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당신에

당신
게가 장 필
으로 하여금
요한책 은
생 각 하
가장많
게 하는책

이다
.

-크 트
웨인
೛ӣ"
঴ਲೡচ
‫ސݰ‬
੖೘۪
 ೡচ೛ӣ"
ࢬ‫ٽ ܭ‬ଶਲࢰఐ

‫أ‬

‫ࢬأ‬ਾ߾૏
1 독서의
서의 준비

•독서에 대하여_ 헤르만 헤세

2 주제 통합적 읽기
•‘사랑’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1 사랑의 편지_ 작자 미상
2 사랑의 역사_ 김용희
3 사랑에 대한 오해_ 정재승

한 학기 한 권 읽기 | 책 선정하기
내게 지금 필요한
책은 무엇일까

| 학 습 목 표 | 무엇인가를 읽어 자기 것으로 만드는 행위는 한 사람의 삶에서 아주 큰 역할을 합니다. 보고


● 독서의 목적이나 글의 가치 즐길 것이 많은 오늘날에도 글을 읽는 일은 세상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기
등을 고려하여 좋은 글을 선
때문이지요. 내게 지금 무슨 책이 필요할까? 어떻게 하면 내게 필요한 책을 찾을 수 있는 걸
택하여 읽을 수 있다.
까? 책을 넓고 깊게 읽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나 자신을 향상하려면 이런 질문들이 꼭
● 동일한 화제의 글이라도 서로
다른 관점과 형식으로 표현됨
필요합니다.

을 이해하고 다양한 글을 주
제 통합적으로 읽을 수 있다. 이 단원에서는 좋은 글을 선택하는 방법과 다양한 글을 주제 통합적으로 재구성하

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자기 성찰・계발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및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을 기를 수 있습니다.

10 Ⅰ. 독서의 본질
‫׫‬਑೚ֺ঺߻ӗ

• 독자의 수준을 고려한 책 선택하기


• 독서 목적 설정의 중요성 알기
1 • 좋은 책의 기준 알기
독서의 준비
헤르만 헤세, 〈독서에 대하여〉

• 관점과 형식이 다른 글 읽기
• 다양한 글을 읽고 자신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2
‘사랑’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주제 통합적 읽기
작자 미상, 〈사랑의 편지〉
김용희, 〈사랑의 역사〉
정재승, 〈사랑에 대한 오해〉

한 학기
책 선정하기
한 권 읽기

गग۷࢞й೘‫ב‬ ೙झѿഠ

학습 이 단원에서 나는
ѿഠ೘ӗ
ഠ೘ӗ

을/를 학습하려고 해.

단원 열기 11

학습목표 독서의 목적이나 글의 가치 등을 고려하여 좋은 글을 선택하여 읽을 수 있다.

독서의 1 독서의 첫걸음 ‘글의 선택’

우리는 다양한 책과 매체,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수많은 정보 속에서 하루하루를

준비 살아가고 있다. 이 수많은 책은 각기 나름의 필요에서 집필된 것이므로, 우리는


그것을 읽음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얻고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그렇지만 어떤 사람도 세상의 모든 책을 읽을 수는 없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책을 읽는 것이 더 좋을지를 먼저 정해야 한다.

2 목적에 맞는 글 선택하기

세상에는 수많은 약이 있다. 귀한 재료로 만든 값비싼 약이 있는가 하면, 흔한


재료로 만든 값싼 약도 있다. 또 특정한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약이 있는

핵심어 가 하면,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쓰이는 약도 있다. 그렇지만 아무리


□ 목적에 맞는 독서 좋은 약일지라도 나에게 맞지 않는다면 가치가 없다. 사실 가장 좋은 약은 ‘현재의
□ 가치 있는 글(책)
나’에게 필요한 약이다. 나의 건강 상태와 질병을 제대로 알아야 나에게 맞는 약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를 정하는 과정도 이와 유사하다. 우선 지금 내가 책을
읽으려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만약 학업에 도움을 얻기 위해서라
면 나에게 필요한 분야의 지식을 잘 정리한 책을 찾아서 정독해야 할 것이다. 교
양을 쌓으려면, 먼저 나에게 필요한 교양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나서 읽을 만한 책
‫ۀࢬأ‬՛঺ѫ
݉‫ב‬Ӑ੃՛ଶਲࢰఐ೘‫ב‬ 을 찾아야 할 것이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독서를 해야 하는
੆঺ࢬठ੒ೡ
상황이라면, 내게 당면한 문제에 대해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한 책이 있는지 먼
저 살펴봐야 할 것이다. 또한 여가를 보내거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원만히 유지
하기 위해서 독서를 하려고 한다면, 나의 흥미와 관심, 사람들의 공통적인 관심사
등을 먼저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책을 선택하는 첫 번째 단
계는 나의 독서 목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 Ⅰ. 독서의 본질
3 독서 수준에 맞는 글 선택하기

책을 선택하는 과정은 목적에 맞는 책을 찾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그 책이 나의 독서 수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그 책이 내가 이해할 수 없는 형식이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
다면, 그 책을 읽는 것은 나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초등학생이 고등학교 교과서를 읽는
다고 생각해 보면, 그 이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책을 읽기 전에 그 책이 나의 능력에 맞는지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물론 책마
다 차이는 있지만, 책의 표지와 목차, 서문, 본문 등을 살펴보면 도움이 된다. 표지에서는 책의
성격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있고, 목차나 서문에서는 책에서 다룬 내용의 범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문 한 면을 펴서 읽어 보면, 나의 지식이나 어휘력으로 이해할 수 있을지 짐작할 수
있다.

4 가치 있는 글 선택하기

나의 목적에 맞고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책이라고 해서 모두 읽을 만한 책이라고 단언


할 수는 없다.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있는 약이 존재하는 것처럼, 읽어도 그리 유익할 것이 없
는 책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잘못된 정보를 담고 있거나 편향된 가치관을 강요하는
책을 읽는다면, 그것은 오히려 독자를 해롭게 하는 일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우리는 그 책을 먼저 읽은 사람들이
내린 평가를 참고할 수 있다. 여러 매체에 다
양한 형식으로 수록되는 서평은, 그 책이 읽
을 만한 가치가 있는 책인지를 확인하는 데 도
움이 된다. 그리고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검증
되어 ‘고전’으로 인정된 책들을 찾아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단원에서는 〈독서에 대하여〉를 읽으며 독서의 목적이나 글의 가치 등을 고려하면서 좋은 글을 선택하는 방법을 배


운다. 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책을 선택하여 읽는 힘을 길러 보자.

1. 독서의 준비 13
‫׺ ঺ࢬأ‬೘ূ
헤르만 헤세

이 글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질문해 보자.

이 글은 독서의 목적과 가치, •Ӑ९੃‫׺঺ࢬأב‬೘ূ঩‫੃ٽ‬চӗ‫ܭ‬೛ӣ"


태도에 대해 쓴 글이다. 내가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 어떤 •
자세로 읽어야 하는지 생각하
며 읽어 보자.

대부분의 사람은 독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며, 왜 책을 읽는지조차 정확히


모른다. 어떤 이들은 독서를 ‘교양을 쌓기 위해 힘들지만 부득불 걸어야 할 길’로
나는 평소에 어떤 목적으로 책
을 읽는지 떠올려 보자.
생각해, 잡다한 독서를 통해 상당한 ‘교양을 쌓는다.’ 또 누구는 독서란 그저 시간
을 죽이기 위한 가벼운 소일거리라고 여기니, 무슨 책을 읽든지 간에 지루하지만
않으면 어차피 다 똑같다고 생각한다. 5

예를 들면, 뮐러라는 사람은 교양을 갖추고 자기 지식에서 부족하게 느껴지는


〈에그몬트〉 독일 작가 괴테의
희곡. 스페인의 지배에 맞서 싸
부분을 채우려고, 괴테의 <에그몬트>도 읽고 어느 백작 부인의 회고록도 본다.
우다 죽은 에그몬트 백작의 비 이렇듯 결핍된 면에 초조해하며 애를 쓴다는 사실 자체가 교양이라는 것을 외부
극적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
로부터 끌어들여 와야 하는 것, 그러니까 교양을 노력을 기울여 습득해야 할 어떤
회고록(回顧錄) 지나간 일을 돌
이켜 생각하며 적은 기록. 것으로 본다는 얘기다. 결국 그가 아무리 열심히 공부한들, 그러한 교양은 생명력 10

공산(公算) 어떤 상태가 되거나


이 없고 아무 결실도 맺지 못할 공산이 크다.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확실
성의 정도. 한편, 마이어 씨는 ‘재미로’, 말하자면 무료해서 책을 본다. 생계는 보장되어 있
오노레 드 발자크(1799~1850)
고, 시간은 주체할 수 없을 만큼 넘친다. 그러니 그가 긴긴 하루를 잘 때울 수 있도
프랑스의 소설가, 근대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자이다. 록 작가들이 도와주어야 한다. 그는 향이 좋은 차를 즐기듯 발자크를 읽고, 신문

14 Ⅰ. 독서의 본질
을 보듯이 레나우를 읽는다.
자, 그런데 이 뮐러 씨나 마이어 씨, 혹은 그들의 아내나 아들딸들이 다른 일에
대해서도 그처럼 주체성 없이, 주먹구구로 하느냐 하면 그건 또 아니다. 채권 한
장을 사고파는 데도 조목조목 이유를 따지고, 저녁에 과식이 해롭다고 철저히 삼
5 가며, 육체노동이라면 생계나 건강 유지에 필요한 딱 그만큼만 한다. 이런 사람들
이라면 사업에 바치는 시간과 마찬가지로 독서에 들이는 시간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이득을 기대해야 마땅하지 않을까?
그러나 독자는 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활자화된 세계라면 좋고 나
쁨을 따지지 않고 무조건 고상한 것으로 여기거나, 아니면 어차피 뜬구름 잡는 사
10 람들이 지어낸 비현실적인 세계이니 그저 한두 시간 재미있게 때울 심심풀이일
뿐이라며 내심 경멸하거나 한다.
독서를 이처럼 과대, 혹은 과소평가하고 있음에도, 뮐러 씨나 마이어 씨 할 것
없이 다들 너무 많이 읽는다. 전혀 감동이 없으면서도 다른 일에 비해 시간과 노
력을 지나치게 바친다. 어쨌든 책 속에는 분명 가치 있는 뭔가가 감추어져 있다고
15 어렴풋이나마 느끼고 있다는 얘기다. 이들은 책에는 활력과 정신적 고양을 주는
뭔가 숨겨진 힘이 있다고 짐작은 하되, 그게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거나 평가할 줄
글쓴이는 왜 남독을 비판적으로
은 모르는 것이다. 다만 책에 대해서만큼은 유독 뚜렷한 자기주장이 없이 수동적 바라보고 있는지 말해 보자.

이고 어영부영한 태도를 보일 뿐이
다. 아마 사업을 그런 식으로 하면 금
20 방 망할 텐데 말이다. 이는 마치, 어
떤 미련한 환자가 약국에는 좋은 약
이 많다면서, 칸칸마다 뒤져 온갖 약
들을 돌아가며 다 먹어 보는 것과 다
를 바 없다.
니콜라우스 레나우(1802~1850)
25 따라서 남독(濫讀)은 결코 문학에
오스트리아 시인. 당대의 염세
영예가 아닌, 부당한 대접이다. 책이 주의를 반영한 감상적인 서정시
를 다수 발표하였다.
란 무책임한 사람을 더 무책임하게
고양(高揚) 정신이나 기분 따위
만들려고 있는 것이 아니며, 무능한 를 북돋워서 높임.

사람에게 대리 만족으로서의 허위의 남독(濫讀) 책의 내용이나 수준


따위를 가리지 않고 아무 책이
30 삶을 헐값에 제공해 주기 위해 존재 나 닥치는 대로 마구 읽음.

1. 독서의 준비 15
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와 정반대로, 책은 오직 삶으로 이끌어 주고, 삶에 이
바지하고, 소용될 때만 가치가 있다. 독자들에게 불꽃 같은 에너지와 젊음을 맛보
게 해 주지 못하고 신선한 활력의 입김을 불어넣어 주지 못한다면, 독서에 바친
시간은 전부 허탕이다.
피상적으로 봐도 독서는 정신 집중을 요하는 일인데, 정신을 ‘풀어 놓으려고’ 5
글쓴이가 말하는 불량 독자는
어떤 독자일지 생각해 보자. 책을 읽는다는 것은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된 것이다.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라면 정신을 분산할 게 아니라, 오히려 집중해야 한다. 언제 어디서 무슨 일을 하
건, 무엇을 생각하고 느끼건 간에 온 힘을 기울여야 마땅하다. 하물며 독서는 더
욱 그러하다. 제대로 된 책이라면 언제나 복잡다단한 현상들의 단순화, 응축과
함축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짧은 시 한 편이라도 인간의 감정이 단 10

순화되고, 집약된 형태로 담겨 있다. 주의를 집중하여 이 감정들에 적극적으로


몸을 맡기고 함께 겪고자 하는 뜻이 없다면, 불량 독자이다.

잘못된 독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에게 부당하다. 무가치한 일로 시간을 허비하


고, 자신에게 하등 중요하지도 않고, 금방 잊어버릴 일에 시력과 정신력을 소모
하며, 일절 도움도 안 되고, 소화해 내지도 못할 온갖 글들로 뇌를 혹사하는 짓이 15

집약(集約) 한데 모아서 요약함.


아닌가?
하등(何等) ‘없다’, ‘않다’ 따위의
부정어와 호응하여 ‘아무런’, ‘아 이런 잘못된 독서가 다 신문 탓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나는 천만의 말씀
무’ 또는 ‘얼마만큼’의 뜻을 나타
이라고 생각한다. 신문이나 다른 온갖 잡다한 글을 매일 읽더라도 온전히 집중된
내는 말.

《친화력》 독일 작가 괴테의 소 상태로 즐겁게 독서할 수 있다. 어쩌면 새로운 정보들을 선택하고 신속하게 조합
설. 화학 용어 ‘친화력’이라는 개
해 내는 건전하고 중요한 훈련으로 삼을 수도 있다. 반면에 괴테의 명작 《친화력》 20
념에 착안하여, 사랑의 본질을
성찰하는 작품이다. 이라 할지라도, 교양 때문에 읽는 사람이건 심심풀이로 읽는 사람이건 간에, 그야

16 Ⅰ. 독서의 본질
말로 아무 생각 없이 읽을 수가 있다.
인생은 짧고, 저세상에 갔을 때 책을 몇 권이나 읽고 왔느냐고 묻지도 않을 것
이다. 그러니, 무가치한 독서로 시간을 허비한다면 얼마나 미련하고 안타까운 일
인가? 내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은 책의 수준이 아니라 독서의 질이다. 삶이 한
5 걸음, 한 호흡마다 그러하듯, 우리는 독서에서 무언가 기대하는 바가 있어야 마땅
하다. 더 풍성한 힘을 얻으려고 온 힘을 기울이고, 의식적으로 자신을 재발견하기
위해 스스로를 버리고 몰두할 줄 알아야 한다. 한 권 한 권 책을 읽어 나가면서 기
쁨이나 위로, 혹은 마음의 평안이나 힘을 얻지 못한다면 무슨 소용인가? 아무 생
각 없이 산만한 정신으로 책을 읽는 건 눈을 감은 채 아름다운 풍경 속을 거니는
10 것과 다를 바 없다.
글쓴이가 독서의 올바른 태도를
또한 우리는 자신과 일상을 잊으려고 책을 읽어서도 안 된다. 이와는 반대로 더 비유하고 있는 표현을 모두 찾
아보자.
의식적으로, 더 성숙하게 우리의 삶을 단단히 부여잡기 위해 책을 읽어야 한다. 우
리가 책으로 향할 때는, 겁에 질린 학생이 호랑이 선생님께 불려가듯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알프스를 오르는 산악인과 같은 마음가짐, 또는 전쟁터에 나가는 군인이
15 무기고 안으로 들어설 때와 같은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살 의지를 상실한
도망자로서가 아니라, 굳은 의지를 품고 친구와 조력자들에게 나아가듯이 말이다.
만약에 정말 이럴 수만 있다면, 지금 읽는 것의 10분의 1가량만 읽는다고 해도,
우리는 모두 열 배는 더 행복하고 풍족해지리라. 그래서 우리 같은 작가들의 책이 Ӑ९੃࣑ъ

헤르만 헤세(1877~1962) 독일
더는 팔리지 않는다고 해도, 그 결과 작가들이 작품을 열 배쯤 적게 쓴다고 해도,
의 소설가, 시인. 삶의 본질과
20 세상에 해가 될 일은 결코 없으리라. 아무렴, 쓰는 게 문제인가. 읽는 게 훨씬 중요 의미를 진지하게 탐색하는 소
설을 많이 발표하였다. 주요 저
하지.
서로 《데미안》, 《수레바퀴 밑에
- 헤르만 헤세 지음, 김지선 옮김, 《헤르만 헤세의 독서의 기술》 서》 등이 있다.

•੃Ӑਲੇ਱ഫ‫׺঺ࢬأ‬೚࢞й੃঩‫چ‬ѫ߲೘্‫ב‬ોੑӗਾ࢞йਲा߻ੑ

1. 독서의 준비 17
1 〈독서에 대하여〉 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글쓴이가 뮐러 씨나 마이어 씨와 같이 독서를 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말해


보자.

글쓴이가
뮐러 씨와 마이어 씨의
독서를 어떻게 빗대어 표
현했는지 생각해 보자.

(2) 다음 내용에서 글쓴이가 환자와 약국의 비유를 통해 비판하고 있는 독서의 방법이 무엇인지
써 보자.

이는 마치, 어떤 미련한 환자가 약국에는 좋은 약이 많다면서, 칸칸마다 뒤져 온갖


본문 15쪽 먹어 보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약들을 돌아가며 다 먹

글쓴이는 책
글쓴이는 에 대한
책에 대 뚜렷한 자기주장 없이

독서 방법을 경계하고 있다.

18 Ⅰ. 독서의 본질
2 독서의 목적과 가치, 태도와 관련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내가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은 책의 수준이 아니라 독서의 질이다. 삶이 한 걸음, 한

호흡마다 그러하듯, 우리는 독서에서 무언가 기대하는 바가 있어야 마땅하다. 더 풍

성한 힘을 얻으려고 온 힘을 기울이고, 의식적으로 자신을 재발견하기 위해 스스로를

버리고 몰두할 줄 알아야 한다. 한 권 한 권 책을 읽어 나가면서 기쁨이나 위로, 혹은


글쓴이가
강조하고 있는 바람직한
마음의 평안이나 힘을 얻지 못한다면 무슨 소용인가? 아무 생각 없이 산만한 정신으
독서가 무엇인지 생각해 로 책을 읽는 건 눈을 감은 채 아름다운 풍경 속을 거니는 것과 다를
를 바 없다.
보자.
또한 우리는 자신과 일상을 잊으려고 책을 읽어서도 안 된다. 이와

는 반대로 더 의식적으로, 더 성숙하게 우리의 삶을 단단히 부여잡기


잡기
본문 17쪽
위해 책을 읽어야 한다.

(1) ‘독서에서 무언가 기대하는 바’는 독서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독서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그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책을 말해 보자.

(2) 이 글에서 글쓴이는 더 풍성한 힘을 얻고 자신을 재발견할 수 있는 데서 독서의 가치를 찾고


있다. 이 외에 또 어떤 독서의 가치가 있는지 말해 보자.

(3) (1), (2)를 바탕으로 하여 글쓴이의 독서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고, 친구들과 올바
른 독서의 태도에 관해 이야기해 보자.

ӌ‫ج‬ঃ՛‫ב‬
ଶਲ݀੃ܿੇਯ‫ݰ‬
‫࢞҄רص‬й೨঩

1. 독서의 준비 19
‫ج‬
ഗ

సೞ
 3 독서의 목적과 글의 가치를 고려하여 좋은 책을 찾아보는 활동을 해 보자.

(1) 책을 선정하기 전에 자신이 책을 읽는 목적이 무엇인지 V 표시를 해 보자.

•Ҩঢਲऴਯ۪҄ □ •ஒҭ০਑ܿ೚ғѿ‫ܭ‬ਦો೘۪҄ □
자신이 주 •ূи՛୼‫࢞ޱ‬ഗਲ೘۪҄ □ •ૌলғ۬ોडਲভਯ۪҄ □
로 어떤 분야의 책을 선택
•ӗఅ □
하는지 생각해 보자.

(2) 앞에서 정한 목적에 따라 각자 읽고 싶은 책을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찾아보자.

000 총류 800 문학
810 한국 문학
100 철학 810 한국 문학
811 시
200 종교 820 중국 문학
812 희곡
300 사회 과학 830 일본 문학
813 소설
미국의 듀 400 순수 과학 840 영미 문학
이가 개발한 듀이 십진 814 수필
500 기술 과학 850 독일 문학
분류법이 세계에서 가장 815 연설
600 예술 860 프랑스 문학
널리 쓰이고 있으며, 우 816 일기, 기행
700 언어 870 스페인 문학
리나라에서는 이를 개량 817 풍자
800 문학 880 이탈리아 문학
한 한국 십진분류법이 818 기타
900 역사 890 기타
쓰이고 있다.

000 총류 컴퓨터, 백과사전, 신문, 향토 자료


료등

100 철학 동양 철학, 서양 철학, 논리학, 심리학, 윤리학


리학 등

2 0
20 종교 각종 종교((불교
불 , 기독교 등),
등 신화

3 0
30 사회 과학 통계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학, 행정학
정학,, 법학, 교육학
학, 민속학, 군사학

400 순수 과학 수학, 물리학


리학, 화학, 천문
문학, 지학, 광물학
물 , 생물학, 식물학
물학, 동물학

500 기술 과학 의학, 농업, 공업 일반


반, 건축 공학
공학, 기계 공학,, 전기・전
전자
자 공학, 화학 공학
공 , 가정

600
600 예술 건축,, 조각, 공예, 서예, 도화(회화
(회화
회화), 사진술
진술,, 음악, 연극・영화, 오락 및 운동

7 0
70 언어
어 한국
국어, 중국어, 일어, 영어, 독일
일어
어, 프랑스어, 스페인
인어, 이탈
탈리
리아
아어
어등

80
00 문학 각국 문학(시, 희극
각국 극, 소설, 수필, 연설문
설문 일기 등)
설문,

900
900 역사 각국 역사(아시
아시
시아, 유럽, 아프리
프 카 등),
) 지리, 전기(위인
위인전
전)

▲ 한국 십진분류법을 기준으로 한 주제별 검색이다.

20 Ⅰ. 독서의 본질
(3) 다음을 참고하여 각자 선택한 책을 친구들과 비교해 보자.

좋은 책을 고르는 방법

1. 독서의 목적에 맞는 책을 고른다.


좋은 책을 고를 때 먼저 고려할 점은 책을 읽으려는 목적이다. 목적을 구체화한 다음 그 책이 나의 독서 목적에 맞는지 확인하
는 것이 적절한 방법이다.

2. 많이 팔리는 책보다는 오랫동안 팔린 책을 고른다.


많이 팔리는 책을 무조건 좋은 책으로 볼 수는 없다. 적은 양이라도 오랜 기간에 걸쳐 꾸준히 팔리는 책이 고전적인 가치를 담
고 있으며, 생명력이 길다. 그러므로 원하는 책을 고르기 힘들다면 장기간 꾸준히 팔린 책을 찾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3. 도서관을 적극 활용한다.
서지 정보만 가지고 책을 고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온라인으로 책을 사기 전에 반드시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서 미리 확인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도서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확실하게 좋은 책을 고를 수 있다. 미리 읽고 싶은 책 목록을 작성한 뒤 도
서관에 가서 꼼꼼히 따져 보자.

4. 서문과 목차를 확인한다.


확인한
책을 고를 때 가장 주목해야
주목 할 부분은 서문과 목차이다. 서문은 글쓴이가 책을 쓴 의도를, 목차는 책의 구성을 알게 해 준다.
서문과 목차를 잘 확인하면 이 책에 내가 원하는 정보가 담겨 있는지 아닌지를 금세 알 수 있다.

(4) 독서의 목적과 글의 가치를 고려하여, 나에게 가장 적합한 책이 무엇인지 판단해 보자.

소단원
성찰•계
기 정보 활
료•

창의적

੹ܵ
੹ 적•
비판

사고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스스로 점검해 보자. 정답•242쪽

1. 다음은 독서의 준비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이다. 다음 내용이 맞으면 ○표, 틀리면 ×표를 해 보자.
① 독서의 목적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글의 선택과 글을 읽는 방법이 달라진다. ( )
② 읽을 책을 정할 때는 자신의 흥미, 관점, 가치관을 고려하기보다도 유명한 책을 선택한다. ( )
③ 독서의 목적에는 학습, 정보나 지식 습득, 교양 함양, 여가, 타인과의 관계 유지 등이 있다. ( )

2. 〈독서에 대하여〉의 내용을 떠올리며,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① 헤세는 올바른 독자의 자세로 책을 읽을 때 하여 읽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
② 헤세는 수준 높은 독서를 하기 위해서는 독서의 보다 독서의 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 독서의 준비 21

학습목표 동일한 화제의 글이라도 서로 다른 관점과 형식으로 표현됨을 이해하고 다양한 글을 주제
통합적으로 읽을 수 있다.

주제 1 책과 글의 상호 텍스트성

책이나 글은 다른 책이나 글과 여러 면에서 관련성을 맺기도 한다. 때로는 인용

통합적 이나 예시처럼 직접 다른 책이나 글을 언급하기도 하며, 때로는 서로 공통되거나


혹은 반대로 대비되는 관점이나 정보를 제시하면서 다른 글과 간접적인 관련을

읽기 맺기도 한다. 이처럼 여러 책과 글이 서로 관련성을 맺는 것을 ‘상호 텍스트성’이


라고 하는데, 이를 활용하면 우리는 더욱 깊이 있고 풍부한 독서를 할 수 있다. 그
러한 방법 가운데 하나가 ‘주제 통합적 읽기’이다.

다양한 분야의 글 관련 있는 화제를 다룬 글

핵심어 관점이 다른 글 형식이 다른 글


□ 상호 텍스트성
□ 화제, 형식, 관점

□ 주제 통합적 읽기

다양한 관점 또는 형식의 글을 비교 ・ 대조함으로써 자신의 관점에서 화제를 재구성

2 주제 통합적 읽기의 개념
‫੆ج‬೚ഔ੻‫ܭ‬
‫רܒר‬ঢ೚അडਾӐਲ ‘주제 통합적 읽기’란 하나의 화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과 형식으로 작성된 글들
ੇਯ‫ݰ‬,ಘം೚ठй঺ࢬ
ߣ঩՛ಣց਱ғ੶ਲ 을 독자의 관점과 목적에 맞추어 재구성하면서 읽는 활동을 말한다. 동일한 화제
ો‫ס‬ ੍ࣵ঩
ો‫੍ࣵס‬঩ 를 다루더라도 글쓴이의 시각이나 전공 분야, 글의 종류 등에 따라 각기 다른 관
점과 형식을 갖춘 글이 작성될 수 있는데, 이를 서로 비교하면서 비판적・통합적으
로 읽으면 독자는 그 화제에 대해 보다 객관적이고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2 Ⅰ. 독서의 본질
3 주제 통합적 읽기의 필요성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은 경험이 있는 독자일수록 자신에게 필요한 책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


할 수 있다. 자신에게 필요한 책이 무엇인지 파악한 뒤에는 다양한 관점을 지닌 여러 분야의 책
을 찾아서 읽어야 한다. 주제 통합적 읽기는 다음과 같은 이점 때문에 폭넓고 깊이 있는 독서를
하는 데 필수적이다.
•다양한 관점으로 주제를 바라보고, 좀 더 주관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다른 사람의 글을 읽

을 수 있다.
•특정한 분야에 편중되지 않는 균형 잡힌 독서를 함으로써, 인간과 세계를 폭넓게 이해하는 능

력을 기를 수 있다.
•주제 통합적으로 글을 읽으면 다양한 분야와 관점의 지식을 얻음으로써, 문제 상황을 창의적

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4 주제 통합적 읽기의 과정

주제 통합적 읽기를 할 때 독자는 먼저 자신의 목적을 구체화해야 한다. 자신이 읽기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질문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으면 더욱 좋다. 질문이 정해지면 그에 맞는 글
을 찾아야 한다. 도서관의 도서 목록이나 서평 등을 확인하여 다양한 분야의 글을 모아야 한다.
때로는 글을 읽다가 더 읽고 싶은 글을 찾을 수도 있다.
같은 화제를 다룬 여러 분야의 글을 모은 다음에는 글의 분야나 글쓴이의 관점, 형식이 다른
글들을 서로 비교하면서 읽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글에서 내세운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유용한 정보를 추려 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끝으로 할 일은 ‘재구성’이다. 즉, 자신의 관점에
따라 정보를 가려내어 해당 화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리해야 한다.

이 단원에서는 ‘사랑’이라는 동일한 화제를 다룬 세 편의 글을 읽고 분야나 관점에 따라 동일한 화제도 다양하게 표현


될 수 있음을 배운다. 〈사랑의 편지〉, 〈사랑의 역사〉, 〈사랑에 대한 오해〉를 읽으면서 ‘사랑’이란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자.

2. 주제 통합적 읽기 23
‘࢈‫’ۆ‬ਲ޾‫ב߻ھ‬
ࢻиોठࢰ
이 글에서 알고 싶은 내용을 질문해 보자.

여기에 수록된 세 편의 글에 •‘࢈‫’ۆ‬ਲ঩‫ٽ‬ғ੶঺ࢬ޾‫੍ࣵ߿ھ‬ਲӣ"


는 ‘사랑’에 대한 관점이 각각 다
르게 표현되어 있다. ‘사랑’을 바 •
라보는 관점을 비교하며 읽어
보자.

1 사랑의 편지
김 진사가 운영에게
한 번 그대와 눈이 마주친 뒤로 넋이 날아가 버린 듯 마음을 진정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도성 서쪽을 향할 때마다 애간장이 끊어지려

해요. 마침 벽 틈으로 편지를 전해 주시어 결코 잊지 못할 아름다운 말

씀을 받들게 되었군요. 편지를 미처 열어 보기도 전에 숨이 막혔고, 채 5

반도 읽기 전에 눈물이 떨어져 글자를 적셨습니다. 자려 해도 잠을 이

루지 못하고 먹으려 해도 음식이 목에 걸립니다. 병이 가슴속 깊이까지

들어와 백약이 무효한 지경이랍니다. 저승이 눈앞에 와 있어 오직 목숨

이 다하기만을 기다릴 따름입니다. 천지신명이 도우사 살아생전에 한

번만이라도 이 한을 풀 수 있다면 마땅히 이 몸을 천지신명의 제물로 10

바치겠습니다. 종이를 앞에 두고 목이 메니 무슨 말을 하겠습니까!

24 Ⅰ. 독서의 본질
운영이 김 진사에게

작년 가을밤이었지요. 처음 군자의 모습을 뵙고 ‘천상의 신선이 인간 작자 미상, 《운영전》 조선 중기


의 고전 소설로, 일명 《수성궁
세계로 유배 오신 게로구나.’ 하고 생각했답니다. 저의 용모가 다른 아홉 몽유록》이라고도 한다. 선비 유
영이 세종의 아들 안평 대군의
사람보다 훨씬 못하건만 전생에 무슨 인연이 있었던 걸까요? 제 옷에 옛집인 수성궁 터에서 술을 먹
고 잠들었다가, 꿈속에서 안평
5 튄 먹물 한 점이 마침내 가슴속 한을 맺게 할 빌미가 될 줄을 어찌 알았
대군의 궁녀 운영과 김 진사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듣고
겠습니까? 주렴 사이로 바라보면서는 곁에서 모실 인연을 만들고 싶었
기록한 이야기이다. 여기에 수

고, 꿈속에서 뵈었을 때는 장차 잊지 못할 사랑을 이루어 보고 싶었어 록한 편지는 김 진사와 운영이


각기 상대방을 그리워하며 쓴
요. 아름다운 낭군의 모습이 황홀하게도 제 눈 속에 어려 있었답니다. 것이다.

배꽃에 두견새 우는 소리며, 오동나무에 밤비 내리는 소리를 서글퍼 차

10 마 들을 수 없었어요. 뜰 앞에 가녀린 풀이 돋아나고 하늘가에 외로운

구름이 날리는 모습 역시 서글퍼 차마 볼 수 없었지요. 병풍에 기대앉 《운영전》의 글쓴이는 두 사람의


편지로 무엇을 나타내려고 한
기도 하고 난간에 기대서기도 하여 가슴을 치고 발을 구르며 하늘에 호
것인지 생각해 보자.

소해 봅니다. 낭군 또한 저를 생각하고 계셨는지요? 다만 한스러운 것

은 이 몸이 낭군을 만나 보기도 전에 돌연 죽지 않을까 하는 것이어요.

15 그리된다면 천지가 다한들 가슴속 정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요, 바다가

마르고 바위가 문드러진다 해도 품은

한은 사그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 작자 미상, 박희병・정길수 옮김, 《사랑의 죽음》

2. 주제 통합적 읽기 25
2 사랑의 역사
김용희

고대 로마에서는 정열적인 사랑에 빠진 사람을 사회적


무능력자로 치부하고 치료해야 할 불길한 사람으로 여겼다. 중
세가 되면 오늘날 생각하는 낭만적 사랑에 대한 관념이 나타난
다. 용맹한 기사가 용으로 둘러싸인 성에 갇힌 공주를 구해 내고 사랑에 빠져 결
혼하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이러한 기사와 공주의 사랑 이야기를 ‘로망’이라 불렀 5

는데 이것이 근대에 와서 ‘노블’, 즉 소설 형식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17세기 전까지 사랑과 결혼은 신분에 의한 의무와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었다. 결혼은 사랑에 따른 것이 아니라 권력의 결합에 가까웠다. 하지만 17세기
결혼은 사랑이 아니라 권력의
결합이라는 주장에 대한 나의 이후 신분 계급의 구속이 느슨해지고 신분이 아닌 ‘개인’의 권리와 자유가 강조되
생각을 말해 보자.
었다. 비로소 개인이 중시되는 사랑의 형태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이것이 오늘날 10

우리에게 알려진 ‘낭만적 사랑’의 실체이다.


사랑은 근대 부르주아 사회에서 신흥 종교로 부상했다. 당시 사람들은 어느 하
나 확고한 것 없이 요동하는 피곤한 현실에서 자신을 배신하지 않을 것은 ‘진정한
사랑’뿐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낭만적 사랑이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초월적 자기
승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것으로 생각했다. 사랑을 함으로써
으로써 15

‘불완전한 나’는 ‘완전한 우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낭만적


만적
사랑은 사랑을 하면서 자기 영혼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고
부상(浮上) 어떤 현상이 관심의 완전한 전체가 될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대상이 됨.
누군가를 만나 과거보다 더 완전한 인간이 되었다는 기쁨을
쁨을
승화(昇華) 어떤 현상이 더 높은
상태로 발전하는 일. 느끼게 되는 감정, 이 사랑의 감정에서도 성별의 차이가 존재 20

페미니스트(feminist) 성별로
한다. 여성은 사랑의 관계에서 늘 수동적이며 구원을 ‘기다

인해 발생하는 차별을 없애자고
주장하는 사람. 리는’ 존재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1792년 페미니스트

26 Ⅰ. 독서의 본질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여성 권리 옹호〉에서 이제 여성은 사랑을 기다리는 수동
적 객체가 아니라 직접 자신의 개성을 가지고 사랑의 대상을 선택하는 주체로 나
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제 사랑은 단순히 우연에 바쳐지는 것이 아닌 개인의 적극
적인 선택 문제가 되었다.
5
현대 사회의 사랑과 결혼에서 남녀의 성 역할에 대한 기대는 일치하지 않는다.
현대 사회에서 사랑과 결혼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남성은 결혼과 동시에 낭만적 감정을 공유하기보
자본주 동상이몽의 현장이라고 표현한
이유가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다는 일터의 사냥꾼으로 살아야 하는 운명을 지녔다. 그렇기에 결
혼하는 순간 남성은 ‘순결하고 헌신적인 어머니나 누이’의 모습
을 여성에게 기대하며 자신에게 헌신해 주기를 요구한다. 이에
10
반해 여성은 결혼 후에도 드라마 속 주인공처럼 깜짝 행사와 사랑스
러운 체험을 하게 해 줄 남성을 꿈꾼다. 현대 사회에서 사랑과 결혼
은 동상이몽의 현장이 되는 것이다.
현대인들은 점점 사랑의 열정을 소모적인 것이라고 낙인찍으
려 한다. 현대 사회는 훨씬 복잡해졌고, 현대인들은 훨씬 바쁘고
15
피곤해졌다
피 해졌다. 그래서
래서 현대에는 사랑을 좀 더 유용한 것으로 변모시키려 하는 경향
이 나타난다. 사랑을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찾고 상대를 통해 자아를 확산해 가는
방식의 사랑이 그것이다. 사랑은 자기 자신을 인정받음으로써 삶의 의미를 찾게
메리 울스턴크래프트(1759~
된다. 사랑의 감정과 사랑하는 상대는 곧 자신을 발견하는 ‘거울’인 셈이다. 1797) 영국의 작가이자 철학
자. 여성의 교육적ㆍ사회적 평등
현대인은 점차 낭만적인 환상에서 벗어나 개인화에 의한 자아실현을 추구하고 을 주장하였다.
20
있다. 그러나 개인주의와 자기애가 심해지는 현대 사회에서도 사랑에 대한 열망
은 식지 않을 것이다. 동상이몽의 결혼 제도라 해도 그것이 시사하는 사랑의 유대
나 소속감은 포기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사랑이야말로 지루한 일상에서 낭
만적 환상과 자아의 실존적 의미를 발견하게 하는 유일한 것이기 때문이다.

Ӑ९੃࣑ъ

김용희(1963~ ) 소설가, 문화
평론가. 여성주의에 대한 지속
적인 관심을 보여 주고 있다. 주
요 저서로는 평론집 《페넬로페
의 옷감 짜기-우리 시대 여성
시인》, 장편 소설 《란제리 소녀
시대》 등이 있다.

2. 주제 통합적 읽기 27
3 사랑에 대한 오해

정재승

영어 사전에서는 사랑을 ‘상대에게 끌려 열렬히 좋아하거나 애착을 느끼는 감


정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사랑에 빠진 연인들의 뇌를 연구하는 신
경 과학자들은 이 정의를 조금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더없이 간결한 이 사랑
의 정의에서 그들의 심기를 건드린 단어는 바로 마지막에 붙은 ‘감정’이다.
과학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과연 사랑을 감정의 한 종류로 보는 것이 타당할 5

까? 이 질문에 대해 신경 과학자들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신경 과학자들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사랑이란 감정’이라는 일상적인 표현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러면
서 사랑이 만약 감정이라면, 사랑을 표정으로 나타내 보라고 주문한다.
사랑은 감정의 한 종류가 아니 우리는 기쁘고 슬프고 분노하고 즐거운 감정을 얼마든지 표정으로 표현할 수
라는 의견에 대한 자신의 생각
있으며, 남의 표정을 보고 상대방의 그런 감정 상태를 읽을 수도 있다. 설령 미국 10
을 말해 보자.
사람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어린아이라 하더라도 찡그리는 미국인의 표정을 보
고 그가 화가 났다거나 슬프다는 감정을 읽을 수 있다. 이렇듯 인간은 자신의 원초
적인 감정을 표정이나 몸동작으로 나타내고 그것을 읽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
고 있지만, 공교롭게도 사랑에 대응되는 표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무도 사랑에
빠진 표정을 명확히 지을 수는 없다. 우리는 친구나 동생에게 연인이 생기면 그 사 15

실을 다양한 행동을 보고 알아차릴 수는 있지만, 표정을 보고 읽어 낼 수는 없다.


사랑은 반드시 행동을 동반한다는 점에서도 여느 감정과 구별된다. 우리는 슬
프거나 기쁜 감정 상태가 행동으로 표출되지 않고 마음에 간직된다고 해서 감정

공교(工巧)롭다 생각지 않았거 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지 않지만, 사랑은 다르다. 사랑이라는 상태는 사랑하는 상
나 뜻하지 않았던 사실이나 사
대방에게 모든 것을 집중시키며, 그와 함께하고 그를 얻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20
건과 우연히 마주치게 된 것이
기이하다고 할 만하다. 행동을 수행하도록 만든다. 일련의 행동에 뚜렷한 목적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런

28 Ⅰ. 독서의 본질
점에서 사랑은 감정이라기보다는 욕구나 동기에 더 가깝다.
결정적으로, 사랑하는 사람의 뇌 활동 사진을 찍어 보면 사랑은 우리 뇌 안에서
감정을 관장하는 영역에서 처리되지 않고 욕구나 동기를 관장하는 영역에서 처리
된다.
5 사랑을 연구하는 신경 과학자들은 다른 심리 상태와 마찬가지로 사랑이라는 욕
망도 뇌에 있는 특정한 화학 물질과 신경 회로 때문에 생겨나는 보편적인 마음 상
태라고 믿는다. 사랑하는 연인들을 자기 공명 영상기[MRI] 안에 집어넣고 그들의
뇌를 찍은 최초의 연구자 헬렌 피셔는 사랑에 빠진 수십 명의 연인들에게 상대방
의 사진을 보여 주면서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어디로 피가 몰리고 에너지가 활
10 발히 소모되는지 관찰했다. 놀랍게도 사랑에 빠진 연인들은 마치 마약에 빠진 사
람처럼 보상 중추라는 영역에서 활발한 반응을 보였다. 도파민이라는 신경 전달
헬렌 피셔(1945~ ) 미국의 교
물질이 마구 분비되는 것도 관찰됐다. 사랑이란 고귀한 마음 상태도 생물학적인 수, 인류학자. 사랑의 감정을 연
구하는 세계적인 과학자이다.
뇌 활동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파민(dopamine) 신경 전달
도파민과 함께 노르에피네프린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도 늘어난다. 이 물질의 하나. 신경 세포의 흥분
전달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
15 화학 물질이 체내에서 늘어나면 사람은 혈기 왕성해진 신체, 신경과민, 불면, 식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욕 상실, 떨림, 두근거리는 가슴, 가빠지는 호흡, 고민과 두려움을 경험하게 된 신경 전달 물질의 하나. 집중력
과 반응 등을 담당하는 뇌의 영
다. 놀랍게도 이 모든 증세는 우리가 사랑에 빠졌을 때 흔히 관찰되는 증세가 아
역에 작용하여 심박동 수를 증
니던가. 가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2. 주제 통합적 읽기 29
세로토닌(serotonin) 혈액이 인간이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기억하고 의식하는 모든 행동은 생물학적인 뇌
응고할 때에 혈관 수축 작용을
하는 물질. 일반적으로 행복을 를 통해 설명될 수 있으며, 낭만적 사랑 또한 1.3 킬로그램에 지나지 않는 이 단백
느끼는 데에 영향을 준다고 알
질 덩어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얘기다.
려져 있다.

부산물(副産物) 어떤 일을 할 때 물론 사랑이 특정한 신경 전달 물질과 신경 회로의 작동을 반드시 동반한다고


부수적으로 생기는 일이나 현상.
해서, 그것으로 사랑을 완벽히 설명할 수 있다고 믿는 과학자는 그리 많지 않다. 5

사랑하는 동안 과도하게 분비되는 도파민이나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이 사랑의 원인인지 결과물인지, 혹은 그저 부산물인지는 아직 아
무도 모른다. 다만 확실한 것은 사랑을 하는 동안 우리가 보이는 많은 비정상적인
행동을 이 신경 전달 물질의 평소 역할로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 정재승, 《사랑》

Ӑ९੃࣑ъ

정재승(1972~ ) 과학자. 선
택의 순간에 뇌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연구하고 있으며,
누구나 즐겁고 쉽게 읽을 수 있
는 과학 서적을 다수 집필하였
다. 주요 저서로 《과학 콘서트》,
《크로스》 등이 있다.

•ࢻಘਾӐਲੇӗੳґੇ਱ഫ‘࢈‫׺঺’ۆ‬೚࢞й੃঩‫چ‬ѫ‫ھ׭‬ઈ‫ב‬ો݂ೡ߻ੑ

30 Ⅰ. 독서의 본질
1 〈‘사랑’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1 의 편지 내용을 통해 김 진사와 운영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말해 보자.

김 진사와 운영은

을/를 느끼고 있다.

(2) 2 에서 설명하고 있는 낭만적 사랑의 의미를 말해 보고, 그것이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사랑과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 보자.

사랑의 의미

낭만적 사랑이란
중세

현대 현대인의 사랑이란

(3) 3 에서 과학자들이 ‘사랑’에 대해 정의하고 있는 주장의 근거를 찾아 써 보자.

주장 사랑은 감정이 아니다.


•사랑은 표정으로 나타낼 수 없다.


근거 •

2. 주제 통합적 읽기 31
2 ‘사랑’에 대한 관점을 비교하는 활동을 해 보자.

(1) 세 편의 글에서 ‘사랑’이라는 동일한 화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글의 관점과 내용을 정리해
보자.

1 2 3
사랑의 편지 사랑의 역사 사랑에 대한 오해

글의 관점 문학적 관점 ( )적 관점 과학적 관점

사랑은 상대에 대한 간절
내용
한 그리움을 유발하는
하 순
이다.
수하고 고귀한 감정이다.

글을 읽고 (2) 〈보기〉를 참고하여 세 편의 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말해 보자.


통합적으로 이해하여 자
보기
신의 관점을 세워 볼 수
있도록 해 보자. •자신이 공감하는 부분이 있는가? 있다면 어떤 것인가?

•자신의 의견과 다른 부분이 있는가? 있다면 어떤 것인가?

32 Ⅰ. 독서의 본질
‫ج‬
ഗ

3

సೞ
‘사랑’에 대해 주제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활동을 해 보자.

(1) 세 편의 글에 나타난 관점 외에 또 다른 ‘사랑’의 관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다양한 매체를 이


용하여 찾아보자.

•분야: 환경
생태학
•매체: 영상
•사랑을 보는
관점: 제인 구
달은 영국
의 환경 운동
가이자 동물학
그녀는 평생 동 자이다.
물인 침팬지를
으로 돌보며 연 사랑
구하였다.

(2) (1)의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사랑’은 무엇인지 간략히 정리해서 발표해 보자.

(3) ‘사랑’에 대한 친구들의 생각을 자신의 생각과 비교해 보자.

성찰•계
소단원 기
료•
정보 활

창의적

੹ܵ
੹ 적•
비판

사고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스스로 점검해 보자. 정답•242쪽

1. 다음은 주제 통합적 읽기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책이나 글은 다른 책이나 글과 여러 면에서 관련성을 맺는데, 이것을 (이)라고 한다.

2. 〈‘사랑’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의 내용을 떠올리며,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보자.


① 〈사랑의 편지〉에서는 적 관점에서 ‘사랑’을 인간의 순수한 감정으로 보고 있다.
② 〈사랑의 역사〉에서는 적 관점에서 ‘사랑’이라는 개념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③ 〈사랑에 대한 오해〉에서는 적 관점에서 ‘사랑’이 감정이 아니라 생물학적 뇌 활동에 의한 욕구나 동기
에 가깝다고 설명하고 있다.

2. 주제 통합적 읽기 33
ӗ
೚೙

책 선정하기

이번 시간에는 모둠을 정하여 자신이 읽고 싶


은 책을 스스로 골라 봅시다.

책 선정하기 자 그럼, 먼저 자유롭게 4~6명 정도로 모둠을


구성해 봅시다.

책 읽고
독서 일지 쓰기 ①
•활동 방법

1 모둠 정하기 2 읽을 책 추천 3 책 선정 기준표 4 모둠별 책 5 모둠별 활동


책 읽고 및 탐색하기 활용하기 선정하기 내용 공유하기
독서 일지 쓰기 ②

개인별 독후 활동 1 모둠 정하기 | 관심사나 흥미가 비슷한 친구들과 모둠을 구성하고 각자의 역할을 정해
보자.

঩‫ݸٽ‬ੲਯ۷঩‫ٽ‬
모둠별 독후 활동 ਅܵਾғद࢈‫"ב‬ ടਾӗ۸਱
ࢹѴਾଶਲੇਲӣ"
੅Ҽ"ഖѽ" ָи೛ӣ"

책 선정에 앞서, 선생님이 준비한 책과 각자 가지고 온 책을 모아 놓


고 어떤 책을 읽을지 이야기해 봅시다.

2 읽을 책 추천 및 탐색하기 |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스스로 읽고 싶은 책을 찾아보자.

선생님 추천 참고하기 인터넷에서 검색하기 학교 도서관에서 찾기 기타

34 Ⅰ. 독서의 본질
3 책 선정 기준표 활용하기 | 다음의 책 선정 기준표를 활용하여 자기에게 맞는 책을 골라 보자.

책 선정 평가 결과
선정 기준
요소 예 아니요

모둠에서 정한 목표에 맞는가?

목적의
서평, 도서관 대여 순위, 전문가 의견 등을 확인했을 때 책의 평판은 좋은가?
부합성

서문과 목차 등을 살펴보았을 때 독서의 목적에 부합하는가?



ଶਾ
ଶਾ঩ഽࣵભ੃
ਾ ঩ഽ
ഽࣵભ
ࣵભ
ࣵભ੃ ଶ‫૽ه‬ਾࢬಝਲ
ਾࢬಝ
ࢬಝਲ
՛঺ѫੲೞ೚и"उਇи" ੇ঩߻‫ב‬Ѥ‫آ‬ખ‫ר‬
঩۪ਇи" 책의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ਲࢍಗ߾‫ר‬
책의
서평, 전문가의 의견 등을 참고했을 때 책의 수준은 적절한가?
수준

책의 내용을 미리 읽어 보았을 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가?

책의 분량이 적절한가?
한 학기 ફ঩્‫ࢬأ‬ഗ‫ج‬ӗк঺ੇӗ঺
한 권 읽기의 함께 읽기에 적절한가? ੲੴ೚ࠓۗ੅ો‫ܭ‬٨ઃ߾‫ר‬

ੲੴ
ੴ೚
೚ࠓۗ
ࠓۗ੅
적합성
인터넷 서점, 도서관이나 일반 서점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책인가?

책을 선택하지 못한 학생은 자신과 독서 수준이나 관심사


가 비슷한 친구가 선택한 책이나 친구가 자신에게 추천한 책 가운데
에서 선택하여 읽을 수도 있다.

՛‫ב‬೚фਾ
t࣑֓੃৛‫ר‬u‫בھ‬ଶ঺ֺӛ੃и
ଶਾࠓۗ੃૽լ৵۷ӛોঅঁੲ‫׶‬ ੃ଶਾ઴кଞਲಗࢬ
೘҄,ೝԅੇ҄࢞йೡ߿੶੃݀ঁ߻ূ ੇ঩߻঍؄‫מ‬ੑ৅ग‫۝‬ѫੇ൞҄,
ઋӒ঩‫ۯ‬ѫ‫׏‬ԋોӗ‫ב‬೘ોܿੇਲ
ܿ೨঩ਾ‫ࠓࠑ׺آޱ‬
੃ೡ೛੍ࣵ঵঩

한 학기 한 권 읽기 35
4 모둠별 책 선정하기 | 3 에 따라 각자 읽고 싶은 책의 순위를 정해 보고, 모둠별로 책을 선정해 보자.

학년 반 번호 모둠: 이름: 작성 날짜:

1. 선택한 책 ① 책 제목:

② 글쓴이:

③ 책의 분야 및 유형:

2. 책을 선택한 이유:

5 모둠별 활동 내용 공유하기 | 모둠별로 선정한 책의 목록을 정리해 보고, 활동 내용을 공유해 보자.

모둠
책 제목 글쓴이 분야 책을 선택한 이유
이름

최근 화제인 인공 지능을 쉽게 설명하고


1모둠 뇌를 바꾼 공학, 공학을 바꾼 뇌 임창환 과학
있다.

우리 모둠에서는 각자 선정한 책을 매주 ( )요일 수업 시간마다 ( )시간/분 동안


앞으로의 계획
( )쪽 정도 읽고 독서 일지를 쓰려고 한다.

36 Ⅰ. 독서의 본질
լ਄੶Ѣ೘ӗ 이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점검해 보자.

관련 단원 점검 내용 자기 평가

•어떤 책이 좋은 책인지 선택할 수 있는가?

1. 독서의 준비 •독서의 목적이나 글(책)의 가치 등을 고려하여 읽을 수 있는가?

•독서의 상황과 여러 가지 독서 방법을 적용하여 읽을 수 있는가?

•비교하여 읽을 만한, 주제가 같고 형식이 다른 글을 찾을 수 있는가?


2. 주제 통합적 읽기
•다양한 관점의 글을 비교하여 읽고, 자신이 해결하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ࢬਫ਼ 이 단원과 관련하여 더 읽고 싶은 책이 있으면 찾아서 읽어 보자.

꼭 ੇ҄प਱ଶ
운영전

수레바퀴 ‫ܭػݷ‬
아래서 ਞ೚ 이 단원에서는 나에게 필요한 책을 선택하고 주제 통합적으로
페미니즘 읽는 방법을 배웠어.
배웠어
어. 그래서 나는
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가지 다른 책을 더 찾아볼
찾아 거야.

1.4
킬로그램의 ࢬਫ਼‫ܭ‬ ࢬਫ਼‫ܭ‬
우주, 뇌 ଵਏફࢻ৽ ଵਏફࢻ৽

단원 정리하기 3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