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01 다독은 많은 책을 읽는 것을 뜻한다.

‘옛날에는 다독이 기본
정답과 해설 경전을 여러 번 읽고 또 읽어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을
뜻했다.’로 볼 때 여러 번 반복해서 읽는 것은 옛날의 다독의
의미이다.

02 장사꾼은 아이가 고운 구슬을 얻고도 나르는 방법을 몰라 다


잃어버린 상황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구슬을 체계적으로 꿰어

1 읽기와 쓰기로 세상을 보다 나르는 방법을 알려 주고 있다.

03 ㉠은 구슬을 체계적으로 꿰는 방법으로, 이는 갈래와 체계를

1 구슬 꿰기와 꼬리 물기 독서법 세워 글을 읽는 방법을 비유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확인하기
본문 10~13쪽
04 | 예시 답안 | •속담: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뜻: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그것을 다듬고 정리하여 쓸모 있
01 ⑤ 02 ③ 03 ① 04 ①
게 만들어야 가치가 있다는 의미이다.
05 예시 답안 참조

01 소리 내서 읽기를 통해 우리는 언어의 리듬을 느낄 수 있고, 05 정약용이 아들 정학유에게 보낸 글에서 ‘조제에 대한 탐구’를
예시로 들어 꼬리 물기 독서법을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이는 글쓰기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돕고 있다.
02 갈래와 체계를 세워 읽지 않으면 책 목록만 추가되는 것일 뿐,
책에서 얻은 지식은 금세 사라지기 때문에 갈래와 체계를 세 06 정약용은 꼬리 물기 독서법에 관해 설명하며, 어렵거나 의문
워 읽는 구슬 꿰기 독서를 해야 한다. 이 드는 부분이 생기면 파고들어 다른 문헌이나 자료를 찾아
의문을 해결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③은 어려운 내용을 되풀
03 꼬리 물기 독서를 할 때에는 독서를 하다가 이해가 안 가거나
이해서 읽으라는 것으로. 다른 자료를 찾아 읽어 보는 꼬리 물
걸리는 내용이 있을 때, 그에 관해 따져 보고 판단해 보는 자
기 독서법과는 거리가 멀다.
세가 필요하다.

04 ㉠은 ‘어떤 방향으로 따라오거나 동참하도록 유도하다.’의 의 07 | 예시 답안 |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고, 해당 분야의

미로 쓰였다. 이와 같은 의미로 쓰인 것은 ①이다. 권위자라 할 만큼 지식을 쌓을 수 있음.


| 오답 풀이 | ② ‘이름이나 명단을 소리 내어 읽으며 대상을 확
인하다.’의 의미이다.
08 ⓐ는 ‘어떤 일이나 문제를 소홀히 여겨 그냥 지나치다.’의 의
미로 쓰였다. 이와 유사한 의미로 쓰인 것은 ②이다.
③ ‘청하여 오게 하다.’의 의미이다.
| 오답 풀이 | ① ‘어떤 상황이 별일 없이 지나가다.’, ③ ‘다음
④ ‘남이 자신의 말을 받아 적을 수 있게 또박또박 읽다.’의 의
순서나 시기, 또는 다른 경우로 옮아가다.’, ④ ‘종이나 책장 따
미이다.
위가 젖혀지다.’, ⑤ ‘일정한 기준이나 한계 따위를 넘어서 지
⑤ ‘값이나 액수 따위를 얼마라고 말하다.’의 의미이다.
나다.’의 의미이다.
05 | 예시 답안 | 잘 몰랐던 내용이 친숙해지고, 그 내용에 대한 좋
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게 되다 보면 전문가의 반열에 이를 수 09 관심 있는 분야에 관해 깊이 있게 알고 싶을 때는 (가)에서 말

있다. 한 넓어지면서 동시에 깊어지는 독서 방법이 적절하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20~23쪽
10 (나)에서 글쓴이는 ‘시를 읽으면서 인생의 모든 의미를 깨닫겠
다고 하는 순간 머리가 아파 온다. 불가능한 것을 하려 들기
01 ② 02 ④ 03 ④ 04 예시 답안 참조 때문이다.’라고 말하였다. 즉 (나)에서 말하는 즐거움을 얻는
05 ① 06 ③ 07 예시 답안 참조 08 ②
독서 방법은 시를 통해 인생의 의미를 깨닫고자 하는 것이 아
09 ④ 10 ②
니라, 시를 읽으며 마음의 울림에만 귀 기울이는 것이다.

392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392 18. 2. 26. 오후 4:31


과 자신의 독서법(내용 선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내용 전
2 책은 도끼다 개 방식) 이야기하고 있다.
본문 26~31쪽
확인하기 02 글쓴이는 한 문장 한 문장을 꼭꼭 눌러 읽고, 책을 읽으면서
01 ⑤ 02 ③ 03 예시 답안 참조 04 ③ 좋은 부분, 감동받는 부분들에 줄을 치고 책을 읽은 후에 이를
05 ④ 06 ④ 옮겨 놓는 작업을 한다고 하였다.

01 글쓴이는 자신의 독서 경험을 내세워 독서가 삶과 직업에서 03 글쓴이는 이철수의 책을 접하고, 자신이 그동안 지나쳤던 것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말하고 들을 바라보는 세심한 시선들이 자신을 사로잡았다고 하였
있다. 다. 즉 자신이 기존에 보던 방식과는 다르게 세상을 보도록 시
야를 넓혀 주었기 때문에 이철수의 책을 소개하는 것이다.
02 이 글은 수필로, 수필을 읽을 때 독자는 작가의 개성 있는 글
에서 감동과 깨달음을 얻게 된다. 따라서 ①, ②, ④, ⑤와 같 04 | 예시 답안 | 글쓴이는 독서를 통해 창의성을 개발하고 그것으

은 태도로 읽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 자신의 직업인 광고 만들기에 도움을 받기 때문에 책 이야


기를 한다./독서가 글쓴이의 직업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03 | 예시 답안 | ㉠: 꽃이 놓고 간 작은 선물, ㉡: 시선(관점)

05 이철수의 판화집에 나오는 여러 작품을 열거하며 그 작품을


04 글쓴이는 이철수의 책을 읽으며 자연을 통해 인간세상을 바
통해 글쓴이가 갖게 된 생각들을 드러내고 있다.
라보는 시야를 넓히고 있다.

05 글쓴이는 풍요로운 삶을 성공한 삶과 대비하여 순간의 감동 06 글쓴이는 이철수의 판화집을 보면서, 작품에 등장하는 자연
물을 인간의 입장이 아닌 자연물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게 되
이 쌓인 풍요로운 삶을 추구한다.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를
었다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인간과 세상을 다른 관
희생하는 삶은 피폐하다고 말한다.
점에서 보며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고 말하고 있으므로, 이런
06 글쓴이는 풍요로운 삶을 위해 감동과 깨달음을 주는 독서를 의미를 담은 글로 적절한 것은 ③이다.
권유한다. 감동과 같은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이 풍요로
운 삶이자 행복한 삶이다. 07 연암의 ‘선독서자’는 독서를 통해 작가의 지혜를 배우고 그것

| 오답 풀이 | ① 이 글에서 시청과 견문은 상반되는 의미로 쓰 으로 독자가 현실에서 마주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응

이고 있으며, 글쓴이는 견문을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용하는 능동적인 독서 태도를 말한다. 이와 같은 태도로 이철

② 글쓴이는 행복은 순간에 있으며 순간의 합이 곧 삶이 된다 수의 작품에 보일 반응으로 적절한 것은 ①이다.


| 오답 풀이 | ② ㉠을 통해 내적 성숙을 이루어 때에 맞게 스스
고 하였다.
③ 독서는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 어려운 현실 로 끝맺음을 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다.

을 도피하게 하는 방법은 아니다. ③ ㉡을 통해 최선을 다한 과정을 무시한 채 결과만으로 판단

⑤ 글쓴이는 삶의 풍요는 감상의 폭이라고 하였다. 즉 글쓴이 하면 안 됨을 배울 수 있다.

가 말하는 풍요로움은 물질적인 것이나 여유 있는 삶을 의미 ④ ㉢을 통해 결실은 희생을 통해 이루어짐을 배울 수 있다.

하지 않는다. ⑤ ㉣을 통해 어려움을 인내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다.

08 글쓴이는 풍요로운 삶을 성공한 삶과 대비하여 울림(감동과


깨달음)이 쌓인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39~42쪽 그리고 이렇게 풍요롭기 위해서는 감상하는 훈련이 되어 있


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01 ⑤ 02 ⑤ 03 ⑤ 04 예시 답안 참조
05 ② 06 ③ 07 ① 08 ② 09 ③ 09 감동이나 깨달음, 울림이 없는 ‘시청’에 해당하는 태도를 보이
10 예시 답안 참조 는 것은 ③이다.

01 글쓴이는 책이나 독서에 관심이 있는 사람(예상 독자)에게 자 10 | 예시 답안 | 감동과 깨달음이 있는 독서로 삶을 풍요롭게 하
신의 독서법을 알려 주기 위해(목적), 자신에게 울림을 준 책 자.(풍요로운 삶을 위해 울림이 있는 독서를 하자.)

정답과 해설 ◀
393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393 18. 2. 26. 오후 4:31


2
| 오답 풀이 | ① 고향을 떠나 있는 쓸쓸한 화자가 흰 바람벽을
문학의 여러 빛깔 보며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삶을 떠올리는데, 떠올린 장면을
한 편의 영상물처럼 그려 내고 있다.

1 별 헤는 밤 ② ‘좁다란 방’, ‘흰 바람벽’, ‘희미한 십오촉 전등’, ‘지치운 불빛’


등의 이미지들은 선명한 인상을 남기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본문 48~49쪽
확인하기 ③ ‘~간다’, ‘~헤매인다’, ‘~ 있다’ 등의 현재형 시제를 사용함
01 ② 02 ① 으로써 외롭고 고단한 화자의 내면세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
고 있다.
01 별을 보며 화자는 유년 시절의 아름다웠던 추억과 대상들을
④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와 ‘내 사랑하는 사람’, ‘저녁을 먹는
그리워하고 있다. 따라서 ‘청춘’을 절망적인 시간이 아닌, 아
다’, ‘이러한(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등의 시구를 반복적으
름다웠던 시간으로 인식하고 있다.
로 사용함으로써 홀로 고단하게 지내는 상황에서 느끼는 여

02 화자는 현재의 삶에 부끄러움을 느끼며 자신의 삶을 성찰하 러 가지 상념들과 그리움, 고결한 삶에 대한 지향과 자기 위안
고 있다. 을 부각하고 있다.
| 오답 풀이 | ② 화자는 현재의 삶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있다.
04 (나)의 화자는 벽에 떠오르는 글자를 보며 자신의 지난 삶을
③, ④ 화자는 새로운 미래에 대한 희망과 의지를 다짐하고 있
성찰하고 있다. 흰 바람벽에 떠오르는 글자는 화자의 내면으
다.
로 볼 수 있는데, 화자는 사색과 성찰을 통해 가난하고 외롭지
⑤ 현실에 순응하는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있지만, 다른 사람
만 정신적 고결함을 잃지 않고 살아가려는 의지를 드러내며
들을 냉소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지는 않다.
운명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05 발상과 표현 면에서 [A]는 감정 이입(투사)으로서, 화자가 암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55~57쪽 울한 현실 상황에서 부끄러운 삶을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에

01 ② 02 봄 03 ⑤ 04 ① 05 ⑤ 서 느끼는 슬픔을 자연물인 ‘벌레’에 옮겨 표현한 것이다. 이


06 ③ 07 ⑤ 와 유사한 발상과 표현이 드러나는 것은 ‘지아비’와 헤어지고,
‘어린 딸’까지 잃어 현실적 고뇌와 슬픔에 잠겨 있는 ‘여인’의
01 (가)에서는 화자가 ‘별’이라는 자연물을 통해 어머니와 많은 심정이 ‘산 꿩’에 이입된 ⑤이다.
사람들을 회상하고 있다. (나)에서도 화자가 ‘흰 바람벽’을 매 | 오답 풀이 | ① 청각적 이미지와 후각적 이미지를 통해 아늑
개물로 활용하여 어머니와 사랑하는 여인을 떠올리고 있다. 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따라서 두 작품은 회상의 매개물을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하 ② ‘침묵이 말을 한다’는 역설적인 표현이다.
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③ ‘뽕나무 뿌리가 산호(珊瑚)가 되도록’이라는 불가능한 사실
| 오답 풀이 | ④ 계절적 배경을 통해 현실 상황을 상징적으로 (조건)을 내세워 ‘백 번이나 단련한 금(金)결’처럼 고귀하고 순
나타낸 것은 (가)에만 해당한다. 수한 임을 송축(頌祝)하고 있다.
④ ‘흰나비’를 ‘공주(公主)’에 비유하여 순수한 생명을 억압하
02 이 작품이 쓰인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10연의 ‘겨울’은 암
담한 일제 식민지의 상황을, ‘봄’은 조국의 광복을 의미한다고 는 냉혹한 세계에서 받은 치명적인 상처와 그로 인한 고통을

볼 수 있다. 강조하고 있다.

03 (나)에서 ‘초생달’, ‘바구지꽃’, ‘짝새’, ‘당나귀’ 등의 자연적 대 06 ㉢은 화자의 ‘어머니’가 계시는 곳으로, 물리적 거리감이 멀게
느껴지는 만큼 그리움의 정서도 그만큼 심화되고 있다. 그리
상들과, ‘프랑시쓰 쨈’, ‘도연명’, ‘라이넬 마리아 릴케’ 등의 시
고 5연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 마디씩 불러 봅니
인들은 시적 화자가 동질감을 느끼는 존재들이다. 화자는 이
다.’라는 진술을 통해 시적 화자가 경험했던 과거는 긍정적인
러한 대상들의 열거를 통해 현실적 어려움 속에서도 정신적
삶의 세계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결함과 순수성을 잃지 않고 살겠다는 의지를 강조하고 있
다. 자연적인 대상들을 열거하여 현재 삶을 비판하고 있다는 07 (나)의 흰 바람벽은 화자의 생각이 스크린처럼 비춰지는 공간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이다. (나)의 흰 바람벽에 다양한 회상의 영상들이 비치듯이

394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394 18. 2. 26. 오후 4:31


⑤의 툇마루에도 과거의 소중한 기억이 비친다. ⑤의 툇마루 07 장인은 점순이의 키가 덜 자랐다는 이유로 성례를 미루고 있
는 외할머니와 어린 나의 회상의 모습이 비춰지는 공간이다. 는데, ‘나’가 보기에 점순이는 ‘부쩍(속으로) 자란 듯 싶’다. 즉
| 오답 풀이 | ① 물방울은 삶 속에서의 나태함과 안정만을 추 ‘나’의 입장에서 다 자란 것 같은 점순이가 덜 자랐다고 말하
구하는 마음을 뒤흔드는 폭포수이다. 며 성례를 미루는 장인이 나쁘게 보일 것이다.
② 사막은 생명의 본질을 깨달을 수 있는 공간이다.
③ 거울은 화자의 모습이 반대로 비춰지는 단절의 공간이다.
08 성례 문제에 대해 ‘나’의 이야기에 수긍하던 구장은 장인의 이
야기를 듣고 말을 바꾸고 있다. 그러므로 한 입으로 두 말을
④ 겨울 바다는 힘든 상황 속에서 다시 시작하는 인고의 마음
한다는 뜻을 지닌 ‘일구이언(一口二言)’이 적절하다.
이 일어나는 재생의 공간이다.
| 오답 풀이 | ② 호가호위(狐假虎威)는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
를 부림을 뜻한다.
③ 주마간산(走馬看山)은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
는 뜻으로, 자세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이다.
2 봄·봄
④ 배은망덕(背恩忘德)은 남에게 입은 은덕을 저버리고 배신
본문 60~70쪽
확인하기 하는 태도가 있음을 뜻한다.

01 나: 나이, 장인: 키 02 ③ 03 ① 04 ③ ⑤ 허장성세(虛張聲勢)는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

05 ① 06 예시 답안 참조 07 ④ 08 ① 세를 부림을 뜻한다.
09 주먹질을 하다 등잔까지 쳤다. 10 ② 11 ②
09 인물의 성격은 말이나 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
12 이 녀석의 장인님 13 예시 답안 참조 14 ⑤ 다. ‘나’와 이야기를 하는 동안 뭉태의 급하고 다혈질적인 성
격을 짐작하게 해 주는 행동을 찾으면 된다.
01 ‘나’가 나이가 찼으니 성례를 시켜 줘야 하지 않느냐고 장인에
게 이야기하자, 장인은 “성례구 뭐구 미처 자라야지!”라고 말 10 데릴사위들이 달아난 이유는 장인이 ‘심히도 부려 먹’었기 때
하고 있다. 문이다.

02 점순이의 키가 자라면 성례시켜 준다는 장인의 말만 믿고 돈 11 ‘구장님의 설득’은 ‘나’와 장인의 갈등을 완화시키는 구실을 한
한 푼 안 받고 3년 7개월 동안 일을 하고 있는 점, 키가 얼마나 다.
자라야 한다는 기준도 모르고 기다리고만 있는 점 등에서 ‘나’
12 ‘이 녀석’이라는 비하와 ‘장인님’이라는 존칭어는 서로 모순된
의 어리숙함이 드러난다.
다. 이처럼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가 사용됨으로써 해학성이
03 성례를 시켜 달라며 장인과 싸우는 행위는 자신의 실속을 차 유발되고 있다.
리려는 행위이다.
13 | 예시 답안 | 터진 머리를 치료해 주고, 담배 한 갑을 주며 올
| 오답 풀이 | ③ 장인의 말에 따라 점순이와 내외를 하며 이야
가을에는 꼭 성례를 시켜 준다고 말했기 때문에
기를 하지 않는 것은 유교적 관습에 따른 것이라고 볼 수 있지
만, 내외를 하지 않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실제로 둘 14 ‘나’는 장인이 땅에 쓰러져 눈에 눈물이 도는 것을 보고 겁을
사이에 사랑의 감정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장인의 술수라 내고 있다. 이는 장인이 화가 나서 점순이와 성례를 시켜 주지
고 볼 수도 있다. 않을까 봐 걱정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⑤의 내용은 적절하지
않다.
04 장인은 혼인을 핑계로 일만 시키는 교활하고 욕심 많은 인물
이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76~81쪽

05 ㉠은 봄을 맞아 마음이 울렁거리는 ‘나’의 심리적 상황을 상징 01 ① 02 ① 03 ⑤ 04 어리숙함, 순박함


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05 ① 06 ① 07 ③ 08 ② 09 ④
10 예시 답안 참조 11 ④ 12 ④ 13 ‘나’
06 | 예시 답안 | 점순이가 깨빡을 쳐서 흙투성이가 된 밥을 아무
를 더 부려 먹기 위해 다독거리고 있다. 14 ① 15 ①
말 없이 먹은 일

정답과 해설 ◀
395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395 18. 2. 26. 오후 4:31


01 어제 장인과 싸운 사건 즉, 과거 사건을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 07 뭉태가 화를 내고 있는 대상은 ‘나’의 장인이 아니라, 소극적
할 수 있다. 현재와 과거를 교차하여 사건에 입체감을 부여하 으로 행동한 ‘나’이다.
고 있다고 할 수 있다.
08 뭉태는 ‘나’에게 세 번째 사위라는 이야기를 해 주고 있는데,
02 ‘나’가 모를 붓다가 아프다는 핑계로 일을 하지 않자 멱살을 이는 ‘나’의 처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
움켜잡고 뺨을 때리고 있다. 이로 보아 참을성이 없고 성격이 다. 또한 장인이 ‘아들은 없고 딸만 있는 고로 그 담 딸을 데릴
거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나’의 행동에 신중하게 반 사위를 해 올 때까지는 부려 먹’으려고 한다는 이야기를 하며
응한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장인의 속셈을 ‘나’에게 알려 주고 있다.
| 오답 풀이 | ② ‘나’는 아프다고 하면서 땅바닥에 주저앉은 뒤,
09 [A]에서 구장은 ‘나’의 편을 들었다가 장인의 기세에 눌려 장
장인의 얼굴을 쳐다보며 장인의 반응을 살피고 있다.
인의 편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구장의 줏대 없는 태도
③ ‘나’는 돈 한 푼 안 받고 일하기를 삼 년 하고 꼬박이 일곱
와 관련 있는 한자 성어는 망설이기만 하고 결단을 내리지 못
달 동안을 했고, 장인은 점순이의 키를 핑계로 성례를 미루고
한다는 뜻의 ‘우유부단(優柔不斷)’이다.
있다. 이는 성례를 핑계로 ‘나’를 계속 부리기 위한 것이라 할
| 오답 풀이 | ① 교언영색(巧言令色)은 ‘아첨하는 말과 알랑거
수 있다.
리는 태도를 이르는 말’이다.
④ ‘이래서 나는 애초에 계약이 잘못된 걸 알았다.’라는 ‘나’의
② 견강부회(牽强附會)는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
진술에서 장인과의 계약이 부당함을 자각하고 있음을 알 수
어 붙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함을 이르는 말.’이다.
있다.
③ 소탐대실(小貪大失)은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
⑤ “너, 이 자식, 왜 또 이래, 응?”이라는 장인의 말로 보아 이
을 이르는 말.’이다.
전에도 이와 같은 일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⑤ 각주구검(刻舟求劍)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

03 이 글의 시대상은 장인의 모습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마름 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이다.
이란 욕 잘하고~뚝뚝 떨어진다.’에서 마을 사람들이 장인을
10 | 예시 답안 | 구장 또한 장인에게 땅 두 마지기를 얻어 부치고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을 미루어
사는 소작인으로, 장인의 눈치를 봐야 해서
보았을 때 당시 지주와 마름에게 착취당한 소작인들의 삶을
짐작할 수 있다. 11 (가)에서 ‘나’는 점순이가 자신의 행동에 대해 기뻐할 것이라

| 오답 풀이 | ① ‘나’가 직접 지주와 마름에게 착취당하는 소작


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나)에서 점순이가 자신의

인들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다. 기대와 달리 장인의 편을 들자 당황해하고 있다.

② 장인이 ‘나’의 성례를 시켜달라는 요구에 핑계를 대는 것은 12 ‘나’가 자신의 어수룩함을 스스로 폭로하고 있지는 않다. 장인
‘나’를 계속 부리 먹기 위해서이다. 의 속셈을 눈치채지 못하고 장인에게 용서를 비는 모습을 통
③ ‘나’가 장인에게 반항하는 것은 개인적인 문제인 성례에서 해 어수룩함이 드러나고 있다.
비롯된 것으로, 시대의 문제와 관련된 행동으로 보기에는 거 | 오답 풀이 | ⑤ ‘나’는 장인을 ‘이까진 놈의 장인님’이라고 표
리가 있다. 현하고 있는데, 이는 낮춤 표현과 높임 표현을 동시에 사용하
④ ‘나’가 동네 사람들에게 연민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 여 독자의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04 ‘나’의 어리숙한 생각이 드러나는 부분으로, 어리숙하고 순박 13 이전의 사건 전개를 보면 장인은 매년 혼인을 시켜 주겠다고
한 성격의 ‘나’의 입장에서 사건을 전달하여 독자의 웃음을 유 약속하곤 그냥 넘어가곤 하였다. 이러한 사건을 고려할 때 이
발하고 있는 부분이다. 번의 약속도 그리 믿을 수 있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A]는 나를 다독거려 일을 더 시키겠다는 의도를 지닌 말이라
05 이 글에서 장인과 ‘나’가 갈등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점순이와
할 수 있다.
성례를 올리고 싶은 나의 욕망과 이에 대한 장인의 회피에
있다. 14 ㉠ ‘나’는 자신이 화가 났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점순이에게 잘 보이기 위해 장인의 수염을 채고 있다.
06 ‘길게 길러 둔 새끼손톱으로 코를 후벼서 저리 탁 튀기’는 구
장답지 못한 모습을 묘사하여 구장을 희화화하고 있다. 15 장인이 ‘나’를 때려서 다치게 했으나, ‘나’에게 일을 시키기 위

396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396 18. 2. 26. 오후 4:31


해 ‘나’를 달래며 위로하고 있다. 이러한 장인의 행동은 남을 05 | 예시 답안 | 머리는 사람이고 몸은 짐승인 스핑크스처럼, 회
해치고 나서 약을 주며 그를 구원하는 체한다는 뜻으로 교활 기는 머리는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하는 일은 모두 기계
하고 음흉한 자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 ‘병 주고 약 처럼 인간적인 면이 없기 때문이다.
주는 격’이다.
| 오답 풀이 | ②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없음을 이
06 회기가 결혼에 관해 ‘마음이 쏠리지 않는 일’로 표현한 것을
통해 결혼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르는 말.’이다.
상대에게 이성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은 금숙이다.
③ ‘적은 힘으로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일에 쓸데없이 많은
| 오답 풀이 | ① 금숙은 회기의 날카로운 두뇌와 손을 존경한
힘을 들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다고 말하고 있다.
④ ‘제 이익만을 따져 주견과 지조 없이 여기저기 붙음을 이르
③ 수줍어하며 회기와 대화를 나누는 금숙의 태도에서 금숙
는 말.’이다.
이 회기에게 애정을 갖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⑤ ‘더 큰 욕심을 부리다가 가진 것마저 잃음을 이르는 말.’이
④ 의술을 긍정적으로 보는 금숙과 달리, 병원 생활을 ‘벌레
다.
먹은 살덩이와 썩은 피와 약 냄새’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회기
는 병원 생활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⑤ 회기는 자신이 하는 일에 공명심이나 호기심은 느끼지만,
도의심을 느끼지는 못한다고 말하고 있다.
3 성난 기계
본문 84~91쪽 07 희곡은 등장인물들의 대사와 행동을 통해 전달되는 갈래로,
확인하기
작품 밖 인물을 통해 사건 전개를 파악한다는 진술은 적절하
01 ③ 02 기계 03 ② 04 ④ 05 예시
지 않다.
답안 참조 06 ② 07 ⑤ 08 ③ 09 상실
한 인간성의 회복 08 이 글에서는 금전적인 이유로 아내의 수술을 반대하는 냉혹
한 상현과 이러한 상현의 태도에 분노하는 회기의 갈등이 주
01 극 갈래는 서사 갈래와 달리 서술자의 개입을 배제하고 등장 로 나타난다.
인물의 대화와 행동으로 사건을 전개한다.
09 ‘기계’는 비정한 의사인 회기를 비유한 것이고, ‘성난 기계’는
02 자신의 고통을 외면하는 비정한 모습의 회기에게 인옥이 ‘선 기계가 감정을 가진다는 뜻으로, 상실한 인간성의 회복을 의
생님은 냉정하시군요…… 기계처럼…….’이라고 말하는 부분 미한다.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97~101쪽
03 인옥은 자식들(‘어린것들’)의 생계를 위해 담배 공장에서 일을
해 왔고, 그런 와중에 병을 얻었으므로 가족을 위한 삶을 살아 01 ② 02 ② 03 ⑤ 04 의사를 불신하는 태
왔다고 볼 수 있다. 도를 보임. 05 ⑤ 06 ③ 07 ③ 08 귀중
한 생명을 건져 내는 것 09 ⑤ 10 ⑤ 11 ④
04 금숙은 회기의 별명을 이야기하고 있을 뿐, 회기에게 실망하
12 ① 13 ① 14 ⑤ 15 기계가 노하셨네요.
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 오답 풀이 | ① 회기는 인옥이 자신에게 ‘기계’라고 한 말에 충 01 인옥이 회기한테 ‘냉정’하고 ‘기계’ 같다고 할 때 동요하는 표
격을 받았다. 정을 보이고, 인옥이 떠난 뒤 허무함에 빠진 회기를 보며 난처
② 회기는 수술을 포기하고 가려는 인옥을 측은하게 생각한 해하는 것으로 보아, 회기의 판단에 동조한다고 보기 어렵다.
다. | 오답 풀이 | ① 환자의 생명을 구해 줌으로써 기쁘게 해 주겠

③ 인옥은 수술을 부탁하다 냉정한 회기의 태도에 수술을 포 다거나 사회를 위해 선심을 쓰겠다는 생각이 아닌, 병원에서
기한다. 월급을 받고 일하는 고용인일 뿐이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회
⑤ 회기는 인옥이 돌아간 뒤 허무감과 자책심에 사로잡히는 기의 개인주의적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
데, 이는 인옥이 느끼는 좌절감의 원인이 자신에게도 있다고 ⑤ 인옥이 떠난 뒤 걷잡을 수 없는 허무감과 자책심에 사로잡
느끼기 때문이다. 힌 회기의 모습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과 해설 ◀
397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397 18. 2. 26. 오후 4:31


02 인옥은 회기에게 수술을 해 달라고 애원하지만, 회기가 이를 | 오답 풀이 | ① 회기는 상현의 반인륜적인 태도에 불쾌감과

거절하자 원망의 태도를 보인다. 회기가 계속해서 수술을 거 분노를 느끼며 성격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절하자 인옥은 수술을 체념하며 냉소적이고 초연한 모습을 ② 금숙에게 인옥에게 수술 받으러 오라는 내용의 편지를 속
보인다. 달 우편으로 보내라는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③ 상현은 인옥의 수술비로 돈을 쓰면 자신과 자식들이 살 수
03 인옥이 떠난 후 회기가 허무감과 자책심에 사로잡히는 이유
없다며 강하게 인옥의 수술을 반대하고 있다.
가 인옥이 느끼는 좌절감, 냉소, 비아냥의 원인이 자신에게도
⑤ 상현은 인옥이 수술을 받지 못하면 죽는다는 것을 알면서
있다는 것을 느끼기 때문이다.
도 별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04 ㉠에서 인옥이 환자의 경제력에 따라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의사들을 만나 의사를 불신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12 자신의 아내가 죽든 말든 상관하지 말라는 상현의 태도는 집
안의 가장으로서의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있다.
05 ⓐ는 지시문으로, 관객의 호응을 유도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
다. 13 회기는 자신보다 더 비정한 상현을 질책하면서 분노를 느끼
고 있다.
06 금숙에게 인옥이 자신에게 ‘기계’라고 한 말에 대해 어떻게 생
각하는지 묻는 회기의 모습에서 회기가 ‘기계’라는 말에 충격 14 반인륜적인 상현의 태도로 인해 인간성을 회복한 회기가 금
숙에게 빨리 편지를 쓰라고 재촉한 것은, 인옥을 반드시 살리
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고 싶다는 생각에 마음이 급해졌기 때문이다.
| 오답 풀이 | ① 회기는 금숙이 매력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긴
하지만, 사랑의 감정을 느끼고 있지는 않다. 15 기계처럼 감정이 없이 냉정하고 비정한 성격을 지녔던 회기
② 금숙은 인옥을 가엾게 여기고 있다. 가 자신보다 더 비인간적인 상현을 보며 불쾌감과 분노를 느
④ 회기는 마음이 쏠리지 않아 결혼을 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끼며 인간성을 회복하게 된다. 이러한 모습을 금숙은 ‘기계가
있다. 노하셨’다고 표현하고 있다.
⑤ 금숙이 회기에게 인간적인 면이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찾아볼 수 없다.

07 ㉠ 금숙이 말하는 ‘가엾음’은 경제적으로 곤궁하고, 가족의 생


계를 책임지는 힘든 상황에서 심각한 폐병까지 걸린 환자 인
옥이 가엾다는 의미이다.
㉡ 회기가 말하는 ‘가엾음’은 수술을 노동으로 하고, 도의적
마음보다는 공명심을 위해 수술하는 자신의 모습에 회의감을 4 소년 시절의 맛
느낀다는 의미이다.
본문 104~106쪽
확인하기
08 회기와 금숙이 주고받는 대화의 문맥을 살펴볼 때, ‘의(醫)는
01 ① 02 ① 03 ⑤
인술(仁術)’이라는 말은 ‘귀중한 생명을 건져 내’는 일을 의미
한다.
01 시골에 살았던 글쓴이에게 라면은 도시적이고 이국적인 느낌

09 ⓐ는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하는 일은 모두 기계적이라 을 불러일으켰다.


는 의미이다. 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⑤이다.
02 글쓴이는 라면에 얽힌 추억을 회상하며(㉡) 과거에 체험한 사
10 회기가 인옥에게 미안함과 연민을 느끼고 있음이 드러나야 실을 서사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하므로 ‘어둡고 침울한 표정으로 변하며’가 적절하다.
03 ㉤ 글쓴이가 그리워했던 것은 그때의 라면 맛이 아닌, 꿈과 희
11 상현은 경제적인 이유로 인옥의 수술을 반대하고 있다. 상현 망을 지녔던 소년 시절이었다는 점을 깨닫고 있다.
이 인옥을 이기적인 사람으로 오해하고 있다는 회기의 생각 | 오답 풀이 | ㉠~㉣은 글쓴이가 소년 시절에 맛본 라면의 맛
은 찾아볼 수 없다. 을 되찾기 위해 노력한 행위와 관련이 있다.

398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398 18. 2. 26. 오후 4:31


소단원 실전 문제

01 ③ 02 ⑤ 03 ③
본문 111~112쪽

04 예시 답안 참조
3 국어와 올바른 언어생활
05 ③
1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
01 이 작품은 수필이며, 경기체가, 가사, 악장, 서간, 일기, 기행
본문 118쪽
문 등과 함께 교술 갈래에 속한다. 교술 갈래 속의 ‘나’는 글쓴 확인하기

이 자신이기 때문에 작가와 독자의 의사소통은 다른 갈래에 01 ⑤ 02 방점, 소리의 높낮이(성조)를 표시한다.
비해 직접적인 편이다.
01 새로운 문자를 창제할 때 적용한 원리는 나타나 있지 않다.
02 글쓴이는 아버지 사무실의 사환으로 있던 동네 형이 먹는 라 | 오답 풀이 | ①, ③, ④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면을 보고 ‘도시적이다 못해 이국적인 느낌’을 받았다고 서술 서로 통하지 않아 백성들이 자신의 뜻을 능히 펴지 못한다는
하고 있다. 점에서, 한자를 이용한 문자 생활에 어려움이 있었음을 알 수
| 오답 풀이 | ① 라면에 얽힌 추억에 관한 글로, 자연적인 음식 있다.
의 맛과는 관련이 없다. ② 새로운 문자를 만들고, 백성들이 이를 쉽게 익혀서 쓰기 편
② 들판, 독서실, 군대와 같이 라면을 먹었던 장소는 글쓴이가 하게 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느낀 라면 맛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02 방점은 소리의 높낮이, 즉 성조를 표시하기 위해 글자의 왼쪽
③ 글쓴이는 군대에서 먹은 라면의 맛도 특별했다고 기억하
에 찍은 점을 말한다. 참고로 방점은 17세기에 이르러서 소멸
고 있다.
되었다.
④ 글쓴이는 꿈과 희망을 지녔던 과거의 시간을 그리워하고
있다. 이는 현재 삶의 소중함을 깨닫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123쪽
03 이 글은 ‘나’가 경험한 사실의 묘사에 치중하고 있다. 이 작품
에는 ‘형’이란 작자들에 대한 ‘나’의 불만이 드러나기는 하지 01 ③ 02 ② 03 ③ 04 ①
만, 인물 사이의 갈등과는 거리가 멀다.
05 예시 답안 참조
| 오답 풀이 | ① ‘초등학교 5학년 무렵’, ‘아버지 사무실’, ‘그로
01 글자의 왼쪽에 찍은 방점은 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한다.
부터 삼 년 뒤’, ‘서울 변두리의 독서실’ 등을 통해 확인할 수
| 오답 풀이 | ① 현대 국어와 달리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있다.
② ‘ㆆ, ㅸ, ㆁ, ㆍ’와 같이 현대에는 쓰이지 않는 문자를 사용
②, ④ 이 글은 라면에 얽힌 과거의 다양한 추억을 시간의 순
하였다.
서에 따라 제시하고 있다.
④ ‘世·솅’, ‘字·’, ‘爲·윙’처럼 한자음을 표기할 때에는 초
⑤ ‘형 역시 주고 싶은 마음은 눈곱만큼도 없었으므로 혼자서
성, 중성, 종성을 갖추어 표기하였다.
후루룩거리며 잘도 먹어 댔다.’, ‘형이란 작자들은 시골이나
⑤ ‘··들’, ‘··메’, ‘·미니·라’와 같이 단어의 첫머
서울이나 그렇게 똑같은지~제 배를 채우려고 드는가 말이
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사용되었다.
다.’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02 ‘·이런젼··로~:몯노·미하·니·라’는 ‘이런 까닭으로 어
04 글쓴이는 라면을 소재로 하여 이에 얽힌 과거의 추억과 일화 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
를 서술하고 있다. 라면은 과거 소년 시절의 추억을 불러일으 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로 풀이할 수 있다. 훈민정음을
키는 역할을 한다. 창제한 동기로 볼 수는 있으나 ‘애국 정신’이 나타난다고 보기
| 예시 답안 | 라면, 소년 시절의 추억을 불러일으킴. 는 어렵다. 또한 ‘애국 정신’은 훈민정음 창제 정신에 해당하
지 않는다.
05 글쓴이가 실제로 그리워한 것은 꿈과 순수함을 지녔던 추억
속의 시절이었다. 현재는 어른이 되어 과거에 지녔던 꿈과 순 03 ‘어·린’은 중세 국어에서는 ‘어리석은’이란 의미로 사용되었
수함을 상실했기 때문에 그때와 같은 맛이 돌아오지 않았던 으나 현대 국어에서는 ‘나이가 적은’이란 의미로 사용되고 있
것이다. 다.

정답과 해설 ◀
399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399 18. 2. 26. 오후 4:31


04 ‘··배’는 ‘하는 바가’로 풀이할 수 있으며, ‘바’ 뒤에 쓰인 조 02 ‘앞마당’은 [암마당]으로 발음하며, 비음화가 일어난다.
사 ‘ㅣ’는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낸다(주격 조사). 이와 쓰임이 | 오답 풀이 | ② ‘생산량’은 유음화의 예외 사례로, [생산냥]으
같은 것은 ①이다. 로 발음한다.
| 오답 풀이 | ②의 조사 ‘이’와 ③의 조사 ‘가’는 보격 조사, ④의 ③ ‘맏이’는 [마지]로 발음하며, 구개음화가 일어난다.
조사 ‘가’는 보조사, ⑤의 조사 ‘에’는 부사격 조사이다. ④ ‘놓다’는 [노타]로 발음하며, 거센소리되기가 일어난다.
⑤ ‘줄넘기’는 [줄럼끼]로 발음하며, 유음화와 된소리되기가
05 | 예시 답안 | ⓐ: ‘ㅣ’ 모음 앞에서 ‘ㄴ’이 탈락하는 두음 법칙
일어난다.
현상이 일어났다./ⓑ: ‘ㅣ’ 모음 앞에서 ‘ㄷ’이 ‘ㅈ’으로 변하는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났다. 03 ‘길가’는 한자어가 아닌 순우리말로, 표기상 사이시옷이 없지
만 기능상 사이시옷이 있을 만한 합성어에 해당되어 뒤 단어
의 첫소리 ‘ㄱ’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04 | 예시 답안 | •올바른 발음: [달치]


•이유: ‘닳’의 받침 중 ‘ㅎ’과 뒤에 ‘ㅈ’이 결합하여 거센소리
2 음운의 변동 [ㅊ]으로 바뀌어 발음된다.
본문 126~130쪽
확인하기 05 ‘닫히다’와 같이 받침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될 때는
01 ④ 02 ② 03 유음화, 된소리되기 04 ② ‘닫히다 → [다티다] → [다치다]’처럼 거센소리되기와 구개음
05 ② 화가 함께 일어난다.

01 ‘있는’의 받침 ‘ㅆ’은 [ㄷ]으로 발음한다. 따라서 ‘있는’을 발음 06 ‘밝히듯’은 거센소리되기에 따라 [발키듣]으로 발음한다.

할 때 변화하는 음운은 ‘[ㄷ] → [ㄴ]’이 맞다.


07 ‘그럴 리가 없다.’에서 ‘리’는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 해

02 ‘은혜(恩惠)’의 첫음절 ‘은(恩)’은 첫소리가 원래부터 ‘ㅇ’이므 당하여 본음대로 적은 것이 아니라, 단어의 첫머리에 온 경우

로 두음 법칙과 관련이 없다. 지만 의존 명사이기 때문에 본음대로 적은 것이다.

03 ‘줄넘기’는 [줄럼끼]로 발음하며, 이때 일어나는 음운 변동은 08 <보기>는 모음 탈락이 일어난 예이다. ㉠~㉤ 중 모음 탈락이

유음화와 된소리되기이다. 적용된 것은 ㉣로, ‘아파도’는 어간 ‘아프-’에 어미 ‘-아도’가


결합하면서 모음 ‘ㅡ’가 탈락하였다.
04 ②‘주-+-었다 → 줬다’는 두 음절(ㅜ, ㅓ)이 한 음절(ㅝ)로 줄
어든 경우로, 두 모음 중 하나의 모음이 탈락하는 모음 탈락의 09 ‘창고’의 표준 발음은 [창고]이다.

사례에 해당하지 않는다.


10 ㄱ의 ‘꽃망울[꼰망울]’에서는 비음화가, ‘시작했다[시자캗따]’

05 ‘닳다’는 받침 ‘ㅎ’ 뒤에 ‘ㄷ’이 결합되어 [달타]와 같이 발음한 에서는 거센소리되기와 된소리되기가 일어난다. ㄴ의 ‘대관령

다. [대ː괄령]’에서는 유음화가, ‘일대[일때]’에서는 된소리되기가

| 오답 풀이 | ①은 [노치], ③은 [실쯩], ④는 [꼬치다], ⑤는 [널 일어난다. ㄷ의 ‘앞만[암만]’에서는 비음화가, ‘걷고[걷꼬], 걸

피다]가 바른 발음이다. 었다[거럳따]’에서는 된소리되기가 일어난다. 따라서 ‘ㄷ은


ㄱ과 달리 발음할 때 된소리되기가 일어난다.’는 설명은 적절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135~136쪽 하지 않다.

01 ③ 02 ① 03 ① 04 예시 답안 참조 11 | 예시 답안 | ⓐ는 체언의 받침 ‘ㄴ, ㅁ’ 뒤에 첫소리가 ‘ㄱ, ㄷ’


05 ③ 06 ② 07 ④ 08 ④ 09 ③ 인 조사가 결합하여 된소리되기가 나타나지 않지만, ⓑ는 용
10 ④ 11 예시 답안 참조 언의 어간 받침 ‘ㄴ, ㅁ’ 뒤에 첫소리가 ‘ㄱ, ㄷ’인 어미가 결합
하여 된소리되기가 나타난다.
01 ‘먹는[멍는]’은 비음화, ‘해돋이[해도지]’는 구개음화, ‘기숙사
[기숙싸]’는 된소리되기, ‘맏며느리[만며느리]’는 비음화, ‘밥물
[밤물]’은 비음화, ‘난로[날로]’는 유음화가 일어난다.

400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0 18. 2. 26. 오후 4:31


4
⑤ 늙음을 거부하는 태도를 보이면서 한편으로는 늙음에 대
공감과 이해의 듣기, 말하기 해 달관한 모습이 드러나 있다.

04 | 예시 답안 | 세대 차는 언제나 있어 왔으며, 그 차이를 인정하


1 요즘 젊은 것들, 참 괜찮다! 고 서로 배려하며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05
본문 142~143쪽
확인하기 | 예시 답안 | 할머니는 고유어를 쓰고, 민철이는 줄임말을 써

01 예시 답안 참조 02 ② 서 의사소통이 잘 안 되고 있다.

06 글쓴이는 ‘표준어는 같음을 지향하고자 하는 것이지 다름을


01 [A]에서 젊은이들은 유행어나 줄임말, 외국어나 외래어를 익
억누르거나 없애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언급하고 있을
숙하게 자주 쓰고, 노인들은 유행어나 줄임말에 익숙하지 않
뿐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방언과 표준어를 하나로 통일시
고 젊은이들이 모르는 고유어를 사용할 때가 있다고 하였다.
켜야 한다는 내용은 글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세대 간에 서로 익숙하지 않고 잘 모르는 말을 사용하
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할 것임을 알 수 있다. 07 | 예시 답안 | 실체로서의 방언과는 달리 표준어는 규범으로 정
| 예시 답안 | 문제가 발생한다, 지장을 준다, 장애를 줄 수 있 해진 말이기 때문에 가상의 언어라고 한 것이다.
다등
08 <보기>의 설명처럼 전문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지 않는 사
02 글쓴이는 ‘세대 차 문제는 인간의 역사가 시작되고부터 생겼 람들은 그 의미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현서’의 말처럼 (나)의
을지 모른다.’라고 말하고 그 근거로 ㉠을 제시하고 있다. 상황에서 전문어를 사용한다면 보호자가 의사의 말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151~153쪽

01 ③ 02 ⑤ 03 ① 04 예시 답안 참조
05 예시 답안 참조 06 ⑤ 07 예시 답안 참조 2 예절 바른 언어생활
08 ④ 본문 156~157쪽
확인하기

01 글쓴이는 학생들이 조별로 ‘젊은이와 노인의 차이’를 적어 낸 01 ④ 02 ②


것을 보고 나서 처음에 가졌던 젊은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생
각을 긍정적으로 바꾸게 되었다. 01 글에서 ‘대화에서 언어 예절을 지킨다는 것은 높임법이나 격
식에 맞는 표현 등을 잘 사용하는 것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상
02 글쓴이는 알타미라 동굴 속에 새겨져 있는 말에 대해 이야기 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공손하게 말하고 듣는
하면서 ‘미래가 걱정될 정도로 그때의 젊은이들이 성숙하지 태도를 갖추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대화
못했다면 아마 지금쯤 우리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 태도보다 높임법이나 격식에 맞는 표현을 사용하는 데 중점
였다. 또한 성숙하지 못한 젊은이들 때문에 세대 간의 갈등이 을 두어야 한다는 ④는 적절하지 않다.
점점 심해진다는 내용은 글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02 대화 참여자는 대화의 목적이나 주제에 관련된 것을 말해야
03 ①에서 ‘나’는 짐을 머리에 이고 등에 진 노인을 보고 노인의 한다. 대화 중에 각자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하면 대화의 목적
마음을 생각하며 짐을 대신 지겠다고 한다. 이런 ‘나’의 모습 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어렵다.
에서 구세대에 대한 이해와 존경심의 태도가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163~165쪽
| 오답 풀이 | ② 헤어진 두 동생들에 대한 그리움이 드러나 있
01 ④ 02 ② 03 ① 04 ③ 05 ③
다.
06 ④ 07 ④ 08 예시 답안 참조
③ 늙음에 대한 성찰과 늙음을 비웃는 젊은이들에 대한 충고
가 드러나 있다. 01 거절을 할 때는 단호하게 말하기보다 상대방의 체면을 생각
④ 늙음에 대한 한탄이 드러나 있다. 하여 완곡하게 말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ㄷ’의 화자는 상대

정답과 해설 ◀
401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1 18. 2. 26. 오후 4:31


방의 기분은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상황만을 설명하며 초대 08 | 예시 답안 | •문제점: 듣는 사람의 처지나 상황을 고려하지
를 거절하고 있다. 않고 말하고 있다.(죽음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라는 듯한
의미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슬픔을 위로하기보
02 (나)에서 ‘진심이 담긴 공손한 태도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
다는 더욱 불편하게 할 수 있다.)
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한다고 하였다.
•고친 표현: 얼마나 상심이 크니?/뭐라고 위로의 말을 해야
03 <보기>에서 ‘윤서’는 ‘어머니’의 부탁에 ‘못 가요. 안 돼요.’라고
할지 모르겠다.
직접적이고 단호하게 거절하고 있다. ‘윤서’의 이런 말하기 태
도 때문에 ‘어머니’의 기분이 상한 것이다.
| 오답 풀이 | ② ‘윤서’는 자신의 말하기 순서에 맞춰서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3 우리말의 담화 관습
③ ‘윤서’의 말에는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것이 없다.
본문 168~169쪽
④ ‘어머니’가 불쾌감을 느낀 것은 ‘윤서’가 적절한 높임 표현 확인하기
을 쓰지 않아서가 아니라 단호하게 거절했기 때문이다. 또한 01 서열과 격식을 중시하는 담화 관습 02 ④
‘윤서’는 상대 높임 표현 중 ‘해요체’를 사용하여 말하고 있으
므로, 높임 표현의 사용은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01 <보기>는 우리말의 높임 표현 중 듣는 사람을 높이거나 낮추
⑤ ‘윤서’는 약속 때문에 할머니 댁에 갈 수 없음을 명확하게 어 말하는 상대 높임의 사례이다. 이와 같은 높임 표현은 서열
밝히고 있으므로 필요 이상의 정보를 제공했다고 볼 수 없다. 과 격식을 중시하는 담화 관습과 관련이 있다.

04 ‘지연’이 ⓒ와 같이 말한 것은, ‘다솜’을 걱정해서 한 말에 ‘다 02 ④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는 마땅히 할 말
솜’이 화를 내며 대꾸를 했기 때문이다. 즉 ‘지연’이 한 말의 의 은 해야 한다는 말이므로 말의 신중함을 강조하는 담화 관습
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지연’의 심리는 고려하지 않은 과는 거리가 있다.
채 자신의 감정만 앞세워 말한 ‘다솜’의 태도를 지적한 것이다. | 오답 풀이 | ① 하지 않아도 될 말을 이것저것 많이 늘어놓으
면 그만큼 쓸 말은 적어진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라는 말이다.
05 ③은 대화 주제와 잘 맞는 내용으로, 필요한 만큼의 정보를 제
② 말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이니 말할 때는 애써
공하고 있다. 따라서 ‘협력의 원리’를 지켜 말한 사례로 적절
조심하라는 말이다.
하다.
③ 아무도 안 듣는 데서라도 말조심해야 한다는 말이다.
| 오답 풀이 | ① ‘어머니’에게 진실을 말하지 않았으므로 적절
⑤ 가루는 체에 칠수록 고와지지만 말은 길어질수록 시비가
하지 않다.
붙을 수 있고 마침내는 말다툼까지 가게 되니 말을 삼가라는
② 사과와 감을 각각 네 개씩 사야 하는지, 사과와 감을 합쳐
말이다.
서 네 개를 사야 하는지 정확하지 않은 표현을 사용하였으므
로 적절하지 않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175~176쪽
④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자기를 소개하는 상황에서 누나가
다니는 대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대화의 목적이나 주제 01 ① 02 ② 03 ④ 04 ⑤ 05 ④
와 거리가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06 예시 답안 참조

⑤ 식당에서 주문할 음식을 결정하는 상황에서 필요 이상의


01 2문단의 첫 문장에서 담화 관습을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수 있다고 한 뒤, 이어지는 내용에서 우리말 담화 관습의 특
06 ‘현주’가 ‘민지’와 ‘중기’의 대화에 끼어들었고, 이로 인해 ‘중 성을 제시하고 그와 관련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기’가 ‘민지’와의 대화를 이어가지 못하는 상황이 되어 ‘민지’ 있다.
가 화를 낸 것이다.
02 우리말의 담화 관습상 ‘나’보다는 ‘우리’의 사용이 빈번하다.
07 ④는 친구가 평소에 반려견의 건강을 살피지 않은 것이 잘못 그러나 ‘우리’뿐만 아니라 ‘나’ 역시 인칭 대명사이므로, 공동
이었다는 듯이 나무라고 있으므로, 친구의 상황과 심리를 고 체 중심의 담화 관습이 인칭 대명사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는
려한 말이라 보기 어렵다. 해석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형, 언니, 이모’ 등의 단어는 인칭

402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2 18. 2. 26. 오후 4:31


5
대명사가 아닌 명사이므로 ②는 이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
는다. 올바르게 읽고 쓰기
03 ‘겸양’은 겸손한 태도로 남에게 양보하거나 사양함을 뜻한다.
<보기>의 대화에서 ④ ‘서열을 강조하며 윗사람의 겸양을 중 1 왜 당신의 시간을 즐기지 않나요
요시한다.’는 언어문화는 알 수 없다. 본문 182~185쪽
확인하기
| 오답 풀이 | ①, ⑤ ‘미영’은 친구인 ‘영수’의 동생을 ‘우리 영
01 ⑤ 02 ① 03 ③ 04 예시 답안 참조
호’라고 말하며, 친근하게 안부를 묻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
05 ③
다.
② 식당에서 일하시는 분을 ‘이모’라는 호칭으로 부르는 것에
01 ‘마을이 생긴 이래 이곳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우리가 처음
서 알 수 있다. 이다.’라고 하였다.
③ ‘미영’은 영수에게는 높임을 사용하지 않지만, 식당에서 일
하는 분께는 높임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02 ‘많이 가질수록 행복해진다’는 것은 행복에 관한 우리의 통념
이다. 글쓴이는 치몽 사람들은 가진 게 별로 없는데도 아무렇
04 <보기>는 직설적인 표현(ⓐ)을 완곡한 표현(ⓑ)으로 고친 사 지 않아 보였고, 행복해 보일 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가진 것을
례를 보여 주고 있다. ⓐ와 ⓑ 모두 충전식 교통 카드의 잔액 기꺼이 나누며 살아간다고 하였다.
이 2500원 이하로 남았을 때에 들을 수 있는 안내문으로, 잔
액 부족이라는 문제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해 준다. 03 ㉠의 상황을 나타내기에 적절한 한자 성어는 ‘주인과 손의 위
치가 서로 뒤바뀐다는 뜻으로, 사물의 경중·선후·완급 따위
05 ‘ㄱ’은 말은 길어질수록 시비가 붙을 수 있고 말다툼까지 가게 가 서로 뒤바뀜을 이르는 말.’인 ‘주객전도(主客顚倒)’이다.
되니 말을 삼가라는 의미를 담은, 말의 부정적 특성을 강조한 | 오답 풀이 | ① 근묵자흑(近墨者黑)은 ‘먹을 가까이 하는 사
속담이다. ‘ㄴ’은 말은 일상생활에서 큰 영향을 끼치며, 제대 람은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
로 구사했을 때에는 득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를 담은, 말의 릇에 물들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긍정적 특성을 강조한 속담이다. ‘ㄷ’은 말을 잘못하면 재앙을 ② 좌정관천(坐井觀天)은 ‘우물 속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얻게 되니 말조심을 하라는, 말의 부정적 특성을 강조한 속담 뜻으로, 사람의 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이다.
이다. 따라서 ‘ㄱ~ㄷ’은 모두 말을 신중하게 할 것을 당부한 ④ 역지사지(易地思之)는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여 봄.’을
속담이라 할 수 있다. 뜻한다.

06 글쓴이는 마지막 문단에서 국어 사용 양상의 변화에 대해 언 ⑤ 동가홍상(同價紅裳)은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급하고 있다. 같은 값이면 좋은 물건을 가짐을 이르는 말.’이다.
| 예시 답안 | 최근의 국어 사용 양상은 사회 구조의 변화와 가
04 치몽 사람들은 깨끗한 자연환경 속에서 자급자족하는 삶을
족 구성의 형태 변화, 다양한 매체의 발달의 영향으로 변화를 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부탄 사람들이 개발의 대가
보이고 있다. 로 잃고 싶지 않은 ‘소중한 가치’란 깨끗한 자연환경과 공동체
적 삶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예시 답안 | 깨끗한 자연환경, 공동체적 삶

05 ‘과학 기술의 속도와 힘은 우리 몸을 편하게 만들어 줄지는 몰


라도 정신에는 별 도움이 안 되는 게 아닐까’라는 내용으로 보
아, ③은 적절하지 않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193~195쪽

01 ③ 02 ⑤ 03 ① 04 예시 답안 참조
05 ① 06 ④ 07 ⑤ 08 ①

정답과 해설 ◀
403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3 18. 2. 26. 오후 4:31


01 마지막 문단에서 친구 빼마의 말을 인용하여, 일에 매달려 현
재의 여유를 잃어버린 현대인들에 대한 글쓴이의 생각을 뒷
2 신문과 광고로 매체 읽기
받침하고 있다. 본문 198~200쪽
확인하기

02 5문단에서 ‘놀이를 구매하기 위해 더 오래, 더 경쟁적으로 일 01 ③ 02 ③ 03 ④


하는 동안 우리는 노는 법을 잊어버렸다.’라고 하였으므로 ⑤
는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01 ‘본문에는 표제의 관점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해야 한다.’라
고 하였으므로, 객관적인 사실만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본문이
03 <보기>는 여가나 개인 생활에 쓴 시간보다 일하는 시간이 많 작성된다는 ③은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은 한국인들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일과 놀이가 유기적으
로 연결되어 있는 부탄 사람들의 모습이나 마지막 문단에 인 02 ③ ‘목적에 따른 광고의 종류’는 글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참
고로 광고는 목적에 따라 상업 광고와 공익 광고로 나뉜다.
용되어 있는 ‘빼마’의 말로 볼 때, 부탄 사람들이 <보기>를 보
| 오답 풀이 | ① ‘광고는 매체를 이용하여~설득하는 행위이
고 할 말로 적절한 것은 ①이다.
다.’에서 알 수 있다.
04 | 예시 답안 | 부탄 사람들은 생활에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 몸 ② ‘광고에서 많이 쓰는 설득 방법 가운데 하나는~’ 이후의 내
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삶의 만족도가 높다./부탄 사 용에서 알 수 있다.
람들은 불편한 삶을 살지만 높은 행복감을 느낀다. ④ ‘독자는 신문을 읽을~않았는지 판단해야 한다.’에서 알 수

05 ⓐ ‘변변한’은 ‘제대로 갖추어져 충분한.’을 뜻한다. ‘제대로 갖 있다.

추어지지 못하여 부족한 점이 있는.’은 ‘변변찮은’의 의미이다. ⑤ ‘광고를 올바르게 이해하지~바라보는 태도가 필요하다.’에
서 알 수 있다.
06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글쓴이는 부탄 여행에서 알게 된 행복
의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④가 가장 적절하다. 03 인쇄 매체를 통한 광고는 제한된 지면을 활용하기 위해 인상
적인 이미지의 배치와 글자체, 글자 크기의 변화 등을 주요한
07 <보기>는 가을 들판에서 메뚜기가 사라진 현상을 발견하고
방법으로 사용한다.
생태계의 혼란을 예상하면서 그것이 초래할 재앙을 경고하는
| 오답 풀이 | ①, ② ‘링크’와 ‘알림창’은 인터넷 매체에서 활용
작품이다. 이 글의 글쓴이는 개발 정책으로 자연이 파괴되고
하는 방법이다.
세계와 인간이 황폐해져 간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③ ‘이야기 구조’는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매체에서 활용하는
볼 때, 깨끗한 자연환경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
방법이다.
다. 따라서 글쓴이의 관점에서 <보기>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
⑤ ‘쉽게 알아듣고 따라할 수 있는 음악’은 라디오와 같은 음
절한 것은 ⑤이다.
성 매체에서 활용하는 방법이다.
| 오답 풀이 | ① ‘익는 벼’는 가을 들녘 풍경이다. 인간과 자연
의 공존과는 관련이 없다.
②, ③ ‘들판이 적막’한 이유는 과도한 농약 사용으로 메뚜기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209~211쪽

등의 벌레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01 ③ 02 ⑤ 03 ④ 04 예시 답안 참조


④ ‘불길한 고요’는 식량 부족과 관련이 없으며, 식량 부족은 05 ② 06 ⑤ 07 예시 답안 참조 08 ④
이 글의 내용과 상관이 없다.
01 이 글은 신문 기사를 바르게 읽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08 인용된 말의 앞에 제시된 ‘다른 사람들이나 자연과의 관계 안
‘신문을 바르게 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와 같이 설
에서 자신의 행복을 찾는 법을 배워야 한다.’로 볼 때 ㉠에 들
명하는 대상에 대한 질문으로 독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ㄷ),
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관계’이다.
동일한 사안을 다룬 두 신문의 표제와 신문 기사에 실린 사진
등 구체적인 사례를 활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ㄴ).
| 오답 풀이 | ㄱ. 동일한 사안을 다룬 두 신문의 표제를 대조하
는 부분은 있으나, 유추의 방법은 사용되지 않았다.
ㄹ. 전문가의 의견을 근거 자료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404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4 18. 2. 26. 오후 4:31


02 이 글에는 편집자와 사진 기자가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서 쓰기를 할 때는 맞춤법을 살펴보고 잘못된 문장 등을 수정하
로 다를 경우에 어떻게 하는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는 것뿐만 아니라 쓰기 맥락과 관련하여 글의 내용과 흐름, 표
현 등을 살펴야 한다. ①, ③, ④, ⑤는 고쳐쓰기를 할 때 살펴
03 독자는 신문을 읽을 때 편집인이나 기자의 관점이나 의도가
야 할 세부적인 항목들로, 고쳐쓰기를 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지면 배치, 표제, 본문, 사진 등에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
고려할 때 가장 적절한 답은 ②이다.
는지를 살피고, 신문의 관점이나 내용이 편견에 치우치지 않
았는지 판단해야 한다.
| 오답 풀이 | ① 지면 배치, 본문, 사진도 함께 살펴봐야 한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219~220쪽
②, ③ 사안에 대한 관점이 서로 다른 기사, 자신의 관점이나
01 ② 02 ④ 03 ⑤ 04 예시 답안 참조
생각과 다른 기사를 함께 살펴야 사회 현상에 대한 다양한 관
05 ③
점을 이해할 수 있다.
⑤ 1면에 해당 기사를 배치한 이유를 통해 편집인의 의도를
01 효과적으로 글을 쓰려면 쓰기 전에 예상 독자, 주제, 목적 등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지, 1면에 실렸다고 해서 객관적으로 을 명료하게 분석하고 설정해야 한다(ㄱ). 이때 예상 독자와
중요한 기사라고 단정 지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련해서는 예상 독자가 어느 정도의 배경지식을 지니고 있

04 | 예시 답안 | 노인들의 취업 문제가 절실하다. 는지(ㄴ), 자신이 전달하려는 주제에 어떤 태도나 관점을 보일


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맥락을 바탕으로 하여 글을 쓸 때는
05 소비자가 광고를 통해서만 대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대체로 내용 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 표현하기, 고쳐쓰기 등
는 내용은 이 글에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이 언제나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06 마지막 문단에서 설득 전략이 잘 사용된 광고라 해도 사실과 것은 아니다(ㄹ).
다른 정보를 제공하거나 과장, 왜곡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02 학급 홈페이지에 올릴 글을 쓸 때 독자가 글을 쓰는 ‘나’에 대
있으므로 비판적인 안목으로 광고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따져
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
보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고 하였다.
03 <보기>는 학급 홈페이지(매체)에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
07 | 예시 답안 | <보기>는 화장품의 효능을 과장하여 광고하고
여(독자), ‘독서 습관을 기르자.’는 내용으로(주제) 쓴 글이다.
있다.
글쓴이는 독서 습관을 기르기 위해 학교 도서관 이용을 권유
08 ㉣은 ‘재미있는 언어 표현이나 반전의 상황으로 웃음을 유발’ 하고 있다(목적). ⑤에서 ‘학교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하려는
하는 방법인데, 제시된 사례는 재미있는 표현이나, 웃음을 유 글의 목적’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보기>
발하는 상황과는 거리가 멀다. 의 쓰기 맥락과는 맞지 않는 검토 의견이다.
| 오답 풀이 | ①~④는 쓰기 맥락을 고려할 때 적절한 검토 의
견이다. 참고로 ㉢의 ‘경당문노(耕當問奴)’는 ‘농사일은 의당
머슴에게 물어보아야 한다는 뜻으로, 모르는 일은 잘 아는 사
람에게 상의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
3 쓰기 맥락과 고쳐쓰기
04 글을 쓰고 난 뒤에 반드시 작성한 글을 다시 읽어 보아야 하는
본문 214~215쪽 이유는 6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확인하기
| 예시 답안 | 글을 쓰고 있을 때에는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이
01 ⑤ 02 ②
나 적절하지 않은 표현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01 글쓰기는 대체로 내용 생성하기, 내용 조직하기, 표현하기, 고
05 <보기>는 저작물 사용 허가 표시로, 저작물 사용의 허용 여부
쳐쓰기 등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이 언제나 순차적으로
와 조건 및 범위 등을 나타낸다. 글을 쓸 때 이용하려는 자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좋은 글을 위해서는 글쓰기의 단계를
에 이런 표시가 되어 있으면, 표시된 권한 내에서만 사용해야
끊임없이 오가며 조정하고 수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다. 이를 어기고 다른 사람의 글을 임의로 자신의 것처럼 써
02 ㉠에 대한 답은 뒤에 이어지는 내용에서 알 수 있다. 즉 고쳐 서는 안 된다.

정답과 해설 ◀
405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5 18. 2. 26. 오후 4:31


6 03 1, 2연의 슬픈 감정이 3연에서 체념과 염려로 전환되고 있다.
우리 문학의 숨과 결
04 ㉡에서 화자는 임과의 재회를 간절히 소망하고 있다.

1 노래 문학이 걸어온 길 05 ⓐ는 노래 내용과 관계없는 후렴구로, 민요가 궁중 음악인 속


악으로 채택되면서 정치적인 성격의 내용이 첨가된 것으로
본문 226, 232~233쪽
확인하기 추정할 수 있다.
<가시리> 01 ③
06 화자는 세속적인 욕망에서 벗어나 자연을 즐기는 삶의 흥취
<상춘곡> 01 수풀에, 교태(嬌態)로다 02 ⑤
를 노래하고 있다.

<가시리> 07 화자의 공간 이동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수간모옥 →


01 ‘가시리’는 악곡으로 연주되었던 관계로 음악적 여운을 주는 정자 → 시냇가 → 봉두’처럼 속세와 가까운 공간(좁은 공간)
후렴구가 첨가되어 있다. 후렴구 ‘위 증즐가 태평셩’는 의미 에서 점차 탈속의 세계(넓은 공간)로 이동하며 봄 경치에 대한
없는 여음구로 ‘위’는 감탄사이고, ‘증즐가’는 악기의 의성어로 감상을 노래하고 있다.
악률을 맞추기 위해 삽입한 것이다.
08 봄의 경치를 보며 그 속에서 느끼는 흥취와 풍류를 이야기하
<상춘곡> 는 이 작품에서 간절하고 애달픈 어조는 찾아볼 수 없고, 봄이

01 <보기>의 표현법은 ‘감정 이입’이다. 이 작품에서 화자는 자신 지나가는 것에 대한 아쉬움도 드러나지 않는다.
이 느끼는 봄의 흥취를 ‘수풀에 우 새’에 이입하여 표현하고 | 오답 풀이 | ①, ② ‘도화행화(桃花杏花)~프르도다’에서 확

있다. 인할 수 있다.
③ ‘홍진(紅塵)에~미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02 화자는 ‘공명’과 ‘부귀’에 욕심을 가지지 않고 자연을 벗 삼아
서 안빈낙도하고자 마음을 주객을 전도하여 표현하고 있다. 09 ㉠은 ‘허튼 생각’이라는 의미로, 이 작품의 내용으로 미루어
보면 자연에 사는 삶과 대비되는 속세의 삶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속세의 삶을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공명’과 ‘부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239~241쪽
귀’이다.
01 ⑤ 02 ② 03 잡와 두어리마 / 선면 아
니 올셰라. 04 ② 05 ③ 06 ④ 07 ⑤ 10 좁고 지저분한 거리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
이라는 뜻의 ‘단표누항(簞瓢陋巷)’은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08 ④ 09 ③ 10 단표누항
이르는 말이다.
01 두 작품 모두 이별 앞에서 화자가 희생적 의지와 인고의 자세
를 드러내고 있다.
| 오답 풀이 | ① 두 작품의 화자는 모두 이별의 슬픔을 인내하
2 이야기 문학이 걸어온 길
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가)의 화자는 임을 원망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초연한 자세와는 거리가 멀다. 본문 244~245, 251~260쪽
확인하기
④ (나)에서 화자는 떠나는 임을 원망하거나 미워하지 않는다. <주몽 신화> 01 ⑤ 02 ①
오히려 떠나는 임의 앞길을 송축하며, 자기희생적 자세를 보 <춘향전> 01 ④ 02 ① 03 ⑤ 04 ③
여 준다. 05 어사또 마음이 심란하다. 06 ③ 07 ③ 08 ④
02 (가)는 기본적으로 ‘가시리∨가시리∨잇고’와 같이 3·3·2조 09 예시 답안 참조 10 예시 답안 참조
로 구성되어 있고(ㄱ), 특별한 의미가 없이 악률을 맞추는 여
<주몽 신화>
음구 ‘나’이 쓰인(ㄷ) 고려 가요이다.
| 오답 풀이 | ㄴ. 화자가 자신의 처지를 하소연하는 것으로 대
01 <주몽 신화>는 ‘천제-해모수-주몽’의 삼대기 구조이다.

화 형식과는 거리가 멀다. 02 천제의 아들인 해모수와 물을 다스리는 신인 하백의 딸 유화


ㄹ. 서사적인 특성이나 소재의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것은 혈통의 신성성을 뜻한다.

406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6 18. 2. 26. 오후 4:31


<춘향전> ⑤ 이몽룡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있다.

01 <춘향전>은 판소리로 불렸던 ‘춘향가’가 소설의 형태로 정착


05 ‘어사또 마음이 심란하다.’는 변 사또의 화려한 생일잔치를 본
된 것으로, 이와 같은 글을 판소리계 소설이라고 한다. 판소리 어사또의 마음을 서술자가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밝히고 있
는 양반층과 서민층 모두에게 향유되었던 문화 예술로, 이를 는 편집자적 논평에 해당한다.
계승한 판소리계 소설에는 평민의 언어와 양반층의 언어가
공존하는 이중적 언어 구조가 나타난다. 06 이몽룡이 지은 한시는 변 사또의 폭정을 비판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이몽룡의 심리적 갈등과는 관련이 없다.
| 오답 풀이 | ① 판소리로 불린 ‘춘향가’가 소설의 형태로 정착
된 것이기 때문에 운문체와 산문체가 혼합되어 쓰이고 있다. 07 [A]는 어사출두를 준비하는 장면을 확장하고 부연하여 흥미
② 판소리는 공연성과 현장성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롭게 서술하고 있다. 관객은 이러한 장면의 극대화를 통해 생
현재 시제가 쓰인다. 그 공연의 자취인 판소리계 소설 역시 현 동감과 현실감을 느끼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재 시제를 사용한다. | 오답 풀이 | ①, ② 사건의 한 장면을 확장하여 서술하고 있기
③ 판소리계 소설에는 서술자(작가)가 작품에 직접 개입하여 때문에 속도감 있는 사건 전개나, 요약적 사건 제시와는 거리
인물이나 사건 등에 대해 판단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 가 멀다.
는 편집자적 논평이 자주 등장한다.
08 제시된 부분은 어사출두로 혼비백산하는 수령과 본관 사또의
⑤ 판소리 특유의 해학과 풍자가 판소리계 소설에서도 드러
모습을 희화화하며 풍자하고 있는 장면이다. 인물들의 다급
난다.
한 말과 행동은 웃음을 유발하는 것으로, 사건의 비장감을 드
02 이몽룡은 동헌에서 소리를 크게 내지 말라는 춘향 모친의 말 러낸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에 아랑곳하지 않고 춘향이를 크게 부르고 있다. 이러한 이몽
09 춘향은 변 사또의 폭정으로 시련을 겪은 것을 ‘가을’에, 어사
룡의 모습은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또가 되어 돌아와 자신을 살린 이몽룡을 ‘봄바람에 핀 오얏꽃’

03 춘향 모친은 ‘거지 하나가 내려왔다.’라고 표현하며 이몽룡에 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대한 실망감을 표현하고 있다. | 예시 답안 | 변 사또의 폭정으로 죽을 줄 알았는데 어사또가

| 오답 풀이 | ① ‘사람 목숨이 하늘에 달렸는데 설마 네가 죽겠 되어 돌아온 이몽룡이 춘향을 살림.


느냐?’에서 이몽룡은 어사의 신분을 감춘 채, 춘향을 살리겠
10 고전 소설은 일반적으로 권선징악(勸善懲惡)으로 결말을 맺
다는 말을 암시적으로 하고 있다.
는데, 이는 현실에서 고통받는 민중들의 행복해지고 싶은 소
② ‘칠 년 가뭄에 비 기다리듯 기다린들 나와 같이 기다렸으
망이 소설에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춘향전>도 춘향이 이
랴.’라는 춘향의 말에서 알 수 있다.
몽룡과 사랑을 이루고 백년해로하는 행복한 결말의 구조로
③ 모든 걸 체념한 춘향은 어머니와 이몽룡에게 유언하듯 말
이루어져 있다.
하고 있다.
| 예시 답안 | 모든 갈등이 해소되고 행복한 결말의 구조를 갖
④ 자신의 어머니에게 이몽룡을 잘 섬겨 달라는 말을 하는 춘
는다.
향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04 이방은 춘향을 보고 가는 이몽룡의 모습을 수상하다고 여기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266~271쪽

며 어사출두를 염려하고 있다. 이는 이몽룡을 어사또로 의심 01 ④ 02 ③ 03 예시 답안 참조 04 ④


하는 모습이다. 05 ② 06 ④ 07 ② 08 예시 답안 참조
| 오답 풀이 | ① 이몽룡은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 09 ① 10 ② 11 ③ 12 ⑤ 13 ⑤
느니라. 네가 나를 어찌 알고 이렇듯이 서러워하느냐?’라며 14 층층이 높은 절벽 높은 바위, 푸른 솔 푸른 대 15 ⑤
춘향을 구할 것을 자신하고 있다.
② 이몽룡은 춘향을 만나고 간 자신을 의심하는 행수 군관의 01 이 작품에 건국의 위대함은 나타나 있지만, 후대 왕에 대한 권
계는 확인할 수 없다.
모습에 놀라긴 하지만, 두려워하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④ 춘향은 곧 죽게 될 것이라 생각하며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 02 주몽은 물고기와 자라의 도움으로 물을 건너 두 번째 위기를
고 있다. 극복한다.

정답과 해설 ◀
407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7 18. 2. 26. 오후 4:31


| 오답 풀이 | ① ⓐ는 ‘알의 상태로 버려짐.’이다. 춘향은 이몽룡과 결혼하여 정실로 살고 싶었음을 알 수 있는
② 첫 번째 위기는 난생 설화와 관련되어 있다. 데,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죽게 되어 원한이 맺힌 것이다.
④ 주몽은 고귀한 혈통을 지닌 인물이다. | 예시 답안 | 이몽룡과 결혼하여 정실이 되고 싶었으나, 그렇
⑤ <보기>의 내용은 영웅 신화 구조 중에서 고난과 극복 과정 게 되지 못하고 죽게 되어 원통함.
에 해당한다.
09 ㉡은 신체의 일부인 ‘갈비’와 음식의 ‘갈비’가 발음이 같은 것
03 | 예시 답안 | 우리나라가 영웅이 세운 신성한 나라라는 점을 을 이용한 언어유희가 사용된 것이다. 이와 같은 표현 방식이
강조하여 백성들에게 민족적 긍지와 우월감을 갖게 하고, 공 사용된 것은 서쪽을 가리키는 ‘서방’과 남편을 가리키는 ‘서방’
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의 발음이 같은 것을 이용한 “네 서방인지 남방인지 거지 하나
가 내려왔다.”이다.
04 햇빛을 받아 잉태했다는 점에서 태양 숭배 사상을(ㄱ), 뛰어난
말을 취하는 과정에서 주몽의 비범함(ㄷ)을 알 수 있다. 해모 10 ⓐ 백성들을 수탈하여 화려한 생일잔치를 벌이는 모습을 보
수는 천제의 아들, 유화는 하백의 딸이므로 천신과 수신의 결 는 어사또의 불편한 마음을 서술자가 개입하여 서술하고 있
합을 보여 준다(ㄹ). 다. ⓓ 다른 사람들의 상차림에 비해 자신의 상차림이 형편없
| 오답 풀이 | 알에서 태어난 것은 기존의 세계를 벗어나 새로 는 것을 본 어사또의 심리 상태에 대해 서술자가 자신의 견해
운 세상을 창조함을 의미한다. 를 밝히고 있다.
| 오답 풀이 | 어사또의 생각(ⓒ)과 운봉의 속마음(ⓔ)을 그대
05 ㉡에서 주몽은 준마를 취하기 위한 지략을 보여 주었다. 이 부
분에서 주몽이 앞을 내다볼 줄 아는 지혜로운 인물임을 알 수 로 드러낸 것은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나타나는 방법으로, 편

있다. 이와 가장 잘 어울리는 한자 성어는 ‘어떤 일이 일어나 집자적 논평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기 전에 미리 앞을 내다보고 아는 지혜’를 뜻하는 선견지명(先


11 이 글은 판소리계 소설이다.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중 하나는
見之明)이다. 흥미로운 부분을 특별히 확대 부연하는 장면의 극대화가 나
| 오답 풀이 | ① 일벌백계(一罰百戒)는 ‘한 사람을 벌주어 백
타난다는 점이다. 따라서 장면을 요약하여 사건을 빠르게 전
사람을 경계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불러 개한다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다.
일으키기 위하여 본보기로 한 사람에게 엄한 처벌을 하는 일
을 이르는 말.’이다. 12 (마)는 지금까지의 사건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춘향과 이몽

③ 십벌지목(十伐之木)은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룡의 재회 이후의 내용을 요약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13 (나)는 암행어사 출두로 정신없이 달아나는 변 사또와 수령들
④ 지피지기(知彼知己)는 ‘적의 사정과 나의 사정을 자세히 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표현하여 독자들의 웃음을 유발하고
앎.’을 뜻한다. 있다.
⑤ 전화위복(轉禍爲福)은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
려 복이 됨.’을 뜻한다. 14 춘향은 자신의 절개를 ‘층층이 높은 절벽 높은 바위’와 ‘푸른
솔 푸른 대’에, 변 사또의 수청으로 겪은 고난은 ‘바람’과 ‘눈’에
06 변 사또는 술에 취해 이몽룡의 한시를 몰라보고 있고, 한시의
비유하며 정절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의미를 알아챈 건 운봉이다.
| 오답 풀이 | ①, ⑤는 (나)에서 ②, ③은 (가)에서 알 수 있다. 15 ㉠은 수청을 요구하는 어사또 역시 변 사또와 마찬가지여서
기가 막힌 춘향이 자신의 심정을 반어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07 삽입된 한시는 사건의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키며 새로운 사
이러한 춘향의 마음을 잘 드러낸 속담은 ‘모양이나 형편이 서
건의 전개를 암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
| 오답 풀이 | ① 가난한 백성들을 착취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뜻하는
양반들과 마찬가지로 위정자가 돌보아야 할 대상으로 본다는
‘초록은 동색이요, 가재는 게 편이다.’이다.
점에서 한시에는 인간 존중 사상과 평등 사상이 깔려 있다.
| 오답 풀이 | ① ‘힘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여 한 일은 그 결과

08 춘향은 자신이 죽으면 이몽룡의 선산발치에 묻어 달라고 말 가 반드시 헛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하면서 자신의 원한을 풀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② ‘쉬운 일이라도 협력하여 하면 훨씬 쉽다는 말.’이다.

408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8 18. 2. 26. 오후 4:31


③ ‘지지리 못난 사람일수록 같이 있는 동료를 망신시킨다는 아들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말.’이다. | 오답 풀이 | ④ 능 르타이 역시 한국의 김치와 된장을 잘 먹지
④ ‘가지가 많고 잎이 무성한 나무는 살랑거리는 바람에도 잎 못하고 있다. 능 르타이도 한국 가족들 삶에 잘 동화하지 못하
이 흔들려서 잠시도 조용한 날이 없다는 뜻으로, 자식을 많이 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둔 어버이에게는 근심, 걱정이 끊일 날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04 | 예시 답안 | 아버지는 능 르타이가 한국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이르는 말.’이다.
돕고 있으나, 고모는 그녀를 의심하고 감시하고 있다.

05 그동안 자신을 가족 구성원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의심하고


경계하는 고모와 ‘나’에게 화가 나서 한 말이다.
3 문학에 담긴 다양한 가치
06 능 르타이를 의심하고 적대적으로 대하던 고모가 자신의 자
본문 274, 280~290쪽
확인하기 식이 쓰던 배냇저고리와 기저귀를 건네주는 장면에서 체념의
<눈> 01 ⑤ 태도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꽃가마배> 01 ④ 02 예시 답안 참조 03 ③ | 오답 풀이 | ② 고모와 능 르타이의 다툼으로 큰 충격을 받아

04 예시 답안 참조 05 ⑤ 06 ① 07 ⑤ 쓰러진 아버지는 능 르타이를 보호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


08 ⑤ 09 꽃가마배 10 ① 다.
③ 능 르타이가 의심을 피하려고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볼 수
<눈>
는 없다.
01 ‘눈은 살아 있다’, ‘기침을 하자’, ‘마음껏 뱉자’에서처럼 단호하 ④ 능 르타이는 고모로부터 아이를 필사적으로 지키려고 하
고 강한 의지를 지닌 어조를 통해 부정적 현실에 저항하고자 고 있다.
하는 시의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⑤ ‘나’는 능 르타이의 임신으로 자신이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
| 오답 풀이 | ① 화자는 현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② 내면의 평화와 안정이 아닌 불의에 저항하고자 하는 역동
성이 강조되고 있다. 07 능 르타이가 독립을 결심하게 된 계기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다른 가족들과의 관계가 약해진 것과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
③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는 드러나지 않는다.
이라고 볼 수 있다.
④ 과거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꽃가마배> 08 능 르타이의 아버지는 처음에는 딸의 혼인을 반대했다.

01 ‘나’는 능 르타이를 낯설어하는 모습을 보인다. 09 수로왕비가 된 아유타 공주가 인도에서부터 타고 온 ‘꽃가마
| 오답 풀이 | ① ‘나’는 아유타야로 가는 열차에서 능 르타이와 배’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상징한다.
있었던 일을 회상하고 있다.
10 ‘나’가 미국에서의 삶을 계획하고 있는 것은 확인할 수 없다.
② ‘나’는 미국에 사는 ‘마이클’과 교제하고 있다.
③ 능 르타이가 고향에서 온 엽서를 받고 몹시 기뻐하는 모습
을 통해 알 수 있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296~300쪽

⑤ 아버지가 고모의 성화에 못 이겨 능 르타이를 데리고 왔다


01 ② 02 ② 03 ⑤ 04 예시 답안 참조
는 진술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05 ④ 06 ③ 07 예시 답안 참조
02 고향의 소식을 듣고 삶의 활기를 찾은 능 르타이의 모습을 ‘은 08 아버지는 능 르타이를 이해함. 09 ③ 10 ④
빛 물고기’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11 ④ 12 ③ 13 예시 답안 참조 14 ④
| 예시 답안 | 글썽이는 여자의 크고 둥근 눈이 한 쌍의 은빛 물
01 ‘눈은 살아 있다’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눈은 생명력, 강
고기처럼 빛났다.
인함 등을 상징한다. 화자는 젊은 시인에게 눈을 보고 기침을
03 ‘나’는 아버지가 능 르타이를 이해하는 모습을 보이자 아버지 하고, 가래를 뱉자고 권유하고 있다. 즉 시적 화자는 눈처럼
에게 서운함을 느끼고 있다. ‘나’는 능 르타이를 가족으로 받 순수하고 정의로운 삶을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정답과 해설 ◀
409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09 18. 2. 26. 오후 4:31


| 오답 풀이 | ① 현실 문제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08 서로의 음식 문화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나’와 능 르타이가 서
③ 현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상실감을 노래하고 로 동화되지 못하는 것과 달리, 태국의 낯선 음식을 먹는 아버
있지는 않다. 지의 모습에서 아버지가 능 르타이를 이해하는 태도를 지니
④ 화자 자신의 과거 삶을 성찰하고 있지는 않다.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화자가 말을 거는 대상은 ‘젊은 시인’으로 ‘젊은 시인’은 화
자와 대립한다고 볼 수 없다. 09 마당에 굴러다니는 ‘풋감’은 한국을 상징하는 것으로, 첫 만남
의 호감과 설렘을 상징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망고와 풋감
02 명령형 어미가 아닌 청유형 어미를 반복하여 젊은 시인에게 을 대조시켜 첫 만남의 이질감과 낯섦을 상징적으로 묘사하
동참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고 있는 부분이다.

03 ‘시인다운 시인’은 부정적 현실에 대해 올바른 목소리를 낼 수 10 고모의 의심을 사게 된 결정적인 사건은 능 르타이가 다른 동
있는 시인으로 ‘가래라도 / 마음껏 뱉자’에는 부정적 현실에 남아시아 사내와 이야기하는 장면을 ‘나’가 사진으로 찍어 고
저항하고자 하는 의지가 드러나 있다. 모에게 보여 주면서 발생한 것이다. 능 르타이의 행동이 섣부
| 오답 풀이 | ① ⓐ는 순수한 생명력을 상징한다. 른 행동이었다고 볼 수 없다.
② ⓑ는 부정적 현실에 저항하는 행위이다. | 오답 풀이 | ①, ② 참다못한 능 르타이가 반격을 하자, ‘나’와
③ ⓒ는 순수하고 가치 있는 것을 추구해야 하는 사람이다. 고모는 평소와 다른 능 르타이의 모습에 매우 놀라고 있다.
④ ⓓ가 미래 지향적인 의미를 내포하고는 있지만, 내면의 평 ③ 아버지는 고모와 능 르타이의 싸움에 놀라, 이를 말리려다
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가 쓰러진다.
⑤ 아버지는 저녁에 능 르타이에게 한글을 가르치며 능 르타
04 | 예시 답안 | ‘눈’은 순수한 생명력을 지닌 존재로 양심, 가치있
이가 한국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는 삶 등을 의미하지만 ‘가래’는 불순한 것으로 속물성, 소시
민성을 의미한다. 11 능 르타이의 비참한 죽음 앞에서 ‘나’와 고모가 연민의 태도를
보이며 갈등의 감정이 정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05 ‘나’는 현재 태국 아유타야로 향하는 열차 안에서 책을 읽으며
과거 능 르타이와의 첫 만남을 떠올리고, 다시 현재로 돌아와 12 능 르타이의 사고 소식을 듣고 화재 현장으로 간 가족들은
책의 내용을 소개한다. 책 내용을 소개하며 다시 과거의 일을 ‘나’와 고모로, 태국의 능 르타이 가족들이 화재 현장에서 슬
떠올리는데, 이처럼 현재와 과거의 시간을 교차시키며 사건 퍼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는 ③의 내용은 적절하지 않다.
을 서술하고 있다.
13 | 예시 답안 | 자신을 가족 구성원으로 인정하지 않아 울분이
06 ‘나’가 아버지와 능 르타이의 사이가 가까워질 것을 예상하고 쌓여서
있는 장면은 나타나지 않는다.
| 오답 풀이 | ① 능 르타이는 한국에 들어온 직후부터 자신을 14 ⓓ 능 르타이의 비참한 모습을 방송사 기자들에게서 보호해
주고 싶어 하는 고모의 모습이다.
다그치고 의심하는 고모에게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② 고모는 능 르타이에게 온 엽서를 빼앗아 읽으며 의심하고
쏘아붙이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를 통해 능 르타이를 관리하
고 통제하려고 함을 알 수 있다.
④ 아유타야로 가는 열차 안에서 태국에서 온 능 르타이와의
나눈 첫 인사를 떠올리고 있다.
⑤ 수로왕릉 정문 위의 장식 판에 새겨진 물고기 문양이 인도
아유타 지역에서 쉽게 발견된다는 점에서 가야와 아유타 사
이에 교류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07 | 예시 답안 | 고향 소식을 접한 능 르타이가 삶의 활기를 찾았


기 때문에

410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10 18. 2. 26. 오후 4:31


7
③ ‘하고 있다’(진행상), ④ ‘먹어 버렸다’(완료상)가 동작상을
국어 규칙의 탐구와 적용 나타내고 있다.

<피동 표현과 인용 표현>


1 우리말의 문법 요소 01 ⑤는 문장의 주체인 ‘선생님’이 ‘영호’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
본문 306~315쪽 는 사동 표현이다.
확인하기
<높임 표현> 01 ④02 ③ 03 아버지(주체), 할머니(객체) 02 ② ‘아기가 엄마에게 안겼다.’는 피동 표현의 쓰임이 적절하
<시간 표현> 01 ②02 내일, 할, 갈 거야 03 ⑤ 다.
<피동 표현과 인용 표현> 01 ⑤ 02 ② 03 예시 답안 참조 | 오답 풀이 | ① 이중 피동 표현으로 ‘창문이 열리지(열어지지)
않는다.’로 고치는 것이 자연스럽다.
<높임 표현>
③ 이중 피동 표현으로 ‘네 말이 믿어지지(믿기지) 않는다.’로
01 상대 높임에는 격식체와 비격식체가 있다. ①의 ‘하시구려’는 고치는 것이 자연스럽다.
하오체, ②의 ‘가자’는 해라체, ③의 ‘도와주겠나’는 하게체, ⑤ ④ 번역 투 피동 표현으로 ‘이 의자는 형이 만들었다.’와 같이
의 ‘말씀드리겠습니다’는 하십시오체로 격식체에 해당한다.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④의 ‘오세요’는 해요체로 비격식체에 해당한다. ⑤ 불필요한 피동 표현으로 ‘계산이 잘못된 것이라 생각한다.’

02 주체 높임은 문장에서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③은 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서술의 객체인 ‘부모님’을 높인 객체 높임 표현이다.


03 | 예시 답안 | •직접 인용문: 친구가 (나에게) “일요일에 뭐 할
| 오답 풀이 | ① 특수 어휘 ‘주무시다’를 사용하여 주체인 ‘아버 거니?”라고 물었다.
지’를 높이고 있다. •‌간접 인용문: 친구가 (나에게) 일요일에 뭐 할 거냐고 물었다.
② 조사 ‘께서’와 ‘밥, 먹다’의 높임말인 ‘진지, 들다’, 선어말 어
미 ‘-시-’를 사용하여 주체인 ‘할아버지’를 높이고 있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319~321쪽
④ 조사 ‘께서’와 선어말 어미 ‘-시-’를 사용하여 주체인 ‘할머
01 ④ 02 ⑤ 03 ③ 04 ①
니’를 높이고 있다.
05 예시 답안 참조 06 ④ 07 ④
⑤ 조사 ‘께서’와 선어말 어미 ‘-시-’를 사용하여 주체인 ‘이모
08 예시 답안 참조 09 ③ 10 ② 11 ③
부’를 높이고 있다.
12 ⑤ 13 예시 답안 참조 14 ② 15 ③
03 ‘아버지께서는 할머니를 모시고 시골에 가신다.’는 조사 ‘께서’
와 선어말 어미 ‘-시-’를 사용해 주체인 ‘아버지’를 높임과 동
01 ‘ㄹ’은 서술의 객체인 ‘선생님’을 높이고 있으나, 행위의 주체
(이자 상대)인 ‘정원’을 높이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다.
시에 특수 어휘 ‘모시다’를 사용하여 객체인 ‘할머니’를 높이고
있다. 02 ㉠은 주체인 ‘할아버지’를, ㉡은 객체인 ‘어머니’를, ㉢은 주체
인 ‘할머니’와 말을 듣는 상대를 높이고 있다.
<시간 표현>
03 ③ ‘할머니께서는 눈이 매우 밝으신 편입니다.’는 주체 높임
01 과거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다. 발화시가 사건
표현 중 간접 높임에 해당한다.
시보다 앞서 있는 것은 미래 시제이다.
04 ①은 사물 존칭이 사용된 ‘손님, 지금은 자리가 없으세요.’를
02 ‘나는 내일 해야 할 일이 많아서 못 갈 거야.’는 ‘내일’(시간 부
‘손님, 지금은 자리가 없습니다.’로 바르게 고쳤다.
사어), ‘할(하-(어간)+-ㄹ(관형사형 어미))’, ‘갈 거야(가-(어
| 오답 풀이 | ② ‘할아버지께서 댁에서 진지를 드시고 계신다.’
간)+-ㄹ 거(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야(어미))’를 사용
로 고치는 것이 적절하다.
하여 미래 시제를 나타내고 있다.
③ ‘지금부터 회장님의 말씀이 있으시겠습니다./지금부터 회
03 ⑤는 과거 시제를 나타낼 뿐 동작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쓰이 장님께서 말씀하시겠습니다.’로 고치는 것이 적절하다.
지 않았다. ④ ‘지훈아, 선생님께서 너 교무실로 빨리 오라셔(오라고 하
| 오답 풀이 | ① ‘말라 간다’(진행상), ② ‘누워 있다’(완료상), 셔).’로 고치는 것이 적절하다.

정답과 해설 ◀
411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11 18. 2. 26. 오후 4:31


⑤ ‘동생이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으로 놀러 갔다.’로 고치는 | 예시 답안 |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가 나에게 들렸다.
것이 적절하다.
14 ㉠을 능동문으로 바꾸면 ‘바람이 문을 닫았다.’가 된다. 따라
05 | 예시 답안 | •바르게 고치기: 바라겠습니다 → 바랍니다 서 ‘문’은 목적어로 만들어야 한다.
•‌고친 이유: 지금 현재 ‘앞으로 나와 주시기’를 바라는 것이
15 직접 인용문을 간접 인용문으로 바꿀 때는, 우선 인용 부호인
기 때문에 굳이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겠-’
큰따옴표를 삭제하고(①) 인용한 문장 뒤의 조사는 ‘고’로 고
을 사용할 이유가 없다.
쳐야 한다(④). 문장의 주어는 그대로 두고(②), 인용한 문장에
06 ④의 ‘주저앉아 있었다’는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었-’이 사 쓰인 대명사는 문장의 내용에 맞게 고쳐야 한다(⑤). 이에 따
용된 과거 시제이다. 라 제시된 직접 인용 표현을 간접 인용 표현으로 바꾸면 ‘그가
자신에게 어서 오라고 말했다.’가 된다. 인용한 문장의 시제는
07 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하는 것은 현재 시제이다. 그런데 ⓓ
는 말하는 순간보다 나중에 영화를 보러 갈 의사가 있는지를 변하지 않으므로 ③은 적절하지 않다.

묻는 말이므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나중인 미래 시제에 해


당한다.

08 | 예시 답안 | •시제: 과거 시제
2 한글 맞춤법과 우리말 가꾸기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요소: 어제, -던, -았-
본문 324~328쪽
09 ③의 ‘우리는 독서 토론을 한다.’와 ‘우리 가족이 살기에는 이 확인하기

집이 너무 크다.’는 모두 현재 시제이다. <한글 맞춤법의 원리> 01 ④ 02 ④


| 오답 풀이 | ① ‘저 분이 담임 선생님이시다.’는 현재 시제, ‘나 <우리말 가꾸기> 01 ⑤
는 밥을 벌써 먹었다.’는 과거 시제이다.
<한글 맞춤법의 원리>
② ‘아버지께서는 운동 선수이셨다.’는 과거 시제, ‘다음 주는
방학이겠구나.’는 미래 시제이다.
01 ‘구름, 놀다, 달리다, 수군거리다’는 소리대로 적은 것이고 ‘붙
이다’는 어법에 맞도록 적은 것이다.
④ ‘나는 지금 언니와 함께 영화를 본다.’는 현재 시제, ‘내가
다니던 학교에는 벚꽃이 많이 피었었어.’는 과거 시제이다. 02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을 적용할 때, 어느 쪽으로 적든지 뜻
⑤ ‘그것은 아버지께서 사 주신 연필이야.’는 현재 시제, ‘나는 을 파악하는 데 별 차이가 없을 때에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
다음 시간에 진로 상담을 받으러 갈 거야.’는 미래 시제이다. 다.
| 오답 풀이 | ①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표기 대상으로 삼는
10 (나)의 ‘-겠-’은 추측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의미를
것이지, 한글 맞춤법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어가 정해지는 것
나타내는 것은 ‘설악산에는 벌써 단풍이 들었겠다.’의 ‘-겠-’
은 아니다.
이다.
② 소리대로 적는다는 기본 원칙에 따라, 어느 쪽으로 적는 것
| 오답 풀이 | ①, ④는 가능성을 나타내고 ③, ⑤는 의지를 나
이 소리대로 적는 방법인지를 먼저 살피고 어법에 맞도록 한
타낸다.
다는 조건을 적용해야 한다.
11 ③에서 ‘먹고서’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①의 ‘말라 간다’, ②의 ③ 발음 형태대로 적는 방식과 뜻을 파악하기 쉽도록 적는 방
‘보고 있다’, ④의 ‘놀고 있다’, ⑤의 ‘지으면서’는 진행상을 나 식이 적절히 조화하고 있다.
타낸다. ⑤ 소리대로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조

12 ⑤ ‘바람에 깃발이 흔들리다.’는 주체인 ‘깃발’이 다른 대상인 건에 어긋나지 않아야 한다.


‘바람’에 의해 ‘흔들림’을 당하는 것을 나타낸 피동 표현이다.
<우리말 가꾸기>
| 오답 풀이 | ①, ③은 능동 표현에 해당하고 ②, ④는 사동 표
01 우리말의 품격과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현에 해당한다.
글에 나타나 있지 않다.
13 능동문이 피동문으로 바뀔 때에는 능동문의 주어는 피동문의 | 오답 풀이 | ①은 1문단, ②는 3문단, ③은 2문단, ④는 3문단
부사어로, 목적어는 주어로, 능동사는 피동사로 바뀌게 된다. 에 나타나 있다.

412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12 18. 2. 26. 오후 4:31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333~336쪽 09 ‘역활’은 ‘역할’을 잘못 표기한 것이므로 ③은 적절하지 않다.

01 ⑤ 02 ⑤ 03 ④ 04 ① 10 ①은 ‘그게 내 바람이었어.’로, ②는 ‘얻다 대고 화풀이야.’로,


05 예시 답안 참조 06 ③ 07 ④ 08 ③ ④는 ‘어떻게 이걸 틀릴 수 있지?’로, ⑤는 ‘진호는 며칠 동안
09 ③ 10 ③ 11 예시 답안 참조 12 ② 아무 말이 없었다.’로 고쳐야 맞춤법에 맞는다.

01 마지막 문단에서 ‘한글 맞춤법은 우리의 언어생활을 제약하는 11 | 예시 답안 | •맞춤법에 어긋난 이유: ‘병이나 상처 따위가 고
것이 아니라 언어생활을 원활하게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쳐져 본래대로 되다.’를 뜻하는 말은 ‘낫다’인데, ‘배 속의 아
하였다. 이, 새끼 알을 몸 밖으로 내놓다.’를 뜻하는 ‘낳다’를 사용하
였다.
02 ‘숩또’는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조건을 적용하여 ‘숲도’로 적어
•바르게 고친 문장: 감기 빨리 나으세요.
야 한다.
12 ㄴ의 ‘해도지’는 구개음화가 일어나도 그 기본 형태를 밝혀 적
03 ‘가을, 아지랑이, 울다’는 소리대로 적은 것이고, ‘솔잎’과 ‘반듯
는다는 제6항에 따라 ‘해돋이’로 고쳐야 한다.
이’는 각각 [솔립]과 [반드시]로 소리 나는 것을 어법에 맞도록
| 오답 풀이 | ① ‘해쓱한’이 맞는 표기이다.
적은 것이다.
③ ‘돗자리’는 받침을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으므로 ‘ㅅ’으로
04 ‘마개’는 과거에 ‘막애(여기서 ‘-애’는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적는다.
로 표기하였는데, 현재는 소리대로 적는 형태로 변하였다. ④ ‘핑계’는 [핑계] 또는 [핑게]로 소리가 난다.
⑤ ‘신년도’는 [신년도]로 발음하며, ‘신여성’과 달리 ‘신년-도’
05 ‘제6항’의 내용은 구개음화가 일어나도 그 기본 형태를 밝혀
로 분석되는 구조이므로,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신년도’
적는다는 것이므로 총칙 제1항의 ‘어법에 맞도록 함.’과 관련
로 적는다.
된다.
| 예시 답안 | ⓐ: 어법에 맞도록 함./ⓑ: 끝이

06 2문단에서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적던 시대에 세종 대왕은 훈


민정음을 창제했다고 했다. 그러므로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는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했다고 볼 수 있다.
| 오답 풀이 | ① 1문단에서 한국어도 국제적인 언어의 지위를
얻어 가고 있다고 하였다.
② 3문단 무분별하게 외래어를 쓰는 것은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성하게 만들지 못한다고 했다.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 외래
어이므로 외국에서 온 말의 사용은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성
하게 만들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④ 2문단에서 주시경은 말과 글을 자주국의 징표로 보았다고
하였다.
⑤ 3문단에서 바람직한 언어생활을 위해서는 신조어나 비속
어의 문제를 인식해야 한다고 했고, 장단점을 인식해야 한다
고 하지 않았다.

07 <보기>에서는 어법에 맞지 않게 소리 나는 대로 쓰거나, 초성


만으로 의사를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④와 같은 반응을 보이
는 것이 적절하다.

08 ㉠은 말이 문화를 나타내는 상징이라는 의미이므로, ③과 관


련이 있다.

정답과 해설 ◀
413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13 18. 2. 26. 오후 4:31


8
멘다는 말과 눈물겹다는 말을 통해 그들에 대한 연민의 정서
문제 해결의 지름길, 소통 를 내비치고 있다.

03 <보기>에 제시된 시어들은 모두 나이 든 남자, 어린 시절의


1 점심, 누구와 함께할 것인가 그, 혼자 밥 먹는 자들, 노인 등이 먹는 음식들이다. 이 음식들
본문 342~346쪽 은 모두 소박하고, 가난한 형편을 나타내 주고 있다.
확인하기
| 오답 풀이 | ① 라면을 보고 과거를 회상하긴 하지만, 나머지
01 ③ 02 예시 답안 참조 03 ⑤ 04 ⑤
음식들은 회상의 매개체로 작용하지 않는다.
05 ① 06 ③
②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외로운 식사 장면을 보여 주는

01 동창회와 같은 시간이 걸리는 모임은 거의 저녁으로 잡힌다. 것으로, 직장인이라는 특정 인물의 외로운 식사 모습을 상징
한다고 볼 수 없다.
02 | 예시 답안 | 일반적으로 대부분 바깥에서 이뤄지며, 가족 이
③, ⑤ 제시된 음식들은 고통스러운 삶임에도 불구하고, 그러
외의 사람이 만든 음식을 가족 이외의 사람들과 먹는 식사이
한 삶을 버텨나가게 해 주는 거룩한 존재로 인식되는 음식들
기 때문에
이다.
03 직장인들은 점심시간에 누구와 함께 밥을 먹을지 결정해야
하는데, 거기에서 친소 관계의 지형이 드러난다고 하였다. 04 <보기>에서 언급한 혼밥은 다른 사람의 압력에서 벗어나 내

| 오답 풀이 | ① 혼자서 밥을 먹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밝히고


가 먹고 싶은 것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글에서
언급하는 질 높은 식사는 몸과 마음의 교류가 이뤄지는 식사
있다.
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말하는 질 높은 식사와 혼밥은 관련이
②, ④ 일하면서 생긴 불편한 마음을 식탁으로 끌고 가고 싶지
없다.
않기 때문에 껄끄러운 감정이 쌓인 사람들을 기피하게 된다
| 오답 풀이 | ① 이 글의 마지막 문단과 <보기>에서 직접적으
고 밝히고 있다.
로 언급되어 있다.
③ 상사가 함께 밥을 먹자고 하면 따라갈 수밖에 없는 때가 많
② <보기>에서 ‘흙밥’이 생존을 위해 최소한으로 때우는 식사
다고 밝히고 있다.
를 의미한다면, 이 글에 등장하는 홀로 사는 노인들의 식사도
04 화자는 가난한 사람들이 혼자 밥 먹는 모습을 연민의 태도로 이 용어로 설명이 가능하다.
바라보고 있다. ④ 능동적 선택에 의한 ‘혼밥’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외로

05 일본의 생활 공유 거주 공간은 기존의 노인 홈과 달리 일반 주 인한 ‘흙밥’은 두 글에서 공통적으로 문제시하는 현상이다.


택을 활용한다. ⑤ 일본의 사례는 동네 주민들과 교류하는 식사를 통해 노인
들의 삶에 활력이 샘솟았다는 내용으로, <보기>에서 언급한
06 가족이 해체되고 있긴 하지만, 현대인들이 가족들과 함께 하
사회적이면서도 건강한 식사가 이루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는 식사 자리의 소중함을 모른다고 할 수는 없다.
05 글쓴이는 혼자 먹는 점심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예로 든 영화의 주인공이 처한 상황을, 서럽고(ㄹ) 집에서는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353~355쪽
눈치가 보이고 밖에서는 함께 먹을 사람이 없어 외로울(ㄴ) 것
01 ⑤ 02 ② 03 ④ 04 ③ 05 ④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글쓴이는 주인공의 이러한 사정이 ㉠
06 연민의 태도로 바라봄. 07 예시 답안 참조 08 ①
과 같은 상황을 유발했다고 보고 있다.

01 ‘점심은 단순히 허기를 채우는 생리적 행위가 아니다.’라는 언 | 오답 풀이 | ㄱ. 개인의 사교성과 실직자의 외로운 점심은 관

급을 통해 생리적 행위로서의 식사가 아닌 사회적 행위로서 련이 없다.

의 식사에 관심을 표한 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ㄷ. 집 밖에서 이뤄지는 식사가 모두 서럽고 외로운 식사 자리


가 되는 것은 아니다.
02 나이 든 남자가 큰 덩치로 등 돌리고 라면 발을 건지는 모습,
혼자 밥 먹는 자들이 풀어진 뒷머리를 수습하지도 않고 밥을 06 인생의 황혼기에서 궁핍하고 쓸쓸하게 지내는 사람을 연민의
먹는 모습을 애달프게 묘사하고 있으며, 동시에 갑자기 목이 태도로 바라보고 있다.

414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14 18. 2. 26. 오후 4:31


07 | 예시 답안 |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증가하게 될 는 것으로, 글쓴이는 중립적인 입장이 아닌 독자에게 자신이
홀로 사는 노인들이 함께할 대상이 없이 식사를 해야 하기 때 잊힐 권리와 알 권리 중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권리와 그 이
문에 유를 밝혀야 써야 한다.

08 ⓐ‘가늠’은 ‘사물을 어림잡아 헤아림.’을 뜻한다. ‘승부나 등수 03 정책 논제는 특정 정책을 시행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주장하
따위를 정하는 일.’은 ‘가름’의 의미이다. 는 것이다. 또한 논제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긍정형의 평서문
으로 서술해야 한다.

04 [A]는 인터넷에 남아 있는 잊고 싶은 과거의 흔적 때문에 고통


받는 피해자들을 구제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아 ‘잊힐 권리’가
2 잊힐 권리와 알 권리 새롭게 떠오르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잊힐 권리’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유와 배경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본문 358~360쪽
확인하기
05 ‘알 권리’를 주장하는 입장은 불법적인 정보가 아닌 어떤 사람
01 ② 02 예시 답안 참조 03 ④
의 정보를 찾아보고 그에 관한 판단을 내리는 것은 각자의 자

01 개인이 노출되길 원하지 않는 정보가 인터넷에 유출된 데에 유라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불법적인 정보의 경우는 알 권리
대한 책임이 포털 사이트에 있다는 사실은 언급된 바가 없다. 보장과는 관련이 없다.

02 | 예시 답안 | 개인이 일일이 사이트를 찾아다니며 유출된 정보 06 3문단에서 유럽 사법 재판소의 판결을 ‘자신과 관련된 정보를
에 대해 삭제 요청을 하는 것, 업체를 통해 개인 정보를 삭제 삭제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 셈’으로 평하고
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있다.

03 알 권리는 개개인이 정치·사회 현실 등에 관한 정보를 자유롭 07 | 예시 답안 | 힘 있는 정치인이나 거대 기업이 자신의 허물은

게 알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이다. 개인 정보가 노출되어 피해 노출되지 않도록 막고, 유리한 정보만 온라인상에서 공유되
를 본 사람에게 관련 업체가 보상을 해야 한다는 내용은 알 권 도록 함.
리와 관련이 없다.
08 ④는 토의의 목적이다.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369~371쪽 09 토론의 쟁점을 파악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타탕한 근


거를 마련해야 하는 사람은 찬반 양측의 토론 참가자이다.
01 ④ 02 ⑤ 03 잊힐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
04 ① 05 ④ 06 ② 07 예시 답안 참조 10 입론의 역할은 토론의 배경 설명, 문제 제기의 취지, 주요 용
08 ④ 09 ④ 10 ② 어 정의, 핵심 근거 제시 등이다. 상대측 논거의 문제점을 지
적하는 것은 반론에 해당한다.
01 인터넷 특성상 한번 정보가 유출되면 회수하기가 어렵기 때
문에 정보 유출로 피해를 본 사람들을 구제해 줄 방법이 없어
잊힐 권리의 보장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 오답 풀이 | ① 우리나라에서는 알 권리와 잊힐 권리가 충돌
하고 있다. 3 갈등을 해결하는 협상
②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려는 입장은 잊힐 권리를 보장하
본문 374~377쪽
자는 입장이다. 확인하기

③ 인터넷 특성상 한번 떠돌기 시작한 정보는 회수하기가 어 01 ① 02 ⑤ 03 ⑤ 04 ③


렵다.
01 성공적인 협상은 양쪽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최선의 해결책
⑤ 유출된 개인 정보를 제거해 주는 업체가 있긴 하지만, 완전
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고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에 있다. 한
히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쪽의 양보와 희생이 있는 협상은 성공적인 협상이라고 할 수
02 설득하는 글쓰기의 목적은 독자의 생각이나 행동을 변화시키 없다.

정답과 해설 ◀
415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15 18. 2. 26. 오후 4:31


02 갈등과 교착 상태가 지속될 때 인내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협 발생한 이면을 이해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해야
상의 주도권을 상대방에게 넘기는 것은 전략에 해당하지 않 한다.
는다.
05 서희는 고려가 송나라를 섬기고, 거란과는 교류하지 못했던

03 개최국 결정 시기가 당겨지자 협상 시기를 지연하는 전략을 이유를 거란과 고려 사이를 여진이 가로막고 있어서라고 설
사용한 나라는 한국이다. 명하였다. 협상 전 거란에게 영토를 빼앗길 위기에 처했던 고
려는 이러한 서희의 창의적인 태도와 생각 덕분에 거란의 침
04 협상에서 사람들은 메시지 자체보다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
략을 막고, 오히려 여진이 차지하고 있었던 강동 6주까지 얻
의 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협상의 내용보다 그 내용을 전
는 성공적인 협상을 거둔 것이다.
달하고 표현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 오답 풀이 | ① 한일 공동으로 월드컵 축구 대회를 개최하여 06 한일 공동 개최로 협상이 타결되면서 어느 한쪽이 막대한 손
양국이 모두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므로 갈등이 심화 해를 보는 일 없이 양국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커다란
되었다고 볼 수 없다. 파이를 나누어 가지게 되었다.
② 추가 협상을 통해 월드컵 결승전은 일본에서 이루어졌다. | 오답 풀이 | ① 협상 시작 단계에서 한국은 일본보다 불리한

④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한 한국의 새로운 제안으로 한일 공 입장에 놓여 있었다. 또한 협상에 실패하더라도 한국이 일본
동 개최가 결정될 수 있었다. 보다 단독 개최에 유리했을 것이란 단서를 글에서 찾아볼 수
⑤ 협상에서 내용을 전달하고 표현하는 방식이 더 중요할 수 없다.
있기 때문에, 강하게 자신의 입장만을 고수하는 것은 적절하 ② 월드컵 유치 후발 주자로 불리한 입장에 놓여 있었던 것은
지 않다. 한국이다.
③ 한국이 일본보다 큰 성과를 얻었다고 볼 수는 없다.
⑤ 한국 또한 월드컵 유치에 성공하면서 경제적 효과를 보았
소단원 실전 문제 본문 387~390쪽
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01 ④ 02 ⑤ 03 ③ 04 ④
05 창조적인 태도로 협상에 임함. 06 ④ 07 ① 07 한국이 처음 한일 공동 개최를 제안했을 때, 일본은 월드컵은

08 예시 답안 참조 09 ⑤ 10 ④ 한 나라에서 개최되어야 한다는 피파 규정을 들어 공동 개최


를 반대했다.
01 (라)는 협상의 3단계를 설명하고 있다. 갈등 상황을 명확히 파
악하는 것은 협상 단계에서 시작 단계에 해당한다.
08 | 예시 답안 | 유치 홍보에 많은 비용을 들인 일본이 유치 경쟁
에서 질 경우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제안
02 (다)에서 협상의 조건과 목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 유럽 세력의 지지를 얻었기 때문에
(나)에서 사례를 들고 있다.
09 세부 협상 사안은 한일 공동 개최가 결정된 후 진행된 추가 협
03 협상의 목적은 양쪽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최선의 해결책을 상이다.
찾아 문제를 해결하고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에 있다.
| 오답 풀이 | ② 협상에서 갈등과 교착의 상황은 자연스러운
10 협정서에는 협상의 목적을 분명히 밝히고, 양측의 의무와 책
임 사항을 명시해야 한다(ㄴ). 협정서의 형식은 협정의 목적과
상황이다.
내용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ㄹ).
04 협상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화하는 기술을 습득하여 협상의 | 오답 풀이 | 협정서는 서로 협의한 내용을 적는 것으로, 협상
목표를 향해 고도로 절제하는 말하기(ㄱ)를 해야 한다. 말 이 전략(ㄱ)이나 협의하지 못한 내용(ㄷ)을 정리한다는 설명은
외에 협상자가 표현하는 절망, 실망, 분노까지도 하나의 협상 적절하지 않다.
전략(ㄹ)이 될 수 있다. 또한 협상의 대상이 되는 문제나 사안
과 관련된 정보를 최대한 많이 모아 협상의 준비를 철저히 해
야(ㄷ) 한다.
| 오답 풀이 | ㄴ. 교착 상태에 놓였을 때 참여자는 상대가 양보
할 때까지 인내할 것이 아니라, 교착 상태를 인내하며 교착이

416 ▶ 정답과 해설

(392-418)고등국어_자습서(해설)-3.indd 416 18. 2. 26. 오후 4:31

You might also like