호기심이
있을 때에는 그 사람의 눈을 똑바로 응시하지만, 상대방의 말
눈길을 모아 한 곳을 똑바로 바라봄
을 믿지 못하거나 납득할 수 없을 때에는 곁눈질을 하곤 한다.
대화를 할 때 상대방의 눈을 바라보며 상대방의 마음을 더

곁눈질을 할 때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해 보자.

손으로 자신감을 표현한다!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를 하거나 대화로 누군가를 설득하고자 할 때 필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자신감이다. 말의 내용이나 억양뿐 아니라 손짓으로도 자신
음의 상대적인 높이를 변하게 함. 또는 그런 변화
감을 드러낼 수 있다.
발표를 할 때에는 오른쪽의 사진처럼 자신의 양손 끝을 마주 세워 삼각형 모
양의 탑을 만들어 보자. 이 손짓은 빌 게이츠(Bill Gates)가 강연을 할 때 자주
사용하는 몸짓으로, 상대방에게 자신감 넘치는 인상을 준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려면 대화의 내용이나 대화하는 기술 못지않게 상대방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태도가 중요하
다. 상대방의 말뿐 아니라 몸짓과 표정의 변화도 유의 깊게 살펴보면서 상대방의 마음을 파악하고, 대화 상황을 적절히 조
절하는 능력을 길러 보자.

국어와 통하다 7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2(036~073)ok.indd 73 17. 12. 11. 오후 7:16


대단원 표지 그림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읽고 친구와 대화를 나누었던 경험을
떠올려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즐거움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문학 작품의 내용을 바탕으로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모습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74 17. 12. 11. 오후 7:19


쓰기 문법
읽기

듣기
말하기 문학

통합 쓰기 영역 + 문학 영역

3
대단원 설정 이유
총 20차시 이 단원에서는 문학 갈래의 특성에 따른 형상화 방법을 이해하며 문
학 작품이 유기적인 구조물로서의 특성을 지녔음을 깨닫고, 자신의 경
험과 성찰이 담긴 글을 쓰면서 쓰기의 즐거움을 느껴 보는 활동을 할
것이다.
다양한 갈래의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활동을 통해서 문학
작품이 주는 감동과 미적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고, 학
생 스스로 문학 갈래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문학으로
그리는 삶
첫사랑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결혼
반 통의 물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75 17. 12. 11. 오후 7:19


대단원 성취기준
[문학 02] 갈래의 특성에 따른 형상화 방법을 중심으로 작품을 감

의 길잡이 상한다.
[문학 01] 문학 작품은 구성 요소들과 전체가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물임을 이해하고 문학 활동을 한다.
[쓰기 03] 자신의 경험과 성찰을 담아 정서를 표현하는 글을 쓴다.

학습 목표

문학 갈래의 특성에 따른 문학 작품은 작품 전체와 자신의 가치 있는 경험과


형상화 방법을 이해하고 작 구성 요소가 유기적인 관계 성찰을 담아 정서를 표현하
품을 감상한다. 를 맺고 있는 구조물임을 이 는 글을 쓴다.
해하고 문학 활동을 한다.

문학 문학 쓰기

다양한 색의 물감에 화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한 편의 명화가


완성되는 것처럼, 일상적인 언어와 작가의 상상력이 만나면 아름
다운 문학 작품이 탄생한다. 이처럼 언어를 매개로 하여 주제를
전달하는 문학 작품은 그 특성과 형상화 방법에 따라 일반적으
로 ‘서정, 서사, 극, 교술’ 갈래로 나뉜다.
3단원에서는 문학의 네 갈래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감상하며
각 갈래의 구성 요소와 형상화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정
서를 표현하는 글쓰기 활동도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의 특성과 그 가치를 발견
하고 문학 작품이 주는 감동과 아름다움을 느껴 보자.

76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76 17. 12. 11. 오후 7:19


학습 과정

•서정 갈래의 특성과 형상화 방법을 이해하고 작품 감상하기.


(1)
•시는 구성 요소가 전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물임을 이해하
첫사랑
며 작품 감상하기.

(2)
•서사 갈래의 특성과 형상화 방법을 이해하고 작품 감상하기.
아홉 켤레의 •소설은 구성 요소가 전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물임을 이해
구두로 남은
하며 작품 감상하기.
사내

•극 갈래의 특성과 형상화 방법을 이해하고 작품 감상하기.


(3)
•희곡은 구성 요소가 전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물임을 이해
결혼
하며 작품 감상하기.

(4) •교술 갈래로서의 수필의 특성과 형상화 방법을 이해하며 작품 감상하기.


반 통의 물 •자신의 경험에 가치를 부여하여 정서를 표현하는 글을 쓰기.

국어 속 문화
국어와 통
•문학 작품이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으로 재창조되고 있음을 알기.
하다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이 단원을 배우면,


•문화 향유 역량: 문학 갈래의 특성을 이해하여 작품을 깊이 있게 읽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른다.
다양한 갈래의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극 갈래를 이해하고 감상함과 동시에 모둠별
작품의 가치를 내면화하여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할 수
로 영상을 만들어 보는 협동 활동을 통해 타인과 원활히 관계 맺는 능
력을 기른다. 있다. 또한 문학 작품에 반영된 공동체의 가치를
•자기 성찰·계발 역량: 자신의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을 쓰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능력을 기른다. 깨닫고,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7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77 17. 12. 11. 오후 7:19


총 3차시

(1 )
학습 목표 •서정 갈래의 특성과 형상화 방
법을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한다.
•시는 구성 요소가 전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물임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역량 목표 •작품에 담긴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하여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하고 생산한다.

첫사랑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일상생활에서 시를 접했던 경험을 말해 보자.
활동 안내 일상생활에서 시를 접했던 구체적인 경험을 떠올려 보면서 시에 대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활동이다. 다양한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생활 속에 살아 있는 시를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한다.

풀꽃 ⋮

♥ 좋아요 56개
풀꽃 내가 좋아하는 시로 만든 엽서. 자세히 보고
오래 볼수록 사랑스러운 누군가에게 선물로 줘야지.

예시 답안 •지하철을 기다리면서 승강장 안전문에 써 있는 시를 본 적이 있다.


•멀리 이사를 간 친구가 내 생일날 우정에 관한 시를 메일로 보내 감동을 받은 적이 있었다.

78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78 17. 12. 11. 오후 7:19


알아
두기 1 서정 갈래의 개념과 특성
작가가 자신의 정서를 주관적으로 드러내는 문학 양식을 서정 갈래라고 한다. 서정 갈래는
서정 갈래의 개념 『 』: 서정 갈래의 특성
화자를 내세워 기쁨, 슬픔, 사랑, 그리움 등과 같은 정서를 함축적이고 운율이 있는 언어로 형
추상적인 정서 시적 언어
상화하여 독자에게 전달한다. 한국 문학의 서정 갈래에는 고대 가요, 향가, 고려 가요, 시조,
민요, 한시, 현대 시 등이 있다.

2 시의 구성 요소와 형상화 방법
시인은 시어, 화자, 운율, 심상 등의 구성 요소와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주제
를 형상화한다. 형상화란 느낌이나 감정, 관념 등과 같이 추상적인 대상을 감각적인 언어를
형상화의 개념
사용하여 구체적인 형상으로 그려 내는 것을 말한다. 시인은 함축적인 의미를 담아낼 시어를
『 』: 시의 형상화 방법
선택하고, 그 시어를 배열하여 시의 운율을 만들어 낸다. 또한 비유나 상징 등의 표현 방법을
활용하고 심상을 구체화하여 화자의 정서를 표현한다. 이렇게 각 구성 요소들과 작품의 주제
가 마치 하나의 몸처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완성된 한 편의 시는 독자에게 미적 감동을 전해
시의 가치
준다.

참고 자료
시의 3요소
운율(리듬) 시를 읽을 때 느껴지는 말의 가락.
심상(이미지) 시를 읽을 때 마음속에 떠오르는 감각적인 이미지나 느낌.
주제 시인이 시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중심 생각.

현대 시에서
?! 알 수 있는 서정 갈래의
특성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현대 시 작품을 감상하며 서정 갈래의 특성을 이해하는 활동을 할 것이
다. 현대 시에서 알 수 있는 서정 갈래의 특성은 무엇일지 생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
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서정 갈래란 무엇이고, 그 특성이 현대 시에서 어떻게 나타날까?
•현대 시의 구성 요소는 무엇이고, 어떤 기능을 할까?
•현대 시를 유기적인 구조물이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첫사랑 7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79 17. 12. 11. 오후 7:19


학습 포인트 •이 시의 구성 요소   •서정 갈래의 특성   •제목의 의미   •주제 형상화 방법
이 작품은 자연 현상에서 발견한 첫사랑의 의미를 노래하고 있는 현대 시이다. 이 시에 드러난 서
정 갈래의 특성과 시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제목 풀이  시에서는 첫사랑을 이루기 위한 노력과 첫사랑의 아픔, 첫사랑을 겪고 난 후에 피어나는 사랑의 아



름다움을 나뭇가지에 눈꽃이 피고, 그 눈꽃이 녹은 자리에 봄꽃이 피어나는 과정으로 비유하고 있다.

제재 구조도

눈꽃을 피우기 위한
첫사랑 작가 소개 영상
_ 고재종
소단원 정리 PPT 시 낭송 영상
1연
눈의 도전.
눈꽃을 피우기 위해
2연 제재 개관
겪는 눈의 시련.
갈래 현대 시, 자유시, 서정시 성격 낭만적, 회화적, 사색적
도전 끝에 피운 눈꽃
3연 어조 대상에 대한 경탄과 예찬. 제재 한겨울 나뭇가지에 쌓인 눈.
에 대한 예찬.
주제 인내와 헌신으로 이뤄 낸 아름다운 사랑의 결실.
눈꽃이 진 후 봄에 피
4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자연 현상에서 사랑의 의미를 발견함.
어난 꽃의 아름다움. 특징
•역설적 표현을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연의 모습을 표현함.

흔들리는 나뭇가지에 꽃 한번 피우려고

눈은 얼마나 많은 도전을 멈추지 않았으랴 ▶ 눈꽃을 피우기 위한 눈의 도전


눈꽃을 피우기 위한 눈의 노력 - 의인법

: 음성 상징어를 통해 눈이 도전하는 모습 형상화


고재종 의성어 ← 싸그락 싸그락 두드려 보았겠지
(1959~) 눈이 나뭇가지를 두드리는 소리 - 청각적 심상
동일하거나 유사한 말을
의태어 ← 난분분 난분분 춤추었겠지 반복하며 운율을 형성함
시인. 자연의 아름다움과 눈이 흩날리는 모습 - 시각적 심상
농촌의 생명력을 노래한 작품 미끄러지고 미끄러지길 수백 번, ▶ 눈꽃을 피우기 위해 겪는 눈의 시련
을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바람 부는 솔숲에 사랑은 머
물고, 앞 강도 야위는 이 그
바람 한 자락 불면 휙 날아갈 사랑을 위하여
리움, 백련사 동백 숲길에서 첫사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암시함
등이 있다. 햇솜 같은 마음을 다 퍼부어 준 다음에야
콕콕 정리 순수한 눈의 마음을 ‘햇솜’에 비유 - 직유법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상 마침내 피워 낸 저 황홀 보아라 ▶ 도전 끝에 피운 눈꽃에 대한 예찬


처’에 드러난 표현 방법 눈꽃 - 역경을 딛고 피워낸 첫사랑
① 은유법
원관념인 ‘봄꽃’을 드러내
지 않고, 보조 관념인 ‘세상 봄이면 가지는 그 한 번 덴 자리에
에서 가장 아름다운 상처’로 눈꽃이 녹는 계절 눈꽃이 녹은 자리 - 첫사랑의 아픔
표현함.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상처를 터뜨린다 ▶ 눈꽃이 진 후 봄에 피어난 꽃의 아름다움
② 역설법 봄꽃 - 첫사랑의 아픔을 통해 도달한 성숙한 사랑
어휘의 성격에 모순되는
- 고재종, 『쪽빛 문장』
수식어를 통해, ‘첫사랑이 남
긴 상처’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함. 콕콕 정리 깜짝 퀴즈

아름다운 + 상처 이 시의 주된 형상화 방법 1. 이
‌ 시는 동어 반복을 통해 운율감을 형성하고
긍정적 시어 부정적 시어 있다. ➡◯
자연 현상 첫사랑의 의미
2. ‌‘마침내 피워 낸 저 황홀’은 ☐ ☐이 나뭇가지에
■난분분(亂紛紛) ‘난분분하다’ 나뭇가지에 눈이 첫사랑을 이루기 위한 노력과 쌓인 모습을 의미한다. ➡ 눈꽃
의 어근. 눈이나 꽃잎 따위가 내리는 모습. 시련. 3. ‌이 시는 성숙한 사랑을 이루기 위해서는 노력
나뭇가지에 눈꽃 과 헌신이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
흩날리어 어지럽게. 첫사랑을 이룬 황홀함.
이 핀 모습.
봄에 꽃이 핀 모 첫사랑이 끝난 후에 이룬 성숙
습. 한 사랑.
80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0 17. 12. 11. 오후 7:19


활동

이해 1 다음 사진을 참고하여 이 시의 시상 전개 과정을 정리해 보자.

활동 안내 시상 전개 흐름을
정리하면서 시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 활동이다. 시어에
집중하면서 각 연에 드러난 내
용을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1, 2연 3연 4연

나뭇가지에 꽃을 피우기 예시 답안 도전 끝에 마침 예시 답안 눈꽃이 진 후 봄


위한 눈의 도전과 시련. 내 피어난 눈꽃에 대한 예찬. 에 피어난 꽃의 아름다움.

활동 안내 시의 제목에 담긴 시인의 의도를 추측하는 활동이다. 시인이 자연물인 눈꽃이 피어나는 과정과 첫사랑의
어떤 공통적인 속성을 발견해 냈는지에 주목하면서 제목이 지닌 의미를 탐구하도록 지도한다.

도움말 2 이 시의 제목이 ‘첫사랑’인 이유를 생각해 보자.


예시 답안 이 시는 자연 현상을 통해 사랑의 의미를 발견하고 있다. 겨울에 눈꽃이 피는 과정에서 첫사랑의 의미를,
꽃이 피어나는 과정과 ‘첫
눈꽃이 진 자리에 봄꽃이 피는 것에서 성숙된 사랑의 의미를 발견하고 있는 것이다. 시인은 ‘눈꽃’과 ‘첫사랑’이 모두 쉽
사랑’의 공통점을 떠올리며 게 사그라들 수 있는 속성을 지닌 동시에 인내와 헌신의 과정을 겪어야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눈꽃이 지나간 자리에
제목의 의미를 추측해 본다. 피는 것이 ‘봄꽃’이듯이 ‘성숙된 사랑’이 첫사랑의 슬픔을 딛고 온다는 점을 통해 성숙한 사랑의 의미를 발견하고 있다.
이 시에서는 특히 눈꽃(첫사랑)이 피는 과정을 매개로 아름다운 사랑의 의미를 발견하고 있기 때문에 제목을 ‘첫사랑’이
라고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활동 안내 중심 시구의 표현
상 특징과 함축적 의미를 파악
3 다음 시구에 드러난 표현상의 특징과 시구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하면서 시적 상황을 이해해 보
시구 표현상의 특징 함축적 의미
는 활동이다. 시의 다양한 표현
방법이 시의 의미를 드러내는
데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
‘눈은 얼마나 많은 도전 눈을 의인화하고 설의적 표현을
사랑을 이루기 위한 눈의 노력.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을 멈추지 않았으랴’ 사용함.

눈의 마음을 ‘햇솜’에 비유하는 사랑하는 대상을 향한 순수한 마


‘햇솜 같은 마음’
직유법을 사용함. 음.

‘마침내 피워 낸 저 황홀 눈꽃이 핀 모습을 ‘황홀’이라고


첫사랑이 이루어진 기쁨.
보아라’ 표현하는 은유법을 사용함.

•봄에 피어난 꽃을 ‘아름다운 상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라고 역설적으로 표현함. 첫사랑을 겪고 난 후에 도달한 정
•봄에 핀 꽃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
상처를 터뜨린다’ 다운 상처’라고 표현하는 은유법 신적 성숙.
을 사용함.

(1) 첫사랑 8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1 17. 12. 11. 오후 7:19


활동 안내 시의 구성 요소들이 주제를 형상화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파악하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통해 시의 구
성 요소를 개별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시의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면서 시를 감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목표 1 이 시에 드러난 서정 갈래의 특성과 주제의 형상화 방법을 탐구해 보자.

발상

(1) 이 시가 취하고 있는 발상을 파악해 보자.

화자는 한겨울 나뭇가지에 내리는 눈과 그 눈이 나뭇가지에 쌓여 있는 모습, 또 봄에는 그 눈이 녹은 자


리에 핀 꽃의 모습에서 첫사랑을 떠올리고 있다. 즉, 이 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뀌는
예시 답안 자연 현상의 모습에서 첫사랑의 의미를 떠올리는 발상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발상을 시로 형
심상
상화하기 위해 어떤 방법
을 사용했을까? (2) 이 시에 드러난 심상을 말해 보고, 이와 관련된 시구를 찾아보자.
예시 답안 •2연의 ‘싸그락 싸그락 두드려 보았겠지’에서 눈이 내리는 소리가 표현되고 있어 청각적 심상이
드러난다.
참고 자료 •2연의 ‘난분분 난분분 춤추었겠지’에서 눈이 내리는 모습이 표현되고 있어 시각적 심상이 드러난다.
시적 발상
‘발상’은 어떤 생각을 해 내거
나, 그 생각을 의미하는 말이다.
시에서 ‘발상’이란 시상을 머릿
속에 떠올려 구체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운율

(3) 이 시에서 운율이 두드러진 부분을 찾고, 그 효과를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운율이 두드러진 부분: 2연. ‘싸그락’, ‘난분분’이라는 음성 상징어, ‘미끄러지고’, ‘미끄러지길’이
라는 유사한 시어, ‘~겠지’라는 종결 어미의 반복과 2연의 1행과 2행에 비슷한 문장 구조를 배치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효과: 눈꽃을 피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눈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이 시의 심상과 운율상 주제와의 관련성


의 특징이 시의 주제와 어
떤 관련이 있을까? (4) 이 시의 주제를 파악해 보고, 시의 구성 요소가 주제의 형상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안 •주제: 안내와 헌신으로 이뤄 낸 사랑의 결실.
•시의 구성 요소가 주제의 형상화에 미치는 영향: 이 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모습, 즉 나뭇
가지에 눈이 내리고 눈이 녹은 자리에 다시 꽃이 피는 모습을 통해 사랑의 속성을 표현하고 있다. 운율을 형성
하는 반복적인 표현과 시각, 청각과 같은 감각적 심상, 비유, 역설과 같은 표현 방법을 통해 ‘인내와 헌신으로
이뤄 낸 사랑의 결실’이라는 시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82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2 17. 12. 11. 오후 7:19


문학 매체
활동 안내 시를 영상으로 제작해 봄으로써 시를 능동적으로 감상하는 힘을 기르기 위한
✚ 활동이다. 시 속의 언어를 구체적인 심상으로 확장하는 능력을 기르고, 시에 맞는 음악을
선택하면서 시적 정서와 분위기를 탐구하는 능력도 향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은 학생들이 만든 영상 시이다. 이를 참고하여 모둠별로 시 한 편을 골라 영상


으로 제작해 보자. 영상 시 자료 모둠

도움말
영상 시의 화면을 구성할 분분한 낙화……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때에는 먼저 시를 몇 개의 부
지금은 가야 할 때,
분으로 나눌지 정한다. 그런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봄한철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격정을 인내한
다음 시의 각 부분에 적합한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나의 사랑은 지고 있다.
사진, 그림, 영상 촬영 장면
등을 선정하여 제작한다.

예시 답안

영상 시 제작 보고서

시의 제목: 낙화

참고 자료
이 시를
이형기, 「낙화」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선정한 꽃이 지는 모습에서 결별의 가치를 발견한 것이 인상 깊어 선정하였다.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이유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시의 정서와 분위기를 고려하여 화면 구성 계획하기.
봄 한철 /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은 지고 있다.
화면 1 화면 2
분분한 낙화……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꽃잎이 나뭇가지에서 떨어지는 모습. 여인의 쓸쓸한 뒷모습.
지금은 가야 할 때,
제작 계획 화면 3 화면 4
무성한 녹음과 그리고
민들레가 노랗게 피었다가 홀씨가 되어 나뭇가지에서 떨어진 꽃잎들이 바닥에
머지않아 열매 맺는
날아가는 모습. 쌓여 있는 모습.
가을을 향하여
나의 청춘은 꽃답게 죽는다.
•화면과 분위기에 어울리는 배경 음악 선정하기.
헤어지자. / 섬세한 손길을 흔들며 - 배경 음악: 못(MOT)의 ‘날개’.
하롱하롱 꽃잎이 지는 어느 날 - 선정 이유: 애상적이고 관조적인 시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음악이기 때문이다.

나의 사랑, 나의 결별, 영상 시를 제작하면서 시의 정서와 분위기, 그리고 주제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


제작 소감
샘터에 물 고이듯 성숙하는 다.
내 영혼의 슬픈 눈.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현대 시 첫사랑을 감상하며 시어, 화자, 운율, 심상 등의 구성 요소로

정리하기 작품의 주제가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서정 갈래에 속하는 작품을 찾아 읽으


며 각 작품에 드러난 형상화 방법을 파악하고, 서정 갈래의 아름다움을 느껴 보자.

(1) 첫사랑 8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3 17. 12. 11. 오후 7:19


총 6차시

(2)
학습 목표 •서사 갈래의 특성과 형상화 방
법을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한다.
•소설은 구성 요소가 전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
는 구조물임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역량 목표 •작품을 감상하며 작품 속에 담
긴 사회· 문화적 가치를 내면화한다.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 카드 중에서 세 장을 골라 짧은 이야기를 만들어 보자.
활동 안내 그림 카드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보면서 서사 갈래의 특성과 구성 요소에 대한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활동이다. 틀
에 박힌 내용보다는 창의적인 이야기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예시 답안 •선정한 카드: ⑨ (남자가 기타를 치고 있는 그림.), ⑧ (시계 그림.), ④ (노인이 하늘로 올라가는 집을 바라보는 그림.)
•카드를 골라 만든 이야기: 눈을 뜨면 거리로 나가 기타를 치며 노래하는 한 소년이 있었다. 그렇게 봄, 여름, 가을, 겨울 여러 계절
이 지나갔다. 그러던 어느 날, 째깍째깍 움직이는 시계의 초침과 분침의 소리가 크게 들리면서 침대에 누워 있던 소년의 몸이 들썩
였다. 무슨 일이 일어났음을 직감한 소년은 몸을 추스른 후 현관으로 걸어가 문을 열어 보고는 깜짝 놀라고 말았다. 머리가 희끗희
끗한 한 노인이 서서 자신의 집을 바라보고 있었고, 놀랍게도, 정말 놀랍게도, 자신의 집은 공중에 떠 있었던 것이다.

84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4 17. 12. 11. 오후 7:19


알아
두기 1 서사 갈래의 개념과 특성
서사 갈래는 허구적으로 창조한 인물이나 사건을 특정한 시점(視點)에서 서술하는 문학 양
서사 갈래의 개념
식이다. 서사 갈래에서는 주로 갈등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는데, 이때 작가가 내세운 서술
『 』: 서사 갈래의 특성
자가 사건의 전개 과정을 독자에게 전달한다. 서술자가 이야기를 전달하므로 사건의 전개 양
상뿐 아니라 이를 드러내는 서술자의 시점과 태도, 그리고 서술 방식도 작품의 주제를 구현하
서사 갈래에서 서술자의 역할
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 문학의 서사 갈래에는 신화, 전설, 민담, 고전 소설, 신소
설, 현대 소설 등이 있다.

2 소설의 구성 요소와 형상화 방법


소설가는 인물, 사건, 배경 등의 구성 요소와 서술 방식, 문체 등의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소설의 구성 요소
작품의 주제를 형상화한다. 먼저 소설가는 소설의 주제를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
『 』: 소설의 형상화 방법
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인 시점을 정한다. 그리고 인물, 사건, 배경을 구체적
으로 설정한 뒤, 소설 속 사건을 자신만의 문체로 표현한다. 이렇게 완성된 한 편의 소설은 소
설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허구적인 이야기이지만, 마치 실제로 일어난 이야기인 것처럼
소설의 특성
보여 독자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참고 자료
소설의 구성 방식

사건의 진행 평면식 구성 사건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어난 순서대로 구성하는 방식.


순서에 따라 입체적 구성 사건을 시간의 순서를 바꾸어 구성하는 방식.
단일 구성 한 작품에 하나의 이야기만 전개되는 구성 방식.
포함된 이야기
수에 따라 하나의 이야기(외부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내부 이야기)를 포함시켜 사건을 구성하는
액자식 구성
방식.

현대 소설에서
알 수 있는 서사 갈래의
?! 특성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현대 소설 작품을 감상하며 서사 갈래의 특성을 이해하는 활동을 할 것
이다. 현대 소설에서 알 수 있는 서사 갈래의 특성은 무엇일지 생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
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소설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이며, 어떤 기능을 할까?
•소설의 주제는 독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전달될까?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8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5 17. 12. 11. 오후 7:19


학습 포인트 •이 소설의 구성 요소   •등장인물의 갈등 양상   •작품의 주제 의식

제재 구조도 이 작품은 1970년대의 빠른 산업화 속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그린 현대 소설이다. 이 소설에


사용된 서사 갈래의 형상화 방법과 이를 통해 드러나는 주제를 파악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나’의 집 문간방에
발단 ‘권 씨’의 가족이 전세 제목 풀이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는 이 소설의 중심인물인 ‘권 씨’를 뜻한다. ‘권 씨’가 매일 반짝거리게
로 들어옴. 닦아 신고 다니는 ‘구두’는 그가 늘 외치는 ‘안동 권씨’, ‘대학 나온 사람’으로서의 자존심을 상징한다.
‘권 씨’는 경제적 능력 ‘나’의 집에 들어왔다가 자존심에 심한 상처를 입고 행방불명이 된 ‘권 씨’의 집에 남겨진 ‘아홉 켤레의
이 부족한 전과자이면 구두’는 마지막 자존심마저 잃고 삶의 벼랑 끝에 선 ‘권 씨’의 힘겨운 삶을 보여 준다.
전개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서도 구두를 향한 정성
이 지극함.
‘나’는 아내의 수술비
를 빌려 달라는 ‘권 씨’ 소단원 정리 PPT
작가 소개 영상 전체 줄거리 영상 등장인물 소개 영상
위기 의 부탁을 거절했다가 _ 윤흥길
이후 ‘권 씨’ 모르게 그
를 도움.
제재 개관
‘나’의 집에 복면강도로 갈래 현대 소설, 중편 소설 성격 사실적, 비판적
절정 침입한 ‘권 씨’는 자존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배경 •시간적: 1970년대   •공간적: 성남 지역
심만 상한 채 집을 나감.
제재 도시 개발 과정에서 밀려난 가난한 이의 삶과 자존심.
‘권 씨’가 아홉 켤레의 주제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계층의 어려운 삶과 부조리한 현실 고발.
결말 구두만 남기고 행방불
•상징적 소재와 관련된 행위를 통해 인물의 심리와 성격을 그려 냄.
명됨. 특징
•사실적 문체와 예리한 문제의식으로 현실의 모순을 지적함.

앞부분 줄거리 | 초등학교 교사인 ‘나(오 선생)’는 셋방살이를 전전하다가 개발이 진행 중인 한 도 5

시 주택가에 집을 장만하고 문간방에 세를 놓는다. 이 방에 ‘권 씨’가 아내와 두 아이를 데리고 이사를

온다. ‘권 씨’ 가족은 통보도 없이 이사 오기로 한 날보다 앞서 이사를 와서는 약속한 전세금마저 다

내놓지 않는다. 게다가 ‘권 씨’의 아내는 아이를 임신한 상태이다. ‘권 씨’는 이불 보따리 하나와 취사
윤흥길 도구뿐인 궁색한 살림살이 속에서도 여러 켤레의 구두만큼은 소중히 여기며 깨끗하게 닦아 놓는다.
(1942~)
‘권 씨’가 이사 온 며칠 뒤 이 순경이 ‘나’를 찾아와 ‘권 씨’가 전과자이니 그의 동태를 살펴 달라는 부 10
소설가. 현대 사회의 모순
을 비판적으로 통찰한 작품을 탁을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나’는 학생 집에 가정 방문을 가다가 공사장에서 일하던 ‘권 씨’를 우연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황 히 만난다. 그날 밤 술에 취해 들어온 ‘권 씨’는 집을 마련하기 위해 분양 받았던 땅 문제로 정부 정
혼의 집, 장마, 완장 등이
책에 항의하다 소요의 주동자로 몰려 징역을 산 자신의 과거를 털어놓는다. 얼마 뒤 집에서 아이를
있다.
낳으려던 ‘권 씨’의 아내는 진통이 길어져 한밤중에 병원으로 옮겨진다.

위기 오후 수업이 시작된 바로 뒤에 뜻밖에도 권 씨가 나를 찾아왔다. 때마침 나 15

는 수업이 없어 교무실에서 잡담이나 하고 있는 중이어서 수위로부터 연락을

받자 곧장 학교 정문으로 나갈 수가 있었다.

■전전(轉轉)하다가 이리저리
“바쁘실 텐데 이거 죄송합니다.”
굴러다니거나 옮겨 다니다가.
권 씨는 애써 웃는 낯이었고 왠지 사람이 전에 없이 퍽 수줍어 보였다. 나
■궁색(窮塞)한 아주 가난한. 무엇인가를 부탁하려는 데서 오는 태도 ①

■소요(騷擾) 여러 사람이 모여
는 그 수줍음이 세 번째 아이의 아버지가 된 데서 오는 것일 거라고 좋은 쪽 20

폭행이나 협박 또는 파괴 행 으로만 해석함으로써 연락을 받는 그 순간에 느낀 불길한 예감을 떨쳐 버리


위를 함으로써 공공질서를 문
란하게 함. 려 했다.

86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6 17. 12. 11. 오후 7:20


“잘됐습니까?”
‘권 씨’ 아내의 출산에 대한 안부
“뒤늦게나마 오 선생 말씀대로 했기 망정이지 끝까지 집에서 버텼다간 큰

일 날 뻔했습니다. 녀석인지 년인진 모르지만 못난 애비 혼 좀 나라고 여엉

애를 멕이는군요.”
5 권 씨는 수줍게 웃으며 길바닥 위에다 발부리로 뜻 모를 글씬지 그림인지
무엇인가를 부탁하려는 데서 오는 태도 ②
를 자꾸만 그렸다. 먼지가 풀풀 이는 언덕길을 터벌터벌 올라왔을 터인데도
『 』: 어떤 상황에서도 구두를 반짝이게 유지하는 ‘권 씨’ - 자존심을 지키려는 행동
그의 구두는 놀랄 만큼 반짝거렸다. 나를 기다리는 동안 틀림없이 바짓가랑

이 뒤쪽에다 양쪽 발을 번갈아 가며 문지르고 있었을 것이었다.


▶ ‘나’가 근무하는 학교로 찾아온 ‘권 씨’
“십만 원 가까이 빌릴 수 없을까요?” ‘권 씨’가 ‘나’를 찾아온 이
‘권 씨’가 ‘나’를 찾아온 이유 유는 무엇인가?
10 밑도 끝도 없이 그는 이제까지의 수줍음이 싹 가시고 대신 도발적인 감정 예시 답안 ‘나’에게 아내의 수
비굴하게 보이고 싶지 않은 ‘권 씨’의 심리가 드러남
술비로 쓸 돈을 빌리기 위해서
같은 걸로 그득 채워진 얼굴을 들어 내 면전에 대고 부르짖었다. 담배 한 대 이다.

만 꾸자는 식으로 십만 원 소리가 허망히도 나왔다. 내가 잠시 어리둥절해 있


어이없고 허무하게도
는 사이에 그는 매우 사나운 기세로 말을 보태는 것이었다.

“수술을 해야 된답니다. 엑스레이도 찍어 봤는데 아무 이상이 없답니다. 모 구절 풀이 ‘권 씨’의 아내가


정상 분만을 할 수 없어 수술을
15 든 게 다 정상이래요. 모체 골반두 넉넉허구요. 조기 파수도 아니구 전치태 해야 하지만, 돈이 없어 수술을
못 하고 있는 절박한 상황에 있
반도 아니구요. 쌍둥이는 더더욱 아니구요. 이렇게 정상적인데도 이십사 음을 보여 준다.

시간이 넘두룩 배가 위에 달라붙는 경우는 태아가 돌다가 탯줄을 목에 감

았을 때뿐이랍니다. 제기랄, 탯줄을 목에 감았다는군요. 빨리 손을 쓰지 않

으면 산모나 태아나 모두 위험하대요.” ▶ ‘나’에게 아내의 수술비를 빌리려는 ‘권 씨’


‘권 씨’가 빌려 달라는 십만 원의 용도 - 아내의 수술비
20 어색하게 들린 것은 그가 ‘제기랄’이라고 씹어뱉은 그 대목뿐이었다. 평상
지식인으로서의 면모와 착한 천성
시의 권 씨답지 않은 그 말만 빼고는 그럴 수 없이 진지한 이야기였다. 아니

다. 그가 처음으로 점잖지 못한 그 말을 사용했기 때문에 내 귀엔 더욱더 진

지하게 들렸을지도 모른다. 나는 한동안 망설이지 않을 수 없었다. 그의 진지 ■터벌터벌 천천히 힘없는 걸


음으로 걷는 모양.
함 앞에서 ‘아아, 그거 참 안됐군요.’라든가 ‘그래서 어떡하죠.’ 하는 상투적인
■조기 파수(早期破水) 자궁이
25 말로 섣불리 이쪽의 감정을 전달하기엔 사실 말이지 ‘십만 원 가까이’는 내게 완전히 열리기 전에 양막이
선뜻 빌려주기에는 부담스러운 금액임 터져 양수가 흘러나오는 일.
너무나 큰 부담이었다. 집을 살 때 학교에다 진 빚을 아직 절반도 못 가린 처
■전치태반(前置胎盤) 태반이
지였다. 정상 분만비 일, 이만 원 정도라면 또 모르지만 단순히 권 씨를 도울 정상 위치보다 아래쪽에 자리
잡아 자궁안 구멍을 막은 상
작정으로 나로서는 거금에 해당하는 십만 원 가까이를 또 빚진다는 건 무리 태.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8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7 17. 12. 11. 오후 7:20


도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뿐만 아니라 집안에서 경제권을 장악하고 있는

아내의 양해도 없이 멋대로 그런 큰일을 저질러도 괜찮을 만큼 나는 자유롭


‘권 씨’에게 수술비를 빌려주는 일
지도 못했다. ▶ ‘권 씨’의 부탁을 받고 갈등하는 ‘나’

“빌려만 주신다면 무슨 짓을, 정말 무슨 짓을 해서라도 반드시 갚겠습니


‘권 씨’의 절박한 심정이 드러남
다.” 5

반드시 갚는 조건임을 강조하면서 그는 마치 성경책 위에다 오른손을 얹고

말하듯이 엄숙한 표정을 했다. 하마터면 나는 잊을 뻔했다. 그가 적시에 일깨


‘나’가 ‘권 씨’의 부탁을 거 워 주었기 망정이지 안 그랬더라면 빌려주는 어려움에만 골똘한 나머지 빌려
절하려고 마음먹은 까닭은 무
엇일까? 줬다 나중에 돌려받는 어려움이 더 클 거라는 사실은 생각도 못 할 뻔했다.
예시 답안 ‘제대로 된 수입이
없는 ‘권 씨’가 ‘나’에게 빌린 돈
그렇다. 끼니조차 감당 못하는 주제에 막벌이 아니면 어쩌다 간간이 얻어걸 10
아무 일이든지 닥치는 대로 해서 돈을 버는 일
을 갚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
기 때문이다.
리는 출판사 싸구려 번역 일 가지고 어느 해에 빚을 갚을 것인가? 책임이 따

르는 동정은 피하는 게 상책이었다. 그리고 기왕 피할 바엔 저쪽에서 감히 두


자신이 받을 피해를 염려하며 ‘권 씨’의 부탁을 단호히 거절하려는 모습 - ‘나’의 이해타산적인 면모
말을 못 하도록 야멸차게 굴 필요가 있었다.
■엄숙(嚴肅)한 분위기나 의식
“병원 이름이 뭐죠?” 콕콕 정리
따위가 장엄하고 정숙한.
‘나’의 내적 갈등
■적시(適時) 알맞은 때. “원 산부인괍니다.” 15
‘권 씨’는 돈을 갚을 능력이 없 ‘권 씨’의 아내와 아이의 생사
으므로 큰돈을 ‘권 씨’에게 빌려 가 걸려 있기에 돈을 빌려주어야
주기는 어렵다. 한다.

88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8 17. 12. 11. 오후 7:20


“지금 내 형편에 현금은 어렵군요. 원장한테 바로 전화 걸어서 내가 보증을 콕콕 정리
‘권 씨’와 ‘나’의 갈등
서마고 약속할 테니까 권 선생도 다시 한번 매달려 보세요. 의사도 사람인 권씨

데 설마 사람을 생으로 죽게야 하겠습니까? 달리 변통할 구멍이 없으시다 아내의 수술비를 꼭 빌


려야만 함.
면 그렇게 해 보세요.” ▶ ‘권 씨’의 부탁을 완곡하게 거절하는 ‘나’
나(오 선생)
5 내 대답이 지나치게 더디 나올 때 이미 눈치를 챈 모양이었다. 도전적이던 빌려주더라도 돌려받는
것을 기약할 수 없으니 빌
기색이 슬그머니 죽으면서 그의 착하디착한 눈에 다시 수줍음이 돌아왔다. 려줄 수 없음.

그는 고개를 좌우로 흔들어 보였다.

“원장이 어리석은 사람이길 바라고 거기다 희망을 걸기엔 너무 늦었습니

다. 그 사람은 나한테서 수술 비용을 받아 내기가 수월치 않다는 걸 입원시


10 키는 그 순간에 벌써 알아차렸어요.”

얼굴에 흐르는 진땀을 훔치는 대신 그는 오른발을 들어 왼쪽 바짓가랑이


자존심이 상하여 곤혹스러움 구두를 닦는 동작 - 자존심 회복을 위한 노력
뒤에다 두어 번 문질렀다. 발을 바꾸어 같은 동작을 반복했다.

“바쁘실 텐데 실례 많았습니다.”

‘썰면’처럼 두툼한 입술이 선잠에서 깬 어린애같이 움씰거리더니 겨우 인사


15 말이 나왔다. 무슨 말이 더 있을 듯싶었는데 그는 이내 돌아서서 휘적휘적 걷

기 시작했다. 나는 내심 그의 입에서 끈끈한 가래가 묻은 소리가, 이를테면,

오 선생 너무하다든가 잘 먹고 잘 살라든가 하는 말이 날아와 내 이마에 탁


예시 답안 경제적인 문제로
돈을 빌리고자 하였으나 거절당
눌어붙는 순간에 대비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가 갑자기 돌아서면
하자, 상처 입은 자신의 자존심
을 회복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
서 나를 똑바로 올려다봤을 때 그처럼 흠칫 놀랐을 것이다.
이다.
20 “오 선생, 이래 봬도 나 대학 나온 사람이오.” ▶ 상처받은 자존심을 회복하려 애쓰는 ‘권 씨’ ‘권 씨’가 자신이 대학을 나
상처 입은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한 ‘권 씨’의 말 왔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이유
그것뿐이었다. 내 호주머니에 촌지를 밀어 넣던 어느 학부형같이 그는 수 는 무엇일까?

줍게 그 말만 건네고는 언덕을 내려갔다. 별로 휘청거릴 것도 없는 작달막한


『 』: ‘권 씨’의 절박한 심정을 알아챔 ■변통(變通)할 돈이나 물건 따
체구를 연방 휘청거리면서 내딛는 한 걸음 한 걸음마다 땅을 저주하고 하늘 위를 융통할.
■썰면 ‘나’와 함께 근무하는 교
을 저주하는 동작으로 내 눈에 그는 비쳤다. 산 고팽이를 돌아 그의 모습이
사의 별명. 입술이 두툼해서
25 벌거벗은 황토의 언덕 저쪽으로 사라지는 찰나, 나는 뛰어가서 그를 부르고 썰면 한 접시는 되겠다는 의
연민의 감정이 북받침 미이다.
싶은 충동을 느꼈다. 돌팔매질을 하다 말고 뒤집혀진 삼륜차로 달려들어 아 ■고팽이 굽은 길의 모퉁이.

귀아귀 참외를 깨물어 먹는 군중을 목격했을 당시의 권 씨처럼, 이건 완전히 ■암만 밝혀 말할 필요가 없는
‘권 씨’가 절박한 생존의 문제에 놓여 있음을 깨달음 값이나 수량을 대신하여 이르
나체구나 하는 느낌이 팍 들었다. 그리고 내가 그에게 암만의 빚을 지고 있음 는 말.
콕콕 정리
앞부분의 생략된 줄거리: ‘권 씨’는 광주 단지의 땅 문제로 경찰과 상대하던 굶주린 군중들이 돌팔매질도

89
멈춘 채, 삼륜차에서 쏟아진 참외를 순식간에 먹어 치우는 모습을 보고 ‘이건 정말 나체화구나.’하고 느꼈
던 경험을 ‘오 선생’에게 이야기한다.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89 17. 12. 11. 오후 7:20


을 퍼뜩 깨달았다. 전셋돈도 일종의 빚이라면 빚이었다. 왜 더 좀 일찍이 그
전세를 얻을 때 그 부동산의 소유주에게 맡기는 돈
생각을 못 했는지 모른다. ▶ ‘권 씨’의 절박한 처지를 뒤늦게 깨닫는 ‘나’

원 산부인과에서는 만단의 수술 준비를 갖추고 보증금이 도착되기만을 기

다리고 있었다. 학교에서 우격다짐으로 후려낸 가불에다 가까운 동료들 주머


‘의사’의 말과 행동으로 미 니를 닥치는 대로 떨어 간신히 마련한 일금 십만 원을 건네자 금테의 마비츠 5

루어 볼 때 그의 성격은 어떠
할까? 안경을 쓴 원장이 바로 마취사를 부르도록 간호원에게 지시했다. 원장은 내
예시 답안 ‘권 씨’ 아내의 상
태가 위중한데도 수술비를 요구
가 권 씨하고 아무 척분도 없으며 다만 그의 셋방 주인일 따름인 걸 알고는
하며 수술을 미루고, ‘권 씨’의
경제적인 무능함만을 탓하는 것
혀를 찼다.
으로 보아 비정하고 속물적인
사람이다.
“아버지가 되는 방법도 여러 질이군요. 보증금을 마련해 오랬더니 오전 중

에 나가서는 여태껏 얼굴 한 번 안 비치지 뭡니까?” 10

“맞습니다. 의사가 애를 꺼내는 방법도 여러 질이듯이 아버지 노릇 하는 것


돈을 우선시하며 수술을 미룬 비정한 의사를 향한 빈정거림의 표현
도 아마 여러 질일 겁니다.”
■만단(萬端) 여러 가지나 온 나는 내 말이 제발 의사의 귀에 농담으로 들리지 않기를 바랐으나 유감스
갖.
■마비츠(MARWITZ) 독일제 안 럽게도 금테 안경의 상대방은 한 차례의 너털웃음으로 그걸 간단히 눙쳐 버
어떤 행동이나 말 따위를 문제 삼지 않고 넘겨
경의 상표.
렸다. 나는 이미 죽은 게 아닌가 싶게 사색이 완연한 권 씨 부인이 들것에 실 15
■척분(戚分) 성이 다르면서 한
집안이 되는 관계. 려 수술실로 들어가는 걸 거들었다.
콕콕 정리
‘권 씨’와 ‘의사’의 갈등

90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권씨 의사
위급한 상태의 아내를 빨리 수술해 주기를 바람. 수술비를 주기 전에는 수술을 해 줄 수 없음.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0 17. 12. 11. 오후 7:20


생명을 꺼내고 그 생명을 수용했던 다른 생명까지 암냥해서 건지는 요란한 깜짝 퀴즈
1. ‌‘권 씨’가 ‘나(오 선생)’를
수술치곤 너무도 쉽게 끝났다. 보호자 대기석에 앉아서 우리 집 동준이 놈을 찾아온 이유는 ☐을 빌리
기 위해서이다. ➡돈
얻을 때처럼 줄담배질로 네 댄가 다섯 대째 불을 붙이고 나니까 울음소리가 2. ‌‘나(오 선생)’는 아내의 병
원비조차 마련하지 못하
들렸다. 는 ‘권 씨’를 비난하고 있
다. ➡×
3. ‌보증금 때문에 사색이 완
5 “고추예요, 고추!” 연한 ‘권 씨’ 아내를 방치
하는 ‘의사’의 모습에서 사
수술을 돕던 원장 부인이 나오면서 처음 울음을 듣는 순간에 내가 점쳤던 람 목숨보다 돈을 더 우선
시하는 물질 만능 주의적
결과를 큰 소리로 확인해 주었다. 진짜 보호자를 상대하듯이 원장 부인이 내 세태를 엿볼 수 있다.
 ➡◯
게 축하를 보내왔으므로 나 역시 진짜 보호자 입장에서 수고를 치하하지 않

을 수 없었다. 잠시 후에 나는 강보에 싸여 밖으로 나오는 권기용 씨의 차남


10 을 대면할 수 있었다. 제 어미 배를 가르고 나온 놈답지 않게 얼굴이 두툼한

것이 속없이 잘도 생겼다. 제왕 절개라는 말이 풍기는 선입감에 딱 어울리게


어떤 대상에 대하여 이미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고정적인 관념이나 관점
시리 목청이 크고 우렁찼다. 병원 건물을 온통 들었다 놓는 억세디억센 놈의

울음소리를 듣는 동안 나는 동준이 놈을 낳던 날의 감격 속으로 고스란히 빠

져들어 갔다. ▶ ‘권 씨’ 아내의 수술비를 내고 보호자 역할을 한 ‘나’


위기 아내의 수술비를 빌려 달라는 ‘권 씨’의 부탁을 거절했다가 이후 ‘권 씨’를 돕는 ‘나’.
15 절정 우리 집에 강도가 든 것은 공교롭게도 그날 밤이었다. 난생처음 당해 보는
‘나’가 ‘권 씨’ 아내의 수술비를 대신 내준 날
강도였다. 자꾸만 누군가 내 어깨를 흔들어 대고 있었다. 귀찮다고 뿌리쳐도

잠자코 계속 흔들었다. 나를 깨우려는 손의 감촉이 내 식구의 그것이 아님을

퍼뜩 깨닫고 눈을 떴을 때 나는 빨간 꼬마전구 불빛 속에서 복면의 사내를 보

았다. 그리고 똑바로 내 멱을 겨누고 있는 식칼의 서슬도 보았다. 술 냄새가


20 확 풍겼다. 조명 빛깔을 감안해서 붉은빛을 띤 검정 계통의 보자기일 복면 위

로 드러난 코의 일부와 눈자위가 나우 취해 있음을 나는 재빨리 간파했다.


▶ ‘나’의 집에 침입한 강도 ■암냥해서 물건을 호송해서.
“일어나, 얼른 일어나라니까.” ‘암냥’은 ‘압령(押領)’의 변한
말이다.
나 외엔 더 깨우고 싶지 않은지 강도의 목소리는 무척 낮고 조심스러웠다.
■강보(襁褓) 포대기.
나는 일어나고 싶었지만 도무지 일어날 수가 없었다. 멱을 겨눈 식칼이 덜덜 ■멱 목의 앞쪽.
떨고 있는 강도의 모습
25 덜 위아래로 춤을 추었다. 만약 강도가 내 목통이라도 찌르게 된다면 그것은 ■서슬 쇠붙이로 만든 연장이
나 유리 조각 따위의 날카로
고의에서가 아니라 지나친 떨림으로 인한 우발적인 상해일 것이었다. 무척 운 부분.
어떤 일이 예기치 아니하게 우연히 일어나는
■나우 조금 많이.
모자라는 강도였다. 나는 복면 위의 눈을 보는 순간에 상대가 그 방면의 전문
■간파(看破)했다 속내를 꿰뚫
가가 못 됨을 금방 알아차렸던 것이다. 딴에 진탕 마신 술로 한껏 용기를 돋 어 알아차렸다.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9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1 17. 12. 11. 오후 7:20


웠을 텐데도 보기 좋을 만큼 큰 눈이 착하게만 타고난 제 천성을 어쩌지 못한
‘권 씨’의 착한 눈과 일치하는 강도의 인상
채 나를 퍽 두려워하고 있었다. 술로 간을 키우지 않고는 남의 집 담을 못 넘
실패를 나타내는 관용적 표현
을 정도라면 강력 범행을 도모하는 사람으로서는 처음부터 미역국이었다.
▶ 강도가 초보임을 알아차리는 ‘나’
“일어날 테니까 칼을 약간만 뒤로 물려 주시오.”

강도는 내가 시키는 대로 했다. 5

“내놔, 얼른 내놓으라니까.”

내가 다 일어나 앉기를 기다려 강도가 속삭였다.

“하라는 대로 하죠. 허지만 당신도 내가 하라는 대로 해야만 일이 수월할


어수룩한 강도에게 오히려 조언해 주는 ‘나’
거요.”

잔뜩 의심을 품고 쏘아보는 강도를 향해 나는 덧붙여 말했다. 10

“집 안에 현금은 변변찮소. 화장대 위에 돼지 저금통하고 장롱 서랍 속에

아마 마누라가 쓰다 남은 돈이 약간 있을 거요. 그 밖에 돈이 될 만한 건 당
■도모(圖謀)하는 어떤 일을 이
루기 위하여 대책과 방법을 신이 알아서 챙겨 가시오.”
세우는.
강도가 더욱 의심을 두고 경거히 움직이려 하지 않았으므로 나는 시험 삼
■경거(輕遽)히 말이나 행동이
가볍게. 아 조금 신경질을 부려 보았다. 15

92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2 17. 12. 11. 오후 7:20


“마누라가 깨서 한바탕 소동을 벌여야만 시원하겠소? 난처해지기 전에 나

를 믿고 일러 주는 대로 하는 게 당신한테 이로울 거요.”

한차례 길게 심호흡을 뽑은 다음 강도는 마침내 결심을 했다는 듯이 이부 구절 풀이 강도의 어리숙한


행동과 그것을 이성적으로 바라
자리를 돌아 화장대 쪽으로 향했다. 얌전히 구두까지 벗고 양말 바람으로 들 보는 ‘나’의 모습이 드러나고 있
강도의 어설픈 행동 다.
5 어온 강도의 발을 나는 그때 비로소 볼 수 있었다. 내가 그렇게 염려를 했는

데도 강도는 와들와들 떨리는 다리를 옮기다가 그만 부주의하게 동준이의 발


예시 답안 여느 강도와 다르
을 밟은 모양이었다. 동준이가 갑자기 칭얼거리자 그는 질겁을 하고 엎드리 게 구두를 벗어 놓고 양말 바람
으로 방에 들어와, 떨리는 다리
를 옮기다가 아이의 발을 밟고,
더니 녀석의 어깨를 토닥거리는 것이었다. 녀석이 도로 잠들기를 기다려 그
아이가 깰까 봐 노심초사하는 강도의 순진무구한 면모 칭얼대는 아이의 어깨를 토닥거
리는 등 미숙하고 어설픈 강도
는 복면 위로 칙칙하게 땀이 밴 얼굴을 들고 일어나서 내 위치를 흘끔 확인한
의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10 다음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갔다. 터지려는 웃음을 꾹 참은 채 강도의 애교스 ‘나’가 ‘강도’의 행동을 애교
스럽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
러운 행각을 시종 주목하고 있던 나는 살그머니 상체를 움직여 동준이를 잠 일까?

재울 때 이부자리 위에 떨어뜨린 식칼을 집어 들었다.


부주의한 행동
“연장을 이렇게 함부로 굴리는 걸 보니 당신 경력이 얼마나 되는지 알 만합
‘나’가 오히려 강도에게 큰소리를 치고 있음
니다.” ▶ 강도의 어리숙한 행동
■질겁(窒怯) 뜻밖의 일에 자지
15 내가 내미는 칼을 보고 그는 기절할 만큼 놀랐다. 나는 사람 좋게 웃어 보 러질 정도로 깜짝 놀람.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9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3 17. 12. 11. 오후 7:20


콕콕 정리 이면서 칼을 받아 가라는 눈짓을 보냈다. 그는 겁에 질려 잠시 망설이다가 내
‘권 씨’의 성격
아내의 수술비를 마련해야 재촉을 받고 후다닥 달려들어 칼자루를 낚아채 가지고는 다시 내 멱을 겨누
하는 가난한 처지 때문에 강
도질을 하게 됐으나, 소심하 었다. 그가 고의로 사람을 찌를 만한 위인이 못 되는 줄 일찍이 간파했기 때
고 순진한 성격임. 속내를 꿰뚫어 알아차렸기
문에 나는 칼을 되돌려 준 걸 조금도 후회하지 않았다. 아니나 다를까, 그는

식칼을 옆구리 쪽 허리띠에 차더니만 몹시 자존심이 상한 표정이 되었다. 5

“도둑맞을 물건 하나 제대로 없는 주제에 이죽거리긴!”


‘나’가 자신을 비웃는다고 생각함
“그래서 경험 많은 친구들은 우리 집을 거들떠도 안 보고 그냥 지나치죠.”

“누군 뭐 들어오고 싶어서 들어왔나? 피치 못할 사정 땜에 어쩔 수 없


아내의 수술비 마련
이…….”

나는 강도를 안심시켜 편안한 맘으로 돌아가게 만들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 10

구절 풀이 ‘나’는 ‘권 씨’의 아 했다.


내를 염두에 두고 말하고 있다.
이에 ‘권 씨’는 자신의 정체를 “그 피치 못할 사정이란 게 대개 그렇습디다. 가령 식구 중에 누군가가 몹
‘나’가 알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
채고, 자존심이 상하게 된다. 시 아프다든가 빚에 몰려서…….”
‘강도’가 분개한 이유는 무 그 순간 강도의 눈이 의심의 빛으로 가득 찼다. 분개한 나머지 이가 딱딱
엇일까? ‘나’가 강도의 정체를 알고 있으리라는 생각

예시 답안 ‘나’가 자신의 정체 마주칠 정도로 떨면서 그는 대청마루를 향해 나갔다. 내 옆을 지나쳐 갈 때 15

를 알아차린 것을 알고 자존심
에 상처를 입었기 때문이다. 그의 몸에서는 역겨울 만큼 술 냄새가 확 풍겼다. 그가 허둥지둥 끌어안고 나

가는 건 틀림없이 갈기갈기 찢어진 한 줌의 자존심일 것이었다. 애당초 의도


강도를 안심시켜 편안하게 돌아가게 하려는 의도
했던 바와는 달리 내 방법이 결국 그를 편안케 하긴커녕 외려 더욱더 낭패케
‘권 씨’의 자존심을 상하게 함
만들었음을 깨닫고 나는 그의 등을 향해 말했다.

“어렵다고 꼭 외로우란 법은 없어요. 혹 누가 압니까, 당신도 모르는 사이 20

에 당신을 아끼는 어떤 이웃이 당신의 어려움을 덜어 주었을지?”


‘나’가 ‘권 씨’ 아내의 수술비를 내 준 것을 우회적으로 말함
“개수작 마! 그따위 이웃은 없다는 걸 난 똑똑히 봤어! 난 이제 아무도 안
① ‘나’가 자신의 부탁을 거절한 것을 떠올리며 한 말 ② 의지할 데 없는 현실에 대한 깊은 좌절감의 표현
믿어!”

그는 현관에 벗어 놓은 구두를 신고 있었다. 그 구두를 보기 위해 전등을

켜고 싶은 충동이 불현듯 일었으나 나는 꾹 눌러 참았다. 현관문을 열고 마당 25

으로 내려선 다음 부주의하게도 그는 식칼을 들고 왔던 자기 본분을 망각하


■이죽거리긴 자꾸 밉살스럽게
자신이 강도라는 사실을 잊고 자신의 집으로 들어가려 함
지껄이며 짓궂게 빈정거리긴. 고 엉겁결에 문간방으로 들어가려 했다. 그의 실수를 지적하는 일은 훗날을
내가 말끝마다 이죽거리자
친구는 눈을 핼끔 흘겼다. 위해 나로서는 부득이한 조처였다.

94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4 17. 12. 11. 오후 7:20


“대문은 저쪽입니다.” ‘나’가 ‘강도’에게 대문의 위
‘권 씨’의 자존심을 지켜 주기 위한 ‘나’의 배려이지만 ‘권 씨’의 자존심을 자극함 치를 알려 준 이유는 무엇일
문간방 부엌 앞에서 한동안 망연해 있다가 이윽고 그는 대문 쪽을 향해 느 까?
예시 답안 문간방으로 들어
릿느릿 걷기 시작했다. 비틀비틀 걷기 시작했다. 대문에 다다르자 그는 상체 감으로써 강도로 위장한 ‘권 씨’
의 정체가 들통나지 않게 하기
를 뒤틀어 이쪽을 보았다.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결과적
으로 이 말은 ‘권 씨’의 자존심
5 “이래 봬도 나 대학까지 나온 사람이오.” 에 심한 상처를 입힌다.
자신의 정체가 탄로난 것을 알고 자포자기한 심정에서 마지막 자존심을 내세우고 있음
누가 뭐라고 그랬나? 느닷없이 그는 자기 학력을 밝히더니만 대문을 열고

는 보안등 하나 없는 칠흑의 어둠 저편으로 자진해서 삼켜져 버렸다.


▶ 자신의 정체가 탄로난 것을 알고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권 씨’
나는 대문을 잠그지 않았다. 그냥 지쳐 놓기만 하고 들어오면서 문간방에
‘권 씨’가 돌아오기를 기다림
들러 권 씨가 아직도 귀가하지 않았음과 깜깜한 방 안에 어미 아비 없이 오뉘
10 만이 새우잠을 자고 있음을 아울러 확인하고 나왔다. 아내는 잠옷 바람으로

팔짱을 끼고 현관 앞에 서 있었다.

“무슨 일이라도 있었어요?”

“아무것도 아냐.”

잃은 물건이 하나도 없다. 돼지 저금통도 화장대 위에 그대로 있다. 아무것


15 도 아닐 수밖에. 다시 잠이 들기 전에 나는 아내에게 수술 보증금을 대납해

준 사실을 비로소 이야기했다. 한참 말이 없다가 아내는 벽 쪽으로 슬그머니

돌아누웠다.

“뗄 염려는 없어, 전셋돈이 있으니까.”

“무슨 일이 있었군요?”
20 아내가 다시 이쪽으로 돌아누웠다. 우리 집에 들어왔던 한 어리숙한 강도

에 관해서 나는 끝내 한마디도 내비치지 않았다.▶ 아내에게 강도 사건에 관하여 함구하는 ‘나’


절정 ‘나’의 집에 복면강도로 침입하였다가 자존심만 상한 채 집을 나간 ‘권 씨’.
결말 이튿날 아침까지 권 씨는 귀가해 있지 않았다. 출근하는 길에 병원에 들러

보았다. 수술 보증금을 구하러 병원 문밖을 나선 이후로 권 씨가 거기에 재차 ■망연(茫然)해 아무 생각이 없


이 멍하게.
발걸음한 흔적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지쳐 문을 잠그지 아니하고
25 그다음 날, 그 다음다음 날도 권 씨는 귀가하지 않았다. 그가 행방불명이 닫아만 두고.
자존심이 상하여 집에 돌아오지 않는 ‘권 씨’ ■대납(代納)해 남을 대신하여
된 것이 이제 분명해졌다. 그리고 본의는 그게 아니었다 해도 결과적으로 내 조세 따위를 바쳐. ‘대납’은
‘대신 냄’으로 순화할 수 있다.
방법이 매우 졸렬했음도 이제 확연히 밝혀진 셈이었다. 복면 위로 드러난 두
어설픈 배려로 ‘권 씨’에게 상처를 준 것을 자책함 ■졸렬(拙劣)했음 옹졸하고 천
눈을 보고 나는 그가 다름 아닌 권 씨임을 대뜸 알아차릴 수 있었다. 밝은 아 하여 서툴렀음.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9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5 17. 12. 11. 오후 7:20


구절 풀이 강도로 침입한 ‘권 침에 술이 깬 권 씨가 전처럼 나를 떳떳이 대할 수 있게 하자면 복면의 사내
씨’에게 ‘나’가 한 말과 행동의
이유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를 끝까지 강도로 대우하는 그 길뿐이라고 판단했었다. 그래서 아무 일도 없
‘권 씨’가 강도라는 것을 알고도 모른 척해 주는 것
었던 듯이 병원에 찾아가서 죽지 않은 아내와 새로 얻은 세 번째 아이를 만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했던 것이다. 현관에서 그의 구두를 확인해 보지 않은 것


구두를 통해 ‘권 씨’의 심리 상태를 짐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뒤늦게 후회되었다. 문간방으로 들어가려는 그를 차갑게 일깨워 준 것이 5

영 마음에 걸렸다. 어떤 근거인지는 몰라도 구두의 손질의 정도에 따라 그의


『 』: ‘나’는 ‘권 씨’ 구두의 상태가 ‘권 씨’의 자존심의 상태라고 생각함
운명을 예측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었다. 구두코가 유

리알처럼 반짝반짝 닦여 있는 한 자존심은 그 이상으로 광발이 올려져 있었

을 것이며, 그러면 나는 안심해도 좋았던 것이다. 그때 그가 만약 마지막이란


‘권 씨’의 자존심이 지켜진 것을 알면 자책하지 않아도 될 것임
걸 염두에 두고 있었다면 새끼들이 자는 방으로 들어가려는 길을 가로막는 10
다신 이 집에 돌아오지 않을 각오까지 한 것이라면
콕콕 정리 그것이 그에게는 대체 무엇으로 느껴졌을 것인가.
‘구두’의 상징적 의미 ▶ ‘권 씨’의 자존심을 상하게 한 것에 대해 자책하는 ‘나’
•‘권 씨’의 심리 상태를 암시 아내가 병원을 다니러 가는 편에 아이들을 죄다 딸려 보낸 다음 나는 문간
함.
•‘권 씨‘가 소중하게 생각하 방을 샅샅이 뒤졌다. 방을 내준 후로 밝은 낮에 내부를 둘러보긴 처음인 셈이
는 대상임.
•지식인으로서 마지막 남은 었다. 이사 올 때 본 그대로 세간이라곤 깔고 덮는 데 쓰이는 것과 쌀을 익혀
‘권 씨’의 자존심을 상징함.
서 담는 몇 점 도구들이 전부였다. 별다른 이상은 눈에 띄지 않았다. 구태여 15

꼭 단서가 될 만한 흔적을 찾자면 그것은 구두일 것이었다. 가장 값나가는 세


남겨진 아홉 켤레의 구두 간의 자격으로 장롱 따위가 자리 잡고 있을 꼭 그런 자리에 아홉 켤레나 되는
가 상징하는 의미는 무엇일 ‘권 씨’가 구두를 가장 소중히 여겼음을 알 수 있음
까? 구두들이 사열받는 병정들 모양으로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정갈하게 닦인
예시 답안 ‘권 씨’의 부재를
상징하며, 비인간적인 산업화
것이 여섯 켤레, 그리고 먼지를 덮어쓴 게 세 켤레였다. 모두 해서 열 켤레 가
속에서의 ‘권 씨’의 비참한 처지
를 상징한다.
운데 마음에 드는 일곱 켤레를 골라 한꺼번에 손질을 해서 매일매일 갈아 신 20

을 한 주일의 소용에 당해 온 모양이었다. 잘 닦인 일곱 중에서 비어 있는 하


‘권 씨’가 신고 나간 구두
나를 생각하던 중 나는 한 켤레의 그 구두가 그렇게 쉽사리는 돌아오지 않으
‘권 씨’의 자존심이 쉽게 회복되지 않으리란 걸
리란 걸 알딸딸하게 깨달았다.

권 씨의 행방불명을 알리지 않으면 안 될 때였다. 내 쪽에서 먼저 전화를

걸기는 그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나는 되도록 침착해지려 노력하면서 25

■세간 집안 살림에 쓰는 온갖
물건. 내게, 이웃을 사랑하게 될 거라고 누차 장담한 바 있는 이 순경을 전화로 불
‘권 씨’를 감시하는 경찰로 ‘나’에게 ‘권 씨’를 주의 깊게 볼 것을 부탁함
■사열(査閱)받는 부대의 훈련 렀다. ▶ 행방불명된 ‘권 씨’가 쉽게 돌아오지 않을 것을 예감하는 ‘나’
정도나 장비 유지 상태를 검 결말 아홉 켤레의 구두만 남기고 행방불명된 ‘권 씨’.
열받는. -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96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6 17. 12. 11. 오후 7:20


깜짝 퀴즈
1. ‌‘나(오 선생)’는 식칼을 목에 겨눈 ‘강도’의 두 눈을 보고 그가 ‘권 씨’임을
알아차렸다. ➡◯
2. ‌‘권 씨’가 남기고 떠난 아홉 켤레의 구두는 ‘권 씨’의 ☐ ☐ 를 상징한다.
 ➡ 부재
3. ‌‘권 씨’가 복면을 하고 강도짓을 하러 ‘나(오 선생)’의 집에 들어간 것은 돈
을 빌려주지 않은 ‘나(오 선생)’에게 복수하기 위해서이다. ➡×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9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7 17. 12. 11. 오후 7:20


활동

이해 1 다음 그림을 참고하여 이 소설의 줄거리를 정리해 보자.

활동 안내 등장인물과 관련
된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
기의 흐름을 정리해 보는 활동
이다. 이를 통해 소설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권 씨’
가‘나’
에게 아내의 수술비를 빌려달라 예시 답안 ‘나’가 ‘권 씨’ 대신 병원에 수술비를
지불하고 ‘권 씨’ 아내가 아기를 낳도록 도움.
고 함.

예시 답안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권 씨’가 아홉 예시 답안 수술비를 구하려고 ‘권 씨’가 ‘나’의


켤레의 구두만 남긴 채 행방불명이 됨. 집에 복면강도로 침입하나 정체를 들킴.

2 ‘나’와 ‘권 씨’의 말이나 행동에서 드러나는 성격을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도움말 말이나 행동 성격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을 고

‘책임이 따르는 동정은 피하는 게 상책이 •이웃에게 연민을 느끼나 자신의 안락한 삶
려하여 말과 행동에 담긴 의
은 포기하지 않으려 함.
미를 파악해 본다. 었다.’
활동 안내 소설의 중심인물 •제대로 된 수입이 없는 ‘권 씨’가 ‘나’에게 •이성적이고 냉정한 면모가 있음.
인 ‘나’와 ‘권 씨’의 말과 행동으 빌린 돈을 갚지 못할 것을 우려해 ‘권 씨’에
나(오 선생) 게 돈을 빌려주지 않음.
로 인물의 성격과 특성을 탐구
하는 활동이다. 이야기의 핵심

“오 선생, 이래 봬도 나 대학 나온 사람이 •몰락한 소시민이지만, 지식인의 자존심은
을 이루는 요소인 ‘등장인물’에
지키려고 함.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 오.”
다.
•궁색한 살림살이 속에서도 구두만큼은 소 •순박하고 착한 성품을 지님.
중히 여기며 깨끗하게 닦아 놓는다.
권씨

•강도로 침입해서는 어설픈 모습만 보이고


강도 행각을 벌이는 것을 두려워함.

98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8 17. 12. 11. 오후 7:20


활동 안내 소설의 여러 구성 요소에 따라 이 소설의 내용을 분석해 보는 활동이다. 소설의 구성 요소들은 작품의 주
제를 형상화하기 위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목표 1 이 소설에 반영된 서사 갈래의 구성 요소를 분석한 후, 이 소설의 주제를 파악해


보자.
자료실
(1) 다음 질문에 답하며 소설의 구성 요소와 구성 단계상의 특징을 분석해 보자.
소설의 구성
•기본 요소: 이야기의 핵심
을 이루는 ‘등장인물’, 그 등 질문 1 이 소설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은 어떠한가?
장인물의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사건’, 등장인물의 존 개발이 진행 중인 도시 주택가를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하여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1970년
재와 행위를 구체화하는 대의 사회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배경’.
•구성 단계: 일반적으로 ‘발
단-전개-위기-절정-결말’
의 5단계로 구성됨. 질문 2 이 소설의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은 어떠한가?
예시 답안 ‘권 씨’는 대학을 나와 우연히 시위에 가담해 전과자가 되어 궁핍하게 살아가며 아내의 수술비를
마련하지 못하는 처지에 놓여 있다. ‘나’는 초등학교 교사로 가난한 이웃인 ‘권 씨’에 대한 연민으로 그에게 경
제적 도움을 주기도 하나 어설픈 배려로 그의 자존심에 상처를 입힌다.

질문 3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난 중심 사건은 무엇인가?


예시 답안 아내의 수술비를 마련해야 하는 ‘권 씨’가 ‘나’에게 돈을 빌려줄 것을 요청하나 거절당한 이후 ‘나’

의 집에 강도로 침입했으나 정체가 들통나고 집을 나간다.

질문 4 이 소설의 구성 단계 중 결말 부분에서 드러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예시 답안 이 소설의 결말 부분에서는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권 씨’가 아홉 켤레의 구두만을 남긴 채 행방불
명이 되고, ‘나’가 ‘권 씨’의 행방불명 사실을 경찰에 신고하는 것으로 끝맺고 있다. 이처럼 ‘권 씨’의 행방과 관
련한 이야기를 완결 짓지 않음으로써 독자의 궁금증을 유발하고 독자에게 깊은 여운을 느끼게 한다.

(2) (1)에서 분석한 내용을 참고하여 이 소설의 주제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이 작품은 산업화가 진행 중인 도시 변두리에 살고 있는 ‘권 씨’의 모습을 통해 도시화, 산업화 과


정에서 소외된 소시민의 힘겨운 삶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아울러 ‘권 씨’가 처한 상황이 개인적 문제에
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당대 사회의 모순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이야기함으로써 산업화라는 화려한 국가 발
전의 이면에 소외된 이들에게 가해진 사회적 폭력을 고발하고 있다.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9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99 17. 12. 11. 오후 7:20


활동 안내 인물들 사이에 벌
어지는 다양한 갈등 양상을 탐 2 이 소설에 나타나는 갈등의 원인과 양상을 파악해 보자.
구하는 활동이다. 갈등을 통해
작품의 주제가 어떻게 구체화되 나(오 선생)
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의 내적 갈등
예시 답안 ‘권 씨’는 돈을 갚을 능
력이 안 되니 그의 부탁을 거절해야
한다는 생각과, 자신이 돈을 빌려주지
않으면 ‘권 씨’의 아내가 위험할지도 모
•‘나’와 ‘권 씨’의 갈등
른다는 걱정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예시 답안 ‘나’는 아내의 수술비를
빌려 달라는 ‘권 씨’의 부탁을 거절하
며 그와 갈등을 겪는다. 또한 ‘권 씨’
가 강도로 ‘나’의 집에 침입하면서 그
를 배려하고자 한 ‘나’의 말과 행동 때
문에 ‘권 씨’와 갈등을 겪는다. 갈등의 원인

‘권 씨’ 아내의
수술비

권씨 의사

•‘권 씨’와 ‘의사’의 갈등


예시 답안 수술비를 가져와야만 수
술을 해 준다는 ‘의사’와, 수술비를 구
하지 못하는 ‘권 씨’는 갈등을 겪는다.

활동 안내 서술자가 다른 두 편의 소설을 비교하여 읽으면서, 서술자가 다를 때 소설의 내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


악하는 활동이다. 나아가 소설의 주제를 형상화하는 데 서술자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다음은 연작 소설집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에 실린 「직선과 곡선」의 일부


이다. 본문과 다음 소설의 시점을 비교한 후, 서술자가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말해 보자.

도움말
직선과 곡선의 ‘나’가 본 오 선생 말로는, 훗날의 일을 생각해서 강도를 끝까지 강도로 대우해서 보낼 작
문의 등장인물 중 누구인가를 정으로 취한 부득이한 조처였다고 그러지만, 내 눈에 비친 그의 거동은 강도범이
파악하고, 동일한 사건이 서
다름 아닌 자기네 문간방 사내임을 일찌감치 간파하고 사람을 여지없이 조롱하고
술자에 따라 어떻게 서술되는
지 탐구해 본다. 경멸하는 투가 시종일관 분명했던 것이다. 오 선생의 눈초리를 등 뒤에 느끼면서
대문을 나서는 그 순간 나는 도무지 더 살고 싶은 기분이 아니었다. 삼십 대 중반
참고 자료
윤흥길, 「직선과 곡선」 의 나이까지 나를 굳게 지탱해 주던 긍지의 기둥이 삽시에 허물어져 내리는 찰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
내」의 속편 격인 작품으로, ‘권 였다.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잃지 않고 살아온 자존심이었다.
씨’가 서술자가 되어 소시민의
-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현실에 대한 굴복과 투항을 보
여 주고 있다.
예시 답안 본문에서는 ‘오 선생(‘나’)’이 서술자로 등장하여 주인공인 ‘권 씨’를 관찰하는 입장에서 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권 씨’의 심리가 구체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반면 「직선과 곡선」에서는 주인공인 ‘권 씨’가 서술자로 등
장하여 자신의 심리와 태도를 독자에게 구체적으로 전달해 주고 있다.
100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0 17. 12. 11. 오후 7:20


듣기·
문학 말하기
활동 안내 소설의 등장인물을 대상으로 가상 기자 회견을 진행하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 모둠별로 모여 소설의 여러 구성 요소와 장치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품
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것의 즐거움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적용 1 서사 갈래에 속하는 작품을 선정한 후, 그 작품 속 등장인물과의 가상 기자 회견을


진행해 보자. 모둠

도움말
모둠별로 모여 가상 기자 회견을 진행할 작품을 정한다.
가상 기자 회견의 내용을
마련할 때에는 작품의 등장인
물, 사건, 배경, 갈등, 주제를 작품의 등장인물 중에서 기자 회견 대상자를 선정한다.
근거로 해야 한다. 특히 등장
인물의 입장에서 답변을 할
때에는 작품에 나타나는 인물 작품의 주제와 사건을 고려하여 기자 회견 대상자에게 할 질문과 예상 답변을 작성한다.
의 성격과 상황뿐 아니라 작
품의 주제까지 고려하도록 한
| 예시 |
다.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의 ‘오 선생’ 기자 회견

기자 1: 오 선생님께서 권 씨의 부탁을 거절했을 때 매정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


다. 어쩌면 권 씨는 오 선생님이나 의사 둘 다 비슷한 부류의 사람이라고 느끼
지 않았을까요?
오 선생: 저를 비정한 의사와 비슷하다고 여기시니 기분이 좋지 않군요. 처음에는
권 씨의 부탁을 거절했지만, 결국엔 수술비를 대신 내주었습니다.
기자 2: 만약 수술비가 전셋돈보다 더 많은 액수였다고 해도 수술비를 대신 내주셨
을까요?
오 선생: 흠……. 어려운 문제군요. 권 씨가 일을 해서 갚을 정도의 액수였다면 수
술비를 대신 냈을 겁니다.
기자 3: 마지막으로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권 씨가 집을 나가 행방불명된 것에 책
임을 느끼지는 않으십니까?
오 선생: 그 일은 저도 후회하고 있습니다. 강도로 위장한 권 씨에게 제가 한 행동
이 부끄러울 뿐입니다.

모둠 구성원끼리 역할을 정해 가상의 기자 회견을 진행한다.

작품의 구성 요소 및 주제를 참고하여 기자 회견 내용의 적절성을 상호 평가한다.


예시 답안 ‘권 씨’에 대한 기자 회견
기자 1: 돈을 빌리기 위해 오 선생님을 찾아갔을 때, 어떤 심정이었습니까?
권 씨: 절박한 상황이라서 찾아가야 했지만 비참한 심정이었습니다.
기자 2: 오 선생님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으신가요?
권 씨: 제가 강도임을 눈치 챘다면 그때라도 수술비를 내 준 것을 솔직하게 말해 줬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그랬다면 저를 기만하는 느낌이 덜 들었을 테고
저도 돈을 융통하려는 노력을 더 이상 하지 않고 태어난 아이를 보러 병원으로 갈 수 있었겠지요.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현대 소설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를 감상하며 소설의 특성을

정리하기 파악하고, 소설의 구성 요소로 주제가 형상화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서사 갈래에 속하


는 다양한 작품을 찾아 읽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주제가 형상화되었는지 파악해 보자.

(2)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10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1 17. 12. 11. 오후 7:20


총 5차시

(3)
학습 목표 •극 갈래의 특성과 형상화 방법
을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한다.
•희곡은 구성 요소가 전체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
는 구조물임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역량 목표 •주변 사람들과 문학 작품을 공유


하고 소통하면서 공동체의 가치를 되돌아본다.

결혼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영화 장면에서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을 상상하여 대사를 넣어 보자.
활동 안내 등장인물의 대사를 직접 만들어 보며, 대사가 작품의 주요 구성 요소임을 학생들이 깨닫게 하는 활동이다. 장면에 등장
한 인물들의 행동이나 표정을 통해 어떤 상황일지 상상해 보게 하고, 그 상황에 알맞은 대사를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 약속에 늦은 학생들.


여학생: 힘들어서 더는 못 뛰겠어. 언제까지 뛰어야 해?
남학생: 조금만 더 가면 돼. 내가 약속 장소를 잘못 알아서, 너희들까지 뛰게 해서 미안해.

102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2 17. 12. 11. 오후 7:20


알아
두기 1 극 갈래의 개념과 특성
극 갈래는 서사 갈래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삶과 갈등을 형상화하는 문학 갈래이다. 하지만
서사 갈래와 극 갈래의 공통점
극 갈래는 서사 갈래와 달리 이야기를 전달하는 서술자 없이 등장인물의 대사와 행동으로 인
서사 갈래와 다른 극 갈래의 특성 ①
물의 심리와 성격을 드러내고, 관객에게 사건의 전개 양상을 직접 보여 준다. 이처럼 극 갈래
는 이야기를 ‘지금 진행 중인 사건’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서사 갈래보다 현장성이 강하다. 그
서사 갈래와 다른 극 갈래의 특성 ②
러나 영화로 상영되거나 무대에서 상연되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장면 구현에 제약을 받기도
서사 갈래와 다른 극 갈래의 특성 ③
한다. 한국 문학의 극 갈래에는 민속극, 인형극, 드라마 대본, 시나리오, 희곡 등이 있다.

2 희곡의 구성 요소와 형상화 방법


희곡은 극의 첫머리에서 기본 내용을 설명하는 ‘해설’, 등장인물의 말에 해당하는 ‘대사’, 등
『 』: 희곡의 구성 요소
장인물의 행동이나 무대 상황을 지시하는 ‘지시문’으로 구성된다. 작가는 이러한 구성 요소를
해설, 대사, 지시문
유기적으로 조직하여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형상화한다.

해설 희곡의 첫머리에서 무대 장치, 등장인물, 배경 등을 설명하는 부분.


희곡의
대사 등장인물이 하는 말.
구성 요소
지시문 무대 장치, 음향 효과, 조명 효과, 등장인물의 행동, 표정, 심리 등을 지시하는 글.

참고 자료
극의 형식
비극 자신의 동료나 또는 피할 수 없는 운명과의 갈등의 결과로 생기는 고통과 불행을 다룸.
넓은 의미로는 웃음을 유발하는 모든 연극을 일컫지만, 좁은 의미에서는 소극과 구별하여 문학적으로 수준 높은
희극
해학극을 일컬음.
멜로드라마 주로 연애를 주제로 한 통속적이고 감상적인 극을 의미함.
소극 해학을 기발하게 표현하여 사람들에게 웃음을 자아내게 할 목적으로 지은 비속한 연극을 의미함.

희곡에서
?! 알 수 있는 극 갈래의
특성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현대 희곡 작품을 감상하며 극 갈래의 특성과 형상화 방법을 이해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희곡에서 알 수 있는 극 갈래의 특성은 무엇일지 생각하며, 이 단원에
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무대 장치는 희곡의 내용을 전달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까?
•희곡의 내용은 독자에게 어떤 방식으로 전달될까?

(3) 결혼 10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3 17. 12. 11. 오후 7:20


학습 포인트 •극 갈래의 구성 요소   •주제 형상화 방법   •관객의 극 중 참여가 주는 효과

제재 구조도
이 작품은 ‘남자’와 ‘여자’가 결혼을 약속하는 과정에서 사랑과 소유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내용
의 현대 희곡이다. 이 작품에 드러난 극 갈래의 특성과 형상화 방법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가난한 사기꾼인 ‘남자’는
발단 결혼을 하기 위해 여러 가
지 물건을 빌림. 제목 풀이 ‘결혼’은 남녀가 정식으로 부부의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이 작품은 ‘남자’와 ‘여자’가 만나 대
‘남자’는 ‘여자’를 만나 사 화를 나누고 결혼을 약속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결혼, 사랑, 소유의 의미에
랑을 느끼지만, 약속된 시간 대한 일반적 통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있다.

결혼(結婚)
전개
이 다가오자 빌린 물건을 하
나씩 빼앗김.
‘남자’는 ‘여자’에게 청혼 _ 이강백
함. 그러나 ‘남자’가 빈털터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위기
리임을 알게 된 ‘여자’는 작
별 인사를 함.
‘남자’는 소유의 본질과 제재 개관
헌신적 사랑의 중요성을 갈래 현대 희곡, 단막극, 실험극 성격 희극적, 비판적
절정
이야기하고, ‘여자’에게 진
배경 •시간적: 현대   •공간적: 어느 저택의 응접실.
심을 전달함.
제재 한 남녀의 결혼담.
‘여자’는 ‘남자’의 청혼을 주제 소유의 본질과 진정한 사랑의 의미.
하강·
받아들여 함께 결혼을 하
대단원 •특별한 무대 장치가 없으며 무대와 관객석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음,
러 감. 특징
•관객을 극 안으로 끌어들여 등장인물과 관객의 소통이 이루어짐.

앞부분 줄거리 | ‘남자’가 등장하여 한 사기꾼의 이야기가 쓰인 이야기책을 관객 앞에서 낭독한

다. 이야기책 속의 사기꾼은 외로움에 지쳐, 결혼하고 싶지만 빈털터리이다. 그는 부자로 보이도록 5

저택, 모자와 넥타이, 호사스러운 의복, 건장한 하인을 빌린다. 그러나 빌린 물건은 제각기 정해진

시간 동안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조건이 붙는다. ‘남자’는 이야기 속의 사기꾼이 되어 맞선을 보기


이강백 로 한다. ‘남자’는 ‘여자’를 만나자마자 청혼하고, ‘여자’는 갑작스러운 청혼에 놀란다.
(1947~)

극작가. 사회 상황을 상징
적, 우화적 방법으로 풍자하
는 희곡을 주로 썼다. 주요 작 전개 남자 정신 좀 드십니까?
품으로 파수꾼,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느낌, 극락 같은 등 여자 여전해요. 10

이 있다.
남자 (미소를 짓고) 익숙해지면 좀 나을 겁니다.

여자 저는요, 솔직히 말씀드려서……. 당신이 이렇게 부자리라곤 꿈도 못

꿨죠. 전보에 알려 주신 대로 찾아왔더니……. 이건 너무 어마어마한


물질적 부를 상징함
저택이잖겠어요? 문 앞에서 저는요, 한참이나 망설였어요.
남자 어려워 마시고 그냥 들어오실걸. 15

여자 아뇨. 황홀해서 망설였던 거예요.


‘남자’를 만나기도 전에 저택만 보고도 황홀함을 느낌 - 물질 만능주의에 빠진 현대인의 모습
남자 (미소를 짓고) 아, 그랬어요?

‘여자의 어머니’가 중시하 여자 네. 당신의 전보를 받았을 때요, 저의 어머닌 말씀하셨답니다. 얘야,
는 결혼의 조건은 무엇일까?
예시 답안 ‘여자의 어머니’가 어서 가 봐라. 가 봐서 빈털터리 같거든 아예 되돌아오고 부자거든 꼭
남자가 부자라면 꼭 붙들어야 물질적, 세속적 가치관
한다고 당부하는 모습으로 보 붙들어야 한다. 20

아, 결혼의 조건으로 재산 소유
의 정도와 같은 외면적 가치를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04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4 17. 12. 11. 오후 7:20


남자 그래 당신은 뭐라 했습니까?
여자 알았어요, 어머니. 오른손을 들고서 그렇게 대답했죠.
‘여자’는 어머니의 말을 중요시 여김
남자 내 원 참! 오른손을 들다, 그러니까 맹세를 하셨군요?
여자 그렇죠!
5 남자 그 잔에 물 좀 남았습니까?
여자 아뇨. 다 마셨는데요.
남자 유감입니다. 내 몫을 남기시지 않고서. ▶ 소유와 관련한 ‘남자’와 ‘여자’의 대화

보조적 인물로 시간에 맞춰 물건을 회수해 가는 기계적 역할을 함


하인, 또다시 남자에게 달려들어서 넥타이를 풀어낸다. 남자는 빼앗기지 않으려 ‘남자’와 ‘하인’이 다투는 이
시간이 다 된 물건을 회수함 유는 무엇일까?
힘껏 저항하지만 하인의 억센 힘을 당해 내지 못한다. 예시 답안 ‘남자’는 물건들을
더 오래 빌리려고 하고, ‘하인’은
10 결국은 빼앗기고 하인은 기계적인 동작으로 넥타이를 가지고 나간다. 여자는 두 시간이 다 된 물건들을 회수하
려 하기 때문이다.
남자의 다툼에 놀란다.

여자 왜들 그러시죠?
콕콕 정리
남자 (씩씩거리면서 웃고 있다.) 이번엔 넥타이가 내 목에서 떠나갔습니다.
‘소유’에 대한 등장인물의 의
빌린 것이기 때문에 되돌려 주어야 함

여자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듯이) 네에?
가진 게 없는 ‘남
자’는 시간을 정해
15 남자 뭐, 놀랄 게 못 됩니다. 그저 시간이 지난 것뿐이니까요. 안심하십쇼. 남자
놓고 물건들을 빌려
소유에 대한 ‘남자’의 깨달음 - 소유한 모든 것은 시간이 지나면 되돌려 주어야 함
맞선 볼 여자를 정함.
만약 내 목이 떠나가고 넥타이만 남았다면……. (겸연쩍은 듯 바라보고
부자면 붙들어야
한다는 어머니의 말
있는 여자의 관심을 돌리려고) 그건 그렇고요, 당신 어머니 퍽 재미난 분 여자
을 따르고 ‘남자’가 부
자인 것에 황홀해함.
이시군요. 나는 깊은 관심을 갖게 됐어요. 당신의 어머니에 대해서. 그

맹세를 시키셨다는 어머니, 어떤 분인지 더 듣고 싶습니다. 어떠신가요? •물질적 가치관을 중시하


며 살아감.
•소유의 정도에 따라 사
20 어머니 성품이 너그러우시다든가……. 왜 그렇게 쳐다만 보십니까? 람을 평가함.

여자 넥타이를…….
■겸연(慊然)쩍은 쑥스럽거나
남자 그것엔 관심 없습니다.
미안하여 어색한.
여자 왜 빼앗기셨죠? (옆에 와 부동자세로 서 있는 하인을 훔쳐보며) 그것도 난 그 아이는 자기의 실수가
부끄러운지 겸연쩍은 웃음을
폭하게. 지었다.

25 남자 그렇지요. 난폭하게 주인을 덮치는 그런 하인에겐 난 전혀 관심 없어 ■부동자세(不動姿勢) 움직이


지 아니하고 똑바로 서 있는
요. 오히려 당신 어머니의 성품이 너그러우신지……. 자세.

(3) 결혼 10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5 17. 12. 11. 오후 7:20


여자 하지만요, 저는……. (입을 다물어 버린다.)
남자 알았어요. 문제는 빼앗긴 물건인가 본데, 그야 되돌려 받기 어렵지는

않습니다. (하인에게 큰 소리로) 여봐, 가져와! (묵묵부답인 하인. 까치발


『 』: ‘남자’의 이중적 태도
을 딛고 일어나서 그의 귀에 속삭인다.) 여봐! 그 가져간 것 오 분만 더 빌

려주게. 5

하인 (대답이 없다.)

남자 딱 오 분만 더. 사정해도 안 되겠나, 응?
하인 (반응이 없다.)

남자 좋아, 좋다고.
여자 뭐래요, 하인이? 10

남자 네, 나더러 잘해 보라고 그럽니다.


▶ 약속한 시간이 되면 ‘남자’의 물건을 빼앗아 가는 ‘하인’

예시 답안 ‘남자’가 관객에게 남자, 관객석을 투덕투덕 걸어 다니다가 넥타이를 맨 남성 관객 앞에 앉는다.


직접 넥타이를 빌려 소품으로 『 』: ‌관객에게 말을 걸며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허묾
사용함으로써 관객을 극에 참여 → 관객의 참여와 몰입을 유도하고, 극의 상황과 주제 의식을 적극적으로 전달함
시킨다.
‘남자’가 관객에게 넥타이 남자 물론 그래요. (속상하다는 듯이) 저 인정사정도 없는 하인이 나더러 잘
를 빌리도록 연출한 작가의
의도는 무엇일까? 해 보라고 그런 말 한마디 하진 않았어요. 하지만 말입니다, 나도 그

래요, 기죽을 필요야 없는 겁니다. 그렇잖아요? 도대체 지가 뭐라고 15

겨우 심부름이나 하는 주제에……. 속 좀 상합니다만, 그야 뭐 그건

당신에게도 마찬가지니까 말해 보나 마나겠고……. 저어, 당신 넥타이

참 좋습니다. 정말 좋아요. 아름다운 색깔, 기막히게 멋진 무늬, 딱 오

분만 빌립시다. 정확하게 오 분만. 더 이상은 어기지 않겠습니다. 빌

려주시렵니까? (남성 관객으로부터 넥타이를 빌려 착용하며) 고맙습 20


관객을 극에 참여시킴
니다. 빌린 동안에는 소중히 다룰 겁니다. 사실 이건 내 것이 아니

라 당신 것인데……. 혹시 모르긴 하지요, 당신도 누구에게서 빌


세상의 모든 것은 누군가에게 빌린 것이라는 ‘소유’의 의미
려 온 건지는. 아무튼 잘 사용하고 돌려 드리겠어요. 자아, 그럼

당신은 시간을 재고, 난 이만.


▶ ‘하인’에게 넥타이를 빼앗기자 관객에게 넥타이를 빌리는 ‘남자’

남자, 급한 걸음으로 여자에게 돌아간다. 25


시간에 쫓기는 모습

106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6 17. 12. 11. 오후 7:20


남자 어때요, 이젠? 콕콕 정리
「결혼」에서 관객의 역할과 그 효과
여자 네, 당신은 멋진 분이세요. 역할 효과
•극 중 인물이 말을 걸거나 소품을 빌림.
남자 (웃으며) 뭘요. •관객의 참여와 몰입을 유도함.
•극 중 인물의 증인이 됨.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극적 리듬을 조절함.
여자 아니, 정말 그래요.
5 남자 (넥타이를 빌려준 남성 관객을 향하여) 이 영광을 당신에게
무대와 객석의 경계 허묾
돌려 드립니다. (여자에게) 그건 그렇고요. 우리 하다 만 이

야기, 그것 좀 계속해 봅시다.


‘여자의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
여자 어디까지 이야길 했었죠, 우리?
남자 당신의 어머니에 대해서, 아직은 거기까지입니다.
10 여자 (작게 한숨을 쉬고) 그럼 저 자신에 대한 건 아직 멀었군요.

남자 그렇죠. 나도 직접 당신의 이야길 듣고 싶습니다만, 어머

니 다음 딸, 이런 순서니까 계속 진행해 봅시다. 의무적

으로 묻겠습니다. 당신 어머니 성품은 어떻습니까? 난폭

하십니까? 상냥하십니까?
15 여자 글쎄요.
남자 의무적으로 대답하십시오.
여자 (잠시, 생각하더니) 난폭에다 상냥을 겸하신 분이에요.
결혼에 이르는 과정이 쉽지 않으리라는 암시
남자 (자기 이마에 손을 얹는다.)

여자 왜 그러시죠?
20 남자 뭐, 별건 아닙니다. 벽에 부딪혔다고나 할까요. 뭔가 어려워서요. 하

긴 당신을 얻는다는 것이 그렇게 쉽지는 않겠지요. 첫눈에 반한 사람

들도 결혼에 이르기까진 험난한 과정을 겪는다고들 합니다만. 그런데

우리는, 겨우 처음에서 서성거리고 있는 것 같거든요. 아직 이야기도

당신 어머니에게서 머물고 있고…….


25 여자 용기를 내셔야 해요.
남자 네, 어디 힘 좀 내 보겠습니다. ▶ ‘여자의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

여자 갑자기 이런 말을 하면 놀라시겠지만요…….
화제 전환
남자 말해 봐요, 뭐든지.

(3) 결혼 10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7 17. 12. 11. 오후 7:20


여자 저는 이 세상에 태어났어요.
남자 놀랐습니다, 갑자기.
여자 네. 태어난다는 건 언제나 갑자기죠. 그래서요, 저는 태어날 때 제 기

분이 어떠했는지 그걸 모르겠어요. 아무튼 그냥 그렇게 이 세상에 나온

거죠. 그리고, 어렸을 때 제 별명이 뭔지 아시겠어요? 덤이에요, 덤. 5

구절 풀이 ‘여자의 아버지’가 남자 덤?
물질로 ‘여자의 어머니’를 현혹
하여 결혼했음을 드러낸 부분으 여자 네. 왜 조금 더 주는 것 있잖아요. 그거래요, 제가. 아버진 사랑을 주
로, 지금의 ‘남자’와 ‘여자의 아
버지’가 비슷하다는 사실을 흥 고, 그리고 또 덤으로 저를 어머니에게 주었죠. 그러니까 덤 아니겠어
미롭게 제시하고 있다. ‘여자의
어머니’가 물질적 가치에 집착 요? 덤, 이 말 속엔 뭔가 그리운 게 있어요. 덤, 덤, 덤……. 아버진 덤
하게 된 이유가 나타나는 부분
이기도 하다. 이 태어나자 달아나셨대요. 말하자면 뺑소닐 치신 거죠. 나중에 알고 10

‘여자의 아버지’와 ‘남자’의 보니 사기꾼이었고 어머니에게 보여 줬던 그 많은 재산은 모두 다 잠


공통점은 무엇일까? ‘남자’ 역시 ‘여자의 아버지’처럼 사기꾼임

예시 답안 ‘여자의 아버지’와 시 빌렸던 거래요.


‘남자’는 둘 다 가난한 사람이며,
잠시 빌린 재산으로 여자를 현 남자 덤, 덤, 덤.
혹한다.
여자 하지만요, 저는 아버질 미워 안 해요. 그분에겐 뭔가 덤이라는 옛 이
아버지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여자’ - 아버지와 유사한 ‘남자’를 미워하지 않을 것이라는 암시
름처럼 그리운 데가 있어요. 덤, 혹시 그분도 그렇게 이 세상에 태어 15

나셨던 건 아닐지……. 안 그래요?


남자 덤, 덤, 덤…….
여자 어머니에겐 안됐지만요, 덤이라는 그 점이 저에겐 좋아요. 왠지 홀가
자신의 처지를 긍정적으로 생각함
분하더군요. 이런 말을 하면 어머닌 화를 내시곤 한답니다. 하긴 그렇
어머니를 이해하는 ‘여자’
죠. 고생 많으셨어요. 홀로 덤을 낳아 키운다는 건……. 그만둘까요, 20

제 이야기?
남자 덤, 더 해 주세요.
여자 그래서 어머니는요, 단단히 벼르시는 거예요. 이 덤을 키워서는 결코

사기꾼에겐 주지 않겠다고요. 전 어머니 말을 이해해요.


■덤 물건을 사고팔 때, 제 값 남자 나도 알 만합니다. 25

어치 외에 조금 더 얹어 주거
나 받는 물건. 여자 고마워요.
■벼르시는 어떤 일을 이루려 남자 뭘요, 고맙기는요.
고 마음속으로 준비를 단단히
하고 기회를 엿보시는. 여자 사실 이런 덤 이야기는 처음인 걸요.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답니다.

108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8 17. 12. 11. 오후 7:20


그냥 가슴속에 덮어 두었죠. 그러고 보면 당신은 참
‘남자’에게 호감을 느끼는 ‘여자’
친절하신 분이에요. 콕콕 정리

남자 덤. ‘덤’의 의미
‘여자’의 별명으로, 이를 통해 소유에 대한 작가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작가는 세상의 모든 소유는
여자 네? 잠시 빌린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으므로 무언가
를 갖는다면 그것은 ‘덤’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5 남자 아, 아뇨. 그저 불러 본 겁니다.
여자 그 목소린 그저 불러 본 건 아닌데요?
남자 저어, 아닙니다. ▶ ‘여자’의 ‘덤’ 이야기

남자는 일어나 넥타이를 풀어 그것을 빌렸던 남성 관객에게 가서 되돌려 준다.

그의 눈은 물기에 젖어 있다.
슬픔

: ‌방백 부분. 무대 위 다른 인물은 듣지 못하나, 관객만 들을 수 있다고 약속된 등장인물의 대사


10 남자 빌린 건 돌려 드립니다. 시간은 정확하게 지켰습니다. 그런데 왠지 모 참고 자료
관객에게 하는 말 - 객석과 무대의 구분이 없음 희곡에서 대사의 유형
르게 슬퍼진 건 무슨 까닭일까요? (관객석을 거닐며 그는 자기에게 들려 등장인물들이 서로
대화
주고받는 대사.
주듯 중얼거린다.) 덤, 덤, 덤, 난 당신을 사랑해. 덤, 덤, 난 당신을 사
등장인물이 상대방
‘여자’에 대한 미안함으로 사랑하다는 마음을 혼잣말로만 표현 독백
없이 혼자 하는 대사.
랑해…….
등장인물이 말을 하
고 있지만 무대 위 다른
여자 거기서 뭘 하시죠?
인물에게는 들리지 않
‘남자’의 말을 듣지 못한 ‘여자’ 방백
고 관객만 들을 수 있는
15 남자 (계속 혼잣말처럼) 덤, 난 당신을 사랑해……. ▶ ‘여자’에게 사랑을 느끼는 ‘남자’
것으로 약속되어 있는
대사.

여자, 남자에게 다가온다.

여자 뭘 하고 계세요?
남자 덤……. 저어, 내 재산이 얼마쯤 될까, 그걸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여자 하필 이럴 때 그런 걸 생각하세요?
20 남자 부자의 인색한 버릇입니다. 그런데 난 재산이 너무 많아서 차라리 생

각지도 말자, 그렇게 마음먹었습니다. 이젠 됐습니까?

■인색(吝嗇)한 재물을 아끼는


여자, 남자의 어깨에 기댄다. 사이. 태도가 몹시 지나친.
‘남자’에게 호감을 느끼는 ‘여자’
하인, 위압적으로 한 걸음씩 남자에게 다가온다. ■위압적(威壓的) 위엄이나 위
긴장감 조성 력 따위로 압박하거나 정신적
두려워지는 남자, 그 꼴을 여자에겐 보이고 싶지 않다. 으로 억누르는. 또는 그런 것.

(3) 결혼 10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09 17. 12. 11. 오후 7:20


남자 눈을 감아요. 깜짝 퀴즈
여자에게 창피한 모습을 보이기 싫음 1. ‘하인’은
‌ 아무런 대사 없이 ‘남자’가 빌린 물건을 회수하고 있다.
여자 감고 있는 걸요, 이미.  ➡◯
2. ‘여자의
‌ 어머니’는 결혼에 있어서 물질적 가치보다 정신적 가치
구절 풀이 소유의 본질을 깨 남자 난 지금 행복합니다. 를 중시하는 인물이다. ➡×
닫고 ‘여자’에게 사랑을 느끼게 3. 이‌ 작품은 극 중 인물이 ☐☐에게 말을 걸거나 소품을 빌리는
된 ‘남자’는 물건을 빼앗겨도 행 여자 저도 행복해요. 등의 행동을 하며 ☐☐의 참여와 몰입을 유도한다. ➡ 관객
복을 느끼고 있다.

하인, 남자에게 덤벼든다. 호주머니를 뒤져서 소지품들을 몽땅 털어 간다. 5

남자 이번엔 자질구레한 여러 가지 것들이 떠나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난


소유물을 가치 있게 생각하지 않게 됨
자꾸만 행복해집니다.
여자 (눈을 감은 채 미소를 짓고 있다.)

남자 그렇습니다, 덤. 여러 가지 것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그것들이 떠나

갔습니다. 뭐, 놀랄 건 못 되지요. 그저 시간이 지난 것뿐이니까요. 어 10

떤 나무는요, 가을이 되자 수천 개의 이파리들을 몽땅 되돌려 주고도


소유한 것이 사라지는 예 ①
아무 소리 없습니다. 덤, 나는 고양이 한 마리를 길러 보았습니다. 고

양이는 차츰 늙어지고, 그래서 시간이 다 지나가자 그 생명을 돌려주


소유한 것이 사라지는 예 ②
‘남자’가 깨달았다고 말하 고도 태연했습니다. 덤, 덤, 덤……. 난 뭔가 진실한 걸 안 것 같습니
는 진실은 무엇일까? 소유에 대한 ‘남자’의 깨달음

예시 답안 소유한 모든 것은 다. 덤, 덤. 그래요. 난 이제 자랑거리 하나가 생겼습니다. 그런 진실 15

빌린 것이며, 시간이 지나면 모


두 돌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을 알았다는 것, 나에게는 그게 유일한 자랑이 될 겁니다.
▶ 소유에 대한 ‘남자’의 깨달음
여자 너무 겸손하신 자랑이에요.
남자 뭘요. 그런데 덤, 당신에겐 뭐 자랑거리가 없으십니까?
여자 있고 말고요. 보시겠어요?
남자 봅시다, 어디. 20

여자, 남자와 함께 의자로 돌아간다. 의자 위에 놓여 있는 핸드백을 열고 그 속


■자질구레한 모두가 잘고 시
시하여 대수롭지 아니한. 에서 얼굴만을 커다랗게 찍은 사진 석 장을 꺼낸다.
할머니, 어머니, ‘여자’의 사진
■태연(泰然)했습니다 마땅히
하인, 시계를 보더니 의자 위에 놓였던 남자의 모자를 냉큼 집어 간다.
머뭇거리거나 두려워할 상황
에서 태도나 기색이 아무렇지
도 않은 듯이 예사로웠습니
다. 남자 이번엔 모자가 의자에서 떠나갔습니다. 여간 다행이군요. 모자는 작습

110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0 17. 12. 11. 오후 7:20


니다. 의자는 크고요. 만약 의자가 모자에게서 떠나갔더라면 얼마나
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태도
큰 손실이겠습니까?
여자 이걸 좀 보세요.
남자 뭔데요, 그게?
5 여자 할머니, 어머니, 그리고 제 사진이에요. 저희 집 가문의 여인들은 대

대로 미인이라는 걸 증명하는 거죠.

남자, 사진들을 바라본다.

하인, 모자를 가져가다가 멈춰 선다. 그의 시선이 아래로 움직여서 사진을 들여

다본다.

10 남자, 하인을 밀어낸다.

남자 뭘 봐? (여자에게) 당신이 가장 아름답습니다.


‘하인’에게 하는 말
여자 제일 젊으니까 그렇죠.

남자, 사진 중에서 여자 본인의 것을 들어 여자의 얼굴에 대고 한참

동안 바라본다.

15 남자 그러니까, 이게 지금의 당신이군요?


여자 네.
남자 몇 살인가요, 실례지만?
여자 스물둘이에요.
남자 스물둘. 꽃다운 처녀시군요.

20 남자, 다음엔 여자 어머니의 사진을 얼굴에 대어 준다.

남자 시간이 좀 지났습니다. 그럼 어떻게 될까요?


여자 조금 늙지 어떻게 돼요?

(3) 결혼 11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1 17. 12. 11. 오후 7:20


남자 이젠 이 얼굴이 당신입니다. 몇 살이십니까?
여자 (조금 쉰 목소리로) 마흔다섯이에요.
목소리를 통해 시간의 경과를 표현함
남자 마흔다섯. 중년 부인이시군요.

남자, 할머니의 사진을 여자의 얼굴에 대어 준다.

남자 시간이 더욱 지났습니다. 이젠 이 얼굴이 당신입니다. 몇 살이시죠? 5

여자 (푹 쉰 목소리로) 일흔 살이 넘었어요.
목소리를 통해 시간의 경과를 표현함
남자 일흔 살이 넘으셨다, 늙으셨군요.

남자, 얼굴에 대었던 사진들을 탁상 위에 내려놓는다.

남자 재미난 놀이를 해 봤지요?


여자 네, 재미있었어요. 10

‘이 놀이의 재미는 시간이 남자 짐작하셨겠지만, 이 놀이의 재미는 시간이 지나간다는 데 있습니다.


지나간다는 데 있습니다.’에서 모든 것은 시간이 흐르면 변화함 → ‘여자’에게 소유의 본질을 깨닫게 하기 위한 말
알 수 있는 ‘사진’의 의미는 무 ▶ ‘남자’와 ‘여자’의 사진 놀이
전개 ‘남자’는 ‘여자’를 만나 사랑을 느끼지만 약속된 시간이 다가오자 빌린 물건을 하나씩 빼앗김.
엇일까?
예시 답안 젊음도 외면적인 중략 부분 줄거리 | ‘남자’와 ‘여자’는 서로에게 사랑을 느끼며 행복해한다. 그 사이 ‘하인’은 ‘남
아름다움도 시간이 흐르면 결국
자’의 저고리를 빼앗아 간다. ‘남자’는 물건을 주인에게 돌려주면서 자신의 사랑이 더 커졌다고 고백
사라진다는 점을 깨닫게 하고
있다. 하며 ‘여자’에게 진심을 담아 다시 청혼한다.

위기 하인, 남자에게 봉투를 하나 내민다. 15

남자는 봉투에서 쪽지를 꺼내 읽더니 아무 말없이 여자에게 건네준다.

구절 풀이 저택을 빌릴 수 있 여자 “나가라!” 나가라가 뭐예요?


는 시간이 다 되었으니 ‘남자’에
게 나가라고 하는 저택 주인의 남자 네. 주인으로부터 온 경고문입니다. 시간이 다 지났으니 나가라는 거
경고 문구를 통해 ‘여자’는 모든
것이 ‘남자’의 소유가 아님을 알
지요.
게 되고 극에 긴장감이 조성된
다. 여자 나가라……. 그럼 당신 것이 아니었어요? 20

남자 내 것이라곤 없습니다.
자신이 빈털터리임을 고백함

112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2 17. 12. 11. 오후 7:20


여자 (충격을 받는다.) ‘여자’가 ‘남자’의 말에 충격
‘남자’가 빈털터리에 사기꾼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을 받은 이유는 무엇일까?
남자 모두 빌린 것들뿐이었지요. 저기 두둥실 떠 있는 달님도, 저 은빛의 구 예시 답안 ‘남자’의 재산이 모
두 빌린 것이며, 사실은 빈털터
름도, 이 하늬바람도, 그리고 어쩌면 여기 있는 나마저도, 또 당신마 리임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사물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삶까지도 모두 빌린 것이라는 관점
저도……. (미소를 짓고) 잠시 빌린 겁니다.
5 여자 잠시 빌렸다고요?
남자 네. 그렇습니다.

하인, 엄청나게 큰 구두 한 짝을 가져오더니 주저앉아 자기 발에 신는다. 그 구


남자를 쫓아내기 위한 도구
둣발로 차 낼 듯한 험악한 분위기가 조성된다.
긴장감 조성

남자 결혼해 주십시오. 당신을 빌린 동안에 오직 사랑만을 하겠습니다.


‘여자’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빌리는 것이므로 오히려 더 사랑하고 소중히 여길 것을 약속함
10 여자 ……. 아, 어쩌면 좋아?
‘남자’가 빈털터리라는 것을 알았지만,
이미 ‘남자’를 사랑하게 된 ‘여자’의 고민

하인, 구두를 거의 다 신는다.

여자 맹세는요, 맹세는 어떻게 하죠? 어머니께 오른손을 든…….


남자 글쎄 그건……. (탁상 위의 사진들을 쓸어 모아 여자에게 주면서) 이것을

보여 드립시다. 시간이 가고 남자에게 남는 건 사랑이라면, 여자에게


『 』: 외적인 요소는 결국 변한다는 것을 상기시킴
15 남는 것은 무엇이겠습니까? 그건 사진 석 장입니다. 젊을 때 한 장, 그

다음에 한 장, 늙고 나서 한 장. 당신 어머니도 이해하실 겁니다.


여자 이해 못하실 걸요, 어머닌. (천천히 슬프고 낙담해서 사진들을 핸드백 속
에 담는다.) 오늘 즐거웠어요. 정말이에요……. 그럼, 안녕히 계세요.

여자, 작별 인사를 하고 문 앞까지 걸어 나간다.


▶ ‘남자’가 빈털터리인 것을 알고 떠나려 하는 ‘여자’
위기 ‘남자’에게 청혼을 받지만 ‘남자’가 빈털터리인 것을 알고 작별을 고하는 ‘여자’.

20
절정 남자 잠깐만요, 덤…….
여자 (멈칫 선다. 그러나 얼굴은 남자를 외면한다.) ■하늬바람 서쪽에서 부는 바
람. 주로 농촌이나 어촌에서
남자 가시는 겁니까, 나를 두고서? 이르는 말이다.

(3) 결혼 11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3 17. 12. 11. 오후 7:20


여자 (침묵)

남자 덤으로 내 말을 조금 더 들어 봐요.
여자 (악의적인 느낌이 없이) 당신은 사기꾼이에요.
행복한 결말 암시
남자 그래요, 난 사기꾼입니다. 이 세상 것을 잠시 빌렸었죠. 그리고 시간
소유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사고
이 되니까 하나둘씩 되돌려 주어야 했습니다. 이제 난 본색이 드러나 5

고 이렇게 빈털터리입니다. 그러나 덤, 여기 있는 사람들에게 물어봐

요. 누구 하나 자신 있게 이건 내 것이다, 말할 수 있는가를. 아무도

없을 겁니다. 없다니까요. 모두들 덤으로 빌렸지요. 눈동자, 코, 입술,


모두가 본래는 빈털터리임
그 어느 것 하나 자기 것이 아니고 잠시 빌려 가진 거예요. (누구든 관
예시 답안 ‘남자’를 차 버릴 객석의 사람을 붙들고 그가 가지고 있는 물건을 가리키며) 이게 당신 겁니 10
듯이 다가오는 ‘하인’의 행동은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묾
극의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까? 정해진 시간이 얼마지요? 잘 아꼈다가 그 시간이 되면 꼭 돌려주
‘하인’의 행동이 이 희곡의
전개 과정에서 하는 역할은 십시오. 덤, 이젠 알겠어요?
무엇일까? 『 』: 관객을 다시 극에 참여시키며 등장인물인 ‘여자’뿐만 아니라
관객도 소유의 본질을 깨닫게 하려는 의도

여자, 얼굴을 외면한 채 걸어 나간다.

하인, 서서히 그 무서운 구둣발을 이끌고 남자에게 다가온다. 남자는 뒷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름
걸음질을 친다. 그는 마지막으로 절규하듯이 여자에게 말한다. 15
두려움

114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4 17. 12. 11. 오후 7:20


남자 덤, 난 가진 것 하나 없습니다. 모두 빌렸던 겁니다. 그런데 덤, 당신

은 어떻습니까? 당신이 가진 건 뭡니까? 무엇이 정말 당신 겁니까?


(넥타이를 빌렸던 남성 관객에게) 내 말을 들어 보시오. 그럼 당신은 나를
관객에게 주제의식을 인식시킴
이해할 거요. 내가 당신에게서 넥타이를 빌렸을 때, 그때 내가 당신
5 물건을 어떻게 다뤘었소? 마구 험하게 했었소? 어딜 망가뜨렸소? 아

니요, 그렇진 않았습니다. 오히려 빌렸던 것이니까 소중하게 아꼈다간


구절 풀이 모든 것을 주인에
되돌려 드렸지요. 덤, 당신은 내 말을 들었어요? 여기 증인이 있습니
관객 - 관객을 극에 참여시킴 게 되돌려 주고 빈털터리가 된
‘남자’는 관객을 증인으로 내세
다. 이 증인 앞에서 약속하지만, 내가 이 세상에서 덤 당신을 빌리는
워 ‘여자’에게 영원한 사랑을 약
속하고 있다. 이는 관객의 극 중
동안에, 아끼고, 사랑하고, 그랬다가 언젠가 그 시간이 되면 공손하게
‘헌신적 사랑’이라는 주제와 연결됨 이별의 시간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며, ‘여자’
가 ‘남자’의 청혼을 받아들이기
10 되돌려 줄 테요. 덤! 내 인생에서 당신은 나의 소중한 덤입니다. 덤!
로 결심하게 되는 결정적 대사
이기도 하다.
덤! 덤! ▶ ‘여자’에게 헌신적으로 구애하는 ‘남자’

절정 ‘남자’는 소유의 본질과 헌신적 사랑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진심으로 ‘여자’를 설득함.

하강· 남자, 하인의 구둣발에 걷어챈다.


대단원
여자,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듯 다급하게 되돌아와서 남자를 부축해 일으키고
‘여자’가 ‘남자’의 말에 설득당함
포옹한다.

15 여자 그만해요! 콕콕 정리
작품의 주제 의식
남자 이제야 날 사랑합니까?
소유의 본질

여자 그래요! 당신 아니고 또 누굴 사랑하겠어요!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은 빌린 것이


므로 소중히 여겨야 함.
남자 어서 결혼하러 갑시다. 구둣발에 차이기 전에!
남자의 깨달음
여자 이래서요, 어머니도 말짱한 사기꾼과 결혼했었다던데……. 사랑하는 사람을 빌리는 동안에
‘여자의 아버지’ 아끼고 헌신적으로 사랑해야 함.
20 남자 자아, 빨리 갑시다!
여자 네, 어서 가요! ▶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깨닫고 ‘남자’의 청혼을 받아들이는 ‘여자’
하강·대단원 ‘여자’는 ‘남자’의 청혼을 받아들이고, 둘은 결혼을 하러 감.
-막-

- 이강백, 『이강백 희곡 전집 1』
깜짝 퀴즈
1. ‌☐ 은 ‘여자’의 별명으로 이를 통해 소유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덤
2. ‌이 작품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건을 회수하는 장치를 설정
하여 주제 의식을 드러낸다. ➡◯
3. ‌‘여자’는 ‘남자’의 재산이 다시 생길 것이라 생각하여 ‘남자’의
청혼을 받아들인다. ➡×

(3) 결혼 11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5 17. 12. 11. 오후 7:20


활동

이해 1 사건 전개에 따른 ‘남자’와 ‘여자’의 행동과 심리를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활동 안내 등장인물의 행동
을 중심으로 작품의 전체 줄거 •
‘남자’는 여러 물건을 빌려 부자 행세를 하며‘여자’와 결혼
리를 파악해 보는 활동이다. 먼 맞선을 보기로 한
저 이 희곡의 중심 내용을 이해 하려고 함.
‘남자’와 ‘여자’가 만
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사건
의 흐름에 따라 인물의 심리와 남. •
‘여자’는 ‘남자’가 부자라고 생각하여 호감을 가짐.

태도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남자’
는‘여자’
에게 진심으로 사랑을 느끼고, 빌린 물건을
‘하인’이 ‘남자’가
빼앗기면서도 행복해함.
빌린 물건을 차례로
되가져 감. •
‘여자’
는 ‘하인’의 난폭한 행동을 이해할 수는 없지만 ‘남자’가

겸손한 사람이라고 생각함.


‘남자’
는 우리가 소유한 것은 다 빌린 것이라며 ‘여자’를 설득
‘하인’이 ‘남자’에
하려 함.
게 주인의 경고장을
전함. •
‘여자’
는 ‘남자’가 빈털터리임을 알았지만, ‘남자’의 진실한 사

랑을 깨닫고 ‘남자’를 떠나지 않음.

활동 안내 ‘여자’가 태도를 바
꿔 ‘남자’를 선택한 이유를 추측
2 이 희곡의 마지막 부분에서 ‘여자’가 ‘남자’의 청혼을 수락한 이유를 추측해 보고,

하며 이 희곡의 주제 의식을 떠
‘여자’의 선택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써 보자.
올려 보는 활동이다. 이유를 자
유롭게 생각하면서 작가가 드러 ‘여자’가 청혼을 수락한 이유 ‘여자’의 선택에 대한 내 생각
내고자 하는 주제를 생각해 보
고, 이것이 학생들에게도 내면
화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소유한 모든 것은 빌린 것이라는 ‘남자’의
말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또한 ‘남자’가 부자는 아니지 예시 답안 외적 조건보다는 내면적 가치가 중요하기
만, ‘여자’를 사랑하는 마음만은 진실이라는 것을 느꼈 때문에 올바른 선택을 했다고 생각한다.
기 때문이다.

116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6 17. 12. 11. 오후 7:20


목표 1 소설과 희곡의 갈래적 특성을 비교해 보자.

소설 희곡
도움말
달 같은 마패를
암행어사
이 희곡의 내용을 떠올리며 햇빛같이 번듯 들어,
출도야!
소설과 비교했을 때 희곡은 “암행어사 출도야!”
어떠한 갈래적 특성이 두드러 하고 외쳤다.
지는지 생각해 본다.
활동 안내 서사 갈래와 극 갈
래의 갈래적 특징을 구분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그림을 활용
하여 그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서술자가 자신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서술자 없이 등장인물의 대사와 행동으로 사건


전달한다. 을 전개한다.

•서술자가 등장인물의 심리나 성격을 • 예시 답안 등장인물의 심리나 성격은 무대에서

해설하거나 묘사한다. 대사와 행동으로 직접 나타난다.

•주로 과거 시제를 사용하여 사건을 • 예시 답안 현재 시제로 사건을 표현한다.

표현한다.

활동 안내 이 희곡에 나타나
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살펴
2 이 희곡의 주제를 형상화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자.

보며, 이것이 작품의 주제를 형 (1) 다음 대사에서 ‘빌렸다가 되돌려 준다’라는 말의 의미를 주제와 연관 지어 파악해 보자.
상화하는 데 각각 어떻게 기여
하고 있는지 이해해 보는 활동
이다. 희곡 작품은 그 구성 요소
와 전체가 유기적인 관계를 맺 남자 그래요, 난 사기꾼입니다. 이 세상 것을 잠시 빌렸었죠. 그리고 시간이 되
으며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니까 하나둘씩 되돌려 주어야 했습니다. 이제 난 본색이 드러나고 이렇게
형상화한다. 개별적인 활동에
집중하기보다는 큰 틀에서 희곡 빈털터리입니다. 그러나 덤, 여기 있는 사람들에게 물어봐요. 누구 하나 자
의 갈래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신 있게 이건 내 것이다, 말할 수 있는가를. 아무도 없을 겁니다. 없다니까
요. 모두들 덤으로 빌렸지요. 눈동자, 코, 입술, 그 어느 것 하나 자기 것이
아니고 잠시 빌려 가진 거예요. (누구든 관객석의 사람을 붙들고 그가 가지고
있는 물건을 가리키며) 이게 당신 겁니까? 정해진 시간이 얼마지요? 잘 아
꼈다가 그 시간이 되면 꼭 돌려주십시오. 덤, 이젠 알겠어요?

예시 답안 우리가 소유한 것은 모두 빌린 것이며, 시간이 지나면 돌려주어야 한다는 작품의 주제 의식이 담겨 있다.
즉 소유의 본질에 대해 전달하며 외적 조건보다 내면적 가치가 중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3) 결혼 11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7 17. 12. 11. 오후 7:20


(2) 다음은 결혼의 처음 부분에 쓰인 ‘작가 노트’의 일부이다. 무대 장치 및 관객 참여와 같
은 설정이 주제를 형상화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

이 작품은 응접실 또는 아담한 소극장(小劇場) 같은 곳, 그런 실내(室內)에서 공


연하기 알맞도록 썼다. 음악으로 비교한다면 실내악(室內樂) 같은 것이다.
무대를 따로 만들 필요도 있지 않고 별다른 조명이나 효과의 도움을 받지 않아
도 된다. 그러나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그 장소에 모인 사람들이다. 이 연극의
관객
등장인물, 하인은 그들로부터 잠시 모자라든가 구두, 넥타이 등을 빌려야 한다.
이 빌린 물건들을 단순히 소도구로 응용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다. 이 작품을 검토
하면 알겠으나, 이 잠시 빌렸다가 되돌려 준다는 것엔 더 깊은 의미가 있고 이 연
소유의 본질
극에 있어 중대한 역할을 차지하게 된다.
- 이강백, 『이강백 희곡 전집 1』

예시 답안 연극 「결혼」은 특별한 무대 소품 없이 관객의 물건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관객의 극 중 참여


를 유도하면서 관객의 집중도를 높이고, 극 중 상황에 친밀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극의 상황과 주제 의식을 관객에게
적극적으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도움말 (3) 자신이 연출가라면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이 희곡의 주제를 형상화할지 생각해 보자.
극 갈래에서는 주제를 표현 예시 답안 ‘하인’이 물건을 빼앗아 갈 때 초조함과 긴장감을 느끼게 하는 배경 음악을 삽입하는 등 다양한 음향을 통
하기 위해 배우의 대사와 행 해 극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제가 드러나게 했을 것이다.

동, 소품, 무대 배경, 조명, 소


리와 음악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문학 매체
활동 안내 희곡의 뒷이야기를 상상하여 그것을 또 다른 극 갈래인 시나리오로 창작해 영
✚ 상으로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실제 활동을 통해 극 갈래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모둠별로 이 희곡의 뒷이야기를 상상하여 영상으로 만들어 보자. 모둠

(1) 다음 안내에 따라 이 희곡의 뒷이야기를 시나리오로 써 보자.


도움말
시나리오는 영화나 드라마
를 촬영하기 위해 쓴 대본이 1. 희곡의 뒷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될지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다. 희곡에 비해 등장인물의 2. 이야기한 내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시나리오를 쓴다. 대사와 지시문을 구체적
수나 시간적, 공간적 배경에
으로 적고, 장면을 촬영할 방법을 의논한다.
제약이 적다.
3. 시나리오에 따라 역할을 나누어 연기하고 이를 촬영한 후 편집한다.

참고 자료 희곡과 시나리오의 비교

의미 등장인물 수 장면 전환 구성 단위

118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희곡


시나리오
무대 상연을 전제로 쓴 연극의 대본.
영화나 드라마 상연을 목적으로 쓴 대본.
제한 많음.
제한 적음.
자유롭지 않음.
자유로움.
막, 장
장면(S#)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8 17. 12. 11. 오후 7:20


자료실
예시 답안
시나리오 용어 S#. 1. 엄마의 방
  
•장면 번호(S#): 촬영이나 편 허름한 가구들이 놓인 엄마의 방.
엄마와 여자가 다툰다. 엄마는 돌아 앉아 있고, 여자는 엄마를 설득한다.
집을 쉽게 하려고 각 장면
엄마의 태도는 바뀌지 않고, 여자는 눈물을 흘린다.
에 붙이는 숫자.
S# 2. 서울역
•클로즈업(Close Up): 대상의
남자와 여자는 큰 여행용 가방을 밀면서 기차에 오른다.
일부분을 확대하여 촬영함.
S# 3. 기차 안
•이펙트(Effect): 효과음.
남자 후회 안 할 자신 있어요?
•와이프아웃(Wipe Out): 앞의 여자 (아무 말 없이 고개를 끄덕인다.)
장면이 지워지듯 사라지면 남자 (여자의 손을 꼭 잡는다.)
서 뒤의 장면으로 전환됨. 여자 (남자의 어깨에 고개를 기댄다.)
•페이드인(Fade In): 화면이 음료수와 과자 등을 실은 밀차를 승무원이 끌고 남자와 여자가 탄 기차 칸으로 들어온다.
점점 밝아짐. 승무원은 하인 역을 했던 사람으로, 두 사람 근처를 지나가면서 웃음을 짓는다. F.O

•페이드아웃(Fade Out): 화
면이 점점 어두워짐.

(2) 각 모둠이 촬영한 영상을 보며 궁금한 점을 질문하고 답해 보자.

이 장면을
이런 방법으로 촬영한
의도는 무엇이니?

예시 답안 질문: 엄마의 방에 허름한 가구들을 배치한 의도는 무엇이니?


시나리오에 새롭게
답변: 이 희곡에서 ‘여자의 엄마’는 빈털터리인 사기꾼과 결혼하고 사기꾼인 남편은 등장한 인물은 어떤
‘여자’가 태어나자마자 도망가잖아. 그래서 ‘여자의 엄마’는 부유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용을 강조하기
생각하고 허름한 가구를 배치한 거야.
위한 것이니?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현대 희곡 결혼을 감상하며 희곡의 특성과 이 작품에서 주제를 형상화

정리하기 한 방법을 알아보았다. 마음에 드는 희곡 작품을 읽거나 연극을 보고, 주제가 어떻게 형상
화되는지 파악해 보자.

(3) 결혼 11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19 17. 12. 11. 오후 7:20


총 3차시

(4)
학습 목표 •교술 갈래로서의 수필의 특성과
형상화 방법을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한다.
•자신의 삶에서 의미 있는 경험을 떠올려 정서를 표현
하는 글을 쓴다.

역량 목표 •수필을 읽고 쓰는 활동을 하면
서 삶의 가치와 의미를 성찰한다.

반 통의 물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사진을 찍거나 글을 써서 경험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던 적이 있었는지 떠올려 보자.
활동 안내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며 교술 문학이 우리 생활 가까이 있는 문학 갈래라는 것을 느끼게 함으로써 학습 내용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 내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쉽게 쓰는 일기와 같은 글도 교술 문학임을 알려 주어, 교술 문학이 어려운 글이 아님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학급 친구들과 고궁으로 체험 학습을 간 적이 있었다. 아름다운 고궁을 구경하면서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
무척 즐거웠다. 그 순간을 기억하고 싶어서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고, 그것을 블로그에 올렸다. 공부하다가 힘들 때 사진을 보면 그
때의 기억이 떠올라서 나도 모르게 미소를 짓게 된다.

120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0 17. 12. 11. 오후 7:20


알아
두기 1 교술 갈래의 개념과 특성
교술 갈래는 작가가 경험하고 생각한 내용과 그로부터 얻은 깨달음이나 통찰을 글로 표현
교술 갈래의 개념
한 문학 갈래이다. 교술 갈래는 형식과 표현이 자유롭고 작가의 개인적인 체험이나 생각, 정
『 』: 교술 갈래의 특성
서를 직접 드러내기 때문에 문학 갈래 중에서 작가의 개성과 가치관이 가장 잘 드러난다. 또
한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 독자에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화자나 서술자를 내세우는 서
다른 갈래와의 차이점
정 갈래나 서사 갈래와 구별된다. 한국 문학의 교술 갈래에는 설(說), 기(記) 등의 한문 문학
과, 편지, 일기, 기행문, 현대 수필 등이 있다.

2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쓰기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을 찬찬히 떠올려 보아야 한다. 일상의
일들을 떠올리다 보면 작은 일에서도 배울 점을 찾을 수 있고, 자신만의 가치를 깨달을 수 있
다. 경험 속에서 글감을 찾았다면 수필, 일기, 편지, 시 등 다양한 형식 중에서 자신의 생각을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쓰기 과정 ①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쓰기 과정 ②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여 글을 쓴다. 이처럼 일상 속 경험을 되새겨 생각하고
거기에서 얻은 깨달음을 글로 쓰면 그 경험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남길 수 있다. 또한 자신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쓰기의 효과 ①
의 경험과 생각을 자유롭게 글로 표현하면서 스스로를 깊게 이해할 수 있고, 글쓰기의 즐거움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쓰기의 효과 ②
도 느낄 수 있다.
참고 자료
수필의 특징
자기고백적 글쓴이의 생각과 정서가 솔직하게 드러남.
사실적 실제 있었던 일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서술함.
개성적 글쓴이의 가치관이나 인생관, 관심, 취향, 문체, 표현 등의 개성이 잘 드러남.
비전문적 전문적인 작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쓸 수 있음.
다양한 소재 글쓴이 주변의 사물, 사건, 생각 등 소재가 다양함.
자유로운 형식 일정한 형식의 제한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표현함.
교술 갈래에서는
경험과 성찰을 어떤
?! 방식으로 담아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현대 수필 작품을 감상하며 교술 갈래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
과 정서를 글로 표현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교술 갈래에서 경험과 성찰을 담아내는 방식
을 생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교술 문학에 속하는 다른 갈래들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경험과 정서를 담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4) 반 통의 물 12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1 17. 12. 11. 오후 7:20


학습 포인트 •교술 갈래의 특징   •글쓴이의 경험과 깨달음
이 작품은 글쓴이가 밭을 일구며 마주친 사물과 사람의 모습에서 느낀 점을 솔직하게 표현한 현
대 수필이다. 이 글에 드러난 글쓴이의 경험과 깨달음을 파악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제목 풀이 ‘반 통의 물’은 채소에 물을 주러 가던 할아버지가 들고 있던 물통을 의미한다. 몸이 불편한 할아버지는


물을 반 이상 길에 흘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번 길을 오가며 채소에 물을 준다. 글쓴이는 반
통의 물을 채소에게 쏟아붓는 할아버지의 모습을 통해 생명을 사랑하는 마음을 깨닫게 된다.

제재 구조도

1
당근 씨를 뿌리며 얻
은 깨달음.
반 통의 물
작가 소개 영상
_ 나희덕
소단원 정리 PPT
김을 매면서 얻은 깨
2
달음.
제재 개관
불편한 몸으로 채소 갈래 현대 수필, 경수필
3 에 물을 주는 할아버지
성격 사색적, 체험적, 성찰적
를 보고 얻은 깨달음.
제재 밭을 가꾸는 일.
농사와 관련한 짤막 주제 밭을 가꾸면서 얻은 깨달음.
4 한 이야기에 담긴 글쓴
•농사를 짓는 자신의 체험에서 깨달음을 이끌어 내고 있음.
이의 깨달음. 특징
•밭을 일구면서 느낀 점을 중심으로 짤막한 이야기들을 병렬적으로 나열함.

1 “좀 넉넉히 넣어요. 넉넉히.”

당근씨를 막 뿌리려는 남편에게 나는 몇 번이나 말했다. 다른 씨앗들은 한 5

번 키워 보았기 때문에 감을 잡을 수 있겠는데, 부추씨와 당근씨는 올해 처음


나희덕 뿌리는 것이라 대중이 서지 않았던 것이다.
(1966~)
게다가 아까부터 밭 주변을 종종거리는 참새 서너 마리가 어쩐지 마음에
시인, 수필가. 일상 속 경험 밭에 뿌린 씨를 새들이 먹었던 작년의 기억 때문
과 어린 시절 기억을 떠올려 걸린다. 작년에도 너무 얕게 씨를 뿌려 낭패를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씨 뿌
삶을 성찰하는 작품을 주로
썼다. 주요 저서로 『뿌리에 린 지 두 주일이 넘도록 싹이 나오지 않아 웬일인가 했더니 새들이 와서 잘 10

게』,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잡숫고 간 뒤였다. 그제야 농부들이 씨를 뿌릴 때 적어도 세 알 이상씩 심는
등의 시집과, 『반 통의 물』 등
의 수필집이 있다. 뜻을 알 것 같았다. 한 알은 새를 위해, 한 알은 벌레를 위해, 그리고 한 알은
농부들이 씨를 세 알씩 심는 이유 - 자연과도 나눌 줄 아는 넉넉한 마음
사람을 위해.

워낙 넉넉히 뿌린 탓인지, 새들이 당근씨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탓인지, 당

근 싹은 좀 늦긴 했지만 촘촘하게 돋아났다. 처음엔 그 어렵게 틔워 낸 이쁜 15

싹들을 솎아 내느니 차라리 잘고 못생긴 당근을 먹는 게 낫다고 그냥 두었다.

그러나 워낙 자라는 속도가 빨라 자리를 잡지 못하고 밀려 나오는 뿌리가 하


■대중 대강 어림잡아 헤아림.
■낭패(狼狽) 계획한 일이 실패 나둘이 아니었다. 이러다가는 당근 전체가 제대로 자랄 수 없을 것 같았다.
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당근 싹이 너무 촘촘하게 돋아났기 때문 - 영양 섭취를 제대로 할 수 없음
매우 딱하게 됨. 그것을 보면서 식물에게는 적절한 거리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글쓴이의 깨달음
■환멸(幻滅) 꿈이나 기대나 환 들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도 지켜야 할 최소한의 거리가 깨졌을 때 폭력 20
상이 깨어짐. 또는 그때 느끼
는 괴롭고도 속절없는 마음. 과 환멸이 생겨나는 것처럼, 좁은 땅에 서로 머리를 디밀며 얽혀 있는 그 붉
콕콕 정리
작가가 경험에서 얻은 깨달음 ①

122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경험 깨달음
당근을 적절히 솎아 내지 않으면 전체가 자랄 수 없음. 이를 통해
당근이 자랄 수 있도록 솎아 준 일.
‘적절한 거리의 중요성’을 깨달음.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2 17. 12. 11. 오후 7:20


은 뿌리들에서도 어떤 아우성이 들려오는 것 같았다. 내가 그들을 돕는 길은 글쓴이가 당근을 솎아 낸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고 싶다는 아우성 이유는 무엇인가?
갈 때마다 조금씩 솎아 주어서 그 아우성을 중재하는 일이었다. 농사를 배운 예시 답안 당근 사이에 적절
식물들 사이에 적절한 거리를 만들어 줌 한 거리를 만들어 뿌리가 너무
다는 것은 바로 그들의 적절한 ‘거리’를 익히는 과정이 아닐까. 빽빽하게 얽히는 것을 방지하여
▶ 식물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거리가 중요함
당근이 제대로 자라게 하기 위
1 당근 씨를 뿌리며 얻은 깨달음.
함이다.
콕콕 정리

2 미운 풀이 죽으면 고운 풀도 죽는다는 속담이 있다. 김을 맬 때마다 나는 「반 통의 물」에서 사용된 유


미운 풀 옆에는 고운 풀도 있는 법이라 미운 풀을 죽이려고 밟다 보면 그 곁에 있던 고운 풀도 죽게 됨 추
5 그 말을 자주 떠올린다. 그럼 내가 뽑고 있는 잡초는 미운 풀이고, 키우고 있 당근 사이에 적
절한 거리가 없으
당근
는 채소는 고운 풀이란 말인가. 곱고 미운 것의 기준은 어디에 있을까. 사람 면 제대로 자랄 수
『 』: 잡초와 채소는 인간의 기준에 의한 구분일 뿐임 없음.
이 먹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잡초와 채소를 구분하여 하나는 죽이고 하 사람 사이에 지
농사는 모두가 공존하기보다는 선택해야 하는 일 - 농사의 반생명성 켜야 할 거리가 깨
사람
나는 살리는 것이 이른바 농사다. 그러나 미운 풀이 죽으면 고운 풀도 죽는다 지면 폭력과 환멸
이 생겨남.
고 하지 않는가. 선택보다는 공존이 땅의 본래적 질서라고 할 때, 밭은 숲보
밭은 잡초를 뽑고 농작물만 키우기 때문 적절한 거리를
10 다 생명에 덜 가깝다.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함.

그래서 밭을 일구면서 가장 고민되는 문제가 풀이다. 사람의 손이 미치기 밭을 일구며 글쓴이가 가


장 고민한 문제는 무엇인가?
오래전부터 이 둔덕에는 명아주, 저 둔덕에는 개망초, 이 고랑에는 돼지풀, 예시 답안 원래 땅의 주인이
본래 땅에 살고 있던 다양한 풀(잡초)들 었던 풀들을 뽑아내는 것이 내
저 고랑에는 질경이……. 그들이 바로 이 땅의 주인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달 키지 않은 글쓴이는 풀을 그냥
둘 것인지, 뽑을 것인지를 고민
갑지 않은 침입자가 삽과 호미를 들고 나타나 그것도 생명을 키운답시고 원 하고 있다.

15 주민을 쫓아내니, 사실 원주민 풀들에게는 명목이 서지 않는 노릇이다.

그렇다고 풀을 그냥 두면 뿌려 놓은 채소들이 자라지 못하게 되니 어느 정

도는 뽑아 주어야 한다. 이런 안절부절 덕분에 우리 밭에는 채소가 반이고 잡

초가 반이다. 변명 같지만, 다른 밭보다 우리 밭에 풀이 무성한 것은 게으름


풀을 죽이지 않으려는 생명 존중 의식 때문임
때문만은 아니다. 만일 그렇다 해도 게으름이 농부의 악덕은 아닌 것이다.
▶ 밭에 풀이 무성한 것은 풀을 살리기 위해서임
2 김을 매면서 얻은 깨달음.

■중재(仲裁)하는 분쟁에 끼어
20 3 밭 바로 옆에는 우물이나 수도가 없다. 조금 걸어가야 그 마을 사람들에게 들어 쌍방을 화해시키는.
그는 늘 친구들의 다툼을
농수를 공급하는 수로가 있는데, 호스나 관으로 연결하기에는 거리가 제법 중재하는 역할을 하였다.

된다. 또 그러기에는 작은 밭에 너무 수선스러운 일인 것 같아 그냥 물을 한 ■김 논밭에 난 잡풀.


■둔덕 가운데가 솟아서 불룩
통 한 통 길어다 주었다. 푸성귀들을 키우는 것은 물이 아니라 농부의 발소리 하게 언덕이 진 곳.
농작물은 물을 주기 위해 들판을 오가는 농부의 발소리에 담긴 사랑과 정성으로 자람
라는 말이 그냥 나온 게 아닌가 보다. 우리 밭을 흡족하게 적시려면 수로까지 ■푸성귀 사람이 가꾼 채소나
저절로 난 나물 따위를 통틀
25 적어도 열 번은 왕복을 해야 하니 그것도 만만치 않은 노릇이었다. 어 이르는 말.
콕콕 정리
작가가 경험에서 얻은 깨달음 ②
경험 깨달음
사람이 잡초와 채소를 구분하여 죽이고 살림. 선택보다는 공존이
(4) 반 통의 물 123
밭에 풀을 뽑지 않아 잡초가 무성해진 일.
땅의 본래적 질서임을 깨달음.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3 17. 12. 11. 오후 7:20


물통을 들고 걸을 때마다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우리 집에서 가까운 텃밭

을 일구시는 어떤 할아버지인데, 물을 주러 가시는 모습을 몇 번 본 적이 있


글쓴이가 본, 텃밭에 물을 다. 그 할아버지는 몸 반쪽이 마비되어 걷는 게 그리 자유롭지 못하다. 성한
주러 가는 할아버지의 모습은 『 』: 텃밭에 물을 주러 가는 할아버지의 모습
어떠한가? 한쪽 팔로 물통을 들고 걸어가시는 모습은 거의 몸부림에 가까우면서도 이상
예시 답안 몸 반쪽이 마비되
어 걷는 것이 자연스럽지 못하
한 평화 같은 것을 느끼게 한다. 절뚝절뚝 몸이 심하게 흔들릴 때마다 물은 5

다. 절뚝거리면서 걷다 보니 물
통의 물을 반 이상 흘리며 몸부
찰랑거리면서 그의 낡은 바지를 적시고 길 위에 쏟아져, 결국 반 통도 채 남
림치듯 걸어간다. 그러나 그 모
습에서는 이상한 평화가 느껴진
지 않게 된다. 그렇게 몇 번씩 오가는 걸 나는 때로는 끌 듯이 지나가는 발소
다.
리로 듣기도 하고, 때로는 마른 길 위에 휘청휘청 내고 간 젖은 길을 보고 알

기도 한다.

그 젖은 길은 이내 말라 버리곤 했지만, 나는 그 길보다 더 아름답고 빛나는 10


생명을 사랑하는 할아버지의 소중한 마음이 느껴지기 때문
길을 별로 보지 못했다. 그리고 어느 날부터인가 나 역시 그 밭의 채소들처럼

할아버지의 발소리를 기다리게 되었다. 반 통의 물을 잃어버린 그 발소리를.

물통을 나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곤 한다. 내가 열 번 오가야 할 것을

그 할아버지는 스무 번 오가야 할 것이지만, 내가 이 채소들을 키우는 일도

그 할아버지와 크게 다르지 않은 어떤 안간힘 때문은 아닐까. 몸에 피가 돌 15


힘이 들더라도 채소에게 생명의 기운을 쏟아붓고 싶은 마음이 자신에게도 있음
지 않는 것처럼 문득문득 마음 한쪽이 굳어져 가는 걸 느끼면서, 절뚝거

리면서, 그러면서도 남은 반 통의 물을 살아 있는 것들에게 쏟아붓고


생명을 사랑하는 마음
싶은 마음, 그런 게 아니었을까. ▶ 할아버지의 사랑이 담겨 있는 ‘반 통의 물’
3 불편한 몸으로 채소에 물을 주는 할아버지를 보고 얻은 깨달음.

4 이 짤막한 이야기들은 그렇게 밭을 가꾸는 동안 절뚝


콕콕 정리 농사를 지으며 겪은 일은 통해 생명에 대한 사랑과 소중함을 깨달음

작가가 경험에서 얻은 깨달음 ③


거리던 내 영혼의 발소리 같은 것이다. 감히 농사라고는 20

경험
몸이 불편한 할아버지가 채소에 물을 주는 할 수 없지만, 자연과의 행복한 합일이라고도 부를
것을 본 일.
통에 담긴 물을 반 이상 쏟으면서도 물을 주 수 없지만, 그 어둠과 불구에 힘입어 푸른 것들을
깨달음 러 가는 할아버지의 모습에서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깨달음. 만나러 가곤 했다. 그들에게 물을 주고 돌아오
채소를 키우며 그들에게 사랑을 흠뻑 쏟음
깜짝 퀴즈 는 물통은 언제나 비어 있다.
1. ‌글쓴이는 당근 씨를 뿌리는 경험을 통해 식물이 자라기 ▶ 밭을 가꾸면서 얻은 글쓴이의 깨달음
위해서는 적절한 ☐ ☐가 필요함을 깨닫는다. ➡ 거리 - 나희덕, 『반 통의 물』 25
2. ‌글쓴이는 농부의 게으름은 악덕이라고 하였다. ➡ × 4 농사와 관련된 짤막한 이야기들에 담긴 글쓴이의 깨달음.
3. ‌글쓴이는 할아버지가 나르는 반 통의 물에서 생명에 대
한 사랑을 느끼고 있다. ➡◯

124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4 17. 12. 11. 오후 7:20


활동

이해 1 이 수필에 드러난 글쓴이의 경험과 깨달음을 알아보자.

활동 안내 글쓴이가 농사를 (1) 글쓴이가 경험한 일과, 그 일에서 깨달은 점을 정리해 보자.
지으며 겪은 세 가지 경험을 찾
아보고, 그러한 경험을 통해 글
쓴이가 얻은 깨달음이 무엇인지
경험 1 경험 2 경험 3
파악하는 활동이다. 그러한 깨
달음에서 엿볼 수 있는 글쓴이 당근이 자랄 수 있도록 밭에 난 잡초를 뽑지 않 몸이 불편한데도 채소에
의 삶의 태도를 이해할 수 있도 솎아 준 일. 아 밭에 풀이 무성해진 물을 주기 위해 애쓰는 할
록 지도한다. 일. 아버지를 본 일.

깨달음 깨달음 깨달음

예시 답안 식물들 사이에도 적 예시 답안 선택보다는 공존이 예시 답안 생명을 소중히 여기


절한 거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땅의 본래적 질서임을 깨달음. 는 마음을 깨달음.
깨달음.

(2) 이 수필에서 알 수 있는 글쓴이의 삶의 태도를 말해 보자.


예시 답안 글쓴이는 농사를 짓는 경험을 통해 식물들 사이에도 사람들 사이와 같은 적절한 거리가 필요하고, 선택보
다는 공존이 땅의 본래적 질서이며,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란 어떤 것인지 깨닫고 있다. 이런 깨달음으로 보아,
글쓴이는 작은 생명이라도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기는 생명 존중 사상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목표 1 다음은 글쓴이가 이 글을 쓴 과정을 추측한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수필의 갈래적


특성을 파악해 보자.
활동 안내 글쓴이의 경험과
깨달음을 바탕으로 글쓴이가 이
글을 쓴 과정을 생각해 보며 수 밭을 일구는 과정에 자신의 경험을 떠올 의미 있는 경험과 경
필이 지닌 갈래적 특성을 파악
서 가치 있는 경험을 리고, 그 경험을 성찰함 험에서 얻은 깨달음을
하는 활동이다. 작가의 경험과
깨달음이 수필 갈래에서 어떤 함. 으로써 깨달음을 얻음. 진솔하게 글로 표현함.
역할을 하는지 스스로 추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수필은 작가가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소재를 바탕으로 쓴 글이다.

• 예시 답안 수필은 개인의 사색과 성찰을 통해 쓴 글이다.

• 예시 답안 수필은 자신의 정서를 진솔하게 담아 쓴 글이다.

(4) 반 통의 물 12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5 17. 12. 11. 오후 7:20


활동 안내 의미 있는 경험에서 얻었던 깨달음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내용을 담아 한 편
의 글을 완성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질문을 통해 자신에게 의미 있었던 일들을 떠올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떠올려 보고, 이를 글로 표현해 보자.

도움말 (1) 다음 질문을 참고하여 일상에서 자신에게 의미 있었던 경험을 떠올려 보자.
일상생활 속 경험을 떠올릴
때에는 어떤 상황에서 누구와
어떤 대화를 했는지, 대상이 •생활 속에서 새롭게 발견한 일이나 궁금했던 일은 무엇인가?
나 사건을 관찰할 때 자신의
•최근에 겪은 기뻤던 일, 실망스러웠던 일, 고마웠던 일은 무엇인가?
심정은 어떠했는지 등을 구체
적으로 생각해 본다. •자신의 주변 사람들을 생각했을 때 떠오르는 느낌이나 감정은 무엇인가?

예시 답안 최근에 수업이 모두 끝난 후 교실에 놓고 온 물건이 있어 다시 교실에 가 보았는데, 아무도 없는 교실에서


혼자 청소하고 있는 친구를 본 일이 있다. 교실이 지저분해서 청소를 하였으며, 청소가 재미있고 즐겁다고 말하는 친구
의 모습을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2) (1)에서 떠올린 경험에서 새롭게 깨달은 점과, 그 경험에서 받은 영향이 무엇인지 생각
해 보자.

새롭게 깨달은 점 경험에서 받은 영향


예시 답안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다른 사람 예시 답안 누가 알아 주지 않아도 다른 사람을
을 위해 선행을 하며 행복해하는 친구를 보면서, 먼저 배려하는 마음을 갖고 선행을 실천하기로
진정한 행복은 자신만을 생각하는 이기적인 마음 함.
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희생하는 마음
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깨달음.

참고 자료 (3) 자신의 경험과 성찰을 담아 정서를 표현하는 짧은 글을 써 보자.


수필을 쓰는 방법 예시 답안

너무 거창하지 않
게 시작하는 것이 좋
처음 음. 다양한 방법으로 제목: 나의 친구
독자의 호기심을 끌
수 있음. 나는 뒷문을 열고 교실에 들어갔다. 그런데, 모두 뒤도 안 돌아보고 뛰어 나와서 엉망일 줄 알았던 교
실이 어느 정도 정돈이 되어 있었다. 게다가 아무도 없을 줄 알았는데 누군가 교실 청소를 하고 있었다.
‘처음’ 부분에 언급
혼자 교실 청소를 하고 있는 사람은 우리 반 동민이었다.
하거나 암시한 내용
가운데 “동민아? 넌 왜 안 나갔어?”
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함. “응, 교실 정리 좀 해 놓고 나가려고…….”
가만 생각해 보니 전에도 빈 교실을 혼자 청소하는 동민이를 몇 번 본 적이 있었다. 처음에는 사람도
내용을 정리함. 여
없는데 혼자 힘들게 청소하는 것을 보고 어리석다고 생각했지만 동민이의 입가에 비치는 미소를 본 순
끝 운을 남기거나 의미
를 부여하도록 함. 간, 나는 동민이에게 커다란 미안함을 느꼈다.
“너 혼자 청소하고 있었어?”라고 말하면서 나도 얼른 빗자루를 들고 청소를 시작했다. 동민이는 “애
들이 기다리고 있잖아? 얼른 나가. 나 혼자 해도 돼. 나는 친구들을 위해 청소하는 것이 즐거워.”라고 말
했지만 나는 동민이와 같이 얼른 청소를 마쳤다.
나는 오늘 비록 축구에서는 졌지만, 좋은 친구를 한 명 얻었다. 남에게 알리지 않고 타인을 위해 선행
을 하는 동민이를 보면서 진정한 행복은 이기적인 마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희생하는 마음
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126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6 17. 12. 11. 오후 7:20


듣기·
쓰기 말하기

적용 1 자신과 친구들이 쓴 글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모둠

활동 안내 각자 쓴 경험과 깨 (1) 2에서 쓴 글을 서로 돌려 읽고, 친구의 경험과 깨달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어 보자.
달음이 담긴 글을 모둠 구성원 예시 답안
과 돌려 읽고, 친구들의 글에 담
긴 경험과 깨달음에 대한 자신 • 글을 쓴 친구 : ◯◯◯ • 글을 쓴 친구 : △△△
의 생각을 표현해 보는 활동이
다. 이를 바탕으로 글 쓰기가 우
• 친구의 글을 읽은 나의 생각 : • 친구의 글을 읽은 나의 생각 :
리 삶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는 나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무언가를 내 친 무심코 스쳐 지나가던 풀을 자세히 관찰하
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 구처럼 열심히 해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경 고, 그 속에서 누구나 공감할 만한 생각을 한
다. 찰’이라는 꿈을 정하고, 그 꿈을 위해서 최선 △△△의 통찰력에 놀랐다. △△△의 글처럼
의 노력을 다하는 ◯◯◯의 글을 읽고 나도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서는 들풀부터 작은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벌레조차도 꼭 필요한 것이다. 자연과 공존하
위해서 열심히 노력해야겠다고 다짐하였다. 며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2) 다음 글을 참고하여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 쓰기가 우리 삶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창조력을 발휘할 수 있는 아주 멋진 기회이다. 또한


모든 경험과 감정, 생각을 언어로 바꿔 놓았다가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기억을
되살릴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렇게 본다면 매일의 글쓰기는 자신을 투영하
는 거울이자 살아온 날들의 구체적인 거울인 셈이다.
- 로제마리 마이어 델 올리보, 『나를 일깨우는 글쓰기』

예시 답안 자신의 경험과 성찰을 담아 정서적인 글을 써 보면서 자신의 체험이 가지는 의미를 스스로 생각하며 정리
해 보기도 하고, 미처 깨닫지 못했던 점을 파악해 볼 수 있다. 이렇듯 경험과 성찰을 담은 글 쓰기는 올바른 삶의 태도
를 지닐 수 있도록 도와주고, 삶을 풍요롭게 한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현대 수필 반 통의 물을 감상하며, 수필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

정리하기 험과 성찰을 담아 정서를 표현하는 글을 써 보았다. 경험과 성찰을 담은 다른 글을 더 찾


아 읽고, 직접 그러한 글을 써 보면서 교술 갈래가 주는 감동을 경험해 보자.

(4) 반 통의 물 12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7 17. 12. 11. 오후 7:21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소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떠올리며 십자말풀이의 빈칸을 채워 보는 활동이다.

● 다음 십자말풀이의 빈칸을 채워 보자.

1 2 4

묵 묵 부 답 상

동 투 덕 투 덕

자 적

11

세 우

5 6 8 10

암 만 험 척 격

단 난 분 분 하 다

하 짐

야 멸 차 다

가로 열쇠 세로 열쇠

1 잠자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음. 2 움직이지 아니하고 똑바로 서 있는 자세.


3 잘 울리지 아니하는 물체를 잇따라 조금 세게 두 4 늘 써서 버릇이 되다시피 한. 또는 그런 것.
드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두덕두덕’보다 거센 6 1. 수없이 많은 갈래나 토막으로 얼크러진 일의
느낌을 준다. 실마리.
5 밝혀 말할 필요가 없는 값이나 수량을 대신하여 2. 여러 가지나 온갖.
이르는 말. 8 험하여 고생스럽다.
7 자기만 생각하고 남의 사정을 돌볼 마음이 없다. 10 성이 다르면서 한집안이 되는 관계.
9 눈이나 꽃잎 따위가 흩날리어 어지럽다. 11 억지로 우겨서 남을 굴복시킴. 또는 그런 행위.

128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8 17. 12. 11. 오후 7:21


정리하기

첫사랑

1, 2연 3연 4연

첫 사 랑 의 아픔 뒤에
첫사랑을 이루기 위한 눈 인내와 헌신으로 이룬 첫
피워 낸 성숙한 사랑의 아름
의 도전과 헌신. 사랑의 황홀함.
다움.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나(오 선생) 권씨
산 업 화 과정에서
가난한 이웃에게 연민을 느끼지 궁색한 삶을 살아가면서도 지식
소외된 도시 빈민의 고달
만 실질적 도움은 주지 않는 소시 인으로서의 허위의식을 버리지 못
픈 삶을 ‘나’의 시선에서 사
민적 이중성을 지닌 인물. 한 인물.
실적으로 서술함.

결혼

남자 여자
우리가 가진 것은 모두 빌린 것 결혼 빌리는 동안 아끼고 사랑하겠다
이라는 소 유 의 본질과 진정한 는 남자의 말에 설득당해 결혼을
사랑의 의미를 깨달음. 수락함.

반 통의 물
•글쓴이의 경험: 당근을 키운 경험, 김을 맨 경험, 불편한 몸으로 물을 긷는 할아버지를 본 경험.
•글쓴이의 깨달음: 자 연 의 소중함과 생명에 대한 사랑.

이 단원을 마치며
3 서정, 서사, 극, 교술 갈래의 특성을 이해하며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3 서정, 서사, 극, 교술 갈래에서 삶을 형상화하기 위해 활용한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3 문학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작품 전체와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일상에서 가치 있는 경험을 떠올려 자신의 경험과 성찰을 담아 정서를 표현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12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29 17. 12. 11. 오후 7:21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문학 작품이 영화나 연극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으로 재창조되고 있음을 알게 하기 위한 활동이다. 교사가 문학의 구
성 요소나 형상화 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해 주기보다는 학생들 스스로 문학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예술 작품들을 찾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학이 대중문화의 밑바탕이 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문학, 대중문화의 꽃을 피우다

문학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삶의 이야기를 형상화한다. 때로는 감성적인 묘사로, 때로는 사실 그대


형체로는 분명히 나타나 있지 않은 것을 어떤 방법이나 매체를 통해 구체적이고 명확한 형상으로 나타냄
로의 표현으로 마음속에 커다란 울림을 준다. 그런데 요즈음 문학이 또 다른 대중문화로 새롭게 재창
조되고 있다. 문학에 담긴 이야기가 가요, 영화, 연극, 드라마, 광고, 컴퓨터 게임 등의 다양한 모습
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것이다.

‘시’와 ‘노래’가 만나다

문학을 대표하는 갈래 중 하나인 시는 노래와 공통점이


많아서 시 중에서 노래로 불린 작품들이 많다. 김소월 시인
의 「진달래꽃」, 정호승 시인의 「부치지 않은 편지」 등이 그
예이다. 요즘에는 시인과 래퍼의 합동 공연처럼 시와 랩뮤
강렬하고 반복적인 리듬에 맞춰 읊듯이 노래하는 대중 음악
직을 아우르려는 새로운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시인이 ‘거
리의 시인’인 래퍼와 만나 랩에는 문학성을, 현대 시에
는 음악성을 불어넣어 서로의 영역을 더욱 풍요롭
게 만드는 것이다.

130 3. 문학으로 그리는 삶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30 17. 12. 11. 오후 7:21


‘소 ’과 ‘영화’가 만나다

소설과 영화는 둘 다 사람이 살아가는 이야


기를 다룬다는 점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
다. 따라서 매력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는 소설
은 영화로 새롭게 태어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서는 김려령 작가의 『우아한 거짓말』과 『완득이』,
김애란 작가의 『두근두근 내 인생』 등의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졌고, 전 세계적으로 흥행한 영화
인 『반지의 제왕』과 『해리 포터』도 동명의 소설을
같은 이름
원작으로 한 것이다. 이처럼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 문학은 한 갈래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갈래로
끊임없이 재창조되고 있다.
이미 있는 것을 고치거나 새로운 방식을 써서 다시 만들어 냄

‘시’와 ‘노래’가 만나고, ‘소설’과 ‘영화’가


만나듯이 현대 사회에서 문학은 글자 속
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대중문
화를 꽃피우는 밑바탕이 되고 있다.

문학 작품은 노래로 불리기도 하고, 영화나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장르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우리가 접했던 문학 작품
중에서 대중문화 작품으로 재창조된 것에는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자. 그리고 자신이 감명 깊게 읽었던 문학 작품이 어떠
한 대중문화 작품으로 재창조되면 좋을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국어와 통하다 13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31 17. 12. 11. 오후 7:21


독서 공책 2
모둠 대화하기 독서 공책 활동지 독서 공책 ❶ 독서 일지 쓰기

독서 공책 ❷ 모둠 대화하기
활동 안내 모둠원이 함께 선정한 책을 읽고, 책과 관련된 대화를 나누어 보는 활동 독서 공책 ❸ 독서 토론하기
이다. 자신이 생각하는 이 책의 주제, 읽으면서 생겼던 궁금한 점, 또는 책의 내용과 독서 공책 ❹ 서평 쓰기
관련된 자신의 경험 등을 공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
독서 공책 ❺ 나만의 책 만들기
과 관점을 이해하게 되며, 자신의 읽기를 심화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책의
내용과 관련이 있어야 함을 전제로 하되,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어 볼 수 있도록 지도
한다.

모둠 이름과 각자의 역할 정하기

이끎이 모둠 대화를 진행하는 사회자.

기록이 모둠 대화의 내용을 기록하는 사람.


모둠 이름

나름이 책이나 자료를 운반하는 사람.


책날개

꾸밈이 대화 기록지를 편집하는 사람.

찾음이 대화에 필요한 자료를 찾는 사람.

알림이 원활한 모둠 대화를 위한 절차를 알려 주는 사람.

모둠 책 정하기

다음 기준을 고려하여 우리 모둠에서 읽고 싶은 책을 정해 보자.

•책의 내용이 우리 모둠의 관심사나 진로와 관련이 있는가?


•책의 내용이 너무 쉽거나 어렵지 않은가?
•책의 저자는 어떤 사람인가?
•책에 대한 독자의 평가는 좋은 편인가?

제목 저자
1순위 하리하라의 청소년을 위한 의학 이야기 이은희

2순위 국제기구 멘토링 정홍상

3순위 삼국유사 어디까지 읽어 봤니? 이강엽

132 독서 공책 ❷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32 17. 12. 11. 오후 7:21


모둠에서 책에 관한 대화하기

책날개 모둠의 책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독자에게 무슨 생각을 전하려 했는지 이


야기해 본다.
•마음에 드는 문장을 찾아 소리 내어 읽고 그 이유를 설명한다.
•책 속 인물이 놓인 상황을 이해하고, 그 상황에서 인물이 한 행
동을 살펴본다.
•책의 내용 중에서 각자 궁금한 점을 두 가지씩 말하고 함께 답
을 찾는다.
•책의 내용과 비슷한 세상일, 사람, 경험 등을 떠올려 본다.

대화 기록지 쓰기

대화 기록지 제목: 의학, 타인의 생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생을 바치는 것

책날개 모둠
•다영: 먼저 이 책을 통해 저자가 독자에게 무엇을 전달하려고 했는지 이야기해 보자. 나는 저자가 다른 사람의 생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생
을 바치려 한 학자들의 사례를 제시해서 의학 연구의 가치와 중요성을 말하려 했다고 생각해.
•현지: 의학은 사람을 살리는 일을 연구하는 학문이야.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는지 알게 되어서
매우 의미 있었어. 저자가 말하고 싶은 것도 이런 게 아니었을까?
•은정: 나는 제약 연구원이 되고 싶어.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그만큼 가치 있는 일임을 알게
됐어. 저자도 의학 연구는 많은 열정이 필요하고 그 과정은 험난하지만, 매우 고귀한 일임을 말하고 있어.
•모아: 저자는 우리가 받는 치료가 많은 의학자들이 노력한 결과라는 것을 말하고 있어. 이 책에는 연구 결과에 작은 오차도 만들지 않기 위
해 생을 바쳐 연구하는 학자들의 모습이 등장해. 의학이 얼마나 가치 있고 중요한 일인지 알게 됐어.
•다혜: 나는 평소에 생명공학에 관심이 있어서 재미있게 읽었어. 저자는 의학자들이 자신의 연구를 위해 자신의 몸을 생체 실험 대상으로
사용하는 사례들도 제시하고 있어. 이를 통해 저자는 의학을 연구하는 일이 연구자의 희생이 필요한 일임을 말하고 있어.
•동원: 우리는 조금만 아파도 매우 괴롭잖아. 병원에 가면 약을 먹고 쉽게 낫곤 하는데, 그 뒤에는 학자들의 엄청난 희생이 있음을 알게 되었어.

대화 기록지를 쓸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한다.

•대화 기록: 손으로 기록한 내용이나 녹음한 내용을 컴퓨터로 입력한다. 이때 입말은 글말보다 군더더
기가 많고 문법에 맞지 않을 때가 많으므로, 문장을 압축하고 군더더기를 덜어 낸다.
•대화 점검: 정리한 대화 기록지를 보면서 논리에 안 맞는 부분은 수정하고, 부족한 내용은 보완한다.
본래 의도에 맞게 표현되었는지 확인한다.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삭제한다.
•대화 추가: 새로운 이야깃거리가 있으면 대화를 더 한 후에 그 내용을 기록에 추가한다.

모둠 대화하기 13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3(074~133)ok.indd 133 17. 12. 11. 오후 7:22


대단원 표지 그림
•한글 자모로 꾸며진 놀이공원을 보며 음운 규칙과 한글 맞춤법
을 배우는 것이 즐거운 일일 수 있음을 느껴 보게 한다.
•우리가 잘 의식하지는 못하지만, 평소에 우리가 사람들과 소통
하는 과정에서 음운 현상들이 계속 일어나고 있음을 생각해 보
게 한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34 17. 12. 11. 오후 7:59


쓰기
읽기
문법

듣기
문학
말하기

통합 쓰기 영역 + 문법 영역

4
대단원 설정 이유
총 10차시
이 단원에서는 어문 규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올바르게 의사소통해
보는 활동과, 글쓰기가 사회적 상호 작용임을 이해하며 글을 써 보는
활동을 수행할 것이다.
학생들이 어문 규범을 암기식으로 학습하기보다는 어문 규범을 존중
하고 자신의 언어생활에 적용하도록 만드는 것에 중점을 두어 지도한
다. 나아가 학생들이 올바른 글쓰기를 통해 독자와 능동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바른 말,
바른 글
음운의 변동
한글 맞춤법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35 17. 12. 11. 오후 7:59


대단원 성취기준
[문법 02] 음운의 변동을 탐구하여 올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한다.

의 길잡이 [문법 04]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와 내용을 이해한다.


[쓰기 01] 쓰기는 의미를 구성하여 소통하는 사회적 상호 작용
임을 이해하고 글을 쓴다.

학습 목표

음운 변동의 원리와 규칙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쓰기가 의미를 구성하여


을 탐구하여 올바르게 발음 를 이해하여 정확한 언어생 독자와 소통하는 사회적 상
하고 표기한다. 활을 한다. 호 작용임을 이해하고 글을
쓴다.

문법 문법 쓰기

사람들은 때로 개성을 드러내거나 재미를 주기 위해 어문 규


범에 어긋난 표현을 쓰고는 한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 때문에 말
이나 글의 의미가 상대에게 잘못 전달되어 오해가 생기기도 한
다. 이러한 일 없이 상대와 의사소통을 하려면 어문 규범에 맞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4단원에서는 우리말의 음운 변동 현상을 탐구하고, 한글 맞춤
법의 원리를 익혀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해 보는 활동과, 글을 매
개로 독자와 상호 작용하는 활동을 해 볼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하면서 우리가 쓰는 말과 글의 원리를 익히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다른 사람들과 원활하게 소통해 보자.

136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36 17. 12. 11. 오후 7:59


학습 과정

•다양한 음운 변동 현상의 원리와 규칙 탐구하기.


(1)
•음운 변동 현상의 원리와 규칙을 익혀 일상생활에서 올바르게 발음하고
음운의 변동
표기하기.

•한글 맞춤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활용하기.


(2)
•글쓴이와 독자가 글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상호 작용함을 이해하고 글을
한글 맞춤법
쓰기.

국어 속 기술
국어와 통
•사람의 음성을 활용하는 과학 기술의 원리 살펴보기.
하다
•실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는 음성 인식 기술 알아보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다양한 언어 자료에 나타나는 음운
변동 현상을 비판적·창의적으로 탐구하여 올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하는 능력을 기른다.
•의사소통 역량: 어문 규범을 지켜 말을 하고 글을 써 봄으로써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여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
다.

이 단원을 배우면,
음운 변동 현상의 원리와 규칙을 탐구하며
비판적·창의적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고,
한글 맞춤법에 맞게 글을 씀으로써 의미를 구성하고
독자와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13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37 17. 12. 11. 오후 7:59


총 5차시

(1 )
학습 목표 •다양한 음운 변동 현상의 원리
와 규칙을 탐구한다.
•음운 변동 현상의 원리와 규칙을 익혀 일상생활에서
올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한다.

역량 목표 •다양한 언어 자료에 나타난 음


운 변동 현상을 비판적·창의적으로 탐구한다.

음운의 변동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에서 선생님이 이름을 불렀을 때 여러 학생이 대답한 이유를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겪을 수 있을 법한 상황을 제시하여 음운 변동 현상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활동이다.
‘[방미나]’라는 선생님의 부름에 이름이 다른 네 명의 학생이 동시에 대답한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게 하고,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었는지 떠올려 보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박미나, 방민아, 박민아, 방미나’라는 이름이 모두 동일하게 ‘[방미나]’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비슷한 경험의 예]
- 어릴 때 ‘실업계 고등학교’를 ‘시럽계 고등학교’로 들어서 무슨 의미인지 고민했던 적이 있다.
- 내 이름은 ‘석은우’인데,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서근우’로 들어서 항상 정정해 주어야 했다.

138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38 17. 12. 11. 오후 7:59


알아
두기 1 음운과 음운 변동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를 이르는 말로, 우리말의 자음과 모
음운의 정의
음, 소리의 길이가 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공’과 ‘종’에서 ‘ㄱ’과 ‘ㅈ’, ‘볼’과 ‘불’에서 ‘ㅗ’와
‘ㅜ’, ‘눈∶[雪]’과 ‘눈[眼]’에서 소리의 길이는 각각 두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는 음운이다. 그리
고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의 변
음운 변동의 정의
동에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축약, 두
음운 변동의 종류 ① 음운 변동의 종류 ②
음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탈락, 두 음운 사이에 음운이 덧붙는 첨가 등이 있다. 이러
음운 변동의 종류 ③ 음운 변동의 종류 ④
한 현상은 발음을 쉽게 하거나 말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일어난다.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2 정확한 발음과 바른 표기
‘부딪히다’라고 표기된 단어를 읽을 때, 소리 나는 대로 [부디치다]로 발음하는 것이 ‘부딪히
다’의 네 음절을 각기 따로 떼어서 발음하는 것보다 훨씬 자연스럽고 편하다. 이렇게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말소리가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바뀌어서 그렇게 발
음되는 것인지 이해해야 한다. 표기와 발음의 관계를 파악하면 우리말을 정확하게 발음하고
표기와 발음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이유
바르게 표기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음운 변동 현상의 종류

교체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등.


축약 거센소리되기 등.
탈락 모음 탈락 등.
첨가 반모음 첨가 등.

정확하게
?! 발음하며 말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음운 변동 현상의 원리와 규칙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
해 볼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정확하게 발음하며 말해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고, 이 단
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어떤 환경에서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날까?
•내가 잘못 발음하고 있는 단어에는 무엇이 있을까?
•소리 나는 대로 글자를 쓰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1) 음운의 변동 13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39 17. 12. 11. 오후 7:59


학습 포인트 •음운 변동의 개념   •음운 변동의 종류와 원리   •표기와 발음의 관계

활 1 음운 변동의 이해
소단원 정리 PPT

※자음 체계표 - <교사용 지도서 206쪽 참고>


‘활동 ’은 우리말에 나타나는 여러 음운 변동 현상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다양한 예
시를 살펴보며 음운 환경에 따라 음운이 다르게 발음되는 규칙을 알아본다.

[음운의 교체]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1 비음화
자료실 ‘국물’은 ‘국’의 받침 ‘ㄱ’이 뒤에 오는 비음 5

비음과 유음
‘ㅁ’의 영향을 받아 비음 ‘ㅇ’으로 바뀌므로
비음은 코로 공기를 내보내
며 내는 소리로, ‘ㄴ, ㅁ, ㅇ’이 [궁물]로 발음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맏며
이에 해당한다. 유음은 혀 옆
으로 공기를 흘려서 내는 소 느리’는 [만며느리]로, ‘잡는다’는 [잠는다]로
받침 ‘ㄷ’+비음 ‘ㅁ’ → 비음 ‘ㄴ’ 받침 ‘ㅂ’+비음 ‘ㄴ’ → 비음 ‘ㅁ’
리로, ‘ㄹ’이 이에 해당한다.
발음된다. 이처럼 받침 ‘ㄱ, ㄷ, ㅂ’은 뒤에
『 』: 비음화가 일어나는 음운 환경 ①
오는 비음 ‘ㄴ, ㅁ’의 영향을 받아 각각 비음 10

국물 [궁물] ‘ㅇ, ㄴ, ㅁ’으로 바뀌어 발음된다.


비음 받침 ‘ㅇ’+유음 ‘ㄹ’ → 비음 ‘ㄴ’
또 ‘담력[담∶녁]’, ‘대통령[대∶통녕]’처럼 받침 ‘ㅁ, ㅇ’ 뒤에 오는 ‘ㄹ’도 비음
비음 받침 ‘ㅁ’+유음 ‘ㄹ’ → 비음 ‘ㄴ’ 『 』: 비음화가 일어나는 음운 환경 ②
‘ㄴ’으로 발음된다. 이렇게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음을 만나 비음 ‘ㅇ, ㄴ, ㅁ’
비음화의 정의
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을 비음화라고 한다.

2 유음화 15

‘설날’은 ‘날’의 ‘ㄴ’이 앞에 오는 유

음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바뀌

므로 [설∶랄]로 발음된다. ‘난로’도

[날 ∶로]로 발음되는데 ‘난’의 받침

‘ㄴ’이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을 20

설날 [설랄] 받아 ‘ㄹ’로 바뀌어 발음되기 때문이

다. 이렇게 비음 ‘ㄴ’이 유음 ‘ㄹ’의 앞 또는 뒤에서 유음 ‘ㄹ’로 교체되어 발음


유음화의 정의
되는 현상을 유음화라고 한다. 비음화와 유음화는 앞뒤 자음의 조음 방법을
비음화·유음화가 일어나는 원인
같게 하여 소리를 편하게 내기 위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140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0 17. 12. 11. 오후 7:59


활동 안내 비음화의 원리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각 단어를
1 다음 단어를 발음해 보고, 자음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확인해 보자.
예시 답안
직접 발음해 보면서 어떤 음운
먹는다 닫는다 굽는다
환경에서 비음화가 일어나는지
탐구하도록 지도한다.
[멍는다] [ 단는다 ] [ 굼ː는다 ]
참고 자료
표준 발음법 제19항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ㄱ + ㄴ → + ㄴ ㄷ + ㄴ → ㄴ + ㄴ ㅂ + ㄴ → ㅁ + ㄴ
예 ‌담력[담ː녁] 침략[침ː냑]
강릉[강능] 항로[항ː노] →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음을 만나 비음 ‘ㅇ, ㄴ, ㅁ’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비음화’가 나타난다.
대통령[대ː통녕]

활동 안내 유음화의 원리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각 단어를
2 세 단어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음운 변동 현상을 알아보자.
예시 답안
직접 발음해 보면서 어떤 음운
단어 발음 바뀐 음운
환경에서 유음화가 일어나는지
탐구하도록 지도한다.
신라 [ 실라 ] ㄴ → ㄹ
참고 자료
표준 발음법 제20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칼날 [ 칼랄 ] ㄴ → ㄹ

[ㄹ]로 발음한다.
예 ‌난로[날ː로] 신라[실라] 실내화 [ 실래화 ] ㄴ → ㄹ
천리[철리] 광한루[광ː할루]
칼날[칼랄] 물난리[물랄리]

‘ ㄴ ’이 ‘ ㄹ ’의 앞 또는 뒤에서 ‘ ㄹ ’로 발음되는 현상인 ‘유음화’가 나타난다.

활동 안내 비음화가 나타나는 단어와 유음화가 나타나는 단어를 분류해 보는 활동이다. 활동에 제시된 지명을 직접
발음해 보도록 한 후, 각 단어에서 나타나는 음운 변동의 특징을 찾도록 지도한다.

3 우리나라의 지명 중에서 같은 음운 변동 현상이 나타나는 것끼리 묶어 보자.

도움말 비음화
제시된 지명의 발음을 적어 만리포
보고, 소리가 바뀐 후의 음운 예시 답안 백마강, 강릉, 종로
이 비음 ‘ㄴ, ㅁ, ㅇ’인지 유음 백마강 → ‌각각 ‘백마강[뱅마강], 강릉[강능], 종로[종노]’로 발음된
다.
‘ㄹ’인지를 확인해 본다.
강릉

대관령
유음화
한라산
예시 답안 만리포, 대관령, 한라산
종로
→ ‌각각 ‘만리포[말리포], 대관령[대ː괄령], 한라산[할ː라산]’으
로 발음된다.

(1) 음운의 변동 14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1 17. 12. 11. 오후 7:59


활 1 [음운의 교체]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3 구개음화
자료실 ‘해돋이’는 [해도디]보다 [해도지]로 발
그림으로 보는 구개음화
음하는 것이 편하다. ‘같이’도 [가티]보다
자음 ‘ㄷ, ㅌ’보다 자음 ‘ㅈ,
ㅊ’이 모음 ‘ㅣ’와 더 가까운 [가치]로 발음하는 것이 더 편하다. 그 이
위치에서 소리 나므로, ‘ㄷ,
ㅌ’을 ‘ㅈ, ㅊ’으로 교체하면 유는 잇몸에서 소리 나는 치조음 ‘ㄷ, ㅌ’ 5

발음하기가 편해진다.
보다 센입천장에서 소리 나는 경구개음

‘ㅈ, ㅊ’이 모음 ‘ㅣ’가 소리 나는 위치와


해돋이 [해도지] 더 가깝기 때문이다. 이렇게 앞말의 끝소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리 ‘ㄷ, ㅌ’이 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 구개음인 ‘ㅈ, ㅊ’으로
▲ ‘ㄷ, ㅌ’ 발음 위치 구개음화의 정의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을 구개음화라고 한다. 구개음화는 인접한 두 음운의 10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원인
조음 위치를 비슷하게 만들어 더 편하게 발음하기 위해 일어나는 현상이다.

▲ ‘ㅣ’ 발음 위치

4 된소리되기

▲ ‘ㅈ, ㅊ’ 발음 위치
‘국수’는 앞말의 끝소리 ‘ㄱ’과 뒷말의 첫소리

‘ㅅ’이 만나 뒤의 ‘ㅅ’이 ‘ㅆ’으로 변하여 [국쑤]로


참고 자료 발음된다. 이처럼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 15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는 환경 된소리되기의 정의
•받침 ‘ㄱ, ㄷ, ㅂ’ 뒤에 연결 이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으로 교체되어 발
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
소리로 발음한다.
음되는 현상을 된소리되기라고 한다.
예 ‌국밥[국빱], 꽃다발[꼳따
발], 값지다[갑찌다]
•어간의 받침 ‘ㄴ, ㅁ’ 뒤에 결
된소리되기는 여러 환경에서 나타난다. 다음
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국수 [국쑤]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를 발음해 보자.
예 ‌껴안다[껴안따], 삼고[삼ː
꼬], 닮고[담ː꼬]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
•새로 산 신발을 신고 왔는데 갑자기 비가 온다. 20

결되는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무엇을 먼저 먹을지 갈등이 되네.
예 ‌갈등[갈뜽], 일시[일씨], 갈
증[갈쯩]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
밑줄 친 단어들은 ‘신고[신∶꼬]’, ‘갑자기[갑짜기]’, ‘먹을지[머글찌]’, ‘갈등
어간 받침 ‘ㄴ’+어미 첫소리 ‘ㄱ’ 받침 ‘ㅂ’+‘ㅈ’ 관형사형 ‘- (으)ㄹ’+‘ㅈ’
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갈뢭]’으로 발음된다. 이처럼 된소리되기는 앞 음절의 받침과 그 뒤에 연결
예 ‌할 것을[할꺼슬], 갈 데가 한자어. 받침 ‘ㄹ’+‘ㄷ’
[갈떼가], 할 적에[할쩌게] 되는 첫소리에 따라 여러 환경에서 나타난다.

142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2 17. 12. 11. 오후 7:59


활동 안내 단어의 음운 환경을 단계적으로 확인하면서 구개음화의 원리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미닫이, 붙이다’와 달
리 ‘디디다’에서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확인하게 하면서 구개음화의 원리를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4 다음 표의 빈칸에 표나
예시 답안
표를 하고, 구개음화의 원리를 정리해 보자.

자료실 미닫이 붙이다 디디다


형식 형태소
‘ㄷ, ㅌ’과 모음 ‘ㅣ’가 만나는가? ◯ ◯ ◯
형태소 중에서 문법적인 뜻
만을 나타내는 형태소를 말한
‘ㄷ, ㅌ’이 앞 말의 끝소리인가? ◯ ◯ ×
다. 예를 들어 ‘밥을 많이 먹었
다.’라는 문장에서 조사 ‘을’과
모음 ‘ㅣ’가 형식 형태소의 첫소리인가? ◯ ◯ ×
접사 ‘-이’, 어미 ‘-었-’과 ‘-
다’가 형식 형태소이다.

‘미닫이’와 ‘붙이다’는 구개음화가 일어나 [ 미ː다지 ], [ 부치다 ]로 발음된다.


이처럼 우리말에서는 앞말의 끝소리 ‘ㄷ, ㅌ’이 모음 ‘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면 자연스럽게 ‘ ㅈ , ㅊ ’으로 변하여 소리 난다.

활동 안내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는 다양한 음운 환경을 확인하는 활동이다. 표준 발음법 규정을 참고하여 된소리되기
가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는 경우와 아닌 경우를 확인하도록 지도한다.

5 밑줄 친 부분의 발음을 써 보고,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는 환경을 알아보자.


예시 답안
자료실
된소리되기의 된소리되기가 나타나는 환경
어간과 어미
용언(동사, 형용사)은 어간 •어서 학교[학꾜]에 가자.
받침 ‘ㄱ, ㄷ, ㅂ’ 뒤에 연결되는
과 어미로 이루어져 있다. ‘작 •고집부리며 뻗대지[ 뻗때지 ] 마라.
……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고, 작으니’에서 ‘작-’과 같이 •잔에는 입술[ 입쑬 ]을 축이기도
모양이 바뀌지 않는 부분이
한다. → 표준 발음법 제23항
모자랄 정도의 물이 남아 있을 뿐이다.
어간이고, ‘-고, -으니’와 같
이 모양이 바뀌는 부분이 어 •그녀는 부담감을 안고[안ː꼬] 일했다. 어간의 받침 ‘ㄴ, ㅁ’ 뒤에 결합되
미이다.
•나는 추억을 더듬지[ 더듬찌 ] 않으 …… 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참고 자료
려 한다. 된소리로 발음한다. → 표준 발음법 제24항
소리의 세기에 따른 자음의 분류
입안의 기압 및 발음
•그는 절도[절또] 혐의로 구속되었다.
예사 기관의 긴장도가 낮아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
소리 약하게 터져 나오는 소 •이야기가 이제 발전[ 발쩐 ] 단계 ……
리. 예 ㄱ, ㄷ, ㅂ, ㅅ, ㅈ 는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로 접어들었다. → 표준 발음법 제26항
목구멍의 근육을 긴
된소 장하거나 성대 사이의
리 틈을 좁혀 내는 소리. •나는 지금 갈 데가[갈떼가] 있어. 관형사형 ‘-(으)ㄹ’ 뒤에 연결되는
예 ㄲ, ㄸ, ㅃ, ㅆ, ㅉ •만날 사람[ 만날싸람 ]은 언젠가 ……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숨이 거세게 터져 나 꼭 만나게 된다. 한다. → 표준 발음법 제27항
거센
오는 소리.
소리
예 ㅋ, ㅌ, ㅍ, ㅊ

(1) 음운의 변동 14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3 17. 12. 11. 오후 7:59


활 1 [음운의 축약]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

5 거센소리되기
자료실 ‘축하’는 자음 ‘ㄱ’과 ‘ㅎ’이 합쳐져서 하
모음 축약
나의 음운인 ‘ㅋ’이 되어 [추카]로 발음된
자음이 축약되듯이, 모음의
경우에도 두 모음이 축약되어 다. ‘축하’라고 표기된 음운의 개수는 ‘ㅊ/
하나의 모음으로 소리 나기도
한다. ㅜ/ㄱ/ㅎ/ㅏ’로 총 5개인데, [추카]로 발 5

그리 - + - 어 그려 음되며 음운의 개수가 ‘ㅊ/ㅜ/ㅋ/ㅏ’의 4


ㅣ+ㅓ ㅕ
개로 줄었다.
오 - + - 아서 와서
축하 [추카] 이와 같은 원리로 ‘맏형’은 [마틏]으로,
ㅗ+ㅏ ㅘ
예사소리 ‘ㄷ’+‘ㅎ’=거센소리 ‘ㅌ’
‘굽히다’는 [구피다]로, ‘좋지’는 [조∶치]로 발음된다. 이렇게 예사소리 ‘ㄱ, ㄷ,
구절 풀이 거센소리되기가 ‘축 예사소리 ‘ㅂ’+‘ㅎ’=거센소리 ‘ㅍ’ ‘ㅎ’+예사소리 ‘ㅈ’ → 거센소리 ‘ㅊ’
약’ 현상인 이유를 설명하고 있 ㅂ, ㅈ’이 ‘ㅎ’과 만나 두 음운이 축약되어 거센소리인 ‘ㅋ, ㅌ, ㅍ, ㅊ’으로 발 10
다. ‘축하’는 ‘ㄱ’과 ‘ㅎ’이 만나 거센소리되기의 정의
제3의 음운인 ‘ㅋ’으로 소리 나 음되는 현상을 거센소리되기라고 한다.
게 된다. 이때 ‘ㅋ’은 ‘ㄱ’과 ‘ㅎ’
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
에 ‘축약’이라 할 수 있다.

[음운의 탈락] 두 음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현상

6 모음 탈락
용언이 활용할 때 모양이 변하는 부분
자료실 ‘고파서’는 ‘고프다’의 어간인 ‘고프-’에 어미
용언이 활용할 때 모양이 변하지 않는 부분
자음 탈락
‘-아서’가 결합된 것이다. 이 경우 어간 ‘고프-’
모음이 탈락되듯이, 자음의
경우에도 두 개의 자음이 이 의 마지막 모음 ‘ㅡ’가 탈락하여 [고프아서]가 아 15

어질 때 둘 중 하나가 탈락되
어 소리 나지 않기도 한다. 니라 [고파서]로 발음된다. ‘고프다’처럼 어간 끝

‘ㄹ’ 탈락
울-+-니 에 모음 ‘ㅡ’를 가진 용언 어간이 ‘-아서/-어서’
→ 우니[우ː니]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동사와 형용사

좋-+-은 처럼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모음


‘ㅎ’ 탈락
→ 좋은[조ː은]
‘ㅡ’가 탈락한다.
참고 자료 고프- + -아서 →고파서 ‘가다’의 경우에는 어간 ‘가-’에 어미 ‘-아서’ 20
어간과 어미
용언(동사, 형용사)은 어간과 가 결합할 때 모음 ‘ㅏ’가 탈락하여 [가아서]가 아니라 [가서]로 발음된다. ‘가
어미로 이루어져 있다.
예 어간 어미 다’, ‘서다’와 같이 용언의 어간 끝모음이 ‘ㅏ/ㅓ’일 때, 뒤에 같은 ‘ㅏ/ㅓ’로 시
작고 작- -고
작되는 어미가 결합하면 한쪽의 ‘ㅏ/ㅓ’가 탈락한다. 이처럼 두 모음이 이어질
작으니 작- -으니 모음 탈락의 정의
때 그중 한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을 모음 탈락이라고 한다.

모음 탈락은 발음뿐 아니라 표기에도 반영된다. 따라서 모음 탈락이 일어난 단 25

다른 음운 변동과 구별되는 모음 탈락의 특징


어는 하나의 모음이 탈락된 형태로 적는다.

144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4 17. 12. 11. 오후 7:59


활동 안내 자음이 축약되어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나는 현상
6예시 답안
다음 단어의 발음을 쓰고, 두 음운이 어떻게 축약되는지 알아보자.

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예사소


리와 거센소리의 차이를 설명한
쌓지 [ 싸치 ] …… ㅎ+ㅈ ㅊ
후, 각 단어를 발음해 보며 거센
소리되기의 원리를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파랗다 [ 파ː라타 ] …… ㅎ+ㄷ ㅌ

잡히다 [ 자피다 ] …… ㅂ+ㅎ ㅍ

활동 안내 모음 탈락의 원리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문장의 밑줄 친 단어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용언의 기본형을 파악
하게 한 후,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면서 어떤 모음이 탈락된 것인지 알아보도록 지도한다.

7 | 보기 | 를 참고하여 아래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음운을 써 보자.

| 보기 |
도움말
용언의 기본형을 모르면 밑 1반부터 순서대로 버스에 타라.
줄 친 단어에 나타난 음운 탈
락 현상을 알기 어려우므로, 타 - + -아라 → 타라 ‘ㅏ’ 탈락
먼저 용언의 기본형이 무엇인
지 파악해 본다. 예시 답안
•약이 써서 삼킬 수 없었다.
쓰 - + - 어서 → 써서 ‘ ㅡ ’ 탈락
•나는 어제 꿈도 꾸지 않고 푹 잤다.
자 - + - 았 - + - 다 → 잤다 ‘ ㅏ ’ 탈락
•이 횡단보도를 건너서 곧바로 가면 그 학교가 나온다.
건너- + - 어서 → 건너서 ‘ ㅓ ’ 탈락

활동 안내 거센소리되기와 모
음 탈락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8 두 단어에 나타난 음운 변동 현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자.

정리해 보는 활동이다. 둘 다 음
운의 개수가 줄어든다는 것을 공통점
먼저 확인하게 한 후, 줄어든 방
식이 어떻게 다른지를 탐구하도 음운의 개수가 줄었다.
록 지도한다. 법학[버팍]

푸 - + - 어서 → 퍼서 차이점
예시 답안 ‘법학’은 ‘ㅂ’과 ‘ㅎ’이 만나 두 음운이 가지고 있
던 소리의 성질을 지닌 ‘ㅍ’으로 축약되었고, ‘퍼서’는 모음 ‘ㅜ’
가 완전히 탈락하였다.

(1) 음운의 변동 14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5 17. 12. 11. 오후 7:59


활동 1 음운의 변동 한눈에 보기

음운의 개념

발 팔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발’과 ‘팔’
ㅂ/ㅏ/ㄹ ㅍ/ㅏ/ㄹ 의 ‘ㅂ’과 ‘ㅍ’은 두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음운이다.

음운 변동의 개념과 다양한 음운 변동 현상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을 ‘음운 변동’이라고 한다.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음을 만나 비음 ‘ㅇ, ㄴ, ㅁ’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


비음화
예 국물[궁물], 맏며느리[만며느리], 잡는다[잠는다]
비음 ‘ㄴ ’이 유음 ‘ㄹ’의 앞 또는 뒤에서 유음 ‘ㄹ’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
유음화
예 설날[설∶
랄], 난로[날∶
로]

앞말의 끝소리 ‘ㄷ, ㅌ’이 모음 ‘ ㅣ ’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 구개음인 ‘ㅈ, ㅊ’으로 교


구개음화 체되어 발음되는 현상.
예 해돋이[해도지], 같이[가치]

일정한 환경에서 뒷말의 첫소리인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


된소리되기 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
꼬], 갑자기[갑짜기], 먹을지[머글찌], 갈등[갈뜽]
예 국수[국쑤], 신고[신∶

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두 음운이 축약되어 거센소리인 ‘ㅋ, ㅌ, ㅍ, ㅊ’으로 발


거센소리되기 음되는 현상.
예 축하[추카], 맏형[마텽], 굽히다[구피다], 좋지[조∶
치]

두 모음이 이어질 때 그중 한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


모음 탈락
예 고파서(고프- + -아서), 가서(가- + -아서)

음운 변동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음운 변동 현상은 우리말을 좀 더 쉽게 발음하면서 말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발생한다.

146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6 17. 12. 11. 오후 8:00


학습 포인트 •실생활에서의 음운 변동 현상 탐구   •올바른 발음 확인

활 2 음운 변동의 실제
‘활동 ’는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타나는 음운 변동 현상을 탐구하는 활동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 중에서 잘못 발음하는 것들을 찾고, 바르게 발음해 본다.

활동 안내 활동 ❶에서 이해
한 음운 변동 현상을 다양한 언
1 단어에 나타난 음운 변동 현상에 따라 카드를 분류해 보자.

어 자료를 통해 확인해 보는 활
동이다. 학생들이 카드에 적힌
단어를 직접 발음하면서 올바른
발음은 무엇이며 어떤 음운 변 톱밥 달나라 밥물 쇠붙이 침략
동 현상이 일어났는지 확인하도
록 지도한다.

눈을 감고 음악 가방은
훈련 입학
들어 봐. 좀 꺼. 놓고 가.

예시 답안

비음화 유음화 거센소리되기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 비음 ‘ㄴ’이 유음 ‘ㄹ’ 예사소리 ‘ㄱ, ㄷ, ㅂ,


음을 만나 비음 ‘ㅇ, ㄴ, 의 앞 또는 뒤에서 유음 ㅈ’이 ‘ㅎ’과 만나 거센
ㅁ’으로 발음되는 현상. ‘ㄹ’로 발음되는 현상. 소리인 ‘ㅋ, ㅌ, ㅍ, ㅊ’
으로 발음되는 현상.
입학[이팍], 가방은 놓고[노
밥물[밤물], 침략[침ː냑] 훈련[훌ː련], 달나라[달라라]
코] 가.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모음 탈락

앞말의 끝소리 ‘ㄷ, 일정한 환경에서 뒷 두 모음이 이어질 때


ㅌ’이 모음 ‘ㅣ’로 시작 말의 첫소리인 예사소 그중 한 모음이 탈락하
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 리 ‘ㄱ, ㄷ, ㅂ, ㅅ, ㅈ’ 는 현상.
나 구개음인 ‘ㅈ, ㅊ’으 이 된소리로 발음되는
로 발음되는 현상. 현상.
톱밥[톱빱], 눈을 감고[감ː
쇠붙이[쇠부치/쉐부치] 음악 좀 꺼[꺼 ← 끄-  + -어].
꼬] 들어 봐.

•톱밥[톱빱]: 받침 ‘ㄱ, ㄷ, ㅂ’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
소리로 발음한다.
•감고[감꼬]: 어간의 받침 ‘ㄴ, ㅁ’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1) 음운의 변동 147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7 17. 12. 11. 오후 8:00


활 2
활동 안내 한 단어에서 단계
적으로 일어나는 여러 음운 변
2 다음 활동을 하며 단어가 발음되는 원리를 탐구해 보자.

동 현상을 탐구하는 활동이다. (1) 다음 규칙에 따라 단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어 보자.


⑴과 ⑵에서 음절의 끝소리 규 예시 답안
칙을 이해한 뒤, ⑶에서 단어가
어떤 과정을 거쳐 발음되는지 ‘ㄲ, ㅋ’이 음절의 끝 ‘ㅅ, ㅆ, ㅈ, ㅊ, ㅌ, ㅎ’ ‘ㅍ’이 음절의 끝에
탐구하도록 지도한다.
규칙 에 올 경우 ‘ㄱ’으로 발 이 음절의 끝에 올 경우 올 경우 ‘ㅂ’으로 발음
음된다. ‘ㄷ’으로 발음된다. 된다.
참고 자료
받침의 발음 낫[ 낟 ] 났[ 낟 ]
밖[ 박 ]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단어 낮[ 낟 ] 낯[ 낟 ] 숲[ 숩 ]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 부엌[ 부억 ]
한다.
낱[ 낟ː ] 히읗[ 히읃 ]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
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
으로 발음한다.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2) (1)의 활동을 참고하여 음절의 끝에 자음이 올 때의 발음 원리를 알아보자.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 예시 답안
한다.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
•우리말에서는 ‘ ㄱ , ㄴ, ㄷ , ㄹ, ㅁ, ㅂ , ㅇ’의 7개 자음만 음절의 끝에서 발
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음된다.
•음절의 끝에 7개 외의 자음이 오면 7개의 자음 중 하나로 바뀌어 발음된다.

도움말 (3) 밑줄 친 단어가 발음되는 과정을 정리해 보자.


한 단어에서 여러 음운 변 예시 답안

동 현상이 함께 일어나기도
한다. 단어의 발음과 형태를 우리의 앞날은 희망으로 가득하다.
살펴 어떤 음운 변동 현상이
일어났는지 파악해 본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 1단계 [ 압날 ] 음절의 끝에 온 받침 ‘ㅍ’이 ‘ㅂ’으로 바뀜.

비음화 2단계 [ 암날 ] 받침 ‘ㅂ’이 뒤에 오는 비음 ‘ㄴ’을 만나 비음 ‘ㅁ’으로 바뀜.

결심을 굳힌 그 사람을 아무도 말릴 수 없었다.

거센소리되기 1단계 [ 구틴 ] 예사소리 ‘ㄷ’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 ‘ㅌ’으로 축약됨.

구개음화 2단계 [ 구친 ] ‘ㅌ’이 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 구개음 ‘ㅊ’으로 발


음됨.

148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8 17. 12. 11. 오후 8:00


활동 안내 일상생활에서 접
할 수 있는 언어 자료를 보며 음
3 뉴스 대본을 읽고, 밑줄 친 단어에 나타난 음운 변동 현상을 알아보자. 모둠

운 변동 현상을 탐구해 보는 활
동이다. 뉴스 대본을 소리 내어
앵커 독도는 화산 활동으로 바다 가운데 형성되어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육지
읽으며 밑줄 친 단어를 정확하 [지질학쩍] → 된소리되기
게 발음해 보고, 자신의 발음이 와 다른 독특한 생태계로 주목받는 곳입니다. 이 시간에는 독도의 가치를 알
정확한지 국립 국어원 누리집의 [주ː목빤는] → 된소리되기, 비음화
표준 발음법을 참고하여 확인해
아보고자 합니다. 독도에 나가 있는 정은우 기자를 연결하겠습니다.
[함니다] → 비음화
보도록 한다. 기자 네. 보시는 것처럼 독도는 참 아름답습니다. 독도는 자연 경관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여러 방면에서 가치가 높습니다. 우리나라 영토의 동쪽 끝을 확정
[확쩡]
한다는 점에서 위치상 매우 중요하며, 우리나라, 일본, 러시아로 둘러싸인 동 → ‌된소리
되기
해에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가져오기 위한 기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 기
[여칼] → 거센소리되기
상 상황을 관측하고 해양 환경을 연구하기에 적합한 장소이기도 합니다.
[저카판] → 거센소리되기
앵커 또한 독도 주변 해저에 천연가스의 대체 물질인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대량
[물찔] → 된소리되기
으로 묻혀 있는 것이 발견된 후 독도의 가치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무처] → 거센소리되기, 구개음화 크- + -어지- + -고 → 모음 탈락
우리는 이같이 가치 있는 독도를 관리하는 데 힘쓰고, 독도가 우리나라의 영
[이가치] → 구개음화 [괄리] → 유음화
토임을 세계에 알리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할꺼심니다] → 된소리되기, 비음화

■메탄 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 온도가 낮고 압력이 높은 심해에서 만들어지는 고체 에너지


원. 연소 시 석유에 비해 오염 물질을 적게 배출하여 환경친화적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움말 (1) 밑줄 친 단어가 어떻게 발음되는지 적어 보고 친구들이 쓴 것과 비교해 보자.


예시 답안
밑줄 친 단어 외에도 다른
단어들이 어떻게 소리 나는지 합니다[ 함니다 ] 확정[ 확쩡 ] 역할[ 여칼 ]
발음해 보고, 국립 국어원 누
리집(ht tp://www.korean.
go.kr)에서 단어의 발음과 표 묻혀[ 무처 ] 커지고[ 커지고 ] 관리[ 괄리 ]
준어 규정을 찾아본다.

참고 자료 (2) 국어사전을 참고하여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확인하고, 단어에 나타난 음운 변동 현상을
표준 발음법 제5항 설명해 보자.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 예시 답안
한다. 단어 발음 단어에 나타난 음운 변동 현상
합니다 [함니다] 비음화. 앞말의 받침 ‘ㅂ’이 뒤에 오는 비음 ‘ㄴ’을 만나 비음 ‘ㅁ’으로 발음됨.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
확정 [확쩡] 된소리되기. 앞말의 받침 ‘ㄱ’ 뒤에 연결되는 첫소리 ‘ㅈ’이 된소리 ‘ㅉ’으로 발음됨.
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역할 [여칼] 거센소리되기. ‘ㄱ’과 ‘ㅎ’이 만나 두 음운이 축약되어 거센소리인 ‘ㅋ’으로 발음됨.
 ‌가지어 → 가져[가저] 1단계: 거센소리되기. ‘묻-’의 받침 ‘ㄷ’이 뒤에 오는 ‘ㅎ’과 만나 축약되어 거센소리인 ‘ㅌ’으로
찌어 → 쪄[쩌] 발음됨. → [무텨]
다치어 → 다쳐[다처] 묻혀 [무처] 2단계: 구개음화. ‘텨’의 ‘ㅌ’이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이중 모음 ‘ㅕ’를 만나 [무쳐]로 발음됨.
이때 표준 발음법 제5항에 의거,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쳐’는 [처]로 발음하므로 이중 모
음 ‘ㅕ’를 단모음 ‘ㅓ’로 발음함 → [무처]
커지고 [커지고] 모음 탈락. ‘크- + -어지- + -고 → 커지고’의 과정을 거쳐 모음 ‘ㅡ’가 탈락함.
관리 [괄리] 유음화. 앞말의 받침 ‘ㄴ’이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바뀌어 발음됨.

(1) 음운의 변동 14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49 17. 12. 11. 오후 8:00


활 2
활동 안내 두음 법칙을 이해
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일어
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음운 변동 현상의 예를 찾아보자.

나는 두음 법칙을 찾아보는 활
동이다. 표준 발음법을 참고하
‘두음 법칙’은 어떤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에서 발음되는 것을 꺼리는 현상이다.
여 두음 법칙이 일어나는 다양 두음 법칙의 정의
한 사례를 조사해 보도록 지도 즉, 본래 첫소리가 ‘ㄴ’이나 ‘ㄹ’인 한자음이 단어의 첫머리에 쓰일 때, ‘ㄴ’이나 ‘ㄹ’
한다.
이 탈락하거나 ‘ㄹ’이 ‘ㄴ’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녀(女)’라는 한
자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에는 ‘여자(女子)’처럼 [여]로 발음되지만, 뒤에 올 때
에는 ‘남녀(男女)’처럼 [녀]로 발음된다.

예시 답안

미래(未來) 내일(來日) 하류(下流) 유행(流行)

혼례(婚禮) 예의(禮儀) 진리(眞理) 이발(理髮)

활동 안내 앞에서 학습한 음
운 변동 현상을 종합적으로 확
5 노랫말에 나타난 음운 변동 현상을 탐구해 보자.

인하는 활동이다. 노랫말이라는 (1) 다음 노랫말이 어떻게 발음되는지 써 보자.


흥미로운 소재를 활용하여 음운 예시 답안
변동 현상이 실제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인식하도
바람이 분다. 서러운 마음에 텅 빈 풍경이 불어온다.
록 지도한다.
[바라미 분다 서러운 마으메 텅 빈 풍경이 부러온다 ]

머리를 자르고 돌아오는 길에 내내 글썽이던 눈물을 쏟는다.

[ 머리를 자르고 도라오는 기레 내내 글썽이던 눈무를 쏜는다 ]


비음화

하늘이 젖는다. 어두운 거리에 찬 빗방울이 떨어진다.

[ 하느리 전는다 어두운 거리에 찬 비빵우리/빋빵우리 떠러진다 ]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
비음화(젇는다 → 전는다)
무리를 지으며 따라오는 비는 내게서 먼 것 같아 이미 그친 것 같아.
[무리를 지으며 따라오는 비는 내게서 먼 걷 가타 이미 그친 걷 가타]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소리 규칙
세상은 어제와 같고 시간은 흐르고 있고 나만 혼자 이렇게 달라져 있다.
[세상은 어제와 갇꼬 시가는 흐르고 읻꼬 나만 혼자 이러케 달라져 읻따]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음절의 끝소리 규칙 거센소리되기 음절의 끝소리 규칙
된소리되기(갇고 → 갇꼬) 된소리되기(읻고 →⋮읻꼬) 된소리되기(읻다 → 읻따)

- 이소라, 바람이 분다

150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0 17. 12. 11. 오후 8:01


(2) 여러 음운 변동 현상을 참고하여 자신이 적은 노랫말 발음 중 잘못된 것을 고쳐 보자.

예시 답안

쏟는다[쏜는다] 비음화. ‘ㄷ’이 비음인 ‘ㄴ’을 만나 비음 ‘ㄴ’으로 발음됨.

① 음절의 끝소리 규칙: ‘젖-’의 받침 ‘ㅈ’이 대표음인 ‘ㄷ’으로 바뀜.


젖는다[전는다]
② 비음화: ‘젇’의 ‘ㄷ’이 비음인 ‘ㄴ’을 만나 비음 ‘ㄴ’으로 발음됨.

① 음절의 끝소리 규칙: ‘같-’의 받침 ‘ㅌ’이 대표음인 ‘ㄷ’으로 바뀜.


같고[갇꼬]
② ‌된소리되기. ‘갇’의 받침 ‘ㄷ’뒤에 연결되는 ‘ㄱ’이 된소리 ‘ㄲ’으로 발음됨.

(3) 좋아하는 노랫말과 그 발음을 쓰고, 올바르게 발음하며 노래해 보자.


예시 답안

노래 제목: 당신의 밤

가수: 황광희 × 개코(Feat. 오혁)

노랫말: 때론 사는 게 허무하고 무기력할 때 당신의 육첩방을 밝혔던 등불을 기억할게.

발음: [ 때론 사는 게 허무하고 무기려칼 때 당시늬/당시네 육첩빵을 발켣떤 등뿌를 기어칼께 ]

노랫말: 난 왜 느끼지 못하고 외우려 했을까. 용기 내지 못하고 뒤로 숨으려 했을까.

발음: [ 난 왜 느끼지 모타고 외우려 해쓸까 용기 내지 모타고 뒤로 수므려 해쓸까 ]

노랫말: 그에게 총칼 대신 연필 끝에 힘이 있었기에 차가운 창살 건너편의 하늘과 별을 바라봐야 했네.

발음: [ 그에게 총칼 대신 연필 끄테 히미 이썯끼에 차가운 창쌀 건너펴늬/건너펴네 하늘과 벼를 바라봐야 ]


핸네

노랫말: 나의 이름 나의 나라가 부끄럽지 않게 오늘도 나아가야지 흙으로 덮여지지 않게.

발음: [ 나의/나에 이름 나의/나에 나라가 부끄럽찌 안케 오늘도 나아가야지 흘그로 더펴지지 안케 ]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우리말에 나타나는 다양한 음운 변동 현상을 알아보았다. 음운 변동 현

정리하기 상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생활에서 우리말을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발음하여 올바른 언


어생활을 해 보자.

(1) 음운의 변동 15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1 17. 12. 11. 오후 8:01


총 3차시

(2)
학습 목표 •한글 맞춤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활용한다.
•글쓴이와 독자가 글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상호 작용
함을 이해하고 글을 쓴다.

역량 목표 •어문 규범을 지켜 말을 하고 글
을 씀으로써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기른다.

한글 맞춤법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문자 대화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를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일상생활에서 잘못된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글 맞춤법을 지켜야 하는
이유를 알아보는 활동이다. 우선 학생들에게 아래 문자 대화에서 잘못된 표현을 찾아보게 한 다음, 상황에 알맞은 표현으로 고쳐 써 보게 한
다. 이 과정에서 올바른 한글 맞춤법 사용의 중요성에 공감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어느 쪽이 낳아?
오후 5 : 00

오후 5 : 01

오후 5 : 05
낳기는 뭐를 낳냐?

예시 답안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잘못된 표현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위의 대화에서 모자를 쓴 학생은 두 개의 모자 중 자신에게
어느 것이 더 잘 어울리는지를 묻고자 하였으므로, ‘낫다’의 의문형인 ‘나아?’ 또는 ‘낫냐?’를 써야 한다. 그러나 ‘낳아?’라고 표기하
였으므로 읽는 사람이 이를 ‘아이를 낳다’라는 의미로 오해하는 우스꽝스러운 상황이 되어 버린 것이다.

152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2 17. 12. 11. 오후 8:01


알아
두기 1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
‘나무’는 [나무]로 소리 나므로 발음과 표기가 일치하지만, ‘꽃이’는 [꼬치]로 소리 나므로 발
음과 표기가 일치하지 않는다. 만약 ‘꽃이’를 소리 나는 대로 ‘꼬치’라고 적는다면, 읽고 쓸 때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거나 전달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
우리말을 한글로 적을 때 지켜야 하는 기준을 정하여 놓은 것이 ‘한글 맞춤법’이다. 한글 맞춤
한글 맞춤법의 개념 『 』: 한글 맞춤법의 필요성
법은 사람들이 원활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이므로 그 원리를 이해하고 일상생
활에서 이에 맞는 표기 생활을 해야 한다.

2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쓰기
글을 쓴다는 것은 독자와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글쓴이는 배경지식과 자료를 재조직하
한번 이루었던 집단이나 체계 따위를 다시 조직하여
여 글로 구성하며, 그 글을 읽는 독자는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글의 의미를 해석한다. 그러
므로 글쓰기는 글쓴이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글쓴이와 독자가 소통하는 사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글쓰기
회적 상호 작용이다. 특히 인터넷과 같은 매체가 발달한 오늘날에는 글을 통한 사회적 상호
『 』: 매체의 발달로 글의 생산과 공유가 쉬워짐
작용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 자료
한글 맞춤법의 구성 체계
제1장 총칙
제2장 자모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형태에 관한 것, 띄어쓰기, 그 밖의 것을 조항
제6장 설명과 예시어를 함께 제시함.
부록 문장 부호의 정의와 범위를 예를 들어 제시함.

맞춤법이
헷갈릴 때에는 어떻게
?! 해야 할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한글 맞춤법의 원리를 이해하여 실제 언어생활에 적용하고, 글을 쓰며
독자와 소통해 볼 것이다. 글을 쓸 때 헷갈리거나 자주 틀리는 맞춤법이 있는지 생각해
보고,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글을 쓸 때 왜 맞춤법에 맞게 써야 할까?
•헷갈리는 맞춤법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친구나 가족이 맞춤법을 자주 틀리면 어떻게 말해 주어야 할까?

(2) 한글 맞춤법 15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3 17. 12. 11. 오후 8:01


학습 포인트 •형태에 관한 한글 맞춤법   •소리에 관한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에 관한 한글 맞춤법

활 1 한글 맞춤법의 원리
소단원 정리 PPT

‘활동 ’은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며


한글 맞춤법의 총칙 및 형태, 소리, 띄어쓰기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 본다.

비가 오니 꽃이[꼬치] 핀다.

꽃만[꼰만] 5

꽃도[꼳또]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 총칙 제2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
문법상 일정한 뜻을 가지고 있으며
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로 한다. 홀로 쓰일 수 있는 말의 최소 단위

•‘비가’, ‘오니’, ‘핀다’는 소리 나는 대 •‘비가오니꽃이핀다.’로 쓰는 것보다 10

로 단어의 형태를 적은 것이다. 이 ‘비가∨오니∨꽃이∨핀다.’와 같이


처럼 우리말을 한글로 적을 때에는 단어별로 띄어 써야 문장의 의미를
소리대로 적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해하기가 쉽다. 따라서 우리말을
•‘꽃이, 꽃만, 꽃도’를 [꼬치], [꼰만], 글로 적을 때에는 단어별로 띄어 씀
[꼳또]처럼 소리 나는 대로 적으면, 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조사는 혼 15

‘꽃[花]’을 ‘꼬’, ‘꼰’, ‘꼳’이라는 여러 자 쓸 수 없으므로 그 앞의 단어에


•체언, 부사, 어미 등에 붙어
형태로 적게 되어 그 뜻을 이해하기 붙여 쓴다. 앞말의 문법적 관계를 표
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
어렵다. 하지만 ‘꽃’이라는 본래 형 와주는 품사
•조사는 단어이지만 예외적
태를 고정하여 어법에 맞게 적으면 으로 앞말에 붙여 씀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기 쉽다. 콕콕 정리 20

∨ 오니   
비 + 가    ∨ 꽃 + 이   
∨ 핀다.
단어:명사 조사 동사 명사 조사 동사
붙여 쓴다 붙여 쓴다

참고 자료
한글 맞춤법 총칙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154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4 17. 12. 11. 오후 8:01


1 형태에 관한 것

우리말에는 단어의 본래 형태를 밝혀 적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알쏭달쏭 맞춤법’ 문제를 풀어 본 후, 이와 관련된 한글 맞춤법을 알아보자.

1
자료실 용언은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적
용언 나는 점심을 먹어 배가 부르다.
5 는다. ‘먹어’는 [머거]로 발음되지만,
용언은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동사와 형용사를
나는 점심을 머거 배가 부르다. 어간이 ‘먹-’이고 어미가 ‘-어’이므로
말한다. 용언은 활용하면서
그 형태가 변하는 특징이 있 그 형태를 밝혀 적는 것이다.
다.
두 용언이 어울려 하나의 용언이 된 경우 앞말의 본래 의미가 유지되고 있
예 먹다 → 먹고, 먹으니, 먹
어서 으면 원형을 밝혀 적지만, 본래의 뜻에서 멀어졌다면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물체의 길이나 넓이, 부피 따위가 본디보다 커지다 쓰다듬거나 문지르다
10 ‘늘어지다’는 ‘늘다’의 의미가 살아 있어 ‘늘-’을 밝혀 적고, ‘쓰러지다’는 ‘쓸다’
물체가 당기는 힘으로 길어지다 서 있다가 바닥에 눕는 상태가 되다
의 의미가 사라졌으므로 ‘쓸-’을 밝혀 적지 않는다.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붙임 1]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언이 될 적에,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그 원
형을 밝히어 적고,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참고 자료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하나의 용언이 된 단어의 예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단어: 넘어지다, 흩어지다, 벌어지다 등
•본뜻에서 멀어진 단어: 드러나다, 사라지다, 쓰러지다 등

2
자료실 15 ‘앎’은 ‘알다’의 어간 ‘알-’에 접미사
접미사 ( 앎 / 암 )과 실천이 일치했던 그 ‘-ㅁ’이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이고, ‘길
접미사는 단어의 실질적인 의 업적은 역사에 ( 기리 / 길이 ) 남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인 어근
을 것이다. 이’는 ‘길다’의 어간 ‘길-’에 접미사 ‘-
뒤에 붙어서 뜻을 더해 주거
나 단어의 품사를 바꾸는 역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된 것이다. 이처
할을 하기도 한다.
럼 용언의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
예 웃음: 웃 - (‘웃다’의 어근) +
- 음(접미사) 20 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어간의 본래 모양을 밝혀 적는다. 명사 ‘다듬이, 믿
다듬- + -이
음’, 부사 ‘많이, 익히’ 등도 이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단어이다.
믿- + - 음 많- + -이 익- + -히
명사에 ‘-이’가 결합하여 단어의 품사가 바뀌거나 뜻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명사의 본래 모양을 밝혀 적는다. ‘곳곳이, 낱낱이, 삼발이’가 이에 해당한다.


제19항 어간에 ‘-이’나 ‘-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25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제20항 명사 뒤에 ‘-이’가 붙어서 된 말은 그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참고 자료
명사의 본래 모양을 밝혀 적는 단어의 예
•곳곳: [명사] 여러 곳 또는 이곳저곳. •삼발: [명사] 세 개의 발.
곳곳이: [부사] 곳곳마다. 삼발이: ‌[명사] 둥근 쇠 테두리에 발이 (2) 한글 맞춤법 155
세 개 달린 가열용 기구.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5 17. 12. 11. 오후 8:01


활 1
3
사이시옷은 두 명사가 결합하여 새
『 』: 사이시옷을 적을 수 있는 기본 조건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를 구하라.
로운 단어를 만들 때 붙는데, 결합하

꼭지점에 모인 면의 개수를 구하라. 는 두 명사 중 하나 이상이 고유어이


= 순우리말
고, 앞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한 다음,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때, 뒷말의 첫소리 5


사이시옷을 적는 경우 ① 사이시옷을 적는 경우 ②
자료실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사이시옷을 적는 한자어 사이시옷을 적는 경우 ③
사이시옷은 한자어와 한자 덧날 때 사이시옷을 붙여 적는다. ‘꼭짓점’은 고유어 ‘꼭지’에 한자어 ‘점(點)’
어가 결합한 단어에는 넣지
않지만, ‘곳간(庫間), 찻간(車
이 합쳐진 단어이다. [꼭찌쩜/꼭쵽쩜]과 같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 ‘ㅉ’으
①에 해당되는 예
間), 툇간(退間), 셋방(貰房), 로 나므로 사이시옷을 넣어 ‘꼭짓점’으로 적는다. [빈물]로 소리 나는 ‘빗물’,
숫자(數字), 횟수(回數)’는 사 ②에 해당되는 예
이시옷을 넣어 적는다. [뒨∶닐]로 소리 나는 ‘뒷일’도 사이시옷을 붙여 적는 예에 해당한다. 10

③에 해당되는 예
제30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5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⑵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참고 자료
•고유어 - 우리말 고유의 어휘로 순우리말이라고도 함.  꽃, 구름, 어머니 등
•한자어 - 하나 이상의 한자로 결합되어 한국어로서 사용되는 한국식 발음의 단어.  강(江), 독서(讀書) 등
•외래어 - 새로운 문물이 들어오면서 유입된 외국어가 한국어로서 차용된 단어.  라디오, 우동 등
4
어간이 ‘ㅚ’로 끝나는 말에 어미 ‘-어’,
나는 올해 고등학생이 됬다.
‘-었-’이 결합하면 축약되어 ‘ㅙ, ’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줄어듦
나는 올해 고등학생이 됐다. 이 된다. ‘됐다’는 ‘되다’의 어간 ‘되-’ 20

에 어미 ‘-었-’이 결합하여 ‘되었-’이

되고, 이 ‘되었-’이 줄어서 ‘됐-’이 된다.

‘저 아이들 좀 봐!’에서 ‘봐’는 ‘보아’의 준말이다. ‘보다’의 어간 ‘보-’에 어미

‘-아’가 붙어서 준 말대로 ‘봐’로 적는다. 이처럼 모음 ‘ㅗ, ㅜ’로 끝난 어간에

어미 ‘-아/-어’가 붙어서 ‘ㅘ/ㅝ’로 줄어든 것은 ‘ㅘ/ㅝ’로 적는다. 25

제35항 모음 ‘ㅗ, ㅜ’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려 ‘ㅘ/ㅝ, / ’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붙임 1] ‘놓아’가 ‘놔’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붙임 2]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으로 될 적에도 준 대로 적는다.

156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6 17. 12. 11. 오후 8:01


1

활동 안내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을 확인하는 활동이다. 제
1
예시 답안
다음 각 표기에 한글 맞춤법 총칙의 어떤 원칙이 적용되었는지 써 보자.

시된 두 단어의 표기와 발음을


비교하여, 총칙 제1항의 두 원칙 바다가[바다가]
중에서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소리대로 적기. 어법에 맞게 적기.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넓다[널따]

활동 안내 한글 맞춤법에 어
긋난 표기를 바르게 고쳐 씀으
2 밑줄 친 부분을 맞춤법에 맞게 고쳐 쓰고, 고친 이유를 설명해 보자.
예시 답안
로써 ‘형태에 관한 것’에 해당하
는 조항의 내용을 파악하는 활
•이 길로 가면 우리 집까지 한참 도라간다. 돌아간다

동이다. 앞서 본문에 제시된 설 - ‌고친 이유: ‘돌아가다’는 ‘돌다’와 ‘가다’의 합성어로, ‘먼 쪽으로 둘러서 가다.’라는 뜻이다. 즉 앞말인 ‘돌다’의 본뜻
(가까운 길을 두고 멀리 비켜 가다.)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한글 맞춤법 제15항 - [붙임 1]에 따라 원형을 밝혀 적
명 중 각 사례가 어느 조항에 해
•달팽이는 더드미로 감각을 느낀다. 더듬이 어야 한다.
당하는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바르게 고쳐 보도록 지도한다. - ‌고친 이유: ‘더듬이’는 어간 ‘더듬-’에 접미사 ‘-이’가 붙어 명사로 된 경우이므로, 한글 맞춤법 제19항에 따라 어
간의 원형을 밝혀 적어야 한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바람을 쐐어야 해. 쐐야/쐬어야
- ‌고친 이유: 한글 맞춤법 제35항 - [붙임 2]에 따르면 ‘쐬-’와 같이 어간이 ‘ㅚ’로 끝나는 말에 어미 ‘-어’가 결합하
면 축약되어 ‘ㅙ’가 된다. 따라서 ‘쐐야’로 쓰거나, 두 음절을 줄이지 않고 구분한 ‘쐬어야’로 써야 맞다.

3 사이시옷을 적는 조건을 참고하여 두 단어 중에서 바른 표기를 확인해 보자.

도움말
제시된 조건의 순서를 따라 이몸 / 잇몸
가며 각 단어를 분석해 보고, 코구멍 / 콧구멍, 나무잎 / 나뭇잎, 수도물 / 수돗물, 대가 / 댓가
사이시옷을 적은 단어와 그렇
지 않은 단어 중에서 어느 것
이 바른지 확인해 본다. 이+몸 조건

활동 안내 한글 맞춤법 제30 두 명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 때, 결합된


항 사이시옷 현상을 구체적으로 고유어 + 고유어
두 명사 중 하나 이상이 고유어이다.
알아보는 활동이다. 예시를 먼
저 설명한 후, 학생들이 제시된
조건을 따라가며 각 단어를 분
석해 보도록 지도한다.
‘이’는 모음 ‘ㅣ’ 결합하는 두 명사 중 앞 단어가 받침 없이 모음으로 사이
예시 답안
•코구멍/콧구멍: ‘고유어+고유어’에 해 로 끝난다. 끝난다. 시옷을
당하며, 앞 단어인 ‘코’는 모음 ‘ㅗ’로
적지
끝난다. 또한 [코꾸멍/콛꾸멍]으로 발
음되므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않는다.
나는 경우(①)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
이시옷을 적는다. 뒷말 ‘몸’의 첫 ① 결합한 뒷 ② 결합한 뒷 ③ 결합한 뒷 ①
•나무잎/나뭇잎: ‘고유어+고유어’에 해
당하며, 앞 단어인 ‘나무’는 모음 ‘ㅜ’ 소리 ‘ㅁ’ 앞에 말의 첫소리가 말의 첫소리 말의 첫소리
로 끝난다. 또한 [나문닙]으로 발음되 [ㄴ] 소리가 덧 된소리 ‘ㄲ, ㄸ, ‘ㄴ, ㅁ’ 앞에서 모음 앞에서 ②
므로 뒷말의 첫소리인 모음 ‘ㅣ’ 앞에
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③)에 붙어 [인몸]으로 ㅃ, ㅆ, ㅉ’으로 ‘ㄴ’ 소리가 덧 ‘ㄴㄴ’ 소리가
해당한다. 따라서 사이시옷을 적는다. 발음된다. 난다. → ‌[코꾸멍 난다. → [수돈물] 덧난다.→ [나문닙] ③
•수도물/수돗물: ‘한자어+고유어’에 해 /콛꾸멍]
당하며, 앞 단어인 ‘수도’는 모음 ‘ㅗ’
로 끝난다. 또한 [수돈물]로 발음되므
로 뒷말의 첫소리 ‘ㅁ’ 앞에서 ‘ㄴ’ 소
리가 덧나는 경우(②)에 해당한다. 따 예.
라서 사이시옷을 적는다. 잇몸 사이시옷을 적는다.
•대가/댓가: ‘한자어+한자어’에 해당하 아니요.
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2) 한글 맞춤법 15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7 17. 12. 13. 오전 11:36


활 1
2 소리에 관한 것

우리말에는 발음을 표기에 적용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알


구절 풀이 된소리가 나는 원
인을 음운 변동 현상으로 설명
쏭달쏭 맞춤법’ 문제를 풀어 본 후, 이와 관련된 한글 맞춤법을 알아보자.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즉, 발 1
음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 것 우리말에는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이다. 그러나 한 단어 안에서 뚜
렷한 이유 없이, 즉 된소리되기
짭짤한 ( 깍뚜기 / 깍두기 )를 접시에 ㅈ’이 일정한 환경에서 된소리 ‘ㄲ, 5
가 일어나지 않는 음운 환경에
서 된소리로 발음되는 단어는 ( 듬북 / 듬뿍 ) 담았다. ㄸ, ㅃ, ㅆ, ㅉ’으로 발음되는 된소리
소리를 표기에 반영하여 된소리
로 적는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 되기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표기에
다.
반영하지 않는다. 따라서 ‘깍두기’는 [깍뚜기]로 발음되지만, ‘ㄱ’ 받침 뒤에 오는

‘ㄷ’을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된소리로 발음되는 단어는 된소리로 적는다. 예를 들어, ‘오빠’, ‘거 10

꾸로’처럼 두 모음 사이에서 된소리가 나는 경우나 ‘듬뿍’처럼 받침 ‘ㄴ, ㄹ,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는 경우 ①
ㅁ, ㅇ’ 뒤에 온 자음이 된소리로 날 경우에는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한다.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는 경우 ②
‘짭짤한’의 ‘짭’, ‘짤’과 같이 한 단어 안에서 같거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는 경우 ③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 ‘똑딱똑딱, 눅눅하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15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제13항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

2
한자음 ‘녀, 뇨, 뉴, 니’나 한자음

시의 운율은 ( 내재률 / 내재율 )과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


( 외형률 / 외형율 )로 나뉜다. 머리에 오면 두음 법칙에 따라 ‘여자 20

(女子), 예의(禮儀)’처럼 적고, 그 외

에는 ‘남녀(男女), 혼례(婚禮)’처럼 본음대로 적는다.

다만, ‘렬/률’은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오면 ‘열/율’로, ‘ㄴ’이 아닌 받침 뒤

에 오면 ‘렬/률’로 적는다. 이에 따라 ‘내재율’, ‘외형률’로 쓴다.


모음 ‘ㅐ’ 뒤 ‘ㄴ’이 아닌 받침 뒤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 25

다.
제 11 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158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8 17. 12. 11. 오후 8:01


활동 안내 ‘소리에 관한 것’
조항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시된
4 다음 문장에서 맞춤법에 어긋난 단어를 찾아 바르게 고쳐 보자.
예시 답안
문장에서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
을 찾아 바르게 고쳐 보는 활동 •아버지와 아이는 법썩을 피우며 청소를 하였다. 법썩 법석
이다. 잘못된 표현을 찾아 바르 → 뒷말
‌ 첫소리인 예사소리 ‘ㅅ’이 앞말 받침 ‘ㅂ’ 때문에 된소리되
게 고치는 데서 그치지 말고, 그 기가 일어났으므로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표현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한글 •그는 짐을 뭉둥그려 든 채로 급하게 뛰어갔다. 뭉둥그려 뭉뚱그려
맞춤법의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 → 받침
‌ ‘ㅇ’ 뒤에 온 자음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는 된소리를 표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기에 반영한다.

•이 화폐의 정확한 제작 년도를 알 수가 없다. 년도 연도


→ 한자음
‌ ‘년(年)’이 단어의 첫머리에 올 경우에는 두음 법칙에 근
거하여 ‘연도(年度)’로 적는다.
•그녀는 씁슬한 맛이 나는 차를 좋아한다. 씁슬한 씁쓸한
→한
‌ 단어 안에서 [씁]과 [쓸]처럼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
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

활동 안내 제시된 받아쓰기
답안지를 채점해 보며 한글 맞
5예시 답안
다음 받아쓰기 답안지를 채점하며 틀린 부분에 밑줄을 긋고 바르게 고쳐 보자.

춤법 중 ‘소리에 관한 것’ 조항
의 내용을 복습하는 활동이다. 1 우리 반이 농구 대회 결승에 진출할 확률이 높아졌다.
우선 문장에서 잘못된 부분을
찾게 한 후, 앞서 본문에서 학습
한 한글 맞춤법 조항에 근거하
2 갑짜기 내린 소나기를 맞았더니 감기에 걸렸다. → 갑자기

여 학생들 스스로 잘못된 부분


을 바르게 고쳐 볼 수 있도록 지 3 시중에 공급되는 통화양이 많아지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한다. → 통화량
도한다.

4 나는 다친 다리를 절둑거리며 집으로 돌아왔다. → 절뚝거리며

5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기 때문에 그 프로그램은 시청율이 높다. → 시청률

2. 갑짜기
‌ → 갑자기: 한 단어 안에서, 뒷말 첫소리인 예사소리 ‘ㅈ’이 앞말의 받침 ‘ㅂ’ 때문에 된소리로 발음되었기에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3. 통화양 → 통화량: 한자음 ‘량(量)’이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곳에 온 경우이므로 본음대로 ‘통화량(通貨量)’으로 적는다.
4. 절둑거리며
‌ → 절뚝거리며: 한글 맞춤법 제5항에 따라 한 단어 안에서 받침 ‘ㄹ’ 뒤에 온 자음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
에는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한다.
5. 시청율 → 시청률: 한자음 ‘률’이 ‘ㄴ’이 아닌 받침 뒤에 오면 ‘률’로 적으므로 ‘시청률(視聽率)’로 적는다.

활동 안내 제시된 질문에 답
변을 해 보며 앞서 배운 한글 맞
6 다음 누리집 게시판에 올라온 질문을 읽고 답변을 해 보자.
예시 답안
춤법의 내용을 확인하는 활동이
다.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의 어느 조항이 필요한지
를 생각해 보고, 바른 표기와 그 ‘쓱싹쓱싹’과 ‘슥싹슥싹’ 중 맞는 표기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유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쓱싹쓱싹’이 맞습니다. 왜냐하면 한글 맞춤법 제13항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에 해당하는 예이기 때문입니다.

(2) 한글 맞춤법 15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59 17. 12. 11. 오후 8:01


활 1
3 띄어쓰기에 관한 것

띄어쓰기를 하면 우리말의 의미를 파

악하기 쉽다. ‘알쏭달쏭 맞춤법’ 문제를

풀어 본 후, 이와 관련된 한글 맞춤법을 알아보자.

1
자료실 우리말에서는 단어를 띄어쓰기의 5
띄어쓰기의 기본 원리
단어 여기에서부터 저기 까지 청소하자.
기본 단위로 삼아 단어별로 띄어 쓴
단어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홀로 쓸 수 있는 말의 단위이
여기에서부터 저기까지 청소하자. 다. 조사는 단어이지만 홀로 쓰일 수
다. 조사는 홀로 쓰일 수 없으 띄어쓰기 규칙의 예외
나 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자 없으므로 앞말에 붙여 쓴다.
유롭게 붙을 수 있으므로 하
‘까지’는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되는 범위의 끝’을 나타내는 조사이
나의 단어로 인정된다.
예 나 는∨학교 에∨간다. 므로 ‘저기까지’와 같이 앞말에 붙여 쓴다. ‘여기에서부터’와 같이 조사가 둘 10
→ ‘나, 는, 학교, 에, 간다’ 명사 조사 조사 조사
라는 다섯 개의 단어로 이 이상 겹쳐지거나, ‘다치기밖에’와 같이 조사가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조사
루어진 문장임. 어미 조사
는 앞말에 붙여 쓴다.
제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2
자료실 의존 명사는 자립성이 없어 다른
『 』: 의존 명사의 띄어쓰기 규칙
체언 나는 달린 지 오분만에 숨이 찼다.
말에 기대어 쓰이지만 명사의 기능을 15
체언은 명사, 대명사, 수사 단독으로 쓸 수 없음
를 총칭하는 문법상의 분류이
나는 달린 지 오 분 만에 숨이 찼다. 하는 단어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다. 조사와 결합하여 문장에
서 주어나 목적어 등으로 쓰 ‘오 분 만에’에서 ‘만’은 시간이 얼마간
인다.
계속되었다는 의미의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그러나 ‘밥만 먹는
예 그는 사과 하나를 샀다.

참고 자료 다.’에서 ‘만’은 체언 뒤에서 한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이므로 앞말과 붙여


‘만큼’, ‘뿐’, ‘같이’의 띄어쓰기 용례
•의존 명사일 경우
쓴다. 이처럼 의존 명사, 조사, 어미, 접사 등에는 서로 형태가 같거나 비슷한 20

- 주는 만큼 받아오다.
만큼
•조사일 경우 것들이 있으므로 띄어쓰기를 유의해야 한다.
- 집이 대궐만큼 크다.
•의존 명사일 경우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도 띄어 쓴다. ‘오 분’에서 ‘분(分)’은 시간을 세는 단위
단위 명사의 띄어쓰기 규칙
- ‌이제 막 들었을 뿐 한 것은
뿐 없네. 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한 개, 차 한 대, 옷 한 벌, 열 살’에서 ‘개, 대, 벌,
•조사일 경우
- 이제 믿을 것은 실력뿐이다. 살’ 등도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부사일 경우
- 친구와 같이 사업을 하다.
제42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25
같이
•조사일 경우 제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 얼음장같이 차가운 방바닥.

160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0 17. 12. 11. 오후 8:01


활동 안내 제시된 문장의 의
미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7 다음 문장을 읽고, 띄어 써야 할 곳에 표시(∨)를 해 보자.
예시 답안
띄어쓰기를 해 보는 활동이다.
앞서 배운 띄어쓰기 조항에 따 ∨ ∨ ∨ ∨
•나는동생보다일찍학교에간다.
라 띄어 써야 할 곳에 표시를 해 조사
보면서, 의미를 분명하게 전달 ∨ ∨ ∨ ∨ ∨ ∨ ∨
•그가노력한만큼좋은결과를얻기를바랄뿐이다.
하기 위한 띄어쓰기의 중요성을 의존 명사 의존 명사
∨∨ ∨ ∨ ∨ ∨ ∨
깨닫도록 지도한다. •여러번물에손을담그자손이얼음장같이차가워졌다.
단위 명사 조사

활동 안내 앞서 본문에서 배
운 띄어쓰기의 여러 규칙을 실
8 누리소통망(SNS) 글에서 띄어쓰기가 틀린 부분을 찾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제로 있을 법한 사례에 적용해
보는 활동이다. 특히 이 활동은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누리소 ♥ 좋아요 20개
통망(SNS)이라는 매체 속 사례 ∨
를 담고 있으므로, 이러한 매체 줄넘기를 시작한지 이틀째다. 벌써 몸이 가볍다.
접미사
의 특성에 유의하여 올바른 띄 운동 중독 줄넘기 천재
어쓰기의 필요성을 이해하도록 의존 명사
댓글 모두 보기
지도한다. 조사

진이 나는 나대로 운동중인데. 같이 할래?
햇살 난 너무 피곤해서 줄넘기는 커녕 앉아 있는
의존 명사 조사
것도 힘든데. 대단하다!
어미
예시 답안 •시작한 지: ‘지’는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의
존 명사이다. 따라서 앞말과 띄어 쓴다.
•운동 중: ‘중’은 ‘무엇을 하는 동안.’이라는 뜻을 가진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줄넘기는커녕: ‌‘는커녕’은 앞말을 지정하여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는커녕’은

9
보조사 ‘는’에 보조사 ‘커녕’이 결합한 말.)
활동 안내 제시된 설명을 활 다음 질문의 답변을 참고하여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를 점검해 보자.
용하여 실제 글에서의 띄어쓰기
용례를 점검해 보는 활동이다.
일기의 내용을 읽으며 밑줄 친
단어의 앞뒤 문맥을 파악하고, ‘안되다 / 안 되다’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위의 답변 내용을 참고하여 띄 동사/형용사 부사
어쓰기가 맞게 되었는지 확인해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 얼굴이 많이 상하다.’의 뜻을 나타낼
보도록 지도한다.
지지 않다.’, ‘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때에는 ‘안되다’로 붙여 씁니다. 그리
못하다.’, ‘일정한 수준이나 정도에 이 고 ‘그것을 하면 안 돼.’와 같이 부사
르지 못하다.’, ‘섭섭하거나 가엾어 마 ‘안’이 뒤에 오는 동사인 ‘되다’를 꾸밀
음이 언짢다.’, ‘근심이나 병 따위로 때에는 띄어 씁니다.

20△△. 6. 6.
숙제를 하려 책상에 앉았지만 집중이 되지 않아서 간식을 먹으며 잠시 쉬었다. 다시
숙제를 시작하려는데 책상이 너무 지저분했다. 당장 청소를 안하면 공부가 되지 않을 것
같았다. 왜 공부만 하려고 하면 다른 일이 하고 싶어질까? 이런 내 모습은 내가 봐도 안됐다.

(×) 안하면 (◯)

예시 답안 ‘청소를 안하면’에서 ‘안’은 부사로, 뒤의 동사 ‘하다’를 꾸미는 경우이므로 ‘청소를 안 하면’으로 띄어 써야


맞는다. 반면, ‘내가 봐도 안됐다.’는 바른 표현이다. ‘내가 봐도 안됐다.’에서의 ‘안되다’는 ‘섭섭하거나 가엾어 마음이
언짢다,’라는 뜻이다.
(2) 한글 맞춤법 16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1 17. 12. 11. 오후 8:01


활동 1 한글 맞춤법 한눈에 보기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핀다[핀다]: 소리대로 적기. 꽃이[꼬치]: 어법에 맞게 적기.


예 꽃이 핀다.
우리말을 한글로 적을 때에는 발음 [꼬치 핀다] 한 단어를 여러 형태로 표기하면 그

하는 대로 적는다. 뜻을 알기 어려우므로 어법에 맞게 형


태를 고정하여 적는다.

총칙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예 나물좀다오. 띄어쓰기를 하지 않으면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띄어 쓰되,


나∨물∨좀∨다오.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말의 단위인 단어를 기준으로 띄어 쓴다.
나물∨좀∨다오.

여러 가지 띄어쓰기 규칙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예 네 마음대로 해라.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예 너 좋을 대로 해라.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예 신 두 켤레

한글 맞춤법을 지켜야 하는 이유

원칙 없이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말하고 쓴다면 언어 사용에 혼란이 생긴다. 그러므로 한글을 사용하는 모
든 사람이 원활하게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한글 맞춤법을 지켜야 한다.

162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2 17. 12. 11. 오후 8:02


학습 포인트 •한글 맞춤법의 사용 실태   •글쓰기를 통한 사회적 상호 작용

활 2 한글 맞춤법의 실제
‘활동 ’는 한글 맞춤법의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글을 통한 사회적 의사소통을 이해
하는 활동이다. 한글 맞춤법에 맞게 글을 쓰며 독자와 사회적 상호 작용을 해 본다.

활동 안내 한글 맞춤법에 맞
는 표현을 찾고, 그 근거가 되는
1 ‘예시’에서 바른 것을 골라 표를 하고, 그에 해당하는 ‘한글 맞춤법’을 찾아 연결

한글 맞춤법의 조항을 연결하는


해 보자.
예시 답안
활동이다. 각 단어에 해당하는
조항을 찾는 데에 그치기보다는 예시 한글 맞춤법
그 조항에 근거하여 왜 그 단어
가 맞는지를 설명해 볼 수 있도
제42항
록 지도한다. ( 달맞이 / 달마지 )를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하면서 꼭 소원을 빌어야지.
•채: [의존 명사] 이미 있는 상태 그대로 있다는 뜻
을 나타낸 말.

제45항
동생은 ( 앉은채 / 앉은 채 )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
잠이 들었다. 는 말들은 띄어 쓴다.
•대: [의존 명사] 사물과 사물의 대비나 대립을 나타
내는 말.

제19항
우리 반이 축구 경기에서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서 명사
( 삼대영 / 삼 대 영 )으로 졌다. 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달 + 맞- + -이
명사 접미사
동사 ‘맞다’의 어간
제11항 다만
이따가 다시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전화( 할께 / 할게 )! 률’은 ‘열, 율’로 적는다.

•‘백분율’에서 ‘율’ 앞말의 받침은 ‘ㄴ’이므로 ‘율’로 적


는다.

제53항
어제 만난 그 사람은 말을 어미 ‘-(으)ㄹ걸, -(으)ㄹ게’ 등은 된소리
( 잘하드라 / 잘하더라 ). 로 소리 나지만 예사소리로 적는다.
•된소리되기 현상에 의한 된소리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제56항-1
( 백분률 / 백분율 )로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는 ‘-더라,
환산해서 적어 줘. -던’으로 적는다.
•‘어제’는 과거를 나타내는 시간 부사어로 쓰였다.

(2) 한글 맞춤법 16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3 17. 12. 11. 오후 8:02


활동 안내 앞서 배운 한글 맞춤법의 내용을 글 한 편에 종합적으로 적용해 보는 활동이다. 맞춤법에 어긋나는 표기

활 2
중에 자신도 일상적으로 흔히 잘못 쓰는 표현은 없는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면서, 자신의 언어생활을 돌아볼 수 있도
록 지도한다.

2 다음은 라디오 방송의 누리집 게시판에 올라온 글이다. 한글 맞춤법에 어긋나는


표기를 찾아 바르게 고치고, 고친 내용을 친구들과 비교하여 정리해 보자. 모둠

방송 시간 ▼
늦은 밤에 우리끼리 쏙닥쏙닥
22:00 - 24:00 요일별 게시판_화요일: 이것이 궁금하다.
알립니다. 제목: 맞춤법 틀리는 게 그렇게 문제가 되나요?
선곡표
안녕하세요. 저는 평범한 고등학생입니다.
요일별 이야기
며칠 전부터 친구들이 제 블로그 글을 보면서 자꾸 웃더군요. 왜 웃냐고 물
■ [월] 요즘 나 해요.
■ [화] 이것이 궁금하다. 어도 대답이 없어서 기분이 몹씨 상했어요. 그런데 오늘 등교길에 만난 단짝
→ 몹시 → 등굣길
■ [수] 그들이 사는 세상. 친구가 저에게 그 이유를 말해 주었어요. 제가 쓴 글의 맞춤법이 마니 틀려서
→ 많이
■ [목] 자랑합니다.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거예요. 정말 어이가 업써요.
→ 없어요
■ [금] 제가 한번 해 볼게요.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면 고민이 해소됄까 해서 블로그에 글을 올렸거든
→ 해소될까
요. 그 글을 쓰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는데……. 저를 위로해 주기는커녕 웃다
→ 쓰는 데
니요. 맞춤법이 틀렸다고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잖아요.

예시 답안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고쳐 쓴 표기와 그 이유

몹시 → 예사소리‘ㅅ’이 된소리‘ㅆ’
으로 발음되지만 이는 표기에 반영하지
몹씨
않는다.
등굣길 → 한자어인 ‘등교(登校)’와 고유어인 ‘길’이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등교낄] 또는 [등굗낄]로 발음된다. 앞 단어인 ‘등교’가 모음 ‘ㅛ’로 끝나고, 뒷말
등교길
‘길’의 첫소리 ‘ㄱ’이 된소리 ‘ㄲ’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여 적어 주어야
한다.
많이 → ‘많이’는 형용사 ‘많다’의 어간 ‘많-’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만들어
진 부사이다. 한글 맞춤법 제19항에 따르면 ‘많이’처럼 용언의 어간에 접미사 ‘-
마니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어 주어야 한
다.

없어요 → ‘없어요’는 형용사 ‘없다’의 어간 ‘없-’에 종결 어미 ‘-어요’가 결합한


업써요 것이다. 한글 맞춤법 제15항에 따르면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어 주어
야 한다.

해소될까 → ‘해소될까’는 동사 ‘해소되다’의 어간 ‘해소되-’에 의문형 종결 어


해소됄까 미인 ‘-ㄹ까’가 결합된 말이다. ‘되-’가 ‘돼-’가 되려면, 어간 ‘되-’에 어미 ‘-어’가
결합하여야 하므로 여기에서는 굳이 ‘될’을 ‘됄’로 쓸 이유가 없다.

쓰는 데 → 여기에서의 ‘데’는 ‘일’이나 ‘것’의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이다. 따


쓰는데
라서 앞말과 띄어 써야 한다.

164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4 17. 12. 11. 오후 8:02


활동 안내 누리집 게시판에 실
린 글에 댓글을 쓰며 사회적 상
3 2의 활동을 바탕으로 사회적 상호 작용 행위로서 글쓰기가 지닌 의미를 알아보자.
호 작용 행위로서의 글쓰기의 (1) 2의 글쓴이에게 해 주고 싶은 조언을 댓글로 적어 보자.
특성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댓
예시 답안
글을 적어 보며 글쓴이와 의견
을 주고받는 과정을 경험함으로
써, 자연스럽게 사회적인 의사
소통 행위로서 글쓰기가 지닌 질문자가 블로그에 올린 글에, 친구들이 내용은 보지 않고 틀린 맞춤법만 지적했으니 얼마나 속상했
을까요? 친구들이 자신을 무시하는 것 같아서 마음이 많이 아팠겠네요. 충분히 속상해할 만한 상황이에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
요. 공감합니다.
도록 지도한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나 혼자 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쓰는
일종의 약속 기호입니다. 우리 사회 집단에서 다른 사람들과 원활한 소통을 하려면 바른 언어를 사용하
려는 자세가 반드시 필요해요. 따라서 힘이 들더라도 한글 맞춤법은 정확히 알아 두어야 합니다. 조금씩
노력해서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하여 의사 표현을 정확하게 해 봅시다. 그렇게 한다면 친구들 등록
도 질문자에게 더욱 정성스럽고 따뜻한 위로와 조언을 해 줄 것이라고 생각해요.

(2) 다음 글을 참고하여 2의 누리집 게시판 글과 댓글을 쓰는 활동에서 알 수 있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화자나 글쓴이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청


자나 독자인 ‘누군가’를 항상 염두에 두고 말을 하거나 글을 쓴다. 따라서 화법과
작문은 일방적인 표현 행위가 아니라 화자와 청자, 글쓴이와 독자가 의미를 주고
화법·작문의 쌍방향성
받는 의사소통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은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
지기도 하지만 사회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매체가 발달
휴대 전화, 블로그, 누리소통망(SNS) 등
하면서 화법과 작문이 미치는 영향력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화법과 작문의 사회적 기능도 더욱 강조되고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상호 작용으로서의 말하기와 쓰기

예시 답안 2의 누리집 게시판 글을 쓴 사람은 자신의 생각이 옳다고 생각하며 글을 썼을 것이다. 하지만 글에 달린


댓글을 읽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이 지닌 다양한 생각과 주장을 접하면서, 자신이 처음에 지녔던 생각을 조정해 갈 수
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글쓴이와 독자가 글의 의미를 주고받는 의사소통의 과정, 이것이 사회적 상호 작용이다.

도움말 (3) 글을 써서 독자와 상호 작용한 경험을 떠올리며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여러 자료에서 얻은 내용을 예시 답안

재조직하여 글을 썼던 경험이
나, 자료 내용에 자신의 배경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매체에 썼는가? → 학급 친구들을 대상으로, 학급 누리집 게시판에 글을 썼다.

지식을 더하여 글을 썼던 경 •글을 쓴 목적과 동기는 무엇이었는가? → ‌학교 축제의 먹을거리 장터에서 판매할 음식을 만드는 방법에
험을 떠올려 본다. 관해, 학급 친구들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글을 썼다.
•어떤 자료와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구성하였는가?
•독자의 반응은 어떠하였는가? → ‌학급 친구들은 떡볶이 조리 방법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많이 얻게 되어 매우 좋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가끔 집에서 떡볶이를 만들어 본 경험이 있어 기본적인 조리법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먹을거리 장터에서 판
매할 음식으로 ‘떡볶이’를 선택하여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았다. 여러 인터넷 누리집과 블로그를 검색해 보았더
니, 떡볶이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개인의 기호에 따라 각기 다르게 조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단호박 해물
떡볶이, 잡채 떡볶이, 간장 떡볶이, 과일 떡볶이 등 다양한 떡볶이의 조리법을 글에 담
았다. 글을 쓸 때 해당 인터넷 누리집과 블로그에 실린 다양한 사진과, 떡볶이를 만드 (2) 한글 맞춤법 165
는 과정 설명을 첨부하였다. 특히 색다른 떡볶이의 조리법을 설명할 때에는 원래 내
가 알고 있었던 기본적인 떡볶이 조리법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도 함께 서술하였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5 17. 12. 11. 오후 8:02


활동 안내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간판이나 벽보에서 맞춤법에 어긋난 표현을 찾아봄으로써 한글 맞춤법의 원

활 2
리와 내용을 점검하는 활동이다. 많은 사람이 보는 글은 의미의 혼동을 주지 않기 위해 더욱 올바른 표기를 사용해야
함을 강조하여 지도한다.

참고 자료
두 가지 표현을 허용하는 경우
4 다음 그림에서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를 찾아 바르게 고쳐 보자.

다음 표기들은 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을 허용한다(한글 맞춤법 제49항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
다.’, 제47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
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
다.’와 관련됨.).
ㄱ ㄴ
우리 고깃집 우리고깃집
미소 화장품 미소화장품
선율 음악 학원 선율음악학원
번개 이동 통신 번개이동통신
찾아 주신 찾아주신 예시 답안

틀린 표기 바른 표기 고친 이유
‘고기+집’의 합성어로 ‘고유어+고유어’에 해당하며, 앞 단어인 ‘고기’는 모음 ‘ㅣ’로 끝난
고기집 고깃집 다. 또한 [고기찝/고긷찝]으로 발음되므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난다. 따라서 사이시
옷을 적는다.
선률 선율 한자음 ‘률’은 ‘ㄴ’ 받침 뒤에 오면 ‘율’로 적는다.
남여노소 남녀노소 한자음 ‘녀’는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를 제외하고는 본음대로 적는다.
어간이 ‘ㅚ’로 끝나는 말에 어미 ‘-어’가 결합하면 ‘ㅙ’로 축약된다. 따라서 어간 ‘되-’에
바르면 우윳빛 바르면 우윳빛
어미 ‘-어요’가 결합한 이 경우는 축약하여 ‘돼요’라고 적거나, 두 음절을 줄이지 않고 구분
피부가 되요 피부가 돼요
한 ‘되어요’라고 적어야 맞다.

틀린 표기 바른 표기 고친 이유
‘슬’의 예사소리 ‘ㅅ’이 ‘곱’의 받침 ‘ㅂ’ 뒤에서 된소리 ‘ㅆ’로 발음되지만 이는 음운 변동 현상의 결
곱쓸곱쓸한 곱슬곱슬한
과이므로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민밋하고 밋밋하고 한 단어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부분은 같은 글자로 적는다.
이 단어의 기본형은 ‘다리다’로, ‘다리미로 옷이나 천 따위의 구김이나 주름을 문질러 펴다.’라는
옷 달입니다 옷 다립니다
뜻이 담겨 있다. 어법에 맞게 적어야 하므로 단어의 원래 모양을 밝혀 적는다. 공사중이니
오.
만두국 만둣국
‘만두(饅頭)+국’의 합성어로 ‘한자어+고유어’에 해당하며, 앞 단어인 ‘만두’는 모음 ‘ㅜ’로 끝난다. 돌아서 가십시
또한 [만두꾹/만둗꾹]으로 발음되므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난다. 따라서 사이시옷을 적는다.
공사중 공사 중 ‘중’은 ‘무엇을 하는 동안.’이라는 뜻을 지닌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166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6 17. 12. 11. 오후 8:02


활동 안내 각종 매체에서 맞
춤법에 어긋난 표기 사례를 찾
5 한글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가 사용된 사례를 조사해 보자. 모둠

아보며 바른 언어 사용의 중요 (1) 매체를 선정한 후, 매체에서 한글 맞춤법에 어긋나게 표기한 예를 찾아보자.
성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여러 예시 답안
매체에서 잘못된 표기를 찾아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면서, 바
른 언어생활을 하기 위해 어떠  휴대 전화의 문자 대화  누리소통망(SNS)
한 태도를 지녀야 할지 구체적  텔레비전 방송의 자막 3 인터넷 신문 기사

으로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 광고 문구  상표, 인터넷 게시글, 블로그 등

출처 맞춤법에 어긋난 표기 고쳐 쓴 표기와 이유


인터넷 신문 → 수돗물 한 방울. ‘수돗물’은 한자어 ‘수도’와 고유어 ‘물’이
‘수도관 동파도 비상…수 결합한 단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 ‘ㅁ’
기사 표제
도물 한방울 틀어 방지해야’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난다([수돈물]). 따라서 사이시옷을 적어
(뉴시스, 2016. 11. 23.) 야 한다. 그리고 단위 명사 ‘방울’은 앞말과 띄어 쓴다.
인터넷 신문 → 태릉 / 겨울 산행. ‘태릉’에서 ‘릉’의 ‘ㄹ’이 단어 첫머
‘군위 산악회 태능 불암산 리에 오지 않으므로 ‘태릉’으로 써야 한다. 또한 ‘겨울’과
기사 표제
겨울산행’ ‘산행’이 각각 독립된 단어이므로 두 단어를 띄어 써야
(영남일보, 2017. 2. 7.) 한다.
인터넷 신문 → 드러냈다.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하나의 단어가 된 경우,
‘선수단은…국제공항 입국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지 않는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어야 한
기사 내용
장에 모습을 들어냈다.’ 다. ‘드러나다’는 ‘아래에 있는 것을 위로 올리다.’라는 ‘들다’의
(브릿지경제, 2017. 2. 15.) 본뜻이 유지되지 않으므로 소리 나는 대로 적어야 한다.

(2) (1)에서 조사한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발표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3) 실제 언어생활에서 한글 맞춤법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태도가 필요한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우선 한글 맞춤법을 왜 지켜 써야 하는지 그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동일한 의미의 단어를 다른 형태로
표기하면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의사소통의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글 맞춤법을 바르게 이해하
고 언어생활에 적용해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맞춤법의 필요성을 인식한 후에는 실제 언어생
활에서 맞춤법을 지키기 위한 행동을 실천해야 한다. 자신이 평소에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표기는 관련 자료를 찾아
보면서 정리해 두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또한 책을 많이 읽으며 자연스럽게 바른 표기들을 학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를 파악하고, 한글 맞춤법이 정확한 의사소통을

정리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한글 맞춤법을 지켜 언어생활을 하고,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여 글을 쓰면서 사회적으로 소통해 보자.

(2) 한글 맞춤법 16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7 17. 12. 11. 오후 8:02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소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떠올리며 어휘의 뜻풀이를 보고 빈칸에 해당하는 단어를 써 보는 활동


이다.

● 다음은 서로 관련된 말을 짝 지은 것이다. 뜻풀이를 보고 알맞은 단어를 써 보자.

뜻을 지니고 있으며 독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음운 단어 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의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단위.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혀 옆으로 공기를 흘려


비음 유음
내는 소리. 서 내는 소리.

혀끝과 윗잇몸이 닿아서 혓바닥과 경구개(센입천


치조음
나는 소리. ‘ㄷ’, ‘ㅌ’ 따위 구개음 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잇몸소리)
의 소리. ‘ㅈ’, ‘ㅊ’ 따위의 소리.

용언이 활용할 때에 변 용언이 활용할 때에 변


어간 어미
하지 않는 부분. 하는 부분.

입안 기압 및 발음 기관
목구멍 근육이나 성대를
의 긴장도가 낮아 약하게
긴장시켜 내는 소리. ‘ㄲ’,
터져 나오는 소리. ‘ㄱ’, 예사소리 된소리
‘ㄸ’, ‘ㅃ’, ‘ㅆ’, ‘ㅉ’ 따위의
‘ㄷ’, ‘ㅂ’, ‘ㅅ’, ‘ㅈ’ 따위의
소리.
소리.

168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8 17. 12. 11. 오후 8:02


정리하기

음운의 변동

비음화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음을 만나 비음 ‘ㅇ, ㄴ, ㅁ’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

유음화 비음 ‘ㄴ’이 유음 ‘ㄹ’의 앞 또는 뒤에서 유음 ‘ㄹ’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

앞말의 끝소리 ‘ㄷ, ㅌ’이 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를 만나 구개음인 ‘ㅈ, ㅊ’


구 개 음 화
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

일정한 환경에서 뒷말의 첫소리인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된소리 ‘ㄲ, ㄸ, ㅃ,


된소리되기
ㅆ, ㅉ’으로 교체되어 발음되는 현상.

예사소리 ‘ㄱ, ㄷ, ㅂ, ㅈ’이 ‘ ㅎ ’과 만나 두 음운이 축약되어 거센소리 ‘ㅋ, ㅌ, ㅍ,


거센소리되기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

모음 탈락 두 모음이 이어질 때 그중 한 모음이 탈락하는 현상.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의 총칙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 총칙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되, 어 법 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다.

•우리말을 발음하는 형태대로 적는다.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의 단위인 단어를 기준


•한 단어를 여러 형태로 표기하게 되어 그 뜻을 으로 띄어 쓴다.
알기 어려운 경우에는 어법에 맞게 형태를 고정 •조사는 단어이지만 자립할 수 없으므로 앞말에
하여 적는다. 붙여 쓴다.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쓰기: 글쓰기는 글쓴이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자, 그 의미를 독 자 와 소통하
는 사회적 상호 작용임.

이 단원을 마치며
3 음운 변동의 규칙을 이해하여 실제 언어생활에서 올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할 수 있다.
3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3 쓰기는 글쓴이가 의미를 구성하여 독자와 의사소통하는 사회적 상호 작용임을 이해할 수 있다.
3 자신의 언어생활을 되돌아보고, 일상생활에서 우리말을 정확하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16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69 17. 12. 11. 오후 8:02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음성 인식 기술의 작동 원리와 전망에 대해서 이해하고 음운학의 가치에 대해서 알아
보는 활동이다. 대단원에서 학습한 국어 음운 지식과 맞춤법에 대한 지식이 실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이제 ‘말’로 하자

미국 테네시주에 사는 청년 샘 레이는 차를 고치다가, 차를 받쳐 올리는 기구가 내려앉는 바람에


차 아래에 깔려서 몸을 움직이지 못하게 되었다. 집에는 아무도 없었고,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하지만 그의 뒷주머니에는 휴대 전화가 있었다. 그는 휴대 전화의 음성 인
식 기능을 작동하여 “응급 구조대에 전화해 줘!”라고 외쳤다. 곧 구조대와 전화가 연결되었고 그는
무사히 구조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휴대 전화가 사람의 음성을 이해하여,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었던 것


은 ‘음성 인식 기술’의 발전 때문이다. 음성 인식 기술은 사람의 음성을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하여 언어
음성 인식 기술의 개념
적 의미를 이해하는 기술로 최근 들어 휴대 전화를 비롯한 다양한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170 4. 바른 말, 바른 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70 17. 12. 11. 오후 8:02


기계는 음성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까?

우선, “사랑해.”라고 말하는 목소리를 작은 음성 정보로 쪼개어


처리하고, 음성 정보 중에서 검색할 때 방해가 되는 억양, 외부 소
음 등의 요소를 없앤다. 그리고 음성 정보에서 일정한 형태를 뽑아낸
다. 내가 “사랑해.”라고 말할 때, 친구가 “사랑해.”라고 말할 때, 선생님께서
“사랑해.”라고 말씀하실 때 등 사람들이 “사랑해.”라고 말할 때의 공통적이지만
일정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랑해.”라는 음성 정보를 음성 정보 창고의 여러 음성 정보들과 비교
하여 같은 단어를 검색해 내고, 그 의미를 인식한다. 그다음에 이와 같은 학습을
거쳐 만들어진 정보 중에서 가장 어울리는 반응을 내놓는다.

음성 인식 기술은 앞으로 어떻게 진화할까?

초기의 음성 인식 기술은 짧은 명령이나 단어를 또박또박하게 발음하고 단어의 중간


을 충분히 띄어 말해야 했다. 하지만 지금은 기계와 짧은 대화가 가능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였고, 길고 복잡한 문장과 방언, 축약한 말 등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사투리
각종 기기나 사물에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의 개념
of Things)이 발달하면, 각 기기마다 자판이나 단추를 이용하여 일일이 명령을 입력하
는 것은 무척 귀찮은 일이 될 것이다.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다른 일을 하면서도 얼마든
지 기기에 명령할 수 있는 음성 인식 기술이 우리 생활에서 일상화될 날이 머지않았다.

생활 주변에서 음성 인식 기술을 접해 본 경험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활용했는지 말해 보자. 또한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상황에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 보고,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할 때 우리의 생활이 어떻게 달라질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국어와 통하다 17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4(134~171)ok.indd 171 17. 12. 11. 오후 8:02


대단원 표지 그림
•시장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는 모습을 보면서 사회
적 상호 작용의 과정을 비롯하여, 자신과 상대방이 모두 만족
할 수 있는 협상의 상황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광화문의 모습을 보면서 학생 자신이 가지고 있는 광화문에 대
한 배경지식을 떠올려 보고, 이 단원의 제재를 학습할 때 이와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72 17. 12. 11. 오후 8:05


쓰기
문법
읽기
문학

듣기
말하기
통합 듣기•말하기 영역 + 읽기 영역

대단원 설정 이유

5
총 16차시 이 단원에서는 읽기 목적에 따른 적절한 읽기 방법을 알아보고, 사회
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읽기의 특성을 이해해 볼 것이다. 또한 협상을
통해 입장이 다른 상대와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을 학습할 것이다.
학생들이 목적에 맞는 읽기 방법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기
르도록 지도하고, 사회적 문제를 다룬 책이나 글을 읽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서도 협상
을 통해 상대와 서로 양보하고 협의하여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자세를
기르도록 지도한다.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고릴라를 못 본 이유
조선의 얼, 광화문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73 17. 12. 11. 오후 8:05


대단원 성취기준
[읽기 04] 읽기 목적을 고려하여 자신의 읽기 방법을 점검하고

의 길잡이 조정하며 읽는다.


[읽기 01] 읽기는 읽기를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소통하
는 사회적 상호 작용임을 이해하고 글을 읽는다.
[듣기·말하기 04] 협상에서 서로 만족할 만한 대안을 탐색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

학습 목표

자신의 읽기 목적을 고려 읽기는 서로 영향을 주고 협상에서 의견이 다른 상


하여 읽기 방법을 선택하고, 받으며 의미를 만들어 가는 대와 서로 만족할 만한 대안
글을 읽으며 읽기 방법을 점 사회적 상호 작용임을 이해 을 찾아 의사 결정을 한다.
검·조정한다. 하고 글을 읽는다.

읽기 읽기 듣기 말하기

우리는 다양한 목적으로 글이나 책을 찾아 읽고, 이러한 읽


기 행위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한다. 그리고 협상처럼 상대
와 직접 소통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곤 한다.
5단원에서는 읽기 과정에 따라 글을 읽어 가며 읽기 목적에 따
른 적절한 읽기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 또한 사회적 쟁점을 다룬
글을 읽으며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읽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협상을 하며 입장이 다른 상대와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을 경험
해 볼 것이다.
이와 같은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사회적 소통 방법을 알아보
고, 어떠한 자세로 소통에 임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자.

174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74 17. 12. 11. 오후 8:05


학습 과정

(1)
•읽기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글 찾아 읽기.
고릴라를
•읽기 목적에 따른 읽기 방법을 선택하고 이를 점검·조정하며 글 읽기.
못 본 이유

(2) •읽기를 통해 자신이 속한 사회의 맥락 이해하기.


조선의 얼, •읽기가 다른 구성원과 상호 작용하여 의미를 만들어 가는 과정임을 이해
광화문 하며 글 읽기.

(3)
•협상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협상의 단계와 전략 파악하기.
전시회 공간을
•의견이 다른 상대와 협상을 하며 대안 모색하기.
빌려라

국어 속 예술
국어와 통
•미술관이 아닌 일상으로 나온 현대 미술 작품 살펴보기.
하다
•예술 작품을 통해 사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사회적 소통 방법 이해하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자료·정보 활용 역량: 자신의 읽기 목적에 따라 읽기 자료와 정
보를 선정하고, 다양한 읽기 방법을 활용하여 글을 읽는 능력
을 기른다.
•의사소통 역량: 사회적 쟁점에 관한 생각을 표현하고, 또 사회
적 쟁점이 담긴 글을 읽는 과정을 통해 구성원들 간에 사회적
차원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협상을 통해 개인이나 집단의 문제를
이 단원을 배우면,
해결함으로써 상대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타인과 협력하
읽기 목적에 맞는 글을 찾아 읽으며
는 능력을 기른다.
자료·정보를 선택하는 능력을, 사회적 쟁점이 담긴
글을 읽으며 타인과 소통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 협상을 하며 공동체 구성원과 상호 협력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17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75 17. 12. 11. 오후 8:05


총 4차시

(1 )
학습 목표 •읽기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글을 찾아 읽는다.
•읽기 목적에 따른 읽기 방법을 선택하고 이를 점검·
조정하며 글을 읽는다.

역량 목표 •읽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읽기


자료와 정보를 선택하고 활용한다.

고릴라를 못 본 이유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사진과 같이 병을 따는 방식이 각기 다른 이유를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병뚜껑의 생김새에 따라 각기 다른 도구를 사용해야 병을 열 수 있는 것처럼, 글을 읽을 때에도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읽기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알려 주기 위한 활동이다. 어떤 병을 딸 것인가에 따라 사용할 도구가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게
하면서, 글도 어떤 목적으로 읽는지에 따라 읽기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음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페트병 → 손으로 돌려서 연다.


•유리병 → 병따개를 지렛대처럼 사용하여 연다.
•와인병 → 전용 코르크 따개를 사용하여 연다.

예시 답안 음료수병에는 음료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병뚜껑이 쓰인다. 그리고 병뚜껑의 모양에 따라 병을 따는 방법이 다
르다. 즉, 물을 마시기 위해 생수병을 따는 방법과 와인을 마시기 위해 와인병을 따는 방법은 다른 것이다. 이처럼 병을 따는 방식이
각기 다른 이유는 병뚜껑의 모양 때문이고, 병뚜껑의 모양은 우리가 무엇을 마시려고 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176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76 17. 12. 11. 오후 8:05


알아
두기 1 읽기의 목적과 방법
글을 읽는 목적은 매우 다양하고 독자가 어떤 목적으로 글을 읽느냐에 따라 읽기의 방법 또
한 다양해진다. 정보를 얻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을 읽을 때에는 글의 중심 내용이 무
글을 읽는 목적 ① ①에 해당하는 읽기 방법
엇인지 파악하고, 제시된 정보의 정확성, 타당성, 적절성 등을 평가하며 읽는 것이 좋다. 타인
과의 관계 유지를 위해 글을 읽을 때에는 글쓴이의 생각을 자신의 관점에서 평가해 보고 이를
글을 읽는 목적 ② ②에 해당하는 읽기 방법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해 볼 수 있다. 교양을 쌓거나 여가를 즐기기 위해 글을 읽을 때에는 글
글을 읽는 목적 ③
의 내용을 자신의 삶에 견주어 보거나 현실에 비추어 보는 것이 좋다.
③에 해당하는 읽기 방법

2 읽기 과정의 점검과 조정
글을 읽을 때 독자는 의식적으로 자신의 읽기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해 볼 필요가 있다. 글
을 읽으며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읽기 목적에 맞는 읽기 방법을 활용하고 있는지 스
『 』: 읽기 과정의 점검 방법
스로 질문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글을 읽다가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그냥 넘어가지
『 』: 읽기 과정의 조정 방법
말고 여러 방법을 활용하여 해결해야 한다. 독자는 이와 같은 점검과 조정의 과정을 거치며
글을 읽음으로써 자신의 읽기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을 좀 더 깊
점검·조정의 과정을 거치며 글을 읽었을 때의 효과
게 이해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다양한 독해 방법
•정독(精讀): 세밀하게 따져 가며 느리고 자세하게 읽기.
•속독(速讀): 빠르게 훑어 읽기.
•음독(音讀): 소리 내어 읽기.
•묵독(默讀): 소리 내지 않고 읽기.

읽는 목적에 따라
?! 읽기 방법이 왜
달라야 할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읽기 전-중-후 과정에 맞추어 글을 읽고, 읽기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읽기 방법을 적용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읽는 목적에 맞는 읽기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떠올리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우리가 글이나 책을 읽는 이유는 무엇일까?
•읽기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1) 고릴라를 못 본 이유 17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77 17. 12. 11. 오후 8:06


학습 포인트 •우리 뇌의 정보 처리 방식   •글쓴이의 의도   •읽기 과정에 따른 읽기 방법

읽기 전 이 글은 우리 뇌의 정보 처리 방식을 다룬 설명문이다. 글 옆에 제시된 읽기 전-중-후 과정에 따


른 읽기 방법의 예시를 참고하여 자신의 읽기 방법을 점검·조정하면서 글을 읽어 보자.
제목은 무슨 뜻일까? 덩치
가 큰 고릴라를 왜 보지 못했
제목 풀이 ‘고릴라를 못 본 이유’는 이 글에서 핵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글쓴이는 한 대학에서 실시
다는 것일까? 한 심리학 실험에서 실험 참가자들이 고릴라를 보지 못한 이유를 밝히면서, 우리 뇌의 선택적 정보 처
우선, 글을 한번 훑어보면서 리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내용을 예측해 봐야겠어. 질문


하고 답하며 글을 읽고, 중요
한 부분에는 밑줄을 그어야지.
고릴라를 못 본 이유
소단원 정리 PPT 소단원 본문 영상
_ 이은희

주요 내용이나 관련 정보는 적
어 두자.
제재 개관
콕콕 정리 갈래 설명문 성격 사실적, 과학적
‘읽기 전’ 과정의 읽기 방법 제재 뇌의 정보 처리 방식.
•글 제목의 의미 추론해 보기. 주제 주의 집중한 시각적 정보만 받아들이는 뇌의 특성.
•글 전체적으로 훑어보기. •핵심 개념과 관련된 실험을 소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움.
특징
•글의 내용 예측하기. •적절한 예와 비유를 활용하여 어려운 과학적 개념을 쉽게 풀이함.

처음 사람은 오감(五感),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해 세상을 인식한

다. 이 다섯 가지의 감각 중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것은 시각으로, 사람이 습 5


『 』: 사람들이 시각 정보를 신뢰하는 이유
득하는 정보의 80퍼센트는 오로지 시각에 의존한 정보들이다. 대부분의 정보
이은희 를 시각으로 받아들이면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시각의 능력을 높이 신뢰하게
(1976~)
된다. 그런데 과연 눈으로 보는 정보들은 다 믿을 수 있는 것일까? 우리 눈에
과학 저술가. 필명은 ‘하리
『 』: 보편적 생각에 의문을 던지면서 독자의 주의를 환기하고 이 글에서 다룰 내용을 제시함
하라’이다. 『하리하라의 과학 보이는 것은 정말 ‘눈에 보이는 대로’ 만 존재하는 것일까?▶ 시각 정보에 대한 의문 제기
블로그』, 『하리하라의 음식 과 처음 사람들이 시각 정보를 굳게 신뢰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함.
학』 등 어려운 과학 개념을 쉽 가운데 1 1999년 신경 과학 분야의 국제 학술지인 『퍼셉션』에 우리 가운데에 있는 10
신뢰성 있는 근거 자료
고 재미있게 설명한 다양한
고릴라 라는 제목으로 실린 논문이 있다. 당시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의 대
과학 교양서를 썼다.
니얼 사이먼스와 크리스토퍼 차브리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흥미로운 실험
읽기 중
을 하였다. 그들은 흰옷과 검은 옷을 입은 학생 여러 명을 두 조로 나누어 같
이 실험이 첫 문단의 질문과 『 』: 실험의 과정

어떤 관련이 있을까? 실험의


은 조끼리만 이리저리 농구공을 주고받게 하고 그 장면을 동영상으로 찍었
결과가 그 질문의 답이 되는 것 다. 그리고 이를 사람들에게 보여 주고 이렇게 주문하였다. “검은 옷을 입은 15

은 아닐까?
조는 무시하고 흰옷을 입은 조의 패스 횟수만 세어 주세요.”라고. 동영상은

콕콕 정리 1분 남짓이었으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렵지 않게 흰옷을 입은 조의 패스


‘읽기 중’ 과정의 읽기 방법
•질문하고 답하며 읽기. 횟수를 맞히는 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그들 중 절반은 왜 이런 간단한 실험을
•중요한 정보에 밑줄 긋기.
•주요 내용과 관련 정보 적어 하는지 목적을 파악하지 못해 고개를 갸웃거렸다. ▶ 우리 가운데에 있는 고릴라 실험 소개
두기.
•이해되지 않는 부분은 관련 사실 실험의 목적은 따로 있었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보여 준 동영상 중간 20
서적이나 인터넷 검색 등을
활용하여 더 알아보기.
에는 고릴라 의상을 입은 한 학생이 걸어 나와 가슴을 치고 퇴장하는 장면이
농구공 패스 횟수를 알아맞힐 수 있는지를 평가하려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등장한 고릴라의 존재를 인지했는지의 여부를 실험한 것임

178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78 17. 12. 11. 오후 8:06


무려 9초에 걸쳐 등장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동영상을 본 사람들 중 절반은 제재 구조도
『 』: 실험의 결과 - 자신이 본 것이 사실이라고 굳게 믿음
사람들이 시각 정보
자신이 고릴라를 보았다는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나머지 처음 를 굳게 신뢰하는 것
에 의문을 제기함.
절반은 고릴라를 알아보고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심지어 고릴라를 인지
•「우리 가운데에 있는
고릴라」실험을 소개
하지 못한 이들에게 고릴라의 등장 사실을 알려 주고 동영상을 다시 보여 주 가운데 함.
1 •고릴라 실험을 통해
5 자, 분명 먼젓번 동영상에서는 고릴라가 등장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사람도 ‘무주의 맹시’의 개념
을 설명함.
있었다. 그러면서 실험자가 자신을 놀리려고 다른 동영상을 보여 준 것이 아 •눈이 시각 정보를 받
질문을 던지고 이에 답하는 방식으로 내용을 전개함
아들이는 과정을 설
니냐는 의심을 하기도 하였다. 도대체 왜 이들은 고릴라를 보지 못한 것일까? 명함.
▶ 고릴라를 인지하지 못한 실험 참가자들 •시각 피질의 영역과
가운데 각 영역의 역할을 소
2 개함.
•뇌가 감각 기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처
리하는 방식을 설명
함.
자신이 본 것만이 옳
검은 옷을 입은 조와 다는 절대적 믿음으로

흰옷을 입은 조가 각기 공을 부터 벗어나야 함을 강
조함.
주고받는 장면.

읽기 중
시각 자료
글 중간에 동영상 장면이 제
시된 이유는 무엇일까? 아하,
고릴라 의상을 입은 학생
동영상 장면을 보니까 실험 내
한 명이 등장하여, 가운데에
서서 가슴을 치는 장면. 용이 글로 읽는 것보다 더욱 명
확하게 이해되는구나.

시각 자료 제시의 효과

9초에 걸쳐 등장한
고릴라가 학생들을 지나
유유히 퇴장하는 장면. ■인지(認知)하지 어떤 사실을
인정하여 알지.
그는 신호를 인지하고 차
를 멈추었다.

(1) 고릴라를 못 본 이유 17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79 17. 12. 11. 오후 8:06


대니얼 사이먼스와 크리스토퍼 차브리스는 이를 ‘무주의 맹시’라고 칭했다.

읽기 중 이는 시각이 손상되어 물체를 보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물체를 보면서도 인


‘무주의 맹시’의 개념
‘무주의 맹시’라는 개념이 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두 눈을 멀쩡히 뜨고 있는데 보지 못한다고?
잘 이해되지 않아. 실험 관련 독자의 반응을 예측하고 공감하면서 독자와 호응함

서적을 찾거나 인터넷에서 검


정말 황당한 소리이다. 하지만 우리는 늘 이런 경험을 한다. 실연한 뒤에는
『 』: 실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무주의 맹시’의 사례
색하며 이 개념을 좀 더 알아 유난히 행복한 연인들의 모습이 눈에 자주 띄고, 오랜만에 만난 아버지의 늙 5

봐야겠어.
은 모습에 마음이 짠했던 날에는 유독 나이 든 어른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온

다. 그런 장면들은 어찌나 그렇게 내 마음이 요동칠 때에 잘 맞춰 나타나는

지. 하지만 당연하게도 세상이 내 맘에 맞게 움직여 줄 리는 없다.▶ ‘무주의 맹시’의


읽기 중 ‘보고도 인지하지 못한 대상’의 비유적 표현 개념

첫 문장은 무슨 뜻일까? 음, 고릴라는 어디에나, 언제나 존재한다. 다만 내가 이를 인지하지 못했을 뿐


‘무주의 맹시’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음
우리가 보았는데도 인지하지 이다. 그들은 갑자기 새롭게 나타난 것이 아니라 평소에도 늘 존재하였다. 하 10

못한 대상을 ‘고릴라’로 비유한


것 같아. 아하! 우리가 보고도 지만 평소에는 주의 깊게 보지 않아서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비로소 오늘에
인지하지 못하는 것들이 주위 서야 뇌가 인지한 것이다. ▶ 주변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무주의 맹시’
에 많다는 뜻이구나! 가운데 1 우리 가운데에 있는 고릴라 실험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무주의 맹시’의 개념을 설명함.
가운데 2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경로로 세상을 보는 것일까? 우리의 신체는 눈만이
질문을 통한 화제 전환
구절 풀이 글쓴이는 ‘무주의 빛을 인식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진화해 왔다. 그래서 눈이 손상되거나 다른
맹시’라는 어려운 과학적 개념
을 설명하기 위해 독자의 반응 이유로 기능을 잃게 되면, 우리는 그 즉시 빛 한 점 없는 어둠 속에 갇히게 된 15

을 예측하며 친근한 구어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인 독 다. 하지만 눈 자체가 세상을 인식하는 것은 아니다. 눈동자를 지나 눈알 안
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 』: 시각적 정보를 받아들여 세상을 인식하기까지의 과정
실생활에서 접하기 쉬운 상황들 쪽으로 파고든 빛은 망막의 시각 세포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
(실연의 경험, 부모님을 만났을
콕콕 정리
때의 느낌)을 제시하고 있다.
눈이 시각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신호가 시신경을 통해
빛이 눈동자를 지나 눈알 망막의 시각 세포에 의해
뇌의 시각 피질로 들어가면
안쪽으로 들어옴. 빛이 전기적 신호로 바뀜.
서 시각 정보를 인식함.

■무주의 맹시(inattentional
blindness) 주의가 다른 곳
에 있어서 눈이 향하는 위치
의 대상이 지각되지 못하는
현상이나 상태.
■망막(網膜) 눈알의 가장 안쪽
에 있는 얇은 막 안에 시각 신
경의 세포가 막 모양으로 층
을 이룬 부분.

180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0 17. 12. 11. 오후 8:06


고 이 신호가 시신경을 통해 눈의 반대편, 즉 뒤통수 쪽에 위치한 뇌의 시각 자료실
실제로 세상을 온전히 보는 것은 아니기 때문
시각 피질(視覺皮質)
피질로 들어가야만 우리가 비로소 세상을 ‘본다’(고 느낀다.).
▶ 우리가 시각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대뇌 피질의 맨 뒷부분에서
시각 피질은 단일한 부위가 아니라 현재 밝혀진 것만 약 30개의 영역으로 시각에 관여하는 부분으로,
대뇌 반구의 양쪽에 있다. 왼
구성된 복합적인 영역이다. 시각 정보를 가장 먼저 받아들이고 물체의 기본 쪽 시각 피질은 오른쪽 시야
에서, 오른쪽 시각 피질은 왼
5 적인 이미지인 선과 경계, 모서리를 구분하는 V1, V2 영역을 비롯하여 형태
쪽 시야에서 신호를 받는다.

를 구성하는 V3, 색을 담당하는 V4, 운동을 감지하는 V5, 그리고 이 밖의 다

른 영역이 조합되어 종합적으로 사물을 인지한다. ▶ 시각 피질의 영역별 역할

이들은 각각 따로따로 의미 있는 존재가 아니다. 여러 개의 악기가 모여 각

자가 정확한 순간에 정확한 음을 연주해야 제대로 된 음악을 전할 수 있는 오 읽기 중


시각 피질의 각 영역이 제
10 케스트라처럼, 모든 영역이 각자의 역할에 맞게 일시에 조율되어야 세상을
유추의 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구체적
방식
바라볼 수 있다. 같은 피아니스트가 같은 곡을 동일하게 연주해도 피아노 건 으로 어떤 문제가 생길까? 이
글에 그런 문제를 설명한 부분
반이 몇 개 사라지거나 음이 제대로 조율되지 않으면 결과물이 달라지는 것
은 없을까?
처럼, 우리의 눈이 같은 것을 보더라도 시각 피질의 각 영역이 제대로 조율되

지 않으면 세상을 같게 볼 수 없다. ▶ 시각 피질의 각 영역이 역할에 맞게 일시에


조율되어야 하는 이유
읽기 중
15 예를 들어 시각 피질의 V4 영역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색맹이 아니었던
『 』: 앞 문단에서 설명한 내용의 구체적 예시 앞 문단에서 내가 궁금하게
사람도 세상이 흑백으로 보이며, V5 영역이 손상되면 질주하는 자동차를 보 여긴 부분이 여기에 구체적인
아도 그것이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 시각 피질의 각 영역이 제 기능을 예로 설명되어 있어.
하지 못할 경우의 예
콕콕 정리 깜짝 퀴즈
「고릴라를 못 본 이유」에 사용된 유추 1. 다섯
‌ 가지 감각 중에서 사람이 정보를 습득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하
는 것은 청각이다. ➡×
악기 연주 세상을 보는 것
2. ‌물체를 보면서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 ☐ ☐ ☐ ☐’라고 칭한다.
여러 개의 악기가 정확한 순간 시각 피질의 모든 영역이 각자  ➡ 무주의 맹시
에 정확한 음을 연주해야 제대로 의 역할에 맞게 일시에 조율되어 3. ‌약 30여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시각 피질 중에서 V4는 ☐ 을 담당한
된 음악을 전할 수 있음. 야 세상을 볼 수 있음. 다. ➡색
같은 피아니스트가 같은 곡을
같은 것을 보더라도 시각 피질
동일하게 연주해도 피아노 건반
의 각 영역이 제대로 조율되지
이 사라지거나 음이 제대로 조율
않으면 세상을 같게 볼 수 없음.
되지 않으면 결과물이 달라짐.

(1) 고릴라를 못 본 이유 18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1 17. 12. 11. 오후 8:06


뇌의 많은 영역이 오로지 시각이라는 감각 하나에 배정되어 있음에도, 세

상은 워낙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눈으로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를 뇌가 빠짐없

이 처리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뇌가 선택한 전략은 선택과 집중, 적당한 무시


구절 풀이 구체적 예시를 통 와 엄청난 융통성이다. 우리는 쥐의 꼬리만 봐도 벽 뒤에 숨은 쥐 전체의 모
해 뇌의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그때그때의 사정과 형편을 보아 일을 처리하는 재주
뇌는 어떤 대상에 집중하면, 부 습을 그릴 수 있으며, 빨간색과 파란색의 스펙트럼만 봐도 그 색이 주는 이미 5
분적인 정보만으로 전체를 파악
하거나 시각 정보의 심층적 의 지와 의미까지 읽어 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때와 장소, 현재의 관심 대상
미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그러
나 이는 뇌가 그 정보에 집중할 과 그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앞에서 보았듯이 우리는 하나에 집중하면 다른
때만 발휘되는 능력으로, 그 외 눈으로 보는 정보를 다 믿을 수는 없는 이유
의 정보는 눈에 보이더라도 인 것은 눈에 뻔히 보여도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칠 수 있다. 즉, 우리는 정말로
식하지 못할 수 있음을 강조하
고 있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보기 싫은 것에는 눈을 질끈 감는 것이다.
▶ 정보 처리를 위해 뇌가 선택한 전략
감각 기관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고스란히 받아들이지 않고 제 입맛에 맞는 10
앞서 설명한 뇌의 전략인 ‘선택과 집중’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함
부분만 편식하는 것은 뇌의 보편적인 특성으로, 다른 감각도 마찬가지이다.
‘선택과 집중’은 시각뿐 아니라 다른 감각에도 두루 적용되는 일반적 특성임
그러니까 엄마의 잔소리를 흘려듣는 십 대 아이의 귀에 달린 엄청난 여과 능

력은 일부러 그러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눈앞에서 딴전을 피우는 아이의 귀에, 아니 뇌에 소리를 흘

려 넣고 싶다면, 일단은 달콤한 말로 시작해서 집중시키는 것이 그나마 효과 15

적이다. 눈앞에 뻔히 보이는 고릴라를 보지 못했던 사람들은 눈이 잘못되거

나 얼빠진 것이 아니라, 집중하지 않은 시각적 정보는 은근슬쩍 뭉개 버리는


179쪽 ‘도대체 왜 이들은 고릴라를 보지 못한 것일까?’에 대한 답
지극히 자연스러운 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뇌가 모든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
가운데 2 우리의 뇌가 감각 기관으로 정보를 받아들여 처리하는 방식을 설명함.
읽기 중 끝 우리의 뇌는 이런 식으로 세상을 본다. 있어도 보지 못하거나 잘못 보는 경
선택과 집중
글쓴이는 왜 이렇게 글을 끝
우도 많다. 그러므로 우리가 모든 것을 다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제대로만 인 20
맺었을까? 우리가 어떤 태도
로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지를 정한다면, 서로 시각이 다른 현실에서 내 눈으로 본 것만이 옳다며 핏대를 세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우거나 서로를 헐뜯는 일은 줄어들 것이다. ▶ 모든 것을 다 볼 수 없다는 사실 인정의 필요성
끝 자신이 본 것만이 옳다는 절대적 믿음으로부터 벗어나야 함을 강조함.
구절 풀이 글쓴이는 과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 이은희, 『두 눈 똑똑히 뜨고도 고릴라를 못 본 이유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글쓴이는 우리가 절대적으로 믿었던
깜짝 퀴즈
시각 정보마저 믿을 수 없는 만큼, 그 누구의 의견이 절
1. 사람이
‌ 물체를 눈으로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인식하기 못하고 지
대적으로 옳다고만 할 수는 없으며, 우리가 이러한 점을
나치는 이유는 그 사물에 ☐ ☐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집중
인정한다면 서로 갈등하는 일이 줄어들 것임을 강조하고
2. ‌글쓴이는 우리가 본 것은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집중력이 좋은
있다.
읽기 후 사람의 의견을 신뢰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

이제 글을 다 읽었네. 우선 글을 읽으면서 내가 중요하다고 표시해 놓은 부분을 찾아 중심 내용을 정리해 봐야겠어.


■여과(濾過) 주로 부정적인 요
그러면 글을 읽기 전에 내가 추측했던 내용이 맞는지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을 거야. 그러고 나서 다른 친구들은 이
소를 걸러 내는 과정을 비유
글을 어떻게 읽었는지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봐야지.
적으로 이르는 말.
콕콕 정리
‘읽기 후’ 과정의 읽기 방법

182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글의 중심 내용을 정리하고, 읽기 전에 예측했던 것과 비교하기.
•친구들과 글의 내용에 관한 의견 나누기.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2 17. 12. 11. 오후 8:06


활동

이해 1
예시 답안
이 글을 읽고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자.

활동 안내 이 글의 핵심 내용
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핵심 정 ‘고릴라 실험’의 ‘고릴라 실험’은 우리가 보려고 하는 것에만 집중하여(농구공 패스 횟수), 눈앞에 있는
보를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글 의미 것(경기 도중 등장한 고릴라)을 보고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을 알려 준다.
의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무주의 맹시’의 물체를 보면서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뇌가 어느 한 가지에 집중하여 그
개념 이외의 다른 정보는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시각 피질의 시각 피질은 V1~V5를 비롯한 약 30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눈에서 들어온 신
영역과 역할 호에 시각 피질의 각 영역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물을 인지한다.

뇌의 뇌는 선택과 집중, 적당한 무시와 융통성이라는 전략으로 감각 기관으로 들어오는 정


정보 처리 전략 보의 일부분만을 받아들인다.

활동 안내 이 글에 제시된 사실적 정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쓴이가 글을 쓴 의도를 추측해 보는 활동이다. 이


글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과학적 정보뿐 아니라 글쓴이의 주관적 견해까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2 이 글을 쓴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해 보자.

도움말 (1) 이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무엇인가를 보고도 알아차리지 못한 경험이 있는지 떠올려 보
글쓴이는 뇌의 정보 처리 자.
방식을 설명한 후에 글의 마
지막에서는 우리가 어떤 태도
로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지 •학교 식당에서 빈자리를 찾으려고 애쓰다가 친구들이 내게 손짓을 하며 부르는 것을 보고도 알아차리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을
지 못한 적이 있었다.
읽을 때에는 과학적 정보뿐
아니라, 글쓴이가 제안하는 • 예시 답안 버스를 기다리며 휴대 전화 게임에 집중하다가, 타야 할 버스가 온 걸 보았으면서도 버스가 떠
나고 난 다음에야 버스를 놓친 것을 깨달은 적이 있었다.
삶의 태도도 함께 이해하는
것이 좋다.

(2) 글쓴이가 ‘우리가 모든 것을 다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제대로만 인정한다면’이라고 한 것


은 어떤 삶의 태도를 뜻하는 것일지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우리가 모든 것을 다 볼 수 없다’는 것은 자신이 본 것이 절대적이지 않다는 의미이다. 즉, 자신의 눈으로
본 것만이 옳은 것이라는 절대적 관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글쓴이는 자신이 잘못 보거나 보지 못한 것이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상대방의 주장과 의견에 포용적인 태도를 보이라는 제안을 하고 있다.

(1) 고릴라를 못 본 이유 18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3 17. 12. 11. 오후 8:06


목표 1 이 글을 읽은 과정을 돌아보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 보기 | 와 이어지는 대화를 참고하여 이 글을 읽은 목적과 방법을 정리해 보자.


도움말
| 보기 |
우리는 학업에 필요한 정보
를 얻기 위해서 또는 문제를 다양한 읽기 방법
해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글을 •글을 훑어보며 내용 예측하기. •글쓴이의 생각 파악하기.
읽는다. 자신은 이 글을 어떤 •모르는 단어의 뜻 찾아보기. •자신의 생각과 글의 내용 비교하기.
목적으로 읽고, 어떤 읽기 방
법을 활용하였는지 생각해
•비유적 표현의 의미 추측하기. •글의 구조도 그리면서 내용 요약하기.
본다. •중요한 정보 밑줄 긋고 적어 두기. •정보의 정확성, 타당성, 적절성 판단하기.
활동 안내 읽기 목적에 어울
리는 읽기 방법을 활용하여 글
을 읽고, 자신의 읽기 과정을 점
검해 보는 활동이다. 읽기 방법
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을 이해 나는 시각과 뇌의 관계에 관한 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해서 이 글을 읽었어.
하여 이를 자신의 읽기 목적에 그래서 주로 모르는 단어의 뜻을 찾아보고, 중요한 정보는 밑줄을 긋고 적어 두는
맞게 활용하도록 지도한다. 나
방법을 활용해서 읽었지. 너는 어땠니?
아가 읽기 과정을 점검해 보면
서 미흡한 부분을 확인하여 읽
기 방법을 조정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나는 자기 생각만 옳다고 우기는 친구에게 조언을 해 주기 위해 이 글을


읽었어. 그래서 주로 비유적 표현의 의미를 추측하고, 글쓴이의 생각을 파악
하는 방법을 활용해서 읽었지.

나는 예시 답안 설명하는 글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이 글을 읽었어. 그래서 글의 구조도를 그리면서 내용을

요약해 보고, 과학적 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 글쓴이가 사용한 비유적 표현의 의미를 추측하면서 읽었지.

(2) 다음 항목에 따라 자신의 읽기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해 보자.

점검 결과
점검 항목
참고 자료 그렇다. 아니다.
읽기 과정의 점검과 조정
•필요성: 글을 효과적으로 읽기 읽기 목적에 어울리는 방법을 사용하며 읽었는가? 3
위함.
•예: - 글을 읽는 도중에 모르
글의 내용을 예상하고 확인하며 읽었는가? 3
는 낱말이 있을 때 사전을
찾아보거나 앞뒤 문맥을 통
해 의미를 짐작해 봄. 글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며 읽었는가? 3
-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꼼꼼히 읽어
보거나 글과 관련된 다른 궁금한 점을 스스로 질문하고 답하며 읽었는가? 3
자료를 찾아봄.
예시 답안 제시된 항목에 따라 점검한 결과, 글의 내용 중에서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음을 알았다. 그래서
다시 한 번 글을 읽으면서 내가 이해하지 못한 부분에 관련된 책과 자료를 더 찾아 읽어 보았다.

184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4 17. 12. 11. 오후 8:06


듣기·
읽기 말하기

적용 1 다음 글을 읽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이 글을 읽은 목적과 그에 따른 읽기 방법을


정리하여 발표해 보자.
활동 안내 자신의 읽기 상황
과 목적에 맞는 읽기 방법을 사
용하여 주어진 글을 읽고, 자신
이 활용한 읽기 방법을 친구들 통영항 중앙 시장 뒤편, 남망산 조각 공원과 마주 보는 봉긋한 언덕배기에 ‘동
과 공유해 보는 활동이다. 학생
피랑’이라는 마을이 있다. 골목골목마다 아기자기하고 예쁜 벽화가 그려지면서
들이 스스로 글을 읽는 목적을
정하고, 그에 어울리는 읽기 방 수많은 사람이 찾아온다. 주말이면 사진기를 든 여행객들로 붐빈다. 신문과 잡지,
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한
다. 텔레비전에도 여러 차례 소개되었다. 아름다운 풍광 때문에 ‘통영의 몽마르트르’
‘동피랑’의 아름다움을 프랑스 파리의 아름다운 언덕인 ‘몽마르트르’에 빗대어 표현
제재 개관 라고 불리기도 한다.
갈래 기행문 ‘동피랑’이라는 재미있는 지명은 ‘동쪽 피랑(벼랑)’에 자리한 마을이라는 뜻. 일
성격 묘사적, 사색적 ‘동피랑’이라는 독특한 지명의 유래
제재 통영 동피랑 마을. 제 강점기, 통영항과 중앙 시장에서 인부로 일을 하던 외지 하층민들이 살면서 만
통영 동피랑 마을의
주제
아름다움.
들어졌다고 한다. 현재 마을에는 50여 가구가 모여 살고 있다.
한 마을의 역사로부 동피랑은 구불구불한 옛날 골목을 온전하게 간직한 곳이다. 거미줄처럼 이어진
특징 터 얻은 삶의 교훈을 제
시함. 전깃줄, 바닷바람에 펄럭이는 빨래, 녹슨 창살……. 우리가 골목에서 기대하는 모
『 』: 동피랑 골목의 풍경을 나열의 방식으로 묘사함
작가 소개 든 것들이 옹기종기 모여 하나의 시큰한 풍경을 이루고 있다.
최갑수(1973~)•여행 작가 벽화가 그려지기 전 동피랑은 철거 예정지였다. 주민들은 약간의 보상을 받고
이자 시인. 1997년 『문학동
네」에 시 「밀물여인숙」이 당 마을을 떠나야 할 처지. 그러나 2006년 11월 한 시민 단체가 ‘달동네도 가꾸면 아
선되면서 등단하였다. 시집으
로 『단 한 번의 사랑』이 있다. 름다워질 수 있다.’라며 공모전을 연 이후 상황이 바뀌었다. 전국 각지에서 미술
여행 전문 작가로 생활하면 철거가 취소됨
서는 『이 길 끝에 네가 서 있
을 하는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골목 곳곳마다 아름다운 벽화를 그렸다. 허름한 달
다면 좋을 텐데』 『당신에게,
동네는 바닷가 벽화 마을로 새로 태어났다. (중략)
여행』, 『사랑을 알 때까지 걸
어가라』 등의 책을 펴냈다. 시멘트 블록과 거친 돌을 쌓아 만든 흉물스러운 벽으로 둘러싸여 있던 마을. 페
인트를 새로 칠하고 그림을 그렸을 뿐인데 마을의 운명이 바뀌었다. 마을에 살고
허름한 철거 예정지에서 아름다운 관광 명소로 바뀜
있는 사람들도 행복해졌고, 마을을 찾는 사람들도 행복해졌다.
이런 풍경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쉽게 무너뜨리지 말고, 쉽게 헐어 버리지 말
『 』: 글쓴이의 견해 - 기존의 것을 무조건 없애지 말고 유지하고 발전시킬 방법을 찾아야 함
고, 쉽게 버리지 말았으면 좋겠다. 더 좋은 방법은 분명히 있다. 우리가 찾으려 애
쓰지 않았을 뿐이지.
- 최갑수, 『이 길 끝에 네가 서 있다면 좋을 텐데』

예시 답안 저는 이 글을 여행을 위한 자료를 수집할 목적으로 읽었습니다. 그래서 우선 글에 제시된 ‘동피랑’이라는


지명의 유래, 동피랑이 벽화 마을로 새로 태어난 과정 등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며 읽었습니다. 그리고 제시된 정보
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영 시청에서 펴낸 동피랑의 홍보물, 동피랑과 관련된 신문 기사를 더 찾아서 읽어 보았습
니다. 또한 동피랑 주민들이 동피랑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동피랑을 다룬 인터넷 뉴스를 찾아 주민 인터
뷰를 참고하기도 하였습니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고릴라를 못 본 이유를 읽으며 글을 읽는 목적에 맞는 읽기 방법을 찾

정리하기 고, 글을 읽으며 이를 점검·조정해 보았다. 앞으로 글을 읽을 때에는 자신의 읽기 목적에


맞게 글을 선택했는지, 적절한 읽기 방법을 활용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자.

(1) 고릴라를 못 본 이유 18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5 17. 12. 11. 오후 8:06


총 4차시

(2)
학습 목표 •읽기를 통해 자신이 속한 사회
의 맥락을 이해한다.
•읽기가 다른 구성원과 상호 작용하여 의미를 만들어
가는 과정임을 이해하며 글을 읽는다.

역량 목표 •사회적 쟁점에 관한 생각을 표


현하며 자신과 사회의 관계를 점검한다.

조선의 얼, 광화문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사람들이 책을 읽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책 읽기가 개인이 독창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상호 작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임을 알려 주기 위한 활동이다. 독서 토론을 다룬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한 장면을 보면서, 자신과 다른 관점을 지닌 사람들과의
소통이 책의 의미를 확장해 줄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 매주 책을 읽고 그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밀 독서단

예시 답안 사람마다 삶의 경험과 가치관, 그리고 각자가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책을 읽더라도 읽기를 통해 얻어 낸
의미는 서로 다르기 마련이다. 따라서 책을 읽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어 각자가 읽어 낸 책의 의미를 공유하면, 한 권의 책에서 얻어
낼 수 있는 의미의 폭과 깊이가 확장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의견의 교환을 거쳐 아예 새로운 의미를 구성해 낼 수도 있다. 이처
럼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서로의 사고를 심화할 수 있는 활동이다.

186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6 17. 12. 11. 오후 8:06


알아
두기 1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읽기
읽기는 독자가 자신만의 독창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 아니라, 독자가 속한 구체적인
『 』: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읽기
상황과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다른 구성원과 상호 작용하며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사물 따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관
예컨대 독자는 사회적 문제를 다룬 글을 읽고, 자신이 처한 상황이나 사회・문화 및 역사적 배
경을 고려하여 그 문제에 관한 자신의 관점을 형성한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나아가 여론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처럼 독자는 글을 읽는 과정에서 자신이 속한 사
사회 대중의 공통된 의견 독서의 가치
회의 맥락을 이해하고 다른 구성원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2 의미 구성 과정으로서의 읽기
독자는 글을 읽으면서 글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의미 구성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단어와
문장의 의미는 무엇인지, 글의 전개 과정은 어떠한지, 글쓴이의 주장은 타당한지 등을 파악하
『 』: 의미 구성 과정으로서의 읽기 방법 일의 이치로 보아 마땅히 옳은
며 능동적으로 글을 읽을 때 독자는 글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단순한 사실 이해의
수준에서 나아가 글의 의미를 구성하며 능동적으로 글을 읽으면, 자신만의 관점을 형성할 수
의미를 구성하여 읽는 것의 효과
있고 이로써 다른 사람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사려 깊은 독자가 지니고 있는 독서 능력의 특성
독서 능력 의미를 구성하는 능력인 동시에 창의적인 학습 능력.
•글의 의미 구성을 위한 배경지식을 활용함.
•독서의 과정에서 독해 작용을 조정함.
특성 •글에서 중요한 정보를 선정하고 조직함.
•지속적으로 추론을 생성함.
•적극적으로 질문을 제기함.

읽기를 통해 다른
구성원과 어떻게
?! 소통할 수 있을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글을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진 사례를 담은 글을 읽고 관련 활
동을 할 것이다. 읽기가 다른 구성원과 상호 작용하여 글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임을 생
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글을 읽고 주제에 관한 자신의 관점을 형성하는 것이 왜 필요할까?
•이 글에서 읽기를 통한 사회적 의사소통은 어떻게 드러날까?

(2) 조선의 얼, 광화문 18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7 17. 12. 11. 오후 8:06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광화문이 겪은 수난과 복원 과정   •광화문의 의미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읽기

‘일제 강점기의 광 이 글은 광화문이 겪어 온 수난의 역사와 광화문을 지켜 내고자 애썼던 여러 언론의 노력을 소개
화문, 아픔을 겪다’: 하고 있다. 광화문이 현재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쳐 왔는지 살펴보며 글을 읽어 보자.
처음 ‘광화문’이라는 이름
의 유래와 광화문이 제목 풀이 ‘조선의 얼, 광화문’은 광화문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집약한 제목이다. 광화문은 우리 역사에서 단순히
겪은 수난의 역사. 건축물로서 존재했던 것이 아니다. 여러 역사적 수난을 거치면서도 조선 왕조 제일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문으로서 조선 민족의 정신을 대표하고, 우리나라의 역사와 혼을 상징해 왔던 존재이기에 ‘조선의
•‘총독부 새 청사, 광
얼’이라 표현한 것이다.
화문을 밀어내다’ :

조선의 얼, 광화문
일제가 광화문을 철
거하려 했던 계획.
•‘사라지려는 한 조 _ 문화재청 엮음
선 건축물을 위하
소단원 정리 PPT
가운데 여’: 광화문 철거 반
대 여론이 형성되는
과정.
•‘다만 그를 위하여
안타까워하고 못 잊 제재 개관
어 할 뿐이라’: 설의 갈래 설명문 성격 사실적, 역사적
식의 고별사. 제재 광화문의 역사.
‘광화문, 그 자리에 주제 광화문이 겪어 온 수난의 역사와 복원 과정.
바로 서서 역사를 이 •소제목을 설정하여 광화문의 수난 역사와 복원 과정을 서술함.
특징
어 가리’ : 광화문의 •신문 기사와 역사적 자료를 인용하여 광화문을 둘러싼 역사적 사실을 설명함.

복원 과정과 광화문
이 지닌 역사적 가치 처음 일제 강점기의 광화문, 아픔을 겪다
와 의의.

광화문은 ‘왕의 큰 덕이 온 나라를 비춘다[光化].’라는 뜻을 간직한, 경복궁 5


광화문 소개
의 남쪽 문이자 정문입니다. 1395년 조선 태조 때 만들어졌으며, 석축을 높
돌로 쌓아 만든 옹벽
게 쌓고 중앙에 홍예문을 터서 문루를 얹은 궐문의 형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건물이나 조직체 따위를 처음으로 세우거나 만듦
창건 당시 ‘오문’으로 불리던 광화문이 지금의 이름을 얻게 된 것은 1426년
『 』: 광화문 이름의 유래
세종 때입니다. 이는 집현전 학사들이 나라의 위엄과 문화를 널리 만방에 보
광화문의 상징성
여 준다는 뜻으로 새로이 붙인 것입니다. ▶ ‘광화문’이라는 이름의 유래 10

원래 경복궁은 광화문-근정전-사정전-강녕전-교태전이 남북으로 일

직선상에 놓여 관악산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일제가 조선 총독부를

근정전 바로 앞에 세우면서, 광화문을 삐딱하게 비틀어 관악산이 아닌 남산


광화문과 근정전 사이
을 바라보게 하였습니다. 원래 남산에는 단군을 비롯한 여러 신을 모신 국사

당이 있었습니다. 일제는 이 국사당을 허물고 그 자리에 일본의 건국 시조를 15

■홍예문(虹霓門) 문의 윗부분
신으로 받드는 신사를 건립하였습니다. 이 모든 것이 조선 민족의 정통성과
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 정기를 훼손하여, 조선 백성을 일왕의 백성으로 만들기 위함이었습니다.
글게 만든 문. 일제의 광화문 훼손 의도
■문루(門樓) 궁문, 성문 따위 이처럼 광화문은 이름과 달리 수난의 역사를 겪었습니다. 구한말부터 오늘
‘왕의 큰 덕이 온 나라를 비춘다.’라는 ‘광화’의 뜻과 달리, 일제에 의해 훼손당함 조선 말기에서 대한 제국까지의 시기
의 바깥문 위에 지은 다락집.
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이 온몸으로 받아 내야 했던 근현대사의 비극을 압
■오문(午門) 성곽의 남쪽에 있
는 문. 남문(南門). 축해 담고 있는 셈입니다. ▶ 일제의 탄압으로 광화문이 겪은 수난 20

처음 ‘광화문’이라는 이름의 유래와 광화문이 겪은 수난의 역사.

188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8 17. 12. 11. 오후 8:06


가운데 총독부 새 청사, 광화문을 밀어내다

1910년 8월 29일 관청의 사무실로 쓰는 건물


제국주의 일본이 조선을 병탄한 지 6년째 되는 해, 조선 총독부는 새 청사 일제가 새 조선 총독부 청
우월한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다른 나라나 민족을 정벌하여 대국가를 건설하려는 침략주의적 경향 사를 경복궁 앞뜰에 짓기로
를 짓겠다고 나섰습니다. 조선을 영원히 식민 통치하겠다는 그들의 야욕은 한 이유는 무엇일까?
자기 잇속만 채우려는 더러운 욕심
예시 답안 경복궁은 조선 왕
날이 갈수록 더해 갔습니다. 일제가 새 청사의 터로 선택한 곳은 오백 년 조 조 제일의 법궁으로 국가의 상
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공간
5 선 왕조를 호령했던 경복궁 앞뜰이었습니다. ▶ 새 청사를 짓기로 한 조선 총독부
이다. 여기에 총독부 청사를 세
운다는 것은 조선 왕조의 위엄
다음은 1910년 5월 15일 자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경복궁이 없어지네 라 을 무너뜨리고, 일제가 조선을
지배하고 있음을 과시하기 위한
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이 기사를 통해 조선 총독부 청사를 짓기 이전부터 경 것이다.
■병탄(竝呑/ 呑)한 남의 재물
복궁이 훼손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나 다른 나라의 영토를 한
데 아울러서 제 것으로 만든.
1910년 5월 10일 왕실 사무를 총괄하던 궁내부는 경복궁 내 공원 신축을 위해 전 ■호령(號令)했던 부하나 동물
『 』: 조선 왕조의 상징인 경복궁이 일반인에게 팔리며 훼손됨
따위를 지휘하여 명령했던.
10 각 4,000여 칸을 경매했다. 조선인과 일본인 80여 명이 경매에 참여했고, 이 중 10
■전각(殿閣) ‘전(殿)’이나 ‘각
여 명에게 전각이 매각됐다. (閣)’ 자가 붙은 커다란 집을
팔렸다.
이르는 말.
▶ 이미 훼손되고 있던 경복궁
깜짝 퀴즈
1. ‌광화문은 지어질 당시 ☐ ☐ ☐ 을 바라보고 있었으나,
일제가 ☐ ☐ 을 바라보도록 고쳤다. ➡ 관악산, 남산
2. ‌조선 총독부가 새 청사를 짓겠다고 나선 이유는 조선
을 근대화하기 위함이었다. ➡×
3. ‌조선 총독부 청사를 짓기 이전부터 일제는 경복궁의
훼손을 시작하였다. ➡◯

(2) 조선의 얼, 광화문 18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89 17. 12. 11. 오후 8:06


일제의 총독부 새 청사가 모습을 갖춰 갈수록 경복궁은 점점 더 초라한 몰

골로 변해 갔습니다. 그런데 공사를 진행하다 보니 그들에게는 광화문이 눈

엣가시였습니다. 경복궁의 다른 전각이야 조선 총독부가 앞을 가로막고 서


일제가 광화문을 가만히 있으니 문제 될 것이 없는데, 광화문은 조선 총독부 앞을 떡하니 가로막고 있
놔둘 리 없다고 한 이유는 무
엇인가? 는 형상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이 이를 가만히 놔둘 리 없었습니다. 5
▶ 일제의 눈엣가시가 된 광화문
예시 답안 조선 총독부는 일
제의 조선 지배를 상징하는 건물
인데, 광화문이 그 건물을 가리
고 있는 상태에서는 그러한 상징
성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일제는 조선 총독부 건물을 돋보 사라지려는 한 조선 건축물을 위하여
광화문
이게 하기 위해 광화문을 없애려
하였을 것이다.
1921년 5월, 『동아일보』 는 광화문 사진을 커다랗게 싣고 일제의 광화문 철
광화문 철거 반대 여론 형성의 시발점
구절 풀이 언론사가 일제의 거 계획을 처음으로 폭로하였습니다. 총독부 새 청사가 완공될 무렵에 조선
광화문 철거 계획을 보도하여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철거 반 총독부가 광화문을 헐어 버릴 계획이라는 내용이었습니다. 『대한매일신보』 도
대 여론을 형성하게 된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 기사 읽기를 통 1922년 10월 5일 광화문 보존 문제에 관한 기사를 실어 이 문제를 다루었습 10
해 사회적 의사소통이 일어난
것이므로, 이는 사회적 상호 작 니다. 이렇게 광화문이 철거된다는 소식이 돌자 몇몇 일본인 학자들도 조선
용으로서의 읽기가 잘 드러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총독부의 처사가 부당하다고 지적하였으며, 광화문 철거를 반대하는 국내 여

론은 더욱 거세졌습니다. ▶ 일제의 광화문 철거 계획에 대한 언론들의 보도

예상치 못한 거센 여론에 밀려서일까요? 일제는 광화문을 철거한다는 계획


여론 형성의 성과 - 사회적 의사소통의 영향력이 드러남
을 접고, 대신 광화문의 자리를 옮기기로 결정합니다. 그리고 1923년 10월, 15

광화문 앞 양측에서 수문장 노릇을 하던 해태 석상 두 점이 철거되고 말았습


■수문장(守門將) 각 궁궐이나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여 안다고 하는 상상의 동물
성의 문을 지키던 무관 벼슬. 니다. ▶ 광화문 철거 반대 여론의 형성

▼ 1900년경 광화문과 해태상 ▼ 1926년 철거 중인 광화문

190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0 17. 12. 11. 오후 8:06


참고 자료 「나는 가나이다 - 광화문의 마지막 고별 -」
광화문이 헐린다! 역사도 많고 풍파도 많고 조선 사람에게 여러 가지 감회도 많은 광화문이 헐리어 나간다! 이 헐린다는 소문이 한 번 세상에 전파되자 세상 사
람은 모두 광화문을 생각하고 한숨을 쉰다. 그러나 광화문 자신은 무엇을 지금 묵묵히 생각하고 있는가. / 광화문! / 광화문! / 아 나의 이름이 얼마나 여러분의
귀에 익은 이름입니까? 보십시오. 나는 춘풍추우 수백 성상에 갖은 환난과 갖은 풍파 다 겪고 이제는 마지막 운명까지도 당하게 된 옛 궁궐의 정문입니다. (중략)
『조선일보』 는 1925년 10월 26일, 「나는 가나이다」라는 제목으로 애절한 고 여러분이 아침저녁으로 쳐다보시고
같이 있던 사람과 헤어지면서 작별을 알리는 말 사랑하시던 광화문은 이제 마지막으
로 여러분을 뵈옵고 귀양살이를 하러
별사를 실었습니다. 이는 광화문 철거를 눈앞에 둔 조선 백성의 암담하고도 갑니다. 총독부 새 집 앞에 있어 눈총
『 』: 당대 사회의 문제가 글에 반영됨
맞아가며 있는 것보다는 오히려 한
하소연할 데 없는 슬픈 심정을 광화문 스스로의 입을 빌려 이야기하는 형식 구석 그늘에 가서 여생을 보내는 것
의인법 이 나의 마음에도 편한 일입니다. 봄
의 글이었습니다. 바람, 가을 비, 수백 년 동안 옛 궁궐
의 앞을 지키던 이 광화문은 마지막
5 1926년 7월 22일에는 광화문 철거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완전히 무너뜨 으로 한 번 더 뵈옵고 이제는 나의 갈
곳으로 가려 합니다.
리는 것이 아니라 건춘문(경복궁의 동쪽 문) 옆으로 옮기는 것이라고 해도,  - 조선일보(1925. 10. 26.)

구절 풀이 광화문은 경복궁
본래의 자리를 뜨는 순간 그 존재 가치는 빛이 바래게 됩니다. 앞에 일직선상으로 놓여야만 정
문으로서의 위상을 지니게 되
철거 작업이 시작된 뒤인 1926년 8월 29일, 『동아일보』 는 「광화문 해체, 수 며, 왕의 덕을 나라에 비춘다는
‘광화’의 뜻에 담긴 문화적 상징
일 전에 착수」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성을 지킬 수 있다. 따라서 자리
를 뜨는 순간 존재 가치가 사라
진다고 표현한 것이다.
10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 이전 공사가 수일 전에 해체 공사에 착수했는데 일은 미야
자료실
카와쿠미 회사에 5만 4,800원에 맡겼으며, 공사는 1년 안에 끝날 예정이라더라.
설의식(1900~1954)
언론인이자 평론가. 호는
▶ 결국 자리를 옮긴 광화문과 이에 대한 언론들의 보도
‘소오(小梧)’이다. 이름 높은
언론인이었으나, 베를린 올림

다만 그를 위하여 아까워하고 못 잊어 할 뿐이라 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수의 옷에서 일장기를 지워
보도한 ‘일장기 말소 사건’으
『동아일보』 는 그보다 며칠 앞서 「헐려 짓는 광화문」이라는 제목의 고별사를 로 1936년 『동아일보』 편집국
당대 사회의 문제가 반영된 글 장에서 사직하였다. 광복 후
실었습니다. 글을 쓴 사람은 당시 문화부 기자인 설의식이었습니다. 고별사 『동아일보』가 다시 간행되자
언론계로 복귀하였다.
15 내용은 참으로 구슬프고 참담했으니 당시 우리 민족의 마음을 대변하는 듯했

습니다. 설의식은 우리의 민족혼, 민족 문화가 말살되는 데 대한 분노와 울분 ‘설의식’이 ‘붓으로써 일제


에 저항’하였다는 것은 무슨
을 강한 어조로 힘 있게 표현하여 붓으로써 일제에 저항하였습니다. 뜻일까?
글을 써서 저항 의식을 나타내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 예시 답안 ‘붓으로’는 글을 쓰
▶ 신문에 실린 고별사의 의의 는 행위를 저항의 수단으로 삼
았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
다. 일제가 조선 총독부 건물을
▼ 1927년경 건춘문 옆으로 옮겨진 광화문 ▼ 1990년대 초 광화문과 조선 총독부 청사
지으며 광화문을 옮기고자 한
것이 민족혼과 민족 문화를 말
살하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임
을 「헐려 짓는 광화문」이라는
고별사를 통해 폭로했다는 의미
이다. 설의식은 이 글을 통해 민
족혼이 짓밟히는 데 대한 분노를
드러내어 광화문에 대한 민족적
관심을 고취하였다.

(2) 조선의 얼, 광화문 19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1 17. 12. 11. 오후 8:06


‘설의식’의 「헐려 짓는 광화문」
갈래 신문 사설 성격 민족적, 저항적
제재 일제에 의한 광화문 훼손. 주제 일제의 광화문 훼손에 대한 울분과 저항.
•광화문을 의인화하여 친근감과 유대감을 표현함.
특징
•반복법, 열거법을 통해 시대의 암울한 상황을 강조함.

‘설의식’의 글에서 알 수 있 헐린다, 헐린다 하던 광화문은 마침내 헐리기 시작한다. 총독부 청사 까닭으로
는 광화문의 의미는 무엇일까? 총독부 청사 건립을 이유로 철거됨

예시 답안 광화문은 경복궁
헐리고 총독부 정책 덕택으로 다시 지어지리라 한다.
총독부의 정책으로 인해 이전되어 재건될 것
의 정문으로서 조선의 역사와
원래 광화문은 물건이다. 울 줄도 알고, 웃을 줄도 알며, 노할 줄도 알고, 기뻐
함께해 왔다. 또한 팔도강산의
『 』: 물건으로서의 광화문의 특성 - 철거당함에도 아무 감정을 못 느낌
석재와 목재를 가지고 조선에서
할 줄도 아는 사람이 아니다. 밟히면 꾸물거리고 죽이면 소리치는 생물이 아니
나고 자란 사람들이 힘을 모아
지었기 때문에 광화문은 조선 라, 돌과 나무로 만들어진 건물이다. 5
그 자체의 상징물이라 할 수 있
다. 따라서 광화문의 운명은 조 의식 없는 물건이요, 말 못하는 물건이라, 헐고 부수고 끌고 옮기고 하되, 반항
선 민족의 운명과 다르지 않다. 『 』: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광화문과, 슬픔과 안타까움을 느끼는 조선 백성들을 대조함
도 회피도 기뻐도 설워도 아니한다. 다만 조선의 하늘과 조선의 땅을 같이한 조
구절 풀이 광화문을 의인화
하여, 광화문을 헐기 위해 석공 선의 백성들이 그를 위하여 아까워하고 못 잊어 할 뿐이다. 오백 년 동안 풍우를
과 역군이 연장을 휘두르는 것
을 광화문의 신체를 훼손하는 같이 겪은 조선의 자손들이 그를 위하여 울어도 보고 설워도 할 뿐이다.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고통을 조선 백성들이 대신 석공의 망치가 네 가슴을 두드릴 때에도 너는 알음[知]이 없으리라마는, 뚝닥 10

느낀다고 표현함으로써, 조선의


상징물인 광화문이 일제에 의해 닥 하는 소리를 듣는 사람이 가슴 아파하며, 역군의 연장이 네 허리를 들출 때에
훼손될 때 조선 백성들이 느꼈
을 절절하고 비극적인 심정을 너는 괴로움이 없으리라마는, 우지끈하는 소리를 듣는 사람이 허리 저려 할 것을
드러내고 있다.
네가 과연 아느냐, 모르느냐.

의 역할 팔도강산의 석재와 목재와 인재의 정수를 뽑아 지은 광화문아! 돌덩이 하나 옮


조선의 재료로 조선 백성이 만듦
•원래 자리에 원래의 모양을 유지하여
야 진정으로 광화문의 정체성·생명력
기기에 억만 방울의 피가 흐르고, 기왓장 한 개 덮기에 억만 줄기의 눈물이 흘렀 15

을 지님을 역설함.
던 우리의 광화문아! 청태 끼인 돌 틈에 이 흔적이 남아 있고 풍우 맞은 기둥에
•유사한 문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조선의 역사를 함께 해 온 광화문
광화문 이전에 대한 글쓴이의 부정적
그 자취가 어렸다 하면, 너는 옛 모양 그대로 있어야 네 생명이 있으며, 너는 그
견해를 강조함.
신세 그대로 무너져야 네 일생을 마친 것이다.
■청태(靑苔) 푸른 이끼.
풍우 오백 년 동안에 충신도 드나들고 역적도 드나들며, 수구당도 드나들고 개
■수구당(守舊黨) 구한말에 최
익현을 중심으로 하여 대외 화당도 드나들던 광화문아! 평화의 사자(使者)도 지나고 살벌(殺伐)의 총검도 지 20

통상을 반대하고 통상 수교의


나며, 일로의 사절도 지나고 원청의 국빈도 지나던 우리의 광화문아! 그들을 맞
거부를 주장하던 당파.
■개화당(開化黨) 구한말에 정 고 그들을 보냄이 너의 타고난 천직이며 그 길을 인도하고 그 길을 가리킴이 너
타고난 직업이나 직분
치 제도를 혁신하고 사상과 풍
의 타고난 천명이라 하면, 너는 그 자리 그곳을 떠나지 말아야 네 생명이 있으며,
속을 개화시켜 자주 독립 국가 타고난 운명 경복궁의 정문 자리
를 세우려 하였던 당파. 그 방향 그 터전을 옮기지 말아야 네 일생을 마친 것이다.
관악산을 바라보던 방향
■일로(日露) 일본과 러시아.
너의 천명과 너의 천직은 이미 없어진 지 오래였거니와, 너의 생명과 너의 일 25
■사절(使節) 나라를 대표하여 을사조약과 한일합병으로 국가의 외교권, 주권을 박탈당한 지 오래됨
일정한 사명을 띠고 외국에 생은 지금 헐리는 순간에, 옮기는 찰나에 마지막으로 없어지려고 하는구나! 오오,
파견되는 사람.
가엾어라! 너의 마지막 운명을 우리는 알되 너는 모르니, 모르는 너는 모르고 지
■원청(元淸) 원나라와 청나라.
내려니와 아는 우리는 어떻게 지내라느냐. (후략)
■국빈(國賓) 나라에서 정식으 ▶ 설의식의 고별사에 드러난 당시 조선 민족이 느낀 울분과 한
로 초대한 외국 손님. 가운데 일제의 광화문 철거 계획과, 이로 인한 철거 반대 여론 형성 및 조선 민족의 슬픔.
콕콕 정리
언론의 보도와 여론 형성 과정

192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광화문 철거 계획에 관한 기사 보도.
광화문 이전을 앞두고 고별사 발표.
광화문 철거 반대 여론을 형성함.
조선 민족이 분노와 울분을 갖게 됨.
→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읽기 과정이 드러남.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2 17. 12. 11. 오후 8:06


콕콕 정리
광화문의 복원 과정
끝 광화문, 그 자리에 바로 서서 역사를 이어 가리
1995년 조선 총독부 건
물 철거.

1945년 8월, 우리나라는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라는 긴 암흑기를 지나 광복


2006년 광화문 복원 사
권력이나 폭력으로 남을 꼼짝 못하게 강제로 누름
업 시작.
을 맞이합니다. 하지만 조선 총독부 건물은 중앙청으로 이름만 바뀌어 정부

청사로 사용되다가 1986년에 보수 작업을 거쳐 국립 중앙 박물관으로 개관됩 2010년 광화문 복원 완료.

5 니다. ‘역사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 철거해야 한다는 주장과 그 자체가 역사이 조선 총독부 건물의 철거
대립 를 둘러싸고 의견이 대립된
니 그대로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오랜 논란을 빚은 끝에 1995년에 조선 총독 이유는 무엇인가?
예시 답안 ‘역사 바로 세우기’
부 건물이 철거되었고, 경복궁은 일부나마 다시 세워지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차원에서 경복궁의 온전한 복원
을 위해 총독부 건물을 철거해
리고 2006년에는 광화문을 제자리에 제대로 복원하는 작업이 시작되어 2010 야 한다는 주장과, 일제 강점기
경복궁의 정문 자리
를 상징하는 건물이라도 그 어
년에 비로소 복원된 광화문이 그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 광복 이후 광화문의 복원 과정
두운 과거를 있는 그대로 바라
보며 반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
10 조선 왕조 제일의 법궁인 경복궁. 그리고 그 정문인 광화문. 광화문은 단순 다는 주장이 서로 맞섰기 때문
이다.
히 문으로만 기능하는 건물이 아닙니다. 비록 격랑의 근현대사 속에서 많은
콕콕 정리
수난을 당하며 원래의 목조 건축물이 지녔던 품격은 잃어버렸지만, 여전히 광화문의 의의
『 』: 광화문의 가치 •경복궁의 얼굴이자 대한민
광화문은 경복궁의 얼굴이자 대한민국의 대표입니다. 그 자체가 우리의 역사 국의 대표인 문.
•조선 민족의 역사와 혼, 민
이자 숨결이지요. 족의 정기를 지닌 문.

15 그렇기에 일제 강점기에 설의식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입을 모았듯이, 광

화문이 헐린다는 것은 우리의 역사와 혼이 헐린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광 ■법궁(法宮) 임금이 사는 궁

화문을 새로이, 바로 세운다는 것은 21세기에도 여전히 민족의 정기를 바로 궐.


■격랑(激浪) 모질고 어려운 시
세우는 역사적인 사업임이 틀림없습니다. 광화문, 어떤 파고와 격랑 속에서 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글쓴이의 견해
도 그 숨결은 이어져야 합니다. ▶ 광화문이 지닌 역사적 가치와 의의 ■파고(波高) 어떤 관계에서의
끝 광복 이후 광화문의 복원 과정과 광화문이 지닌 역사적 가치와 의의를 설명함. 긴장의 정도를 비유적으로 이
20 - 문화재청 엮음, 『수난의 문화재 ― 이를 지켜 낸 인물 이야기』 르는 말.

깜짝 퀴즈
1. ‌일제가 광화문을 철거하기로 한 사실을 처음으로
보도한 것은 『동아일보』이다. ➡◯
2. ‌광화문 철거를 반대하는 일본인도 있었다. ➡ ◯
3. ‌「헐려 짓는 광화문」에서 ‘설의식’은 광화문에 인격
을 부여하는 ☐ ☐ ☐ 을 사용하였다. ➡ 의인법
4. ‌광화문을 원래의 자리로 복원하는 사업을 시작한
것은 ☐ ☐ ☐ ☐ 년이다. ➡ 2006

(2) 조선의 얼, 광화문 19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3 17. 12. 11. 오후 8:06


활동

이해 1 이 글에 드러난 ‘광화문’의 역사를 다음 항목에 따라 정리해 보자.

활동 안내 이 글의 내용을 흐 광화문의 탄생과 명칭의 유래


름에 따라 파악하는 활동이다.
각 항목에 따라 광화문의 역사
를 정리해 보며, 이 글의 전체적 1395년 조선 태조 때 만들어졌고, 1426년
인 내용과 주제까지 이해할 수 세종 때 집현전 학사들이‘광화문’
이라는
있도록 지도한다.
이름을 붙임.

일제 강점기에 광화문이 겪은 수난

예시 답안 일제가 새 조선 총독부 청사를


경복궁 앞뜰에 짓기로 하면서 광화문을 본래
의 자리가 아닌 다른 곳으로 옮김.

광복 후 광화문의 복원 과정

예시 답안 1995년에 조선 총독부 건물을


철거한 이후, 경복궁 복원 사업과 함께 2006
년부터 광화문을 복원하는 작업이 시작되었
고, 2010년에 이르러 복원됨.

활동 안내 이 글에서 핵심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과 설의식
이 쓴 고별사의 내용을 고려하여 광화문의 상징적 의미를 추론하고, 광화문 복원의 의의를 써 보도록 지도한다.

2 ‘광화문’을 복원하는 일의 의의가 무엇인지 써 보자.

도움말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배 예시 답안 설의식이 고별사에서 썼듯이, 광화문은 조선의 백성들과 오백 년 풍우를 함께 겪어 온 존재로, 조선
경을 고려할 때 당시 사람들 의 역사와 민족 그 자체를 상징한다. 따라서 광화문의 복원은 조선의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이며, 앞으로도 우리
민족의 역사와 혼, 정기를 지켜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 할 수 있다.
에게 광화문이 어떤 의미를
지녔을지 떠올리고, 이를 바
탕으로 광화문 복원의 의의를
생각해 본다.

194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4 17. 12. 11. 오후 8:06


목표 1
예시 답안
이 글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읽기 과정이 드러난 부분을 정리해 보자.

활동 안내 사회적 상호 작용 여러 언론의 보도 신문을 읽은 백성들의 반응


으로서의 읽기의 특성을 확인하
는 활동이다. 언론을 통해 광화
•『동아일보』, 『대한매일신보』가 광화문 철거 •일제의 광화문 철거 계획 보도를 접하고, 광화문
문에 대한 의견들이 공유되며
철거에 대한 거센 반대 여론을 일으킴.
철거 반대 여론이 형성되는 과 계획을 폭로하여 보도함.
정을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조선일보』에서 「나는 가나이다」라는 제목의 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 실린 고별사를 읽고


별사를, 『동아일보』에서 「헐려 짓는 광화문」이라 민족혼, 민족 문화가 말살되는 것에 대한 분노와
는 고별사를 실음. 울분을 느끼게 됨.

활동 안내 읽기를 통한 사회
적 소통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
2 다음 글을 참고하여 문화재의 복원 및 보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인터넷 블로그

해 보는 활동이다. 아래 글에 대
나 누리소통망(SNS) 등에 올려 보자.
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 보고,
이를 사회의 다른 구성원과 공
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경복궁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외형적으로는 건축
의 아름다움일 것이다. 그리고 내면적으로는 조선 왕조의 법궁이라는 역사적 가
작가 소개
유홍준(1949~)•미술사학과
치가 따로 있다. 왜 우리는 경복궁을 다시 복원하였는가? (중략)
교수, 미술 평론가. 1981년 왕조의 역사를 갖고 있는 나라에 왕궁이 남아 있지 않으면 말할 수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 평
론 부문에 당선된 후 미술 평 없이 큰 상실감을 일으킨다. 왕궁은 그 민족, 그 나라의 역사적・문화
론가로 활동하였다. 우리 문
화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적 정통성에 대한 확인이자 상징이다. 우리에게 경복궁은 정녕 그런
문화 유적지를 답사하여 글
로 써 냈다. 저서로 『나의 문 존재다. 이 점은 외국인들이 경복궁을 보는 시각에서도 잘 알 수 있
화유산 답사기』, 『완당 평전』
등이 있다.
다. 우리가 중국의 자금성,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전, 오스트리아의 빈
왕궁, 헝가리의 부다 왕궁 앞에서 느낀 감정과 똑같은 맥락에서 외국
인들은 경복궁을 보면서 우리 역사의 만만치 않은 저력과 현재적 삶
속에 간직하고 있는 든든한 힘
의 역사적 뿌리를 보게 된다.
현재의 우리나라가 있기까지 수많은 역사적 사건과 문화가 누적되었음의 상징
상처받은 문화유산을 복원하는 것은 후손된 자의 임
『 』: 글쓴이의 견해
무이며 그 임무를 다함으로써 우리의 과거와 미래가 밝
게 드러난다. 경복궁을 더 아름답고 원형에 가깝게 복
원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6』

예시 답안 저는 문화재를 복원하는 일을 단지 관광 자원을 만드는 것 정도로 생각해 왔습니다.


그런데 이 글을 읽고 나니 그러한 제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걸 알 수 있었어요. 훼손된 문화재를 복
원하는 일은 민족의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이자, 우리의 미래를 밝게 이끌어 가기 위한 일임을 깨
달았습니다. (2) 조선의 얼, 광화문 19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5 17. 12. 11. 오후 8:06


읽기 매체

적용 1 다음 뉴스를 읽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댓글로 적어 보자.

활동 안내 제시된 카드 뉴스
를 읽고 이에 대한 댓글을 적어
보며 매체를 통한 사회적 의사
소통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뉴
스에서 다루고 있는 사회적 문
제를 파악하여 이에 관한 자신
의 생각을 정립하는 데에 중점
을 두어 지도한다.
사라지는 한옥, 진짜 가족이라 그렇게 쉽게 불 속에 사투 는 소방관,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버릴 수 있나요? “이것만 있어도…….”
→ ‌무분별한 개발로 사라지고 있는 → ‌소화기 보급의 중요성을
한옥의 문제를 다룬 기사 알리는 내용
- 세계일보(2009. 11. 24.) - SBS뉴스(2016. 07. 22.)

1 2
“저를 버리지 마세요.”

한때는 ‘가족’이라 불리던 반려동물 수만 마리가 이


런저런 이유로 버려지고 있습니다. 2014년 한 해에만
진짜 가족이라 그렇게 쉽게 버려진 동물의 수가 8만 1,0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버려진 동물 중 22.7퍼센트는 안락사
버릴 수 있나요?
를 당한다고 합니다.

3 4
애완동물? 아니요.
반려동물입니다!

버려진 반려동물의 마음은?

헝가리 출신 단편 영화 ‘선물’. 한 가족이 소녀를 입양해 온갖 친


잼베리 조피아
감독 작품. 2015. 절을 베풉니다. 그러나 소녀가 말썽을 피우자 가족은
소녀를 버리고 떠납니다. 그런데 영화의 마지막에 이
소녀는 사실 가족이 데려와 키운 개였음이 드러납니 동물은 장난감이 아닙니다. 동물은 사람처럼 애정
다. 그리고 책임감 있게 반려동물을 키우자는 영화의 을 느끼고 살아가는 귀한 생명입니다.
주제가 제시되지요. 우리와 삶을 함께 나누는 동반자입니다.

196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6 17. 12. 11. 오후 8:06


흰둥이
저도 강아지를 정말 좋아해서 키우고 싶었어요. 하지만 밥도 잘 챙겨 줘야 하
고, 심심하지 않게 놀아 줘야 할 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검진도 받게 해 줘야 하
는 등 신경 쓸 부분이 꽤 많더라고요. 반려동물을 키우기 전에 정말 내가 그럴 만
한 능력과 여건을 갖추고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아요.
▶ 반려동물을 키우기 전, 충분한 고민과 개인의 책임 의식의 필요성 강조

동물 사랑
반려동물을 아끼고 위하는 개개인의 노력도 중요합니다만, 저는 이보다 국가
차원의 조치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독일에서는 반려동물 매매를 법으로
금지하고, 동물 보호소를 통해서만 반려동물을 데려와 키울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처럼 국가 차원에서 반려동물과 관련된 법과 규정을 만들어 시행해야 사람들이
동물을 함부로 버리지 않을 겁니다.
▶ 반려동물과 관련된 국가 차원의 법과 규정의 필요성 강조

예시 답안 예쁘고 귀엽다는 이유로 반려동물을 아무런 고민 없이 키우는 사람들이 많은데, 반려동물


은 장난감이 아니에요. 저는 이 카드 뉴스에서 소개한 단편 영화를 보고, 반려동물의 입장에서 인간이 얼
마나 미울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반려동물을 키우고자 할 때에는 인간의 입장만 고려할 것이 아
니라, 반려동물의 처지도 생각해서 끝까지 책임지려는 태도를 지녀야 할 것 같아요.
등록

활동 안내 신문 기사, 광고, 누리집 게시판, 블로그 등 다양한 매체에서 사회적 의사소통이 일어나고 있는 사
례를 직접 찾아보는 활동이다.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문제를 주제로, 어떤 다양한 의견들이 공유되었으며, 어떻
게 논의가 전개되었는지를 알아보게 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은 어떠한지도 표현해 보도록 지도한다.
2 다양한 매체에서, 여러 사람이 글을 공유하고 서로의 생각을 주고받으며 사회적으
로 상호 작용한 사례를 찾아보자.

도움말
신문 기사, 광고, 누리집 게 예시 답안 한 의사가 응급실에서 활동하면서 느낀 국내 의료 체계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자신의 누리소통망
시판, 블로그 등 다양한 매체 (SNS)을 통해 알렸다. 그의 글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얻었고, 결국 문제 개선을 이끌어 냈다. 전파 속도가 빠른
에 실린 글 중에서, 사회적 관 누리소통망(SNS)의 특성 때문에 문제 개선을 촉구하는 여론이 빨리 형성될 수 있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댓글
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공감을 표현했기 때문에, 내가 처음 그 글을 읽었을 때에는 이 문제가 중요하다고 느
심을 불러일으킨 사례를 찾아
끼지 못했지만 지금은 나와 나의 주변 사람의 건강에 관련된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본다.

참고 자료 사회적 의사소통 사례
•한 대학생이 20대의 저조한 투표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투표를 해야 하는 이유를 동영상으로 만들어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큰 호응을 얻어 낸 사례.
•생리용품을 살 돈이 없어서 깔창을 대신 사용한 저소득층 여학생의 이야기가 인터넷 뉴스를 통해 널리 알려지면서,
여러 개인과 단체가 지원에 나선 사례.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광화문의 수난과 복원의 역사를 다룬 조선의 얼, 광화문을 읽고, 사회

정리하기 문제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다른 구성원과 공유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글을 읽을 때 다


른 구성원과 소통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태도를 지니자.

(2) 조선의 얼, 광화문 19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7 17. 12. 11. 오후 8:06


총 5차시

(3)
학습 목표 •협상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협상
의 단계와 전략을 파악한다.
•의견이 다른 상대와 협상을 하며 대안을 모색한다.

역량 목표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함으로


써 상대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갈등 상황을 개선한다.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두 그림 속 사람들이 보인 태도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말해 보자.
활동 안내 협상이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임을 알려 주기 위한 활동이다. 협상은 상대를 압도하고 승리를
거둬야 하는 의사소통이 아니라, 상대와 함께 공동의 이익을 얻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협상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
와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러한 협상의 특성에 유의하여 두 그림의 차이를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위의 그림에 나오는 두 사람은 자신의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어 들고 있지만 젓가락이 너무 길어 입에 넣지 못하고 있


다. 반면에 아래 그림의 두 사람은 긴 젓가락으로 음식을 집어 서로의 입에 넣어 주며 음식을 맛있게 먹고 있다. 즉, 위의 그림 속 사
람들과 달리 서로 협력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98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8 17. 12. 11. 오후 8:06


알아
두기 1 협상의 개념과 의의
협상은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서 각자의 이익과 주장이 달라 갈등이 생길 때, 문제를 해결하
협상의 개념
기 위해 서로 타협하고 의견을 조정해 나가는 의사소통의 방법이다. 협상은 우선 양측이 서로
『 』: 협상의 절차
의 입장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서로 검토하는 단계를 거친 후, 대안을 재구성하여 합
의에 이르는 단계로 진행된다. 상호 경쟁적인 관계에서 자신의 주장을 내세워 상대를 설득하
토론 - 한쪽이 다른 한쪽의 의견보다 나음을 논리적으로 입증하여 설득해야 하기 때문
는 토론과 달리, 협상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서 양측이 서로의 입장 차이를 좁혀 나가며 합
협상 - 더 나은 해결책 도출을 위해 서로 협조하고 양보해야 하기 때문
의에 이른다. 이렇게 협상은 양보와 타협을 통해 양측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결과를 이끌어 낸
협상의 의의
다는 의의가 있다.

2 협상의 전략
협상의 참여자는 우선 자신이 협상을 통해 얻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정해
협상의 전략 ①
야 한다. 그리고 상대를 설득할 수 있는 대안을 미리 마련하고, 자신의 의견에 대한 상대의 반
협상의 전략 ② 협상의 전략 ③
박을 예상하여 이에 대응할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협상은 양측이 서로 만족할 만한 결
협상의 목적
과를 얻는 것이 목적이므로,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기보다는 상대에게 일정 부분 양보하면서
협상의 전략 ④
합의를 유도해야 한다.

참고 자료
토의, 토론, 협상의 차이점

토의 토론 협상
관계 상호 협조적. 상호 경쟁적. 상호 의존적.
목적 정보 교환과 협의. 주장과 설득. 갈등 조정과 합의.
평가 준거 해결 방안 모색. 논증과 태도 변화. 상호 이해 득실.

협상에
?! 어떤 자세로
임해야 할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협상을 통해 문제 해결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고, 직접 주제를 선정하
여 실제로 협상을 해 볼 것이다. 협상에 임하는 자세는 어떠해야 할지 생각하며, 이 단원
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협상에 임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
•서로 얻고자 하는 것이 다른 상대와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를 나누어야 합의에 이를 수 있을까?
•일상생활에서 협상이 필요한 사례에는 무엇이 있을까?

(3)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19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199 17. 12. 11. 오후 8:06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각 협상 참여자의 태도와 전략   •협상의 단계와 협상의 전략

상우네 사진 동아리 이 글은 구청 강당을 빌리는 문제를 두고 고등학생과 구 공무원이 협상을 벌인 담화이다. 입장이
의 전시회를 열 공간으 다른 두 참여자가 타협과 조정을 통해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협상의 단계에 따라 파악해 보자.
시작 로 구청 강당을 빌릴 수
단계 있는지의 문제를 두고,
‘상우’와 ‘구 공무원’이
서로 입장 차이를 보임. 제목 풀이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라는 제목은 이 협상의 목적을 ‘상우’의 입장에서 나타낸 것이다. 이 협상은 ‘상
우’가 전시회 공간을 빌리고자 ‘구 공무원’과 의견을 조정하며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담고 있다.
사진 전시회의 공공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성, 구청 강당의 대여
조정 일정 문제와 관련하여
단계 양측이 서로 의견을 조
율해 가면서 입장 차이
소단원 정리 PPT
를 좁힘.
양측은 상우네 동아
해결 리가 사진 전시회를 구
단계 청 강당에서 3일간 진 제재 개관
행하는 것에 합의함. 갈래 협상 성격 설득적, 논리적
제재 구청 강당의 대여 여부.
주제 사진 전시회를 열 공간으로 구청 강당을 빌리는 문제에 관한 협상.
•협상의 진행 단계가 잘 드러남.
특징
•협상 참여자들의 문제 해결 전략이 나타남.

협상을 시작하기 전에는 나라 고등학교의 상우는 교내 사진 동아리의 운영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아름다운 웃


•협상을 통해 얻고자 하는
음’이라는 주제로 전시회를 열기로 한 상우네 동아리는 전시회 장소를 찾던 중, ◯◯ 구청 5
바를 분명하게 정한다.
•상대측을 설득할 수 있는 에서 강당을 무료로 빌려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상우는 강당을 빌리기 위해 직접 ◯◯
대안을 미리 마련해 둔다. 구청을 찾아가 ◯◯구 공무원과 이야기해 보기로 한다. 콕콕 정리
협상 참여자와 안건

상우 구 공무원

안건
시작 단계에서는
시작 단계
구청 강당 대여
•우리 측과 상대측의 입장
을 확인한다. 상우 안녕하세요. 저는 나라 고등학교 일 학년 박상우입니다. 제가 학교에
『 』: ‘상우’가 ‘구 공무원’에게 자신의 요구 사항을 구체적으로 밝힘
•입장 차이의 원인을 분석
서 사진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데, 이번에 ‘아름다운 웃음’이라는 주 10
하고, 문제 해결의 가능성
을 확인한다. 제로 사진 전시회를 열려고 합니다. 전시회를 할 장소로 구청 강당을
협상의 안건 - 구청 강당 대여
빌리고 싶어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구 공무원 학생 동아리라면 학교에서도 전시회를 열 수 있을 텐데 굳이 구청


『 』: 협상의 안건을 더 명확하게 하려는 질문
강당을 전시회 장소로 써야 할 이유가 있나요?

‘상우’가 전시회 장소로 구 상우 이번 전시회는 우리 학교 학생뿐 아니라, 지역 주민도 함께 참여하는 15

청 강당을 빌리려고 하는 이 학교 대신 구청 강당을 대여해야 하는 이유

유는 무엇인가? 행사로 기획했거든요. 그래서 전시회 장소로 학교보다는 구청 강당이


예시 답안 전시회가 학교의
학생뿐 아니라 지역 주민도 함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께 참여하는 행사로 기획된 것
이기 때문이다. 구 공무원 우리 구에서는 지역 주민을 위해 강당을 토론회나 교육 행사, 주민

모임 등의 주민 공동체 활동 장소로 빌려드립니다. 하지만 특정 단체


강당 대여의 조건

200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0 17. 12. 11. 오후 8:06


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행사나 상업적인 행사에는 강당을 빌려드리
구절 풀이 ‘구 공무원’은 구청
강당을 빌려주기 위해서는 전시
지 않습니다. 구청이 가진 공공시설로서의 성격에 맞지 않고 민원의
회가 공공성을 띠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소지가 있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먼저 그 사진 전시회가 어떤 성격인
있다. 구청의 입장에서 협상의
기본 원칙을 제시한 것이다.
지 알아야 강당을 빌려드릴 수 있습니다. ▶ 협상의 안건과 서로의 입장 차이 확인
상우네 사진 동아리의 전시회를 열 공간으로 구청 강당을 빌릴 수 있는지의 문제를 두고, ‘상우’와 ‘구
시작 단계
공무원’이 서로 입장 차이를 보임.

5 조정 단계 조정 단계에서는
•상대의 처지와 관점을 파
상우 이번 전시회에서는 고등학생인 저희가 친구들의 웃는 모습을 주제로 악한다.
•양측은 서로의 제안을 검토
직접 찍은 사진을 전시할 거예요. 학업 때문에 힘들고 지친 고등학생 하여 입장 차이를 좁힌다.
전시회의 공공성을 뒷받침하는 근거 ①
•양보할 수 있는 지점을 찾
들에게 힘을 주자는 의미도 있지요.
아 합의를 유도한다.

구 공무원 학업에 지친 고등학생들을 위로하고 그들에게 힘을 주자는 내용만 콕콕 정리


전시회의 공공성을 뒷받침하
10 으로는 전시회의 공공성이 좀 약합니다. 공공성 측면에서 좀 더 내세 는 근거
•학업에 지친 고등학생들에
울 것이 있다면 우리 구의 사업으로 소개할 수도 있을 텐데요. 게 힘을 주고자 하는 목적
을 지님.
•사진 동아리 누리집을 통한
상우 네, 있습니다. 학생들이 친구들의 웃는 모습을 찍은 사진을 학교 사진
모금으로 어린이 재단을 후
원하고자 함.
동아리 누리집에 올리면 한 장당 일정 금액이 모금됩니다. 그렇게 모
■공공성(公共性) 한 개인이나
금된 돈은 △△ 어린이 재단을 후원하는 데 사용할 거예요. 이 정도면 단체가 아닌 일반 사회 구성
전시회의 공공성을 뒷받침하는 근거 ② 원 전체에 두루 관련되는 성
15 전시회의 공공성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질.
■재단(財團) 일정한 목적을 위
구 공무원 동아리 누리집에 사진을 올리면 후원금이 모금되고 그것으로 △△ 하여 결합된 재산의 집합. 여
『 』: ‘구 공무원’이 상우네 전시회의 공공성을 확인함
어린이 재단을 후원한다니 참 좋은 생각이네요. 그렇게 하면 사진 전 기에서는 공공사업 및 사회적
목적을 위하여 결합된 재산의
시회를 우리 구의 사업으로 소개할 수 있겠습니다. 집합을 말한다.
▶ 전시회의 공공성과 관련하여 합의함
참고 자료 협상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태도
•협상 목표를 타협 가능한 것으로 설정하고 여러 대안을 마련한다.
•상대방의 제안을 정확하게 평가하며 상대방의 입장과 처지를 이해하고 존중한다. (3)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201
•협상 참여자 간에 서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생각한다.
•협상의 결과를 수용하고 책임진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1 17. 12. 11. 오후 8:06


상우 네, 정말 잘 되었네요. 다음 주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4일 동안 전시
‘상우’의 제안
회를 열 예정인데 그때 강당을 빌릴 수 있나요?

‘구 공무원’이 ‘상우’의 제안 구 공무원 아, 그건 곤란합니다. 다음 주에는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강연


을 거절한 이유는 무엇인가? ‘상우’의 제안을 거절한 이유 ① - 다른 행사가 있음

예시 답안 첫째, 다음 주에는
회가 열릴 예정이라 강당을 빌려드릴 수 없습니다. 그리고 주중에는
강당에서 강연회가 열릴 예정이
기 때문이다. 저녁 10시까지, 주말에는 토요일 저녁 6시까지만 강당을 사용할 수 있 5
『 』: ‘상우’의 제안을 거절한 이유 ② - 강당 대여 규칙이 있음
둘째, 일요일에는 강당을 운
영하지 않고, 한 개인 및 단체당 고, 일요일에는 강당을 운영하지 않아요. 또한 우리 구에서는 다른 주
최대 2일까지만 강당을 빌려준
다는 구청의 규정이 있기 때문 민 및 단체와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한 개인 및 단체당 최대 2일까지만
이다.
강당을 빌려주고 있습니다.

상우 그렇군요. 저희는 학교 수업을 마치고 전시회를 진행해야 해서, 평일

에는 저녁 6시 이후부터 3시간씩 강당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전시를 10

하기에 2일은 기간이 너무 짧습니다.

구절 풀이 ‘구 공무원’은 강당 구 공무원 음, 그렇다면 다음다음 주에 전시회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그때


을 빌려주는 구체적인 기간과
사용 시간을 정하는 과정에서 는 강당을 사용하는 행사가 없고, 아직 다른 단체에서 강당을 빌려 달
‘상우’의 입장과 처지를 고려하
여 일정 부분 양보하고 있다. 라고 신청하지 않았거든요. 학생들이 강당을 빌려 쓰는 시간이 짧기도

하니, 이를 고려해서 3일간 강당을 쓸 수 있게 해 드리겠습니다. 15

상우 전시회 날짜를 바꾸는 것은 괜찮습니다만, 전시회 기간이 4일에서 3일


‘구 공무원’의 제안을 받아들임
로 줄면 관람객이 적어질 수 있어서 저희에게는 아쉬운 일입니다. 그
예시 답안 구청의 제안대로 래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있는데요. 이번 전시회를 지역 주민에게
전시회 기간을 줄이면 관람객도 ① ‘구 공무원’의 제안을 수락했을 때 발생할 불이익 최소화
줄어들 수 있다. ‘상우’는 이 점 홍보해 주실 수 있나요? ② 구청이 전시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
을 보완하고자, 주민들에게 전
시회를 널리 홍보할 여건과 능
력을 지닌 구청에서 전시회 홍 구 공무원 전시회를 홍보해 달라고요? 20

보를 해 줄 것을 부탁한 것이다.
‘상우’가 ‘구 공무원’에게 전 상우 네. 전시회를 여는 3일 동안 최대한 많은 관람객을 모으고 싶은데, 학
시회 홍보를 부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생들인 저희로서는 지역 주민에게 전시회를 널리 알리는 데 한계가 있

어서요.

구 공무원 저희도 업무로 바쁘기는 하지만, 전시회의 성격이 좋고 공공성도


『 』: ‘상우’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함
충분하니까 홍보할 방안을 찾아보겠습니다. 다음 주에 지역 주민을 대 25
■형평성(衡平性) 균형이 맞는
상태를 이루는 성질. 상으로 한 강연회가 있으니 그 시간을 활용하는 것도 좋겠네요.

202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2 17. 12. 11. 오후 8:06


: 합의 내용
상우 고맙습니다. 그럼 구청 일정에 맞추어 다음다음 주 목요일부터 토요일

까지 3일 동안 강당을 빌리겠습니다. ▶ 구청 강당의 대여 일정에 합의함


사진 전시회의 공공성, 구청 강당의 대여 일정 문제와 관련하여 양측이 서로 의견을 조율해 가면서 입
조정 단계
장 차이를 좁힘.

해결 단계 해결 단계에서는
최선의 해결책을 제시하
구 공무원 제안하신 전시회는 우리 구가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 행사를 지원 여 합의에 이른다.
『 』: 협상을 통해 구청이 얻게 될 이익
5 하고, 후원 사업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을 홍보할 기회이므

로 저희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 구체적인 일정과 진행 방식을 전시회를 엶으로써 구에서
얻는 이익은 무엇인가?
더 논의해 봅시다. 예시 답안 구에서는 전시회
를 통해 구가 지역 주민을 위한
상우 저도 동아리 사진 전시회를 열 공간이 마련되어 기쁩니다. 구에서 홍 문화 행사를 지원하고, 후원 사
『 』: 협상을 통해 상우네 동아리가 얻게 될 이익 업에도 관심을 두고 있음을 홍
보를 도와주신다면 성공적인 전시회가 될 수 있겠네요. 다음에 구체적 보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10 인 논의를 위해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 협상의 목적 달성


해결 단계 양측은 상우네 동아리가 사진 전시회를 구청 강당에서 3일간 진행하는 것에 합의함.

콕콕 정리 깜짝 퀴즈
협상을 통해 양측이 얻은 이익 1. ‘구
‌ 공무원’은 상우네 동아리가 구청 강당을 빌리기 위해서
는 사진 전시회가 ☐ ☐ ☐ 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구청 강당을 빌려 사진 전시회
상우  ➡ 공공성
를 열 수 있게 됨.
2. 협상의
‌ 조정 단계에서는 우리 측의 입장을 밝히고 상대측
구가 주민을 위한 행사를 지원 의 입장을 확인해야 한다. ➡×
구 하고, 후원 사업에 관심을 두고 3. ‘상우’와
‌ ‘구 공무원’은 협상의 과정에서 양보와 타협을 하
있음을 홍보할 기회를 얻음. 였고, 이로 인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협상의 목
적을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

(3)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20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3 17. 12. 11. 오후 8:07


활동

이해 1 협상의 단계에 따라 이 협상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시작 단계
도움말
협상의 각 단계에서 두 참 상우 구 공무원
여자가 내세운 입장을 파악하
고, 서로 어떤 지점에서 양보 사진 동아리의 전시회를 열 장소로 구청 강당 공공성을 띠지 않은 행사에는 구청 강당을 빌
하고 타협하며 합의에 이르는 을 빌리고자 함. 려주지 않음.
지 살펴본다.
활동 안내 협상의 세 단계에
따라 두 참여자가 어떻게 의견
을 조정해 갔는지 정리해 보는 조정 단계
활동이다. 협상의 단계에 따른
참여자들의 전략이 어떻게 드러 상우 구 공무원
나는지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 예시 답안 전시회가 고등학생들에게 힘을 주기 •행사 일정과 운영 시간 규정을 이유로‘상우’

위한 행사인 것과, 어린이 재단을 후원하려는 계
획이 있음을 밝혀 공공성을 강조하고 4일간 강당 제안을 거절했으나, 이용 시간이 짧은 점을 고
을 빌려줄 것을 제안함.
려하여 강당을 3일간 빌려주기로 양보함.
• 예시 답안 전시회 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관람 • 예시 답안 전시회를 지역 주민 강연회 등에서
객 확보를 위해 구청 측에 전시회 홍보를 요청함. 홍보할 방안을 찾기로 함.

해결 단계

상우 구 공무원

예시 답안 상우네 동아리가 사진 전시회를 열기 위해 구청 강당을 3일간 빌리는 것에 합의함.

목표 1 학교생활이나 사회생활 등 우리 주변에서 협상이 필요한 상황을 떠올려 보자.

활동 안내 협상이 필요한 상
황이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일어
•학교 동아리방 사용 문제로 두 동아리 사이에 갈등이 발생한 상황.
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환기하는
활동이다. 학생들의 생활 주변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을 두고 마을 거주민과 시 공무원이 대립하는 상황.
에서부터 기업체나 국가 간 관
계까지 다양한 협상 상황을 찾 • 예시 답안 임금 인상률 조정을 두고 사업자와 고용자 사이의 의견이 서로 다른 상황.

아보도록 지도한다.

204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4 17. 12. 11. 오후 8:07


2 협상 상황을 선정하여, 협상의 단계에 따라 말할 내용을 정리해 보자. 모둠
예시 답안
도움말 시작 단계 모둠에서 선정한 협상 상황
: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을 두고 마을 거주민과 시 공무원이 대립하는 상황.
모둠별로 입장을 정하고 서
로 입장이 다른 양측으로 나
(1)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우리 측과 상대측의 기본 입장을 알아보자.
누어 협상할 내용을 정리해
본다. •학교에서 가장 넓은 동아리방을 두 동아리가 서로 사용하려고 한다.
활동 안내 본문에서 학습한 갈등의 원인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로 학생들 • 예시 답안 마을 거주민은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을 반대하나, 시에서는 이를 추진하려고
한다.
이 협상을 해 보는 활동이다. 활
동에 제시된 사례 또는 학생들
이 선정한 협상 상황을 놓고, 협 •우리 측(춤 동아리)은 학교 동아리방을 사용하려고 한다. 전면 거울이 있어서 계속 춤
상 참여자가 되어 직접 협상을
동작을 보고 고쳐야 하는 우리 동아리에 매우 적합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수행해 보도록 지도한다. 우리 측의
기본 입장 • 예시 답안 우리 측(마을 거주민)은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을 반대한다. 마을에 외부인이
찾아오면 마을이 지저분해지고 밤낮없이 시끄러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측(요가 동아리)은 학교 동아리방을 사용하려고 한다. 공간이 넓어서 요가 깔개를


여유 있게 깔 수 있고, 전면 거울을 보며 요가 동작을 다듬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대측의
기본 입장 • 예시 답안 상대측(시 공무원)은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을 적극 추진하려고 한다. 이 사업
이 마을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낙후된 마을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
다.

참고 자료 (2) 다음 질문에 답하며 협상을 통해 갈등을 해결할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자.


협상의 성립 조건
•참여자들이 경쟁적인 협력자
의 관계여야 한다.
우리 측과 상대측의 이익이 상호 의존적인가?
•협상을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갈등 상황이 있어야 한다. •학교에서는 두 동아리 간의 합의를 우선시한다. 따라서 두 동아리 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두
•참여자들은 공동의 목표를 추
구하며, 합의 결과를 이행할 동아리 모두 동아리방을 사용할 수 없다. 즉 양측은 상호 합의가 필요하다.
의무를 지녀야 한다.
• 예시 답안 마을 거주민과 시 공무원은 마을의 발전과 번영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추구하고 있으므로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다.

타협과 조정이 가능한 부분이 있는가?


•동아리마다 선호하는 연습 방식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두 동아리가 의견을 조정하고 타협하면 동아리
방 사용 시간을 나누어 볼 수 있다.
• 예시 답안 마을의 발전을 위해 사업이 정말 필요한지,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으로 발생할 문제점을 줄일 방
안이 있는지 등을 양측이 논의해 볼 여지가 있다.

(3)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20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5 17. 12. 11. 오후 8:07


조정 단계

(3) 양측의 처지와 관점을 파악해 보자.

•춤 동작은 연결되어 있어서 한 번에 긴 시간을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 측의
처지와 관점 • 예시 답안 마을의 발전을 바라지만 벽화 사업 때문에 생활이 불편해지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

•요가는 심신을 수련하는 활동이므로 매일매일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대측의
처지와 관점 • 예시 답안 마을 벽화 사업으로 마을이 발전하고, 낙후된 환경이 개선되기를 바란다.

(4) 양측이 서로의 요구를 검토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 보자.

•두 동아리의 연습 방식을 고려하여 주말에는 춤 동아리가 동아리방을 사용하고, 평일


우리 측의 일과 후에는 요가 동아리가 동아리방을 사용하면 좋겠다.
제안 • 예시 답안 시에서 마을 벽화 사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사생활 침해, 소음 및 쓰
레기 발생 등)을 해결할 대책과, 마을 주민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제시해 주면 좋겠다.

•두 동아리가 평일과 주말로 나누어 동아리방을 사용하되, 학교 일과 중에 짜여 있는 특


상대측의 별 활동 시간에는 두 동아리가 격주로 동아리방을 사용하면 좋겠다.
제안 • 예시 답안 거주민 사생활 보호를 위해 안내 표지판을 설치하고, 공중 화장실과 쓰레기
장 등을 설치하겠다. 또한 거주민이 관광객을 상대로 한 상점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
겠다.

해결 단계

(5) 양측의 제안 중에서 서로 수용할 수 있는 사항을 찾아 합의점을 도출해 보자.

•주말에는 춤 동아리가, 평일 일과 후에는 요가 동아리가 동아리방을 사용한다.


양측이
합의한 점 • 예시 답안 시에서 제시한 대책과 지원을 이행하는 조건으로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을
진행한다.

활동 안내 협상 과정과 태도
를 점검하기 위한 영상을 촬영
3 2에서 정리한 내용에 따라 모둠별로 협상을 수행하고, 그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해
보자. 모둠
하는 활동이다. 앞에서 정리한
협상의 내용에 따라 역할을 분 예시 답안 생략.
담하여 협상에 진지하게 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06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6 17. 12. 11. 오후 8:07


듣기·
말하기 쓰기

적용 1 협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협상에서 합의한 내용을 합의문으로 작성해 보자.


도움말
협상 합의문을 작성할 때에
는 우리 측과 상대측이 대립
합의문
한 지점을 명확히 밝히고, 협 예시 답안
상에서 합의한 내용을 구체적 요가 동아리와 춤 동아리는 학교에서 가장 넓은 동아리방을 사용하는 문제로 대립하여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을 거쳤다. 협상의 결과, 두 동아리는 다음 내용에 합의하고 충실히 이행할 것을 약속한다.
으로 서술한다.
◯◯고등학교 내 가장 넓은 동아리방을 주말에는 춤 동아리가 사용하고, 평일 일과 후에는 요가 동아리가
활동 안내 협상에서 합의한 사용한다.
내용을 문서로 작성하고, 촬영 2018년 ◯월 ◯일
한 영상을 보면서 협상 과정과
△△ 마을의 거주민과 시 공무원은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을 추진하는 문제로 대립하여 의견을 조율하는
태도를 평가해 보는 활동이다.
과정을 거쳤다. 협상의 결과, 양측은 다음 내용에 합의하고 충실히 이행할 것을 약속한다.
합의문을 작성할 때에는 합의
1. 마을 거주민은 마을 벽화 그리기 사업을 진행하는 것에 적극 협조한다.
사항을 명시적으로 서술하도록
2. 시에서는
‌ 거주민 사생활 보호를 위한 안내 표지판을 설치하고, 공중 화장실 및 쓰레기장을 설치
하고, 협상 과정을 평가할 때에
한다. 그리고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상점 운영의 우선권을 거주민에게 준다.
는 제시된 기준에 의거하여 의
2018년 ◯월 ◯일
사소통의 전체적인 과정을 두루
점검해 보도록 지도한다.

자료실 (2) 촬영한 협상 동영상을 보면서 협상 과정과 태도를 평가해 보자.


예시 답안
준언어적, 비언어적 표현
준언어적 표현은 어조, 장 평가 기준 평가 점수
단, 강약 등의 표현 방식을,
비언어적 표현은 몸짓, 표정, 우리 측의 요구 사항을 상대측에게 정확하게 전달하였는가?
눈빛 등의 표현 방식을 말한
다. 이러한 표현은 말하고자 상대측의 의견을 경청하고 그들의 처지와 요구 사항을 바르게
하는 바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하였는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서로의 제안을 조정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되도록 서로 양보하고 타협하였는가?

대화 내용에 어울리는 언어적, 준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적


절하게 사용하였는가?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라는 협상 담화를 읽은 후, 직접 협상을 해 보면

정리하기 서 서로 입장이 다른 개인이나 집단이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일상생활 속


에서도 협상을 통해 상대와 서로 양보하고 협의하며 문제를 해결해 보자.

(3)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20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7 17. 12. 11. 오후 8:07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소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떠올리며 어휘와 그 어휘가 사용되기에 적합한 문장을 선으로 연결해
보는 활동이다.

●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어휘를 찾아 선으로 연결해 보자.

매번 지각을 하여 회의
그 외교 문제는 양국의 이 전시회는 여러 방송
시작 시간을 늦추는 그
의견을 조율 하여 해 국의 후원 으로 열리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결해야 한다. 게 되었다.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조율 눈엣가시 후원

문제를 어떤 대상에 알 몹시 밉거나 싫어 늘 눈 뒤에서 도와줌.


맞거나 마땅하도록 조절함 에 거슬리는 사람.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그의 가족은 일제 강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 요새 날씨가 변화무쌍


기와 육이오 전쟁이라는 자 그는 무의식적 으로 몸 해서 해가 비친다 싶으면
격랑 을 함께 헤쳐 나 을 움직여서 사람들을 구 곧 하늘이 흐려지고 바람
갔다. 해 냈다. 이 분다.

변화무쌍 무의식적 격랑

변하는 정도가 비할 데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모질고 어려운 시련을


없이 심함. 일어나는. 또는 그런 것.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08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8 17. 12. 11. 오후 8:07


정리하기

고릴라를 못 본 이유

•‘고릴라를 못 본 이유’라는 글 제 목 의 의미를 추측함.


읽기 전
•글 전체를 훑어보며 내용을 예측해 봄.

•글을 읽으며 질문을 만들고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그음.


읽기 중
•문단 간의 관계 및 시각 자료의 역할, 글쓴이의 생각 등을 파악함.

•글을 읽으며 표시해 둔 부분을 찾아 중심 내용을 정리함.


읽기 후
•글에 관해 다른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눔.

조선의 얼, 광화문

일제가 조선 총독 『동아일보』, 『대한 광화문의 철거 일제가 광화문을


부의 새 청사를 짓 매일신보』 등 여러 를 반대하는 거센 철거하는 대신에 이
는 과정에서 광화문 언론에서 광화문 철 여 론 이 형성됨. 전하기로 결정함.
을 철거하려고 함. 거 관련 소식을 보
도함.

전시회 공간을 빌려라

시작 단계 조 정 단계 해결 단계

‘상우’와 ‘구 공무원’이 사진 사진 전시회의 공공성, 전시 양측은 사진 전시회를 열기


전시회를 열기 위해 구청 강 회 일정 문제와 관련하여, 양 위해 상우네 동아리가 구청
당을 빌리는 문제로 서로 입 측은 서로 타협하고 양보하여 강당을 3일간 빌리는 것에 합
장 차이를 보임. 입장 차이를 좁힘. 의함.

이 단원을 마치며
3 읽기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글을 찾아 읽을 수 있다.
3 읽기 목적에 따른 읽기 방법을 선택하고 이를 점검・조정하며 글을 읽을 수 있다.
3 읽기가 다른 구성원들과 상호 작용하며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임을 알고 글을 읽을 수 있다.
3 의견이 다른 상대와 협상을 통해 의견을 조율하고 대안을 모색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20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09 17. 12. 11. 오후 8:07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사회적 의사소통이 글 읽기뿐만 아니라 설치 미술과 같은 예술 분야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는 활
동이다. 제시된 미술 영역뿐 아니라 음악, 무용 등 예술의 다른 분야에서도 사회적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찾아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예술, 사회에 말을 걸다

우리는 글을 읽음으로써 다른 구성원과 사회적 의사소통을 하며 살아간다. 그런


데 이러한 사회적 의사소통은 글 읽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도 이루어
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공공 미술, 설치 미술이라는 현대 미술의 한
미술 작품을 주위 공간과 융합하게 설치하는
분야이다. 것. 또는 그렇게 완성된 미술

‘고무 오리[러버 덕(Rubber Duck)]’는 네덜란드의 설치 미술가인 플로렌테인 호프만


(Florentijn Hofman)이 제작한 대형 조형물이다. 플로렌테인 호프만은 2001년, 한 박물관에
여러 가지 제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형태나 형상으로 만든 물체
서 옛 도시를 그린 풍경화를 보던 중 ‘도시를 배경으로 현대적인 물건을 배치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떠올렸다고 한다. 그는 도시에 배치할 물건으로 한 장난감 회사의 고무 오리 인형을 선
택하고, 그 후 수년에 걸쳐 이 장난감을 커다랗게 만들어 ‘고무 오리’를 제작하였다. ‘고무 오리’
는 2007년 프랑스를 시작으로 홍콩, 대만, 런던 등 전 세계 각지를 돌아다니며 전시되었고,
2014년에는 우리나라에서도 한 달간 전시되었다.

210 5. 책 속의 지혜, 말 속의 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10 17. 12. 11. 오후 8:07


“고무 오리는 국경도 없고 정치적 의도도 없다.”

“고무 오리를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의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

“고무 오리는 사람과 사람을 이어 주는 연결 고리이다.”

“고무 오리를 보러 와서 서로 만나고 함께 행복해지기를 바란다.”

- 플로렌테인 호프만

읽기를 통해서만 사회의 다른 구성원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현대의 설치 미술 작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


지 더 찾아보고, 예술 작품을 통해 사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사회적 소통 방법을 이해해 보자. 그리고 이것이 읽기를 통
한 사회적 의사소통과 어떤 점에서 비슷하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해 보자.

국어와 통하다 21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11 17. 12. 11. 오후 8:07


독서 공책 3
독서 토론하기 독서 공책 활동지 독서 공책 ❶ 독서 일지 쓰기

독서 공책 ❷ 모둠 대화하기

독서 공책 ❸ 독서 토론하기
독서 공책 ❹ 서평 쓰기
활동 안내 책의 내용과 관련하여 논제를 선정하고, 토론을 위한 토론 개요서를 작성하며,
직접 토론을 수행해 보는 독서 토론 활동이다. 제시된 피라미드 토론을 비롯해 다양한 토론의 독서 공책 ❺ 나만의 책 만들기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능한 한 많은 학생들이 발언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책을 읽고 토론 주제 정하기

책을 읽으면서 궁금한 부분들을 적어 보고 토론거리를 생각해 본다. 독서 토론 논제의 예


김훈, 『남한산성』
죽어서 영광스러울 것인가, 치욕
생각한 질문 중에서 토론 주제(논제)를 정하되, 상반된 두 입장이 균형 스럽더라도 살아남을 것인가.
있게 대립할 수 있어야 한다.
고도원, 『위대한 시작』
안정된 직업과 하고 싶은 직업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필요한 자료를 찾아 개요서를 작성하고 토론을 준비한다.
미하엘 엔데, 『모모』
미래를 위해 현실을 인내할 것인
가, 현재를 즐기며 살 것인가.
다양한 방법으로 토론을 해 본다.

피라미드 토론하기

모든 학생이 생각 쪽지 두 장을 준비하고, 생각 쪽지 한 장당 논제에 대한 답변 하나씩을 적어 둔다.

•1단계(1:1) 학생 2명이 짝을 이루어 정해진 시간 동안 각각 만든 2개의 생각 쪽지를 서로에게 설명한 뒤


대표 쪽지 2개를 고른다.

•2단계(2:2) 학생 2명이 이룬 짝들이 둘씩 만나 4명이 한 모둠을 이룬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 동안 각각의


짝들이 고른 2개의 생각 쪽지를 서로에게 설명한 뒤 대표 쪽지 2개를 고른다.

•3단계(4:4) 학생 4명이 이룬 모둠들이 둘씩 만나 8명이 한 모둠을 이룬다. 그리고 정해진 시간 동안 각각의


모둠이 고른 2개의 생각 쪽지를 서로에게 설명한 뒤 대표 쪽지 2개를 고른다.

분단별로 남은 2개의 최종 대표 쪽지를 칠판에 붙이고 쪽지를 만든 학생들이 발표한다.

212 독서 공책 ❸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12 17. 12. 11. 오후 8:08


학급 전체 토론하기

반 전체 학생들이 논제에 찬성하는 측과 자유롭게 토론하면서 토론 중간에 3분 동


반대하는 측으로 나누어 마주 보고 앉는다. 안 휴식하고 입장이 바뀌면 자리를 옮긴다.

찬반 토론을 하기 위한 개요서 쓰기
예시 답안

토론 개요서 ◯ ◯ 중학교 학교 반: 2 번호: 12 이름: 김민아

어니스트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논제 - 노인이 먼 바다로 나간 것은 위대한 도전인가, 무모한 싸움인가

주장 노인이 먼 바다로 나간 것은 무모한 싸움이다.

그는 자신의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해 먼 바다로 모험을 떠났고, 온갖 위험 속에서 커다란 청새치를 잡


았지만 돌아오는 길에 상어들이 그 청새치를 다 먹어 버린다. 자신이 애써 잡은 청새치를 모두 상어한테
근거 빼앗겼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그가 패배했음을 의미한다. 그의 노력은 무의미했으며 자신의 목숨만을 위
태롭게 한 어리석은 행위이다.

•예상되는 반론: 아니다. 비록 그가 물고기를 잡아서 돌아오지는 못했지만 청새치를 잡았다는 사실은 변함없다. 상어 떼의 습격을 받고
       
비록 패배했지만 자신이 세운 목표, 즉 큰 물고기를 낚았다는 점에서 그는 정신적으로 전혀 패배하지 않았고 오히려 승리를 거두었다고
보아야 한다. 결과가 좋지 않다고 해서 결과에 이르는 과정까지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나의 재반론: 청새치를 잡은 노력까지는 인정하더라도, 상어와의 싸움은 무의미했다. 그는 이미 상어와의 싸움에서 패배할 것을 알고
      
있었다. 패배가 기정사실인 싸움에 목숨을 건다는 것은 자신에 대한 통제를 상실한 행위이다. 그것은 의지의 투쟁이라기보다는 패배자의
몸부림에 가깝다. 처음부터 그는 일부러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먼 바다로 나간 것이다.

과정을 중시하는 가치관과 결과를 중시하는 가치관의 토론이 되었던 것 같다. 노인의 행동을 마음대
평가 로 판단하지 않고, 책의 내용에 기초하여 각자의 가치관대로 해석한 점이 좋았다. 책 내용뿐만이 아니
라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들을 다양하게 준비했다면 설득력이 더 높아졌을 것 같다.

독서 토론하기 21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5(172~213)ok.indd 213 17. 12. 11. 오후 8:09


대단원 표지 그림
•유명한 영화의 한 장면을 살펴보면서 학생들이 자신이 보았던 영
화를 떠올려 볼 수 있다.
•영상이나 글을 통해 우리들이 살고 있는 사회와 그 구성원들의
삶을 그려낼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14 17. 12. 11. 오후 8:11


쓰기
문법
읽기

듣기
문학
말하기
통합 쓰기 영역 + 문학 영역

대단원 설정 이유
이 단원에서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는 문학 작품을 감상하

6
총 14차시 고, 설득하는 글을 쓰는 활동을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소통하
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과정을 경험해 본다. 그
결과 타인을 이해하게 되고 나아가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표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설득하는 글을 쓴 뒤 자신의 쓰기 과정을 점검·
조정해 보면서 글을 통한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학생들이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면서 문학 활동의 주체가 되는 힘을 기르고, 설득하는
글을 쓰면서 사회적인 소통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함께 만드는
세상
두근두근 내 인생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15 17. 12. 11. 오후 8:11


대단원 성취기준
[문학 04]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 길잡이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쓰기 02] 주제, 독자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타당한 근거를 들
어 설득하는 글을 쓴다.
[쓰기 04]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쓰기 과정을 점검·조정하며 글
을 고쳐 쓴다.

학습 목표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 주제와 독자를 분석하고 자신의 쓰기 과정을 점검


하면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타당한 근거를 수집하여 설 하고 조정하며 능동적으로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득하는 글을 쓴다. 글을 고쳐 쓴다.

문학 쓰기 쓰기

우리는 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개인의 삶 못지않게 사회


의 현재와 미래를 생각하며 살아간다.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다
양한 사회의 모습을 체험하고 이를 상상 속에서 자신이 살고 있
는 사회와 연결시킨다. 또한 설득하는 글을 쓰면서 사회적 문제
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기도 한다.
6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직접 써 보면서 다양한 사
회・문화적 가치를 이해하는 활동과,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설득
하는 글을 쓰고 고쳐 쓰는 활동을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자신만의 관점을 확립하고,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힘을 길러 보자.

216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16 17. 12. 11. 오후 8:12


학습 과정

(1) •시나리오를 감상하며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하기.


두근두근 •개인적 경험에 사회·문화적 가치를 부여하여 자신의 관점이 드러난 문학
내 인생 작품을 생산하기.

(2)
•주제, 독자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타당한 근거를 들어 설득하는 글을 쓰기.
마음을 •주제, 목적, 독자, 매체를 고려하여 쓰기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하며 능동적
움직이는
으로 글을 고쳐 쓰기.
설득

국어 속 역사
국어와 통
•세상을 바꾼, 역사 속 인물들의 말을 중심으로 세계사 이해하기.
하다
•우리가 만들고 싶은 세상을 상상하며 세상에 남기고 싶은 말 떠올리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사회 문제를 다룬 글을 읽고 공동체
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며,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능력을
기른다.
•자료·정보 활용 역량: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자료와 정보를 수
집, 분석,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득하는 글을 써 보면서 자
료와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 단원을 배우면,
문학 작품에 담긴 다양한 사회의 모습과 가치를
비판적·창의적 관점으로 해석하여 평가할 수 있고,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글을 써 보면서
자료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21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17 17. 12. 11. 오후 8:12


총 6차시

(1 )
학습 목표 •시나리오를 감상하며 작품에 담
긴 사회·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한다.
•개인적 경험에 사회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여 자신
의 관점이 드러난 문학 작품을 생산한다.

역량 목표 •문학 작품에 반영된 공동체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두근두근 내 인생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책의 구절을 읽고, 누군가를 환대해 본 적이 있는지 떠올려 보자.
활동 안내 누군가를 환대했던 경험이나 사회적 약자에게 편견을 가졌던 경험을 떠올려 봄으로써 시나리오 두근두근 내 인생에 대한 흥미
를 유발하고 작품에 공감해 보기 위한 활동이다. 직접적으로 사회적 약자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묻기보다는 제시된 글을 읽게 한 후, 누군
가를 환대했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나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환대란 타인의 존재에 대한 인정이며, 이러한 인정은 그에게


반갑게 맞아 정성껏 후하게 대접함
자리를 마련해 주는 몸짓과 말을 통해 표현된다. (중략)
신원을 묻지 않는, 보답을 바라지 않는, 상대방의 적대에도
개인의 성장 과정과 관련된 자료. 신분이나 평소 행실, 주소 등
지속되는 환대. 사회를 만드는 것은 이런 의미에서의 절대적 환
대이다.
-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예시 답안 중학교 1학년 때 외국에서 살다 온 친구가 우리 반에 전학을 온 적이 있었다. 그 친구가 나와 다른 곳에서 살다 왔다는


생각에 나도 모르게 거리감을 느끼고 쉽게 다가가 말을 건네지 못했었다. 그런데 이동 수업이 있던 날, 어느 교실로 가야 할지 모르
고 두리번거리고 있는 그 친구의 모습에 같이 가자고 용기 내어 말을 건넸다. 그 뒤로 그 친구와 나는 친해지게 되었고, 그동안 내가
괜히 거리감을 느끼고 있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누군가를 환대한다는 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라 이처럼 나와 다른 사람을 스스럼없이
대하고, 그 사람이 도움을 요청할 때 기꺼이 도와주는 것이 아닐까? 물론 ‘신원을 묻지 않는, 보답을 바라지 않는, 상대방의 적대에
도 지속되는 환대’를 실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지만, 나와 다른 사람에게도 편견을 갖지 않고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봐
주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에게는 ‘환대’로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218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18 17. 12. 11. 오후 8:12


알아
두기 1 문학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
작가는 어떤 사람 또는 그 사람의 삶 자체를 소재로 삼고, 그 소재에 자신의 경험과 지식,
『 』: 작품의 창작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가치가 반영됨
생각과 감정, 가치와 태도 등을 아울러 문학 작품으로 형상화한다. 독자는 문학 작품을 읽으
며 작품에 구현된 삶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고, 나아가 인물의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되
『 』: 작품의 수용 과정에서 사회·문화적 가치를 얻음
돌아보거나 생각을 확장할 수도 있다. 이처럼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독자는 자신의
삶과 자신이 속한 사회를 진지하게 성찰하며 우리 사회의 전망까지 고민하게 된다.
자기의 마음을 반성하고 살핌

2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것은 작가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활동이 아니
『 』: 문학 작품 수용의 능동성
라, 자신의 생각이나 가치관에 따라 작품의 의미를 새롭게 만들어 내는 능동적인 활동이다.
또한 문학 작품을 생산하는 것은 자신이 경험했거나 상상한 내용 중에서 가치 있는 내용을 선
『 』: 문학 작품 생산의 창조성
별하여 새로운 작품을 써 보는 창조적인 활동이다.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면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공동체 구성원과 정서적으로 교류한다면, 자아와 세계의 관계를 탐구하며 삶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의 질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문학의 공동체적 기능
•인간이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조건을 찾는 계기를 제공함.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관심사들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를 마련해 줌.
•사회적 문제나 관심사를 공유하고 소통함으로써 그에 대한 대응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게끔 함.

이 작품에는
?! 어떤 사회·문화적
가치가 담겨 있을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시나리오를 감상하며 자신의 관점에 따라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
해 보는 활동을 할 것이다. 문학 작품에 담기는 사회·문화적 가치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떠올려 보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문학 작품의 사회·문화적 가치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문학 작품의 사회·문화적 가치는 무엇을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을까?
•시나리오 「두근두근 내 인생」에는 어떤 사회·문화적 가치가 담겨 있을까?

(1) 두근두근 내 인생 21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19 17. 12. 11. 오후 8:12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등장인물의 상황과 처지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   •문학 작품의 주체적 수용과 생산

조로증에 걸린 ‘아 이 작품은 난치병을 앓고 있는 열여섯 살 소년의 이야기를 담은 시나리오이다. 문학 작품에 담긴


발단 름’이 텔레비전 프로 사회·문화적 가치를 생각하며 이 시나리오를 감상해 보자.
그램에 출연함.
교과서
‘아름’의 병세가 악 수록 제목 풀이  린 나이에 부모가 되어 어느덧 열여섯 살의 아들을 둔 ‘미라’와 ‘대수’의 인생, 부모보다 더 어른스러

화되어 입원함. ‘아름’ 부분
전개 운 아들인 ‘아름’의 인생, 그리고 그들이 함께하는 소중하고도 특별한 시간을 ‘두근두근 내 인생’이라는
은 ‘서하’라는 소녀와
전자 우편을 주고받음. 제목으로 표현하였다.

절정
‘서하’는 작가 지망
생이 꾸며낸 가상의
소녀였고, ‘아름’은 큰
충격을 받아 건강이
두근두근 내 인생
소단원 정리 PPT 작가 소개 영상 영화 일부분 영상
_ 원작 김애란/각본 최민석 외

급속도로 나빠짐.
제재 개관
‘아름’은 부모님과
하강 갈래 시나리오 성격 감성적, 서정적
추억을 만들어 나감.
제재 조로증을 앓고 있는 16세 소년의 삶과 사랑. 배경 •시간적: 2010년대   •공간적: 서울
‘아름’은 부모님의
주제 힘든 상황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고 서로를 보듬는 부모와 자식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를 바탕으로 쓴
대단원 특징 난치병을 앓고 있는 소년의 삶을 담담하고 유쾌한 시각으로 그려 냄.
소설을 부모님께 선물
하고, 숨을 거둠.
등장인물 소개

부부

김애란 미라 대수
(1980~) 33세. 어린 나이에 아름이를 아들 33세. 어린 나이에 동갑내기
친구
낳았지만 씩씩하고 당찬 엄마 인 미라를 만나서 결혼했다. 사
소설가. 현실에서 일어나는
이다. 어려운 형편에도 힘든 기 랑하는 가족을 위해서 힘든 일
문제와 인물이 느끼는 비애를 색 없이 아름이를 보살핀다. 도 마다하지 않는다.
있는 그대로 덤덤하게 그려
낸 작품을 주로 썼다. 주요 작
품으로 노크하지 않는 집,
달려라, 아비, 침이 고인다
등이 있다. 아름
승찬 3세 때 조로증 판정을 받은
친구 실제 나이 16세, 신체 나이 80 친구
미라의 동창이자 방송국의
최민석 연출자. 아름이를 주인공으로 세의 소년. 속이 깊고, 다양한
(1979~) 분야의 책을 읽으며 많은 것을
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그 후
각본가. 영화 블라인드로 원금으로 아름이의 병원비를 배우려고 노력한다.
제48회 대종상 영화제 시나리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오 상을 수상하였다.
?
장씨 서하
치매에 걸린 아버지를 모시 아름이가 출연한 프로그램을
고 사는 아름이네 옆집 할아버 보고 아름이에게 전자 우편을
■조로증(早老症) 인간 노화의 지. 아름이에게 형같이 의지가 보낸 16세 소녀. 아름이의 마음
되는 존재로, 아이처럼 천진난 을 설레게 하지만, 자신의 정체
모든 단계가 10년 미만의 기
만한 면이 있다. 를 쉽게 드러내지 않는다.
간 동안 나타나는 가속화된
노화 증후군.

220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0 17. 12. 11. 오후 8:12


장면 번호(scene number) - 대본을 쓸 때 촬영이나 편집을 쉽게 하기 위해서 각 장면에 붙이는 숫자
발단 8. 대수의 택시 안-밖 / 오후
장면의 공간적 배경 시간적 배경

밝은 음악과 함께 시작되는 택시 안 풍경.

손님을 발견한 대수, 그쪽으로 차를 세운다.

선한 인상의 평범한 30대 부부, 임신을 한 여자는 배가 많이 불러 있다.

5 차를 세운 대수가 보조석 창문을 내린다.

남편 ◯ 병원 사거리요.

대수 예. 근데 죄송한데, 사정상 저희 아들하고 오늘 같이 좀 다녀야 해서 그

러는데…….
남편 어? 저 혹시, 지난주에 방송 나왔던? 참고 자료
‘아름’을 대하는 택시 승객들의 태도 ①
시나리오의 구성 요소
- ‘아름’을 알아보고 반가워하며 호의적 태도를 드러냄
10 부인 어! (반가워하며) 어어……. •해설: 시나리오의 첫머리에서
등장인물, 배경 등을 설명하는
남편 맞죠? 부분.
•장면 표시: 장면의 극중 순서
나 위치 등을 나타내는 번호.
Cut to. 길가. 한 젊은 여자가 손을 흔들자, 여자 앞으로 다가와 서는 대수의 택시. S#으로 나타냄.
•대사: 등장인물이 하는 말.
휴대 전화로 통화를 하며 택시 뒷좌석에 타는 여자. ‘가로수 길이요.’ 하고는 •지시문: 등장인물의 행동, 표
정, 음향 효과, 카메라 위치 등
다시 통화를 계속한다. 을 지시하는 글.

15 ‘저, 손님 양해 좀 드려야 할…….’이라고 말하며 대수가 아름이에 대해 설명하

려 하지만 쉼 없이 통화하는 여자는 눈길도 안 준다. 잠시 후 통화가 끝난 여자,

앞 좌석의 아름이를 발견하고는 ‘꺅!’ 하며 비명을 지른다.

대수 (돌아보며) 아, 손님이 통화 중이셔서 먼저 말씀을 못 드렸습니다. 사정

상 저희 아들이랑 같이 좀 다녀야 하는데, 애가 몸이 좀 불편…….


20 여자 (못 볼 걸 본 듯 얼굴이 일그러지며) 아저씨. 뭐예요, 진짜! 택시 하면서 진 ‘아름’을 본 ‘여자’의 반응은
『 』: ‘아름’을 대하는 택시 승객들의 태도 ② - 몸이 불편한 ‘아름’에 대한 혐오감을 노골적으로 표출함 어떠한가?
짜! 아, 뭐하는 거야? 진짜, 짜증 나 죽겠어! 예시 답안 일그러진 표정으
로 ‘대수’에게 화를 내며 택시에
여자, 차에서 내려 바로 다른 택시를 잡아탄다. 서 내린다. ‘여자’는 ‘아름’의 겉
모습만 보고 혐오하고 있다.

Cut to. 교복을 입은 아름이 또래의 아이들 셋이 택시 뒷좌석에 타고 있다.

여학생 1이 아름이를 알아본 표정. 여학생 2의 귀에 대고 속닥속닥. ‘그래?’ 하


『 』: ‘아름’을 대하는 택시 승객들의 태도 ③ - ‘아름’을 호기심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음
25 며 반응하는 여학생 2. ■Cut to 컷 투. 장면 전환 기법
으로 주로 같은 장소에서 시
여학생 3은 아름이를 힐끔거리며 그새 스마트폰으로 아름이의 정보를 검색한
간 경과를 나타내는 데 사용
다. 함.

(1) 두근두근 내 인생 22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1 17. 12. 11. 오후 8:12


여학생 2 (거침없이) 저기, 인증 사진 좀 찍을 수 있을까요?
‘아름’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고, ‘아름’과의 만남을 기념할 만한 사건쯤으로 여김

아름이 앞에 스마트폰을 들이밀고 뒤에서 자세를 취하는 학생들.

밝은 분위기, 구김살 없는 아이들의 모습에 왠지 주눅이 드는 아름이.


아이들의 건강하고 걱정 없는 모습이 자신과 대조적으로 느껴지는 ‘아름’

Cut to. 학원가 앞에서 내리는 아이들.

여학생 3 고맙습니다. 5

여학생 1 (내리며 아름이에게) 안녕. 빨리 건강해져.

아름 (목례하며) 아, 네…….

대수 고마워요. 공부들 열심히 하고.

삼삼오오 모여 학원으로 들어가는, 자신과 비슷한 또래의 아이들을 보는


건강하고 평범한 삶에 대한 부러움
아름이의 눈에 부러움이 깃들었다. 10

대수, 그런 아름이를 본다. ▶ ‘아름’을 대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태도

Cut to. 아름이, 창밖을 내다보며 거리 풍경을 구경 중.

아름 그러니까 아빠는 태권도 선수가 되고 싶어서 체고를 갔던 거지?


‘대수’의 어린 시절에 대한 이야기
대수 아니.

아름 (의아해하며) 에? 그럼, 아빤 뭐가 되고 싶었는데? 15

대수 음……. 뭐가 돼야 할지 잘 몰라서 갔던 거지. 사실 태권도하면서

좋았던 것도 도복밖에 없었어. (웃는다.)


아름 뭘 잘하면서 동시에 싫어할 수도 있어요?

대수 그럼. 그런 애들이 얼마나 많은데……. 옛날에 아빠 친구 놈 하나는 전

교에서 수학을 제일 잘했는데, 수학을 좋아해 본 적이 한 번도 없었다 20

고 그러더라고.
아름 아빠한테 그런 친구가 있었다고요? 에이, 설마.

대수 (차를 세우며 진지하게) 야, 아들. 네가 나보다 좀 더 늙었다고 해서 아빠


‘아름’의 병을 마냥 슬프거나 무겁게 받아들이지 않고, 웃음으로 승화함
를 함부로 무시하고 그러면 안 돼. 더군다나 체고 나온 아빠를. 우린 그

런 거에 아주 민감하다고. 25

아름 예예예. (웃는다.) ▶ ‘대수’와 이야기를 나누는 ‘아름’

222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2 17. 12. 11. 오후 8:12


10. 한강 둔치 / 밤

‘짠, 우리 세 식구를 위하여!’ 건배하고 부딪히는 세 사람의 손.


‘아름’네 가족의 화기애애한 모습
돗자리 위엔 먹음직스러운 통닭이 놓여 있다.

대수는 콜라를, 미라는 캔 맥주를, 아름이는 빨대로 요구르트를 마신다.

5 미라, 캔 맥주를 단숨에 들이킨다.

놀라서 미라를 보는 대수와 아름이.

미라, 기분이 좋아 보인다.

그때 어디선가 강바람이 살랑살랑 불어오고, 미라의 머리카락이 바람결에

살짝 날린다.

10 미라 (바람을 맞으며 살짝 웃음을 보이면서) 아, 기분 좋다. 난 바람 부는

날이 왜 이렇게 좋지?
대수 어? 나도 그런데!

아름 (차분하고 또박또박한 말투로) 바람이 불면 공기 중에 음이온이 많이


몸이 아파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한 ‘아름’이 혼자 책을 읽으며 다양한 지식을 쌓았음이 드러남
발생해서 괜히 들뜨고 기분이 좋아지는 거래요.
15 대수 오오!

미라 (아름이의 볼을 어루만지면서) 어휴, 똑똑해. 누굴 닮았을까, 우리


구절 풀이 ‘아름’을 대하는 ‘대수’와
아들! ‘미라’의 태도 - 평범하지 않은 모습
의 ‘아름’이지만, ‘대수’와 ‘미라’는 서
대수 (당연하다는 듯이) 누굴 닮긴 날 닮았지. 로 ‘아름’이 자신을 닮았다고 다툼.
‘아름’에 대한 애정이 드러나는 부분.
미라 (콧방귀를 뀌며) 치.

20 대수 왜? 맞잖아. 팥빙수 좋아하는 거, 콩밥 싫어하는 거, 발가락 긴 거, 유

머 감각 있고 또 속은 얼마나 깊어.
미라 치, 좋은 건 다 지 닮았대. (아름이의 눈을 가리키며) 어, 눈 예쁘고 똑똑 택시 안에서 낯선 사람들
과 같이 있을 때와 가족과 함
한 건 날 닮았지. 께 있을 때 ‘아름’의 태도는 어
떻게 다른가?
대수 눈도 나랑 똑같잖아!
예시 답안 낯선 사람들과 같이 있을 때
25 미라 아, 시끄럽고, 가서 맥주나 더 사 온나! 에는 그들이 자신을 어떻게 대하고 바라
볼지 몰라서 경계하고 조심스러워했지만,
대수 (아름이에게) 같이 갈까? 가족과 있을 때에는 자신의 생각을 편하
게 말하며 웃음도 보이고 있다.
■둔치 강, 호수 따위의 물이
웃으며 일어나는 대수와 아름이. 있는 곳의 가장자리.
▶ 한강 둔치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아름’네 가족

(1) 두근두근 내 인생 22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3 17. 12. 11. 오후 8:12


11. 한강 둔치 / 밤

매점 앞.

맥주가 담긴 봉지를 들고 매점을 나오는 대수와 아름이.

아름 아빠, 나 화장실.

Cut to. 간이 화장실 옆. 5

대수와 조금 떨어진 간이 화장실 옆의 으슥한 공간.

불량스러워 보이는 학생들에게 둘러싸인 아름이. 남학생 넷, 여학생 둘.

불량한 남학생 1 너 진짜 애야? 할배 아니고?

불량한 학생들이 ‘아름’을 불량한 여학생 2 (동물원의 동물을 보듯이) 우아! 진짜 신기하다.
괴롭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름’을 인격적으로 대우하지 않음

예시 답안 자신들과 다른 모 불량한 남학생 2 (아름이의 얼굴을 살피며 히죽히죽 웃으면서) 외계인이야, 뭐야? 10

습을 한 대상을 받아들이지 못
하고 다수인 자신들이 우위에 불량한 여학생 1 아, 방송에서 뭐라고 했는데……. (귀찮다는 듯한 말투로) 아,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즉
‘아름’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못 몰라. 암튼 막 빨리 늙어서 죽는 병이래.
하고 자기중심적으로 행동하여 ‘아름’의 입장을 전혀 배려하지 않고 함부로 말하는 모습
‘아름’을 괴롭히는 것이다. 아름 비켜요.

남학생이 아름이의 모자를 낚아채 벗긴다. 아름이의 듬성듬성한 머리가 드러

나자 놀라는 아이들. 15

불량한 여학생 1 대박!

불량한 남학생 1 (막상 보니 놀라서 뒷걸음질을 치며) 뭐야, 이거?

불량한 남학생 2 (아름이의 모자를 던지며) 야, 이거 혹시 옮는 병 아냐? 아이씨.

Insert. 뭔가 이상한 기분이 들어 두리번거리는 대수.

간이 화장실 옆. 20

대수 아름아!

아름 (대수를 보며) 아빠!

■Insert 인서트. 장면의 이음, ‘아빠야?’, ‘야, 아빠래.’ 젊은 아빠인 대수의 모습을 보자 상황이 우습다는 듯,
강조, 정리 등 영화의 여러 효 아들인 ‘아름’이 아빠인 ‘대수’보다 늙어 보이기 때문
키득거리는 아이들.
과를 위해 삽입하는 화면. 주
로 대사가 없는 인물, 사물,
배경 등을 삽입한다. 대수 괜찮아? 너 모자……. (말하면서 모자를 집어 아름이와 자리를 뜨는데.) 25

224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4 17. 12. 11. 오후 8:12


불량한 남학생 1 (끝까지 이기죽거리면서) 어이쿠, 효자 아저씨. 아버님 모시고 구절 풀이 불량한 학생들은
자꾸 밉살스럽게 지껄이며 짓궂게 빈정거리면서 노화가 일어난 ‘아름’의 모습을 조롱하는 표현 ‘아름’이 병이 있다는 사실만으
밤마실 나오셨나 봐요? 로 ‘아름’을 자신들보다 열등하
다고 생각하여 호기심과 조롱,
불량한 남학생 2 아니, 어떻게 사람한테서 골룸이 태어나냐. 괴롭힘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
‘아름’의 외관을 빗댄 비하적 표현 다. 거리낌 없이 모욕적인 별칭
대수 (가다가 멈칫, 돌아보며) 야! 너 지금 뭐라 그랬어? 을 붙이고, 닿아서는 안 될 존재
로 취급한다. 나이보다 늙어 보
<‘아름’의 환상> 이는 ‘아름’과 대조적으로 젊은
5 결국 불량한 남학생의 멱살을 잡고 마는 대수. 나이에 아빠가 된 ‘대수’ 역시
불량한 학생들에게 조롱의 대상
손을 뿌리치고 껄렁거리며 대수를 에워싸는 불량한 학생들. 이 된다.

대수가 아름이를 한쪽으로 안전하게 비켜 세우고는, 아름이를 향해 씩 웃으며

윙크를 하더니 마치 이소룡처럼 자세를 잡는다.

일 대 사의 열세에도 민첩하고 멋지게 싸워 나가는 대수.


상대편 힘이나 세력이 약함
10 액션 영화의 한 장면처럼 멋있게 싸우며 공중에서 1회전 반을 돌아 540도 발

차기! 멋지게 악당을 물리치는 대수.

하지만 이것은 아름이의 환상이었다.


깜짝 퀴즈
다시 현실. 1. ‘여학생들’이
‌ ‘아름’의 사진
‘아름’의 환상이 끝남 을 찍은 것은 ‘아름’을 조
현실의 상황은 아름이의 환상과 전혀 다르다. 남학생들에게 둘러싸여 맞다가 롱하기 위해서이다.
 ➡×
15 반격을 시작하는 대수, 2. ‌‘대수’의 현재 직업은 ☐ ☐
☐ ☐ 이다.
온 힘을 다해 학생들을 뿌리치고는 있는 힘껏 발차기를 날린다.  ➡ 택시 기사
3. ‌불량한 학생들은 ‘아름’이
하지만 대수의 발에 맞은 것은 학생들이 아니라 말리러 오던 경찰. 아프다는 사실만으로 ‘아
름’을 괴롭히고 있다.
 ➡◯
이내 뻗어 버린 경찰. 당황한 대수. 놀란 아름이.▶ 불량한 학생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아름’
발단 남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아름’이 겪는 차별과 괴롭힘.

전개 1 15. 병원 진료실 / 오후

20 파리한 얼굴의 미라. 마주 앉은 주치의를 보고 있다.


어떤 사람의 병을 맡아서 치료하는 의사

주치의 (모니터를 돌려 주며) 여기 있는 이 점이, 뇌혈관이 살짝 터졌던 흔적이

에요. 운이 좋았어요. 잘못하면 애 중풍 걸릴 뻔했어요.


뇌혈관 장애로 인해 반신불수, 언어 장애 등의 후유증을 남기는 병
미라 저……. 그게 모르고 지날 수도 있는 건가요?
■파리한 몸이 마르고 낯빛이
주치의 (아름이를 보며) 두통이 상당했을 텐데? 머리 아프단 소리 안 해요?
나 살색이 핏기가 전혀 없는.
25 미라 (답답하고 속상해하며) 아름아, 아픈 데 있으면 얘기하랬잖아. 그 사람은 긴 여행에 지쳐
부모로서 자식의 아픔을 눈치채지 못한 속상함 파리한 얼굴로 고향에 돌아왔
아름 (주눅 든 목소리로) 내가 언제 안 아픈 적 있었어? 다.
병을 앓는 것이 일상이 된 ‘아름’ - 아프다고 말하는 것을 미안해하는 ‘아름’의 어른스러운 성격

(1) 두근두근 내 인생 22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5 17. 12. 11. 오후 8:12


미라 (한숨을 쉰다.) …….
속상함
주치의 (화가 난 목소리로 미라에게) 이 지경이 되도록 대체 뭘 하신 겁니까? 잘

못하면 이거, 올해도 못 넘겨요.


미라 (아름이의 눈치를 보며) 선생님!

주치의 (진정하고 아름이를 보며) 아름아. 5

아름 예?

주치의 잠깐만 나가 있을래?

‘S# 15’에서 알 수 있는 ‘아 아름 그냥 이야기해 주세요, 선생님.


름’의 성격은 어떠한가? 자신의 현재 상태를 직시하려는 용기

예시 답안 아프고 속상한 일 미라 아름아! 나가 있어.


‘아름’을 걱정하게 만들고 싶지 않은 ‘미라’의 마음
이 있어도 잘 표현하지 않는 성
격이다. 또 자신의 상황을 알고
아름이, 미라의 얼굴을 보더니 결국 자리에서 일어나 밖으로 나간다. 10
싶어 하는 모습에서 ‘아름’의 어
른스러운 성격과 현실을 직시하
고자 하는 용기 있는 면모가 드 주치의 (한숨을 쉬며) 이 뇌 쪽도 문제지만 심혈관도 언제 터질지 모르는 상태
러난다.
입니다. 그러니까 심장에 시한폭탄을 달고 있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아름’의 심각한 건강 상태
(사이) 당장 입원시키세요. 밖에서 터지면 손도 못 써 봅니다.
▶ ‘아름’의 악화된 건강 상태

16. 병원 앞 거리 / 오후

모자와 커다란 선글라스로 가렸어도 드러나는 아름이의 병색. 15


병 때문에 타인의 시선을 피하고 싶은 ‘아름’의 마음이 드러난 소재 병든 사람의 기색이나 얼굴빛
■심혈관(心血管) 심장의 혈관. 사람들, 미라와 아름이를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혹은 동정 어린 눈길로 힐끗댄다.
‘아름’을 대하는 행인들의 태도 - 호기심이나 동정
■시한폭탄(時限爆彈) 일정한
미라의 눈치를 보며 손을 잡아끄는 아름이.
시간이 지나면 폭발하도록 장 자리를 서둘러 벗어나고 싶은 마음
치한 폭탄. 하지만 생각에 잠긴 미라는 빨리 걸을 생각이 전혀 없어 보인다.
‘아름’의 병에 대한 걱정

226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6 17. 12. 11. 오후 8:12


아름 빨리 좀 가. 사람들이 쳐다보잖아.

미라 (대수롭지 않은 듯이) 내가 너무 예쁜가 보지, 뭐!


사람들의 시선에도 위축되지 않는 ‘미라’
아름 (미라의 손을 잡아끄는데 따라오지 않자 짜증을 내며) 엄만 안 창피해?

태연한 미라의 태도에 짜증이 나서 손을 놔 버리는 아름이.


5 미라, 앞장서 가는 아름이의 배낭을 잡아챈다.

미라 뭐가 창피한데, 뭐가?
‘아름’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 ‘미라’
아름 (주위를 의식하며) 왜 그래, 진짜.

미라 너 아픈 애야. 아픈 애가 왜 자꾸 딴 데 신경 써? 사람들이 보건 말건, ‘아름’에게 ‘애처럼 굴어.’라


『 』: 아픈 ‘아름’이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는 데 대한 속상함과 ‘아름’이 고통을 참게 만든 데 대한 죄책감 고 말하는 ‘미라’의 심정은 어
병원비가 있건 없건, 애처럼 굴어. 아프면 울고 떼를 쓰란 말이야. 그냥 떠할까?
예시 답안 자신의 감정이나
10 애처럼! 상태보다 주변을 살피는 ‘아름’
의 모습에 속상해하며, ‘아름’이
아름 ……. 애처럼 안 보이니까 그렇지.
또래 아이들처럼 자라면 좋겠다
고 생각했을 것이다.
미라 (선글라스를 벗기면서) 연예인도 아니면서 이런 걸 쓰고 다니니까 사람들

이 쳐다보지!

가슴이 답답한 미라, 고개를 돌려 한숨을 내쉰다.


15 괜한 말 꺼내서 오도 가도 못하는 아름이는 땅만 발로 찬다.

미라 한아름! 엄마 봐. 내가 누구야. 나…….


‘미라’의 당당한 성격
미라 / 아름 (아름이가 미라를 따라하며) 나, 열일곱 살에 애 낳은 여자야.
사회의 편견 어린 시선을 받을 수 있는 경험에도 오히려 떳떳하고 당당한 ‘미라’

두 사람, 마주 보고 피식 웃는다.
‘아름’과 ‘미라’의 갈등 해소

미라 아름아, 우리 이 길 몇 년 다녔어?

20 아름 (잠시 셈을 해 본 후) 13년.
16살인 ‘아름’이 삶의 대부분을 병과 싸워 왔음을 알 수 있음
미라 그래. 막내 외삼촌은 네 나이에 포경 수술 하나 하면서도 죽네 사네 울

고불고 난리를 떨었어. 근데 넌 그것보다 더한 검사도 받고, 위기도 수

없이 넘겼잖아.
아름 응…….

25 미라 그건 아무나 할 수 없는 거다? 넌 정말 대단한 일을 해내고 있는 거야.


『 』: ‘아름’이 당당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미라’
그러니까 당당하게 보란 듯이 걸어도 돼. 알았지?

(1) 두근두근 내 인생 22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7 17. 12. 11. 오후 8:12


깜짝 퀴즈 아름 응!
1. ‌‘아름’은 자신의 병에 대해 자 ‘미라’의 격려로 기운을 차린 ‘아름’
세히 알게 되는 것을 두려워 미라 가자!
한다. ➡×
2. ‌‘미라’는 사람들의 시선에도
‘아름’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아름이의 손을 잡는 미라, 사람들 시선쯤은 아랑곳하지 않고 걷는다. 당당하게.
다. ➡◯ 자신을 사랑해 주는 부모와 있을 땐 당당해지는 ‘아름’
3. ‌‘미라’는 자신을 ‘열일곱 살에 ▶ 타인의 시선에 위축된 ‘아름’과 그런 ‘아름’을 격려하는 ‘미라’
애 낳은 여자’로 칭하는데, 이
는 ‘미라’의 당당한 성격이 드
러나는 표현이다. ➡◯ 중략 부분 줄거리 | 어느 날 아름이는 자신이 출연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본 ‘서하’라는 소녀

에게서 전자 우편을 받는다. 아름이는 자신과 같은 나이이고 병을 앓고 있다는 서하에게 관심이 가 5

지만 쉽게 답장을 쓰지 못하고 망설인다. 병세가 더욱 나빠져 입원을 하게 된 아름이는 용기를 내어


‘아름’의 16살 소년다운 면모
서하에게 전자 우편을 쓰고, 서하와 전자 우편을 주고받으면서 설렘을 느낀다.
전개 1 ‘아름’은 병세가 악화되어 입원하고, 병원에서 ‘서하’라는 소녀와 전자 우편을 주고받음.

전개 2 43. 병원 정원 / 오후

병원 정원에서 촬영이 진행 중이다.

미라가 촬영을 지켜보고 있고, 그 뒤로 어느샌가 슬그머니 나타난 장 씨. 그런데 10


‘아름’의 친구인 이웃집 노인
장 씨의 옷차림이 예사롭지 않다. 한눈에도 평소보다 멋을 낸 느낌.
촬영을 기대하는 ‘장 씨’

김 작가 (승찬이의 큐 신호를 보고) 아름이는 혹시 누굴 좋아해 본 적 있어?

아름 좋아하는 사람이요? 많죠. 우리 엄마랑 아빠,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또……. 아! 우리 옆집 짱가 할아버지도 좋아해요.


‘장 씨’의 별명

순간 우쭐해지는 장 씨. 15

아름 (갑자기 사레들린 듯이) 콜록콜록.

미라 아름아, 괜찮아?

옆에서 지켜보던 미라가 달려든다. 자연스럽게 촬영이 중단된다. 멈출 줄 모


악화된 ‘아름’의 건강
르는 아름이의 기침.

Cut to. 촬영 팀, 촬영을 접고 있다. 20

이야기 중인 승찬이와 미라, 그리고 그 사이로 어슬렁거리는 장 씨.


■큐(cue) 방송에서 프로그램
진행자나 연기자에게 대사, 승찬 오늘은 아무래도 힘들겠지?
동작, 음악 따위의 시작을 지
시하는 신호. 미라 (쏘아보며) 야! 넌 어떻게……. 보고도 몰라?
‘아름’의 상태에도 불구, 촬영을 걱정하는 ‘승찬’의 말에 매정함을 느낌

228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8 17. 12. 11. 오후 8:12


승찬 그치, 뭐 어쩔 수 없지. (주변을 맴도는 장 씨를 보며) 아! 아름이 옆집 할
인터뷰를 하고 싶어서 촬영장 주변을 빙빙 도는 ‘장 씨’
아버지시죠? 혹시 저희랑 인터뷰 좀…….
장 씨 아, 뭐……. 나요? 그럼 어디 앉을까요?

Cut to. 장 씨 인터뷰를 시도하는 촬영 팀. 장 씨, 바짝 얼어 있다.

5 승찬 자, 할아버지. 준비되셨죠? 한번 가 볼게요. (촬영 감독에게 신호 주며) 큐!

김 작가 아름이는 어떤 아이인가요?

장 씨 (어색해하며) 어, 이아름 군은……. 아니지, 우리 한아름 군은…….


‘장 씨’가 긴장했음이 드러남
승찬 컷! (장 씨 보며) 할아버지, 그냥 평소처럼 하세요. 카메라 없는 데서 우

리 작가랑 대화한다고 생각하시고요.

10 장 씨, 고개를 끄덕이지만 여전히 얼어 있다. 카메라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


『 』: 긴장으로 실수를 거듭하는 ‘장 씨’
는 장 씨. ‘컷! 엔지!’, ‘컷! 엔지!’, 이어지는 장 씨의 엔지.

장 씨 어, 우리 한여름, 에고…….

장 씨 에이씨, 아름이 이놈 자식은요?

Cut to. 지친 촬영 팀. 승찬이도 이젠 거의 포기한 얼굴이다.

15 승찬 할아버지, 한 번만 더. 자, 큐!

김 작가 아름이는 어떤 아이인가요?

장 씨 음…… 음……. (드디어 카메라를 정면으로 본다.)

아름이는…… 친구요, 내 친구.


『 』: ‘아름’을 대하는 ‘장 씨’의 태도 -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름’을 진정으로 소중한 친구라고 생각하는 ‘장 씨’
‘장 씨’에게 친구란 어떤 관
대답하는 장 씨의 얼굴에 진심이 묻어난다. 계를 의미하는 것일까?
▶ ‘아름’을 진정한 친구로 여기는 ‘장 씨’ 예시 답안 나이와는 상관없
이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상대
를 의미한다. 비록 ‘아름’이 자신
20 44. 병원 복도 / 오후 보다 한참 나이가 어리지만, ‘아
름’과 자신이 서로의 처지를 이
복도의 의자에 나란히 앉은 장 씨와 아름이. 장 씨가 아름이에게 따뜻한 물을 해하고 공감하는 사이이기에
‘아름’을 자신의 친구라고 말한
건넨다. 것이다.

장 씨 방송 그거 쉬운 거 아니드만? ■엔지(NG) ‘노 굿(No Good)’


의 줄임말로, 촬영이나 녹음
아름 (웃으며) 그렇죠. (물 받으며) 감사합니다. 이 잘되지 아니하는 일.
예의바르고 어른스러운 ‘아름’

(1) 두근두근 내 인생 22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29 17. 12. 11. 오후 8:12


장 씨 좀 괜찮아?

아름 네. (알약을 삼키는 장 씨를 보며) 짱가, 어디 아파요?

장 씨 아, 이 나이에 안 아픈 게 이상한 거지.

아름 (피식 웃으며) 그건 제가 좀 알죠. 그래도 짱가는 꽤 동안이


자신의 병을 웃음으로 승화하는 ‘아름’
에요. 5

장 씨 그치? 흐흐. (우당탕, 시끄럽게 지나가는 젊은이들을 보며) 저

것들은 몰라. 젊은 게 얼마나 좋은 건지.


아름 너무 건강해서 자기들이 건강한지도 모를 거예요.
어린 나이지만 노화에 공감하는 ‘아름’
장 씨 (음흉한 미소를 지으며) 그리고 쟤들이 모르는 게 또 있어.

아름 뭔데요? 10

장 씨 흐흐흐, 앞으로 늙을 일만 남은 거.

아름 아!
구절 풀이 비록 나이는 크게
차이 나지만, 신체적인 연령이
장 씨를 보며 말갛게 웃는 아름이. 마주 보며 씩 웃어 주는 장 씨.
비슷한 ‘아름’과 ‘장 씨’가 공감
세대 차이를 넘어 격의 없는 친구 사이인 ‘아름’과 ‘장 씨’
대를 형성하고 친밀감을 드러내 ▶ ‘아름’과 ‘장 씨’의 친밀한 관계
는 부분이다.

49. 아름이의 병실 / 밤

아름이가 서하의 사진을 보고 싶다는 내용의 전자 우편을 보낸 뒤로 서하에게 15

서는 답장이 없다.

잠들지 못하고 기력 없는 모습으로 이리저리 뒤척이는 아름이.

아름이, 결국 일어나 앉아 베개 밑에서 태블릿 컴퓨터를 꺼낸다.


‘아름’이 잠들지 못하고 전 여전히 전자 우편함에 새 편지가 0통임을 확인하는 아름이의 모습이 반복된다.
자 우편함을 반복하여 확인하 ‘아름’의 조바심이 드러남
는 이유는 무엇일까?
Cut to. 습관처럼 전자 우편함을 확인하던 아름이. 드디어 전자 우편의 수신을 20
예시 답안 ‘서하’에게 ‘서하’
의 사진을 보고 싶다는 내용을 알리는 소리가 울린다. 아름이가 벌떡 일어난다. 서하의 편지다.
담은 전자 우편을 보낸 이후로
답장이 안 오고 있기 때문이다. 떨리는 손으로 전자 우편을 여는 아름이.
처음으로 만나게 된 또래 친구
인 ‘서하’와의 관계가 끊어질까
봐 걱정하는 ‘아름’의 마음을 짐 서하 (소리) 답장이 늦어 미안해. 사실 많이 고민했어……. 사진…….
작할 수 있다. 화면 밖 ‘서하’의 목소리를 사용하여 ‘서하’가 보낸 전자 우편 내용을 제시함
하지만 나만 네 얼굴을 아는 건 불공평하겠다 싶어.
■말갛게 산뜻하게 맑게.
난 네 부모님 얼굴까지 알고 있으니까. 25
■소리 화면 밖에서 들리는 등
장인물의 대사. 맘에 안 들지도 모르지만 한 장을 보내.

230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0 17. 12. 11. 오후 8:12


첨부된 사진을 여는 아름이, 화면 가득 키워서 본다.
‘서하’에 대해 알고 싶은 ‘아름’의 마음
싱그러움이 느껴지는 소녀의 손.

그 사진에서, 차마 아픈 모습을 보여 주고 싶지 않은 사춘기

소녀의 마음이 느껴진다.

5 사진에 손을 가만히 갖다 대 보는 아름이. 예시 답안 ‘서하’를 좋아하는


‘서하’에 대한 애틋함과 ‘서하’의 마음에 대한 공감 ‘아름’의 마음은 열여섯 살 소년
사진 속 서하의 손과 아름이의 손이 포개지고, 맞잡은 것처럼 의 풋풋함 그대로이기 때문이
다. 또한 상상 속에서라도 평범
보이는 소년과 소녀의 손. ▶ 처음으로 또래 친구에 대해 관심을 가진 ‘아름’의 순수한 마음 한 사람처럼 나이에 맞는 신체
로 또래의 친구들을 만나고 싶
다는 바람이 반영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50. 오솔길 / 오후 [아름이의 상상] ‘S# 50’에서 ‘아름’이 건강


‘서하’의 전자 우편을 계기로 상상이 시작됨 한 열여섯 살 소년의 모습으
사진 위로 겹쳐진 두 손이 실제로 맞잡은 손이 된다. 로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
유사한 화면을 활용하여 현실의 장면과 ‘아름’이 상상하는 장면을 연결함
10 손을 잡고 걷고 있는 소년과 소녀. 아름이와 서하의 뒷모습이다.

카메라가 점점 뒤로 가면서, 벚나무가 무성한 오솔길을 걷고 있는

소년과 소녀의 뒷모습이 아련하게 보인다.

서하가 아름이에게 전자 우편을 통해 들려주었던 음악이 잔잔하게


콕콕 정리
깔린다. 상상을 매개로 나타나는 ‘아
름’의 속마음
상상 1
15 오솔길을 걷는 두 사람.
‘아름’을 괴롭히는 불량
아름이는 자신의 꿈속에 등장했던 건강한 열여섯 살 소년의 모습을 한 학생들을 아빠인 ‘대수’
‘아름’의 소망이 구체화된 모습 가 물리침.
하고 있다.
•불량한 학생들의 괴롭힘
그리고, 아름이가 바라본 서하의 모습. 에서 벗어나고 싶음.
•아빠인 ‘대수’가 든든한
햇빛에 역광으로 비친 음영에서, 점점 윤곽이 또렷해지며 모습을 모습으로 자신을 지켜
‘서하’의 모습을 궁금해하는 ‘아름’의 마음이 반영됨 주기를 바람.
20 드러내는 서하.
상상 2
청순한 얼굴의 한 소녀가 아름이를 향해 환하게 웃고 있다. ‘아름’이 건강한 열여섯
살 소년의 모습으로 ‘서하’
이때, 어디선가 살랑살랑 불어오는 바람. 서하의 긴 머리카락이 바 를 만남.

람에 크게 흩날린다.
•건강하고 평범한 소년이
되고 싶음.
청량한 서하의 웃음소리가 울려 퍼지고, 그런 서하를 보며 미소 짓
•‘서하’에 대해 궁금하고
‘서하’와 가까워지고 싶음.
25 는 아름이.
→ ‘아름’은 속이 깊고 어른
스러워서 자신의 욕망을 잘
서하 (소리) 아름아, 넌 언제 살고 싶어지니? 내비치지 않는다. ‘아름’의 속
『 』: ‘서하’가 쓴 전자 우편 내용 마음은 ‘아름’의 상상을 매개
아름이 넌 어떨 때 가장 살고 싶어지냐구……. 로 드러난다.

▶ 상상 속에서 건강한 자신과 ‘서하’의 모습을 그려 보는 ‘아름’

(1) 두근두근 내 인생 23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1 17. 12. 11. 오후 8:12


콕콕 정리 51. 아름이의 병실 / 밤
「두근두근 내 인생」의 장면 연결
방식 의자에 앉은 아름이. 태블릿 컴퓨터를 보고 있는데 전자 우편의 끄트머리에
S# 사진 속 ‘서하’의 손
49 위로 포개진 ‘아름’의 손. ‘아름아, 넌 언제 살고 싶어지니?’라는 문장이 보인다.
같은 문장을 활용하여 ‘아름’이 상상하는 장면과, 현실의 장면을 연결함
S# 실제로 맞잡은 ‘아름’ 미동도 않고, 문장의 의미를 생각하던 아름이.
50 과 ‘서하’의 손.
‘답장’을 누르고 전자 우편을 쓰기 시작한다. 5

상상 속 ‘서하’가 말한
S#
“아름아, 넌 언제 살고
50
싶어지니?”라는 문장. 아름 (소리) 살고 싶어지는 때?
화면 밖 ‘아름’의 목소리를 통해 ‘아름’의 답장 내용을 제시함
‘서하’가 보낸 전자 우
S# 편의 내용 중, ‘아름아,
51 넌 언제 살고 싶어지
니?’라는 문장.
→ ‌유사한 화면과 같은 문장을
52. 몽타주 [서하와의 교신] → ‌‘아름’의 전자 우편 답장 내용을 ‘이미지’와 ‘소리’로
생생하게 형상화함
활용하여 상상과 현실 장면을 연
결하였다. 이미지. 푸른 하늘에 뭉게뭉게 떠 있는 하얀 구름.

■몽타주(montage) 따로 촬영 아름 (소리) 푸른 하늘에 하얀 뭉게구름을 볼 때…….


된 화면을 떼어 붙이면서 새
로운 장면이나 내용을 만드는
이미지. 트램펄린을 뛰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 아이들의 즐거운 까르르, 웃음 10
기법. 사람이 뛸 수 있도록 스프링이 달린 사각형 또는 육각형 모양의 매트
■교신(交信) 우편, 전신, 전화 소리.
따위로 정보나 의견을 주고받
음. 아름 (소리) 아이들의 해맑은 웃음소리를 들을 때…….
■이미지(image) 일정한 화면
나는 살고 싶어져.
크기와 카메라 촬영 각도로
구성된 낱장의 장면.
이미지. 햇살 아래, 빨랫줄에 걸려 있는 베갯잇. 나란히 누워 그 향기를 맡는
■베갯잇 베개의 겉을 덧씌워
시치는 헝겊. 미라와 아름이. 15

232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2 17. 12. 11. 오후 8:12


아름 (소리) 맑은 날 오후, 콕콕 정리
‘두근두근 내 인생’의 사회 ·
엄마와 함께 햇빛을 머금은 포근한 빨래 냄새를 맡을 때에도. 문화적 가치
‘아름’과 그를 둘러싼 사람
들의 모습을 통해 다양한 삶
이미지. 동네 구멍가게 앞. 텔레비전 속 연속극을 보며 눈물을 훔치는 건장한 의 모습을 보여 주고, 함께
어우러져 사는 사회의 가치
아저씨. 를 깨닫게 함.

5 아름 (소리) 무뚝뚝한 우리 동네 구멍가게 아저씨가 연속극을 보며 우는 걸

보고 살고 싶다고 생각한 적도 있고…….

이미지. 아름이가 나열하는 것들의 이미지가 아름답게 보인다.

아름 (소리) 저녁 무렵, 골목길에서 밥 먹으라고 손주를 부르는 할머니의 소

리가 울려 퍼질 때에도……. 여름날 엄마가 아빠 등목을 해 주며 찬물


10 을 끼얹는 걸 볼 때에도……. 나는 살고 싶어져. 아빠와 함께 초승달이

뜬 초저녁 초롱초롱한 금성을 보면서도……. 반짝반짝 빛을 내며 야간 ‘아름’이 말하고 있는 ‘살고


싶어지는 때’는 어떤 순간을
비행을 하는 비행기를 볼 때에도……. 살고 싶어지고는 해. 의미할까?
예시 답안 ‘아름’은 자신이 살
서하야, 너는 어때? ▶ ‘아름’이 삶의 소중함을 느끼는 순간들
아 있음을 느낄 수 있는 평화로
전개 2 ‘서하’와 전자 우편을 주고받으며 삶을 돌아보는 ‘아름’.
운 일상을, 살고 싶어지는 때라
- 원작 김애란 / 각본 최민석 외, 『두근두근 내 인생』
고 생각한다. 건강한 사람들은
깜짝 퀴즈 그 가치를 느끼지 못하는 평범
1. ‌‘장 씨’에 대한 ‘아름’의 친밀감이 드러나는 ‘장 한 일상이 죽음을 앞둔 소년에
씨’의 별명은 ☐ ☐이다. ➡ 짱가 게는 살고 싶은 간절한 하루인
2. ‌‘아름’이 잠들지 못하는 이유는 ‘서하’로부터 답 것이다.
장이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
3. ‌‘아름’이 살고 싶어 하는 순간은 평소 쉽게 겪지
못하는 특별한 경험을 할 때이다. ➡×

(1) 두근두근 내 인생 23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3 17. 12. 11. 오후 8:12


활동

이해 1 이 시나리오의 주요 장면에서 ‘아름’이 처한 상황을 파악하고, 그 상황에서 ‘아름’이


느꼈을 심정을 상상하여 적어 보자.
활동 안내 문학 작품 속 인물 예시 답안
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해 보
는 활동이다. 주요 장면에서 인 장면 ‘아름’이 처한 상황 ‘아름’이 느꼈을 심정
물이 겪는 상황을 정리하며 인
S# 8
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물 ‘나도 건강했다면 저 친구들처럼 또래
의 심정을 상상하며 간접적으로 택시 운전을 하는 아빠와 함께 다니
친구들과 어울리며 평범한 삶을 살았을
인물의 삶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가 또래 여학생들을 만남.
지도한다. 텐데…….’

S# 10
‘나는 아프지만, 항상 날 아끼고 사랑
한강 둔치에서 부모님과 행복한 시
해 주시는 부모님이 계셔서 오늘도 웃
간을 보냄.
을 수 있어.’

S# 16
‘다른 사람들이 날 쳐다보는 게 부끄
길을 걸으며 자신을 신기하게 보는 사
럽고 창피해. 빨리 이 상황을 벗어나고
람들의 시선을 의식하고 있음.
싶어.’

S# 49
‘네가 보낸 사진에서 아픈 모습을 보
‘서하’의 손이 찍힌 사진에 자신의 손
여 주고 싶지 않은 마음을 느낄 수 있었
을 대어 봄.
어. 네가 궁금하고 보고 싶어.’

활동 안내 문학 작품을 주체
적으로 감상하기 위한 활동이
2 이 시나리오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이나 대사를 고르고, 그렇게 느낀 이유를 친

다. 자신이 감상한 내용을 친구


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들과 이야기하며 동일한 작품이
라도 다양한 감상이 가능함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장면이나 대사 장 씨 음……음……. 아름이는…… 친구요, 내 친구.

이유 ‘아름’이 어리다고 무시하지 않고 자신의 친구라고 생각하는 ‘장 씨’의 대답이 놀라웠다. 나이를 넘

어 서로의 처지를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두 사람의 우정이 멋지다고 생각한다.

234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4 17. 12. 11. 오후 8:12


목표 1 다음 활동을 하며 이 시나리오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를 파악해 보자.

활동 안내 작품이 담고 있는 (1) ‘아름’을 대하는 등장인물들의 태도를 정리하고, 사람들의 태도가 저마다 다른 이유를 생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이
작품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파
각해 보자.
악해 보는 활동이다. 이 시나리 예시 답안
오에서 ‘아름’을 대하는 인물들
의 다양한 태도와, 그러한 태도
가 나타나게 된 이유를 생각해 대수와 미라는 아름이를 택시 승객들은 아름이를
보게 한 후, 작품의 내용을 주체 세상에 하나뿐인 사랑스러운 자식으 신기해하거나, 혐오하거나, 동정의
적으로 재구성해 봄으로써 이
시나리오의 사회 ·문화적 가치 로 대한다. 시선으로 바라본다.
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장 씨는 아름이를 불량한 학생들은 아름이를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진정한 친구로 기이한 동물처럼 대하며 괴롭힌다.

여긴다.

•사람들마다 태도가 다른 이유: 사람들은 각자의 경험이나 지식, 자라 온 환경이나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대상이라도 그에 대한 생각과 태도가 다른 것이다.
도움말 (2) 자신이 등장인물이라면 ‘아름’에게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할지 상상해 보자.
이 시나리오 속 인물이 되 예시 답안
어 인물이 했던 대사나 행동
을 재구성하거나, 특정 장면 내가 만약 택시 승객이었다면, 아름이에게 건강해지라는 말 대신
에 새로운 인물을 창조하여 아빠의 옆자리를 지키고 있는 아름이의 모습이 참 든든해 보인다고 말
내용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 해 주었을 거야.

내가 만약 택시 승객이었다면, 아름이에게 아무 말도 건네지 않았을 거야. 관


심이 오히려 상처가 될 수 있거든.

•내가 불량한 학생들이었다면, 아름이에게 상처가 될 수 있는 말을 함부로 사용하지 않았을


거야. 말이 준 상처는 쉽게 잊히지 않기 때문이야.

(3) (1)과 (2)의 내용을 참고하여 이 시나리오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가치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이 시나리오는 소년과 노인의 삶을 동시에 살고 있는 ‘아름’을 통해 평범한 삶의 행복에 대해서 생각해 보
게 한다. 또한 편견과 호기심으로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 속에서 장애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쉽지 않은
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나리오를 접한 사람들은 자신과 다른 상황에 처한 인물의 삶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며 공감할 수 있다. 나
아가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을 대하는 바른 태도가 무엇인지, 사회적 약자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
지 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된다.

(1) 두근두근 내 인생 23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5 17. 12. 11. 오후 8:12


활동 안내 모방 시 쓰기를 통해서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직접 생산해 보는 활동이다. 「두근두근 내 인생」을 감상하며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면, 이 활동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차별과 편견 속
에서 살아가는 사회적 약자의 삶에 대해 생각해 보고, 이를 시로 형상화하도록 지도한다.

2 다른 사람에게 편견을 가졌던 경험을 떠올려 보고, 그 사람을 시의 화자로 삼아 다


음 작품의 모방 시를 써 보자.

도움말
일상생활에서 직간접적으 가난한 사랑 노래 — 이웃의 한 젊은이를 위하여
로 차별을 경험했던 적은 없 이 시의 주인공이자 시적 화자

는지, 책이나 텔레비전 프로 : 유사한 문장 구조 반복(반복법), 의문형 종결 어미 사용(설의법)

그램 등의 매체에서 편견 또 가난하다고 해서 외로움을 모르겠는가


는 차별과 관련된 내용을 접 너와 헤어져 돌아오는
했던 적은 없는지 떠올려 본다.
눈 쌓인 골목길에 새파랗게 달빛이 쏟아지는데.
▶ 눈 쌓인 골목길을 걸어오며 외로움을 느끼는 화자
작품 개관 가난하다고 해서 두려움이 없겠는가
갈래 자유시, 서정시
두 점을 치는 소리
애상적, 현실적, 감각 예전에, 시각을 세던 단위
성격
적 방범대원의 호각 소리 메밀묵 사려 소리에 : ‌당시(1980년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제재 가난한 삶. 반영된 시어
가난하고 소외된 삶 눈을 뜨면 멀리 육중한 기계 굴러가는 소리.
주제 ▶ 고된 노동의 삶을 살아가며 두려움을 느끼는 화자
에 대한 공감과 연민.
가난하다고 해서 그리움을 버렸겠는가
•호 소력 있는 어조를
사용함. 어머님 보고 싶소 수없이 뇌어 보지만
특징 •동일한 구문을 반복하
여 화자의 진솔한 감 집 뒤 감나무에 까치밥으로 하나 남았을
정을 강조함. 까치 따위의 날짐승이 먹으라고 따지 않고 몇 개 남겨 두는 감
새빨간 감 바람 소리도 그려 보지만. ▶ 고향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느끼는 화자

작가 소개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신경림(1936~)•시인. 인간
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향토 내 볼에 와 닿던 네 입술의 뜨거움
적 서정이 담긴 작품을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갈대」,
사랑한다고 사랑한다고 속삭이던 네 숨결
「농무」, 「목계장터」 등이 있 돌아서는 내 등 뒤에 터지던 네 울음. ▶ 가난 때문에 사랑하는 이와 함께 하지 못하는 화자
다.
가난하다고 해서 왜 모르겠는가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 - 신경림, 『가난한 사랑 노래』
외로움, 두려움, 그리움, 사랑 ▶ 가난 때문에 소중한 것들을 버려야 하는 슬픔

| 예시 |
화자: 영화 두근두근 내 인생 의 주인공‘아름’
. 화자:

설정 이유: 남과 다른 외모로 상처받은‘아름’


의 마음을 위로해 설정 이유:
주고 싶다.

모방 시: 모방
시: 예시 답안 후략된 부분 이어서 쓰기.

늙은 소년의 노래 아름이를 위하여 시한부 인생이라고 죽음이 두렵지 않겠는가


어머니의 울음소리 아버지의 한숨 소리에 / 내 가슴이 이렇게 먹먹한데.
노인의 얼굴이라고 해서 설렘을 모르겠는가 아프다고 해서 내 삶에 대한 존중을 버렸겠는가
힐끗거리는 눈빛에 발걸음이 빨라지고,
편지를 통해 전해지는 너의 손길이 이렇게 따뜻한데.
아픈 나를 동정하는 시선들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후략) 익숙해지지 않아 / 매일 주눅 들고, 고개를 숙이며 사는데.
장 씨 아저씨의 ‘친구’라는 말의 애틋함.
늙어 가는 것을 나눌 수 있는 이 한 사람이 / 얼마나 소중하고 감사한지.
아프다고 해서 왜 모르겠는가 / 무럭무럭 늙는 내 삶이지만
까만 하늘 속에서 그 어떤 별보다 / 아름답게 빛나고 있다는 것을.

236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6 17. 12. 11. 오후 8:12


문학 매체
활동 안내 문학뿐 아니라 다양한 글, 영화, 드라마 등의 작품에도 역사적·사회적 상황과
✚ 공동체의 가치가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활동이다. 작품에서 직접적으로 사회 문제를 다
루지 않더라도 이면에 담긴 사회·문화적 맥락과 가치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적용 1 책, 영화, 드라마 중에서 한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에 담긴 사회 · 문화적 맥락과


가치를 파악해 보자.
자료실
사회·문화적 맥락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
역사적·사회적 상황, 이념, 공
동체의 가치 등을 의미하며,
담화와 글의 수용, 생산 활동
에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 다문화 가정의 이야기를 다룬 ▲ 위안부 피해자의 이야기를 다


소설 완득이 룬 영화 귀향

▲ 상류층의 속물근성을 비판한 드라마 풍문으로 들었소

예시 답안

소개할 작품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맥락과 가치


이 작품에는 돈이 많다는 이유로 제왕적 권력을 누리며 자신들의 부와 혈
통을 후대에 세습하려는 대한민국 최상류층의 모습이 담겨 있다. 이 작품의
등장인물은 겉으로는 고상하지만 뒤로는 허영과 속물근성을 지니고 있으
드라마
며, 드라마는 이들의 삶을 풍자하고 있다. 이처럼 이 작품은 대한민국 상류
「풍문으로 들었소」
층의 귀족 의식과 계급을 세습하려는 욕망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보여 줌으
로써 높은 사회적 신분을 지니게 되었을 때,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것인
지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소개할 작품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맥락과 가치


이 작품에는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
다. 또한 주인공 ‘도완득’을 둘러싼 인물들의 삶을 통해 장애인이나 이주 노동
자가 처한 문제 상황도 보여 주고 있다. 이처럼 이 작품은 우리 사회가 해결
영화 해야 할 다양한 문제 상황과, 주인공이 이러한 갈등 상황을 해결해 나가는 모
「완득이」 습을 함께 보여 줌으로써 우리가 지녀야 할 올바른 삶의 태도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나아가 이러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노
력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해결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인식
을 갖게 한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두근두근 내 인생을 읽고 관련 문학 작품을 생산하면서 문학 작품에

정리하기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평가해 보았다. 문학 작품뿐 아니라 다양한 예술 작품


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를 생각하며 작품을 주체적으로 감상해 보자.

(1) 두근두근 내 인생 23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7 17. 12. 11. 오후 8:12


총 6차시

(2)
학습 목표 •주제, 독자를 분석하고 이에 따
라 타당한 근거를 들어 설득하는 글을 쓴다.
•주제, 목적, 독자, 매체를 고려하여 쓰기 과정을 점검
하고 조정하며 능동적으로 글을 고쳐 쓴다.

역량 목표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 분


석, 평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글을 쓴다.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공익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공익 광고를 보고 광고의 의도를 파악해 보는 활동이다. 이 공익 광고가 전달하려는 주제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 이러한 주제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어떤 구성과 표현 방법을 사용했는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이 활동을 통해 설득하는 글을 쓸 때 주제 선정과 표현
방식이 중요함을 인식하도록 지도한다.


“ , .

‘방심’이 하는 거짓말에 속지 마세요.


안전사고는 나를 속이는 작은 거짓말에서 시작됩니다.

예시 답안 이 광고는 안전 문제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다. 거짓말을 하면 코가 길어지는 피노키오의 이미지와 “괜찮아, 안전해.”라
는 피노키오의 거짓말을 광고 문구로 제시하고 있다. 방심이 하는 거짓말은 나사로 만든 피노키오의 코를 점점 길어지게 하고, 결국
나사가 빠져 안전에 위협을 주는 상황을 재치 있게 표현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동화의 내용을 광고의 주제와 연결하여
우리 사회에 퍼진 안전 불감증을 날카롭게 경고하고 있다.

238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8 17. 12. 11. 오후 8:12


알아
두기 1 설득하는 글
설득하는 글은 글쓴이의 생각이나 주장을 독자에게 전달하여 독자의 의식이나 행동에 영향
설득하는 글을 쓰는 목적
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득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생각이나 주장이 뚜렷해야 하고,
『 』: 설득하는 글의 요건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합리적이고 이치에 맞아야 한다. 또한 글을 쓸 때 주장의 내용과 성
격, 독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풍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선별해야 하며, 주장을
잘 드러낼 수 있는 표현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설득하는 글에는 논설문, 연설문, 건의문, 신
설득하는 글의 종류
문 사설 등이 있다.

2 쓰기 맥락
쓰기 맥락은 글의 주제, 글을 쓰는 목적, 예상 독자, 글이 실릴 매체 등과 같은 다양한 글쓰
쓰기 맥락의 개념
기 상황을 말한다. 소재가 같은 글이라도 글의 주제가 무엇인지, 글을 쓰는 목적이 설명인지,
쓰기 맥락 ① 쓰기 맥락 ②
설득인지, 정서 표현인지에 따라 글의 내용이나 형식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예상 독자의 나
쓰기 맥락 ③
이와 배경지식은 어떠한지, 글이 실릴 매체는 어떤 것인지에 따라서도 글을 쓰는 방법에 차이
쓰기 맥락 ④
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글을 쓸 때나 고쳐쓰기를 할 때에는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쓰기 과정
글을 쓸 때나 고쳐쓰기를 할 때 유의할 점
을 점검하고 조정하며, 글의 내용이나 형식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것이 좋다.

참고 자료
설득하는 글의 종류
논설문 어떤 문제에 대한 자기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증명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글.
연설문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말하기 위해 미리 작성해 놓은 글.
건의문 어떤 문제에 대한 의견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그것이 받아들여지도록 요구하는 글.
신문 사설 국내적·국제적 시사 문제에 대하여 신문사가 글로써 표명하는 의견이나 주장.

설득하는 글을
쓸 때 고려해야 할
?! 점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쓰기 맥락에 따라 설득하는 글을 쓰고, 쓰기 과정을 점검하여 글을 고
쳐 써 볼 것이다. 설득하는 글을 쓸 때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이 단원에
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글을 쓸 때 쓰기 맥락을 고려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설득하는 글을 쓰기 위해 준비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글을 고쳐 쓸 때에는 어떤 점을 중심으로 점검해야 할까?

(2)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23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39 17. 12. 11. 오후 8:12


학습 포인트 •글의 주장과 근거 및 글쓰기 전략 파악   •쓰기 맥락을 고려한 근거의 타당성 평가

활 1 설득하는 글 읽기
소단원 정리 PPT
제재 구조도

기존의 학문 체계에
서론 도전했다가 곤욕을 치 ‘활동 ’은 설득하는 글을 읽으며 주장과 근거 및 쓰기 맥락을 파악하고, 글의 적절성
른 ‘갈릴레이’의 사례.
‘갈릴레이’와 ‘존 스노’
을 평가해 보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하며 설득하는 글의 일반적인 특징을 이해한다.
본론 의 사례에서 알 수 있는 제목 풀이 「용기 있는 이단자들의 반란」이라는 이 글의 제목 제재 개관
이단적 발상의 가치. 은 새로운 생각이나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들을 ‘이단자’에 비유하 갈래 칼럼
며, 그들의 용기 있는 행동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글쓴이의 성격 설득적, 논증적
새로운 생각을 수용하
결론 주장을 압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제재 갈릴레이와 존 스노의 사례.
는 문화 조성의 필요성.
용기 있는 이단자들의 반란 _ 유정식 주제
새로운 생각을 수용하는 문화와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실재했던 과학적 사실을 근거로 들어
특징
독자를 설득함.
서론 과학사를 들춰 보면 기존의 학문 체계에 도전했다가 곤욕을 치른 인물들의 5
지구가 자전하면서 태양의 주위를 돈다는 학설
유정식 이야기를 자주 만날 수 있다. 대표적인 인물이 천동설을 부정하고 지동설을
(1970~) 우주의 중심은 지구이고, 모든 천체는 지구의 둘레를 돈다는 학설
주장한 갈릴레이이다. 천동설을 지지하던 당시의 권력층은 그들의 막강한 힘
경영 상담사. 경영 전략과 ‘용기 있는 이단자’의 예시 ①
인사 전문 상담사로 일하고 을 이용하여 갈릴레이를 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이단자로 욕하고 목숨까지 위
있다. 저서로는 『경영, 과학에
게 길을 묻다』, 『전략가의 시 협했다. 갈릴레이가 영원한 침묵을 맹세하지 않고 계속 지동설을 주장했더라
나리오』 등이 있다.
면 그는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졌을지도 모른다. 이처럼 천동설을 믿었던 당시 10
사형대에서 처형되어 죽었을지도
글쓴이가 ‘갈릴레이’의 사 의 사람들에게 갈릴레이는 진리의 창시자가 아니라 그저 불온한 이단자에 불
례를 글의 앞부분에 제시한
이유는 무엇일까? 과했다. ▶ 기존의 천동설을 부정하고 지동설을 주장한 ‘갈릴레이’
서론 기존의 학문인 천동설을 부정하고 지동설을 주장했다가 곤욕을 치른 ‘갈릴레이’의 사례.
예시 답안 글쓴이는 독자의
관심을 환기하고, 흥미를 유발
본론 당시의 사회적 통념으로 새로운 가설이 무시되고 과학의 발전이 늦춰질 뻔
하기 위하여 독자에게 익숙한
인물을 사례로 들어 글을 시작
했던 사례가 또 있다. 1854년 8월 런던의 브로드가에 퍼진 콜레라는 불과 열
하였다. 또한 독자들에게 익숙
한 사례를 제시하여 앞으로 전
흘 만에 주민 5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 갔다. 당시 과학자들은 별다른 증거 15
콜레라의 원인에 대한 당시의 잘못된 사회적 통념
개할 주장에 대한 설득력을 높
이고자 한 것이다.
없이 오염된 공기로 콜레라가 전염된다고 주장했다. 보통 악취가 나는 하수구
■이단자(異端者) 전통이나 권 나 늪지대 근방에서 전염병이 유행했기 때문에 공기로 병이 전염된다는 주장
위, 세속적인 상식에 반항하
여 자기 개성을 강하게 주장 은 많은 사람의 지지를 얻었던 것이다.
▶ 콜레라가 오염된 공기로 전염된다고 믿었던 19세기의 통념
하여 고립되어 있는 사람.
그러나 영국의 의사 존 스노만은 예외였다. 그는 대담하게도 공기가 아니
■곤욕(困辱) 심한 모욕. 또는 ‘용기 있는 이단자’의 예시 ② 『 』: ‘존 스노’의 가설 입증 과정
참기 힘든 일. 라 물이 콜레라균의 매개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입증하려고 했다. 그는 20

■콜레라(cholera) 콜레라균이
빈민가를 돌아다니면서 콜레라의 전염 양상을 관찰하고 발병자와 사망자의
일으키는 소화 계통의 전염
병. 심한 구토와 설사에 따른 집 위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최초 발병자의 집 지하에 있는 정화조와 브로
증상, 근육의 경련 따위를 일 똥오줌을 하수도로 내보내기 전에 가두는 통
으키며 사망률이 높다. 드가 지하에 있는 상수도의 거리가 가까운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사람들이 쓸 물을 관을 통하여 보내 주는 설비

240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0 17. 12. 11. 오후 8:12


근거로 그는 최초 발병자의 장에서 나온 세균이 정화조와 토양층을 통하여 브
예시 답안 콜레라 예방에 공
헌하였고, 현대 의학의 연구 방
로드가의 상수도에 유입되었고, 그 상수도에서 물을 길어 먹었던 사람들이 콜
법에도 큰 밑거름이 되었다.
‘존 스노’의 연구가 사회에 레라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무모한 듯 보였던 존 스노의 연구는
기여한 점은 무엇인가?
콜레라의 전염 경로를 설명하여 콜레라 예방에 공헌했을 뿐 아니라 현대 의학
콕콕 정리
글쓴이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5 의 연구 방법에도 큰 밑거름이 되었다. 만약 존 스노가 오염된 공기로 병이 전
위한 두 가지 사례
•기존의 학문 체계인 천동설 염된다는 기존의 지배적 통념에 갇혀 있었더라면 더 많은 사람들이 콜레라에
을 부정하고 지동설을 주장
했던 ‘갈릴레이’. 감염되어 목숨을 잃었을지 모를 일이다. ▶ 기존의 지배적 통념을 깨고 콜레라의 전염 경로를
설명한 ‘존 스노’
•기 존의 과학자들과 달리,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물을 새로운 생각에 대한 너그럽지 못한 태도가 과학에서뿐만 아니라 사회나 조
통하여 콜레라가 전염된다 과학 분야의 사례를 통해 도출한 생각을 사회와 조직으로 확장함
고 밝혀낸 ‘존 스노’.
직의 발전을 해치는 경우를 찾는 일은 어렵지 않다. 사회나 조직이 구축한 문
10 화적 동질성은 구성원의 연대를 강화하고 구성원이 사회 공동의 목표에 집중
여럿이 함께 일하거나 함께 책임을 짐
하게 하는 순기능이 있지만, 기존의 제도나 학설에 도전하는 자를 처벌하려는
콕콕 정리

과학 불합리한 면도 있기 때문이다. ▶ 과학뿐만 아니라 사회나 조직도 새로운 생각에 너그럽지 못함

기존의 지배적 통념을


벗어나 새로운 가설과 아 그러나 지동설을 주장한 갈릴레이와 콜레라의 감염 경로를 밝힌 존 스노의
이디어를 수용함으로써 발 『 』: 예시를 통한 결론 도출
전함. 경우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과학의 도약은 대개 이단적 발상을 통해 이루어졌

조직과 사회
15 다. 용기 있는 이단을 수용할 때에 발전과 도약이 가능했던 것이다. 조직과 사
사회 혁신의 동력은 기
회도 이와 같다. 사회 혁신의 동력은 기존의 권위에 도전하는 충심 어린 이단
존의 권위에 도전하는 새 사회 발전을 위한 저항이기에 사용한 표현
로운 생각으로부터 나옴.
자들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 조직과 사회가 이단적 발상을 수용해야 하는 이유
본론 ‘갈릴레이’와 ‘존 스노’의 사례에서 알 수 있는 이단적 발상의 가치.
결론 영국의 시인 밀턴은 르네상스를 화려하게 꽃피운 이탈리아의 영광이 순식
『 』: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권위 있는 사람의 말을 인용함
‘이상한 말’은 어떤 말을 의 간에 몰락한 결정적 원인은 바로 갈릴레이를 영원히 침묵하게 만든 탓이라고
미할까?
20 했다. 기존 사회의 편협한 시각에서 벗어나 ‘이상한 말’에 귀를 기울이라는 충
■편협(偏狹 / 狹)한 한쪽으로 고이다. 용기 있는 이단자들을 감싸고 그들을 활용하라. 그것이 우리 사회의
치우쳐 도량이 좁고 너그럽지 이 글의 주제 - 새롭고 다양한 의견을 수용해야 함
못한. 성장과 발전의 동력임을 명심하자. ▶ 이단자를 받아들이는 것이 우리 사회의 성장과 발전의 동력임

예시 답안 기존 사회의 편협 결론 새로운 생각을 수용하는 문화 조성의 필요성.


한 시각이나 통념과는 다른 새 깜짝 퀴즈 - 유정식, 『샘터』
로운 발상을 의미한다. 1. ‌‘갈릴레이’는 권력층에게 목숨을 위협받는 상황에서도 끝까
지 지동설을 주장하였다. ➡×
2. ‌이 글에서는 기존의 지배적 통념에 대해 새로운 의견을 제
자료실 시하는 사람을 ‘☐ ☐ ☐’라고 부르고 있다. ➡ 이단자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1642) 존 스노(John Snow, 1813~1858)
이탈리아 르네상스 말기의 물리학자ㆍ천문학자ㆍ철학자로, 물체의 낙 영국의 의사로, 『콜레라의 전파 방식에 대해서』라는 책을 저술하여 콜
하 속도가 무게에 비례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 잘못되었음을 레라균이 발견되기 약 30년 전에 콜레라의 전파 방식을 밝혀내었다. 런
증명하고, 관성의 법칙 및 낙하 물체의 가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 등을 던에 유행한 콜레라가 물을 매개로 하는 전염병임을 알아내고 그 전염
밝혔다. 지동설을 주장하여 교황청으로부터 종교 재판을 받았다. 경로를 설명하여 콜레라 예방에 공헌하였다.
참고 자료 존 밀턴(John Milton, 1608~1674)
존 밀턴이 지은 실낙원은 인간의 원죄와 그 죄로 인한 낙원 상실의 비극적 사건을 다룬 작품으로,
이 작품에는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달 표면을 관찰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이후 존 밀턴은 아레오
파지티카(Areopagitica)라는 작품에서 자유를 빼앗긴 갈릴레이를 언급하면서 종교 재판의 영향으로 (2)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241
이탈리아의 학문이 굴욕적인 상태에 빠져 있음을 비통해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1 17. 12. 11. 오후 8:12


활 1
활동 안내 이 글의 내용을 파악하면서 설득하는 글의 일반적인 성격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설득하는 글의 일반적인
구성과 전개 방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
예시 답안
문단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여 이 글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중심 내용 근거 및 표현 방법

1 기존의 학설에 도전하는 일은 이단자로 몰릴 지동설을 주장했던 ‘갈릴레이’가 당시 이단자로


문단 몰렸던 사례를 제시함.
수도 있는 어려운 일임.

2~3 잘못된 사회적 통념이 과학의 발전을 늦출 ‘존 스노’가 콜레라의 전염 경로를 밝힌 사례를
문단 제시함.
수도 있음.

4~5 과학과 마찬가지로 사회나 조직도 용기 있는 이 과학 분야의 사례를 조직과 사회 분야에 적


문단 단을 수용하는 것이 필요함.
용하여 설명함.

6 이단자를 포용하고 그들을 활용하는 것이 우리


영국의 시인 밀턴의 말을 인용함.
문단 사회의 성장과 발전의 동력임.

활동 안내 이 글의 쓰기 맥락을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근거가 타당한지 평가해 보는 활동이다. 쓰기 맥락을 분석


하는 활동을 통하여 글쓰기는 글쓴이의 지식과 사고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와 매체와의 역동적인 상
호 작용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이 글의 쓰기 맥락을 파악하고, 글에 제시된 근거가 타당한지 평가해 보자.

(1) 이 글의 쓰기 맥락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주제 목적

새로운 생각을 수용하는 문화와 풍토를 독자를 설득하기 위함.

조성해야 한다.

쓰기 맥락

매체 예상 독자

전문적인 과학 지식을 지니지 않은 일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잡지의 기고란.
적인 독자.

예시 답안 (2) 쓰기 맥락을 고려할 때 1에서 정리한 근거가 타당한지 평가해 보자.


근거 근거의 타당성
지동설을 주장했던 ‘갈릴레 •새로운 생각을 수용하는 문화와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적절함.
이’가 당시 이단자로 몰렸던 •전문적인 과학 지식을 지니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예상 독자이므로 일반인에게 많이 알려진
사례 제시. 사례를 제시한 것은 적절함.
•‘존 스노’의 용기 있는 행동이 우리 사회에 기여한 바를 제시하여 주장의 설득력을 높이고 있
‘존 스노’가 콜레라의 전염 으므로 적절함.
경로를 밝힌 사례 제시. •‘존 스노’에 대해 잘 모를 수 있는 일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존 스노’에 대한 정보를 제

242 6. 함께 만드는 세상
영국의 시인 ‘밀턴’의 말 인용.
공하고 관련 사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근거로 적절함.
권위 있는 인물의 말을 인용하여 설득력을 높이고 있으므로, 글의 목적에 적절함.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2 17. 12. 11. 오후 8:12


학습 포인트 •글쓰기 과정에 따라 설득하는 글 쓰기   •개요 작성하기

활 2 설득하는 글 쓰기
‘활동 ’는 쓰기 맥락을 분석한 후 타당한 근거를 들어 설득하는 글을 써 보는 활동이
다. 글쓰기의 일반적인 과정에 따라 한 편의 설득하는 글을 써 본다.

활동 안내 설득하는 글을 쓰기
위해 글의 소재를 선정하고, 쓰기
1 설득하는 글에서 다룰 소재를 선정하고, 글의 쓰기 맥락을 분석해 보자.

맥락을 분석하는 활동이다. 설득하 (1) 다음 단계에 따라 설득하는 글에서 다룰 소재를 선정해 보자.
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설득하고자
하는 상황에 대한 관점을 정한 후
주장을 명료화해야 한다. 글의 소 좋은 (사회 / 동네 / 학교 / 학급 )을/를 만들기 위
재를 선정할 때에는 자신의 관심 1단계 선택하기
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분야를 설정하게 한 후에 구체적으
로 어떤 소재를 다룰지 선택하도록
안내한다. 글의 쓰기 맥락을 분석
할 때에는 쓰기 맥락에 따라 글의
2단계 구체화하기 환경 보호
내용과 형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쓰기 맥락을 설정하도
록 지도한다.

도움말 (2) 자신이 쓸 글의 쓰기 맥락을 분석해 보자.


예상 독자를 분석할 때에는 예시 답안

글을 쓰는 자신과 독자의 관 쓰기 맥락 분석한 내용


계, 독자의 배경지식 수준, 주
제에 대한 독자의 관심도 등
을 고려해야 한다. 이 글에서 주장하려는
일상생활에서 환경 보호를 실천해야 한다.
내용은 무엇인가?

이 글의 목적은 무엇인가? 환경 보호를 실천하도록 설득하는 것.

이 글의 예상 독자는 누구인가? 우리 학급 학생들.

이 글을 어떤 매체에
인터넷 학급 게시판.
실을 것인가?

(2)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24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3 17. 12. 11. 오후 8:12


활동 안내 설득하는 글의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근거를 마련해 보

활 2
는 활동이다. 글의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한 후, 수집한 자료 중에서 글의 근거로 적절한 내용을 선정하도
록 한다. 글의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선정한 내용이 글의 근거로 적절한지 점검하도록 지도한다.

2 글의 주제와 예상 독자를 고려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활용하여 근거를


마련해 보자.

도움말 (1)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주장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수집해 보자.
주장을 뒷받침하는 자료는 예시 답안

글에서 다룰 주제, 글쓴이의 서적 인터넷


관점, 예상 독자의 특성을 고
려한 후, 다양한 매체를 활용 •환경 오염의 실태를 정리한 책. •환경 단체 누리집에 게시된 환경 보호 운동을 홍
하여 풍부하게 수집한다. •심각한 환경 오염으로 고통을 겪게 된 인류의 미
보하는 글.
래를 담은 책.
•환경 단체의 누리소통망(SNS)에 게시된 자료.
•환경 보전 문제에 대한 이론을 다룬 책.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담은
인터넷 신문 기사.

방송 기타

•환경 오염의 원인과 그 심각성을 다룬 현장 고 •환경 운동가와 면담한 내용.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재활용을 실천하고 있는 주
발 프로그램.
변 학교의 사례.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모색하는 내용의 환경 다
큐멘터리 프로그램.

도움말 (2) (1)에서 조사한 자료를 선별하여 근거를 마련한 후, 그 적절성을 점검해 보자.
예시 답안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타당성, 객관성, 사실성, 신뢰
근거의 내용 적절성 점검
성 등을 갖추어야 하고, 주장
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야 한다. 환경 재단이 누리집에 게시한 우리나라 환경 위기 시각 친구들에게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알
근거 1
을 조사한 자료. 리는 데 적절함.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덴마크의 사례를 다룬 인터넷 신 재활용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근거 2 문 기사의 내용. 적절함.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주제와


환경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하나뿐인 지구」에서 다루었 관련되었지만, 예상 독자인 학생들이 실
근거 3
던 ‘흙부대 집’에 대한 내용. 천하기는 어려운 방법을 다루고 있으므
로 이 글의 근거로는 적절하지 않음.

244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4 17. 12. 11. 오후 8:12


활동 안내 2에서 마련한 근거를 적절하게 조직하여 글의 개요를 작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설득하는 글을 써 보는 활
동이다. 조사한 자료들과 마련한 근거들 중 주제를 뒷받침하는 데 불필요한 정보는 지워 나가며 글의 흐름을 일관성 있
게 유지하도록 지도한다.

3 자신이 쓸 글의 개요를 작성한 뒤, 설득하는 글을 써 보자.

자료실 (1) 2에서 마련한 근거를 적절하게 조직하여 글의 개요를 작성해 보자.
예시 답안
설득하는 글의 일반적인 짜임

문제 제기, 본론에 •환경 문제의 심각성 제시.


서론 …
서론 서 다룰 내용의 전개 •환경 보호를 위한 실천의 필요성 제기.
방향 제시.
문제 상황 및 해결
방안과 논거 제시, 1. 우리 학급에서 쓰레기가 분류되지 않은 채 버려지고 있는 문제 상황 제시.
본론
상반된 견해에 대한 2. 환경 보호를 실천하고 있는 다양한 사례 제시.
검토와 비판. -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덴마크의 사례.
본론 …
- 쓰레기 분리배출을 모범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고등학교의 사례.
주장의 재강조, 전
3.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작은 것부터 실천하자는 주장.
결론 망 및 새로운 시각이
- 쓰레기를 버릴 때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품을 분류해 자원의 낭비를 막아야 함.
나 관점 제시.

결론 … 학생들이 스스로 환경 보호를 위해 실천하는 태도를 지녀야 함을 강조.

(2) (1)에서 작성한 개요를 바탕으로 설득하는 글을 써 보자.

예시 답안
쓰레기 분리배출을 실천하여 환경을 보호하자
요즘 뉴스에는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다룬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정작 우리는 이를 실감하지 못하고 있
어. 환경 재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환경 위기 시각은 9시 27분으로 위험 수준이라고 해. 12시에
가까울수록 인류의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환경 시각은 작년보다 28분이나 더 늦어졌다고 하니
환경 문제가 정말 심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우리 학급의 친구들 역시 이런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내가 어제 청소 당번이라
쓰레기통을 정리하는데 분류가 전혀 안 되어 있더라고. 이면지로 활용할 수 있는 용지뿐 아니라 캔, 플라스틱 등이
일반 쓰레기와 같이 버려져 있었어. 우리가 재활용품과 일반 쓰레기를 분류해서 버린다면 자원이 쓸데없이 낭비되
지 않고 쓰레기를 처리할 때에 생기는 환경 오염도 줄어들지 않을까?
실제로 이렇게 재활용을 실천하고 있는 사례가 많이 있어. 행복 지수 1위 국가로 선정된 덴마크는 재활용을 철저
히 실천하여 2022년까지 가정의 쓰레기 50퍼센트를 재활용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해. 또 자원을 아끼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빈 병을 함부로 버리지 않으며 외출할 때에는 개인용 물병을 소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래. 작고 사소
한 부분에서부터 환경 보호를 실천하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
다른 나라뿐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이렇게 재활용을 실천하고 있는 사례는 또 있어. 의정부에 있는 한 고등학
교에서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쓰레기 분리배출을 실천하고 있대. 학생들이 만든 환경 동아리가 학교에서
나오는 쓰레기의 분리배출을 주도하고 있다고 해. 동아리에서 주기적으로 모여 활동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다른 학생들과 함께 실천하고 있는 것이지. 우리도 학급에 쓰레기 분리배출함을 만들어 재활
용품을 따로 모으는 게 어떨까. 또 이면지는 따로 모아서 연습장 등으로 재활용하면 좋겠어.
환경 보호는 결코 거창하거나 어려운 일이 아니야. 당장 우리 학급에서부터 쓰레기 배출을 줄이
고, 재활용품을 따로 모으는 것. 그게 바로 환경 보호의 첫걸음이라고 생각해. 조금 귀찮더라도 작은
것부터 하나씩 실천하면서 우리 힘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자.

(2)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24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5 17. 12. 11. 오후 8:12


학습 포인트 •쓰기 과정의 점검과 조정   •글 고쳐쓰기

활 3 고쳐쓰기
활동 안내 쓰기 맥락에 따라 같
은 소재의 글이라도 글의 내용이나
형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는 ‘활동 ’은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쓰기 과정을 점검·조정하며 글을 고쳐 써 보는 활동
활동이다. 가 와 나 의 쓰기 맥락을
비교해 보고, 이에 따라 글에 어떤 이다. 쓰기 맥락에 따른 글의 차이를 이해하고, ‘활동 ’에서 쓴 글을 고쳐 써 본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이 활동을 통해 쓰기 맥락 분석은
글의 설계부터 완성까지 중요한 영
향을 미치는 과정임을 이해하도록
1 가 와 나 를 읽고, 쓰기 맥락에 따라 두 글의 내용과 형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
지도한다. 악해 보자.

가 의 쓰기 맥락
가 환경이 급속하게 오염되면서 금수강산이라는 말이 무색한 시대가 되었습니
주제 환경 보호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
다.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혜택을 누리게 된 반면, 우리의 환경은 급속도
일상생활에서 환 『 』: 문제 제기
목적 경 보호를 위한 실 로 오염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제 ‘구호’뿐인 환경 보호가 아닌 ‘실천’으로서의 환
천을 촉구함. 환경 보호 ‘실천’의 중요성 강조
경 보호를 해야 할 때입니다.
독자 직장인
일상생활에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실천 방법 중 하나는 음식물 쓰
신문의 독자 투 일상생활에서의 환경 보호 방법 ①
매체
고란 레기를 줄이는 것입니다. 필요한 만큼만 먹고 음식을 남기지 않는 습관을 기르면
음식물 쓰레기 증가로 말미암은 환경 오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대기 오
의뢰를 받지 아니한
사람이 신문이나 잡지 염을 일으키는 자동차 매연을 줄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자가용보다는 대중교통
따위에 실어 달라고 일상생활에서의 환경 보호 방법 ②
원고를 써서 보냄. 또 을 이용하고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는 것을 생활화해야 합니다.
는 그 원고
이처럼 환경을 보호하려 노력하는 일은 어렵지 않습니다. 우리의 금수강산을 후
대에 물려줄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 작은 일부터 실천해 나갑시다. : 신문이라는 공식
적인 매체의 특성을 고
려하여 경어체를 사용
하고 있다.

나 의 쓰기 맥락

주제 환경 보호 나 요즘 뉴스에는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다룬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일상생활에서 환
정작 우리는 이를 실감하지 못하고 있어. 내가 어제 청소 당번이라 쓰레기통을
목적 경 보호를 위한 실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글쓴이의 경험을 근거로 제시
천을 촉구함. 정리하는데 분류가 전혀 안 되어 있더라고. 이면지로 활용할 수 있는 용지뿐 아
독자 학급 친구들 니라 캔, 플라스틱 등이 일반 쓰레기와 같이 버려져 있었어. 우리가 재활용품과
『 』: 글쓴이의 주장
학교 누리집의
매체 일반 쓰레기를 분류해서 버린다면 자원이 쓸데없이 낭비되지 않고 쓰레기를 처
학급 게시판
리할 때에 생기는 환경 오염도 줄어들지 않을까?
환경 보호는 결코 거창하거나 어려운 일이 아니야. 작은 것부터 하나씩 실천
하면서 우리 힘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자. : 대상 독자를 고려해 구어체를 사용
하여 친근하게 주장을 펼치고 있다.
예시 답안

가는예상 독자가 직장인이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자가용보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내용 나는예상 독자가 학급 친구들이므로 친구들이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인 쓰레기 분리배출을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친구들이 공감할 수 있는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며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246 6. 함께 만드는 세상
형식
가 는 신문의 독자 투고란에 실리는 공식적인 글이므로 경어체를 사용하고 있고, 나 는 학급 게시판에 자유롭게 올리는
글이므로 비격식체를 사용하여 친구들이 친근감을 느낄 수 있게 하고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6 17. 12. 11. 오후 8:12


2 ‘활동 ’에서 자신이 쓴 글을 평가한 뒤 고쳐 써 보자.

(1) 자신이 쓴 글을 친구들과 돌려 읽고 서로 평가해 보자.


예시 답안

평가 기준 평가 점수
글의 목적에 맞게 내용을 조직하였는가?
- ‘서론-본론-결론’의 구성에 따라 내용을 잘 조직함.

예상 독자의 특성을 반영하였는가?


- ‌청소 당번을 했던 경험을 제시하여 학급 친구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킴.

글이 실리는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였는가?


- 인터넷 게시판에 실리는 글이라는 점을 고려한 부분이 없음.

주제에 적합한 내용(자료와 근거 등)을 제시하였는가?


- 덴마크의 사례는 주장을 뒷받침하기에 설득력이 부족함.

정확한 단어를 사용하였고, 문장의 흐름은 자연스러운가?


- 맞춤법에 맞는 표기를 하였음.

(2) (1)의 내용을 참고하여 자신이 쓴 글을 고쳐 써 보자.

예시 답안
쓰레기 분리배출을 실천하여 환경을 보호하자

요즘 뉴스에는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다룬 기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정작 우


리는 이를 실감하지 못하고 있어. 환경 재단(www.greenfund.org)에서 발표한 자료
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환경 위기 시각은 9시 47분으로 위험 수준이라고 해. 환경 위
기 시계는 시간대별로 0~3시는 ‘양호’, 3~6시는 ‘불안’, 9~12시는 ‘위험’ 수준을
가리켜. 12시에 가까울수록 인류의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환경 위
기 시각은 작년보다 28분이나 더 늦어졌다고 하니 환경 문제가 정말 심각하다는 것
을 알 수 있어. 그렇다면 우리들은 환경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우리 학급의 친구들 역시 이런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
아. 내가 어제 청소 당번이라 쓰레기통을 정리하는데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들이 일반 쓰레기와 같이 버려져 있었
어. 이렇게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리지 않고 일반 쓰레기와 같이 그냥 버리게 되면 어떤 일이 일어
날까? 예를 들어, 건전지와 형광등이 그냥 버려져 땅에 묻힐 경우 알칼리 침출수가 땅으로 흘러들어 토양이 오염된
다고 해.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염된 토양에서 생겨난 망간이나 아연은 다시 대기를 오염시키게 돼. 만약 우
리가 건전지와 형광등을 따로 분류해서 버리고, 이것을 다시 재활용한다면 그만큼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지. 이렇게 재활용을 생활화하면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원의 낭비도 막을 수 있어.
우리 주변에서도 재활용을 실천하고 있는 사례는 또 있어. 의정부에 있는 한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만든
환경 동아리가 학교에서 나오는 쓰레기의 분리배출을 주도하고 있다고 해. 동아리에서 활동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다른 학생들과 함께 실천하고 있는 것이지. 우리도 학급에 쓰레기 분리배출함을 만들어
재활용품을 따로 모으는 게 어떨까. 또 이면지는 따로 모아서 연습장 등으로 재활용하면 좋겠어.
환경 보호는 결코 거창하거나 어려운 일이 아니야. 작은 것부터 하나씩 실천하면서 우리 힘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자. 재활용을 실천할 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댓글을 달아 줘.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주제, 독자를 분석하여 타당한 근거를 들어 설득하는 글을 쓰고, 쓰기 맥

정리하기 락에 따라 쓰기 과정을 점검·조정한 후 자신이 쓴 글을 고쳐 써 보았다. 글로 자신의 생각


을 논리적으로 표현하여 상대방을 효과적으로 설득해 보자.

(2)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24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7 17. 12. 11. 오후 8:12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제시된 단어의 뜻을 보고 해당하는 단어를 고르면서, 혼동하기 쉬운 두 단어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다.

● 풀이에 맞는 어휘를 고른 후, 앞에 쓰인 숫자를 차례대로 확인하여 약속 날짜와 시간을 확인해 보자.

자꾸 밉살스럽게 지껄이며 짓궂게


심한 모욕. 또는 참기 힘든 일.
빈정거리다.
하나
8 곤욕 9 곤혹
1 이기죽거리다 2 께죽거리다

몸이 마르고 낯빛이나 살색이 핏기 말이나 행동이 들떠 미덥지 아니하


가 전혀 없다. 셋 고 자꾸 허황되게 행동하다.

4 파리하다 6 두리두리하다 5 끈적거리다 7 껄렁거리다

마땅히 머뭇거리거나 두려워할 상


한쪽으로 치우쳐 도량이 좁고 너그
황에서 태도나 기색이 아무렇지도 않
럽지 못함. 다섯 은 듯이 예사롭다.

2 편견 3 편협
0 태평하다 5 태연하다

우리가 만나기로 한 약속 날짜와 시간은

8 월 1 7 일 4 시 3 5 분이야.

참고 자료
•곤혹: 곤란한 일을 당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
•께죽거리다: 1. 불평스럽게 자꾸 중얼거리다. 2. 음식을 몹시 먹기 싫은 듯이 자꾸 되씹다.
•끈적거리다: 1. 끈끈하여 자꾸 척척 들러붙다. 2. 성질이 끈끈하여 자꾸 검질기게 굴다.
•두리두리하다: 둥글고 커서 시원하고 보기 좋다.
•편견: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
•태평하다: 1. 나라가 안정되어 아무 걱정 없고 평안하다. 2. 마음에 아무 근심 걱정이 없다.

248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8 17. 12. 11. 오후 8:12


정리하기

두근두근 내 인생

조로증으로 16세의 나이에 80세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자신의 상황에 절망하지 않고


‘ 아 름 ’
밝은 태도로 살아감.

‘미라’와 ‘대수’ 자신들보다 빨리 늙어 가는 아들 ‘아름’을 위해 희망을 잃지 않고 씩씩하게 살아감.

‘장 씨’ ‘아름’에게 의지가 되는 존재로 ‘아름’을 이해해 주는 친구임.

‘아름’을 처음 택시 승객들, 불량한 학생들, 길에서 마주친 사람들은 자신과 다른 ‘아름’의 모습에 놀라
본 사람들 거나 ‘아름’을 동정하는 등 다양한 반응을 보임.

소년과 노인의 삶을 동시에 살고 있는 ‘아름’과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다양한 삶의 모습을 존중하고 함께 어우러져 사는 사회의 가치를 깨닫게 함.

마음을 움직이는 설득
•설득하는 글은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독자에게 전달하여 독자의 의식이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설득하는 글을 쓸 때에는 글의 주제에 적합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타당한 근
거 를 마련해야 한다.
•소재가 같은 글이라도 글의 주제, 글을 쓰는 목적, 예상 독자, 글이 실릴 매체 등의 쓰기 맥 락 에 따라 글의 내
용이나 형식이 달라질 수 있다.
•글쓰기를 하고 글을 고쳐 쓸 때에는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쓰기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하며, 글의 내용이나 형식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것이 좋다.

이 단원을 마치며
3 문학 작품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며 작품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3 개인의 경험에 사회・문화적 가치를 부여하여 자신의 관점이 드러난 문학 작품을 생산할 수 있다.
3 주제와 독자에 맞는 타당한 근거를 들어 설득하는 글을 쓸 수 있다.
3 쓰기 맥락을 고려하여 쓰기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24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49 17. 12. 11. 오후 8:12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역사 속 위인들의 명언을 보면서 한마디 말의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는 활동이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를 더 좋
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의 업적과 생애에 대해서 알아보는 한편, 그들이 남긴 말 한마디가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고, 말의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한다.

세상을 바꾼 사람들의
말 한마디

1597년 1860년 1893년

조선 시대에 임진왜란 휴전 교섭이


결렬된 뒤, 다시 일본이 쳐들어와 국민이 국정에 직접 또는
일으킨 전쟁 간접으로 참여하는 권리

정유재란 발발 링컨, 뉴질랜드,


“죽기로 마음을 먹으면 반드시 살고, 미국 대통령 당선 세계 최초로
살기로 마음을 먹으면 반드시 죽는다.” “국민의, 국민에 여성 참정권 인정
- 이순신(1545~1598) 의한, 국민을 위한 “모든 종류의 차
정부.” 별, 즉 인종, 계급,
이순신은 13척의 배로 130여 척의 왜군을 물
- 링컨(Abraham 신념과 성별에 따
리쳤다.
Lincoln, 1809~1865) 른 차별은 비인간적이며 반드시 극복돼
야 한다.”
링컨은 미국의 제16대 대통령으로 민주주의 - 케이트 셰퍼드(Kate Sheppard,
발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1847~1934)

케이트 셰퍼드는 여성 참정권 운동을 이끌며


여성의 투표 권리를 찾아 주었다.

250 6. 함께 만드는 세상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50 17. 12. 11. 오후 8:12


인도 독립 선포 테레사 수녀 사망
“폭력은 짐승의 “나는 내가 아픔을 느낄 만큼 사랑하면
법칙이며 비폭력 아픔은 사라지고 더 큰 사랑만이 생겨난
은 인간의 법칙이 다는 역설을 발견했다.”
다.” - 테레사(Teresa, 1910~1997)
- 간디
(Mohandas Karamchand Gandhi, 테레사 수녀는 우리에게 사랑과 봉사, 헌신
의 가르침을 주었다.
여러분이
1869~1948)

간디는 영국에 대해 비폭력 저항을 전개하며


세상에 남기고
전 세계에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웠다. 싶은 말은 무엇
인가요?

1945년 1947년 1964년 1997년

무기 징역의 형벌

대한민국 광복 넬슨 만델라
“나의 소원은 우 종신형 선고
리나라 대한의 완 “피부색이나 배
전한 자주독립이 경, 종교 등의 이
오.” 유로 다른 사람을
- 김구(1876~1949) 증오하도록 태어
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김구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자주독립의 열 - 넬슨 만델라
망을 일깨웠다. 국가 따위가 다른 나라의 간섭을 (Nelson Mandela, 1918~2013)
받거나 다른 나라에 의존하지 아
니하고 자주권을 행사하는 일
넬슨 만델라는 1994년 남아
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에 선출되어, 사람들
에게 차별 없는 세상을 꿈
꾸게 하였다.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우리에게는 우리가 살아갈 이 사회를 좀 더 나은 모습으로 변화시킬 책임이 있다. 세상은 한 번에
바뀌는 것이 아니지만 어떤 변화가 만들어지는 결정적인 순간은 반드시 존재하기 마련이다. 역사적인 전환을 이루어 낸
인물들의 말을 되짚어 보며 우리가 만들고 싶은 세상과 세상에 남기고 싶은 말을 떠올려 보자.

국어와 통하다 25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6(214~251)ok.indd 251 17. 12. 11. 오후 8:12


대단원 표지 그림
•세종 대왕과 한글 자모를 보며 세종 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책을 읽거나 컴퓨터 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며 우리의 언어생활
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52 17. 12. 11. 오후 8:15


쓰기
읽기
문법

문학
듣기
말하기
통합 듣기•말하기 영역 + 문법 영역

대단원 설정 이유
이 단원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국어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국어의 특

7
총 16차시 성과 올바른 소통 방법에 대해 배울 것이다. 또한 세계 속 한국어의 위
상을 알고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탐구하여 학생들이 국어의 가치
를 깨닫고, 나아가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실제 언어 자료를 직접 분석하고 탐구하는 활동이 많으므로 학생들
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탐구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국어의 가치를 이해하고, 국어 발전에 이바지하려는 태
도를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국어의 문법 요소
국어의 어제와 오늘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53 17. 12. 11. 오후 8:15


대단원 성취기준
[문법 03] 문법 요소의 특성을 탐구하고 상황에 맞게 사용한다.

의 길잡이 [문법 0 1]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하고 국어 생활을 한다.


[문법 05] 국어를 사랑하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닌다.
[듣기·말하기 06]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지닌다.

학습 목표

다양한 문법 요소의 특성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국어를 사랑하고 국어 발


을 탐구하고 담화 상황에 맞 이해하며 국어 활동을 한다. 전 및 언어 공동체의 바람직
게 사용한다. 한 의사소통 문화 발전에 기
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문법 문법 문법 듣기 말하기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말하고, 듣고, 읽고, 쓸 때 항상 국어


를 사용한다. 국어는 우리의 생활과 깊숙이 연관되어 있으면서
우리의 사고를 반영하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7단원에서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국어의 문법 요소를
이해하고, 옛날 우리 조상들이 사용하던 국어의 모습을 살펴봄
으로써 국어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탐구할 것이다. 또한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을 확인하고, 우리의 담화 관습을 성찰하여 국어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자세를 모색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가 늘 사용하는 국어를 폭넓게 이해하고, 국어
발전의 새로운 주체가 되어 보자.

254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54 17. 12. 11. 오후 8:15


학습 과정

(1)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의 특성 이해하기.


국어의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을 담화 상황에 맞게 사용하여
문법 요소 원활하게 소통하기.

(2)
•중세 국어의 특징을 파악하고 실제 중세 국어 자료를 탐구하기.
국어의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를 비교하여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하기.
어제와 오늘

(3) •국어를 사랑하는 마음을 지니고 국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한국어의 •자신이 속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
위상과 미래 화 만들기.

국어 속 윤리
국어와 통
•전통 윤리의 ‘효’ 사상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살펴보기.
하다
•현대 사회에서 ‘효’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현대 국어의 문법 요소를 익히고 중
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특징을 탐구함으로써 변화하는 국어의
모습을 이해하고, 원활하게 소통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 단원을 배우면,
•자기 성찰·계발 역량: 국어의 가치를 이해하고 자신의 언어생
활을 성찰하며 의사소통 능력을 스스로 계발할 수 있는 능력을 다양한 국어 자료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탐구하고
기른다.
창의적인 생각을 펼쳐 나가면서
국어를 사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또한 우리의 언어생활과 의사소통 문화를 성찰하면서
국어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25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55 17. 12. 11. 오후 8:15


총 5차시

(1 )
학습 목표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
현, 피동 표현의 특성을 이해한다.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을 담화
상황에 맞게 사용하여 원활하게 소통한다.

역량 목표 •문법 요소의 특성을 비판적 ·창


의적으로 탐구하여 담화 상황에 적절하게 활용한다.

국어의 문법 요소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 속 인물들의 말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이유를 이야기해 보자.
활동 안내 실생활 속에서 문법 요소가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 판단해 보는 활동이다. 정확한 문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지 않
더라도 어떤 점이 어색한지, 왜 어색한지 그 근거를 찾아 이야기해 보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① 사물인 ‘음료’를 높여서 말하여 어색하게 느껴진다. ‘주문하신 음료가 나왔습니다.’라고 하면 적절하다.
② 불필요한 피동 표현이 사용되었다. ‘이 문이 열리지 않아.’라고 간단하게 말해도 의미가 자연스럽게 전달된다.
③ 현재를 뜻하는 ‘지금’과 과거에 했던 것을 의미하는 ‘했었어’가 어울리지 않는다. ‘나 지금 공부해.’라고 말하는 것이 적절하다.

256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56 17. 12. 11. 오후 8:15


알아
두기 1 문장의 종결 표현
국어는 종결 어미에 의해 문장의 종류가 결정된다. 국어의 문장은 종결 표현 방식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의 다섯 가지로 나뉜다.
국어의 문장 종결 표현의 종류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


평서문
•종결 어미 ‘- 다’, ‘- 습니다’ 등을 사용함. → 평서형 어미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


의문문
•종결 어미 ‘- 니’, ‘- 느냐’, ‘- (으)ㄹ까’, ‘- (으)ㅂ니까’ 등을 사용함. → 의문형 어미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강하게 요구하는 문장.


명령문
•종결 어미 ‘- 아라/- 어라’, ‘- (으)십시오’ 등을 사용함. → 명령형 어미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도록 요청하는 문장.


청유문
•종결 어미 ‘- 자’, ‘- (으)ㅂ시다’ 등을 사용함. → 청유형 어미

•화자가 청자를 별로 의식하지 않거나 거의 독백하는 상태에서 자기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
감탄문
•종결 어미 ‘- 구나’, ‘-군’ 등을 사용함. → 감탄형 어미

2 조사와 어미
높임, 시간, 인용, 피동 표현 등의 문법 요소는 조사와 어미를 통해 실현되는 경우가 많으므
로, 문법 요소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문장에서 조사와 어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
다. 조사는 주로 체언 뒤에 붙어서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그 말에 특
조사의 개념
별한 의미를 추가하는 품사이다. 어미는 용언이 활용할 때 변하는 부분으로, 문장에서 그 용
어미의 개념
언의 기능을 표시한다. 어미에는 용언의 맨 끝에 오는 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 앞에 오는 선어
어미의 종류
말 어미가 있다.

문법 요소를 담화
?! 상황에 맞게 써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문법 요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담화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에 상황에 맞는 문법 요소를 써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
지 생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문법 요소라는 말의 뜻은 무엇일까?
•우리말의 문법 요소에는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 외에 무엇이 더 있을까?
•문법 요소를 무시하고 말을 하거나 글을 쓴다면 어떻게 될까?

(1) 국어의 문법 요소 25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57 17. 12. 11. 오후 8:15


학습 포인트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의 개념 및 특성

활 1 문법 요소의 이해
소단원 정리 PPT

‘활동 ’은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의 특성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구체적인 예시 문장을 살펴보면서 각 문법 요소의 특성을 정리해 본다.

1 높임 표현
높임 표현은 화자가 대상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여 5
높임 표현의 개념
표현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이다. 높임 표현은 높임의 대상에 따라 상대 높임

법,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으로 나뉜다.


높임 표현의 종류
: 상대 높임법이 적용된 부분

자료실 반가워. 저도 반갑습니다. 상대 높임법은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는


오랜만이야. 정말 오랜만이에요.
상대 높임법의 개념
상대 높임법의 체계
방법이다. 높임과 낮춤의 정도에 따라 종
상대 높임법은 격식체와 비 『 』: 상대 높임법의 실현 방법
격식체로 나뉜다. 격식체는 결 어미가 달라진다. 화자 자신을 낮추는 10

주로 공식적인 경우에 쓰이며


‘하십시오체, 하오체, 하게체, ‘저’, ‘제’ 등의 어휘를 쓰기도 한다.
해라체’가 있다. 비격식체는
주로 비공식적이고 사적인 경
우에 쓰이며 ‘해요체, 해체’가
•너는 어디로 가니? 청자를 아주 낮춤.
있다. •저는 집에 갑니다. 청자를 아주 높임.

: 주체 높임법이 적용된 부분

자료실 부모님께서는 주체 높임법은 문장의 주체를 높이는 방


잘 지내시지? 네. 선생님께서도 주체 높임법의 개념
주체 높임법의 방법 같은 학교에 계시지요?
너도 잘 지내니? 법이다. 주격 조사 ‘이/가’ 대신 ‘께서’를 사 15

주체를 직접적으 주체 높임법의 실현 방법 ①


직접 로 높이는 것. 용하고, 일반적으로 서술어에 선어말 어미
주체 높임법의 실현 방법 ②
높임 예 아버지께서는 안
방에 계시다.
‘-(으)시-’가 붙어 실현된다. ‘있다’, ‘먹다’
대상의 신체 부 같은 단어 대신 ‘계시다’, ‘잡수시다’ 같은
분, 소유물, 생각 등 주체 높임법의 실현 방법 ③
간접 을 높여 주체를 간 특수 어휘를 쓰기도 한다.
높임 접적으로 높이는 것.
예 아버지께서는 걱
정거리가 있으시다. •선생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신다. 20

주격 조사 ‘께서’와 선어말 어미 ‘-시-’를 사용하여 문장의 주체인 ‘선생님’을


직접 높임.

258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58 17. 12. 11. 오후 8:15


: 객체 높임법이 적용된 부분

저도 선생님을 객체 높임법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


뵈러 갈게요. 객체 높임법의 개념
다음에 너를 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높이
만나러 갈게.
는 방법이다. 서술의 객체가 화자보다 나

이가 많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을 때 사용


콕콕 정리
높임 표현의 종류 5 한다. 부사격 조사 ‘에게’ 대신 ‘께’를 사용
『 』: 객체 높임법의 실현 방법
상대 청자를 높이거
높임법 나 낮추는 방법. 하고, ‘만나다’, ‘묻다’ 같은 단어 대신 ‘뵈
주체 문장의 주체를
높임법 높이는 방법.
다’, ‘여쭈다’ 같은 특수 어휘를 쓰기도 한다.
문장의 목적어
나 부사어가 지시
객체 •언니가 할머니께 선물을 드린다.
하는 대상, 즉 서
높임법
술의 객체를 높이
부사격 조사 ‘께’와 어휘 ‘드리다’를 사용하여 서술의 객체인 ‘할머니’를 높임.
는 방법.

활동 안내 제시된 문장에서
높임의 대상은 누구이며, 높임
1 다음 문장에서 높임의 대상을 찾고, 높임을 어떤 방법으로 실현하고 있는지 정리

의 방법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해 보자.
예시 답안
찾아보는 활동이다. 각 문장에
등장하는 두 명의 인물 중 누가 문장 높임의 대상 실현 방법
높임의 대상인지 찾아보고, 높
임의 실현 방법을 파악하면서 아주머니, 저는 이곳이 처음 •화자 자신을 낮추는 어휘‘저’
가 사용됨.
아주머니
앞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도록 입니다. •종결 어미‘-ㅂ니다’
로 실현됨.
지도한다.

영미야, 할아버지께서는 이 •주격 조사 ‘께서’가 사용됨.


할아버지 •선어말 어미 ‘-시-’가 사용됨.
미 진지를 잡수셨어. •‘먹다’ 대신 특수 어휘 ‘잡수시다’가 사용됨.

김 과장이 맡았던 업무는 사 •서술의 객체를 높이는 부사격 조사 ‘께’가 사용됨.


사장님
장님께 여쭈어 보게. •특수 어휘 ‘여쭈다’가 사용됨.

활동 안내 높임 표현이 잘못
사용된 문장을 고쳐 쓰는 활동
2 다음 문장을 높임법에 맞게 고쳐 써 보자.
예시 답안
이다. 각 문장에 해당하는 높임
법이 어떤 것인지도 구별해 볼
•(청자가 선생님일 때) 나는 집에 있어. 저는 집에 있어요./있습니다. (상대 높임법)
높임의 대상
수 있도록 지도한다.
•삼촌이 제주도로 여행을 떠난다. 삼촌께서 제주도로 여행을 떠나신다. (주체 높임법)
높임의 대상

•동생이 할아버지를 데리고 병원에 간다. 동생이 할아버지를 모시고 병원에 간다. (객체 높임법)
높임의 대상

(1) 국어의 문법 요소 25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59 17. 12. 11. 오후 8:15


활 1
2 시간 표현
언니한테 밥
먹었냐고 물어볼래?
네.

아까 먹었대요. 지금 먹는대요. 나중에 먹겠대요.

자료실 시간 표현은 시간을 언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시간 표현에는 시제와 동


시간과 시제의 차이
작상이 있다. 시제는 사건이 발생한 시점(사건시)이 그 사건을 언어로 표현하
시간은 자연에 존재하는 현 시제의 개념
상이고, 시제는 그 시간을 인 는 시점(발화시)보다 이전인지 이후인지, 아니면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국
위적으로 구분한 언어 표현이
다. 따라서 시간과 시제는 구 어의 문법 요소이다. 시제에는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가 있다. 5
시제의 종류
별되는 개념이다.

과거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는 시제이다. 과거 시제를 표현할


과거 시제의 개념 『 』: 과거 시제의 실현 방법
때에는 선어말 어미 ‘–았–/–었–’을 쓰며, 과거의 일이나 경험을 회상하는 의미

를 덧붙이고 싶을 때에는 선어말 어미 ‘–더–’를 쓴다. 관형사형 어미는 동사의


체언 앞에서 체언을 꾸며 주는 품사
경우 ‘– (으)ㄴ’과 ‘- 던’을,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의 경우 ‘–던’을 쓴다. ‘어제’,
‘이다’
‘아까’, ‘이미’ 등과 같은 부사어를 쓰기도 한다. 10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어
자료실
시제의 종류 •어제 친구를 만나 영화를 보았다.
부사어 선어말 어미
•과거 시제
•동생이 먹은 빵은 유통 기한이 지난 것이다.
관형사형 어미 관형사형 어미 ‘-ㄴ’
사건시 발화시

•현재 시제
현재 시제는 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하는 시제이다. 현재 시제를 표현할
사건시 = 발화시 현재 시제의 개념 『 』: 현재 시제의 실현 방법
•미래 시제 때에는 동사의 경우 선어말 어미 ‘–ㄴ–/– 는 –’을 쓰는데,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

발화시 사건시 의 경우에는 현재 시제 표시가 따로 없다. 관형사형 어미는 동사의 경우 ‘– 는’ 15

260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0 17. 12. 11. 오후 8:15


을,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의 경우 ‘– (으)ㄴ’을 쓴다. ‘오늘’, ‘지금’, ‘현재’ 등과
현재를 나타내는 부사어
같은 부사어를 쓰기도 한다.

•나는 오늘 줄넘기를 한다.


부사어 선어말 어미 ‘-ㄴ-’
•네가 지금 읽는 책의 제목이 무엇이니?
부사어 관형사형 어미

자료실 5 미래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뒤에 오는 시제이다. 미래 시제를 표현


미래 시제의 개념 『 』: 미래 시제의 실현 방법
선어말 어미 ‘-겠-’의 쓰임
할 때에는 선어말 어미 ‘–겠–’, 관형사형 어미 ‘–(으)ㄹ’을 쓰거나 ‘-(으)ㄹ’에
선어말 어미 ‘-겠-’은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의존 명사 ‘것’이 결합된 ‘–(으)ㄹ 것’을 쓰기도 한다. 예스럽게 표현할 때에는
추측이나 의지, 가능성이나
능력, 완곡하게 말하는 태도 선어말 어미 ‘–(으)리–’를 쓴다. ‘내일’, ‘장차’ 등과 같은 부사어를 쓰기도 한다.
미래를 나타내는 부사어
등을 표현하기도 한다.
예•다음에는 꼭 가겠습니다.
•나도 그건 할 수 있겠다.
•재민이는 장차 훌륭한 어른이 되겠다.
부사어 선어말 어미 ‘-ㄴ’
10 •우리는 내일 다시 만날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꿈을 이루리라.
부사어 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 선어말 어미

시제가 사건시와 발화시의 선후 관계를 표현한다면, 동작상은 사건 또는

동작 자체의 시간적 속성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먹다’라는 동작은 과거에서

부터 지금까지 먹고 있는 움직임이 진행 중인 상태와 먹는 움직임이 이미 끝

난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 내부의 시간적 흐름을 표현하는


동작상의 개념
15 국어의 문법 요소를 동작상이라고 한다. 동작상에는 진행상과 완료상이 있다.
동작상의 종류

진행상이란 어떤 동작이 시간의 흐름 속


진행상의 개념
창밖에 낙엽이
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을 때 사용하는 문법
쌓이고 있어요.
요소이다. 진행상을 표현할 때에는 주로
『 』: 진행상의 실현 방법

콕콕 정리
보조 용언 ‘–고 있다’ 또는 ‘–아 가다/–어
본용언 뒤에 붙어서 본용언의 뜻을 더해 주는 용언
시제 표현의 종류 20 가다’를 쓴다. 문장이 이어질 때에는 연결
과거 사건시보다 발화 문장과 문장을 이어 주는 어미
시제 시가 앞서는 시제. 어미 ‘–(으)면서’를 쓴다.
현재 사건시와 발화시
시제 가 일치하는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 •아까 널어 둔 빨래가 벌써 마르고 있다.
미래 보조 용언
보다 뒤에 오는 시
시제 •준현이가 반갑게 양손을 흔들면서 내게 다가온다.
제.
연결 어미

(1) 국어의 문법 요소 26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1 17. 12. 11. 오후 8:15


활 1
완료상이란 어떤 동작이 시간의 흐름 속
완료상의 개념
자료실 창밖에 낙엽이 에서 이미 끝났거나 그 결과가 지속될 때
쌓여 있어요.
동작상과 시제의 결합 사용하는 문법 요소이다. 완료상을 표현할
동작상은 다음과 같이 시제
와 결합하여 나타날 수 있다. 때에는 주로 보조 용언 ‘–아 있다/–어 있
『 』: 완료상의 실현 방법
예 •나는 아까 의자에 앉아
다’ 또는 ‘–아 버리다/–어 버리다’를 쓴다. 5
있었다. → 과거 시제 + 완료상
•나는 지금 의자에 앉아 문장이 이어질 때에는 연결 어미 ‘–고서’를
있다. → 현재 시제 + 완료상
콕콕 정리
•나는 내일 의자에 앉아 쓴다.
동작상의 종류
있겠다. → 미래 시제 + 완료상
어떤 동작이 시간의 흐름
진행상 속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을
•아까 널어 둔 빨래가 이미 말라 있다.
때 사용하는 문법 요소.
•준현이가 반갑게 양손을 흔들고서 내게 다가온다. 어떤 동작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미 끝났거나 그 결
완료상
과가 지속될 때 사용하는 문
법 요소.

활동 안내 제시된 문장이 각
각 어떤 시제에 해당하는지 찾
3 다음 시제에 해당하는 문장을 찾아 연결해 보자.
예시 답안
아 연결하는 활동이다. 시제 표
현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되 과거 시제 • •밖에는 비가 내린다.
었는지 그 방법까지 찾아 탐구 선어말 어미 ‘-ㄴ-’으로 실현된 현재 시제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현재 시제 • •어제는 머릿속이 어지러웠다.


부사어 ‘어제’와 선어말 어미 ‘-었-’으로 실현된 과거 시제

미래 시제 • •오후에는 강한 바람이 불겠습니다.


선어말 어미 ‘-겠-’으로 실현된 미래 시제

활동 안내 그림 속 상황에 해
당하는 문장을 주어진 동작상에
4 다음 상황을 주어진 동작상에 맞게 표현해 보자.

맞게 다시 써 보는 활동이다. 어
떤 문법 형식이 동작상의 차이 은서가 그림을 그린다. 민호가 책상에 엎드린다.
를 만드는지 이해하도록 지도한
다.

예시 답안 예시 답안
진행상 •은서가 그림을 그리고 있다. 완료상 •민호가 책상에 엎드려 있다.

•은서가 그림을 그려 간다. •민호가 책상에 엎드려 버렸다.

262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2 17. 12. 11. 오후 8:15


3 인용 표현
인용 표현은 다른 데에서 들은 말이나 읽은 글을 문장 속에 넣어서 전달하
인용 표현의 개념
는 국어의 문법 요소이다. 이때 문장 속에 넣어진 말이나 글을 인용절이라고

한다. 인용 표현에는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이 있다.


인용 표현의 종류

5 직접 인용은 다른 데에서 들은 말이나 읽은 글을 인용할 때 원래의 내용과


직접 인용의 개념
형식을 그대로 유지한 채 인용하는 방식이다. 직접 인용 표현을 할 때에는 인

용절에 큰따옴표를 하여 표시하고, 큰따옴표 뒤에 조사 ‘라고’를 쓴다.


직접 인용의 표현 방법
간접 인용은 다른 데에서 들은 말이나 읽은 글을 인용할 때 그 형식은 유지
간접 인용의 개념
하지 않고 내용만 인용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간접 인용 표현을 사용할 때에
10 는 인용절의 시간 표현, 높임 표현, 지시어, 종결 어미 등을 문장에 맞도록 적

절히 바꾸어야 한다. 간접 인용은 직접 인용과 달리 따옴표를 쓰지 않으며,


간접 인용의 표현 방법
해당 인용절 다음에 조사 ‘고’를 쓴다.

인용 표현을 사용할 때에는 원작자의 의도를 손상시키지 않아야 하고, 반


인용 표현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할 점
드시 인용한 말이나 글의 출처를 밝혀야 한다. 원문의 앞뒤를 잘라 내거나 일
콕콕 정리
인용 표현의 종류 15 부만 뽑아서 자기가 전달하고 싶은 뜻에 끼워 맞추는 행위, 출처를 밝히지 않
원래의 내용과 형
직접
식을 그대로 유지 고 원문을 사용하는 행위 등은 인용의 윤리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저작권을
인용
한 채 인용. 만든 이가 창작물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

간접 형식은 유지하지 침해하는 것이 된다.


인용 않고 내용만 인용.

활동 안내 직접 인용 표현과
간접 인용 표현을 바꾸어 쓰면
5 직접 인용은 간접 인용으로, 간접 인용은 직접 인용으로 바꾸어 써 보자.
예시 답안
서 각 인용 방법의 특성을 이해
직접 인용 간접 인용
하는 활동이다. 같은 의미를 담
고 있어도 두 가지 방법으로 인 철수는 어머니께 “사랑합니다.”라
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 철수는 어머니께 사랑한다고 말했다.
도한다. 고 말했다.

인태는 “수정이가 방금 운동장에 나갔어.”라고 인태는 수정이가 방금 운동장에


말했다. 나갔다고 말했다.

처음 바다를 본 그녀는 “바다가 정말 넓구나.” 처음 바다를 본 그녀는 바다가 정


라고 혼잣말을 했다. 말 넓다고 혼잣말을 했다.

(1) 국어의 문법 요소 26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3 17. 12. 11. 오후 8:15


활 1
4 피동 표현
팔- + -리- + -었- + -어

내가 오늘 붕어빵을 오늘 붕어빵이
백 개나 팔았어. 백 개나 팔렸어.

<능동 표현> <피동 표현>

피동 표현은 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서 어떤 동작을 당하거나 영향을 받


피동 표현의 개념
는 것을 표현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이다.
자료실 제힘으로 움직이는 행위의 주체가 주어인 문장을 능동문이라 한다. 이와
능동문과 피동문의 관련성
달리 피동문은 행위의 주체가 아닌 행위의 대상이 주어가 된다. 위의 만화에 5
능동문의 주어, 목적어는
피동문에서 각각 부사어, 주 서 ‘내가 오늘 붕어빵을 백 개나 팔았어.’라는 문장은 파는 주체이자 주어인
어로 바뀐다. 또한 능동문의
서술어는 능동사인데, 피동문 ‘나’에 초점을 둔 능동문이다. 한편 ‘오늘 붕어빵이 백 개나 팔렸어.’라는 문장
에서는 피동사로 바뀐다.
은 파는 대상인 ‘붕어빵’에 초점을 두어 표현한 피동문이다.
형이 물고기를 잡았다.

물고기가 형에게 잡혔다. 피동문을 표현할 때에는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혹은 ‘–되다’
『 』: 피동문의 실현 방법
콕콕 정리
를 쓰거나, 피동의 뜻을 나타내는 ‘–아지다/–어지다’ 혹은 ‘–게 되다’를 쓴다. 10
행위의 주체에 따른 표현의
종류
주어가 자기 힘
•능동문: 그의 마지막 득점이 경기의 승부를 뒤집었다.
능동문 으로 동작을 하는
문장. 피동문: 경기의 승부가 그의 마지막 득점으로 뒤집혔다.
피동 접미사 ‘-히-’
주어가 다른 주
피동문 체에 의해 동작을
당하는 문장.
피동 표현을 쓸 때 피동사에 ‘-아지다/-어지다’나 ‘-게 되다’를 또 붙여서
깜짝 퀴즈
1. ‌주체 높임법은 청자를 낮 이중 피동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또 불필요한 피동
추거나 높이는 방법이다. 피동이 이중으로 실현된 것
 ➡× 표현이 사용된 경우에는 능동 표현으로 바꾸어 써야 한다. 15
2. ‌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
하는 시제는 ☐ ☐ 시제이
다. ➡ 현재 헐- + -리- + -어지- + -었- + -다 → 이중 피동
3. ‌피동 표현은 주어가 다른 •그 집이 사람들에게 헐려졌다. 헐렸다.
주체에 의해 어떤 동작을
•공사 과정에서 발생된 소음으로 피해가 크다. 발생한
당하거나 영향을 받는 것
발생- +되- + -ㄴ → 불필요한 피동
을 표현한다. ➡◯
참고 자료 불필요한 피동 표현의 예
예•평화로운 사회가 만들어지려면 소수의 의견도 존중해야 한다.
→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려면 소수의 의견도 존중해야 한다.
264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소풍 날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 소풍 날짜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4 17. 12. 11. 오후 8:15


활동 안내 피동 표현의 특성
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피동문
6 다음 문장을 피동문으로 바꾸어 써 보자.

을 만들 때는 능동문의 주체와
객체가 서로 바뀌고, 서술어도 경찰이 도망치던 도둑을 잡았다. 그는 새로운 이론을 입증하였다.
능동사에서 피동사로 바뀐다는
예시 답안 예시 답안
점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도망치던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새로운 이론이 그에게 입증되었다.
잡- + -히- + -었- + -다. 입증 - + 되- + -었- + -다.

활동 안내 이중 피동 표현의
문제점을 깨닫고 올바른 피동
7 다음 글을 읽고 올바른 피동 표현을 사용해 보자.

표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활동


이다. 이중 피동 표현을 올바른
요즈음 국어에서 피동 표현의 사용이 늘고 있다. 몇몇 사람들은 이러한 현상이
피동 표현으로 바꾸어 써 보고,
나아가 일상에서의 불필요한 피 영어 번역 투에서 시작되었다고 본다.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영어의 특성이
동 표현을 찾아보며 학생들이
국어 생활을 성찰해 볼 수 있도 그대로 남아 있게 되고, 그 특성이 국어 사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록 지도한다. 서술의 대상
•기본 문장: 허균이 홍길동전 을 지었다.
•한국어 문장: 홍길동전 은 허균이 지었다.- 문장의 첫머리에 서술의 대상이 와도 능동 표현이 가능함
•영어 직역 문장: 홍길동전 은 허균에 의해 지어졌다.- 서술어를 피동 형태로 바꾸어야 함

위와 같이 한국어 문장은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워 문장의 첫머리에 서술의 대


상이 와도 능동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영어에서는 문장의 첫머리에 오는 성분
은 주어여야 하므로 같은 상황에서 서술어를 피동 형태로 바꾸어야 한다.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을 고려하지 않고 영어 문장을 직역하면 불필요한 피동
표현을 쓸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러한 문장에 익숙해지면 정작 피동 표현을 써야
자료실
할 때에 이중 피동 표현을 쓰게 된다. 그래야만 피동 표현이 강조되는 것처럼 느
사동 표현 이중 피동 표현을 쓰게 되는 이유
껴지기 때문이다. 한 예로, 인터넷상의 개인 정보를 삭제할 수 있는 권리인 ‘잊힐
주어가 동작을 직접 하는
것을 주동이라 하고, 주어가 권리’는 흔히 이중 피동 표현인 ‘잊혀질 권리’로 잘못 쓰인다.
남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것을 사동이라 한다.
•아기가 밥을 먹는다. → (1) 다음 문장에 쓰인 이중 피동 표현을 올바른 피동 표현으로 바꾸어 써 보자.
주어인 ‘아기’가 밥을 먹 예시 답안

는 동작을 직접 하므로 •내 이름이 불려지자 깜짝 놀랐다. 내 이름이 불리자 깜짝 놀랐다.


부르- + -리- + -어지- + -자
주동문이다. 이중 피동
•엄마가 아기에게 밥을 •유적지에서 많은 유물이 발굴되어졌다. 유적지에서 많은 유물이 발굴되었다.
발굴- + 되-+ -어지- + -었- + -다
먹인다. → 주어인 ‘엄마’
가, ‘아기’에게 밥을 먹는 이중 피동
행동을 하게 하므로 사
동문이다. (2) 일상생활에서 불필요한 피동 표현을 사용한 예를 찾아 바르게 고쳐 보자.
예시 답안 •
 종이가 찢겨졌다.(이중 피동) → 종이가 찢겼다./찢어졌다.
•일이 잘 마무리되어졌다.(이중 피동) → 일이 잘 마무리되었다.
•그녀가 범인이라니 믿겨지지 않는다.(이중 피동) → 그녀가 범인이라니 믿기지/믿어지지 않는다.

(1) 국어의 문법 요소 26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5 17. 12. 11. 오후 8:15


활동 1 국어의 문법 요소 한눈에 보기

화자가 대상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여 표현하는 국어

높임 표현 의 문법 요소.

상대 높임법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


주체 높임법 문장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
객체 높임법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는 방법.

•시제: 사건이 발생한 시점(사건시)이 그 사건을 언어로 표현하는 시점(발화


시간 표현 시)보다 이전인지 이후인지, 아니면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국어의 문법 요소.

시제
과거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는 시제.
현재 시제 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하는 시제.
미래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뒤에 오는 시제.

•동작상: 동작 내부의 시간적 흐름을 표현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

동작상
진행상 어떤 동작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을 때.
완료상 어떤 동작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끝났거나 그 결과가 지속될 때.

다른 데에서 들은 말이나 읽은 글을 문장에 넣어서 전달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


인용 표현
직접 인용 들은 말이나 읽은 글의 내용과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여 인용.
간접 인용 들은 말이나 읽은 글의 형식은 유지하지 않고 내용만 인용.

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서 어떤 동작을 당하거나 영향을 받는 것을 표현하

피동 표현 는 국어의 문법 요소.

능동문 주어가 자기 힘으로 동작을 하는 문장.


피동문 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 동작을 당하는 문장.

266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6 17. 12. 11. 오후 8:16


학습 포인트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의 올바른 사용

활 2 문법 요소의 실제
‘활동 ’는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이 실제 담화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확인하는 활동이다. 문법 요소의 기능을 알고 원활하게 의사소통해 본다.
활동 안내 문법 요소가 잘못 사용된 예를 보고 바르게 고쳐 보는 활동이다. 배운 내용을 복습하며 학생들이
자신의 언어생활을 점검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 다음 상황을 보고 잘못된 표현을 찾아 바르게 고쳐 보자.

①용준아,
선생님께서
너를 모시고
오시래.
→ 높임 오류

②창문이
닫혀지지 않아
찬바람이
들어온다. 잘못 쓰인
→ 피동 오류(이중 피동) 문장 표현을
올바르게
④ 사육장 관계자는 ③할아버지는
고쳐 볼까?
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매일 이 시간이면
말했습니다. → 인용 오류 낮잠을 자.
→ 높임 오류

닭 사육장 개선하여
폐사율 감소.

⑤ 혜영이는
아까 도서관에
가고 있어.
→ 시제 오류

예시 답안

잘못된 표현 바르게 고친 표현
① 용준아, 선생님께서 너를 모시고 오시래. → 용준아, 선생님께서 너를 데리고 오라셔.
② 창문이 닫혀지지 않아 찬바람이 들어온다. → 창문이 닫히지 않아 찬바람이 들어온다.
③ 할아버지는 매일 이 시간이면 낮잠을 자. → 할아버지께서는 매일 이 시간이면 낮잠을 주무셔.
사육장 관계자는 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말 사육장 관계자는 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
④ →
했습니다. 습니다.
⑤ 혜영이는 아까 도서관에 가고 있어. → 혜영이는 아까 도서관에 가고 있었어.

(1) 국어의 문법 요소 26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7 17. 12. 11. 오후 8:16


활 2
활동 안내 우리 사회에서 남용되고 있는 사물 존칭의 문제점을 인식하는 활동이다. 점원이 손님을 앞에 두고 제품을
높이면 손님이 제품보다 낮은 존재가 되므로, 불쾌한 표현이 된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다음 글을 참고하여 제시된 문장을 올바르게 고쳐 써 보자.

자료실
잘못된 높임 표현 고쳐 쓰기 ‘찾으시는 물건이 없으십니다.’, ‘환불이 안 되십니다.’, ‘이 색깔은 하나 남으셨
: ‌각 문장에서 잘못 높이고 있는 대상
•이 색깔은 하나 남으셨습니 습니다.’, ‘이 제품은 반응이 아주 좋으세요.’ 등…….
다. [×]
이런 말은 우리가 물건을 사려고 상점에 갔을 때 흔히 들을 수 있다. 이 같은 말
→ 이 색깔은 하나 남았습니
다. [◯] 을 듣고 “물건이 없으시다니? 물건이 나보다 윗사람인가?”, “고객을 존중하려 노
•이 제품은 반응이 아주 좋으 력하는 것도 좋지만 사물을 높여 표현하는 것은 도리어 불쾌감을 일으킨다.”라고
세요. [×]
→ 이 제품은 반응이 아주
말하는 사람들의 반응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국어에서 물건은 높임의 대상이 아
물건에는 높임 표현을 쓰지 않음
좋아요. [◯] 니다. ‘찾으시는 물건이 없으십니다.’는 ‘찾으시는 물건이 없습니다.’라고, ‘환불이
올바른 표현
안 되십니다.’는 ‘환불이 안 됩니다.’라고 고쳐 말해야 한다.
올바른 표현

•이 제품이 요즘 제일 잘 나가는 색상이세요.


예시 답안 이 제품이 요즘 제일 잘 나가는 색상이에요./색상입니다.

•손님, 가격께서는 모두 만 이천 원 되시겠습니다.


예시 답안 손님, 가격은 모두 만 이천 원 되겠습니다./만 이천 원입니다.

활동 안내 높임 표현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하는 점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높임의 등급은 고정된 것이 아니


라 상대적이고 유동적인 것임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3 다음 대화에서 같은 대상에게 높임 표현을 다르게 사용한 이유가 무엇인지 말해


보고, 이와 유사한 상황을 더 찾아보자.

도움말 시하야, 내가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 오늘은 인기 가수 백시하 씨를 모셨습니다.


상대 높임법은 화자가 청자 출연하기로 해 줘서 고마워. 만나서 반갑습니다. 백시하 씨.
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 가수 백시하입니다.
선배가 부탁하는 건데
로, 화자와 청자의 관계와 발 당연히 들어줘야지. 이렇게 초대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화 상황에 따라 그 실현이 달
라지기도 한다.

예시 답안 •높임 표현을 다르게 사용한 이유: 왼쪽에서는 친한 사이인 두 사람이 나누는 사적인 대화로 비격식체를
사용하고 있지만, 오른쪽에서는 방송에서 이루어지는 공식적인 대화 상황이기 때문에 높임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유사한 상황: ‌- 우리는 같은 반 친구끼리 서로 반말을 하지만, 학급 회의를 할 때에는 서로 존댓말을 한다.
268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 ‌사촌 누나는 내가 다니는 학원의 강사이다. 평소에는 내게 반말을 하지만, 수업 중에는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8 17. 12. 11. 오후 8:16


활동 안내 동작상의 올바른
용법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
4 다음 과정을 참고하여 제시된 문장을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고쳐 써 보자.

이다. 동작상을 사용할 수 있는


용언인 동사와, 그렇지 않은 용 본래 문장 그는 은퇴 후에도 여전히 바쁘고 있다.
언인 형용사를 구별하여 동작상
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이 문장이 어색한 이유는 ‘바쁘다’가 형용사이기 때문이다. 형용
밑줄 친 부분의 사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므로,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
표현이 어색한 이유 을 나타내지 못한다. 따라서 동작이 일어나는 모습을 표현하는 동
작상과 함께 쓰면 어색하다. → ‘동작상’은 ‘동사’에만 사용할 수 있다.

자연스러운 문장 그는 은퇴 후에도 여전히 바쁘다.

•종일 내리는 비 때문에 날이 어두워 있다. (동작상: ‘-어 있다.’)


예시 답안 종일 내리는 비 때문에 날이 어두워졌다. / 어두웠다. / 어둡다

•그녀의 눈은 언제나 초롱초롱하고 아름답고 있다. (동작상: ‘-고 있다.’)


예시 답안 그녀의 눈은 언제나 초롱초롱하고 아름답다. / 아름다웠다.

활동 안내 인용 표현을 사용
하여 글쓰기 활동을 할 때 지켜
5 가 와 나 를 읽고, 인용 표현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할 윤리를 정리해 보자.

야 할 점을 알아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사례를 읽어보고 인용
가 “한자를 많이 알아야 한다. 그래야 불필요한 한자를 덜 쓸 수 있다.”
표현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할 윤
리가 무엇인지 직접 정리해 볼 이 말을 소개할 때에 앞 문장만 인용하여 “한자를 많이 알아야 한다.”라고만 한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면, 본래 그 말을 한 사람의 의도를 손상시키는 것이다. 인용된 말만 듣는 사람
에게는 한자 공부가 가장 중요하다는 뜻으로 전달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 김◯ ◯ 씨가 제출한 박사 학위 논문은 다른 열 편의 논문을 출처 표기 없이

옮겨 쓴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 문헌에라도 해당 논문에서 발췌하거나 요약했다


는 표기가 있어야 하지만, 김◯ ◯ 씨의 참고 문헌 목록 어디에도 열 편의 논문을
언급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예시 답안

가 나
   원작자의 본래 의도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    출처를 반드시 밝혀야 한다.

(1) 국어의 문법 요소 26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69 17. 12. 11. 오후 8:16


활 2
활동 안내 의도적으로 피동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글쓴이 또는 말하는 이가 표현 방법
을 선택하는 의도를 파악한다면 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깨닫도록 지도한다.

6 다음 글을 참고하여 만화로 제시된 상황에서 표현 방법에 따라 인물의 반응이 다


른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해 보자.

도움말
행위의 주체를 밝히고 싶지 피동 표현을 사용하면 문장에서 실제 행위를 하는 주체는 드러나지 않고 행위
않거나 행위의 주체가 명확하 의 결과를 당하는 대상에 초점이 가기 때문에 행위를 하는 주체가 숨겨진다. 이러
지 않을 때 피동 표현을 사용
한 특성 때문에 의도적으로 피동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기도 한다.

뭐야? 저런…….
누가 그랬지? 안타까운 일이군.

예시 답안 능동 표현을 사용하면 ‘물을 낭비하는’ 행위의 주체가 드러나기 때문에 독자는 주체의 잘못을 따지게
된다. 그러나 피동 표현을 사용하면 행위의 주체가 드러나지 않고, 물이 낭비되는 사실에만 초점이 맞춰지기 때문
에 독자는 안타까움을 느낀다.

그러네요.
네. 닦을게요! 죄송합니다.
식탁을 안 식탁이 안 지금 닦을게요.
닦으셨어요. 닦여 있어요.

예시 답안 능동 표현을 사용하면 ‘식탁을 안 닦은’ 행위의 주체가 드러나고, 주체의 잘못을 지적하는 것처럼 들
리기 때문에 종업원은 기분이 나빠질 수 있다. 그러나 피동 표현을 사용하면 식탁이 안 닦인 사실 자체에만 초점
이 맞춰지기 때문에 종업원은 오히려 미안함을 느낄 수 있다.

270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0 17. 12. 11. 오후 8:16


활동 안내 지금까지 배운 국
어의 문법 요소를 적용하여 잘
7 다음은 자기를 소개하는 발표문의 일부이다. 이를 | 조건 | 에 맞게 고쳐 써 보자.

못된 표현을 고쳐 쓰는 활동이 | 조건 |
다. 제시된 ‘조건’을 바탕으로 문
법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글을 ① 청자를 높이는 표현으로 고쳐 쓴다.
고쳐 보고, 실생활에서 문법 요
② 직접 인용을 간접 인용으로 고쳐 쓴다.
소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태도가
필요함을 지도한다. ③ 잘못 쓰인 높임 표현과 시간 표현을 바르게 고쳐 쓴다.
④ 부적절하게 사용한 피동 표현을 능동 표현으로 고쳐 쓴다.

안녕? 나는 이현서라고 해.
문학에 관심이 많은 나는 초등학교 3학년 때 백일장에 참가되었어. 하루 종일
고생해서 시를 써냈지만 수상하지 못했지. 실망할 나에게 어머니께서는 “실패란
하나의 사건일 뿐이다.”라고 말해 주었어. 실패는 끝이 아니라 과정이며, 실패를
통해 무엇이 배워졌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지. 그 후 나는 8년간 계
속해서 백일장에 참가하고 있어. 앞으로도 많이 실패하였지만 계속 도전할 거야.

안녕하세요? 저는 이현서라고 합니다.


예시 답안 문학에 관심이 많은 저는 초등학교 3학년 때 백일장에 참가하였습니다. 하루 종일 고생해서 시를 써

냈지만 수상하지 못했습니다. 실망한 제게 어머니께서는 실패란 하나의 사건일 뿐이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실

패는 끝이 아니라 과정이며, 실패를 통해 무엇을 배웠는가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 후 저는 8년

간 계속해서 백일장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이 실패하겠지만 계속 도전할 것입니다.

•‘조건’이 적용된 부분
① ‌청자를 높이는 표현으로 고쳐 쓴다. 
- 안녕? → 안녕하세요? / 나 → 저 / 이현서라고 해. → 이현서라고 합니다.(종결 어미를 ‘-ㅂ니다’로 통일함.)
② ‌직접 인용을 간접 인용으로 고쳐 쓴다. 
- “실패란 하나의 사건일 뿐이다.”라고 → 실패란 하나의 사건일 뿐이라고
③ ‌잘못 쓰인 높임 표현과 시간 표현을 바르게 고쳐 쓴다. 
- ‌실망할 → 실망한(시간 표현) / 말해 주었어. → 말씀해 주셨습니다.(높임 표현) / 실패하였지만 → 실패하겠지
만(시간 표현)
④ ‌부적절하게 사용한 피동 표현을 능동 표현으로 고쳐 쓴다. 
- 참가되었어. → 참가하였습니다. / 무엇이 배워졌는지가 → 무엇을 배웠는가가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을 탐구하여 이러한 표현이

정리하기 우리의 생활 속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았다. 정확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문법 요


소를 바르게 사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바른 표현을 사용하자.

(1) 국어의 문법 요소 27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1 17. 12. 11. 오후 8:16


총 4차시

(2)
학습 목표 •중세 국어의 특징을 파악하고
실제 중세 국어 자료를 탐구한다.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를 비교하여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한다.

역량 목표 •중세 국어 자료와 현대 국어 자
료를 주체적으로 탐구하여 해석한다.

국어의 어제와 오늘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옛날 사람과 오늘날의 사람이 대화를 나눈다면 어떤 어려움이 있을지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옛날의 세종 대왕과 오늘날의 학생들이 만났을 때 소통이 잘 되지 않는 상황을 통해 국어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상황을 바탕으로 옛날 사람과 오늘날의 사람이 만나 대화를 나눌 때 어떤 어려움이 있을지 구체적으로 상상해 보
도록 지도한다.

이런 전차로
어린 백성을 위해 문자를
만들었도다.

나이 어린 아이들이
전차로 뭘 만들어?
쓰는 글자인가?

예시 답안 •서로 알고 있는 단어의 뜻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방의 말을 엉뚱하게 해석할 것이다.


•상대방의 말을 올바르게 알아듣지 못해서 오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서로 다툼이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272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2 17. 12. 11. 오후 8:16


알아
두기 1 언어의 역사성
언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어떤 소리가 다른 소리로 변하거나 아예 사라지기도
언어의 속성
하고, 새로운 소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표기나 의미도 변화한다. 이처럼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언어가 변화하는 것을 언어의 역사성이라고 한다.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이는
언어의 역사성의 개념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사람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루어
진다. 오늘날 국어의 모습 또한 역사적으로 크고 작은 변화를 거치며 이루어진 것이다.

2 국어의 시대 구분
국어는 시대별 특징에 따라 일반적으로 고대, 중세, 근대, 현대 국어로 나뉜다. 삼국 시대부
국어사의 시대 구분
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의 국어를 고대 국어, 고려 건국 이후 임진왜란이 발생한 16세기 말까
지의 국어를 중세 국어,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근대 국어, 갑오개혁 이후부
터 현재까지 쓰고 있는 국어를 현대 국어라고 한다.

고대 국어 중세 국어 근대 국어 현대 국어

676년 918년 1443년 1592년 1894년


신라 고려 건국 훈민정음 임진왜란 갑오개혁
삼국 통일 창제 발발

현대 국어와
중세 국어는 어떤 점이
?! 다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중세 국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실제 중세 국어 자료를 살펴보며, 현대
국어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활동을 할 것이다. 현대 국어와 중세 국어가 어떻게
다를지 생각해 보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중세 국어로 기록된 문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중세 국어를 공부하면 옛날 사람들과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을까?
•텔레비전 사극에 나오는 사람들의 대사는 중세 국어라고 할 수 있을까?

(2) 국어의 어제와 오늘 27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3 17. 12. 11. 오후 8:16


학습 포인트 •중세 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 표기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

활 1 중세 국어의 이해
소단원 정리 PPT

‘활동 ’은 중세 국어의 특징을 음운, 문법, 어휘, 표기로 나누어 살펴보는 활동이다.
글을 읽고 활동을 하면서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를 파악해 본다.

10세기 초에 고려가 건국되면서 국어의 중심지는 경주에서 개성으로 옮겨


10세기 초
간다. 중세 국어는 이때부터 임진왜란이 일어난 16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가 5
중세 국어의 개념
리킨다. 다음 글을 읽으며 중세 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 표기상의 특징을 알

아보자.

참고 자료
중세 국어에 쓰이던 문자
•ㆁ(옛이응): 중세 국어에서 현
대 국어로 오면서 ‘ㅇ’으로 표
기가 바뀜. 1 음운
•ㆆ(여린히읗): 문자는 있었지
만 음운으로 보지 않음.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 중에
중세 국어에서는 우리가 쓰였어!
콕콕 정리 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음운이다. 10

중세 국어의 특징 ① - 음운
•ㅿ(반치음), ㅸ(순경음 비
중세 국어에는 ‘ㅿ(반치음)’, ‘ㅸ(순경음
『 』: 중세 국어 음운의 특징 ① - 오늘날에 없는 음운 존재
읍), ㆁ(옛이응), ㆍ(아래아)
와 같은 음운이 있었음. 비읍)’, ‘ㆍ(아래아)’와 같은 음운이 존재
•방점으로 성조를 표시함. 중세 국어에 존재하던 음운
•음절의 첫소리에 자음이 둘 하였다. 이 음운들은 그 발음을 추측만
이상 오는 어두 자음군이
존재함. 할 뿐 실제로 당시에 어떻게 발음되었는
•현대 국어에 비해 모음 조
화 현상이 잘 지켜짐.
지 알 수 없다. 15

자료실 또한 중세 국어에서는 글자 왼쪽에 점이 한 개 찍혀 있거나, 두 개 찍혀 있


성조(聲調) 거나, 없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때 찍는 점을 방점이라 부른다. 방점은 성조
음절 안에서 나타나는 소리 『 』: ‌중세 국어 음운의 특징 ②
의 높낮이로, 단어의 뜻을 구 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 방점으로 성조 표시

별하는 기능을 한다.


자음과 모음의 특징을 살펴보면, 자음의 경우 음절의 첫소리에 ‘ㅳ, ㅄ, ㅵ’
『 』: 중세 국어 음운의 특징 ③ - 어두 자음군이 존재
모음 조화(母音調和)
등과 같이 자음이 연속으로 둘 이상 오는 어두 자음군이 존재했는데, 이들은 20
양성 모음 ‘ㆍ, ㅗ, ㅏ’는 양 초성 자리에 둘 이상의 음운(자음)이 오는 것
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 ‘ㅡ, 현대 국어로 오면서 대개 된소리로 변하였다. 모음의 경우 모음 조화 현상이
ㅜ, ㅓ’는 음성 모음끼리 어울 『 』: ‌중세 국어 음운의 특징 ④
현대 국어에 비해 비교적 잘 지켜졌다. - 모음 조화가 잘 지켜짐
리는 현상을 말한다.

274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4 17. 12. 11. 오후 8:16


2 문법
자료실 문법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주격 조사의 쓰임이다. 현대 국어에서는 주격
주격 조사(主格助詞)
조사로 ‘이/가’가 쓰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이’와 ‘ㅣ’가 쓰이고, ‘가’는 별로
문장 안에서, 체언이 서술 중세 국어 문법의 특징 ① - 주격 조사 ‘이’와 ‘ㅣ’의 쓰임
어의 주어임을 표시하는 격 쓰이지 않았다. 명사형 어미로는 ‘-옴/-움’이 사용되었다.
조사를 말한다. 중세 국어 문법의 특징 ② - 명사형 어미 ‘- 옴/- 움’의 사용

콕콕 정리
5 또한 중세 국어에서는 높임 선어말 어미가 현대 국어보다 다양하게 발달하
중세 국어의 문법의 특징 ③ - 다양한 높임 선어말 어미
중세 국어의 특징 ② - 문법 였다.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로 ‘-시-/-샤-’,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로 ‘-
•주격 조사 ‘이’와 ‘ㅣ’가 쓰
임.
•명사형 어미 ‘- 옴/- 움’이
-/- -/- -’,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로 ‘- -/- -’이 쓰였다.
쓰임.
•높임 선어말 어미가 다양하
게 발달함.

3 어휘 중세 국어 시기에 유입된
외래어의 예
중세 국어 문헌에서는 현대 국어에서
난 중국에서 난 몽골에서
10 볼 수 없는 많은 고유어를 찾아볼 수 온 ‘배추’야. 온 ‘송골’이라고
중세 국어 어휘의 특징 ① - 다양한 고유어 사용 해.
있다. 이들 어휘는 현대 국어에까지 그

대로 살아남은 경우도 있지만, 소멸하

거나 그 의미나 형태가 바뀌기도 하였

다. 또한 이 시기에는 한자어가 많이
15 유입되면서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이
콕콕 정리
계속되었고, 이전 시기에 비해 한자어의 쓰임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웃 나
중세 국어의 특징 ③ - 어휘 중세 국어 어휘의 특징 ② - 한자어의 쓰임 증가
•많은 고유어가 존재함. 라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중국어, 몽골어, 여진어 등의 외래어가 들어오기도
•한자어의 쓰임이 증가함. 중세 국어 어휘의 특징 ③ - 외래어의 유입
•외래어가 들어옴.
하였다.

자료실
이어적기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 4 표기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 옛이응

사나 어미가 올 때, 받침을 조 20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받침 표기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의 여덟


중세 국어 표기의 특징 ① - 받침 표기는 8종성법이 원칙
사나 어미의 초성으로 이어
자만 허용하는 8종성법이 원칙이었다. 글자를 표기할 때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을 말한다. 사미
적는 이어적기가 일반적이었고, 형태소의 모습을 밝혀 적는 끊어적기도 쓰였다.
끊어적기
중세 국어 표기의 특징 ② - 이어적기와 끊어적기가 병존
앞말의 종성을 그대로 앞말 한자음은 초기에는 중국 발음에 가깝게 하기 위해 초성, 중성, 종성을 모두
에 적고 뒷말의 초성에는 ‘ㅇ’을 『 』: 중세 국어 표기의 특징 ③ - 한자음 표기는 『동국정운』식에서 실제 발음에 맞는 표기로 변함
적는 것을 말한다. 사이 적는 『동국정운(東國正韻)』식으로 표기하였다가, 점차 실제 발음하는 한자음
콕콕 정리
중세 국어의 특징 ④ - 표기
•받침 표기는 8종성법이 원칙. / •이어적기·끊어적기 병존. / •세로쓰기
•한자음은 『동국정운』식 표기. → 실제 발음에 맞게 표기. / •구두점 찍음.
(2) 국어의 어제와 오늘 27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5 17. 12. 11. 오후 8:16


활 1
에 맞게 표기하였다. 또한 한자 문화권의 영향으로 세로쓰기를 하였고, 띄어
중세 국어 표기의 특징 ④ - 세로쓰기
■구두점(句讀點) 글을 마치거 쓰기는 하지 않았으나 필요한 경우에 의미 구분이 되는 곳에 구두점을 찍었다.
나 쉴 때 찍는 동그란 점으로, 중세 국어 표기의 특징 ⑤ - 띄어쓰기 하지 않음

현대의 마침표와 쉼표에 해당


함.

활동 안내 앞에서 배운 중세
국어의 특징을 실제 중세 국어
1 다음은 중세 국어 문헌인 『용비어천가』의 일부이다. 이 자료를 살펴보면서 중세 국

문헌에서 찾아보는 활동이다.


어의 특징을 파악해 보자.
직접 빈칸을 채우며 배운 내용
을 적용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 예시 답안
다.
•세로쓰기가 쓰였다.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예시 답안
•‘깊은’이 아니라 ‘ 기 픈 ’으로 쓴 것으
•글자 옆에 성조를 나타내는 방 점 이 로 보아, 소리 나는 대로 적는 이 어

있었다. 적 기 가 쓰였다.

예시 답안
예시 답안
•‘매’, ‘래’, ‘바래’에서 양성 모
음끼리 어울리는 모 음 조 화 가 •‘ 하  니 ’의 기본형 ‘하다’는 현대
나타났다. 국어로 ‘많다’라는 뜻이었다.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세종(世宗) 29년(1447년)


참고 자료
『용비어천가』개관
갈래 악장(조선 시대 초기에 궁중에서 종묘 제향 때 부르던 송축가.)
성격 설득적, 서사적, 예찬적, 송축적
주제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밝히고 조선의 무궁한 발전을 송축함.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작품임.
의의
•한국 악장 문학의 대표작임.
자료실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현대어 풀이
『용비어천가』는 훈민정음으
로 기록된 최초의 작품으로,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움직이지 아니하므로, 깜짝 퀴즈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표기가 1. 중세


‌ 국어에는 오늘날에 쓰이지 않는 음
꽃 좋고 열매 많습니다. 운이 존재했다. ➡◯
가장 잘 나타난 중세 국어 자
2. 중세
‌ 국어에는 ☐ ☐ 선어말 어미가 다양
료이다.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그치지 아니하므로, 하게 발달했다. ➡ 높임
알리고 후대 왕에게 교훈을 3. ‌중세에는 ‘ㅈ’을 받침으로 표기할 수 있
었다. ➡X
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내[川]가 이루어져 바다에 갑니다.

276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6 17. 12. 11. 오후 8:16


학습 포인트 •중세 국어 자료 탐구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비교

활 2 중세 국어의 실제
‘활동 ’는 실제 중세 국어 자료를 살펴보며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를 비교하는 활동
이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해 본다.

자료실 1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세종어제훈민정음
『세종어제훈민정음』은 세종
대왕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
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
文)’과,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
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
의(例義)’를 우리말로 풀어 쓴
것이다. 흔히 『훈민정음언해』
로 부른다.

참고 자료
『세종어제훈민정음』개관
갈래 훈민정음의 서문
성격 설명적, 교시적
훈민정음 창제의 취
주제
지와 목적.
•15세기 국어의 모습
을 알 수 있는 자료
임.
의의
•세종 대왕의 한글 창
제 정신이 잘 드러나
있음.

- 『월인석보(月印釋譜)』, 세조(世祖) 5년(1459년)

현대어 풀이
1
우리나라 말이 2 중국과 달라 3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여서 4 이런 까닭으로
자주정신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5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6
내가 이것을 가엾게 생각하여 7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8 모든 사람들로 하여
애민 정신
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실용 정신

(2) 국어의 어제와 오늘 27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7 17. 12. 11. 오후 8:16


활 2
활동 안내 『세종어제훈민정
음』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
1 다음은 앞에서 살펴본 『세종어제훈민정음』을 가로쓰기한 것이다. 이 자료를 살펴

을 이해하고 현대 국어와의 차
보며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을 탐구해 보자.
이점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언
어 자료를 직접 탐구하면서 배
운 내용을 적용하도록 안내하
고, 국어의 역사성에 대해 생각
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世・솅宗 御・ 製・짎 訓・훈民민正・ 音

다- + -아>달아>달라
나・랏 :말 ・미 中 國・귁・에 달・아 文문字・ ・와・로 서르
이어적기. 각자 병서 비교격 조사 8종성법(다 → 다)
・디 아・니 ・ ・이런 젼・ ・로 어・린 百・ 姓・ ・이 니르・고・져 ・
이어적기
・배 이・셔・도 ・ :내 제 ・ ・들 시・러 펴・디 :밐 ・노・미 하・니
이어적기. 어두 자음군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음(펴디>펴지)
・라 ・내 ・이・ 爲・윙・ ・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뙇 字・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음(너기다>녀기다>여기다)
・ ・ 노・니 :사 :마・다 : ・ :수・ 니・겨 ・날・로 ・ ・메 便쁂安
수>수이>쉬이 모음 조화. 어두 자음군
・퇧 ・고・져 ・미니・라
: 현대 국어와 뜻이 다른 어휘

(1) 『세종어제훈민정음』의 음운·표기상 특징을 파악하고, 그 특징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


써 보자.
예시 답안

음운·표기상 특징 해당하는

현대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음운
…… :말·미(ㆍ), :수·(ㅸ)
이 사용되었다.

•이어적기를 했다. :말 ・미, ・ ・들, ・노・미, ・미


……
•방점을 찍었다. 니・라

어두 자음군이 사용되었다. …… ··들, ··메

278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8 17. 12. 11. 오후 8:16


(2) 『세종어제훈민정음』과 현대 국어의 문법을 비교해 보자.
예시 답안

세종어제훈민정음 현대 국어

中 國・귁・에 달・아 중국과 달라

중세 국어에는 비교, 기준을 나타 현대 국어에서는 격 조사 ‘ ’로


내는 부사격 조사 ‘ ’가 있었다. 와/과
에 바뀌었다.

도움말 (3) 『세종어제훈민정음』과 현대 국어의 어휘를 비교해 보자.


단어의 의미 영역이 넓어지 예시 답안

면 의미의 확대, 반대로 단어 어・린 어린


의 의미 영역이 좁아지면 의 의미의
미의 축소라고 한다. 의미가 이동 ‘어리석은’이라는 뜻. ‘나이가 적은’이라는 뜻.
다른 것으로 바뀌는 경우에는
의미의 이동이라고 한다.

・노・미 놈이
의미의
축소 ‘보통 사람’을 가리키는 말. ‘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어엿・비 어여삐
의미의
이동 ‘가엾게, 불쌍하게’라는 뜻. ‘예쁘게’라는 뜻.

활동 안내 제시된 글을 바탕
으로 『세종어제훈민정음』에 담
2 다음 글을 읽고 세종 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알아보자.

겨 있는 한글 창제 정신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세종 대
『세종어제훈민정음』에는 세종 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이 담겨 있다. 중국과 우리
왕이 어떤 생각에 기초하여 한
글을 창제했는지 알아보고, 학 나라의 언어생활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한 점에서 자주정신이, 문자 생활을 하지
생들이 한글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 못하는 백성을 가엾게 여겼다는 점에서 애민 정신이 드러난다. 또한 사용하기 쉽
다. 고 편리한 문자로 창제했다는 점에서 실용 정신이 엿보인다.

예시 답안 •자주 정신: 세종 대왕은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점을 파악하고 있었다. 여기
에서 우리나라를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된 주체로 인식하는 자주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애민 정신: 백성을 ‘가엾게 생각하여’ 글자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백성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엿볼 수 있다.
•실용 정신: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기 위한 글자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실용 정
신을 엿볼 수 있다.
(2) 국어의 어제와 오늘 27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79 17. 12. 11. 오후 8:16


활 2
2 소학언해(小學諺解)
의미의 축소(몸 전체>안면)
자료실 孔・ 子・ 曾 子・ ・려 닐・러 ・샤・ ・몸・이며 얼굴・이며 머・리털
주격 조사 ‘ㅣ’ 닐어>닐러 끊어적기 접속 조사 ‘과’
소학언해(小學諺解)
・이・며 ・ ・ 父・부母:모・ 받 ・온 거・시・라 敢:감・히 헐・워 샹 ・오・디 아
『소학(小學)』은 중국 송나라 객체 높임법
의 유자징(劉子澄)이 주희의 ・니 :홈・이 :효・도・ 비・르・소미・오 ・몸・을 셰・워 道:도・를 行 ・ ・야 일:홈
가르침으로 지은 초학자들의 모음 조화 파괴. 명사형 어미 ‘- 옴/- 움’의 혼란 끊어적기
수양서로, 예절과 충효 등의 ・을 後:후世:셰・예 :베퍼 ・ 父・부母:모 :현・뎌케 :홈・이 :효・도・ ・ 5
이로써. ‘以(이)’를 직역한 표현 현뎌->현져->현저-
내용을 담고 있다. 『소학언해』
・이니・라
는 『소학』을 한글로 풀이한 책
이다. - 『소학언해(小學諺解)』 권 제 2, 선조(宣祖) 20년(1587년)

참고 자료
『소학언해』 개관 현대어 풀이
갈래 언해
성격 교훈적, 유교적 공자께서 증자에게 일러 말씀하시기를, 몸과 형체와 머리털과 살은 부모께 받은
주제 효의 시작과 마침.
것이라, 감히 헐게 하여 상하게 하지 아니함이 효도의 시작이고, 입신(출세)하여 도 10
16세기 국어의 모습
의의
을 알 수 있는 자료임. 를 행하여 이름을 후세에 날려 이로써 부모를 드러나게 함이 효도의 끝이니라.
입신양명. 유방백세. 출장입상

280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0 17. 12. 11. 오후 8:16


활동 안내 『소학언해』의 표기를 현대 국어로 바꾸어 써 보며 차이점을 파악해 보는 활동이다. 답을 적으면서 중세 국
어의 특징도 함께 떠올릴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소학언해』의 표기가 현대 국어에서 어떻게 달라졌는지 써 보고,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도움말 중세 국어 현대 국어 차이점
‘받온’의 표기
‘받온’은 ‘받- +--(객 중세 국어에 사용되던 주격 조사‘l’
가 현대 국어에서는‘가’
,
체 높임 선어말 어미)+-’의 孔・ 子・ 공자가, 공자께서
‘께서’
로 바뀌었다.
구성으로, 15세기에는 ‘받
’으로 표기되었으나, 16세기
에는 ‘ㅸ’이 소실되어 ‘받온’
•중세 국어의 ‘얼굴’이 ‘형체’에서 ‘안면’으로 의미가 축소되었다.
으로 표기되었다. 얼굴・이며 형체와
•중세 국어의 접속 조사 ‘이며’가 현대 국어의 ‘과’로 바뀌었다.

중세 국어의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이 현대 국어에서 사


받 ・온 받은
라졌다.

활동 안내 두 자료를 비교하
며 전기 중세 국어와 후기 중세
4 『세종어제훈민정음』과 『소학언해』는 약 130년의 시간 차이가 있는 국어 자료이다.

국어의 달라진 점을 탐구하는


두 자료의 표기를 비교해 보고 그 변화 양상을 알아보자.
예시 답안
활동이다. 중세 국어가 현대 국
어에 오면서 갑자기 달라진 것 세종어제훈민정음 소학언해
이 아니라 이와 같은 변화의 과
정을 거쳤음을 깨닫게 하여 국
어는 계속해서 변화하는 존재임 ・ ・들, ・미니・라 일:홈・을, ・ ・이니・라
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어적기가 보편적이다. 끊어적기 가 확대되었다.

世・솅宗 御・ 製・짎 孔・ 子・ , 曾 子・

한자어를 『동국정운』 식으 한자어를 현실음에 맞게 표기하였


로 표기하였다. 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중세 국어의 특징을 알아보고, 『세종어제훈민정음』과 『소학언해』를 탐구

정리하기 하며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


을 알았으므로, 앞으로도 국어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이자.

(2) 국어의 어제와 오늘 28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1 17. 12. 11. 오후 8:16


총 4차시

(3)
학습 목표 •국어를 사랑하는 마음을 지니고
국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자신이 속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성찰하고 바
람직한 의사소통 문화를 만들어 간다.

역량 목표 •현대의 언어생활 및 의사소통


문화를 성찰한다.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에서 관객이 사회자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한 이유를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외국어를 무분별하게 남용하는 경향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상황에서는 사회자가 외국어를 남용하여
관객들과 소통이 되지 않고 있다. 학생들이 이와 비슷한 상황을 떠올려 보며 외국어 남용의 문제점에 대해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이번에 새로 나온 차입니다. 트렌디한 레드 스페셜 패키지


인테리어, 모던함과 럭셔리함을 업그레이드해 주는 엘레강스한
에어커튼 홀! 우아, 판타스틱하지 않습니까?

예시 답안 사회자가 외국어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사용자인 관객들은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282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2 17. 12. 11. 오후 8:16


알아
두기 1 세계화·정보화 시대에서의 국어 사랑
여러 나라가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주고받는 세계화 시대가 되면서 우리 사회에 각종 외
국어와 외래어가 유입되고 있다. 또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정보화 시대가 되면서 인터넷에서
세계화 시대의 영향
는 끊임없이 새말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처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의 모
정보화 시대의 영향
습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는 국어에 관심을 기울이고 국어의 발전
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상 공간에서의 잘못된 언어 사용을 바로잡
국어 발전에 필요한 태도
고, 사라져 가는 우리말을 보존하는 등 국어의 보존과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2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
우리는 가족, 학교, 사회 등 다양한 공동체에 속해 있다. 이러한 공동체에서 특정한 의사소
통 방식을 반복하면 그것이 고유한 담화 관습으로 남게 되는데, 이를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
습이라고 한다. 담화 관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상황에 따라 계속 변화하면서
담화 관습의 특징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말의 담화 관습을 이해하고 언어생활을 할 때에 이를 적절하
게 활용하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 자료
한글의 우수성
•탄생 기록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문자.
•제자 원리가 매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자.
•문자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음소 문자.
- 음절 문자에 비해 적은 글자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글자의 소리가 일정함.
•모아쓰기를 사용해 의미 파악이 쉬운 문자.
•다양한 소리를 표기할 수 있는 문자.

국어를 사용하는
?! 우리의 태도는
어떠해야 할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을 다룬 글을 읽고 우리의 언어생활과 담화 관습
을 성찰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국어를 사랑하는 태도에 어긋나는 말과 글을 쓰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보고,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국어를 사랑하는 방법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가상 공간에서 잘못 사용되는 국어의 예로는 무엇이 있을까?
•영어를 많이 쓰는 사람을 보고 멋있다고 하는 이유가 있을까?

(3)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28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3 17. 12. 11. 오후 8:16


학습 포인트 •국내외 한국어의 위상 •국어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 성찰 •국어의 세계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이 글은 세계화 시대 속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를 다룬 설명문이다. 국어를 사랑하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려면 우리가 어떤 자세를 지녀야 할지 생각하며 글을 읽어 보자.

제목 풀이 ‘위상’은 ‘어떤 사물이 다른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가지는 위치나 상태’를 의미한다.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는 한국어가 국내외에서 어떤 위치나 상태에 있는지 알아보고, 미래의 발전 방향에 대해 설명한
제재 구조도 글이다.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세계 곳곳에서 한
처음 국어를 사용하는 지
구촌 시대의 도래.
가운데 세계적으로 높아 소단원 정리 PPT
1 진 한국어의 위상.
국내에서 낮아지 제재 개관
가운데
고 있는 한국어의 갈래 설명문
2
위상.
성격 객관적, 사실적
한국어에 자긍심 제재 한국어의 국내외 위상과 한국어의 미래.
을 가지고 우리말과 주제 한국어의 진정한 세계화를 위해 우리의 말과 글을 소중히 가꾸어야 함.

글을 소중하게 가꾸
•한국어의 세계에서의 위상과 국내에서의 위상을 비교하여 제시함.
어야 함. 특징
•한국어의 진정한 세계화를 위한 바람직한 태도를 촉구함.

처음 현대는 세계가 하나의 마을과 같은 지구촌 시대이다. 한 민족이라고 해서

한 나라에서만 살지 않으며, 한 언어라고 해서 한곳에서만 사용하지 않는다. 5

세계 각지의 외국인들이 한국 사회에 들어와 살고 있고, 우리 민족 역시 전

세계에 고루 퍼져 살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이 한국어


구절 풀이 수치화된 자료를 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이 한국어를 사용하는 지구촌 시대의 도래
통해 한국어에 대한 세계적인 처음 세계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이 한국어를 사용하는 지구촌 시대의 도래.
관심을 객관적으로 보여 주고 가운데 1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의 수도 해마다 증가
있다. 또한 내용과 관련된 ‘전 지구촌 시대의 도래
세계 한국어 교육 기관별 현황’ 하고 있다. 해외에서 운영 중인 한국어 보급 기관은 4천여 개, 이들 기관의 10
을 보여 주는 시각 자료를 제시
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수강생은 30만여 명에 달하며, 외국인 학습자를 위해 나라 안팎에서 발간한

기관별
기관별 현황
현황 세종 학당 130개소 37,177명
기관별기관별
현황
기관별현황
현황학당
세종 세종 학당
세종
세종학당
학당 130개소130개소
130개소
130개소 37,177명 37,177명
37,177명
37,177명

한글 학교 1,918개 106,397명
기관별
기관별현황
현황학교
한글 세종
한글 학교세종
한글
한글학당
학당
학교
학교 1,918개130개소
1,918개
1,918개
1,918개
130개소 106,397명
37,177명
37,177명 106,397명
106,397명
106,397명

한국 학교 31개교 12,322명
기관별
기관별현황
현황학교 세종
한국 세종
한글
한글학당
학당
학교
학교 31개교
130개소 12,322명
37,177명
한국 학교
130개소
31개교 1,918개
1,918개 37,177명 106,397명
106,397명
한국
한국학교
학교 31개교
31개교 12,322명
12,322명
12,322명

한국 교육원 30,000명
기관별
기관별현황
17개국 39개원
현황교육원 세종
한국 한글
세종
한글학당
학교
학당
학교 130개소
17개국
1,918개39개원
1,918개
130개소 37,177명
30,000명
37,177명 106,397명
106,397명
한국
한국
한국 교육원
한국
한국학교
학교
교육원
교육원 31개교
31개교
17개국 17개국
39개원
17개국39개원
39개원 12,322명
30,000명
12,322명
30,000명
30,000명

국외 대학 한국어 강좌 845개 57,440명


기관별
기관별현황
현황대학 한국어
국외 세종
세종
한글
한글학당
학당
학교
학교
강좌 845개
1,918개
130개소
130개소 57,440명
37,177명
37,177명 106,397명
한국
국외 대학한국
국외
한국
한국학교
학교
한국어
국외대학
대학
교육원강좌
한국어
교육원한국어강좌
강좌
1,918개
31개교
31개교
845개 17개국 12,322명
12,322명
30,000명
57,440명
30,000명
106,397명
기관 수 845개
845개
17개국39개원
39개원 57,440명
57,440명

기관
기관수수기관
기관수수 초 ·중등 한국어 과목 수강
기관별현황
기관별 현황 한국어
882개 82,886명
학생 수 초•중등 세종
세종
한글
한글 학당수강
학당
학교
학교
과목 882개
130개소 37,177명82,886명
한국
한국
국외
초 ·중등한국
초한국어
국외
초 학교
·중등학교
대학
대학
교육원
·중등 한국어
과목
교육원
한국어수강
한국어강좌
과목강좌
과목수강
1,918개
1,918개
130개소
수강882개 31개교
31개교
17개국
882개39개원
845개
17개국
845개
882개 39개원
37,177명
12,322명
12,322명
30,000명
30,000명
57,440명
82,886명
57,440명
106,397명
106,397명
82,886명
82,886명
학생
학생수수학생
학생수수
기관
기관수수
한글
한글
한국
한국
국외 학교
학교
학교
학교
대학 한국어 강좌
1,918개
1,918개 106,397명
106,397명
초국외

한국 대학
교육원
·중등
·중등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교육원 과목강좌
과목수강
수강 31개교
31개교
845개
17개국
882개39개원
845개
17개국
882개 39개원 12,322명
12,322명
30,000명
30,000명
57,440명
57,440명
82,886명
82,886명
학생
학생수수 ▲ 전 세계 한국어 교육 기관별 현황(교육부, 2014)
기관
기관수수
한국
한국
국외
국외
초초
한국·중등
한국 학교
학교
대학
대학
·중등
교육원한국어
교육원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강좌
과목강좌
과목수강
수강 31개교
31개교
845개
17개국
17개국
882개39개원
845개
882개 39개원 12,322명
12,322명
30,000명
30,000명
57,440명
82,886명
57,440명
82,886명
학생
학생수수
기관
기관수수
284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학생 수수
국외
국외
초초 대학
·중등
한국
한국 대학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교육원
교육원
·중등 한국어 강좌
과목강좌
과목수강
수강 845개
845개
17개국
882개
17개국 39개원
882개39개원 30,000명
30,000명
57,440명
57,440명
82,886명
82,886명
학생
기관
기관수수
국외
국외
초초·중등대학
대학
·중등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과목강좌
강좌
과목수강
수강 845개
845개
882개
882개 57,440명
57,440명
82,886명
82,886명
학생
학생수수
기관
기관 수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4 초초 ·중등
·중등 한국어
한국어 과목과목
수강수강 882개
882개 82,886명
82,886명 17. 12. 11. 오후 8:16
학생
학생 수수
한국어 교재는 3,400권가량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어 능력 시험은 2013 콕콕 정리
세계적으로 높아진 한국어의 위상
년, 전 세계 61개국 194개 지역에서 실시되었는데, 응시자 수가 17만 명에 달 •한 국어 보급 기관과
수강생 수 증가.
하였다. 한국어 능력 시험을 보는 외국인이 늘어난다고 해서 한국어 사용자 •발간된 한국어 교재의
한국어에
수 증가.
대한
의 수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한국어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커 •한국어 능력 시험 응
외국인의
시자 수 증가.
관심 증가
5 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국, 일본, 중국, 호주 등 다양한 나라의 고등 •외국의 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
학교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고 있고, 태국은 2018년도부터 대학 로 채택.
국가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을 중시함 •다양한 소리 표기 가
입학시험에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추가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처럼 한국어에 한글의
능.
•빠른 검색 가능.
우수성
대한 외국인의 관심과 학습 욕구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한국어의 국제적 위 •음성 인식 기술을 활
용한 기기에 유용.

상이 높아질 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 세계적으로 높아진 한국어의 위상

10 한국어의 높아진 위상을 말할 때 한글의 우수성을 빠뜨릴 수 없다. 한글은


한국어의 위상 제고에 기여한 한글의 우수성
요즘 같은 정보화 사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문자이다. 한글은 자음과 한글이 정보화 사회에 유
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문자
모음 24자를 조합하여 다양한 소리를 표기할 수 있고, 알파벳과 달리 자음과 라고 한 이유는 무엇일까?
한글이 정보화 사회에 유용한 이유 ①
예시 답안 •자음과 모음 24
모음을 모아쓰기 때문에 컴퓨터나 휴대 전화 같은 디지털 기기에서 한글을 자를 조합하여 다양한 소리를
표기할 수 있다.
활용하면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또 글자와 소리가 일치하는 특성을 •자음과 모음을 모아쓰기 때문
한글이 정보화 사회에 유용한 이유 ②
에 디지털 기기에서 정보를 빠
15 지닌 한글은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기기에 유용하게 쓰인다. 이러한 한글 르게 검색할 수 있다.
한글이 정보화 사회에 유용한 이유 ③
•글자와 소리가 일치하므로 음
의 우수성은 한국어와 한글의 세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기기에
가운데 1 세계적으로 높아진 한국어의 위상. ▶ 정보화 시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글
적합하게 쓰일 수 있다.
가운데 2 이렇게 국외에서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국내에서는 어떠한가? 오른쪽의 설문 결과 한글과


한글과
한글과
한글과 한국어를
한국어를
한국어를
한국어를
아끼고사랑한다.
사랑한다.
98.2%
98.2%
98.2%
98.2%
아끼고
아끼고
아끼고 사랑한다.
사랑한다.
에 나타나듯이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은 자신이 한
20 글과 한국어를 아끼고 사랑하며, 맞춤법과 어법을
85.1%
85.1%
85.1%
85.1% 62.7%
62.7%
62.7%
62.7%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 언어생활에
잘모르는
모르는
서는 한국어를 잘못 사용할 때가 많다. 사람들 대부 맞춤법과어법을
맞춤법과
맞춤법과
맞춤법과
어법을
어법을
어법을
잘잘잘 모르는
모르는 우리
우리말이나오면
나오면
잘잘알고
알고있다.
알고 있다.
있다. 우리말이
우리말이
말이 나오면 나오면


잘 알고 있다. 국어사전을찾는다.
국어사전을
국어사전을 찾는다.
찾는다.
분이 습관처럼 어문 규범에 맞지 않는 말을 사용하 어사전을 찾는다.
어법상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면서도 자각하지 못하는 현실 비판
고 있으면서도 이를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 국민의 언어생활에 관한 설문(문화 체육 관광부, 2013)
▶ 한국어를 잘못 사용하고 있는 국내의 현실
25 또 외국어, 외래어, 한자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기도 한다. 외국어나 외래 ■무분별(無分別)하게 세상 물
순우리말이 아닌 표현을 남용하는 현실 비판 정에 대한 바른 생각이나 판
어를 섞어서 쓰면 세련되어 보인다고 생각하는 경향마저 나타나고 있다. 한 단 없이.

자어도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민원 문서 같은 공문서와 ■공문서(公文書) 공공 기관이


나 단체에서 공식으로 작성한
계약에 사용하는 각종 문서에 한자어가 지나치게 많이 쓰여 사람들이 문서의 서류.

(3)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28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5 17. 12. 11. 오후 8:16


구절 풀이 청소년이 올바르지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않은 담화 관습을 따르게 되면 ▶ 외국어, 외래어, 한자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현실
담화 관습을 공유하지 못하는 외국어, 외래어, 한자어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다.
다른 세대와의 의사소통이 어려
워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요즘 텔레비전 방송이나 인터넷 등에서도 한국어 파괴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

나고 있다. 특히 청소년이 이러한 매체를 자주 접하다 보면 정체불명의 새말


콕콕 정리
국내에서 낮아지고 있는 한 이나 비속어를 아무런 비판 없이 받아들이게 된다. 청소년이 어문 규범에 맞 5

국어의 위상
•어문 규범에 맞지 않는 말 지 않는 말과 글을 사용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문제이지만, 이로써 세대 간의
을 사용하면서도 이를 자각
하지 못함. 소통이 단절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문제가 된다. 비속어를 함부로 사
•외국어, 외래어, 한자어를 말로써 음담패설을 늘어놓거나 욕설, 협박 따위를 하는 일
무분별하게 사용함. 용하는 것은 자칫하면 언어폭력으로까지 번질 수 있으므로 더욱 심각한 문제
•한국어 파괴 현상이 빈번하 비속어 사용의 문제
게 일어남
이다. ▶ 매체에서 일어나는 한국어 파괴 현상의 문제점
가운데 2 국내에서 낮아지고 있는 한국어의 위상.
끝 그러나 오염된 물이나 공기가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 정화되는 것처럼, 10

언어생활에서도 언어 사용자들이 스스로 자정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우리말 사용자들이 스스로 언어생활을 바로 잡아야 함
에는 외국어나 외래어를 지나치게 사용하는 것을 불편해하며 이를 고쳐 쓰려

콕콕 정리 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고, 정부에서도 국민이 이해하기 쉽게끔 행정 용어를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에
사용된 유추
순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도 텔레비전이나 인터넷과 같은 매
오염된 물이나 공기가 체에서는 매체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올바른 언어를 사용해야 하며, 우리는 15
스스로 정화됨(자정 작용).

언어 사용자들이 스스로
정체불명의 새말과 비속어의 사용을 줄이고 스스로 언어생활을 바로잡아야
언어생활을 바로잡음.
한다. ▶ 우리말을 올바르게 쓰기 위한 노력

한국어가 그 위상에 걸맞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우리는 한국어에 자긍심


‘한국어의 세계화’가 의미 을 가지고 우리의 말과 글을 소중하게 가꾸어 나가야 한다. 한국어의 세계화
하는 것은 무엇일까?
예시 답안 •세계인이 한국 는 한국어 사용 인구의 증가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 20

어와 한국 문화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 국 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 세계인의 사고와 문화를
•세계인의 사고와 문화를 효과 글쓴이가 생각하는 한국어의 세계화
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국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국어를 다듬어 나가는 것이 바로 한국어의
어를 다듬어 나가는 것.
세계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 우리의 의사소통 문화

를 성찰하고 올바른 한국어를 사용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의 미

래는 그 미래를 만들어 가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 ▶ 한국어의 세계화를 25


끝 한국어에 자긍심을 가지고 우리의 말과 글을 소중하게 가꾸어 나가야 함. 위해 해야 할 일
■자정 작용(自淨作用) 오염된
물이나 땅 따위가 저절로 깨 콕콕 정리 깜짝 퀴즈
끗해지는 작용. 한국어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 1. 한국어는 한국 사람만 사용하는 언어이다.➡ X
•세계인이 한국어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여건 만들기. 2. ‌☐☐의 우수성으로 인해 한국어의 위상이 더욱
■자긍심(自矜心) 스스로에게
•세계인을 위해 한국어를 다듬어 나가기. 높아지고 있다. ➡ 한글
긍지를 가지는 마음. •스스로 의사소통 문화 성찰하기. 3. 한국어의
‌ 세계화는 한국어 사용 인구의 증가만
•올바른 한국어 사용을 위해 노력하기. 을 의미한다. ➡X

286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6 17. 12. 11. 오후 8:16


활동
활동 안내 구성 단계에 맞춰 읽은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이다. 학생 스스로 핵심 내용을 찾아 쓸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해 1 이 글을 읽고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자.

세계로 나아가는
처음 현대에는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이 한국어를 사용함.
한국어

예시 답안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

•다양한 나라의 학교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고 있음.


세계에서의
위상
•한글의 우수성이 한국어의 위상을 높이는 데 이바지함.

한국어와
가운데
한글의 위상
•실제 언어생활에서 어문 규범에 맞지 않는 한국어를 사용
하는 사람들이 많음.
•외국어, 외래어, 한자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됨.
국내에서의
위상
•텔레비전 방송이나 인터넷 등에서 한국어 파괴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남.

한국어의 세계화를
끝 한국어에 자긍심을 가지고 우리의 말과 글을 소중히 가꾸어 나가야 함.
이루기 위한
우리의 태도

(3)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28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7 17. 12. 11. 오후 8:16


목표 1 다음 담화를 보고 담화에 드러난 의사소통 문화를 점검해 보자.

활동 안내 온라인 대화 내용
을 보고 청소년들의 담화 관습
을 점검해 보는 활동이다. 학생
들 사이의 대화 상황을 살펴보
면서 이러한 담화의 문제점에
대해 성찰해 볼 수 있도록 지도 나 이번에는
한다. 우승각임
ㅇㄱㄹㅇ

우승할 확률
1도 없어

빼박임

(1) 이 담화에 드러난 국어 사용의 문제점을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지나치게 축약된 어휘 혹은 어휘의 초성만 사용하고 있으며, 특정 집단만 이해할 수 있는 새말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의사소통을 할 때 오해를 유발할 수 있고, 언어 규범을 파괴할 수 있다.

(2) 이 담화에 나타난 의사소통 방식이 우리 사회의 담화 관습으로 굳어진다면 어떠할지 생


각해 보자.
예시 답안 •
 세대 간 의사소통이 어려워질 수 있다.
•국어 어휘와 표현들이 점점 소멸될 수 있다.
•진지한 대화나 지적인 토론이 어려워질 수 있다.

활동 안내 한자어 남용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 상황을 보며
2 다음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휴대 전화 판매 계약서의 일부이다. 가 와

어려운 한자어를 한글로 쉽게 나 중에서 이해하기 쉬운 것을 택하고 그 이유를 말해 보자.


풀어 쓰는 방안을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실생활과
연결 지어서 자신의 국어 생활
을 점검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
가 휴대 전화 구입 시 할부 수수료 나 휴대 전화를 할부로 살 때에는
다.
율은 연 5.9퍼센트이고, 상환 방법 할부 이자를 한 해에 5.9퍼센트로
은 원리금 균등 분할 상환입니다. 내야 합니다. 휴대 전화 값은 원금
과 이자를 합친 금액을 매월 내는
방식으로 갚습니다.

예시 답안 나 가 더 이해하기 쉽다. 나 는 가 에 비해서 어려운 한자어를 쉽게 풀어서 쓰고 있고, 조사를 더 많이 사용


해서 말의 의미를 잘 연결하고 있다.

288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8 17. 12. 11. 오후 8:16


활동 안내 우리 조상들의 담화 관습 중 하나였던 ‘돌려 말하기’와 관련된 일화를 살펴보며 우리말의 담화 관습을 알
아보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사례를 직접 찾아보면서 ‘돌려 말하기’의 좋은 점은 어떤 것이 있는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3 다음 글을 읽고 우리말의 담화 관습을 알아보자.

자료실
이방원과 정몽주가 주고받았 상대방의 마음을 상하게 하거나 불편하게 하는 말을 전달해야 하는 상황일 때,
『 』: 우리 조상들의 담화 관습 - 돌려 말하기
던 시조 우리 조상들은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고 넌지시 돌려 말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
이방원의 시조를 들은 정몽
대방의 반응과 깨달음을 간접적으로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전해 오는 여러 이야
주는 다음과 같은 시조로 대
답하였다. “이 몸이 죽고 죽어 기에서 이런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일백 번 고쳐 죽어. / 백골이 고려 말, 이방원은 이성계가 왕이 되는 것을 반대하던 정몽주를 회유하기 위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 『 』: 비유적 표현을 사용해 회유함
고. /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
다음과 같은 시조를 지어 불렀다.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 만수산 드
실 줄이 있으랴.” 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 우리도 이렇게 얽혀져 백 년까지 누리리라.”
조선 시대에는 이런 일이 있었다. 즉위 초에 경연과 정무를 소홀히 하였던 광해
군이 내관 이봉정에게 살이 찐 이유를 묻자 “소신이 선왕(先王)을 모실 때, 선왕께
서 공사청(公事廳)에 납시어 나랏일을 열심히 하시었기 때문에 옆에서 모시느라
낮에는 밥 먹을 겨를이 없었고 밤에도 편히 잠을 못 잤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전
하께서 공사청에 납시지 않아 소신은 종일 태평하게 쉬고 고달픈 일이 없으니, 어
『 』: 업무에 소홀한 일을 에둘러 비판함
찌 살이 찌지 않겠습니까?”라고 대답하였다고 한다.

참고 자료 ■공사청(公事廳) 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을 전하는 내시가 근무하던 곳.


이방원, 「하여가」
갈래 단시조, 평시조
성격 회유적, 우회적, 설득적
(1) 이 글의 ‘이방원’과 ‘이봉정’이 상대방에게 전달하려 한 의미가 무엇이었을지 써 보자.
예시 답안
제재 드렁칡
조선 건국에 동참하기를
주제 이방원 이봉정
회유함.
협력하여 새 나라를 건 정몽주와 함께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 싶은 마음 광해군이 나랏일을 열심히 하지 않고 있음을 일
설하자는 회유를 만수산
특징
드렁칡이 얽히는 것에 비 을 전달하고 있다. 깨우고 있다.
유함.

(2) 이러한 담화 관습과 유사한 사례를 일상생활에서 찾아보자.


예시 답안

사례 전달하려고 한 의미

도서관에서 노트북의 자판을 소리 나게 치는


자판을 치는 소리를 줄여 달라는 의미.
사람에게 “여기는 도서관입니다.”라고 말함.

친구가 옷을 사기 위해 의견을 물어보았을 때, 친구가 고른 옷이 예쁘지 않다는 의미.


“다른 옷은 어때?”라고 말함. / 친구가 고른 옷이 친구에게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미.

딸이 어머니에게 용돈을 받을 때, “요즘 책값이


용돈이 부족하다는 의미.
많이 올랐어요.”라고 말함.

(3)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28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89 17. 12. 11. 오후 8:16


활동 안내 전통적인 속담이
나타난 담화를 살펴보면서 우리
4 다음 활동을 하며 속담에 나타난 우리 조상의 담화 관습을 탐구해 보자.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에 대 (1) 다음 글에서 ㉠ ~ ㉣의 의미를 파악해 보고, 이와 같은 속담을 사용하여 얻은 효과는 무
해 탐구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속담의 의미와 효과를 알아보 엇인지 생각해 보자.
고, 속담을 통해 드러난 조상들
의 말 문화는 어떠한지 파악하
며 이를 오늘날 우리의 담화 관 “열일곱 가지, 허허. 그렇게 뜯어 가니 촌놈들이 살겄는가? 나는 이때까지 엔간
습과 비교하여 성찰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하면 ㉠ 고름이 살 될라디야 하고 말썽 없이 내왔네마는, 그래도 이것이 갓이 있
고 끝이 있어사제 ㉡ 밑구녁 뚫에진 도가지에 물 붓기도 아니고 참말로 해도 너
무하는구만. ㉢ 깨구락지도 움쳐야 뛰는 것인디 ㉣ 모구 다리에 피 빼대끼 훑어
만 갈라고 환장을 하니 사람이 숨을 쉬고 살겄냔 말이여.”
-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예시 답안

•㉠ 고름이 살 되랴 이미 그릇된 일이 다시 잘될 리 없다는 의미.


아무리 힘이나 밑천을 들여도 보람 없이 헛된 일이 된다는
•㉡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의미.

아무리 급하더라도 일을 이루려면 그 일을 위하여 준비할


•㉢ 개구리도 옴쳐야 뛴다 시간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

•㉣ 모기 다리에서 피 뺀다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에게서 금품을 뜯어낸다는 의미.

속담을 사용하여 얻은 효과

•구체적인 상황을 떠올리게 되므로 청자가 화자의 의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전달하려는 내용을 간결하면서도 말맛을 살린 표현으로 드러낼 수 있다.
•비유적이고 완곡한 표현으로 듣는 이가 재미를 느끼면서도 화자의 의도를 스스로 깨달을 수 있다. 따라서 듣는
이를 불쾌하게 만들 수도 있는 직설적 표현을 대신하여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말과 관련된 우리 속담
•물이 깊을수록 소리가 없다.
- ‌덕이 높고 생각이 깊은 사
람은 겉으로 떠벌리고 잘
난 체하거나 뽐내지 않는
다는 말.
•말이란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
르다. (2) 다음 속담에 드러난 담화 관습은 어떠한지 이야기해 보고, 오늘날 우리의 담화 관습과
- ‌말이란 같은 내용이라도
표현하는 데 따라서 아주 비교해 보자.
다르게 들린다는 말. 예시 답안
•말이 고마우면 비지 사러 갔다 ① ② ③
가 두부 사 온다.
- ‌상대편이 말을 고맙게 하 살은 쏘고 주워도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세 살 먹은 아이 말도
면 제가 생각하였던 것보 말은 하고 못 줍는다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귀담아들으랬다
다 훨씬 더 후하게 해 주
게 된다는 말.
① ‌말을 삼가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속담이다. 오늘날에는 신중하게 말하는 태도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의견을 빠
르고 당당하게 밝히는 것도 의사 결정을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것으로 여기기도 한다.
② ‌말을 삼가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속담이다. 오늘날에는 말이 많다고 해서 말을 거칠게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
290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히려 말수가 지나치게 적으면 무뚝뚝한 사람처럼 보일 수도 있다.
③ ‌남이 하는 말을 신중하게 잘 들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속담이다. 오늘날에도 대화 예절에서 경청의 자세는
중요한 것으로 강조되고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90 17. 12. 11. 오후 8:16


듣기·
문법 말하기 활동 안내 국립 국어원과 북한에서의 말다듬기 활동에 대해 알고 직접 말을 다듬어 보면서
✚ 이러한 순화어 만들기가 국어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깨닫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실생활에
서 우리말을 가꿀 수 있는 또 다른 방법도 찾아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 글을 읽고 외국어를 우리말로 순화하는 활동에 참여해 보자. 모둠

자료실 국립 국어원에서는 ‘우리말 다듬기 누리집’을 열고, ‘리플’을 ‘댓글’로, ‘네티즌’을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 ‘누리꾼’으로 바꾸어 사용하자고 제안하였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북한은 1949년부터 어려운
여기에 호응하여 그 후 지금까지 ‘댓글’과 ‘누리꾼’이라는 용어를 활발하게 사용하
한자 단어와 일본의 잔재가 순화어가 널리 보급된 예
남은 단어를 고유어로 다듬는 고 있다. 이후에도 ‘더치페이’를 ‘각자 내기’로, ‘캠프파이어’를 ‘모닥불놀이’로 순화
언어 정화 운동을 전개하였 하는 등 외래어, 외국어를 쉬운 우리말로 순화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다. 그 뒤 문화어가 제정된
1966년부터 외래어를 우리말
한편 북한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말다듬기 운동’을 벌이며 수만 개의 어휘를
로 바꾸어 보급하는 ‘말다듬 새로 만들어 보급하였다.
기 운동’을 벌였다.
예•노크 → 손기척
•주스 → 과일단물 (1) 국립 국어원의 ‘우리말 다듬기’를 참고하여 학급에서 ‘우리말 다듬기 공모전’을 해 보자.
•드라이클리닝 → 화학빨래 예시 답안

다듬을 말 고르기 비트박스, 캡처, 풀세트, 도넛, 컬러링, 스마트폰

•말 다듬기 : 비트박스 → 입소리손박자


•이유‘비트박스’
: 는 입과 손을 사용해서 강한 소리를 만들어 내며 박
각자 우리말로 다듬기
자를 표현하는 행동이니까‘입소리손박자’
로 바꾸어 쓰면 그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될 것이다.

다듬은 말을 발표하고 •가장 적절한 말 : 컬러링 → 멋울림


가장 적절한 말 •선정
이유: 원래 쓰던 말인 ‘컬러링’과 글자 수가 같고 끝나는 소리도
선정하기 비슷하다. 따라서 기존 단어를 사용하던 사람들이 연상하기 쉬울 것 같
다. 단어의 의미도 비교적 명확하게 전달된다.

(2)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써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고, 이와 같은 활동이 국어 발전


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일지 모둠별로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외국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우리말 어휘로만 표현할 수 있는 의미를 전달할 수 없고, 국어로 소통
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 또 우리 고유의 정신과 문화를 약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는 활동을 하면, 외국어를 대체할 우리말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생각하게 되고 좋은 우리말
어휘를 많이 알게 된다. 그리고 외국어 대신 우리말을 사용하면서 우리말을 사랑하게 되고 잘 가꾸어 나갈 수 있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세계 속 한국어의 위상과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 우리의 담화 관습은 어

정리하기 떠한지 살펴보았다. 언어 공동체 안에서 우리의 담화 관습을 성찰하고 일상생활에서 국어


를 올바르게 사용하며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를 만들어 가자.

(3)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29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91 17. 12. 11. 오후 8:16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과 관련된 단어들을 글자판에서 찾아보며 어휘를 익히는 활동이다.

● 보기 에 제시된 단어를 글자판에서 찾아 색칠해 보자.

① ⑦ ③
관 어 보 계 관 후 선 큰 언 큰


형 주 소 조 종 모 음 조 화 문

④ ⑨ ⑤
사 종 서 법 용 주 국 종 어 자

형 자 자 술 중 언 성 선 정 법

어 선 모 언 어 부 국 작 세 서

미 어 언 한 문 요 용 관 요 자


자 큰 문 민 종 결 어 미 종 력


모 관 성 관 서 국 보 자 종 폭


사 조 격 주 보 선 주 긍 소 어


한 보 큰 따 옴 표 모 심 서 언

보기

① 관형사형 어미 ② 종결 어미 ③ 선후 관계 ④ 서술어
⑤ 자정 작용 ⑥ 큰따옴표 ⑦ 보조 용언 ⑧ 모음 조화
⑨ 종성 ⑩ 언어폭력 ⑪ 주격 조사 ⑫ 자긍심

292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92 17. 12. 11. 오후 8:16


정리하기

국어의 문법 요소
•높임 표현: 화자가 대상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여 표현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
•시간 표현: 시제 - 사건이 발생한 시점( 사 건 시 )이 그 사건을 언어로 표현하는 시점( 발 화 시 )보다 이전
인지 이후인지, 아니면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국어의 문법 요소.
동작상 - 동작 내부의 시간적 흐름을 표현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
•인용 표현: 다른 데에서 들은 말이나 읽은 글을 문장 속에 넣어서 전달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
•피동 표현: 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서 어떤 동작을 당하거나 영향을 받는 것을 표현하는 국어의 문법 요소.

국어의 어제와 오늘

현대 국어와 다른 중 세 국어의 특징

•음운: ‘ㅿ, ㅸ, ㆍ’가 쓰였고, 성조를 표시하는 방점이 있었으며, 어두 자음군이 존재함.
•문법: 주격 조사는 ‘이’와 ‘ㅣ’, 명사형 어미는 ‘-옴/-움’이 쓰임. 높임 선어말 어미가 다양함.
•어휘: 많은 고유어가 존재했고, 한자어의 쓰임이 증가했으며, 중국어, 몽골어, 여진어 등의 외래어가 들어옴.
•표기: 받침 표기는 8종성법이 원칙이었고, 이어적기와 끊어적기가 쓰임. 한자음은 『동국정운』식으로 표기하
다가 점차 실제 발음에 맞게 표기함.

한국어의 위상과 미래

한국어의 위상 파악 담화 관습 성찰
•국외: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하 •현대: 청소년 언어, 인터넷 언어, 한자어와 외국
고 있음. 어 사용.
•국내: 외국어, 외래어, 한자어의 지나친 사용과 •전통: 신중하게 말하고 듣기, 돌려 말하기, 속
한국어 파괴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 담 을 사용한 비유적 말하기.

이 단원을 마치며
3 높임 표현, 시간 표현, 인용 표현, 피동 표현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3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차이점을 알고, 국어가 변화하는 실체임을 이해할 수 있다.
3 국어를 사랑하는 마음을 지니고, 국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3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의사소통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29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93 17. 12. 11. 오후 8:16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전통 윤리를 담고 있는 문헌을 읽어 보면서 ‘효’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선입견에서 벗어나고, 현대 사회에서
‘효’ 사상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면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만들도록 지도한다.

‘효(孝)’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효’에 대한 오해 ❶
자신의 부모님만
‘효’의 본질은 자신의 부모님만 잘 따르고 섬기면 되는 것이
잘 섬기는 것이다? 사물이나 현상을 성립시키는 근본적인 성질
아니다. 공자의 가르침을 담은 『논어』를 보면 이 사실을 알 수
있다.

“사람 됨됨이가 효성과 우애가 있는데도 윗사람에게 함부로 하는


사람은 드물다. 윗사람에게 함부로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데도
난을 일으키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이제껏 없었다. 군자는 근본
에 힘쓴다. 근본이 서면 도가 생긴다. 효성과 우애는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다.”
- 공자 / 홍승직 옮김, 『처음 읽는 논어』

전통 윤리에서 말하는 ‘효’는 단순히 부모 자식 간의 관계를 규정한 권


위적이고 낡은 가치관이 아니라, 가족에 대한 사랑을 타인에 대한 사랑
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진정한 ‘효’란 모든 행동의 근본으로, ‘사람다움[
仁]’을 세상에 널리 실천하는 일과 같다.

‘효’에 대한 진실 ❶
‘효’는 타인에 대한 사랑이며
모든 행동의 근본이다.

294 7. 우리의 말과 글을 따라서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94 17. 12. 11. 오후 8:17


‘효’에 대한 오해 ❷
‘효’를 실천하기는 어렵다?

‘효’를 실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옛 문헌


에서 말하는 ‘효’의 실천 방법을 살펴보자.

•“부모가 생존해 계시면, 멀리 놀러 가지 않으며, 멀리 놀러 가면 반


드시 가는 곳이 정해져 있어야 한다.”
•“부모님이 오직 건강 문제만 걱정하시게 해야 한다.”
•“부모를 모시며 늘 기쁜 안색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법이다. 마실
것과 먹을 것이 있으면 어른 먼저 들게 하는 것만으로 효라고 여겼
단 말인가?”
- 공자 / 홍승직 옮김, 『처음 읽는 논어』

현대 사회에서 ‘효’ 사상은 점점 퇴색되고 그 진정한 의미


무엇이 낡거나 몰락하면서 그 존재가 희미해지거나 볼품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 오해받고 있다. 하지만 ‘효’의 실천은 거창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니다. 부모님께 가는 곳을 알리고, 걱정을 끼치지
않고, 밝은 표정을 유지하는 등 도리에 맞는 행동을 하는
사람이 어떤 입장에서
것이 바로 ‘효’를 실천하는 길이다.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길

‘효’에 대한 진실 ❷
‘효’를 실천하는 것이란
도리에 맞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옛 문헌의 내용에서 ‘효’가 인간관계와 도덕적 질서의 기반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통 윤리인 ‘효’ 사상을 바라보는 현대
사회의 왜곡된 인식에는 무엇이 있는지 떠올려 보고, ‘효’를 현대 사회에 맞게 새롭게 해석하여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생
각해 보자.

국어와 통하다 29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95 17. 12. 11. 오후 8:17


독서 공책 4
서평 쓰기 독서 공책 활동지 독서 공책 ❶ 독서 일지 쓰기

독서 공책 ❷ 모둠 대화하기
활동 안내 책을 읽은 후 자신이 읽었던 책의 내용을 돌아보며 한 편의 서평을 쓰는 활동이다. 독서 공책 ❸ 독서 토론하기
상세하고 깊이 있는 내용의 서평을 쓰기 위해 제시된 질문지를 직접 작성해 보고, 이에 기초하여
독서 공책 ❹ 서평 쓰기
서평을 작성한다. 서평을 작성한 뒤에는 모둠 안에서 서로 평가해 주도록 하여 고쳐쓰기 활동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독서 공책 ❺ 나만의 책 만들기

서평의 글감을 마련하기 위한 질문지 작성하기


예시 답안

1. 첫 느낌 자신이 읽은 책의 제목, 저자, 출판사를 적는다. 이 책을 처음 봤을 때(제목이나 표지 등)


의 느낌을 솔직하게 적는다.
제목: ‘위안부’ 리포트 / 저자: 정경아 / 출판사: 길찾기
처음 이 책을 보았을 때 ‘나는 위안부(comfort women)’라는 말을 강력하게 거부합니다!’라는 표지의 구절이 인상 깊었다. 당연
하게 사용했던 ‘위안부’라는 말의 사용 자체를 거부하는 이 문구를 통해서, 이 책의 내용은 지금까지 내가 위안부에 대해 알던 내
용과 다른 면을 보여 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흥미가 생겼다.

2. 명장면, 명대사 책을 다시 살펴보며 마음에 드는 부분,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 감명 받은 부분


등 기억에 남는 부분을 적고, 그 부분이 기억에 남은 이유를 자세히 쓴다.
네덜란드인 ‘얀’의 진술 과정이 인상 깊었다. 그녀는 도쿄 공청회에서 아시아권 위안부들을 위해 증언에 나선 사람이다. 위안부
로 끌려가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임신되고, 강제로 세 번의 유산을 겪어야만 했던 ‘얀’은 그로 인해 수녀가 되고 싶었던 자신의
꿈도 접어야만 했다. ‘얀’은 수치심으로 인해 과거의 기억을 묻어두고 살았지만, 동양인 위안부들이 재판에 난항을 겪는 것을 보
고 대중 앞에 나섰다. 그녀의 일화를 보면서 서양인 위안부가 있었다는 사실이 놀라웠고, 그녀의 용기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한편으로, 서양인 한 명의 진술이 동양인 여러 명의 진술보다 큰 파급력을 가져왔다는 사실은 우리나라의 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해 더 안타까운 마음을 가지게 만들었다.

3. 멋진 인물 저자를 포함하여 책 속의 인물 중 마음이 끌리는 인물을 골라 삶의 모습을 간추려 적


고, 그 인물의 삶이 인상 깊은 이유를 쓴다.
‘이옥선’ 할머니는 어릴 때 위안부로 끌려가 3년 동안 감금당해 계셨다. 해방 후엔 전쟁통에 고향으로 가지 못하고 중국 연길에
정착해 살다가, 2001년 한국으로 영구 귀국하여 국적을 회복하신 분이다. 힘든 과거를 극복하고 언론에 나서 위안부에 대한 진실
을 밝히고 당당하게 사시는 모습이 안타까우면서도 존경스러웠다.

4. 왜 썼을까?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싶어 한 것은 무엇일지 생각해 보고, 그러한 의도가


잘 표현되었는지 평가한다.
위안부로 끌려갔던 할머니들을 포함해 일제 강점기를 겪은 사람들이 점점 돌아가시면서, 그리고 요즘 사람들이 역사에 무관심
해지면서 위안부 문제는 외면받고 있다. 이런 상황을 보면서 이 책의 저자는 위안부 문제의 중요성과 심각성을 환기하려고 했던
것 같다.

5. 연결 짓기 다른 책, 텔레비전 프로그램, 뉴스, 신문 기사, 영화, 음악, 인터넷 등을 통해 접했던


인물이나 사건 중에서 이 책의 내용과 연결 지을 수 있는 것을 떠올려 본다.
얼마 전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수요 집회’에 대해 방송한 적이 있었다. 일본 대사관 앞에서 몇몇 할머니들과 젊은 사람들이
모여서 시위를 하고 있었다. 그땐 한참 지난 일에 대해서 저렇게 열심히 항의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의아했는데, 이 책에 담긴 위
안부 할머니들의 삶에 대해서 알고 나니 그 심정이 이해가 되었고 나 역시도 응원하고 싶어졌다.

296 독서 공책 ❹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96 17. 12. 11. 오후 8:18


6. 깨달음 책을 다 읽은 후 새롭게 깨달은 점을 적는다. 또 책을 읽기 전과 책을 읽은 후에 자신의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써 본다.
요즘 대부분의 우리 또래는 근현대사에 대한 관심이 없다. 나 역시도 시험을 위해 사람 이름이나 전쟁 이름을 잠깐 외웠을 뿐,
근현대사는 지루한 것으로만 생각했었다. 그러나 눈을 꼭 감고 싶을 정도로 참혹한 역사적 사건을 생생하게 다룬 이 책을 읽은
후, 위안부 문제뿐만 아니라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우리 민족의 아픔에 전반적인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7. 기타 이 책과 관련하여 그 외에 더 하고 싶은 말을 써 본다.
이 책은 만화로 위안부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어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나와 같은 또래의 친구들이 이런
책을 많이 읽어서 근현대사에 관심을 두었으면 좋겠고, 청소년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만화나 소설로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책
들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서평 쓰기

초고 쓰기 질문지에 쓴 내용을 기초로 삼아 한 편의 서평을 작성한다. 시작 부분에는 글의 전체 제목


을 쓰고, 글을 크게 3~5개 부분으로 나누어서 부분마다 각각의 소제목을 붙인다.

동료 평가하기 완성한 글을 모둠 안에서 돌려 읽으며 평가한다.

•잘 표현된 부분이나 공감되는 부분에는 밑줄을 긋고 느낌표(!)를 한다.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나 억지스러워 보이는 부분에는 밑줄을 긋고 물음표(?)를 한다.
•맞춤법에 어긋나거나 문장 성분의 호응이 잘못된 표현, 오타 등을 아는 범위 내에서 고쳐 준다.
•글의 끝에 총평을 적는다.

고쳐쓰기 친구가 평가한 내용과 스스로 점검한 내용을 참고하여 서평을 고쳐 쓴다.
예시 답안

책의 핵심 내용을 잘 파악하였는가? 3그렇다. 아니다.

내용 책의 내용과 자신의 생각이 긴밀하게 연결되었는가? 3그렇다. 아니다.

자신의 생각과 그 근거(경험)가 적절하게 제시되었는가? 그렇다. 3아니다.

글의 구성이 짜임새가 있고 흐름이 자연스러운가? 3그렇다. 아니다.

글의 분량이 적절한가? 그렇다. 3아니다.


형식
어법에 맞는 표현을 사용하였는가? 3그렇다. 아니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확하고 명료하게 표현하였는가? 3그렇다. 아니다.

서평 쓰기 29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7(252~297)ok.indd 297 17. 12. 11. 오후 8:18


대단원 표지 그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것들이 과거에서 이어져
온 것임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의 소중한 가치인 전통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298 17. 12. 11. 오후 8:27


쓰기
읽기
문법

듣기
말하기
문학

통합 문법 영역 + 문학 영역

대단원 설정 이유

8
총 18차시 이 단원에서는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대표적인 한국 문학 작품
을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이해하고 우리말의 아름다
움을 느껴 볼 것이다.
시조와 가사, 현대 시, 고전 소설 등 한국 문학의 시대별 작품을 다양
하게 감상하면서 국어로 계승된 문화를 향유해 보고, 한국 문학의 전통
적 특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이 단원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국어를 사랑하며 국어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니게 하는 데 중점을 두어 지도한다.

한국 문학의
빛깔
시조 두 수
속미인곡 / 진달래꽃
허생전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299 17. 12. 11. 오후 8:27


대단원 성취기준
[문학 03]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대표적인 한국 문학 작품

의 길잡이 을 감상한다.
[문법 05] 국어를 사랑하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지닌
다.

학습 목표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 국어를 사랑하는 마음을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 질을 이해한다. 지니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
을 감상한다. 는 태도를 기른다.

문학 문학 문법

우리가 매일 먹고 보고 듣고 즐기는 대부분의 것들은 과거에


서부터 이어져 온 우리의 전통 안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전통이란
한 집단 내에서 형성되어 역사적인 생명력을 지니고 전해 내려오
는 정신적인 가치 체계로, 한국 문학에도 면면히 이어져 온 전통
이 있다.
8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의 형식과 내용, 문학의 기능, 문학사의
흐름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보여 주
는 작품을 감상할 것이다.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을 읽으며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이해하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껴 보자.

30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0 17. 12. 11. 오후 8:27


학습 과정

(1)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 이해하기.


시조 두 수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이해하며 작품 감상하기.

(2)
•한국 문학에서 여성 화자의 전통이 계승되는 양상 이해하기.
속미인곡 /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의 가치에 주목하며 작품 감상하기.
진달래꽃

(3) •한국 서사 문학의 전통 이해하기.


허생전 •소설에 사회 현실이 반영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 감상하기.

국어 속 경제
국어와 통
•조선 시대와 오늘날의 화폐 가치 비교하기.
하다
•오늘날의 경제 현실에서 ‘허생’의 행위 평가하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문화 향유 역량: 국어로 형성·계승된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작
품에 반영된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특질을 이해하고, 우리의
전통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자료·정보 활용 역량: 한국 문학의 시대별 대표작을 감상하면
서,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여 문학 작품을 깊이 있게 이
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 단원을 배우면,
한국 문학의 시대별 작품을 감상하면서
국어로 계승된 문화를 향유하고, 작가 혹은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여
작품을 주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30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1 17. 12. 11. 오후 8:27


총 4차시

(1 )
학습 목표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을 이해
한다.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
한다.

역량 목표 •국어로 형성 ·계승된 문학 작품
을 읽으며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한다.

시조 두 수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과 사진을 보고, 과거와 오늘날의 수업 모습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말해 보자.
활동 안내 교실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봄으로써,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는지 이해해 보는 활동이다. 과거와 오늘날의 수
업 모습을 비교해 보고, 시대에 따라 이어지는 것과 변하는 것이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 김홍도, 서당 ▲ 오늘날의 교실 풍경

예시 답안 •과거에는 학생들이 바닥에 앉아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의자에 앉아 있다.


•과거에는 선생님에게만 책상이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생들에게도 책상이 놓여 있다.
•과거에는 인쇄 매체인 책만 활용했는데, 오늘날에는 영상 매체도 함께 활용하고 있다.

302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2 17. 12. 11. 오후 8:27


알아
두기 1 한국 서정 문학의 흐름
노래와 춤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한국 서정 문학은 노래와 무용이 어우러진 집단 가무 형태의 원시 종합 예술에서 비롯된 것
한국 서정 문학의 원형
으로 추측된다. 집단적 성격의 원시 종합 예술은 고대 국가가 형성되면서 개인적 서정요로 분
개인의 감정을 노래
화・발전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향가와 한시가 나타났는데, 한시는 조선 말기까지, 향가는 통
일 신라를 거쳐 고려 초기까지 향유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민간에서 불리던 노래인 고려 가요
가 궁중으로 전해지기도 하였다. 고려 말기에는 시조가 창작되었는데, 시조는 가사와 더불어
조선 시대에 성행하였다. 근대에 들어와 자유시가 등장하였고, 이후 다양한 주제를 담은 작품
들이 창작되었다.

2 서정 문학의 형식적 · 내용적 전통 계승


한국 서정 문학은 형식 면에서 시대에 따라 특정한 형식이 도드라지게 나타나기도 하였고,
기존의 형식이 변형되면서 후대에 계승되기도 하였다. 10구체 향가의 3단 구성 방식은 이후
시조와 가사에 영향을 주었고, 평시조의 형식을 변형하여 사설시조가 창작되었다. 내용 면에
한국 서정 문학의 형식적 계승
서는 이별의 슬픔과 임에 대한 그리움, 삶의 애환을 웃음으로 받아넘기는 태도, 자연과의 조
한국 서정 문학의 내용
화를 추구하는 태도 등을 주로 노래하였다. 이러한 한국 서정 문학의 형식적・ 내용적 전통은
오늘날에 창작되고 있는 많은 시 작품의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 서정 문학만의 고
유한 특질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 자료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전승
10구체 향가 시조 가사
3단 구성 초장 - 중장 - 종장 서사 - 본사 - 결사

시조에서 찾을 수
?! 있는 한국 문학의
전통은 무엇일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평시조와 사설시조 작품을 함께 감상하며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전통
을 이해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시조에 나타난 한국 문학의 전통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
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시조는 주로 어떤 주제를 담고 있을까?
•시조는 기본적으로 어떤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시대에 따라 시조의 형식이나 내용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1) 시조 두 수 30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3 17. 12. 11. 오후 8:27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화자의 정서와 태도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형식적 특징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

동짓달 긴 밤의 한 가 다음 두 작품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서정 문학 갈래인 시조이다.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초장
운데를 베어 냄. 이해하고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따뜻한 이불 아래 베 제재 개관
중장
어 낸 밤을 넣어 둠. 갈래 시조, 평시조 성격 서정적, 감각적

임이 오시면 밤을 펼 제재 연모(戀慕)의 정. 주제 임에 대한 절실한 그리움.


종장 특징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표현함.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우리말의 묘미를 잘 드러냄.
쳐 길게 만들고 싶음.
가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황진이 초장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 동짓달 긴 밤의 한가운데를 베어 냄


(?~?) 임이 부재하는 부정적 시간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형상화함
중장 춘풍(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 봄바람처럼 따뜻한 이불 아래 베어 낸 밤을 넣어 둠
조선 시대의 기생. 기명(妓 봄바람처럼 따뜻하고 포근한 이불         ↕대조
名)은 ‘명월(明月)’이다. 시가 종장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임이 오시면 밤을 펼쳐 길게 만들고 싶음
에 능하였으며, 작품으로 한 정을 맺은 임 임이 오신 날 밤 오래오래 같이 있고 싶은 마음

시와 시조 여러 편이 전한다. : 음성 상징어 - 황진이 / 정병욱 편저, 『시조 문학 사전』


콕콕 정리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한 허리를 버혀 내여’ 가운데를 자를 수 있음.
‘밤’을 구체적 사물
‘서리서리 너헛다가’ 이불 아래 넣어 둘 수 있음.
로 형상화함.
‘구뷔구뷔 펴리라’ 여러 굽이로 펴 놓을 수 있음.

깜짝 퀴즈
1. ‌이 시조에서는 추상적 개념인 ☐ 을 구체적 사물로 형 [현대어 풀이]
상화하고 있다. ➡밤 동짓날 기나긴 밤의 한가운데를 베어 내어
2. 이 시조는 임에 대한 연모의 정을 다루고 있다.  ➡ ◯ 봄바람 같은 이불 아래에 서리서리 넣었다가
3. 이 시조의 화자는 남성이다. ➡× 정든 임 오시는 날 밤이면 굽이굽이 펴리라.

■동지(冬至)ㅅ 동짓달. ‘동
지’는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로, 양력으로 12월 22일이
나 23일경이다.
■버혀 내여 베어 내어.
■서리서리 국수, 새끼, 실 따위
를 헝클어지지 아니하도록 둥
그렇게 포개어 감아 놓은 모
양.
■어론 님 정든 임.

30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4 17. 12. 11. 오후 8:27


제재 구조도

임이 온다고 하여 저녁
제재 개관 초장
밥을 일찍 먹고 기다림.
갈래 시조, 사설시조 성격 해학적, 과장적
제재 임이 온다는 소식. 주제 임을 애타게 기다리는 마음. 임을 만나러 허겁지
중장 겁 달려갔으나 자신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사용하여 행동을 과장하여 묘사함.
특징 착각임을 알게 됨.
•해학적 표현과 희극적 요소가 나타남.
자신의 행동을 겸연
종장
나 님이 오마 거 소단원 정리 PPT 쩍어함.

평시조보다 긴 초장과 중장 - 평시조의 형식적 특징 변형


초장 님이 오마 거 저녁밥을 일 지어 먹고 중문(中門) 나서 대문(大門) 나가 ■일 일찍.
화자가 기다리는 대상 『 』: 화자의 들뜬 마음이 반영된 행동
■이수(以手)로 가액(加額)고
지방(地方) 우희 치 라 안자 이수(以手)로 가액(加額) 고 오 가 가 가 건 손으로 이마를 가리고.
임이 오는 곳을 계속 바라봄
넌 산(山) 라보니 거머흿들 셔 잇거 져야 님이로다 ■거머흿들 검은빛과 흰빛이
화자가 임을 본 것으로 착각함 ▶ 임이 온다고 하여 저녁을 먹고 임을 기다림 뒤섞인 모양.
중장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님븨곰븨 쳔방지방 지방 ■곰븨님븨 엎치락뒤치락 급히
의태어
구는 모양.
쳔방 즌 듸 른듸 희지 말고 워렁충창 건너가셔 정(情)엣말 려 고겻
의성어 임과의 회포를 푸는 말 ■쳔방지방 너무 급하여 허둥
눈을 흘긧 보니 상년(上年) 칠월(七月) 사흔날 가 벅긴 주추리 삼대 드리 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지난해 갉아 ‘나’가 임으로 착각한 대상
■워렁충창 급히 달리는 발소
도 날 소겨라 ▶임을 만나러 허겁지겁 달려갔으나 자신의 착각임을 알게 됨
: 종장 첫 음보는 3음절 - 평시조의 형식적 특징 유지 리.
종장 모쳐라 밤일싀만졍 혀 낫이런들 우일 번 괘라 ▶ 자신의 행동을 겸연쩍어함
■주추리 삼대 삼의 줄기.
실망감보다는 멋쩍음을 드러냄 - 사설시조 특유의 낙천성과 해학성
- 작자 미상 / 정병욱 편저, 『시조 문학 사전』 ■모쳐라 아서라. 그만두어라.

콕콕 정리 ■우일 번 웃길 뻔. 웃음거리가

웃음을 유발하는 화자의 행동 될 뻔.

•버선과 신발을 벗어 들고 엎치락뒤치락 허둥지둥 뛰어감.


‘주추리 삼대’를 임으로 •진 곳 마른 곳 가리지 않고 마구 건너감.
착각함. •주추리 삼대가 자신을 속인 것이라고 말함.
•남들이 자신의 행동을 못 봐서 다행이라고 여김.

깜짝 퀴즈
1. ‌이 시조는 평시조의 형식을 변형한 사설시조이다. ➡ ◯
2. ‌이 시조는 화자의 행동을 ☐ ☐ 하여 묘사하고 있다.
 ➡ 과장
3. ‌이 시조의 화자는 임이 오지 않은 것을 알고 큰 절망감
을 드러내고 있다. ➡×

[현대어 풀이]
임이 온다고 하여 저녁밥을 일찍 지어 먹고 중문을 나와 대문으로 나가 문지방 위에 올라가 앉아
손으로 이마를 가리고 오는가 가는가 건너편 산을 바라보니 검은 듯 흰 듯한 것이 서 있기에 저것
이 임이로구나.
버선 벗어 품에 품고 신 벗어 손에 쥐고 엎치락뒤치락 허둥지둥 진 데 마른 데 가리지 않고 우당
탕퉁탕 건너가서 정이 있는 말 하려고 곁눈으로 흘깃 보니 작년 7월 3일에 갉아 벗긴 주추리 삼대
가 알뜰히도 나를 속였구나.
아서라 밤이기에 망정이지 행여 낮이었다면 남을 웃길 뻔했구나.

(1) 시조 두 수 30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5 17. 12. 11. 오후 8:27


활동

이해 1 두 시조의 화자가 처한 상황과 그에 따른 화자의 정서 및 태도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활동 안내 두 시조의 시적 상
가 동지ㅅ 기나긴 밤을 나 님이 오마 거
황과 화자의 정서 및 태도를 파
악하고 이를 비교해 보는 활동
이다. 시어의 의미에 집중하면
서 두 시조의 화자가 어떤 정서
와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 파악 임이 없는 상황에서 임이 오기를 화자의 임이 없는 상황에서 임이 오기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상황 기다리고 있음.
기다리고 있음.

•임을 그리워함.
•임을 그리워함. •임이 오기를 간절히 기다리는 마음
화자의
•임과 다시 만날 날을 상상하며 이별 에 비슷한 물건을 보고 임이 온 것으
정서 및 태도
의 상황을 견딤. 로 착각하고 달려가는 모습을 보임.

활동 안내 제시된 시구에 드러난 표현상의 특징과 그 특징이 시조의 주제를 드러내는 데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
하는 활동이다. 다양한 시적 표현 방법을 알고 이를 작품의 의미와 연관 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두 시조의 시구에 나타나는 표현상의 특징과 그 효과를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도움말
가 동지ㅅ 기나긴 밤을
표현의 효과를 파악할 때에
는 제시된 시구가 화자의 행
시구 표현상의 특징과 그 효과
동과 정서를 부각하는 데 어
떻게 기여하는지에 주목한다.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밤’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접었다 펼 수 있
는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화하여 이미지를 생
생하게 느끼게 한다. 이를 통해 화자의 외로움
이 잘 느껴진다.
•‘서리서리 너헛다가~구뷔구뷔 펴 •‘서리서리’, ‘구뷔구뷔’라는 음성 상징어를 사
용하여 임을 기다리는 화자의 간절한 마음을
리라’
생생하고 우아하게 표현하였다.

나 님이 오마 거

시구 표현상의 특징과 그 효과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임에게 허겁지겁 달려가는 장면을 순차적으로
쥐고 곰뾂님뾂 님뾂곰뾂 쳔방지방 나열하여 임을 만난다는 기대감을 극대화하고
지방쳔방 즌 듸 른듸 희지 말고 있으며, 다양한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장면을
생생하게 표현하였다.
워렁충창 건너가셔’

306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6 17. 12. 11. 오후 8:27


활동 안내 시조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글을 통해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형태를 파악하
고, 이를 두 시조에 적용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작자층에 따라 시조의 제재가 다양해질 수 있음을 알도록 지도한다.

목표 1 다음 글을 참고하여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알아보자.

자료실 시조는 고려 말기에 나타나 조선 시대에 전성기를 이룬 서정 문학이다. 시조의


시조의 개념
음보(音步) 기본적인 형태는 평시조로, 평시조는 3장(초장, 중장, 종장), 6구, 4음보를 기본
음보는 ‘쉼’의 주기라고 할 평시조의 기본형
형으로 한다. 조선 후기로 가면 평시조의 정형적 형식에서 벗어난 사설시조가 나
수 있는데, 주로 3음절이나 4 조선 후기에 나타난 시조의 형태
음절이 한 음보를 이룬다. 세 타난다.
마디로 쉬어 가면서 낭송하면 시조는 주로 사대부의 정서와 이념을 풀어낸 것으로, 자연 친화적 태도를 노래
3음보, 네 마디로 쉬어 가면서
낭송하면 4음보이다.
하거나 충효(忠孝) 등의 유교적 가치관을 노래하였다. 그리고 사대부의 풍류에 참
사대부 시조의 주요 내용
여하는 기녀도 시조를 창작하였는데, 남녀의 정을 섬세하고 우아하게 표현하였
기녀 시조의 내용
다. 사설시조는 작자를 알 수 없는 작품이 많으며, 주로 세태를 풍자하거나 삶의
사설시조의 특징 사설시조의 내용
애환을 해학적으로 노래하였다.

(1) 형식적 측면에서 두 시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가 동지ㅅ 기나긴 밤을 나 님이 오마 거

공통점 3장(초장 - 중장 - 종장)으로 구성되고, 종장의 첫 음보가 3음절임.

•평시조. 시조의 정형적 형식을 지킴. •사설시조. 시조의 정형적 형식에서 벗어남.
- 어느 한 장이 두 구 이상, 특히 중장이 길어짐.
차이점
• •

자료실 (2) 다음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송순이 지은 평시조이다. 작자를 고려할 때, 앞의 두 시조와
송순(1493~1583) 내용적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말해 보자.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면
앙정(俛仰亭)’이다. 벼슬에서
물러나 강호 생활을 하면서 십 년(十年)을 경영(經營) 여 초려삼간(草廬三間) 지여 내니
욕심 없는 청빈한 생활
많은 작품을 지었다. 주요 작 나 간 간에 청풍(淸風) 간 맛져 두고
품으로 「오륜가」, 「면앙정가」 ‘나’와 자연이 한데 어우러짐 - 물아일체(物我一體)
등이 있다.
강산(江山)은 들일 듸 업스니 둘러 두고 보리라
강산을 병풍처럼 인식함 → 자연에 동화됨
제재 개관 - 송순 / 정병욱 편저, 『시조 문학 사전』
갈래 시조, 평시조
성격 풍류적, 전원적
예시 답안 임을 향한 간절한 그리움을 노래한 앞의 두 시조와 달리, 이 시조는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고자 하는 마
제재 전원생활
음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조를 지은 송순은 사대부로, 이 시조에는 사대부의 풍류와 자연 친화적인 태도가 드러나 있
자연과 더불어 살고 다.
주제
싶은 마음.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자연 친화적 태도를 보
특징 임.
•안빈낙도(安貧樂道)의
태도가 나타남.
(1) 시조 두 수 30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7 17. 12. 11. 오후 8:27


활동 안내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을 형식적 측면에서 이해하기 위한 활동이다. 제시된 향가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해
보면서 구성과 시상 종결 방식에서 시조와 향가의 형식적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다음은 향가 제망매가(祭亡妹歌)이다. 이를 감상하고 형식적 측면에 나타나는 한


국 문학의 전통을 알아보자.

자료실
향가의 형식 생사(生死) 길은
향가는 통일 신라 시대에 예 있으매 머뭇거리고,
성행한 문학 갈래이다. 향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이승
나는 간다는 말도
에는 4구체, 8구체, 10구체의 죽은 누이
세 가지 형식이 있다. 이 중 몯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 』: 누이의 갑작스러운 죽음

10구체는 ‘기 - 서 - 결’의 3단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구성을 취하며, ‘결’에 해당하 누이의 이른 죽음
는 마지막 두 구는 대개 그 첫
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
직유법 - 누이를 비유
머리에 감탄사를 써서 시상 한 가지에 나고
(詩想)을 고양한다. 한 부모
가는 곳 모르온저.
아아, 미타찰(彌陀刹)에서 만날 나
누이와 재회할 수 있는 공간 화자
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종교적으로 극복하려는 의지
■미타찰(彌陀刹) 아미타불이 다스리는 서방 정토.

- 월명사 / 김완진 옮김, 『향가 해독법 연구』

제재 개관 (1) 제망매가의 구성과 내용을 파악해 보자.


갈래 10구체 향가 예시 답안
성격 애상적, 추모적
제재 누이의 죽음. 기 (1구 ~ 4구) … 누이의 죽음을 안타까워함.
죽은 누이의 명복을
주제
빎.
•‌자연물에 비유하여 삶
과 죽음의 섭리를 표 서 (5구 ~ 8구) … 누이의 죽음에서 삶의 무상함을 느낌.
특징 현함.
•슬픔을 종교적으로 승
화함.

작가 소개 결 (9구 ~ 10구) … 누이와 재회하기를 기대하며 불도(佛道)에 정진함.

월명사(?~?)•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 학덕이 높은 이름
난 승려였다. 「제망매가」 외
에도, 경덕왕의 요청으로 지
은 4구체 향가인 「도솔가(兜 (2) 제망매가와 님이 오마 거의 형식적 특징을 비교해 보자.
率歌)」가 전한다. 예시 답안

제망매가 님이 오마 거

구성 ‘기 - 서 - 결’
의 3단 구성을 취함. ‘초장 - 중장 - 종장’의 3단 구성을 취함.

시상의
결사를 감탄사 ‘아아’로 시작하여 화자의 고조 종장을 감탄형 ‘모쳐라’로 시작하여 화자의 고
종결
된 정서를 표현하고 시상을 전환함. 조된 정서를 표현하고 시상을 전환함.
방식

308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8 17. 12. 11. 오후 8:27


문학 쓰기
활동 안내 시조의 형식에 따라 시조를 창작해 보는 활동이다. 하나의 제목 아래 몇 수의
✚ 평시조를 이어서 연시조를 구성하도록 안내한다. 시조를 창작해 보는 과정을 통해 문학 작
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내면화하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 안내에 따라 모둠별로 학교생활을 소재로 한 연시조를 지어 보자. 모둠

자료실 1. 3~4명이 한 모둠을 구성한다.


연시조 2. 학교생활의 여러 모습 중에서 시조로 창작하고 싶은 장면을 떠올린다.
연시조는 두 개 이상의 평
등교 시간, 수업 시간, 점심시간, 체육 대회 등
시조가 하나의 제목으로 엮인
시조이다. 3. 인원수에 맞게 각 장면을 선정하고 순서를 정한다.
4. 한 사람이 한 장면을 맡아 그 장면을 표현한 시조 한 수를 짓는다.
5. 각자 지은 시조를 잇고 제목을 붙인다.

| 예시 |

•제목: 우리의 하루

학교에 가려고 아침밥을 일찍 먹고


정류장에 달려가서 오는 버스 타려는데
아뿔싸, 국어 숙제를 집에 두고 나왔네.
- 제1수 등교 시간

예시 답안
오늘도 아침 일찍 수업을 들으려니
눈앞의 스승 얼굴 흐릿하게 지워지네.
오늘도 나란 사람 쉴 시간만 기다리네.
- 제2수 수업 시간
그토록 기다리던 쉬는 시간 되었지만
과자 한 봉 까먹으니 수업 시작 종이 치네.
아이고, 무더운 날을 다시 한 번 참아 보세.
- 제3수 쉬는 시간
드디어 하교 시간 오늘도 해내었네.
멀찍이 스승 얼굴 잠시 잠깐 피해 보네.
그래도 내일부터는 열심히 공부하리.
- 제4수 하교 시간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동지ㅅ 기나긴 밤을과 님이 오마 거을 감상하며 시조의 형식

정리하기 적·내용적 특성과 한국 서정 문학의 전통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주제의 시조를 더 찾아


읽으며 한국 서정 문학의 아름다움을 느껴 보자.

(1) 시조 두 수 30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09 17. 12. 11. 오후 8:27


총 5차시

(2)
학습 목표 •한국 문학에서 여성 화자의 전
통이 계승되는 양상을 이해한다.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의 가치에 주목하며 작품
을 감상한다.

역량 목표 •작가와 창작 배경, 작품 세계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여 작품을 주체적으로 해석한다.

속미인곡/진달래꽃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시를 읽으며 운율감이 느껴지는 이유를 자유롭게 말해 보자.
활동 안내 운율감이 드러나는 시를 낭독하며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작품은 일상에서 겪었을 법한 상황을 재치
있게 표현한 시이다. ‘음보’의 개념을 떠올리며 읽어 봄으로써 서정 문학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용돈
이환천

아버지의 친구분이
오만 원권 한 장 꺼내
나에게로 다가오면

아버지는 내게 주는
용돈임을 직감하고
친구 손을 밀치신다.

그때부터 둘 사이엔
격렬하고 날카로운
몸싸움이 시작되고

괜찮다고 말한 나는
아버지의 친구분을
눈빛으로 응원한다.

- 이환천, 『이환천의 문학 살롱』

예시 답안 2음보가 되풀이된다. / 하나의 연에서 2음보가 3번 되풀이된다.


같은 글자 수가 반복된다. / 한 음보가 네 글자로 이루어졌다. / 4·4조가 반복된다.

31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0 17. 12. 11. 오후 8:27


알아
두기 1 이별의 정한과 여성 화자
한국 문학에서 ‘이별의 정한(情恨)’이라는 주제는 고대 가요에서부터 시작되어 시조와 가사,
현대 시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별을 노래한 작품 중에서도 남성인 작가가 여
성 화자의 목소리로 임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표현한 작품이 있다.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을
‘충신연주지사’의 의미
연모하는 노래라는 뜻인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가 대표적이다. ‘충신연주지사’는 ‘임
금-신하’의 사회적 관계인 ‘충(忠)’을 ‘남성-여성’의 개인적 관계인 ‘그리움’으로 바꾸어 표현
‘충신연주지사’의 내용
한 것이다. 여성 화자는 이별의 안타까움을 한층 애절하고 절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서 현대
여성 화자의 효과
시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학에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끊어지지 않고 죽 잇따라

2 가사 문학의 특징
가사(歌辭)는 시조와 함께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 갈래의 하나이다. 조선 전기에는 주
로 사대부가 시조와 가사를 창작하였는데, 시조가 짧은 형식의 노래라면 가사는 긴 형식의 노
조선 전기 시조와 가사의 작자층 시조와 가사의 차이
래이다. 가사는 4음보가 연속되며, 일부 가사는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가사의 형식적 특징
마무리되기도 한다. 또한 가사는 길이에 제한이 없어서 강호(江湖)에서 누리는 삶의 모습과
가사의 내용적 특징
감흥, 유배지에서의 삶과 정서, 여행의 경험과 느낌 등 다양한 내용을 담을 수 있었다. 조선
후기에는 양반 부녀자와 평민 계층으로 작자층이 확대되어 현실적인 삶을 그린 가사도 나타
조선 후기 시조와 가사의 작자층 확대
났다. 조선 말기에는 개화(開化)와 현실 비판을 주제로 한 가사가 많이 창작되었다.
참고 자료
주제별 가사 작품
•강호에서 누리는 삶의 모습과 감흥 - 예 면앙정가, 낙빈가 등
•유배지에서의 삶과 정서 - 예 만분가, 북천가 등
•여행의 경험과 느낌 - 예 관동별곡, 일동장유가 등
•현실적인 삶 - 예 농부가, 노처녀가 등
•개화와 현실 비판 - 예 합강정가, 애국하는 노래 등

오늘날까지
계승되어 온 문학적
?! 전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가사와 현대 시 작품을 함께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전통을 살펴보는 활
동을 할 것이다. 한국 문학에서 오늘날까지 계승되고 있는 전통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떠
올리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과거의 문학 작품과 오늘날의 문학 작품 간에 공통되는 주제는 무엇일까?
•여성을 화자로 내세운 문학 작품이나 대중가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문학 작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1 17. 12. 11. 오후 8:27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속미인곡의 구성상 특징   •작품의 주제   •이별의 정한과 여성 화자의 전통

임과 헤어진 이유에 이 작품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가사로, 작가는 두 여인을 등장시켜 자신의 심정을 표현하고 있
서사 대한 ‘여인 1’의 질문과 다. 여성 화자를 통해 표현되는 한국 문학의 전통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여인 2’의 답변.
‘여인 1’의 위로와 ‘여 제목 풀이 ‘속미인곡’의 ‘속(續)’은 ‘잇다’라는 뜻으로 작가의 전작 「사미인곡(思美人曲)」의 속편이라는 의미이다.
본사 인 2’의 임에 대한 걱정
여기서 ‘미인’은 임금을 가리키며, ‘속미인곡’은 ‘사미인곡’과 마찬가지로 ‘아름다운 사람을 생각하며 부
과 그리움.
르는 노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속미인곡(續美人曲)
임을 따르고 싶은 소
망을 밝히는 ‘여인 2’와 가
결사
그에 대한 ‘여인 1’의 조
언. _ 정철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시 낭송 영상

제재 개관
갈래 가사, 서정 가사, 양반 가사 성격 서정적, 애상적
제재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 주제 임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특징 •두 여인이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전개됨. / •우리말 표현의 아름다움을 잘 살림.

서사 뎨가 뎌 각시 본 듯도 뎌이고
임금이 있는 한양의 궁궐
텬샹(天上) 옥경(白玉京)을 엇디 야 니별(離別) 고 5
‘여인 2’가 임과 이별함 → 관직에서 물러남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 고 ▶ ‘여인 1’의 질문 - ‘여인 2’가 백옥경을 떠난 이유
쓸쓸한 상황 강조 - 애상적 분위기
정철 어와 네여이고 이내 셜 드러 보오
(1536~1593)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가마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송
강(松江)’이다. 한시, 시조, 가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
사 등 여러 갈래의 문학 작품
을 지었으며, 그중 가사 관동 나도 님을 미더 군 디 젼혀 업서 참고 자료 10
임에 대한 ‘여인 2’의 순수한 사랑과 믿음 ‘친 일이 이셔이다’에 대한 다양한 해석
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이 야 교 야 어 러이 돗 디 우선, ‘여인 2’ 자신이 맺힌 일이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은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여인 2’가 생각하는 이별의 이유 있다. 이 경우 ‘친 일’은 임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해석
작품으로 평가된다. 문집으 반기시 비치 녜와 엇디 다 신고 할 수 있다. 또는 임이 맺힌 일이 있다는 것으로 볼 수
도 있다.
로 『송강집』과 『송강가사』가
임이 맺힌 일이 있다는 것으로 볼 경우에도 두 가지
있다. 누어 각 고 니러 안자 혜여 니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는 ‘여인 2’의 행동 때문에 임의
가슴에 맺힌 일이 있게 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임과 ‘여
구절 풀이 화자는 임과 이별 내 몸의 지은 죄 뫼 티 혀시니 인 2’가 멀어지도록 제3자가 임의 가슴에 맺힌 일을 만
한 이유를 자신의 죄와 조물주 이별에 대해 자책 든 것이다. 후자의 해석이 화자가 임을 그리워하게 하는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를
하 히라 원망 며 사 이라 허믈 랴 명분이 되므로 더 설득력이 있다. 15
통해 화자의 운명론적 인생관이 조물주의 탓 - 운명론적 태도
드러난다. 또한 신하로서 임금
셜워 플텨혜니 조믈(造物)의 타시로다 ▶ ‘여인 2’의 답변
을 원망하지 않는 작가의 유학 서사 임과 헤어진 이유에 대한 ‘여인 1’의 질문과 ‘여인 2’의 답변. - 자신 때문에 임과 이별하였다고 자탄함
자적 태도도 엿볼 수 있다. 본사 글란 각 마오 친 일이 이셔이다 ▶ 자책하는 ‘여인 2’를 위로하는 ‘여인 1’
‘여인 1’이 ‘여인 2’를 위로함 ‘여인 2’의 말 - 다양한 해석이 가능함.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구절 풀이 ‘여인 2’는 자신이
믈 얼굴이 편 실 적 몃 날일고
임을 모시던 때를 생각하며 여
러 걱정거리들을 털어놓고 있
츈한고열(春寒苦熱)은 엇디 야 디내시며 20
다. ‘여인 2’의 이러한 임에 대한
염려는 작가인 ‘정철’의 임금에
츄일동텬(秋日冬天)은 뉘라셔 뫼셧 고
대한 충정을 뜻한다고 볼 수 있
다.
쫎조반(粥早飯) 죠셕(朝夕) 뫼 녜와 티 셰시 가

기나긴 밤의 은 엇디 자시 고

312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2 17. 12. 11. 오후 8:27


저기 가는 저 각시 본 듯도 하구나

천상 백옥경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해 다 져 저문 날에 누굴 보러 가시는가

어와 너로구나 이내 사설 들어 보오

5 내 얼굴 이 거동이 임이 사랑함직 한가마는

어쩐지 날 보시고 너로다 여기심에

나도 임을 믿어 딴생각 전혀 없어

아양이며 교태며 어지럽게 하였던지

반기시는 낯빛이 예와 어찌 다르신가

10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리니

내 몸의 지은 죄 산같이 쌓였으니

하늘을 원망하며 사람을 탓하겠는가

서러워 생각하니 조물주의 탓이로다 ■백옥경(白玉京) 도가(道家)에


서 이르는 옥황상제가 산다는
그것일랑 생각 마오 맺힌 일이 있습니다
곳. 여기에서는 임금이 있는
15 임을 모셔 봐서 임의 일을 내 알거니 한양의 궁궐을 가리킨다.
■사설(辭設) 1. 늘어놓는 말이
물 같은 얼굴이 편하실 때 몇 날일까
나 이야기. 2. 잔소리나 푸념

봄추위 여름 더위 어떻게 지내시며 을 길게 늘어놓음. 또는 그 잔


소리와 푸념.
가을철 겨울철은 누가 모셨는가 ■교태(嬌態) 귀염을 받으려고
알랑거리는 태도.
죽조반 조석 진지 예전과 같이 올리시나
■죽조반(粥早飯) 아침 먹기 전
20 기나긴 밤에 잠은 어찌 주무시나 에 일찍 먹는 죽.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3 17. 12. 11. 오후 8:27


님 다히 쇼식(消息)을 아므려나 아쟈 니
임 계신 곳 = 임금 계신 곳 = 한양
오 도 거의로다 일이나 사 올가
임의 소식을 전하는 사람
내 둘 업다 어드러로 가쥅 말고
: ‘여인 2’의 소망을 이루기 위한 공간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 올라가니

콕콕 정리 구롬은 니와 안개 므 일고 5

소재의 상징적 의미 : ‘여인 2’와 임 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 → 당시 조정을 어지럽히던 간신을 상징함
산쳔(山川)이 어둡거니 일월(日月)을 엇디 보며
구롬, 안개, 람, 믈결, 당시의 부정적인 시대 상황 임금을 상징함
오뎐된 계셩
지츥(咫尺)을 모 거든 쳔 리(千里) 라보랴
임과 ‘여인 2’ 사이의 방
해물 하리 믈 의 가 길히나 보랴 니

낙월 구비 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임에 대 임에 대
한 소극적 한 적극적 샤공은 어 가고 뾆 만 걸렷 고 10

사랑. 사랑. 객관적 상관물 - ‘여인 2’의 외로움 부각


강텬(江天)의 혼자 셔셔 디 구버보니

님 다히 쇼식(消息)이 더옥 아득 뎌이고

모츸(茅 )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반벽츼등(半壁靑燈)은 눌 위 야 갓 고
객관적 상관물 - ‘여인 2’의 외로움 부각
오 며 리며 헤 며 바자니니 15
임의 소식을 알기 위해 낮 동안 ‘여인 2’가 했던 행동
져근덧 녁진(力盡) 야 풋 을 잠간 드니

졍셩(精誠)이 지극 야 의 님을 보니
임과 ‘여인 2’의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
옥(玉) 얼구리 반(半)이 나마 늘거셰라
임과 ‘여인 2’가 함께 있었을 때 임과 ‘여인 2’가 헤어져 있을 때
의 머근 말 슬 장 쟈 니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의 말
눈믈이 바라나니 말 인들 어이 며 20

졍(情)을 못다 야 목이조차 몌여 니

오뎐된 계셩(鷄聲)의 은 엇디 돗던고 ▶ ‘여인 2’의 하소연


본사 ‘여인 1’의 위로와 ‘여인 2’의 임에 대한 걱정과 그리움.
결사 어와 허 (虛事)로다 이 님이 어 간고

결의 니러 안자 창(窓)을 열고 라보니
‘여인 2’의 곁에는 그림자뿐 - 임의 부재
어엿븐 그림재 날 조 이로다 25

‘여인 2’의 외롭고 쓸쓸한 심정을 드러냄


하리 쐘여디여 낙월(落月)이나 되야이셔
‘여인 2’의 분신 ① - 소극적 애정관(멀리서 임을 바라봄)
님 겨신 창(窓) 안 번드시 비최리라 ▶ ‘여인 2’의 소망
‘여인 2’의 분신 ② - 적극적 애정관(오랫동안 내리며 임의 곁에 있을 수 있음)
각시님 이야 니와 구 비나 되쇼셔 ▶ ‘여인 1’의 조언
결사 임을 따르고 싶은 소망을 밝히는 ‘여인 2’와 그에 대한 ‘여인 1’의 조언.

31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4 17. 12. 11. 오후 8:27


임 계신 곳 소식을 어떻게든 알자 하니

오늘도 저물었네 내일이나 사람 올까

내 마음 둘 데 없다 어디로 가잔 말인가

잡거니 밀거니 높은 산에 올라가니

5 구름은 물론이고 안개는 무슨 일인가

산천이 어두운데 해와 달을 어찌 보며

지척을 모르는데 천 리를 바라볼까

차라리 물가에 가 뱃길이나 보려 하니

바람이야 물결이야 어수선히 되었구나

10 사공은 어디 가고 빈 배만 매여 있는가

강가에 혼자 서서 지는 해를 굽어보니

임 계신 곳 소식이 더욱 아득하구나

초가집 찬 자리에 밤중쯤 돌아오니

벽 가운데 청등은 누굴 위해 밝았는가

15 오르며 내리며 헤매며 서성대니

잠깐 동안 힘이 다해 풋잠을 잠깐 드니

정성이 지극하여 꿈에 임을 보니 콕콕 정리
‘속미인곡’의 전체 구성
옥 같은 얼굴이 반 넘어 늙었구나
‘여인 1’의 질문 임과 이별한 사
마음에 먹은 말씀 실컷 사뢰려니 서사 연에 대한 질문과
‘여인 2’의 대답 답변.
20 눈물이 쏟아지니 말씀인들 어찌 하며 ‘여인 1’의 위로 임에 대한 걱정
본사
‘여인 2’의 하소연 과 그리움.
정회를 못다 풀어 목조차 메여 오니
‘여인 2’의 소망 임을 따르고 싶
결사 은 ‘여인 2’의 소
새벽닭 소리에 잠은 어찌 깨었던가 ‘여인 1’의 조언 망과 깊은 사랑.

어와 허사로다 이 임이 어디 갔나
깜짝 퀴즈
잠결에 일어나 앉아 창을 열고 바라보니 1. 이
‌ 가사는 두 여성 화자가 대화하는 방식으 ■지척(咫尺) 아주 가까운 거리.
로 전개된다. ➡◯
25 가엾은 그림자가 날 좇을 뿐이로다 2. ‘구롬’과
‌ ‘안개’는 ‘여인 2’와 임 사이를 가로 ■새벽닭 소리 날이 샐 무렵에
막는 장애물이다. ➡◯ 우는 닭의 소리. ‘오뎐된 계셩
차라리 죽어서 지는 달이나 되어서 3. ☐‌ ☐ ☐ 는 임에 대한 적극적인 사랑을 의미
(鷄聲)’은 ‘방정맞은 닭 울음소
한다. ➡ 구비
리’로 해석하기도 한다.
임 계신 창 안에 환하게 비추리라
■궂은비 날이 흐리어 어두침
각시님 달은 물론이고 궂은비나 되소서 - 정철 / 정재호, 장정수 옮김, 『송강가사』 침하게 오랫동안 내리는 비.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5 17. 12. 11. 오후 8:27


학습 포인트 •‘진달래꽃’의 상징적 의미   •작품의 주제   •이별의 정한과 여성 화자의 전통
이 작품은 임을 떠나보내는 여인의 마음을 노래한 현대 시이다. 화자의 상황과 정서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전통이 현대에까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제목 풀이 ‘진달래꽃’은 화자의 분신이자 임에 대한 헌신적 사랑, 한(恨)을 표상한다. 자신을 떠나려고 하는 임을


제재 구조도 보내고 싶지 않은 여인의 심정을 붉고 선명한 이미지의 진달래꽃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진달래꽃
임과 이별하는 상황 나
1연 을 가정하고 이를 묵묵
히 받아들임. _ 김소월
떠나는 임을 축복할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시 낭송 영상
2연 정도로 임에 대한 깊은
사랑을 보임.
화자의 분신인 진달
제재 개관
3연 래꽃을 밟고 가라는 자
갈래 현대 시, 자유시, 서정시 성격 민요적, 애상적
기희생적 사랑을 보임.
제재 임과의 이별.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인고의 자세를 통해
4연 •이별의 상황을 가정하여 애절한 심정을 노래함.
슬픔을 극복함. 특징
•민요조 율격과 수미 상관식 구성을 취함.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이별의 상황 가정 : 유사한 어미의 반복으로 운율 형성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 이별의 상황 가정과 체념
체념적
김소월
(1902~1934)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시인. 전통적 율격과 정서에 향토적 분위기 형성
바탕을 둔 서정시를 주로 썼 진달래꽃
다. 주요 작품으로 「산유화」, 임에 대한 화자의 사랑 / 화자의 분신
「접동새」, 「초혼」 등이 있다.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 임에 대한 사랑과 축복
꽃을 뿌려 공덕을 기리는 산화공덕(散花功德)의 전통이 드러남
수미
상관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화자의 희생적 사랑
콕콕 정리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 원망을 뛰어넘는 자기희생적 사랑
‘진달래꽃’의 상징적 의미 이별의 정한을 자기희생을 통한 숭고한 사랑으로 승화함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화자의 분신. 『 』: 슬픔을 드러내지 않고 견디겠다는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정서
•자기희생적 자세.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 슬픔의 극복과 승화


정한의 극복 의지 강조(반어법, 도치법)
•표면적 의미: 임이 나를 떠나신다면 슬퍼도 꾹 참고 보내드리겠다는 의미
•이면적 의미: 임을 붙들고 싶으며, 제발 나를 떠나지 말라는 의미

■즈려밟고 위에서 내리눌러


밟고. ‘지르밟다’의 방언이다. 깜짝 퀴즈 - 김소월, 『정본 김소월 전집』
1. ‌☐ ☐ ☐ ☐ 은 붉고 선명한 이미지로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을 시각화한다. ➡ 진달래꽃
2. ‌이 시는 이별의 상황을 가정하여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고 있다. ➡◯
3. ‌화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라는 구절을 통해 임에 대한 원망을 드러내고 있다. ➡ ×

316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6 17. 12. 11. 오후 8:27


활동

이해 1 가 속미인곡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활동 안내 「속미인곡」의 내용 (1) 속미인곡이 두 여인의 대화로 전개되는 점을 고려하여 가사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을 파악하고 주요 시어의 의미 예시 답안
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대화로
‘여인 1’의 질문
전개되는 이 가사에서 어떤 부
분이 각 화자의 말에 해당하는
지를 파악하고, 가사의 전체적
‘여인 2’
에게 백옥경을 떠난 이유를 물음.
인 내용 흐름을 이해하면서 주
요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 여인 1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여인 2’의 대답

자신의 죄와 조물주 때문이라고 말함.

여인 2

참고 자료
「속미인곡」의 두 화자 ‘여인 1’의 위로

•보조적 위치의 화자.


•‘여인 2’에게 질문이 ‘여인 2’
가 그런 생각을 하지 말기를 바람.
나 위로를 하며 하
여인 1
소연을 이끌어 냄. 여인 1
(갑녀)
•작품의 전개와 종결
을 돕는 기능적인
역할을 함.
‘여인 2’의 하소연
•중심적 위치의 화자.
•작품의 주제를 구현 •임이 잘 지내시는지 안부가 걱정되고, 임의 소식이 궁금함.
하는 역할을 함.
여인 2
•작품의 정서와 분위
(을녀)
기를 주도함. •임을 간절히 그리워하며 차라리 죽어서 낙월이 되고자 함.
•작품에 반영된 작가 여인 2
의 생각을 대변함.

‘여인 1’의 조언

궂은비가 되라고 함.

여인 1

도움말 (2) ‘낙월’과 ‘구비’가 함축하는 의미를 말해 보자.


자연물인 ‘낙월’과 ‘구비’ 예시 답안
가 어떤 특성을 띠는지를 먼 ‘낙월’은 지는 달로, 임이 계신 곳을 멀리서 잠깐만 비출 수 있다. ‘낙월’은 죽어서라도 임을 따르겠다
낙월
저 살펴본 뒤, 이것이 임을 대 는 ‘여인 2’의 간절한 사랑을 나타내지만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표현이다.
하는 태도와 어떻게 관련되는 ‘궂은비’는 어두침침하게 오랫동안 내리는 비로, 임을 적실 만큼 오랜 시간 동안 임 가까이에 있을 수
있다. ‘낙월’보다 더 오래 임과 함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에 대한 간절한 사랑을 보다 적극적으로 드
지 생각해 본다. 구비
러낸 소재이며, ‘여인 2’의 슬픈 눈물이라는 의미를 함축할 수 있어 그리운 마음을 전하기에 더 효과적
이다.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7 17. 12. 11. 오후 8:27


활동 안내 「진달래꽃」의 시상
전개 과정과 중심 소재의 의미
2 나 「진달래꽃」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이별의 (1)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각 연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상황에 처한 화자의 태도를 중 예시 답안
심으로 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어의 함축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 1연 임과 이별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이를 순순히 받아들임.
한다.

2연 떠나는 임을 위해 진달래꽃을 뿌리겠음.

3연 뿌려 놓은 그 꽃을 임이 밟고 가시기를 바람.

4연 임과 이별하는 상황에서도 눈물을 흘리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함.

도움말 (2) 이 시에서 ‘진달래꽃’이 상징하는 의미를 파악해 보자.


시에서 화자는 자신의 정서 예시 답안
와 태도를 구체적인 소재로
나타내기도 한다. 이 시에서 임을 향한
화자가 ‘진달래꽃’에 담고자 사랑과 정성.
했던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헌신과 희생, 순종.

318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8 17. 12. 11. 오후 8:27


활동 안내 제시된 자료를 활용하여 작품을 해석하는 역량 목표와 관련된 활동이다. 작품의 창작 배경, 작가와 그 작
품 세계에 관한 자료 등 작품 외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두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목표 1 다음에 제시된 자료를 참고하여 두 작품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1) 다음은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속미인곡의 창작 배경을 정리한 글이다. 이를 참고


자료실
하여 주요 시어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동인과 서인
조선 시대에 ‘이조 전랑’이
라는 관직을 두고 대립한 당 정철은 술을 좋아하고 감정을 억누르지 못하며, 붕당을 만들어 선비들을 분열
조선 시대에 이념과 이해에 따라 이루어진 사람의 집단
파. 이조 전랑은 임금에게 직 시킨다는 이유로 여러 차례 사헌부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 당시 조정은 동인
언하던 세 관아인 삼사(三司)
의 인사권을 갖고 있었으므
과 서인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정철은 서인의 주요 인물로서 동인의 비판 대상이
로, 동인과 서인은 서로 자기 었다. 하지만 선조는 정철을 충성스러운 신하로 여기고, 그가 말을 너무 곧고 바
편의 인물을 이조 전랑에 임
르게 하기 때문에 남에게 미움을 받는다며 정철을 두둔하였다. 그럼에도 결국 정
명하려 하면서 대립하였다.
철은 선조 18년인 1585년, 벼슬에서 물러나 전라남도 창평에 머물러 살게 되었
다. 이때 임금을 향한 그리움을 담아 「사미인곡」 과 「속미인곡」 을 지었다.

■사헌부(司憲府) 고려·조선 시대에, 정사(政事)를 논의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관리의 비행을 조사하
여 그 책임을 규탄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사간원(司諫院) 조선 시대에, 임금에게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예시 답안

‘구롬’, ‘안개’,
‘미인’, ‘님’ ‘텬샹 옥경’
‘ 람’, ‘믈결’

정치적으로 정철과 반대 입장
임금(선조) 한양의 대궐, 조정.
에 있던 세력.

(2) 다음 글을 참고하여 「진달래꽃」의 시구에 담긴 화자의 심정을 추측해 보자.

한(恨)이란 서로 모순되는 두 충동의 갈등에서 빚어지는 감정이다. 그러한 의미


에서 그것은 반어적인 혹은 역설적인 감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중략)
상대방을 미워하면서도 사랑하고, 긍정하면서도 부정하고, 이별하면서도 그것
을 만남의 예비라고 생각하는 감정, 즉 모순의 복합적인 감정이라 할 수 있다.
- 오세영, 『김소월, 그 삶과 문학』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예시 답안 화자는 깊은 슬픔을 느끼고 있으므로, 제시된 시구는 “임이 떠난다면 나는 슬퍼서 눈물을 펑펑 흘릴 것이
다.”라는 심정을 반대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화자는 표면적으로는 눈물을 꾹 참고 떠나는 임을 보내 주겠
다고 하고 있으나, 이면적으로는 임을 붙잡고 싶으며 임이 제발 자신을 떠나지 않았으면 하고 있다. 따라서 화자는 이
러한 반어적 표현을 통해 이별의 한과 슬픔을 더 강렬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2) 속미인곡/진달래꽃 319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19 17. 12. 11. 오후 8:49


활동 안내 한국 문학에 이어져 온 이별의 정한(情恨)과 여성 화자의 전통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여성 화자의 전통이
「속미인곡」과 「진달래꽃」에서 계승되고 있음을 알고, 여성 화자를 내세움으로써 어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파악하
도록 지도한다.

2 다음은 고려 가요 가시리이다. 속미인곡, 진달래꽃과 비교하며 감상해 보자.

자료실
고려 가요의 내용과 형식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여음 3음보 율격, 유사 문장 구조의 반복으로 운율 형성, 강조
고려 가요는 고려 시대에 리고 가시리잇고 나
민간에서 유행하다가 궁중 음 여음
위 증즐가 대평셩 (大平盛代) ▶ 임이 화자를 떠남
악의 가사로 수용된 노래이
: 여음구. 후렴구. 음률을 맞추기 위함
다. 내용 면에서는 남녀 간의
사랑, 삶의 애환 등 평민들의 날러는 엇디 살라 고
삶과 정서를 담은 작품이 많
다. 형식 면에서는 한 연으로
리고 가시리잇고 나
구성된 작품과 여러 연으로 위 증즐가 대평셩 (大平盛代) ▶ 떠나는 임에 대한 안타까움과 원망
구성된 작품이 있으며, 후렴
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잡 와 두어리마
『 』: 임이 영원히 떠날까 두려워 감정을 절제함
제재 개관
선 면 아니 올셰라
갈래 고려 가요
성격 민요적, 애상적 위 증즐가 대평셩 (大平盛代) ▶ 임을 붙잡기를 체념함
제재 임과의 이별.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4개의 연으로 구성됨. 셜온 님 보내 노니 나
특징 •여 음과 후렴구가 있 ① 이별을 서려워하는 임 ② ‘나’를 서럽게 하는 임
음. 가시 도셔 오쇼셔 나
위 증즐가 대평셩 (大平盛代) ▶ 재회에 대한 부탁과 기원
참고 자료
「가시리」 현대어 풀이
■선면 서운하면, 귀찮게 하면.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저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셜온 서러운.
위 증즐가 대평성대
- 작자 미상 / 박병채 옮김, 『고려 가요의 어석 연구』
나는 어찌 살아가라고
(저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대
(1) 「가시리」의 중심 내용을 파악해 보자.
붙잡아 두고 싶지만 예시 답안
서운하면 다시는 오지 않을까 두려워
위 증즐가 대평성대
1~2연 … ‘나’
를 버리고 가는 임을 원망하며 가지 말라고 간절히 호소함.
서러운 님을 보내 드리오니
가시자마자 곧 돌아오소서.
위 증즐가 대평성대

3~4연 … 임을 잡고 싶은 마음을 억누르고 이별을 받아들이며, 임이 어서 돌아오기를 소망함.

(2) 화자의 측면에서 「가시리」, 「속미인곡」, 「진달래꽃」의 공통점을 말해 보자.


예시 답안 세 작품 모두 여성을 화자로 내세우고 있다. 여성 화자를 통해 이별의 상황에서 느끼는 화자의 애절하고
복합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32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0 17. 12. 11. 오후 8:28


문학 읽기
활동 안내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의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국어를 사랑하는 마음을
✚ 지니고 국어 발전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한 활동이다.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속미
인곡」이 어떤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적용 1 다음은 김만중이 정철의 가사를 평가한 글의 일부이다. 이를 참고하여 「속미인곡」


의 가치를 이해해 보자.
자료실
김만중(1637~1692) 지금 우리나라의 시문은 자기 말을 버려두고 다른 나라의 말을 배워서 표현하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소설
므로, 설령 아주 비슷하다 하더라도 이는 단지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하는 것에
가. 호는 ‘서포(西浦)’이다. 한
글로 쓴 우리 문학의 가치를 불과하다. 민간의 나무하는 아이나 물 긷는 아낙네들이 소리 내어 서로 주고받는
『 』: 민간 백성들의 노래가 학사 대부의 시부보다 더 참됨
높이 평가하였다. 주요 작품 노래가 비록 비루하다 할지라도, 그 참과 거짓을 논한다면 정녕 학사 대부들의 이
으로 「구운몽」, 「사씨남정기」
른바 시부(詩賦)와는 같은 자격에 두고 논할 수 없다.
등의 국문 소설이 있다.
하물며 이 세 편의 별곡(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은 천기(天機)가
참고 자료 스스로 일어난 것을 담고 있되 속됨은 없으니,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참문장은 이
김만중, 「서포만필(西浦漫筆)」
세 편뿐이다. 그런데 세 편을 가지고 다시 따져 본다면, 「속미인곡」의 수준이 가장
갈래 중수필, 비평문 대부분의 표현에 우리말을 사용했기 때문
성격 주관적, 비평적 높다. 「관동별곡」 과 「사미인곡」 은 여전히 한자어를 빌려서 수식한 것이므로 자연
제재 송강 정철의 가사. 스럽지 못하다.
송강 가사에 대한
주제
찬사. ■시부(詩賦) 시와 부(한문체에서, 글귀 끝에 운을 달고 흔히 대(對)를 맞추어 짓는 글)를 아울러 이르
•비유를 통해 우리말 는 말.
사용을 강조함.
특징 - 김만중 / 심경호 옮김, 『서포만필(西浦漫筆)(하)』
•자주적인 문화 의식
을 강조함.

예시 답안 「속미인곡」 은 타고난 그대로의 기질과 진실한 감정을 한자어로 꾸미지 않고 우리말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활동 안내 문학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쳐 문학적 전통이 계승되고 있음을 이해하기 위한 활동이다. 학생들에게
익숙한 대중가요 중에서 이별을 아름다운 우리말로 노래한 작품을 찾아보게 한다. 그리고 그 노랫말을 아름답다고 생
각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말해 보도록 지도한다.

2 속미인곡과 진달래꽃처럼 이별을 아름답게 노래한 대중가요를 찾아 친구들에


게 소개해 보자.
예시 답안
바람이 분다. 서러운 마음에 텅 빈 풍경이 불어온다.
머리를 자르고 돌아오는 길에 내내 글썽이던 눈물을 쏟는다.
하늘이 젖는다. 어두운 거리에 찬 빗방울이 떨어진다.
무리를 지으며 따라오는 비는 내게서 먼 것 같아 이미 그친 것 같아.
세상은 어제와 같고 시간은 흐르고 있고 나만 혼자 이렇게 달라져 있다.
바람에 흩어져 버린 허무한 내 소원들은 애타게 사라져 간다.
- 이소라, 바람이 분다 중에서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속미인곡」과 「진달래꽃」을 감상하며 한국 문학에 나타나는 여성 화자의

정리하기 전통과 아름다운 우리말 표현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전통을 잇고 있는 문학 작품에는 어


떤 것이 있는지 더 찾아보고, 한국 문학의 고유한 전통과 아름다움을 느껴 보자.

(2) 속미인곡/진달래꽃 32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1 17. 12. 11. 오후 8:28


총 6차시

(3)
학습 목표 •한국 서사 문학의 전통을 이해
한다.
•소설에 사회 현실이 반영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
을 감상한다.

역량 목표 •한국 문학의 가치와 미를 느끼


고 자신의 삶과 관련지어 감상한다.

허생전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은 우리 사회의 어떤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활동 안내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문학 작품이 다루는 사회 현실은 어떠한지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입시 위주
의 교육 현실의 문제를 학생들에게 생각해 보게 하고, 과거와 현재의 문학 작품이 반영하는 현실에 관심을 갖도록 지도한다.

글쎄…….
동생아, 조금만 더 공부하고
우리 지금 계곡으로 물에 발이라도
휴가 온 거 맞지? 담그고 가자.

예시 답안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휴가마저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학생들의 모습은 성적만을 강조하는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보여 주고 있다.

322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2 17. 12. 11. 오후 8:28


알아
두기 1 한국 서사 문학의 흐름
한국 서사 문학은 고대의 제천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짐작되며, 삼국 시대까지는 주로 구
서사 문학의 원형
비 문학으로 향유되었다. 구비 전승되던 이야기들은 고려 시대에 문자로 정착하여 『삼국사기』
삼국 시대 서사 문학의 특징 고려 시대 서사 문학의 특징 ①
나 『삼국유사』에 수록되어 전해진다. 고려 시대에는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 형식으로 서술한
고려 시대 서사 문학의 특징 ②
가전체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한문 소설집인 김시습의 『금오신화』와 한글 소설
인 허균의 홍길동전 을 비롯하여 많은 소설이 창작되면서 본격적으로 소설 문학이 발달하였
조선 시대 서사 문학의 특징
다. 근대부터 현대까지 꾸준히 많은 소설이 창작되고 있으며, 그 주제의 폭이 매우 넓어져 다
양한 작품이 향유되고 있다.

2 서사 문학의 현실 반영적 기능
문학은 인간의 언어로 창조되는 예술이다. 언어에는 현실에 대한 인간의 사고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문학 작품에는 사회의 현실과 그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의식이 담겨 있다. 특
문학의 현실 반영적 기능
히 서사 문학의 경우 작품이 창작된 당대의 현실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현실에 대응하는 여
러 인물의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사회의 모순을 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서사 문학
작품을 통해 작품이 창작된 시대의 모순과 마주하게 되고,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당대 사
서사 문학의 가치 ①
람들이 어떠한 행동을 했는지를 살펴보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현재 우리의 삶과 연결된
서사 문학의 가치 ②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소설에는
?! 창작 당대의 현실이
어떻게 반영될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조선 시대의 현실을 반영한 고전 소설 작품을 감상하며 서사 문학의 전
통을 살펴보는 활동을 할 것이다. 소설이 창작 당대의 사회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을
지 생각하며,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소설에서 알 수 있는 한국 서사 문학의 전통은 무엇일까?
•현대 사회의 모습은 소설 안에서 어떻게 그려질 수 있을까?
•내가 읽고 있는 소설에 담긴 사회의 모습은 어떠할까?

(3) 허생전 32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3 17. 12. 11. 오후 8:28


제재 구조도 학습 포인트 •조선 후기의 현실   •각 인물들의 행동 양식   •현실을 반영하는 서사 문학의 전통

‘허생’이 글 읽기를 이 작품은 조선 후기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담긴 고전 소설이다. 당대 사회의 문
발단
중단하고 집을 나감. 제가 작품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허생’이 매점매석으
전개 1
로 큰 돈을 벎. 제목 풀이 「옥갑야화」의 7화인 이 부분이 ‘허생전’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춘원 이광수가 이 부분만 떼어서
‘허생’이 빈 섬에 이 ‘허생전’이라는 이름을 붙인 데서 비롯되었다. 이 소설에는 관념적인 기존 유교 사회를 비판하고, 이를
전개 2
상 사회 건설을 시도함. 극복할 수 있는 여러 대응책을 제시한 주인공 ‘허생’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허생전(許生傳)
돌아온 ‘허생’은 ‘변
전개 3 씨’와 친분을 맺고, 조
선의 모순을 비판함. _ 박지원 지음 / 이우성 옮김
‘이완’은 ‘허생’을 만 작가 소개 영상 소단원 정리 PPT 전체 줄거리 영상 등장인물 소개 영상
위기 나 세 가지 계책을 듣
지만 거절함. 제재 개관
갈래 고전 소설, 한문 소설 성격 풍자적, 비판적
‘허생’은 사대부 계층
절정 의 행태에 격분하여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제재 조선의 현실을 꿰뚫고 있는 지식인 ‘허생’.
‘이완’을 꾸짖음. 배경 •시간적: 17세기 조선 효종 때.   •공간적: 한반도 전역.
주제 무능한 양반 계층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삶의 각성 및 실천 촉구.
이튿날, ‘이완’이 ‘허
결말 생’의 집을 찾아가지만 •실학사상, 북학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당대의 현실을 비판함.
특징
‘허생’은 사라짐. •미완의 결말 구조로, 일반적인 고전 소설의 결말과 차이가 있음.

조선 후기 몰락한 양반들이 살던 곳
발단 허생은 묵적골[墨積洞]에 살았다. 곧장 남산(南山) 밑에 닿으면, 우물 위에
‘허생’은 부와 명예 등과 거리가 먼 삶을 살고 있음
오래된 은행나무가 서 있고, 은행나무를 향하여 사립문이 열렸는데, 두어 칸 5

초가는 비바람을 막지 못할 정도였다. 그러나 허생은 글 읽기만 좋아하고, 그

박지원 의 처가 남의 바느질품을 팔아서 입에 풀칠을 했다.


(1737~1805)
하루는 그 처가 몹시 배가 고파서 울음 섞인 소리로 말했다.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실학
자. 호는 ‘연암(燕巖)’이다. 북 “당신은 평생 과거(科擧)를 보지 않으니, 글을 읽어 무엇합니까?”
‘허생의 처’의 가치관 - 독서는 실생활의 수단임
학론을 주장하였으며, 현실의
허생은 웃으며 대답했다. 10
모순을 비판하는 작품을 많이
썼다. 작품으로 호질, 양반 “나는 아직 독서를 익숙히 하지 못하였소.”
전 등이 있고, 저서로는 『열하 ‘허생’의 가치관 - 독서 자체를 즐김
일기』, 『연암집』 등이 있다. “그럼 장인바치 일이라도 못 하시나요?”
예시 답안 ‘허생’은 독서를 즐
“장인바치 일은 본래 배우지 않은 걸 어떻게 하겠소?”
기며 실생활을 등한시하고, ‘허
생의 처’는 독서를 실생활의 수
“그럼 장사는 못 하시나요?”
단이라고 생각하며 경제 활동을
권유하기 때문에 서로 갈등하고
“장사는 밑천이 없는 걸 어떻게 하겠소?” 15
있다.
‘허생’과 ‘허생의 처’가 갈등 처는 왈칵 성을 내며 소리쳤다.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밤낮으로 글을 읽더니 기껏 ‘어떻게 하겠소?’ 소리만 배웠단 말씀이오? 장

인바치 일도 못 한다, 장사도 못 한다면, 도둑질이라도 못 하시나요?”

■장인바치 ‘장인(匠人)’을 낮잡
허생은 읽던 책을 덮어 놓고 일어나면서,
아 이르는 말. 손으로 물건을 “아깝다. 내가 당초 글 읽기로 십 년을 기약했는데, 인제 칠 년인걸…….” 20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하고 휙 문밖으로 나가 버렸다. ▶ ‘허생’이 일을 하라는 아내의 잔소리에 집을 나감
발단 ‘허생’이 글 읽기를 중단하고 집을 나감.

32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4 17. 12. 11. 오후 8:28


전개 1 허생은 거리에 서로 알 만한 사람이 없었다. 바로 운종가(雲從街)로 나가서

시중의 사람을 붙들고 물었다.

“누가 서울 성중(城中)에서 제일 부자요?”

변 씨(卞氏)를 말해 주는 이가 있어서, 허생이 곧 변 씨의 집을 찾아갔다.


5 허생은 변 씨를 대하여 길게 읍(揖)하고 말했다.
‘허생’의 대범함·과감함
“내가 집이 가난해서 무얼 좀 해 보려고 하니, 만 냥(兩)을 뀌어 주시기 바 ‘변 씨’를 찾아와 돈을 빌리
‘허생’의 당당한 태도 는 ‘허생’의 태도는 어떠한가?
랍니다.” 콕콕 정리
예시 답안 ‘변 씨’가 ‘허생’을
‘허생’과 ‘변 씨’의 비교 ‘말이 간단하고, 눈을 오만하게
변 씨는 허생 변씨 뜨며, 얼굴에 부끄러운 기색이
공통점 대범함, 과감함 없’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아,
“그러시오.” 차이점 이인(異人)다운 당당함. 대상(大商)다운 호탕함. 돈을 빌려 달라는 ‘허생’의 태도
는 매우 당당했음을 알 수 있다.
10 하고 당장 만 냥을 내주었다. 허생은 감사하다는 인사도 없이 가 버렸다. 변
‘변 씨’의 대담한 성격 ‘허생’의 이인다운 태도
씨 집의 자제와 손들이 허생을 보니 거지였다. 실띠의 술이 빠져 너덜너덜하

고, 갖신의 뒷굽이 자빠졌으며, 쭈그러진 갓에 허름한 도포를 걸치고, 코에서


‘허생’의 초라한 행색
맑은 콧물이 흘렀다. 허생이 나가자, 모두들 어리둥절해서 물었다.
구절 풀이 ‘변 씨’ 집안의 자
“저이를 아시나요?” 제와 손들은 ‘허생’의 추레한 행
색만 봤다면, ‘변 씨’는 외양은
15 “모르지.” 초라하지만 당당한 언행의 ‘허
생’이 예사롭지 않은 사람임을
“아니, 이제 하루아침에, 평생 누군지도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만 냥을 그 알아차리고 있다. 이를 통해 ‘허
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는 물
냥 내던져 버리고 성명도 묻지 않으시다니, 대체 무슨 영문인가요?” 론, ‘허생’의 인물됨을 알아본
‘변 씨’ 또한 도량이 넓고 대범
변 씨가 말하는 것이었다. 한 면모를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건 너희들이 알 바 아니다. 대체로 남에게 무엇을 빌리러 오는 사람은
■운종가(雲從街) 조선 시대에,
20 으레 자기 뜻을 대단히 선전하고, 신용을 자랑하면서도 비굴한 빛이 얼굴 서울의 거리 가운데 지금의
종로 네거리를 중심으로 한
에 나타나고, 말을 중언부언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저 객은 형색은 허술하 곳.
형상과 빛깔
■읍(揖)하고 두 손을 맞잡아
지만, 말이 간단하고, 눈을 오만하게 뜨며, 얼굴에 부끄러운 기색이 없는
얼굴 앞으로 들어 올리고 허
것으로 보아, 재물이 없어도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 사람이 해 리를 앞으로 공손히 구부렸다
가 몸을 펴면서 손을 내리고.
보겠다는 일이 작은 일이 아닐 것이매, 나 또한 그를 시험해 보려는 것이다.
■갖신 가죽으로 만든 우리 고
25 안 주면 모르되, 이왕 만 냥을 주는 바에 성명은 물어 무엇을 하겠느냐?” 유의 신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변 씨’에게 만 냥을 빌린 ‘허생’ ■중언부언(重言復言)하게 이
허생은 만 냥을 입수하자, 다시 자기 집에 들르지도 않고 바로 안성(安城) 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하게.
과일을 매점매석하기 위해서
으로 내려갔다. 안성은 경기도, 충청도 사람들이 마주치는 곳이요, 삼남(三 ■삼남(三南) 충청도,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경상도의 세 지방을 통틀어
南)의 길목이기 때문이다. 거기서 대추, 밤, 감, 배며 석류, 귤, 유자 등속의 이르는 말.

(3) 허생전 32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5 17. 12. 11. 오후 8:28


콕콕 정리
‘허생’의 상행위를 통해 본 조선의 경제 구조
경제 규모 만 냥으로 한 가지 물종을 매점매석할 수 있음. 경제 구조가
유통 구조 물건을 다시 조달하여 집결할 수 있는 교통 여건이 갖추어지지 못함. 취약함.

과일을 모조리 두 배의 값으로 사들였다. 허생이 과일을 몽땅 쓸었기 때문에

온 나라가 잔치나 제사를 못 지낼 형편에 이르렀다. 얼마 안 가서, 허생에게


우리나라 경제 기반의 취약성과 양반들의 허례허식을 비판함
두 배의 값으로 과일을 팔았던 상인들이 도리어 열 배의 값을 주고 사 가게

되었다. 허생은 길게 한숨을 내쉬었다.


예시 답안 ‘허생’이 과일과 말
“만 냥으로 온갖 과일의 값을 좌우했으니, 우리나라의 형편을 알 만하구 5
총을 모두 사들인 결과, 과일과 당시 조선 경제가 매우 취약했음을 알 수 있음
말총의 가격이 폭등하였고, ‘허
나.”
생’은 큰돈을 벌게 되었다.
‘허생’이 과일과 말총을 모 그는 다시 칼, 호미, 포목 따위를 가지고 제주도(濟州島)에 건너가서 말총
두 사들인 결과 어떠한 일이 베와 무명
발생하였는가? 을 죄다 사들이면서 말했다.

“몇 해 지나면 나라 안의 사람들이 머리를 싸매지 못할 것이다.”


■망건(網巾) 상투를 튼 사람이 허생이 이렇게 말하고 얼마 안 가서 과연 망건값이 열 배로 뛰어올랐다. 10

머리카락을 걷어 올려 흘러내 전개 1 매점매석으로 큰돈을 번 ‘허생’. ▶ ‘허생’은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를 파악하여 매점매석으로 큰돈을 벎
리지 않도록 머리에 두르는 전개 2 허생은 늙은 사공을 만나 말을 물었다.
그물처럼 생긴 물건. 보통 말
총(말의 갈기나 꼬리의 털), 곱
“바다 밖에 혹시 사람이 살 만한 빈 섬이 없던가?”
이상국을 건설하기 위한 시험적 공간
소리(코끼리의 꼬리털) 또는 “있습지요. 언젠가 풍파를 만나 서쪽으로 줄곧 사흘 동안을 흘러가서 어떤
머리카락으로 만든다.
■사문(沙門) 동남아시아의 어 빈 섬에 닿았습지요. 아마 사문(沙門)과 장기(長崎)의 중간쯤 될 겁니다. 꽃
느 곳을 가리키는 듯하나 정
과 나무는 제멋대로 무성하여 과일 열매가 절로 익어 있고, 짐승들이 떼 지 15
확히는 알 수 없음. 빈 섬의 이상적인 환경
■장기(長崎) 일본 나가사키. 어 놀며, 물고기들이 사람을 보고도 놀라지 않습디다.”

326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6 17. 12. 11. 오후 8:28


그는 대단히 기뻐하며,

“자네가 만약 나를 그곳에 데려다준다면 함께 부귀를 누릴 걸세.”

라고 말하니, 사공이 그러기로 승낙을 했다.


청하는 바를 들어줌
드디어 바람을 타고 동남쪽으로 가서 그 섬에 이르렀다. 허생은 높은 곳에
5 올라가서 사방을 둘러보고 실망하여 말했다.

“땅이 천 리도 못 되니 무엇을 해 보겠는가? 토지가 비옥하고 물이 좋으니


땅이 걸고 기름짐
단지 부가옹(富家翁)은 될 수 있겠구나.”

“텅 빈 섬에 사람이라곤 하나도 없는데, 대체 누구와 더불어 사신단 말씀이

오?”
10 사공의 말이었다. 구절 풀이 도둑이 많은 당대
의 어지러운 현실을 보여 주며,
“덕(德)이 있으면 사람이 절로 모인다네. 덕이 없을까 두렵지, 사람이 없는 이를 해결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임을 지적하고 있
것이야 근심할 것이 있겠나?” ▶ 이상 국가 건설을 위해 빈 섬을 찾은 ‘허생’ 다. 선량한 백성이 도둑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을 지배층의
이때, 변산(邊山)에 수천의 군도(群盜)들이 우글거리고 있었다. 각 지방에 무능과 연결하여 당시의 사회
구조를 비판하고 있으며, 군도
서 군사를 징발하여 수색을 벌였으나 좀처럼 잡히지 않았고, 군도들도 감히 들을 토벌하지 못하는 모습에서
당시의 집권층이 무능했음을 짐
15 나가 활동을 못 해서 배고프고 곤란한 판이었다. 허생이 군도의 산채를 찾아 작할 수 있다.
산적들의 소굴
가서 우두머리를 달래었다.
예시 답안 최소한의 생계마
저 꾸려 나갈 수 없는 현실 때문
“천 명이 천 냥을 빼앗아 와서 나누면 하나 앞에 얼마씩 돌아가지요?”
이다. 이를 통해 피폐한 현실 속
에서 힘들어하는 조선 백성의
“일 인당 한 냥이지요.”
처지를 짐작할 수 있다.

“모두 아내가 있소?” 백성들이 도둑이 된 이유


는 무엇일까?
20 “없소.”

“논밭은 있소?”
■부가옹(富家翁) 부잣집의 늙
군도들이 어이없어 웃었다.
은 주인.
“땅이 있고 처자식이 있는 놈이 무엇 때문에 괴롭게 도둑이 된단 말이오?” ■군도(群盜) 떼를 지어 도둑질
어려운 현실 때문에 백성들이 도둑이 됨
을 하는 무리.
“정말 그렇다면, 왜 아내를 얻고, 집을 짓고, 소를 사서 논밭을 갈고 지내려
■징발(徵發)하여 국가에서 특
25 하지 않는가? 그럼 도둑놈 소리도 안 듣고 살면서, 집에는 부부의 낙(樂)이 별한 일에 필요한 사람이나 물
자를 강제로 모으거나 거두어.
있을 것이요, 돌아다녀도 잡힐까 걱정을 않고 길이 의식의 요족(饒足)을 누 군에서 주택을 징발하여
임시 본부로 삼았다.
릴 텐데…….”
■요족(饒足) ‘요족하다’의 어
“아니, 왜 바라지 않겠소? 다만 돈이 없어 못 할 뿐이지요.” 근. 살림이 넉넉함.

(3) 허생전 32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7 17. 12. 11. 오후 8:28


허생은 웃으며 말했다.

“도둑질을 하면서 어찌 돈을 걱정할까? 내가 능히 당신들을 위해서 마련할


『 』: 대범하고 과감한 성격 - ‘허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
수 있소. 내일 바다에 나와 보오. 붉은 깃발을 단 것이 모두 돈을 실은 배이

니, 마음대로 가져가구려.”

허생이 군도와 언약하고 내려가자, 군도들은 모두 그를 미친놈이라고 비웃 5

었다. ▶ 군도들을 찾아가 돈을 마련해 주겠다고 하는 ‘허생’

이튿날, 군도들이 바닷가에 나가 보았더니, 과연 허생이 삼십만 냥의 돈을

싣고 온 것이었다. 모두들 대경(大驚)해서 허생 앞에 줄지어 절했다.


‘허생’의 비범함에 놀란 군도들의 모습
“오직 장군의 명령을 따르겠소이다.”

“너희들, 힘껏 짊어지고 가거라.” 10

이에, 군도들이 다투어 돈을 짊어졌으나, 한 사람이 백 냥 이상을 지지 못

했다.

“너희들, 힘이 한껏 백 냥도 못 지면서 무슨 도둑질을 하겠느냐? 인제 너희

들이 양민(良民)이 되려고 해도, 이름이 도둑의 장부에 올랐으니, 갈 곳이

없다. 내가 여기서 너희들을 기다릴 것이니, 한 사람이 백 냥씩 가지고 가 15

예시 답안 가난 때문에 양민
으로서의 평범한 생활을 영위할
서 여자 하나, 소 한 필을 거느리고 오너라.”
가정을 이루고 농사를 짓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
수 없는 백성을 구제하기 위해
빈 섬으로 간 것이다.
허생의 말에 군도들은 모두 좋다고 흩어져 갔다.
‘허생’이 군도를 이끌고 ‘빈 허생은 몸소 이천 명이 일 년 먹을 양식을 준비하고 기다렸다. 군도들이 빠
섬’으로 간 이유는 무엇일까?
짐없이 모두 돌아왔다. 드디어 다들 배에 싣고 그 빈 섬으로 들어갔다. 허생
죄인의 몸이라 갈 곳이 없기 때문에
이 도둑을 몽땅 쓸어 가서 나라 안에 시끄러운 일이 없었다. 20

■대경(大驚)해서 크게 놀라서. 나라의 치안 문제를 해결한 ‘허생’ - ‘허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

■양민(良民) 1. 선량한 백성.


그들은 나무를 베어 집을 짓고, 대[竹]를 엮어 울을 만들었다. 땅기운이 온
2. 조선 시대에, 양반과 천민
전하기 때문에 백곡이 잘 자라서, 한 해나 세 해만큼 걸러 짓지 않아도 한 줄
의 중간 신분인 백성. 온갖 곡식
■비축(備蓄)해 만약의 경우를 기에 아홉 이삭이 달렸다. 삼 년 동안의 양식을 비축해 두고, 나머지를 모두
곡식에서 열매가 열리는 부분
대비하여 미리 갖추어 모아
배에 싣고 장기도(長崎島)로 가져가서 팔았다. 장기라는 곳은 삼십만여 호나
두거나 저축해. 해외 무역을 시도함 - 해외 무역의 중요성을 제시함
■속주(屬州) 어느 나라에 속하 되는 일본(日本)의 속주(屬州)이다. 그 지방이 한참 흉년이 들어서 구휼하고 25

여 있는 주(州).
은 백만 냥을 얻게 되었다. ▶ 군도들을 데리고 빈 섬으로 들어가 섬을 훌륭하게 경영한 ‘허생’
■구휼(救恤)하고 사회적 또는
콕콕 정리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을 당한 허생이 탄식하면서, ‘허생’의 조그만 시험
사람이나 빈민에게 금품을 주
어 구제하고. “이제 나의 조그만 시험이 끝났구나.” •농업을 통한 자급자족. ‘빈 섬’에서 이
이상 사회 건설 •해외 무역을 통한 부의 축적. 상 사회의 건설을
•군도들의 교화. 시도함.

328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8 17. 12. 11. 오후 8:28


(3) 허생전 32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29 17. 12. 11. 오후 8:28


하고, 이에 남녀 이천 명을 모아 놓고 말했다.

“내가 처음에 너희들과 이 섬에 들어올 때엔 먼저 부(富)하게 한 연후에 따


경제적 기반
로 문자를 만들고 의관(衣冠)을 새로 제정하려 하였더니라. 그런데 땅이 좁
문물 정비
고 덕이 엷으니, 나는 이제 여기를 떠나련다. 다만, 아이들을 낳거들랑 오
‘허생’이 섬을 떠나는 이유
른손에 숟가락을 쥐고, 하루라도 먼저 난 사람이 먼저 먹도록 양보케 하여 5
장유유서(長幼有序)
라.”

다른 배들을 모조리 불사르면서,

“가지 않으면 오는 이도 없으렷다.”


예시 답안 ‘허생’은 글을 아는 현실 세계의 모습과 부조리가 섬에 미치지 못하게 하려 함
자들이 현실과 유리된 채 이론
하고 돈 오십만 냥을 바다 가운데 던지며,
과 관념으로만 세상을 논하여
양민과 사회에 해를 끼친다고
“바다가 마르면 주워 갈 사람이 있겠지. 백만 냥은 우리나라에도 용납할 곳 10
생각하여 그들을 ‘화근’으로 표 백만 냥에 휘청거릴 정도로 당시 조선의 경제 구조가 취약함
현하며 모두 섬에서 내보내려고
이 없거늘, 하물며 이런 작은 섬에서랴!”
한 것이다.
‘허생’이 ‘글을 아는 자’를 했다. 그리고 글을 아는 자들을 골라 모조리 함께 배에 태우면서,
‘화근’이라고 한 이유는 무엇
일까? “이 섬에 화근을 없애야 되지.”
당대 지식인(위정자)에 대한 비판적 태도
했다. ▶ 시험을 마치고 섬을 떠나는 ‘허생’
전개 2 ‘허생’이 빈 섬에 이상 사회를 건설함.
■화근(禍根) 재앙의 근원. 깜짝 퀴즈
1. ‌‘허생’은 벼슬을 하고 싶었지만 과거에 합격할
능력이 없어서 글만 읽는 선비였다. ➡×
2. ‌‘허생’은 안성에서는 ☐ ☐ 을, 제주도에서는
☐ ☐ 을 독점하고 팔아서 큰돈을 벌었다.
 ➡ 과일, 말총
3. ‌‘허생’이 군도들을 섬으로 데려간 이후, 나라의
치안이 안정되었다. ➡◯

33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0 17. 12. 11. 오후 8:28


전개 3 허생은 나라 안을 두루 돌아다니며 가난하고 의지 없는 사람들을 구제했
‘허생’의 빈민 구제 - ‘허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
다. 그러고도 은이 십만 냥이 남았다.

“이건 변 씨에게 갚을 것이다.”

허생이 가서 변 씨를 보고
5 “나를 알아보시겠소?”
세월이 오래 지남
하고 묻자, 변 씨는 놀라 말했다.

“그대의 안색이 조금도 나아지지 않았으니, 혹시 만 냥을 실패 보지 않았


세속적인 기준으로 ‘허생’의 성공 여부를 짐작하는 ‘변 씨’
소?”

허생이 웃으며,
10 “재물에 의해서 얼굴에 기름이 도는 것은 당신들 일이오. 만 냥이 어찌 도
‘허생’의 사대부 의식 ① - 재물보다 정신적 가치를 중시함
(道)를 살찌게 하겠소?”

하고, 십만 냥을 변 씨에게 내놓았다.

“내가 하루아침의 주림을 견디지 못하고 글 읽기를 중도에 폐하고 말았으

니, 당신에게 만 냥을 빌렸던 것이 부끄럽소.”


크게 놀라서
15 변 씨는 대경해서 일어나 절하여 사양하고, 십분의 일로 이자를 쳐서 받겠 ‘허생’이 ‘변 씨’에게 화를
‘허생’이 보통 사람이 아님을 깨달음 낸 이유는 무엇일까?
노라 했다. 허생이 잔뜩 역정을 내어, 예시 답안 ‘허생’은 비록 자신
장사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이 만 냥으로 매점매석하여 큰
“당신은 나를 장사치로 보는가?” 돈을 벌었지만 자신은 장사치가
‘허생’의 사대부 의식 ② - 상인 계층을 무시함 아니며 사농공상에 따른 사대부
하고는 소매를 뿌리치고 가 버렸다. ▶ ‘변 씨’에게 빌린 돈을 열 배로 갚는 ‘허생’ 로서의 자존심을 갖고 있다. ‘허
생’이 지닌 삶의 목표는 글 읽기
변 씨는 가만히 그의 뒤를 따라갔다. 허생이 남산 밑으로 가서 조그만 초가 에 있으며, 돈에 있지 않기 때문
에 이자를 쳐서 받겠다는 ‘변
20 로 들어가는 것이 멀리서 보였다. 한 늙은 할미가 우물터에서 빨래하는 것을 씨’의 말에 화가 난 것이다.

보고 변 씨가 말을 걸었다.

“저 조그만 초가가 누구의 집이오?” 콕콕 정리


‘허생’의 이중적 재물관
“허 생원 댁입지요. 가난한 형편에 글공부만 좋아하더니, 하루아침에 집을
개인적 측면
나가서 오 년이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으시고, 시방 부인이 혼자 사는데, 집 정신적 도를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음.
25 을 나간 날로 제사를 지냅지요.” → 부정적 입장
대조
변 씨는 비로소 그의 성이 허씨라는 것을 알고, 탄식하며 돌아갔다. 사회적 측면
▶ ‘허생’에 대해 알게 된 ‘변 씨’
빈민 구제와 나라의 부
이튿날, 변 씨는 받은 돈을 모두 가지고 그 집을 찾아가서 돌려주려 했으
강을 위해 필요함.
→ 긍정적 입장
나, 허생은 받지 않고 거절하였다.
사적인 재물 소유에 대한 ‘허생’의 부정직인 태도 ①

(3) 허생전 33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1 17. 12. 11. 오후 8:28


“내가 부자가 되고 싶었다면 백만 냥을 버리고 십만 냥을 받겠소? 이제부
재물에 뜻을 두지 않음
터는 당신의 도움으로 살아가겠소. 당신은 가끔 나를 와서 보고 양식이나
재물에 대한 ‘허생’의 생각이 드러남 → 안분지족, 안빈낙도
‘변 씨’와 ‘허생’의 대화로 떨어지지 않고 옷이나 입도록 하여 주오. 일생을 그러면 족하지요. 왜 재물
미루어 보아, 재물을 대하는
‘허생’의 태도는 어떠한가? 때문에 정신을 괴롭힐 것이오?”
사적인 재물 소유에 대한 ‘허생’의 부정적인 태도 ②
예시 답안 ‘허생’은 재물이 많
으면 그것 때문에 정신이 괴롭
변 씨가 허생을 여러 가지로 권유하였으나, 끝끝내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5

게 된다고 여기고, ‘변 씨’가 양


식과 옷을 많이 가져오기만 해
변 씨는 그때부터 허생의 집에 양식이나 옷이 떨어질 때쯤 되면 몸소 찾아가
도 그것을 재앙으로 치부한다.
이처럼 ‘허생’은 기본적인 생활
도와주었다. 허생은 그것을 흔연히 받아들였으나, 혹 많이 가지고 가면 좋지
기쁘거나 반가워 기분 좋게
을 하는 데 결핍이 없는 정도의
재물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한
않은 기색으로,
재물
다.
“나에게 재앙을 갖다 맡기면 어찌하오?”
사적인 재물 소유에 대한 ‘허생’의 부정적인 태도 ③
하였고, 혹 술병을 들고 찾아가면 아주 반가워하며 서로 술잔을 기울여 취하 10

도록 마셨다. ▶ ‘변 씨’가 돈을 돌려주려 하자 거절하는 ‘허생’

이렇게 몇 해를 지나는 동안에 두 사람 사이의 정의가 날로 두터워 갔다.

어느 날, 변 씨가 오 년 동안에 어떻게 백만 냥이나 되는 돈을 벌었던가를 조


콕콕 정리
용히 물어보았다. 허생이 대답하기를,
‘허생’의 현실 비판 ①
-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
“그야 가장 알기 쉬운 일이지요. 조선이란 나라는 배가 외국에 통하질 않 15

당시 조선 경제의 현실 해외 무역이 어려움


•배가 외국에 통하지 않 고, 수레가 나라 안에 다니질 못해서, 온갖 물화가 제자리에 나서 제자리에
음. → 무역이 어려움. 교통이 취약해 국내 유통이 어려움 자급자족의 경제 구조 - 낙후된 경제 구조 비판
•수레가 나라 안에 다니 서 사라지지요. 무릇, 천 냥은 적은 돈이라 한 가지 물종(物種)을 독점할 수
지 못함. → 국내 유통이
어려움. 없지만, 그것을 열로 쪼개면 백 냥이 열이라, 또한 열 가지 물건을 살 수 있
•물 화가 제자리에 나서
제자리에서 사라짐. → 겠지요. 단위가 작으면 굴리기가 쉬운 까닭에, 한 물건에서 실패를 보더라
낙후된 자급자족식 경제
구조.
도 다른 아홉 가지의 물건에서 재미를 볼 수 있으니, 이것은 보통 이(利)를 20

한 사람의 매점매석에도 취하는 방법으로 조그만 장사치들이 하는 짓 아니오? 대개 만 냥을 가지면


흔들릴 정도로 규모가 작
고 기반이 취약한 조선의
경제적 현실을 비판함.
족히 한 가지 물종을 독점할 수 있기 때문에, 수레면 수레 전부, 배면 배를

전부, 한 고을이면 한 고을을 전부, 마치 총총한 그물로 훑어 내듯 할 수 있


■정의(情誼) 서로 사귀어 친하
여진 정. 지요. 뭍에서 나는 만 가지 중에 한 가지를 슬그머니 독점하고, 물에서 나
■물화(物貨) 물품과 재화(財 는 만 가지 중에 슬그머니 하나를 독점하고, 의원의 만 가지 약재 중에 슬 25
貨)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물종(物種) 물건의 종류. 그머니 하나를 독점하면, 한 가지 물종이 한곳에 묶여 있는 동안 모든 장사
■당국자(當局者) 그 일을 직접 치들이 고갈될 것이매, 이는 백성을 해치는 길이 될 것입니다. 후세에 당국
맡아 처리하는 자리에 있는 자신의 매점매석 행위에 대해 스스로 비판함
사람. 자들이 만약 나의 이 방법을 쓴다면 반드시 나라를 병들게 만들 것이오.”
▶ ‘변 씨’에게 자신이 돈을 번 내력을 설명하는 ‘허생’
콕콕 정리

조그만 장사치들 ‘허생’

332 8. 한국 문학의 빛깔 적은 돈을 가지고, 작은 단위로 다양한 물건을


구입하여 이윤을 남김.
대조
큰돈을 가지고, 한 가지 물종을 독점하여 비싸
게 팔아 이윤을 남김.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2 17. 12. 11. 오후 8:28


“처음에 내가 선뜻 만 냥을 뀌어 줄 줄 알고 찾아와 청하였습니까?”

허생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당신만이 내게 꼭 빌려줄 수 있었던 것은 아니고, 능히 만 냥을 지닌 사람

치고는 누구나 다 주었을 것이오. 내 스스로 나의 재주가 족히 백만 냥을


거상이라면 자신의 능력을 알아보았을 것이기 때문
5 모을 수 있다고 생각했으나, 운명은 하늘에 매인 것이니, 낸들 그것을 어찌
운명론적 세계관
알겠소? 그러므로 능히 나의 말을 들어주는 사람은 복 있는 사람이라, 반

드시 더욱더 큰 부자가 되게 하는 것은 하늘이 시키는 일일 텐데 어찌 주지

않았겠소? 이미 만 냥을 빌린 다음에는 그의 복력에 의지해서 일을 한 까


누리는 복의 힘 콕콕 정리
닭으로, 하는 일마다 곧 성공했던 것이고, 만약 내가 사사로이 했었다면 성 ‘허생’의 현실 비판 ②
- 조선의 인재 등용
10 패는 알 수 없었겠지요.” ▶ ‘허생’의 운명론적 사고
‘허생’이 사례로 든 인재
변 씨가 이번에는 딴 이야기를 꺼냈다. •조성기: 적국에 사신으로
보낼 만한 인재였으나,
“방금 사대부들이 남한산성(南漢山城)에서 오랑캐에게 당했던 치욕을 씻어 벼슬하지 않고 늙어 죽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항전하다 결국 항복함 음.
•유형원: 군량을 조달할
보고자 하니, 지금이야말로 지혜로운 선비가 팔뚝을 뽐내고 일어설 때가
만한 재능이 있으나, 바
능력을 발휘할 때
닷가에서 소요하고 있음.
아니겠소? 선생의 그 재주로 어찌 괴롭게 파묻혀 지내려 하십니까?”
15 “어허, 자고로 묻혀 지낸 사람이 한둘이었겠소? 우선, 졸수재(拙修齋) 조성 유능한 인재들이 많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집정자
들이 그들을 등용하지 않
기(趙聖期) 같은 분은 적국(敵國)에 사신으로 보낼 만한 인물이었건만 베잠 는 현실을 비판함.

방이로 늙어 죽었고, 반계 거사(磻溪居士) 유형원(柳馨遠) 같은 분은 군량


■조성기(趙聖期) 조선 숙종 때
(軍糧)을 조달할 만한 재능이 있었건만 저 바닷가에서 소요하고 있지 않습 의 학자. 성리학을 집대성하
자유롭게 슬슬 거닐며 돌아다니고 였으며, 평생을 독서와 학문
니까? 지금의 집정자들은 가히 알 만한 것들이지요. 나는 장사를 잘하는 에 전념하였다.
인재 등용의 불합리성 비판
20 사람이라, 내가 번 돈이 족히 구왕(九王)의 머리를 살 만하였으되 바닷속에 ■유형원(柳馨遠) 조선 효종 때
모든 나라 왕의 목숨을 의미함 의 실학자. 벼슬에 뜻이 없어
던져 버리고 돌아온 것은, 도대체 쓸 곳이 없기 때문이었지요.” 학문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조선의 경제 규모가 작고, 기반이 취약함
■구왕(九王) 고대 중국에서 전
변 씨는 한숨만 내쉬고 돌아갔다. ▶ 위정자의 인재 등용에 대한 ‘허생’의 비판
전개 3 집으로 돌아온 ‘허생’은 ‘변 씨’와 친분을 맺고,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와 인재 등용의 불합리성을 비판함. 국을 다스리기 위해 나누었던
위기 변 씨는 본래 이완(李浣) 이 정승과 잘 아는 사이였다. 이완이 당시 어영대 아홉 개 주의 왕.
■이완(李浣) 조선 중기의 무
장이 되어서 변 씨에게 위항(委巷)이나 여염(閭閻)에 혹시 쓸 만한 인재가 없
관. 효종 재위 시절 왕을 호위
25 는가를 물었다. 변 씨가 허생의 이야기를 하였더니, 이 대장은 깜짝 놀라면 하던 군영인 어영청의 대장으
로 일하였다.
서, ■위항(委巷) 좁고 지저분한 거
리.
“기이하다. 그게 정말인가? 그의 이름이 무엇이라 하던가?”
■여염(閭閻) 백성의 살림집이
하고 묻는 것이었다. 많이 모여 있는 곳.

(3) 허생전 33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3 17. 12. 11. 오후 8:28


“소인이 그분과 상종해서 삼 년이 지나도록 여태껏 이름도 모르옵니다.”
서로 따르며 친하게 지내면서
“그인 이인(異人)이야. 자네와 같이 가 보세.”

밤에 이 대장은 구종들도 다 물리치고 변 씨만 데리고 걸어서 허생을 찾아

갔다. 변 씨는 이 대장을 문밖에 서서 기다리게 하고 혼자 먼저 들어가서, 허

생을 보고 이 대장이 몸소 찾아온 연유를 이야기했다. 허생은 못 들은 체하 5


『 』: ‌‘이완’을 공손히 대접하지 않고
고, 오히려 무시하는 ‘허생’

‘허생’은 자신을 찾아온 ‘이 “당신 차고 온 술병이나 어서 이리 내놓으시오.”


완’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예시 답안 ‘허생’은 오랫동안 했다. 그리하여 즐겁게 술을 들이켜는 것이었다. 변 씨는 이 대장을 밖에 오
‘이완’을 밖에 세워 두고 ‘이완’
이 방에 들어왔을 때 일어서지 래 서 있게 하는 것이 민망해서 자주 말하였으나, 허생은 대꾸도 않다가 야심
도 않으며 그에게 반말을 한다.
이를 통해 무능한 위정자에 대 해서 비로소 손을 부르게 하는 것이었다. 이 대장이 방에 들어와도 허생은 자 10
손님 - ‘이완’
한 ‘허생’의 반감과 불신의 태도
를 드러내고 있다. 리에서 일어서지도 않았다. 이 대장은 몸 둘 곳을 몰라 하며 나라에서 어진
구절 풀이 임금에게 신임 받 인재를 구하는 뜻을 설명하자, 허생은 손을 저으며 막았다.
는 신하인 ‘이완’은 ‘허생’의 계
책을 듣고 어렵다고 말한다. 이 “밤은 짧은데 말이 길어서 듣기에 지루하다. 너는 지금 무슨 벼슬에 있느
는 임금을 비롯한 조선의 조정 집권층의 탁상공론에 대한 비판
이 권위와 체면을 중시하며, 훌 냐?”
륭한 인재를 구하기 위해 최선
을 다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 “대장이오.” 15
한다.
“그렇다면 너는 나라의 신임받는 신하로군. 내가 와룡 선생(臥龍先生) 같은
■이인(異人) 재주가 신통하고
어영대장 앞에서도 기죽지 않는 ‘허생’의 대담한 성격
비범한 사람. 이를 천거하겠으니, 네가 임금께 아뢰어서 삼고초려(三顧草廬)를 하게 할
■구종(驅從) 벼슬아치를 모시
고 따라다니던 하인. 수 있겠느냐?” ▶ ‘허생’의 현실 대응책 ① - 올바른 인재 등용

■와룡 선생(臥龍先生) 중국 삼 이 대장은 고개를 숙이고 한참 생각하더니,


국 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
로, 유비를 도와 군사를 맡았 “어렵습니다. 제이(第二)의 계책을 듣고자 하옵니다.” 20

던 ‘제갈량’을 말함.
했다.
■삼고초려(三顧草廬)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 “나는 원래 ‘제이’라는 것은 모른다.”
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하고 허생은 외면하다가, 이 대장의 간청에 못 이겨 말을 이었다.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
“명(明)나라 장졸들이 조선은 옛 은혜가 있다고 하여, 그 자손들이 많이 우
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임금의 친척
데서 유래한다. 리나라로 망명해 와서 정처 없이 떠돌고 있으니, 너는 조정에 청하여 종실 25

■훈척(勳戚) 나라를 위하여 드


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임 (宗室)의 딸들을 내어 모두 그들에게 시집보내고, 훈척(勳戚) 권귀(權貴)의
명나라의 망명객을 우대하여 훈척 권귀의 기득권 폐지
금의 친척.
집을 빼앗아서 그들에게 나누어 주게 할 수 있겠느냐?”
■권귀(權貴) 지위가 높고 권세
가 있음. 또는 그런 사람. 이 대장은 또 머리를 숙이고 한참을 생각하더니,

33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4 17. 12. 11. 오후 8:28


콕콕 정리
‘허생’과 ’이완‘의 갈등 양상
‘허생’의 제안 (실리 중시) ‘이완’의 거절 (명분 중시)
•올바른 인재를 적극적으로 등용해야 함. •권위와 체면이 중요함.
•종실과 훈척 권귀의 기득권을 폐지해야 함. •종실과 훈척 권귀의 기득권을 버리게 하기는 어려움.
•청나라와 문물을 교류해야 함. •예법을 지켜야 하므로 변발을 하고 호복을 입는 것은 어려움.

“어렵습니다.”
집정자들은 자신의 기득권을 포기하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
했다. ▶ ‘허생’의 현실 대응책 ② - 종실과 훈척 권귀의 기득권 폐지

“이것도 어렵다, 저것도 어렵다 하면 도대체 무슨 일을 하겠느냐? 가장 쉬


집권층의 무능함 비판
운 일이 있는데, 네가 능히 할 수 있겠느냐?”
5 “말씀을 듣고자 하옵니다.”

“무릇, 천하에 대의(大義)를 외치려면 먼저 천하의 호걸들과 접촉하여 결탁 ‘허생’이 ‘이완’에게 제시한
세 가지 계책은 무엇인가?
하지 않고는 안 되고, 남의 나라를 치려면 먼저 첩자를 보내지 않고는 성공 예시 답안 첫 번째 계책은 적
적을 알아야 승리할 수 있음 = 지피지기(知彼知己) 극적이고 과감하게 올바른 인재
할 수 없는 법이다. 지금 만주 정부가 갑자기 천하의 주인이 되어서 중국 를 등용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 청나라
종실과 훈척 권귀의 기득권을
민족과는 친근해지지 못하는 판에, 조선이 다른 나라보다 먼저 섬기게 되 폐지하는 것이며, 세 번째는 청
병자호란 당시 군신의 예를 맺음
나라와 문물을 교류하는 것이
10 어 저들이 우리를 가장 믿는 터이다. 진실로 당(唐)나라, 원(元)나라 때처럼 다.

우리 자제들이 유학 가서 벼슬까지 하도록 허용해 줄 것과, 상인의 출입을

금하지 말도록 할 것을 간청하면, 저들도 반드시 자기네에게 친근해지려

함을 보고 기뻐 승낙할 것이다. 국중의 자제들을 가려 뽑아 머리를 깎고 되 ■빈공과(賓貢科) 중국 당(唐)


변발과 호복 나라 때에, 외국인에게 보게
놈의 옷을 입혀서, 그중 선비는 가서 빈공과(賓貢科)에 응시하고, 또 서민 하던 과거(科擧).

(3) 허생전 33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5 17. 12. 11. 오후 8:28


콕콕 정리 은 멀리 강남(江南)에 건너가서 장사를 하면서, 저 나라의 실정을 정탐하는
‘허생’의 현실 비판 ③
- 명분만 중시하는 사대부 한편, 저 땅의 호걸들과 결탁한다면 한번 천하를 뒤집고 국치(國恥)를 씻을
청나라를 정벌하고 병자호란에 대해 복수하는 것
‘허생’의 현실 타개책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만약 명나라 황족에서 구해도 사람을 얻지 못할 경
•인재 등용을 위해 왕이
삼고초려를 해야 한다. 우, 천하의 제후(諸侯)를 거느리고 적당한 사람을 하늘에 천거한다면, 잘되
•명의 망명객을 우대하고
훈척 권귀의 기득권을
폐지해야 한다.
면 대국(大國)의 스승이 될 것이고, 못 되어도 백구지국(伯舅之國)의 지위 5

•양반 자제들이 청의 복
장을 하고 청의 문물을 를 잃지 않을 것이다.”
배워 그들과 교류해야
한다. 이 대장은 힘없이 말했다.

양반 사대부들이 허위의 “사대부들이 모두 조심스럽게 예법(禮法)을 지키는데, 누가 변발(辨髮)을


식을 가지고 명분만 중시
하는 현실을 비판함. 하고 호복(胡服)을 입으려 하겠습니까?” ▶ ‘허생’의 현실 대응책 ③ - 청나라와의 문물 교류
위기 ‘허생’의 세 가지 계책과 ‘이완’의 거절.
‘허생’이 ‘이완’을 크게 꾸짖 절정 허생은 크게 꾸짖어 말했다. 10

은 이유는 무엇일까?
예시 답안 ‘이완’이 ‘허생’이 “소위 사대부란 것들이 무엇이란 말이냐? 오랑캐 땅에서 태어나 자칭 사대
제시한 세 가지 계책을 모두 받 청에 대한 사대부들의 우월감을 비판함
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허 부라 뽐내다니 이런 어리석을 데가 있느냐? 의복은 흰옷을 입으니 그것이
생’은 ‘이완’ 역시 당대의 지배층
이 가진 문제점을 고스란히 가 야말로 상인(喪人)이나 입는 것이고, 머리털을 한데 묶어 송곳같이 만드는
상을 당한 사람
지고 있는 인물이라고 판단하여
그를 꾸짖고 있다. 것은 남쪽 오랑캐의 습속에 지나지 못한데, 대체 무엇을 가지고 예법이라

한단 말인가? 번오기(樊於期)는 원수를 갚기 위해서 자신의 머리를 아끼지 15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실용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작가의 의식이 드러남
구절 풀이 집권층에서 허구적
인 북벌론을 내세우며 친명배청 않았고, 무령왕(武靈王)은 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기 위해서 되놈의 옷을 부
정책을 펼치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이제 대명(大明)을 위해 원수를 갚겠다 하면서, 그

까짓 머리털 하나를 아끼고, 또 장차 말을 달리고 칼을 쓰고 창을 던지며


허례허식을 나타내는 소재
■백구지국(伯舅之國) 중국 봉 활을 당기고 돌을 던져야 할 판국에 넓은 소매의 옷을 고쳐 입지 않고 딴에
건 시대 제후국 중에서 규모 전투에 부적합한 옷. 허례허식을 나타내는 소재
가 큰 나라. 예법이라고 한단 말이냐? 내가 세 가지를 들어 말하였는데, 너는 한 가지 20

■호복(胡服) 1. 만주인의 옷. 2.
도 행하지 못한다면서 그래도 신임받는 신하라 하겠는가? 신임받는 신하라
오랑캐의 옷차림.
■번오기(樊於期) 중국 진(秦) 는 게 참으로 이렇단 말이냐? 너 같은 자는 칼로 목을 잘라야 할 것이다.”
명분만 앞세우고 실천이 부족한 자
나라의 장수. 연(燕)나라로 망
명한 뒤 진나라가 이를 빌미
하고 좌우를 돌아보며 칼을 찾아서 찌르려 했다. 이 대장은 놀라서 일어나 급
로 쳐들어오자, 번오기는 자
히 뒷문으로 뛰쳐나가 도망쳐서 돌아갔다.
신을 희생함으로써 진나라에 절정 집권층에 대한 ‘허생’의 분노와 꾸짖음. ▶ 명분만 중시하는 사대부 집권층을 비판하고 ‘이완’을 꾸짖는 ‘허생’
대한 원수를 갚으려 하였다. 결말 이튿날, 다시 찾아가 보았더니, 집이 텅 비어 있고, 허생은 간 곳이 없었다. 25

미완의 결말
■무령왕(武靈王) 중국 전국 시 결말 ‘허생’이 종적을 감춤. - 박지원 / 이우성 옮김, 『고등학교 국어(하)』
대 조(趙)나라의 왕. 생활이
콕콕 정리 깜짝 퀴즈
간편하고 군사 훈련에 적합한
결말 처리 방식의 특징과 효과 1. ‌‘허생’은 재물이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호복으로 복장을 개혁하여 부
•설화적 결말을 통해 ‘허생’의 이인(異人)다운 면모를 부각함. 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였다. ➡◯
국강병을 이루고자 하였다. •미완의 결말 구조로 여운을 남기며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함. 2. ‘이완’은 ☐ ☐ 을 중시하고 있다. ➡ 명분
•‘허생’의 주장이 당시에 수용되기 어려운 것이었음을 암시함. 3. ‌이 작품은 창작 당시의 조선의 현실을 반
영하고 있다. ➡◯

336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6 17. 12. 11. 오후 8:28


활동
활동 안내 작품의 주요 공간을 중심으로 사건을 정리하며 「허생전」의 전체 줄거리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공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의 행동을 중심으로 사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해 1 이 소설의 주요 사건을 공간의 이동에 따라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1 ‘허생’의 집

‘허생의 처’
가 가난한 집안 형편에
도 글 읽기에만 전념하는‘허생’
을 나무
라자,‘ 허생’
이 탄식하며 집을 떠남.

5 ‘허생’의 집

집으로 돌아온 ‘허생’은 ‘변 씨’와 교유(交


遊)하면서 ‘이완’을 만나 세 가지 계책을 제
안하지만, ‘이완’이 이를 거절하자 명분만 중 2 ‘변 씨’의 집
시하는 집권층을 크게 꾸짖고, 이튿날 종적 ‘허생’은 서울 성중에서 제일 부자인 ‘변
을 감춤. 씨’를 찾아가 만 냥을 빌림.

4 빈 섬 3 안성, 제주도
‘허생’은 나라에 들끓던 군도들을 빈 섬으 ‘허생’은 안성에서는 과일을, 제주도에서는
로 데려가 이상 사회 건설을 시도함. 말총을 매점매석하여 큰돈을 벎.

(3) 허생전 33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7 17. 12. 11. 오후 8:28


활동 안내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인물의 성격과 가치관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인물의 성격이 잘 나
타나는 말과 행동을 찾아 이유를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등장인물의 성격과 가치관을 파악하고,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도움말 인물의 성격과 가치관 그렇게 생각한 이유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
•가족의 생계를 돌보는 것보다는 글 읽기 •아내의 불평불만에도 글 읽기에만 열중함.
해 인물의 성격과 각 인물이
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추론 를 통한 학문적 성취를 중시함.
해 본다. •재물에 대한 욕심이 적으며, 돈은 수단적 •돈 오십만 냥을 바다에 버리고, 재물을 재
가치로만 여김. 앙이라고 말함.

•비범한 능력과 이인(異人)의 풍모를 지님.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를 파악하여 매점


허생 매석을 통해 큰돈을 벌고, 경제적 이유로
도둑이 된 이들을 데리고 빈 섬에 들어가
이상 사회 건설을 시도함
•초라한 ‘허생’의 겉모습에도 ‘허생’의 인물
•호탕하고 도량이 넓으며, 배포가 크고 대범 됨을 꿰뚫어 보고 돈을 선뜻 빌려줌.
함. •‘허생’의 인물됨이 조선의 상황에 도움이
되겠다고 판단하여 ‘이완’에게 ‘허생’을 소
•현실적 감각을 지녔으며, 사람 보는 눈을
개함.
갖춤. •‘재물이 어찌 도(道)를 살찌게 하겠냐’고 말
•사농공상의 계급의식에서 벗어나지 못함. 하며 재물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상인’을
변씨 ‘장사치’라고 표현함.

인재가 있다는 말을 듣고 ‘허생’을 찾아가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나, 실리보다는 명분
나, ‘허생’의 세 가지 계책을 받아들이지는 않
을 중시하고 보수적임.
음.

이완

목표 1 허생전에 반영된 당대 조선의 현실을 파악해 보자.


예시 답안
활동 안내 조선 후기에 지어 소설의 내용 당대 조선의 현실
진 「허생전」이 반영하고 있는
시대 현실을 알아보는 활동이 ‘허생’이 만 냥으로 과일과
다. 등장인물의 행동과 사건을
말총을 독점하였다가 되팔아 조선의 경제 구조가 매우 취약함.(자급자족의 경제 구조
바탕으로 조선의 현실을 파악하
로, 교통 여건이 갖추어지지 못해 물건의 국내•해외 유통이
고, 나아가 당대 사회를 비판적 큰돈을 벌고, 조선 전체의 물
어려워 매점매석과 같은 행위가 가능함.)
으로 이해해 볼 수 있도록 지도
가를 좌우함.
한다.

양민이 군도가 되어 나라에 나라에 군도가 들끓고, 백성들의 삶이 피폐하였으며, 지배


층들은 민생을 안정시키지 못하고 치안을 유지하지 못할 정
군도가 들끓음. 도로 문제 해결 능력이 없었음.

‘허생’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 불합리한 인재 등용, 무능력한 지배층, 허구적인 북벌론


할 세 가지 계책을 ‘이완’에게 추구 등 정치적 측면에서 문제가 많았고, 지배층에게는 이러
한 현실을 개혁할 의지가 없었음.
제안하였으나 거절당함.

338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8 17. 12. 11. 오후 8:28


활동 안내 현대 소설이 당대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양상을 이해해 보는 활동이다. 작품 속 인물 간의 대화를 통해 일
제 강점기의 시대 상황을 파악하고, 오늘날의 현실을 반영한 소설의 내용까지 떠올려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다음은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 고향이다. 이 소설을 읽고, 소설이 시대


현실을 반영하는 양상을 이해해 보자.

자료실
참고 자료
동양 척식 주식회사 “어디서 오시는 길입니까?” 고향의 등장인물
동양 척식 주식회사(동척) •‘나’: 서울행 기차 안에서 ‘그’와 동승하게 된 서술자. 지식인.
“흠, 고향에서 오누마.”
•‘그’: 일제 치하에 한 - 중 - 일을 떠돌며 핍진한 삶을 산 인물.
는 일본이 조선의 토지와 자
하고 그는 휘 한숨을 쉬었다. 그러자 그의 신세타령의 실마리는 풀려나왔다. 그의
원을 독점하여 수탈하기 위해
1908년 설치한 식민지 착취 고향은 대구에서 멀지 않은 K 군 H란 외따른 동리였다. 한 백 호 남짓한 그곳 주
기관이다. 일제는 이 기관을 민은 전부가 역둔토를 파먹고 살았는데 역둔토로 말하면 사삿집 땅을 부치는 것
이용하여 막대한 면적의 토지
를 가로채고, 이를 소작인에
보다 떨어지는 것이 후하였다. 그러므로 넉넉지는 못할망정 평화로운 농촌으로
소작료를 낸 후에도 남는 것이 많음
게 빌려주어 높은 소작료를 남부럽지 않게 지낼 수 있었다. 그러나 세상이 뒤바뀌자 그 땅은 전부가 동양 척
징수함으로써 조선 민중을 가 일제의 지배가 시작되자
식 주식회사의 소유에 들어가고 말았다. 직접으로 회사에 소작료를 바치게나 되
혹하게 착취하였다. 일제가 식민지의 토지와 자원을 수출할 목적으로 만든 회사
었으면 그래도 나으련만 소위 중간 소작인이란 것이 생겨나서 저는 손에 흙 한번
제재 개관
만져 보지도 않고 동척엔 소작인 노릇을 하며 실작인에게는 주지 행세를 하게 되
갈래 현대 소설, 단편 소설 실제 경작하는 사람
성격 사실적, 현실 고발적 었다. 동척에 소작료를 물고 나서 또 중간 소작인에게 긁히고 보니, 실작인의 손
1인칭 관찰자 시점(부 동양 척식 주식회사
시점 분적으로 서술자의 개 에는 소출의 3할도 떨어지지 않았다. 그 후로 ‘죽겠다.’, ‘못 살겠다.’ 하는 소리는
소작인들의 빈곤한 삶 일정한 집과 직장이 없이 떠돌아다님
입이 드러남.).
중이 염불하듯 그들의 입길에서 오르내리게 되었다. 남부여대하고 타처로 유리하
제재 농촌의 참상.
•시간적: 일제 강점기. 는 사람만 늘고, 동리는 점점 쇠진해 갔다. ▶ 일제에게 땅을 빼앗기고 쇠락해져 간 고향 마을
배경 •공간적: 서울행 기차 삶이 어려워 고향을 떠나게 됨
안. 지금으로부터 구 년 전, 그가 열입곱 살 되던 해 봄에(그의 나이는 실상 스물여섯
일제 강점기 민중의
주제 이었다. 가난과 고생이 얼마나 사람을 늙히는가.) 그의 집안은 살기 좋다는 바람에
참담한 생활상 폭로.
•‌액자식 구성 방식을 서간도로 이사를 갔었다. 쫓겨 가는 운명이거든 어디를 간들 신신하랴. 그곳의 비
취함. 마음에 들게 시원스러우랴
특징 •객관적, 사실적 문체 옥한 전야도 그들을 위하여 열릴 리 없었다. 조금 좋은 땅은 먼저 간 이가 모조리
로 당시 사회상을 현 『 』: 서간도에서의 비참한 삶
실감 있게 드러냄.
차지하였고, 황무지는 비록 많다 하나 그곳 당도하던 날부터 아침거리 저녁거리
걱정이라 무슨 행세로 적어도 일 년이란 장구한 세월을 먹고 입어 가며 거친 땅을
작가 소개
풀 수가 있으랴. 남의 밑천을 얻어서 농사를 짓고 보니 가을이 되어 얻는 것은 빈
현진건(1900~1943) •소설 소득이 없음
가. 근대 단편 소설을 개척한 주먹뿐이었다. 이태 동안을 사는 것이 아니라 억지로 버티어 갈 제, 그의 아버지
선구자이자, 사실주의 문학의 두해
틀을 마련한 작가로 평가받 는 우연히 병을 얻어 타국의 외로운 혼이 되고 말았다. 열아홉 살밖에 안 된 그가
는다. 주요 작품으로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홀어머니를 모시고 악으로 악으로 모진 목숨을 이어 가는 중 사 년이 못 되어 영
날」 등이 있다. 양 부족한 몸이 심한 노동에 지친 탓으로 그의 어머니 또한 죽고 말았다. (중략)
▶ 서간도에서의 비참한 삶과 부모의 죽음
그 후 그는 부모 잃은 땅에 오래 머물기 싫었다. 신의주로, 안동현으로 품을 팔
고향을 잃고 떠돌게 됨
다가 일본으로 또 벌이를 찾아가게 되었다. 규슈 탄광에 있어도 보고, 오사카 철
공장에도 몸을 담아 보았다. 벌이는 조금 나았으나 외롭고 젊은 몸은 자연히 방탕
해졌다. 돈을 모으려야 모을 수 없고, 이따금 울화만 치받치기 때문에 한곳에 주
접을 하고 있을 수 없었다. 화도 나고 고국산천이 그립기도 하여서 훌쩍 뛰어나왔
한곳에 머물러 삶
다가 오래간만에 고향을 둘러보고 벌이를 구할 겸 서울로 올라가는 길이라 한다.

(3) 허생전 33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39 17. 12. 11. 오후 8:28


“고향에 가시니 반가워하는 사람이 있습디까?”
나는 탄식하였다.
“반가워하는 사람이 다 뭔기오, 고향이 통 없어졌더마.”
고향 상실
“그렇겠지요. 구 년 동안이나 퍽 변했겠지요.”
“변하고 뭐고 간에 아무것도 없더마. 집도 없고 사람도 없고 개 한 마리도 얼씬
을 않더마.”
“그러면, 아주 폐농이 되었단 말씀이오?”
“흥, 그렇구마. 무너지다 만 담만 즐비하게 남았더마. 우리 살던 집도 터야 안
『 』: 폐허가 되어 버린 고향에 대한 상실감
남았는기오만 찾아도 못 찾겠더마. 사람 살던 동리가 그렇게 된 것을 혹 구경했
는기오?”
하고 그의 짜는 듯한 목은 높아졌다.
분노와 한탄
“썩어 넘어진 서까래, 뚤뚤 구르는 주추는! 꼭 무덤을 파서 해골을 헐어 젖혀 놓
은 것 같더마. 세상에 이런 일도 있는기오? 백여 호 살던 동리가 십 년이 못 되
집, 가구
어 통 없어지는 수도 있는기오, 후!”
하고 그는 한숨을 쉬며 그때의 광경을 눈앞에 그리는 듯이 멀거니 먼 산을 보다가
내가 따라 준 술을 꿀꺽 들이켜고,
울분을 달래는 행위
“참! 가슴이 터지더마, 가슴이 터져.”
하자마자 굵직한 눈물 두어 방울이 뚝뚝 떨어진다.
분노와 회한의 눈물
나는 그 눈물 가운데 음산하고 비참한 조선의 얼굴을 똑똑히 본 듯싶었다.
식민지로 일제에 수탈당하는 조선의 상황
▶ 일제의 식민 지배를 받는 조선의 비참한 상황
■역둔토(驛屯土) 역이나 군대의 운영을 위해 설치한 토지. 이 토지를 경작하는 사람들은 역이나 군대
의 유지를 위해 필요한 만큼을 조세로 내고 나머지로 생계를 이어 갔다.
■사삿집(私私-) 개인이 살림하는 집.
■남부여대(男負女戴)하고 (비유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니고. 남자
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현진건, 『고향』

도움말 (1) ‘그’의 삶을 통해 당시의 현실이 어떠했을지 추측해 보자.


이 소설에서 ‘그’가 자신의 예시 답안 ‘그’는 고향에서 농사짓던 땅을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빼앗기고, 더 이상 살 길이 없어 고향을 떠나 이곳저
고향을 어떻게 묘사하는지 살 곳을 떠돌아다녔다. 그 와중에 식구들이 죽고 그는 홀로 모진 고생을 하며 살아야 했다. 그러다 오래간만에 돌아가 본
고향은 폐허나 다름없이 변해 있었다. 이러한 ‘그’의 힘든 삶은 이 작품이 창작된 당시인 일제 강점기에 일제로부터 혹
펴보며 창작 당대의 사회상을
독한 지배를 받아야 했던 조선 민중의 처참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추측해 본다.
(2) 소설이 시대 현실을 반영하여 창작됨을 고려할 때, 오늘날의 현실을 반영하여 소설을 쓴
다면 어떤 내용을 담을 수 있을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안 •청년 실업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취업을 위해 아등바등하는 젊은이들의 삶.
•노인 자살률이 높은 우리 사회에서 고독과 병고에 시달리며 살아가야 하는 노인들의 현실.

340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0 17. 12. 11. 오후 8:28


문학 매체

적용 1 다음과 같은 예술 창작이 오늘날까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고전 소설 작품들
이 오늘날 다양한 장르의 예술
로 변용되어 여전히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이유를 알아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예술 작품을
함께 보며 서사 문학 작품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예
술 작품을 감상했던 경험을 친
구들과 이야기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작된 「허생전」 ▲ 뮤지컬
▲ 마당극으로 창 로 공연된
「춘향전」

▲ 「심청전」을 새롭게 해석한


연극 「아빠 철들이기」

▲ 「전우치전」을 각색
한 드라마 「전우치」

예시 답안 고전 소설이 다양한 예술 양식으로 재창작·재탄생되는 이유는 과거의 서사 문학 작품에 담겨 있는 사회


현실의 문제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녀 간의 사랑을 가로막는 여러 문제들, 가난한 사람들이
살아가기에 어려운 사회 현실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과거의 서사 문학 작품들이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게 주제나 인물
표현 방식 등을 달리 하며 끊임없이 재창조된 결과이기도 하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허생전」을 감상하며 창작 당시의 현실을 반영하는 소설 문학의 전통을

정리하기 알아보았다. 오늘날 창작되고 있는 소설들을 감상하고, 그 안에서 현대 사회의 모습이 어


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3) 허생전 34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1 17. 12. 11. 오후 8:28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떠올리며 어휘의 뜻풀이를 보고, 알맞은 단어를 골라 보는 활동이다.

● 번호를 따라가며 뜻풀이에 알맞은 단어를 보기 에서 골라 써 보자.

1 중언부언 2 흔연히 3 독점

개인이나 하나의 단체가


이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 기쁘거나 반가워 기분이
다른 경쟁자를 배제하고 생
함. 또는 그런 말. 좋게.
산과 시장을 지배하여 이익
을 독차지함.

6 사설 5 서리서리 4 결탁

1. 늘어놓는 말이나 이야기. 국수, 새끼, 실 따위를 헝


마음을 결합하여 서로 의
2. 잔소리나 푸념을 길게 늘 클어지지 아니하도록 둥그
탁함.
어놓음. 또는 그 잔소리와 렇게 포개어 감아 놓은 모
푸념. 양.

7 구제 8 징발 9 사사로이

자연적인 재해나 사회적인 국가에서 특별한 일에 필 공적(公的)이 아닌 개인적


피해를 당하여 어려운 처지 요한 사람이나 물자를 강제 인 범위나 관계의 성질이 있
에 있는 사람을 도와줌. 로 모으거나 거둠. 게.

보기

결탁, 구제, 독점, 사사로이, 사설, 서리서리, 중언부언, 징발, 흔연히

342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2 17. 12. 11. 오후 8:28


정리하기

시조 두 수

가 동지ㅅ 기나긴 밤을 나 님이 오마 거

•평시조 • 사 설 시 조
형식
•3장, 6구, 4음보의 정형적 형식을 취함. •평시조의 정형적 형식에서 벗어남.

내용 임을 애타게 기다리며 그리워함.

속미인곡 / 진달래꽃

가 속미인곡 나 진달래꽃

•두 여인이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화자의 심 •임을 향한 화자의 사랑을 ‘진달래꽃’이라는 소


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함. 재로 표현함.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작품으로 평가받 •이별의 상황에서 느끼는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
음. 함.

‘이별의 정 한 ’이라는 주제를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전달함.

허생전

•만 냥으로 과일과 말총을 독점하여 조선 전체의 물가를 좌우함.


‘허생’의 행위 • 군 도 를 데리고 빈 섬으로 들어가 농사와 무역으로 이상 사회 건설을 시도함.
•이완 대장에게 세 가지 계책을 제시함.

행위의 의미 조선의 취약한 경제 구조 및 집권층의 무능력을 비판함.

이 단원을 마치며
3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3 한국 문학에서 여성 화자의 전통이 계승되는 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3 우리말로 표현된 문학 작품의 가치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3 소설에 사회 현실이 반영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34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3 17. 12. 11. 오후 8:28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허생전」을 경제적인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해 보는 활동이다. 「허생전」이 창작
되던 당시 조선의 경제 현실을 오늘날의 경제 현실과 비교하며 작품 속 사건과 상황을 이해해 보도록 한다. 또한 오늘날의
경제 현실에서 ‘허생’의 행동을 평가해 봄으로써, 공정하고 합리적인 경제 행위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허생전」속 숨은 경제 이야기

‘허생’이 ‘변 씨’에게 꾼 만 냥은 오늘날의 화폐 ‘허생’이 오십만 냥을 바다에 던진 이유는 무엇


가치로 얼마나 될까? 일까?

“내가 집이 가난해서 무얼 좀 해 보려고 하니, “바다가 마르면 주워 갈 사람이 있겠지. 백만


만 냥(兩)을 뀌어 주시기 바랍니다.” 냥은 우리나라에도 용납할 곳이 없거늘, 하물

며 이런 작은 섬에서랴!”
조선 시대 쌀의 가격은 한 섬(약 144㎏)에 다
섯 냥으로 정해져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 쌀의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풀리면 상품의 가격이
소매가격을 20㎏에 약 5만 원으로 잡는다면, 상승한다. 이렇게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
조선 시대의 쌀 한 섬은 오늘날의 화폐 가치로 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을 ‘물가 오
약 36만 원이다. 따라서 조선 시대의 한 냥은 름세’라고 한다. 한때 짐바브웨에서는 극심한
약 7만 원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물가 오름세 때문에
그러므로 ‘허생’이 ‘변 씨’에게 꾼 만 냥은 오 액면가가 100조 달
화폐나 유가 증권 따위의 표면에 적힌 가격
늘날의 화폐 가치로 약 7억 원가량이다. 그러 러인 지폐가 발행되
나 조선 시대의 경제 규모와 오늘날의 경제 규 기도 했다. 하지만
모는 다르기 때문에 돈의 가치 2008년 당시 이 돈
가 같다고 보기는 어려 으로 살 수 있는 물
울 것이다. 건은 달걀 세 개뿐
이었다.
‘허생’이 오십만 냥을 조선으로 가지고 들어
오지 않은 것은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계속 올라 백성들이 살기 어려워질 것을 우려
했기 때문이 아닐까?

344 8. 한국 문학의 빛깔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4 17. 12. 11. 오후 8:29


‘허생’의 매점매석은 현행법으로 처벌될까? 조선 시대에 최저 임금제가 존재했다면?

“뭍에서 나는 만 가지 중에 한 가지를 슬그머 “모두 아내가 있소?”

니 독점하고, 물에서 나는 만 가지 중에 슬그 “없소.”

머니 하나를 독점하고, 의원의 만 가지 약재 “논밭은 있소?”

중에 슬그머니 하나를 독점하면, 한 가지 물종 군도들이 어이없어 웃었다.

이 한곳에 묶여 있는 동안 모든 장사치들이 고 “땅이 있고 처자식이 있는 놈이 무엇 때문에

갈될 것이매, 이는 백성을 해치는 길이 될 것 괴롭게 도둑이 된단 말이오?”

입니다.”
농민에게 땅이 생계 수단이듯, 노동자에게는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형 임금이 생계 수단이다. 임금만으로 노동자가
근로자가 노동의 대가로 받는 보수
성된다. 그런데 시장에서 누군가가 한 제품을 생계를 유지할 수 없다면 사회가 건전하게 발
독점하면 어떻게 될까? 공급자가 자신의 이익 전하기 어렵다. 그래서 ‘최저 임금’이라는 것이
을 위해 품질이 나쁜 제품을 판매하거나 마음 존재한다. ‘최저 임금’은 사업주가 노동자에게
대로 가격을 올려도, 소비자는 다른 대안이 없 의무적으로 주어야 하는 최소한의 임금을 말한
기 때문에 그 제품을 사야 한다. 결국 소비자가 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마다 최저 임금 위원회
피해를 입는 것이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에서 최저 임금을 심의하고 의결한다.
심사하고 토의함 의논하여 결정함
우리나라에서는 ‘독점 규제 및 공정 거래에 관 현대의 최저 임금제처럼 조선 시대에도 백성
한 법률’에 ‘시장 지배적 지위의 남용 금지’ 조항 들을 보호하는 다양한 법적 제도가 존재했다
을 두어 독점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과일과 면, 백성들은 도둑이 되지 않고 평범하게 살 수
말총을 독점한 ‘허생’의 상행위는 현행법으로 있지 않았을까?
현재 시행되고 있고,
처벌 대상이 된다. 현실적으로 정립되어
효력을 가지는 법률

소설을 읽으면 그 작품이 창작되던 당시의 사회 현실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오늘날의 관점에서 그 당시의 모
습을 바라보면 작품을 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다. 「허생전」이 창작된 조선 시대의 경제 현실은 어떠했는지, 오늘날의 경제
현실에서 ‘허생’의 행위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자.

국어와 통하다 34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8(298~345)ok.indd 345 17. 12. 11. 오후 8:29


대단원 표지 그림
•이어달리기나 줄다리기처럼 여럿이 하는 활동에서 서로 힘을
모아 문제를 해결했던 경험을 떠올려 볼 수 있다.
•운동회에서 친구들을 응원하는 모습을 보고 자신도 다른 친구
들과 함께 협력했던 경험을 떠올려 볼 수 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46 17. 12. 11. 오후 8:32


쓰기
문법
읽기
문학

듣기
말하기

통합 듣기•말하기 영역 + 읽기 영역

대단원 설정 이유

9
총 14차시 이 단원에서는 글쓴이의 관점과 주장이 드러난 글을 읽으며 우리 사
회의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나 글쓴이의 생각을 보완할 대안을 찾아볼
것이다. 또한 일상의 문제를 논제로 다루는 토론에 참여해 보고, 토론
과정에 나타난 의사소통 과정을 점검해 볼 것이다.
이 단원은 글을 읽거나 토론을 하며 학생 자신의 문제와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어 지도한다. 또한 글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직접 토론에도 참여해 볼 수 있도록 지도
한다.

문제를
해결하는 힘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47 17. 12. 11. 오후 8:32


대단원 성취기준
[읽기 03] 삶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나 필자의 생각에 대한

의 길잡이 대안을 찾으며 읽는다.


[듣기ㆍ말하기 03]  논제에 따라 쟁점별로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
에 참여한다.
[듣기ㆍ말하기 05]  의사소통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하며 듣고 말
한다.

학습 목표

삶의 문제를 해결할 방안 논제에 따라 쟁점을 선정 의사소통의 목적과 상대의


이나 글쓴이의 생각을 보완 하고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 반응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할 대안을 찾으며 읽는다. 에 참여한다. 과정을 점검·조정한다.

읽기 듣기 말하기 듣기 말하기

우리는 매일 크고 작은 문제에 부딪히고 이를 해결한다. 때


로는 혼자서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주위 사람들
의 조언을 듣거나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며 문제 해결의 실
마리를 얻는다.
9단원에서는 글쓴이의 관점과 주장이 드러난 글을 읽으며 우
리 사회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이나 대안을 떠올려
볼 것이다. 그리고 토론에 참여하여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주장하며, 상대와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점검해 볼 것이다.
이와 같은 활동을 하면서 우리 삶의 문제를 짚어 보고 문제 상
황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는 능력을 길러 보자.

348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48 17. 12. 11. 오후 8:32


학습 과정

(1) •글에 제시된 삶의 문제를 찾고 그 해결 방안 파악하기.


옷 한 벌로 •글쓴이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글쓴이의 생각을 보완하거나 대체
세상 보기 할 방안 찾기.

(2)
교내 휴대 전화 •논제에 따른 필수 쟁점을 파악하고,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하기.
사용을 허용해야 •토론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목적과 상대의 반응을 고려하며 듣고 말하기.
한다

국어 속 환경
국어와 통
•환경 오염이 인간의 삶과 자연에 미치는 영향 살펴보기.
하다
•일상생활에서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생각해 보기.

대단원 핵심 역량 안내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 사회 문제를 다룬 글을 읽으며 글쓴
이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면서 비판적ㆍ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른다.
•공동체ㆍ대인 관계 역량: 다른 구성원과 협력하여 토론하고, 토
론 과정에서의 의사소통 태도를 점검하면서 사회적 소통을 통
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 단원을 배우면,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면서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안을 발견할
수 있고, 토론을 통해 다른 구성원과 협력하여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원의 길잡이 34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49 17. 12. 11. 오후 8:32


총 5차시

(1 )
학습 목표 •글에 제시된 삶의 문제를 찾고
그 해결 방안을 파악한다.
•글쓴이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글쓴이의 생
각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방안을 찾는다.

역량 목표 •주체적 관점에서 비판적 ·창의


적으로 글을 읽어 적극적인 읽기 태도를 기른다.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소단원 도입 영상

생각
열기 다음 그림을 그린 예술가가 표현하려 한 우리 사회의 문제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작품에 담긴 작가의 관점을 파악해 보는 활동이다. 학생들에게 그림의 상황을 파악하게 한 후, 작가가 어떤 주제 의식을 표현하
려 했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그 후 이러한 주제 의식을 우리 사회의 문제와 연결 지어 보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 주변의 피해는 도외시하는 현대인의 이기적인 태도.


•‘생명’과 같은 대상의 본질은 외면한 채, 겉으로 보이는 부분에만 집중하는 사람들의 경향.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비윤리적인 행위를 하면서까지 자극적인 결과물을 만드는 일부 언론의 행태.

350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0 17. 12. 11. 오후 8:32


알아
두기 1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독서
독서는 그 자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행위이다. 우리는 글을 읽으며 생략된 내용을 추론하고,
배경지식과 이전의 독서 경험을 활용하여 읽는 중에 떠오른 질문에 답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독서의 과정
렇게 글을 읽고 나면 글 내용을 깊이 있게 파악함으로써 개인과 사회가 지닌 문제를 해결할
독서를 통한 문제 해결
수 있는 합리적・창의적 방안도 찾을 수 있게 된다.

2 적극적으로 글을 읽는 방법
다양한 글을 비판적・창의적으로 읽으면 우리가 직면한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글을 읽을 때 글쓴이의 생각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비
적극적으로 글을 읽는 방법 ①
판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며 자신이 공감하는 점과 그렇지 않은 점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또
한 글의 내용을 유연한 사고로 바라보고 자신의 관점에서 재조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적극적으로 글을 읽는 방법 ②
방법으로 글을 읽으면 단순히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서 글쓴이의 생각을 보완하
적극적 글 읽기의 효과
거나 대체할 만한 창의적인 방안을 떠올릴 수 있다.

삶의 문제를
?! 독서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글에 나타난 글쓴이의 관점과 문제 해결 방안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
거나 대체할 방안을 찾아보는 활동을 할 것이다. 독서를 통해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
음을 염두에 두고,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
예시 답안 •글을 어떻게 읽어야 글쓴이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까?
•글을 읽고 문제 상황에 대한 대안을 주체적으로 마련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현재 내가 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1)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35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1 17. 12. 11. 오후 8:32


학습 포인트 •문제 상황 파악과 해결 방안 모색    •글쓴이의 견해   •주체적인 관점에서 글 읽기
이 글은 옷을 지나치게 많이 소비하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비판적 관점으로 바라본 논설문이다.
글에 나타난 문제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며 글을 읽어 보자.

제목 풀이 ‘옷 한 벌로 세상 보기’는 ‘옷 한 벌’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우


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한 측면을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우리가 매일 입는 옷에 관한 문제적 현상
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우리 사회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제재 구조도

옷 소비량이 빠르게
서론 증가한 현상에 대한 문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소단원 정리 PPT
_ 이민정

제 제기.
옷 소비가 증가하는 제재 개관
본론 1
현상의 원인. 갈래 논설문 성격 논리적, 분석적, 현실 비판적
제재 현대 사회의 빠른 옷 소비 현상.
옷을 쉽게 소비하는
본론 2 주제 공존과 상생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옷 입기의 필요성.
현상의 문제점.
•사회 현상의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설명함.
현재의 옷 소비 문제
결론 특징 •구체적인 사례와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장의 신뢰성을 높임.
의 해결 방안.
•일상 속의 현상에서 사회적인 문제점을 도출하여 독자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함.

서론 어제 입었던 옷이 오늘 입은 옷에 밀려나고, 오늘 입은 옷은 다시 내일 입
유행에 민감한 의류 시장의 속성을 나타냄
을 옷에 밀려난다. 우리가 유행이라고 부르는 이와 같은 연속된 과정은 지금 5

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요즘은 유행의 속도가 점점 더 빨라져 거의 매일


이민정 새로운 옷이 쏟아져 나오고, 온갖 광고는 소비자에게 새로운 유행을 따르라
(1976~)
고 유혹한다. 하지만 새 옷을 입는 즐거움도 잠시, 유행은 어느새 바뀌고 몇
강사이자 저술가. 옷과 사
람, 옷과 사회의 관계를 주제 번 입지도 않은 옷은 더 이상 입지 못할 옷이 되어 버려진다. 미국에서 발간
로 강의를 하고 관련 글을 쓰
고 있다. 주요 저서로 『옷 입 한 한 잡지의 보도에 따르면, 2010년대에 들어 미국인이 구입한 옷은 1980년 10

은 사람 이야기』, 『옷장에서
대와 비교했을 때 다섯 배나 더 많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이와 다르지 않게
나온 인문학』 등이 있다. 질문을 통해 이어질 내용 제시

구절 풀이 미국인이 구입한 옷 구매 횟수와 구매량이 빠르게 증가하였다. 소비자가 이렇게 많은 옷을 쉽


옷의 양이 크게 증가했듯이 우
리나라에서도 옷 구매 횟수와 게 소비할 수 있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 옷 소비에 관한 문제 제기
구매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 서론 옷의 유행 속도가 빨라지고, 옷 소비량이 빠르게 증가한 현상에 대한 문제 제기.
며, 이는 의류 소비의 세계적인 본론 1 옷 소비가 증가하는 현상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주요한 원인
흐름임을 말하고 있다.
은 의류 업체 간의 치열한 가격 경쟁으로 점점 내려가는 옷 가격이다. A 기업 15
옷 소비가 증가하는 원인 ①
이 청바지 한 벌을 5만 원에 시장에 내놓았는데, B 기업이 같은 품질의 청바
『 』: 가격 경쟁의 예를 들어 내용의 이해를 도움
지를 4만 5천 원에 판다면 소비자는 A 기업보다는 B 기업의 청바지를 살 것
■성패(成敗) 성공과 실패를 아
울러 이르는 말. 이다. 의류 업체 입장에서는 ‘어떻게 가격을 낮출 것인가?’에 사업의 성패가
■노동 집약 산업(勞動集約産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의류 산업이 대
業) 생산 요소에서 자본이 차 옷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노동 비용 절감이 핵심임
지하는 비중이 낮고, 주로 노 표적인 노동 집약 산업이라는 것이다. 의류 산업은 제품을 만드는 데 노동력 20
동력에 의존하여 상품을 생산
하는 산업. 이 많이 필요하므로 전체 생산 비용에서 노동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352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2 17. 12. 11. 오후 8:32


콕콕 정리
옷 소비가 증가하는 현상의 원인
의류 업체 간 가격 경쟁 의류 업체 간 속도 경쟁
많은 옷을
임금이 낮은 나라에서 제 + •제작 과정을 없애거나 줄임. 쉽게 소비하
품 생산. → 옷 가격이 내려 •다양한 운송 방법 사용으로 운송 시간 단축 게 됨.
감. → 최신
‌ 유행을 반영한 옷을 빠르게 살 수 있음.

따라서 제품 가격을 낮추려면 노동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많

은 의류 업체가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등 임금이 낮은 나라에서 제품을 생산


노동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가 입은 옷의 원산지 표시를 살펴보면 많은 옷

이 이들 나라에서 생산되었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옷 소비가 증가하는 원인 ① - 의류 업체 간의 가격 경쟁으로 내려간 옷 가격
5 가격이 싼데도 최신 유행에 뒤처지지 않는 옷을 우리가 살 수 있는 또 다른 소비자가 많은 옷을 쉽게
소비하게 된 원인 두 가지는
이유는 의류 업체 간의 속도 경쟁 때문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새로운 유행 무엇일까?
옷 소비가 증가하는 원인 ②
예시 답안 첫 번째는 의류 업
을 반영한 옷을 만들어 가게에 전시하기까지는 6개월가량 걸리는 것이 일반 체 간의 치열한 가격 경쟁으로
옷 가격이 점점 낮아지게 된 것
적이었다. 그런데 최신 유행을 반영한 제품을 시장에 빨리 내놓을수록 경쟁 이고, 두 번째는 의류 업체 간의
속도 경쟁으로 최신 유행을 반
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게 된 몇몇 의류 업체는 그 기간을 줄일 방안을 모색 영한 옷을 생산하는 기간이 줄
옷을 만들어 가게에 전시하기까지의 기간
었기 때문이다.
10 하였다. 그리하여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도가 낮은 부분을 축소하거나

없애 제작 기간을 줄이고, 가능한 온갖 운송 방법을 사용하여 운송 시간도 단

축하였다. 그 결과, 현재는 단 2주 만에 제품을 생산해서 매장에 선보이는 의


▶ 옷 소비가 증가하는 원인 ②
류 업체까지 등장하였다. - 의류 업체 간의 속도 경쟁으로 줄어든 옷 생산 기간
본론 1 옷 소비가 증가하는 현상의 원인.
본론 2 신상품을 최대한 빨리 만들어서 싼 가격으로 파는 것은 이제 하나의 사업
15 전략으로 자리 잡았고, 이 전략을 선택한 많은 의류 업체가 승승장구하고 있 ■모색(摸索)하였다 일이나 사
건 따위를 해결할 수 있는 방
다. 이런 놀랄 만한 성장의 원동력은 무엇보다도 소비자의 열렬한 호응이다.
법이나 실마리를 더듬어 찾았
최신 유행을 반영한 옷을 싼 가격에 살 수 있게 된 소비자는 이러한 옷을 마 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
다할 이유가 없고, 더 많은 제품을 판매하여 이익을 얻게 된 의류 업체도 함 로운 방법을 모색하였다.

박웃음을 짓는다. 그런데 좀 더 깊이 살펴보면 이러한 변화가 과연 반가워만 ■승승장구(乘勝長驅)하고 싸


긍정적으로 보이는 변화의 이면에 문제가 있음을 암시 움에 이긴 형세를 타고 계속
20 할 일인가라는 의문이 든다. ▶ 많은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에 만족하는 의류 업체와 소비자 몰아치고.
참고 자료 패스트패션(fast fashion)
빠르게 변화하는 최신 유행에 맞춰 디자인을 바꾸어 빠르게 생산하는 옷을
이르는 말로, 패스트푸드(fast food)에서 유추해서 만들어졌다. 유행에 따라 바
꾸어 입는 옷으로 디자인을 우선시하고 가격이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1)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35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3 17. 12. 11. 오후 8:32


콕콕 정리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우선 디자인이 도용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일부 의류 업체는 옷을 빠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문제점 ①
문제점 ① - 디자인 도용
르게 생산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고, 옷을 디자인하는 데에는 충분한 시간
일부 의류 업체들이 옷을 을 투자하지 않는다. 하지만 새로운 옷은 계속 제작해야 하니 결국 이런 업체
빠르게 생산하기 위해 타인
의 디자인을 도용함.
는 남의 디자인을 도용하여 불법 복제품을 만든다. 실제로 세계적인 규모의
일부 의류 업체가 디자인 한 의류 업체는 디자인 도용 혐의로 50번 넘게 고발당했고, 이 때문에 언론 5

도용 혐의로 고발당하면서도
이를 개선하지 않는 이유는 으로부터 수차례 비판을 받았지만 이를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
무엇일까?
다. 디자인 도용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처벌로 입게 될 손해보다 더 크기
예시 답안 디자인 도용으로 의류 업체가 디자인 도용 문제를 개선하지 않는 이유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처벌로 입
때문이다. ▶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문제점 ① - 디자인 도용
게 될 손해보다 크고, 디자인과
관련된 지적 재산권 소송에서
디자인 도용에 대응하기 위해 원작 디자이너는 지적 재산권 소송을 하기도
디자인 도용을 입증하기 어려워
소송 과정이 길고 복잡하기 때
한다. 하지만 디자인과 관련된 지적 재산권 소송의 경우, 창조와 모방의 경계 10
문이다. 『 』: 원작 디자이너가 디자인 도용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이유

콕콕 정리 가 모호한 경우가 많아서 소송 과정이 길고 복잡하다. 게다가 소송에 드는 비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용 또한 만만치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소송 자체를 포기하는 디자이너도 많
문제점 ② - 환경 오염
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원작 디자이너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는 불법 복제
•버려진 많은 옷들을 소각
하거나 매립하는 과정에 품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렇게 디자인 도용이 계속되는 현실 속에
서 환경 오염이 발생함. 디자인 도용의 부정적 영향
•면화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서는 디자이너가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15
살충제를 사용하여 환경 ▶ 디자인 도용이 계속되어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현실
오염이 발생함.
다음으로 환경이 오염되고 있다. 그린피스(Green Peace)의 2016년도 보도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문제점 ②
구절 풀이 많은 양의 옷이 빠 자료에 따르면 한 해에 생산되는 의류의 양은 약 800억 점이다. 전 세계 인구
르게 생산되고, 엄청난 양이 버 『 』: 한 해 생산·폐기되는 의류와 직물의 양을 알기 쉽게 설명함.
려지고 있음을 통계 자료를 활 가 75억 명 남짓이니 한 사람당 10점 이상 가질 수 있는 엄청난 양이다. 그러
용하여 말하고 있다. 이렇게 버
려진 옷들은 소각되거나 매립되 나 그중 4분의 3, 즉 600억 점의 의류는 결국 소각되거나 매립된다. 옷의 원
는 과정에서 환경 오염을 유발
한다. 재료인 직물은 한 해에 약 40만 제곱킬로미터가 생산되는데, 이는 우리나라 20

국토를 약 네 번 덮을 수 있는 넓이이다. 그중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직물

의 양은 약 6만 제곱킬로미터로, 제주도를 약 서른두 번 덮을 수 있는 넓이이


■도용(盜用)되는 물건이나 명
의가 몰래 쓰이는. 다. 버려지는 옷과 직물 중 65퍼센트는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것이기에 매립
■복제품(複製品) 본디의 것과
해도 좀처럼 썩지 않고, 태우면 유해 물질을 내뿜어 환경 오염을 가속화한다.
똑같이 본떠 만든 물품. ▶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문제점 ② - 환경 오염
■그린피스(Green Peace) 핵 자원의 생산 과정에서도 환경이 오염된다. 대표적인 천연 섬유 재료인 면 25

무기 반대와 환경 보호를 목 옷을 만들기 위한 자원

표로 국제적 활동을 벌이고 화는 전 세계 경작지의 약 2.5퍼센트에 해당하는 토지에서 생산되고 있는데,


있는 단체.
여기에 사용되는 살충제의 양이 전 세계 살충제 사용량의 약 16퍼센트에 달
■소각(燒却)되거나 불에 타 없
어지게 되거나. 한다. 작물로서는 단위 면적당 살충제 사용량이 최고인 셈이다. 맹독성 살충
면화 생산이 초래한 환경 오염

354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4 17. 12. 11. 오후 8:32


제는 토양에 스며들어 지하수를 타고 강으로 흘러들어 가 동식물을 병들게

한다. 더 많이 생산하고 더 많이 버리는 과정에서 자연이 고통받는 것이다.


옷의 생산과 처분 과정에서 환경이 오염됨 ▶ 자원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
자연 못지않게 사람도 고통받고 있다. 많은 의류 업체가 제품 제작에 드는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문제점 ③
비용을 줄이려 시간당 임금이 낮은 개발 도상국의 공장에서 제품을 만든다. 의류 업체가 개발 도상국
노동 비용을 줄이기 위함 에서 제품을 만드는 이유는
5 현재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옷을 만들고 수출하는 나라는 방글라데시로, 무엇일까?
예시 답안 의류 산업은 노동
약 400만 명의 노동자가 의류 공장에서 일하고 있다. 일부 의류 업체는 옷을 집약적 산업이므로 임금이 낮은
노동력을 쓸수록 기업의 이윤이
더 빨리, 더 많이 판매하기 위해 이들 공장에 납품 기한을 최소한으로 준다. 커진다. 따라서 시간당 임금이
낮은 개발 도상국에서 제품을
납품 기한을 지키기 위해 노동자는 늦은 시간까지 노동을 강요당하고 쉬는 만드는 것이다.
기업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착취당하는 노동자
시간도 빼앗기는 등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노동자가 일하
■개발 도상국(開發途上國) 산
10 고 받는 임금은 2014년 기준으로 한 달에 약 7만 원 남짓에 불과하다. 업의 근대화와 경제 개발이
▶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문제점 ③ - 노동력 착취 선진국에 비하여 뒤떨어진 나
소비자가 부담 없이 살 수 있는 싼 옷을 만들기 위해 개발 도상국의 노동자 라.
■납품(納品) 계약한 곳에 주문
는 악조건 속에서 일하고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이런 현실을 개선하기가
현재의 의류 소비 풍조와 시장 상황이 바뀌지 않으면 현실을 개선하기 어려움 받은 물품을 가져다줌. 또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싼 가격으로 경쟁하는 옷, 더 빠르게 유행을 따 그 물품.

라가는 옷을 만들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시장에서, 기업이 노동자의 임금


15 을 인상하거나 근로 환경을 개선하는 데 적극적으로 투자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 현재의 옷 소비 풍조하에선 나아질 수 없는 의류 노동자의 근로 환경


본론 2 쉽고 빠른 옷 소비 현상의 문제점.

콕콕 정리

옷을 쉽게 소비하는 것의 싼값에 옷을 생산하기 위해서 임금이 낮은 개발 도상국


문제점 ③ - 노동력 착취 의 노동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일하고 있음.

(1)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35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5 17. 12. 11. 오후 8:32


콕콕 정리 결론 의류 업체는 이윤을 내는 데 열중하고, 소비자는 유행을 좇아 옷을 구매하
지나친 옷 소비 현상의 원인은 의류 업체뿐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있음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 해결 방안
다 보니 기업 윤리나 소비 윤리는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

키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무엇보다도 옷을 불필요하게 소비


•옷을 필수품으로 인식하 소비자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 해결 방안 ①
고 불필요하게 소비하지
하지 않아야 한다. 필요 이상으로 옷을 여러 벌 산 적은 없는지, 일회용품처
않는다.
•옷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다. 럼 옷을 쉽게 사고 쉽게 버린 적은 없는지 우리의 소비 생활을 돌아볼 필요가 5

•옷의 정보를 고려하여 공


정한 과정을 거쳐 생산된 있다. 옷을 일회용품이 아니라 필수품이라고 인식해야 과도하게 옷을 소비하
옷을 구매한다.
지 않을 수 있다. ▶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 해결 방안 ① - 과도하게 옷 소비하지 않기

또한 내가 입는 옷을 누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었는지에 관심을 기울여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 해결 방안 ②
야 한다. 옷을 만드는 과정에서 지적 재산권 침해, 환경 오염, 기업의 노동력
인간의 정신적 창작물에 대한 재산권
착취와 같은 일이 발생했는지 안다면 우리가 어떤 옷을 입을지 선택할 때에 10

도움이 될 것이다. 옷의 정보를 알기 어렵다면 소비자는 해당 기업에 관련 정

보를 공개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제품의 상세한

정보를 알 권리가 있기 때문이다.


▶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 해결 방안 ② - 옷의 정보에 관심 기울이기
옷의 정보를 확인한 후에는 이를 고려하여 옷을 소비해야 한다. 바로 여기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 해결 방안 ③
에 어려운 점이 있다. 공정한 과정을 거쳐 옷을 생산한 경우에는 그렇게 하지 15

않은 경우에 비해 더 많은 비용이 들고, 당연히 그 비용은 옷 가격에 반영된

다. 옷이 더 비싸지는 것이다. 하지만 옷에 싼 가격을 매기기 위해 불공정한


옷의 가격이 높더라도 공정한 방법을 사용하여 만든 옷을 소비해야 함
예시 답안 과도한 옷 소비가
방법을 사용하였다면 그 가격 역시 불공정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으키는 문제를 인식하고 정당 ▶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 해결 방안 ③ - 공정한 방법으로 생산한 옷 소비하기
한 옷 소비를 함으로써, 의류 산
일일이 옷의 정보를 확인하고, 생산 과정이 공정했는지를 따져 보는 것은
업과 이에 종사하는 사람들, 그
리고 지구의 환경까지 공생할
번거로운 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진 옷을 입을 것인 20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글쓴이가 말한 ‘공존과 상 지 결정하는 우리의 작은 선택은 전 세계 의류 산업과 이에 종사하는 사람들,
생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옷 생산 과정을 고려하여 옷을 소비해야 하는 이유
입기’는 무엇을 의미할까? 나아가 지구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제는 이를 깨닫고, 공

존과 상생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옷 입기를 실천해야 할 때이다.


결론 현재의 옷 소비 문제의 해결 방안.

깜짝 퀴즈
■필수품(必需品) 일상생활에 1. 옷의
‌ 소비량이 증가하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현상이다.
없어서는 안 되는 반드시 필  ➡×
2. ‌의류 업체 간의 경쟁으로 옷의 ☐ ☐ 이 점점 내려가고
요한 물건.
있다. ➡ 가격
■상생(相生) 둘 이상이 서로 3. ‌옷을 저렴하게 생산하는 과정에서 디자인 도용, 환경
오염, 노동력 착취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북돋우며 다 같이 잘 살아감.
 ➡◯

356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6 17. 12. 11. 오후 8:32


활동

이해 1 이 글의 내용을 문제 상황과 해결 방안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자.

활동 안내 이 글에서 글쓴이 (1)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 상황과 그 문제 상황이 우리 삶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자.


가 제시한 문제 상황을 세 가지 예시 답안
측면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이 문제 상황
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정리해 보
는 활동이다. 각 문제 상황이 우
리의 삶에 미친 영향을 정리해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유행 을 따르기 위해 옷 을 쉽게 사고 쉽게
보면서 글쓴이의 주장을 이해하 버린다.
고, 글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우리 삶에 미친 영향

•일부 의류 업체는 새로운 옷을 빨리 생산하기 위해 남의 디자인을 도용한다.


디자인
도용
•고발당해도 도용으로 인한 이익이 크기 때문에 도용이 사라지지 않음
측면 •‌도용에 대응하기 위해 원작 디자이너가 소송을 하기에는 소송 과정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들어 소송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음

•한 해에 생산되는 옷 중에서 4분의 3 정도가 버려져 소각되거나 매립된다.

환경
•버려지는 옷과 직물은 대개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잘 썩지 않고 태우면 유
오염 해 물질이 나와 환경 오염을 가속화한다.
측면
•옷의 재료인 면화의 생산 과정에서 살충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토양이 오염되
고, 살충제가 지하수를 타고 강으로 흘러들어 가 물이 오염되어 동식물까지 병들게
한다.

노동력 의류 제작은 노동 집약적 산업이기 때문에 많은 의류 업체는 제품 생산 비용을 줄이기


착취 위해 시간당 임금이 낮은 개발 도상국의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곳의 노동자
들은 저임금을 받고 과도한 노동을 강요당하는 등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
측면

(2)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글쓴이가 제시한 방안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옷을 필수품으로 인식하고, 불필요하게 소비하지 않는다.

• 옷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얻기 어려울 때는 해당 기업에 생산 과정과 관련된 정보 공개를 요구한다.

• 옷의 정보를 고려하여 공정한 과정을 거쳐 생산된 옷을 구매한다.

(1)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35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7 17. 12. 11. 오후 8:32


활동 안내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 상황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확인하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글쓴이의 생각에 공
감하는지 확인해 보며 자신의 생각을 점검하게 하고, 그렇게 생각하는 구체적인 이유를 정리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목표 1
예시 답안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 상황을 자신의 관점에서 평가해 보자.

도움말 3 나는 이 문제에 공감한다. 나는 이 문제에 공감하지 않는다.


글쓴이가 문제 삼은 상황에
공감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선택한 후, 어떤 점에 공감하
거나 공감하지 않는지를 구체
  : 나는 평소에도 사람들이 옷이 싸다는 이유로 쉽게 사고 버리는 것을 자원 낭비라고 생각해 왔다. 또한
•이유
적으로 적어 본다. 과도한 옷 생산과 소비 현상이 환경 오염을 일으킨다는 점에도 공감한다. 특히 이 글을 통해 옷을 선택해서 입
는 행위가 다른 나라 노동자의 삶과도 관련되어 있음을 알게 됐다. 나는 글쓴이의 문제의식에 공감하며, 옷 입
기가 타인과 자연,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활동 안내 글쓴이의 의견 중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찾아보고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방안을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 상황과 해결 방안을 살펴보고 그중 보완하거나 대체할 내용이 있다면 그 대안을 마련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글쓴이의 생각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자. 모둠

(1) 이 글에서 의문이 든다거나 동의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써 보자.


예시 답안 •원작 디자이너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지 못하는 이유가 과연 값싼 옷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구조 때문
일까?
•소비자가 기업에 옷에 대한 정보를 요청해야 한다고 했는데, 그렇게 정보를 확인하는 데 드는 시간에 비해 옷의 순환
기간은 너무 짧지 않은가?
도움말 (2) (1)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 보완하거나 대체하고 싶은 내용을 찾고, 보완하거나 대체할
문제 상황과 관련된 자료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자.
접해 본 적이 있는지 떠올린 예시 답안
후, 신문 기사, 텔레비전 방송,
책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보완하거나 •디자인 도용으로 원작 디자이너의 지적 재산권이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는 단지 값싼 옷
방안을 마련해 본다. 을 빠르게 소비하는 최근의 현상 때문에 발생한 것만으로는 보기 어렵다.
대체하고 싶은
•글쓴이는 옷에 대한 정보를 알기 위해 해당 기업에 옷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라고 하였는
내용 데, 이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하다.

•디자인 도용이 빠른 옷 소비가 일반화된 최근에 와서 발생한 문제인지 조사해 보고 관련


보완하거나 내용을 글에 추가한다. 또한 옷이 빠르게 생산되고 소비되는 구조하에서도 지적 재산권
대체할 수 있는 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찾아본다.
•해당 기업에 정보 공개를 요청하는 것 외에 옷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
방안
지 찾아보고, 좀 더 쉬운 방법이 있다면 글에 내용을 추가한다.

(3) 모둠별로 정리한 의견을 발표한 후, 궁금한 점을 묻거나 질문에 답해 보자.


예시 답안 <교사용 지도서 466쪽 참고>

•우리 모둠의 발표에 대한 질문과 답


- ‌질문: 개발 도상국에서 생산된 옷 중에도 정당한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 있는데, 원산지를 확인하고 구매 목
록에서 배제하는 것은 옳은 방법이 아니지 않을까요?
- ‌답: 옷의 생산 원가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노동 비용입니다. 개발 도상국에서 생산된 옷 중에서 품질에

358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비해 너무 저렴한 옷은 노동 비용이 낮다고 유추할 수 있기에 그와 같은 방법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8 17. 12. 11. 오후 8:32


읽기 문학

적용 1 삶의 문제와 관련된 책이나 글을 읽으며 해결 방안을 찾아보자. 모둠

활동 안내 학생들이 삶과 현 (1) 다음 시에서 묻고 있는 삶의 문제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실의 문제를 독서를 통해 해결
해 보는 활동이다. 시에서 질문
하는 삶의 문제뿐 아니라 자신
의 삶 속 다양한 문제를 떠올려
보게 하고, 독서를 통해 문제를 누구한테 물어볼 수 있지 내가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게 아직 내 속에 있을까 아니면
하려고 왔는지? 사라졌을까?
- 파블로 네루다, 『질문의 책』

예시 답안
•현재 이 세상에 내가 기여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내가 어떤 모습으로 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
•내가 이루고 싶은 일을 위해 노력하면서 나다운 모습을 지키고 살아가고 있는지 묻고 있다.

도움말 (2) 자신의 고민이나 사회의 문제를 (1)과 같이 질문 형식으로 만들어 보자.
예시 답안
요즘 자신의 관심사에서부
터 또래 친구들이 겪는 문제,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자신이 속한 학교, 지역 사회
의 문제 등 다양한 방면에서
•내면보다 겉모습을 중시하는 사람들의 태도를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질문을 떠올려 본다.
•우리는 집단의 가치에 얽매여 살아가야만 할까? 나 자신을 드러내는 것은 너무 별난 일일까?
제재 개관
현대 시, 자유시, 서정
갈래

성격 사색적, 철학적
나에 관한 다양한 질
제재
문.
(3) 모둠별로 질문을 선정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책이나 글을 찾아 읽고 독서가 문제 해
주제 내 존재의 가치. 결에 어떠한 도움을 주었는지 정리해 보자.
•‌질문의 방식으로 시상 예시 답안
을 전개함.
특징
•내 존재의 의미를 사
색하게 함.
•책이나 글 제목: 문유석, 『개인주의자 선언』

•독서에서 얻은 도움: 개인주의가 결코 이기주의가 아니며, 각 개인이 자신을 드러내며 살 때 더 건강한


사회가 만들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 우리가 집단의 가치에 너무 얽매여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게 되었
고, 자신을 드러내는 일의 두려움을 극복할 용기를 얻게 되었다. 앞으로는 개인의 행복을 존중하며 살아가는 자
세를 지녀야겠다고 생각했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옷을 쉽게 사고 버리는 사회적 문제를 다룬 옷 한 벌로 세상 보기를 읽

정리하기 고,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생각하여 대안을 찾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자신이나 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며 이와 관련된 여러 책을 찾아 읽는 태도를 지녀 보자.

(1)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35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59 17. 12. 11. 오후 8:32


총 6차시

(2)
학습 목표 •논제에 따른 필수 쟁점을 파악
하고,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한다.
•토론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목적과 상대의 반응을 고
려하며 듣고 말한다.

역량 목표 •토론과 같은 사회적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공동체 발전에 기여한다.

소단원 도입 영상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생각
열기 다음 글을 읽고 사람들이 토론으로 의사 결정을 한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활동 안내 아테네와 로마의 사례를 통해 토론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역사적으로 사람들이 의사 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토론이 중요한 역할을 해 온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게 하고, 이를 통해 토론의 필요성과 가치를 인식하도록 지도한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였던 아테네에서


는 시민들로 구성된 민회를 열고 국방, 외교,
납세, 경제 등 중요한 국가 정책을 주제로
토론하여 주요 사안을 결정하였다. 로마에
서는 토론의 실용성을 인식하고 토론을 학
문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하였다.

▲ 라파엘로, 아테네 학당

예시 답안 찬반 양측이 서로 자기의 주장을 내세우고, 상대측의 주장과 근거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합리적인 의
사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360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0 17. 12. 11. 오후 8:32


알아
두기 1 토론의 논제와 필수 쟁점
토론은 어떤 논제를 찬성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의 사람들이 논증을 구성하여 자신의
토론의 개념
주장이 옳음을 입증하는 말하기이다. ‘논제’는 토론의 주제이며, ‘필수 쟁점’은 논제와 관련해
논제의 개념
서 반드시 짚어야 하는 세부 주장을 말한다. 어떤 정책을 도입, 실행, 필수 쟁점
필수 쟁점의 개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판단하는 정책 논제의 경우, 논제로 제기한 ① 문제의 심각성
정책 논제의 필수 쟁점 ①
문제가 심각한지, 제시된 방안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실행 가능 ② 문제의 해결 가능성
필수 쟁점 ②
한지, 그 방안을 실행하여 어떤 효과 및 개선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 및 실행 가능성
필수 쟁점 ③
③ 효과 및 개선 이익
등이 필수 쟁점이 된다.

2 토론의 논증 구성 방법
토론은 상대방과의 논리적인 싸움이다.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찬성 측은 쟁점별로 자신의
찬성 측의 논증 구성 방법
주장을 입증하는 논증을 구성하고, 반대 측은 찬성 측이 제기한 쟁점을 반증할 수 있는 논증
반대 측의 논증 구성 방법
을 구성한다. 양측은 쟁점별로 주장,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주장을 가능하게 하는 이유를
양측의 논증 구성 방법 ①
마련하여 자신의 주장이 타당함을 논증해야 한다. 또한 양측은 주장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
양측의 논증 구성 방법 ②
보하기 위해 책, 전문가 의견, 설문 조사, 통계 자료 등을 활용하여 적절한 근거를 제시하고,
상대방의 주장과 근거가 믿을 만한지, 타당한지, 공정한지 등을 살펴 이를 논리적으로 반박해
양측의 논증 구성 방법 ③
야 한다.

참고 자료
논제의 종류
주제 핵심 쟁점
사실 논제 사실의 진위 여부를 논하는 문제. 사실 여부.
가치 논제 선악, 시비 등 가치 판단이 개입되는 문제. 가치 선택.
사실과 가치 판단에 기초해 행동 변화를
정책 논제 정책 도입 여부.
추구하는 문제.
내 주장의
타당성을 어떻게
?! 논증해야 할까?
스스로 질문하기
이 단원에서는 논제에 관한 필수 쟁점을 파악하고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을 해 볼 것이
다. 자신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논증할 방법을 생각해 보고, 이 단원에서 알고 싶은 내용
을 자유롭게 질문해 보자.
예시 답안 •상대방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한 전략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무엇일까?
•주장과 근거의 타당성, 신뢰성, 공정성을 평가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효과적인 토론을 하기 위해 토론 과정에서 어떠한 태도를 지녀야 할까?

(2)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36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1 17. 12. 11. 오후 8:32


학습 포인트 •토론의 필수 쟁점과 논증 구성 방식   •반대 신문식 토론   •의사소통 과점의 점검·조정
다음 영상물에서 다루고 있는 우리 주변의 문제를 알아보고, 이어지는 토론에서 필수 쟁점별로 찬
성 측과 반대 측이 어떻게 논증을 구성하고 있는지 파악해 보자.

제목 풀이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는 이 토론의 논제로 학생들의 일반 생활과 밀접한 문제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이 토론을 읽으며 어느 쪽이 더 타당한지 평가해 보고,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문제를
토론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깨달을 수 있다.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소단원 정리 PPT 뉴스 영상

활동 안내 교내 휴대 전화 사용에 대한 두 가지 입장을 다룬 뉴스 영상을 보고, 영상에서 다루는 문제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학생들이 뉴스 영상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영상

다음 영상물을 보고, 영상물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해 보자.

청소년에게도 없어서는 안 될 소통 수단인 휴대 전화.


교실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어떤 일을 직접 맡아 하는 기관
2014년 뉴욕 교육 당국은 교내 휴대 전화 소지에 관한
새로운 입장을 밝혔습니다. 뉴욕 교육 당국은 2007년부터 교내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을 엄격하게 금지했는데요. 그런데 이 조치가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교내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면 금지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죠.

뉴욕 교육 당국이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한 이유 ①


부모는 언제나 자녀와 연락을 할 수 있어서 자녀의
안전을 덜 걱정할 수 있고, 수업 중에도 휴대 전화를 적극 활용하면
학생들의 학업 흥미도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교내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하겠다고 밝힌 뉴욕 교육 당국.
뉴욕 교육 당국이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한 이유 ②

362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2 17. 12. 11. 오후 8:32


그러나 영국에서는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더 우세합니다. 영국 청소년의 휴대 전화 소지율은 약 90퍼센트.
청소년의 휴대 전화 소지율이 높아질수록 교내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을
금지하는 학교들 또한 점점 늘어났습니다. 그리고 2015년에 영국 연구진은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금지하는 것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금지했더니
학생들의 성적이 향상되었다는 것입니다.
『 』: 주장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근거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금지한 후,


원래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성적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성적이 낮았던 학생은 성적이 크게 향상되었죠. 성적이 무려
14퍼센트나 높아진 것입니다. 학생들 간의 성적 차이가 줄어든 것인데요.
영국 연구진은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금지하면 성적 차이로
생기는 학생들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영국 연구진이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금지하자고 하는 이유

학생을 위해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과, 마찬가지로
학생을 위해 금지해야 한다는 입장.
여러분은 어떤 입장에 더 공감하시는지요?

자, 여러분은 어떤 입장에
더 공감하시는지요?

예시 답안 제시된 영상물에서는 교내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2014년 뉴욕


교육 당국은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하면 많은 장점이 있다고 발표하였고, 2015년 영국 연구진은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금지한 후, 학생들의 성적이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말하고 있다.

활동 안내 위 활동에서 본 영
교내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해 보자. 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교내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에 대
예시 답안 나는 교내 휴대 전화 사용에 반대한다. 최근 청소년의 휴대 전화 소지율은 매우 높아져서, 우리 반 친구들 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유롭게
대부분은 휴대 전화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수업 시간에 게임을 하거나 SNS를 활용해 대화를 나누는 등 휴대 전화로 말해 보는 활동이다. 각자의 의
인해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친구들이 많다. 또한 쉬는 시간에도 친구들끼리 이야기하기보다는 휴대 전화를 보고 있 견을 말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거나 학교가 끝난 시간부터 휴대 전화를 손에서 놓지 못하는 친구들도 많다. 이 때문에 수업 분위기를 해치거나 친구와 조성하고, 자신과 다른 의견도
의 교류가 줄어들기도 한다. 따라서 나는 학교에서라도 휴대 전화 없이 친구와 직접 이야기를 나누고, 학생의 본분인 잘 들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공부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36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3 17. 12. 11. 오후 8:32


활동 안내 ‘교내 휴대 전화 사 다음 토론을 읽으며 필수 쟁점을 파악하고, 필수 쟁점별로 찬성 측과 반대 측의 주장은
용을 허용해야 한다.’라는 논제
로 진행된 토론을 읽고, 토론의
무엇이며 논증 구성 방법은 어떠한지 알아보자.
필수 쟁점과 찬반 양측의 주장
및 논증 구성 방법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토론의 논제와 반대
신문식 토론의 절차를 먼저 이
해한 후, 찬성 측과 반대 측의 •논제: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주장과 논증 구성 방식을 파악
•참가자: 찬성 측 토론자 2명, 반대 측 토론자 2명, 사회자.
하여 토론을 읽을 수 있도록 지
도한다. •토론 형식: 반대 신문식 토론.
•토론 순서: 2 대 2 토론의 경우.

제재 구조도 찬성 측 반대 측
논제 제시 제1 토론자 (찬성 1) 제2 토론자 (찬성 2) 제1 토론자 (반대 1) 제2 토론자 (반대 2)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 ❶ 입론 ❷ 반대 신문
용해야 한다.
❹ 반대 신문 ❸ 입론

❺ 입론 ❻ 반대 신문
입론과 반대 신문
‘찬성 1’의 입론 → ‘반대 2’ ❽ 반대 신문 ❼ 입론
의 반대 신문 → ‘반대 1’의 입 ❿ 반론 ❾ 반론
론 → ‘찬성 1’의 반대 신문 →
‘찬성 2’의 입론 → ‘반대 1’의 ⓬ 반론 ⓫ 반론
반대 신문 → ‘반대 2’의 입론
→ ‘찬성 2’의 반대 신문

제재 개관
반론
갈래 토론(반대 신문식 토론) 성격 논리적, 설득적, 분석적
‘반대 1’의 반론 → ‘찬성 1’ 제재 교내 휴대 전화 사용. 논제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의 반론 → ‘반대 2’의 반대
•질문을 하여 상대방의 논지를 논리적으로 반박함.
신문 → ‘찬성 2’의 반론 특징
•구체적인 사례를 근거로 주장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임.

참고 자료 [논제 제시]
토론을 시작하기에 앞서 논제 제시 토론을 시작하기 전에 사회자가 토론의 배경을 설명하고 논제를 제시하는 단계이다.
사회자는 토론 배경을 설명
하고, 토론의 주제인 논제를 사회자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학생 수가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늘면서
제시한다. 논제 선정의 배경
학교 안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일과 관련한 다양한 갈등이 발생하고 5

있습니다. 우리 학교를 포함한 상당수 학교에서는 등교 시에 휴대 전화를

거두어 갔다가 하교 시에 돌려주는데, 선생님께 휴대 전화를 내지 않는

학생은 벌점을 받기도 합니다. 최근 한 학생이 학교 누리집에 교내에서


참고 자료
토론 사회자의 역할 휴대 전화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글을 올린 이후 학
•토론의 논제를 제시하고 내용 : 논제
을 정리한다. 생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교내 휴대 전 10
•논제에 대하여 중립적인 입장 토론 논제 제시
을 취하며 토론을 진행한다.
•토론자에게 발언 기회와 시간
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라는 논제로 토론해 보겠습니다. 양측 토론자
을 균등하게 제공한다.
•토론자들이 토론의 형식과 절 는 토론 규칙을 잘 지키며 적극적으로 토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먼
차를 지키며 토론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끈다. 저 찬성 측 제1 토론자의 입론을 듣겠습니다. ▶ 사회자 - 논제 제시 및 논제에 대한 설명

364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4 17. 12. 11. 오후 8:32


참고 자료 [입론과 반대 신문]
•입론: 찬성 측과 반대 측이 논제와 관련된 자신의 주장을 근거를 들어 발언하는 단계이다.
•반대 신문: 입론이 끝난 뒤 상대방의 주장이나 근거 중 논제에서 벗어난 부분이나 모순된
입론과 반대 신문 내용, 논리적 오류 등을 찾아내어 질문하는 단계이다. •입론을 할 때, 찬성 측은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① - ‘찬성 1’의 입론] 현재 상태의 문제점을 제
찬성 1 휴대 전화 사용이 일상화된 요즘, 상당수 학교에서는 수업에 방 기하고, 필수 쟁점별로 주
장과 근거를 들어 논증한
해가 된다는 이유로 학교 안에서 학생들의 휴대 전화 소지 및 사용을 금 다.
•입론을 할 때, 반대 측은
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은 독립된 존재이므로 어디에서든지 휴
‘찬성 1’의 근거 ① 논제에 반대 의사를 밝히
5 대 전화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이를 사용할 자유가 있습니다. 유독 학교 고, 찬성 측의 주장과 근
거를 반박하며 논증한다.
에서만 개인의 소지품인 휴대 전화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부당합니다. •양측은 상대측 주장의 허
점을 지적하여 질문하는
그리고 이러한 강제적인 규제는 학생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
‘찬성 1’의 근거 ② 반대 신문을 한다.
라 휴대 전화 사용을 자율적으로 절제하려는 학생들의 의지마저 꺾고 있

습니다. 교내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도록 하되 학생 스스로 휴대 전화 콕콕 정리


『 』: ‘찬성 1’의 주장 토론의 필수 쟁점과 양측의
10 사용을 조절하는 태도를 기르고, 휴대 전화 사용 시 다른 사람을 배려하 주장 ①
•필수 쟁점: 교내 휴대 전화
는 지혜로운 선택을 하게끔 이끌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을 규제하는 현재 상황
은 부당하다.
▶ 찬성 측 -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사용할 자유가 있음
찬성 측
사회자 반대 측 제2 토론자, 반대 신문해 주십시오. ▶ 사회자 - 토론 순서 안내
교내 휴대 전화 사용 여
부는 학생의 자유이므로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② - ‘반대 2’의 반대 신문] 규제해서는 안 된다.
반대 2 학교는 친구, 선생님과 소통하며 여러 지식을 배우고 다양한 경험
반대 측
을 하는 곳입니다. 친구, 선생님과 얼굴을 맞대고 직접 대화할 수 있는 학
바른 생활 태도를 익히
15 교에서 굳이 휴대 전화를 사용해야 하나요? 기 위해 교내 휴대 전화
▶ 반대 측 - 학교에서는 친구, 선생님과 얼굴을 맞대고 대화해야 함 사용을 규제해야 한다.

찬성 1 지식이나 경험뿐만 아니라 올바른 휴대 전화 사용 태도를 익힐

수 있는 곳이 학교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교내에서는 대화로 의사소통

할 수 있지만, 응급 상황이 발생하거나 부모님과 긴급하게 연락해야 할 구절 풀이 ‘반대 1’은 자신의


휴대 전화가 필요한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함 주장에 대한 첫 번째 근거로 학
때에는 휴대 전화가 필요합니다. 교는 공동의 규범과 예의범절을
▶ 찬성 측 - 학교에서 올바른 휴대 전화 사용 태도를 익혀야 함 익히는 공간이며 휴대 전화를
사용할 자유보다 바른 생활 태
20 사회자 반대 측 제1 토론자, 입론해 주십시오. ▶ 사회자 - 토론 순서 안내 도를 익히는 것이 더 중요함을
들고 있다.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③ - ‘반대 1’의 입론]
■소지(所持) 물건을 지니고 있
반대 1 요즘 등・하굣길을 보면 많은 학생들이 휴대 전화를 사용하며 길
는 일. 또는 그런 물건.
을 걷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친구와 함께 있으면서도 대화는 하지 ■규제(規制) 규칙이나 규정에
의하여 일정한 한도를 정하거
않고 각자 휴대 전화만 들여다보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학교는 나 정한 한도를 넘지 못하게

여러 사람과 함께 생활하며 공동의 규범과 예의범절을 익히는 곳입니다. 막음.


방송에서는 외래어 사용
25 따라서 학교에서만큼은 학생들이 휴대 전화를 사용할 자유를 내세우기보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2)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36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5 17. 12. 11. 오후 8:32


구절 풀이 ‘반대 1’의 두 번째 다는 바른 생활 태도를 익히는 것이 다른 것에 우선해야 합니다. 찬성 측
근거로, ‘찬성 1’이 근거로 든 교
내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하는 토론자는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하는 조치가 학생들의 자율적
조치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
의지를 꺾고 있다는 내용에 대 인 조절 의지를 꺾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한국 정보화 진흥원에서
한 반박이다. 청소년의 휴대 전
화 중독률이 매우 높다는 것을 2015년에 발표한 조사 내용을 보면,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률은 29.2
구체적인 통계 수치를 통해 제
시하고 있다. 퍼센트로 전체 성인의 휴대 전화 중독률 11.3퍼센트보다 훨씬 높습니다. 5

이는 전년에 비해 3.7퍼센트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휴대 전화를 과도하

게 사용하는 학생들이 늘었다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이러한 상황인데도


‘찬성 1’과 ‘반대 1’의 입론 학교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통제하지 않는다면, 청소년의 과도한 휴대 전
에서 알 수 있는 필수 쟁점은 『 』: ‘반대 1’의 주장
무엇일까? 화 사용을 막는 일은 더 힘들어질 것입니다.
▶ 반대 측 -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을 막기 위해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통제해야 함
예시 답안 교내에서 학생들
의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하는 사회자 찬성 측 제1 토론자, 반대 신문해 주십시오. ▶ 사회자 - 토론 순서 안내 10
것이 부당한가의 문제, 그리고
학생들이 휴대 전화 사용을 자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④ - ‘찬성 1’의 반대 신문]
율적으로 절제할 수 있는가의 찬성 1 이미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학
문제. 이 두 가지 쟁점이 있다.
교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제한한다고 해서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을 막
구절 풀이 ‘반대 1’의 입론 중
교내 휴대 전화 사용 규제가 청 을 수 있을까요? ▶ 찬성 측 - 교내 휴대 전화 사용 제한으로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을 막기는 어려움
소년의 휴대 전화 사용 중독을
막을 수 있다는 주장을 논리적
으로 반박한 것이다. 반대 1 최근에는 각 가정에서도 휴대 전화 사용 규칙을 정하는 등 휴대
콕콕 정리 전화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학생들이 많은 시간 15

토론의 필수 쟁점과 양측의


주장 ② 을 보내는 학교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면 휴
•필수 쟁점: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자율적으로 절제하 대 전화 중독을 예방하기 어렵습니다. 휴대 전화는 중독성이 강한 매체입
여 사용할 수 있다.
찬성 측 니다.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률이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강제로 휴대 전화 사용 『 』: 구체적인 통계 수치를 활용하여 휴대 전화 제한의 필요성을 뒷받침함
을 규제하면 학생들의 반 볼 때, 청소년의 판단력과 절제력이 성인에 비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발을 불러일으키고 자율적
인 절제 의지를 꺾게 된다. 있습니다.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제한한다면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 20

반대 측
독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반대 측 - 청소년의 판단력과 절제력이 성인에 비해 부족하므로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제한해야 함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과도하게 사용하며, 스스 사회자 찬성 측의 주장과 반대 측의 주장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로 이를 조절하기 어렵다.
이제 찬성 측 제2 토론자가 입론해 주십시오. ▶ 사회자 - 토론 진행 상황과 순서 안내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⑤ - ‘찬성 2’의 입론]


■첨예(尖銳)하게 상황이나 사 찬성 2 오늘날에 휴대 전화와 같은 매체를 사용하는 것은 정보화 시대
태 따위가 날카롭고 격하게.
의 흐름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 25
■주체(主體) 사물의 작용이나
어떤 행동의 주가 되는 것. 업이 가능해졌고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참여하는 형태의 수업도 늘고 있
『 』: ‘찬성 2’의 근거 - 휴대 전화는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하는 데 도움이 됨

366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6 17. 12. 11. 오후 8:32


습니다. 이러한 수업에서 휴대 전화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휴

대 전화의 정보 검색 기능, 쌍방향 소통 기능, 동영상 및 사진 촬영 기능

등은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 찬성 측 - 다양한 수업에서 휴대 전화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

반대 1 그렇지 않습니다. 휴대 전화를 수업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기보다 ‘찬성 2’의 입론 과정에서


‘반대 1’의 잘못된 의사소통 태도 ① - 상대방의 발언 중에 끼어들어 말하고 있음 보인 ‘반대 1’의 듣기 ·말하기
5 는 그 반대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태도는 어떠한가?
▶ 반대 측 - 수업에서 휴대 전화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없음
예시 답안 ‘찬성 2’의 입론 도
찬성 2 제 발언이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중에 자신의 의견을 말하여 ‘찬
성 2’의 발언을 방해하고 있으
며, ‘찬성 2’의 주장을 반박할 때
사회자 반대 신문은 찬성 측의 입론 후에 듣겠습니다. 찬성 측 토론자께 도 구체적인 근거 없이 질문하
고 있다.
서는 입론을 계속해 주십시오. ▶ 사회자 - 토론 진행 상황 정리

찬성 2 예를 들어 휴대 전화로 수학 시간에 칠판의 글씨를 사진으로 찍


『 』: 휴대 전화의 교육적 용도에 대한 구체적 사례
10 거나, 과학 시간에 실험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복습할 때 활용하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국어 시간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모르

는 단어의 뜻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휴대 전화의 교육적 활용

도는 그 범위가 날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 찬성 측 - 휴대 전화의 교육적 활용도가 높음

사회자 이제 반대 측 제1 토론자, 반대 신문해 주십시오.


▶ 사회자 - 토론 순서 안내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⑥ - ‘반대 1’의 반대 신문]
15 반대 1 찬성 측 토론자는 현실을 너무 모르는 것 아닙니까? 휴대 전화 콕콕 정리
『 』: ‘반대 1’의 잘못된 의사소통 태도 ② - 구체적인 근거 없이 ‘찬성 2’ 토론자를 무시하며 말함
토론 중 잘못된
사용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성적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누 ‘반대 1’의 의사소통 태도

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 않습니까?
•다른 토론자가 발언할 때
▶ 반대 측 - 휴대 전화 사용은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성적에 악영향을 끼침
끼어드는 행위.
찬성 2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휴대 전화를 활용한 수 •근거 없이 다른 토론자를
『 』: 사례를 통해 ‘반대 1’의 반대 신문을 반박함 무시하는 행위.
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교육 현장에서 휴대 전화를 활용하는 방법을 자신
20 의 블로그에 소개한 선생님도 계십니다. 이제는 학교에서 휴대 전화 사용

을 규제만 할 것이 아니라,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일이나 사건 따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실마리를 더듬어 찾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찬성 측 - 수업에서 휴대 전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

사회자 이제 반대 측 제2 토론자가 입론을 하겠습니다.


▶ 사회자 - 토론 순서 안내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⑦ - ‘반대 2’의 입론]
반대 2 저는 휴대 전화를 교육적 용도로 활용하는 것에 과장된 측면이
25 많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우리가 휴대 전화를 사용할 때를 떠올려 보

(2)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36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7 17. 12. 11. 오후 8:32


구절 풀이 ‘반대 2’는 휴대 전 면, 화면을 진득하게 보지 않고 다음 화면으로 금방 넘겨 버리는 것을 알
화의 교육적 활용도가 높지 않 성질이나 행동이 끈기가 있게
으므로 교내 휴대 전화를 규제 수 있습니다. 이처럼 휴대 전화를 사용할 때에는 한 가지 자극에 오랫동
해야 한다는 입론을 펼치고 있
다. 그 근거로 휴대 전화의 사용 안 집중하지 못하고 계속 새로운 자극을 찾기 때문에 오히려 집중력이 저
양상 때문에 휴대 전화는 주로
유희적 용도로 사용된다는 점을 하됩니다. 또 주어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 하기보다 정보를 검색하여
들고 있다.
쉽게 해결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사용 양상 때문에 휴 5

대 전화는 학습보다는 주로 유희적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학생들이


‘찬성 2’와 ‘반대 2’의 입론 수업과 학습에 집중하고 친구와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교내에서
에서 알 수 있는 필수 쟁점은
무엇일까?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해야 합니다. ▶ 반대 측 - 휴대 전화는 주로 유희적 용도로 사용됨

예시 답안 휴대 전화를 수업
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사회자 그러면 찬성 측 제2 토론자 반대 신문을 해 주십시오.
가의 문제를 필수 쟁점으로 볼 ▶ 사회자 - 토론 순서 안내
수 있다.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⑧ - ‘찬성 2’의 반대 신문]
찬성 2 청소년이 휴대 전화를 주로 유희적인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10

콕콕 정리 ‘찬성 2’의 반대 신문 - ‘반대 2’가 근거를 제시하지 않은 부분을 지적함

토론의 필수 쟁점과 양측의


근거가 있습니까? ▶ 찬성 측 - ‘반대 2’의 입론의 근거를 물음

주장 ③
•필수 쟁점: 휴대 전화를 수
반대 2 한국 정보화 진흥원이 2015년에 발표한 조사 내용에 따르면, 청
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권위 있는 기관의 조사 결과를 근거로 제시함
있다.
소년이 휴대 전화를 이용하는 용도는 누리소통망(SNS)을 이용한 의사소
찬성 측
휴대 전화의 여러 기능 통, 인터넷 검색, 게임, 음악 감상 순입니다. 이렇게 주로 유희적 용도로
은 다양한 수업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사용하는 휴대 전화를 교내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면 학생들이 제대로 15

반대 측
수업에 집중할 수 있을까요?
▶ 반대 측 - 기관의 조사 결과 휴대 전화는 주로 유희적 용도로 사용됨
휴대 전화의 교육적 효
과는 과장된 면이 있다.

참고 자료 [반론]
입론과 반대 신문을 통해 드러난 양측 논쟁의 강점과 약점을 자신의 입장에서
반론을 할 때, 양측은 상 반론 재정비하여 최후 진술하는 단계이다.
대측의 주장에 타당성이 없
다거나 근거가 부족하다는 사회자 지금까지 양측의 입론을 들어 보았습니다. 이제부터 반론을 진
점 등을 들어 상대측의 논
증을 지적한다. 그리고 자기
행하겠습니다. 반대 측 제1 토론자부터 반론을 시작해 주십시오.
▶ 사회자 - 반론이 시작되었음을 말함
측 논증의 논리성을 강조하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⑨ - ‘반대 1’의 반론]
여 주장을 강화한다. 반대 1 찬성 측에서는 학생들이 휴대 전화를 사용할 자유가 있기 때문 20

에 학교에서 이를 규제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학교는


반대 측 주장 강화 ①
친구, 선생님과 관계를 형성하며 더불어 생활하는 곳입니다. 학생들이 학
■유희적(遊戱的) 1. 즐겁게 놀
며 장난하는. 또는 그런 것. 2. 교에서의 생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할 필요가 있습
진정이 아니고 반(半) 놀이 삼
아 일을 하는. 또는 그런 것. 니다. 또한 청소년은 이미 일상생활에서 휴대 전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368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8 17. 12. 11. 오후 8:32


있으며,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반대 측 주장 강화 ②
의 휴대 전화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교내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해야 합니다. ▶ 반대 측 - 올바른 학교생활과 휴대 전화 중독 예방을 위해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해야 함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⑩ - ‘찬성 1’의 반론]
찬성 1 학생이기 이전에 하나의 인격체로서 존중받아야 하는 학생들이
찬성 측 주장 강화
5 학교에서 개인 물품 사용을 규제당하는 것은 부당한 일입니다. 반대 측에

서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이 심각하며 이를 예방해야 한다고 하신 점에

는 저희도 동의합니다. 그러나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한다고 해


반대 측 주장에 대한 반론
서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공연이나 영화를 볼

때 관객 스스로 휴대 전화를 끄게 하는 것처럼, 학교에서도 학생 스스로


10 휴대 전화 사용을 절제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 찬성 측 - 학생 스스로 휴대 전화 사용을 조절해야 함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⑪ - ‘반대 2’의 반론]
반대 2 휴대 전화를 활용한 교육 기반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
『 』: 반대 측 주장 강화 ①
적인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

한다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습니다. 또한 요즘 청소년은 직접적

인 소통보다 휴대 전화를 이용한 간접적인 소통에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15 학교에서만이라도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하여 실제로 얼굴을 맞대고 소
반대 측 주장 강화 ②
통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해야 합니다.
▶ 반대 측 -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은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음
[반대 신문식 토론 순서 ⑫ - ‘찬성 2’의 반론]
예시 답안 사회자는 토론의
찬성 2 인터넷 강의가 일상화된 것처럼 앞으로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배경과 규칙을 설명하고 논제를
제시하며, 발언 순서에 따라 토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휴대 전화의 교육적인 활용 론을 진행한다. 또한 토론자의
『 』: 찬성 측 주장 강화
발언을 정리·요약하여 말해 주
가능성을 폄하하고 사용을 제재하는 데만 급급하는 것은 시대의 흐름에 기도 하며, 토론자가 토론 규칙
을 어기거나 토론의 방향에 어
20 맞지 않습니다. 일상 깊숙이 들어온 휴대 전화를 학생들이 사용하지 못하 긋나는 행위를 할 때 이를 제지
하여 원활한 토론이 이루어질
게 규제하기보다는 학습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수 있도록 하는 역할 등을 수행
▶ 찬성 측 - 휴대 전화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함
한다.

사회자 지금까지 양측의 의견을 들어 보았습니다. 찬성 측과 반대 측 토 토론에서 ‘사회자’의 역할


은 무엇일까?
론자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이제부터 평가 기준을 참고하여 어느 편의 주

장이 더 타당했는지 토론을 평가해 보겠습니다. ■구축(構築)되지 체제, 체계


▶ 사회자 - 토론 내용 정리와 평가 유도
깜짝 퀴즈 따위의 기초가 닦아져 세워지

1. 이
‌ 토론은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는 논제로 진 지.
행되고 있다. ➡◯ ■폄하(貶下)하고 가치를 깎아
2. ‘학교는
‌ 예의범절을 익히는 곳이다.’는 이 토론의 필수 쟁점 중
내리고.
하나이다. ➡×
3. 반대
‌ 측은 휴대 전화를 ☐ ☐ 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과장된 면
이 있다고 생각한다. ➡ 교육

(2)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36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69 17. 12. 11. 오후 8:32


활동

이해 1 이 토론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활동 안내 이 토론의 내용을 (1) 필수 쟁점별로 찬성 측과 반대 측의 입론 내용을 정리해 보자.


필수 쟁점별로 정리해 보는 활 예시 답안
동이다. 토론의 내용을 정리하
면서 찬성 측과 반대 측의 주장 쟁점 ❶ 교내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하는 현재 상황은 부당하다.
중 어느 쪽이 더 타당한지 평가
해 본다. 또한 양측의 논증 중
공감할 수 있는 논증을 선택하
찬성 측 반대 측
고 그 이유를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주장 : 교내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것은 •주장 : 바른 생활 태도를 익히기 위해서 교내
학생의 자유이므로 이를 규제해서는 안 된다. 에서의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해야 한다.
•근거
및 논증 구성 : 학생들은 독립된 존재이 •근거
및 논증 구성 : 학교는 공동의 규범과 예
므로 어디에서든 휴대 전화를 소지할 수 있고, 의범절을 익히는 곳이므로, 학교에서만큼은 휴
이를 사용할 자유가 있다. 대 전화를 사용할 자유를 내세우기보다 바른 생
활 태도를 익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쟁점 ❷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자율적으로 절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찬성 측 반대 측

•주장 : 강제로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하면 학 •주장


: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과도하게 사용하
고 있으며 스스로 이를 조절하기 어렵다.
생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자율적인 절제
의지를 꺾게 된다.
•근거 및 논증 구성 : •근거 및 논증 구성 :
- ‌학생 스스로 휴대 전화 사용을 조절하고 남을 - ‌많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과도하게 휴대
배려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 ‌학교에서 올바른 휴대 전화 사용 태도를 익힐 - ‌청소년의 휴대 전화 중독률이 성인에 비해 훨
수 있다. 씬 높은 것으로 보아 청소년의 절제력은 성인
에 비해 부족하다.

쟁점 ❸ 휴대 전화를 유용한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찬성 측 반대 측

•주장
: 휴대 전화를 수업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주장 : 휴대 전화를 교육적 용도로 활용한다
수 있다.
는 주장은 과장된 면이 있다.
•근거 및 논증 구성 : •근거 및 논증 구성 :
- 휴대
‌ 전화의 여러 기능은 다양한 방식의 수업 - ‌휴대 전화를 사용하면 집중력이 저하되고, 주
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어진 문제를 검색을 통해 쉽게 해결하려는 경
- 수학,
‌ 과학, 국어 시간 등에 휴대 전화를 다양 향이 나타난다.
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 전화를 교육적으 - ‌조사 내용에 따르면 휴대 전화는 주로 유희적
로 활용하는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인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370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0 17. 12. 11. 오후 8:32


도움말 (2) 찬반 양측의 논증 중에서 가장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선택하여 그 이유를 말해
설득력 있게 논증을 하려면 보자.
많은 사람이 수용할 수 있는 예시 답안 •가장 설득력 있다고 생각하는 것: 쟁점 ❸에 대한 반대 측 논증.
타당한 근거를 들고, 주장과 •이유: 휴대 전화에 다양한 기능이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이를 활용하여 학습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아직 디지털
근거를 밀접하게 연결해야 한 기기를 활용하는 수업이 보편적이지도 않다. 실제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음악 감상이나 게임 등 유희적
다. 인 용도로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목표 1 ‘찬성 2’ 토론자의 입론에서 보인 ‘반대 1’ 토론자의 의사소통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


해 보자.
활동 안내 토론에서 잘못된
의사소통 태도를 보인 토론자의
사례를 통해 의사소통 과정을
(1) 자신이 ‘반대 1’ 토론자라고 생각하고 의사소통 과정을 점검해 보자.
예시 답안
점검하고 조정해 보는 활동이
다. ‘반대 1’ 토론자의 의사소통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고, •‘찬성 2’ 토론자의 입론 도중에 내 의견을 말하여 ‘찬성 2’ 토론자의 발언을 방해
이를 어떻게 조정하는 것이 바
하였고 토론 진행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람직한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
게 말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찬성 2’ 토론자의 의견을 반박하는 반대 신문을 할 때,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찬성 2’ 토론자의

의견을 무시하는 듯한 발언을 하여 상대방을 불쾌하게 하였다.

(2) 토론 중에 (1)과 같이 점검하는 과정을 거쳤다면, ‘반대 1’ 토론자의 발언과 토론 과정은


어떻게 달라졌을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안 상대방의 의견을 끝까지 듣고 자신의 발언 순서에 따라 말했을 것이다. 또한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반대
신문을 할 때에도 상대방 주장에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해 정확한 근거를 들어 예의를 지키며 발언했을
것이다. 그랬다면 토론 과정이 훨씬 원만하게 진행되었을 것이고, 서로가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로 토론에 임하여 토
론의 수준이 더욱 높아졌을 것이다.

활동 안내 우리 주변에서 찬반의 입장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쟁점이 되는 정책 논제를 찾아서 직접 토론을 진행해 보
는 활동이다. 각 단계에 따라 토론의 내용을 정리하며 올바른 반대 신문식 토론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자료실 2 모둠별로 다음 단계를 따라 반대 신문식 토론을 해 보자. 모둠


정책 논제 결정 시 유의 사항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명확
(1) 우리 주변의 문제 중에서 토론하고 싶은 내용을 골라 정책 논제를 정해 보자.
예시 답안
하게 대립되어야 한다.
•찬성과 반대 중 어느 한쪽
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선거권자의 연령을 하향 조정해야 한다.
•구체적인 쟁점이 형성되는 •학교 안에 폐회로 텔레비전(CCTV)을 설치해야 한다.
내용이어야 한다.
•‘~해야 한다.’와 같은 진술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확대해야 한다. / 심야 시간에 인터넷 게임을 금지해야 한다.
로 표현해야 한다.

(2)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371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1 17. 12. 11. 오후 8:32


(2) 논제를 분석하여 예상되는 필수 쟁점을 정리해 보자.
예시 답안 •논제: 학교 안에 폐회로 텔레비전(CCTV)을 설치해야 한다.

쟁점 ❶ 쟁점 ❷ 쟁점 ❸
문제의 심각성 문제의 해결 가능성 효과 및 개선 이익
및 실행 가능성

최근 교내 범죄가 늘어남에 따 교내 범죄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교내에 폐회로 텔레비전을 설


라 폐회로 텔레비전 설치의 필요 폐회로 텔레비전을 설치하는 것이 치하면 범죄를 예방하고 학교 구
성이 높아지고 있다. 필요하다. 성원을 보호할 수 있다.

도움말 (3) 필수 쟁점에 따라 토론 계획서를 작성해 보자.


모둠별로 사회자, 찬성 측 예시 답안

토론자, 반대 측 토론자, 청중 3 찬성
입장 ☐ ☐ 반대
으로 역할을 나누어 토론할
내용과 토론 규칙을 마련해
필수 쟁점 ☐ 쟁점 ❶ 3
☐ 쟁점 ❷ ☐ 쟁점 ❸
본다.

우리 측의
폐회로 텔레비전을 설치하여 교내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주장



근거 및 지켜보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범죄 예방 효과는 크게 나타난다. 하지만 학교 안
논증 구성 에서 학생들을 관리·감독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므로 폐회로 텔레비전을 활용할 수 있
다.

상대측의
폐회로 텔레비전은 범죄 예방 효과가 없다.
예상 주장

예상 주장에 폐회로 텔레비전을 설치함으로써 범죄율을 줄인 선진국의 운용 사례나, 폐회로 텔레비


전이 범죄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논문을 제시하여 폐회로 텔레비전의 범죄 예방 효과를
대한 반론
입증한다.

도움말 <교사용 지도서 480쪽 참고> - 반대 측 토론 계획서.

토론 참가자는 반대 신문식
토론의 진행 순서에 따라 발
언하고, 발언마다 배당된 시
간을 지킨다. (4) 작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토론을 진행하고, 그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해 보자.
예시 답안 생략

372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2 17. 12. 11. 오후 8:32


듣기·
말하기 매체

적용 1 촬영한 토론 영상을 보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모둠

활동 안내 촬영한 토론 영상 (1) 모둠별로 다음 평가표의 평가 요소에 따라 토론을 평가해 보자.


을 보면서 자신과 동료를 평가 예시 답안
해 보고 개선점을 찾아보는 활
동이다. 이때 구체적인 평가 항 자기 동료 평가
평가 요소(각 1~5점)
목에 근거하여 평가하도록 한 평가 찬성 측 반대 측
다. 또한 토론의 평가 결과를 바
탕으로 다음에는 더 나은 토론 토론 규칙 및 발언 시간을 준수하였는가? 5 5 5
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공통 상대방을 존중하며 토론에 참여하였는가? 5 5 5

참고 자료 준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적절히 사용하였는가? 3 3 3

준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


•준언어적 표현: 언어에 부수되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주장을 명확히 전달하였는가? 4 4 5
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히
해 주는 표현으로, 억양, 어조,
강약, 높낮이 등을 말한다. 입론 주장을 뒷받침하는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였는가? 4 4 5
(= 반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언어 이외의
상대방의 반대 신문에 적절히 대응하였는가? 4 4 4
수단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것
을 의미하며, 표정, 몸짓, 옷차
림 등이 속한다. 상대방 주장의 허점을 명확히 짚어 내었는가? 3 4 4
반대
신문 3 4 3
원하는 답변을 듣기 위해 효과적으로 질문하였는가?

상대방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하였는가? 4 4 5


반론
자신의 주장이 더 타당하다는 것을 드러내었는가? 4 5 5

총점(50점) 39 42 44

(2) 우리 측과 상대측의 의사소통 과정을 점검하여 개선해야 할 점이나 보완해야 할 점은 무


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안 우리 측은 토론 과정에서 주장에 대한 타당성은 돋보였으나, 지나치게 경직된 태도로 준비한 내용만 나열
하여 준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였다. 상대측은 필수 쟁점에 대한 주장은 명확히 전달하였으
나, 우리와 마찬가지로 경직된 표정으로 자신의 주장만 나열하는 모습을 보인 점이 아쉽다. 다음번에 토론에서 발언을
할 때에는 자연스러운 표정을 짓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손짓을 하여 우리 측의 주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
록 해야겠다.

스스로 이 단원에서는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라는 논제로 토론한 내용을 읽고,

정리하기 필수 쟁점별로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일상생활에서 토론이 벌어


질 때, 상대방의 반응을 고려하면서 타당한 근거를 들어 자신의 주장을 펼쳐 보자.

(2)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373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3 17. 12. 11. 오후 8:32


의 마무리 1쪽 학습지
소단원별 ‘어휘 학습’ 및 ‘학습지’로 소단원 어휘 및 내용 학습을 추가로 할 수 있음.

어휘 학습 활동 안내 십자말 옆에 제시된 뜻풀이를 보고 그에 알맞은 단어를 빈칸에 적어 넣으며 단원에서 배운 어


휘를 정리하는 활동이다.

● 제시된 뜻풀이와 예시문을 읽고 십자말풀이의 빈칸을 알맞은 단어로 채워 보자.

납 1 계약한 곳에 주문받은 물품을 가져다줌. 또는 그 물품.


예 꼭 납 품 기한을 지켜 물건을 가져다주세요.
2
2 가지고 있는 물품.
소 지 품
예 그는 간단한 소 지 품 만 챙겨서 여행을 떠났다.


1 본디의 것과 똑같이 본떠 만든 물품.
예 그들은 우리 회사 제품과 똑같은 복 제 품 을 만들어 팔았다. 2

2 정도에 넘지 아니하도록 알맞게 조절하여 제한함. 절 제

예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는 작은 절 제 가 인생을 바꿀 수 있다.

1 싸움에 이긴 형세를 타고 계속 몰아침.


1 2

승 승 장 구 예 신인 선수가 승 승 장 구 로 결승까지 갔다.


2 체제, 체계 따위의 기초를 닦아 세움.
예 이번 외교 방문은 양국 간의 신뢰 구 축 에도

움이 될 것이다.

374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4 17. 12. 11. 오후 8:32


정리하기

옷 한 벌로 세상 보기

문제 상황 문제 상황이 우리 삶에 미친 영향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유행을 따르기 위해 •디자인이 도 용 됨.
옷을 쉽게 사고 쉽게 버리는 경향을 보임. •환경 오염이 발생함.
•노동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일함.

글쓴이의 주장과 해결 방안
공존과 상생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옷 입기를 실천해야 한다.

교내 휴대 전화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

필수 쟁 점 찬성 측 반대 측

교내에서 휴대 전화 교내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것


바른 생활 태도를 익히기 위해 교내
사용을 규제하는 현재 은 학생들의 자유이므로 이를 규제해
에서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해야 함.
상황은 부당함. 서는 안 됨.

학생들이 휴대 전화를 강제로 휴대 전화 사용을 규제하는 학생들은 휴대 전화를 과도하게 사


자율적으로 절제하여 사 것은 학생들의 반발을 불러올 뿐이며, 용하고 있으며 스스로 이를 조절하기
용할 수 있음. 자율적인 절제 의지를 꺾음. 어려움.

휴대 전화를 유용한 휴대 전화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으 휴대 전화는 학생들의 집중력을 떨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므로 유용한 수업 도구로 활용할 수 어뜨리며, 교육적인 효과도 입증할 수
있음. 있음. 없음.

이 단원을 마치며
3 글에 제시된 글쓴이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보완・대체할 방안을 찾을 수 있다.
3 독서를 통해 삶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3 논제에 따라 적절한 필수 쟁점을 선정하고, 필수 쟁점별로 타당한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3 상황, 대상, 목적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과정을 점검하고 조정할 수 있다.

단원의 마무리 375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5 17. 12. 11. 오후 8:32



국어와
하다 활동 안내 환경 오염이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임을 이해하고, 일상에서 학생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아보도록 하는 활동이다. 학생들에게 매체나 실제
생활 주변에서 환경 오염 문제를 접한 적이 있는지 떠올려 보게 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친구들과 자유롭게 이야기해 보도록 지도한다.

지구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

쓰레기 섬이 있다?
일본과 하와이 사이 북태평양에는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Great Pacific Garbage
Patch)’라고 불리는 거대한 쓰레기 더미가 있다. 일명 ‘쓰레기 섬’이다. 바람과 해류를 타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이동하는 바닷물의 흐름
고 떠밀려 온 육지의 쓰레기들이 이곳에 모여들면서 섬을 이룬 것이다. 우리가 버려 바
다로 흘러 들어간 많은 쓰레기들은 이처럼 쓰레기 섬에 갇히거나 하와이로 흘러간다.
이와 같은 해양 쓰레기는 해류에 따라 움직이고 있어서 치우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 드는 비용도 어마어마하다. 또 책임 국가가 불분명한 문제이다 보니, 국제 사
회는 이 쓰레기 더미를 치울 명확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는 사이 이 쓰레기
들은 작은 조각들로 부서지고, 이를 물고기, 새, 거북이 등이 먹이로 잘못 알고 먹어서
죽어 가고 있다. 그리고 이런 건강하지 못한 생태계 환경은 바다에서 나는 여러 해산물
을 먹는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376 9. 문제를 해결하는 힘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6 17. 12. 11. 오후 8:32


북극곰이 사라진다?
석탄과 석유 등을 연료로 사용하면 다량의 이산화 탄소, 메탄, 아산화 질소 등이 대기
로 배출된다. 대기에 함유된 이산화 탄소와 온실가스의 양이 늘어나면서 지난 100년간
지구 대기를 오염하여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가스를 통틀어 이르는 말
지구의 평균 온도는 0.8도 상승하였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 현상 때문에 지구 곳곳의 기
후가 변화하고 생태계에도 좋지 않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가 계속된다면 가장 먼저 생존에 위협을 받을 동물로 북극곰
을 꼽는다.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 빙하가 점점 녹아 북극곰들이 먹이를 구할 데가 없
어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북극곰들의 몸무게와 키가 줄고 번식
률도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과학자들은 북극곰들이 바다의 얼음이 녹지 않은 곳
으로 이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지구 온난화가 계속된다면 그곳도 안전하지는 않
본래 살던 집에서 다른 집으로 거처를 옮김
을 것이다.

우리가 꿈꾸는 지구의 모습은?


지구는 모든 생명이 깃들어 함께 살아가고 있는 삶의 터전이다. 그렇기에 인간의 이기
심 때문에 오염되고 훼손되어 가는 지구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아
야 한다. 지구는 결코 우리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환경 오염은 인간을 포함한 지구의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끼치는 심각한 문제이다. 일상생활에서 환경 오염 문제를 가
깝게 느낀 경험이 있는지 떠올려 보고,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자.

국어와 통하다 377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7 17. 12. 11. 오후 8:33


독서 공책 5
나만의 책 만들기 독서 공책 활동지 독서 공책 ❶ 독서 일지 쓰기

독서 공책 ❷ 모둠 대화하기

활동 안내 남들이 만든 책을 읽는 것에서 나아가 자신만의 책을 만들어 보는 활동이다. 독서 공책 ❸ 독서 토론하기


다양한 내용과 그에 알맞은 형식을 학생들이 스스로 선택하고 표현해 봄으로써 한 권의 독서 공책 ❹ 서평 쓰기
책을 생산하는 일에 가치와 의의가 있음을 깨닫도록 한다. 부담스럽지 않은 분량과 형식으
독서 공책 ❺ 나만의 책 만들기
로 학생들이 책을 만드는 활동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며, 이 과정을 통해 수용에 치
우치기 쉬운 학생들의 국어 생활이 생산까지 확대되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책 만들기 과정

책 구상하기 내용 정하기 완성하기


책의 형태를 어떤 모양으로 책의 주제에 맞게 구체적으 글과 그림을 채워 한 권의
만들지, 책의 주제는 무엇으로 로 어떤 내용으로 책을 채울 책을 완성한다.
할지 정한다. 지 계획을 세운다.

책 구상하기

•종이 한 장으로 책 만들기

아래 그림처럼 붉은색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자른 후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접어 1쪽부터 8쪽까지
연결된 책을 만든다.

(앞표지) (뒤표지)

4 5 6 7
•제본하여 책 만들기

종이를 여러 장 이용할 때에는 실로 꿰매는 방법, 찍개(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묶는 방법, 풀칠하여 붙


이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책을 만든다. 전문 업체에 맡기기보다는 자신이 직접 책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378 독서 공책 ❺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8 17. 12. 11. 오후 8:34


내용 정하기

책으로 만들 수 있는 내용의 예
•나의 하루 일과를 정리한 수필, 여행지에 다녀온 기록을 적은 기행문.
•내가 관심 있는 분야의 정보를 기록한 설명문, 내가 주장하는 내용과 근거를
정리한 논설문.
•내가 직접 쓴 동화, 짧은 이야기, 재미있게 읽었던 소설의 줄거리, 흥미롭게 보
았던 영화의 줄거리.
•책이나 영화의 내용 중 인상 깊었던 부분을 그린 그림, 책이나 영화 제목을 그
림으로 구현한 것.

완성하기

- 프란츠 카프카, 『변신』 - 법정, 『오두막 편지』

- 오미경, 『사춘기 가족』


- 김려령, 『우아한 거짓말』

▲ 책의 제목을 그림으로 나타낸 나만의 책

나만의 책 만들기 379

15개정_고등국어A_주석_9(346~379)ok.indd 379 17. 12. 11. 오후 8: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